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50046390A - Flowerpot for Tree burials - Google Patents
Flowerpot for Tree burial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50046390A KR20250046390A KR1020230129057A KR20230129057A KR20250046390A KR 20250046390 A KR20250046390 A KR 20250046390A KR 1020230129057 A KR1020230129057 A KR 1020230129057A KR 20230129057 A KR20230129057 A KR 20230129057A KR 20250046390 A KR20250046390 A KR 2025004639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owerpot
- tree
- flower pot
- urn
- drain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목장을 위한 화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분과 유골함 안치 공간을 이원화된 구조로 분리되도록 하여 다수의 유골함을 안치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새로운 방식의 장묘 문화를 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인의 유골함을 장기간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으며, 화분에서 성장하는 각종 수목을 통해, 유족들에게 심리적인 안정감과 만족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수목장용 화분의 이동이 편리할 수 있으며, 설치 장소에 따른 제약이 적은 장점으로 유족들의 방문을 위한 접근성 및 교통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수목장용 화분을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werpot for a tree burial, and more specifically, to a flowerpot and an urn placement space separated into a dual structure so that a plurality of urns can be placed, thereby suggesting a new type of funeral culture, and to provide a flowerpot for a tree burial which can store the urns of the deceased safely and stably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which can provide psychological stability and satisfaction to the bereaved family through various trees growing in the flowerpot, and which can be conveniently moved and has fewer restrictions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thereby improving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for the bereaved family to visit.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목장을 위한 화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분의 하부에 다수의 유골함을 안치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새로운 방식의 장묘 문화를 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인의 유골함을 장기간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으며, 설치 장소에 따른 제약이 적은 장점이 있고, 화분에서 성장하는 각종 수목을 통해, 유족들에게 심리적인 안정감과 만족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wer pot for a tree burial, and in particular, by forming a plurality of urns to be placed in the lower part of the flower pot, it is possible to present a new type of funeral culture, and it has the advantage of allowing the urns of the deceased to be stored safely and stably for a long period of time, with few restrictions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providing psychological stability and satisfaction to the bereaved family through various trees growing in the flower pot.
일반적으로 수목장은 각종 장례 문화의 종류 중의 일종으로서, 자연장의 형태 및 범위에 속하고, 고인의 유골 또는 유골함을 특정 나무의 주변에 묻도록 하는 장례 문화이다.In general, a tree burial is a type of funeral culture that falls within the form and scope of a natural burial, and is a funeral culture in which the remains or urns of the deceased are buried around a specific tree.
이러한 수목장은 납골당 또는 봉안당 등에 유골함을 인공적인 건축물에 안치하도록 하는 방식과는 달리, 풍광이 우수한 장소의 자연의 각종 수목에 고인의 유골 또는 유골함을 안치하기 때문에, 근래에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고 있는 추세의 장례 및 추모의 방식이다.Unlike the method of placing the urns in artificial structures such as columbariums or mortuaries, these types of burial grounds are a type of funeral and memorial method that many people have recently preferred because the urns or urns of the deceased are placed in various natural trees in places with beautiful scenery.
그러나, 상기한 수목장의 장례 문화는 법규에 따라 사설 자연장지 또는 수목장림을 선택하고, 추모목을 지정하여 유골 또는 유골함을 안치하기 때문에, 자연장치 및 수목장림의 방문에 많은 시간과 불편함이 나타나게 되고, 추모목의 관리 및 유지에 대한 비용이 상당히 소요됨으로써, 보다 개선된 수목장에 대한 다양한 시도와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다. However, since the funeral culture of the above-mentioned tree burial is to select a private natural burial site or tree burial forest according to the law, designate a memorial tree, and place the remains or urns, it takes a lot of time and inconvenience to visit the natural site and tree burial forest, and considerable costs are incurred for the management and maintenance of the memorial tree, and various attempts and research on improved tree burials are being conducted.
이와 같은 수목장에 관련한 종래의 선행기술문헌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67668호의 발명의 명칭 “ 화분장묘 ”가 있다.As a prior art document related to such a tree farm, there is the invention titled “Flower Farming”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467668.
