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50081549A -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50081549A KR20250081549A KR1020230170000A KR20230170000A KR20250081549A KR 20250081549 A KR20250081549 A KR 20250081549A KR 1020230170000 A KR1020230170000 A KR 1020230170000A KR 20230170000 A KR20230170000 A KR 20230170000A KR 20250081549 A KR20250081549 A KR 2025008154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tton
- air conditioner
- panel
- frame
- actua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개시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공기조화기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기류를 형성하는 송풍팬;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 상기 송풍팬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흡입구에 배치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액츄에이터에 접촉 가능한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case having an intake port and an exhaust port formed therein; a blower fan disposed inside the case to form an airflow; an indoor heat exchanger for heat-exchanging air inside the case and a refrigerant; an actuator for turning the blower fan on and off; and a filter disposed at the intake port, wherein the filter may include: a button portion that can be contacted by the actuator.
Description
본 개시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제 전원 스위치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er having a forced power switch.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 온도를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조절해주는 장치로, 냉동 사이클의 원리에 따라 실내의 공기를 냉난방시키는 장치이다. 특히, 실내기가 실내 공간에 수직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것을 스탠드형 공기조화기라 하고, 실내기가 실내의 벽에 설치되는 것을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라 하고, 실내기가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것을 천장형 공기조화기라 한다.An air conditioner is a device that adjusts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air to the temperature set by the user, and is a device that cools and heats the indoor air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the refrigeration cycle. In particular, an indoor unit that is installed vertically in an indoor space is called a standing air conditioner, an indoor unit that is installed on a wall indoor is called a wall-mounted air conditioner, and an indoor unit that is installed on the ceiling indoor is called a ceiling-type air conditioner.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46112호에 개시된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는, 외형을 형성하고, 개구가 형성된 전면판; 상기 전면판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고, 실내 공기를 흡입하도록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그릴부재; 메인회로기판의 일측에 배설된 스위치; 및 상기 전면판의 일측에 배설되어 상기 스위치에 접촉 가능하도록 탄성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누름수단을 포함한다.The 'wall-mounted air conditioner'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146112 includes a front plate forming an outer shape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therein; an intake grill member which is openably and closably coupled to the front plate and has an intake port formed therein to intake indoor air; a switch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in circuit board; and a pressing mean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ront plate and formed to be elastically rotatabl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witch.
상기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운전 상태를 수동으로 조작하는 스위치가 흡입그릴부재에 의해 내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숨겨져 있어, 사용자가 스위치를 찾기 어려운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다.The abov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has a problem in that the switch for manually controlling the operating status is hidden inside the intake grille member so that it is not exposed, making it difficult for the user to find the switch.
또, 상기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사용자가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흡입그릴부재를 개방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has a problem in that the user must open the suction grill member to operate the switch.
본 개시의 목적은,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강제 운전 스위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to provide a forced drive switch structure with improved usability.
본 개시의 다른 목적은, 외부로 노출된 강제 운전 스위치가 적용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having an externally exposed forced operation switch.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강제 운전 스위치가 적용된 필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to provide a filter structure to which a forced driving switch is applied.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촉감으로 쉽게 찾을 수 있는 강제 운전 스위치가 적용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having a forced operation switch that can be easily found by a user by touch.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강제 운전 스위치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이 개선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having improved user accessibility to a forced operation switch.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강제 운전 스위치를 의도치 않게 누르는 현상을 줄이는 공기조화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structure that reduces the phenomenon of a user unintentionally pressing a forced operation switch.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공기조화기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기류를 형성하는 송풍팬;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 상기 송풍팬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흡입구에 배치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액츄에이터에 접촉 가능한 버튼부를 포함하여, 사용자는 버튼부를 통해 액츄에이터를 누를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purpose, an air conditioner comprises: a case having an intake port and an exhaust port formed therein; a blower fan disposed inside the case to form an airflow; an indoor heat exchanger for heat-exchanging air inside the case with a refrigerant; an actuator for turning the blower fan on and off; and a filter disposed at the intake port, wherein the filter comprises: a button portion that can be contacted with the actuator, such that a user can press the actuator through the button portion.
