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50068396A - Method and apparatus of manufacturing separator fabric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of manufacturing separator fabric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50068396A
KR20250068396A KR1020230154847A KR20230154847A KR20250068396A KR 20250068396 A KR20250068396 A KR 20250068396A KR 1020230154847 A KR1020230154847 A KR 1020230154847A KR 20230154847 A KR20230154847 A KR 20230154847A KR 20250068396 A KR20250068396 A KR 20250068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sheet
membrane
cleaning solution
manufacturing
she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548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230154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50068396A/en
Publication of KR20250068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50068396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23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inducing porosity into non porous precursor membranes
    • B01D67/0025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inducing porosity into non porous precursor membranes by mechanical treatment, e.g. pore-stretching
    • B01D67/0027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inducing porosity into non porous precursor membranes by mechanical treatment, e.g. pore-stretching by str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01D67/0095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8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orienting, stretching or shrinking, e.g. film blo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8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by elimination of a liquid phase from a macromolecular composition or article, e.g. drying of coagul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분리막 원단의 제조 장치가 개시된다. 분리막 원단의 제조 장치는 소재를 가열하여 용융하고, 오일을 공급받아 용융된 레진에 상기 오일을 혼합하며, 오일과 혼합된 용융된 레진을 배출하는 압출기; 상기 압출기에서 배출되는 용융된 레진을 분리막 시트로 펴도록 회전하는 캐스팅 롤러; 상기 캐스팅 롤러로부터 이동된 분리막 시트의 표면에 잔류하는 오일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세척 장치; 상이한 속도로 회전하며 오일이 제거된 분리막 시트를 제1방향으로 연신하는 복수의 제1연신 롤러; 그리고 제1방향으로 연신된 분리막 시트를 제1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으로 연신하는 복수의 제2연신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막 원단의 제조 장치를 이용한 분리막 원단의 제조 방법이 더 개시된다.
A device for manufacturing a membrane fabric is disclosed. The device for manufacturing a membrane fabric may include: an extruder which heats and melts a material, supplies oil, mixes the oil with a molten resin, and discharges the molten resin mixed with the oil; a casting roller which rotates to spread the molten resin discharged from the extruder into a membrane sheet; a washing device configured to remove oil remaining on a surface of the membrane sheet moved from the casting roller; a plurality of first stretching rollers which rotate at different speeds and stretch the membrane sheet from which oil has been removed in a first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stretching rollers which stretch the membrane sheet stretched in the first direction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membrane fabric using a membrane fabric manufacturing device is further disclosed.

Figure P1020230154847
Figure P1020230154847

Description

분리막 원단의 제조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MANUFACTURING SEPARATOR FABRIC}METHOD AND APPARATUS OF MANUFACTURING SEPARATOR FABRIC

본 발명은 분리막 원단의 제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리막 시트의 연신 전에 분리막 내부에 기공을 형성하기 위해 레진에 혼합되는 오일을 세척하여 원하는 연신비로 연신된 분리막 원단을 제조할 수 있는 분리막 원단의 제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a membrane fabric, and more specifically, to a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a membrane fabric capable of manufacturing a membrane fabric stretched to a desired stretching ratio by washing oil mixed in a resin to form pores inside a membrane before stretching a membrane sheet.

습식 분리막 연신 방식으로 축차 연신 방식과 동시 연신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축차 연신 방식은 압출한 시트를 공정 방향(Machine Direction, MD)과 상기 공정 방향에 수직인 횡방향(Transverse Direction, TD)으로 각각 연신하는 방식이다. 이와는 달리, 동시 연신 방식은 압출한 시트를 하나의 연신기 내에서 공정 방향과 횡방향으로 동시에 연신하는 방식이다. The sequential stretching method and the simultaneous stretching method are mainly used as wet separation membrane stretching methods. The sequential stretching method is a method in which the extruded sheet is stretched in the machine direction (MD)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TD) perpendicular to the machine direction. In contrast, the simultaneous stretching method is a method in which the extruded sheet is stretched in the machine direction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simultaneously in one stretching machine.

축차 연신 방식의 MD 연신은 압출 시트가 가열된 연신 롤러를 지나면서 연신 롤러들 사이의 회전 속도 차이에 의해 MD로 길이가 늘어나고 두께가 얇아지는 연신 공정이다. 그러나, 압출 시 시트에 포함된 오일에 의해 연신 롤러와 시트 사이에 충분한 마찰이 생기지 않고 시트가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시트가 미끄러지면, 원하는 연신비를 얻기가 힘들고 제품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MD 연신 시 연신 롤러와 분리막 시트 사이의 미끌림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MD stretching of the sequential stretching method is a stretching process in which the length of the extruded sheet increases in MD and the thickness decreases due to the difference in rotational speed between the stretching rollers as the extruded sheet passes through the heated stretching rollers. However, during extrusion, the oil contained in the sheet may not generate sufficient friction between the stretching rollers and the sheet, causing the sheet to slip. If the sheet slips, it is difficult to obtain the desired stretching ratio and product defects may occu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inimize slippage between the stretching rollers and the separator sheet during MD stretching.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is background section has been prepared to promot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and may include matters that are not prior art and are alread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분리막 시트의 연신 전에 분리막 시트의 표면에 잔류하는 오일을 세척하여 원하는 연신비로 연신된 분리막 원단을 제조할 수 있는 분리막 원단의 제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a membrane fabric capable of manufacturing a membrane fabric stretched to a desired stretching ratio by washing oil remaining on the surface of a membrane sheet before stretching the membrane shee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막 원단의 제조 방법은 소재를 용융하고 용융된 레진에 오일을 혼합하며 오일과 혼합된 용융된 레진을 분리막 시트로 배출하는 소재 압출 단계; 분리막 시트의 표면에 잔류하는 오일을 제거하는 세척 단계; 오일이 제거된 분리막 시트를 제1방향으로 연신하는 제1연신 단계; 그리고 상기 분리막 시트를 제1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으로 연신하는 제2연신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membrane fabr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terial extrusion step of melting a material, mixing oil into the molten resin, and discharging the molten resin mixed with the oil as a membrane sheet; a washing step of removing oil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membrane sheet; a first stretching step of stretching the membrane sheet from which the oil has been removed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stretching step of stretching the membrane sheet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상기 세척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 롤러를 이용하여 분리막 시트를 이송하는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세척액 분사 노즐을 통해 세척액을 분리막 시트에 분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The above washing step can be performed by spraying the washing solution onto the separator sheet through at least one washing solution spray nozzle while transporting the separator sheet using at least one transport roller.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척액 분사 노즐은 적어도 하나의 이송 롤러를 지나가는 분리막 시트에 세척액을 분사할 수 있다. The at least one cleaning solution spray nozzle can spray the cleaning solution onto the membrane sheet passing over the at least one conveying roller.

