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6796A -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66796A KR20240066796A KR1020220148016A KR20220148016A KR20240066796A KR 20240066796 A KR20240066796 A KR 20240066796A KR 1020220148016 A KR1020220148016 A KR 1020220148016A KR 20220148016 A KR20220148016 A KR 20220148016A KR 20240066796 A KR20240066796 A KR 2024006679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nic device
- display
- preview
- image
- symmetr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04N23/632—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for displaying or modifying preview images prior to image capturing, e.g. variety of image resolutions or capturing paramet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G06T7/68—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of symmetr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3—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onic viewfinders, e.g. rotatable or detachabl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5—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comprising setting of focusing reg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3—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onic viewfinders, e.g. rotatable or detachable
- H04N23/531—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onic viewfinders, e.g. rotatable or detachable being rotatable or detach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ometry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전자 장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카메라, 디스플레이 및 메모리와 연결되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카메라에 의해 획득되는 이미지에 기초하여 프리뷰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제1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 중 대칭 오브젝트를 검색하고, 검색된 대칭 오브젝트에 대해 포커싱을 수행한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복수의 촬영 모드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카메라 및 소프트웨어 기술이 발달하면서 전자 장치에 다양한 촬영 모드가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파노라마 촬영 모드, 셀피 촬영 모드 등과 같은 다양한 촬영 모드를 제공하고 있다. 각각의 촬영 모드에 진입하면, 전자 장치는 촬영 모드에 대응되도록 카메라 설정을 변경하거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이미지 처리를 수행한다.
한편, 최근에는 건물이나 자연 환경이 유체에 의해 반사되어 대칭적으로 표현된 오브젝트(이하 "대칭 오브젝트"라 함)를 포함하는 퍼들그램(puddlegram) 이미지가 유행하고 있다. 따라서, 퍼들그램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촬영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카메라,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며,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되는 이미지에 기초하여 프리뷰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 제1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 중 대칭 오브젝트를 검색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검색된 대칭 오브젝트에 대해 포커싱을 수행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카메라에 의해 획득되는 이미지에 기초하여 프리뷰를 표시하는 단계; 제1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 중 대칭 오브젝트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대칭 오브젝트에 대해 포커싱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카메라에 의해 획득되는 이미지에 기초하여 프리뷰를 표시하는 단계; 제1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 중 대칭 오브젝트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대칭 오브젝트에 대해 포커싱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칭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들그램 촬영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대칭 오브젝트에 포커싱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칭 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칭 오브젝트에 하이라이트를 표시한 도면,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들그램 촬영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제1 영역에 대칭 축이 위치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UI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들그램 촬영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가이드 UI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들그램 촬영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선호 모델에 대응되는 제1 영역에 대칭 축이 위치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UI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퍼들그램 촬영 모드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퍼들그램 촬영 모드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폼팩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폼팩터에 따라 퍼들그램 촬영 모드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들그램 촬영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제1 영역에 대칭 축이 위치하도록 전자 장치의 폴딩 또는 언폴딩을 안내하는 가이드 UI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퍼들그램 촬영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제1 영역에 대칭 축이 위치하도록 전자 장치의 폴딩 또는 언폴딩을 안내하는 가이드 UI를 도시한 도면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들그램 촬영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대칭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가이드 UI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들그램 촬영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반사면에 이미지 필터 효과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7a 내지 도 17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폼팩터에 따라 반사면에 제공되는 이미지 필터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18a 내지 도 18c는 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경계면에 대하 후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그리고,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폴딩 각도에 따라 자동으로 퍼들그램 촬영 모드로 진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들그램 촬영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대칭 오브젝트에 포커싱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칭 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칭 오브젝트에 하이라이트를 표시한 도면,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들그램 촬영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제1 영역에 대칭 축이 위치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UI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들그램 촬영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가이드 UI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들그램 촬영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선호 모델에 대응되는 제1 영역에 대칭 축이 위치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UI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퍼들그램 촬영 모드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퍼들그램 촬영 모드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폼팩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폼팩터에 따라 퍼들그램 촬영 모드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들그램 촬영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제1 영역에 대칭 축이 위치하도록 전자 장치의 폴딩 또는 언폴딩을 안내하는 가이드 UI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퍼들그램 촬영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제1 영역에 대칭 축이 위치하도록 전자 장치의 폴딩 또는 언폴딩을 안내하는 가이드 UI를 도시한 도면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들그램 촬영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대칭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가이드 UI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들그램 촬영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반사면에 이미지 필터 효과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7a 내지 도 17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폼팩터에 따라 반사면에 제공되는 이미지 필터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18a 내지 도 18c는 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경계면에 대하 후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그리고,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폴딩 각도에 따라 자동으로 퍼들그램 촬영 모드로 진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덧붙여, 하기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 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 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를 설명하기 앞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들그램 이미지(puddlegram image)"는 대칭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 이때, 대칭 오브젝트는 오브젝트와 반사면에 의해 오브젝트가 반사된 반사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오브젝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들그램 이미지는 피라미드 형상의 건축물(10)과 건축물(10)이 유체(예로, 물)에 의해 반사된 반사 오브젝트(20)를 포함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들그램 촬영 모드는 복수의 촬영 모드 중 하나로서, 퍼들그램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퍼들그램 촬영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대칭 오브젝트를 검색하고, 검색된 대칭 오브젝트에 대해 포커스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는 퍼들그램 촬영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대칭 오브젝트의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UI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포함하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110), 디스플레이(120), 스피커(130), 통신 인터페이스(140), 센서(150), 메모리(160)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스마트 폰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다른 휴대 단말 장치(예로, 태블릿 PC, 스마트 워치 등)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구성은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전자 장치(100)의 유형에 따라 일부 구성이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카메라(110)는 전자 장치(100) 주변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구성이다. 