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50002567A - Line guide devices and support chains for cleanroom applications - Google Patents
Line guide devices and support chains for cleanroom application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50002567A KR20250002567A KR1020247038395A KR20247038395A KR20250002567A KR 20250002567 A KR20250002567 A KR 20250002567A KR 1020247038395 A KR1020247038395 A KR 1020247038395A KR 20247038395 A KR20247038395 A KR 20247038395A KR 20250002567 A KR20250002567 A KR 202500025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in
- chain links
- chain link
- longitudinal direction
- longitud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284 res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6961 parti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585 weight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9 different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57 flexible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6—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extensible carrier for the cable, e.g. self-coiling sp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87—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with a non-circular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벨로프(8)와 지지 체인(10)을 포함하는 라인 가이드 디바이스(1), 그리고 지지 체인 자체에 관한 것으로서, 지지 체인은 교대로 배열된 체인 링크(20)들 및 변형 가능한 영역(32)을 가지며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한) 2개의 인접한 체인 링크(20)를 유지시키는 조인트 커넥터(30)들로 구성된다. 체인 링크(20)들 및/또는 관절형 커넥터(30)들은 체인의 길이 방향이 아닌 결합 방향으로 서로 연결 가능하고 및/또는 서로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인장력 및/또는 압축력을 전달하기 위해 서로 연결된 체인 링크(20)들을 포함하는 지지 체인(10)에 관한 것이다. 제1 인접 체인 링크(20')의 후방 하부 부분(202B)은 각각의 체인 링크(20)의 전방 상부 부분(201A)과 전방 하부 부분(201B) 사이의 전방 공간(241) 내로 삽입 가능하며, 제2 인접 체인 링크(20")의 전방 상부 부분(201A)은 각각의 체인 링크(20)의 후방 상부 부분(202A)과 후방 하부 부분(202B) 사이의 후방 공간(242) 내로 삽입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ne guide device (1) comprising an envelope (8) and a support chain (10), and to the support chain itself, wherein the support chain is composed of alternately arranged chain links (20) and joint connectors (30) having a deformable region (32) and holding two adjacent chain links (20) (rotatable with respect to each other). The chain links (20) and/or the joint connectors (30) are connectable to each other and/or separable from each other in a joining direction other tha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hain.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support chain (10) comprising chain links (20) connected to each other for transmitting tensile and/or compressive forces. The rear lower portion (202B) of the first adjacent chain link (20') is insertable into the front space (241) between the front upper portion (201A) and the front lower portion (201B) of each chain link (20), and the front upper portion (201A) of the second adjacent chain link (20") is insertable into the rear space (242) between the rear upper portion (202A) and the rear lower portion (202B) of each chain link (20).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적어도 하나는 다른 하나에 대해 이동 가능한 2개의 연결 지점 사이에서 길이 방향으로의 케이블, 호스 또는 그 밖에 유사한 것과 같은 공급 라인의 보호된 동적 안내를 위한, 특히 클린룸 적용을 위한 라인 가이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동적 또는 능동 라인 가이드 디바이스들은, 예를 들어 기계 상에서의 일반적으로 고정식 연결부와 이동식 소비처 사이의 이동 동안 의도치 않은 응력으로부터 라인을 보호한다. 이들은 전형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선형적으로 또는 이동 평면에서 앞뒤로 변위 가능하며, 또한 전형적으로 가이드의 길이 방향으로 상당히 연장된 2개의 런(runs)과 그들 사이의 편향 아크를 형성한다. 편향 아크는 전형적으로 길이 방향에 대해 가로지르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편향 축을 중심으로 대략적으로 U 형상으로 만곡진다. 따라서 편향 아크는 길이 방향과 높이 방향이 놓여 있는 평면에서 대략적으로 U 형상이다. 의도된 작동 상태에서, 라인 가이드 디바이스는 편향 아크에서 뒤로 회전되며, 따라서 런들 중 하나는 편향 아크로 합쳐질 수 있으며 그에 의하여 다른 런으로 합쳐질 수 있다.The invention relates generally to line guide devices for the protected dynamic guidance of supply lines, such as cables, hoses or the lik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wo connecting poin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vable relative to the other, in particular for cleanroom applications. Such dynamic or active line guide devices protect the lines from unintended stresses during movement between a generally fixed connection point and a mobile consumer, for example on a machine. They are typically displaceable linear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back and forth in the plane of movement and typically form two runs substantiall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and a deflection arc between them. The deflection arc is typically approximately U-shaped and curved around a deflection axis extending transversely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deflection arc is thus approximately U-shaped in the plane in which the longitudinal and height directions lie. In the intended operating state, the line guide device is rotated backwards in the deflection arc, so that one of the runs can merge into the deflection arc and thereby into the other run.
본 발명은 특히 이러한 라인 가이드 디바이스를 위한 그 자체로서의 지지 체인과도 관련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in particular to a support chain in itself for such a line guide device.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서로 바로 옆에 배열되고 먼지로부터 공급 라인을 보호하도록 공급 라인들을 둘러싸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수용 덕트를 갖는 가요성 엔벨로프를 갖는, 클린룸 적용을 위한 라인 가이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며, 이 덕트들의 각각은 전형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공급 라인을 수용한다. 엔벨로프는 특히, 이동 움직임 중에 불가피하게 형성되는, 라인으로부터의 마모된 임의의 재료가 주변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의도된다. 또한, 적합한 재료로 만들어진 엔벨로프는 전반적인 마모 거동을 개선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in particular to a line guide device for cleanroom applications having a flexible envelope having a plurality of longitudinally extending receiving ducts arranged directly next to each other and enclosing the supply lines to protect them from dust, each of the ducts typically accommodating at least one supply line. The envelope is intended in particular to prevent any wear material from the line, which is inevitably formed during the moving movement, from being released into the surroundings. Furthermore, an envelope made of a suitable material can improve the overall wear behavior.
안정화를 위하여 또는 더 긴 길이를 위하여, 특히 스스로 지지하는 또는 지지되지 않은 런의 연장된 위치에서 라인 가이드를 지지하기 위해 지지 체인으로서 알려진 것이 사용되고 있다. 이를 위해, 라인이 아닌 지지 체인은 수용 덕트에 배치될 수 있으며 런을 형성하기 위해 연장된 위치 그리고 편향 아크를 형성하기 위해 아크형 위치를 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지지 체인은 또한 원하는 반경을 사전에 결정한다.For stabilization or for longer lengths, in particular for supporting the line guides in an extended position of a self-supporting or unsupported run, what are known as support chains are used. For this purpose, the support chains, rather than the lines, can be placed in the receiving duct and can assume an extended position to form a run and an arc-shaped position to form a deflection arc, where the support chains also have a predetermined desired radius.
하중 중량에 따라, 예를 들어 2개의 지지 체인을 엔벨로프 외부에서 측방향적으로 사용된다. 지지층의 엔벨로프에 2개보다 많은 지지 체인이 사용되는, 심지어 라인이 전혀 없는 층을 포함하는, 즉 한 층의 엔벨로프에 지지 체인만을 갖는 다층 구조체가 또한 알려져 있다.Depending on the load weight, for example, two support chains are used laterally outside the envelope. Multilayer structures are also known in which more than two support chains are used in the envelope of the support layer, even including layers without lines at all, i.e. having only support chains in the envelope of one layer.
지지 체인을 갖는 이러한 라인 가이드 디바이스가, 예를 들어 WO2021/116467 A1에서 제안되었다. 이 유형의 일반적인 지지 체인은 복수의 체인 링크를 포함하며, 이 체인 링크들은 길이 방향으로 관절 방식으로 연결 가능하거나 연결된다. 인접한 또는 연속적인 체인 링크들의 각 쌍은 굽힘 방향으로 또는 굽힘 방향과 반대로 관절형 조인트에 의해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Such a line guide device having a support chain is proposed, for example, in WO2021/116467 A1. A typical support chain of this type comprises a plurality of chain links, which are articulated or connected longitudinally. Each pair of adjacent or consecutive chain links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another by an articulated joint in the bending direction or against the bending direction.
2개의 체인 링크는 길이 방향과 높이 방향이 놓여있는 평면에서 연장된 위치와 구부러진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이렇게 하여, 지지 체인은 변위가 가능하여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런 그리고 런들을 연결하는 편향 아크를 형성한다. 이 경우 편향 아크는 일반적으로 길이 방향과 높이 방향이 놓여 있는 평면에서 실질적으로 U-형상이다. 이러한 지지 체인은 특히 특정 반경이 편향 아크에서 유지된다는 것, 즉 라인이 꼬이는 것으로부터 보호된다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지지 체인이 주로 상부 런의 더 큰 자체 지지 길이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길이는 증가한다. 이러한 지지 체인이 엔벨로프의 라인 대신 사용될 수 있도록, 특히 일반적인 에너지 체인과 비교해 볼 때, 이는 전형적으로 적어도 단면적으로 특히 콤팩트한 치수를 갖는다. 따라서 일반적인 지지 체인 자체는 전형적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라인들을 위한 수용 덕트를 갖고 있지 않다.The two chain links are implemented so that they can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between an extended position and a bent position in the plane in which the longitudinal and height directions lie. In this way, the support chain is displaceable so that it forms two essentially longitudinally extending runs and a deflection arc connecting the runs. In this case, the deflection arc is generally essentially U-shaped in the plane in which the longitudinal and height directions lie. Such a support chain ensures in particular that a certain radius is maintained in the deflection arc, i.e. that the line is protected against kinking. In addition, the length is increased, since the support chain primarily enables a greater self-supporting length of the upper run. In order that such a support chain can be used instead of the lines of the envelope, it typically has particularly compact dimensions, at least in cross-section, in particular in comparison with a conventional energy chain. The conventional support chain itself therefore typically and preferably does not have a receiving duct for the lines.
WO2021/116467 A1의 관절형 조인트는 핀/리셉터클 회전 조인트 연결의 방식으로 구현되며, 여기서 각 체인 링크는 2개의 횡방향으로 돌출된 조인트 핀과 2개의 보완적인 조인트 리셉터클을 가지며, 이 리셉터클에 조인트 핀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다. 여기서의 단점은 각각의 조인트 핀과 조인트 리셉터클 사이의 마찰이 작동 중에 입자를 방출한다는 것이며, 이는 특히 클린룸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지지 체인과 가이드 공급 라인은 엔벨로프에 삽입된다. 지지 체인은 공급 라인보다 빨리 마모될 수 있으며, 이는 전체 엔벨로프를 교체하는 것 또는 엔벨로프를 개방하고 지지 체인을 교체하거나 지지 체인에 특정된 별개의 엔벨로프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지지 체인의 사용 기간을 늘려야 할 필요가 있다. 공지된 지지 체인의 취약점은 관절형 조인트일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핀/리셉터클 회전 조인트의 경우, 왕복 이동 중에 상당한 전단력 그리고 교대 응력에 노출된다.The articulated joint of WO2021/116467 A1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in/receptacle rotary joint connection, wherein each chain link has two transversely protruding joint pins and two complementary joint receptacles in which the joint pins are rotatably received. A disadvantage here is that the friction between each joint pin and the joint receptacle releases particles during operation, which is particularly undesirable in a cleanroom. As mentioned above, the support chain and the guide supply lines are inserted into the envelope. The support chain can wear out faster than the supply lines, which requires either replacing the entire envelope, or opening the envelope and replacing the support chain, or providing a separate envelope unit specific to the support chain.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increase the service life of the support chain. A weak point of the known support chains can be the articulated joints, which are exposed to significant shear forces and alternating stresses during the reciprocating movement, for example in the case of pin/receptacle rotary joints.
WO2021 116467 A1에 따른 체인 링크들 각각은 길이 방향에 대해, 전방 길이 방향 부분과 후방 길이 방향 부분을 갖는다. 특히 편향 아크의 사전 결정된 기하학적 구조가 유지되도록 2개의 길이 방향 부분은 사전 결정된 관절 방식으로 체인 링크들을 연결하기 위해 적절하게 형상화된다.Each of the chain links according to WO2021 116467 A1 ha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orward longitudinal part and a rear longitudinal part. In particular, the two longitudinal parts are suitably shaped for connecting the chain links in a predetermined articulation manner, such that the predetermined geometry of the deflection arc is maintained.
WO2021/116467 A1에 따른 체인 링크는 후방 길이 방향 부분에 2개의 측면 부분 사이에 공간 -이 공간 내로 지지 체인에 이어지는 추가 후방 체인 링크 또는 인접 체인 링크의 전방 길이 방향 부분이 길이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2개의 리세스 -하나는 체인 링크의 최상부에, 즉 편향 아크의 바깥쪽 측면에, 그리고 하나는 최하부에, 즉 편향 아크의 안쪽 측면에-를 갖고 있다. 전방 길이 방향 부분은 횡방향 연결부와 상호 작용하기 위하여 높이 방향으로 돌출된 2개의 돌출부를 갖고 있다. 체인 링크들이 함께 결합될 때, 하부 돌출부는 2개의 체인 링크의 연장된 위치에서 하부 리세스 내로 돌출되며 상부 돌출부는 2개의 체인 링크의 완전히 구부러진 위치에서 상부 리세스 내로 돌출된다.A chain link according to WO2021/116467 A1 has a space between two side parts in the rear longitudinal part, into which a further rear chain link leading to the support chain or a front longitudinal part of an adjacent chain link can be longitudinally inserted, and two longitudinally spaced recesses, one at the uppermost part of the chain link, i.e. on the outer side of the deflection arc, and one at the lowermost part, i.e. on the inner side of the deflection arc. The front longitudinal part has two projections which project in the height direction for interacting with the transverse connecting portion. When the chain links are joined together, the lower projections project into the lower recesses in the extended position of the two chain links and the upper projections project into the upper recesses in the fully bent position of the two chain links.
그러나 WO2021/116467 A1의 교시에 따른 지지 체인의 구성에서, 직선형 위치와 완전히 구부러진 위치 사이에 서로에 대해 2개의 체인 링크의 위치가 있으며, 이 위치에서는 돌출부들 중 어느 것도 리세스와 상호 작용하지 않거나 매우 작은 공통 작동 영역만이 있다. 이러한 위치에서, 체인 링크들은 길이 방향으로 서로 분리될 수 있거나 과도한 하중은 파손으로 이어질 수 있다. However, in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chain according to the teaching of WO2021/116467 A1, there is a position of the two chain links relative to each other between a straight position and a completely bent position, in which neither of the projections interacts with the recess or only a very small common working area. In such a position, the chain links can separate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excessive loads can lead to breakage.
의도된 변위의 경우에, 지지 체인은 특히 길이 방향으로 인장 또는 압축 응력을 받는다. 따라서 WO2021 116467 A1에 따르면, 위에서 언급된 중간 위치에서 인장력은 핀/보어 관절형 조인트에 의해서만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힌지 핀은 특히 전단 응력을 받는다. 이는 지지 체인의 최대 사용 기간을 단축시키거나 바람직하지 않게 부피가 큰 구조체를 필요로 한다.In the case of intended displacements, the support chain is subjected to tensile or compressive stresses, in particula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fore, according to WO2021 116467 A1, in the above-mentioned intermediate positions, the tensile forces can only be transmitted by the pin/bore joint. In this case, the hinge pin is subjected to shear stresses in particular. This reduces the maximum service life of the support chain or requires undesirably bulky structure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더욱 견고하고 인장력과 압축력의 전달에 더욱 적합하며, 더 긴 사용 기간을 갖고, 동시에 특히 체인 링크들의 횡단면에서 최대한 콤팩트한 구조를 갖도록 의도된 지지 체인을 갖는 라인 가이드 디바이스, 또는 라인 가이드 디바이스를 위한 지지 체인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제1항 또는 제2항에 라인 가이드 디바이스 또는 지지 체인에 의해 그리고 이와 독립적으로 독립 청구항 제7항에 따른 지지 체인에 의해 달성된다.It is therefor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pose a line guide device, or a support chain for a line guide device, which has a support chain which is intended to be more robust, more suitable for transmitting tensile and compressive forces, to have a longer service life and at the same time to have a maximally compact structure, particularly in the cross-section of the chain links. This object is achieved by the line guide device or the support chain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independently therefrom by the support chain according to independent claim 7.
