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091554A - Axial flux motor having support structure for rotation shaft bearing - Google Patents

Axial flux motor having support structure for rotation shaft bea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91554A
KR20240091554A KR1020220174587A KR20220174587A KR20240091554A KR 20240091554 A KR20240091554 A KR 20240091554A KR 1020220174587 A KR1020220174587 A KR 1020220174587A KR 20220174587 A KR20220174587 A KR 20220174587A KR 20240091554 A KR20240091554 A KR 20240091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passage
flux motor
hub
ro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45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714526B1 (en
Inventor
안홍길
권성오
이준석
하호선
정경원
Original Assignee
(주)케이에스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에스이피 filed Critical (주)케이에스이피
Priority to KR1020220174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14526B1/en
Publication of KR20240091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915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14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1452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6/00Machines with more than one rotor or stator
    • H02K16/02Machines with one stator and two or more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 H02K1/182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to stators axially facing the rotor, i.e. with axial or conical air ga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0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with channels or ducts for flow of cooling medi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02K1/2793Rotors axially facing stators
    • H02K1/2795Rotors axially facing stators the rotor consisting of two or more circumferentially positioned magnets
    • H02K1/2796Rotors axially facing stators the rotor consisting of two or more circumferentially positioned magnets where both axial sides of the rotor face a st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21/24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axially facing the armatures, e.g. hub-type cycle dynamo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73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e.g. ball bearings
    • H02K5/1732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e.g. ball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19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for machines with closed casing and closed-circuit cooling using a liquid cooling medium, e.g. 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축 베어링 지지구조를 포함하는 축방향 자속 모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영구자석(110)들을 구비하는 로터(100); 상기 로터(100)에 대향하며 복수의 계자코일부(210)들을 포함하는 스테이터(200); 상기 로터(100)에 결합되며 상기 스테이터(200)의 중앙부를 관통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300)을 포함하는 축방향 자속 모터(10)로서, 상기 회전축(300)과 상기 스테이터(200) 사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400)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300) 중 상기 베어링(400)이 결합되는 베어링결합영역(BC)은 그 이외의 영역과 다른 치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방향 자속 모터(10)를 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xial flux motor including a rotating shaft bearing support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tor 100 having a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s 110; A stator 200 facing the rotor 100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field coil units 210; An axial magnetic flux motor (10) coupled to the rotor (100) and including a rotation shaft (300) rotatably installed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stator (200), wherein the rotation shaft (300) and the stator (200) A shaft comprising one or more bearings 400 installed between the rotating shafts 300, wherein the bearing coupling area BC where the bearings 400 are coupled is formed to have different dimensions from the other areas. Directional flux motor 10 is disclosed.

Description

회전축 베어링 지지구조를 포함하는 축방향 자속 모터{Axial flux motor having support structure for rotation shaft bearing}Axial flux motor having support structure for rotation shaft bearing}

본 발명은 회전축 베어링 지지구조를 포함하는 축방향 자속 모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xial flux motor including a rotating shaft bearing support structure.

일반적으로, 모터(Motor)는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켜 회전동력을 얻는 장치로서, 모터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의 종류에 따라 교류모터와 직류모터로 구별된다.In general, a motor is a device that obtains rotational power by converting electrical energy into mechanical energy. Motors are divided into alternating current motors and direct current motors depending on the type of power applied from the outside.

이러한 모터는, 권선된 코일(Coil)에 전류가 흐를 때 발생하는 회전 자기장(Rotating Magnetic Field)에 의해 회전자에 토크(Torque)가 발생하는 원리로 작동한다.These motors operate on the principle that torque is generated on the rotor by a rotating magnetic field that occurs when current flows through a wound coil.

종래의 모터들은, 대부분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고정자(Stator, 이하 스테이터)와, 고정자에 설치되는 다수의 코어와, 코일들에 개별적으로 권선되는 다수의 코일과, 코어와 대면하게 설치되어 코일과의 자기력에 의해 회전되는 영구자석 및, 영구자석과 결합되어 회전되는 회전자(Rotor) 등으로 구성된다.Conventional motors mostly consist of a housing, a sta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tator) fixed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a plurality of cores installed on the stator, a plurality of coils individually wound on the coils, and a stator facing the core. It consists of a permanent magnet that is installed and rotat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coil, and a rotor that is combined with the permanent magnet and rotates.

축방향 자속 모터(axial flux motor)는 에어 갭이 평면이며, 축방향을 따른 자기장 분포가 에어 갭 평면에 대해 수직인 모터를 의미한다. 축방향 자속 모터는 방사형 자속 모터(radial flux motor) 대비 고토크, 저중량 및 고효율인 특성을 가지므로 높은 토크 밀도가 필요하고 소형화가 요구되는 산업분야에 적합하다.An axial flux motor refers to a motor in which the air gap is flat and the magnetic field distribution along the axial direction is perpendicular to the air gap plane. Axial flux motors have characteristics of high torque, low weight, and high efficiency compared to radial flux motors, so they are suitable for industrial fields that require high torque density and miniaturization.

한편, 축방향 자속 모터는 복수의 영구자석들을 포함하는 로터와, 권선된 복수의 계자코일들을 포함하는 스테이터와, 로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axial magnetic flux motor may include a rotor including a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s, a stator including a plurality of wound field coils, and a rotation shaft coupled to the rotor and rotating.

이때, 회전축과 스테이터 사이에는 회전축의 원활한 회전과 지지를 위해 베어링이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a bearing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rotating shaft and the stator to smoothly rotate and support the rotating shaft.

축방향 자속 모터는 고속으로 회전함에 베어링을 안정적으로 결합 및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할 필요가 있으며, 제조편의성을 위해 베어링에 대한 안정적인 결합 및 지지가 가능하면서도 베어링 설치 구조를 간편하게 구성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As the axial magnetic flux motor rotates at high speeds, it is necessary to have a structure that can stably couple and support the bearings. For ease of manufacturing, it is necessary to have a structure that can stably couple and support the bearings while also allowing the bearing installation structure to be easily configured. Technology is required.

또한, 축방향 자속 모터가 고속으로 회전하는 경우 스테이터의 계자코일부가 발열되고, 고온 환경에서 모터 내부의 구조적 안정성이 떨어지거나 모터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xial flux motor rotates at high speed, the field coil part of the stator may generate heat, and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structural stability inside the motor may decrease or motor performance may deteriorate.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인식하여, 회전축에 결합되는 베어링의 설치 및 고정을 용이하게 하고, 베어링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베어링게 가해지는 부하를 효과적으로 저감함으로써 고속회전 시에도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할 수 있는 축방향 자속 모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cognize the above-mentioned need,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and fixation of bearing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and to stably support the bearings and effectively reduce the load applied to the bearings, thereby ensuring stable operation even during high-speed rotation. The goal is to provide an axial magnetic flux motor that can guarante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복수의 영구자석(110)들을 구비하는 로터(100); 상기 로터(100)에 대향하며 복수의 계자코일부(210)들을 포함하는 스테이터(200); 상기 로터(100)에 결합되며 상기 스테이터(200)의 중앙부를 관통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300)을 포함하는 축방향 자속 모터(10)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includes a rotor 100 having a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s 110; A stator 200 facing the rotor 100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field coil units 210; Disclosed is an axial magnetic flux motor (10) including a rotation shaft (300) coupled to the rotor (100) and rotatably installed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stator (200).

상기 회전축(300)과 상기 스테이터(200) 사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400)을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one or more bearings 400 installed between the rotation shaft 300 and the stator 200.

상기 회전축(300) 중 상기 베어링(400)이 결합되는 베어링결합영역(BC)은 그 이외의 영역과 다른 치수로 형성될 수 있다.Among the rotating shafts 300, the bearing coupling area BC where the bearing 400 is coupled may be formed to have different dimensions from other areas.

상기 로터(100)는 상기 스테이터(200)를 사이에 두고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rotor 100 may be provided as a pair with the stator 200 sandwiched between them.

상기 베어링(400)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bearings 400 may be provided as a pair.

상기 한 쌍의 베어링(400)은, 상기 회전축(300)의 축방향(R)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DT)을 두고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The pair of bearings 400 may b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set distance (DT) along the axial direction (R) of the rotation shaft (300).