상기 흡입구는, 상기 케이스에 상측으로 개구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버튼부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above suction port may be opened upwardly in the case, and the actuator may be positioned below the button portion.
상기 버튼부는: 푸쉬 버튼; 및 상기 푸쉬 버튼으로부터 상기 액츄에이터를 향해 연장된 프레서를 포함하여, 사용자는 프레서를 통해 액츄에이터를 직접적으로 누를 수 있다.The above button portion includes: a push button; and a presser extending from the push button toward the actuator, so that a user can directly press the actuator through the presser.
상기 필터는: 상기 흡입구에 결합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는: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버튼이 배치되는 버튼홀이 형성된 버튼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푸쉬 버튼은, 상기 버튼 패널로부터 돌출되어 단차를 통해 구분될 수 있다.The above filter comprises: a frame coupled to the suction port, and the button portion comprises: a button panel connected to the frame and having a button hole formed in which the button is arranged, and the push button protrudes from the button panel and can be distinguished by a step.
상기 버튼부는: 상기 버튼 패널과 상기 푸쉬 버튼을 연결하는 푸쉬 패널을 포함하여, 푸쉬 버튼은 버튼 패널에 고정되어 움직일 수 있다.The above button portion includes: a push panel connecting the button panel and the push button, wherein the push button is fixed to the button panel and can move.
상기 프레임은: 상기 흡입구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엣지 프레임; 및 상기 엣지 프레임의 내측에 격자 형식으로 배열되어 연통구를 형성하는 이너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푸쉬 버튼은, 상기 엣지 프레임과 상기 이너 프레임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frame includes: an edge frame extending along the periphery of the suction port; and an inner frame arranged in a grid pattern on the inner side of the edge frame to form a communication port, and the push button can be located between the edge frame and the inner frame.
상기 버튼 패널은, 상기 엣지 프레임과 상기 이너 프레임에 연결되어, 필터의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The above button panel can be fixed to the frame of the filter by being connected to the edge frame and the inner frame.
상기 버튼 패널은, 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고, 상기 푸쉬 버튼은, 상기 버튼 패널로부터 돌출되고, 평탄한 일면이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 button panel may be inclined downward as it goes forward, and the push button may protrude from the button panel and form a flat surface.
상기 버튼부는, 상기 필터의 전방 코너부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보다 쉽게 버튼부에 접근할 수 있다.The above button portion is located at the front corner of the filter, allowing the user to more easily access the button portion.
상기 필터는,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져, 사용자가 보다 쉽게 버튼부에 접근할 수 있다.The above filter has a lower height as it moves towards the front, allowing the user to more easily access the buttons.
상기 필터는: 상기 흡입구에 결합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는: 푸쉬 버튼; 및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푸쉬 버튼이 배치되는 버튼홀이 형성된 버튼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 패널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리세스되어, 사용자가 의도치 않게 버튼부를 누르는 것을 줄일 수 있다.The above filter comprises: a frame coupled to the suction port, the button portion comprises: a push button; and a button panel connected to the frame and having a button hole formed in which the push button is arranged, the button panel being recessed from the frame to reduce unintentional pressing of the button portion by a user.
