[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059487A - 바디스윙 보조기구 - Google Patents

바디스윙 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9487A
KR20240059487A KR1020220140786A KR20220140786A KR20240059487A KR 20240059487 A KR20240059487 A KR 20240059487A KR 1020220140786 A KR1020220140786 A KR 1020220140786A KR 20220140786 A KR20220140786 A KR 20220140786A KR 20240059487 A KR20240059487 A KR 20240059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cross band
body swing
cross
bel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0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재명
Original Assignee
홍재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재명 filed Critical 홍재명
Priority to KR1020220140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9487A/ko
Publication of KR20240059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948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57Means for physically limiting movements of bod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05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should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골프 스윙연습 또는 라운딩 시 몸에 착용하는 바디스윙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기구는 탄성 밴드로 이루어진 일련의 크로스 밴드1과 2의 양단을 왼쪽 허벅지를 감싼 벨트와 왼쪽 어깨를 감싼 벨트에 각각 체결, X자 대칭 형태로 몸통을 감싸게 착용한다. 본 기구를 착용하고 스윙 시 X-팩트값을 증대시켜 비거리를 늘리고 상하체 일체감을 형성, 골반회전 및 체중이동을 유도하여 바디스윙을 보조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바디스윙 보조기구{DEVICE FOR BODY SWING}
본 발명은 골프 바디스윙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착용하고 스윙 시 상하체의 일체감을 형성하고 골반회전, 비거리 증대에 도움을 주는 보조기구이다.
골프 바디스윙에 있어서 미국의 골프교습가 짐 맥린(Jim McLean)에 의해 주창된‘X-팩터(X-Factor)’스윙이론에 따르면 "백스윙 때 골반에 비해 어깨 회전을 더 크게 가져갈수록 다운스윙 때 사용할 에너지를 더 많이 비축할 수 있다. 백스윙탑에서 어깨 회전과 골반회전이 만들어내는 각도의 차이로 인해 스윙의 강도가 결정된다는 것으로 상체와 하체의 꼬임이 장타를 치는 핵심 역할을 한다는 비거리 증대 이론이다. 하체의 움직임은 최소화시키고 상체의 꼬임을 극대화하여 회전력을 높이는 논리다. 이후에도 많은 연구자들이 숙련된 선수들은 더 높은 X-팩터 값을 통해 긴 비거리를 생성해 낸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하지만 Cheetam 등의 연구진(2000)은 엑스팩터와 관련된 다른 결과를 발견하였고, 이를 엑스팩터 스트레치(X-Factor Stretch)라고 명명하였다. 엑스팩터 스트레치는 다운스윙이 시작될 때 몸통(어깨)과 골반의 분리가 추가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출처: 골프한국(http://golfhankook.hankooki.com))
1950년대 모던스윙의 창시자 벤호건은 바디턴의 중요성을 다음과 같이 역설하였다.”골반은 다운스윙을 이끄는 열쇠다. 골반의 움직임을 먼저 시작하고 올바르게 움직여라. 이 한가지 동작이 사실상 다운스윙을 이끌어 낸다. 그것은 빠른 스피드를 만들어 내고, 오른발 무게중심을 왼발로 옮겨 준다. 다운스윙을 시작하기 위해서 힙을 왼쪽과 뒤쪽으로 잡아채는 듯한 느낌이 들도록 한다.“ [출처:벤호건 골프의 기본(한국경제신문출간)]
현대 골프에 이르러서는 여러 전문가에 의해 더욱더 바디스윙의 개념이 발전하였으나 결국 상기 이론과 같이 상하체의 꼬임과 골반 회전력에 의해 비거리가 결정되고 상하체의 일체감이 스윙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관건임은 부인할 수 없다.