적어도 하나의 세척액 분사 노즐은 분리막 시트의 양면에 세척액을 분사할 수 있다. At least one cleaning solution spray nozzle can spray cleaning solution on both sides of the membrane sheet.

상기 분리막 시트에 분사된 세척액은 적어도 하나의 열풍 노즐에 의하여 송풍된 열풍에 의하여 건조될 수 있다. The cleaning solution sprayed onto the above membrane sheet can be dried by hot air blown by at least one hot air nozzle.

분리막 시트에 잔류하는 세척액은 분리막 시트를 이송하며 가열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 롤러에 의하여 건조될 수 있다. The washing liquid remaining on the membrane sheet can be dried by at least one heating roller that transports and heats the membrane shee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막 원단의 제조 장치는 소재를 가열하여 용융하고, 오일을 공급받아 용융된 레진에 상기 오일을 혼합하며, 오일과 혼합된 용융된 레진을 배출하는 압출기; 상기 압출기에서 배출되는 용융된 레진을 분리막 시트로 펴도록 회전하는 캐스팅 롤러; 상기 캐스팅 롤러로부터 이동된 분리막 시트의 표면에 잔류하는 오일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세척 장치; 상이한 속도로 회전하며 오일이 제거된 분리막 시트를 제1방향으로 연신하는 복수의 제1연신 롤러; 그리고 제1방향으로 연신된 분리막 시트를 제1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으로 연신하는 복수의 제2연신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vice for manufacturing a membrane fabric may include: an extruder which heats and melts a material, supplies oil, mixes the oil into a molten resin, and discharges the molten resin mixed with the oil; a casting roller which rotates to spread the molten resin discharged from the extruder into a membrane sheet; a washing device configured to remove oil remaining on a surface of the membrane sheet moved from the casting roller; a plurality of first stretching rollers which rotate at different speeds and stretch the membrane sheet from which oil has been removed in a first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stretching rollers which stretch the membrane sheet stretched in the first direction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상기 세척 장치는 상기 캐스팅 롤러로부터 이송된 분리막 시트를 제1연신 롤러를 향해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 롤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 롤러에 의하여 이송되는 분리막 시트에 세척액을 분사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세척액 분사 노즐; 그리고 이송되는 분리막 시트에 열풍을 송풍하여 분리막 시트에 분사된 세척액을 건조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열풍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The washing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conveying roller for conveying the membrane sheet conveyed from the casting roller toward the first elongation roller; at least one washing liquid spraying nozzle configured to spray a washing liquid onto the membrane sheet conveyed by the at least one conveying roller; and at least one hot air nozzle configured to blow hot air onto the conveyed membrane sheet to dry the washing liquid sprayed onto the membrane sheet.

상기 세척 장치는 분리막 시트에 잔류하는 세척액을 가열하여 건조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wash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heating roller for heating and drying the washing liquid remaining on the separator sheet.

일부 양상들에서, 하나의 세척액 분사 노즐은 하나의 이송 롤러에 대응하여 구비되며, 각 세척액 분사 노즐은 대응하는 이송 롤러를 지나가는 분리막 시트에 세척액을 분사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one cleaning solution spray nozzle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one conveying roller, and each cleaning solution spray nozzle can spray the cleaning solution onto a membrane sheet passing over a corresponding conveying roller.

다른 양상들에서, 적어도 두 개의 분사 노즐과 적어도 두 개의 이송 롤러가 구비되며, 하나의 분사 노즐은 분리막 시트의 일면에 세척액을 분사하고, 다른 하나의 분사 노즐은 분리막 시트의 타면에 세척액을 분사할 수 있다. In other aspects, at least two spray nozzles and at least two conveying rollers are provided, one spray nozzle can spray the cleaning solution on one side of the separator sheet, and the other spray nozzle can spray the cleaning solu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separator sheet.

상기 세척 장치는 케이스 내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는 세척액을 배출하는 세척액 배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는 증발된 세척액을 배출하는 배기부가 구비될 수 있다. The above washing device may be provided within a case, and a washing liquid discharge portion for discharging washing liquid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and an exhaust portion for discharging evaporated washing liquid may be provided on the top surface of the case.

본 발명에 따르면, 분리막 시트의 연신 전에 분리막 시트의 표면에 잔류하는 오일을 세척하여 원하는 연신비로 연신된 분리막 원단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분리막 원단 제조시 분량율이 감소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il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membrane sheet can be washed away before stretching the membrane sheet, thereby manufacturing a membrane fabric stretched to a desired stretching ratio. Accordingly, the amount ratio can be reduced when manufacturing the membrane fabric.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In addition, 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or expect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irectly or implicitly disclo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various effects expect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isclo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o be described later.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유사한 참조 부호들이 동일하거나 또는 기능적으로 유사한 요소를 지칭하는 첨부한 도면들과 연계한 이하의 설명을 참조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막 제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위에서 참조된 도면들은 반드시 축척에 맞추어 도시된 것은 아니고, 본 개시의 기본 원리를 예시하는 다양한 선호되는 특징들의 다소 간략한 표현을 제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특정 치수, 방향, 위치, 및 형상을 포함하는 본 개시의 특정 설계 특징들이 특정 의도된 응용과 사용 환경에 의해 일부 결정될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better understood by reference to the following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identical or functionally similar elements.
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membrane manufact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drawings referenced above are not necessarily drawn to scale, but rather present rather simplified representations of various preferred features that illustrate the underlying principles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example, the specific design feature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ing specific dimensions, orientations, locations, and shapes, will be determined in part by the particular intended application and usage environment.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오직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 형태들은, 문맥상 명시적으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을 또한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포함하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언급된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작동들, 구성요소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의 존재를 특정하지만, 다른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작동들, 구성요소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이들의 그룹들 중 하나 이상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는 않음을 또한 이해될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연관되어 나열된 항목들 중 임의의 하나 또는 모든 조합들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are intended to include the plural forms as well,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t will als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s" and/or "comprising," when used herein,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and/or components,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and/or groups thereof. As used herei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one or all combinations of the associated listed items.

