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145796A - Laver Farming System on Land - Google Patents

Laver Farming System on La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45796A
KR20240145796A KR1020230040748A KR20230040748A KR20240145796A KR 20240145796 A KR20240145796 A KR 20240145796A KR 1020230040748 A KR1020230040748 A KR 1020230040748A KR 20230040748 A KR20230040748 A KR 20230040748A KR 20240145796 A KR20240145796 A KR 20240145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ray
seaweed
net
land
farming syste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07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866464B1 (en
Inventor
전계승
Original Assignee
전계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계승 filed Critical 전계승
Priority to KR1020230040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866464B1/en
Publication of KR20240145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457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866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866464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01C23/001Sludge spreaders, e.g. liquid manure spreaders
    • A01C23/003Distributing devices, e.g. for rotating, thro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oi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육상 김양식 시스템은, 일측과 타측 사이를 지그재그로 왕복하는 상태로 장대길이의 단일 해태망을 거치하는 해태망 거치대; 상기 해태망 거치대에 거치된 해태망을 향하여 해수 및 양액을 분사하는 스프링클러가 어레이로 배치된 스프링클러 어레이; 및상기 해태망 거치대에 거치된 해태망을 향하여 태양광을 모사한 빛을 조사하는 LED 라이트가 어레이로 배치된 LED 라이트 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nshore laver aquacultur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eaweed net holder for placing a long single seaweed net in a zigzag manner back and forth between one side and the other; a sprinkler array in which sprinklers are arranged in an array to spray seawater and nutrient solution toward the seaweed net placed on the seaweed net holder; and an LED light array in which LED lights are arranged in an array to irradiate light simulating sunlight toward the seaweed net placed on the seaweed net holder.

Description

육상 김양식 시스템{Laver Farming System on Land}{Laver Farming System on Land}

본 발명은 김을 양식하는 김양식 장치 또는 김양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weed cultivation device or a seaweed cultivation system for cultivating seaweed.

김은 연근해에서 양식되는데, 주로 해수면에 장대길이의 해태망을 부유시켜 양식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기후환경상 1년중 11월 ~ 3월 사이에 양식이 가능하고 한달에 2~3번 정도 수확하게 된다.Kim is farmed in coastal waters, and is mainly farmed by floating long nets on the sea surface. In Korea, due to climate conditions, farming is possible between November and March of the year, and harvesting occurs two to three times a month.

그런데, 태풍에 의해서 김양식을 위한 해태망 및 부력기구가 망실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미세플라스틱 등에 의한 바다오염의 영향을 받아서 생산된 김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이 발견되기도 한다.However, there are many cases where nets and buoyancy devices for laver farming are lost due to typhoons. In addition, microplastics are also found in laver produced due to the effects of ocean pollution such as microplastics.

김은 잔잔한 다도해가 펼쳐진 남해안에서 주로 양식되는데, 기후변화에 의해 점차 수온이 상승함에 따라 남해안에서의 김양식도 이에 영향을 받아서 단위면적당 물김의 생산량이 줄어들로 있는 실정이다.Kim is mainly farmed on the southern coast where the calm sea spreads out, but as water temperatures gradually rise due to climate change, Kim farming on the southern coast is also affected, and the production of Kim per unit area is decreasing.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다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는 김양식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aweed farming system that is not affected by the marine environmen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중 김을 양식할 수 있는 김양식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aweed cultivation system capable of cultivating seaweed all year round.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육상 김양식 시스템은, 일측과 타측 사이를 지그재그로 왕복하는 상태로 장대길이의 단일 해태망을 거치하는 해태망 거치대; 상기 해태망 거치대에 거치된 해태망을 향하여 해수 및 양액을 분사하는 스프링클러가 어레이로 배치된 스프링클러 어레이; 및 상기 해태망 거치대에 거치된 해태망을 향하여 태양광을 모사한 빛을 조사하는 LED 라이트가 어레이로 배치된 LED 라이트 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land-based laver aquaculture system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eaweed net holder for placing a long single seaweed net in a zigzag manner back and forth between one side and the other; a sprinkler array in which sprinklers are arranged in an array to spray seawater and nutrient solution toward the seaweed net placed on the seaweed net holder; and an LED light array in which LED lights are arranged in an array to irradiate light simulating sunlight toward the seaweed net placed on the seaweed net holder.

상기한 육상 김양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해태망 거치대는, 프레임의 좌측에서 제자리 회동되는 복수의 좌측 롤러가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채로 어레이로 배열되어 구성되는 좌롤러 어레이; 및 상기 프레임의 우측에서 제자리 회동되는 복수의 우측 롤러가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채로 어레이로 배열되어 구성되는 우롤러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above-mentioned land-based seaweed cultivation system, the seaweed net support may include a left roller array configur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left rollers that rotate in place on the left side of the frame in an array while being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right roller array configur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right rollers that rotate in place on the right side of the frame in an array while being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한 육상 김양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좌측 롤러 및 상기 우측 롤러의 중앙부분에는 로프를 가이드하는 로프 가이드홈이 원주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In the above-mentioned land-based seaweed farming system, a rope guide groove for guiding a rope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left roller and the right roller.

상기한 육상 김양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해태망은, 상기 좌롤러 어레이에서 2개의 좌측 롤러와 상기 우롤러 어레이에서 2개의 우측 롤러를 번갈아 가면서 순차적으로 왕복함으로써, 상기한 일측과 타측 사이를 지그재그로 왕복하게 될 수 있다.In the above-mentioned land laver farming system, the seaweed net can be made to zigzag back and forth between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by sequentially reciprocating the two left rollers in the left roller array and the two right rollers in the right roller array.

상기한 육상 김양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서 좌측 및 우측 사이의 중간에서 제자리 회동되는 복수의 중간 롤러가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채로 어레이로 배열되어 구성되는 중간롤러 어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above-mentioned land-based seaweed farming system, an intermediate roller array may be further included, in which a plurality of intermediate rollers are arranged in an array while being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rotate in place in the middle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상기한 육상 김양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해태망 거치대에 거치된 해태망을 향하여 바람을 송풍하는 송풍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above-mentioned land-based seaweed farming system, a blower for blowing wind toward the seaweed net installed on the seaweed net stand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한 육상 김양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해태망 거치대는, 프레임의 상측에서 제자리 회동되는 복수의 고정 롤러가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채로 어레이로 배열되어 구성되는 고정롤러 어레이; 및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서 제자리 회동되거나 상측으로 이동되어 제자리 회동되는 복수의 이동롤러가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채로 어레이로 배열되어 구성되는 이동롤러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above-mentioned land-based seaweed cultivation system, the seaweed net support may include a fixed roller array configur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fixed rollers that rotate in place on the upper side of the frame and are horizontally spaced apart in an array; and a moving roller array configur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moving rollers that rotate in place on the lower side of the frame or are moved upward and rotated in place and are horizontally spaced apart in an array.

