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109406A - 기억력 개선, 눈건조 개선, 혈중 중성지질 개선 및 혈행 개선을 위한epa, dha을 주요성분으로 하는 오메가3 성분을 함유한 건강보조식품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기억력 개선, 눈건조 개선, 혈중 중성지질 개선 및 혈행 개선을 위한epa, dha을 주요성분으로 하는 오메가3 성분을 함유한 건강보조식품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09406A
KR20240109406A KR1020230001149A KR20230001149A KR20240109406A KR 20240109406 A KR20240109406 A KR 20240109406A KR 1020230001149 A KR1020230001149 A KR 1020230001149A KR 20230001149 A KR20230001149 A KR 20230001149A KR 20240109406 A KR20240109406 A KR 20240109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ha
epa
improvement
oil
fatty acid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1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남
정진식
윤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프엠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프엠더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프엠더블유
Priority to KR1020230001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09406A/ko
Publication of KR20240109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09406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23L33/12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8Lipids
    • A23V2250/186Fatty acids
    • A23V2250/1866Conjugated Linole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8Lipids
    • A23V2250/186Fatty acids
    • A23V2250/1868Docosahexaen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12Vitamin 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른 EPA, DHA을 주요성분으로 하는 오메가3 성분을 함유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 방법은 n-6 지방산 함유 오일과 n-3 풍부한 오일을 함유하는 영양 보조제를 투여하는 단계로 구성되고, n-3 풍부한 오일은 고농도의 에코사펜타엔산(EPA)과 고농도의 도코사헥사엔산(DHA)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억력 개선, 눈건조 개선, 혈중 중성지질 개선 및 혈행 개선을 위한EPA, DHA을 주요성분으로 하는 오메가3 성분을 함유한 건강보조식품 및 제조 방법{HEALTH SUPPLEMENTS CONTAINING OMEGA 3 COMPONENTS, MAINLY EPA AND DHA, FOR MEMORY IMPROVEMENT, EYE DRYNESS IMPROVEMENT, BLOOD TRIGLYCERIDE IMPROVEMENT AND BLOOD CIRCULATION IMPROV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아래 실시예들은 기억력 개선, 눈건조 개선, 혈중 중성지질 개선 및 혈행 개선을 위한EPA, DHA을 주요성분으로 하는 오메가3 성분을 함유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리 사회는 산업의 고도화로 인해 인구의 고령화 시대를 맞이하고 있으며, 식생활의 서구화로 과거에 비해 지방성분을 다량 섭취하는 경향으로 식생활 패턴이 변화되고 있으므로 해서 허혈성 심질환, 뇌경색 등을 유발하는 혈전증 및 동맥경화증 등 심혈관계 질환이 늘고 있으며, 이에 예방, 치료 및 식이요법 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오메가-3 계열의 고도불포화지방산으로서 대표적인 것으로 EPA와 DHA가 있으며 생체 내에서는 주로 알파리놀산(ALA; alfa-linoleic acid)으로부터 만들어진다. 사람의 체내에는 EPA와 DHA가 거의 합성되지 않으며, 또한 오메가-3계열 및 오메가-6계열간의 상호 교환 작용도 잘 일어나지 않으므로 생체 내에 함유되어 있는 EPA 및DHA는 이들을 함유한 식품 특히, 어류의 섭취량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오메가-3 오메가-6 계열로 대별되는 고도불포화지방산 그룹의 섭취량의 차이가 뇌, 심장 혈전성 질환의 발병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최근의 역학적, 영양학적 연구 성과에 의해 점차 그 기전이 명확해지고 있다. 이러한 질환의 예방의학적 차원에서의 EPA, DHA 등 해산성 고도불포화지방산이 주목을 받고 있다.
