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50018788A - Clothes tre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Clothes trea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50018788A
KR20250018788A KR1020230099882A KR20230099882A KR20250018788A KR 20250018788 A KR20250018788 A KR 20250018788A KR 1020230099882 A KR1020230099882 A KR 1020230099882A KR 20230099882 A KR20230099882 A KR 20230099882A KR 20250018788 A KR20250018788 A KR 20250018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using
protrusion
treatment device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98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상호
장인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99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50018788A/en
Priority to PCT/KR2024/008708 priority patent/WO2025028801A1/en
Publication of KR20250018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50018788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물이 투입되는 하우징 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 터브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 하우징과 터브를 연결하는 다이어프램 및 하우징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도어는 도어글라스와 도어글라스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도어프레임과, 도어프레임으로부터 하우징의 전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도어돌출부를 포함하고, 도어돌출부는 도어가 닫혔을 경우 하우징 개구의 아래에 위치하는 제1돌출부와, 제1돌출부로부터 하부로 연장되고 제1돌출부보다 하우징의 전면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제2돌출부를 포함한다.A clothes treatment device includes a housing including a housing opening into which laundry is fed, a tub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 drum provided to be rotatable inside the tub, a diaphragm connecting the housing and the tub, and a door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housing opening, wherein the door includes a door glass, a door frame provided to support the door glass, and a door protrusion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door frame toward the front of the housing, and the door protrusion includes a first protrusion positioned below the housing opening when the door is closed, and a second protrusion extended downward from the first protrusion and positioned closer to the front of the housing than the first protrusion.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CLOTHES TREATING APPARATUS}{CLOTHES TREATING APPARATUS}

본 개시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garment treatment device.

의류처리장치의 일 예인 세탁기는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해 터브의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 물, 세제를 함께 교반시킴으로써 상호간의 마찰을 통해 세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이다.A washing machine, which is an example of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s a device that uses the driving force of a driving motor to mix together laundry, water, and detergent placed inside a tub, thereby washing through friction between them.

세탁기가 수행하는 행정은 세탁기의 종류에 무관하게, 세탁물이 수용된 터브에 세제 및 물을 공급하고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 행정과, 터브에 물을 공급하고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물을 헹구어 내는 헹굼 행정과, 터브로부터 물을 배출하고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물의 물기를 제거하는 탈수 행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cycles performed by the washing machine, regardless of the type of washing machine, may include a washing cycle in which detergent and water are supplied to a tub containing laundry and the drum is rotated to wash the laundry, a rinsing cycle in which water is supplied to the tub and the drum is rotated to rinse the laundry, and a spin-drying cycle in which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tub and the drum is rotated to remove moisture from the laundry.

세탁기를 수행시키기 위해 캐비닛의 개구를 통해 옷감을 투입하는 과정에서 옷이 완전히 투입되지 않고 도어가 닫히는 경우에 그대로 작동이 진행되면 옷감이 손상되거나 다이어프램이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탁기 외부로의 누수의 위험성이 있을 수도 있다.If the door closes without fully loading the clothes during the process of loading the clothes through the cabinet opening to operate the washing machine, the clothes may be damaged or the diaphragm may be deformed if the operation continues. This may also lead to a risk of water leaking outside the washing machine.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세탁물이 낀 채로 도어가 닫히는 것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clothes treatment device that prevents the door from closing while laundry is stuck.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세탁물이 끼는 경우 도어를 닫히지 않게 하여 의류처리장치의 동작을 방지하여 세탁물 손상과 누수를 예방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clothes treatment device that prevents damage to and leakage of laundry by preventing the operation of the clothes treatment device by preventing the door from closing when laundry is caught.

본 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is document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물이 투입되는 하우징 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 상기 하우징과 상기 터브를 연결하는 다이어프램 및 상기 하우징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도어글라스와 상기 도어글라스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도어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돌출부는 상기 도어가 닫혔을 경우 상기 하우징 개구의 아래에 위치하는 제1돌출부와, 상기 제1돌출부로부터 하부로 연장되고 상기 제1돌출부보다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제2돌출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housing including a housing opening into which laundry is introduced, a tub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 drum provided to be rotatable inside the tub, a diaphragm connecting the housing and the tub, and a door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housing opening, wherein the door includes a door glass, a door frame provided to support the door glass, and a door protrusion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door frame toward the front of the housing, and the door protrusion includes a first protrusion positioned below the housing opening when the door is closed, and a second protrusion extended downward from the first protrusion and positioned closer to the front of the housing than the first protrusion.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물이 투입되는 하우징 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 상기 하우징과 상기 터브를 연결하는 다이어프램 및 상기 하우징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도어글라스와 상기 도어글라스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프레임은 상기 다이어프램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제1테두리부와 상기 제1테두리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테두리부보다 도어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하우징 개구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2테두리부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복수의 돌기와 대응되고 상기 복수의 돌기를 수용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리세스를 포함한다.A garment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mprises a housing including a housing opening into which laundry is introduced, a tub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 drum provided to be rotatable inside the tub, a diaphragm connecting the housing and the tub, and a door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housing opening, wherein the door comprises a door glass, a door frame provided to support the door glass,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door frame toward the front of the housing, the door frame comprises a first edge portion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diaphragm, and a second edge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edge portion and arranged on an outer side of the door frame relative to the first edge portio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being arranged to protrude from the second edge portion along a perimeter of the housing opening, and the housing comprises a plurality of recess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being concavely formed to receive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도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도어의 측면도이다.
도 5은 도 2의 도어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세탁물이 걸쳐진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도어를 닫으려 할 때, 세탁물이 걸쳐진 상황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9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11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12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는 도 12의 의류처리장치의 단면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단면도이다.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garment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garment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3 is a plan view of the door of Figure 2.
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door of Figure 2.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oor of Figure 2 cut away.
FIG. 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garment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7 is a drawing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laundry is hung on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8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situation in which laundry is hung when attempting to close the door of a garment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9 is a plan view of a door of a garment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0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garment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garment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garment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cross-section of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of Fig. 12.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and the terminology used herei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features described in this document to specific embodiments, but rather to encompass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alternatives of the embodiments.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similar or related components.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ingular form of a noun corresponding to an item may include one or more of said ite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document, each of the phrases "A or B", "at least one of A and B", "at least one of A or B", "A, B, or C", "at least one of A, B, and C", and "at least one of A, B, or C" can include any one of the items listed together in that phrase, or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them.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구성요소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구성요소들 중의 어느 구성요소를 포함한다.The term “and/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multiple related described elements or any one of multiple related described elements.

"제1", "제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or "first" or "second" may be used mere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do not limit the components in any other respect (e.g., importance or order).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When a component (e.g., a first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e.g., a second component), with or without the terms “functionally” or “communicatively,” it means that the component can be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directly (e.g., wired), wirelessly, or through a third component.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본 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is document, but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지지” 또는 “접촉”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구성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지지 또는 접촉되는 경우뿐 아니라,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 결합, 지지 또는 접촉되는 경우를 포함한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coupled,” “supported,” or “in contact with” another component, this includes not only cases where the components are directly connected, coupled, supported, or in contact, but also cases where the components are indirectly connected, coupled, supported, or in contact through a third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When we say that a component is “on” another component, this includes not only cases where the component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component, but also cases where there is another component between the two components.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 헹굼, 탈수 및 건조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세탁기는 의류처리장치의 일 예로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세탁대상물, 건조대상물)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의류의 세탁과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Washing machine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can perform washing, rinsing, dehydration, and drying processes. Washing machines are an example of clothes treatment devices, and clothes treatment devices are a concept encompassing devices that wash clothes (laundry items, drying items), devices that dry clothes, and devices that can perform both washing and drying of clothes.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인출하기 위한 세탁물 투입구가 상방을 향하도록 마련되는 탑 로딩(top-loading) 세탁기 또는 세탁물 투입구가 전방을 향하도록 마련되는 프런트 로딩(front-loading) 세탁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세탁기는 탑 로딩 세탁기와 프런트 로딩 세탁기 이외의 다른 로딩 방식의 세탁기를 포함할 수 있다.Washing machine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may include top-loading washing machines in which a laundry inlet for putting in or taking out laundry is provided to face upward, or front-loading washing machines in which a laundry inlet is provided to face forward. Washing machine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may include washing machines of other loading methods other than top-loading washing machines and front-loading washing machines.

