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166655A - 병변 마킹 시스템 - Google Patents

병변 마킹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66655A
KR20240166655A KR1020230064152A KR20230064152A KR20240166655A KR 20240166655 A KR20240166655 A KR 20240166655A KR 1020230064152 A KR1020230064152 A KR 1020230064152A KR 20230064152 A KR20230064152 A KR 20230064152A KR 20240166655 A KR20240166655 A KR 20240166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ion
dye
marking device
body part
lesion mark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4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열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30064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66655A/ko
Priority to PCT/KR2024/006575 priority patent/WO2024237666A2/ko
Publication of KR20240166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66655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61B2090/397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electromagnetic other than visible, e.g. microwave
    • A61B2090/3975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electromagnetic other than visible, e.g. microwave active
    • A61B2090/397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electromagnetic other than visible, e.g. microwave active infra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61B2090/3987Applicators for implanting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61B2090/3991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having specific anchoring means to fixate the marker to the tissue, e.g. hoo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변 마킹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몸체부; 및 일측이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며, 타측이 병변 위치에 고정 가능하게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고정부에 염료가 포함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병변 마킹 시스템 {SYSTEM FOR MARKING LESION LOCATION}
본 발명은 병변 마킹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염료를 포함하는 클립을 병변 위치에 고정하고, 해당 클립을 통해 복강경 수술 시 병변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병변 마킹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내의 종양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내시경 검사가 필요하다. 내시경 검사를 통해 종양이 발견될 경우, 추후 외과 수술을 통해 종양을 제거하기 위해 종양이 발생한 병변 위치를 표시하게 된다.
기존의 복부 수술법은 개복을 동반하는 개복수술이 주류였다. 개복수술은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온 수술법으로 현대의학에서도 여전히 많은 빈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개복수술은 창상 감염의 위험과 수술 후 회복이 느리고 흉터로 인한 미용학적 만족도 저하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에 대한 대안으로 위암에 대해 1994년 Kitano가 처음 소개한 복강경 위 절개술은 개복대신 복부에 작은 천공 후 수술기구로 삽입하여 수술하는 방식으로 위에서 언급한 여러 개복수술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최근 현대인들의 미용에 대한 관심이 집중됨과 함께 복강경 수술의 횟수는 많아지고 복강경 수술기구와 수술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이미 조기 위암에서는 복강경 수술이 표준 수술로 인정받고 있고, 진행 위암에 대한 복강경 수술의 우수성을 여러 연구자들이 보고하고 있다. 복강경 수술은 개복수술에 비해 적은 수술 후 통증, 빠른 회복, 우수한 미용학적 결과 등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수술 시 병변을 손으로 촉지하기가 어렵고, 기구를 이용하기 때문에 병변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특히, 조기 병변이나 장의 내강으로 성장하는 양성병변의 경우 장막으로 표시가 나지 않기 때문에 병변의 위치를 파악하여 적절한 절제연을 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기존에도 여러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복강경 수술 시 병변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을 연구한 사례가 있었다.
2005년 Hyung W. J. 외 2인은 내강으로 자라는 위 점막 하 종양에 대해 수술 중 복강경 초음파를 이용하여 병변을 확인하는 방법을 소개하였는데, 이는 쉽고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나 수술자가 복강경 초음파 술기에 숙달되어야 하고 클립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병변 확인에 실패할 수 있다는 한계점을 가진다. 2011년 Kim H. I. 외 2인은 보고에서 조기 위암 환자 80명에서 수술 중 복구 X-ray를 통하여 수술 전 설치한 클립을 찾아내는 방법을 제시하였고, 2014년 Kim B. S. 외 3인은 Radio-Opaque Gauze를 이용해 X-ray 촬영 후 병변을 확인하는 방법을 보고하였다. 위 내시경을 통한 여러 방법들도 소개되었다. 2012년 Jeong O. 외 3인이 환자의 혈액을 체혈하여 수술 전 위 내시경으로 위 점막 하층에 채혈한 혈액을 주사하여 장막에 병변을 표시하는 자가수혈 문신법을 보고하였고, Xuan Y. 외 3인도 역시 수술 전 클립 설치 없이 수술 중 내시경을 통하여 염료를 위 점막 하에 주사하여 위 장막에서 병변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을 소개하였다.
