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154884A -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movables - Google Patents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movab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54884A
KR20240154884A KR1020230051372A KR20230051372A KR20240154884A KR 20240154884 A KR20240154884 A KR 20240154884A KR 1020230051372 A KR1020230051372 A KR 1020230051372A KR 20230051372 A KR20230051372 A KR 20230051372A KR 20240154884 A KR20240154884 A KR 20240154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positioning data
dat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13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기덕
김수은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주)씨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앤테크 filed Critical (주)씨앤테크
Priority to KR1020230051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54884A/en
Priority to JP2023150711A priority patent/JP2024155676A/en
Publication of KR20240154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54884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3Credit; Loans; Process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동산(Movables)에 부착된 자산 정보 획득 장치 및 상기 자산 정보 획득 장치와 연관된 통신 인프라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된 제 1 측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자산 정보 획득 장치 및 상기 통신 인프라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제 1 측위 데이터와 서로 다른 방식으로 획득된 제 2 측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측위 데이터 및 상기 제 2 측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동산의 위치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vable, comprising the steps of: receiving first positioning data acquired from at least one of an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attached to a movable and a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ssociated with the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receiving second positioning data acquired in a different manner from the first positioning data from at least one of the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and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nd determ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vabl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positioning data and the second positioning data.

Description

동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MOVABLES}METHOD, SERVER AND SYSTEM FOR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MOVABLES

본 발명은 동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산의 상태정보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서버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vable property, and more specifically, to a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providing a service for status information of a movable property.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금융권을 통해 대출을 받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때, 채무자의 신용 등급을 참고하여 대출 가능한 금액을 책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대출금액이 일정치를 초과하거나 채무자의 신용 등급이 부족한 경우, 채무자가 대출에 대한 채무를 불이행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를 대비하기 위하여 채무자가 소유중인 재산의 일부를 담보로 잡을 수 있다. 즉, 은행과 같은 금융권에서 개인 소유의 재산을 담보로 잡고, 채무자에게 돈을 빌려줄 수 있으며, 정해진 기간 이내에 채무를 불이행할 시 담보로 잡은 재산에 대한 소유권을 변경할 수 있다.In a capitalist society, situations where loans are received through the financial sector occur frequently. At this time, the amount of the loan can be determined by referring to the debtor's credit rating. In addition, if the loan amount exceeds a certain amount or the debtor's credit rating is insufficien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debtor will default on the loan, so in order to prepare for this, some of the debtor's property can be used as collateral. In other words, financial institutions such as banks can use personal property as collateral and lend money to the debtor, and if the debtor defaults within a specified period, the ownership of the collateralized property can be changed.

그러나 개인이나 법인 등의 채무자가 소유한 재산 중 항상 고정된 상태인 부동산과는 다르게 이동이 가능한 동산(Movables)의 경우 해당 동산의 상태에 따라 담보가치가 변경되어 채권자로 하여금 곤란해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동산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성이 있다.However, unlike real estate, which is always fixed, among the assets owned by debtors such as individuals or corporations, in the case of movables that can be moved, the collateral value may change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movables, which may cause difficulties for credito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monitor the condition of the movables.

한국 공개특허 제10-2018-0045631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4563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측위 데이터를 기반으로 동산의 위치정보를 결정하여 동산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monitoring a property by determ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roperty based on a plurality of positioning data.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동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동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동산(Movables)에 부착된 자산 정보 획득 장치 및 상기 자산 정보 획득 장치와 연관된 통신 인프라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된 제 1 측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자산 정보 획득 장치 및 상기 통신 인프라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제 1 측위 데이터와 서로 다른 방식으로 획득된 제 2 측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측위 데이터 및 상기 제 2 측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동산의 위치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vable is provided. The method for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vable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first positioning data acquired from at least one of an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attached to a movable and a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ssociated with the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receiving second positioning data acquired in a different manner from the first positioning data from at least one of the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and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nd determ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vabl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positioning data and the second positioning data.

일 측면에서, 상기 제 1 측위 데이터는, 상기 자산 정보 획득 장치 및 상기 통신 인프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GPS 정보, Cell 기반 위치정보, 와이파이 포지셔닝(WiFi Positioning) 정보, 비콘(Beacon) 기반 위치정보 및 센서 데이터 기반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In one aspect, the first positioning data includes at least one of GPS information, Cell-based location information, WiFi positioning information, Beacon-based location information, and sensor data-based location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of the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and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상기 제 2 측위 데이터는, 상기 자산 정보 획득 장치 및 상기 통신 인프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GPS 정보, Cell 기반 위치정보 및 센서 데이터 기반 위치정보 중 상기 제 1 측위 데이터와 서로 다른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The second positioning data includes at least one of GPS information, cell-based location information and sensor data-based location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of the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and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first positioning data.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 1 측위 데이터는 상기 GPS 정보이고, 상기 제 2 측위 데이터는 상기 Cell 기반 위치정보이다.In another aspect, the first positioning data is the GPS information, and the second positioning data is the Cell-based location information.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 1 측위 데이터는 상기 Cell 기반 위치정보이고, 상기 제 2 측위 데이터는 상기 GPS 정보이다.In another aspect, the first positioning data is the cell-based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positioning data is the GPS information.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동산의 위치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측위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 1 위치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제 1 위치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단계 및 상기 검증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위치정보 또는 상기 제 2 측위 데이터를 기반으로 도출되는 제 2 위치정보를 선택적으로 상기 위치정보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nother aspect, the step of determin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roperty includes the step of deriving first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first positioning data, the step of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tep of selectively determining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or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derived based on the second positioning data as the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verification result.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위치정보로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검증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위치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 1 위치정보를 상기 동산의 위치정보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nother aspect, the step of determining as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s a step of determining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al estate if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is determined to be valid based on the verification result.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동산의 위치정보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검증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위치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 2 위치정보를 상기 동산의 위치정보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nother aspect, the step of determin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roperty includes a step of determining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roperty if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is determined to be invalid based on the verification result.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자산 정보 획득 장치 및 상기 통신 인프라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제 1 측위 데이터 및 상기 제 2 측위 데이터와 서로 다른 방식으로 획득된 제 3 측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측위 데이터. 상기 제 2 측위 데이터 및 상기 제 3 측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동산의 위치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another aspect,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third positioning data acquired in a different manner from the first positioning data and the second positioning data from at least one of the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and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nd determ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roperty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positioning data, the second positioning data and the third positioning data.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동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서버를 제공한다. 상기 동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서버는, 동산(Movables)에 부착된 자산 정보 획득 장치 및 상기 자산 정보 획득 장치와 연관된 통신 인프라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된 제 1 측위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측위 데이터와 서로 다른 방식으로 획득된 제 2 측위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제 1 측위 데이터 및 상기 제 2 측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동산의 위치정보를 결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rver for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vable is provided. The server for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vable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first positioning data acquired from at least one of an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attached to a movable and a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ssociated with the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and receiving second positioning data acquired in a different manner from the first positioning data, and a processor for determ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vabl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positioning data and the second positioning data.

