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50038764A - Tead 억제제 및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Tead 억제제 및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50038764A
KR20250038764A KR1020257005344A KR20257005344A KR20250038764A KR 20250038764 A KR20250038764 A KR 20250038764A KR 1020257005344 A KR1020257005344 A KR 1020257005344A KR 20257005344 A KR20257005344 A KR 20257005344A KR 20250038764 A KR20250038764 A KR 20250038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alkyl
cancer
group
optionally substitu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57005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플로리안 뮬러
앤드류 몰리
샤론 샤캄
Original Assignee
스포로스 바이오디스커버리,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포로스 바이오디스커버리, 인크. filed Critical 스포로스 바이오디스커버리, 인크.
Publication of KR20250038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50038764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3/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6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 C07D26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63/3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63/3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1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heterocyclic ring, e.g. piracetam, ethosuxim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641,3-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641,3-Diazoles
    • A61K31/41781,3-Diazoles not condensed 1,3-diazoles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pilocarpine, nitrofuranto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Oxazoles
    • A61K31/422Oxazoles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45Oxa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4965Non-condensed pyrazines
    • A61K31/497Non-condensed pyrazines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Pyridazines; Hydrogenated pyridazines
    • A61K31/501Pyridazines; Hydrogenated pyridazines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4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metasta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 C07D233/2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3/30Oxygen or sulfur atoms
    • C07D233/32One oxygen atom
    • C07D233/34Ethylene-urea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 C07D233/2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3/30Oxygen or sulfur atoms
    • C07D233/40Two or more 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3/5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3/5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3/5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3/5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3/6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e.g. histid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4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even-membered rings having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4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even-membered rings having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s in positions 1 and 2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4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even-membered rings having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4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even-membered rings having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s in positions 1 and 4
    • C07D243/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even-membered rings having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s in positions 1 and 4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5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having four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5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having four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57/04Five-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nitrogen atoms and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nitrogen atoms and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71/101,3,4-Oxadiazoles; Hydrogenated 1,3,4-oxadiazoles
    • C07D271/1071,3,4-Oxadiazoles; Hydrogenated 1,3,4-oxadiazoles with two aryl or substituted aryl radicals attached in positions 2 and 5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nc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부분적으로 변수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및 생리적 장애, 예컨대 TEA 도메인 전사 인자에 의해 매개되는 증식성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상기 화합물의 사용 방법을 제공한다.
.

Description

TEAD 억제제 및 사용 방법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2년 7월 21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3/369,036호에 대한 우선권과 이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의 내용은 그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편입된다.
개시내용의 요약
특정 실시양태에서, 하기 화학식 (I), 화학식 (I'), 화학식 (I-1), 또는 화학식 (I-1')의 화합물, 예를 들어, 화학식 (Ia),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c'), 화학식 (Id), 및/또는 화학식 (Ie)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본원에 개시된다. 추가적으로, 특정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 화학식 (I'), 화학식 (I-1), 또는 화학식 (I-1')의 화합물, 예를 들어, 화학식 (Ia),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c'), 화학식 (Id), 및/또는 화학식 (Ie)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본원에 개시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비정상적인 전사 증강 연관(transcriptional enhanced associate; TEA) 도메인 전사 인자(TEAD) 전사 복합 활성을 억제하고, 이에 따라 특정 질환 또는 장애 예컨대 비정상적인 TEAD 전사 복합 활성(예를 들어, 과활성화)를 특징으로 하는 암을 치료하는 방법이 본원에 추가로 개시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본원에 개시된다:
상기 식에서, 변수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또한, 특정 실시양태에서,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본원에 개시된다:
상기 식에서, 변수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또한, 특정 실시양태에서, 하기 화학식 (I-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본원에 개시된다:
상기 식에서, 변수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또한, 특정 실시양태에서, 하기 화학식 (I-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본원에 개시된다:
상기 식에서, 변수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또한, 특정 실시양태에서, 하기 화학식 (Ia)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본원에 개시된다:
상기 식에서, 변수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또한, 특정 실시양태에서, 하기 화학식 (Ia')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본원에 개시된다:
상기 식에서, 변수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또한, 특정 실시양태에서, 하기 화학식 (Ib)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본원에 개시된다:
상기 식에서, 변수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또한, 특정 실시양태에서, 하기 화학식 (Ib')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본원에 개시된다:
상기 식에서, 변수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또한, 특정 실시양태에서, 하기 화학식 (Ic)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본원에 개시된다:
상기 식에서, 변수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또한, 특정 실시양태에서, 하기 화학식 (Ic')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본원에 개시된다:
상기 식에서, 변수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또한, 특정 실시양태에서, 하기 화학식 (I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본원에 개시된다:
상기 식에서, 변수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또한, 특정 실시양태에서, 하기 화학식 (Ie)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본원에 개시된다:
상기 식에서, 변수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 화학식 (I'), 화학식 (I-1), 화학식 (I-1'), 화학식 (Ia),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c'), 화학식 (Id), 또는 화학식 (Ie)의 화합물은 표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이 본원에 제공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본원에 개시된 약학 조성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대상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질환 또는 병태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TEAD 활성(예를 들어, 조절장애(disregulation))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 또는 병태를 치료하는 방법이 본원에 추가로 개시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질환 또는 병태는 비정상적인 TEAD 전사 복합 활성(예를 들어, 과활성화)를 특징으로 하는 암이다.
개시내용은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완전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인간 TEAD1, TEAD2, TEAD3, 및 TEAD4의 도메인 구조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백분율 값은 TEAD1의 각각의 결합 도메인에 대해 비교되는 TEAD2-4의 N-말단 DNA 결합 도메인(DNA-BD) 및 C-말단 YAP/TAZ 결합 도메인(YAP/TAZ-BD)의 동일성을 나타낸다. DNA-BD의 p38 결합 D 도메인뿐만 아니라 팔미토일화 및 인산화를 포함하는 번역후 변형이 또한 나타나 있다.
도 2a는 종양 형성, 줄기 세포 유지, 암 면역학, 및 신진대사뿐만 아니라 신호전달 피드백 루프(signaling feedback loop)의 형성에 있어서 중요한 기능을 조절하는, 암 생물학에서의 TEAD의 상류 신호전달 및 하류 전사 결과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발암성 신호 전달 경로(Oncogenic signal transduction pathway)는 EGFR 신호전달, TGFβ 신호전달, WNt 신호전달, GPCR 신호전달, 암 유전자(*로 표시함), 예컨대 KRAS, BRAF, LKB1, APC, 및 GNAQ/11을 포함한다.
도 2b는 종양 형성의 여러 단계에서의 TEAD의 역할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3a는 1일 2회 비히클로, 1일 2회 3 mg/kg 화합물 1-1로, 또는 1일 2회 12.5 mg/kg 화합물 5로 처리된 MSTO-211H 종양을 갖는 각각의 마우스의 처리 전 및 처리 후 7일차의 종양 부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b도 3a에 기재된 처리 그룹에서의 MSTO-211H 종양 부피의 평균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세한 설명
특정 실시양태에서, 화합물 및 조성물, 예를 들어 화학식 (I), 화학식 (I'), 화학식 (I-1), 또는 화학식 (I-1')의 화합물, 예를 들어, 화학식 (Ia),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c'), 화학식 (Id), 및/또는 화학식 (Ie)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본원에 제공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 화학식 (I'), 화학식 (I-1), 또는 화학식 (I-1')의 화합물, 예를 들어, 화학식 (Ia),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c'), 화학식 (Id), 및/또는 화학식 (Ie)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본원에 추가로 제공된다. 또한,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 및 조성물의 사용 방법이 본원에 제공된다. 본원에 개시된 고려되는 화합물 및 조성물은 전사 증강 인자 도메인(TEAD) 활성의 억제제이고, 이에 따라 이는 비정상적인 TEAD 전사 복합 활성(예를 들어, 과활성화)를 특징으로 하는 암과 같은 특정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에서 유용하다.
특정 용어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 사용된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는 청구된 주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면역학, 종양학, 세포 및 조직 배양, 분자 생물학, 및 단백질 올리고머- 또는 폴리뉴클레오티드 화학 및 혼성화와 관련하여 이용되는 명명법, 및 이의 기술은 본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일반적인 설명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하고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청구된 임의의 주제를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섹션 제목은 구성적인 목적만을 위한 것이며, 기재된 주제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관사 "a" 및 "an"은 하나 또는 하나 초과(즉, 적어도 하나)의 관사의 문법적 목적어를 지칭하기 위해 본원에 사용된다.
화학적 정의
특정 작용기 및 화학 용어의 정의는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비대칭 중심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다양한 이성질체 형태, 예를 들어, 거울상 이성질체 및/또는 부분입체 이성질체로 존재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은 개별적인 거울상 이성질체, 부분입제 이성질체 또는 기하 이성질체의 형태이거나, 또는 라세미체 혼합물을 포함하는 입체 이성질체의 혼합물 및 하나 이상의 입체 이성질체가 풍부한 혼합물의 형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이성질체는 키랄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및 키랄 염의 형성과 결정화를 포함하는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알려진 방법에 의해 혼합물로부터 단리되거나; 또는 바람직한 이성질체는 비대칭 합성에 의해 제조된다. 개시내용은 추가적으로 다른 이성질체가 실질적으로 없는 개별적인 이성질체로서, 그리고 대안적으로 다양한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은 또한 하나 이상의 동위원소 치환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양태에서, H는 1H, 2H (D 또는 중수소), 및 3H (T 또는 삼중수소)를 포함하는 임의의 동위원소 형태이며; C는 12C, 13C, 및 14C를 포함하는 임의의 동위원소 형태이며; O는 16O 및 18O를 포함하는 임의의 동위원소 형태이며; F는 18F 및 19F를 포함하는 임의의 동위원소 형태이며; 기타 마찬가지이다.
값이 범위가 열거되는 경우, 이는 상기 범위 내의 각각의 값 및 하위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C1-6 알킬"은 C1, C2, C3, C4, C5, C6, C1-6, C1-5, C1-4, C1-3, C1-2, C2-6, C2-5, C2-4, C2-3, C3-6, C3-5, C3-4, C4-6, C4-5, 및 C5-6 알킬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알킬"은 예를 들어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형 포화 탄화수소기의 라디칼("C1-C20 알킬")을 지칭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알킬기는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C1-C10 알킬"). 일부 실시양태에서, 알킬기는 1 내지 9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C1-C9 알킬"). 일부 실시양태에서, 알킬기는 1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C1-C8 알킬"). 일부 실시양태에서, 알킬기는 1 내지 7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C1-C7 알킬"). 일부 실시양태에서, 알킬기는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C1-C6 알킬"). 일부 실시양태에서, 알킬기는 1 내지 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C1-C5 알킬"). 일부 실시양태에서, 알킬기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C1-C4 알킬"). 일부 실시양태에서, 알킬기는 1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C1-C3 알킬"). 일부 실시양태에서, 알킬기는 1 내지 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C1-C2 알킬"). 일부 실시양태에서, 알킬기는 1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C1 알킬"). C1-C6 알킬기의 예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펜틸, 헥실 등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알킬렌"은 알킬기의 2가 라디칼을 지칭한다. 탄소의 범위 또는 수가 특정 "알킬렌" 기에 대해 제공되는 경우, 범위 또는 수는 선형 탄소 2가 사슬 내의 탄소의 범위 또는 수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알킬렌"기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는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아릴"은 방향족 고리계에 제공되는 6-14개의 고리 탄소 원자 및 제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모노시클릭 또는 폴리시클릭(예를 들어, 비시클릭 또는 트리시클릭) 4n+2 방향족 고리계(예를 들어, 시클릭 배열로 공유되는 6, 10, 또는 14개의 π 전자를 가짐)의 라디칼("C6-14 아릴")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헤테로아릴"은 방향족 고리계에 제공되는 고리 탄소 원자 및 1-4개의 고리 헤테로원자를 갖는, 5-10원 모노시클릭 또는 비시클릭 4n+2 방향족 고리계(예를 들어, 시클릭 배열로 공유되는 6 또는 10개의 전자를 가짐)의 라디칼을 지칭하고, 여기서 각각의 헤테로원자는 독립적으로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된다("5-10원 헤테로아릴"). 일부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헤테로아릴기에서, 부착점은 원자가가 허용되는 바에 따라 탄소 또는 질소 원자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헤테로아릴기는 방향족 고리계에 제공되는 고리 탄소 원자 및 1-4개의 고리 헤테로원자를 갖는 5-6원 방향족 고리계이고, 여기서 각각의 헤테로원자는 독립적으로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된다("5-6원 헤테로아릴"). 일부 실시양태에서, 5-6원 헤테로아릴은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1-3개의 고리 헤테로원자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5-6원 헤테로아릴은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1-2개의 고리 헤테로원자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5-6원 헤테로아릴은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의 고리 헤테로원자를 갖는다.
하나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5원 헤테로아릴기는, 제한 없이, 피롤릴, 푸라닐 및 티오페닐을 포함한다. 2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5원 헤테로아릴기는, 제한 없이,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티아졸릴, 및 이소티아졸릴을 포함한다. 3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5원 헤테로아릴기는, 제한 없이, 트리아졸릴, 옥사디아졸릴, 및 티아디아졸릴을 포함한다. 4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5원 헤테로아릴기는, 제한 없이, 테트라졸릴을 포함한다. 1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6원 헤테로아릴기는, 제한 없이, 피리디닐을 포함한다. 2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6원 헤테로아릴기는, 제한 없이, 피리다지닐, 피리미디닐, 및 피라지닐을 포함한다. 3 또는 4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6원 헤테로아릴기는, 제한 없이, 각각 트리아지닐 및 테트라지닐을 포함한다.
용어 "시클로알킬"은, 예를 들어, 시클로알칸으로부터 유래되는 "C3-C10시클로알킬"로 본원에 지칭되는 3-12, 3-10, 3-8, 4-8, 또는 4-6개의 탄소의 1가 포화 시클릭, 비시클릭 또는 가교된 시클릭(예를 들어, 아다만틸) 탄화수소기를 지칭한다. 예시적인 시클로알킬기는, 비제한적으로, 시클로헥산, 시클로펜탄, 시클로부탄 및 시클로프로판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헤테로시클릴" 또는 "헤테로시클릭"은 고리 탄소 원자 및 1 내지 4개의 고리 헤테로원자를 갖는 3원 내지 10원 비-방향족 고리계의 라디칼을 지칭하고, 여기서 각각의 헤테로원자는 독립적으로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된다("3-10원 헤테로시클릴"). 일부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헤테로시클릴기에서, 부착점은 원자가가 허용되는 바에 따라 탄소 또는 질소 원자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헤테로시클릴기는 모노시클릭("모노시클릭 헤테로시클릴") 또는 융합된, 가교된 또는 스피로 고리계 예컨대 비시클릭 계("비시클릭 헤테로시클릴")이고, 그리고 이는 포화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불포화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헤테로시클릴 비시클릭 고리계는 1 또는 2개 고리에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한다. "헤테로시클릴"은 또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헤테로시클릴 고리가 하나 이상의 시클로알킬기와 융합되고, 부착점은 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 상에 있는 고리계, 또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헤테로시클릴 고리가 하나 이상의 페닐 또는 헤테로아릴 기와 융합되고, 부착점은 헤테로시클릴 고리 상에 있는 고리계를 포함하며, 이러한 경우, 고리 구성원의 수는 헤테로시클릴 고리계 중의 고리 구성원의 수를 연속적으로 지정한다. 용어 "헤테로사이클",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시클릴 고리", "헤테로시클릭기", "헤테로시클릭 모이어티" 및 "헤테로시클릭 라디칼"은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헤테로시클릴기는 고리 탄소 원자 및 1-4개의 고리 헤테로원자를 갖는 3-10원 비-방향족 고리계이고, 여기서 각각의 헤테로원자는 독립적으로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된다("3-10원 헤테로시클릴"). 일부 실시양태에서, 헤테로시클릴기는 고리 탄소 원자 및 1-4개의 고리 헤테로원자를 갖는 3-7원 비-방향족 고리계이고, 여기서 각각의 헤테로원자는 독립적으로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된다("3-7원 헤테로시클릴"). 일부 실시양태에서, 헤테로시클릴기는 고리 탄소 원자 및 1-4개의 고리 헤테로원자를 갖는 5-10원 비-방향족 고리계이고, 여기서 각각의 헤테로원자는 독립적으로 질소, 산소, 황, 붕소, 인, 및 규소로부터 선택된다("5-10원 헤테로시클릴"). 일부 실시양태에서, 헤테로시클릴기는 고리 탄소 원자 및 1-4개의 고리 헤테로원자를 갖는 5-8원 비-방향족 고리계이고, 여기서 각각의 헤테로원자는 독립적으로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된다("5-8원 헤테로시클릴"). 일부 실시양태에서, 헤테로시클릴기는 고리 탄소 원자 및 1-4개의 고리 헤테로원자를 갖는 5-6원 비-방향족 고리계이고, 여기서 각각의 헤테로원자는 독립적으로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된다("5-6원 헤테로시클릴"). 일부 실시양태에서, 5-6원 헤테로시클릴은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1-3개의 고리 헤테로원자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5-6원 헤테로시클릴은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1-2개의 고리 헤테로원자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5-6원 헤테로시클릴은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고리 헤테로원자를 갖는다.
화합물 또는 화합물 상에 존재하는 기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헤테로"는 화합물 또는 기의 하나 이상의 탄소 원자가 질소, 산소, 또는 황 헤테로원자로 대체되는 것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헤테로는 알킬, 예를 들어, 헤테로알킬; 시클로알킬, 예를 들어, 헤테로시클릴; 아릴, 예를 들어, 헤테로아릴; 및 1 내지 5개, 특히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것과 같은 상기 기재된 하이드로카르빌기 중 어느 하나에 적용된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할로" 및 "할로겐"은 불소(플루오로, -F), 염소(클로로, -Cl), 브롬(브로모, -Br), 및 요오드(아이오도, -I)로부터 선택되는 원자를 지칭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할로기는 플루오로 또는 클로로이다.
용어 "할로알킬"은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는 모노, 폴리 및 퍼할로알킬기를 포함하고, 여기서 할로겐은 독립적으로 불소, 염소, 브롬 및 요오드로부터 선택된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옥소"는 =O를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하이드록실"은 -OH를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용어 "치환된"은 용어 "임의로"가 선행되든 선행되지 않든 기(예를 들어, 탄소 또는 질소 원자) 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소가 허용 가능한 치환기, 예를 들어, 치환 시, 안정한 화합물, 예를 들어, 재배열, 고리화, 제거, 또는 기타 반응에 의한 것과 같은 변형이 자발적으로 진행되지 않는 화합물을 생성하는 치환기로 대체되는 것을 의미한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치환된" 기는 기의 하나 이상의 치환 가능한 위치에서 치환기를 갖고, 임의의 주어진 구조에서 하나 초과의 위치가 치환되는 경우, 치환기는 각 위치에서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질소 원자는 원자가가 허용되는 바와 같이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으며, 1차, 2차, 3차 및 4차 질소 원자를 포함한다.
이러한 그리고 다른 예시적인 치환기는 상세한 설명, 실시예청구항에 보다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개시내용은 치환기의 상기 예시적인 목록에 의해 임의의 방식으로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기타 정의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는 활성 약학적 성분(들) 이외의 약학적 제제의 임의의 물질을 지칭한다. 예시적인 약학적 부형제는 제조 공정을 보조하거나; 안정성을 보호하거나, 지원하거나 또는 향상시키거나; 생체 이용 효율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환자 수용성(patient acceptability)을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것은 또한 제품 식별을 돕거나 또는 저장 또는 사용 과정에서 생성물의 전체적 안전성 또는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건전한 의학적 판단의 범위 내에서, 과도한 독성, 자극, 알레르기 반응 등이 없이 인간 및 하등 동물의 조직과 접촉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합리적인 이익/위험 비율에 상응하는 염을 지칭한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본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적합한 무기 및 유기 산 및 염기로부터 유래된 것을 포함한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비독성의 산 부가염의 예는 염산, 브롬화수소산, 인산, 황산 및 과염소산과 같은 무기산을 사용하거나 또는 아세트산, 옥살산, 말레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석신산 또는 말론산과 같은 유기산을 사용하거나 또는 이온 교환과 같은 본 기술분야에 사용되는 다른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형성되는 아미노기의 염이다. 다른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아디페이트, 알긴산, 아스코르베이트, 아스파르테이트, 벤젠설포네이트, 벤조에이트, 비설페이트, 보레이트, 부티레이트, 캄포레이트, 캄포르설포네이트, 시트레이트, 시클로펜탄프로피오네이트, 디글루코네이트, 도데실설페이트, 에탄설포네이트, 포르메이트, 푸마레이트, 글루코헵토네이트, 글리세로포스페이트, 글루코네이트, 헤미설페이트, 헵타노에이트, 헥사노에이트, 하이드로하이오다이드, 2-하이드록시-에탄설포네이트, 락토비오네이트, 락테이트, 라우레이트, 라우릴 설페이트, 말레이트, 말리에이트, 말로네이트, 메탄설포네이트, 2-나프탈렌설포네이트, 니코티네이트, 니트레이트, 올리에이트, 옥살레이트, 팔미테이트, 파모에이트, 펙티네이트, 퍼설레이트, 3-페닐프로피오네이트, 포스페이트, 피크레이트, 피발레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스테아레이트, 석시네이트, 설페이트, 타르트레이트, 티오시아네이트, p-톨루엔설포네이트, 운데카노에이트, 발레레이트 염 등을 포함한다. 적합한 염기로부터 유래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알칼리 금속, 알칼리토 금속, 암모늄 및 N+(C1-4알킬)4 염을 포함한다. 대표적인 알칼리 또는 알칼리토 금속염은 나트륨, 리튬,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을 포함한다. 추가적인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적절한 경우, 할라이드, 하이드록사이드, 카르복실레이트, 설페이트, 포스페이트, 니트레이트, 저급 알킬 설포네이트 및 아릴 설포네이트와 같이 반대이온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비독성 암모늄, 4차 암모늄, 및 아민 양이온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투여가 고려되는 "대상체"는, 비제한적으로, 인간(즉, 임의의 연령 그룹의 남성 또는 여성, 예를 들어 소아 대상체(예를 들어, 유아, 어린이, 청소년) 또는 성인 대상체(예를 들어, 청년 성인, 중년 성인 또는 노인 성인)) 및/또는 비-인간 동물, 예를 들어, 포유동물 예컨대 영장류(예를 들어, 사이노몰거스 원숭이(cynomolgus monkey), 레서스 원숭이(rhesus monkey)), 소, 돼지, 말, 양, 염소, 설치류, 고양이 및/또는 개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대상체는 인간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대상체는 비-인간 동물이다. 용어 "인간", "환자", "개체" 및 "대상체"는 본원에서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이들 용어 중 어느 것도 의료인의 감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용어 "질환", "장애" 및 "병태"는 본원에서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용어 "치료하다", "치료하는" 및 "치료"는 대상체가 특정된 질환, 장애 또는 병태를 앓는 동안, 질환, 장애 또는 병태의 중증도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질환, 장애 또는 병태를 지연시키거나 늦추는 행위로 고려된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 또는 "유효량"은 질환, 장애 또는 병태의 치료에 있어서 치료적 이점을 제공하거나 또는 질환, 장애 또는 병태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증상을 늦추거나 최소화하는 데 충분한 양이다.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 또는 유효량은 질환, 장애 또는 병태의 치료에 있어서 치료적 이점을 제공하는 다른 요법과 조합되거나 또는 단독으로의 치료제의 양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용어 "치료적 유효량" 또는 "유효량"은 전체 요법을 개선하거나, 질환 또는 병태의 증상 또는 원인을 감소시키거나 회피하거나, 또는 다른 치료제의 치료 효능을 향상시키는 양을 포함한다.