상기 축방향 자속 모터(10)는, 상기 한 쌍의 베어링(400)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베어링(400)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서(5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axial flux motor 10 may further include a spacer 500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bearings 400 to support the pair of bearings 400.

상기 스페이서(500)의 양단부는 상기 한 쌍의 베어링(400)의 내륜(410)을 각각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Both ends of the spacer 500 may be installed to respectively support the inner rings 410 of the pair of bearings 400.

상기 스페이서(500)는, 중앙부에 상기 회전축(300)이 관통되는 제1관통공(502)이 형성될 수 있다.The spacer 500 may have a first through hole 502 formed in the center through which the rotation axis 300 passes.

상기 스테이터(200)는, 중앙부에 제2관통공(222)이 형성되는 중공형 고정자허브(220)와, 상기 고정자허브(220)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스포크(230)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ator 200 includes a hollow stator hub 220 with a second through hole 222 formed in the center, and a plurality of spokes 230 extend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ator hub 220. It can be included.

상기 스테이터(200)는, 상기 고정자허브(220)의 제2관통공(222) 내에서 상기 스페이서(500)와 상기 고정자허브(220) 사이에 설치되는 부싱부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ator 200 may further include a bushing member 240 installed between the spacer 500 and the stator hub 220 within the second through hole 222 of the stator hub 220. .

상기 부싱부재(240)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베어링(400)의 외륜(420)을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both ends of the bushing member 240 may be installed to support the outer ring 420 of the bearing 400.

상기 고정자허브(220)는, 상기 베어링(400)의 외륜(420)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2관통공(222)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단차부(224)를 구비할 수 있다.The stator hub 220 may be provided with a step portion 224 that protrudes radially inward from the second through hole 222 to support the outer ring 420 of the bearing 400.

본 발명에 축방향 자속 모터는, 회전축에 결합되는 베어링의 설치 및 고정을 용이하게 하고, 베어링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베어링게 가해지는 부하를 효과적으로 저감함으로써 고속회전 시에도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axial magnetic flux mo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ensuring stable operation even during high-speed rotation by facilitating the installation and fixation of the bearing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stably supporting the bearing, and effectively reducing the load applied to the bearing. There i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방향 자속 모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로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구성 일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변형례이다.
도 5는, 도 3의 구성 일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변형례이다.
도 7은, 도 1의 스테이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는, 도 7의 구성 일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회전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스테이터에 결합된 부싱부재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스페이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7의 스테이터에 형성되는 유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유로를 통해 흐르는 냉매의 흐름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xial flux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otor of Figure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part of the structure of FIG. 2.
Figure 4 is a modified example of Figure 3.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part of the structure of FIG. 3.
Figure 6 is a modified example of Figure 5.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or of Figure 1.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part of the structure of FIG. 7.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7.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rotation axis of FIG. 1.
FIG. 11 is a front view showing a bushing member coupled to the stator of FIG. 1.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acer coupled to the rotation axis of FIG. 10.
FIG. 13 is a diagram showing a flow path formed in the stator of FIG. 7.
FIG. 14 is a schematic diagram explaining the flow of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flow path in FIG. 13.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축방향 자속 모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axial magnetic flux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축방향 자속 모터(10)는,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영구자석(110)들을 구비하는 로터(100); 상기 로터(100)에 대향하며 복수의 계자코일부(210)들을 포함하는 스테이터(200); 상기 로터(100)에 결합되며 상기 스테이터(200)의 중앙부를 관통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300)을 포함한다.The axial magnetic flux moto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tor 100 including a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s 110, as shown in FIGS. 1 to 14; A stator 200 facing the rotor 100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field coil units 210; It is coupled to the rotor 100 and includes a rotation shaft 300 rotatably installed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stator 200.

상기 축방향 자속 모터(10)는, 영구자석을 이용한 PMAC(Permanent Magnet AC) 모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axial magnetic flux motor 10 may be a PMAC (Permanent Magnet AC) motor using permanent magnet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로터(100)는, 복수의 영구자석(110)들 및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110)들이 배치되는 백아이언(120)을 포함하는 회전자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rotor 100 is a rotor including a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s 110 and a back iron 120 on which the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s 110 are disposed, and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상기 백아이언(120)은, 복수의 영구자석부(110)들이 배치되어 인접한 영구자석부(110) 사이에 자속경로를 형성하는 강철(전기강판, electrical sheet)로서, 중앙부에 상기 회전축(300)이 관통되는 개구가 형성되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ack iron 120 is a steel (electrical sheet) in which a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 parts 110 are arranged to form a magnetic flux path between adjacent permanent magnet parts 110, and the rotation axis 300 is located in the center. It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disk through which an opening is formed.

상기 백아이언(120)은 철손저감을 위해 적층구조(층상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back iron 120 may have a laminated structure (layered structure) to reduce iron loss.

상기 백아이언(120)의 전면(S1)은 축방향 자속 모터(10) 구성 시 스테이터(200)를 향하는 면으로, 상기 백아이언(120)의 전면(S1)에 복수의 영구자석(110)들이 백아이언(120)의 원주방향(CD)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The front surface (S1) of the back iron 120 is the surface facing the stator 200 when constructing the axial magnetic flux motor 10, and a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s 110 are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S1) of the back iron 120. It may be arranged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D) of the back iron 120.

상기 백아이언(120)의 전면(S1)은, 복수의 영구자석(110)들이 부착되는 면으로서 평편한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ront surface (S1) of the back iron 120 is a surface to which a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s 110 are attached and may be formed as a flat plane.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110)들은, 상기 백아이언(120)의 전면(S1)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s 110 may be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S1) of the back iron 120.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110)들은, N극 및 S극이 서로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s 110 may be arranged with N poles and S poles alternating with each other.

상기 영구자석(110)은, 일체로 형성되는 단일한 영구자석부재로 형성되거나, 또는 분할된 복수의 영구자석셀(112a~112e)들로 구성될 수 있다.The permanent magnet 110 may be formed as a single permanent magnet member, or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divided permanent magnet cells 112a to 112e.

상기 영구자석(110)은, 상기 백아이언(120)의 외곽부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부채꼴 형상 또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permanent magnet 110 may be formed in a fan-shaped or trapezoidal shape whose width increases toward the outer portion of the back iron 120.

상기 영구자석(110)이 분할된 복수의 영구자석셀(112a~112e)들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영구자석셀(112a~e)들은, 백아이언(120)의 반경방향(RD)을 따라 일렬로 배치될 수 있으나, 이는 가능한 하나의 실시예일 뿐 다양한 형태의 배치가 가능함은 물론이다.When the permanent magnet 11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divided permanent magnet cells 112a to 112e, the permanent magnet cells 112a to 112e are aligned along the radial direction (RD) of the back iron 120. However, this is only one possible embodiment, and of course, various forms of arrangement are possible.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셀(112a~112e)들의 크기는, 상기 백아이언(120)의 반경방향(RD)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The size of the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 cells 112a to 112e may increase in the radial direction RD of the back iron 120.

한편, 상기 로터(100)는,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110)들 사이의 이격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부(110)들 사이 사이 설치되는 복수의 자석홀더부(130)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rotor 100 includes a plurality of magnet holder parts 130 installed between the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 parts 110 so that the spacing between the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s 110 is maintained constant. Additional information may be included.

상기 자석홀더부(130)는 길이(L)를 가지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이웃하는 영구자석(110) 사이 마다 배치될 수 있다.The magnet holder portion 130 is formed in a bar shape with a length L, and can be placed between neighboring permanent magnets 110.

상기 복수의 자석홀더부(130)들은, 복수의 영구자석(110)들이 원주방향(CD)을 따라 배치됨에 따라, 백아이언(120)의 전면(S1)에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magnet holder parts 130 may be radially arranged on the front surface (S1) of the back iron 120 as the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s 110 are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D).

예로서, 상기 자석홀더부(130)는, 막대형상의 길이(L)에 수직한 폭(W) 방향 단면이 아치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magnet holder portion 130 may be formed in an arc-shaped cross section in the width (W)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d-shaped length (L).

