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25231A - Device for detachablely mounting table to the armrest of vehicle - Google Patents
Device for detachablely mounting table to the armrest of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25231A KR20240125231A KR1020230018028A KR20230018028A KR20240125231A KR 20240125231 A KR20240125231 A KR 20240125231A KR 1020230018028 A KR1020230018028 A KR 1020230018028A KR 20230018028 A KR20230018028 A KR 20230018028A KR 20240125231 A KR20240125231 A KR 202401252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mrest
- pin
- hole
- detachment device
- connecting pi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1—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레스트에 테이블을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여, 테이블을 싱글 또는 듀얼 사용 위치로 전환시키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암레스트용 테이블 탈부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암레스트에 테이블을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여, 테이블을 싱글 또는 듀얼 사용 위치로 전환시키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테이블의 미사용시에는 암레스트로부터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암레스트용 테이블 탈부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ble attachment/detachment device for an armrest of a vehicle, which detachably mounts a table on an armrest so that the table can be converted into a single or dual use position and used conveniently.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table attachment/detachment device for an armrest of a vehicle, which can maximize user convenience by detachably mounting a table on an armrest so that the table can be conveniently converted into a single or dual use position and, when not in use, can be stored by detaching it from the armrest.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암레스트용 테이블 탈부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암레스트에 테이블을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여, 테이블을 싱글 또는 듀얼 사용 위치로 전환시키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암레스트용 테이블 탈부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ble attachment/detachment device for an armrest of an automobi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able attachment/detachment device for an armrest of an automobile which detachably mounts a table to an armrest so that the table can be conveniently used by converting it into a single or dual use position.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암레스트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배치된 콘솔 암레스트, 좌우 리어시트 사이에 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리어 암레스트, 독립형 시트의 시트백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매뉴얼 암레스트 등이 있다.Typically, armrests for automobiles include a console armrest placed between the driver and passenger seats, a rear armrest foldably install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rear seats, and a manual armrest rotatably installed on the seatback of an independent seat.
상기 암레스트의 편의성 향상을 위하여 암레스트에는 컵홀더, 공조장치 등을 조작하기 위한 컨트롤러 등과 같은 편의 장치가 장착되고 있고, 그 밖에 실내 승객을 위한 편의 장치로서 프론트 시트백의 배면부에 리어시트 탑승객을 위한 테이블이 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armrest, the armrest is equipped with convenience devices such as a cup holder, a controller for operating the air conditioner, etc. In addition, as a convenience device for passengers inside the vehicle, a table for rear seat passengers is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front seat back in a foldable manner.
그러나, 프론트 시트백에 장착되는 기존의 테이블은 일부 고급 차종에만 적용될 뿐만 아니라, 리어 시트에 탑승한 승객과의 거리 조절이 불가능하여 사용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existing table mounted on the front seat back is only applicable to some high-end vehicles, and has the problem of low usability because it is impossible to adjust the distance from passengers in the rear seat.
또한, 기존의 테이블은 프론트 시트백의 배면부에 항상 장착된 상태로 유지됨에 따라, 리어 시트에 탑승한 승객의 실내 거주시 간섭 요인이 되는 불편한 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xisting table is always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front seat back,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causing interference to passengers in the rear seat while they are inside the ca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암레스트에 테이블을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여, 테이블을 싱글 또는 듀얼 사용 위치로 전환시키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테이블의 미사용시에는 암레스트로부터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암레스트용 테이블 탈부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able attachment/detachment device for an armrest of a car, which can maximize user convenience by detachably mounting a table on an armrest so that the table can be conveniently used by switching the table to a single or dual use position, and by separating the table from the armrest and storing it when not in us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연결홀 및 제2연결홀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암레스트의 앞쪽에 장착되는 커넥터; 제1체결홀 및 제2체결홀이 양단부에 형성된 테이블 연결프레임이 저면부에 장착된 테이블; 전단부는 상기 제1체결홀에 삽입 체결되고, 후단부는 상기 제1연결홀에 삽입 체결되는 제1연결핀; 및 상기 제1연결핀에 비하여 더 긴 길이로 구비되어, 전단부는 상기 제2체결홀에 삽입 체결되고, 후단부는 상기 제2연결홀에 삽입 체결되는 제2연결핀;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암레스트용 테이블 탈부착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able attachment/detachment device for an armrest of a vehicle,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connecto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first connection hole and a second connection hole are formed and mounted on the front of an armrest; a table having a table connection frame formed on both ends with a first fastening hole and a second fastening hole mounted on the bottom; a first connection pin having a front end inserted/attached into the first fastening hole and a rear end inserted/attached into the first connection hole; and a second connection pin having a longer length than the first connection pin, having a front end inserted/attached into the second fastening hole and a rear end inserted/attached into the second connection hole.
