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50059006A - Driver Support Device and the Cockpit Module that uses it - Google Patents

Driver Support Device and the Cockpit Module that uses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50059006A
KR20250059006A KR1020230142843A KR20230142843A KR20250059006A KR 20250059006 A KR20250059006 A KR 20250059006A KR 1020230142843 A KR1020230142843 A KR 1020230142843A KR 20230142843 A KR20230142843 A KR 20230142843A KR 20250059006 A KR20250059006 A KR 20250059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enger
pad
connecting portion
support device
cockpit modu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428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익근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42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50059006A/en
Publication of KR20250059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50059006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55Padded or energy-absorbing fittings, e.g. seat belt anch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4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instrument panel or 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51Kn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021/0273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automatically movable to an operative position, e.g. in case of collision or impending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자 지지 장치는 일단부에 힌지가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끝단에 배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연결부의 힌지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부가 하측으로 회전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고, 차량에 충격 발생시 상기 연결부가 하측으로 회전되며 상기 지지부가 상기 크래쉬 패드의 하측으로 노출되며 탑승자를 지지할 수 있다. An occupant suppor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having a hinge formed at one end thereof, a supporting portion arranged at an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an elastic body arranged at the hinge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providing elasticity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rotates downward, and when an impact occurs on a vehicle, the connecting portion rotates downward and the supporting portion is exposed to the lower side of the crash pad to support the occupant.

Description

탑승자 지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칵핏 모듈{Driver Support Device and the Cockpit Module that uses it}{Driver Support Device and the Cockpit Module that uses it}

본 발명은 칵핏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충돌 발생 시 승객의 무릎과 정강이를 지지하여 승객을 보호할 수 있는 칵핏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ckpit module, and more specifically, to a cockpit module capable of protecting a passenger by supporting the passenger's knees and shins when a vehicle collision occurs.

차량 내측의 전방에는 차폭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칵핏 모듈이 배치된다. 칵핏 모듈은 차량에 충돌 발생시 승객을 지지하며 승객이 전방으로 밀려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 cockpit module is placed in the front of the vehicle, extending across the width of the vehicle. The cockpit module can support passengers in the event of a collision with the vehicle and prevent passengers from being pushed forward.

다만, 자율 주행이 고도화되고, 차량 내부의 거주 시간이 늘어나는 추세에서 차량 내부의 공간을 증대시키는 구조가 개발되고 있다. 차량 내부 공간의 증대는 기존에 큰 부피를 차지하였던 칵핏 모듈과 같은 부품의 부피를 축소시키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However, as autonomous driving becomes more advanced and the time spent inside a vehicle increases, structures that increase the space inside the vehicle are being developed. The increase in the space inside the vehicle can be implemented by reducing the volume of parts such as the cockpit module that previously took up a large volume.

자율주행 차량이더라도 수동 주행 모드가 필요한 경우가 있고, 이때 칵핏 모듈을 높이 방향으로 축소시키면 차량의 충돌 발생으로 인해 승객이 전방으로 전진할 때 칵핏 모듈이 승객을 온전히 지지하지 못할 수 있다. 특히 칵핏 모듈의 하단부가 축소된 슬림 칵핏이 적용된 차종의 경우, 승객의 무릎까지 지지가 가능하고, 무릎 하측은 지지되지 않아 무릎 관절이 어긋나는 상해를 입을 수 있다. Even in autonomous vehicles, there are times when manual driving mode is required, and in such cases, if the cockpit module is reduced in height, the cockpit module may not be able to fully support passengers when they move forward due to a collision of the vehicl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vehicle model with a slim cockpit with a reduced lower part of the cockpit module, the passenger's knees can be supported, but the lower part of the knees is not supported, which may cause injury due to misalignment of the knee joint.

따라서 차량 내부의 공간을 넓게 증대시키되, 충돌 발생시 승객이 전방으로 밀려나지 않고 지지될 수 있는 슬림 칵핏이 필요한 실정이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lim cockpit that can increase the space inside the vehicle while still supporting passengers without them being pushed forward in the event of a collis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부 공간이 넓은 슬림 칵핏의 하부에서 사고 발생시 탑승자를 지지할 수 있는 탑승자 지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칵핏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ssenger support device capable of supporting a passenger in the event of an accident at the lower portion of a slim cockpit having a wide lower space, and a cockpit modu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herein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자 지지 장치는 일단부에 힌지가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끝단에 배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연결부의 힌지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부가 하측으로 회전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를 포함할 수 있다.A passenge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having a hinge formed at one end; a supporting portion arranged at an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an elastic body arranged at the hinge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providing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rotates downward.

차량에 충격 발생시 상기 연결부가 하측으로 회전되며 상기 지지부가 상기 크래쉬 패드의 하측으로 노출되며 탑승자를 지지할 수 있다. When an impact occurs to the vehicle, the connecting portion rotates downward and the supporting portion is exposed to the lower side of the crash pad to support the passenger.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결부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되고, 연결부가 하측으로 회전될 때 상기 지지부가 상기 크래쉬 패드 하측의 공간을 커버할 수 있다. The above support member is formed by bending at an end of the above connecting member, and when the connecting member is rotated downward, the support member can cover the space below the crash pad.

상기 지지부의 탑승자를 마주보는 면에는 완충재로 형성된 완충부; 가 배치될 수 있다. A buffer portion formed of a buffer material may be placed on the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facing the passenger.

