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127191A - Home-in-fulfillment service platform capable of integrated management of multiple 3pl logistics networks - Google Patents

Home-in-fulfillment service platform capable of integrated management of multiple 3pl logistics network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27191A
KR20240127191A KR1020230020307A KR20230020307A KR20240127191A KR 20240127191 A KR20240127191 A KR 20240127191A KR 1020230020307 A KR1020230020307 A KR 1020230020307A KR 20230020307 A KR20230020307 A KR 20230020307A KR 20240127191 A KR20240127191 A KR 20240127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logistics
service
inventory
dat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03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기수
강태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물류대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물류대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물류대장
Priority to KR1020230020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27191A/en
Publication of KR20240127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27191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5Quality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Managing shopping lists, e.g. compiling or processing purchase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utilising 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ho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3PL 물류네트워크의 통합관리가 가능한 홈인 풀필먼트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in fulfillment service platform system capable of integrated management of multiple 3PL logistics networks.

Description

복수의 3PL 물류네트워크의 통합관리가 가능한 홈인 풀필먼트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HOME-IN-FULFILLMENT SERVICE PLATFORM CAPABLE OF INTEGRATED MANAGEMENT OF MULTIPLE 3PL LOGISTICS NETWORKS}{HOME-IN-FULFILLMENT SERVICE PLATFORM CAPABLE OF INTEGRATED MANAGEMENT OF MULTIPLE 3PL LOGISTICS NETWORKS}

본 발명은 복수의 3PL 물류네트워크의 통합관리가 가능한 홈인 풀필먼트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in fulfillment service platform system capable of integrated management of multiple 3PL logistics networks.

3PL(Third Party Logistics)인 제3자 물류는 화주와 제3자가 특정서비스에 대해 약속한 기간에 특정비용으로 합의한 과정을 의미하며, 물류업무를 화주기업이 되는 유통기업, 제조기업이 물류서비스 제공기업과 제휴하여 위탁하는 방식이다. 물류서비스품질(Logistics Service Quality)은 고객의 물류에 대한 니즈를 충족시키는 것, 무결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고객을 언제나 충족시키는 것 등으로 요구와 기대를 고객에게 부응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즉, 물류서비스 품질 요인인 주문서비스, 배송서비스, 반품서비스, 고객응대서비스, 경제성을 포함하는데, 물류기업은 변화하는 경제활동의 환경 속에서도 경쟁력 강화 및 목표 달성을 위하여 물류비용의 절감, 편의적인 위치의 물류센터 위치 및 시스템적인 운영 역량 확보 등의 기본 인프라를 갖추어 주어야 한다. 물류기업은 화주기업인 제조업, 총판 도소매업, 가맹서비스업, 무역업 등에게 물류 서비스품질에서 신뢰를 얻고 공급사슬성과를 지향시켜야만 한다.Third-party logistics (3PL) refers to the process in which a shipper and a third party agree on a specific service for a specific period and cost, and is a method in which a distribution company or manufacturing company, which is a shipper company, entrusts logistics work to a logistics service provider company through partnership. Logistics service quality is defined as meeting customer logistics needs, providing flawless service, and always satisfying customers, thereby meeting customer needs and expectations. In other words, it includes logistics service quality factors such as order service, delivery service, return service, customer service, and economic efficiency. In order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and achieve goals even in a changing economic activity environment, logistics companies must establish basic infrastructure such as reducing logistics costs, locating logistics centers in convenient locations, and securing systematic operation capabilities. Logistics companies must gain trust in logistics service quality from shipper companies such as manufacturing companies, wholesalers, retailers, franchise service companies, and trade companies, and aim for supply chain performan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의 3PL 물류네트워크의 통합관리가 가능한 홈인 풀필먼트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hat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solve is to provide a home-in fulfillment service platform system capable of integrated management of multiple 3PL logistics networks.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랫폼 시스템은 제3자 물류 서비스를 신청하고, 적어도 하나의 판매 페이지를 등록한 후 재고관리를 포함한 SCM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3자 물류 서비스가 신청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판매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입출고를 관리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로 고유식별코드를 부여하여 등록하는 등록부, 상기 고유식별코드에 매핑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이 입고된 경우 재고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매 페이지에서 구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구매 이벤트 내 포함된 상품을 패킹한 후 출고하는 프로세스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재고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하는 물류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atform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ask may include a logistics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user terminal that applies for a third-party logistics service, registers at least one sales page, and then receives an SCM service including inventory management; a registration unit that assigns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to a user terminal and registers the user terminal so as to manage the receipt and shipment of at least one product sold by the user terminal when a third-party logistics service is applied for from the user terminal; a transmission unit that updates inventory data and transmits it to the user terminal when at least one product mapped to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is received; a storage unit that stores a process of packing and then shipping a product included in the purchase event when a purchase event occurs on at least one sales page; and a transmission unit that updates the inventory data and transmits it to the user terminal.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3PL 물류네트워크의 통합관리가 가능한 홈인 풀필먼트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home-in fulfillment service platform system capable of integrated management of multiple 3PL logistics networks can be provid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only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part'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using both. In addition, one unit may be realized using two or more pieces of hardware, and two or more units may be realized by one piece of hardware. Meanwhile, '~part' does not have a meaning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No, the '~ part' may be configured to be o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cause one or more processors to regenerate. Thus, by way of example, the '~ part' includes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attributes, procedures,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ality provided in the components and '~ par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 part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 parts'. In addition, the components and '~ parts' may be implemented to cause one or more CPUs in the device or the secure multimedia card.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a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in this specification may instead be performed by a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Similarly,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a server may also be performed by a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terminal and mapping or matching may be interpreted to mean mapping or matching the terminal's unique number or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ich is the terminal's identifying data.

