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94486A - Floor panel supprorting device - Google Patents
Floor panel supprort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94486A KR20240094486A KR1020220176801A KR20220176801A KR20240094486A KR 20240094486 A KR20240094486 A KR 20240094486A KR 1020220176801 A KR1020220176801 A KR 1020220176801A KR 20220176801 A KR20220176801 A KR 20220176801A KR 20240094486 A KR20240094486 A KR 2024009448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llar
- floor panel
- screw
- panel support
- sub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04F15/0247—Screw ja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2—Details of junctions between the supporting structures and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Description
아래의 설명은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description below relates to a floor panel support device for supporting a floor panel.
일반적으로 사무 자동화 시설을 갖춘 인텔리젼트 빌딩 등의 사무실에는 각종 전기/전자기기에 이용되는 전선이나 통신선 등의 배선 효율을 높이고, 실내의 통기성 및 미관을 고려하여 건축물의 실내 바닥을 이중으로 구성하는 플로어 패널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offices such as intelligent buildings equipped with office automation facilities are equipped with double-layered indoor floors to improve the wiring efficiency of wires and communication lines used in various electrical/electronic devices and to consider indoor ventilation and aesthetics. Floor panels are widely used.
플로어 패널은 배선이 바닥에 매설됨에 따라 실내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나아가 정전기 방지 등의 효과로 사무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플로어 패널은 통상적으로 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바닥면에 설치된 지지 장치에 안착됨으로써, 바닥면으로부터 지지 장치의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Floor panels can simplify the indoor structure as wiring is buried in the floor, and can further improve the office environment by preventing static electricity. The floor panel is generally made of a square or polygonal shape, and is seated on a support device installed on the floor, thereby maintaining the spaced distance from the floor by the distance of the support device.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원의 개시 내용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technology is possessed or acquired by the inventor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cannot necessarily be said to be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the present application.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플로어 패널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to provide a floor panel support device that can stably support a floor panel.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설치 또는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높이 조절이 쉽고 간편한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dditionally, an obje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to provide a floor panel support device that is easy to install or maintain, and has easy and simple height adjustment.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기둥을 포함하는 베이스, 상기 고정 기둥에 체결되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연결 기둥, 상기 고정 기둥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연결 기둥의 상기 제1 단부가 상기 고정 기둥에서 체결되는 위치를 제한하는 높이 조절 부재 및 상기 연결 기둥의 제2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A floor panel support device for supporting a floor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base including a base plate and a fixing pillar extending from the base plate in a first direction, a first end fastened to the fixing pillar, and the first A connection pillar including a second end facing from an end in the first direction, the position of which is variably fastened to the fixed pillar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position at which the first end of the connection pillar is fastened to the fixed pillar. It may include a height adjustment member that limits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and a panel support por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second end of the connection column and supports the floor panel.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고정 기둥은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 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 부재는, 상기 제1 나사산의 일부 영역에 결합되는 제1 나사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나사홈이 상기 제1 나사산에서 결합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높이 조절 부재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ase, the fixing pillar includes a first screw thread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includes a first screw groove coupled to a portion of the first screw thread, and the first screw groove is coupled to a portion of the first screw thread. 1 The posi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may be varied in correspondence to the position where the screw groove is coupled to the first screw threa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 기둥은, 상기 제1 단부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나사산에 결합되는 제2 나사홈 및 상기 제2 단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 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 지지부는, 상기 제2 나사산에 결합되는 제3 나사홈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nection pillar includes a second screw groov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end and coupled to the first screw thread, and a second screw thread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end, and the panel support part. may include a third screw groove coupled to the second screw threa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높이 조절 부재는,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ding portions that protrude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n a direction horizontal to the first direction.