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084143A -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4143A
KR20240084143A KR1020220168639A KR20220168639A KR20240084143A KR 20240084143 A KR20240084143 A KR 20240084143A KR 1020220168639 A KR1020220168639 A KR 1020220168639A KR 20220168639 A KR20220168639 A KR 20220168639A KR 20240084143 A KR20240084143 A KR 20240084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making
tray
groove
mak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86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지준동
우호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220168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84143A/en
Publication of KR20240084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4143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25C1/243Moulds made of plastics e.g. silic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25C1/246Moulds with separate grid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5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43Tools, e.g. ice picks, ice crushers, ice sha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8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ce maker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the ice maker comprises: an ice making tray having a plurality of ice making grooves in which ice making water is accommodated; an ice separating motor driven to separate ice from the ice making grooves; and an ice separating heater provided in the ice making tray to heat the ice making tray. the ice making groove has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one of a shape and a size is formed differently.

Description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same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maker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을 저온 저장하여 상온에서의 식품 변질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냉장고에 구비되어 식품과는 별개로 사용자에게 얼음을 제공하는 냉장고용 제빙기가 구비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In general, a refrigerator is a device that stores food at low temperatures to prevent food deterioration at room temperature. Recently, products equipped with refrigerator ice makers that provide ice to users separately from food have been released.

냉장고용 제빙기는 물을 자동으로 공급받아 일정 크기의 얼음을 만들기 위한 다수의 제빙홈이 형성된 아이스 트레이와, 아이스 트레이의 하부에 구비되어 이빙 모터에 의해 이빙된 얼음을 보관하는 아이스 뱅크를 포함한다.An ice maker for a refrigerator includes an ice tray with a plurality of ice-making grooves for automatically receiving water and making ice of a certain size, and an ice bank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ice tray to store ice moved by a moving motor.

여기서, 아이스 트레이에 제빙된 얼음을 이빙시키기 위한 방식으로는 2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아이스 트레이 자체를 상술한 이빙 모터를 이용하여 트위스팅시켜 제빙된 얼음을 제빙홈으로부터 분리한 후 그 하부의 아이스 뱅크로 낙하시키는 트위스트 타입과, 금속 재질로 구비된 아이스 트레이에 이빙 히터를 이용하여 소정의 이빙 열을 가함으로써 제빙된 얼음을 제빙홈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별도의 이빙 이젝터를 회동시키는 동작으로 얼음을 아이스 트레이의 일측으로 밀어 그 하부의 아이스 뱅크로 낙하시키는 히터 타입이 그것이다.Here, there may be two methods for moving the ice made in the ice tray. The ice tray itself is twisted using the above-described moving motor to separate the ice made from the ice making groove, and then the ice below it is separated. A twist type is used to drop the ice into a bank, and a moving heater is used to apply a certain amount of moving heat to an ice tray made of metal, thereby separating the ice from the ice-making groove and rotating a separate ice ejector. This is the type of heater that is pushed to one side of the tray and dropped into the ice bank at the bottom.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제빙기는 제빙이 완료된 경우에 용기에 얼음이 적재되도록 하여 필요시에 인출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제빙기 내의 얼음이 일정 온도 이하로 유지되도록 냉기의 기류를 형성시킬 필요성이 요구된다.In general, such ice makers are structured so that when ice making is completed, ice is loaded into a container so that it can be withdrawn and used when necessary.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form a cold airflow so that the ice in the ice maker is maintained below a certain temperatur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78532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78532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제빙기의 제빙되는 얼음의 형상 및 크기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 and allows the shape and size of the ice made by the ice maker to be formed differently, thereby satisfying the user's preference as needed,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는, One embodiment of the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제빙수가 수용되는 복수의 제빙홈이 형성된 제빙 트레이;An ice-making tray having a plurality of ice-making grooves for receiving ice-making water;

상기 제빙홈에서 얼음이 이빙되도록 구동되는 이빙 모터;a moving motor driven to move ice from the ice making groove;

상기 제빙 트레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빙 트레이를 가열하는 이빙 히터;를 포함하고,A moving heater is provided on the ice-making tray and heats the ice-making tray,

상기 제빙홈은 형상과 크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이하게 형성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The ice-making groove may include a structure that is formed differently in at least one of shape and size.

