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58665A - aquarium filter - Google Patents
aquarium fil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58665A KR20240158665A KR1020230055647A KR20230055647A KR20240158665A KR 20240158665 A KR20240158665 A KR 20240158665A KR 1020230055647 A KR1020230055647 A KR 1020230055647A KR 20230055647 A KR20230055647 A KR 20230055647A KR 20240158665 A KR20240158665 A KR 2024015866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quarium
- water
- circulation
- filtering
- fil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7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3610 charco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8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27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847 structural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2—Loose filtering material, e.g. loose fibres
- B01D39/04—Organic material, e.g. cellulose, cott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2—Loose filtering material, e.g. loose fibres
- B01D39/06—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fibres, glass beads or fibr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족관(1) 내부에 물(2)을 순환 및 여과하는 장치에 관련되며,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중앙의 분리벽(11)을 기준하여 하방으로 전면이 개방되면서 격벽(13)이 형성된 전면개방부(12)를 구비하고, 분리벽(11)의 상부로는 상단이 개방되면서 전면으로 유도판(17)이 형성된 상단개방부(15)를 구비하는 본체(10); 상기 분리벽(11)의 통공(11a) 상에 결합하고, 수족관(1)의 물(2)을 전면개방부(12)에서 상단개방부(15)로 퍼올려 순환하는 순환모터(21)를 구비하는 순환수단(20); 및 상기 순환수단(20)을 사용한 물(2)의 순환작업시 순환모터(21)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여 여과하도록 구비하는 여과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경박단소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수족관 내부에 저장된 물을 본체, 순환수단, 여과수단의 구성을 사용하여 수족관의 외벽상에 탈부착 고정한 상태에서 내부의 물을 전면개방부에서 순환모터를 통하여 상단개방부로 퍼올려서 상단개방부의 전면에 구비된 유도판으로 다시 낙하하는 순환작업을 진행하면서 순환모터를 통하여 수족관 내부의 물에 섞여있는 이물질을 여과재로 걸러내는 여과작업까지 동시에 진행할 수 있고, 청소시 수족관 내부의 물을 별도로 배출하지 않은 상태에서 물을 순환시키면서 수족관을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는 동시에 필요시 여과수단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간편하게 세척한 후 손쉽게 설치가능하고, 수조의 크기별로 높이가 다양한데, 이러한 여러 크기의 수조에 자유롭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과 경제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circulating and filtering water (2) inside an aquarium (1),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s a feature of its configuration, a front opening portion (12) having a partition wall (13) formed therein while being open at the front with respect to a central dividing wall (11) as a standard, and an upper opening portion (15) having a guide plate (17) formed at the front while being open at the top of the dividing wall (11); a circulation means (20) coupled to a hole (11a) of the dividing wall (11) and having a circulation motor (21) for pumping and circulating water (2) in an aquarium (1) from the front opening portion (12) to the upper opening portion (15); and a filtering means (30) provided to filter and block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into the circulation motor (21) when circulating water (2) using the circulation means (20).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lightweight and simple structure, and uses a composition of a main body, a circulation means, and a filtering means to store water inside an aquarium, and to detachably fix the water on the outer wall of the aquarium, and to pump the water inside through a circulation motor from a front opening to an upper opening and to drop it back down to an induction plat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upper opening, and at the same time,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mixed in the water inside the aquarium with a filter medium through the circulation motor, and to clean the aquarium easily while circulating the water without separately discharging the water inside the aquarium during cleaning, and at the same time, if necessary, only the filtering means can be separated and easily washed and then easily installed, and the height varie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aquarium, and since it can be freely installed and used in tanks of various sizes, the convenience and economy of use are maximiz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족관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경박단소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수족관 내부에 저장된 물을 본체, 순환수단, 여과수단의 구성을 사용하여 수족관의 외벽상에 탈부착 고정한 상태에서 내부의 물을 전면개방부에서 순환모터를 통하여 상단개방부로 퍼올려서 상단개방부의 전면에 구비된 유도판으로 다시 낙하하는 순환작업을 진행하면서 순환모터를 통하여 수족관 내부의 물에 섞여있는 이물질을 여과재로 걸러내는 여과작업까지 동시에 진행할 수 있고, 청소시 수족관 내부의 물을 별도로 배출하지 않은 상태에서 물을 순환시키면서 수족관을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는 동시에 필요시 여과수단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간편하게 세척한 후 손쉽게 설치가능하고, 수조의 크기별로 높이가 다양한데, 이러한 여러 크기의 수조에 자유롭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과 경제성이 극대화되는 수족관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quarium filtration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quarium filtration device having a lightweight and simple structure, wherein the water stored inside the aquarium is detachably fixed to the outer wall of the aquarium by using a configuration of a main body, a circulation means, and a filtering means, and the water inside is pumped up from a front opening to an upper opening through a circulation motor and dropped back down to an induction plat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upper opening, while simultaneously performing a filtration operation of filtering out foreign substances mixed in the water inside the aquarium with a filter medium through the circulation motor, and the aquarium can be easily cleaned by circulating the water without separately discharging the water inside the aquarium during cleaning, and at the same time, only the filtering means can be separated separately and easily washed when necessary, and the height varie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aquarium, and the convenience and economy of use are maximized because the device can be freely installed and used in tanks of various sizes.
