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50059125A - locking structure of wiring connector - Google Patents
locking structure of wiring conn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50059125A KR20250059125A KR1020230143123A KR20230143123A KR20250059125A KR 20250059125 A KR20250059125 A KR 20250059125A KR 1020230143123 A KR1020230143123 A KR 1020230143123A KR 20230143123 A KR20230143123 A KR 20230143123A KR 20250059125 A KR20250059125 A KR 202500591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ing connector
- cantilever
- wiring
- counterpart
- fixing structu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13—Mount clips, snap-fit, e.g. quick fit with elastic me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15—Electric wiring; Electric conn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링 커넥터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와이어링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링 커넥터를 차량에 고정할 수 있는 와이어링 커넥터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는 상대물과 서로 다른 와이어링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링 커넥터를 결합시키는 와이어링 커넥터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링 커넥터의 외부면 중 어느 일면에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며 돌출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의 횡단면보다 큰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둘레면에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마다 절개되어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외팔보를 포함하는 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팔보는 상기 상대물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커넥터 고정구조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ing connector fixing structure, and more specifically, to a wiring connector fixing structure capable of fixing a wiring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different wirings to a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ing connector fixing structure for connecting a counterpart installed in a vehicle and a wiring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different wirings, the wiring connector fixing structure comprising: a support portion that extends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protrudes from one surface of an outer surface of the wiring connector; and a plate portion that extends from the support portion and has a cross-section larger than a cross-s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and includes a cantilever that is formed radially by being cut at predetermined angles around a central axis penetrating the support portion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wherein the cantilever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unterpart.
Description
본 발명은 와이어링 커넥터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와이어링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링 커넥터를 차량에 고정할 수 있는 와이어링 커넥터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ing connector fixing structure, and more specifically, to a wiring connector fixing structure capable of fixing a wiring connector that electrically connects different wirings to a vehicle.
본 명세서에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Unless otherwise indicated herein, the matters described in this identifier are not prior art to the claims of this application, and their description in this identifier is not intended to be an admission that they are prior art.
자동차에 사용되는 부품들이 구성하는 회로를 연결하기 위해서, 와이어링 커넥터가 사용될 수 있다. 와이어링 커넥터는 와이어링의 선단에 설치되어 와이어링과 와이어링 사이 또는 와이어링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러한 와이어링 커넥터는 차량에 와이어링 클립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와이어링 커넥터와 와이어링 클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링 클립의 형성된 돌기와 와이어링 커넥터에 형성된 돌기가 서로 걸림에 따라 와이어링 클립과 와이어링 커넥터는 서로 체결될 수 있다. In order to connect circuits composed of parts used in automobiles, wiring connectors can be used. The wiring connector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wiring and electrically connects between the wirings or between the wirings. Such a wiring connector can be fixed to the vehicle via a wiring clip.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wiring connector and a wiring clip. As illustrated in Fig. 1, the wiring clip and the wiring connector can be fastened to each other as the formed protrusion of the wiring clip and the formed protrusion of the wiring connector are caught with each other.
그런데, 종래의 와이어링 클립이 와이어링 커넥터에 삽입되는 방향은 제한적이어서, 삽입이 시작되는 쪽에 다른 부품이 위치하거나 와이어링 커넥터가 와이어링 클립을 삽입하기 어려운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체결작업의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또한, 와이어링 클립과 와이어링 커넥터가 체결된 이후, 체결을 해제하는 분리작업이 필요한 경우, 와이어링 클립과 와이어링 커넥터를 분리하기 위해서, 작업자는 반드시 탈거 도구를 사용하여만 분리할 수 있다. 도구를 사용하여 분리작업을 하는 것은 작업자의 손으로 신속하게 분리하는 것보다 작업성 측면에서 불리하다. However, since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ventional wiring clip is inserted into the wiring connector is limited, if another component is located on the side where the insertion starts or the wiring connector is placed in a position where it is difficult to insert the wiring clip, the fastening work becomes difficult. In addition, after the wiring clip and the wiring connector are fastened, if a separation work to release the fastening is required, the worker must use a removal tool to separate the wiring clip and the wiring connector. Using a tool to separate the wiring clip and the wiring connector is disadvantageous in terms of workability compared to quickly separating them by hand.
따라서, 산업현장에서는 와이어링 커넥터의 체결작업과 분리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와이어링 커넥터에 관한 기술을 필요로 하고 있다. Therefore, industrial sites require technology related to wiring connectors that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operations of wiring connector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와이어링 커넥터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고, 고정된 와이어링 커넥터를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는 와이어링 커넥터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ing connector fixing structure capable of easily fixing a wiring connector and easily releasing the fixed wiring connector.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는 상대물과 서로 다른 와이어링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링 커넥터를 결합시키는 와이어링 커넥터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링 커넥터의 외부면 중 어느 일면에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며 돌출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의 횡단면보다 큰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둘레면에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마다 절개되어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외팔보를 포함하는 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팔보는 상기 상대물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커넥터 고정구조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wiring connector fixing structure that connects a counterpart installed in a vehicle and a wiring connector that electrically connects different wiring, the wiring connector fixing structure comprising: a support portion that extends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protrudes from one surface of an outer surface of the wiring connector; and a plate portion that includes a cantilever that extends from the support portion and is formed to have a cross-section larger than a cross-s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and is formed radially by being cut at predetermined angles around a central axis penetrating the support portion on a peripheral surface; wherein the cantilever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unterpart.
