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50051108A - 식물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 및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 방법 - Google Patents

식물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 및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50051108A
KR20250051108A KR1020257009331A KR20257009331A KR20250051108A KR 20250051108 A KR20250051108 A KR 20250051108A KR 1020257009331 A KR1020257009331 A KR 1020257009331A KR 20257009331 A KR20257009331 A KR 20257009331A KR 20250051108 A KR20250051108 A KR 20250051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ss
environmental stress
improving agent
stress tolerance
ag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57009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쯔유끼 코시야마
유끼히로 히가시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Publication of KR20250051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50051108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PBIOCIDAL, PEST REPELLANT, PEST ATTRACTANT OR PLANT GROWTH REGULATORY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PREPARATIONS
    • A01P21/00Plant growth reg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4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501,3-Diazoles; Hydrogenated 1,3-diazo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하기 식 (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혹은 그의 호변 이성체, 또는 이들의 농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 (식 (I) 중,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3~R5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식물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 및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 방법
본 발명은 식물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 및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구 온난화, 가뭄, 염해 등의 환경 스트레스는 식물의 생존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농업에서 중대한 피해를 초래한다. 환경 스트레스를 없애는 것은 곤란하거나, 고액의 비용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종래부터 광범위한 식물에 대해 환경 스트레스 내성을 향상시키는 약제가 요구되고 있다.
여기서, 식물의 생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화합물로서, 에르고티오네인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에르고티오네인 및 에르고티오네인을 생합성 가능한 미생물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비료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에르고티오네인 단체(單體)를 식물에 적용함으로써, 식물의 생장을 촉진시키는 것, 또는 수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에르고티오네인을 포함하는 미생물 추출물을 비료로서 적용함으로써 니트로게나아제 활성이 향상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4 및 특허문헌 5에는, 글리신 베타인을 식물에 적용함으로써, 식물의 스트레스 및 관련되는 상태를 제어하여, 식물의 생장을 촉진한 것이 보고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8-130091호 특허문헌 2: 일본 특허출원공보 제2019-128636호 특허문헌 3: 유럽 특허출원공개 명세서 제3696154호 특허문헌 4: 국제 공개 제96/14749호 특허문헌 5: 국제 공개 제96/23413호
상술한 바와 같이 환경 스트레스 내성을 향상시키는 약제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지만, 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가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2 및 3에는, 식물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 효과에 대해서는 명기되어 있지 않다. 특허문헌 4 및 5에는, 글리신 베타인 외에 2-mercaptohistidine betaine(에르고티오네인)의 기재도 볼 수 있지만, 에르고티오네인에 관한 실시예는 없어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에, 본 발명의 일 태양은 식물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 및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 방법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태양에 관한 식물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는 하기 식 (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혹은 그의 호변 이성체, 또는 이들의 농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
[화 1]
(식 (I) 중,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3~R5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태양에 관한 식물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 방법은 상술한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를 식물에 처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식물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 및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
(유효 성분)
본 실시형태에 관한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는 하기 식 (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하, 단순히 「화합물 (I)」이라고 한다) 혹은 호변 이성체, 또는 이들의 농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한다.
[화 2]
식 (I) 중,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R3~R5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알킬기는 직쇄상일 수도 분지상일 수도 있으며, 즉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이소부틸기, sec-부틸기 또는 tert-부틸기일 수 있다.
R1 및 R2 중 적어도 하나는 수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고, 모두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R1 및 R2는 알킬기인 경우에는, 메틸기, 에틸기 또는 프로필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메틸기 또는 에틸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메틸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R3~R5는 독립적으로 메틸기, 에틸기 또는 프로필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메틸기 또는 에틸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메틸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R3~R5는 적어도 하나가 메틸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적어도 2개가 메틸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모두 메틸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 호변 이성체」란, 화합물 (I)의 호변 이성체를 가리킨다. 화합물 (I)에는, R1 및 R2 중 적어도 하나가 수소 원자인 경우에는 호변 이성체가 존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식 (I) 중, R2가 수소 원자인 경우에는, 호변 이성체로서 하기 식 (II)로 표시되는 화합물(이하, 단순히 「화합물 (II)라고 한다」)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식 (I) 중, R1이 수소 원자인 경우에는, 호변 이성체로서 하기 식 (III)로 표시되는 화합물(이하, 단순히 「화합물 (III)라고 한다」)이 존재할 수 있다. 이하, 화합물 (II) 및 화합물 (III)를 합쳐 단순히 「호변 이성체」라고 한다.
[화 3]
식 (II) 및 (III) 중, R1~R5는 식 (I)에서의 R1~R5와 동일하다.
화합물 (I) 혹은 그의 호변 이성체로서 바람직한 화합물은 구체적으로는 에르고티오네인이며, L-(+)- 에르고티오네인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화합물은 시판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당업자에 주지의 기술, 예를 들어 특허문헌: 일본 공표특허공보 제2013-506706호 혹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6-160748에 기재된 수법에 의해 합성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에르고티오네인은 세균 및 진균에 의해 생산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미생물을 이용하는 산출(産出)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일본 공개특허 2012-105618, 일본 공개특허 2014-223051, WO2016/104437, WO2016/121285, WO2015/168112 및 WO2017/150304에 기재된 방법을 들 수 있다. 에르고티오네인으로서는, 이들 미생물로부터 얻어진 에르고티오네인을 포함하는 배양물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고, 에르고티오네인을 농축 혹은 정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농학적으로 허용 가능」이란, 통상, 안전하고 비독성이고, 또한 생물학적으로도 다른 의미로도 소망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농약용으로서, 특히 식물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을 향상시키는 농약용으로서 허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화합물 (I) 혹은 그의 호변 이성체의 「농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란,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농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며, 화합물 (I) 혹은 그의 호변 이성체의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수화물, 용매화물, 산부가염, 화합물 (I) 혹은 그의 호변 이성체에 존재하는 산성 프로톤(proton acid)이 금속 이온에 의해 치환되어 있는 경우에 형성되는 염, 및 당해 산성 프로톤이 유기 염기 혹은 무기 염기와 배위하는 경우에 형성되는 염 등을 들 수 있다.
산부가염은 무기산과 형성되는 것일 수도 유기산과 형성되는 것일 수도 있다. 무기산으로서는,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질산 및 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유기산으로서는, 아세트산, 벤젠설폰산, 안식향산, 캄퍼설폰산, 구연산, 에탄설폰산, 푸마르산, 글루코헵톤산, 글루콘산, 글루탐산, 글리콜산, 하이드록시나프토산, 2-하이드록시에탄설폰산, 젖산, 말레산, 말산, 만델산, 메탄설폰산, 뮤콘산, 2-나프탈렌설폰산, 프로피온산, 살리실산, 석신산, 디벤조일-L-주석산, 주석산, p-톨루엔설폰산, 트리메틸아세트산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화합물 (I) 혹은 그의 호변 이성체에 존재하는 산성 프로톤과 치환할 수 있는 금속 이온으로서는,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이온, 알칼리 토류 금속 이온 및 알루미늄 이온 등을 들 수 있다.
화합물 (I) 혹은 그의 호변 이성체에 존재하는 산성 프로톤과 배위할 수 있는 유기 염기로서는, 예를 들어 디에탄올아민, 에탄올아민, N-메틸글루카민, 트리에탄올아민 및 트로메타민 등을 들 수 있다. 무기 염기로서는, 예를 들어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칼슘,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 및 수산화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는 화합물 (I) 혹은 그의 호변 이성체, 또는 이들의 농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이것에 의해 처리한 식물에서, 이것에 의해 처리하지 않은 식물에 비해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이 향상된다.
본 명세서에서의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이 향상된다」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에 의해 처리된 식물이, 이것에 의해 처리되지 않은 식물에 비해 환경 스트레스에 의한 생리 장해가 억제된 것을 지칭한다.
「환경 스트레스에 의한 생리 장해가 억제된 것의 지표」로서는, 예를 들어 환경 스트레스 억제율을 들 수 있다. 「환경 스트레스 억제율」이란, 환경 스트레스가 부하된 환경하에서 소정 기간 생육한 후에 식물에 발생하는 생리 장해가, 실시형태에 관한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를 처리함으로써 이것에 의해 처리되지 않은 식물에 비해 억제된 비율이다. 예를 들어, 환경 스트레스가 부하된 환경하에서,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를 처리하지 않은 경우의 식물에 발생하는 생리 장해를 100%로 한 경우, 환경 스트레스 향상제를 처리한 식물에 발생하는 생리 장해가 20%라 하면, 그 환경 스트레스 억제율은 80%가 된다. 「환경 스트레스 억제율」에 관련하여,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이 향상된다」란, 환경 스트레스 억제율이 높은 것을 의도한다.
「생리 장해의 지표」로서는, 예를 들어 식물에서의 고사(말라죽음), 클로로시스(백화 혹은 황화), 네크로시스(괴사) 및 시들음 등, 예를 들어 잎에서의 고사 클로로시스(백화 혹은 황화), 네크로시스(괴사) 및 시들음 등을 들 수 있으나, 이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키, 뿌리 길이, 꽃수, 과실수 및 종자 수확량의 저하 등을 들 수 있다.
일 예인 「식물의 고사율」이란, 시험에 사용하는 그루 수에 대한 당해 그루를 소정 조건하에서 소정 기간 생육한 후에 고사되어 있는 그루 수의 비율이며, 일 예로서 100그루를 소정 조건하에서 소정 기간 생육한 후에 80그루 고사되어 있는 경우의 고사율은 80%이다. 「식물의 고사율」에 관련하여,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이 향상된다」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에 의해 처리된 식물이, 이것에 의해 처리되지 않은 식물에 비해 환경 스트레스가 부하된 환경하에서의 고사율이 낮은 것을 의도한다.
일 예인 「잎의 고사율」이란, 시험에 사용한 식물의 잎수에 대한 당해 식물을 소정 조건하에서 소정 기간 생육한 후에 고사된 잎수의 비율이며, 일 예로서 식물을 소정 조건하에서 소정 기간 생육한 후에 잎수 10매 중 8매가 고사되어 있는 경우의 잎의 고사율은 80%이다. 「잎의 고사율」에 관련하여,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이 향상된다」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에 의해 처리된 식물이, 이것에 의해 처리되지 않은 식물에 비해 환경 스트레스가 부하된 환경하에서의 고사율이 낮은 것을 의도한다.
일 예인 「잎의 백화율」이란, 시험에 사용한 식물의 잎수에 대한 당해 식물을 소정 조건하에서 소정 기간 생육한 후에 백화된 잎수의 비율이며, 일 예로서 식물을 소정 조건하에서 소정 기간 생육한 후에 잎수 10매 중 8매가 백화된 경우의 잎의 백화율은 80%이다. 「잎의 백화율」에 관련하여,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이 향상된다」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에 의해 처리된 식물이, 이것에 의해 처리되지 않은 식물에 비해 환경 스트레스가 부하된 환경하에서의 백화율이 낮은 것을 의도한다.
일 예인 「잎의 괴사율」이란, 공시한 식물의 총잎 면적에 대한 당해 식물을 소정 조건하에서 소정 기간 생육한 후에 괴사한 잎 면적의 비율이며, 일 예로서 식물을 소정 조건하에서 소정 기간 생육한 후에 총잎 면적 100 cm2 중 80 cm2가 괴사한 경우의 잎의 괴사율은 80%이다. 「잎의 괴사율」에 관련하여,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이 향상된다」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에 의해 처리된 식물이, 이것에 의해 처리되지 않은 식물에 비해 환경 스트레스가 부하된 환경하에서의 괴사율이 낮은 것을 의도한다.
일 예인 「잎의 시들음율」이란, 시험에 사용한 식물의 잎수에 대한 당해 식물을 소정 조건하에서 소정 기간 생육한 후에 시들은 잎수의 비율이며, 일 예로서 식물을 소정 조건하에서 소정 기간 생육한 후에 잎수 10매 중 8매가 시들은 경우의 잎의 시들음율은 80%이다. 「잎의 시들음율」에 관련하여,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이 향상된다」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에 의해 처리된 식물이, 이것에 의해 처리되지 않은 식물에 비해 환경 스트레스가 부하된 환경하에서의 시들음율이 낮은 것을 의도한다.
다른 예인 「초장」에 관련하여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이 향상된다」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에 의해 처리된 식물이, 이것에 의해 처리되지 않은 식물에 비해 환경 스트레스가 부하된 환경하에서의 초장이 큰 것을 의도한다. 또한, 다른 예인 「뿌리 길이」에 관련하여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이 향상된다」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에 의해 처리된 식물이, 이것에 의해 처리되지 않은 식물에 비해 환경 스트레스가 부하된 환경하에서의 뿌리 길이가 긴 것을 의도한다. 또한, 다른 예인 「꽃수」에 관련하여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이 향상된다」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에 의해 처리된 식물이, 이것에 의해 처리되지 않은 식물에 비해 환경 스트레스가 부하된 환경하에서의 꽃수가 많은 것을 의도한다. 또한, 다른 예인 「과실수」에 관련하여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이 향상된다」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에 의해 처리된 식물이, 이것에 의해 처리되지 않은 식물에 비해 환경 스트레스가 부하된 환경하에서의 과실수가 많은 것을 의도한다. 또한, 다른 예인 「종자 수확량」에 관련하여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이 향상된다」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에 의해 처리된 식물이, 이것에 의해 처리되지 않은 식물에 비해 환경 스트레스가 부하된 환경하에서의 종자 수확량이 많은 것을 의도한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한 태양으로서는, 환경 스트레스에 의한 식물 또는 잎의 고사, 클로로시스(백화 혹은 황화), 네크로시스(괴사) 또는 시들음을 억제하기 위한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이다.
