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50030193A - Install member and water discharging apparatus include the same - Google Patents

Install member and water discharging apparatus include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50030193A
KR20250030193A KR1020230111260A KR20230111260A KR20250030193A KR 20250030193 A KR20250030193 A KR 20250030193A KR 1020230111260 A KR1020230111260 A KR 1020230111260A KR 20230111260 A KR20230111260 A KR 20230111260A KR 20250030193 A KR20250030193 A KR 20250030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upport
plate
housing body
sp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12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원혁
노용연
민기홍
주우진
장민석
제상봉
박정철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11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50030193A/en
Priority to PCT/KR2024/005228 priority patent/WO2025041957A1/en
Publication of KR20250030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50030193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47Piping
    • B67D2210/00062Pipe joints

Landscapes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설치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출수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설치 부재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공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높이 방향의 일 측에 위치되고, 내부에 제1 하우징 공간이 형성된 제1 하우징 몸체; 높이 방향의 타 측에 위치되고, 소정의 직경의 단면을 갖고, 내부에 상기 제1 하우징 공간과 연통되는 제2 하우징 공간이 형성된 제2 하우징 몸체; 및 상기 제1 하우징 몸체 및 상기 제2 하우징 몸체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2 하우징 몸체에 비해 큰 직경의 단면을 갖고, 외부의 플레이트와 밀착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2 하우징 공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며, 상기 제2 하우징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플레이트와 밀착되는 지지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 돌출부를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An installation member and a water discharge device including the same are disclosed.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allation member includes: a housing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and a support member movably coupled to the housing and at least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space, wherein the housing includes: a first housing body positioned on one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and having a first housing space formed therein; a second housing body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and having a cross-section of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having a second housing space formed therein that is communicated with the first housing space; and a stopper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housing body and the second housing body, having a cross-section of a larger diameter than that of the second housing body, and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an external plate, wherein the support member includes a support protrusion that is at least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second housing space, protrudes outwardly of the second housing body,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late, wherein the stopper can be arranged to face the support protrusion with the plate therebetween.

Description

설치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출수 장치{Install member and water discharging apparatus include the same}{Install member and water discharging apparatus include the same}

본 발명은 설치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출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 대상물에 높이 방향으로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설치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출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tallation member and a water discharge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installation member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in the height direction on an installation target and a water discharge device including the same.

정수기는 원수를 전달받아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정수를 외부에 제공할 수 있는 기기를 지칭한다. 최근 생활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정수기는 업소 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A water purifier is a device that receives raw water, filters it, creates purified water, and supplies the created purified water to the outside. Recently, as living standards have improved, water purifiers are being widely used not only in businesses but also in homes.

정수기는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하기 위한 구성, 예를 들면 필터를 포함한다. 또한, 정수기는 그 종류에 따라 생성된 정수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온수 또는 냉수를 제공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 정수기는 히터 또는 냉각기 등 정수를 가열 또는 냉각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A water purifier includes a component for filtering raw water to produce purified water, such as a filter. In addition, depending on its type, the water purifier may heat or cool the produced purified water to provide hot or cold water. To this end, the water purifier may include a component for heating or cooling purified water, such as a heater or cooler.

상기의 경우, 정수기가 다양한 형태의 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감 및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반면, 상기 구성들이 구비됨에 따라, 정수기의 부피가 증가되어 가정 내에서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가 증가될 수 있다. In the above case, the water purifier can provide various types of water to the user, which can improve the user's satisfaction and convenience. On the other hand, as the above components are provided, the volume of the water purifier increases, which can increase the space it occupies in the home.

이에, 최근에는 정수기의 상기 구성들을 싱크대(sink)의 내부 공간에 수용하고, 싱크대의 외부에는 출수를 위한 구성만이 노출되는 형태의 정수기가 각광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빌트-인(built-in) 형태의 정수기로 지칭되는 상기 유형의 정수기는, 정수기가 외부로 노출되는 구성을 최소화하여, 정수기가 설치되는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ly, recently, a type of water purifier that accommodates the above-mentioned components of the water purifier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sink and exposes only the components for discharging water on the outside of the sink has been gaining attention. The above-mentioned type of water purifier, generally referred to as a built-in type water purifier, minimizes the components that expose the water purifier to the outside, thereby securing a wide spac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water purifier.

이때, 출수를 위한 구성은 싱크대의 상판 등에 관통 결합되어, 그 일부는 싱크 볼(sink ball)에 노출되고 다른 일부는 싱크대의 내부 공간에 위치된다. At this time, the configuration for water discharge is connected through the top of the sink, etc., so that some of it is exposed to the sink ball and other parts are loc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sink.

전통적인 구조의 빌트-인 정수기는 하측, 즉 싱크대의 내부 공간에서 싱크대의 상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구성들이 결합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협소한 싱크대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는 상기 구성들과 출수를 위한 구성의 상기 다른 일부를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해야만 한다. 이는 작업의 난이도 상승 및 작업 효율성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In a traditional built-in water purifier, the above components are combined in the direction from the lower side, that is, from the inner space of the sink toward the top of the sink. Therefore, the worker must perform the work of connecting the above components located in the narrow inner space of the sink and the other part of the components for discharging water. This can cause an increase in the difficulty of the work and a decrease in work efficiency.

일본공개특허문헌 제2009-226326호는 빌트인형 정수기 및 설겆이대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원수 도입구와 정수 도출구의 둘레방향으로 회동 자재인 이음매를 장착하여, 정수 카트리지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는 구조의 빌트인형 정수기 및 설겆이대를 개시한다.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9-226326 discloses a built-in water purifier and dishwashing stand. Specifically, the document discloses a built-in water purifier and dishwashing stand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joint, which is a rotating material, is install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a raw water inlet and a purified water outlet, so that a purified water cartridge can be easily replaced.

그런데, 상기 선행문헌이 개시하는 빌트인형 정수기 및 설겆이대는 정수 카트리지를 용이하게 교환하기 위한 방안만을 개시한다. 상기 선행문헌은 빌트인형 정수기 자체를 설겆이대의 수납 캐비넷에 용이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공하지 못한다. However, the built-in water purifier and dishwashing stand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prior document only disclose a method for easily replacing a water purifier cartridge. The above-mentioned prior document does not provide a method for easily connecting the built-in water purifier itself to the storage cabinet of the dishwashing stand.

일본공개특허문헌 제2002-001314호는 정수기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전자 밸브를 구동시키는 건전지를 수도꼭지 본체에 배치하고, 전지 교환 가능한 전지 케이스를 수도꼭지 본체의 하부에 구비하고, 전지 케이스와 수도꼭지 본체부 사이를 밀봉할 수 있는 정수기를 개시한다.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2-001314 discloses a water purifier. Specifically, the water purifier discloses a water purifier in which a battery for driving an electronic valve is placed in a faucet body, a battery case capable of replacing the battery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faucet body, and a seal is formed between the battery case and the faucet body.

그런데, 상기 선행문헌이 개시하는 정수기는 빌트인형으로 구비되되 전자적으로 작동되는 정수기에 적용되어, 전자적인 구성을 방수시키기 위한 방안만을 개시한다. 즉, 상기 선행문헌 역시 빌트인형 정수기 자체를 싱크대 등에 용이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공하지 못한다. However, the water purifier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prior document is applied to a water purifier that is equipped as a built-in type and operates electronically, and only discloses a method for waterproofing the electronic configuration. In other words, the above-mentioned prior document also does not provide a method for easily attaching the built-in water purifier itself to a sink, etc.

일본공개특허문헌 제2009-226326호 (2009.10.08.)Japanese Publication Patent Document No. 2009-226326 (October 8, 2009) 일본공개특허문헌 제2002-001314호 (2002.01.08.)Japanese Publication Patent Document No. 2002-001314 (January 8, 200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싱크대 등에 설치가 용이한 구조의 설치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출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stallation member having a structure that is easy to install in a sink or the like, and a water discharge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 작업이 넓은 공간에서 수행될 수 있는 구조의 설치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출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stallation memb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installation work can be performed in a wide space and a water discharge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된 이후 분리 과정이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는 구조의 설치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출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stallation memb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separation process can be easily performed after installation, and a discharge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지 보수가 간명하게 진행될 수 있는 구조의 설치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출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stallation memb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maintenance can be easily performed and a water discharge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공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높이 방향의 일 측에 위치되고, 내부에 제1 하우징 공간이 형성된 제1 하우징 몸체; 높이 방향의 타 측에 위치되고, 소정의 직경의 단면을 갖고, 내부에 상기 제1 하우징 공간과 연통되는 제2 하우징 공간이 형성된 제2 하우징 몸체; 및 상기 제1 하우징 몸체 및 상기 제2 하우징 몸체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2 하우징 몸체에 비해 큰 직경의 단면을 갖고, 외부의 플레이트와 밀착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2 하우징 공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며, 상기 제2 하우징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플레이트와 밀착되는 지지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 돌출부를 마주하게 배치되는, 설치 부재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stallation member is provided,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and a support member movably coupled to the housing and at least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space, wherein the housing comprises: a first housing body positioned on one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and having a first housing space formed therein; a second housing body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and having a cross-section of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having a second housing space formed therein that is communicated with the first housing space; and a stopper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housing body and the second housing body and having a cross-section of a larger diameter than that of the second housing body and in close contact with an external plate, wherein the support member includes a support protrusion that is at least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second housing space, protrudes outwardly from the second housing body,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late, wherein the stopper is disposed to face the support protrusion with the plate interposed therebetween.

이때, 상기 플레이트의 내부에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삽입 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 하우징 몸체의 단면의 직경은 상기 삽입 홀의 단면의 직경 이하로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의 단면의 직경은 상기 삽입 홀의 단면의 직경을 초과하게 형성되는, 설치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At this time, an installation member may be provided in which an insertion hol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is formed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plate, a cross-sectional diameter of the second housing body is formed to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cross-sectional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and a cross-sectional diameter of the stopper is formed to exceed the cross-sectional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또한, 상기 지지 부재는 방사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2 하우징 몸체와 결합되고, 상기 지지 부재가 방사상 내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지지 돌출부의 단부가 상기 제2 하우징 몸체의 외주에 비해 방사상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지지 부재가 방사상 외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지지 돌출부의 단부가 상기 제2 하우징 몸체의 외주에 비해 방사상 외측에 위치되는, 설치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n installation member may be provided in which the support member is coupled to the second housing body so as to be movable in a radial direction, and when the support member is moved radially inward, an end of the support protrusion is positioned radially inward relative to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housing body, and when the support member is moved radially outward, an end of the support protrusion is positioned radially outward relative to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housing body.

이때,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 공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지 헤드부; 및 상기 지지 헤드부 및 상기 지지 돌출부와 각각 연속되고, 상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헤드부 및 상기 지지 돌출부는 상기 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배치되는, 설치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At this time, an installation member may be provided in which the support member includes a support head portion that is at least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first housing space and protrudes radially outward; and a support body portion that is continuous with the support head portion and the support protrusion portion and extends in the height direction, wherein the support head portion and the support protrusion portion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plate interposed therebetween.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 하우징 몸체의 외주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지지 돌출부가 방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지지 개구부를 포함하는, 설치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housing may be provided with an installation member including a support opening formed through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housing body and positioned such that the support protrusion is movable in a radial direction.

이때, 상기 지지 개구부는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제2 하우징 몸체의 외주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복수 개의 상기 지지 개구부 중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는 한 쌍의 상기 지지 개구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탈 방지 리브를 포함하는, 설치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pport openings are provided in multiple numbers and ar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housing body, and the second housing may be provided with an installation member including a detachment prevention rib positioned between a pair of the support openings that are positioned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multiple support openings and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또한, 상기 지지 돌출부는 한 쌍 구비되어, 한 쌍의 상기 지지 돌출부는 상기 이탈 방지 리브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배치되는, 설치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n installation member may be provided in which a pair of the support protrusions are provided, and the pair of the support protrusions are arranged facing each other with the detachment prevention rib interposed therebetween.

이때, 상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지지 부재와 각각 결합되는 조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 부재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높이 방향의 상기 일 측에 위치되고, 상기 조임 부재의 연장 방향의 타 단부는 상기 플레이트에 지지되는, 설치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At this time, an installation member may be provided, which includes a tightening member that extends in the height direction and is respectively coupled with the housing and the support member, wherein one end of the tightening member in the extension direction is located on the one side of the first housing in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tightening member in the extension direction is supported on the plate.

또한, 상기 조임 부재는 나사(screw)로 구비되어, 상기 조임 부재가 회전되면 상기 지지 부재가 승강되게 구성되는, 설치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n installation member may be provided in which the tighten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screw, and the support member is configured to be raised and lowered when the tightening member is rotated.

이때, 상기 지지 부재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2 하우징 공간의 단면의 직경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높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설치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the support members are provided, the plurality of the support members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diametric direction of the cross-section of the second housing space, and an installation member may be provided in which the plurality of the support members are arranged at different positions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ousing.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공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높이 방향의 일 측에 위치되고, 내부에 제1 하우징 공간이 형성된 제1 하우징 몸체; 상기 제1 하우징 몸체의 상기 높이 방향의 타 측과 연속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와 결합되고, 외부의 플레이트의 일 면과 밀착되는 안착 가스켓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 공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며, 상기 제1 하우징 몸체의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지 헤드부; 상기 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안착 가스켓을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타 면과 밀착되는 지지 돌출부; 및 상기 제1 하우징 공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며, 상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지지 헤드부 및 상기 지지 돌출부와 각각 결합되는 지지 몸체부를 포함하는, 설치 부재가 제공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stallation member is provided, including a housing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and a support member movably coupled to the housing and at least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space, wherein the housing includes a first housing body positioned on one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and having a first housing space formed therein; a stopper continuous with the other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rst housing body; and a mounting gasket coupled with the stopper and in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an external plate, wherein the support member includes a support head portion that is at least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first housing space and protrudes radially outwardly of the first housing body; a support protrusion portion that is disposed to face the mounting gasket with the plat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urface of the plate; and a support body portion that is at least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first housing space, extends in the height direction, and is respectively coupled with the support head portion and the support protrusion portion.

이때, 상기 하우징과 방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지지 부재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조임 부재를 포함하는, 설치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At this time, an installation member may be provided that is radially movably coupled to the housing and includes a tightening member that supports the support member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또한, 상기 플레이트의 내부에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삽입 홀이 상기 높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한 쌍 구비되며, 상기 조임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가 방사상 외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지지 돌출부의 각 단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삽입 홀의 직경을 초과하게 형성되고, 상기 조임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가 방사상 내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지지 돌출부의 상기 각 단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삽입 홀의 직경 이하로 형성되는, 설치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n installation member may be provided in which an insertion hol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is formed penetrating in the height direction inside the plate, a pair of the support members are provided, and when the tightening member and the support member are moved radially outward, the distance between each end of the support protrusion is formed to exceed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and when the tightening member and the support member are moved radially inward, the distance between each end of the support protrusion is formed to be less than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이때, 상기 지지 부재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 공간의 단면의 직경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높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설치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the support members are provided, the plurality of the support members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diametric direction of the cross-section of the first housing space, and an installation member may be provided in which the plurality of the support members are arranged at different positions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ousing.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체를 배출하는 파우셋; 상기 파우셋에 수용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이프 부재; 및 상기 파이프 부재에 수용되며, 외부의 플레이트에 관통 형성된 삽입 홀에 관통 결합되는 설치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설치 부재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공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플레이트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파이프 부재에 수용되고, 내부에 제1 하우징 공간이 형성된 제1 하우징 몸체; 상기 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되고 내부에 상기 제1 하우징 공간과 연통되는 제2 하우징 공간이 형성된 제2 하우징 몸체; 및 상기 제1 하우징 몸체 및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삽입 홀의 직경에 비해 큰 직경의 단면을 갖는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 하우징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승되어 상기 플레이트와 밀착되는 지지 돌출부를 포함하는, 출수 장치가 제공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 discharge device is provided, including: a faucet for discharging a fluid; a pipe member accommodated in the faucet and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an installation member accommodated in the pipe member and penetrably coupled to an insertion hole formed through an external plate, wherein the installation member includes a housing having a space formed inside and extending in the one direction; and a support member movably coupled to the housing and at least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space, wherein the housing includes: a first housing body positioned above the plate, accommodated in the pipe member, and having a first housing space formed inside; a second housing body positioned below the plate and having a second housing space formed inside that communicates with the first housing space; and a stopper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housing body and the plate and having a cross-section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wherein the support member includes a support protrusion positioned below the plate, protruding outwardly of the second housing body, and rising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plate.