상기 푸쉬 버튼은, 상기 프레임과 상기 버튼 패널의 단차보다 낮게 상기 버튼 패널로부터 돌출되어, 푸쉬 버튼은 프레임의 표면보다 늦게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 push button may be formed later than the surface of the frame by protruding from the button panel lower than the step between the frame and the button panel.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액츄에이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송풍팬과 상기 실내열교환기가 배치되는 제1 내부 공간; 및 상기 액츄에이터와 상기 전장부가 배치되는 제2 내부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는, 상기 제2 내부 공간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A motor for rotating the blower fan; and an electric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ctuator are further included, and the case includes: a first internal space in which the blower fan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are arranged; and a second internal space in which the actuator and the electric part are arranged, and the button part can b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a position of the second internal space.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흡입구에 배치되는 필터에 형성된 버튼부로 인해, 공기조화기의 강제 운전 스위치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쉽게 외부에 형성된 버튼부를 찾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orced operation switch of the air conditioner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due to the button portion formed on the filter disposed in the intake port. Through this, the user can easily find the button portion formed on the outside. Accordingly,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air conditioner can be improved.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버튼부는 필터에 결합된 버튼 패널과 버튼 패널로부터 돌출된 푸쉬 버튼을 구비하여, 사용자는 버튼 패널과 푸쉬 버튼 사이의 단차를 통해 촉감으로 공기조화기의 상면에 위치하는 푸쉬 버튼을 찾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button portion has a button panel coupled to the filter and a push button protruding from the button panel, so that a user can find the push button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conditioner by touch through the step between the button panel and the push button. Through this, an air conditioner with improved usability can be provided.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버튼부는 필터의 전방 측 코너부에 위치하여, 버튼부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이 개선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button portion may be located at a front side corner of the filter, so that user accessibility to the button portion may be improved.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필터는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형성되어, 버튼부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이 개선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lter is formed to have a lower height as it goes forward, so that user accessibility to the button portion can be improved.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버튼부는 필터의 프레임보다 낮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의도치 않게 버튼부를 누르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button portion is formed lower than the frame of the filter, thereby minimizing unintentional pressing of the button portion by the user.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91-92선의 절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93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센서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94-95선의 절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96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9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결합 분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97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9의 98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991-992선의 절개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91-92 of Figure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of
FIG. 5 is a front view of a radar sens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94-95 of Figure 4.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8 is an enlarged view of
FIG. 9 is a plan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0 is an exploded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11 is an enlarged view of
Figure 12 is an enlarged view of
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991-992 of Figure 12.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Regardless of the drawing numbers,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ber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The suffixes “module” and “part” used for compon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only for the convenienc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in themselves.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whe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intended to facilitate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not limited by the attached drawing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at there may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도면에 표시된 상(U), 하(D), 좌(Le), 우(Ri), 전(F), 그리고 후(R)의 방향 표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며, 이에 의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The direction indications of up (U), down (D), left (Le), right (Ri), front (F), and back (R)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technical idea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not limited thereby.
도 1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에 대해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 an air conditioner (1) is described.
공기조화기(1)는 흡입구(11)와 토출구(12)가 형성된 케이스(1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공기조화기(1)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케이스(10)는 냉동 사이클 장치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case (10) having an inlet (11) and an outlet (12) formed therein. The case (10) may form an outer shape of the air conditioner (1). The case (10) may be elongated. The case (10) may be formed with an internal space in which a refrigeration cycle device is accommodated.
케이스(10)는 전면을 형성하는 전방벽(102)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벽(102)은 실내 공간을 마주할 수 있다. 전방벽(102)은 전방을 향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측면을 형성하는 측벽(104)을 포함할 수 있다. 측벽(104)은 케이스(10)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측벽(104)은 전방벽(102)에 연결될 수 있다. 측벽(104)은 전방벽(102)으로부터 절곡된 한 쌍의 측벽(10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ase (10) may include a front wall (102) forming a front side. The front wall (102) may face an interior space. The front wall (102) may face forward. The case (10) may include a side wall (104) forming a side side. The side wall (104) may cover a side side of the case (10). The side wall (104) may be connected to the front wall (102). The side wall (104) may include a pair of side walls (104) bent from the front wall (102).
흡입구(11)는 케이스(10)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1)는 케이스(1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구(11)는 케이스(10)의 상면에 개구될 수 있다. 흡입구(11)는 케이스(10)에 상방으로 개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내 공기는 흡입구(11)를 통해 케이스(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The suction port (11) may be formed in the case (10). The suction port (11)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ase (10). For example, the suction port (11) may be ope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0). The suction port (11) may be opened upward in the case (10). Through this, indoor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case (10) through the suction port (11).