화합물
특정 실시양태에서,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본원에 개시된다:
상기 식에서,
X는 NRa,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은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10원 헤테로아릴이고; 여기서 5-10원 헤테로아릴은 임의로 치환되고;
R2는 3-10원 헤테로시클릴 또는 -(C1-C4알킬렌)-(3-10원 헤테로시클릴)이고, 여기서 3-10원 헤테로시클릴은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고, 이는 임의로 치환되며, 여기서 C1-C4알킬렌은 임의로 치환되고;
R3a 및 R3b 중 하나는 할로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O-(C1-C6 할로알킬), C3-10 시클로알킬, 페닐, 나프틸, 및 5-10원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C3-10 시클로알킬, 페닐, 나프틸, 및 5-10원 헤테로아릴은 임의로 치환되고; R3a 및 R3b 중 다른 하나는 수소, 할로겐, 및 -C1-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4는 독립적으로 할로겐 및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5는 독립적으로 할로겐 및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m은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n은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a는 수소 및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특정 실시양태에서,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본원에 개시된다:
상기 식에서,
X는 NRa,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은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10원 헤테로아릴이고; 여기서 5-10원 헤테로아릴은 임의로 치환되고;
R2는 3-10원 헤테로시클릴 또는 -(C1-C4알킬렌)-(3-10원 헤테로시클릴)이고, 여기서 3-10원 헤테로시클릴은 적어도 2개의 탄소 원자 및 1, 2, 3, 또는 4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고, 이는 임의로 치환되고, 여기서 헤테로원자는 질소이고, C1-C4알킬렌은 임의로 치환되고;
R3a 및 R3b 중 하나는 할로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O-(C1-C6 할로알킬), C3-10 시클로알킬, 페닐, 나프틸, 및 5-10원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C3-10 시클로알킬, 페닐, 나프틸, 및 5-10원 헤테로아릴은 임의로 치환되고; R3a 및 R3b 중 다른 하나는 수소, 할로겐, 및 -C1-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4는 독립적으로 할로겐 및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5는 독립적으로 할로겐 및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m은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n은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a는 수소 및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특정 실시양태에서, 하기 화학식 (I-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본원에 개시된다:
상기 식에서,
X는 NRa,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은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10원 헤테로아릴이고; 여기서 5-10원 헤테로아릴은 임의로 치환되고;
R2는 3-10원 헤테로시클릴 또는 -(C1-C4알킬렌)-(3-10원 헤테로시클릴)이고; 여기서 3-10원 헤테로시클릴은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고, 이는 임의로 치환되고, C1-C4알킬렌은 임의로 치환되고;
R3는 할로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O-(C1-C6 할로알킬), C3-10 시클로알킬, 페닐, 나프틸, 및 5-10원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C3-10 시클로알킬, 페닐, 나프틸, 및 5-10원 헤테로아릴은 임의로 치환되고;
각각의 R4는 독립적으로 할로겐 및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5는 독립적으로 할로겐 및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m은 0, 1, 2, 3, 및 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n은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a는 수소 및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특정 실시양태에서, 하기 화학식 (I-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본원에 개시된다:
상기 식에서,
X는 NRa,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은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10원 헤테로아릴이고; 여기서 5-10원 헤테로아릴은 임의로 치환되고;
R2는 3-10원 헤테로시클릴 또는 -(C1-C4알킬렌)-(3-10원 헤테로시클릴)이고; 여기서 3-10원 헤테로시클릴은 적어도 2개의 탄소 원자 및 1, 2, 3, 또는 4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고, 이는 임의로 치환되고, 헤테로원자는 질소이고, C1-C4알킬렌은 임의로 치환되고;
R3는 할로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O-(C1-C6 할로알킬), C3-10 시클로알킬, 페닐, 나프틸, 및 5-10원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C3-10 시클로알킬, 페닐, 나프틸, 및 5-10원 헤테로아릴은 임의로 치환되고;
각각의 R4는 독립적으로 할로겐 및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5는 독립적으로 할로겐 및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m은 0, 1, 2, 3, 및 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n은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a는 수소 및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X는 NRa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a)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본원에 개시된다:
상기 식에서,
R3는 -C1-C6 알킬 또는 -C1-C6 할로알킬이고;
변수의 나머지는 화학식 (I)에 정의된 바와 같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a')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다:
상기 식에서,
R3는 -C1-C6 알킬 또는 -C1-C6 할로알킬이고;
변수의 나머지는 화학식 (I')에 정의된 바와 같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1은 임의로 치환된 5-6원 헤테로아릴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1은 C1-C6 알킬, 할로겐,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O-(C1-C6 할로알킬), 및 -N(Rb)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는 5-6원 헤테로아릴이고, 여기서 각각의 Rb는 독립적으로 수소 및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1은 옥사디아졸, 이미다졸, 피라졸, 옥사졸, 트리아졸, 테트라졸, 피리딘, 피라진, 및 피리다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5-6원 헤테로아릴이고, 여기서 5-6원 헤테로아릴은 C1-C6 알킬, 할로겐,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O-(C1-C6 할로알킬), 및 -N(Rb)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각각의 Rb는 독립적으로 수소 및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1은 할로겐 및 -C1-C6 알킬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는 5-6원 헤테로아릴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1은 옥사디아졸, 이미다졸, 피라졸, 옥사졸, 트리아졸, 테트라졸, 피리딘, 피라진, 및 피리다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5-6원 헤테로아릴이고, 여기서 5-6원 헤테로아릴은 C1-C6 알킬로 임의로 치환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1은 메틸로 임의로 치환된 이미다졸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1은 옥사졸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1은 메틸로 임의로 치환된 테트라졸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1은 옥사디아졸, 예를 들어, 메틸로 임의로 치환된 1,3,4-옥사디아졸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b)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다:
상기 식에서,
Rd는 수소 및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변수의 나머지는 화학식 (Ia)에 정의된 바와 같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b')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다:
상기 식에서,
Rd는 수소 및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변수의 나머지는 화학식 (Ia')에 정의된 바와 같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c)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다:
상기 식에서,
변수는 화학식 (Ib)에 정의된 바와 같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c')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다:
상기 식에서,
변수는 화학식 (Ib')에 정의된 바와 같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3-7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시클릴 또는 -(C1-C4알킬렌)-(3-7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시클릴)이고, 여기서 3-7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시클릴은 N, O, 및 S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고, 3-7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시클릴은 임의로 치환되고, C1-C4알킬렌은 임의로 치환된다 (예를 들어, C1-6알킬, C1-6할로알킬로 임의로 치환되거나, 또는 C1-4알킬렌의 탄소 상의 2개의 같은 자리 수소(geminal hydrogen)는 이것이 부착되는 탄소 원자와 함께 취해져 3-7원 시클로알킬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3-7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시클릴 또는 -(C1-C4알킬렌)-(3-7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시클릴)이고, 여기서 3-7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시클릴은 적어도 2개의 탄소 원자 및 1, 2, 3, 또는 4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고, 헤테로원자는 질소이고, 3-7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시클릴은 임의로 치환되고, C1-C4알킬렌은 임의로 치환된다 (예를 들어, C1-6알킬, C1-6할로알킬로 임의로 치환되거나, 또는 C1-4알킬렌의 탄소 상의 2개의 같은 자리 수소는 이것이 부착되는 탄소 원자와 함께 취해져 3-7원 시클로알킬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3-7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시클릴 또는 -(C1-C4알킬렌)-(3-7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시클릴)이고, 여기서 3-7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시클릴은 N, O, 및 S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고, 이는 C1-C6 알킬, 옥소, 할로겐,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O-(C1-C6 할로알킬), -N(Rb)2, -C(O)ORg, -C(O)N(Rf)2, -S(O)2N(Rf)2, -OC(O)N(Rf)2, -NRfC(O)N(Rf)2, -S(O)r-Rf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각각의 Rb, Rg, 및 Rf는 수소 및 C1-C6 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각각의 r은 1 또는 2이고, 각각의 Rf는 독립적으로 C1-6알킬 및 페닐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3-7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시클릴 또는 -(C1-C4알킬렌)-(3-7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시클릴)이고, 여기서 3-7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시클릴은 적어도 2개의 탄소 원자 및 1, 2, 3, 또는 4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고, 헤테로원자는 질소이고, 3-7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시클릴은 C1-C6 알킬, 옥소, 하이드록실, 할로겐,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O-(C1-C6 할로알킬), -N(Rb)2, -C(O)ORg, -C(O)N(Rf)2, -S(O)2N(Rf)2, -OC(O)N(Rf)2, -NRfC(O)N(Rf)2, 및 -S(O)r-Rf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각각의 Rb, Rg, 및 Rf는 독립적으로 수소 및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은 1 또는 2이고, 각각의 Rf는 독립적으로 C1-6알킬 및 페닐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3-7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시클릴이고, 여기서 3-7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시클릴은 적어도 2개의 탄소 원자 및 1, 2, 3, 또는 4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고, 헤테로원자는 질소이고, 3-7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시클릴은 할로겐, -C1-C6 알킬, 옥소, 및 하이드록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1개 또는 2개의 질소 원자를 갖는 5원 헤테로시클릴이고, 여기서 5원 헤테로시클릴은 C1-C6 알킬 및 옥소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1개 또는 2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원 헤테로시클릴이고, 여기서 헤테로원자는 질소 원자이고, 5원 헤테로시클릴은 C1-C6 알킬, 옥소, 및 하이드록실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C1-C4알킬렌)-(1개 또는 2개의 질소 원자를 갖는 5원 헤테로시클릴)이고, 여기서 5원 헤테로시클릴은 C1-C6 알킬 및 옥소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C1-C4알킬렌)-(1개 또는 2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원 헤테로시클릴)이고, 여기서 헤테로원자는 질소 원자이고, 5원 헤테로시클릴은 C1-C6 알킬, 옥소, 및 하이드록실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t는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t는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t는 1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s는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e는 수소 및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s는 0이고, Re는 메틸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u는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e는 수소 및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u는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e는 수소 및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u는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e는 수소 및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u는 0이고, Re는 메틸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다:
상기 식에서,
R3는 -C1-C6 알킬 또는 -C1-C6 할로알킬이고;
변수의 나머지는 화학식 (Ia)에 정의된 바와 같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e)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다:
상기 식에서,
변수는 화학식 (Id)에 정의된 바와 같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3는 C1-C6 알킬 또는 -C1-C6 할로알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3는 할로겐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3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m 및 n은 둘다 0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a는 수소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은 표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다.
[표 1]
또한, 특정 실시양태에서, 표 1a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본원에 개시된다.
[표 1a]
약학 조성물 및 투여 경로
특정 실시양태에서, 다음의 것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이 본원에 개시된다: (a)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예를 들어, 화학식 (I), 화학식 (I'), 화학식 (I-1), 화학식 (I-1'), 화학식 (Ia),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c'), 화학식 (Id), 또는 화학식 (Ie)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b)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일부 실시양태에서, 부형제는 다음의 것으로부터 선택된다: 불활성 고체 희석제 및 충전제, 멸균 수용액과 다양한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희석액, 투과 향상제, 가용화제 및 아쥬반트(adjuvant).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치료제와 조합하여 투여된다. 이러한 조성물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제조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직장, 협측, 비강 및 경피 경로를 포함하는, 유사한 유용성을 가진 제제의 허용되는 투여 방식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동맥내 주사, 정맥내, 복강내, 비경구, 근육내, 피하, 경구, 국소적으로, 흡입제로서, 또는 예컨대 스텐트 예를 들어, 또는 동맥 삽입 원통형 중합체와 같은 침윤형(impregnated) 또는 코팅형(coated) 장치를 통해 단일 또는 다중 용량으로 투여된다.
투여를 위한 하나의 방식은 비경구, 특히 주사에 의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신규한 조성물이 주사에 의한 투여를 위해 혼입된 형태는 참기름, 옥수수유, 면실유 또는 땅콩유가 있는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 또는 에멀젼뿐만 아니라 엘릭서(elixir), 만니톨, 덱스트로스, 또는 멸균 수용액, 및 유사한 약학적 비히클을 포함한다. 식염수 중의 수용액은 또한 주사를 위해 사용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에탄올,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및 이들의 적합한 혼합물), 사이클로덱스트린 유도체 및 식물성 오일이 이용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적절한 유동성은 예를 들어 레시틴과 같은 코팅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분산의 경우 필요한 입자 크기를 유지하는 것에 의해 또는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유지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미생물의 작용의 예방은 다양한 항균 및 항진균제, 예를 들어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소르브산, 티메로살 등에 의해 이루어진다.
멸균 주사액은 필요에 따라 상기에 열거된 다양한 다른 성분과 함께 적절한 용매에 본 개시내용에 따른 화합물을 혼입하고 이후 여과 멸균을 후속하여 제조된다. 일반적으로, 분산액은 다양한 살균된 활성 성분을 기본 분산 매질 및 상기에 열거된 것 중 필요로 되는 다른 성분이 포함되는 멸균 비히클에 혼입시킴으로써 제조된다. 멸균 주사액을 제조하기 위한 멸균 분말의 경우, 선호하는 제조 방법은 진공 건조 및 동결 건조 기술이며, 이는 사전에 멸균 여과한 이의 용액으로부터의 임의의 추가적인 원하는 성분이 더해진 활성 성분의 분말을 생성하였다.
경구 투여는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 투여를 위한 또 다른 경로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투여는 캡슐 또는 장용 코팅 정제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통해 이루어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의 제조 시, 활성 성분은 일반적으로 부형제로 희석되고/되거나 캡슐, 사쉐(sachet), 종이, 또는 다른 용기의 형태인 이러한 담체 내에 봉입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부형제가 희석제로서 역할을 하는 경우, 이는 고체, 반고체, 또는 액체 물질(상기와 같음)의 형태이고, 이는 활성 성분을 위한 비히클, 담체, 또는 매질로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일부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정제, 알약, 분말, 로젠지, 사쉐, 카세(cachet), 엘릭서, 현탁액, 에멀전, 용액, 시럽, (고체로서의 또는 액체 매질 중의) 에어로졸, 예를 들어 최대 10 중량%의 활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연고, 연질 및 경질 젤라틴 캡슐, 멸균 주사용 용액 및 멸균 포장 분말의 형태이다.
적합한 부형제의 일부 예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검, 인산칼슘, 알기네이트, 트라가칸트, 젤라틴, 규산칼슘,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오스, 멸균수, 시럽, 및 메틸 셀룰로오스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제는 추가적으로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윤활제 예컨대 활석,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습윤제; 에멀젼화제 및 현탁제; 보존제 예컨대 메틸 및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감미제; 및 향미제.
일부 실시양태에서,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환자에의 투여 이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 방출을 제공하기 위해 제제화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제어 방출 약물 전달 시스템은 중합체-코팅된 저장소 또는 약물-중합체 매트릭스 제제를 포함하는 용해 시스템 또는 삼투 펌프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다른 제제는 경피 전달 장치("패치")를 이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이러한 경피 패치는 제어된 양의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의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 주입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약학적 제제의 전달을 위한 경피 패치의 구성 및 용도는 본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이러한 패치는 약학적 제제의 연속적, 맥동적 또는 온 디맨드(on demand) 전달을 위해 구성된다.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단위 제형으로 제제화된다. 용어 "단위 제형"은 인간 대상체 및 다른 포유동물을 위한 단위 투여량으로 적합한 물리적으로 별개의 단위와 관련되며, 각 단위는 적합한 약학적 부형제(예를 들어, 정제, 캡슐, 앰플)과 관련하여 원하는 치료적 효과를 일으키도록 계산된 활성 물질의 사전 결정된 양을 포함한다.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약학적 유효량으로 투여된다.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의 경우, 각각의 투여량 단위는 1 mg 내지 2 g의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을 그리고 비경구 투여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700 mg의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을 포함한다. 그러나, 실제 투여된 화합물의 양은 보통 치료되는 병태, 선택된 투여 경로, 실제 투여된 화합물 및 이의 상대적 활성, 개별 환자의 연령, 체중 및 반응, 환자의 증상의 중증도 등을 포함하는 관련 상황과 관점에서 의사에 의해 결정될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정제와 같은 고체 조성물을 준비하는 경우, 주요 활성 성분은 약학적 부형제와 혼합되어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의 균질한 혼합물을 포함하는 고체 예비제제 조성물(preformulation composition)을 형성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이러한 예비제제 조성물이 균질한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활성 성분이 조성물 전체에 고르게 분산되고 이로써 조성물이 정제, 알약 및 캡슐과 같이 동등하게 효과적인 단위 제형으로 쉽게 나누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정제 또는 알약은 코팅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배합되어 연장된 작용의 장점을 부여하는 제형을 제공하거나, 또는 위의 산성 조건으로부터 보호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양태에서, 정제 또는 알약은 내부 투여 및 외부 투여 성분을 포함하며, 후자는 전자 위에 엔벨로프(envelope)의 형태로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두 성분은 위에서 분해되는 것을 막고 내부 성분이 십이지장으로 손상되지 않고 통과하거나 방출이 지연되도록 하는 장용층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다양한 물질은 이러한 장용층 또는 코팅을 위해 사용되며, 이러한 물질은 다수의 중합체성 산(polymeric acid) 및 중합체성 산과 셸락(shellac), 세틸 알코올 및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와 같은 이러한 물질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흡입 또는 주입용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수성 또는 유기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용액 및 현탁액, 그리고 분말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액체 또는 고체 조성물은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국소적 또는 전신적 효과를 위해 경구 또는 비강 호흡 경로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용매 중의 조성물은 불활성 가스를 사용하여 분무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분무된 용액은 분무 장치에서 직접 흡입되거나 또는 분무 장치는 안면마스크 텐트(facemask tent) 또는 간헐적 양압 호흡기에 부착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용액, 현탁액, 또는 분말 조성물은, 적절한 방식으로 제제를 전달하는 장치로부터 경구로, 또는 비강으로 투여된다.
치료 방법
특정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 화학식 (I'), 화학식 (I-1), 화학식 (I-1'), 화학식 (Ia),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c'), 화학식 (Id), 또는 화학식 (Ie)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예를 들어, 치료적 유효량의 화학식 (I), 화학식 (I'), 화학식 (I-1), 화학식 (I-1'), 화학식 (Ia),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c'), 화학식 (Id), 또는 화학식 (Ie)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서 TEAD 이소형(예를 들어, TEAD1 및/또는 TEAD4)의 비정상적인 활성(예를 들어, TEAD 전사 복합체의 과활성화)에 의해 조절되는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이 본원에 개시된다.
TEA 도메인 전사 인자(TEAD)는 히포(Hippo) 신호전달 경로의 하류 효과기(downstream effector)이다. 현재, TEAD의 다음의 4개의 이소형이 확인되었다 - TEAD1, TEAD2, TEAD3, 및 TEAD4. TEAD 이소형은 매우 유사한 구조를 공유한다. 4개의 이소형의 N-말단은 매우 보존적인 68-아미노산 TEA/ATTS DNA-결합 도메인을 공유하며, 이는 MCAT 요소(50 -CATTCCA/T-30)에 결합된다. C-말단은 전사 공활성화 인자(transcriptional coactivator) YAP/TAZ를 모집하는 전사활성화 도메인(transactivation domain)을 포함한다.
TEAD 단백질의 발현은 위, 대장, 유방 및 전립선 암을 포함하는 여러 암 유형에서 상향 조절된다. TEAD 과활성화는 종양 진행, 전이, 암 대사, 면역 및 약물 내성에 있어서 역할을 하며, 환자의 좋지 않은 생존과 상관 관계가 있다.
TEAD1 및/또는 TEAD4의 선택적 결합은 바람직하지 않은 효과를 최소화하면서 항-종양 효능을 최적화하기에 유리하다. TEAD3의 억제는 비-표적 독성(off-target toxicity)(예를 들어, 신장 독성)과 연관되어 있으며, 한편 TEAD2의 억제는 전-증식성(pro-proliferative)일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에 의해 보여지는 TEAD 이소형 선택성은 본 기술분야에 알려진 TEAD 억제제과 대비되는 장점이다. 예를 들어, 열 이동 분석(thermal shift assay)을 사용하여 Tang과 Post에 의해 입증된 바와 같이, TEAD 억제제 VT3989는 주로 TEAD1-3과 상호작용한다. 보고된 열 이동 데이터는 아래의 표 2에 제공된다(Tang and Post, "The TEAD autopalmitoylation inhibitor VT3989 improves efficacy and increases durability of efficacy of osimertinib in preclinical EGFR mutant tumor models", Proceedings of the 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Annual Meeting 2022; 2022 Apr. 8-13. Philadelphia (PA): AACR; Poster #5364). 표 2에 제공된 데이터는 VT3989가 억제가 바람직하지 않은 TEAD 이소형인 TEAD2 및 3에 비해 최소 선택성을 제공하는 것을 나타낸다. 게다가, VT3989는 억제가 바람직한 TEAD 이소형인 TEAD4에 대한 더 낮은 수준의 결합을 나타낸다. 2.5℃의 ΔTm (℃)에 있어서의 각 변화는 결합 친화성에 있어서 대략 10배의 차이와 관련될 수 있다(Bhayani et al.; "Determination of dissociation constants of protein ligands by thermal shift assay",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2022, 560:1-6.)
[표 2]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TEAD 이소형에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TEAD1에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TEAD4에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TEAD1 및 TEAD4에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TEAD1에 대한 결합 친화성은 TEAD2 및/또는 TEAD3에 비해 10배, 100배, 1,000배, 또는 10,000배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TEAD4에 대한 결합 친화성은 TEAD2 및/또는 TEAD3에 비해 10배, 100배, 1,000배, 또는 10,000배이다.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에 의해 보여지는 TEAD 이소형 선택성의 증거는 아래의 실시예 26에 제공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YAP/TAZ-TEAD(예를 들어, TEAD1 및/또는 TEAD4) 전사 공활성화 인자 복합체의 과활성화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 또는 병태를 치료하기 위한 의료 요법으로서 유용하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TEAD(예를 들어, TEAD1, TEAD2, TEAD3, 및 TEAD4 이소형)의 과활성화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 또는 병태를 치료하기 위한 의료 요법으로서 유용하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질환 또는 병태는 TEAD의 과발현 또는 게놈 융합 또는 증폭을 특징으로 한다. TEAD1 및 TEAD4는 예를 들어, TEAD1-PARVA와 같이 재발성 종양-융합(onco-fusion)을 겪는다. 이러한 융합은 TEAD의 더 높은 발현을 유도하고, TEAD-표적 유전자의 증강된 전사를 야기할 수 있다. TEAD4의 증폭(게놈 카피수 증가)은 예를 들어 난소 및 자궁 암종뿐만 아니라 고환 생식 세포 종양에서 12p13 유전자 자리의 일부로서 다양한 암에서 발생한다. TEAD4의 이러한 게놈 증폭은 이의 mRNA 발현의 강한 증가와 관련되며, 높은 TEAD-YAP/TAZ 전사 활성을 유도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TEAD 이소형은 TEAD1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TEAD 이소형은 TEAD4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질환, 장애 또는 병태는 비정상적인 TEAD 전사 복합 활성(예를 들어, 과활성화)을 특징으로 하는 암이다. 이러한 암은, 비제한적으로, 유방암, 폐암, 위암, 대장암, 췌장 선암을 포함하는 췌장암, 악성 중피종을 포함하는 중피종, 간세포암, 전립선암, 두경부암, 신세포 암종 및 수모세포종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암은 췌장 선암, 간세포암, 유방암, 및 악성 중피종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췌장암은 췌장 선암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암은 악성 중피종이다.
또한 TEAD1 및 TEAD4로부터 선택되는 TEAD 이소형의 과활성화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상기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본원에 개시된 약학 조성물이 본원에 제공된다.
다른 양태에서, TEAD1 및 TEAD4로부터 선택되는 TEAD 이소형의 과활성화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상기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의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본원에 개시된 약학 조성물의 용도가 본원에 제공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암은 유방암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암은 폐암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암은 위암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암은 대장암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암은 전립선암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암은 두경부암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암은 신세포 암종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암은 수모세포종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암은 췌장암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암은 간세포암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암은 전이성 암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암은 전이성 유방암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암은 전이성 폐암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암은 전이성 위암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암은 전이성 대장암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암은 전이성 전립선암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암은 전이성 두경부암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암은 전이성 신세포 암종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암은 전이성 중피종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암은 전이성 췌장암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암은 전이성 간세포암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개시내용은 TEAD 활성을 조절하기 위한 화학식 (I), 화학식 (I'), 화학식 (I-1), 화학식 (I-1'), 화학식 (Ia),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c'), 화학식 (Id), 또는 화학식 (Ie)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개시내용은 TEAD 활성을 조절하기 위한 화학식 (I), 화학식 (I'), 화학식 (I-1), 화학식 (I-1'), 화학식 (Ia),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c'), 화학식 (Id), 또는 화학식 (Ie)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개시내용은 의료 요법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 화학식 (I'), 화학식 (I-1), 화학식 (I-1'), 화학식 (Ia),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c'), 화학식 (Id), 또는 화학식 (Ie)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약학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와 조합하여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다른 치료제는 임의의 적합한 화학요법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는 다른 전사 인자의 조절제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다른 전사 인자의 조절제는 YAP의 조절제, EGFR의 조절제, 또는 MEK의 조절제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는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약학 조성물과 동시에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는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약학 조성물과 순차적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는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약학 조성물보다 이전에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는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약학 조성물보다 이후에 투여된다.