일 측면에서, 상기 제 1 측위 데이터는, 상기 자산 정보 획득 장치 및 상기 통신 인프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GPS 정보, Cell 기반 위치정보, 와이파이 포지셔닝(WiFi Positioning) 정보, 비콘(Beacon) 기반 위치정보 및 센서 데이터 기반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상기 제 2 측위 데이터는, 상기 자산 정보 획득 장치 및 상기 통신 인프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GPS 정보, Cell 기반 위치정보 및 센서 데이터 기반 위치정보 중 상기 제 1 측위 데이터와 서로 다른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In one aspect, the first positioning data includes at least one of GPS information, Cell-based location information, WiFi Positioning information, Beacon-based location information, and Sensor data-based location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of the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and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nd the second positioning data includes at least one of GPS information, Cell-based location information, and Sensor data-based location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of the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and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tha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positioning data.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 1 측위 데이터는 상기 GPS 정보이고, 상기 제 2 측위 데이터는 상기 Cell 기반 위치정보이다.In another aspect, the first positioning data is the GPS information, and the second positioning data is the Cell-based location information.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 1 측위 데이터는 상기 Cell 기반 위치정보이고, 상기 제 2 측위 데이터는 상기 GPS 정보이다.In another aspect, the first positioning data is the cell-based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positioning data is the GPS information.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측위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 1 위치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제 1 위치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상기 검증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위치정보 또는 상기 제 2 측위 데이터를 기반으로 도출되는 제 2 위치정보를 선택적으로 상기 위치정보로서 결정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ocessor derives first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first positioning data, verifies the validity of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nd selectively determines second location information derived based on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or the second positioning data as the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verification result.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검증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위치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 1 위치정보를 상기 동산의 위치정보로 결정한다.In another aspect, if the processor determines that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is valid based on the verification result, it determines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al estate.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검증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위치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 2 위치정보를 상기 동산의 위치정보로 결정한다.In another aspect, if the processor determines that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is invalid based on the verification result, it determines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al estate.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자산 정보 획득 장치 및 상기 통신 인프라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제 1 측위 데이터 및 상기 제 2 측위 데이터와 서로 다른 방식으로 획득된 제 3 측위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측위 데이터. 상기 제 2 측위 데이터 및 상기 제 3 측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동산의 위치정보를 결정한다.In another aspect, the communication module receives third positioning data acquired in a different manner from the first positioning data and the second positioning data from at least one of the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and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nd the processor determin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roperty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positioning data, the second positioning data, and the third positioning data.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동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동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시스템은, 동산(Movables)에 부착된 자산 정보 획득 장치, 상기 자산 정보 획득 장치와 연관된 통신 인프라 및 상기 자산 정보 획득 장치 및 상기 통신 인프라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된 제 1 측위 데이터 및 상기 제 1 측위 데이터와 서로 다른 방식으로 획득된 제 2 측위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측위 데이터 및 상기 제 2 측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동산의 위치정보를 결정하는 서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ystem for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vable is provided. The system for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vable includes an asset information acquiring device attached to the movable, a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ssociated with the asset information acquiring device, and a server for receiving first positioning data acquired from at least one of the asset information acquiring device and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nd second positioning data acquired in a different manner from the first positioning data, and determ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vabl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positioning data and the second positioning data.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음의 장점들을 포함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effects including the following advantages. However,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include all of these, and thus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hereb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은 복수개의 측위 데이터를 기반으로 동산의 위치정보를 정확하게 산출하는 효과가 있다.A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vable propert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effect of accurately calculat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vable property based on a plurality of positioning data.

또한, 실내 또는 실외에서 동산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는 효과가 있다.Additionally, it is effective in determining the exact location even if the location of the object changes indoors or outdoors.

또한, 위치정보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함에 기반하여 보다 높은 정확도로 동산의 위치를 파악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has the effect of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property with higher accuracy based on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location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계(S230)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을 나타낸 상세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서버에 대한 블록도이다.
FIG.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ystem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build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build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etailed flowchart showing specific operations for step (S230) of Figure 2.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server that obtains location information of a build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 제 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he terms first, second, A, B,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The term and/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or any item among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at there may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s" or "has"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they have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wi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Before going int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should be made clear that the division of components in this specification is only based on the main function of each component. In other words, two or more components described below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parts with more detailed functions.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를 통해 설명되는 각 구성부들의 존재 여부는 기능적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o the main function that it is responsible for, each component described below may additionally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that other components are responsible for, and some of the main functions that each component is responsible for may be exclusively performed by other components. Accordingly, the existence of each component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be interpreted functionally.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A or B)"는 "오직 A", "오직 B" 또는 "A와 B 모두"를 의미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A or B)"는 "A 및/또는 B(A and/or B)"으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A, B 또는 C(A, B or C)"는 "오직 A", "오직 B", "오직 C", 또는 "A, B 및 C의 임의의 모든 조합(any combination of A, B and C)"를 의미할 수 있다.As used herein, “A or B” can mean “only A”, “only B”, or “both A and B”. In other words, as used herein, “A or B” can be interpreted as “A and/or B”. For example, as used herein, “A, B or C” can mean “only A”, “only B”, “only C”, or “any combination of A, B and C”.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슬래쉬(/)나 쉼표(comma)는 "및/또는(and/or)"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B"는 "A 및/또는 B"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A/B"는 "오직 A", "오직 B", 또는 "A와 B 모두"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B, C"는 "A, B 또는 C"를 의미할 수 있다.As used herein, a slash (/) or a comma can mean "and/or". For example, "A/B" can mean "A and/or B". Accordingly, "A/B" can mean "only A", "only B", or "both A and B". For example, "A, B, C" can mean "A, B, or C".