특히,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복수의 면에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전면(디스플레이(120)가 배치된 면)에 제1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의 후면(전면의 반대편 면)에 제2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10)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광각 렌즈(wide-angle lens)(또는 메인 렌즈라고 함), 망원 렌즈(telephoto lens) 및 초광각 렌즈(Ultra wide-angle len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각각의 렌즈는 별개의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는 광각 카메라, 망원 카메라, 초광각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카메라(110)는 오토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퍼들그램 촬영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대칭 이미지에 대해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하는 구성으로서, 자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또는, 비자발광 소자 및 백라이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2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LED(Light Emitting Diodes), 마이크로 LED(micro LED), Mini LED, PDP(Plasma Display Panel), QD(Quantum dot) 디스플레이, QLED(Quantum dot light-emitting diodes)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 내에는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20)는 카메라(110)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획득된 프리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퍼들그램 촬영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디스플레이(120)는 프리뷰 상에 대칭 오브젝트를 식별하기 위한 하이라이트, 대칭 오브젝트의 대칭 축, 대칭 오브젝트의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UI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조하여 추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스피커(130)는 다양한 음성 메시지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스피커(130)는 전자 장치(1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전자 장치(100) 외부에 구비되어 전자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스피커(130)는 퍼들그램 촬영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대칭 오브젝트의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음성 가이드를 출력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를 포함하며 다양한 유형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BLE(Bluetooth Low Energy) 모듈, 와이파이 통신 모듈, 셀룰러 통신 모듈, 3G(3세대) 이동통신 모듈, 4G(4세대) 이동통신 모듈, 4세대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모듈, 5G(5세대) 이동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외부 서버로부터 퍼들그램 촬영 모드를 제공하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센서(150)는 전자 장치(100)의 상태 또는 전자 장치(100)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특히, 센서(150)는 전자 장치(100)의 움직임 및 자세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등)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 환경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조도 센서, 거리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센서(150)는 사용자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예를 들어, 심박수 센서, 심전도 센서, 혈압 센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전자 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전자 장치(100)의 구성요소와 관련된 인스트럭션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메모리(160)는 퍼들그램 촬영 모드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퍼들그램 촬영 모드 동안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메모리(160)는 비휘발성 메모리(ex: 하드 디스크,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80) 내의 메모리도 포함할 수 있음.)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60)는 메모리(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기능 및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60)는 메모리(160)에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시킴으로써, 카메라(110)에 의해 획득되는 이미지에 기초하여 프리뷰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한다. 제1 촬영 모드(또는 퍼들그램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70)는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 중 대칭 오브젝트를 검색한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70)는 검색된 대칭 오브젝트에 대해 포커싱을 수행한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70)는 대칭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대칭 맵(symmetry map)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70)는 대칭 맵을 이용하여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 중 대칭 오브젝트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70)는 프리뷰 상에 검색된 대칭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하이라이트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70)는 대칭 맵을 이용하여 대칭 오브젝트의 대칭 축을 식별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70)는 식별된 대칭 축을 프리뷰 상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70)는 대칭 축의 위치가 프리뷰 중 제1 영역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대칭 축의 위치가 프리뷰 중 제1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70)는 대칭 축을 제1 영역에 위치하도록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 UI를 프리뷰 상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은 사용자에 의해 촬영된 퍼들그램(puddlegram) 이미지들에 포함된 대칭 오브젝트의 촬영 방향, 프리뷰 내 대칭 오브젝트의 위치 및 퍼들그램 이미지들에 포함된 대칭 오브젝트의 비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70)는 복수의 렌즈 중 제1 렌즈를 이용하여 촬영된 제1 이미지에 기초하여 제1 프리뷰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프리뷰를 표시하는 동안 제1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70)는 복수의 렌즈 중 제1 렌즈와 상이한 제2 렌즈를 이용하여 제2 이미지를 백그라운드에서 획득할 수 있다. 제1 이미지 내에 대칭 오브젝트가 검색되지 않고 제2 이미지 내에 대칭 오브젝트가 검색되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70)는 제1 프리뷰를 제2 이미지에 기초하여 획득된 제2 프리뷰로 전환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70)는 제2 이미지에 포함된 대칭 오브젝트의 대칭 축을 식별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70)는 식별된 대칭 축을 제2 프리뷰 상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가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하는 힌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디스플레이는 전자 장치(100)가 힌지부를 중심으로 접히거나 펼쳐짐에 따라 접히거나 펼쳐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가 힌지부에 의해 제1 각도로 폴딩되는 동안 제1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70)는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 중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복수의 면 중 반사면에 의해 생성된 대칭 오브젝트의 대칭 축을 식별하여 프리뷰 상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70)는 대칭 축의 위치가 프리뷰 중 제1 영역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대칭 축의 위치가 프리뷰 중 제1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70)는 대칭 축을 제1 영역에 위치하기 위해 전자 장치의 폴딩 각도를 조절하도록 안내하는 제2 가이드 UI를 프리뷰 상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힌지부에 의해 제1 각도로 폴딩되는 동안 제1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70)는 복수의 렌즈 중 초 광각 렌즈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 중 대칭 오브젝트가 검색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대칭 오브젝트가 검색되지 않으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70)는 전자 장치(100)를 오브젝트에 가깝게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제3 가이드 UI를 프리뷰 상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70)는 반사면인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일부에 이미지 필터 효과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70)는 센서(140)에 의해 감지된 주변 밝기에 대한 정보, 이미지에 포함된 색상에 대한 정보 및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하기 위한 추천 이미지 필터 효과를 결정할 수 있다. 추천 이미지 필터 효과가 선택되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70)는 반사면인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일부에 추천 이미지 필터 효과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가 힌지부에 의해 상기 제1 각도로 폴딩되는 동안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70)는 촬영 모드를 제1 촬영 모드로 자동으로 진입하여 제1 촬영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전자 장치(100)는 퍼들그램 촬영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대칭 오브젝트를 검색하고, 검색된 오브젝트에 대해 하이라이트를 표시하고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들그램 촬영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대칭 오브젝트에 포커싱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S310). 구체적으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예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으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이미지에 기초하여 프리뷰를 표시할 수 있다(S320). 이때,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110) 중 광각 렌즈를 통해 촬영된 제1 이미지에 기초하여 프리뷰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제1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여 프리뷰를 표시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제1 이미지 자체를 프리뷰로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S330).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프리뷰 상에 표시된 아이콘 중 제1 촬영 모드(즉, 퍼들그램 촬영 모드)에 대응되는 아이콘(예로, 도 5에 도시된 "Puddlegram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제1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촬영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대칭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대칭 맵을 생성할 수 있다(S340).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입력된 영상에 대해 각 픽셀의 미러 반사에 대해 계산하고, SIFT(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알고리즘을 통해 픽셀 간의 미러 반사가 얼마인지에 대한 신뢰도값을 계산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각 픽셀의 미러 반사를 나타내는 제1 대칭 맵(NMRF(Nearest Mirror Reflection Field))을 획득하고, 픽셀과 미러 반사된 픽셀 사이의 유사도를 측정한 신뢰도값(confidence score)을 나타내는 제2 대칭 맵(SSM(Symmetry Score Map))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제1 대칭 맵 및 제2 대칭 맵을 이용하여 최종 대칭 맵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첫번째 도면과 같은 영상(410)이 획득되면, 전자 장치(100)는 도 4의 두번째 도면과 같은 미러 반사 포인트쌍을 나타내는 맵(420)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맵 속(420)에 포함된 두 개의 다른 색은 서로 다른 클러스터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도 4의 세 번째 도면과 같이, 그레이 스케일 이미지에 의한 제2 대칭 맵(SSM(S))을 획득할 수 있으며, 도 4의 네 번째 도면과 같이, HSV 컬러 이미지에 의한 제1 대칭 맵(NMRF(f))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제1 대칭 맵(NMRF(f)) 및 제2 대칭 맵(SSM(S))에 기초하여 각각의 픽셀의 미러 반사 정도를 나타내는 최종 대칭 맵(Im)을 획득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같은 수식을 통해 최종 대칭 맵(Im)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Im은 최종 대칭 맵을 나타내고, f(Q)는 제1 대칭 맵을 나타내고, S(Q)는 제2 대칭 맵을 나타내며, W Х H 는 입력된 영상의 픽셀들을 나타낸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대칭 맵을 생성하는 것은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방법으로 대칭 맵을 생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자 장치(100)는 대칭 맵에 기초하여 대칭 오브젝트를 검색할 수 있다(S350).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대칭 맵으로부터 대칭 축을 식별하고, 식별된 대칭 축에 기초하여 대칭 오브젝트를 검색할 수 있다. 이때, 대칭 오브젝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브젝트(10)와 오브젝트가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반사 오브젝트(20)를 포함하는 반사 대칭 오브젝트일 수 있다.