토출구(12)는 케이스(10)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2)는 케이스(10)의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구(12)는 케이스(10)의 전방벽(102)에 형성된 제1 토출구(12a)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구(12)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10)의 전방벽(102)에 전방으로 개구된 제1 토출구(12a)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The discharge port (12) may be formed in the case (10). The discharge port (12) may b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ase (10). For example, the discharge port (12) may include a first discharge port (12a) formed in a front wall (102) of the case (10). The discharge port (12) may be elongated. For example, the first discharge port (12a) opened forward in the front wall (102) of the case (10) may be elongat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케이스(10) 내부의 공기는 토출구(12)를 통해 실내 공간으로 유출될 수 있다. 또, 흡입구(1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토출구(12)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10) 내부의 공기는 제1 토출구(12a)를 통해 공기조화기(1)의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Air inside the case (10) can be discharged into the indoor space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 Also, air drawn in through the intake port (11)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 For example, air inside the case (10) can be discharged to the front of the air conditioner (1)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12a).
공기조화기(1)는 흡입구(11)에 배치되는 필터(2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20)는 흡입구(1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20)는 흡입구(11)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filter (20) placed in the intake port (11). The filter (2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take port (11). The filter (20) may purify air flowing into the intake port (11).
공기조화기(1)는 토출구(12)에 배치되는 토출 베인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 베인은 토출구(12)를 통해 토출되는 기류를 가이드할 수 있다. 토출 베인은 토출구(12)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discharge vane arranged at the discharge port (12). The discharge vane may guide airflow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 The discharge vane may be extended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discharge port (12).
토출 베인은 제1 토출구(12a)에 배치되는 제1 토출 베인(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토출 베인(13)은 제1 토출구(12a)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토출구(12a)는 상시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토출 베인(13)은 제1 토출구(12a)를 통해 토출되는 기류를 전방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The discharge vane may include a first discharge vane (13) arranged at the first discharge port (12a). The first discharge vane (13) may be fixed to the first discharge port (12a). The first discharge port (12a) may be maintained in a normally open state. The first discharge vane (13) may guide the airflow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12a) forward.
공기조화기(1)는 운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4)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는 각종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4)는 실내 온도, 설정 온도, 바람 세기, 바람 방향, 실내 습도 등에 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디스플레이(14)는 케이스(1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4)는 전방벽(102)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는 전방벽(102)에 후측에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를 통해 발산되는 광은 전방벽(102)을 투과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14)는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display (14) that displays operating information. The display (14) may display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For example, the display (14) may display information about indoor temperature, set temperature, wind speed, wind direction, indoor humidity, etc. The display (14) may be placed in the case (10). For example, the display (14) may be placed in the front wall (102). The display (14) may be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front wall (102). Light emitted through the display (14) may penetrate the front wall (102). Through this, the display (14) may display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o the user.
도 2를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의 내부에 배치되는 부품들에 대해 설명한다. 공기조화기(1)는 실내열교환기(16), 송풍팬(17), 토출 유로(180)를 형성하는 가이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components arranged inside an air conditioner (1) will be described. 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n indoor heat exchanger (16), a blower fan (17), and a guide structure forming a discharge path (180).
공기조화기(1)는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실내열교환기(16)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열교환기(16)는 케이스(10) 내부의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킬 수 있다. 실내열교환기(16)는 흡입구(11)를 통해 유입된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킬 수 있다. 실내열교환기(16)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는 토출구(12)를 통해 실내 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실내열교환기(16)는 송풍팬(17)에 의해 형성된 기류와 냉매를 열교환시킬 수 있다. 실내열교환기(16)는 증발기 또는 응축기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열교환기(16)는 증발기로 기능하여 실내 공간으로 냉풍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열교환기(16)는 응축기로 기능하여 실내 공간으로 온풍을 공급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n indoor heat exchanger (16) disposed inside the case (10). The indoor heat exchanger (16) may exchange heat between air and a refrigerant inside the case (10). The indoor heat exchanger (16) may exchange heat between air introduced through an intake port (11) and the refrigerant. Air that has undergone heat exchange through the indoor heat exchanger (16) may be supplied to an indoor space through an outlet port (12). The indoor heat exchanger (16) may exchange heat between an airflow formed by a blower fan (17) and the refrigerant. The indoor heat exchanger (16) may function as an evaporator or a condenser. For example, the indoor heat exchanger (16) may function as an evaporator to supply cold air to an indoor space. For example, the indoor heat exchanger (16) may function as a condenser to supply warm air to an indoor space.
