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131867A - Method for providing training content based on a variety of ai management provider for education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viding training content based on a variety of ai management provider for edu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31867A
KR20240131867A KR1020230103444A KR20230103444A KR20240131867A KR 20240131867 A KR20240131867 A KR 20240131867A KR 1020230103444 A KR1020230103444 A KR 1020230103444A KR 20230103444 A KR20230103444 A KR 20230103444A KR 20240131867 A KR20240131867 A KR 20240131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swer
question
user terminal
learning model
lear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34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랑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구루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구루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구루미
Publication of KR20240131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31867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6Cluster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using automatic reactions or user delegation, e.g. automatic replies or chatbot-generated me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제 일 실시예에 따르는 메인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인공지능 관리 프로바이더 기반의 교육 컨텐츠 제공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이 입력하는 질문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질문의 카테고리를 분류하여 복수의 학습모델 중 가장 적합한 학습모델로 전달하여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을 출력하는 단계; 및 (c) 출력한 상기 답변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각 학습모델은 상기 카테고리에 따라, 서로 다른 질문데이터 및 답변데이터가 쌍으로 구성된 학습데이터로 학습이 되어 있고, 서로 다른 캐릭터가 매칭되어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답변을 제공할 때, 상기 답변을 출력한 학습모델에 대응하는 캐릭터의 이미지를 함께 제공한다.In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based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provider performed by a main server comprises: (a) a step of receiving a question input by a user terminal; (b) a step of the main server classifying the category of the question and transmitting it to a most suitable learning model among a plurality of learning models to output an answer to the question; and (c) a step of providing the outputted answer to the user terminal; wherein each learning model is trained using learning data in which different question data and answer data are paired according to the category, and different characters are matched, and when the user terminal provides the answer, it also provides an image of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model that output the answer.

Description

다양한 학습용 인공지능 관리 프로바이더 기반의 교육 컨텐츠 제공방법{METHOD FOR PROVIDING TRAINING CONTENT BASED ON A VARIETY OF AI MANAGEMENT PROVIDER FOR EDUCATION}{METHOD FOR PROVIDING TRAINING CONTENT BASED ON A VARIETY OF AI MANAGEMENT PROVIDER FOR EDUCATION}

본 발명은 인공지능 관리 프로바이더 기반의 교육 컨텐츠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공지능 학습모델이 미리 입력되는 질문과 답변을 학습하고, 학습한 질문과 답변을 복수의 답변 모델로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이 입력하는 질문에 대한 카테고리를 분류하여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답변 모델로부터 답변을 추출하여 제공하는 교육 컨텐츠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method based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provider, and more specifically, to an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method in which an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learns questions and answers input in advance, generates the learned questions and answers into a plurality of answer models, classifies categories for questions input by a user terminal, and extracts and provides answers from answer models corresponding to the categories.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AI학습모델을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As AI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dvances,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utilize AI learning models in various fields.

특히, 사용자에게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는 교육분야는 한 명의 교육자가 학습시킨 AI학습모델을 이용하여 여러 명의 학생에게 교육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해당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In particular, the field of education, which provides educational content to users, is the most actively conducting research due to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ovide educational content to multiple students using an AI learning model taught by one educator.

특히, AI학습 모델을 이용한 교육 컨텐츠 중 사용자(학생)이 질문하면 교육자(AI)가 답변을 수행하는 질답형 컨텐츠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어 각광 받고 있다.In particular, among educational contents using AI learning models, question-and-answer content, where users (students) ask questions and the educator (AI) provides answers, is considered the most suitable and is receiving attention.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질답형 교육은 단순히, 교육자 측에 미리 예상 질문 또는 유사 질문을 저장하여 두고, 학생 측으로부터 수신한 질문을 이와 대조하여 설정된 답변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수행되어 왔다.In this regard, conventional question-and-answer style education has been carried out simply by having educators store anticipated questions or similar questions in advance and presenting answers set against the questions received from students.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학생 측 답변이 항상 일정하지 않고, 다른 문맥 또는 문법으로 작성되는 경우, 불명확하거나 옳지 않은 답변을 제시하여, 질답형 학습의 효율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is method has the problem that it reduces the efficiency of question-and-answer learning by providing unclear or incorrect answers when the student's answers are not always consistent and written in a different context or grammar.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공지능 학습모델이 미리 학습한 질문과 답변을 복수의 답변 모델로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이 입력하는 질문의 답변을 답변 모델로부터 추출하여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enerate multiple answer models from questions and answers learned in advance by an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and to provide answers to questions input by a user terminal by extracting them from the answer models.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tasks that this embodiment seeks to accomplish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task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task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일 실시예에 따르는 메인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인공지능 관리 프로바이더 기반의 교육 컨텐츠 제공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이 입력하는 질문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질문의 카테고리를 분류하여 복수의 학습모델 중 가장 적합한 학습모델로 전달하여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을 출력하는 단계; 및 (c) 출력한 상기 답변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각 학습모델은 상기 카테고리에 따라, 서로 다른 질문데이터 및 답변데이터가 쌍으로 구성된 학습데이터로 학습이 되어 있고, 서로 다른 캐릭터가 매칭되어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답변을 제공할 때, 상기 답변을 출력한 학습모델에 대응하는 캐릭터의 이미지를 함께 제공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task, in a method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based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provider performed by a main serv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comprises: (a) a step of receiving a question input by a user terminal; (b) a step of the main server classifying the category of the question and transmitting it to the most suitable learning model among a plurality of learning models to output an answer to the question; and (c) a step of providing the outputted answer to the user terminal; wherein each learning model is trained with learning data in which different question data and answer data are paired according to the category, and different characters are matched, and when the user terminal provides the answer, it also provides an image of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model that output the answer.

또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카테고리 별로 학습데이터를 수집하고, 외부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학습데이터를 통해 상기 복수의 학습모델을 학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서버에는 상기 복수의 학습모델이 구축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서버는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특정 카테고리의 질문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특정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학습모델에 의해 상기 질문데이터와 쌍을 이루는 답변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상기 복수의 학습모델을 학습하는 서버이다.In addition,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a step of collecting learning data by category before the step (a), transmitting the data to an external server, and training the plurality of learning models through the learning data; wherein the plurality of learning models are built on the external server, and the external server is a server that trains the plurality of learning models so that when question data of a specific category is input from the main server, answer data paired with the question data is output by the learning mod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category.

또한, 상기 (b)단계는, (b-1) 상기 메인서버가 기 학습된 질문분류모델을 통하여 상기 질문에 대한 카테고리를 분류하는 단계; (b-2) 상기 질문과 상기 카테고리값을 상기 외부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3) 상기 외부서버가 상기 카테고리값을 참고하여 상기 복수개의 학습 모델 중 어느 모델에 상기 질문을 입력할지 결정하고, 결정된 모델에 상기 질문을 입력하여 답변을 출력하는 단계; 및 (b-4) 출력된 상기 답변을 상기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tep (b) includes: (b-1) a step of classifying a category for the question by the main server through a pre-learned question classification model; (b-2) a step of transmitting the question and the category value to the external server; (b-3) a step of determining which of the multiple learning models to input the question to by the external server with reference to the category value, and inputting the question to the determined model to output an answer; and (b-4) a step of transmitting the outputted answer to the main server.

또한, 상기 카테고리는 교육 컨텐츠 사용법, 일반 대화, 영어 작문, 회의록 및 수업노트 정리를 포함한다.Additionally, the above categories include how to use educational content, general conversation, English writing, meeting minutes, and class note organization.