본 명세서에서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 A and B)"는, "오직 A", "오직 B" 또는 "A와 B 모두"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적어도 하나의 A 또는 B(at least one of A or B)"나 "적어도 하나의 A 및/또는 B(at least one of A and/or B)"라는 표현은 "적어도 하나의 A 및 B(at least one of A and B)"와 동일하게 해석될 수 있다. As used herein, “at least one of A and B” can mean “only A”, “only B” or “both A and B”. Additionally, as used herein, the expressions “at least one of A or B” or “at least one of A and/or B” can be interpreted identically to “at least one of A and B”.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적어도 하나의 A, B 및 C(at least one of A, B and C)"는, "오직 A", "오직 B", "오직 C", 또는 "A, B 및 C의 임의의 모든 조합(any combination of A, B and C)"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A, B 또는 C(at least one of A, B or C)"나 "적어도 하나의 A, B 및/또는 C(at least one of A, B and/or C)"는 "적어도 하나의 A, B 및 C(at least one of A, B and C)"를 의미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is specification, "at least one of A, B and C" can mean "only A", "only B", "only C", or "any combination of A, B and C". Additionally, "at least one of A, B or C" or "at least one of A, B and/or C" can mean "at least one of A, B and C".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order to facilitate an overall understanding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1에 대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용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Before explaining Fig. 1,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defined as follows.

동산(Movables)은 이동 가능한 개인 또는 법인 소유의 재산으로서, 부동산 이외의 모든 종류의 재산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차량, 전자장치, 기계기구, 가구, 귀금속, 장신구, 의류, 소지품, 생활용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동산은 부동산을 제외한 모든 종류의 재산을 포함하는 사전적 의미의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 설명하는 동산은 차량인 경우를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다른 종류의 동산들을 적용할 수 있다.Movables are property owned by individuals or corporations that can move, and include all types of property other than real estate. For example, they can include vehicles, electronic devices, machinery, furniture, precious metals, jewelry, clothing, personal belongings, and household goods. In other words, movables can be used as a dictionary definition of a concept that includes all types of property other than real estate. The movables described below are exemplified as vehicles, but the other types of movables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build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동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시스템(100)은 복수개의 측위 데이터를 기반으로 동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시스템으로서, 자산 정보 획득 장치(110), 자산 정보 획득 장치와 연관된 통신 인프라(120) 및 서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동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시스템(100)을 기반으로 하여, 동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비즈니스 모델(Business Model, BM)이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system (100) for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vable propert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system for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vable property based on a plurality of positioning data, and may include an asset information acquiring device (110), a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120) associated with the asset information acquiring device, and a server (130). Based on the system (100) for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vable property of FIG. 1, a business model (BM) for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vable property may be implemented.

자산 정보 획득 장치(110)는 동산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장치이다. 동산에 부착된다 함은 동산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동산 내부에 탑재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자산 정보 획득 장치(110)는 동산에 부착된 상태에서 동산과 연관된 정보들을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산의 위치 이동에 대한 정보(측위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위치 이동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서 자산 정보 획득 장치(110)는 측위 데이터 수집을 위한 장치(예컨대, GPS 수신기)를 탑재할 수 있다. 자산 정보 획득 장치(110)는 통신단말, IoT 단말, 셋톱 단말, 휴대 단말, 스마트 단말, PDA, 노트북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 설명되는 자산 정보 획득 장치(110)는 셋톱 단말인 경우를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다른 종류의 단말들을 적용할 수도 있다.The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110) is a device that collects information about a movable property. Attached to a movable property means maintaining a state of contact with the movable property or being mounted inside the movable property. In other words, the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110) can collect information related to the movable property while attached to the movable property. For example, information on the movement of the location of the movable property (positioning data) can be collected. In order to collect information on the movement of the location, the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110) can be equipped with a device for collecting positioning data (e.g., a GPS receiver). The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110) can be implemented as a communication terminal, an IoT terminal, a set-top terminal, a portable terminal, a smart terminal, a PDA, a laptop, etc. The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110) described below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set-top terminal, but other types of terminals described above can also be applied.

통신 인프라(120)는 측위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통신 인프라(120)는 자산 정보 획득 장치(110)와 연관된 장치일 수 있다. 연관된다 함은 자산 정보 획득 장치(110)와 물리적으로 가깝거나 신호 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즉, 통신 인프라(120)는 자산 정보 획득 장치(110)와 통신 가능한 거리 이내에 위치한 기지국 또는 신호 강도가 가장 높은 기지국에 탑재된 장치일 수 있다. 통신 인프라(120)는 자산 정보 획득 장치(110)와 마찬가지로 통신단말, IoT 단말, 셋톱 단말, 휴대 단말, 스마트 단말, PDA, 노트북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 설명되는 통신 인프라(120)는 기지국에 탑재된 통신단말인 경우를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다른 종류의 단말들을 적용할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120) is a device that provides positioning data.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120) may be a device associated with the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110). Being associated means being physically close to the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110) or having a high signal strength. In other words,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120) may be a device mounted on a base station located within a distance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110) or a base station having the highest signal strength.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120), like the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110), may be implemented as a communication terminal, an IoT terminal, a set-top terminal, a portable terminal, a smart terminal, a PDA, a laptop, etc.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120) described below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mounted on a base station, but other types of terminals described above may also be applied.