이때, 상기 자석홀더부(130)는, 오목한 면이 스테이터(200)를 향하도록 백아이언(120)의 전면(S1)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magnet holder portion 130 is preferably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S1) of the back iron 120 so that the concave side faces the stator 200.

상기 자석홀더부(130)의 측면과 이웃하는 영구자석(110) 사이 이격된 공간이 있거나 또는, 자속홀더부(130)와 이웃하는 영구자석(110)은 이격된 공간 없이 밀착하여 설치될 수 있다.There may be a spaced space between the side of the magnet holder part 130 and the neighboring permanent magnets 110, or the magnetic flux holder part 130 and the neighboring permanent magnets 110 may be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out a spaced space. .

이웃하는 영구자석(110)들 사이의 간격이 균일하지 못한 경우, 자속분포의 균일성이 저하되어 모터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웃하는 영구자석(110)들 사이에 자석홀더부(130)를 둠으로써 영구자석(110)들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영구자석(110)들을 정위치에 고정(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When the spacing between neighboring permanent magnets 110 is not uniform,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niformity of magnetic flux distribution deteriorates and the performance of the motor deteriorate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gnet holder between neighboring permanent magnets 110. By providing the part 130,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permanent magnets 110 can be kept constant and the permanent magnets 110 can be fixed (maintained) in the correct position.

자석홀더부(130) 형상의 다른 예로서, 상기 자석홀더부(130)는, 상기 막대형상의 길이(L)에 수직한 폭(W) 방향 단면이 T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of the shape of the magnet holder portion 130, the magnet holder portion 130 may be formed in a T-shape in cross section in the width (W)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ength (L) of the bar shape.

상기 자석홀더부(130)는, 단면이 아치형상 또는 T자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로터(100) 회전 시 자석홀더부(130)에 축방향((R)으로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켜 안정적인 구조로 지탱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자석홀더부(130)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로터(100)의 무게를 저감해 모터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magnet holder portion 130 has an arch-shaped or T-shaped cross-section, thereby dispersing the force applied to the magnet holder portion 130 in the axial direction (R) when the rotor 100 rotates, creating a stable structu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motor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magnet holder portion 130 and the weight of the rotor 100.

또한, 상기 로터(100)는, 상기 백아이언(120)의 배면(S2)을 지지하는 로터하우징(140)과, 상기 자석홀더부(130) 및 상기 백아이언(120)이 상기 로터하우징(140)에 고정되도록 상기 백아이언(120)을 관통해 상기 자석홀더부(130) 및 상기 로터하우징(140)에 볼팅결합되는 볼트결합부재(1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or 100 includes a rotor housing 140 that supports the rear surface (S2) of the back iron 120, the magnet holder portion 130, and the back iron 120. ) may additionally include a bolting member 150 that passes through the back iron 120 and is bolted to the magnet holder portion 130 and the rotor housing 140.

상기 로터하우징(140)은, 상기 백아이언(120)의 배면(S2)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rotor housing 140 is a support frame that supports the rear surface S2 of the back iron 120 and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여기서, 상기 백아이언(120)의 배면(S2)은, 스테이터(200)를 등지는 면으로서, 영구자석(110)이 배치되는 백아이언(120)의 전면(S1)의 반대 쪽 면을 의미한다.Here, the back surface (S2) of the back iron 120 is a surface facing away from the stator 200, and refers to the surface opposite to the front surface (S1) of the back iron 120 on which the permanent magnet 110 is disposed. .

상기 로터하우징(140)은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로터하우징(140)의 중심(PC)은 상기 백아이언(120)의 중심(PC)과 일치할 수 있다.The rotor housing 140 has a disk shape, and the center (PC) of the rotor housing 140 may coincide with the center (PC) of the back iron 120.

상기 로터하우징(140)의 백아이언(120)을 향하는 면은 백아이언(120)의 배면(S2) 형상에 형합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백아이언(120)의 배면(S2)에 밀착될 수 있다.The surface of the rotor housing 140 facing the back iron 120 is formed in a shape that conforms to the shape of the back iron 120 (S2) and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iron 120 (S2).

상기 볼트결합부재(150)는, 상기 자석홀더부(130) 및 상기 백아이언(120)을 상기 로터하우징(140)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백아이언(120)을 관통해 상기 자석홀더부(130) 및 상기 로터하우징(140)에 볼팅결합되는 고정부재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bolt coupling member 150 penetrates the back iron 120 to secure the magnet holder 130 and the back iron 120 to the rotor housing 140. ) and a fixing member bolted to the rotor housing 140,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이때, 상기 백아이언(120)에는 볼트결합부재(150)가 관통결합되기 위한 관통구(126)들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rough-holes 126 may be formed in the back iron 120 for through-coupling the bolt coupling member 150.

상기 볼트결합부재(150)는, 상기 자석홀더부(130) 측에서 상기 백아이언(120)의 관통구(126)를 관통해 상기 로터하우징(140)에 볼팅결합될 수 있다.The bolt coupling member 150 may be bolted to the rotor housing 140 through the through hole 126 of the back iron 120 from the magnet holder portion 130 side.

이를 위해, 상기 자석홀더부(130)에는 상기 볼트결합부재(150)가 결합되는 결합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magnet holder portion 130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coupling hole into which the bolt coupling member 150 is coupled.

상기 로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테이터(200)를 사이에 두고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rotor 100 may be provided as a pair with the stator 200 sandwiched between them.

상기 로터(100)가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경우, 하나의 로터하우징(140)은 중앙부에 회전축(300)이 관통되는 개구(142)가 형성되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나머지 하나의 로터하우징(140)은 중앙부에서 회전축(300)과 고정결합될 수 있다.When the rotor 100 is provided as a pair, one rotor housing 140 has a disk shape with an opening 142 through which the rotation shaft 300 passes through the central portion, and the other rotor housing 140 ) can be fixedly coupled to the rotation axis 300 in the central part.

이때, 상기 축방향 자속 모터(10)는, 스테이터(200)의 외주면을 감싸는 중공형 실린더 드럼(60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xial magnetic flux motor 10 may further include a hollow cylinder drum 600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ator 200.

상기 중공형 실린더 드럼(600)은 상단부 및 하단부에서 두 개의 로터하우징(140)과 각각 결합되어 로터(100)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드럼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hollow cylinder drum 600 is coupled to two rotor housings 140 at the upper and lower ends, respectively, and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s a rotating drum that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or 100.

한편, 상기 로터(100)를 구성하는 영구자석(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아이언(120)의 평면 상 중심(PC)에서 외곽부로 갈수록(반경방향(RD)으로 가며) 폭이 커지는 부채꼴 형상 또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백아이언(120)의 외곽부로 갈수록 영구자석부(110)의 면적이 커지고 결과적으로 영구자석(110)에 의한 자력의 세기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2, the permanent magnets 110 constituting the rotor 100 move from the center (PC) of the back iron 120 to the outer portion (going in the radial direction (RD)). Since it is formed in a fan-shaped or trapezoidal shape with increasing width, the area of the permanent magnet portion 110 increases toward the outer portion of the back iron 120, and as a result,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orce by the permanent magnet 110 can be increased.

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백아이언(120)의 두께(T)는, 백아이언(120)의 평면 상 중심(PC)에서 반경방향(RD)으로 갈수록 두꺼워질 수 있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the thickness T of the back iron 120 may become thicker as it goes from the center PC on the plane of the back iron 120 in the radial direction RD.

일 실시예로서, 상기 스테이터(200)를 등지는 백아이언(120)의 배면(S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차(123)가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at least one step 123 may be formed on the back surface S2 of the back iron 120 facing away from the stator 200.

상기 단차(123)를 경계로 상기 백아이언(120)의 두께(T)가 가변될 수 있다.The thickness (T) of the back iron 120 may vary based on the step 123.

상기 단차(123)는, 상기 백아이언(120)의 반경방향(RD)을 따라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단차(12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아이언(120)의 중앙부 내주면(121)과 최외곽 외주면(125) 사이에 반경방향(RD)을 따라 2개 구비될 수 있다.The steps 123 may be provided in plural numbers along the radial direction (RD) of the back iron 12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wo steps 123 may be provided along the radial direction (RD) between the central inner peripheral surface 121 and the outermost outer peripheral surface 125 of the back iron 120. there is.

