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50029103A - Vehicle data collection and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 Google Patents
Vehicle data collection and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50029103A KR20250029103A KR1020250022990A KR20250022990A KR20250029103A KR 20250029103 A KR20250029103 A KR 20250029103A KR 1020250022990 A KR1020250022990 A KR 1020250022990A KR 20250022990 A KR20250022990 A KR 20250022990A KR 20250029103 A KR20250029103 A KR 202500291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network
- information
- status
- dat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4—Monitoring the functioning of the control syste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B60W60/0015—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specially adapted for safet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43—Signal treatments, identification of variables or parameters, parameter estimation or state estimation
- B60W2050/005—Samp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62—Adapting control system settings
- B60W2050/0075—Automatic parameter input, automatic initialising or calibrating means
- B60W2050/009—Priority sele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8—Radar; Laser, e.g. lid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8—Steering ang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차량 데이터를 수집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장치는, 차량에 설치된 복수 개의 센서, 내부 및 외부 중 적어도 하나의 장비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모듈, 상기 복수 개의 센서 및 상기 네트워크 모듈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획득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자율 주행과 연관된 차량의 환경을 분석하는 환경 분석기, 상기 환경 분석기에서의 환경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 개의 센서들 중 적어도 일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센서 조정기 및 상기 센서 조정기에 의해 조절된 상기 복수 개의 센서 중 적어도 일부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수집 모듈을 포함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device for collecting vehicle data. The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s installed in a vehicle, a network modul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t least one of internal and external equipment, an environment analyzer for analyzing an environment of a vehicle related to autonomous driving using information acquired from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sensors and the network module, a sensor controller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sensors based on environmental analysis results from the environment analyzer, and a collection module for storing data generated by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sensors controlled by the sensor controll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 데이터를 수집 및 전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율주행 차량의 이상 상태 분석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차량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집 및 전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collecting and transmitting vehicle data, and more specifically, to a device for efficiently collecting and transmitting vehicle data for monitoring abnormal condition analysis of a vehicle driving at a predetermined speed.
최근 차량 통신을 통해 차량과 관련된 센싱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집하고 외부 서버로 전달하는 기술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Recently, much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echnologies to efficiently collect vehicle-related sensing data through vehicle communication and transmit it to external servers.
도 1은 종래 차량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Figure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ystem for transmitting conventional vehicle data to an external server.
도 1을 참조하면, 다수의 차량(110-1, 110-2, 110-3)은 네트워크(120)를 통해 외부의 서버(130-1, 130-2)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차량(110-1, 110-2, 110-3)은 차량과 기지국간 통신(V2I) 또는 차량간 통신(V2V) 등 다양한 차량 통신(V2X)를 통해 데이터 처리 및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120)는 5G, 4G, 와이파이(Wi-Fi) 등 다양한 방식의 통신 프로토콜이 혼재된 네트워크가 사용될 수 있다. 서버(130-1, 130-2)는 3rd 파티 수집장치(3rd party server)가 대부분이나, 일부 실시예에서는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수집장치와 3rd 파티 수집장치를 구분해 놓고, 이들간의 통신 방법을 제안하기도 하였다. Referring to FIG. 1, a plurality of vehicles (110-1, 110-2, 110-3) transmit data to an external server (130-1, 130-2) via a network (120). At this time, the vehicles (110-1, 110-2, 110-3) can perform data processing and communication via various vehicle communications (V2X), such as vehicle-to-base station communication (V2I) or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V2V). The network (120) may be a network in which various communication protocols, such as 5G, 4G, and Wi-Fi, are mixed. The servers ( 130-1 , 130-2) are mostly 3rd party collection devices, but in some embodiments, OEM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collection devices and 3rd party collection devices are distinguished and 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m is proposed.
도 2는 챠량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스템을 세분화하여 도시한 개념도이다.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system for transmitting vehicle data.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시스템은 차량과 연관된 다양한 데이터를 감지하는 센서부, 센싱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부, 차량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 데이터를 차량에서 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장치, 네트워크 및 외부 데이터 수집 장치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2, the system is composed of a sensor unit that detects various data related to a vehicle, a processing unit that processes the sensing data, a network device for transmitting vehicle data to the outside or receiving external data from the vehicle, and a network and external data collection device.
이러한 시스템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참조하면,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일은 자동차 데이터의 특성(heterogeneous)과 네트워크 특성(limited network resource)를 극복하는 것이 관건인데, 그렇기 때문에 이와 연관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se systems, the key to collecting data generated from automobiles is to overcome the characteristics of automobile data (heterogeneous) and network characteristics (limited network resources), and therefore, various studies related to this are being conducted.
특히, 자율주행 차량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이용하는 응용은 크게 실시간 응용과 비 실시간 응용이 있다. 데이터의 실시간 응용은 자율주행 차량이 위급한 상태이거나, 특정 도로 구간에서 자율주행에 위험한 요소가 있는 상황 등, 차량의 안전에 관한 서비스가 필요할 때 요구되며, 데이터의 비 실시간 응용은 운행차량의 연료효율 분석, 타 경로 제안, 또는 지도 업데이트(Update) 등 차량의 편의에 관한 서비스가 필요할 때 요구된다. In particular, applications that utilize data generated from autonomous vehicles are largely divided into real-time applications and non-real-time applications. Real-time applications of data are required when services related to vehicle safety are needed, such as when autonomous vehicles are in an emergency or when there are dangerous elements for autonomous driving on a specific road section, and non-real-time applications of data are required when services related to vehicle convenience are needed, such as fuel efficiency analysis of the vehicle, suggestions for alternative routes, or map updates.
종래의 차량 통신 방법들은 각 데이터의 형태에 따라 데이터 구조를 정의하고, 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구조를 공통적으로 갖는다. 다만, 이러한 방법이 자율주행 차량의 안전에 응용되면, 차량에 처해있는 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불필요한 데이터들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이 고속도로에서 고속으로 직진하는 경우는, 차량 전방의 레이더 및 카메라 정보가 가장 중요하며, 후면 카메라/전방위 라이다는 그렇게 중요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러한 부분을 고려하지 않고 모든 센싱 정보의 중요도를 동일하게 고려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다 보면, 데이터 수집 및 전송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Conventional vehicle communication methods have a common structure of defining a data structure according to the type of each data and transmitting it through a network. However, if this method is applied to the safety of autonomous vehicles, unnecessary data may be transmitted without considering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vehicle is located. For example, when a vehicle is traveling straight at high speed on a highway, radar and camera information in front of the vehicle are the most important, and rear camera/all-round lidar may not be so important. If data is transmitted by equally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all sensing information without considering this, the efficiency of data collection and transmission will decrease.
즉, 자율주행 차량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는 형태에 따라 고정 구조화되었고, 이러한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응용될 때, 또는 비 실시간으로 응용될 때 모두 같은 형식으로 저장되어 전송되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서 불필요한 데이터임에도 네트워크를 통해 라이다나 카메라를 통해 수집된 대용량 데이터가 전송되기도 하여 네트워크 리소스(resource) 낭비를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반대로, 데이터 형식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정밀분석이 더 필요한 데이터들이 낮은 해상도 또는 적은 비트율로 압축되어 전송되기에, 분석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That is, the data collected from autonomous vehicles is fixedly structured according to its format, and since this data is stored and transmitted in the same format when applied in real time or not in real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large amounts of data collected through lidar or cameras are transmitted over the network even though they are unnecessary depending on the situation, resulting in a waste of network resources. On the other hand, since the data format is fixed,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analysis cannot be performed efficiently because data that requires more precise analysis is compressed at a low resolution or low bit rate and transmitted.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목적은 자율주행차량의 이상상태 및 응급상황을 판단(실시간 이상상태 및 비실시간 이상상태를 포함함)하고, 판단된 상태에 맞게 차량 관련 센서의 비트레이트(bit-rate)와 해상도(resolution)를 조절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송하는 차량 데이터 수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is to provide a vehicle data collection device that determines an abnormal state and emergency situation of an autonomous vehicle (including a real-time abnormal state and a non-real-time abnormal state), and stores and transmits data by adjusting the bit rate and resolution of a vehicle-related sensor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tat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목적은 자율주행차량의 각종 센서데이터를 차량의 환경에 따라 실시간/비실시간성을 기반으로 환경 적응적으로 구분하여 저장하되, 이때, 데이터 형식도 가변하여 자율주행 차량의 이상상태 및 응급상황을 판단 및 분석하는데 최적의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 및 전송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 object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that stores various sensor data of an autonomous vehicle based on real-time/non-real-time adaptivity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of the vehicle and stores the data in an environment-adaptive manner, and at this time, stores and transmits the data in a form that is optimal for judging and analyzing abnormal conditions and emergency situations of an autonomous vehicle by changing the data forma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차량 데이터를 수집하는 장치는, 차량에 설치된 복수 개의 센서, 내부 및 외부 중 적어도 하나의 장비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모듈, 상기 복수 개의 센서 및 상기 네트워크 모듈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획득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자율 주행과 연관된 차량의 환경을 분석하는 환경 분석기, 상기 환경 분석기에서의 환경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 개의 센서들 중 적어도 일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센서 조정기 및 상기 센서 조정기에 의해 조절된 상기 복수 개의 센서 중 적어도 일부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수집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purpose, a device for collecting vehicle data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nsors installed in a vehicle, a network modul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t least one of internal and external equipment, an environment analyzer that analyzes an environment of a vehicle related to autonomous driving using information acquired from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sensors and the network module, a sensor controller that controls operations of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sens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nvironmental analysis by the environment analyzer, and a collection module that stores data generated by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sensors controlled by the sensor controller.
