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47336A - Endoscope treatment apparatus for combining snare and injector - Google Patents
Endoscope treatment apparatus for combining snare and inj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47336A KR20240147336A KR1020230043147A KR20230043147A KR20240147336A KR 20240147336 A KR20240147336 A KR 20240147336A KR 1020230043147 A KR1020230043147 A KR 1020230043147A KR 20230043147 A KR20230043147 A KR 20230043147A KR 20240147336 A KR20240147336 A KR 2024014733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nare
- injector
- tube
- inner tube
- ti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61B17/32056—Surgical snare instru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82—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 A61M25/0084—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being one or more injection need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adapted to be inserted through a working channel of an endoscop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07—Loop
- A61B2018/141—Sna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인젝터 조작부와 스네어 조작부의 조작을 통해 외측튜브에서 니들과 스네어를 개별적으로 출몰시킴으로써, 내시경 시술 과정에서 기구의 교체 없이 환부에 약액을 주입하거나 환부의 조직을 절제하여 시술 시간을 절감시키는 내시경용 치료기구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내시경용 치료기구는 일방향으로 연장하는 몸체를 형성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선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하고, 제1내관 및 제2내관을 포함하는 이중 내강 구조의 외측튜브, 상기 제1내관의 선단부에 수납되고, 병변조직을 팽윤시키기 위하여 약액을 주입하는 니들을 포함하는 인젝터, 상기 제2내관의 선단부에 수납되고, 팽윤된 병변조직을 절제하는 올가미를 형성하는 스네어, 상기 인젝터와 인젝터 튜브로 연결되고, 이동시 상기 인젝터를 외측튜브의 선단부에서 출몰시키는 인젝터 조작부, 및 상기 스네어와 스네어와이어로 연결되고, 이동시 상기 스네어를 외측튜브의 선단부에서 출몰시키는 스네어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invention is disclosed for an endoscopic treatment device that reduces the procedure time by individually introducing a needle and a snare from an outer tube through the operation of an injector operating unit and a snare operating unit, thereby injecting a drug solution into a lesion or resecting tissue from a lesion without replacing the device during an endoscopic procedure.
The disclosed endoscopic therapeutic device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main body forming a body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 outer tube having a double lumen structure extending forward from a distal end of the main body and including a first inner tube and a second inner tube, an injector accommodated in the distal end of the first inner tube and including a needle for injecting a drug solution to swell lesion tissue, a snare accommodated in the distal end of the second inner tube and forming a snare for resecting the swollen lesion tissue, an injector operating unit connected to the injector via an injector tube and causing the injector to emerge from the distal end of the outer tube when moved, and a snare operating unit connected to the snare via a snare wire and causing the snare to emerge from the distal end of the outer tube when mov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내시경용 치료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체 내부의 조직 일부를 제거하는 시술에 이용되는 의료용 스네어와 의약품을 점막 또는 혈관에 주사하기 위해 사용하는 내시경용 인젝터를 병용하는 내시경용 치료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doscopic therapeutic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endoscopic therapeutic device using a medical snare used in a procedure to remove a portion of tissue inside the body and an endoscopic injector used to inject a medicine into a mucosa or blood vessel.
내시경은 의료 목적으로 신체의 내부를 살펴보기 위한 의료 기구로서, 몸 속으로 직접 카메라를 삽입해서 몸의 기관 내부를 관찰하는 시술 기구이다. 내시경은 검사하는 부위에 따라 기관지경, 위경, 복강경, 대장내시경 등으로 구분된다. 최근 서구적인 생활 습관과 식생활 변화 등의 사회적인 변화가 진행되면서 대장 질환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장내시경 검사 장비 및 수술이 발달되면서 이전에 비해 대장내시경 검사가 양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비록 대장내시경 검사가 이전에 비해서는 쉬워졌다고 하나, 현재도 누구나 쉽게 시술할 수 있는 보편적인 검사는 아니다. 몸 속으로 직접 카메라를 삽입하므로 환자에게 고통을 주지 않고 빠른 시간 내에 검사를 하면서도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할 수 있는 고도의 기술이 요구된다.An endoscope is a medical device used to examine the inside of the body for medical purposes. It is a surgical device that inserts a camera directly into the body to observe the inside of the organs. Endoscopes are classified into bronchoscopes, gastroscopes, laparoscopes, and colonoscopes depending on the area being examined. Recently, with the social changes such as Western lifestyles and changes in diet, colon diseases have been increasing. Accordingly, colonoscopy examination equipment and surgeries have been developed, and colonoscopy examinations have increased in quantity compared to the past. However, although colonoscopy examinations have become easier than before, they are still not a universal examination that anyone can easily perform. Since a camera is inserted directly into the body, it requires advanced technology to perform the examination quickly without causing pain to the patient, while also providing accurate diagnosis and treatment.
