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50068295A - Electrode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Electrode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50068295A KR20250068295A KR1020230154602A KR20230154602A KR20250068295A KR 20250068295 A KR20250068295 A KR 20250068295A KR 1020230154602 A KR1020230154602 A KR 1020230154602A KR 20230154602 A KR20230154602 A KR 20230154602A KR 20250068295 A KR20250068295 A KR 2025006829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conductive wire
- laminate
- electrode assembly
- assembl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1—Metal or alloys, e.g. alloy coat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9—Terminals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elliptic or button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5—Tap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는, 제1 전극, 분리막, 제2 전극이 교대로 적층되어 권취되고, 상기 제2 전극이 최외각에 위치되는 전극 적층체 및 상기 제2 전극의 외면에 구비되고,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는 전도성 와이어(Wire)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 assembly and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laminate in which a first electrode, a separator, and a second electrode are alternately laminated and wound, the second electrode being positioned at the outermost layer, and a conductive wi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and including a conductive material.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 assembly and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이차 전지는 일차 전지와는 달리 재충전이 가능하고, 또 소형 및 대용량화 가능성으로 인해 근래에 많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 전지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Secondary batteries, unlike primary batteries, are rechargeable and have the potential to be made small and large-capacity, so they have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extensively in recent years. As technology development and demand for mobile devices increase, the demand for secondary batteries as an energy source is rapidly increasing.
이차 전지는 전지 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코인형 전지, 원통형 전지, 각형 전지, 및 파우치형 전지로 분류된다. 이차 전지에서 전지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전극 조립체는 전극 및 분리막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진 충방전이 가능한 발전소자이다. Secondary batteries are classified into coin-shaped batteries, cylindrical batteries, square batteries, and pouch-shaped batteri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attery case. In a secondary battery, the electrode assembly mounted inside the battery case is a power generation element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which is composed of a laminated structure of electrodes and a separator.
전극 조립체는 활물질이 도포된 시트형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介在)하여 권취한 젤리 롤(Jelly-roll)형, 다수의 양극과 음극을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 및 스택형의 단위 셀들을 긴 길이의 분리 필름으로 권취한 스택/폴딩형으로 대략 분류할 수 있다. Electrode assemblies can be roughly classified into a jelly-roll type in which a separator is interposed between sheet-shaped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coated with active materials, a stack type in which a plurality of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are sequentially laminated with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m, and a stack/folding type in which stack-type unit cells are wound with a long separator film.
이중, 젤리 롤형 전극 조립체는 제조가 용이하면서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Dual-purpose, jelly-roll electrode assemblies are widely used because they are easy to manufacture and have the advantages of high energy density per weight.
종래의 젤리 롤형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원통형 전지는 음극 탭과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캔 사이에 물리적 접촉 면적이 적어 높은 저항으로 인한 셀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Cylindrical batteries including conventional jelly roll-type electrode assemblies have a problem in that cell performance deteriorates due to high resistance due to a small physical contact area between the negative tab and the can housing the electrode assembly.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전극과 캔의 접속면적이 넓어지고, 용이하게 접속될 수 있는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can is widened and can be easily connected, and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는 제1 전극, 분리막, 제2 전극이 교대로 적층되어 권취되고, 상기 제2 전극이 최외각에 위치되는 전극 적층체 및 상기 제2 전극의 외면에 구비되고,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는 전도성 와이어(Wire)를 포함한다.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laminate in which a first electrode, a separator, and a second electrode are alternately laminated and wound, the second electrode being positioned at the outermost layer, and a conductive wire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and including a conductive material.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 및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캔을 포함한다. Meanwhile,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an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본 발명에 따르면, 전극 조립체에서, 제1 전극, 분리막, 제2 전극이 교대로 적층되어 권취되는 전극 적층체의 최외각에 제2 전극을 위치시키고, 제2 전극의 외면에 전도성 와이어(Wire)를 구비함에 따라, 제2 전극과 캔의 접촉면적이 넓어지고, 용이하게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항이 감소되고, 셀 성능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lectrode assembly, a second electrode is positioned at the outermost surface of an electrode laminate in which a first electrode, a separator, and a second electrode are alternately laminated and wound, and a conductive wire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so that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can is widened and easy contact can be made. Accordingly, resistance can be reduced and cell performance characteristics can be improved.
특히,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에서 전도성 와이어가 권취방향으로 최외각에 위치되는 제2 전극의 제2 전극 집전체의 외면에 권취되어,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캔과 접속되어, 제2 전극과 캔 사이의 접속 면적이 넓어져 저항이 감소되며 접속이 용이해짐에 따라, 제2 전극과 캔 사이의 저항이 감소되고, 저항 감소로 인해 셀 성능 특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In particular, in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n electrode assembly, a conductive wire is wound on the outer surface of a second electrode collector of a second electrode positioned at the outermost side in the winding direction and connected to a can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so that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can increases, thereby reducing resistance and facilitating connection, thereby reducing the resistance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can, and the cell performance characteristics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due to the reduced resistanc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에서 전도성 와이어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에서 전도성 와이어의 고정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에서 전도성 와이어의 고정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에서 전도성 와이어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of a conductive wire in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fixed state of a conductive wire in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fixed state of a conductive wire in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of a conductive wire in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The purpose,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when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as far as possible,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numerals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에서 전도성 와이어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conductive wire in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100)는, 제1 전극(111), 분리막(114,115), 제2 전극(112)이 교대로 적층되어 권취되고, 제2 전극(112)이 최외각에 위치되는 전극 적층체(110) 및 제2 전극(112)의 외면에 구비되고,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는 전도성 와이어(120)(Wire)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100)는, 전극 적층체(110)를 감싸는 실링 테이프(140)(Seal tape) 및 전극(113)과 연결되는 전극탭(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n electrode assembly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laminate (110) in which a first electrode (111), a separator (114, 115), and a second electrode (112) are alternately laminated and wound, and the second electrode (112) is positioned at the outermost side, and a conductive wire (120) (Wire)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112) and including a conductive material. In addition, the electrode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tape (140) (Seal tape) wrapping the electrode laminate (110) and an electrode tab (130) connected to the electrode (113).