상기 단차(123)가 형성되는 위치는,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position where the step 123 is formed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design.

이때, 상기 복수의 단차(123)들의 높이(K1, K2)는 모두 같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t this time, the heights K1 and K2 of the plurality of steps 123 may all be formed at the same height,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예로서, 상기 복수의 단차(123)들 중 적어도 하나의 높이(K1)가 나머지 다른 단차(123)의 높이(K2)와 다른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height K1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teps 123 may be formed to have a height different from the height K2 of the other steps 123.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단차(123)들은, 상기 백아이언(120)의 반경방향(RD)으로 갈수록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steps 123 may be formed to have lower heights in the radial direction (RD) of the back iron 120.

상기 백아이언(120)의 배면(S2)에 단차(123)가 형성되어 백아이언(120)의 두께가 불연속적으로 가변되는 실시예 이외에, 도 4와 같이 백아이언(120)의 두께(T)가 연속적으로 가변되는 실시예 또한 가능하다.In addition to the embodiment in which a step 123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S2) of the back iron 120 and the thickness of the back iron 120 is discontinuously varied, the thickness (T) of the back iron 120 is changed as shown in FIG. 4. An embodiment in which is continuously varied is also possible.

예로서, 상기 백아이언(120)의 배면(S2)에는, 상기 백아이언(120)의 반경방향(RD)으로 가며 상기 백아이언(120)의 두께(T)가 두꺼워지도록 경사진 경사면(127)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on the back surface (S2) of the back iron 120, an inclined surface 127 is inclined in the radial direction (RD) of the back iron 120 so that the thickness (T) of the back iron 120 becomes thicker. This can be formed.

상기 백아이언(120)의 배면(S2)에는 단차(123)와 경사면(127)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으며, 단차(123)와 경사면(경사면)가 함께 다양하게 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The back surface (S2) of the back iron 120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a step 123 and an inclined surface 127, and the step 123 and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surface) may be provided in various combinations.

한편, 상기 백아이언(120)은, 얇은 전기강판이 감겨 적층된 구조로서, 배면(S2)의 단차(123) 또는 경사면(127)은 다양한 방식으로 가공될 수 있다.Meanwhile, the back iron 120 has a structure in which thin electrical steel sheets are wound and laminated, and the steps 123 or inclined surfaces 127 of the back surface S2 can be processed in various ways.

예로서, 단차(123) 또는 경사면(127)은, 얇은 전기강판을 감아 평편한 원판 형태로 만든 후, 상기 백아이언(120)의 배면(S2)에 대한 절삭가공 또는 연삭가공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tep 123 or the inclined surface 127 can be formed by winding a thin electrical steel plate into a flat disk shape and then cutting or grinding the back surface S2 of the back iron 120. there is.

다른 예로서, 단차(123) 또는 경사면(127)은, 얇은 전기강판을 미리 설계된 형상으로 가공한 후 감아서 적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step 123 or the inclined surface 127 may be formed by processing thin electrical steel sheets into a pre-designed shape and then winding and stacking them.

상기 스테이터(200)는, 상기 로터(100)에 대향하며 복수의 계자코일부(210)들을 포함하는 고정자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stator 200 is a stator that faces the rotor 10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field coil parts 210, and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상기 계자코일부(210)들은, 축방향 자속 모터(10)의 회전축방향(R)을 중심으로 원주방향(CD)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field coil units 210 may be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D) around the rotation axis direction (R) of the axial magnetic flux motor 10.

상기 계자코일부(210)는, 스테이터코어 및 스테이터코어에 권선되는 권선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eld coil unit 210 may include a stator core and a winding coil wound around the stator core.

상기 스테이터코어는, 계자형성을 위한 철심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stator core is an iron core for field formation and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이때, 상기 스테이터(200)는, 복수의 계자코일부(210)들을 지지,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중앙부에 제2관통공(222)이 형성되는 중공형 고정자허브(220)와, 상기 고정자허브(220)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스포크(230)들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ator 200 is configured to support and fix a plurality of field coil parts 210, and includes a hollow stator hub 220 in which a second through hole 222 is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stator hub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pokes 230 extend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220.

상기 고정자허브(22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300)이 관통되는 제2관통구(222)가 형성되는 중공의 원통형 몸체부일 수 있다.As shown in FIGS. 8 and 9, the stator hub 220 may be a hollow cylindrical body in which a second through hole 222 through which the rotation shaft 300 passes is formed.

상기 복수의 스포크(230)들은 상기 고정자허브(220)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plurality of spokes 230 extend radially out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ator hub 220 and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상기 복수의 스포크(230)들은 상기 고정자허브(220)의 외부면에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바퀴살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pokes 230 may extend radial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ator hub 220 to form a spoke shape.

상기 복수의 스포크(230)들은 상기 고정자허브(220)의 외부면에 원주방향(CD)을 따라 등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pokes 230 may be provid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ator hub 220.

이웃하는 스포크(230) 사이 공간 마다 계자코일부(210)가 에폭시, 볼팅수단 등 다양한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고, 상기 스포크(230)와 계자코일부(210) 사이에는 절연을 위한 절연지가 구비될 수 있다.In each space between neighboring spokes 230, the field coil part 210 can be fixed and supported through various fixing means such as epoxy and bolting means, and there is a space between the spokes 230 and the field coil part 210 for insulation. Insulating paper may be provided.

이웃하는 계자코일부(210) 사이로 노출되는 스포크(230)의 상면 및 하면에는, 계자코일부(210)를 에폭시를 이용해 고정할 때 안정성을 높여주고, 단면적을 증가시켜 냉각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돌기구조(232)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poke 230 exposed between neighboring field coil parts 210, there are protrusions to increase stability when fixing the field coil part 210 using epoxy and to increase cooling efficiency by increasing the cross-sectional area. Structure 232 may be formed.

상기 회전축(300)은, 로터(100)에 결합되며 상기 스테이터(200)의 중앙부 제2관통공(222)을 관통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축부재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rotation shaft 300 is a shaft member coupled to the rotor 100 and rotatably installed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222 in the center of the stator 200, and can have various configurations.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축(300)은 축방향(R)을 따라 길이를 가지는 중공형 원통형 사프트로서 길이방향 일단에는 로터하우징(140)과 결합되는 회전축플랜지(302)가 반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rotating shaft 300 is a hollow cylindrical shaft having a length along the axial direction (R), and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rotating shaft flange 302 coupled to the rotor housing 140 extends in the radial direction. You can.

본 발명에 따른 축방향 자속 모터(10)는, 회전축(300)과 상기 스테이터(200) 사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400)을 포함할 수 있다.The axial magnetic flux moto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ne or more bearings 400 installed between the rotation shaft 300 and the stator 200.

상기 회전축(300)은 베어링(400)을 통해 스테이터(200)에 대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rotation shaft 300 can stably rotate with respect to the stator 200 through the bearing 400.

예로서, 상기 베어링(400)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bearings 400 may be provided as a pair.

상기 한 쌍의 베어링(400)은, 상기 회전축(300)의 축방향(R)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DT)을 두고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The pair of bearings 400 may b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set distance (DT) along the axial direction (R) of the rotation shaft (300).

상기 베어링(400)은 볼베어링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회전축(30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내륜(410), 내륜(410)과 간격을 두고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외륜(420), 및 내륜(410)이 회전가능하도록 내륜(410)과 외륜(420) 사이에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볼부재(430)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bearing 400 may be a ball bearing, and specifically, an inner ring 410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300, an outer ring 420 disposed on the radial outer side at a distance from the inner ring 410, and an inner ring ( 4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all members 430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etween the inner ring 410 and the outer ring 420 so that it can rotate.

상기 회전축(300)과 베어링(400)이 결합되는 영역은 베어링결합영역(BC)으로 베어링(400)의 내륜과 밀착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The area where the rotating shaft 300 and the bearing 400 are coupled is a bearing coupling area (BC), which may refer to an area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ring of the bearing 400.