상기 테이블을 전진시켜 상기 커넥터의 제1연결홀로부터 제1연결핀을 분리시키면, 상기 제2연결핀이 테이블의 좌우 회전을 위한 회전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table is advanced to separate the first connecting pin from the first connecting hole of the connector, the second connecting pin is configured as a rotation axis for left-right rotation of the tabl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연결핀과 제2연결핀의 전단부에는 상기 제1체결홀과 제2체결홀에 각각 체결되도록 숫나사부 또는 락킹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ront ends of the first connecting pin and the second connecting pin are characterized in that a male screw portion or a locking ball is formed so as to be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hole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respectively.
본 발명의 테이블 탈부착 장치는: 상기 암레스트의 측부에 장착되는 버튼; 상기 버튼과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암레스트의 내부에 배치되는 레버; 상기 레버의 내측단 상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연결핀을 락킹 또는 언락킹시키는 락킹단; 및 상기 레버의 내측단 저면부에 압축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프링;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able attachment/detach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utton mounted on a side of the armrest; a lever positioned inside the armrest and interlocked with the button; a locking member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inner end of the lever and locking or unlocking the second connecting pin; and a spring compressibly moun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inner end of the lev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연결핀의 후단부에는 상기 락킹단이 락킹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락킹홈 및 제2락킹홈이 전후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rear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pin is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locking groove and a second locking groove, into which the locking end is lockably inserted, are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back direction.
상기 테이블은: 앞쪽 양측부에 제1조립핀이 돌출 형성된 제1테이블; 뒤쪽 양측부에 제2조립핀이 돌출 형성된 제2테이블; 및 상기 제1조립핀이 삽입되는 제1조립홀과, 상기 제2조립핀이 삽입되는 제2조립홀이 형성된 커넥터 부시;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bove table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first table having first assembly pins protruding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a second table having second assembly pins protruding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and a connector bush having a first assembly hole into which the first assembly pin is inserted and a second assembly hole into which the second assembly pin is inserted.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rough the mean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암레스트에 테이블을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여, 테이블을 1인이 사용하는 싱글 사용 위치 또는 2인 이상이 사용하는 듀얼 사용 위치로 전환시키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First, the table can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armrest, allowing the table to be conveniently used in a single-use position for one person or a dual-use position for two or more people.
둘째, 테이블의 미사용시에는 암레스트로부터 분리하여 별도의 장소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승객의 실내 거주시 테이블이 간섭 요인으로 작용하는 불편한 점을 해소할 수 있다.Second, when the table is not in use,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armrest and stored in a separate location, thereby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of the table interfering with passengers while they are inside the cabin.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용 테이블 탈부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용 테이블 탈부착 장치에 의하여 테이블이 암레스트에 조립되어 싱글 사용 위치에서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용 테이블 탈부착 장치에 의하여 테이블이 암레스트로부터 분리되어 듀얼 사용 위치로 전환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용 테이블 탈부착 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9,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용 테이블 탈부착 장치에 의하여 테이블이 암레스트에 조립되어 싱글 사용 위치에서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용 테이블 탈부착 장치에 의하여 테이블이 암레스트로부터 분리되어 듀얼 사용 위치로 전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FIG. 1a and FIG. 1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table attachment/detachment device for an armres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table is assembled to an armrest and used in a single use position by means of a table attachment/detachment device for an armres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FIG. 6 and FIG. 7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table is separated from an armrest and converted to a dual-use position by a table attachment/detachment device for an armres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able attachment/detachment device for an armres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FIG. 10 and FIG. 11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table is assembled to an armrest and used in a single use position by means of a table attachment/detachment device for an armres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table is separated from the armrest and converted to a dual-use position by a table attachment/detachment device for an armres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첨부한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용 테이블 탈부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용 테이블 탈부착 장치에 의하여 테이블이 암레스트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a 및 도 2에서 도면부호 10은 암레스트 바를 지시한다.The attached FIGS. 1A and 1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table attachment/detachment device for an armres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able is assembled to an armrest by the table attachment/detachment device for an armres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S. 1A and 2, reference numeral 10 designates an armrest bar.
상기 암레스트 바(10)는 독립 시트의 시트백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거나 리어 암레스트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일종의 매뉴얼 암레스트로서, 힌지핀을 포함하는 별도의 조립모듈(미도시됨)을 이용하여 탈거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The above armrest bar (10) is a type of manual armrest that is rotatably mounted on the seatback side of an independent seat or rotatably mounted on a rear armrest, and can be detachably mounted using a separate assembly module (not shown) including a hinge pin.
특히, 상기 암레스트 바(10)의 앞쪽 부분에는 테이블(30)을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커넥터(20)가 장착된다.In particular, a connector (20) for detachably mounting a table (30) is mounted on the front part of the armrest bar (10).
이를 위해, 상기 커넥터(20)는 전면 양측 위치에 각각 제1연결홀(21)과 제2연결홀(22)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암레스트 바(10)의 앞단부에 내장되게 장착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nnector (20)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in which a first connection hole (21) and a second connection hole (22) are formed at each of the front sides, and can be mounted built into the front end of the armrest bar (10).