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는, 상기 높이 조절 부재를 복수로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loor panel support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height adjustment members.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 기둥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상호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제1 서브 연결 기둥 및 제2 서브 연결 기둥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nection pillar may include a first sub-connection pillar and a second sub-connection pillar that can be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서브 연결 기둥은, 일 단부는 상기 고정 기둥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제2 서브 연결 기둥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서브 연결 기둥은, 일 단부는 상기 제1 서브 연결 기둥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패널 지지부에 연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sub-connection pillar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fixed pilla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 sub-connection pillar, and the second sub-connection pillar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sub-connection pillar. It is connected to a connecting pillar,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panel support.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패널 지지부는, 상기 플로어 패널의 하부면이 안착되는 지지 기둥 및 상기 지지 기둥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고, 상기 플로어 패널이 상기 지지 기둥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플로어 패널의 상부면을 지지하는 고정 나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anel support part is capable of being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a support pillar on which a lower surface of the floor panel is seated and the support pillar, and in a state where the floor panel is seated on the support pillar, the upper part of the floor panel It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screw for supporting the surfac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 기둥은, 상기 고정 나사가 고정되는 삽입 홈 및 상기 삽입 홈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4 나사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나사는, 상기 제4 나사홈에 결합되는 제3 나사산이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 기둥 및 상기 나사 기둥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플로어 패널이 상기 지지 기둥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플로어 패널의 상부면과 접하는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pillar includes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fixing screw is fixed and a fourth screw groove formed on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and the fixing screw includes a third screw groove coupled to the fourth screw groove. It may include a screw pillar with screw thread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a head formed at an end of the screw pillar an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panel when the floor panel is seated on the support pillar.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고정 나사는, 상기 나사 기둥에서 상기 헤드와 대향하는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 홈은, 상기 나사 기둥이 삽입되는 제1 관통 영역 및 상기 돌기 부분이 삽입되는 제2 관통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xing screw includes a protruding portion formed at an end of the screw pillar facing the head and protruding in a direction horizontal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insertion groove is formed on the screw pillar. It may include a first penetration area into which the protrusion part is inserted and a second penetration area into which the protrusion part is inserted.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는, 복수의 조립 구조물을 포함하여 자유롭게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사용성 및 설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floor panel suppor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assembly structures, allows height adjustment freely, and improves usability and convenience of installation.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는, 건축물의 건식 시공에 사용되어 유지 보수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 floor panel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can be used in dry construction of a building to improve maintenance efficiency.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floor panel suppor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의 단면도이다.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long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matters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 limited way.