공기조화기(1)는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송풍팬(17)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17)은 흡입구(11)에서 토출구(12)로 유동하는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송풍팬(17)에 의해 형성된 기류는 실내열교환기(16)에서 냉매와 열교환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blower fan (17) arranged inside the case (10). The blower fan (17) may form an air current flowing from an intake port (11) to an outlet port (12). The air current formed by the blower fan (17) may be heat exchanged with a refrigerant in an indoor heat exchanger (16).
송풍팬(17)은 실내열교환기(16)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17)은 실내열교환기(16)보다 기류 유동 방향의 하류 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송풍팬(17)은 실내열교환기(16)보다 기류 유동 방향의 상류 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The blower fan (17) may be placed adjacent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16). The blower fan (17) may be located downstream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6) in the airflow direction. However,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lower fan (17) may be located upstream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6) in the airflow direction.
케이스(10)에는 송풍팬(17)에 의해 형성된 기류가 유동하는 토출 유로(180)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 유로(180)는 송풍팬(17)보다 기류 유동 방향의 하류 측에 위치할 수 있다. 토출 유로(180)는 실내열교환기(16)보다 기류 유동 방향의 하류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실내열교환기(16) 또는 송풍팬(17)을 통과한 기류는 토출 유로(180)를 통해 토출구(12)로 유동할 수 있다. 토출 유로(180)는 토출구(12)에 연결될 수 있다.A discharge path (180) through which airflow formed by a blower fan (17) flows may be formed in the case (10). The discharge path (180) may be located downstream of the blower fan (17) in the airflow direction. The discharge path (180) may be located downstream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6) in the airflow direction. The airflow passing through the indoor heat exchanger (16) or the blower fan (17) may flow to the discharge port (12) through the discharge path (180). The discharge path (180) may b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12).
공기조화기(1)는 토출 유로(180)를 형성하는 프론트 가이드(18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가이드(184)는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가이드(184)는 실내열교환기(16)와 토출 유로(180)를 분리할 수 있다. 프론트 가이드(184)는 실내열교환기(16)를 통과하지 않은 공기가 토출 유로(180)로 유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프론트 가이드(184)는 실내열교환기(16)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front guide (184) forming a discharge path (180). The front guide (184) may be arranged inside the case (10). The front guide (184) may separate the indoor heat exchanger (16) and the discharge path (180). The front guide (184) may prevent air that has not passed through the indoor heat exchanger (16) from flowing into the discharge path (180). The front guide (184) may be arrang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6).
프론트 가이드(184)는 토출구(12)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가이드(184)는 송풍팬(17)으로부터 토출구(12)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론트 가이드(184)는 송풍팬(17)으로부터 제1 토출구(12a)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프론트 가이드(184)는 굴곡지게 연장될 수 있다.The front guide (184) may be arranged adjacent to the discharge port (12). The front guide (184) may extend from the blower fan (17) toward the discharge port (12). For example, the front guide (184) may extend from the blower fan (17) toward the first discharge port (12a). The front guide (184) may extend in a curved manner.
공기조화기(1)는 프론트 가이드(184)로부터 이격된 미들 가이드(181)를 포함할 수 있다. 미들 가이드(181)는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17)은 미들 가이드(181)와 프론트 가이드(18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미들 가이드(181)는 송풍팬(17)을 통과한 기류를 토출 유로(180)로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들 가이드(181)는 프론트 가이드(184)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고, 송풍팬(17)은 프론트 가이드(184)와 미들 가이드(181) 사이에 위치하여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미들 가이드(181)는 송풍팬(17)의 회전 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middle guide (181) spaced apart from a front guide (184). The middle guide (181) may be arranged inside the case (10). The blower fan (17) may be arranged between the middle guide (181) and the front guide (184). The middle guide (181) may guide airflow passing through the blower fan (17) to a discharge path (180). For example, the middle guide (181) may be spaced rearward from the front guide (184), and the blower fan (17)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ront guide (184) and the middle guide (181) to form an airflow. The middle guide (181) may be extended to be curv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blower fan (17).