또,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다른 실시예는, In addi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제빙수가 수용되는 복수의 제빙홈이 형성된 제빙 트레이; An ice-making tray having a plurality of ice-making grooves for receiving ice-making water;

상기 제빙홈에서 얼음이 이빙되도록 구동되는 이빙 모터; 및a moving motor driven to move ice from the ice making groove; and

상기 제빙 트레이의 일측에 고정되어 외형을 이루는 서포터부;를 포함하고,It includes a supporter part that is fixed to one side of the ice-making tray and forms an external shape,

상기 제빙홈은 형상과 크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이하게 형성되는 구조를 포함The ice-making groove includes a structure formed differently in at least one of shape and size.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서, 상기 제빙홈으로부터 이빙되는 형상과 크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이한 얼음을 각각 가이드하는 유도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 making groove may further include a guidance guide unit that guides ice of different shapes and sizes.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서, 상기 제빙홈은, 제1 제빙홈; 및In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 making groove includes a first ice making groove; and

상기 제1 제빙홈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제2 제빙홈;할 수 있다.A second ice making groove may be formed to have a relatively smaller size than the first ice making groove.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서, 상기 제1 제빙홈은 제2 제빙홈의 개수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In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ice making grooves may be formed to be relatively smaller than the number of second ice making grooves.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서, 상기 제빙홈으로 제빙수가 연속적으로 공급되도록 연결되는 급수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급수 연결부는 인접한 제빙홈과 구분되는 격벽 부위에 형성되는 구조를 포함될 수 있다.In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 supply connection is formed to continuously supply ice-making water to the ice-making groove, and the water supply connection may include a structure formed at a partition separated from an adjacent ice-making groove.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서, 상기 제빙홈으로부터 이빙되는 얼음이 낙하되는 아이스 뱅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ce bank into which ice moving from the ice-making groove falls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서, 상기 제빙 트레이의 상기 제빙홈은 단면이 원형, 다각형, 다이아몬드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making groove of the ice-making tray may have a circular, polygonal, diamond-shaped, or oval cross-section.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서, 상기 제빙 트레이는 히터(heater) 타입 또는 트위스트(twist)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making tray may include a heater type or a twist type.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서, 상기 제빙 트레이는 금속재, 고무소재 및 레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In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making tray may be manufactured including at least one of metal material, rubber material, and resin.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서, 상기 제빙 트레이는 다이 캐스팅(die casting) 방식으로 주조될 수 있다.In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 making tray is It can be cast by die casting method.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서, 상기 제빙 트레이는 금속이되, 전해연마를 통해 발청예방처리가 된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making tray may be made of metal, and may include metal that has been treated to prevent rusting through electrolytic polishing.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서, 상기 히터부는 실리콘 코드 히터 또는 면상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er unit may include a silicon cord heater or a planar heater.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서, 상기 제빙기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제빙홈으로 제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 supply unit that supplies ice-making water to the ice-making groove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ice maker main body.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제빙기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바,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ice maker,

냉장고의 외형을 이루며 내부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A cabinet that forms the exterior of the refrigerator and creates an internal storage space;

상기 캐비닛의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space of the cabinet;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빙기; 및an ice mak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abinet; and

상기 제빙기의 일측에 배치되는 냉각부를 포함하고,It includes a cooling uni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ice maker,

상기 냉각부는 상기 제빙기의 적어도 일부와 직접 접촉되어 제빙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oling unit may include a structure in which ice making is performed by directly contac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ice maker.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서,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는 상기 제빙기측으로 냉기를 열교환되도록 송풍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of the cabinet may include a structure that blows cold air toward the ice maker to exchange heat.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는 제빙기의 제빙되는 얼음의 형상 및 크기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ice maker and the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effect of satisfying the user's preference as needed by allowing the ice made by the ice maker to be formed in different shapes and sizes.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가 설치된 냉장고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 타입 제빙기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위스트 타입 제빙기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들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홈이 형성되는 제빙 트레이의 사시도들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refrigerator equipped with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 heater-type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 twist-type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of an ice-making tray in which ice-making grooves are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도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n ice maker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whe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are judged to imped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Additionally,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No.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빙기가 설치된 냉장고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히터 타입과 트위스트 타입의 제빙기가 도시되어 있고,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들이 도시되어 있다.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refrigerator equipped with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show a heater type and a twist type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and Figure 5 shows schematic diagrams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제빙기(1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a refrigera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ce maker 100.

냉장고(1)는 전면이 개구된 저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저장실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8, 9)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frigerator 1 may include a cabinet forming a storage compartment with an open front, and at least one door 8 or 9 that opens and closes the open front of the storage compartment.

상기 저장실은, 식품을 냉장 상태로 저장하는 냉장실과, 식품을 냉동 상태로 저장하는 냉동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냉장고(1)는 상기 냉장실 및 상기 냉동실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한 것으로서, 상기 냉장실이 상기 냉동실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The storage compartm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refrigerator compartment for storing food in a refrigerated state and a freezer compartment for storing food in a frozen state. The refrigerator 1 of this embodiment is illustrated as including both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may be provided above the freezing compartment.