1 is a diagram showing a use state of a floor panel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or panel suppor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2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loor panel suppor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2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loor panel suppor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3A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or panel suppor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3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loor panel suppor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3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loor panel suppor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 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since various changes can be made to the embodiments, the scope of rights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for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examples are for descriptive purposes onl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No.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dentical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the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 제2 ,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can be connected or connected directly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is no need for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Components included in one embodiment and components including common functions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names in other embodiments. Unless stated to the contrary, the description given in one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and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o the extent of overlap.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어 패널 어셈블리의 사용 상태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use state of a floor panel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어 패널 조립체(1)는 건축물 등의 내부의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예를 들어, 플로어 패널 조립체(1)는 건축물의 각 층을 구성하는 슬라브(slave)의 상부에 배치되고, 건축물의 실내의 바닥을 형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일 실시 예에서, 플로어 패널 조립체(1)는 내부 바닥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플로어 패널(11)과, 복수의 플로어 패널(11)을 바닥면(예: 슬라브의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10)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플로어 패널 조립체(1)는 건축물의 바닥면 및 플로어 패널(11) 사이에 각종 전기/전자기기의 전선이나 통신선, 난방 배관, 단열재 등이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플로어 패널(11)의 상부면에는 마감재(예: 마감 패널등)가 배치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플로어 패널(11)은 바닥판으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로어 패널(11)은 액세스 플로어(access floor), 이중 바닥판 또는 이중 마루와 같은 이중 바닥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일 실시 예에서, 플로어 패널(11)은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10)에 의해 각 모서리가 지지되는 형태로 건축물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플로어 패널(11)의 각각의 모서리는 서로 다른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도 2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10)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1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10)의 단면도이다.FIG.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or
도 2a, 도 2b 및 도 2c를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10)는 베이스(101), 연결 기둥(103), 높이 조절 부재(105) 및 패널 지지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2A, 2B, and 2C, the floor
일 실시 예에서, 플로어 패널(11)은 상부에서 바라본 상태(예: -Z 방향으로 바라본 상태)를 기준으로,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과 같은 다각형의 기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플로어 패널(11)은 상측(예: +Z 방향)에 배치되는 상판(111)과 상판(111)의 하측(예: -Z 방향)에 배치되는 하판(112)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상판(111)은 하판(112)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판(111)은 하판(112)의 상부면 전체를 커버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플로어 패널(11)의 상판(111)은 상부에서 바라본 상태에서, 하판(112)보다 가장자리가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상판(111)의 각 모서리에는 후술하는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10)의 패널 지지부(106) 상에 안착되도록, 하측으로 단차지는 단차 부분(1111)이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 stepped
일 실시 예에서, 하판(112)은 상판(111)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판(112)은 상판(111)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또는 분산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하판(112)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하판(112) 내부에는, 복수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하판(112) 공간 내부에는, 예를 들어, 충진재가 충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space may be formed inside the
일 실시 예에서, 지지 공간(1021)은 하판(112)의 하부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인입된 홈일 수 있다. 하판(112)의 하면을 바라보았을 때, 복수의 지지 공간(1021)은 격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10)는 플로어 패널(11)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10)는 플로어 패널(11)의 모서리를 지지할 수 있다. 하나의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10)는 서로 인접한 플로어 패널(11)의 모서리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10)는 최대 4개의 플로어 패널(11)을 지지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floor
일 실시 예에서,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10)는 베이스(101), 연결 기둥(103), 높이 조절 부재(105), 패널 지지부(106) 및 고정 나사(107)를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loor