또한, 상기 외팔보는 상기 상대물을 바라보는 외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연통되는 슬라이딩홈이 각각 요입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홈을 이루는 기본면과 양 측면 중 상기 기본면에 걸림턱이 각각 돌출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ntilever beam may have sliding groove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facing the counterpart, and engaging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the basic surface and one of the two side surfaces forming the sliding groove, respectively, and the basic surface.
또한, 상기 와이어링 커넥터의 외부면 중 다른 타면에, 상기 지지부, 상기 플레이트부 및 상기 외팔보 또는 상기 외팔보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상대물의 결합부가 동일한 형태로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on another surface among the outer surfaces of the wiring connector, the support portion, the plate portion and the cantilever or the coupling portion of the counterpart detachably coupled with the cantilever may be selectively formed in the same shape.
또한, 상기 결합부는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며 평행하게 벽체 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 벽체와, 상기 가이드 벽체의 일단에 다른 가이드 벽체를 향하여 연장되는 커버 벽체와, 한 쌍의 상기 가이드 벽체 사이의 중앙 면부분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커넥터 고정구조.In addition, the wiring connector fixing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pair of guide walls formed in a wall shape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ace each other in a parallel manner, a cover wall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guide wall toward the other guide wall, and a catch stopper that is protruded on a central surface portion between the pair of guide walls and catches on the catch.
한편, 차량에 설치되는 상대물과 서로 다른 와이어링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링 커넥터를 결합시키는 와이어링 커넥터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대물의 외부면 중 어느 일면에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며 돌출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의 횡단면보다 큰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둘레면에 상기 지지부를 통과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마다 절개되어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외팔보를 포함하는 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팔보는 상기 와이어링 커넥터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Meanwhile, in a wiring connector fixing structure that connects a counterpart installed in a vehicle and a wiring connector that electrically connects different wiring, the wiring connector fixing structure comprises: a support portion that extends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formed protrudingly on one side of an outer surface of the counterpart; a plate portion that extends to the support portion and is formed to have a cross-section larger than a cross-s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and includes a cantilever that is formed radially by being cut at predetermined angles around a central axis passing through the support portion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cantilever portion can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wiring connector.
또한, 상기 외팔보는 상기 와이어링 커넥터를 바라보는 외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연통되는 슬라이딩홈이 각각 요입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홈을 이루는 기본면과 양 측면 중 상기 기본면에 걸림턱이 각각 돌출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ntilever beam may have sliding groove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facing the wiring connector, and engaging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the basic surface and one of the two side surfaces forming the sliding groove, respectively, and the basic surface.
또한, 상기 상대물의 외부면 중 다른 타면에 상기 지지부, 상기 플레이트부 및 상기 외팔보 또는 상기 외팔보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와이어링 커넥터의 결합부가 동일한 형태로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the plate portion and the cantilever or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wiring connector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antilever may be selectively formed in the same shape on another surface among the outer surfaces of the counterpart.
또한, 상기 걸림 외팔보는 자유단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고정단을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힌지회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hanging cantilever can be elastically hinge-rotated about the fixed end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free end.
또한, 상기 걸림 외팔보의 고정단의 외부면에 보강리브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reinforcing rib may be formed protruding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ed end of the above-mentioned hanging cantilever.
또한, 상기 상대물은 상기 차량에 형성된 앵커공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앵커부를 포함하는 와이어링 클립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unterpart may be a wiring clip including an anchor portion that is inserted into and fixed in an anchor hole formed in the vehicle.
또한, 상기 상대물은 복수의 와이어링이 함께 묶음 처리된 와이어링 하네스를 수용하며 보호하는 와이어링 하네스 프로텍터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unterpart may be a wiring harness protector that accommodates and protects a wiring harness in which a plurality of wires are bundled together.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the problem-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xamined above, various effects including the following can be expec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established only when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are exhibited.
먼저, 본 발명은 와이어링 커넥터가 와이어링 클립 등 상대물과 손쉽게 결합 및 분리 가능함으로써,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workability by allowing the wiring connector to be easily combined and separated with a counterpart such as a wiring clip.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링 커넥터와 상대물과의 분리 시, 와이어링 커넥터 또는 상대물의 파손 가능성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possibility of damage to the wiring connector or the counterpart when the wiring connector and the counterpart are separated.
또한, 본 발명은 어느 와이어링 커넥터에 결합되는 상대물 또는 다른 와이어링 커넥터 간 결합되는 결합각도가 다양한 각도로 조절가능함으로써, 와이어링 커넥터에 연결되는 와이어링의 다양한 경로에 대응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ccommodate various paths of wiring connected to a wiring connector by allowing the coupling angle between a counterpart or other wiring connectors to be adjusted to various angles.
도 1은 종래 와이어링 클립과 와이어링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와이어링 커넥터 고정구조가 적용된 와이어링 커넥터와 와이어링 클립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여러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도 2의 B 부분을 여러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도 2의 C 부분을 여러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와이어링 커넥터 고정 구조가 적용된 와이어링 하네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와이어링 커넥터 고정구조가 적용된 와이어링 커넥터와 와이어링 클립이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조립도,
도 8은 도 7의 절단선 VIII'-VIII'과 VIII''-VIII''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7의 와이어링 클립이 와이어링 커넥터에 대해 여러 각도로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와이어링 커넥터 고정구조가 사용되는 여러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와이어링 커넥터 고정구조의 체결상태가 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iring clip and wiring connector.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ring connector and a wiring clip to which the wiring connector fix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3 is a drawing of part A of Figure 2 viewed from various directions.
