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9269A - Qr code that can be produced in various designs - Google Patents
Qr code that can be produced in various design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59269A KR20240059269A KR1020220140323A KR20220140323A KR20240059269A KR 20240059269 A KR20240059269 A KR 20240059269A KR 1020220140323 A KR1020220140323 A KR 1020220140323A KR 20220140323 A KR20220140323 A KR 20220140323A KR 20240059269 A KR20240059269 A KR 202400592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code
- pattern
- produced
- various design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46—Constructional details
- G06K19/06103—Constructional details the marking being embedded in a human recognizable image, e.g. a company logo with an embedded two-dimensional code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46—Constructional details
- G06K19/06131—Constructional details the marking comprising a target pattern, e.g. for indicating the center of the bar code or for helping a bar code reader to properly orient the scanner or to retrieve the bar code inside of an im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양한 형상의 디자인과 조합이 가능하여 심미감 및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이 가능한 큐알코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QR code that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designs that can be combined with designs of various shapes to increase aesthetics and advertising effectiveness.
큐알코드(QR CODE)는 종래에 많이 쓰이던 1차원 바코드의 용량 제한을 극복하고, 그 형식과 내용을 확장한 2차원 바코드로 종횡의 정보를 가져 숫자 외에 문자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큐알코드(QR CODE)는 보통 디지털 카메라나 전용 스캐너 또는 스마트폰 등으로 읽어들여 활용한다.QR CODE is a two-dimensional barcode that overcomes the capacity limitations of the previously widely used one-dimensional barcode and expands its format and content, and can store character data in addition to numbers by containing vertical and horizontal information. These QR CODEs are usually read and utilized with a digital camera, dedicated scanner, or smartphone.
초기의 큐알코드(QR CODE)는 자동차 부품 생산 관리 등 상품 관리에 널리 이용되었으며, 이후 다양한 인쇄매체 등에 인쇄되어 사용자들이 큐알코드(QR CODE)를 통해 상품정보, 인터넷 정보 등을 검색하도록 하는 광고수단으로 발전하였다. Initially, QR CODE was widely used for product management, such as automobile parts production management, and was later printed on various print media, etc. as an advertising tool that allowed users to search for product information, Internet information, etc. through QR CODE. developed into
예컨대, 잡지 광고에 큐알코드(QR CODE)를 인쇄하여 삽입하고, 이를 본 사람들이 자신의 스마트폰 등을 통해 큐알코드(QR CODE)를 촬영하여 인식하면, 상기 큐알코드(QR CODE)에 저장된 웹사이트로 연결하여 더욱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광고수단으로 발전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대부분의 스마트폰에는 큐알코드(QR CODE)를 촬영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이 지원되고 있다.For example, if a QR CODE is printed and inserted into a magazine advertisement, and people who see it recognize it by taking a photo of the QR CODE using their smartphone, etc., the web stored in the QR CODE It is being developed as an advertising tool by linking to sites and providing more detailed information. For this purpose, most smartphones support an application that allows you to capture and recognize the QR code.
도 1은 종래의 큐알코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QR code.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큐알코드(QR CODE)는 사각형의 형태를 갖는다. 큐알코드(QR CODE)는 3개의 위치검출패턴(10)과 위치검출패턴(10) 사이에 배치된 데이터패턴(130)(20)으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ure 1, the conventional QR CODE has a square shape. QR CODE consists of three location detection patterns 10 and
위치검출패턴(10)은 큐알코드(QR CODE)의 크기, 방향 또는 회전각도를 정의한다. 예컨대, 도 1의 큐알코드(QR CODE)에서 상단에 2개의 위치검출패턴(10)이 배치되고 하단에 1개의 위치검출패턴(10)이 배치된다. 이에, 사용자가 다양한 각도에서 큐알코드(QR CODE)를 촬영하더라도 2개의 위치검출패턴(10)이 배치된 부분을 큐알코드(QR CODE)의 상부로 인식하게 된다. The location detection pattern 10 defines the size, direction, or rotation angle of the QR CODE. For example, in the QR CODE of FIG. 1, two position detection patterns 10 are arranged at the top and one position detection pattern 10 is arranged at the bottom. Accordingly, even if the user photographs the QR Code from various angles, the part where the two position detection patterns 10 are arranged is recognized as the upper part of the QR Code.
데이터패턴(130)(20)은 다수개의 흑색데이터셀(21)과 백색데이터셀(22)을 포함한다. 흑색데이터셀(21) 및 백색데이터셀(22) 각각은 사각형 형태를 가지며, 각 셀마다 소정의 정보데이터가 기록되어 저장된다.The data pattern 130 (20) includes a plurality of black data cells 21 and white data cells 22. Each of the black data cells 21 and white data cells 22 has a rectangular shape, and predetermined information data is recorded and stored in each cell.
