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50009679A - Logistics Automated Conveyance Gantry System - Google Patents

Logistics Automated Conveyance Gantry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50009679A
KR20250009679A KR1020230089557A KR20230089557A KR20250009679A KR 20250009679 A KR20250009679 A KR 20250009679A KR 1020230089557 A KR1020230089557 A KR 1020230089557A KR 20230089557 A KR20230089557 A KR 20230089557A KR 20250009679 A KR20250009679 A KR 20250009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rt
unit
moving
module
box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95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갑용
전현수
홍용진
이재욱
Original Assignee
(주)코윈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윈테크 filed Critical (주)코윈테크
Priority to KR1020230089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50009679A/en
Publication of KR20250009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50009679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5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08Adjustable and/or adaptable to the article siz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류 자동화 운반 겐트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류창고에 비치된 박스를 선택적으로 이송하여 물류작업을 자동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박스의 규격에 맞춰 가변되어 다수개의 박스를 적층시켜 안정적으로 운반 및 이동할 수 있는 물류 자동화 운반 겐트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ed logistics transport gantry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utomated logistics transport gantry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performing logistics work by selectively transporting boxes placed in a logistics warehouse, and capable of stably transporting and moving a plurality of boxes by stacking them in a manner that varies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boxes.

Figure P1020230089557
Figure P1020230089557

Description

물류 자동화 운반 겐트리 시스템{Logistics Automated Conveyance Gantry System}Logistics Automated Conveyance Gantry System

본 발명은 물류 자동화 운반 겐트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류창고에 비치된 박스를 선택적으로 이송하여 물류작업을 자동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박스의 규격에 맞춰 가변되어 다수개의 박스를 적층시켜 안정적으로 운반 및 이동할 수 있는 물류 자동화 운반 겐트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ed logistics transport gantry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utomated logistics transport gantry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performing logistics work by selectively transporting boxes placed in a logistics warehouse, and capable of stably transporting and moving a plurality of boxes by stacking them in a manner that varies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boxes.

일반적으로 물류는 물적유통의 줄임말로서,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게 제품, 재화를 효과적으로 옮겨주는 기능 또는 활동의 총칭으로, 포장, 하역, 수송, 보관 및 정보와 같은 여러 활동을 말한다.In general, logistics is an abbreviation for physical distribution, and is a general term for the functions or activities that effectively move products and goods from producers to consumers, including various activities such as packaging, unloading, transportation, storage, and information.

이때, 제품, 재화를 수송하는 데는 포장, 보관, 집하, 적재, 수송, 중도적환, 하역, 배달, 보관 및 개장 등의 여러 과정을 다양한 수송수단 등을 이용하여 제품, 재화의 이동을 위한 종합적인 과정이 포함된다.At this time, the transportation of products and goods includes a comprehensive process for moving products and goods using various means of transportation, such as packaging, storage, collection, loading, transportation, intermediate reloading, unloading, delivery, storage, and opening.

이러한 물류는 현대사회에 들어서면서 대량생산, 대량판매, 대량소비가 이루어지고 있어 물자의 흐름을 효율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물류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In modern society, mass production, mass sales, and mass consumption are taking place, and the importance of logistics is increasing to efficiently supply the flow of goods.

따라서 현대사회에서는 창고, 터미널, 등의 유통센터를 건설하여, 복합적인 대량의 물류를 분류, 운반할 수 있도록 컨테이너, 팔레트 등을 이용한 수송의 일관화를 꾀하며, 수송의 효율화, 신속성 등을 기반으로 물류를 운반하기 위한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Accordingly, in modern society, distribution centers such as warehouses and terminals are being built to classify and transport complex large quantities of logistics, and the technology for transporting logistics is being developed based on efficiency and speed of transportation, while efforts are being made to streamline transportation using containers, pallets, etc.

특히, 유통센터 및 창고에는 다양한 물품을 대량보관함에 따라, 신속정확한 물품의 분류, 운반 및 이동이 필요하며, 기계 및 사람의 분류 작업에 한계가 있어 자동화시설이 개발되고 있다.In particular, distribution centers and warehouses store a large amount of various items, requiring quick and accurate sorting, transportation, and movement of items. As there are limits to the sorting work of machines and people, automated facilities are being developed.

이러한 종래기술로, "오버헤드 로봇시스템과 그 작동 방법"이 제시된 바 있다.With this prior art, “Overhead robot system and its operating method” has been presented.

종래기술은 창고 영역에서 개체를 픽업하여 이송시켜서 전달하는데에 사용되는 오버헤드 로봇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개체들은 창고 영역 내에서 스택 상태로 배치되는데, 다시 말해 객체는 적층적재가 가능하다.The prior art relates to an overhead robotic system used to pick up, transport and deliver objects in a warehouse area. The objects are arranged in a stacked state within the warehouse area, i.e., the objects can be stacked.

따라서 개체(박스 또는 타이어)의 스택의 중간으로부터 개별 개체를 픽업하고자 할 때 그리퍼의 동작을 줄일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다. 그리퍼가 단일의 개체를 픽업해서 이송시키기 위해, 소정의 개체의 스택 위로 이동한 뒤에, 이어서 또다른 장소로 이동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리퍼의 동작수는 줄어든다. Therefore, the goal is to create a system that can reduce the number of gripper movements when picking up an individual object from the middle of a stack of objects (boxes or tires). Since the gripper does not need to move to a given stack of objects and then to another location to pick up and transport a single object, the number of gripper movements is reduced.

하지만, 종래기술은 단일 개체를 그리퍼를 통해 픽업할 수 있으나, 서로 다른 규격의 다수개의 개체를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이송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technology can only pick up a single object through a gripper, but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stably fix and transport a plurality of objects of different specifications.

또한, 이송수단을 통해 개체를 운반한 후, 그리퍼를 통해 측면을 지지하고 있어 무거운 개체의 운반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transport heavy objects because the side is supported by a gripper after the object is transported through the transport means.

한국 등록특허 제10-1797798호(2017.11.08.)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97798 (2017.11.0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창고 등의 특정 공간내에서 제품 및 물품이 저장된 박스를 선택적으로 이송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물류 자동화 운반 겐트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gistics automation transport gantry system that can improve work efficiency by selectively transporting boxes containing products and goods stored in a specific space such as a warehous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크기 및 높이를 가지는 박스를 감지하여 적층시켜 신속하게 운반하여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물류 자동화 운반 겐트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gistics automation transport gantry system that can detect boxes of different sizes and heights, stack them, and transport them quickly to improve work efficienc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동력을 통해 박스의 크기에 맞춰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하여 에너지를 절약하며, 균일한 작동이 가능한 물류 자동화 운반 겐트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gistics automation transport gantry system that can expand and contract according to the size of a box through a single power source, thereby saving energy and enabling uniform oper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박스와 안착 시, 측면으로 돌출된 핀을 통해 하단에 위치한 박스의 높이를 측정하여, 운반되는 박스를 용이하게 적층할 수 있는 물류 자동화 운반 겐트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gistics automation transport gantry system that can easily stack boxes being transported by measuring the height of boxes located at the bottom through pins protruding laterally when boxes are place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의 상부에 위치하여, 전,후 및 좌,우 이동하는 겐트리유닛; 상기 겐트리유닛에 설치되며, 내부에 구비된 운반공간의 사방에서 동력에 의해 외측 및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운반공간을 확장 및 축소하는 간격조절부; 상기 간격조절부에 의해 축소 및 확장 가능하도록 상기 운반공간 내부에 설치되며, 박스의 규격에 맞춰 축소 및 확장되어 내부의 보관공간에 박스를 보관하는 운반부; 상기 간격조절부에 설치되며, 동력에 의해 상기 운반부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 상기 운반부에 설치되어 지면에 배치된 박스의 위치와, 상기 운반부에 보관된 박스를 감지하는 감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gantry unit positioned above the ground, moving forward and backward and left and right; a gap adjusting unit installed in the gantry unit and moving outward and inward by power from all sides of a transport space provided inside to expand and reduce the transport space; a transport unit installed inside the transport space so as to be reduced and expanded by the gap adjusting unit, and reducing and expanding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box to store the box in the internal storage space; a raising and lowering unit installed in the gap adjusting unit and raising and lowering the transport unit by power; and a detection unit installed in the transport unit to detect the position of a box placed on the ground and the box stored in the transport unit.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겐트리유닛의 상단에 안착되며, 내부에 상기 운반공간이 형성된 틀프레임과, 상기 틀프레임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을 연결하는 무한궤도 방식의 제1벨트가 양측에 설치된 제1작동모듈과, 상기 틀프레임의 전,후방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회전축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2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을 연결하는 무한궤도 방식의 제2벨트가 양측에 설치된 제2작동모듈과, 상기 틀프레임에 체결되며, 상기 제1회전축 및 상기 제2회전축 중 어느 하나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1동력모듈과, 상기 제1작동모듈의 내측에서 상기 제1벨트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벨트의 이동에 맞춰 확장 또는 축소되며, 상기 운반부가 결합되는 제1이동모듈과, 상기 제2작동모듈의 내측에서 상기 제2벨트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2벨트의 이동에 맞춰 확장 또는 축소되며, 상기 운반부가 결합되는 제2이동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bove spacing adjustment unit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gantry unit, and includes a frame frame having the transport space formed therein, a first rotation axi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frame, respectively, a first operating module having a first belt of an endless track type connecting the first rotation axis and the first rotation axis installed on both sides, a second rotation axis install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frame frame, respectively, and receiving the rotational power of the first rotation axis, a second operating module having a second belt of an endless track type connecting the second rotation axis and the second rotation axis installed on both sides, a first power module fastened to the frame frame and transmitting power to either of the first rotation axis and the second rotation axis, a first moving module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belt respectively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operating module and expanding or contracting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first belt, and to which the transport unit is connected, and a second operating module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econd belt respectively on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operating module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moving module be configured to expand or contract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second belt and to which the transport section is coupled.