이때, 승강 가능하게 상기 지지 부재와 결합되고, 방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조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 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 몸체의 상측에 위치되는, 출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discharge device may be provided, which includes a tightening member that is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so as to be able to rise and fall, and is connected to the housing so as to be able to move in a radial direction, and wherein the tightening member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housing body.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치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출수 장치는 싱크대 등에 설치가 용이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installation member and the water discharge device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stalled in a sink or the like.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치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출수 장치는 설치 작업이 넓은 공간에서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installation member and the discharge device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a wide space.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치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출수 장치는 설치된 이후 분리 과정이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installation member and the discharge device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proceed with the separation process after installation.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치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출수 장치는 유지 보수가 간명하게 진행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installation member and the discharge device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aintained.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but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mposi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설치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설치 부재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설치 부재에 구비되는 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하우징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하우징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하우징을 도시하는 A-A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설치 부재에 구비되는 지지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지지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지지 부재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지지 부재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설치 부재에 구비되는 조임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설치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설치 부재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설치 부재에 구비되는 하우징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하우징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하우징을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7은 도 14의 설치 부재에 구비되는 지지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8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설치 부재가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24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설치 부재에 의해 출수 장치가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사용 상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memb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stallation member of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using provided in the installation member of Figure 1.
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housing of Figure 3.
Figure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housing of Figure 3.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the housing of Fig. 3.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upport member provided in the installation member of Fig. 1.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upport member of Figure 7.
Figure 9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upport member of Figure 7.
Fig. 10 is a back view showing the support member of Fig. 7.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ightening member provided in the installation member of Fig. 1.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stallation member of Figure 12.
Fig.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using provided in the installation member of Fig. 12.
Figure 1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housing of Figure 14.
Fig. 16 is a back view showing the housing of Fig. 14.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member provided in the installation member of Fig. 14.
Figures 18 to 23 are usage diagrams showing a process in which an installation memb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with a plate.
FIGS. 24 to 27 are usage diagrams showing a process in which a water discharge device is coupled to a plate by an installation memb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with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the drawing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words and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but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by which the inventor can define terms and concepts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or her invention.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가 있을 수 있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correspond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s may have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ed example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descriptions of some components may be omitted to clarify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연통"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부재가 서로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됨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연통은 관로, 파이프, 배관 등의 부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연통은 하나 이상의 부재가 서로 "유체적으로 연결"됨과 같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The term "communicating" a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means that one or more memb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fluidic manner. In on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may be formed by members such as conduits, pipes, or tubing.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communication may be used to mean that one or more members are "fluid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통전"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부재가 서로 전류 또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 가능하게 연결됨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통전은 도선 부재 등에 의한 유선의 형태 또는 블루투스, Wi-Fi, RFID 등의 무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통전은 "통신"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 "conduction"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means that one or more memb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y can transmit current or electrical signals. In one embodiment, the conduction may be formed in a wired form such as by a conductor member, or in a wireless form such as Bluetooth, Wi-Fi, RFID, etc. In one embodiment, the conduction may include the meaning of "communication."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유체"라는 용어는, 외력에 의해 유동되며, 형상 또는 부피 등이 변형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의 물질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유체는 물 등의 액체 또는 공기 등의 기체일 수 있다. The term "fluid"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means any form of material that flows due to an external force and can change shape or volume, etc. In one embodiment, the fluid may be a liquid such as water or a gas such as air.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측", "하측", "좌측", "우측", "전방 측" 및 "후방 측"이라는 용어는 첨부된 도면 전반에 걸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The terms “upper side,” “lower side,” “left side,” “right side,” “front side,” and “rear side”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to be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the coordinate system depicted throughout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설치 부재(10)가 도시된다. Referring to FIG. 1, an installation member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치 부재(10)는 출수 장치(20)와 함께, 또는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설치 부재(10)는 출수 장치(20)의 설치 대상인 플레이트(P)에 관통되어 결합되어 그 일부는 플레이트(P)의 상측에, 나머지 일부는 플레이트(P)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The installation memb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together with or separately from the discharge device (20). The installation member (10) may be connected by penetrating the plate (P) on which the discharge device (20) is to be installed, such that a portion of the installation member may be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plate (P) and the remaining portion may be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plate (P).

출수 장치(20)의 다른 구성은 플레이트(P)와 결합된 설치 부재(10)에 의해 플레이트(P)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출수 장치(20)의 다른 구성은 회전 가능하게 설치 부재(10)와 결합될 수 있다.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discharge device (20) may be coupled to the plate (P) by an installation member (10) coupled to the plate (P). In this case,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discharge device (2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installation member (10).

설치 부재(10)가 플레이트(P)에 형성된 삽입 홀(H)에 관통된 후, 플레이트(P)에 밀착되도록 조여지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설치 부재(10)를 플레이트(P)에 밀착시키는 과정은, 플레이트(P)의 높이 방향의 일 측, 즉 상측에서 수행될 수 있다. After the installation member (10) penetrates the insertion hole (H) formed in the plate (P), a process of tightening it so that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late (P) can be performed. At this time, the process of inching the installation member (10) to the plate (P) can be performed on one side of the height direction of the plate (P), that is, on the upper side.

따라서, 출수 장치(20)가 빌트-인(built-in) 형태로 구비되어 싱크대(sink) 등에 설치되는 경우, 설치 부재(10) 및 출수 장치(20)의 설치 과정은 싱크대의 외측에서 수행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water outlet device (20) is provided in a built-in form and installed in a sink, etc.,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installation member (10) and the water outlet device (20) can be performed on the outside of the sink.

결과적으로, 설치 부재(10) 및 출수 장치(20)를 설치하기 위한 작업은 협소한 싱크대의 내부 공간에서 수행되지 않아도 된다. 이에 따라, 설치 부재(10) 및 출수 장치(20)를 설치하는 작업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As a result, the work for installing the installation member (10) and the water outlet device (20) does not have to be performed in the narrow interior space of the sink. Accordingly, the convenience of the work for installing the installation member (10) and the water outlet device (20) can be improved.

또한, 설치 부재(10)가 플레이트(P)와 결합되는 방향, 플레이트(P)와 설치 부재(10)를 밀착시키기 위해 인가되는 힘의 방향 및 출수 장치(20)가 설치 부재(10)와 결합되는 방향은 모두 설치 부재(10)의 높이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stallation member (10) is coupled with the plate (P), the direction of the force applied to bring the plate (P) and the installation member (10) into close contact,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water discharge device (20) is coupled with the installation member (10) can all be form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installation member (10), that is, in the up-down direc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따라서, 설치 부재(10) 및 출수 장치(20)의 설치 과정이 더욱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installation member (10) and the discharge device (20) can be carried out more easily.

이하의 설명에서, 설치 부재(10)는 빌트-인 형태로 구비되어 싱크대 또는 싱크 볼의 상판과 결합됨을 전제한다. 대안적으로, 설치 부재(10)는 임의의 판 부재에 관통되어 일부는 외부에 노출되고, 나머지는 내부에 수용되는 임의의 형태의 장치를 상기 판 부재와 결합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installation member (10) is provided in a built-in form and is coupled with the top plate of a sink or sink bowl. Alternatively,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stallation member (10) may be applied to couple an arbitrary form of device that penetrates an arbitrary plate member, with a portion of the device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remainder being accommodated inside, to the plate member.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설치 부재(10)는 하우징(100), 지지 부재(200) 및 조임 부재(300)를 포함한다.In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the installation member (10) includes a housing (100), a support member (200), and a tightening member (300).

하우징(100)은 설치 부재(10)의 외형의 일부를 구성한다. 하우징(100)은 설치 부재(10)가 플레이트(P)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0)의 일부 구성(즉, 후술될 스토퍼(130))는 플레이트(P)의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면에 안착된다. 하우징(100)의 다른 구성(즉, 후술될 제2 하우징 몸체(120))은 플레이트(P)에 관통 형성된 삽입 홀(H)에 관통되어, 플레이트(P)의 하측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된다.The housing (100) constitutes a part of the outer shape of the installation member (10). The housing (100) is a part where the installation member (10) is coupled to the plate (P). Specifically, a part of the housing (100) (i.e., a stopper (130) to be described later)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plate (P), the upper sid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nother part of the housing (100) (i.e., a second housing body (120) to be described later) is penetrated through an insertion hole (H) formed through the plate (P) and is at least partially exposed to the lower side of the plate (P).

하우징(100)은 플레이트(P) 또는 삽입 홀(H)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우징(100)은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는 입체도형 형상이다. 이때, 하우징(100)의 각 부분은 높이 방향을 따라 서로 상이한 단면적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00)의 일부 구성은 플레이트(P)의 상측에 위치되고, 하우징(100)의 다른 구성은 플레이트(P)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The housing (10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late (P) or the insertion hole (H).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housing (100) has a three-dimensional shape with a circular cross-section and a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is time, each part of the housing (100) may be formed to have a different cross-sectional area along the height direction. Accordingly, some components of the housing (100) may be positioned above the plate (P), and other components of the housing (100) may be positioned below the plate (P).

하우징(100)은 지지 부재(200)와 결합된다. 하우징(100)은 지지 부재(200)에 의해 플레이트(P)와 밀착될 수 있다. The housing (100) is coupled to a support member (200). The housing (100)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plate (P) by the support member (200).

하우징(100)은 지지 부재(200)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우징(100)은 지지 부재(200)를 승강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동시에, 하우징(100)은 지지 부재(200)를 방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The housing (100) can movably accommodate the support member (200). That i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housing (100) can movably accommodate the support member (200). At the same time, the housing (100) can radially accommodate the support member (200).

후술될 바와 같이, 지지 부재(200)는 하우징(100)과 같은 방향의 높이, 즉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200)는 상하 방향의 부분 중 일 부분을 축으로 하여 방사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부재(200)의 일부는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노출되거나 노출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upport member (200) may be formed to have a height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housing (100), i.e., a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upport member (200) may be rotated radially about a portion of the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an axis. Accordingly, a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200) may be positioned to be exposed or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상기와 같은 지지 부재(200)의 구조 및 하우징(100)과 지지 부재(200)의 결합 관계에 의해, 하우징(100)의 일부는 삽입 홀(H)에 관통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Due to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member (200) as described above and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housing (100) and the support member (200), a part of the housing (100) can penetrate into the insertion hole (H).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하우징(100)은 조임 부재(300)와 결합된다. 하우징(100)은 조임 부재(300)에 의해 지지 부재(200) 및 플레이트(P)와 밀착될 수 있다. 상기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The housing (100) is coupled with a tightening member (300). The housing (100)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member (200) and the plate (P) by the tightening member (300).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bove process will be described later.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우징(100)은 제1 하우징 몸체(110), 제2 하우징 몸체(120), 스토퍼(stopper)(130), 하우징 개구부(140) 및 조임 부재 관통공(150)을 포함한다.In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FIGS. 3 to 6, the housing (100) includes a first housing body (110), a second housing body (120), a stopper (130), a housing opening (140), and a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 (150).

제1 하우징 몸체(110)는 하우징(100)의 외형의 일 부분을 구성한다. 제1 하우징 몸체(110)는 하우징(100)의 높이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을 구성한다. 제1 하우징 몸체(110)는 플레이트(P)의 높이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 노출된다. The first housing body (110) constitutes a portion of the outer shape of the housing (100). The first housing body (110) constitutes one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the upper sid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irst housing body (110) is exposed to one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plate (P), the upper sid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제1 하우징 몸체(110)는 출수 장치(20)에 구비되는 파이프 부재(22)에 수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 몸체(110)는 파이프 부재(22)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housing body (110) can be accommodated in a pipe member (22) provided in the discharge device (20). In one embodiment, the first housing body (110) can be rotatably coupled with the pipe member (22).

제1 하우징 몸체(110)는 스토퍼(130)와 연속된다. 제1 하우징 몸체(110)의 높이 방향의 각 측 중 플레이트(P)를 향하는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은 스토퍼(130)와 연속된다. 제1 하우징 몸체(110)는 스토퍼(130)를 사이에 두고 제2 하우징 몸체(120)를 마주하게 배치된다.The first housing body (110) is continuous with the stopper (130). One side of each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rst housing body (110), which faces the plate (P),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is continuous with the stopper (130). The first housing body (110) is arranged to face the second housing body (120) with the stopper (130) therebetween.

제1 하우징 몸체(110)에는 하우징 개구부(14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하우징 몸체(110)의 높이 방향의 타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는 삽입 개구부(14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 몸체(110)의 외주에는 그 높이 방향 및 외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정 개구부(142)가 형성될 수 있다. A housing opening (140) is formed in the first housing body (110). Specifically, an insertion opening (141)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rst housing body (110), i.e., the upper sid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n adjustment opening (142)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outer circumference direction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housing body (110).

제1 하우징 몸체(110)에는 조임 부재 관통공(150)이 형성된다. 조임 부재(300)는 조임 부재 관통공(150)에 관통 결합되어, 플레이트(P)와 밀착되도록 지지 부재(200)를 상승시킬 수 있다. A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 (150) is formed in the first housing body (110). A tightening member (300) is penetrated and connected to the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 (150) to raise the support member (200)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plate (P).

제1 하우징 몸체(110)는 지지 부재(20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한다. 구체적으로, 제1 하우징 몸체(110)는 지지 부재(200)의 지지 헤드부(210) 및 지지 몸체부(220)의 일부를 수용한다. The first housing body (110) at least partially accommodates the support member (200). Specifically, the first housing body (110) accommodates a portion of the support head portion (210) and the support body portion (220) of the support member (200).

이때, 제1 하우징 몸체(110)는 지지 부재(200)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즉, 제1 하우징 몸체(110)는 지지 부재(200)를 승강 가능하게, 그리고 방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housing body (110) can movably accommodate the support member (200). That is, the first housing body (110) can accommodate the support member (200) so as to be able to rise and fall and move in a radial direction.

제1 하우징 몸체(110)는 파이프 부재(22)와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 몸체(110)는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는 다각기둥 형상이다. 제1 하우징 몸체(110)의 수평 방향의 단면의 각 모서리는 곡면 또는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housing body (110) may have any shape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pipe member (22).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irst housing body (110) has a polygonal prism shape having a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Each corner of the horizontal cross-section of the first housing body (110) may be formed as a curved surface or a straight line.

이때, 제1 하우징 몸체(110)의 수평 방향의 단면의 각 부분의 직경 중 가장 긴 부분의 직경은, 파이프 부재(22)의 내경 또는 스토퍼(130)의 단면의 직경 이하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longest part among the diameters of each part of the horizontal cross-section of the first housing body (110)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pipe member (22) or the diameter of the cross-section of the stopper (130).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 몸체(110)는 제1 하우징 공간(111)을 포함한다. In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FIGS. 3 to 6, the first housing body (110) includes a first housing space (111).

제1 하우징 공간(111)은 제1 하우징 몸체(1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다. 제1 하우징 공간(111)은 지지 부재(200)의 일 부분을 이동 가능하게 수용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 공간(111)은 지지 부재(200)를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한다.The first housing space (111) is a space formed inside the first housing body (110). The first housing space (111) movably accommodates a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20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irst housing space (111) accommodates the support member (200) movably in the up-down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제1 하우징 공간(111)은 제1 하우징 몸체(110)의 내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 공간(111)의 높이 방향의 일 측, 즉 상측 및 방사 방향은 제1 하우징 몸체(110)의 내면에 둘러싸인다.The first housing space (111) is at least partially surround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body (11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one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rst housing space (111), i.e., the upper side and the radial direction, is surround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body (110).

제1 하우징 공간(111)은 하우징 개구부(140)와 연통된다. 제1 하우징 공간(111)은 하우징 개구부(140)를 통해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The first housing space (111) is connected to the housing opening (140). The first housing space (111) can be connec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ousing opening (140).

구체적으로, 제1 하우징 공간(111)은 삽입 개구부(141)를 통해 외부와 높이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연통된다. 지지 부재(200)는 삽입 개구부(141)를 통해 제1 하우징 공간(111)으로 진입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housing space (111) is connected to the outside in the height direction, i.e., in the up-down direction, through the insertion opening (141). The support member (200) can enter the first housing space (111) through the insertion opening (141).

제1 하우징 공간(111)은 조정 개구부(142)를 통해 외부와 수평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연통된다. 지지 부재(200)는 조정 개구부(142)를 통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first housing space (111) is connected horizontally, i.e., left-right, with the outside through an adjustment opening (142). The support member (200) can be moved left-right through the adjustment opening (142).

제1 하우징 공간(111)은 연통 개구부(144)를 통해 제2 하우징 공간(121)과 높이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연통된다. 제1 하우징 공간(111)에 진입된 지지 부재(200)는 연통 개구부(144)를 통해 제2 하우징 공간(121)으로 진입될 수 있다.The first housing space (111) is connected in the height direction, i.e., in the up-down direction, with the second housing space (121) through the communication opening (144). The support member (200) that enters the first housing space (111) can enter the second housing space (121) through the communication opening (144).

제1 하우징 공간(111)은 지지 부재(20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 공간(111)은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는 원통 형상이다. The first housing space (111)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upport member (20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irst housing space (111)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 circular cross-section and a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2 하우징 몸체(120)는 하우징(100)의 외형의 다른 부분을 구성한다. 제2 하우징 몸체(120)는 하우징(100)의 높이 방향의 타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을 구성한다. 제2 하우징 몸체(120)는 플레이트(P)의 높이 방향의 타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 노출된다. The second housing body (120) constitutes another part of the exterior of the housing (100). The second housing body (120) constitutes the other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the lower sid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econd housing body (120) is exposed to the other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plate (P), the lower sid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제2 하우징 몸체(120)는 설치 부재(10) 또는 출수 장치(20)가 결합되는 싱크대 등의 내부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하우징 몸체(120)는 싱크대 등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The second housing body (120) can be positioned in an internal space of a sink or the like to which the installation member (10) or the water outlet device (20) is coupled. The second housing body (12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ink or the like.

제2 하우징 몸체(120)는 스토퍼(130)와 연속된다. 제2 하우징 몸체(120)의 높이 방향의 각 측 중 플레이트(P)를 향하는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은 스토퍼(130)와 연속된다. 제2 하우징 몸체(120)는 스토퍼(130)를 사이에 두고 제1 하우징 몸체(110)를 마주하게 배치된다. The second housing body (120) is continuous with the stopper (130). One side of each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econd housing body (120), which faces the plate (P),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is continuous with the stopper (130). The second housing body (120) is arranged to face the first housing body (110) with the stopper (130) interposed therebetween.

제2 하우징 몸체(120)에는 하우징 개구부(14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 하우징 몸체(120)의 외주에는 그 높이 방향 및 외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개구부(143)가 형성될 수 있다. A housing opening (140) is formed in the second housing body (120). Specifically, a support opening (143)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outer circumference direction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housing body (120).

제2 하우징 몸체(120)는 지지 부재(20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한다. 구체적으로, 제2 하우징 몸체(120)는 지지 부재(200)의 지지 몸체부(220)의 다른 일부 및 지지 돌출부(230)를 수용한다. The second housing body (120) at least partially accommodates the support member (200). Specifically, the second housing body (120) accommodates another portion of the support body portion (220) of the support member (200) and the support protrusion (230).

이때, 제2 하우징 몸체(120)는 지지 부재(200)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즉, 제2 하우징 몸체(120)는 지지 부재(200)를 승강 가능하게, 그리고 방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cond housing body (120) can movably accommodate the support member (200). That is, the second housing body (120) can accommodate the support member (200) so as to be able to rise and fall and move in a radial direction.

