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060220A - Tent for leisure vehicles - Google Patents

Tent for leisure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0220A
KR20240060220A KR1020220141570A KR20220141570A KR20240060220A KR 20240060220 A KR20240060220 A KR 20240060220A KR 1020220141570 A KR1020220141570 A KR 1020220141570A KR 20220141570 A KR20220141570 A KR 20220141570A KR 20240060220 A KR20240060220 A KR 20240060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panel
vehicle
support
leisure vehic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15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780727B1 (en
Inventor
박성우
Original Assignee
박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우 filed Critical 박성우
Priority to KR1020220141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80727B1/en
Publication of KR20240060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02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80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80727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06Tents at least partially supported by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6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r camping tent for a leisure vehicle, which is easy to install and remove by combining a vehicle and a tent, and which easily secures a clean and comfortable interior space by using an expanded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as a bedroom space, etc. The car camping tent for a leisure vehicle comprises: a first panel part that is installed on the rear of the interior of the leisure vehicle; a first height-adjusting support part that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panel part; a second height-adjusting support part that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first panel part; a second panel part that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height-adjusting support part; an extension support part that i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side of the first panel part and extends horizontally to the outside of the leisure vehicle; a third panel part and a fourth panel part that ar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extension support part that extends horizontally to the outside; and a tent part that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a tailgate of an open leisure vehicle and extends downward to form an interior space.

Description

레저용 차량의 차박텐트 { Tent for leisure vehicles }Tent for leisure vehicles {Tent for leisure vehicles}

본 발명은 레저용 차량의 차박텐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저용 차량의 후미에 구비되는 테일게이트에 장착되어 숙박이 가능하도록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레저용 차량의 차박텐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 tent for a leisure vehicle, and more specifically, to a car tent for a leisure vehicle that is mounted on a tailgate provided at the rear of a leisure vehicle and forms an interior space for lodging.

일반적으로, 인간의 생활을 윤택하게 하는 산업 및 경제의 발전은 각종 레저인구의 증가를 가져오고 있으며, 특히 주 5 일 근무제의 보편화는 주말 레저 여행을 떠나는 사람이 갈수록 늘어나는 원인이 되고 있다.In general, industrial and economic development that enriches human life is leading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eople engaged in leisure activities. In particular, the popularization of the five-day work week is causing an increasing number of people to go on weekend leisure trips.

이러한 주말 레저 여행과 함께 야외 등으로 차량을 이용하여 오토 캠핑(auto camping)을 즐기는 인구가 점차로 많아 지고 있다. 여기서, 오토 캠핑이라 함은 숙박 업소를 이용하지 않고 텐트 등을 이용하여 자연의 경관을 가까이서 즐기면서 자동차로 여행하는 도중에 야영하는 것을 가리킨다. Along with these weekend leisure trips, the number of people who enjoy auto camping using vehicles outdoors is gradually increasing. Here, auto camping refers to camping while traveling by car while enjoying the natural scenery up close using a tent, etc., without using a lodging establishment.

근래에 들어 캠핑의 준비 과정과 텐트의 설치 시간 등이 장시간 소요되는 등의 오토 캠핑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차량에서 먹고 자며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차박캠핑이 널리 알려져 있다.In recent years,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s of auto camping, such as the long time required for camping preparation and tent installation time, car camping, which allows people to eat, sleep, and relax in their vehicle, has become widely known.

이러한 차박캠핑은 차량의 내부 공간을 이용하여 먹고 자면서 즐기는 색다른 캠핑으로, 차량과 주차 공간만 확보되면 장소와 시간, 날씨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즐길 수 있다는 점에서 캠퍼들에게 매력적이다.This type of car camping is a unique type of camping where you eat and sleep using the interior space of a vehicle. It is attractive to campers in that it can be enjoyed easily regardless of location, time, or weather as long as you have a vehicle and a parking space.

즉, 차박캠핑은 말 그대로 차를 이용한 캠핑이기 때문에 본인이 가고 싶은 장소로 언제든지 이동할 수 있는 이동성이 좋고, 차안에서 잠을 잘수 있기 때문에 숙박시설이나 호텔을 예약하는 불필요한 시간과 비용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차박캠핑은 비대면 최고의 언택팅 여행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In other words, car camping is literally camping using a car, so you have good mobility to go wherever you want to go at any time, and since you can sleep in the car, there is no unnecessary time and cost of reserving accommodations or hotels. In addition, car camping has the advantage of enabling the best non-face-to-face, contact-free travel.

차박캠핑시 사용하는 텐트 관련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41708호에는 매쉬텐트가 차량의 차량 트렁크 출입구의 고무패킹에 설치되어 사용되거나 차량의 실외와 실내에 외부측 도킹텐트와 내부측 토킹텐트부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테일게이트 텐트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70831에는 SUV, RV 등과 같이 차량의 후방 도어 개방시 차량 내부 공간과 외부가 통하도록 만들어진 차량에서, 차량의 후방에 직접 접속되도록 설치할 수 있는 차량용 텐트가 개시되어 있다. Looking at the prior art related to tents used for car camping,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2-0041708 describes a mesh tent installed on the rubber packing of the car trunk entrance or used as an external docking tent outdoors and indoors of the car. A tailgate tent for a vehicle that can be used by connecting the inner talking tent portion is disclosed, an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70831, when the rear door of a vehicle such as an SUV, RV, etc. is opened,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communicates with the exterior. A vehicle tent that can be installed to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vehicle is disclosed.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차박용 텐트는 차량과 텐트를 결합하여 설치 및 철거의 수고를 덜고, 차량 내부를 침실 공간으로 이용하는 점에서 장점이 있으나, 내부공간의 확보가 어렵고, 텐트를 차량에 고정하기 위한 결속수단이 마련되지 못하여 설치가 불편한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일반적인 텐트와 마찬가지로 지면에 고정 앵커를 일일이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차량과 텐트의 결합이 견고하지 못하여 틈새가 발생하고, 이러한 틈새로 인해 바람을 포함하는 외력에 쉽게 붕괴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틈새를 통해 모기 등과 같은 벌레들이 내부공간으로 유입되어 청결하고 쾌적한 실내공간을 확보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This car camping tent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the advantage of combining a vehicle and a tent, reducing the effort of installation and removal, and using the inside of the vehicle as a sleeping space. However,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interior space, and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tent to the vehicle. It has the problem of being inconvenient to install because a means of binding is not provided. Also, like a regular tent,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install anchors on the ground one by one. In particular, the connect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tent is not strong, causing gaps, and these gaps can easily cause it to collapse due to external forces, including win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nsects such as mosquitoes enter the interior space through these gaps, making it difficult to secure a clean and comfortable indoor space.

본 발명은 레저용 차량의 차박텐트에 관한 것으로써, 차량과 텐트를 결합하여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하고, 확장된 차량의 내부공간을 침실 공간 등으로 이용한다는 점에서 청결하고 쾌적한 실내공간의 확보가 용이한 레저용 차량의 차박텐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 tent for a leisure vehicle. It is easy to install and remove by combining a vehicle and a tent, and secures a clean and comfortable indoor space in that the expanded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is used as a bedroom space, etc. This relates to a convenient car tent for a leisure vehicle.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차량의 차박텐트는, 레저용 차량의 후방에 안착되는 제 1 판넬부; 상기 제 1 판넬부의 전방에 구비되는 높이조절받침대; 상기 높이조절받침대의 상부에 안착되는 제 2 판넬부; 상기 제 1 판넬부의 하부의 좌우측에 2개가 구비되어 상기 제 1 판넬부의 외부로 연장되는 연장받침대; 상기 연장받침대의 상부에 안착되는 제 3 판넬부 및 제 4 판넬부; 개방된 레저용 차량의 테일게이트의 상부에 안착되어 하부로 연장됨으로써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텐트부를 포함한다. The car tent for a leisur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anel portion mounted on the rear of the leisure vehicle; A height-adjustable support provided in front of the first panel portion; a second panel portion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height adjustment stand; Two extension supports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part of the first panel part and extend outward from the first panel part; a third panel portion and a fourth panel portion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extension support; It includes a tent portion that is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open tailgate of a leisure vehicle and extends downward to form an internal space.

상기 제 1 판넬부의 후방에는 제 3 체결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 3 체결공에는 상기 제 1 판넬부를 차대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끈(214)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끈(214)은 차량의 트렁크 후방에 형성된 고리(이하, '트렁크 고리')에 체결되어 상기 제 1 판넬부를 차량에 단단히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A third fastening hole may b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irst panel portion, and the third fastening hole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strap 214 for fastening the first panel portion to the chassis, and the fastening strap 214 may be attached to the vehicle. It is fastened to a ring formed at the rear of the trunk (hereinafter referred to as 'trunk ring') and functions to securely fix the first panel part to the vehicle.