통상, 수족관은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각종업소 등에 설치하여 관상어를 기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수족관은 통상적으로 직사각 형상을 갖도록 하여 상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가 투시되어 보일 수 있도록 유리로 제작되어 물이 담겨진 수족관 내에서 관상어가 노닐 수 있게 하고, 상기 수족관의 일측에는 기포발생기를 구성하여 이로부터 발생되는 기포에 의해 산소를 공급시켜 주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수족관 내에 담수되어 있는 물은 관상어의 먹이 또는 배설물 등에 의해 일정기간에 경과하게 되면 더러워져 미관상 좋지 못하게 되고, 특히 관상어가 살수가 없게 되어 상기의 물을 주기적으로 갈아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이로 인해 물의 사용량이 많아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Typically, aquariums are installed in homes, offices, or various businesses to raise ornamental fish. These aquariums are usually rectangular in shape, with the top open so that the inside can be seen through, and are made of glass so that ornamental fish can play in the aquarium containing water. A bubble generator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aquarium so that oxygen is supplied by the bubbles generated therefrom. However, the fresh water in the aquarium becomes dirty over a certain period of time due to the food or excrement of the ornamental fish, making it unsightly. In particular, since the ornamental fish cannot live in the water, the water must be changed periodically, which is a hassle, and as a result, the amount of water used increases, which is a disadvantage.
이처럼 상기와 같은 번거로움이 있어, 최근에는 수조관 내에 내장시켜 주어 먹이나 배설물 등을 걸러주어 이들에 의해 더러워지는 물을 깨끗히 여과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여과장치가 소개된 바 있으나, 이들은 구조가 복잡하고 부피가 크게 되어 있어 제작 및 설치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 및 개발을 다양하게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Due to the above-mentioned inconvenience, a filtering device has been introduced recently that is installed inside the tank to filter out food and excrement, etc., and to purify the water that becomes dirty by these substances. However, these have a complex structure and are large in volume, making them difficult to manufacture and install. Therefore, various research and development efforts are being conducted to solve this problem.
이와 관련하여 참조할 수 있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1994-0005080호(선행문헌 1),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20-1996-0008685호(선행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56799호(선행문헌 3) 등이 제시되고 있다.In this regard, as prior art documents that can be referenced, the following are presented: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4-0005080 (prior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6-0008685 (prior document 2), and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156799 (prior document 3).
선행문헌 1은 물과 공기가 각각 흡입되는 흡수구(4)와 흡기구(5) 및 흡입된 물과 공기가 함께 토출되는 공통토출구(6)가 형성되어 있는 펌프케이스(3) 내에 모터(9)와 임펠러(10)가 내장되어 된 펌프구조체와, 이 펌프구조체로 흡입되는 물로부터 오물을 걸러내는 필터구조체를 결합하여 되는 어항용 여과기에 있어서, 상기 펌프구조체는, 상기 펌프케이스(3)에 산성의 물을 약알칼리성으로 변화시키는 수질개량제를 넣을 수 있는 공간부(7)와 이 공간부(7)로 어항의 물이 스며들 수 있는 통공(8)이 형성되고, 토출되는 물과 공기의 토출높이와 토출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선택개폐토록 하는 상하의 출구(11a)(11b)를 갖고 있으며, 상기 공통토출구(6)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관(11)을 구비하여 되며, 상기 필터구조체는, 상단부가 상기 펌프케이스(3)에 착탈되고 하단부에 뚜껑(14)이 결합되며 그 하단 전면의 유입구(16)와 상단의 유출구(17)를 가지는 필터케이스(13)와, 이 필터케이스(13)의 내면과 간격을 두고 수납적층되고 중공부(24)를 갖는 복수의 필터(15a)(15b)(15c)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항용 여과기를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 1에 의하면 어항용 여과기는 어항의 일정 위치에 고정되므로 어항 내의 수분 증발 등에 따른 어항 내의 수위 변화시 능동적인 대처가 어려워 여과성능이 저하되고 펌프의 고장을 유발한다. 즉 수분이 증발하면서 수위가 낮아지는 경우, 펌프, 흡수구 등이 수면 위로 노출되어 펌프가 물에 의해 냉각되지 않으면서 과열되고, 흡수구를 통해 물이 공급되지 않으면서 펌프의 고장이나 수명이 단축을 초래한다. 그리고 펌프케이스를 낮게 설치하여 흡수구 및 공통토출구가 위치하는 부분의 수심이 깊은 경우, 수압으로 인해 펌프의 흡입력 및 토출력이 저하되면서 물의 순환속도가 저하되고 기포 발생량이 감소하게 되므로 여과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선행문헌 2는 수족관의 내부에 내장되어 먹이나 배설물 등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이물질 여과장치에 있어서, 내부가 투시되어 보일수 있도록 하여 소정의 크기를 갖고 상면이 개방되는 집수통(410)과, 상기 집수부의 일측면 상단에 구성되어 공급호오스(300)의 끝단과 연결되어 기포가 집수통(4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입수관(420)과, 상기 입수관의 타측 방향에 위치하도록 집수부의 하단 일측면에 구성되어 수족관 내의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유입관(430)과, 상기 집수통의 상면에 나선체결 되어 집수통을 밀폐시켜 주고 중앙에 집수통과 연통되도록 하여 기포와 물이 상부로 배출될수 있는 배출구(441)가 구비된 마개(440)로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의 여과장치를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 2에 의하면 기포와 물이 상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물을 순환시켜주는 효과는 제공하지만, 먹이나 배설물에 의한 오염에 의한 이물을 집수통내에서 걸러주는 주요구성이 없어 깨끗한 상태를 유지시켜주어 정기적으로 물을 갈아주는 번거로움과, 물의 낭비를 최소로 줄이게 되거나, 관상어가 죽는 일이 없고 미관을 찌푸리지 않게 하는 효과는 제공하지 않거나 제공할 수 없는 기술에 해당하고 있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구성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선행문헌 3은 일정 형태를 갖는 수족관(100)의 내부공간을 상층의 서식구역(10)과 하층의 여과구역(11)으로 수평 구획하고, 상부면에 바닥재(12)가 적층되는 다공의 수평칸막이(30)와; 상기 수평칸막이(30)의 일정 부분에 장착되고, 여과필터(43)를 구비하여 서식구역(10)의 물을 흡입ㆍ여과하여 여과구역(11)으로 토출시키는 여과장치(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평칸막이(30)는, 다공을 구비하고 수족관(100)의 하부면과 수평방향을 갖는 판상의 수평판(31)과; 일정의 높이를 갖고, 상기 수평판(31)의 하부 외주연 일정부분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지지대(32)와; 서로 인접한 한쪽의 지지대(32)와 다른 한쪽의 지지대(32) 사이에 측부 양단이 각각 체결되는 측판(3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평판(31), 지지대(32) 및 측판(3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평칸막이(30-1) 복수 개가 수평방향으로 복수 개가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능을 갖는 수족관을 제안한다.Prior art document 3 is configured to include a porous horizontal partition (30) that horizontally divides the internal space of an aquarium (100) having a certain shape into an upper-layer habitat zone (10) and a lower-layer filtration zone (11), and a bottom