이때, 상기 베어링결합영역(BC)은 회전축(300)의 그 이외의 영역과 다른 치수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earing coupling area BC may be formed to have dimensions different from other areas of the rotating shaft 300.

다시 말해, 상기 베어링결합영역(BC)에서 회전축(300)의 공차는 다른 영역의 공차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tolerance of the rotating shaft 300 in the bearing coupling area BC may be formed differently from the tolerance of other areas.

회전축(300)의 영역에 따라 공차를 달리 설계함으로써, 베어링(300) 설치/조립이 보다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By designing tolerances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area of the rotation shaft 300, installation/assembly of the bearing 300 can be implemented more easily.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축(300) 중 베어링결합영역(BC)의 공차가 다른 영역의 공차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베어링결합영역(BC)에서 공차는 ±0.008이고 다른 영역의 공차는 그 보다 큰 -0.04~-0.06으로 설계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tolerance of the bearing coupling area BC of the rotating shaft 300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tolerance of other areas. For example, the tolerance in the bearing coupling area (BC) may be ±0.008 and the tolerance in other areas may be designed to be larger -0.04 to -0.06.

상기 베어링(400)이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경우, 다른 치수의 공차로 설계되는 회전축(300)의 다른 영역은 한 쌍의 베어링(400)이 결합되는 두 개의 베어링결합영역(BC) 사이에 형성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When the bearings 400 are provided as a pair, another area of the rotating shaft 300 designed with different dimensional tolerances is formed between the two bearing coupling areas BC where the pair of bearings 400 are coupled. It can mean area.

이때, 상기 축방향 자속 모터(10)는, 상기 한 쌍의 베어링(400)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베어링(400)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서(5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xial flux motor 10 may further include a spacer 500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bearings 400 to support the pair of bearings 400.

상기 스페이서(500)는 한 쌍의 베어링(400) 사이에 설치되는 중공형 원통부재로서, 회전축(300)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The spacer 500 is a hollow cylindrical member installed between a pair of bearings 400 and may be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300.

상기 스페이서(500)는, 중앙부에 상기 회전축(300)이 관통되는 제1관통공(502)이 형성될 수 있다.The spacer 500 may have a first through hole 502 formed in the center through which the rotation axis 300 passes.

상기 스페이서(500)의 제1관통공(502) 내주면은 회전축(300)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through hole 502 of the spacer 50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300.

상기 스페이서(500)의 축방향(R) 길이는 상기 한 쌍의 베어링(400)이 형성하는 간격(DT)과 동일한 길이로 구성될 수 있다.The axial direction (R) length of the spacer 500 may be the same as the distance DT formed by the pair of bearings 400.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500)의 양단부는 상기 한 쌍의 베어링(400)의 내륜(410)을 각각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9의 스테이터(200), 베어링(400), 및 스페이서(500)의 세부구조에 대해 도 1에서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도 9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both ends of the spacer 500 may be installed to respectively support the inner rings 410 of the pair of bearings 400. Meanwhile, the detailed structures of the stator 200, bearing 400, and spacer 500 of FIG. 9 are not shown in FIG. 1, but may be configured the same or similar to FIG. 9.

상기 스페이서(500)와 베어링(400)은 회전축(300)의 축방향(R)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므로 스페이스(50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면과 베어링(400)의 내륜(410)의 단부에 형성되는 면이 밀접하게 접촉하여 베어링(400)의 내륜(400)이 지지될 수 있다.Since the spacer 500 and the bearing 400 are arranged in a row along the axial direction (R) of the rotating shaft 300, the surface formed at one end of the space 500 and the end of the inner ring 410 of the bearing 400 The inner ring 400 of the bearing 400 can be supported by the surface formed in close contact.

상기 회전축(300)이 고속으로 회전할 때 베어링(400)의 내륜(410)에 부하가 가해질 수 있는데, 상기 스페이서(500)는 상기 베어링(400)의 내륜(410)을 지지하여 베어링(400)이 받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When the rotating shaft 300 rotates at high speed, a load may be applied to the inner ring 410 of the bearing 400, and the spacer 500 supports the inner ring 410 of the bearing 400 to maintain the bearing 400. This can reduce the load received.

또한 베어링(400)의 외륜(420)이 받는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스테이터(200)는 상기 고정자허브(220)의 제2관통공(222) 내에서 상기 스페이서(500)와 상기 고정자허브(220) 사이에 설치되는 부싱부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reduce the load received by the outer ring 420 of the bearing 400, the stator 200 includes the spacer 500 and the stator hub ( 220) may further include a bushing member 240 installed between them.

이때, 상기 고정자허브(220)의 제2관통공(222) 내주면 측에는 후술하는 허브유로부(224)를 형성하기 위해 원주방향 둘레를 따라 함몰 형성되는 그루브(229)가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groove 229 recess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may b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through hole 222 of the stator hub 220 to form a hub passage portion 22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부싱부재(240)는 제2광통공(222)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그루브(229)의 개방된 면을 커버하여 허브유로부(224)를 형성하기 위해 그루브(229)의 개방면에 결합될 수 있다.The bushing member 240 is installed in the second light hole 222. More specifically, the bushing member 240 is installed in the groove 229 to cover the open surface of the groove 229 to form the hub passage portion 224. Can be coupled to the open side of.

상기 부싱부재(240)와 고정자허브(220)의 결합면 사이에는 허브유로부(224)를 흐르는 냉매가 유출되지 않도록 오링부재(O)가 설치될 수 있다.An O-ring member (O)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coupling surface of the bushing member 240 and the stator hub 220 to prevent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hub passage portion 224 from leaking out.

상기 부싱부재(240)의 외주면에는 오링부재(O)가 설치되기 위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오링홈(240a)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One or more O-ring grooves 240a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ushing member 240 to install the O-ring member O.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부싱부재(240)는 길이방향 일단 측에 외경이 감소하는 단차부(242)가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bushing member 240 may be formed with a step portion 242 whose outer diameter decreases on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고정자허브(220)의 제2관통공(222) 내주면 측에는 상기 단차부(242)와 대응되는 위치에 단차부(242)와 형합되는 형태로 돌출되는 돌출부(227)가 형성될 수 있다.A protrusion 227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second through hole 222 of the stator hub 22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tep portion 242 and protrudes in a shape that matches the step portion 242.

상기 오링부재(O)는 상기 돌출부(227)와 상기 단차부(242)가 접하는 밀착면에 설치될 수 있다.The O-ring member (O) may be installed on a clos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protrusion 227 and the step portion 242.

상기 돌출부(227)는 상기 축방향(R) 기준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으로, 돌출부(227)의 일면(도면 기준 상측면)은 인접한 베어링(400)의 외륜(420)의 단부 일면과 접하여 외륜(420)을 지지할 수 있다.The protrusion 227 is a part that protrudes inward in the radial direction based on the axial direction (R), and one surface of the protrusion 227 (upper surface based on the drawing) is in contact with one end surface of the outer ring 420 of the adjacent bearing 400. The outer ring 420 can be supported.

또한, 상기 부싱부재(240)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베어링(400)의 외륜(420)을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at least one of both ends of the bushing member 240 may be installed to support the outer ring 420 of the bearing 400.

예로서, 상기 부싱부재(240)의 양단부 중 상기 단차부(242)의 반대쪽 단부는 인접한 베어링(400)의 외륜(420)의 단부 일면과 접하여 외륜(420)을 지지할 수 있다.For example, an end of both ends of the bushing member 240 opposite to the step portion 242 may be in contact with one end surface of the outer ring 420 of an adjacent bearing 400 to support the outer ring 420.

일 실시예로서, 도 8을 참조하면, 한 쌍의 베어링(400) 중 하나의 베어링(400)의 외륜(420)은 고정자허브(220)의 돌출부(227) 일면에 의해 지지되고, 다른 하나의 베어링(400)의 외륜(420)은 부싱부재(2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referring to FIG. 8, the outer ring 420 of one of the pair of bearings 400 is supported by one surface of the protrusion 227 of the stator hub 220, and the outer ring 420 of the other bearing 400 is supported by one surface of the protrusion 227 of the stator hub 220. The outer ring 420 of the bearing 400 may be supported by the bushing member 240.