상기 센서 조정기는, 상기 환경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 개의 센서들 중 센싱 동작에 대한 조정이 요구되는 센서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센서의 비트-레이트(bit-rate), 샘플링 시간(sampling time), 데이터량, 데이터 발생 주기, 양자화, 부호화 및 해상도(resolution)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The above sensor controller selects a sensor among the plurality of sensors that requires adjustment of sensing operation based on the environmental analysis results, and can adjust at least one of a bit rate, a sampling time, a data amount, a data generation cycle, quantization, encoding, and resolution of the selected sensor.
상기 센서 조정기는, 상기 환경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 개의 센서들 중 센싱 동작에 대한 조정이 요구되는 센서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센서의 비트-레이트(bit-rate), 샘플링 시간(sampling time), 데이터량, 데이터 발생 주기, 양자화, 부호화 및 해상도(resolution)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상기 선정된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도록 상기 수집 모듈에 명령할 수 있다.The above sensor controller may select a sensor among the plurality of sensors, based on the environmental analysis results, that requires adjustment of a sensing operation, and may control at least one of a bit rate, a sampling time, a data amount, a data generation cycle, quantization, encoding, and a resolution of the selected sensor to command the collection module to receive data from the selected sensor.
상기 복수 개의 센서는, 카메라, 레이다 및 라이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안전 센서부 및 차량 속도, 타에어 공기압, 조향각(Steering Angle), 에어백 개폐 여부, 브레이크 포스(brake force) ESC(Electric Stability Control) 동작 유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는 차량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plurality of sensors may include a safety sensor unit including at least one of a camera, a radar, and a lidar, and a vehicle sensor unit that senses at least one of vehicle speed, tire air pressure, a steering angle, whether an airbag is opened or closed, and whether brake force and ESC (Electric Stability Control) are in operation.
상기 환경분석기는 카테고리화된 정보를 이용하여 각 카테고리별로 환경을 분석하되, 환경 분석을 위한 카테고리는,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현재 주행 위치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지역 카테고리 정보, 상기 차량의 현재 주행 속도와 연관된 속도 카테고리 정보, 상기 차량과 연관된 통신 환경에 대한 네트워크 카테고리 정보 및 상기 차량과 연관된 교통 상황에 대한 교통량 카테고리 정보 중 적어도 둘 이상으로 카테고리화될 수 있다.The above environmental analyzer analyzes the environment by each category using categorized information, and the categories for environmental analysis may be categorized into at least two or more of regional category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current driving location of the vehicle using map data, speed category information related to the current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network category information about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related to the vehicle, and traffic volume category information about the traffic situation related to the vehicle.
상기 환경 분석을 위한 카테고리는, 교통과 연관된 특수 상황에 대한 이벤트 카테고리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ategories for the above environmental analysis may further include event category information for special situations related to traffic.
상기 네트워크 카테고리 정보는 네트워크 트래픽(network traffic) 카테고리 정보 및 네트워크 지연과 연관된 네트워크 지연(network delay)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network category information may include network traffic category information and network delay category information associated with network delay.
개별 카테고리별 정보는 적어도 두 개의 속성으로 구분되며, 상기 환경분석기는,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들 각각에 대해 구분된 속성들을 해석하여 상기 차량의 현재 환경 타입을 정의할 수 있다.Information for each category is divided into at least two attributes, and the environmental analyzer can define the current environmental type of the vehicle by interpreting the divided attribut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ategories.
상기 환경분석기는,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들 각각에 대해 구분된 속성들의 조합을 미리 저장된 테이블을 이용하여 기정의된 환경 타입에 매칭함에 의해, 상기 차량의 현재 환경 타입을 정의할 수 있다.The above environmental analyzer can define the current environmental type of the vehicle by matching a combination of distinct attribut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ategories to a predefined environmental type using a pre-stored table.
상기 정의된 차량의 현재 환경 타입에 대응하여, 최적의 센서 조정 방식이 결정될 수 있다.In response to the current environment type of the vehicle defined above, an optimal sensor adjustment method can be determined.
상기 지역 카테고리 정보가 도심 속성으로 구분되며, 상기 교통량 카테고리 정보가 증가 또는 많음 속성으로 구분됨에 응답하여, 상기 센서 조정기는, (i) 원거리 센서보다 차량 주변 센서의 동작을 강화하는 조정 동작 및 (ii) 차량 주변 객체 검출 갯수를 증가시키는 조정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response to the above area category information being classified as a downtown attribute and the above traffic volume category information being classified as an increase or large attribute, the sensor controller can be controlled to perform at least one of (i) a coordination operation that strengthens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surrounding sensors more than the remote sensors and (ii) a coordination operation that increases the number of detected objects around the vehicle.
상기 지역 카테고리 정보가 도심 속성으로 구분되며, 상기 교통량 카테고리 정보가 감소 또는 적음 속성으로 구분되고 상기 네트워크 카테고리 정보가 증가 또는 많음 속성으로 구분됨에 응답하여, 상기 센서 조정기는, 실시간 전송이 요구되는 센서의 우선순위를 높게 설정하는 조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response to the above-mentioned area category information being classified as a downtown attribute, the above-mentioned traffic category information being classified as a decrease or small attribute, and the above-mentioned network category information being classified as an increase or large attribute, the sensor controller can be controlled to perform a coordination operation that sets a high priority for a sensor requiring real-time transmission.
상기 센서조정기는, 상기 환경분석기에서 정의한 상기 차량의 현재 환경 타입 정보를 기반으로 센서 파라미터(sensor parameter)를 업데이트(update)하는 센서 파라미터 업데이트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sensor controller may include a sensor parameter update unit that updates sensor parameters based on current environment type information of the vehicle defined by the environment analyzer.
상기 센서 파라미터 업데이트 유닛은, 상기 현재 환경 타입 정보에 따라 (i) 비용 함수(cost function)의 최적화(optimization) 모델, (ii)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모델 및 (iii) 미리 설정된 룰(rule)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센서 파라미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The above sensor parameter update unit can update the sensor parameters using at least one of (i) an optimization model of a cost function, (ii) a machine learning model, and (iii) a preset rule, according to the current environment type information.
상기 수집 모듈은 상기 센서 조정기에 의해 조절된 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복수 개의 센서 중 적어도 일부에 의해 생성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센서 수신부 및 상기 센서 수신부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저장소에 임시 저장하는 센서 DB 관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collection module may include a sensor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sensing data generated by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sensors that perform operations controlled by the sensor controller, and a sensor DB management unit that temporarily stores data received from the sensor receiving unit in the storage.
상기 센서 DB 관리 유닛은 (i) 개별 센서별로 독립적인 저장 공간에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저장소에 저장하거나 (ii) 하나의 패키지(package) 형태로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정렬하여 상기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다.The above sensor DB management unit can (i) store the received data in the storage in an independent storage space for each individual sensor, or (ii) sort the received data in the form of a single package and store it in the storage.
상기 네트워크 모듈은 상기 차량과 서버간 네트워크 트래픽을 조사하는 네트워크 트래픽 조사 유닛, 상기 차량과 서버간 네트워크 지연을 조사하는 네트워크 지연 조사 유닛 및 상기 차량과 서버간 네트워크 쓰루풋(throughput)을 조사하는 네트워크 쓰루풋 조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network module may include a network traffic investigation unit that investigates network traffic between the vehicle and the server, a network delay investigation unit that investigates network delay between the vehicle and the server, and a network throughput investigation unit that investigates network throughput between the vehicle and the server.
상기 네트워크 모듈은 상기 네트워크 트래픽 조사 유닛, 상기 네트워크 지연 조사 유닛 및 상기 네트워크 쓰루풋 조사 유닛으로부터 현재 네트워크 상태 정보와 과거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네트워크 상태 변화 추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작성하고 상기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상기 환경분석기 및 상기 수집모듈로 전달하는 네트워크 상태 공유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network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network status sharer that obtains current network status information and past network status information from the network traffic investigation unit, the network delay investigation unit, and the network throughput investigation unit, creates network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a network status change trend, and transmits the network status information to the environment analyzer and the collection modul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차량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은, 차량에 설치된 복수 개의 센서 및 네트워크 모듈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센싱 데이터 및 네트워크 관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상기 네트워크 모듈은 내부 및 외부 중 적어도 하나의 장비와 통신하도록 구성됨), 상기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자율 주행과 연관된 차량의 환경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환경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 개의 센서들 중 적어도 일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이 조절된 복수 개의 센서 중 적어도 일부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method for collecting vehicle data may include a step of obtaining at least one of sensing data and network-related data from at least some of a plurality of sensors and network modules installed in a vehicle (the network module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t least one of internal and external equipment), a step of analyzing an environment of the vehicle related to autonomous driving using the obtained information, a step of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sensors based on a result of the environmental analysis, and a step of storing data generated by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sensors, the operation of which is controlled.