material (12)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a filtering device (40) that is mounted on a certain portion of the horizontal partition (30) and has a filtration filter (43) to suck in and filter water from the habitat zone (10) and discharge it to the filtration zone (11); and the horizontal partition (30) includes a horizontal plate (31) that has porosity and is horizontal to the lower surface of the aquarium (100); a plurality of supports (32) that have a certain height and are provided on a certain portion of the lower outer periphery of the horizontal plate (31);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aquarium having a filtration function, which comprises a side plate (33) in which each side end is connected between a support (32) on one side and a support (32) on the other side that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partitions (30-1) comprising the horizontal plate (31), the support (32), and the side plate (33) are connected in a plurality of horizontal directions.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 3에 의하면, 펌프를 이용하여 물을 순환시키므로 수류가 비교적 세고, 따라서 물고기나 수초 등의 생장에 지장을 주고 치어나 작은 물고기가 흡입구로 빨려 들어가 죽거나 상처를 입는 현상이 종종 발생한다. 그리고 종래 수족관은 펌프의 소비전력이 기포발생기 등에 비해 크고 수중에 설치되므로 누전이나 감전 등의 위험이 있고, 여과필터가 쉽게 막혀 청소를 자주 해야 하거나 여과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너무 높으면 크기가 큰 이물질 때문에 기공이 쉽게 막혀서 필터를 자주 청소해야 한다. 반대로 밀도가 낮으면 작은 이물질이 여과되지 않으므로 여과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document 3, since the water is circulated using a pump, the water flow is relatively strong, so the growth of fish or aquatic plants is hindered, and fry or small fish often get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and die or get injured. In additio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pump in the conventional aquarium is greater than that of the bubble generator, etc., and since it is installed underwater, there is a risk of electric leakage or electric shock, and the filter is easily clogged, requiring frequent cleaning or a decrease in the filtration rate. In other words, if the density is too high, the pores are easily clogged by large foreign substances, requiring frequent cleaning of the filter. On the other hand, if the density is low, small foreign substances are not filtered, which has the disadvantage of a decrease in the filtration power.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경박단소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수족관 내부에 저장된 물을 본체, 순환수단, 여과수단의 구성을 사용하여 수족관의 외벽상에 탈부착 고정한 상태에서 내부의 물을 전면개방부에서 순환모터를 통하여 상단개방부로 퍼올려서 상단개방부의 전면에 구비된 유도판으로 다시 낙하하는 순환작업을 진행하면서 순환모터를 통하여 수족관 내부의 물에 섞여있는 이물질을 여과재로 걸러내는 여과작업까지 동시에 진행할 수 있고, 청소시 수족관 내부의 물을 별도로 배출하지 않은 상태에서 물을 순환시키면서 수족관을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는 동시에 필요시 여과수단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간편하게 세척한 후 손쉽게 설치가능하고, 수조의 크기별로 높이가 다양한데, 이러한 여러 크기의 수조에 자유롭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과 경제성이 극대화되는 수족관 여과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undamentally impro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is to provide an aquarium filtration device having a lightweight and simple structure, which is configured to removeably and attachably fix water stored inside an aquarium to an outer wall of an aquarium by using a configuration of a main body, circulation means, and filtering means, and which pumps the water inside from a front opening to an upper opening through a circulation motor and allows it to fall back to an induction plat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upper opening, while simultaneously performing a filtration operation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mixed in the water inside the aquarium with a filter medium through the circulation motor, and which can conveniently clean the aquarium by circulating the water without separately discharging the water inside the aquarium during cleaning, and which can be easily installed after simply washing only the filtering means separately when necessary, and which can be freely installed and used in tanks of various sizes, the heights of which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tank, thereby maximizing convenience and economy of u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족관 내부에 물을 순환 및 여과하는 장치에 있어서: 중앙의 분리벽을 기준하여 하방으로 전면이 개방되면서 격벽이 형성된 전면개방부를 구비하고, 분리벽의 상부로는 상단이 개방되면서 전면으로 유도판이 형성된 상단개방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분리벽의 통공 상에 결합하고, 수족관의 물을 전면개방부에서 상단개방부로 퍼올려 순환하는 순환모터를 구비하는 순환수단; 및 상기 순환수단을 사용한 물의 순환작업시 순환모터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여 여과하도록 구비하는 여과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device for circulating and filtering water inside an aquarium,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front opening portion formed with a partition wall and having a front side open downward with a central dividing wall as a standard, and an upper opening portion having a guide plate formed toward the front side while the upper side is open above the dividing wall; a circulation means having a circulation motor coupled to a hole in the dividing wall and pumping water in the aquarium from the front opening portion to the upper opening portion and circulating it; and a filtering means provided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by blocking the inflow of the circulation motor when circulating water using the circulation means.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본체는 수족관의 측벽상에 탈부착 고정하도록 후판의 상단부가 절곡 형성된 거치대를 일체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stand in which the upper part of the back plate is folded so as to be detachably fixed on the side wall of the aquarium.