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68093A - Airbag cover assembly - Google Patents
Airbag cover assembl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68093A KR20240168093A KR1020230065667A KR20230065667A KR20240168093A KR 20240168093 A KR20240168093 A KR 20240168093A KR 1020230065667 A KR1020230065667 A KR 1020230065667A KR 20230065667 A KR20230065667 A KR 20230065667A KR 20240168093 A KR20240168093 A KR 2024016809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bag cover
- wire
- airbag
- side wall
- modu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83—Steering wheels; Gear le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021/2154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with embl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Hous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15—Electric wiring; Electric conn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스티어링 휠에 결합되는 에어백 커버, 상기 에어백 커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백 커버의 외부로 빛을 조사해서 조명 엠블럼 기능을 제공하는 조명 엠블럼 모듈, 내부에 에어백 모듈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에어백 커버에 결합되는 에어백 하우징, 상기 조명 엠블럼 모듈로 전원 및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커넥터 및 상기 조명 엠블럼 모듈과 커넥터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상기 에어백 커버 및 에어백 하우징의 외면에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조명 엠블럼 모듈과 커넥터 사이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에어백 커버 및 하우징의 외면에 견고하게 고정해서 와이어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bag cover assembly, comprising: an airbag cover coupled to a steering wheel; a lighting emblem module installed inside the airbag cover and irradiating light to the outside of the airbag cover to provide a lighting emblem function; an airbag housing coupled to the airbag cover with the airbag module accommodated inside; a connector for transmitting power and control signals to the lighting emblem module; and a wire fixing part for fixing a wire connecting the lighting emblem module and the connector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airbag cover and the airbag housing, thereby firmly fixing the wire connected between the lighting emblem module and the connector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airbag cover and the housing, thereby preventing damage or breakage of the wire.
Description
본 발명은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에 결합되고 조명 엠블럼이 적용되는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bag cover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bag cover assembly coupled to a steering wheel of an automobile and having an illuminated emblem applied thereto.
자동차에 적용되는 운전석 에어백 장치는 자동차의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운전석에 탑승한 승객을 보호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된다. Driver's seat airbag devices applied to automobiles are widely used to protect passengers riding in the driver's seat from the impact that occurs when a car crashes.
이러한 운전석 에어백 장치는 일반적으로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고, 인플레이터, 에어백 쿠션 및 에어백 쿠션을 절첩 상태로 수용하는 하우징, 하우징의 개구를 커버하는 커버를 포함한다.These driver airbag devices are typically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and include an inflator, an airbag cushion, a housing that accommodates the airbag cushion in a folded state, and a cover that covers an opening in the housing.
자동차의 충돌시, 에어백 쿠션은 인플레이터로부터 가스가 주입되면서 팽창하고, 에어백 쿠션의 팽창력에 의해 부드러운 수지로 제조된 커버가 파열되어 커버에 개구가 형성되면 상기 개구를 통해 차량의 승객을 향하여 팽창된다.When a car crashes, the airbag cushion expands as gas is injected from the inflator, and the cover made of soft resin is ruptured by the expansion force of the airbag cushion, forming an opening in the cover, and the airbag cushion expands toward the passengers of the car through the opening.
이러한 운전석 에어백 장치에는 소위 엠블럼이라 불리는 장식 플레이트를 갖는 커버가 설치될 수 있다. These driver airbag devices may be equipped with a cover having a decorative plate, so-called emblem.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에어백 커버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For example, patent documents 1 and 2 below disclose airbag cover technology.
한편, 엠블럼은 일반적으로 회사의 디자인이나 마크로 만든 것으로, 차량에서 단순히 제조한 회사를 의미하는 것이 아닌 엠블럼이 표현하는 차량의 가치를 부여하는 기능을 한다.Meanwhile, an emblem is usually made with a company's design or mark, and it does not simply indicate the company that manufactured the vehicle, but rather has the function of giving the value of the vehicle that the emblem represents.
엠블럼은 차량의 외관, 내관의 곳곳에 설치되어, 엠블럼에 쌓인 신용 가치를 드러내며, 이러한 엠블럼이 설치되는 위치는 차량을 제조하는 회사에 따라 다르나, 대부분 차량의 후면 및 스티어링 휠의 전면에 설치된다. Emblems are installed in various places on the exterior and interior of a vehicle, revealing the credit value accumulated in the emblem. The location where these emblems are installed varies depending on the company that manufactures the vehicle, but most are installed on the rear of the vehicle and in front of the steering wheel.
즉, 차량을 운전하는 탑승객이 조향하는 스티어링 휠의 중앙에 설치된 아마츄어를 덮는 에어백 커버에 설치된다. That is, it is installed on the airbag cover that covers the armature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steering wheel that the passenger driving the vehicle steers.
일반적으로, 종래기술에 따른 에어백 커버에는 조명 기능이 없는 엠블럼이 적용된다.Typically, airbag covers according to prior art are equipped with emblems without lighting functions.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에어백 커버는 주간에는 자연광에 의해 식별이 가능하나, 야간에는 광량이 부족하여 식별이 어려워짐에 따라, 식별이 어려워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airbag covers according to the prior art can be identified by natural light during the day, but at night, due to insufficient light, it becomes difficult to identify them, and thus they have a problem in that they cannot function properly.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의 특허문헌 3 내지 특허문헌 5 등에는 엠블럼에 조명을 적용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To solve these problems, a technology for applying lighting to an emblem was developed in patent documents 3 to 5, etc.