탑 로딩 세탁기의 경우, 펄세이터와 같은 회전체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다. 프런트 로딩 세탁기의 경우,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물의 상승과 낙하를 반복함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다. 프런트 로딩 세탁기는 드럼의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을 건조할 수 있는 건조 겸용 세탁기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 겸용 세탁기는 고온의 공기를 드럼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열풍 공급 장치 및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응축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건조 겸용 세탁기는 히트 펌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세탁기는 상술한 세탁 방식 이외의 다른 세탁 방식의 세탁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top-loading washing machine, laundry can be washed using a water current generated by a rotating body such as a pulsator. In the case of a front-loading washing machine, laundry can be washed by rotating a drum to repeatedly raise and lower the laundry. The front-loading washing machine may include a washing machine with a dryer capable of drying laundry accommodated inside the drum. The washing machine with a dryer may include a hot ai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high-temperature air into the drum and a condensing device for removing moisture from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As an example, the washing machine with a dryer may include a heat pump device.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may include a washing machine with a washing method other than the washing method described above.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세탁기는 내부에 각종 구성품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은 일측에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된 상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may include a housing that accommodates various components therein. The housing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box with a laundry inlet formed on one side.

세탁기는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는 힌지에 의해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어의 적어도 일 부분은 하우징의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마련될 수 있다.The washing machine may include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aundry compartment. The door may be rotatably mounted to the housing by a hinge. At least a portion of the door may be transparent or translucent to allow the interior of the housing to be seen.

세탁기는 물을 저수하도록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는 일 측에 터브 개구가 형성된 대략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고, 터브 개구가 세탁물 투입구와 대응하여 배치되도록 하우징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washing machine may include a tub provided inside the housing to store water. The tub may be provided in a generally cylindrical shape with a tub opening formed on one side, and may be arranged inside the housing so that the tub opening corresponds to the laundry inlet.

터브는 댐퍼에 의해 하우징에 연결될 수 있다. 댐퍼는 드럼의 회전 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여 하우징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다.The tub may be connected to the housing by a damper. The damper may absorb vibrations generated when the drum rotates, thereby attenuating vibrations transmitted to the housing.

세탁기는 세탁물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드럼을 포함할 수 있다. A washing machine may include a drum configured to accommodate laundry.

드럼은 일측에 마련된 드럼 개구가 세탁물 투입구 및 터브 개구에 대응되도록 터브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세탁물은 세탁물 투입구, 터브 개구 및 드럼 개구를 차례로 통과하여 드럼 내부에 수용되거나, 드럼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The drum can be positioned inside the tub so that the drum opening provided on one side corresponds to the laundry inlet and the tub opening. Laundry can be accommodated in the drum or taken out from the drum by passing through the laundry inlet, the tub opening, and the drum opening in sequence.

드럼은 터브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세탁, 헹굼, 및/또는 탈수 행정에 따른 각각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드럼의 원통형 벽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터브에 저장된 물이 드럼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드럼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The drum can perform each operation of washing, rinsing, and/or dehydration while rotating inside the tub.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the cylindrical wall of the drum so that water stored in the tub can flow into the inside of the drum or flow out of the outside of the drum.

세탁기는 드럼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장치는 구동 모터와, 구동 모터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드럼에 전달하기 위한 회전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샤프트는 터브를 관통하여 드럼에 연결될 수 있다. The washing machine may include a driving device configured to rotate the drum. The driving device may include a driving motor and a rotating shaft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motor to the drum. The rotating shaft may be connected to the drum by passing through the tub.

구동장치는 드럼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세탁, 헹굼, 및/또는 탈수, 또는 건조 행정에 따른 각각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drive device can rotate the drum forward or backward to perform each operation according to the washing, rinsing, and/or dehydration, or drying cycle.

세탁기는 터브에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급수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장치는 급수관과, 급수관에 마련되는 급수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관은 외부 급수원과 연결될 수 있다. 급수관은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세제 공급장치 및/또는 터브까지 연장될 수 있다. 물은 세제 공급장치를 거쳐 터브로 공급될 수 있다. 물은 세제 공급장치를 경유하지 않고 터브로 공급될 수 있다.The washing machine may include a water supply device configured to supply water to the tub. The water supply device may include a water supply pipe and a water supply valve provided on the water supply pipe. The water supply pipe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source. The water supply pipe may extend from the external water source to the detergent supply device and/or the tub.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tub via the detergent supply device.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tub without passing through the detergent supply device.

급수밸브는 제어부의 전기적 신호에 응답하여 급수관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급수밸브는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터브로 물이 공급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급수밸브는, 예를 들면, 전기적 신호에 응답하여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valve can open or close the water supply line in response to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The water supply valve can allow or block the supply of water to the tub from an external water source. The water supply valve can include, for example, a solenoid valve that opens and closes in response to an electrical signal.

세탁기는 터브로 세제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세제 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 공급장치는 사용자가 세탁시마다 사용될 세제를 투입해야 하는 수동형 세제 공급장치와, 다량의 세제를 저장해 두고 세탁시에 소정량의 세제가 자동으로 투입되게 하는 자동 세제 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 공급장치는 세제를 저장하기 위한 세제함을 포함할 수 있다. 세제 공급장치는 급수과정에서 터브 내부로 세제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 공급장치를 경유하여 세제와 혼합될 수 있다. 세제와 혼합된 물은 터브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세제는 예비 세탁용 세제, 본 세탁용 세제, 섬유 유연제, 표백제 등을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되며, 세제함은 예비 세탁용 세제 저장 영역, 본 세탁용 세제 저장 영역, 섬유 유연제 저장 영역 및 표백제 저장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The washing machine may include a detergent supply device configured to supply detergent to the tub. The detergent supply device may include a manual detergent supply device that requires a user to insert detergent to be used for each wash, and an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that stores a large amount of detergent and automatically inserts a predetermined amount of detergent during the wash. The detergent supply device may include a detergent box for storing detergent. The detergent supply device may be configured to supply detergent into the tub during a water supply process. Water supplied through a water supply pipe may be mixed with detergent via the detergent supply device. The water mixed with detergent may be supplied into the tub. Detergent is used as a term encompassing a pre-wash detergent, a main wash detergent, a fabric softener, a bleach, etc., and the detergent box may be divided into a pre-wash detergent storage area, a main wash detergent storage area, a fabric softener storage area, and a bleach storage area.

세탁기는 터브에 수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배수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장치는 터브의 하부로부터 하우징의 외부까지 연장되는 배수관과, 배수관을 개폐하도록 배수관에 마련되는 배수밸브, 배수관 상에 마련되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는 배수관의 물을 하우징의 외부로 펌핑할 수 있다.The washing machine may include a drain device configured to discharge water contained in the tub to the outside. The drain device may include a drain pipe extending from the bottom of the tub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 drain valve provided on the drain pipe to open and close the drain pipe, and a pump provided on the drain pipe. The pump may pump water in the drain pipe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세탁기는 하우징의 일 측면에 배치되는 컨트롤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은 사용자와 세탁기가 상호 작용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인터페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shing machine may include a control panel dispos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The control panel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for a user to interact with the washing machine. The user interface may include at least one input interface and at least one output interface.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감각 정보(sensory information)를 전기적인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At least one input interface can convert sensory information received from a user into an electrical signal.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인터페이스는 전원 버튼과, 동작 버튼과, 코스 선택 다이얼(또는 코스 선택 버튼)과, 세탁/헹굼/탈수 설정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입력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택트 스위치(tact switch), 푸시 스위치, 슬라이드 스위치, 토클 스위치, 마이크로 스위치, 터치 스위치,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조그 다이얼, 및/또는 마이크로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at least one input interface may include a power button, an operation button, a course selection dial (or a course selection button), and a wash/rinse/spin setting button. The at least one input interface may include, for example, a tact switch, a push switch, a slide switch, a toggle switch, a micro switch, a touch switch, a touch pad, a touch screen, a jog dial, and/or a microphone.