독립적인 제1 양태에 따르면,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일반적인 라인 가이드 디바이스에서, 또는 제2항의 전제부에 따른 지지 체인에서, 위에서 언급된 목적은 지지 체인은 교대로 연속적인 체인 링크들과 조인트 커넥터들을 길이 방향으로 갖는 적어도 스트랜드의 길이 방향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조인트 커넥터들은 각 경우에 특히 굽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변형 가능한 영역을 포함하며, 조인트 커넥터들은 각 경우에 2개의 인접 체인 링크를 특히 길이 방향으로 함께 유지시킨다는 점에 점에서 간단히 달성된다.According to an independent first aspect, in a general line guide device according to the preamble of claim 1, or in a support chain according to the preamble of claim 2, the above-mentioned object is simply achieved in that the support chain consists of at least a longitudinal portion of the strand having alternately continuous chain links and joint connecto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joint connectors in each case comprising a deformable region which is elastically deformable in particular in the bending direction, the joint connectors in each case holding together two adjacent chain links, in particula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여기에서 굽힘 가능한 또는 변형 가능한 영역을 갖는 조인트 커넥터 또는 조인트 요소는 특히 링크 체인의 일반적인 핀/리셉터클 관절형 조인트 그리고 수반되는 마모를 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Here, joint connectors or joint elements having a bendable or deformable area make it possible in particular to avoid the typical pin/receptacle joint type of link chain and the accompanying wear.
여기서 체인 링크들은 특히 각 경우에 2개의 인접한 그리고 서로에 대해 연결된 체인 링크의 연장된 위치와 구부러진 위치 사이에서 굽힘 방향으로 또는 그와 반대로 서로에 대해 특히 회전 가능하다.Here the chain links are in particular rotatable relative to one another in the bending direction or vice versa between an extended position and a bent position of two adjacent and mutually connected chain links in each case.
더욱이, 제1 양태에 따르면, 길이 방향이 아닌, 특히 길이 방향에 수직인 연결 방향으로 함께 연결 가능한 및/또는 서로로부터 분리 가능한 스트랜드의 체인 링크들 및/또는 조인트 커넥터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제공이 특히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정상적인 작동 조건 하에서, 링크들 사이의 연결, 특히 관절형 조인트는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나누어지거나 분리될 수 없다. 이러한 연결은 견고하며, 따라서 지지 체인의 사용 기간이 증가된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provision can be made in particular for at least some of the chain links and/or joint connectors of strands which are connectable together and/or separable from one another in a connecting direction which is not longitudinal, in particular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us, under 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connection between the links, in particular the articulated joint, cannot be non-destructively split or separated by tensile forces ac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uch a connection is robust and thus the service life of the support chain is increased.
하나의 특히 바람직한 구성에서, 연장된 위치와 구부러진 위치 사이에서 조인트 커넥터에 의하여 연결된 2개의 인접 체인 링크들의 회전시, 조인트 커넥터들 또는 조인트 요소들은 의도적으로 굽힘 응력을 받는다. 이 경우의 조인트 커넥터들 또는 조인트 요소들은 적어도 변형 가능한 영역에서 탄성적인 구성을 갖는다.In one particularly preferred configuration, when two adjacent chain links are connected by a joint connector between an extended position and a bent position, the joint connectors or joint elements are intentionally subjected to bending stresses. In this case, the joint connectors or joint elements have an elastic configuration at least in the deformable region.
조인트 커넥터들 또는 조인트 요소들은 특히 별개의 분리된 구성 요소로 구체화될 수 있으며, 이는 체인 링크들과 분리 가능하게 또는 비파괴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조인트 커넥터들 또는 조인트 요소들이 체인 링크의 일체형 구성 요소이며 예를 들어 2개-구성 요소 사출 성형을 이용하여 체인 링크에 성형되는 대안적인 구성도 마찬가지로 생각 가능하다. 각 조인트 커넥터의 적어도 하나의 종단 영역은 여기에서 바람직하게는 인접한 체인 링크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 가능하다. 그러나 체인 링크가 2개의 별개의 구성 요소를 함께 맞춤으로써 형성된다는 것이 생각 가능하며, 이 구성 요소들은 각 경우에 이들과 일체로 생산된 조인트 커넥터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도, 링크 구성 요소들의 결합 방향은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과 다르며, 예를 들어 횡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The joint connectors or joint elements can in particular be embodied as separate, discrete components, which are detachably or non-destructively connected to the chain links. However, an alternative configuration is also conceivable, in which the joint connectors or joint elements are integral components of the chain link and are moulded into the chain link, for example by means of two-component injection moulding. At least one end region of each joint connector is preferably detachably connectable to an adjacent chain link here. However, it is also conceivable that the chain link is formed by fitting together two separate components, which in each case comprise a joint connector produced integrally with them. In this case too, the joining direction of the link components is preferably different from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example corresponding to the transverse direction.
각각의 체인 링크는 길이 방향에 수직인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서로로부터 멀리 향하며 체인 링크를 횡방향으로 경계짓는 2개의 외부 측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체인 링크는 연속적인 횡단면을 갖는 외부 측면들 사이의 적어도 제위치들에서 또는 고형 본체로서 구현된다.Each chain link may have two outer side fa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transvers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directed away from each other and transversely bounding the chain link. In this case, the chain link is implemented at least at positions between the outer side faces having a continuous cross-section or as a solid body.
특히 바람직한 구성은 적어도 조인트 커넥터들과 체인 링크들 사이에서의 결합 방향은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나아가는 구성이다.A particularly desirable configuration is one in which the direction of engagement between at least the joint connectors and the chain links is substantially transverse.
일 실시예에서, 교대로 함께 연결되고 별개의 구성 요소들로 구현된 다수의 체인 링크(20) 그리고 별개의 조인트 커넥터(30)들의 연결부로서 구성될 스트랜드에 대한 제공이 이루어지며, 여기서 다수의 조인트 커넥터의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각 경우에 2개의 인접 체인 링크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In one embodiment, provision is made for a strand to be formed as a connection of a plurality of chain links (20) implemented as separate components and alternately connected together, and separate joint connectors (30),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joint connectors is preferably releasably connected to two adjacent chain links in each case.
하나의 특히 바람직한 구성에서, 체인 링크들은 본 발명의 다음의 독립적인 제2 양태에 따라 구성되며, 그의 바람직한 특징들은 제1 측면에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In one particularly preferred configuration, the chain links are configur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independent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ferred features of which are likewise applicable to the first aspect and vice versa.
양 양태와 관련된 추가적인 바람직한 구성 특징은 관련 종속항에 의해 밝혀진다.Additional desirable compositional features related to both aspects are revealed by the relevant dependent claims.
제2 양태Second aspect
제1 양태에 대한 대안 또는 추가 사항으로서, 위에서 언급된 목적은 지지 체인의 경우에 독립적인 제2 양태에 따라, 특히 제7항의 전제부에 따라 달성되며, 전방 공간에 의해 길이 방향에 가로지르는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1 인접 체인 링크의 후방 하부 부분은 전방 공간 내로 삽입 가능하거나 삽입됨- 각각의 체인 링크의 전방 상부 부분과 전방 하부 부분에 대한, 그리고 후방 공간에 의해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2 인접 체인 링크의 전방 상부 부분은 후방 공간 내로 삽입 가능하거나 삽입됨- 각각의 체인 링크의 후방 상부 부분과 후방 하부 부분에 대한 제공이 이루어진다.As an alternative or additional aspect to the first aspect, the above-mentioned object is achieved in the case of a support chain by an independent second aspect, in particular by the preamble of claim 7, in which provision is made for a front upper part and a front lower part of each chain link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height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 front space - the rear lower part of the first adjacent chain link being insertable or insertable into the front space - and for a rear upper part and a rear lower part of each chain link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height by a rear space - the front upper part of the second adjacent chain link being insertable or insertable into the rear space.
이는 특히 길이 방향으로의 체인 링크들의 연결의 견고한 구성을 가능하게 하고, 이 구성에서 각 상대적 굽힘 위치에서 의도된 인장력과 압축력은 적어도 주로 체인 링크들 자체를 통해 전달되며, 따라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제1 양태에 따라 제공된 조인트 커넥터들은 응력을 받지 않거나 약간만 응력을 받는다.This enables a particularly robust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on of the chain link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which the intended tensile and compressive forces at each relative bending position are transmitted at least primarily via the chain links themselves, so that particularly preferably the joint connectors provided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are not stressed or are only slightly stressed.
또한 제2 양태의 경우, 길이 방향이 아닌 결합 방향, 특히 길이 방향에 수직인 결합 방향으로 함께 연결 가능한 및/또는 서로로부터 분리 가능한 적어도 일부 체인 링크에 대한 제공이 바람직하게는 이루어지며, 여기서 결합 방향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횡방향 및/또는 높이 방향으로 나아간다. 링크들이 서로 결합되는 방향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으로 특별한 구성요소를 구성 요소를 갖지 않으며, 따라서 작동 중에 의도하지 않은 분리가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Furthermore, for the second aspect, provision is preferably made for at least some chain links to be connectable together and/or detachable from one another in a joining direction other tha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particular a joining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joining direction preferably runs substantially transversely and/or in the height direc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nks are connected to one another particularly preferably does not have any special componen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unintended separation during operation can be reliably prevented.
제2 양태에서, 조인트 커넥터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제1 양태에 따라 사용되며, 즉 지지 체인은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조인트 커넥터를 포함하며, 이 조인트 커넥터들은 별개의 구성 요소로서 구현된다. 체인 링크의 굽힘 방향에서, 조인트 커넥터들은 특히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영역을 갖는다. 이 경우, 다수의 조인트 커넥터의 각각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각 경우 2개의 인접 체인 링크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 가능하다.In a second aspect, joint connectors are preferably used,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i.e. the support chain preferably comprises a plurality of joint connectors, which joint connectors are implemented as separate components. In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chain links, the joint connectors have in particular an elastically deformable region. In this case, each of the plurality of joint connectors is particularly preferably releasably connectable in each case to two adjacent chain links.
제2 양태의 하나의 유리한 추가 개발 사항에서, 높이 방향으로 돌출된 상부 돌출부를 갖는 전방 상부 부분에 대한 그리고 상부 리세스를 갖는 후방 상부 부분에 대한; 및 높이 방향으로 돌출된 하부 돌출부를 갖는 후방 하부 부분에 대한 그리고 하부 리세스를 갖는 전방 하부 부분에 대한 제공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에, 연장된 위치와 구부러진 위치 모두에서 제1 인접 체인 링크의 상부 리세스에서의 맞물림을 위하여 구성되는, 각각의 체인 링크의 상부 돌출부에 대한, 그리고 연장된 위치와 구부러진 위치 모두에서 제2 인접 체인 링크의 하부 리세스에서의 맞물림을 위하여 구성된, 각각의 체인 링크의 하부 돌출부에 대한 추가 제공이 특히 이루어진다. 이렇게 하여, 인장력과 압축력 모두는 연장된 위치와 구부러진 위치에서 돌출부들과 리세스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In one advantageous further development of the second aspect, provision is made for a front upper part having an upper projection protruding in the height direction and for a rear upper part having an upper recess; and for a rear lower part having a lower projection protruding in the height direction and for a front lower part having a lower recess. In this case, additional provision is made in particular for the upper projection of each chain link, which is configured for engagement in the upper recess of the first adjacent chain link both in the extended position and in the bent position, and for the lower projection of each chain link, which is configured for engagement in the lower recess of the second adjacent chain link both in the extended position and in the bent position. In this way, both tensile and compressive forces can be transmitted by the interaction of the projections and the recesses in the extended position and in the bent position.
하나의 인접 체인 링크의 후방 공간으로부터 그의 최상부를 향하여 상부 리세스에서 맞물리도록 구성된 상부 돌출부에 대한 그리고 다른 인접 체인 링크의 전방 공간으로부터 그의 최하부를 향하여 하부 리세스에서 맞물리도록 구성된 하부 돌출부에 대한 제공이 추가로 바람직하게 이루어지며, 전방 공간의 내부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높이 방향으로 하부 돌출부를 포함하는 후방 하부 부분의 치수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크고, 그리고 후방 공간의 내부 높이는 높이 방향으로 상부 돌출부를 포함하는 전방 상부 부분의 치수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크다. 이렇게 하여, 돌출부들은 체인 링크들을 횡방향(Q)으로 또는 길이 방향(L)으로 연결하고 높이 방향(H)으로 서로 상대적으로 시프트시킴으로써 대응하는 리세스들 내로 삽입되거나 이들과 맞물린다. 이는 따라서 체인 링크들의 왜곡 없이 그리고 꼬임 또는 비틀림 없이 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필요하다면, 예를 들어 예방적인 유지보수를 위하여 지지 체인의 간단한 조립 및 개별 부분들의 간단한 교체를 허용한다.It is further preferably provided that an upper projection is configured to engage in an upper recess from the rear space of one adjacent chain link towards its uppermost part, and a lower projection is configured to engage in a lower recess from the front space of the other adjacent chain link towards its lowermost part, wherein the internal height of the front space is preferably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dimensions of the rear lower part comprising the lower projection in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internal height of the rear spa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dimensions of the front upper part comprising the upper projection in the height direction. In this way, the projections are inserted into or engage with the corresponding recesses by connecting the chain links transversely (Q) or longitudinally (L) and shifting them relative to one another in the height direction (H). This can thus be achieved without distortion and without twisting or torsion of the chain links, and thus allows simple assembly of the support chain and simple replacement of individual parts, if necessary, for example for preventive maintenance.
링크는 바람직하게는, 상부 리세스가 후방 공간으로부터 시작하여 최상부를 향해 개구를 형성하도록 및/또는 하부 리세스가 전방 공간으로부터 시작하여 최하부를 향해 개구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하여, 최대 멈춤 면이 특히 제공될 수 있다.The link is preferably configured such that the upper recess forms an opening starting from the rear space and towards the top and/or such that the lower recess forms an opening starting from the front space and towards the bottom. In this way, a maximum stopping surface can be provided in particular.
각 경우에 연장된 위치에서 인접 체인 링크의 대응하는 결합 접촉 표면에 압축 및/또는 인장력 흡수 방식으로 얹혀 있기 위한 접촉 표면 및 구부러진 위치에서 인접 체인 링크의 대응하는 결합 접촉 표면에 압축 및/또는 인장력 흡수 방식으로 얹혀 있기 위한 접촉 표면을 갖기 위하여 각각의 체인 링크의 상부 돌출부, 하부 돌출부, 상부 리세스 및 하부 리세스에 대한 제공이 더욱 유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기서 멈춤 면들의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에 대해 가로질러 연장된다.It may further advantageously be provided that each chain link has an upper projection, a lower projection, an upper recess and a lower recess, in order to have a contact surface for resting in a compressive and/or tensile force-absorbing manner on the corresponding mating contact surface of the adjacent chain link in the extended position in each case, and a contact surface for resting in a compressive and/or tensile force-absorbing manner on the corresponding mating contact surface of the adjacent chain link in the bent position, wherein each of the stop faces preferably extends transversely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모든 접촉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변위 평면에 수직으로, 즉 횡방향과 평행하게 또는 횡방향 힘이 방지되도록 전체적으로 나아간다.All contact surfaces are preferably oriented perpendicular to the displacement plane, i.e. parallel to the transverse direction or as a whole so that transverse forces are prevented.
구부러진 그리고 연장된 상대 위치들에서, 바람직하게는 각 경우에 적어도 2개 상의 멈춤 면이 힘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며, 여기서 쌍은 링크의 중심에 대해 길이 방향 단면에서 서로 정반대 위치에 놓여 있다.In the bent and extended relative positions, preferably in each case at least two stopping faces interact in a force-transmitting manner, the pair being diametrically opposed in longitudinal cross-s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re of the link.