내시경적 점막 절제술(EMR)은 내시경을 이용하여 식도, 위, 대장의 점막에 발생한 용종(주로 평평한 무경용종)의 제거를 위한 시술로서, 내시경 끝에 달린 스네어로 병변 부위를 포획하여 절제하는 시술 방법이다. 시술자는 내시경을 통해 확인된 병변조직이 절제가 필요한 병변인지 그렇지 않은 병변인지를 구별하여야 하며, 병변조직 절제술을 시행함에 있어 병변의 위치, 크기, 모양 및 개수 등 발견된 폴립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야 한다. 병변조직 절제술 시술시, 필요한 처치구로는 약액 주입용 니들, ESD 나이프, 스네어, 마커, 생검 기구, 지혈 클립 등이 사용될 수 있다.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 is a procedure to remove polyps (mainly flat, sessile polyps) that occur in the mucosa of the esophagus, stomach, and colon using an endoscope. It is a procedure in which the lesion is captured and resected with a snare attached to the end of the endoscope. The practitioner must distinguish between lesions that require resection as confirmed through the endoscope and lesions that do not, and when performing lesion resection, the appropriate method must be select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yp found, such as the location, size, shape, and number of lesions. When performing lesion resection, necessary instruments may be used, such as a drug injection needle, ESD knife, snare, marker, biopsy device, and hemostatic clip.
하지만, 종래에는 환부의 조직을 절제하면서 환부에 약물을 투약하였기 때문에, 점막하 절제용 시술기구와 약물 투약용 시술기구의 교체로 인하여 시술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시술 피로도가 증가하여 시술의 정확도가 떨어지고, 복수개의 시술기구를 구비해야 함으로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drug was administered to the affected area while resecting the tissue of the affected area in the past, not only did the procedure take a long time due to the replacement of the surgical instrument for submucosal resection and the surgical instrument for drug administration, but this also increased the fatigue of the procedure, which reduced the accuracy of the procedure,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ost was high because multiple surgical instruments had to be prepared.
이와 관련, 복수개의 처치구를 병용시킨 종래기술로 한국특허공개 제10-2018-0132282호(이하, ‘선행특허’라 약칭한다)가 있다. 상기 선행특허는 인젝션 니들과 스네어가 튜브 내에 배치되는 의료용 스네어를 개시한다. 상기 선행특허는 스네어와 니들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병합된 구조의 시술기구를 제공하고 있으나, 니들을 이용한 처치를 요구하는 병변과 스네어를 이용한 처치가 요구되는 병변을 위하여 상기 스네어와 니들을 교환하는 과정에서 스네어와 니들의 충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스네어와 인젝터를 상호간의 간섭 없이 동시에 사용 가능한 시술기구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In this regard, there is a prior art technology that uses multiple treatment devices in combinatio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132282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patent”). The prior patent discloses a medical snare in which an injection needle and a snare are placed inside a tube. The prior patent provides a treatment device having a combined structure that can use a snare and a needle at the same time, bu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nare and the needle collided during the process of exchanging the snare and the needle for a lesion requiring treatment using a needle and a lesion requiring treatment using a snare.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a treatment device that can use a snare and an injector simultaneously without interference between th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인젝터 조작부와 스네어조작부의 조작을 통해 외측튜브에서 니들과 스네어를 개별적으로 출몰시킴으로써, 내시경 시술 과정에서 환자의 복강으로 진입한 외측튜브를 통하여 기구의 교체 없이 환부에 약액을 주입하거나 환부의 조직을 절제하여 시술 시간을 절감시키는 내시경용 치료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response to the above-mentioned need,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ndoscopic treatment device that reduces the treatment time by individually inserting and exiting a needle and a snare from an outer tube through the operation of an injector operating unit and a snare operating unit, thereby injecting a drug solution into a patient's abdominal cavity or resecting tissue from a patient's abdominal cavity without replacing the device through the outer tube during an endoscopic procedur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purpose,
내시경 치료기구에 있어서, 일방향으로 연장하는 몸체를 형성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선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하고, 제1내관 및 제2내관을 포함하는 이중 내강 구조의 외측튜브, 상기 제1내관의 선단부에 수납되고, 병변조직을 팽윤시키기 위하여 약액을 주입하는 니들을 포함하는 인젝터, 상기 제2내관의 선단부에 수납되고, 팽윤된 병변조직을 절제하는 올가미를 형성하는 스네어, 상기 인젝터와 인젝터 튜브로 연결되고, 이동시 상기 인젝터를 외측튜브의 선단부에서 출몰시키는 인젝터 조작부, 및 상기 스네어와 스네어와이어로 연결되고, 이동시 상기 스네어를 외측튜브의 선단부에서 출몰시키는 스네어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ndoscopic therapeutic device, the device comprises: a main body forming a body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 outer tube having a double lumen structure extending forward from a distal end of the main body and including a first inner tube and a second inner tube; an injector accommodated in the distal end of the first inner tube and including a needle for injecting a drug to swell lesion tissue; a snare accommodated in the distal end of the second inner tube and forming a snare for resecting the swollen lesion tissue; an injector operating unit connected to the injector via an injector tube and causing the injector to emerge from the distal end of the outer tube when moved; and a snare operating unit connected to the snare via a snare wire and causing the snare to emerge from the distal end of the outer tube when moved.