상기한 종래의 발명은 장소에 구애받음이 없이 자유롭게 자연 친화적으로 장사를 지내고 묘를 쓰는 것이 가능하고, 교통 및 근접의 제한성없이 가까이 모시는 것이 가능하며, 부지의 개발로 인한 묘의 훼손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며, 고인의 대한 경건함이나 존엄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 화분장묘를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invention provides a flowerpot burial system that enables burial and burial in a natural and friendly manner without being restricted by location, allows burial close to the deceased without restrictions on transportation and proximity, fundamentally prevents damage to the grave due to development of the site, and allows the deceased to have reverence and dignity.
그리고, 또 다른 종래의 선행기술문헌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5562호의 발명의 명칭 “ 수목장용 화분 ”은, 화분의 내면에 형성된 안착 공간에 화장한 분골 또는 유골함을 안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소나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장묘문화를 제시하는 수목장용 화분을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And, as another prior art document, the title of the invention of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35562, “Flowerpot for Tree Burial,” provides a flowerpot for tree burial that suggests a new form of funeral culture that is not restricted by location or space by allowing cremated ashes or an urn to be placed in a spac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flowerpot.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수목장용 화분은 유골함의 안치 공간과 수목의 생육 공간이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유골함 및 고인의 유품 등이 훼손 또는 소실되는 단점이 나타나게 되고, 유골함 및 유품 등이 안전하게 안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flower pots for tree burials mentioned above do not separate the space for placing the urn and the space for growing the tre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urn and the deceased's belongings are damaged or lost,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rn and belongings are not placed safely.
또한, 유족의 상황에 따라, 유골함의 이장 및 개장, 또는 가족 장묘로서의 합장 및 수목의 교체 등의 변경이 어려웠으며, 그에 따라 소요되는 비용과 인력도 상당한 단점이 나타나게 되어, 유족들이 만족할 수 있는 장묘 방식에 관련한 연구와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었다.In addition,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of the bereaved family, it was difficult to change the method of burial, such as relocation and opening of the urn, joint burial as a family burial, or replacement of trees, and accordingly, there were significant disadvantages in terms of cost and manpower required, and therefore, research and development on a burial method that would satisfy the bereaved family were necessary.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화분과 유골함 안치 공간을 분리하고 다수의 유골함을 안치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새로운 방식의 장묘 문화를 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인의 유골함을 장기간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으며, 화분에서 성장하는 각종 수목을 통해, 유족들에게 심리적인 안정감과 만족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설치 장소에 따른 제약이 적은 장점으로 유족들의 방문에 따른 교통 및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presents a new type of funeral culture by separating the flowerpot and urn placement space and forming a space where multiple urns can be placed, but also enables the urns of the deceased to be stored safely and stably for a long period of time, provides psychological stability and satisfaction to the bereaved family through various trees growing in the flowerpot, and improves transportation and accessibility for visits by the bereaved family with the advantage of fewer restrictions on installation location.