상기 연결부의 힌지에는 상기 연결부가 최대 회전각도까지 회전한 뒤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스토퍼;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hinge of the above connect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that supports the connecting part so that it does not rotate after rotating to the maximum rotation angl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칵핏 모듈은 크래쉬 패드;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자 지지 장치; 를 포함할 수 있다. A cockpit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rash pad; and a passenge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크래쉬 패드는 승객을 마주보는 패드 전면부; 및 상기 전면부의 하측 끝단에서 차량 전방으로 절곡되는 패드 하부; 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rash pad may include a front portion of the pad facing the passenger; and a lower portion of the pad that is bent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at a lower end of the front portion.

상기 패드 하부에는 노출홀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가 하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노출홀을 통해 노출되며 상기 크래쉬 패드의 하부 공간을 커버할 수 있다. An exposure hole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above pad, and the connecting part is rotated downward to be exposed through the exposure hole and can cover the lower space of the crash pad.

상기 패드 전면부의 내측에는 돌출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는 고정홀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핀이 상기 고정홀에 걸어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A protruding pin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above pad, and a fixing hole is formed in the connecting portion so that the protruding pin can be positioned while being hooked into the fixing hole.

사고 발생시 상기 패드 전면부에 차량 전방 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돌출핀이 상기 고정홀에서 이탈하며 상기 연결부가 회전될 수 있다. In the event of an accident, if an impact is applied to the front of the pad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protruding pin may come out of the fixing hole and the connecting part may rotate.

상기 탑승자 지지 장치는 탑승자의 무릎과 대응되는 위치에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passenger support device may be formed in two unit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assenger's knees.

2개의 상기 탑승자 지지 장치의 상기 지지부는 서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upport members of the two above-mentioned passenger support devices can be formed integrally by extending from each other.

상기 연결부는 상기 크래쉬 패드 내측에 배치되는 크로스바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의 힌지는 상기 크로스바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The above connecting portion is connected to a crossbar arranged on the inside of the crash pad, and the hinge of the connecting portion can be arranged on the outside of the crossbar.

상기 연결부는 상기 패드 하부의 내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의 힌지는 상기 패드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above connec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pad, and the hinge of the connecting portion can be plac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pa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크래쉬 패드 내측에 배치된 탑승자 지지 장치가 하측으로 회전되며 크래쉬 패드의 하측 공간을 커버하고 지지부가 탑승자를 지지하여 사고 발생시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ssenger support device disposed inside a crash pad rotates downward to cover a lower space of the crash pad, and the support member supports the passenger, thereby protecting the passenger in the event of an accident.

본 발명의 다양하고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various beneficial advantag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ntents, and will be more easily understood in the process of explaining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자 지지 장치가 적용된 칵핏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자 지지 장치가 적용된 칵핏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자 지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자 지지 장치의 힌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자 지지 장치가 적용된 칵핏 모듈의 작동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탑승자 지지 장치가 적용된 칵핏 모듈의 크래쉬 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탑승자 지지 장치가 적용된 칵핏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탑승자 지지 장치가 적용된 칵핏 모듈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탑승자 지지 장치가 적용된 칵핏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drawing illustrating a cockpit module to which a passenge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ckpit module to which a passenge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3 is a drawing illustrating a passenge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rawing illustrating a hinge of a passenge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rawing illustrating the operation method of a cockpit module to which a passenge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6 is a drawing illustrating a crash pad of a cockpit module to which a passenge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7 is a drawing illustrating a cockpit module to which a passenge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8 is a cross-sectional drawing of a cockpit module to which a passenge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9 is a drawing illustrating a cockpit module to which a passenge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has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judged that a specific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s" or "has"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연결된다"라고 할 때, 이는 둘 이상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둘 이상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 또는 위치나 기능에 따라 상이한 명칭들로 지칭되었으나 일체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Also,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we say "connected," this does not only mean that two or more components are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at two or more components are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other components, that they are electrically connected as well as physically connected, or that they are referred to by different names depending on location or function but are one.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described as being formed or arranged “above or below” each component, above or below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the two components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but also the case where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are formed or arranged between the two components. In addition, when expressed as “above or below,” it can include the meaning of the downward direction as well as the upward direction based on one component.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탑승자 지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칵핏 모듈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passenge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ckpit module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drawing number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자 지지 장치가 적용된 칵핏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자 지지 장치가 적용된 칵핏 모듈의 단면도이다. FIG. 1 is a drawing illustrating a cockpit module to which a passenge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ckpit module to which a passenge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자 지지 장치(100)는 차량 전방의 크래쉬 패드(10)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탑승자를 지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a passenger support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inside of a crash pad (10) at the front of a vehicle to support a passenger.

종래의 크래쉬 패드(10)는 차량 전방에 설치되되, 하측으로도 연장되며 형성되어 사고 발생시 탑승자의 하체측을 지지할 수 있었다. 차량 내측의 공간 확보를 위한 슬림 칵핏의 경우, 칵핏 모듈(1)이 축소되어 슬림한 형상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칵핏 모듈(1)의 하측이 절곡되어 형성되며 차량 내부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The conventional crash pad (10) is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vehicle, but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as well, so that it can support the lower body of the passenger in the event of an accident. In the case of a slim cockpit for securing space inside the vehicle, the cockpit module (1) can be reduced to implement a slim shape. That is, the lower side of the cockpit module (1) is formed by bending, so that the space inside the vehicle can be secured widely.