또한, 상기 인젝터 조작부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인젝터조작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인젝터조작핸들은, 일측에 상기 인젝터튜브와 내부적으로 연결되는 중공의 약액주입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jector operating unit includes a guide unit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unit, and an injector operating handle coupled to the main body unit so as to be able to slide along the guide unit, and the injector operating hand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hollow liquid injection port on one side that is internally connected to the injector tube.
또한, 상기 스네어 조작부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스네어 조작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스네어 조작핸들은 하나 이상의 고리형상의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nare operating portion includes a snare operating handle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so as to be able to sl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snare operating handle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one or more ring-shaped handle portions.
또한, 상기 스네어조작핸들은, 일측에 상기 스네어와이어와 내부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네어와이어 및 상기 스네어는 통전 가능한 전극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nare operating handle includes a power connection part internally connected to the snare wire on one side, and the snare wire and the snare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made of a conductive electrode material.
또한, 상기 외측튜브의 선단부에 축방향 결합되는 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팁부는, 상기 제1내관의 선단부와 결합되되, 상기 인젝터튜브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제1홀, 및 상기 제2내관의 선단부와 결합되는 제2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tip portion axially coupled to a front end of the outer tube, wherein the tip portion includes a first hole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inner tube but having an inner diameter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injector tube, and a second hole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second inner tube.
상기 제1내관의 선단부에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제1내관의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인젝터튜브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further including a stopper formed at least once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inner tube and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inner tube to limit movement of the injector tube.
또한, 상기 인젝터튜브 또는 와이어 중 하나 이상은, 그 외주면 상에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일자형 돌출부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마찰저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injector tubes or wire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friction reducing portion that forms a straight protrusion radially arrang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용 치료기구는 니들과 스네어가 인젝터 조작부와 스네어 조작부의 조작을 통해 외측튜브에서 개별적으로 출몰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내시경 시술시 환부에 약액을 주입하거나, 환부를 올가미로 절제하는 치료 과정에서 기구를 교체할 필요 없이 내시경 시술에 소요되는 시간이 크게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Since the endoscopic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 needle and a snare are individually inserted and removed from an outer tube by operating an injector operating unit and a snare operating unit, the time required for an endoscopic treatment is significantly shortened without the need to replace the device during the treatment process of injecting a drug into a affected area or resecting the affected area with a snare during an endoscopic treatm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와이어의 동작만으로 용종을 절제할 수 있는 콜드 스네어로 고온에 의한 조직 열손상과 천공의 우려가 없고, 절제 후 바로 출혈을 확인할 수 있어서 지연 출혈의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concern about tissue thermal damage or perforation due to high temperature with a cold snare that can excise a cyst only by the movement of a wire, and since bleeding can be confirmed immediately after excision, the possibility of delayed bleeding can be blocked.
또한, 전기로 소작하지 않아 자연 치유가 빠르고 전기수술기와 연결이 불필요하여 고주파 전기의 접지 패드 사용이 불필요하여 환자 자세 전환이 쉽고 접지 불량에 의한 화상 발생의 위험 방지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it does not require electrical cauterization, natural healing is fast, and since it does not require connection to an electrosurgical device, the use of a high-frequency electric grounding pad is unnecessary, making it easy to change the patient's position and preventing the risk of burns due to poor ground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을 선택적으로 인가할 수 있는 전원연결부를 조작부에 구비함으로써, 필요시 외측튜브 및 시술기구의 변경 없이도 전원을 인가하여 전극성 핫 스네어로 고온에 의한 조직 제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power connection unit capable of selectively applying power to the operating unit, it is possible to apply power when necessary without changing the outer tube and surgical instrument, thereby enabling tissue removal at high temperatures using an electrode hot snar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두 개의 기구가 동작할 때 서로 간섭이 없도록 외측튜브를 형성하는 하나의 튜브 내에 다중의 내강 구조를 적용하여 스네어와 인젝터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interference between the snare and the injector by applying a multi-lumen structure within one tube forming an outer tube so that the two mechanisms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when operat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네어 와이어와 인젝터 튜브의 외주면을 따라 첨단부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튜브 내강의 내주면과의 마찰을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one or more protrusions forming a tip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snare wire and the injector tube,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friction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tube lume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네어의 회전기능을 부여하여 모든 해부학적 위치의 용종을 절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allows for the excision of polyps in all anatomical locations by providing a rotational function to the snar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치료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치료기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치료기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치료기구의 선단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ndoscopic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ndoscopic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n endoscopic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ip portion of an endoscopic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용 치료기구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n endoscopic therapeut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depicted in the drawing and the size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for the sake of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치료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치료기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ndoscopic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ndoscopic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치료기구는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 외측튜브(20), 인젝터(30), 스네어(40), 인젝터 조작부(50) 및 스네어 조작부(60)를 포함한다. An endoscopic therapeutic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an outer tube (20), an injector (30), a snare (40), an injector operating part (50), and a snare operating part (60) as shown in FIGS. 1 and 2.
