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37278A - Agricultural worker service robot capable of emergency location transmission and farmland monitoring - Google Patents
Agricultural worker service robot capable of emergency location transmission and farmland monitor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37278A KR20240137278A KR1020230030489A KR20230030489A KR20240137278A KR 20240137278 A KR20240137278 A KR 20240137278A KR 1020230030489 A KR1020230030489 A KR 1020230030489A KR 20230030489 A KR20230030489 A KR 20230030489A KR 20240137278 A KR20240137278 A KR 2024013727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rvice robot
- unit
- information
- location information
- soi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B51/00 - A01B75/00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06—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a wireless system for controlling one or several manipul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25J13/08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with position, velocity or acceleration sens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55—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acoustic signals, e.g. ultra-sonic singal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76—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signals provided by a source external to the vehicle
- G05D1/0278—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signals provided by a source external to the vehicle using satellite positioning signals, e.g. GP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20—Control system inputs
- G05D1/24—Arrangements for 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 G05D1/246—Arrangements for 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using environment maps, e.g. simultaneous localisation and mapping [SLAM]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20—Control system inputs
- G05D1/24—Arrangements for 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 G05D1/247—Arrangements for 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using signals provided by artificial sources external to the vehicle, e.g. navigation beacons
- G05D1/248—Arrangements for 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using signals provided by artificial sources external to the vehicle, e.g. navigation beacons generated by satellites, e.g. GP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긴급위치전송과 경작지 모니터링이 가능한 농작업자 서비스 로봇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 프레임 상에 구비되는 적재부; 상기 본체 프레임 하단에 구비되는 주행부; 상기 주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고,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정보획득부; 및 상기 위치정보획득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로봇이 특정 시간이상 이동되지 않는 경우, 현재 위치정보와, 이동경로를 포함한 맵데이터를 기 설정된 관계자단말기 측으로 전송하는 긴급위치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위치전송과 경작지 모니터링이 가능한 농작업자 서비스 로봇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rm worker service robot capable of emergency location transmission and farmland monitoring, and more specifically, to a farm worker service robot capable of emergency location transmission and farmland monitor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ading unit provided on a main body frame; a driving unit provided on a lower part of the main body fram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a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and an emergency location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map data including a movement path to a preset relevant terminal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information when the robot does not move for a specific period of time or longer.
Description
본 발명은 긴급위치전송과 경작지 모니터링이 가능한 농작업자 서비스 로봇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rm worker service robot capable of emergency location transmission and farmland monitoring.
농업은 우리의 먹거리를 책임지는 매우 중요한 산업분야이다. 농업은 파종이후, 제초, 수확 등 수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한다. 과거에는 수작업에 의해 진행되어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였으나, 점차 기계화되면서 수동의 농기계 조작이 아니라, 스스로 주행해가면서 작업할 수 있는 다양한 농업용 로봇에 대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지고 있어 노동력이 많이 절감되었다.Agriculture is a very important industry that is responsible for our food. Agriculture requires a lot of labor after sowing, weeding, and harvesting. In the past, it was done by hand and required a lot of labor, but as it gradually became mechanized, various technologies for agricultural robots that can drive themselves and work instead of manually operating agricultural machinery were developed, which greatly reduced labor.
이러한 농업용 로봇으로 경작지 내에 농작물을 경작 및 관리하기 위해서는 농업용 로봇을 위한 전자지도(경작지도)가 필요한데, 종래에는 전자지도(경작지도)의 정확성이 떨어져 농업용 로봇이 경작지 간의 경계면 근처의 경작 가능 영역을 경작하지 않는 등 농경지를 정밀한 수준으로 경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cultivate and manage crops within farmland using these agricultural robots, an electronic map (farm map) for the agricultural robots is required. However, in the past, the accuracy of the electronic map (farm map) was low,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agricultural robots could not cultivate farmland at a precise level, such as not cultivating the cultivable area near the boundary between farmland areas.
한편, 농업 로봇용 경작지도에 관한 종래기술은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374802호 등이 있다.Meanwhile, prior art technologies related to farming guidance for agricultural robots include Korean Patent No. 10-1374802, etc.
한편 자율주행형 농업용 로봇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한 위치인식 시스템과, 속도와 방향 및 가속도를 측정하는 관성항법장치(IMU: Inertial Measurement Unit)와, 자율 주행시 이동 방향을 모니터로 보여 모니터링 시스템, 작업경로 생성 및 추종기술이 적용된다.Meanwhile, autonomous agricultural robots are equipped with a location recognition system using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an inertial measurement unit (IMU) that measures speed, direction, and acceleration, a monitoring system that displays the direction of movement on a monitor during autonomous driving, and work path generation and tracking technology.
