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109118A - Self supporting type heavyweight high altitude lifting apparatus and installation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Self supporting type heavyweight high altitude lifting apparatus and installation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09118A
KR20240109118A KR1020230000880A KR20230000880A KR20240109118A KR 20240109118 A KR20240109118 A KR 20240109118A KR 1020230000880 A KR1020230000880 A KR 1020230000880A KR 20230000880 A KR20230000880 A KR 20230000880A KR 20240109118 A KR20240109118 A KR 20240109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ifting
lifting frame
block
ja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08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안진
박장익
오종철
Original Assignee
대륜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륜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륜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00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09118A/en
Publication of KR20240109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09118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8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depositing loads in desired attitudes or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stand-alone type super heavy material high-altitude lifting device and an installation method thereof. A stand-alone type high-altitude lifting device for a heavy object comprises: a lifting frame including a passage formed on a side portion and an internal space connected to the passage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in a lower portion; a variable crane module disposed on an upper end of the lifting frame to be stretch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formed to horizontally move a towing ring inside and outside the lifting frame; a frame tower towed by the variable crane module, inserted into the lifting frame through the passage, and composed of n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frame blocks stacked and assembled below the lifting frame through the opening; a vertical rail unit in which unit rails formed in each of the n frame blocks are connect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rranged along the frame tower; and a towing jack module detachably coupled to the lifting fram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lifting frame on the unit rail or towing a heavy object while moving the vertical rail unit by being separated from the lifting frame to move the vertical rail unit.

Description

자립형 초중량물 고공인양 장치 및 그의 설치방법{Self supporting type heavyweight high altitude lifting apparatus and installation method for the same}Self-supporting type heavyweight high altitude lifting apparatus and installation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중량체를 수십미터 이상의 고공으로 인양가능한 초중량물 고공인양 장치와 그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설치장비 없이 스스로 설치되어 자립하는 자립형 초중량물 고공인양 장치 및 그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altitude lifting device for ultra-heavy materials capable of lifting heavy objects to an altitude of tens of meters or more and an installation method thereof.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supporting high-altitude lifting device for ultra-heavy materials that is self-installed and self-supporting without separate installation equipment and its installation. It's about method.

대형설비를 제작하는 시설에서는 중량체 인양(lifting)이 수시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수십 층 이상의 플랜트를 건조하는 건설현장이나, 대형선박을 건조하는 야드 등에서 수십 톤 이상의 무게를 갖는 초중량물(예, 선박블록 등)들이 상당한 높이로 인양된다.In facilities that manufacture large-scale equipment, lifting of heavy objects occurs frequently. For example, at construction sites where plants with dozens of floors or more are being built, or yards where large ships are being built, ultra-heavy objects (e.g., ship blocks, etc.) weighing more than tens of tons are lifted to a considerable height.

이러한 초중량물 인양은 예를 들어, 골리앗 크레인 등 기 설치된 장비를 사용하여 진행할 수 있지만, 인양장비가 없는 경우에는 인양장비 자체를 설치해야 할 필요가 생긴다. 또한 적절한 인양장비 자체가 없는 상황에서도 중량체를 인양해야 할 필요는 자주 발생한다.Lifting of such ultra-heavy objects can be done using already installed equipment, such as a Goliath crane, but if there is no lifting equipment, it becomes necessary to install the lifting equipment itself. Additionally, the need to lift heavy objects often arises even in situations where there is no appropriate lifting equipment.

이와 같은 경우 일부현장에서는 이동식 크레인(예, 대한민국 특허10-2008-0038034등)의 사용도 고려할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 수십 톤 또는 그 이상의 초중량물을 수직으로 고공 인양하는 데에는 부적합하여 사용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In such cases, the use of mobile cranes (e.g., Republic of Korea Patent 10-2008-0038034, etc.) may be considered at some sites, but in practice, they are unsuitable for vertically lifting ultra-heavy objects of tens of tons or more, making them difficult to use. there is.

또한, 필요한 위치에 적합한 크레인 등을 설치하려면 부가 설치장비, 또 다른 고공인양 장비 등이 추가로 필요하기 때문에 공정이 지연되는 문제도 있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다양한 상황에서 중량체 인양이 제약되는 상황이지만 적절한 대안은 아직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of delaying the process because additional installation equipment and other high-altitude lifting equipment are required to install a suitable crane at the required location. Due to these problems, lifting heavy objects is restricted in various situations, but an appropriate alternative has not yet been proposed.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38034호, (2008. 05 02)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38034, (2008. 05 02)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별도의 설치장비 없이 스스로 설치되어 자립하는 자립형 초중량물 고공인양 장치 및 그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se problems and to provide a self-supporting ultra-heavy object aerial lifting device that is installed and stands on its own without separate installation equipment and a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에 의한 자립형 초중량물 고공인양 장치는, 측부에 형성된 통로와 상기 통로와 연결된 내부공간을 포함하고 하부에 개구가 형성된 승강프레임; 상기 승강프레임 상단에 배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신축되며 견인고리를 상기 승강프레임 내, 외부로 수평이동시킬 수 있게 형성된 가변크레인모듈; 상기 가변크레인모듈에 의해 견인되고 상기 통로를 통해 상기 승강프레임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승강프레임 하방으로 적층 조립된 n개(n은 2이상인 자연수)의 프레임블록으로 이루어진 프레임타워; n개의 상기 프레임블록 각각에 형성된 단위레일이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타워를 따라 배열된 수직레일부; 및 상기 승강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단위레일 상에서 상기 승강프레임의 위치를 조정하거나, 상기 승강프레임에서 분리되어 상기 수직레일부를 이동하며 중량물을 견인하는 견인용 잭모듈을 포함한다.The self-supporting ultra-heavy object high-altitud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fting frame including a passage formed on a side and an internal space connected to the passage and an opening formed at the lower portion; A variable crane module disposed at the top of the lifting frame, expanding and contrac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configured to horizontally move the tow hook into and out of the lifting frame; A frame tower composed of n frame blocks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towed by the variable crane module, introduced into the lifting frame through the passage, and stacked and assembled below the lifting frame through the opening; a vertical rail unit in which unit rails formed in each of the n frame blocks are connect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rranged along the frame tower; And a towing jack module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ifting fram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lifting frame on the unit rail, or is separated from the lifting frame to move the vertical rail portion and tow a heavy object.

상기 가변크레인모듈은, 상기 승강프레임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말단이 상기 승강프레임 외측으로 배치된 수평가이드바, 및 3개의 절점을 가지며 절점마다 풀리가 배치되며 제1절점이 상기 수평가이드바에 고정되고 제2절점이 상기 수평가이드바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견인고리를 수평이동시키는 2절링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variable crane module has a horizontal guide bar that protrud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top of the lifting frame and has an end disposed outside the lifting frame, and three nodes. A pulley is disposed at each node, and the first node is fixed to the horizontal guide bar. And the second node may include a two-bar link portion that slides along the horizontal guide bar to horizontally move the tow hook.

상기 가변크레인모듈은, 양단 사이에 상기 2절링크부의 제3절점을 두고 신축되어 상기 2절링크부의 벌어진 정도를 조절하는 간격제어용 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ariable crane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gap control cylinder that expands and contracts with the third node of the two-section link portion between both ends to adjust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two-section link portion.

상기 간격제어용 실린더는, 상기 프레임블록 견인 시 상기 제2절점의 수평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제1절점과 상기 제2절점 사이에 작용하는 하중의 작용점을 상기 견인용 잭모듈과 중첩시킬 수 있다.The spacing control cylinder can adjust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second node when towing the frame block so that the point of application of the load acting between the first node and the second node overlaps with the towing jack module.

상기 견인용 잭모듈은, 상하로 분리되어 상기 수직레일부를 가압고정하는 하단잭과 상단잭 및 상기 하단잭과 상단잭간 거리를 조정하는 조정실린더를 포함하여, 상기 하단잭과 상기 상단잭의 거리 변동에 의해 상기 수직레일부를 따라 승강될 수 있다.The towing jack module is separated up and down and includes a lower jack and an upper jack that pressurize and fix the vertical rail portion, and an adjustment cylinder that adjusts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jack and the upper jack, changing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jack and the upper jack. It can be lifted and lowered along the vertical rail portion.

상기 승강프레임은, 상기 프레임블록을 둘러싸며, 하나의 상기 프레임블록과 다른 하나의 상기 프레임블록 일부를 적층시켜 수직방향으로 동시에 수용가능한 길이를 갖는 사각프레임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프레임블록과 구름접촉하는 롤러서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ifting frame surrounds the frame block and is formed as a square frame having an acceptable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stacking one frame block and a portion of another frame block, and the frame block and the cloud are placed on the inside. It may further include a contact roller support.

본 발명에 의한 자립형 초중량물 고공인양 장치의 설치방법은, 상기 자립형 초중량물 고공인양 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승강프레임 내부에 n개(n은 2이상인 자연수)의 상기 프레임블록 중 일 프레임블록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변크레인모듈로 타 프레임블록을 견인하는 단계; (b) 상기 승강프레임을 상기 일 프레임블록에 형성된 상기 단위레일을 따라 수직이동시켜 상기 승강프레임 하단을 상기 일 프레임블록의 상단까지 상승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승강프레임을 고정하고 상기 가변크레인모듈로 상기 타 프레임블록을 상기 승강프레임 내부로 인입하고, 상기 승강프레임 내부에서 상기 타 프레임블록의 하단을 상기 일 프레임블록 상단에 연결하여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of installing the self-supporting aerial lifting device for ultra-heavy obj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frame blocks inside the lifting frame; With one of the frame blocks arranged, towing the other frame block with the variable crane module; (b) vertically moving the lifting frame along the unit rail formed in the one frame block to raise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frame to the top of the one frame block; and (c) fixing the lifting frame, inserting the other frame blocks into the lifting frame with the variable crane module, and connecting the lower end of the other frame block to the upper end of the one frame block inside the lifting frame to stack them. Includes steps.

상기 (c)단계의 가변크레인모듈은, 상기 견인고리를 상기 승강프레임 내부로 수평이동시키며 상기 타 프레임블록의 높이를 변경하지 않고 상기 승강프레임의 측부를 통해 상기 타 프레임블록을 상기 승강프레임 내부로 인입할 수 있다.The variable crane module in step (c) moves the tow hook horizontally into the lifting frame and moves the other frame block into the lifting frame through the side of the lifting frame without changing the height of the other frame block. can be brought in.

상기 (a)단계 이전에, 상기 승강프레임이 지상에 위치하고 내부가 비어있는 상태에서, 상기 가변크레인모듈로 n개의 상기 프레임블록 중 어느 하나를 견인하여 상기 승강프레임 내부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Before step (a), with the lifting frame located on the ground and empty inside, the step of towing any one of the n frame blocks with the variable crane module and placing it inside the lifting frame. You can.

상기 (c)단계 이후, 상기 승강프레임 내부에서 n번째 프레임블록의 하단을 n-1번째 프레임블록 상단에 연결하여 상기 프레임타워를 형성하고, 상기 승강프레임을 상기 n-1번째 프레임블록에 형성된 상기 단위레일을 따라 하강시켜 상기 프레임타워 상단에 안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fter step (c), the frame tower is formed by connecting the bottom of the nth frame block to the top of the n-1th frame block inside the lifting frame, and the lifting frame is formed in the n-1th frame block. It may further include descending along the unit rail and seating it on the top of the frame tower.

상기 승강프레임이 상기 프레임타워 상단에 안착된 이후, 상기 승강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견인용 잭모듈을 상기 승강프레임에서 분리하여, 상기 프레임타워를 따라 배열된 상기 수직레일부 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fter the lifting frame is seated on the top of the frame tower, the towing jack module detachably coupled to the lifting frame can be separated from the lifting frame and moved on the vertical rail portion arranged along the frame tower. A further step of arranging may be included.