그러나 상기한 특허문헌 3 내지 특허문헌 5과 같이, 에어백 커버에 적용되는 조명 엠블럼은 LED와 기판, 하우징, 확산판 등 새로운 부품의 추가로 인해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조 비용이 불필요하게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s in the above-mentioned patent documents 3 to 5, the lighting emblem applied to the airbag cover had a problem in that the structure became complicated due to the addition of new parts such as LEDs, substrates, housings, and diffusers, and the manufacturing cost unnecessarily increased.
그리고 종래기술에 따른 조명 엠블럼이 적용된 에어백 커버는 에어백 커버를 중심으로 양측에서 엠블럼과 조명모듈을 결합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조립 작업이 어렵고,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airbag cover with the lighting emblem applied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technology had a structure in which the emblem and the lighting module were combined on both sides centered on the airbag cover, and thus had the problem of difficulty in assembly and reduced workability.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에어백 커버에 조명모듈을 설치하는 경우, 조명모듈과 연결되는 와이어가 에어백 커버 외측으로 인출되어 설치됨에 따라, 작업자의 손이나 공구에 걸리거나, 주변 구조물이나 부품과의 간섭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와이어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when installing a lighting module in an airbag cov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wire connected to the lighting module was installed by extending outward from the airbag cover, causing it to get caught on the worker's hand or a tool, or to interfere with surrounding structures or parts, resulting in damage or breakage of the wire.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에어백 커버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 엠블럼을 적용해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o provide an airbag cover assembly capable of improving visibility by applying a lighting emblem that irradiates light to the airbag cov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명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와이어를 에어백 커버에 견고하게 고정해서 와이어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bag cover assembly capable of firmly securing a wire for supplying power to a lighting module to an airbag cover to prevent damage or breakage of the wir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는 스티어링 휠에 결합되는 에어백 커버, 상기 에어백 커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백 커버의 외부로 빛을 조사해서 조명 엠블럼 기능을 제공하는 조명 엠블럼 모듈, 내부에 에어백 모듈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에어백 커버에 결합되는 에어백 하우징, 상기 조명 엠블럼 모듈로 전원 및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커넥터 및 상기 조명 엠블럼 모듈과 커넥터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상기 에어백 커버 및 에어백 하우징의 외면에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an airbag cov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n airbag cover coupled to a steering wheel, a lighting emblem module installed inside the airbag cover and irradiating light to the outside of the airbag cover to provide a lighting emblem function, an airbag housing coupled to the airbag cover with the airbag module accommodated inside, a connector for transmitting power and control signals to the lighting emblem module, and a wire fixing part for fixing a wire connecting the lighting emblem module and the connector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airbag cover and the airbag housin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에 의하면, 조명 엠블럼 모듈과 커넥터 사이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에어백 커버 및 하우징의 외면에 견고하게 고정해서 와이어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irbag cov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connected between the lighting emblem module and the connector is firmly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airbag cover and housing, thereby preventing damage or breakage of the wire.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와이어를 에어백 커버의 외부로 인출하는 인출홈부와 커넥터 사이에 배치된 결합돌부에 마련된 와이어 고정부를 이용해서 에어백 커버 및 에어백 하우징의 외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can be firmly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airbag cover and the airbag housing by using the wire fixing portion provided in the connecting projection positioned between the wire extraction groove for extracting the wire to the outside of the airbag cover and the connector.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와이어 고정부에 상하 방향으로 나란한 한 쌍의 측벽을 형성해서 한 쌍의 측벽 사이에 외부로 노출된 와이어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pair of side walls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wire fixing member, an effect is obtained in which the wire exposed to the outside between the pair of side walls can be more firmly fixed.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와이어 고정부를 길게 연장해서 와이어를 고정하여 에어백 커버에서 와이어가 노출되는 부분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length of the portion of the wire exposed in the airbag cover by extending the wire fixing portion to fix the wire is obtained.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와이어의 고정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조 작업시 에어백 커버 외부로 노출된 부분이 작업자의 손이나 공구에 걸리거나, 주변 구조물이나 부품과의 간섭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osition of the wire can be adjusted, thereby preventing the exposed part of the airbag cover from being caught by the worker's hand or tool during manufacturing work, or interference with surrounding structures or part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백 커버에 제거영역을 형성하고, 와이어 고정부에서 내측에 배치되는 측벽의 내측에 와이어를 고정함으로써, 와이어에 가해지는 고정력을 증대할 수도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removal area in the airbag cover and fixing the wire to the inner side of the side wall arranged on the inner side of the wire fixing portion, an effect of increasing the fixing force applied to the wire can be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와이어 고정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에 적용되는 와이어 고정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와이어 고정부의 단면도.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bag cover assembl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irbag cover assembly illustrated in Figure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re fixing part shown in Fig. 2;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ire fixing part applied to an airbag cover assembl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irbag cover assembl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re fixing part shown in Fig. 5.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n airbag cover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제1 실시 예][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와이어 고정부의 단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bag cover assembl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irbag cover assembly illustrated in FIG. 1,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ire fixing part illustrated in FIG. 2.