통상 자동차가 주행하는 도로의 경우에는 현재 정확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된 전자지도가 있고, 또한 도로의 차선 등과 같은 표식을 통해 경로 주행이 가능하다. 하지만, 농지와 같은 비정형 환경은 현재 농지의 정확한 GPS 정보가 없고, 더욱이 농업용 로봇이 주행을 하는데 있어서 경로를 인식하기 위한 특별한 표식이 없는 상태이다.In the case of roads where cars usually drive, there is an electronic map created based on current accurate location information, and route driving is possible through markings such as road lanes. However, in irregular environments such as farmland, there is currently no accurate GPS information for farmland, and furthermore, there are no special markings for recognizing the route when driving agricultural robots.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 기술은 수목 등 자연물이나 미리 설치한 목표 폴 등을 목표로 하여 카메라로 촬영하고, 이를 기반으로 차량을 목표를 향해 제어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To solve this problem, conventional technology suggests a method of using a camera to capture images of natural objects such as trees or pre-installed target poles, and then controlling the vehicle to aim at the target based on the captured images.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카메라 영상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노지와 같은 환경에서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노지 환경에서는 주행 차량이 계속적으로 흔들리기 때문에 카메라로 촬영하는 대상물이 계속적으로 흔들리게 되고 이에 따라 주행 차량이 계속적으로 목표물을 향해 이동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However, since this conventional technology only uses camera images, it ha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be applied in environments such as open fields. That is, in open fields, since the vehicle in motion continuously shakes, the object being captured by the camera continuously shakes, making it difficult for the vehicle to continuously move toward the target.
대한민국 특허10-2127312호에는 농업용 작업 차량 및 이의 제어 시스템이 제시되어 있는데, 종래 농업용 작업차량은 차체에 설치되어 차체의 현재 위치 및 자세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차체에 설치되어 상기 차체의 주변 환경의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디텍터; 및 상기 차체의 현재 위치 및 자세에 기초하여 상기 차체의 현재 상태를 생성하는 현재 상태 생성부와, 상기 영상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차체의 주행 가능한 영역 정보를 생성하는 주행 영역 생성부와, 상기 차체의 현재 상태 및 상기 차체의 주행 가능한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체의 목표 위치 및 자세를 결정하는 다음 상태 결정부와, 상기 차체의 목표 위치 및 자세에 기초하여 상기 차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있다.Korean Patent No. 10-2127312 discloses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and a control system thereof. The conventional agricultural work vehicle includes a detector including a sensor installed on a body to detect the current position and posture of the body, and a camera installed on the body to obtain a video imag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body; a current state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a current state of the body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and posture of the body, a driving area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driveable area information of the body based on the video image, a next state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a target position and posture of the body based on the current state of the body and the driveable area information of the body,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body based on the target position and posture of the body.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농업용 작업 차량은 카메라의 2차원 영상과 차량의 자세 정보만을 활용하여 제어하기 때문에 과수원과 같이 차량의 주행 목표를 특정할 수 있는 환경에는 적용할 수 있지만, 노지와 같이 현재 작물이 식재되어 있지 않은 환경에서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conventional agricultural work vehicles such as this are controlled using only the two-dimensional images of the camera and the vehicle's attitude informa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although they can be applied to environments where the vehicle's driving target can be specified, such as orchards, they cannot be applied to environments where crops are not currently planted, such as open field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가 더운 날 밭이나 산에서 일을 할 때, 기온이 높아 열사병 같은 일이 발생해 장시간 같은 곳에 머무르면 연동된 사용자단말기로 위치와 알람을 보내 긴급연락을 취할 수 있고, GPS와 지도를 연동해 이동거리, 현재위치, 전원이 꺼졌을 경우 마지막 위치 등을 알람으로 전송해 줄 수 있는, 긴급위치전송과 경작지 모니터링이 가능한 농작업자 서비스 로봇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worker works in a field or on a mountain on a hot day and the temperature is high and he or she stays in the same place for a long time due to heatstroke, the robot can send an alarm and location to a linked user terminal to make an emergency contact, and can transmit an alarm by linking GPS and a map to the distance moved, current location, and last location in case of power outage, etc., to provide an agricultural worker service robot capable of emergency location transmission and farmland monitor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로봇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맵을 작성하며, 로봇에 구비된 습도 센서, pH센서에서 측정된 값을 기반으로 경작지에 대한 수분/pH 맵을 도출하고, 이러한 수분/pH 값을 기반으로 농작물 경작에 적절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긴급위치전송과 경작지 모니터링이 가능한 농작업자 서비스 로봇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farm worker service robot capable of emergency location transmission and farmland monitoring, which creates a map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obot, derives a moisture/pH map for farmland based on the values measured by a humidity sensor and a pH sensor equipped in the robot, and determines whether the map is suitable for crop cultivation based on the moisture/pH values.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목적은 농작업자를 돕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봇으로서, 본체 프레임 상에 구비되는 적재부; 상기 본체 프레임 하단에 구비되는 주행부; 상기 주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고,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정보획득부; 및 상기 위치정보획득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로봇이 특정 시간이상 이동되지 않는 경우, 현재 위치정보와, 이동경로를 포함한 맵데이터를 기 설정된 관계자단말기 측으로 전송하는 긴급위치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위치전송과 경작지 모니터링이 가능한 농작업자 서비스 로봇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bot that provides a service to assist farmers, comprising: a loading unit provided on a main body frame; a driving unit provided on a lower part of the main body frame;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driving unit; a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location information; and an emergency location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map data including a movement path to a preset relevant terminal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information, wherein the robot does not move for a specific period of time or longer, thereby achieving a farm worker service robot capable of emergency location transmission and farmland monitoring.