이때, 대칭 오브젝트가 검색되면, 전자 장치(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된 대칭 오브젝트에 대해 하이라이트(510,520)를 표시할 수 있다. 특히, 전자 장치(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브젝트(510)와 반사 오브젝트(520)에 대해 각각 하이라이트를 표시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오브젝트와 반사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대칭 오브젝트에 하나의 하이라이트를 표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자 장치(100)는 검색된 대칭 오브젝트에 대해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다(S360). 이때,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대칭 오브젝트가 검색되면, 복수의 오브젝트가 각각에 대해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촬영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70). 이때, 사용자 촬영 명령은 디스플레이(120)에 포함된 기 설정된 아이콘을 선택하는 명령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별도의 물리적인 촬영 버튼을 선택하는 명령 등 일 수 있다.
사용자 촬영 명령이 입력되면(S370-Y), 전자 장치(100)는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S380).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제1 촬영 모드를 선택하여 제1 촬영 모드로 진입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S340 및 S350 단계를 먼저 수행하여 제1 이미지 내에 대칭 오브젝트가 검색되면, 전자장치(100)는 제1 촬영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또는, S340 및 S350 단계를 먼저 수행하여 제1 이미지 내에 대칭 오브젝트가 검색되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촬영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된 아이콘이 선택되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촬영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한편, 제1 촬영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최적의 퍼들그램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하여, 전자 장치(100)는 대칭 축을 기설정된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가이드 UI를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들그램 촬영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제1 영역에 대칭 축이 위치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UI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한편, S610 단계 내지 S640 단계는 도 3에서 설명한 S310 내지 S340 단계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자 장치(100)는 대칭 맵에 기초하여 대칭 축을 식별할 수 있다(S650).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도 4의 두번째 이미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칭 맵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대칭 축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대칭 축을 프리뷰 상에 표시할 수 있다(S660). 이때, 전자 장치(100)는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칭 오브젝트에 대한 하이라이트를 표시할 수 있으며, 대칭 축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칭 오브젝트에 대한 하이라이트(710, 720)와 함께 대칭 축(730)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대칭 축의 위치가 프리뷰 중 제1 영역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70). 이때, 제1 영역은 최적의 퍼들그램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기설정된 영역으로서, 예로, 프리뷰 상의 중앙 영역일 수 있다. 이때, 중앙 영역이라 함은 프리뷰를 1:1로 분할하는 영역일 수 있다.
대칭 축의 위치가 프리뷰 중 제1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S670-N), 전자 장치(100)는 대칭 축을 제1 영역에 위치하도록 전자 장치(100)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가이드 UI를 프리뷰 상에 표시할 수 있다(S680). 예를 들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칭 축의 위치가 프리뷰를 2:1로 분할하는 영역에 위치하면, 전자 장치(100)는 대칭 축의 위치가 제1 영역에 위치하지 않음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대칭 축의 위치가 제1 영역에 위치할 수 있도록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를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UI(74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을 안내하는 화살표 형태로 가이드 UI(740)를 표시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전자 장치(100)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텍스트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가 함께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뿐만 아니라, 도 7b에서는 전자 장치(100)(또는 카메라(110))를 상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화살표 형태의 가이드 UI를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줌인/줌아웃 또는 카메라를 회전(특히, 피치 방향의 회전)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UI가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사용자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이드 UI(740)를 통해 전자 장치(100)를 아랫방향으로 이동하면, 전자 장치(100)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칭 축이 제1 영역에 위치하는 프리뷰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대칭 축에 제1 영역에 위치하면, 전자 장치(100)는 대칭 축이 제1 영역에 위치하였음을 안내하는 이미지 효과(예를 들어, 하이라이트(710,720) 및 대칭 축(730)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색으로 변경되거나 깜빡이는 이미지 효과 등) 또는 안내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잇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촬영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90). 이때, 사용자 촬영 명령은 디스플레이(120)에 포함된 기 설정된 아이콘을 선택하는 명령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별도의 물리적인 촬영 버튼을 선택하는 명령 등 일 수 있다.
사용자 촬영 명령이 입력되면(S690-Y), 전자 장치(100)는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S695).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영역이 기설정된 영역(예로, 중앙 영역)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사용자가 선호하는 선호 모델에 의해 제1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선호 모델은 사용자에 의해 촬영된 퍼들그램(puddlegram) 이미지들에 포함된 대칭 오브젝트의 촬영 방향, 프리뷰 내 대칭 오브젝트의 위치 및 퍼들그램 이미지들에 포함된 대칭 오브젝트의 비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들그램 촬영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선호 모델에 대응되는 제1 영역에 대칭 축이 위치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UI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한편, S805 단계 내지 S815는 도 3에서 설명한 S310 내지 S330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선호 모델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820). 이때, 사용자 선호 모델은 사용자가 기존에 촬영한 퍼들그램 이미지를 분석하여 획득된 모델로서, 사용자 선호 모델은 기존에 촬영한 퍼들그램 이미지들에 포함된 대칭 오브젝트의 촬영 방향, 프리뷰 내 대칭 오브젝트의 위치 및 퍼들그램 이미지에 포함된 대칭 오브젝트의 비율에 따라 프리뷰 내에 최적의 대칭 축의 위치를 안내하는 제1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선호 모델이 존재하지 않는다면(S820-N), 전자 장치(100)는 기설정된 선호 모델을 획득할 수 있다(S825). 이때, 기설정된 선호 모델은 기설정된 영역(예로, 프리뷰의 중앙 영역)을 제1 영역으로 결정하는 선호 모델일 수 있다.
사용자 선호 모델이 존재하면(S820-N),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선호 모델을 획득할 수 있다(S830).
전자 장치(100)는 대칭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대칭 맵을 생성하고, 대칭 맵에 기초하여 대칭 축을 식별할 수 있다(S835).
전자 장치(100)는 식별된 대칭 축을 프리뷰 상에 표시할 수 있다(S840). 이때, 전자 장치(100)는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칭 오브젝트에 대한 하이라이트를 표시할 수 있으며, 대칭 축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대칭 축의 위치가 프리뷰 중 획득된 선호 모델에 의해 결정된 제1 영역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845). 이때, 제1 영역은 획득된 선호 모델에 의해 결정된 영역으로서, 기설정된 선호 모델이 획득된 경우, 제1 영역은 프리뷰 상의 중앙 영역(예로, 프리뷰를 1:1로 분할하는 영역)일 수 있으며, 사용자 선호 모델이 획득된 경우, 제1 영역은 프리뷰를 특정 비율(예로, 프리뷰를 1:2로 분할하는 영역)일 수 있다.