자율주행 자동차, 전기자동차 등 미래형 자동차가 개발되며 차량 내부에서 머무는 시간이 늘어날 수 있고, 차량 내부에서 탑승자의 편의를 위하여 차량 내부 공간을 넓게 확보하는 것이 중요해지는 바, 슬림 칵핏과 같은 차량 내부 공간 확보를 위한 구성이 필수적이라 볼 수 있다. As future cars such as self-driving cars and electric cars are developed, the time spent inside the vehicle may increase, and it is becoming important to secure a wide space inside the vehicle for the convenience of passengers.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a configuration for securing space inside the vehicle, such as a slim cockpit, is essential.

슬림 캇핏이 적용된 차량의 경우, 탑승자의 하체측에 대응되는 공간이 빈 공간으로 남게 되어 사고 발생시 탑승자가 칵핏에 의해 충분히 지지받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슬림 칵핏이 적용된 차량에 탑승하는 탑승자는 무릎의 상측으로는 칵핏에 의해 지지받을 수 있으나 정강이측을 지지받지 못하며 무릎과 정강이가 충격에 의해 어긋나는 등 상해를 입을 위험이 있다. In the case of vehicles with a slim cockpi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pace corresponding to the lower body of the passenger is left as an empty space, so the passenger is not sufficiently supported by the cockpit in the event of an accident. Passengers riding in a vehicle with a slim cockpit can be supported by the cockpit above the knees, but the shins are not supported, and there is a risk of injury, such as the knees and shins being misaligned due to impact.

따라서 사고 발생시 탑승자를 충분히 지지하면서 차량 내부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슬림 칵핏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칵핏 모듈(1)의 크래쉬 패드(10) 내측에 설치되는 탑승자 지지 장치(100) 및 이를 활용한 칵핏 모듈(1)을 제공하여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Therefore, a slim cockpit that can secure a wide space inside the vehicle while sufficiently supporting the passenger in the event of an accident is required.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above problem by providing a passenger support device (100)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crash pad (10) of the cockpit module (1) and a cockpit module (1) utiliz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자 지지 장치(100)는 일단부에 힌지(111)가 형성되며, 힌지(111)를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110), 연결부(110)의 끝단에 배치되는 지지부(120) 및 힌지(111)에 배치되어 연결부(110)가 하측으로 회전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112)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탄성체(112)가 제공하는 탄성력으로 인해 연결부(110) 및 지지부(120)는 하측으로 회전되고 크래쉬 패드(10)의 하측으로 노출되며 크래쉬 패드(10) 하부 공간을 지지부(120)가 커버하여 탑승자를 지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ssenger support device (100) may include a hinge (111) formed at one end thereof, a connecting portion (110) rotatably connected to the hinge (111) with a rotation axis, a support portion (120) disposed at an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110), and an elastic body (112) disposed at the hinge (111) to provide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110) rotates downward. When an impact occurs on a vehicle, the connecting portion (110) and the supporting portion (120) rotate downward due to the elastic force provided by the elastic body (112) and are exposed to the lower side of the crash pad (10), and the supporting portion (120) covers the lower space of the crash pad (10) to support the passenger.

크래쉬 패드(10)의 내측에는 크래쉬 패드(1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형성되는 크로스바(20)가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110)는 크로스바(20)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10)는 연결부(110)의 끝단에 형성되는 힌지(111)를 축으로 회전될 수 있다. A crossbar (20) that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rash pad (10) may be arranged on the inner side of the crash pad (10). A connecting portion (110)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outer side of the crossbar (20). The connecting portion (110) may be rotated about a hinge (111) formed at th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110).

연결부(110)는 크로스바(20)의 형상 또는 크래쉬 패드(10) 내측의 구조에 맞추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2의 경우 연결부(110)는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크로스바(20)의 형상에 대응되어 적어도 일부가 절곡되며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다. The connecting portion (110) can be formed by bending to match the shape of the crossbar (20) or the structure inside the crash pad (10). In the case of Fig. 2, the connecting portion (110) is shown as being formed by bending at least partly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rossbar (20)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연결부(110)가 배치되는 위치에는 제한이 없으며, 크래쉬 패드(10) 내측에서 하측으로 회전되며 크래쉬 패드(10)의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는 위치라면 제한이 없다. 즉 크로스바(20)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방식 이외에도 크래쉬 패드(10)의 내측에 직접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고, 크래쉬 패드(10) 내측의 차량 전방 방향 벽 측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position where the connecting part (110) is placed, and there is no limitation as long as it can be rotated downward from the inside of the crash pad (10) and exposed to the lower side of the crash pad (10). That is,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being rotatably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crossbar (20), it is also possible to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rash pad (10), and it is also possible to be connected to the front wall side of the vehicle on the inside of the crash pad (10).

연결부(110)의 끝단에서는 지지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20)는 연결부(110)의 끝단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결부(110)가 하측으로 회전될 때 크래쉬 패드(10)의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A support member (120)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110). The support member (120) may be bent downward at th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110) so as to be exposed to the lower side of the crash pad (10) when the connecting member (110) is rotated downward.

지지부(120)는 연결부(110)의 끝단에서 하측으로 절곡되며 크래쉬 패드(10) 하측 공간을 커버할 수 있다. 도 2의 경우 지지부(120)는 연결부(110)의 끝 단에서 수직으로 절곡되며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크래쉬 패드(10) 내측 공간의 제약에 따라 탑승자를 지지하기 위해 90도 보다 큰 각도로 절곡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와 다르게 90도 보다 작은 각도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support member (120) is bent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110) and can cover the space below the crash pad (10). In the case of Fig. 2, the support member (120) is shown as being formed by being bent vertically from th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110), but depending on the constraints of the inner space of the crash pad (10), it is also possible to bend at an angle greater than 90 degrees to support the passenger, and 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bend at an angle less than 90 degrees.