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여과수단은 순환수단을 통한 수족관의 물을 여과하도록 다공질의 스펀지, 솜, 헝겊, 금속 망, 숯을 사용한 여과재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filter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uses any one of a filtering material using a porous sponge, cotton, cloth, metal mesh, or charcoal to filter the water in the aquarium through a circulation means.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여과재는 여과작업의 효율을 높이도록 본체의 전면개방부와 상단개방부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거나 병행하여 탈부착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filter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detachably installed by selecting one of the front opening portion and the top opening portion of the main body or in parallel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filtering operation.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여과재는 일정한 크기 또는 개수로 분할 형성하여 여과 및 청소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filter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formed by dividing it into a certain size or number to facilitate filtration and cleaning.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Meanwhil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laims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that conform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ed example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filing this application.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족관 여과장치는 경박단소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수족관 내부에 저장된 물을 본체, 순환수단, 여과수단의 구성을 사용하여 수족관의 외벽상에 탈부착 고정한 상태에서 내부의 물을 전면개방부에서 순환모터를 통하여 상단개방부로 퍼올려서 상단개방부의 전면에 구비된 유도판으로 다시 낙하하는 순환작업을 진행하면서 순환모터를 통하여 수족관 내부의 물에 섞여있는 이물질을 여과재로 걸러내는 여과작업까지 동시에 진행할 수 있고, 청소시 수족관 내부의 물을 별도로 배출하지 않은 상태에서 물을 순환시키면서 수족관을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는 동시에 필요시 여과수단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간편하게 세척한 후 손쉽게 설치가능하고, 수조의 크기별로 높이가 다양한데, 이러한 여러 크기의 수조에 자유롭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과 경제성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in the abov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the aquarium filt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ightweight and simple structure, and uses a configuration of a main body, a circulation means, and a filtering means to store water inside an aquarium, and to attach and detach it to the outer wall of the aquarium, and to pump the water inside through a circulation motor from the front opening to the upper opening and drop it back down to the guide plat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upper opening, and at the same time,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mixed in the water inside the aquarium with a filter medium through the circulation motor, and to clean the aquarium easily while circulating the water without separately discharging the water inside the aquarium during cleaning, and at the same time, if necessary, only the filtering means can be separated and easily washed and then easily installed, and the height varie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aquarium, and since it can be freely installed and used in tanks of various sizes, it provides the effect of maximizing convenience and economy of u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장치의 주요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장치의 분해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a filte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ploded state of a filt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 and 4 are usage state diagrams showing the usage state of the filt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filter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은 수족관(1) 내부에 물(2)을 순환 및 여과하는 장치에 관련되며, 본체(10), 순환수단(20), 여과수단(30)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circulating and filtering water (2) inside an aquarium (1), and has as its main components a main body (10), a circulation means (20), and a filtering means (30).
본 발명에 따르면 중앙의 분리벽(11)을 기준하여 하방으로 전면이 개방되면서 격벽(13)이 형성된 전면개방부(12)를 구비하는 본체(10)는 분리벽(11)의 상부로는 상단이 개방되면서 전면으로 유도판(17)이 형성된 상단개방부(15)를 구비한다. 본체(10)는 수족관(1)의 물(2)이 후술하는 구성들과 연계하여 하부에서 상부로 퍼올리는데 사용하는 수용장치로 사용하는데, 내부의 수용공간을 상하로 나누어 사용하도록 중앙으로 분리벽(11)을 일체로 형성한다. 분리벽(11)을 기준으로 하방의 전면으로는 수족관(1)의 물(2)이 유입되도록 일정한 크기의 통공으로 개방되게 형성하는 전면개방부(12)를 구비하고, 전면개방부(12)의 하단 내부에는 물(2)이 유입되는데 방해가 되지 않을 정도의 너비와 간격으로 장방향으로 배열하는 격벽(13)을 구비하여 후술하는 여과수단(30)의 탈부착 작업에 보조역할을 수행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ain body (10) having a front opening portion (12) in which a partition wall (13) is formed while the front is open downward based on a central dividing wall (11) has an upper opening portion (15) in which an induction plate (17) is formed toward the front while the upper end is open above the dividing wall (11). The main body (10) is used as a receiving device for pumping water (2) from an aquarium (1) upward from the bottom in conjunction with the components described below, and a dividing wall (11) is integrally formed in the center so that the internal receiving space can be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arts. A front opening (12) is formed to be opened with a certain size of a hole to allow water (2) from an aquarium (1) to flow in at the front side of the lower portion based on the dividing wall (11), and a baffle (13) is arranged longitudinally with a width and interval that does not obstruct the flow of water (2) at the lower inside of the front opening (12), thereby performing an auxiliary role in the attachment/detachment operation of the filtering means (30) described later.