추가적으로, 아래의 방법들 또는 이들의 양상들 중 하나 이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기에 의해 실행될 수 있음이 이해된다. "제어기"라는 용어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그램 명령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서는 아래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들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그램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특별히 프로그래밍된다. 제어기는, 여기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유닛들, 모듈들, 부품들, 장치들,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아래의 방법들은, 당업자에 의해 인식되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다른 컴포넌트들과 함께 제어기를 포함하는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음이 이해된다. Additionally, it is understood that one or more of the methods or aspects thereof below may be executed by at least one controller. The term "controller" may refer to a hardware device including a memory and a processor. The memory is configured to store program instructions, and the processor is specifically programmed to execute the program instructions to perform one or more processe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units, modules, components, devices, or the like, as described herein. It is also understood that the methods below may be executed by a device including the controller in conjunction with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as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본 개시의 제어기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명령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들의 예들은 롬(ROM), 램(RAM), 컴팩트 디스크(CD) 롬, 자기 테이프들, 플로피 디스크들, 플래시 드라이브들, 스마트 카드들 및 광학 데이터 저장 장치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는 또한 컴퓨터 네트워크 전반에 걸쳐 분산되어 프로그램 명령들이, 예를 들어, 텔레매틱스 서버(telematics server) 또는 제어기 영역 네트워크(Controller Area Network; CAN)와 같은 분산 방식으로 저장 및 실행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ler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as 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ontaining executable program instructions that are executed by the processor.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ROM, RAM, compact disc (CD) ROM, magnetic tapes, floppy disks, flash drives, smart cards,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Th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may also be distributed throughout a computer network so that the program instructions ar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uch as on a telematics server or a Controller Area Network (CAN).

본 발명에 따르면, 분리막 원단의 제조 방법은 용융된 레진에 오일을 혼합하여 분리막 시트로 압출하는 압출 단계; 분리막 시트의 표면에 잔류하는 오일을 제거하는 세척 단계; 오일이 제거된 분리막 시트를 제1방향으로 연신하는 제1연신 단계; 그리고 상기 제1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으로 상기 분리막 시트를 연신하는 제2연신 단계를 포함한다. 분리막 시트를 최초로 연신하는 제1연신 단계 전에 세척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분리막 시트에 잔류하는 오일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분리막 시트가 연신 롤러로부터 미끄러지는 현상이 최소화되고, 이에 의하여 분리막 시트의 원하는 연신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원하는 연신비를 확보함으로써 분리막 원단의 불량율이 줄어들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membrane fabric includes an extrusion step of mixing oil into a molten resin and extruding the mixture into a membrane sheet; a washing step of removing oil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membrane sheet; a first stretching step of stretching the membrane sheet from which the oil has been removed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stretching step of stretching the membrane sheet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By performing the washing step before the first stretching step of stretching the membrane sheet for the first time, the oil remaining in the membrane sheet can be removed. Accordingly, the phenomenon of the membrane sheet slipping from the stretching roller is minimized, and thereby a desired stretching ratio of the membrane sheet can be obtained. In addition, by securing the desired stretching ratio, the defect rate of the membrane fabric can be reduced.

상기 세척 단계는 이송 롤러를 이용하여 분리막 시트를 이송하는 상태에서 세척액 분사 노즐을 통해 세척액을 분리막 시트에 분사함으로써 수행된다. 세척액 분사 노즐은 이송 롤러를 지나가는 분리막 시트에 세척액을 분사할 수 있다. 즉, 이송 롤러에 의하여 지지되는 분리막 시트에 세척액을 분사함으로써 분리막 시트의 이동성에 대한 세척액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above washing step is performed by spraying the washing solution onto the membrane sheet through the washing solution spray nozzle while the membrane sheet is being transported using the transport roller. The washing solution spray nozzle can spray the washing solution onto the membrane sheet passing over the transport roller. That is, by spraying the washing solution onto the membrane sheet supported by the transport roller, the influence of the washing solution on the mobility of the membrane sheet can be minimized.

분리막 시트에 분사된 세척액은 열풍 노즐에 의하여 송풍된 열풍에 의하여 1차로 건조되고, 가열 롤러에 의하여 2차로 건조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유해한 세척액에 노출될 가능성이 줄어든다. The cleaning solution sprayed onto the membrane sheet is first dried by hot air blown by the hot air nozzle, and then dried a second time by the heating roller.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workers being exposed to harmful cleaning solutions is reduc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막 제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membrane manufact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wa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막 제조 장치는 압출기(10), 다이(20), 캐스팅 롤러(30), 복수의 제1연신 롤러(40), 그리고 복수의 제2연신 롤러(50)를 포함한다. As illustrated in FIG. 1, a membrane manufact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truder (10), a die (20), a casting roller (30), a plurality of first elongation rollers (40), and a plurality of second elongation rollers (50).