이하에서는 에어백 커버(11)에서 커넥터(50)가 설치된 방향을 '전방(F)'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B)'이라 한다. 그리고 '좌측(L)', '우측(R)', '상방(U)' 및 '하방(D)'과 같은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각 도면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한 '전방(F)'과 '후방(B)'을 기준으로 각각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Hereinafter,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or (50) is installed in the airbag cover (11) is referred to as the 'front (F)', and the opposite direction is referred to as the 'rear (B)'. In addition, terms indicating directions such as 'left (L)', 'right (R)', 'upper (U)', and 'lower (D)' are defined as indicating each direction based on the 'front (F)' and 'rear (B)' described above in the state illustrated in each drawing.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에 결합되는 에어백 커버(11), 에어백 커버(11)의 내부에 설치되고 에어백 커버(11)의 외부로 빛을 조사해서 조명 엠블럼 기능을 제공하는 조명 엠블럼 모듈(12), 내부에 에어백 모듈(도면 미도시)이 수용된 상태에서 에어백 커버에 결합되는 에어백 하우징(13), 조명 엠블럼 모듈(12)로 전원 및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커넥터(14) 및 조명 엠블럼 모듈(12)과 커넥터(14)를 연결하는 와이어(15)를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부(16)를 포함한다. An airbag cover assembly (1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s illustrated in FIGS. 1 to 3, an airbag cover (11) coupled to a steering wheel, a lighting emblem module (12) installed inside the airbag cover (11) and irradiating light to the outside of the airbag cover (11) to provide a lighting emblem function, an airbag housing (13) coupled to the airbag cover while an airbag module (not illustrated in the drawing) is accommodated inside, a connector (14) for transmitting power and control signals to the lighting emblem module (12), and a wire fixing member (16) for fixing a wire (15) connecting the lighting emblem module (12) and the connector (14).
에어백 커버(11)는 하면이 개구된 대략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airbag cover (11) can be formed in a roughly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lower surface.
그래서 에어백 커버(11)는 스티어링 휠을 향해 연장되는 측벽부(21)와 측벽부(21)의 상단을 차폐해서 내부에 수용되는 에어백 모듈(도면 미도시)을 덮는 상부 플레이트(22)를 포함한다. Therefore, the airbag cover (11) includes a side wall portion (21) extending toward the steering wheel and an upper plate (22) that shields the upper portion of the side wall portion (21) and covers an airbag module (not shown in the drawing) accommodated inside.
측벽부(21)는 스티어링 휠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공간에 대응되도록, 단면이 원 형상이나 타원 형상, 사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갖는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측벽부(21)의 하부에는 내부에 상기 에어백 모듈이 수용되는 에어백 하우징(13)이 결합되어 전체 외면이 밀폐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The side wall portion (21)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ular shape, an oval shape, a square shape, etc., in order to correspond to the joining spac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eering wheel. An airbag housing (13) in which the airbag module is accommodated inside may be joined to the lower part of the side wall portion (21)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entire outer surface is sealed.
상부 플레이트(22)의 상면에는 가죽커버(도면 미도시)가 설치되고, 상부 플레이트(22)에는 조명 엠블럼 모듈(12)에서 조사되는 빛을 상방으로 투과시키는 투과공(24) 및 에어백 쿠션의 팽창 전개시 파단되는 티어라인(도면 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A leather cover (not shown in the drawing)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22), and a transmission hole (24) that transmits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ing emblem module (12) upward and a tear line (not shown in the drawing) that is broken when the airbag cushion is inflated can be formed in the upper plate (22).
조명 엠블럼 모듈(12)은 복수의 LED(31)가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조명 엠블럼 모듈(12)은 인쇄회로기판(32)을 에어백 커버(11)의 상부 플레이트(22) 하면에 고정하는 브래킷(도면 미도시) 및 인쇄회로기판(32)의 상부에 설치되어 복수의 LED(31)와 기판(32)의 상면을 차폐하며, 각 LED(31)에서 조사되는 빛의 혼합 또는 교차를 방지하면서 상방으로 투과시키는 커버(도면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lighting emblem module (12) may include a printed circuit board (32) on which a plurality of LEDs (31) are installed. In addition, the lighting emblem module (12) may further include a bracket (not shown in the drawing) that secures the printed circuit board (32)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22) of the airbag cover (11), and a cover (not shown in the drawing) that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32) to shield the upp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LEDs (31) and the board (32), and prevents mixing or intersection of light emitted from each LED (31) while transmitting the light upward.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32)은 대략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인쇄회로기판(32)의 상면에는 인쇄회로기판(32)의 길이 방향, 도 2에서 보았을 때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예컨대 4개의 LED(31)가 설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inted circuit board (32) is formed in a roughly square plate shape, and a plurality of LEDs (31), for example, four LEDs (31), can b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32) and the left-right direction when viewed in FIG. 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32).
물론,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개, 3개, 5개 이상의 LED(31)를 설치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and may be modified to install two, three, five or more LEDs (31).
인쇄회로기판(32)은 일측에 연결된 와이어(15) 및 커넥터(14)를 통해 차량에 마련된 제어부(도면 미도시) 및 배터리(도면 미도시)로부터 제어신호 및 전원을 공급받아 각 LED(31)에 전달할 수 있다. 그래서 복수의 LED(31)는 서로 동일한 색상 또는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조사하도록 점등 또는 점멸 동작할 수 있다. The printed circuit board (32) can receive control signals and power from a control unit (not shown in the drawing) and a battery (not shown in the drawing) provided in the vehicle through wires (15) and connectors (14) connected to one side, and transmit them to each LED (31). Thus, a plurality of LEDs (31) can light up or blink to emit light of the same color or different colors.
이러한 인쇄회로기판(32)은 상기 브래킷에 설치된 상태에서 에어백 커버(11)의 상부 플레이트(22) 저면에 고정될 수 있다. This printed circuit board (32) can be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22) of the airbag cover (11) while installed on the bracket.
에어백 하우징(13)은 상면이 개구된 대략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개구된 에어백 커버(11)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The airbag housing (13) is formed in a roughly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upper surface and can be joined to the lower part of the opened airbag cover (11).