그리고 전면개방부(12)와 대향하는 분리벽(11)의 상부로는 상단이 개방되면서 전면으로 유도판(17)이 형성된 상단개방부(15)를 구비하여 본체(10)가 수족관(1)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하방의 전면개방부(12)로 유입되는 물(2)을 후술하는 순환수단(20)을 통해 상단개방부(15)로 전달하여 상단의 전면으로 형성된 유도판(17)을 거쳐 다시 수족관(1)으로 물(2)이 흐르도록 구성한다.And, the upper part of the separating wall (11) facing the front opening part (12) is provided with an upper opening part (15) in which an induction plate (17) is formed at the front while the upper part is open, so that when the main body (10) is installed inside the aquarium (1), water (2) flowing into the lower front opening part (12) is delivered to the upper opening part (15) through the circulation means (20) described below, and the water (2) flows back into the aquarium (1) through the induction plate (17) formed at the upper front.
이때,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따르면 상기 본체(10)는 수족관(1)의 측벽상에 탈부착 고정하도록 후판(18)의 상단부가 절곡 형성된 거치대(19)를 일체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10)는 수족관(1)의 내부에 설치하여 후술하는 순환수단(20)과 여과수단(30)과 연계하여 물(2)을 순환 및 여과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용이하게 후판(18)의 상단부가 하방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는 거치대(19)를 일체로 구비하여 수족관(1)의 측벽상에 거치하여 탈부착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수족관(1)의 물(2)을 일정한 높이로 끌어올려 다시 수족관(1) 내부로 낙하하면서 순환에 따른 산소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위치에 탈부착 고정하는 것이 효과적이기에 수족관(1)의 바닥 저면에 설치하는 것이 아닌 일정한 높이에 설치하여 물(2)의 낙차를 이용한 산소공급을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수족관(1)의 측벽상에 거치하도록 후판(18)의 상단부가 절곡된 거치대(19)를 일체로 형성하여 탈부착 고정한다.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10) is characterized by integrally having a stand (19) formed by folding the upper end of the back plate (18) so as to be detachably fixed on the side wall of the aquarium (1). It is effective to use the main body (10) by integrally having a stand (19) formed by folding the upper end of the back plate (18) downward so as to facilitate the work of circulating and filtering water (2) by installing it inside the aquarium (1) and connecting it with the circulation means (20) and the filtering means (30) described later, and attaching and detachably fixing it on the side wall of the aquarium (1). It is effective to attach and detach the water (2) in the aquarium (1) to a certain height and then drop it back into the aquarium (1) so that oxygen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through circulation. Therefore, rather than installing it on the bottom of the aquarium (1), the stand (19) is formed integrally by attaching and detaching the upper part of the back plate (18) to a folded position on the side wall of the aquarium (1) so that oxygen supply can be smoothly performed using the drop in the water (2).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분리벽(11)의 통공(11a) 상에 결합하는 순환수단(20)은 수족관(1)의 물(2)을 전면개방부(12)에서 상단개방부(15)로 퍼올려 순환하는 순환모터(21)를 구비한다. 순환수단(20)은 본체(10)의 내부를 상하로 분리하는 분리벽(11)의 일단에 상하 개방하는 통공(11a)을 구비하고, 통공(11a) 상에 순환모터(21)를 삽설하여 고정결합하는 것으로 수족관(1)의 물(2)을 하단의 전면개방부(12)에서 순환모터(21)의 흡입부로 전달받아 분리벽(11)의 상부에 해당하는 상단개방부(15)로 퍼올리도록 순환모터(21)의 배출부로 전달하는 순환작업을 수행하는 동력원으로 사용한다. 본체(10)는 분리벽(11)을 기준으로 하단으로는 수족관(1)의 물(2)이 유입되는 전면개방부(12)가 형성되어 있고, 전면개방부(12)와 대향하는 분리벽(11)의 상부로는 상단이 개방되면서 전면개방부(12)가 형성되는 전면으로 물(2)이 낙하하는 유도판(17)이 형성된 상단개방부(15)를 구비하고 있어 전면개방부(12)와 상단개방부(15)를 상호연계하여 수족관(1) 내부의 물(2)을 순환모터(21)를 통하여 본체(10)의 상단개방부(15)로 퍼올리면서 유도판(17)을 통하여 다시 수족관(1)의 내부로 퍼올린 물(2)을 낙하하는 순환작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irculation means (20) coupled to the opening (11a) of the separating wall (11) is provided with a circulation motor (21) that pumps water (2) of an aquarium (1) from the front opening (12) to the upper opening (15) and circulates it. The circulation means (20) is provided with a vertically open opening (11a) at one end of the separating wall (11) that separates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 into the upper and lower parts, and a circulation motor (21) is inserted and fixedly coupled onto the opening (11a), and is used as a power source to perform a circulation operation in which water (2) of an aquarium (1) is delivered from the front opening (12) at the lower part to the suction part of the circulation motor (21) and pumped to the upper opening (15) corresponding to the upper part of the separating wall (11) and delivered to the discharge part of the circulation motor (21). The main body (10) has a front opening (12) formed at the bottom with respect to the dividing wall (11) into which water (2) from the aquarium (1) flows, and has an upper opening (15) formed with an induction plate (17) through which water (2) falls at the front of the front opening (12) formed by opening the upper part of the dividing wall (11) facing the front opening (12), so that the front opening (12) and the upper opening (15) are interconnected to continuously perform a circulation operation in which water (2) inside the aquarium (1) is pumped up to the upper opening (15)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circulation motor (21) and the pumped up water (2) is dropped back into the aquarium (1) through the induction plate (17).