또한, 상기 교육 컨텐츠 사용법에 대한 학습모델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 교육 컨텐츠 사용법에 대한 질문을 수신하여 답변을 제공하고, 상기 일반 대화에 대한 학습모델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공부방법, 합격 수기 및 합격 노트를 포함하는 학습에 관한 질문을 수신하고, 상기 질문에 대응하는 답변을 제공하고, 상기 영어 작문에 대한 학습모델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영어 작문에 대한 질문을 수신하고, 영어 작문 수업 및 영어 작문 교정 수업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learning model for the usage of the educational content receives a question about the usage of the educational content from the user terminal and provides an answer, the learning model for the general conversation receives a question about learning, including a study method, a passing essay, and a passing note, from the user terminal and provides an answer corresponding to the question, and the learning model for English writing receives a question about English writing from the user terminal and provides an English writing class and an English writing correction class.

또한, 상기 영어 작문에 대한 학습모델은 상기 영어 작문 수업 및 영어 작문 교정 수업의 결과에 대해 상기 영어 작문을 수행한 모든 사용자 단말 중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영어 작문의 순위를 함께 제공하고, 상기 작문의 순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입력한 문장에 대해 상기 학습모델이 얼마나 많은 횟수의 단어를 정정하였는지 여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작문 문법 검토요청 입력을 얼마나 많이 입력하였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결정한다.In addition, the learning model for the English writing provides the ranking of the English writing of the user terminal among all user terminals that performed the English writing for the results of the English writing class and the English writing correction class, and the ranking of the writing is determined based on how many times the learning model corrected words in the sentence input by the user terminal and how many times the user terminal input a request for a writing grammar review.

또한, 상기 영어 작문에 대한 학습모델은 상기 영어 작문 수업 및 영어 작문 교정 수업 중 상기 사용자 단말이 특정 단어의 스펠링 또는 특정 문법을 기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반복해서 틀리는 경우, 상기 외부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공부방법 지도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상기 공부방법 지도를 위한 학습모델로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공부방법 지도를 위한 학습모델은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입력값으로 수신하고, 상기 특정 단어의 스펠링 또는 특정 문법의 공부방법에 관한 답변을 출력값으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terminal repeatedly makes a mistake in the spelling of a specific word or a specific grammar a preset number of times during the English writing class and the English writing correction class, the external server determines that the user terminal needs guidance on a study method and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status to the learning model for the guidance on the study method, and the learning model for the guidance on the study method receives the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status as an input value and outputs an answer about a study method for the spelling of the specific word or the specific grammar as an output value, thereby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또한, 답변 UI는 1) 질문을 입력하기 위한 질문창 2) 답변이 제공되는 답변창 3) 질문과 답변의 주제에 맞는 학습모델에 대응하는 캐릭터를 표시하는 캐릭터 표시 영역을 포함하며, 질문창에 질문을 입력할 때, 답변창과 캐릭터 표시영역이 제공되지 않으나, 질문을 입력한 뒤 답변이 제공될 때, 답변창과 캐릭터 표시영역이 함께 표시된다.In addition, the answer UI includes 1) a question window for entering a question, 2) an answer window where an answer is provided, and 3) a character display area that displays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a learning model that matches the topic of the question and answer. When a question is entered in the question window, the answer window and character display area are not provided, but when an answer is provided after entering a question, the answer window and character display area are displayed together.

메인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인공지능 관리 프로바이더 기반의 교육 컨텐츠 제공장치에 있어서, 인공지능 관리 프로바이더 기반의 교육 컨텐츠 제공방법에 관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a) 사용자 단말이 입력하는 질문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질문의 카테고리를 분류하여 복수의 학습모델 중 가장 적합한 학습모델로 전달하여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을 출력하는 단계; 및 (c) 출력한 상기 답변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각 학습모델은 상기 카테고리에 따라, 서로 다른 질문데이터 및 답변데이터가 쌍으로 구성된 학습데이터로 학습이 되어 있고, 서로 다른 캐릭터가 매칭되어 있으며,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답변을 제공할 때, 상기 답변을 출력한 학습모델에 대응하는 캐릭터의 이미지를 함께 제공한다.In an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device based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provider performed by a main server, a memory storing a program regarding a method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based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provider; and a processor for executing the program, the method comprising: (a) a step of receiving a question input by a user terminal; (b) a step of the main server classifying the category of the question and transmitting it to a most suitable learning model among a plurality of learning models to output an answer to the question; and (c) a step of providing the outputted answer to the user terminal; wherein each learning model is trained with learning data consisting of different question data and answer data in pairs according to the category, and different characters are matched, and the user terminal, when providing the answer, provides an image of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model that output the answer together.

본 발명은 인공지능 학습모델이 미리 학습한 질문과 답변을 복수의 답변 모델로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이 입력하는 질문의 답변을 답변 모델로부터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generate questions and answers learned in advance by an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into multiple answer models, and can provide answers to questions input by a user terminal by extracting them from the answer mode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공지능 관리 프로바이더 기반의 교육 컨텐츠 제공방법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공지능 관리 프로바이더 기반의 교육 컨텐츠 제공방법의 메인서버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공지능 관리 프로바이더 기반의 교육 컨텐츠 제공방법의 외부서버의 구조도와 학습 모델 및 캐릭터들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공지능 관리 프로바이더 기반의 교육 컨텐츠 제공방법의 답변 UI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공지능 관리 프로바이더 기반의 교육 컨텐츠 제공방법의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공지능 관리 프로바이더 기반의 교육 컨텐츠 제공방법의 이미지 생성 모델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공지능 관리 프로바이더 기반의 교육 컨텐츠 제공방법의 학습 중 제공되는 스터디 공유 및 문답 영역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Figure 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method based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provid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main server of an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method based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provid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n external server and learning models and characters of an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method based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provid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a and 4b are exemplary diagrams showing an answer UI of an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method based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provid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 of an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method based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provid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image generation model of an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method based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provid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study sharing and Q&A area provided during learning of an educational content provision method based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provid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assigned similar drawing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Also,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omponent, this does not mean that it excludes other components, but rather that it can in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unit'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using both. In addition, one unit may be realized by using two or more pieces of hardware, and two or more units may be realized by one piece of hardware. Meanwhile, the '~ unit'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nd the '~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Accordingly, as an example, the '~ unit' includes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and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procedures,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s,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ality provided within the components and '~sub-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sub-component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sub-components'. In addition, the components and '~sub-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to regenerate one or more CPUs within the device or the secure multimedia card.