서로에 대해 각각의 각도를 이루는 상부 돌출부의 접촉 표면들 또는 하부 돌출부의 접촉 표면들에 대한 그리고 서로에 대해 각각의 각도를 이루는 상부 리세스의 접촉 표면들 또는 하부 리세스의 접촉 표면들에 대한 제공이 유리하게는 이루어지며, 여기서 상부 돌출부와 상부 리세스의 각도들 간의 각도 치수 차이와 하부 돌출부와 하부 리세스의 각도들 간의 각도 치수 차이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또는 동일하다. 각도들의 대응 구성은 복수의 한계 멈춤부들의 동시의 쌍을 이루는 상호작용을 보장하며 따라서 전체적으로 힘 전달 영역을 확장한다.Advantageously, provision is made for contact surfaces of the upper projection or of the lower projection which form an angle relative to each other and for contact surfaces of the upper recess or of the lower recess which form an angle relative to each other, wherein the angular dimension difference between the angles of the upper projection and the upper recess and the angular dimension difference between the angles of the lower projection and the lower recess are preferably substantially identical or identical.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 of the angles ensures simultaneous pairwise interaction of a plurality of limit stops and thus expands the force transmission area overall.
구부러진 위치에서 그와 맞물리는 상부 리세스에서 체인 링크의 최상부와 같은 높이로 구현되는 상부 돌출부에 대한, 및/또는 연장된 위치에서 그와 맞물리는 하부 리세스에서 체인 링크의 최하부와 같은 높이로 구현되는 하부 돌출부에 대한 제공이 유리하게는 이루어진다. 전반적으로, 모든 작동 위치에서 돌출부가 없고 편평한 외부면을 구현하여 엔벨로프에 대한 손상 또는 마모를 방지하는 것이 목적이다.Advantageously, provision is made for an upper projection implemented flush with the uppermost part of the chain link in the upper recess engaging therewith in the bent position, and/or for a lower projection implemented flush with the lowermost part of the chain link in the lower recess engaging therewith in the extended position. In general, the aim is to implement a flat outer surface free of projections in all operating positions, thereby preventing damage or wear to the envelope.
각각의 체인 링크는 각 경우에 전방 및 후방 상부 부분에 그리고 전방 및 후방 하부 부분에 종단 접촉 표면들을 가지며, 종단 접촉 표면들은 연장된 위치에서 전방 및 후방 상부 부분의 종단 접촉 표면들이 인접 체인 링크의 전방 및 후방 상부 부분의 종단 접촉 표면 위에 놓여 있는 방식으로 구성되고, 전방 및 후방 하부 부분의 종단 접촉 표면들은 구부러진 위치에서 인접 체인 링크의 종단 접촉 표면들 상에 놓여 있다면, 힘 전달을 위한 면의 추가 확장이 달성된다.Each chain link has, in each case, terminal contact surfaces in its front and rear upper parts and in its front and rear lower parts, the terminal contact surfaces being configured in such a way that in an extended position the terminal contact surfaces of the front and rear upper parts lie on the terminal contact surfaces of the front and rear upper parts of the adjacent chain link, and if in a bent position the terminal contact surfaces of the front and rear lower parts lie on the terminal contact surfaces of the adjacent chain link, then further expansion of the surface for force transmission is achieved.
바람직하게는, 전방과 후방 공간은 모두 개방되거나 개방 방식으로 외부 측면들의 각각으로 이어지며, 공간들은 따라서 각 경우에 전방 상부 부분의 및/또는 조인트 커넥터의 후방 하부 부분의 삽입을 위하여 접근 가능하다. 이는 조립과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고 간략하게 한다.Preferably, both the front and rear spaces are open or lead in an open manner to each of the outer sides, the spaces being thus accessible in each case for insertion of the front upper part and/or the rear lower part of the joint connector. This facilitates and simplifies assembly and maintenance.
횡방향으로의 각각의 조인트 커넥터의 치수가 각각의 체인 링크의 외부 측면)들 사이의 거리의 30%보다 큰 값, 특히 50% 내지 100%에 이른다면 힘 흐름 및/또는 기계적 조건을 위하여 유리하다. 조인트 커넥터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이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더욱이, 각각의 조인트 커넥터가 체인 링크들의 외부 측면들 사이의 횡방향에 대하여 중간 영역에서 연장되거나 횡방향 힘이 발생할 수 없도록 중간 영역에서 중심적으로 배열된다면 힘 흐름을 위하여 유리하다.It is advantageous for the force flow and/or for the mechanical conditions if the dimensions of each joint connecto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re greater than 30%, in particular between 50% and 100%, of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sides of the respective chain links. The width of the joint connector is preferably substantially equal to this distance. Furthermore, it is advantageous for the force flow if each joint connector extends transversely in the middle area between the outer sides of the chain links or is arranged centrally in the middle area such that no transverse forces can occur.
하나의 특히 견고한 실시예에서, 2개의 인접 체인 링크 중 하나의 전방 상부 부분과 전방 하부 부분 사이에서 그리고 2개의 인접 체인 링크 중 다른 하나의 후방 상부 부분과 후방 하부 부분 사이에서 높이 방향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도록 각 조인트 커넥터에 대한 제공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하여, 조인트 커넥터는 맞물림으로부터의 체인 링크들의 분리에 대한 인터록을 동시에 형성한다. 이 경우에 조인트 커넥터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그에 대해 필요한 이동 유격(play)을 차단함으로써, 각 경우에 관련된 조인트 커넥터를 통한 서로에 대해 높이 방향으로의 인접한 2개의 체인 링크의 시프트를 방지할 수 있다.In one particularly robust embodiment, provision is made for each joint connector to extend at least partially in the height direction between the front upper part and the front lower part of one of the two adjacent chain links and between the rear upper part and the rear lower part of the other of the two adjacent chain links. In this way, the joint connector simultaneously forms an interlock against the disengagement of the chain links from the engagement. In this case, the joint connector can preferably prevent a shifting of the two adjacent chain links relative to one another in the height direction via the joint connector concerned in each case, for example by blocking the necessary movement play thereto.
추가적인 유리한 특징 (양 양태)Additional Advantageous Features (Both Aspects)
일부 바람직한 추가 개발 사항이 아래에서 설명되며, 이는 (위의 특징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양 핵심 양태에 관하여 유리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Some desirable further developments are described below which (like the above features) should be considered advantageous with respect to both core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조인트 커넥터들은 바람직하게는 인접 체인 링크들의 굽힘 시 이 체인 링크들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는 스프링 요소들로 구현되며, 이들은 굽힘 방향과 반대로 체인 링크들의 적어도 부분적인 복원 이동을 유발한다. 이는 지지 체인의 그리고 선택적으로 라인 가이드 전체의 이동에 대한 진동의감쇠를 야기한다.The joint connectors are preferably implemented as spring elements which exert elastic restoring forces on adjacent chain links when these are bent, which induce at least a partial restoring movement of the chain links opposite to the bending direction. This results in a damping of the vibrations of the movement of the supporting chain and optionally of the entire line guide.
길이 방향으로의 각 조인트 커넥터 또는 각각의 조인트 커넥터의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영역의 길이는 각 경우에 높이 방향(H)으로의 각각의 조인트 커넥터의 두께의 배수에 이른다.The length of the elastically deformable region of each joint connector or each joint connecto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in each case a multiple of the thickness of each joint connector in the height direction (H).
별개의 조인트 커넥터의 분리 가능한 체결을 위하여, 각 조인트 커넥터가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2개의 체결 영역을 갖는 것이 그리고 각 경우에 길이 방향으로의 시프트에 대하여 체결 영역들 중 하나에 의하여 2개의 체인 링크의 각각에 체결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길이 방향에 대하여, 체결 영역들 사이에서, 조인트 커넥터의 적어도 2개의 영역은 단면, 재료 두께 및 탄성률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특성을 구비하는 방식으로 조인트 커넥터는 구성될 수 있다.For the separable fastening of the separate joint connectors, it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if each joint connector has two longitudinally spaced fastening regions and if, in each case, one of the fastening regions is fastened to each of the two chain links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shift. The joint connector can be configured in such a way that,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fastening regions, at least two regions of the joint connector have at least one other characteristic selected from the group comprising cross-section, material thickness and modulus of elasticity.
바람직하게는, 각 또는 각각의 체인 링크는 각 경우에 조인트 커넥터의 하나의 체결 영역과의 형상-록킹 및/또는 힘-록킹 상호 작용을 위하여 2개의 체결 리셉터클을 갖는다. 각 체결 리셉터클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체인 링크의 전방 상부 부분과 전방 하부 부분 또는 후방 상부 부분과 후방 하부 부분 사이에 각각 구성될 수 있으며; 및/또는 각각의 체결 리셉터클은 체인 링크의 측면들 중 적어도 하나로, 바람직하게는 둘 모두로 개방적으로 접근 가능하거나 개방 방식으로 이어질 수 있다.Preferably, each or each chain link has two fastening receptacles for form-locking and/or force-locking interaction with one fastening region of the joint connector in each case. Each fastening receptacle can preferably be configured between the front upper part and the front lower part or the rear upper part and the rear lower part of the respective chain link; and/or each fastening receptacle can be openly accessible or openly connected to at least one, preferably both, of the side faces of the chain link.
조인트 커넥터는 바람직하게는 어느 한 측면에서 2개의 인접 체인 링크의 체결 리셉터클 내로 횡방향으로 삽입, 특히 눌려질 수 있으며, 이는 조립이 특히 간단하다는 것을 의미한다.The joint connector can preferably be inserted, in particular pressed, laterally into the fastening receptacles of two adjacent chain links on either side, which means that assembly is particularly simple.
각각의 체결 리셉터클은 유리하게는 최상부와 최하부 사이에서 높이 방향에 대해 중간 영역에 배열된다. 체결 리셉터클은 바람직하게는 최상부와 최하부로부터 실질적으로 같은 거리에 있다.Each of the fastening receptacles is advantageously arranged in a middle region with respect to the height direction between the uppermost and lowermost portions. The fastening receptacles are preferably substantially equidistant from the uppermost and lowermost portions.
추가적인 마모의 방지를 위하여, 각각의 체인 링크가 각각의 체결 리셉터클에서, 특히 체결 리셉터클에서 전방 또는 후방 공간으로의 전이부에서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서로 향하는 클램핑 표면들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이 클램핑 표면들은 관련된 조인트 커넥터의 체결 영역의 힘-록킹 유지를 위하여 그리고 대응하는 체결 리셉터클에 대한 체결 영역의 이동에, 예를 들어, 횡방향으로의 시프트에 대하여 및/또는 체결 리셉터클에서의 비틀림에 대하여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에, 각각의 조인트 커넥터는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표면들과의 상호 작용을 위하여 체결 영역들에 두꺼워진 부분들을 가질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additional wear, it is advantageous if each chain link has, at each fastening receptacle, mutually spaced apart in height from each other, facing each other, clamping surfaces, in particular at the transition from the fastening receptacle to the front or rear space. These clamping surfaces are configured to maintain the force-locking of the fastening region of the associated joint connector and to counteract movements of the fastening region relative to the corresponding fastening receptacle, for example against transverse shifts and/or against torsion in the fastening receptacle. In this case, each joint connector can preferably have thickened portions in the fastening regions for interaction with the clamping surfaces.
특히 조립된 조인트 커넥터들 또는 조인트 요소들의 위치를 횡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체결 영역에 캐치 수단을 갖기 위한 각각의 조인트 커넥터에 대한 제공이 유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캐치 수단은 관련 체인 링크의 상보적 결합 캐치 수단과의 상호 작용을 위하여 구현된다.In particular, for the purpose of laterally fixing the position of the assembled joint connectors or joint elements, it may be advantageous to provide for each joint connector a catch means in the fastening region, said catch means being implemented for interaction with a complementary engaging catch means of the associated chain link.
바람직하게는, 조인트 커넥터들의 모두 또는 적어도 일부는 실질적으로 플레이트형 구성 요소로서 또는 길이 방향과 높이 방향이 놓여있는 평면에서 만곡진 구성 요소로서 구현된다.Preferably, all or at least some of the joint connectors are implemented as substantially plate-shaped components or as curved components in a plane in which the length and height directions lie.
조인트 커넥터들은 바람직하게는 체인 링크에 대해 탄성적이고 장기적인 굽힘 저항을 나타내는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다. 조인트 커넥터들과 체인 링크들은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재료들로 만들어진다.The joint connectors are preferably made of a plastic material which is elastic and exhibits long-term bending resistance with respect to the chain links. The joint connectors and the chain links are preferably made of different materials.
작동 중에 횡방향 힘을 방지하기 위해, 각 체인 링크 및/또는 각 조인트 커넥터는 그의 길이 방향 중앙 평면에 대해 거울 대칭인 본체로 구성된다.To prevent transverse forces during operation, each chain link and/or each joint connector is constructed as a body that is mirror-symmetrical about its longitudinal central plane.
각 체인 링크는 블록 부재로, 바람직하게는 일체형 블록 부재로, 즉 중량을 줄이는 테이퍼 및 개구를 제외하고 임의의 완전한 내부 캐비티, 특히 길이 방향의 임의의 통로 개구가 없는 본체로 구성된다. Each chain link consists of a block member, preferably a monolithic block member, i.e. a body without any complete internal cavity, in particular without any longitudinal passage opening, except for weight-reducing tapers and openings.
지지 체인의 2개의 필수적인 또는 유일한 구성 요소, 즉 체인 링크들과 조인트 커넥터들은 각 경우에 유리하게는 특히 사출 성형에 의하여 플라스틱 재료의 특히 별개의 구성 요소로 생산될 수 있다.The two essential or only components of the support chain, namely the chain links and the joint connectors, can advantageously be produced in each case as separate components, in particular from a plastic material, in particular by injection moulding.
체인 링크들과 조인트 커넥터들은, 특히 분리 가능하게 함께 연결된, 상호 별개의 개별 구성 요소들로서 생산될 수 있다. 지지 체인을 형성하는 스트랜드의 연결을 위하여, 각 조인트 커넥터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인접 쌍의 2개의 체인 링크 중 적어도 하나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 가능하다. 그러나 체인 링크들 내의 분리 가능한 연결 또한 특히 제1 양태에 따른 변형으로서 생각 가능하다. 그러나 별개의 구성 요소들로 구체화되고 각 경우에 체인 링크들과의 분리 가능한 연결을 위한 2개의 종단 영역 그리고 그들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변형 가능한 영역을 갖는 다수의 별개의 조인트 요소 또는 조인트 커넥터를 갖는 지지 체인의 구성이 바람직하다.The chain links and joint connectors can be produced as mutually separate, individual components, in particular detachably connected together. For the connection of the strands forming the support chain, each joint connector is preferably detachably connectable to at least one of two chain links of an adjacent pair. However, a detachable connection within the chain links is also conceivable, in particular as a variant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However, a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chain having a plurality of separate joint elements or joint connectors, which are embodied as separate components and in each case have two end regions for a detachable connection to the chain links and at least one deformable region between them, is preferred.
제1 및 제2 양태 모두에 따르면, 제안된 지지 체인은 특히 클린룸 적용을 위한 라인 가이드 디바이스에서의 사용에 적합하다.According to both the first and second aspects, the proposed support chain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use in line guide devices for cleanroom applications.
본 발명의 개별 양태의 추가 세부 사항 및 이점은 위의 일반적인 본질을 제한하지 않고 첨부된 도면을 기반으로 한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다음 설명으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대응하는 또는 동일한 구조 또는 기능의 특징들은 대응하는 참조 부호를 가지며 반복적으로 설명될 수 없다. 도면에서:Additional details and advantages of individual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ferr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preferred exemplary embodiments based on the attached drawings, without limiting the above general nature. Corresponding or identical structural or functional features have corresponding reference numerals and cannot be described repeatedly. In the drawings:
도 1은 클린룸 적용을 위한 라인 가이드 디바이스의 사시도로서, 여기서 2개의 엔벨로프는 연장된 자체 지지 상부 런, 연장된 휴지 하부 런 및 그들 사이의 편향 아크를 갖는 순수하게 예시적인 작동 위치에 있다.