제2 하우징 몸체(120)는 스토퍼(130)에 의해 제1 하우징 몸체(110)와 연속되고, 플레이트(P)의 하측에 위치되어 지지 부재(200)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하우징 몸체(120)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는 원기둥 형상이다.The second housing body (120) may be any shape that is continuous with the first housing body (110) by a stopper (130) and is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plate (P) and can be movably coupled with the support member (20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econd housing body (120)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 circular cross-section and a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때, 제2 하우징 몸체(120)의 수평 방향의 단면의 외경은 플레이트(P)에 형성되는 삽입 홀(H)의 직경 이하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outer diameter of the horizontal cross-section of the second housing body (120)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H) formed in the plate (P).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하우징 몸체(120)는 제2 하우징 공간(121), 이탈 방지 리브(122) 및 승강 제한 면(123)을 포함한다.In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FIGS. 3 to 6, the second housing body (120) includes a second housing space (121), a detachment prevention rib (122), and a lifting/lowering restriction surface (123).

제2 하우징 공간(121)은 제2 하우징 몸체(12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다. 제2 하우징 공간(121)은 지지 부재(200)의 다른 부분을 이동 가능하게 수용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하우징 공간(121)은 지지 부재(200)를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한다.The second housing space (121) is a space formed inside the second housing body (120). The second housing space (121) movably accommodates another part of the support member (20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econd housing space (121) movably accommodates the support member (200) in the up-down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제2 하우징 공간(121)은 제2 하우징 몸체(120)의 내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하우징 공간(121)의 방사 방향은 제2 하우징 몸체(120)의 내면에 둘러싸인다.The second housing space (121) is at least partially surround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body (12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econd housing space (121) is surround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body (120).

제2 하우징 공간(121)의 높이 방향의 각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및 하측은 각각 개방 형성된다. 제2 하우징 공간(121)의 높이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은 개방 형성된다.Each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econd housing space (121),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upper and lower sides are formed as open. One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econd housing space (121),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lower side is formed as open.

제2 하우징 공간(121)은 하우징 개구부(140)와 연통된다. The second housing space (121) is connected to the housing opening (140).

구체적으로, 제2 하우징 공간(121)은 지지 개구부(143)를 통해 외부와 수평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연통된다. 지지 부재(200)는 지지 개구부(143)를 통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econd housing space (121) is connected horizontally, i.e., left-right, with the outside through the support opening (143). The support member (200) can be moved left-right through the support opening (143).

제2 하우징 공간(121)의 높이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은 개방 형성되어 연통 개구부(144)에 의해 제1 하우징 공간(111)과 연통된다. 제1 하우징 공간(111)에 진입된 지지 부재(200)는 연통 개구부(144)를 통해 제2 하우징 공간(121)으로 진입될 수 있다. One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econd housing space (121),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upper side, is formed open and communicates with the first housing space (111) through a communication opening (144). The support member (200) that enters the first housing space (111) can enter the second housing space (121) through the communication opening (144).

제2 하우징 공간(121)은 제2 하우징 몸체(120) 또는 지지 부재(20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하우징 공간(121)은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는 원통 형상이다.The second housing space (121)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econd housing body (120) or the support member (20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econd housing space (121)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 circular cross-section and a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탈 방지 리브(122)는 제2 하우징 몸체(120)의 외주의 일부를 구성한다. 이탈 방지 리브(122)는 복수 개의 지지 돌출부(230)가 관통되는 복수 개의 지지 개구부(143) 사이에 위치된다. 이탈 방지 리브(122)는 복수 개의 지지 돌출부(230) 사이에 위치되어 지지 몸체부(220)와 접촉됨으로써 지지 돌출부(230)의 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The anti-separation rib (122) forms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housing body (120). The anti-separation rib (122) is positioned between a plurality of support openings (143)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230) penetrate. The anti-separation rib (122) is positioned between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230)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pport body part (220), thereby preventing arbitrary separation of the support protrusions (230).

이탈 방지 리브(122)는 제2 하우징 몸체(120)의 외주를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 개구부(143) 사이에 위치된다. 이탈 방지 리브(122)는 제2 하우징 몸체(120)의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고, 제2 하우징 몸체(120)의 외주 방향의 폭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The anti-separation rib (122) is positioned between a pair of support openings (143)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housing body (120). The anti-separation rib (122) may be formed to have a height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econd housing body (120), i.e., a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nd a width in the outer periphery direction of the second housing body (120).

이탈 방지 리브(122)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이탈 방지 리브(122)는 복수 개의 각 쌍의 지지 개구부(143) 사이에 위치되어, 복수 개의 지지 부재(200a, 200b)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 개의 지지 몸체부(220)와 각각 접촉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anti-separation ribs (122) may be provided. A plurality of anti-separation ribs (122) are positioned between a plurality of pairs of support openings (143) and may come into contact with a plurality of support body parts (220) provided on each of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200a, 200b).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이탈 방지 리브(122)는 한 쌍 구비된다. 어느 하나의 이탈 방지 리브(122)는 좌측에 위치되는 한 쌍의 지지 개구부(143) 사이에 위치되고, 다른 하나의 이탈 방지 리브(122)는 우측에 위치되는 다른 한 쌍의 지지 개구부(143) 사이에 위치된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 pair of anti-separation ribs (122) are provided. One anti-separation rib (122) is positioned between a pair of support openings (143) located on the left side, and the other anti-separation rib (122) is positioned between another pair of support openings (143) located on the right side.

승강 제한 면(123)은 승강되는 지지 부재(200)의 지지 돌출부(230)와 접촉되어 지지 부재(200)의 승강 거리를 제한하게 구성된다. 승강 제한 면(123)은 제2 하우징 몸체(120)의 외주에 관통 형성되는 지지 개구부(143)를 높이 방향에서 둘러싼다.The lifting limiting surface (123)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support protrusion (230) of the lifting support member (200) and limit the lifting distance of the support member (200). The lifting limiting surface (123) surrounds the support opening (143) formed through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housing body (120) in the height direction.

따라서, 지지 부재(200)는 방사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지지 개구부(143)에 관통된 지지 돌출부(230)가 승강 제한 면(123)과 접촉될 때까지 승강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upport member (200) can be raised and lowered until the support protrusion (230) penetrating the support opening (14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ifting limiting surface (123) without moving in the radial direction.

승강 제한 면(123)은 복수 개 정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승강 제한 면(123)은 지지 개구부(143)의 높이 방향의 각 측을 각각 둘러쌀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승강 제한 면(123)은 한 쌍 정의되어, 지지 개구부(143)의 상측 및 하측을 각각 둘러싼다.A plurality of lifting limiting surfaces (123) can be defined. A plurality of lifting limiting surfaces (123) can surround each side of the support opening (143) in the height direction, respectively.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 pair of lifting limiting surfaces (123) are defined, each surrounding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upport opening (143).

스토퍼(130)는 제1 하우징 몸체(110) 및 제2 하우징 몸체(120)를 연결한다. 스토퍼(130)는 제1 하우징 몸체(110) 및 제2 하우징 몸체(120) 사이에 위치된다. The stopper (130) connects the first housing body (110) and the second housing body (120). The stopper (130)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housing body (110) and the second housing body (120).

또한, 스토퍼(130)는 하우징(100)이 플레이트(P)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스토퍼(130)는 제1 하우징 몸체(110)와 함께 플레이트(P)의 상측에 위치된다.Additionally, the stopper (130) is a portion where the housing (100) is mounted on the plate (P). The stopper (130)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plate (P) together with the first housing body (110).

스토퍼(130)는 제1 하우징 몸체(110) 및 제2 하우징 몸체(120)를 연결하고, 플레이트(P)에 안착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스토퍼(130)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의 두께를 갖는 원판 형상이다.The stopper (130) connects the first housing body (110) and the second housing body (120) and may have any shape that can be mounted on the plate (P).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topper (130) has a circular cross-section and a disc shape with a thickness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때, 스토퍼(130)의 단면의 외경은 삽입 홀(H)의 단면의 직경을 초과하게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스토퍼(130) 및 이와 결합된 제1 하우징 몸체(110)는 삽입 홀(H)에 삽입되지 않고, 플레이트(P)에 안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outer diameter of the cross-section of the stopper (130) may be extended to exceed the diameter of the cross-section of the insertion hole (H). Accordingly, the stopper (130) and the first housing body (110) combined therewith may be maintained in a state of being seated on the plate (P) without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H).

스토퍼(130)의 내부에는 연통 개구부(144)가 관통 형성된다. 제1 하우징 공간(111) 및 제2 하우징 공간(121)은 연통 개구부(144)에 의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A communication opening (144) is formed through the inside of the stopper (130). The first housing space (111) and the second housing space (121) can b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by the communication opening (144).

스토퍼(130)의 면 중 플레이트(P)를 향하는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면에는 마찰 패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마찰 패드(미도시)는 스토퍼(130)의 하측 면과 플레이트(P)의 상면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하우징(100)의 임의 이동을 방지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마찰 패드(미도시)는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A friction pad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topper (130) facing the plate (P),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lower side. The friction pad (not shown) may be configured to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stopper (130) and the upper side of the plate (P), thereby preventing arbitrary movement of the housing (100). In one embodiment, the friction pad (not shown) may be formed of a rubber or silicone material.

하우징 개구부(140)는 제1 하우징 공간(111) 및 제2 하우징 공간(121)을 서로 연통한다. 또한, 하우징 개구부(140)는 제1 하우징 공간(111) 및 제2 하우징 공간(121)을 외부와 연통한다. The housing opening (140) connects the first housing space (111) and the second housing space (121)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housing opening (140) connects the first housing space (111) and the second housing space (121) to the outside.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우징 개구부(140)는 삽입 개구부(141), 조정 개구부(142), 지지 개구부(143) 및 연통 개구부(144)를 포함한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housing opening (140) includes an insertion opening (141), an adjustment opening (142), a support opening (143), and a communication opening (144).

삽입 개구부(141)는 제1 하우징 공간(111)을 높이 방향에서 외부와 연통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삽입 개구부(141)는 제1 하우징 몸체(110)의 높이 방향의 일 측, 즉 상측에 관통 형성되어, 제1 하우징 공간(111)의 상측을 외부와 연통한다. The insertion opening (141) communicates the first housing space (111) with the outside in the height direc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insertion opening (141) is formed through one side, i.e., the upper side, of the first housing body (110) in the height direction, thereby communicating the upper side of the first housing space (111) with the outside.

삽입 개구부(141)는 지지 부재(200)가 제1 하우징 공간(111)에 수용되는 통로를 구성한다. 이를 위해, 삽입 개구부(141)는 단수 개의 지지 부재(200)의 부분 중 가장 큰 단면적을 갖는 부분에 비해 큰 단면적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The insertion opening (141) form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support member (200) is received in the first housing space (111). To this end, the insertion opening (141) may be formed to have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a portion having the largest cross-sectional area among the portions of the single support member (200).

삽입 개구부(141)는 제1 하우징 공간(111)을 외부와 연통하고, 지지 부재(200)가 제1 하우징 공간(111)에 수용되는 통로를 구성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삽입 개구부(141)는 적어도 한 개의 곡면을 갖는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의 두께를 갖는 공간으로 형성된다. The insertion opening (141) may have any shape that can form a passageway that connects the first housing space (111) to the outside and allows the support member (200) to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housing space (111).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insertion opening (141) has a cross-section with at least one curved surface and is formed as a space having a thickness in the vertical direction.

조정 개구부(142)는 제1 하우징 공간(111)을 수평 방향에서 외부와 연통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조정 개구부(142)는 제1 하우징 몸체(110)의 외주에 관통 형성되어 제1 하우징 공간(111)을 방사 방향에서 외부와 연통한다.The adjustment opening (142) horizontally communicates the first housing space (111) with the outsid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adjustment opening (142) is formed through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housing body (110) to radially communicate the first housing space (111) with the outside.

조정 개구부(142)는 지지 부재(200)의 지지 헤드부(210)가 외부에 노출되는 통로를 구성한다. 이를 위해, 조정 개구부(142)의 폭은 지지 헤드부(210)의 폭, 즉 전후 방향의 길이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djustment opening (142) form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support head (210) of the support member (200) is exposed to the outside. To this end, the width of the adjustment opening (142) may be formed to be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support head (210), i.e., the length in the front-back direction.

조정 개구부(142)는 제1 하우징 공간(111)을 외부와 연통하고, 지지 헤드부(210)가 관통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조정 개구부(142)는 제1 하우징 몸체(110)의 외주를 따라 연장되고,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는 곡면 형상의 공간으로 형성된다. The adjustment opening (142) may be of any shape that allows the first housing space (111)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nd allows the support head portion (210) to pass through.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adjustment opening (142) is formed as a curved space that extends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housing body (110) and has a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조정 개구부(142)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조정 개구부(142)는 제1 하우징 몸체(110)의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조정 개구부(142)는 한 쌍 형성되어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다. A plurality of adjustment openings (142) may be provided. A plurality of adjustment openings (142)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irst housing body (11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adjustment openings (142) are formed in a pair and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right direction.

한 쌍의 조정 개구부(142)는 제1 하우징 공간(111)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며, 각각 제1 하우징 공간(111)과 연통된다. 각 쌍의 조정 개구부(142)에는 제1 및 제2 지지 부재(200a, 200b)의 지지 헤드부(210)가 각각 승강 가능하게 위치된다.A pair of adjustment openings (142) face each other with the first housing space (111)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re each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space (111). In each pair of adjustment openings (142), the support head parts (210)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00a, 200b) are positioned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지지 개구부(143)는 제2 하우징 공간(121)을 수평 방향에서 외부와 연통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개구부(143)는 제2 하우징 몸체(120)의 외주에 관통 형성되어 제2 하우징 공간(121)을 방사 방향에서 외부와 연통한다.The support opening (143) horizontally communicates the second housing space (121) with the outsid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upport opening (143) is formed penetrat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housing body (120) to radially communicate the second housing space (121) with the outside.

지지 개구부(143)는 지지 부재(200)의 지지 돌출부(230)가 외부에 노출되는 통로를 구성한다. 이를 위해, 지지 개구부(143)의 폭은 지지 돌출부(230)의 폭, 즉 전후 방향의 길이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opening (143) form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support protrusion (230) of the support member (200) is exposed to the outside. To this end, the width of the support opening (143) may be formed to be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support protrusion (230), that is, the length in the front-back direction.

지지 개구부(143)는 제2 하우징 공간(121)을 외부와 연통하고, 지지 돌출부(230)가 관통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개구부(143)는 제2 하우징 몸체(120)의 외주를 따라 연장되고,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는 곡면 형상의 공간으로 형성된다. The support opening (143) communicates the second housing space (121) with the outside and may have any shape through which the support protrusion (230) can penetrat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upport opening (143) extends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housing body (120) and is formed as a curved space having a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지지 개구부(143)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지지 개구부(143)는 제2 하우징 몸체(120)의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개구부(143)는 총 두 쌍 구비되어, 각 쌍의 지지 개구부(143)가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다. A plurality of support openings (143) may be provided. The plurality of support openings (143)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econd housing body (12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 total of two pairs of support openings (143) are provided, and each pair of support openings (143)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right direction.

각 쌍의 지지 개구부(143)는 제2 하우징 공간(121)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며, 각각 제2 하우징 공간(121)과 연통된다. 각 쌍의 지지 개구부(143)에는 제1 및 제2 지지 부재(200a, 200b)의 한 쌍의 지지 돌출부(230)가 각각 승강 가능하게 위치된다.Each pair of support openings (143) faces each other with the second housing space (121) interposed therebetween, and each is connected to the second housing space (121). In each pair of support openings (143), a pair of support protrusions (230)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00a, 200b) are positioned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또한, 한 쌍의 지지 개구부(143) 사이에는 이탈 방지 리브(122)가 위치된다. 이탈 방지 리브(122)는 한 쌍의 지지 돌출부(230) 사이에 위치되어, 제2 하우징 공간(121)에 수용된 지지 몸체부(220) 또는 지지 돌출부(230)의 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 detachment prevention rib (122) is positioned between a pair of support openings (143). The detachment prevention rib (122) is positioned between a pair of support protrusions (230) to prevent arbitrary detachment of the support body part (220) or the support protrusions (230) accommodated in the second housing space (121).

연통 개구부(144)는 제1 하우징 공간(111)과 제2 하우징 공간(121)을 연통한다. 연통 개구부(144)는 제1 하우징 몸체(110) 및 제2 하우징 몸체(120) 사이에 위치되는 스토퍼(130)의 내부에 관통 형성된다. 연통 개구부(144)는 하우징(100)의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제1 하우징 공간(111) 및 제2 하우징 공간(121) 사이에 위치된다. The communication opening (144) communicates the first housing space (111) and the second housing space (121). The communication opening (144) is formed penetratingly inside the stopper (130) located between the first housing body (110) and the second housing body (120). The communication opening (144)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housing space (111) and the second housing space (121)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연통 개구부(144)는 제1 하우징 공간(111) 및 제2 하우징 공간(121)을 연통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연통 개구부(144)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의 두께를 갖는 원통 형상의 공간으로 형성된다.The communication opening (144) may have any shape that can communicate the first housing space (111) and the second housing space (121).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opening (144) is formed as a cylindrical space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and a thickness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때, 연통 개구부(144)의 단면의 직경은 제1 하우징 공간(111)의 단면의 직경 및 제2 하우징 공간(121)의 단면의 직경과 같을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 몸체(110), 제2 하우징 몸체(120) 및 스토퍼(130)의 내면은 돌출되거나 함몰된 부분 없이 연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부재(200)가 제1 하우징 공간(111) 또는 제2 하우징 공간(121)에 용이하게 삽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cross-section of the communication opening (144) may be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cross-section of the first housing space (111) and the diameter of the cross-section of the second housing space (121). In the above embodiment,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housing body (110), the second housing body (120), and the stopper (130) may be continuous without any protruding or sunken portions. Accordingly, the support member (200) may be easily inserted or withdrawn into the first housing space (111) or the second housing space (121).