상기 본체부(10)는 일방향으로 연장하는 몸체를 형성함으로써 외측튜브(20), 인젝터 조작부(50) 및 스네어 조작부(60)가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본체부(10)의 선단부에는 상기 외측튜브(20)를 끼움 연결하는 연결캡(11)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부(10)의 타측에는 파지를 위한 손잡이(12)가 형성된다. The above main body (10) forms a body extending in one direction, thereby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outer tube (20), the injector operating unit (50), and the snare operating unit (60) are operatively installed. A connecting cap (11) for fitting and connecting the outer tube (20)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10), and a handle (12) for gripping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0).
상기 외측튜브(20)는 상기 본체부(10)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전방으로 연장하고, 제1내관(21) 및 제2내관(22)을 포함하는 이중 내강 구조로 이루어진다. 다시말해서, 상기 외측튜브(20)는 하나의 튜브 내에 제1내관(21) 및 제2내관(22)의 두개의 내강 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제1내관(21)과 제2내관(22)은 서로 분리된 구조를 형성한다. The outer tube (20)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10) and extends forward, and is formed of a double lumen structure including a first inner tube (21) and a second inner tube (22). In other words, the outer tube (20) has two lumen structures formed within one tube, the first inner tube (21) and the second inner tube (22), and the first inner tube (21) and the second inner tube (22) form separate structure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인젝터(30)는 병변조직을 팽윤시키기 위하여 약액을 주입하는 수단으로, 상기 제1내관(21)의 선단부에 수납되고, 상기 스네어(40)는 팽윤된 병변조직을 절제하는 올가미를 형성하는 수단으로 상기 제2내관(22)의 선단부에 수납된다. 또한, 상기 인젝터(30)는 후술할 인젝터조작부(50)와 인젝터튜브(31)로 연결되고, 상기 스네어(40)는 스네어조작부(60)와 스네어와이어(41)로 연결되어, 각각의 조작에 따라 상기 외측튜브(20)의 선단부에서 출몰하도록 이루어진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jector (30) is a means for injecting a drug solution to swell lesion tissue and is accommodated in the front end of the first inner tube (21), and the snare (40) is a means for forming a snare to excise swollen lesion tissue and is accommodated in the front end of the second inner tube (22). In addition, the injector (30) is connected to an injector operating unit (50) to be described later and an injector tube (31), and the snare (40) is connected to a snare operating unit (60) and a snare wire (41), so that the snare is configured to emerge from the front end of the outer tube (20) according to each operation.
따라서, 상기 외측튜브(20)는 그 내부에 인젝터(30)와 스네어(40)를 각각 분리하여 수용하고, 이를 통하여 상기 인젝터(30)와 스네어(40)가 연결된 인젝터튜브(31)와 스네어와이어(41)가 각각의 독립적으로 움직임을 확보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outer tube (20) separately accommodates the injector (30) and the snare (40) therein, and through this, the injector tube (31) and the snare wire (41) connected to the injector (30) and the snare (40) can secure independent movemen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외측튜브(20)는 인젝터 조작부(50)와 스네어 조작부(60)의 조작으로 인젝터(30)과 스네어(40)가 출몰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플렉시블한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부(10)의 선단에 연결되고, 내시경의 튜브에 삽입되어 체내의 환부로 안내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측튜브(20)는 테프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tube (20) provides a path for the injector (30) and the snare (40) to be introduced and exited by the operation of the injector operating unit (50) and the snare operating unit (60), and is formed in a flexible tube shape, is connected to the tip of the main body (10), and is inserted into the tube of the endoscope and guided to the affected area in the body. Preferably, the outer tube (20) can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Teflon, polypropylene, and polyethylene.