상술한 종래의 큐알코드(QR CODE)는 기존의 바코드와 대비하여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의 용량이 증가되며, 이에 기업 등에서 상기 큐알코드(QR CODE)를 이용하여 다수의 사람들에게 다양한 정보, 예컨대 기업 제품에 대한 광고정보 등을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큐알코드(QR CODE)는 다수의 데이터셀(21, 22)이 2차원 바코드 형태로 배열되어 구성되므로, 사람의 시각에서 큐알코드(QR CODE)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인식하거나 예상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The conventional QR CODE described above increases the capacity of data that can be stored compared to the existing barcode, and thus companies, etc. use the QR CODE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to a large number of people, such as corporate products. Advertising information, etc. will be provided. However, the conventional QR CODE is composed of multiple data cells 21 and 22 arranged in a two-dimensional barcode form, so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or predict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QR CODE from human perspective. It was impossible to do.
다시 말해, 종래의 큐알코드(QR CODE)는 그 자체만으로 어떠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예상할 수 없다. 따라서, 사람들은 스마트폰 등과 같은 장치를 통해 큐알코드(QR CODE)를 촬영하여 인식하는 과정을 반드시 수행해야 하며, 이로 인해 큐알코드(QR CODE)의 인식과정이 번거로워 불편함을 초래하여 큐알코드(QR CODE)를 이용한 광고효과가 저하되었다. 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QR CODE cannot predict what information it contains by itself. Therefore, people must perform the process of recognizing the QR Code by taking a photo of it using a device such as a smartphone. This causes the QR Code recognition process to be cumbersome and inconvenient. The effectiveness of advertising using QR CODE decreased.
따라서 종래의 큐알코드(QR CODE)는 심미감을 줄 수 있도록 이미지와 결합된 큐알코드가 제안 되었으나, 모서리부에 배치된 다수의 위치검출패턴(10)에 의해 대부분이 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므로 큐알코드 내에 확보된 공간에 이미지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Therefore, the conventional QR CODE was proposed to be a QR code combined with an image to give an aesthetic feeling, but since most of the QR codes are formed in a square shape by the multiple position detection patterns 10 placed at the corners, the QR code is This was done by inserting an image into the space secured within.
그러나 이와 같이 이미지가 삽입된 큐알코드는 사각형의 단조로운 형상으로만 구현되었기에 보다 다양한 디자인과의 조합이 어려웠다. 즉, 종래의 이미지가 삽입된 큐알코드는 큐알코드 고유의 형상으로 인한 단점으로 인하여 그 효과에 한계가 명확한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QR code with the image inserted like this was implemented only in a monotonous rectangular shape, making it difficult to combine with more diverse designs. 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QR code with an image inserted had a clear limitation in its effectiveness due to disadvantages due to the unique shape of the QR cod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와 조합이 가능하여 심미감을 올릴 수 있는 큐알코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QR code that can be combined with various types of images to enhance aesthetic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following example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외부에서 제공된 정보데이터에 기초한 다수의 코드가 기록된 복수의 데이터셀을 포함하는 데이터패턴과, 데이터셀의 추출 시작점을 표시하는 기준패턴 및 폐곡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데이터패턴의 위치를 특정하는 코드프레임을 포함하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이 가능한 큐알코드를 제공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 pattern including a plurality of data cells in which a plurality of codes based on externally provided information data are recorded, a reference pattern indicating the extraction start point of the data cell, and a closed curve shape extending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data pattern. It provides QR code that can be produced in various designs including a code frame that specifies.
본 발명은 프레임을 통하여 데이터셀 및 데이터셀의 추출 시작점을 불규칙적인 선형으로 정렬하여 삽입되는 이미지의 외형에 따라 배치할 수 있어 다양한 형상의 디자인과 조합이 가능하여 개인이나 기업 또는 이들의 제품에 대한 광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igns the data cells and their extraction starting points in an irregular linear manner through a frame and arranges them according to the external shape of the inserted image, allowing designs and combinations of various shapes to be used for individuals, companies, or their products. Advertising effectiveness can be improved.
도 1은 종래의 큐알코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데이터 추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다중 열로 배치된 데이터패턴을 구비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데이터 추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된 제품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QR code.