그러나, 클립을 사용하는 경우 정확한 병변 위치 파악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한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수술 전에 암으로 생각되는 부분 근처에 추가적인 기구를 통해 병변 위치를 표시한다. (복강경 수술용 금속 클립 -> 이동식 엑스레이로 위치 파악 -> 신체 밖에서 표시한 부분을 따라 위를 절제)
또한, 병변 위치를 염료를 통해 표시하는 경우 염색 시료를 살아있는 조직(tissue)에 주입하기 때문에 주변으로 염색약이 번지며, 염색약이 주변으로 확산하여 정확한 위치(pin point)로 암의 위치 식별이 어려우며, 이에 따라 필요 이상으로 정상적인 조직까지 포함하여 위를 절제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당 업계에서는 상기와 같은 병변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의 문제점 그리고 상기와 같은 내시경 이후에 추가적인 조치를 최소화하여 효율적인 병변 마킹 장치 및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지속적이고 활발한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강경 수술 시 병변 위치를 정확하고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병변 위치에 고정 가능하며, 내시경 카메라를 통해 쉽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클립을 포함하여 정상세포의 절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병변 마킹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병변 마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몸체부; 및 일측이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며, 타측이 병변 위치에 고정 가능하게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고정부에 염료가 포함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염료를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염료로 코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염료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공간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개구되어 상기 염료가 수용되는 홀; 및 상기 홀을 외부와 차단시키는 마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홀은, 일측이 상기 몸체부에 있는 경우, 타측 끝단이 상기 몸체부까지만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고정부 내부로까지 연장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고정부에 있는 경우, 타측 끝단이 상기 고정부까지만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몸체부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염료는, 고체 또는 액체이고, 근적외선 파장에서 형광 발현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염료를 봉인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캡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스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끼움 결합 가능하며, 외력에 의해 탈착이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개는, 상기 몸체부에 나선결합되거나,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공간은, 어플라이어의 일부가 관통 가능하도록 도넛형상의 홀과 마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염료가 투영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병변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병변 마킹 시스템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병변 마킹 장치; 및 상기 병변 마킹 장치를 상기 병변 위치에 결착시키는 어플라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병변 마킹 시스템은, 클립 자체에 염료를 구비하여 수술 시 병변의 정확한 위치를 쉽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변 마킹 시스템은, 염료를 클립내로 한정하여 정상 조직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변 마킹 시스템은, 첫 설치되는 클립에 염료를 포함하여 이 후 엑스레이를 통한 위치파악 등의 추가적인 조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변 마킹 시스템은, 복강경 수술 시 사용하는 촬영 카메라를 근적외선 모드로 변경하는 단순 동작으로 염료의 확인이 가능하여 쉽고 빠르면서 정확하게 병변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변 마킹 시스템은, 추가적인 조치(수술시간 단축, 불필요한 장비 사용 감소 및 정상조직 절제 최소화)를 최소화함으로써 환자에게 비용적 측면에서 유리하며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병변 마킹 시스템에서 내시경 시 클립을 사용하는 사용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병변 마킹 시스템의 클립의 전체적인 형상 및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병변 마킹 시스템의 클립 및 어플라이어의 전체적인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병변 마킹 시스템의 어플라이어를 이용한 클립의 설치 시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병변 마킹 시스템의 클립이 어플라이어에 의해 설치된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병변 마킹 시스템의 클립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상세한 설명은 하기 도시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병변 마킹 시스템에서 내시경 시 클립을 사용하는 사용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병변 마킹 시스템의 클립의 전체적인 형상 및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병변 마킹 시스템의 클립 및 어플라이어의 전체적인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병변 마킹 시스템의 어플라이어를 이용한 클립의 설치 시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병변 마킹 시스템의 클립이 어플라이어에 의해 설치된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병변 마킹 시스템의 클립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변 마킹 시스템은 복강경 수술 시 병변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염료를 포함하는 클립을 병변 위치에 고정시키고, 염료는 특정 파장에서 형광 발현 가능하도록 하여 수술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병변 마킹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복강경은 복강과 복강 안을 진찰 및 치료하기 위한 복강경(laparoscope)이다. 