일 실시 예에서, 베이스(101)는 건축물의 바닥면, 예를 들어, 슬라브의 상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101)는 바닥면에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11)와, 베이스 플레이트(1011)의 중심으로부터 상부 방향(예: +Z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기둥(10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10)가 바닥면으로부터 플로어 패널을 이격시키는 방향을 제1 방향(예: +Z 방향)으로 지칭한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11)는 실질적으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바닥면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플레이트(1011)의 하부면에는 제1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피스 등이 삽입될 수 있는 베이스 고정 홈이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11)는 플로어 패널(11)의 자중 및, 플로어 패널(11)의 상부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따른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성을 가지는 재질, 예를 들어, 스틸과 같은 내구성이 강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베이스 플레이트(1011)가 원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베이스 플레이트(1011)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베이스 플레이트(1011)는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고정 기둥(1012)은 베이스 플레이트(1011)의 중심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고정 기둥(1012)은 하중을 지지하기에 유리하도록 다각형 또는 원형의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xing
일 실시 예에서, 고정 기둥(1012)은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제1 나사산(101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나사산(1013)을 통하여, 고정 기둥(1012)에는 연결 기둥(103) 및 높이 조절 부재(105) 중 적어도 하나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xing
일 실시 예에서, 연결 기둥(103)은 베이스(101)의 고정 기둥(1012)에 체결될 수 있다. 연결 기둥(103)은 고정 기둥(1012)에 체결되는 제1 단부(1031) 및 제1 단부(1031)로부터 제1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2 단부(10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부(1035)에는 패널 지지부(106) 또는 다른 연결 기둥(미도시)이 체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연결 기둥(103)은 내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개방되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 기둥(103)은 제1 단부(1031)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제1 나사산(1013)에 결합되는 제2 나사홈(1032) 및 제2 단부(1035)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 나사산(1036)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기둥(103)은 양 단부에 형성되는 제2 나사홈(1032) 및 제2 나사산(1036)을 통하여, 베이스(101) 및 패널 지지부(106)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높이 조절 부재(105)는 고정 기둥(1012)에서 제1 방향으로 위치가 변경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높이 조절 부재(105)는 고정 기둥(1012)의 제1 방향의 길이(예: Z축 방향의 길이, 또는 '높이')와 비교하여 제1 방향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높이 조절 부재(105)가 먼저 고정 기둥(1012)에 결합되는 경우, 고정 기둥(1012)에는 높이 조절 부재(105)가 결합되지 않는 잔여 공간이 존재할 수 있고, 잔여 공간에 연결 기둥(103)의 제1 단부(1031)가 결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높이 조절 부재(105)는 제1 나사산(1013)의 일부 영역에 결합되는 제1 나사홈(105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나사홈(1051)은 높이 조절 부재(105)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높이 조절 부재(105)는 제1 나사홈(1051)이 제1 나사산(1013)에서 결합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높이 조절 부재(105)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예를 들면, 높이 조절 부재(105)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나사 결합을 위하여 회전되는 정도에 따라 제1 나사홈(1051) 및 제1 나사산(1013)의 결합 위치가 변경되고, 고정 기둥(1012)에서의 높이 조절 부재(105)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process of coupling the
일 실시 예에서, 제1 나사홈(1051)이 제1 나사산(1013)의 상부에 결합되어, 높이 조절 부재(105)가 고정 기둥(1012)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제1 나사홈(1051)이 제1 나사산(1013)의 하부에 결합되어, 높이 조절 부재(105)가 고정 기둥(1012)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높이 조절 부재(105)는 연결 기둥(103)의 제1 단부(1031)가 고정 기둥(1012)에서 체결되는 위치를 제한할 수 있다. 높이 조절 부재(105)는 연결 기둥(103)보다 먼저 고정 기둥(1012)에 체결될 수 있고, 연결 기둥(103)은 고정 기둥(1012)에서 높이 조절 부재(105) 상에 체결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높이 조절 부재(105)는 연결 기둥(103)의 제1 단부(1031)의 위치를 제한함으로써, 연결 기둥(103) 전체의 위치를, 예를 들면 제2 단부(1035)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높이 조절 부재(105)는 연결 기둥(103)의 높이를 조절하여 패널 지지부(106)가 베이스(101)로부터 제1 방향으로 이격되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높이 조절 부재(105)는 패널 지지부(106)가 베이스(101)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조절하여 플로어 패널(11)이 설치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플로어 패널 조립체(1)는 설치되는 공간에 따라 요구되는 플로어 패널(11) 및 베이스(101) 사이에 설치되는 설비(예: 전기/전자기기의 전선이나 통신선, 난방 배관, 단열재 등)의 사이즈가 달라질 수 있다. 또는, 플로어 패널 조립체(1)가 설치되는 바닥면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 추가 부품 또는 설비가 요구되거나, 설치에 제약이 있을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예를 들면, 다른 실시 예에서, 플로어 패널 조립체(1)의 높이 조절이 불가능한 경우, 플로어 패널 조립체(1)는 다양한 높이에 대응하여 일부 부품을 제조, 관리 또는 유통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는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10)는 용이하게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단일 규격의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10)를 이용하여 다양한 요구에 부합되도록 플로어 패널 조립체(1)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는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10)는 제1 나사산(1013) 및 제1 나사홈(1051)을 이용하여 높이 조절 부재(105)의 높이를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쉽고 직관적으로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For example, in another embodiment, if the height of the
일 실시 예에서, 높이 조절 부재(105)는 외주면으로부터 제1 방향에 수평한 방향(예: X-Y 평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 부분(1055)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돌출 부분(1055)은 높이 조절 부재(105)와 고정 기둥(1012)의 결합, 분리, 또는 위치 변경을 보조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예를 들면, 복수의 돌출 부분(1055)은 높이 조절 부재(105)를 파지하기 위한 장비(미도시)를 지지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손을 지지하는 손잡이 일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돌출 부재를 이용하여 용이하고 및/또는 정밀하게 높이 조절 부재(105)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돌출 부분(1055)은 상단에 마련되는 연결 기둥(103)의 하부면을 지지할 수 있고, 연결 기둥(103)으로부터 하중을 전달받아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10)의 하중 한도 또는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protruding