상기 운반부는, 상기 운반공간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박스의 모서리를 지지하도록 사방에 위치하며, 외측면에 수직방향의 제1이동레일이 형성된 다수개의 이동프레임과, 상기 간격조절부에 체결되며, 상기 제1이동레일과 결합되어 상기 이동프레임을 승하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부면에서 전,후에 배치된 상기 이동프레임과 상기 이동프레임을 이동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이동가이드와, 상기 이동가이드의 중앙에서 상기 이동프레임의 하단면까지 돌출되며, 내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제2이동레일과 상기 제2이동레일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가이드브라켓과 상기 가이드브라켓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보조프레임의 끝단이 상기 이동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보조가이드와, 상기 이동프레임과 상기 이동프레임의 좌,우 사이에 수직으로 배치되며,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다수개의 제2보조프레임의 끝단이 상기 이동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2보조가이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bove transport section is preferably composed of a plurality of moving frames that are positioned vertically inside the above transport space to support the corners of the box and have first vertical moving rail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a fixed bracket that is connected to the spacing adjustment section and is combined with the first moving rail to support the moving frames so that they can be raised and lowered, a moving guide that movably connects the moving frames and the moving frames that are arranged forward and backwar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bove transport frame, a second moving rail that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above transport guid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above transport frame and is formed vertically inside, a guide bracket that is arrang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on the second moving rail, a first auxiliary guide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guide bracket and has an end of a first auxiliary frame rotatably coupled to the moving frame, and a second auxiliary guide that is vertically arranged between the above transport frame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bove transport frame and has an end of a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frames that are rotatably coupled to both sides and have an end of a second auxiliary guide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oving frame.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운반부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간격조절부에 설치된 제2동력모듈과, 상기 운반부의 상단과 하단에 양측단이 고정되며, 중간부분이 상기 제2동력모듈에 체결되어, 상기 제2동력모듈의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운반부를 승하강시키는 연결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above-mentioned lifting/lowering unit be composed of a second power module installed in the gap adjusting unit so as to b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transport unit, and a connecting module whose both ends are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transport unit and whose middl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module to transmit the power of the second power module to raise and lower the transport unit.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보조가이드의 하단에 결합되며, 지면에 위치한 박스를 감지하는 제1감지모듈과, 상기 제1보조가이드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운반부의 하부에 위치한 박스를 감지하는 제2감지모듈과, 상기 제1보조가이드의 하단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운반부의 내부로 유입된 박스를 감지하는 제3감지모듈과, 상기 제1보조가이드의 하부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운반부를 통해 지지된 박스의 높이를 측정하는 제4감지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bove detection unit preferably comprises a first detection modul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auxiliary guide and detects a box located on the ground, a second detection modul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auxiliary guide and detects a box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transport unit, a third detection module coupled to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first auxiliary guide and detects a box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transport unit, and a fourth detection module installed on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first auxiliary guide and measuring the height of a box supported by the transport unit.

상기 제4감지모듈은, 상기 제2이동레일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된 측정판과, 상기 측정판의 양측에서 수직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내면으로 돌출되어 박스와 밀착 시 상기 측정판의 외부로 노출되는 측정핀과, 상기 제1보조가이드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측정판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측정핀을 측정하는 측정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ourth detection module is composed of a measuring plate that is connected to the second moving rail so as to be able to be raised and lowered, measuring pins that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measuring plate and protrude inwardly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easuring plate when in close contact with the box, and measuring sensors that are arranged above and below the first auxiliary guide and measure the measuring pins that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easuring plate.

상기 이동프레임의 하단면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가이드판과, 상기 이동프레임의 하단 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판의 상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guide plate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moving frame and coupled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a detection sensor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moving frame and detecting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guide plate.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자동화 운반 겐트리 시스템에 따르면, 창고 등의 특정 공간내에서 제품 및 물품이 저장된 박스를 선택적으로 이송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logistics automation transport gantr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work efficiency by selectively transporting boxes containing products and goods within a specific space such as a warehouse.

본 발명에 따르면, 창고에 비치된 박스에 저장된 물품 등을 판단하고, 박스의 규격크기 및 높이에 맞춰 다수개의 박스를 적층시켜 신속하게 운반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work time can be shortened by judging the items stored in boxes placed in a warehouse, stacking a plurality of boxes according to the standard size and height of the boxes, and quickly transporting them.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동력을 통해 박스의 사방을 지지하는 운반부의 확장 및 축소가 균일하게 이루어져 중앙에서 안정적으로 박스를 지지할 수 있으며, 작동시간 및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a carrying member supporting the four sides of a box are performed uniformly by a single power source, so that the box can be stably supported at the center,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saving operating time and energy.

본 발명에 따르면, 운반부를 통해 박스의 측면을 지지 시, 돌출된 측정핀을 통해 박스의 정확한 높이를 간편하게 측정하여, 다수개의 박스를 연속적으로 적층하여 신속한 운반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supporting the side of the box through the carrying member, the exact height of the box can be easily measured through the protruding measuring pin, thereby enabling rapid transportation by continuously stacking a plurality of boxes.

본 발명에 따르면, 운반부의 확장 및 축소 시 변화되는 높이에 맞춰 감지부의 위치를 조정하여 정확한 측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ccurate measurement is possible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detection unit according to the height changing when the transport unit is expanded and contrac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자동화 운반 겐트리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절부, 운반부 및 승하강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절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부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ogistics automation transport gantr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ap adjustment unit, a transport unit, and a lifting/lower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gap adjustmen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nspor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a lifting and lower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dete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operating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자동화 운반 겐트리 시스템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logistics automation transport gantr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자동화 운반 겐트리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절부, 운반부 및 승하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절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부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ogistics automation transport gantr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pacing adjustment unit, a transport unit, and an eleva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pacing adjustmen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ranspor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eleva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dete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operating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물류 자동화 운반 겐트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류창고에 비치된 박스를 선택적으로 이송하여 물류작업을 자동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박스의 규격에 맞춰 가변되어 다수개의 박스를 적층시켜 안정적으로 운반 및 이동할 수 있는 물류 자동화 운반 겐트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As illustrated in FIGS. 1 to 7,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ed logistics transport gantry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utomated logistics transport gantry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performing logistics work by selectively transporting boxes placed in a logistics warehouse, and capable of stably transporting and moving a plurality of boxes by stacking them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boxes.

이에 앞서, 박스는 물품, 물건 등을 보관 및 포장하여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파렛트, 상자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Prior to this, a box is made up of a pallet, box, etc. that can store and package goods, items, etc. for easy transport.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창고 등의 영역에 비치된 박스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겐트리유닛(100), 간격조절부(200), 운반부(300), 승하강부(400) 및 감지부(500)로 이루어진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gantry unit (100), a spacing adjustment unit (200), a transport unit (300), a lifting and lowering unit (400), and a detection unit (500) to enable easy transport of boxes placed in an area such as a warehouse.

상기 겐트리유닛(100)은 지면의 상부에 위치하여, 전,후 및 좌,우 이동한다.The above gantry unit (100) is located above the ground and moves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상기 간격조절부(200)는 상기 겐트리유닛(100)에 설치되며, 내부에 구비된 운반공간(201)의 사방에서 동력에 의해 외측 및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운반공간(201)을 확장 및 축소한다.The above spacing adjustment unit (200) is installed in the gantry unit (100) and moves outward and inward by power from all sides of the transport space (201) provided inside to expand and contract the transport space (201).

