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50057845A - 엑스레이 전자 방출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엑스레이 전자 방출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50057845A
KR20250057845A KR1020257009863A KR20257009863A KR20250057845A KR 20250057845 A KR20250057845 A KR 20250057845A KR 1020257009863 A KR1020257009863 A KR 1020257009863A KR 20257009863 A KR20257009863 A KR 20257009863A KR 20250057845 A KR20250057845 A KR 20250057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cathode
gate
anode
electron emis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57009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식
김태형
남효진
임정순
이병기
김진아
이또우미끼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50057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50057845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GX-RAY TECHNIQUE
    • H05G1/00X-ray apparatus involving X-ray tubes; Circuits therefor
    • H05G1/08Electrical details
    • H05G1/26Measuring, controlling or protecting
    • H05G1/30Controlling
    • H05G1/32Supply voltage of the X-ray apparatus or tub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GX-RAY TECHNIQUE
    • H05G1/00X-ray apparatus involving X-ray tubes; Circuits therefor
    • H05G1/08Electrical details
    • H05G1/085Circuit arrangements particularly adapted for X-ray tubes having a control gr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5/00X-ray tubes
    • H01J35/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5/00X-ray tubes
    • H01J35/02Details
    • H01J35/04Electrodes ; Mutual position thereof; Constructional adaptation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5/00X-ray tubes
    • H01J35/02Details
    • H01J35/04Electrodes ; Mutual position thereof; Constructional adaptations therefor
    • H01J35/06Cath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5/00X-ray tubes
    • H01J35/02Details
    • H01J35/04Electrodes ; Mutual position thereof; Constructional adaptations therefor
    • H01J35/08Anodes; Anti cath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GX-RAY TECHNIQUE
    • H05G1/00X-ray apparatus involving X-ray tubes; Circuits therefor
    • H05G1/08Electrical details
    • H05G1/26Measuring, controlling or protecting
    • H05G1/30Controlling
    • H05G1/34Anode current, heater current or heater voltage of X-ray tub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35/00X-ray tubes
    • H01J2235/06Cathode assembly
    • H01J2235/062Cold cath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X-Ray Techniqu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애노드(anode) 전류를 감지하여 애노드 전류를 일정하게 제어하는 엑스레이 전자 방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자를 방출하는 전자 방출부, 전자를 수집하는 애노드, 전자 방출부의 게이트에 연결되는 게이트 전압원, 전자 방출부의 캐소드에 연결되는 캐소드 전류원, 캐소드 전류원에 연결되어 애노드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 그리고 감지한 애노드 전류를 기반으로 전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캐소드 전류원으로 출력하는 전류 제어부를 포함하고, 게이트 전압원은, 전자 방출부의 게이트에 일측이 연결되고, 캐소드 전류원과 전류 감지부 사이를 연결하는 라인의 분기점에 타측이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엑스레이 전자 방출 제어 장치
본 개시는, 애노드(anode) 전류를 감지하여 애노드 전류를 일정하게 제어하는 엑스레이 전자 방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엑스레이 튜브(X-ray tube)에 적용되는 전자 방출 장치의 종류로는, 터널링 전류를 이용하는 필드 에미터(Field emitter) 방식과 열전자 방출을 이용하는 히터 에미터(heater emitter) 방식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 구동이 가능하여 최근 주목받고 있는 필드 에미터 방식으로는, 카보 나노 튜브(Carbon nano tube), MEMS 기술을 이용한 필드 에미션 팁(Field emission tip) 및 반도체 기술을 이용한 MIM(Metal-Insulator-Metal), MIS(Metal-Insulator-Semiconductor) 소자를 이용하는 장치 등이 있다.
전자 방출 장치는, 전자를 방출하는 에미터(Emitter)가 탑재되어 있는 캐소드(Cathode)단과 전자 방출량을 조절하는 게이트(Gate)단으로 구성되고, 캐소드단과 게이트단은, 방출된 전자를 수집하는 애노드(Anode)단과 함께 진공으로 패키지(package)되어 전자 방출 장치를 이룬다.
전자 방출 장치는, 제조공정에서의 미소한 차이로 인해 그 특성이 달라 질 수 있으며, 전자 방출 장치를 복수개로 사용할 경우, 각각의 특성에 맞게 전류를 자동 조절할 수 있는 추가적인 장치가 필요하다.
일정한 방출 전류를 얻기 위한 방식으로서, 캐소드 전류만을 감지하거나 또는 정밀한 제어를 위해 캐소드 전류와 게이트 전류를 감지하여 애노드 전류를 제어하는 방식이 있다.
하지만, 캐소드 전류만을 감지하여 애노드 전류를 제어하는 방식은, 정밀한 제어가 어렵고, 캐소드 전류와 게이트 전류를 감지하여 애노드 전류를 제어하는 방식은, 두 전류를 감지하여 연산하는 과정으로 인하여 시스템 구성이 복잡하고 상호 보정이 어려워 추가적인 비용을 수반하는 문제들이 있었다.