상기 연장받침대는 2개 가로지지부와 상기 2개의 가로지지부의 말단부에 구비되는 세로지지부; 및 상기 세로지지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수직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로지지부는 단면 형상이 원형, D자형, 삼각형 또는 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 형상을 갖는 파이프일 수 있고, 특히 상기 단면 형상이 D자형, 삼각형 또는 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 형상을 갖는 파이프인 경우에는 평탄부가 상부를 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xtension support includes two horizontal supports and a vertical support part provided at distal ends of the two horizontal supports. And it may include a vertical support provided to be rotatable on the vertical support, wherein the horizontal support may be a pipe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any one of circular, D-shaped, triangular, or square, and in particular, the cross-sectional shape may be In the case of a pipe having any of the D-shaped, triangular or square cross-sectional shapes, it is preferable that the flat portion is provided to face upward.

상기 가로지지부는 길이가변폴대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판넬부의 하부에 체결되되 중공부를 갖는 제 1 관체; 상기 제 1 관체의 중공부를 통해 삽입 및 인출되는 제 2 관체; 상기 제 1 관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제 1 체결공; 상기 제 1 체결공으로 돌출되는 제 1 걸림훅; 및 상기 제 1 걸림훅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 1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variable-length pole, and more specifically, may include a first tube body fasten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panel portion and having a hollow portion; a second pipe body inserted and withdrawn through a hollow part of the first pipe body; a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hole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pipe body; a first locking hook protruding from the first fastening hole; and a first spring elastically supporting the first locking hook.

상기 수직지지대는, 상기 세로지지부가 삽입되는 제 3 관체; 상기 제 3 관체의 하부에 양측으로 구비되는 지주대; 상기 지주대의 일측에 구비되는 수평지지대; 상기 지주대의 하부에 구비되는 나사식 체결구; 상기 제 3 관체의 중앙에 구비되는 제 2 체결공; 상기 제 2 체결공으로 돌출되는 제 2 걸림훅; 및 상기 제 2 걸림훅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 2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The vertical support includes a third tube body into which the vertical support is inserted; Holders provided on both sides at the lower part of the third pipe body; a horizontal suppor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a screw fastener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a second fastening hole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third pipe body; a second locking hook protruding from the second fastening hole; and a second spring elastically supporting the second locking hook.

상기 나사식 체결구의 하부에는 상기 지주대를 지면에 안정적으로 거치하기 위한 원형의 받침구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원형의 받침구의 중앙에는 나사식 체결구의 하부가 안착되는 원형의 오목부가 구비될 수 있다. A circular support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screw fastener for stably mounting the support on the ground, and a circular recess may b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circular support into which the lower part of the screw fastener is seated. You can.

상기 제 1 판넬부의 양측에는 상기 가로지지부의 제 1 걸림훅을 손으로 누르기 위한 통공이 구비될 수 있으며, 통공의 위치는 복수 개의 제 1 체결공의 형성 위치와 대응된다. 또한, 상기 제 1 판넬부 내지 제 4 판넬부의 말단에는 힌지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체결공에는 원형벨트 형상의 힌지가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힌지는 탈착이 용이하도록 벨크로 벨트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버클 형태, 단추형태, 고리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 적용이 가능하다.Holes for pressing the first locking hook of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panel portion, and the positions of the holes correspond to the formation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holes. Additionally, hinge fastening holes are formed at ends of the first to fourth panel portions, and a circular belt-shaped hinge may be fastened to the hinge fastening hole. At this time, the hinge is preferably a Velcro belt for easy attachment and detachment,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and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shapes such as buckle shape, button shape, and ring shape.

상기 텐트부는, 정면에 구비되는 정면부; 개방된 테일게이트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지붕부; 및 상기 지붕부의 좌우측에 구비되는 좌우측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좌우측면부에는 각각 윈도우가 구비되고, 상기 정면부에는 출입구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윈도우 및 출입구의 내측에는 벌레 차단용 메쉬망이 구비되고, 상기 출입구 및 윈도우의 상부에는 상기 출입구 및 윈도우를 말아서 감아 올릴 때 고정할 수 있도록 좌우 일정 거리를 두고 고리부가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좌우측면부의 하부 일측에는 레저용 차량의 일측에 상기 텐트부를 체결하기 위하여 일정 거리를 두고 다수의 조임끈 및 상기 조임끈의 말단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체결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출입구의 하부 좌우측에는 수직폴대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폴대 삽입공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ent unit includes a front portion provided at the front; A roof portion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pen tailgate; and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oof portion, wherein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may each be provided with windows, the front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n entrance, and a mesh net for blocking insects may be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window and the entrance. In addition, the upper part of the entrance and window may be provided with hooks at a certain distance on the left and right so that the entrance and window can be fixed when rolled up, and on one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left and right side parts, the tent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leisure vehicle.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tightening straps spaced at a certain distance to fasten the portion and a plurality of fasteners provided at the distal ends of the tightening straps, and it is preferable that pole insertion holes into which vertical poles are inserted and fastened are provided on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ntrance. do.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차량의 차박텐트는 레저용 차량의 후미에 용이하고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차박텐트로서, 초보자를 비롯한 누구나가 매우 용이하고 견고하게 설치 및 철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높이조절받침대를 이용하여 제 1 판넬부 내지 제 4 판넬부의 높이를 평탄하게 연결함으로써, 내부공간의 확장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텐트부가 다수의 조임끈에 의해 레저용 차량에 견고하게 체결되고, 윈도우 및 출입구에 벌레 차단용 메쉬망을 구비함으로써, 모기와 같은 해충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The car tent for a leisur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r tent that can be easily and firmly attached to the rear of a leisure vehicle, and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be installed and removed very easily and firmly by anyone, including beginners. In addition, by connecting the heights of the first to fourth panel parts evenly using a height adjustment stand, the internal space can be expanded and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In addition, the tent part is firmly fastened to the leisure vehicle by a plurality of tightening straps, and the window and entrance are provided with mesh nets for blocking insects, which has the effect of blocking the inflow of pests such as mosquitoes.