본 발명은 금속 소재로서,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내측 면에서 종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연통관을 구비한 본체와;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using a metal material and hav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ng tubes formed longitudinally on the inner surface;
토양이 채워지고 수목이 식재되도록 형성하고, 본체의 하부에 안치부와 구분 분리되도록 하는 격판을 형성한 화분부와;A flower pot formed with a partition to separate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from the resting part, and formed so that the soil can be filled and trees can be planted;
유골함이 안치되고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배수관이 관통 내입되도록 하는 관통공과, 각 유골함이 분리 보관되도록 하는 분리판과, 안치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하부의 베어링과, 하부는 소정의 간격으로 요입되는 요입부와, 유골함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한 투입구를 형성한 안치부;A placement section formed so that a urn can be placed and rotated, a through hole for a drainage pipe to pass through, a separator plate for allowing each urn to be stored separately, a lower bearing for allowing the placement section to rotate, a lower portion having recessed portions that are reces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n insertion port for inserting a urn;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mposed of: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분과 유골함 안치 공간을 이원화된 구조로 분리되도록 하여 다수의 유골함을 안치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새로운 방식의 장묘 문화를 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인의 유골함을 장기간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으며, 화분에서 성장하는 각종 수목을 통해, 유족들에게 심리적인 안정감과 만족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수목장용 화분의 이동이 편리할 수 있으며, 설치 장소에 따른 제약이 적은 장점으로 유족들의 방문을 위한 접근성 및 교통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수목장용 화분을 제공하는 유익한 발명인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useful invention that not only presents a new type of funeral culture by forming a space for placing a flowerpot and an urn by separating the space for placing the urn into a dual structure so that a plurality of urns can be placed, but also provides a flowerpot for a tree burial that can safely and stably store the urns of the decea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provides psychological stability and satisfaction to the bereaved family through various trees growing in the flowerpot, and improves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for visits by the bereaved family with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move and having fewer restrictions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수목장용 화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상부 측의 화분부의 단면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안치부의 단면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안치부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werpot for a tree plan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flowerpot por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 placement portion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d state of the placement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when adding reference sign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sign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whe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al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목장용 화분은, 원통형의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각종 수목 등이 식재되도록 하는 화분부(200)와,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유골함 및 유품 등이 안치되도록 하는 안치부(30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flower pot for a tree bu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cylindrical body (100), a flower pot section (200) in which various trees, etc. are planted in the upper part of the body (100), and a placing section (300) in which an urn and relics, etc. are placed in the lower part of the body (100).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는 금속 소재로서,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내측 면에서 종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연통관(110)을 구비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1, the main body (10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 metal material and has a plurality of connecting tubes (110) formed longitudinally on the inner surface.
상기 본체(100)는 금속 소재 외에 수지 소재 또는 방부목 등의 합성목재 등의 소재를 통해, 평면상 육각형 또는 팔각형 등을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실시예이고, 그 어느 하나의 소재 및 형태를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t is a preferred embodiment that the above main body (100)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such as hexagons or octagons on a flat surface, using materials such as resin materials or synthetic wood such as treated wood in addition to metal materials,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ny one material or shape.
상기 연통관(110)은 상부에 종 방향으로 일정 간격의 통공(111)을 형성하도록 하여, 토양이 충진된 화분부의 배수 및 통기가 원활하게 이루어도록 한다.The above-mentioned connecting pipe (110) forms vertical holes (111) at regular intervals at the top to ensure smooth drainage and ventilation of the flowerpot section filled with soil.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분부(200)는 토양이 채워지도록 하여 수목이 식재되도록 형성하고, 하부에 안치부(300)와 구분 분리되도록 하는 격판(210)을 형성하도록 한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flower pot (200) is formed so that the tree can be planted by filling it with soil, and a partition (210) is formed to separate it from the lower part of the planting unit (300).
상기 격판(210)은 중앙으로 다수 개의 배수공(211)과, 상기 배수공(211)의 하방으로 연통된 배수관(212)을 형성하여, 토양이 채워진 화분부의 물이 배수공(211)을 통해 배수관(212)으로 유출되도록 한다.The above-mentioned grating (210) forms a number of drainage holes (211) in the center and a drainage pipe (212) connected downward to the drainage holes (211), so that water in the flower pot filled with soil flows out through the drainage holes (211) to the drainage pipe (21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치부(300)는 유골함이 안치되고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기 배수관(212)이 관통 내입되도록 하는 관통공(310)과, 각 유골함이 분리 보관되도록 하는 분리판(320)과, 안치부(3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하부의 베어링(330)과, 하부는 소정의 간격으로 요입되는 요입부(340)와, 유골함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한 투입구(350)를 형성한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placement unit (300) is formed so that a urn can be placed and rotated, and includes a through hole (310) through which the drainage pipe (212) is inserted, a separation plate (320) through which each urn can be stored separately, a lower bearing (330) that allows the placement unit (300) to rotate, a lower recessed portion (340) that is reces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n insertion port (350) through which a urn can be inserted.