압출기(10)는 소재를 가열하여 레진으로 용융하고, 상기 레진에 오일을 혼합하며, 오일과 혼합된 용융된 레진을 다이(20)를 통해 배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압출기(10)의 일측에는 분리막 원단의 소재 및/또는 분리막 시트 내에 기공을 형성하기 위한 오일을 받도록 호퍼가 구비되고, 압출기(10)의 내부에는 호퍼를 통해 공급된 소재를 가열하여 레진으로 용융하고, 상기 용융된 레진에 오일을 혼합하며, 상기 레진을 길이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가열 스크류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소재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일 수 있고, 상기 오일은 액체 파라핀(Liquid Paraffin, LP)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압출기(10)에서 용융되어 오일과 혼합된 레진은 다이(20)로 흘러간다. An extruder (10) heats a material to melt it into resin, mixes oil into the resin, and discharges the molten resin mixed with the oil through a die (20). More specifically, a hopper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extruder (10) to receive oil for forming pores in the material of the membrane fabric and/or the membrane sheet, and a heating screw may be rotatably mounted inside the extruder (10) to heat and melt the material supplied through the hopper into resin, mix oil into the molten resin, and transport the resi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material may be polyethylene (PE) or polypropylene (PP), and the oil may be liquid paraffin (LP),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resin melted in the extruder (10) and mixed with oil flows to the die (20).

상기 다이(20)는 오일과 혼합된 용융 레진을 압출기(10)로부터 받고 상기 용융 레진을 캐스팅 롤러(30)로 붓는다. 상기 다이(20)의 배출구는 길이가 긴 슬릿 형태로 형성되어 용융 레진을 설정된 폭으로 배출한다. The above die (20) receives molten resin mixed with oil from the extruder (10) and pours the molten resin onto a casting roller (30). The discharge port of the die (2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long slit to discharge the molten resin at a set width.

상기 캐스팅 롤러(30)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다이(20)에서 일정한 유량으로 배출되는 용융 레진(32)은 회전하는 캐스팅 롤러(30)의 표면에서 얇은 두께로 펴지고, 이에 의하여 상기 용융 레진(32)은 얇은 두께와 설정된 폭을 가진 분리막 시트(34)로 제조된다. 상기 분리막 시트(34)는 세척 장치로 이송된다. The casting roller (30) above rotates around an axis. Accordingly, the molten resin (32) discharged from the die (20) at a constant flow rate is spread into a thin thickness on the surface of the rotating casting roller (30), and thereby the molten resin (32) is manufactured into a separation membrane sheet (34) having a thin thickness and a set width. The separation membrane sheet (34) is transferred to a washing device.

세척 장치는 상기 캐스팅 롤러(30)로부터 이송된 분리막 시트(34)를 대체로 공정 방향(예를 들어, 제1방향)으로 이송하며 분리막 시트(34)의 표면에 잔류하는 오일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세척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60)와, 상기 케이스(60)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이송 롤러(61), 적어도 하나의 세척액 분사 노즐(62, 66), 적어도 하나의 열풍 노즐(68, 70),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가열 롤러(7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ashing device can remove oil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separation membrane sheet (34) by transporting the separation membrane sheet (34) transferred from the casting roller (30) generally in the process direction (e.g., the first direction). As shown in FIG. 2, the washing device can include a case (60), at least one transport roller (61) arranged in the case (60), at least one washing liquid spray nozzle (62, 66), at least one hot air nozzle (68, 70), and at least one heating roller (72).

상기 케이스(60)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 롤러(61), 적어도 하나의 세척액 분사 노즐(62, 66), 적어도 하나의 열풍 노즐(68, 70),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가열 롤러(72)를 둘러싸며, 인체에 유해한 세척액(64)이 세척 장치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60)의 내부는 대체로 밀폐되거나 음압(negative pressure)이 되도록 관리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60)의 바닥면에는 세척액 배출구(74)가 구비되어 케이스(60)의 바닥면으로 떨어진 세척액(64)은 세척액 배출구(74)를 통해 케이스(60)의 외부로 흘러가 세척액의 처리를 위한 장치로 흘러갈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60)의 상면에는 배기구(76)가 구비되어 세척 장치에서 증발된 세척액(64)은 배기구(76)를 통해 케이스(60)의 외부에 위치한 증발된 세척액(64)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 흘러갈 수 있다. The case (60) surrounds at least one conveying roller (61), at least one cleaning solution spray nozzle (62, 66), at least one hot air nozzle (68, 70), and at least one heating roller (72), and the interior of the case (60) can be generally sealed or managed to have a negative pressure so that the cleaning solution (64) harmful to the human body does not leak outside the cleaning device. A cleaning solution discharge port (74)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60), so that the cleaning solution (64) that has falle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60) can flow out of the case (60) through the cleaning solution discharge port (74) and flow into a device for treating the cleaning solution. In addition, an exhaust port (76) is provided on the top surface of the case (60), so that the cleaning solution (64) evaporated in the cleaning device can flow into a device for treating the evaporated cleaning solution (64) located outside the case (60) through the exhaust port (76).

적어도 하나의 이송 롤러(61)는 공정 방향으로 상류에 위치하며, 상기 캐스팅 롤러(30)로부터 이송된 분리막 시트(34)를 대체로 공정 방향 하류로 이송한다. 하나의 예에서, 적어도 두 개의 이송 롤러(61)가 이격되어 배치되며, 분리막 시트(34)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이송 롤러(61)는 분리막 시트(34)의 일면에 접촉하는 반면 제2이송 롤러(61)는 분리막 시트(34)의 타면에 접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송 롤러(61)의 개수는 두 개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At least one transport roller (61) is positioned upstream in the process direction and transports the membrane sheet (34) transported from the casting roller (30) generally downstream in the process direction. In one example, at least two transport rollers (6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may be positioned on opposite sides with respect to the membrane sheet (34). That is, the first transport roller (61) may contact one surface of the membrane sheet (34), while the second transport roller (61) may contact the other surface of the membrane sheet (34). However, the number of transport rollers (61) is not limited to two.