본 발명에 따르면 여과수단(30)은 상기 순환수단(20)을 사용한 물(2)의 순환작업시 순환모터(21)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여 여과하도록 구비한다. 여과수단(30)은 순환수단(20)의 순환모터(21)를 사용한 수족관(1) 내부의 물(2)을 전면개방부(12)에서 상단개방부(15)로 퍼올려서 유도판(17)으로 이동하여 낙하하는 순환작업시 전면개방부(12)와 연결된 순환모터(21)의 흡입부로 물(2)이 흡입되는 과정에서 수족관(1) 내부의 이물질을 걸러내어 순환모터(21)의 배출부를 통하여 상단개방부(15)로 여과된 물(2)을 퍼올리는 작업을 수행하는 주요구성으로 사용한다. 순환모터(21)만을 구비하여 수족관(1)의 물(2)을 퍼올리면서 상단개방부(15)의 유도판(17)으로 이동하여 낙하시에는 이물질이 포함된 물(2)의 순환작업만을 수행하고 있어 수족관(1)을 지속적으로 사용시에 발생하는 이끼나 부유물 같은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작업까지 수행하기에는 구조적 부재가 발생하므로 순환수단(20)과 연계하여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여과수단(30)을 구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ing means (30) is provided to filter by blocking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into the circulation motor (21) during the circulation operation of water (2) using the circulation means (20). The filtering means (30) is used as a main component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aquarium (1) during the circulation operation in which water (2) inside the aquarium (1) is pumped from the front opening (12) to the upper opening (15) using the circulation motor (21) of the circulation means (20) and moves to the guide plate (17) to drop, and then the water (2) is sucked into the suction part of the circulation motor (21) connected to the front opening (12) during the circulation operation in which the water (2) is filtered out and the filtered water (2) is pumped to the upper opening (15) through the discharge part of the circulation motor (21). Equipped only with a circulation motor (21), the water (2) of the aquarium (1) is pumped up and moved to the guide plate (17) of the upper opening (15), and when it falls, only the circulation work of the water (2)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is performed. Therefore, there is a structural defect in performing the filtering work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such as moss or floating substances that occur when the aquarium (1) is continuously used. Therefore, it is effective to have a filtering means (30) that can filter foreign substances in conjunction with the circulation means (20).
이때,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여과수단(30)은 순환수단(20)을 통한 수족관(1)의 물(2)을 여과하도록 다공질의 스펀지, 솜, 헝겊, 금속 망, 숯을 사용한 여과재(31)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과수단(30)의 구성으로 여과재(31)를 구비하여 사용하는데, 순환수단(20)의 순환모터(21)를 사용한 수족관(1)의 물(2)을 순환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걸러진 물(2)을 상단개방부(15)로 퍼올리면서 유도판(17)으로 최종이동하면서 수족관(1) 내부로 낙하하도록 다공질의 스펀지, 솜, 헝겊, 금속 망, 숯을 사용한 재질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여과수단(30)의 구성인 여과재(31)는 순환모터(21)를 사용한 순환작업에 따른 물(2)의 여과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다공질로 이루어지는 재료 또는 재질을 적용하는데, 스펀지, 솜, 헝겊, 금속 망, 숯을 사용하여 여과재(31)로 구비할 수 있어 이들 여과재(31)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본체(10)와 순환수단(20)의 구성과 상호 연계하여 여과작업과 순환작업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ing means (30) is characterized by using one of a porous sponge, cotton, cloth, metal mesh, and charcoal filter material (31) to filter the water (2) of the aquarium (1) through the circulation means (20). The filtering means (30) is provided with a filter material (31) and used. In the process of circulating the water (2) of the aquarium (1) using the circulation motor (21) of the circulation means (20), it is effective to use one of a porous sponge, cotton, cloth, metal mesh, and charcoal material to pump up the water (2) from which foreign substances have been filtered to the upper opening (15) and to drop it into the aquarium (1) while finally moving to the guide plate (17). The filter material (31), which is a component of the filtering means (30), is made of a porous material or substance to facilitate the filtering operation of water (2) according to the circulation operation using the circulation motor (21). A sponge, cotton, cloth, metal mesh, or charcoal can be used as the filter material (31), and any one of these filter materials (31) can be selected and linked with the components of the main body (10) and the circulation means (20) to perform the filtering operation and the circulation operation together.