도어(8, 9)는,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8)와,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9)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실 도어(8)는 서로 좌우로 배치된 두 개로 구비되어, 좌측 냉장실 도어(8)는 상기 냉장실의 일부인 좌측을 개폐할 수 있고, 우측 냉장실 도어(8)는 상기 냉장실의 나머지부인 우측을 개폐할 수 있다.The doors 8 and 9 may include a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8 that opens and closes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a freezer compartment door 9 that opens and closes the freezer compartment. There are two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s (8) arranged to the left and right of each other. The left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8) can open and close the left side, which is part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the right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8) can open and close the right side, which is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You can.

제빙기(100)는 상기 냉장실 및 상기 냉동실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냉장고(1)는 상기 냉장실의 좌측 상부에 제빙기(100)가 설치될 수 있다.The ice maker 100 may be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The refrigerator 1 of this embodiment may have an ice maker 100 installed in the upper left corner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제빙기(100)는 냉장고(1)로부터 제빙수를 공급받을 수 있고, 냉장고(1)의 냉동사이클로부터 상기 저장실로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 상기 제빙수를 얼음으로 변하게 하여서, 상기 얼음을 제조할 수 있다.The ice maker 100 can receive ice-making water from the refrigerator 1, and can produce the ice by turning the ice-making water into ice using cold air supplied to the storage compartment from the refrigeration cycle of the refrigerator 1. .

이러한 제빙기(100)는 케이스(10), 제어박스(20), 순환팬(미도시), 개구부가 형성된 유로 커버(미도시), 아이스 트레이(102) 및 드레인 플레이트(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기 위한 예로써 도 2에 도시를 한 것이므로, 이제 한정되지는 않고 얼음이 제조된 후에 얼음이 이동되어지는 저장부 및 저장부에 설치된 어거모터와 스크류, 아이스트레이(102)에 제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 등의 구성은 도시를 생략하였다.This ice maker 100 includes a case 10, a control box 20, a circulation fan (not shown), a flow path cover with an opening (not shown), an ice tray 102, and a drain plate (not shown). It is done. As it is shown in FIG. 2 as an example for explanation in this embodiment, it is not limited, and the storage unit through which the ice is moved after the ice is manufactured, and the auger motor and screw installed in the storage unit, and the ice tray 102 The configuration of the water supply unit that supplies ice-making water is not shown.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100)에서는 제어박스(20) 측에 상기 순환팬이 위치되어 있다. 특히, 순환팬은 제어박스(20)의 일측 하단부에 형성되되, 소정의 경사를 가지고 다양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In the ice mak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irculation fan is located on the control box 20 side. In particular, the circulation fan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control box 20, and is formed in various directions with a predetermined inclination.

상기 순환팬(200)의 구동에 의해 제빙실(100) 내의 공기는 순환될 수 있다. 제빙실(100) 내의 공기는 열교환을 통해 상온보다 저온상태일 수 있다. 상기 저온상태의 공기가 아이스 트레이(102) 주변에서 이동되며 아이스 트레이(102)의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고 저하된 아이스 트레이(102)의 온도에 의해 아이스 트레이(102)에 제공된 제빙수는 얼음상태로 될 수 있다. 물론, 아이스 트레이(102)에는 히터부(미도시) 또는 냉각부(120)가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부는 이빙시에 얼음이 이빙되도록 가열할 수 있고, 상기 냉각부(120)는 냉매가 내부에서 유동될 수 있는 파이프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와 아이스 트레이(102)의 접촉된 배치에 의해 아이스 트레이(102)는 영하의 온도를 유지하거나 영하의 온도로 냉각될 수 있다.The air in the ice-making chamber 100 may be circulated by driving the circulation fan 200. The air in the ice making room 100 may be at a temperature lower than room temperature through heat exchange. The low-temperature air moves around the ice tray 102 and can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ice tray 102, and due to the lowered temperature of the ice tray 102, the ice-making water provided to the ice tray 102 is in an ice state. It can be. Of course, a heater unit (not shown) or a cooling unit 120 may be placed in contact with the ice tray 102. The heater unit can heat ice so that it moves when moving, and the cooling unit 120 can be a pipe through which refrigerant can flow inside. By placing the pipe in contact with the ice tray 102, the ice tray 102 can be maintained at a sub-zero temperature or cooled to a sub-zero temperature.