Figure 4 is a drawing of part B of Figure 2 viewed from various directions.
Figure 5 is a drawing of section C of Figure 2 viewed from various directions.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ring harness to which the wiring connector fix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7 is an assembly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a wiring connector and a wiring clip to which the wiring connector fix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re assemble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s VIII'-VIII' and VIII''-VIII'' of Fig. 7.
Figure 9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wiring clip of Figure 7 assembled at various angles to the wiring connector.
Figure 10 is a usage state diagram showing various states in which the wiring connector fix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igure 11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state of the wiring connector fix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leased.
am.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와이어링 커넥터 고정구조가 적용된 와이어링 커넥터와 와이어링 클립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여러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도 2의 B 부분을 여러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도 2의 C 부분을 여러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와이어링 커넥터 고정 구조가 적용된 와이어링 하네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와이어링 커넥터 고정구조가 적용된 와이어링 커넥터와 와이어링 클립이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조립도, 도 8은 도 7의 절단선 VIII'-VIII'과 VIII''-VIII''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7의 와이어링 클립이 와이어링 커넥터에 대해 여러 각도로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와이어링 커넥터 고정구조가 사용되는 여러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와이어링 커넥터 고정구조의 체결상태가 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iring connector and a wiring clip to which the wiring connector fix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portion A of FIG. 2 when viewed from various directions,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portion B of FIG. 2 when viewed from various directions,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portion C of FIG. 2 when viewed from various directions,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iring harness to which the wiring connector fix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7 is an assembly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wiring connector and the wiring clip to which the wiring connector fix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re assemble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cutting lines VIII'-VIII' and VIII''-VIII'' of FIG. 7, FIG. 9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wiring clip of FIG. 7 is assembled at various angles to the wiring connector, FIG. 10 is a use state diagram illustrating various states in which the wiring connector fix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nd FIG. 11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state of the wiring connector fix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leased.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와이어링 커넥터(CN) 고정구조(10)는, 서로 다른 와이어링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링 커넥터(CN)를 차량에 고정할 수 있는 와이어링 커넥터(CN) 고정구조(1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와이어링 커넥터(CN) 고정구조(10)는 지지부(100)와 플레이트부(2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00)는 와이어링 커넥터(CN)의 외부면 중 어느 일면에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며 돌출형성된다. 플레이트부(200)는 지지부(100)에 연장되며 지지부(100)의 횡단면보다 큰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둘레면에 지지부(100)를 통과하는 중심축(CA)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마다 절개되어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외팔보(2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외팔보(220)는 상대물(CP)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대물(CP)이라 함은, 차량에 설치되고 와이어링 커넥터(CN)와 결합되는 부품이다. 상대물(CP)의 예로써, 차량에 형성된 앵커공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앵커부를 포함하는 와이어링 클립, 복수의 와이어링이 함께 묶음 처리된 와이어링 하네스를 수용하며 보호하는 와이어링 하네스 프로텍터 등이 있다. 상대물(CP)은 와이어링 클립, 와이어링 하네스 프로텍터에 한정되지 않으며 차량에 설치되어 와이어링 하네스를 고정하는 다양한 종류의 부품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wiring connector (CN) fixing structur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ing connector (CN) fixing structure (10) that can fix a wiring connector (CN) that electrically connects different wirings to a vehicle. The wiring connector (CN) fixing structur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portion (100) and a plate portion (200). Specifically, the support portion (100) is formed to protrude and extend to a predetermined length on one side of an outer surface of the wiring connector (CN). The plate portion (200) is formed to extend to the support portion (100) and have a cross-section larger than the cross-s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100), and includes a cantilever (220) that is formed radially by being cut at predetermined angles around a central axis (CA) passing through the support portion (100)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In addition, the cantilever (220)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a counterpart (CP). Here, the counterpart (CP) refers to a component that is installed in a vehicle and connected to a wiring connector (CN). Examples of the counterpart (CP) include a wiring clip that includes an anchor portion that is inserted and fixed into an anchor hole formed in a vehicle, and a wiring harness protector that accommodates and protects a wiring harness in which a plurality of wirings are bundled together. The counterpart (CP) is not limited to a wiring clip or a wiring harness protector, and may be various types of components that are installed in a vehicle and fix a wiring harness.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지지부(100)는 와이어링 커넥터(CN)의 외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00)는 와이어링 커넥터(CN)의 외부면 중 어느 일면에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며 돌출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00)는 와이어링 커넥터(CN)와 일체로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링 커넥터(CN)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지지부(100)도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upport member (100)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iring connector (CN). The support member (100) may be formed to protrude and extend to a predetermined length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wiring connector (CN). The support member (10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wiring connector (CN) from the same material. Since the wiring connector (CN) is generally manufactured from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support member (100) may also be formed from the same material.