제3자 물류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물류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제3자 물류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물류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물류 서비스 제공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과 연결될 수 있다.A third-party logistics service providing system (1) may includ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nd a logistics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However, this third-party logistics service providing system (1) is generally connected via a network (Network, 200).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a logistics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via the network (200). In addition, the logistics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via the network (200).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 a network means a connection structure that enables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each node, such as multiple terminals and servers, and examples of such networks include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the Internet (WWW: World Wide Web), wired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s, telephone networks, and wired and wireless television communication networks. Examples of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3G, 4G, 5G, 3GPP (3 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 (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 (Long Term Evolution),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Fi, the Internet,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RF (Radio Frequency), Bluetooth (Bluetooth) network, NFC (Near-Field Communication) network,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alog broadcasting network, and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network.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the term at least one is defined as a term including the singular and the plural, and it will be obvious that even if the term at least one does not exist, each component can exist in the singular or the plural and can mean the singular or the plural. In addition, it will be said that whether each component is provided in the singular or the plural may chang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SCM 기반 제3자 물류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제3자 물류 서비스를 신청하는 판매자, 제조사, 공급사 등의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판매 페이지를 물류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등록하여 자신이 판매하는 사이트를 등록하고, 입출고 및 재고관리를 포함하는 SCM 서비스 및 CS 서비스를 위탁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of a seller, manufacturer, supplier, etc. who applies for a third-party logistics service by using a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related to a SCM-based third-party logistics service.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of a user who registers a site where he sells by registering at least one sales page in a logistics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entrusts SCM services and CS services including receipts and shipments and inventory management.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that can access a remote server or terminal via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notebook, desktop, laptop, etc.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and a web browser. At this tim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that can access a remote server or terminal via a network.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include,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ensures portability and mobility, such as a navigation, a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a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a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a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a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a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a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terminal, a smartphone, a smartpad, a tablet PC, and all kind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물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3자 물류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물류 서비스 제공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제3자 물류 서비스의 신청을 받고 입출고, 택배, 보관, 주문, 재고관리, CS 등의 업무를 대행하는 서버일 수 있다.The logistics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provides a third-party logistics service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In addition, the logistics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receives a third-party logistics service application from a user terminal (100) and performs tasks such as receipt/shipment, delivery, storage, ordering, inventory management, and CS.

여기서, 물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logistics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that can connect to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notebook, desktop, or laptop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or a web browser.