2 to 4 are diagram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data extra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with data patterns arranged in multiple columns.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ata extraction in FIG. 6.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product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10 to 12 are diagram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일 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 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istinguish between components. These ordinal numbers are used to distinguish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from each other, and the meaning of the term should not be interpreted limitedly due to the use of these ordinal numbers. For example, components combined with these ordinal numbers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 limited order of use or arrangement based on the number. If necessary, each ordinal number may be used interchangeably.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폐곡선은 하나의 선이 연결되어 특정 영역을 구획하도록 연장 및 상호 연결되는 것을 의미하며 특정 형상을 정의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코드프레임(110)의 양측 외곽선은 같은 폐곡선으로서 상호 연결되는 선이되, 데이터셀 또는 데이터패턴(130)의 시점에서 서로 다른 방향에 위치한 선으로 정의한다. In addition, the closed curv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that one line is connected and extended and interconnected to demarcate a specific area, and does not define a specific shape. In addition, the outlines on both sides of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이 가능한 큐알코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QR codes that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desig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중 도 2는 원형의 폐곡선 형태를 갖는 코드프레임(110)에 의한 큐알코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큐알코드의 반전된 형상을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절곡된 형태의 폐곡선으로 이루어진 코드프레임(110)에 의한 큐알코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2 to 4 are diagrams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m,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QR code by the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폐곡선 형태의 코드프레임(110)과, 데이터패턴(130)과, 데이터의 인식 시작 지점을 표시하는 기준패턴(12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ures 2 to 4,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코드프레임(110)은 큐알코드(100)의 형태 또는 크기 등과 같은 레이아웃을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드프레임(110)은 폐곡선으로서 내측에 데이터패턴(130)이 형성되는 영역을 구획하여 데이터 패턴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The
데이터 패턴의 위치를 특정하는 과정은 보다 상세하게는 코드프레임 검출 후 내부에 존재하는 각 데이터셀의 외곽선(contour)을 검출하고, 각 외곽선의 중심점을 계산함으로써 각 데이터셀의 위치를 얻는 방법이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rocess of specifying the location of a data pattern involves detecting the outline of each data cell existing inside after detecting a code frame, and calculating the center point of each outline to obtain the position of each data cell. .
코드프레임(110)은 이미지 영역(140)을 외곽선을 따라 연장 및 방향 전환되어 이미지 영역(140) 또는 이미지 영역(140)에 삽입된 이미지의 형상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코드프레임(110)은 도 2와 같이 이미지 영역(140)의 형상에 따라 연장 가능한 폐곡선의 형상을 이룰 수 있다. The
또는 코드프레임(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의 반전된 색상으로 구성됨도 가능하다. 즉, 코드프레임(110)은 제1색상의 바탕에 제2색상으로 표현되거나 제2색의 바탕에 제1색상으로 표현됨도 가능하다. Alternatively, the
또한, 코드프레임(1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 'ㄱ'자의 형상으로 연장되는 폐곡선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이때 이미지 영역(140)은 'ㄱ' 형으로 절곡된 형상을 이루는 코드프레임(11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정리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코드프레임(110)은 데이터패턴(130)의 위치를 특정하고, 그 감지가 용이하도록 폐곡선의 형상으로 연장된 것으로서 이미지 영역(140) 또는 이미지 영역(140)에 삽입되는 이미지의 형상 또는 원하는 디자인에 따라 휘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는 폐곡선으로 정의할 수 있다. In summary, the
기준패턴(120)은 데이터패턴(130)에서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는 시작지점을 표시한 것이다. 예를 들면, 스캐닝 단말(도시되지 않음)은 본 발명이 적용된 큐알코드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에서 기준패턴(120)으로부터 설정된 방향의 데이터패턴(130)의 값을 순차 추출한다. The
여기서 기준패턴(120)은 코드프레임(110)에서 구획된 영역 또는 코드프레임(110)에 직접 표시될 수 있다. 이때 기준패턴(120)의 형상과 색상은 도형, 기호 및 이미지 중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Here, the
또한, 기준패턴(120)은 데이터셀의 형상이나 수치와 다른 식별력을 갖는 형상과 수치범위로 제작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로는 데이터셀의 종류나 데이터의 감지의 시작지점에 따라 형상이나 수치(예를 들면, 외곽선의 길이, 두께)가 설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기준패턴은 시작점의 표시 외에 그 형상에 따라서 뒤에 나올 데이터패턴의 양식(기호, 이미지, 큐알, 또는 다른 어떤 특정한 양식)과, 설정값 표현방식(같은 ‘점’ 기호라도 데이터셀 간 거리, 각도, 또는 다른 어떤 특정한 특징), 데이터처리방법(범용목적 / 특수목적의 처리) 등을 결정하는 HEADER로서의 의미가 있다. To explain more specifically, in addition to indicating the starting point, the standard pattern includes the format (symbol, image, QR, or any other specific format) of the data pattern to follow depending on its shape, and the setting value expression method (even if the same 'dot' symbol is used as the data pattern). It has meaning as a HEADER that determines the distance between cells, angle, or any other specific feature) and data processing method (general purpose/special purpose processing).