본 명세서에서의 「환경 스트레스」는 식물이 입을 수 있는 환경적인 요인 중, 정상 생장을 저해하는 요인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고온 스트레스, 저온 스트레스, 동결 스트레스, 염 스트레스, 과잉 양분 스트레스, 건조 스트레스, 과잉수(水) 스트레스, 자외선 스트레스, 약광 스트레스 및 강광 스트레스를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요인은 기본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에 의해 처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정상적인 생육이 곤란한 조건이다. 여기서 말하는 정상적인 생육이란, 이들 요인이 미치지 않으며,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에 의해 처리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생육 정도를 의도한다. 또한, 정상적인 생육이 곤란하다란, 생육이 곤란한 경우에 더하여, 정상적인 생육에 비해 생육 정도가 나쁜 경우도 포함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는 화합물 (I) 또는 그의 농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는 화합물 (I) 및 그의 호변 이성체 중 복수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농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통상, 용액 중에서는, 화합물 (I)과 화합물 (II) 또는 화합물 (III)는 평형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화합물 (I)과 화합물 (II) 또는 화합물 (III)의 비율은 용매, 온도 또는 pH 등에 의해 변동할 수 있다.
(적용 대상)
본 실시형태에서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는 일반적으로 모든 식물에 대한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 효과를 나타내지만, 적용 식물의 예로서 이하를 들 수 있다. 벼, 밀, 보리, 호밀, 귀리, 라이밀(트리티케일), 옥수수, 수수(sorghum), 사탕수수, 잔디, 벤트 그라스, 버뮤다 그라스, 페스큐 및 라이그라스 등의 벼과류, 대두, 땅콩, 강낭콩, 완두, 팥 및 알팔파 등의 콩과류, 고구마 등의 메꽃과류, 고추, 피망, 토마토, 가지, 감자 및 담배 등의 가지과류, 메밀 등의 여뀌과류, 해바라기 등의 국화과류, 인삼 등의 두릅나무과류, 유채, 브로콜리, 배추, 순무, 양배추, 루콜라, 무 및 래디시 등의 유채과류, 사탕무 등의 명아주과류, 목화 등의 아욱과류, 커피나무 등의 꼭두서니과류, 카카오 등의 벽오동과류, 차 등의 동백나무과류, 수박, 멜론, 오이 및 호박 등의 박과류, 양파, 파 및 마늘 등의 백합과류, 딸기, 사과, 아몬드, 살구, 매화, 앵두, 자두, 복숭아 및 배 등의 장미과류, 당근 등의 미나리과류, 토란 등의 토란과류, 망고 등의 옻나무과류, 파인애플 등의 파인애플과류, 파파야 등의 파파야과류, 감 등의 감나무과류, 블루베리 등의 진달래과류, 피칸 등의 호두과류, 바나나 등의 파초과류, 올리브 등의 물푸레나무과류, 코코야자 및 대추야자 등의 야자과류, 귤, 오렌지, 그레이프 프루트 및 레몬 등의 귤과류, 포도 등의 포도과류, 풀꽃(Flowers and ornamental plants), 과수 이외의 나무 및 그 외 관상용 식물.
또한, 야생 식물, 식물 재배 품종, 이종 교배 혹은 원형질 융합 등의 종래의 생물 육종에 의해 얻어지는 식물 및 식물 재배 품종, 및 유전자 조작에 의해 얻어지는 유전자 재조합 식물 및 식물 재배 품종을 들 수 있다. 유전자 재조합 식물 및 식물 재배 품종으로서는, 예를 들어 제초제 내성 작물, 살충성 단백 산생 유전자를 편입한 해충 내성 작물, 병해에 대한 저항성 유도 물질 산생 유전자를 편입한 병해 내성 작물, 식미(食味) 향상 작물, 수량 향상 작물, 보존성 향상 작물 및 수량 향상 작물 등을 들 수 있다. 각국에서 인가를 받은 유전자 재조합 식물 재배 품종으로서는, 국제 농업 바이오(agri-bio) 사업단(ISAAA)의 데이터 베이스에 축적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AgriSure, AgriSure 3000GT, AgriSure 3122 E-Z Refuge, AgriSure 3122 Refuge Renew, AgriSure Artesian 3030A, AgriSure Artesian 3011A, AgriSure Duracade, AgriSure Duracade 5222 E-Z Refuge, AgriSure GT, AgriSure GT/CB/LL, AgriSure RW, AgriSure Viptera 3110, AgriSure Viptera 3111, AgriSure Viptera 3220 E-Z Refuge, AgriSure Viptera 3220 Refuge Renew, BiteGard, Bollgard, Bollgard II, Bollgard II/Roundup Ready, Bollgard 3 XtendFlex Cotton, Bollgard Cotton, Bollgard/Roundup Ready Cotton, B.t., B.t/BXN Cotton, B.t. Maize, BtXtra, BXN, BXN Canola, BXN Cotton, Clearfield, DroughtGard, Enlist, Enlist Cotton, Enlist WideStrike 3 Cotton, Genuity, Genuity Bollgard II XtendFlex, Genuity Intacta RR2 Pro, Genuity SmartStax, Genuity SmartStax RIB Complete, Genuity VT Double Pro, Genuity VT Double Pro RIB Complete, Genuity VT Triple Pro, Genuity VT Triple Pro RIB Complete, GlyTol, GlyTol Cotton, Herculex, Herculex 1, Herculex RW, Herculex XTRA, IMI, IMI Canola, InVigor, KnockOut, Liberty Link, Liberty Link Conola, Liberty Link cotton, NatureGard, Newleaf, Nucotn, Optimum, Optimum AcreMax, Optimum AcreMax I, Optimum AcreMax-R, Optimum AcreMax RW, Optimum AcreMax RW-R, Optimum AcreMax Xtra-R, Optimum AcreMax Xtreme-R, Optimum AcreMax Xtreme, Optimum Intrasect, Optimum Intrasect Xtra, Optimum Intrasect Xtreme, Optimum Leptra, Optimum TRIsect, Poast Compatible, Powercore, Powercore Corn, Powercore Corn Refuge Advanced, Protecta, Roundup Ready, Roundup Ready 2, Roundup Ready Conola, Roundup Ready Cotton, Roundup Ready Xtend, Roundup Ready/YieldGard, RR Flex/Bollgard II, SCS, SmartStax, SmartStax Refuge Advanced, StarLink, Twinlink, VipCot, VipCot Cotton, WideStrike, WideStrike 3, YieldGard, YieldGard Corn Borner, YieldGard Rootworm, YieldGard Plus 및 YieldGard VT Triple 등의 등록 상표를 포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제제)
본 실시형태에서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는 일반적으로는, 유효 성분인 화합물 (I) 혹은 그의 호변 이성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담체, 계면 활성제 및 그 외 제제 보조제 등과 혼합하여 분제, 입제, 분입제, 수화제, 수용제, 유제(乳劑), 액제, 유제(油劑), 에어로졸, 마이크로캡슐제, 페이스트제, 도포제, 훈연제, 훈증제 및 미량 살포제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제하여 사용한다.
제제 보조제로서 사용하는 담체로서는, 고체 담체 및 액체 담체 등을 들 수 있다. 고체 담체로서는, 분말 담체 및 입상 담체 등으로서 사용되며, 예를 들어 클레이, 탈크, 규조토, 제올라이트(비석), 몬모릴로나이트, 벤토나이트, 카올리나이트, 카올린, 파이로필라이트, 납석, 산성 백토, 활성 백토, 아타풀자이트, 아타펄거스 클레이, 석회석, 방해석, 대리석, 버미큘라이트, 펄라이트, 경석, 규석, 규사, 견운모(세리사이트) 및 도석 등의 광물; 요소 등의 합성 유기물; 탄산칼슘, 탄산나트륨, 탄산마그네슘, 황산나트륨, 황산암모늄, 염화칼륨, 소석회 및 중조 등의 염류; 비정질 실리카(화이트 카본, 흄드 실리카 등) 및 이산화티탄 등의 합성 무기물; 목질 분말, 옥수수 줄기(옥수수대), 호두 껍데기(견과 외피), 과실핵, 겨, 코코넛 껍질, 톱밥, 기울, 대두 분말, 분말 셀룰로오스, 전분, 덱스트린 및 당류(유당, 자당 등) 등의 식물성 담체; 가교 리그닌, 양이온 겔, 가열 또는 다가 금속염으로 겔화하는 젤라틴, 수용성 고분자 겔(한천 등), 염소화 폴리에틸렌, 염소화 폴리프로필렌,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염화비닐,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및 요소/알데히드 수지 등의 다양한 고분자 담체 등을 들 수 있다.
액체 담체로서는, 예를 들어 파라핀류(노말파라핀, 이소파라핀, 나프텐) 등의 지방족 용제; 크실렌, 알킬벤젠, 알킬나프탈렌 및 솔벤트 나프타 등의 방향족 용제; 등유(케로신) 등의 혼합 용제; 정제 고비점 지방족 탄화수소 등의 머신유;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및 사이클로헥산올 등의 알코올류;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류; 프로필렌계 글리콜 에테르 등의 다가 알코올 유도체류; 아세톤, 아세토페논, 사이클로헥사논, 메틸사이클로헥사논 및 γ-부티로락톤 등의 케톤류;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야자유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 젖산 에틸헥실, 탄산 프로필렌 및 이염기산 메틸 에스테르(석신산 디메틸 에스테르, 글루탐산 디메틸 에스테르, 아디프산 디메틸 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류; N-알킬피롤리돈류 및 아세토니트릴 등의 함질소 용제; 디메틸설폭사이드 등의 함황 용제; 야자유, 대두유 및 채종유 등의 유지류; 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옥탄아미드, N,N-디메틸데칸아미드, 5-(디메틸아미노)-2-메틸-5-옥소-길초산 메틸 에스테르 및 N-아실모르폴린계 용제(CAS No. 887947-29-7 등) 등의 아미드계 용제; 물 등을 들 수 있다.
제제 보조제로서 사용하는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쪽성 계면 활성제,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 불소계 계면 활성제 및 바이오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수지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디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디알킬 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페닐 에테르 포르말린 축합물,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폴리머, 알킬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폴리머 에테르, 알킬 페닐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폴리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비스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벤질 페닐(또는 페닐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스티릴페닐(또는 페닐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및 알킬 글루코시드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알킬 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페닐 에테르 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벤질(또는 스티릴) 페닐(또는 페닐페닐) 에테르 설페이트 및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폴리머 설페이트 등의 설페이트류; 파라핀(알칸) 설포네이트, α-올레핀 설포네이트, 디알킬 설포석시네이트, 알킬벤젠 설포네이트, 모노 또는 디알킬 나프탈렌 설포네이트, 나프탈렌 설포네이트·포르말린 축합물, 알킬 디페닐 에테르 디설포네이트, 리그닌 설포네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페닐 에테르 설포네이트 및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설포석신산 하프 에스테르 등의 설포네이트류; 지방산, 수지산, 폴리카복실산, 알킬 에테르 카복실레이트, 알케닐 석신산, N-아실아미노산 및 나프텐산 등의 카복실레이트류;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모노 또는 디알킬 페닐 에테르 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벤질(또는 스티릴) 페닐(또는 페닐페닐) 에테르 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폴리머 포스페이트 및 알킬 포스페이트 등의 포스페이트류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알킬 아민 및 알킬 펜타메틸 프로필렌디아민 등의 아민류의 염; 알킬 트리메틸 암모늄, 메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암모늄, 알킬피리디늄, 모노 또는 디알킬메틸화 암모늄, 알킬디메틸 벤잘코늄 및 벤제토늄(옥틸페녹시 에톡시 에틸 디메틸 벤질 암모늄) 등의 암모늄류의 염류 등을 들 수 있다.
양쪽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디알킬 디아미노에틸 베타인, 알킬 디메틸벤질 베타인 및 레시틴(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등)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실록산 에톡실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불소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퍼플루오로알킬 카복실산염, 퍼플루오로알킬 설폰산염 및 퍼플루오로알킬 트리메틸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바이오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소포로리피드, 람노리피드, 트레할로스 리피드, 만노실 알디톨 리피드, 셀로비오스 리피드, 글루코스 리피드, 올리고당 지방산 에스테르, 스피쿨리스포르산, 코리노미콜산, 아가리틴산, 서팩틴, 세라웨틴, 비스코신, 라이켄신, 아스로팍틴, 에멀전 및 알라산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 제제용 보조제로서는, pH 조절제로서 사용되는 무기 염류(나트륨, 칼륨 등) 등; 식염 등의 수용성 염류; 증점제로서 사용되는 잔탄검, 구아검, 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복시비닐 폴리머, 아크릴계 폴리머, 폴리비닐 알코올, 전분 유도체, 수용성 고분자(다당류 등), 알긴산 및 그 염 등; 붕괴 분산제로서 사용되는 스테아르산 금속염, 트리폴리인산 소다, 헥사메타인산 소다 등; 방부제로서 사용되는 안식향산 및 그 염, 소르브산 및 그의 염, 프로피온산 및 그 염, p-하이드록시안식향산, p-하이드록시안식향산 메틸, 1,2-벤조티아졸린-3-온 등; 보충제로서 사용되는 폴리인산 나트륨,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리그닌 설폰산 나트륨, 구연산 나트륨, 글루콘산/글루코헵탄산 나트륨, 에틸렌디아민사초산 및 그 디나트륨염 또는 암모늄염 등; 착색제로서 사용되는 안료, 염료 등; 소포제로서 사용되는 불소계 소포제, 실리콘계 소포제,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공중합체 등; 산화방지제로서 사용되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아민계 산화방지제, 황계 산화방지제, 인산계 산화방지제 등; 자외선 흡수제로서 사용되는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등; 건조제로서 사용되는 생석회, 산화마그네슘 등; 그 외, 전착제 및 약해 경감제 등을 들 수 있다.