이하에서,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전극 조립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electrode assembly, which i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전극 적층체(110)는 충방전이 가능한 발전소자로서, 전극(113)과 분리막(114,115)이 결집되어 교대로 적층된 구조를 형성한다. 여기서, 전극 적층체(110)는 전극(113) 및 분리막(114,115)이 교대로 결집되어 권취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극 적층체(110)는 중심축(C)을 중심으로 권취된 원기둥 형태로 권취될 수 있다.The electrode laminate (110) is a power plant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and forms a structure in which electrodes (113) and separators (114, 115) are combined and alternately laminated. Here, the electrode laminate (110) can be formed in a coiled shape in which electrodes (113) and separators (114, 115) are alternately combined. At this time, the electrode laminate (110) can be wound in a cylindrical shape wound around a central axis (C).
전극(113)은 제1 전극(111)과 제2 전극(11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분리막(114,115)은 제1 전극(111)과 제2 전극(112)을 분리하여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The electrode (113)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111) and a second electrode (112). In addition, the separator (114, 115) electrically insulates the first electrode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112) by separating them.
제1 전극(111)은 제1 전극 집전체와, 제1 전극 집전체의 일면에 코팅된 제1 전극 활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전극(111)은 제1 전극 활물질이 미적층된 영역인 제1 극 무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111)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a first electrode active material coat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t this time, the first electrode (111)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non-laminated region, which is a region where the first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not laminated.
제1 전극 집전체는 금속 포일(foil)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전극 집전체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재질의 포일(Foil)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y be made of a metal foil. At this time, the first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y be made of a foil made of, for example, aluminum.
제1 전극 활물질은 리튬망간산화물, 리튬코발트산화물, 리튬니켈산화물, 리튬인산철, 또는 이들 중 1종 이상이 포함된 화합물 및 혼합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active material may be composed of lithium manganese oxide, lithium cobalt oxide, lithium nickel oxide, lithium iron phosphate, or a compound or mixture containing at least one of these.
제2 전극(112)은 제2 전극 집전체와, 제2 전극 집전체의 일면에 코팅된 제2 전극 활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전극(112)은 제2 전극 활물질이 미적층된 영역인 제2 전극 무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electrode (112) may include a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a second electrode active material coat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t this time, the second electrode (112) may include a second electrode non-laminated region, which is a region where the second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not laminated.
제2 전극 집전체는 금속 포일(foil)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2 전극 집전체는 예를 들어 구리(Cu) 재질로 이루어진 구리 포일(foil)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y be made of a metal foil. At this time, the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y be made of, for example, a copper foil made of a copper (Cu) material.
제2 전극 활물질은 예를 들어 인조흑연, 리튬금속, 리튬합금, 카본, 석유코크, 활성화 카본, 그래파이트, 실리콘 화합물, 주석 화합물, 티타늄 화합물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2 전극 활물질은 예를 들어 비흑연계의 SiO(silica, 실리카) 또는 SiC(silicon carbide, 실리콘카바이드) 등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 active material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rtificial graphite, lithium metal, lithium alloy, carbon, petroleum coke, activated carbon, graphite, silicon compound, tin compound, titanium compound, or an alloy thereof. At this time, the second electrode active material may further include, for example, non-graphite SiO (silica) or SiC (silicon carbide).
제2 전극(112)은 전극 적층체(110)의 최외각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전극(112)에서 제2 전극 집전체의 타면은 전극 적층체(110)의 최외면에 위치될 수 있다. The second electrode (112) may be positioned at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electrode stack (110). At this time,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of the second electrode (112) may be positioned at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electrode stack (110).
즉, 전극 적층체(110)가 권취된 상태에서 코어(Core)측 방향을 내측(I) 방향이라하고, 전극 적층체(110)가 권취된 상태에서 권취 방향으로 최외각을 향하는 방향을 외측(O) 방향이라 할 때, 전극 적층체(110)에서 외측(O) 방향으로 최외각의 노출면에 제2 전극 집전체의 타면이 위치될 수 잇다.That is, when the electrode laminate (110) is wound, the direction toward the core is referred to as the inner (I) direction, and the direction toward the outermost part in the winding direction is referred to as the outer (O) directi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can be positioned on the outermost exposed surface in the electrode laminate (110) in the outer (O) direction.
한편, 제1 전극(111)은 양극으로 이루어지고, 제2 전극(112)은 음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electrode (111) may be formed as an anode, and the second electrode (112) may be formed as a cathode.
분리막(114,115)은 절연 재질로 이루어져 제1 전극(111) 및 제2 전극(112) 사이를 절연할 수 있다. The separator (114, 115)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can insulat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112).
또한, 분리막(114,115)은 예를 들어 미다공성을 가지는 폴리에칠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제조되는 다층 필름이나,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또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와 같은 고체 고분자 전해질용 또는 겔형 고분자 전해질용 고분자 필름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parator (114, 115) may be a multilayer film manufactured by, for example, microporous polyethylene, polypropylene or a combination thereof, or a polymer film for a solid polymer electrolyte or a gel-type polymer electrolyte such as polyvinylidene fluoride, polyethylene oxide, polyacrylonitrile or polyvinylidene fluoride 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전극탭(130)은 전극(113)에 부착되거나 연장되어 전극(11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electrode tab (130) is attached to or extended from the electrode (113)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113).
전극탭(130)은 전극 적층체(110)의 권취 중심축(C)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제1 전극(111)에서 일측으로 연장된 제1 전극탭(131) 및 상기 제2 전극(112)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제2 전극탭(132)을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de tab (130)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tab (131) extending from the first electrode (111) to one sid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winding center axis (C) of the electrode laminate (110) and a second electrode tab (132) extending from the second electrode (112) to the other side.
실링 테이프(140)는 권취 풀어짐을 방지하도록 전극 적층체(110)를 감쌀 수 있다. The sealing tape (140) can wrap the electrode laminate (110) to prevent unwinding.
실링 테이프(140)는 권취 중심축(C) 방향에 대하여 전극 적층체(110)의 제1 부분을 감쌀 수 있다. 이때, 실링 테이프(140)는 권취 중심축(C) 방향에 대하여 전극 적층체(110)의 상,하부를 감쌀 수 있다.The sealing tape (140) can wrap the first part of the electrode laminate (110) in the direction of the winding center axis (C). At this time, the sealing tape (140) can wrap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electrode laminate (110) in the direction of the winding center axis (C).
전도성 와이어(120)(Wire)는 제2 전극(112)의 외면에 구비되고, 전도성 재질을 포함한다.The conductive wire (120)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112) and includes a conductive material.
또한, 전도성 와이어(120)는 제2 전극(112)의 외주면을 따라 권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전극(112)과 캔과의 접촉이 용이해질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ductive wire (120) can be woun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112). Accordingly, contact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112) and the can can be facilitated.