본 발명의 차량 데이터 수집 장치에 따르면, 자율주행 차량에 어떠한 고성능/고해상도 센서를 장착하더라도, 환경 적응적으로 센싱된 데이터를 무리없이 수집 및 전송가능케 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vehicle data coll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no matter what high-performance/high-resolution sensor is installed in an autonomous vehicle, it has the effect of enabling the collection and transmission of environmentally adaptively sensed data without difficulty.
도 1은 종래 차량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챠량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스템을 세분화하여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데이터 수집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도 3의 환경분석기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상세블록도,
도 5는 환경 카테고리의 기준 및 그와 연관된 속성을 나타낸 테이블,
도 6은 정의된 환경에 대응하여 차량 내 센서들을 조정하는 방법의 매칭 관계를 나타낸 테이블,
도 7은 도 3의 센서조정기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상세블록도,
도 8은 도 7의 센서 조정기의 센서 파라미터 조절정보를 이용하여 센서데이터의 샘플링 및 양자화 동작을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9는 도 3의 수집모듈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상세블록도,
도 10은 도 3의 네트워크 모듈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상세블록도이다.Figure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ystem for transmitting conventional vehicle data to an external server.
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system for transmitting vehicle data.
FIG.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vehicle data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etailed block diagram showing the environmental analyzer of Figure 3 in more detail.
Figure 5 is a table showing the criteria for environmental categories and their associated attributes.
Figure 6 is a table showing the matching relationship of the method of adjusting the sensors in the vehicle in response to the defined environment.
Fig. 7 is a detailed block diagram showing the sensor controller of Fig. 3 in more detail.
Fig. 8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controlling sampling and quantization operations of sensor data using sensor parameter control information of the sensor controller of Fig. 7.
Figure 9 is a detailed block diagram showing the collection module of Figure 3 in more detail.
Figure 10 is a detailed block diagram showing the network module of Figure 3 in more detail.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The term and/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or any item among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at there may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s" or "has"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they have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wi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order to facilitate an overall understanding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데이터 수집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데이터 수집 장치는 크게 센서부, 처리부 및 네트워크부를 포함한다. 센서부는 안전 센서(310: Safety Sensor) 및 차량센서(312: Vehicle Sensor)를 포함하고, 처리부는 환경분석기(320), 센서조정기(322), 수집모듈(326) 및 저장소(328)를 포함하며, 네트워크부는 네트워크 모듈(330)을 포함할 수 있다.FIG.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data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in FIG. 3, the vehicle data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includes a sensor unit, a processing unit, and a network unit. The sensor unit includes a safety sensor (310: Safety Sensor) and a vehicle sensor (312: Vehicle Sensor), the processing unit includes an environmental analyzer (320), a sensor controller (322), a collection module (326), and a storage (328), and the network unit may include a network module (330).
도 3을 참조하면, 센서부는 차량 전방, 후방, 측방 등 차량 주변 및 차량의 주행 또는 안전과 연관된 다양한 정보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센서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센서부는 안전센서(310)와 차량 센서(312)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sensor unit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nsors that detect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vehicle's surroundings, such as the front, rear, and side of the vehicle, and driving or safety of the vehicle. More specifically, the sensor unit may be composed of a safety sensor (310) and a vehicle sensor (312).
자율주행 차량에 설치되는 안전센서(310)는 다수의 카메라(camera), 다수의 라이다(LiDAR), 다수의 레이더(Radar) 등을 포함한다. 이들은 대부분 대용량의 데이터를 생산하는 다수의 센서들로 이루어져 있다. 센서부는 로우 데이터(Raw Data)를 출력하기도 하고, 로우 데이터로부터 가공된 다양한 인식 결과를 출력하기도 한다. Safety sensors (310) installed in autonomous vehicles include multiple cameras, multiple LiDARs, multiple radars, etc. Most of these are composed of multiple sensors that produce large amounts of data. The sensor unit outputs raw data and also outputs various recognition results processed from raw data.
차량 센서(312)는 차량 내 설치된 각종 ECU(Electronic Control Unit)의 센서를 포함한다. 차량 센서(312)가 발생시키는 정보들에는, 차량 속도, 타이어 공기압, 조향각(Steering Angle), 에어-백(Air-bag) 개폐 여부, 브레이크 포스(Brake Force), ESC(Electric Stability Control) 동작 유무 등 각종 차량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The vehicle sensor (312) includes sensors of various ECUs (Electronic Control Units) installed in the vehicle. Th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vehicle sensor (312) includes information on various vehicle operation states such as vehicle speed, tire pressure, steering angle, whether the air bag is opened or closed, brake force, and whether ESC (Electric Stability Control) is operating.
처리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환경분석기(320), 센서조정기(322), 수집모듈(326) 및 저장소(328)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들로 구현될 수 있고, 이들은 기능에 따라 개별 프로세서들로 구현되어 복수 개의 프로세서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고, 다수의 기능 블록이 하나의 프로세서에 통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processing unit may include, as described above, an environmental analyzer (320), a sensor controller (322), a collection module (326), and a storage (328). The processing unit may be implemented with one or more processors, and these may be implemented as individual processors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multiple processors, or implement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functional blocks are integrated into one processor.
먼저, 환경분석기(320)는 시스템 내/외부적으로 필요한 정보 등을 참조하여 차량의 현재 자율주행 환경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센서조정기(322)에게 전달한다. 자율 주행 환경이란, 현재 차량의 주행 환경에 대한 것을 포함하고, 차량의 안전센서(310) 및 차량 센서(312)로부의 센싱 정보, 차량 위치 정보, 지도 데이터 정보, 교통량 정보, 네트워크 정보, 날씨 정보 및/또는 기타 이벤트 정보 등 차량의 운행 및 통신 환경에 있어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총 망라하여 분석한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자율 주행 차량의 환경 분석을 위해,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목적지까지의 경로 정보, 주변 교통량 정보 등이 필요할 수 있기에, 환경분석기(320)는 지도 데이터(324)를 이용할 수 있다. 분석 결과는 특정 종류의 자율 주행 차량 환경에 대해 미리 정의된 환경 타입 정보로 출력될 수 있다. First, the environment analyzer (320) analyzes the current autonomous driving environment of the vehicle by referring to necessary information inside/outside the system, and transmits the analysis result to the sensor controller (322). The autonomous driving environment includes the current driving environment of the vehicle, and may be information analyzed by comprehensively encompassing all information that may affect the driving and communication environment of the vehicle, such as sensing information from the vehicle's safety sensor (310) and vehicle sensor (312),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map data information, traffic information, network information, weather information, and/or other event information. For such environmental analysis of the autonomous vehicle,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route information to the destination, surrounding traffic information, etc. may be required, and therefore the environment analyzer (320) may utilize map data (324). The analysis result may be output as environment type information predefined for a specific type of autonomous vehicle environment.
센서조정기(322)는 환경분석기(320)가 분석한 자율주행 환경 타입 정보(및 그에 대응하는 센서 조정 방식 정보)를 분석하여 정해진 룰(rule)에 따라 각 센서의 중요도를 설정하고, 각 센서의 해상도(Resolution), 샘플링 시간(Sampling Time) 등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센서조정기(322)는 각 센서에 직접 센서 파라미터를 조절하라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해상도/샘플링 시간 등을 조절하도록 수집 모듈(326)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즉, 센서 종류에 따라 각 센서의 데이터량 또는 해상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개별 센서가 할 수도 있고, 수집 모듈(326)이 할 수도 있다. The sensor controller (322) analyzes the autonomous driving environment type information (and the corresponding sensor adjustment method information) analyzed by the environment analyzer (320), sets the importance of each sensor according to a set rule, and performs a function of adjusting the resolution, sampling time, etc. of each sensor. At this time, the sensor controller (322) may directly transmit a signal to each sensor to adjust the sensor parameters, or may transmit a signal to the collection module (326) to adjust the resolution/sampling time, etc. of the signal input from the sensor. That is, the function of adjusting the amount of data or resolution of each sensor depending on the sensor type may be performed by an individual sensor or by the collection module (326).
수집 모듈(326)은 각종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센서 신호를 정렬하여 내부 저장소(328)("내부 저장장치"라고 부를 수 있음)에 저장할 수도 있고, 그대로 네트워크 모듈(330)을 통해 외부의 서버(미도시)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내부 저장소(328)는, 수집되는 정보들을 전송하기 위해 임시 저장하는 저장 공간이고, 이는 자율주행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EDR(Event Data Recorder) 및/또는 DSSAD(Data Storage System for Autonomous Driving)가 될 수 있다. The collection module (326) may sort sensor signals transmitted from various sensors and store them in internal storage (328) (which may be referred to as an “internal storage device”), or may transmit them as they are to an external server (not shown) via a network module (330). At this time, the internal storage (328) is a storage space that temporarily stores collected information for transmission, and may be an EDR (Event Data Recorder) and/or DSSAD (Data Storage System for Autonomous Driving) installed in an autonomous vehicle.