이에, 상기 커넥터(20)의 제1연결홀(21)과 제2연결홀(22)이 암레스트 바(10)의 정면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가 된다.Accordingly, the first connection hole (21) and the second connection hole (22) of the connector (20) ar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ront part of the armrest bar (10).
상기 테이블(30)는 테블릿, 노트북 및 휴대폰 등을 거치할 수 있는 평평한 일체형의 거치대 구조이면서 양쪽에 컵홀더가 형성된 타입으로 제작된 것일 수 있다.The above table (30) may be manufactured as a flat, integrated stand structure that can hold tablets, laptops, mobile phones, etc., and has cup holders formed on both sides.
또는, 상기 테이블(30)은 보관의 용이성을 위하여 조립식 타입으로 제작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table (30) may be manufactured as an assembly type for ease of storage.
예를 들어, 상기 테이블(30)은 도 1a 도시된 바와 같이, 앞쪽 양측부에 제1조립핀(31-1)이 돌출 형성된 제1테이블(31)과, 뒤쪽 양측부에 제2조립핀(32-1)이 돌출 형성된 제2테이블(32)과, 상기 제1조립핀(31-1)이 삽입 체결되는 제1조립홀(33-1) 및 상기 제2조립핀(32-1)이 삽입되는 제2조립홀(33-2)이 형성된 커넥터 부시(33)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able (30) may be composed of a first table (31) having first assembly pins (31-1) protruding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a second table (32) having second assembly pins (32-1) protruding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and a connector bush (33) having a first assembly hole (33-1) into which the first assembly pin (31-1) is inserted and fastened and a second assembly hole (33-2) into which the second assembly pin (32-1) is inserted.
이에, 상기 커넥터 부시(33)를 제1조립핀(31-1)과 제2조립핀(32-1)으로부터 분리하면 제1테이블(31)과 제2테이블(32)이 서로 분리된 상태가 될 수 있고, 분리된 제1 및 제2테이블(31,32)을 중첩시켜 부피를 축소한 후, 프론트 시트백의 포켓부 또는 리어트레이 등과 같은 장소에 쉽게 넣어 보관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connector bush (33) is separated from the first assembly pin (31-1) and the second assembly pin (32-1), the first table (31) and the second table (32)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separated first and second tables (31, 32) can be overlapped to reduce the volume, and can be easily stored in a place such as a pocket of a front seat back or a rear tray.
특히, 상기 테이블(30)의 저부에는 테이블(30)을 상기 암레스트 바(10)의 커넥터(20)에 연결하기 위한 골격체인 테이블 연결프레임(40)이 장착된다.In particular, a table connecting frame (40), which is a skeletal chain for connecting the table (30) to the connector (20) of the armrest bar (10), is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table (30).
이를 위해, 상기 테이블 연결프레임(40)은 양단부에 각각 제1체결홀(41) 및 제2체결홀(42)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테이블(30)의 저부에 폭방향으로 배열되며 일체로 장착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table connecting frame (40)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in which a first fastening hole (41) and a second fastening hole (42) are formed at each end, and can be mounted integrally while being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at the bottom of the table (30).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이블 연결프레임(40)은 테이블(30)의 제1테이블(31)의 저부에만 장착될 수 있다.Preferably, the table connecting frame (40) can be mounted only on the bottom of the first table (31) of the table (30).
상기 암레스트 바(10)의 앞단부에 장착된 커넥터(20)에 상기 테이블(30)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제1연결핀(50) 및 제2연결핀(60)이 사용될 수 있다.A first connecting pin (50) and a second connecting pin (60) can be used to detachably connect the table (30) to the connector (20) mounted on the front end of the armrest bar (10).
상기 제1연결핀(50)은 소정의 길이로 구비되어, 전단부는 상기 테이블 연결프레임(40)의 제1체결홀(41)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 체결되고, 후단부는 상기 커넥터(20)의 제1연결홀(21)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 체결될 수 있다.The above first connecting pin (50)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front end can be detachably inserted and connected into the first connecting hole (41) of the table connecting frame (40), and the rear end can be detachably inserted and connected into the first connecting hole (21) of the connector (20).
특히, 상기 제2연결핀(60)은 상기 제1연결핀(50)에 비하여 소정의 길이만큼 더 긴 길이로 구비되어, 전단부는 상기 테이블 연결프레임(40)의 제2체결홀(42)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 체결되고, 후단부는 상기 커넥터(20)의 제2연결홀(22)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 체결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econd connecting pin (60) is provided with a length that is a predetermined length longer than the first connecting pin (50), so that the front end can be detachably inserted and connected into the second connecting hole (42) of the table connecting frame (40), and the rear end can be detachably inserted and connected into the second connecting hole (22) of the connector (20).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연결핀(50)과 제2연결핀(60)의 전단부에는 상기 테이블 연결프레임(40)의 제1체결홀(41)과 제2체결홀(42)에 각각 나사 체결되도록 숫나사부(53)가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a male screw portion (53) may be formed on the front end of the first connecting pin (50) and the second connecting pin (60) so as to be screw-fastened to the first connecting hole (41) and the second connecting hole (42) of the table connecting frame (40), respectively.