아울러, 전도성 와이어(120)는 권취 중심축(C) 방향에 대하여 전극 적층체(110)의 제2 부분을 감쌀 수 있다. 이때, 전도성 와이어(120)는 권취 중심축(C) 방향에 대하여 전극 적층체(110)의 중앙부를 감쌀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ductive wire (120) can wrap the second portion of the electrode laminate (110) in the direction of the winding center axis (C). At this time, the conductive wire (120) can wrap the central portion of the electrode laminate (110) in the direction of the winding center axis (C).
그리고, 전도성 와이어(120)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도성 와이어(120)는 예를 들어 구리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And, the conductive wire (120) may include a metal material. At this time, the conductive wire (120) may include, for example, a copper material.
한편, 전도성 와이어(120)의 횡단면은 원형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전도성 와이어(120)의 지름(D)은 실링 테이프(140)의 두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도성 와이어(120)의 지름(D)은 예를 들어 50um ~ 60um로 이루어질 수 있다. Meanwhile, the cross-section of the conductive wire (120) may be provided in a circular shape. And, the diameter (D) of the conductive wire (120) may be formed to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aling tape (140). Here, the diameter (D) of the conductive wire (120) may be, for example, 50 um to 60 um.
따라서, 전도성 와이어(120)의 지름(D)이 최소값인 50um 이상으로 형성되어, 외부 캔과 접촉하여 접촉 면적을 넓히는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특히, 전극 적층체(110)를 감싸는 실링 테이프(140)가 구비될 때, 전도성 와이어(120)의 지름(D)이 실링 테이프(140)의 두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어, 캔과 접촉이 현저히 원활해 질 수 있다. 한편, 전도성 와이어(120)의 지름(D)이 최대값인 60um 이하로 형성되어, 전극 조립체(100)의 전체 외경이 커지는 것을 방지하여 캔에 투입이 가능하고, 전도성 와이어(120)의 외경 증가량도 감소되면서 최적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Accordingly, the diameter (D) of the conductive wire (120) is formed to be a minimum value of 50 um or more, so that the effect of expanding the contact area by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external can can be maximized. In particular, when a sealing tape (140) wrapping the electrode laminate (110) is provided, the diameter (D) of the conductive wire (120) can be formed to be a thicknes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sealing tape (140), so that the contact with the can can be significantly smoother. Meanwhile, the diameter (D) of the conductive wire (120) is formed to be a maximum value of 60 um or less, so that the overall outer diameter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is prevented from increasing,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can, and the amount of increase in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ductive wire (120) is also reduced, so that an optimal effect can be exhibited.
전도성 와이어(120)는 예를 들어 전극 적층체(110)를 1~10회 감쌀 수 있다. The conductive wire (120) can be wrapped around the electrode laminate (110) 1 to 10 times, for example.
따라서, 전도성 와이어(120)가 전극 적층체(110)를 최소값인 1회 이상 감쌈에 따라, 전극 적층체(110)의 원형 형태를 해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전도성 와이어(120)가 1회 미만 감기면 전극 적층체(110)가 원형에서 일부 치우친 형태가 되고, 캔과의 접속도 일부 치우친 부분만 접속되며, 불균일하게 접속되는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전도성 와이어(120)가 1회 이상 권취되어 방지 또는 현저히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전도성 와이어(120)가 1회 미만 감기면 저항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conductive wire (120) is wrapped around the electrode laminate (110) at least once, the circular shape of the electrode laminate (110) may not be damaged. Here, if the conductive wire (120) is wrapped less than once, the electrode laminate (110) becomes a shape that is slightly offset from the circular shape, and the connection with the can is also connected only at a slightly offset portion, and the problem of uneven connection occurs, but this can be prevented or significantly improved by the conductive wire (120) being wrapped at least once. In addition, if the conductive wire (120) is wrapped less than once, the resistance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그리고, 전도성 와이어(120)가 전극 적층체(110)를 최대값인 10회 이하로 감쌈에 따라, 공정성 및 효율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전도성 와이어(120)가 10회 초과하여 감기면 셀의 무게 및 단가가 현저히 상승할 수 있다.And, as the conductive wire (120) is wrapped around the electrode laminate (110) less than the maximum number of 10 times, the fairness and efficienc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Here, if the conductive wire (120) is wrapped more than 10 times, the weight and unit price of the cell can significantly increase.
한편, 전도성 와이어(120)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전극 적층체(110)를 2~3회 감쌀 수 있다. Meanwhile, the conductive wire (120) can be specifically wrapped around the electrode laminate (110) 2 to 3 times, for example.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에서 전도성 와이어의 고정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fixed state of a conductive wire in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고하면, 전도성 와이어(120)는 일례로 길이방향으로 양측부(121,122)가 전극 적층체(110)의 상,하부에 위치되는 실링 테이프(140)에 고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conductive wire (120) may be fixed to a sealing tape (140) position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electrode laminate (110) on both sides (121, 12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example.
이때, 실링 테이프(140)를 전극 적층체(110)에 부착 시 전도성 와이어(120)의 양측부(121,122)를 함께 부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전도성 와이어(120)의 양측부(121,122)는 실링 테이프(140)와 전극 적층체(11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attaching the sealing tape (140) to the electrode laminate (110), both sides (121, 122) of the conductive wire (120) can be attached together. Here, the both sides (121, 122) of the conductive wire (120)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sealing tape (140) and the electrode laminate (110).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에서 전도성 와이어의 고정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fixed state of a conductive wire in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고하면, 전도성 와이어(120')는 다른 예로 길이방향으로 양측부(121,122)가 제2 전극 집전체의 타면에 고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s another example, the conductive wire (120') may be fix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collector at both ends (121, 12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때, 전도성 와이어(120')는 길이방향으로 양측부(121,122)가 제2 전극 집전체의 타면에 용접되어 고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ductive wire (120') can be fixed by welding both sides (121, 12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도 1을 참고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100)는 전극 적층체(110)의 최외각에 제2 전극(112)을 위치시키고, 제2 전극(112)의 외면에 전도성 와이어(120)를 위치 시킴에 따라, 제2 전극(112)과 캔의 접촉면적이 넓어지고, 용이하게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항이 감소되고, 셀 성능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electrode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ositions the second electrode (112) at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electrode laminate (110) and positions the conductive wire (120)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112), there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112) and the can and enabling easy contact. Accordingly, the resistance can be reduced and the cell performance characteristics can be improved.