상기한 육상 김양식 시스템에 있어서, 김을 양식중일때 상기 이동롤러 어레이의 각 이동롤러는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위치하며, 김을 수확하고자 할 때 상기 이동롤러 어레이의 각 이동롤러는 상기 프레임의 상측으로 이동되어 제자리 회동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In the above-mentioned land laver cultivation system, when laver is being cultivated, each moving roller of the moving roller array is positioned at the lower side of the frame, and when laver is to be harvested, each moving roller of the moving roller array is moved to the upper side of the frame and can be fix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in place.

상기한 육상 김양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해태망은, 상기 고정롤러 어레이에서 1개 또는 2개의 고정 롤러와 상기 이동롤러 어레이에서 1개 또는 2개의 이동 롤러를 번갈아 가면서 순차적으로 왕복함으로써, 상기한 일측과 타측 사이를 지그재그로 왕복하게 될 수 있다.In the above-mentioned land-based laver farming system, the seaweed net can be made to zigzag back and forth betwee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by sequentially reciprocating one or two fixed rollers from the fixed roller array and one or two moving rollers from the moving roller array.

상기한 육상 김양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해태망에는 일정 간격마다 상기 해태망의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가로바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해태망 거치대의 상측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이격된 채로 평행한 한쌍의 거치 빔을 구비하며, 김을 양식중일때 상기 가로바의 양단이 상기 한쌍의 거치빔에 거치되되, 이웃하는 상기 가로바 사이는 간격을 두고 거치되고 그 사이의 해태망이 하측으로 매달림으로써, 상기한 장대길이의 단일 해태망이 상측과 하측 사이를 지그재그로 왕복하는 상태로 거치될 수 있다.In the above-mentioned onshore laver cultivation system, the seaweed net is connected with crossbars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aweed net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upper side of the seaweed net support is provided with a pair of support beams extending horizontally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being parallel, and when laver is being cultivated, both ends of the crossbars are supported on the pair of support beams, but the adjacent crossbars are supported with a gap therebetween and the seaweed net between them is hung downward, so that the single seaweed net having the above-mentioned long length can be supported in a state of zigzag reciprocating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ides.

상기한 육상 김양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해태망 거치대는, 상기 가로바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above-mentioned land-based seaweed farming system, the seaweed net support may further include a position fixing means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crossbar.

상기한 육상 김양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디긋자 모양 또는 고리 모양으로서, 일단이 상기 거치빔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하며, 상기 가로바를 고정하고자 할 때 상기 위치고정수단을 회동시켜 상기 디긋자 모양 또는 상기 고리 모양이 상기 가로바의 일단을 위에서 감싸도록 할 수 있다.In the above-mentioned land-based seaweed farming system, the position fixing means is in the shape of a diagonal line or a ring, one end of which is pivotally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support beam so as to be able to rotate, and when the crossbar is to be fixed, the position fixing means can be rotated so that the diagonal line shape or the ring shape wraps around one end of the crossbar from above.

상기한 육상 김양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거치빔 상에서 상기 가로바의 이동을 허용하고자 할때, 상기 위치고정수단을 회동하여 상기 위치고정수단이 회동된 후 자유 상태로 걸려 있을 때 상기 위치고정수단의 최상단은 상기 거치빔의 상면 보다 위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In the above-mentioned land-based seaweed farming system, when it is desired to allow movement of the crossbar on the support beam, the position fixing means may be rotated, and when the position fixing means is hung in a free state after being rotated, the uppermost end of the position fixing means may not protrude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eam.

본 발명의 일양상에 따른 김양식 시스템에 따르면, 육상에서 김을 양식할 수 있도록 하므로, 바다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연중 김을 양식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김양식 시스템에 따르면, 양액 및 염수의 분사(분무)와, 태양광 모사의 LED 광으로써(또는 송풍을 더하여), 육상에서 대량의 김양식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laver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laver can be cultivated on land, so it has the effect of enabling laver cultivation all year round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marine environment.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laver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the effect of enabling large-scale laver cultivation on land by spraying (atomizing) nutrient solution and salt water and using LED light simulating sunlight (or adding wind).

본 발명의 일양상에 따른 김양식 시스템에 따르면, 김의 양식이 완료된 후 수확하는 과정과 다시 해태망을 거치하는 과정을 매우 간단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laver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greatly simplifying the process of harvesting laver after laver cultivation is completed and the process of passing it through a net again.

본 발명의 일양상에 따른 김양식 시스템에 따르면, 김의 양식 중 해태망에 대한 고정력이 강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당기는 힘을 보다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 seaweed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strengthening the fixing force to a seaweed net during seaweed cultivation,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further reducing the pulling forc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김양식 시스템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김양식 시스템에서 해태망 거치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김양식 시스템에 사용되는 해태망 거치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김양식 시스템에 사용되는 해태망 거치대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A부분을 확대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1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eaweed farming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llustrates a seaweed net holder in a seaweed farm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llustrates a seaweed net holder used in a seaweed farming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and 5 illustrate a seaweed net holder used in a seaweed farming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view and FIG.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A in FIG. 4.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김양식 시스템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김양식 시스템에서 해태망 거치대를 도시한 것이다.FIG. 1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eaweed farming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llustrates a seaweed net holder in a seaweed farm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김양식 시스템은, 육상에서 김을 양식하는 시스템으로서, 해태망 거치대(1), 스프링클러 어레이(21:21a,21b,21c), LED 라이트 어레이(22:22a,22b), 송풍기 어레이(23:23a,23b), 물받이(24), 탱크(27), 필터(25) 및 펌프(2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laver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cultivating laver on land,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aweed net holder (1), a sprinkler array (21:21a, 21b, 21c), an LED light array (22:22a, 22b), a blower array (23:23a, 23b), a water receiver (24), a tank (27), a filter (25), and a pump (26).

해태망 거치대(1)는 바다 양식에서와 같이 장대길이의 단일 해태망(그물망)(M)을 거치하는데,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일측과 타측 사이를 지그재그로 왕복하는 상태로 해태망을 거치한다. 김양식을 수행할 때 김포자가 채묘되어 있는 해태망이 해태망 거치대(1)에 거치되며, 장대길이의 해태망을 사용함으로써 수확과 거치를 보다 편리하게 수행한다. 해태망 거치대(1)는 염수에 직접 노출되는 점을 고려하여 스테인리스 스틸로 구성되는 것이 선호된다.The seaweed net holder (1) is used to hold a long single seaweed net (net) (M) as in seaweed farming. In order to maximize space efficiency, the seaweed net is held in a zigzag manner between one side and the other. When performing laver farming, the seaweed net with laver spores collected is held on the seaweed net holder (1), and harvesting and holding are more conveniently performed by using a long seaweed net. Considering that the seaweed net holder (1) is directly exposed to salt water, it is preferred to be made of stainless steel.