상기 운반부(300)는 상기 간격조절부(200)에 의해 축소 및 확장 가능하도록 상기 운반공간(201) 내부에 설치되며, 박스의 규격에 맞춰 축소 및 확장되어 내부의 보관공간(301)에 박스를 보관한다.The above transport unit (300) is installed inside the transport space (201) so as to be reduced and expanded by the spacing adjustment unit (200), and is reduced and expand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box to store the box in the storage space (301) inside.

상기 승하강부(400)는 상기 간격조절부(200)에 설치되며, 동력에 의해 상기 운반부(300)를 승하강시킨다.The above-mentioned raising/lowering unit (400) is installed in the above-mentioned gap adjusting unit (200) and raises/lowers the above-mentioned transport unit (300) by power.

상기 감지부(500)는 상기 운반부(300)에 설치되어 지면에 배치된 박스의 위치와, 상기 운반부(300)에 보관된 박스를 감지한다.The above detection unit (500) is installed in the transport unit (300) and detects the position of a box placed on the ground and a box stored in the transport unit (300).

이와 같이 상기 겐트리유닛(100)을 통해 지면의 상부에서 이동하며, 상기 감지부(500)를 통해 감지된 박스의 규격에 맞춰 상기 간격조절부(200)를 통해 운반부(300)를 확장한 후, 상기 승하강부(400)를 통해 하강시켜 박스가 삽입된다.In this way, the transport unit (300) is expanded through the gap adjusting unit (200) to fit the specifications of the box detected through the detection unit (500) by moving on the upper part of the ground through the gantry unit (100), and then lowered through the elevating/lowering unit (400) to insert the box.

그리고 상기 간격조절부(200)를 통해 상기 운반부(300)를 축소시켜 박스를 지지한 후 상기 겐트리유닛(100)을 통해 운반이 가능하다.And, by reducing the transport unit (300) through the above spacing adjustment unit (200), the box can be supported and transported through the gantry unit (100).

이때, 상기 운반부(300)는 다수개의 박스를 적층시켜 운반이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transport unit (300) can transport multiple boxes by stacking them.

따라서 상기 겐트리유닛(100)의 영역 내에 비치된 박스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Therefore, the box placed within the area of the gentry unit (100) can be easily transported.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각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Next, we will look at each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먼저, 상기 겐트리유닛(100)은 박스가 비치된 영역에 설치되어 상하 및 좌우 방향 이동이 이루어진다.First, the gantry unit (100) is installed in the area where the box is placed and moves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이러한 상기 겐트리유닛(100)은 영역의 상측과 하측에서 좌우방향으로 배치된 제1겐트리모듈(110)과, 상기 제1겐트리모듈(110)의 상단에서 수직방향으로 교차되어 좌우방향 이동하는 제2겐트리모듈(120)과, 상기 제2겐트리모듈(120)의 상단에 안착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이드프레임(130)으로 이루어진다.The above gantry unit (100) is composed of a first gantry module (110) arranged left and right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area, a second gantry module (120) that crosses vertically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gantry module (110) and moves left and right, and a guide frame (130) that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gantry module (120) and moves up and down.

이때, 상기 제2겐트리모듈(120)은 양측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운반공간(201)과 연동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gantry module (120) be spaced apart on both sides by a certain distance to form a space that is connected to the transport space (201).

따라서 상기 가이드프레임(130)은 상기 제1 및 제2 겐트리모듈(110, 120)을 통해 전후 및 좌우 방향이동이 이루어진다.Accordingly, the above guide frame (130) moves forward, backward, and left and right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gantry modules (110, 120).

즉, 상기 겐트리유닛(100)은 창고 등에 설치되어 전후 및 좌우 방향 이동이 이루어지는 통상적인 겐트리구조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above gantry unit (100) is configured as a conventional gantry structure that is installed in a warehouse, etc. and moves forward, backward, and left and right.

다음으로 상기 간격조절부(200)는 상기 겐트리유닛(100)의 상기 가이드프레임(130)에 안착되어 전후 및 좌우 방향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운반공간(201)을 확장 및 축소하여 상기 운반부(30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Next, the above spacing adjustment unit (200) is mounted on the guide frame (130) of the gantry unit (100) and is capable of moving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and is configured to adjust the spacing of the transport unit (300) by expanding and contracting the transport space (201).

따라서 상기 간격조절부(200)는 틀프레임(210), 제1작동모듈(220), 제2작동모듈(230), 제1동력모듈(240), 제1이동모듈(250) 및 제2이동모듈(260)로 이루어진다.Therefore, the above spacing adjustment unit (200) is composed of a frame (210), a first operation module (220), a second operation module (230), a first power module (240), a first movement module (250), and a second movement module (260).

상기 틀프레임(210)은 상기 겐트리유닛(100)의 상단에 안착되며, 내부에 상기 운반공간(201)이 형성된다.The above frame (210)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gantry unit (100), and the transport space (201) is formed inside.

즉, 상기 틀프레임(210)은 사각형의 틀 형상을 통해 내부에 상기 운반공간(201)이 형성되며, 상기 제2겐트리모듈(120)의 상단에 안착된다.That is, the frame (210) has a square frame shape and has the transport space (201) formed inside, and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second gantry module (120).

따라서 상기 틀프레임(210)은 상기 제1 및 제2 겐트리모듈(110, 120)에 의해 전후 및 좌우 방향 이동이 이루어진다.Accordingly, the above frame (210) moves forward, backward, and left and right by the first and second gantry modules (110, 120).

이때, 상기 틀프레임(210)을 감싸는 커버를 통해 상기 틀프레임(210)에 결합된 제1작동모듈(220), 제2작동모듈(230), 제1동력모듈(240), 제1이동모듈(250) 및 제2이동모듈(26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operating module (220), the second operating module (230), the first power module (240), the first movement module (250), and the second movement module (260) coupled to the frame (210) can be protec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 cover covering the frame (210).

상기 제1작동모듈(220)은 상기 틀프레임(210)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 제1회전축(221)과, 상기 제1회전축(221)과 상기 제1회전축(221)을 연결하는 무한궤도 방식의 제1벨트(222)가 양측에 설치된다.The first operating module (220) has a first rotation axis (221)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210), and a first belt (222) of an endless track type that connects the first rotation axis (221) and the first rotation axis (221) is installed on both sides.

즉, 상기 제1회전축(221)이 상기 틀프레임(210)의 좌측과 우측 상단에서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틀프레임(2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That is, the first rotation axis (221) is position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at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210)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210).

이때, 상기 제1회전축(221)의 양측단에는 벨트폴리(280)가 형성된다.At this time, a belt pulley (280) is formed on both ends of the first rotation axis (221).

따라서 상기 제1벨트(222)는 상기 틀프레임(210)의 양측에 배치된 상기 제1회전축(221)과 상기 제1회전축(221)의 양측단에서 상기 벨트폴리(280)를 통해 무한궤도방식으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상호간에 전달한다.Accordingly, the first belt (222) is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axis (221)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210) and the belt pulley (280) at both ends of the first rotation axis (221) in an endless track manner to transmit rotational power between them.

상기 제2작동모듈(230)은 상기 틀프레임(210)의 전,후방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회전축(221)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2회전축(231)과, 상기 제2회전축(231)과 상기 제2회전축(231)을 연결하는 무한궤도 방식의 제2벨트(232)가 양측에 설치된다.The second operating module (230) is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frame (210), respectively, and a second rotation axis (231) that receives the rotational power of the first rotation axis (221) and a second belt (232) of an endless track type that connects the second rotation axis (231) and the second rotation axis (231) are installed on both sides.

즉, 상기 제2회전축(231)은 상기 틀프레임(210)의 전방과 후방에서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틀프레임(2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That is, the second rotation axis (231) is positioned left and right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frame (210)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210).

이때, 상기 제2회전축(231)은 상기 제1회전축(221)의 상단 또는 하단에서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rotation axis (231) be arranged to intersect with the upper or lower end of the first rotation axis (221).

또한, 상기 제2회전축(231)의 양측단에는 벨트폴리(280)가 형성되며, 상기 제2벨트(232)는 상기 제1회전축(221)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결되어 전,후방에 배치된 상기 제2회전축(231)과 상기 제2회전축(231)의 회전력을 상호간에 전달한다.In addition, a belt pulley (280) is formed on both ends of the second rotation shaft (231), and the second belt (232) is connec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rotation shaft (221) to mutually transmit the rotational power of the second rotation shaft (231)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231) arranged at the front and rear.

그리고 상기 제1회전축(221)과 상기 제2회전축(231)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전달부재(270)가 형성된다.And a transmission member (270) is formed to transmit the rotational power of the first rotation axis (221) and the second rotation axis (231).

이러한 상기 전달부재(270)는 상기 제1회전축(221)과 상기 제2회전축(231)의 양측에서 상호 체결되어 상기 제1동력모듈(240)의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웜기어구조로 이루어진다.The above-mentioned transmission member (270) is formed of a worm gear structure that is mutually connect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rotation shaft (221)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231) to transmit the power of the first power module (240).