지지부(100)에 연장되며 형성되는 플레이트부(200)는 지지부(100)의 횡단면보다 큰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플레이트부(200)는 지지부(100)와 일체로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0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00)는 원형, 다각형 형태의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다각형 형태의 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레이트부(200)가 다각형 형태의 판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플레이트부(200)에 포함되는 외팔보(220)의 자유단의 끝단면이 평면이 되므로, 후술할 결합부(300)의 커버 벽체(320)에 외팔보(220)가 걸리거나 접촉되는 면적이 더 커짐에 따라 외팔보(220)와 결합부(300) 간의 결합력이 증대될 수 있다. The plate portion (200) formed by extending to the support portion (100) is formed to have a cross-section larger than the cross-s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100). The plate portion (20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upport portion (100) using the same material. The support portion (10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support portion (10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or polygonal plate shape, but is preferably formed in a polygonal plate shape. When the plate portion (200) is formed in a polygonal plate shape, the end surface of the free end of the cantilever (220) included in the plate portion (200) becomes flat, so that the area where the cantilever (220) is caught o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ver wall (320) of the coupling portion (300) described later becomes larger, thereby increasing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cantilever (220) and the coupling portion (300).
플레이트부(200)는 둘레면에 지지부(100)를 관통하는 중심축(CA)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마다 절개될 수 있다. 중심축(CA)은 지지부(100)와 플레이트부(200) 관통한다. 즉 플레이트부(20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중심축(CA)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마다 절개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부(200)에 절개부(210)가 형성됨에 따라, 소정의 각도마다 외팔보(220)가 형성될 수 있다. The plate portion (200) can be cut at predetermined angles around a central axis (CA) that penetrates the support portion (100)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e central axis (CA) penetrates the support portion (100) and the plate portion (200). That is, cut portions (210) can be formed at predetermined angles around the central axis (CA) that penetrates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late portion (200). As the cut portions (210) are formed in the plate portion (200), cantilever beams (220) can be formed at predetermined angles.
상대물(CP)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외팔보(220)는 고정단과 자유단을 갖는 형태로, 중심축(CA)을 중심으로 복수개로 형성된다. 외팔보(220)는 중심축(CA)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며 형성된다. 도 9와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외팔보(220)는 상대물(CP)이 중심축(CA)을 기준으로 다양한 각도로 와이어링 커넥터(CN)와 결합될 수 있게 한다. 즉 복수개의 외팔보(220)는 상대물(CP)과 와이어링 커넥터(CN)가 결합되는 결합각도를 조절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외팔보(220)의 수가 많을수록 결합각도가 다양해질 수 있으나, 외팔보(220)의 수가 많아질수록 외팔보(220)의 고정단의 단면적이 작아지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외팔보(220)의 고정단이 파단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외팔보(220)의 파단을 방지하고 어느 정도의 결합각도의 자유도를 보장하기 위해, 외팔보(220)는 45도 마다 배치되어 8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cantilever (220) detachably coupled with a counterpart (CP) has a fixed end and a free end, and is formed in multiple pieces centered on a central axis (CA). The cantilever (220) is form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CA). As illustrated in (c) of FIGS. 9 and 10, the multiple cantilever (220) enables the counterpart (CP) to be coupled with the wiring connector (CN) at various angl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CA). That is, the multiple cantilever (220) enables the coupling angle at which the counterpart (CP) and the wiring connector (CN) are coupled to be adjustable. The coupling angle can become more diverse as the number of cantilever (220) increases. However, sinc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xed end of the cantilever (220) generally decreases as the number of cantilever (220)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the fixed end of the cantilever (220) being broken can increase.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breakage of the cantilever beam (220) and ensure a certain degree of freedom in the coupling angle, it is preferable to provide eight cantilever beams (220) arranged at 45-degree intervals.
외팔보(220)는 일단은 고정단이고, 타단은 자유단이므로, 외력이 자유단에 가해지는 경우 탄성적으로 힌지회전될 수 있다. 외팔보(220)는 그 자체가 탄성적 성질을 가지므로, 고정단을 중심으로 힌지회전될 수 있다. 외팔보(220)의 자유단에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원래의 상태로 회복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팔보(220)의 자유단에 외력이 작용하여 외팔보(220)가 힌지회전되는 경우, 후술할 외팔보(220)의 걸림턱(223)과 결합부(300)의 걸림 스토퍼(330) 간의 걸림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그런데 외팔보(220)의 자유단에 외력이 가해질 때, 외팔보(220)의 고정단에 응력이 집중되어 고정단이 파단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외팔보(220)의 고정단의 외부면에 보강리브(225)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보강리브(225)가 형성되는 외부면은 슬라이딩홈(221)이 형성되는 면과 반대되는 면으로, 지지부(100)를 향하는 면이다. 보강리브(225)는 외팔보(220)의 고정단의 파단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The cantilever (220) has one fixed end and the other free end, so that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ree end, it can be hinge-rotated elastically. Since the cantilever (220) itself has elastic properties, it can be hinge-rotated around the fixed e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from the free end of the cantilever (220), it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As illustrated in FIG. 11,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ree end of the cantilever (220) and the cantilever (220) is hinge-rotated, the engagement state between the engagement step (223) of the cantilever (220) and the engagement stopper (330) of the joint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released. However,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ree end of the cantilever (220), stress is concentrated on the fixed end of the cantilever (220), and there is a risk that the fixed end may be broken. Accordingly, a reinforcing rib (225) can be formed protruding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ed end of the cantilever beam (220). The outer surface on which the reinforcing rib (225) is formed is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sliding groove (221) is formed, and is the surface facing the support member (100). The reinforcing rib (225) can reduce the possibility of the fixed end of the cantilever beam (220) being broken.