물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등록부(310), 전송부(320), 저장부(330), 전달부(340), 자동발주부(350), CS부(360), 요금설정부(370), 매출예측부(380) 및 물량관리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gistics service provision server (300) may include a registration unit (310), a transmission unit (320), a storage unit (330), a delivery unit (340), an automatic ordering unit (350), a CS unit (360), a rate setting unit (370), a sales forecasting unit (380), and a quantity management unit (39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로 SCM 기반 제3자 물류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SCM 기반 제3자 물류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When the logistics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nother server (not shown)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it transmits an SCM-based third-party logistics service application, program, app page, web page, etc.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can install or open the SCM-based third-party logistics service application, program, app page, web page, etc. In addition, the service program may be driven on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using a script that is executed in a web browser. Here, the web browser refers to a program that enables the use of a web (WWW: World Wide Web) service and receives and displays hypertext described in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and includes, for example, Netscape, Explorer, Chrome, etc. In addition, the application refers to an application program on a terminal, and includes, for example, an app that is executed on a mobile terminal (smartphone).

과거의 물류 아웃소싱 서비스는 생산자에서 구매고객까지의 단순 배송 서비스가 대표적이었다. 그러나 현재의 물류 아웃소싱 서비스의 범위는 창고 관리를 비롯해서 운송, 운임 지불, 물류정보와 주문, 포장, 조립, 통관 업무에 이르기까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제3자 물류기업의 서비스 품질 차원에서 주문의 정확성, 가용성, 가시성, 전문성이 화주기업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넓은 범위의 물류서비스 품질과 맞춤 물류서비스의 제공은 물류업체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가장 중요한 요건으로 볼 수 있다.In the past, logistics outsourcing services were typically simple delivery services from producers to buyers. However, the scope of current logistics outsourcing services is gradually expanding to include warehouse management, transportation, freight payment, logistics information and ordering, packaging, assembly, and customs clearance. In terms of service quality of third-party logistics companies, order accuracy, availability, visibility, and professionalism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shipper companies. In addition, the provision of a wide range of logistics service quality and customized logistics services can be seen as the most important requirements for securing competitiveness of logistics companies.

제3자 물류기업의 물류 아웃소싱 서비스 제공으로 화주기업은 그동안 자체적으로 수행하던 물류 업무를 아웃소싱 전문 업체에 위탁하고 기업 내부의 물류와 관련된 자산 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물류 관련 전문 서비스를 이용하여 고객 서비스를 향상한다. 물류 서비스 향상을 위하여 제3자 물류기업은 화주기업별 맞춤 물류 아웃소싱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넓은 범위를 아우르는 서비스 기능도 포함하여야 한다.By providing logistics outsourcing services from third-party logistics companies, shippers can outsource their previously self-performed logistics work to specialized outsourcing companies, reduce their internal logistics-related asset costs, and improve customer service by utilizing specialized logistics-related services. In order to improve logistics services, third-party logistics companies should not only provide customized logistics outsourcing services for each shipper company, but also include a wide range of service functions.

등록부(3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제3자 물류 서비스가 신청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에서 판매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입출고를 관리하도록 사용자 단말(100)로 고유식별코드를 부여하여 등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제3자 물류 서비스를 신청하고, 적어도 하나의 판매 페이지를 등록한 후 재고관리를 포함한 SCM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The registration unit (310) can register a user terminal (100) by assigning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to the user terminal (100) to manage the receipt and shipment of at least one product sold by the user terminal (100) when a third-party logistics service is applied for from the user terminal (100). The user terminal (100) can apply for a third-party logistics service, register at least one sales page, and then receive SCM services including inventory management.

전송부(320)는, 고유식별코드에 매핑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이 입고된 경우 재고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고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SCM을 위하여 NoSQL 기반 물류 객체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도록, 입고에서 출고까지 과정에서 상품의 종류, 창고의 위치, 설비 등의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고, 공간 연산을 통해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객체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산 저장하는 프로세스와 공간 객체 연산 및 추적의 프로세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품의 입고에서부터 적재 및 배송에 이르기까지의 각 상품이라는 객체의 데이터를 수집 저장하고 이를 분산 저장하는 객체 데이터 수집 및 분산 저장 모듈과 공간 연산을 통해 위치와 조건에 맞는 데이터들을 찾고 객체들의 이동을 추적하는 공간 객체 연산 및 추적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unit (320) can update inventory data and transmit it to the user terminal (100) when at least one product mapped to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is received. At this time, in order to track the location of a NoSQL-based logistics object for smart SCM, a method of collecting and storing data on the type of product, the location of the warehouse, equipment, etc. from the process from receipt to shipment, and tracking the location through spatial operation can be used. To this end, it can be composed of a process of collecting and distributing and storing object data, and a process of spatial object operation and tracking. It can include an object data collection and distributed storage module that collects and stores data of each product object from receipt to loading and delivery, and distributes and stores the same, and a spatial object operation and tracking module that finds data that meets the location and conditions through spatial operation and tracks the movement of objects.