네트워크 모듈(330)은 서버와의 통신 기능을 담당한다. 네트워크 모듈(330)은 서버와 현재 연결(Connection) 중인 루트(Route)의 네트워크 트래픽(Network Traffic) 상태, 네트워크 지연(Network Delay)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와 연관된 정보도 자율 주행 차량의 환경 정보로써 고려될 수 있기에, 네트워크 모듈(330)은 이러한 정보들을 환경분석기(320)에게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network module (330) is responsible for the communication function with the server. The network module (330) can perform the function of monitoring the network traffic status and the network delay status of the route currently connected to the server. Sin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network can also be considered as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the network module (330) can perform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such information to the environmental analyzer (320).
도 4는 도 3의 환경분석기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상세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경분석기(400)는 지도 데이터(402), 환경정보 수신유닛(410), 환경분석 유닛(420) 및 환경정의 유닛(430)을 포함할 수 있다. Fig. 4 is a detailed block diagram showing the environmental analyzer of Fig. 3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4, the environmental analyzer (400) may include map data (402), an environmental information receiving unit (410), an environmental analysis unit (420), and an environmental definition unit (430).
도 4를 참조하면, 환경분석기(400)는 자체적인 데이터베이스(DB), 스토리지(Storage) 또는 메모리(Memory)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는 디지털 맵 등의 지도 데이터(402)가 포함될 수 있다. 디지털 맵은 도로의 물리적 형상뿐만 아니라, 도심, 교외지, 지방(Urban, Sub-ruban, Rural) 등 도로의 속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도 데이터(402)는 외부로부터 업데이트(Update)될 수 있다. 지도 데이터(402)는 전체 지도일 수도 있고, 현재 차량 위치에 따라 부분 지도로 구현될 수 있다. 이는 자율주행 차량이 사용하고 있는 지도 시스템으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environmental analyzer (400) may include its own database (DB), storage, or memory, which may include map data (402) such as a digital map. The digital map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physical shape of the road as well as the properties of the road such as urban, suburban, and rural areas. Such map data (402) may be updated from the outside. The map data (402) may be a full map, or may be implemented as a partial map according to the current vehicle location. This may receive information from a map system used by an autonomous vehicle.
환경정보 수신유닛(410)은, 현재 자율 주행 차량의 위치에 대한 정보(위경도 좌표 또는 지도상에 매핑된 좌표 등을 포함함)을 자율주행 제어기로 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환경정보 수신유닛(410)은, 차량이 운행하고 있는 지역의 환경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지역의 환경정보는 서버와의 네트워크 트래픽변화 및 서버와의 지연 변화 등 서버에서 전달하는 서버 관련 네트워크 정보들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전달받은 주변 기지국 위치 및 쓰루풋(Throuput) 정보 등 네트워크망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교통 트래픽, 사고, 공사정보, 교통정보 등 차량 및 교통과 연관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receiving unit (410) can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including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s or coordinates mapped on a map, etc.) from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ler. In addition,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receiving unit (410) can receive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the area in which the vehicle is driving.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the area includes not only server-related network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such as network traffic changes with the server and delay changes with the server, but also network-related information, such as surrounding base station locations and throughpu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network provider. In addition, information related to vehicles and traffic, such as traffic traffic, accidents,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traffic information, can also be received.
환경분석 유닛(420)은 환경정보 수신유닛(410)과 자체 데이터 저장공간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환경을 분석한다. 환경분석 유닛(420)은 다음과 같이 다양한 환경을 카테고리별로 나눌 수 있다. 환경분석 유닛(420)에서 구분하는 환경 카테고리는, 이하 도 5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The environmental analysis unit (420) analyzes the environment using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receiving unit (410) and information stored in its own data storage space. The environmental analysis unit (420) can divide various environments into categories as follows. The environmental categories distinguished by the environmental analysis unit (420) ar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below.
도 5는 환경 카테고리의 기준 및 그와 연관된 속성을 나타낸 테이블이다. Figure 5 is a table showing the criteria for environmental categories and their associated attributes.
도 5를 참조하면, 환경 카테고리는, 지역, 속도, 네트워크 정보, 교통량, 및 이벤트 카테고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 정보 카테고리는 네트워크 트래픽 정보와 네트워크 지연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반드시 상기한 모든 카테고리가 고려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하나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둘 이상의 카테고리가 고려되는 것이 좋다. Referring to FIG. 5, the environment category may be composed of region, speed, network information, traffic volume, and event categories. At this time, the network information category may be composed of network traffic information and network delay information. In one example, not all of the above categories must be considered, and it is preferable that one or more, more preferably two or more, categories be considered.
지역 카테고리의 정보는 현재 차량이 주행 중인 위치를 기반으로 도심 속성, 교외지 속성 및 지방 속성의 3가지 속성으로 구분될 수 있다. Information in the local category can be divided into three attributes: urban, suburban, and rural,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where the vehicle is driving.
속도 카테고리의 정보는, 고속 주행 중을 나타내는 속성, 일반 주행 중을 나타내는 속성 및 저속 주행 중을 나타내는 속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50km/h 이하의 속도로 주행 중이면 저속 주행 속성으로, 50km/h 내지 100km/h의 속도로 주행 중이면 일반 주행 속성으로, 그리고 100km/h 이상의 속도로 주행 중이면 고속 주행 속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임계값들은 반드시 50km/h 및 100km/h로 설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다른 값으로 설정되어도 무방하다.Information in the speed category can be divided into attributes indicating high-speed driving, attributes indicating normal driving, and attributes indicating low-speed driving. For example, if driving at a speed of 50 km/h or less, it can be divided into a low-speed driving attribute, if driving at a speed of 50 km/h to 100 km/h, it can be divided into a normal driving attribute, and if driving at a speed of 100 km/h or more, it can be divided into a high-speed driving attribute. At this time, the threshold values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set to 50 km/h and 100 km/h, and may be set to other values.
다음으로, 네트워크 트래픽 카테고리의 정보는, 현재 네트워크 트래픽 숫자 정보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이전 시간 구간의 네트워크 트래픽 숫자와 현재 구간의 네트워크 트래픽 숫자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가 임계값 이하이면 보통 속성으로, 비교 결과 임계값 이상으로 증가하고 있으면, "증가" 속성으로, 비교 결과 임계값 이상으로 감소하고 있으면 "감소" 속성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현재 네트워크 트래픽 숫자를 직접 임계값과 비교하여, "일반", "많음", "적음(또는 없음)"의 속성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Next, the information of the network traffic category can be expressed as the current network traffic number information. In addition, the network traffic number of the preset previous time section and the network traffic number of the current section can be compared, and if the comparison result is below the threshold value, it can be determined as a normal attribute, if the comparison result is increasing by more than the threshold value, it can be determined as an "increase" attribute, and if the comparison result is decreasing by more than the threshold value, it can be determined as a "decrease" attribute. In another example, the current network traffic number can be directly compared with the threshold value, and can be classified into the attributes of "normal", "a lot", and "a little (or none)".
네트워크 지연 카테고리의 정보는, 현재 네트워크 지연 숫자 정보로 분석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이전 시간의 네트워크 지연 숫자와 현재 네트워크 지연 숫자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가 임계값 이하이면 보통 속성으로, 비교 결과 임계값 이상으로 증가하고 있으면, "증가" 속성으로, 비교 결과 임계값 이상으로 감소하고 있으면 "감소" 속성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현재 네트워크 지연 숫자를 직접 임계값과 비교하여, "일반", "많음", "적음(또는 없음)"의 속성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Information in the network delay category can be analyzed as current network delay number information. In addition, the network delay number of a preset previous time can be compared with the current network delay number, and if the comparison result is below a threshold value, it can be determined as a normal attribute. If the comparison result is increasing by more than the threshold value, it can be determined as an "increase" attribute. If the comparison result is decreasing by more than the threshold value, it can be determined as a "decrease" attribute. In another example, the current network delay number can be directly compared with the threshold value, and can be classified into the attributes of "normal", "a lot", and "a little (or none)".
또한, 교통량 카테고리의 정보는 특정 지역(예를 들어, 현재 챠랑 위치의 지역, 경로 상의 지역, 또는 목적지 지역 등)의 미리 설정된 기준 범위 내 주행 중인 차량의 수를 기준으로 교통량이 보통인지, 증가 추세인지, 감소 추세인지를 판단하여 3가지의 속성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는, 환경 분석 유닛(420)은 이전 시간 구간의 교통량과의 비교를 수행하지 않고, 현재 교통량만을 기준으로, 교통량이 적은지, 보통인지, 많은지를,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 판단하여 이 역시 3가지 속성으로 표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information in the traffic category can be expressed as three attributes by judging whether the traffic volume is normal, increasing, or decreasing based on the number of vehicles driving within a preset reference range in a specific area (e.g., the area of the current vehicle location, the area on the route, or the area of the destination, etc.). Alternatively, the environment analysis unit (420) can control whether the traffic volume is low, normal, or high based only on the current traffic volume without performing a comparison with the traffic volume of the previous time section, by comparing it with a preset threshold value, and expressing this as three attributes as well.
마지막으로, 이벤트 카테고리의 정보는 사고, 공사, 미끌림, 기기 고장, 엠뷸런스 등 특정 지역에서 돌발적으로 발생된 상황들을 인지시켜주기 위한 정보로써 다양한 속성으로 구분될 수 있다. Lastly, information in the event category can be categorized into various attributes as information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situations that suddenly occur in a specific area, such as accidents, construction, slips, equipment failures, and ambulances.