적어도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에게 세탁기의 동작에 관련된 정보를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At least one output interface can visually or audibly convey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to the user.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는 세탁 코스 및 세탁기의 동작 시간, 세탁 설정/헹굼 설정/탈수 설정에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세탁기 동작에 관한 정보는 스크린, 인디케이터, 음성 등으로 출력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at least one output interface can convey information related to a washing course and operating time of the washing machine, washing settings/rinsing settings/spin settings to the us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can be output by a screen, an indicator, voice, etc. At least one output interface can include,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panel, a light emitting diode (LED) panel, a speaker, etc.

세탁기는 외부 장치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washing machine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external devices via wired and/or wireless means.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원거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or a long-range communication module.

통신 모듈은 외부 장치(예: 서버, 사용자 기기 및/또는 가전기기)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은 서버 및/또는 사용자 기기 및/또는 가전기기와 통신을 수립하고,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can transmit data to an external device (e.g., a server, a user device, and/or a home appliance), or receive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module can establish communication with a server and/or a user device and/or a home appliance, and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data.

이를 위해, 통신 모듈은 외부 장치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예: 블루투스,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예: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module can support establishment of a direct (e.g., wired) communication channel or a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external devices, and performance of communication through the established communication channe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module can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e.g., a cellular communication modul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r a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communication module) or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e.g., a local area network (LAN) communication module, or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Any of these communication modules can communicate with the external device through a first network (e.g., a short-rang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Bluetooth, 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or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or a second network (e.g., a long-rang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legacy cellular network, a 5G network, a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network, the Internet, or a computer network (e.g., a LAN or WAN)). These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modules can be integrated into a single component (e.g., a single chip) or implemented as a plurality of separate components (e.g., multiple chips).

근거리 통신 모듈(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WLAN(와이파이)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모듈, WFD(Wi-Fi Direct) 통신 모듈, UWB(ultrawideband) 통신 모듈, Ant+ 통신 모듈, 마이크로 웨이브(uWave)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a BLE (Bluetooth Low Energy) communication module, a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a WLAN (Wi-Fi) communication module, a Zigbee communication module, an infrared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communication module, a WFD (Wi-Fi Direct) communication module, a UWB (ultrawideband) communication module, an Ant+ communication module, a microwave (uWave) communication module, etc.

원거리 통신 모듈은, 다양한 종류의 원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부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The long-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that performs various types of long-distance communication and may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unit.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and receives a wireless signal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일 실시예에서, 통신 모듈은 주변의 접속 중계기(AP: Access point)를 통해 서버, 사용자 기기, 다른 가전 기기 등의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접속 중계기(AP)는 세탁기 또는 사용자 기기가 연결된 지역 네트워크(LAN)를 서버가 연결된 광역 네트워크(WAN)에 연결시킬 수 있다. 세탁기 또는 사용자 기기는 광역 네트워크(WAN)를 통해 서버에 연결될 수 있다.제어부는 세탁기의 각종 구성 요소(예: 구동 모터, 급수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급수, 세탁, 헹굼, 및/또는 탈수 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행정을 수행하도록 세탁기의 각종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드럼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도록 구동 모터를 제어하거나, 터브로 물을 공급하도록 급수장치의 급수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module can communicate with external devices such as a server, a user device, and other home appliances through a peripheral access point (AP). The access point (AP) can connect a local area network (LAN) to which the washing machine or the user device is connected to a wide area network (WAN) to which the server is connected. The washing machine or the user device can be connected to the server through the wide area network (WAN).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various components of the washing machine (e.g., a drive motor, a water inlet valve).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various components of the washing machine to perform at least one cycle including water supply, washing, rinsing, and/or spin-drying according to a user input.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drive motor to adjust the rotation speed of the drum, or control the water inlet valve of the water supply device to supply water to the tub.

제어부는 CPU나, 메모리 등의 하드웨어와, 제어 프로그램 등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세탁기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프로그램 형태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1 또는 2이상의 프로세서 칩을 포함하거나 또는 1 또는 2이상의 프로세싱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1 또는 2이상의 메모리 칩을 포함하거나 또는 1 또는 2이상의 메모리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may include hardware such as a CPU or a memory, and software such as a control program.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n algorith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components in the washing machine, at least one memory storing data in the form of a program, and at least one processor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using data stored in the at least one memory. The memory and the processor may each be implemented as separate chips. The processor may include one or more processor chips or one or more processing cores. The memory may include one or more memory chips or one or more memory blocks. In addition, the memory and the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hip.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garment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will be specifical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의류처리장치(1)의 일례로서 세탁기에 대해 설명하나, 본 개시의 사상은 세탁기에 적용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세탁물이 투입되어 작동되는 건조기 등의 의류처리장치(1)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As an example of a clothing treatment device (1), a washing machine is described, but the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being applied to a washing machine, and can be applied to all clothing treatment devices (1), such as a dryer that operates by putting laundry in it.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의 사시도이다.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shing machine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shing machine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하우징(10)과,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터브(20)와, 터브(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30)과, 드럼(30)을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washing machine (1)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housing (10), a tub (20)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0) to store water, a drum (30) rotatably arranged inside the tub (20), and a motor that drives the drum (30).

하우징(10)은 드럼(30)의 내부에 접근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개구(12)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1)는 하우징(10)에 마련되는 하우징 개구(12)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200)는 힌지에 의해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어(200)의 도어글라스(210)은 하우징(10)의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마련될 수 있다.The housing (10) may include a housing opening (12) formed to allow access to the interior of the drum (30). The washing machine (1) may include a door (20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housing opening (12) provided in the housing (10). The door (200) may be rotatably mounted to the housing (10) by a hinge. The door glass (210) of the door (200) may be provided to be transparent or translucent so that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0) may be visible.

세탁기(1)는 물을 저수하도록 하우징(10)의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20)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20)는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터브(20)는 하우징 개구(12)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터브 개구(22)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20)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지지될 수 있다. 터브(20)는 일 측이 개방된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washing machine (1) may include a tub (20)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0) to store water. The tub (20) may be placed inside the housing (10). The tub (20) may include a tub opening (22)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housing opening (12). The tub (20) may be supported inside the housing (10). The tub (20) may have a roughly cylindrical shape with one side open.

터브(20)는 댐퍼에 의해 하우징(10)으로부터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댐퍼는 하우징(10)과 터브(20)를 연결할 수 있다. 댐퍼는 드럼(30)의 회전 시 발생하는 진동이 터브(20)와 하우징(10)으로 전달될 때, 진동에너지를 흡수하여 진동을 감쇄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tub (20) can be elastically supported from the housing (10) by a damper. The damper can connect the housing (10) and the tub (20). The damper can be provided to absorb vibration energy and attenuate vibration when vibration generated when the drum (30) rotates is transmitted to the tub (20) and the housing (10).

세탁기(1)는 세탁물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드럼(30)을 포함할 수 있다. 드럼(30)은 터브(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드럼(30)은 터브(20)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세탁, 헹굼, 및/또는 탈수를 수행할 수 있다. 드럼(30)은 일 측이 개방된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washing machine (1) may include a drum (30) provided to accommodate laundry. The drum (30) may be provided rotatably inside a tub (20). The drum (30) may perform washing, rinsing, and/or dehydration while rotating inside the tub (20). The drum (30) may have a generally cylindrical shape with one side open.

드럼(30)의 둘레에는 세탁수의 유통을 위한 다수의 통공(33)이 형성될 수 있고, 드럼(30)의 내주면에는 드럼(30)이 회전할 때 세탁물의 상승 및 낙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리프터(34)들이 설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perforations (33) for the circulation of washing water may be formed around the drum (30), and lifters (34)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rum (30) so that laundry can rise and fall when the drum (30) rotates.