해태망 거치대(10)의 주변으로는 스프링클러 어레이(21:21a,21b,21c), LED 라이트 어레이(22:22a,22b), 및 송풍기 어레이(23:23a,23b)가 구성된다. 스프링 클러(21a,21b,21c)는 해태망 거치대(1)에 거치된 해태망을 향하여 해수를 분사하거나 이와 함께 양액이 혼합된 해수(이하, 간단히 '해수'라고 지칭할 수도 있다)를 분사하는데, 해태망 거치대(1)에 거치된 해태망의 전체에 대하여 가급적 균일하게 해수 및 양액이 분사될 수 있도록 해태망 거치대의 측면(21a,21b 참조)과 상방(21c 참조)에 분포하여 위치되게 한다. 측면 및 상방에 각각 구성된 다수의 스프링클러는 어레이로 배치됨으로써 스프링클러 어레이를 구성한다. 바다근처 육상의 관정에서 공급되는 정재된 해수와 함께 양액이 혼합되어 분무될 수 있고, 스프링클러는 상·하·좌·우로 움직이면서 지정된 범위에 대해서 분무할 수 있다.A sprinkler array (21: 21a, 21b, 21c), an LED light array (22: 22a, 22b), and a blower array (23: 23a, 23b) are configured around a seaweed net stand (10). The sprinklers (21a, 21b, 21c) spray seawater or seawater mixed with a nutrient solution (hereinafter, may be simply referred to as “seawater”) toward a seaweed net mounted on a seaweed net stand (1). The sprinklers are positioned to be distributed on the side (see 21a, 21b) and top (see 21c) of the seaweed net stand so that the seawater and nutrient solution can be sprayed as evenly as possible over the entire seaweed net mounted on the seaweed net stand (1). A plurality of sprinklers configured on the side and top are arranged in an array to configure a sprinkler array. Nutrients can be mixed and sprayed with purified seawater supplied from a well on land near the sea, and the sprinkler can spray over a designated area by moving up, down, left, and right.

LED 라이트(22a,22b)는 LED 소자를 이용한 광원으로서, 해태망 거치대에 거치된 해태망을 향하여 태양광을 모사한 빛을 조사하는데, 백색광과 자외선 및 적외선이 함께 포함된 광을 발생시키는 단일 또는 복수의 LED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LED 라이트는 해태망 거치대의 측면에 무수히 구성되며, 또한 해태망 거치대의 상면에 더 구성될 수도 있는 바, 전체로서 LED 라이트 어레이를 구성한다. 또한 LED 라이트는 해태망 거치대에 직접 설치되어 광효율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는 바, 수직프레임(11a,11b,11c)과 가로 프레임(11d,11e)등의 프레임에 직접 설치되되, 스프링클러로부터 분사되는 해수로부터 방수될 수 있는 패키징이 적용된 것일 수 있다.The LED light (22a, 22b) is a light source using an LED element, and irradiates light simulating sunlight toward the fishing net mounted on the fishing net stand, and may be composed of a single or multiple LED elements that generate light containing white light, ultraviolet light, and infrared light. The LED lights are configured innumerable times on the side of the fishing net stand, and may also be configured furth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shing net stand, so that the entirety of the LED light array is configured. In addition, the LED lights may be installed directly on the fishing net stand to improve light efficiency, and may be installed directly on frames such as vertical frames (11a, 11b, 11c) and horizontal frames (11d, 11e), and may have packaging applied that is waterproof from seawater sprayed from a sprinkler.

송풍기(23a,23b)는 해태망 거치대의 측면에 설치되어 해태망 거치대에 거치된 해태망을 향하여 바람을 송풍하는 것으로서, 바다환경에서의 바람을 모사한다. 물론 스프링 클러, LED 라이트 및 송풍기는 해태망 거치대의 2개 측면뿐만 아니라 다른 측면에 추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LED 라이트 및 송풍기는 해태망 거치대의 상방에 추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blowers (23a, 23b) are installed on the sides of the fishing net stand and blow wind toward the fishing nets installed on the fishing net stand, simulating the wind in a marine environment. Of course, the sprinklers, LED lights, and blowers can be additionally installed on other sides as well as the two sides of the fishing net stand, and the LED lights and blowers can also be additional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shing net stand.

물받이(24)는 스프링클러에 의해서 분무된 해수가 해태망을 적신후 낙하하는 것을 모아 재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탱크(27)로 모인 후, 또는 바로 펌프(26)를 이용하여 스프링클러로 제공될 수 있다. 필터(25)는 공급되는 해수를 필터링하여 이물질, 특히 미세플라스틱과 갯벌찌꺼기 등을 필터링하여 깨끗한 해수가 양식중인 김에게 제공될 수 있게 한다. 바다근처 육상의 관정에서 공급되는 해수는 모레등에 의해서 1차 필터링되어 있지만, 필터(25)에 의해서 2차 필터링을 수행하며, 나아가 양식중 해수에 의해 포집되는 환경중의 미세먼지나 오염물질 등을 필터링하기도 한다. 펌프(26)는 배관을 이용하여 탱크(27)로부터 필터(25)를 통하여 해수를 제공받고 배관을 이용하여 스프링클러와 연결되며, 스프링클러에서 해수가 분사(분무)될 수 있도록 펌핑한다.The water receiver (24) collects and reuses the seawater sprayed by the sprinkler that has wetted the seaweed net and then fallen. It can be collected in a tank (27) or directly supplied to the sprinkler using a pump (26). The filter (25) filters the supplied seawater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especially microplastics and tidal flat debris, so that clean seawater can be supplied to the laver being farmed. Seawater supplied from a well on land near the sea is first filtered by sand, but is secondarily filtered by the filter (25), and furthermore, fine dust or pollutants in the environment captured by seawater during farming are filtered. The pump (26) receives seawater from the tank (27) through the filter (25) using a pipe, is connected to the sprinkler using a pipe, and pumps the seawater so that it can be sprayed (sprayed) by the sprinkler.

해태망은 수조와 같은 것을 이용하여 침지하지는 않고 공기중의 환경에서만 김을 성장시킨다. 또한, 해수 및 양액은 물받이 및 스프링클러 등을 이용하여 순환하면서 재사용된다.Haetae Net grows laver only in an air-conditioned environment without submerging it in a tank or the like. In addition, seawater and nutrient solution are circulated and reused using a water catcher and sprinkler.

본 발명에 따른 김양식 시스템에 따르면, 육상에서 김을 양식할 수 있도록 하므로, 바다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연중 김을 양식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김양식 시스템에 따르면, 해수의 분사(분무)와, 태양광 모사의 LED 광으로써(또는 송풍을 더하여), 육상에서 대량의 김양식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laver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aver can be cultivated on land, so it has the effect of enabling laver cultivation all year round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marine environment.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laver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the effect of enabling large-scale laver cultivation on land by spraying (spraying) seawater and using LED light simulating sunlight (or adding wind).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김양식 시스템의 해태망 거치대는 수직프레임(11a,11b,11c)과 가로 프레임(11d,11e)등으로 구성된 프레임과, 복수의 좌측 롤러(L1~L11)를 포함하는 좌롤러 어레이, 복수의 우측 롤러(R1~R11)를 포함하는 우롤러 어레이, 및 복수의 중간 롤러(C1~11)을 포함하는 중간롤러 어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aweed net support of the seaweed farm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rame including vertical frames (11a, 11b, 11c) and horizontal frames (11d, 11e), a left roller array including a plurality of left rollers (L1 to L11), a right roller array including a plurality of right rollers (R1 to R11), and a middle roller array including a plurality of middle rollers (C1 to 11).