특히, 전도성 와이어(120)가 권취방향으로 최외각에 위치되는 제2 전극(112)의 제2 전극 집전체의 외면에 권취되어, 전극 조립체(100)를 수용하는 캔과 접속되어, 제2 전극(112)과 캔 사이의 접속 면적이 넓어져 저항이 감소되며 접속이 용이해짐에 따라, 제2 전극(112)과 캔 사이의 저항이 감소되고, 저항 감소로 인해 셀 성능 특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onductive wire (120) is woun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of the second electrode (112)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 in the winding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can that accommodates the electrode assembly (100), so that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112) and the can is widened, thereby reducing resistance and facilitating connection, thereby reducing the resistance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112) and the can, and the cell performance characteristics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due to the reduced resistance.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이하에서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설명하기로 한다.Below,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에서 전도성 와이어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conductive wire in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200)는, 제1 전극(111), 분리막(114,115), 제2 전극(112)이 교대로 적층되어 권취되고, 제2 전극(112)이 최외각에 위치되는 전극 적층체(110) 및 제2 전극(112)의 외면에 구비되고,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는 전도성 와이어(220)(Wire)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200)는, 전극 적층체(110)를 감싸는 실링 테이프(140)(Seal tape) 및 전극(113)과 연결되는 전극탭(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 and 6, an electrode assembly (2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laminate (110) in which a first electrode (111), a separator (114, 115), and a second electrode (112) are alternately laminated and wound, and the second electrode (112) is positioned at the outermost side, and a conductive wire (220) (Wire)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112) and including a conductive material. In addition, the electrode assembly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tape (140) (Seal tape) wrapping the electrode laminate (110) and an electrode tab (130) connected to the electrode (113).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2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와 비교할 때, 전도성 와이어(220) 형태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기술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기술하도록 한다.The electrode assembly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fference in the shape of the conductive wire (220) compared to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overlapping content with the first embodiment is omitted or briefly described, and the description is centered on the differences.
보다 상세히, 전극 적층체(110)는 충방전이 가능한 발전소자로서, 전극(113)과 분리막(114,115)이 결집되어 교대로 적층된 구조를 형성한다. 여기서, 전극 적층체(110)는 전극(113) 및 분리막(114,115)이 교대로 결집되어 권취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극 적층체(110)는 중심축(C)을 중심으로 권취된 원기둥 형태로 권취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electrode laminate (110) is a power plant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and forms a structure in which electrodes (113) and separators (114, 115) are combined and alternately laminated. Here, the electrode laminate (110) can be formed in a coiled shape in which the electrodes (113) and separators (114, 115) are alternately combined. At this time, the electrode laminate (110) can be wound in a cylindrical shape wound around a central axis (C).
전극(113)은 제1 전극(111)과 제2 전극(11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분리막(114,115)은 제1 전극(111)과 제2 전극(112)을 분리하여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The electrode (113)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111) and a second electrode (112). In addition, the separator (114, 115) electrically insulates the first electrode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112) by separating them.
제1 전극(111)은 제1 전극 집전체와, 제1 전극 집전체의 일면에 코팅된 제1 전극 활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111)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a first electrode active material coat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current collector.
제1 전극 집전체는 금속 포일(foil)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전극 집전체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재질의 포일(Foil)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y be made of a metal foil. At this time, the first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y be made of a foil made of, for example, aluminum.
제2 전극(112)은 제2 전극 집전체와, 제2 전극 집전체의 일면에 코팅된 제2 전극 활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 (112) may include a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a second electrode active material coat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제2 전극 집전체는 금속 포일(foil)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2 전극 집전체는 예를 들어 구리(Cu) 재질로 이루어진 구리 포일(foil)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y be made of a metal foil. At this time, the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y be made of, for example, a copper foil made of a copper (Cu) material.
제2 전극(112)은 전극 적층체(110)의 최외각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전극(112)에서 제2 전극 집전체의 타면은 전극 적층체(110)의 최외면에 위치될 수 있다. The second electrode (112) may be positioned at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electrode stack (110). At this time,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of the second electrode (112) may be positioned at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electrode stack (110).
한편, 제1 전극(111)은 양극으로 이루어지고, 제2 전극(112)은 음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electrode (111) may be formed as an anode, and the second electrode (112) may be formed as a cathode.
전극탭(130)은 전극(113)에 부착되거나 연장되어 전극(11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electrode tab (130) is attached to or extended from the electrode (113)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113).
전극탭(130)은 전극 적층체(110)의 권취 중심축(C)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제1 전극(111)에서 일측으로 연장된 제1 전극탭(131) 및 상기 제2 전극(112)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제2 전극탭(132)을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de tab (130)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tab (131) extending from the first electrode (111) to one sid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winding center axis (C) of the electrode laminate (110) and a second electrode tab (132) extending from the second electrode (112) to the other side.
실링 테이프(140)는 권취 풀어짐을 방지하도록 전극 적층체(110)를 감쌀 수 있다. The sealing tape (140) can wrap the electrode laminate (110) to prevent unwinding.
또한, 실링 테이프(140)는 권취 중심축(C) 방향에 대하여 전극 적층체(110)의 제1 부분을 감쌀 수 있다. 이때, 실링 테이프(140)는 권취 중심축(C) 방향에 대하여 전극 적층체(110)의 상,하부를 감쌀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ling tape (140) can wrap the first part of the electrode laminate (110) in the direction of the winding center axis (C). At this time, the sealing tape (140) can wrap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electrode laminate (110) in the direction of the winding center axis (C).
전도성 와이어(220)(Wire)는 제2 전극(112)의 외면에 구비되고, 전도성 재질을 포함한다.The conductive wire (220)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112) and includes a conductive material.
또한, 전도성 와이어(220)는 제2 전극(112)의 외주면을 따라 권취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ductive wire (220) can be woun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112).
아울러, 전도성 와이어(220)는 권취 중심축(C) 방향에 대하여 전극 적층체(110)의 제2 부분을 감쌀 수 있다. 이때, 전도성 와이어(220)는 권취 중심축(C) 방향에 대하여 전극 적층체(110)의 중앙부를 감쌀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ductive wire (220) can wrap the second portion of the electrode laminate (110) in the direction of the winding center axis (C). At this time, the conductive wire (220) can wrap the central portion of the electrode laminate (110) in the direction of the winding center axis (C).
그리고, 전도성 와이어(220)는 구리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ductive wire (220) may include a copper material.