이하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VR HMD(예를 들어, HTC VIVE, Oculus Rift, GearVR, DayDream, PSVR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VR HMD 는 PC용 (예를 들어, HTC VIVE, Oculus Rift, FOVE, Deepon 등)과 모바일용(예를 들어, GearVR, DayDream, 폭풍마경, 구글 카드보드 등) 그리고 콘솔용(PSVR)과 독립적으로 구현되는 Stand Alone 모델(예를 들어, Deepon, PICO 등) 등을 모두 포함한다.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NFC, RFID, 초음파(Ultrasonic), 적외선, 와이파이(WiFi), 라이파이(LiFi) 등의 통신 모듈을 탑재한 각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user terminal" mentioned below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or portable terminal that can access a server or other terminal via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notebook, desktop, laptop, VR HMD (e.g., HTC VIVE, Oculus Rift, GearVR, DayDream, PSVR, etc.) equipped with a WEB Browser. Here, the VR HMD includes all of a PC-use (e.g., HTC VIVE, Oculus Rift, FOVE, Deepon, etc.), a mobile-use (e.g., GearVR, DayDream, Storm Magic, Google Cardboard, etc.), a console-use (PSVR), and a Stand Alone model (e.g., Deepon, PICO, etc.) that is implemented independently. Portable terminals ar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that ensure portability and mobility, for example, and may include not only smart phones, tablet PCs, and wearable devices, but also various devices equipped with communication modules such as Bluetooth (BLE, Bluetooth Low Energy), NFC, RFID, ultrasonic, infrared, WiFi, and LiFi. In addition, "network"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that enables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each node, such as terminals and servers, and includes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the Internet (WWW: World Wide Web), wired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s, telephone networks, and wired and wireless television communication networks. Examples of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3G, 4G, 5G,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 (Long Term Evolution),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Fi, Bluetooth, infrared, ultrasoni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and LiFi.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공지능 관리 프로바이더 기반의 교육 컨텐츠 제공방법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First, the structure of an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method based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provid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공지능 관리 프로바이더 기반의 교육 컨텐츠 제공방법은 메인서버(100), 외부서버(200), 사용자 단말(300) 및 관리자 단말(400)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Fig. 1, an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method based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provid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server (100), an external server (200), a user terminal (300), and an administrator terminal (400).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메인서버(100)는 관리자 단말(400)로부터 질문과 답변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 받아서 학습을 수행하고,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의 질문을 수신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메인서버(10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main server (100) receives data on questions and answers from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and performs learning, and can receive questions in the form of text or images from the user terminal (300). The structure of the main server (100)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공지능 관리 프로바이더 기반의 교육 컨텐츠 제공방법의 메인서버(100)는 메모리(110), 프로세서(120) 및 통신 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메인서버(100)의 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2, the main server (100) of the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method based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provid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emory (110), a processor (120), and a communication module (130).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main serv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메모리(110)는 통신 모듈(130)로 입력되는 정보 및 데이터, 프로세서(120)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에 필요한 정보 및 데이터, 프로세서(120)의 실행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0)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하는 비휘발성 저장장치 및 저장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하여 전력을 필요로 하는 휘발성 저장장치를 통칭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메모리(110)는 프로세서(12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10)는 저장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하여 전력이 필요한 휘발성 저장장치 외에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memory (110) can store at least one of information and data input to the communication module (130), information and data required for functions performed by the processor (120), and data generated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processor (120). The memory (110) should be interpreted as a general term for a nonvolatile storage device that maintains stored information even when power is not supplied and a volatile storage device that requires power to maintain the stored information. In addition, the memory (110) can perform a function of temporarily or permanently storing data processed by the processor (120). The memory (110) can include a magnetic storage media or a flash storage media in addition to a volatile storage device that requires power to maintain stored information,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메모리(110)는 교육 컨텐츠 제공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프로세서(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300)이 교육 컨텐츠 내에서 입력한 정보를 수신하여 프로그램에 연동하도록 한다. 프로그램의 명칭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설정된 것으로, 명칭 그 자체로 프로그램의 기능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The memory (110) stores an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program, and receives information entered by the user terminal (300) within the educational content through the processor (120) and links it to the program. The name of the program is se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name itself does not limit the function of the program.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교육 컨텐츠 제공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120)는 데이터를 제어 및 처리하는 다양한 종류의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 (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processor (120) is configured to execute an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10). The processor (120)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evices that control and process data. The processor (120) may mean a data processing device built into hardware that has a physically structured circuit to perform a function expressed by a code or command included in the program. In one example, the processor (12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icroprocessor,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processor core, a multiprocessor,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etc.,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프로세서(120)는 이하에서 인공지능 관리 프로바이더 기반의 교육 컨텐츠 제공방법의 세부 과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The processor (120) is configured to perform detailed processes of an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method based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provider as described below.

통신 모듈(130)은 외부 데이터베이스 또는 외부 장치와의 정보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사용자 단말(300) 및 관리자 단말(400)일 수 있다. 통신 모듈(130)은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130) can perform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an external database or an external device. Here, the external device can be a user terminal (300) and an administrator terminal (400). The communication module (130) can include a device including hardware and software required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such as control signals or data signals through wired or wireless connections with other network devices.

통신 모듈(130)은 외부 데이터베이스 또는 외부 장치에 서버(100)의 프로세서(120)에서 제공하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교육 컨텐츠 제공 프로그램이 연동할 수 있도록 전달한다.The communication module (130) transmits the educational content provis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10) provided by the processor (120) of the server (100) to an external database or external device so that it can be linked.

외부서버(200)는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external server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below.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공지능 관리 프로바이더 기반의 교육 컨텐츠 제공방법의 외부서버(200)의 구조도와 학습 모델 및 캐릭터들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FIG. 3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n external server (200) of an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method based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provid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learning models and characters.

도 3에 따르면 본 발명의 외부서버(200)는 제1 학습모델, 제2 학습모델, 제3 학습모델 및 제 4 학습모델을 포함하는 복수의 학습모델이 구축될 수 있다. 그러나 외부서버(200)의 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외부서버(200)는 메인서버(100)로부터 특정 카테고리의 질문데이터가 입력되면 특정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학습모델에 의해 질문데이터와 쌍을 이루는 답변데이터를 출력하도록 복수의 학습모델을 학습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학습모델에 매칭되어 서로 다른 캐릭터(201)가 제공될 수 있다. 이 캐릭터들은 사용자 단말(300)의 질문에 대한 답변이 제공될 때, 답변을 출력한 학습모델에 대응하여 캐릭터(201)의 이미지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각 학습모델은 지도학습, 비지도학습, 강화학습 모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지도학습모델에 해당하는 경우, 질문데이터와 답변데이터에 관한 쌍에 대해 라벨링값을 부여하여 입력함으로써, 학습모델이 원하는 출력값을 출력해내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FIG. 3, the external serv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structed with multiple learning models including a first learning model, a second learning model, a third learning model, and a fourth learning model.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external server (200)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external server (200) may learn multiple learning models so that when question data of a specific category is input from the main server (100), answer data paired with the question data is output by a learning mod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category. In addition, different characters (201) may be provided to match each learning model. When an answer is provided to a question of a user terminal (300), these characters may provide an image of the character (201) together with the learning model that output the answer. Each learning model may be any one of supervised learning, unsupervised learning, and reinforcement learning models, and in the case of a supervised learning model, a label value may be assigned to a pair of question data and answer data and input, thereby allowing the learning model to output a desired output value.

사용자 단말(300)은 화면으로 구성되어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랩탑) 및 데스크탑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 단말(300)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300)은 텍스트 또는 이미지의 형태로 구성되는 질문을 서버(100)로 전송하고,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답변을 확인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300) may include a smartphone, tablet PC, notebook (laptop), and desktop computer configured with a screen and capable of performing input. However, the user terminal (300) is not limited thereto. The user terminal (300) may transmit a question configured in the form of text or an image to the server (100) and confirm an answer provided by the server (100).

관리자 단말(400)은 화면으로 구성되어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랩탑) 및 데스크탑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관리자 단말(400)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리자 단말(400)은 복수개의 질문 및 답변을 서버(100)에 입력한다.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may include a smartphone, tablet PC, notebook (laptop), and desktop computer configured with a screen capable of performing input. However,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is not limited there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inputs a plurality of questions and answers to the server (100).

이하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공지능 관리 프로바이더 기반의 교육 컨텐츠 제공방법의 답변 UI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The following Figures 4a and 4b are exemplary diagrams showing an answer UI of an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method based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provid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답변 UI의 일 영역에 질문을 입력하기 위한 질문창(500)이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질문창(500)의 위치가 도 4a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300)은 제공되는 질문창(500)에 도 4a와 같이 ""PLEASE GIVES MI BYCICLE"의 문장이 문법에 맞는지 알려줘"라고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질문창(500)의 일영역에 배치되는 전송 버튼을 입력하여 질문을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Fig. 4a, a question window (500) for entering a question can be displayed in one area of the answer UI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location of the question window (500) is not limited to Fig. 4a. The user terminal (300) can input "Tell me whether the sentence "PLEASE GIVES MI BYCICLE" is grammatically correct" into the provided question window (500) as in Fig. 4a. Then, the question can be transmitted by inputting the transmission button located in one area of the question window (500).