실시간 표준 프로토콜인 MTConnect의 표준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산 저장을 위해서는 NoSQL 기반의 Mongo-DB를 사용할 수 있다. MongoDB는 NoSQL로 분산 데이터베이스 및 간단한 공간 연산을 지원한다. MongoDB는 대표적인 문서 기반 데이터베이스로 비구조적이며, 분산 확장성이 용이하게 설계되었다. 또한 문서의 형태로 다중 계층 구조를 지원하므로 내장 문서와 배열 등 다양한 형태의 저장 구조를 지원한다.You can collect data using the standard of MTConnect, a real-time standard protocol, and use NoSQL-based Mongo-DB for distributed storage. MongoDB is a NoSQL that supports distributed databases and simple spatial operations. MongoDB is a representative document-based database that is unstructured and designed for easy distributed scalability. It also supports multi-hierarchical structures in the form of documents, so it supports various types of storage structures such as embedded documents and arrays.

또한, MongoDB는 데이터셋이 Key-Value의 쌍으로 저장되며, Key 값에 대한 형식이 비교적 자유롭다. 이러한 점은 데이터 구조를 계층적으로 할 수 있으며, 각종 프로토콜을 손쉽게 MongoDB의 JSON 포맷으로 바꿀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 공간연산의 기본적인 연산은 MongoDB의 3가지 연산을 사용할 수 있다. 다양한 공간연산을 사용할 필요성이 있다면 OGC Simple Feature Specification를 기반으로 공간타입 및 연산을 추가할 수 있다. MongoDB의 연산자 외에도 MongoDB는 GeoJSON 객체를 가져올 수 있다. 다만, 보관 창고 환경은 대부분 실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GPS기반의 공간좌표의 획득은 GeoJSON의 실내 측위에서 의구점을 가져온다. 실내 환경의 위치 측위는 GPS가 아닌 센서를 이용한 측위이기 때문이다. 궤적 추적은 로그 이력을 바탕으로 궤적을 추적한다.In addition, MongoDB stores datasets as Key-Value pairs, and the format for Key values is relatively free. This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tructure the data hierarchically and easily converting various protocols into MongoDB's JSON format. In addition, the basic spatial operation can use three operations of MongoDB. If there is a need to use various spatial operations, spatial types and operations can be added based on the OGC Simple Feature Specification. In addition to MongoDB's operators, MongoDB can retrieve GeoJSON objects. However, since most storage environments are located indoors, obtaining spatial coordinates based on GPS raises questions about the indoor positioning of GeoJSON. This is because the positioning in the indoor environment is positioning using a sensor, not GPS. Trajectory tracking tracks the trajectory based on the log history.

궤적 추적을 통해 작업중 이상이 발생한 프로세스에서 패킹된 상품을 찾기 쉬워진다. 예를 들어,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로그에서 에러가 발생한 시간에 해당 패킹 장치나 유닛을 지나간 상품을 확인하고 택배박스를 수거할 수 있다.Trajectory tracking makes it easier to find packed goods in a process where an error occurred during operation. For example, if an error occurs, you can check the log to see which goods passed through the packing device or unit at the time the error occurred and collect the delivery box.

저장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판매 페이지에서 구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구매 이벤트 내 포함된 상품을 패킹한 후 출고하는 프로세스를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330) can store a process of packing and shipping products included in a purchase event when a purchase event occurs on at least one sales page.

전달부(340)는, 재고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고 사용자 단말(100)로 전달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unit (340) can update inventory data and transmit it to the user terminal (100).