실시예
본 개시내용은 다음의 실시예에서 추가로 예시될 것이며, 이는 단지 예시를 위해 제공되며, 임의의 방식으로 개시내용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약어
분석 방법
화학적으로 이용 가능한 출발 물질, 시약 및 무수 용매를 공급받은 대로 사용하였다.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유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Merck 실리카 겔 230-400 메쉬 크기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를 또한 콤비-플래시 RF Teledyne Isco 기계 상에서 수행하였다. 분취 TLC를 Merck 플레이트 상에서 수행하였다.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 방법
방법-A
방법 명칭: - UC02_FAR1, 기계 상세사항: - PDA 및 Acquity SQ 검출기가 구비된 Water Acquity UPLC-H Class, 컬럼: Waters X-bridge C18, 50*2.1 mm, 2.5 마이크론, 컬럼 온도: 35℃, 오토 샘플러 온도: 15℃, 이동상 A: Milli Q 물 중의 0.1 % 포름산(PH = 2.70), 이동상 B: Milli Q 물: 아세토니트릴 (10:90) 중의 0.1%포름산; 이동상 구배 상세설명: T = 0분 (97% A, 3% B) 흐름 : 0.8 ml/분; T = 0.75분 (97% A, 3% B) 흐름 : 0.8 ml/분; T = 2.7분까지의 구배 (2% A, 98% B) 흐름 : 0.8 ml/분; T = 3분까지의 구배 (0% A, 100% B) 흐름 : 1mL/min; T = 3.5분 (0% A, 100% B) 흐름 : 1 ml/분; T= 3.51분까지의 구배 (97% A, 3% B) 흐름 : 0.8 ml/분; T = 4분에서의 실시 종료 (97% A, 3% B), 유량: 0.8 ml/분, 유량:- 0.8 ml/분, 실시 시간:- 4분, UV 검출 방법:- PDA, 파장: - 200-500 nm; 질량 파라미터: 프로브:-ESI, 이온화 방식: - 양성 및 음성, 콘 전압(Cone voltage): -30V 및 10 V, 모세관 전압: - 3.0 KV, 인출기 전압(Extractor Voltage): - 1 V, Rf 렌즈: - 0.1 V, 소스의 온도:-120℃, 탈용매화 온도:- 400℃. 콘 가스 흐름: - 100 L/시간, 탈용매화 가스 흐름:-800 L/시간.
방법-B
방법 명칭:-UC03_ABR2, 기계 상세사항: - PDA가 연결되고, SQ 검출기가 구비된 Waters Acquity Ultraperfomance LC, 컬럼: Waters X-bridge C18, 50*4.6 mm, 3.5 마이크론, 컬럼 온도: 35℃, 오토 샘플러 온도: 15℃, 이동상 A: Milli Q 물 중의 5mM 중탄산암모늄(pH = 8.00), 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 이동상 구배 상세사항: T = 0분 (97% A, 3% B) 유량 = 1.0 ml/분, T = 0.20분 (97% A, 3% B) 유량 = 1.0 ml/분; T = 2.70분까지의 구배 (20% A, 80% B) 유량 = 1.0 ml/분; T = 3.0분까지의 구배 (0% A, 100% B) 유량 = 1.2 ml/분; T = 3.50분 (0% A, 100% B) 유량 = 1.2 ml/분; T = 3.51분 (97% A,3% B) 유량 = 1.0 ml/분; T = 4.0분에서의 실시 종료 (97% A, 3% B) 유량 = 1.0 ml/분, 실시 시간:- 4분, UV 검출 방법:- PDA, 파장:- 195 nm - 500nm; 질량 파라미터: 프로브:-ESI, 이온화 방식: - 양성 및 음성, 콘 전압 :-30 및 10 V, 모세관 전압:- 3.0 KV, 인출기 전압:-2 V, Rf 렌즈:- 0.1 V, 소스의 온도:-120℃, 프로브의 온도:- 400℃, 콘 가스 흐름:- 100 L/Hr, 탈용매화 가스 흐름:-800 L/Hr.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방법
방법-A
방법 명칭: - HP04_BR1 기계 상세사항: - 2998 PDA 검출기를 가진 Water alliance e2695, 컬럼 온도: 25℃, 오토 샘플러 온도: 25℃, 이동상 A: HPLC 물 중의 0.1% 수산화암모늄 용액 이동상 B: 100% 아세토니트릴; 이동상 구배 상세사항:T = 0분 (10% A, 90% B) 흐름 : 1 ml/분; T = 7분 (90%A, 10% B) 흐름 : 1 ml/분; T = 9분까지의 구배 (100% A, 0% B) 흐름 : 1 ml/분; T = 14분까지의 구배 (100% A, 0% B) 흐름 : 1 ml/분; T = 14.01분 (10% A, 90% B) 흐름 : 1 ml/분; T= 17분까지의 구배 (10% A, 90% B) 흐름 : 1 ml/분; T = 17분에서의 실시 종료 (10% A, 90% B), 유량: 1 ml/분, 실시 시간:- 17분, UV 검출 방법:- PDA.
방법-B
방법 명칭: - HP05_TFAR1.기계 상세사항: PDA 검출기를 가진 AGILENT TECHNOLOGY 1260 인피니티 시리즈, 컬럼 온도: 25℃, 오토 샘플러 온도: 25℃, 이동상 A: HPLC 물 중의 0.05%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이동상 B: 100% 아세토니트릴; 이동상 구배 상세사항 T = 0분 (90% A, 10% B) 흐름: 1 ml/분; T = 7분 (10%A, 90% B) 흐름 : 1 ml/분; T = 9분까지의 구배 (0% A, 100% B) 흐름 : 1 ml/분; T = 14분까지의 구배 (0% A, 100% B) 흐름 : 1 ml/분; T = 14.01분 (90% A, 10% B) 흐름 : 1 ml/분; T= 17분까지의 구배 (90% A, 10% B) 흐름 : 1 ml/분; T = 17분에서의 실시 종료 (90% A, 10% B), 유량: 1 ml/분, 실시 시간:- 17분, UV 검출 방법:- PDA.
방법-C
방법 명칭: - HP06_TFAR1 기계 상세사항: - PDA 검출기를 가진 AGILENT TECHNOLOGY 1100 시리즈, 컬럼 온도: 25℃, 오토 샘플러 온도: 25℃, 이동상 A: HPLC 물 중의 0.05%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이동상 B: 100% 아세토니트릴; 이동상 구배 상세사항 T = 0분 (90% A, 10% B) 흐름: 1 ml/분; T = 7분 (10%A, 90% B) 흐름: 1 ml/분; T = 9분까지의 구배 (0% A, 100% B) 흐름: 1 ml/분; T = 14분까지의 구배 (0% A, 100% B) 흐름: 1 ml/분; T = 14.01분 (90% A, 10% B) 흐름: 1 ml/분; T= 17분까지의 구배 (90% A, 10% B) 흐름: 1 ml/분; T = 17분에서의 실시 종료 (90% A, 10% B), 유량: 1 ml/분, 실시 시간: - 17분, UV 검출 방법: - PDA.
NMR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실온에서 언급한 용매를 사용하여 400 MHz에서 작동하는 Bruker Avance-400 장비를 사용하여 1H 핵 자기 공명(NMR) 분광법을 실시하였다. 샘플을 적절한 중수소화 용매에서 용액으로 제조하여, 적절한 내부 비-중수소화 용매 피크 또는 테트라메틸실란을 참조하였다. 화학적 이동을 테트라메틸실란의 다운필드(downfield)에서 ppm (δ)으로 기록하였다. 모든 경우에, NMR 데이터는 제시된 구조와 일치하였다. 특징적인 화학적 이동(δ)은 주요 피크 지정을 위한 종래의 약어를 사용하여 백만분율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s, 단일선; d, 이중선; t, 삼중선; q, 사중선; dd, 이중선의 이중선; dt, 삼중선의 이중선; m, 다중선; br, 넓음; br s = 넓은 단일선.
정제 방법
역상 HPLC에 의한 분취 정제
분취 HPLC 방법-A
UV/가시광선 파장-길이 검출기가 있는 바이러리 펌프를 가진 Biotage-FC-01, 컬럼: YMC, 120 g, 50μm, 컬럼 온도: 실온, 이동상 A: 물 중 0.1% 포름산, 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 이동상 구배 상세사항: t = 0.01분 (100% A, 0% B); t = 3분 (85% A, 15% B); t = 25분까지의 구배 (55% A, 45% B); t = 35분 (0% A, 100% B); t = 45분에서 실시 종료시까지의 구배 (100% A, 0% B); 유량: 80 ml/분, 분석 시간 45분
합성
본 출원의 화합물의 화학적 합성을 위한 여러 방법이 본원에 기재된다. 이러한 및/또는 다른 잘 알려진 방법은 본 출원 및 청구항의 범위 내의 추가적인 화합물의 합성을 촉진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되고/되거나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대안적인 방법 및 변형은 본 출원 및 청구항의 사상 및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하기 설명, 반응식 및 실시예에 제시된 방법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한 것으로 의도되며,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1 - 3-메틸-3-(3-(5-메틸-1,3,4-옥사디아졸-2-일)-4-((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 페닐) 피롤리딘-2-온(화합물 1)의 합성
단계-1:
DMF(5 mL) 중의 CAS:5445-26-1(0.50 g, 2.390 mmol, 1.0 당량) 및 Cs2CO3 (1.16 g, 3.585 mmol, 1.5 당량)의 용액을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고, 0℃로 냉각시켰다. 요오드화메틸(0.37 g, 2.629 mmol, 1.1 당량)을 0℃에서 이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tOAc: 헥산; 0.5:9.5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실온에서 16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빙수(5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x2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720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헥산 중 0-9% EtOAc)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에틸 2-(4-니트로페닐) 프로파노에이트(A1)(0.400 g, 1.791 mmol, 수율: 74.97 %)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8.21 (dd, J = 7.2, 2.0 Hz, 2H), 7.58 (dd, J = 7.2, 2.0 Hz, 2H), 4.11-4.00(m, 3H), 1.43 (d, J = 7.2 Hz, 3H), 1.13 (t, J = 7.2 Hz, 3H).
LCMS (방법 B): 2.90분, 98.19%, 254.0 nm, MS: ES- 222.19 (M-1)
단계-2:
THF(2 mL) 중의 에틸 2-(4-니트로페닐) 프로파노에이트(A1)(0.20 g, 0.896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78℃에서 LiHMDS(THF 중 2.0 m)(0.94 mL, 1.881 mmol, 2.1 당량)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78℃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CAS: 590-17-0(0.12 g, 1.075 mmol, 1.2 당량)을 -78℃에서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tOAc: 헥산; 2.0:8.0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실온에서 6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3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x2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32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헥산 중 0-2% EtOAc)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에틸 3-시아노-2-메틸-2-(4-니트로페닐) 프로파노에이트(A2)(0.14 g, 0.533 mmol, 수율: 59.58 %)를 생성하였다.
1 H NMR (CDCl 3 , 400 MHz): δ ppm, 8.28 (dd, J = 7.2, 2.0 Hz, 2H), 7.54 (dd, J = 7.2, 2.0 Hz, 2H), 4.27-4.20(m, 2H), 3.03 (q, J = 16.8 Hz, 2H), 1.88 (s, 3H), 1.24 (t, J = 7.2 Hz, 3H).
주석: 불순물 피크는 1H NMR에서 관찰되었다.
LCMS (방법 B): 2.75분, 95.81 %, 254.0 nm, MS: ES- 261.91 (M-1)
단계-3:
메탄올(8 mL)에서의 암모니아 용액 7 N 중의 에틸 3-시아노-2-메틸-2-(4-니트로페닐) 프로파노에이트(A2)(0.80 g, 3.051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실온에서 레이니(Raney)Ni(0.80 g)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H2(g) 분위기(200 psi)하에서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100% EtOAc 사용)를 통해 모니터링하여 실온에서 16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직접적으로 여과시켰다. 여과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1.0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디클로로메탄 중 0-4 % MeOH)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3-(4-아미노페닐)-3-메틸피롤리딘-2-온(A3)(0.6 g, 3.153 mmol, 수율: 94.28 %)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7.64 (br s, 1H), 7.03 (dd, J = 6.8, 2.0 Hz, 2H), 6.51 (dd, J = 6.8, 2.0 Hz, 2H), 5.01 (br s, 2H), 3.19-3.14 (m, 1H), 3.08-3.02 (m, 1H), 2.32-2.27 (m, 1H), 2.07-1.99 (m, 1H), 1.29 (s, 3H).
LCMS (방법 A): 0.192분, 88.83%, 220.0 nm, MS: ES+ 191.05 (M+1)
단계-4:
DMF(2 mL) 중의 3-(4-아미노페닐)-3-메틸피롤리딘-2-온(A3)(0.26 g, 1.368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N-브로모석신이미드(0.17 g, 0.957 mmol, 0.7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100% EtOAc 사용) 상에서 모니터링하여 실온에서 4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1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x2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20 g 조생성물을 수득하여 3-(4-아미노-3-브로모페닐)-3-메틸피롤리딘-2-온(A4)(0.20 g, 0.743 mmol, 수율: 54.37 %)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7.73 (br s, 1H), 7.32 (s, 1H), 7.09 (d, J = 8.4 Hz, 1H), 6.75 (d, J = 8.4 Hz, 1H), 5.19 (s, 2H), 3.21-3.15 (m, 1H), 3.09-3.03 (m, 1H), 2.33-2.27 (m, 1H), 2.09-2.02 (m, 1H), 1.29 (s, 3H).
LCMS (방법 A): 1.467분, 96.11%, 254.0 nm, MS: ES+ 191.05 (M, M+2: 269.0,271.0)
단계-5:
DCM(10 mL) 중의 3-(4-아미노-3-브로모페닐)-3-메틸피롤리딘-2-온(A4) (0.50 g, 1.858 mmol, 1.0 당량), CAS: 128796-39-4(0.53 g, 2.787 mmol, 1.5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실온에서 DIPEA(0.71 g, 5.574 mmol, 3.0 당량)을 첨가하고 이후 Cu(OAc)2(0.50 g, 2.787 mmol, 1.5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O2 분위기하에서 실온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100% EtOAc 사용)를 통해 모니터링하여 실온에서 48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20 mL)로 희석시키고, DCM(3x2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6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RP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물 중 0-85% ACN)에 의해 정제하여 3-(3-브로모-4-((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 페닐)-3-메틸피롤리딘-2-온(A5)(0.13 g, 0.314 mmol, 수율: 16.93 %)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8.26 (s, 1H), 7.87 (s, 1H), 7.69 (d, J = 2.0 Hz, 1H), 7.48 (d, J = 8.8 Hz, 2H), 7.43-7.34 (m, 2H), 6.95 (d, J = 8.4 Hz, 2H), 3.28-3.22 (m, 1H), 3.17-3.11 (m, 1H), 2.43 - 2.37 (m, 1H), 2.19 - 2.13 (m, 1H), 1.39 (s, 3H).
LCMS (방법 A): 2.490분, 87.23 %, 254.0 nm, MS: ES+ 413.1 (M)
단계-6:
MeOH(4 mL) 중의 3-(3-브로모-4-((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 페닐)-3-메틸피롤리딘-2-온(A5)(0.28 g, 0.677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N2(g) 분위기하에서 KOAc(0.33 g, 3.389 mmol, 5.0 당량)을 첨가하고 이후 PdCl2(dppf)(0.247 g, 0.338 mmol, 0.5 당량)을 첨가하였고, 생성된 혼합물을 40 bar 압력에서 CO(g)하에 10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100% EtOAc 사용) 상에서 모니터링하여 100℃에서 16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직접적으로 여과시켰다. 여과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42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DCM 중 0-0.5% MeOH)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5-(3-메틸-2-옥소피롤리딘-3-일)-2-((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 벤조에이트(A6)(0.085 g, 0.216 mmol, 수율: 31.97 %)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8 (s, 1H), 7.93 (d, J = 2.4 Hz, 1H), 7.86 (br s, 1H), 7.79-7.56 (m, 3H), 7.44 (d, J = 8.8 Hz, 1H), 7.33(d, J = 8.4 Hz, 2H), 3.84 (s, 3H), 3.03-3.22 (m, 1H), 3.17-3.09 (m, 1H),2.42-2.34 (m, 1H), 2.33-2.12 (m, 1H), 1.34 (s, 3H).
LCMS (방법 A): 2.545분, 91.89 %, 254.0 nm, MS: ES+ 393.0(M+1)
단계-7:
MeOH(2 mL) 중의 메틸 5-(3-메틸-2-옥소피롤리딘-3-일)-2-((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 벤조에이트(A6)(0.15 g, 0.382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실온에서 히드라진 수화물(1.0 mL, 5.0)을 첨가하고, 이후 9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MeOH: DCM; 1:9 사용) 상에서 모니터링하여 90℃에서 4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16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펜탄을 사용한 분쇄에 의해 정제하여 5-(3-메틸-2-옥소피롤리딘-3-일)-2-((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 벤조하이드라지드(A7)(0.16 g, 0.407 mmol, 수율: 정량적)를 생성하였다.
LCMS (방법 A): 1.989분, 84.56 %, 254.0 nm, MS: ES+ 393.12 (M+1).
단계-8 :
디클로로메탄(1.5 mL) 중의 5-(3-메틸-2-옥소피롤리딘-3-일)-2-((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 벤조하이드라지드(A7)(0.15 g, 0.382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트리에틸아민(0.115 g, 1.146 mmol, 3.0 당량)을 첨가하였다. 이후 아세틸 클로라이드(0.029 g, 0.382 mmol, 1.0 당량)을 0℃에서 첨가하고,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MeOH: DCM; 0.5:9.5 사용) 상에서 모니터링하여 실온에서 4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H2O(5 mL)로 희석시키고, DCM(3x1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14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펜탄을 사용한 분쇄에 의해 정제하여 N'-아세틸-5-(3-메틸-2-옥소피롤리딘-3-일)-2-((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 벤조하이드라지드(A8)(0.14 g, 0.322 mmol, 수율: 정량적)를 생성하였다.
LCMS (방법 A): 1.994분, 68.01 %, 254.0 nm, MS: ES+ 435.3 (M+1).
단계-9:
디클로로메탄(2 mL) 중의 N'-아세틸-5-(3-메틸-2-옥소피롤리딘-3-일)-2-((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 벤조하이드라지드(A8)(0.14 g, 0.322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트리에틸아민(0.097 g, 0.966 mmol, 3.0 당량)을 첨가하였다. 이후 TosCl(0.073 g, 0.386 mmol, 1.2 당량)을 0℃에서 첨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MeOH: DCM; 1:9 사용) 상에서 모니터링하여 실온에서 3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H2O(5 mL)로 희석시키고, DCM(3x1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18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분취 HPLC 정제 방법-A에 의해 정제하여 3-메틸-3-(3-(5-메틸-1,3,4-옥사디아졸-2-일)-4-((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 페닐) 피롤리딘-2-온(화합물 1)(0.025 g, 0.060 mmol, 수율: 18.63 %)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0(s, 1H), 7.89 (s, 2H), 7.62 (d, J = 8.4 Hz, 2H), 7.56 (s, 2H), 7.35 (d, J = 8.4 Hz, 2H), 3.30-3.24 (m, 1H), 3.17-3.13 (m, 1H), 2.59 (s, 3H), 2.45-2.38 (m, 1H), 2.22-2.16(m, 1H), 1.42 (s, 3H).
LCMS (방법 A): 2.350분, 99.70 %, 254.0 nm, MS: ES+ 417.1 (M+1).
HPLC (방법 B): 8.27분, 99.87 %, 254.0 nm
실시예 2 - 3-메틸-3-(3-(1-메틸-1H-이미다졸-4-일)-4-((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 페닐) 피롤리딘-2-온(화합물 2)의 합성
단계-1:
1,4-디옥산(12 mL) 중의 3-(3-브로모-4-((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 페닐)-3-메틸피롤리딘-2-온(A5)(1.2 g, 2.903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실온에서 B2Pin2(1.10 g, 4.355 mmol, 2.0 당량)을 첨가하고 이후 아세트산칼륨(0.56 g, 5.807 mmol, 3.0 당량)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30분 동안 N2(g)로 퍼징시켰다. 이후 PdCl2(dppf)(0.10 g, 1.451 mmol, 0.05 당량)을 첨가하고, 10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tOAc: 헥산; 7:3 사용) 상에서 모니터링하여 100℃에 4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H2O(2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x3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1.4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헥산 중 0-80% EtOAc)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3-메틸-3-(3-(4,4,5,5-테트라메틸 -1,3,2-디옥사보로란-2-일)-4-((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 페닐) 피롤리딘-2-온(A9)(0.950 g, 2.065 mmol, 수율: 71.07%)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8.12 (s, 1H), 7.82 (s, 1H), 7.62 (d, J = 2.4 Hz, 1H), 7.52-7.47 (m, 3H), 7.29 (d, J = 8.4 Hz, 1H), 7.11 (d, J = 8.8 Hz, 2H), 3.26- 3.212 (m, 1H), 3.14- 3.08 (m, 1H), 2.38- 2.31 (m, 1H), 2.17- 2.10(m, 1H), 1.38 (s, 3H), 1.25 (s, 12H)
LCMS (방법 A): 2.173분 + 2.839분, 58.16+41.84=100.00%, 254.0 nm, MS: ES+ 461.20(M+1), 379.28 (M-82).
단계-2:
1,4-디옥산:H2O(7:3)(10 mL) 중의 4-브로모-1-메틸-1H-이미다졸 (CAS: 25676-75-9)(0.25 g, 1.552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실온에서 3-메틸-3-(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로란-2-일)-4-((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 페닐) 피롤리딘-2-온(A9)(0.85 g, 1.863 mmol, 1.2 당량)을 첨가하고 이후 탄산칼륨(0.64 g, 4.658 mmol, 3.0 당량)을 첨가하고, 30분 동안 실온에서 N2(g)로 퍼징시켰다. 이후 PdCl2(dppf)(0.056 g, 0.077 mmol, 0.05 당량)을 첨가하고, 100℃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MeOH:DCM; 0.5:9.5 사용) 상에서 모니터링하여 100℃에서 6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H2O(2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x3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75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DCM 중 0-3% MeOH)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3-메틸-3-(3-(1-메틸-1H-이미다졸-4-일)-4-((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 페닐) 피롤리딘-2-온(화합물 2)(0.10 g, 0.241 mmol, 수율: 15.55 %)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82 (s, 1H), 7.80-7.76 (m, 3H), 7.55 (s, 1H), 7.49 (d, J = 8.4 Hz, 2H), 7.34 (d, J = 8.4 Hz, 1H), 7.23 (dd, J = 8.4,1.6 Hz, 1H), 7.08 (d, J = 8.4 Hz, 2H), 3.69 (s, 3H), 3.25- 3.22(m, 1H), 3.17- 3.14 (m, 1H), 2.44- 2.41 (m, 1H), 2.18- 2.14 (m, 1H), 1.42 (s, 3H). 주석: 하나의 양성자가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졌다
LCMS (방법 A): 1.851분, 98.07%, 254.0 nm, MS: ES+ 415.17 (M+1).
HPLC (방법 A): 8.15분, 97.38%, 254.0 nm
실시예 3 - 1-(3-(1-메틸-1H-이미다졸-4-일)-4-((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아미노)벤질)이미다졸리딘-2-온(화합물 3)의 합성
단계-1:
톨루엔(100 mL) 중의 메틸 4-아미노-3-브로모벤조에이트(CAS:106896-49-5)(10.0 g, 43.478 mmol 1.0 당량), CAS: 455-13-0(11.8 g, 43.478 mmol, 1.0 당량)의 용액에 탄산세슘(42 g, 130.43 mmol, 3.0 당량)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고, 10분 동안 N2로 퍼징시켰다. Pd(OAc)2(0.97 g, 4.34 mmol 0.1 당량) 및 Xantphos(2.5 g, 4.347 mmol, 0.1 당량)을 이후 질소 분위기하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0℃에서 가열하고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tOAc: Hex; 3:7 사용) 상에서 모니터링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빙냉수(100 mL)로 켄칭시키고, EtOAc(3 x 20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13.0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용리액 헥산 중의 30% 에틸 아세테이트)으로서 실리카(60-120 메쉬)를 사용하는 수동 컬럼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3-브로모-4-((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 벤조에이트(A10)(8.7 g, 23.26 mmol, 수율: 53 %)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8.50(s, 1H), 8.13 (d, J = 2.0 Hz, 1H), 7.84 (dd, J = 8.4 Hz, 2.0 Hz, 1H), 7.63 (d, J = 8.4 Hz, 2H), 7.41 (d, J = 8.4 Hz, 1H), 7.32 (d, J = 8.4 Hz, 2H), 3.83 (s, 3H)
LCMS (방법 A):10.559분, 99.69%, 210.0 nm, MS: ES+ 375 (M+1)
단계-2:
디옥산(100 mL) 중의 메틸 3-브로모-4-((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 벤조에이트(A10)(10.0 g, 43.47 mmol, 1.0 당량), CAS: 73183-34-3 (11.8 g, 43.47 mmol, 1.0 당량)의 용액에 KOAc(42.0 g, 130.43 mmol, 3.0 당량)을 첨가하고, 이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고, 10분 동안 N2로 퍼징시켰다. Pd(dppf)Cl2(0.97 g, 4.347 mmol 0.1 당량)을 이후 질소 분위기하에서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95℃에서 가열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tOAc: Hex; 1:9 사용) 상에서 모니터링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빙냉수(100 mL)로 켄칭시키고, EtOAc(3 x 15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12.0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다음 단계에서 직접적으로 사용하여 메틸 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로란-2-일)-4-((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 벤조에이트(A11)(12 g 조생성물, 28.503 mmol, 수율: 정량적)를 생성하였다.