외팔보(220)는 후술할 상대물(CP)의 가이드 벽체(310)와 커버 벽체(320)가 형성하는 공간에 슬라이딩 삽입되며, 중심축(CA)을 중심으로 대칭적인, 즉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외팔보(220)는 후술할 걸림 스토퍼(330)에 걸리게 될 수 있다. 외팔보(220)는 상대물(CP)을 바라보는 외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통되는 슬라이딩홈(221)이 요입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홈(221)은 외팔보(220)마다 형성되므로, 플레이트부(200)의 중심축(CA)을 지나는 부분에서 서로 연통된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홈(221)의 연통되는 부분으로 인해, 외팔보(220)가 상대물(CP)의 외부면에 슬라이딩 삽입될 때, 외팔보(220)가 상대물(CP)의 결합부(300)와 완전하게 고정되기 전까지 걸림 스토퍼(330)에 걸리지 않고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다. The cantilever (220)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space formed by the guide wall (310) and the cover wall (320) of the counterpart (CP) to be described later, and a pair of cantilever (220) positioned symmetrically, i.e., oppositel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CA) can be caught on the catch stopper (330) to be described later. The cantilever (220) can have a sliding groove (221)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facing the counterpart (CP). Since the sliding groove (221) is formed on each cantilever (220),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a portion passing through the central axis (CA) of the plate portion (200). As shown in FIGS. 7 and 8, due to the communicating portion of the sliding groove (221), when the cantilever (220)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unterpart (CP), the cantilever (220) can be slidably inserted without being caught by the catch stopper (330) until it is completely fixed to the connecting portion (300) of the counterpart (CP).
슬라이딩홈(221)의 기본면(221a)에 걸림턱(223)이 돌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홈(221)은 기본면(221a)과 양측면(221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양측면(221b)은 기본면(221a)의 양 가장자리와 이어지는 두 개의 측면이다. 걸림턱(223)은 후술할 결합부(300)의 걸림 스토퍼(330)에 걸리는 부분이다. 슬라이딩홈(221)의 외부를 향하는 걸림턱(223)의 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223a)이 형성된 걸림턱(223)은 후술할 경사면(330a)이 형성된 걸림 스토퍼(330)를 쉽게 타고 넘어갈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걸림턱(223)은 슬라이딩홈(221)의 기본면(221a)에서 외팔보(220)의 자유단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턱(223)이 외팔보(220)의 자유단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경우, 걸림턱(223)과 걸림 스토퍼(330)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외팔보(220)의 자유단에 외력이 가해질 때, 걸림턱(223)과 걸림 스토퍼(330)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필요한 외팔보(220)의 힌지회전 각도가 최소화될 수 있다. 이는 걸림턱(223)과 걸림 스토퍼(330)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외력의 크기도 최소화되므로, 작업자는 작은 힘으로 걸림턱(223)과 걸림 스토퍼(330)의 걸림 상태를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A catch (223) may be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basic surface (221a) of the sliding groove (221). The sliding groove (221) may be formed of a basic surface (221a) and two side surfaces (221b). The two side surfaces (221b) are two side surfaces connected to both edges of the basic surface (221a). The catch (223) is a portion that catches the catch stopper (330) of the connecting portion (300) to be described later. The surface of the catch stopper (223) facing the outside of the sliding groove (221)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he catch stopper (223) with the inclined surface (223a) formed can easily ride over the catch stopper (330) with the inclined surface (330a) formed later.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preferable that the catch (223) be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free end of the cantilever (220) on the base surface (221a) of the sliding groove (221). When the catch (223) is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free end of the cantilever (220),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ree end of the cantilever (220) to release the engaging state of the catch (223) and the engaging stopper (330), the hinge rotation angle of the cantilever (220) required to release the engaging state of the catch (223) and the engaging stopper (330) can be minimized. Since the size of the external force to release the engaging state of the catch (223) and the engaging stopper (330) is also minimized, a worker can easily release the engaging state of the catch (223) and the engaging stopper (330) with a small force.
전술한 지지부(100), 플레이트부(200), 외팔보(220)와, 결합부(300)가 와이어링 커넥터(CN)의 외부면 중 다른 타면에 동일한 형태로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링 커넥터(CN)의 여러 면에 지지부(100), 플레이트부(200), 외팔보(220), 결합부(300)가 여러 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부(300)가 형성된 상대물(CP)은 와이어링 커넥터(CN)의 여러 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외팔보(220)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대물(CP)과 와이어링 커넥터(CN) 간의 결합의 자유도가 높아질 수 있다. The aforementioned support portion (100), plate portion (200), cantilever (220), and coupling portion (300) may be selectively formed in the same shape on other surface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wiring connector (CN). As illustrated in FIG. 10, multiple support portions (100), plate portions (200), cantilever (220), and coupling portions (300) may be formed on multiple surfaces of the wiring connector (CN). In this case, the counterpart (CP) on which the coupling portion (300) is formed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cantilever (220) formed on any one of the multiple surfaces of the wiring connector (CN). In other words, the degree of freedom of coupling between the counterpart (CP) and the wiring connector (CN) may be increased.
또한, 결합부(300)가 와이어링 커넥터(CN)에 형성되는 경우, 결합부(300)가 형성된 와이어링 커넥터(CN)와 지지부(100), 플레이트부(200), 외팔보(220)가 형성된 다른 와이어링 커넥터(CN)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지지부(100), 플레이트부(200), 외팔보(220)가 형성된 상대물(CP)이 와이어링의 결합부(3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oupling portion (300) is formed in the wiring connector (CN), the wiring connector (CN) on which the coupling portion (300) is formed and another wiring connector (CN) on which the support portion (100), the plate portion (200), and the cantilever (220) are formed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In addition, a counterpart (CP) on which the support portion (100), the plate portion (200), and the cantilever (220) described later are formed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300) of the wiring.