본 발명에 의하면 필요한 위치에 다른 설치장비의 도움을 받지 않고 중량체의 수직 고공인양이 가능한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중량물의 인양이 필요한 다양한 상황에서 문제해결이 가능하고, 공정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설치장비 없이 스스로 설치되고 자립하기 때문에, 비용이 감소하고 운용도 자유롭다. 또한 본 발명의 고공인양 장치는 높이를 원하는 대로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상황에 적합한 구조로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정형화되지 않은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evice capable of vertically lifting a heavy body at a high altitude can be installed at a necessary location without the help of other installation equipmen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olve problems in various situations where heavy objects need to be lifted, and the process can proceed quickly. In addition, because it is installed and stands on its own without separate installation equipment, costs are reduced and operation is free. In addition, the high-altitude lif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by adjusting the height as desired, so it can efficiently perform work with a structure suitable for the situation and can be used in a variety of non-standard situ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립형 초중량물 고공인양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고공인양 장치의 적용가능한 배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고공인양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고공인양 장치의 견인용 잭모듈의 작동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립형 초중량물 고공인양 장치의 설치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1의 승강프레임과 프레임모듈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승강프레임에 배치된 가변크레인모듈의 작동도이다.
도 10은 승강프레임 안에 첫번째 프레임블록을 배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1은 승강프레임 안에 일 프레임블록이 배치된 상태에서 타 프레임블록을 견인한 승강프레임이 단위레일을 따라 상승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2는 승강프레임 안에 타 프레임블록을 인입하고 승강프레임 내부에서 타 프레임블록과 일 프레임블록을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3은 n번째 프레임블록을 조립하고 승강프레임을 완성된 프레임타워 상단에 안착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lf-supporting ultra-heavy object high-altitud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licable arrangement of the high-altitude lifting device of Figure 1.
Figures 3 and 4 are diagrams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high-altitude lifting device of Figure 2.
Figures 5 and 6 are operational diagrams of the towing jack module of the high-altitude lifting device.
Figure 7 is a flowchart showing the installation method of a self-supporting ultra-heavy object aerial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lifting frame and frame module of Figure 1.
Figure 9 is an operational diagram of the variable crane module disposed on the lifting frame of Figure 8.
Figure 10 is an operational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placing the first frame block in the lifting frame.
Figure 11 is an operational diagram showing the process in which the lifting frame, towed by another frame block, rises along the unit rail while one frame block is placed in the lifting frame.
Figure 12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inserting another frame block into the lifting frame and assembling one frame block with another frame block inside the lifting frame.
Figure 13 is an operational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nth frame block and seating the lifting frame on the top of the completed frame tower.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 present embodiments are only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provide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merely defined by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립형 초중량물 고공인양 장치 및 그의 설치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고공인양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 후, 그를 바탕으로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고공인양 장치의 설치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3, the self-supporting ultra-heavy object aerial lifting device and its install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irst, the aerial lifting de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and then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aerial lifting de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3.

먼저 자립형 초중량물 고공인양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First, the self-supporting ultra-heavy object high-altitude lifting de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립형 초중량물 고공인양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고공인양 장치의 적용가능한 배치를 예시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lf-supporting high-altitude lifting device for ultra-heavy obje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licable arrangement of the high-altitude lifting device of Figure 1.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자립형 초중량물 고공인양 장치(1)(이하, 고공인양 장치)는 복수의 프레임블록(20)이 조립되어 형성된 프레임타워(20-1)를 포함한다. 프레임타워(20-1)의 높이는 프레임블록(20)의 개수에 따라 조절된다. 따라서 프레임블록(20)의 수를 늘려 원하는 높이의 프레임타워(20-1)를 형성하고 프레임타워(20-1)를 따라 중량체를 인양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self-supporting ultra-heavy object aerial lifting device 1 (hereinafter referred to as aerial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tower 20-1 formed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frame blocks 20. The height of the frame tower (20-1)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frame blocks (20). Therefore, by increasing the number of frame blocks 20, a frame tower 20-1 of a desired height can be formed and a heavy body can be lifted along the frame tower 20-1.

프레임타워(20-1) 상단에는 승강프레임(10)이 배치된다. 프레임블록(20)은 승강프레임(10)의 내부에서 조립되며 승강프레임(10)을 지지하는 지지체로도 기능한다. 따라서 승강프레임(10)은 프레임블록(20)의 상단으로 이동하여 하방으로 프레임블록(20)을 적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승강프레임(10)으로 고공작업이 가능하므로 다른 장비(크레인 등)의 도움을 받지 않고 자체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An elevating frame (10) is placed at the top of the frame tower (20-1). The frame block 20 is assembled inside the lifting frame 10 and also functions as a support body for supporting the lifting frame 10. Therefore, the lifting frame 10 can move to the top of the frame block 20 and stack the frame blocks 20 downward. Because of thi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working at high altitudes with the lifting frame 10, so it can be installed on its own without the help of other equipment (cranes, etc.).

또한 고공인양 장치(1)는 승강프레임(10)에 배치된 가변크레인모듈(110)이 수평방향으로 신축되며 견인 시 프레임블록(20)의 하중을 분산시키고 프레임블록(20)을 가능한 최단경로로 조립공간(승강프레임 내부)에 공급한다. 따라서 설치공정도 더욱 빠르고 효율적으로 진행된다.In addition, the high-altitude lifting device (1) has a variable crane module (110) placed on the lifting frame (10) that expands and contract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istributes the load of the frame block (20) during towing, and moves the frame block (20) along the shortest possible path. It is supplied to the assembly space (inside the lifting frame). Therefore, the installation process progresses more quickly and efficiently.

이러한 본 발명의 고공인양 장치(1)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고공인양 장치(1)는, 측부에 형성된 통로(11)와 통로(11)와 연결된 내부공간을 포함하고 하부에 개구(12)가 형성된 승강프레임(10), 승강프레임(10) 상단에 배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신축되며 견인고리(117)를 승강프레임 내, 외부로 수평이동시킬 수 있게 형성된 가변크레인모듈(110), 가변크레인모듈(110)에 의해 견인되고 상기 통로(11)를 통해 승강프레임(10) 내부로 인입되어 개구(12)를 통해 승강프레임(10) 하방으로 적층 조립된 n개(n은 2이상인 자연수)의 프레임블록(20)으로 이루어진 프레임타워(20-1), n개의 프레임블록(20) 각각에 형성된 단위레일(30)이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 프레임타워(20-1)를 따라 배열된 수직레일부(30-1), 및 승강프레임(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단위레일(30) 상에서 승강프레임(10)의 위치를 조정하거나, 승강프레임(10)에서 분리되어 수직레일부(30-1)를 이동하며 중량물을 견인하는 견인용 잭모듈(210)을 포함한다(도 1에서 견인용 잭모듈은 승강프레임에서 분리 상태로 도시되었다).The high-altitude lifting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follows. The high-altitude lifting device (1) includes a passage (11) formed on the side and an internal space connected to the passage (11), a lifting frame (10) with an opening (12) formed at the bottom, and is disposed at the top of the lifting frame (10). The variable crane module 110 is expan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formed to horizontally move the tow hook 117 into and out of the lifting frame. It is towed by the variable crane module 110 and the lifting frame ( 10) A frame tower (20-1) consisting of n frame blocks (20) (n is a natural number equal to or greater than 2) that ar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and stacked and assembled downward to the lifting frame (10) through the opening (12), n frames. The unit rails 30 formed in each block 20 are conn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vertical rail portion 30-1 arranged along the frame tower 20-1 and the lifting frame 10. It includes a towing jack module 210 that adjusts the position of the lifting frame 10 on the unit rail 30 or separates from the lifting frame 10 and moves the vertical rail part 30-1 to tow a heavy object. (In Figure 1, the towing jack module is shown separated from the lifting fr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의하면, 가변크레인모듈(110)은 승강프레임(10)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말단이 승강프레임(10) 외측으로 배치된 수평가이드바(114), 및 3개의 절점(도 8의 111, 112, 113참조)을 가지며 절점마다 풀리(도 8의 115참조)가 배치되며 제1절점(111)이 수평가이드바(114)에 고정되고 제2절점(112)이 수평가이드바(114)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견인고리(117)를 수평이동시키는 2절링크부(110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양단 사이에 2절링크부(110a)의 제3절점(도 8의 113참조)을 사이에 두고 신축되어 2절링크부(110a)의 벌어진 정도를 조절하는 간격제어용 실린더(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riable crane module 110 includes a horizontal guide bar 114 that protrud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top of the lifting frame 10 and whose end is disposed outside the lifting frame 10, and three joints ( 8) and a pulley (see 115 in FIG. 8) is disposed at each node. The first node 111 is fixed to the horizontal guide bar 114 and the second node 112 is a horizontal guide. It may include a two-section link part (110a) that slides along the bar (114) to horizontally move the tow hook (117). 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gap control cylinder 116 that expands and contracts between both ends across the third node of the two-bar link part 110a (see 113 in FIG. 8) to adjust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two-bar link part 110a. can do.

또한 견인용 잭모듈(210)은, 상하로 분리되어 수직레일부(30-1)를 가압고정하는 하단잭(도 3의 212참조)과 상단잭(도 3의 211참조) 및 하단잭과 상단잭의 거리를 조정하는 조정실린더(도 3의 213, 214참조)를 포함하여, 하단잭과 상단잭의 거리 변동에 의해 수직레일부(30-1)를 따라 승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wing jack module 210 is separated up and down and includes a lower jack (see 212 in FIG. 3) and an upper jack (see 211 in FIG. 3) that pressurize and fix the vertical rail portion (30-1), and a lower jack and an upper jack. Including an adjustment cylinder (see 213 and 214 in FIG. 3) that adjusts the distance of the jack, it can be lifted along the vertical rail portion 30-1 by changing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jack and the upper jack.

도 1에서 견인용 잭모듈(210)은 승강프레임(10)에서 분리되어 중량물을 인양하기 위해 준비된 상태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견인용 잭모듈(210)은 필요한 경우(예, 장치를 설치 시나 해체 시)에는 언제든지 승강프레임(10)에 재결합하여 승강프레임(10)의 위치조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In Figure 1, the towing jack module 210 is shown separated from the lifting frame 10 and prepared to lift a heavy object. However, the towing jack module 210 can be reconnected to the lifting frame 10 at any time when necessary (e.g., when installing or dismantling the device) and use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lifting frame 10.

이하,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based o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을 참조하면, 승강프레임(10)은 측부에 형성된 통로(11)와 통로(11)와 연결된 내부공간을 포함한다. 승강프레임(10)은 복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구조체일 수 있고 프레임을 적절히 구성하여 통로(11)를 형성할 수 있다. 승강프레임(10)은 하부에 내부공간과 연결된 개구(1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lifting frame 10 includes a passage 11 formed on the side and an internal space connected to the passage 11. The lifting frame 10 may be a structu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frames, and the passage 11 may be formed by appropriately configuring the frames. The lifting frame 10 includes an opening 12 at the bottom connected to the internal space.

승강프레임(10)의 내부공간은 프레임블록(20)이 하나이상 진입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공간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블록(20)과 다른 프레임블록(20)의 일부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승강프레임(10) 내부공간은 두 프레임블록(20)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조립공간으로 사용된다.The internal space of the lifting frame 10 may be sized to allow one or more frame blocks 20 to enter. For example, the internal space may have a length that can accommodate at least one frame block 20 and a portion of another frame block 20 at the same time. The inner space of this lifting frame (10) is used as an assembly space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two frame blocks (20).