또는, 상기 제1연결핀(50)과 제2연결핀(60)의 전단부에는 상기 테이블 연결프레임(40)의 제1체결홀(41)과 제2체결홀(42)에 각각 원터치 체결이 가능한 락킹볼(53)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Alternatively, a locking ball (53) structure that enables one-touch fastening to the first fastening hole (41)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42) of the table connecting frame (40) may be applied to the front ends of the first connecting pin (50) and the second connecting pin (60), respectively.
한편, 상기 제2연결핀(60)의 후단부가 상기 커넥터(20)의 제2연결홀(22)에 삽입 체결된 후, 제2연결핀(60)이 원하지 않은 상황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락킹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fter the rear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pin (60) is inserted and connected into the second connecting hole (22) of the connector (20), it is desirable to lock the second connecting pin (60) to prevent it from coming off in an undesirable situation.
이를 위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레스트 바(10)의 측부에 버튼(11)이 장착되고, 암레스트 바(10)의 내부에는 상기 버튼(11)과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버(12)가 상하 유동 가능하게 배치된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1a, a button (11) is mounted on the side of the armrest bar (10), and a lever (12) that is connected in a manner that can move up and down is positioned inside the armrest bar (10) so as to be interlocked with the button (11).
또한, 상기 레버(12)의 내측단 상면부에는 상기 제2연결홀(22) 내에 삽입된 제2연결핀(60)을 락킹 또는 언락킹시키는 락킹단(13)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12)의 내측단 저면부에는 스프링(14)이 압축 가능하게 연결된다.In addition, a locking member (13)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end of the lever (12) to lock or unlock the second connecting pin (60)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ing hole (22), and a spring (14) is compressibly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end of the lever (12).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연결핀(60)의 후단부에는 상기 락킹단(13)이 락킹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락킹홈(61)과 제2락킹홈(62)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거리로 이격 형성되는 바, 그 이유는 상기 커넥터(20)의 제2연결홀(22)에 대한 삽입 깊이를 조절하기 위함에 있다.Preferably, a first locking groove (61) and a second locking groove (62) into which the locking end (13) can be locked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along the length direction at the rear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pin (60). This is to adjust the insertion depth into the second connecting hole (22) of the connector (20).
이때, 상기 제2연결핀(60)의 후단부에서 상기 제1락킹홈(61)이 제2락킹홈(62) 보다 더 앞쪽 위치에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first locking groove (61) is formed at a position further forward than the second locking groove (62) at the rear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pin (60).
여기서, 상기한 구성을 이루어진 테이블 탈부착 장치를 이용하여 암레스트에 테이블을 조립하는 과정 및 사용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table to the armrest and the process of using the table attachment/detachment device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re examined as follows.
먼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핀(50)의 전단부를 상기 테이블 연결프레임(40)의 일측쪽에 형성된 제1체결홀(41)에 삽입 체결하고, 상기 제2연결핀(60)의 전단부를 상기 테이블 연결프레임(40)의 일측쪽에 형성된 제2체결홀(42)에 삽입 체결한다.First, as shown in Fig. 1b, the front end of the first connecting pin (50) is inserted and fastened into the first connecting hole (41) formed on one side of the table connecting frame (40), and the front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pin (60) is inserted and fastened into the second connecting hole (42) formed on one side of the table connecting frame (40).
부연하면, 상기 제1연결핀(50)과 제2연결핀(60)의 전단부에 형성된 숫나사부를 상기 테이블 연결프레임(40)의 일측쪽에 형성된 제1체결홀(41)과 제2체결홀(42)에 각각 나사 체결하거나, 상기 제1연결핀(50)과 제2연결핀(60)의 전단부에 형성된 락킹볼 부분을 상기 테이블 연결프레임(40)의 일측쪽에 형성된 제1체결홀(41)과 제2체결홀(42)에 각각 원터치 체결함으로써, 제1연결핀(50)과 제2연결핀(60)의 전단부가 분리되지 않게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In detail, by screwing the male screw portions formed at the front ends of the first connecting pin (50) and the second connecting pin (60) into the first connecting hole (41) and the second connecting hole (42) formed on one side of the table connecting frame (40), respectively, or by one-touch fastening the locking ball portions formed at the front ends of the first connecting pin (50) and the second connecting pin (60) into the first connecting hole (41) and the second connecting hole (42) formed on one side of the table connecting frame (40), respectively, the front ends of the first connecting pin (50) and the second connecting pin (60) can be maintained in a fixed state without being separated.
이어서, 상기 제1연결핀(50)의 후단부를 상기 커넥터(20)의 제1연결홀(21)에 삽입 체결하고, 상기 제2연결핀(60)의 후단부를 상기 커넥터(20)의 제2연결홀(22)에 삽입 체결한다.Next, the rear end of the first connecting pin (50) is inserted and fastened into the first connecting hole (21) of the connector (20), and the rear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pin (60) is inserted and fastened into the second connecting hole (22) of the connector (20).