실시예들은 기억력 개선, 눈건조 개선, 혈중 중성지질 개선 및 혈행 개선을 위한EPA, DHA을 주요성분으로 하는 오메가3 성분을 함유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EPA, DHA을 주요성분으로 하는 오메가3 성분을 함유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n-6 지방산 함유 오일과 n-3 풍부한 오일을 함유하는 영양 보조제를 투여하는 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n-3 풍부한 오일은, 고농도의 에코사펜타엔산(EPA)과 고농도의 도코사헥사엔산(DHA)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n-6 지방산 함유 오일은, n-3 지방산을 추가로 포함하고, 영양 보조제는 추가의 n-6 지방산을 포함하고, 상기 추가의 n-6 지방산은 달맞이꽃 종자유(evening primrose oil), 보라지유(borage oil), 까막까지 밥나무 씨앗 오일(black currant seed oil)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영양 보조제는 일일 분량당 1.0 g의 n-6 지방산 함유 오일, 450 ㎎의 EPA와 350 ㎎의 DHA을 제공하는 1.4 g의 n-3 풍부한 오일, 200 IU의 비타민 E, 10 ㎎의 혼합 토코페롤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n-3 풍부한 오일의 충분량을 투여하여 적어도 150-550 ㎎ EPA와 적어도 50-500 ㎎ DHA의 일일 분량을 제공할 수 있다.
n-6 지방산 함유 오일 대 n-3 풍부한 오일의 중량 비율은 1:1이고, 영양 보조제는 지용성 항산화제를 추가로 포함하고, 영양 보조제는 d-알파-토코페롤을 추가로 포함하고, 항산화제는 비타민 E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상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실시예들은 기억력 개선, 눈건조 개선, 혈중 중성지질 개선 및 혈행 개선을 위한EPA, DHA을 주요성분으로 하는 오메가3 성분을 함유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생체 내에서 생리적으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고도불포화지방산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에는 말단 메칠 그룹으로부터 2중 결합이 나타나는 탄소의 위치에 따라 오메가-6 (n6)계 지방산과 오메가-3 (n3)계 지방산으로 크게 나뉘어진다.
이들 필수지방산으로는 불포화도가 2가 이상의 지방산으로 리놀산, 리놀렌산, EPA, DHA,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등이 대표적이다. 육상동물에는 n6 계열의 아라키돈산이 체내 지질중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편이며 대두유나 케놀라(canola)유에 8-10%, 들깨유나 아마인유에 50% 가까이 다량 함유되어 이들 식물성유를 섭취하면 필요량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하지만 아라키돈산은 생체 내에서 EPA나DHA로 전환되기 힘들며 특히 성장한 동물에게서는 더욱 전환효율이 낮아지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오메가-3 계열의 고도불포화지방산으로서 대표적인 것으로 EPA와 DHA가 있으며 생체 내에서는 주로 알파리놀 산(ALA; alfa-linoleic acid)으로부터 만들어진다. 사람의 체내에는 EPA와 DHA가 거의 합성되지 않으며, 또한 오메가-3계열 및 오메가-6계열간의 상호 교환 작용도 잘 일어나지 않으므로 생체 내에 함유되어 있는 EPA 및 DHA는 이들을 함유한 식품 특히, 어류의 섭취량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오메가-3 오메가-6 계열로 대별되는 고도불포화지방산 그룹의 섭취량의 차이가 뇌, 심장 혈전성 질환의 발병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최근의 역학적, 영양학적 연구 성과에 의해 점차 그 기전이 명확해지고 있다. 이러한 질환의 예방의학적 차원에 서의 EPA, DHA 등 해산성 고도불포화지방산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들 필수지방산 중에도 등푸른 생선류에 많이 포함되어 있는 EPA 및 DHA 등의 오메가-3 계열의 필수지방산은 최근 동물에 있어서도 그 생리활성기능에 대해 주목을 받고 있으며 특히, EPA 및 DHA는 어린 동물들의 성장발육과 면역력 증강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양식용 어류의 경우 있어서는 치어기에 충분한 양의 오메가-3 지방산 즉, EPA나 DHA를 공급받지 못하면 면역기능이 저하되어 항병력이 저하되어 치사율이 높으며, 성어기에 성장 장애가 두드러지고 채색이 불량하여 상품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DHA와 EPA와 같은 오메가-3 지방산은 혈소판의 응집을 억제하고, 혈중 중성지방 수준을 낮춤으로써 관상동맥 및 심혈관계 질환위험을 감소시킨다. 또한 혈압 상승을 억제하며 류머티스성 관절염의 염증 완화효과가 제시되었다.