한편, 냉장고(1)의 상기 저장실에는 아이스 박스(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박스는 제빙기(1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아이스 박스는 상측이 개구된 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빙기(100)에서 제빙된 얼음은 제빙기(100)로부터 아이스 박스로 이빙되어 아이스 박스 내에 수용되어 저장될 수 있다.Meanwhile, an ice box (not shown) may be install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of the refrigerator 1. The ice box may be placed below the ice maker 100. The ice box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upper side. Ice made in the ice maker 100 may be transferred from the ice maker 100 to an ice box and stored in the ice box.

상기 아이스 박스 내에는 오거(Auger)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오거는 아이스 박스(2)에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오거의 양단은 각각 아이스 박스의 양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오거의 외주면에는 나선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거는 회전 시 상기 나선홈을 통해 아이스 박스 내에 저장된 얼음을 아이스 박스의 외부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오거는 아이스 박스의 일측에 설치된 오거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An auger may be placed within the ice box. The auger may be installed in the ice box 2 to be rotatabl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oth ends of the auger may be rotatab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ice box. A spiral groove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uger. When the auger rotates, it can transfer ice stored in the ice box to the outside of the ice box through the spiral groove. The auger may be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of an auger moto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ice box.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빙기(100)는 제어박스(20), 상기 제어박스(20)에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빙수가 제빙되는 제빙홈(15)이 형성되는 제빙 트레이(10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빙 트레이(102) 에는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제어박스(20)에 고정되는 본체 커버(11)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ice mak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box 20, an ice-making tray 102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control box 20 and having an ice-making groove 15 through which ice-making water is made into ice. It can be configured. A body cover 11 extending from both sides and fixed to the control box 20 may be formed on the ice-making tray 102.

제빙 트레이(102)에는 제빙홈(15)이 형성될 수 있다. 제빙홈(15)은 제빙 트레이(102)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제빙홈(15)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빙홈(15)은 제빙 트레이(102)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제빙 트레이(102)의 제빙홈(15)은 다양하고 서로 상이한 형상 및 크기로 제빙기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제빙홈(15)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An ice making groove 15 may be formed in the ice making tray 102. The ice-making groove 15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ice-making grooves 15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ce-making tray 102 . The ice making groove 15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ce making tray 102. Here, the ice-making grooves 15 of the ice-making tray 10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sizes that can be used to make ice, and these ice-making grooves 15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제어박스(30)는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박스(30)는 제빙 트레이(102)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102)는 제어박스(3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102)의 일단은 제어박스(3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102)의 일단은 후술할 제어박스 케이스(31)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102)의 길이는 제어박스(30)의 일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control box 3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cylinder. The control box 30 may be placed at one end of the ice-making tray 102. The ice-making tray 102 may be placed on one side of the control box 30. One end of the ice making tray 102 may be placed on one side of the control box 30 . One end of the ice-making tray 102 may be placed on one side of the control box case 3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length of the ice-making tray 102 may extend horizontally from one side of the control box 30.

제빙 트레이(102)의 타단에는 급수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는 후술할 제빙기 커버(6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는 제빙기 커버(60)의 양단 중 제어박스(30)에서 먼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는 제빙홈(15)으로 제빙수를 공급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로부터 제빙홈(15)으로 제빙수가 공급될 수 있다. 제빙홈(15)으로 공급된 제빙수는 냉장고(1) 저장실의 냉기에 의해 냉각되어 얼음으로 변할 수 있다.A water supply unit may be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ice-making tray 102. The water supply unit may be formed on the ice maker cover 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water supply unit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ice maker cover 60 that is farther from the control box 30. The water supply unit may form a flow path that supplies ice-making water to the ice-making groove 15. Ice-making water may be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to the ice-making groove 15. The ice-making water supplied to the ice-making groove 15 may be cooled by the cold air in the storage compartment of the refrigerator 1 and turned into ice.

또,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빙기(100)는 열교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히터부(미도시) 및 냉각부(12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는데 적어도 하나는 아이스 트레이(102) 내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삽입 배치를 위해 아이스 트레이(102) 제조시에 삽입되어 사출 성형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ice mak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eat exchange unit. The heat exchange unit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heater unit (not shown) and the cooling unit 120, and at least one may be inserted into the ice tray 102. For insertion placement, it may be inserted and injection molded during manufacturing of the ice tray 102.