상대물(CP)에 형성되는 결합부(300)는 외팔보(22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300)는 가이드 벽체(310), 커버 벽체(320) 및 걸림 스토퍼(33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벽체(310)는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며 평행하게 벽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벽체(310)가 서로 이격된 거리는, 한 쌍의 외팔보(220)의 자유단의 끝단면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거나 다소 작은 것이, 외팔보(220)와 결합부(300)와의 결합의 용이성 및 결합력 차원에서 바람직하다. 커버 벽체(320)는 가이드 벽체(310)의 일단에서 다른 가이드 벽체(310)를 향하여 연장형성될 수 있다. 커버 벽체(320)는 외팔보(220)를 덮으며 외팔보(2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 벽체(310)와 커버 벽체(320)가 형성하는 공간으로 외팔보(220)가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다. 걸림 스토퍼(330)는, 한 쌍의 가이드 벽체(310) 사이의 중앙의 면부분에 돌출형성될 수 있다. 걸림 스토퍼(330)는 한 쌍의 외팔보(220)의 걸림턱(223)에 걸릴 수 있도록,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걸림 스토퍼(330)는 한 쌍의 걸림턱(223)에 각각 걸릴 수 있다. 또한, 걸림 스토퍼(330)는 서로 마주보는 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팔보(220)가 결합부(300)에 슬라이딩 삽입될 때, 경사면(223a)이 형성된 걸림턱(223)은 경사면(330a)이 형성된 걸림 스토퍼(330)를 쉽게 타고 넘어갈 수 있다. 걸림턱(223)이 걸림 스토퍼(330)의 경사면(330a)을 타고 넘어갈 때, 외팔보(220)는 고정단을 중심으로 탄성변형되며 힌지회전되고, 걸림턱(223)이 걸림 스토퍼(330)를 완전하게 타고 넘어간 경우, 외팔보(220)는 탄성회복되며 원상태로 복구될 수 있다. The joint (300) formed on the counterpart (CP) is a portion that is joined to the cantilever (220). As illustrated in FIG. 4, the joint (300) may include a guide wall (310), a cover wall (320), and a catch stopper (330). The guide walls (310) are formed as a pair, and may be formed in a wall shape that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aces each other in parallel. The distance at which the pair of guide walls (3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s preferably equal to or slightly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faces of the free ends of the pair of cantilever beams (220), in terms of ease of joining and joining force between the cantilever beam (220) and the joint (300). The cover wall (320)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one end of the guide wall (310) toward the other guide wall (310). The cover wall (320) covers the cantilever (220) and can prevent the cantilever (220) from being detached. The cantilever (220) can be slidably inserted into the space formed by the guide wall (310) and the cover wall (320). The catch stopper (330) can be formed to protrude on the central surface portion between the pair of guide walls (310). The catch stoppers (330) can be formed as a pair so that they can be caught on the catch protrusions (223) of the pair of cantilever beams (220). The pair of catch stoppers (330) can be caught on each of the pair of catch protrusions (223). In addition, the catch stoppers (330) can be formed so that the surfaces facing each other are inclined. As shown in FIGS. 7 and 8, when the cantilever (220)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joint (300), the catch step (223) formed with the inclined surface (223a) can easily pass over the catch stopper (330) formed with the inclined surface (330a). When the catch step (223) passes over the inclined surface (330a) of the catch stopper (330), the cantilever (220) is elastically deformed and hinge-rotated around the fixed end, and when the catch step (223) completely passes over the catch stopper (330), the cantilever (220) can be elastically recovered and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와이어링 커넥터(CN)에 형성되는 지지부(100), 외팔보(220)를 포함하는 플레이트부(200)는 상대물(CP)에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전술한 상대물(CP)의 가이드 벽체(310), 커버 벽체(320) 및 걸림 스토퍼(330)를 포함하는 결합부(300)는 와이어링 커넥터(CN)에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전술한 내용은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As illustrated in FIG. 5, the plate portion (200) including the support portion (100) and the cantilever (220) formed on the aforementioned wiring connector (CN) can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counterpart (CP). At the same time, the joining portion (300) including the guide wall (310), the cover wall (320), and the catch stopper (330) of the aforementioned counterpart (CP) can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wiring connector (CN). In this case as well, the aforementioned contents are equally applicable,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대물(CP)은 전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링 클립, 와이어링 하네스 프로텍터 등이 될 수 있다. 도 6, 도 7, 도 10 등에서 상대물(CP)이 와이어링 클립 또는 와이어링 하네스 프로텍터로 형성된 경우를 확인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unterpart (CP) can be a wiring clip, a wiring harness protector, etc. In FIG. 6, FIG. 7, FIG. 10, etc., it can be seen that the counterpart (CP) is formed as a wiring clip or a wiring harness protector.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와이어링 커넥터(CN) 고정구조(10)는 와이어링 커넥터(CN)가 와이어링 클립 등 상대물(CP)과 손쉽게 결합 및 분리 가능함으로써,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링 커넥터(CN)와 상대물(CP)과의 분리 시, 와이어링 커넥터(CN) 또는 상대물(CP)의 파손 가능성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느 와이어링 커넥터(CN)에 결합되는 상대물(CP) 또는 다른 와이어링 커넥터(CN) 간 결합되는 결합각도가 다양한 각도로 조절가능함으로써, 와이어링 커넥터(CN)에 연결되는 와이어링의 다양한 경로에 대응할 수 있다. As seen above, the wiring connector (CN) fixing structur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workability by allowing the wiring connector (CN) to be easily coupled and separated from a counterpart (CP) such as a wiring clip.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possibility of damage to the wiring connector (CN) or the counterpart (CP) when the wiring connector (CN) and the counterpart (CP) are separat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coupling angle between the counterpart (CP) coupled to a certain wiring connector (CN) or another wiring connector (CN) to various angles, thereby enabling the invention to respond to various paths of wiring connected to the wiring connector (CN).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ed example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filing this applica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와이어링 커넥터 고정구조