도 2는 다수의 라인에 대한 다수의 적층된 엔벨로프를 갖는 예시적인 다층 구조체를 통한 횡단면 (길이 방향에 수직)이며, 여기서 지지 체인은 다수의 엔벨로프의 수용 덕트에 수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지지 체인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측면도(A), 아래에서 본 도면(B), 평면도(C), 정면도(D), 배면도(E) 및 길이 방향 단면(F)에서의, 도 3에 따른 지지 체인의 개별 체인 링크의 구조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에 따른 체인 링크의 사시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6은 연장된 위치 (도 6의 좌측)와 완전히 구부러진 위치(도 6의 우측)에 있는, 도 3 내지 도 5에 따른 체인 링크로 구성된 지지 체인의 길이의 일부를 통한 길이 방향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도 7은 도 3 내지 도 5에 따른 지지 체인에 대한 측면도(A), 평면도(B) 및 사시도(C)에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개별 조인트 요소의 구조적 도면을 보여주고 있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ne guide device for cleanroom applications, wherein the two envelopes are in a purely exemplary operating position with an extended self-supporting upper run, an extended resting lower run and a deflection arc between them.
Figure 2 is a cross-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an exemplary multilayer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stacked envelopes for a plurality of lines, where the support chains are accommodated in receiving ducts of the plurality of envelopes.
FIG. 3 is a side view of a support chai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hows the structural diagram of individual chain links of the support chain according to FIG. 3 in a side view (A), a view from below (B), a plan view (C), a front view (D), a back view (E), and a longitudinal cross-section (F).
Figures 5a and 5b show perspective views of a chain link according to Figure 4.
Figure 6 shows a longitudinal cross-section through a portion of the length of a support chain comprising chain links according to Figures 3 to 5 in an extended position (left side of Figure 6) and a fully bent position (right side of Figure 6).
FIG. 7 shows structural drawings of individual joint elements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in side (A), plan (B) and perspective (C) views of the support chain according to FIGS. 3 to 5.
도 1은 베이스 상의 고정식 연결 지점(2)과 이동하는 종단 상의 이동식 연결 지점(4) 사이에서 공급 라인(3)(도 2)을 안내하는 예시적인 라인 가이드 디바이스(1)를 보여주고 있다. 이동 종단은 더 상세하게 보이지 않으며, 전형적으로 길이 방향(L)으로 선형적인 방식으로 앞뒤로 변위될 수 있다. 공급 라인(3)은 케이블, 호스 또는 그 밖에 유사한 것이며, 기계의 이동부에 예를 들어 파워, 신호 및/또는 작동 매체를 공급한다. 도 1은 자체 지지 연장 상부 런(5), 지지 표면에 선택적으로 놓인 하부 런(6), 그리고 편향 아크(7)를 갖는 라인 가이드 조립체(1)의 스냅샷(snapshot)을 보여주고 있다. 편향 아크(7)는 가상 편향 축(U)에 대하여 사전 결정된 굽힘 반경 또는 편향 반경을 갖는다. 작동 시, 편향 아크(7)는 이동식 연결 지점(4)을 갖는 상부 런(5)이 길이 방향(L)으로 앞으로 또는 뒤로 이동할 때 고정식 연결 지점(2)에 대해 왕복 이동한다.Fig. 1 shows an exemplary line guide device (1) guiding a supply line (3) (Fig. 2) between a fixed connection point (2) on a base and a movable connection point (4) on a moving end. The moving end is not shown in more detail and can typically be displaced back and forth in a linear mann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The supply line (3) is a cable, a hose or the like and supplies the moving part of the machine with, for example, power, signals and/or operating medium. Fig. 1 shows a snapshot of a line guide assembly (1) having a self-supporting extended upper run (5), a lower run (6) optionally positioned on a supporting surface, and a deflection arc (7). The deflection arc (7) has a predetermined bending radius or deflection radius with respect to an imaginary deflection axis (U). In operation, the deflection arc (7) reciprocates with respect to the fixed connection point (2) when the upper run (5) with the movable connection point (4) moves forwards or backwar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라인 가이드 디바이스(1)는 특히 입자의 방출이 감소되거나 방지되어야 하는 클린룸 또는 기타 적용 분야에 적합하고 이를 위해 의도된다. 이를 위하여, 이는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된 가요성 플라스틱 재료의 하나 이상의 가요성 엔벨로프(envelope)(8)를 가지며, 이는 연결 지점(2와 4)들 사이에서 그의 전체 길이를 따라 공급 라인(3)을 먼지-기밀 방식으로 둘러싸고 있다. 각 엔벨로프(8)의 종단들과 라인(3)들의 종단은, 예를 들어 종단 체결 디바이스(11) 또는 종단 연결부를 이용하여 종단에서 연결 지점(2, 4)들에 체결된다.The line guide device (1) is particularly suitable and intended for cleanrooms or other applications in which particle emissions have to be reduced or prevented. For this purpose, it has one or more flexible envelopes (8) of flexible plastic material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which surround the supply line (3) in a dust-tight manner along its entire length between the connection points (2 and 4). The ends of each envelope (8) and the ends of the lines (3) are fastened at the end to the connection points (2, 4), for example by means of a terminal fastening device (11) or a terminal connection.
도 2에 따르면, 각 엔벨로프(8)는 각 경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급 라인(3)을 안내하기 위한 다수의 튜브형 수용 덕트(9)를 갖는다. 각 엔벨로프(8)는 전체적으로 호스와 같으며, 특히 적절한 설계 및/또는 재료 선택을 통해 충분히 유연하여, 힘을 거의 가하지 않고도 편향 아크(7)의 가역적으로 유연한 곡률을 허용하며 가능한 가장 적은 저항으로 길이 방향(L)으로의 이동을 따른다.According to Fig. 2, each envelope (8) has a number of tubular receiving ducts (9) for guiding at least one supply line (3) in each case. Each envelope (8) is hose-like overall and, in particular, sufficiently flexible through suitable design and/or material selection, allows a reversibly flexible curvature of the deflection arc (7) with hardly any force and follows its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with the least possible resistance.
라인 가이드 디바이스(1)는 연결 지점(2)에서 연결 지점(4)으로 라인 가이드 디바이스(1)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다수의 지지 체인(10)을 더 포함한다. 도 2에 따른 순전히 예시적인 배열체에서, 라인(3)을 갖는, 엔벨로프(8)들의 다수의 적층된 층을 갖는 다층 구조체가 보여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편향 아크(7)를 향하는 내부 지지층이 제공되며, 지지층 내에서 지지 체인(10)은 엔벨로프(들)(8)의 모든 수용 덕트(9)에 제공되며, 즉 이 내부 지지층은 어떠한 라인(3)도 안내하지 않는다. 부가적인 지지 체인(10)들은 또한 횡방향 힘에 대한 안정화의 목적을 위하여 추가 층들 내의 엔벨로프(들)(8)에, 예를 들어 외부 측면에 배열될 수 있다(도 2 참조). 예를 들어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엔벨로프(8)는 복수의 개별 엔벨로프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예를 들어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체결 프로파일 또는 체결 밴드(13)에 의하여 횡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함께 연결된다. 각각의 엔벨로프 유닛은, 예를 들어 지지 체인(10)이 수용되는 단 하나의 수용 덕트(9)를 가질 수 있으며, 고정 프로파일 또는 고정 밴드(13)에 의해 추가 봉투 유닛과 연결 가능할 수 있다. 이는 요구될 때 개별 지지 체인(10)의 교체를 허용한다. 여기서 엔벨로프(8)의 구성과 관련하여 WO 2020/148300 A1의 교시 내용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WO2020/148300 A1은, 도 9d, 도 10c, 도 10d, 도 13a 내지 도 13c, 그리고 도 18a, 도 1b와 관련하여, 단지 하나의 리셉터클을 갖는 그리고 엔벨로프 유닛들을 연결하기 위한 체결 프로파일들 또는 체결 밴드들을 갖는 엔벨로프 유닛들을 설명하고 있다.The line guide device (1) further comprises a number of support chains (10) which extend along the entire length of the line guide device (1) from the connection point (2) to the connection point (4). In a purely exemplary arrangement according to Fig. 2, a multilayer structure is shown which has a number of laminated layers of envelopes (8) with lines (3). In this connection, an inner support layer is provided which faces the deflection arc (7), within which support chains (10) are provided in all receiving ducts (9) of the envelope(s) (8), i.e. this inner support layer does not guide any lines (3). Additional support chains (10) can also be arranged in the envelope(s) (8) in additional layers, for example on the outer side, for the purpose of stabilizing against transverse forces (see Fig. 2).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envelope (8) can comprise a plurality of individual envelope units, which are transversely detachably connected together, for example by means of a longitudinally extending fastening profile or fastening band (13). Each envelope unit can have, for example, only one receiving duct (9), in which a support chain (10) is received, and can be connected to further envelope units by means of a fastening profile or fastening band (13). This allows the replacement of individual support chains (10) when required. Reference is made here to the teachings of WO 2020/148300 A1 with regar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nvelope (8). For example, WO2020/148300 A1 describes envelope units having only one receptacle and having fastening profiles or fastening bands for connecting the envelope units, with reference to FIGS. 9d, 10c, 10d, 13a to 13c, and 18a, 1b.
지지 체인(10)들의 핵심적인 기능은 편향 아크(7)의 곡률 반경을 사전 결정하는 것 또는 편향 축(U)을 중심으로 하는 그의 최소 반경을 제한하는 것에 있다. 각 지지 체인(10)의 추가적인 핵심적인 기능은 상부 런(5)의 자체 지지 길이를 증가시키는 것, 또는 사실은 이동 종단의 완전히 전진된 위치(도 1에서는 보이지 않음)에서 충분한 자기 지지 길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에 있다. 이 경우에서의 각 지지 체인(10)은 특히 높이 방향(H)으로 중력에 의해 유도된 처짐에 대해 엔벨로프(8)를 지지하거나 부하 지지 작용을 한다. 라인 가이드 디바이스(1)의 하중 및 길이에 대해 충분한 수의 지지 체인(10)이 제공된다.The essential function of the support chains (10) is to predetermine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deflection arc (7) or to limit its minimum radius around the deflection axis (U). A further essential function of each support chain (10) is to increase the self-supporting length of the upper run (5), or in fact to enable a sufficient self-supporting length in the fully advanced position of the travel end (not visible in Fig. 1). In this case, each support chain (10) supports the envelope (8) in particular against the deflection induced by gravity in the height direction (H) or acts as a load-bearing agent. A sufficient number of support chains (10) are provided for the load and the length of the line guide device (1).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체인(10)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된다.Exemplary embodiments of a support chain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3 to 7.
도 3은 의도된 위치에 있는, 즉 편향 축(U)을 중심으로 되돌아 회전된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체인(10)을 보여주고 있으며, 여기서 지지 체인(10)은 2개의 런,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상부 런(5)과 하부 런(6), 그리고 편향 아크(7)를 형성한다. 편향 아크(7)는 도 3의 평면에서 실질적으로 U-형상이며, 이 평면에 길이 방향(L)과 높이 방향(H)이 놓여있다. 지지 체인(10)의 구성은 편향 아크(7)의 그리고 전체 라인 가이드 디바이스(1)의 형상을 결정한다. 편향 축(U)은 도 3의 평면에 수직으로, 즉 길이 방향(L)에 수직이고 높이 방향(H)에 수직인 횡방향(Q)으로 나아간다. 지지 체인(10)은 자체 지지 상부 런(5)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높이 방향(H)으로 런(5, 6)들은 전체 변위 경로에 걸쳐 서로로부터 이격된 것을 유지한다.Fig. 3 shows a support chain (10)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the intended position, i.e. rotated around the deflection axis (U), wherein the support chain (10) forms two runs, an upper run (5) and a lower run (6)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a deflection arc (7). The deflection arc (7) is substantially U-shaped in the plane of Fig. 3, in which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the height direction (H) lie.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chain (10) determines the shape of the deflection arc (7) and of the entire line guide device (1). The deflection axis (U) runs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Fig. 3, i.e. in a transverse direction (Q)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perpendicular to the height direction (H). The support chain (10)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self-supporting upper run (5), in which the runs (5, 6) in the height direction (H) remain spaced from one another over the entire displacement path.
지지 체인(10)은 링크 체인의 한 유형으로 구현되며, 각 경우 하나의 관절형 조인트에 의하여 분리 가능하게 함께 다수의 개별 체인 링크(20)를 포함하는, 정확히 하나의 스트랜드(12)로 구성된다. 관절형 조인트 때문에, 각 쌍의 인접 체인 링크(20, 20')들은 제한된 각도, 예를 들어 약 5 내지 20°에 걸쳐 굽힘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구부러질 수 있다. 체인 링크(20, 20')들은 (런(5, 6)들 내에서와 같은) 연장된 위치와 (편향 아크(7) 내에서와 같은) 구부러진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이는 지지 체인(10)가 편향 아크(7)의 최소 허용 가능한 또는 가능한 반경을 유지하면서 자체적으로 뒤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한다.The support chain (10) is implemented as a type of link chain and consists of exactly one strand (12) comprising a number of individual chain links (20) which are in each case separably joined together by means of one articulated joint. Due to the articulated joint, each pair of adjacent chain links (20, 20') can bend relative to one another in the bending direction over a limited angle, for example about 5 to 20°. The chain links (20, 20') are rotatable relative to one another between an extended position (such as within the runs (5, 6)) and a bent position (such as within the deflection arc (7)), which allows the support chain (10) to rotate backwards on its own while maintaining the minimum permissible or possible radius of the deflection arc (7).
각각의 관절형 조인트는 조인트 커넥터(30)를 포함하며, 이 조인트 커넥터는 각 경우에 함께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길이 방향(L)으로 인접한 또는 연속적인 2개의 체인 링크(20, 20')를 연결하며,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보여지는 예에서, 정확하게 하나의 별개의, 분리된 조인트 커넥터(30)가 인접 체인 링크(20, 20')들의 각 쌍에 대해 제공되며, 그의 종단들 중 하나로 하나의 체인 링크 20에, 그리고 다른 종단으로 다른 체인 링크(2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스트랜드(12) 내의 각 체인 링크(20)는 각 경우에 그의 부분에 대해 그의 길이 방향의 양측면 또는 양 종단 영역에서 하나의 조인트 커넥터(30)와 연결된다.Each articulated joint comprises a joint connector (30) which connects two adjacent or consecutive chain links (20, 20') longitudinally (L) so as to be releasably connected together in each case, a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7a to 7c. In the example shown, exactly one separate, discrete joint connector (30) is provided for each pair of adjacent chain links (20, 20'), releasably connected with one of its ends to one chain link 20 and with its other end to the other chain link (20'). Each chain link (20) within a strand (12) is in each case connected with one joint connector (30) on both sides or at both end regions of its longitudinal direction for its part.
따라서 체인 링크(20)들과 조인트 커넥터(30)들은 스트랜드(12)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교대로 나타난다. 각각의 조인트 커넥터(30)는 변형 가능한 중간 영역(32)을 포함하며, 이 영역은 라인 가이드 디바이스(1)의 또는 지지 체인(10)의 변위 중에 조인트 커넥터(30)에 작용하는 의도된 굽힘력의 작용을 통해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변형 가능한 영역(32)은 관련된 인접 체인 링크(20, 20')들의 굽힘 방향으로 또는 굽힘 방향에 반대하여 동일하게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다.Therefore, the chain links (20) and the joint connectors (30) alternately appear longitudinally within the strand (12). Each joint connector (30) comprises a deformable intermediate region (32), which is elastically deformable by the action of an intended bending force acting on the joint connector (30) during a displacement of the line guide device (1) or of the support chain (10). In this regard, the deformable region (32) is equally elastically deformable in the bending direction or against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associated adjacent chain links (20, 20').