자동발주부(350)는, 적어도 하나의 판매 페이지를 통하여 결제된 상품의 매출데 이터를 분석한 후, SCM(Supply Chain Management)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재고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품의 종류 및 수량을 설정하여 적어도 하나의 공급처로 자동발주를 수행할 수 있다. 공급사슬에서 재고관리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기업은 공급사슬의 재고를 관리함으로써 비용의 절감과 납기를 동시에 만족시키고자 노력한다. 여기서 적정재고를 어느 수준으로 유지해야 하는 가는 중요한 문제라 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재고 수준을 낮게 운영할 경우 비용은 절감시킬 수 있지만 품절 비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충분히 보유하는 경우 고객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지만 재고 유지비용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The automatic ordering unit (350) can perform automatic ordering to at least one supplier by setting the type and quantity of products so as to maintain a preset inventory based on SCM (Supply Chain Management) after analyzing the sales data of products paid through at least one sales page. Inventory management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supply chain. Companies strive to simultaneously reduce costs and satisfy delivery deadlines by managing inventory in the supply chain. Here, the level at which the appropriate inventory should be maintained is an important issue. The reason is that if the inventory level is operated at a low level, costs can be reduced, but out-of-stock costs can occur, and if the inventory level is sufficient, customer demand can be satisfied, but inventory maintenance costs can increase.

재고관리 기법은 고정 주문방식(FOQ: Fixed Order Quantity), 경제적 주문방식(EOQ: Economic Order Quantity), 주기적 주문방식(POQ: Periodic Order Quantity), Min-Max 주문방식 등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일정 기간을 두고 주문하는 경우, 공급사슬에서 발생하는 채찍효과(Bullwhip Effect)를 상쇄시키기가 어렵다. 채찍효과는 공급사슬 내의 공장에서 최종 소비자로까지의 단계가 멀어질수록 정보의 왜곡으로 인해 수요와 재고의 불안정성이 확대되는 현상이다. 따라서 공급사슬 내의 각 매장들은 적정량 이상의 재고를 보유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이전 단계의 주문량 변화에 대응하는 것이 아닌, 공급사슬 전반차원에서 재고를 관리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특히 제약이론(TOC: Theory of Constrains)에서 제시하는 공급사슬관리와 목표재고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상술한 채찍효과를 보완할 수 있다.There are various inventory management techniques that can be used, such as Fixed Order Quantity (FOQ), Economic Order Quantity (EOQ), Periodic Order Quantity (POQ), and Min-Max Order. However, if orders are placed ove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is difficult to offset the bullwhip effect that occurs in the supply chain. The bullwhip effect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instability of demand and inventory increases due to information distortion as the stage from the factory to the final consumer in the supply chain becomes farther away. Therefore, each store in the supply chain holds more than the appropriate amount of inventory. To solve this problem, rather than responding to changes in the order quantity of the previous stage, a method of managing inventory at the overall level of the supply chain can be considered. In particular, if the supply chain management and target inventory management system suggested by the Theory of Constrains (TOC) are used, the bullwhip effect described above can be supplemented.

이때, 정량주문방법은 상품의 재고량이 일정 수준이하로 내려갈 경우 자동적으로 사전에 정해진 주문량만큼을 발주하여 재고를 보충하는 방법으로 ‘Q 시스템’이라고도 불린다. 이는 수요예측이 어렵거나 품목이 많고 관리하기 어려울 경우 사용되는 방법으로 관리가 용이하지만 재고의 증가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할 확률이 높다. 정기주문방법은 일정 기간을 간격으로 정기적으로 재고를 파악하여 부족량만큼을 주문하는 방식으로 ‘P 시스템’이라고도 불린다. 정기주문방법은 일정 기간의 재고 변동성을 상쇄시켜야하기 때문에 다른 방식에 비해 더 많은 안전재고를 보유해야 하는 단점을 가진다. Min-Max 방법은 정량과 정기주문방법을 절충하여 만들어진 방법으로 발주량이 정해져있지 않으며, 재고수준이 Min 값 이하일 때 적정재고 수량에서 현재재고 수량을 차감한 양만큼만 주문한다. 모든 시스템에는 성과를 방해하는 제약요소가 존재하며 해당 제약요소를 해결할 경우 성과가 상승할 것이라는 내용이다. TOC이론에서 제시하는 목표재고관리 방법에서는 공급사슬의 최종단계에 있는 소매점이 판매한 양을 매일 상위 단계에 주문하여 정보의 지연에 따른 왜곡을 감소시킨다. 또한 공급사슬의 단계를 축소시켜 중앙에서 불확실성을 관리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quantitative ordering method is a method that automatically orders a predetermined order quantity to replenish inventory when the inventory of a product falls below a certain level. It is also called the ‘Q system’. This is a method used when demand forecasting is difficult or when there are many items and management is difficult. It is easy to manage, but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problems due to an increase in inventory will occur. The periodic ordering method is also called the ‘P system’ in which inventory is regularly checke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amount insufficient is ordered. The periodic ordering method has the disadvantage of having to hold more safety inventory than other methods because it must offset inventory volatility over a certain period. The Min-Max method is a method created by compromising the quantitative and periodic ordering methods. The order quantity is not fixed, and when the inventory level is below the Min value, only the amount of the appropriate inventory quantity minus the current inventory quantity is ordered. It is said that all systems have constraints that hinder performance, and that performance will increase if these constraints are resolved. The target inventory management method suggested by TOC theory reduces distortion due to information delay by ordering the amount sold by the retailer at the final stage of the supply chain to the upper stage every day. In addition, a method of reducing the stages of the supply chain and managing uncertainty centrally can be used.