또한, 상기 인젝터 조작부(50)는 상기 본체부(10)에 구비되어 상기 외측튜브(20)의 선단부에서 상기 인젝터(30)을 출몰시키고, 인젝터(30)에 약액이 주입되도록 안내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인젝터 조작부(50)는 가이드부(51), 인젝터조작핸들(52), 약액주입구(53)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injector operating part (50)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to guide the injector (30) to emerge from the tip of the outer tube (20) and to inject the liquid into the injector (30). To this end, the injector operating part (50) includes a guide part (51), an injector operating handle (52), and a liquid injection port (53).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부(51)는 상기 본체부(10)에 구비되어 상기 인젝터조작핸들(52)이 슬라이드 이동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부(51)는 상기 본체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51)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이동하는 상기 인젝터조작핸들(52)은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Specifically, the guide part (51)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part (10)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injector operating handle (52) slides.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part (51)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part (10), and therefore, the injector operating handle (52) guided by the guide part (51) is configured to be a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part.
상기 인젝터조작핸들(52)는 가이드부(51)에 삽입되고, 상기 약액주입구(53)을 통하여 외부에서 약액을 공급받는다. 상기 약액주입구(53)는 상기 인젝터조작핸들(52)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인젝터튜브(31)와 내부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중공의 주입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인젝터조작핸들(52)은 상기 인젝터튜브(31)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외측튜브(20)의 선단부에서 상기 인젝터(30)을 출몰 가능하게 조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above injector operating handle (52) is inserted into the guide part (51) and receives the liqui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liquid injection port (53). The liquid injection port (5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jector operating handle (52) and is formed as a hollow injection port configured to be internally connected to the injector tube (31). Accordingly, the injector operating handle (52) performs the function of operating the injector (30) so that it can be inserted and removed from the front end of the outer tube (20) by moving the injector tube (3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상기 약액주입구(53)는 상기 인젝터튜브(31)을 통하여 인젝터(30)에 연결되어 주입된 약액을 상기 인젝터(30)에 주입하도록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liquid injection port (53) is connected to the injector (30) through the injector tube (31) so as to inject the injected liquid into the injector (30).
따라서, 상기 인젝터조작핸들(52)은 상기 약액주입구(53)와 상기 인젝터(30)을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인젝터조작핸들(52)이 상기 가이드부(51)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조절시 인젝터(30)를 이동시키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때, 인젝터튜브(31)는 내시경에 구비된 워킹채널에 외측튜브(20)를 삽입시 외측튜브(20)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접힘 또는 꺽임 현상이 방지되도록 높은 굴곡성(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Accordingly, the injector operating handle (52) not only serves to connect the liquid injection port (53) and the injector (30) so that they can b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but also serves to move the injector (30) when the injector operating handle (52) adjusts its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portion (51). At this time, it is advantageous for the injector tube (31) to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bending (flexibility) so as to prevent the outer tube (20) from being folded or bent during the insertion process when the outer tube (20) is inserted into the working channel provided in the endoscope.
한편, 스네어 조작부(60)는 상기 본체부(10)에 구비되어 외측튜브(20)의 선단부에서 상기 스네어(40)를 출몰시키고, 스네어(40)가 회전 가능하도록 조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스네어 조작부(60)는 스네어 조작핸들(61) 및 손잡이부(62)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snare operating part (60)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making the snare (40) appear and disappear from the tip of the outer tube (20) and operating the snare (40) so that it can rotate. To this end, the snare operating part (60) includes a snare operating handle (61) and a grip part (62).
구체적으로, 상기 스네어 조작핸들(61)은 상기 본체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부(10)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스네어와이어(42)와 내부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스네어 조작핸들(61)은 상기 본체부(1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스네어와이어(41)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외측튜브(20)의 선단부에서 스네어(40)를 출몰 가능하게 조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Specifically, the snare operating handle (61)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so as to be able to sl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and is internally connected to the snare wire (42). Therefore, when the snare operating handle (61) slides along the main body (10), it performs the function of operating the snare (40) so as to be able to emerge from the tip of the outer tube (20) by moving the snare wire (4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손잡이부(62)는 상기 스네어 조작핸들(61)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을 걸어 파지하도록 구성된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손잡이부(62)는 사용자의 검지와 중지를 걸어 사용 가능하도록 배치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른 배치가 적용될 수 있다.The above handle part (62) is formed in a ring shape configured to be gripped by the user's finger in order to facilitate gripping of the snare operating handle (61).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part (62) is arranged so that it can be used by the user's index and middle finge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arrangements may be applied as nee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네어 조작부(60), 더 구체적으로, 상기 스네어 조작핸들(61)은 상기 본체부(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축방향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스네어 조작핸들(61)의 회전시 상기 스네어와이어(41)를 회전시켜 상기 스네어(40)를 회전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nare operating part (60), more specifically, the snare operating handle (61), is configured to be axially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main body (10). Therefore, when the snare operating handle (61) is rotated, the snare wire (41) is rotated, thereby rotating the snare (4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스네어(40)는 고주파 전기가 사용되지 않는 콜드 스네어로 와이어의 동작만으로 용종을 절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네어(40)에 전원이 연결되어 전극성 '핫 스네어'로 고온에 의한 조직 제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nare (40) is a cold snare that does not use high-frequency electricity and can excise the cyst only by the movement of the wire.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nare (40) can be connected to a power source to enable tissue removal by high temperature as an electrode-type 'hot snare'.