도 3 내지 도 5가 보여주는 바와 같이, 인접 체인 링크(20, 20')들은 서로 맞물리며, 또한 체인 링크(20, 20')들 자체가 그들의 형상을 통하여 각각의 관절형 조인트에 기여하거나 상호 회전 자유도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으로 서로 내부에서 서로 맞물리고 구성된다. 여기서 체인 링크(20)들은 런(5, 6)들이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된 상태로 남아있고 아래쪽으로 처지지 않으며 그리고 편향 아크(7)가 그의 원하는 반경을 달성하고 그 아래로 떨어지지 않는 방식으로 조인트 커넥터(30)들과 함께 상호 작용한다. 도시된 예에서, 지지 체인(10)의 모든 체인 링크(20)는 동일한 구성이고, 모든 조인트 커넥터(30)는 동일한 구성이며, 따라서 지지 체인(10)은 단 2개의 필수 구성 요소로 제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 to 5 , adjacent chain links (20 , 20 ') are interlocked with one another, and furthermore the chain links (20 , 20 ') themselves are interlocked and configured within one another in such a way that they contribute to their respective articulated joints or influence their mutual rotational degrees of freedom through their shape. Here, the chain links (20) interact with the joint connectors (30) in such a way that the runs (5 , 6) remain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do not sag downwards and that the deflection arc (7) achieves its desired radius and does not fall below it. In the illustrated example, all chain links (20) of the support chain (10) are of the same configuration, and all joint connectors (30) are of the same configuration, so that the support chain (10) can be manufactured with only two essential components.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2개의 핵심적인 양태를 결합하는 개별 체인 링크(20)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6은 길이 방향 단면에서의 지지 체인(10)의 길이의 일부분을 보여주고 있으며, 여기서는 각 경우 2개의 체인 링크(20)의 연장된 위치와 구부러진 위치가 도시된다. 도 6에서 보여지지 않는 것은 연장된 위치에서의 지지 체인(10)의 유사하게 가능한 또는 유리한 프리텐션(pretensioning)이다. 체인 링크(2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 3 및 도 4 내지 도 6에 대한 참조가 아래에서 이루어진다.Figures 4 and 5 show a preferred first embodiment of an individual chain link (20) combining two essential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a portion of the length of the support chain (10) in longitudinal cross-section, wherein in each case two chain links (20) are shown in an extended position and a bent position. Not shown in Figure 6 is a similarly possible or advantageous pretensioning of the support chain (10) in the extended position. Reference is made below to Figures 3 and 4 to 6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hain links (20).
체인 링크(20)는 바람직하게는 단일체 또는 하나의 부분으로 구현되며, 특히 사출 성형을 통하여 플라스틱으로 일체로 만들어진다. 그러나 이는 다수의 부분으로 조립될 수도 있다. 체인 링크(20)는 최상부(204A), 최하부(204B), 2개의 외부 측면(23), 및 전방과 후방 종단 면(231, 232)을 갖는 블록의 형태로 구현된다. 횡 방향(Q)으로의 체인 링크(20)의 치수, 즉 체인 링크(20)의 폭은 높이 방향(H)의 치수, 즉 체인 링크(20)의 높이 또는 두께와 거의 같은 크기이다. 길이 방향(L)에 대한 비틀림을 더욱 줄이기 위하여 체인 링크(20)의 폭은 또한 그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보여지는 예에서, 길이 방향(L)의 치수, 즉 체인 링크의 길이는 폭의 적어도 2배 크며 및/또는 높이의 2배 크다. 선택된 길이는 원하는 체인 피치에 좌우된다. 최상부(204A)는 체인 링크(20)의 외부 측면이며, 이는 지지 체인(10) 내의 체인 링크(20)의 의도된 위치에서, 편향 아크(7)와 관련하여 바깥쪽에 위치된 체인 링크(20)의 측면에, 즉 편향 축(U) 또는 반대 런(도 3 참조)에서 멀리 떨어진 측면에 배열된다. 최하부(204B)는 체인 링크(20)의 외부 측면이며, 이는 지지 체인(10) 내의 체인 링크(20)의 의도된 위치에서, 편향 아크(7)와 관련하여 안쪽에 위치한 체인 링크(20)의 측면에, 즉 편향 축(U) 또는 반대 런(도 3 참조)을 향하는 측면에 배열된다. 체인 링크(20)의 외부 측면(23)들은 각각의 체인 링크(20)를 횡방향(Q)으로 경계짓는, 즉 서로로부터 이격되고 그리고 횡방향(Q)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체인 링크(20)의 외부면들이다. 전방 종단면(231)은 지지 체인(10) 내에서 체인 링크(20) 앞에 위치된 인접 체인 링크(20')를 향하며, 후방 종단면(232)은 지지 체인(10) 내에서 체인 링크(20) 뒤에 위치된 인접 체인 링크(20")를 향한다. 표면적과 관련하여, 최상부(204A)(도 4c), 최하부(204B)(도 4b), 그리고 외부 측면(23)(도 4a)은 대략 동일한 크기이며 길이 방향(L)에 수직인 체인 링크(20)의 단면적보다 적어도 2배 더 크다.The chain link (20) is preferably implemented as a single piece or one-piece, in particular made of plastic by means of injection molding. However, it can also be assembled from several parts. The chain link (20)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block having an upper part (204A), a lower part (204B), two outer side faces (23), and front and rear end faces (231, 232). The dimension of the chain link (2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Q), i.e. the width of the chain link (20), is approximately the same size as the dimension in the height direction (H), i.e. the height or thickness of the chain link (20). In order to further reduce the tor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the width of the chain link (20) can also be greater than its height. In the example shown, the dime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i.e. the length of the chain link, is at least twice as large as the width and/or twice as large as the height. The selected length depends on the desired chain pitch. The uppermost part (204A) is an outer side of the chain link (20), which is arranged on the side of the chain link (20) which is positioned outward with respect to the deflection arc (7), at the intended position of the chain link (20) within the support chain (10), i.e. on the side away from the deflection axis (U) or the opposite run (see FIG. 3). The lowermost part (204B) is an outer side of the chain link (20), which is arranged on the side of the chain link (20) which is positioned inward with respect to the deflection arc (7), at the intended position of the chain link (20) within the support chain (10), i.e. on the side facing the deflection axis (U) or the opposite run (see FIG. 3). The outer side faces (23) of the chain links (20) are outer faces of the chain links (20) which delimit each chain link (2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Q), i.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ransverse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ront end surface (231) faces an adjacent chain link (20') positioned in front of the chain link (20) within the support chain (10), and the rear end surface (232) faces an adjacent chain link (20") positioned behind the chain link (20) within the support chain (10). With respect to surface areas, the uppermost portion (204A) (FIG. 4C), the lowermost portion (204B) (FIG. 4B), and the outer side surface (23) (FIG. 4A) are approximately the same size and at least twice as large a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hain link (20)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각각의 체인 링크(20)는 길이 방향(L)에 대해 개념적으로 전방 길이 방향 부분(21)(도 4의 좌측)과 후방 길이 방향 부분(22)(도 4의 좌측)으로 세분화될 수 있다 (여기서 용어 "전방"과 "후면"은 단지 차별화의 목적을 위한 역할을 하며 원칙적으로 상호 교환 가능하다). 전방 길이 방향 부분(21)은 최상부(204A)에 전방 상부 부분(201A)과 최하부(204B)에 전방 하부 부분(201B)을 포함하며, 이들은 높이 방향(H)으로 전방 공간(241)에 의해 서로 이격된다. 후방 길이 방향 부분(22)은 결과적으로 최상부(204A)에 후방 상부 부분(202A)과 최하부(204B)에 후방 하부 부분(202B)을 포함하며, 이들은 높이 방향(H)으로 후방 공간(242)에 의해 서로 이격된다. 전방 공간(241)과 후방 공간(242)은 모두 횡으로 연속적이며 2개의 외부 측면(23)의 각각에서 개방된다. 따라서 공간(241)과 공간(242)은 각각의 외부 측면(23) 앞에서 후방 하부 부분(202B)의 또는 전방 상부 부분(201A)의 그리고 조인트 커넥터(30)의 삽입을 위하여 접근 가능하다 (아래 참조).Each chain link (20) can be conceptually subdivided into a forward longitudinal portion (21) (left side of FIG. 4) and a rear longitudinal portion (22) (left side of FIG. 4)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wherein the terms “front” and “rear” serve only for the purpose of differentiation and are in principle interchangeable). The forward longitudinal portion (21) includes a forward upper portion (201A) at the uppermost portion (204A) and a forward lower portion (201B) at the lowermost portion (204B),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height direction (H) by a forward space (241). The rear longitudinal portion (22) consequently includes a rear upper portion (202A) at the uppermost portion (204A) and a rear lower portion (202B) at the lowermost portion (204B),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height direction (H) by a rear space (242). Both the front space (241) and the rear space (242) are transversely continuous and open at each of the two outer sides (23). Therefore, the space (241) and the space (242) are accessible in front of each outer side (23) for insertion of the rear lower part (202B) or the front upper part (201A) and the joint connector (30) (see below).
설명의 목적을 위하여, 지지 체인(10) 내에서 서로 이어지는 임의의 3개의 체인 링크(20', 20 및 20")만이 고려되고, 이 체인 링크들은 함께 밀려지고 조인트 커넥터(30)에 의해 서로 연결되었으며, 여기서 중간 체인 링크(20)는 제1 인접, 즉 전방 체인 링크(20')와 제2 인접, 즉 후방 체인 링크(20") 사이에 배열된다 (도 6 참조). 중간 체인 링크(20)의 전방 상부 부분(201A)은 전방 체인 링크(20')의 후방 공간(242) 내로 삽입된다. 중간 체인 링크(20)의 후방 상부 부분(202A)은 후방 체인 링크(20")의 전방 공간(241) 내로 삽입된다.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only three arbitrary chain links (20', 20 and 20") which are connected to one another within the support chain (10) are considered, which chain links are pushed together and connected to one another by a joint connector (30), wherein an intermediate chain link (20) is arranged between a first adjacent, i.e. front chain link (20'), and a second adjacent, i.e. rear chain link (20") (see FIG. 6 ). A front upper part (201A) of the intermediate chain link (20) is inserted into a rear space (242) of the front chain link (20'). A rear upper part (202A) of the intermediate chain link (20) is inserted into a front space (241) of the rear chain link (20").
인접 체인 링크(20, 20', 20")들은 장력, 또는 압축력 또는 인장력 그리고 추력을 전달하기 위한 방식으로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맞물려 있으며, Adjacent chain links (20, 20', 20") are longitudinally interlocked with one another in a manner to transmit tension, or compression, or tension, and thrust;
따라서 이들은 길이 방향(L)으로, 적어도 일부 또는 바람직하게는 모두 구부러진 상대 위치에서 서로에 대해 분리할 수 없다. 이를 위하여, 전방 상부 부분(201A)은 높이 방향(H)으로 위를 가리키는 상부 돌출부(206A)를 가지며, 후방 상부 부분(202A)은 상부 돌출부(206A)에 보완적인 상부 리세스(208A)를 갖는다. 상부 돌출부(206A)는 전방 체인 링크(20')의 상부 리세스(208A)에, 구체적으로 전방 체인 링크(20')의 후방 공간(242)에서 그의 최상부(204A)를 향하여 맞물린다. 후방 하부 부분(202B)은 높이 방향(H)으로 아래를 가리키는 하부 돌출부(206B)를 가지며, 전방 하부 부분(201A)은 하부 돌출부(206B)에 보완적인 하부 리세스(208B)를 갖는다. 하부 돌출부(206B)는 후방 체인 링크(20")의 하부 리세스(208B)에, 구체적으로 후방 체인 링크(20")의 전방 공간(241)에서 그의 최하부(204B)를 향하여 맞물린다. 돌출부(206A, 206B)들은 각 경우에 그들이 인접 체인 링크(20, 20')들의 또는 인접 체인 링크(20, 20")들의 연장된 위치와 구부러진 위치 모두에서 대응하는 리세스(208A, 208B)들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이는 길이 방향(L)의 인장력과 압축력이 돌출부(206A, 206B)들과 리세스(208A, 208B)들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지지 체인(10)의 변위로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며, 따라서 조인트 커넥터(30)는 인장 또는 압축 응력을 받을 필요가 없거나 거의 받지 않아도 된다.Therefore, they are inseparable from one another in a relative position, at least partly or preferably all b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To this end, the front upper part (201A) has an upper projection (206A) pointing upwards in the height direction (H), and the rear upper part (202A) has an upper recess (208A) complementary to the upper projection (206A). The upper projection (206A) engages with the upper recess (208A) of the front chain link (20'), specifically with its uppermost part (204A) in the rear space (242) of the front chain link (20'). The rear lower part (202B) has a lower projection (206B) pointing downwards in the height direction (H), and the front lower part (201A) has a lower recess (208B) complementary to the lower projection (206B). The lower projection (206B) engages with the lower recess (208B) of the rear chain link (20"), specifically with its lowermost part (204B) in the forward space (241) of the rear chain link (20"). The projections (206A, 206B) are configured in each case such that they engage with corresponding recesses (208A, 208B) of the adjacent chain links (20, 20') or of the adjacent chain links (20, 20") both in the extended and in the bent position. This allows tensile and compressive forc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to be transmitted to the displacement of the supporting chain (10) by the interaction of the projections (206A, 206B) and the recesses (208A, 208B), so that the joint connector (30) need not be subjected to tensile or compressive stresses or only very little of them.
각 경우에 리세스(208A, 208B)들은 높이 방향(H)으로 연속적으로, 즉 후방 상부 부분(202A) 또는 전방 하부 부분(201B)을 통과하는 높이 방향(H)의 개구로서 구현된다. 그러나 상부 돌출부(206A)는 최상부(204A)를 넘어 돌출되지 않으며, 즉 이는 인접 체인 링크(20, 20')들의 연장된 위치 또는 구부러진 위치에서 상부 리세스(208A)의 상부 외부 에지를 넘어 (즉, 최상부(204A)에서 리세스(208A) 밖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하부 돌출부(206B)는 최하부(204B)를 넘어 돌출되지 않으며, 즉 이는 인접 체인 링크(20, 20')들의 연장된 위치 또는 구부러진 위치에서 하부 리세스(208B)의 하부 외부 에지를 넘어 (즉, 최하부(204B)에서의 리세스(208B) 밖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최대한으로 가능한 완전히 구부러진 위치에서, 상부 돌출부(206A)는 그와 맞물리는 상부 리세스(208A)에서 전방 체인 링크(20')의 최상부(204A)와 같은 높이가 된다. 직선 또는 연장된 위치에서, 하부 돌출부(206B)는 그와 맞물리는 하부 리세스(208B)에서 후면 체인 링크(20')의 최하부(204B)와 같은 높이가 된다.In each case, the recesses (208A, 208B) are implemented as continuous openings in the height direction (H), i.e., passing through the rear upper portion (202A) or the front lower portion (201B). However, the upper protrusion (206A) does not protrude beyond the uppermost portion (204A), i.e., it does not protrude beyond the upper outer edge of the upper recess (208A) in the extended or bent position of the adjacent chain links (20, 20') (i.e., out of the recess (208A) at the uppermost portion (204A)). Likewise, the lower protrusion (206B) does not protrude beyond the lowermost portion (204B), i.e., it does not protrude beyond the lower outer edge of the lower recess (208B) in the extended or bent position of the adjacent chain links (20, 20') (i.e., out of the recess (208B) at the lowermost portion (204B)). In the most fully bent position possible, the upper projection (206A) is flush with the uppermost portion (204A) of the front chain link (20') in the upper recess (208A) it engages. In the straight or extended position, the lower projection (206B) is flush with the lowermost portion (204B) of the rear chain link (20') in the lower recess (208B) it engages.