따라서, 향후, 쉽고 간단하고 저렴한 회로 구현이 가능하면서도 애노드 전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엑스레이 전자 방출 제어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는, 캐소드 전류원에 전류 감지부를 연결하고, 게이트 전압원을 캐소드 전류원과 전류 감지부 사이를 연결하는 라인의 분기점에 연결함으로써, 애노드단에 직접 연결 없이도 저전압 영역에서 애노드 전류를 감지할 수 있어, 쉽고 간단하고 저렴한 회로 구현이 가능하면서도 애노드 전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엑스레이 전자 방출 제어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전자 방출 제어 장치는, 전자를 방출하는 전자 방출부, 전자를 수집하는 애노드, 전자 방출부의 게이트에 연결되는 게이트 전압원, 전자 방출부의 캐소드에 연결되는 캐소드 전류원, 캐소드 전류원에 연결되어 애노드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 그리고 감지한 애노드 전류를 기반으로 전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캐소드 전류원으로 출력하는 전류 제어부를 포함하고, 게이트 전압원은, 전자 방출부의 게이트에 일측이 연결되고, 캐소드 전류원과 전류 감지부 사이를 연결하는 라인의 분기점에 타측이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전자 방출 제어 장치는, 게이트 및 캐소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자 방출부, 복수의 전자 방출부에 각각 대응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애노드, 복수의 전자 방출부에 각각 대응되어 캐소드에 연결되는 복수의 캐소드 전류원, 복수의 전자 방출부들 중 어느 하나의 특정 전자 방출부의 게이트에 연결되는 게이트 전압원, 복수의 캐소드 전류원에 연결되어 애노드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 그리고 감지한 애노드 전류를 기반으로 전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복수의 캐소드 전류원으로 출력하는 전류 제어부를 포함하고, 게이트 전압원은, 특정 전자 방출부의 게이트에 일측이 연결되고, 복수의 캐소드 전류원들과 전류 감지부 사이를 연결하는 라인의 분기점에 타측이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엑스레이 전자 방출 제어 장치는, 캐소드 전류원에 전류 감지부를 연결하고 게이트 전압원을 캐소드 전류원과 전류 감지부 사이를 연결하는 라인의 분기점에 연결함으로써, 애노드단에 직접 연결 없이도 저전압 영역에서 애노드 전류를 감지할 수 있어 쉽고 간단하고 저렴한 회로 구현이 가능하면서도 애노드 전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하나의 전류 감지 장치를 통해 애노드 전류를 감지하므로 전체적인 장치 구성이 간단하고, 애노드 전류에 대해서만 보정하므로 정밀하게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장치의 캐소드단과 접지(Ground)단 사이에서 애노드 전류를 감지하므로, 수 V ~ 수십 V 정도에 상응하는 전압 범위의 장치로 구성할 수 있고, 전체 장치의 안정성이 높으며, 높은 정밀도의 전류 감지 장치를 쉽게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저가화(low cost) 구현도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엑스레이 전자 방출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엑스레이 전자 방출 제어 장치의 전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엑스레이 전자 방출 제어 장치의 전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엑스레이 전자 방출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뮬레이션용 엑스레이 전자 방출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엑스레이 전자 방출 제어 장치를 시물레이션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엑스레이 전자 방출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엑스레이 전자 방출 제어 장치는, 전자를 방출하는 전자 방출부(100), 전자를 수집하는 애노드(200), 전자 방출부(100)의 게이트(110)에 연결되는 게이트 전압원(600), 전자 방출부(100)의 캐소드(120)에 연결되는 캐소드 전류원(500), 캐소드 전류원(500)에 연결되어 애노드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800), 그리고, 감지한 애노드 전류를 기반으로 전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캐소드 전류원(500)으로 출력하는 전류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애노드(200)와 전자 방출부(100)는, 전자 방출 및 수집을 원할하게 하기 위해 진공으로 패키지될 수 있다.
이어, 게이트 전압원(600)은, 전자 방출부(100)의 게이트(110)에 일측이 연결되고, 캐소드 전류원(500)과 전류 감지부(800) 사이를 연결하는 라인(620)의 분기점에 타측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캐소드 전류원(500)은, 게이트 전류와 애노드 전류가 합쳐진 캐소드 전류를 캐소드 전류원(500)과 전류 감지부(800) 사이를 연결하는 라인(620)의 분기점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게이트 전압원(600)은, 라인(620)의 분기점으로부터 분기되는 제1 분기 라인(621)에 연결되고, 전류 감지부(800)는, 라인(620)의 분기점으로부터 분기되는 제2 분기 라인(622)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게이트 전압원(600)은, 캐소드 전류원(500)으로부터 출력된 캐소드 전류 중 제1 분기 라인(621)을 통해 분기되는 게이트 전류를 입력받고, 전류 감지부(800)는, 캐소드 전류원(500)으로부터 출력된 캐소드 전류 중 제2 분기 라인(622)을 통해 분기되는 애노드 전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제2 분기 라인(622)을 통해 분기되는 애노드 전류는, IA = ICA - IG (여기서, IA는 애노드 전류, ICA는 캐소드 전류, IG는 게이트 전류임)으로 이루어지는 수식으로 산출되는 전류값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분기 라인(622)을 통해 분기되는 애노드 전류는, 게이트 전류가 증가하면 그의 증가율에 비례하여 증가하고, 게이트 전류가 감소하면 그의 감소율에 비례하여 감소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분기 라인(622)을 통해 분기되는 애노드 전류는, IA = (TR/(1-TR))IG (여기서, IA는 애노드 전류, TR은 전송률, IG는 게이트 전류임)으로 이루어지는 수식으로 산출되는 전류값을 가질 수 있다.
이어, 게이트 전압원(600)은, 제1 분기 라인(621)에 연결되는 게이트 음극단과 전자 방출부(100)의 게이트 라인(610)에 연결되는 게이트 양극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 양극단에 연결되는 게이트 라인(610)을 통해 전자 방출부(100)의 게이트(110)로 공급되는 게이트 전류량은, 게이트 음극단에 연결되는 제1 분기 라인(621)을 통해 입력되는 게이트 전류량과 동일할 수 있다.