특히, ALA(alpha-linolenic acid), EPA, DHA 등 긴사슬 다중불포화지방산(Long chain poly-unsaturated fatty acids)에 대해서는 영양학적 측면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역학조사 및 인체와 동물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 이들 오메가-3 지방산들이 혈관확장작용, 혈소판 응집 억제, 뇌경색방지작용, 혈중 HDL-콜레스테롤의 증가 및 LDL-콜레스테롤 감소작용, 심근경색방지작용 등 다양한 순환기 계통 질병의 예방 및 개선 등에 매우 필수적이고 그리고 큰 역할을 하는 것이 보고되면서 더욱 인체에 중요한 지방산으로 부각되기에 이르렀다.
이외에도 이들 오메가-3 지방산은 ADHD(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완화, 노화에 따른 인지능력장애의 개선, 우울증(depression) 개선, 심지어 최근에는 이들이 단순 칼슘보다 훨씬 더 골다공증(osteoporosis)의 예방 및 개선에 상당한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체내에서는 탄수화물과 단백질 등이 복잡한 대사작용을 거쳐서 포화 혹은 이중결합이 포함된 불포화 지방산이 만들어진다. 필수지방산(essential fatty acids, EFAs)이란 정상적인 발육과 생체 건강을 위해 꼭 필요하지만, 인체 내에서 합성되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외부에서 음식의 형태로 섭취해야 하는 지방산을 말하며, 대체로 이들은 탄소사슬이 길고, 이중결합이 여러 개 존재하여 인체 내 생합성이 까다로운 것들이다.
인간에게는 ALA(alpha-linolenic acid, 18:3n-3)와 오메가-6 지방산인 LA(Linoleic acid, 18:2n-6)가 대표적인 필수지방산이다. 이들은 탄소사슬 길이가 그다지 길지 않아 보통 SC-PUFA(short chain-polyunsturated fatty acids)라고 도 불리며, 이중에서 ALA는 아마씨유 같은 식물유에 많다. 조건부 필수지방산(Conditionally essential fatty acids)이란 ALA 혹은 LA에서 생합성할 수는 있지만, 활발한 발육과정에 있거나, 질병, 노화와 같은 조건에서는 외부에서 반드시 보충해 주어야 하는 지방산들을 의미하는데, 바로 여기에 오메가-3 지방산인 EPA(20:5n-3)와 DHA(22:6n-3), 그리고 오메가-6 지방산인 GLA(gamma-linolenic acid, 18:3n-6), DGLA(Dihomo-gamma-linolenic acid, 20:3n-6), AA(arachidonic acid, 20:4n-6)들이 속한다. 이들 지방산들은 탄소사슬의 길이도 상대적으로 길고, 이중결합이 여러 개 존재하여 보통 LC-PUFA(long chain-polyunsaturated fatty acids)라고 불린다. 일 반적으로 이중에서 오메가-3 지방산(DHA와 EPA)의 섭취를 늘리는 가장 좋은 방법은 어류의 섭취를 늘리는 것이 지만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그러므로 이들 오메가-3 지방산 함유 오일을 평소에 우리가 먹는 빵과 우유, 마요 네즈, 피자, 요구르트, 파스타, 과자류와 같은 보통 식품류에 보강함으로써 건강에 필요한 양을 자연스럽게 섭취하도록 하는 것이 미국, 유럽, 일본 등 여러 선진국에서 권장되며, 이외에도 연질캡슐 등의 제형으로 출시, 활발히 판매되고 있다.
특히, 2004년 미국 FDA(Food and Drug Administration)가 EPA, DHA의 오메가-3 지방산 이 여러 생선(참치, 연어, 고등어, 정어리, 멸치, 청어 등)에 다량 함유되었다는 내용은 물론 이들 필수지방산 이 혈중 중성지방수치를 낮추며, 심장병의 위험을 크게 줄이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DHA(Docosahexaenoic acid)는 탄소 원자의 개수가 22개(짝수)이며, 이중결합이 모두 6개인 불포화 지방산이다. 이 지방산은 유아의 두뇌와 신경 세포막 형성 및 유지, 정상적인 두뇌 성숙과 학습능력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동맥경화, 심근경색 등의 심혈관 질환 예방에 효과가 있으며, 체내 지방이 축적되는 것을 감소시킨다.