자세하게는, 복부 측면 혹은 배꼽과 같은 곳에 작은 구멍을 내고 공기를 넣어 부풀어 오르게 하여 관찰하기 쉽게 한 후 복강 내부를 바라보면서 검사, 수술 및 조직을 채취하는 것을 말한다. 복강경 수술은, 일반적인 개복수술과 달리 긴 절개창을 통한 개복을 하지 않고 복부에 작은 절개(0.5cm ~ 1.2cm)를 한 후 복강내에 삽관을 하고 이 관(trocar)을 통하여 camera가 장착된 복강경을 집어넣어 TV monitor를 통하여 수술 시야를 보면서 복강경수술을 위하여 특별히 가늘고 길게 제작된 수술기구를 이용하여 시행하는 수술을 말한다. 복강경수술이 외과적으로 널리 이용되게 된 것은 1987년 프랑스의 외과의사 Mouret가 처음으로 복강경 담낭절제술을 시행한 후 이 시술의 장점이 널리 인식되어 단시간 내에 전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시행되게 되었으며 시술의 대상 질환도 최근에는 거의 모든 복구 질환으로 확대되고 있다. 복강경 수술의 장점은, 수술 후 통증 감소, 수술 합병증 감소, 조기 회복과 병원 입원 기간의 단축, 일상 생활 및 업무로의 조기 복귀 등이 있다. 이는 복강경 수술이 기본적으로 복부 절개를 최소화하며 수술 시 복벽이나 다른 복강내 장기에 대한 견인 또는 접촉을 크게 줄임으로써 인체에 가해지는 수술 stress를 개복수술에 비해 크게 줄여 그 결과 인체에 대한 해로운 생리적 현상이 크게 감소한 결과이다. 또한, 0.5 ~ 1.2cm의 수술 절개창의 수술 반흔은 시간이 지나면 주의 깊게 보지 않으면 구별할 수 없을 정도로 작아서 미용적인 면에서도 큰 이점이 있다. 복강경 수술의 단점은 시술자의 측면에서 격게 되는 시술상의 문제이다. 즉, 복강경이 비추는 장면을 TV monitor를 통해 2차원적인 영상으로 보게 되므로 물체사이의 거리 감각이 잘 조절되지 않고 방향 감각 또한 혼란스러운 면이 있으며 수술 시야도 복강경이 비추는 부분으로 축소된다는 점이다. 또한, 수술 부위를 직접 만짐으로써 느낄 수 있는 촉각에 의한 정보도 얻을 수 없으므로 정확한 병변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최근 들어 수술 전에 내시경을 통해 병변 위치를 표시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인도사이아닌(ICG, indocyanine green), 메틸렌 블루(methylene blue), 자가 혈액(autologous blood) 등을 이용하여 병변 위치를 염색하는 방법, 병변 위치에 클립을 직접적으로 고정하는 것으로 표시하는 방법(simple clip) 등으로 병변 위치를 표시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방법들의 경우 정상조직에 염료가 번짐에 따라 정상조직을 절제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단순 클립만을 이용하여 병변 위치를 표시하면, X-ray 등을 통해 추가적인 조치가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본 발명의 병변 마킹 시스템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변 마킹 장치(100)를 이용하여 병변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병변 마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병변 마킹 장치(100)는, 일측에 염료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몸체부(101); 일측은 상기 몸체부(101)와 연결되며, 타측은 병변 위치에 고정 가능한 고정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병변 마킹 장치(100)는 수술실에서 널리 쓰이는 클립(Clip)의 일종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클립과 병행하여 호칭하기로 한다. 클립(100)은, 복강경 수술 전에 정확한 병변 위치 파악을 위하여 내시경을 실시할 때에 병변 위치에 고정하는 것으로 병변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특히, 클립(100)은 복강경 수술을 진행하는 시술자가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클립(100)은 적어도 일부가 어두운 신체 내부에서 환하게 밝혀지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립(100)에 수용되는 염료가 자체적으로 발광하는 물질을 이용하거나 특정 파장에서 밝게 보이는 물질을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1)는, 클립(100)에서 가장 큰 부피를 차지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내부에 형성되는 염료가 수용된 수용공간은 전체 클립(100)의 크기에 비해 큰 부피를 가지게 되고, 이에 따라 클립(100) 외부에서 쉽게 확인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101) 또는 고정부(102)는 수용공간 내부의 염료가 외부에서 확인 가능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수용공간은 몸체부(101)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수용공간의 부피가 커짐에 따라 염료를 수용하는 용량이 커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염료가 외부에 노출되는 부피가 커져 시술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몸체부(101)와 연결되는 고정부(102)는, 타측에 구비되는 집게에 의해 환부에 고정 가능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측이 몸체부(101)에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핀셋과 같이 집게의 양 팔이 붙었다 떨어지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즉, 고정부(102)에 형성되는 둘 이상의 집게가 환부 근처에서 상호간에 붙도록 형성되는 경우 집게의 붙음과 함께 환부를 잡는 형상일 수 있다.