그리고 상기 위치정보획득부는, GPS 수신기 또는, 상기 서비스 로봇이 주행되는 공간의 특정 거리마다 설치된 복수의 기준 초음파 센서 각각과 초음파 송수신을 하여 상기 서비스 로봇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초음파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may be characterized by being configured with a GPS receiver or an ultrasonic sensor that acquir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rvice robot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ultrasonic waves with each of a plurality of reference ultrasonic sensors installed at specific distances in the space where the service robot runs.
또한 상기 서비스 로봇은, 주행시 실시간으로 주행중인 토양의 토양정보를 측정하는 토양정보센싱부; 상기 위치정보를 통해 생성된 맵 상에 상기 토양정보를 매핑하는 토양정보 맵도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rvice robot may 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oil information sensing unit that measures soil information of the soil while the robot is driving in real time; and a soil information map derivation unit that maps the soil information on a map generated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서비스 로봇은, 측정된 토양정보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양정보센싱부는 수분센서와 pH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nd the service robot may include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measured soil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the soil information sensing unit may be characterized by being composed of a moisture sensor and a pH sensor.
또한 경작 농작물의 종류별로 적정 수분범위와 pH범위가 저장되고, 상기 토양정보 맵도출부에서 도출된 토양정보 맵을 기반으로 경작대상이 되는 농작물을 영역별로 추천하는 경작영역 추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can 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cultivation area recommendation unit that stores the appropriate moisture range and pH range for each type of cultivated crop and recommends crops to be cultivated for each area based on the soil information map derived from the soil information map derivation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위치전송과 경작지 모니터링이 가능한 농작업자 서비스 로봇에 따르면, 작업자가 더운 날 밭이나 산에서 일을 할 때, 기온이 높아 열사병 같은 일이 발생해 장시간 같은 곳에 머무르면 연동된 사용자단말기로 위치와 알람을 보내 긴급연락을 취할 수 있고, GPS와 지도를 연동해 이동거리, 현재위치, 전원이 꺼졌을 경우 마지막 위치 등을 알람으로 전송해 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According to a farm worker service robot capable of emergency location transmission and farmland monit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worker is working in a field or on a mountain on a hot day and suffers from heatstroke due to high temperatures and stays in the same place for a long time, the robot can send an alarm and location to a linked user terminal to make an emergency contact, and can transmit an alarm by linking GPS and a map to the distance traveled, current location, and last location in case of a power outag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위치전송과 경작지 모니터링이 가능한 농작업자 서비스 로봇에 따르면, 로봇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맵을 작성하며, 로봇에 구비된 습도 센서, pH센서에서 측정된 값을 기반으로 경작지에 대한 수분/pH 맵을 도출하고, 이러한 수분/pH 값을 기반으로 농작물 경작에 적절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According to a farm worker service robot capable of emergency location transmission and farmland monit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p is creat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obot, a moisture/pH map for the farmland is derived based on the values measured by the humidity sensor and pH sensor equipped in the robot, and based on these moisture/pH value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farmland is suitable for crop cultivation.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effects obtainable from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자 서비스 로봇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자 서비스 로봇을 이용한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군집 링크 주행하는 농작업자 서비스 로봇 들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귀모드 실행시를 나타낸 농작업자 서비스 로봇의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센서를 이용한 로봇의 위치인식의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위치 전송 도우미 기능을 통해 전송되는 현재위치, 이동거리 지도의 예,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작지 토양의 수분, pH 측정 매핑시스템의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to matters described in such drawings.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arm worker servic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using a farm worker servic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farm worker service robots driving in a cluster li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farm worker service robot showing the execution of a retur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onceptual diagram of position recognition of a robot using an ultrasonic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ample of a current location and movement distance map transmitted through an emergency location transmission helper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oil moisture and pH measurement mapping system for farml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The above objects,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as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related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contents can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so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In this specification,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on an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be formed directly on the other component, or a third component can be interposed between them. Also,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of the components is exaggerated for the effec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contents.