서버(130)는 자산 정보 획득 장치(110) 및 통신 인프라(1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된 측위 데이터를 수신하여 동산의 위치정보를 결정하는 장치이다. 측위 데이터는 대상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서버(130)는 자산 정보 획득 장치(110) 및 통신 인프라(1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된 제 1 측위 데이터 및 제 1 측위 데이터와 서로 다른 방식으로 획득된 제 2 측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 측위 데이터 및 제 2 측위 데이터는 자산 정보 획득 장치(110) 또는 통신 인프라(12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GPS 정보, Cell 기반 위치정보, 와이파이 포지셔닝(WiFi Positioning) 정보, 비콘(Beacon) 기반 위치정보 및 센서 데이터 기반 위치정보를 포함한다. 즉, 제 1 측위 데이터가 GPS 정보라면, 제 2 측위 데이터는 GPS 정보와는 서로 다른 Cell 기반 위치정보, 와이파이 포지셔닝(WiFi Positioning) 정보, 비콘(Beacon) 기반 위치정보 또는 센서 데이터 기반 위치정보일 수 있다. 물론, 제 1 측위 데이터가 Cell 기반 위치정보라면, 제 2 측위 데이터는 Cell 기반 위치정보와는 서로 다른 GPS 정보, 와이파이 포지셔닝(WiFi Positioning) 정보, 비콘(Beacon) 기반 위치정보 또는 센서 데이터 기반 위치정보일 수 있다. 측위 데이터에 대한 예시로 GPS 정보, Cell 기반 위치정보, 와이파이 포지셔닝(WiFi Positioning) 정보, 비콘(Beacon) 기반 위치정보 및 센서 데이터 기반 위치정보를 언급하였으나 실내 위치 식별을 위한 IPS(Indoor Positioning System) 정보 또한 측위 데이터로 이용할 수 있다.The server (130) is a device that determines location information of a movable property by receiving location data acquired from at least one of an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110) and a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120). The location data refers to information that can identify the location of a target. The server (130) can receive first location data acquired from at least one of an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110) and a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120) and second location data acquired in a different manner from the first location data. The first location data and the second location data include GPS information, cell-based location information, WiFi positioning information, beacon-based location information, and sensor data-based location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of an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110) or a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120). That is, if the first positioning data is GPS information, the second positioning data may be cell-based location information, WiFi positioning information, beacon-based location information, or sensor data-based location information that are different from the GPS information. Of course, if the first positioning data is cell-based location information, the second positioning data may be GPS information, WiFi positioning information, beacon-based location information, or sensor data-based location information that are different from the cell-based location information. GPS information, cell-based location information, WiFi positioning information, beacon-based location information, and sensor data-based location information have been mentioned as examples of positioning data, but IPS (Indoor Positioning System) information for indoor location identification can also be used as positioning data.

서버(130)는 이러한 측위 데이터를 복수개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측위 데이터를 수신한 후 제 2 측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1 측위 데이터 및 제 2 측위 데이터를 동시에 수신할 수도 있다. 제 1 측위 데이터 및 제 2 측위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경우, 동산이 이동중인 상황을 고려하여 제 1 측위 데이터와 제 2 측위 데이터 간에 오차값이 크게 발생되지 않도록 짧은 간격 동안에 수신할 수 있다. 서버(130)는 IoT 서버, 클라우드 서버, 엣지 서버, 라우터, 게이트웨이, PC, 스마트 단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 설명되는 서버(130)는 게이트웨이인 경우를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다른 종류의 서버들을 적용할 수도 있다.The server (130) can receive multiple such positioning data. For example, the second positioning data can be received after the first positioning data is received.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positioning data and the second positioning data can be received simultaneously. When the first positioning data and the second positioning data are received sequentially, the first positioning data and the second positioning data can be received at short intervals so that a large error value does not occur between the first positioning data and the second positioning data in consideration of the situation in which the object is moving. The server (130) can be implemented as an IoT server, a cloud server, an edge server, a router, a gateway, a PC, a smart terminal, etc. The server (130) described below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gateway, but other types of servers described above can also be applied.

앞서 자산 정보 획득 장치(110)는 동산에 부착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므로, 정상적인 모니터링 상황에서 자산 정보 획득 장치(110)와 동산의 위치는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130)는 자산 정보 획득 장치(110)로부터 측위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측위 데이터에 대응하는 위치(지점, 스팟, 좌표)가 동산의 위치라고 판단할 수 있다. 반면, 통신 인프라의 측위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서버(130)는 수신된 측위 데이터의 주변(범위, 영역)에 동산이 위치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110) is attached to the movable property, so the locations of the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110) and the movable property may be the same in a normal monitoring situation. Accordingly, when the server (130) receives positioning data from the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110), it can determine that the location (point, spot, coordinat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ing data is the location of the movable property. On the other hand, when receiving positioning data of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the server (130) can determine that the movable property is located in the vicinity (range, area) of the received positioning data.

서버(130)는 상황에 따라 자산 정보 획득 장치(110)의 측위 데이터만 수신할 수도 있고, 통신 인프라(120)의 측위 데이터만 수신할 수도 있고, 자산 정보 획득 장치(110) 및 통신 인프라(120)의 측위 데이터를 모두 수신할 수도 있다. 자산 정보 획득 장치(110)의 측위 데이터 또는 통신 인프라(120)의 측위 데이터만 수신하는 경우, 측위 데이터가 정확한 것인지 아닌지를 비교할 대상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수신된 측위 데이터를 기반으로 동산의 위치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반면, 자산 정보 획득 장치(110) 및 통신 인프라(120)의 측위 데이터를 모두 수신하는 경우, 두 개의 측위 데이터를 기반으로 유효성을 검증하여 동산의 위치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The server (130) may receive only the positioning data of the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110), only the positioning data of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120), or both the positioning data of the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110) and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120), depending on the situation. When only the positioning data of the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110) or the positioning data of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120) is received, there is no object to compare whether the positioning data is accurate or not, s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roperty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received positioning data. On the other hand, when both the positioning data of the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110) and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120) are receive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roperty can be determined by verifying the validity based on the two positioning data.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130)는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서버(130)는 장애 극복(Fail Over) 방식의 유효성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측위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 1 위치정보를 도출하고, 제 1 위치정보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그리고 유효성 검증 결과를 기반으로 제 1 위치정보 또는 제 2 측위 데이터를 기반으로 도출되는 제 2 위치정보를 선택적으로 동산의 위치정보로서 결정할 수 있다. 유효성 검증은 동산이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 내지는 장소에 존재할 수 있는지 또는 이 위치를 이동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제 1 측위 데이터를 기반으로 도출한 제 1 위치정보가 동산(차량)이 이동 가능한 위치인지 판단함으로써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위치정보가 동산이 이동 가능한 위치라고 판단되면, 제 1 위치정보를 동산의 위치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1 위치정보가 동산이 이동 가능한 위치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제 2 측위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 2 위치정보를 도출하고, 제 2 위치정보를 동산의 위치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erver (130) may perform a failover type validation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For example, the server (130) may derive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first positioning data and verify the validity of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Then, based on the result of the validation,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derived based on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or the second location data may be selectively determined 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vable property. The validation may be to determine whether the movable property can exist at a location or plac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r whether the movable property can move to this location. That is, the validity may be verified by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derived based on the first positioning data is a location to which the movable property (vehicle) can move. For example, if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is determined to be a location to which the movable property can move,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vable property. As another example, if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is determined to be not a location where the object can move,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can be derived based on the second positioning data, and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can be determined 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이와 같이, 서버(130)는 도출된 제 1 위치정보가 동산이 이동 가능한 위치인지 판단하기 위해 기 저장된 지도정보에 제 1 위치정보를 매핑시킴에 따라 제 1 위치정보가 지도 상의 어느 위치인지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를 차량이 이동 가능한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도정보에 제 1 위치정보를 매핑시킨 결과, 제 1 위치정보가 도로 위인 것을 확인하면, 차량이 이동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서버(130)는 차량이 이동 가능한 위치에 대한 정보(이동 가능한 위치의 리스트, 인덱스, ID) 또한 지도정보와 함께 저장할 수 있으며 유효성 검증 과정에서 저장된 정보들을 이용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server (130) can determine whether the derived first location information is a movable location by mapping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to the previously stored map information, thereby confirming which location on the map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is,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onfirmed location is movable by the vehicle. For example, if it is confirmed as a result of mapping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to the map information that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is on a road,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movable. The server (130) can also store information on locations to which the vehicle is movable (a list of movable locations, an index, an ID) together with the map information, and can utilize the stored information in the validation process.