예를 들면, 기준패턴이 1개의 타원이면 데이터패턴의 양식은 기호가 된다. 이때 설정값 표현 방식은 데이터패턴의 진행방향에 평행하게 길쭉하면 일렬형(도 2 참조), 수직하게 길쭉하면 이열형(도 6 참조), 수직하지만 짧으면 분산형(도 7 참조), 속이 비었으면 16 bit기호형(도 8의 (a) 참조)의 데이터로 결정되며, 속에 QR이 들어있으면 그 값에 따라 이미지형(도 8의 (b) 참조), QR형(도 8의 (c) 참조) 또는 기타 형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reference pattern is one oval, the format of the data pattern is a symbol. At this time, the setting value expression method is linear if it is elongated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progress of the data pattern (see FIG. 2), double-row type if it is vertically elongated (see FIG. 6), dispersed type if it is vertical but short (see FIG. 7), and if it is empty, it is in a row type (see FIG. 6). It is determined by data of 16 bit symbol type (see (a) in Figure 8), and if QR is included, it is typed into image type (see (b) in Figure 8) or QR type (see (c) in Figure 8) depending on the value. ) or other formats.
데이터처리방법은, 예를들어, 같은 이미지형이라고 해도 기준패턴에 들어있는 QR의 값이 123이면 범용, 124면 특정 이벤트용 앱에서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용도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FT이미지인식 시 코인을 제공하는 이벤트 앱에서는 해당 이벤트를 목적으로 인쇄한 QR(기준패턴이 124값을 가지는 QR)만을 선별하여 처리할 필요가 있다.Data processing method, for example, even if it is the same image type, if the QR value in the reference pattern is 123, it can be used for general purpose, and if it is 124, it can be used to provide a service in a specific event app. For example, in an event app that provides coins upon NFT image recognition, it is necessary to select and process only QRs printed for the purpose of the event (QRs whose standard pattern has a value of 124).
데이터패턴(130)은 코드프레임(110)의 영역에서 순차 정렬된 복수의 데이터셀을 포함한다. 데이터패턴은 코드프레임의 외곽선에 의해 구획된 영역 내에서 순차 정렬됨에 따라 이미지 영역(140) 또는 이미지의 외곽선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The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이미지 또는 이미지 영역(140)의 형상에 따라 연장되는 폐곡선으로서 구현된 코드프레임(110)을 포함하여 데이터패턴(130)의 위치검출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That i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기준패턴(120)을 통하여 코드프레임(110)에 의해 위치가 특정된 데이터셀들 중 시작점을 보다 명확하게 표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데이터 추출의 예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more clearly displaying the starting point among data cells whose positions are specified by the
도 5는 일 실시예의 데이터 추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ata ext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폐곡선으로 이루어진 코드프레임(110)에서 복수의 데이터셀을 설정된 조건에 따라 순차 정렬시킨다. 이때, 각각의 데이터셀은 인접한 타 데이터셀과의 간격에 따라 설정된 '1'과 '0'의 비트데이터를 표현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present invention sequentially sorts a plurality of data cells in a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데이터패턴(130)은 '0011...'의 비트데이터를 저장한다면, 기준패턴(120)에서 설정된 방향으로 복수의 데이터셀을 순차 기록하되, 제1데이터셀(131)과 기준패턴(120)간의 간격, 제2데이터셀(132)과 제1데이터셀(131)과의 간격을 기준 거리 이하로 하여 각각 '0'으로 표현하고, 제2데이터셀(132)로부터 제3데이터셀(133) 까지의 간격이 기준거리 이상으로 설정하여 '1', 제3데이터셀(133)과 제4데이터셀(134)과의 거리를 기준거리 이상으로 설정하여 '1'로 표현한다. To explain more specifically, if the
즉, 본 발명에서 데이터패턴(130)은 기준패턴(120)을 기준으로 하여 일방향으로 순차 정렬되되, 각 데이터셀의 간격을 통하여 데이터값(예를 들면, '0'과 '1'의 비트데이터)를 표현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서 데이터패턴(130)을 다중 열로서 배치할 수 있다. 이는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Additionally,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6은 다중 열로 배치된 데이터패턴을 구비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분산형으로 배치된 데이터패턴의 추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with data patterns arranged in multiple columns.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extraction of data patterns arranged in a distributed manner.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코드프레임(110)의 폭을 확장하여 내측의 영역에서 데이터셀이 2 열 이상으로 배치가능하고, 도 7과 같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pands the width of the
다중 열의 데이터 패턴에서, 도 6 참조, 데이터의 인식은 아래 열을 따라 횡방향으로 시작하여 윗열로 가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In a multi-column data pattern, see FIG. 6, recognition of the data may begin horizontally along the lower column and proceed to the upper column.