상기 관통공(310)은 배수관(212)이 관통 내입되도록 형성하여, 내입 관통된 배수관(212)을 축으로 하여, 안치부(300)가 베어링(33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The above through hole (310) is formed so that a drain pipe (212) can penetrate and be inserted, so that the fixing part (300) can rotate by a bearing (330) around the inserted drain pipe (212) as an axis.
상기 분리판(320)은 평면상 원형을 다수 개로 분할 구분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그 분할되도록 형성하는 분리판의 수를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 separator (320)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divide and divide a circular shape into a plurality of pieces on a plane, and the number of separator plates formed to divide the circular shape is not necessarily limited.
상기 요입부(340)는 정면상 소정의 간격으로 요입되도록 형성하여, 수목장용 화분의 이동 시에 지게차 등의 포크가 삽입되도록 한다.The above-mentioned indentation (340) is formed so as to be indent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front side, so that a fork of a forklift or the like can be inserted when moving a flower pot for a tree arbor.
상기 투입구(350)는 덮개를 경첩 등에 의해 회동되도록 하고, 별도의 잠금 수단을 통해 견고하게 폐쇄되도록 형성하고, 투입구 및 덮개는 빗물 등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패킹 또는 실링 처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실시예이다.It is a preferred embodiment that the above inlet (350) is formed so that the cover can be rotated by a hinge or the like and can be firmly closed by a separate locking means, and that the inlet and cover are packed or sealed to prevent the infiltration of rainwater, etc.
미설명부호 T는 화분부에 식재되는 수목이고, R은 유골함이다.The unexplained symbol T is a tree planted in a flower pot, and R is an urn.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목장용 화분은, 본체(100)의 상하부로 구획 분리되도록 하여, 본체(100)의 상부에 위치된 화분부(200)에서 각종의 수목 등을 식재하여 생육되도록 하고, 본체(100)의 하부에 위치된 안치부(300)에 고인의 유골함이나 유품 등을 안치 보관되도록 함으로써, 유족들이 방문이 손쉽고 접근성이 뛰어난 다양한 장소 등에서 수목장의 장례 문화의 방식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flowerpot for a tree bu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main body (100), so that various trees and the like can be planted and grown in the flowerpot part (200)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urns or relics of the deceased can be placed and stored in the burial part (300) loc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00), thereby promoting the funeral culture of a tree burial in various places where the bereaved family can easily visit and have excellent accessibility.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부(200)의 토양에 식재된 각종 수목의 성장 과정에서 제공되는 물이나 야외에서 우천시 빗물 등은 토양을 통과하여, 격판(210)의 중앙에 구비된 배수공(211)으로 유출되고, 배수공(211)의 하방으로 연통된 배수관(212)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기 때문에, 화분부(200)의 수목에 필요한 토양 조건 및 생육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water provided during the growth process of various trees planted in the soil of the flower pot (200) or rainwater during rain outdoors passes through the soil, flows out through the drainage hole (211)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partition (210), and flows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age pipe (212) connected downward to the drainage hole (211), thereby creating soil conditions and a growing environment necessary for the trees in the flower pot (200).
그리고, 본체(100)의 내측 면에 구비된 연통관(110)이 종 방향으로 안치부(300)의 하단까지 관통되어 형성하고, 화분부(200) 부분 측의 연통관(110)에 통공(111)을 통해, 화분부(200)의 외주 부위의 토양의 물기가 외부로 배출되고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하여, 수목의 성장과 설치 공간의 쾌적한 환경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In addition, a connecting pipe (110)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is formed to penetrate vertically to the lower end of the installation part (300), and a hole (111) is formed in the connecting pipe (110) on the side of the flowerpot part (200) to allow moisture in the soil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flowerpot part (20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ir to be circulated, thereby promoting the growth of the tree and a pleasant environment for the installation space.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치부(300)에 유골함 등을 안치할 경우에는, 투입구(350)을 개방한 후 분리판(320)으로 구획된 공간에 유골함을 안치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S. 3 and 4, when placing an urn, etc. in a burial chamber (300), the urn can be placed and stored in a space partitioned by a separator (320) after opening the insertion port (350).