또, 상기 히터부는 면상히터일 수 있다. 면상히터와 아이스 트레이(102)의 저부측 표면과 면접촉을 통해 열전달을 할 수 있고, 상기 열전달에 의해 이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빙기는 다른 하나의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열 냉각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수분이 아이스 트레이(102)의 저부에 맺혀 하방으로 떨어질 수 있고, 떨어진 물방울은 하부에 배치된 드레인 플레이트에 도달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플레이트에 도달한 물방울은 제빙실 내부 환경에 의해 결빙될 수 있는데, 결빙이 누적되면 배수목적을 상실할 수 있으므로 결빙가능성이 있는 위치에 히터의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해빙히터(미도시)이며, 해빙을 위해 상기 드레인 플레이트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heater unit may be a planar heater. Heat can be transferred through surfac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nar heater and the ice tray 102, and ice transfer can be achieved through the heat transfer. The ice maker may further include another heater. Moisture generated during repeated heating and cooling may condense on the bottom of the ice tray 102 and fall downward, and the fallen water droplets may reach the drain plate disposed at the bottom. Water droplets that reach the drain plate may freeze due to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ice-making room. If the ice accumulates, the purpose of drainage may be lost, so heat from the heater can be transferred to a location where there is a possibility of freezing. The heater is a thawing heater (not shown) and can be located inside the drain plate for thawing.

상기 드레인 플레이트는 표면에 결빙을 방지하는 상기 해빙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해빙히터 및 히터부는 직렬 및 병렬 중 하나 이상으로 전기적인 연결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히터부 및 상기 해빙히터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직렬 및 병렬 중 하나 이상의 방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히터부 및 상기 해빙히터는 각각이 복수 개 마련될 수 있기 때문이다.The drain plate further includes the thaw heater to prevent freezing on the surface, and the thaw heater and the heater un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in one or more of series and parallel. This heater unit and the thaw heate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may be connected through one or more of series and parallel methods. This is because a plurality of each of the heater unit and the thawing heater may be provided.

제어박스(20)는 캠 회전에 의해 동작되는 만빙레버(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한 싸이클의 동작 중에 상기 만빙레버의 동작이 개입되어 있어 제빙과정이 기구적으로 연동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만빙레버는 적외선 센서의 감지여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적외선 센서의 감지 여부에 의해 제어되는 경우는 정기적으로 동작을 유도하거나 적외선 센서영역에 상기 만빙레버의 감지여부 감지 시간 등의 조건의 조합에 의해 선택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The control box 20 may be connected to a full ice lever (not shown) operated by cam rotation. In this case, the ice-making process can be mechanically linked because the operation of the ice-making lever is involved during the operation of one cycle. Additionally, the full ice lever can be controlled by detection by an infrared sensor. In the case of being controlled by whether or not the infrared sensor is detected, the operation may be induced periodically or may be selectively determined by a combination of conditions such as detection time of the full ice lever in the infrared sensor area.

한편, 상기 제빙기는 만빙검지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만빙검지부는 아이스 박스에 저장된 얼음의 만빙을 검지할 수 있다. 상기 만빙검지부는 제어박스(2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레버 타입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광발광부와 광수광부로 이루어진 광센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만빙검지부가 감지한 신호는 후술할 제어부(C)로 입력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만빙검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통해 상기 아이스 박스에 저장된 얼음의 만빙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얼음저장그릇에 저장된 얼음이 만빙 상태이면, 제빙홈(15)에 상기 제빙수의 공급을 중단하고, 얼음의 생산을 중단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얼음저장그릇에 저장된 얼음이 만빙 상태가 아니라면, 상기 얼음의 생산을 다시 개시할 수 있다.Meanwhile, the ice maker may further include an ice full detection unit (not shown). The ice level detection unit may detect the level of ice stored in the ice box. The full ice detection unit may be formed as a lever type rotatably provided in the control box 20, or may be provided as an optical sensor consisting of an optical light emitting unit and a light receiving unit. The signal detected by the ice level detection unit can be input to a control unit (C),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control unit can determine whether the ice stored in the ice box is full through the signal input from the ice level detection unit. If the ice stored in the ice storage bowl is full, the control unit (C) may stop supplying the ice-making water to the ice-making groove 15 and stop the production of ice. Of course, if the ice stored in the ice storage bowl is not full, the control unit can restart production of the ice.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된 제빙수는 얼음상태가 되는데, 얼음은 이빙이 될 수 있다. 이빙을 위해 아이스 트레이(102)가 트위스트 되거나 이젝터(미도시)의 회전이 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는 상기 트위스트에 의해 이빙되는 제빙 트레이(102) 또는 상기 이젝터의 회전에 의해 이빙되는 금속재의 제빙 트레이(102)일 수 있다. 물론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한 소재일수도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cooled ice-making water is in an ice state, and the ice may be in ice form. For ice removal, the ice tray 102 may be twisted or rotated by an ejector (not shown). In this embodiment, the ice tray 102 is moved by twisting or a metal ice tray is moved by rotation of the ejector. It may be (102). Of course, it may be a material containing polypropylene.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는, 제빙된 얼음을 이빙 시키는 종류에 따라 히터 타입(heater type) 및 트위스트 타입(twist type)을 포함할 수 있다.The ice maker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heater type and a twist type depending on the type of ice used to separate the ice.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 중 히터 타입의 제빙기는,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전장 부품 및 구동 부품이 내장되는 구동박스(200)와, 구동박스(200)의 일측에 구비되고 다수의 제빙홈(15)이 상측에 형성된 제빙 트레이(102)와, 제빙 트레이(102)의 상측에 배치되어 이빙된 얼음을 이젝팅 시키는 이젝터 및 이젝트 핀(25)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heater-type ice maker among the ice mak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drive box 200 in which electrical components and driving parts are built, and one side of the drive box 200, as shown in FIG. 2. It may include an ice-making tray 102 with a plurality of ice-making grooves 15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an ejector and eject pin 25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ice-making tray 102 to eject the transferred ice.