도 4b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답변 UI의 일 영역에 질문을 입력하기 위한 질문창(500)과 함께 답변이 제공되는 답변창(600), 질문과 답변의 주제에 맞는 학습모델에 대응하는 캐릭터(201)를 표시하는 캐릭터 표시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질문창(500), 답변창(600) 및 캐릭터 표시 영역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a에서 사용자 단말(300)이 질문을 입력하고 전송 버튼을 입력하면 도 4b와 같이 메인서버(100)는 외부서버(200)로부터 출력된 "PLEASE GIVE ME A BICYCLE."을 사용자 단말(300)에 답변창(600)으로 전송한다. 이 때, 답변창(600)에 인접하여 캐릭터(201)가 함께 표시된다.According to FIG. 4b, a question window (500) for entering a question in one area of the answer UI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nswer window (600) for providing an answer, and a character display area for displaying a character (201) corresponding to a learning model that matches the subject of the question and answer can be displayed. However, the positions of the question window (500), the answer window (600), and the character display area are not limited thereto. When the user terminal (300) in FIG. 4a enters a question and presses the transmit button, the main server (100) transmits "PLEASE GIVE ME A BICYCLE." output from the external server (200) to the user terminal (300) as the answer window (600), as shown in FIG. 4b. At this time, the character (201) is displayed adjacent to the answer window (600).

이 때, 도 4a에서처럼 질문창(500)에 질문을 입력할 때, 답변창(600)과 캐릭터 표시영역이 제공되지 않으나, 질문을 입력한 뒤 답변이 제공될 때, 답변창(600)과 캐릭터 표시영역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a question is entered in the question window (500) as in Fig. 4a, the answer window (600) and the character display area are not provided, but when an answer is provided after entering a question, the answer window (600) and the character display area may be displayed together.

따라서 답변창(600)에는 사용자 단말(300)이 질문창(500)에 입력한 질문, 메인서버(100)를 통해 외부서버(200)로부터 추출한 답변 및 답변이 포함되는 학습모델과 매칭하는 캐릭터(201)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answer window (600), the question entered by the user terminal (300) in the question window (500), the answer extracted from the external server (200) through the main server (100), and the character (201) matching the learning model including the answer can be displayed together.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공지능 관리 프로바이더 기반의 교육 컨텐츠 제공방법의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5,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sequence showing the process of an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method based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provid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관리자 단말(400)이 카테고리별 질문데이터 및 답변데이터를 메인서버(100)에 입력한다(S510). 그 다음, 메인서버(100)가 수집한 카테고리별 질문데이터 및 답변데이터를 외부서버(200)의 AI엔진에 입력하여 학습을 수행한다(S520). 그 다음, 외부서버(200)는 제 1학습모델, 제2학습모델, 제3학습모델 및 제4학습모델을 구축한다(S530). First,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inputs question data and answer data by category into the main server (100) (S510). Then, the question data and answer data by category collected by the main server (100) are input into the AI engine of the external server (200) to perform learning (S520). Then, the external server (200) constructs the first learning model, the second learning model, the third learning model, and the fourth learning model (S530).

메인서버(100)는 관리자 단말(400)로부터 카테고리별 질문데이터 및 답변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질문데이터 및 답변데이터가 쌍으로 구성된 것을 학습데이터로 칭할 수 있다. 수집한 카테고리별 학습데이터를 외부서버(200)로 전송하여 복수의 학습모델 중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학습모델에 학습데이터를 대응시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카테고리는교육 컨텐츠 사용법, 일반 대화, 영어 작문, 회의록 및 수업노트 정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카테고리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main server (100) can collect question data and answer data by category from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Here, question data and answer data configured in pairs can be referred to as learning data. The collected category-specific learning data can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server (200) to perform learning by matching the learning data to a learning model corresponding to the category among multiple learning models. At this time, the categories can include how to use educational content, general conversation, English writing, meeting minutes, and class note organization, but the categories are not limited thereto.

카테고리별로 설명하면 교육 컨텐츠 사용법에 대한 학습모델은 사용자 단말(300)로 교육 컨텐츠 사용법에 대한 질문을 수신하여 답변을 제공하고, 일반 대화에 대한 학습모델은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공부방법, 합격 수기 및 합격 노트를 포함하는 학습에 관한 질문을 수신하여 답변을 제공하고, 영어 작문에 대한 학습모델은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영어 작문에 대한 질문을 수신하고, 영어 작문 수업 및 영어 작문 교정 수업을 제공할 수 있다.When explained by category, the learning model for how to use educational content receives questions about how to use educational content from a user terminal (300) and provides answers, the learning model for general conversation receives questions about learning, including study methods, passing essays, and passing notes, from a user terminal (300) and provides answers, and the learning model for English writing receives questions about English writing from a user terminal (300) and provides English writing classes and English writing correction classes.

그 다음, 메인서버(100)가 사용자 단말(300)이 입력하는 질문을 수신한다(S540). 사용자 단말(300)은 위의 도 4에서 설명한 것처럼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되는 답변 UI의 질문창(500)에 질문은 입력하여 메인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Next, the main server (100) receives a question input by the user terminal (300) (S540). The user terminal (300) can input a question in the question window (500) of the answer UI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300) as described in Fig. 4 above and transmit it to the main server (100).

그 다음, 메인서버(100)가 질문의 카테고리를 분류하여 질문과 카테고리를 외부서버(200)로 전송한다(S550). 메인서버(10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질문에 포함되는 단어들을 인식하여 카테고리를 분류하고, 질문과 카테고리를 외부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Next, the main server (100) classifies the question category and transmits the question and the category to the external server (200) (S550). The main server (100) can recognize words included in the ques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300), classify the category, and transmit the question and the category to the external server (200).

그 다음, 외부서버(200)가 카테고리를 참고하여 복수개의 답변 모델 중 어느 모델에 질문을 입력할지 결정하고, 결정된 모델에 질문을 입력하여 답변을 출력한다(S560). 외부서버(200)는 카테고리값을 참고하여 복수개의 학습 모델 중 어느 모델에 질문을 입력할지 결정하고, 결정된 모델에 질문을 입력하여 답변을 출력할 수 있다. 출력된 답변은 메인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Next, the external server (200) refers to the category to determine which of the multiple answer models to input the question to, and inputs the question to the determined model to output the answer (S560). The external server (200) refers to the category value to determine which of the multiple learning models to input the question to, and inputs the question to the determined model to output the answer. The output answer can be transmitted to the main server (100).

그 다음, 외부서버(200)가 출력한 답변을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한다(S570). 메인서버(100)는 외부서버(200)로부터 출력한 답변을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Next, the answer output by the external server (200)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300) (S570). The main server (100) can receive the answer output from the external server (200) and provide it to the user terminal (300).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공지능 관리 프로바이더 기반의 교육 컨텐츠 제공방법의 이미지 생성 모델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6 below, an image generation model of an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method based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provid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6에 따르면 본 발명의 도 5의 S510 내지 S570과정에서 질문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①상상하는 이미지에 대한 설명을 수신하고, 학습모델에 대응하는 ②이미지 생성 모델이 이미지에 대한 설명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한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미지 생성 모델이 생성한 이미지가 이미지에 대한 설명과 다른 경우, 사용자 단말(300)이 이미지에 대한 수정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300)이 설명한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가 생성되면 해당 이미지를 다른 사용자 단말(300)로 함께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FIG. 6, in the process S510 to S570 of FIG. 5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sponse to a question, ① a description of an imagined image is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300), ② an image generation model corresponding to a learning model generate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description of the image, and the generated image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300). Although not shown in FIG. 6, if the image generated by the image generation model is diffe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image, the user terminal (300) can request a modification of the image. In addition, if an image identical to the image described by the user terminal (300) is generated, the image can be provided together to another user terminal (300).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공지능 관리 프로바이더 기반의 교육 컨텐츠 제공방법의 학습 중 제공되는 스터디 공유 및 문답 영역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7 below, a study sharing and Q&A area provided during learning of an educational content provision method based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provid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위에서 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답변 UI는 사용자 단말(300)의 질문과 답변을 위해서 제공되는 화면이며, 도 7은 사용자 단말(300)이 학습 중에 질문과 답변을 위해서 제공되는 화면이다. 도 7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300)이 학습 중에 제공되는 화면은 스터디 공유 영역(301) 및 문답 영역(302)을 포함할 수 있다. 스터디 공유 영역(301)에는 CAM1, CAM2,??,CAM9,??,CAMn을 포함하는 다른 사용자 단말들의 스터디 화면이 공유되고, 문답 영역(302)에는 질문창(500)이 제공된다. 사용자 단말(300)은 학습을 수행하다가 궁금한 것이 생기면 문답 영역(302)의 질문창(500)에 질문을 입력하여 전송하고, 메인서버(100)는 외부서버(200)로부터 출력된 답변을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The answer UI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4A and 4B is a screen provided for questions and answers of a user terminal (300), and FIG. 7 is a screen provided for questions and answers of a user terminal (300) during learning. According to FIG. 7, the screen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300) during learning may include a study sharing area (301) and a question-and-answer area (302). In the study sharing area (301), study screens of other user terminals including CAM1, CAM2, ??, CAM9, ??, and CAMn are shared, and a question window (500) is provided in the question-and-answer area (302). When the user terminal (300) has a question while performing learning, the user terminal (300) inputs a question into the question window (500) of the question-and-answer area (302) and transmits it, and the main server (100) can provide an answer output from an external server (200) to the user terminal (300).