드럼(30)은 하우징 개구(12) 및 터브 개구(22)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드럼 개구(32)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물은 하우징 개구(12), 터브 개구(22), 및 드럼 개구(32)를 통해 드럼(30)에 투입되거나, 드럼(30)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The drum (30) may include a drum opening (32)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housing opening (12) and the tub opening (22). Laundry may be fed into the drum (30) or taken out from the drum (30) through the housing opening (12), the tub opening (22), and the drum opening (32).

세탁기(1)는 드럼(3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세탁기 구동장치(40)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 구동장치(40)에는 모터가 포함될 수 있다. 모터는 터브(20)에 고정되는 스테이터와 스테이터의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로터는 스테이터와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회전하고, 구동축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The washing machine (1) may include a washing machine drive device (40) configured to rotate a drum (30). The washing machine drive device (40) may include a motor. The motor may include a stator fixed to the tub (20) and a rotor rotatably arranged around the stator. The rotor may rotate by electromagnetic interaction with the stator and transmit rotational force to the drive shaft.

하우징(10)의 전면패널(11)에는 하우징 개구(12)가 형성된다. 하우징 개구(12)는 하우징(10)의 전면패널(11)에 설치된 도어(2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200)는 드럼(30)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마련된 도어글라스(210)와 도어글라스(210)를 지지하는 도어프레임(220)을 구비할 수 있다.A housing opening (12) is formed on the front panel (11) of the housing (10). The housing opening (12)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door (200) installed on the front panel (11) of the housing (10). The door (200) can be equipped with a door glass (210) provided to allow the inside of the drum (30) to be viewed and a door frame (220) supporting the door glass (210).

터브(20)와 도어(200) 사이에는 다이어프램(100)이 설치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100)은 하우징 개구(12)와 터브 개구(22)를 연결할 수 있으며, 하우징 개구(12)로부터 터브 개구(22)에 이르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고, 드럼(30)의 회전 시에 하우징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다이어프램(100)은 도어(200)와 전면패널(11) 사이에 배치되어 물이 하우징(10)의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diaphragm (10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tub (20) and the door (200). The diaphragm (100) may connect the housing opening (12) and the tub opening (22), form a passage from the housing opening (12) to the tub opening (22), and reduce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housing when the drum (30) rotates. In addition, the diaphragm (100) may be arranged between the door (200) and the front panel (11) to prevent water from leaking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다이어프램(100)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로 성형된 사출물로 구성될 수 있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상온에서는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가지므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된 다이어프램(100)은 터브(20)에서 하우징(10)의 전면패널(11)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다.The diaphragm (100) may be formed of an injection molded thermoplastic elastomer. Since the thermoplastic elastomer has elasticity like rubber at room temperature, the diaphragm (100) formed of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an effectively dampen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tub (20) to the front panel (11) of the housing (10).

다이어프램(100)은 고정부재(510)에 의해 하우징(1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510)는 하우징 개구(12)의 둘레를 형성하는 하우징 입술부(14)와 다이어프램(100)의 하우징 결합부(110)를 고정한다.The diaphragm (100) is connected to the housing (10) by a fixing member (510). Specifically, the fixing member (510) secures the housing lip portion (14) forming the perimeter of the housing opening (12) and the housing connecting portion (110) of the diaphragm (100).

다이어프램(100)의 전단에는 다이어프램 입술부(130)가 형성된다. 고정부재(510)쪽에서 하우징 개구(12)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하우징 개구(12)의 둘레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A diaphragm lip (130)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diaphragm (100). It protrudes from the fixed member (510) toward the center of the housing opening (12) and can be formed in an annular shape along the perimeter of the housing opening (12).

세탁기(1)의 도어(200)가 닫혔을 때, 다이어프램 입술부(130)는 도어글라스(210)에 접촉하여 실링함으로써 물이 도어(200)와 하우징(10)의 전면패널(11) 사이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다이어프램 입술부(13)는 도어프레임(220)과 접촉하여 실링함으로서 누수를 방지할 수도 있다. When the door (200) of the washing machine (1) is closed, the diaphragm lip (130) can prevent water from leaking between the door (200) and the front panel (11) of the housing (10) by contacting and sealing the door glass (210). In some cases, the diaphragm lip (13) can also prevent water from leaking by contacting and sealing the door frame (220).

도 3은 도 2의 도어(200)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도어(200)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도어(200)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의 확대단면도이다. Figure 3 is a plan view of the door (200) of Figure 2, 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door (200) of Figure 2,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oor (200) of Figure 2 cut away, and Figure 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washing machine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어(200)는 드럼(30)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마련된 도어글라스(210)와 도어글라스(210)를 지지하는 도어프레임(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글라스(210)의 일부는 다이어프램(100)과 접촉하여 드럼(30) 내부의 물이 하우징(10)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door (200) may include a door glass (210) provided to allow viewing of the inside of the drum (30) and a door frame (220) supporting the door glass (210). A portion of the door glass (210) may contact the diaphragm (100) to prevent water inside the drum (30) from leaking out of the housing (10).

도어(200)의 도어글라스(210)이 없다고 가정했을 때, 도어프레임(220)은 그 중심에 도어가 닫혔을 때 하우징 개구(12)와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프레임 개구(223)를 포함할 수 있다.Assuming that there is no door glass (210) of the door (200), the door frame (220) may include a frame opening (223) at its center that is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housing opening (12) when the door is closed.

도어(200)는 세탁기(1) 내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200)는 도어잠금장치(250)에 의하여 잠길 수 있다. 도어잠금장치(250)는 도어(200)와 하우징(1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걸림부와, 걸림부에 걸리도록 도어(200)와 하우징(10) 중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는 후크가 결합되는 방식으로 잠길 수도 있다. 도어잠금장치(250)는 후크, 고리, 바(bar),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잠금장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door (200) may be provided to open or close the inside of the washing machine (1). The door (200) may be locked by a door lock device (250). The door lock device (250) may be locked in a manner in which a catch formed on one of the door (200) and the housing (10) and a hook formed on the other of the door (200) and the housing (10) are combined to catch on the catch. The door lock device (25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locking device using a hook, a ring, a bar, or a solenoi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세탁기(1)는 도어(200)가 닫힌 상태여야 동작이 진행될 수 있다. 세탁물이 세탁기(1)로 투입될 때 세탁물이 드럼(30)의 내부로 완전히 투입되지 않아서 세탁물이 도어(200)에 끼는 경우가 있다. (도 7 및 도 8 참조) The washing machine (1) can only operate when the door (200) is closed. When laundry is fed into the washing machine (1), there are cases where the laundry is not fed completely into the drum (30) and thus gets stuck in the door (200). (See Figs. 7 and 8)

세탁물이 끼더라도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도어(200)를 닫으면 세탁물이 도어(200)에 낀 상태로 세탁기(1)가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200)에 끼어 있는 세탁물이 드럼(30)에 의해서 회전하면서 다이어프램(100)을 영구적으로 손상시키며 누수가 생기거나 세탁물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Even if laundry is stuck, if the user applies force to close the door (200), the washing machine (1) may operate with the laundry stuck in the door (200). Accordingly, the laundry stuck in the door (200) may rotate by the drum (30) and permanently damage the diaphragm (100), which may cause a leak or damage to the laundry.

도어(200)와 하우징(10) 사이 또는 도어(200)와 다이어프램(100) 사이의 간격을 줄여 세탁물이 도어(200)에 끼인 상태로 도어(200)가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By reducing the gap between the door (200) and the housing (10) or between the door (200) and the diaphragm (100), the door (200) can be prevented from closing with laundry stuck in the door (200).

세탁물이 낀 채로 도어(200)가 닫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200)는 도어프레임(220)으로부터 하우징의 전면(10a)을 향해 돌출된 도어돌출부(230)를 포함할 수도 있다.To prevent the door (200) from closing with laundry stuck in it, the door (200) may include a door protrusion (230) that protrudes from the door frame (220) toward the front side (10a) of the housing.