적어도 하나의 세척액 분사 노즐(62, 66)은 적어도 하나의 이송 롤러(61)에 의하여 이송되는 분리막 시트(34)에 세척액(64)을 분사하여 분리막 시트(34)의 표면에 잔류하는 오일을 세척한다. 적어도 하나의 세척액 분사 노즐(62, 66)은 적어도 하나의 이송 롤러(61)를 지나가는 분리막 시트(34)에 세척액(64)을 분사한다. 즉, 세척액 분사 노즐(62, 64)은 대응하는 이송 롤러(61)에 접촉하여 지지되는 분리막 시트(34)의 일면의 반대면에 세척액(64)을 분사한다. At least one cleaning solution spray nozzle (62, 66) sprays cleaning solution (64) onto a membrane sheet (34) conveyed by at least one transport roller (61) to wash away oil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membrane sheet (34). At least one cleaning solution spray nozzle (62, 66) sprays cleaning solution (64) onto a membrane sheet (34) passing by at least one transport roller (61). That is, the cleaning solution spray nozzle (62, 64) sprays cleaning solution (64) onto the opposite surface of one surface of the membrane sheet (34) that is supported by contacting the corresponding transport roller (61).

세책액 분사 노즐(62, 66)의 개수는 이송 롤러(61)의 개수와 같거나 작을 수 있으며, 하나의 세척액 분사 노즐(62)은 하나의 이송 롤러(61)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세척액 분사 노즐(66)은 다른 하나의 이송 롤러(61)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The number of detergent spray nozzles (62, 66) may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number of transport rollers (61), and one detergent spray nozzle (62) is arranged corresponding to one transport roller (61), and the other detergent spray nozzle (66) is arranged corresponding to the other transport roller (61).

하나의 예에서, 적어도 두 개의 세척액 분사 노즐(62, 66)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두 개의 세척액 분사 노즐(62, 66)이 사용되면, 제1세척액 분사 노즐(62)은 분리막 시트(34)의 일면에 접촉하는 제1이송 롤러(61)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분리막 시트(34)의 타면에 세척액(64)을 분사하고, 제2세척액 분사 노즐(66)은 분리막 시트(34)의 타면에 접촉하는 제2이송 롤러(61)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분리막 시트(34)의 일면에 세척액(64)을 분사한다. 이에 따라, 분리막 시트(34)의 양면에 모두 세척액(64)이 분사될 수 있다. 그러나, 세척액 분사 노즐(62, 66)의 개수는 두 개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In one example, at least two cleaning solution spray nozzles (62, 66)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n two cleaning solution spray nozzles (62, 66) are used, the first cleaning solution spray nozzle (62) is positioned to face the first transport roller (61) contacting one surface of the separator sheet (34) and sprays the cleaning solution (64) onto the other surface of the separator sheet (34), and the second cleaning solution spray nozzle (66) is positioned to face the second transport roller (61) contacting the other surface of the separator sheet (34) and sprays the cleaning solution (64) onto one surface of the separator sheet (34). Accordingly, the cleaning solution (64) may be sprayed onto both surfaces of the separator sheet (34). However, the number of cleaning solution spray nozzles (62, 66) is not limited to two.

적어도 하나의 열풍 노즐(68, 70)은 공정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세척액 분사 노즐(62, 66)의 하류에 위치하고, 이송되는 분리막 시트(34)에 열풍을 송풍하여 분리막 시트(34)에 분사된 세척액을 건조하도록 구성된다. 즉, 세척액 분사 노즐(62, 66)은 이송 롤러(61)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열풍 노즐(68, 70)은 이송 롤러(61)와 세척액 분사 노즐(62, 66)의 하류에 배치된다. 하나의 예에서, 적어도 두 개의 열풍 노즐(68, 70)이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만일 두 개의 열풍 노즐(68, 70)이 사용되면, 제1열풍 노즐(68)은 제1세척액 분사 노즐(62)의 하류에서 제1세척액 분사 노즐(62)에 의하여 세척액(64)이 묻은 분리막 시트(64)의 타면으로 열풍을 송풍하고, 제2열풍 노즐(70)은 제2세척액 분사 노즐(66)의 하류에서 제2세척액 분사 노즐(66)에 의하여 세척액(64)이 묻은 분리막 시트(64)의 일면으로 열풍을 송풍한다. 그러나, 열풍 노즐(68, 70)의 개수는 두 개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At least one hot air nozzle (68, 70) is positioned downstream of at least one cleaning solution spray nozzle (62, 66) in the process direction and is configured to blow hot air onto the transported membrane sheet (34) to dry the cleaning solution sprayed onto the membrane sheet (34). That is, the cleaning solution spray nozzle (62, 66) is positioned to face the transport roller (61), and the hot air nozzle (68, 70) is positioned downstream of the transport roller (61) and the cleaning solution spray nozzle (62, 66). In one example, at least two hot air nozzles (68, 70) may be position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f two hot air nozzles (68, 70) are used, the first hot air nozzle (68) blows hot air to the other side of the membrane sheet (64) that is coated with the cleaning liquid (64) by the first cleaning liquid spray nozzle (62) downstream of the first cleaning liquid spray nozzle (62), and the second hot air nozzle (70) blows hot air to one side of the membrane sheet (64) that is coated with the cleaning liquid (64) by the second cleaning liquid spray nozzle (66) downstream of the second cleaning liquid spray nozzle (66). However, the number of hot air nozzles (68, 70) is not limited to two.

적어도 하나의 가열 롤러(72)는 공정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열풍 노즐(68, 70)의 하류에 위치하여 분리막 시트(34)를 공정 방향으로 이송하며 가열한다. 이에 따라, 분리막 시트(34)에 잔류하는 세척액(64)이 가열되어 건조된다. 상기 가열 롤러(72)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하며, 분리막 시트(34)로부터 세척액(64)을 대부분 제거하기에 충분한 개수일 수 있다. At least one heating roller (72) is positioned downstream of at least one hot air nozzle (68, 70) in the process direction to transport and heat the membrane sheet (34) in the process direction. Accordingly, the washing liquid (64) remaining on the membrane sheet (34) is heated and dried. The number of the heating rollers (7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 sufficient number to remove most of the washing liquid (64) from the membrane sheet (34).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복수의 제1연신 롤러(40)는 공정 방향(예를 들어, 제1방향)으로 세척 장치의 하류에 배치된다. 복수의 제1연신 롤러(40)는 상이한 속도로 회전하며 가열되어 분리막 시트(34)를 제1방향으로 연신하고, 이에 따라 분리막 시트(34)의 두께는 줄어들게 된다. Referring again to FIG. 1, a plurality of first elongation rollers (40) are arranged downstream of the cleaning device in the process direction (e.g., the first direction). The plurality of first elongation rollers (40) rotate at different speeds and are heated to elongate the membrane sheet (34) in the first direction, there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membrane sheet (34).