본 발명은 고정자허브(220)의 형태적 구조 및 부싱부재(240)에 의해 베어링(400) 외륜(420)이 받는 부하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reduce the load received by the outer ring 420 of the bearing 400 by the morphological structure of the stator hub 220 and the bushing member 240.

상기 부싱부재(240)는 고정자허브(220)에 고정설치되므로 회전축(300)에 결합되는 스페이서(500)와는 반경방향(RD)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Since the bushing member 240 is fixed to the stator hub 220, it can b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pacer 500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300 in the radial direction (RD).

이하, 상기 스테이터(200)의 계자코일부(210)에서 형성되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해 스테이터(200)에 형성되는 냉각유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oling passage formed in the stator 200 to cool the heat generated in the field coil portion 210 of the stator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고정자허브(220)의 내부에는 냉매가 흐를 수 있도록 상기 고정자허브(220)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허브유로부(224)가 형성될 수 있다.A hub passage portion 224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tator hub 220 may be formed inside the stator hub 220 to allow refrigerant to flow.

상기 허브유로부(224)는 상술한 고정자허브(220)의 그루브(229)와 부싱부재(240)에 의해 경계지어 지는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냉각채널일 수 있다.The hub passage portion 224 may be a cooling channel formed by a space bordered by the groove 229 of the stator hub 220 and the bushing member 240.

상기 허브유로부(224)는 고정자허브(220)의 원주방향을 따라 순환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The hub passage portion 224 may form a structure that circulat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tator hub 220.

이때, 상기 허브유로부(224)는 상기 축방향 자속 모터(10)의 축방향(R)으로 이격된 제1허브유로(224a)와 제2허브유로(224b)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ub passage portion 224 may include a first hub passage 224a and a second hub passage 224b spaced apart in the axial direction (R) of the axial magnetic flux motor 10.

즉, 제1허브유로(224a)와 제2허브유로(224b) 사이에는 양자의 구획을 위해 그루브(229)의 중앙부에서 구비되는 격벽(228)이 구비될 수 있다.That is, a partition wall 228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groove 229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hub passage 224a and the second hub passage 224b to partition the two.

상기 격벽(228)은 고정자허브(220)와 일체로 형성되는 부분으로 제1허브유로(224a)와 제2허브유로(224b) 사이로 연장되는 돌출영역일 수 있다.The partition 228 is a part formed integrally with the stator hub 220 and may be a protruding area extending between the first hub passage 224a and the second hub passage 224b.

상기 고정자허브(220)의 그루브(229), 격벽(228), 및 부싱부재(240)에 의해 경계지어지는 공간에 의해 각각 제1허브유로(224a)와 제2허브유로(224b)가 형성될 수 있다.A first hub passage 224a and a second hub passage 224b will be formed by the space bordered by the groove 229, the partition wall 228, and the bushing member 240 of the stator hub 220, respectively. You can.

또한, 상기 복수의 스포크(230)들 내부에는 상기 허브유로부(224)와 유체연통되며 반경방향(RD)을 따라 연장되는 스포크유로(232)가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a spoke passage 232 may be formed inside the plurality of spokes 230, which i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hub passage portion 224 and extends along the radial direction (RD).

상기 제1허브유로(224a)와 상기 제2허브유로(224b)는 각각 상기 스포크유로(232)와 연통될 수 있다.The first hub passage 224a and the second hub passage 224b may each communicate with the spoke passage 232.

이때, 상기 스포크유로(232)는, 상기 제1허브유로(224a)로부터 반경방향(RD)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스포크유로(232a)와, 상기 제2허브유로(224b)로부터 반경방향(RD)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스포크유로(232b)와, 상기 스포크(230)의 반경방향(RD) 외측 단부에서 상기 제1스포크유로(232a)와 상기 제2스포크유로(232b)를 유체연통시키는 제3스포크유로(232c)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poke passage 232 includes a first spoke passage 232a extending outward from the first hub passage 224a in the radial direction (RD), and a first spoke passage 232a extending outward from the second hub passage 224b in the radial direction (RD). ) A second spoke passage (232b) extending outward, and a second spoke passage (232a) fluidly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spoke passage (232a) and the second spoke passage (232b) at the outer end in the radial direction (RD) of the spoke 230. It may include a 3-spoke channel (232c).

상기 제1스포크유로(232a)는 스포크(230)에 형성되며 상기 제1허브유로(224a)로부터 반경방향(RD) 외측으로 연장되는 유로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first spoke passage 232a is formed in the spoke 230 and extends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RD) from the first hub passage 224a and can have various configurations.

상기 제2스포크유로(232b)는 스포크(230)에 형성되며 상기 제2허브유로(224b)로부터 반경방향(RD) 외측으로 연장되는 유로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second spoke passage 232b is formed in the spoke 230 and extends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RD) from the second hub passage 224b, and can have various configurations.

각 스포크(230)에는 제1스포크유로(232a)와 제2스포크유로(232b)가 형성되며, 상기 축방향 자속 모터(10)의 축방향(R)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A first spoke passage 232a and a second spoke passage 232b are formed in each spoke 230, and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in the axial direction (R) of the axial magnetic flux motor 10.

상기 제3스포크유로(232c)는, 상기 스포크(230)의 반경방향(RD) 외측 단부에서 상기 제1스포크유로(232a)와 상기 제2스포크유로(232b)를 유체연통시키기 위한 유로일 수 있다.The third spoke passage 232c may be a passage for fluid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spoke passage 232a and the second spoke passage 232b at the radial direction (RD) outer end of the spoke 230. .

상기 제1스포크유로(232a), 제2스포크유로(232b), 및 제3스포크유로(232c)는, 상기 스포크(230)에 구멍을 가공하는 드릴링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드릴링에 의해 개방된 유로 단부는 별도의 실링캡(미도시)을 통해 밀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first spoke passage 232a, the second spoke passage 232b, and the third spoke passage 232c may be formed by drilling holes in the spokes 230. At this time, of course, the end of the channel opened by drilling can be sealed using a separate sealing cap (not shown).

상기 제3스포크유로(232c)가 제1스포크유로(232a)와 제2스포트유로(232b)를 유체연통 시키므로 제1허브유로(224a)를 흐르던 유체가 제1스포크유로(232a)와 제3스포크유로(232c)를 순차로 지나 제2허브유로(224b)로 유입될 수 있다.Since the third spoke passage (232c) fluidly communicates the first spoke passage (232a) and the second spot passage (232b),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first hub passage (224a) flows through the first spoke passage (232a) and the third spoke. It may sequentially pass through the flow path 232c and flow into the second hub flow path 224b.

반대로, 상기 제3스포크유로(232c)가 제1스포크유로(232a)와 제2스포트유로(232b)를 유체연통 시키므로 제2허브유로(224b)를 흐르던 유체가 제2스포크유로(232a)와 제3스포크유로(232c)를 순차로 지나 제1허브유로(224a)로 유입되는 것도 가능하고, 결과적으로 냉매가 고정자허브(220)와 스포크(230)를 순환하는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contrary, since the third spoke passage (232c) fluidly communicates the first spoke passage (232a) and the second spot passage (232b),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second hub passage (224b) flows into the second spoke passage (232a) and the second spoke passage (232a). It is also possible to sequentially pass through the three-spoke passage 232c and flow into the first hub passage 224a, and as a result, a structure in which the refrigerant circulates through the stator hub 220 and the spokes 230 can be formed.

또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스테이터(200)는, 상기 제1허브유로부(224a)를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허브유로구간(A, C)으로 구획하기 위한 복수의 제1유로구획벽(250)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13 and 14, the stator 200 includes a plurality of channels for dividing the first hub passage portion 224a into a plurality of first hub passage sections A and C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may additionally include first flow path partition walls 250.

도 13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테이터(200)는 두 개의 제1유로구획벽(250)을 포함하여 제1허브유로부(224a)가 두 개의 제1허브유로구간(A, C)로 구획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 13, the stator 200 includes two first passage partition walls 250 so that the first hub passage portion 224a is divided into two first hub passage sections A and C. You can.