LCMS (방법 A): 3.219분, 61.83%, 254.0 nm, MS: ES+ 422 (M+1)
단계-3:
디옥산:물(8:2)(120 mL) 중의 메틸 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로란-2-일)-4-((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 벤조에이트(A11)(12 g, 28.50 mmol, 1.0 당량) CAS:25676-75-9 (5.04 g, 31.35 mmol, 1.1 당량)의 용액에 탄산세슘(42.0 g, 57.07 mmol, 2.0 당량)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교반하고 10분 동안 N2로 퍼징시켰다. Pd(dppf)Cl2(2.0 g, 28.50 mmol 0.1 당량)을 이후 질소 분위기하에서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90℃로 가열시키고, 유지시키고,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tOAc: Hex; 7:3 사용) 상에서 모니터링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빙냉수(100 mL)로 켄칭시키고, EtOAc(3 x 20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14.0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용리액 헥산 중 15% 에틸 아세테이트)으로서 실리카(60-120 메쉬)를 사용하여 수동 컬럼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3-(1-메틸-1H-이미다졸-4-일)-4-((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 벤조에이트(A12)(7.0 g, 18.66 mmol, 수율: 65.49%)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11.03 (s, 1H), 8.23 (d, J = 2.0 Hz, 1H), 7.87 (s, 1H), 7.82 (d, J=1.2 Hz, 1H), 7.74 (dd, J = 8.4 Hz, 2.0 Hz, 1 H), 7.64 (d, J = 8.4 Hz, 2H), 7.48 (d, J = 8.8 Hz, 1H), 7.36 (d, J = 8.4 Hz, 2H), 3.84 (s, 3H), 3.74 (s, 3H). 주석: 소량의 지방족 불순물이 관찰되었다.
LCMS (방법 A):2.174분, 98.88%, 254.0 nm, MS: ES+ 376 (M+1)
단계-4:
DCM(20 mL) 중의 메틸 3-(1-메틸-1H-이미다졸-4-일)-4-((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 벤조에이트(A12)(3.0 g, 8.0 mmol, 1.0 당량), Boc2O(2.6 g, 12.0 mmol, 1.5 당량), 및 DMAP(0.39 g, 3.20 mmol, 0.4 당량)의 용액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tOAc: Hex; 1:1 사용) 상에서 모니터링하여 16시간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50 mL)로 켄칭시키고, EtOAc(3x5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4.0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헥산 중 10% 에틸 아세테이트)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콤비 플래시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4-((tert-부톡시카르보닐) (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3-(1-메틸-1H-이미다졸-4-일) 벤조에이트(A13)(1.4 g, 2.947 mmol, 수율: 36.84%)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8.65 (d, J = 2.0 Hz, 1H), 7.81 (dd, J = 8.8 Hz,2.0 Hz, 1H), 7.72 (s,1H), 7.66 (d, J = 8.8 Hz, 2H), 7.39 (d, J = 8.8 Hz, 2H), 7.26 (d, J = 8.0 Hz, 1H), 7.20(d, J = 1.2 Hz, 1H), 3.89 (s, 3H), 3.63 (s, 3H), 1.15 (s, 9H).
LCMS (방법 A): 2.234분, 100%, 254.0 nm, MS: ES+ 476 (M+1)
단계-5:
THF(14 mL) 중의 메틸 4-((tert-부톡시카르보닐) (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3-(1-메틸-1H-이미다졸-4-일) 벤조에이트(A13)(1.4 g, 2.947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실온에서 LiBH4(2.9 mL, 2.947 mmol, 1.0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0℃로 가열하고, 16시간 동안 교반을 유지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tOAc: Hex; 9:1 사용) 상에서 모니터링하여 16시간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30 mL)로 켄칭시키고, DCM(3 x 3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1.6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헥산 중 85% 에틸 아세테이트)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콤비 플래시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4-(하이드록시메틸)-2-(1-메틸-1H-이미다졸-4-일) 페닐) (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카르바메이트(A14)(0.6 g, 1.342 mmol, 수율: 45%)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8.0(d, J = 1.2 Hz, 1H), 7.66-7.62 (m, 3H), 7.37 (d, J = 8.4 Hz, 2H), 7.20(dd, J=8.4 Hz, 2.0 Hz, 1H), 7.08-7.05 (m, 2H), 5.30(t, J = 6.0 Hz, 1H), 4.55 (d, J = 6.0 Hz, 2H), 3.61 (s, 3H), 1.17 (s, 9H)
LCMS (방법 A): 1.848분, 99.83%, 254.0 nm, MS: ES+ 448 (M+1)
단계-6:
0℃에서 교반된 DCM(6 mL) 중의 tert-부틸 (4-(하이드록시메틸)-2-(1-메틸-1H-이미다졸-4-일) 페닐) (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카르바메이트(A14)(0.6 g, 1.342 mmol, 1.0 당량)의 용액에 DIPEA(0.074 g, 2.684 mmol, 2.0 당량) 및 MeSO2Cl(0.183 g, 1.610 mmol, 1.2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되게 하였고, 16시간 동안 교반을 유지시켰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tOAc: Hex; 7:3 사용)에 의해 모니터링하여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10 mL)로 희석시키고, DCM(3 x 20 mL)로 추출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1.0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헥산 중 50% 에틸 아세테이트)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CombiFlash®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4-(클로로메틸)-2-(1-메틸-1H-이미다졸-4-일) 페닐) (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카르바메이트(A15)(0.40 g, 0.860 mmol, 수율: 64%)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8.11 (d, J = 2.4 Hz, 1H), 7.69-7.64 (m, 3H), 7.38 (d, J = 8.8 Hz, 2H), 7.31 (dd, J = 8.0 Hz, 2.4 Hz, 1H), 7.14-7.12 (m, 2H), 4.84 (s, 2H), 3.62 (s, 3H), 1.17 (s, 9H)
LCMS (방법 A): 2.266분, 100%, 254.0 nm, MS: ES+ 466 (M+1)
단계-7:
DCM(4.0 mL) 중의 tert-부틸 (4-(클로로메틸)-2-(1-메틸-1H-이미다졸-4-일) 페닐) (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카르바메이트(A15)(0.4 g, 0.860 mmol, 1.0 당량) 및 CAS 107-15-3(0.051 g, 0.86 mmol, 1.0 당량)의 용액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DCM:MeOH; 9:1 사용)에 의해 모니터링하여 실온에서 16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10 mL)로 희석시키고, DCM(3x20 mL)로 추출하였다.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4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n-펜탄에 의해 분쇄하여 tert-부틸 (4-(((2-아미노에틸) 아미노) 메틸)-2-(1-메틸-1H-이미다졸-4-일) 페닐) (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카르바메이트(A16)(0.25 g, 0.511 mmol, 수율: 59%)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7.98 (s, 1H), 7.65-7.64 (m, 3H), 7.62 (s, 1H), 7.39-7.37 (m, 2H), 7.23-7.21 (m, 1H), 7.09 (s, 1H), 7.051-7.031 (m,1H), 3.74 (s, 2H), 3.64-3.54 (m, 4H), 3.35-3.30(m, 1H), 2.65-2.62 (m, 2H), 2.55-2.50(m, 2H), 1.17 (s, 9H).
LCMS (방법 A): 1.50분, 99.13%, 254.0 nm, MS: ES+ 489 (M+1)
단계-8:
톨루엔(2.5 mL) 중의 tert-부틸 (4-(((2-아미노에틸) 아미노) 메틸)-2-(1-메틸-1H-이미다졸-4-일) 페닐)(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르바메이트(A16)(0.25 g, 0.511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실온에서 DIPEA(0.074 g, 0.613 mmol, 2.0 당량) 및 CDI(0.099 g, 0.613 mmol, 1.2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50℃로 가열시키고, 8시간 동안 교반을 유지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DCM: MeOH; 9:1 사용)에 의해 모니터링하여 50℃에서 8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1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x20 mL)로 추출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3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MeOH 중 7 %DCM)으로서 실리카(200-400 메쉬)를 사용하는 콤비 플래시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2-(1-메틸-1H-이미다졸-4-일)-4-((2-옥소이미다졸리딘-1-일)메틸)페닐)(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카르바메이트(A17)(0.092 g, 0.178 mmol, 수율: 34.94%)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7.92 (d, J= 1.6 Hz, 1H), 7.66-7.63 (m, 3H), 7.38 (d, J= 8.4 Hz ,2H), 7.14-7.08(m, 3H), 6.47 (s,1H), 4.30(s, 2H), 3.61 (s, 3 H), 3.17 (s, 3H), 1.17 (s, 9 H).
LCMS (방법 A): 1.908분, 91.46%, 254.0 nm, MS: ES+ 516 (M+1)
단계-9:
DCM(1 ml) 중의 tert-부틸 (2-(1-메틸-1H-이미다졸-4-일)-4-((2-옥소이미다졸리딘-1-일) 메틸) 페닐) (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카르바메이트(A17)(0.15 g, 0.376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실온에서 디옥산 중의 4 M HCl(10 m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DCM:MeOH; 9:1 사용)에 의해 모니터링하여 실온에서 2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포화 NaHCO3(5 mL)로 염기성화시키고, EtOAc(3x10 mL)로 추출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09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MeOH 중 5 % DCM)으로서 실리카(200-400 메쉬)를 사용하는 콤비 플래시에 의해 정제하여 1-(3-(1-메틸-1H-이미다졸-4-일)-4-((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 벤질) 이미다졸리딘-2-온(화합물 3)(0.026 g, 0.062 mmol, 수율: 35%)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9.87 (s, 1H), 7.77 (d, J = 0.8 Hz, 1H), 7.64 (d, J = 2.0 Hz, 1H), 7.50(d, J = 1.2 Hz, 1H), 7.51 (d, J = 8.8 Hz, 2H), 7.36 (d, J = 8.0 Hz, 1H), 7.10-7.07 (m, 3H), 6.41 (s, 1H), 4.22 (s, 2H), 3.69 (s, 3H), 3.23 (s, 4H).
LCMS (방법 A): 1.690분, 99.78%, 254.0 nm, MS: ES+ 415 (M+1)
HPLC (방법 A): 7.77분, 96.04%, 254.0 nm
실시예 4 - 1-(3-(1-메틸-1H-이미다졸-4-일)-4-((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 벤질) 이미다졸리딘-2,4-디온(화합물 4)의 합성
단계-1:
DMF(2 mL) 중의 이미다졸리딘-2,4-디온 CAS 461-72-3(0.3, 3.00 mmol, 1.0 당량), CAS 824-94-2(0.46 g, 3.00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실온에서 NaH(0.086 g, 6.00 mmol, 2.0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80℃로 가열하고, 6시간 동안 교반을 유지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tOAc:Hex; 7:3 사용) 상에서 모니터링하여 6시간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5 mL)로 켄칭시키고, EtOAc(3 x 25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35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Hex 중 50% EA)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3-(4-메톡시벤질) 이미다졸리딘-2,4-디온(A18)(0.25 g, 1.136 mmol, 수율: 37%)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8.10(s, 1H), 7.23-7.19 (m, 2H), 6.88 (d, J = 8.8 Hz, 2H), 4.44-4.40(m, 2H), 3.95 (s, 2H), 3.72 (s, 3H).
단계-2:
ACN(3 mL) 중의 tert-부틸 (4-(클로로메틸)-2-(1-메틸-1H-이미다졸-4-일) 페닐) (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카르바메이트(A15)(0.3 g, 0.645 mmol, 1.0 당량) 및 3-(4-메톡시벤질) 이미다졸리딘-2,4-디온(A18)(0.212 g, 0.967 mmol, 1.5 당량)의 용액에 Cs2CO3(0.524 g, 1.612 mmol, 2.5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0℃로 가열하였고, 3시간 동안 교반을 유지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A:HEX; 8:2 사용) 상에서 모니터링하여 3시간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빙냉수(5 mL)로 켄칭시키고, EtOAc(3 x 25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3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HEX 중 80% EA)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4-((3-(4-메톡시벤질)-2,4-디옥소이미다졸리딘-1-일) 메틸)-2-(1-메틸-1H-이미다졸-4-일) 페닐) (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카르바메이트(A19)(0.18 g, 0.277 mmol, 수율: 42%)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7.93 (d, J = 2.0 Hz, 1H), 7.67(s, 1H), 7.64-7.62 (d, J = 8.8 Hz, 2H), 7.39 (d, J = 8.4 Hz, 2H), 7.24 (d, J = 8.8 Hz, 2H), 7.16 (dd, J=8.0 Hz, 2.4 Hz, 1H), 7.11-7.09 (m, 2H), 6.88 (d, J = 8.4 Hz, 2H), 4.58 (s, 2H), 4.52 (s, 2H), 3.96 (s, 2H), 3.73 (s, 3H), 3.62 (s, 3H),1.24 (s, 9H).
LCMS (방법 A): 2.259분, 98.94 %, 254.0 nm, MS: ES+ 649 (M+1)
단계-3:
ACN: H2O(1.8 mL) 중의 tert-부틸 (4-((3-(4-메톡시벤질)-2,4-디옥소이미다졸리딘-1-일) 메틸)-2-(1-메틸-1H-이미다졸-4-일) 페닐) (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카르바메이트(A19)(0.18 g, 0.277 mmol, 1.0 당량)의 용액에 CAN(0.151 g, 0.277 mmol, 1.0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3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A:HEX; 9:1 사용) 상에서 모니터링하여 3시간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빙냉수(5 mL)로 켄칭시키고, EtOAc(3 x 5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2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MeOH 중 5% DCM)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4-((2,4-디옥소이미다졸리딘-1-일) 메틸)-2-(1-메틸-1H-이미다졸-4-일) 페닐) (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카르바메이트(A20)(0.09 g, 0.170 mmol, 수율: 61%)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10.95 (brs, 1H) 9.87 (s, 1H), 7.87 (d, J = 8.0 Hz, 1H), 7.67-7.65 (m, 3H), 7.44-7.26 (m, 4H), 7.13 (d, J = 8.8 Hz, 1H), 4.53 (s, 2H), 3.91-3.87 (m, 2H), 3.78 (brs, 3H), 1.22 (s, 9H).
LCMS (방법 A): 1.898분, 62.16%, 254.0 nm, MS: ES+ 529 (M+1)
단계-4:
DCM(1 ml) 중의 tert-부틸 (4-((2,4-디옥소이미다졸리딘-1-일) 메틸)-2-(1-메틸-1H-이미다졸-4-일) 페닐) (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카르바메이트(A20)(0.09 g, 0.170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실온에서 디옥산 중의 4 M HCl(10 m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DCM:MeOH; 9:1 사용) 상에서 모니터링하여 실온에서 2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포화 NaHCO3(5 mL)로 염기성화시키고, EtOAc(3 x 25 mL)로 추출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09 g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고; 원하는 생성물을 MeOH 중의 7% DCM에서 용리시켜 1-(3-(1-메틸-1H-이미다졸-4-일)-4-((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 벤질) 이미다졸리딘-2,4-디온(화합물 4)(0.0091 g, 0.0212 mmol, 수율: 12.33%)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10.73 (s, 1H), 9.98 (s, 1H), 7.78 (s, 1H), 7.64 (s, 1H), 7.59 (s, 1H), 7.51 (d, J = 8.4 Hz, 2H), 7.37 (d, J = 8.4 Hz, 1H), 7.12-7.10(m, 3H), 4.42 (s, 2H), 3.87 (s, 2H), 3.70(s, 3H).
LCMS (방법 A):1.710분, 95.31%, 254.0 nm, MS: ES+ 429 (M+1)
HPLC (방법 A):5.95분, 97.18%, 210.0 nm
실시예 5 - 3-메틸-3-(3-(1-메틸-1H-이미다졸-4-일)-4-((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미노)페닐)피롤리딘-2-온(화합물 5 및 6)의 키랄 분리
화합물 2(0.096 g) 라세미체를 (CHIRALPAK IA 250X50 mm 5um) 컬럼 상에서 키랄 SFC 정제에 적용하였고 여기서 다음의 2개의 피크, 화합물 2 피크-1(화합물 5)(0.036 g, 수율 = 37.89%), 및 화합물 2 피크-2(화합물 6)(0.034 g 수율 = 35.79%)가 분리되었다.
컬럼 ID: CHIRALPAK IA 250X50 mm 5um
이동상 A: LIQ. CO2
이동상 B: MEOH-ACN(50-50) 중 0.1% M.NH3
유량 (ML/MIN): 160
장비 ID: 2489 UV 검출기가 있는 WATERS SFC 350
방법: 시간: 흐름: %A: %B (0.01:160:60:40), (12.00:160:60:40)
화합물 5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81 (s, 1H), 7.80(s, 1H), 7.77-7.76 (m, 2H), 7.55 (s, 1H), 7.49 (d, J = 8.8 Hz, 2H), 7.34 (d, J = 8.4 Hz,1H), 7.23 (dd, J = 8.4, 2.0 Hz, 1H), 7.08 (d, J = 8.4 Hz, 2H), 3.69 (s, 3H), 3.26-3.17 (m, 2H), 2.42-2.41 (m, 1H), 2.18-2.08 (m, 1H), 1.42 (s, 3H).
LCMS (방법 A): 1.807분, 100.0 %, 254.0 nm, MS: ES+ 415.17 (M+1)
HPLC (방법 A): 8.03분, 99.48%, 254.0 nm
키랄 HPLC: 3.19분, 100.00%, 310.0 nm
화합물 6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82 (s, 1H), 7.81 (s, 1H), 7.77-7.76 (m, 2H), 7.55 (s, 1H), 7.49 (d, J= 8.8 Hz, 2H), 7.34 (d, J= 8.4 Hz,1H), 7.23 (dd, J= 8.0,2.0 Hz, 1H), 7.08 (d, J= 8.4 Hz,2H), 3.69 (s, 3H), 3.26-3.14 (m, 2H), 2.41-2.33 (m, 1H), 2.18-2.12 (m, 1H), 1.42 (s, 3H).
LCMS (방법 A): 1.812분, 97.93 %, 254.0 nm, MS: ES+ 415.17 (M+1)
HPLC (방법 A): 8.03분, 97.26 %, 254.0 nm
키랄 HPLC: 3.68분, 100.00%, 310.0 nm
실시예 6 - 3-메틸-3-(3-(5-메틸-1,3,4-옥사디아졸-2-일)-4-((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 페닐) 피롤리딘-2-온(화합물 7 및 8)의 합성
화합물 1(0.2 g) 라세미체를 (CHIRALPAK IA 250X50 mm 5 μm) 컬럼 상의 키랄 SFC 정제에 적용하였고 여기서 여기서 다음의 2개의 피크, 화합물 1 피크-1(화합물 7)(0.040 g, 수율 = 38.52%), 및 화합물 1 피크-2(화합물 8)(0.045 g, 수율 = 46.79%)가 분리되었다
컬럼 ID: CHIRALPAK IA 250X50 mm 5um
이동상 A: LIQ. CO2
이동상 B: MEOH-ACN(50-50) 중의 0.1% M.NH3
유량 (ML/MIN): 160
장비 ID: 2489 UV 검출기가 있는 WATERS SFC 350
방법: 시간: 흐름: %A: %B (0.01:160:55:45),(16.00:160:55:45)
유입량: 0.2 g.
유출량: 화합물 7 = 0.040g (%수율 = 38.52%) 및 화합물 8 = 0.045 g (%수율 = 46.79%)
화합물 7: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0(s, 1H), 7.90-7.89 (m, 2H), 7.62 (d, J = 8.8 Hz, 2H), 7.56 (d, J = 2.4 Hz, 2H), 7.35 (d, J = 8.8 Hz, 2H), 3.26-3.24 (m, 1H), 3.17-3.12 (m, 1H), 2.59 (s, 3H), 2.44-2.38 (m, 1H), 2.22-2.16 (m, 1H), 1.42 (s, 3H)
1 H NMR (MeOD, 400 MHz): δ ppm), 7.99 (d, J = 2.0 Hz, 1H), 7.63-7.54 (m, 4H),7.40(d, J = 8.4 Hz, 2H), 3.47-3.42 (m, 2 H), 2.66 (s, 3H), 2.58-2.52 (m, 1H), 2.36-2.30(m, 1H), 1.63 (s, 3H), 1H는 MeOD 수분과 겹쳐졌고 이는 DMSO NMR에서 분명하게 볼 수 있다
LCMS (방법 A): 2.344분, 100.00 %, 254.0 nm, MS: ES+ 417.38 (M+1)
HPLC (방법 B): 8.33분, 99.60%, 330.0 nm
키랄 HPLC: 4.38분, 100.00%, 300.0 nm
화합물 8 :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0(s, 1H), 7.90-7.89 (m, 2H), 7.62 (d, J = 8.4 Hz, 2H), 7.56 (s, 2H), 7.35 (d, J = 8.4 Hz, 2H), 3.27-3.24 (m, 1H), 3.17-3.11 (m, 1H), 2.59 (s, 3H), 2.44-2.38 (m, 1H), 2.22-2.16 (m, 1H), 1.42 (s, 3H).
1 H NMR (MeOD, 400 MHz): δ ppm), 7.96 (s, 1H), 7.60-7.54 (m, 4H), 7.37 (d, J = 8.4 Hz, 2H), 2.60(s, 3H), 2.55-2.49 (m, 1H), 2.34-2.27(m, 1H), 1.55 (s, 3H).
LCMS (방법 A): 2.329분, 98.58 %, 254.0 nm, MS: ES+ 417.43 (M+1)
HPLC (방법 B): 8.32분, 99.74 %, 235.0 nm
키랄 HPLC: 3.65분, 100 %, 300.0 nm
실시예 7 - 5-메틸-5-(3-(1-메틸-1H-이미다졸-4-일)-4-((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 페닐) 이미다졸리딘-2,4-디온(화합물 9)의 합성
단계-1:
메탄올(15 mL) 중의 (A12)(1.5 g, 3.99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25℃에서 NaOH 용액(0.32 g, 7.99 mmol, 2.0 당량)을 첨가하였다. 이후 RM을 40℃로 가열하였고, 16시간 동안 40℃에서 유지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헥산 중의 70% EtOAc 사용)에 의해 모니터링하여 40℃에서 16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DCM 및 펜탄을 사용한 분쇄에 의해 정제하여 3-(1-메틸-1H-이미다졸-4-일)-4-((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 벤조산(A21)(1.1 g, 3.04 mmol, 수율: 76.18%)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12.70(brs, 1H), 10.22 (brs, 1H), 8.31 (brs, 1H), 8.17 (s, 1H), 7.86 (s, 1H), 7.80(d, J = 8.4 Hz, 1H), 7.62 (d, J = 8.4 Hz, 2H), 7.52-7.47 (m,1H), 7.31-7.21 (m, 2H) 3.78 (s, 3H).
LCMS (방법-A): 1.79, 79.92 %, 254 nm, MS: ES+ 362 (M), (M+1)
단계-2:
DCM(10 mL) 중의 (A21)(1.1 g, 3.04 mmol, 1.0 당량)의 용액에 각각 0℃에서 DIPEA(1.17 g, 9.14 mmol, 3.0 당량) 및 HATU(2.31 g, 6.09 mmol, 2.0 당량)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 혼합물에 0℃에서 CAS 번호 6638-79-5(0.32 g, 3.35 mmol, 1.1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이 되게 하였고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헥산 중의 70% EtOAc 사용)에 의해 모니터링하여 실온에서 4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DCM(3 x 10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1.5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이동상으로서 헥산 중의 50% EtOAc 사용)으로서 실리카(100-200 메쉬)를 사용하는 수동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N-메톡시-N-메틸-3-(1-메틸-1H-이미다졸-4-일)-4-((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 벤즈아미드(A22)(1.0 g, 2.47 mmol, 수율: 81.23%)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10.72 (s,1H), 7.98 (s,1H), 7.85 (s,1H), 7.72 (s,1H), 7.60(d, J = 8.4 Hz, 2H), 7.49-7.36 (m, 2H), 7.29 (d, J = 8.4 Hz, 2H), 3.73 (s, 3H), 3.61 (s, 3H), 3.27 (s, 3H)
LCMS (방법 A): 1.816, 92.00%, 254.0 nm, MS: ES+ 405 (M+1).