다만, 환경 분석을 위한 정보의 카테고리는 반드시 위의 6개 카테고리로만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6개보다 적은 카테고리로 구성될 수도 있고, 추가적인 카테고리(예를 들어, 날씨, 계절 등)가 더해져 7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However, the categories of information for environmental analysis do not necessarily have to consist of only the six categories above. They can consist of fewer than six categories, or additional categories (e.g., weather, seasons, etc.) can be added to make a total of seven or more categories.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카테고리에 3개의 속성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설명된 것이 있으나, 이러한 속성의 갯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 임계값(들)에 의해 2개의 속성, 또는 4개 이상의 속성으로 구분되어도 무방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자명한 것일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in this embodiment, it is described that one category is divided into three properties, it will b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number of properties may be divided into two properties, four properties or more properties by threshold(s)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user input.
환경정의 유닛(430)은, 환경분석 유닛(420)에서 카테고리 별로 분석된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대표 환경 타입을 정의할 수 있다. 대표 환경 타입의 정의를 위해, 환경분석 유닛(420)에서 카테고리 별로 분석된 환경정보들이 모두 활용될 수도 있고, 특징적인 일부의 환경정보만이 사용될 수도 있다. 환경 타입은 미리 설정된 테이블을 이용하여 정의될 수 있다. 일 예에서, 과거의 환경 타입을 정의한 데이터들을 학습데이터로 하여 딥러닝(deep learning) 모델을 실행하여 보다 정교하게 차량의 환경 타입을 정의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자율주행 관련 차량 환경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기반으로 다양한 해석에 의해 환경 타입을 정의할 수 있다. 정의된 환경 타입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센서 조정 방식이 결정될 수 있다. 환경 타입의 결정 및 환경 타입과 센서 조정 방식 간의 매칭 관계는 도 6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environment definition unit (430) can define a representative environment type using the environment information analyzed by category in the environment analysis unit (420). To define the representative environment type, all of the environment information analyzed by category in the environment analysis unit (420) may be utilized, or only some of the characteristic environment information may be used. The environment type may be defined using a pre-set table. In one example, a method may be used to define the environment type of the vehicle more precisely by executing a deep learning model using data defining past environment types as learning data. The environment type may be defined by various interpretations based on at least some of the various autonomous driving-related vehicle environment information. Various sensor adjustment methods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fined environment type. The determination of the environment type and the matching relationship between the environment type and the sensor adjustment method ar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도 6은 정의된 환경에 대응하여 차량 내 센서들을 조정하는 방법의 매칭 관계를 나타낸 테이블이다. Figure 6 is a table showing the matching relationship of the method of adjusting the sensors in the vehicle in response to the defined environment.
도 6을 참조하면, 환경정의 유닛은 환경분석 유닛으로부터 카테고리별 환경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특정 타입의 환경 타입에 매칭시킨다. 환경 정의에 따라 현재 자율주행 차량의 상태분석 또는 안전분석을 위해 다음과 같은 대표성을 예시적으로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environment definition unit obtains environmental information by category from the environment analysis unit and matches it to a specific type of environment type.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definition, the following representativeness can be exemplified for status analysis or safety analysis of the current autonomous vehicle.
예를 들어, 현재 고속으로 고속도로(highway)를 주행 중이고, 교통량도 적당하지만, 전방에 고속도로 공사가 있는 상황에서 환경정의 유닛은 해당 환경을 전방주시가 매우 필요한 환경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즉, 환경 타입의 인덱스(index)를 "환경 타입 X"라고 정의할 때, 이는 "차량 전방을 센싱하는 데이터가 중요한 상태이며, 네트워크 상태도 좋음"으로 정의할 수 있다.For example, if you are currently driving on a highway at high speed, the traffic volume is moderate, but there is highway construction ahead, the environment definition unit can define the environment as one that requires a lot of forward visibility. That is, when the index of the environment type is defined as "Environment Type X," this can be defined as "data sensing the front of the vehicle is important, and the network condition is also good."
한편, "도심지 저속 주행"의 환경 타입에서는 보행자/자전거(Pedestrain/Cycle)와의 충돌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고려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차량 주변의 근거리 레이다, 근거리 라이다, 초음파 센서,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Around View Monitoring)용 카메라들 등 수 미터(m) 이내의 물체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들의 고해상도 정보가 중요하게 요구된다. 그리고, 이러한 때에는, 원거리 라이다, 전방 ADAS 카메라, 타이어 공기압 정보 등 고속 주행에 필요한 데이터들은 필요가 아예 없거나, 저해상도(low resolution)로 전송해도 무방하다. 이하, 도 6의 실시예들을 들어, 환경 타입을 정의하고 그에 대응하는 센서 조정 방향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Meanwhile, in the environment type of "low-speed driving in urban areas", it is desirable to consider collisions with pedestrians/cycles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this end, high-resolution information from sensors capable of detecting objects within several meters (m) around the vehicle, such as close-range radar, close-range lidar, ultrasonic sensors, and cameras for Around View Monitoring, is important. In addition, at such times, data required for high-speed driving, such as long-range lidar, front ADAS camera, and tire pressure information, are not necessary at all, or can be transmitted in low resolution. Hereinafter, the environment types will be defined and the sensor adjustment directions corresponding thereto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of FIG. 6.
도 6의 실시예에서, 환경 타입 1은 지역 카테고리에서는 "도심(urban)" 속성으로 구분되고, 속도 카테고리는 "일반" 속성으로, 네트워크 트래픽 카테고리는 "보통" 속성으로, 네트워크 지연 카테고리는 "증가" 속성으로, 교통량 카테고리는 "증가" 속성으로, 마지막으로, 이벤트 카테고리는 "없음" 속성으로 구분되었으며, 추가적으로 날씨 카테고리는 "맑음" 속성으로 구성된다. 환경정의 유닛은 이러한 환경을 "도심지를 일반 속도로 주행하는 중에, 교통량이 증가하는 환경 타입"으로 정의하고, 이에 대응하여 센서 조정 방식을 원거리 센서 정보보다는 주변 센서들을 강화하고, ADAS 센서들은 주변 객체(Object) 검출 갯수를 최대한 늘리는 것으로 매칭시킬 수 있다. 환경 타입의 정의 및 그에 대응하는 센서 조정 방식은 (룩-업) 테이블의 형태로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환경정의 유닛은 환경분석 유닛으로부터의 카테고리별 환경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환경 타입을 정의하고, 상기 테이블을 이용하여 정의된 환경 타입에 대응하는 센서 조정 방식을 불러온다. 이후, 센서조정기에서는 불러온 센서 조정 방식에 기반하여 각각의 센서에 그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달한다. In the embodiment of Fig. 6, environment type 1 is classified as an “urban” attribute in the area category, a “normal” attribute in the speed category, a “normal” attribute in the network traffic category, an “increase” attribute in the network delay category, an “increase” attribute in the traffic volume category, and finally, an “none” attribute in the event category, and additionally, a “clear” attribute in the weather category. The environment definition unit defines this environment as an “environment type in which traffic volume increases while driving at a normal speed in an urban area,” and in response to this, the sensor adjustment method can be matched by reinforcing the surrounding sensors rather than the remote sensor information, and maximizing the number of surrounding objects detected by the ADAS sensors. The definition of the environment type and the sensor adjustment method corresponding to it can be stored in advance in the form of a (look-up) table. The environment definition unit defines the environment typ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nvironmental analysis by category from the environment analysis unit, and retrieves the sensor adjustment method corresponding to the defined environment type using the table. Thereafter, the sensor adjustment unit transmits a corresponding signal to each sensor based on the retrieved sensor adjustment method.
다음으로, 환경 타입 2는 지역 카테고리에서는 "도심(urban)" 속성으로 구분되고, 속도 카테고리는 "저속" 속성으로, 네트워크 트래픽 카테고리는 "증가" 속성으로, 네트워크 지연 카테고리는 "감소" 속성으로, 교통량 카테고리는 "감소" 속성으로, 마지막으로, 이벤트 카테고리는 "없음" 속성으로 구분되었으며, 추가적으로 날씨 카테고리는 "구름" 속성으로 구성된다. 환경정의 유닛은 이러한 환경을 "도심지 저속주행중에 교통량은 없으나 네트워크 트래픽이 증가하는 환경 타입"으로 정의하고, 이에 대응하여 센서 조정 방식을, 현재 차량과 관련하여 위험도가 낮으니 ADAS 센서들보다는 현재 실시간성으로 전송되어야 하는 센서들의 우선순위를 높게 설정하여 이들로부터의 센싱 정보를 우선적으로 전송하는 것으로 매칭시킬 수 있다. Next,
환경 타입 3은 지역 카테고리에서는 "도심(urban)" 속성으로 구분되고, 속도 카테고리는 "저속" 속성으로, 네트워크 트래픽 카테고리는 "증가" 속성으로, 네트워크 지연 카테고리는 "증가" 속성으로, 교통량 카테고리는 "증가" 속성으로, 마지막으로, 이벤트 카테고리는 "사고" 속성으로 구분되었으며, 추가적으로 날씨 카테고리는 "맑음" 속성으로 구성된다. 환경정의 유닛은 이러한 환경을 "현재 전방 어딘가에 사고가 있으므로 모든 차들이 저속으로 주행 중인 환경 타입"으로 정의하고, 이에 대응하여 센서 조정 방식을, 사고 위험은 낮지만, 전방에 어떤 사고 인지, 현재 현황은 어떠한지, 구급차가 필요한지, 소방차가 필요한지 등의 상황 판단을 위해 차량의 모든 카메라의 해상도와 선명도를 높여 데이터 수집하는 것으로 매칭시킬 수 있다.