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and/or plan views, which are ideal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of the film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effec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contents. Accordingly, the shapes of the examples may be modified due to manufacturing techniques and/or tolerance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shapes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shapes creat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example, the regions shown at right angles may be rounded or have a shape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Accordingly,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have properties, and the shapes of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specific shapes of regions of the device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lthough the terms first, second, etc. have been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also include complementary embodiment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The words "comprises" and/or "comprising" as used herei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mentioned.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In describing the specific embodiments below, various specific contents have been written to explain the invention more specifically and to help understanding. However, a reader who has knowledge of this field enough to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ognize that it can be used without these various specific contents. In some cases, it is mentioned in advance that parts that are commonly known but not greatly related to the invention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prevent confusion without any reas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자 서비스 로봇의 구성, 기능 및, 그 서비스 로봇을 통한 서비스제공방법 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Below, the configuration, function, and service provision method of a farm worker servic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service robot ar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자 서비스 로봇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자 서비스 로봇을 이용한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arm worker servic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using a farm worker servic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자 서비스 로봇(100)은 본체 프레임(10) 상에 구비되는 적재부(11)와, 본체 프레임(10) 하단에 구비되는 주행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it can be seen that the farm worker service robot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loading part (11) provided on a main body frame (10) and a driving part (20)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frame (10).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부(20)는 이륜 무한궤도 구동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주행시 충격흡수를 위해 주행부와 본체프레임 사이에 충격흡수부(21)가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iving unit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with a two-wheeled caterpillar driving method. In addition, a shock absorbing unit (21) may be provided between the driving unit and the main body frame to absorb shock during driving.
그리고 농작업자가 나무에 달린 열매나 약간 높은 곳에서 작업할 때 높이를 조절해서 작업할 수 있도록 적재부(11)와 본체 프레임(10) 사이에 적재부(11)의 높이를 제어할 수 있는 리프팅부가 설치되어 질 수 있다. And, a lifting unit that can control the height of the loading unit (11) can be installed between the loading unit (11) and the main body frame (10) so that the farmer can work by adjusting the height when working on fruits hanging from a tree or in a slightly high place.
그리고 본체 프레임(10) 상에는 더운날 또는 추운날 햇빛 아래서 일할 때 음료를 시원 또는 따뜻하게 먹을 수 있게 보냉홀더가 장착되어 질 수도 있다. And, a cooling holder can be installed on the main body frame (10) to allow the user to drink a cool or warm beverage when working under the sun on a hot or cold day.
또한 이러한 적재부(11) 내에는 적재함을 1개 또는 복수로 장착해 필요할 때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one or more loading boxes can be installed in the loading section (11) so that they can be used when necessary.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자 서비스 로봇(100)의 본체 프레임(10)에는 농기계 탑재모듈(90)이 설치되어 예초, 밭갈이, 로터리, 수확기, 제설기 등 다양한 농기계가 장착되어 적재뿐 아니라 로봇 하나만으로 다양하게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nd, in the main frame (10) of the farm worker service robot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gricultural machinery loading module (90) is installed so that various agricultural machinery such as a weeder, a plow, a rotary, a harvester, and a snow remover can be mounted, so that not only loading but also various uses can be made with just one robot.
또한 시골은 경사진 곳이 많기 때문에 위가 개방된 형태면 내용물이 쏟아질 수여가 있고, 적재함의 깊이를 깊게 만들면 나이 드신분들이 물건을 꺼내기 어려우므로 쉽게 여닫을 수 있는 입체적 덮개가 적재부(11)에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re are many slopes in the countryside, if the top is open, there is a risk of the contents spilling out, and if the depth of the loading box is made deep, it may be difficult for the elderly to take out items, so a three-dimensional cover that can be easily opened and closed can be installed on the loading section (11).
그리고 경사진 곳에 세우고 고정할 때 주행부에 브레이크가 있다면 허리를 숙여서 고정해야하기 때문에 허리를 숙이지 않고 브레이크 작동이 가능하도록 브레이크 작동부(80)가 구비될 수 있다. And, when setting up and fixing on a slope, if there is a brake on the driving part, the user must bend over to fix it, so a brake operating part (80) can be provided so that the brake can be operated without bending ov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자 서비스로봇에서 스마트태그를 이용한 추종 및 군집주행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Below, the tracking and group driving functions using smart tags in an agricultural servic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자 서비스 로봇(100)에는, 농작업자의 사용자단말기(스마트폰 등)에 탑재된 마스터 스마트태그과 연결되는 슬레이브 스마트태그(50)가 설치된다. In the farm worker service robo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lave smart tag (50) connected to a master smart tag mounted on a farm worker's user terminal (smartphone, etc.) is installed.
그리고 제어부(30)는 슬레이브 스마트태그(50) 마스터 스마트태그(50)와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서비스 로봇(100)이 농작업자를 추종하며 주행하도록 주행부(20)를 제어하게 된다. And the control unit (30) controls the driving unit (20) so that the service robot (100) follows the farmer and drives at a set distance from the slave smart tag (50) and the master smart tag (50).