이와 함께, 고정부(102)는 환부를 잡은 상태로 움직임이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립(100)은 병변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환부는 병변 위치와 동일한 용어로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병변은 병으로 일어난 육체적 또는 생리적인 변화를 말하며 병변 위치는 병변의 정확한 위치 또는 그 근처의 조직을 말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몸체부(101) 또는 고정부(102)는, 염료를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클립(100)을 형성하는 물질에 염료를 첨가하여 클립(100)을 제조 시 염료가 포함된 물질로 제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1) 또는 고정부(102)는, 외측이 염료로 코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고정부(102)에만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수용공간의 크기를 고려할 때, 고정부(102)는 염료가 코팅의 형태 또는 염료를 구성물질의 일부로 하여 형성되도록 하고 몸체부(101)는 염료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변 마킹 시스템의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몸체부(101) 내부에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개구되어 상기 염료가 수용되는 홀; 및 상기 홀을 외부와 차단시키는 마개(1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홀은, 염료가 투입될 수 있도록 일측면이 개구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홀은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며, 클립(100)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때, 클립(100)은 위암에 의한 내시경이 이루어지는 경우 환자의 입을 통해 위까지 삽입되어야 한다. 또는, 복부에 작게 형성되는 작은 절개를 따라 투입될 수 있다. 즉, 작은 구멍을 통해 삽입되기 때문에 부피는 작은 것이 유리할 수 있고, 측면에 날카로운 형상이 최소화되어야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클립(100)은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수용공간의 형상 또한 원기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1)의 정면은 라운드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해당 부분은 환부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으로 각이 형성되어 있거나 뾰족한 부분이 존재할 경우 추가적인 출혈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마개(110)는 홀을 외부와 단절시키는 것일 수 있다. 즉, 홀에 삽입된 염료가 외부로 유출 또는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홀의 개구된 부분을 외부와 차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는, 염료가 외부로 유출되어 주변의 정상조직을 물들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며, 시술자가 유출된 염료에 의해 병변 위치를 혼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변 마킹 시스템의 상기 홀은, 일측 끝단은 상기 마개(110)에 의해 차단되고, 타측 끝단은 상기 고정부(102) 내부에 연장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102)는 집게 형상을 말하며, 고정부(102)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이 홀과 연장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수용공간이 형성된 몸체부(101) 뿐만 아니라, 고정부(102)까지 염료가 투입되어 시술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102)는 외부에서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일례로, 홀은 일측이 몸체부(101)에 있는 경우, 타측 끝단이 몸체부(101)까지만 형성되거나 또는 고정부(102) 내부로까지 연장 형성되도록 할 수 있고, 또는 홀은 일측이 고정부(102)에 있는 경우, 타측 끝단이 고정부(102)까지만 형성되거나 또는 몸체부(101)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변 마킹 시스템의 상기 염료는, 고체 또는 액체이고, 근적외선 파장에서 형광 발현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염료가 액체로 구비되는 경우 클립(100)에 삽입시키는 과정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홀의 개구된 부분을 마개(110)로 외부와 차단할 때, 액체의 특성상 홀과 마개(110) 사이의 틈으로 스며드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염료가 고체로 구비되는 경우 클립(100)에 삽입시키는 과정에 다소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홀의 개구된 부분을 마개(110)로 외부와 차단할 때, 고체의 특성상 홀과 마개(110) 사이의 틈으로 빠져나오는 