지지부(120)는 사고 발생시 탑승자를 직접 지지하는 부분인 바, 완충이 가능하도록 소재가 선정될 수 있다. 즉 지지부(120) 자체는 완충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지지부(120)의 탑승자를 마주하는 면에는 완충재로 형성되는 완충부(121)가 배치될 수 있다. 사고 발생 시 완충부(121)는 탑승자를 지지하며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해줄 수 있다. The support member (120) is a part that directly supports the passenger in the event of an accident, and thus, the material may be selected to enable cushioning. That is, the support member (120) itself may be formed of a cushioning material. Alternatively, a cushioning member (121) formed of a cushioning material may be placed on the side of the support member (120) that faces the passenger. In the event of an accident, the cushioning member (121) may support the passenger and alleviate the impact appli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자 지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자 지지 장치의 힌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3 is a drawing illustrating a passenge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drawing illustrating a hinge of a passenge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크래쉬 패드(10) 내측에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크로스바(20)의 외측에 연결부(110)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연결부(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가 절곡되며 형성될 수 있고, 본 실시예의 경우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크로스바(20)의 형상에 대응되어 연결부(110)가 회전할 때 연결부(110)의 움직임이 크로스바(20)에 간섭 받지 않도록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3 and 4, it can be seen that one end of a connecting portion (11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utside of a crossbar (20) formed to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inside of a crash pad (10).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ng portion (110) can be formed by being bent at least in part, and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can be formed by being bent so that the movement of the connecting portion (110) is not interfered with by the crossbar (20) when the connecting portion (110) rotates in correspondence with the shape of the crossbar (20)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

연결부(110)는 크로스바(20)로부터 탑승자의 방향으로 연장되며 끝단에는 지지부(120)가 형성된다.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는 탑승자 지지 장치(100)가 크래쉬 패드(10)의 내측에 위치하여 탑승자의 시선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The connecting portion (110) extends from the crossbar (20) toward the passenger and has a support portion (120) formed at the end. Before an accident occurs, the passenger support device (100) may be positioned on the inside of the crash pad (10)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passenger's view.

연결부(110)의 일단부에는 힌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10)는 힌지(111)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연결부(110)의 힌지(111)부에는 연결부(110)가 하측으로 회전 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112)가 배치될 수 있다. 탄성체(112)는 사고 발생시 연결부(110)가 하측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며 탄성체(112)는 스프링일 수 있다.A hinge (111)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110). The connecting portion (110) may be rotatably connected based on the hinge (111). In the present embodiment, an elastic body (112) may be arranged at the hinge (111) of the connecting portion (110) to provide elasticity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110) rotates downward. The elastic body (112) provides elasticity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 (110) rotates downward when an accident occurs, and the elastic body (112) may be a spring.

도 4는 탄성체(112)가 토션 스프링인 것을 도시하였다.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스프링의 끝단이 스프링의 나선 부분의 접선방향으로 연장되며 형성되고, 해당 부분이 스프링이 비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Figure 4 illustrates that the elastic body (112) is a torsion spring. The end of the spring formed in a spiral shape is formed to extend in a tangential direction of the spiral portion of the spring, and the portion can provide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pring is twisted.

연결부(110)가 회전되기 전에는 힌지(111)의 토션 스프링이 비틀린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으며, 연결부(110)는 별도의 고정 수단을 통해 탄성력에 저항하며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사고 발생 시 별도의 고정수단의 고정이 해제되며 스프링으로부터 가해지는 탄성력으로 인해 연결부(110)가 하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Before the connecting portion (110) is rotated, the torsion spring of the hinge (111) can be fixed in a twisted state, and the connecting portion (110) can maintain a fixed state by resisting elastic force through a separate fixing means. In the event of an accident, the fixing of the separate fixing means is released, and the connecting portion (110) can be rotated downward due to the elastic force applied from the spring.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자 지지 장치가 적용된 칵핏 모듈의 작동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5 is a drawing illustrating the operation method of a cockpit module to which a passenge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자 지지 장치(100)가 적용된 칵핏 모듈(1)은 크래쉬 패드(10) 및 탑승자 지지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고, 크래쉬 패드(10)는 탑승자를 마주보는 패드 전면부(12) 및 패드 전면부(12)의 하측에서 차량 전방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패드 하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a cockpit module (1) to which a passenger support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may include a crash pad (10) and a passenger support device (100), and the crash pad (10) may include a pad front portion (12) facing the passenger and a pad lower portion (14) formed by bending in the vehicle forward direction from the lower side of the pad front portion (12).

패드 하부(14)가 차량 전방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바, 칵핏 모듈(1) 하측의 공간이 넓어지며 슬림 칵핏을 구현할 수 있다. 탑승자 지지 장치(100)는 사고 발생시 패드 하부(14) 측으로 회전되며 칵핏 모듈(1)의 하부로 노출될 수 있다. The lower part of the pad (14) is formed by being bent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thereby increasing the space at the bottom of the cockpit module (1) and enabling a slim cockpit to be implemented. The passenger support device (100) can be rotated toward the lower part of the pad (14) in the event of an accident and exposed to the lower part of the cockpit module (1).

패드 하부(14)에는 탑승자 지지 장치(100)가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노출홀(15)이 형성될 수 있다. 탑승자 지지 장치(100)는 하측으로 회전될 때 적어도 일부가 노출홀(15)을 통해 크래쉬 패드(10)의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는 지지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An exposure hole (15) may b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pad (14) so that the passenger support device (100) can be exposed downward. When the passenger support device (100) is rotated downward, at least a portion thereof may be exposed downwardly through the exposure hole (15) of the crash pad (10), and at least a portion thereof may include a support member (120).