승강프레임(10)은 하단에 외측으로 연장된 지지대(15)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15)는 본 발명 설치공정 시작단계에서 승강프레임(10)이 지면(또는 지상의 베이스)을 지지하는 데 사용된다. 그러한 한도 내에서 지지대(15)의 형상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도 있다.The lifting frame 10 may include a support 15 extending outward at the bottom. The support 15 is used to support the lifting frame 10 from the ground (or base on the ground) at the beginning of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such limits, the shape of the support 15 may be modified into other forms.

승강프레임(10) 일 측에는 작업용 데크(17)도 배치될 수 있다. 작업용 데크(17)는 작업인력의 작업공간과 이동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작업용 데크(17)는 승강프레임(10)상의 적절한 지점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도면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나 다만, 승강프레임(10)의 통로(11)와 개구(12)와는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작업용 데크(17)는 도시된 것처럼 지지대(15)상에 지지대(15)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데크 상에는 난간 등의 구조물도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데크의 형상은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하므로 도면은 예시적이며, 필요한 경우 승강프레임의 다른 지점에 데크를 추가로 배치할 수도 있다.A work deck 17 may also be placed on one side of the lifting frame 10. The work deck 17 can provide a work space and movement path for workers. The work deck 17 can be placed at an appropriate point on the lifting frame 10, so it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 but is installed in a position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passage 11 and the opening 12 of the lifting frame 10. It is desirable to be Therefore, the work deck 17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upport 15 on the support 15 as shown. Structures such as railings may also be formed on the deck. Since the shape of the deck can be modified to any extent, the drawing is illustrative, and if necessary, additional decks can be placed at other points in the lifting frame.

승강프레임(10)은 상단에 루프(13)(지붕)와 같은 지지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루프(13) 중앙에는 예를 들어, 외측으로 입출가능한 절개부나 홈이 있을 수 있다(가변크레인모듈과 중첩되어 가려져 있음). 따라서 해당 구조를 통해 견인고리(117)와 와이어(118)가 승강프레임 내측으로 진입될 수 있다(도 9의 동작 참조). 필요한 경우 루프(13) 상단에 가변크레인모듈(110)과 간섭되지 않는 보강구조를 형성하여 루프(13)의 강성을 보완해 줄 수도 있다.The lifting frame 10 may have a support structure such as a roof 13 (roof) formed at the top. For example, there may be a cutout or groove in the center of the loop 13 that can be entered and removed from the outside (hidden by overlapping with the variable crane module). Therefore, the tow hook 117 and wire 118 can enter the inside of the lifting frame through the structure (see operation in FIG. 9). If necessary, the rigidity of the roof 13 can be supplemented by forming a reinforcing structure on the top of the roof 13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variable crane module 110.

가변크레인모듈(110)은 승강프레임(10) 상단에 배치된다. 가변크레인모듈(110)은 수평방향으로 신축되며 견인고리(117)를 승강프레임(10) 내, 외부로 수평이동시킬 수 있게 형성된다. 가변크레인모듈(110)은 와이어(118)를 이용하여 견인하는 구조일 수 있으며 따라서 와이어(118)가 지상의 베이스(40)에 배치된 윈치(41)에 연결될 수 있다. 견인고리(117)는 와이어(118) 말단에 배치될 수 있다.The variable crane module 110 is placed at the top of the lifting frame 10. The variable crane module 110 expands and contract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configured to horizontally move the tow hook 117 into and out of the lifting frame 10. The variable crane module 110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towed using a wire 118, and therefore the wire 118 may be connected to the winch 41 disposed on the base 40 on the ground. The traction hook 117 may be disposed at the end of the wire 118.

가변크레인모듈(110)은 예를 들어 루프(13)의 절개부나 홈과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가변크레인모듈(110) 자체가 절개부위 양 측을 지지하는 보강구조로 기능할 수 있다. 절개부는 예를 들어 수평가이드바(114) 안쪽에 위치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variable crane module 110 may be arranged to overlap the cutout or groove of the roof 13. The variable crane module 110 itself may function as a reinforcing structure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incision area. For example, the cutout may be located inside the horizontal guide bar 114.

보다 구체적으로, 가변크레인모듈(110)은 승강프레임(10)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말단이 승강프레임 외측으로 배치된 수평가이드바(114)와, 3개의 절점을 가지며 절점마다 풀리가 배치된 2절링크부(110a)를 포함한다. 2절링크부(110a)는 제1절점이 수평가이드바(114)에 고정되고 제2절점이 수평가이드바(114)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견인고리(117)를 수평 이동시킨다.More specifically, the variable crane module 110 has a horizontal guide bar 114 that protrud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top of the lifting frame 10 and has an end disposed outside the lifting frame, three nodes, and a pulley is disposed at each node. Includes a two-section link portion (110a). The first node of the two-bar link unit (110a) is fixed to the horizontal guide bar 114, and the second node slides along the horizontal guide bar 114 to horizontally move the traction hook 117.

2절링크부(110a)는 각 절점에 풀리를 포함하며 와이어(118)는 풀리를 따라 연장된다. 2절링크부는 가변되므로 풀리를 따라 연장되는 와이어(118)의 배치와, 와이어(118) 말단의 견인고리(117) 위치도 2절링크부(110a)의 변형에 따라 변경된다. 특히 2절링크부(110a)의 벌어진 정도를 조절하는 간격제어용 실린더(116)로 2절링크부(110a)를 변형하고 풀리가 배치된 절점[특히 제2절점(도 9의 112참조)]아래 매달린 견인고리(117)를 수평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승강프레임(10)의 내 외부로 견인고리(117)을 입출하며 프레임블록을 인입할 수 있다. 가변크레인모듈(110)의 구체적인 구조와 동작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설치방법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two-section link portion 110a includes a pulley at each node, and the wire 118 extends along the pulley. Since the double-bar link portion is variable, the arrangement of the wire 118 extending along the pulley and the position of the traction hook 117 at the end of the wire 118 also change depending on the deformation of the double-bar link portion (110a). In particular, the two-bar link part (110a) is transformed with the interval control cylinder 116 that adjusts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two-bar link part (110a), and the pulley is disposed below the node (particularly the second node (see 112 in FIG. 9)). The hanging towing hook (117) can be moved horizontally. Through this, the frame block can be retracted by inserting and retracting the tow hook 117 into and out of the lifting frame 10. The specific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variable crane module 1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later.

프레임타워(20-1)는 승강프레임(10) 내부에서 조립된 복수의 프레임블록(20)으로 형성된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변크레인모듈(110)에 의해 견인되고, 승강프레임(10) 측부의 통로(11)를 통해 승강프레임(10) 내부로 인입되어(도 11 및 도 12참조), 승강프레임(10) 하부의 개구(12)를 통해 승강프레임(10) 하방으로 적층 조립된 n개(n은 2이상인 자연수로서, 이는 하중을 고려하여 필요한만큼 늘릴 수 있다)의 프레임블록(20)으로 프레임타워(20-1)를 형성할 수 있다.The frame tower 20-1 is formed of a plurality of frame blocks 20 assembled inside the lifting frame 10. That is, as described later, it is towed by the variable crane module 110 and introduced into the lifting frame 10 through the passage 11 on the side of the lifting frame 10 (see FIGS. 11 and 12), thereby forming the lifting frame. (10) A frame made of n frame blocks 20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which can be increased as necessary considering the load) stacked and assembled downwards of the lifting frame 10 through the opening 12 in the lower part. A tower (20-1) can be formed.

프레임타워(20-1)는 프레임블록(20)의 개수에 따라 길이가 바뀌므로, 중량물을 인양하기 위해 필요한 높이까지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승강프레임(10)을 승강시키며 프레임블록(20)을 적층 조립하는 방식으로 자체적으로 설치되므로 보다 쉽게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타워(20-1)의 조립방법이 포함된 장치의 설치방법은 후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Since the length of the frame tower 20-1 changes depending on the number of frame blocks 20, the length can be increased to the height required to lift heavy objects. In addition, it can be installed more easily because it is installed by itself by lifting the lifting frame 10 and assembling the frame blocks 20 by stacking them.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device, including the assembly method of the frame tower 20-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수직레일부(30-1)는 n개의 프레임블록(20)(즉 프레임타워를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블록 전체) 각각에 형성된 단위레일(30)이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 프레임타워(20-1)를 따라 배열된다. 수직레일부(30-1)는 각 프레임블록(20)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단위레일(30)들의 연결체일 수 있다. 수직레일부(30-1)는 프레임블록(20)을 조립할 때 함께 조립되며 전체길이는 프레임타워(20-1)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The vertical rail unit 30-1 is a frame tower 20-1 in which unit rails 30 formed on each of the n frame blocks 20 (i.e., all of the plurality of frame blocks constituting the frame tower) are conn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arranged according to The vertical rail portion 30-1 may be a connection body of unit rails 30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each frame block 20. The vertical rail portion 30-1 is assembled together when assembling the frame block 20, and the overall length may be the same as the length of the frame tower 20-1.

도시된 것처럼 프레임블록(20)에 단위레일(30)은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단위레일(30)의 쌍들이 연결된 수직레일부(30-1) 역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단위레일(30)의 쌍을 늘릴 수 있고, 수직레일부(30-1)의 개수도 증가시킬 수 있다. 또는 프레임블록(20)의 여러 면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면에 복수의 단위레일(30)을 형성하고 수직레일부(30-1) 역시 서로 다른 면에 복수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양한 방식으로 수직레일부(30-1)의 개수나 배치를 변형시킬 수 있다.As shown, unit rails 30 may be arranged in pairs on the frame block 20. Accordingly, the vertical rail portions 30-1 to which pairs of unit rails 30 are connected may also be arranged in pairs. If necessary, the pair of unit rails 30 can be increased, and the number of vertical rail parts 30-1 can also be increased.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use multiple surfaces of the frame block 20 to form a plurality of unit rails 30 on different surfaces and to arrange a plurality of vertical rail parts 30-1 on different surfaces. The number or arrangement of the vertical rail portions 30-1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견인용 잭모듈(210)은 이러한 수직레일부(30-1)를 따라 움직이며 중량물을 인양한다. 견인용 잭모듈(210)은 전술한 것처럼 승강프레임(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다른 기능을 할 수 있다. 견인용 잭모듈(210)은, 승강프레임(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장치의 설치 및 해체 시)각 프레임블록(20)의 단위레일(30) 상에서 승강프레임(10)의 위치를 조정하거나(도 8 및 도 11참조), (설치완료 후)도 1처럼 승강프레임(10)에서 분리되어, 수직레일부(30-1)를 이동하며 중량물을 견인할 수 있다.The towing jack module 210 moves along the vertical rail portion 30-1 and lifts heavy objects. As described above, the towing jack module 21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ifting frame 10 and can perform different functions as needed. The towing jack module 21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ifting frame 10 and adjusts the position of the lifting frame 10 on the unit rail 30 of each frame block 20 (when installing and dismantling the device). Alternatively, (see FIGS. 8 and 11),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lifting frame 10 as shown in FIG. 1 (after installation is completed), and heavy objects can be towed by moving the vertical rail portion 30-1.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고공인양 장치(1)를 구성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중량물을 인양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이하 고공인양 장치(1)의 사용례와 견인용 잭모듈(210)의 작동방식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In this way, the high-altitude lifting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and can be used to lift heavy objects in various ways as follows. Hereinafter, an example of the use of the high-altitude lifting device 1 an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towing jack module 2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는 도 1의 고공인양 장치의 적용가능한 배치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3및 도 4는 도 2의 고공인양 장치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고공인양 장치의 견인용 잭모듈의 작동도이다. Fig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licable arrangement of the high-altitude lifting device of Figure 1, Figures 3 and 4 are diagrams of the use state of the high-altitude lifting device of Figure 2, and Figures 5 and 6 are towing jack modules of the high-altitude lifting device. This is also the operation of .