도 6에서 가장 쉽게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각각의 체인 링크는 각 경우에 그의 돌출부들과 리세스들에 접촉 표면들을 가지며, 이 접촉 표면들은 연장된 또는 구부러진 위치에서 인접 체인 링크(20', 20")의 대응하는 결합 접촉 표면들 상에 놓이며, 그에 의하여 압축력 또는 인장력을 길이 방향(L)으로 전달한다. 연장된 위치에서, 상부 돌출부(206A)의 접촉 표면(216A)은 상부 리세스(208A)의 결합 접촉 표면(218A)에 얹혀 있다. 따라서, 하부 돌출부(206B)의 접촉 표면(216B)은 하부 리세스(208B)의 결합 접촉 표면(218B)에 얹혀 있다. 완전히 또는 최대한 가능한 구부러진 위치에서, 상부 돌출부(206A)의 접촉 표면(226A)은 상부 리세스(208A)의 결합 접촉 표면(228A)에 얹혀 있다. 따라서, 하부 돌출부(206B)의 접촉 표면(226B)은 여기서 하부 리세스(208B)의 결합 접촉 표면(228B)에 얹혀 있다. 접촉 표면(216A, 216B, 218A, 218B, 226A, 226B, 228A, 228B)들은 길이 방향 단면에서 볼 때 각 경우에 횡방향(Q)에 평행하게, 그러나 길이 방향(L)에 대해 비스듬히 나아간다.As most readily seen in FIG. 6, each chain link has contact surfaces in its projections and recesses in each case, which in an extended or bent position rest on the corresponding mating contact surfaces of the adjacent chain link (20', 20"), thereby transmitting the compressive or tensile for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In the extended position, the contact surface (216A) of the upper projection (206A) rests on the mating contact surface (218A) of the upper recess (208A). Accordingly, the contact surface (216B) of the lower projection (206B) rests on the mating contact surface (218B) of the lower recess (208B). In the fully or maximally bent position, the contact surface (226A) of the upper projection (206A) rests on the mating contact surface (228A) of the upper recess (208A). Accordingly, the contact surface (226A) of the lower projection (206B) The surface (226B) here rests on the mating contact surface (228B) of the lower recess (208B). The contact surfaces (216A, 216B, 218A, 218B, 226A, 226B, 228A, 228B) in each case run parallel to the transverse direction (Q), but obliquely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when viewed in longitudinal cross section.
상부 돌출부(206A)의 2개의 접촉 표면(216A, 226A)은 서로에 대해 각도 αA로 기울어져 있으며, 하부 돌출부(206B)의 접촉 표면(216B, 226B)들은 서로에 대해 각각의 각도 αB로 기울어져 있다. 상부 리세스(208A)의 접촉 표면(218A, 228A)들은 서로에 대해 각도 βA로 기울어져 있으며, 하부 리세스(208B)의 접촉 표면(218B, 228B)들은 서로에 대해 각도 βB로 기울어져 있다. 상부 돌출부(206A)의 각도 αA와 상부 리세스(208A)의 각도 βA 사이의 각도 치수 차이는 하부 돌출부(206B)의 각도 αB와 하부 리세스(208B)의 각도 βB 사이의 각도 치수 차이와 같다. 이렇게 하여, 확장된 위치와 완전히 구부러진 위치 모두에서, 각 경우에 각각의 체인 링크(20)의 2개의 접촉 표면, 구체적으로 하부 접촉 표면과 상부 접촉 표면은 인접 체인 링크(20')의 대응하는 결합 접촉 표면들에 얹혀 있으며, 따라서 인장력 또는 압축력은 더 효과적으로 전달되고 또한 돌출부들은 더 적은 응력, 특히 전단력을 받게 된다.The two contact surfaces (216A, 226A) of the upper protrusion (206A) are inclined at an angle αA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the contact surfaces (216B, 226B) of the lower protrusion (206B) are inclined at an angle αB with respect to each other, respectively. The contact surfaces (218A, 228A) of the upper recess (208A) are inclined at an angle βA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the contact surfaces (218B, 228B) of the lower recess (208B) are inclined at an angle βB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 angular dimension difference between the angle αA of the upper protrusion (206A) and the angle βA of the upper recess (208A) is equal to the angular dimension difference between the angle αB of the lower protrusion (206B) and the angle βB of the lower recess (208B). In this way, both in the extended position and in the fully bent position, the two contact surfaces of each chain link (20), specifically the lower contact surface and the upper contact surface, in each case rest on the corresponding mating contact surfaces of the adjacent chain link (20'), so that the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are transmitted more effectively and also the projections are subjected to less stress, in particular shear forces.
또한, 각 체인 링크(20)는 그의 종단면(231, 232)들에 종단 접촉 표면들을 갖는다. 연장된 확장된 위치에서, 전방 상부 부분(201A)의 종단 접촉 표면(231A)은 전방 체인 링크(20')의 후방 상부 부분(202A)의 종단 접촉 표면(232A)에 얹혀 있다. 완전히 구부러진 위치에서, 전방 하부 부분(201B)의 종단 접촉 표면(231B)은 전면 체인 링크(20')의 후방 상부 부분(202B)의 종단 접촉 표면(232B)에 얹혀 있다. 이는 연장된 위치 또는 구부러진 위치에서 효과적인 추력 전달을 허용한다.Additionally, each chain link (20) has end contact surfaces on its end faces (231, 232). In the extended extended position, the end contact surface (231A) of the forward upper portion (201A) rests on the end contact surface (232A) of the rear upper portion (202A) of the front chain link (20'). In the fully bent position, the end contact surface (231B) of the forward lower portion (201B) rests on the end contact surface (232B) of the rear upper portion (202B) of the front chain link (20'). This allows for effective thrust transmission in either the extended or bent position.
전방 공간(241)의 내부 높이는 후방 하부 부분(202B)의 대응 치수, 즉 하부 돌출부(206B)의 영역에서의 높이 방향(H)의 가장 큰 치수보다 약간 더 크다. 따라서 전방 인접 체인 링크(20')의 후방 하부 부분(202B)은 체인 링크(20)의 전방 공간(241) 내로, 구체적으로 보여지는 예에서, 횡방향(Q)과 길이 방향(L) 모두로 삽입 가능하다. 전방 체인 링크(20')의 하부 돌출부(206B)는 그후 전방 공간(241)에서 높이 방향(H)으로 중간 체인 링크(20)의 하부 리세스(208B) 내로 하향 삽입될 수 있다. 후방 공간(242)의 내부 높이는 결과적으로 전방 상부 부분(201A)의 가장 큰 치수, 즉 상부 돌출부(206A)의 영역에서 높이 방향(H)의 치수보다 약간 더 크다. 따라서 후방 인접 체인 링크(20")의 전방 하부 부분(201A)은, 구체적으로 도시된 예에서 횡방향(Q)과 길이 방향(L) 모두로 중간 체인 링크(20)의 후방 공간(242) 내로 삽입 가능하다. 후방 체인 링크(20')의 상부 돌출부(206A)는 그후 후방 공간(242)에서 높이 방향(H)으로 중간 체인 링크(20)의 상부 리세스(208A) 내로 상향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조인트 커넥터(30)들에 의해 고정되기 전에) 체인 링크(20, 20', 20")들은 체인 링크들을 함께 밀기 위한 또는 횡방향(Q)으로 그리고 길이 방향(L)으로 비틀림 없이 높이 방향(H)으로의 후속 이동으로 그들을 분리하기 위한 2개의 가능한 결합 방향을 갖는다. 돌출부(206A, 206B)들을 다음 체인 링크(20, 20', 20")와 맞물림 상태로 높이 방향, 즉 각 결합 방향에 수직으로 삽입함으로써, 일종의 상호 록킹이 달성된다. 이는 또한 작동 중에 지지 체인(12)이, 특히 비스듬히 위치된 접촉 표면(216A, 226A 또는 216B, 226B 및 218A, 228A 또는 218B, 228B)들과의 상호 작용에서 분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들은 인장 응력의 경우에 돌출부(206A, 206B)들의 접촉 표면들을 맞물림 상태로 끌어들인다. 따라서 종단 접촉 표면(231A, 231B, 232A, 232B)들은 또한 스러스트 부하(thrust loading)에서 체인 링크(20, 20', 20")들이 일종의 웨지(wedge) 효과에 의하여 맞물림 위치로 더 강하게 이동한다는 효과가 있다.The internal height of the front space (241) is slightly larger than the corresponding dimension of the rear lower part (202B), i.e. the largest dimension in the height direction (H) in the area of the lower protrusion (206B). Therefore, the rear lower part (202B) of the front adjacent chain link (20') can be inserted into the front space (241) of the chain link (20), specifically in both the transverse direction (Q)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in the example shown. The lower protrusion (206B) of the front chain link (20') can then be inserted downwardly in the height direction (H) in the front space (241) into the lower recess (208B) of the intermediate chain link (20). The internal height of the rear space (242) is consequently slightly larger than the largest dimension of the front upper part (201A), i.e. the dimension in the height direction (H) in the area of the upper protrusion (206A). Thus, the front lower part (201A) of the rear adjacent chain link (20") is insertable into the rear space (242) of the intermediate chain link (20) both in the transverse direction (Q) a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in the specifically illustrated example. The upper protrusion (206A) of the rear chain link (20') can then be inserted upwardly in the height direction (H) into the upper recess (208A) of the intermediate chain link (20) in the rear space (242). Thus, the chain links (20, 20', 20") (before being secured by the joint connectors (30)) have two possible engagement directions, either to push the chain links together or to separate them with a subsequent movement in the height direction (H) without twist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Q) a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By inserting the projections (206A, 206B) into the next chain link (20, 20', 20") in the height direction, i.e. perpendicular to the respective engagement direction, a kind of mutual locking is achieved. This also prevents the support chain (12) from disintegrating during operation, in particular in the interaction with the obliquely positioned contact surfaces (216A, 226A or 216B, 226B and 218A, 228A or 218B, 228B), which in the case of tensile stress draw the contact surfaces of the projections (206A, 206B) into the engagement state. Thus, the end contact surfaces (231A, 231B, 232A, 232B) also pull the chain links (20, 20', 20") into the engagement position by a kind of wedge effect under thrust loading. It has the effect of moving more strongly.
조인트 커넥터(30)가 각 경우에 2개의 체인 링크(20, 20') 사이에 삽입되면, 그것은 하나의 체인 링크(20)의 전방 상부 부분(241A)과 전방 하부 분분(241B) 그리고 전방 체인 링크(20')의 후방 상부 부분(242A)과 후방 하부 부분(242B) 사이로 연장되고, 또한 여기서 체인 링크(20)의 전방 공간(241)의 일부와 전방 체인 링크(20')의 후방 공간(242)의 일부를 점유하며, 따라서 각각의 공간의 내부 높이는 더 작아지고, 구체적으로 전방 상부 부분(201A)의 또는 후방 하부 부분(202B)의 가장 큰 치수보다 작아진다. 이것만의 결과로서, 체인 링크(20, 20', 20")를 비틀거나 심지어 제동하지 않고는 돌출부(206A, 206B)들이 인접 체인 링크의 리세스(208A, 208B)들로부터 제거될 수 없기 때문에, 체인 링크(20)들은 의도하지 않은 서로로부터의 분리에 대해 일종의 인터록킹으로 신뢰성있게 그리고 분리 불가능하게 고정된다.When the joint connector (30) is inserted between two chain links (20, 20') in each case, it extends between the front upper part (241A) and the front lower part (241B) of one chain link (20) and the rear upper part (242A) and the rear lower part (242B) of the front chain link (20'), and also occupies a part of the front space (241) of the chain link (20) and a part of the rear space (242) of the front chain link (20'), so that the internal height of each space becomes smaller, specifically smaller than the largest dimension of the front upper part (201A) or the rear lower part (202B). As a result of this alone, the chain links (20) are reliably and inseparably secured against unintended separation from one another in a sort of interlocking, since the projections (206A, 206B) cannot be removed from the recesses (208A, 208B) of the adjacent chain links without twisting or even braking the chain links (20, 20', 20").
체인 링크(20)는 그의 길이 방향 중앙 평면에 대해 거울 대칭적인 본체로 구성되며, 따라서 인장 및 추력 하중의 경우에 상호 작용하는 표면들 사이에서의 힘 전달은 횡방향(Q)으로의 구성 요소 없이 발생한다.The chain link (20) consists of a body that is mirror-symmetrical about its longitudinal central plane, so that force transmission between the interacting surfaces in case of tensile and thrust loads occurs without a componen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Q).
도 3 내지 도 6은 각 체인 링크(20)가 중량 감소 목적을 위한 컷아웃부(cutout)(25)를 갖는 것을 더 보여주고 있으며, 도시된 예에서, 이는 횡방향(Q)으로의 대략 원형 원통형 통로 개구로서 구현되며, 이 통로 개구는 2개의 외부 측면(23)에서 개방되고 길이 방향(L)에 대해 체결 리셉터클(36)들 사이의 중간에 놓여 있다. 컷아웃부(25)는 또한 도 4a에서와 같이 측면도에서 상이한 형상, 예를 들어 타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컷아웃부(25)와 측면(23) 사이의 전이부는 바람직하게는 둥글다.Figures 3 to 6 further show that each chain link (20) has a cutout (25) for weight reduction purposes, which in the illustrated example is implemented as a generally circular cylindrical passage open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Q), which passage opening is open at the two outer side faces (23) and lies midway between the fastening receptacles (36)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The cutout (25) may also have a different shape in the side view, for example an oval cross-section, as in Figure 4a. The transition between the cutout (25) and the side face (23) is preferably rounded.