이때, 안치부(300)의 관통공(310)에 배수관(310)이 관통 내입되어, 배수관(310)을 회전축으로 하여 베어링(330)에 의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분리판(320)으로 구획된 다수 개의 공간을 선택하여 유골함을 안치할 수 있고, 고인의 다양한 유품 등을 각 공간을 선택하여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 개의 유골함을 안치하는 가족 수목장으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t this time, since the drain pipe (31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310) of the burial chamber (300) and can rotate smoothly by the bearing (330) with the drain pipe (310) as the rotation axis, the urns can be placed by selecting a plurality of spaces partitioned by the separator plate (320), and various relics of the deceased can be stored by selecting each space, and it can also be used as a family tree burial chamber where a plurality of urns can be placed.
또한, 투입구(350)를 개폐하는 덮개의 개폐 구조에 별도의 패킹 및 실링 처리를 함으로써, 안치부(300)의 빗물 또는 습기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어, 안치된 유골함 등의 보관이 안정적이고 안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단의 구비되어 지게차 등의 포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 요입부(340)를 통해, 본체(100)의 이동이 간편할 수 있도록 하여, 수목장용 화분의 설치 장소의 변경 등이 편리하고 용이하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In addition, by separately packing and sealing 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cover that opens and closes the inlet (35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enetration of rainwater or moisture into the urn (300), so that the storage of the urn in which the urn is placed can be made stable and safe, and also, through the inlet (340) provided at the bottom into which a fork of a forklift, etc. can be inserted,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100) can be made easy, so that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flowerpot for the tree burial can be changed conveniently and easil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i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a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10 : 연통관
111 : 통공 200 : 화분부
210 : 격판 211 : 배수공
212 : 배수관 300 : 안치부
310 : 관통공 320 : 분리판
330 : 베어링 340 : 요입부
350 : 투입구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100 : Body 110 : Connecting tube
111 : Open space 200 : Flowerpot
210 : grating 211 : drain hole
212 : Drain pipe 300 : Place of placement
310 : Through hole 320 : Separator
330 : Bearing 340 : Inlet
350 : Inlet
Claims (6)
토양이 채워지고 수목이 식재되도록 형성하고, 본체(100)의 하부에 안치부(300)와 구분 분리되도록 하는 격판(210)을 형성한 화분부(200)와;
유골함이 안치되고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배수관(212)이 관통 내입되도록 하는 관통공(310)과, 각 유골함이 분리 보관되도록 하는 분리판(320)과, 안치부(3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하부의 베어링(330)과, 하부는 소정의 간격으로 요입되는 요입부(340)와, 유골함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한 투입구(350)를 형성한 안치부(30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장용 화분.
A main body (100)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using a metal material and having a plurality of connecting tubes (110) formed longitudinally on the inner surface;
A flower pot (200) formed with a partition (210) to separate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00) from the mounting part (300) and to form a space for filling the soil and planting trees;
A placement unit (300) formed so that the urn can be placed and rotated, and having a through hole (310) through which a drainage pipe (212) is inserted, a separator plate (320) for allowing each urn to be stored separately, a lower bearing (330) for allowing the placement unit (300) to rotate, a lower portion having an indentation (340) that is insert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n insertion port (350) for allowing the urn to be inserted;
A flower pot for an arboretum, characterized by comprising:
본체(100)의 연통관(110)은,
화분부(200)의 토양의 배수 및 통기를 위해, 화분부(200) 부분에 일정 간격의 통공(111)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장용 화분.
In the first paragraph,
The connecting pipe (110) of the main body (100) is
A flowerpot for a tree far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form holes (111) at a certain interval in the flowerpot portion (200) for drainage and ventilation of the soil in the flowerpot portion (200).
화분부(200)의 격판(210)은,
중앙으로 다수 개의 배수공(211)과, 상기 배수공(211)의 하방으로 연통된 배수관(212)을 형성하여, 토양이 채워진 화분부의 물이 배수공(211)을 통해 배수관(212)으로 유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장용 화분.