상황은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변 마킹 시스템은, 상기 염료를 봉인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캡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가능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는, 염료가 봉인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수용공간과 별개로 형성되는 케이스에 봉인된 염료를 수용공간에 삽입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케이스를 제조하는 당시 염료를 포함하도록 하여 염료를 수용공간에 직접 삽입하는 과정을 제외할 수 있고, 인체 내부에 삽입할 때 까지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가 오염되는 경우 염료에 영향없이 케이스 자체적으로 소독할 수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케이스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끼움 결합 가능하며, 외력에 의해 탈착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는, 염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고무재질로 형성된 케이스는 적어도 일부 눌림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케이스는 수용공간에 끼움 결합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공간의 후방부(고정부(102) 반대측)는 개구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개구된 부분은 케이스의 측면 둘레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스를 수용공간으로 밀어 넣을 경우 케이스의 일부가 눌리게 되고, 이에 따라 측면 둘레 직경은 일부 줄어들어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것일 수 있다.
반대로, 끼움 결합된 상태의 케이스는 외력에 의해 밖으로 꺼내질 수 있는데, 이 때, 결합될 때와 동일하게 수용공간의 개구된 부분에 의해 케이스의 측면 둘레 직경이 작아지면서 탈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변 마킹 시스템의 상기 마개(110)는, 상기 몸체부(101)에 나선결합되거나,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끼움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나선결합은 홀의 내경 및 홀에 삽입되는 부분의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마개(110) 또는 홀의 회전에 의해 나사산이 상호간에 끼움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액체 또는 고체의 염료가 수용공간에 봉인된 상태에서 외부와 완전히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마개(110)는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홀에 끼움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홀의 내경과 동일한 또는 약간 더 큰 외경을 가지는 마개(110)가 홀에 삽입되어 수용공간을 외부와 차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르크 마개(110)가 와인병을 봉인하는 것과 동일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병변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병변 마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병변 위치에 고정 가능하며 일 측에 염료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20)이 형성된 클립(100); 상기 클립(100)을 상기 병변 위치에 결착시키는 어플라이어(200); 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공간(120)은, 상기 염료가 투영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투명하며, 상기 어플라이어(200)의 일부가 관통 가능하도록 도넛 형상이고, 상기 염료는, 고체 또는 액체로 형성되며, 근적외선 모드에서 형광 발현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병변 마킹 시스템은 실제 복강경 수술(laparoscopic surgery) 현장에서 클립(100)이 장전된 상태의 어플라이어(200)가 병변 위치 근처에 접근하여 클립(100)을 병변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이는 기존 복강경 수술의 과정인 천공 - 내시경 삽입 - 내시경과 탐지침을 이용하여 병변 확인 - 절제기구 등을 이용한 병변 절제단계 중에서 내시경 삽입 단계에 어플라이어(200)를 이용하여 클립(100)을 병변 위치에 고정시키는 복강경 수술용 병변 마킹 시스템을 단순히 부가하는 형식이기 때문에 기존 수술 방법(복강경 수술)에 익숙한 수술자들에게도 적합하다 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복강경 수술 마킹 방식과 비교해 볼 때 기존 방식은 수술자의 숙련도에 영향을 많이 받거나 방법이 너무 복잡하고 협력이 필요하여 실제로 적용할 시에 애로사항이 많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강경 수술용 병변 마킹 시스템은 수술자의 숙련도 의존도를 최대한 낮추고, 혼자의 몸에 부담이 적으며 단순화시키면서도 신뢰도는 높이는 방향으로 개발되었다.