이때, 상기 전달부재(270)는 상기 제1회전축(221)과 상기 제2회전축(231)의 회전력을 전달 시, 상기 틀프레임(210)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transmission member (270) be positioned so that interference does not occur with the frame (210) when transmitting the rotational power of the first rotation axis (221) and the second rotation axis (231).

이를 통해 제1회전축(221)의 회전력이 발생하면, 상기 전달부재(270)를 통해 상기 제2회전축(231)으로 회전력을 전달한다.When rotational force is generated through the first rotational axis (221),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rotational axis (231) through the transmission member (270).

상기 제1동력모듈(240)은 상기 틀프레임(210)에 체결되며, 상기 제1회전축(221) 및 상기 제2회전축(231) 중 어느 하나에 동력을 전달한다.The above first power module (240) is attached to the frame (210) and transmits power to either the first rotation axis (221) or the second rotation axis (231).

즉, 상기 제1동력모듈(240)은 좌,우측에 배치된 상기 제1회전축(221) 또는 전후방에 배치된 상기 제2회전축(231)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동력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한다.That is, the first power module (240) is connected to either the first rotation axis (221) positioned on the left or right or the second rotation axis (231) positioned on the front and rear to transmit the rotational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이때, 상기 전달부재(270)는 상기 제1동력모듈(240)의 체결된 위치에 맞춰 웜기어구조를 통해 상기 제1회전축(221)과 상기 제2회전축(231) 사이에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transmission member (270) be arranged so as to transmit rotational power between the first rotational axis (221) and the second rotational axis (231) through a worm gear structure in accordance with the fastened position of the first power module (240).

상기 제1이동모듈(250)은 상기 제1작동모듈(220)의 내측에서 상기 제1벨트(222)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벨트(222)의 이동에 맞춰 확장 또는 축소되며, 상기 운반부(300)가 결합된다.The first moving module (250) is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belt (222) on the inside of the first operating module (220), respectively, and expands or contracts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first belt (222), and the transport unit (300) is connected.

따라서 상기 제1이동모듈(250)은 좌,우측에서 상기 제1회전축(221)의 내측에 각각 배치된다.Accordingly, the first moving module (250) is placed on the inside of the first rotation axis (221) on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이때, 좌측에 위치한 상기 제1이동모듈(250)은 상기 제1벨트(222)의 상단에 결합되고, 우측에 위치한 상기 제1이동모듈(250)은 상기 제1벨트(222)의 하단에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first moving module (250) located on the left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belt (222), and the first moving module (250) located on the right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belt (222).

따라서 상기 제1회전축(221)에 의해 상기 제1벨트(222)의 회전 시, 상기 제1이동모듈(250)은 좌측과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호간의 간격을 확장 또는 축소가 이루어진다.Therefore, when the first belt (222) rotates by the first rotation axis (221), the first moving module (250) moves to the left and right to expand or reduce the gap between them.

상기 제2이동모듈(260)은 상기 제2작동모듈(230)의 내측에서 상기 제2벨트(232)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2벨트(232)의 이동에 맞춰 확장 또는 축소되며, 상기 운반부(300)가 결합된다.The second moving module (260) is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second belt (232) inside the second operating module (230), respectively, and expands or contracts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second belt (232), and the transport unit (300) is connected.

즉, 상기 제2이동모듈(260)은 상기 제1작동모듈(220)과 상기 제1이동모듈(25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도록 상기 제2작동모듈(230)에 결합된다.That is, the second movement module (260) is coupled to the second operation module (230) so as to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operation module (220) and the first movement module (250).

따라서 상기 제2회전축(231)에 의해 상기 제2벨트(232)의 회전 시, 상기 제2이동모듈(260)은 전방과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호간의 간격을 확장 또는 축소가 이루어진다.Therefore, when the second belt (232) rotates by the second rotation axis (231), the second moving module (260) moves forward and backward to expand or reduce the gap between them.

이와 같이 상기 제1이동모듈(250)과 상기 제2이동모듈(260)은 상기 제1작동모듈(220)과 상기 제2작동모듈(230)에 의해 동일한 방향으로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운반부(300)를 확장 및 축소시켜 박스의 측면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In this way, the first movement module (250) and the second movement module (260) are configured to adjust the spacing in the same direction by the first operation module (220) and the second operation module (230) so that the transport unit (300) can be expanded and contracted to easily support the side of the box.

다음으로, 상기 운반부(300)는 상기 간격조절부(200)에 결합되어 박스의 규격에 맞춰 상기 보관공간(301)을 확장 및 축소시켜 박스를 보관할 수 있도록, 이동프레임(310), 고정브라켓(320), 이동가이드(330), 제1보조가이드(340) 및 제2보조가이드(350)로 이루어진다.Next, the transport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spacing adjustment unit (200) to expand and contract the storage space (301)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box so that the box can be stored, and is composed of a moving frame (310), a fixed bracket (320), a moving guide (330), a first auxiliary guide (340), and a second auxiliary guide (350).

상기 이동프레임(310)은 상기 운반공간(201)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박스의 모서리를 지지하도록 사방에 위치하며, 외측면에 수직방향의 제1이동레일(311)이 형성된 다수개 배치된다.The above moving frame (310) is positioned vertically inside the transport space (201) to support the corners of the box, and is positioned on all sides, and a plurality of vertical first moving rails (311)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즉, 상기 이동프레임(310)은 박스의 모서리 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ㄴ"단면형상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운반공간(201) 내에서 박스의 사방에 위치한다.That is, the moving frame (310) is positioned vertically in an “L” cross-sectional shape so as to support the corner side of the box, and is located on all sides of the box within the transport space (201).

이때, 다수개의 상기 제1이동레일(311)의 측면에는 수직방향의 제1이동레일(311)이 형성된다.At this time, a vertical first moving rail (311) is formed on the side of a plurality of the first moving rails (311).

상기 고정브라켓(320)은 상기 간격조절부(200)에 체결되며, 상기 제1이동레일(311)과 결합되어 상기 이동프레임(310)을 승하강 가능하게 지지한다.The above fixed bracket (320) is fastened to the spacing adjustment part (200) and is combined with the first moving rail (311) to support the moving frame (310) so that it can be raised and lowered.

이러한 상기 고정브라켓(320)은 상기 이동프레임(310)은 상,하 방향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제1이동레일(311)과 결합되고 상기 간격조절부(200)에 체결된다.The above fixed bracket (320) is connected to the first moving rail (311) so that the moving frame (310) can move up and down, and is fastened to the spacing adjustment unit (200).

따라서 상기 고정브라켓(320)은 박스의 사방에 배치된 상기 이동프레임(310)에 맞춰 각각 형성된다.Accordingly, the above fixed brackets (320) are each formed to fit the moving frames (310) arranged on all four sides of the box.

그리고 다수개의 상기 고정브라켓(320)은 상기 제1이동모듈(250)과 상기 제2이동모듈(260)에 체결되되, 각 이동모듈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진다.And a plurality of the above fixed brackets (320) are fastened to the first moving module (250) and the second moving module (260), and are configured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moving module.

따라서 상기 고정브라켓(320)은 일측이 상기 이동프레임(310)의 제1이동레일(311)과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1이동모듈(250)과 상기 제2이동모듈(260)의 각각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Accordingly, the fixed bracket (320) is connected on one side to the first moving rail (311) of the moving frame (310)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so as to be able to move along the respective longitudinal directions of the first moving module (250) and the second moving module (260).

이를 통해 상기 제1이동모듈(250)과 상기 제2이동모듈(260)의 확장에 따라, 상기 고정브라켓(320)은 전,후 및 좌,우 방향이동을 통해 상기 이동프레임(310)을 대각선방향으로 확장 및 축소할 수 있도록 고정한다.Through this,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the first movement module (250) and the second movement module (260), the fixed bracket (320) is fixed so that the movement frame (310) can be expanded and contracted in a diagonal direction through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movement.

상기 이동가이드(330)는 상기 이동프레임(310)의 상단면에서 전,후에 배치된 상기 이동프레임(310)과 상기 이동프레임(310)을 이동가능하도록 연결한다.The above moving guide (330) connects the moving frame (310) positioned in front and behind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frame (310) so that the moving frame (310) can move.

따라서 상기 이동가이드(330)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며, 일면에 상기 이동프레임(310)을 상하방향을 따라 가이드하는 레일이 형성된다.Accordingly, the above moving guide (330) is arrang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a rail is formed on one side to guide the moving frame (310)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이를 통해 상기 이동가이드(330)는 전,후에 배치된 상기 이동프레임(310)이 동일한 높이에서 상,하 방향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moving guide (330) can guide the moving frames (310) positioned in front and behind to move up and down at the same height.