다만, 반드시 도어프레임(220)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요구하는 것은 아니며, 도어(200)가 닫히지 않게 도어(200)와 하우징(10) 사이 또는 도어(200)와 다이어프램(100) 사이의 간격을 줄일 수 있으면 충분하다. 다시 말해서, 도어돌출부(230)가 도어프레임(220)이 아닌 하우징(1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required to protrude from the door frame (220), and it is sufficient if the gap between the door (200) and the housing (10) or between the door (200) and the diaphragm (100) can be reduced so that the door (200) does not close. In other words, the door protrusion (230)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housing (10) rather than the door frame (220).

도 6를 참조하면, 도어프레임(220)은 도어프레임(220) 내측의 제1테두리부(221)와 제1테두리부(221)로부터 도어프레임(22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테두리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door frame (220) may include a first edge portion (221) on the inner side of the door frame (220) and a second edge portion (222) extending from the first edge portion (221) to the outer side of the door frame (220).

구체적으로는, 제1테두리부(221)은 다이어프램(100)의 하우징 결합부(110)의 전면과 대응될 수 있고, 제2테두리부(222)는 하우징의 전면(10a)에 대응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border portion (221) may correspon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joint portion (110) of the diaphragm (100), and the second border portion (222) may correspond to the front surface (10a) of the housing.

도어돌출부(230)는 제1테두리부(221)로부터 돌출되는 제1돌출부(231)와, 제2테두리부(222)로부터 돌출되는 제2돌출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protrusion (230) may include a first protrusion (231) protruding from the first frame (221) and a second protrusion (232) protruding from the second frame (222).

제1돌출부(231)는 다이어프램(100)을 향해 구체적으로는 다이어프램(100)의 하우징 결합부(110)의 전면을 향해 돌출될 수 있고, 제2돌출부(232)는 하우징의 전면(10a)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The first protrusion (231) may protrude toward the diaphragm (100), specifically, toward the front of the housing joint (110) of the diaphragm (100), and the second protrusion (232) may protrude toward the front (10a) of the housing.

세탁물이 도어(200)에 끼는 경우 도어(200)가 닫히지 않는 효과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제1돌출부(231)는 다이어프램(100)과 접촉하고, 제2돌출부(232)는 하우징의 전면(10a)과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effectively achieve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door (200) from closing when laundry gets caught in the door (200),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protrusion (231) contacts the diaphragm (100) and the second protrusion (232) contacts the front surface (10a) of the housing.

제2돌출부(232)와 하우징의 전면(10a)이 접촉하지 않더라도, 제2돌출부(232)가 하우징의 전면(10a)에 평행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면(2321)을 포함할 수 있다.Even if the second protrusion (232) and the front surface (10a) of the housing do not come into contact, the second protrusion (232) may include a protrusion surface (2321) that extends vertically so as to be parallel to the front surface (10a) of the housing.

제1돌출부(231)와 제2돌출부(232)는 각각 다이어프램(100)과 하우징의 전면(10a)으로부터 소정의 거리가 이격되어 돌출될 수도 있다.The first protrusion (231) and the second protrusion (232) may each protrud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iaphragm (100) and the front surface (10a) of the housing.

제1돌출부(231)는 다이어프램(100)과 대응되고 제2돌출부(232)는 하우징의 전면(10a)에 대응되는 바, 세탁물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해 제2돌출부(232)는 제1돌출부(231)보다 하우징의 전면(10a)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protrusion (231) corresponds to the diaphragm (100) and the second protrusion (232) corresponds to the front side (10a) of the housing. In order to prevent laundry from getting caught, the second protrusion (232) may be positioned closer to the front side (10a) of the housing than the first protrusion (231).

제2돌출부(232)와 하우징의 전면(10a) 사이의 간격이 가장 좁은 부분 혹은 제2돌출부(232)와 하우징의 전면(10a)이 접촉된 부분이 제1돌출부(231)와 가까울수록 도어(200)의 닫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 closer the gap between the second protrusion (232) and the front surface (10a) of the housing is to the first protrusion (231), the more effectively the door (200) can be prevented from closing.

세탁물이 도어(200)에 끼는 부분이 넓을수록 안정적으로 도어(200)의 닫힘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돌출부(230)의 제1돌출부(231)와 제2돌출부(232)는 각각 대응되는 다이어프램(100) 및 하우징의 전면(10a)에 평행하는 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der the area where the laundry is caught in the door (200), the more reliably the door (200) can be prevented from closing. Accordingly, the first protrusion (231) and the second protrusion (232) of the door protrusion (230) may include surfaces parallel to the corresponding diaphragm (100) and the front surface (10a) of the housing, respectively.

예를 들어, 제2돌출부(232)는 하우징의 전면(10a)에 평행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면(2321)을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돌출면(2321) 중 일부가 하우징의 전면(10a)과 접촉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protrusion (232) may include a protrusion surface (2321) extending in an up-down direction parallel to the front surface (10a) of the housing. In some cases, a portion of the protrusion surface (2321)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10a) of the housing.

세탁물은 도어(200)에 끼는 부분의 두께, 길이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제2돌출부(232)와 하우징(10) 사이의 간격 중 가장 좁은 부분이 제1돌출부(231)와 가까울수록 도어(200)의 잠금을 방지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The thickness and length of the part of the laundry that is inserted into the door (200) may be different. Accordingly, the closer the narrowest part of the gap between the second protrusion (232) and the housing (10) is to the first protrusion (231), the more advantageous it may be to prevent the door (200) from being locked.

이를 위해, 제2돌출부(232)와 하우징(10) 사이의 간격은 제2돌출부(232)의 하단부에서 돌출면(2321)까지 감소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점점 감소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면 충분하다.To this end, the gap between the second protrusion (232) and the housing (10) may be reduced from the lower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232) to the protrusion surface (2321). However, it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gradually reduced, and it is sufficient if there is a tendency to be reduced.

도 5를 참조하면 도어(200)는 제1테두리부(221)를 따라 프레임 개구(223)의 위쪽으로 갈수록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테두리돌기(22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door (200) may include a border protrusion (224) formed to protrude further upward from the frame opening (223) along the first border portion (221).

테두리돌기(224)가 도어(200)와 하우징(10) 또는 도어(200)와 다이어프램(100) 사이의 간격을 줄여, 세탁기(1)가 동작할 때 도어(200)의 위쪽부분에서 도어(200)와 다이어프램(100) 사이 또는 도어(200)와 하우징(10) 사이에 세탁물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edge protrusion (224) reduces the gap between the door (200) and the housing (10) or the door (200) and the diaphragm (100), so that laundry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aught between the door (200) and the diaphragm (100) or between the door (200) and the housing (10) at the upper part of the door (200) when the washing machine (1) is in operation.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에 세탁물이 걸쳐진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의 도어(200)를 닫으려 할 때, 세탁물이 걸쳐진 상황의 확대단면도이고, 도 9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의 도어(200)의 평면도이다. 도 9의 도어돌출부(230)는 프레임 개구(223)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돌출부(2301)를 포함할 수 있다.FIG. 7 is a drawing showing a situation in which laundry is hung on a washing machine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8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situation in which laundry is hung when trying to close a door (200) of a washing machine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9 is a plan view of a door (200) of a washing machine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oor protrusion (230) of FIG. 9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2301)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perimeter of a frame opening (223).

복수의 돌출부(2301) 사이에 존재하는 소정 간격은 세탁물이 다이어프램(100)에 걸쳤을 때, 도어(200)가 닫히지 않도록 하기 위해 좁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돌출부(2301) 사이의 소정 간격은 프레임 개구(223)의 둘레방향으로의 복수의 돌출부(2301) 각각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The predetermined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301) may be formed narrowly so as to prevent the door (200) from closing when laundry hangs over the diaphragm (100). Specifically, the predetermined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301)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length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30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rame opening (223).