특히, 대장의 굴곡 형상은 일반적인 정상분포 외에 Alpha, N, Reverse Alpha Loop 모양 등으로 다양하여, 관강 안에서 파악하는 위치가 밖에서 보는 위치와 다를 수 있으며, 대장 조직은 절개 시술에 있어 병변에 대한 촉각 식별(tactile identification)이 어려워 시각적 확인(visual identification)이 가능한 마킹이 필수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변 마킹 시스템의 클립(100)은,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병변 위치와 접촉되는 부분은 라운드 형상을 가지는 몸체부(101) 및 병변 위치에 고정 가능하도록 집게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101)는 어플라이어(200)와 연결되는 부분에 클립(100)프레임을 형성하고 측면에서 정면 방향으로 고정부(102)가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고정부(102)는 일측 끝단은 개방된 형태이며 타측 끝단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형상일 수 있다. 고정부(102)의 집게는 각각 구부러진 형상일 수 있다. 또한, 타측의 연결된 부분은 몸체부(101)에 내삽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타측의 연결된 부분을 어플라이어(200)로 잡아당기는 동작으로 고정부(102)의 집게가 맞닿도록 하여 병변 위치를 잡아 병변 위치에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이 후, 클립(100)이 병변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몸체부(101)는 클립(100) 외부에서 확인 가능할 수 있다. 하지만, 클립(100)의 크기는 매우 작고, 협소한 공간을 카메라를 통해 확인하기 때문에 놓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용공간(120)은 염료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변 마킹 시스템의 상기 수용공간(120)은 중앙에 홀(H)이 형성된 도넛 형상일 수 있다.
클립(100)의 고정부(102)를 움직이기 위하여 어플라이어(200)와 연결된 상태에서 내부에 와이어가 통과하는 것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몸체부(101)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이와 함께 수용공간(120)은 홀(H)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즉, 홀(H)을 제외한 부분에 염료가 형성되어 시술자가 쉽게 확인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변 마킹 시스템의 어플라이어(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를 통해 상기 클립(100)을 병변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어플라이어(200)는 일측 끝단에 클립(100)을 장착하고, 타측 끝단은 시술자가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작부와 연결된 와이어가 어플라이어(200)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자유롭게 움직임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와 고정부(102)의 일측은 연결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이 후, 조작부에서 당기는 움직임에 의해 와이어 및 고정부(102)를 당기는 것일 수 있다. 와이어에 의해 당겨진 고정부(102)는 닫혀 짐과 함께 병변 위치에 고정된다. 고정된 클립(100)은 어플라이어(200)의 조작에 의해 분리되어 병변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일 수 있다.
고정부(102)의 구체적인 형상으로는 집게 형상이며, 집게가 벌어진 측과 연결된 측으로 구분되며 어플라이어(200)의 와이어와 고정부(102)의 연결된 측과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고정부(102)는 몸체부(101)의 내부에 내삽되며 고정부(102)의 외측면은 몸체부(101)의 내면과 맞닿아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이에 의해 고정부(102)의 연결된 측이 당겨지는 경우 고정부(102)의 외면이 몸체부(101)의 내면에 의해 밀려 고정부(102)가 닫히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어플라이어(200)는 조작부에 연결된 와이어와 함께 내시경용 카메라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내시경 시 카메라를 통해 확인되는 병변 위치에 클립(100)을 고정하기 위한 용도일 수 있으며, 수술 시 병변 위치를 파악하고 절제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어플라이어(200)는 어플라이어(200) 외부에 별도의 카메라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카메라로 확인한 병변 위치에 클립(100)을 설치하면서 다른 곳을 확인할 수 있음에 따라 시술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어플라이어(200)는 최소 하나 이상의 클립(100)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와이어에 복수의 클립(100)이 연결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몸체부(101)에 형성되는 홀(H)이 완전 관통된 형상으로 구비되며 복수의 클립(100)을 와이어가 관통하는 형상일 수 있다. 클립(100)을 관통한 와이어는 자성, 고리형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각각의 클립(100)의 고정부(102)를 구동하는 것일 수 있다. 복수의 클립(100)을 장착하는 경우 한번의 내시경으로 여러 개의 클립(100)을 고정할 수 있음에 따라 시술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병변 마킹 장치(클립)
101: 몸체부
102: 고정부
110: 마개
120: 수용공간
200: 어플라이어

Claims (13)

  1. 몸체부; 및
    일측이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며, 타측이 병변 위치에 고정 가능하게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고정부에 염료가 포함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변 마킹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염료를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변 마킹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염료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변 마킹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염료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변 마킹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개구되어 상기 염료가 수용되는 홀; 및
    상기 홀을 외부와 차단시키는 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변 마킹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일측이 상기 몸체부에 있는 경우, 타측 끝단이 상기 몸체부까지만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고정부 내부로까지 연장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고정부에 있는 경우, 타측 끝단이 상기 고정부까지만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몸체부까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변 마킹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는,
    고체 또는 액체이고,
    근적외선 파장에서 형광 발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변 마킹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를 봉인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캡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변 마킹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끼움 결합 가능하며, 외력에 의해 탈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변 마킹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상기 몸체부에 나선결합되거나,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변 마킹 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은,
    어플라이어의 일부가 관통 가능하도록 도넛형상의 홀과 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변 마킹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염료가 투영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투명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변 마킹 장치.