조임 부재 관통공(150)은 조임 부재(300)가 하우징(100)과 결합되는 부분이다. 조임 부재 관통공(150)은 제1 하우징 몸체(110) 및 스토퍼(13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조임 부재 관통공(150)은 플레이트(P)의 상측에 위치되어, 플레이트(P)의 외측에 노출될 수 있다. The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 (150) is a portion where the tightening member (300) is coupled to the housing (100). The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 (150)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first housing body (110) and the stopper (130). The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 (150) may be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plate (P) and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late (P).

조임 부재 관통공(150)은 조임 부재(300)의 조임 몸체부(320)가 관통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조임 부재 관통공(150)은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의 두께를 갖는 원판 형상이다.The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 (150) may have any shape through which the tightening body part (320) of the tightening member (300) can pas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 (150) has a circular cross-section and a disc shape having a thickness in the vertical direction.

지지 부재(200)가 하우징(100)과 결합된 상태에서, 조임 부재 관통공(150)은 하우징(100)의 높이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조임 부재 결합공(240)과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조임 부재(300)는 조임 부재 관통공(150) 및 조임 부재 결합공(240)에 동시에 관통 결합될 수 있다. In a state where the support member (200) is coupled with the housing (100), the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 (150) can be arranged to overlap with the tightening member joining hole (240)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i.e., in the up-down direction. Accordingly, the tightening member (300) can be simultaneously coupled through the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 (150) and the tightening member joining hole (240).

도시된 실시 예에서, 조임 부재 관통공(150)은 제1 조임 부재 관통공(151) 및 제2 조임 부재 관통공(152)을 포함한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 (150) includes a first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 (151) and a second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 (152).

제1 조임 부재 관통공(151)은 제1 하우징 몸체(110)에 형성되어, 조임 부재(300)가 제1 하우징 몸체(110)와 결합되는 부분을 구성한다. 제1 조임 부재 관통공(151)은 제1 하우징 몸체(110)의 높이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면에 관통 형성된다.The first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 (151) is formed in the first housing body (110) and constitutes a portion where the tightening member (300) is coupled with the first housing body (110). The first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 (151) is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first housing body (110) in the height direction, that is, the upper surfac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제1 조임 부재 관통공(151)은 하우징(100)의 높이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제2 조임 부재 관통공(152)과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조임 부재 관통공(151)에 관통된 조임 부재(300)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 조임 부재 관통공(152)에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 (151) can be arranged to overlap the second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 (152)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i.e., in the up-down direction. Accordingly, the tightening member (300) penetrated through the first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 (151) can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oupled to the second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 (152).

제1 조임 부재 관통공(151)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조임 부재 관통공(151)은 서로 이격 배치되어, 복수 개의 제2 조임 부재 관통공(152) 및 복수 개의 조임 부재 결합공(240)과 각각 상하 방향으로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first tightening member penetration holes (151) can be formed. A plurality of first tightening member penetration holes (151) can b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overlapp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a plurality of second tightening member penetration holes (152) and a plurality of tightening member joining holes (240), respectively.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조임 부재 관통공(151)은 총 네 개 형성된다. 한 쌍의 제1 조임 부재 관통공(151)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전방 측에 위치된다. 다른 한 쌍의 제1 조임 부재 관통공(151)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후방 측에 위치된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 total of four first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s (151) are formed. One pair of first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s (151) are spaced apart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are located on the front side. Another pair of first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s (151) are spaced apart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are located on the rear side.

달리 표현하면, 네 개의 제1 조임 부재 관통공(151)은 제1 하우징 몸체(110)의 각 모서리(corner)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삽입 개구부(141)를 사이에 두고 사선 방향으로 마주하게 배치된다.In other words, four first tightening member penetration holes (151) are positioned adjacent to each corner of the first housing body (110) and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diagonally with the insertion opening (141) interposed therebetween.

제1 조임 부재 관통공(151)의 개수 및 배치 방식은 제2 조임 부재 관통공(152) 및 조임 부재 결합공(240)의 개수 및 배치 방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first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s (151)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second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s (152) and the tightening member joining holes (240).

제2 조임 부재 관통공(152)은 스토퍼(130)에 형성되어, 조임 부재(300)가 스토퍼(130)와 결합되는 부분을 구성한다. 제2 조임 부재 관통공(152)은 스토퍼(130)의 외주의 방사상 내측에 관통 형성된다.The second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 (152) is formed in the stopper (130) and constitutes a portion where the tightening member (300) is coupled with the stopper (130). The second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 (152) is formed radially inwardly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opper (130).

제2 조임 부재 관통공(152)은 하우징(100)의 높이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제1 조임 부재 관통공(151)과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조임 부재 관통공(151)에 관통된 조임 부재(300)는 제2 조임 부재 관통공(152)을 관통하여 플레이트(P)까지 연장될 수 있다. The second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 (152) may be arranged to overlap the first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 (151)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i.e., in the up-down direction. The tightening member (300) that penetrates the first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 (151) may extend to the plate (P) by penetrating the second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 (152).

제2 조임 부재 관통공(152)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조임 부재 관통공(152)은 서로 이격 배치되어, 복수 개의 제1 조임 부재 관통공(151) 및 복수 개의 조임 부재 결합공(240)과 각각 상하 방향으로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second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s (152) can be formed. The plurality of second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s (152) can b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overlapp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plurality of first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s (151) and the plurality of tightening member joining holes (240), respectively.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조임 부재 관통공(152)은 총 네 개 형성된다. 한 쌍의 제2 조임 부재 관통공(152)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전방 측에 위치된다. 다른 한 쌍의 제2 조임 부재 관통공(152)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후방 측에 위치된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 total of four second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s (152) are formed. One pair of second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s (152) are spaced apart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are located on the front side. Another pair of second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s (152) are spaced apart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are located on the rear side.

달리 표현하면, 네 개의 제2 조임 부재 관통공(152)은 스토퍼(130)의 내부에 형성되는 연통 개구부(144)를 사이에 두고 사선 방향으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In other words, the four second tightening member penetration holes (152) are arranged diagonally facing each other with a communication opening (144) formed inside the stopper (130) in between.

제2 조임 부재 관통공(152)의 개수 및 배치 방식은 제1 조임 부재 관통공(151) 및 조임 부재 결합공(240)의 개수 및 배치 방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second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s (152)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first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s (151) and the tightening member joining holes (240).

다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설치 부재(10)는 지지 부재(200)를 포함한다.Referring again to FIGS. 1 and 2, the installation member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member (200).

지지 부재(200)는 하우징(100)과 결합된다. 지지 부재(200)는 승강되어 플레이트(P)와 밀착되거나 이격될 수 있다. 지지 부재(200)와 플레이트(P)의 밀착에 의해, 설치 부재(10)가 플레이트(P)와 결합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200) is coupled with the housing (100). The support member (200) can be elevated to come into contact with or be separated from the plate (P). By the close contact between the support member (200) and the plate (P), the installation member (10) can be coupled with the plate (P).

지지 부재(200)는 플레이트(P)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지지 부재(200)는 하우징(100)과 결합된 상태로 삽입 홀(H)에 관통되어 플레이트(P)와 결합된다. 지지 부재(200)의 일부는 플레이트(P)의 상측에, 지지 부재(200)의 나머지 일부는 플레이트(P)의 하측에 위치된다.The support member (200) is coupled with the plate (P). Specifically, the support member (200) is coupled with the housing (100) and penetrates the insertion hole (H) to be coupled with the plate (P). A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200)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plate (P), and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200) is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plate (P).

지지 부재(200)는 하우징(1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지지 부재(200)는 결합된 조임 부재(300)를 축으로 하여 설치 부재(10)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에 의해, 지지 부재(200)는 하우징(100)의 외측에 노출되거나,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부재(200) 및 이와 결합된 하우징(100)이 삽입 홀(H)에 관통될 수 있다. The support member (200) is movably coupled to the housing (100). At this time, the support member (200) can be rotat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stallation member (10), or left and right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with the coupled tightening member (300) as an axis. By the rotation, the support member (200)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or accommodated in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Accordingly, the support member (200) and the housing (100) coupled thereto can penetrate the insertion hole (H).

더 나아가, 지지 부재(200)는 수평 방향을 따라 하우징(100)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100)과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부재(200)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100)과 결합될 수 있다. Furthermore, the support member (200) may be coupled with the housing (100) so as to be movable in the diametric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upport member (200) may be coupled with the housing (100) so as to be movable in the left-right direction.

이에 따라, 지지 부재(200)는 하우징(100)과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 헤드부(210)가 삽입 개구부(141)를 통해 방사 방향으로 돌출되는 방향 및 그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지지 부재(200)는 하우징(100)과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 돌출부(230)가 지지 개구부(143)를 통해 방사 방향으로 돌출되는 방향 및 그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upport member (200) can be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head portion (210) protrudes radially through the insertion opening (141) and in the opposite direction while being coupled with the housing (100). Similarly, the support member (200) can be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protrusion portion (230) protrudes radially through the support opening (143) and in the opposite direction while being coupled with the housing (100).

지지 부재(200)는 하우징(10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다. 지지 부재(200)가 상승되면, 지지 부재(200)의 상기 나머지 일부가 플레이트(P)와 밀착될 수 있다. 지지 부재(200)가 하강되면, 지지 부재(200)의 상기 나머지 일부가 플레이트(P)와 이격될 수 있다. 지지 부재(200)의 승강은 조임 부재(300)와의 결합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The support member (200) is movably connected to the housing (100). When the support member (200) is raised,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200)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plate (P). When the support member (200) is lowered,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200) can be separated from the plate (P). The elevation of the support member (200) can be achieved by connection with the tightening member (300).

지지 부재(200)는 조임 부재(300)와 결합된다. 조임 부재(300)는 조임 부재 관통공(150)에 관통되고, 지지 부재(200)와 관통된다. 조임 부재(300)에 외력이 인가되면, 지지 부재(200)가 승강될 수 있다. 또한, 조임 부재(300)에 외력이 인가되면, 지지 부재(200)가 설치 부재(10)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200) is coupled with the tightening member (300). The tightening member (300) penetrates the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 (150) and penetrates the support member (200).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tightening member (300), the support member (200) can be raised and lowered. In additio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tightening member (300), the support member (200) can be mov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stallation member (10), or in the left-right direc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지지 부재(20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지지 부재(200)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하우징(100), 조임 부재(300) 및 플레이트(P)와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부재(200)는 제1 지지 부재(200a) 및 제2 지지 부재(200b)를 포함하여 한 쌍 구비된다. 대안적으로, 지지 부재(200)는 세 개 이상 구비되어 서로 다른 위치에서 하우징(100), 조임 부재(300) 및 플레이트(P)와 결합될 수 있다. The support member (200) may be provided in multiple numbers. The multiple support members (200) may be coupled with the housing (100), the tightening member (300), and the plate (P) at different location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upport members (200) are provided in a pair, including a first support member (200a) and a second support member (200b). Alternatively, three or more support members (200) may be provided and coupled with the housing (100), the tightening member (300), and the plate (P) at different locations.

제1 지지 부재(200a)는 좌측에 위치되어, 좌측에 위치되는 조정 개구부(142) 및 연통 개구부(144)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된다. 제2 지지 부재(200b)는 우측에 위치되어, 우측에 위치되는 조정 개구부(142) 및 연통 개구부(144)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된다.The first support member (200a) is positioned on the left side and is at least partially positioned in the adjustment opening (142) and the communication opening (144) located on the left side. The second support member (200b) is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and is at least partially positioned in the adjustment opening (142) and the communication opening (144) located on the right side.

후술될 바와 같이, 제1 지지 부재(200a) 및 제2 지지 부재(200b)는 순차적으로 하우징(10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 부재(200a) 및 제2 지지 부재(200b) 각각은 하우징(100)보다 작은 크기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support member (200a)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00b) can be sequentially coupled to the housing (100). At this time, each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00a)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00b) can be formed to have a smaller size than the housing (100).

구체적으로, 제1 지지 부재(200a) 및 제2 지지 부재(200b) 각각은 제1 하우징 몸체(110)의 내부에 형성된 제1 하우징 공간(111)보다 작은 크기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 부재(200a) 및 제2 지지 부재(200b) 각각은 제2 하우징 몸체(120)의 내부에 형성된 제2 하우징 공간(121) 및 스토퍼(130)의 내부에 형성된 연통 개구부(144)보다 작은 크기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each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00a)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00b)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er size than the first housing space (111) formed inside the first housing body (110). 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00a)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00b)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er size than the second housing space (121) formed inside the second housing body (120) and the communication opening (144) formed inside the stopper (130).

바람직하게는, 제1 지지 부재(200a) 및 제2 지지 부재(200b) 각각은 제1 하우징 공간(111), 제2 하우징 공간(121) 및 연통 개구부(144)의 크기의 절반 이하의 크기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each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00a)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00b)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less than half of the size of the first housing space (111), the second housing space (121), and the communication opening (144).

구체적으로, 제1 지지 부재(200a) 및 제2 지지 부재(200b) 각각의 크기는 지지 헤드부(210) 및 지지 돌출부(230)의 돌출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ize of each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00a)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00b) can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protrusion of the support head portion (210) and the support protrusion portion (230).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지지 부재(200a, 200b) 각각의 크기는 제1 하우징 공간(111), 제2 하우징 공간(121) 및 연통 개구부(144)의 크기의 절반보다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은 경우에도 제1 및 제2 지지 부재(200a, 200b)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2 지지 부재(200a, 200b)의 수평 방향의 길이의 최대값은, 제1 하우징 공간(111), 제2 하우징 공간(121) 및 연통 개구부(144)의 직경 이하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siz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00a, 200b) may be larger than half the size of the first housing space (111), the second housing space (121), and the communication opening (144). However, even in the above case,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00a, 200b) must be formed in a siz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00). To this end, the maximum value of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00a, 200b)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first housing space (111), the second housing space (121), and the communication opening (144).

따라서, 제1 지지 부재(200a) 및 제2 지지 부재(200b) 중 어느 하나가 먼저 하우징(100)과 결합되고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지도록 외력(F)이 인가되면, 상기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지지 돌출부(230)는 제2 하우징 공간(121)에 수용되어 제2 하우징 몸체(12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Accordingly, when an external force (F) is applied so that on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00a)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00b) is first combined with the housing (100) and then tilt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support protrusion (230) provided on one of the members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housing space (121) and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housing body (120).

상기 상태에서, 제1 지지 부재(200a) 및 제2 지지 부재(200b) 중 다른 하나가 하우징(100)과 결합되고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지도록 외력(F)이 인가되면, 상기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지지 돌출부(230) 또한 제2 하우징 공간(121)에 수용되어 제2 하우징 몸체(12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In the above state, when an external force (F) is applied so that the other on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00a)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00b) is coupled with the housing (100) and tilt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support protrusion (230) provided on the other one is also accommodated in the second housing space (121) and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housing body (120).

상기 상태에서, 지지 부재(200)는 하우징(100)과 결합된 상태로 삽입 홀(H)에 관통될 수 있다. 스토퍼(130)가 플레이트(P)에 안착된 후 지지 부재(200)에 외력이 인가되면, 지지 돌출부(230)가 제2 하우징 몸체(12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In the above state, the support member (200) can penetrate into the insertion hole (H) while being coupled with the housing (100).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upport member (200) after the stopper (130) is secured to the plate (P), the support protrusion (230)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housing body (120).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빌트인 설치 부재(10)는 설치 과정이 플레이트(P)의 상측, 즉 넓은 공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지지 부재(200)가 복수 개 구비됨에 따라 달성되는 효과임이 이해될 것이다. Accordingly, the built-in installation member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a wide space, i.e., on the upper side of the plate (P).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is is an effect achieved by providing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200).

일 실시 예에서, 지지 부재(200)는 하우징(100)이 플레이트(P)에 결합된 후 하우징(100)과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실시 예에서, 하우징(100)은 삽입 홀(H)에 기 관통되어 플레이트(P)에 안착되고, 지지 부재(200)는 상기 상태의 하우징(10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도, 지지 부재(200)와 하우징(100)의 결합 과정은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게 진행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member (200) can be coupled with the housing (100) after the housing (100) is coupled to the plate (P). That is, in the above embodiment, the housing (100)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H) and is seated on the plate (P), and the support member (200) can be coupled with the housing (100) in the above state. In the above embodiment as well, the coupling process of the support member (200) and the housing (100) can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상기의 경우, 지지 부재(200)는 지지 돌출부(230)가 플레이트(P)의 하측에 위치될 때까지 충분히 하측으로 이동된 후, 하우징(100)의 외측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In the above case, the support member (200) can be moved downward sufficiently until the support protrusion (230) is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plate (P), and then moved toward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제1 지지 부재(200a) 및 제2 지지 부재(200b)는 그 위치에 차이가 있되, 구조 및 기능은 동일하다. 이에, 이하에서 공통되는 특징은 제1 지지 부재(200a) 및 제2 지지 부재(200b)를 지지 부재(200)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The first support member (200a)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00b) have different positions, but have the same structure and function. Accordingly, the common features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00a)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00b)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he support member (200) hereinafter.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부재(200)는 지지 헤드부(210), 지지 몸체부(220), 지지 돌출부(230) 및 조임 부재 결합공(240)을 포함한다. In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FIGS. 7 to 10, the support member (200) includes a support head portion (210), a support body portion (220), a support protrusion portion (230), and a tightening member joining hole (240).

지지 헤드부(210)는 지지 부재(200)의 외형의 일부를 구성한다. 지지 헤드부(210)는 지지 부재(200)가 제1 하우징 몸체(11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지지 헤드부(210)는 제1 하우징 공간(111)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The support head portion (210) constitutes a part of the outer shape of the support member (200). The support head portion (210) is a portion where the support member (200) is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body (110). The support head portion (210) is movably accommodated in the first housing space (111).

지지 헤드부(210)는 조정 개구부(142)에 위치된다. 지지 헤드부(210)는 조정 개구부(142)를 따라 승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 헤드부(210)의 폭, 즉 전후 방향의 길이는 조정 개구부(142)의 폭, 즉 전후 방향의 길이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upport head part (210) is positioned in the adjustment opening (142). The support head part (210) can be raised and lowered along the adjustment opening (142). To this end, the width of the support head part (210), i.e., the length in the front-back direction, can be formed to be less than the width of the adjustment opening (142), i.e., the length in the front-back direction.