세탁물은 주로 도어(20)의 중간부에 끼일 확률이 높기 때문에 복수의 돌출부(2301) 중에서 가장 가운데의 돌출부가 가장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Since laundry is most likely to get stuck in the middle of the door (20), the central protrusion among the multiple protrusions (2301) may be formed as the largest.

도어돌출부(230)는 도어돌출부(230)의 측단부에 도어돌출부(230)의 중심으로부터 하우징 개구(12)의 둘레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protrusion (230) may include a portion at the side end of the door protrusion (230)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from the center of the door protrusion (23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ousing opening (12).

다시 말해서, 도어 돌출부(230)과 도어프레임(220)의 후면 사이에 턱이 생기지 않고 이어지게 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t may include a part that connects the rear of the door protrusion (230) and the door frame (220) without creating a chin.

도어돌출부(230)에 모서리가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가 세탁물이 낀 상태에서 도어(200)에 힘을 가할 때 모서리에 세탁물이 찍혀 세탁물이 손상될 수도 있는데 모서리에 단면적이 감소하는 필렛 부분이 형성되는 경우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다.If a corner is formed in the door protrusion (230), when a user applies force to the door (200) while laundry is stuck, the laundry may be damaged by being hit by the corner. However, if a fillet portion with a reduced cross-sectional area is formed in the corner, this problem can be solved.

도 10 및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의 확대단면도이다.FIG. 10 and FIG. 11 are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of a washing machine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0을 참조하면, 제1테두리부(221)와 제2테두리부(222)의 후면이 한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프레임(220)을 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제조과정에서 유리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rear surfaces of the first frame portion (221) and the second frame portion (222) may be positioned on one plane. In this case, the door frame (220) may be formed to be easily manufactured, which may be advantageou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세탁물이 도어(200)에 낄 때 끼는 세탁물의 두께가 달라질 수 있다. 세탁물이 얇은 경우에는 제1돌출부(231)와 제2돌출부(232)가 있더라도 사용자가 도어(200)에 힘을 가하는 경우 도어(200)가 닫힐 수 있다.When laundry is stuck in the door (200), the thickness of the stuck laundry may vary. If the laundry is thin, the door (200) may close when the user applies force to the door (200) even if the first protrusion (231) and the second protrusion (232) are present.

이 경우에는 세탁기(1)가 동작하여 다이어프램(100)이 손상되어 누수가 발생하거나, 세탁물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washing machine (1) may operate, causing damage to the diaphragm (100), which may result in a water leak or damage to the laundry.

도 11을 참조하면,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어돌출부(230)는 제2돌출부(232)로부터 하우징의 전면(10a)을 향해 더 돌출되는 제3돌출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3돌출부(233)와 대응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용부(1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door protrusion (230) may include a third protrusion (233) that further protrudes from the second protrusion (232) toward the front side (10a) of the housing. In addition, it may include a receiving portion (13) that is formed concavely to correspond to the third protrusion (233).

도어돌출부(230) 및 수용부(13)의 모서리가 형성되는 경우 찍힘 등으로 인해 세탁물이 손상될 위험성이 있으므로 제3돌출부(233) 및 수용부(13)의 모서리 부분에는 필렛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Since there is a risk of damage to laundry due to being dented or the like when the corners of the door protrusion (230) and the receiving portion (13) are formed, a fillet shape may be formed at the corners of the third protrusion (233) and the receiving portion (13).

제3돌출부(233)의 일부가 수용부(13)의 일부와 접촉하는 경우, 세탁물이 끼었을 때 더 효과적으로 도어(200)의 잠금을 방지할 수 있다.When a part of the third protrusion (233) comes into contact with a part of the receiving part (13), the door (200) can be more effectively prevented from being locked when laundry gets caught.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는 도 12의 세탁기(1)의 단면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단면도이다.FIG.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ashing machine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1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ortion of the cross-section of the washing machine (1) of FIG. 12.

도 12와 도 13을 참조하면, 도어(200)는 도어프레임(220)으로부터 하우징의 전면(10a)을 향해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돌기(300)를 포함하고, 하우징(10)은 복수의 돌기(300)를 수용하는 복수의 리세스(4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도어(200)가 돌기를 포함하고 하우징(10)이 리세스를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도어(200)가 리세스를 포함하고 하우징(10)이 돌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S. 12 and 13, the door (200)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300) that are arranged to protrude from the door frame (220) toward the front side (10a) of the housing, and the housing (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cesses (400) that accommodate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300). However, it is not necessary for the door (200) to include the protrusions and the housing (10) to include the recesses, and the door (200) may include the recesses and the housing (10) may include the protrusions.

복수의 돌기(300)와 복수의 리세스(400)는 각각 프레임 개구(223)와 하우징 개구(1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300)와 복수의 리세스(400)의 일부가 접촉되는 경우 세탁물이 도어(200)에 끼였을 때 도어(200)의 닫힘이 더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A plurality of protrusions (300) and a plurality of recesses (400) may be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frame opening (223) and the housing opening (12), respectively. When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300) and the plurality of recesses (400) come into contact, the closing of the door (200) can be more effectively prevented when laundry is caught in the door (200).

돌기와 리세스가 없을 때는 도어(200)가 닫혀질 수 있는 얇은 세탁물이 도어(200)에 끼었을 때도, 돌기와 리세스가 맞물리는 구조의 특징에 의해 도어(200)의 닫힘을 방지할 수도 있다.Even when thin laundry that can close the door (200) is caught in the door (200) when there are no protrusions or recesses, the door (200) can be prevented from closing due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protrusions and recesses interlock.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세탁물이 투입되는 하우징 개구(12)를 포함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20), 상기 터브(2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30),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터브(20)를 연결하는 다이어프램(100) 및 상기 하우징 개구(12)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200)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200)는 도어글라스(210)와 상기 도어글라스(210)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도어프레임(220)과, 상기 도어프레임(220)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전면(10a)을 향해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도어돌출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돌출부(230)는 상기 도어(200)가 닫혔을 경우 상기 하우징 개구(12)의 아래에 위치하는 제1돌출부(231)와, 상기 제1돌출부(231)로부터 하부로 연장되고 상기 제1돌출부(231)보다 상기 하우징의 전면(10a)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제2돌출부(232)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도어돌출부(230)에 의해 도어(200)와 다이어프램(100) 또는 도어(200)와 하우징(1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므로 세탁물이 끼는 경우 도어(200)의 잠금을 방지할 수 있다.A garment treatment device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comprises a housing (10) including a housing opening (12) into which laundry is introduced, a tub (20)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0), a drum (30) provided to be rotatable inside the tub (20), a diaphragm (100) connecting the housing (10) and the tub (20), and a door (200)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housing opening (12), wherein the door (200) comprises a door glass (210), a door frame (220) provided to support the door glass (210), and a door protrusion (230)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door frame (220) toward the front side (10a) of the housing, and the door protrusion (230) comprises a first protrusion (231) positioned below the housing opening (12) when the door (200) is closed, and the It includes a second protrusion (232) that extends downward from the first protrusion (231) and is positioned closer to the front surface (10a) of the housing than the first protrusion (231).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since the gap between the door (200) and the diaphragm (100) or the door (200) and the housing (10) is narrowed by the door protrusion (230), the door (2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ocked when laundry gets caught.

상기 도어프레임(220)은 상기 하우징 개구(12)에 대응되는 프레임 개구(223), 상기 다이어프램(100)에 대응되도록 상기 프레임 개구(223) 주변에 배치되는 제1테두리부(221)와, 상기 제1테두리부(221)와 연결되고 상기 제1테두리부(221)보다 도어프레임(220)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테두리부(222)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돌출부(231)는 상기 제1테두리부(221)로부터 상기 다이어프램(100)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제2돌출부(232)는 상기 제2테두리부(222)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전면(10a)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The door frame (220) includes a frame opening (223) corresponding to the housing opening (12), a first frame portion (221) arranged around the frame opening (223) to correspond to the diaphragm (100), and a second frame portion (222)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portion (221) and arranged on the outside of the door frame (220) relative to the first frame portion (221), and the first protrusion portion (231) may protrude from the first frame portion (221) toward the diaphragm (100), and the second protrusion portion (232) may protrude from the second frame portion (222) toward the front surface (10a) of the housing.