환경 타입 4는 지역 카테고리에서는 "교외지(sub-urban)" 속성으로 구분되고, 속도 카테고리는 "일반" 속성으로, 네트워크 트래픽 카테고리는 "보통" 속성으로, 네트워크 지연 카테고리는 "없음" 속성으로, 교통량 카테고리는 "보통" 속성으로, 마지막으로, 이벤트 카테고리는 "미끌림" 속성으로 구분되었으며, 추가적으로 날씨 카테고리는 "비" 속성으로 구성된다. 환경정의 유닛은 이러한 환경을 "비가오는 지역도로에 미끌림 이벤트가 발생하고 있는 환경 타입"으로 정의하고, 이에 대응하여 센서 조정 방식을, 비가 오는 지역이므로 라이더와 카메라는 해상도를 낮추고, 차량의 속도와 네 바퀴의 휠 스피드(wheel speed)의 해상도를 높여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것으로 매칭시킬 수 있다.
환경 타입 5는 지역 카테고리에서는 "도심(urban)" 속성으로 구분되고, 속도 카테고리는 "저속" 속성으로, 네트워크 트래픽 카테고리는 "보통" 속성으로, 네트워크 지연 카테고리는 "없음" 속성으로, 교통량 카테고리는 "없음" 속성으로, 마지막으로, 이벤트 카테고리는 "우측 방향 지시등" 속성으로 구분되었으며, 추가적으로 날씨 카테고리는 "맑음" 속성으로 구성된다. 환경정의 유닛은 이러한 환경을 "도심지에서 저속으로 우회전을 시도 중인 환경 타입"으로 정의하고, 이에 대응하여 센서 조정 방식을, 우측 보행자, 자전거, 오토바이 등과 관련된 사고를 대비하기 위해, 후방센서는 끄고, 전방카메라, 우측라이다, 우측레이다, 우측 AVM 카메라 등을 최대한 해상도를 높여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으로 매칭시킬 수 있다. Environment type 5 is classified by the "urban" attribute in the area category, the "slow" attribute in the speed category, the "normal" attribute in the network traffic category, the "none" attribute in the network delay category, the "none" attribute in the traffic volume category, and finally, the "right turn signal" attribute in the event category, and additionally, the "sunny" attribute in the weather category. The environment definition unit can define this environment as an "environment type in which a right turn is being attempted at a low speed in an urban area", and in response, the sensor adjustment method can be matched to turn off the rear sensor and collect data by maximizing the resolution of the front camera, right LiDAR, right Radar, and right AVM camera to prepare for accidents involving right-side pedestrians, bicycles, and motorcycles.
환경 타입 6은 지역 카테고리에서는 "도심(urban)" 속성으로 구분되고, 속도 카테고리는 "보통" 속성으로, 네트워크 트래픽 카테고리는 "없음" 속성으로, 네트워크 지연 카테고리는 "증가" 속성으로, 교통량 카테고리는 "없음" 속성으로, 마지막으로, 이벤트 카테고리는 "없음" 속성으로 구분되었으며, 추가적으로 날씨 카테고리는 "맑음" 속성으로 구성된다. 환경정의 유닛은 이러한 환경을 "아무런 이상이 없지만, delay 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환경 타입"으로 정의하고, 이에 대응하여 센서 조정 방식을, 아무런 이상이 없지만, 네트워크 지연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대역폭(bandwidth) 또는 쓰루풋(throughput)에 관한 문제가 존재할 수 있음에 대비하여, 해당 구간의 네트워크 정보를 보다 세밀하게 저장하는 것으로 매칭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데이터 수집 장치는 기저장된 테이블을 기반으로 특정 인덱스로 정의된 환경 타입에 대응하여 특정 센서 조정 방식이 매칭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카테고리의 환경 정보를 종합한 최적의 솔루션을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도출된 최적 솔루션을 센서 조정기를 통해 개별 센서에 적절히 신호 처리함으로써 신속하게 차량과 연관된 센서들의 동작을 조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효율적으로 센싱 데이터를 저장 및 외부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data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tch a specific sensor adjustment method in response to an environment type defined by a specific index based on a pre-stored table, thereby deriving an optimal solution that synthesizes various categories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In addition, by appropriately signal-processing the derived optimal solution to each sensor through a sensor controller, the operations of sensors related to the vehicle can be quickly adjusted, and through this, sensing data can be efficiently stored and transmitted externally.
도 7은 도 3의 센서조정기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상세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조정기(700)는 센서 파라미터 업데이트 유닛(710), 안전 센서 설정 유닛(730) 및 차량 센서 설정 유닛(740)을 포함할 수 있다.Fig. 7 is a detailed block diagram showing the sensor controller of Fig. 3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7, the sensor controller (700) may include a sensor parameter update unit (710), a safety sensor setting unit (730), and a vehicle sensor setting unit (740).
도 7을 참조하면, 센서조정기(700)는 환경분석기가 분석하고 정의한 환경의 타입에 따라, 각 센서를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Referring to FIG. 7, the sensor controller (700) adjusts each sensor according to the type of environment analyzed and defined by the environmental analyzer.
먼저, 센서 파라미터 업데이트 유닛(710)은 환경분석기가 분석하고 정의한 환경 타입을 이용하여, 각각의 센서들의 동작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개별 센서들의 동작 파라미터는 센서 파라미터 문서(720)에 기록되어 있다. 센서 파라미터 문서(720)는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혹은 비주기적으로, 센서 파라미터 업데이트 유닛(710)에 의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에 정의된 환경 타입 및 그에 대응하는 솔루션이 전방 원거리 레이더의 정보가 그렇게 중요하지 않음을 지시하는 경우라면, 원거리 전방 레이더의 신호발생주기를 100ms에서 10ms으로 낮추도록 센서에게 명령하도록 센서 파라미터 문서(720)를 업데이트하거나, 신호를 아예 멈추도록 센서 파라미터 문서(720)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즉, 환경타입에 대응하여 결정된 센서 조정 방식에 따라 각 센서들의 신호 발생 주기와 센서 파라미터를 가변시킬 수 있다.First, the sensor parameter update unit (710) sets the operation parameters of each sensor using the environment type analyzed and defined by the environment analyzer. The operation parameters of each sensor are recorded in the sensor parameter document (720). The sensor parameter document (720) can be updated by the sensor parameter update unit (710) in real time,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For example, if the currently defined environment type and the corresponding solution indicate that the information of the forward long-range radar is not so important, the sensor parameter document (720) can be updated to instruct the sensor to lower the signal generation period of the forward long-range radar from 100 ms to 10 ms, or the sensor parameter document (720) can be updated to stop the signal altogether. That is, the signal generation period and sensor parameters of each sensor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sensor adjustment method determined in response to the environment type.
이러한 센서 파라미터의 조정의 목표는 현재 네트워크 대역폭 및 지연 상에서, 환경 정의에 따라 선택된 센서들의 각종 파라미터(데이터 발생량과 주기 등)를 최적으로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비용 함수(Cost Function)를 정하여 이를 최적화하는 최적화 모델(Optimization model)이 이용될 수 있다. 또는, 과거의 데이터로부터 기계학습(Machine Learning)을 통해 최적의 파라미터를 도출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도 있다. 더욱이, 미리 정해진 룰(수학식)에 따라 결정적으로(deterministic) 최적 파라미터를 도출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The goal of adjusting these sensor parameters is to optimally select various parameters (such as data generation volume and cycle) of the sensors select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definition in the current network bandwidth and delay. To this end, an optimization model that determines a cost function and optimizes it can be used. Alternatively, a method of deriving optimal parameters through machine learning from past data can be used. Furthermore, a method of deterministically deriving optimal parameter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mathematical formula) can be used.
이와 같이, 센서 파라미터 문서(720)가 업데이트되면, 안전 센서 설정유닛(730)은 주기적으로 또는 업데이트 이벤트를 받아, 센서 파라미터 문서(720)를 참조하여 각 안전 센서의 파라미터를 실제 조작하는 명령어를 센서로 발송한다. 이 때 안전 센서는 ADAS 카메라, AVM 카메라, 각종 레이다, 각종 라이다 등 자율주행에 사용되는 센서들을 포함하며, 이들 센서로의 연결 방식은 버스(bus) 형태일 수도 있고, 직접 연결 형태일 수도 있다. In this way, when the sensor parameter document (720) is updated, the safety sensor setting unit (730) periodically or upon receiving an update event sends a command to the sensor to actually manipulate the parameters of each safety sensor by referring to the sensor parameter document (720). At this time, the safety sensors include sensors used for autonomous driving, such as ADAS cameras, AVM cameras, various radars, and various lidars, and the connection method to these sensors may be in the form of a bus or a direct connection.