즉, 본 발명은 폐곡선으로 연장되는 코드프레임(110)에서 1열 또는 2열 이상으로 데이터셀을 정렬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data cells can be arranged in one or two or more rows in the
데이터셀은 앞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데이터셀 간의 간격 또는 데이터셀과 양측 외곽선(111, 112) 중 인접한 외곽선에 따라 설정된 값(예를 들면, 비트데이터)를 표현할 수 있다. As previously explained, the data cell may express a value (for example, bit data) set according to the interval between data cells or the adjacent outline of the data cell and the
여기서 외곽선(111, 112)은 데이터패턴(130)을 기준으로 양측에서 각각 연장되어 영역을 구획하는 선을 의미하며, 양측 외곽선(111, 112)은 폐곡선을 이루기 때문에 상호 연결된 것이다.Here, the
예를 들면, '01100...'의 비트데이터는 기준패턴(120)과 가까운 제1데이터셀(131)을 제2외곽선(112), 제2데이터셀(132)은 제1외곽선(111), 제3데이터셀(133)은 제1외곽선(111), 제4데이터셀(134)은 제2외곽선(112)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여 '0110'의 비트데이터를 표현하였다. For example, the bit data of '01100...' refers to th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2열 이상의 다중열로 데이터셀이 배치될 때, 상술한 코드프레임(110)의 양측 외곽선(111, 112)들과의 거리에 따른 비트데이터 표현 방식 외에 데이터셀들을 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치하고, 데이터셀과 데이터셀 간의 배치 각도에 따라 비트데이터를 표현함도 가능하다. 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data cells are arranged in two or more rows, in addition to the bit data expression method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또한, 본 발명은 코드프레임(110)과 기준패턴(120)을 통해 데이터패턴(130)의 위치와 시작점을 특정하는 것이 주요지임에 따라 데이터패턴 및 기준패턴을 도형 외에 이미지나 기호로 구성함도 가능하다. In addition, since the main 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pecify the position and starting point of the
이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This is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IG. 8.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still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고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코드프레임(110)에서 데이터패턴(130)이 일방향으로 정렬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데이터패턴(130)은 다양한 형상의 조합이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8,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데이터패턴(130)은 도 8의 (a)와 같은 16진수 데이터(예를 들면, 062B3C254)를 표현하기 위한 기호패턴(130'), 도 8의 (b)와 같은 색상과 이미지가 조합된 이미지패턴(130''), 도 8의 (c)와 같은 큐알이미지로 구성된 큐알패턴(130''')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외에도 바코드패턴 등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를 패턴화 할 수 있으며, 상술한 예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at is, the
기준패턴(120)은 위의 기호패턴(130')과 이미지패턴(130'') 및 큐알패턴(130''')의 시작점을 표현할 수 있다. 기준패턴(120)은 데이터패턴(130', 130'', 130''')들과의 융합된 형상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The
또한, 기준패턴(120)은 위 패턴(130', 130'', 130''')들과 융합된 형상외에 식별력을 높일 수 있도록 도 8의 (b)와 (c)와 같이 다른 패턴들과 식별될 수 있는 표시수단(121)을 구비하였다. 여기서 표시수단은 외곽선의 길이나 형상 등 데이터패턴과 식별력을 갖는 형상이나 수치를 갖는다. In addition, the
즉, 본 발명에서 기준패턴(120)과 데이터패턴(130)은 도형과, 기호 및 이미지의 형상으로서 구현이 가능하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위와 같이 본 발명은 데이터패턴(130)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하여 코드프레임(110)을 구성하되, 코드프레임(110)은 직선, 곡선 또는 불규칙적인 선형으로 연장되어 이미지와 일치된 형상으로 자유롭게 변형 가능하다. 구체적인 제품의 예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a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실제품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actual produc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된 큐알코드는 이미지의 외곽을 따라 연장되도록 코드프레임(110)이 불규칙적 선형으로 연장 형성된 코드프레임(110)과 접한 영역에 이미지가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별도의 이미지 영역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 QR cod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may be provided with an image includ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코드프레임(110)과 접촉한 영역에 별도의 이미지 영역(140)을 형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또는, 본 발명 코드프레임(110) 형상만으로 제작되어 기존의 이미지 내, 또는 이미지와 접한 빈 공간으로 접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 Alternatively, it may be manufactured solely in the shape of the
이때, 코드프레임(110)은 데이터 추출시에 시작점을 표시하는 기준패턴(120)과, 기준패턴(120)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정렬된 복수의 데이터셀이 정렬된다. At this time, the
따라서 스캐닝 단말(도시되지 않음)은 큐알코드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에서 기준패턴(120)을 확인하고, 기준패턴(120)을 기준으로 설정된 방향으로 정렬된 데이터셀들 순차 확인하여 비트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Therefore, the scanning terminal (not shown) captures the QR code, checks the