CS(Customer Service)부(360)는, 적어도 하나의 판매 페이지에 등록되는 문의, 환불요청 및 교환요청에 대하여 담당자를 할당하여 처리한 결과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CS (Customer Service) department (360) can assign a person in charge of inquiries, refund requests, and exchange requests registered on at least one sales page and transmit the results of processing to the user terminal (100).

요금설정부(370)는, 기 설정된 CBM(Cubic Meter) 단위 이하의 상품의 보관 및 기 설정된 건 수의 택배 출고를 기준으로 기본요금을 책정하고, 기 설정된 CBM을 초과하거나 기 설정된 수의 택배 출고의 수를 초과하는 경우 추가요금을 부과할 수 있다.The rate setting department (370) sets a basic rate based on the storage of products below a preset CBM (Cubic Meter) unit and the delivery of a preset number of parcels, and may impose an additional rate if the preset CBM or the number of parcels delivered exceeds the preset number.

매출예측부(370)는, 적어도 하나의 판매 페이지의 매출 데이터를 누적하여 히스토리 로그로 저장한 후, SCM 기반으로 매출을 예측한 후 예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발주이벤트를 출력할 수 있다.The sales prediction unit (370) can accumulate sales data of at least one sales page and save it as a history log, then predict sales based on SCM and output an order event based on the predicted data.

물량관리부(380)는, 적어도 하나의 물류업체 단말에서 누적된 WMS(Warehouse Management System) 기반 물류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물량예측모델을 이용하여 예측량을 리포팅할 수 있다. 이때, 물류현장의 WMS 및 공공데이터포털, 검색포털사이트 등과 API로 연계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각종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지능정보 서비스를 도출, 다시 물류현장 WMS에 API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지능형 서비스는 주문정보와 검색어 트랜드 데이터, 공공데이터를 바탕으로 소비성향이 유사한 세그먼트별로 주문량을 예측하는 물류 빅데이터 기반 물량예측 서비스와 물량예측에 따라, 출고작업에 필요한 차량종류별 차량수를 산출하는 머신러닝 기반 배차소요 예측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quantity management department (380) can report the predicted quantity using at least one quantity prediction model based on the accumulated warehouse management system (WMS)-based logistics big data from at least one logistics company terminal. At this time, it can be configured in a form of constructing big data by linking with the WMS of the logistics site, public data portal, search portal site, etc. through API, deriving intelligent information services through various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s, and then providing the services as APIs to the WMS of the logistics site. In particular, the intelligent service can include a quantity prediction service based on logistics big data that predicts the order quantity by segment with similar consumption tendencies based on order information, search word trend data, and public data, and a machine learning-based dispatch requirement prediction service that calculates the number of vehicles by vehicle type required for delivery work according to the quantity prediction.