제제에는, 그대로 사용하는 것과 물 등의 희석제로 소정 농도로 희석하여 사용하는 것이 있다. 희석하여 사용할 때의 화합물 (I)의 농도는 0.0001~1 중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화합물 (I)의 호변 이성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들 제제에는 유효 성분으로서 화합물 (I)을 0.1~9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0 중량% 포함되도록 제제한다. 또한, 화합물 (I)의 사용량은 밭, 논, 과수원 및 온실 등의 농원예지 1 ha당 0.005~50 kg,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30 kg이다. 화합물 (I)의 호변 이성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들의 사용 농도 및 사용량은 제형, 사용 시기, 사용 방법, 사용 장소 및 대상 식물 등에 따라서도 상이하기 때문에, 상기 범위로 구애되지 않고 증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유효 성분)
본 실시형태에서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는 이미 알려진 다른 유효 성분과 조합하여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로서의 성능을 높여 사용하거나, 혹은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과는 상이한 효과를 부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미 알려진 다른 유효 성분으로서는, 이미 알려진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 이미 알려진 식물 생장 조절제, 살균제, 살충제, 살진드기제, 살선충제 및 제초제에 포함되는 유효 성분을 들 수 있다.
이미 알려진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의 유효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해조 추출물, 옥수수 추출물, 미세 조류, 균근균, 휴민산, 풀보산, 산화형 글루타티온, L-프롤린, 글리신 베타인, 5-아미노레불린산, 2-헥센알, 트레할로스, 규산, 니코틴산, 아세트산 및 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미 알려진 식물 생장 조정제의 유효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아미노에톡시비닐글리신, 클로르메?R(chlormequat), 클로르프로팜(chlorpropham), 사이클라닐리드(cyclanilide), 디케굴락(dikegulac), 다미노지드(daminozide), 에테폰(ethephon), 플루르프리미돌(flurprimidol), 플루메트랄린(flumetralin), 포클로르페뉴론(forchlorfenuron), 지베렐린(gibberellin), 메피?R 클로라이드(mepiquat chloride), 메틸사이클로프로펜, 벤질아미노푸린(benzylaminopurine), 파클로부트라졸(paclobutrazol), 프로헥사디온(prohexadione), 티디아주론(thidiazuron), 트리부틸 포스포로트리티오에이트(tributyl phosphorotrithioate), 트리넥사팍에틸(trinexapac-ethyl), 유니코나졸(uniconazole), 1-나프탈렌아세트산 나트륨, 1-나프틸아세트아미드, 1-메틸사이클로프로펜, 4-CPA(4-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 MCPB(2-메틸-4-클로로페녹시부티르산에틸), 이소프로티올레인, 인돌부티르산, 에티클로제이트(Ethychlozate), 포름산 칼슘, 클로르메?R, 콜린, 시안아미드, 디클로르프롭(dichlorprop), 데실 알코올, 트리올레산 솔비탄, 니코설퓨론(nicosulfuron), 피라플루펜에틸, 부트랄린(butralin), 프로하이드로자스몬(prohydrojasmon), 아니시플루퓨린(anisiflupurin) 및 펜디메탈린(pendimethalin)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 용도로 아주 적합한 유효한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핵산 합성 대사 저해제, 세포 골격과 모터 단백질에 작용하는 살균제, 호흡 저해제, 아미노산·단백질 생합성 저해제, 시그널 전달 저해제, 지질 생합성 또는 수송/세포막의 구조 또는 기능 저해제, 세포막의 스테롤 생합성 저해제, 세포벽 생합성 저해제, 멜라닌 생합성 저해제, 숙주 식물의 저항성 유도제, 다작용점 살균제 및 복수의 작용 기구를 갖는 생물 농약/생물 유래의 농약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핵산 합성 대사 저해제로서는 베나락실(benalaxyl), 베나락실 M 또는 키랄락실, 푸랄락실(furalaxyl), 메탈락실(metalaxyl), 메탈락실 M 또는 메페녹삼, 오퓨레이스(ofurace), 옥사딕실(oxadixyl), 부피리메이트(bupirimate), 디메티리몰(dimethirimol), 에티리몰(ethirimol), 하이드록시이소옥사졸, 옥틸리논(octhilinone) 및 옥솔린산(oxolinic acid)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세포 골격과 모터 단백질에 작용하는 살균제로서는, 베노밀(benomyl), 카벤다짐(carbendazim), 푸베리다졸(fuberidazole), 티아벤다졸(thiabendazole), 티오파네이트(thiophanate), 티오파네이트메틸, 디에토펜카브(diethofencarb), 에타복삼(ethaboxam), 펜사이큐론(pencycuron), 족사마이드(zoxamide), 플루오피콜라이드(fluopicolide), 플루오피모미드(fluopimomide), 페나마크릴(phenamacril), 메트라페논(metrafenone) 및 피리오페논(pyriofenone)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호흡 저해제로서는, 디플루메토림(diflumetorim), 페나자퀸(fenazaquin), 톨펜피라드(tolfenpyrad), 베노다닐(benodanil), 벤조빈디플루피르(benzovindiflupyr), 빅사펜(bixafen), 보스칼리드(boscalid), 카복신(carboxin), 펜푸람(fenfuram), 플루베네테람(flubeneteram), 플루인다피르(fluindapyr), 플루오피람(fluopyram), 플루톨라닐(flutolanil), 플룩사피록사드(fluxapyroxad), 푸라메트피르(furametpyr), 인피르플룩삼(inpyrfluxam), 이소페타미드(isofetamid), 이소플루시프람(isoflucypram), 이소피라잠(isopyrazam), 메프로닐(mepronil), 옥시카복신(oxycarboxin), 펜플루펜(penflufen), 펜티오피라드(penthiopyrad), 피디플루메토펜(pydiflumetofen), 피라프로포인(pyrapropoyne), 피라지플루미드(pyraziflumid), 세닥산(sedaxane), 티플루자미드(thifluzamide), 아족시스트로빈(azoxystrobin), 쿠목시스트로빈(coumoxystrobin), 디목시스트로빈(dimoxystrobin), 에네스트로빈(enestrobin), 에녹사스트로빈(enoxastrobin), 파목사돈(famoxadone), 페나미돈(fenamidone), 페나민스트로빈(fenaminstrobin), 플루페녹시스트로빈(flufenoxystrobin), 플루옥사스트로빈(fluoxastrobin), 크레속심메틸(kresoxim-methyl), 만데스트로빈(mandestrobin), 메토미노스트로빈(metominostrobin), 메틸테트라프롤(metyltetraprole), 오리사스트로빈(orysastrobin), 피콕시스트로빈(picoxystrobin, 피라클로스트로빈(pyraclostrobin), 피라메토스트로빈(pyrametostrobin), 피라옥시스트로빈(pyraoxystrobin), 피리벤카브(pyribencarb), 트리클로피리카브(triclopyricarb), 트리플록시스트로빈(trifloxystrobin), 아미설브롬(amisulbrom), 시아조파미드(cyazofamid), 펜피콕사미드(fenpicoxamid), 플로릴피콕사미드(florylpicoxamid), 메타릴피콕사미드(mtarylpicoxamid), 비나파크릴(binapacryl), 디노캅(dinocap), 플루아지남(fluazinam), 멥틸디노캅(meptyldinocap), 아세트산 트리페닐 주석, 염화트리페닐 주석, 수산화 트리페닐 주석, 실티오팜(silthiopham) 및 아메톡트라딘(ametoctradin)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아미노산 및 단백질 생합성 저해제로서는, 사이프로디닐(cyprodinil), 메파니피림(mepanipyrim), 피리메타닐(pyrimethanil), 블라스티시딘(blasticidin) S, 가스가마이신(kasugamycin),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및 옥시테트라사이클린(oxytetracycline)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시그널 전달 저해제로서는, 프로퀴나지드(proquinazid), 퀴녹시펜(quinoxyfen), 플루디옥소닐(fludioxonil), 클로졸리네이트(chlozolinate), 디메타클론(dimethachlon), 펜피클로닐(fenpiclonil), 이프로디온(iprodione), 프로사이미돈(procymidone) 및 빈클로졸린(vinclozolin)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지질 생합성 또는 수송/세포막의 구조 또는 기능 저해제로서는, 에디펜포스(EDDP), 이프로벤포스(IBP), 이소프로티올란(isoprothiolane), 피라조포스(pyrazophos), 비페닐, 클로로넵(chloroneb), 디클로란(CNA), 에트리디아졸(echlomezol), 퀸토젠(PCNB), 테크나젠(TCNB), 톨클로포스메틸(tolclofos-methyl), 아이오도카브(iodocarb), 프로파모카브(propamocarb), 프로티오카브(prothiocarb), 멜라루카 알터니폴리아(티트리)의 추출물, 식물유류 혼합물(유제놀, 게라니올, 티몰), 나타마이신(natamycin)(피마리신), 플루옥사피프롤린(fluoxapiprolin) 및 옥사티아피프롤린(oxathiapiprolin) 등을 들 수 있다.
세포막의 스테롤 생합성 저해제로서는, 아자코나졸(azaconazole), 비터타놀(bitertanol), 브로무코나졸(bromuconazole), 사이프로코나졸(cyproconazole), 디페노코나졸(difenoconazole), 디니코나졸(diniconazole), 에폭시코나졸(epoxiconazole), 에타코나졸(etaconazole), 펜부코나졸(fenbuconazole), 플루옥시티오코나졸(fluoxytioconazole), 플루퀸코나졸(fluquinconazole), 플루실라졸(flusilazole), 플루트리아폴(flutriafol), 헥사코나졸(hexaconazole), 이마잘릴(imazalil), 이미벤코나졸(imibenconazole), 이프코나졸(ipconazole), 입펜트리플루코나졸(ipfentrifluconazole), 메펜트리플루코나졸(mefentrifluconazole), 메트코나졸(metconazole), 마이클로부타닐(myclobutanil), 옥스포코나졸(oxpoconazole), 페푸라조에이트(pefurazoate), 펜코나졸(penconazole), 프로클로라즈(prochloraz), 프로피코나졸(propiconazole), 프로티오코나졸(prothioconazole), 시메코나졸(simeconazole), 테부코나졸(tebuconazole), 테트라코나졸(tetraconazole), 트리아디메폰(triadimefon), 트리아디메놀(triadimenol), 트리플루미졸(triflumizole), 트리티코나졸(triticonazole), 페나리몰(fenarimol), 뉴아리몰(nuarimol), 피리페녹스(pyrifenox), 피리속사졸(pyrisoxazole), 트리포린(triforine), 메틸(2RS)-2-[2-클로로-4-(4-클로로페녹시)페닐]-2-하이드록시-3-(1H-1, 2, 4-트리아졸-1-일)프로파노에이트, 1-((1H-1, 2, 4-트리아졸-1-일)메틸)-5-(4-클로로벤질)-2-(클로로메틸)-2-메틸사이클로펜탄-1-올, 메틸2-((1H-1, 2, 4-트리아졸-1-일)메틸)-3-(4-클로로벤질)-2-하이드록시-1-메틸사이클로펜탄-1-카복실레이트, 알디모르프(aldimorph), 도데모르프(dodemorph), 펜프로피모르프(fenpropimorph), 트리데모르프(tridemorph), 펜프로피딘(fenpropidin), 피페랄린(piperalin), 스피록사민(spiroxamine), 펜헥사미드(fenhexamid), 펜피라자민(fenpyrazamine), 피리부티카브(pyributicarb), 나프티핀(naftifine) 및 테르비나핀(terbinafine) 등을 들 수 있다.
세포벽 생합성 저해제로서는, 폴리옥신(polyoxin), 벤티아발리카브(benthiavalicarb)(벤티아발리카브이소프로필), 디메토모르프(dimethomorph), 플루모르프(flumorph), 이프로발리카브(iprovalicarb), 만디프로파미드(mandipropamid), 피리모르프(pyrimorph) 및 발리페날레이트(valifenalate) 등을 들 수 있다.
멜라닌 생합성 저해제로서는, 프탈리드(fthalide), 피로퀼론(pyroquilon), 트리사이클라졸(tricyclazole), 카프로파미드(carpropamid), 디클로사이메트(diclocymet), 페녹사닐(fenoxanil) 및 톨프로카브(tolprocarb) 등을 들 수 있다.
숙주 식물의 저항성 유도제로서는, 아시벤졸라S메틸(acibenzolar-S-methyl), 프로베나졸(probenazole), 티아디닐(tiadinil), 이소티아닐(isothianil), 라미나린, 왕호장근 추출액, 바실러스·마이코이데스 분리주 J, 사카로미세스·세레비시아 LAS117주의 세포벽, 포세틸(포세틸­알루미늄, 포세틸칼륨, 포세틸나트륨), 인산, 인산염 및 디클로벤티아족스(dichlobentiazox) 등을 들 수 있다.
다작용점 살균제로서는, 퍼밤(ferbam), 만제브(manzeb), 만네브(maneb), 메티람(metiram), 프로피네브(propineb), 티우람(thiuram), 티아졸 아연, 지네브(zineb), 지람(ziram), 아모밤(amobam), 아닐라진(anilazine), 디티아논(dithianon), 디클로플루아니드(dichlofluanid), 톨릴플루아니드(tolylfluanid), 구아자틴(guazatine), 이미녹타딘 아세트산염(iminoctadine acetate), 이미녹타딘 알베실산염(iminoctadine albesilate), 구리 또는 다양한 구리염(예를 들어 염기성 염화구리, 수산화제이구리, 염기성 황산구리, 황산구리, 유기 구리(옥신 구리), 노닐페놀 설폰산 구리, DBEDC 등), 황, 캡탄(captan), 캡타폴(captafol), 폴펫(folpet), TPN(클로로탈로닐), 퀴녹살린계(키노메티오네이트), 플루오로이미드 및 메타설포카브(methasulfocarb) 등을 들 수 있다.