그러므로 본 발명은 스캐닝 단말(도시되지 않음)의 촬영 이미지에 왜곡이 발생된다 하더라도 기준패턴(120)을 기준으로 설정된 방향으로 데이터셀을 순차 감지함에 따라 데이터 인식 오류가 발생되지 않는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distortion occurs in an image captured by a scanning terminal (not shown), data recognition errors do not occur as data cells are sequentially detected in a direction set based on the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외에 코드프레임(110)의 내측 영역에 데이터패턴(130)을 배치하는 것이 아닌 코드프레임(110)을 구획하는 외곽선에서 연장 또는 돌출 형상으로 로 데이터패턴(130)을 형성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0 to 12 are diagram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폐곡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코드프레임(110)과 기준패턴(120) 및 데이터패턴(130)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Referring to FIGS. 10 to 12,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도면들 중, 도 10의 (a)와 (b)를 참조하면, 코드프레임(110)은 유색상으로서 소정의 폭을 갖는 폐곡선으로 연장되고, 기준패턴(120)과 데이터패턴(130)은 코드프레임(110)의 외곽선에서 외측으로 연장 또는 돌출되는 형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10 (a) and (b) among the drawings, the
여기서 코드프레임(110)은 상호 연결되는 외곽선 사이의 공간에서 도 10의 (a)와 같이 소정의 색상이 채워질 수 있고, 도 10의 (b)와 같이 도 10의 (a)의 반전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Here, the
기준패턴(120)은 코드프레임(110)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가 데이터패턴(130)과 상이하여 식별력을 갖는다. The
데이터패턴(130)은 복수의 데이터셀로서 코드프레임(110)의 일측 외곽선에서 복수가 돌출되는 형상을 갖는다. 데이터셀들은 상호 간격에 따라 비트데이터를 표현할 수 있다. The
또한, 코드프레임(110)은 도 11 및 도 12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도 11은 코드프레임(110)이 구형의 폐곡선으로 제작된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12는 'U' 형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Additionally, the
여기서 기준패턴(120)과 데이터패턴(130)은 코드프레임(11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되어 데이터를 표현할 수 있다.Here, the
예를 들면, 기준패턴(120)은 데이터패턴(130)과 식별될 수 있도록 길이와, 색상, 두께 및 형상을 데이터패턴(130)과 상이하게 구성하여 코드프레임(110)의 외곽선에서 연장 및/또는 돌출되도록 형성한다. For example, the
또한, 데이터패턴(130)은 코드프레임(110)의 양측 외곽선(111, 112) 중 어느 하나에만 돌출(도 11 참조)되거나 양측 외곽선(111, 112) 모두에 돌출(도 12 참조) 되거나, 양 측에서 지그 재그 방식으로 돌출(도시되지 않음)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데이터셀들은 도 12와 같이 코드프레임(110)의 양측 외곽선(111, 112)에서 돌출될 경우에는 연결된 외곽선에 따라 비트데이터가 결정될 수 있다. When data cells protrude from the
또한, 본 발명은 기준패턴(120)을 통하여 데이터의 위치와 데이터 추출 시작점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또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other embodiment that can simultaneously display the location of data and the data extraction start point through the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13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또 다른 실시예는 기준패턴(120)과, 복수의 데이터셀을 구비하는 데이터패턴(130)과, 이미지가 배치되는 이미지 영역(14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기준패턴(120)은 유색상의 도형과 기호 또는 이미지 중 어느 하나로서 데이터패턴(130)들과 식별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The
데이터패턴(130)은 복수의 데이터셀이 기준패턴(120)과 설정된 규칙에 따라 정렬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데이터셀은 전체가 동일한 색상 또는 2 이상의 색상으로 조합되거나, 2 이상의 도형(예를 들면, 원형, 삼각형, 다각형)이나 기호 및/또는 이미지 중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또한, 도면에서는 데이터셀이 사각형상으로 정렬되는 것이 도시되었으나, 이는 사각형의 이미지 또는 이미지 영역(140)에 따른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Additionally, in the drawing, data cells are shown arranged in a square shape, but this is based on a square image or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데이터셀은 불규칙적인 선형으로 연장되는 이미지의 외곽선을 따라 정렬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That is,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ata cells can be defined as being aligned along the outline of an image that extends irregularly.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큐알코드에 삽입되는 이미지의 형상에 따라 데이터셀을 배치할 수 있어 다양한 형상의 이미지를 적용할 수 있다. 즉, 종래의 큐알코드는 적용 가능한 디자인이 매우 한정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폐곡선 형태의 코드프레임(110) 및/또는 기준패턴(120)을 통해 큐알코드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위치와 시작점을 특정할 수 있고, 이미지의 형상에 따른 데이터셀의 배치가 용이하기에 큐알코드에 보다 다양한 디자인의 접목이 가능하다. Therefore,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images of various shapes by arranging data cell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image inserted into the QR code. 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QR code had very limited applicable designs, bu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location of data recorded in the QR code through the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Abov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patent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and changed in various ways, and this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큐알코드