도 1 은 레저용 차량의 후미부분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차량의 차박텐트가 설치된 모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차량의 차박텐트의 제 1 판넬부와 제 2 판넬부가 차량의 트렁크 공간에 설치된 모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차량의 차박텐트의 제 1 판넬부의 전방에 제 2 높이조절받침대가 설치된 모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차량의 차박텐트에 구비되는 제 1 판넬부와 연장받침대의 사시도(a) 및 제 1 판넬부 내지 제 4 판넬부가 안착된 연장받침대의 사시도(b)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판넬부 내지 제 4 판넬부가 연장받침대의 상부에 안착된 후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차량의 차박텐트의 가로지지부를 형성하기 위한 파이프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차량의 차박텐트의 가로지지부(a) 및 수직지지대(b)에 구비된 체결공과 걸림훅의 탄설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차량의 차박텐트에서 출입구가 밀폐된 텐트부의 모식도(a) 및 출입구가 개방된 텐트부의 모식도(b)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rear portion of a recreational vehicle;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ar tent installed in a leisur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first panel portion and the second panel portion of the car tent for a leisur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the trunk space of the vehicle;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econd height adjustment support installed in front of the first panel portion of the car tent of a leisur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a) of the first panel portion and the extension support provided in the car tent of the recreation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erspective view (b) of the extension support on which the first to fourth panel parts are seated,
Figure 6 is a rear view of the first to fourth panel pa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extension support;
Figure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ross-sectional shape of a pipe for forming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of the car tent of a recreation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struction of the fastening hole and the hook provided in the horizontal support (a) and vertical support (b) of the car tent of a leisur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schematic diagram (a) of a tent part with a closed entrance and a schematic diagram (b) of a tent part with an open entrance in a car tent for a leisur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is judg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s intention or precedent.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are assigned identical or similar drawing number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bject to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th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발명에서 '레저용 차량'은 일반적인 차량의 후미에 상향 오픈되는 테일게이트(110)를 가지는 모든 차량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SUV(sport utility vehicle), RV(recreational vehicle), MUV(multipurpose utility vehicle), CUV(crossover utility vehicle), 또는 스테이션 웨건 등과 같은 차량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leisure vehicle' refers to any vehicle having a tailgate 110 that opens upward at the rear of a general vehicle, preferably a sport utility vehicle (SUV), a recreational vehicle (RV), or a multipurpose utility vehicle (MUV). ), CUV (crossover utility vehicle), or station wagon, etc.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차량의 차박텐트(200)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첨부된 도 1 은 레저용 차량의 후미부분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Hereinafter, the car tent 200 for a recreation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ttached drawings. Figure 1 attach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rear portion of a recreational vehicl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차량의 차박텐트(200)가 설치된 모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차량의 차박텐트(200)의 제 1 판넬부(210)와 제 2 판넬부(220)가 차량의 트렁크 공간에 설치된 모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차량의 차박텐트(200)의 제 1 판넬부(210)의 전방에 제 2 높이조절받침대(221)가 설치된 모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차량의 차박텐트에 구비되는 제 1 판넬부와 연장받침대의 사시도(a) 및 제 1 판넬부 내지 제 4 판넬부가 안착된 연장받침대의 사시도(b)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판넬부(210) 내지 제 4 판넬부(240)가 연장받침대(212)의 상부에 안착된 후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차량의 차박텐트(200)의 가로지지부(52)를 형성하기 위한 파이프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차량의 차박텐트(200)의 가로지지부(52, a) 및 수직지지대(58, b)에 구비된 체결공과 걸림훅의 탄설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차량의 차박텐트(200)에서 출입구(255)가 밀폐된 텐트부(250)의 모식도(a) 및 출입구(255)가 개방된 텐트부(250)의 모식도(b)이다.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car tent 200 of a recreation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and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first panel part 210 and the second panel part of the car tent 200 of a leisur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20) is a schematic diagram installed in the trunk space of a vehicle, and Figure 4 shows a second height adjustment support 221 installed in front of the first panel portion 210 of the car tent 200 of a leisur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and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a) of the first panel portion and the extension support provided in the car tent of the recreation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erspective view (b) of the extension support on which the first to fourth panel parts are seated. 6 is a rear view of the first panel part 210 to the fourth panel part 2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extension support 212, and Figure 7 is a view of the recreation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ross-sectional shape of a pipe for forming the horizontal support part 52 of the car tent 200, and Figure 8 shows the horizontal support part 52 (a) and the vertical support part 52 of the car tent 200 of the recreation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astening hole and the hook provided in the support (58, b), and Figure 9 shows the tent part 250 with the entrance 255 sealed in the car tent 200 of a leisur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chematic diagram (a) and a schematic diagram (b) of the tent portion 250 with the entrance 255 open.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차량의 차박텐트(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레저용 차량(100)의 후미에 구비되는 테일게이트(110)를 이용하여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량의 후미에 확장된 내부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숙식이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The car tent 200 for a recreation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as shown in FIG. 2 using the tailgate 110 provided at the rear of a general recreational vehicle 100 as shown in FIG. 1. By forming an expanded internal space, a space for lodging and eating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차량의 차박텐트(2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저용 차량의 내측 후방에 안착되는 제 1 판넬부(210); 상기 제 1 판넬부(2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1 높이조절받침대(215); 상기 제 1 판넬부(210)의 전방에 구비되는 제 2 높이조절받침대(221); 상기 제 2 높이조절받침대(221)의 상부에 안착되는 제 2 판넬부(220); 상기 제 1 판넬부(210) 하부의 좌우측에 구비되어 상기 레저용 차량의 외부로 수평연장되는 연장받침대(212); 상기 외부로 수평연장된 연장받침대(212)의 상부에 안착되는 제 3 판넬부(230) 및 제 4 판넬부(240); 및 개방된 레저용 차량의 테일게이트(110)의 상부에 안착되어 하부로 연장됨으로써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텐트부(2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S. 3 to 5, the car tent 200 for a recreation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anel portion 210 mounted on the inner rear of the recreational vehicle; A first height adjustment support 215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first panel part 210; A second height adjustment support 221 provided in front of the first panel 210; A second panel portion 220 mounted on the second height adjustment stand 221; an extension support 212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part of the first panel 210 and extending horizontally to the outside of the leisure vehicle; A third panel part 230 and a fourth panel part 240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extension support 212 extending horizontally to the outside; and a tent portion 250 that is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open tailgate 110 of the leisure vehicle and extends downward to form an internal space.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제 1 판넬부(210)는 레저용 차량(100)의 내측 후방, 바람직하게는 레저용 차량의 트렁크(120)에 안착되어 사용자가 숙식할 수 있는 평탄한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 1 판넬부(210)의 크기와 형상은 레저용 차량의 트렁크(120) 공간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Looking at this in detail, the first panel portion 210 is seated on the inner rear of the leisure vehicle 100, preferably in the trunk 120 of the leisure vehicle, and provides a flat space for the user to sleep and eat. The size and shape of the first panel portion 210 may be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space of the trunk 120 of a recreational vehicl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판넬부(210)의 후방에는 제 3 체결공(213)이 구비되고, 상기 제 3 체결공(213)에는 상기 제 1 판넬부(210)를 차대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끈(214)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끈(214)은 차량의 트렁크 고리(130)에 체결되어 상기 제 1 판넬부(210)를 차량에 단단히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As shown in FIG. 3, a third fastening hole 213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irst panel part 210, and the third fastening hole 213 is used to attach the first panel part 210 to the chassis. A fastening strap 214 may be provided for fastening, and the fastening strap 214 is fastened to the trunk ring 130 of the vehicle and functions to securely fix the first panel portion 210 to the vehicle.

상기 트렁크 고리(130)는 평상시 트렁크가 닫힌 상태에서 테일게이트(110)의 래치와 결합되고 트렁크가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테일게이트(110) 래치와의 결합이 해제되고 상기 체결끈(214)에 의해 상기 제 1 판넬부(210)와 고정되는 역할을 한다. The trunk hook 130 is normally coupled to the latch of the tailgate 110 when the trunk is closed, and when the trunk is open, the coupling with the latch of the tailgate 110 is released and the fastening string 214 is used to lock the trunk hook 130. It serves to be fixed to the first panel part 21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판넬부(210)의 일측에는 캠핑시 상기 제 1 판넬부(210)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복수의 손잡이(87)를 구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one side of the first panel portion 21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andles 87 to facilitate transportation of the first panel portion 210 when camping.

또한, 상기 제 1 판넬부(2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연장받침대(212)가 차량 외부로 수평연장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판넬부(210)의 상면이 레저용 차량의 후방 범퍼보다 높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는 상기 제 1 판넬부(210)의 하부에 상기 연장받침대(212)의 작동에 방해가 되지 않는 형태의 제 1 높이조절받침대(215)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allow the extension stand 212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first panel part 210 to extend horizontally outside the vehicle,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anel part 210 is provided higher than the rear bumper of the leisure vehicle. It is preferable, and for this purpose, a first height adjustment support 215 may be included in the lower part of the first panel part 210 in a form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of the extension support 212.

상기 제 1 판넬부(210)의 전방에 구비되는 제 2 높이조절받침대(221)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레저용 차량의 2열 시트를 최대한 앞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확보된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높이조절받침대(221)의 상부에 상기 제 2 판넬부(220)를 안착시킴으로써 상기 제 1 판넬부(210)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의 평면 공간이 차량 내부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height adjustment support 221 provided in front of the first panel 210 is installed in an additionally secured space with the second row of seats of the leisure vehicle moved as far forward as possible, as shown in FIG. 4. , By seating the second panel part 220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height adjustment stand 221, a flat space of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anel part 210 can be formed extending toward the inside of the vehicle.

상기 제 1 판넬부(210)의 하부에는 차량의 외부로 연장되는 연장받침대(212)가 좌우측에 1개씩, 총 2개가 구비되어, 이후에 설명하는 제 3 판넬부(230) 및 제 4 판넬부(240)가 상부에 안착될 수 있는 프레임을 제공한다. 이 때, 상기 연장받침대(212)는 각각 독립적인 2개의 연장받침대(212)일 수 있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연장받침대(212)의 말단이 상호 연결되어 일체화된 것일 수도 있다. At the lower part of the first panel part 210, a total of two extension supports 212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are provided, one each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third panel part 230 and the fourth panel par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provided. (240) provides a frame that can be seated at the top. At this time, the extension stands 212 may be two independent extension stands 212, and if necessary, the ends of the extension stands 212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ntegrated.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장받침대(212)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가로지지부(52)와 상기 가로지지부(52)의 말단부에 구비되는 세로지지부(54); 및 상기 세로지지부(54)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수직지지대(5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가로'와 '세로'는 상기 제 1 판넬부(210)의 평면을 기준으로 각각 차량의 종방향(앞뒤 방향)과 횡방향(좌우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의미한다. More specifically, the extension support 212 includes two horizontal supports 52 and a vertical support 54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horizontal supports 52, as shown in (a) of FIG. 5; And it may include a vertical support 58 rotatably provided on the vertical support 54. Here, 'horizontal' and 'vertical' mean direction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transverse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vehicle, respectively, based on the plane of the first panel portion 210.