또한,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여과재(31)는 여과작업의 효율을 높이도록 본체(10)의 전면개방부(12)와 상단개방부(15)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거나 병행하여 탈부착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과재(31)는 본체(10)의 구성인 전면개방부(12)와 상단개방부(15)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택일하여 탈부착 설치하거나 전면개방부(12)와 상단개방부(15)의 구성 모두에 병행하여 탈부착 설치하는 것으로 순환수단(20)의 순환모터(21)를 사용한 수족관(1)의 물(2)을 전면개방부(12)에서 상단개방부(15)로 퍼올리는 작업시 이물질이 포함된 물(2)을 여과재(31)를 사용하여 이물질을 걸러낸 다음 상단개방부(15)의 유도판(17)으로 최종 배출하는 것으로 수족관(1)의 물(2)을 하부에서 상부로 퍼올리는 순환작업의 과정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위함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31)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detachably installed by selecting one of the front opening part (12) and the upper opening part (15) of the main body (10) or by being installed in parallel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filtering operation. The filter (31) is detachably installed in either one of the front opening (12) and the top opening (15) of the main body (10), or is detachably installed in both the front opening (12) and the top opening (15) in parallel. When the water (2) of the aquarium (1) is pumped from the front opening (12) to the top opening (15) using the circulation motor (21) of the circulation means (20), the water (2)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is filtered out using the filter (31) and then finally discharged through the guide plate (17) of the top opening (15). This i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filtering operation that filters out foreign substances during the circulation operation of pumping the water (2) of the aquarium (1) from the bottom to the top.
또한,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여과재(31)는 일정한 크기 또는 개수로 분할 형성하여 여과 및 청소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과재(31)는 상술한 재료 및 재질을 적용하여 사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는데, 본체(10)의 전면개방부(12) 또는 상단개방부(15) 상에 탈부착 결합하여 여과작업을 수행하는 일체형 대신에 일정한 크기나 일정한 개수로 분할된 형상으로 형성하여 전면개방부(12)나 상단개방부(15)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거나 병행하여 탈부착하는 것으로 순환수단(20)의 순환모터(21)를 사용한 물(2)의 순환작업시 여과작업 및 이물질이 걸러진 여과재(31)를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청소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31)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easily filtered and cleaned by being formed into a fixed size or number of pieces. The filter (31) is basically used by applying the materials and qualities described above, and instead of being an integral body that performs a filtering operation by being detachably attached to the front opening (12) or the top opening (15) of the main body (10), it is formed into a shape that is divided into a fixed size or number of pieces and is detachably attached to or in parallel with either the front opening (12) or the top opening (15), so that when the water (2) is circulated using the circulation motor (21) of the circulation means (20), the filtering operation and the cleaning operation of separating the filter (31) from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filtered and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can be easily perform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경박단소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수족관 내부에 저장된 물을 본체, 순환수단, 여과수단의 구성을 사용하여 수족관의 외벽상에 탈부착 고정한 상태에서 내부의 물을 전면개방부에서 순환모터를 통하여 상단개방부로 퍼올려서 상단개방부의 전면에 구비된 유도판으로 다시 낙하하는 순환작업을 진행하면서 순환모터를 통하여 수족관 내부의 물에 섞여있는 이물질을 여과재로 걸러내는 여과작업까지 동시에 진행할 수 있고, 청소시 수족관 내부의 물을 별도로 배출하지 않은 상태에서 물을 순환시키면서 수족관을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는 동시에 필요시 여과수단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간편하게 세척한 후 손쉽게 설치가능하고, 수조의 크기별로 높이가 다양한데, 이러한 여러 크기의 수조에 자유롭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과 경제성이 극대화된다.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lightweight and simple structure, and uses a composition of a main body, a circulation means, and a filtering means to store water inside an aquarium, and to attach and detach it to the outer wall of the aquarium, and while the water inside is pumped up from the front opening to the upper opening through a circulation motor and dropped back down to the guide plat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upper opening, the water inside can be filtered out by a filter medium through the circulation motor at the same time, and the aquarium can be easily cleaned by circulating the water without separately discharging the water inside the aquarium during cleaning, and at the same time, only the filtering means can be separated separately and easily washed and then easily installed, and the height varie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aquarium, and the convenience and economy of use are maximized because the water can be freely installed and used in tanks of various sizes.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ould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 수족관
2: 물
10: 본체
11: 분리벽
11a: 통공
12: 전면개방부
13: 격벽
15: 상단개방부
17: 유도판
18: 후판
19: 거치대
20: 순환수단
21: 순환모터
30: 여과수단
31: 여과재1: Aquarium 2: Water
10: Body 11: Separating wall
11a: Open air 12: Front opening
13: Bulkhead 15: Top opening
17: Guide plate 18: Back plate
19: Stand 20: Circulation means
21: Circulation motor 30: Filter means
31: Filter
Claims (5)
중앙의 분리벽(11)을 기준하여 하방으로 전면이 개방되면서 격벽(13)이 형성된 전면개방부(12)를 구비하고, 분리벽(11)의 상부로는 상단이 개방되면서 전면으로 유도판(17)이 형성된 상단개방부(15)를 구비하는 본체(10);
상기 분리벽(11)의 통공(11a) 상에 결합하고, 수족관(1)의 물(2)을 전면개방부(12)에서 상단개방부(15)로 퍼올려 순환하는 순환모터(21)를 구비하는 순환수단(20); 및
상기 순환수단(20)을 사용한 물(2)의 순환작업시 순환모터(21)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여 여과하도록 구비하는 여과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여과장치.In a device for circulating and filtering water (2) inside an aquarium (1):
A main body (10) having a front opening portion (12) in which a bulkhead (13) is formed while the front is open downward based on a central dividing wall (11), and an upper opening portion (15) in which a guide plate (17) is formed toward the front while the upper end is open above the dividing wall (11);
A circulation means (20) coupled to the perforation (11a) of the above-mentioned separation wall (11) and equipped with a circulation motor (21) that pumps and circulates water (2) of the aquarium (1) from the front opening (12) to the upper opening (15); and
An aquarium filtering device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filtering means (30) for filtering and blocking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by a circulation motor (21) during the circulation operation of water (2) using the above circulation means (20).