한편, 전도성 와이어(220)의 횡단면은 사각형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도성 와이어(220)와 캔(11)과의 접촉면이 넓어져 저항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이때, 전도성 와이어(220)의 두께(T) 및 폭(W)은 예를 들어 50um ~ 60um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전도성 와이어(220)의 두께(T)는 실링 테이프(140)의 두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cross-section of the conductive wire (220) may be provided in a square shape. Accordingly,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conductive wire (220) and the can (11) may be widened, so that the resistance may be significantly reduced. At this time, the thickness (T) and width (W) of the conductive wire (220) may be, for example, 50 um to 60 um. In addition, the thickness (T) of the conductive wire (220) may be formed to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aling tape (140).
한편, 전도성 와이어(220)는 전극 적층체(110)를 1~10회 감쌀 수 있다.Meanwhile, the conductive wire (220) can be wrapped around the electrode laminate (110) 1 to 10 times.
그리고, 전도성 와이어(220)는 일례로 길이방향으로 양측부(121,122)가 전극 적층체(110)의 상,하부에 위치되는 실링 테이프(140)에 고정될 수 있다.And, the conductive wire (220) can be fixed to a sealing tape (140) position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electrode laminate (110) on both sides (121, 12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example.
그리고, 전도성 와이어(220)는 길이방향으로 양측부(121,122)가 제2 전극 집전체의 타면에 고정될 수 있다.And, the conductive wire (220) can be fix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collector at both ends (121, 12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를 설명하기로 한다.Below,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탑 캡을 제외하고 도시하였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in Fig. 8, the top cap is exclud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도 7 및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는 전극 조립체(100) 및 전극 조립체(100)를 수용하는 캔(11)을 포함한다. 전극 조립체(100)는 제1 전극(111), 분리막(114,115), 제2 전극(112)이 교대로 적층되어 권취되고, 제2 전극(112)이 최외각에 위치되는 전극 적층체(110) 및 제2 전극(112)의 외면에 구비되고,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는 전도성 와이어(120)(Wire)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는 캔(11)의 상부를 덮는 탑 캡(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 and 8, a secondary battery (1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100) and a can (11)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100). The electrode assembly (100) includes an electrode laminate (110) in which a first electrode (111), a separator (114, 115), and a second electrode (112) are alternately laminated and wound, and the second electrode (112) is positioned at the outermost side, and a conductive wire (120) (Wire)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112) and including a conductive material. In addition, the secondary battery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op cap (13)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can (11).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에서 전극 조립체(100)는, 전극 적층체(110)를 감싸는 실링 테이프(140)(Seal tape) 및 전극(113)과 연결되는 전극탭(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secondary battery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assembly (100)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tape (140) wrapping the electrode laminate (110) and an electrode tab (130) connected to the electrode (113).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100)를 포함하는 이차전지(10)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기술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기술하도록 한다.The secondary battery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10) including the electrode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any content overlapping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omitted or briefly described, and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는 전극 조립체(100) 및 전극 조립체(100)가 수용되는 캔(11)을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는 캔(11)의 내부에 수용되는 전해액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secondary battery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100) and a can (11)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100) is accommodated. At this time, the secondary battery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lectrolyte accommodated inside the can (11).
캔(11)은 전극 조립체(100)가 수용되는 상부로 개구된 수용부(11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캔(11)은 예를 들어 원통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캔(11)은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전기가 통전될 수 있다.The can (11) may be formed with a receiving portion (11a) that is opened upward to receive the electrode assembly (100). At this time, the can (11)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for example. In addition, the can (11)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o that electricity may be conducted therethrough.
탑 캡(13)(Cap)은 캔(11)의 개구된 수용부(11a)를 덮을 수 있다.The top cap (13) can cover the opened receiving portion (11a) of the can (11).
전극 적층체(110)는 전극(113) 및 분리막(114,115)이 교대로 결집되어 권취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electrode laminate (110) can be formed in a rolled form in which electrodes (113) and separators (114, 115) are alternately assembled.
전극(113)은 제1 전극(111)과 제2 전극(11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분리막(114,115)은 제1 전극(111)과 제2 전극(112)을 분리하여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The electrode (113)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111) and a second electrode (112). In addition, the separator (114, 115) electrically insulates the first electrode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112) by separating them.
제1 전극(111)은 제1 전극 집전체(111a)와, 제1 전극 집전체(111a)의 일면에 코팅된 제1 전극 활물질(111b)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111)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11a) and a first electrode active material (111b) coat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11a).
제2 전극(112)은 제2 전극 집전체(112a)와, 제2 전극 집전체(112a)의 일면에 코팅된 제2 전극 활물질(111b)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 (112) may include a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12a) and a second electrode active material (111b) coat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12a).
제2 전극 집전체(112a)는 금속 포일(foil)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2 전극 집전체(112a)는 예를 들어 구리(Cu) 재질로 이루어진 구리 포일(foil)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12a) may be made of a metal foil. At this time, the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12a) may be made of, for example, a copper foil made of a copper (Cu) material.
제2 전극(112)은 전극 적층체(110)의 최외각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전극(112)에서 제2 전극 집전체(112a)의 타면은 전극 적층체(110)의 최외면에 위치될 수 있다. The second electrode (112) may be positioned at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electrode stack (110). At this time,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12a) of the second electrode (112) may be positioned at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electrode stack (110).
한편, 제1 전극(111)은 양극으로 이루어지고, 제2 전극(112)은 음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electrode (111) may be formed as an anode, and the second electrode (112) may be formed as a cathode.
전극탭(130)은 전극(113)에 부착되거나 연장되어 전극(11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electrode tab (130) is attached to or extended from the electrode (113)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113).
전극탭(130)은 전극 적층체(110)의 권취 중심축(C)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제1 전극(111)에서 일측으로 연장된 제1 전극탭(131) 및 상기 제2 전극(112)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제2 전극탭(132)을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de tab (130)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tab (131) extending from the first electrode (111) to one sid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winding center axis (C) of the electrode laminate (110) and a second electrode tab (132) extending from the second electrode (112) to the other side.
제1 전극탭(131)은 도 7을 참고할 때, 상부 방향인 탑 캡(13)이 위치된 방향에 형성되고, 제2 전극탭(132)은 하부 방향인 캔(11)의 수용부(11a) 바닥면(11b)을 향해 위치될 수 있다. When referring to FIG. 7, the first electrode tab (131) may be form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op cap (13) is positioned in the upper direction,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132) may be positioned toward the bottom surface (11b) of the receiving portion (11a) of the can (11) in the lower direction.