이때, 사용자가 상기 버튼(11)을 아래로 눌러서 버튼(11)과 연결된 레버(12)가 스프링(14)을 압축시키면서 하강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2연결핀(60)의 후단부를 상기 커넥터(20)의 제2연결홀(22)에 삽입 체결한 후, 사용자가 버튼(11)을 놓으면 레버(12)의 상면부에 형성된 락킹단(13)이 스프링(14)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제2연결핀(60)의 제1락킹홈(61)에 잠금 삽입됨으로써, 제2연결핀(60)이 커넥터(20)로부터 빠지지 않게 고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presses down the button (11) so that the lever (12) connected to the button (11) is lowered while compressing the spring (14), the rear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pin (60) is inserted and fastened into the second connecting hole (22) of the connector (20), and when the user releases the button (11), the locking end (13)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ver (12) is locked and inserted into the first locking groove (61) of the second connecting pin (60)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14), so that the second connecting pin (60) can be fixed so as not to fall out of the connector (20).
이에, 상기 테이블(30)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레스트 바(10)의 앞단부에 연결되어 독립 시트에 착석한 승객이 사용 가능하게 배열될 수 있고, 승객이 테이블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table (30) can be arranged so that it can be used by a passenger seated on an independent seat by being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armrest bar (10) as shown in FIG. 2, and the passenger can conveniently use the table.
한편, 독립 시트에 착석한 승객이 하차하고자 할 경우, 승객의 하차시 테이블(30)이 간섭되어 불편할 수 있으므로, 승객이 상기 테이블(30)을 간섭 회피 가능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Meanwhile, when a passenger seated on an independent seat wants to get off, the table (30) may interfere with the passenger's getting off, causing inconvenience, so the passenger can rotate the table (30) in a direction that can avoid interference.
이를 위해, 승객이 상기 버튼(11)을 아래로 누르면 버튼(11)과 연결된 레버(12)가 스프링(14)을 압축시키면서 하강하는 동시에 레버(12)의 상면부에 형성된 락킹단(13)이 상기 제2연결핀(60)의 제1락킹홈(61)으로부터 빠져나와 락킹 해제된 상태가 된다.To this end, when the passenger presses down the button (11), the lever (12) connected to the button (11) compresses the spring (14) and descends, and at the same time, the locking end (13)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ver (12) comes out of the first locking groove (61) of the second connecting pin (60) and enters an unlocked state.
연이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이 상기 테이블(30)을 소정 거리로 전진시키면, 상기 제2연결핀(60)도 동일거리로 전진하게 되고, 사용자가 버튼(11)을 놓으면 레버(12)의 상면부에 형성된 락킹단(13)이 스프링(14)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제2연결핀(60)의 제1락킹홈(61) 뒤쪽에 형성된 제2락킹홈(62)에 잠금 삽입됨으로써, 제2연결핀(60)이 커넥터(20)로부터 빠지지 않게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In succession, as shown in FIG. 3, when the passenger moves the table (30) forward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second connecting pin (60) also moves forward the same distance, and when the user releases the button (11), the locking end (13)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ver (12) is locked and inserted into the second locking groove (62) formed behind the first locking groove (61) of the second connecting pin (60)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14), so that the second connecting pin (60) can be maintained in a fixed state without being removed from the connector (20).
이와 동시에, 상기 테이블(30)이 소정 거리로 전진됨과 함께 상기 제2연결핀(60)도 동일거리로 전진하게 될 때, 상기 제1연결핀(50)은 제2연결핀(60)에 비하여 짧은 길이를 가지므로 상기 커넥터(20)의 제1연결홀(21)로부터 빠지면서 분리되는 상태가 되어, 결국 상기 제2연결핀(60)이 테이블(30)의 좌우 회전을 위한 회전축이 될 수 있다.At the same time, when the table (30) advances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second connecting pin (60) also advances the same distance, the first connecting pin (50) has a shorter length than the second connecting pin (60), so it falls out and separates from the first connecting hole (21) of the connector (20), and eventually the second connecting pin (60) can become a rotation axis for the left-right rotation of the table (30).
이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이 테이블(30)을 상기 제2연결핀(60)을 중심으로 실내 내측방향(간섭 회피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승객의 하차시 테이블(30)이 간섭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4, by having the passenger rotate the table (30) inwardly (in the interference avoidance direction) around the second connecting pin (60), interference with the table (30) can be avoided when the passenger gets off.