즉, 에어백 하우징(13)의 측벽(41)은 에어백 커버(11)의 측벽부(21)에 결합 가능하도록, 측벽부(21)의 내부 공간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벽(41)에는 측벽부(21)에 마련되는 복수의 결합공(23)에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돌부(42)가 마련될 수 있다. That is, the side wall (41) of the airbag housing (13) is formed with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side wall (21) so as to be able to be joined to the side wall portion (21) of the airbag cover (11), and the side wall (41)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joining protrusions (42) that are joined to a plurality of joining holes (23) provided in the side wall portion (21).
예를 들어, 각 결합공(23)은 단면이 대략 'U'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 결합돌부(42)는 각 결합공(23)의 형상에 대응되고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each connecting hole (23) may be formed in a cross-section that is approximately a 'U' shape, and each connecting projection (42) may be formed in a hook shape that corresponds to the shape of each connecting hole (23) and protrudes outward from the top to the bottom.
그리고 에어백 하우징(13)의 하면 중앙부에는 인플레이터(도면 미도시)가 장착되는 장착공(44)이 형성되고, 하우징(13)의 하면(43)에는 스티어링 휠의 혼 플레이트에 결합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결합후크(44)가 형성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And, a mounting hole (44) for mounting an inflator (not shown in the drawing) is form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airbag housing (13), and one or more coupling hooks (44) can be formed or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43) of the housing (13) so as to be coupled to a horn plate of a steering wheel.
커넥터(14)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대 커넥터(도면 미도시)와 결합되어 상기 제어신호 및 전원을 인쇄회로기판(32)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커넥터(14)는 에어백 하우징(13)에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connector (14) is coupled with a counterpart connector (not shown in the drawing)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has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and power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32). This connector (14) can be coupled to the airbag housing (13) so that the angle can be adjusted.
이를 위해, 에어백 하우징(13)의 전단에는 커넥터(14)가 장착되는 장착부(45)가 마련될 수 있다. For this purpose, a mounting portion (45) on which a connector (14) is mounted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airbag housing (13).
예를 들어, 장착부(45)는 대략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에어백 하우징(13)의 전측 측벽(41) 하단에서 후측 하방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mounting portion (45) may be formed in a roughly square plate shape and may be positioned so as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ear from the lower end of the front side wall (41) of the airbag housing (13).
이러한 장착부(45)에는 커넥터(14)에 마련된 결합돌부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될 수 있다. A joining hole may be formed in this mounting portion (45) to which a joining projection provided in the connector (14) is joined.
한편, 에어백 하우징(13)의 측벽(41) 전면에는 에어백 커버(11)의 상부 플레이트(22) 하면에 장착되는 조명 엠블럼 모듈(12)에 연결된 와이어(15)를 에어백 하우징(13)의 외측으로 인출하는 인출홈부(46)가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an extraction groove (46) may be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side wall (41) of the airbag housing (13) to extract a wire (15) connected to a lighting emblem module (12)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22) of the airbag cover (11) to the outside of the airbag housing (13).
인출홈부(46)는 에어백 하우징(13)의 전측 측벽(41)에 상하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인출홈부(46)는 상부에서 보았을 때 측벽(14)의 외면을 보다 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withdrawal groove (46) may be formed to extend lengthwise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front side wall (41) of the airbag housing (13). Here, the withdrawal groove (46) may be formed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14) is concave more toward the rear when viewed from above.
그래서 와이어(15)는 일단이 조명 엠블럼 모듈(12)의 인쇄회로기판(32)에 연결된 상태에서 인출홈부(46) 내부의 공간을 따라 에어백 커버(11)와 간섭되지 않은 상태에서 에어백 커버(11)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Therefore, the wire (15) can be drawn out of the airbag cover (11) along the space inside the draw-out groove (46)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airbag cover (11)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32) of the lighting emblem module (12).
여기서, 에어백 커버(11)의 전측 측벽부(21)에는 와이어(15)에서 에어백 커버(12)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부분을 고정하는 고정슬릿(25)이 형성될 수 있다. Here, a fixing slit (25) for fixing a portion of the wire (15) extending outward from the airbag cover (12) can be formed in the front side wall portion (21) of the airbag cover (11).
고정슬릿(25)은 에어백 커버(11)의 전측 측벽부(21) 하단에서 상방으로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fixed slit (25) can be formed to extend upward from the lower part of the front side wall (21) of the airbag cover (11) by a preset length.
그리고 고정슬릿(25)의 상단부는 와이어(15)의 외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대략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정슬릿(25)의 중간 및 하부는 와이어(15)의 외경에 비해 약간 작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And the upper part of the fixed slit (25) is formed in an approximately circular shape with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wire (15), and the middle and lower parts of the fixed slit (25) can be formed with a width slightly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wire (15).
그래서 와이어(15)는 고정슬릿(25)의 하단을 통해 상방을 향해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슬릿(15)에 조립된다. 이에 따라, 와이어(15)는 고정슬릿(25)의 상단부에 결합되면, 외부에서 가해지는 진동이나 힘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erefore, the wire (15) is assembled into the fixed slit (15) in a forced fit manner toward the top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fixed slit (25). Accordingly, when the wire (15) is joined to the upper part of the fixed slit (25), it can be maintained in a firmly fixed state so as not to be easily separated by vibration or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와이어 고정부(16)는 에어백 커버(11)의 고정슬릿(25)과 커넥터(14) 사이, 즉 에어백 하우징(13)의 인출홈부(46)와 장착부(45) 사이에 배치되는 결합돌부(42)에 마련될 수 있다. The wire fixing portion (16) can be provided in the connecting projection (42) arranged between the fixing slit (25) of the airbag cover (11) and the connector (14), that is, between the extraction groove (46) of the airbag housing (13) and the mounting portion (45).