110: 코드프레임
120: 기준패턴
130: 데이터패턴
131, 132, 133, 134 : 데이터셀
140: 이미지 영역100: QR code 110: Code frame
120: Standard pattern 130: Data pattern
131, 132, 133, 134: data cell
140: image area
Claims (11)
데이터셀의 추출 시작점을 표시하는 기준패턴(120); 및
폐곡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데이터패턴(130)의 위치를 특정하는 코드프레임(110); 을 포함하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이 가능한 큐알코드.
A data pattern 130 including a plurality of data cells in which a plurality of codes based on externally provided information data are recorded;
A reference pattern 120 indicating the extraction start point of a data cell; and
A code frame 110 extending in a closed curve shape to specify the location of the data pattern 130; QR code can be produced in a variety of designs, including .
이미지 영역(140) 또는 이미지의 외곽선을 따라 연장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이 가능한 큐알코드.
In claim 1, the code frame 110 is
extending along the image area 140 or the outline of the image; QR code that can be produced in various designs featuring .
시작점과 끝점이 연결되는 폐곡선의 형상으로서 내측에 기준패턴(120) 및 데이터패턴(130)이 정렬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이 가능한 큐알코드.
In claim 1, the code frame 110 is
A closed curve shape in which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are connected and includes an area on the inside where the reference pattern 120 and the data pattern 130 are aligned; QR code that can be produced in various designs featuring .
인전합 다른 셀과의 간격에 따라 값이 설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이 가능한 큐알코드.
The method in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data cells
Injeonsum The value is set according to the gap with other cells; QR code that can be produced in various designs featuring .
코드프레임(110)의 외곽선에서 연장 및 돌출되는 형상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이 가능한 큐알코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data pattern 130 and the reference pattern 120 is
A shape that extends and protrudes from the outline of the code frame 110; QR code that can be produced in various designs featuring .
1열 또는 그 이상의 열로서 정렬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이 가능한 큐알코드.
The method in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data cells
Sorted as one or more columns; QR code that can be produced in various designs featuring .
상호 연결되는 연결된 코드프레임(110)의 양측 외곽선 중 어느 하나에서 돌출되고, 돌출되는 외곽선에 따라 표현 가능한 데이터가 설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이 가능한 큐알코드.
The method in claim 5, wherein the plurality of data cells
Protruding from one of the outlines on both sides of the interconnected code frames 110, and setting expressible data according to the protruding outline; QR code that can be produced in various designs featuring .
지그재그 방식으로 다중열로 배치되어,
인접한 데이터셀간의 배치 각도와, 간격 또는 코드프레임(110)의 양측 외곽선 중 인접한 외곽선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표현 가능한 데이터가 설정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이 가능한 큐알코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data cell is
Arranged in multiple rows in a zigzag manner,
Data that can be expressed is set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arrangement angle between adjacent data cells, the gap, or adjacent outlines among the outlines on both sides of the code frame 110; QR code that can be produced in various designs featuring .
도형, 기호와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이 가능한 큐알코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data cell and the reference pattern 120
Formed from at least one of shapes, symbols and images; QR code that can be produced in various designs featuring .
데이터패턴(130)과 식별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며,
표시수단은 형상과 수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이 가능한 큐알코드.