도 2를 참조하면, 고공인양 장치(1)는 예를 들어, 한 쌍을 나란히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두 고공인양 장치(1)의 수직레일부(30-1)를 마주보게 배치하고, 수직레일부(30-1) 사이를 가로지르는 로딩 바(50)를 설치하고, 로딩 바(50)에 각 고공인양 장치(1)의 견인용 잭모듈(210)을 연결하여 로딩 바(50)에 탑재된 중량물을 상공으로 견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2, the high-altitude lifting device 1 can be used, for example, by placing a pair side by side. The vertical rail parts (30-1) of the two high-altitude lifting devices (1)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 loading bar (50) crossing between the vertical rail parts (30-1) is installed, and each of the loading bars (50) is installed. By connecting the towing jack module 210 of the high-altitude lifting device 1, a heavy object mounted on the loading bar 50 can be towed into the sky.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시이므로 이로써 한정될 필요는 없다. 필요한 경우 고공인양 장치(1)는 로딩 바(50) 없이 단독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중량물의 하중이 매우 큰 경우에는 고공인양 장치(1)의 수를 더 늘려 복수(예를 들어 셋 또는 넷 이상)의 고공인양 장치(1)를 함께 가동하면서 중량물을 인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고공인양 장치(1)는 자체설치가 가능하므로 필요한 지점에 얼마든지 쉽게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높이 조절도 가능하므로 상황에 따라 복수의 고공인양 장치(1)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However, this is an example and does not need to be limited to this. If necessary, the high-altitude lifting device (1) can be used alone without the loading bar (50). In addition, when the load of a heavy object is very large, the number of high-altitude lifting devices 1 may be further increased and the heavy object may be lifted while operating a plurality of high-altitude lifting devices 1 (for example, three or four or more) together. The high-altitude lifting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lf-installed, so it can be easily placed and used at any necessary point, and its height can be adjusted, so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plurality of high-altitude lifting devices (1) at different heights depending on the situation. possible.

예시된 배치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고공인양 장치(1)는 도 3처럼 로딩 바(50)위에 중량물(A)을 적재하고 인양할 수 있다. 이때 각 고공인양 장치(1)의 견인용 잭모듈(210)은 동시에 동기화되어 움직일 수 있다. 견인용 잭모듈(210)은 상단잭(211)과 하단잭(212)이 반복적으로 수직레일부(30-1)를 가압 고정하고 두 잭 사이의 거리가 변경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견인용 잭모듈(210)의 구체적인 동작은 후술한다(도 3의 확대도는 견인용 잭모듈의 전면을 도시한 것이다).If explained based on the illustrated arrangement, the high-altitude lifting device 1 can load and lift a heavy object A on the loading bar 50 as shown in FIG. 3. At this time, the towing jack module 210 of each high-altitude lifting device 1 can move in synchronization at the same time. The towing jack module 210 may operate in such a way that the upper jack 211 and the lower jack 212 repeatedly pressurize and fix the vertical rail portion 30-1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jacks changes. The specific operation of the towing jack module 210 will be described later (the enlarged view of FIG. 3 shows the front of the towing jack module).

한편 고공인양 장치(1)는, 도 4처럼 로딩 바(50)에 아래에 견인와이어를 이용하여 중량물(A)을 매달아 견인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가능한 다양한 견인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견인방식은 중량물(A)의 형상이나 하중, 무게중심의 위치 등을 적절히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다. Meanwhile, the high-altitude lifting device 1 may tow a heavy object A by hanging it on the loading bar 50 using a towing wire below, as shown in FIG. 4 . In addition, various possible traction methods can be applied, and the traction method can be selected by appropriately considering the shape, load, and center of gravity position of the heavy object (A).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전술한 견인용 잭모듈(210)은 다음과 같이 작동할 수 있다. 먼저 구조를 살펴보면, 견인용 잭모듈(210)은 상하로 분리된 하단잭(212)과 상단잭(211), 및 상단잭과 하단잭간 거리를 조정하는 조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하단잭(212)과 상단잭(211), 조정실린더는 모두 수직레일부(30-1)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이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수직레일부(30-1)를 사이에 두고 양 측에 배치된 제1조정실린더(213)의 쌍은 동일한 몸체나 지지체에 고정되어 서로 벌어지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5 and 6, the above-described towing jack module 210 may operate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structure, the towing jack module 210 may include a lower jack 212 and an upper jack 211 separated up and down, and an adjustment cylinder that adjusts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jack and the lower jack. The lower jack 212, the upper jack 211, and the adjustment cylinder can all be formed as a symmetrical pair with the vertical rail portion 30-1 in between. The pair of first adjustment cylinders 213 disposed on both sides with the vertical rail portion 30-1 in between may be fixed to the same body or support so as not to spread apart from each other.

조정실린더는 제1조정실린더(213)와 제2조정실린더(214)를 포함할 수 있다. 하단잭(212)과 상단잭(211)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고 제1조정실린더(213)와 제2조정실린더(214)에 의해 다음과 같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The adjustment cylinder may include a first adjustment cylinder 213 and a second adjustment cylinder 214. The lower jack 212 and the upper jack 211 have substantially the same structure and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first adjustment cylinder 213 and the second adjustment cylinder 214 as follows.

하단잭(212)과 상단잭(211)은 모두 쐐기부(210a), 빗면부(210b) 및 쐐기부(210a)와 빗면부(210b) 사이에 연결된 연결링크(210c)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쐐기부(210a)의 일 측은 수직레일부(30-1)에 면하고 타 측은 빗면이 형성되어 빗면부(210b)와 빗면 접촉할 수 있다. 빗면부(210b)는 일 측에 쐐기부(210a)의 빗면에 대응하는 빗면이 형성된 가압블록으로 형성될 수 있다. Both the lower jack 212 and the upper jack 211 are formed of a structure including a wedge portion 210a, an inclined surface portion 210b, and a connecting link 210c connected between the wedge portion 210a and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210b. It can be. One side of the wedge portion 210a faces the vertical rail portion 30-1, and the other side has an inclined surface formed so that it can contact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210b.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210b may be formed as a pressing block with an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surface of the wedge portion 210a formed on one side.

제1조정실린더(213)는 양단이 하단잭(212)의 빗면부(210b)와 상단잭(211)의 빗면부(210b)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두 빗면부(210b)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게 형성된다. 또한 제2조정실린더(214)는 양단이 하단잭(212)의 쐐기부(210a)와 상단잭(211)의 쐐기부(210a)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두 쐐기부(210a)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게 형성된다. The first adjustment cylinder 213 is vertically connected at both ends to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210b of the lower jack 212 and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210b of the upper jack 211, so that the gap between the two inclined surfaces 210b can be adjusted. is formed. In addition, the second adjustment cylinder 214 is vertically connected at both ends to the wedge portion 210a of the lower jack 212 and the wedge portion 210a of the upper jack 211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two wedge portions 210a. It is formed so that it can be formed.

이러한 구조로부터 다음과 같은 동작이 가능하다.From this structure, the following operations are possible.

먼저 도 5의 (a)처럼, 하단잭(212)만 수직레일부(30-1)에 물려 고정되고, 상단잭(211)은 풀릴 수 있다. 이때 제1조정실린더(213)는 고정상태이며, 제2조정실린더(214)는 미세조정(대략 20mm수축)을 통해 상단잭(211)의 쐐기부(210a)를 빗면부(210b) 하방으로 약간 이동시킬 수 있다. 상단잭(211)과 빗면부(210b)는 연결링크(210c)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쐐기부(210a)는 빗면부(210b) 측으로 회동하여 빗면부(210b)를 따라 빗면이 벌어져 있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상단잭(211)만 수직레일부(30-1)에서 분리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a) of Figure 5, only the lower jack 212 is fixed to the vertical rail portion 30-1, and the upper jack 211 can be released. At this time, the first adjustment cylinder 213 is in a fixed state, and the second adjustment cylinder 214 slightly adjusts the wedge portion 210a of the upper jack 211 downward to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210b through fine adjustment (approximately 20 mm contraction). It can be moved. Since the upper jack 211 and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210b are connected by a connecting link 210c, the wedge portion 210a rotates toward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210b and mov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210b in the direction where the inclined surface is widened. . Because of this, only the top jack 211 can be separated from the vertical rail portion 30-1.

이와 같이 상단잭(211)이 풀린 상태에서 도 5의 (b)와 같이, 제1조정실린더(213)와 제2조정실린더(214)를 동시에 신장(대략 320mm신장가능)시키면, 상단잭(211)은 하단잭(212)과의 간격이 증가되어 종전 위치보다 상승된다.In this state, when the upper jack 211 is released and the first adjustment cylinder 213 and the second adjustment cylinder 214 are simultaneously extended (approximately 320 mm can be extended) as shown in (b) of FIG. 5, the upper jack 211 ) is raised from the previous position as the distance from the lower jack 212 increases.

상승된 상단잭(211)은 도 5의 (c)처럼, 다시 수직레일부(30-1)에 물릴 수 있다. 이때 제2조정실린더(214)는 고정되고, 제1조정실린더(213)는 미세조정(대략 20mm수축)을 통해 상단잭(211)의 빗면부(210b)를 쐐기부(210a) 하방으로 약간 이동시킨다. 빗면작용에 의해 빗면부(210b)가 쐐기부(210a)를 가압하면 상단잭(211)은 다시 수직레일부(30-1)에 고정된다.The raised upper jack 211 can be engaged again with the vertical rail portion 30-1, as shown in (c) of FIG. 5. At this time, the second adjustment cylinder 214 is fixed, and the first adjustment cylinder 213 slightly moves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210b of the upper jack 211 downward to the wedge portion 210a through fine adjustment (approximately 20 mm contraction). I order it. When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210b presses the wedge portion 210a due to the inclined surface action, the upper jack 211 is again fixed to the vertical rail portion 30-1.

이때 도 6의 (d)와 같이, 제1조정실린더(213)를 추가로 미세조정(대략 20mm수축)하면 하단잭(212)의 빗면부(210b)가 쐐기부(210a)상방으로 약간 이동되며 하단잭(212)만 풀릴 수 있다. 상단잭(211)의 쐐기부(210a)는 제2조정실린더(214)의 고정에 의해 움직이지 않고 제1조정실린더(213)가 수축할수록 빗면부(210b)의 빗면작용에 의해 수직레일부(30-1)에 가압되므로 상단잭(211)만 수직레일부(30-1)에 물리고, 하단잭(212)은 풀리게 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d) of FIG. 6, when the first adjustment cylinder 213 is further finely adjusted (contracted by approximately 20 mm),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210b of the lower jack 212 is slightly moved upward to the wedge portion 210a. Only the bottom jack (212) can be released. The wedge portion 210a of the upper jack 211 does not move due to the fixation of the second adjustment cylinder 214, and as the first adjustment cylinder 213 contracts, the vertical rail portion ( 30-1), so only the upper jack (211) is engaged with the vertical rail portion (30-1), and the lower jack (212) is released.

이와 같이 하단잭(212)이 풀린 상태에서 도 6의 (e)와 같이, 제1조정실린더(213)와 제2조정실린더(214)를 동시에 수축(대략 300mm수축가능)시키면, 다시 하단잭(212)이 상단잭(211)과의 간격이 감소되며 종전 위치보다 상승된다.In this state, when the lower jack 212 is released and the first adjustment cylinder 213 and the second adjustment cylinder 214 are simultaneously contracted (approximately 300 mm can be contracted) as shown in (e) of Figure 6, the lower jack (approximately 300 mm can be contracted) 212) The distance from the top jack 211 is reduced and it is raised from the previous position.