복수의 작용 기구를 갖는 생물 농약/생물 유래의 농약으로서, 바실러스·서브틸리스 AFS032321주, 바실러스·아밀로리퀴파시엔스 QST713주, 바실러스·아밀로리퀴파시엔스 FZB24주, 바실러스·아밀로리퀴파시엔스 MBI600주, 바실러스·아밀로리퀴파시엔스 D747주, 바실러스·아밀로리퀴파시엔스 F727주, 크로노스타치스·로세아 CR-7주, 글리오클라디움·카테눌라툼 J1446주, 슈도모나스·클로로라피스 AFS009주, 스트렙토마이세스·그리세오비리디스 K61주, 스트렙토마이세스·리디커스 WYEC108주, 트리코델마·아트로비리데 I-1237주, 트리코델마·아트로비리데 LU132주, 트리코델마·아트로비리데 SC1주, 트리코델마·아스퍼렐룸 T34주, 스윙레아·글루티노사로부터의 추출물 및 루피너스 묘목의 자엽으로부터의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 살균제 용도의 화합물로서, 클로로인코나지드, 세복틸아민, 플루메틸술포림(flumetylsulforim), 플루페녹사디아잠(flufenoxadiazam), 사이플루페나미드(cyflufenamid), 사이목사닐(cymoxanil), 디클로메진(diclomezine), 디피메티트론(dipymetitrone), 도딘(dodine), 페니트로판(fenitropan), 페림존(ferimzone), 플루설파미드(flusulfamide), 플루티아닐(flutianil), 하핀(harpin), 무기 염류(탄산수소염(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탄산칼륨), 이프플루페노퀸(ipflufenoquin), 키노프롤(kinoprol), 천연물 기원, 머신유, 유기유, 피카뷰트라족스(picarbutrazox), 피리다클로메틸(pyridachlometyl), 퀴노푸멜린(quinofumelin), 테부플로퀸(tebufloquin), 테클로프탈람(tecloftalam)(살세균제), 트리아족시드(triazoxide), 발리다마이신(validamycin), 아미노피리펜(aminopyrifen) 및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살충제 용도로 아주 적합한 유효한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아제(AChE) 저해제, GABA 작동성 염화물 이온 채널 블로커, 나트륨 채널 모듈레이터,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nAChR) 경합적 모듈레이터,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nAChR) 알로스테릭 모듈레이터, 글루탐산 작동성 염소 이온 채널(GluCl) 알로스테릭 모듈레이터, 유약(幼若) 호르몬 유사제, 그 외 비특이적(멀티사이트) 저해제, 현음 기관 TRPV 채널 모듈레이터, CHS1에 작용하는 진드기류 성장 저해제, 미생물 유래 곤충 중장(中腸) 내막 파괴제, 미토콘드리아 ATP 합성 효소 저해제, 프로톤 구배를 교란하는 산화적 인산화 탈공역제,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nAChR) 채널 블로커, CHS1에 작용하는 키틴 생합성 저해제, 키틴 생합성 저해제(타입 1), 탈피 저해제(파리목 곤충), 탈피 호르몬(에크디손) 수용체 아고니스트, 옥토파민 수용체 아고니스트, 미토콘드리아 전자 전달계 복합체 III 저해제, 미토콘드리아 전자 전달계 복합체 I 저해제(METI), 전위 의존성 나트륨 채널 블로커, 아세틸 CoA 카르복실라제 저해제, 미토콘드리아 전자 전달계 복합체 IV 저해제, 미토콘드리아 전자 전달계 복합체 II 저해제, 리아노딘 수용체 모듈레이터, 현음 기관 모듈레이터, GABA 작동성 염화물 이온 채널 알로스테릭 모듈레이터 및 바큘로바이러스 등을 들 수 있다.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아제(AChE) 저해제로서는, 알라니카브(alanycarb), 알디카브(aldicarb), 벤디오카브(bendiocarb), 벤퓨라카브(benfuracarb), 부토카복심(butocarboxim), 부톡시카복심(butoxycarboxim), NAC(카바릴), 카보푸란(carbofuran), 카보설판(carbosulfan), 에티오펜카브(ethiofencarb), BPMC(페노부카브), 페노티오카브(fenothiocarb), 포메타네이트(formetanate), 푸라티오카브(furathiocarb), MIPC(이소프로카브), 메티오카브(methiocarb), 메토밀(methomyl), MTMC(메톨카브), 옥사밀(oxamyl), 프리미카브(pirimicarb), PHC(프로폭서), 티오디카브(thiodicarb), 티오파녹스(thiofanox), 트리아자메이트(triazamate), 트리메타카브(trimethacarb), XMC, MPMC(크실릴카브), 아세페이트(acephate), 아자메티포스(azamethiphos), 아진포스에틸(azinphos-ethyl), 아진포스메틸(azinphos-methyl), 카두사포스(cadusafos), 클로레톡시포스(chlorethoxyfos), CVP(클로르펜빈포스), 클로르메포스(chlormephos), 클로르피리포스(chlorpyrifos), 클로르피리포스메틸, 코우마포스(coumaphos), CYAP(시아노포스), 디메톤-S-메틸, 디아지논(diazinon), DDVP(디클로르보스), 디크로토포스(dicrotophos), 디메토에이트(dimethoate), 디메틸빈포스(dimethylvinphos), 에틸티오메톤(ethylthiometon)(디설포톤(disulfoton)), EPN, 에티온(ethion), 에토프로포스(ethoprophos), 팜푸르(famphur), 페나미포스(fenamiphos), MEP(페니트로티온), MPP(펜티온), 포스티아제이트(fosthiazate), 헵테노포스(heptenophos), 이미시아포스(Imicyafos), 이소펜포스(isofenphos), 이소프로필 O-(메톡시아미노티오포스포릴)살리실레이트, 이속사티온(isoxathion), 말라티온(malathion), 메카밤(mecarbam), 메타미도포스(methamidophos), DMTP(메티다티온), 메빈포스(mevinphos), 모노크로토포스(monocrotophos), BRP(날레드), 오메토에이트(omethoate), 옥시디메톤메틸, 파라티온(parathion), 메틸파라티온(파라티온메틸), PAP(펜토에이트), 포레이트(phorate), 포살론(phosalone), PMP(포스메트), 포스파미돈(phosphamidon), 폭심(phoxim), 피리미포스메틸(pirimiphos-methyl), 프로페노포스(profenofos), 프로페탐포스(propetamphos), 프로티오포스(prothiofos), 피라클로포스(pyraclofos), 피리다펜티온(pyridaphenthion), 퀴날포스(quinalphos), 설포텝(sulfotep), 테부피림포스(tebupirimfos), 테메포스(temephos), 테르부포스(terbufos), CVMP(테트라클로르빈포스), 티오메톤(thiometon), 트리아조포스(triazophos), DEP(트리클로르폰) 및 바미도티온(vamidothion) 등 을 들 수 있다.
GABA 작동성 염화물 이온 채널 블로커로서는, 클로르단(chlordane), 벤조에핀(benzoepin)(엔도설판), 디에노클로르(dienochlor), 에티프롤(ethiprole), 피프로닐(fipronil), 피리프롤(pyriprole) 및 니코플루프롤(nicofluprole) 등을 들 수 있다.
나트륨 채널 모듈레이터로서는, 아크리나트린(acrinathrin), 알레트린(allethrin)(알레트린, d-시스-트랜스-, d-트랜스-이성체), 비펜트린(bifenthrin), 바이오알레트린(bioallethrin)(바이오알레트린, S-사이클로펜테닐-이성체), 바이오레스메트린(bioresmethrin), 클로로프랄레트린(chloroprallethrin), 클로르펜손(chlorfenson), 사이클로프로트린(cycloprothrin), 사이플루트린(cyfluthrin)(사이플루트린, β-이성체), 사이할로트린(cyhalothrin)(사이할로트린, λ-, γ-이성체), 사이퍼메트린(cypermethrin)(사이퍼메트린, α-, β-, θ-, ζ-이성체), 사이페노트린(cyphenothrin)[(1R)-트랜스 이성체], 델타메트린(deltamethrin), 디메플루트린(dimefluthrin), 엠펜트린(empenthrin)[(EZ)-(1R)-이성체], 에스펜발러레이트(esfenvalerate), 에토펜프록스(etofenprox), 펜프로파트린(fenpropathrin), 펜발러레이트(fenvalerate), 플루브로시트리네이트(flubrocythrinate), 플루시트리네이트(flucythrinate), 플루메트린(flumethrin), 플루발리네이트(fluvalinate)(τ-플루발리네이트), 할펜프록스(halfenprox), 이미프로트린(imiprothrin), 카데트린(kadethrin), 메토플루트린(metofluthrin), 몸플루오로트린(momfluorothrin), 엡실론 메토플루트린, 엡실론 몸플루오로트린, 퍼메트린(permethrin), 페노트린(phenothrin)[(1R)-트랜스 이성체], 프랄레트린(prallethrin), 프로플루트린(profluthrin), 피레트린(pyrethrine), 레스메트린(resmethrin), 실라플루오펜(silafluofen), 테플루트린(tefluthrin), 프탈트린(테트라메트린), 테트라메트린[(1R)-이성체], 트랄로메트린(tralomethrin), 트랜스플루트린(transfluthrin), DDT, 메톡시클로르(methoxychlor), 알드린(aldrin), 디엘드린(dieldrin) 및 린덴(lindane) 등을 들 수 있다.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nAChR) 경합적 모듈레이터로서는, 아세타미프리드(acetamiprid), 클로티아니딘(clothianidin), 디노테퓨란(dinotefuran), 이미다클로프리드(imidacloprid), 니텐피람(nitenpyram), 티아클로프리드(thiacloprid), 티아메톡삼(thiamethoxam), 황산니코틴(니코틴), 술폭사플로르(sulfoxaflor), 플루피라디퓨론(flupyradifuron), 디클로로메조티아즈(dicloromezotiaz), 펜메조디티아즈(fenmezoditiaz) 및 트리플루메조피림(triflumezopyrim) 등을 들 수 있다.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nAChR) 알로스테릭 모듈레이터로서는, 스피네토람(spinetoram), 스피노사드(spinosad), 플루피리민(flupyrimin) 및 GS-오메가/카파 HXTX-Hv1a 펩타이드 등을 들 수 있다.
글루탐산 작동성 염소 이온 채널(GluCl) 알로스테릭 모듈레이터로서는, 아바멕틴, 에마멕틴 안식향산염, 레피멕틴 및 밀베멕틴 등을 들 수 있다.
유약 호르몬 유사제로서는, 하이드로프렌, 키노프렌(kinoprene), 메토프렌(methoprene), 페녹시카브(fenoxycarb) 및 피리프록시펜(pyriproxyfen)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 비특이적(멀티사이트) 저해제로서는, 브롬화메틸(메틸 브로마이드), 그 외 할로겐화 알킬류, 클로로피크린, 불화 알루미늄 나트륨, 불화 설퍼릴, 붕사, 붕산, 옥타붕산 이나트륨염, 메타붕산 나트륨염, 토주석, 다조멧, 카밤(메탐 암모늄염), 메탐 나트륨염(카밤 나트륨염) 및 메틸이소티오시아네이트(이소티오시안산메틸) 등을 들 수 있다.
현음 기관 TRPV 채널 모듈레이터로서는, 피메트로진(pymetrozine), 피리플루퀴나존(pyrifluquinazon) 및 아피도피로펜(afidopyropen) 등을 들 수 있다.
CHS1에 작용하는 진드기류 성장 저해제로서는, 클로펜테진(clofentezine), 디플로비다진(diflovidazin), 헥시티아족스(hexythiazox) 및 에톡사졸(etoxazole) 등을 들 수 있다.
미생물 유래 곤충 중장 내막 파괴제로서는,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israelensis,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aizawai,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tenebrionis, B.t. 작물에 포함되는 단백질(Cry1Ab, Cry1Ac, Cry1Fa, Cry1A.105, Cry2Ab, Vip3A, mCry3A, Cry3Bb, Cry34Ab1/Cry35Ab1) 및 Bacillus sphaericus 등을 들 수 있다.
미토콘드리아 ATP 합성 효소 저해제로서는, 디아펜티우론(diafenthiuron), 아조사이클로틴(azocyclotin), 수산화 트리사이클로헥실주석(사이헥사틴(cyhexatin)), 산화 펜부타주석, BPPS(프로파자이트) 및 테트라디폰(tetradifon) 등을 들 수 있다.
프로톤 구배를 교란하는 산화적 인산화 탈공역제로서는, 클로르페나피르(chlorfenapyr), DNOC 및 설플루라미드(sulfluramid) 등을 들 수 있다.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nAChR) 채널 블로커로서는, 벤설탑(bnsultap), 카탑(cartap) 염산염, 티오사이클람(thiocyclam), 티오설탑(thiosultap) 나트륨염 및 모노설탑(monosultap) 등을 들 수 있다.
CHS1에 작용하는 키틴 생합성 저해제로서는, 비스트리플루론(bistrifluron), 클로르플루아주론(chlorfluazuron), 디플루벤주론(diflubenzuron), 플루사이크록수론(flucycloxuron), 플루페녹수론(flufenoxuron), 헥사플루뮤론(hexaflumuron), 루페뉴론(lufenuron), 노발루론(novaluron), 노비플루뮤론(noviflumuron), 테플루벤주론(teflubenzuron) 및 트리플루뮤론(triflumuron) 등을 들 수 있다.
키틴 생합성 저해제(타입 1)로서는, 뷰프로페진(buprofezin) 등을 들 수 있다.
탈피 저해제(파리목 곤충)로서는, 사이로마진(cyromazine) 등을 들 수 있다.
탈피 호르몬(에크디손) 수용체 아고니스트로서는, 크로마페노지드(chromafenozide), 할로페노지드(halofenozide), 메톡시페노지드(methoxyfenozide) 및 테부페노지드(tebufenozide) 등을 들 수 있다.
옥토파민 수용체 아고니스트로서는, 아미트라즈(amitraz) 등을 들 수 있다.
미토콘드리아 전자 전달계 복합체 III 저해제로서는, 하이드라메틸논, 아세퀴노실(acequinocyl), 플루아크리피림(fluacrypyrim), 플루피록시스트로빈(flupyroxystrobin) 및 비페나제이트(bifenazate) 등을 들 수 있다.
미토콘드리아 전자 전달계 복합체 I 저해제(METI)로서는, 페나자퀸, 펜피록시메이트(fenpyroximate), 피리다벤(pyridaben), 피리미디펜(pyrimidifen), 테부펜피라드(tebufenpyrad), 톨펜피라드 및 데리스(로테논) 등을 들 수 있다.