상기 제1보조가이드(340)는 상기 이동가이드(330)의 중앙에서 상기 이동프레임(310)의 하단면까지 돌출되며, 내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제2이동레일(341)과 상기 제2이동레일(341)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가이드브라켓(342)과 상기 가이드브라켓(342)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보조프레임(343)의 끝단이 상기 이동프레임(310)에 회전 및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The first auxiliary guide (340)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moving guide (330)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oving frame (310), and has a second moving rail (341) formed vertically inside, a guide bracket (342) positioned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on the second moving rail (341), and an end of the first auxiliary frame (343) rotatab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guide bracket (342)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moving frame (310).

즉, 상기 제1보조가이드(340)는 상기 이동가이드(330)의 중앙에서 하부로 돌출된다.That is, the first auxiliary guide (340) protrudes downward from the center of the moving guide (330).

이때, 상기 제1보조가이드(340)의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제2이동레일(341)이 배치되며, 상기 제2이동레일(341)에는 상기 가이드브라켓(342)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At this time, a second moving rail (341) is arranged vertically inside the first auxiliary guide (340), and a guide bracket (342) is installed on the second moving rail (341)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그리고 상기 가이드브라켓(342)의 양측에는 상기 제1보조프레임(343)의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전,후에 배치된 상기 이동프레임(3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And, on both sides of the above guide bracket (342), one side of the first auxiliary frame (343) is rotatably connected, and the other side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moving frame (310) positioned at the front and rear.

따라서 상기 이동프레임(310)의 확장 및 축소 시 간격에 맞춰 상기 가이드브라켓(342)이 상,하 방향 이동을 통해 상기 제1보조프레임(343)이 용이하게 이동하여 전,후에 배치된 상기 이동프레임(310)을 동일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moving frame (310) is expanded and contracted, the first auxiliary frame (343) can be easily moved by moving the guide bracket (342)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gap, thereby moving the moving frames (310) positioned in front and behind equally.

이를 통해 상기 제1보조가이드(340)는 상기 간격조절부(200)에 의해 상기 이동프레임(310)의 확장 및 축소가 전,후에 배치된 상기 이동프레임(310)을 상호 연결하여, 박스를 지지할 수 있도록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first auxiliary guide (340) can be easily moved to support the box by interconnecting the moving frames (310) positioned before and after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moving frames (310) by the spacing adjustment unit (200).

그리고 상기 이동프레임(310)의 하단면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가이드판(312)과, 상기 이동프레임(310)의 하단 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판(312)의 상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센서(313)가 더 포함된다.In addition, a guide plate (312)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moving frame (310) and coupled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a detection sensor (313)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moving frame (310) and detecting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guide plate (312) are further included.

이러한 상기 가이드판(312)은 상기 이동프레임(310)의 하측단에서, 상기 이동프레임(310)의 승하강 시 지면과 밀착되어 승하강이 이루어진다.The above guide plate (31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at the lower end of the moving frame (310) when the moving frame (310) is raised or lowered, thereby causing the moving frame (310) to be raised or lowered.

그리고 상기 감지센서(313)는 상기 가이드판(312)의 승하강 상태를 측정한다.And the above detection sensor (313) measures the rising and falling state of the guide plate (312).

이를 통해 상기 이동프레임(310)의 하강시, 지면과 밀착되면 상기 가이드판(312)과 상기 감지센서(313)를 통해 감지하여, 과도하게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when the moving frame (310) descends, if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it can be detected through the guide plate (312) and the detection sensor (313), thereby preventing excessive descent.

상기 제2보조가이드(350)는 상기 이동프레임(310)과 상기 이동프레임(310)의 좌,우 사이에 수직으로 배치되며,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다수개의 제2보조프레임(351)의 끝단이 상기 이동프레임(3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The above second auxiliary guide (350) is vertically arranged between the moving frame (310)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ving frame (310), and the ends of a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frames (351) rotatably coupled to both sides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moving frame (310).

즉, 상기 제2보조가이드(350)는 좌,우에 배치된 상기 이동프레임(310) 사이에 수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2보조프레임(351)의 일측은 상기 제2보조가이드(35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이동프레임(310)에 회전 및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That is, the second auxiliary guide (350) is vertically arranged between the moving frames (310)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and one side of the second auxiliary frame (35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auxiliary guide (350), and the other side is rotatably and movably coupled to the moving frame (310).

따라서 상기 이동프레임(310)의 확장 및 축소 시 간격에 맞춰 상기 제2보조가이드(350)는 상,하 이동을 통해 상기 제2보조프레임(351)이 용이하게 이동하여 좌,우에 배치된 상기 이동프레임(310)을 동일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moving frame (310) is expanded and contracted, the second auxiliary guide (350) can be moved up and down to easily move the second auxiliary frame (351) so that the moving frames (310)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can be moved equally.

이때, 상기 제2보조프레임(351)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체인(352)이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desirable to place a chain (352) vertically inside the second auxiliary frame (351) to guide it so that it can mov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즉, 상기 체인(352)은 상기 제2이동모듈(260)의 상부면에 일측이 결합되고, 중간이 ∩형상으로 절곡되어 타측이 상기 제2보조프레임(351)의 하단에 결합된다.That is, one side of the chain (352) is joi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moving module (260), the middle is bent into a ∩ shape, and the other side is join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auxiliary frame (351).

이때, 상기 제2이동모듈(260)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체인(352)을 내부에 수용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261)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moving module (260) further includes a guide member (261) that protrudes upward and accommodates the chain (352) inside to guide it so that it can move up and down.

따라서 상기 제2보조프레임(351)은 상기 체인(352)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하방향 이동이 이루어진다.Accordingly, the second auxiliary frame (351) is guided by the chain (352) to move up and down.

이를 통해 상기 제2보조가이드(350)는 좌,우측에 배치된 상기 이동프레임(310)을 상호 연결하여 확장 및 축소시 지지하여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rough this, the second auxiliary guide (350)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moving frames (310) positioned on the left and right by connecting them to each other and allowing them to move easily when expanded and contracted.

이와 같이 상기 제1보조가이드(340) 및 상기 제2보조가이드(350)는 사방에 배치된 상기 이동프레임 전,후 및 좌,우 방향을 상호 연결하여 유기적인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하게 지지한다.In this way, the first auxiliary guide (340) and the second auxiliary guide (350) are mutually connected in the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moving frames arranged in all directions to support organic expansion and contraction.

다음으로 상기 승하강부(400)는 상기 간격조절부(200)에 결합되어, 상기 운반부(300)를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제2동력모듈(410) 및 연결모듈(420)로 이루어진다.Next, the above-mentioned raising/lowering unit (400) is connected to the above-mentioned gap adjusting unit (200) and is composed of a second power module (410) and a connection module (420) to raise/lower the above-mentioned transport unit (300).

상기 제2동력모듈(410)은 상기 운반부(300)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간격조절부(200)에 설치된다.The above second power module (410) is installed in the spacing adjustment unit (200) so as to b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transport unit (300).

즉, 상기 제2동력모듈(410)은 상기 운반부(300)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이동모듈(250)에 각각 설치되어 동일하게 작동이 이루어진다.That is, the second power module (410) is installed on each of the first movement modules (250) so as to b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transport unit (300) and operates in the same manner.

상기 연결모듈(420)은 상기 운반부(300)의 상단과 하단에 양측단이 고정되며, 중간부분이 상기 제2동력모듈(410)에 체결되어, 상기 제2동력모듈(410)의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운반부(300)를 승하강시킨다.The above connecting module (420) is fixed at both ends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transport unit (300), and the middl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module (410), thereby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second power module (410) to raise and lower the transport unit (300).

즉, 상기 연결모듈(420)은 일측이 상기 이동가이드(330) 또는 상기 제1보조가이드(340)의 상단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제1보조가이드(340)의 하단에 고정되며, 중간부분 상기 제2동력모듈(410)에 체결된다.That is, the connecting module (420) is fixed at one end to the upper end of the moving guide (330) or the first auxiliary guide (340), the other en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auxiliary guide (340), and the middl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module (410).

따라서 상기 연결모듈(420)은 벨트, 체인등과 같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2동력모듈(410)의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운반부를 승하강시킨다.Accordingly, the above-mentioned connecting module (420) is formed of a belt, chain, etc., and transmits the power of the second power module (410) to raise and lower the transport unit.

이를 통해 상기 승하강부(400)는 상기 운반부(300)가 박스의 상부에 위치하면, 승하강을 통해 박스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rough this, the elevating/lowering unit (400)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box through elevating/lowering when the transport unit (300) is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box.