골프에 처음 입문하는 초보자나 주말골퍼들은 비거리를 늘리고자 바디스윙을 배우다보면 골반회전이 잘 안되고 스웨이 동작이나 배치기, 엎어치기, 헤드업등 여러 문제점에 봉착하여 비교적 배우기 쉬운 암스윙에 익숙해 지는 경향이 많다. 결국 큰 근육보다 작은 근육에 의존하게 되어 일관성이 떨어지고 비거리가 나지 않아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연습도구나 보조기구들이 개발되어 활용되어 왔다. 대표적으로 팔과 몸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바디턴을 연습하는 기구, 스윙 웨이트나 타이밍을 훈련하는 클럽 유사도구, 다리와 허리 또는 어깨를 밴드로 결속하여 상하체의 일체감을 형성하고 비거리를 증가시키는 보조 기구 등 다양한 장비들이 개발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일명 '벤호건드릴'과 X-팩터 이론에 근거하여 상하체 연결 밴드에 의한 골반 회전력의 직접적인 상체전달 효과와 탄성벨트를 이용한 X-팩터값을 강화시켜 비거리를 증대하고 왼쪽 다리를 축으로 하는 회전운동에 주안하여 바디스윙을 쉽게 할 수 있는 보조 기구를 발명하게 되었다.
(특허문헌 0001) 한국 특허공보 제10-2308081(2021.9.27.)
발명의 명칭: 골프 스윙자세 교정구
(특허문헌 0002) 한국 특허공보 제10-2271969(2021.6.28.)
발명의 명칭: 자세 유도기
(특허문헌 0003) 한국 특허공보 제10-2278828(2021.7.13.)
발명의 명칭: 골프 스윙연습 보조장치
(특허문헌 0004) 한국특허공개 제10-2017-0093479(2017.8.16)
발명의 명칭: 드라이브샷에 영향을 주는 스윙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용 스파인밴드
(특허문헌 0005) 한국특허공개 제10-0793442 소멸(2008.01.03.)
발명의 먕칭: 골프 보조기구
(특허문헌 0006) 미국특허공보 06832960(2004.12.21.)
발명의 명칭: Golf swing and hip rotation connector
교습가들이 말하는 올바른 바디스윙 방법은 백스윙이 완성되기 전 하체, 골반회전이 먼저 시작되고 체중이동과 함께 팔(손)을 오른쪽 허리까지 내린 후(레깅) 몸통이 회전하여 다운스윙 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피니쉬 동작 때는 왼쪽 골반이 뒤로 외회전하고 오른 무릎을 왼쪽 허벅지에 붙혀 역C자형으로 타겟을 바라봐야 한다고 가르치고 있다. 즉 왼쪽 골반의 회전이 다운스윙의 시작이자 끝임을 말하고 있다.
바디스윙의 중요한 목적인 비거리에 관련하여 X-팩터 이론에서 골반의 각도가 45도 회전할 때 어깨(상체)가 90도 회전하여 45도의 GAP에 의한 몸의 꼬임이 비거리를 증가시키는 요체임을 강조한다. 다운스윙 시에는 골반회전이 상체를 리드하여 X-팩터 스트레츠 값을 증가시키도록 가르치고 있다. 또한 모든 교습가가 비거리를 내기 위해서는 척추각을 유지하면서 체중이동이 필수임을 강조한다.
그러나 초보자들이나 암스윙에 의존하는 골퍼들은 백스윙시 몸의 꼬임이 부족하고 다운스윙시 골반 회전이 부족하여 비거리가 나지 않는 경우를 흔히 본다. 또한 체력이 약한 경우 스윙 시 스웨이 동작이 심하거나 상하체의 분리가 너무 과도해 임팩트 타이밍을 잡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이에 본 발명은 몸에 착용하는 벨트와 밴드를 이용하여 바디스윙의 핵심이 되는 몸통의 꼬임에 의한 X-팩터값 증대, 골반 회전력에 의한 X-팩터 스트레치값 증대, 상하체 일체감을 통한 스웨이 동작 방지, 체중이동을 동시에 해결하고자 하였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주로 벨트나 밴드를 이용해 허리와 팔뚝, 왼쪽 하체와 오른쪽 상체(팔). 오른쪽 하체와 오른쪽 허리, 또는 양팔을 결속하여 몸을 통제하는 방법으로 주로 오른팔 중심의 비거리 증대나 바디스윙 플레인을 익히도록 기구를 개발하였다.