이러한 구동박스의 내부에는 실질적인 제어부로써 마이컴(미도시)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전장품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와 연동되는 기어 세트 및 상기 기어 세트와 연동되게 구비된 연동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Inside this drive box, a microcomputer (not shown) as a practical control unit and a printed circuit board with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for driving it are mounted, an electrically driven drive motor, a gear set linked to the drive motor, and the gear set. It may include an interlocking lever provided to be interlock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 중 트위스트 타입의 제빙기는,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술한 히터 타입의 제빙기와 동일한 구동박스(20), 구동박스(20)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고 다수의 제빙홈(15)이 상측에 형성되며 기결정된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제빙 트레이(102)를 포함한다.Meanwhile, among the ice mak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wist type ice maker has a drive box 20 that is the same as the heater type ice maker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3, and a case forming the outer shape of the drive box 20. and an ice-making tray 102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e, with a plurality of ice-making grooves 15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rotatable at a predetermined angle.

히터 타입의 제빙기와 트위스트 타입의 제빙기는, 이빙 히터(미도시)의 유무 및 제빙 트레이(102)가 트위스트 되도록 회동되는지 여부로 구분될 수 있다. 특히, 히터 타입 또는 트위스트 타입인지에 따라 구동박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구동 모터의 위치 및 상기 기어 세트의 설계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Heater-type ice makers and twist-type ice makers can be distinguished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moving heater (not shown) and whether the ice-making tray 102 is rotated to twist. In particular, the position of the drive motor disposed inside the drive box and the design of the gear set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whether the drive box is a heater type or a twist type.

히터 타입의 제빙기의 경우에는, 제빙 트레이(102)의 제빙홈(15)에 제빙수의 제빙이 완료되면, 제빙 트레이(102)에 소정의 열을 가하는 상기 이빙 히터부에 의하여 이빙된 후 다수의 이젝터 핀(25)이 구비된 이젝터 봉을 구동박스(200)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구동 모터 및 사익 기어 세트의 연동 동작에 의하여 회동 시키면서 다수의 이젝터 핀(25)을 회동시켜 이빙된 얼음을 그 하부의 얼음 저장 그릇(미도시)으로 저장하도록 구동된다.In the case of a heater type ice maker, when ice making is completed in the ice making groove 15 of the ice making tray 102, the ice is transferred by the moving heater unit that applies a predetermined heat to the ice making tray 102, and then The ejector rod provided with the ejector pin 25 is rotated by the interlocking operation of the drive motor and the cyke gear set provided inside the drive box 200, and the plurality of ejector pins 25 are rotated to remove the moved ice. It is driven to store ice in a lower ice storage container (not shown).

또, 트위스트 타입의 제빙기의 경우에는, 제빙 트레이(102)의 제빙홈(15)에 제빙수의 제빙이 완료되면, 상기 구동 모터가 구동되면서 상기 기어 세트가 연동 구동되고, 상기 기어 세트 중 어느 하나의 기어 축과 직결된 제빙 트레이(102)가 일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일단부가 간섭되는 동작으로 트위스팅되고, 이러한 트위스팅 동작에 의하여 제빙홈(15)에 제빙된 얼음이 이빙됨과 동시에 그 하부의 상기 얼음 저장 그릇으로 얼음이 낙하되어 저장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twist-type ice maker, when ice-making of ice-making water is completed in the ice-making groove 15 of the ice-making tray 102, the drive motor is driven and the gear sets are interlocked, and one of the gear sets As the ice-making tray 102, which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gear shaft, is rotated in one direction, one end is twisted in an interference motion, and due to this twisting operation, the ice made in the ice-making groove 15 is transferred and at the same time, the ice below the ice-making tray 102 is moved. Ice falls into a storage container and is stored.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홈이 형성되는 제빙 트레이의 사시도들이다.Figures 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of an ice-making tray in which ice-making grooves are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빙 트레이(102)에는 상이한 형상과 크기의 제빙홈(15)이 형성될 수 있다. 제빙홈(15)은 제빙 트레이(102)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제빙홈(15)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빙홈(15)은 제빙 트레이(102)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these drawings, ice-making grooves 15 of different shapes and sizes may be formed in the ice-making tray 10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making groove 15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ice-making grooves 15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ce-making tray 102 . The ice making groove 15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ce making tray 102.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제빙 트레이(102)의 제빙홈(15)은 서로 상이한 형상 및 크기로 제빙이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ice making grooves 15 of the ice making tray 10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different shapes and sizes to enable ice making.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빙 트레이(102)의 제빙홈(15)은 평면상 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제1 제빙홈(16)과 상기 제1 제빙홈(16)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제2 제빙홈(1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제빙홈(16)과 제2 제빙홈(17)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거나, 상호 혼합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Specifically, the ice making groove 15 of the ice making tray 10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latively smaller in size than the first ice making groove 16 and the first ice making groove 16 having a circular, square, or polygonal shape in plan view.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ice making groove 17 formed. At this time, the first ice making groove 16 and the second ice making groove 17 may b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or may be provided in a mixed form.