상기 제1허브유로구간(A, C) 중 하나의 구간(A)을 흐르는 냉매는 제1유로구획벽(250)에 의해 막혀 다른 구간(C)으로 흐르지 못하고 스포크유로(232)를 통해 제2허브유로(224b)와 유체연통 될 수 있다.The refrigerant flowing in one section (A) of the first hub passage sections (A, C) is blocked by the first passage partition wall 250 and cannot flow to the other section (C), and flows into the second section through the spoke passage 232. It may b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hub flow path 224b.

유사하게, 상기 스테이터(200)는, 상기 제2허브유로부(224b)를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2허브유로구간(B, D)으로 구획하기 위한 복수의 제2유로구획벽(260)들을 포함할 수 있다.Similarly, the stator 200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passage partition walls 260 to divide the second hub passage portion 224b into a plurality of second hub passage sections B and 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may include.

도 13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테이터(200)는 두 개의 제2유로구획벽(260)을 포함하여 제2허브유로부(224b)가 두 개의 제2허브유로구간(B, D)로 구획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 13, the stator 200 includes two second passage partition walls 260 so that the second hub passage portion 224b is divided into two second hub passage sections B and D. You can.

상기 제2허브유로구간(B, D) 중 하나의 구간(B)을 흐르는 냉매는 제2유로구획벽(260)에 의해 막혀 다른 구간(D)으로 흐르지 못하고 스포크유로(232)를 통해 제2허브유로(224b)와 유체연통 될 수 있다.The refrigerant flowing in one section (B) of the second hub passage sections (B, D) is blocked by the second passage partition wall 260 and cannot flow to the other section (D), and flows into the second hub passage section (232). It may b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hub flow path 224b.

상기 제1유로구획벽(250)은 두 개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두 개의 제1유로구획벽(250)은 120° 각도를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When the first passage partition wall 250 is provided in two pieces, the two first passage partition walls 250 may be installed to form an angle of 120°.

즉, 두 개의 제1유로구획벽(250)이 축방향(R)에 대해 이루는 각도는 120°이고 같은 의미로서 두 개의 제1유로구획벽(250)이 축방향(R)에 대해 240°의 둔각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That is, the angle formed by the two first passage partition walls 250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R) is 120°, and in the same sense, the angle formed by the two first passage partition walls 250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R) is 240°. It can be understood as forming an obtuse angle.

유사하게, 두 개의 제2유로구획벽(260)이 축방향(R)에 대해 이루는 각도는 120°이고 같은 의미로서 두 개의 제2유로구획벽(260)이 축방향(R)에 대해 240°의 둔각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Similarly, the angle formed by the two second passage partition walls 260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R) is 120°, and in the same sense, the angle formed by the two second passage partition walls 260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R) is 240°. It can be understood as forming an obtuse angle.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두 개의 제1유로구획벽(250) 중 하나는, 상기 두 개의 제2유로구획벽(260) 중 하나와 상기 축방향(R)에 대해 중첩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one of the two first passage partition walls 250 may be installed in a position overlapping with one of the two second flow passage partition walls 260 in the axial direction (R). there is.

축방향(R)을 기준으로 중첩되는 제1유로구획벽(250)과 제2유로구획벽(260)에 대해 나머지 하나의 제1유로구획벽(250)은 시계반대 방향 120° 각도를 이루는 위치에 설치되고, 축방향(R)을 기준으로 중접되는 제1유로구획벽(250)과 제2유로구획벽(260)에 대해 나머지 하나의 제2유로구획벽(260)은 시계 방향 120° 각도를 이루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The remaining first passage partition wall 250 is positioned at a 120° counterclockwise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passage partition walls 250 and 260 that overlap in the axial direction (R). The remaining second passage partition wall 260 is installed at an angle of 120° 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first passage partition wall 250 and the second passage partition wall 260 that are overlapped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R). It can be installed in a position that forms.

이러한 경우, 축방향(R)을 기준으로 중첩되지 않는 제1유로구획벽(250) 및 제2유로구획벽(260) 또한 축방향(R)에 대해 120° 각도를 이룰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passage partition wall 250 and the second passage partition wall 260, which do not overlap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R), may also form an angle of 120°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R).

또한, 상기 스테이터(200)는, 상기 냉매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1허브유로(224a)에 연결되는 냉매유입관(272)과, 상기 냉매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제2허브유로(224b)에 연결되는 냉매유출관(274)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tor 200 is connected to a refrigerant inlet pipe 272 connected to the first hub passage 224a to supply the refrigerant, and to the second hub passage 224b to discharge the refrigerant. It may include a refrigerant outflow pipe (274).

도 14는 도 13의 허브유로부(224), 스포크유로(232), 및 제1, 제2유로구획벽(250, 260)을 모식화 한 도면으로, 제1허브유로구간(A, C) 및 제2허브유로구간(B, D)을 통한 냉매의 순환구조를 도시한 것이다.FIG. 1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hub passage portion 224, the spoke passage 232, and the first and second passage partition walls 250 and 260 of FIG. 13, showing the first hub passage section (A, C). and the circulation structure of the refrigerant through the second hub passage sections (B, D).

이때, 냉매유입관(272)는 제1허브유로구간(A, C) 중 하나인 A구간에 연결되고, 냉매유출관(274)은 제2허브유로구간(B, D) 중 하나인 D구간에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frigerant inflow pipe 272 is connected to section A, which is one of the first hub flow passage sections (A, C), and the refrigerant outflow pipe 274 is connected to section D, which is one of the second hub passage sections (B, D). can be connected to

효과적인 냉매순환을 위해 냉매유입관(272)가 제1허브유로구간(A, C) 중 하나인 A구간에 연결되는 경우, 냉매유출관(274)은 제2허브유로구간(B, D) 중 냉매유입관(272)이 연결되는 제1허브유로구간인 A구간과 축방향(R)으로 중첩되지 않는 제2허브유로구간인 D구간에 연결될 수 있다.For effective refrigerant circulation, when the refrigerant inlet pipe 272 is connected to section A, which is one of the first hub passage sections (A, C), the refrigerant outflow pipe 274 is connected to one of the second hub passage sections (B, D). It may be connected to section A, which is the first hub passage section, to which the refrigerant inlet pipe 272 is connected, and section D, which is the second hub passage section that does not overlap in the axial direction (R).

도 14의 실시예에서, 냉매의 순환구조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In the embodiment of Figure 14, the circulation structure of the refrigerant is explained as follows.

냉매유입관(272)을 통해 유입되는 냉매는 A구간을 따라 고정자허브(220) 내부를 원주방향(CD)으로 이동하며 A구간과 연통된 제1스포크유로(232a)로 반경방향(RD)으로 흐르고 제3스포크유로(232c)를 지나 제2스포크유로(232b)를 통과해 A구간 하부에 위치된 B구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refrigerant inflow pipe 272 mov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D) inside the stator hub 220 along section A and moves in the radial direction (RD) into the first spoke passage 232a connected to section A. It flows through the third spoke flow path (232c), passes through the second spoke flow path (232b), and can flow into section B located below section A.

B구간으로 유입된 냉매는 B구간을 따라 고정자허브(220) 내부를 원주방향(CD)으로 이동하며 B구간과 연통된 제2스포크유로(232b)로 반경방향(RD)으로 흐르고 제3스포크유로(232c)를 지나 제1스포크유로(232a)를 통과해 B구간 상부에 위치된 C구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The refrigerant flowing into section B mov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D) inside the stator hub 220 along section B, flows in the radial direction (RD) into the second spoke passage 232b connected to section B, and flows into the third spoke passage. It can pass through (232c), pass through the first spoke passage (232a), and flow into section C located at the top of section B.

C구간으로 유입된 냉매는 C구간을 따라 고정자허브(220) 내부를 원주방향(CD)으로 이동하며 C구간과 연통된 제1스포크유로(232a)로 반경방향(RD)으로 흐르고 제3스포크유로(232c)를 지나 제2스포크유로(232b)를 통과해 C구간 상부에 위치된 D구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The refrigerant flowing into section C mov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D) inside the stator hub 220 along section C, flows in the radial direction (RD) into the first spoke passage 232a connected to section C, and flows into the third spoke passage. It can pass through (232c), pass through the second spoke passage (232b), and flow into section D located at the top of section C.