이를 위하여, 상기 스네어 조작핸들(61)은 일측에 상기 스네어와이어(41)와 내부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연결부(62)가 부설될 수 있다. 상기 전원연결부(62)를 통하여 외부 전원이 인가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기 전원연결부(62)에 전원 연결단자 등의 접속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snare operating handle (61) may be provided with a power connection part (62) that is internally connected to the snare wire (41) on one side. External power may be supplied through the power connection part (62), and for this purpose, a connecting member such as a power connection terminal may be included in the power connection part (62).
또한, 이 실시예에서, 상기 스네어와이어(41) 및 상기 스네어(40)는 통전 가능한 전극성 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전원연결부(62)를 통하여 인가된 전원이 상기 스네어와이어(41)를 통하여 상기 스네어(40)로 인가되어 상기 스네어(40)가 전극성을 띄게 되어 고온으로 병변을 제거하는 '핫 스네어'로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snare wire (41) and the snare (40) are made of a conductive electrode material, so that power applied through the power connection part (62) is applied to the snare (40) through the snare wire (41), so that the snare (40) becomes conductive and can be used as a 'hot snare' that removes a lesion at high temperature.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외측튜브(10)의 선단부에 축방향 결합되는 팁부(70)가 더 포함된다.Meanwhile,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ip portion (70) axially coupled to the tip portion of the outer tube (10) is further included.
상기 팁부(70)는 상기 외측튜브(10)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인젝터(30) 및 상기 스네어(40)의 출몰시 상기 외측튜브(10)의 선단부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above tip portion (70) is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outer tube (10) to prevent damage to the front end of the outer tube (10) when the injector (30) and the snare (40) are released.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팁부(70)는 상기 인젝터(30)의 출몰시 상기 인젝터(30)의 니들이 상기 외측튜브(10)의 선단부로부터 필요 이상 돌출되거나, 외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인젝터(30)의 돌출 범위를 제한하는 기능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Furthermo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p portion (7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function of limiting the protrusion range of the injector (30) to prevent the needle of the injector (30) from protruding more than necessary from the tip end of the outer tube (10) or falling out when the injector (30) is retracted.
이 실시예에서, 상기 팁부(70)는 상기 외측튜브(10)의 제1내관(21)의 선단부와 결합되되, 상기 인젝터튜브(31)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제1홀(71)과, 상기 제2내관(22)의 선단부와 결합되는 제2홀(7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내관(21)과 상기 제1홀(71), 그리고, 상기 제2내관(22)과 상기 제2홀(72)는 서로 중심축을 공유하도록 배치된다.In this embodiment, the tip portion (70) may include a first hole (71) that is coupled with the tip portion of the first inner tube (21) of the outer tube (10), but has an inner diameter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injector tube (31), and a second hole (72) that is coupled with the tip portion of the second inner tube (22). At this time, the first inner tube (21) and the first hole (71), and the second inner tube (22) and the second hole (72) are arranged to share a central axis with each other.
따라서, 상기 외측튜브(10)의 선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인젝터(30)의 니들은 상기 제1내관(21)을 통과하여 외측으로 이동되나, 상기 인젝터튜브(31)의 선단부는 상기 제1홀(71)에서 이동이 제한되며, 결과적으로 상기 팁부(70)에 의하여 상기 외측튜브(10)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인젝터(30)의 니들만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needle of the injector (30) protruding from the tip end of the outer tube (10) moves outwardly through the first inner tube (21), but the tip end of the injector tube (31) is restricted from moving in the first hole (71), and as a result, only the needle of the injector (30) can be configured to protrude outwardly from the tip end of the outer tube (10) by the tip portion (70).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인젝터(30)의 출몰시 상기 인젝터(30)의 니들이 상기 외측튜브(10)의 선단부로부터 필요 이상 돌출되거나, 외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인젝터(30)의 돌출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210)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opper (210) may be included to limit the protrusion range of the injector (30) in order to prevent the needle of the injector (30) from protruding more than necessary from the tip of the outer tube (10) or from falling out when the injector (30) is retracted.