또한 사용자단말기(1)와 서비스로봇, 및 서비스로봇 사이의 특정거리 내에서 통신을 연결하는 근거리통신모듈(5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It also includes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51) that connects communication within a specific distance between a user terminal (1) and a service robot, and between the service robots.
따라서 농작업자의 사용자단말기와 특정 거리 내에 위치되는 서비스로봇(100)과 근거리 통신(예를 들어 Wifi)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서비스로봇(100) 간에도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armer's user terminal can be connected to a service robot (100) located within a certain distance via short-range communication (e.g., Wifi), and the service robots (100) can also be connected via short-range communication.
또한 스마트 태그(50) 각각은 각자 고유 ID를 가지며, 스마트 태그(50)간 통신연결 후 스마트 태그(50)간 거리와, 추종되는 서비스 로봇(100)의 주행방향, 주행속도가 연산되게 된다. 그리고 사이 거리, 주행방향, 주행속도를 기반으로 주행정보를 도출하여 근거리통신모듈(51)을 통해 사용자단말기(1)에 공유되게 된다. In addition, each smart tag (50) has its own unique ID, and after communication between smart tags (50), the distance between smart tags (50) and the driving direction and driving speed of the service robot (100) being followed are calculated. Then, based on the distance, driving direction, and driving speed, driving information is derived and shared with the user terminal (1)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51).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 내의 설정부에서 마스터 스마트 태그를 추종할 적어도 어느 하나의 슬레이브 스마트 태그와, 안전거리를 설정할 수 있고, 추종되는 서비스 로봇(100)의 제어부(30)는 연산된 스마트 태크(50) 간 거리를 기반으로 설정된 안전거리가 유지되도록 주행부(20)를 제어하게 된다. And in the setting section of the user terminal (1), at least one slave smart tag to follow the master smart tag and a safety distance can be set, and the control section (30) of the service robot (100) to be followed controls the driving section (20) so that the set safety distance is maintained based on the calculated distance between the smart tags (50).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군집 링크 주행하는 농작업자 서비스 로봇 들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귀모드 실행시를 나타낸 농작업자 서비스 로봇의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farm worker service robots driving in a cluster li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farm worker service robot showing a return mode execu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기(1)의 설정부를 통해 농작업자를 추종하게 될 슬레이브 스마트태그(50)를 복수로 설정할 수 있다. 설정된 복수의 슬레이브 스마트태그(50)가 탑재된 각각의 농작업자 서비스로봇(100)이 사용자 단말기(1)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면, 복수의 농작업자 서비스로봇(100)이 사용자 단말기(1)를 소지한 농작업자를 추종하며 주행하게 된다. 이때, 슬레이브 스마트태그(50) 별로 안전거리를 달리하여 설정할 수 있다. As mentioned above, multiple slave smart tags (50) that will follow the farm worker can be set through the setting section of the user terminal (1). When each farm worker service robot (100) equipped with multiple slave smart tags (50)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 through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ultiple farm worker service robots (100) will drive while following the farm worker carrying the user terminal (1). At this time, the safety distance can be set differently for each slave smart tag (50).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열을 생성하며 군집주행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And as shown in Fig. 3, links and columns can be created and cluster driving can be enabled.
농작업자는 사용자단말기(1)의 설정부를 통해, 마스터 스마트 태그를 추종할 1번째 슬레이브 스마트 태그와, 1번째 슬레이브 스마트 태그를 추종할 2번째 슬레이브 스마트 태그, 및 n-1번째 슬레이브 스마트 태그를 추종할 n번째 슬레이브 스마트 태그를 설정할 수 있다. 설정이 완료되면, 1번째 슬레이브 스마트 태그가 탑재된 서비스 로봇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추종하고, 2번째 슬레이브 스마트 태그가 탑재된 서비스 로봇은 1번째 슬레이브 스마트 태그가 탑재된 서비스로봇을 추종하며, n번째 슬레이브 스마트 태그가 탑재된 서비스 로봇은 n-1번째 슬레이브 스마트 태그가 탑재된 서비스 로봇을 추종하며 주행하게 된다. The farmer can set the first slave smart tag to follow the master smart tag, the second slave smart tag to follow the first slave smart tag, and the nth slave smart tag to follow the n-1th slave smart tag through the setting section of the user terminal (1). Once the setting is complete, the service robot equipped with the first slave smart tag follows the user terminal, the service robot equipped with the second slave smart tag follows the service robot equipped with the first slave smart tag, and the service robot equipped with the nth slave smart tag follows the service robot equipped with the n-1th slave smart tag.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규모가 큰 농가에서 서비스 로봇을 여러개 사용하게 되는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기의 마스터 스마트태그는 ID0의 고유 ID가 부여되고 ID1 스마트태그를 가지고 있는 서비스로봇은 농작업자(ID0)를 추종하고, ID2 스마트태그를 가지고 있는 서비스로봇은 ID1 스마트태그를 추종하게 되며, ID3 스마트태그를 가지고 있는 서비스로봇은 ID2 스마트태그를 추종하게 됨을 알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3, in the case where multiple service robots are used in a large-scale farm, for example, the master smart tag of the user terminal is assigned a unique ID of ID0, and a service robot having an ID1 smart tag follows a farmer (ID0), a service robot having an ID2 smart tag follows the ID1 smart tag, and a service robot having an ID3 smart tag follows the ID2 smart tag.