복수의 제2연신 롤러(50)는 공정 방향으로 복수의 제1연신 롤러(40)의 하류에 배치되어 분리막 시트(34)를 제1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으로 연신하도록 구성된다. 하나의 예에서, 복수의 제2연신 롤러(50)는 한 쌍의 제2연신 롤러(50)와, 상기 한 쌍의 제2연신 롤러(50)로부터 공정 방향으로 하류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연신 롤러(5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연신 롤러(50)는 서로 마주하며 그들 사이의 분리막 시트(34)를 누르고, 적어도 하나의 제2연신 롤러(50)는 상기 분리막 시트(34)가 제2방향으로 연신되도록 분리막 시트(34)를 당길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제2연신 롤러(50)의 구성은 본 명세서에서 예시된 구성에 제한되지 않는다. A plurality of second elongation rollers (50) are arranged downstream of the plurality of first elongation rollers (40) in the process direction and configured to elongate the membrane sheet (34)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In one example, the plurality of second elongation rollers (50) may include a pair of second elongation rollers (50) and at least one second elongation roller (50) arranged downstream and spaced apart from the pair of second elongation rollers (50) in the process direction. The pair of second elongation rollers (50) face each other and press the membrane sheet (34) therebetween, and at least one second elongation roller (50) may pull the membrane sheet (34) so that the membrane sheet (34) is elongated in the second direction.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plurality of second elongation rollers (50)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exemplified herei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막 원단의 제조 장치를 이용한 분리막 원단의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membrane fabric using a membrane fabric manufact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 압출 단계(S100)에서 소재가 압출기(10)로 공급되고, 압출기(10) 내에서 소재는 용융되며, 용융된 레진에 오일이 혼합된다. 상기 소재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일 수 있고, 상기 오일은 액체 파라핀(Liquid Paraffin, LP)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압출기(10)에서 용융되어 오일과 혼합된 레진은 다이(20)로 흘러가고, 용융된 레진(32)은 다이(20)로부터 캐스팅 롤러(30)로 배출되며, 상기 용융 레진(32)은 회전하는 캐스팅 롤러(30)의 표면에서 펴져 분리막 시트(34)로 제조된다. As illustrated in FIG. 1, in the material extrusion step (S100), the material is supplied to the extruder (10), the material is melted within the extruder (10), and oil is mixed with the melted resin. The material may be polyethylene (PE) or polypropylene (PP), and the oil may be liquid paraffin (LP),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resin melted in the extruder (10) and mixed with the oil flows to the die (20), and the melted resin (32) is discharged from the die (20) to the casting roller (30), and the melted resin (32) is spread on the surface of the rotating casting roller (30) to be manufactured into a membrane sheet (34).

세척 단계(S110)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송 롤러(61)는 분리막 시트(34)를 이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이송 롤러(61)에 마주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척액 분사 노즐(62, 66)은 적어도 하나의 이송 롤러(61)를 지나가는 분리막 시트(34)에 세척액(64)을 분사하여 분리막 시트(34)의 표면에 잔류하는 오일을 세척한다. 예를 들어, 제1세척액 분사 노즐(62)은 분리막 시트(34)의 일면에 접촉하는 제1이송 롤러(61)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분리막 시트(34)의 타면에 세척액(64)을 분사하고, 제2세척액 분사 노즐(66)은 분리막 시트(34)의 타면에 접촉하는 제2이송 롤러(61)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분리막 시트(34)의 일면에 세척액(64)을 분사한다. 이에 따라, 분리막 시트(34)의 양면에 모두 세척액(64)이 분사될 수 있다. In the washing step (S110), at least one transport roller (61) transports the membrane sheet (34), and at least one cleaning solution spray nozzle (62, 66) facing at least one transport roller (61) sprays cleaning solution (64) onto the membrane sheet (34) passing over the at least one transport roller (61) to wash away oil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membrane sheet (34). For example, the first cleaning solution spray nozzle (62) is arranged to face the first transport roller (61) contacting one surface of the membrane sheet (34) and sprays the cleaning solution (64) onto the other surface of the membrane sheet (34), and the second cleaning solution spray nozzle (66) is arranged to face the second transport roller (61) contacting the other surface of the membrane sheet (34) and sprays the cleaning solution (64) onto one surface of the membrane sheet (34). Accordingly, the cleaning solution (64) can be sprayed on both sides of the separator sheet (34).

상기 세척 단계(S110)에서 적어도 하나의 열풍 노즐(68, 70)은 공정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세척액 분사 노즐(62, 66)의 하류에 위치하고, 이송되는 분리막 시트(34)에 열풍을 송풍하여 분리막 시트(34)에 분사된 세척액을 건조한다. 예를 들어, 제1열풍 노즐(68)은 제1세척액 분사 노즐(62)의 하류에서 제1세척액 분사 노즐(62)에 의하여 세척액(64)이 묻은 분리막 시트(64)의 타면으로 열풍을 송풍하고, 제2열풍 노즐(70)은 제2세척액 분사 노즐(66)의 하류에서 제2세척액 분사 노즐(66)에 의하여 세척액(64)이 묻은 분리막 시트(64)의 일면으로 열풍을 송풍한다.In the above washing step (S110), at least one hot air nozzle (68, 70) is positioned downstream of at least one washing liquid spray nozzle (62, 66) in the process direction and blows hot air onto the transported membrane sheet (34) to dry the washing liquid sprayed onto the membrane sheet (34). For example, the first hot air nozzle (68) blows hot air onto the other surface of the membrane sheet (64) on which the washing liquid (64) has been applied by the first washing liquid spray nozzle (62) downstream of the first washing liquid spray nozzle (62), and the second hot air nozzle (70) blows hot air onto one surface of the membrane sheet (64) on which the washing liquid (64) has been applied by the second washing liquid spray nozzle (66) downstream of the second washing liquid spray nozzle (66).