이때, 게이트 전압원(600)은, 캐소드 전류원(500)의 캐소드 전류가 증가하면 그에 비례하여 게이트 전류를 증가시키고, 캐소드 전류원(500)의 캐소드 전류가 감소하면 그에 비례하여 게이트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 캐소드 전류원(500)은, 전류 제어부(300)로부터 전류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전류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캐소드 전류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캐소드 전류원(500)은, 전자 방출부(100)의 게이트단 전압이 고정되고 전자 방출부(100)의 캐소드단 전압이 조절되도록, 전류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캐소드 전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캐소드 전류원(500)은, 전류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캐소드 전류를 증가시켜 전자 방출부(100)의 캐소드단 전압을 낮추거나 또는 전류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캐소드 전류를 감소시켜 전자 방출부(100)의 캐소드단 전압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전류 감지부(800)는, 캐소드 전류원(500)과 전류 감지부(800) 사이를 연결하는 라인(620)의 분기점으로부터 애노드 전류를 입력받아 그에 비례하는 전압을 전류 제어부(300)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전류 감지부(80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은, VS = ZSIA (여기서, VS는 전류 감지부의 출력 전압, ZS는 전류 감지부의 비례상수, IA는 애노드 전류임)으로 이루어지는 수식으로 산출되는 전압값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전류 감지부(800)는, 커패시터(capacitor) 및 인덕터(inductor)를 포함하는 수동 소자, 홀 센서(hall sensor), 전류 변환기(current transformer)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엑스레이 전자 방출 제어 장치는, 전류 감지부(800)에 일측이 연결되고, 접지부(400)에 타측이 연결되는 전압원 VC(9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압원 VC(900)은, 전류 감지부(800)를 거쳐 캐소드 전류원(500)과 전류 감지부(800) 사이를 연결하는 라인(620, 621, 622)에 일정한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다음, 전류 제어부(300)는, 전류 감지부(800)의 출력 전압을 증폭하는 애노드 전류 감지 증폭부, 애노드 전류 감지 증폭부의 출력 전압과 기준 전압원의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에러값을 증폭하는 에러 증폭부, 그리고 에러 증폭부의 출력 전압을 기반으로 전류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주파수 보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애노드 전류 감지 증폭부는, 전류 감지부(800)에 입력측이 연결되고, 접지부(400)에 연결된 기준 전압원과 에러 증폭부에 각각 출력측이 연결되며, 전류 감지부(800)의 출력 전압이 입력되면 접지단을 기준으로 입력에 비례하는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에러 증폭부는, 애노드 전류 감지 증폭부에 연결되는 제1 입력단과 기준 전압원에 연결되는 제2 입력단 및 캐소드 전류원에 연결되는 출력단을 포함하고, 주파수 보상부는, 에러 증폭부의 제1 입력단과 애노드 전류 감지 증폭부 사이의 연결 라인에 일측이 연결되고, 에러 증폭부의 출력단과 상기 캐소드 전류원 사이의 연결 라인에 타측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에러 증폭부와 주파수 보상부는, 전류 감지부(800)의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과 동일하도록 제어하는 전류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류 제어부(300)는, IA = Vref/αZs, Vref = αVs, Vs = ZsIA (여기서, VS는 전류 감지부의 출력 전압, ZS는 전류 감지부의 비례상수, IA는 애노드 전류, Vref는 기준전압, αVs는 전류 감지부의 출력전압임)으로 이루어지는 수식을 통해 애노드 전류가 제어되는 전류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전류 제어부(300)는, 전류 감지부(800)의 출력 전압을 제1 디지털 신호로 전환하는 제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기준 전압원의 기준 전압을 제2 디지털 신호로 전환하는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제1 디지털 신호와 제2 디지털 신호를 연산 처리하는 제어부, 그리고 제어부에서 연산처리된 처리 결과를 기반으로 전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류 제어부(300)는, 전류 제어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출력하거나 또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 및 PFM(Pulse Frequency Modulation) 신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PID(Proportional Intergral Derivative) 방식을 포함하는 제어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연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엑스레이 전자 방출 제어 장치는, 애노드(200)에 일측이 연결되고, 접지부(400)에 타측이 연결되는 애노드 전압원(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 전자 방출부(100)는, 게이트(110)과 전자 방출 에미터(emitter)가 있는 캐소드(120)로 구성되며, 캐소드 전류를 조절하는 캐소드 전류원(500)은, 일측이 캐소드(120)에 연결되고, 타측이 게이트 전압원(600)의 게이트 음극단에 연결되는 제1 분기 라인(621)에 연결된다.
여기서, 캐소드 전류원(500)에 연결되는 라인(620)에 흐르는 전류는, 게이트 전압원(600)의 게이트 음극단에 연결되는 제1 분기 라인(621)과 전류 감지부(800)에 연결되는 제2 분기 라인(622)으로 분기될 수 있다.
게이트 전압원(600)은, 전자 방출부(100)의 게이트(110)에 연결되는 게이트 라인(610)인 Vgate+ 라인과 제1 분기 라인(621)인 Vgate- 라인 사이에 연결되고, 게이트 라인(610)인 Vgate+ 라인과 제1 분기 라인(621)인 Vgate- 라인 사이에 전압 차이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게이트 전압원(600)은, 접지부(400)와 분리되어 있는데, 이러한 종류의 전압원은, 절연형 전력 변환기(Isolated Power Converter)로 구성될 수 있다.
절연형 전력 변환기는, 두 출력단(여기서, 게이트 양극단 Vgate+와 게이트 음극단 Vgate-)중 한 단자를 임의의 전원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어, 전압원 VC(900)은, 게이트 음극단 Vgate-을 적절한 전압으로 고정하기 위한 전압원으로서, 전압원 VC(900)은, 전류 감지부(800)를 거처 게이트 음극단 Vgate-에 연결되는 제1 분기 라인(621), 제2 분기 라인(622) 및 캐소드 전류ㅇ우원(500)의 연결 라인(620)에 일정한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개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전자 방출부(100)는, 게이트 전류(IG)와, 방출된 전자에 의한 애노드 전류(IA)가 흐르면 이 두 전류가 합쳐진 캐소드 전류(ICA = IG + IA)가 흐르게 된다.