상기 가로지지부(5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원형, D자형, 삼각형 또는 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 형상을 갖는 파이프일 수 있고, 특히 상기 단면 형상이 D자형, 삼각형 또는 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 형상을 갖는 파이프인 경우에는 평탄부(77)가 상부를 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7,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52 may be a pipe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any one of circular, D-shaped, triangular, or square. In particular, the cross-sectional shape may be D-shaped, triangular, or square. In the case of a pipe having a certain cross-sectional shape, it is preferable that the flat portion 77 is provided to face upward.

또한, 상기 가로지지부(52)는, 슬라이딩되어 그 길이를 연장 또는 단축시킬 수 있는 길이가변폴대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도 5 및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판넬부(210)의 하부에 체결되되, 중공부를 갖는 제 1 관체(82); 상기 제 1 관체(82)의 중공부를 통해 삽입 및 인출되는 제 2 관체(84); 상기 제 1 관체(82)의 일측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제 1 체결공(50); 상기 제 1 체결공(50)으로 돌출되는 제 1 걸림훅(57); 및 상기 제 1 걸림훅(57)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 1 스프링(3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제 1 관체(82) 및 제 2 관체(84)와 동일한 길이가변 슬라이딩 구조를 추가로 포함하여 3단 이상의 길이가변폴대로 구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52 is preferably provided in the form of a length-variable pole that can be slid to extend or shorten its length, and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ures 5 and 8 (a). , a first tube body 82 fastened to the lower part of the first panel part 210 and having a hollow part; a second pipe body (84) inserted and withdrawn through the hollow part of the first pipe body (82); A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holes 5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pipe body 82; A first locking hook (57) protruding into the first fastening hole (50); and a first spring 36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first locking hook 57, and, if necessary, the same as the first tube body 82 and the second tube body 84. It may be composed of three or more length-variable poles, including an additional length-variable sliding structure.

상기와 같이 제 1 관체(82)와, 상기 제 1 관체(82)의 중공부를 통해 내부로 인출 및 삽입되는 제 2 관체(8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외부로 인출되어 제 3 판넬부(230) 및 제 4 판넬부(24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차량의 외부로 확장된 프레임을 형성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pipe body 82 and the second pipe body 84, which is drawn out and inserted into the inside through the hollow part of the first pipe body 82, are pulled out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as shown in FIG. 6 and are connected to the third pipe body 82. A frame is formed that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so that the panel portion 230 and the fourth panel portion 240 can be seated.

상기 길이가변폴대의 형태를 갖는 가로지지부(52)를 구성하는 제 1 관체(82)는 상기 제 1 판넬부(210)의 하부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 1 관체(82)의 중공부에 삽입 및 인출되는 제 2 관체(84)을 구비하게 된다. The first pipe body 82 constituting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52 having the shape of a variable-length pole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first panel portion 210 and is attached to the hollow portion of the first pipe body 82. It is provided with a second pipe body 84 that is inserted and withdrawn.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가로지지부(52)는 제 1 관체(82)의 중공부로 제 2 관체(84)의 말단을 삽입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 1 관체(82)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제 1 체결공(50)을 구비하게 되고, 상기 제 2 관체(84)에는 상기 제 1 체결공(50)을 통해 돌출되면서 상기 제 2 관체(84)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 1 걸림훅(57)을 탄설함으로써, 상기 가로지지부(52)의 전체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 1 걸림훅(57)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 1 걸림훅(57)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제 1 스프링(36)이 구비될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52 is configured by inserting the end of the second pipe body 84 into the hollow part of the first pipe body 82, and the first pipe body 82 has a plurality of first pipes at regular intervals. It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hole 50, and the second pipe body 84 is provided with a first hook 57 that protrudes through the first fastening hole 50 and fixes the position of the second pipe body 84. By casting, it becomes possible to adjust the overall length of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52. At this time, a first spring 36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hook 57 to elastically support the first hook 57.

도 8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관체(84)의 내부에는 제 1 스프링(36)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36)의 상부에는 제 1 걸림훅(57)이 탄설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걸림훅(57)은 제 1 스프링(36)의 탄성에 의해 제 1 관체(82)의 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제 1 관체(82)와 제 2 관체(84)을 체결하게 된다. Referring to (a) of FIG. 8, a first spring 36 is provided inside the second pipe body 84, and a first hook 57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spring 36. , the first hook 57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first pipe body 82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first spring 36, thereby fastening the first pipe body 82 and the second pipe body 84. .

상기 제 1 관체(82)는 내경이 제 2 관체(84)의 외경과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일측에 제 1 걸림훅(57)이 돌출되어 체결되는 제 1 체결공(50)이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pipe body 82 may be provided so that its inner diameter corresponds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pipe body 84, and may have a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holes 50 on one side through which the first hook 57 protrudes and fastens. It is form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가로지지부(52)는 제 2 관체(84)가 제 1 관체(82)의 중공부로 삽입되고, 상기 제 1 걸림훅(57)이 상기 제 1 체결공(50)으로 돌출된 상태에서는 제 2 관체(84)의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제 1 걸림훅(57)을 가압하는 방식으로 결합을 해제하여 제 2 관체(84)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길이를 단축 또는 연장하게 된다.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52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econd pipe body 84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of the first pipe body 82, and the first hook 57 protrudes into the first fastening hole 50. In , the position of the second pipe body 84 is fixed, and the coupling is released by pressing the first hook 57, thereby sliding the second pipe body 84 to shorten or extend the length.

즉, 상기 가로지지부(52)의 길이를 연장하고자 할 때는 상기 제 1 걸림훅(57)을 가압하여 상기 제 1 체결공(50)으로부터 이탈시켜 체결을 해제시킨 후, 상기 제 2 관체(84)를 제 1 관체(82)의 외부로 인출하게 된다. That is, when it is desired to extend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52, the first locking hook 57 is pressed to separate from the first fastening hole 50 to release the fastening, and then the second pipe body 84 is drawn to the outside of the first pipe body (82).

또한, 상기 가로지지부(52)의 길이를 단축하고자 할 때는 상기 제 1 걸림훅(57)을 가압하여 상기 제 1 체결공(50)으로부터 이탈시켜 체결을 해제시킨 후, 상기 제 1 관체(82)의 중공부로 제 2 관체(84)를 삽입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it is desired to shorten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52, the first locking hook 57 is pressed to separate from the first fastening hole 50 to release the fastening, and then the first pipe body 82 The second pipe body 84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art of.

상기와 같이 제 2 관체(84)를 제 1 관체(82)의 중공부로 삽입 또는 인출한 후에는 상기 제 1 걸림훅(57)을 적절한 위치에 형성된 제 1 체결공(50)에 가압을 해제하여 체결함으로써, 상기 가로지지부(5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After inserting or withdrawing the second pipe body 84 into the hollow part of the first pipe body 82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hook 57 is released from the pressure in the first fastening hole 50 form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By fastening,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52 can be adjusted.

상기와 같이 형성된 가로지지부(52)를 구성하는 제 2 관체(84)의 말단에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지지부(5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로지지부(54)는 가로지지부(52)를 구성하는 제 2 관체(84)의 말단에 체결되어, 상기 가로지지부(52)를 지지하여 상기 연장받침대(212)가 그 형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As shown in (a) of FIG. 5, a vertical support portion 54 may be provided at the end of the second tube body 84 constituting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52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vertical support part 54 is fastened to the end of the second tube 84 constituting the horizontal support part 52, and supports the horizontal support part 52 so that the extension support 212 maintains its shap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세로지지부(54)의 중앙부에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지지대(58)가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ertical support 58 may be rotatably provid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54, as shown in (b) of FIG. 8.

상기 수직지지대(58)는 상기 가로지지부(52) 및 세로지지부(54)로 구성되는 연장받침대(212)를 수직으로 지지함으로써, 상기 연장받침대(212)를 구성하는 가로지지부(52)와 세로지지부(54)가 차량의 내부공간과 그 높이를 대응되도록 조절하여 차량 외부에 안정적인 확장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와 같이 수직지지대(58)가 연장받침대(212)를 수직으로 지지함으로써, 상기 가로지지부(52)와 세로지지부(54)가 지면으로부터 지지되어 내부공간을 평탄하게 함으로써, 캠퍼들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형성하게 된다.The vertical support 58 vertically supports the extension support 212 consisting of the horizontal support 52 and the vertical support 54, thereby forming the horizontal support 52 and the vertical support 212 of the extension support 212. (54) may be provided to form a stable expansion space outside the vehicle by adjust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and its height to correspond, and more specifically, as described above, the vertical support 58 uses the extension support 212. By supporting it vertically, the horizontal support part 52 and the vertical support part 54 are supported from the ground to flatten the internal space, forming an internal space that campers can use stably.