한편, 서버(130)는 제 1 위치정보를 도출하기 이전에 제 1 측위 데이터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수행함에 기반하여 동산의 위치정보를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서버(130)는 자산 정보 획득 장치(110) 또는 통신 인프라(120)로부터 수신된 제 1 측위 데이터가 올바른 값인지 판단함에 따라 유효성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측위 데이터가 GPS 정보인 경우, GPS 프로토콜(NMEA 0183)이 정해진 규격에 따른 것인지, 정해진 형식으로 수신되었는지, GPS 신호 인증을 위한 인증서 내지는 인증 프로토콜이 유효한 것인지 판단함으로써 제 1 측위 데이터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결과, 제 1 측위 데이터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면, 제 1 위치정보를 도출하고, 제 1 위치정보를 동산의 위치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제 1 측위 데이터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제 2 측위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 2 위치정보를 도출하고, 제 2 위치정보를 동산의 위치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erver (130) may also determin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vable property based on the validity verification of the first positioning data before deriving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The server (130) may perform the validity verification by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positioning data received from the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110) or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120) is a correct value. For example, if the first positioning data is GPS information, the validity verification of the first positioning data may be performed by determining whether the GPS protocol (NMEA 0183) complies with a set standard, whether it was received in a set format, and whether a certificate or authentication protocol for GPS signal authentication is valid. As a result, if the first positioning data is determined to be valid,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may be derived and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vable property. If the first positioning data is determined to be invalid,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may be derived based on the second positioning data and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vable property.

한편, 서버(130)는 제 1 측위 데이터 및 제 2 측위 데이터 뿐만 아니라 제 3 측위 데이터를 더 이용하여 동산의 위치정보를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제 3 측위 데이터는 제 1 측위 데이터 및 상기 제 2 측위 데이터와 서로 다른 방식으로 획득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 1 측위 데이터가 GPS 정보이고, 제 2 측위 데이터가 Cell 기반 위치정보라면, 제 3 측위 데이터는 센서(지자기센서, 진동센서) 데이터 기반 위치정보일 수 있다. 물론, 제 1 측위 데이터가 Cell 기반 위치정보이고, 제 2 측위 데이터가 센서 데이터 기반 위치정보이고, 제 3 측위 데이터가 GPS 정보일 수도 있다. 즉, 제 1 내지 제 3 측위 데이터들은 각각 중복된 방식으로 측정되지 않은 정보일 수 있다.Meanwhile, the server (130) may determin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by using not only the first location data and the second location data, but also the third location data. Here, the third location data means that it is acquired in a different manner from the first location data and the second location data. For example, if the first location data is GPS information and the second location data is cell-based location information, the third location data may be sensor (geomagnetic sensor, vibration sensor) data-based location information. Of course, the first location data may be cell-based location information, the second location data may be sensor data-based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third location data may be GPS information. In other words, the first to third location data may be information that is not measured in a duplicated manner, respectively.

서버(130)는 제 1 측위 데이터 내지 제 3 측위 데이터를 기반으로 동산의 위치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앞서 제 1 측위 데이터 및 제 2 측위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제 1 측위 데이터(또는 제 1 위치정보)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제 1 측위 데이터 내지 제 3 측위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제 1 측위 데이터(또는 제 1 위치정보)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고,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제 2 측위 데이터(또는 제 2 위치정보)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측위 데이터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제 3 측위 데이터(또는 제 3 위치정보)를 동산의 위치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The server (130) can determin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based on the first positioning data to the third positioning data. In the case where the first positioning data and the second positioning data are received, similarly to performing validity verification on the first positioning data (or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when the first positioning data to the third positioning data are received, validity verification on the first positioning data (or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can be performed, and if it is determined to be invalid, validity verification on the second positioning data (or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can be sequentially performed. In addition, if the second positioning data is determined to be invalid, the third positioning data (or the third location information) can be determined 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FIG. 2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build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동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S210 내지 S230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동산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1을 통해 설명한 서버(130)에 의한 동작으로 설명된다.Referring to Fig. 2, the method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real estate includes steps S210 to S230. The method for providing a real estate management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explained by the operation by the server (130) described through Fig. 1.

S210 단계에서 서버(130)는 자산 정보 획득 장치 및 자산 정보 획득 장치와 연관된 통신 인프라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된 제 1 측위 데이터를 수신한다. 서버(130)는 자산 정보 획득 장치가 측정한 측위 데이터 및 통신 인프라가 측정한 측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 1 측위 데이터로 수신한다. In step S210, the server (130) receives first positioning data acquired from at least one of an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and a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ssociated with the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The server (130) receives at least one of the positioning data measured by the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and the positioning data measured by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s the first positioning data.

S220 단계에서 서버(130)는 자산 정보 획득 장치 및 자산 정보 획득 장치와 연관된 통신 인프라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된 제 2 측위 데이터를 수신한다. 서버(130)는 자산 정보 획득 장치가 측정한 측위 데이터 및 통신 인프라가 측정한 측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 2 측위 데이터로 수신한다. 이때, 제 1 측위 데이터 및 제 2 측위 데이터는 서로 다른 방식으로 측정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측위 데이터가 자산 정보 획득 장치 또는 통신 인프라의 GPS 정보라면, 제 2 측위 데이터는 자산 정보 획득 장치 또는 통신 인프라의 Cell 기반 위치정보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1 측위 데이터가 자산 정보 획득 장치 또는 통신 인프라의 Cell 기반 위치정보라면, 제 2 측위 데이터는 자산 정보 획득 장치 또는 통신 인프라의 GPS 정보 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제 1 측위 데이터 및 제 2 측위 데이터는 서로 다른 방식으로 측정되는 정보일 수 있다. In step S220, the server (130) receives second positioning data acquired from at least one of the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and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ssociated with the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The server (130) receives at least one of the positioning data measured by the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and the positioning data measured by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s second positioning data. At this time, the first positioning data and the second positioning data may be measured in different ways. For example, if the first positioning data is GPS information of the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or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the second positioning data may be Cell-bas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or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s another example, if the first positioning data is Cell-bas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or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the second positioning data may be GPS information of the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or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In other words, the first positioning data and the second positioning data may be information measured in different ways.