그리고, Gate 전류(IG)는, 게이트 단과 캐소드 단 사이의 전압 차이에 의해 조절되고, 애노드 전류(IA)는, IA = (TR/(1-TR))IG (여기서, IA는 애노드 전류, TR은 전송률, IG는 게이트 전류임)으로 이루어지는 수식과 같이 게이트 전류에 비례한다.
그러므로, 본 개시는, 게이트 단과 캐소드 단 사이의 전압 차이를 조절하면, 애노드 ㅈ전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개시는, 게이트 단 전압을 고정시키고, 캐소드 전류원(500)의 전류를 조절하여 캐소드 단의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소드 전류원(500)의 전류를 증가시키면 전자 방출부(100)의 캐소드 단에 전압이 낮아지게 되어 게이트 단과 캐소드 단 사이의 전압 차이가 증가하게 된다.
이로 인해, 게이트 전류가 증가하고, IA = (TR/(1-TR))IG (여기서, IA는 애노드 전류, TR은 전송률, IG는 게이트 전류임)으로 이루어지는 수식에 의해 애노드 전류도 게이트 전류의 증가율에 비례해서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본 개시의 애노드 전류 감지 동작은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전압원은, 공급된 전류와 수거된 전류가 같으므로, 게이트 전압원(600)의 게이트 양극단 Vgate+에 연결되는 게이트 라인(610)으로 공급된 게이트 전류는, 게이트 전압원(600)의 게이트 음극단 Vgate-에 연결되는 제1 분기 라인(621)으로 동일한 양의 전류가 수거된다.
본 개시는, 캐소드 전류원(500)에 연결되는 라인(620)에 흐르는 캐소드 전류(ICA = IG + IA)는, 캐소드 전류 중 게이트 전류(IG)가 게이트 전압원(600)의 게이트 음극단 Vgate-에 연결되는 제1 분기 라인(621)으로 분기되어 들어가고, 캐소드 전류 중 나머지 애노드 전류(IA)가 제2 분기 라인(622)으로 분기되어 전류 감지부(800)로 들어간다.
따라서, 전류 감지부(800)는, 입력되는 애노드 전류를 감지하고, 전류 제어부(300)는, 감지된 애노드 전류를 기반으로 캐소드 전류를 조절하는 캐소드 전류원(500)을 제어함으로써, 애노드 전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개시는, 캐소드 전류원에 전류 감지부를 연결하고 게이트 전압원을 캐소드 전류원과 전류 감지부 사이를 연결하는 라인의 분기점에 연결함으로써, 애노드단에 직접 연결 없이도 저전압 영역에서 애노드 전류를 감지할 수 있어 쉽고 간단하고 저렴한 회로 구현이 가능하면서도 애노드 전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하나의 전류 감지 장치를 통해 애노드 전류를 감지하므로 전체적인 장치 구성이 간단하고, 애노드 전류에 대해서만 보정하므로 정밀하게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장치의 캐소드단과 접지(Ground)단 사이에서 애노드 전류를 감지하므로, 수 V ~ 수십 V 정도에 상응하는 전압 범위의 장치로 구성할 수 있고, 전체 장치의 안정성이 높으며, 높은 정밀도의 전류 감지 장치를 쉽게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저가화(low cost) 구현도 가능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엑스레이 전자 방출 제어 장치의 전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전류 제어부를 아날로그 장치로 구현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전류 제어부(300)는, 감지한 애노드 전류를 기반으로 전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캐소드 전류원(500)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전류 감지부(800)는, 캐소드 전류원(500)과 전류 감지부(800) 사이를 연결하는 라인(620)의 분기점으로부터 애노드 전류를 입력받아 그에 비례하는 전압을 전류 제어부(300)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전류 감지부(80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은, VS = ZSIA (여기서, VS는 전류 감지부의 출력 전압, ZS는 전류 감지부의 비례상수, IA는 애노드 전류임)으로 이루어지는 수식으로 산출되는 전압값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전류 제어부(300)는, 전류 감지부(800)의 출력 전압을 증폭하는 애노드 전류 감지 증폭부(340), 애노드 전류 감지 증폭부(340)의 출력 전압과 기준 전압원의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에러값을 증폭하는 에러 증폭부(310), 그리고 에러 증폭부의 출력 전압을 기반으로 전류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주파수 보상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애노드 전류 감지 증폭부(340)는, 전류 감지부(800)에 입력측이 연결되고, 접지부(400)에 연결된 기준 전압원(320)과 에러 증폭부(310)에 각각 출력측이 연결되며, 전류 감지부(800)의 출력 전압이 입력되면 접지단을 기준으로 입력에 비례하는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에러 증폭부(310)는, 애노드 전류 감지 증폭부(340)에 연결되는 제1 입력단과 기준 전압원(320)에 연결되는 제2 입력단 및 캐소드 전류원(500)에 연결되는 출력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주파수 보상부(330)는, 에러 증폭부(310)의 제1 입력단과 애노드 전류 감지 증폭부(340) 사이의 연결 라인에 일측이 연결되고, 에러 증폭부(310)의 출력단과 캐소드 전류원(500) 사이의 연결 라인(311)에 타측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에러 증폭부(310)와 주파수 보상부(330)는, 전류 감지부(800)의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과 동일하도록 제어하는 전류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전류 제어부(300)는, IA = Vref/αZs, Vref = αVs, Vs = ZsIA (여기서, VS는 전류 감지부의 출력 전압, ZS는 전류 감지부의 비례상수, IA는 애노드 전류, Vref는 기준전압, αVs는 전류 감지부의 출력전압임)으로 이루어지는 수식을 통해 애노드 전류가 제어되는 전류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엑스레이 전자 방출 제어 장치는, 전자를 방출하는 전자 방출부(100), 전자를 수집하는 애노드(200), 전자 방출부(100)의 게이트(110)에 연결되는 게이트 전압원(600), 전자 방출부(100)의 캐소드(120)에 연결되는 캐소드 전류원(500), 캐소드 전류원(500)에 연결되어 애노드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800), 애노드(200)와 접지부(400)에 연결되는 애노드 전압원(700), 전류 감지부(800)와 접지부(400)에 연결되는 전압원 VC(9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압원 VC(900)은, 전류 감지부(800)를 거쳐 캐소드 전류원(500)과 전류 감지부(800) 사이를 연결하는 라인(620, 621, 622)에 일정한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전류 감지부(800)는, 애노드 전류가 입력되면 그에 비례하는 전압(VS = ZSIA, 여기서, VS는 전류 감지부의 출력 전압, ZS는 전류 감지부의 비례상수, IA는 애노드 전류임)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전류 제어부(300)의 애노드 전류 감지 증폭부(340)는, 전류 감지부(800)의 출력 전압을 적절하게 증폭하고, 에러 증폭부(310)는, 애노드 전류 감지 증폭부의 출력 전압과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그 차이 값인 에러값을 증폭할 수 있다.