EPA(Eicosapentaenoic acid)는 탄소 원자의 개수가 20개(짝수)이고, 이중결합이 모두 5개인 불포화 지방산이다. 항혈전효과와 동맥경화 방지효과를 나타내는 프로스타글란딘 13(prostagalandin 13)의 전구체로 심장혈관질환인 혈전색전합병증(thromboembolic complications)을 예방하는데 효과가 있다.
두 지방산의 구조적 공통점은 오메가 탄소 원자에서부터 셈을 해보면 3번째 탄소에 첫 번째 이중결합이 존재(오 메가-3)한다는 것과 존재하는 이중결합이 모두 시스(cis) 구조를 하고 있다는 점이다.
식품으로 섭취하게 되는 이들 어류에 포함된 지질(어유)은 98% 이상 트리아실글리세롤(triacylglycerol or triglyceride, TG, 글리세롤 한 분자에 3분자의 지방산이 에스테르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 보통 유지(지방(fat) 혹은 오일(oil))라고 불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성지질의 분해는 일단 소화관의 물리적 작용과 간에서 합성, 담낭에 저장된 후 분비되는 다량의 쓸개즙에 의해 유화(emulsification)가 이루어진 후, 췌장에서 만들어져 십이지장으로 분비되는 췌장 리파아제(pancreatic lipase)의 작용에 의해 글리세롤과 지방산의 에스테르 결합이 가수분해되면서 이루어지며, 결과적으로 유리 지방산과 모노아실글리세롤들이 주로 생산된다.
중성지방이 이렇게 소화되어 장내로 확산되기 전에는 대체로 모노아실글리세롤, 유리지방산, 글리세롤의 형태로 되며 비로 소 소장 상피로 확산, 흡수된다고 알려져 있다. 대체로 중성지방의 소화와 흡수는 탄수화물과 단백질 등 다른 영양분에 비해 더디고 흡수율 또한 상당히 낮으며, 지방을 소화하기 위한 다량의 쓸개즙 분비가 대장의 상피세 포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된 바 있다.
더구나, 본 발명에서 다루는 필수불포화지방산인 DHA 혹은 EPA를 글리세롤 골격분자에서 떼어내는 소화효소는 이들 필수불포화지방산을 가장 필요로 하는 발육이 왕성한 어린이와 노약자 층에서 젊고 건강한 사람들에 비해 덜 분비되기 때문에 원활한 소화 및 흡수가 더욱 어려운 면이 있다.
본 발명에서의 EPA, DHA을 주요성분으로 하는 오메가3 성분을 함유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 방법은 n-6 지방산 함유 오일과 n-3 풍부한 오일을 함유하는 영양 보조제를 투여하는 단계로 구성되고, n-3 풍부한 오일은 고농도의 에코사펜타엔산(EPA)과 고농도의 도코사헥사엔산(DHA)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3)

  1. EPA, DHA을 주요성분으로 하는 오메가3 성분을 함유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n-6 지방산 함유 오일과 n-3 풍부한 오일을 함유하는 영양 보조제를 투여하는 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n-3 풍부한 오일은,
    고농도의 에코사펜타엔산(EPA)과 고농도의 도코사헥사엔산(DHA)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A, DHA을 주요성분으로 하는 오메가3 성분을 함유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n-6 지방산 함유 오일은,
    n-3 지방산을 추가로 포함하고,
    영양 보조제는 추가의 n-6 지방산을 포함하고, 상기 추가의 n-6 지방산은 달맞이꽃 종자유(evening primrose oil), 보라지유(borage oil), 까막까지 밥나무 씨앗 오일(black currant seed oil)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영양 보조제는 일일 분량당 1.0 g의 n-6 지방산 함유 오일, 450 ㎎의 EPA와 350 ㎎의 DHA을 제공하는 1.4 g의 n-3 풍부한 오일, 200 IU의 비타민 E, 10 ㎎의 혼합 토코페롤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n-3 풍부한 오일의 충분량을 투여하여 적어도 150-550 ㎎ EPA와 적어도 50-500 ㎎ DHA의 일일 분량을 제공하는
    EPA, DHA을 주요성분으로 하는 오메가3 성분을 함유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n-6 지방산 함유 오일 대 n-3 풍부한 오일의 중량 비율은 1:1이고,
    영양 보조제는 지용성 항산화제를 추가로 포함하고,
    영양 보조제는 d-알파-토코페롤을 추가로 포함하고,
    항산화제는 비타민 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A, DHA을 주요성분으로 하는 오메가3 성분을 함유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 방법.