대칭 축의 위치가 프리뷰 중 제1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S845-N), 전자 장치(100)는 대칭 축을 제1 영역에 위치하도록 전자 장치(100)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가이드 UI를 프리뷰 상에 표시할 수 있다(S850).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움직임에 따라 대칭 축이 제1 영역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대칭 축이 제1 영역에 위치하면, 전자 장치(100)는 대칭 축이 제1 영역에 위치하였음을 안내하는 이미지 효과 또는 안내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잇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촬영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855). 이때, 사용자 촬영 명령은 디스플레이(120)에 포함된 기 설정된 아이콘을 선택하는 명령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별도의 물리적인 촬영 버튼을 선택하는 명령 등 일 수 있다.
사용자 촬영 명령이 입력되면(S855-Y), 전자 장치(100)는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하고, 사용자 선호 모델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S860). 즉,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촬영 명령이 입력된 시점의 퍼들그램 이미지를 분석하여 대칭 오브젝트의 촬영 방향, 프리뷰 내 대칭 오브젝트의 위치 및 퍼들그램 이미지에 포함된 대칭 오브젝트의 비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 모델을 업데이트하거나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110)를 이용하여 퍼들그램 촬영 모드 동안 퍼들그램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9 내지 도 10d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퍼들그램 촬영 모드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S310). 구체적으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예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으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우선,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S905). 구체적으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예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으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110) 중 제1 렌즈(예로, 메인 렌즈 또는 광각 렌즈)를 통해 촬영된 제1 이미지에 기초하여 제1 프리뷰를 표시할 수 있다(S910). 이때, 전자 장치(100)는 제1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여 프리뷰를 표시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제1 이미지 자체를 프리뷰로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S915).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프리뷰 상에 표시된 아이콘 중 제1 촬영 모드(즉, 퍼들그램 촬영 모드)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제1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촬영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백그라운드에서 제2 렌즈를 이용하여 제2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S920). 즉, 제1 프리뷰가 표시되는 동안 전자 장치(100)는 백그라운드에서 제1 렌즈와 상이한 제2 렌즈(예로, 초광각 렌즈)를 통해 제2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이미지에서 대칭 오브젝트가 검색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925). 즉, 전자 장치(100)는 제1 이미지에 대한 대칭 맵을 통해 제1 이미지에 대칭 오브젝트가 검색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이미지에서 대칭 오브젝트가 검색되면(S925-Y), 전자 장치(100)는 제1 이미지에 포함된 대칭 오브젝트의 대칭 축을 식별할 수 있다(S930).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식별된 대칭 축을 제1 프리뷰 상에 표시할 수 있다(S935). 이때, 전자 장치(100)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칭 축과 함께 대칭 오브젝트에 대한 하이라이트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제1 이미지에서 대칭 오브젝트가 검색되지 않으면(S925-N), 전자 장치(100)는 백그라운드에서 획득된 제2 이미지로부터 대칭 오브젝트가 검색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940).
제2 이미지로부터 대칭 오브젝트가 검색되지 않으면(S940-N),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가이드 UI를 제1 프리뷰 상에 표시할 수 있다(S945). 즉,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움직임을 통해 제1 이미지 또는 제2 이미지 내에 대칭 오브젝트가 존재하도록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제2 이미지로부터 대칭 오브젝트가 검색되면(S940-Y), 전자 장치(100)는 렌즈 스위치 제안을 위한 가이드 UI를 제1 프리뷰 상에 표시할 수 있다(S950). 예를 들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렌즈(예로, 메인 렌즈)를 통해 획득된 제1 이미지에 기초하여 제1 프리뷰(1010)를 제공하는 동안 전자 장치(100)는 제1 이미지로부터 대칭 오브젝트를 검색하지 못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백그라운드에서 제2 이미지(1020)를 획득할 수 있으며, 제2 이미지로부터 대칭 오브젝트(1025)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이미지로부터 대칭 오브젝트가 검색되지 않고, 제2 이미지로부터 대칭 오브젝트가 검색되면, 전자 장치(100)는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리뷰(1010) 상에 렌즈 스위치 제안을 위한 가이드 UI(1030)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프리뷰를 제2 이미지에 기초하여 획득된 제2 프리뷰로 전환할 수 있다(S955). 구체적으로,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이드 UI(1030)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전자 장치(100)는 제1 프리뷰(1010)를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프리뷰(1040)로 전환할 수 있다. 다만, 가이드 UI(1030)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전자 장치(100)가 프리뷰를 전환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가이드 UI(1030)가 표시된 이후 기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전자 장치(100)는 자동으로 제1 프리뷰(1010)에서 제2 프리뷰(1040)로 전환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2 이미지에 포함된 대칭 오브젝트의 대칭 축을 제2 프리뷰 상에 표시할 수 있다(S960).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칭 오브젝트에 대한 하이라이트(1050-1,1050-2)와 함께 대칭 축(1060)을 제2 프리뷰(104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대칭 축의 위치가 프리뷰(즉, 제1 프리뷰 또는 제2 프리뷰) 중 제1 영역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70). 이때, 제1 영역은 최적의 퍼들그램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기설정된 영역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도 8에서 설명한 사용자 선호 모델에 의해 결정된 영역일 수 있다.
대칭 축의 위치가 프리뷰 중 제1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S965-N), 전자 장치(100)는 대칭 축을 제1 영역에 위치하도록 전자 장치(100)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가이드 UI를 프리뷰 상에 표시할 수 있다(S970).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촬영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975). 이때, 사용자 촬영 명령은 디스플레이(120)에 포함된 기 설정된 아이콘을 선택하는 명령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별도의 물리적인 촬영 버튼을 선택하는 명령 등 일 수 있다.