전위 의존성 나트륨 채널 블로커로서는, 인독사카브(indoxacarb) 및 메타플루미존(metaflumizone) 등을 들 수 있다.
아세틸 CoA 카르복실라제 저해제로서는, 스피로디클로펜(spirodiclofen), 스피로메시펜(spiromesifen), 스피로피디온(spiropidion), 스피독사매트(spidoxamat), 스피로부디펜(spirobudifen) 및 스피로테트라매트(Spirotetramat) 등을 들 수 있다.
미토콘드리아 전자 전달계 복합 IV 저해제로서는, 인화알루미늄, 인화칼슘, 인화수소, 인화아연, 청산(시안화칼슘·시안화나트륨) 및 시안화칼륨 등을 들 수 있다.
미토콘드리아 전자 전달계 복합 II 저해제로서는, 사이에노피라펜(cyenopyrafen), 사이에트피라펜(cyetpyrafen), 사이플루메토펜(cyflumetofen), 피플루부미드(pyflubumide) 및 사이클로부트리플루람(cyclobutrifluram) 등을 들 수 있다.
리아노딘 수용체 모듈레이터로서는, 클로란트라닐리프롤(chlorantraniliprole), 시안트라닐리프롤(cyantraniliprole), 사이클라닐리프롤(cyclaniliprole), 플루벤디아미드(flubendiamide), 테트라닐리프롤(tetraniliprole), 플루클로르디닐리프롤, 티오란트라닐리프롤 (tiorantraniliprole), 테트라클로란트라닐리프롤, 사이할로디아미드(cyhalodiamide) 및 사이프로플라닐리드(cyproflanilide) 등을 들 수 있다.
현음 기관 모듈레이터로서는, 플로니카미드(flonicamid) 등을 들 수 있다.
GABA 작동성 염화물 이온 채널 알로스테릭 모듈레이터로서는, 브로플라닐리드(broflanilide), 플룩사메타미드(fluxametamide) 및 이소사이클로세람(isocycloseram) 등을 들 수 있다.
바큘로바이러스로서는, 코드린나방 Cydia pomonella GV, 유사 코드린나방 Thaumatotibia leucotreta GV, 벨벳빈 카터필러 Anticarsis gemmatalis MNPV 및 왕담배나방 Helicoverpa armigera NPV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 살충제, 살진드기제 및 살선충제로서는, 아자디라크틴(azadirachtin), 벤조메이트(벤족시메이트), 페니소브로모레이트(브로모프로필레이트), 퀴녹살린계(키노메티오네이트), 켈센(디코폴), 석회황합제, 만제브, 피리달릴(pyridalyl), 황, 아사이노나피르(acynonapyr), 아미도플루메트(amidoflumet), 벤즈피리목산(benzpyrimoxan), 플루아자인돌리진(fluazaindolizine), 플루엔설폰(fluensulfone), 플루헥사폰(fluhexafon), 플루펜티오페녹스(flupentiofenox), 플로메토퀸(flometoquin), 메트알데하이드(metaldehyde), 티클로피라조플로르(tyclopyrazoflor), 딤프로피리다즈(dimpropyridaz), 트리플루엔푸로네이트(trifluenfuronate), 인다자피록사메트(indazapyroxamet), 설피플루민(sulfiflumin), 버크홀데리아속균, 올바키아·피피엔티스(Zap), 에파조테 추출물, 글리세린 또는 프로판디올을 갖는 지방산 모노에스테르, 님 오일(neem oil), 머신유, 유채유, 조합유(調合油), 전분, 환원 전분 당화물, 올레산 나트륨, 인산제이철, 네마덱틴(nemadectin), 보베리아·베시아나(Beauveria bassiana)주, 메타리지움·아니소필에(Metarhizium anisopliae)주(F52), 패실로마이세스·푸모소로세우스·아포프카(paecilomyces fumosoroseus Apopka)주(97), 규조토, DCIP(디클로로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D-D(1, 3 디클로로프로펜), 염산 레바미솔(levamisole), 주석산 모란텔 및 티옥사자펜 등을 들 수 있다.
제초제 용도로 아주 적합한 유효한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아세토젖산 합성(ALS) 저해제 화합물, 아미노산계 화합물, 사이클로헥산디온계 화합물, 아세트아미드계 화합물, 비피리딜리움계 화합물, 아릴옥시페녹시프로피온산계 화합물, 카바메이트계 화합물, 피리딘계 화합물, 우레아계 화합물, 디니트로아닐린계 화합물, 프로토포르피리노겐 산화 효소(PPO) 저해 화합물, 페녹시아세트산계 화합물, 하이드록시페닐피루브산 디옥시제나제 효소(HPPD) 저해 화합물 및 트리아진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아세토젖산 합성(ALS) 저해제 화합물로서는, 이마자메타벤즈 및 이마자메타벤즈메틸, 이마자목스, 이마자픽, 이마자피르, 이마자퀸, 이마제타피르, 아미도설퓨론, 아짐설퓨론, 벤설퓨론 및 벤설퓨론메틸, 클로리뮤론 및 클로리뮤론메틸, 클로리뮤론에틸, 클로르설퓨론, 시노설퓨론, 사이클로설파뮤론, 에타메트설퓨론 및 에타메트설퓨론메틸, 에톡시설퓨론, 플라자설퓨론, 플루세토설퓨론, 플루피르설퓨론, 플루피르설퓨론메틸 및 그의 염, 포람설퓨론, 할로설퓨론, 할로설퓨론메틸, 이마조설퓨론, 아이오도설퓨론 및 그 염, 아이오도설퓨론메틸 및 그의 염, 메소설퓨론, 메소설퓨론메틸, 메타조설퓨론, 메트설퓨론, 메트설퓨론메틸, 니코설퓨론, 옥사설퓨론, 프리미설퓨론, 프리미설퓨론메틸, 프로피리설퓨론, 프로설퓨론, 피라조설퓨론, 피라조설퓨론에틸, 림설퓨론, 설포메튜론, 설포메튜론메틸, 설포설퓨론, 티펜설퓨론, 티펜설퓨론메틸, 트리아설퓨론, 트리베뉴론, 트리베뉴론메틸, 트리플록시설퓨론 및 그의 염, 트리플루설퓨론, 트리플루설퓨론메틸, 트리토설퓨론, 이마자메타벤즈메틸, 비스피리박나트륨, 클로란술람, 클로란술람메틸, 디클로술람, 플로라술람, 플루카르바존 및 그의 염, 플루메트술람, 메토술람, 오르토설파뮤론, 페녹스술람, 피록스술람, 프로폭시카르바존 및 그의 염, 피리벤족심, 피리프탈리드, 피리미노박메틸, 피리미설판, 피리티오박 및 그의 염, 피록스술람, 티엔카르바존, 티엔카르바존메틸 및 트리아파몬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산계 화합물로서는, 비알라포스 및 그 염, 글루포시네이트 및 그 염, 글루포시네이트 P 및 그 염 및 글리포세이트 및 그 염 등을 들 수 있다.
사이클로헥산디온계 화합물로서는, 알록시딤, 부트록시딤, 클레토딤, 클로프록시딤, 사이클록시딤, 프로폭시딤, 세톡시딤, 테프랄록시딤 및 트랄콕시딤 등을 들 수 있다.
아세트아미드계 화합물로서는, 나프로파미드, 디메타클로르, 페톡사미드, 아세토클로르, 알라클로르, 알리도클로르(CDAA), 부테나클로르, 델라클로르, 디에타틸 에틸, 프로피소클로르, 피리나클로르, 부타클로르, 디메테나미드, 디메테나미드 P, 메타자클로르, 메톨라클로르, S-메톨라클로르, 프레틸라클로르, 프로파클로르, 테닐클로르, 플루페나셋 및 메페나셋 등을 들 수 있다.
비피리딜리움계 화합물로서는, 사이퍼쿼트, 모르팜쿼트, 디쿼트 및 파라쿼트 등을 들 수 있다.
아릴옥시페녹시프로피온산계 화합물로서는, 클로디나포프, 클로디나포프프로파길, 클로포프, 사이할로포프부틸, 디클로포프, 디클로포프메틸, 디클로포프 P메틸, 페녹사프로프, 페녹사프로프에틸, 페녹사프로프 P에틸, 플루아지포프, 플루아지포프부틸, 플루아지포프 P부틸, 할록시포프, 할록시포프메틸, 할록시포프 P메틸, 이속사피리포프, 메타미포프, 프로파퀴자포프, 퀴잘로포프, 퀴잘로포프에틸, 퀴잘로포프 P에틸 및 퀴잘로포프 P테프릴 등을 들 수 있다.
카바메이트계 화합물로서는, 아술람, 카르베타미드, 데스메디팜, 클로르프로카브, 페니소팜, 사이클로에이트, 지메피페레이트, 페불레이트, 티오카르바질, 버놀레이트, 바르반, 클로르부팜, 클로르프로팜, 프로팜, 스웹, 펜메디팜, 부틸레이트, EPTC, 에스프로카브, 몰리네이트, 오르벤카브, 프로설포카브, 피리부티카브, 티오벤카브(벤티오카브) 및 트리알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피리딘계 화합물로서는, 아미노피랄리드, 클로피랄리드, 디플루페니칸, 디티오피르, 플루리돈, 플루록시피르, 할라욱시펜, 플로르피라욱시펜, 피클로람 및 그의 염, 피콜리나펜, 티아조피르 및 트리클로피르 및 그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우레아계 화합물로서는, 벤즈티아졸론, 브로뮤론, 부투론, 클로르브로뮤론, 클로록수론, 디페녹수론, 디메퓨론, 에티디뮤론, 페뉴론, 플루오티우론, 메토벤주론, 메토브로뮤론, 메톡수론, 모놀리뉴론, 모뉴론(CMU), 네뷰론, 파라플루론, 시듀론, 티아자플루론, 크로로톨루론, 다이뮤론, 디우론(DCMU), 플루오메튜론, 이소프로튜론, 리뉴론, 메타벤즈티아주론, 테부티우론, 큐밀루론, 카르부틸레이트 및 이소우론 등을 들 수 있다.
디니트로아닐린계 화합물로서는, 벤플루랄린(베스로딘), 뷰트랄린, 디니트라민, 에탈플루랄린, 플루클로랄린, 이소프로팔린, 니트랄린, 프로플루랄린, 오리잘린, 펜디메탈린, 프로디아민 및 트리플루랄린 등을 들 수 있다.
프로토포르피리노겐 산화 효소(PPO) 저해 화합물로서는, 아시플루오르펜, 아클로니펜, 아자페니딘, 비페녹스, 클로메톡시닐, 에톡시펜, 에톡시펜에틸, 포메사펜, 플루아졸레이트, 플루오로글리코펜, 플루오로글리코펜에틸, 할로사펜, 락토펜, 옥시플루오르펜, 부타페나실, 에피리페나실, 클로르니트로펜(CNP), 플루오로디펜, 플루오로니트로펜(CFNP), 니트로펜(NIP), 옥시플루오르펜, 클로르프탈림, 플루미프로핀, 카펜트라존, 카펜트라존에틸, 시니돈에틸, 플루미클로락펜틸, 플루미옥사진, 플루티아셋, 플루티아셋메틸, 옥사디아길, 옥사디아존, 펜톡사존, 피라클로닐, 피라플루펜, 피라플루펜에틸, 사플루페나실, 설펜트라존, 티디아지민, 벤즈펜디존, 프로플루아졸 및 플루펜피르에틸 등을 들 수 있다.
페녹시아세트산계 화합물로서는, 2, 4, 5-T, 2, 4-D 및 그의 염, 2, 4-DB 및 그 염, 클로메프로프, 디클로르프로프, 페노프로프, MCPA 및 그의 염, MCPB 및 그 염, 메코프로프(MCPP) 및 그 염 및 메코프로프 P 및 그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하이드록시페닐피루브산 디옥시제나제 효소(HPPD) 저해 화합물로서는, 벤조비사이클론, 벤조페납, 비사이클로피론, 이속사플루톨, 메소트리온, 피라설포톨, 피라졸리네이트(피라졸레이트), 피라족시펜, 술코트리온, 테퓨릴트리온, 템보트리온, 토프라메존, 펜퀴노트리온 및 톨피라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트리아진계 화합물로서는, 아트라톤, 아지프로트린, 클로라진, 사이프라진, 데스메트린, 디프로페트린, 에글리나진에틸, 이파진, 메토프로트린, 프로사이아진, 프로글리나이진, 프로메톤, 프로파진, 세부틸라진, 섹부메톤, 테르부메톤, 트리에타진, 아메트린, 아트라진, 시아나진, 디메타메트린, 헥사지논, 인다지플람, 메타미트론, 메트리뷰진, 프로메트린, 시마진(CAT), 시메트린, 테르부틸라진, 테르부트린 및 트리아지플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그 외 제초제 용도의 화합물로서, 아미카바존, 에티오진, 이소메티오진, 아미노사이클로피라클로르, 아미노트리아졸, 아닐로포스, 피페로포스, 베플루부타미드, 베나졸린, 벤퓨러세이트, 벤타존, 브로마실, 이소실, 브로모뷰타이드, 브로모페녹심, 브로목시닐, 부타미포스, DMPA, TCTP(클로르탈디메틸), 카펜스트롤, 클로리다존(PAC), 브롬피라존, 클로르탈, 클로마존, 큐밀루론, 디캄바(MDBA) 및 그 염, 클로람벤, TCBA(2, 3, 8-TBA), 베나졸린에틸, 클로르페낙, 클로르펜프로프, 디클로베닐(DBN), 클로르티아미드(DCBN), 신메틸린, 메티로졸린, 아미트롤, 플람프로프 M, 포사민, 메틸다이뮤론, 모날리드, MSMA, 디펜조쿼트, 디플루펜조피르, 엔도탈 및 그 염, 에토퓨메세이트, 에토벤자니드, 페녹사설폰, 펜트라자미드, 플루폭삼, 플루오로클로리돈, 플루르타몬, 인다노판, 트리디판, 아이옥시닐, 이프펜카바존, 이속사벤, 트리아지플람, 레나실, 메틸아르손산, 나프탈람, 플루로클로리돈, 노르풀루라존, 옥사지클로메폰, 피녹사덴, 클로라노크릴=디크릴, 펜타노클로르(CMMP), 프로파닐, 프로피자미드, 피리데이트, 피록사설폰, 프로마실, 퀸클로락, 퀸메락, 퀴노클라민, 터바실, 사이클로피리모레이트, 플로르피록시펜벤질(Florpyrauxifen-benzyl), 란코트리온(Lancotrione) 및 그 염, 사이클로피라닐, 빅슬로존, 테트플루피롤리메트, 디메설파제트, 디노삼, 디노세브(DNBP), DNOC, 디노테르브, 에티노펜, 메디노테르브, DSMA, 카코딜산, 디페나미드, 나프로아닐리드, 테부탐, 벤술리드, 달라폰, TCA, 메플루이디드, 퍼플루이돈(perfluidone), CAMA, 티아페나실, 트리플루디목사진, 리미속사펜, 펜피라존, 디옥소피리트리온, 사이피라플루온, 비피라존, 벤퀴트리온, 플루클로라미노피르(fluchloraminopyr), 피리플루벤족심(pyriflubenzoxim), 플루페녹시마실(flufenoximacil), 이프트리아조피리드(iptriazopyrid), 플루설피남(flusulfinam), 브로클로존(broclozone), 인돌라욱시피르(indolauxipyr), 이카폴린(icafolin), 피라퀴네이트(pyraquinate), 테트라피온(플루프로파네이트) 및 그의 염 및 d-리모넨 등을 들 수 있다.