100: 지지부
200: 플레이트부
210: 절개부
220: 외팔보
221: 슬라이딩홈
221a: 기본면
221b: 양측면
223: 걸림턱
223a: 경사면
225: 보강리브
300: 결합부
310: 가이드 벽체
320: 커버 벽체
330: 걸림 스토퍼
330a: 경사면
CN: 와이어링 커넥터
CA: 중심축
CT: 상대물10: Wiring connector fixing structure
100: Support
200: Plate section
210: Incision
220: Cantilever
221: Sliding Home
221a: Basic surface
221b: Both sides
223: The stumbling block
223a: slope
225: Reinforcing rib
300: Joint
310: Guide wall
320: Cover wall
330: Hanging stopper
330a: slope
CN: Wiring Connector
CA: Central Axis
CT: Opposite
Claims (12)
상기 와이어링 커넥터(CN)의 외부면 중 어느 일면에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며 돌출형성되는 지지부(100); 및
상기 지지부(100)에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100)의 횡단면보다 큰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둘레면에 상기 지지부(100)를 관통하는 중심축(CA)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마다 절개되어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외팔보(220)를 포함하는 플레이트부(200);
를 포함하고,
상기 외팔보(220)는 상기 상대물(CP)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커넥터 고정구조.
In a wiring connector fixing structure (10) that connects a counterpart (CP) installed in a vehicle and a wiring connector (CN) that electrically connects different wiring,
A support portion (100) that is formed by protruding and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above wiring connector (CN); and
A plate portion (200) including a cantilever (220) that extends to the support portion (100) and is formed to have a cross-section larger than the cross-s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100), and is formed radially by being cut at predetermined angles around a central axis (CA) that penetrates the support portion (100)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Including,
A wiring connector fix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cantilever (220)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ounterpart (CP).
상기 외팔보(220)는 상기 상대물(CP)을 바라보는 외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연통되는 슬라이딩홈(221)이 각각 요입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홈(221)을 이루는 기본면(221a)과 양측면(221b) 중 상기 기본면(221a)에 걸림턱(223)이 각각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커넥터 고정구조.
In claim 1,
The above cantilever (220) is characterized in that sliding grooves (221) that are mutually connec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each formed in a recessed manner on the outer surface facing the counterpart (CP), and a catch (223) is each formed protrudingly on the basic surface (221a) and both sides (221b) forming the sliding groove (221).
상기 와이어링 커넥터(CN)의 외부면 중 다른 타면에, 상기 지지부(100), 상기 플레이트부(200) 및 상기 외팔보(220) 또는 상기 외팔보(220)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상대물(CP)의 결합부(300)가 동일한 형태로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커넥터 고정구조.
In claim 2,
A wiring connector fix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portion (100), the plate portion (200) and the cantilever (220) or the coupling portion (300) of the counterpart (CP) detachably coupled with the cantilever (220) are selectively formed in the same shape on another surface among the outer surfaces of the wiring connector (CN).
상기 결합부(300)는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며 평행하게 벽체 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 벽체(310)와, 상기 가이드 벽체(310)의 일단에 다른 가이드 벽체(310)를 향하여 연장되는 커버 벽체(320)와, 한 쌍의 상기 가이드 벽체(310) 사이의 중앙 면부분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걸림턱(223)에 걸리는 걸림 스토퍼(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커넥터 고정구조.
In claim 3,
The above-mentioned connecting portion (300)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air of guide walls (310) formed in a parallel wall shape while being spaced apart and facing each other, a cover wall (320)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guide wall (310) toward the other guide wall (310), and a catch stopper (330) protruding from a central surface portion between the pair of guide walls (310) and caught on the catch protrusion (223).
상기 상대물(CP)의 외부면 중 어느 일면에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며 돌출형성되는 지지부(100);
상기 지지부(100)에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100)의 횡단면보다 큰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둘레면에 상기 지지부(100)를 통과하는 중심축(CA)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마다 절개되어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외팔보(220)를 포함하는 플레이트부(200);
를 포함하고,
상기 외팔보(220)는 상기 와이어링 커넥터(CN)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커넥터 고정구조.
In a wiring connector fixing structure (10) that connects a counterpart (CP) installed in a vehicle and a wiring connector (CN) that electrically connects different wiring,
A support member (100) that is formed by protruding and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on one of the outer surfaces of the above counterpart (CP);
A plate portion (200) including a cantilever beam (220) that extends to the support portion (100) and is formed to have a cross-section larger than the cross-s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100), and is formed radially by being cut at predetermined angles around a central axis (CA) passing through the support portion (100)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Including,
A wiring connector fix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cantilever (220)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wiring connector (CN).