상세하게 설명하면, 와이어 고정부(1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위치에 배치된 결합돌부(42)의 하부에 마련된 돌출편(47) 상단에서 외측 및 하방을 향해 절곡되어 대략 'ㄱ'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To explain in detail, the wire fixing member (16) may be formed to have a cross-section of approximately the shape of an 'ㄱ' by being bent outward and downward from the upper part of the protrusion (47)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coupling protrusion (42) arranged at the above-mentioned position, as shown in FIG. 3.
그래서 돌출편(47)과 와이어 고정부(16)의 단면은 대략 '∩'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15)는 돌출편(47)과 와이어 고정부(15) 사이 공간에 결합될 수 있다. Therefore, the cross section of the protrusion (47) and the wire fixing part (16) can be formed in an approximately '∩' shape. Accordingly, the wire (15) can be joined to the space between the protrusion (47) and the wire fixing part (15).
여기서, 돌출편(47)이나 와이어 고정부(16)의 하단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에는 돌출편(47)과 와이어 고정부(16) 사이에 결합된 와이어(15)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걸림턱(도면 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Here, a catch (not shown in the drawing)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protrusion (47) or the lower end of the wire fixing member (16) to prevent the wire (15) connected between the protrusion (47) and the wire fixing member (16) from being separated.
이와 함께, 돌출편(47)과 와이어 고정부(16) 중에서 하나 이상은 그 사이에 와이어(16)를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protrusion (47) and the wire fixing portion (16) may be formed tapered so that the wire (16) can be fixed therebetween in a forced fit manner.
예를 들어, 돌출편(47)의 외면, 즉 전면은 전측 상방을 향해 경사진 경사면으로 설명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sion (47), i.e. the front surface, can be described as a sloped surface slanted upward toward the front side.
와이어 고정부(16)는 하단부의 폭보다 상단부의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e wire fixing member (16) can be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width of the upper part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lower part.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조명 엠블럼 모듈과 커넥터 사이에 연결된 와이어를 에어백 커버의 외부로 인출하는 인출홈부와 커넥터 사이에 배치된 결합돌부에 마련된 와이어 고정부를 이용해서 에어백 커버 및 에어백 하우징의 외면에 견고하게 고정해서 와이어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damage or breakage of the wire by firmly fixing i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airbag cover and the airbag housing by using a wire fixing portion provided in a connecting projection arranged between the connector and the extraction groove for extracting the wire connected between the lighting emblem module and the connector to the outside of the airbag cover.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결합돌부(42)의 하단에 단면이 대략 'ㄱ' 형상을 갖는 와이어 고정부(16)를 마련해서 에어백 커버(11) 외부로 인출된 와이어(15)를 고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와이어 고정부(15)의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is embodiment, a wire fixing part (16) having a cross-section roughly in the shape of an 'ㄱ'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connecting projection (42) to fix the wire (15) extended out of the airbag cover (11),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wire fixing part (15)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제2 실시 예][Second embodiment]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에 적용되는 와이어 고정부의 단면도이다.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ire fixing part applied to an airbag cover assembl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1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해서 설명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10)의 구성과 동일하고, 다만 와이어 고정부(16)의 구성이 일부 변경된다. The airbag cover assembly (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irbag cover assembly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except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wire fixing portion (16) is partially chang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부(42) 및 돌출편(47)의 형상을 다른 결합돌부(42) 및 돌출편(47)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돌출편(47) 상단에 와이어 고정부(16)를 마련하는 경우에는 돌출편(47)의 길이(h)와 와이어 고정부(16)의 길이(H) 사이의 차이(h<H)로 인해, 와이어(15)가 외부에서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when the wire fixing part (16) is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protrusion part (47) while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other joining part (42) and the protrusion part (47) as they are, the wire (15) may be separated by vibration or shock applied from the outside due to the difference (h<H) between the length (h) of the protrusion part (47) and the length (H) of the wire fixing part (16).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 와이어 고정부(16)는 서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상하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 측벽(51,52)과, 제1 및 제2 측벽(51,52) 상단과 결합돌부(42)를 연결하는 연결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fixing member (16)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side walls (51, 52)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certain distance and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parallel, and a connecting member (53) that connects the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s (51, 52) and the connecting projection (42).
와이어 고정부(16)는 에어백 하우징(13)의 전측 측벽(41)에 마련됨에 따라, 제1 측벽(51)은 제2 측벽(52)에 비해 전측에 형성되고, 제2 측벽(52)은 제1 측벽(51)의 후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제1 측벽(51)은 전측벽이 되고, 제2 측벽(52)은 후측벽이 될 수 있다. 즉, 제2 측벽(52)은 결합돌부(42)의 돌출편(47)을 제1 측벽(51)의 길이만큼 연장해서 형성될 수 있다. Since the wire fixing member (16)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wall (41) of the airbag housing (13), the first side wall (51) can be formed on the front side compared to the second side wall (52), and the second side wall (52) can be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side wall (51). Therefore, the first side wall (51) can become the front side wall, and the second side wall (52) can become the rear side wall. That is, the second side wall (52) can be formed by extending the protrusion (47) of the joining projection (42) by the length of the first side wall (51).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측벽(51,52)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way,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s (51, 52) can be formed in shap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측벽(51,52)은 각각 단면이 대략 사각 형상인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s (51, 52) can each be formed in a plate shape with a cross-section that is approximately square.