[식물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 방법]
본 실시형태에서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는, 예를 들어 밭, 수전(水田), 잔디밭 및 과수원 등의 농경지 또는 비농경지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는 모든 시비(施肥)법에 의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경엽(莖葉) 살포, 급수에의 혼입, 토양에의 살포, 주입기를 이용한 하층토까지의 주입, 구근 및 괴경(塊莖) 등에의 처리를 포함하는 종자 처리, 및 식물에의 직접 시비 등의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 방법은 상술한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를 사용하여 시비를 수행하는 순서를 포함한다.
급수에의 혼입에 의한 시용(施用)에서는, 예를 들어 작물에의 급수 또는 수전의 논바닥 물에 입제 등을 투여함으로써 수행한다. 일 예에 있어서, 급수 중의 유효 성분의 농도는 0.5~500 mg/L이며, 바람직하게는 1~300 mg/L이다. 또한, 논바닥 물에 투여하는 경우의 유효 성분의 사용량은 논 10 a당 예를 들어 0.5~5000 g이며, 바람직하게는 3~3000 g이다.
경엽 살포 혹은 토양에의 살포에 의한 시용에서는, 예를 들어 모종의 이식 시 등에 식혈(植穴) 또는 그의 주변에 입제 등을 처리하거나, 종자, 식물체 또는 식물체 주위의 토양에 입제 및 수화제 등을 처리함으로써 수행한다. 또한, 토양에의 살포 후, 흙과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경엽 살포 또는 토양 표면에 살포하는 경우의 유효 성분의 사용량은 농원예지 1 m2당 예를 들어 0.5~5000 mg이며, 바람직하게는 3~3000 mg이다.
종자 처리에 의한 시용에서는, 수화제 및 분제 등을 종자와 혼합하고 교반함으로써, 혹은 희석한 수화제 등에 종자를 침지함으로써 약제를 종자에 부착시킨다. 또한, 종자 처리에는 종자 코팅 처리도 포함된다. 종자 처리인 경우의 유효 성분의 사용량은 종자 100 kg에 대해 예를 들어 0.005~10000 g이며, 바람직하게는 0.05~1000 g이다. 농원예용 약제로 처리한 종자에 대해서는, 통상의 종자와 동일하게 사용하면 된다.
또한, 사용 농도 및 사용량은 제형, 사용 시기, 사용 방법, 사용 장소 및 대상 작물 등에 따라서도 상이하기 때문에, 상기 범위로 구애되지 않고 증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화합물 (I) 및 그의 호변 이성체는 광범위한 식물에 대해 우수한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 효과를 나타낸다.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의 사용]
본 실시형태에서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처리한 식물에서 우수한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 효과를 나타낸다.
[정리]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태양 1의 식물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는 하기 식 (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혹은 그의 호변 이성체, 또는 이들의 농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한다.
[화 4]
(식 (I) 중,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3~R5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태양 2의 식물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는 상기 태양 1에 있어서, 상기 식 (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에르고티오네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태양 3의 식물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는 상기 태양 1 또는 2에 있어서, 고온 스트레스, 저온 스트레스, 동결 스트레스, 염 스트레스, 과잉 양분 스트레스, 건조 스트레스, 과잉수 스트레스, 자외선 스트레스, 약광 스트레스 및 강광 스트레스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태양 4의 식물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는 상기 태양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가 염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태양 5의 식물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는 상기 태양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가 건조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태양 6의 식물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는 상기 태양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가 고온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태양 7의 식물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는 상기 태양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가 과잉 양분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태양 8의 식물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는 상기 태양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가 과잉수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태양 9의 식물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는 상기 태양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가 자외선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태양 10의 식물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는 상기 태양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가 강광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태양 11의 식물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는 상기 태양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가 동결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태양 12의 식물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는 상기 태양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가 저온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태양 13의 식물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 방법은 상기 태양 1~12 중 어느 하나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를 식물에 처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하에 실시예를 나타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물론,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세부에 대해서는 다양한 태양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기재된 문헌 모두가 참고로서 원용된다.
실시예
이하, 본 실시형태에 관한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의 효과를 L-(+)- 에르고티오네인을 사용하여 나타낸다. 또한,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와는 상이한 화합물인 글리신 베타인을 비교용 화합물로서 사용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 중, L-(+)- 에르고티오네인을 「EGT」, 글리신 베타인을 「GB」라고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
[평가예 1] 염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 효과의 비교
이하의 표 1에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L-(+)- 에르고티오네인(실시예 1~2, 비교예 3)과 글리신 베타인(비교예 1~2, 비교예 4)을 조제했다. EGT 및 GB는 시판품을 사용하고, 용매로서 순수를 사용했다.
24웰 세포 배양용 플레이트에 1웰당 3개체의 애기장대(Col-0)를 파종했다. 무라시게 스쿠그 배지용 혼합 염류(후지필름 와코쥰야쿠 가부시키가이샤(FUJIFILM Wako Pure Chemical Corporation))에 1중량% 수크로오스 및 0.1중량% 한천 분말을 가한 것을 액체 배지로 하여, 1웰당 2 mL 넣었다.
실온 22℃로 설정한 인공 기상기 내에서, 명기 16시간, 암기 8시간으로 했다. 광 조건은 형광등 조사하의 중심부에서 광 강도 5000 lx가 되도록 설정했다. 파종 후 4일째에 소정 농도가 되도록 EGT 또는 GB를 첨가하고, 그 24시간 후에 최종 농도가 100 mM가 되도록,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함으로써 염 스트레스를 부여했다.
파종 후 10일째에 생존한 식물을 계수하고, 생리 장해의 지표로 하여 식물의 고사율을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고사율 및 환경 스트레스 억제율은 이하의 식과 같이 산출했다.
고사율(%)
={1-(생존한 식물수/공시한 식물수)}×100
환경 스트레스 억제율(%)
={1-(공시 화합물 처리구의 고사율/무처리구의 고사율)}×100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염 스트레스에 의해 애기장대에 클로로시스 등의 생리 장해가 보였으며, 공시한 애기장대의 75%가 고사되고(비교예 5), GB를 처리해도 염 스트레스에 의한 고사를 억제하지 않았다(비교예 1 및 2). 이에 반해, EGT를 처리함으로써, 고사율이 1 mM에서는 14%(실시예 1), 0.1 mM에서는 39%(실시예 2)가 되어, 염 스트레스에 의한 고사를 억제했다.
[평가예 2] 건조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 효과의 비교
이하의 표 2에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EGT(실시예 3)를 조제했다. EGT는 시판품을 사용하고, 용매로서 순수를 사용했다.
직경 60 mm, 높이 55 mm의 플라스틱 포트에 1포트당 1개체의 애기장대(Col-0)를 파종했다. 직경 160 mm, 높이 28 mm의 플라스틱제 깊은 접시를 준비하여, 6포트 설치했다. 토양으로서, 버미큘라이트 45 mL, 입상 배토(조합 원예 배토) 22.5 mL 및 버미큘라이트 22.5 mL를 이 순서로 포트에 넣었다.
실온 22℃로 설정한 인공 기상기 내에서, 명기(light periord) 16시간, 암기(dark period) 8시간으로 했다. 광 조건은 형광등 조사하의 중심부에서 광 강도 5000 lx가 되도록 설정했다. 급수는 하부 급수로 하고, 수위를 약 5 mm로 했다. 파종 후 22일째에 EGT 50 mL를 첨가하고, 그 2일 후부터 18일간, 급수를 멈춤으로써 건조 스트레스를 부여했다.
단수로부터 18일 후의 생존한 식물을 계수하고, 생리 장해의 지표로 하여 식물의 고사율을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고사율 및 환경 스트레스 억제율은 이하의 식과 같이 산출했다.
고사율(%)
={1-(생존한 식물수/공시한 식물수)}×100
환경 스트레스 억제율(%)
={1-(공시 화합물 처리구의 고사율/무처리구의 고사율)}×100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건조 스트레스에 의해 애기장대에 시들음 또는 네크로시스 등의 생리 장해가 보였으며, 공시한 애기장대의 50%가 고사된 것에 반해(비교예 7), EGT를 처리함으로써, 모든 애기장대가 생존했다(실시예 3).
[평가예 3] 건조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 효과의 비교
이하의 표 3에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EGT(실시예 4) 또는 GB(비교예 9)를 조제했다. EGT 및 GB는 시판품을 사용하고, 용매로서 순수를 사용했다.
직경 60 mm, 높이 55 mm의 플라스틱 포트에 입상 배토(조합 원예 배토) 90 mL를 넣고, 1포트당 1개체의 목화(가부시키가이샤 도호쿠(TOHOKU SEED CO.,LTD.) 제품)를 파종했다.
실온 25℃로 설정한 온실 내에서 관리했다. 파종 후 23일째에 EGT 50 mL 또는 GB 50 mL를 첨가하고, 그 4일 후부터 4일간, 급수를 멈춤으로써 건조 스트레스를 부여했다.
단수로부터 4일 후의 잎을 채취하여,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했다. 촬영한 잎의 사진을 화상 해석 소프트 WinROOF(미타니쇼지 가부시키가이샤(MITANI CORPORATION) 제품)로 해석하여, 총잎 면적 및 초록 잎 면적을 정량했다.
상기 총잎 면적 및 초록 잎 면적을 이용하여, 단수로부터 4일 후의 잎의 괴사율을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잎의 괴사율 및 환경 스트레스 억제율은 이하의 식과 같이 산출했다.
잎의 괴사율(%)
={1-(초록 잎 면적/총잎 면적)}×100
환경 스트레스 억제율(%)
={1-(공시 화합물 처리구의 잎의 괴사율/무처리구의 잎의 괴사율)}×100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건조 스트레스에 의해 목화에 시들음, 클로로시스 또는 네크로시스 등의 생리 장해가 보였으며, 공시한 목화의 잎의 52%가 괴사하고(비교예 10), GB를 처리해도 건조 스트레스에 의한 괴사는 억제되지 않았다(비교예 9). 이에 반해, EGT를 처리함으로써, 건조 스트레스에 의한 괴사율이 26%로 억제되었다(실시예 4).
[평가예 4] 고온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 효과의 비교
이하의 표 4에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EGT(실시예 5, 비교예 13) 또는 GB(비교예 12, 비교예 14)를 조제했다. EGT 및 GB는 시판품을 사용하고, 용매로서 순수를 사용했다.
직경 60 mm, 높이 55 mm의 플라스틱 포트에 배토(가부시키가이샤 하나고코로 제품) 80 mL를 넣고, 1포트당 1개체의 애기장대(Col-0)를 파종했다. 직경 160 mm, 높이 28 mm의 플라스틱제 깊은 접시를 준비하여, 4포트 설치했다.
실온 22℃로 설정한 인공 기상기 내에서, 명기 16시간, 암기 8시간으로 했다. 광 조건은 형광등 조사하의 중심부에서 광 강도 5000 lx가 되도록 설정했다. 급수는 하부 급수로 하고, 수위를 약 5 mm로 했다. 파종 후 41일째에 EGT 50 mL 또는 GB 50 mL를 첨가하고, 그 1일 후에 42℃ 환경하에 3시간 노출시킴으로써 고온 스트레스를 부여했다.
고온 스트레스를 부여하고 나서 12일 후의 생존한 식물을 계수하고, 생리 장해의 지표로 하여 식물의 고사율을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고사율 및 환경 스트레스 억제율은 이하의 식과 같이 산출했다.
고사율(%)
={1-(생존한 식물수/공시한 식물수)}×100
환경 스트레스 억제율(%)
={1-(공시 화합물 처리구의 고사율/무처리구의 고사율)}×100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온 스트레스에 의해 애기장대에 시들음 또는 네크로시스 등의 생리 장해가 보였으며, 공시한 애기장대의 75%가 고사되고(비교예 15), GB를 처리해도 고온 스트레스에 의한 고사율은 억제되지 않았다(비교예 12). 이에 반해, EGT를 처리함으로써, 고온 스트레스에 의한 고사율이 25%로 억제되었다(실시예 5).
[평가예 5] 과잉 양분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 효과의 비교
이하의 표 5에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EGT(실시예 6) 또는 GB(비교예 17)를 조제했다. EGT 및 GB는 시판품을 사용하고, 용매로서 순수를 사용했다.