상기 본체(10)는 수족관(1)의 측벽상에 탈부착 고정하도록 후판(18)의 상단부가 절곡 형성된 거치대(19)를 일체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여과장치.In the first paragraph,
An aquarium filt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body (10)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stand (19) in which the upper part of the back plate (18) is folded so as to be detachably fixed to the side wall of the aquarium (1).
상기 여과수단(30)은 순환수단(20)을 통한 수족관(1)의 물(2)을 여과하도록 다공질의 스펀지, 솜, 헝겊, 금속 망, 숯을 사용한 여과재(31)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여과장치.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filtering means (30) is an aquarium filte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uses one of a porous sponge, cotton, cloth, metal mesh, and charcoal filtering material (31) to filter water (2) in an aquarium (1) through a circulation means (20).
상기 여과재(31)는 여과작업의 효율을 높이도록 본체(10)의 전면개방부(12)와 상단개방부(15)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거나 병행하여 탈부착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여과장치.In the third paragraph,
An aquarium filt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material (31) can be detachably installed in one of the front opening (12) and the top opening (15) of the main body (10) or in parallel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filtering operation.
상기 여과재(31)는 일정한 크기 또는 개수로 분할 형성하여 여과 및 청소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여과장치.In the third paragraph,
An aquarium filt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filter material (31) is divided into a certain size or number to facilitate filtration and cleaning.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055647A KR20240158665A (en) | 2023-04-27 | 2023-04-27 | aquarium fil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055647A KR20240158665A (en) | 2023-04-27 | 2023-04-27 | aquarium filte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40158665A true KR20240158665A (en) | 2024-11-05 |
Family
ID=9346173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30055647A Pending KR20240158665A (en) | 2023-04-27 | 2023-04-27 | aquarium filt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240158665A (en)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940005080U (en) | 1992-08-28 | 1994-03-16 | 아푸루스 가부시끼가이샤 | Blood collection needle |
| KR960008685U (en) | 1994-08-30 | 1996-03-16 | 동양매직주식회사 | Sound generating device of gas cock for gas stove |
| KR101156799B1 (en) | 2012-01-09 | 2012-06-18 | 박근하 | Aquarium with filtering function |
-
2023
- 2023-04-27 KR KR1020230055647A patent/KR20240158665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940005080U (en) | 1992-08-28 | 1994-03-16 | 아푸루스 가부시끼가이샤 | Blood collection needle |
| KR960008685U (en) | 1994-08-30 | 1996-03-16 | 동양매직주식회사 | Sound generating device of gas cock for gas stove |
| KR101156799B1 (en) | 2012-01-09 | 2012-06-18 | 박근하 | Aquarium with filtering function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5210042B2 (en) | Underwater organism rearing system and water tank purification unit | |
| US5626747A (en) | Aquarium overflow filter system having a pre-overflow wall | |
| JP5584714B2 (en) | Air-driven filter device | |
| JP2585671Y2 (en) | Ornamental fish tank filtration device | |
| PL213036B1 (en) | Filtration devices | |
| US3892663A (en) | Home fish-tank filter construction | |
| JP2015506683A (en) | Water tank with filtration function | |
| JP2004350675A (en) | Aquarium filter and aquarium purification device | |
| KR100513904B1 (en) | External type filtration device | |
| KR20100076721A (en) | Apparatus for claritying raw water and an aquarium using thereof | |
| WO2008074252A1 (en) | Fish tank | |
| US7311822B2 (en) | Aquarium | |
| KR20240158665A (en) | aquarium filter | |
| KR20150081997A (en) | Aquarium for turtle | |
| CN218515032U (en) | Purifier in south america white shrimp breed pond | |
| KR101169392B1 (en) | a filter of aquarium having pump | |
| JP3653014B2 (en) | Water tank filter | |
| CN212911292U (en) | Novel integral type fish bowl | |
| CN216931477U (en) | Built-in filter of fish tank | |
| CN214853717U (en) | Integrated bottom filtering fish tank | |
| JP2008012408A (en) | Filter apparatus of reservoir | |
| CN210993314U (en) | Water circulation filter tank for live fresh transportation | |
| JP4079941B2 (en) | Filter medium accommodation unit in water tank outer filtration apparatus and water tank outer filtration apparatus comprising the filter medium accommodation unit | |
| JP3660323B2 (en) | Fish breeding tanks such as saltwater fish | |
| CN220859218U (en) | Aquarium with multiple filtering structur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27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4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4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