한편, 한쪽 독립 시트에 착석한 승객과 다른 한쪽 독립 시트에 착석한 승객이 테이블을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테이블(30)을 듀얼모드 위치로 전환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table (30) can be switched to a dual mode position so that a passenger seated on one independent seat and a passenger seated on the other independent seat can use the table together.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핀(50)과 제2연결핀(60)의 후단부를 상기 커넥터(20)로부터 빼내어 분리하고, 상기 제1연결핀(50)과 제2연결핀(60)의 전단부를 상기 테이블 연결프레임(40)으로부터 빼내어 분리한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5, the rear ends of the first connecting pin (50) and the second connecting pin (60) are pulled out and separated from the connector (20), and the front ends of the first connecting pin (50) and the second connecting pin (60) are pulled out and separated from the table connecting frame (40).
이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핀(50)의 전단부를 상기 테이블 연결프레임(40)의 타측쪽에 형성된 제1체결홀(41)에 다시 삽입 체결하고, 상기 제2연결핀(60)의 전단부를 상기 테이블 연결프레임(40)의 타측쪽에 형성된 제2체결홀(42)에 다시 삽입 체결한다.Next, as shown in Fig. 6, the front end of the first connecting pin (50) is re-inserted and fastened into the first connecting hole (41)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table connecting frame (40), and the front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pin (60) is re-inserted and fastened into the second connecting hole (42)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table connecting frame (40).
연이어, 상기와 같이 제1연결핀(50)의 후단부를 상기 커넥터(20)의 제1연결홀(21)에 삽입 체결하여 잠금시키고, 상기와 같이 제2연결핀(60)의 후단부를 상기 커넥터(20)의 제2연결홀(22)에 삽입 체결하여 잠금시킨다.Next, as described above, the rear end of the first connecting pin (50) is inserted and locked into the first connecting hole (21) of the connector (20), and as described above, the rear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pin (60) is inserted and locked into the second connecting hole (22) of the connector (20).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블(30)이 한쪽 독립 시트에 착석한 승객과 다른 한쪽 독립 시트에 착석한 승객이 공유 사용한 위치에 사용 가능하게 배열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7, the table (30) can be arranged so that it can be used in a shared location by a passenger seated on one independent seat and a passenger seated on the other independent seat.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용 테이블 탈부착 장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 a table attachment/detachment device for an armres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amined as follows.
첨부한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용 테이블 탈부착 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The attached 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able attachment/detachment device for an armres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좌우 리어시트 사이에 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리어 암레스트(70)에 상기한 암레스트 바(10)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한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상기한 일 실시예의 구성이 동일하다.As shown in Fig. 8,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except that the armrest bar (10) is rotatably mounted on a rear armrest (70) that is foldably mount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rear seats.
부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리어 암레스트(70)의 일측 부분에 상기한 암레스트 바(10)가 힌지핀을 포함하는 별도의 조립모듈(미도시됨)에 의하여 탈거 가능하게 장착될 뿐, 상기 암레스트 바(10)의 앞쪽 부분에 커넥터(20)가 장착되고, 암레스트 바(10)의 측부에 버튼(11)이 장착되며, 암레스트 바(10)의 내부에 상기 버튼(11)과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버(12)가 상하 유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등 상기한 일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In detai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 embodiment, except that the armrest bar (10) is detachab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rear armrest (70) by a separate assembly module (not shown) including a hinge pin, a connector (20) is mounted on the front side of the armrest bar (10), a button (11) is mounted on the side of the armrest bar (10), and a lever (12) connected to the button (11) in an interlocking manner is arranged inside the armrest bar (10)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또한, 상기 레버(12)의 내측단 상면부에는 상기 제2연결핀(60)을 락킹 또는 언락킹시키는 락킹단(13)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12)의 내측단 저면부에는 스프링(14)이 압축 가능하게 연결된다.In addition, a locking member (13)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second connecting pin (6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end of the lever (12), and a spring (14) is compressibly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end of the lever (12).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리어 암레스트(70)의 일측부에 상기 암레스트 바(10)를 분리 가능하게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암레스트 바(10)의 커넥터(20)에 테이블(30)을 연결 조립함으로써, 좌측 리어시트 또는 우측 리어시트의 앞쪽에 테이블(30)이 배열될 수 있고, 이에 좌측 또는 우측 리어시트에 탑승한 승객이 테이블(30)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by connecting and assembling a table (30) to the connector (20) of the armrest bar (10) a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hile the armrest bar (10) is detachab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rear armrest (70), the table (30) can be arranged in front of the left rear seat or the right rear seat, and thus a passenger riding in the left or right rear seat can conveniently use the table (30).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좌측 또는 우측 리어시트에 착석한 승객이 하차하고자 할 경우, 상기 테이블(30)을 전방으로 소정 거리 전진시켜서 상기 제1연결핀(50)이 커넥터(20)의 제1연결홀(21)로부터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연결핀(60)이 테이블(30)의 좌우 회전을 위한 회전축이 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승객이 하차시 상기 테이블(30)을 간섭 회피 가능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0 and 11, when a passenger seated in the left or right rear seat a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shes to get off, the table (30) is advanced forward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first connecting pin (5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connecting hole (21) of the connector (20), thereby allowing the second connecting pin (60) to become a rotation axis for left-right rotation of the table (30), and accordingly, the table (30) can be rotated in a direction that avoids interference when the passenger gets off.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핀(50)과 제2연결핀(60)의 전단부를 상기 테이블 연결프레임(40)의 일측쪽으로부터 빼내어 분리한 후, 상기 테이블 연결프레임(40)의 타측쪽에 형성된 제1체결홀(41)과 제2체결홀(42)에 다시 삽입 체결함으로써, 상기 테이블(30)이 좌측 리어시트와 우측 리어시트에 착석한 승객이 공유 사용 가능한 위치에 배열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좌측 리어시트와 우측 리어시트에 착석한 승객이 테이블(30)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a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ront ends of the first connecting pin (50) and the second connecting pin (60) are pulled out from one side of the table connecting frame (40) to separate them, and then re-inserted and connected into the first connecting hole (41) and the second connecting hole (42)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table connecting frame (40), so that the table (30) can be arranged in a position that can be shared by passengers seated in the left rear seat and the right rear seat, and accordingly, passengers seated in the left rear seat and the right rear seat can use the table (30) together.