상승된 하단잭(212) 역시 도 6의 (f)처럼, 다시 수직레일부(30-1)에 물릴 수 있다. 이때 제1조정실린더(213)는 고정되며, 제2조정실린더(214)는 미세조정(대략 20mm수축)을 통해 하단잭(212)의 쐐기부(210a)를 빗면부(210b) 상방으로 약간 이동시킬 수 있다. 연결링크(210c)에 의해 하단잭(212)의 쐐기부(210a)는 수직레일부(30-1) 측으로 회동하며 빗면부(210b)를 따라 빗면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하단잭(212)이 수직레일부(30-1)에 다시 고정될 수 있다.The raised lower jack 212 can also be bitten into the vertical rail portion 30-1 again, as shown in (f) of FIG. 6. At this time, the first adjustment cylinder 213 is fixed, and the second adjustment cylinder 214 moves the wedge portion 210a of the lower jack 212 slightly upward to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210b through fine adjustment (approximately 20 mm contraction). You can do it. The wedge portion 210a of the lower jack 212 rotates toward the vertical rail portion 30-1 by the connecting link 210c and mov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210b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clined surface narrows, so that the lower jack 212 It can be fixed again to this vertical rail portion (30-1).

이때 도 6의 (g)처럼, 제2조정실린더(214)를 추가로 미세조정(대략 20mm수축)하면 상단잭(211)의 쐐기부(210a)가 빗면부(210b) 하단으로 약간 이동되며 상단잭(211)만 풀리게 된다. 이를 통해 다시 도 5의 (a)와 동일한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으로 견인용 잭모듈(210)의 수직이동 시퀀스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반복함으로써 톤 단위의 중량체를 반복적으로 수직레일부 상에 고정하면서 고공으로 인양하는 것이 가능하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6 (g), when the second adjustment cylinder 214 is further finely adjusted (approximately 20 mm contracted), the wedge portion 210a of the upper jack 211 is slightly moved to the bottom of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210b and the upper Only Jack (211) is release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return to the same state as (a) in Figure 5. Through this operation, a vertical movement sequence of the towing jack module 210 can be configured, and by repeating this, it is possible to lift a tonne weight body to a high altitude while repeatedly fixing it on the vertical rail portion.

다만 필요한 경우 견인용 잭모듈(210)의 구조는 바뀔 수도 있으므로 이와 같이 한정하여 이해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수직레일부(30-1)를 따라 이동이 가능한 다른 형태의 승강식 잭장치, 또는 승강구조물 등을 활용하여 또 다른 형태의 견인용 잭모듈(210)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고공인양 장치(1)를 형성하고 중량물을 인양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However, if necessary, the structure of the towing jack module 210 may be changed, so there is no need to limit it to this understanding.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nother type of towing jack module 210 by using another type of lifting jack device or lifting structure that can move along the vertical rail portion 30-1. In this way, the high-altitude lifting device 1 can be formed and used to lift heavy objects.

이하,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술한 고공인양 장치의 설치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설치방법은 본 발명의 고공인양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이므로 별도 언급이 없는 한, 앞서 설명된 구성의 반복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방법 설명 중 전술한 구성에 대한 부가 또는 구체화된 설명이 있는 경우 이는 전술한 장치에 대해서도 동등하게 설명된 것으로 본다. 방법설명은 도 7의 순서도를 기준으로 필요에 따라 다른 도면을 함께 참조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Hereinafter,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high-altitude lifting de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3. Since the installation method described below is a method for installing the high-altitude lif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repetition of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However, if there is an additional or detailed explanation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n the method description, this is considered to be an equivalent explanation for the above-mentioned device. The method description is carried out based on the flow chart in FIG. 7, with reference to other drawings as necessary.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립형 초중량물 고공인양 장치의 설치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Figure 7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installing a self-supporting ultra-heavy object aerial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고공인양 장치의 설치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고공인양 장치의 설치방법은, 승강프레임 내부에 프레임타워를 구성하는 n개(n은 2이상인 자연수)의 프레임블록 중 일 프레임블록이 배치된 상태에서, 가변크레인모듈로 타 프레임블록을 견인하는 단계(S200)[단계(a)-도 10의 (d)참조], 승강프레임을 상기 일 프레임블록에 형성된 단위레일을 따라 수직이동시켜 승강프레임 하단을 상기 일 프레임블록의 상단까지 상승시키는 단계(S300)[단계(b)-도 11의 (b)참조], 및 승강프레임을 고정하고 가변크레인모듈로 상기 타 프레임블록을 승강프레임 내부로 인입하고, 승강프레임 내부에서 상기 타 프레임블록의 하단을 상기 일 프레임블록 상단에 연결하여 적층하는 단계(S400)[단계(c)-도 12참조]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7,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high-altitud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llowing steps.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high-altitude lifting device includes the step of towing the other frame block with a variable crane module, with one frame block among the n frame blocks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constituting the frame tower inside the lifting frame. (S200) [step (a) - see (d) of FIG. 10], vertically moving the lifting frame along the unit rail formed in the frame block to raise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frame to the top of the frame block (S300) ) [Step (b) - see (b) in Figure 11], and fix the lifting frame and insert the other frame block into the lifting frame with a variable crane module, and press the lower end of the other frame block inside the lifting frame. It includes a step (S400) of connecting and stacking one frame block on top (step (c) - see Figure 12).

이때 일 프레임블록과, 타 프레임블록은, 승강프레임 내부에 먼저 인입된 프레임블록과 이후 인입되는 프레임블록을 구분하기 위한 외의 다른 의미는 갖지 않는다. 따라서 복수의 프레임블록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과정에서 어느 2개의 프레임블록을 조립하는 데 상기 단계들이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단계는 n개의 프레임블록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데 반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one frame block and another frame block have no other meaning other than to distinguish between the frame block introduced first and the frame block introduced later into the lifting frame. Therefore, the above steps can be equally applied to assembling any two frame blocks in the process of sequentially stacking a plurality of frame blocks. That is, the above steps can be repeatedly applied to sequentially stack n frame block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a)단계(S200)이전에, 승강프레임이 지상에 위치하고 내부가 비어있는 상태에서, 가변크레인모듈로 n개의 프레임블록 중 어느 하나를 견인하여 승강프레임 내부에 배치하는 단계(S100)[도 10의 (c)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단계(S400)이후, 승강프레임 내부에서 n번째(즉 마지막) 프레임블록 하단을 n-1번째 프레임블록 상단에 연결하여 프레임타워를 형성하고, 승강프레임을 n-1번째 프레임블록에 형성된 단위레일을 따라 하강시켜 프레임타워 상단에 안착시키는 단계(S500)[도 13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the step (a) (S200), in a state where the lifting frame is located on the ground and the inside is empty, any one of the n frame blocks is towed with a variable crane module and placed inside the lifting frame. It may further include a placing step (S100) (see (c) of FIG. 10). In addition, after step (c) (S400), a frame tower is formed by connecting the bottom of the nth (i.e. last) frame block to the top of the n-1th frame block inside the lifting frame, and the lifting frame is connected to the n-1th frame. A step (S500) [see FIG. 13] of lowering the block along the unit rail formed on the block and seating it on the top of the frame tower may be further included.

즉 지상에서 승강프레임이 최초의 프레임블록을 내부에 배치하는 시작단계(S100)와, 상기 조립단계(S200~S400)을 반복하여 마지막(n번째) 프레임블록을 조립하고 완성된 프레임타워에 승강프레임을 결합하는 단계(S500)로 자체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승강프레임이 프레임타워 상단에 안착된 이후, 승강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견인용 잭모듈을 승강프레임에서 분리하여 프레임타워를 따라 배열된 수직레일부 상에 배치하는 단계[도 13의 (b)참조]를 더 포함하여 중량물 인양이 가능한 상태로 준비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starting step (S100) of placing the first frame block inside the lifting frame on the ground, and the assembly step (S200 to S400) are repeated to assemble the last (nth) frame block and attach the lifting frame to the completed frame tower. Self-installation can be completed by combining (S500).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ure 7, after the lifting frame is seated on the top of the frame tower, the towing jack module detachably coupled to the lifting frame is separated from the lifting frame and placed on the vertical rail portion arranged along the frame tower. By further including the step [see (b) of FIG. 13], it can be prepared for lifting heavy objects.

이하,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고공인양 장치의 설치방법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high-altitud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방법설명 전에 먼저,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장치의 설치동작과 관련된 가변크레인모듈의 구조와 동작, 승강프레임의 세부구조, 프레임블록의 연결구조를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Before explaining the method, first, referring to FIGS. 8 and 9,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variable crane module,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lifting frame,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frame block related to the installation operation of the devic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8은 도 1의 승강프레임과 프레임모듈의 확대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승강프레임에 배치된 가변크레인모듈의 작동도이다.Figure 8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lifting frame and frame module of Figure 1, and Figure 9 is an operating diagram of the variable crane module disposed on the lifting frame of Figure 8.

도 8을 참조하면, 가변크레인모듈(110)은 전술한 것처럼 승강프레임(10)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고 말단이 승강프레임(10) 외측으로 배치된 수평가이드바(114)를 포함한다. 수평가이드바(114)는 가변크레인모듈(110)의 수평방향 신축구조를 형성한다. 수평가이드바(114)는 수평방향으로 절개된 장공(114a)을 포함하여 장공(114a)을 따라 전술한 2절링크부(110a)의 제2절점(112)이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variable crane module 110 includes a horizontal guide bar 114 that protrud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top of the lifting frame 10 and whose end is disposed outside the lifting frame 10, as described above. The horizontal guide bar 114 forms a horizontal expansion structure of the variable crane module 110. The horizontal guide bar 114 includes a long hole 114a cu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second node 112 of the above-described two-section link part 110a can be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long hole 114a.

수평가이드바(114)는 적절한 길이로 승강프레임(10) 바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길이는 조정이 가능하므로 도면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수평가이드바(114)는 일 측으로 말단이 길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horizontal guide bar 114 may protrude out of the lifting frame 10 at an appropriate length. The protrusion length is adjustable, so it does not need to be limited to the drawing.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the horizontal guide bar 114 may have a long end protruding to one side.

2절링크부(110a)는 도시된 것처럼 제1절점(111), 제2절점(112), 및 제3절점(113)을 갖는다. 각 절점마다 풀리(115)가 배치되어 와이어(118)가 풀리(115)를 경유하여 연장될 수 있다. 각 절점은 풀리(115)의 축일 수 있다. 견인고리(117)는 제2절점(112)에 배치된 풀리(115)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The two-bar link portion (110a) has a first node (111), a second node (112), and a third node (113) as shown. A pulley 115 is disposed at each node so that the wire 118 can extend via the pulley 115. Each node may be an axis of the pulley 115. The traction hook 117 may be located below the pulley 115 disposed at the second node 112.

전술한 것처럼, 2절링크부(110a)는 제1절점(111)이 수평가이드바(114)에 고정되고, 제2절점(112)은 수평가이드바(114)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된다. 제2절점(112)(즉, 풀리의 축)은 장공(114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절점(112)이 도 9처럼 장공(114a)을 따라 수평가이드바(114) 상에서 평행이동 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node 111 of the two-bar link unit 110a is fixed to the horizontal guide bar 114, and the second node 112 slides along the horizontal guide bar 114. The second node 112 (i.e., the axis of the pulley) may be slidably coupled to the long hole 114a. Therefore, the second node 112 can be moved in parallel on the horizontal guide bar 114 along the long hole 114a as shown in FIG. 9.