또한, 제2 전극탭(132)은 캔(11)과 직접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제2 전극탭(132)의 단부는 캔(11)의 수용부(11a)에서 바닥면(11b)에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electrode tab (132) can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can (11). At this time, the end of the second electrode tab (132) can b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11b) of the receiving portion (11a) of the can (11).
한편, 제1 전극탭(131)은 탑 캡(1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electrode tab (131)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op cap (13).
실링 테이프(140)는 권취 풀어짐을 방지하도록 전극 적층체(110)를 감쌀 수 있다. The sealing tape (140) can wrap the electrode laminate (110) to prevent unwinding.
또한, 실링 테이프(140)는 권취 중심축(C) 방향에 대하여 전극 적층체(110)의 제1 부분을 감쌀 수 있다. 이때, 실링 테이프(140)는 권취 중심축(C) 방향에 대하여 전극 적층체(110)의 상,하부를 감쌀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ling tape (140) can wrap the first part of the electrode laminate (110) in the direction of the winding center axis (C). At this time, the sealing tape (140) can wrap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electrode laminate (110) in the direction of the winding center axis (C).
아울러, 실링 테이프(140)는 기재필름(141) 및 기재필름(141)의 일면에 구비된 점착층(142)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ling tape (140) may include a substrate film (141) and an adhesive layer (142)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film (141).
전도성 와이어(120)(Wire)는 제2 전극(112)의 외면에 구비되고, 전도성 재질을 포함한다.The conductive wire (120)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112) and includes a conductive material.
또한, 전도성 와이어(120)는 제2 전극(112)의 외주면을 따라 권취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ductive wire (120) can be woun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112).
아울러, 전도성 와이어(120)는 권취 중심축(C) 방향에 대하여 전극 적층체(110)의 제2 부분을 감쌀 수 있다. 이때, 전도성 와이어(120)는 권취 중심축(C) 방향에 대하여 전극 적층체(110)의 중앙부를 감쌀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ductive wire (120) can wrap the second portion of the electrode laminate (110) in the direction of the winding center axis (C). At this time, the conductive wire (120) can wrap the central portion of the electrode laminate (110) in the direction of the winding center axis (C).
그리고, 전도성 와이어(120)는 구리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ductive wire (120) may include a copper material.
한편, 전도성 와이어(120)의 횡단면은 원형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전도성 와이어(120)의 지름은 실링 테이프(140)의 두께(t)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cross-section of the conductive wire (120) may be provided in a circular shape. And, the diameter of the conductive wire (120) may be formed to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t) of the sealing tape (140).
전도성 와이어(120)는 권취방향 대하여 내측부가 전극 적층체(110)와 접하고, 외측부는 캔(11)과 접합할 수 있다.The conductive wire (120) can have its inner side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laminate (110) in the winding direction and its outer side joined to the can (11).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는 전극 조립체(100)에서 전극 적층체(110)의 최외각에 제2 전극(112)을 위치시키고, 제2 전극(112)의 외면에 전도성 와이어(120)를 위치 시킴에 따라, 제2 전극(112)과 캔(11)의 접촉면적이 넓어지고, 용이하게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항이 감소되고, 셀 성능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 and 8, the secondary battery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ositions the second electrode (112) at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electrode laminate (110) in the electrode assembly (100), and positions the conductive wire (120)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112), there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112) and the can (11) and enabling easy contact. Accordingly, the resistance can be reduced and the cell performance characteristics can be improved.
특히, 전도성 와이어(120)가 권취방향으로 최외각에 위치되는 제2 전극(112)의 제2 전극 집전체(112a)의 외면에 권취되어, 전극 조립체(100)를 수용하는 캔(11)과 접속되어, 제2 전극(112)과 캔(11) 사이의 접속 면적이 넓어져 저항이 감소되며 접속이 용이해짐에 따라, 제2 전극(112)과 캔(11) 사이의 저항이 감소되고, 저항 감소로 인해 셀 성능 특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onductive wire (120) is woun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12a) of the second electrode (112)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 in the winding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can (11) that accommodates the electrode assembly (100), so that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112) and the can (11) increases, thereby reducing resistance and facilitating connection, thereby reducing the resistance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112) and the can (11), and the cell performance characteristics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due to the reduced resistance.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를 설명하기로 한다.Below,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10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탑 캡을 제외하고 도시하였다.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in Fig. 10, the top cap is exclud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도 9 및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20)는 전극 조립체(200) 및 전극 조립체(200)를 수용하는 캔(11)을 포함한다. 전극 조립체(200)는 제1 전극(111), 분리막(114,115), 제2 전극(112)이 교대로 적층되어 권취되고, 제2 전극(112)이 최외각에 위치되는 전극 적층체(110) 및 제2 전극(112)의 외면에 구비되고,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는 전도성 와이어(220)(Wire)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20)는 캔(11)의 상부를 덮는 탑 캡(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9 and 10, a secondary battery (2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200) and a can (11)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200). The electrode assembly (200) includes an electrode laminate (110) in which a first electrode (111), a separator (114, 115), and a second electrode (112) are alternately laminated and wound, and the second electrode (112) is positioned at the outermost side, and a conductive wire (220) (Wire)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112) and including a conductive material. In addition, the secondary battery (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op cap (13)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can (11).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20)에서 전극 조립체(200)는, 전극 적층체(110)를 감싸는 실링 테이프(140)(Seal tape) 및 전극(113)과 연결되는 전극탭(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secondary battery (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assembly (200)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tape (140) wrapping the electrode laminate (110) and an electrode tab (130) connected to the electrode (113).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20)는 전술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200)를 포함하는 이차전지(20)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기술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기술하도록 한다.A secondary battery (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20) including an electrode assembly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any content overlapping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omitted or briefly described, and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20)는 전극 조립체(200) 및 전극 조립체(200)가 수용되는 캔(11)을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20)는 캔(11)의 내부에 수용되는 전해액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secondary battery (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200) and a can (11)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200) is accommodated. At this time, the secondary battery (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lectrolyte accommodated inside the can (11).
캔(11)은 전극 조립체(200)가 수용되는 상부로 개구된 수용부(11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캔(11)은 예를 들어 원통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캔(11)은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전기가 통전될 수 있다.The can (11) may be formed with a receiving portion (11a) that is opened upwardly to receive the electrode assembly (200). At this time, the can (11)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for example. In addition, the can (11)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o that electricity may be conducted therethrough.
탑 캡(13)(Cap)은 캔(11)의 개구된 수용부(11a)를 덮을 수 있다.The top cap (13) can cover the opened receiving portion (11a) of the can (11).