도 7a 내지 도 7c는 조인트 커넥터(3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여기서 플라스틱 재료의 실질적으로 편평한 또는 플레이트형 구성 요소로서 구현된다. 조인트 커넥터(30)의 주요 크기 및 주요 평면은 길이 방향(L) 및 횡방향(Q)으로 나아간다. 이는 또한 높이 방향(H)으로 굽어진 또는 부분적으로 굽어진 구성 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조인트 커넥터(30)는 길이 방향(L)에 대해 중간 영역에 변형 가능한 영역(32)을 갖는다. 조인트 커넥터(30)는 그의 길이 방향 종단들의 각각에서 체결 영역(34)을 갖는다. 각 체결 영역(34)은 2개의 인접 체인 링크(20, 20') 중 하나로의 체결을 위한 역할을 한다. 체결 영역(34)은 횡방향(Q)으로 균일한 형상과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체인 링크(20)는 결과적으로 길이 방향(L)으로 서로 이격되고 서로 멀리 향하는, 각 경우에 체결 영역(34)을 수용하기 위한 2개의 체결 리셉터클(36)을 갖고 있다. 각 체인 링크(20)는 2개의 조인트 커넥터(30)와 그리고 그에 의하여 전방 및 후방 체인 링크(20', 20")"와 연결될 수 있다. 하나의 또는 전방 체결 리셉터클(36)은 체인 링크(20)의 전방 상부 부분(201A)과 전방 하부 부분(201B) 사이에 높이 방향(H)에 대해 배열되며 그리고 전방 공간(241)의 압입부(indentation)를 구성한다. 다른 하나의 또는 후방 체결 리셉터클(36)은 체인 링크(20)의 후방 상부 부분(202A)과 후방 하부 부분(202B) 사이에 높이 방향(H)에 대해 배열되며 그리고 후방 공간(242)의 압입부를 구성한다. 각각의 체결 리셉터클(36)은 바람직하게는 체인 링크(20)의 최상부(204A)와 최하부(204B)에서 등거리이다. 각각의 체결 리셉터클(36)은 부가적으로 체인 링크(20)의 외부 측면(23)들의 각각으로 개방된다. 각 체결 리셉터클(36)은 횡방향(Q)으로 균일한 형상과 크기를 갖고 또한 체결 영역(34)의 형상과 일치하며, 따라서 체결 영역(34)은 바람직하게는 배타적으로 횡방향(Q)으로 체결 리셉터클(36)에 삽입 가능하고, 길이 방향(L)으로의 시프팅에 대하여 체결 리셉터클(36)에 적어도 형상-록킹(form-locking) 방식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조인트 커넥터(30)는 각 경우에 횡방향(Q)으로 체인 링크(20, 20')들 사이에서의 조인트 커넥터(30)의 삽입을 통하여 2개의 연속적인 체인 링크(20, 20')와 연결될 수 있으며 그리고 횡방향(Q)으로 다시 제거될 수 있다. 횡방향(Q)으로의 조인트 커넥터(30)의 치수, 즉 그의 폭은 체인 링크(20)의 외부 측면(23)들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며, 따라서 의도된 연결 상태에서 조인트 커넥터(30)는 체인 링크의 각각의 외부 측면(23)과 양 측면에서 같은 높이로 횡방향(Q)으로 끝난다.Figures 7a to 7c show exemplary embodiments of a joint connector (30), which is implemented here as a substantially flat or plate-shaped component of plastic material. The main dimensions and main planes of the joint connector (30) ru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Q). It can also be implemented as a curved or partially curved component in the height direction (H). The joint connector (30) has a deformable region (32) in its middle reg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The joint connector (30) has a fastening region (34) at each of its longitudinal ends. Each fastening region (34) serves for fastening to one of two adjacent chain links (20, 20'). The fastening regions (34) can have a uniform shape and siz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Q). The chain link (20) consequently has two fastening receptacles (36)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directed away from each other, in each case for accommodating a fastening region (34). Each chain link (20) can be connected with two joint connectors (30) and thereby with a front and a rear chain link (20', 20"). One or the front fastening receptacle (36) is arranged in the height direction (H) between the front upper part (201A) and the front lower part (201B) of the chain link (20) and forms an indentation in the front space (241). The other or the rear fastening receptacle (36) is arranged in the height direction (H) between the rear upper part (202A) and the rear lower part (202B) of the chain link (20) and forms an indentation in the rear space (242). Each fastening receptacle (36) is preferably equidistant from the uppermost portion (204A) and the lowermost portion (204B) of the chain link (20). Each fastening receptacle (36) additionally opens into a respective one of the outer side faces (23) of the chain link (20). Each fastening receptacle (36) has a uniform shape and siz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Q) and also matches the shape of the fastening area (34), so that the fastening area (34) is preferably exclusively insertabl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Q) into the fastening receptacle (36) and is at least form-locked to the fastening receptacle (36) against shif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Therefore, the joint connector (30) can be connected to two consecutive chain links (20, 20') in each case by inserting the joint connector (30) between the chain links (20, 2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Q) and can be removed agai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Q). The dimensions of the joint connector (3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Q), i.e. its width, are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side faces (23) of the chain links (20), so that in the intended connection state the joint connector (30) ends transversely (Q) at the same height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respective outer side faces (23) of the chain links.
2개의 연속적인 체인 링크(20, 20')와 연결된 조인트 커넥터(30)는 체인 링크(20, 20')들이 높이 방향(H)으로 서로에 대해 시프트되는 것을 방지하며 따라서 또한 인접 체인 링크(20', 20")의 리세스(208A, 208B)들로부터의 체인 링크(20)의 돌출부(206A, 206B)들의 분리를 방지한다. 그러나 인장력과 압축력은 적어도 체인 링크(20, 20', 20")들의 접촉 표면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주로 흡수되고 전달되며 (구체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체인 링크당 적어도 2개의 접촉 표면이 동시에, 따라서 힘은 더 넓은 영역에 분산됨), 따라서 연결된 체인 링크(20)들의 관절형 연결부는 특히 높은 인장력/압축력을 흡수할 수 있다. 위의 구성은 체인 링크(20, 20', 20")들이 길이 방향(L)으로 함께 연결되거나 서로 분리될 수 없고, 오히려 실질적으로 서로 수직일 수만 있다는 점에서도 가능하다. 작동 중에, 조인트 커넥터(30)들은 적어도 주로 굽힘 응력을 받으며, 인장 또는 압축에는 아주 약간 또는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인장/압축 응력이 상호 맞물린 체인 링크(20)들에 의해 완화됨). 따라서 조인트 커넥터(30)들은 빈번한 굽힘 주기에 특히 적합한 상이한 재료로 생산될 수 있으며, 이는 더 유연성이 없고 높은 인장 강도의 체인 링크(20)들과 다르다.A joint connector (30) connected to two consecutive chain links (20, 20') prevents the chain links (20, 20') from shifting relative to one another in the height direction (H) and thus also prevents separation of the projections (206A, 206B) of the chain links (20) from the recesses (208A, 208B) of the adjacent chain links (20', 20"). However, tensile and compressive forces are at least primarily absorbed and transmitted through the interaction of the contact surfaces of the chain links (20, 20', 20") (specifically preferably at least two contact surfaces per chain link simultaneously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forces are distributed over a larger area), so that the articulated connection of the connected chain links (20) can absorb particularly high tensile/compressive forces. The above configuration is also possible in that the chain links (20, 20', 20") cannot be connected together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but rather can only b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each other. During operation, the joint connectors (30) are at least primarily subjected to bending stresses and are only slightly or not at all affected by tensile or compressive stresses (the tensile/compressive stresses are relieved by the interlocking chain links (20)). The joint connectors (30) can therefore be produced from different materials which are particularly suitable for frequent bending cycles, unlike the less flexible and high tensile strength chain links (20).
보여지는 예에서, 각각의 체결 영역(34)은 중간의 변형 가능한 영역(32)에 대해 원형 원통형의 두꺼워진 부분으로서 구현되며 길이 방향 단면은 둥글다. 마모를 야기할 체결 영역(34)들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형태 예를 들어 고블릿(goblet) 형상 또는 삼각형 형상이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보여지는 예에서, 체결 리셉터클(36)에서 체인 링크(20)는 높이 방향(H)으로 서로 이격된 2개의 서로 향하는 클램핑 표면(37)을 갖고 있으며 이 클램핑 표면들은 길이 방향(L)과 횡방향(Q)으로 연장되고 조인트 커넥터(30)의 체결 영역(34)에서 약간 두꺼워진 부분(38)과 상호 작용하며 또한 후자를 비틀림에 대하여 그리고 또한 횡방향(Q)으로의 시프팅에 대하여 힘-록킹 방식으로 유지시킨다는 점에서 체결 영역(34)들의 회전 또한 방지된다 따라서 두꺼워진 부분(38)은 클램핑 표면(37)들 사이의 압입에 의하여 또는 억지 끼워 맞춤에 의하여 지지 체인(10)의 의도된 작동 상태에 수용된다. 이렇게 하여, 체결 리셉터클(36)에서의 체결 영역(34)의 비틀림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지지 체인(10)으로부터 횡방향(Q)으로의 조인트 커넥터(30)의 의도치 않은 분리 또한 방지된다. 조인트 커넥터를 제거하기 위하여, 힘은 횡방향(Q)으로 가해져야 하며, 이는 정상적인 작동 조건에서는 발생할 수 없다.In the example shown, each fastening region (34) is implemented as a thickened portion of a circular cylinder with respect to the deformable region (32) in the middle and has a round longitudinal cross-section. To prevent rotation of the fastening regions (34) which would cause wear, other shapes, for example a goblet shape or a triangular shape, are likewise possible. In the example shown, the chain link (20) in the fastening receptacle (36) has two mutually directed clamping surfaces (37)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height direction (H) and which extend longitudinally (L) and transversely (Q) and which interact with a slightly thickened portion (38) in the fastening area (34) of the joint connector (30) and which also hold the latter in a force-locking manner against torsion and also against shift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Q), so that rotation of the fastening areas (34) is also prevented. The thickened portion (38) is thus received in the intended operating state of the supporting chain (10) by means of a press fit or a force fit between the clamping surfaces (37). In this way, not only is torsion of the fastening area (34) in the fastening receptacle (36) prevented, but at the same time unintended separation of the joint connector (3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Q) from the supporting chain (10) is also prevented. To remove the joint connector, force must be appli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Q), which cannot occur under normal operating conditions.
또한, 각각의 체결 영역(34)과 체결 리셉터클(36)은 대응하는 캐치(catch) 수단(39, 39")들을 갖고 있으며, 캐치 수단들은 함께 스냅(snap)되어 횡방향(Q)으로의 시프팅을 방지하며 또한 여기서는 예를 들어 조인트 커넥터(30)의 체결 영역(34)의 원주에 있는 노치 또는 그루브(39)(도 7b, 도 7c 참조) 그리고 체인 링크(20)의 체결 리셉터클(36)에 있는 대응하는 융기부(raised portion)(39')(도 4d, 도 4e 참조)의 형태를 취한다.Additionally, each of the fastening areas (34) and the fastening receptacles (36) have corresponding catch means (39, 39") which snap together to prevent shifting in the lateral direction (Q) and also here take the form of, for example, a notch or groove (39) in the circumference of the fastening area (34) of the joint connector (30) (see FIGS. 7b, 7c) and a corresponding raised portion (39') in the fastening receptacle (36) of the chain link (20) (see FIGS. 4d, 4e).
조인트 커넥터(30)는 힌지와 같은 스프링 요소의 방식으로 구현되며, 이는 2개의 체인 링크(20)가 구부러질 때, 리프 스프링처럼 작용을 하며, 즉 탄성 특성을 갖는다. 의도된 변형의 경우, 즉 조인트 요소(30)와 함께 연결된 인접 체인 링크(20, 20')들의 서로에 대한 회전(swiveling)의 경우, 조인트 커넥터(30)는 회전과 반대 방향으로 이 체인 링크(20, 20')들에 탄성 복원력을 가한다. 이는 지지 체인(10)의 균일한, 저진동 변위를 초래하며, 이는 특히 체인 링크의 돌출부(206A, 206B)들의 마모를 줄이고 전반적으로 마모의 발생에 대응한다.The joint connector (30) is implemented in the manner of a hinge-like spring element, which acts like a leaf spring when two chain links (20) are bent, i.e. has elastic properties. In the case of an intended deformation, i.e. a swiveling of adjacent chain links (20, 20') connected with the joint element (30) relative to one another, the joint connector (30) exerts an elastic restoring force on these chain links (20, 20')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This results in a uniform, low-vibration displacement of the supporting chain (10), which in particular reduces wear of the projections (206A, 206B) of the chain links and generally counteracts the occurrence of wear.
적어도 탄성적으로 또는 탄력적으로 변형 가능한 영역(32) 또는 전체 조인트 커넥터(30)는 체인 링크(20)의 재료와는 다른 재료, 예를 들어 상이한 탄성 계수를 갖는 또 다른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다. 더욱이 변형 가능한 영역(32)의 형상은 또한 그의 탄성 특성을 결정한다. 길이 방향(L)으로의 변형 가능 영역(32)의 길이, 그리고 또한 선택적으로 횡방향(Q)으로의 그의 폭은 각 경우에 높이 방향(H)으로의 그의 재료 두께 또는 치수의 배수에 이른다. 체인 링크(20)의 회전에 대한 굽힘력은 특히 길이 방향(L)에 대해 가로지르는 높이 방향(H)으로 조인트 커넥터(30)의 변형 가능 영역(32)에 작용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변형 가능 영역(32)은 그의 길이 방향 단면에서 만곡되어 그의 가요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또는 예를 들어 공간에 의하여 높이 방향(H)으로 서로 이격된 2개의 층 또는 플라이(plies)로 형성될 수 있고, 이 층 또는 플라이는 체결 영역(34)들에서 만난다. 변형 가능한 영역(32)의 면적 관성 모멘트에 영향을 미치게 하기 위하여 길이 방향 단면 그리고 또한 선택적으로 횡단면에 대해 다른 형상들 또한 가능하다.At least the elastically or elastically deformable region (32) or the entire joint connector (30) is made of a different material than the material of the chain link (20), for example another plastic material having a different modulus of elasticity. Furthermore, the shape of the deformable region (32) also determines its elastic properties. The length of the deformable region (3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also optionally its width in the transverse direction (Q), in each case amounts to a multiple of its material thickness or dimension in the height direction (H). The bending force for the rotation of the chain link (20) acts on the deformable region (32) of the joint connector (30) in particular in the height direction (H)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In another embodiment, the deformable region (32) can be curved in its longitudinal section, which affects its flexibility, or it can be formed, for example, of two layers or plies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in the height direction (H) by a space, which meet in the fastening regions (34). Other shapes are also possible for the longitudinal section and optionally also for the cross section to influence the area moment of inertia of the deformable region (32).
그러나 대안적으로, 조인트 커넥터는 또한 실질적으로 복원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예를 들어 필름 힌지와 같은 조인트 영역이 제공될 수 있다.Alternatively, however, the joint connector may also be implemented so as to be substantially free of restoring forces, for which purpose a joint area, such as a film hinge, may be provided.
지지 체인(10)에서 가요성 조인트 커넥터(30)의 발명에 따른 사용을 통해, 특히 전형적인 지지 체인들의 전형적인 조인트/핀 관절형 조인트를 피하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이와 불가피하게 수반되는 마모 또한 피할 수 있다.Through the use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a flexible joint connector (30) in a support chain (10), it is possible to avoid, in particular, the typical joint/pin joint type joints of typical support chains, and thus also the wear inevitably associated with them.