이와 같이, 상기 암레스트 바(10)에 테이블(30)을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여, 테이블(30)을 1인이 사용하는 싱글 사용 위치 또는 2인 이상이 사용하는 듀얼 사용 위치로 전환시키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테이블(30)의 미사용시에는 암레스트로부터 분리하여 별도의 장소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승객의 실내 거주시 테이블이 간섭 요인으로 작용하는 불편한 점을 해소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table (30)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armrest bar (10), so that the table (30) can be conveniently used by switching it to a single-use position for one person or a dual-use position for two or more people, and when the table (30) is not in use,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armrest and stored in a separate location, thereby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of the table acting as a factor of interference when passengers are residing indoors.
이상으로 본 발명을 하나의 실시예로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암레스트 11 : 버튼
12 : 레버 13 : 락킹단
14 : 스프링 20 : 커넥터
21 : 제1연결홀 22 : 제2연결홀
30 : 테이블 31 : 제1테이블
31-1 : 제1조립핀 32 : 제2테이블
32-1 : 제2조립핀 33 : 커넥터 부시
33-1 : 제1조립홀 33-2 : 제2조립홀
40 : 테이블 연결프레임 41 : 제1체결홀
42 : 제2체결홀 50 : 제1연결핀
53 : 숫나사부 또는 락킹볼 60 : 제2연결핀
61 : 제1락킹홈 62 : 제2락킹홈
70 : 리어 암레스트10: Armrest 11: Button
12: Lever 13: Locking stage
14 : Spring 20 : Connector
21: First connecting hole 22: Second connecting hole
30: Table 31: Table 1
31-1: 1st assembly pin 32: 2nd table
32-1: 2nd assembly pin 33: Connector bushing
33-1: 1st assembly hole 33-2: 2nd assembly hole
40: Table connecting frame 41: First connecting hole
42: 2nd connecting hole 50: 1st connecting pin
53: Male screw or locking ball 60: Second connecting pin
61: 1st locking home 62: 2nd locking home
70 : Rear Armrest
Claims (7)
제1연결홀 및 제2연결홀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암레스트 바의 앞쪽에 장착되는 커넥터;
제1체결홀 및 제2체결홀이 양단부에 형성된 테이블 연결프레임이 저면부에 장착된 테이블;
전단부는 상기 제1체결홀에 삽입 체결되고, 후단부는 상기 제1연결홀에 삽입 체결되는 제1연결핀; 및
상기 제1연결핀에 비하여 더 긴 길이로 구비되어, 전단부는 상기 제2체결홀에 삽입 체결되고, 후단부는 상기 제2연결홀에 삽입 체결되는 제2연결핀;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암레스트용 테이블 탈부착 장치.
Armrest bar detachably mounted on the seatback or armrest;
A connecto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first connecting hole and a second connecting hole are formed and mounted on the front of the armrest bar;
A table having a table connecting frame formed at both ends with a first fastening hole and a second fastening hole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A first connecting pin, the front end of which is inserted and connected into the first connecting hole, and the rear end of which is inserted and connected into the first connecting hole; and
A second connecting pin having a longer length than the first connecting pin, the front end being inserted and connected into the second connecting hole, and the rear end being inserted and connected into the second connecting hole;
A table attachment/detachment device for an armrest of a vehicle, characterized by comprising:
상기 테이블을 전진시켜 상기 커넥터의 제1연결홀로부터 제1연결핀을 분리시키면, 상기 제2연결핀이 테이블의 좌우 회전을 위한 회전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암레스트용 테이블 탈부착 장치.
In claim 1,
A table attachment/detachment device for an armrest of an automobil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table is moved forward and the first connection pin is separated from the first connection hole of the connector, the second connection pin is configured as a rotation axis for left/right rotation of the table.