여기서, 상기 제1 제빙홈(16)과 제2 제빙홈(17)으로 제빙수가 연속적으로 공급되도록 급수 연결부(18)가 형성되고, 상기 급수 연결부(18)는 인접한 제빙홈과 구분되는 격벽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급수 연결부(18)를 관통하며 외부의 제빙수가 급수부(19)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Here, a water supply connection part 18 is formed so that ice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first ice making groove 16 and the second ice making groove 17, and the water supply connection part 18 is located at a partition wall separated from the adjacent ice making groove. can be formed. Accordingly, external ice-making water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connection part 19 while penetrating the water supply connection part 18.

제빙 트레이(102)의 하측 부위에는 아이스 뱅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제빙 트레이(102)로부터 이빙되는 얼음은 상기 아이스 뱅크로 낙하될 수 있다.An ice bank (not shown)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ice-making tray 102, and therefore, ice transferred from the ice-making tray 102 may fall into the ice bank.

상기 제1 제빙홈(16)과 제2 제빙홈(17)으로부터 이빙되는 얼음은 크기와 형상에 따라 각각 상이한 방향으로 낙하되도록 안내하는 유도 가이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유도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제빙홈(16)과 제2 제빙홈(17)으로부터 이빙되는 얼음을 동시 또는 교번하여 이빙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The ice moving from the first ice making groove 16 and the second ice making groove 17 may be formed with a guide part (not shown) that guides the ice to fall in different directions depending on its size and shape. At this time, the guidance guide may guide the ice being transferred from the first ice making groove 16 and the second ice making groove 17 to be moved simultaneously or alternately.

따라서, 상기 제1 제빙홈(16)과 제2 제빙홈(17)으로부터 이빙되는 얼음이 구분되어 낙하되어 상기 아이스 뱅크에 보관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s convenience of use can be improved by allowing the ice moving from the first ice making groove 16 and the second ice making groove 17 to fall separately and be stored in the ice bank.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Above, an embodiment of an ice maker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it is natural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implement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Therefore, the tru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termined by the claims described later.

1: 냉장고
11: 본체 커버
15: 제빙홈
16: 제1 제빙홈
17: 제2 제빙홈
19: 급수부
20: 제어박스
100: 제빙기
102: 아이스 트레이
120: 히터부
1: refrigerator
11: Body cover
15: Ice making groove
16: First ice making groove
17: Second ice making groove
19: Water supply unit
20: Control box
100: Ice maker
102: Ice tray
120: heater unit

Claims (16)