전극 적층체(110)는 전극(113) 및 분리막(114,115)이 교대로 결집되어 권취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electrode laminate (110) can be formed in a wound form in which electrodes (113) and separators (114, 115) are alternately assembled.
전극(113)은 제1 전극(111)과 제2 전극(11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분리막(114,115)은 제1 전극(111)과 제2 전극(112)을 분리하여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The electrode (113)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111) and a second electrode (112). In addition, the separator (114, 115) electrically insulates the first electrode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112) by separating them.
제1 전극(111)은 제1 전극 집전체(111a)와, 제1 전극 집전체(111a)의 일면에 코팅된 제1 전극 활물질(111b)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111)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11a) and a first electrode active material (111b) coat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11a).
제2 전극(112)은 제2 전극 집전체(112a)와, 제2 전극 집전체(112a)의 일면에 코팅된 제2 전극 활물질(111b)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 (112) may include a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12a) and a second electrode active material (111b) coat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12a).
제2 전극 집전체(112a)는 금속 포일(foil)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2 전극 집전체(112a)는 예를 들어 구리(Cu) 재질로 이루어진 구리 포일(foil)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12a) may be made of a metal foil. At this time, the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12a) may be made of, for example, a copper foil made of a copper (Cu) material.
제2 전극(112)은 전극 적층체(110)의 최외각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전극(112)에서 제2 전극 집전체(112a)의 타면은 전극 조립체(200)의 최외면에 위치될 수 있다. The second electrode (112) may be positioned at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electrode stack (110). At this time,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12a) of the second electrode (112) may be positioned at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200).
한편, 제1 전극(111)은 양극으로 이루어지고, 제2 전극(112)은 음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electrode (111) may be formed as an anode, and the second electrode (112) may be formed as a cathode.
전극탭(130)은 전극(113)에 부착되거나 연장되어 전극(11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electrode tab (130) is attached to or extended from the electrode (113)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113).
전극탭(130)은 전극 적층체(110)의 권취 중심축(C)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제1 전극(111)에서 일측으로 연장된 제1 전극탭(131) 및 상기 제2 전극(112)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제2 전극탭(132)을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de tab (130)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tab (131) extending from the first electrode (111) to one sid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winding center axis (C) of the electrode laminate (110) and a second electrode tab (132) extending from the second electrode (112) to the other side.
제1 전극탭(131)은 도 7을 참고할 때, 상부 방향인 탑 캡(13)이 위치된 방향에 형성되고, 제2 전극탭(132)은 하부 방향인 캔(11)의 수용부(11a) 바닥면(11b)을 향해 위치될 수 있다. When referring to FIG. 7, the first electrode tab (131) may be form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op cap (13) is positioned in the upper direction,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132) may be positioned toward the bottom surface (11b) of the receiving portion (11a) of the can (11) in the lower direction.
또한, 제2 전극탭(132)은 캔(11)과 직접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제2 전극탭(132)의 단부는 캔(11)의 수용부(11a)에서 바닥면(11b)에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electrode tab (132) can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can (11). At this time, the end of the second electrode tab (132) can b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11b) of the receiving portion (11a) of the can (11).
한편, 제1 전극탭(131)은 탑 캡(1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electrode tab (131)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op cap (13).
실링 테이프(140)는 권취 풀어짐을 방지하도록 전극 적층체(110)를 감쌀 수 있다. The sealing tape (140) can wrap the electrode laminate (110) to prevent unwinding.
또한, 실링 테이프(140)는 권취 중심축(C) 방향에 대하여 전극 적층체(110)의 제1 부분을 감쌀 수 있다. 이때, 실링 테이프(140)는 권취 중심축(C) 방향에 대하여 전극 적층체(110)의 상,하부를 감쌀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ling tape (140) can wrap the first part of the electrode laminate (110) in the direction of the winding center axis (C). At this time, the sealing tape (140) can wrap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electrode laminate (110) in the direction of the winding center axis (C).
아울러, 실링 테이프(140)는 기재필름(141) 및 기재필름(141)의 일면에 구비된 점착층(142)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ling tape (140) may include a substrate film (141) and an adhesive layer (142)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film (141).
전도성 와이어(220)(Wire)는 제2 전극(112)의 외면에 구비되고, 전도성 재질을 포함한다.The conductive wire (220)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112) and includes a conductive material.
또한, 전도성 와이어(220)는 제2 전극(112)의 외주면을 따라 권취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ductive wire (220) can be woun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112).
아울러, 전도성 와이어(220)는 권취 중심축(C) 방향에 대하여 전극 적층체(110)의 제2 부분을 감쌀 수 있다. 이때, 전도성 와이어(220)는 권취 중심축(C) 방향에 대하여 전극 적층체(110)의 중앙부를 감쌀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ductive wire (220) can wrap the second portion of the electrode laminate (110) in the direction of the winding center axis (C). At this time, the conductive wire (220) can wrap the central portion of the electrode laminate (110) in the direction of the winding center axis (C).
그리고, 전도성 와이어(220)는 구리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ductive wire (220) may include a copper material.
한편, 전도성 와이어(220)의 횡단면은 사각형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전도성 와이어(220)의 두께는 실링 테이프(140)의 두께(t)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cross-section of the conductive wire (220) may be provided in a square shape. And,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wire (220) may be formed to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t) of the sealing tape (140).
그리고, 전도성 와이어(220)는 권취방향 대하여 내측부가 전극 적층체(110)와 접하고, 외측부는 캔(11)과 접합할 수 있다.And, the conductive wire (220) can have its inner side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laminate (110) in the winding direction and its outer side joined to the can (11).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this is intended to specifical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will be said that various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by thos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relevant field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In addition, the specific scope of protection of the invention will be made clear by the appended claims.
10: 이차전지
11: 캔
11a: 수용부
11b: 바닥면
13: 탑 캡
100,200: 전극 조립체
110: 전극 적층체
111: 제1 전극
111a: 제1 전극 집전체
111b: 제1 전극 활물질
112: 제2 전극
112a: 제2 전극 집전체
112b: 제2 전극 활물질
113: 전극
114,115: 분리막
120,220: 전도성 와이어
121,221: 일측부
122,222: 타측부
130: 전극탭
131: 제1 전극탭
132: 제2 전극탭
140: 실링 테이프
141: 기재필름
142: 점착층
C: 중심축
I: 내측
O: 외측10: Secondary battery
11: Can
11a: Reception area
11b: Bottom surface
13: Top cap
100,200: Electrode assembly
110: Electrode laminate
111: 1st electrode
111a: First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11b: First electrode active material
112: Second electrode
112a: Second electrode collector
112b: Second electrode active material
113: Electrode
114,115: Membrane
120,220: Conductive wire
121,221: One side
122,222: Other side
130: Electrode tab
131: 1st electrode tab
132: 2nd electrode tab
140: Sealing Tape
141: Film
142: Adhesive layer
C: Central axis
I: inner
O: Outside
Claims (17)
상기 제2 전극의 외면에 구비되고,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는 전도성 와이어(Wire)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An electrode laminate in which a first electrode, a separator, and a second electrode are alternately laminated and wound, and the second electrode is positioned at the outermost layer; and
An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a conductive wi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and including a conductive material.