본 실시 예에서 제1 및 제2 측벽의 상하 방향 길이, 즉 높이는 와이어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와이어의 외경보다 더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vertical length, i.e., the height,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s may be formed to be equal to or lon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wir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와이어 고정부에 상하 방향으로 나란한 한 쌍의 측벽을 형성해서 와이어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can more firmly fix the wire by forming a pair of side walls that are parallel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wire fixing part.
한편, 상기한 제1 및 제2 실시 예에서 설명한 와이어 고정부(16)는 결합돌부(42)를 주변 결합돌부(42)와 동일한 형상을 유지하거나, 일부만을 변경해서 구성된다. Meanwhile, the wire fixing part (16) described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by maintaining the same shape of the connecting projection (42) as the surrounding connecting projections (42) or changing only a part of it.
이러한 제1 및 제2 실시 예에서 에어백 커버(11)의 외부로 인출된 와이어(15)는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마련된 와이어 고정부(16)에 고정된 상태에서 다시 커넥터(16) 상단에 연결된다. In thes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wire (15) extended outside the airbag cover (11) is fixed to a wire fixing member (16) provided at a relatively high position and then connected to the top of the connector (16).
따라서 와이어(15)에서 에어백 커버(11)의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10)의 제조 작업시, 와이어(15)의 노출된 부분이 작업자의 손이나 공구, 주변 구조물이나 부품과의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Therefore, as the length of the portion of the wire (15)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airbag cover (11) increase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exposed portion of the wire (15) may interfere with the worker's hand, tools, surrounding structures, or part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airbag cover assembly (10).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와이어(15)를 거의 수평 상태로 고정해서 노출된 부분의 길이를 최소화하도록, 와이어 고정부(16)의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nge the configuration of the wire fixing part (16) to minimize the length of the exposed portion by fixing the wire (15) in a nearly horizontal state.
[제3 실시 예][Third embodiment]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와이어 고정부의 단면도이다.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irbag cover assembl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re fixing part illustrated in FIG. 5.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1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10)의 구성과 동일하고, 다만 와이어 고정부(16)를 하방으로 길게 연장해서 에어백 커버(11)의 외부에 노출되는 와이어(15)의 길이를 최소화한다. The airbag cover assembly (1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irbag cover assembly (10)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s shown in FIGS. 5 and 6, except that the wire fixing portion (16) is extended downward to minimize the length of the wire (15)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airbag cover (11).
즉, 와이어 고정부(16)의 연결부(53)는 결합돌부(42)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단면이 대략 '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connecting portion (53) of the wire fixing portion (16) can be extended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rojection (42) so that the cross-section can be formed in an approximately 'L' shape.
이러한 연결부(53)의 높이(H')는 에어백 커버(11)의 외부로 노출된 와이어(15)의 위치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The height (H') of this connecting portion (53) can be se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wire (15)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airbag cover (11).
예를 들어, 와이어(15)에서 고정슬릿(25)을 통해 에어백 커버(11)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이 거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슬릿(25)과 제1 및 제2 측벽(51,52)의 중심은 커넥터(14)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 또는 커넥터(14)의 상단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so that the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airbag cover (11) through the fixed slit (25) in the wire (15) remains almost horizontal, the center of the fixed slit (25) and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s (51, 52) can be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as the top of the connector (14) or at a position slightly higher than the top of the connector (14).
물론, 본 발명은 고정슬릿(25)에 비해 커넥터(14) 상단의 높이가 높은 경우에는, 고정슬릿(25)과 커넥터(14) 상단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 상에 와이어(15)가 배치되도록, 연장부(53)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Of course, in the case where the height of the top of the connector (14) is higher than that of the fixed slit (25), the length of the extension portion (53) can be reduced so that the wire (15) is arranged on an imaginary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top of the fixed slit (25) and the connector (14).
즉, 연장부(53)의 높이(H')는 와이어(15)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고정슬릿(25)과 커넥터(14) 상단 사이에 거의 직선 형태로 배치되도록,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That is, the height (H') of the extension (53) can be adjusted so that the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wire (15) is arranged in an almost straight line between the fixed slit (25) and the top of the connector (14).
이를 위해, 작업자는 조립 작업시 고정슬릿(25)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 와이어(15)의 일측 단부, 즉 도 5에서 보았을 때 우측단을 고정슬릿(25) 내측으로 밀어넣어 조립함으로써, 와이어(15)에서 외부에 노출된 부분을 직선 형태를 유지해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worker assembles the wire (15) by pushing one end of the wire (15) pulled out through the fixed slit (25) during the assembly work, that is, the right end as seen in Fig. 5, into the fixed slit (25), thereby firmly fixing the exposed portion of the wire (15) to the outside while maintaining a straight shap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와이어 고정부를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해서 와이어를 고정함에 따라, 에어백 커버에서 와이어가 노출되는 부분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length of the portion of the airbag cover where the wire is exposed by extending the wire fixing memb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ix the wire.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와이어의 고정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조 작업시 와이어의 노출된 부분이 작업자의 손이나 공구에 걸리거나, 주변 구조물이나 부품과의 간섭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fixed position of the wire, thereby preventing the exposed part of the wire from getting caught on the worker's hand or tool during manufacturing work, or from interfering with surrounding structures or parts.
한편,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고정부()에 제1 및 제2 측벽이 형성되는 경우, 에어백 커버의 결합공을 통해 결합돌부 및 와이어 고정부를 에어백 커버의 외부로 인출할 수 없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4 to 6, when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s are formed in the wire fixing portion (), the joining projection and the wire fixing portion cannot be pulled out of the airbag cover through the joining hole of the airbag cover.