다음으로 상기 감지부(500)는 상기 운반부(300)에 설치되며, 박스를 감지하여 상기 간격조절부(200) 및 상기 승하강부(400)를 통해 이동하는 상기 운반부(300)를 조작할 수 있도록 제1감지모듈(510), 제2감지모듈(520), 제3감지모듈(530) 및 제4감지모듈(540)로 이루어진다.Next, the detection unit (500) is installed in the transport unit (300) and is composed of a first detection module (510), a second detection module (520), a third detection module (530), and a fourth detection module (540) to detect a box and operate the transport unit (300) that moves through the gap adjustment unit (200) and the lifting/lowering unit (400).

상기 제1감지모듈(510)은 상기 제1보조가이드(340)의 하단에 결합되며, 지면에 위치한 박스를 감지한다.The above first detection module (510)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auxiliary guide (340) and detects a box located on the ground.

즉, 상기 제1감지모듈(510)은 카메라 등의 센서를 통해 상기 겐트리유닛(100)의 영역 내에 위치한 박스를 감지한다.That is, the first detection module (510) detects a box located within the area of the gantry unit (100) through a sensor such as a camera.

이때, 상기 제1감지모듈(510)은 감지된 박스를 영상, 사진, 바코드 및 QR코드 등을 통해 박스에 저장된 내용물을 판단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detection module (510) be able to determine the contents stored in the detected box through images, photos, barcodes, QR codes, etc.

또한, 상기 제1감지모듈(510)을 통해 감지된 박스의 크기, 규격을 측정하여 상기 간격조절부(200)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measure the size and specifications of the box detected through the first detection module (510) so that the gap adjustment unit (200) can operate smoothly.

이를 통해 상기 제1감지모듈(510)은 필요한 박스를 감지하여 위치이동이 가능하다.Through this, the first detection module (510) can detect the required box and move its location.

상기 제2감지모듈(520)은 상기 제1보조가이드(340)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운반부(300)의 하부에 위치한 박스를 감지한다.The above second detection module (520)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auxiliary guide (340) and detects a box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transport unit (300).

즉, 상기 제2감지모듈(520)은 상기 운반부(300)의 하강 시, 상기 운반부(300)의 하부에 위치한 박스를 감지한다.That is, the second detection module (520) detects a box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transport unit (300) when the transport unit (300) is lowered.

이를 통해 상기 제2감지모듈(520)은 상기 운반부(300)의 하부에 위치한 박스를 감지하며, 상기 운반부(300)의 정위치에 박스가 배치되었는지 확인하여 운반 중 박스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second detection module (520) detects a box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transport unit (300), confirms whether the box is placed in the correct position of the transport unit (300), prevents the box from coming off during transport, and enables easy support.

상기 제3감지모듈(530)은 상기 제1보조가이드(340)의 하단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운반부(300)의 내부로 유입된 박스를 감지한다.The third detection module (530) is coupled to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first auxiliary guide (340) and detects a box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transport unit (300).

즉, 상기 제3감지모듈(530)은 상기 제2감지모듈(520)에서 감지된 박스가 상기 운반부(300)의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되어 지지할 수 있도록 감지한다.That is, the third detection module (530) detects the box detected by the second detection module (520) so that it can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transport unit (300) and supported.

이와 같이 상기 제2 및 제3 감지모듈(520, 530)을 통해 상기 운반부(300)를 통해 용이하게 박스를 운반할 수 있도록 감지한다.In this way, the box can be easily transported through the transport unit (300) by detecting it through the second and third detection modules (520, 530).

상기 제4감지모듈(540)은 상기 제1보조가이드(340)의 하부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운반부(300)를 통해 지지된 박스의 높이를 측정한다.The above fourth detection module (540) is installed on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first auxiliary guide (340) and measures the height of the box supported by the transport unit (300).

즉, 상기 제4감지모듈(540)은 상기 운반부(300)를 통해 다수개의 박스를 적층하여 운반 시, 하단에 위치한 박스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측정판(541), 측정핀(542) 및 측정센서(543)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fourth detection module (540) is composed of a measuring plate (541), a measuring pin (542), and a measuring sensor (543) so as to measure the height of the box located at the bottom when transporting multiple boxes by stacking them through the transport unit (300).

상기 측정판(541)은 상기 제2이동레일(341)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above measuring plate (541) is movably connected to the second moving rail (341).

즉, 상기 측정판(541)은 상기 제1보조가이드(340)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이동레일(341)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된다.That is, the measuring plate (541) is movably connected to the second moving rail (341) so as to be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auxiliary guide (340).

이때, 상기 측정판(541)은 상기 제2이동레일(341)과 연결되며, 리니어모터 등의 구성을 통해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measuring plate (541) is connected to the second moving rail (341) and is connected so as to be able to rise and fall through a configuration such as a linear motor.

따라서 상기 측정판(541)은 상기 운반부(300)의 확장 및 축소시 상기 이동프레임(310) 및 상기 제1보조가이드(340)의 하단이 변경되는 높이차에 맞춰 승하강이 이루어진다.Accordingly, the measuring plate (541) is raised and lowered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moving frame (310) and the first auxiliary guide (340) when the transport unit (300) is expanded and contracted.

이를 통해 상기 측정판(541)은 상기 이동프레임(310)의 높이변화에 맞춰 용이하게 대응하여, 상기 측정판(541)의 하단면은 상기 이동프레임(310)의 하단면과 동일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measuring plate (541) can easily respond to changes in the height of the moving frame (310),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measuring plate (541) can be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the lower surface of the moving frame (310).

상기 측정핀(542)은 상기 측정판(541)의 양측에서 수직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내면으로 돌출되어 박스와 밀착 시 상기 측정판(541)의 외부로 노출된다.The above measuring pins (542)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measuring plate (541), and protrude inwardly so that they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easuring plate (541) when in close contact with the box.

즉, 상기 측정핀(542)은 상기 측정판(541)의 양측에서 수직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된다.That is, the measuring pins (542) are arranged in multiple numbers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measuring plate (541).

이때, 상기 측정핀(542)은 상기 측정판(541)의 내측면으로 돌출되되, 가압 시 상기 측정판(541)의 외면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measuring pin (542)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measuring plate (541), but is coupled so as to be able to mov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easuring plate (541) when pressurized.

따라서 상기 측정핀(542)은 상기 운반부(300)가 박스를 지지 시, 박스와 밀착된 높이에 맞춰 상기 측정핀(542)이 상기 측정판(541)의 외측으로 노출된다.Accordingly, when the transport unit (300) supports the box, the measuring pin (542)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easuring plate (541) at a height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x.

상기 측정센서(543)는 상기 제1보조가이드(340)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측정판(541)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측정핀(542)을 측정한다.The above measuring sensor (543) is placed above and below the first auxiliary guide (340) and measures the measuring pin (542)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easuring plate (541).

즉, 상기 측정센서(543)는 상기 측정판(541)의 외면으로 노출된 상기 측정핀(542)을 감지하여 박스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보조가이드(340)에 결합한다.That is, the measuring sensor (543) is connected to the first auxiliary guide (340) so as to detect the measuring pin (542)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easuring plate (541) and measure the height of the box.

따라서 상기 측정센서(543)는 상기 측정핀(542)의 노출된 위치를 측정하여 박스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Therefore, the above measurement sensor (543) can measure the height of the box by measuring the exposed position of the above measurement pin (542).

이를 통해 상기 제4감지모듈(540)을 통해 측정된 박스의 높이를 측정하여 상기 운반부(300)는 다수개의 박스를 적층시킬 수 있다.Through this, the transport unit (300) can stack multiple boxes by measuring the height of the box measured through the fourth detection module (540).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 및 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installation and operating condi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창고 등에서 박스를 보관 및 운반하는 영역에 맞춰 상기 겐트리유닛(100)을 설치하며, 상기 겐트리유닛(100)에는 상기 간격조절부(200)가 결합되고, 상기 간격조절부(200) 내부에 박스를 운반하는 상기 운반부(300)가 설치된다.First, the gantry unit (100) is installed in an area where boxes are stored and transported in a warehouse, etc., and the spacing adjustment unit (200) is coupled to the gantry unit (100), and the transport unit (300) for transporting boxes is installed inside the spacing adjustment unit (200).

이때, 상기 간격조절부(200)에는 상기 승하강부(400)가 결합되어 상기 운반부(300)를 승하강 시키며, 상기 운반부(300)의 하단에는 상기 감지부(500)를 통해 박스를 감지하여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space adjustment unit (200) is coupled with the raising/lowering unit (400) to raise/lower the transport unit (300), and the lower part of the transport unit (300) is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to detect the box through the detection unit (500) and to enable easy transport.

이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박스를 운반하기 위해 제어가 이루어진다.Control is provided to transport the box in this installed state.