차량 센서 설정유닛(740) 역시, 주기적으로 또는 업데이트 이벤트를 받아, 센서 파라미터 문서(720)를 참조하여 각 차량 센서의 파라미터를 실제 조작하는 명령어를 센서로 발송한다. 이때 각 차량 센서의 설정을 위해, CAN 버스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vehicle sensor setting unit (740) also periodically or upon receiving an update event sends a command to the sensor to actually manipulate the parameters of each vehicle sensor by referring to the sensor parameter document (720). At this time, a CAN bus or the like can be used to set each vehicle sensor.
도 8은 도 7의 센서 조정기의 센서 파라미터 조절정보를 이용하여 센서데이터의 샘플링 및 양자화 동작을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FIG. 8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ontrolling sampling and quantization operations of sensor data using sensor parameter control information of the sensor controller of FIG. 7.
도 8을 참조하면, 센서 조정기(810)는 환경 정의에 따라 각 센서의 해상도와 발생 부호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센싱 데이터의 해상도 또는 부호량 등의 조정이 센서의 동작을 직접 제어함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지만, 도 8의 실시예와 같이, 수집 모듈(820)에 센서 파라미터 조절 정보를 제공하여 수집 모듈(820)이 직접 센서로부터 전송받는 데이터 스트림의 "샘플링" 또는 "양자화" 또는 "부호화" 관련 해상도, 발생량 및/또는 주기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수집 모듈(820)을 통해 저장소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발생량과 주기, 또는 외부 서버로 전송되는 데이터 발생량과 주기 등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sensor controller (810) can adjust the resolution and the amount of generated codes of each sensor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definition. At this time, the adjustment of the resolution or amount of codes of the sensing data may be performed by direct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ensor, but as in the embodiment of FIG. 8, sensor parameter adjustment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collection module (820) so that the collection module (820) can directly adjust the resolution, amount of generated codes, and/or period related to “sampling” or “quantization” or “encoding” of the data stream transmitted from the sensor. In other words, the amount and period of generated codes stored in a storage, or the amount and period of generated codes transmitted to an external server, may be adjusted through the collection module (820).
도 9는 도 3의 수집모듈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상세블록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집 모듈(900)은 안전 센서 수신부(910), 차량 센서 수신부(920), 안전 센서 DB 관리 유닛(930), 차량 센서 DB 관리 유닛(940) 및 전송데이터 관리 유닛(960)을 포함할 수 있다.Fig. 9 is a detailed block diagram showing the collection module of Fig. 3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9, the collection module (900) may include a safety sensor receiving unit (910), a vehicle sensor receiving unit (920), a safety sensor DB management unit (930), a vehicle sensor DB management unit (940), and a transmission data management unit (960).
도 9를 참조하면, 수집 모듈(900)은 각종 센서가 보낸 센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거나 패킷타이징(packetizing)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Referring to FIG. 9, the collection module (900) temporarily stores sensor data sent from various sensors or packetizes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server.
먼저, 안전 센서 수신부(910)는, 기설정된 파라미터를 통해 안전 센서로부터의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안전 센서들과의 커넥션을 관리한다. 또한, 센서 조정기의 정보를 받아 고정적으로 수신되는 센서의 비트율, 해상도 등을 조절하여 센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차량 센서 수신부(920) 역시, 차량 센서에 대해 안전센서 수신부(910)하는 동작과 마찬가지의 동작을 수행한다. First, the safety sensor receiver (910) receives sensing data from the safety sensor through preset parameters and manages connections with the safety sensors. In addition, it can receive sensing data by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sensor controller and adjusting the bit rate, resolution, etc. of the sensor that is fixedly received. The vehicle sensor receiver (920) also performs the same operation as the safety sensor receiver (910) for the vehicle sensor.
센서 DB 관리 유닛들(930, 940)은 수신되는 각종 센서들의 데이터를 DB(950)(저장소 또는 내부 저장장치라 부를 수 있음)에 임시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개별 센서 각각 별도의 DB(950) 공간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고, 하나의 패키지(Package) 형태로 정렬하여 한꺼번에 저장되도록할 수도 있다. The sensor DB management units (930, 940) temporarily store data from various sensors received in the DB (950) (which may be referred to as a storage or internal storage device). This can be controlled to store each individual sensor in a separate DB (950) space, or can be arranged in a package form and stored all at once.
전송데이터 관리 유닛(960)은 저장되는 각종 센서 데이터들 중 적어도 일부를, 서버 요청, 네트워크 정보 및/또는 환경 분석 결과에 따라 서버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즉, DB(950)에 저장된 각 센서데이터들을 선택적으로 서버로 전송한다.The transmission data management unit (960) plays a role in transmitting at least some of the various sensor data being stored to the server according to server requests, network information, and/or environmental analysis results. That is, each sensor data stored in the DB (950) is selectively transmitted to the server.
도 10은 도 3의 네트워크 모듈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상세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모듈(1000)은 네트워크 트래픽 조사유닛(1010), 네트워크 지연 조사유닛(1012), 네트워크 쓰루풋 조사유닛(1014), 네트워크 상태공유기(1020), 데이터 부호화 유닛(1030), 데이터 패킷화 유닛(1040) 및 데이터 직렬화 유닛(1050)을 포함할 수 있다.FIG. 10 is a detailed block diagram showing the network module of FIG. 3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10, the network module (1000) may include a network traffic investigation unit (1010), a network delay investigation unit (1012), a network throughput investigation unit (1014), a network status sharing unit (1020), a data encoding unit (1030), a data packetization unit (1040), and a data serialization unit (1050).
도 10을 참조하면, 현재 네트워크의 상태를 조사하기 위해, 네트워크 트래픽 조사유닛(1010)은 현재 차량과 서버간 네트워크 트래픽을 조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지연 조사유닛(1012)은 현재 차량과 서버간 네트워크 지연을 조사할 수 있고, 네트워크 쓰루풋 조사유닛(1014)은 현재 차량과 서버간 네트워크 쓰루풋을 조사하여, 이를 네트워크 상태 공유기(1020)로 전달한다. Referring to FIG. 10,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urrent network status, the network traffic investigation unit (1010) can investigate the current network traffic between the vehicle and the server. Similarly, the network delay investigation unit (1012) can investigate the current network delay between the vehicle and the server, and the network throughput investigation unit (1014) investigates the current network throughput between the vehicle and the server and transmits it to the network status sharing unit (1020).
네트워크 상태공유기(1020)는 현재의 네트워크 상황과, 과거의 상황을 기반으로 각 네트워크 상태 변화 추이 등을 포함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작성하고, 이를 환경분석기와 수집모듈로 각각 전달한다. The network status sharing device (1020) creates network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changes in each network status based on the current network status and past status, and transmits this to the environment analyzer and collection module, respectively.
그 외에, 수집모듈로부터 전송되는 현재 환경 분석 결과에 기반한 각 센서로부터의 센싱 데이터들은, 각각 또는 전체가 데이터 부호화 유닛(1030), 데이터 패킷화 유닛(1040) 및 데이터 직렬화 유닛(1050)을 통해, 부호화되고, 패킷화되며, 데이터 직렬화되어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In addition, sensing data from each sensor based on the current environment analysis results transmitted from the collection module may be encoded, packetized, and data serialized and transmitted to the server, individually or in whole, through the data encoding unit (1030), the data packetization unit (1040), and the data serialization unit (1050).
이상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상기 도면 또는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embodiments, it does not mean that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by the drawings or embodiments, and it will be understood tha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Claims (8)
차량에 설치된 복수 개의 센서;
상기 차량의 내부 및 외부 중 적어도 하나의 장비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모듈;
상기 네트워크 모듈로부터 획득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과 연관된 네트워크의 상태를 분석하는 분석기; 및
상기 분석기에서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 개의 센서들 중 적어도 일부의 데이터의 처리를 조절하는 조정기를 포함하되,
외부 서버로 주기적으로 패킷을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화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분석기는, 네트워크 지연(network delay)과 연관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과 연관된 네트워크의 현재 상태를 분석하되,
상기 네트워크 모듈은 상기 외부 서버와 현재 연결 중인 네트워크 경로의 네트워크 지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분석기로 전달하며,
상기 분석기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네트워크 지연 상태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현재 연결 중인 네트워크 경로의 상태를 분석하고,
상기 조정기는, 상기 현재 연결 중인 네트워크 경로의 상태에 대한 분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 개의 센서들 중 적어도 일부의 데이터의 처리를 조절하는, 차량 데이터 처리 장치.In a device that processes vehicle data,
Multiple sensors installed on the vehicle;
A network modul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t least one piece of equipment inside and outside the vehicle;
An analyzer that analyzes the state of a network related to driving of the vehicle us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network module; and
Including a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processing of data of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sensor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from the analyzer,
It further includes a data packetization unit that periodically transmits packets to an external server,
The above analyzer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the network related to the driving of the vehicle by using information related to network delay.
The above network module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network delay status of the network path currently connected to the external server from the external server and transmits it to the analyzer.
The above analyzer analyzes the status of the currently connected network path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network delay status received from the external server,
The above controller is a vehicle data processing device that controls the processing of data of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sensors based on analysis information about the status of the currently connected network path.