패드 하부(14)의 노출홀(15)에는 노출홀(15)을 개폐하는 도어(16)가 배치될 수 있다. 도어(16)는 평상시에는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도어(16)가 노출홀(15)을 막음으로써 깔끔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도어(16)는 노출홀(15)의 탑승자측이 개구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힌지(111)는 탑승자측에서 멀리 떨어진 테두리에 배치되어 탑승자측이 개구될 수 있다. A door (16)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xposure hole (15) of the lower part of the pad (14) can be arranged. The door (16) can be kept closed in normal times, and a neat design can be implemented by the door (16) blocking the exposure hole (15). The door (16) can be arranged so that the passenger side of the exposure hole (15) is open, and the hinge (111) can be arranged on a border far from the passenger side so that the passenger side can be opened.

탑승자 지지 장치(100)의 연결부(110)가 회전될 때 회전력에 의해 도어(16)가 힘을 받으며 하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도어(16)에는 후크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후크는 노출홀(15)의 측면에 걸어지는 방식으로 도어(16)를 고정시킬 수 있다. 후크에 의하여 고정된 도어(16)는 평상시에는 닫힌 상태로 노출홀(15)을 폐쇄할 수 있고, 사고 발생시 탑승자 지지 장치(100)에 의해 충격을 받으며 개구될 수 있다. When the connecting part (110) of the passenger support device (100) rotates, the door (16) receives force due to the rotational force and can be opened downward. A hook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door (16), and the hook may be fixed to the door (16) in a manner that it is hooked to the side of the exposure hole (15). The door (16) fixed by the hook can normally be closed and close the exposure hole (15), and in the event of an accident, it can be opened by receiving an impact from the passenger support device (100).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연결부(110)에는 고정홀(11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패드 전면부(12)의 내측에는 돌출핀(13)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출핀(13)은 패드 전면부(12)의 내측에서 차량의 전방으로 돌출되되, 끝단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절곡된 부분을 포함한 돌출핀(13)의 적어도 일부가 연결부(110)의 고정홀(114)에 걸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 3, and 5, a fixing hole (114)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ng portion (110). In addition, a protruding pin (13)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ide of the pad front portion (12). The protruding pin (13) may protrude from the inner side of the pad front portion (12)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but may be formed with an end that is bent,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protruding pin (13) including the bent portion may be hooked into the fixing hole (114) of the connecting portion (110).

연결부(110)가 돌출핀(13)에 의해 고정되며, 사고가 발생하기 전 까지 탑승자 지지 장치(100)는 크래쉬 패드(10) 내측 공간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돌출핀(13) 및 고정홀(114)의 고정 강도는 연결부(110)의 힌지(111)에 배치된 탄성체(112)의 탄성력을 버틸 수 있을 정도로 강할 수 있다. The connecting portion (110) is fixed by the protruding pin (13), and the passenger support device (100) can remain fix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rash pad (10) until an accident occurs. That is, the fixing strength of the protruding pin (13) and the fixing hole (114) can be strong enough to withstand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112) arranged in the hinge (111) of the connecting portion (110).

도 5의 점선으로 도시된 부분은 패드 전면부(12)에 충격이 가해지며 탑승자 지지 장치(100)가 하측으로 회전되며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The part shown in the dotted line in Fig. 5 illustrates the appearance of the passenger support device (100) being operated by rotating downward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front part of the pad (12).

사고 발생시 차량이 급정거 또는 장애물에 부딪히게 되며 탑승자가 전방으로 밀려날 수 있다. 이 경우 탑승자는 패드 전면부(12)에 충격을 가하게 된다. 패드 전면부(12)가 차량의 전방 방향으로 충격을 받을 경우 패드 전면부(12)는 소정거리 전방으로 휘어지며 이동될 수 있다. In the event of an accident, the vehicle may suddenly stop or hit an obstacle, and the passenger may be pushed forward. In this case, the passenger may be impacted by the front part of the pad (12). If the front part of the pad (12) is impacted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front part of the pad (12) may bend and move forward a predetermined distance.

패드 전면부(12)가 이동되면 패드 전면부(12) 내측에 형성된 돌출핀(13)이 전방으로 함께 소정거리 이동되며 연결부(110)의 고정홀(114)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연결부(110)가 돌출핀(13)으로부터 이탈될 경우, 탄성체(112)의 탄성력 및 탑승자 지지 장치(100)의 무게로 인하여 연결부(110)는 하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When the front part of the pad (12) is moved, the protruding pin (13) formed on the inside of the front part of the pad (12) is moved forward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can be detached from the fixing hole (114) of the connecting part (110). When the connecting part (110) is detached from the protruding pin (13), the connecting part (110) can be rotated downward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112) and the weight of the passenger support device (100).

탑승자 지지 장치(100)의 연결부(110)가 하측으로 회전되면 패드 하부(14)에 형성된 노출홀(15)을 통해 크래쉬 패드(10)의 하부 공간으로 이동되며 크래쉬 패드(10) 하부 공간을 커버 하여 전방으로 밀려나는 탑승자를 지지할 수 있다. When the connecting part (110) of the passenger support device (100) is rotated downward, it moves to the lower space of the crash pad (10) through the exposure hole (15)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pad (14) and can support the passenger who is pushed forward by covering the lower space of the crash pad (10).