단계-3:
DCM 중의 N-메톡시-N-메틸-3-(1-메틸-1H-이미다졸-4-일)-4-((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 벤즈아미드(A22)(1.0 g, 2.47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질소 분위기하에 실온에서 (BOC)2O(0.80 g, 3.70 mmol, 1.5 당량) 및 DMAP(0.12 g, 0.98 mmol, 0.4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다(이동상으로서 헥산 중의 70% EtOAc).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DCM(3 x 10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1.8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이동상으로서 헥산 중의 50% EtOAc 사용)으로서 실리카(100-200 메쉬)를 사용하는 수동 컬럼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4-(메톡시(메틸)카르바모일)-2-(1-메틸-1H-이미다졸-4-일) 페닐) (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카르바메이트(A23)(0.45 g, 0.89 mmol, 수율: 36.07%)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8.25 (d, J = 2.0 Hz, 1H), 7.72-7.65 (m, 3H), 7.60(d, J = 8.8 Hz, 1H), 7.47-7.41 (m, 2H), 7.18-7.17 (m, 2H), 3.66 (s, 3H), 3.62 (s, 3H), 3.28 (s, 3H),1.16 (s, 9H)
LCMS (방법 A): 2.032분, 85.41%, 254.0 nm, MS: ES+ 505 (M+1)
단계-4:
THF 중의 tert-부틸 (4-(메톡시(메틸)카르바모일)-2-(1-메틸-1H-이미다졸-4-일) 페닐) (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카르바메이트(A23)(0.45 g, 0.89 mmol, 1.0 당량)의 용액에 0℃에서 THF 중의 MeMgBr(1.78 mL, 2.0 당량)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되게 하였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헥산 중의 50% EtOAc 사용) 상에서 모니터링하였다. 이후 EA(3 x 10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7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원하는 생성물을 용리(이동상으로서 헥산 중의 15-20% EtOAc 사용)하는 실리카(100-200 메쉬)를 사용하는 수동 컬럼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4-아세틸-2-(1-메틸-1H-이미다졸-4-일) 페닐) (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카르바메이트(A24)(0.30 g, 0.653 mmol, 수율: 73.20%)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8.58 (d, J = 2.0 Hz, 1H), 7.83 (dd, J = 6.0 Hz, 1H), 7.72 (s, 1H), 7.66 (d, J = 8.8 Hz, 2H), 7.40(d, J = 8.4 Hz, 2H), 7.29-7.23 (m, 2H), 3.64 (s, 3H), 2.19 (s, 3H), 1.64 (s, 9H).
주석: 불순물 피크가 1H NMR에서 관찰되었다.
LCMS (방법 A): 2.115, 100%, 254 nm, MS: ES+ 460(M+1)
단계-5:
에탄올(6 ml) 중의 tert-부틸 (4-아세틸-2-(1-메틸-1H-이미다졸-4-일) 페닐) (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카르바메이트(A24)(0.30 g, 0.653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탄산암모늄(0.25 g, 2.61 mmol, 4.0 당량)을 첨가하고 이후 실온에서 TMSCN(3 ml) 및 수산화암모늄(6 ml) 용액의 첨가를 후속하였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100℃까지 가열하고,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헥산 중의 70 % EtOAc 사용) 상에서 모니터링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EtOAc(3 x 10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7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이동상으로서 헥산 중의 50% EtOAc 사용)으로서 실리카(100-200 메쉬)를 사용하는 수동 컬럼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2-(1-메틸-1H-이미다졸-4-일)-4-(4-메틸-2,5-디옥소이미다졸리딘-4-일) 페닐) (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카르바메이트(A25)(0.25 g, 0.472 mmol, 수율: 73.21%)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8.71 (d, J = 6.0 Hz, 1H), 8.16 (d, J = 2.4 Hz, 1H), 8.07 (s, 1H), 7.97 (dd, J = 12.0 Hz, 1H), 7.69 (s, 1H), 7.64 (d, J = 6.8 Hz, 2H), 7.36 (d, J = 6.8 Hz, 2H), 7.16-7.11 (m, 2H), 3.62 (s, 3H), 1.99 (s, 3H),1.35 (s, 9H).
LCMS (방법 A): 1.878분, 85.79%, 243.0 nm, MS: ES+ 530(M+1)
단계-6:
2.5 ml DCM 중의 tert-부틸 (2-(1-메틸-1H-이미다졸-4-일)-4-(4-메틸-2,5-디옥소이미다졸리딘-4-일)페닐)(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르바메이트(A25)(0.25 g, 0.472 mmol, 1.0 당량) 용액에 HCl. 디옥산(2.49 ml, 5.0 당량)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헥산 중의 70% EtOAc 사용) 상에서 모니터링하였다. RM을 감압하에서 농축시키고, 조물질을 NaHCO3 용액으로 염기성화시키고, EtOAc(3x5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35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물질을 DCM 및 펜탄 용액에 의한 분쇄로 정제하여 5-메틸-5-(3-(1-메틸-1H-이미다졸-4-일)-4-((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 페닐) 이미다졸리딘-2,4-디온(화합물 9)(0.127 g, 0.295 mmol, 수율: 62.64%)를 얻었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10.76 (s, 1H), 9.92 (s, 1H), 8.55 (s, 1H), 7.83 (d, J = 2.0 Hz, 1H), 7.79 (s, 1H), 7.58 (s, 1H), 7.51 (d, J = 8.8 Hz, 2H), 7.41 (d, J = 8.4, 1H), 7.28 (dd, J = 6.0 Hz, 1H), 7.11 (d, J = 8.4, 2H), 3.71 (s, 3H), 1.68 (s, 3H);
LCMS (방법 A): 1.64분, 98.82%, 296.0 nm, MS: ES+ 430(M+1)
HPLC (방법 A): 5.15분, 98.94%, 210 nm,
실시예 8 - (3-메틸-3-(3-(옥사졸-2-일)-4-((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 페닐) 피롤리딘-2-온(화합물 10)의 합성
단계-1:
THF(20 mL) 중의 옥사졸(2.0 g, 28.9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78℃에서 50 mL의 1목 RB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n-BuLi(21.67 ml, 34.6 mmol, 1.2 당량)을 적하하였고 이후 ZnBr2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78℃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후 THF 중의 요오드의 용액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A:헥산; 2.0:8.0 사용)에 의해 모니터링하여 실온에서 30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NH4Cl 용액(20 mL)로 켄칭시키고, DCM(3x2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2.5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헥산 중의 5% 에틸 아세테이트)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2-아이오도옥사졸(A26)(2.0 g, 10.30 mmol, 수율: 35%)로서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8.25 (s, 1H), 7.23 (s, 1H).
단계-2:
30 mL 반응기에서, 디옥산(2 mL) 중의 2-아이오도옥사졸(A26)(0.25 g, 0.54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N2 atm하에서 (A9)(0.126 g, 0.65 mmol, 1.2 당량) 그 다음 K2CO3(0.22 g, 1.62 mmol, 3 당량) 및 물을 첨가하였다. PdCl2(dppf)(0.019 g, 0.02 mmol, 0.05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기를 밀봉시키고, 반응을 9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A:헥산; 7.0:3.0 사용)에 의해 모니터링하여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10 mL)로 켄칭시키고, EA(3 x 1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3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분취 HPLC 정제 방법-A에 의해 정제하여 (3-메틸-3-(3-(옥사졸-2-일)-4-((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 페닐) 피롤리딘-2-온(화합물 10)(0.03 g, 0.017 mmol, 수율: 27%)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9.92 (s, 1H), 8.28 (s, 1H), 8.01 (d, J = 2.0 Hz, 1H), 7.87 (s, 1H), 7.62 (d, J = 8.8 Hz, 2H), 7.55-7.49 (m, 3H),7.37 (d, J = 8.4 Hz, 2H), 3.29-3.14 (m, 2H), 2.22-2.15 (m, 1H), 1.42 (s, 3H). 주석: 1H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졌고, 이는 MeOD NMR에서 분명하게 볼 수 있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10.17 (s, 1H), 8.09 (d, J = 1.6 Hz, 1H), 7.99 (s, 1H), 7.61-7.56 (m, 3H), 7.48 (d, J = 8.8 Hz, 1H), 7.40-7.38 (m, 3H), 3.44-3.32 (m, 1H), 2.58-2.52 (m, 1H), 2.36-2.31 (m, 1H), 1.58 (s, 3H).
LCMS: 2.63분, 100%, 241.0 nm, MS: ES+ 402.2 (M+1)
HPLC: 9.26분, 100%, 210 nm
실시예 9 - 3-메틸-3-(3-(2-메틸-2H-테트라졸-5-일)-4-((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 페닐) 피롤리딘-2-온(화합물 11)의 합성
단계-1a:
10 mL 유리 바이알에서, ACN(2.5 mL) 중의 CAS: 6154-04-7(0.1 g, 1.009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요오드(0.256 g, 1.009 mmol, 1.0 당량)을 동일한 온도에서 첨가하였다. 이후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45℃에서 교반하고, tBu 니트라이트를 첨가하고, 이후 반응물을 4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헥산 중의 5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모니터링하여 45℃에서 3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냉각시키고 이후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00 mL)로 희석시키고, 아황산나트륨(100)의 용액 및 NaCl 용액으로 세척하고 이후 유기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 물질을 얻었고 이를 헥산 및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헥산 중의 1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시켜 5-아이오도-2-메틸-2H-테트라졸(A27)(0.145 g, 0.690 mmol, 수율: 68.72%)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4.39 (s, 3H)
LCMS (방법 A): 1.178분, 100%, 254.0 nm, MS: ES+ 211.05 (M+1)
단계-1:
10 mL 유리 바이알에서 디옥산:물(1.0:0.3 mL) 중의 A9(0.05 g, 0.108 mmol, 1.0 당량), 및 A27(0.023 g, 0.108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실온에서 Na2CO3(0.035 g, 0.325 mmol, 3.0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15분 동안 질소 퍼징하에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PdCl2(dppf)(0.0038 g, 0.050 mmol, 0.05 당량)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바이알을 이후 밀봉시키고, 110℃로 가열하고, 2시간 동안 교반을 유지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헥산 중의 10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모니터링하여 110℃에서 2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냉각시키고, 이후 냉각수(50 mL)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30 x 2)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 물질을 얻었고 이를 헥산 및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헥산 중의 7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시키고, 분취 HPLC 정제 방법-A에 의해 추가로 정제하여 3-메틸-3-(3-(2-메틸-2H-테트라졸-5-일)-4-((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 페닐) 피롤리딘-2-온(화합물 11)(0.031 g, 0.0744 mmol, 수율: 34.44%)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8.72 (s, 1H), 8.02 (s, 1H), 7.89 (s, 1H), 7.55-7.52 (m, 4H), 7.20(d, J = 8.4 Hz, 2H), 4.44 (s, 3H), 3.30-3.24 (m, 1H), 3.18-3.12 (m, 1H), 2.45-2.38 (m, 1H), 2.22-2.17 (m, 1H), 1.43 (s, 3H).
LCMS (방법 A): 2.439분, 100%, 254.0 nm, MS: ES+ 417.3 (M+1)
HPLC (방법 B): 8.506분, 99.48%, 210.0 nm
실시예 10 - 3-메틸-3-(3-(피리다진-3-일)-4-((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 페닐) 피롤리딘-2-온(화합물 12)의 합성
단계-1:
ACN(3 mL) 중의 피리다진-3(2H)-온(CAS 504-30-3)(0.15, 0.40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실온에서 POBr3(0.032 g, 0.80 mmol, 2.0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80℃로 가열하고, 3시간 동안 교반을 유지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tOAc:Hex; 1:1 사용) 상에서 모니터링하여 3시간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포화 NaHCO3(5 mL)로 켄칭시키고, EtOAc(3 x 2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35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원하는 생성물을 용리(헥산 중 40% EA)하는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3-브로모피리다진(A28)(0.15 g, 0.943 mmol, 수율: 30.19%)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9.27 (dd, J = 4.8 Hz, 1.2 Hz 1H), 8.06 (dd, J = 8.4 Hz, 1.2 Hz, 1H), 7.72-7.69 (m, 1H).
LCMS (방법 A): 0.856분, 100 %, 254.0 nm, MS: ES+ 160.9 (M+2)
단계-2:
디옥산: H2O(1 mL) 중의 3-메틸-3-(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로란-2-일)-4-((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 페닐) 피롤리딘-2-온(A9) (0.1 g, 0.217 mmol, 1.0 당량), 3-브로모피리다진(A28)(0.051 g, 0.329 mmol, 1.5 당량)의 용액에 탄산세슘(0.211 g, 0.651 mmol, 3.0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0분 동안 N2로 퍼징시키고 이후 PdCl2(dppf)(0.0078 g, 0.010 mmol, 0.05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90℃에서 가열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DCM:MeOH; 9:1 사용) 상에서 모니터링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빙냉수(5 mL)로 켄칭시키고, EtOAc(3 x 5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15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MeOH 중 7% DCM)으로서 실리카(200-400 메쉬)를 사용하는 수동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3-메틸-3-(3-(피리다진-3-일)-4-((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 페닐) 피롤리딘-2-온(화합물 12)(0.013 g, 0.0315 mmol, 수율: 14.51%)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9.17-9.16 (d, J = 4.8 Hz, 1H), 8.93 (s, 1H), 7.88-7.86 (m, 2H), 7.73-7.68 (m, 2H), 7.55-7.53 (m, 1H), 7.46-7.41 (m, 3H), 6.93 (d, J = 8.4 Hz, 2H), 3.30-3.26 (m, 1H), 3.20-3.17 (m, 1H), 2.23-2.18 (m,1H), 1.45 (s, 3H); 1H는 MeOD 용매 피크와 겹쳐졌고, 이는 DMSO NMR에서 분명하게 볼 수 있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11-9.10(m, 1H), 8.07-8.05 (m, 1H), 7.78-7.72 (m, 2H), 7.59-7.52 (m, 2H), 7.41 (d, J = 8.4 Hz, 2H), 7.03 (d, J = 8.4 Hz, 2H), 2.64-2.58 (m, 1H), 2.38-2.31 (m, 1H), 1.61 (s, 3H), 1.21 (s, 1H).
LCMS (방법 A): 2.175분, 99%, 254.0 nm, MS: ES+ 412 (M+1)
HPLC (방법 A): 7.58분, 99.24%, 254.0 nm
키랄 HPLC (방법 A): 4.31분, 51.14%, 240.0 nm; 4.80분, 48.85%, 240.0 nm
실시예 11 - 3-메틸-3-(3-(피라진-2-일)-4-((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 페닐) 피롤리딘-2-온(화합물 13)의 합성
단계-1:
디옥산:H2O(7:3) 중의 (A9)(0.15 g, 0.325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10 ml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CAS: 56423-63-3 (0.05 g, 0.314 mmol, 1.0 당량), Na2CO3(0.10 g, 1.02 mmol, 3.0 당량)을 N2 분위기하에 동일한 온도에서 첨가하였다. 이후 PdCl2(dppf)(0.01 g, 0.01 mmol, 0.05 당량)을 첨가하고, 교반하고, 11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을 TLC(MeOH: DCM, 1:9)에 의해 모니터링하여 110℃에서 1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EA (20 ml) H2O(2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회전 증발기에서 제거하고, 230-400 메쉬 크기 실리카를 사용하는 유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화합물 13)을 10% MeOH: DCM(0.040 g, 0.096 mmol 수율: 29.76 %)에서 용리된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8.85 (d, J = 11.6 Hz, 2H), 8.72 (s, 1H), 8.55 (d, J = 2.4 Hz, 1H), 7.86 (s, 1H), 7.72 (d, J = 1.6 Hz, 1H), 7.54-7.51 (m, 1H), 7.42 (d, J = 8.4 Hz, 3H).), 6.93 (d, J = 8.4 Hz, 2H), 3.27-3.24 (m, 1H), 3.20-3.16 (m, 1H), 2.22-2.15 (m, 1H),1.44 (s, 3H), 1H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졌고 이는 MeOD NMR에서 분명하게 볼 수 있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8.97 (s, 1H), 8.69 (s, 1H), 8.50(d, J = 2.4 Hz, 1H),7.79 (d, J = 1.6 Hz, 1H), 7.56-7.49 (m, 2H), 7.42 (d, J = 8.4 Hz, 2H), 7.03 (d, J = 8.4 Hz, 2H), 3.44-3.38 (m, 1H), 2.62-2.58 (m, 1H), 2.38-2.33 (m, 1H),1.61 (s, 3H)
LCMS (방법 A): 2.30분, 100%, 254.0 nm, MS: ES+ 413.2 (M+1)
HPLC (방법 B): 8.19분, 100%, 254 nm.
실시예 12 - 5-메틸-5-(3-(1-메틸-1H-이미다졸-4-일)-4-((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아미노)페닐)이미다졸리딘-2,4-디온(화합물 14 및 15)의 키랄 분리
절차:
화합물 9(0.109 g) 라세미체를 (CHIRALPAK IA 250X4.6 mm 5 μm) 컬럼 상의 키랄 SFC 정제에 적용하였고 여기서 다음의 2개의 피크, 화합물 9 피크-1(화합물 14)(0.027 g, 수율 = 24.77%), 및 화합물 9 피크-2(화합물 15)(0.037 g, 수율 = 33.94%)가 분리되었다
컬럼 ID: CHIRALPAK IA, 250*4.6mm, 5마이크론
이동상 A: LIQ. CO2
이동상 B: MEOH-ACN(50-50) 중의 0.1% M.NH3
유량 (ML/MIN): 4 mL
장비 ID: 2998 PDA 검출기가 있는 Waters SFC Investigator 시스템
방법: 70:30의 등용매 방법; 유량 = 4 ml/min 사용; 컬럼 오븐 온도 = 40℃; 배압 = 100 bar 및 9분 분석 시간.
유입량: 0.109 g.
유출량: 화합물 14 = 0.027g (%수율=24.77%) 및 화합물 15= 0.037 g (%수율=33.94%)
화합물 14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10.76(brs, 1H), 9.92 (s, 1H), 8.60(s, 1H),7.83 (d, J=2.0 Hz,1H), 7.79 (s,1H), 7.58 (s,1H), 7.51(d, J=8.4 Hz, 2H), 7.41(d, J=8.8 Hz,1H), 7.28 (dd,J=8.4 Hz, 2.0 Hz,1H), 7.11(d, J=8.4 Hz, 2H), 3.71 (s,3H), 1.68 (s, 3H).
1 H NMR (MeOD, 400 MHz): δ ppm), 7.81(d, J = 2.4 Hz, 1H), 7.70(s, 1H), 7.47-7.44 (m, 3H), 7.41-7.39 (m, 2H), 7.09 (d, J = 8.4 Hz, 2H), 3.76 (s, 3H), 1.82 (s, 3H).
LCMS (방법 A): 1.70분, 100.00 %, 298.0 nm, MS: ES+ 430.3 (M+1)
HPLC (방법 B): 5.24분, 100%, 254.0nm
키랄 HPLC: 3.25분, 100.00%, 240.0nm
화합물 15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10.77 (s,1H), 9.92 (s,1H), 8.60(s,1H),7.81 (dd, J=16.8 Hz, 2.4 Hz, 2H), 7.58 (s,1H), 7.51 (d, J=8.8 Hz, 2H), 7.41 (d, J=8.4 Hz,1H), 7.28 (dd,J=8.8 Hz,2.4 Hz,1H), 7.11(d, J=8.4 Hz, 2H), 3.71 (s, 3H), 1.68 (s, 3H).
1 H NMR (MeOD, 400 MHz): δ ppm), 7.81(d, J = 2.4 Hz, 1H), 7.71 (s, 1H), 7.46-7.44 (m, 3H), 7.41-7.37 (m, 2H), 7.08(d, J = 8.4 Hz, 2H), 3.76 (s, 3H), 1.82 (s, 3H)
LCMS (방법 A): 1.69분, 97.02 %, 254.0 nm, MS: ES+ 430.4 (M+1)
HPLC (방법 B): 5.01분, 96.44%, 210.0 nm
키랄 HPLC: 3.73분, 93.63%, 240.0 nm
실시예 13 - 3-메틸-3-(3-(1-메틸-1H-이미다졸-4-일)-4-((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 페닐) 피롤리딘-2,4-디온(화합물 16)의 합성
단계-1a
메탄올(100 mL) 중의 메틸 글리시네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CAS:5680-79-5)(275 g, 2190.3 mmol 1.0 당량)의 용액을 0℃로 냉각시키고, 이후 TEA(332.4 g, 3285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하고, 이후 4-메톡시벤즈알데히드 CAS:123-11-5(298.2 g, 2190.3 mmol 1.0 당량)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4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용액을 0℃로 냉각시키고 이후 NaBH4(165.5 g, 4380.7 mmol 2.0 당량)을 반응 혼합물에 분할하여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tOAc: Hex; 4:6 사용) 상에서 모니터링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여과시키고, 여과물을 증류시키고, 물(500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EtOAc(4 x 50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202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임의의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직접적으로 사용하였다. 반응으로 메틸 (4-메톡시벤질) 글리시네이트(A29)(202 조생성물, 965.9 mmol, 수율: 정량적)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7.21 (d, J = 8.8 Hz, 2H), 6.86 (dd, J = 6.8 Hz, 2.0 Hz, 2H), 3.73 (s, 3H), 3.62 (br s, 2H), 3.61 (s, 3H) 3.28 (s, 2H)
LCMS (방법 A): 0.951분, 81.11%, 220.0 nm, MS: ES+ 210(M+1)
단계-1:
THF 중의 에틸 2-(4-니트로페닐)아세테이트(400 g, 1912.04 mmol, 1.0 당량)의 용액에 0℃에서 H2O(800 mL) 중의 NaOH 용액(229 g, 5736 mmol, 3.0 당량)을 첨가하고 이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MeOH:DCM 1:9 사용) 상에서 모니터링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증류시키고, 이후 물(100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N HCl로 산성화시키고, EtOAc(3 x 50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용리액 7% MeOH: MDC)으로서 실리카(100-200 메쉬)를 사용하는 수동 컬럼에 의해 정제하여 2-(4-니트로페닐) 아세트산(A30)(200 g, 1104.0 mmol, 수율: 57.63%)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12.59 (s, 1H), 8.193 (d, J = 8.8 Hz, 2H), 7.56 (d, J = 8.8 Hz, 2H), 3.79 (s,2H).