프레임은 수직프레임(11a,11b,11c)과 가로 프레임(11d,11e)등으로 구성되어 해태망 거치대의 뼈대를 구성하며, 각종 롤러들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데, 수직 프레임은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좌측의 수직프레임(11a)과, 우측의 수직프레임(11b)과, 그 중간의 수직프레임(11c)이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입설되며, 이들 사이를 가로 프레임이 연결하여 육면체가 되도록 한 것일 수 있다. 가로프레임은 수평으로 수직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측 가로프레임(11d)과 하측 가로프레임(11e)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rame is composed of vertical frames (11a, 11b, 11c) and horizontal frames (11d, 11e), and forms the skeleton of the fishing net stand, and allows various rollers to be install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vertical frame may be formed by a left vertical frame (11a), a right vertical frame (11b), and a middle vertical frame (11c) being installed vertically to the ground, and a horizontal frame connecting them to form a hexahedron. The horizontal frame is installed horizontally between the vertical frames, and is composed of an upper horizontal frame (11d) and a lower horizontal frame (11e).

좌측 롤러(L1~L11)는 프레임의 좌측에서 제자리 회동되게 프레임에 가로로 설치되는 롤러로서, 다수의 좌측 롤러들은 서로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채로 어레이로 배열되어 좌롤러 어레이를 구성한다. 좌측롤러는 좌측에 있는 2개의 수직 프레임(11a)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The left rollers (L1 to L11) are rollers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frame so as to rotate in place on the left side of the frame. A plurality of left rollers are arranged in an array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orm a left roller array. The left roller is rotatably supported by two vertical frames (11a) on the left side.

우측 롤러(R1~R11)는 해태망 거치대에서 프레임의 우측에서 제자리 회동되게 프레임에 가로로 설치되는 롤러로서, 다수의 우측 롤러들은 서로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채로 어레이로 배열되어 우롤러 어레이를 구성한다. 우측롤러는 우측에 있는 2개의 수직 프레임(11b)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The right roller (R1 to R11) is a roller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frame so as to rotate in place on the right side of the frame in the fishing net support, and a number of right rollers are arranged in an array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orm a right roller array. The right roller is rotatably supported by two vertical frames (11b) on the right side.

중간 롤러(C1~C11)는 프레임에서 좌측 및 우측 사이의 중간에서 제자리 회동되는 복수의 롤러들로서, 다수의 중간 롤러들이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채로 어레이로 배열되어 중간롤러 어레이를 구성한다. 중간 롤러는 중간에 있는 2개의 중간 프레임(11c)에 의해서 가로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The intermediate rollers (C1 to C11) are a plurality of rollers that rotate in place in the middle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A plurality of intermediate rollers are arranged in an array while being spaced apart vertically to form an intermediate roller array. The intermediate rollers are supported so as to be rotatably horizontally by two intermediate frames (11c) in the middle.

해태망(M)은 좌롤러 어레이에서 2개의 좌측 롤러와 우롤러 어레이에서 2개의 우측 롤러를 번갈아 가면서 순차적으로 왕복함으로써, 해태망 거치대에서 일측(좌측)과 타측(우측) 사이를 지그재그로 왕복하게 된다. 해태망 거치대(1)에 거치된 해태망(M)은 하나의 장대길이로 된 그물망으로서, 수직방향으로 아래로부터 맨위까지 다수의 층(도시에서는 총 11층)을 구성한다. 해태망이 층을 달리할 때 2개의 롤러에 걸쳐지도록 하는데, 이와 같이 2개의 롤러에 걸쳐짐으로써 이웃하는 층 사이의 해태망에 대하여 일정 이상의 상하 공간을 확보토록 하며, 이에 따라 김이 자랄 수 있는 일정 공간을 확보한다.The seaweed net (M) is sequentially moved back and forth between the two left rollers in the left roller array and the two right rollers in the right roller array, thereby zigzagging between one side (left) and the other side (right) of the seaweed net stand. The seaweed net (M) mounted on the seaweed net stand (1) is a single long mesh net that vertically forms a number of layers (a total of 11 layers in the city) from the bottom to the top. When the seaweed net changes layers, it is made to span two rollers. By spanning two rollers in this way, a certain amount of vertical space is secured between the seaweed nets of the adjacent layers, thereby securing a certain amount of space for the seaweed to grow.

제 1 층의 해태망은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2개의 우측 롤러(R10,R11)에 걸쳐진후 제 2 층의 해태망과 연결되며, 제 2 층의 해태망은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2개의 좌측 롤러(L9,L10)에 걸쳐진후 제 3 층의 해태망과 연결되며, 제 3 층의 해태망은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2개의 우측 롤러(R8,R9)에 걸쳐진후 제 4 층의 해태망과 연결되는 등, 전층의 해태망이 좌측 및 우측에 구성되는 롤러를 번갈아 가면서 왕복함으로써 지그재그의 모양을 형성한 상태로 상호 연결된다.The first layer's net is connected to the second layer's net after being spanned by two right rollers (R10, R11) spaced apart at a regular interval. The second layer's net is connected to the third layer's net after being spanned by two left rollers (L9, L10) spaced apart at a regular interval. The third layer's net is connected to the fourth layer's net after being spanned by two right rollers (R8, R9) spaced apart at a regular interval. In this manner, the nets of all layers are interconnected in a zigzag shape by alternately moving back and forth across the roller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해태망(M)의 양단에는 로프(B1,B2)가 연결되고 이러한 로프를 프레임등에 묶어서 김양식중에는 해태망의 양단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김을 수확하고자 할때에는 로프(B1,B2)를 풀고, 김을 채취하는 장치에 해태망이 이송되도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프(B1)을 이용하여 P1의 방향으로 해태망의 전체를 당겨서 해태망이 김채취장치(도시 안됨)를 점진적으로 지나가도록 하여 김을 채취한다. 로프(B2)의 길이는 해태망의 전체길이보다 더 큰 길이를 가지는 것으로서 하여, 해태망이 김채취장치쪽으로 이동될 때 로프(B2)가 상방에 있는 롤러부터 순차적으로 해태망 대신에 롤러에 거치되도록 한다. 김채취장치에 의한 김채취가 완료되면, 이제는 P2의 방향으로 로프(B2)를 당겨서 다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해태망 거치대에 해태망이 거치되도록 하여 되돌린다. Ropes (B1, B2)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eaweed net (M), and by tying these ropes to a frame, etc., the positions of the two ends of the seaweed net can be fixed during seaweed cultivation. In addition, when the seaweed is to be harvested, the ropes (B1, B2) can be released, and the seaweed net can be transported to the seaweed harvesting device. For example, the rope (B1) is used to pull the entire seaweed net in the direction of P1 so that the seaweed net gradually passes the seaweed harvesting device (not shown) to harvest seaweed. The length of the rope (B2) is longer than the entire length of the seaweed net, so that when the seaweed net is moved toward the seaweed harvesting device, the rope (B2) is sequentially placed on the rollers instead of the seaweed net, starting from the roller at the top. When the seaweed harvesting by the seaweed harvesting device is completed, the rope (B2) is now pulled in the direction of P2 so that the seaweed net is placed on the seaweed harvesting device holder as shown in FIG. 2, and returned.