이어, 주파수 보상부(330)는, 에러 증폭부(310)와 함께 그 출력전압을 적절하게 적분/미분으로 전류 제어 신호를 만들 수 있다.
다음, 전류 제어 신호는, 연결 라인(311)을 따라 캐소드 전류를 조절하는 캐소드 전류원(500)을 제어하는 신호로 사용될 수 있다.
애노드 전류 감지 증폭부(340)는, 전류 감지부(800)의 출력 양단 전압을 입력받아서 접지부(400) 기준으로 입력에 비례하는 전압(αVs)을 출력한다.
그리고, 에러 증폭부(310)와 주파수 보상부(330)는, 캐소드 전류를 조절하는 캐소드 전류원(500)으로 애노드 전류 감지 증폭부(340)의 출력전압(αVs))이 기준전압(Vref)과 같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전류 제어부(300)는, IA = Vref/αZs, Vref = αVs, Vs = ZsIA (여기서, VS는 전류 감지부의 출력 전압, ZS는 전류 감지부의 비례상수, IA는 애노드 전류, Vref는 기준전압, αVs는 전류 감지부의 출력전압임)으로 이루어지는 수식을 통해 애노드 전류를 정교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엑스레이 전자 방출 제어 장치의 전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전류 제어부를 디지털 장치로 구현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전류 제어부(3000)는, 감지한 애노드 전류를 기반으로 전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캐소드 전류원(500)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전류 감지부(800)는, 캐소드 전류원(500)과 전류 감지부(800) 사이를 연결하는 라인(620)의 분기점으로부터 애노드 전류를 입력받아 그에 비례하는 전압을 전류 제어부(3000)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전류 감지부(80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은, VS = ZSIA (여기서, VS는 전류 감지부의 출력 전압, ZS는 전류 감지부의 비례상수, IA는 애노드 전류임)으로 이루어지는 수식으로 산출되는 전압값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전류 제어부(3000)는, 전류 감지부(800)의 출력 전압을 제1 디지털 신호로 전환하는 제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021), 기준 전압원(3040)의 기준 전압을 제2 디지털 신호로 전환하는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022), 제1 디지털 신호와 제2 디지털 신호를 연산 처리하는 제어부(3010), 그리고 제어부(3010)에서 연산처리된 처리 결과를 기반으로 전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출력부(30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류 제어부(3000)는, 전류 제어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출력하거나 또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 및 PFM(Pulse Frequency Modulation) 신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10)는, PID(Proportional Intergral Derivative) 방식을 포함하는 제어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연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개시의 전류 제어부(3000)는, 전류 감지부(800)의 출력 전압(VS = ZSIA)을 입력 받아 제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021)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전환하고, 기준 전압도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022)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전환한다.
다음, 디지털 신호로 전환된 두 신호는, 제어부(3010)인 MCU에서 제어 알고리즘을 포함한 연산을 수행하고, 출력부(3030)를 통해 캐소드 전류원(500)을 제어하는 전류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출력 신호는,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를 거친 아날로그 ㅅ신호일 수도 있고, 또는 디지털 신호일 수도 있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는, 펄스(Pulse) 폭을 달리하여 출력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신호, 또는 펄스 주파수를 달리하여 출력하는 PFM(Pulse Frequency Modulation)신호 등과 같이 캐소드 전류원(500)을 제어할 수 있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알고리즘의 일 예로는, PID 방식이 있는데, 이 외에도 다양한 제어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엑스레이 전자 방출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복수의 전자 방출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엑스레이 전자 방출 제어 장치를 구현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는, 게이트 및 캐소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자 방출부(1001 ~ 100n), 복수의 전자 방출부(1001 ~ 100n)에 각각 대응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애노드(2001 ~ 200n), 복수의 전자 방출부(1001 ~ 100n)에 각각 대응되어 캐소드(1201 ~ 120n)에 연결되는 복수의 캐소드 전류원(5001 ~ 500n), 복수의 전자 방출부(1001 ~ 100n)들 중 어느 하나의 특정 전자 방출부의 게이트에 연결되는 게이트 전압원(600), 복수의 캐소드 전류원(5001 ~ 500n)에 연결되어 애노드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800), 그리고 감지한 애노드 전류를 기반으로 전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복수의 캐소드 전류(5001 ~ 500n)원으로 출력하는 전류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 전압원(600)은, 특정 전자 방출부(100)의 게이트에 일측이 연결되고, 복수의 캐소드 전류원(5001 ~ 500n)들과 전류 감지부(800) 사이를 연결하는 라인의 분기점에 타측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전자 방출부(1001 ~ 100n)의 게이트들은, 서로 직렬 연결되고, 복수의 애노드들(2001 ~ 200n)은, 서로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이어, 복수의 캐소드 전류원(5001 ~ 500n)은, 서로 병렬 연결되어 전류 감지부(800)에 연결될 수 있다.