일 실시 예에서, 패널 지지부(106)는 베이스(101)로부터 이격되도록 연결 기둥(103)에 연결될 수 있다. 패널 지지부(106)는 하부면이 제1 방향을 따라 연결 기둥(103)과 결합될 수 있고, 상부면 또는 측면이 플로어 패널(11)의 모서리를 지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패널 지지부(106)는 결합 기둥(1060), 지지 플레이트(1063) 및 지지 기둥(1067)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결합 기둥(1060)은 제2 나사산(1036)에 결합되는 제3 나사홈(1061)이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 기둥(1060)은 지지 플레이트(1063)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결합 기둥(1060)은 연결 기둥(103)의 제1 단부(103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 또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나사홈(1061)은 제1 나사산(1013)과 결합 가능하고, 결합 기둥(1060)은 베이스(101)의 고정 기둥(1012)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지지 플레이트(1063)는 플로어 패널(11)의 하판(112)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063)는 상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기준으로 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063)의 상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플로어 패널(11)의 하판(112)의 모서리가 안착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하나의 지지 플레이트(1063)에는 복수의, 예를 들면 4개의 플로어 패널(11)이 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플레이트(1063)는 4개의 안착 영역이 형성되고, 각각의 안착 영역에 4개의 플로어 패널(11)의 하판(112)이 안착될 수 있다. 이 경우, 4개의 플로어 패널(11)은 지지 플레이트(1063)의 중심을 기준으로 각 모서리가 모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 plurality of
일 실시 예에서, 지지 플레이트(1063)의 상부면에는 제1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지지 플레이트(1063)에 대한 플로어 패널(11)의 배치 위치를 가이드 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 부재(1065)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 부재(1065)는 지지 플레이트(1063)를 상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기준으로, 서로 인접한 플로어 패널(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 plurality of
예를 들어, 4개의 지지부재가 지지 플레이트(1063)의 각 모서리 사이에 위치하도록 지지 플레이트(1063)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063)에 4개의 플로어 패널(11)이 연결된 상태에서, 각각의 지지부재는 서로 인접한 플로어 패널(11)의 상판(111)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For example, four support members may b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일 실시 예에서, 보조 지지부(1064)는 패널 지지부(106)에 대한 플로어 패널(11)의 지지 상태를 안정적으로 보조할 수 있다. 보조 지지부(1064)는 지지 플레이트(1063)의 각각의 모서리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보조 지지부(1064)는 플로어 패널(11)의 하판(112)에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지지부(1064)는 제1 방향으로 향해 돌출 형성되고, 플로어 패널(11)의 하판(112)에는 보조 지지부(1064)가 삽입되도록 내측으로 오목지는 지지 공간(1021)이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보조 지지부(1064)는 플로어 패널(11)이 패널 지지부(106)에 안착된 상태에서, 연장되는 부분의 상단면이 플로어 패널(11)의 지지 공간(1021)에 삽입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플로어 패널(11)이 패널 지지부(106)에 안착된 상태에서, 보조 지지부(1064)가 플로어 패널(11)의 하판(112)의 하부면의 지지 공간(1021)에 삽입됨으로써, 안정적인 지지 상태가 확보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지지 기둥(1067)은 플로어 패널(11)의 상판(111)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 기둥(1067)은 지지 플레이트(1063)의 중심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기둥(1067)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면이 내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패널 지지부(106)에 플로어 패널(11)이 안착된 상태에서, 지지 기둥(1067)의 상부면에는 플로어 패널(11)의 상판(111) 모서리에 형성된 단차 부분(1111)이 안착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the
일 실시 예에서, 패널 지지부(106)에 4개의 플로어 패널(11)이 연결되는 경우, 패널 지지부(106)에 안착된 4개의 플로어 패널(11)의 상판(111) 모서리는 지지 기둥(1067)의 상부면에 모이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four
일 실시 예에서, 패널 지지부(106)는 지지 기둥(1067)에 형성되는 삽입 홈(1068) 및 제4 나사홈(1069)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 홈(1068)은 지지 기둥(1067)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개구 또는 홈일 수 있다. 제4 나사홈(1069)은 지지 기둥(1067)의 삽입 홈(1068) 내부에, 제1 방향을 따라 지지 기둥(1067)의 상부면으로부터 지지 플레이트(1063)의 하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고정 나사(107)는 지지 기둥(1067)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할 수 있다. 고정 나사(107)는 플로어 패널(11)이 지지 기둥(1067)에 안착된 상태에서, 플로어 패널(11)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지지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xing
일 실시 예에서, 고정 나사(107)는 삽입 홈(1068)에 삽입될 수 있다. 플로어 패널(11)의 상판(111) 모서리의 단차 부분(1111)이 지지 기둥(1067)의 상부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 나사(107)는 삽입 홈(1068)에 삽입되며 플로어 패널(11)의 상판(111) 모서리의 상부면을 덮어 지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고정 나사(107)는 나사 기둥(1071) 및 헤드(1075)를 포함할 수 있다. 나사 기둥(1071)의 외주면에는 제4 나사홈(1069)에 결합되는 제3 나사산(1073)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나사(107)의 헤드(1075)는 나사 기둥(1071)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헤드(1075)는 플로어 패널(11)이 지지 기둥(1067)에 안착된 상태에서, 플로어 패널(11)의 상부면과 접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제3 나사산(1073)이 제4 나사홈(1069)에 체결되는 정도에 따라, 헤드(1075)가 플로어 패널(11)의 상부면을 가압하고, 고정 나사(107)는 플로어 패널(11)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depending on the degree to which the
일 실시 예에서, 고정 나사(107)는 돌기 부분(1077)을 포함할 수 있다. 돌기 부분(1077)은 나사 기둥(1071)에서 상기 헤드(1075)와 대향하는 단부에 형성되고, 제1 방향에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삽입 홈(1068)은 나사 기둥(1071)이 삽입되는 제1 관통 영역(1068a) 및 돌기 부분(1077)이 삽입되는 제2 관통 영역(1068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관통 영역(1068b) 및 제2 관통 영역(1068b)은 상호 연속되어 개방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xing