이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210)는 상기 외측튜브(10)의 제1내관(21)의 선단부에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제1내관(21)의 중심축 방향으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인젝터튜브(31)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topper (210) may be formed at least once at the tip end of the first inner tube (21) of the outer tube (10) and configured to protrude inwardly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inner tube (21)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injector tube (31).
따라서, 상기 외측튜브(10)의 선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인젝터(30)의 니들은 상기 제1내관(21)을 통과하여 외측으로 이동되나, 상기 인젝터튜브(31)의 선단부는 상기 스토퍼(210)에서 이동이 제한되며, 결과적으로 상기 스토퍼(210)에 의하여 상기 외측튜브(10)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인젝터(30)의 니들만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needle of the injector (30) protruding from the tip of the outer tube (10) passes through the first inner tube (21) and moves outward, but the tip of the injector tube (31) is restricted from moving by the stopper (210), and as a result, only the needle of the injector (30) can protrude outward from the tip of the outer tube (10) by the stopper (210).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인젝터튜브(31) 또는 스네어와이어(41)중 하나 이상은 상기 외측튜브(10)의 제1내관(21) 또는 제2내관(22) 내에서 이동함에 있어,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마찰저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injector tube (31) or the snare wire (41) may further include a friction reducing member to prevent damage due to friction while moving within the first inner tube (21) or the second inner tube (22) of the outer tube (10).
상기 마찰저감부는 상기 인젝터튜브(31) 또는 스네어와이어(41)의 외주면 상에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일자형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above friction reduction member is formed by including a straight protrusion that is radially arrang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jector tube (31) or snare wire (41)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마찰저감부를 구성하는 일자형 돌출부는 돌출부가 첨단부, 즉, 뾰족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젝터튜브(31) 또는 스네어와이어(41)는 상기 첨단부를 형성하는 마찰저감부에 의하여 상기 상기 외측튜브(10)의 제1내관(21) 또는 제2내관(22)의 내주면과 최소한의 접점을 유지하며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마찰이 저감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aight protrusion forming the friction reducing member may be formed as a pointed protrusion, i.e., a sharp shape. Accordingly, the injector tube (31) or the snare wire (41) can move while maintaining a minimum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inner tube (21) or the second inner tube (22) of the outer tube (10) by the friction reducing member forming the pointed protrusion, so that friction can be reduc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patent claims.
10: 본체부
11: 연결캡
12: 손잡이
20: 외측튜브
21: 제1내관
210: 스토퍼
22: 제2내관
30: 인젝터
31: 인젝터튜브
40: 스네어
41: 스네어와이어
50: 인젝터 조작부
51: 가이드부
52: 인젝터조작핸들
53: 약액주입구
60: 스네어 조작부
61: 스네어 조작핸들
62: 전원연결부
70: 팁부
71: 제1홀
72: 제2홀10: Main body
11: Connection cap
12: Handle
20: Outer tube
21: First Inner Chamber
210: Stopper
22: Second Inner Court
30: Injector
31: Injector tube
40: Snare
41: Snare Wire
50: Injector control unit
51: Guide Department
52: Injector operating handle
53: Liquid injection port
60: Snare Controls
61: Snare operating handle
62: Power connector
70: Tip section
71: Hole 1
72: Hole 2
Claims (7)
일방향으로 연장하는 몸체를 형성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선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하고, 제1내관 및 제2내관을 포함하는 이중 내강 구조의 외측튜브;
상기 제1내관의 선단부에 수납되고, 병변조직을 팽윤시키기 위하여 약액을 주입하는 니들을 포함하는 인젝터;
상기 제2내관의 선단부에 수납되고, 팽윤된 병변조직을 절제하는 올가미를 형성하는 스네어;
상기 인젝터와 인젝터 튜브로 연결되고, 이동시 상기 인젝터를 외측튜브의 선단부에서 출몰시키는 인젝터 조작부; 및
상기 스네어와 스네어와이어로 연결되고, 이동시 상기 스네어를 외측튜브의 선단부에서 출몰시키는 스네어 조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치료기구.
In endoscopic treatment devices,
A main body portion forming a body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 outer tube having a double inner cavity structure extending forward from the tip of the main body and including a first inner tube and a second inner tube;
An injector,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front end of the first inner tube and includes a needle for injecting a drug solution to swell lesion tissue;
A snare that is accommodated in the distal end of the second inner tube and forms a loop for resecting swollen lesion tissue;
An injector operating unit connected to the injector and the injector tube, and causing the injector to emerge from the tip of the outer tube when moved; and
A snare operating unit connected to the above snare and snare wire and causing the snare to emerge from the tip of the outer tube when moved;
An endoscopic therapeutic devic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
상기 인젝터 조작부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인젝터조작핸들;
을 포함하고,
상기 인젝터조작핸들은,
일측에 상기 인젝터튜브와 내부적으로 연결되는 중공의 약액주입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치료기구.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injector operating unit is,
A guide portion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n injector operating handle coupled to the main body so as to be able to slide along the guide portion;
Including,
The above injector operating handle is,
An endoscopic therapeutic device further comprising a hollow drug injection port internally connected to the injector tube on one side.