사용자 촬영 명령이 입력되면(S975-Y), 전자 장치(100)는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S980).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1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리지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다양한 폼팩터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가 제1 각도로 폴딩되는 동안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 중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를 반사면으로 통해 오브젝트가 반사된 반사 오브젝트를 생성하여 대칭 오브젝트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1a 내지 도 18c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폼팩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우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의 일면(예로, 전면)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의 타면(예로, 후면)에는 리지드 디스플레이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가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하는 힌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120)(특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전자 장치(100)가 힌지부를 중심으로 접히거나 펼쳐짐에 따라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로, 도 11a의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의 제1 면(또는 후면)의 일 영역에는 제1 디스플레이(1110)가 배치되고, 도 11a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의 제2 면(또는 전면)에는 제2 디스플레이(1120)가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1 디스플레이(1110)는 11a의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길이가 긴 사각형 형태의 리지드 디스플레이로서, 예로, 21:9 비율의 4.6인치의 크기를 가지며 1680 x 720의 해상도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제2 디스플레이(1120)는 11a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서, 7:5 비율의 7.3인치의 크기를 가지며, 2152 x 1536의 해상도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2 디스플레이(1120)의 제1 영역(1120-1) 및 제2 영역(1120-2)이 서로 마주보도록 폴딩되는 인폴딩 방식으로 폴딩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제2 디스플레이(1120)의 제1 영역(1120-1) 상에 카메라(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110)는 Under-display cameras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1120-1)의 상단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더욱 효과적인 퍼들그램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하여, 힌지부에 가까워지도록 제1 영역(1120-1)의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2 디스플레이(1120)의 제2 영역(1120-2)은 반사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1120)가 힌지부에 의해 제1 각도로 폴딩되는 동안 실제 오브젝트가 반사면인 제2 영역(1120-2)에 의해 반사되어 반사 오브젝트가 생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자 장치(100)는 실제 오브젝트와 반사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대칭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퍼들그램 이미지를 촬영하여 제1 디스플레이(1110) 상에 프리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로, 도 11b의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의 제1 면(또는 후면)의 일 영역에는 제1 디스플레이(1130)가 배치되고, 도 11b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의 제2 면(또는 전면)에는 제2 디스플레이(1120)가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1 디스플레이(1130)는 11b의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태의 리지드 디스플레이로서, 예로, 11:9 비율의 3.2인치의 크기를 가지며 1320 x 1080의 해상도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제2 디스플레이(1140)는 11b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는 세로가 긴 형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서, 예로, 22:9 비율의 6.7인치의 크기를 가지며, 2640Х1080의 해상도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힌지부를 기준으로 제2 디스플레이(1140)의 제1 영역(1140-1) 및 제2 영역(1140-2)이 서로 마주보도록 폴딩되는 인폴딩 방식으로 폴딩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제2 디스플레이(1140)의 제1 영역(1140-1) 상에 카메라(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110)는 Under-display cameras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 11b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1140-1)의 상단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더욱 효과적인 퍼들그램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하여, 힌지부에 가까워지도록 제1 영역(1140-1)의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2 디스플레이(1140)의 제2 영역(1140-2)은 반사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1140)가 힌지부에 의해 제1 각도로 폴딩되는 동안 실제 오브젝트가 반사면인 제2 영역(1140-2)에 의해 반사되어 반사 오브젝트가 생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자 장치(100)는 실제 오브젝트와 반사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대칭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퍼들그램 이미지를 촬영하여 제1 디스플레이(1130) 상에 프리뷰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1 디스플레이(1130)는 리지드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전자 장치(100)의 제1 면에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로, 도 11c의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의 제1 면(또는 후면)의 일 영역에는 제1 디스플레이(1150)가 배치되고, 도 11b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의 제2 면(또는 전면)에는 제2 디스플레이(1160)가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1 디스플레이(1150)는 11c의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면의 일부 영역에 배치된 사각형 형태의 리지드 디스플레이로서, 예로, 1.97:1 비율의 1.9인치의 크기를 가지며 512 x 260의 해상도를 지원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은 도 11b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특히, 제2 디스플레이(1160)의 제2 영역(1160-2)은 반사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1160)가 힌지부에 의해 제1 각도로 폴딩되는 동안 실제 오브젝트가 반사면인 제2 영역(1160-2)에 의해 반사되어 반사 오브젝트가 생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자 장치(100)는 실제 오브젝트와 반사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대칭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퍼들그램 이미지를 촬영하여 제1 디스플레이(1150) 상에 프리뷰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제1 각도로 전자 장치(100)가 폴딩된 상태에서 제1 촬영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최적의 퍼들그램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하여, 전자 장치(100)는 대칭 축을 기설정된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전자 장치의 폴딩을 안내하는 가이드 UI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들그램 촬영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제1 영역에 대칭 축이 위치하도록 전자 장치의 폴딩 또는 언폴딩을 안내하는 가이드 UI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S1310). 구체적으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예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으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제1 각도로 폴딩된 상태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이미지에 기초하여 프리뷰를 표시할 수 있다(S1320). 이때,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110) 중 광각 렌즈를 통해 촬영된 제1 이미지에 기초하여 프리뷰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제1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여 프리뷰를 표시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제1 이미지 자체를 프리뷰로 표시할 수 있다. 특히, 전자 장치(100)는 제1 각도로 폴딩된 동안 제1 디스플레이(1110,1130,1150) 상에 프리뷰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S1330).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프리뷰 상에 표시된 아이콘 중 제1 촬영 모드(즉, 퍼들그램 촬영 모드)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제1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촬영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대칭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대칭 맵을 생성할 수 있으며(S1340), 전자 장치(100)는 대칭 맵에 기초하여 대칭 축을 식별할 수 있다(S1350).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대칭 축을 프리뷰 상에 표시할 수 있다(S1360). 이때, 전자 장치(100)는 도 14a 내지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1110, 1130, 1150) 상에 대칭 축(1420,1450,1480)을 표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자 장치(100)는 도 14a 내지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칭 축(1420,1450,1480)과 함께 실제 오브젝트에 대한 하이라이트(1410-1,1440-1,1470-1)와 반사 오브젝트에 대한 하이라이트(1410-2,1440-2,1470-2)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대칭 축의 위치가 프리뷰 중 제1 영역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370). 이때, 제1 영역은 최적의 퍼들그램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기설정된 영역으로서, 예로, 프리뷰 상의 중앙 영역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사용자 선호 모델에 의해 결정된 영역일 수 있다.
대칭 축의 위치가 프리뷰 중 제1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S1370-N), 전자 장치(100)는 대칭 축을 제1 영역에 위치하도록 전자 장치(100)의 폴딩각도를 조절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UI를 프리뷰 상에 표시할 수 있다(S1380).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제1 각도(예로, 제2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사이의 각도가 95도)로 폴딩되는 동안 대칭 축의 위치가 프리뷰의 제1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100)는 도 14a 내지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의 폴딩을 안내하는 가이드 UI(1430, 1460, 149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도 14a 내지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의 폴딩을 안내하는 화살표 형태로 가이드 UI(1430, 1460, 1490)를 표시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전자 장치(100)의 폴딩을 안내하는 텍스트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가 함께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대칭 축의 위치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폴딩 또는 언폴딩을 결정할 수 있다. 대칭 축이 제1 영역보다 하단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폴딩을 안내하는 가이드 UI를 표시할 수 있으며, 대칭 축이 제1 영역보다 상단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언폴딩을 안내하는 가이드 UI를 표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14a 내지 도 14c에서는 전자 장치(100)의 폴딩 또는 언폴딩을 화살표 형태의 가이드 UI를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줌인/줌아웃 또는 전자 장치(100)(또는, 카메라(110))를 이동 또는 회전(특히, 피치 방향의 회전)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UI가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사용자가 도 14a 내지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이드 UI(1430,1460,1490)를 통해 전자 장치(100)를 제2 각도(예로, 80도)로 폴딩하면, 전자 장치(100)는 대칭 축이 제1 영역에 위치하는 프리뷰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대칭 축에 제1 영역에 위치하면, 전자 장치(100)는 대칭 축이 제1 영역에 위치하였음을 안내하는 이미지 효과(예를 들어, 하이라이트(710,720) 및 대칭 축(730)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색으로 변경되거나 깜빡이는 이미지 효과 등) 또는 안내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가이드 UI(1430,1460,1490)는 프리뷰에서 제거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촬영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390). 이때, 사용자 촬영 명령은 제1 디스플레이(1110, 1130, 1150)에 포함된 기 설정된 아이콘을 선택하는 명령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별도의 물리적인 촬영 버튼을 선택하는 명령 등 일 수 있다.
사용자 촬영 명령이 입력되면(S1390-Y), 전자 장치(100)는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S1395).