좌측 롤러 및 우측 롤러의 중앙부분에는 로프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로프 가이드홈(T)이 원주를 따라 형성된다. 해태망의 김을 수확하기 위하여 이송될 때, 로프(B2)가 거치대의 롤러들에 순차 거치될 수 있는 바, 각 롤러의 중앙부분에 로프가 걸쳐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로프 가이드홈(T)이 형성될 수 있다.A rope guide groove (T)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left roller and the right roller to guide the rope. When the seaweed of the seaweed net is transported to be harvested, the rope (B2) can be sequentially placed on the rollers of the stand, and a rope guide groove (T) can be formed to allow the rope to be hung on the central portion of each roller.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해태망 거치대에 따르면, 김의 양식이 완료된 후 수확하는 과정과 다시 해태망을 거치하는 과정을 매우 간단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eaweed net holder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greatly simplifying the process of harvesting after seaweed cultivation is completed and the process of placing the seaweed net again.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김양식 시스템에 사용되는 해태망 거치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김양식 시스템는 해태망 거치대를 제외하고 그 주변의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김양식 시스템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Fig. 3 illustrates a seaweed net holder used in a seaweed farming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weed farming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dentical to the seaweed farm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erms of its surrounding components, except for the seaweed net holder, and therefore,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해태망 거치대(2)는 골격이 되는 프레임(12a,12b,12c,12d,12e)과, 복수의 롤러(U1~U11)로 구성되는 고정롤러 어레이, 및 이동가능한 복수의 롤러(D1~D9)로 구성되는 이동롤러 어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fishing net stand (2)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frame (12a, 12b, 12c, 12d, 12e) that serves as a skeleton, a fixed roller array composed of a plurality of rollers (U1 to U11), and a movable roller array composed of a plurality of movable rollers (D1 to D9).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해태망 거치대(2)는 일측(상측)과 타측(하측) 사이를 지그재그로 왕복하는 상태로 장대길이의 단일 해태망을 거치하는 점등은 제 1 실시예의 해태망 거치대와 동일하며, 다만 거치의 방향이 다른 등, 몇가지 점에서 상이함이 있다. 해태망은 고정롤러 어레이에서 1개의 고정 롤러와 이동롤러 어레이에서 1개의 이동 롤러를 번갈아 가면서 순차적으로 왕복함으로써, 일측(상측)과 타측(하측) 사이를 지그재그로 왕복한다.The seaweed net holder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seaweed net holder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it holds a single seaweed net of a long length in a zigzag manner back and forth between one side (upper side) and the other side (lower side), but differs in several points, such as the direction of holding. The seaweed net is moved back and forth between one side (upper side) and the other side (lower side) in a zigzag manner by sequentially moving one fixed roller from the fixed roller array and one moving roller from the moving roller array alternately.

프레임은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입설되는 한쌍의 좌측 프레임(12)과, 이에 일정한 폭을 두고 수직으로 입설되는 한쌍의 우측 프레임(12b)과, 좌측 프레임과 우측 프레임 사이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한쌍의 중간 프레임(12c)과, 좌측 프레임, 중간 프레임 및 우측 프레임의 상단에 결합하는 상측 프레임(12d)과, 좌측 프레임, 중간 프레임 및 우측 프레임의 하단에 결합하는 하측 프레임(12e)이 일체로 결합하여 구성된다.The frame is configured by integrally combining a pair of left frames (12) that are vertically installed relative to the ground, a pair of right frames (12b) that are vertically installed with a certain width therebetween, a pair of middle frames (12c) that are vertically install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frames, an upper frame (12d) that is joined to the upper ends of the left frame, the middle frame, and the right frame, and a lower frame (12e) that is joined to the lower ends of the left frame, the middle frame, and the right frame.

고정 롤러(U1~U11)는 프레임의 상측에서 상측 프레임에 양단이 제자리 회동하도록 걸쳐져 있으며, 복수의 고정 롤러가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채로 어레이로 배열되어 고정롤러 어레이를 구성한다.The fixed rollers (U1 to U11) are hung on the upper side of the frame so that both ends can rotate in place on the upper frame, and a plurality of fixed rollers are arranged in an array while being horizontally spaced apart to form a fixed roller array.

이동 롤러(D1~D9)는 프레임의 하측에 재치되거나 프레임의 상측에 재치되는 것으로서, 2개의 위치중 하나로 이동될 수 있다. 하측 프레임에 양단이 걸쳐진 상태로 제자리 회동되거나, 또는 상측으로 이동되어 제자리 회동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복수의 이동롤러는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채로 어레이로 배열되어 이동롤러 어레이를 구성한다. 이동 롤러는 상측 프레임에 설치된 거치고리(13a)에 그 양단이 걸쳐진 상태로 회동가능하다. 또한, 이동 롤러는 하측 프레임의 상면에 입설된 축가이드(13b)에 그 양단이 가이드된 상태로 회동가능하다. 이와 같은 이동 롤러의 이동은 사용자(인력)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The moving rollers (D1 to D9) are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frame or on the upper side of the frame, and can be moved to one of two positions. They can be rotated in place with both ends hanging over the lower frame, or moved upward and rotated in place. A plurality of moving rollers are arranged in an array while being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form a moving roller array. The moving rollers can be rotated with both ends hanging over the hooks (13a) installed on the upper frame. In addition, the moving rollers can be rotated with both ends guided by the shaft guides (13b)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Such movement of the moving rollers can be performed by a user (manpower).

예를 들어, 김을 양식중일때 이동롤러 어레이의 각 이동롤러는 도 3과 같이 프레임의 하측에 위치하는데, 구체적으로 보면, 축가이드(13b)에 의해서 가이드된 상태에 있게 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축가이드(13b)내에 위치하는 이동롤러의 축이 상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록킹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록킹수단은 축가이드(13b)의 개구를 폐색하는 빗장의 형태이거나, 누름버턴에 의해서 개구의 개폐를 스위칭할 수 있는 수단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forming a seaweed, each moving roller of the moving roller array is located at the lower side of the frame as shown in Fig. 3, and specifically, is guided by the shaft guide (13b). Although not shown, a locking means may be further included to prevent the shaft of the moving roller located within the shaft guide (13b) from moving upward. The locking means may be in various forms, such as a locking form that closes the opening of the shaft guide (13b), or a means that can switc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pening by a push button.