KR1020230001149A 2023-01-04 2023-01-04 기억력 개선, 눈건조 개선, 혈중 중성지질 개선 및 혈행 개선을 위한epa, dha을 주요성분으로 하는 오메가3 성분을 함유한 건강보조식품 및 제조 방법 Pending KR202401094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1149A KR20240109406A (ko) 2023-01-04 2023-01-04 기억력 개선, 눈건조 개선, 혈중 중성지질 개선 및 혈행 개선을 위한epa, dha을 주요성분으로 하는 오메가3 성분을 함유한 건강보조식품 및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1149A KR20240109406A (ko) 2023-01-04 2023-01-04 기억력 개선, 눈건조 개선, 혈중 중성지질 개선 및 혈행 개선을 위한epa, dha을 주요성분으로 하는 오메가3 성분을 함유한 건강보조식품 및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09406A true KR20240109406A (ko) 2024-07-11

Family

ID=91924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1149A Pending KR20240109406A (ko) 2023-01-04 2023-01-04 기억력 개선, 눈건조 개선, 혈중 중성지질 개선 및 혈행 개선을 위한epa, dha을 주요성분으로 하는 오메가3 성분을 함유한 건강보조식품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10940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209953A1 (en) Glycerid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Chen et al. Design of foods with bioactive lipids for improved health
DE69935995T2 (de) Polyungesättigen fettsäuren nährungsergänzung
Sardesai The essential fatty acids
US8729123B2 (en) Nutrition containing fat blend
Uauy-Dagach et al. Nutritional role of omega-3 fatty acids during the perinatal period
KR20030031501A (ko) 비타민 k 및 필수 지방산
JPH044358B2 (ko)
KR20050040127A (ko) 안구 건조증, 건판선염, 구내 건조증의 치료를 위한epa와 dha 풍부한 오메가-3 보충제
EP2509431B1 (en) Balanced fat composition and use thereof in a liquid nutritional composition suitable for enteral feeding
JP2006083136A (ja) ストレスに起因する脳機能の低下およびそれに伴う症状あるいは疾患の予防又は改善作用を有する組成物
JP4993852B2 (ja) ストレスに起因する行動異常を伴う症状あるいは疾患の予防又は改善作用を有する組成物
Guesnet et al. Modifying the n− 3 fatty acid content of the maternal diet to determine the requirements of the fetal and suckling rat
Abozid et al. Effect of omega 3 fatty acids family in human health
JP4522075B2 (ja) 血管の老化に起因する症状あるいは疾患の予防又は改善作用を有する組成物
KR20240109406A (ko) 기억력 개선, 눈건조 개선, 혈중 중성지질 개선 및 혈행 개선을 위한epa, dha을 주요성분으로 하는 오메가3 성분을 함유한 건강보조식품 및 제조 방법
Bhat Functional Lipids as Nutraceuticals: A Review
Demmelmair et al. Influence of formulas with borage oil or borage oil plus fish oil on the arachidonic acid status in premature infants
Guilliams Fatty Acids: Essential… Therapeutic
CA3135250A1 (en) Stable emulsified vitamin and omega fatty acid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AU2004245844A1 (en) Novel method of deodorization for fat odor and compsoition obtained by the same
Hendricks et al. Significance of milk fat in infant formulae
Shahidi Functional and nutraceutical lipids
Nishizawa et al. Effect of dietary DHA on DHA levels in retinal rod outer segments in young versus mature rats
Borgaonkar et al. Review on omega-3 fatty acid in relation to DHA Docosahexanoic ac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