일 실시 예에서, 돌기 부분(1077)은 고정 나사(107)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 나사(107)가 삽입 홈(1068)으로 삽입 또는 분리되기 위하여는 돌기 부분(1077)이 제2 관통 영역(1068b)을 통과해야 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truding
예를 들면, 고정 나사(107)가 플로어 패널(11)을 장기간 지지하는 경우, 제3 나사산(1073) 및 제4 나사홈(1069)의 체결이 헐거워지거나, 고정 나사(107)가 삽입 홈(1068)으로부터 이탈할 위험이 있을 수 있다. 돌기 부분(1077)은 고정 나사(107)가 삽입 홈(1068)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 나사(107)의 하부면을 지지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fixing
도 3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10)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1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10)의 단면도이다.FIG. 3A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or
도 3a, 도 3b 및 도 3c를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10)의 연결 기둥(103)은 제1 서브 연결 기둥(103a) 및 제2 서브 연결 기둥(103b)을 포함할 수 있다. 3A, 3B, and 3C, the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2c에서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여 설명하며,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는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10)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도출 가능한 범위에서 적어도 일부 구성이 생략되거나, 추가되거나, 교체되거나, 수정될 수 있다. Hereinafter, content overlapping with the content described above in FIGS. 1 to 2C will be omitted and described, and the floor
일 실시 예에서, 제1 서브 연결 기둥(103a) 및 제2 서브 연결 기둥(103b)은 제1 방향으로 상호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할 수 있다. 제1 서브 연결 기둥(103a) 및 제2 서브 연결 기둥(103b)은 내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개방되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일 실시 예에서, 제1 서브 연결 기둥(103a) 및 제2 서브 연결 기둥(103b)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제1 서브 연결 기둥(103a) 및 제2 서브 연결 기둥(103b)은 상호 상이한 높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일 실시 예에서, 제1 서브 연결 기둥(103a)은 고정 기둥(1012)에 체결되는 제1 서브 단부(1031a) 및 제1 서브 단부(1031a)로부터 제1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2 서브 단부(1035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서브 단부(1035a)에는 제2 서브 연결 기둥(103b) 또는 패널 지지부(106)가 체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일 실시 예에서, 제1 서브 연결 기둥(103a)은 제1 서브 단부(1031a)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제1 나사산(1013)에 결합되는 제1 서브 나사홈(1032a) 및 제2 서브 단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 서브 나사산(1036a)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rst
일 실시 예에서, 제2 서브 연결 기둥(103b)은 제1 서브 연결 기둥(103a)에 체결되는 제3 서브 단부(1031b) 및 제3 서브 단부(1031b)로부터 제1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4 서브 단부(103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서브 단부(1035b)에는 패널 지지부(106) 또는 다른 서브 연결 기둥(예: 제3 서브 연결 기둥(미도시))이 체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일 실시 예에서, 제2 서브 연결 기둥(103b)은 제3 서브 단부(1031b)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제1 서브 나사산(1036a)에 결합되는 제2 서브 나사홈(1032b) 및 제4 서브 단부(1035b)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 서브 나사산(1036b)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일 실시 예에서, 제1 서브 연결 기둥(103a) 및 제2 서브 연결 기둥(103b)은 제1 서브 나사산(1036a) 및 제2 서브 나사홈(1032b)이 결합되어 하나의 연결 기둥(103)을 형성할 수 있다. 연결 기둥(103)은 양 단부에 형성되는 제1 서브 나사홈(1032a) 및 제2 서브 나사산(1036b)을 통하여, 베이스(101) 및 패널 지지부(106)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예를 들면, 제1 서브 나사홈(1032a)은 도 2a 내지 도 2c의 제1 나사홈(1032)에 대응될 수 있고, 제2 서브 나사산(1036b)은 도 2a 내지 도 2c의 제2 나사산(1036)에 대응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연결 기둥(103)은 제3 서브 연결 기둥(미도시)을, 나아가 제4 서브 연결 기둥(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 기둥(103)은 모듈식으로 추가로 조립될 수 있고,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10)의 전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10)는 플로어 패널(11)이 이격되는 높이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동일한 규격의 연결 기둥(103)을 복수로 포함할 수 있고, 높이 조절을 위한 별도의 추가 구조물을 제조, 관리 또는 유통하지 않아도 되기에,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10)의 생산성 및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the floor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10)는 높이 조절 부재(105)를 복수로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복수의 높이 조절 부재(105)는 제1 나사산(1013) 외에도 제2 나사산(1036), 제1 서브 나사산(1036a) 또는 제2 서브 나사산(1036b)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높이 조절 부재(105)를 통하여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10)는 더 다양한 조립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고, 세부적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및/또는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10)의 사용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floor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drawings 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pply various technical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ased on the above.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are used. Alternatively, appropriate results may be achieved even if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an equivalent.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 플로어 패널 조립체
11: 플로어 패널
10: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1: Floor panel assembly
11: Floor panel
10: Floor panel support device
Claims (10)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기둥을 포함하는 베이스;
상기 고정 기둥에 체결되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연결 기둥;
상기 고정 기둥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연결 기둥의 상기 제1 단부가 상기 고정 기둥에서 체결되는 위치를 제한하는 높이 조절 부재; 및
상기 연결 기둥의 제2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부를 포함하는,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In a floor panel support device for supporting a floor panel,