또한 서비스 로봇의 주행정보는 DB(70)에 저장되며, 마스터 스마트태그를 갖는 사용자 단말기(1)의 설정부에서 서비스 로봇에 대해 회귀모드를 실행하면, 제어부는 주행정보를 기반으로 주행해온 경로를 역주행하도록 주행부(20)를 제어하여, 출발지점으로 회귀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service robot is stored in the DB (70), and when the return mode is executed for the service robot in the setting section of the user terminal (1) having the master smart tag, the control section controls the driving section (20) to drive in reverse along the driving path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thereby allowing the robot to return to the starting poin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자 서비스 로봇(10)에서 긴급위치전송 기능과 경작지 모니터링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Below, the emergency location transmission function and the farmland monitoring function of the farm worker service robo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센서를 이용한 로봇의 위치인식의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위치 전송 도우미 기능을 통해 전송되는 현재위치, 이동거리 지도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position recognition of a robot using an ultrasonic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urrent position and movement distance map transmitted through an emergency position transmission helper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로봇(100)은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정보획득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 service robo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lo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위치정보획득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로봇이 특정 시간이상 이동되지 않는 경우, 현재 위치정보와, 이동경로를 포함한 맵데이터를 기 설정된 관계자단말기(가족, 관리자 또는 의료기관 등) 측으로 전송하는 긴급위치 전송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such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information, if the service robot does not mov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longer, an emergency location transmission unit (110)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map data including the movement path to a preset relevant terminal (such as a family member, manager, or medical institution).
즉, 작업자가 더운 날 밭이나 산에서 일을 할 때, 기온이 높아 열사병 같은 일이 발생해 장시간 같은 곳에 머무르면 연동된 사용자단말기로 위치와 알람을 보내 긴급연락을 취할 수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를 연동해 이동거리, 현재위치, 전원이 꺼졌을 경우 마지막 위치 등을 알람으로 전송해 줄 수 있다. That is, when a worker is working in a field or on a mountain on a hot day, if the temperature is high and something like heatstroke occurs and the worker stays in the same place for a long time, the location and alarm can be sent to a linked user terminal to make an emergency contact, and as shown in Fig. 6, the map can be linked to send an alarm with the distance traveled, current location, and last location in case of power outage.
위치정보획득부는, GPS 수신기(42) 또는, 초음파센서(41)를 이용할 수 있다.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can use a GPS receiver (42) or an ultrasonic sensor (41).
초음파센서(41)를 적용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로봇(100)이 주행되는 공간의 특정 거리마다 설치된 복수의 기준 초음파 센서(2) 각각과 초음파센서(41)가 초음파 송수신을 하여 서비스 로봇(100)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게 됨을 알 수 있다. When applying an ultrasonic sensor (41), as shown in Fig. 5, it can be seen tha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rvice robot (100) is obtained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ultrasonic waves between each of a plurality of reference ultrasonic sensors (2) installed at specific distances in the space where the service robot (100) runs and the ultrasonic sensor (41).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작지 토양의 수분, pH 측정 매핑시스템의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7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oil moisture and pH measurement mapping system for farml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로봇(100)은 주행시 실시간으로 주행중인 토양의 토양정보를 측정하는 토양정보센싱부(120)와 위치정보를 통해 생성된 맵 상에 이러한 토양정보를 매핑하는 토양정보 맵생성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A service robo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oil information sensing unit (120) that measures soil information of the soil while driving in real time, and a soil information map generating unit (130) that maps the soil information on a map generated using location information.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양정보센싱부(120)는 수분센서(121)와 pH센서(122)로 구성될 수 있다. The soil information sensing unit (12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a moisture sensor (121) and a pH sensor (122).
그리고 토양정보 맵생성부(1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정보와 측정된 습도, 수분값, pH값을 서로 매칭하여 경작지 토양습고 및 pH 매핑 맵을 생성하게 됨을 알 수 있다. And, as shown in Fig. 7, it can be seen that the soil information map generation unit (130) generates a soil moisture and pH mapping map of farmland by matching location information with measured humidity, moisture values, and pH valu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DB에 경작 농작물의 종류별로 적정 수분범위와 pH범위가 저장되어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빅데이터로서 수집되어 경장물의 종류별로 학습되어 지속적으로 분류되어 적정범위가 업데이트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ropriate moisture range and pH range can be stored and classified by type of cultivated crop in the DB. This data can be collected as big data, learned by type of cultivated crop, and continuously classified so that the appropriate range can be updated.