제3절점(113)은 제1절점(111)과 제2절점(112) 사이에 위치한다. 제3절점(113)은 2절링크부(110a)가 접히거나 펴지는 중심축일 수 있다. 간격제어용 실린더(116)는 양단 사이에 2절링크부(110a)의 제3절점(113)을 두고 신축되어 2절링크부(110a)의 벌어진 정도를 조절한다. 그로 인해 도 8과 같이 2절링크부(110a)를 넓게 펼치거나, 도 9와 같이 오므려 접을 수 있다. The third node 113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node 111 and the second node 112. The third node 113 may be the central axis along which the second node link portion 110a is folded or unfolded. The gap control cylinder 116 is expanded and contracted with the third node 113 of the two-section link portion 110a between both ends to adjust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two-section link portion 110a. As a result, the two-section link portion 110a can be widened as shown in FIG. 8 or folded by being closed as shown in FIG. 9.

간격제어용 실린더(116)의 위치는 도10의 작동도를 참조할 수 있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간격제어용 실린더(116)는 양단이 제3절점(113)을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간격제어용 실린더(116)는 몸체와 피스톤이 제3절점(113)을 사이에 두고 2절링크부(110a)의 양측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각 고정점은 힌지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피스톤의 신축으로 고정점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켜 2절링크부(110a)의 벌어진 정도를 조절할 수 있고, 고정점의 힌지구조에 의해 간격제어용 실린더(116)는 2절링크부(110a)가 접철되어도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The position of the gap control cylinder 116 may refer to the operation diagram of FIG. 10. Referring to (a) of FIG. 10, the gap control cylinder 116 may be disposed at both ends with the third node 113 in between. The body and piston of the interval control cylinder 116 may be fixed to both sides of the two-node link portion 110a with the third node 113 in between. Each anchor point may be formed as a hinge. Therefore, the gap between the fixed points can be increased by expanding the piston to adjust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two-section link part (110a), and the gap control cylinder 116 has a two-section link part (110a) due to the hinge structure of the fixed point. It can maintain its posture even when folded.

간격제어용 실린더(116)가 구동되면 가변크레인모듈(110)은 제2절점(112)의 평행이동을 통해 견인고리(117)를 승강프레임(10) 내 외부로 입출시키게 된다. 전술한 것처럼 가변크레인모듈(110)과 중첩되는 절개부 또는 홈 등을 통해 견인고리(117)와 와이어(118)를 승강프레임 안쪽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변크레인모듈(110)이 접히면 도 9와 같이 견인고리(117)는 승강프레임(10) 내부로 인입된다.When the gap control cylinder 116 is driven, the variable crane module 110 moves the tow hook 117 into and out of the lifting frame 10 through parallel movement of the second node 112. As described above, the tow hook 117 and wire 118 can be passed inside the lifting frame through a cut or groove that overlaps the variable crane module 110. Therefore, when the variable crane module 110 is folded, the towing hook 117 is retracted into the lifting frame 10 as shown in FIG. 9.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전술한 조립단계(S200~S300)중 특히 타 프레임블록(20)을 승강프레임(10) 내부로 인입하는 단계(S300)[단계(c)-도 12의 (a)참조]에서, 가변크레인모듈(110)은 도 8 및 도 9처럼 견인고리(117)를 승강프레임(10) 내부로 수평이동시키며, 타 프레임블록(20)의 높이를 변경하지 않고 승강프레임(10)의 측부[즉, 측부의 통로(11)]를 통해 타 프레임블록(20)을 승강프레임(10) 내부로 인입하는 것이 가능하다.With this structure, among the above-described assembly steps (S200 to S300), especially the step (S300) of inserting the other frame block 20 into the lifting frame 10 (step (c) - see (a) of Figure 12). In, the variable crane module 110 horizontally moves the tow hook 117 inside the lifting frame 10 as shown in FIGS. 8 and 9, and lifts the lifting frame 10 without changing the height of the other frame blocks 20. It is possible to introduce another frame block 20 into the lifting frame 10 through the side (i.e., passage 11 on the side).

수평이동에 의해 프레임블록(20)은 승강프레임(10) 측부의 통로(11)를 통해 최단경로로 승강프레임(10) 내부로 공급되므로 공정은 신속해진다. 또한,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프레임블록(20)을 인입하면 인입 과정에서 하중의 상하변동이 없기 때문에 해당공정에서 윈치(41)에 걸리는 부하도 감소시킬 수 있다. 프레임블록을 별도의 외부 크레인 등으로 견인한다면 이러한 공정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할 수 있다.By horizontal movement, the frame block 20 is supplied into the lifting frame 10 in the shortest route through the passage 11 on the side of the lifting frame 10, thereby speeding up the process. In addition, if the frame block 20 is pulled in while maintaining a horizontal state, there is no vertical fluctuation of the load during the pull-in process, so the load on the winch 41 in the process can be reduced. This process may be practically impossible if the frame block is towed by a separate external crane.

아울러 간격제어용 실린더(116)는, 프레임블록(20) 견인 시 제2절점(112)의 수평위치를 조절하여 제1절점(111)과 제2절점(112) 사이에 작용하는 하중의 작용점을 견인용 잭모듈(210)과 중첩시킬 수도 있다. 즉 간격제어용 실린더(116)의 길이를 바꾸어 하중의 작용점을 고정점인 견인용 잭모듈(210)쪽으로 이동시켜 하중을 분산시키고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ap control cylinder 116 adjusts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second node 112 when pulling the frame block 20 to pull the point of application of the load acting between the first node 111 and the second node 112. It can also be overlapped with the jack module 210. That is, by changing the length of the gap control cylinder 116, the point of application of the load can be moved toward the towing jack module 210, which is the fixed point, to distribute the load and maintain balance.

예를 들어 도 11의 (a)를 참조하면, 프레임블록(20)을 견인고리(117)로 견인할 때 실질적인 고정점은 견인용 잭모듈(210)에 형성될 수 있다. 고공인양 장치의 설치 중에는 전술한 견인용 잭모듈(210)이 승강프레임(10)에 결합되어 승강프레임(10)의 위치를 조정하게 되므로, 승강프레임(10)을 단위레일(30)에 고정하는 견인용 잭모듈(210)이 고정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a) of FIG. 11, when the frame block 20 is towed with the towing hook 117, a substantial fixing point may be formed in the towing jack module 210. During installation of the high-altitude lifting device, the above-described towing jack module 210 is coupled to the lifting frame 10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lifting frame 10, so that the lifting frame 10 is fixed to the unit rail 30. The towing jack module 210 can act as a fixation point.

이때 프레임블록(20)과 승강프레임(10)의 무게중심 분포에 의해 견인용 잭모듈(210)에 대해 양 측으로 토크(예, 프레임블록의 무게중심과 견인용 잭모듈 사이의 간격에 의해 승강프레임 외측으로 작용하는 토크와, 승강프레임의 무게중심과 견인용 잭모듈 사이의 간격에 의해 승강프레임 내측으로 작용하는 토크)가 발생할 수 있는데, 프레임블록(20)과 견인용 잭모듈(210) 사이의 간격을 간격제어용 실린더(116)로 조절하면 이러한 토크를 가감하여 균형을 맞출 수 있다. 즉 프레임블록(20)을 수평이동시켜 무게중심의 분포를 바꾸고 견인용 잭모듈(210)로 실질적인 하중을 전달할 수 있다.At this time, torque is applied to both sides of the towing jack module 210 by the distribu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rame block 20 and the lifting frame 10 (e.g., the lifting frame is divided by the gap betwee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rame block and the towing jack module). A torque acting on the outside and a torque acting on the inside of the lifting frame due to the gap betwee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lifting frame and the towing jack module) may be generated. By adjusting the gap using the gap control cylinder 116, this torque can be adjusted to achieve balance. That is, by moving the frame block 20 horizontally, the distribu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can be changed and a substantial load can be transmitted to the towing jack module 210.

이와 같이 가변크레인모듈(110)의 수평이동 구조에 의해 고공인양 장치의 설치공정은 더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In this way,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high-altitude lifting device can be performed more efficiently by the horizontal movement structure of the variable crane module 110.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견인용 잭모듈(210)은 승강프레임(10) 하단에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팅 등의 결합방식이나 핀을 이용한 결합방식 등으로 견인용 잭모듈(210)를 승강프레임(10) 하단에 결합할 수 있다. 승강프레임(10)은 다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프레임구조를 적절히 활용하여 견인용 잭모듈(210)를 승강프레임(10)에 고정시킬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8, the towing jack module 210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lifting frame 10. For example, the towing jack module 210 can be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lifting frame 10 by a coupling method such as bolting or a coupling method using a pin. Since the lifting frame 10 is composed of multiple frames, the towing jack module 210 can be fixed to the lifting frame 10 by appropriately utilizing the frame structure.

도시된 견인용 잭모듈(210)는 전술한 견인용 잭장치를 후면 측에서 바라본 것으로 외측에 전술한 제1조정실린더의 쌍을 벌어지지 않게 고정하는 지지체가 배치되어 있다. 지지체는 승강프레임(10)에 착탈되는 착탈구조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시이며 형상이나 구조는 필요에 따라 변형될 수 있으므로 도면으로 한정하여 이해할 필요는 없다.The illustrated towing jack module 210 is a view of the above-mentioned towing jack device from the rear side, and a support member for fixing the pair of the above-described first adjustment cylinders so as not to spread is disposed on the outside. The support can also be used as a detachable structure that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lifting frame (10). However, this is just an example and the shape or structure may be modified as needed, so there is no need to limit understanding to the drawings.

승강프레임(10)은 프레임블록(20)을 둘러싸며 하나의 프레임블록(20)과 다른 하나의 프레임블록(20) 일부를 적층시켜 수직방향으로 동시에 수용가능한 길이를 갖는 사각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승강프레임(10)의 내측에는 프레임블록(20)과 구름접촉하는 롤러서포트(16)를 배치할 수 있고 롤러서포트(16)에 의해 승강프레임(10)의 이동은 더욱 안정될 수 있다.The lifting frame 10 surrounds the frame block 20 and is formed by stacking one frame block 20 and a portion of another frame block 20 to form a square frame having an acceptable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 A roller support 16 in rolling contact with the frame block 20 can be placed inside the lifting frame 10, and the movement of the lifting frame 10 can be made more stable by the roller support 16.

롤러서포트(16)는 예를 들어 승강프레임(10) 내 견인용 잭모듈(210) 반대편이나 견인용 잭모듈(210)의 상하위치에 복수로 배치할 수 있다.For example, a plurality of roller supports 16 can be plac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owing jack module 210 in the lifting frame 10 or at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towing jack module 210.

한편, 프레임블록(20)의 상단과 하단에는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결합공(21)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공(21)에 연결바(22)를 삽입하여 프레임블록(20)들을 상하 적층되게 연결할 수 있다. 연결바(22)역시 삽입 후 핀 결합이나 볼팅결합 등으로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변크레인모듈, 승강프레임, 프레임블록은 이러한 구조로 인해 자체 설치 시 유리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21 may be form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frame block 20 as shown. By inserting the connecting bar 22 into the coupling hole 21, the frame blocks 20 can be connected in a vertically stacked manner. The connecting bar 22 can also be fixed by pin coupling or bolting coupling after insertion. The variable crane module, lifting frame, and frame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vantageous when self-installed due to this structure.

이러한 구조에 기초하여, 전술한 고공인양 장치의 설치방법을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Based on this structure,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high-altitude lifting devic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3 as follows.