동산이 실시간으로 이동중인 경우, 측위 데이터를 획득하는 시점에 따라 동산의 위치가 서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시점에서 동산의 위치가 (x1, y1)이었다면, 제 2 시점에서는 동산의 위치가 (x2, y2)로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서버(130)는 동산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결정하기 위해서 자산 정보 획득 장치 및 통신 인프라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동일 시점 내지는 짧은 간격 동안에 획득된 제 1 측위 데이터 및 제 2 측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즉, S210 단계와 S220 단계가 동시에 수행되거나 짧은 간격 동안에 수행될 수 있다.When the asset is moving in real time, the location of the asset may differ depending on the time point at which the positioning data is acquired. For example, if the location of the asset is (x1, y1) at a first time point, the location of the asset may change to (x2, y2) at a second time point. Considering this, the server (130) may receive the first positioning data and the second positioning data acquired at the same time point or during a short interval from at least one of the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and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in order to more accuratel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asset. That is, steps S210 and S220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during a short interval.

S230 단계에서 서버(130)는 제 1 측위 데이터 및 제 2 측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동산의 위치정보를 결정한다. 일 예로, 서버(130)는 제 1 측위 데이터만 수신된 경우, 제 1 측위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 1 위치정보를 도출하고, 이를 동산의 위치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130)는 제 2 측위 데이터만 수신된 경우, 제 2 측위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 2 위치정보를 도출하고, 이를 동산의 위치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130)는 제 1 측위 데이터 및 제 2 측위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앞서 도 1을 통해 설명한 유효성 검증 방식에 따라 동산의 위치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더 신뢰도가 높은 측위 데이터를 동산의 위치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In step S230, the server (130) determin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positioning data and the second positioning data. For example, if only the first positioning data is received, the server (130) may derive first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first positioning data and determine this 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As another example, if only the second positioning data is received, the server (130) may deriv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second positioning data and determine this 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As another example, if the first positioning data and the second positioning data are received, the server (130) may determin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according to the validity verification method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That is, location data with higher reliability may be determined 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도 3은 도 2의 단계(S230)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을 나타낸 상세순서도이다.Figure 3 is a detailed flowchart showing specific operations for step (S230) of Figure 2.

도 3을 참조하면 S310 단계 내지 S330 단계는 서버(130)에 의한 동작으로 설명된다. 서버(130)는 앞서 도 2를 통해 설명한 S230 단계를 세분화하여 S310 내지 S33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steps S310 to S330 are described as operations by the server (130). The server (130) can perform steps S310 to S330 by subdividing step S230 described above through FIG. 2.

S310 단계에서 서버(130)는 제 1 측위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 1 위치정보를 도출한다. 서버(130)는 사전에 지도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제 1 측위 데이터를 지도정보 상에 매핑하는 것으로 제 1 위치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In step S310, the server (130) derives first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first positioning data. The server (130) stores map information in advance, and can derive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by mapping the first positioning data onto the map information.

S320 단계에서 서버(130)는 제 1 위치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한다. 서버(130)는 제 1 위치정보가 동산이 이동 가능한 위치인지 판단함으로써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앞서 도 1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서버(130)는 제 1 측위 데이터를 기반으로 도출된 제 1 위치정보의 유효성 검증을 수행할 수도 있고, 제 1 측위 데이터의 유효성 검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In step S320, the server (130) verifies the validity of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The server (130) can verify the validity by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is a location where the real estate can mov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the server (130) can verify the validity of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derived based on the first positioning data, or can verify the validity of the first positioning data.

S330 단계에서 서버(130)는 유효성을 검증함에 기반하여 제 1 위치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면, 제 1 위치정보를 동산의 위치정보로 결정한다. 일 예로, 동산이 차량이고, 지도정보 상에 매핑한 제 1 위치정보가 고속도로라면, 차량이 이동 가능한 위치이므로, 제 1 위치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130)는 제 1 위치정보를 동산의 위치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동산이 차량이고, 지도정보 상에 매핑한 제 1 위치정보가 수영장이라면, 차량이 수영장을 이동할 수는 없으므로, 제 1 위치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130)는 제 1 위치정보를 드랍하고, 제 2 측위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 2 위치정보를 도출하고, 제 2 위치정보를 동산의 위치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At step S330, if the server (130) determines that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is valid based on the verification of validity, it determines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vable property. For example, if the movable property is a vehicle and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mapped on the map information is a highway,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can be determined to be valid since it is a location where the vehicle can move. Accordingly, the server (130) can determine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vable property. As another example, if the movable property is a vehicle and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mapped on the map information is a swimming pool,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can be determined to be invalid since the vehicle cannot move to the swimming pool. Accordingly, the server (130) can drop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derive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using the second positioning data, and determine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vable property.

한편, 도 1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측위 데이터 및 제 2 측위 데이터와 더불어 제 3 측위 데이터를 더 수신하는 경우에는 제 1 내지 제 3 측위 데이터를 기반으로 동산의 위치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위치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한 결과, 유효하지 않으면 제 2 위치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그 결과 유효하지 않으면 제 3 위치정보를 동산의 위치정보로 도출할 수 있다.Meanwhile, as explained through Fig. 1, when receiving third position data in addition to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 data,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first to third position data. For example, if the validity of the first position information is verified as invalid, the validity of the second position information can be verified, and if the result is invalid, the third position information can be derived 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서버에 대한 블록도이다.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server that obtains location information of a build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동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서버(400)는 통신모듈(410), 프로세서(420) 및 메모리(430)를 포함한다. 동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서버(400)는 앞서 도 1을 통해 설명한 서버(130)로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 server (400)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building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410), a processor (420), and a memory (430). The server (400)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building can be implemented as the server (130) described above through FIG. 1.