상기 외팔보(220)는 상기 와이어링 커넥터(CN)를 바라보는 외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연통되는 슬라이딩홈(221)이 각각 요입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홈(221)을 이루는 기본면(221a)과 양측면(221b) 중 상기 기본면(221a)에 걸림턱(223)이 각각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커넥터 고정구조.
In claim 5,
The above cantilever (220) is characterized in that sliding grooves (221) that are mutually connec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each formed on the outer surface facing the wiring connector (CN), and a catch (223) is formed protruding on the basic surface (221a) and both sides (221b) forming the sliding groove (221).
상기 상대물(CP)의 외부면 중 다른 타면에 상기 지지부(100), 상기 플레이트부(200) 및 상기 외팔보(220) 또는 상기 외팔보(220)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와이어링 커넥터(CN)의 결합부(300)가 동일한 형태로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커넥터 고정구조.
In claim 6,
A wiring connector fix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portion (100), the plate portion (200) and the cantilever (220) or the connecting portion (300) of the wiring connector (CN) that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antilever (220) are selectively formed in the same shape on another surface among the outer surfaces of the counterpart (CP).
상기 결합부(300)는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며 평행하게 벽체 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 벽체(310)와, 상기 가이드 벽체(310)의 일단에 다른 가이드 벽체(310)를 향하여 연장되는 커버 벽체(320)와, 한 쌍의 상기 가이드 벽체(310) 사이의 중앙 면부분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걸림턱(223)에 걸리는 걸림 스토퍼(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커넥터 고정구조.
In claim 7,
The above-mentioned connecting portion (300)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air of guide walls (310) formed in a parallel wall shape while being spaced apart and facing each other, a cover wall (320)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guide wall (310) toward the other guide wall (310), and a catch stopper (330) protruding from a central surface portion between the pair of guide walls (310) and caught on the catch protrusion (223).
상기 외팔보(220)는 자유단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고정단을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힌지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커넥터 고정구조.
In claim 4 or claim 8,
The above cantilever (220) is a wiring connector fix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elastically hinge-rotated around a fixed end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a free end.
상기 외팔보(220)의 고정단의 외부면에 보강리브(225)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커넥터 고정구조.
In claim 9,
A wiring connector fix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 reinforcing rib (225) is formed protruding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ed end of the cantilever (220).
상기 상대물(CP)은 상기 차량에 형성된 앵커공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앵커부를 포함하는 와이어링 클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커넥터 고정구조.
In claim 10,
A wiring connector fix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nterpart (CP) is a wiring clip including an anchor portion that is inserted into and fixed in an anchor hole formed in the vehicle.
상기 상대물(CP)은 복수의 와이어링이 함께 묶음 처리된 와이어링 하네스를 수용하며 보호하는 와이어링 하네스 프로텍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커넥터 고정구조.
In claim 10,
A wiring connector fix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counterpart (CP) is a wiring harness protector that accommodates and protects a wiring harness in which a plurality of wirings are bundled together.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143123A KR20250059125A (en) | 2023-10-24 | 2023-10-24 | locking structure of wiring conn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143123A KR20250059125A (en) | 2023-10-24 | 2023-10-24 | locking structure of wiring connecto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50059125A true KR20250059125A (en) | 2025-05-02 |
Family
ID=9570716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30143123A Pending KR20250059125A (en) | 2023-10-24 | 2023-10-24 | locking structure of wiring connecto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250059125A (en)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38134Y1 (en) | 2006-11-06 | 2008-01-22 |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 Connector fixing block |
| KR102204446B1 (en) | 2018-11-08 | 2021-01-19 | 주식회사 경신 | Connector mounting unit |
-
2023
- 2023-10-24 KR KR1020230143123A patent/KR20250059125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38134Y1 (en) | 2006-11-06 | 2008-01-22 |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 Connector fixing block |
| KR102204446B1 (en) | 2018-11-08 | 2021-01-19 | 주식회사 경신 | Connector mounting unit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7036779B2 (en) | Locking structure for a clamp | |
| US5820048A (en) | Side latching hinge mechanism | |
| US6641093B2 (en) | Clip arrangement for releasably fastening an object to at least one line | |
| US10131291B2 (en) | Assembly-type vehicle component | |
| KR100890176B1 (en) | Flexible member protector | |
| KR101436273B1 (en) | Optical connector | |
| BR112016021190B1 (en) | Multipolar electrical connector part | |
| CN106050855B (en) | Fixing piece | |
| CN110932035B (en) |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 |
| KR20250121272A (en) | The wedge-shaped extensible-clamp | |
| EP2335972A1 (en) | Clip for holding a fastening elastic string | |
| JP2008295289A (en) | Multi angle clamp | |
| KR20250059125A (en) | locking structure of wiring connector | |
| JP7671132B2 (en) | Connection structure of holding parts | |
| BR102019013138A2 (en) | fasteners | |
| CN108749741A (en) | Grommet | |
| JP2009501301A (en) | Device for damping and fixing at least one object to a support member | |
| JP4126199B2 (en) | Fixing structure of fixing parts | |
| JP2021158883A (en) | Clamp and wiring harness | |
| JP6819992B2 (en) | Partition with connector | |
| JP4389703B2 (en) | Wiring harness wiring structure | |
| JP2013158079A (en) | Band clamp | |
| KR101641734B1 (en) | Multi-box for vehicle | |
| KR20250098566A (en) | Wiring fixing member | |
| JP4062117B2 (en) | Cable clamp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024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10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