반면 본 발명에서는 두개의 벨트와 두개의 밴드를 이용, 회전의 중심이 되는 왼쪽 다리와 왼쪽 어깨를 연결, 몸통을 X자 형태로 교차하여 감싸는 방법으로 착용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X자 밴드는 탄성밴드를 적용하여 몸의 꼬임에 더해 좀 더 X-팩터값을 증대하도록 하고 다운스윙 시 골반회전력을 상체에 직접적으로 전달함으로써 X-팩터 스트레치값을 키워 비거리를 증가하도록 하였다. 또한 X자 밴드가 몸통을 상하좌우 감싸 회전함으로써 상하체 일체감, 체중이동을 동시에 해결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은 오른쪽 팔과 다리를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하면서 왼쪽 다리와 왼쪽 어깨를 통해 몸을 통제하여 자연스러운 스윙을 유도한다.
본 발명 기구를 착용하고 스윙을 하면 기본적으로 상하체의 일체감이 형성되어 스웨이 동작이 현저하게 줄게 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X자 밴드에 의해 상하체가 고정되어 백스윙 시 상체가 오른쪽으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며 다운스윙 시에는 왼쪽 다리에 지지력를 강화시키면서 왼쪽으로 몸을 밀어주는 힘에 의해 자연스럽게 체중이동이 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더불어 왼쪽 허벅지와 왼쪽 어깨를 연결한 크로스밴드1의 탄성을 이용, 백스윙 시 X-팩터값을 증폭시켜 비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이는 탄성밴드가 작접적으로 비거리를 증대하는 효과가 있지만 몸통 꼬임 근육 강화 훈련의 도움이 된다.) 또한 다운스윙시 왼쪽 골반이 선행하여 회전을 시작하면 상체에 회전력이 바로 전달됨으로써 X-팩터 스트레치값이 늘어나 비거리 증가에 도움을 준다.
만약, 다운스윙 시 골퍼가 잘못하여 상체가 하체보다 선행할 경우에도 크로스밴드2에 의해 왼쪽 골반이 동시에 회전하도록 당겨줌으로써 배치기나 치다마는 동작을 방지해 준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기구는 골퍼들이 가장 중요시하는 몸통 회전, 체중이동, 비거리 향상, 상하체 동기화에 따른 일관성 있는 스윙에 도움을 준다. 이는 연습장뿐만 아니라 실제 라운딩 중에도 본 발명 기구를 착용하고 스윙하면 비거리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시행착오를 줄이고 시간과 비용을 아껴 쉽게 바디스윙을 익힐 수 있도록 유도한다. 다만, 본 발명 기구는 스윙에 영향을 주는 장비이므로 당연히 공식경기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와 각부의 명칭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좌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는 본 발명 기구를 착용하고 스윙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크로스밴드1은 왼쪽 허벅지를 감싸는 허벅지벨트와 결합 되어 복부, 오른쪽 옆구리, 등 뒤로 돌아 왼쪽등 뒤 어깨벨트와 결합 된다. 또한 복부 중앙부분에 잠금과 해제를 할 수 있고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결합버클를 구비한다. 크로스밴드1의 재질은 백스윙 시 X-팩터를 증폭할 수 있도록 탄성벨트로 구성된다. 다만 탄성벨트의 도움을 받기 싫어하는 사용자를 위해 일반벨트로 대체할 수 있다. 이때에는 X-팩터값을 늘이기 위해 스윙 시 몸통의 수축력과 팽창력을 활용하면 효과가 있다. 크로스밴드2는 크로스밴드1 뒤쪽에서 상기 허벅지벨트와 일단이 결합 되어 등허리, 오른쪽 옆구리, 앞가슴을 타고 올라와 왼쪽 어깨벨트의 앞쪽에서 결합 된다. 또한 가슴 중앙부분에 잠금과 해제를 할 수 있고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결합버클를 구비한다.