또한, 지지 헤드부(210)의 돌출 길이, 즉 좌우 방향의 길이는 파이프 부재(22)와의 결합을 고려하여, 제1 하우징 몸체(110)의 외주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support head portion (210), i.e., the leng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preferably formed to be less tha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housing body (110) in consideration of the connection with the pipe member (22).

지지 헤드부(210)는 제1 하우징 몸체(110)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헤드부(210)의 부분 중 제1 하우징 공간(111) 또는 조정 개구부(142)에 위치된 부분의 비율이 상이하게 조정될 수 있다. The support head part (210) can be mov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housing body (110), or in the left-right direc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ccordingly, the ratio of the part of the support head part (210) located in the first housing space (111) or the adjustment opening (142) can be adjusted differently.

지지 헤드부(210)는 제1 하우징 공간(111) 및 조정 개구부(142)에 승강 또는 이동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헤드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곡면을 포함하는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는 입체도형 형상이다.The support head portion (210) may have any shape that can be received in a manner that allows it to be lifted or moved in the first housing space (111) and the adjustment opening (142).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upport head portion (210) has a cross-section that includes at least one curved surface and is a three-dimensional shape having a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지지 헤드부(210)는 지지 몸체부(220)와 연속된다. 지지 헤드부(210)는 지지 몸체부(220)의 외주에서 방사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달리 표현하면, 지지 헤드부(210)의 하측은 지지 몸체부(220)의 상측과 연속된다. 지지 헤드부(210)는 지지 부재(200)의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지지 돌출부(230)와 이격되어 마주하게 배치된다. 지지 헤드부(210)와 지지 돌출부(230) 사이에는 플레이트(P)가 위치될 수 있다. The support head part (210) is continuous with the support body part (220). The support head part (210) is formed to protrude radially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pport body part (220). In other words,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head part (210) is continuous with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body part (220). The support head part (210) is arranged to face the support protrusion part (230) and be spaced apart from it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200), i.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 plate (P)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support head part (210) and the support protrusion part (230).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헤드부(210)는 헤드 개구부(211) 및 헤드 공간(212)을 포함한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upport head portion (210) includes a head opening (211) and a head space (212).

헤드 개구부(211)는 지지 헤드부(210)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인 헤드 공간(212)을 외부와 연통한다. 헤드 개구부(211)는 지지 헤드부(210)의 높이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 형성된다. 헤드 개구부(211)는 지지 헤드부(210)의 내면에 함몰 형성된다. 달리 표현하면, 헤드 개구부(211)는 지지 헤드부(210)의 내부에 높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The head opening (211) connects the head space (212), which is a spac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support head part (210), to the outside. The head opening (21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head part (210) in the height direction, that is, on the upper sid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head opening (211) is formed by being recessed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head part (210). In other words, the head opening (211) is formed to penetrate in the height direction into the inside of the support head part (210).

헤드 개구부(211)가 형성됨에 따라, 제1 및 제2 지지 부재(200a, 200b)에 구비되는 지지 헤드부(210)가 서로를 향해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As the head opening (211) is formed, a space can be secured in which the support head parts (210) provided o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00a, 200b) can move toward each other.

헤드 개구부(211)는 헤드 공간(212)과 연통된다.The head opening (211) is connected to the head space (212).

헤드 공간(212)은 지지 헤드부(2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다. 헤드 공간(212)은 지지 헤드부(210)의 내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여 정의된다. 헤드 공간(212)은 제1 하우징 공간(111)과 연통된다. 또한, 헤드 공간(212)은 헤드 개구부(211)와 연통된다. 헤드 공간(212)은 지지 부재(200)의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The head space (212) is a space formed inside the support head part (210). The head space (212) is defined by being at least partially surround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head part (210). The head space (212) is communicated with the first housing space (111). In addition, the head space (212) is communicated with the head opening (211). The head space (212) extends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200),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헤드 공간(212)이 형성됨에 따라, 제1 및 제2 지지 부재(200a, 200b)에 구비되는 지지 몸체부(220)가 서로를 향해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As the head space (212) is formed, a space can be secured in which the support body parts (220) provided o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00a, 200b) can move toward each other.

지지 몸체부(220)는 지지 부재(200)의 외형의 다른 부분을 구성한다. 지지 몸체부(220)는 지지 부재(200)가 제1 하우징 몸체(110) 및 제2 하우징 몸체(120)와 결합된다. 지지 몸체부(220)는 연통 개구부(144)에 관통된다. The support body part (220) constitutes another part of the outer shape of the support member (200). The support body part (22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200) with the first housing body (110) and the second housing body (120). The support body part (220) penetrates the communication opening (144).

지지 몸체부(220)는 제1 하우징 공간(111) 또는 제2 하우징 공간(121)에 각각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이때, 지지 몸체부(220)가 제1 하우징 공간(111)에 수용되는 부분의 비율 및 제2 하우징 공간(121)에 수용되는 부분의 비율은 지지 부재(200)의 승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The support body part (220) is at least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first housing space (111) or the second housing space (121),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ratio of the portion of the support body part (220) accommodated in the first housing space (111) and the ratio of the portion accommodated in the second housing space (121)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elevation of the support member (200).

지지 몸체부(220)는 제1 하우징 몸체(110) 또는 제2 하우징 몸체(120)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지지 몸체부(220)와 결합되는 지지 헤드부(210) 및 지지 돌출부(230) 또한 좌우 방향으로 함께 이동된다.The support body part (220) can mov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housing body (110) or the second housing body (120), or in the left-right direc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t this time, the support head part (210) and the support protrusion part (230) coupled with the support body part (220) also move together in the left-right direction.

지지 몸체부(220)는 제1 하우징 공간(111) 및 제2 하우징 공간(121)에 각각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지지 헤드부(210) 및 지지 돌출부(230)와 결합되어 함께 승강 또는 이동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몸체부(220)는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고 하우징(100)의 폭 방향의 외측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진 곡면 형상이다.The support body part (220) may be of any shape that is at least partially accommodated in each of the first housing space (111) and the second housing space (121), and may be combined with the support head part (210) and the support protrusion part (230) to be raised or moved together.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upport body part (220) has a rounded curved shape that has a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convex outwardl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지지 몸체부(220)의 높이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은 지지 헤드부(210)와 연속된다. 지지 몸체부(220)의 높이 방향의 타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은 지지 돌출부(230)와 연속된다. One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upport body part (220), the upper sid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is continuous with the support head part (210). The other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upport body part (220), the lower sid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is continuous with the support protrusion part (230).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몸체부(220)는 몸체 공간(221) 및 보강 요철부(222)를 포함한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upport body portion (220) includes a body space (221) and a reinforcing recessed portion (222).

몸체 공간(221)은 지지 몸체부(22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다. 몸체 공간(221)은 지지 몸체부(220)의 내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여 정의된다. 몸체 공간(221)은 헤드 공간(212)과 연통된다. 몸체 공간(221)은 지지 몸체부(220)의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The body space (221) is a space formed inside the support body part (220). The body space (221) is defined by being at least partially surround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part (220). The body space (221) is connected to the head space (212). The body space (221) extends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upport body part (220),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몸체 공간(221)이 형성됨에 따라, 제1 및 제2 지지 부재(200a, 200b)에 구비되는 지지 몸체부(220)가 서로를 향해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As the body space (221) is formed, a space can be secured in which the support body parts (220) provided o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00a, 200b) can move toward each other.

보강 요철부(222)는 지지 몸체부(220)의 강성을 보강하게 구성된다. 보강 요철부(222)는 지지 몸체부(220)의 내면에 형성된다. 보강 요철부(222)는 지지 몸체부(220)의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The reinforcing grooves (222) are configured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supporting body (220). The reinforcing grooves (222)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ing body (220). The reinforcing grooves (222) exten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upporting body (220),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보강 요철부(222)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보강 요철부(222)는 지지 몸체부(220)의 내주를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보강 요철부(222)는 네 개 구비되어, 지지 몸체부(220)의 내주를 따라 이격 배치된다. A plurality of reinforcing projections (222) may be formed. A plurality of reinforcing projections (22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upporting body (22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four reinforcing projections (222) are provid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upporting body (220).

지지 돌출부(230)는 지지 부재(200)의 외형의 나머지 부분을 구성한다. 지지 돌출부(230)는 제2 하우징 몸체(120)와 결합된다. 지지 돌출부(230)는 제2 하우징 공간(121) 또는 지지 개구부(143)에 위치된다. 지지 돌출부(230)는 지지 개구부(143)를 통해 제2 하우징 몸체(120)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The support protrusion (230) constitutes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outer shape of the support member (200). The support protrusion (230) is coupled with the second housing body (120). The support protrusion (230) is located in the second housing space (121) or the support opening (143). The support protrusion (230)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housing body (120) through the support opening (143).

지지 돌출부(230)는 지지 부재(200)가 플레이트(P)와 밀착되는 부분이다. 지지 돌출부(230)가 플레이트(P)의 하측과 밀착되면, 스토퍼(130)가 플레이트(P)의 상측을 밀착한다. 이에 따라, 설치 부재(10)와 플레이트(P)가 밀착될 수 있다. The support protrusion (230) is a portion where the support member (2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late (P). When the support protrusion (2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plate (P), the stopper (1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plate (P). Accordingly, the installation member (10) and the plate (P) can be in close contact.

지지 돌출부(230)는 제1 하우징 몸체(110) 또는 제2 하우징 몸체(120)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The support protrusion (230) can mov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housing body (110) or the second housing body (120), or in the left-right direc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이때, 지지 돌출부(230)가 폭 방향의 내측,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으로 이동되면, 지지 돌출부(230)는 제2 하우징 공간(121)에 수용된 부분의 비율이 증가되어 제2 하우징 몸체(120)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At this time, when the support protrusion (230) is moved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to the left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the proportion of the portion of the support protrusion (230) accommodated in the second housing space (121) increases so that i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housing body (120).

상기 상태에서, 하우징(100)은 승강되어 삽입 홀(H)에서 인출되거나 삽입 홀(H)에 삽입될 수 있다. In the above state, the housing (100) can be lifted and pulled out from the insertion hole (H) or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H).

또한, 지지 돌출부(230)가 폭 방향의 외측,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으로 이동되면, 지지 돌출부(230)는 제2 하우징 공간(121)의 외부로 노출된 비율이 증가되어 제2 하우징 몸체(12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In addition, when the support protrusion (230) is moved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to the right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the proportion of the support protrusion (23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housing space (121) increases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housing body (120).

상기 상태에서, 하우징(100)이 상승되면 지지 돌출부(230)가 플레이트(P)와 접촉되어, 하우징(100)이 삽입 홀(H)에서 인출되지 않게 된다. In the above state, when the housing (100) is raised, the support protrusion (23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late (P), so that the housing (100) is not pulled out of the insertion hole (H).

지지 돌출부(230)는 지지 몸체부(220)와 연속된다. 지지 돌출부(230)는 지지 몸체부(220)의 높이 방향의 타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 위치된다. 지지 돌출부(230)는 지지 몸체부(220)의 외면에서 폭 방향의 외측,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The support protrusion (230) is continuous with the support body part (220). The support protrusion (230)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upport body part (220), i.e., on the lower sid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upport protrusion (23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part (220) toward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i.e., toward the right sid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of FIG. 8.

지지 돌출부(230)는 지지 몸체부(220)의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지지 헤드부(210)와 이격되게 위치된다. 지지 돌출부(230)와 지지 헤드부(210) 사이에는 스토퍼(130) 및 플레이트(P)가 위치된다. The support protrusion (230) is positioned apart from the support head (210)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upport body (220), an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 stopper (130) and a plate (P) are positioned between the support protrusion (230) and the support head (210).

지지 돌출부(230)는 지지 몸체부(220) 및 이와 결합된 지지 헤드부(210)와 함께 승강되거나 폭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The support protrusion (230) can be raised or lowered or moved in the width direction together with the support body (220) and the support head (210) coupled thereto.

지지 돌출부(23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지지 돌출부(230)는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어, 복수 개의 지지 개구부(143)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돌출부(230)는 한 쌍 구비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230) may be provided. The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230) ar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support openings (143), respectively.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upport protrusions (230) are provided in pairs and are arranged spaced apart in the front-back direction.

한 쌍의 지지 돌출부(230) 사이에는 이탈 방지 리브(122)가 위치되어 지지 개구부(143)를 통한 지지 돌출부(23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동시에, 지지 돌출부(230)의 폭 방향의 외측으로의 이동 거리가 이탈 방지 리브(122)와 지지 몸체부(220)가 접촉될 때까지로 제한될 수 있다. A separation prevention rib (122) is positioned between a pair of support protrusions (230) so that separation of the support protrusions (230) through the support opening (143) can be prevented. At the same time, the distance of movement of the support protrusions (230)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can be limited until the separation prevention rib (122) and the support body (220) come into contact.

지지 돌출부(230)는 제2 하우징 몸체(120)에 의해 승강되는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돌출부(230)는 높이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면이 상측에 위치되는 승강 제한 면(123)에 접촉될 때까지만 상승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지지 돌출부(230)는 높이 방향의 타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면이 하측에 위치되는 승강 제한 면(123)에 접촉될 때까지만 하강될 수 있다. The support protrusion (230) may be limited in the distance it is raised by the second housing body (120). Specifically, the support protrusion (230) may be raised only until one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n upper surface contacts the raising/lowering limiting surface (123)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Similarly, the support protrusion (230) may be lowered only until the other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 lower surface contacts the raising/lowering limiting surface (123)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지지 돌출부(230)는 제2 하우징 공간(121) 및 하우징 개구부(140)에 용이하게 삽입되되, 제2 하우징 공간(121)에서 방사 방향으로 임의 이탈되지 않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upport protrusion (230) can be formed to a size that allows it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second housing space (121) and the housing opening (140), but does not arbitrarily escape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second housing space (121).

구체적으로, 지지 돌출부(230)의 돌출 길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의 길이는 제2 하우징 공간(121)의 반경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 돌출부(230)의 상기 돌출 길이는 삽입 개구부(141) 및 연통 개구부(144)의 반경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support protrusion (23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in the left-right direction, may be formed to be less than the radius of the second housing space (121). In addition,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support protrusion (230) may be formed to be less than the radius of the insertion opening (141) and the communication opening (144).

대안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 돌출부(230)의 돌출 길이는 제2 하우징 공간(121), 삽입 개구부(141) 및 연통 개구부(144)의 반경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Alternatively, as described above, the protrusion length of the support protrusion (230) may be formed to be greater than the radius of the second housing space (121), the insertion opening (141), and the communication opening (144).

이 경우, 지지 부재(200)가 하우징(100)의 내부에 삽입되기 위해, 지지 돌출부(230)의 수평 방향의 길이,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의 길이 및 좌우 방향의 길이는 제2 하우징 공간(121), 삽입 개구부(141) 및 연통 개구부(144)의 직경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in order for the support member (200) to be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00), it is preferable that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support protrusion (230), i.e., the length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length in the left-right direc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be formed to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second housing space (121), the insertion opening (141), and the communication opening (144).

따라서, 지지 부재(200)가 한 쌍 구비되는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지지 부재(200)가 제2 하우징 공간(121)에 수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Accordingly, in an embodiment in which a pair of support members (200) are provided, a pair of support members (200) can be maintained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accommodated in the second housing space (121).

또한, 지지 돌출부(230)의 연장 길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몸체부(220)의 외주 방향의 길이는 지지 개구부(143)의 외주 방향의 길이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xtension length of the support protrusion (23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length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upport body part (220) may be formed to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length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upport opening (143).

따라서, 지지 돌출부(230)는 지지 개구부(143)를 통해 용이하게 제2 하우징 몸체(12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upport protrusion (230) can be easi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housing body (120) through the support opening (143).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돌출부(230)는 지지 요철부(231)를 포함한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upport protrusion (230) includes a support recess (231).

지지 요철부(231)는 지지 돌출부(230)의 면 중 플레이트(P)를 향하는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면에 형성된다. 지지 요철부(231)는 플레이트(P)와 지지 돌출부(230)의 밀착 상태를 보강하게 구성된다.The support protrusion (23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protrusion (230) facing the plate (P), that is, the upper sid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upport protrusion (231) is configured to reinforce the close contact between the plate (P) and the support protrusion (230).

지지 요철부(231)는 플레이트(P)의 면과 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요철부(231)는 복수 개의 돌출부 및 복수 개의 함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돌출부 및 복수 개의 함몰부는 각각 지지 돌출부(230)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복수 개의 돌출부 및 복수 개의 함몰부는 지지 돌출부(230)의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배치된다.The supporting protrusions (231) may be configured in any shape that can maintain a state of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plate (P).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upporting protrusions (231)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a plurality of recesses.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the plurality of recesses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porting protrusion (230), i.e., in the left-right direc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the plurality of recesses are alternately arrang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upporting protrusion (230), i.e., in the front-back direc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일 실시 예에서, 지지 돌출부(230)의 상측 면에는 지지 요철부(231)와 함께, 또는 단독으로 마찰 패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찰 패드(미도시)는 플레이트(P)의 하측 면과 지지 돌출부(230)의 상측 면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마찰 패드(미도시)는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 friction pad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rotrusion (230) together with the support protrusion (231) or alone. The friction pad (not shown) may be configured to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P)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rotrusion (230). In one embodiment, the friction pad (not shown) may be formed of a rubber or silicone material.

조임 부재 결합공(240)은 지지 부재(200)가 조임 부재(30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조임 부재 결합공(240)은 제1 조임 부재 관통공(151) 및 제2 조임 부재 관통공(152) 사이에 위치된다.The tightening member joint hole (240) is a portion where the support member (200) is joined to the tightening member (300). The tightening member joint hole (240)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tightening member through hole (151) and the second tightening member through hole (152).