직경 60 mm, 높이 55 mm의 플라스틱 포트에 1포트당 1개체의 애기장대(Col-0)를 파종했다. 직경 160 mm, 높이 28 mm의 플라스틱제 깊은 접시를 준비하여, 4포트 설치했다. 토양으로서, 버미큘라이트 45 mL, 입상 배토(조합 원예 배토) 22.5 mL 및 버미큘라이트 22.5 mL를 이 순서로 포트에 넣었다.
실온 22℃로 설정한 인공 기상기 내에서, 명기 16시간, 암기 8시간으로 했다. 광 조건은 형광등 조사하의 중심부에서 광 강도 5000 lx가 되도록 설정했다. 급수는 하부 급수로 하고, 수위를 약 5 mm로 했다. 파종 후 61일째에 EGT 50 mL 또는 GB 50 mL를 첨가하고, 그 1일 후에, 액체 비료(HYPONeX, 가부시키가이샤 하이포넥스 재팬(HYPONeX JAPAN CORP.,LTD.) 제품)를 5배 희석으로 시비함으로써 과잉 양분 스트레스를 부여했다.
과잉 양분 스트레스를 부여하고 나서 1일 후의 위조된 잎의 수를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잎의 시들음율 및 환경 스트레스 억제율은 이하의 식과 같이 산출했다.
잎의 시들음율(%)
=(시들은 잎의 수/공시한 식물의 잎의 총수)×100
환경 스트레스 억제율(%)
={1-(공시 화합물 처리구의 시들음율/무처리구의 위조율)}×100
표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과잉 양분 스트레스에 의해 공시한 애기장대의 잎의 100%에 시들음의 생리 장해가 보였으며(비교예 18), GB를 처리해도 과잉 영양 스트레스에 의한 시들음 율은 거의 억제되지 않았다(비교예 17). 이에 반해, EGT를 처리한 애기장대의 잎(실시예 6)은 GB를 처리한 애기장대의 잎과 비교하여 시들음 율이 낮아, 과잉 양분 스트레스에 의한 시들음을 억제했다.
[평가예 6] 건조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 효과의 비교
이하의 표 6에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EGT(실시예 7, 8) 또는 GB(비교예 20, 21)를 조제했다. EGT 및 GB는 시판품을 사용하고, 용매로서 순수를 사용했다.
사방 60 mm, 높이 66 mm의 플라스틱 포트에 입상 배토(조합 원예 배토) 150 mL를 넣고, 1포트당 1개체의 대두를 파종했다.
실온 25℃로 설정한 온실 내에서 관리했다. 파종 후 23일째에 EGT 50 mL 또는 GB 50 mL를 첨가하고, 그 후 7일간 급수를 멈춤으로써 건조 스트레스를 부여했다.
단수로부터 7일 후의 고사된 잎을 계수하고, 생리 장해의 지표로 하여 잎의 고사율을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잎의 고사율 및 환경 스트레스 억제율은 이하의 식과 같이 산출했다.
잎의 고사율(%)
=(고사된 잎의 수/공시한 식물의 잎의 총수)×100
환경 스트레스 억제율(%)
={1-(공시 화합물 처리구의 잎의 고사율/무처리구의 잎의 고사율)}×100
표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건조 스트레스에 의해 대두에 잎의 시들음 또는 네크로시스 등의 생리 장해가 보였으며, 공시한 대두의 잎의 62%가 고사되고(비교예 22), GB를 처리해도 건조 스트레스에 의한 고사율은 억제되지 않았다(비교예 20, 21). 이에 반해, EGT를 처리함으로써, 건조 스트레스에 의한 고사율이 0.1 mM에서는 55%로(실시예 8), 1.0 mM에서는 38%로 억제되었다(실시예 7).
[평가예 7] 건조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 효과의 비교
이하의 표 7에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EGT(실시예 9) 또는 GB(비교예 24)를 조제했다. EGT 및 GB는 시판품을 사용하고, 용매로서 순수를 사용했다.
직경 135 mm, 높이 110 mm의 플라스틱 포트에 입상 배토(조합 원예 배토) 1 kg을 넣고, 1포트당 5개체의 래디시(적환무)를 파종했다.
실온 25℃로 설정한 온실 내에서 관리했다. 파종 후 22일째에 EGT 50 mL 또는 GB 50 mL를 첨가한 후에, 7일간 급수를 멈추었다. 그 후 7일간 급수하에서 재배한 후, 재차 7일간 급수를 멈춤으로써 건조 스트레스를 부여했다.
건조 스트레스를 부여한 래디시의 고사된 잎을 계수하고, 생리 장해의 지표로 하여 잎의 고사율을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잎의 고사율 및 환경 스트레스 억제율은 이하의 식과 같이 산출했다.
잎의 고사율(%)
=(고사된 잎의 수/공시한 식물의 잎의 총수)×100
환경 스트레스 억제율(%)
={1-(공시 화합물 처리구의 잎의 고사율/무처리구의 잎의 고사율)}×100
표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건조 스트레스에 의해 래디시에 잎의 시들음 또는 네크로시스 등의 생리 장해가 보였으며, 공시한 래디시의 잎의 59%가 고사되고(비교예 25), GB를 처리해도 건조 스트레스에 의한 고사율은 억제되지 않았다(비교예 24). 이에 반해, EGT를 처리함으로써, 건조 스트레스에 의한 고사율이 17%로 억제되었다(실시예 9).
[평가예 8] 건조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 효과의 비교
이하의 표 8에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EGT(실시예 10) 또는 GB(비교예 27)를 조제했다. EGT 및 GB는 시판품을 사용하고, 용매로서 순수를 사용했다.
직경 135 mm, 높이 110 mm의 플라스틱 포트에 육묘 배토(타네노타키이 가부시키가이샤(TAKII & CO.,LTD) 제품) 1 L를 넣고, 1포트당 사방 100 mm의 잔디(고려 잔디)를 평떼했다.
실온 25℃로 설정한 온실 내에서 관리했다. 평떼하고 약 1개월 후에 EGT 12.5 mL 또는 GB 12.5 mL를 첨가하고, 그 후 7일간 급수를 멈추었다. 그 후 7일간 급수하에서 재배한 후, 재차 7일간 급수를 멈춤으로써 건조 스트레스를 부여했다.
건조 스트레스를 부여한 잔디의 고사된 잎을 계수하고, 생리 장해의 지표로 하여 잎의 고사율을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8에 나타낸다. 잎의 고사율 및 환경 스트레스 억제율은 이하의 식과 같이 산출했다.
잎의 고사율(%)
=(고사된 잎의 수/공시한 식물의 잎의 총수)×100
환경 스트레스 억제율(%)
={1-(공시 화합물 처리구의 잎의 고사율/무처리구의 잎의 고사율)}×100
표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건조 스트레스에 의해 잔디에 네크로시스 등의 생리 장해가 보였으며, 공시한 잔디의 잎의 100%가 고사되고(비교예 28), GB를 처리해도 건조 스트레스에 의한 고사율은 억제되지 않았다(비교예 27). 이에 반해, EGT를 처리함으로써, 건조 스트레스에 의한 고사율이 35%로 억제되었다(실시예 10).
[평가예 9] 과잉수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 효과의 비교
이하의 표 9에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EGT(실시예 11, 비교예 31) 또는 GB(비교예 30, 32)를 조제했다. EGT 및 GB는 시판품을 사용하고, 용매로서 순수를 사용했다.
여과지를 깐 9 cm의 샬레에 순수 5 mL를 첨가하고, 1샬레당 12립의 유채의 종자를 파종했다. 실온 22℃로 설정한 인공 기상기 내에서 관리하고, 명기 16시간, 암기 8시간으로 했다. 광 조건은 형광등 조사하의 중심부에서 광 강도 5000 lx가 되도록 설정했다.
파종 후 6일째에 샬레 내의 순수를 빼낸 후, 샬레에 EGT 5 mL 또는 GB 5 mL를 첨가하고, 그 1일 후에 샬레에 순수 50 mL를 첨가함으로써 과잉수 스트레스를 부여했다.
과잉수 스트레스를 부여하고 나서 19일 후의 생존한 식물을 계수하고, 생리 장해의 지표로 하여 식물의 고사율을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9에 나타낸다. 고사율 및 환경 스트레스 억제율은 이하의 식과 같이 산출했다.
고사율(%)
={1-(생존한 식물수/공시한 식물수)}×100
환경 스트레스 억제율(%)
={1-(공시 화합물 처리구의 고사율/무처리구의 고사율)}×100
표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과잉수 스트레스에 의해 유채에 클로로시스 등의 생리 장해가 보였으며, 공시한 유채의 60%가 고사되고(비교예 33), GB를 처리해도 과잉수 스트레스에 의한 고사율은 억제되지 않았다(비교예 30). 이에 반해, EGT를 처리함으로써, 과잉수 스트레스에 의한 고사율이 25%로 억제되었다(실시예 11).
[평가예 10] 자외선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 효과의 비교
이하의 표 10에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EGT(실시예 12, 13, 비교예 37, 38) 또는 GB(비교예 35, 36, 39, 40)를 조제했다. EGT 및 GB는 시판품을 사용하고, 용매로서 순수를 사용했다.
여과지를 깐 9 cm의 샬레에 순수 5 mL를 첨가하고, 1샬레당 10립의 밀의 종자를 파종했다. 실온 22℃로 설정한 인공 기상기 내에서 관리하고, 명기 16시간, 암기 8시간으로 했다. 광 조건은 형광등 조사하의 중심부에서 광 강도 5000 lx가 되도록 설정했다.
파종 후 7일째에 샬레 내의 순수를 빼낸 후, 샬레에 EGT 5 mL 또는 GB 5 mL를 첨가하고, 그 1일 후에 자외선 램프(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TOSHIBA CORPORATION) 제품, GL-15) 조사하에서 254 nm의 파장의 자외선 방사 강도가 550 μW/cm-2가 되도록 설정하여, 1시간 노출시킴으로써 자외선 스트레스를 부여했다.
자외선 스트레스를 부여하고 나서 6일 후의 고사된 잎을 계수하고, 생리 장해의 지표로 하여 잎의 고사율을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10에 나타낸다. 잎의 고사율 및 환경 스트레스 억제율은 이하의 식과 같이 산출했다.
잎의 고사율(%)
=(고사된 잎의 수/공시한 식물의 잎의 총수)×100
환경 스트레스 억제율(%)
={1-(공시 화합물 처리구의 잎의 고사율/무처리구의 잎의 고사율)}×100
표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외선 스트레스에 의해 밀에 클로로시스 등의 생리 장해가 보였으며, 공시한 밀의 잎의 53%가 고사되고(비교예 41), GB를 처리해도 자외선 스트레스에 의한 고사율은 거의 억제되지 않았다(비교예 35, 36). 이에 반해, EGT를 처리한 밀은 GB를 처리한 밀과 비교하여 고사율이 낮아, 자외선 스트레스에 의한 고사율이 0.1 mM에서는 34%(실시예 13), 1.0 mM에서는 23%로 억제되었다(실시예 12).
[평가예 11] 자외선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 효과의 비교
이하의 표 11에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EGT(실시예 14, 15, 비교예 45, 46) 또는 GB(비교예 43, 44, 47, 48)를 조제했다. EGT 및 GB는 시판품을 사용하고, 용매로서 순수를 사용했다.
사방 50 mm로 재단한 잔디(고려 잔디)를 샬레에 올리고, 실온 25℃로 설정한 온실 내에서 관리했다. 초장은 10 mm의 길이로 다듬었다. 1샬레당 EGT 10 mL 또는 GB 10 mL를 첨가하고, 그 1일 후에 자외선 램프(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제품, GL-15) 조사하에서 254 nm의 파장의 자외선 방사 강도가 525 μW/cm-2가 되도록 설정하여, 1시간 노출시킴으로써 자외선 스트레스를 부여했다.
자외선 스트레스를 부여하고 나서 7일 후의 고사된 잎을 계수하고, 생리 장해의 지표로 하여 잎의 고사율을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11에 나타낸다. 잎의 고사율 및 환경 스트레스 억제율은 이하의 식과 같이 산출했다.
잎의 고사율(%)
=(고사된 잎의 수/공시한 식물의 잎의 총수)×100
환경 스트레스 억제율(%)
={1-(공시 화합물 처리구의 잎의 고사율/무처리구의 잎의 고사율)}×100
표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외선 스트레스에 의해 잔디에 클로로시스 등의 생리 장해가 보였으며, 공시한 잔디의 잎의 63%가 고사되고(비교예 49), GB를 처리해도 자외선 스트레스에 의한 고사율은 거의 억제되지 않았다(비교예 43, 44). 이에 반해, EGT를 처리한 잔디는 GB를 처리한 잔디와 비교하여 고사율이 낮아, 자외선 스트레스에 의한 고사율이 0.1 mM에서는 13%(실시예 15), 1.0 mM에서는 6%로 억제되었다(실시예 14).
[평가예 12] 강광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 효과의 비교
이하의 표 12에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EGT(실시예 16) 또는 GB(비교예 51)를 조제했다. EGT 및 GB는 시판품을 사용하고, 용매로서 순수를 사용했다.
직경 60 mm, 높이 55 mm의 플라스틱 포트에 배토(가부시키가이샤 하나고코로 제품) 90 mL를 넣고, 1포트당 4개체의 애기장대(Col-0)를 파종했다.
실온 22℃로 설정한 인공 기상기 내에서 관리하고, 명기 16시간, 암기 8시간으로 했다. 광 조건은 형광등 조사하의 중심부에서 광 강도 5000 lx가 되도록 설정했다. 파종 후 43일째에 EGT 12.5 mL 또는 GB 12.5 mL를 첨가하고, 그 1일 후에 LED 라이트(Esbaybulbs사 제품) 조사하에서 광 강도 2000 μmol/m-2/sec이 되도록 설정하여, 24시간 노출시킴으로써 강광 스트레스(strong light stress)를 부여했다.