한편, 양식된 김을 수확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이동롤러 어레이의 각 이동롤러를 프레임의 상측으로 이동시켜 그 양단이 거치고리(13a)에 거치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이동롤러들은 고정롤러와 매우 근접한 위치에서 제자리 회동가능하도록 고정된다. 이에 따라 로프(B1)을 이용하여 해태망의 일단을 P1의 방향으로 당겨서 김채취장치로 해태망을 보내고자 할 때, 해태망을 당기는 작업이 보다 수훨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로프(B2)의 길이는 훨씬 짧아도 된다. 한편 수확인 끝난 후에는 로프(B2)를 적당히 당긴후 고정하며, 상측으로 이동하여 거치된 이동롤러들에 대해서, 가장 끝부분의 이동롤러(D9)부터 순차적으로 하방으로 내려서 축가이드(13b)의 안으로 거치한다.Meanwhile, when the cultivated seaweed is to be harvested, the user moves each movable roller of the movable roller array to the upper side of the frame so that both ends thereof are placed on the mounting hooks (13a). Accordingly, the movable rollers are fixed so that they can rotate in place at a position very close to the fixed roller. Accordingly, when one end of the seaweed net is pulled in the direction of P1 using the rope (B1) to send the seaweed net to the seaweed harvesting device, the work of pulling the seaweed net becomes easier.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rope (B2) can be much shorter than in the first embodiment. Meanwhile, after the harvesting is completed, the rope (B2) is appropriately pulled and then fixed, and the movable rollers that have been moved upward and placed are sequentially lowered starting from the movable roller (D9) at the end and placed inside the shaft guide (13b).

상기에서는 '이동롤러'라는 명칭과 같이 하측의 롤러들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제 1 실시예에 유사하게 하측의 롤러들도 하측에(하측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In the above,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lower rollers can move in position, as indicated by the name of the 'moving roller', but 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 the lower rollers may also be fixed to the lower side (to the lower frame).

또한, 도 3의 실시형태에서는 해태망이 고정롤러 어레이에서 1개의 고정 롤러와, 이동롤러 어레이에서 1개의 이동 롤러를 번갈아 가면서 순차적으로 상하 왕복함으로써 지그재그 모양을 형성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2개씩의 고정 롤러와 2개씩의 이동 롤러를 번갈아 가면서 순차 왕복하여 지그재그 모양을 형성하거나, 그중 한쪽에 대해서만 2개씩로 하는 등의 구성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Fig. 3, the net is configured to form a zigzag shape by sequentially moving up and down one fixed roller from the fixed roller array and one moving roller from the moving roller array alternately, but a configuration is also possible in which a zigzag shape is formed by sequentially moving back and forth two fixed rollers and two moving rollers alternately, or two for only one of them.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김양식 시스템에 사용되는 해태망 거치대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A부분을 확대도시한 사시도이다.FIGS. 4 and 5 illustrate a seaweed net holder used in a seaweed farming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view and FIG.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A in FIG. 4.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김양식 시스템은 해태망 거치대를 제외하고 그 주변의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김양식 시스템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The seaweed farming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dentical to the seaweed farm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erms of its surrounding components, except for the seaweed net holder, and therefore, a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그리고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해태망 거치대는, 제 2 실시예와 유사하게 프레임이 구성되는데, 프레임은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입설되는 한쌍의 좌측 프레임(14a)과, 이에 일정한 폭을 두고 수직으로 입설되는 한쌍의 우측 프레임(14b)과, 좌측 프레임과 우측 프레임 사이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한쌍의 중간 프레임(14c)과, 좌측 프레임, 중간 프레임 및 우측 프레임의 상단에 결합하는 상측 프레임(14d)과, 좌측 프레임, 중간 프레임 및 우측 프레임의 하단에 결합하는 하측 프레임(14e)이 일체로 결합하여 구성된다.And the fishing net stan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rame structure similar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frame is configured by integrally combining a pair of left frames (14a) that are vertical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a pair of right frames (14b) that are vertically installed with a predetermined width therebetween, a pair of middle frames (14c) that are vertically install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frames, an upper frame (14d) that is coupled to the upper ends of the left frame, the middle frame, and the right frame, and a lower frame (14e) that is coupled to the lower ends of the left frame, the middle frame, and the right frame.

제 3 실시예에서는 특이하게 해태망(M)에 일정 간격마다 해태망의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가로바(30)가 결합됨으로써 가로바(30)는 해태망에 고정되어 있는데, 예를 들면 가로바(30)는 짧은 길이의 가는 로프를 이용하여 해태망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수확을 위해 해태망을 이송할 때 가로바(30)로 함께 이송될 수 있다.In the third embodiment, a crossbar (30) that crosses the width of the net (M) is uniquely attached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crossbar (30) is fixed to the net. For example, the crossbar (30) can be fixed to the net using a short, thin rope. Accordingly, when the net is transported for harvesting, it can be transported together with the crossbar (30).

해태망 거치대의 상측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채로 평행한 한쌍의 거치 빔을 구비하는데, 이러한 거치빔에 상기한 가로바(30)의 양단이 거치될 수 있다. 제 3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상측 프레임(14d)이 거치 빔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이하에서는 거치 빔에 동일기호인 14d를 사용한다.The upper side of the Haetaenet support is provided with a pair of parallel support beams that extend horizontally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and both ends of the above-described crossbar (30) can be supported on these support beams. In the third embodiment, the above-described upper frame (14d) performs the role of the support beam, and therefore, the same symbol 14d is used for the support beam hereinafter.

김을 양식중일때 가로바(30)의 양단은 한쌍의 거치빔(14d)에 거치되되, 이웃하는 가로바(30) 사이는 간격을 두고 거치되며, 그 사이의 해태망이 하측으로 매달림으로써, 장대길이의 단일 해태망이 상측과 하측 사이를 지그재그로 왕복하는 상태로 거치된다.When forming seaweed, both ends of the crossbar (30) are placed on a pair of support beams (14d), but the adjacent crossbars (30) are placed with a gap between them, and the seaweed net between them is hung downward, so that a single seaweed net of a long length is placed in a zigzag manner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ides.

이와 같이 가로바(30)가 일정간격마다 거치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위치고정수단(15)이 사용된다. 해태망 거치대(3)는 가로바(30)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수단(15)을 더 포함한다.In order to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crossbars (30) are placed at regular intervals, a position fixing means (15) is used. The fishing net stand (3) further includes a position fixing means (15) that fixes the position of the crossbars (30).

위치고정수단(15)은 디긋자 모양 또는 고리 모양으로서, 일단이 축(K1,K2)를 이용하여 거치빔(14d)의 측면에서 회동가능하게 축결합하고 있는 한쌍의 수단(15a,15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고정수단은 디긋자 모양 또는 고리 모양의 본체를 구비하고 그 일단이 좌우로 이격된 2개의 축(K1,K2)을 이용하여 회동가능하게 거치빔에 결합된다.The position fixing means (15) may be configured as a pair of means (15a, 15b) in the shape of a diagonal line or a ring,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mounting beam (14d) using an axis (K1, K2). This position fixing means has a body in the shape of a diagonal line or a ring, and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mounting beam using two axes (K1, K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left and right.