단계-2:
DMF 중의 2-(4-니트로페닐)아세트산(A30)(144 g, 794.92 mmol, 1.0 당량)의 용액에 메틸 (4-메톡시벤질)글리시네이트(A29)(216.0 g, 1033 mmol, 1.3 당량) 및 DIPEA(112.7 g, 874 mmol, 1.1 당량)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고 이후 HATU(453.3 g, 1192.3 mmol 1.5 당량)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tOAc: Hex; 5:5 사용) 상에서 모니터링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빙냉수(1000 mL)에 부어 갈색 고체 침전물을 생성하고,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하고 이후 여과시키고 건조시켰다. 조물질을 다음 단계에서 직접적으로 사용하였다. 반응으로 메틸 N-(4-메톡시벤질)-N-(2-(4-니트로페닐) 아세틸) 글리시네이트(A31)(100 g 조생성물, 268.5 mmol, 수율: 33.78%)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8.20-8.16 (m, 2H), 7.51-7.49 (m, 2H), 7.22-7.17(m, 2H), 6.93-6.86 (m, 2H), 4.64 (s, 1H), 4.45 (s, 1H), 4.25 (s, 1H), 4.00(s, 2H) 3.87 (s, 1H), 3.74(s, 3 H) 3.61 (s, 3H),
LCMS (방법 A): 2.139분, 97.36%, 254.0 nm, MS: ES+ 373.2 (M+1)
단계-3:
DMF(700 ml) 중의 N-(4-메톡시벤질)-N-(2-(4-니트로페닐) 아세틸) 글리시네이트(A31)(70.0 g, 187.98 mmol, 1.0 당량)의 용액에 KotBu(22.14 g, 197.37 mmol, 1.05 당량)을 실온에서 분할하여 첨가하고, 이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MeOH:DCM; 5:5 사용) 상에서 모니터링하여 16시간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1000 mL)로 켄칭시키고, 이후 희석 HCl로 산성화시켜 황색 고체 침전물을 생성하였다.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하고, 이후 여과시키고 건조시켜 1-(4-메톡시벤질)-3-(4-니트로페닐) 피롤리딘-2,4-디온(A32)(75 g, 220.37 mmol, 수율: 정량적)을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12.71 (br s, 1H), 8.40-8.37 (m, 2H), 8.24-8.20(m, 2H), 7.19 (d, J = 8.8 Hz. 2H), 6.93 (d, J = 8.8 Hz, 2H), 4.50(s, 2H), 3.89 (s, 2H), 3.73 (s, 3H),
LCMS (방법 A): 2.092분, 99.16%, 230.0 nm, MS: ES+ 341.2 (M+1)
단계-4:
DMF(650 mL) 중의 1-(4-메톡시벤질)-3-(4-니트로페닐) 피롤리딘-2,4-디온(A32)(65.0 g, 190.99 mmol, 1.0 당량)의 용액을 0℃로 냉각시키고, 이후 K2CO3(28.9 g, 210.09 mmol, 1.1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5분 동안 교반하고, 이후 MeI(40.3 g, 286.48 mmol, 1.5 당량)을 0℃에서 적하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tOAc: Hex; 4:6 사용) 상에서 모니터링하여 16시간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빙냉수(200 mL)로 켄칭시키고, EtOAc(4 x 50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냉각 염수 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53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헥산 중의 24% 에틸 아세테이트)으로서 실리카(100-200 메쉬)를 사용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1-(4-메톡시벤질)-3-메틸-3-(4-니트로페닐) 피롤리딘-2,4-디온(A33)(33 g, 93.22 mmol, 수율: 48.80%)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8.26-8.22(m, 2H), 7.64-7.60(m, 2H), 7.25 (d, J = 8.4 Hz, 2H), 6.95-6.92(m, 2H), 4.65 (d, J = 14.8 Hz, 1H), 4.55 (d, J = 14.8 Hz 1H), 4.03 (s, 2H), 3.74 (s, 3H), 3.61 (s, 3H),
LCMS (방법 A): 2.336분, 99.24%, 254.0 nm, MS: ES+ 355 (M+1)
단계-5:
물(280 mL) 중의 1-(4-메톡시벤질)-3-메틸-3-(4-니트로페닐) 피롤리딘-2,4-디온(A33)(28.0 g, 79.09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실온에서 NH4Cl(41.9 g, 790.9 mmol, 10.0 당량) 및 Fe(22.06 g, 395.48 mmol, 5.0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0℃로 가열하고, 이후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MeOH:DCM 1:9 사용)에 의해 모니터링하여 5시간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여과시키고 이후 DCM(400 ml) 중의 10% MeOH로 세척하고, 이후 수성층을 DCM(400 ml) 중의 10% MeOH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24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메탄올/에테르 분쇄에 의해 정제하여 3-(4-아미노페닐)-1-(4-메톡시벤질)-3-메틸 피롤리딘-2,4-디온(A34)(20 g, 61.65 mmol, 수율: 77.97%)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7.23 (d, J = 8.4 Hz, 2H), 6.92 (d, J = 8.4 Hz, 2H), 6.90(d, J = 8.4 Hz, 2H), 6.50(d, J = 8.8 Hz, 2H), 5.16 (s, 2H), 4.69 (d, J = 14.8 Hz, 1H), 4.43 (d, J = 14.8 Hz, 2H), 3.92-3.74 (m, 2H), 3.72 (s, 3H), 1.39 (s, 3H)
LCMS (방법 A): 1.684분, 100%, 254.0 nm, MS: ES+ 325 (M+1)
단계-6a:
톨루엔 중의 3-(4-아미노페닐)-1-(4-메톡시벤질)-3-메틸 피롤리딘-2,4-디온(A34)(23.0 g, 70.90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실온에서 MSA(CAS:75-75-2)(55.2 ml, 2.4 v)를 첨가하고, 이후 반응물을 8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DCM:MeOH; 9:1 사용)에 의해 모니터링하여 80℃에서 24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교반하고, 이후 침강시켰다. 톨루엔을 디켄팅시키고, 이후 물(200 m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4 x 300 mL)로 세척하였다. 수성층을 NaHCO3로 염기성화시키고, 이후 에틸 아세테이트(4 x 30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3-(4-아미노페닐)-3-메틸피롤리딘-2,4-디온(A35)(7.0 g, 34.29 mmol, 수율: 48.37%)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8.55 (s, 1H), 6.91 (d, J= 8.8 Hz ,2H), 6.52 (d, J= 8.8 Hz, 2H), 5.16 (s, 2H), 4.0-3.90(m, 2H), 1.34 (s, 3H),
LCMS (방법 A): 0.368분, 100 %, 210.0 nm, MS: ES+ 205 (M+1)
단계-7a:
DMF 중의 3-(4-아미노페닐)-3-메틸피롤리딘-2,4-디온(A35)(4.0 g, 19.59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0℃로 냉각시켰다. NBS(2.44 g, 13.61 mmol, 0.7 당량)을 분할하여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DCM: MeOH; 7:3 사용)에 의해 모니터링하여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빙냉수(10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 x 25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빙냉수 및 염수로 세척하고, 이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3.2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MeOH 중 1.4 %DCM)으로서 실리카(100-200 메쉬)를 사용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3-(4-아미노-3-브로모페닐)-3-메틸피롤리딘-2,4-디온(A36) (2.57 g, 9.11 mmol, 수율:47.68%)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8.63 (s, 1 H), 7.20(d, J= 2 Hz, 1 H), 6.99-6.97(d, d, J= 2 Hz, J= 2 Hz,1 H), 6.75(d, J = 8.4 Hz 1H), 4.09-3.90(m, 2H), 1.36 (s, 3 H)
LCMS (방법 A): 1.491분, 100%, 254.0 nm, MS: ES+ 283 (M+1)
단계-8a:
DMF(15 ml) 중의 3-(4-아미노-3-브로모페닐)-3-메틸피롤리딘-2,4-디온(A36)(4.5 g, 15.8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1-메틸-4-(트리부틸스타닐)-1H-이미다졸(11.7 g, 31.78 mmol, 2.0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고, 15분 동안 N2(g)로 퍼징시키고, 이후 PdCl2(dppf)2(2.324 g, 3.18 mmol, 0.2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고, 15분 동안 N2(g)로 퍼징시키고, 이후 반응물을 30분 동안 마이크로파에서 130℃로 가열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DCM:MeOH; 9:1 사용)에 의해 모니터링하여 30분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tOAc(2 x 20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염수(200 ml)로 세척하고, 이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2.0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DCM 중 2 % MeOH)으로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100-200 메쉬)에 의해 정제하여 3-(4-아미노-3-(1-메틸-1H-이미다졸-4-일) 페닐)-3-메틸피롤리딘-2,4-디온(A37)(1.7 g, 5.97 mmol, 수율: 37.69%)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8.56 (s, 1H), 7.69 (s, 1H), 7.57-7.45 (m, 3H), 7.23 (d, J = 2.4 Hz, 1H), 6.83-6.80(m, 1H), 6.62 (d, J = 8.4 Hz, 1H), 6.23 (s, 2H), 4.09-3.98 (m, 2H), 3.71 (s, 3H),1.39 (s, 3H),
LCMS (방법 A): 0.940분, 80.71%, 254.0 nm, MS: ES+ 285.1 (M+1)
단계-9a:
DCM(12 ml) 중의 3-(4-아미노-3-(1-메틸-1H-이미다졸-4-일)페닐)-3-메틸피롤리딘-2,4-디온(A37)(1.2 g, 4.22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실온에서 (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보론산 (CAS:128796-39-4)(0.80 g, 4.22 mmol, 1.0 당량), DIPEA(1.6 g, 12.6 mmol, 3.0 당량), 및 Cu(OAC)2(1.14 g, 6.33 mmol, 31.5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개방 분위기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DCM:MeOH; 9:1 사용)에 의해 모니터링하여 3시간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200 ml)로 켄칭시키고, DCM(3 x 10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850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DCM 중 10% MeOH)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3-메틸-3-(3-(1-메틸-1H-이미다졸-4-일)-4-((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 페닐) 피롤리딘-2,4-디온(화합물 16)(0.574 g, 1.33 mmol, 수율: 31.8%)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9.92 (s, 1H), 8.68 (s, 1H), 7.78 (s, 1H), 7.64 (d, J = 2.0 Hz, 1H), 7.57 (d, J = 1.2 Hz, 1H), 7.50(d, J = 8.4 Hz, 2H), 7.38 (d, J = 8.4 Hz, 1H), 7.11 (d, J = 8.8 Hz, 3H), 4.09-3.98 (m, 2H), 3.70(s, 3H), 1.49 (s, 3H),
LCMS (방법 A): 1.851분, 97.00%, 254.0 nm, MS: ES+ 429.2 (M+1)
HPLC (방법 A): 7.71분, 98.83%, 254.0 nm
키랄 HPLC: 9.118분, 44.84%, 320.0 nm; 9.607분, 55.159%, 320.0 nm
실시예 14 - 3-메틸-3-(3-(1-메틸-1H-이미다졸-4-일)-4-((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 페닐) 피롤리딘-2,4-디온(화합물 17 및 화합물 18)의 키랄 분리
화합물 17 & 화합물 18의 키랄 분리:
화합물 16(0.1 g) 라세미체를 YMC CELLULOSE SC(250 X 20 mm 5 um) 컬럼 상의 키랄 SFC 정제에 적용하였고 여기서 다음의 2개의 피크, 화합물 17 및 화합물 18이 분리되었다.
컬럼 ID: YMC CELLULOSE SC(250 X 20 mm 5 um)
이동상 A: Liq.CO2
이동상 B: M.NH3-HEP-IPA (70-30)
유량 (ML/MIN): 24
장비 ID: UV 검출기가 있는 PHP-04-AGEILENT 1260 SERISE INFINITY-2
방법: 시간: 흐름: %A: %B (0:24:0:100), (32:24:0:100)
유입량: 0.1 g.
유출량: 화합물 17 = 0.026 g (%수율 = 26.0%) 및 화합물 18 = 0.030 g (%수율 = 30.0%)
화합물 17: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9.91 (s, 1H), 8.69 (s, 1H), 7.79 (s, 1H), 7.62 (d, J = 2.0 Hz, 1H), 7.57 (s, 1H), 7.50(d, J = 8.8 Hz, 2H), 7.38 (d, J = 8.4 Hz, 1H), 7.10(d, J = 8.4 Hz, 3H), 4.09-3.98 (m, 2H), 3.70(s, 3H), 1.49 (s, 3H)
LCMS (방법 A): 1.797분, 99.91%, 254.0 nm, MS: ES+ 429.3 (M+1)
HPLC (방법 A): 5.508분, 99.88%, 254.0 nm
키랄 HPLC (방법 A): 14.99분, 100%, 262nm
화합물 18: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9.92 (s, 1H), 8.69 (s, 1H), 7.78 (s, 1H), 7.62 (d, J = 2.0 Hz, 1H), 7.57 (d, J = 1.2 Hz, 1H), 7.50(d, J = 8.8 Hz, 2H), 7.38 (d, J = 8.8 Hz, 1H), 7.11 (d, J = 8.4 Hz, 3H), 4.09-3.98 (m, 2H), 3.70(s, 3H), 1.49 (s, 3H)
LCMS (방법 A): 1.792분, 100%, 254.0 nm, MS: ES+ 429.3 (M+1)
HPLC (방법 A): 5.497분, 100%, 254.0 nm
키랄 HPLC (방법 A): 16.90분, 98.02%, 262 nm
실시예 15 - 4-하이드록시-3-메틸-3-(3-(1-메틸-1H-이미다졸-4-일)-4-((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 페닐) 피롤리딘-2-온(화합물 19)의 합성
MeOH(1.0 ml) 및 DCM(1.0 ml) 중의 3-메틸-3-(3-(1-메틸-1H-이미다졸-4-일)-4-((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 페닐) 피롤리딘-2,4-디온(화합물 16) (0.100 g, 0.233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NaBH4(0.013 g, 0.350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DCM:MeOH; 9:1 사용)에 의해 모니터링하여 실온에서 30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CHCl3로 희석시키고, 이후 물(5 mL) 중의 NH4Cl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DCM(3 x 20 mL)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06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C18), 이동상(100 % 물: ACN)의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4-하이드록시-3-메틸-3-(3-(1-메틸-1H-이미다졸-4-일)-4-((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미노)페닐)피롤리딘-2-온(화합물 19)(0.032 g, 0.0743 mmol, 수율: 32%)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9.76 (s, 1H),7.88 (s, 1H), 7.76 (s, 1H), (s, 1H), 7.69 (s, 1H), 7.65 (d, J = 2.0 Hz, 1H), 7.51 (d, J = 10 Hz, 1H), 7.44 (s, 1H), 7.31 (d, J = 8.4 Hz, 1H), 7.08 (d, J = 8.4 Hz, 3H), 5.17 (s, 1H),4.12 (t, J = 5.8 Hz, 1H), 3.70(s, 3H), 2.84 (s,1H), 1.42 (s, 3H)
LCMS (방법 A): 1.595분, 100.0%, 254.0 nm, MS: ES+ 431 (M+1)
HPLC (방법 A): 4.350분, 100.0%, 254.0 nm
키랄 HPLC: (피크-1) 6.42분, 47.61%, 305.0 nm; (피크-2) 6.76분, 45.58%, 305.0 nm
실시예 16 - 3-메틸-3-(3-(2-메틸-2H-테트라졸-5-일)-4-((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 페닐) 피롤리딘-2-온(화합물 20 및 화합물 21)의 키랄 분리
화합물 20 및 화합물 21의 키랄 분리:
화합물 11(18.2 mg) 라세미체를 CHIRALPAK IG, 250 x 10 mm, 5 μm 컬럼 상의 키랄 SFC 정제에 적용하였고 여기서 다음의 2개의 피크, 화합물 20 및 화합물 21이 분리되었다.
컬럼 ID: CHIRALPAK IG ,250 x 10 mm, 5μm
이동상 A: 헵탄 중 0.1%NH3
이동상 B: IPA: MeOH(50:50) 중 0.1%NH3
유량 (ML/MIN): 6
장비 ID: UV 검출기가 있는 PHP-04-AGILENT 1260 SERIES INFINITY-II
방법: 시간: 흐름: %A: %B (IITIAL: 38:6:6), (80:20)
유입량: 18.2 mg.
유출량: 화합물 20 = 0.0677 g (% 수율 = 37.2 %) 및 화합물 21 = 0.061 g (% 수율 = 33.52 %)
화합물 20:
1 H NMR (400 MHz, MeOD): δ ppm, 8.24 (d, J = 2.4 Hz, 1H), 7.58-7.50(m, 4 H), 7.31 (d, J = 8.4 Hz, 2H), 4.47 (s, 3H), 3.47-3.37 (m, 1H), 2.59-2.53 (m,1H), 2.37-3.30(m, 1H), 1.60(s, 3H)
LCMS (방법 A): 2.41분, 100 %, 254.0 nm, MS: ES+ 417 (M+1)
HPLC (방법 A): 8.51분, 100 %, 254.0 nm
키랄 HPLC (방법 A): 5.08분,100.0%, 304 nm
화합물 21:
1 H NMR (400 MHz, MeOD): δ ppm, 8.24 (d, J = 2.4 Hz, 1H), 7.58-7.50(m, 4 H), 7.31 (d, J = 8.4 Hz, 2H), 4.47 (s, 3H), 3.47-3.44 (m, 1H), 3.43-3.37 (m,1H), 2.59-2.53 (m, 1H), 2.37-2.30(m, 1H), 1.60(s, 3H
LCMS (방법 A): 2.37분, 98.96 %, 254.0 nm, MS: ES+ 417 (M+1)
HPLC (방법 A): 8.52분, 100 %, 254.0 nm
키랄 HPLC (방법 A): 5.33분, 98.87 %, 304 nm
실시예 17 - 3-메틸-3-(3-(1-메틸-1H-이미다졸-4-일)-4-((3-(트리플루오로 메틸) 페닐) 아미노) 페닐) 피롤리딘-2-온(화합물 22)의 합성
단계-1:
DCM(6 ml) 중의 3-(4-아미노-3-브로모페닐)-3-메틸피롤리딘-2-온(A4)(0.6 g, 2.230 mmol, 1.0 당량)의 용액에 CAS:1423-26-3(0.632 g, 3.345 mmol, 1.5 당량), DIPEA(1.1 ml, 6.69 mmol, 3.0 당량), 및 Cu(OAc)2(0.605 g, 3.345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고, 이후 반응 혼합물을 공기에 대해 개방된 (즉, 격막이 없는) 바이알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헥산 중의 90% EtOAc 사용) 상에서 모니터링하였다. 물(10 ml)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고, 혼합물을 DCM(3 x 25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8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원하는 생성물은 이동상으로서 헥산 중의 50-55% EtOAc에서 용리됨)으로서 실리카(100-200 메쉬)를 사용하는 수동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3-(3-브로모-4-((3-(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 페닐)-3-메틸피롤리딘-2-온(A38)(0.2 g, 0.484 mmol, 수율: 21.71%)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8.07 (s, 1H), 7.87 (b s, 1H), 7.66 (d, J = 2.0 Hz, 1H), 7.42-7.29 (m, 3 H), 7.20(s, 1 H), 7.15 -7.0(m, 2H), 3.17-3.13 (m, 2 H), 2.41-2.13 (m, 2H), 1.38 (s, 3H).
LCMS (방법 A): 2.352분, 100%, 254.0 nm, MS: ES+ 413 (M+1)
단계-2:
DMF(2 mL) 중의 3-(3-브로모-4-((3-(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 페닐)-3-메틸피롤리딘-2-온(A38)(0.18 g, 0.435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실온에서 1-메틸-4-(트리부틸스타닐)-1H-이미다졸(0.323 g, 0.871 mmol, 2.0) 당량)을 첨가하였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N2(g)로 퍼징시켰다. 이후 PdCl2(dppf)(0.063 g, 0.087 mmol, 0.2 당량)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마이크로파에서 14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A: HEX; 9.0:1.0 사용) 상에서 모니터링하여 140℃에서 30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H2O(2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 x 25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3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HEX 중 75% EA)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3-메틸-3-(3-(1-메틸-1H-이미다졸-4-일)-4-((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 페닐) 피롤리딘-2-온(화합물 22)(0.055 g, 0.132 mmol, 수율: 30.48%)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78 (s, 1H), 7.79-7.72 (m, 3H), 7.58-7.57 (m, 1H), 7.39 (d, J = 87.6 Hz, 1 H), 7.30-7.20(m, 4H), 7.08 (d, J = 7.6 Hz, 1H), 3.72 (s, 3H), 3.36- 3.15 (m, 2H), 2.46-2.13 (m, 2H), 1.42 (s, 3H).
LCMS (방법 A): 1.67분, 100%, 254.0 nm, MS: ES+ 415.17 (M+1).
HPLC (방법 A): 4.68분, 100 %, 254.0 nm
키랄 HPLC (방법 A): (피크-1)6.03분, 50.52 %, 300 nm; (피크-2) 6.21분, 49.47 %, 300 nm
실시예 18 - 1-(3-(1-메틸-1H-이미다졸-4-일)-4-((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 페닐) 에탄-1-온(화합물 23)의 합성
단계-1:
DMF 5 mL 중의 1-(4-아미노-3-브로모페닐) 에탄-1-온(CAS No: 56759-32-1) (0.5 g, 2.33 mmol 1.0 당량)의 용액을 실온에서 30 mL의 유리 마이크로파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이 용액에 1-메틸-4-(트리부틸스타닐)-1H-이미다졸(1.73 g, 4.672 mmol, 2.0 당량)을 질소 가스 분위기하에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에 PdCl2(dppf)(0.17 g, 0.233 mmol, 0.1 당량)을 첨가하였고, 혼합물을 N2 가스로 퍼징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130℃로 가열하고,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헥산 중의 70% EtOAc)에 의해 모니터링하여 130℃에서 30분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EA(3 x 10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0.60 g)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실리카 겔(300-400 메쉬)(원하는 생성물은 헥산 중의 50-55 % EA에서 용리됨)을 사용하는 콤비-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1-(4-아미노-3-(1-메틸-1H-이미다졸-4-일) 페닐) 에탄-1-온(A39)(0.35 g, 1.627 mmol, 수율: 69.61%)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8.00(d, J= 2.0 Hz 1H), 7.73 (s, 1H), 7.69 (s, 1H), 7.56 (dd, J= 8.8 Hz, J= 2.0 Hz, 1H), 7.22 (bs, 2H), 6.69 (d, J= 8.4 Hz 1H), 3.72 (s, 3H), 2.44 (s, 3H)
LCMS (방법 A): 1.01분, 98.61%, 254 nm, MS: ES+ 216 (M+1)
단계-2:
DMSO(37.5 mL) 중의 1-(4-아미노-3-(1-메틸-1H-이미다졸-4-일) 페닐) 에탄-1-온(A39)(3.5 g, 17.44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100 mL RBF에서 제조하였다. 이 용액에 질소 가스 분위기하에 실온에서 (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보론산(CAS: 128796-39-4)(3.29 g, 17.44 mmol, 1.0 당량) 및 K3PO4(7.39 g, 34.88 mmol, 2.0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에 Cu(OAc)2(3.78 g, 20.92 mmol, 1.2 당량)을 첨가하였고, 혼합물을 N2 가스로 퍼징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110℃로 가열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헥산 중의 80% EtOAc)에 의해 모니터링하여 110℃에서 2시간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A(3 x 15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5.5 g)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실리카 겔(300-400 메쉬)(원하는 생성물은 헥산 중의 45-50 % EA에서 용리됨)을 사용하는 콤비-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1-(3-(1-메틸-1H-이미다졸-4-일)-4-((4-(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 아미노) 페닐) 에탄-1-온(화합물 23)(4.0 g, 11.14 mmol, 수율: 31.95%)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11.15 (s, 1H), 8.23 (d, J = 2.0 Hz 1H), 7.87 (s, 2H), 7.76 (dd, J = 8.8 Hz, J = 2.0 Hz, 1H), 7.64 (d, J = 8.4 Hz 2H), 7.48 (d, J = 8.4 Hz 1H), 7.37 (d, J = 8.4 Hz 2H), 3.75 (s, 3H), 2.50(s, 3H)
LCMS (방법 A): 2.01분, 99.01%, 254 nm, MS: ES+ 360(M+1)
생물학적 실시예
선행 기술 TEAD 억제제 1-1, 1-2, 1-3, 및 1-4(하기 표 3에 제공된 구조)를 생물학적 실시예 19-29에 대한 참조 화합물로서 사용한다.
[표 3]
실시예 19 - NCI-H226, H23 및 H28 증식 및 세포 생존도 분석
TEAD 의존적 NF2-null 중피종 세포주인 NCI-H226의 세포 증식을 다음의 2개의 상이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2개의 상이한 TEAD-비의존적 폐암 세포주인 H23 및 H28에서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이는 표시된 바와 같이 비반응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a) CellTiter-Glo® 2.0(Promega #G9243). 세포 증식에 대한 본원에 개시된 TEAD 억제제의 효과를 TEAD1-유전자 의존적 세포주 NCI-H226(반응 세포주(responder cell line)) 및 비반응 음성 대조군으로서의 TEAD-비의존적 세포주(NCI-H23, HEK293T)에서 결정하였다. 37℃, 5% CO2, 가습된 인큐베이터에서 NCI-H226 및 NCI-H23에 대한 성장 배지(RPMI-1640, Gibco #61870-010) 또는 10% 열 불활성화 소 혈청(Gibco 10500-064)이 있는 DMEM(Gibco #31966-021, HEK293T) 중의96-웰 플레이트(Thermo Scientific #167008)에 웰(well)당 800개(NCI-H226 및 HEK-293T) 또는 2000개(NCI-H23) 세포로 세포를 시딩(seeding)하였고; 24시간 후, 시험 화합물 또는 DMSO 비히클을 포함하는 새로운 성장 배지를 첨가하고, 144시간 동안 세포와 함께 인큐베이션시켰다. TEAD 억제제 스톡을 DMSO에서 1000X 배 과량으로 제조하였고, 10,000 내지 0.1 nM의 용량 반응 시험 화합물 용량 범위를 사용하였다. 각 처리를 3회 실시하였다. 144시간의 처리 후, 상대적 세포 생존도 수치를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CellTiter-Glo 2.0 분석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시험 플레이트 및 CellTiter-Glo 2.0 시약을 실온으로 평형화되게 하였다. CellTiter-Glo 2.0 시약을 1:1 시약 대 배지 비율로 96-웰 세포 플레이트에 첨가하였고, 플레이트를 2분 동안 플레이트 진탕기에 배치하고, 이후 추가 10분 동안 실온에서 인큐베이션시켜 완전한 세포 용해가 일어나게 하였다. 혼합물을 이후 백색 96-웰 루미노미터 분석 플레이트(96-well luminometer assay plate)(Greiner Bio One #655075)로 이송시켰다. CLARIOStar Plus 다중-모드 플레이트 리더(BMG Labtech)를 권장된 설정(ultra-Glo 사전-설정:자동 초점 및 향상된 동적 범위가 켜진 상태의 방출 545-50nm)을 갖춘 발광 검출 모드로 사용하여 발광을 정량화하였다. 상대적 세포 밀도는 DMSO-단독 대조군 웰과 관련하여 억제제 농도의 함수로서 표현된다. 데이터는 GraphPad Prism을 사용하여 플롯팅되었고, 생물학적 효과에 대한 IC50 값은 제약 조건이 없는 시그모이드, 4-파라미터 로지스틱, 최소 제곱법을 사용하는 EC50 비선형 핏 함수를 사용하여 계산되었다.
b) Cell Titer One(Promega, # G3582). 세포 증식에 대한 본원에 개시된 TEAD 억제제의 효과를 또한 Promega Substrate Cell Titer Aqueous One 용액 시약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세포 증식 반응(H226) 및 무반응 음성 대조군 암 세포주(CAMA1, H28)뿐만 아니라 비-변형 정상 인간 세포(HUVEC, NHDF)에 대한 효과에 대해 TEAD 억제제를 평가하였다. 분리된 세포를 배지에 (세포주에 따라, 모두 10% FBS를 갖고, 항생제로서 겐타마이신을 갖는 DMEM, RPMI, 또는 EMEM에) 현탁시켰다. 96-웰 플레이트에서 웰당 750개의 세포로서 100 μL/웰로 세포를 시딩하였고, 안착되어 부착되게 하였다. 24시간의 인큐베이션(37℃, 5% CO2, 가습된 인큐베이터) 후, 100 μL의 시험 화합물-함유 배지를 첨가하였다. 시험 화합물의 2000X 농축된 스톡으의 희석 시리즈를 DMSO에서 최종 농도가 0.1 내지 10,000 nM이 되게 제조하였다. 시험 화합물-함유 배지의 첨가 후, 세포를 37℃, 5% CO2, 가습된 인큐베이터에서 6일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세포 밀도를 측정하기 위해, 20 μL의 Promega Substrate Cell Titer 96 Aqueous One 용액 시약(Promega, # G3582)을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각 웰에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보통 3-8시간 동안 37℃에서 인큐베이션시켜 대조군 세포(화합물이 없음) 중에서 490 nm에서 1.5의 OD에 도달되게 하였다. Vmax [Molecular Devices] 분광광도계 플레이트 리더를 사용하여 OD를 측정하였다. 배지 단독-웰을 배경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고, 세포 밀도를 DMSO 비히클 대조군에 대해 정규화하였다. EC50은 최대 성장 억제의 50%를 달성하는 농도로 간주되었다.