본 발명의 첫 번째 추가 실시예로서 영어 작문에 대한 학습모델은 영어 작문 수업 및 영어 작문 교정 수업의 결과에 대해 영어 작문을 수행한 모든 사용자 단말(300) 중 사용자 단말(300)의 영어 작문의 순위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작문 순위는 사용자 단말(300)이 입력한 문장에 대해 학습모델이 얼마나 많은 횟수의 단어를 정정하였는지 여부와, 사용자 단말(300)이 작문 문법 검토요청 입력을 얼마나 많이 입력하였는지 여부 등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As a first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earning model for English writing can provide a ranking of English writing of a user terminal (300) among all user terminals (300) that performed English writing based on the results of English writing classes and English writing correction classes. The ranking of writing can be determined based on how many times the learning model corrected words in sentences input by the user terminal (300) and how many times the user terminal (300) input a request for writing grammar review.

본 발명의 두 번째 추가 실시예로서 영어 작문에 대한 학습모델은 영어 작문 수업 및 영어 작문 교정 수업 중 사용자 단말(300)이 특정 단어의 스펠링 또는 특정 문법을 기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반복해서 틀리는 경우, 외부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300)에게 공부방법지도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공부방법 지도를 위한 학습모델로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OO단어의 스펠링을 5회이상 틀림, 또는 TO부정사 문법을 7회 이상 틀림)를 전달할 수 있다. 공부방법 지도를 위한 학습모델은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입력값으로 수신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공부방법에 관한 답변을 출력값으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 단말(300)로 전달한다. 사용자 단말(300)에서는 문법교정에 관한 캐릭터가 등장하며 답변이 진행되다가, 동일한 문법이나 단어스펠링을 틀린 것이 감지된 경우, 다른 캐릭터가 등장하여 공부방법에 관한 조언을 제공해주는 답변이 제공될 수 있다. As a second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earning model for English writing can be such that, if a user terminal (300) repeatedly makes a mistake in the spelling of a specific word or a specific grammar more than a preset number of times during an English writing class or an English writing correction class, an external server (200) can determine that the user terminal (300) needs study method guidance and can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status (for example, the spelling of the word OO is incorrect 5 times or more, or the TO infinitive grammar is incorrect 7 times or more) to a learning model for study method guidance. The learning model for study method guidance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status as an input value, and outputs an answer about a study method that can solve the problem as an output value, thereby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300). A character regarding grammar correction can appear on the user terminal (300) and the answer can be provided, and if an error in the same grammar or word spelling is detected, another character can appear and provide an answer that provides advice about a study method.

본 발명의 세 번째 추가 실시예로서 복수로 제공되는 캐릭터 중 사용자 단말(300)이 사용할 캐릭터를 선택하거나 커스터마이징하여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00)이 남자, 여자, 동물 등으로 구성되는 정해진 캐릭터 중에 하나를 선택하거나 자신만의 캐릭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얼굴의 형태, 머리의 모양 및 색상, 눈의 모양 및 색상, 코의 모양, 입의 모양, 액세서리 등을 결정하여 커스터 마이징 할 수 있다.As a third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haracter to be used by the user terminal (300) can be selected or customized and created from among the characters provided in multiple forms.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300) can select one of the set characters consisting of a man, a woman, an animal, etc., or can customize the character by determining the shape of the face, the shape and color of the head, the shape and color of the eyes, the shape of the nose, the shape of the mouth, accessories, etc. to create its own character.

본 발명의 네 번째 추가 실시예로서 관리자 단말(400)로부터 특정 캐릭터마다 서로 다른 어휘나 어조로 답변을 제공하도록 학습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서로 다른 질문데이터와 답변데이터를 각 학습모델에 입력하여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답변의 어휘나 어조(즉, 스타일)이 목표로 한 것과 상이한 경우에 해당 답변에 대한 피드백을 학습모델에 입력하고, 재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반복적인 학습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300)은 질문의 카테고리와 일치하는 성격의 캐릭터로부터 캐릭터의 답변 스타일에 따라 답변을 제공받을 수 있다.As a fourth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train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to provide answers with different vocabulary or tones for each specific character. To this end, learning can be performed by inputting different question data and answer data into each learning model. If the vocabulary or tones (i.e., style) of the answer are different from the target, feedback on the answer can be input into the learning model, and re-learning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is repetitive learning, the user terminal (300) can receive answers from characters with a personality matching the category of the question according to the answer style of the character.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00)이 일상적인 질문이나 학습법을 질문하는 경우, 주변의 친구 또는 선배가 설명해주는 것과 같이 친근한 말투의 답변을 제공할 수 있고, 영어 작문이나 영어 작문 교정에 관하여 질문하는 경우, 꼼꼼하고 정확한 작문 및 교정을 제시하고, 실수하기 쉬운 표현을 알려주는 등의 학습을 가르치는 선생님의 어법으로 답변을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user terminal (300) asks a question about everyday life or a study method, a friendly tone of voice can be provided as if a friend or senior is explaining something, and when asking a question about English writing or English writing correction, a response can be provided in the tone of a teacher who teaches learning, such as suggesting detailed and accurate writing and correction, and pointing out expressions that are easy to make mistakes in.

본 발명의 다섯 번째 추가 실시예로서 일반 대화에 대한 학습모델은 사용자 단말(300)의 질문을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300)의 질문에 포함되는 단어를 수집하고, 자주 사용하는 단어를 구분하여 사용자 단말(300)의 관심분야를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300)의 질문에 대해 관심분야에 맞추어 답변을 제공할 수 있다. As a fifth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earning model for general conversation can analyze a question from a user terminal (300) to collect words included in the question from the user terminal (300), distinguish frequently used words to determine the area of interest of the user terminal (300), and provide an answer to the question from the user terminal (300) tailored to the area of interest.

본 발명의 여섯 번째 추가 실시예로서 사용자 단말(300)이 기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질문을 반복하여 입력하는 경우, 관리자 단말(400)로 사용자 단말(300)의 질문에 대한 답변이 잘못되었는지 확인하도록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단말(300)이 입력한 질문에 대한 답변이 올바르게 나타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관리자 단말(400)이 답변을 확인하고, 수정할 수 있다.As a sixth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terminal (300) repeatedly inputs a question more than a preset number of times, a notification can be sent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to check whether the answer to the question of the user terminal (300) is incorrect. This is because the answer to the question input by the user terminal (300) may not be displayed correctly, so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can check and correct the answer.

본 발명의 여덟 번째 추가 실시예로서 영어 작문에 대한 학습모델은 사용자 단말(300)의 질문에 대응하는 답변이 학습데이터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질문과 유사한 문장을 인터넷에서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인터넷에서 검색한 문장이 문법상 잘못된 것이 있는지 영어 작문에 대한 학습모델이 판단하여 제공한다.As an eighth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rning model for English writing can search for and provide sentences similar to the question on the Internet when there is no answer corresponding to the question of the user terminal (300) in the learning data. At this time, the learning model for English writing determines whether the sentence searched for on the Internet has any grammatical errors and provides the sentences.