본 기구를 위와 같이 착용하면 크로스밴드1과 크로스밴드2는 오른쪽 옆구리에서 상호 교차하는 형태를 띠며 크로스밴드1이 크로스밴드2의 바깥쪽에 위치하여 신축이 자유롭게 한다. 또한 크로스밴드1과 크로스밴드2는 상호 차별되는 색으로 구성하여 교차 결합시 구분을 용이하게 한다.
허벅지벨트와 어깨벨트에는 길이를 조정하여 고정하는 버클를 각각 구비한다. 상기 허벅지벨트와 어깨벨트는 벨크로 밴드로 대체 실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크로스밴드1과 허벅지벨트, 어깨벨트의 결합을 위해 연결고리를 구비한다. 또한 크로스밴드2과 허벅지벨트, 어깨벨트의 결합을 위해 연결고리를 구비한다.
크로스밴드2의 재질은 상하체 움직임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탄성을 갖는 벨트로 구성할 수도 있고 힘의 즉각적인 전달을 위해 일반벨트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크로스밴드1,2의 탄성 강도는 비교적 강한 것이 효과적이다. 백스윙 시 인장 길이가 짧은 뿐더러 밴드의 탄성에 의한 회전력 증대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결국, 골반 회전력에 의한 헤드 스피드 증가가 비거리 향상에 절대적인 요소이므로 골반 회전력의 상체 전달이 빠른 강한 탄성 밴드가 더 유리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 결합 된 본 발명 기구를 착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허벅지벨트와 어깨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크로스밴드1,2를 몸에 둘러 결합버클로 길이를 조정, 고정한다.
10: 크로스밴드1 11: 결합버클 20: 크로스밴드2 21: 결합버클 30: 허벅지벨트 31: 버클(왈자고리) 32: 연결밴드 40: 어깨벨트 41: 버클(왈자고리) 42: 연결밴드 43: 연결밴드 50: 허벅지벨트 연결고리 51: 어깨벨트 연결고리 52: 어깨벨트 연결고리

Claims (2)

  1. 사용자의 왼쪽 허벅지를 감싸는 허벅지벨트와 왼쪽 어깨를 감싸는 어깨벨트 사이를 양단에 체결한 일련의 밴드(크로스밴드1)로 구성된 구조로 이 밴드(크로스 밴드1)를 복부, 오른쪽 옆구리, 등 뒤로 몸을 감싸 착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스윙 보조기구;
    상기구조와 대칭되는 방법으로 상기 허벅지벨트와 상기 어깨벨트 사이를 양단에 체결한 또 하나의 밴드(크로스 밴드2)로 구성된 구조로 이 밴드는 등허리, 오른쪽 옆구리, 앞가슴을 타고 올라와 몸을 감싸 착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스윙 보조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크로스밴드1의 앞쪽에 잠금과 해제를 할 수 있고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결합버클를 구비한 바디스윙 보조기구;
    제1항에 있어서, 크로스밴드2의 앞쪽에 잠금과 해제를 할 수 있고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결합버클를 구비한 바디스윙 보조기구;
    상기 결합버클은 사용자의 신체 크기에 맞추어 길이를 조정하고 고정하는 역할과 탈착 기능을 한다.
    제1항에 있어서, 크로스밴드1, 크로스밴드2의 재질은 탄성을 갖는 밴드와 일반밴드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바디스윙 보조기구;
    제1항에 있어서, 허벅지벨트와 어깨벨트에는 각각 길이를 조정, 고정, 탈착할 수 있는 버클을 구비하는 바디스윙 보조기구:
    상기 버클은 사용자의 허벅지와 어깨 크기에 맞추어 고정하는 역할과 탈착 기능을 한다.