D구간으로 유입된 냉매는 D구간을 따라 고정자허브(220) 내부를 원주방향(CD)으로 이동하며 순환 후 연결된 냉매유출관(274)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The refrigerant flowing into section D mov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D) inside the stator hub 220 along section D and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connected refrigerant outflow pipe 274 after circulation.

본 발명은 냉매가 복수의 제1허브유로구간(A, C)과 제2허브유로구간(B, D)를 교번하며, 즉 제1허브유로부(224a)와 제2허브유로부(224b)를 복수회 교번하여 고르게 순환하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스테이터(200)의 냉각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rigerant alternates between a plurality of first hub passage sections (A, C) and second hub passage sections (B, D), that is, a first hub passage section 224a and a second hub passage section 224b.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stator 200 can be maximized by forming an even circulation structure by alternating multiple times.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The above is only a description of som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at can be implem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fore, as is well know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hould not be construed. Both th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idea underlying it will be said t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모터
100: 로터
200: 스테이터
300: 회전축
10: motor
100: rotor
200: Stater
300: rotation axis

Claims (10)

복수의 영구자석(110)들을 구비하는 로터(100); 상기 로터(100)에 대향하며 복수의 계자코일부(210)들을 포함하는 스테이터(200); 상기 로터(100)에 결합되며 상기 스테이터(200)의 중앙부를 관통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300)을 포함하는 축방향 자속 모터(10)로서,
상기 회전축(300)과 상기 스테이터(200) 사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400)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300) 중 상기 베어링(400)이 결합되는 베어링결합영역(BC)은 그 이외의 영역과 다른 치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방향 자속 모터(10).
A rotor 100 including a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s 110; A stator 200 facing the rotor 100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field coil units 210; An axial magnetic flux motor (10) coupled to the rotor (100) and including a rotation shaft (300) rotatably installed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stator (200),
It includes one or more bearings 400 installed between the rotation shaft 300 and the stator 200,
The axial magnetic flux motor (10), wherein the bearing coupling area (BC) to which the bearing (400) is coupled among the rotating shaft (300) is formed to have different dimensions from other area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터(100)는 상기 스테이터(200)를 사이에 두고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방향 자속 모터(10).
In claim 1,
The axial magnetic flux motor (10), wherein the rotor (100) is provided as a pair with the stator (200) sandwiched between th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400)은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베어링(400)은, 상기 회전축(300)의 축방향(R)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DT)을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방향 자속 모터(10).
In claim 1,
The bearings 400 are provided as a pair,
The axial magnetic flux motor (10), wherein the pair of bearings (400)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at a preset distance (DT) along the axial direction (R) of the rotation shaft (30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자속 모터(10)는, 상기 한 쌍의 베어링(400)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베어링(400)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서(50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방향 자속 모터(10).
In claim 3,
The axial magnetic flux motor 10 further includes a spacer 500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bearings 400 to support the pair of bearings 400. Motor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500)의 양단부는 상기 한 쌍의 베어링(400)의 내륜(410)을 각각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방향 자속 모터(10).
In claim 4,
An axial magnetic flux motor (10), wherein both ends of the spacer (500) are installed to respectively support the inner rings (410) of the pair of bearings (40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500)는, 중앙부에 상기 회전축(300)이 관통되는 제1관통공(50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방향 자속 모터(10).
In claim 4,
The spacer 500 is an axial magnetic flux motor 10,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through hole 502 through which the rotation shaft 300 passes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200)는, 중앙부에 제2관통공(222)이 형성되는 중공형 고정자허브(220)와, 상기 고정자허브(220)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스포크(230)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방향 자속 모터(10).
In claim 4,
The stator 200 includes a hollow stator hub 220 with a second through hole 222 formed in the center, and a plurality of spokes 230 extend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ator hub 220. An axial flux motor (10) comprising: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200)는, 상기 고정자허브(220)의 제2관통공(222) 내에서 상기 스페이서(500)와 상기 고정자허브(220) 사이에 설치되는 부싱부재(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방향 자속 모터(10).
In claim 7,
The stator 200 further includes a bushing member 240 installed between the spacer 500 and the stator hub 220 within the second through hole 222 of the stator hub 220. An axial flux motor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부싱부재(240)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베어링(400)의 외륜(420)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방향 자속 모터(10).
In claim 8,
An axial magnetic flux motor (10), wherein at least one of both ends of the bushing member (240) is installed to support the outer ring (420) of the bearing (40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허브(220)는, 상기 베어링(400)의 외륜(420)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2관통공(222)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단차부(22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방향 자속 모터(10).
In claim 9,
The stator hub 220 is provided with a step portion 224 that protrudes radially inward from the second through hole 222 to support the outer ring 420 of the bearing 400. Flux motor (10).
KR1020220174587A 2022-12-14 2022-12-14 Axial flux motor having support structure for rotation shaft bearing Active KR1027145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4587A KR102714526B1 (en) 2022-12-14 2022-12-14 Axial flux motor having support structure for rotation shaft bea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4587A KR102714526B1 (en) 2022-12-14 2022-12-14 Axial flux motor having support structure for rotation shaft bear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91554A true KR20240091554A (en) 2024-06-21
KR102714526B1 KR102714526B1 (en) 2024-10-11

Family

ID=91700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4587A Active KR102714526B1 (en) 2022-12-14 2022-12-14 Axial flux motor having support structure for rotation shaft bea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14526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4197A (en) * 2005-06-30 2007-01-18 Taida Electronic Ind Co Ltd Motor structure
JP2017041937A (en) * 2015-08-18 2017-02-23 株式会社神戸製鋼所 Axial gap type rotating electrical machine
KR20200097419A (en) * 2019-02-08 2020-08-19 (주)한특이피 Structure of multipolar permanent magnet motor
KR20210076825A (en) * 2019-12-16 2021-06-24 한국전기연구원 Axial field flow rotating machine
KR20220125609A (en) * 2021-03-05 2022-09-14 자화전자(주) Motor having Preloading part for beari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4197A (en) * 2005-06-30 2007-01-18 Taida Electronic Ind Co Ltd Motor structure
JP2017041937A (en) * 2015-08-18 2017-02-23 株式会社神戸製鋼所 Axial gap type rotating electrical machine
KR20200097419A (en) * 2019-02-08 2020-08-19 (주)한특이피 Structure of multipolar permanent magnet motor
KR20210076825A (en) * 2019-12-16 2021-06-24 한국전기연구원 Axial field flow rotating machine
KR20220125609A (en) * 2021-03-05 2022-09-14 자화전자(주) Motor having Preloading part for bea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14526B1 (en) 2024-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3473B2 (en) Electric rotating machine
EP2403107B1 (en) Permanent magnet type rotary machine
EP1976095B1 (en) Rotating electric machine and rotor thereof
EP1786088B1 (en) Synchronous reluctance machine with a novel rotor topology
JP7183087B2 (en) Rotating electric machine
EP2660955B1 (en) An electric machine
EP3703227B1 (en) Rotary electric device
EP1946427B1 (en) Paddled rotor spaceblocks
US11418071B2 (en) Rotating electrical machine with channel in stator slot walls
JP2004312898A (en) Rotor, stator, and rotating machine
KR102655265B1 (en) Rotor having magnet holder unit for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 and axial flux motor having the same
CA2399343C (en) Spaceblock scoops for enhanced rotor cavity heat transfer
CN110707888A (en) Rotating electric machine and rotor
US20240195248A1 (en) Motor
JP2019110664A (en) Cooling structure for stator
KR102714526B1 (en) Axial flux motor having support structure for rotation shaft bearing
KR102745313B1 (en) Stator having flow path for colling and axial flux motor having the same
US20240048007A1 (en) Stator core for axial flux machine in h design
CN118554669A (en) Rotor assembly for an electric machine
KR102681776B1 (en) Rotor having back-iron compensating for lack of uniformity of magnetic flux and axial flux motor having the same
JP2019134573A (en) Stator of rotary electric machine
JP7669242B2 (en) Rotating Electric Machine
JP2019115104A (en) Induction motor
JP2022094848A (en) Rotor magnet oil cooling structure
JP2025072905A (en) Rotor structure of rotating electrical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