공기조화기(1)는 토출 유로(180)를 형성하는 리어 가이드(182)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 유로(180)는 프론트 가이드(184)와 리어 가이드(18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리어 가이드(182)는 프론트 가이드(184)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어 가이드(182)는 프론트 가이드(184)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rear guide (182) forming a discharge path (180). The discharge path (180) may be formed between a front guide (184) and a rear guide (182). The rear guide (18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guide (184). For example, the rear guide (182) may be spaced rearward from the front guide (184).
리어 가이드(182)는 미들 가이드(181)에 연결될 수 있다. 리어 가이드(182)는 미들 가이드(181)로부터 토출구(12)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어 가이드(182)는 후술하는 제2 토출구(12b, 미도시)를 향해 미들 가이드(18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리어 가이드(182)는 미들 가이드(18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리어 가이드(182)는 송풍팬(17)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리어 가이드(182)는 토출구(1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rear guide (182) may be connected to the middle guide (181). The rear guide (182) may extend from the middle guide (181) toward the outlet (12). For example, the rear guide (182) may extend from the middle guide (181) toward the second outlet (12b, not shown) described later. The rear guide (182) may be arranged on the lower side of the middle guide (181). The rear guide (182) may be arranged on the lower side of the blower fan (17). The rear guide (182) may be arranged adjacent to the outlet (12).
토출구(12)는 케이스(10)에 하방으로 개구된 제2 토출구(12b,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토출구(12b, 미도시)는 케이스(10)의 하측벽(106)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토출구(12b, 미도시)는 제1 토출구(12a)에 인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토출구(12a)는 케이스(10)의 전방벽(102)에 전방으로 개구되고, 제2 토출구(12b, 미도시)는 케이스(10)의 하측벽(106)에 하방으로 개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제1 토출구(12a)와 제2 토출구(12b, 미도시)를 통해 전방과 하방으로 각각 토출될 수 있다.The discharge port (12) may include a second discharge port (12b, not shown) that is opened downwardly in the case (10). The second discharge port (12b,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lower wall (106) of the case (10). The second discharge port (12b, not shown) may be adjacent to the first discharge port (12a). For example, the first discharge port (12a) may be opened forwardly in the front wall (102) of the case (10),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12b, not shown) may be opened downwardly in the lower wall (106) of the case (10). Through this, the discharged air may be discharged forwardly and downwardly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12a)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12b, not shown), respectively.
토출 베인은 제2 토출구(12b, 미도시)에 배치되는 제2 토출 베인(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토출 베인(15)은 제2 토출구(12b, 미도시)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The discharge vane may include a second discharge vane (15) arranged in a second discharge port (12b, not shown). The second discharge vane (15) may open or close the second discharge port (12b, not shown).
제2 토출 베인(15)이 제2 토출구(12b, 미도시)를 폐쇄할 때, 제2 토출 베인(15)은 토출 유로(180)를 형성할 수 있다. 토출 유로(180)는 프론트 가이드(184)와 제2 토출 베인(15)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토출 베인(15)은 리어 가이드(182)로부터 제1 토출구(12a)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2 토출 베인(15)은 토출 유로(180)를 유동하는 기류를 제1 토출구(12a)로 가이드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discharge vane (15) closes the second discharge port (12b, not shown), the second discharge vane (15) can form a discharge path (180). The discharge path (180) can be formed between the front guide (184) and the second discharge vane (15). The second discharge vane (15) can extend from the rear guide (182) toward the first discharge port (12a). The second discharge vane (15) can guide the airflow flowing in the discharge path (180) to the first discharge port (12a).
제2 토출 베인(15)이 제2 토출구(12b, 미도시)를 개방할 때, 제2 토출 베인(15)은 제2 토출구(12b, 미도시)를 통해 토출되는 기류를 가이드할 수 있다. 제2 토출 베인(15)은 제2 토출구(12b, 미도시)를 통해 토출되는 기류의 유동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토출구(12b, 미도시)를 통해 토출되는 기류는 전방을 향해 하방으로 비스듬히 토출될 수 있다. When the second discharge vane (15) opens the second discharge port (12b, not shown), the second discharge vane (15) can guide the airflow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ort (12b, not shown). The second discharge vane (15) can guide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flow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ort (12b, not shown). Through this, the airflow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ort (12b, not shown) can be discharged obliquely downward toward the front.