상기 스네어 조작부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스네어 조작핸들;
을 포함하고,
상기 스네어 조작핸들은,
하나 이상의 고리형상의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치료기구.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snare control unit is,
A snare operating handl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able to sl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Including,
The above snare operating handle is,
An endoscopic therapeutic device characterized by including one or more ring-shaped handle parts.
상기 스네어조작핸들은,
일측에 상기 스네어와이어와 내부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네어와이어 및 상기 스네어는 통전 가능한 전극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치료기구.
In the third paragraph,
The above snare operating handle is,
Includes a power connection part internally connected to the snare wire on one side,
An endoscopic therapeut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nare wire and the snare are made of a conductive electrode material.
상기 외측튜브의 선단부에 축방향 결합되는 팁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팁부는,
상기 제1내관의 선단부와 결합되되, 상기 인젝터튜브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제1홀; 및
상기 제2내관의 선단부와 결합되는 제2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치료기구.
In paragraph 1,
A tip portion axially coupled to the tip end of the outer tube;
Including more,
The above tip part is,
A first hole coupled to the tip of the first inner tube and having an inner diameter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injector tube; and
An endoscopic therapeutic devic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econd hole coupled to a tip portion of the second inner tube.
상기 제1내관의 선단부에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제1내관의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인젝터튜브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치료기구.
In paragraph 1,
At least one is formed at the tip of the first inner tube,
A stopper form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inner tube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injector tube;
An endoscopic therapeutic device characterized by further including:
상기 인젝터튜브 또는 와이어 중 하나 이상은,
그 외주면 상에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일자형 돌출부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마찰저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치료기구.
In paragraph 1,
One or more of the above injector tubes or wires,
An endoscopic therapeut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one or more friction-reducing portions forming a linear protrusion radially arranged on the outer surface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043147A KR20240147336A (en) | 2023-03-31 | 2023-03-31 | Endoscope treatment apparatus for combining snare and inj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043147A KR20240147336A (en) | 2023-03-31 | 2023-03-31 | Endoscope treatment apparatus for combining snare and injecto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40147336A true KR20240147336A (en) | 2024-10-08 |
Family
ID=9311399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30043147A Pending KR20240147336A (en) | 2023-03-31 | 2023-03-31 | Endoscope treatment apparatus for combining snare and injecto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240147336A (en)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80132282A (en) | 2017-06-02 | 2018-12-12 | 박시언 | Vesel and automobile having preventing part for inclining |
-
2023
- 2023-03-31 KR KR1020230043147A patent/KR20240147336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80132282A (en) | 2017-06-02 | 2018-12-12 | 박시언 | Vesel and automobile having preventing part for inclining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AU2005292599B2 (en) | Endoscopic apparatus with integrated hemostasis device | |
| US9387034B2 (en) | High-frequency knife | |
| US12108975B2 (en) | Multifunctional high-frequency electric knife | |
| JP6084338B2 (en) |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device and endoscope system | |
| EP1987794B1 (en) | Endoscopic treatment instrument | |
| EP1115342A1 (en) | Electro-cautery catheter | |
| EP3965678B1 (en) | Medical device | |
| KR102336100B1 (en) | A medical dispensing mechanism capable of combining multiple of treatment tools having an independent driving range | |
| JP6886200B2 (en) | Endoscope assist device and endoscopy system | |
| CN111202485A (en) | A medical connection device | |
| CN205054424U (en) | But injection peels off incision sword under scope mucosa | |
| US20110077585A1 (en) | APC Dual Mode Theraputic Balloon Dilator | |
| JP5829195B2 (en) | Liquid feeding knife | |
| KR102695755B1 (en) | A medical dispensing mechanism capable of combining two kinds of treatment tools having an independent driving range | |
| CN114569234B (en) | Multifunctional snare for endoscopic surgery | |
| KR20240147336A (en) | Endoscope treatment apparatus for combining snare and injector | |
| CN216823631U (en) | Multifunctional surgical equipment for digestive endoscopy surgery | |
| JP2023067805A (en) | Endoscopic treatment tool | |
| KR20060028845A (en) |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procedure | |
| KR20190141498A (en) | Treatment device for endoscope | |
| KR102212719B1 (en) | Treatment device for endoscope | |
| CN114681043A (en) | Medical Devices and Related Methods | |
| HK40037515A (en) | Multifunctional high-frequency electric knife | |
| HK40037515B (en) | Multifunctional high-frequency electric knif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