In claim 9, the reference pattern 120 is
Equipped with a display means identified with the data pattern 130,
The display means is at least one of shape, value, and image; QR code that can be produced in various designs featuring .
데이터패턴의 양식과, 설정값 표현방식과, 데이터 처리 방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헤더(HEARDER);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이 가능한 큐알코드.
In claim 1, the reference pattern 120 is
A header that displays at least one of the format of the data pattern, the setting value expression method, and the data processing method; QR code that can be produced in various designs.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140323A KR102709372B1 (en) | 2022-10-27 | 2022-10-27 | Qr code that can be produced in various design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140323A KR102709372B1 (en) | 2022-10-27 | 2022-10-27 | Qr code that can be produced in various designs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40059269A true KR20240059269A (en) | 2024-05-07 |
| KR102709372B1 KR102709372B1 (en) | 2024-09-25 |
Family
ID=9107838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20140323A Active KR102709372B1 (en) | 2022-10-27 | 2022-10-27 | Qr code that can be produced in various design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709372B1 (en)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50119807A (en) | 2004-06-17 | 2005-12-22 | (주)엠비원 | Pattern code with logo insertion and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thereof |
| KR20060115023A (en) * | 2005-05-03 | 2006-11-08 | (주)아이미디어아이앤씨 | Image code, its recognition method and recognition device |
| KR20120042975A (en) * | 2009-07-13 | 2012-05-03 | 켄지 요시다 | Stream dot pattern, method for forming stream dot pattern, method for information input/output using stream dot pattern, and dot pattern |
| KR20150094734A (en) * | 2012-12-19 | 2015-08-19 | 가부시끼가이샤 덴소 웨이브 | Information code, information code generation method, information code reader device, and information code usage system |
-
2022
- 2022-10-27 KR KR1020220140323A patent/KR10270937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50119807A (en) | 2004-06-17 | 2005-12-22 | (주)엠비원 | Pattern code with logo insertion and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thereof |
| KR20060115023A (en) * | 2005-05-03 | 2006-11-08 | (주)아이미디어아이앤씨 | Image code, its recognition method and recognition device |
| KR20120042975A (en) * | 2009-07-13 | 2012-05-03 | 켄지 요시다 | Stream dot pattern, method for forming stream dot pattern, method for information input/output using stream dot pattern, and dot pattern |
| KR20150094734A (en) * | 2012-12-19 | 2015-08-19 | 가부시끼가이샤 덴소 웨이브 | Information code, information code generation method, information code reader device, and information code usage system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709372B1 (en) | 2024-09-2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EP0299383B1 (en) | Method of reading identification code sheets | |
| RU2568308C2 (en) | Streaming dot pattern, method of forming streaming dot pattern, method for information input/output using streaming dot pattern and dot pattern | |
| CN102598648B (en) | Printed mediu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or | |
| EP2270714B1 (en) |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 |
| CN101167084B (en) | Information I/O method using dot pattern | |
| JP2009165197A (en) | Image indicator | |
| CN104751094B (en) | Article, visual code with visual code read equipment and information transmitting methods | |
| US20120153020A1 (en) | Information input/output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input/output system, printing medium, and information input/output method | |
| JP4443576B2 (en) | Pattern separation / extraction program, pattern separation / extraction apparatus, and pattern separation / extraction method | |
| US7864986B2 (en) | Optical mark reading that uses a disregard state as part of an unambiguous symbology of marks to fill into response bubbles | |
| CN107563966A (en) | A kind of Quick Response Code and image interfusion method and Quick Response Code | |
| US20170204543A1 (en) | Data-bearing fabric | |
| US20150371103A1 (en) |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ication of printed matter in an image | |
| JP6394725B2 (en) | Information code generation method, information code, information code reader, and information code utilization system | |
| US7878413B2 (en) | Method for the dual coding of information on physical media and in a computerized format (DOTEM) | |
| KR20240059269A (en) | Qr code that can be produced in various designs | |
| CN106557798A (en) | A kind of compound mark and the method for forming the compound mark | |
| KR102485940B1 (en) | QR code with image inserte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 |
| KR102744873B1 (en) | Qr code for easy data detection | |
| JP2014199510A (en) | Information code reading system, information code reader, and information code | |
| JP3200549U (en) | Embedded printing code | |
| JP3476595B2 (en) | Image area division method and image binarization method | |
| KR20250003431A (en) | QR code | |
| JPH0749557Y2 (en) | Character recognition device | |
| TWI664604B (en) | System for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handwriting chinese character glyph sets to be used in a computer syste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AMND | Amendment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AMND | Amendment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X0901 |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2-rex-PX0901 |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X0701 |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