통신모듈(410)은 자산 정보 획득 장치 및 통신 인프라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된 제 1 측위 데이터, 제 2 측위 데이터를 수신한다. 통신모듈(410)은 자산 정보 획득 장치 또는 통신 인프라와 3G, 4G, 5G 등의 이동통신이 가능한 모듈 또는 모뎀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module (410) receives first positioning data and second positioning data acquired from at least one of an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and a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The communication module (410) may be implemented as a module or modem capable of mobile communication such as 3G, 4G, or 5G with the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or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프로세서(420)는 수신된 제 1 측위 데이터 및 제 2 측위 데이터를 기반으로 동산의 위치정보를 결정한다. 프로세서(420)는 서버(400)의 CPU 내지는 AP로 구현될 수 있다.The processor (420) determin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based on the received first positioning data and second positioning data. The processor (420) may be implemented as a CPU or AP of the server (400).

메모리(430)는 프로세서(420)에서 도출된 위치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430)는 유효성 검증 과정에서 사용하는 지도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430)에 저장되는 위치정보는 프로세서(420)의 제어 하에 통신모듈(410)을 통해 수신인(예를 들어, 동산의 소유자, 동산에 담보권을 설정한 권리자, 시스템의 관리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 메모리(430)는 서버(400)의 HDD 내지는 SSD와 같은 스토리지로 구현될 수 있다.The memory (430) stores the location information derived from the processor (420). The memory (430) can further store map information used in the validity verification process.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430) can be transmitted to a recipient (e.g., an owner of real estate, a right holder who has established a security interest in the real estate, an administrator of the system)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410)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420). The memory (430) can be implemented as a storage such as an HDD or SSD of the server (400).

한편, 상술한 서버(400)는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실행 가능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server (400)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or application) including an executable algorithm that can be executed on a computer. The program may be provided by being stored on a temporary or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되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real est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o help understanding,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17)

동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있어서,
동산(Movables)에 부착된 자산 정보 획득 장치 및 상기 자산 정보 획득 장치와 연관된 통신 인프라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된 제 1 측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자산 정보 획득 장치 및 상기 통신 인프라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제 1 측위 데이터와 서로 다른 방식으로 획득된 제 2 측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측위 데이터 및 상기 제 2 측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동산의 위치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In a method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building,
A step of receiving first positioning data acquired from at least one of an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attached to a Movables and a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ssociated with the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A step of receiving second positioning data acquired in a different manner from the first positioning data from at least one of the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and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nd
A method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vable property,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vable property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location data and the second location dat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위 데이터는, 상기 자산 정보 획득 장치 및 상기 통신 인프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GPS 정보, Cell 기반 위치정보, 와이파이 포지셔닝(WiFi Positioning) 정보, 비콘(Beacon) 기반 위치정보 및 센서 데이터 기반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측위 데이터는, 상기 자산 정보 획득 장치 및 상기 통신 인프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GPS 정보, Cell 기반 위치정보, 와이파이 포지셔닝(WiFi Positioning) 정보, 비콘(Beacon) 기반 위치정보 및 센서 데이터 기반 위치정보 중 상기 제 1 측위 데이터와 서로 다른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In paragraph 1,
The first positioning data includes at least one of GPS information, cell-based location information, WiFi positioning information, beacon-based location information, and sensor data-based location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of the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and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 method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real estate, wherein the second location data includes at least one different from the first location data among GPS information, cell-based location information, WiFi positioning information, beacon-based location information, and sensor data-based location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of the asset information obtaining device and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위 데이터는 상기 GPS 정보이고,
상기 제 2 측위 데이터는 상기 Cell 기반 위치정보인, 동산의 위치를 획득하는 방법.
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first positioning data is the GPS information,
The above second positioning data is a method for obtaining the location of a building, which is the cell-based location informa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위 데이터는 상기 Cell 기반 위치정보이고,
상기 제 2 측위 데이터는 상기 GPS 정보인, 동산의 위치를 획득하는 방법.
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first positioning data is the cell-based location information,
A method for obtaining the location of a building, wherein the second positioning data is the GPS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산의 위치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측위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 1 위치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제 1 위치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단계; 및
상기 검증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위치정보 또는 상기 제 2 측위 데이터를 기반으로 도출되는 제 2 위치정보를 선택적으로 상기 위치정보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In the first paragraph, the step of determin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roperty is:
A step of deriving first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first positioning data;
A step of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nd
A method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real estate, comprising a step of selectively determining second location information derived from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or the second positioning data as the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verification resul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로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검증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위치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 1 위치정보를 상기 동산의 위치정보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In the fifth paragraph, the step of determining the location information is,
A method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vable property,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vable property if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is determined to be valid based on the verification resul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동산의 위치정보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검증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위치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 2 위치정보를 상기 동산의 위치정보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In the fifth paragraph, the step of determin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bove property is,
A method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vable property,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vable property if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is determined to be invalid based on the verification resul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산 정보 획득 장치 및 상기 통신 인프라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제 1 측위 데이터 및 상기 제 2 측위 데이터와 서로 다른 방식으로 획득된 제 3 측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측위 데이터. 상기 제 2 측위 데이터 및 상기 제 3 측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동산의 위치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In paragraph 1,
A step of receiving third positioning data acquired in a different manner from the first positioning data and the second positioning data from at least one of the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and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nd
A method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vable property,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vable property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location data, the second location data and the third location data.
동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서버에 있어서,
동산(Movables)에 부착된 자산 정보 획득 장치 및 상기 자산 정보 획득 장치와 연관된 통신 인프라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된 제 1 측위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측위 데이터와 서로 다른 방식으로 획득된 제 2 측위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제 1 측위 데이터 및 상기 제 2 측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동산의 위치정보를 결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동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서버.
In the server that obtain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ark,
A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first positioning data acquired from at least one of an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attached to a Movables and a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ssociated with the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and receiving second positioning data acquired in a different manner from the first positioning data; and
A server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vable property, comprising a processor that determin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vable property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location data and the second location data.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위 데이터는, 상기 자산 정보 획득 장치 및 상기 통신 인프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GPS 정보, Cell 기반 위치정보, 와이파이 포지셔닝(WiFi Positioning) 정보, 비콘(Beacon) 기반 위치정보 및 센서 데이터 기반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측위 데이터는, 상기 자산 정보 획득 장치 및 상기 통신 인프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GPS 정보, Cell 기반 위치정보, 와이파이 포지셔닝(WiFi Positioning) 정보, 비콘(Beacon) 기반 위치정보 및 센서 데이터 기반 위치정보 중 상기 제 1 측위 데이터와 서로 다른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서버.
In Article 9,
The first positioning data includes at least one of GPS information, cell-based location information, WiFi positioning information, beacon-based location information, and sensor data-based location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of the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and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 server for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real estate, wherein the second location data includes at least one of GPS information, cell-based location information, WiFi positioning information, beacon-based location information, and sensor data-based location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of the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and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first location data.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위 데이터는 상기 GPS 정보이고,
상기 제 2 측위 데이터는 상기 Cell 기반 위치정보인, 동산의 위치를 획득하는 서버.
In Article 10,
The above first positioning data is the GPS information,
The above second positioning data is a server that obtains the location of the property, which is the cell-based location information.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위 데이터는 상기 Cell 기반 위치정보이고,
상기 제 2 측위 데이터는 상기 GPS 정보인, 동산의 위치를 획득하는 서버.
In Article 10,
The above first positioning data is the cell-based location information,
The above second positioning data is a server that obtains the location of the property, which is the GPS informat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측위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 1 위치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제 1 위치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상기 검증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위치정보 또는 상기 제 2 측위 데이터를 기반으로 도출되는 제 2 위치정보를 선택적으로 상기 위치정보로서 결정하는, 동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서버.
In Article 9,
A server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real estate, wherein the processor derives first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first positioning data, verifies the validity of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nd selectively determines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or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derived based on the second positioning data as the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verification result.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검증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위치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 1 위치정보를 상기 동산의 위치정보로 결정하는, 동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서버.
In Article 13,
The above processor is a server that obtains location information of a movable property, which determines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vable property if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is determined to be valid based on the verification result.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검증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위치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 2 위치정보를 상기 동산의 위치정보로 결정하는, 동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서버.
In Article 13,
The above processor is a server that obtains location information of a movable property, which determines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vable property if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is determined to be invalid based on the verification resul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자산 정보 획득 장치 및 상기 통신 인프라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제 1 측위 데이터 및 상기 제 2 측위 데이터와 서로 다른 방식으로 획득된 제 3 측위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측위 데이터. 상기 제 2 측위 데이터 및 상기 제 3 측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동산의 위치정보를 결정하는, 동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서버.
In Article 9,
The above communication module receives third positioning data acquired in a different manner from the first positioning data and the second positioning data from at least one of the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and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The above processor is a server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ving object, which determin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location data, the second location data, and the third location data.
동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동산(Movables)에 부착된 자산 정보 획득 장치;
상기 자산 정보 획득 장치와 연관된 통신 인프라; 및
상기 자산 정보 획득 장치 및 상기 통신 인프라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된 제 1 측위 데이터 및 상기 제 1 측위 데이터와 서로 다른 방식으로 획득된 제 2 측위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측위 데이터 및 상기 제 2 측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동산의 위치정보를 결정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동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시스템.
In a system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building,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attached to Movables;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ssociated with the above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and
A system for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vable property, comprising a server that receives first location data acquired from at least one of the asset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and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nd second location data acquired in a different manner from the first location data, and determin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vable property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location data and the second location data.
KR1020230051372A 2023-04-19 2023-04-19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movables Pending KR20240154884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1372A KR20240154884A (en) 2023-04-19 2023-04-19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movables
JP2023150711A JP2024155676A (en) 2023-04-19 2023-09-19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MOVABLE PROPERTY - Patent appl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1372A KR20240154884A (en) 2023-04-19 2023-04-19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movab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54884A true KR20240154884A (en) 2024-10-28