조임 부재 결합공(240)은 지지 부재(200)의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제1 조임 부재 관통공(151) 및 제2 조임 부재 관통공(152)과 각각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The tightening member joint hole (240) can be arranged to overlap the first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 (151) and the second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 (152)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200), or in the up-down direc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조임 부재 결합공(240)은 지지 헤드부(210)에 형성된다. 조임 부재 결합공(240)은 지지 헤드부(210)의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A tightening member joining hole (240) is formed in the support head portion (210). The tightening member joining hole (240) is formed to penetrat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upport head portion (210),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조임 부재 결합공(240)은 조임 부재(300)의 조임 몸체부(32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조임 부재 결합공(240)은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는 원통 형상의 공간이다. 조임 부재 결합공(240)의 높이 방향의 각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및 하측은 각각 개방 형성된다.The tightening member joining hole (24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tightening body part (320) of the tightening member (30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tightening member joining hole (240) is a cylindrical space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and a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Each side of the height direction of the tightening member joining hole (240),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re each formed as open.

조임 부재 결합공(240)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조임 부재 결합공(240)은 서로 이격 배치되어, 복수 개의 제1 조임 부재 관통공(151) 및 복수 개의 제2 조임 부재 관통공(152)과 각각 상하 방향으로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기의 조임 부재 결합공(240)에는 복수 개의 조임 부재(300)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tightening member joining holes (240) may be formed. The plurality of tightening member joining holes (240) may b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may be arranged to overlap with a plurality of first tightening member through holes (151) and a plurality of second tightening member through holes (152) in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In addition, a plurality of tightening members (300) may be join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tightening member joining holes (240).

도시된 실시 예에서, 조임 부재 결합공(240)은 총 네 개 형성된다. 한 쌍의 조임 부재 결합공(240)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제1 지지 부재(200a)의 지지 헤드부(210)에 형성된다. 다른 한 쌍의 조임 부재 결합공(240)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제2 지지 부재(200b)의 지지 헤드부(210)에 형성된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 total of four tightening member joining holes (240) are formed. One pair of tightening member joining holes (240) are formed in the support head portion (210)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00a) and spaced apart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other pair of tightening member joining holes (240) are formed in the support head portion (210)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00b) and spaced apart in the front-back direction.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설치 부재(10)는 조임 부재(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1, an installation member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ightening member (300).

조임 부재(300)는 하우징(100) 및 지지 부재(200)와 각각 결합되어 이들을 지지한다. 또한, 조임 부재(300)는 결합된 지지 부재(200)를 승강시키게 구성된다.The tightening member (300) i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housing (100) and the support member (200) to support them. In addition, the tightening member (300) is configured to elevate the coupled support member (200).

조임 부재(300)는 하우징(100)과 결합된다. 조임 부재(300)는 조임 부재 관통공(150)에 각각 관통된다. 조임 부재(300)의 연장 방향의 단부 중 플레이트(P)를 향하는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는 플레이트(P)와 접촉되어 지지된다.The tightening member (300) is coupled with the housing (100). The tightening member (300) is respectively penetrated through the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s (150). One end of the tightening member (300)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extension, which faces the plate (P),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lower end is supported by being in contact with the plate (P).

조임 부재(300)는 지지 부재(200)와 결합된다. 조임 부재(300)는 조임 부재 결합공(240)과 관통된다. 이때, 조임 부재(300)가 조작되면 지지 부재(200)가 승강되어, 지지 돌출부(230)와 플레이트(P)가 밀착되거나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치 부재(10)가 플레이트(P)와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The tightening member (300) is coupled with the supporting member (200). The tightening member (300) penetrates the tightening member joining hole (240). At this time, when the tightening member (300) is manipulated, the supporting member (200) is raised and lowered, so that the supporting protrusion (230) and the plate (P)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or separated. Accordingly, the installation member (10) can be coupled with or separated from the plate (P).

조임 부재(300)는 하우징(100) 및 지지 부재(200)와 각각 결합되고, 지지 부재(200)를 승강시킬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조임 부재(300)는 하우징(100) 및 지지 부재(200)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screw) 부재의 형태로 구비된다. The tightening member (300) i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housing (100) and the support member (200), and may be provided in any shape that can elevate the support member (20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tightening member (30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crew member that is screw-coupled to the housing (100) and the support member (200).

상기 실시 예에서, 조임 부재 관통공(150)을 둘러싸는 하우징(100)의 내면 및 조임 부재 결합공(240)을 둘러싸는 지지 헤드부(210)의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In the above embodiment, screw threads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surrounding the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 (15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head portion (210) surrounding the tightening member joining hole (240).

조임 부재(30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조임 부재(300)는 복수 개의 조임 부재 관통공(150) 및 복수 개의 조임 부재 결합공(240)과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조임 부재(300)는 총 네 개 구비된다. 조임 부재(300)의 개수는 조임 부재 관통공(150) 및 조임 부재 결합공(240)의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tightening members (300) may be provided. The plurality of tightening members (300) may be respectively coupled with the plurality of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s (150) and the plurality of tightening member joining holes (24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 total of four tightening members (300) are provided. The number of tightening members (300) may vary depending on the number of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s (150) and tightening member joining holes (240).

도 11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조임 부재(300)는 조임 헤드부(310) 및 조임 몸체부(320)를 포함한다.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11, the tightening member (300) includes a tightening head portion (310) and a tightening body portion (320).

조임 헤드부(310)는 조임 부재(300)의 일 부분을 구성한다. 조임 헤드부(310)는 조임 부재(300)가 하우징(100)의 높이 방향의 외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이다. 조임 헤드부(310)는 작업자 또는 공구 등에 의해 외력을 인가받을 수 있다. The tightening head portion (310) constitutes a part of the tightening member (300). The tightening head portion (310) is a portion of the tightening member (300)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i.e., upwar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tightening head portion (310) can receive an external force from a worker or a tool, etc.

조임 헤드부(310)는 제1 하우징 몸체(110)와 결합된다. 조임 헤드부(310)는 제1 하우징 몸체(110)에 형성되는 제1 조임 부재 관통공(151)의 상측에 위치된다. The tightening head part (310) is coupled with the first housing body (110). The tightening head part (310)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 (151) formed in the first housing body (110).

조임 부재(300)가 나사 부재로 구비되는 실시 예에서, 조임 헤드부(310)는 드라이버(driver) 등의 공구를 수용하기 위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in which the tightening member (300) is provided as a screw member, the tightening head portion (310) may include a groove for accommodating a tool such as a driver.

조임 헤드부(310)는 제1 하우징 몸체(110)의 외측에 노출되어, 외력을 인가받을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조임 헤드부(310)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의 두께를 갖는 원판 형상이다.The tightening head portion (310) may be any shape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housing body (110) and can receive external forc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tightening head portion (310) has a circular cross-section and a disc shape with a thickness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실시 예에서, 조임 헤드부(310)의 단면의 직경은 제1 조임 부재 관통공(151)의 단면의 직경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임 헤드부(310)의 단면의 직경은 제1 조임 부재 관통공(151)의 단면의 직경을 초과할 수 있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diameter of the cross-section of the tightening head portion (310)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cross-section of the first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 (151). Preferably, the diameter of the cross-section of the tightening head portion (310) may exceed the diameter of the cross-section of the first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 (151).

조임 헤드부(310)는 조임 몸체부(320)와 연속된다.The tightening head portion (310) is continuous with the tightening body portion (320).

조임 몸체부(320)는 조임 부재(300)의 다른 부분을 구성한다. 조임 몸체부(320)는 조임 부재(300)가 하우징(100) 및 지지 부재(20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조임 몸체부(320)는 하우징(100) 또는 지지 부재(200)의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The tightening body part (320) constitutes another part of the tightening member (300). The tightening body part (320) is a part where the tightening member (300) is coupled with the housing (100) and the support member (200). The tightening body part (320) extends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or the support member (200), or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조임 몸체부(320)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는 조임 헤드부(310)와 결합된다. 조임 몸체부(320)의 연장 방향의 타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는 플레이트(P)와 접촉된다. 일 실시 예에서, 조임 몸체부(320)의 상기 하측 단부는 플레이트(P)에 밀착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tightening body (320) in the extension direction, the upper en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is coupled with the tightening head (310). The other end of the tightening body (320) in the extension direction, the lower en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is in contact with the plate (P). In one embodiment, the lower end of the tightening body (320)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plate (P).

조임 몸체부(320)는 조임 부재 관통공(150) 및 조임 부재 결합공(240)과 각각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조임 몸체부(320)는 제1 조임 부재 관통공(151), 조임 부재 결합공(240) 및 제2 조임 부재 관통공(152)을 차례로 관통하여 연장된다. The tightening body part (320) is connected to the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 (150) and the tightening member joining hole (240), respectively. Specifically, the tightening body part (320) extends by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first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 (151), the tightening member joining hole (240), and the second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 (152).

조임 부재(300)가 나사 부재로 구비되는 실시 예에서, 조임 몸체부(320)의 외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산은 조임 부재 관통공(150) 및 조임 부재 결합공(240)을 둘러싸는 하우징(100)의 내면 및 지지 헤드부(210)의 내면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in which the tightening member (300) is provided as a screw member, screw threads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tightening body part (320). The screw threads may be screw-connected with screw thread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surrounding the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 (150) and the tightening member joining hole (24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head part (210).

조임 헤드부(310)에 일 방향의 외력이 인가되어 조임 몸체부(320)의 상기 단부가 플레이트(P)와 접촉된 후 조임 몸체부(320)가 더 회전되면, 조임 몸체부(320)와 결합된 지지 부재(200)가 상승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치 부재(10)가 플레이트(P)와 밀착 결합될 수 있다.When a one-way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tightening head (310) and the end of the tightening body (3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late (P), and the tightening body (320) is further rotated, the support member (200) coupled with the tightening body (320) can be raised. Accordingly, the installation member (10) can be tightly coupled with the plate (P).

조임 헤드부(310)에 타 방향의 외력이 인가되어 지지 돌출부(230)가 플레이트(P)에서 이격된 후 조임 몸체부(320)가 더 회전되면, 지지 돌출부(230)가 하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치 부재(10)가 플레이트(P)와 분리될 수 있는 상태로 조정될 수 있다.When an external force in another direction is applied to the tightening head (310) so that the support protrusion (230) is separated from the plate (P) and the tightening body (320) is further rotated, the support protrusion (230) can be lowered. Accordingly, the installation member (10) can be adjusted to a state where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plate (P).

조임 부재(300)의 조작에 의해 지지 부재(200)가 승강되어, 설치 부재(10)가 플레이트(P)와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ocess in which the support member (200) is raised or lowered by the operation of the tightening member (300) and the installation member (10) is combined with or separated from the plate (P) will be described later.

도 12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설치 부재(10)가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설치 부재(10)는 하우징(100), 지지 부재(200) 및 조임 부재(3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12 to 17, an installation member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installation member (10) includes a housing (100), a support member (200), and a tightening member (300).

본 실시 예에서, 설치 부재(10)는 지지 부재(200)만 삽입 홀(H)에 관통되어 플레이트(P)의 하측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 예에서 하우징(100)은 제2 하우징 몸체(120)를 포함하지 않고, 스토퍼(130)를 지지하기 위한 안착 가스켓(160)을 더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installation member (10) is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plate (P) with only the support member (200) penetrating the insertion hole (H). Accordingly, in this embodiment, the housing (100) does not include the second housing body (120), and further includes a mounting gasket (160) for supporting the stopper (130).

또한, 지지 부재(200)가 제1 하우징 몸체(110), 스토퍼(130) 및 안착 가스켓(160)에 직접 결합되므로, 지지 돌출부(230)는 단수 개 구비된다(즉, 이탈 방지 리브(122)에 의해 지지될 필요가 없으므로).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member (20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body (110), the stopper (130), and the settling gasket (160), the support protrusion (230) is provided in a single piece (i.e., it does not need to be supported by the detachment prevention rib (122)).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100)은 제1 하우징 몸체(110), 스토퍼(130), 하우징 개구부(140), 조임 부재 관통공(150) 및 안착 가스켓(16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4 to 16, a housing (100) according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includes a first housing body (110), a stopper (130), a housing opening (140), a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 (150), and a fixing gasket (160).

본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100)은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100)과 기능이 동일하나, 구조 면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100)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100)을 설명한다.The housing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housing (10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is different in terms of structure. Accordingly,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housing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a focus on the differences from the housing (10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우징(100)은 제1 하우징 몸체(110), 스토퍼(130), 하우징 개구부(140), 조임 부재 관통공(150) 및 안착 가스켓(160)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 중, 스토퍼(130)의 구조 및 안착 가스켓(160)이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100)과 차이가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housing (100) includes a first housing body (110), a stopper (130), a housing opening (140), a tightening member through-hole (150), and a fixing gasket (160). Among the above configurations, the structure of the stopper (130) and the fixing gasket (160)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housing (10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즉, 스토퍼(130)는 안착 가스켓(160)에 의해 지지된다. 안착 가스켓(160)은 스토퍼(130)와 플레이트(P) 사이에 위치되어 스토퍼(130)를 지지함과 동시에 플레이트(P)에 안착된다.That is, the stopper (130) is supported by the settling gasket (160). The settling gasket (160) is positioned between the stopper (130) and the plate (P) to support the stopper (130) and at the same time settling on the plate (P).

이때, 스토퍼(130)와 안착 가스켓(160)은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즉 헛돎이 방지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topper (130) and the settling gasket (160) can be combined so as not to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i.e., to prevent misalignment.

이를 위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스토퍼(130)는 가스켓 결합 돌출부(131), 스토퍼 홈(132), 회전 방지 돌기(133) 및 가스켓 수용 공간(134)을 포함한다. To this en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topper (130) includes a gasket engaging projection (131), a stopper groove (132), an anti-rotation projection (133), and a gasket receiving space (134).

가스켓 결합 돌출부(131)는 안착 가스켓(160)에 형성되는 가스켓 개구부(161)에 삽입되어, 가스켓 개구부(161)를 둘러싸는 안착 가스켓(160)의 내주와 접촉된다. 가스켓 결합 돌출부(131)는 스토퍼(130)의 하측 면으로부터 안착 가스켓(160)을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The gasket coupling protrusion (131) is inserted into the gasket opening (161) formed in the mounting gasket (160)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mounting gasket (160) surrounding the gasket opening (161). The gasket coupling protrusion (131)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in the direction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topper (130) toward the mounting gasket (16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가스켓 결합 돌출부(131)는 다각형상의 단면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스켓 결합 돌출부(131)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곡면 및 상기 한 쌍의 곡면의 각 단부와 연속되는 한 쌍의 평면을 갖게 형성된다. The gasket coupling protrusion (131) may be formed to have a polygonal cross-sec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gasket coupling protrusion (131) is formed to have a pair of curved surfaces facing each other and a pair of flat surfaces continuous with each end of the pair of curved surfaces.

가스켓 결합 돌출부(131)의 내부에는 스토퍼 홈(132)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 홈(132)에는 가스켓 돌기(163)가 인출 가능하게 수용된다. 이에 따라, 스토퍼 홈(132)에 가스켓 돌기(163)가 삽입되도록 스토퍼(130)와 안착 가스켓(160)이 결합되면, 스토퍼(130)와 안착 가스켓(160)의 상대적인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A stopper groove (132) may be formed recessed inside the gasket coupling protrusion (131). A gasket projection (163) is retractably received in the stopper groove (132). Accordingly, when the stopper (130) and the mounting gasket (160) are combined so that the gasket projection (163) is inserted into the stopper groove (132),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stopper (130) and the mounting gasket (160) may be restricted.

가스켓 결합 돌출부(131)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가스켓 결합 돌출부(131)는 스토퍼(130)의 내주를 따라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스켓 결합 돌출부(131)는 네 개 구비되어, 서로 직각을 이루며 스토퍼(130)의 내주를 따라 배치된다.A plurality of gasket coupling protrusions (131) may be formed. A plurality of gasket coupling protrusions (131) may b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each other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topper (13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four gasket coupling protrusions (131) are provided, and are arrang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topper (130)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가스켓 결합 돌출부(131) 및 스토퍼 홈(132)의 형상, 개수 및 배치 방식은 가스켓 홈(162)의 개수, 형상 및 배치 방식에 상응하게 변경될 수 있다. The shap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gasket coupling protrusions (131) and stopper grooves (132) can be chang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gasket grooves (162).

회전 방지 돌기(133)는 안착 가스켓(160)에 형성되는 가스켓 돌기(163)에 삽입된다. 회전 방지 돌기(133)는 안착 가스켓(160)의 외주의 내면에서 방사상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The anti-rotation protrusion (133) is inserted into the gasket protrusion (163) formed in the mounting gasket (160). The anti-rotation protrusion (133) is formed to protrude radially inwar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mounting gasket (160).

회전 방지 돌기(133)는 다각형상의 단면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회전 방지 돌기(133)는 사각형의 단면을 갖게 형성된다.The anti-rotation protrusion (133) may be formed to have a polygonal cross-sec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anti-rotation protrusion (133) is formed to have a rectangular cross-section.

회전 방지 돌기(133)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회전 방지 돌기(133)는 스토퍼(130)의 외주를 따라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회전 방지 돌기(133)는 여섯 개 구비되어, 스토퍼(130)의 중심에 대해 서로 60°의 각도를 이루며 스토퍼(130)의 외주를 따라 배치된다.A plurality of anti-rotation protrusions (133) may be formed. A plurality of anti-rotation protrusions (133) may b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each other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opper (13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six anti-rotation protrusions (133) are provided and arrang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opper (130) at an angle of 60° from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topper (130).

회전 방지 돌기(133)의 형상, 개수 및 배치 방식은 가스켓 돌기(163)의 형상, 개수 및 배치 방식에 상응하게 변경될 수 있다. The shap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anti-rotation protrusions (133) can be chang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gasket protrusions (163).