In the first paragraph,
The grid (210) of the flower pot (200) is
A flower pot for a tree plant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form 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211) in the center and a drainage pipe (212) connected downward to the drainage holes (211), so that water in the flower pot filled with soil flows out through the drainage holes (211) to the drainage pipe (212).
안치부(300)의 관통공(310)은,
배수관(212)이 관통 내입되도록 형성하여, 내입 관통된 배수관(212)을 축으로 하여, 안치부(300)가 베어링(330)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장용 화분.
In the first paragraph,
The through hole (310) of the anchibu (300) is
A flower pot for a tree arbor,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inage pipe (212) is formed to penetrate and the installation part (300) is configured to rotate by a bearing (330) around the penetrated drainage pipe (212) as an axis.
안치부(300)의 요입부(340)는,
본체(100)의 이동 시에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기 위해, 정면상 소정의 간격으로 요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장용 화분.
In the first paragraph,
The inlet part (340) of the anchibu (300) is
A flower pot for a tree arb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front so that a fork of a forklift can be inserted when the main body (100) is moved.
안치부(300)의 투입구(350)는,
투입구(350)의 개폐를 위해 덮개를 회동시키도록 형성하고, 별도의 잠금 수단을 구비하고, 투입구 및 덮개는 빗물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패킹 구조를 구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장용 화분.
In the first paragraph,
The inlet (350) of the anchibu (300) is
A flower pot for a tree arb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is formed to rotat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350), a separate locking means is provided, and the inlet and cover are configured to have a packing structure to prevent the infiltration of rainwater.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129057A KR20250046390A (en) | 2023-09-26 | 2023-09-26 | Flowerpot for Tree burial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129057A KR20250046390A (en) | 2023-09-26 | 2023-09-26 | Flowerpot for Tree burials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50046390A true KR20250046390A (en) | 2025-04-03 |
Family
ID=9547871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30129057A Pending KR20250046390A (en) | 2023-09-26 | 2023-09-26 | Flowerpot for Tree burial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250046390A (en) |
-
2023
- 2023-09-26 KR KR1020230129057A patent/KR20250046390A/en active Pending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4977652A (en) | Tree forest cemetery | |
| US5953859A (en) | Rechargeable live planter assembly and method of use thereof | |
| KR100686187B1 (en) | Prefabricated planter block for planting | |
| US7856755B2 (en) | Garden or planter system with elevated bed and water reservoir | |
| US20060179624A1 (en) | Apparatus and methods of burial using a columbarium pod | |
| US7458138B2 (en) | Grave lining system | |
| US20160376810A1 (en) | Interment system with underground container | |
| KR20250046390A (en) | Flowerpot for Tree burials | |
| KR101875157B1 (en) | Miniature Grave | |
| US20060123714A1 (en) | Headstone assembly and method for lawn crypt | |
| JP3208837U (en) | Tree funeral tomb body and tree funeral tomb structure using the same | |
| JPH09154408A (en) | Pot for container culture | |
| KR101654482B1 (en) | Method for burying ashes for natural funeral | |
| JP2001173272A (en) | Simple gravestone | |
| JP7397515B2 (en) | Urn burial type cemetery structure | |
| KR100990779B1 (en) | Nature Friendly Ashes | |
| ES2216719B1 (en) | SYSTEM OF MACETAS FOR GARDENING. | |
| KR100761485B1 (en) | Flat Bonanza with Condensation Prevention Structure | |
| KR102430652B1 (en) | Constroction method of aeration rainwater storage tank for trees | |
| KR200404501Y1 (en) | A charnel house | |
| KR100748024B1 (en) | Ossuary complex storage and molding rod of family ossuary | |
| KR101614269B1 (en) | A public cemetery of type a large number layer | |
| KR100555908B1 (en) | Arbor | |
| JP3166281U (en) | Grave flower garden and water bowl / flower garden set | |
| KR200326188Y1 (en) | Charnel grave layering a plurality of remains case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