도 10은 승강프레임 안에 첫번째 프레임블록을 배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고, 도 11은 승강프레임 안에 일 프레임블록이 배치된 상태에서 타 프레임블록을 견인한 승강프레임이 단위레일을 따라 상승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며, 도 12는 승강프레임 안에 타 프레임블록을 인입하고 승강프레임 내부에서 타 프레임블록과 일 프레임블록을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고, 도 13은 n번째 프레임블록을 조립하고 승강프레임을 완성된 프레임타워 상단에 안착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Figure 10 is an operational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placing the first frame block in the lifting frame, and Figure 11 is a process in which the lifting frame, towing the other frame blocks, rises along the unit rail while one frame block is placed in the lifting frame. It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Figure 12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inserting another frame block into the elevating frame and assembling one frame block with another frame block inside the elevating frame, and FIG. 13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nth frame block. This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placing the lifting frame on the top of the completed frame tower.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최초에 승강프레임(10)은 지면 또는 지면에 위치한 베이스(40)위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승강프레임(10)이 지상에 위치하고 내부가 비어있는 상태에서, 가변크레인모듈(110)로 n개의 프레임블록 중 어느 하나를 견인하여 승강프레임(10) 내부에 배치한다(S100)[도 10의 (a)~(c)]. First, referring to FIG. 10, the lifting frame 10 is initially placed on the ground or a base 40 located on the ground. In this way, with the lifting frame 10 located on the ground and empty inside, any one of the n frame blocks is towed by the variable crane module 110 and placed inside the lifting frame 10 (S100) [FIG. 10 (a)~(c)].

이러한 과정을 통해 승강프레임(10)이 내부의 프레임블록(20)을 따라 상승 가능한 상태로 만들어 줄 수 있다. 견인용 잭모듈(210)은 첫번째 프레임블록(20)을 승강프레임(10) 내부에 배치한 후 승강프레임(10)에 결합할 수 있다. 견인용 잭모듈(210)의 잭들은(전술한 상단잭 및 하단잭) 프레임블록(20)의 단위레일(30)에 결합된다.Through this process, the lifting frame 10 can be brought into a state where it can be raised along the internal frame block 20. The towing jack module 210 can be coupled to the lifting frame 10 after placing the first frame block 20 inside the lifting frame 10. The jacks of the towing jack module 210 (the above-mentioned upper jack and lower jack) are coupled to the unit rail 30 of the frame block 20.

이후, 도 10의 (d)처럼 승강프레임(10) 내부에 일 프레임블록(20)이 배치된 상태에서 가변크레인모듈(110)로 타 프레임블록(20)을 견인하고(S200),Afterwards, as shown in (d) of FIG. 10, with one frame block 20 placed inside the lifting frame 10, the other frame block 20 is towed by the variable crane module 110 (S200),

이후, 도 11의 (a), (b)처럼 승강프레임(10)을 내부의 일 프레임블록(20)에 형성된 단위레일(30)을 따라 수직이동시켜 승강프레임(10) 하단을 내부의 일 프레임블록(20) 상단까지 상승시키고(S300),Thereafter, as shown in (a) and (b) of Figure 11, the lifting frame 10 is vertically moved along the unit rail 30 formed on the inner one frame block 20,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frame 10 is connected to the inner one frame. Raise the block 20 to the top (S300),

이후, 도 12의 (a)처럼 승강프레임(10)을 고정하고 가변크레인모듈(110)로 새로 견인한 타 프레임블록(20)을 승강프레임(10) 내부로 인입하여, 도 12의 (b)처럼 승강프레임(10) 내부에서 타 프레임블록(20)의 하단을 일 프레임블록(20)의 상단에 연결하여 적층한다(S400).Afterwards, the lifting frame 10 is fixed as shown in (a) of Figure 12, and the other frame block 20, which has been newly towed by the variable crane module 110, is introduced into the lifting frame 10, as shown in Figure 12 (b). As shown, inside the lifting frame 10, the lower end of another frame block 2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one frame block 20 and stacked (S400).

이러한 단계는 n개의 프레임블록이 모두 조립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These steps can be repeated until all n frame blocks are assembled.

즉 승강프레임(10) 외측의 타 프레임블록(20)을 새로 견인하고, 승강프레임(10) 내부에 이미 배치된 일 프레임블록(20) 따라 승강프레임(10)을 상승시켜 승강프레임 내부를 비울 수 있다. 따라서 견인된 타 프레임블록(20)을 수평이동을 통해 승강프레임(10) 내부로 바로 인입하고 승강프레임 내부에서 적층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을 반복하면, 승강프레임(10)은 단계적으로 상승되고, 하부에 적층된 프레임블록(20)의 숫자는 증가된다. 이를 통해 원하는 높이의 프레임타워를 형성할 수 있다.That is, the other frame blocks 20 on the outside of the lifting frame 10 are newly towed and the lifting frame 10 is raised along the frame block 20 already placed inside the lifting frame 10 to empty the inside of the lifting frame. there is. Therefore, the towed frame blocks 20 can be directly inserted into the lifting frame 10 through horizontal movement and stacked inside the lifting frame. By repeating this process, the lifting frame 10 is raised step by step, and the number of frame blocks 20 stacked at the bottom increases. Through this, a frame tower of the desired height can be formed.

이때 프레임블록(20)을 견인할 때마다, 전술한 것처럼 간격제어용 실린더(116)로 가변크레인모듈(110)의 제2절점(112)의 수평위치를 조절하여 하중의 작용점을 견인용 잭모듈(210)과 중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장치 전체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반복된 공정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time the frame block 20 is towed,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second node 112 of the variable crane module 110 is adjusted with the gap control cylinder 116 as described above to adjust the point of application of the load to the towing jack module ( 210) can be overlapped. Therefore, repeated processes can be performed stably while maintaining the balance of the entire device.

또한 전술한 것처럼 가변크레인모듈(110)이 견인고리(117)를 승강프레임(10) 내부로 수평이동시켜 높이를 변경하지 않고, 승강프레임(10)의 측부를 통해 승강프레임(10) 내부로 인입하므로, 프레임블록(20)이 가능한 최단경로로 공급되어 공정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variable crane module 110 moves the tow hook 117 horizontally into the lifting frame 10 without changing the height, and enters the lifting frame 10 through the side of the lifting frame 10. Therefore, the frame block 20 is supplied through the shortest possible path, so the process can proceed quickly.

또한 이와 같이 프레임블록(20)을 수평방향으로 인입하면 인입 과정에서 하중의 상하변동이 없기 때문에 해당공정에서 윈치(41)에 걸리는 부하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rame block 20 is pulled i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like this, there is no vertical fluctuation of the load during the pull-in process, so the load on the winch 41 in the process can be effectively reduced.

이때 도 12의 (b)에 도시된 것처럼 타 프레임블록(20)의 하단과 먼저 인입된 일 프레임블록(20)의 상단은 전술한 연결바(도 8의 22참조)를 매개로 결합할 수 있다. 승강프레임(10) 내부에서 양측의 결합위치는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b) of FIG. 12, the lower end of the other frame block 20 and the upper end of the frame block 20 introduced earlier can be connected via the above-described connecting bar (see 22 in FIG. 8). . The joining positions of both sides within the lifting frame 10 can be adjusted appropriately.

이와 같은 조립공정(S200~S400)을 반복하여 도 13처럼 n개의 프레임블록(20)을 모두 적층한 프레임타워(20-1)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방식으로 프레임블록의 조립을 반복하여, 최종적으로 승강프레임(10) 내부에서 n번째 프레임블록(20)을 먼저 인입된 n-1번째 프레임블록(20) 상단에 연결하여 프레임타워(20-1)를 완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레임타워(20-1)가 완성되면, 도 13의 (b)처럼 승강프레임(10)을 n-1번째 프레임블록(20)의 단위레일(30)을 따라 하강시켜, 프레임타워(20-1) 상단에 안착시킨다(S500).This assembly process (S200 to S400) can be repeated to form a frame tower 20-1 in which all n frame blocks 20 are stacked, as shown in FIG. 13. That is, the assembly of the frame blocks is repeated in the above manner, and finally, the nth frame block 20 is connected to the top of the n-1th frame block 20 that was introduced first inside the lifting frame 10 to form the frame tower 20- 1) can be completed. When the frame tower 20-1 is completed through this, the lifting frame 10 is lowered along the unit rail 30 of the n-1th frame block 20 as shown in (b) of Figure 13, and the frame tower 20 -1) Place it on the top (S500).

승강프레임(10)은 상단에 하방으로 돌출된 결합돌기(도 8의 14참조)가 형성되어 있어 프레임블록(20)의 결합공(도 8의 21참조)과 결합할 수 있다. 승강프레임이 프레임타워에 결합되어 승강프레임(10)이 안착되면 승강프레임은 고정되며, 견인용 잭모듈(210)로 승강프레임(10)을 지탱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견인용 잭모듈(210)을 승강프레임(10)에서 분리하여 수직레일부(30-1) 상에 배치할 수 있다.The lifting frame 10 has a downwardly protruding engaging protrusion (see 14 in FIG. 8) formed at the top, so that it can be coupled to the engaging hole (see 21 in FIG. 8) of the frame block 20. When the lifting frame is coupled to the frame tower and the lifting frame 10 is seated, the lifting frame is fixed, and there is no need to support the lifting frame 10 with the towing jack module 210. Therefore, the towing jack module 210 can be separated from the lifting frame 10 and placed on the vertical rail portion 30-1.

즉 승강프레임(10)이 프레임타워(20-1) 상단에 안착된 후에, 도 13의 (b)처럼 승강프레임(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견인용 잭모듈(210)을 승강프레임(10)에서 분리하여, 프레임타워(20-1)를 따라 배열된 수직레일부(30-1) 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견인용 잭모듈을 수직레일부에 배치함으로써 고공인양 장치의 설치완료와 동시에 중량물 인양이 가능한 상태로 준비할 수 있다. That is, after the lifting frame 10 is seated on the top of the frame tower 20-1, the towing jack module 210 detachably coupled to the lifting frame 10 is attached to the lifting frame 10 as shown in (b) of Figure 13. ) can be separated from the frame tower (20-1) and movably placed on the vertical rail portion (30-1) arranged along the frame tower (20-1). In this way, by placing the towing jack module on the vertical rail, it is possible to prepare for lifting heavy objects as soon as the installation of the high-altitude lifting device is completed.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전술한 고공인양 장치(도 1의 1참조)를 별도의 인양장비의 도움없이, 완전 자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 장치를 해체하고자 하는 경우 상술한 공정을 역으로 진행하여 역시 다른 장비의 도움없이 신속한 해체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고공인양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above-described high-altitude lifting device (see 1 in FIG. 1) can be installed completely independently without the help of separate lifting equipment. If you want to dismantle the device, you can reverse the process described above and quickly dismantle without the help of other equipment. In this way, a high-altitude lifting device can be install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it.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1: 자립형 초중량물 고공인양 장치
10: 승강프레임 11: 통로
12: 개구 13: 루프
14: 결합돌기 15: 지지대
16: 롤러서포트 17: 작업용 데크
20: 프레임블록 20-1: 프레임타워
21: 결합공 22: 연결바
30: 단위레일 30-1: 수직레일부
40: 베이스 41: 윈치
42: 롤러 50: 로딩 바
110: 가변크레인모듈 110a: 2절링크부
111: 제1절점 112: 제2절점
113: 제3절점 114: 수평가이드바
114a: 장공 115: 풀리
116: 간격제어용 실린더 117: 견인고리
118: 와이어 210: 견인용 잭모듈
211: 상단잭 212: 하단잭
213: 제1조정실린더 214: 제2조정실린더
210a: 쐐기부 210b: 빗면부
210c: 연결링크 A: 중량물
1: Self-supporting ultra-heavy object high-altitude lifting device
10: Elevating frame 11: Passage
12: opening 13: loop
14: coupling protrusion 15: support
16: Roller support 17: Work deck
20: Frame block 20-1: Frame tower
21: coupling hole 22: connecting bar
30: unit rail 30-1: vertical rail part
40: Base 41: Winch
42: roller 50: loading bar
110: Variable crane module 110a: 2-section link part
111: 1st node 112: 2nd node
113: Third node 114: Horizontal guide bar
114a: long hole 115: pulley
116: Cylinder for spacing control 117: Tow hook
118: Wire 210: Jack module for towing
211: upper jack 212: lower jack
213: 1st adjustment cylinder 214: 2nd adjustment cylinder
210a: wedge portion 210b: bevel portion
210c: Connecting link A: Heavy goods