공기조화기(1)는 토출 유로(180)에 배치되는 가이드 모듈(3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모듈(30)은 복수의 가이드 베인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모듈(30)은 토출 유로(180)를 유동하는 기류의 유동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모듈(30)은 토출 유로(180)를 유동하는 기류의 유동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내 공간으로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을 보다 정교하게 제어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guide module (30) arranged in the discharge path (180). The guide module (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guide vanes. The guide module (30) may guide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flow flowing in the discharge path (180). For example, the guide module (30) may guide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flow flowing in the discharge path (18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rough this, the direction of the air flow discharged into the indoor space may be controlled more precisely.
가이드 모듈(30)은 리어 가이드(182)에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모듈(30)은 리어 가이드(182)와 프론트 가이드(18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베인은 좌우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가이드 모듈(30)은 송풍팬(17)보다 기류 유동 방향의 하류 측에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 모듈(30)은 기류 유동 경로 상으로 토출구(12)와 송풍팬(17)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guide module (30) can be coupled to the rear guide (182). The guide module (30) can be arranged between the rear guide (182) and the front guide (184). The plurality of guide vanes can mov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guide module (30) can be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airflow direction from the blower fan (17). The guide module (30) can be located between the discharge port (12) and the blower fan (17) along the airflow path.
도 3을 참조하여, 레이더 센서(도 4 참조, 44)의 배치에 대해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3, the arrangement of the radar sensor (see Fig. 4, 44) is described.
공기조화기(1)는 실내 공간의 재실자를 감지하는 레이더 모듈(40)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이더 모듈(40)은 실내 공간의 생체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더 모듈(40)은 재실자의 위치, 재실자의 수, 활동량, 재실자의 움직임, 재실자의 호흡수, 재실자의 체온, 재실자의 생체 상태, 재실자의 자세 등을 감지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바람 세기, 바람 방향, 설정 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된 생체 신호 결과 값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radar module (40) that detects occupants in an indoor space. The radar module (40) may detect bio-signals of the indoor space. For example, the radar module (40) may detect the location of occupants, the number of occupants, the amount of activity, the movement of occupants, the respiration rate of occupants, the body temperature of occupants, the biological status of occupants, the posture of occupants, etc. The air conditioner (1) may control at least one of wind speed, wind direction, and set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detected bio-signal result value.
레이더 모듈(40)은 생체 신호를 감지하는 레이더 센서(44)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더 센서(44)는 전파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레이더 센서(44)는 실내 공간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레이더 센서(44)는 실내 공간의 생체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레이더 센서(44)는 서모파일(thermopile)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더 센서(44)는 장애물을 투과 및/또는 반사하는 전파를 사용할 수 있다. 레이더 센서(44)는 특정 Hz의 전파를 송신하고 수신하여 생체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더 센서(44)는 밀리미터 파(mm-Wave)를 이용하여, 실내 공간에 있는 생체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The radar module (40) may include a radar sensor (44) that detects a biosignal. The radar sensor (44) may transmit and/or receive radio waves. The radar sensor (44) may be positioned toward an indoor space. The radar sensor (44) may detect a biosignal in the indoor space. The radar sensor (44) may include a thermopile sensor. The radar sensor (44) may use radio waves that penetrate and/or reflect obstacles. The radar sensor (44) may detect a biosignal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io waves of a specific Hz. For example, the radar sensor (44) may detect a biosignal in an indoor space using millimeter waves (mm-Wave).