상기 전도성 와이어는 상기 제2 전극의 외주면을 따라 권취되는 전극 조립체.In claim 1,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the conductive wire is woun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상기 전극 적층체의 권취 풀어짐을 방지하도록 상기 전극 적층체를 감싸는 실링 테이프(Seal tape)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링 테이프는 권취 중심축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전극 적층체의 제1 부분을 감싸고, 상기 전도성 와이어는 상기 전극 적층체의 제2 부분을 감싸는 전극 조립체.In claim 2,
It further includes a seal tape that wraps the electrode laminate to prevent the electrode laminate from being unwound,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the sealing tape wraps a first portion of the electrode laminate with respect to the winding center axis, and the conductive wire wraps a second portion of the electrode laminate.
상기 실링 테이프는 권취 중심축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전극 적층체의 상,하부를 감싸고,
상기 전도성 와이어는 상기 전극 적층체의 중앙부를 감싸는 전극 조립체.In claim 3,
The above sealing tape wraps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electrode laminate with respect to the winding center axis direction,
The above conductive wire is an electrode assembly that surrounds the central portion of the electrode laminate.
상기 전도성 와이어는 길이방향으로 양측부가 상기 전극 적층체의 상,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실링 테이프에 고정된 전극 조립체.In claim 4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the conductive wire is fixed to the sealing tape, with both ends position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electrode lamin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제2 전극은 제2 전극 집전체 및 상기 제2 전극 집전체의 일면에 코팅된 제2 전극 활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전극 집전체의 타면은 상기 전극 적층체의 최외면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전극 집전체는 금속 포일(Foil)로 구비되는 전극 조립체.In claim 1,
The second electrode includes a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a second electrode active material coat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s located on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electrode laminate,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the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s provided with a metal foil.
상기 전도성 와이어는 길이방향으로 양측부가 상기 제2 전극 집전체의 타면에 고정된 전극 조립체.In claim 6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the conductive wire is fixed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collector.
상기 전도성 와이어는 구리 재질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In claim 1,
The above conductive wire is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copper material.
상기 전도성 와이어의 횡단면은 원형 형태로 구비된 전극 조립체.In claim 1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the cross-section of the conductive wire is provided in a circular shape.
상기 전도성 와이어의 지름은 50um ~ 60um로 이루어지는 전극 조립체.In claim 9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conductive wire is 50 um to 60 um.
상기 전도성 와이어의 횡단면은 사각형 형태로 구비된 전극 조립체.In claim 1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the cross-section of the conductive wire is provided in a square shape.
상기 전도성 와이어의 두께 및 폭은 50um ~ 60um로 이루어지는 전극 조립체.In claim 11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the thickness and width of the conductive wire are 50 um to 60 um.
상기 전도성 와이어는
상기 전극 적층체를 1~10회 감싸는 전극 조립체.In claim 1
The above conductive wire
An electrode assembly that wraps the above electrode laminate 1 to 10 times.
상기 제1 전극은 양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전극은 음극으로 이루어지는 전극 조립체.In any one of claims 1 to 13,
An electrode assembly wherein the first electrode is formed as an an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s formed as a cathode.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캔을 포함하는 이차전지.An electrode assembly as claimed in any one of claims 1 to 13; and
A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can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상기 전도성 와이어는
권취방향 대하여 내측부가 상기 전극 적층체와 접하고, 외측부는 상기 캔과 접합하는 이차전지.In claim 15
The above conductive wire
A secondary battery in which the inner side is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laminate with respect to the winding direction, and the outer side is joined to the can.
상기 전극 조립체는 상기 전극 적층체의 권취 중심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제1 전극에서 일측으로 연장된 제1 전극탭 및 상기 제2 전극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제2 전극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탭은 상기 캔과 직접 접촉되는 이차전지.In claim 15
The electrode assembly further includes a first electrode tab extending from the first electrode to one sid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winding center axis of the electrode laminate, and a second electrode tab extending from the second electrode to the other side,
The above second electrode tab is a secondary battery in direct contact with the can.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154602A KR20250068295A (en) | 2023-11-09 | 2023-11-09 | Electrode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compri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154602A KR20250068295A (en) | 2023-11-09 | 2023-11-09 | Electrode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comprising the sam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50068295A true KR20250068295A (en) | 2025-05-16 |
Family
ID=9591335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30154602A Pending KR20250068295A (en) | 2023-11-09 | 2023-11-09 | Electrode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compri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250068295A (en) |
-
2023
- 2023-11-09 KR KR1020230154602A patent/KR20250068295A/en active Pending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7206562B2 (en) | secondary battery | |
| KR102831589B1 (en) | Electrode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comprising the same | |
| US12199314B2 (en) |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 |
| KR102155707B1 (en) | Electrode assembly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 |
| KR102227307B1 (en) | Electrode assembly | |
| US20230231262A1 (en) | Secondary Battery | |
| JP7387977B2 (en) |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 |
| US8999556B2 (en) | Rechargeable battery | |
| KR102460352B1 (en) | Coin cell | |
| KR102188726B1 (en) | Electrode assembly | |
| KR20250068295A (en) | Electrode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comprising the same | |
| KR20210140997A (en) | Electrode assembly | |
| KR102141123B1 (en) | Electrode assembly | |
| JP7528399B2 (en) |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same | |
| EP4579867A1 (en) |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same | |
| KR102255528B1 (en) | Electrode assembly | |
| KR20250026570A (en) | Electrode assembly,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electrode assembly | |
| KR20180111324A (en) | Electrode assembly | |
| KR20240030811A (en) |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 |
| KR20220073669A (en) | Electrode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comprising the same | |
| KR20220043783A (en) | Button type rechargeable battery | |
| KR20230096735A (en) | Rechargeable batter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 |
| KR20220034533A (en) | Secondary battery and device including the sam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0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