Claims (11)

측부에 형성된 통로와 상기 통로와 연결된 내부공간을 포함하고 하부에 개구가 형성된 승강프레임;
상기 승강프레임 상단에 배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신축되며 견인고리를 상기 승강프레임 내, 외부로 수평이동시킬 수 있게 형성된 가변크레인모듈;
상기 가변크레인모듈에 의해 견인되고 상기 통로를 통해 상기 승강프레임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승강프레임 하방으로 적층 조립된 n개(n은 2이상인 자연수)의 프레임블록으로 이루어진 프레임타워;
n개의 상기 프레임블록 각각에 형성된 단위레일이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타워를 따라 배열된 수직레일부; 및
상기 승강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단위레일 상에서 상기 승강프레임의 위치를 조정하거나, 상기 승강프레임에서 분리되어 상기 수직레일부를 이동하며 중량물을 견인하는 견인용 잭모듈을 포함하는 자립형 초중량물 고공인양 장치.
A lifting frame including a passage formed on a side and an internal space connected to the passage,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at the lower portion;
A variable crane module disposed at the top of the lifting frame, expanding and contrac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configured to horizontally move a tow hook into and out of the lifting frame;
A frame tower composed of n frame blocks (n is a natural number equal to or greater than 2) pulled by the variable crane module, introduced into the lifting frame through the passage, and stacked and assembled below the lifting frame through the opening;
a vertical rail unit in which unit rails formed in each of the n frame blocks are connect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rranged along the frame tower; and
High-altitude lifting of a self-supporting ultra-heavy object, including a towing jack module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ifting fram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lifting frame on the unit rail, or is separated from the lifting frame and moves the vertical rail portion to tow a heavy load.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크레인모듈은, 상기 승강프레임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말단이 상기 승강프레임 외측으로 배치된 수평가이드바, 및
3개의 절점을 가지며 절점마다 풀리가 배치되며 제1절점이 상기 수평가이드바에 고정되고 제2절점이 상기 수평가이드바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견인고리를 수평이동시키는 2절링크부를 포함하는 자립형 초중량물 고공인양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variable crane module includes a horizontal guide bar that protrud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top of the lifting frame and has an end disposed outside the lifting frame, and
It has three nodes, a pulley is arranged at each node, the first node is fixed to the horizontal guide bar, and the second node slides along the horizontal guide bar to horizontally move the tow hook. A self-supporting ultra-heavy high-altitude object including a two-section link unit. Lifting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크레인모듈은, 양단 사이에 상기 2절링크부의 제3절점을 두고 신축되어 상기 2절링크부의 벌어진 정도를 조절하는 간격제어용 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자립형 초중량물 고공인양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variable crane module is a self-supporting high-altitude lifting device for ultra-heavy objects, further comprising a gap control cylinder that expands and contracts with the third node of the two-section link between both ends to adjust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two-section link.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제어용 실린더는, 상기 프레임블록 견인 시 상기 제2절점의 수평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제1절점과 상기 제2절점 사이에 작용하는 하중의 작용점을 상기 견인용 잭모듈과 중첩시키는 자립형 초중량물 고공인양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gap control cylinder is a self-supporting ultra-heavy object that adjusts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second node when towing the frame block and overlaps the point of application of the load acting between the first node and the second node with the towing jack module. Lif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용 잭모듈은, 상하로 분리되어 상기 수직레일부를 가압고정하는 하단잭과 상단잭 및 상기 하단잭과 상단잭간 거리를 조정하는 조정실린더를 포함하여, 상기 하단잭과 상기 상단잭의 거리 변동에 의해 상기 수직레일부를 따라 승강되는, 자립형 초중량물 고공인양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towing jack module is separated up and down and includes a lower jack and an upper jack that pressurize and fix the vertical rail portion, and an adjustment cylinder that adjusts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jack and the upper jack, changing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jack and the upper jack. A self-supporting ultra-heavy object high-altitude lifting device that is lifted and lowered along the vertical rail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프레임은, 상기 프레임블록을 둘러싸며, 하나의 상기 프레임블록과 다른 하나의 상기 프레임블록 일부를 적층시켜 수직방향으로 동시에 수용가능한 길이를 갖는 사각프레임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프레임블록과 구름접촉하는 롤러서포트를 더 포함하는 자립형 초중량물 고공인양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lifting frame surrounds the frame block and is formed as a square frame having an acceptable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stacking one frame block and a portion of another frame block, and the frame block and the cloud are placed on the inside. A self-supporting ultra-heavy object high-altitude lifting device that further includes a contact roller support.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자립형 초중량물 고공인양 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승강프레임 내부에 n개(n은 2이상인 자연수)의 상기 프레임블록 중 일 프레임블록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변크레인모듈로 타 프레임블록을 견인하는 단계;
(b) 상기 승강프레임을 상기 일 프레임블록에 형성된 상기 단위레일을 따라 수직이동시켜 상기 승강프레임 하단을 상기 일 프레임블록의 상단까지 상승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승강프레임을 고정하고 상기 가변크레인모듈로 상기 타 프레임블록을 상기 승강프레임 내부로 인입하고, 상기 승강프레임 내부에서 상기 타 프레임블록의 하단을 상기 일 프레임블록 상단에 연결하여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립형 초중량물 고공인양 장치의 설치방법.
In the method of installing the self-supporting ultra-heavy object high-altitude lifting device of any one of claims 1 to 6,
(a) with one frame block among the n frame blocks (n being a natural number equal to or greater than 2) disposed inside the lifting frame, towing the other frame block with the variable crane module;
(b) vertically moving the lifting frame along the unit rail formed in the one frame block to raise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frame to the top of the one frame block; and
(c) fixing the lifting frame, inserting the other frame blocks into the lifting frame using the variable crane module, and stacking them by connecting the lower end of the other frame block to the upper end of the one frame block inside the lifting frame. Installation method of a self-supporting ultra-heavy object high-altitude lifting device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가변크레인모듈은, 상기 견인고리를 상기 승강프레임 내부로 수평이동시키며 상기 타 프레임블록의 높이를 변경하지 않고 상기 승강프레임의 측부를 통해 상기 타 프레임블록을 상기 승강프레임 내부로 인입하는 자립형 초중량물 고공인양 장치의 설치방법.
In clause 7,
The variable crane module in step (c) moves the tow hook horizontally into the lifting frame and moves the other frame block into the lifting frame through the side of the lifting frame without changing the height of the other frame block. Installation method of a self-supporting ultra-heavy object high-altitude lifting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 이전에, 상기 승강프레임이 지상에 위치하고 내부가 비어있는 상태에서, 상기 가변크레인모듈로 n개의 상기 프레임블록 중 어느 하나를 견인하여 상기 승강프레임 내부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립형 초중량물 고공인양 장치의 설치방법.
In clause 7,
Before step (a), with the lifting frame located on the ground and empty inside, towing any one of the n frame blocks with the variable crane module and placing it inside the lifting frame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towing Installation method of a self-supporting ultra-heavy lifting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 이후, 상기 승강프레임 내부에서 n번째 프레임블록의 하단을 n-1번째 프레임블록 상단에 연결하여 상기 프레임타워를 형성하고, 상기 승강프레임을 상기 n-1번째 프레임블록에 형성된 상기 단위레일을 따라 하강시켜 상기 프레임타워 상단에 안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립형 초중량물 고공인양 장치의 설치방법.
In clause 7,
After step (c), the frame tower is formed by connecting the bottom of the nth frame block to the top of the n-1th frame block inside the lifting frame, and the lifting frame is formed in the n-1th frame block. A method of installing a self-supporting ultra-heavy object aerial lift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lowering it along a unit rail and seating it on the top of the frame tow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프레임이 상기 프레임타워 상단에 안착된 이후, 상기 승강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견인용 잭모듈을 상기 승강프레임에서 분리하여, 상기 프레임타워를 따라 배열된 상기 수직레일부 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립형 초중량물 고공인양 장치의 설치방법.
According to clause 10,
After the lifting frame is seated on the top of the frame tower, the towing jack module detachably coupled to the lifting frame can be separated from the lifting frame and moved on the vertical rail portion arranged along the frame tower. A method of installing a self-supporting ultra-heavy object high-altitude lift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rranging.
KR1020230000880A 2023-01-03 2023-01-03 Self supporting type heavyweight high altitude lifting apparatus and installation method for the same Pending KR2024010911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0880A KR20240109118A (en) 2023-01-03 2023-01-03 Self supporting type heavyweight high altitude lifting apparatus and installation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0880A KR20240109118A (en) 2023-01-03 2023-01-03 Self supporting type heavyweight high altitude lifting apparatus and installation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09118A true KR20240109118A (en) 2024-07-10

Family

ID=91947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0880A Pending KR20240109118A (en) 2023-01-03 2023-01-03 Self supporting type heavyweight high altitude lifting apparatus and installation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109118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8034A (en) 2006-10-27 2008-05-02 매니토웍 크레인 컴퍼니즈, 인코포레이티드 Movable lift crane with variable position counterweigh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8034A (en) 2006-10-27 2008-05-02 매니토웍 크레인 컴퍼니즈, 인코포레이티드 Movable lift crane with variable position counterweigh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54571B1 (en) Zone module construction method of steel structure construction
US6161359A (en) Shoring
CN100570104C (en) Platform support device for lifting a weight or a person at the height of a building
US8177080B2 (en) Girder block lifting method and jack-up stage used therefor
US8348221B2 (en) Formwork system for constructing a structural concrete floor with projecting floor beams
KR101985143B1 (en) Corner structure of scaffold apparatus
KR102038877B1 (en) Pile frame and its installation method
KR101118526B1 (en) Construction method of steel tower of bridge and dismantling method of lifting frame
CN111764561B (en) Construction method of spoke type tensioning structure of middle pressure ring beam and vertical control support
JP5032787B2 (en) Heavy equipment installation equipment
JP5294104B2 (en) Tower crane support structure
KR20240109118A (en) Self supporting type heavyweight high altitude lifting apparatus and installation method for the same
US20130263549A1 (en) Safety screen system for steel erection work
US643089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uilding a domed structure
JP7320801B1 (en) Erection device for heavy objects and its method
KR20110062442A (en) Super Heavy Lifting Climbing Jack Device
CN111636573A (en) Construction method for inclination adjustment in external expansion jacking process of net rack
JP2002294633A (en) Method and device for constructing arch-shaped structural body
JP6438931B2 (en) Temporary column, temporary column installation structure, and roof frame construction method
JP2021116153A (en) Support gantry for tower cranes and climbing methods using them
CN112144403A (en) Beam-lifting station suitable for steel box girder web change and its jacking technique
EP4575140A1 (en) A temporary roof scaffolding system
CN119663822B (en) Offshore pile foundation operation assembly platform and assembly method
JP7435025B2 (en) Mechanical gantry and roof construction method
JP6259645B2 (en) Liner plate assembl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1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3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