상기 세척 단계(S110)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열 롤러(72)는 공정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열풍 노즐(68, 70)의 하류에 위치하여 분리막 시트(34)를 공정 방향으로 이송하며 가열한다. 이에 따라, 분리막 시트(34)에 잔류하는 세척액(64)이 가열되어 건조된다.In the above washing step (S110), at least one heating roller (72) is positioned downstream of at least one hot air nozzle (68, 70) in the process direction to transport and heat the membrane sheet (34) in the process direction. Accordingly, the washing liquid (64) remaining on the membrane sheet (34) is heated and dried.

제1연신 단계(S120)에서 복수의 제1연신 롤러(40)는 상이한 속도로 회전하며 가열되어 분리막 시트(34)를 제1방향으로 연신한다. 제1연신 단계(S120) 전의 세척 단계(S110)에서 분리막 시트(34)에 잔류하는 오일이 세척액(64)에 의하여 제거되고, 세척액(64)이 열풍 노즐(68, 70)과 가열 롤러(72)에 의하여 제거되었으므로, 분리막 시트(34)가 제1연신 롤러(40)로부터 미끌어지는 현상이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 원하는 연신율을 얻을 수 있고, 불량율이 줄어들게 된다. In the first stretching step (S120), a plurality of first stretching rollers (40) rotate at different speeds and are heated to stretch the membrane sheet (34) in the first direction. In the washing step (S110) before the first stretching step (S120), oil remaining in the membrane sheet (34) is removed by the washing liquid (64), and since the washing liquid (64) is removed by the hot air nozzle (68, 70) and the heating roller (72), the phenomenon of the membrane sheet (34) slipping from the first stretching roller (40) is reduced. Accordingly, a desired stretching ratio can be obtained, and the defect rate is reduced.

제2연신 단계(S130)에서 복수의 제2연신 롤러(50)는 제1방향으로 연신된 분리막 시트(34)를 제1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으로 연신한다. In the second stretching step (S130), a plurality of second stretching rollers (50) stretch the separation membrane sheet (34) stretched in the first direction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그 후, 분리막 시트(34)는 후속하는 처리 공정을 거쳐 분리막 원단으로 제조된다.Afterwards, the membrane sheet (34) is manufactured into a membrane fabric through a subsequent processing process.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includes all changes that can be easily modified and deemed equivalent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from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압출기 20: 다이
30: 캐스팅 롤러 32: 용융 레진
34: 분리막 시트 40: 제1연신 롤러
50: 제2연신 롤러 60: 케이스
61: 이송 롤러 62, 66: 제1, 2세척액 분사 노즐
64: 세척액 68, 70: 제1, 2열풍 노즐
72: 가열 롤러 74: 세척액 배출부
76: 배기구
10: Extruder 20: Die
30: Casting roller 32: Molten resin
34: Separator sheet 40: First extension roller
50: 2nd extension roller 60: Case
61: Transfer roller 62, 66: 1st and 2nd washing liquid spray nozzle
64: Cleaning fluid 68, 70: 1st and 2nd hot air nozzles
72: Heating roller 74: Washing liquid discharge part
76: Exhaust

Claims (12)