    제1항에 있어서, 허벅지벨트와 어깨벨트 구조 특성에는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벨크로 밴드를 포함하는 바디스윙 보조기구:
    제1항에 있어서, 크로스밴드1, 크로스밴드2와 허벅지벨트, 어깨벨트 사이를 체결하기 위한 연결고리를 구비한 바디스윙 보조기구;
    제1항에 있어서, 크로스밴드1과 크로스밴드2는 상호 차별되는 색으로 구성하여 교차 결합시 구분을 용이하게 하는 바디스윙 보조기구:
    제1항에 있어서, 크로스밴드1이 크로스밴드2의 바깥쪽에 위치하여 신축이 자유로운 구조의 바디스윙 보조기구;
KR1020220140786A 2022-10-27 2022-10-27 바디스윙 보조기구 Ceased KR202400594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786A KR20240059487A (ko) 2022-10-27 2022-10-27 바디스윙 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786A KR20240059487A (ko) 2022-10-27 2022-10-27 바디스윙 보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9487A true KR20240059487A (ko) 2024-05-07

Family

ID=91078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0786A Ceased KR20240059487A (ko) 2022-10-27 2022-10-27 바디스윙 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9487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442B1 (ko) 2007-03-14 2008-01-14 전동환 골프 보조기구
KR20170093479A (ko) 2016-02-05 2017-08-16 홍수영 드라이브샷에 영향을 주는 스윙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용 스파인 밴드
JP6832960B2 (ja) 2017-01-30 2021-02-2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たばこ原料の製造方法及びたばこ原料
KR102271969B1 (ko) 2020-11-14 2021-07-02 김영식 자세 유도기
KR102278828B1 (ko) 2020-12-11 2021-07-16 남동운 골프 스윙 연습 보조장치
KR102308081B1 (ko) 2020-04-23 2021-09-30 박거량 골프 스윙자세 교정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442B1 (ko) 2007-03-14 2008-01-14 전동환 골프 보조기구
KR20170093479A (ko) 2016-02-05 2017-08-16 홍수영 드라이브샷에 영향을 주는 스윙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용 스파인 밴드
JP6832960B2 (ja) 2017-01-30 2021-02-2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たばこ原料の製造方法及びたばこ原料
KR102308081B1 (ko) 2020-04-23 2021-09-30 박거량 골프 스윙자세 교정구
KR102271969B1 (ko) 2020-11-14 2021-07-02 김영식 자세 유도기
KR102278828B1 (ko) 2020-12-11 2021-07-16 남동운 골프 스윙 연습 보조장치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발명의 먕칭: 골프 보조기구
발명의 명칭: Golf swing and hip rotation connector
발명의 명칭: 골프 스윙연습 보조장치
발명의 명칭: 골프 스윙자세 교정구
발명의 명칭: 드라이브샷에 영향을 주는 스윙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용 스파인밴드
발명의 명칭: 자세 유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9638A (en) Golf swing training apparatus
US5839968A (en) Club swing train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US7654921B2 (en) Baseball batting training aid
US6984184B2 (en) Baseball batting swing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US7758436B2 (en) Training device for swinging and hitting activities
US7549948B2 (en) Postural support and exercise jacket
US7513840B2 (en) Club swing training method
US5397122A (en) Golf club swing connecting device
US20100105531A1 (en) Sports skills training device
US11529540B2 (en) Exercise device
US6027413A (en) Golf club swing training method
US6832960B2 (en) Golf swing and hip rotation connector
KR20240059487A (ko) 바디스윙 보조기구
AU739149B2 (en) Golf swing improving aid
JP2016168337A (ja) 足圧連動トレーニング器具
US6517446B2 (en) Apparatus and product for improving a golfer's swing
KR20240046814A (ko) 바디스윙 연습기구
WO2018023152A1 (en) Precise resistance device for all movement
CN223054706U (zh) 一种股四头肌力量训练器
JP2581713B2 (ja) 運動選手用トレーニング装置
US20230310963A1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KR101991631B1 (ko) 엉덩관절(고관절)의 회전성을 키워주는 스윙 연습기
US10286284B2 (en) Golf trai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07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07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08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