상기와 같이, 세로지지부(54)의 중앙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수직지지대(58)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로지지부(54)가 삽입되는 제 3 관체(56); 상기 제 3 관체(56)의 하부에 양측으로 구비되는 지주대(45); 상기 지주대(45)의 일측에 구비되는 수평지지대(47); 상기 지주대(45)의 하부에 구비되는 나사식 체결구(65); 상기 제 3 관체(56)의 중앙에 구비되는 제 2 체결공(68); 상기 세로지지부(54)에 구비되어 상기 제 2 체결공(68)으로 돌출되는 제 2 걸림훅(67); 및 상기 제 2 걸림훅(67)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 2 스프링(46);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vertical support 58 rotatably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vertical support 54 is a third tube body 56 into which the vertical support 54 is inserted, as shown in (b) of FIG. 8. ; Holders (45) provided on both sides at the lower part of the third pipe body (56); A horizontal support (47)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45); A screw-type fastener 65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45; a second fastening hole (68)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third pipe body (56); a second hook (67) provided on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54) and protruding into the second fastening hole (68); and a second spring 46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second locking hook 67.

상기 수직지지대(58)를 구성하는 제 3 관체(56)는 상기 세로지지부(54)의 중간부에 구비되되, 상기 세로지지부(54)가 상기 2개의 가로지지부(52)와 만나는 지점 사이의 길이에 대응되는 크기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수직지지대(58)의 위치가 상기 세로지지부(54)의 중앙에 일정하게 고정될 수 있다. The third tube body 56 constituting the vertical support 58 is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vertical support 54, and the length between the points where the vertical support 54 meets the two horizontal supports 52 By being configured to a size corresponding to , the position of the vertical support 58 can be fixed to the center of the vertical support 54.

상기 제 3 관체(56)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로 세로지지부(54)가 관통 삽입됨으로써, 제 2 걸림훅(67)의 가압시 상기 수직지지대(58)가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As shown in (b) of FIG. 8, the third pipe body 56 has a vertical support portion 54 inserted therein, so that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58 is pressed when the second hook 67 is pressed. Rotation becomes possible.

또한 상기 제 3 관체(56)의 하부 양측으로는 2개의 지주대(45)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지주대(45)의 하부에는 나사조임 방식에 의해 상기 지주대(45)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나사식 체결구(65)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wo struts 45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art of the third pipe body 56, and the height of the strut 45 can be adjusted at the lower part of the strut 45 by a screw tightening method. A screw-type fastener 65 may be provided.

상기 제 3 관체(56)와 세로지지부(54)를 체결하거나 또는 해제함으로써 상기 제 3 관체(56) 및 그 하부에 구비되는 지주대(45)를 회전하거나 또는 고정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기 제 3 관체(56)의 중앙에 구비되는 제 2 체결공(68)과, 상기 세로지지부(54)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 3 관체(56)의 제 2 체결공(68)으로 돌출되는 제 2 걸림훅(67); 및 상기 제 2 걸림훅(67)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 2 스프링(46);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y fastening or disengaging the third pipe body 56 and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54, the third pipe body 56 and the strut 45 provided at its lower part can be rotated or fixed, and for this purpose, the 3 A second fastening hole 68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pipe body 56, and a second fastening hole 68 provided inside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54 and protruding into the second fastening hole 68 of the third pipe body 56. Locking hook (67); and a second spring 46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second locking hook 67.

즉, 상기 수직지지대(58)를 회전하고자 할 때는 상기 제 3 관체(56)의 중앙에 구비되는 제 2 체결공(68)으로 돌출된 제 2 걸림훅(67)을 가압하여 상기 제 3 관체(56)와 상기 제 2 걸림훅(67)의 체결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수직지지대(58)의 회전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vertical support 58 is to be rotated, the second hook 67 protruding from the second fastening hole 68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third pipe body 56 is pressed to press the third pipe body (56). By disengaging the fastening of 56) and the second hook 67, the vertical support 58 can be easily rotated.

또한, 상기 수직지지대(58)를 지면에 고정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수직지지대(58)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 3 관체(56)를 회전하여 상기 제 3 관체(56)의 중앙에 구비되는 제 2 체결공(68)으로 상기 제 2 걸림훅(67)을 돌출시킴으로써 상기 수직지지대(58)를 지면과 수직으로 체결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vertical support 58 is to be fixed to the ground, the third pipe body 56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vertical support 58 is rotated to connect the second fastener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third pipe body 56. By protruding the second hook 67 using the ball 68, the vertical support 58 can be fastened perpendicularly to the ground.

상기 지주대(45)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지주대(45)의 내측에는 수평지지대(47)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지지대(47)는 상기 지주대(45)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상기 지주대(45)를 지면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직립할 수 있게 한다. As shown in (b) of FIG. 8, the struts 45 may be provided as a pair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a horizontal support 47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pair of struts 45, The horizontal support 47 firmly supports the support 45 so that the support 45 can be stably erected from the ground.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주대(45)의 하부에는 나사식 체결구(6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나사조임 방식에 의하여 지주대(45)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나사식 체결구(65)에 의해 상기 수직지지대(58)는 표면이 고르지 못한 지형에서도 상기 가로지지부(52)와 세로지지부(54)로 구성되는 연장받침대(212)를 지면과 수평이 되도록 균일하게 지지가 가능하다.A screw-type fastener 65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4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vertical support 58 is provided by the screw-type fastener 65 that adjusts the height of the support 45 by the screw tightening method, and the horizontal support 52 and the vertical support ( The extension support 212 consisting of 54) can be supported evenly so that it is level with the ground.

또한, 상기 나사식 체결구(65)의 하부에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대(45)를 지면에 안정적으로 거치하기 위한 원형의 받침구(105)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원형의 받침구(105)의 중앙에는 나사식 체결구의 하부가 안착되는 원형의 오목부가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a circular support 105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screw fastener 65 to stably hold the support 45 on the ground, as shown in (b) of FIG. 5. In addition, a circular concave portion in which the lower part of the screw fastener is seated may be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circular support 105.

상기 수직지지대(58)를 지면에 수직으로 세우기 위해서는 상기 세로지지부(54)에 삽입되는 제 3 관체(56)를 회전하여, 상기 지주대(45)가 지면과 수직으로 직립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지주대(45)가 지면과 수직으로 직립한 후에는 상기 제 3 관체(56)의 중앙에 구비되는 제 2 체결공(68)에 제 2 걸림훅(67)을 돌출시켜 체결함으로써, 상기 수직지지대(58)를 지면과 직립하도록 세울 수 있게 된다.In order to erect the vertical support 58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he third tube body 56 inserted into the vertical support 54 is rotated so that the support 45 is erect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fter the support stand 45 is erect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hook 67 is protruded and fastened to the second fastening hole 68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third pipe body 56, The vertical support 58 can be set upright with the ground.

또한, 상기와 같이 제 2 걸림훅(67)을 제 3 관체(56)의 내부로 밀어 넣기 위하여 가압하거나 또는 상기 제 2 걸림훅(67)을 상기 제 3 관체(56)의 중앙에 구비되는 제 2 체결공(68)을 관통하여 돌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2 걸림훅(67)의 하부에는 제 2 스프링(46)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atching hook 67 is pressed to push it into the inside of the third pipe body 56 as described above, or the second catching hook 67 is attached to the third pipe body 56 provided in the center. 2 In order to protrude through the fastening hole 68, a second spring 46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locking hook 67.