연결부(110)의 힌지(111)측 끝단에는 연결부(110)가 일정 각도까지만 회전 가능하도록 스토퍼(113)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연결부(110)는 힌지(111)가 형성된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절곡되어 연장되며 연결부(110)가 최대 각도까지 회전될 때 스토퍼(113)가 크로스바(20)에 걸리면서 그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토퍼(113)는 연결부(110)가 적정 각도까지 회전하여 탑승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A stopper (113) may be formed at the hinge (111) sid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110)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 (110) can only rotate to a certain angle.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ing portion (110) is extended by being bent at leas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hinge (111) is formed, and when the connecting portion (110) is rotated to a maximum angle, the stopper (113) catches on the crossbar (20) and prevents it from rotating further. The stopper (113) allows the connecting portion (110) to rotate to an appropriate angle so as to stably support the passenger.

스토퍼(113)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며 본 실시예와 같이 연결부(110)가 연장되며 크로스바(20)에 걸리는 방식으로 탑승자 지지 장치(100)를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와 다르게 연결부(110)의 회전축에 배치되어 연결부(11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며 연결부(110)가 지나치게 회전되어 탑승자를 온전하게 지지하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면 제한이 없다.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shape of the stopper (113), and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fix the passenger support device (100) in a manner in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110) is extended and hooked to the crossbar (20), but unlike this, it is also possible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of the connecting portion (110) by arranging it on the rotation axis of the connecting portion (110), and there is no limitation as long as the connecting portion (110) does not rotate excessively and cannot fully support the passenger.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탑승자 지지 장치가 적용된 칵핏 모듈의 크래쉬 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6 is a drawing illustrating a crash pad of a cockpit module to which a passenge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6을 참조하면, 패드 하부(14)에 형성되는 도어(16)부는 복수개일 수 있다. 도 1 및 도 3은 탑승자 지지 장치(100)의 연결부(110) 및 지지부(120)가 각각 두 개씩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탑승자 지지 장치(100)는 탑승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바, 오른쪽 및 왼쪽 다리 모두를 지탱할 수 있도록 두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탑승자의 위치 및 자세에 구애 받는 것을 줄이도록 더 많은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의 경우 탑승자의 양 다리 위치에 맞게 도어(16)가 두 개가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다. Referring to Fig. 6, the number of door (16) part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pad (14) may be plural. Figs. 1 and 3 illustrate that the connecting part (110) and the supporting part (120) of the passenger support device (100) are formed in two pieces each. The passenger support device (100) supports the lower body of the passenger, and may be formed in two pieces so as to support both the right and left legs, and may be formed in a larger number so as to reduce restrictions on the position and posture of the passenger. In the case of Fig. 6, it is illustrated that two doors (16) are formed to match the positions of both legs of the passenger.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탑승자 지지 장치가 적용된 칵핏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7 is a drawing illustrating a cockpit module to which a passenge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7을 참조하면, 도어(16)에는 노치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16)가 열린 상태에서 승객을 지지할 때 도어(16)가 단단한 강성을 가지면서 고정된 위치에 배치될 경우 승객이 도어(16)에 의하여 충격을 받으며 상해를 입을 수 있다. 이 경우 도어(16)가 적당한 충격을 받을 때 파손되는 것이 탑승자를 보호하는 것이 된다. Referring to Fig. 7, a notch may be formed in the door (16). When the door (16) is in an open state to support a passenger, if the door (16) is positioned in a fixed position with a strong rigidity, the passenger may be shocked by the door (16) and may be injured. In this case, the door (16) being broken when receiving an appropriate shock protects the passenger.

도어(16)에는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노치가 요입되어 형성될 수 있고, 노치가 형성될 경우 도어(16)에 충격이 가해지면 탑승자에 의해 충격을 받을 때 도어(16)가 노치를 따라 파손되며 탑승자에게 상해를 입힐 위험을 줄일 수 있다. The door (16) can be formed with notche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nd when the notches are formed,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door (16), the door (16) is broken along the notches when impacted by a passenger,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injury to the passenger.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탑승자 지지 장치가 적용된 칵핏 모듈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8 is a cross-sectional drawing of a cockpit module to which a passenge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8을 참조하면, 연결부(110)는 패드 하부(14)의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8과 같이 연결부(110)가 패드 하부(14)에 연결될 경우 별도의 지지부(120)가 없을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지지부(120)가 없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연결부(110)의 끝단에서 지지부(120)가 절곡되어 연장되며 크래쉬 패드(10) 하부 공간을 커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connecting portion (110) can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ad lower portion (14). When the connecting portion (110) is connected to the pad lower portion (14) as shown in Fig. 8, a separate support portion (120) may not be present.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although the support portion (120) is not present, the support portion (120) may be bent and extended from th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110) to cover the lower space of the crash pad (10).

본 실시예의 경우 연결부(110)가 지지부(120)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연결부(110)는 사고 발생 전 크래쉬 패드(10) 내측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연결부(110)가 고정되는 방식은 돌출핀(13) 및 고정홀(114)을 이용한 방식일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ng part (110) can serve as a support part (120). The connecting part (110) can be positioned and fixed inside the crash pad (10) before an accident occurs, and the method of fixing the connecting part (110) can be a method using a protruding pin (13) and a fixing hole (114).

패드 전면부(12)의 내측에는 돌출핀(13)이 돌출될 수 있고, 연결부(110)에는 돌출핀(13)이 걸어지도록 고정홀(114)이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홀(114)은 연결부(110)를 관통하지 않는 홈의 형상일 수 있다. 돌출핀(13)의 끝단은 적어도 일부가 절곡되어 고정홀(114)에 걸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연결부(110)가 크래쉬 패드(10) 내측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A protruding pin (13) may be protruded from the inner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pad (12), and a fixing hole (114)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ng portion (110) so that the protruding pin (13) may be hooked onto, and the fixing hole (114) may be in the shape of a groove that does not penetrate the connecting portion (110). At least a portion of the end of the protruding pin (13) may be bent to be hooked onto the fixing hole (114), thereby allowing the connecting portion (110) to be maintained in a state of being arranged on the inner side of the crash pad (10).