따라서 상기 겐트리유닛(100)은 영역 내에 위치한 지점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감지모듈(510)을 통해 박스를 감지한다.Therefore, the gentry unit (100) moves to a point located within the area and detects the box through the first detection module (510).

그리고 상기 간격조절부(200)를 통해 상기 운반부(300)의 내부에 박스가 유입될 수 있도록 확장시킨다.And, through the above spacing adjustment part (200), the box is expanded so that it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transport part (300).

이때, 상기 간격조절부(200)는 하나의 상기 제1동력모듈(240)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221, 231)의 회전 시, 상기 제1작동모듈(220)과 상기 제2작동모듈(230)이 이동하여 상기 운반부(300)를 확장 및 축소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gap adjustment unit (200) can expand and contract the transport unit (300) by moving the first operation module (220) and the second operation module (230) when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axes (221, 231) rotate through the first power module (240).

이와 같이 상기 운반부(300)의 상기 이동프레임(310)이 사방으로 확장되면, 상기 승하강부(400)를 통해 상기 운반부(300)를 하강시킨다.In this way, when the moving frame (310) of the transport unit (300) is expanded in all directions, the transport unit (300) is lowered through the elevating/lowering unit (400).

이때, 상기 운반부(300)는 상기 제2감지모듈(520)을 통해 박스의 위치를 감지하여 정확한 위치에 맞춰 하강이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transport unit (300) detects the position of the box through the second detection module (520) and lowers it to the correct position.

여기서 상기 제3감지모듈(530)을 통해 박스가 상기 운반부(300)의 내부에 유입된 것을 감지하며, 상기 가이드판(312)과 상기 감지센서(313)를 통해 상기 이동프레임(310)이 과도하게 바닥과 하강하는 것을 방지한다.Here, the third detection module (530) detects that a box has entered the interior of the transport unit (300), and the guide plate (312) and the detection sensor (313) prevent the moving frame (310) from excessively descending to the floor.

그리고 상기 감지부(500)를 통해 상기 운반부(300)의 내부에 박스가 유입되면, 상기 간격조절부(200)를 통해 상기 운반부(300)를 축소시켜 박스의 측면을 지지한다.And when a box is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transport unit (300) through the detection unit (500), the transport unit (300) is reduced through the spacing adjustment unit (200) to support the side of the box.

이때, 상기 제4감지모듈(540)은 상기 운반부(300)가 상기 박스의 밀착시, 노출된 상기 측정핀(542)을 통해 박스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ourth detection module (540) can measure the height of the box through the exposed measuring pin (542) when the transport unit (3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x.

이렇게 측정된 박스의 높이를 통해 상기 운반부(300)는 다수개의 박스를 적층하여 운반할 수 있다.Through the height of the box measured in this way, the transport unit (300) can transport multiple boxes by stacking them.

따라서 상기 운반부(300)를 통해 박스가 지지되면, 상기 승하강부(400)를 통해 상승한 후, 상기 겐트리유닛(100)을 이동하여 원하는 위치로 박스를 운반 및 배출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box is supported by the transport unit (300), it can be raised through the elevating unit (400) and then moved by the gantry unit (100) to transport and discharge the box to a desired location.

이와 같이 창고 등에 무작위로 배치된 박스를 감지하여 편리하고 신속하게 운반할 수 있다.In this way, boxes randomly placed in warehouses, etc. can be detected and transported conveniently and quickly.

또한, 상기 감지부(500)를 통해 박스의 규격 및 높이를 측정하여 상기 운반부(300)는 다수개의 박스를 적층하여 효율적인 운반이 가능하다.In addition, by measuring the size and height of the box through the detection unit (500), the transport unit (300) can stack multiple boxes to enable efficient transport.

이때, 상기 제4감지모듈(540)은 상기 이동프레임(310)의 확장 및 축소 시 변경되는 높이차에 맞춰 승하강하여 박스의 정확한 높이 측정이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fourth detection module (540) can accurately measure the height of the box by rising and falling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difference that changes when the moving frame (310) expands and contracts.

그리고 상기 간격조절부(200)는 하나의 동력을 통해 박스를 지지하도록 사방에 배치된 다수개의 상기 이동프레임(310)을 동시에 이동하여 균일한 작동이 가능하다.And the above spacing adjustment unit (200) can operate uniformly by simultaneously moving a plurality of the above moving frames (310) arranged in all directions to support the box through a single power sourc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As described above,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what i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it is obvious that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s described in the claims.

100: 겐트리유닛 110: 제1겐트리모듈 120: 제2겐트리모듈
130: 가이드프레임
200: 간격조절부 201: 운반공간 210: 틀프레임
220: 제1작동모듈 221: 제1회전축
222: 제1벨트 230: 제2작동모듈
231: 제2회전축 232: 제2벨트
240: 제1동력모듈 250: 제1이동모듈
260: 제2이동모듈 270: 전달부재
280: 벨트폴리
300: 운반부 301: 보관공간 310: 이동프레임
311: 제1이동레일 312: 가이드판
313: 감지센서 320: 고정브라켓
330: 이동가이드 340: 제1보조가이드
341: 제2이동레일 342: 가이드브라켓
343: 제1보조프레임 350: 제2보조가이드
351: 제2보조프레임 352: 체인
400: 승하강부 410: 제2동력모듈 420: 연결모듈
500: 감지부 510: 제1감지모듈 520: 제2감지모듈
530: 제3감지모듈 540: 제4감지모듈
541: 측정판 542: 측정핀
543: 측정센서
100: Gentry unit 110: 1st gentry module 120: 2nd gentry module
130: Guide Frame
200: Spacing adjustment part 201: Transport space 210: Frame
220: First operating module 221: First rotation axis
222: 1st belt 230: 2nd operating module
231: Second rotation axis 232: Second belt
240: 1st power module 250: 1st movement module
260: Second moving module 270: Transmission member
280: Belt Polly
300: Transport section 301: Storage space 310: Moving frame
311: 1st moving rail 312: Guide plate
313: Detection sensor 320: Fixed bracket
330: Movement Guide 340: 1st Auxiliary Guide
341: Second moving rail 342: Guide bracket
343: 1st auxiliary frame 350: 2nd auxiliary guide
351: Second auxiliary frame 352: Chain
400: Elevator 410: Second power module 420: Connection module
500: Detection unit 510: First detection module 520: Second detection module
530: 3rd detection module 540: 4th detection module
541: Measuring plate 542: Measuring pin
543: Measurement sensor

Claims (7)