본 발명의 일곱 번째 추가 실시예로서 메인서버(100)는 사용자 단말(300)이 질문이 아닌 문장을 입력한 경우, 문장에 대응하는 다른 답변을 제공하거나 문장으로부터 사용자 단말(300)이 원하는 질문을 판단하여 역으로 제공한다.As a seventh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terminal (300) inputs a sentence that is not a question, the main server (100) provides a different answer corresponding to the sentence or determines a question desired by the user terminal (300) from the sentence and provides it in reverse.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00)이 "PLEASE GIVES MI BICICLE"이라고 입력을 한 경우, 문장을 고쳐주는 답변이 아닌 "그건 옳은 문장이 아니야"라고 다른 답변을 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 단말(300)이 "옳은 문법을 알려줘"라고 입력하면 "PLEASE GIVE ME A BICYCLE"이라는 답변을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user terminal (300) inputs "PLEASE GIVES MI BICICLE", a different response such as "That is not a correct sentence" may be provided instead of correcting the sentence. Accordingly, if the user terminal (300) inputs "Tell me the correct grammar", the response "PLEASE GIVE ME A BICYCLE" may be provided.

또는 "PLEASE GIVES MI BICICLE"이라고 입력을 하였을 때, ""PLEASE GIVES MI BICICLE"의 옳은 문법을 알려줄까?"라고 역으로 질문을 할 수도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300)이 "네" 또는 "Yes"라고 입력하면 "PLEASE GIVE ME A BICYCLE"이라는 답변을 제공할 수 있다.Or, when "PLEASE GIVES MI BICICLE" is entered, a question may be asked in return, "Can you tell me the correct grammar for "PLEASE GIVES MI BICICLE"?" In this case, if the user terminal (300) enters "yes" or "yes", the answer "PLEASE GIVE ME A BICYCLE"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여덟 번째 추가 실시예로서,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질문을 입력하는 사용자의 성향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 설정된 학습모델에 질문을 입력하였을 경우, Creativity(창의력), Collaboration(협업능력), Critical Thinking(비판적 사고력), Compassion(사회 기여), Sincerity(성실성), Passion(열정), Global Citizenship(세계 시민성), Friendship(관계성)의 총 8개 성향 중 어느 하나로 결과값을 출력하도록 하는 학습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질문을 벡터화한 후, 벡터로 변환된 단어나 맺음말의 어휘 등에 대해 Creativity(창의력), Collaboration(협업능력), Critical Thinking(비판적 사고력), Compassion(사회 기여), Sincerity(성실성), Passion(열정), Global Citizenship(세계 시민성), Friendship(관계성)에 관한 가중치를 설정해두고, 이 가중치를 학습모델 스스로 변경하여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학습을 시킬 수 있다. 여기에는 지도학습모델 및 강화학습모델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사용자의 성향에 대한 레벨값을 수치로 표현할 수 있다. 외부 서버의 학습모델은 출력된 사용자의 성향과 그 레벨값에 대해 메인서버로 제공하고, 메인서버는 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지표를 확인하여 자신의 성향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메인 서버는 특정 기간동안 생성한 사용자의 질문의 평균 레벨을 산출할 수 있다. 메인 서버는 특정기간 동안 생성한 사용자의 질문의 평균 레벨과 기설정된 값 이상 차이가 나는 레벨을 갖는 질문을 추출하고, 해당 질문은 사용자 성향 분석의 데이터에서 제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서버는 사용자 성향 분석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이후, 메인 서버는 사용자의 성향 분석을 특정기간동안 완료한 후, 사용자의 성향에 맞는 멘토(전문가)들을 DB에서 조회한 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Passion(열정)에 대해 4레벨의 값을 갖는 것으로 성향이 결정되었다면, 학원강사리스트 중 열정적인 강의평가를 받은 학원강사들을 멘토리스트로 추출한 후 사용자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As an eighth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ndency of a user who inputs a question through a user terminal (300) can be analyzed. For example, when a question is input into a preset learning model, a learning model can be trained to output a result value as one of eight tendencies: Creativity, Collaboration, Critical Thinking, Compassion, Sincerity, Passion, Global Citizenship, and Friendship. For example, after the user's question is vectorized, weights for Creativity, Collaboration, Critical Thinking, Compassion, Sincerity, Passion, Global Citizenship, and Friendship can be set for words converted into vectors or vocabulary in a conclusion, and learning can be performed so that the learning model can change these weights by itself to perform learning. Here, a supervised learning model and a reinforcement learning model can be used. And, the level value for each user's tendency can be expressed numerically. The learning model of the external server can provide the output user's tendency and its level value to the main server, and the main server can provide it to the user terminal. The user can objectively understand his or her tendency by checking these indicators. The main server can calculate the average level of the user's questions created during a certain period. The main server can extract questions that have a level that is different from the average level of the user's questions created during a certain period by a preset value or more, and exclude such questions from the data of the user tendency analysis. Accordingly, the main server can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user tendency analysis. Afterwards, the main server can complete the user's tendency analysis for a certain period, and then search for mentors (experts) that match the user's tendency in the DB and provide them to the user terminal. For example, if the user's tendency is determined to have a value of level 4 for Passion, the academy instructors who received passionate lecture evaluations from the academy instructor list can be extracted as a mentor list and then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의 아홉 번째 추가실시예로서, 사용자 단말은 일반대화를 수행할수 있는데, 이때, 인공지능 학습모델(일반 대화에 대한 학습모델)이 자신의 성향과 맞는 방식으로 대화를 하도록 학습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나 배고파"라는 입력문장에 대해 학습모델은 1) 문제해결형답변 : " 그럼 식당 가서 밥먹고와" 2) 경험공유형 답변 : "나도 배고파" 3) 감성적답변 : "배가 많이 고파서 얼른 공부그만하고 싶겠다" 중 어느 하나를 답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사용자마다 성향이 다를 것이고, 친구도 다르기에, 사용자마다 답변받고 싶어하는 대답의 성향또한 다를 것이다. 사용자는 자신의 성향에 맞는 답변이 제공되도록 학습모델을 훈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입력문장을 입력한 후, 외부서버에서 출력되어 메인서버를 통해 전달된 출력문장이 마음에 든다면, 대화창 옆에 구성된 긍정버튼을 입력함으로써, 학습모델로 긍정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출력문장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부정버튼을 입력함으로써 부정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고, 학습모델은 다른 답변을 다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외부서버는 각 사용자 단말마다 식별정보를 설정하고, 긍정버튼과 부정버튼에 대한 입력을 기초로 그 식별정보마다 어떤 대답을 선호하는지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이후, 학습모델은 사용자가 특정 질문을 할 경우, 복수의 답변을 출력하고, 각 답변마다의 점수와 카테고리(감성형, 문제해결형, 경험공유형 등)를 설정할 수 있고, 이전에 사용자가 입력한 긍정버튼과 부정버튼의 히스토리를 참고하여, 사용자가 가장 선호할 것으로 추정되는 답변을 선정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 중에서 사용자가 "그럴땐 그냥 매우 속상했겠구나 라고 대답하는거야"라는 입력을 할 경우, 학습모델은 해당 문장의 "~라고 대답하는거야"라는 문구로부터 특정 답변을 지시하는 것으로 인지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답변을 기억할 수 있다. As a ninth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terminal can perform general conversation, and at this time, an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a learning model for general conversation) can be trained to conduct a conversation in a manner that suits its own tendencies. For example, for an input sentence of "I'm hungry," the learning model can answer one of the following: 1) a problem-solving type answer: "Then go to a restaurant and eat." 2) an experience-sharing type answer: "I'm hungry too." 3) an emotional answer: "I'm so hungry that I want to stop studying right away." However, since each user has a different tendency and has different friends, each user's tendency to want to receive an answer will also be different. The user can train the learning model to provide an answer that suits his or her own tendencies. For example, if the user likes the output sentence output from an external server and transmitted through the main server after inputting a specific input sentence, the user can provide positive feedback to the learning model by inputting a positive button configured next to the conversation window. However, if the user does not like the output sentence, the user can provide negative feedback by entering a negative button, and the learning model can provide a different answer again. At this time, the external server can s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user terminal and store in advance which answer is preferred for each iden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input for the positive and negative buttons. After that, when the user asks a specific question, the learning model can output multiple answers, set a score and category (emotional type, problem-solving type, experience-sharing type, etc.) for each answer, and select the answer that the user is most likely to prefer by referring to the history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buttons previously entered by the user. During this process, if the user inputs "In that case, I would just answer that I would be very upset," the learning model can recognize that the phrase "I would answer that" in the sentence indicates a specific answer and remember the answer that the user wan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containing 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 such as program modules, that are executed by a computer.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be any available medium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all computer storage media. The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Although the methods and system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some or all of their components or operations may be implemented using a computer system having a general-purpose hardware architectur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component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manner.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메인서버 110: 메모리
120: 프로세서 130: 통신 모듈
200: 외부서버 201: 캐릭터
300: 사용자 단말 301: 스터디 공유 영역
302: 문답 영역 400: 관리자 단말
500: 질문창 600: 답변창
100: Main server 110: Memory
120: Processor 130: Communication Module
200: External server 201: Character
300: User terminal 301: Study sharing area
302: Question and Answer Area 400: Admin Terminal
500: Question window 600: Answer window