IC50 및 EC50 데이터의 경우 "A"는 0.2 μM 미만의 값을 나타내고; 기호 "B"는 0.2 μM로부터 최대 1 μM까지의 범위의 값을 나타내고; 기호 "C"는 1 μM 초과의 값을 나타낸다. ND: 데이터 없음.
[표 4]
[표 5]
실시예 20 - Mero14 증식 및 세포 생존도 분석
Mero14 세포를 트립신으로 처리하고, 계수하고, 96웰 평면 바닥 조직 배양액 처리 플레이트에서의 200 μl의 성장 배지에서 400개의 세포/웰로 플레이팅(plating)하였다. 플레이팅된 세포를 37℃, 5% CO2에서 밤새 인큐베이션시켰고, 이후 각 분석 지점에 대해 화합물로 3회 처리하였다. 50 μl의 연속 희석된 화합물을 각 웰에 첨가하여 웰당 0.5%의 최종 DMSO 농도 및 웰당 250 μl의 총 부피가 되게 하였다. 처리된 세포를 37℃, 5% CO2에서 144시간(6일)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화합물 처리 후, 나머지 생존 가능한 세포를 다음과 같이 Promega CellTiter-Glo 2.0 분석을 사용하여 검출하였다: 150 μl의 배지를 분석되는 각각의 웰로부터 제거하였고, 100 μl의 실온 CellTiter-Glo 2.0 시약을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500rpm으로 오비탈 쉐이커에 2분 동안 배치하고, 이후, 실온에서 추가 10분 동안 진탕하지 않고 인큐베이션시켰다. 150 μl의 세포 용해물을 각 웰로부터 제거하고, 백색 불투명 96 웰 플레이트의 단일 웰에 분배하였다. 545 nm에서의 발광을 BMG CLARIOstar 플레이트 리더를 사용하여 판독하였다. 발광 신호는 생존 가능한 세포의 수에 정비례하였으며, DMSO 대조군에 대한 생존 가능한 세포의 백분율을 이후 각 분석 지점에 대해 계산하였다. DMSO 대조군에 대한 생존도 백분율을 화합물 농도에 대해 플롯팅하고, 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에서 비선형 회귀로 곡선을 핏팅하였다. EC50 및 절대적 IC50 값을 다음과 같이 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EC50 값의 경우, 제약 조건이 없는 4-파라미터 로지스틱 곡선 핏(non-constrained four-parameter logistic curve fit)을 사용하였다(시그모이드, 4PL, X는 농도임). 절대적 IC50 값의 경우, 기준선은 Y=0 및 100의 상한으로 제한되었다(절대적 IC50, X는 농도임). 곡선하 면적(AUC): Prism은 사다리꼴 방법(trapezoidal method)을 사용하여 곡선하 면적을 계산하였다. 분석은 핏팅된 곡선을 단순히 일련의 연결된 XY 포인트로서 본다. Prism은 단순하게 직선으로 포인트를 연결하여 정의된 "곡선"하 면적을 계산한다. AUC의 단위는 Y축 단위에 X축 단위를 곱한 것이다.
EC50 데이터의 경우, 기호 "A"는 0.2 μM 미만의 값을 나타내고; 기호 "B"는 0.2 μM로부터 최대 1 μM의 범위의 값을 나타내고; 기호 "C"는 1 μM 초과의 값을 나타낸다.
[표 6]
실시예 21 - Mero82 증식 및 세포 생존도 분석
Mero 82 세포를 트립신으로 처리하고, 계수하고, 96웰 평면 바닥 조직 배양액 처리 플레이트에서의 200 μl의 성장 배지에서 400개의 세포/웰로 플레이팅하였다. 플레이팅된 세포를 37℃, 5% CO2에서 밤새 인큐베이션시켰고, 이후 각 분석 지점에 대해 화합물로 3회 처리하였다. 50 μl의 연속 희석된 화합물을 각 웰에 첨가하여 웰당 0.5%의 최종 DMSO 농도 및 웰당 250 μl의 총 부피가 되게 하였다. 처리된 세포를 37℃, 5% CO2에서 144시간(6일)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화합물 처리 후, 나머지 생존 가능한 세포를 다음과 같이 Promega CellTiter-Glo 2.0 분석을 사용하여 검출하였다: 150 μl의 배지를 분석되는 각각의 웰로부터 제거하였고, 100 μl의 실온 CellTiter-Glo 2.0 시약을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500rpm으로 오비탈 쉐이커에 2분 동안 배치하고, 이후, 실온에서 추가 10분 동안 진탕하지 않고 인큐베이션시켰다. 150 μl의 세포 용해물을 각 웰로부터 제거하고, 백색 불투명 96 웰 플레이트의 단일 웰에 분배하였다. 545 nm에서의 발광을 BMG CLARIOstar 플레이트 리더를 사용하여 판독하였다. 발광 신호는 생존 가능한 세포의 수에 정비례하였으며, DMSO 대조군에 대한 생존 가능한 세포의 백분율을 이후 각 분석 지점에 대해 계산하였다. DMSO 대조군에 대한 생존도 백분율을 화합물 농도에 대해 플롯팅하고, 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에서 비선형 회귀로 곡선을 핏팅하였다. EC50 및 절대적 IC50 값을 다음과 같이 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EC50 값의 경우, 제약 조건이 없는 4-파라미터 로지스틱 곡선 핏을 사용하였다(시그모이드, 4PL, X는 농도임). 절대적 IC50 값의 경우, 기준선은 Y=0 및 100의 상한으로 제한되었다(절대적 IC50, X는 농도임). 곡선하 면적(AUC): Prism은 사다리꼴 방법을 사용하여 곡선하 면적을 계산하였다. 분석은 핏팅된 곡선을 단순히 일련의 연결된 XY 포인트로서 본다. Prism은 단순하게 직선으로 포인트를 연결하여 정의된 "곡선"하 면적을 계산한다. AUC의 단위는 Y축 단위에 X축 단위를 곱한 것이다.
EC50 데이터의 경우, 기호 "A"는 0.2 μM 미만의 값을 나타내고; 기호 "B"는 0.2 μM로부터 최대 1 μM의 범위의 값을 나타내고; 기호 "C"는 1 μM 초과의 값을 나타낸다.
[표 7]
실시예 22 - BHY 증식 및 세포 생존도 분석
BHY 세포를 트립신으로 처리하고, 계수하고, 96웰 평면 바닥 조직 배양액 처리 플레이트에서의 200 μl의 성장 배지에서 2500개의 세포/웰로 플레이팅하였다. 플레이팅된 세포를 37℃, 5% CO2에서 밤새 인큐베이션시켰고, 이후 각 분석 지점에 대해 화합물로 3회 처리하였다. 50 μl의 연속 희석된 화합물을 각 웰에 첨가하여 웰당 0.5%의 최종 DMSO 농도 및 웰당 250 μl의 총 부피가 되게 하였다. 처리된 세포를 37℃, 5% CO2에서 144시간(6일)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화합물 처리 후, 나머지 생존 가능한 세포를 다음과 같이 Promega CellTiter-Glo 2.0 분석을 사용하여 검출하였다: 150 μl의 배지를 분석되는 각각의 웰로부터 제거하였고, 100 μl의 실온 CellTiter-Glo 2.0 시약을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500rpm으로 오비탈 쉐이커에 2분 동안 배치하고, 이후, 실온에서 추가 10분 동안 진탕하지 않고 인큐베이션시켰다. 150 μl의 세포 용해물을 각 웰로부터 제거하고, 백색 불투명 96 웰 플레이트의 단일 웰에 분배하였다. 545 nm에서의 발광을 BMG CLARIOstar 플레이트 리더를 사용하여 판독하였다. 발광 신호는 생존 가능한 세포의 수에 정비례하였으며, DMSO 대조군에 대한 생존 가능한 세포의 백분율을 이후 각 분석 지점에 대해 계산하였다. DMSO 대조군에 대한 생존도 백분율을 화합물 농도에 대해 플롯팅하고, 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에서 비선형 회귀로 곡선을 핏팅하였다. EC50 및 절대적 IC50 값을 다음과 같이 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EC50 값의 경우, 제약 조건이 없는 4-파라미터 로지스틱 곡선 핏을 사용하였다(시그모이드, 4PL, X는 농도임). 절대적 IC50 값의 경우, 기준선은 Y=0 및 100의 상한으로 제한되었다(절대적 IC50, X는 농도임). 곡선하 면적(AUC): Prism은 사다리꼴 방법을 사용하여 곡선하 면적을 계산한다. 분석은 핏팅된 곡선을 단순히 일련의 연결된 XY 포인트로서 본다. Prism은 단순하게 직선으로 포인트를 연결하여 정의된 "곡선"하 면적을 계산한다. AUC의 단위는 Y축 단위에 X축 단위를 곱한 것이다.
EC50 데이터의 경우, 기호 "A"는 0.2 μM 미만의 값을 나타내고; 기호 "B"는 0.2 μM로부터 최대 1 μM의 범위의 값을 나타내고; 기호 "C"는 1 μM 초과의 값을 나타낸다.
[표 8]
실시예 23 - LOU-NH91 증식 및 세포 생존도 분석
LOU-NH91 세포를 트립신으로 처리하고, 계수하고, 96웰 평면 바닥 조직 배양액 처리 플레이트에서의 200 μl의 성장 배지에서 1000개의 세포/웰로 플레이팅하였다. 플레이팅된 세포를 37℃, 5% CO2에서 밤새 인큐베이션시켰고, 이후 각 분석 지점에 대해 화합물로 3회 처리하였다. 50 μl의 연속 희석된 화합물을 각 웰에 첨가하여 웰당 0.5%의 최종 DMSO 농도 및 웰당 250 μl의 총 부피가 되게 하였다. 처리된 세포를 37℃, 5% CO2에서 216시간(9일)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화합물 처리 후, 나머지 생존 가능한 세포를 다음과 같이 Promega CellTiter-Glo 2.0 분석을 사용하여 검출하였다: 150 μl의 배지를 분석되는 각각의 웰로부터 제거하였고, 100 μl의 실온 CellTiter-Glo 2.0 시약을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500rpm으로 오비탈 쉐이커에 2분 동안 배치하고, 이후, 실온에서 추가 10분 동안 진탕하지 않고 인큐베이션시켰다. 150 μl의 세포 용해물을 각 웰로부터 제거하고, 백색 불투명 96 웰 플레이트의 단일 웰에 분배하였다. 545 nm에서의 발광을 BMG CLARIOstar 플레이트 리더를 사용하여 판독하였다. 발광 신호는 생존 가능한 세포의 수에 정비례하였으며, DMSO 대조군에 대한 생존 가능한 세포의 백분율을 이후 각 분석 지점에 대해 계산하였다. DMSO 대조군에 대한 생존도 백분율을 화합물 농도에 대해 플롯팅하고, 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에서 비선형 회귀로 곡선을 핏팅하였다. EC50 및 절대적 IC50 값을 다음과 같이 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EC50 값의 경우, 제약 조건이 없는 4-파라미터 로지스틱 곡선 핏을 사용하였다(시그모이드, 4PL, X는 농도임). 절대적 IC50 값의 경우, 기준선은 Y=0 및 100의 상한으로 제한되었다(절대적 IC50, X는 농도임). 곡선하 면적(AUC): Prism은 사다리꼴 방법을 사용하여 곡선하 면적을 계산한다. 분석은 핏팅된 곡선을 단순히 일련의 연결된 XY 포인트로서 본다. Prism은 단순하게 직선으로 포인트를 연결하여 정의된 "곡선"하 면적을 계산한다. AUC의 단위는 Y축 단위에 X축 단위를 곱한 것이다.
EC50 데이터의 경우, 기호 "A"는 0.2 μM 미만의 값을 나타내고; 기호 "B"는 0.2 μM로부터 최대 1 μM의 범위의 값을 나타내고; 기호 "C"는 1 μM 초과의 값을 나타낸다.
[표 9]
실시예 24 - MSTO-211H 증식 및 세포 생존도 분석
MSTO-211H 세포를 트립신으로 처리하고, 계수하고, 96웰 평면 바닥 조직 배양액 처리 플레이트에서의 200 μl의 성장 배지에서 1500개의 세포/웰로 플레이팅하였다. 플레이팅된 세포를 37℃, 5% CO2에서 밤새 인큐베이션시켰고, 이후 각 분석 지점에 대해 화합물로 3회 처리하였다. 50 μl의 연속 희석된 화합물을 각 웰에 첨가하여 웰당 0.5%의 최종 DMSO 농도 및 웰당 250 μl의 총 부피가 되게 하였다. 처리된 세포를 37℃, 5% CO2에서 144시간(6일)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화합물 처리 후, 나머지 생존 가능한 세포를 다음과 같이 Promega CellTiter-Glo 2.0 분석을 사용하여 검출하였다: 150 μl의 배지를 분석되는 각각의 웰로부터 제거하였고, 100 μl의 실온 CellTiter-Glo 2.0 시약을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500rpm으로 오비탈 쉐이커에 2분 동안 배치하고, 이후, 실온에서 추가 10분 동안 진탕하지 않고 인큐베이션시켰다. 150 μl의 세포 용해물을 각 웰로부터 제거하고, 백색 불투명 96 웰 플레이트의 단일 웰에 분배하였다. 545 nm에서의 발광을 BMG CLARIOstar 플레이트 리더를 사용하여 판독하였다. 발광 신호는 생존 가능한 세포의 수에 정비례하였으며, DMSO 대조군에 대한 생존 가능한 세포의 백분율을 이후 각 분석 지점에 대해 계산하였다. DMSO 대조군에 대한 생존도 백분율을 화합물 농도에 대해 플롯팅하고, 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에서 비선형 회귀로 곡선을 핏팅하였다. EC50 및 절대적 IC50 값을 다음과 같이 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EC50 값의 경우, 제약 조건이 없는 4-파라미터 로지스틱 곡선 핏을 사용하였다(시그모이드, 4PL, X는 농도임). 절대적 IC50 값의 경우, 기준선은 Y=0 및 100의 상한으로 제한되었다(절대적 IC50, X는 농도임). 곡선하 면적(AUC): Prism은 사다리꼴 방법을 사용하여 곡선하 면적을 계산하였다. 분석은 핏팅된 곡선을 단순히 일련의 연결된 XY 포인트로서 본다. Prism은 단순하게 직선으로 포인트를 연결하여 정의된 "곡선"하 면적을 계산한다. AUC의 단위는 Y축 단위에 X축 단위를 곱한 것이다.
EC50 데이터의 경우 기호 "A"는 0.2 μM 미만의 값을 나타내고; 기호 "B"는 0.2 μM로부터 최대 1 μM의 범위의 값을 나타내고; 기호 "C"는 1 μM 초과의 값을 나타낸다.
[표 10]
실시예 25 - SDM103T2 증식 및 세포 생존도 분석
SDM103T2 세포를 트립신으로 처리하고, 계수하고, 96웰 평면 바닥 조직 배양액 처리 플레이트에서의 200 μl의 성장 배지에서 800개의 세포/웰로 플레이팅하였다. 플레이팅된 세포를 37℃, 5% CO2에서 밤새 인큐베이션시켰고, 이후 각 분석 지점에 대해 화합물로 3회 처리하였다. 50 μl의 연속 희석된 화합물을 각 웰에 첨가하여 웰당 0.5%의 최종 DMSO 농도 및 웰당 250 μl의 총 부피가 되게 하였다. 처리된 세포를 37℃, 5% CO2에서 144시간(6일)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화합물 처리 후, 나머지 생존 가능한 세포를 다음과 같이 Promega CellTiter-Glo 2.0 분석을 사용하여 검출하였다: 150 μl의 배지를 분석되는 각각의 웰로부터 제거하였고, 100 μl의 실온 CellTiter-Glo 2.0 시약을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500rpm으로 오비탈 쉐이커에 2분 동안 배치하고, 이후, 실온에서 추가 10분 동안 진탕하지 않고 인큐베이션시켰다. 150 μl의 세포 용해물을 각 웰로부터 제거하고, 백색 불투명 96 웰 플레이트의 단일 웰에 분배하였다. 545 nm에서의 발광을 BMG CLARIOstar 플레이트 리더를 사용하여 판독하였다. 발광 신호는 생존 가능한 세포의 수에 정비례하였으며, DMSO 대조군에 대한 생존 가능한 세포의 백분율을 이후 각 분석 지점에 대해 계산하였다. DMSO 대조군에 대한 생존도 백분율을 화합물 농도에 대해 플롯팅하고, 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에서 비선형 회귀로 곡선을 핏팅하였다. EC50 및 절대적 IC50 값을 다음과 같이 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EC50 값의 경우, 제약 조건이 없는 4-파라미터 로지스틱 곡선 핏을 사용하였다(시그모이드, 4PL, X는 농도임). 절대적 IC50 값의 경우, 기준선은 Y=0 및 100의 상한으로 제한되었다(절대적 IC50, X는 농도임). 곡선하 면적(AUC): Prism은 사다리꼴 방법을 사용하여 곡선하 면적을 계산한다. 분석은 핏팅된 곡선을 단순히 일련의 연결된 XY 포인트로서 본다. Prism은 단순하게 직선으로 포인트를 연결하여 정의된 "곡선"하 면적을 계산한다. AUC의 단위는 Y축 단위에 X축 단위를 곱한 것이다.
EC50 데이터의 경우, 기호 "A"는 0.2 μM 미만의 값을 나타내고; 기호 "B"는 0.2 μM로부터 최대 1 μM의 범위의 값을 나타내고; 기호 "C"는 1 μM 초과의 값을 나타낸다.
[표 11]
실시예 26 - TEAD 열 이동 분석(TSA)
열 이동 분석(TSA)은 온도의 변화에 따른 단백질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생물물리학적 방법이다. 상기 분석은 다양한 약물 농도와 같은 다양한 조건에서 열 변성 온도를 측정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접히지 않은 단백질에 결합하는 형광 염료를 사용하였다. SYPRO Orange는 소수성 표면에 비특이적으로 결합되고, 물은 이의 형광을 강하게 억제한다. 단백질이 접히지 않은 경우, 노출된 소수성 표면은 염료와 결합되어 물을 차단하여 형광의 증가를 일으킨다. 세제 미셀(detergent micelle)은 또한 염료와 결합하여, 배경 잡음(background noise)을 극적으로 증가시킨다. 소분자가 단백질에 결합하면 열 변성에 대한 안정화가 유발되며, 열 안정화 정도는 결합 강도에 비례한다.
본 실시예에 기재된 연구는 TEAD 억제제로 처리되었을 때 TEAD 이소형 1-4의 용융 온도(ΔTm)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화합물 1-1 - 알려진 강한 TEAD1 및 약한 TEAD2 억제제; 뿐만 아니라 화합물 1-4 - pan-TEAD 억제제를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예상되는 바와 같이, 화합물 1-1은 TEAD1에 대해서만 현저한 열 이동을 나타내었고, 한편 화합물 1-4는 모든 4개의 TEAD 이소형에 대해 열 이동을 나타내었다. 표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합물 5는 강력한 TEAD1와 TEAD4 결합을 나타내었다.
실험 파라미터/조건
분석 버퍼 제조
5 mL의 세포 배양용 물에 Tris-HCL을 용해시키고, 완전하게 용해되게 하였다. pH를 NaOH를 사용하여 8로 조절하였다. 추가적인 분석 버퍼 성분들을 상기 열거된 순서로 첨가하였다. 버퍼를 서서히 혼합하였다.
분석 흐름
분석 버퍼를 상기 개략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고, 시험 웰에 분배하였다. Spyro orange를 분석 버퍼에 5X의 농도로 첨가하고, 이후 시험 화합물 스톡 용액이 후속되었으며 이는 분석 버퍼에 10 μM 또는 30 μM의 농도로 첨가되었다.
용해 사이클을 1℃/min의 램프 속도로 20-95℃ 범위에서 Bio-RAD PCR 장비에서 수행하였다.
열 이동 데이터는 하기 표 12에 제공된다.
[표 12]
실시예 27 - TEAD 억제제를 사용한 마우스 이종이식 MSTO-211H 종양의 억제
본 연구는 MSTO-211H 이종이식 폐암을 치료하기 위해 BALB/c 누드 마우스에서 시험 화합물의 생체내 항종양 효능을 평가하였다.
세포 배양
MSTO-211H 종양 세포를 공기 중 5% CO2 분위기하에 37℃에서 10% 소 태아 혈청 및 1% 항생제-항진균제가 보충된 RPMI 1640 배지에서 유지시켰다. 종양 세포를 트립신-EDTA로 주 2회 정기적으로 계대배양시켰다. 95% 또는 그 초과의 세포 생존율을 보이는 대수 성장기에서 성장하는 세포를 수확하였고, 종양 접종을 위해 계수하였다.
종양 세포 정보
종양 접종
각각의 마우스에 대해 피하로 우측 옆구리에 종양 발달을 위해 MSTO-211H 종양 세포(5×106 + 50% 매트리겔(matrigel)/0.2 mL)를 접종시켰다. 식별을 위해 고유 6자리 유효 숫자가 있는 귀걸이로 동물을 표시하였다. 평균 종양 부피가 181 mm3에 도달되었을 때 세포 접종 후 5일차에 파트 1의 처리를 시작하였다. 평균 종양 부피가 254 mm3에 도달되었을 때 세포 접종 후 16일차에 파트 2의 처리를 시작하였다. 평균 종양 부피가 969 mm3에 도달되었을 때 세포 접종 후 33일차에 파트 3의 처리를 시작하였다.
종양 측정
주요 평가변수는 종양 성장을 지연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었다. 종양 부피를 캘리퍼를 사용하여 2차원에서 1주 2회 측정되었으며, 다음의 식을 사용하여 부피를 mm3로 표시하였다: V = 0.5 a x b2 상기 식에서, a 및 b는 각각 종양의 긴 직경과 짧은 직경이다. 종양 크기를 이후 T/C 값의 계산을 위해 사용하였다. TGI 값(단위 백분율) 또는 T/C 값(단위 백분율)은 항종양 효과의 지표이며; T 및 C는 각각 주어진 일자에서의 처리된 그룹 및 대조군 그룹의 평균 종양 부피 또는 종양 중량이다.
TGI를 다음의 식을 사용하여 각각의 그룹에 대해 계산하였다: TGI (%) = [1-(Ti-T0)/ (Vi-V0)] ×100; Ti는 주어진 일자에서의 처리 그룹의 평균 종양 부피이고, T0는 처리 시작 일자에서의 처리 그룹의 평균 종양 부피이고, Vi는 Ti와 동일자에서의 비히클 대조군 그룹의 평균 종양 부피이고, V0는 처리 시작 일자에서의 비히클 그룹의 평균 종양 부피이다.
상대적 T/C(%)=TRTV / CRTV ×100(RTV(%) = Vt / V0 ×100, Vt는 주어진 일자에서의 평균 종양 부피이고, V0는 처리의 최초 일자에서의 평균 종양 부피이다. TRTV는 처리 그룹의 RTV이고, CRTV는 비히클 대조군 그룹의 RTV이다.)
비히클 그룹이 681 mm3에 도달되었을 때 파트 1 연구의 항종양 효과를 PG-D31에 대해 분석하였다.
비히클 그룹이 738 mm3에 도달되었을 때 파트 2 연구의 항종양 효과를 PG-D30에 대해 분석하였다.
비히클 그룹이 1791 mm3에 도달되었을 때 파트 3 연구의 항종양 효과를 PG-D13에 대해 분석하였다.
통계 분석
평균 및 평균의 표준 오차(SEM)를 포함하는 요약 통계가 각 시점에서 각각의 그룹의 종양 부피에 대해 제공되었다.