다음, 전류 제어부(300)는, 캐소드 전류원(500)을 개별로 온/오프하는 제1 제어 신호와 캐소드 전류원(500)을 개별로 전류값을 제어하는 제2 신호를 포함하는 전류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전류 제어부(300)는, 복수의 캐소드 전류원(5001 ~ 500n)에 각각 개별로 연결 라인(3011 ~ 301n)으로 연결되어 전류 제어 신호를 각 캐소드 전류원(500)으로 개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캐소드 전류원(5001 ~ 500n)은, 게이트 전류와 애노드 전류가 합쳐진 캐소드 전류를 전류 감지부(800)와 게이트 전압원(600)을 연결하는 라인(620)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게이트 전압원(600)은, 라인(620)의 분기점으로부터 분기되는 제1 분기 라인(621)에 연결되고, 전류 감지부(800)는, 라인(620)의 분기점으로부터 분기되는 제2 분기 라인(622)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게이트 전압원(600)은, 캐소드 전류원(500)으로부터 출력된 캐소드 전류 중 제1 분기 라인(621)을 통해 분기되는 게이트 전류를 입력받고, 전류 감지부(800)는, 캐소드 전류원(500)으로부터 출력된 캐소드 전류 중 제2 분기 라인(622)을 통해 분기되는 애노드 전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제2 분기 라인(622)을 통해 분기되는 애노드 전류는, 게이트 전류가 증가하면 그의 증가율에 비례하여 증가하고, 게이트 전류가 감소하면 그의 감소율에 비례하여 감소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분기 라인(622)을 통해 분기되는 애노드 전류는, IA = (TR/(1-TR))IG (여기서, IA는 애노드 전류, TR은 전송률, IG는 게이트 전류임)으로 이루어지는 수식으로 산출되는 전류값을 가질 수 있다.
이어, 게이트 전압원(600)은, 제1 분기 라인(621)에 연결되는 게이트 음극단과 전자 방출부(100)의 게이트 라인에 연결되는 게이트 양극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 양극단에 연결되는 게이트 라인을 통해 전자 방출부(100)의 게이트(110)로 공급되는 게이트 전류량은, 게이트 음극단에 연결되는 제1 분기 라인(621)을 통해 입력되는 게이트 전류량과 동일할 수 있다.
이때, 게이트 전압원(600)은, 캐소드 전류원(500)의 캐소드 전류가 증가하면 그에 비례하여 게이트 전류를 증가시키고, 캐소드 전류원(500)의 캐소드 전류가 감소하면 그에 비례하여 게이트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 캐소드 전류원(500)은, 전류 제어부(300)로부터 전류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전류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캐소드 전류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캐소드 전류원(500)은, 전자 방출부(100)의 게이트단 전압이 고정되고 전자 방출부(100)의 캐소드단 전압이 조절되도록, 전류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캐소드 전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캐소드 전류원(500)은, 전류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캐소드 전류를 증가시켜 전자 방출부(100)의 캐소드단 전압을 낮추거나 또는 전류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캐소드 전류를 감소시켜 전자 방출부(100)의 캐소드단 전압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전류 감지부(800)는, 캐소드 전류원(500)과 전류 감지부(800) 사이를 연결하는 라인(620)의 분기점으로부터 애노드 전류를 입력받아 그에 비례하는 전압을 전류 제어부(300)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전류 감지부(80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은, VS = ZSIA (여기서, VS는 전류 감지부의 출력 전압, ZS는 전류 감지부의 비례상수, IA는 애노드 전류임)으로 이루어지는 수식으로 산출되는 전압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엑스레이 전자 방출 제어 장치는, 전류 감지부(800)에 일측이 연결되고, 접지부(400)에 타측이 연결되는 전압원 VC(9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압원 VC(900)은, 전류 감지부(800)를 거쳐 캐소드 전류원(500)과 전류 감지부(800) 사이를 연결하는 라인(620, 621, 622)에 일정한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다음, 전류 제어부(300)는, IA = Vref/αZs, Vref = αVs, Vs = ZsIA (여기서, VS는 전류 감지부의 출력 전압, ZS는 전류 감지부의 비례상수, IA는 애노드 전류, Vref는 기준전압, αVs는 전류 감지부의 출력전압임)으로 이루어지는 수식을 통해 애노드 전류가 제어되는 전류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애노드(200)에 일측이 연결되고, 접지부(400)에 타측이 연결되는 애노드 전압원(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전자방출 장치를 구동시킬 때, 복수개의 전자 방출 장치의 특성이 다른 경우, 각각의 전자 방출 장치를 해당하는 특성에 적합하도록 제어 파라미터를 개별 설정해야 하지만, 본 개시는, 전자 방출 장치의 개별 특성이 달라도 제어 파라미터를 개별 설정할 필요 없이 일정하게 애노드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는, 전자방출 장치의 사용 중에 전자방출 장치가 노화되거나 또는 주위 환경이 달라질 경우에도, 그에 상관 없이 애노드 전류를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뮬레이션용 엑스레이 전자 방출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엑스레이 전자 방출 제어 장치를 시물레이션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뮬레이션용 엑스레이 전자 방출 제어 장치는, 전자 방출부(100)의 캐소드에 연결되는 캐소드 전류원(500), 캐소드 전류원(500)에 연결되어 애노드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800), 그리고, 감지한 애노드 전류를 기반으로 전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캐소드 전류원(500)으로 출력하는 전류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 전압원(600)은, 전자 방출부(100)의 게이트에 일측이 연결되고, 캐소드 전류원(500)과 전류 감지부(800) 사이를 연결하는 라인의 분기점에 타측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캐소드 전류원(500)은, 게이트 전류와 애노드 전류가 합쳐진 캐소드 전류를 캐소드 전류원(500)과 전류 감지부(800) 사이를 연결하는 라인의 분기점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게이트 전압원(600)은, 캐소드 전류원(500)으로부터 출력된 캐소드 전류 중 제1 분기 라인을 통해 분기되는 게이트 전류를 입력받고, 전류 감지부(800)는, 캐소드 전류원(500)으로부터 출력된 캐소드 전류 중 제2 분기 라인을 통해 분기되는 애노드 전류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전류 감지부(800)는, 캐소드 전류원(500)과 전류 감지부(800) 사이를 연결하는 라인의 분기점으로부터 애노드 전류를 입력받아 그에 비례하는 전압을 전류 제어부(300)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전류 감지부(80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은, VS = ZSIA (여기서, VS는 전류 감지부의 출력 전압, ZS는 전류 감지부의 비례상수, IA는 애노드 전류임)으로 이루어지는 수식으로 산출되는 전압값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엑스레이 