복수의 폼팩터 중 도 11b 및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폼팩터와 같이, 카메라(110)가 힌지부와 가깝게 위치하지 않은 경우(즉, 카메라(110)가 상단에 위치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대칭 오브젝트가 검색되지 않을 때, 사용자에게 전자 장치(100)를 오브젝트에 가깝게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UI를 프리뷰 상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들그램 촬영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대칭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가이드 UI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S1510). 구체적으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예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으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제1 각도로 폴딩된 상태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이미지에 기초하여 프리뷰를 표시할 수 있다(S1520). 이때,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110) 중 제1 렌즈를 통해 촬영된 제1 이미지에 기초하여 프리뷰를 표시할 수 있다. 특히, 전자 장치(100)는 제1 각도로 폴딩된 동안 제1 디스플레이(1110,1130,1150) 상에 프리뷰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S1530).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프리뷰 상에 표시된 아이콘 중 제1 촬영 모드(즉, 퍼들그램 촬영 모드)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제1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촬영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렌즈 중 초광각 렌즈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 중 대칭 오브젝트가 검색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540). 이때, 전자 장치(100)는 초광각 렌즈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프리뷰를 제공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백그라운드에서 초광각 렌즈에 의해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대칭 오브젝트가 검색되지 않으면(S1540),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를 오브젝트에 가깝게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UI를 프리뷰 상에 표시할 수 있다(S1550). 가이드 UI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이동한 후 초광각 렌즈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에 대칭 오브젝트가 검색되면, 전자 장치(100)는 대칭 축 및 검색된 대칭 오브젝트에 대한 하이라이트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칭 축이 제1 영역에 벗어난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가이드 UI 역시 프리뷰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촬영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560).
사용자 촬영 명령이 입력되면(S1560-Y), 전자 장치(100)는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S1570).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들그램 촬영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반사면에 이미지 필터 효과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S1610 내지 S1630 단계는 도 13의 S1310 내지 S1330 단계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 필터 효과 적용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S1640). 이때, 이미지 필터 효과 적용을 위한 사용자 명령은 제1 디스플레이(1110,1130,1150) 상에 표시된 이미지 필터 효과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반사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100)의 일 영역 상에 이미지 필터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S1650).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도 17a의 상단, 17b의 상단, 도 17c의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1120,1140,1160)의 제2 영역(1120-2,1140-2,1160-2) 상에 이미지 필터 효과(1710,1720,1730)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 필터 효과는 제2 영역(1120-2,1140-2,1160-2) 상에 기설정된 색(예로, 파란색 등) 또는 기설정된 패턴을 표시하는 효과일 수 있다.
이때, 이미지 필터 효과는 기설정된 이미지 필터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복수의 이미지 필터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 필터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도 17a의 하단, 17b의 하단, 17c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의 제1 디스플레이(1110,1130,1150) 상에 표시된 프리뷰를 통해 반사면에 제공된 이미지 필터 효과가 적용된 퍼들그램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의해 복수의 이미지 필터 중 현재 이미지와 가장 어울리는 이미지 필터를 선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촬영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660).
사용자 촬영 명령이 입력되면(S1660-Y),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에 포함된 전자 장치의 경계 영역에 대한 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S1670). 구체적으로,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반사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퍼들그램 이미지를 촬영할 경우, 전자 장치(100)는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의 반사면(즉, 제2 디스플레이(1120,1140,1160)의 제2 영역(1120-2,1140-2,1160-2))의 경계 영역이 포함된 프리뷰(181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의 반사면(즉, 제2 디스플레이(1120,1140,1160)의 제2 영역(1120-2,1140-2,1160-2))에 이미지 필터 효과(1825)가 적용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 필터 효과(1825)가 적용된 반사면의 경계 영역이 포함된 프리뷰(1820)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면의 경계 영역을 제거하고, 대칭 축을 기준으로 반사면에 대응되는 영역 전체에 이미지 필터 효과가 적용되도록 후처리를 수행하여 후처리된 프리뷰(1830)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의 경계 영역에 포함되지 않은 퍼들그램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게 되어, 전자 장치(100)의 반사면이 아닌 실제 반사면(예로, 물 등)에 의해 반사된 것과 같은 반사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퍼들 그램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후처리된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S1680).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이미지에 포함된 전자 장치의 경계 영역에 대한 후처리를 촬영 명령이 입력된 이후에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이미지에 포함된 전자 장치의 경계 영역에 대한 후처리를 실시간으로 수행하여 프리뷰 상에 경계 영역이 제거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기설정된 이미지 필터 효과가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정보 및 현재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복수의 추천 이미지 필터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센서(150)에 의해 감지된 주변 밝기에 대한 정보, 이미지에 포함된 색상에 대한 정보 및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하기 위한 추천 이미지 필터 효과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추천 이미지 필터 효과가 선택되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 중 적어도 일부에 추천 이미지 필터 효과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제1 촬영 모드를 진입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전자 장치(100)가 제1 촬영 모드에 진입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전자 장치(100)는 별도의 사용자 입력없이 현재 폴딩된 폴딩 각도에 따라 촬영 모드를 제1 촬영 모드로 자동으로 진입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가 힌지부에 의해 제1 각도로 폴딩되는 동안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전자 장치(100)는 촬영 모드를 제1 촬영 모드로 자동으로 진입할 수 있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폴딩 각도에 따라 자동으로 퍼들그램 촬영 모드로 진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S1510). 구체적으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예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으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폴딩 각도가 임계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920). 즉, 전자 장치(100)는 제2 디스플레이(1120,1140,1160)의 제1 영역(1120-1,1140-1,1160-1) 및 제2 영역(1120-2,1140-2,1160-2) 사이의 폴딩 각도가 임계 범위(예로, 70~80 도 사이) 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폴딩 각도가 임계 범위 내이면(1920-Y), 전자 장치(100)는 제1 촬영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1930). 즉, 임계 범위 내의 제1 각도로 폴딩되면, 전자 장치(100)는 퍼들그램 촬영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장치(100)의 폴딩 각도가 임계 범위 밖이면(1920-N), 전자 장치(100)는 제2 촬영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1940). 이때, 제2 촬영 모드는 노멀 모드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촬영 모드(예로, 셀프 촬영 모드, 파노라마 촬영 모드 등)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0)가 대칭 검출 알고리즘을 통해 대칭 오브젝트를 검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학습된 신경망 모델을 통해 이미지 내의 대칭 오브젝트를 검색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를 학습된 신경망 모델에 입력하여 대칭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19에서는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실시예 각각이 개별적인 실시예가 아닌 복수의 실시예가 결합되어 동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하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이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개시에 따른 인공지능과 관련된 기능은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통해 동작된다.