연구의 종료 시 얻은 데이터에 대해 그룹 간의 종양 부피의 차이의 통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단측 T 시험(One-tailed T test)을 수행하여 두 그룹 간의 종양 부피를 비교하였다. 모든 데이터는 GraphPad Prism 6.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p < 0.05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간주된다.
종양 부피 추적
연구 과정에 걸친 종양 부피의 변화는 하기 표 13-15에 제공되어 있다.
[표 13]
[표 14]
[표 15]
종양 성장 억제 분석
파트 1의 TGI를 처리 시작 후 PG-D31에 대한 종양 부피 측정에 기반하여 계산하였다(표 16).
파트 2의 TGI를 처리 시작 후 PG-D30에 대한 종양 부피 측정에 기반하여 계산하였다(표 17).
파트 3의 TGI를 처리 시작 후 PG-D13에 대한 종양 부피 측정에 기반하여 계산하였다(표 18).
[표 16]
[표 17]
[표 18]
실시예 28 - 선행 기술 TEAD 억제제와 비교되는 개시내용의 TEAD 억제제를 사용한 마우스 이종이식 MSTO-211H 종양의 억제
본 연구는 MSTO-211H 이종이식 폐암을 치료하기 위해 BALB/c 누드 마우스에서 시험 화합물의 생체내 항종양 효능을 평가하였다.
문헌[Tang et al. (Tang et al., "Small Molecule Inhibitors of TEAD Auto-palmitoylation Selectively Inhibit Proliferation and Tumor Growth of NF2-deficient Mesothelioma," Mol. Cancer Ther., 2021, 20 (6): 986-998)]에 의해 보고된 바와 같은 화합물 1-1의 긴 반감기에 기반하여 3 mg/kg 투여량의 화합물 1-1을 이용하였다.
세포 배양
MSTO-211H 종양 세포를 공기 중 5% CO2 분위기하에 37℃에서 10% 소 태아 혈청 및 1% 항생제-항진균제가 보충된 RPMI 1640 배지에서 시험관 내에서 유지시켰다. 종양 세포를 트립신-EDTA로 주 2회 정기적으로 계대배양시켰다. 대수 성장기에서 성장하는 세포를 수확하였고, 종양 접종을 위해 계수하였다.
종양 접종
각각의 마우스에 대해 피하로 우측 옆구리에 종양 발달을 위해 MSTO-211H 종양 세포(10×106 + 50% 매트리겔/0.2 mL)를 접종시켰다. 시험 대상체에 세포 접종 후 7일차에 시작하여 비히클(예를 들어, 0.5% CMC-Na + 1% Tween80)을 투여하였다. 종양 부피가 500 mm3 내지 1200 mm3에 도달되었을 때 세포 접종 후 28일차에 처리를 시작하였다.
화합물 제조
종양 측정
주요 평가변수는 종양 성장을 지연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었다. 종양 크기를 캘리퍼를 사용하여 2차원에서 1주 2회 측정되었으며, 다음의 식을 사용하여 부피를 mm3로 표시하였다: V = 0.5 a x b2 상기 식에서, a 및 b는 각각 종양의 긴 직경과 짧은 직경이다. 종양 크기를 이후 T/C 값 및 TGI 값의 계산을 위해 사용하였다.
T/C 값(단위 백분율)은 항종양 효과의 지표이며; T 및 C는 각각 주어진 일자에서의 처리된 그룹 및 대조군 그룹의 평균 부피이다.
통계 분석
평균 및 평균의 표준 오차(SEM)를 포함하는 요약 통계가 각 시점에서 각각의 그룹의 종양 부피에 대해 계산되었다.
연구의 종료 시 얻은 데이터에 대해 그룹 간의 종양 부피의 차이의 통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단측 T 시험을 수행하여 두 그룹 간의 종양 부피를 비교하였다. 모든 데이터는 GraphPad Prism 6.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p < 0.05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간주된다.
종양 부피 추적
연구 과정에 걸쳐 종양 부피의 변화를 기록하였다. 각각의 그룹 1-3에 대한 처리 전과 비교되는 처리 7일 이후의 종양 부피의 변화가 도 3a도 3b에 제공된다. 도 3a는 개별 시험 대상체에 대한 종양 부피 변화를 제공하며, 도 3b는 각각의 처리 그룹에 대한 평균 종양 부피 변화를 제공한다. 종양 성장은 비히클 및 화합물 1-1 처리 그룹에서 관찰되었고, 한편 종양 감소는 화합물 5 처리 그룹에서 관찰되었다.
실시예 29 - TEAD 억제제를 사용한 마우스 이종이식 NCI-H226 종양의 억제
본 연구는 NCI-H226 폐암 모델의 치료를 위해 NOD SCID 마우스에서의 시험 화합물의 생체내 항종양 효능을 평가하였다.
세포 배양
NCI-H226 종양 세포를 공기 중 5% CO2 분위기하에 37℃에서 10% 소 태아 혈청 및 1% 항생제-항진균제가 보충된 RPMI 1640 배지에서 시험관 내에서 유지시켰다. 종양 세포를 트립신-EDTA로 주 2회 정기적으로 계대배양시켰다. 대수 성장기에서 성장하는 세포를 수확하였고, 종양 접종을 위해 계수하였다.
종양 세포 정보
종양 접종
각각의 마우스에 대해 피하로 우측 옆구리에 종양 발달을 위해 NCI-H226 종양 세포(10×106 + 50% 매트리겔/0.2 mL)를 접종시켰다. 식별을 위해 고유 6자리 유효 숫자가 있는 귀걸이로 동물을 표시하였다. 평균 종양 부피가 154 mm3의 평균 크기에 도달되었을 때 처리를 시작하였다.
종양 측정
주요 평가변수는 종양 성장을 지연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었다. 종양 부피를 캘리퍼를 사용하여 2차원에서 1주 2회 측정되었으며, 다음의 식을 사용하여 부피를 mm3로 표시하였다: V = 0.5 a x b2 상기 식에서, a 및 b는 각각 종양의 긴 직경과 짧은 직경이다. 종양 크기를 이후 T/C 값의 계산을 위해 사용하였다. TGI 값(단위 백분율) 또는 T/C 값(단위 백분율)은 항종양 효과의 지표이며; T 및 C는 각각 주어진 일자에서의 처리된 그룹 및 대조군 그룹의 평균 종양 부피 또는 종양 중량이다.
TGI를 다음의 식을 사용하여 각각의 그룹에 대해 계산하였다: TGI (%) = [1-(Ti-T0)/ (Vi-V0)] ×100; Ti는 주어진 일자에서의 처리 그룹의 평균 종양 부피이고, T0는 처리 시작 일자에서의 처리 그룹의 평균 종양 부피이고, Vi는 Ti와 동일자에서의 비히클 대조군 그룹의 평균 종양 부피이고, V0는 처리 시작 일자에서의 비히클 그룹의 평균 종양 부피이다.
상대적 T/C(%)=TRTV / CRTV ×100(RTV(%) = Vt / V0 ×100, Vt는 주어진 일자에서의 평균 종양 부피이고, V0는 처리의 최초 일자에서의 평균 종양 부피이다. TRTV는 처리 그룹의 RTV이고, CRTV는 비히클 대조군 그룹의 RTV이다.)
종양 중량은 연구 종료시 측정되었다. T중량/C중량 값(단위 백분율)은 다음의 식에 따라 계산되었다: T중량/C중량 (%)= TW 처리 / TW비히클 × 100, 여기서 T 및 C는 각각 처리 및 대조군 그룹의 평균 종양 중량이다.
통계 분석
평균 및 평균의 표준 오차(SEM)를 포함하는 요약 통계가 각 시점에서 각각의 그룹의 종양 부피에 대해 계산되었다.
연구의 종료 시 얻은 데이터에 대해 그룹 간의 종양 부피의 차이의 통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단측 T 시험을 수행하여 두 그룹 간의 종양 부피를 비교하였다. 모든 데이터는 GraphPad Prism 6.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p < 0.05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간주된다.
비히클 그룹이 472 mm3에 도달되었을 때 연구의 항종양 효과를 PG-D28에 대해 분석하였다.
종양 부피 추적
연구 과정에 걸친 종양 부피의 변화는 하기 표 19에 제공되어 있다.
[표 19]
종양 성장 억제 분석
처리 시작 후 28일차에 종양 부피 측정값에 기반하여 시험 화합물에 대한 종양 성장 억제율을 계산하였다. 종양 부피에 따라 계산된 T/C 값은 서로 유사하며, 그 경향은 표 20에 나타나 있다.
[표 20]

Claims (69)

  1. 하기 화학식 (I)을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상기 식에서,
    X는 NRa,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은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10원 헤테로아릴이고; 여기서 5-10원 헤테로아릴은 임의로 치환되고;
    R2는 3-10원 헤테로시클릴 또는 -(C1-C4알킬렌)-(3-10원 헤테로시클릴)이고, 여기서 3-10원 헤테로시클릴은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고, 이는 임의로 치환되고, C1-C4알킬렌은 임의로 치환되고;
    R3a 및 R3b 중 하나는 할로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O-(C1-C6 할로알킬), C3-10 시클로알킬, 페닐, 나프틸, 및 5-10원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C3-10 시클로알킬, 페닐, 나프틸, 및 5-10원 헤테로아릴은 임의로 치환되고; R3a 및 R3b 중 다른 하나는 수소, 할로겐, 및 -C1-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4는 독립적으로 할로겐 및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5는 독립적으로 할로겐 및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m은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n은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a는 수소 및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된다.
  2. 하기 화학식 (I')을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상기 식에서,
    X는 NRa,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은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10원 헤테로아릴이고; 여기서 5-10원 헤테로아릴은 임의로 치환되고;
    R2는 3-10원 헤테로시클릴 또는 -(C1-C4알킬렌)-(3-10원 헤테로시클릴)이고, 여기서 3-10원 헤테로시클릴은 적어도 2개의 탄소 원자 및 1, 2, 3, 또는 4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고, 이는 임의로 치환되고, 여기서 헤테로원자는 질소이고, C1-C4알킬렌은 임의로 치환되고;
    R3a 및 R3b 중 하나는 할로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O-(C1-C6 할로알킬), C3-10 시클로알킬, 페닐, 나프틸, 및 5-10원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C3-10 시클로알킬, 페닐, 나프틸, 및 5-10원 헤테로아릴은 임의로 치환되고; R3a 및 R3b 중 다른 하나는 수소, 할로겐, 및 -C1-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4는 독립적으로 할로겐 및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5는 독립적으로 할로겐 및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m은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n은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a는 수소 및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된다.
  3. 하기 화학식 (I-1)을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상기 식에서,
    X는 NRa,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은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10원 헤테로아릴이고; 여기서 5-10원 헤테로아릴은 임의로 치환되고;
    R2는 3-10원 헤테로시클릴 또는 -(C1-C4알킬렌)-(3-10원 헤테로시클릴)이고; 여기서 3-10원 헤테로시클릴은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고, 이는 임의로 치환되고, C1-C4알킬렌은 임의로 치환되고;
    R3는 할로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O-(C1-C6 할로알킬), C3-10 시클로알킬, 페닐, 나프틸, 및 5-10원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C3-10 시클로알킬, 페닐, 나프틸, 및 5-10원 헤테로아릴은 임의로 치환되고;
    각각의 R4는 독립적으로 할로겐 및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5는 독립적으로 할로겐 및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m은 0, 1, 2, 3, 및 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n은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a는 수소 및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된다.
  4. 하기 화학식 (I-1')을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상기 식에서,
    X는 NRa,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은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10원 헤테로아릴이고; 여기서 5-10원 헤테로아릴은 임의로 치환되고;
    R2는 3-10원 헤테로시클릴 또는 -(C1-C4알킬렌)-(3-10원 헤테로시클릴)이고; 여기서 3-10원 헤테로시클릴은 적어도 2개의 탄소 원자 및 1, 2, 3, 또는 4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고, 이는 임의로 치환되고, 헤테로원자는 질소이고, C1-C4알킬렌은 임의로 치환되고;
    R3는 할로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O-(C1-C6 할로알킬), C3-10 시클로알킬, 페닐, 나프틸, 및 5-10원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C3-10 시클로알킬, 페닐, 나프틸, 및 5-10원 헤테로아릴은 임의로 치환되고;
    각각의 R4는 독립적으로 할로겐 및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5는 독립적으로 할로겐 및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m은 0, 1, 2, 3, 및 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n은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a는 수소 및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된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는 NRa인 화합물.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a)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인 화합물:

    상기 식에서,
    R3는 -C1-C6 알킬 또는 -C1-C6 할로알킬이고;
    변수의 나머지는 제1항에 정의된 바와 같다.
  7.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a')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인 화합물:

    상기 식에서,
    R3는 -C1-C6 알킬 또는 -C1-C6 할로알킬이고;
    변수의 나머지는 제2항에 정의된 바와 같다.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은 임의로 치환된 5-6원 헤테로아릴인 화합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은 C1-C6 알킬, 할로겐,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O-(C1-C6 할로알킬), 및 -N(Rb)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 5-6원 헤테로아릴이고, 여기서 각각의 Rb는 독립적으로 수소 및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은 할로겐 및 -C1-C6 알킬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 5-6원 헤테로아릴인 화합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은 옥사디아졸, 이미다졸, 피라졸, 옥사졸, 트리아졸, 테트라졸, 피리딘, 피라진, 및 피리다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5-6원 헤테로아릴이고, 여기서 5-6원 헤테로아릴은 C1-C6 알킬, 할로겐,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O-(C1-C6 할로알킬), 및 -N(Rb)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각각의 Rb는 독립적으로 수소 및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은 옥사디아졸, 이미다졸, 피라졸, 옥사졸, 트리아졸, 테트라졸, 피리딘, 피라진, 및 피리다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5-6원 헤테로아릴이고, 여기서 5-6원 헤테로아릴은 C1-C6 알킬로 임의로 치환되는 화합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은 메틸로 임의로 치환된 이미다졸인 화합물.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은 옥사졸인 화합물.
  15.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은 메틸로 임의로 치환된 테트라졸인 화합물.
  16.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은 옥사디아졸, 예를 들어, 메틸로 임의로 치환된 1,3,4-옥사디아졸인 화합물.
  17. 제1항, 제3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b)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인 화합물:

    상기 식에서,
    Rd는 수소 및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변수의 나머지는 제6항에 정의된 바와 같다.
  18. 제2항, 제4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b')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인 화합물:

    상기 식에서,
    Rd는 수소 및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변수의 나머지는 제7항에 정의된 바와 같다.
  19. 제17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c)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인 화합물:

    상기 식에서, 변수는 제17항에 정의된 바와 같다.
  20. 제18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c')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인 화합물:

    상기 식에서, 변수는 제18항에 정의된 바와 같다.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는 3-7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시클릴 또는 -(C1-C4알킬렌)-(3-7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시클릴)이고, 여기서 3-7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시클릴은 적어도 2개의 탄소 원자 및 1, 2, 3, 또는 4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고, 헤테로원자는 질소이고, 3-7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시클릴은 임의로 치환되고, C1-C4알킬렌은 임의로 치환되는 (예를 들어, C1-6알킬, C1-6할로알킬로 임의로 치환되거나, 또는 C1-4알킬렌의 탄소 상의 2개의 같은 자리 수소는 이것이 부착되는 탄소 원자와 함께 취해져 3-7원 시클로알킬 고리를 형성할 수 있는) 화합물.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는 3-7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시클릴 또는 -(C1-C4알킬렌)-(3-7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시클릴)이고, 여기서 3-7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시클릴은 적어도 2개의 탄소 원자 및 1, 2, 3, 또는 4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고, 헤테로원자는 질소이고, 3-7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시클릴은 C1-C6 알킬, 옥소, 하이드록실, 할로겐,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O-(C1-C6 할로알킬), -N(Rb)2, -C(O)ORg, -C(O)N(Rf)2, -S(O)2N(Rf)2, -OC(O)N(Rf)2, -NRfC(O)N(Rf)2, 및 -S(O)r-Rf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각각의 Rb, Rg, 및 Rf는 독립적으로 수소 및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은 1 또는 2이고, 각각의 Rf는 독립적으로 C1-6알킬 및 페닐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는 3-7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시클릴이고, 여기서 3-7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시클릴은 적어도 2개의 탄소 원자 및 1, 2, 3, 또는 4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고, 헤테로원자는 질소이고, 3-7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시클릴은 할로겐, -C1-C6 알킬, 옥소, 및 하이드록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는 화합물.
  24.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는 1개 또는 2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원 헤테로시클릴이고, 여기서 헤테로원자는 질소 원자이고, 5원 헤테로시클릴은 C1-C6 알킬, 옥소, 및 하이드록실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는 화합물.
  25.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는 -(C1-C4알킬렌)-(1개 또는 2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원 헤테로시클릴)이고, 여기서 헤테로원자는 질소 원자이고, 5원 헤테로시클릴은 C1-C6 알킬 옥소, 및 하이드록실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는 화합물.
  26.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이고, 여기서 t는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27.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이고, 여기서 t는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28.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t는 1인 화합물.
  29.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이고, 여기서 s는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e는 수소 및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30. 제29항에 있어서, s는 0이고, Re는 메틸인 화합물.
  31.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이고, 여기서 u는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e는 수소 및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32.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이고, 여기서 u는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e는 수소 및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3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이고, 여기서 u는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e는 수소 및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34. 제3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u는 0이고, Re는 메틸인 화합물.
  35. 제1항 내지 제24항 및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인 화합물:

    상기 식에서,
    R3는 -C1-C6 알킬 또는 -C1-C6 할로알킬이고;
    변수의 나머지는 제6항에 정의된 바와 같다.
  36. 제35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e)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인 화합물:

    상기 식에서, 변수는 제35항에 정의된 바와 같다.
  37. 제1항 내지 제10항 및 제21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은 적어도 하나의 고리 탄소 원자를 포함하고, 탄소 및 질소 원자만을 포함하는 화합물.
  38. 제1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3는 C1-C6 알킬 또는 -C1-C6 할로알킬인 화합물.
  39. 제1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3는 할로겐인 화합물.
  40. 제1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3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인 화합물.
  41. 제1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m 및 n은 둘다 0인 화합물.
  42. 제1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a는 수소인 화합물.
  43. 제1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표 1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44. (a) 제1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b)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45. TEAD1 및 TEAD4로부터 선택되는 TEAD 이소형의 과활성화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 또는 병태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상기 질환 또는 병태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제1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제44항의 약학 조성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상기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료 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질환 또는 병태는 TEAD1 및 TEAD4로부터 선택되는 TEAD 이소형의 과활성화를 특징으로 하는 암인 방법.
  47. 제46항에 있어서, 암은 유방암, 폐암, 위암, 대장암, 췌장 선암을 포함하는 췌장암, 악성 중피종을 포함하는 중피종, 간세포암, 전립선암, 두경부암, 신세포 암종 및 수모세포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48. 제47항에 있어서, 췌장암은 췌장 선암인 방법.
  49. 제47항에 있어서, 중피종은 악성 중피종인 방법.
  50. 제46항 또는 제47항에 있어서, 암은 간세포암, 유방암, 췌장 선암, 및 중피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51. 제46항, 제47항 및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암은 중피종인 방법.
  52. 제46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암은 전이성 암인 방법.
  53. 제52항에 있어서, 암은 전이성 유방암인 방법.
  54. 제52항에 있어서, 암은 전이성 폐암인 방법.
  55. 제52항에 있어서, 암은 전이성 위암인 방법.
  56. 제52항에 있어서, 암은 전이성 대장암인 방법.
  57. 제52항에 있어서, 암은 전이성 전립선암인 방법.
  58. 제52항에 있어서, 암은 전이성 두경부암인 방법.
  59. 제52항에 있어서, 암은 신세포 암종인 방법.
  60. 제52항에 있어서, 암은 전이성 중피종인 방법.
  61. 제52항에 있어서, 암은 전이성 췌장암인 방법.
  62. 제52항에 있어서, 암은 전이성 간세포암인 방법.
  63. 제45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료적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제44항의 약학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와 조합하여 투여되는 방법.
  64. TEAD의 과활성화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 또는 병태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상기 질환 또는 병태를 치료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제44항의 약학 조성물.
  65. 제64항에 있어서, 질환 또는 병태는 TEAD1 및 TEAD4로부터 선택되는 TEAD 이소형의 과활성화를 특징으로 하는 암인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약학 조성물.
  66. 제65항에 있어서, 암은 유방암, 폐암, 위암, 대장암, 췌장 선암을 포함하는 췌장암, 악성 중피종을 포함하는 중피종, 간세포암, 전립선암, 두경부암, 신세포 암종 및 수모세포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약학 조성물.
  67. TEAD1 및 TEAD4로부터 선택되는 TEAD 이소형의 과활성화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 또는 병태를 치료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의, 제1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제44항의 약학 조성물의 용도.
  68. 제67항에 있어서, 질환 또는 병태는 TEAD1 및 TEAD4로부터 선택되는 TEAD 이소형의 과활성화를 특징으로 하는 암인 용도.
  69. 제68항에 있어서, 암은 유방암, 폐암, 위암, 대장암, 췌장 선암을 포함하는 췌장암, 악성 중피종을 포함하는 중피종, 간세포암, 전립선암, 두경부암, 신세포 암종 및 수모세포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도.
KR1020257005344A 2022-07-21 2023-07-17 Tead 억제제 및 사용 방법 Pending KR202500387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263369036P 2022-07-21 2022-07-21
US63/369,036 2022-07-21
PCT/US2023/070353 WO2024020350A1 (en) 2022-07-21 2023-07-17 Tead inhibitors and methods of u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038764A true KR20250038764A (ko) 2025-03-19

Family

ID=87567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57005344A Pending KR20250038764A (ko) 2022-07-21 2023-07-17 Tead 억제제 및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4558485A1 (ko)
JP (1) JP2025526321A (ko)
KR (1) KR20250038764A (ko)
CN (1) CN119497708A (ko)
AU (1) AU2023308983A1 (ko)
WO (1) WO2024020350A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12543A (ja) * 2013-03-12 2016-04-28 アッヴィ・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ジヒドロ−ピロロピリジノンブロモドメイン阻害剤
SG11202113154YA (en) * 2019-05-31 2021-12-30 Ikena Oncology Inc Tead inhibitors and use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20350A1 (en) 2024-01-25
AU2023308983A1 (en) 2025-03-06
EP4558485A1 (en) 2025-05-28
CN119497708A (zh) 2025-02-21
JP2025526321A (ja) 2025-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3641B1 (ko) Cot 조정제 및 그의 사용 방법
JP6759514B2 (ja) ブロモドメインに対して活性な化合物
JP5560278B2 (ja) キナーゼ阻害剤として有用なイミダゾピリダジンカルボニトリル
JP5504259B2 (ja) 第ixa因子阻害剤としての複素環式化合物
TWI711611B (zh) Cot調節劑及其使用方法
CN107922431A (zh) Hpk1抑制剂及其使用方法
US8895571B2 (en) Isoindolinone and pyrrolopyridinone derivatives as Akt inhibitors
US8455507B2 (en) Aminopyrimidines useful as kinase inhibitors
BR112014008495B1 (pt) composto inibidor da proteína quinase, composição farmacêutica compreendendo-o e uso do mesmo para a fabricação de um medicamento para o tratamento de câncer
TW200804384A (en) Triazolopyrazine derivatives
JP2014141529A (ja) キナーゼのインヒビターとして有用なチアゾールおよびピラゾール
EP1697352B1 (en) 4-azole substituted imidazole compositions useful as inhibitors or c-met receptor tyrosine kinase
US12162867B2 (en) Inhibitors of RNA helicase DHX9 and uses thereof
US20240400518A1 (en) Sos1 inhibitor and use thereof
EP4010334A1 (en) Heterocyclic wdr5 inhibitors as anti-cancer compounds
EP3768670A1 (en) Imidazolidin-2-one compounds as prmt5 modulators
WO2022155419A1 (en) Indazoles and azaindazoles as lrrk2 inhibitors
WO2024178390A1 (en) Covalent modifiers of akt1 and uses thereof
KR20250038764A (ko) Tead 억제제 및 사용 방법
CN115894376B (zh) 一种芳香族酰胺类化合物、药物组合物及其用途
WO2025034613A1 (en) 3h-imidazo[4,5-b]pyridine compounds as non-covalent modifiers of akt1 and uses thereof
WO2025160220A2 (en) Tead inhibitors and methods of use
WO2025062334A1 (en) 4-((5-(3-(4-(pyridin-2-yl)cyclopentyl)-1 h-pyrazol-3-yl)amino)-benzenesulfonamide derivatives and similar compounds as cdk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BR112017002053B1 (pt) Composto de acordo com a fórmula (xi) e uso de um composto
HK1142333A (en) 2-oxo-3-benzyl-benzoxazol-2-one derivatives and related compounds as met kinase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tum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5021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