물류 빅데이터 기반 물량예측 서비스는 주문정보와 검색어 트랜드 데이터, 공공데이터를 바탕으로 소비성향이 유사한 세그먼트별로 유효한 영향요인을 선별하고, 세그먼트별 주문량을 예측하는 서비스이다. 투입되는 데이터로는 운송장 데이터, 주문량 데이터, 상품 데이터 등 WMS에 기본적으로 축적되는 물류 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델을 구성하며, 소비패턴의 반영을 위한 구글, 네이버 등의 검색포털사이트의 키워드 데이터와 날씨, 달력 정도 등의 공공데이터가 이용될 수 있다. 물량예측 모델에서는 K-평균 군집화분석(K-means Algorithm), 계층적 군집분석(Hierarchical Clustering) 등의 군집화 분석을 통해 소비성향이 유사한 세그먼트로 분류(Clustering)하고, 세그먼트별로 ARIMA 시계열 분석 및 회귀분석을 통해, 유효한 영향요인 선별 및 주문량을 예측할 수 있다. 특히, 인터넷 검색시점은 수요 시점에 비해 과거임을 고려하여, K-겹 교차검증(K-Fold Cross Validation)을 시행하여, 시간차에 따른 모형의 정확도를 비교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되는 산출물(Output)은 익일 총 출고량과 출고주문 조합(단품, 복합주문 등),The logistics big data-based quantity forecasting service is a service that selects valid influencing factors by segment with similar consumption tendencies based on order information, search term trend data, and public data, and predicts order quantities by segment. The data input includes logistics data such as waybill data, order quantity data, and product data that are basically accumulated in WMS to construct a model, and keyword data from search portal sites such as Google and Naver and public data such as weather and calendar information can be used to reflect consumption patterns. The quantity forecasting model classifies (clusters) into segments with similar consumption tendencies through clustering analysis such as K-means algorithm and hierarchical clustering, and selects valid influencing factors and predicts order quantities by segment through ARIMA time series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In particular, considering that the time of Internet search is in the past compared to the time of demand, K-Fold Cross Validation is performed to compare the accuracy of the model according to the time difference, and the output derived through this process is the total shipment amount of the next day and the combination of shipment orders (single product, complex order, etc.).

주간 품목별 출고량 등이며, 이는 머신러닝 기반 배차소요 예측 모델의 투입변수로 이용될 수 있다.This includes weekly shipment volume by item, and can be used as an input variable for a machine learning-based dispatch requirement prediction model.

머신러닝 기반 배차소요 예측 모델은 ① 주문량 및 주문조합에 따른 박스크기 예측, ② 팔레트 최적 적재량 및 팔레트 수 예측, ③ 팔레트 적재를 위한 배차소요 예측의 단계로 수행하여, 출고작업에 필요한 차량종류별 차량수를 예측하는 서비스이다. 투입되는 데이터로는 주문량 예측값과 패킹정보가 기본적으로 투입되며, 각 단계별로 산출된 예측값이 투입변수로 다시 피드백되도록 활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첫 번째로 박스크기예측 모델은 300 SKU(Stock Keeping Unit)와 1~10호의 박스크기를 고려하여, 상품주문 건별로 최적의 박스크기를 예측하기 위한 모델로, 완전신경망, CNN, RNN 등의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주문 건별 최적 박스크기가 도출되고, 박스크기별 출고량이 예측될 수 있다. 두 번째로, 팔레트 적재량 예측 모델은 1∼10호로 상이한 박스 크기와 순서를 고려, 표준화된 팔레트 위에 크기가 상이한 박스를 최적의 조합으로 적재하기 위한 모델로, 강화학습 방법론을 사용하여, 출고를 위해 필요한 팔레트 수를 예측할 수 있다. 세 번째로, 배차소요 예측 모델은 팔레트 적재량 예측 단계에서 예측된 팔레트 수를 바탕으로 배차소요를 예측하는 모델로, 팔레트 크기와 차량의 컨테이너 크기는 표준화되어 있음에 따라, 출고 예상되는 팔레트 수와 배차 소요는 1 차 함수 관계를 가지는 것을 고려하여, 당일 출고작업에 필요한 배차소요를 예측할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해 도출되는 산출물(Output)은 당일 출고작업에 필요한 차량 소싱에 이용될 수 있다.The machine learning-based dispatch requirement prediction model is a service that predicts the number of vehicles by vehicle type required for shipment work by performing the following steps: ① predicting box size according to order quantity and order combination, ② predicting optimal pallet loading amount and number of pallets, and ③ predicting dispatch requirement for pallet loading. The input data basically includes order quantity prediction value and packing information, and the structure can be used so that the prediction value produced at each step is fed back as an input variable. First, the box size prediction model is a model to predict the optimal box size for each product order by considering 300 SKU (Stock Keeping Unit) and box sizes from 1 to 10, and can utilize deep learning algorithms such as complete neural networks, CNNs, and RNNs. Through this, the optimal box size for each order can be derived, and the shipment quantity for each box size can be predicted. Second, the pallet loading prediction model is a model to optimally load boxes of different sizes on a standardized pallet by considering different box sizes and orders from 1 to 10, and can predict the number of pallets required for shipment using the reinforcement learning methodology. Third, the dispatching requirement prediction model is a model to predict the dispatching requirement based on the number of pallets predicted in the pallet loading prediction step. Since the pallet size and the container size of the vehicle are standardized, the expected number of pallets to be shipped and the dispatching requirement have a linear function relationship, and thus the dispatching requirement required for the same-day shipment can be predicted. The output derived through this process can be used to sourcing vehicles required for the same-day shipment.