프로세서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NPU(Neural Processing Un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전술한 프로세서의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CPU는 일반 연산뿐만 아니라 인공지능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로서, 다계층 캐시(Cache) 구조를 통해 복잡한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CPU는 순차적인 계산을 통해 이전 계산 결과와 다음 계산 결과의 유기적인 연계가 가능하도록 하는 직렬 처리 방식에 유리하다. 범용 프로세서는 전술한 CPU로 명시한 경우를 제외하고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GPU는 그래픽 처리에 이용되는 부동 소수점 연산 등과 같은 대량 연산을 위한 프로세서로서, 코어를 대량으로 집적하여 대규모 연산을 병렬로 수행할 수 있다. 특히, GPU는 CPU에 비해 컨볼루션(Convolution) 연산 등과 같은 병렬 처리 방식에 유리할 수 있다. 또한, GPU는 CPU의 기능을 보완하기 위한 보조 프로세서(co-processor)로 이용될 수 있다. 대량 연산을 위한 프로세서는 전술한 GPU로 명시한 경우를 제외하고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NPU는 인공 신경망을 이용한 인공지능 연산에 특화된 프로세서로서, 인공 신경망을 구성하는 각 레이어를 하드웨어(예로, 실리콘)로 구현할 수 있다. 이때, NPU는 업체의 요구 사양에 따라 특화되어 설계되므로, CPU나 GPU에 비해 자유도가 낮으나, 업체가 요구하기 위한 인공지능 연산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인공지능 연산에 특화된 프로세서로, NPU는 TPU(Tensor Processing Unit), IPU(Intelligence Processing Unit), VPU(Vision processing unit)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인공 지능 프로세서는 전술한 NPU로 명시한 경우를 제외하고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는 SoC(System on Chip)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SoC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 이외에 메모리, 및 프로세서와 메모리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버스(Bus)등과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에 포함된 SoC(System on Chip)에 복수의 프로세서가 포함된 경우, 전자 장치는 복수의 프로세서 중 일부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인공지능과 관련된 연산(예를 들어, 인공지능 모델의 학습(learning)이나 추론(inference)에 관련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복수의 프로세서 중 컨볼루션 연산, 행렬 곱 연산 등과 같은 인공지능 연산에 특화된 GPU, NPU, VPU, TPU, 하드웨어 가속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인공지능과 관련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CPU 등과 범용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인공지능과 관련된 연산을 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자 장치는 하나의 프로세서에 포함된 멀티 코어(예를 들어, 듀얼 코어, 쿼드 코어 등)를 이용하여 인공지능과 관련된 기능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전자 장치는 프로세서에 포함된 멀티 코어를 이용하여 병렬적으로 컨볼루션 연산, 행렬 곱 연산 등과 같은 인공 지능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기정의된 동작 규칙 또는 인공지능 모델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기정의된 동작 규칙 또는 인공지능 모델은 학습을 통해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학습을 통해 만들어진다는 것은, 다수의 학습 데이터들에 학습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원하는 특성의 기정의된 동작 규칙 또는 인공지능 모델이 만들어짐을 의미한다. 이러한 학습은 본 개시에 따른 인공지능이 수행되는 기기 자체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별도의 서버/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인공지능 모델은, 복수의 신경망 레이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는 적어도 하나의 가중치(weight values)을 갖고 있으며, 이전(previous) 레이어의 연산 결과와 적어도 하나의 정의된 연산을 통해 레이어의 연산을 수행한다. 신경망의 예로는,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DNN (Deep Neural Network), RNN (Recurrent Neural Network), RBM (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 (Deep Belief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및 심층 Q-네트워크 (Deep Q-Networks), Transformer가 있으며, 본 개시에서의 신경망은 명시한 경우를 제외하고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학습 알고리즘은, 다수의 학습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소정의 대상 기기(예컨대, 로봇)을 훈련시켜 소정의 대상 기기 스스로 결정을 내리거나 예측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학습 알고리즘의 예로는, 지도형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형 학습(unsupervised learning), 준지도형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또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이 있으며, 본 개시에서의 학습 알고리즘은 명시한 경우를 제외하고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TV)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10: 카메라
120: 디스플레이
130: 스피커 140: 통신 인터페이스
150: 센서 160: 메모리
170: 적어도 하나의 센서
130: 스피커 140: 통신 인터페이스
150: 센서 160: 메모리
170: 적어도 하나의 센서
Claims (20)
- 전자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카메라,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며,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시킴으로써,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되는 이미지에 기초하여 프리뷰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제1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 중 대칭 오브젝트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대칭 오브젝트에 대해 포커싱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대칭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대칭 맵(symmetry map)을 획득하고,
상기 대칭 맵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 중 상기 대칭 오브젝트를 검색하며,
상기 프리뷰 상에 상기 검색된 대칭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하이라이트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대칭 맵을 이용하여 대칭 오브젝트의 대칭 축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대칭 축을 상기 프리뷰 상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대칭 축의 위치가 상기 프리뷰 중 제1 영역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대칭 축의 위치가 상기 프리뷰 중 제1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대칭 축을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 UI를 상기 프리뷰 상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촬영된 퍼들그램(puddlegram) 이미지들에 포함된 대칭 오브젝트의 촬영 방향, 프리뷰 내 대칭 오브젝트의 위치 및 상기 퍼들그램 이미지들에 포함된 대칭 오브젝트의 비율에 따라 결정되는 전자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제1 렌즈를 이용하여 촬영된 제1 이미지에 기초하여 제1 프리뷰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제1 프리뷰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제1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상기 제1 렌즈와 상이한 제2 렌즈를 이용하여 제2 이미지를 백그라운드에서 획득하고,
상기 제1 이미지 내에 상기 대칭 오브젝트가 검색되지 않고 상기 제2 이미지 내에 상기 대칭 오브젝트가 검색되면, 상기 제1 프리뷰를 상기 제2 이미지에 기초하여 획득된 제2 프리뷰로 전환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이미지에 포함된 대칭 오브젝트의 대칭 축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대칭 축을 상기 제2 프리뷰 상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가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하는 힌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접히거나 펼쳐짐에 따라 접히거나 펼쳐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힌지부에 의해 제1 각도로 폴딩되는 동안 상기 제1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 중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된 복수의 면 중 반사면에 의해 생성된 대칭 오브젝트의 대칭 축을 식별하여 상기 프리뷰 상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대칭 축의 위치가 상기 프리뷰 중 제1 영역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대칭 축의 위치가 상기 프리뷰 중 제1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대칭 축을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하기 위해 상기 전자 장치의 폴딩 각도를 조절하도록 안내하는 제2 가이드 UI를 상기 프리뷰 상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힌지부에 의해 제1 각도로 폴딩되는 동안 상기 제1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초 광각 렌즈(Ultra Wide lens)에 의해 촬영된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 중 상기 대칭 오브젝트가 검색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대칭 오브젝트가 검색되지 않으면, 상기 전자 장치를 오브젝트에 가깝게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제3 가이드 UI를 상기 프리뷰 상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일부가 배치된 면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중 상기 적어도 일부에 이미지 필터 효과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주변 밝기에 대한 정보,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색상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하기 위한 추천 이미지 필터 효과를 결정하며,
상기 추천 이미지 필터 효과가 선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중 상기 적어도 일부에 상기 추천 이미지 필터 효과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힌지부에 의해 상기 제1 각도로 폴딩되는 동안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촬영 모드를 상기 제1 촬영 모드로 자동으로 진입하는 전자 장치. -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카메라에 의해 획득되는 이미지에 기초하여 프리뷰를 표시하는 단계;