전자 방출 제어 장치를 시뮬레이션하여 애노드 단에서 측정한 애노드 전류와 전류 감지부(800)에 흐르는 전류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애노드 전류가 정밀하게 제어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전자 방출 장치의 TR = IA/ICA (여기서, IA는 애노드 전류, TR은 전송률, ICA는 캐소드 전류임)에서, TR의 비율값이 80/100일 때, 도 5에 도시된 본 개시의 장치를 시뮬레이션한 결과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의 애노드(200) 단에서 측정한 애노드 전류(IA(Anode))와 전류 감지부(800)에 흐르는 전류(IA(ZS)(여기서, ZS는 전류 감지부의 비례상수, IA는 애노드 전류임)를 비교한 결과 그래프로서, 두 전류가 거의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은, 전류 감지부(800)인 전류 감지 센서의 비례상수(ZS) 값을 달리 해서, 애노드 전류를 시뮬레이션한 결과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 감지 센서의 비례상수(ZS) 값에 따른 애노드 전류가 정교하게 제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애노드 전류는, 전류 감지 센서의 비례상수 값과 IA = Vref/αZs, Vref = 1, α = 1 (여기서, ZS는 전류 감지부의 비례상수, IA는 애노드 전류, Vref는 기준전압임)으로 이루어지는 수식을 통해 정밀하게 제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는, 캐소드 전류원에 전류 감지부를 연결하고 게이트 전압원을 캐소드 전류원과 전류 감지부 사이를 연결하는 라인의 분기점에 연결함으로써, 애노드단에 직접 연결 없이도 저전압 영역에서 애노드 전류를 감지할 수 있어 쉽고 간단하고 저렴한 회로 구현이 가능하면서도 애노드 전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하나의 전류 감지 장치를 통해 애노드 전류를 감지하므로 전체적인 장치 구성이 간단하고, 애노드 전류에 대해서만 보정하므로 정밀하게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장치의 캐소드단과 접지(Ground)단 사이에서 애노드 전류를 감지하므로, 수 V ~ 수십 V 정도에 상응하는 전압 범위의 장치로 구성할 수 있고, 전체 장치의 안정성이 높으며, 높은 정밀도의 전류 감지 장치를 쉽게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저가화(low cost) 구현도 가능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엑스레이 전자 방출 제어 장치에 의하면, 쉽고 간단하고 저렴한 회로 구현이 가능하면서도 애노드 전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현저하다.

Claims (15)

  1. 전자를 방출하는 전자 방출부;
    상기 전자를 수집하는 애노드;
    상기 전자 방출부의 게이트에 연결되는 게이트 전압원;
    상기 전자 방출부의 캐소드에 연결되는 캐소드 전류원;
    상기 캐소드 전류원에 연결되어 애노드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 그리고,
    상기 감지한 애노드 전류를 기반으로 전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캐소드 전류원으로 출력하는 전류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전압원은,
    상기 전자 방출부의 게이트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캐소드 전류원과 상기 전류 감지부 사이를 연결하는 라인의 분기점에 타측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전자 방출 제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 전류원은,
    게이트 전류와 애노드 전류가 합쳐진 캐소드 전류를 상기 캐소드 전류원과 상기 전류 감지부 사이를 연결하는 라인의 분기점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전자 방출 제어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압원은,
    상기 라인의 분기점으로부터 분기되는 제1 분기 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전류 감지부는,
    상기 라인의 분기점으로부터 분기되는 제2 분기 라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전자 방출 제어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압원은,
    상기 캐소드 전류원으로부터 출력된 캐소드 전류 중 상기 제1 분기 라인을 통해 분기되는 게이트 전류를 입력받고,
    상기 전류 감지부는,
    상기 캐소드 전류원으로부터 출력된 캐소드 전류 중 상기 제2 분기 라인을 통해 분기되는 애노드 전류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전자 방출 제어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압원은,
    상기 제1 분기 라인에 연결되는 게이트 음극단과 상기 전자 방출부의 게이트 라인에 연결되는 게이트 양극단을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양극단에 연결되는 게이트 라인을 통해 상기 전자 방출부의 게이트로 공급되는 게이트 전류량은,
    상기 게이트 음극단에 연결되는 제1 분기 라인을 통해 입력되는 게이트 전류량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전자 방출 제어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감지부는,
    상기 캐소드 전류원과 상기 전류 감지부 사이를 연결하는 라인의 분기점으로부터 상기 애노드 전류를 입력받아 그에 비례하는 전압을 상기 전류 제어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전자 방출 제어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은,
    VS = ZSIA (여기서, VS는 전류 감지부의 출력 전압, ZS는 전류 감지부의 비례상수, IA는 애노드 전류임)으로 이루어지는 수식으로 산출되는 전압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전자 방출 제어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어부는,
    상기 전류 감지부의 출력 전압을 증폭하는 애노드 전류 감지 증폭부;
    상기 애노드 전류 감지 증폭부의 출력 전압과 기준 전압원의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에러값을 증폭하는 에러 증폭부; 그리고,
    상기 에러 증폭부의 출력 전압을 기반으로 상기 전류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주파수 보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전자 방출 제어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어부는,
    IA = Vref/αZs, Vref = αVs, Vs = ZsIA (여기서, VS는 전류 감지부의 출력 전압, ZS는 전류 감지부의 비례상수, IA는 애노드 전류, Vref는 기준전압, αVs는 전류 감지부의 출력전압임)으로 이루어지는 수식을 통해 애노드 전류가 제어되는 전류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전자 방출 제어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어부는,
    상기 전류 감지부의 출력 전압을 제1 디지털 신호로 전환하는 제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기준 전압원의 기준 전압을 제2 디지털 신호로 전환하는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상기 제1 디지털 신호와 제2 디지털 신호를 연산 처리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에서 연산처리된 처리 결과를 기반으로 전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전자 방출 제어 장치.