Family

ID=93259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1372A Pending KR20240154884A (en) 2023-04-19 2023-04-19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movable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24155676A (en)
KR (1) KR20240154884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631A (en) 2016-10-26 2018-05-04 최용준 Method of managing asset collateral risk and apparatuses perform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95190B1 (en) * 2008-06-04 2012-06-05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of determining a location of a dual-mode device
JP2010151629A (en) * 2008-12-25 2010-07-08 Ntt Docomo Inc Positioning system and positioning method
JP2012032927A (en) * 2010-07-29 2012-02-16 At E Design Co Ltd Positio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US9373015B2 (en) * 2012-06-05 2016-06-21 Willard Eugene Swenson, JR. Asset verification and tagging
JP6918634B2 (en) * 2017-08-22 2021-08-11 キヤノン株式会社 Imaging equipment, control methods and programs
JP7006076B2 (en) * 2017-09-22 2022-01-24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and programs
JP6704570B1 (en) * 2019-07-03 2020-06-03 Rfルーカス株式会社 Position detection system, position specifying device, and position specifying program
JP2021162582A (en) * 2020-03-30 2021-10-11 トッパン・フォームズ株式会社 Position management device, position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631A (en) 2016-10-26 2018-05-04 최용준 Method of managing asset collateral risk and apparatuses perform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155676A (en) 2024-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82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analysis comparing a wireless device location with another geographic location
US94328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analysis comparing a wireless device location with another geographic location
US1008512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device location using wireless data and other geographical location data
AU200734923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analysis comparing a wireless device location with another geographic location
WO20182305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authenticating map data using blockchains
US20170308898A1 (en) System and method of recognizing transactions as trusted
US9779449B2 (en) Veracity determination through comparison of a geospatial location of a vehicle with a provided data
US10453065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terminal location
US8260316B2 (en) Movement distance falsification preventing system and method
CN103797495A (en) Biometric chain of provenance
CN106454747B (en) Wireless positioning method of mobile phone terminal
EP2902982A1 (en)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for out-of-bounds mobile pos terminals
CN104205143A (en) Transaction validation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 terminal using location data
CN105631662A (en) NFC payment method, NFC payment system and mobile terminal
CN104951933A (en) Security payment method and mobile terminal
CN110648213A (en) Address verific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KR20240154884A (en)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movables
KR102034143B1 (en) Method and application for judgement of fake gps location information
CN114331520B (en) Sales lead data supervision method, devic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equipment
KR101048366B1 (en) Position measuring device and method and position measuring system using same
CN112150297A (en) Work order fraud prevention method based on positioning system and biological sign recognition
KR20240154883A (en)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providing movables management service
CN114140111A (en) Account risk evaluation method based on geographic position
CN112070936A (en) Pedestrian target identification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CN112532934B (en) Multi-dimensional cooperative monito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