제1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 중 대칭 오브젝트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대칭 오브젝트에 대해 포커싱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대칭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대칭 맵(symmetry map)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대칭 맵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 중 상기 대칭 오브젝트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프리뷰 상에 상기 검색된 대칭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하이라이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대칭 맵을 이용하여 대칭 오브젝트의 대칭 축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대칭 축을 상기 프리뷰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대칭 축의 위치가 상기 프리뷰 중 제1 영역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대칭 축의 위치가 상기 프리뷰 중 제1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대칭 축을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 UI를 상기 프리뷰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촬영된 퍼들그램(puddlegram) 이미지들에 포함된 대칭 오브젝트의 촬영 방향, 프리뷰 내 대칭 오브젝트의 위치 및 상기 퍼들그램 이미지들에 포함된 대칭 오브젝트의 비율에 따라 결정되는 제어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에 포함된 복수의 렌즈 중 제1 렌즈를 이용하여 촬영된 제1 이미지에 기초하여 제1 프리뷰를 표시하고,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프리뷰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제1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상기 제1 렌즈와 상이한 제2 렌즈를 이용하여 제2 이미지를 백그라운드에서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미지 내에 상기 대칭 오브젝트가 검색되지 않고 상기 제2 이미지 내에 상기 대칭 오브젝트가 검색되면, 상기 제1 프리뷰를 상기 제2 이미지에 기초하여 획득된 제2 프리뷰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제2 이미지에 포함된 대칭 오브젝트의 대칭 축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대칭 축을 상기 제2 프리뷰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가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하는 힌지부;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접히거나 펼쳐짐에 따라 접히거나 펼쳐지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힌지부에 의해 제1 각도로 폴딩되는 동안 상기 제1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 중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된 복수의 면 중 반사면에 의해 생성된 대칭 오브젝트의 대칭 축을 식별하여 상기 프리뷰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대칭 축의 위치가 상기 프리뷰 중 제1 영역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대칭 축의 위치가 상기 프리뷰 중 제1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대칭 축을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하기 위해 상기 전자 장치의 폴딩 각도를 조절하도록 안내하는 제2 가이드 UI를 상기 프리뷰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힌지부에 의해 제1 각도로 폴딩되는 동안 상기 제1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초 광각 렌즈(Ultra Wide lens)에 의해 촬영된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 중 상기 대칭 오브젝트가 검색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대칭 오브젝트가 검색되지 않으면, 상기 전자 장치를 오브젝트에 가깝게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제3 가이드 UI를 상기 프리뷰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일부가 배치된 면이며,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중 상기 적어도 일부에 이미지 필터 효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필터 효과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주변 밝기에 대한 정보,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색상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하기 위한 추천 이미지 필터 효과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 이미지 필터 효과가 선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중 상기 적어도 일부에 상기 추천 이미지 필터 효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힌지부에 의해 상기 제1 각도로 폴딩되는 동안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촬영 모드를 상기 제1 촬영 모드로 자동으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5)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148016A KR20240066796A (ko) | 2022-11-08 | 2022-11-08 |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 PCT/KR2023/015670 WO2024101677A1 (ko) | 2022-11-08 | 2023-10-12 |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 CN202380077600.5A CN120153663A (zh) | 2022-11-08 | 2023-10-12 |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
| EP23888941.4A EP4586631A1 (en) | 2022-11-08 | 2023-10-12 |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US19/184,769 US20250247609A1 (en) | 2022-11-08 | 2025-04-21 |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148016A KR20240066796A (ko) | 2022-11-08 | 2022-11-08 |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40066796A true KR20240066796A (ko) | 2024-05-16 |
Family
ID=9103268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20148016A Pending KR20240066796A (ko) | 2022-11-08 | 2022-11-08 |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5)
| Country | Link |
|---|---|
| US (1) | US20250247609A1 (ko) |
| EP (1) | EP4586631A1 (ko) |
| KR (1) | KR20240066796A (ko) |
| CN (1) | CN120153663A (ko) |
| WO (1) | WO2024101677A1 (ko) |
Family Cites Familie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4325385B2 (ja) * | 2003-12-09 | 2009-09-02 | 株式会社ニコン | 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の画像取得方法 |
| JP2012015889A (ja) * | 2010-07-02 | 2012-01-19 | Sony Corp |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
| KR102386398B1 (ko) * | 2017-03-17 | 2022-04-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촬영 모드에 따라 이미지에 대한 표시자를 다르게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KR102777564B1 (ko) * | 2019-12-09 | 2025-03-10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회전이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블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 |
| JP7468207B2 (ja) * | 2020-07-09 | 2024-04-16 |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 画像認識装置、画像認識方法、及び画像認識プログラム |
-
2022
- 2022-11-08 KR KR1020220148016A patent/KR20240066796A/ko active Pending
-
2023
- 2023-10-12 CN CN202380077600.5A patent/CN120153663A/zh active Pending
- 2023-10-12 WO PCT/KR2023/015670 patent/WO2024101677A1/ko not_active Ceased
- 2023-10-12 EP EP23888941.4A patent/EP4586631A1/en active Pending
-
2025
- 2025-04-21 US US19/184,769 patent/US20250247609A1/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US20250247609A1 (en) | 2025-07-31 |
| EP4586631A1 (en) | 2025-07-16 |
| WO2024101677A1 (ko) | 2024-05-16 |
| CN120153663A (zh) | 2025-06-13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10070056B (zh) | 图像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设备 | |
| CN104077023B (zh) | 显示控制设备、显示控制方法以及记录介质 | |
| CN111783986A (zh) | 网络训练方法及装置、姿态预测方法及装置 | |
| WO2020228519A1 (zh) | 字符识别方法、装置、计算机设备以及存储介质 | |
| CN110136136A (zh) | 场景分割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 |
| CN111476306A (zh) | 基于人工智能的物体检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 |
| KR20210111833A (ko) | 타겟의 위치들을 취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와, 컴퓨터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 |
| US11043027B2 (en) | Three-dimensional graphics image processing | |
| US10748000B2 (en) |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recording medium for notifying of surrounding situation information | |
| EP4181092B1 (en) | Method and apparatus with face landmark coordinate prediction | |
| CN116433696B (zh) | 抠图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
| CN114758334B (zh) | 一种对象注册方法及装置 | |
| CN117689974B (zh) | 图像分类模型的训练方法、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 |
| CN112508959A (zh) | 视频目标分割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 |
| JP2016224173A (ja) |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 |
| US10963728B2 (en) |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cessing multimedia signal | |
| CN114782296B (zh) | 图像融合方法、装置及存储介质 | |
| WO2022104181A1 (en) |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improving composition of images | |
| US12094184B2 (en) | Contextual matching | |
| KR20240066796A (ko) |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
| JP7354686B2 (ja) | 出力制御装置、表示制御システム、出力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 US12430839B2 (en) | Temporal and spatial coherence in ray tracing | |
| KR20240014179A (ko) | 화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
| CN114898282A (zh) | 图像处理方法及装置 | |
| EP4495704A1 (en) | Display device for acquiring holographic resour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08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