따라서 에어백 커버(11)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고정부(16)가 결합되는 결합공(23)의 하부를 제거해서 제거영역(26)이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5, a removal area (26) can be formed in the airbag cover (11) by removing the lower part of the joining hole (23) where the wire fixing part (16) is joined.
이에 따라, 작업자는 제거영역(26)을 통해 결합돌부(42) 및 와이어 고정부(16)를 에어백 커버11의 외측으로 용이하게 인출시키고, 와이어(16)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worker can easily pull out the joining projection (42) and wire fixing portion (16) to the outside of the
그리고 상기의 실시 예들에서는 돌출편(47)과 와이어 고정부(16) 사이나, 와이어 고정부(16)의 제1 및 제2 측벽(51,52) 사이에 와이어(15)가 고정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제1 측벽(51)의 후측에 와이어(15)를 고정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즉, 와이어(15)에서 제1 측벽(51)의 후측에 고정되는 부분은 상기한 제거영역(26)에 배치된다.And in the above embodiments,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wire (15) is fixed between the protrusion (47) and the wire fixing portion (16) or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s (51, 52) of the wire fixing portion (16), bu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to fix the wire (15) to the rear side of the first side wall (51). That is, the portion of the wire (15) fixed to the rear side of the first side wall (51) is placed in the above-described removal area (26).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측벽의 후측에 와이어를 고정함으로써, 와이어에 가해지는 고정력을 증대할 수도 있다. 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increase the fixing force applied to the wire by fixing the wire to the rear side of the first side wall.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은 조명 엠블럼 모듈과 커넥터 사이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에어백 커버 및 하우징의 외면에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와이어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Through the proces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damage or breakage of the wire by firmly fixing the wire connected between the lighting emblem module and the connector to the outer surface of the airbag cover and housing.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lthough the invention made by the present inventor has been specifically described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조명 엠블럼 모듈과 커넥터 사이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에어백 커버 및 하우징의 외면에 견고하게 고정해서 와이어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하는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 기술에 적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airbag cover assembly technology that firmly fixes a wire connected between a lighting emblem module and a connector to the outer surface of an airbag cover and housing to prevent damage or breakage of the wire.
10: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
11: 에어백 커버
12: 조명 엠블럼 모듈
13: 에어백 하우징
14: 커넥터
15: 와이어
16: 와이어 고정부
21: 측벽부
22: 상부 플레이트
23: 결합공
24: 투과공
25: 고정슬릿
26: 제거영역
31: LED
32: 인쇄회로기판
41: 측벽
42: 결합돌부
43: 장착공
44: 결합후크
45: 장착부
46: 인출홈부
47: 돌출편
51,52: 제1, 제2 측벽
53: 연결부 10: Airbag cover assembly
11: Airbag cover 12: Lighting emblem module
13: Airbag housing 14: Connector
15: Wire 16: Wire fixing part
21: Side wall 22: Top plate
23: Joint hole 24: Transmission hole
25: Fixed slit 26: Removal area
31: LED 32: Printed Circuit Board
41: Side wall 42: Joint protrusion
43: Mounting hole 44: Combination hook
45: Mounting part 46: Withdrawal home part
47: Protrusion
51,52: First and second side walls 53: Joint
Claims (8)
상기 에어백 커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백 커버의 외부로 빛을 조사해서 조명 엠블럼 기능을 제공하는 조명 엠블럼 모듈,
내부에 에어백 모듈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에어백 커버에 결합되는 에어백 하우징,
상기 조명 엠블럼 모듈로 전원 및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커넥터 및
상기 조명 엠블럼 모듈과 커넥터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상기 에어백 커버 및 에어백 하우징의 외면에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 Airbag cover attached to steering wheel,
A lighting emblem module installed inside the airbag cover and irradiating light to the outside of the airbag cover to provide a lighting emblem function;
An airbag housing coupled to the airbag cover with an airbag module accommodated therein;
Connector for transmitting power and control signals to the above lighting emblem module and
An airbag cover assembly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wire fixing member for fixing a wire connecting the lighting emblem module and the connector to the outer surface of the airbag cover and the airbag housing.
상기 에어백 커버의 측벽부와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측벽에는 각각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서로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공과 결합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고정부는 상기 복수의 결합돌부 중에서 상기 에어백 커버에서 외부로 인출되는 부분과 상기 커넥터 사이에 배치되는 결합돌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 In the first paragraph,
A plurality of joining holes and joining projections are formed in corresponding positions on the side wall of the airbag cover and the side wall of the airbag housing, respectively, to be joined to each other.
An airbag cove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 fixing member is provided on a coupling member that is positioned between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members that extends outward from the airbag cover and the connector.
상기 와이어 고정부는 상기 결합돌부의 하단에 연결된 돌출편 상단에서 외측 및 하방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돌출편과 와이어 고정부 사이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 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wire fixing member is formed by bending outward and downward from the upper part of the protrusion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above joining projection,
An airbag cove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 is fixed by being joined between the protruding piece and the wire fixing portion.
상기 와이어 고정부는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 측벽,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측벽과 상기 결합돌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 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wire fixing member comprises first and second side wall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ranged in parallel, and
An airbag cover assembly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s and the joining projection.
상기 연결부는 상기 와이어에서 상기 에어백 커버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이 직선 형태로 배치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 In paragraph 4,
An airbag cove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portion is adjusted in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a portion of the wi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airbag cover is arranged in a straight line.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1 및 제2 측벽 사이에 결합되어 고정되거나,
상기 제1 측벽을 기준으로 상기 에어백 커버의 내측에 배치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In paragraph 4,
The above wire is fixed by being joi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s, or
An airbag cove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itioned and fixed on the inner side of the airbag cover based on the first side wall.