  13. 병변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병변 마킹 시스템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병변 마킹 장치; 및
    상기 병변 마킹 장치를 상기 병변 위치에 결착시키는 어플라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변 마킹 시스템.
KR1020230064152A 2023-05-18 2023-05-18 병변 마킹 시스템 Pending KR2024016665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4152A KR20240166655A (ko) 2023-05-18 2023-05-18 병변 마킹 시스템
PCT/KR2024/006575 WO2024237666A2 (ko) 2023-05-18 2024-05-14 병변 마킹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4152A KR20240166655A (ko) 2023-05-18 2023-05-18 병변 마킹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66655A true KR20240166655A (ko) 2024-11-26

Family

ID=93519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4152A Pending KR20240166655A (ko) 2023-05-18 2023-05-18 병변 마킹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166655A (ko)
WO (1) WO2024237666A2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05261A2 (en) * 2006-07-05 2008-01-10 Wilson-Cook Medical Inc. Suction clip
KR101263937B1 (ko) * 2009-06-29 2013-05-13 국립암센터 수술용 형광 표시 클립
KR102115663B1 (ko) * 2018-08-28 2020-05-26 부산대학교병원 복강경 수술용 병변 마킹 시스템
JP7388133B2 (ja) * 2019-10-31 2023-11-29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医療用マーカー
JP7104927B1 (ja) * 2022-01-05 2022-07-22 国立大学法人高知大学 医療用クリ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237666A3 (ko) 2025-01-09
WO2024237666A2 (ko) 2024-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72052B2 (ja) インプラント可能外科用マーカーの適用装置
US6685666B1 (en) Catheters for breast surgery
ES2200188T3 (es) Aparato para marcar tejidos.
US6960172B2 (en) Surgical biopsy device
ES2253189T3 (es) Dispositivo de toma de muestras de tejido blando.
US7670282B2 (en) Lung access device
US6059734A (en) Methods of collecting tissue at obstructed anatomical sites
AU2008205334B2 (en) Access sheath with removable optical penetrating member
ES2515940T3 (es) Conjunto capaz de formar imágenes mediante IRM
US20080154090A1 (en) Endoscopic System for In-Vivo Procedures
US20110172491A1 (en) Detachable balloon catheter
Mathur et al. Medical thoracoscopy: technical details
US9949630B2 (en) Medical instrument system and method for manipulating target tissue
JPH10508504A (ja) 組織を特定しおよびマーキング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20140089509A (ko) 외과용 접근 시스템
JPH04500619A (ja) 遠隔光伝送用繊維束による医療検出法とその装置
WO2009050667A1 (en) Tumor demarcation using targeted fluorescent probe and photonic needle
EP1843696A2 (en) Endoscopic system for in-vivo procedures
KR102115663B1 (ko) 복강경 수술용 병변 마킹 시스템
KR20240166655A (ko) 병변 마킹 시스템
US10646109B1 (en) Device and method of balloon endoscopy
CN219147828U (zh) 一种能够有效防污染的妇科手术器械
Frühmorgen et al. New aspects of therapeutic coloscopy
RU2300340C1 (ru) Способ лапароскопической хирургической операции и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проведения способа
US20130023788A1 (en) Gastrointestinal biopsy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5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