1 라인 가이드 디바이스
2, 4 연결 지점
3 공급 라인
5, 6 런
7 편향 아크
8 엔벨로프
9 수용 덕트
10 지지 체인
11 종단 체결 디바이스
12 스트랜드
13 체결 프로파일 또는 체결 밴드
20, 20', 20" 체인 링크
21 체인 링크의 전방 길이 방향 부분
22 체인 링크의 후방 길이 방향 부분
23 외부 측면
25 중량 감소를 위한 컷아웃부
30 조인트 커넥터
32 조인트 커넥터의 변형 가능한 영역
34 조인트 커넥터의 체결 영역
36 체인 링크의 체결 리셉터클
37 체인 링크의 클림핑 표면
38 조인트 커넥터의 체결 영역 상의 두꺼워진 부분
39 조인트 커넥터의 캐치 수단
39' 체인 링크의 결합 캐치 수단
201A 체인 링크의 전방 상부 부분
201B 체인 링크의 전방 하부 부분
202A 체인 링크의 후방 상부 부분
202B 체인 링크의 후방 하부 부분
204A 체인 링크의 최상부
204B 체인 링크의 최하부
206A 상부 돌출부
206B 하부 돌출부
208A 상부 리세스
208B 하부 리세스
216A, 226A 상부 돌출부의 멈춤 면
216B, 226B 하부 돌출부의 멈춤 면
αA 상부 돌출부의 멈춤 면들 간의 각도
αB 하부 돌출부의 멈춤 면들 간의 각도
218A, 228A 상부 리세스의 멈춤 면
218B, 228B 하부 리세스의 멈춤 면
βA 상부 리세스의 멈춤 면들 간의 각도
βB 하부 리세스의 멈춤 면들 간의 각도
231, 232 체인 링크의 전방 또는 후방 종단면
231A 전방 상부 부분의 종단 접촉면
232A 후방 상부 부분의 종단 접촉면
231B 전방 하부 부분의 종단 접촉면
232B 후방 하부 부분의 종단 접촉면
241 체인 링크의 전방 공간
242 체인 링크의 후방 공간
A 체인 링크의 외부 측면들 간의 거리
H 높이 방향
L 길이 방향
Q 횡방향
U 편향 축1 line guide device
2, 4 connection points
3 supply lines
5, 6 runs
7 Deviation Arc
8 envelopes
9 Reception duct
10 Support Chain
11 End-to-end device
12 strands
13 Fastening profile or fastening band
20, 20', 20" Chain Link
21 Forward longitudinal portion of chain link
22 Rear longitudinal section of chain link
23 External aspect
25 Cutouts for weight reduction
30 joint connector
32 Deformable area of joint connector
34 Joint connector mating area
36 Chain link fastening receptacle
37 Crimping surface of chain link
38 Thickened portion on the mating area of the joint connector
39 Catch means for joint connector
39' Chain link combination catch means
Front upper part of 201A chain link
Forward lower portion of 201B chain link
Rear upper part of 202A chain link
Rear lower part of 202B chain link
Top of 204A chain link
Bottom of 204B chain link
206A upper projection
206B lower protrusion
208A upper recess
208B Lower Recess
Stop surface of upper projection of 216A, 226A
Stop surface of lower projection of 216B, 226B
αA Angle between the stopping faces of the upper protrusion
Angle between the stopping faces of the lower protrusion of αB
Stop surface of upper recess of 218A, 228A
Stop face of the lower recess of 218B, 228B
Angle between the stopping faces of the upper recess of βA
Angle between the stopping faces of the βB lower recess
Forward or rear cross-section of chain link 231, 232
231A Front upper section end contact surface
232A Rear upper section end contact surface
231B Front lower section end contact surface
232B Rear lower section end contact surface
241 Forward space of chain link
242 Rear space of chain link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sides of a chain link
H height direction
L length direction
Q transverse
U-axis bias
Claims (30)
상기 라인 가이드 디바이스(1)는 길이 방향(L)으로 앞뒤로 변위 가능하며, 2개의 런(5, 6) 및 상기 런들을 연결하고 또한 상기 길이 방향(L)과 높이 방향(H)이 놓여 있는 평면에 놓여 있는 편향 아크(7)를 형성하며,
상기 라인 가이드 디바이스(1)는:
- 서로 바로 옆에 배열되고 상기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각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공급 라인(3)을 위한 가요성 엔벨로프(8), 및
- 상기 라인 가이드 디바이스(1)를 지지하기 위해 수용 덕트(9)에 배열 가능한 또는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 체인(10) -상기 지지 체인(10)은 상기 런(5, 6)들 그리고 상기 편향 아크(7)를 형성하도록 구성됨-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체인(10)은 교대로 연속적인 체인 링크(20)들과 조인트 커넥터(30)들을 상기 길이 방향(L)으로 갖는 적어도 스트랜드(12)의 길이 방향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인트 커넥터(30)들은 각 경우에 특히 굽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변형 가능한 영역(32)을 포함하며, 상기 조인트 커넥터(30)들은 각 경우에 2개의 인접 체인 링크(20, 20') -상기 체인 링크(20, 20')들은 특히 연장된 위치와 구부러진 위치 사이에서 상기 굽힘 방향으로 또는 그와 반대로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함-를 함께 유지시키고, 그리고
상기 스트랜드(12)의 상기 체인 링크(20)들 및/또는 상기 조인트 커넥터(30)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길이 방향(L)이 아닌, 특히 상기 길이 방향(L)에 수직인 연결 방향으로 함께 연결 가능한 및/또는 서로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라인 가이드 디바이스(1).A line guide device (1) for the protected dynamic guidance of a supply line (3), such as a cable, a hose or the like, in particular for cleanroom applications, between two connection points (2, 4), at least one of which moves relative to the other,
The above line guide device (1) is displaceable back and for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forms two runs (5, 6) and a deflection arc (7) that connects the runs and also lies in a plane in which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the height direction (H) lie,
The above line guide device (1):
- a flexible envelope (8) for at least one supply line (3) in each case, arranged directly next to each other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 at least one support chain (10) arranged or arranged in the receiving duct (9) to support the line guide device (1), said support chain (10) being configured to form said runs (5, 6) and said deflection arc (7),
The support chain (10) comprises at least a longitudinal portion of a strand (12) having alternately continuous chain links (20) and joint connectors (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the joint connectors (30) each comprising a deformable region (32) which is elastically deformable in particular in the bending direction, the joint connectors (30) in each case holding together two adjacent chain links (20, 20') - the chain links (20, 20') being rotatable relative to one another in particular in the bending direction or vice versa between an extended position and a bent position - and
A line guide device (1),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some of the chain links (20) and/or the joint connectors (30) of the strands (12) are connectable together and/or detachable from each other in a connection direction that is no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but in particular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상기 각각의 체인 링크(20)의 상기 전방 상부 부분(201A)과 상기 전방 하부 부분(201B)은 전방 공간(241)에 의해 상기 높이 방향(H)으로 서로 이격되며 제1 인접 체인 링크(20')의 상기 후방 하부 부분(202B)은 상기 전방 공간 내로 삽입 가능하거나 삽입되며; 그리고 상기 각각의 체인 링크(20)의 상기 후방 상부 부분(202A)과 상기 후방 하부 부분(202B)은 후방 공간(242)에 의해 상기 높이 방향(H)으로 서로 이격되며 제2 인접 체인 링크(20")의 상기 전방 상부 부분(201A)은 상기 후방 공간 내로 삽입 가능하거나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1, 10).In any one of claims 1 to 5, each chain link (20) of the plurality of chain links (20) has a forward longitudinal portion (21) and a rear longitudinal portion (22)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the forward longitudinal portion (21) of each chain link (20) is configured to transmit tensile and/or compressive for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for shape-locking interaction with the rear longitudinal portion (22) of an adjacent chain link (20). The above-mentioned front longitudinal portion (21) has a front upper portion (201A) on the outside with respect to the deflection arc (7) at the top (204A) and a front lower portion (201B) on the inside with respect to the deflection arc (7) at the bottom (204B), and the rear longitudinal portion (22) has a rear upper portion (202A) on the top (204A) and a rear lower portion (202B) on the bottom (204B);
A device (1, 10)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upper portion (201A) and the front lower portion (201B) of each of the chain links (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height direction (H) by a front space (241), and the rear lower portion (202B) of the first adjacent chain link (20') is insertable or insertable into the front space; and the rear upper portion (202A) and the rear lower portion (202B) of each of the chain links (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height direction (H) by a rear space (242), and the front upper portion (201A) of the second adjacent chain link (20") is insertable or insertable into the rear space.
상기 각각의 체인 링크(20)의 상기 전방 상부 부분(201A)과 상기 전방 하부 부분(201B)은 전방 공간(241)에 의해 상기 길이 방향(L)에 대하여 횡으로 상기 높이 방향(H)으로 서로 이격되며 제1 인접 체인 링크(20')의 상기 후방 하부 부분(202B)은 상기 전방 공간 내로 삽입 가능하거나 삽입되고, 그리고
상기 각각의 체인 링크(20)의 상기 후방 상부 부분(202A)과 상기 후방 하부 부분(202B)은 후방 공간(242)에 의해 상기 높이 방향(H)으로 서로 이격되며 제2 인접 체인 링크(20")의 상기 전방 상부 부분(201A)은 상기 후방 공간 내로 삽입 가능하거나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체인.In particular, in a support chain (10) for supporting a line guide device (1) having a flexible envelope (8)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chain (10) has a plurality of individual chain links (20) which are articulated together or connected to form runs (5, 6)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which connect the runs (5, 6) and which also form a U-shaped deflection arc (7) which lies in a plane in which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the height direction (H) lie, in each case two adjacent chain links (20) being rotatable relative to one another between an extended position and a bent position, each chain link (20) of the plurality of chain links (20) having a forward longitudinal part (21) and a rear longitudinal part (22) relativ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the forward longitudinal part (21) of each chain link (20) being tensioned for form-locking interaction with the rear longitudinal part (22) of the adjacent chain link (20). and/or configured to transmit the compressive for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the front longitudinal portion (21) has a front upper portion (21A) which is outer with respect to the deflection arc (7) at the uppermost portion (204A) of the chain link (20) and a front lower portion (21B) which is inner with respect to the deflection arc (7) at the lowermost portion (204B) of the chain link (20), the rear longitudinal portion (22) has a rear upper portion (202A) at the uppermost portion (204A) of the chain link (20) and a rear lower portion (202B) at the lowermost portion (204B), each of the chain links (20) having two outer side surfaces (23) which face away from each other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transverse direction (Q)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the outer side surfaces bounding the chain link (2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Q),
The front upper portion (201A) and the front lower portion (201B) of each of the above chain links (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height direction (H) laterally with respect to the length direction (L) by a front space (241), and the rear lower portion (202B) of the first adjacent chain link (20') is insertable or inserted into the front space, and
A support chain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upper portion (202A) and the rear lower portion (202B) of each of the chain links (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height direction (H) by a rear space (242), and the front upper portion (201A) of the second adjacent chain link (20") is insertable or insertable into the rear space.
- 상기 전방 상부 부분(201A)은 상기 높이 방향(H)으로 돌출된 상부 돌출부(206A)를 갖고, 상기 후방 상부 부분(202A)은 상부 리세스(208A)를 가지며; 및
- 상기 후방 하부 부분(202B)은 상기 높이 방향(H)으로 돌출된 하부 돌출부(206B)를 갖고, 상기 전방 하부 부분(201B)은 하부 리세스(208B)를 가지며;
상기 각각의 체인 링크(20)의 상기 상부 돌출부(206A)는 연장된 위치와 구부러진 위치 모두에서 상기 제1 인접 체인 링크(20')의 상기 상부 리세스(208A)에서의 맞물림을 위하여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각각의 체인 링크(20)의 상기 하부 돌출부(206B)는 연장된 위치와 구부러진 위치 모두에서 상기 제2 인접 체인 링크(20")의 상기 하부 리세스(208B)에서의 맞물림을 위하여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돌출부(206A)는 상기 하나의 인접 체인 링크(20')의 상기 후방 공간(242)으로부터 그의 최상부(204A)를 향하여 상기 상부 리세스(208A)에서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 돌출부(206B)는 상기 다른 인접 체인 링크(20")의 상기 전방 공간(241)으로부터 그의 최하부(204B)를 향하여 상기 하부 리세스(208B)에서 맞물리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방 공간(241)의 내부 높이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높이 방향(H)으로 상기 하부 돌출부(206B)를 포함하는 상기 후방 하부 부분(202B)의 치수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크고, 그리고 상기 후방 공간(242)의 내부 높이는 상기 높이 방향(H)으로 상기 상부 돌출부(206A)를 포함하는 상기 전방 상부 부분(202A)의 치수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1, 10).In any one of Articles 6 to 9,
- The front upper part (201A) has an upper protrusion (206A) protruding in the height direction (H), and the rear upper part (202A) has an upper recess (208A); and
- The rear lower part (202B) has a lower protrusion (206B) protruding in the height direction (H), and the front lower part (201B) has a lower recess (208B);
The upper projection (206A) of each of the chain links (20) is configured for engagement in the upper recess (208A) of the first adjacent chain link (20') in both the extended position and the bent position, and the lower projection (206B) of each of the chain links (20) is configured for engagement in the lower recess (208B) of the second adjacent chain link (20") in both the extended position and the bent position, preferably, the upper projection (206A) is configured to engage in the upper recess (208A) from the rear space (242) of one adjacent chain link (20') toward its uppermost part (204A), and the lower projection (206B) is configured to engage in the lower recess (208B) from the front space (241) of the other adjacent chain link (20") toward its lowermost part (204B). A device (1, 10)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nal height of the front space (241) is particularly preferably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dimension of the rear lower part (202B) including the lower protrusion (206B) in the height direction (H), and the internal height of the rear space (242)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dimension of the front upper part (202A) including the upper protrusion (206A) in the height direction (H).
- 상기 횡방향(Q)으로의 상기 각각의 조인트 커넥터(30)의 치수는 상기 각각의 체인 링크(20)의 외부 측면(23)들 사이의 거리(A)의 30%보다 큰 값, 특히 50% 내지 100%에 이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리(A)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및/또는
- 상기 각각의 조인트 커넥터(30)는 상기 체인 링크(20)들의 상기 외부 측면(23)들 사이의 상기 횡방향에 대하여 중간 영역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1, 10).In any one of claims 1 to 16,
- The dimension of each of the joint connectors (3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Q) is greater than 30% of the distance (A) between the outer side faces (23) of each of the chain links (20), in particular between 50% and 100%, and preferably substantially equal to the distance (A), and/or
- A device (1, 10)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above joint connectors (30) extends in a middle region with respect to the transverse direction between the outer side surfaces (23) of the above chain links (20).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DE202022102217.8 | 2022-04-25 | ||
| DE202022102217.8U DE202022102217U1 (en) | 2022-04-25 | 2022-04-25 | Cable management device and support chain for clean room applications |
| PCT/EP2023/058659 WO2023208527A1 (en) | 2022-04-25 | 2023-04-03 | Line guiding device and supporting chain for clean-room applications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50002567A true KR20250002567A (en) | 2025-01-07 |
Family
ID=8598527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47038395A Pending KR20250002567A (en) | 2022-04-25 | 2023-04-03 | Line guide devices and support chains for cleanroom applications |
Country Status (7)
| Country | Link |
|---|---|
| EP (1) | EP4515645A1 (en) |
| JP (1) | JP2025514943A (en) |
| KR (1) | KR20250002567A (en) |
| CN (1) | CN119213649A (en) |
| DE (1) | DE202022102217U1 (en) |
| TW (1) | TW202403202A (en) |
| WO (1) | WO2023208527A1 (en) |
Family Cites Familie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3661622B (en) | 2019-01-14 | 2023-12-05 | 易格斯有限公司 | Compact line protection guide for cleanroom applications, and containment unit and clamping device therefor |
| DE202019103269U1 (en) * | 2019-06-11 | 2020-07-14 | Igus Gmbh | Cable routing with support chain for clean room applications and support chain for this |
| DE202019106979U1 (en) | 2019-12-13 | 2021-01-18 | Igus Gmbh | Line routing device for clean room applications and support chain and chain link therefor |
| KR102464643B1 (en) * | 2020-09-22 | 2022-11-08 | 삼원액트 주식회사 | Multi-Joint Supporting member |
-
2022
- 2022-04-25 DE DE202022102217.8U patent/DE202022102217U1/en active Active
-
2023
- 2023-04-03 WO PCT/EP2023/058659 patent/WO2023208527A1/en not_active Ceased
- 2023-04-03 JP JP2024562226A patent/JP2025514943A/en active Pending
- 2023-04-03 KR KR1020247038395A patent/KR20250002567A/en active Pending
- 2023-04-03 EP EP23716536.0A patent/EP4515645A1/en active Pending
- 2023-04-03 CN CN202380036339.4A patent/CN119213649A/en active Pending
- 2023-04-25 TW TW112115297A patent/TW202403202A/en unknown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EP4515645A1 (en) | 2025-03-05 |
| CN119213649A (en) | 2024-12-27 |
| DE202022102217U1 (en) | 2023-07-26 |
| TW202403202A (en) | 2024-01-16 |
| JP2025514943A (en) | 2025-05-13 |
| WO2023208527A1 (en) | 2023-11-02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6745555B2 (en) | Energy guiding chain | |
| CA2831666C (en) | Energy guide chain with deformable joint elements | |
| US6550232B1 (en) | Energy guide chain for guiding lines comprising chain links which can move in three dimensions | |
| JP4988836B2 (en) | Energy guide chain and its joint member | |
| US6695014B2 (en) | Energy guiding chain | |
| JP7681596B2 (en) | Line guide device for clean room applications and support chain and chain link therefor | |
| US20230220905A1 (en) | Energy guide chain with flexible joint connectors as well as side plates and joint connectors for same | |
| US20070068694A1 (en) | Cable or the lik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 |
| JP7681524B2 (en) | Line guide with support chain for clean room applications and support chain therefor | |
| US8028510B2 (en) | Link for a linear actuator | |
| KR20250002567A (en) | Line guide devices and support chains for cleanroom applications | |
| JP4083006B2 (en) | Cable guide device | |
| TWI895428B (en) | Energy guide chain with flexible joint connectors as well as side plates and joint connectors for same | |
| KR102165784B1 (en) | Sealing member for chain | |
| JP4338238B2 (en) | High load transmission for transmission | |
| CZ287175B6 (en) | Cable chain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4111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