예를 들어, 가로바(30)의 위치를 고정하고자 할 때 위치고정수단을 회동시켜 디긋자 모양 또는 고리 모양의 두 본체가 가로바(30)의 일단을 위에서 감싸도록 한다. 위치고정수단은 가로바의 양단 모두에 대하여 각각 가로바를 고정함으로써, 거치 빔(14d) 상에서 좌우방향으로 움직임이 제한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한편 전후방향의 움직임은 해태망이 2개의 거치빔(상측 프레임) 사이에 끼게 되어 제한된다.For example, when it is desired to fix the position of the crossbar (30), the position fixing means is rotated so that the two main bodies in the shape of a letter or a ring surround one end of the crossbar (30) from above. The position fixing means fixes the crossbar to both ends of the crossbar, thereby restricting the movement in the left-right direction on the support beam (14d) and fixing the position. Meanwhile, the movement in the forward-backward direction is restricted because the net is caught between the two support beams (upper frame).

한편, 김의 수확을 위하여 해태망을 이송시키고자 할 때에는, 위치고정수단을 회동시켜 가로바(30)의 좌우 이동을 자유롭게 해준다. 거치빔 상에서 가로바의 이동을 허용하고자 할때, 고정을 위하여 각각 회동시킨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각 위치고정수단을 회동시킨다. 회동후 자유 상태로 걸려 있을 때에는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위치고정수단의 최상단이 거치빔(14d)의 상면(가로바가 활주하는 활주면) 보다 위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해태망에 고정되어 김채취장치로 이송되는 가로바는 위치고정수단의 방해없이 자유롭게 좌우방향으로 이동(활주)가능하게 된다.Meanwhile, when transporting the seaweed net for harvesting laver, the position fixing means is rotated to allow free left-right movement of the crossbar (30). When allowing movement of the crossbar on the support beam, each position fixing means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in which it was rotated for fixation. When hanging in a free state after rotation, as shown in Fig. 5(b), the uppermost part of the position fixing means is prevented from protruding above the upper surface (the sliding surface on which the crossbar slides) of the support beam (14d). Accordingly, the crossbar fixed to the seaweed net and transported to the laver harvesting device can freely move (slide) left-right without interference from the position fixing means.

상기에서는 일정간격마다 한 개씩의 가로바를 설치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2개의 가로바를 좁은 간격로 하여 한쌍으로 구성하여 거치빔에 거치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In the above, it was stated that one crossbar i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but two crossbars may be installed as a pair at close intervals and mounted on a support beam.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의 해태망 거치대에 따르면, 김의 양식 중 해태망에 대한 고정력이 강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김을 수확하고자 할 때 가로바의 무게로 인한 부하증가보다 롤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인한 부하감소가 더 클 것이어서 당기는 힘을 보다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seaweed net holder of the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in which the fixing force for the seaweed net can be strengthened during seaweed cultivation, and further, when harvesting seaweed, the load reduction due to not using a roller is greater than the load increase due to the weight of the crossbar, so there is an advantage in which the pulling force can be further reduced.

1,2,3 : 해태망 거치대
11a~11e, 12a~12e, 14a~14e : 프레임
15 : 위치고정수단
21a~21c : 스프링클러 22a~22b : LED 라이트
23a~23b : 송풍기 30 : 가로바
L1~L11, R1~R11, C1~C11, D1~D9, U1~U11 : 롤러
1,2,3: Haetae Net Stand
11a~11e, 12a~12e, 14a~14e : Frame
15: Position fixing means
21a~21c: Sprinkler 22a~22b: LED light
23a~23b: Blower 30: Crossbar
L1~L11, R1~R11, C1~C11, D1~D9, U1~U11: Roller

Claims (13)