상기 제 2 스프링(46)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제 2 걸림훅(67)은 손가락 등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 2 걸림훅(67)을 제 2 체결공(68)과의 체결을 해제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 2 걸림훅(67)을 제 2 체결공(68)으로 돌출시켜 상기 제 3 관체(56)와 세로지지부(54)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수직지지대(58)를 지면에 수직으로 직립할 수 있도록 한다. The second locking hook 67, which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econd spring 46, can be released from fastening with the second fastening hole 68 by pressing with a finger or the like. In addition, the second hook 67 is protruded into the second fastening hole 68 to fasten the third tube body 56 and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54, thereby erecting the vertical support 58 vertically on the ground. make it possible

즉, 상기 수직지지대(58)를 지면에 직립하도록 세우기 위해서, 상기 제 3 관체(56)의 최상부에 제 2 체결공(68)이 구비되고, 상기 세로지지부(54)에는 제 2 걸림훅(67)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3 관체(56)가 상기 세로지지부(54)의 외경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세로지지부(54)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 2 걸림훅(67)이 상기 제 3 관체(56)의 최상부에 형성된 제 2 체결공(68)에 돌출되어 체결됨으로써, 상기 세로지지부(54)의 중앙에 상기 수직지지대(58)가 수직으로 체결되어 상기 가로지지부(52) 및 세로지지부(54)로 구성되는 연장받침대(212)를 상부측으로 지지하게 된다.That is, in order to stand the vertical support 58 upright on the ground, a second fastening hole 68 is provided at the uppermost part of the third pipe body 56, and a second locking hook 67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support 54. ) is formed. At this time, as the third pipe body 56 rotates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54, a second hook 67 provided at the top of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54 is formed at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third pipe body 56. By protruding and fastening into the second fastening hole 68, the vertical support 58 is vertically fastened to the center of the vertical support 54, and the extension support consists of the horizontal support 52 and the vertical support 54. (212) is supported on the upper side.

상기와 같이 수직지지대(58)를 직립하도록 한 후에는 지주대(45)의 하부에 구비되는 나사식 체결구(65)를 나사조임 방식에 의해 상기 지주대(45)의 높낮이를 조절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나사식 체결구(65)를 나사조임 방식에 의해 그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수직지지대(58)를 지면에 견고한 착지상태를 제공할 수 있게 되고, 상기 나사식 체결구(65) 하부에 필요에 따라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형의 받침구(105)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보다 안정적인 착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fter the vertical support 58 is erected as described above, the height of the support 45 is adjusted by screwing the screw fastener 65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45. .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crew fastener 65 by screwing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irm landing condition for the vertical support 58 on the ground, and the lower part of the screw fastener 65 If necessary, a circular support 105 as shown in (b) of FIG. 8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to maintain a more stable landing state.

즉, 상기 수직지지대(58)가 설치되는 지면이 균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나사식 체결구(65)를 회전시켜 삽입하거나 인출함으로써, 상기 수직지지대(58)를 수평으로 체결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나사식 체결구(65)를 이용하여 상기 수직지지대(58)를 수평으로 체결함으로써 상기 수직지지대(58)를 보다 안정적으로 세울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수직지지대(58)를 지면과 일치되도록 세팅이 가능하게 된다. That is, when the ground on which the vertical support 58 is installed is not uniform, the vertical support 58 can be horizontally fastened by rotating the screw-type fastener 65 to insert or withdraw it. By fastening the vertical support 58 horizontally using the screw-type fastener 65 as described above, the vertical support 58 can be erected more stably, and thus the vertical support 58 is connected to the ground. Settings can be made to match.

본 발명에 따른 가로지지부(52)를 구성하는 제 1 관체(82)과 제 2 관체(84) 및 세로지지부(54)는 내측이 중공 형상을 갖는 파이프로 제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관체(82)와 제 2 관체(84) 및 세로지지부(54)를 구성하는 중공 형상을 갖는 파이프의 단면 형상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일 수 있다. The first tube body 82, the second tube body 84, and the vertical support part 54 constituting the horizontal support part 5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as a pipe having a hollow shape on the inside. That is,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ipe having a hollow shape constituting the first pipe body 82, the second pipe body 84, and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54 may be circular as shown in (a) of FIG. 7.

또한, 상기 가로지지부(52)를 구성하는 제 1 관체(82)와 제 2 관체(84)는 도 7의 (b)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각형, D자형 또는 삼각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1 관체(82)와 제 2 관체(84)가 D자형, 삼각형 또는 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 형상을 갖는 파이프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파이프의 평탄부(77)가 상기 제 1 판넬부(210) 내지 제 4 판넬부(240)가 안착되는 상부를 향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상기와 같이 평탄부(77)가 상기 제 1 판넬부(210) 내지 제 4 판넬부(240)가 안착되는 상부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제 3 판넬부(230) 내지 제 4 판넬부(240)가 상기 연장받침대(212)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고, 또한 안착 후에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In addition, the first tube body 82 and the second tube body 84 constituting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52 are any one of a square, D-shape, or triangle as shown in (b) to (d) of FIG. 7.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cross-sectional shape. When the first pipe body 82 and the second pipe body 84 are composed of pipes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either D-shaped, triangular, or square, the flat portion 77 of the pipe is the first panel portion (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hat the flat portion 77 faces the upper portion where the first to fourth panel portions 210 to 240 are seated, as described above. By being located in , the third panel portion 230 to fourth panel portion 240 can be easily seated on the extension stand 212 and also has the effect of ensuring stability after being seat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연장받침대(212)는, 상기 수직지지대(58)를 접철하고 상기 제 2 관체(84)를 제 1 관체(82)의 중공부에 슬라이딩 삽입함으로써, 그 크기를 줄여 보관 및 운송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캠핑 시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로지지부(52)를 구성하는 제 2 관체(84)를 제 1 관체(82)의 중공부로부터 인출하고, 상기 수직지지대(58)를 지면에 수직으로 직립시켜 상기 연장받침대(212)를 설치한 후 상기 연장받침대(212)의 상부로 제 1 판넬부(210) 내지 제 4 판넬부(240)를 펼쳐서 안착시키게 된다. The extension support 212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reduced in size by folding the vertical support 58 and slidingly inserting the second tube body 84 into the hollow part of the first tube body 82 for storage and transportation. This can be easy. In addition, during camping, as shown in FIG. 6, the second pipe body 84 constituting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52 is pulled out from the hollow portion of the first pipe body 82, and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58 is placed on the ground. After installing the extension stand 212 by erecting it vertically, the first to fourth panel parts 210 to 240 are spread out and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extension stand 212.

상기 세로지지부(54)에 구비되는 수직지지대(58)가 지면에 수직으로 직립한 후에는, 상기 가로지지부(52)와 세로지지부(54)를 포함하는 연장받침대(212)의 상부에는 도 6과 같이 제 3 판넬부(230) 및 제 4 판넬부(240)가 그 상부에 안착되어 차량의 내부와 외부로 확장된 평탄한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After the vertical support 58 provided on the vertical support 54 is erected vertically on the ground, the upper part of the extension support 212 including the horizontal support 52 and the vertical support 54 is shown in Figure 6 Likewise, the third panel part 230 and the fourth panel part 240 are seated on the upper part to provide a flat space expanded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vehicle.

이 때, 상기 제 1 판넬부(210) 내지 제 4 판넬부(240)는 말단에 상호 체결을 위한 힌지체결공(78)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체결공(78)에는 원형벨트 형상의 힌지(79)가 체결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panel portion 210 to the fourth panel portion 240 is formed with a hinge fastening hole 78 at the end for mutual fastening, and the hinge fastening hole 78 is provided with a circular belt-shaped hinge ( 79) can be concluded.

상기와 같이 제 1 판넬부(210) 내지 제 4 판넬부(240)는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원형벨트 형상의 힌지(79)에 의해 수평으로 견고하게 상호 고정되고, 필요에 따라 상기 제 1 판넬부(210) 내지 제 4 판넬부(240)를 접철하여 그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상기 원형벨트 형상의 힌지(79)를 해제하여 각 판넬부를 분리함으로써 차량의 적재공간에 용이하게 적재하여 보관 및 관리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panel portion 210 to the fourth panel portion 240 are firmly and horizontally fixed to each other by the circular belt-shaped hinge 79 in the unfolded state, and, if necessary, the first panel portion ( 210) to the fourth panel portion 240 can be folded to reduce its volume, and by releasing the circular belt-shaped hinge 79 to separate each panel portion, it can be easily loaded into the vehicle's loading space for storage and management. It can be done more easily.

또한 도 5의 (a)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제 1 판넬부(210)에는 상기 가로지지부(52)의 제 1 걸림훅(57)을 가압하기 위한 통공(8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판넬부(210)의 하부에 중공부를 갖는 제 1 관체(82)가 체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1 관체(82)의 제 1 체결공(50)으로 돌출된 제 1 걸림훅(57)을 가압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 1 관체(82)의 제 1 체결공(50)의 수직 상방향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통공(8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dditionally, as shown in (a) of FIG. 5, the first panel portion 210 may be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80 for pressing the first hook 57 of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52. That is, since the first tube body 82 having a hollow portion is fastened to the lower part of the first panel part 210, the first hook protruding into the first fastening hole 50 of the first tube body 82 ( In order to release the pressure 57), it is desirable to provide the through hole 8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ly upward direction of the first fastening hole 50 of the first pipe body 82.