A base including a base plate and a fixed pillar extending from the base plate in a first direction;
a connecting pillar including a first end fastened to the fixed pillar and a second end facing from the first end in the first direction;
a height adjustment member movably fastened to the fixed pillar in the first direction to limit a position at which the first end of the connecting pillar is fastened to the fixed pillar; and
A floor panel support device, comprising a panel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a second end of the connecting column and supporting the floor panel.
상기 베이스는, 상기 고정 기둥은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 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 부재는, 상기 제1 나사산의 일부 영역에 결합되는 제1 나사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나사홈이 상기 제1 나사산에서 결합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높이 조절 부재의 위치가 가변되는,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According to paragraph 1,
The base, the fixing pillar includes a first screw thread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includes a first screw groove coupled to a portion of the first screw thread, and the posi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is variable in response to a position at which the first screw groove is coupled to the first screw thread. , floor panel support device.
상기 연결 기둥은, 상기 제1 단부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나사산에 결합되는 제2 나사홈 및 상기 제2 단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 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 지지부는, 상기 제2 나사산에 결합되는 제3 나사홈을 포함하는,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According to paragraph 2,
The connection pillar includes a second screw groov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end and coupled to the first screw thread, and a second screw thread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end,
The panel support unit includes a third screw groove coupled to the second screw thread.
상기 높이 조절 부재는,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 부분을 포함하는,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According to paragraph 1,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is,
A floor panel support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protruding portions protruding from an outer peripheral surface in a direction horizontal to the first direction.
상기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는,
상기 높이 조절 부재를 복수로 포함하는,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loor panel support device,
A floor panel support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the height adjustment members.
상기 연결 기둥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상호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제1 서브 연결 기둥 및 제2 서브 연결 기둥을 포함하는,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nnecting pillar is,
A floor panel support device comprising a first sub-connection pillar and a second sub-connection pillar that can be coupled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상기 제1 서브 연결 기둥은, 일 단부는 상기 고정 기둥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제2 서브 연결 기둥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서브 연결 기둥은, 일 단부는 상기 제1 서브 연결 기둥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패널 지지부에 연결되는,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According to clause 6,
The first sub-connection pillar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fixed pilla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 sub-connection pillar,
The second sub-connection pillar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sub-connection pilla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panel support unit.
상기 패널 지지부는,
상기 플로어 패널의 하부면이 안착되는 지지 기둥 및
상기 지지 기둥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고, 상기 플로어 패널이 상기 지지 기둥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플로어 패널의 상부면을 지지하는 고정 나사를 더 포함하는,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anel support part,
A support pillar on which the lower surface of the floor panel is seated, and
A floor panel support device that is capable of being coupled to or detached from the support pillar and further includes a fixing screw that supports an upper surface of the floor panel when the floor panel is seated on the support pillar.
상기 지지 기둥은, 상기 고정 나사가 고정되는 삽입 홈 및 상기 삽입 홈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4 나사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나사는,
상기 제4 나사홈에 결합되는 제3 나사산이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 기둥 및
상기 나사 기둥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플로어 패널이 상기 지지 기둥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플로어 패널의 상부면과 접하는 헤드를 포함하는,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According to clause 8,
The support pillar includes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fixing screw is fixed, and a fourth screw groove formed on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The fixing screw is,
A screw pillar having a third screw thread coupled to the fourth screw groov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A floor panel support device comprising a head formed at an end of the screw pillar and in contact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floor panel when the floor panel is seated on the support pillar.