패드 전면부(12)에 차량 전방 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질 시 돌출핀(13)이 고정홀(114)에서 이탈하며 연결부(110)는 하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연결부(110)의 힌지(111)에 배치된 탄성체(112)는 연결부(110)가 하측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연결부(110)가 하측으로 회전되며 탑승자를 지지하는 면에는 별도의 완충소재로 형성된 완충부(121)가 배치될 수 있으며, 연결부(110) 자체가 완충소재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front part of the pad (12)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protruding pin (13) is released from the fixing hole (114) and the connecting part (110) can be rotated downward. The elastic body (112) arranged in the hinge (111) of the connecting part (110) can provide elasticity so that the connecting part (110) can be rotated downward. When the connecting part (110) is rotated downward, a buffer part (121) formed of a separate buffer material can be arranged on the surface that supports the passenger, and the connecting part (110) itself can also be formed of a buffer material.

상술한 실시예의 경우 탑승자가 전방으로 밀려나며 크래쉬 패드(10)에 충격을 가할 시 탑승자 지지 장치(100)가 크래쉬 패드(10) 하측 공간을 커버하며 탑승자를 지지할 수 있으나, 이와 다르게 차량 전방에서 탑승자 방향으로 직접 충격 발생시 탑승자 지지 장치(100)가 회전하며 크래쉬 패드(10) 하측 공간을 커버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hen a passenger is pushed forward and impacts the crash pad (10), the passenger support device (100) can cover the space below the crash pad (10) and support the passenger. However, in contrast, when a direct impact occurs from the front of the vehicle toward the passenger, the passenger support device (100) can rotate and cover the space below the crash pad (10).

차량 전방에서 탑승자 방향으로 충격이 발생하여 탑승자 지지 장치(100)가 회전되기 위해선, 도 5 및 도 8과 같이 패드 전면부(12)의 내측에 형성되는 돌출핀(13)이 차량 전방을 향하는 면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10)에는 마찬가지로 고정홀(114)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핀(13)은 적어도 일부가 끝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며 고정홀(114)에 걸어질 수 있다. 돌출핀(13)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연결부(110)에 형성되는 고정홀(114)의 위치 및 형상 또한 결정될 수 있다. In order for the passenger support device (100) to rotate when an impact occurs from the front of the vehicle toward the passenger, a protruding pin (13)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pad (12) as shown in FIGS. 5 and 8 may b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surface facing the front of the vehicle. Similarly, a fixing hole (114)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ng portion (110),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protruding pin (13) may be formed by being bent at the end and may be hooked onto the fixing hole (114).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fixing hole (114) formed in the connecting portion (110) may also be determin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protruding pin (13).

차량의 전방에서 사고로 인한 충격이 가해질 경우, 돌출핀(13)은 탑승자 측으로 밀려나며 소정거리 이동되고, 돌출핀(13)은 고정홀(114)에서 이탈하여 연결부(110)가 하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When an impact due to an accident occurs at the front of the vehicle, the protruding pin (13) is pushed toward the passenger and moves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protruding pin (13) is detached from the fixing hole (114) so that the connecting part (110) can rotate downward.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탑승자 지지 장치(100)가 적용된 칵핏 모듈(1)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9 is a drawing illustrating a cockpit module (1) to which a passenger support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9를 참조하면, 연결부(110)의 끝단에 형성되는 지지부(120)는 서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10)가 복수개로 형성될 경우 지지부(120)도 이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복수의 연결부(110)에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9, the support members (120) formed at the ends of the connecting members (110) may be formed integrally by extending from each other. When the connecting members (110) are formed in multiple pieces, the support members (120) may also be formed in multiple pieces correspondingly, but they may also be formed integrally by extending from multiple connecting members (110).

복수의 연결부(110) 사이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부(120)는 완충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이와 다르게 별도의 완충소재로 형성되는 완충부(121)가 탑승자와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The support member (120) formed by extending between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110) can be formed of a buffer material, and, differently, a buffer member (121) formed of a separate buffer material can be placed on the surface facing the passenger to absorb impact.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1 : 칵핏 모듈
10 : 크래쉬 패드
12 : 패드 전면부
14 : 패드 하부
15 : 노출홀
16 : 도어
100 : 탑승자 지지 장치
110 : 연결부
120 : 지지부
1: Cockpit module
10: Crash Pad
12: Front of the pad
14: Bottom of pad
15 : Exposure hole
16 : Door
100 : Passenger Support Device
110 : Connection
120 : Support

Claims (10)