Claims (9)

메인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인공지능 관리 프로바이더 기반의 교육 컨텐츠 제공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이 입력하는 질문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질문의 카테고리를 분류하여 복수의 학습모델 중 가장 적합한 학습모델로 전달하여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을 출력하는 단계; 및
(c) 출력한 상기 답변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각 학습모델은 상기 카테고리에 따라, 서로 다른 질문데이터 및 답변데이터가 쌍으로 구성된 학습데이터로 학습이 되어 있고, 서로 다른 캐릭터가 매칭되어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답변을 제공할 때, 상기 답변을 출력한 학습모델에 대응하는 캐릭터의 이미지를 함께 제공하는, 인공지능 관리 프로바이더 기반의 교육 컨텐츠 제공방법.
In a method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based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provider performed by a main server,
(a) a step of receiving a question input by a user terminal;
(b) a step in which the main server classifies the category of the question and transmits it to the most suitable learning model among multiple learning models to output an answer to the question; and
(c) a step of providing the printed answer to the user terminal;
Including,
Each learning model is trained with learning data consisting of different question data and answer data pairs according to the above categories, and different characters are matched.
The above user terminal provides an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method based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provider, which provides an image of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model that output the above answer when providing the above answ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카테고리 별로 학습데이터를 수집하고, 외부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학습데이터를 통해 상기 복수의 학습모델을 학습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서버에는 상기 복수의 학습모델이 구축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서버는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특정 카테고리의 질문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특정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학습모델에 의해 상기 질문데이터와 쌍을 이루는 답변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상기 복수의 학습모델을 학습하는 서버인 것인, 인공지능 관리 프로바이더 기반의 교육 컨텐츠 제공방법.
In paragraph 1,
Before step (a) above
A step of collecting learning data by the above categories, transmitting it to an external server, and training the multiple learning models through the learning data;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A method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based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provider, wherein the external server has the plurality of learning models built thereon, and the external server is a server that learns the plurality of learning models so that when question data of a specific category is input from the main server, answer data paired with the question data is output by a learning mod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categor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b-1) 상기 메인서버가 기 학습된 질문분류모델을 통하여 상기 질문에 대한 카테고리를 분류하는 단계;
(b-2) 상기 질문과 상기 카테고리값을 상기 외부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3) 상기 외부서버가 상기 카테고리값을 참고하여 상기 복수개의 학습 모델 중 어느 모델에 상기 질문을 입력할지 결정하고, 결정된 모델에 상기 질문을 입력하여 답변을 출력하는 단계; 및
(b-4) 출력된 상기 답변을 상기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관리 프로바이더 기반의 교육 컨텐츠 제공방법.
In paragraph 1,
Step (b) above,
(b-1) A step in which the main server classifies the category for the question using a pre-learned question classification model;
(b-2) A step of transmitting the above question and the above category value to the external server;
(b-3) a step in which the external server determines which of the multiple learning models to input the question to by referring to the category value, and inputs the question to the determined model to output an answer; and
(b-4) A step of transmitting the printed answer to the main server;
A method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based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provider, including: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는 교육 컨텐츠 사용법, 일반 대화, 영어 작문, 회의록 및 수업노트 정리를 포함하는 것인, 인공지능 관리 프로바이더 기반의 교육 컨텐츠 제공방법.
In the third paragraph,
The above categories include methods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based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provider, including how to use educational content, general conversation, English writing, meeting minutes, and organizing class note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 컨텐츠 사용법에 대한 학습모델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 교육 컨텐츠 사용법에 대한 질문을 수신하여 답변을 제공하고,
상기 일반 대화에 대한 학습모델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공부방법, 합격 수기 및 합격 노트를 포함하는 학습에 관한 질문을 수신하고, 상기 질문에 대응하는 답변을 제공하고,
상기 영어 작문에 대한 학습모델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영어 작문에 대한 질문을 수신하고, 영어 작문 수업 및 영어 작문 교정 수업을 제공하는 것인, 인공지능 관리 프로바이더 기반의 교육 컨텐츠 제공방법.
In paragraph 4,
The learning model for the usage of the above educational content receives questions about the usage of the educational content from the user terminal and provides answers.
The learning model for the above general conversation receives questions about learning, including study methods, passing notes, and passing notes, from the user terminal, and provides answers corresponding to the questions.
The learning model for the above English writing is an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method based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provider, which receives questions about English writing from the user terminal and provides English writing classes and English writing correction classe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영어 작문에 대한 학습모델은
상기 영어 작문 수업 및 영어 작문 교정 수업의 결과에 대해
상기 영어 작문을 수행한 모든 사용자 단말 중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영어 작문의 순위를 함께 제공하고,
상기 작문의 순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입력한 문장에 대해 상기 학습모델이 얼마나 많은 횟수의 단어를 정정하였는지 여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작문 문법 검토요청 입력을 얼마나 많이 입력하였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결정하는 것인, 인공지능 관리 프로바이더 기반의 교육 컨텐츠 제공방법.
In paragraph 5,
The learning model for the above English writing is
About the results of the above English writing class and English writing correction class
Among all user terminals that performed the above English writing, the ranking of the above English writing of the user terminal is also provided.
A method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based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provider, wherein the ranking of the above writing is determined based on how many words the learning model corrected for the sentences input by the user terminal and how many requests for grammar review of the writing were entered by the user terminal.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영어 작문에 대한 학습모델은
상기 영어 작문 수업 및 영어 작문 교정 수업 중 상기 사용자 단말이 특정 단어의 스펠링 또는 특정 문법을 기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반복해서 틀리는 경우,
상기 외부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공부방법 지도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상기 공부방법 지도를 위한 학습모델로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공부방법 지도를 위한 학습모델은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입력값으로 수신하고,
상기 특정 단어의 스펠링 또는 특정 문법의 공부방법에 관한 답변을 출력값으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것인, 인공지능 관리 프로바이더 기반의 교육 컨텐츠 제공방법.
In paragraph 6,
The learning model for the above English writing is
If the user terminal repeatedly makes a mistake in the spelling of a specific word or a specific grammar more than a preset number of times during the above English writing class and English writing correction class,
The above external server determines that the user terminal needs guidance on how to study,
As a learning model for the above study method guidance, information on the current status is provided.
The learning model for the above study method guidance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status as input values,
An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method based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provider, wherein the method outputs an answer regarding the spelling of a specific word or a study method for a specific grammar as an output value and transmits it to the user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답변 UI는 1) 질문을 입력하기 위한 질문창 2) 답변이 제공되는 답변창 3) 질문과 답변의 주제에 맞는 학습모델에 대응하는 캐릭터를 표시하는 캐릭터 표시 영역을 포함하며,
질문창에 질문을 입력할 때, 답변창과 캐릭터 표시영역이 제공되지 않으나, 질문을 입력한 뒤 답변이 제공될 때, 답변창과 캐릭터 표시영역이 함께 표시되는 것인, 인공지능 관리 프로바이더 기반의 교육 컨텐츠 제공방법.
In paragraph 1,
The answer UI includes 1) a question window for entering a question, 2) an answer window where an answer is provided, and 3) a character display area that displays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a learning model that matches the topic of the question and answer.
A method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based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provider, wherein when a question is entered in a question window, an answer window and a character display area are not provided, but when an answer is provided after entering a question, the answer window and the character display area are displayed together.
메인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인공지능 관리 프로바이더 기반의 교육 컨텐츠 제공장치에 있어서,
인공지능 관리 프로바이더 기반의 교육 컨텐츠 제공방법에 관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a) 사용자 단말이 입력하는 질문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질문의 카테고리를 분류하여 복수의 학습모델 중 가장 적합한 학습모델로 전달하여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을 출력하는 단계; 및
(c) 출력한 상기 답변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각 학습모델은 상기 카테고리에 따라, 서로 다른 질문데이터 및 답변데이터가 쌍으로 구성된 학습데이터로 학습이 되어 있고, 서로 다른 캐릭터가 매칭되어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답변을 제공할 때, 상기 답변을 출력한 학습모델에 대응하는 캐릭터의 이미지를 함께 제공하는, 인공지능 관리 프로바이더 기반의 교육 컨텐츠 제공장치.
In an educational content provision device based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provider performed by a main server,
A memory storing a program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based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provider; and
comprising a processor for executing the above program,
The above method
(a) a step of receiving a question input by a user terminal;
(b) a step in which the main server classifies the category of the question and transmits it to the most suitable learning model among multiple learning models to output an answer to the question; and
(c) a step of providing the printed answer to the user terminal;
Including,
Each learning model is trained with learning data consisting of different question data and answer data pairs according to the above categories, and different characters are matched.
The above user terminal is an educational content providing device based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provider that provides an image of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model that output the above answer when providing the above answer.
KR1020230103444A 2023-02-24 2023-08-08 Method for providing training content based on a variety of ai management provider for education Pending KR20240131867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5160 2023-02-24
KR20230025160 2023-02-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31867A true KR20240131867A (en) 2024-09-02