그리고 특정 농작물을 경작하고자 하는 경우 특정 농작물 종류를 설정하면 적정 수분범위가 pH범위가 도출되며, 서비스로봇이 주행할 때, 측정되는 수분값과 pH범위가 경작이 적절한 것인지를 판단하여 맵 상에 도출하거나 디스플레이부(131)에 표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ED제어를 통해 농작물에 적절한 값이 경우 파란불, 부족할 경우 빨간불을 깜빡이게 할 수 있다. And when a specific crop is to be cultivated, if a specific crop type is set, the appropriate moisture range and pH range are derived, and when the service robot drives, the measured moisture value and pH range can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cultivation is appropriate and derived on a map o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1). For example, through LED control, a blue light can be blinked if the appropriate value for the crop is present, and a red light can be blinked if the value is insufficient.
또한 경작영역 추전부(132)를 포함하여 토양정보 맵생성부(130)에서 도출된 토양정보 맵을 기반으로 경작대상이 되는 농작물을 영역별로 추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t can be configured to recommend crops to be cultivated by area based on the soil information map derived from the soil information map generation unit (130), including the cultivation area recommendation unit (132).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evices and methods described above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s and method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part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사용자단말기
2:기준 초음파센서
10:본체프레임
11:적재부
12:리프팅부
20:주행부
21:충격흡수부
30:제어부
40:센싱부
41:소음파센서
42:GPS수신부
50:스마트 태그
51:근거리통신모듈
60:배터리
61:태양광패널
70:DB
80:브레이크작동부
90:농기계탑재모듈
100:농작업자 서비스 로봇
110:긴급위치전송부
120:토양정보센싱부
121:수분센서
122:pH센서
130:토양정보맵 생성부
131:디스플레이부
132:경작영역 추천부1: User terminal
2: Reference ultrasonic sensor
10: Body frame
11: Loading section
12: Lifting section
20: Driving section
21: Shock absorbing part
30:Control section
40: Sensing section
41: Acoustic wave sensor
42:GPS receiver
50: Smart Tag
51: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60:Battery
61: Solar Panel
70:DB
80:Brake operating part
90: Agricultural machinery mounting module
100: Farm worker service robot
110: Emergency Location Transmission Unit
120: Soil information sensing unit
121:Moisture sensor
122:pH sensor
130: Soil information map creation section
131: Display section
132: Farming Area Recommendation Section
Claims (5)
본체 프레임 상에 구비되는 적재부; 상기 본체 프레임 하단에 구비되는 주행부; 상기 주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고,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정보획득부; 및
상기 위치정보획득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로봇이 특정 시간이상 이동되지 않는 경우, 현재 위치정보와, 이동경로를 포함한 맵데이터를 기 설정된 관계자단말기 측으로 전송하는 긴급위치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위치전송과 경작지 모니터링이 가능한 농작업자 서비스 로봇.
As a robot that provides services to assist farmers,
It has a loading part provided on the main body frame; a driving part provided on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frame; and a control part that controls the driving part.
A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location information; and
A farm worker service robot capable of emergency location transmission and farmland monitoring, characterized by including an emergency location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map data including a movement path to a preset related terminal if the robot does not move for a specific period of time based on the abov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information.
상기 위치정보획득부는,
GPS 수신기 또는,
상기 서비스 로봇이 주행되는 공간의 특정 거리마다 설치된 복수의 기준 초음파 센서 각각과 초음파 송수신을 하여 상기 서비스 로봇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초음파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위치전송과 경작지 모니터링이 가능한 농작업자 서비스 로봇.
In paragraph 1,
The abov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GPS receiver or,
A farm worker service robot capable of emergency location transmission and farmland monitor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ultrasonic sensor that obtain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rvice robot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ultrasonic waves with a plurality of reference ultrasonic sensors installed at specific distances in the space where the service robot runs.
상기 서비스 로봇은,
주행시 실시간으로 주행중인 토양의 토양정보를 측정하는 토양정보센싱부;
상기 위치정보를 통해 생성된 맵 상에 상기 토양정보를 매핑하는 토양정보 맵도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위치전송과 경작지 모니터링이 가능한 농작업자 서비스 로봇.
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service robot,
A soil information sensing unit that measures soil information of the soil being driven in real time while driving;
A farm worker service robot capable of emergency location transmission and farmland monitoring,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oil information map derivation unit that maps the soil information onto a map generated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상기 서비스 로봇은, 측정된 토양정보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양정보센싱부는 수분센서와 pH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위치전송과 경작지 모니터링이 가능한 농작업자 서비스 로봇.