상기 조정기는, 상기 복수 개의 센서 중 적어도 일부의 비트-레이트(bit-rate), 샘플링 시간(sampling time), 데이터량, 데이터 발생 주기, 양자화, 부호화 및 해상도(resolution)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차량 데이터 처리 장치.In paragraph 1,
A vehicle data processing device wherein the controller adjusts at least one of a bit-rate, a sampling time, a data amount, a data generation cycle, quantization, encoding, and a resolution of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sensors.
상기 조정기는, 상기 복수 개의 센서 중 적어도 일부의 비트-레이트(bit-rate), 샘플링 시간(sampling time), 데이터량, 데이터 발생 주기, 양자화, 부호화 및 해상도(resolution)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복수 개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하는, 차량 데이터 처리 장치.In paragraph 1,
A vehicle data processing device, wherein the controller provides a signal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nsors to increase or decrease at least one parameter of bit-rate, sampling time, data amount, data generation cycle, quantization, encoding, and resolution of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sensors.
상기 조정기는, 상기 분석기에서의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센서들 중 일부의 중요도를 고려하여, 처리 대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차량 데이터 처리 장치.In paragraph 1,
The above regulator is a vehicle data processing device that selects data to be processed by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some of the plurality of sensor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from the above analyzer.
카메라, 레이다 및 라이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안전 센서부; 및
차량 속도, 타이어 공기압, 조향각(Steering Angle), 에어백 개폐 여부, 브레이크 포스(brake force), ESC(Electric Stability Control) 동작 유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는 차량 센서부를 포함하는, 차량 데이터 처리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the plurality of sensors,
A safety sensor unit including at least one of a camera, a radar and a lidar; and
A vehicle data processing device including a vehicle sensor unit that senses at least one of vehicle speed, tire pressure, steering angle, whether an airbag is opened or closed, brake force, and whether ESC (Electric Stability Control) is operating.
상기 차량 센서부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를 포함하되,
상기 조정기는 상기 복수 개의 센서 중 적어도 일부의 데이터 처리의 조정을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ECU로 전달하는, 차량 데이터 처리 장치.In paragraph 5,
The above vehicle sensor unit includes an ECU (Electronic Control Unit),
A vehicle data processing device, wherein the controller transmits a signal requesting adjustment of data processing of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sensors to the ECU.
외부 서버와 현재 연결 중인 네트워크 경로의 지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네트워크 경로의 지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경로의 현재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경로의 현재 상태에 대한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과 연관된 복수 개의 센서들 중 적어도 일부의 데이터의 처리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 서버로 주기적으로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경로의 현재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지연(network delay)과 연관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과 연관된 네트워크의 현재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외부 서버와 현재 연결 중인 네트워크 경로의 네트워크 지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네트워크 지연 상태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현재 연결 중인 네트워크 경로의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연결 중인 네트워크 경로의 상태에 대한 분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 개의 센서들 중 적어도 일부의 데이터의 처리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데이터 처리 방법.In a method of processing vehicle data,
A step of receiving information about the delay status of a network path currently connected to an external server from the external server;
A step of analyzing the current state of the network path using information on the delay state of the received network path; and
Comprising a step of controlling the processing of data of at least some of a plurality of sensors associated with the vehicl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current state of the network path,
Further comprising a step of periodically transmitting packets to the above external server,
The step of analyzing the current state of the above network path includes a step of analyzing the current state of the network related to the driving of the vehicle using information related to network delay,
The above receiving step includes a step of receiving information about the network delay status of the network path currently connected to the external server from the external server,
The above analyzing step includes a step of analyzing the status of the currently connected network path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network delay status received from the external server,
A vehicle data processing method, wherein the above-mentioned adjusting step includes a step of adjusting the processing of data of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sensors based on analysis information on the status of the currently connected network path.
외부 서버와 현재 연결 중인 네트워크 경로의 지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네트워크 경로의 지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경로의 현재 상태를 분석하며, 상기 네트워크 경로의 현재 상태에 대한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과 연관된 복수 개의 센서들 중 적어도 일부의 데이터의 처리를 조절하는 차량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상기 차량 데이터 처리 장치로부터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경로의 지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차량 데이터 처리 장치로 제공하는 외부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 데이터 처리 장치는 외부 서버로 주기적으로 패킷을 전송하고,
상기 차량 데이터 처리 장치는, 네트워크 지연(network delay)과 연관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과 연관된 네트워크의 현재 상태를 분석하되,
상기 차량 데이터 처리 장치는 외부 서버와 현재 연결 중인 네트워크 경로의 네트워크 지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차량 데이터 처리 장치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네트워크 지연 상태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현재 연결 중인 네트워크 경로의 상태를 분석하고,
상기 차량 데이터 처리 장치는, 상기 현재 연결 중인 네트워크 경로의 상태에 대한 분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 개의 센서들 중 적어도 일부의 데이터의 처리를 조절하는, 차량 데이터 처리 시스템.
In a system that processes vehicle data,
A vehicle data processing device that receives information on the delay status of a network path currently connected to an external server from the external server,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the network path using the information on the received delay status of the network path, and controls the processing of data of at least some of a plurality of sensors associated with the vehicl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network path; and
Including an external server that receives packets from the vehicle data processing device and provides information on the delay status of the network path to the vehicle data processing device,
The above vehicle data processing device periodically transmits packets to an external server,
The above vehicle data processing device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the network related to the driving of the vehicle by using information related to network delay.
The above vehicle data processing device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network delay status of the network path currently connected to the external server from the external server,
The above vehicle data processing device analyzes the status of the currently connected network path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network delay status received from the external server,
A vehicle data processing system, wherein the vehicle data processing device controls the processing of data of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sensors based on analysis information about the status of the currently connected network path.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50022990A KR20250029103A (en) | 2022-07-27 | 2025-02-21 | Vehicle data collection and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093252A KR102774121B1 (en) | 2022-07-27 | 2022-07-27 | Vehicle data collection and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
| KR1020250022990A KR20250029103A (en) | 2022-07-27 | 2025-02-21 | Vehicle data collection and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20093252A Division KR102774121B1 (en) | 2022-07-27 | 2022-07-27 | Vehicle data collection and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50029103A true KR20250029103A (en) | 2025-03-04 |
Family
ID=89858569
Famil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20093252A Active KR102774121B1 (en) | 2022-07-27 | 2022-07-27 | Vehicle data collection and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
| KR1020250022990A Pending KR20250029103A (en) | 2022-07-27 | 2025-02-21 | Vehicle data collection and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20093252A Active KR102774121B1 (en) | 2022-07-27 | 2022-07-27 | Vehicle data collection and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2) | KR10277412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8386758B (en) * | 2024-06-25 | 2024-09-13 | 江西科技学院 | Intelligent automobile suspension control system |
| CN119997243A (en) * | 2025-01-18 | 2025-05-13 | 山东科星信息科技有限公司 | A bus real-time data collection method and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720687B1 (en) * | 2014-05-27 | 2017-03-28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for Vehicle and Method Operating Thereof |
| KR102231503B1 (en) * | 2019-09-02 | 2021-03-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utonomous driving control method and autonomous driving system using the same |
-
2022
- 2022-07-27 KR KR1020220093252A patent/KR102774121B1/en active Active
-
2025
- 2025-02-21 KR KR1020250022990A patent/KR20250029103A/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774121B1 (en) | 2025-02-28 |
| KR20240015793A (en) | 2024-02-0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0625674B2 (en) |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on of a preventive alert | |
| US10139834B2 (en) | Methods and systems for processing local and cloud data in a vehicle and a cloud server for transmitting cloud data to vehicles | |
| US20220324467A1 (en) | Driving safety systems | |
| EP3159853B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analytics | |
| KR20250029103A (en) | Vehicle data collection and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 |
| JP7263233B2 (en) |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detecting vehicle collision | |
| EP3629059A1 (en) | Sharing classified objects perceived by autonomous vehicles | |
| US10552695B1 (en) | Driver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 US9919715B2 (en) | Vehicle mode scheduling with learned user preferences | |
| CN113165646B (en) | Electronic device for detecting risk factors around a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KR101500472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vehicle-related information in and out of a vehicle | |
| US10755565B2 (en) | Prioritized vehicle messaging | |
| US20060117297A1 (en) |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system component of an information system | |
| CN112238862B (en) | Open and safety monitoring system for autonomous driving platform | |
| CN110576808B (en) | Vehicle, vehicle machine equipment and scene information pushing method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 |
| CN110392396A (en) | Cloud-based network optimizer for connected vehicles | |
| US20240190447A1 (en) | Data provision system, vehicle control system, vehicle control device, and storage medium storing data conversion program | |
| CN110793537A (en) | Navigation path recommendation method, vehicle machine and vehicle | |
| CN115063980A (en) | Self-adaptive vehicle abnormal driving detection method and device and terminal equipment | |
| CN110871810A (en) | Vehicle, vehicle equipment and driving information prompting method based on driving mode | |
| CN112017459A (en) | Vehicle, vehicle equipment and driving assistance method for signal lamp recognition thereof | |
| CN112351407A (en) | AEB strategy method based on 5G hierarchical decision | |
| US10733885B2 (en) | Multi-vehicle prediction system | |
| CN110830956A (en) | Vehicle external environmen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V2X | |
| JP7203123B2 (en) |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for storing progra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50221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220727 Application number text: 1020220093252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4I Patent event date: 20250221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