일측과 타측 사이를 지그재그로 왕복하는 상태로 장대길이의 단일 해태망을 거치하는 해태망 거치대;
상기 해태망 거치대에 거치된 해태망을 향하여 해수 및 양액을 분사하는 스프링클러가 어레이로 배치된 스프링클러 어레이;
상기 해태망 거치대에 거치된 해태망을 향하여 태양광을 모사한 빛을 조사하는 LED 라이트가 어레이로 배치된 LED 라이트 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 김양식 시스템.
A fishing net holder that holds a single long fishing net in a zigzag pattern between one side and the other;
A sprinkler array in which sprinklers are arranged in an array to spray seawater and nutrient solution toward a seaweed net installed on the above-mentioned seaweed net support;
A method of producing a fishing net, comprising: a fishing net stand;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LED light array in which LED lights are arranged in an array to irradiate light simulating sunlight toward the fishing net;
Land-based Kimchi farming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태망 거치대는,
프레임의 좌측에서 제자리 회동되는 복수의 좌측 롤러가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채로 어레이로 배열되어 구성되는 좌롤러 어레이; 및
상기 프레임의 우측에서 제자리 회동되는 복수의 우측 롤러가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채로 어레이로 배열되어 구성되는 우롤러 어레이;를 포함하는,
육상 김양식 시스템.
In claim 1,
The above-mentioned Haetaenet stand is,
A left roller array comprising a plurality of left rollers arranged in an array while being vertically spaced apart and rotating in place on the left side of the frame; and
A right roller array comprising a plurality of right rollers arranged in an array while being vertically spaced apart and rotating in place on the right side of the frame;
Land-based Kimchi farming system.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좌측 롤러 및 상기 우측 롤러의 중앙부분에는 로프를 가이드하는 로프 가이드홈이 원주를 따라 형성되는,
육상 김양식 시스템.
In claim 2,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above left roller and the above right roller, a rope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rope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Land-based Kimchi farming system.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해태망은,
상기 좌롤러 어레이에서 2개의 좌측 롤러와 상기 우롤러 어레이에서 2개의 우측 롤러를 번갈아 가면서 순차적으로 왕복함으로써, 상기한 일측과 타측 사이를 지그재그로 왕복하게 되는,
육상 김양식 시스템.
In claim 2,
The above net is,
By sequentially reciprocating two left rollers in the above left roller array and two right rollers in the above right roller array,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re reciprocated in a zigzag manner.
Land-based Kimchi farming system.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서 좌측 및 우측 사이의 중간에서 제자리 회동되는 복수의 중간 롤러가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채로 어레이로 배열되어 구성되는 중간롤러 어레이;를 더 포함하는,
육상 김양식 시스템.
In claim 4,
Further comprising an intermediate roller array, wherein a plurality of intermediate rollers are arranged in an array while being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rotating in place in the middle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bove frame;
Land-based Kimchi farming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태망 거치대에 거치된 해태망을 향하여 바람을 송풍하는 송풍기;를 더 포함하는,
육상 김양식 시스템.
In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blower for blowing wind toward the fishing net mounted on the fishing net stand;
Land-based Kimchi farming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태망 거치대는,
프레임의 상측에서 제자리 회동되는 복수의 고정 롤러가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채로 어레이로 배열되어 구성되는 고정롤러 어레이; 및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서 제자리 회동되거나 상측으로 이동되어 제자리 회동되는 복수의 이동롤러가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채로 어레이로 배열되어 구성되는 이동롤러 어레이;를 포함하는,
육상 김양식 시스템.
In claim 1,
The above-mentioned Haetaenet stand is,
A fixed roller array comprising a plurality of fixed rollers arranged in an array while being horizontally spaced apart and rotating in place on the upper side of the frame; and
A moving roller array comprising a plurality of moving rollers arranged in an array while being horizontally spaced apart and rotating in place at the lower side of the frame or moving upward and rotating in place;
Land-based Kimchi farming system.
청구항 7에 있어서,
김을 양식중일때 상기 이동롤러 어레이의 각 이동롤러는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위치하며,
김을 수확하고자 할 때 상기 이동롤러 어레이의 각 이동롤러는 상기 프레임의 상측으로 이동되어 제자리 회동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육상 김양식 시스템.
In claim 7,
When forming a seaweed, each moving roller of the moving roller array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frame.
When it is desired to harvest seaweed, each moving roller of the moving roller array is moved to the upper side of the frame and fix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in place.
Land-based Kimchi farming system.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해태망은,
상기 고정롤러 어레이에서 1개 또는 2개의 고정 롤러와 상기 이동롤러 어레이에서 1개 또는 2개의 이동 롤러를 번갈아 가면서 순차적으로 왕복함으로써, 상기한 일측과 타측 사이를 지그재그로 왕복하게 되는,
육상 김양식 시스템.
In claim 8,
The above net is,
By alternately and sequentially reciprocating one or two fixed rollers from the above fixed roller array and one or two moving rollers from the above moving roller array,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re reciprocated in a zigzag manner.
Land-based Kimchi farming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태망에는 일정 간격마다 상기 해태망의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가로바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해태망 거치대의 상측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이격된 채로 평행한 한쌍의 거치 빔을 구비하며,
김을 양식중일때 상기 가로바의 양단이 상기 한쌍의 거치빔에 거치되되, 이웃하는 상기 가로바 사이는 간격을 두고 거치되고 그 사이의 해태망이 하측으로 매달림으로써, 상기한 장대길이의 단일 해태망이 상측과 하측 사이를 지그재그로 왕복하는 상태로 거치되는,
육상 김양식 시스템.
In claim 1,
The above net is joined with crossbars that run across the width of the net at regular intervals.
The upper side of the above-mentioned Haetaenet support is provided with a pair of support beams that extend horizontally and are parallel to each other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n forming seaweed, both ends of the above crossbar are placed on the above pair of support beams, but the adjacent crossbars are placed with a gap between them, and the seaweed net is hung downwards between them, so that the above single seaweed net of the above-mentioned long length is placed in a state of zigzag reciprocating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ides.
Land-based Kimchi farming system.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해태망 거치대는,
상기 가로바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육상 김양식 시스템.
In claim 10,
The above-mentioned Haetaenet stand is,
Further comprising a position fixing means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above crossbar,
Land-based Kimchi farming system.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디긋자 모양 또는 고리 모양으로서, 일단이 상기 거치빔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하며,
상기 가로바를 고정하고자 할 때 상기 위치고정수단을 회동시켜 상기 디긋자 모양 또는 상기 고리 모양이 상기 가로바의 일단을 위에서 감싸도록 하는,
육상 김양식 시스템.
In claim 11,
The above position fixing means is in the shape of a digit or a ring, and one end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above-mentioned support beam so as to be rotatable.
When the above crossbar is to be fixed, the position fixing means is rotated so that the diagonal shape or the ring shape wraps around one end of the crossbar from above.
Land-based Kimchi farming system.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거치빔 상에서 상기 가로바의 이동을 허용하고자 할때, 상기 위치고정수단을 회동하여 상기 위치고정수단이 회동된 후 자유 상태로 걸려 있을 때 상기 위치고정수단의 최상단은 상기 거치빔의 상면 보다 위로 돌출되지 않는,
육상 김양식 시스템.
In claim 12,
When it is desired to allow movement of the crossbar on the above-mentioned support beam, the position fixing means is rotated so that when the position fixing means is rotated and hung in a free state, the uppermost end of the position fixing means does not protrude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eam.
Land-based Kimchi farming system.
KR1020230040748A 2023-03-28 2023-03-28 Laver Farming System on Land Active KR1028664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0748A KR102866464B1 (en) 2023-03-28 2023-03-28 Laver Farming System on La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0748A KR102866464B1 (en) 2023-03-28 2023-03-28 Laver Farming System on Lan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45796A true KR20240145796A (en) 2024-10-07
KR102866464B1 KR102866464B1 (en) 2025-09-29

Family

ID=93115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0748A Active KR102866464B1 (en) 2023-03-28 2023-03-28 Laver Farming System on La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86646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839765B1 (en) * 2024-11-15 2025-07-28 최광균 Land-based seaweed farm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694B1 (en) * 2011-10-06 2012-03-22 전라남도 Method and system for seaweed aquaculture
KR102500183B1 (en) * 2022-09-05 2023-02-14 김택수 Land-based seaweed farming equip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839765B1 (en) * 2024-11-15 2025-07-28 최광균 Land-based seaweed farm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866464B1 (en) 2025-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59494B2 (en) Culture of sessile marine animals
GB2551802A (en) A system and method of growing plants in the absence of soil
US11785920B2 (en) Marine bioproduction facility
CN103444506B (en) A kind of method for the artificial breeding of sea millet seed
CN104780755A (en) Automated hydroponic greenhouse factory
CN205408837U (en) A big -arch shelter for flowers and plants cultivation
KR102866464B1 (en) Laver Farming System on Land
CN107996386B (en) Method for cultivating thallus of offshore porphyra yezoensis
CN203482714U (en) Gracilaria culturing net support resistant to fish damage and stormy waves
JPH10211897A (en) Floating structure facility
CN110583544B (en) Scallop-stichopus japonicus bottom layer ecological comprehensive culture device and use method thereof
KR101755386B1 (en) Structure for culturing marine seeds
JP5078828B2 (en) Plant cultivation floor and cultivation method
KR101657131B1 (en) Afforestation devices that expand vegetation to lake surfaces to prevent algal blooms
CN2106495U (en) All-floating raft type apparatus for raising laver seedling
CN211458377U (en) Fish and vegetable symbiotic ecological floating bed for omnivorous or herbivorous fish culture pond
JP2008023508A (en) Three-dimensional plant floor and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866463B1 (en) Laver Farming Method on Land Reenacting Tidal Current
CN108464237B (en) It is a kind of for improving the algae curtain device of net cage for sea farming local environment
CN212184724U (en) Sea cucumber culture cages
CN105724281B (en) A kind of combined type nereis culture device and its application method
CN209768610U (en) Combined ecological fish reef
CN1255336C (en) Method for biological repairing eutrophication of subtropical zone caltivate pond
KR101900934B1 (en) Water culture apparatus for preventing spread of green algae
CN205623872U (en) Device is broadcast at directional end of coral larv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