상기 제2돌출부(232)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10a)에 평행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면(2321)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protrusion (232) may include a protrusion surface (2321)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parallel to the front surface (10a) of the housing.

상기 돌출면(2321)은 상기 하우징의 전면(10a)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above protruding surface (2321) can be configure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10a) of the housing.

상기 제2돌출부(232)와 상기 하우징(10)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2돌출부(232)의 하단부에서 상기 돌출면(2321)까지 감소할 수 있다.The gap between the second protrusion (232) and the housing (10) can be reduced from the lower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232) to the protrusion surface (2321).

상기 도어돌출부(230)는 상기 도어돌출부(230)의 중심으로부터 하우징 개구(12)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도어돌출부(230)의 단면의 면적이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door protrusion (230) may include a portion wher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door protrusion (230) decreas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ousing opening (12) from the center of the door protrusion (230).

상기 제1돌출부(231)는 상기 다이어프램(100)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above first protrusion (231) can be configure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diaphragm (100).

상기 도어프레임(220)은 상기 프레임 개구(223)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다이어프램(100)을 향해 제1테두리로(221)부터 돌출되어 상기 다이어프램(100)에 접촉하는 테두리돌기(2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door frame (220) may include a border projection (224) that extends along the upper edge of the frame opening (223) and protrudes from the first edge (221) toward the diaphragm (100) and contacts the diaphragm (100).

상기 도어프레임(220)은 상기 제1돌출부(231)의 위에서 상기 다이어프램(100)을 향해 제1테두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다이어프램(100)에 접촉하는 테두리돌기(2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door frame (220) may include a border protrusion (224) that protrudes from the first edge toward the diaphragm (100) above the first protrusion (231) and contacts the diaphragm (100).

상기 제2테두리부(222)는 상기 제1테두리부(221)보다 상기 하우징의 전면(10a)과의 거리가 더 짧을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edge portion (222) and the front surface (10a) of the housing may be shorter than that between the first edge portion (221).

상기 도어돌출부(230)는 상기 제2돌출부(232)로부터 상기 하우징(10)을 향해 돌출되는 제3돌출부(233)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제3돌출부(233)를 수용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용부(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door protrusion (23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protrusion (233) that protrudes from the second protrusion (232) toward the housing (10), and the housing (10) may include a receiving portion (13) that is concavely formed to receive the third protrusion (233).

상기 제3돌출부(233)는 상기 수용부(13)의 일면에 평행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면(2331)을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protrusion (233) may include a contact surface (2331)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parallel to one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3).

상기 제3돌출부(233)의 일부는 상기 수용부(13)와 접촉할 수 있다.A part of the third protrusion (233)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receiving portion (13).

상기 도어돌출부(230)는 상기 프레임 개구(223)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돌출부(2301)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door protrusion (2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2301)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perimeter of the frame opening (223).

상기 복수의 돌출부(2301) 사이의 소정 간격은, 상기 프레임 개구(223)의 둘레방향으로의 상기 복수의 돌출부(2301)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The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301)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30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rame opening (223).

본 개시의 사상에 의한 의류처리장치(1)는 세탁물이 투입되는 하우징 개구(12)를 포함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20), 상기 터브(2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30),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터브(20)를 연결하는 다이어프램(100) 및 상기 하우징 개구(12)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200)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200)는 도어글라스(210)와 상기 도어글라스(210)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도어프레임(220)과, 상기 도어프레임(220)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전면(10a)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300)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프레임(220)은 상기 다이어프램(100)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제1테두리부(221)와 상기 제1테두리부(221)와 연결되고 상기 제1테두리부(221)보다 도어프레임(220)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테두리부(222)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기(300)는 상기 하우징 개구(12)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2테두리부(222)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복수의 돌기(300)와 대응되고 상기 복수의 돌기(300)를 수용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리세스(400)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얇은 세탁물이 끼는 경우 돌기와 리세스의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도어(200)의 잠김을 방지해 의류처리장치(1)가 동작하지 않게 하여 세탁물 손상과 누수를 예방할 수 있다.A clothing treatment device (1)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comprises a housing (10) including a housing opening (12) into which laundry is put, a tub (20)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0), a drum (30) provided to be rotatable inside the tub (20), a diaphragm (100) connecting the housing (10) and the tub (20), and a door (200)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housing opening (12), wherein the door (200) comprises a door glass (210), a door frame (220) provided to support the door glass (210),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300) protruding from the door frame (220) toward the front surface (10a) of the housing, and the door frame (220) comprises a first rim portion (221)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diaphragm (100)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rim portion (221) and the A door frame (220) includes a second frame portion (222) arrang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frame portion (221), an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300) are arranged to protrude from the second frame portion (222) along the perimeter of the housing opening (12), and the housing (10) includes a plurality of recesses (400) that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300) and are concavely formed to accommodate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in laundry is caught, the door (200) is prevented from being locked by utilizing the structure of the protrusions and recesses, thereby preventing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 from operating,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laundry and water leakage.

상기 복수의 돌기(300)와 상기 복수의 리세스(400)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테두리부(221)와 상기 다이어프램(100) 사이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300) and the plurality of recesses (400) may be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dge portion (221) and the diaphragm (100).

상기 복수의 돌기(300) 각각은 상기 복수의 돌기(300) 각각의 중심으로부터 하우징 개구(12)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돌기(300) 각각의 단면의 면적이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300) may include a portion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300) decreas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ousing opening (12) from the center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300).

상기 복수의 돌기(300) 사이의 소정 간격은, 상기 복수의 돌기(300)의 상기 제2테두리부(222)의 둘레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The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300)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second edge portion (222)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300).

상기 제1테두리부(221)는 상기 다이어프램(100)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above first border portion (221) can be configure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diaphragm (100).

상기 제1테두리부(221)는 상기 복수의 돌기(300)의 위에서 상기 다이어프램(100)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다이어프램(100)에 접촉하는 테두리돌기(2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first border portion (221) may include a border protrusion (224) that protrudes from above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300) toward the diaphragm (100) and contacts the diaphragm (100).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able from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The above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lement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1: 의류처리장치
10: 하우징
10a: 하우징의 전면
11: 전면패널
12: 하우징 개구
13: 수용부
14: 하우징 입술부
20: 터브
22: 터브 개구
30: 드럼
32: 드럼 개구
33: 통공
34: 리프터
40: 세탁기 구동장치
100: 다이어프램
110: 하우징 결합부
130: 다이어프램 입술부
200: 도어
210: 도어글라스
220: 도어프레임
221: 제1테두리부
222: 제2테두리부
223: 프레임 개구
224: 테두리 돌기
230: 도어돌출부
2301: 복수의 돌출부
231: 제1돌출부
232: 제2돌출부
2321: 돌출면
233: 제3돌출부
2331: 접촉면
250: 도어잠금장치
300: 복수의 돌기
400: 복수의 리세스
510: 고정부재
1: Garment treatment device
10: Housing
10a: Front of the housing
11: Front panel
12: Housing opening
13: Reception area
14: Housing lip
20: Tub
22: Tub opening
30: Drums
32: Drum opening
33: Public
34: Lifter
40: Washing machine drive mechanism
100: Diaphragm
110: Housing joint
130: Diaphragm lips
200: Door
210: Door glass
220: Door Frame
221: 1st border section
222: Second border section
223: Frame opening
224: Border bump
230: Door protrusion
2301: Multiple protrusions
231: First projection
232: Second protrusion
2321: Protrusion
233: Third projection
2331: Contact surface
250: Door lock
300: Revenge of the Stones
400: Revenge Recess
510: Fixed member

Claims (20)