가스켓 수용 공간(134)은 안착 가스켓(160)을 수용한다. 가스켓 수용 공간(134)은 스토퍼(130)의 하측 외주 및 내주 사이에 형성된다. 가스켓 수용 공간(134)의 방사상 외측에는 스토퍼(130)의 하측 외주, 즉 회전 방지 돌기(133)가 형성되는 면이 위치된다. 가스켓 수용 공간(134)의 방사상 내측에는 스토퍼(130)의 하측 내주, 즉 가스켓 결합 돌출부(131) 및 스토퍼 홈(132)이 형성되는 면이 위치된다. The gasket receiving space (134) receives the settling gasket (160). The gasket receiving space (134) is formed between the lower outer circumference a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topper (130). The lower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opper (130), that is, the surface on which the rotation prevention projection (133) is formed, is located on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gasket receiving space (134). The lower inner circumference of the stopper (130), that is, the surface on which the gasket engaging projection (131) and the stopper groove (132) are formed, is located on the radially inner side of the gasket receiving space (134).

안착 가스켓(160)은 스토퍼(130)와 결합되어 스토퍼(130) 및 이와 결합된 제1 하우징 몸체(110)를 지지한다. 안착 가스켓(160)은 플레이트(P)에 안착된다. 안착 가스켓(160)은 스토퍼(130) 및 플레이트(P) 사이에 위치된다.The settling gasket (160) is coupled with the stopper (130) to support the stopper (130) and the first housing body (110) coupled therewith. The settling gasket (160) is coupled to the plate (P). The settling gasket (160) is positioned between the stopper (130) and the plate (P).

안착 가스켓(160)의 면 중 플레이트(P)를 향하는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면에는 상술한 마찰 패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안착 가스켓(160)과 플레이트(P)의 면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되어, 안착 가스켓(160)의 임의 이동 또는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A friction pad (not shown)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rface of the settling gasket (160) facing the plate (P), i.e., the lower sid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In the above embodiment,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surface of the settling gasket (160) and the plate (P) is increased, so that arbitrary movement or rotation of the settling gasket (160) can be prevented.

안착 가스켓(160)은 스토퍼(13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안착 가스켓(160)은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의 두께를 갖되, 내부에 가스켓 개구부(161)가 형성된 환형(ring shape)의 판으로 형성된다. 안착 가스켓(160)은 가스켓 수용 공간(134)에 수용된다. The settling gasket (16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topper (13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ettling gasket (160) is formed as a ring-shaped plate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and a thicknes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 gasket opening (161) formed therein. The settling gasket (160) is accommodated in the gasket accommodation space (134).

도시된 실시 예에서, 안착 가스켓(160)은 가스켓 개구부(161), 가스켓 홈(162) 및 가스켓 돌기(163)를 포함한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ettling gasket (160) includes a gasket opening (161), a gasket groove (162), and a gasket protrusion (163).

가스켓 개구부(161)는 안착 가스켓(16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다. 가스켓 개구부(161)는 안착 가스켓(160)의 두께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연통 개구부(144)와 연통된다. 지지 부재(200)는 연통 개구부(144) 및 가스켓 개구부(161)를 차례로 통과하여 플레이트(P)의 하측으로 진입될 수 있다. The gasket opening (161) is a space formed inside the mounting gasket (160). The gasket opening (161) is formed to penetrat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ounting gasket (160),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nd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opening (144). The support member (200) can sequentially pass through the communication opening (144) and the gasket opening (161) to enter the lower side of the plate (P).

가스켓 개구부(161)는 연통 개구부(144)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스켓 개구부(161)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의 두께를 갖는 원판 형상이다.The gasket opening (161)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lue opening (144).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gasket opening (161) has a circular cross-section and a disc shape having a thickness in the vertical direction.

가스켓 홈(162)은 스토퍼(130)의 회전 방지 돌기(133)를 수용한다. 가스켓 홈(162)은 안착 가스켓(160)의 외주에 함몰 형성된다. The gasket groove (162) accommodates the anti-rotation projection (133) of the stopper (130). The gasket groove (162) is formed recessed in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mounting gasket (160).

가스켓 홈(162)은 회전 방지 돌기(133)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스켓 홈(162)은 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게 형성된다.The gasket groove (162)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anti-rotation protrusion (133).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gasket groove (162) has a rectangular cross-section and is formed to have a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가스켓 홈(162)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가스켓 홈(162)은 안착 가스켓(160)의 외주를 따라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스켓 홈(162)은 여섯 개 형성되어, 안착 가스켓(160)의 중심에 대해 서로 60°의 각도를 이루며 안착 가스켓(160)의 외주를 따라 배치된다. A plurality of gasket grooves (162) may be formed. A plurality of gasket grooves (16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ttling gasket (16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six gasket grooves (162) are formed and are arrang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ttling gasket (160) at an angle of 60°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ettling gasket (160).

가스켓 홈(162)의 형상, 개수 및 배치 방식은 회전 방지 돌기(133)의 형상, 개수 및 배치 방식에 상응하게 변경될 수 있다. The shap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gasket home (162) can be chang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anti-rotation protrusion (133).

가스켓 돌기(163)는 스토퍼 홈(132)에 수용된다. 가스켓 돌기(163)는 안착 가스켓(160)의 내주에서 방사상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The gasket projection (163) is accommodated in the stopper groove (132). The gasket projection (163) is formed to protrude radially inward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mounting gasket (160).

가스켓 돌기(163)는 스토퍼 홈(132)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스켓 돌기(163)는 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게 형성된다. The gasket protrusion (163)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topper groove (132).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gasket protrusion (163) has a rectangular cross-section and is formed to have a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가스켓 돌기(163)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가스켓 돌기(163)는 안착 가스켓(160)의 내주를 따라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스켓 돌기(163)는 네 개 형성되어, 안착 가스켓(160)의 중심에 대해 서로 직각을 이루며 안착 가스켓(160)의 내주를 따라 배치된다.A plurality of gasket protrusions (163) may be formed. A plurality of gasket protrusions (163)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ettling gasket (16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four gasket protrusions (163) are formed and are arrang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ettling gasket (160)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ettling gasket (160).

가스켓 돌기(163)의 형상, 개수 및 배치 방식은 스토퍼 홈(132)의 형상, 개수 및 배치 방식에 상응하게 변경될 수 있다. The shap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gasket projections (163) can be chang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stopper groove (132).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설치 부재(10)에 구비되는 지지 부재(200)가 도시된다.Referring to FIG. 17, a support member (200) provided on an installation member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본 실시 예에서, 지지 몸체부(220)는 지지 돌출부(230)를 향하는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외주 방향의 길이가 감소되게 형성된다. 달리 표현하면, 지지 몸체부(220)는 하측을 향해 테이퍼(taper)지게 형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body part (220) is formed so that the length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decreases in the direction toward the support protrusion part (230) an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oward the lower side. In other words, the support body part (220) is formed to taper toward the lower side.

따라서, 지지 몸체부(220)는 하우징 개구부(140)를 통해 제1 및 제2 하우징 공간(111, 121)에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지지 몸체부(220) 및 이를 포함하는 지지 부재(200)가 경량화되어, 빌트인 설치 부재(10) 전체의 중량이 감소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upport body part (220) can be easily accommodated in the first and second housing spaces (111, 121) through the housing opening (140). In addition, the support body part (220) and the support member (200) including the support body part (220) can be made lightweight, so that the weight of the entire built-in installation member (10) can be reduced.

본 실시 예에서, 각 지지 부재(200)에 구비되는 지지 돌출부(230)는 단수 개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지지 부재(200a, 200b)에는 각각 단수 개의 지지 돌출부(230)가 구비된다. 각 지지 돌출부(230)는 제1 및 제2 지지 부재(200a, 200b)의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In this embodiment, the number of support protrusions (230) provided on each support member (200) is single. Specifically,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00a, 200b) are each provided with a single number of support protrusions (230). Each support protrusion (230)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00a, 200b), i.e., the front-back direc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상기 구조의 차이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설치 부재(10)에는 제2 하우징 몸체(120)가 구비되지 않음에 기인한다. 따라서, 지지 돌출부(230)와 플레이트(P)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설치 부재(10)와 플레이트(P)의 결합 상태가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The difference in the above structure is due to the fact that the installation memb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provided with a second housing body (120). Accordingly,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upport protrusion (230) and the plate (P) increases, so that the combined state of the installation member (10) and the plate (P) can be maintained more stably.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설치 부재(10)에 구비되는 지지 돌출부(230)는 제1 하우징 공간(111), 하우징 개구부(140) 및 가스켓 개구부(161)에 용이하게 삽입되되, 제1 하우징 공간(111)에서 방사 방향으로 임의 이탈되지 않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upport protrusion (230) provided in the installation memb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to a size that allows it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first housing space (111), the housing opening (140), and the gasket opening (161), but does not arbitrarily escape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first housing space (111).

구체적으로, 지지 돌출부(230)의 돌출 길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의 길이는 제1 하우징 공간(111)의 반경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 돌출부(230)의 상기 돌출 길이는 삽입 개구부(141), 연통 개구부(144) 및 가스켓 개구부(161)의 반경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support protrusion (23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in the left-right direction, may be formed to be less than the radius of the first housing space (111). In addition,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support protrusion (230) may be formed to be less than the radius of the insertion opening (141), the communication opening (144), and the gasket opening (161).

따라서, 지지 부재(200)가 한 쌍 구비되는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지지 부재(200)가 제1 하우징 공간(111)에 수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Accordingly, in an embodiment in which a pair of support members (200) are provided, a pair of support members (200) can be maintained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accommodated in the first housing space (111).

도 18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설치 부재(10)가 플레이트(P)와 결합되는 과정이 예시로서 도시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설치 부재(10) 또한 같은 과정을 통해 플레이트(P)와 결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Referring to FIGS. 18 to 23, a process of combining an installation member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plate (P)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Although not illustrated, it will be understood that an installation member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combined with a plate (P) through the same process.

이하의 설명에서는 하우징(100)과 지지 부재(200)가 먼저 결합된 후 함께 삽입 홀(H)에 삽입되어 플레이트(P)에 안착됨을 전제한다. 대안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이 삽입 홀(H)에 먼저 삽입되어 플레이트(P)에 안착된 후 지지 부재(200)가 하우징(100)과 결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housing (100) and the support member (200) are first combined and then inserted together into the insertion hole (H) and seated on the plate (P). Alternatively, as described above,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housing (100) may be first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H) and seated on the plate (P), and then the support member (200) may be combined with the housing (100).

도 18을 참조하면, 지지 부재(200)가 하우징(100)과 결합된다. 지지 부재(200)는 삽입 개구부(141)를 통해 제1 하우징 공간(111)에 삽입된다. 이후, 지지 부재(200)는 연통 개구부(144)를 거쳐 제2 하우징 공간(121)에 삽입된다.Referring to FIG. 18, a support member (200) is coupled to a housing (100). The support member (200) is inserted into a first housing space (111) through an insertion opening (141). Thereafter, the support member (200) is inserted into a second housing space (121) through a communication opening (144).

지지 헤드부(210)는 조정 개구부(142)에, 지지 돌출부(230)는 지지 개구부(143)에 위치된다. 상기 상태에서, 지지 돌출부(230)는 제2 하우징 몸체(120)의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되어, 그 단부가 스토퍼(130)의 외주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The support head portion (210) is positioned in the adjustment opening (142), and the support protrusion (230) is positioned in the support opening (143). In the above state, the support protrusion (230) protrudes radially outwardly from the second housing body (120), and its end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opper (130).

이때, 복수 개의 지지 부재(200) 중 어느 하나가 먼저 하우징(100)과 결합되고 다른 하나가 나중에 하우징(100)과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00)과 순차적으로 각각 결합된 제1 및 제2 지지 부재(200a, 200b)는 설치 부재(10)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을 따라 최대로 이격된 상태이다.At this time, on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200) may be coupled with the housing (100) first and the other may be coupled with the housing (100) later.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00a, 200b), which are sequentially coupled with the housing (1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the maximum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stallation member (10), i.e., in the left-right direc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이후, 조임 부재(300)가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조임 부재 관통공(150) 및 조임 부재 결합공(240)과 각각 결합된다.Thereafter, the tightening member (300) i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tightening member through hole (150) and the tightening member joining hole (240) which are arranged in a vertically parallel manner.

한편, 설치 부재(10)는 하우징(100), 지지 부재(200) 및 조임 부재(300)가 반 조립(semi built-up)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작업자는 설치 부재(10)에 외력(F)을 인가하여, 설치 부재(10)를 바로 도 19의 상태로 형성한 후 삽입 홀(H)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작업 효율성 및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Meanwhile, the installation member (10) may be provided in a semi-built-up state with the housing (100), the support member (200), and the tightening member (300). In the above case, the worker may apply an external force (F) to the installation member (10) to form the installation member (10) into the state of Fig. 19 and then attach it to the insertion hole (H). In the above case, work efficiency and convenience may be improved.

도 19를 참조하면, 하우징(100)과 결합된 제1 및 제2 지지 부재(200a, 200b)에 외력이 인가되어 서로를 향해 이동된 상태가 도시된다.Referring to FIG. 19, a state is illustrated in which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00a, 200b) coupled with the housing (100) and they move toward each other.

구체적으로, 좌측에 위치되는 제1 지지 부재(200a) 및 이와 결합된 조임 부재(300)에는 우측을 향하는 방향의 외력(F)이 인가된다. 또한, 우측에 위치되는 제2 지지 부재(200b) 및 이와 결합된 조임 부재(300)에는 좌측을 향하는 방향의 외력(F)이 인가된다.Specifically, an external force (F) directed toward the right is appli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200a) located on the left and the tightening member (300) coupled therewith. In addition, an external force (F) directed toward the left is applied to the second support member (200b) located on the right and the tightening member (300) coupled therewith.

이에 따라, 제1 지지 부재(200a)에 구비되는 지지 돌출부(230)는 우측으로, 제2 지지 부재(200b)에 구비되는 지지 돌출부(230)는 좌측으로 이동되어, 지지 돌출부(230)가 제2 하우징 몸체(12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최소화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돌출부(230)의 단부는 제2 하우징 몸체(120)의 외주의 방사상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upport protrusion (230) provided on the first support member (200a) is moved to the right, and the support protrusion (230) provided on the second support member (200b) is moved to the left, so that the portion of the support protrusion (23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housing body (120) is minimized. Preferably, the end of the support protrusion (230) may be positioned radially inward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housing body (120).

이에, 상기 상태에서, 설치 부재(10)의 제2 하우징 몸체(120) 및 이와 결합된 지지 부재(200)는 삽입 홀(H)에 수용되거나 인출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n the above state, the second housing body (120) of the installation member (10) and the support member (200) combined therewith can be received or withdrawn into the insertion hole (H).

한편, 복수 개의 지지 부재(200)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도 18 내지 도 19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에 위치되는 제1 지지 부재(200a)는 우측에 위치되는 제2 지지 부재(200b)에 비해 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제1 및 제2 지지 부재(200a, 200b)는 높이 방향으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이를 위해, 일부의 조임 부재(300)가 하우징(100) 및 제1 지지 부재(200a)와 결합된 길이는, 다른 일부의 조임 부재(300)가 하우징(100) 및 제2 지지 부재(200b)와 결합된 길이와 상이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200) may be positioned at different heights. That is, in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FIGS. 18 and 19, the first support member (200a) positioned on the left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second support member (200b) positioned on the right. In other words,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00a, 200b) are arranged to be staggered in the height direction. To this end, the length at which some of the tightening members (300) are coupled to the housing (100)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200a) may be different from the length at which other of the tightening members (300) are coupled to the housing (100)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00b).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지지 부재(200a, 200b)에 각각 구비되는 지지 돌출부(230) 또한 높이 방향으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복수 개의 지지 부재(200)에 외력(F)이 각각 인가될 경우, 각 지지 부재(200)는 다른 지지 부재(200)에 의해 간섭받지 않고 상대를 향해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치 부재(10)가 삽입 홀(H)에 보다 용이하게 관통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upport protrusions (230) provided 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00a, 200b) may also be arranged staggered in the height direction. In the above case, when an external force (F) is a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200), each support member (200) can easily move toward the other without interference from the other support members (200). Accordingly, the installation member (10) can more easily penetrate into the insertion hole (H).

상기 상태는 도 18의 과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설치 부재(10)가 반 조립 상태로 제공되는 경우, 복수 개의 지지 부재(200)가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된 상태로 반 조립되어 제공될 수 있다. The above state can be formed through the process of Fig. 18. In addition, when the installation member (10) is provided in a semi-assembled state,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200) can be provided in a semi-assembled state positioned at different heights.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설치 부재(10)가 플레이트(P)의 삽입 홀(H)에 삽입된다. 이때, 제1 하우징 몸체(110) 및 스토퍼(130)는 플레이트(P)의 상측에 위치되어, 스토퍼(130)는 플레이트(P)의 상측 면에 지지된다. 또한, 제2 하우징 몸체(12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 홀(H)에 관통되어, 제2 하우징 몸체(120) 및 이와 결합된 지지 부재(200)는 플레이트(P)의 하측에 위치된다.Referring to FIGS. 20 and 21, the installation member (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H) of the plate (P). At this time, the first housing body (110) and the stopper (130) are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plate (P), so that the stopper (130)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P). In addition, the second housing body (120) is at least partially penetrated into the insertion hole (H), so that the second housing body (120) and the support member (200) coupled thereto are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plate (P).

도 22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지지 부재(200a, 200b)에 외력이 인가되어 서로에 대해 반대되도록 이동된 상태가 도시된다.Referring to FIG. 22, a state is illustrated in which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00a, 200b) and they move in opposition to each other.

구체적으로, 좌측에 위치되는 제1 지지 부재(200a) 및 이와 결합된 조임 부재(300)에는 좌측을 향하는 방향의 외력(F)이 인가된다. 또한, 우측에 위치되는 제2 지지 부재(200b) 및 이와 결합된 조임 부재(300)에는 우측을 향하는 방향의 외력(F)이 인가된다.Specifically, an external force (F) directed toward the left is appli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200a) located on the left and the tightening member (300) coupled therewith. In addition, an external force (F) directed toward the right is applied to the second support member (200b) located on the right and the tightening member (300) coupled therewith.