강광 스트레스를 부여한 애기장대의 백화된 잎을 계수하고, 생리 장해의 지표로 하여 잎의 백화율을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12에 나타낸다. 잎의 백화율 및 환경 스트레스 억제율은 이하의 식과 같이 산출했다.
잎의 백화율(%)
=(백화된 잎의 수/공시한 식물의 잎의 총수)×100
환경 스트레스 억제율(%)
={1-(공시 화합물 처리구의 잎의 백화율/무처리구의 잎의 백화율)}×100
표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강광 스트레스에 의해 애기장대에 클로로시스 등의 생리 장해가 보였으며, 공시한 애기장대의 잎의 37%가 백화되고(비교예 52), GB를 처리해도 강광 스트레스에 의한 잎의 백화는 억제되지 않았다(비교예 51). 이에 반해, EGT를 처리함으로써, 강광 스트레스에 의한 잎의 백화율이 8%로 억제되었다(실시예 16).
[평가예 13] 동결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 효과의 비교
이하의 표 13에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EGT(실시예 17, 비교예 55) 또는 GB(비교예 54, 56)를 조제했다. EGT 및 GB는 시판품을 사용하고, 용매로서 순수를 사용했다.
여과지를 깐 9 cm의 샬레에 순수 5 mL를 첨가하고, 1샬레당 10립의 브로콜리(녹적)의 종자를 파종했다. 실온 22℃로 설정한 인공 기상기 내에서 관리하고, 명기 16시간, 암기 8시간으로 했다. 광 조건은 형광등 조사하의 중심부에서 광 강도 5000 lx가 되도록 설정했다.
파종 후 6일째에 샬레 내의 순수를 빼낸 후, 샬레에 EGT 5 mL 또는 GB 5 mL를 첨가하고, 그 14일 후에 -20℃ 환경하에 20분 노출시키고, 다시 그 1일 후에 -20℃ 환경하에 20분 노출시킴으로써 동결 스트레스를 부여했다.
동결 스트레스를 부여하고 나서 24시간 후의 생존한 식물을 계수하고, 생리 장해의 지표로 하여 식물의 고사율을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13에 나타낸다. 고사율 및 환경 스트레스 억제율은 이하의 식과 같이 산출했다.
고사율(%)
={1-(생존한 식물수/공시한 식물수)}×100
환경 스트레스 억제율(%)
={1-(공시 화합물 처리구의 고사율/무처리구의 고사율)}×100
표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결 스트레스에 의해 브로콜리에 줄기 꺾임 또는 네크로시스 등의 생리 장해가 보였으며, 공시한 브로콜리의 86%가 고사되고(비교예 57), GB를 처리해도 동결 스트레스에 의한 고사율은 억제되지 않았다(비교예 54). 이에 반해, EGT를 처리함으로써, 동결 스트레스에 의한 고사율이 38%로 억제되었다(실시예 17).
[평가예 14] 동결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 효과의 비교
이하의 표 14에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EGT(실시예 18, 비교예 60) 또는 GB(비교예 59, 61)를 조제했다. EGT 및 GB는 시판품을 사용하고, 용매로서 순수를 사용했다.
여과지를 깐 9 cm의 샬레에 순수 5 mL를 첨가하고, 1샬레당 10립의 딸기(야생 딸기)의 종자를 파종했다. 실온 22℃로 설정한 인공 기상기 내에서 관리하고, 명기 16시간, 암기 8시간으로 했다. 광 조건은 형광등 조사하의 중심부에서 광 강도 5000 lx가 되도록 설정했다.
파종 후 15일째에 샬레 내의 순수를 빼낸 후, 샬레에 EGT 5 mL 또는 GB 5 mL를 첨가하고, 그 9일 후에 -20℃ 환경하에 20분 노출시킴으로써 동결 스트레스를 부여했다.
동결 스트레스를 부여하고 나서 3일 후의 생존한 식물을 계수하고, 생리 장해의 지표로 하여 식물의 고사율을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14에 나타낸다. 고사율 및 환경 스트레스 억제율은 이하의 식과 같이 산출했다.
고사율(%)
={1-(생존한 식물수/공시한 식물수)}×100
환경 스트레스 억제율(%)
={1-(공시 화합물 처리구의 고사율/무처리구의 고사율)}×100
표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결 스트레스에 의해 딸기에 네크로시스 등의 생리 장해가 보였으며, 공시한 딸기의 63%가 고사되고(비교예 62), GB를 처리해도 동결 스트레스에 의한 고사율은 억제되지 않았다(비교예 59). 이에 반해, EGT를 처리함으로써, 동결 스트레스에 의한 고사율이 29%로 억제되었다(실시예 18).
[평가예 15] 저온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 효과의 비교
이하의 표 15에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EGT(실시예 19, 20, 비교예 66, 67) 또는 GB(비교예 64, 65, 68, 69)를 조제했다. EGT 및 GB는 시판품을 사용하고, 용매로서 순수를 사용했다.
여과지를 깐 3.5 cm의 샬레에 순수 1 mL를 첨가하고, 1샬레당 5립의 루콜라의 종자를 파종했다. 실온 22℃로 설정한 인공 기상기 내에서 관리하고, 명기 16시간, 암기 8시간으로 했다. 광 조건은 형광등 조사하의 중심부에서 광 강도 5000 lx가 되도록 설정했다.
파종 후 4일째에 샬레 내의 순수를 빼낸 후, 샬레에 EGT 1 mL 또는 GB 1 mL를 첨가하고, 그 24시간 후에 4℃ 환경하에 48시간 노출시킴으로써 저온 스트레스를 부여했다.
저온 스트레스를 부여하고 나서 3일 후의 루콜라의 시들음 잎의 수를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15에 나타낸다. 잎의 시들음 율 및 환경 스트레스 억제율은 이하의 식과 같이 산출했다.
잎의 시들음율(%)
=(시들은 잎의 수/공시한 식물의 잎의 총수)×100
환경 스트레스 억제율(%)
={1-(공시 화합물 처리구의 잎의 시들음율/무처리구의 잎의 시들음율)}×100
표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온 스트레스에 의해 공시한 루콜라의 잎의 67%에 시들음의 생리 장해가 보였으며(비교예 70), GB를 처리해도 저온 스트레스에 의한 잎의 시들음율은 거의 억제되지 않았다(비교예 64, 65). 이에 반해, EGT를 처리함으로써, 저온 스트레스에 의한 잎의 시들음율이 0%로 억제되었다(실시예 19, 20).

Claims (13)

  1. 하기 식 (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혹은 그의 호변 이성체, 또는 이들의 농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
    [화 1]

    (식 (I) 중,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3~R5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 (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에르고티오네인인,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
  3. 제1항에 있어서, 고온 스트레스, 저온 스트레스, 동결 스트레스, 염 스트레스, 과잉 양분 스트레스, 건조 스트레스, 과잉수 스트레스, 자외선 스트레스, 약광 스트레스 및 강광 스트레스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키는,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가 염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인,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가 건조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인,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가 고온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인,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가 과잉 양분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인,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가 과잉수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인,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가 자외선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인,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가 강광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인,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가 동결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인,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가 저온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인,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를 식물에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식물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 방법.
KR1020257009331A 2022-09-27 2023-09-26 식물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 및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 방법 Pending KR202500511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154079 2022-09-27
JP2022154079 2022-09-27
PCT/JP2023/034858 WO2024071089A1 (ja) 2022-09-27 2023-09-26 植物の環境ストレス耐性向上剤および環境ストレス耐性向上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051108A true KR20250051108A (ko) 2025-04-16

Family

ID=90477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57009331A Pending KR20250051108A (ko) 2022-09-27 2023-09-26 식물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제 및 환경 스트레스 내성 향상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4595752A1 (ko)
JP (1) JP7748574B2 (ko)
KR (1) KR20250051108A (ko)
CN (1) CN119947585A (ko)
AR (1) AR130564A1 (ko)
AU (1) AU2023354193A1 (ko)
WO (1) WO20240710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5110202A1 (ja) * 2023-11-21 2025-05-30 株式会社クレハ 植物の非生物的ストレス耐性向上剤、非生物的ストレス耐性向上方法、非生物的ストレス耐性向上用製剤、非生物的ストレス耐性向上用製品、および植物
WO2025110205A1 (ja) * 2023-11-21 2025-05-30 株式会社クレハ 植物の損傷回復性向上剤および損傷回復性向上用の製剤、植物の損傷回復性を向上させる方法、植物体、および植物の物理ストレス耐性向上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14749A1 (en) 1994-11-15 1996-05-23 Ab Tall (Holdings) Pty. Ltd. Osmolyte regulator
WO1996023413A1 (en) 1995-02-02 1996-08-08 Ab Tall (Holdings) Pty. Ltd. Osmolyte regulator
JP2018130091A (ja) 2017-02-17 2018-08-23 国立大学法人 筑波大学 植物体、食品、培養物、肥料及び製造方法
KR20190128636A (ko) 2017-03-02 2019-11-18 유쿠 인터넷 테크놀로지 (베이징) 컴퍼니 리미티드 연관된 사용자를 추천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07087B1 (fr) 1993-06-28 1995-10-13 Bioxytech Nouveau procédé de préparation de l'ergothionéine.
JP3503090B2 (ja) * 1995-06-20 2004-03-02 フマキラー株式会社 エノキタケまたはエノキタケ培養残渣由来の植物生理活性剤
FR2950889B1 (fr) 2009-10-06 2011-11-18 Tetrahedron Procede de synthese de l'ergothioneine et analogues
JP4865083B1 (ja) 2010-11-19 2012-02-01 幸子 清水 エルゴチオネインの製造方法
JP2014223051A (ja) 2012-07-13 2014-12-04 タカラバイオ株式会社 エルゴチオネインの製造方法
US10544437B2 (en) 2014-04-29 2020-01-28 Conagen Inc. Microbial ergothioneine biosynthesis
US10856546B2 (en) * 2014-10-01 2020-12-08 Plant Health Care, Inc. Hypersensitive response elicitor peptides and use thereof
US11390897B2 (en) 2014-12-22 2022-07-19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Okayama University Method for producing ergothioneine
DK3252142T3 (da) 2015-01-30 2022-01-03 Kikkoman Corp Transformeret svamp med øget ergothionein produktivitet og en fremgangsmåde til produktion af ergothionein
JP6263672B1 (ja) 2016-02-29 2018-01-17 長瀬産業株式会社 エルゴチオネインの発酵生産
BR112020005777A2 (pt) 2017-10-09 2020-09-29 Fertinagro Biotech, S.L. fertilizante foliar e uso do mesmo
JP6975973B2 (ja) 2018-01-22 2021-12-01 エム・ケー・パビック株式会社 盗難防止装置及びアタッチメント
EP3787401A4 (en) * 2018-04-30 2022-01-26 Suncor Energy Inc. MACROCYCLIC TETRAPYRROLE COMPOUNDS AN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ENHANCING ABIOTIC STRESS RESISTANCE IN PLANTS
JP2021152085A (ja) * 2021-07-02 2021-09-30 住友化学株式会社 有害生物防除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14749A1 (en) 1994-11-15 1996-05-23 Ab Tall (Holdings) Pty. Ltd. Osmolyte regulator
WO1996023413A1 (en) 1995-02-02 1996-08-08 Ab Tall (Holdings) Pty. Ltd. Osmolyte regulator
JP2018130091A (ja) 2017-02-17 2018-08-23 国立大学法人 筑波大学 植物体、食品、培養物、肥料及び製造方法
KR20190128636A (ko) 2017-03-02 2019-11-18 유쿠 인터넷 테크놀로지 (베이징) 컴퍼니 리미티드 연관된 사용자를 추천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71089A1 (ja) 2024-04-04
AU2023354193A1 (en) 2025-03-20
JPWO2024071089A1 (ko) 2024-04-04
CN119947585A (zh) 2025-05-06
EP4595752A1 (en) 2025-08-06
JP7748574B2 (ja) 2025-10-02
AR130564A1 (es) 2024-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574328B2 (ja) 植物生長調整剤または植物の生長促進方法
AU2020309326B2 (en) Plant growth regulator and method for promoting plant growth
JP7748574B2 (ja) 植物の環境ストレス耐性向上剤および環境ストレス耐性向上方法
JP7258967B2 (ja) 殺有害生物組成物
JP7574220B2 (ja) 取り込みが増強されたulv製剤
ES2879818T3 (es) Uso de agentes de control de enfermedades de plantas
JP2023168400A (ja) 蛛形綱種の繁殖力を制御する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UA126830C2 (uk) Фунгіцидні композиції мефентрифлуконазолу
US20230320360A1 (en) Formulations and methods for regulating and stimulating plant growth
JP7752245B2 (ja) 植物生長調整剤、植物の生長促進方法または植物生長調整用製品
WO2025110205A1 (ja) 植物の損傷回復性向上剤および損傷回復性向上用の製剤、植物の損傷回復性を向上させる方法、植物体、および植物の物理ストレス耐性向上剤
WO2025110202A1 (ja) 植物の非生物的ストレス耐性向上剤、非生物的ストレス耐性向上方法、非生物的ストレス耐性向上用製剤、非生物的ストレス耐性向上用製品、および植物
RU2832767C1 (ru) Стимулятор роста растений или способ стимуляции роста растений
WO2025143153A1 (ja) 植物の生育期間短縮化剤および生育期間短縮用の製剤、花成誘導遺伝子の発現誘導剤、植物の生育期間を短縮化させる方法、植物体、植物の生育速度の均一化剤、ならびに植物の生育速度を均一化させる方法
WO2025084271A1 (ja) 植物の処理方法、製剤、植物の繁殖体、植物の育成方法および移植苗
BR122024007320A2 (pt) Regulador de crescimento de plantas e método para promover o crescimento de plantas
EA049476B1 (ru) Регулятор роста растений и способ стимулирования роста растений
OA21251A (en) Formulations and methods for regulating and stimulating plant grow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5032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503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