Family

ID=91470912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3442A Active KR102671569B1 (en) 2023-02-24 2023-08-08 Method for providing training content based on ai management provider
KR1020230103445A Pending KR20240131868A (en) 2023-02-24 2023-08-08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based on ai management provider for education
KR1020230103444A Pending KR20240131867A (en) 2023-02-24 2023-08-08 Method for providing training content based on a variety of ai management provider for education
KR1020230103443A Active KR102671570B1 (en) 2023-02-24 2023-08-08 Method for chatbot conversation that allows different artificial intelligence to answer questions by type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3442A Active KR102671569B1 (en) 2023-02-24 2023-08-08 Method for providing training content based on ai management provider
KR1020230103445A Pending KR20240131868A (en) 2023-02-24 2023-08-08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based on ai management provider for education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3443A Active KR102671570B1 (en) 2023-02-24 2023-08-08 Method for chatbot conversation that allows different artificial intelligence to answer questions by ty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67156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85913B1 (en) * 2024-09-13 2025-03-26 주식회사 인프랩 Ai-based job training question and answer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CN119272857A (en) * 2024-09-18 2025-01-07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Large model evalua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18917294B (en) * 2024-10-10 2024-12-20 北京方寸无忧科技发展有限公司 Intelligent writ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multi-role intelligent agent
KR102838194B1 (en) * 2024-11-12 2025-07-24 (주)유알피 Device that determine the user's intent of question for interactive search and intelligent search
CN119311843B (en) * 2024-12-13 2025-04-04 北京亦庄科技创新有限公司 Solution matching method and system for artificial intelligence large model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9531A (en) * 2008-10-08 2010-04-16 김진성 Multilateral video foreign language educating system using network
KR101163934B1 (en) * 2009-06-16 2012-07-17 엔에이치엔(주)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question and answer service using grade of document
KR20150096294A (en) 2014-02-14 2015-08-24 주식회사 플런티코리아 Method for classifying question and answer,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2002974B1 (en) * 2018-01-31 2019-07-23 (주)브랜뉴테크 Automatic logo creating system on basi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ethod for logo creating service using the same
KR20200053002A (en) * 2018-10-29 2020-05-19 (주)에어포스 Ordering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rminal
JP6489670B1 (en) * 2018-10-30 2019-03-27 Jeインターナショナル株式会社 Chat system, chat bot server device, chat bot ID management device, chat agent server device, program, chat method, and chat agent method
KR102357620B1 (en) * 2019-11-27 2022-02-03 주식회사 와이즈넛 Chatbot integration agent platform system and service method thereof
KR102334583B1 (en) * 2019-12-31 2021-12-06 (주)위드캣 A method and apparatus for question-answering on educational contents in interactive query system
KR102260907B1 (en) * 2020-11-02 2021-06-04 (주)퍼플아카데미 English writing learning dual feedback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220123170A (en) * 2021-02-28 2022-09-06 조지수 Conversation learning system and metho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vatar tutor
KR20220154935A (en) 2021-05-14 2022-11-22 주식회사 엘엠프렌즈 A method for controlling a question answer server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KR102381941B1 (en) * 2021-05-18 2022-04-04 최승해 A method of managing user-customized study ro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31868A (en) 2024-09-02
KR102671570B1 (en) 2024-06-05
KR102671569B1 (en) 202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ohnke et al. ChatGPT for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Mei et al. Toward an understanding of preservice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teachers’ acceptance of computer-assisted language learning 2.0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US11348476B2 (en) Personalized learning system and method for the automated generation of structured learning assets based on user data
KR102671569B1 (en) Method for providing training content based on ai management provider
Yang Toward a model of strategies and summary writing performance
Chang et al. Mobile‐device‐supported strategy for Chinese reading comprehension
Petersen et al. The language classroom in the age of networked learning
Griol et al. Incorporating android conversational agents in m‐learning apps
Hadi et al. A survey of beliefs and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adopted by EFL learners at Shaikh Zayed University
US20150093727A1 (en) Vocabulary learning system and method
Howlett et al. An English learner service-learning project: Preparing education majors using technology and the SAMR model
Pearson et al. Assessment at the intersection of science and literacy
Kumari et al. Domain-Specific Chatbot Development Using the Deep Learning-Based RASA Framework
Shahriar et al. Potential Success in English Writing Skill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Grammarly”
Wang et al. Interactive response system to promote active learning in intelligent learning environments
KR20220128259A (en) An electronic device using an avatar matching a user's problem-solving ability, and a learning management method
CN115908063A (en) Training task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Huang Developing a fuzzy comprehensive assessment model for English translation for college studentso
KR20240045050A (en) Method for providing automatic reporting on foreign language learning performance and status using performance report algorithm
US10453354B2 (en) Automatically generated flash cards
Kurt A qualitative exploration of pre-service English teachers’ integration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in corpus-based language pedagogy
Pu et al. Interactive teaching mode of college English based on Internet of things
Rodrigo et al. The great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of the next 20 years
Becker et al. Board 11: Predicting At-Risk Students in a Circuit Analysis Course Using Supervised Machine Learning
Li et al. Diagnostic assessment of L2 Chinese learners’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