이에 따라, 제1 지지 부재(200a)에 구비되는 지지 돌출부(230)는 좌측으로 이동되어, 제2 하우징 몸체(12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또한, 제2 지지 부재(200b)에 구비되는 지지 돌출부(230)는 우측으로 이동되어, 제2 하우징 몸체(12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Accordingly, the support protrusion (230) provided on the first support member (200a) is moved to the left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housing body (120). In addition, the support protrusion (230) provided on the second support member (200b) is moved to the right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housing body (120).

이에 따라, 각 지지 돌출부(230)의 단부는 제2 하우징 몸체(120)의 외주에 비해 방사상 외측에 위치된다. 상기 상태에서, 지지 돌출부(230)와 플레이트(P)가 상하 방향으로 겹쳐지게 배치된다. Accordingly, the end of each support protrusion (230) is positioned radially outward compar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housing body (120). In this state, the support protrusion (230) and the plate (P) are arranged to overlap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24를 참조하면, 조임 부재(300)가 회전되어 지지 부재(200)가 상승한 상태가 도시된다. Referring to FIG. 24, a state is illustrated in which the tightening member (300) is rotated and the support member (200) is raised.

즉, 조임 부재(300)의 하측 단부는 플레이트(P)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상태에서 조임 부재(300)가 회전되면, 조임 부재(300)는 이동되지 않고 조임 부재(300)와 결합된 지지 부재(200)가 상승된다. 이에 따라, 지지 돌출부(230)가 함께 상승되어, 플레이트(P)의 하측 면과 밀착된다.That is, the lower end of the tightening member (300) is supported by the plate (P). When the tightening member (300) is rotated in the above state, the tightening member (300) does not move, and the support member (200) coupled with the tightening member (300) rises. Accordingly, the support protrusion (230) rises together and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P).

따라서, 스토퍼(130) 및 지지 돌출부(230)가 플레이트(P)와 밀착되어, 설치 부재(10)와 플레이트(P)의 결합이 완료된다. Accordingly, the stopper (130) and the support protrusion (230)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plate (P), thereby complet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installation member (10) and the plate (P).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과정이 역으로 수행되어 설치 부재(10)가 플레이트(P)와 분리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Although not shown,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above process can be performed in reverse so that the installation member (10) can be separated from the plate (P).

도 24를 참조하면, 설치 부재(10)에 의해 출수 장치(20)가 플레이트(P)에 설치되는 과정이 예시로서 도시된다.Referring to Fig. 24, a process in which a discharge device (20) is installed on a plate (P) by an installation member (10)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상술한 과정을 통해 설치 부재(10)가 플레이트(P)와 결합된 후, 출수 장치(20)의 파이프 부재(22)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설치 부재(10)를 수용하며 플레이트(P)에 안착된다. 체결 부재(23)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설치 부재(10)와 파이프 부재(22)를 결합시킨다. After the installation member (10) is combined with the plate (P)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pipe member (22) of the discharge device (20) moves downward to accommodate the installation member (10) and is seated on the plate (P). The fastening member (23) moves horizontally to combine the installation member (10) and the pipe member (22).

이후, 파우셋(21) 및 파우셋(21)과 연결된 관 부재(도면 부호 미부여)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파이프 부재(22)를 감싸며 플레이트(P)에 안착된다. Thereafter, the faucet (21) and the pipe member (not given a drawing symbol) connected to the faucet (21) are moved downward to wrap around the pipe member (22) and are settled on the plate (P).

도 25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상기 과정에 의해 플레이트(P)에 설치된 출수 장치(20)의 상태가 도시된다. Referring to FIGS. 25 to 27, the state of the discharge device (20) installed on the plate (P) by the above process is illustrated.

상기 상태에서, 플레이트(P)는 스토퍼(130) 및 지지 돌출부(230) 사이에 위치되어 이들과 각각 밀착된다. 또한, 설치 부재(10)는 파이프 부재(22) 및 파우셋(21)에 구비되는 관 부재(도면 부호 미부여)에 수용되어, 외부에 임의 노출되지 않는다.In the above state, the plate (P) is positioned between the stopper (130) and the support protrusion (230)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m,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installation member (10) is accommodated in a pipe member (not given a drawing symbol) provided in the pipe member (22) and the faucet (21), and is not arbitrarily exposed to the outside.

이상 설명한 설치 부재(10) 및 이를 포함하는 출수 장치(20)가 플레이트(P)와 결합되는 각 과정에서 모든 외력(F)이 모두 플레이트(P)의 상측에서 인가된다. 따라서, 설치 부재(10) 및 이를 포함하는 출수 장치(20)를 싱크대 등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싱크대의 외부에서 설치에 필요한 모든 외력을 인가하는 것만으로도 설치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In each process in which the installation member (10) and the discharge device (20) including it described above are combined with the plate (P), all external forces (F) are appli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plate (P). Therefore, even when the installation member (10) and the discharge device (20) including it are installed in a sink or the like, the installation process can be performed simply by applying all external forces required for installation from the outside of the sink.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by adding, changing, deleting, or adding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but this will also be considered to fall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설치 부재 20: 출수 장치
21: 파우셋 22: 파이프 부재
23: 체결 부재 100: 하우징
110: 제1 하우징 몸체 111: 제1 하우징 공간
120: 제2 하우징 몸체 121: 제2 하우징 공간
122: 이탈 방지 리브 123: 승강 제한 면
130: 스토퍼 131: 가스켓 결합 돌출부
132: 스토퍼 홈 133: 회전 방지 돌기
134: 가스켓 수용 공간 140: 하우징 개구부
141: 삽입 개구부 142: 조정 개구부
143: 지지 개구부 144: 연통 개구부
150: 조임 부재 관통공 151: 제1 조임 부재 관통공
152: 제2 조임 부재 관통공 160: 안착 가스켓
161: 가스켓 개구부 162: 가스켓 홈
163: 가스켓 돌기 200: 지지 부재
200a: 제1 지지 부재 200b: 제2 지지 부재
210: 지지 헤드부 211: 헤드 개구부
212: 헤드 공간 220: 지지 몸체부
221: 몸체 공간 222: 보강 요철부
230: 지지 돌출부 231: 지지 요철부
240: 조임 부재 결합공 300: 조임 부재
310: 조임 헤드부 320: 조임 몸체부
F: 외력 P: 플레이트
H: 삽입 홀
10: Installation Absence 20: Water Outlet Device
21: Faucet 22: Pipe Absence
23: Fastening member 100: Housing
110: First housing body 111: First housing space
120: Second housing body 121: Second housing space
122: Anti-separation rib 123: Lift limit surface
130: Stopper 131: Gasket joint projection
132: Stopper groove 133: Anti-rotation protrusion
134: Gasket receiving space 140: Housing opening
141: Insertion opening 142: Adjustment opening
143: Support opening 144: Flue opening
150: Tightening member through hole 151: First tightening member through hole
152: Second tightening member penetration hole 160: Settling gasket
161: Gasket opening 162: Gasket groove
163: Gasket projection 200: Support member
200a: First support member 200b: Second support member
210: Support head part 211: Head opening part
212: Head space 220: Support body
221: Body space 222: Reinforcing ribs
230: Support protrusion 231: Support protrusion
240: Tightening member joint 300: Tightening member
310: Tightening head part 320: Tightening body part
F: External force P: Plate
H: Insertion hole

Claims (16)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공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높이 방향의 일 측에 위치되고, 내부에 제1 하우징 공간이 형성된 제1 하우징 몸체;
높이 방향의 타 측에 위치되고, 소정의 직경의 단면을 갖고, 내부에 상기 제1 하우징 공간과 연통되는 제2 하우징 공간이 형성된 제2 하우징 몸체; 및
상기 제1 하우징 몸체 및 상기 제2 하우징 몸체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2 하우징 몸체에 비해 큰 직경의 단면을 갖고, 외부의 플레이트와 밀착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2 하우징 공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며, 상기 제2 하우징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플레이트와 밀착되는 지지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 돌출부를 마주하게 배치되는,
설치 부재.
a housing having a space formed inside; and
A support member movably coupled to said housing and at least partially accommodated in said space,
The above housing,
A first housing body positioned on one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and having a first housing space formed inside;
A second housing body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having a cross-section of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having a second housing space formed inside that is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space; and
A stopper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housing body and the second housing body, having a cross-section with a larger diameter than the second housing body, and in close contact with an external plate,
The above support member is,
A supporting projection is at least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second housing space, protrudes outwardly from the second housing body,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late.
The above stopper is positioned facing the support protrusion with the above plate in between.
Absence of install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내부에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삽입 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 하우징 몸체의 단면의 직경은 상기 삽입 홀의 단면의 직경 이하로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의 단면의 직경은 상기 삽입 홀의 단면의 직경을 초과하게 형성되는,
설치 부재.
In the first paragraph,
An insertion hol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is formed through the inside of the above plate,
The diameter of the cross-section of the second housing body is formed to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cross-section of the insertion hole,
The cross-sectional diameter of the above stopper is formed to exceed the cross-sectional diameter of the above insertion hole.
Absence of install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방사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2 하우징 몸체와 결합되고,
상기 지지 부재가 방사상 내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지지 돌출부의 단부가 상기 제2 하우징 몸체의 외주에 비해 방사상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지지 부재가 방사상 외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지지 돌출부의 단부가 상기 제2 하우징 몸체의 외주에 비해 방사상 외측에 위치되는,
설치 부재.
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support member is connected to the second housing body so as to be movable in the radial direction,
When the above support member is moved radially inward, the end of the support protrusion is positioned radially inward relative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housing body,
When the above support member is moved radially outward, the end of the support protrusion is positioned radially outward relative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housing body.
Absence of install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 공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지 헤드부; 및
상기 지지 헤드부 및 상기 지지 돌출부와 각각 연속되고, 상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헤드부 및 상기 지지 돌출부는 상기 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배치되는,
설치 부재.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support member is,
A support head portion that is at least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first housing space and protrudes radially outwardly; and
It includes a support body part that is continuous with the support head part and the support protrusion part, respectively, and extends in the height direction,
The above support head portion and the above support protrusion portion are arranged facing each other with the plate in between.
Absence of installa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 하우징 몸체의 외주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지지 돌출부가 방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지지 개구부를 포함하는,
설치 부재.
In paragraph 4,
The above housing,
A support opening formed through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housing body and positioned so that the support protrusion can move in a radial direction,
Absence of installa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개구부는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제2 하우징 몸체의 외주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복수 개의 상기 지지 개구부 중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는 한 쌍의 상기 지지 개구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탈 방지 리브를 포함하는,
설치 부재.
In paragraph 5,
The above support openings are provided in multiple numbers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housing body,
The above second housing,
A pair of said support openings are positioned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said support openings, and include a detachment prevention rib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Absence of installa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돌출부는 한 쌍 구비되어, 한 쌍의 상기 지지 돌출부는 상기 이탈 방지 리브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배치되는,
설치 부재.
In Article 6,
The above support protrusions are provided in pairs, and the pair of support protrusions are arranged facing each other with the separation-prevention rib interposed therebetween.
Absence of install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지지 부재와 각각 결합되는 조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 부재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높이 방향의 상기 일 측에 위치되고, 상기 조임 부재의 연장 방향의 타 단부는 상기 플레이트에 지지되는,
설치 부재.
In the first paragraph,
It includes a tightening member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and being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the support member, respectively;
One end of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above tightening member is located on the one side of the height direction of the above first housing, and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above tightening member is supported on the plate.
Absence of installa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 부재는 나사(screw)로 구비되어, 상기 조임 부재가 회전되면 상기 지지 부재가 승강되게 구성되는,
설치 부재.
In Article 8,
The above tighten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screw, and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tightening member rotates, the support member is raised and lowered.
Absence of install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2 하우징 공간의 단면의 직경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높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설치 부재.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support members are provided in multiple numbers, and the multiple support members ar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diameter direction of the cross-section of the second housing space.
A plurality of said support members are arranged at different positions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ousing.
Absence of installation.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공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높이 방향의 일 측에 위치되고, 내부에 제1 하우징 공간이 형성된 제1 하우징 몸체;
상기 제1 하우징 몸체의 상기 높이 방향의 타 측과 연속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와 결합되고, 외부의 플레이트의 일 면과 밀착되는 안착 가스켓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 공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며, 상기 제1 하우징 몸체의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지 헤드부;
상기 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안착 가스켓을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타 면과 밀착되는 지지 돌출부; 및
상기 제1 하우징 공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며, 상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지지 헤드부 및 상기 지지 돌출부와 각각 결합되는 지지 몸체부를 포함하는,
설치 부재.
a housing having a space formed inside; and
A support member movably coupled to said housing and at least partially accommodated in said space,
The above housing,
A first housing body positioned on one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and having a first housing space formed inside;
A stopper continuous with the other side of the first housing body in the height direction; and
It includes a seating gasket that is combined with the above stopper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outer plate,
The above support member is,
A support head portion that is at least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first housing space and protrudes radially outwardly from the first housing body;
A supporting protrusion positioned so as to face the mounting gasket with the above plat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urface of the plate; and
A support body portion that is at least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first housing space, extends in the height direction, and is respectively coupled with the support head portion and the support protrusion portion.
Absence of installa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방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지지 부재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조임 부재를 포함하는,
설치 부재.
In Article 11,
A tightening member is included, which is radially movably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supports the support member in a lifting manner.
Absence of installa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내부에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삽입 홀이 상기 높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한 쌍 구비되며,
상기 조임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가 방사상 외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지지 돌출부의 각 단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삽입 홀의 직경을 초과하게 형성되고,
상기 조임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가 방사상 내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지지 돌출부의 상기 각 단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삽입 홀의 직경 이하로 형성되는,
설치 부재.
In Article 12,
An insertion hol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is formed through the inside of the above plate in the height direction,
The above support members are provided in pairs,
When the tightening member and the supporting member are moved radially outward, the distance between each end of the supporting protrusion is formed to exceed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When the tightening member and the supporting member are moved radially inward, the distance between each end of the supporting protrusion is formed to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Absence of installa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 공간의 단면의 직경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높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설치 부재.
In Article 11,
The above support members are provided in multiple numbers, and the multiple support members ar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diameter direction of the cross-section of the first housing space.
A plurality of said support members are arranged at different positions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ousing.
Absence of installation.
유체를 배출하는 파우셋;
상기 파우셋에 수용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이프 부재; 및
상기 파이프 부재에 수용되며, 외부의 플레이트에 관통 형성된 삽입 홀에 관통 결합되는 설치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설치 부재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공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플레이트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파이프 부재에 수용되고, 내부에 제1 하우징 공간이 형성된 제1 하우징 몸체;
상기 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되고 내부에 상기 제1 하우징 공간과 연통되는 제2 하우징 공간이 형성된 제2 하우징 몸체; 및
상기 제1 하우징 몸체 및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삽입 홀의 직경에 비해 큰 직경의 단면을 갖는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 하우징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승되어 상기 플레이트와 밀착되는 지지 돌출부를 포함하는,
출수 장치.
A faucet for discharging fluid;
A pipe member accommodated in the above faucet and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It is accommodated in the above pipe member and includes an installation member that is penetrated and connected to an insertion hole formed through the outer plate,
The above installation absence is,
A housing having a space formed inside and extending in said one direction; and
A support member is liftably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is at least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space,
The above housing,
A first housing body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plate, accommodated in the pipe member, and having a first housing space formed inside;
A second housing body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plate and having a second housing space formed therein,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space; and
A stopper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housing body and the plate and having a cross-section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The above support member is,
A support protrusion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plate,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second housing body, and rising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plate,
Extraction device.
제15항에 있어서,
승강 가능하게 상기 지지 부재와 결합되고, 방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조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 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 몸체의 상측에 위치되는,
출수 장치.
In Article 15,
A tightening member is included that is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so as to be liftable and connected to the housing so as to be radially movable,
The above tightening member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housing body,
Extraction device.
KR1020230111260A 2023-08-24 2023-08-24 Install member and water discharging apparatus include the same Pending KR20250030193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1260A KR20250030193A (en) 2023-08-24 2023-08-24 Install member and water discharging apparatus include the same
PCT/KR2024/005228 WO2025041957A1 (en) 2023-08-24 2024-04-18 Installation member and water dispensing apparatus includ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1260A KR20250030193A (en) 2023-08-24 2023-08-24 Install member and water discharging apparatus include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030193A true KR20250030193A (en) 2025-03-05

Family

ID=94979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1260A Pending KR20250030193A (en) 2023-08-24 2023-08-24 Install member and water discharging apparatus include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50030193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1314A (en) 2000-06-28 2002-01-09 윤종용 Method For Manufacturing Metal Pattern For Semiconductor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1314A (en) 2000-06-28 2002-01-09 윤종용 Method For Manufacturing Metal Pattern For Semiconductor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1048B2 (en) Liquid purifier
KR102404396B1 (en) Flow channel switching valv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11186475B2 (en) Liquid pur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041233B2 (en) Faucet valve housing assembly
EP3351694A1 (en) Faucet with multi-directional controls
US20150276082A1 (en) Electrically operated valve
KR20170141338A (en) Gas cylinder connector
CN105035993B (en) Lifter
WO2019085203A1 (en) Cooking vessel assembly apparatus
US20110203689A1 (en) Temperature controlling valve
CN114087393B (en) Ball socket parallel swing arm type cold and hot water pure water dual-mode switching faucet
KR20250030193A (en) Install member and water discharging apparatus include the same
US6554478B2 (en) Bearing assembly for a heat dissipation fan
US10697157B2 (en) Counter-top rapid installation device for tap
JP5695519B2 (en) Hot and cold water faucet
WO2019085202A1 (en) Connection assembly
CN212294877U (en) A new combination structure of faucet pins
KR20250030194A (en) Water discharging apparatus
KR20180063979A (en) Valve being used as both check valve and electronic expansion valve and having selectable ports, and cooling and heating system
CA2694815A1 (en) Temperature controlling valve
CN205503580U (en) Hydraulic tank subassembly and operation machinery
CN223208208U (en) Water-cooling pressure cooking utensil
CN222633862U (en) Flow regulating device for high-temperature slag outlet
CN111434960B (en) Control valve
CN220416277U (en) Electric valve, vehicular air conditioning system and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2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