이와 같이 상기 제 1 판넬부(210)에 통공(80)을 형성함으로써, 제 1 판넬부(210)의 하부에 형성된 가로지지부(52)의 제 1 걸림훅(57)을 제 1 체결공(50)으로부터 용이하게 가압 해제하여 상기 제 2 관체(84)를 제 1 관체(82)로부터 용이하게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By forming the through hole 80 in the first panel part 210 in this way, the first hook 57 of the horizontal support part 52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first panel part 210 is connected to the first fastening hole 50. ), the second pipe body 84 can be easily withdrawn from the first pipe body 82 by easily releasing the pressure.

상기와 같이 가로지지부(52)와 세로지지부(54)로 구성되는 연장받침대(212)가 차량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세로지지부(54)로부터 수직지지대(58)가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후에는, 상기 제 3 판넬부(230) 및 제 4 판넬부(240)를 상부에 안착시키게 된다. 이후에는 상기 레저용 차량(100)의 후미에 구비되는 테일게이트(110)를 이용하여 텐트부(250)를 설치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fter the extension support 212 consisting of the horizontal support 52 and the vertical support 54 extends to the rear of the vehicle and the vertical support 58 is installed vertically on the ground from the vertical support 54, The third panel part 230 and the fourth panel part 240 are seated on the upper part. Afterwards, the tent unit 250 is installed using the tailgate 110 provided at the rear of the leisure vehicle 100.

상기 텐트부(2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에 구비되는 정면부(251); 개방된 테일게이트(110)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지붕부(252); 및 상기 지붕부(252)의 좌우측에 구비되는 좌우측면부(25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9, the tent portion 250 includes a front portion 251 provided at the front; A roof portion 252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pen tailgate 110; and left and right side parts 253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oof part 252.

상기 좌우측면부(253)에는 각각 윈도우(254)가 구비되고, 상기 정면부(251)에는 출입구(255)가 구비되며, 상기 윈도우(254)와 출입구(255)는 공지된 바와 같이 말아서 상부에 구비되는 고리부(256)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윈도우(254)와 출입구(255)를 개방할 수 있다.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253 are each provided with a window 254, and the front portion 251 is provided with an entrance 255. The window 254 and the entrance 255 are rolled up as known and provided at the top. By fastening to the ring portion 256, the window 254 and the entrance 255 can be opened.

상기 텐트부(250)는 방수용 천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텐트부(250)의 좌우측면부(253)에는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윈도우(254)가 구비되고, 상기 정면부(251)에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구(25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ent portion 250 is preferably made of waterproof fabric, and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253 of the tent portion 250 are each provided with windows 254 as shown in (b) of FIG. 9, and the The front portion 251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n entrance 255 as shown in (a) of FIG. 9 .

즉, 정면부(251)에 형성된 출입구(255)는 사용자의 출입을 위한 것이고, 상기 좌우측면부(253)에 형성된 윈도우(254)는 통풍을 위한 것이다. 다만, 상기 출입구(255) 및 윈도우(254)의 설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사용이 편리한 위치에 임의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That is, the entrance 255 formed in the front part 251 is for the user to enter and exit, and the window 254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side parts 253 is for ventilation. However, the installation positions of the entrance 255 and the window 254 are not limited to this, and they can be arbitrarily installed in a location convenient for the user.

상기 출입구(255) 및 윈도우(254)는 상부로 말아서 개방시킨 상태에서 고정이 가능하고, 상기와 같이 출입구(255)와 윈도우(254)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출입구(255) 및 윈도우(254)의 상부에는 상기 출입구(255) 및 윈도우(254)를 말아서 감아 올려 고정할 수 있도록 좌우 일정 거리를 두고 고리부(256)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The entrance 255 and the window 254 can be fixed in an open state by rolling upward, and in order to fix the entrance 255 and the window 254 in an open state as described above, the entrance 255 and the window 254 Ring portions 256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window 254 at a certain distance left and right so that the entrance 255 and the window 254 can be rolled up and fix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텐트부(250)의 정면에 구비되는 출입구(255)는 야외에서 태양의 직사광선이나 비를 차단하는 용도로의 사용이 가능하다. 즉, 상기 출입구(255)를 펼쳐서 그늘을 만들기 위해 상기 출입구(255)의 하부 말단부의 좌우측에는 수직폴대(86)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폴대 삽입공(88)을 구비할 수 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rance 255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tent unit 250 can be used outdoors to block direct sunlight or rain. That is, in order to expand the entrance 255 and create a shade,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entrance 255 may be provided with pole insertion holes 88 into which the vertical pole 86 is inserted and fastened.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입구(255)의 하부 말단부의 좌우측에 구비되는 폴대 삽입공(88)에 수직폴대(86)를 체결한 후, 고정줄(95)과 팩(97)을 이용하여 지면에 고정하게 되면, 야외에서 태양의 직사광선이나 비를 차단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ure 9 (b), after fastening the vertical pole 86 to the pole insertion hole 88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entrance 255, the fixing line 95 and the pack ( When fixed to the ground using 97), it is possible to create a space outdoors that can block direct sunlight or rain.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윈도우(254) 및 출입구(255)의 내측에는 벌레 차단용 메쉬망(257)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윈도우(254) 및 출입구(255)의 내측에 벌레 차단용 메쉬망(257)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윈도우(254)와 출입구(255)를 상부로 말아서 고리부(256)에 고정하여 개방하여도 모기를 포함한 벌레들이 텐트부(250)의 내부로의 침투가 불가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sh net 257 for blocking insects may be provided inside the window 254 and the entrance 255. That is, as described above, a mesh net 257 for blocking insects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window 254 and the entrance 255, so that the window 254 and the entrance 255 are rolled upward and fixed to the ring portion 256. Even if it is opened, insects, including mosquitoes, cannot penetrate into the interior of the tent unit 250.

상기 벌레 차단용 메쉬망(257)에 의하면, 출입구(255)와 윈도우(254)를 개방한 후, 상기 출입구(255)와 윈도우(254)를 상부로 말아서 고리부(256)에 고정한 후에 상기 벌레 차단용 메쉬망(257)을 닫아서 모기를 포함한 벌레들이 텐트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바람은 유입되어 텐트의 내부를 환기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sect blocking mesh net 257, after opening the entrance 255 and the window 254, the entrance 255 and the window 254 are rolled upward and fixed to the ring portion 256, and then the insect is Closing the blocking mesh net 257 prevents insects, including mosquitoes, from penetrating into the interior of the tent, and allows wind to flow in to ventilate the interior of the tent.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텐트부(2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후미에 구비되되, 개방된 테일게이트(110)의 상부로부터 상기 제 3 판넬부(230) 및 제 4 판넬부(240) 까지를 커버하여 내부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1, the tent unit 250 provided as above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and the third panel unit 230 and the fourth panel unit 240 are provided from the top of the open tailgate 110. ) to form an internal space.

상기와 같이 테일게이트(110)의 하부에 내부 공간을 안정적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텐트부(250)는 레저용 차량(100)의 일측과 체결되어 고정할 필요가 있다.In order to stably form an internal space in the lower part of the tailgate 110 as described above, the tent part 250 needs to be fastened to one side of the leisure vehicle 100 and fixed thereto.

상기와 같이 텐트부(250)를 레저용 차량(100)의 후미에 체결 및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텐트부(250)를 구성하는 좌우측면부(253)의 하부 일측에는 일정 거리를 두고 다수의 조임끈(90) 및 상기 조임끈(90)의 말단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체결구(미도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fasten and fix the tent unit 250 to the rear of the leisure vehicle 100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drawstrings 90 are placed at a certain distance on one lower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 parts 253 constituting the tent unit 250. ) and a plurality of fasteners (not shown)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tightening strap 90.

상기 텐트부(250)의 좌우측면부(253)의 하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거리를 두고 다수의 조임끈(90)과 다수의 체결구를 구비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텐트부(250)를 차량의 후미에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게 된다. By providing a plurality of drawstrings 90 and a plurality of fasteners at a certain distance along the lower edge of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253 of the tent portion 250, the tent portion 250 as shown in FIG. 2 can be firmly fastened to the rear of the vehicle.

즉, 상기 조임끈(90)을 당겨 차량의 특정부분 예를 들면 바퀴 휠 또는 범퍼 등에 체결구를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상기 텐트부(250)를 차량의 후미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체결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by pulling the tightening string 90 and fastening it to a specific part of the vehicle, such as a wheel or bumper, using a fastener, the tent portion 250 can be firmly and stably fastened to the rear of the vehicle.