상기 고정 나사는, 상기 나사 기둥에서 상기 헤드와 대향하는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 홈은, 상기 나사 기둥이 삽입되는 제1 관통 영역 및 상기 돌기 부분이 삽입되는 제2 관통 영역을 포함하는, 플로어 패널 지지 장치.According to clause 9,
The fixing screw is formed at an end of the screw pillar opposite to the head and includes a protruding portion that protrudes in a direction horizontal to the first direction,
The insertion groove includes a first penetration area into which the screw pillar is inserted and a second penetration area into which the protruding portion is inserted.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176801A KR102761832B1 (en) | 2022-12-16 | 2022-12-16 | Floor panel supprort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176801A KR102761832B1 (en) | 2022-12-16 | 2022-12-16 | Floor panel supprorting devic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40094486A true KR20240094486A (en) | 2024-06-25 |
| KR102761832B1 KR102761832B1 (en) | 2025-02-05 |
Family
ID=9171134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20176801A Active KR102761832B1 (en) | 2022-12-16 | 2022-12-16 | Floor panel supprorting devic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761832B1 (en)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0110338A (en) * | 1998-10-02 | 2000-04-18 | Imadaya Kinzoku Kk | Supporting leg for free access floor |
| KR20020028627A (en) * | 2000-10-11 | 2002-04-17 | 김창섭 | A support for a double floor of a building |
| KR100823944B1 (en) * | 2007-07-30 | 2008-04-22 | 도한우 | Support for Double Bottom Plates |
| KR20200114113A (en) * | 2019-03-27 | 2020-10-07 | 주식회사 선진마루 | Floor panel support and floor panel assembly |
| KR200493325Y1 (en) * | 2019-11-07 | 2021-03-11 | 티에이치산업개발 주식회사 | Rail supporter for construct concrete road bed |
-
2022
- 2022-12-16 KR KR1020220176801A patent/KR10276183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0110338A (en) * | 1998-10-02 | 2000-04-18 | Imadaya Kinzoku Kk | Supporting leg for free access floor |
| KR20020028627A (en) * | 2000-10-11 | 2002-04-17 | 김창섭 | A support for a double floor of a building |
| KR100823944B1 (en) * | 2007-07-30 | 2008-04-22 | 도한우 | Support for Double Bottom Plates |
| KR20200114113A (en) * | 2019-03-27 | 2020-10-07 | 주식회사 선진마루 | Floor panel support and floor panel assembly |
| KR200493325Y1 (en) * | 2019-11-07 | 2021-03-11 | 티에이치산업개발 주식회사 | Rail supporter for construct concrete road bed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761832B1 (en) | 2025-02-0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7546715B2 (en) | Structurally integrated accessible floor system | |
| US6202374B1 (en) | Floor system | |
| JP2707397B2 (en) | Floor panel support legs and double floor | |
| US7469512B2 (en) | Fabricated wall system | |
| US7454869B2 (en) | Raised flooring system and method | |
| US11976464B2 (en) | Base assembly for a prefabricated wall system | |
| KR20240094486A (en) | Floor panel supprorting device | |
| EP1407089B1 (en) | Structurally integrated accessible floor system | |
| TWI733538B (en) | Floor support | |
| JP2025031473A (en) | Floor structure of a building with a floor outlet box | |
| KR200444767Y1 (en) | Sash support | |
| JP3076287U (en) | Raised floor panel support legs | |
| JPH0246584Y2 (en) | ||
| TWI773593B (en) | Height-adjustable stanchions, support frames and raised floors | |
| JPH0111884Y2 (en) | ||
| KR102662450B1 (en) | Floor panel and floor panel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 |
| GB2346548A (en) | A modular desk. | |
| JP6188026B2 (en) | Assembly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ssembly structure | |
| JPS63210357A (en) | Floor panel support apparatus | |
| JP2021143561A (en) | Unevenness adjustment member and panel lower end holding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 |
| JPS63272854A (en) | Supporter for floor panel | |
| JPH1171891A (en) | Free access floor | |
| JPH02252854A (en) | Top floor construction method | |
| JP2021143562A (en) | Partition wall structure | |
| JPH04166551A (en) | Spacer for adjusting height of leg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