소재를 용융하고 용융된 레진에 오일을 혼합하며 오일과 혼합된 용융된 레진을 분리막 시트로 배출하는 소재 압출 단계;
분리막 시트의 표면에 잔류하는 오일을 제거하는 세척 단계;
오일이 제거된 분리막 시트를 제1방향으로 연신하는 제1연신 단계; 그리고
상기 분리막 시트를 제1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으로 연신하는 제2연신 단계;
를 포함하는 분리막 원단의 제조 방법.
A material extrusion step of melting a material, mixing oil into the molten resin, and discharging the molten resin mixed with the oil as a membrane sheet;
A washing step to remove oil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membrane sheet;
A first stretching step for stretching the oil-removed membrane sheet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stretching step of stretching the above-mentioned membrane sheet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membrane fabric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 롤러를 이용하여 분리막 시트를 이송하는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세척액 분사 노즐을 통해 세척액을 분리막 시트에 분사함으로써 수행되는 분리막 원단의 제조 방법.
In the first paragraph,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membrane fabric, wherein the above washing step is performed by spraying a washing solution onto the membrane sheet through at least one washing solution spray nozzle while transporting the membrane sheet using at least one transport roll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척액 분사 노즐은 적어도 하나의 이송 롤러를 지나가는 분리막 시트에 세척액을 분사하는 분리막 원단의 제조 방법.
In the second paragraph,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membrane fabric, wherein at least one of the above-mentioned cleaning solution spray nozzles sprays a cleaning solution onto a membrane sheet passing over at least one conveying roller.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세척액 분사 노즐은 분리막 시트의 양면에 세척액을 분사하는 분리막 원단의 제조 방법.
In the second paragraph,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membrane fabric, wherein at least one cleaning solution spray nozzle sprays a cleaning solution on both sides of a membrane shee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 시트에 분사된 세척액은 적어도 하나의 열풍 노즐에 의하여 송풍된 열풍에 의하여 건조되는 분리막 원단의 제조 방법.
In the second paragraph,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membrane fabric, wherein the cleaning solution sprayed on the membrane sheet is dried by hot air blown by at least one hot air nozzle.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분리막 시트에 잔류하는 세척액은 분리막 시트를 이송하며 가열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 롤러에 의하여 건조되는 분리막 원단의 제조 방법.
In the second or fifth paragraph,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membrane fabric, wherein the washing liquid remaining on the membrane sheet is dried by at least one heating roller that transports and heats the membrane sheet.
소재를 가열하여 용융하고, 오일을 공급받아 용융된 레진에 상기 오일을 혼합하며, 오일과 혼합된 용융된 레진을 배출하는 압출기;
상기 압출기에서 배출되는 용융된 레진을 분리막 시트로 펴도록 회전하는 캐스팅 롤러;
상기 캐스팅 롤러로부터 이동된 분리막 시트의 표면에 잔류하는 오일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세척 장치;
상이한 속도로 회전하며 오일이 제거된 분리막 시트를 제1방향으로 연신하는 복수의 제1연신 롤러; 그리고
제1방향으로 연신된 분리막 시트를 제1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으로 연신하는 복수의 제2연신 롤러;
를 포함하는 분리막 원단의 제조 장치.
An extruder that heats and melts a material, supplies oil, mixes the oil with the molten resin, and discharges the molten resin mixed with the oil;
A casting roller that rotates to spread the molten resin discharged from the extruder into a membrane sheet;
A washing device configured to remove oil remaining on the surface of a separator sheet moved from the casting roller;
A plurality of first elongation rollers that rotate at different speeds and elongate the oil-removed membrane sheet in a first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stretching rollers for stretching the membrane sheet stretched in the first direction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 device for manufacturing a membrane fabric includ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장치는
상기 캐스팅 롤러로부터 이송된 분리막 시트를 제1연신 롤러를 향해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 롤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 롤러에 의하여 이송되는 분리막 시트에 세척액을 분사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세척액 분사 노즐; 그리고
이송되는 분리막 시트에 열풍을 송풍하여 분리막 시트에 분사된 세척액을 건조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열풍 노즐;
을 포함하는 분리막 원단의 제조 장치.
In Article 7,
The above washing device
At least one transport roller for transporting the membrane sheet transported from the casting roller toward the first elongation roller;
At least one cleaning solution spray nozzle configured to spray a cleaning solution onto a membrane sheet conveyed by at least one conveying roller; and
At least one hot air nozzle configured to blow hot air onto the transported membrane sheet to dry the cleaning solution sprayed onto the membrane sheet;
A device for manufacturing a membrane fabric includ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장치는 분리막 시트에 잔류하는 세척액을 가열하여 건조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 롤러를 더 포함하는 분리막 원단의 제조 장치.
In Article 8,
A device for manufacturing a membrane fabric, wherein the washing device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heating roller for heating and drying the washing liquid remaining on the membrane sheet.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하나의 세척액 분사 노즐은 하나의 이송 롤러에 대응하여 구비되며,
각 세척액 분사 노즐은 대응하는 이송 롤러를 지나가는 분리막 시트에 세척액을 분사하는 분리막 원단의 제조 장치.
In clause 8 or 9,
One cleaning solution spray nozzle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one transport roller,
A device for manufacturing a membrane fabric, wherein each cleaning solution spray nozzle sprays a cleaning solution onto a membrane sheet passing over a corresponding conveying roller.
제10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분사 노즐과 적어도 두 개의 이송 롤러가 구비되며,
하나의 분사 노즐은 분리막 시트의 일면에 세척액을 분사하고, 다른 하나의 분사 노즐은 분리막 시트의 타면에 세척액을 분사하는 분리막 원단의 제조 장치.
In Article 10,
At least two spray nozzles and at least two transport rollers are provided,
A device for manufacturing a membrane fabric, wherein one spray nozzle sprays a cleaning solution onto one side of a membrane sheet, and another spray nozzle sprays a cleaning solution onto the other side of the membrane sheet.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장치는 케이스 내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는 세척액을 배출하는 세척액 배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는 증발된 세척액을 배출하는 배기부가 구비되는 분리막 원단의 제조 장치.
In clause 8 or 9,
The above washing device is provided within the case,
A device for manufacturing a membrane fabric, wherein a cleaning solution discharge portion for discharging a cleaning solution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and an exhaust portion for discharging evaporated cleaning solution is provided on the top surface of the case.
KR1020230154847A 2023-11-09 2023-11-09 Method and apparatus of manufacturing separator fabric Pending KR2025006839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4847A KR20250068396A (en) 2023-11-09 2023-11-09 Method and apparatus of manufacturing separator fabric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4847A KR20250068396A (en) 2023-11-09 2023-11-09 Method and apparatus of manufacturing separator fabric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068396A true KR20250068396A (en) 2025-05-16

Family

ID=95913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54847A Pending KR20250068396A (en) 2023-11-09 2023-11-09 Method and apparatus of manufacturing separator fabric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5006839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87742A (en) Printing apparatus
US20060081176A1 (en) Surfactant applicator for solution casting system and method of use to produce a film
WO2023031752A1 (en)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drying of polymeric film extruded from an extruder
KR20250068396A (en) Method and apparatus of manufacturing separator fabric
CN102189678B (en)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device for agricultural polyolefine resin film
KR19990066975A (en) Multi-Layer Coating with Application Roller
JPH09168760A (en) Apparatus for removing excessive coating agent from traveling coated web and coa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TW535195B (en) A carrying-typed device for treating substrate
JP2002301417A (en) Coating device and method
JP4224814B2 (en) Sequential coating method and apparatus
JPH0585649A (en) Device for reducing contamination of supporter roller
JP7072623B1 (en) Extraction drying device
US2286645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rticles and the products produces
JP4342327B2 (en) Single wafer coating method
KR200351267Y1 (en) Apparatus of producing breathable film
KR20050081629A (en) Apparatus of producing breathable film
JPH0531449A (en) Method for applying antisticking agent of rubber sheet material
US2862245A (en) Method for producing films
JP3685611B2 (en) Coating liquid removal method
JPH1197408A (en) Method and device for drying substrate
JP2003145010A (en) Coating method, extrusion co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removing stripe
JP202316274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laminate film
JP3252467B2 (en) Water film forming equipment for resin film manufacturing equipment
JP2002001196A (en) Method and device for coating web
JPS6118659A (en) Feed of sheet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