지면의 상부에 위치하여, 전,후 및 좌,우 이동하는 겐트리유닛(100);
상기 겐트리유닛(100)에 설치되며, 내부에 구비된 운반공간(201)의 사방에서 동력에 의해 외측 및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운반공간(201)을 확장 및 축소하는 간격조절부(200);
상기 간격조절부(200)에 의해 축소 및 확장 가능하도록 상기 운반공간(201) 내부에 설치되며, 박스의 규격에 맞춰 축소 및 확장되어 내부의 보관공간(301)에 박스를 보관하는 운반부(300);
상기 간격조절부(200)에 설치되며, 동력에 의해 상기 운반부(300)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400);
상기 운반부(300)에 설치되어 지면에 배치된 박스의 위치와, 상기 운반부(300)에 보관된 박스를 감지하는 감지부(5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자동화 운반 겐트리 시스템.
A gantry unit (100)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ground and moving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A gap adjustment unit (200) installed in the above gantry unit (100) and moving outward and inward by power from all sides of the transport space (201) provided inside to expand and contract the transport space (201);
A transport unit (300) installed inside the transport space (201) so as to be reduced and expanded by the above spacing adjustment unit (200), and which reduces and expands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box and stores the box in the internal storage space (301);
A lifting and lowering unit (400) installed in the above spacing adjustment unit (200) and raising and lowering the transport unit (300) by power;
A logistics automation transport gantry system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position of a box placed on the ground and installed in the transport unit (300) and a detection unit (500) that detects the box stored in the transport unit (30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200)는,
상기 겐트리유닛(100)의 상단에 안착되며, 내부에 상기 운반공간(201)이 형성된 틀프레임(210)과,
상기 틀프레임(210)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 제1회전축(221)과, 상기 제1회전축(221)과 상기 제1회전축(221)을 연결하는 무한궤도 방식의 제1벨트(222)가 양측에 설치된 제1작동모듈(220)과,
상기 틀프레임(210)의 전,후방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회전축(221)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2회전축(231)과, 상기 제2회전축(231)과 상기 제2회전축(231)을 연결하는 무한궤도 방식의 제2벨트(232)가 양측에 설치된 제2작동모듈(230)과,
상기 틀프레임(210)에 체결되며, 상기 제1회전축(221) 및 상기 제2회전축(231) 중 어느 하나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1동력모듈(240)과,
상기 제1작동모듈(220)의 내측에서 상기 제1벨트(222)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벨트(222)의 이동에 맞춰 확장 또는 축소되며, 상기 운반부(300)가 결합되는 제1이동모듈(250)과,
상기 제2작동모듈(230)의 내측에서 상기 제2벨트(232)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2벨트(232)의 이동에 맞춰 확장 또는 축소되며, 상기 운반부(300)가 결합되는 제2이동모듈(2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자동화 운반 겐트리 시스템.
In paragraph 1,
The above spacing adjustment unit (200) is
A frame (210) that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gantry unit (100) and has the transport space (201) formed inside,
A first rotation axis (221)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bove frame (210), and a first operating module (220) with an endless track-type first belt (222) connecting the first rotation axis (221) and the first rotation axis (221) installed on both sides,
A second rotation axis (231) is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above frame (210), respectively, and receives the rotational power of the first rotation axis (221), and a second operating module (230) is installed on both sides with a second belt (232) of an endless track type connecting the second rotation axis (231) and the second rotation axis (231).
A first power module (240) that is attached to the above frame (210) and transmits power to one of the first rotation axis (221) and the second rotation axis (231),
The first movement module (250) is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belt (222) on the inside of the first operation module (220) and expands or contracts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first belt (222), and the transport unit (300) is connected thereto.
A logistics automation transport gantry system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second movement module (260)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econd belt (232) on the inside of the second operation module (230) and expands or contracts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second belt (232), and to which the transport unit (300) is connec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부(300)는,
상기 운반공간(201)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박스의 모서리를 지지하도록 사방에 위치하며, 외측면에 수직방향의 제1이동레일(311)이 형성된 다수개의 이동프레임(310)과,
상기 간격조절부(200)에 체결되며, 상기 제1이동레일(311)과 결합되어 상기 이동프레임(310)을 승하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브라켓(320)과,
상기 이동프레임(310)의 상부면에서 전,후에 배치된 상기 이동프레임(310)과 상기 이동프레임(310)을 이동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이동가이드(330)와,
상기 이동가이드(330)의 중앙에서 상기 이동프레임(310)의 하단면까지 돌출되며, 내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제2이동레일(341)과 상기 제2이동레일(341)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가이드브라켓(342)과 상기 가이드브라켓(342)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보조프레임(343)의 끝단이 상기 이동프레임(3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보조가이드(340)와,
상기 이동프레임(310)과 상기 이동프레임(310)의 좌,우 사이에 수직으로 배치되며,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다수개의 제2보조프레임(351)의 끝단이 상기 이동프레임(3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2보조가이드(3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자동화 운반 겐트리 시스템.
In paragraph 1,
The above transport unit (300) is
A plurality of moving frames (310) positioned vertically on the inside of the above-mentioned transport space (201) to support the corners of the box and having a first vertical moving rail (311)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 fixed bracket (320) that is connected to the above spacing adjustment part (200) and is combined with the first moving rail (311) to support the moving frame (310) so that it can be raised and lowered,
The moving frame (310) is positioned in front and behind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frame (310) and the moving guide (330) that connects the moving frame (310) so that it can move,
A second moving rail (341) that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moving guide (330)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oving frame (310) and is formed vertically inside, a guide bracket (342) that is arrang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on the second moving rail (341), and a first auxiliary frame (343)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guide bracket (342), and a first auxiliary guide (340) whose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moving frame (310),
A logistics automation transport gantr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ing frame (310) and a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frames (351) that are vertically arrang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ving frame (310) and rotatably coupled to both sides have ends formed of a second auxiliary guide (350)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oving frame (3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400)는,
상기 운반부(300)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간격조절부(200)에 설치된 제2동력모듈(410)과,
상기 운반부(300)의 상단과 하단에 양측단이 고정되며, 중간부분이 상기 제2동력모듈(410)에 체결되어, 상기 제2동력모듈(410)의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운반부(300)를 승하강시키는 연결모듈(4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자동화 운반 겐트리 시스템.
In paragraph 1,
The above-mentioned ascending and descending part (400) is
A second power module (410) installed in the spacing adjustment unit (200) so as to b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transport unit (300),
A logistics automation transport gantry system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connecting module (420) that is fixed at both ends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transport section (300) and has a middle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module (410) to transmit power from the second power module (410) to raise and lower the transport section (30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500)는,
상기 제1보조가이드(340)의 하단에 결합되며, 지면에 위치한 박스를 감지하는 제1감지모듈(510)과,
상기 제1보조가이드(340)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운반부(300)의 하부에 위치한 박스를 감지하는 제2감지모듈(520)과,
상기 제1보조가이드(340)의 하단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운반부(300)의 내부로 유입된 박스를 감지하는 제3감지모듈(530)과,
상기 제1보조가이드(340)의 하부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운반부(300)를 통해 지지된 박스의 높이를 측정하는 제4감지모듈(5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자동화 운반 겐트리 시스템.
In the third paragraph,
The above detection unit (500)
A first detection module (510) that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first auxiliary guide (340) and detects a box located on the ground,
A second detection module (520) that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auxiliary guide (340) and detects a box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transport unit (300),
A third detection module (530) that is coupled to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first auxiliary guide (340) and detects a box that has entered the interior of the transport unit (300),
A logistics automation transport gantry system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fourth detection module (540) installed on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first auxiliary guide (340) and measuring the height of a box supported by the transport unit (30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4감지모듈(540)은,
상기 제2이동레일(341)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된 측정판(541)과,
상기 측정판(541)의 양측에서 수직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내면으로 돌출되어 박스와 밀착 시 상기 측정판(541)의 외부로 노출되는 측정핀(542)과,
상기 제1보조가이드(340)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측정판(541)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측정핀(542)을 측정하는 측정센서(54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자동화 운반 겐트리 시스템.
In paragraph 5,
The above fourth detection module (540) is
A measuring plate (541) that is connected to the second moving rail (341) so that it can be raised and lowered,
Measuring pins (542)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above measuring plate (541), protrude inwardly and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above measuring plate (541) when in close contact with the box,
A logistics automation transport gantry system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measuring sensor (543) positioned above and below the first auxiliary guide (340) and measuring the measuring pin (542)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easuring plate (541).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310)의 하단면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가이드판(312)과,
상기 이동프레임(310)의 하단 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판(312)의 상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센서(313)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자동화 운반 겐트리 시스템.
In the third paragraph,
A guide plate (312)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above moving frame (310) and coupled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 logistics automation transport gantr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detection sensor (313) that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above moving frame (310) and detects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above guide plate (312).
KR1020230089557A 2023-07-11 2023-07-11 Logistics Automated Conveyance Gantry System Pending KR2025000967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9557A KR20250009679A (en) 2023-07-11 2023-07-11 Logistics Automated Conveyance Gantr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9557A KR20250009679A (en) 2023-07-11 2023-07-11 Logistics Automated Conveyance Gantry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009679A true KR20250009679A (en) 2025-01-20

Family

ID=94389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9557A Pending KR20250009679A (en) 2023-07-11 2023-07-11 Logistics Automated Conveyance Gantry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50009679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7798B1 (en) 2011-03-18 2017-11-14 심코프 오이 Overhead robot system and a method for its oper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7798B1 (en) 2011-03-18 2017-11-14 심코프 오이 Overhead robot system and a method for its oper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4406B1 (en) Shuttle and Stacker crane, and Automatic Warehouse System with thereof
CN111994538B (en) Full-automatic double-warehouse-area pull type logistics system
US11673779B2 (en) Carrier and mobile lifting conveyor containing the same
CN105236162B (en) A kind of pallet discharge apparatus
CN103224142B (en) A kind of product automatic basket loading and transmission system
CN111891615A (en) Transfer device, robot, sorting system and sorting method
US10781043B1 (en) Multi-directional elevator for an inventory storage system
CN218287934U (en) Carrier and carrier system
KR20160136795A (en) Transfer shuttle and automated warehouse system using the same
CN110422527A (en) A kind of automatic stereowarehouse
WO2022242442A1 (en) Robot and material box transfer system
KR101956713B1 (en) Tower type arranging article storage device
CN217866247U (en) Storage robot and storage system
CN210084502U (en) Intelligent cargo handling system
KR20100109639A (en) Automatic pallet changer
CN116835202A (en) Logistics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1254018A1 (en) Automatic distribution wall
US20240025457A1 (en) System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storage containers
JPH0834507A (en) Multi-stage stock device
US10322878B2 (en) Storage module having inventory carriers that are elongate along a lateral direction to carry a plurality of storage containers
CN113247510B (en) Handling device and warehousing system
KR20230161461A (en) transport car
KR20250009679A (en) Logistics Automated Conveyance Gantry System
CN111605947A (en) Floor conveyor, automatic stereoscopic warehouse and goods conveying method
CN214826315U (en) Handling and storage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7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