상기와 같이 다수의 조임끈(90)과 상기 조임끈(90)의 말단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상기 텐트부(250)를 상기 레저용 차량(100)의 후미에 견고하게 체결함으로써, 여름철에 모기를 포함한 벌레들이 텐트부(250)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tent portion 250 is firmly fastened to the rear of the leisure vehicle 100 using a plurality of tightening straps 90 and a plurality of fasteners provided at the distal ends of the tightening strings 90, so that the tent portion 250 can be used in the summer. It is possible to prevent insects, including mosquitoes, from penetrating into the interior of the tent unit 250.

이상과 같이 살펴본 본 발명의 레저용 차량의 차박텐트(200)는 레저용 차량(100)의 후미에 구비되는 테일게이트(110)를 이용하여 간단하고 견고하게 설치가 가능하여, 초보자를 비롯한 누구나가 매우 용이하고 견고하게 설치 및 철거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ar tent 200 of the leisur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simply and robustly using the tailgate 110 provided at the rear of the leisure vehicle 100, so anyone, including beginners, can use it very easily. It can be installed and dismantled easily and robustly.

또한, 제 1 판넬부(210) 내지 제 4 판넬부(240)를 수평으로 펼친 후 평탄화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차박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텐트부(250)가 다수의 조임끈에 의해 레저용 차량(100)의 후미에 체결됨으로써, 텐트부(250)의 형태유지가 가능하고, 여름철에 모기를 포함한 벌레들이 텐트부(250)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바람은 유입되어 텐트의 내부를 쾌적하게 환기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maintaining the flatness after unfolding the first panel portion 210 to the fourth panel portion 240 horizontally,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when leaving the car, and the tent portion 250 is secured by a plurality of drawstrings. By being fastened to the rear of the leisure vehicle 100,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tent unit 250, prevent insects, including mosquitoes, from penetrating into the interior of the tent unit 250 in the summer, and allow wind to flow into the tent unit. The interior can be comfortably ventilat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험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험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xperimental example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xperimental examples are possible therefrom. Additionall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another specific form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e true scope of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56 : 수직지지대
100 : 레저용 차량
110 : 테일게이트
200 : 레저용 차량의 차박텐트
210 : 제 1 판넬부
220 : 제 2 판넬부
230 : 제 3 판넬부
240 : 제 4 판넬부
250 : 텐트부
212 : 연장받침대
56: Vertical support
100: Recreational vehicle
110: tailgate
200: Car tent for recreational vehicle
210: 1st panel part
220: 2nd panel part
230: Third panel part
240: 4th panel part
250: tent part
212: Extension stand

Claims (7)

레저용 차량의 차박텐트로서,
상기 레저용 차량의 내측 후방에 안착되는 제 1 판넬부;
상기 제 1 판넬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1 높이조절받침대;
상기 제 1 판넬부의 전방에 구비되는 제 2 높이조절받침대;
상기 제 2 높이조절받침대의 상부에 안착되는 제 2 판넬부;
상기 제 1 판넬부 하부의 좌우측에 구비되어 상기 레저용 차량의 외부로 수평연장되는 연장받침대;
상기 외부로 수평연장된 연장받침대의 상부에 안착되는 제 3 판넬부 및 제 4 판넬부; 및
개방된 레저용 차량의 테일게이트의 상부에 안착되어 하부로 연장됨으로써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텐트부; 를 포함하는 레저용 차량의 차박텐트.
As a car tent for a leisure vehicle,
A first panel portion mounted on the inner rear of the recreational vehicle;
A first height adjustment support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first panel part;
a second height adjustment support provided in front of the first panel portion;
a second panel portion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height adjustment stand;
Extension support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part of the first panel and extending horizontally to the outside of the leisure vehicle;
a third panel portion and a fourth panel portion seated on an upper part of the extension support extending horizontally to the outside; and
A tent portion that is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open tailgate of a leisure vehicle and extends downward to form an internal space; A car tent for a recreational vehicle includ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넬부의 일측에는 제 3 체결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 3 체결공에는 상기 제 1 판넬부를 레저용 차량의 트렁크 고리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차량의 차박텐트.
In claim 1,
A car tent for a leisur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third fastening hol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panel portion, and the third fastening hole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strap for fastening the first panel portion to a trunk ring of the leisure vehicle.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장받침대는,
가로지지부;
상기 가로지지부의 말단부에 구비되는 세로지지부; 및
상기 세로지지부의 중앙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수직지지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차량의 차박텐트.
In claim 1,
The extension stand is,
transverse support;
A vertical support portion provided at a distal end of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and
A car tent for a leisur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vertical support provided to be rotatable at the center of the vertical support.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로지지부는 단면 형상이 원형, D자형, 삼각형 또는 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 형상을 갖는 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차량의 차박텐트.
In claim 3,
A car tent for a leisure vehicle, wherein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is a pipe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any one of circular, D-shaped, triangular, or squar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단면 형상이 D자형, 삼각형 또는 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 형상을 갖는 파이프는 평탄부가 상부를 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차량의 차박텐트.
In claim 4,
A car tent for a leisure vehicle, wherein the pipe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any one of D-shaped, triangular or square is provided with a flat portion facing upwar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넬부 내지 제 4 판넬부의 말단에는 힌지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체결공에는 원형벨트 형상의 힌지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차량의 차박텐트.
In claim 1,
A car tent for a leisure vehicle, wherein hinge fastening holes are formed at ends of the first to fourth panel parts, and a circular belt-shaped hinge is fastened to the hinge fastening hole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텐트부는,
정면에 구비되는 정면부;
개방된 테일게이트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지붕부; 및
상기 지붕부의 좌우측에 구비되는 좌우측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차량의 차박텐트.

In claim 1,
The tent part,
A front portion provided at the front;
A roof portion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pen tailgate; and
A car tent for a leisure vehicle, comprising: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oof portion.

KR1020220141570A 2022-10-28 2022-10-28 Tent for leisure vehicles Active KR1027807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1570A KR102780727B1 (en) 2022-10-28 2022-10-28 Tent for leisure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1570A KR102780727B1 (en) 2022-10-28 2022-10-28 Tent for leisure veh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0220A true KR20240060220A (en) 2024-05-08
KR102780727B1 KR102780727B1 (en) 2025-03-11

Family

ID=91074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1570A Active KR102780727B1 (en) 2022-10-28 2022-10-28 Tent for leisure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8072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79426A1 (en) * 2015-09-21 2017-03-23 Clark Evan Davis Stackable and collapsible crate
KR200486371Y1 (en) * 2017-07-24 2018-05-11 최일만 Tent for vehicles
KR20210110124A (en) * 2020-02-28 2021-09-07 김태진 Tent Device for Hatchback Type Vehicle
KR20220036633A (en) * 2020-09-16 2022-03-23 하형준 Flatting Structure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79426A1 (en) * 2015-09-21 2017-03-23 Clark Evan Davis Stackable and collapsible crate
KR200486371Y1 (en) * 2017-07-24 2018-05-11 최일만 Tent for vehicles
KR20210110124A (en) * 2020-02-28 2021-09-07 김태진 Tent Device for Hatchback Type Vehicle
KR20220036633A (en) * 2020-09-16 2022-03-23 하형준 Flatting Structure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80727B1 (en) 202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9849A (en) Cover assembly for use on a vehicle bed to form an enclosure
US5544671A (en) Lightweight, portable, self-opening, collapsible shelter/camper/storage unit
US9567767B2 (en) Vehicle roof-top tent
US6715446B2 (en) Pet tent
US6192909B1 (en) Collapsible all-terrain shelter and frame
US5738130A (en) Vehicle supported tent
US8701688B2 (en) Vent for a tent or shelter
US8161991B2 (en) Multipurpose camping hammock
US8684020B1 (en) Modified A-frame tent shelter
US2134879A (en) Beach shelter
US7673642B1 (en) Single pole freestanding shelter
US7261116B2 (en) Tent with extendable windows
US8979157B2 (en) Removable enclosure for rear of vehicle
US20210002919A1 (en) Convertible Covered Wagon
US20230323700A1 (en) Portable Shelter
US7677641B1 (en) Camper truck tent
CA2886590A1 (en) Vehicle roof-top tent
US5381814A (en) Canopy for mounting on a vehicle luggage rack
US10612266B2 (en) Camping system and method for suspending a hammock inside a camping tent
CN114293840A (en) Roof tent based on luggage rack
KR102780727B1 (en) Tent for leisure vehicles
CN114165101A (en) Camp tent on roof of automobile
KR101495568B1 (en) Tent
KR102851660B1 (en) Tent for sports utility vehicles
KR20090001576U (en) Vehicle roof installation 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7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2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3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3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