세탁물이 투입되는 하우징 개구(12)를 포함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20);
상기 터브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30);
상기 하우징과 상기 터브를 연결하는 다이어프램(100); 및
상기 하우징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200)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도어글라스(210)와 상기 도어글라스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도어프레임(220)과, 상기 도어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전면(10a)을 향해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도어돌출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돌출부는 상기 도어가 닫혔을 경우 상기 하우징 개구의 아래에 위치하는 제1돌출부(231)와, 상기 제1돌출부로부터 하부로 연장되고 상기 제1돌출부보다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제2돌출부(232)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1).
A housing (10) including a housing opening (12) into which laundry is introduced;
A tub (20) provided inside the above housing;
A drum (30) that is provided to be rotatable inside the above tub;
A diaphragm (100) connecting the housing and the tub; and
Including a door (200)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housing opening,
The above door,
It includes a door glass (210), a door frame (220) provided to support the door glass, and a door protrusion (230)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door frame toward the front side (10a) of the housing.
A clothing treatment device (1) in which the door protrusion includes a first protrusion (231) positioned below the housing opening when the door is closed, and a second protrusion (23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irst protrusion and positioned closer to the front of the housing than the first protru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은 상기 하우징 개구에 대응되는 프레임 개구(223), 상기 다이어프램에 대응되도록 상기 프레임 개구 주변에 배치되는 제1테두리부(221)와, 상기 제1테두리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테두리부보다 도어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테두리부(222)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제1테두리부로부터 상기 다이어프램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제2테두리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향해 돌출되는 의류처리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door frame includes a frame opening (223) corresponding to the housing opening, a first frame portion (221) arranged around the frame opening to correspond to the diaphragm, and a second frame portion (222)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portion and arranged on the outside of the door frame relative to the first frame portion.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n which the first protrusion protrudes from the first frame toward the diaphragm, and the second protrusion protrudes from the second frame toward the front of th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평행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면(2321)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A garment treatment device in which the second protrusion includes a protrusion surface (2321) extending in an up-down direction parallel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면은 상기 하우징의 전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의류처리장치.
In the third paragraph,
A garment treatment device wherein the above protruding surface is configure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출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2돌출부의 하단부에서 상기 돌출면까지 감소하는 의류처리장치.
In the third paragraph,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n which the gap between the second protrusion and the housing decreases from the lower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to the protrusion surfa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돌출부는 상기 도어돌출부의 중심으로부터 하우징 개구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도어돌출부의 단면의 면적이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In paragraph 5,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n which the door protrusion includes a portion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door protrusion decreases from the center of the door protrus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ousing open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다이어프램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의류처리장치.
In the second paragraph,
A clothing treatment device wherein the first protrusion is configure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diaphrag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은 상기 프레임 개구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다이어프램을 향해 제1테두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다이어프램에 접촉하는 테두리돌기(224)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In the second paragraph,
A garment treatment device in which the door frame includes a rim projection (224) extending along the upper edge of the frame opening and protruding from the first edge toward the diaphragm and contacting the diaphrag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테두리부는 상기 제1테두리부보다 상기 하우징의 전면과의 거리가 더 짧은 의류처리장치.
In the second paragraph,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n which the second frame portion has a shorter distance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than the first frame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돌출부는 상기 제2돌출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을 향해 돌출되는 제3돌출부(233)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3돌출부를 수용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용부(13)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door protrusion further includes a third protrusion (233) protruding from the second protrusion toward the housing,
A garment treatment device in which the housing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13) that is concavely formed to receive the third protrus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돌출부는 상기 수용부의 일면에 평행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면(2331)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In Article 10,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n which the third protrusion includes a contact surface (2331) extending in an up-down direction parallel to one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돌출부의 일부는 상기 수용부와 접촉하는 의류처리장치.
In Article 10,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n which a portion of the third protrusion is in contact with the receiving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돌출부는 상기 프레임 개구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돌출부(2301)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In the second paragraph,
A garment treatment device in which the door protrusion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2301)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perimeter of the frame opening.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 사이의 소정 간격은, 상기 프레임 개구의 둘레방향으로의 상기 복수의 돌출부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In Article 13,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n which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is formed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rame opening.
세탁물이 투입되는 하우징 개구(12)를 포함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20);
상기 터브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30);
상기 하우징과 상기 터브를 연결하는 다이어프램(100); 및
상기 하우징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200)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도어글라스(210)와 상기 도어글라스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도어프레임(220)과, 상기 도어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300)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프레임은 상기 다이어프램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제1테두리부(221)와 상기 제1테두리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테두리부보다 도어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테두리부(222)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하우징 개구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2테두리부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복수의 돌기와 대응되고 상기 복수의 돌기를 수용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리세스(400)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A housing (10) including a housing opening (12) into which laundry is introduced;
A tub (20) provided inside the above housing;
A drum (30) that is provided to be rotatable inside the above tub;
A diaphragm (100) connecting the housing and the tub; and
Including a door (200)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housing opening,
The above door includes a door glass (210), a door frame (220) provided to support the door glass,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300) protruding from the door frame toward the front of the housing.
The above door frame includes a first frame portion (221)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diaphragm and a second frame portion (222)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portion and positioned on the outer side of the door frame relative to the first frame portion.
The above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arranged to protrude from the second rim portion along the perimeter of the housing opening,
A garment treatment device in which the housing includes a plurality of recesses (400) that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are concavely formed to accommodate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와 상기 복수의 리세스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테두리부와 상기 다이어프램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의류처리장치.
In Article 15,
A clothing treatment device wherein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the plurality of recesses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diaphragm.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 각각은 상기 복수의 돌기 각각의 중심으로부터 하우징 개구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돌기 각각의 단면의 면적이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In Article 16,
A garment treatment device in which each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includes a portion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decreas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ousing opening from the center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 사이의 소정 간격은, 상기 복수의 돌기의 상기 제2테두리부의 둘레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In Article 17,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n which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second edge portion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테두리부는 상기 다이어프램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의류처리장치.
In Article 15,
A clothing treatment device wherein the first frame portion is configure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diaphragm.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테두리부는 상기 복수의 돌기의 위에서 상기 다이어프램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다이어프램에 접촉하는 테두리돌기(224)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In Article 15,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n which the first edge portion includes an edge projection (224) that protrudes from above the plurality of projections toward the diaphragm and contacts the diaphragm.
KR1020230099882A 2023-07-31 2023-07-31 Clothes treating apparatus Pending KR20250018788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9882A KR20250018788A (en) 2023-07-31 2023-07-31 Clothes treating apparatus
PCT/KR2024/008708 WO2025028801A1 (en) 2023-07-31 2024-06-24 Clothes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9882A KR20250018788A (en) 2023-07-31 2023-07-31 Clothes treat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018788A true KR20250018788A (en) 2025-02-07

Family

ID=94395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9882A Pending KR20250018788A (en) 2023-07-31 2023-07-31 Clothes trea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50018788A (en)
WO (1) WO2025028801A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0506B1 (en) * 1999-02-19 2001-10-17 윤종용 A door braket for drum washing machine
KR101203541B1 (en) * 2004-11-02 2012-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door vibration preventing structure of drum type washer
KR20100007260A (en) * 2008-07-11 2010-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2002424B1 (en) * 2018-04-23 2019-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Washing machine
CN115404664A (en) * 2021-05-27 2022-11-29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Wall-mounted clothes treatment equipment and front sealing door assembly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5028801A1 (en) 2025-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39386B1 (en) Washing machine
US20190203397A1 (en) Washing machine
US20240417911A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EP4524315A1 (en) Clothes treatment system
KR20250018788A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US20240263378A1 (en) Washing machine
EP4488439A1 (en) Washing machine and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20240168813A (en) Washing machine and clothes treating apparatus
US20250230598A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20250003281A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US20250223750A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20250110070A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20250107671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50076315A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20250089328A (en) Filter module, filter apparatus, and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20240142933A (en) Washing machine
US20250188667A1 (en) Filter module, filter apparatus, and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20250065149A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20240150917A (en) Filter assembly and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250188668A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clothes treating system
KR20250107665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40122097A (en) Washing machine
KR20250003280A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20250136195A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ub
KR20250038484A (en)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3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