  11. 게이트 및 캐소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자 방출부;
    상기 복수의 전자 방출부에 각각 대응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애노드;
    상기 복수의 전자 방출부에 각각 대응되어 캐소드에 연결되는 복수의 캐소드 전류원;
    상기 복수의 전자 방출부들 중 어느 하나의 특정 전자 방출부의 게이트에 연결되는 게이트 전압원;
    상기 복수의 캐소드 전류원에 연결되어 애노드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 그리고,
    상기 감지한 애노드 전류를 기반으로 전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복수의 캐소드 전류원으로 출력하는 전류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전압원은,
    상기 특정 전자 방출부의 게이트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캐소드 전류원들과 상기 전류 감지부 사이를 연결하는 라인의 분기점에 타측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전자 방출 제어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자 방출부의 게이트들은,
    서로 직렬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애노드들은,
    서로 직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전자 방출 제어 장치.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소드 전류원은,
    서로 병렬 연결되어 상기 전류 감지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전자 방출 제어 장치.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어부는,
    상기 캐소드 전류원을 개별로 온/오프하는 제1 제어 신호와 상기 캐소드 전류원을 개별로 전류값을 제어하는 제2 신호를 포함하는 전류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전자 방출 제어 장치.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캐소드 전류원에 각각 개별로 연결되어 상기 전류 제어 신호를 각 캐소드 전류원으로 개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전자 방출 제어 장치.
KR1020257009863A 2022-09-27 2022-09-27 엑스레이 전자 방출 제어 장치 Pending KR202500578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14447 WO2024071462A1 (ko) 2022-09-27 2022-09-27 엑스레이 전자 방출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057845A true KR20250057845A (ko) 2025-04-29

Family

ID=90478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57009863A Pending KR20250057845A (ko) 2022-09-27 2022-09-27 엑스레이 전자 방출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586745A1 (ko)
KR (1) KR20250057845A (ko)
CN (1) CN119949021A (ko)
WO (1) WO2024071462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10109B2 (en) * 2001-07-13 2004-10-26 Medtronic Ave, Inc. X-ray emitting system and method
DE102004012704B4 (de) * 2004-03-16 2008-01-03 Katz, Elisabeth Vorrichtung zur online-Analyse und Verwendung einer solchen Vorrichtung
CN111670611A (zh) * 2018-01-31 2020-09-15 纳欧克斯影像有限责任公司 X射线管的控制方法和x射线管的控制装置
JP7306447B2 (ja) * 2019-03-01 2023-07-11 株式会社島津製作所 X線発生装置、並びに、その診断装置及び診断方法
KR102194700B1 (ko) * 2019-03-19 2020-12-23 김상수 엑스레이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9949021A (zh) 2025-05-06
WO2024071462A1 (ko) 2024-04-04
EP4586745A1 (en) 2025-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2122A (en) High-speed logarithmic photo-detector
US9552955B2 (en) Electron source
US8587917B2 (en) Static eliminator and static elimination control method
GB2333593A (en) Light emission circuit
KR102194700B1 (ko) 엑스레이 제어 장치
EP4586745A1 (en) X-ray electron emission control device
CN118945966B (zh) 一种宽量程高精度的医用x射线成像系统
JP2010128551A (ja) 電流測定回路
US8212224B2 (en) Charged particle beam device
CN110825148A (zh) 恒流控制电源电路及场致发射电子源
Heifets et al. Fully active voltage divider for PMT photo-detector
CN209803582U (zh) 一种智能开关插座控制系统
US20090184854A1 (en) Precision microcontroller-based pulse width modulation digital-to-analog conversion circuit and method
KR102781945B1 (ko) 엑스선 소스의 구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엑스선 발생장치
EP0384615B1 (en) Biasing circuitry for a diode detector
JP6417139B2 (ja) 電子増倍管用の出力回路
US6211629B1 (en) Cut-off level setting
US9215766B2 (en) Drive device for light-emitting element
RU227408U1 (ru) Электрометрический усилитель
RU221588U1 (ru) Устройство регистрации фотоэмиссионного и термоэмиссионного токов в процессе формирования фотоэмиссионного и/или вторично-эмиссионного покрытия
US20230010809A1 (en) Multi-converter power supply system
Bachmann et al. Control of the electron source current
US10176962B2 (en) X-ray emitter
CN117289002A (zh) 一种功率放大器的电源电路和源表
JP2021170435A (ja) Led電源装置及びled調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5032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