Claims (1)

제3자 물류 서비스를 신청하고, 적어도 하나의 판매 페이지를 등록한 후 재고관리를 포함한 SCM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3자 물류 서비스가 신청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판매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입출고를 관리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로 고유식별코드를 부여하여 등록하는 등록부, 상기 고유식별코드에 매핑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이 입고된 경우 재고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매 페이지에서 구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구매 이벤트 내 포함된 상품을 패킹한 후 출고하는 프로세스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재고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하는 물류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제3자 물류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er terminals that apply for third-party logistics services and receive SCM services including inventory management after registering at least one sales page; and
A third-party logistics service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logistics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registration unit that assigns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to a user terminal and registers the user terminal so as to manage the receipt and shipment of at least one product sold by the user terminal when a third-party logistics service is requested from the user terminal; a transmission unit that updates inventory data and transmits it to the user terminal when at least one product mapped to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is received; a storage unit that stores a process of packing and then shipping a product included in the purchase event when a purchase event occurs on at least one sales page; and a transmission unit that updates the inventory data and transmits it to the user terminal.
KR1020230020307A 2023-02-15 2023-02-15 Home-in-fulfillment service platform capable of integrated management of multiple 3pl logistics networks Pending KR2024012719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0307A KR20240127191A (en) 2023-02-15 2023-02-15 Home-in-fulfillment service platform capable of integrated management of multiple 3pl logistics network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0307A KR20240127191A (en) 2023-02-15 2023-02-15 Home-in-fulfillment service platform capable of integrated management of multiple 3pl logistics network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27191A true KR20240127191A (en) 2024-08-22

Family

ID=92546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0307A Pending KR20240127191A (en) 2023-02-15 2023-02-15 Home-in-fulfillment service platform capable of integrated management of multiple 3pl logistics network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12719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6878B1 (en) System for providing supply chain management based third party logistics service
US7482931B2 (en) Product flow based auto-ID infrastructure
US8768777B2 (en) Tracking assets between organizations in a consortium of organizations
KR10229096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nd optimizing delivery networks
Ramasesh et al. Sole versus dual sourcing in stochastic lead-time (s, Q) inventory models
Zhou et al. An RFID-based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enterprise internal production management
US7383284B2 (en) Inventory management
US8000988B1 (en) Selecting shipping methods dependent on a dynamic model of shipping activity
US20240037483A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 Supply Chain Digital Hub
Aydınocak Internet of things (IoT) in marketing logistics
US20030204450A1 (en) Inventory management
KR20220000529A (en) Smart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real-time stock reporting
KR102839463B1 (en) System for distribution transfer management for bis scaling of distribution transfer management employing active tag
KR102579048B1 (en) Industrial Material Purchase Order Control System in Full Automated Process, based on Real-time Logistic Informations, for Optimum Purchase and Inventory Maintenance
KR102551754B1 (en) Method of operating home-in-fulfillment service platform that enables accurate and prompt delivery and installation by matching big data calculations of different 3pl logistics networks and real-time inventory and installation engineers based on consumer orders
KR20240127191A (en) Home-in-fulfillment service platform capable of integrated management of multiple 3pl logistics networks
KR20240127192A (en) Home-in-fulfillment service platform system in which the entire process of logistics delivery is automatically recorded and managed
Siddiqui et al. Case Fill Rate Prediction
EP1365337A2 (en) Lean inventory management
US20150100378A1 (en) Supply chai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Rehman Khan et al. Inventory Management
KR20240131754A (en) system for providing third party logistics service
KR20230131706A (en) O4o(online for offline) agrifood trading platform based on smart-logistics
Goyal et al. Impact of warehouse management system in a supply chain
KR20210087633A (en) Supply Chain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1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