In the third paragraph,
The above service robot includes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measured soil information in real time,
A farm worker service robot capable of emergency location transmission and farmland monito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soil information sensing unit above is composed of a moisture sensor and a pH sensor.
경작 농작물의 종류별로 적정 수분범위와 pH범위가 저장되고,
상기 토양정보 맵도출부에서 도출된 토양정보 맵을 기반으로 경작대상이 되는 농작물을 영역별로 추천하는 경작영역 추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위치전송과 경작지 모니터링이 가능한 농작업자 서비스 로봇.
In paragraph 4,
The appropriate moisture and pH ranges are stored for each type of crop.
A farm worker service robot capable of emergency location transmission and farmland monitoring,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farming area recommendation unit that recommends crops to be cultivated by area based on a soil information map derived from the soil information map derivation unit.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030489A KR20240137278A (en) | 2023-03-08 | 2023-03-08 | Agricultural worker service robot capable of emergency location transmission and farmland monitor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030489A KR20240137278A (en) | 2023-03-08 | 2023-03-08 | Agricultural worker service robot capable of emergency location transmission and farmland monitoring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40137278A true KR20240137278A (en) | 2024-09-20 |
Family
ID=9292669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30030489A Ceased KR20240137278A (en) | 2023-03-08 | 2023-03-08 | Agricultural worker service robot capable of emergency location transmission and farmland monitoring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240137278A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760549B1 (en) | 2024-10-18 | 2025-02-03 | 칸플랜트 주식회사 | Detachable information recognition rear safety band and method performing thereof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937179B1 (en) | 2018-08-01 | 2019-01-11 | 주식회사 우리스틸 | Steel pipe with multilayer coat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2371433B1 (en) | 2020-06-24 | 2022-03-07 |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루이팜 |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farming map of agricultural robo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
| KR20220027505A (en) | 2020-08-27 | 2022-03-08 | 한국로봇융합연구원 | Driving control device of agricultural robot and Method for the same |
-
2023
- 2023-03-08 KR KR1020230030489A patent/KR20240137278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937179B1 (en) | 2018-08-01 | 2019-01-11 | 주식회사 우리스틸 | Steel pipe with multilayer coat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2371433B1 (en) | 2020-06-24 | 2022-03-07 |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루이팜 |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farming map of agricultural robo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
| KR20220027505A (en) | 2020-08-27 | 2022-03-08 | 한국로봇융합연구원 | Driving control device of agricultural robot and Method for the same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760549B1 (en) | 2024-10-18 | 2025-02-03 | 칸플랜트 주식회사 | Detachable information recognition rear safety band and method performing thereof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eicher et al. | Automatic guidance for agricultural vehicles in Europe | |
| US10953985B2 (en) | System for measuring three-dimensional environment data, particularly for plant care, as well as sensor module | |
| US20240302845A1 (en) | Path-planning system for self-driving agricultural machine | |
| US20240337500A1 (en) | Path planning system for self-driving agricultural machine | |
| US20250100450A1 (en) | Video display system and work vehicle | |
| US20240172577A1 (en) | Control system for agricultural machine and agriculture management system | |
| US20240345253A1 (en) | Agricultural machine, sensing system used in agricultural machine, and sensing method | |
| US20240341216A1 (en) | Travel control system for agricultural machine capable of performing remotely-manipulated traveling | |
| US10631475B2 (en) | Low cost precision irrigation system with passive valves and portable adjusting device | |
| JPWO2023106158A5 (en) | ||
| Durmuş et al. | Data acquisition from greenhouses by using autonomous mobile robot | |
| US20240317238A1 (en) | Agricultural road identification system, control system, and agricultural machine | |
| US20240188476A1 (en) |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ccess of agricultural machine to field | |
| US20240138282A1 (en) | Management system for agricultural machines | |
| US20240345603A1 (en) | Travel control system for agricultural machine capable of performing remotely-manipulated traveling | |
| KR20240137278A (en) | Agricultural worker service robot capable of emergency location transmission and farmland monitoring | |
| WO2023112515A1 (en) | Map generation system and map generation method | |
| JP2025022817A (en) | Turning Control of an Autonomous Agricultural Vehicle | |
| JP2025022818A (en) | Turning Control of an Autonomous Agricultural Vehicle | |
| EP3905109A1 (en) | System for controlling agricultural operations by optical means | |
| US20250068172A1 (en) | Map creation system and route planning system | |
| Kaswan et al. | Special sensors for autonomous navigation systems in crops investigation system | |
| Pulugu et al. | Stereo Vision Subsystem and Scene Segmentation Self‐Steering Tractors in Smart Agriculture | |
| Adams | Farm machinery automation for tillage, planting cultivation, and harvesting | |
| US20240337753A1 (en) | Agricultural machine, sensing system for use in agricultural machine, and sensing method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