차량 전방의 크래쉬 패드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탑승자 지지 장치에 있어서,
일단부에 힌지가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끝단에 배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연결부의 힌지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부가 하측으로 회전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를 포함하고, 차량에 충격 발생시 상기 연결부가 하측으로 회전되며 상기 지지부가 상기 크래쉬 패드의 하측으로 노출되며 탑승자를 지지하는 탑승자 지지 장치.
In a passenger support device rotatably connected to the inside of a crash pad at the front of a vehicle,
A connecting portion in which a hinge is formed at one end;
A support member arranged at the end of the above connecting portion; and
An elastic body arranged on the hinge of the above connecting portion and providing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bove connecting portion rotates downward;
A passenger support device including a body, wherein when an impact occurs in a vehicle, the connecting portion rotates downward and the supporting portion is exposed to the lower side of the crash pad to support the passeng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결부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되고, 연결부가 하측으로 회전될 때 상기 지지부가 상기 크래쉬 패드 하측의 공간을 커버하는 탑승자 지지 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A passenger support device in which the support member is formed by bending at an end of the connection member, and the support member covers the space below the crash pad when the connection member is rotated downwar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탑승자를 마주보는 면에는 완충재로 형성된 완충부;
가 배치되는 탑승자 지지 장치.
In the second paragraph,
A cushioning part formed of a cushioning material on the surface of the support part facing the passenger;
A passenger support device in which a is plac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힌지에는 상기 연결부가 최대 회전각도까지 회전한 뒤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스토퍼;
를 더 포함하는 탑승자 지지 장치.
In the third paragraph,
A stopper is provided on the hinge of the above connecting part to prevent the connecting part from rotating after it has rotated to the maximum rotation angle;
An occupant support device further comprising:
크래쉬 패드; 및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탑승자 지지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크래쉬 패드는
승객을 마주보는 패드 전면부; 및
상기 전면부의 하측 끝단에서 차량 전방으로 절곡되는 패드 하부;
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 하부에는 노출홀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가 하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노출홀을 통해 노출되며 상기 크래쉬 패드의 하부 공간을 커버하는 칵핏 모듈.
crash pad; and
A passenger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 and the crash pad comprises
The front of the pad facing the passenger; and
The lower part of the pad that is folded towards the front of the vehicle from the lower end of the front part;
A cockpit module including a pad, wherein an exposure hole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pad, and the connecting part is rotated downward to be exposed through the exposure hole and covers the lower space of the crash pa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전면부의 내측에는 돌출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는 고정홀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핀이 상기 고정홀에 걸어진 상태로 배치되고, 사고 발생시 상기 패드 전면부에 차량 전방 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돌출핀이 상기 고정홀에서 이탈하며 상기 연결부가 회전되는 칵핏 모듈.
In paragraph 5,
A cockpit module in which a protruding pin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front part of the pad, a fixing hole is formed in the connecting part, and the protruding pin is positioned in a state of being hooked into the fixing hole, and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front part of the pad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of the vehicle in the event of an accident, the protruding pin is released from the fixing hole and the connecting part is rotat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자 지지 장치는 탑승자의 무릎과 대응되는 위치에 2개가 형성되는 칵핏 모듈.
In Article 6,
The above passenger support device is a cockpit module in which two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assenger's knees.
제7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탑승자 지지 장치의 상기 지지부는 서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칵핏 모듈.
In Article 7,
A cockpit module in which the support sections of the two above-mentioned passenger support devices are formed integrally by extending from each oth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크래쉬 패드 내측에 배치되는 크로스바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의 힌지는 상기 크로스바의 외측에 배치되는 칵핏 모듈.
In Article 8,
A cockpit module in which the above connecting portion is connected to a crossbar arranged on the inside of the crash pad, and the hinge of the above connecting portion is arranged on the outside of the crossba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패드 하부의 내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의 힌지는 상기 패드 하부에 배치되는 칵핏 모듈.
In Article 8,
A cockpit module in which the above connec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pad, and the hinge of the above connecting portion is position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pad.
KR1020230142843A 2023-10-24 2023-10-24 Driver Support Device and the Cockpit Module that uses it Pending KR2025005900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2843A KR20250059006A (en) 2023-10-24 2023-10-24 Driver Support Device and the Cockpit Module that uses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2843A KR20250059006A (en) 2023-10-24 2023-10-24 Driver Support Device and the Cockpit Module that uses 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059006A true KR20250059006A (en) 2025-05-02

Family

ID=95706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2843A Pending KR20250059006A (en) 2023-10-24 2023-10-24 Driver Support Device and the Cockpit Module that uses 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5005900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99429B1 (en) Vehicle hood hinge
JP6526548B2 (en) Passive Hood Hinge Device for Automobiles
EP1922241A4 (en) CAR HOOD HINGE ASSEMBLY FOR PROTECTING PEDESTRIANS
JP2013508590A (en) Vehicle door assembly, door handle assembly, and door opening prevention device during rollover
US20100005628A1 (en) Hood Hinge Structure for Vehicle
CN101585343B (en) Tray apparatus
US12103498B2 (en) Glove box
JP3716422B2 (en) Front structure for vehicles
KR101592792B1 (en) Hood hinge apparatus for vehicle
KR20250059006A (en) Driver Support Device and the Cockpit Module that uses it
KR101080771B1 (en) Hood latch assembly for vehicle
KR100726165B1 (en) Hinge device for vehicle's active hood
JP2020040527A (en) Support structure of underrun protector
KR101717858B1 (en) Active Hood System
JP7300572B2 (en) vehicle step device
KR101230908B1 (en) Damping hood latch apparatus for automobile
KR20040031254A (en) facia mounting type mounting bracket for a shift lever
KR100737959B1 (en) Shock-absorbing structure of hood hinge device for automobile
KR100657668B1 (en) Car Armrests
KR101494228B1 (en) Active hood latch assembly
WO2004089728A1 (en) A device for mounting a driver's cabin on a frame of a vehicle
KR100376453B1 (en) Impact Absorbing Apparatus of Hood for Car
JP6458454B2 (en) Door hinge structure
KR100376452B1 (en) Impact Absorbing Apparatus of Hood for Car
KR0132549Y1 (en) Door impact be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02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