제빙수가 수용되는 복수의 제빙홈이 형성된 제빙 트레이;
상기 제빙홈에서 얼음이 이빙되도록 구동되는 이빙 모터;
상기 제빙 트레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빙 트레이를 가열하는 이빙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빙홈은 형상과 크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이하게 형성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제빙기.
An ice-making tray having a plurality of ice-making grooves for receiving ice-making water;
a moving motor driven to move ice from the ice making groove;
A moving heater is provided on the ice-making tray and heats the ice-making tray,
The ice making groove includes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one of shape and size is different.
제빙수가 수용되는 복수의 제빙홈이 형성된 제빙 트레이;
상기 제빙홈에서 얼음이 이빙되도록 구동되는 이빙 모터; 및
상기 제빙 트레이의 일측에 고정되어 외형을 이루는 서포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빙홈은 형상과 크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이하게 형성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제빙기.
An ice-making tray having a plurality of ice-making grooves for receiving ice-making water;
a moving motor driven to move ice from the ice making groove; and
It includes a supporter part that is fixed to one side of the ice-making tray and forms an external shape,
The ice making groove includes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one of shape and size is different.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홈으로부터 이빙되는 형상과 크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이한 얼음을 각각 가이드하는 유도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제빙기.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ice maker further includes a guiding guide unit that guides ice of different shapes and sizes transferred from the ice making groov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홈은,
제1 제빙홈; 및
상기 제1 제빙홈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제2 제빙홈;을 포함하는, 제빙기.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ice making groove is,
First ice making groove; and
An ice maker comprising: a second ice making groove formed in a relatively smaller size than the first ice making groov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빙홈은 제2 제빙홈의 개수보다 상대적으로 적게 형성되는, 제빙기.
According to claim 4,
An ice maker wherein the first ice making grooves are formed in a relatively smaller number than the number of second ice making groove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홈으로 제빙수가 연속적으로 공급되도록 연결되는 급수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급수 연결부는 인접한 제빙홈과 구분되는 격벽 부위에 형성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제빙기.
The method of claim 1 or 2,
An ice maker comprising a water supply connection connected to continuously supply ice water to the ice making groove, and the water supply connection being formed at a partition separated from an adjacent ice making groov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홈으로부터 이빙되는 얼음이 낙하되는 아이스 뱅크;를 더 포함하는, 제빙기.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ice maker further comprising: an ice bank into which ice moving from the ice-making groove fall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 트레이의 상기 제빙홈은 단면이 원형, 다각형, 다이아몬드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제빙기.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ice making groove of the ice making tray is formed in a circular, polygonal, diamond, or oval cross-sectio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 트레이는 히터(heater) 타입 또는 트위스트(twist) 타입을 포함하는, 제빙 트레이.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ice making tray includes a heater type or a twist typ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 트레이는 금속재, 고무소재 및 레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제빙기.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ice making tray is manufactured including at least one of metal material, rubber material, and resi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 트레이는 다이 캐스팅(die casting) 방식으로 주조되는, 제빙기.
According to claim 1,
An ice maker, wherein the ice tray is cast by a die casting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 트레이는 금속이되, 전해연마를 통해 발청예방처리가 된 금속인, 제빙기.
According to claim 1,
The ice making tray is made of metal and has been treated to prevent rusting through electrolytic polishing.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는 실리콘 코드 히터 또는 면상히터를 포함하는, 제빙기.
The method of claim 1 or 2,
An ice maker wherein the heater unit includes a silicone cord heater or a planar heat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제빙홈으로 제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가 형성되는, 제빙기.
The method of claim 1 or 2,
An ice maker, wherein a water supply part that supplies ice-making water to the ice-making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ce-making machine body.
냉장고의 외형을 이루며 내부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빙기; 및
상기 제빙기의 일측에 배치되는 냉각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부는 상기 제빙기의 적어도 일부와 직접 접촉되어 제빙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포함하는, 냉장고.
A cabinet that forms the exterior of the refrigerator and creates an internal storage space;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space of the cabinet;
an ice mak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abinet; and
It includes a cooling uni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ice maker,
A refrigerator, wherein the cooling unit includes a structure in which ice making is performed by directly contac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ice maker.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는 상기 제빙기측으로 냉기를 열교환되도록 송풍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5,
A refrigerator including a structure on one side of the cabinet for blowing cold air toward the ice maker to exchange heat.
KR1020220168639A 2022-12-06 2022-12-06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Pending KR2024008414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8639A KR20240084143A (en) 2022-12-06 2022-12-06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8639A KR20240084143A (en) 2022-12-06 2022-12-06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4143A true KR20240084143A (en) 2024-06-13

Family

ID=91481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8639A Pending KR20240084143A (en) 2022-12-06 2022-12-06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84143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8532A (en) 2011-12-30 201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8532A (en) 2011-12-30 201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19271A (en) Refrigerator and ice making method using it
KR20190103807A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20015679A (en) Ice making devic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KR20250065299A (en) Ice maker,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2771326B (en)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KR20240084143A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20200085641A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WO2018163332A1 (en) Automatic ice maker and freezer refrigerator
KR20180020767A (en) Ice maker
CN112789460A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20099587A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100531289B1 (en) Ice-maker in refrigerator
KR20220087638A (en) Apparatus for making and storing of ice
KR100631555B1 (en) Refrigerator ice maker
KR20240082538A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20240082539A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20210051712A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20240082537A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20240082515A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100565607B1 (en) Refrigerator ice maker
KR20240084146A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US77658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symmetrical ice cubes
KR102795707B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Ice maker
KR100600726B1 (en) Ice maker in refrigerator
KR102870986B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