상기 제1연결핀과 제2연결핀의 전단부에는 상기 제1체결홀과 제2체결홀에 각각 체결되도록 숫나사부 또는 락킹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암레스트용 테이블 탈부착 장치.
In claim 1,
A vehicle armrest table attachment/detach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male screw portion or a locking ball is formed on the front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ins so as to be attach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holes, respectively.
상기 암레스트 바의 측부에 장착되는 버튼;
상기 버튼과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암레스트 바의 내부에 배치되는 레버;
상기 레버의 내측단 상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연결핀을 락킹 또는 언락킹시키는 락킹단; 및
상기 레버의 내측단 저면부에 압축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프링;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암레스트용 테이블 탈부착 장치.
In claim 1,
A button mounted on the side of the above armrest bar;
A lever which is connected in conjunction with the above button and is positioned inside the armrest bar;
A locking memb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end of the lever to lock or unlock the second connecting pin; and
A spring compressibly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end of the above lever;
A table attachment/detachment device for an armrest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상기 제2연결핀의 후단부에는 상기 락킹단이 락킹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락킹홈 및 제2락킹홈이 전후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암레스트용 테이블 탈부착 장치.
In claim 5,
A vehicle armrest table attachment/detach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locking groove and a second locking groove, into which the locking end is inserted in a lockable manner, are formed spaced apart in the front-rear direction at the rear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pin.
상기 테이블은:
앞쪽 양측부에 제1조립핀이 돌출 형성되고, 저면부에는 상기 테이블 연결프레임이 장착된 제1테이블;
뒤쪽 양측부에 제2조립핀이 돌출 형성된 제2테이블; 및
상기 제1조립핀이 삽입되는 제1조립홀과, 상기 제2조립핀이 삽입되는 제2조립홀이 형성된 커넥터 부시;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암레스트용 테이블 탈부착 장치.
In claim 1,
The above table:
A first table having a first assembly pin protruding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and having the table connecting frame mounted on the bottom;
A second table having a second assembly pin protruding from both rear sides; and
A connector bush having a first assembly hole into which the first assembly pin is inserted and a second assembly hole into which the second assembly pin is inserted;
A table attachment/detachment device for an armrest of a vehicle, characterized by comprising:
상기 암레스트 바는 독립식 시트의 시트백 또는 좌우 리어시트 사이에 장착된 리어 암레스트의 측부에 분리 및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암레스트용 테이블 탈부착 장치.In claim 1,
A table attachment/detachment device for an armrest of an automobile, characterized in that the armrest bar is detachably and rotatably attached to the seatback of an independent seat or to the side of a rear armrest mount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rear seats.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018028A KR20240125231A (en) | 2023-02-10 | 2023-02-10 | Device for detachablely mounting table to the armrest of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018028A KR20240125231A (en) | 2023-02-10 | 2023-02-10 | Device for detachablely mounting table to the armrest of vehicl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40125231A true KR20240125231A (en) | 2024-08-19 |
Family
ID=9256779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30018028A Pending KR20240125231A (en) | 2023-02-10 | 2023-02-10 | Device for detachablely mounting table to the armrest of vehicl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240125231A (en) |
-
2023
- 2023-02-10 KR KR1020230018028A patent/KR20240125231A/en active Pending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6474741B2 (en) | Seat | |
| US7735895B2 (en) | Seat configuration system for an automotive interior | |
| US6811200B2 (en) | Seat device for vehicle | |
| US6089641A (en) | Passenger vehicle floor and seat arrangement | |
| US20030122392A1 (en) | Vehicle console and storage system and method | |
| US20110227359A1 (en) | Cable activated latch pawl for floor console armrest | |
| US8011714B2 (en) | Stowable seat and seat storage structure | |
| KR20220085420A (en) | Moving console box for van | |
| CN113306468A (en) | Sliding locking mechanism of headrest support and automobile seat headrest support | |
| US11618360B2 (en) | Armrest arrangement, vehicle seat, and vehicle | |
| WO2011030734A1 (en) | Vehicle seat stowing device | |
| JP2003237477A (en) | Overhead console structure for vehicle | |
| KR20240125231A (en) | Device for detachablely mounting table to the armrest of vehicle | |
| US7600879B1 (en) | Motor vehicle with a rear seat viewing system | |
| US20240416842A1 (en) | Vehicle console having deployable device holder | |
| CN216002425U (en) | Rear seat of vehicle and vehicle | |
| JP3729145B2 (en) | Child seat support structure of the car body | |
| JP3588069B2 (en) | In-vehicle monitor support structure | |
| CN216101680U (en) | Seat with turnable backrest | |
| CN223407822U (en) | Armrest assembly, seat structure and vehicle | |
| JP3559009B2 (en) | In-vehicle monitor support structure | |
| CN216139886U (en) | A posture-adjustable car seat headrest bracket | |
| US20250145061A1 (en) | Sliding interlocking reclining device for vehicle seat | |
| CN212921224U (en) | Seat adjusting component | |
| JPH0556826A (en) | Power type headless structur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1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