상기 에어백 커버의 측벽부에는 상기 와이어 고정부가 결합되는 부분을 제거해서 제거영역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 In any one of claims 1 to 6,
An airbag cove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a removal area is provided by removing a portion of the side wall of the airbag cover to which the wire fixing member is coupled.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측벽에는 상기 와이어에서 상기 에어백 커버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되는 와이어가 배치되는 인출홈부가 상하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 커버의 측벽부에는 상기 인출홈부를 통해 상기 에어백 커버의 외부로 인출되는 상기 와이어의 일측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
In Article 7,
On the side wall of the above airbag housing, a drawing groove is formed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in which a wire is drawn out from the inside of the airbag cover to the outside.
An airbag cove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a fixing slit is formed in a side wall portion of the airbag cover to fix one end of the wire that is pulled out to the outside of the airbag cover through the pull-out groove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065667A KR102827955B1 (en) | 2023-05-22 | 2023-05-22 | Airbag cover assemb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065667A KR102827955B1 (en) | 2023-05-22 | 2023-05-22 | Airbag cover assembly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40168093A true KR20240168093A (en) | 2024-11-29 |
| KR102827955B1 KR102827955B1 (en) | 2025-07-02 |
Family
ID=9370568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30065667A Active KR102827955B1 (en) | 2023-05-22 | 2023-05-22 | Airbag cover assembly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827955B1 (en) |
Citations (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8143473A (en) * | 2006-12-13 | 2008-06-26 | Fujikura Ltd | Rear structure of airbag cover |
| JP2008238879A (en) * | 2007-03-26 | 2008-10-09 | Nippon Plast Co Ltd | Cover body of airbag device and airbag device |
| KR20110023447A (en) * | 2009-08-31 | 2011-03-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Lighting emblem assembly |
| US8061861B2 (en) | 2008-10-27 | 2011-11-22 | Autoliv Asp, Inc. | Method for illuminating colors in a backlit driver airbag emblem |
| US8925959B2 (en) | 2013-01-29 | 2015-01-06 | Tasus Canada Corporation | Illuminated emblem assembly for connection to an airbag cover |
| KR101718689B1 (en) | 2015-07-29 | 2017-03-22 |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 Airbag cover apparatus |
| KR102005738B1 (en) | 2017-10-13 | 2019-07-31 |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 Air bag cover assembly |
| KR20210076343A (en) * | 2019-12-16 | 2021-06-24 |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 Airbag cover assembly |
-
2023
- 2023-05-22 KR KR1020230065667A patent/KR10282795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9)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8143473A (en) * | 2006-12-13 | 2008-06-26 | Fujikura Ltd | Rear structure of airbag cover |
| JP2008238879A (en) * | 2007-03-26 | 2008-10-09 | Nippon Plast Co Ltd | Cover body of airbag device and airbag device |
| US8061861B2 (en) | 2008-10-27 | 2011-11-22 | Autoliv Asp, Inc. | Method for illuminating colors in a backlit driver airbag emblem |
| KR20110023447A (en) * | 2009-08-31 | 2011-03-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Lighting emblem assembly |
| KR101076195B1 (en) | 2009-08-31 | 2011-10-2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Emblem assembly having illumination |
| US8925959B2 (en) | 2013-01-29 | 2015-01-06 | Tasus Canada Corporation | Illuminated emblem assembly for connection to an airbag cover |
| KR101718689B1 (en) | 2015-07-29 | 2017-03-22 |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 Airbag cover apparatus |
| KR102005738B1 (en) | 2017-10-13 | 2019-07-31 |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 Air bag cover assembly |
| KR20210076343A (en) * | 2019-12-16 | 2021-06-24 |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 Airbag cover assembly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827955B1 (en) | 2025-07-02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20220063518A1 (en) | Driver airbag with emblem | |
| KR102005738B1 (en) | Air bag cover assembly | |
| US5505483A (en) | Airbag safety module for vehicle | |
| KR102522188B1 (en) | Driver airbag module with lighting device | |
| KR102352123B1 (en) | Airbag cover assembly | |
| KR102352130B1 (en) | Airbag cover assembly | |
| CN104512223B (en) | The wire harness combination cage structure of car door | |
| KR102614109B1 (en) | Airbag cover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KR102827955B1 (en) | Airbag cover assembly | |
| KR102780591B1 (en) | Airbag cover assembly | |
| KR102827959B1 (en) | Airbag cover assembly | |
| KR20240085491A (en) | Wire guide for airbag | |
| KR102617417B1 (en) | Airbag cover assembly | |
| CN217532690U (en) | Connection structure of front bumper and head-light, preceding enclose assembly and car | |
| KR102666851B1 (en) | Airbag cover assembly | |
| KR101666158B1 (en) | Instrument panel assembly combined with airbag door | |
| US11648903B2 (en) | Steering wheel module for vehicle | |
| KR20250082775A (en) | Airbag cover assembly | |
| KR102769939B1 (en) | Airbag cover for vehicle | |
| JP4504764B2 (en) | Instrument panel connector mounting structure and instrument panel assembly method | |
| KR102625020B1 (en) | Airbag cover assembly | |
| KR101265837B1 (en) | Installation structure of bumper cover and head lamp | |
| JP4094875B2 (en) | instrument panel | |
| KR0143662B1 (en) | Rear seat mounting structure of car | |
| JP2006001293A (en) | Electric vehicl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22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5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0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625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