레이더 센서(44)는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레이더 센서(44)는 전장부(5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10)의 내부 공간은 실내열교환기(16)와 송풍팬(17)이 배치되는 제1 내부 공간과, 전장부(50)가 배치되는 제2 내부 공간으로 나뉠 수 있다. 레이더 센서(44)는 제2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레이더 센서(44)는 실내열교환기(16)와 전장부(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radar sensor (44) may be placed inside the case (10). The radar sensor (44) may be placed adjacent to the electrical part (50). The internal space of the case (1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internal space in which the indoor heat exchanger (16) and the blower fan (17) are placed, and a second internal space in which the electrical part (50) is placed. The radar sensor (44) may be placed in the second internal space. The radar sensor (44) may be placed between the indoor heat exchanger (16) and the electrical part (50).
레이더 센서(44)는 케이스(1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레이더 센서(44)는 케이스(10)의 전방벽(102)에 배치될 수 있다. 레이더 센서(44)는 전방벽(102)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레이더 센서(44)는 전방벽(102)을 투과하는 전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더 센서(44)는 전방벽(102)을 투과하는 전파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여 실내 공간의 생체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The radar sensor (44) may be placed on the front of the case (10). The radar sensor (44) may be placed on the front wall (102) of the case (10). The radar sensor (44) may be placed on the rear of the front wall (102). The radar sensor (44) may use radio waves that penetrate the front wall (102). For example, the radar sensor (44) may detect a biosignal in an indoor space by transmitting and/or receiving radio waves that penetrate the front wall (102).
레이더 센서(44)는 실내 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레이더 센서(44)는 전방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레이더 센서(44)는 전방벽(102)을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radar sensor (44) may be positioned so as to face the indoor space. The radar sensor (44) may be positioned so as to face the front. The radar sensor (44) may be positioned so as to face the front wall (102).
공기조화기(1)는 전장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장부(50)는 케이스(10)의 제2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장부(50)는 실내열교환기(16) 및/또는 송풍팬(17)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front part (50). The front part (50) may be placed in the second internal space of the case (10). The front part (50) may be placed apart from the indoor heat exchanger (16) and/or the blower fan (17).
디스플레이(14)는 전장부(5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는 전방벽(102)의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는 전장부(50)와 전방벽(10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display (14) may be placed in front of the front part (50). The display (14) may be placed on the rear side of the front wall (102). The display (14) may be placed between the front part (50) and the front wall (102).
공기조화기(1)는 실내열교환기(16)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집수하는 드레인 팬(19)을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 팬(19)은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드레인 팬(19)은 실내열교환기(16)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내열교환기(16)에서 발생한 응축수는 드레인 팬(19)으로 낙하할 수 있다. 드레인 팬(19)은 실내열교환기(16)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drain pan (19) for collecting condensate generated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16). The drain pan (19) may be placed inside the case (10). The drain pan (19) may be plac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6). Through this, condensate generated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16) may fall into the drain pan (19). The drain pan (19) may be extended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6).
도 4는 도 3의 93 부분의 확대도이다.Figure 4 is an enlarged view of
도 4를 참조하여, 레이더 센서(44)의 배치에 대해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4, the arrangement of the radar sensor (44) is described.
레이더 모듈(40)은 레이더 센서(44)가 장착되는 센서 하우징(42)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이더 센서(44)는 전방벽(102)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상으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더 센서(44)는 전방벽(102)으로부터 5mm 이상으로 이격될 수 있다.The radar module (40) may include a sensor housing (42) in which a radar sensor (44) is mounted. The radar sensor (44)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wall (10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For example, the radar sensor (44)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wall (102) by 5 mm or more.
센서 하우징(42)은 전방벽(102)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센서 하우징(42)은 전방벽(102)의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 하우징(42)은 실내열교환기(16)와 디스플레이(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 하우징(42)은 전면이 개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레이더 센서(44)는 전방벽(102)을 마주할 수 있다. 센서 하우징(42)은 하측이 개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레이더 센서(44)에서 발생하는 열은 센서 하우징(42)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sensor housing (4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wall (102). The sensor housing (42) may be positioned at the rear side of the front wall (102). The sensor housing (42)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indoor heat exchanger (16) and the display (14). The sensor housing (42) may have an open front side. Through this, the radar sensor (44) may face the front wall (102). The sensor housing (42) may have an open lower side. Through this, heat generated from the radar sensor (44)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ensor housing (42).
레이더 모듈(40)은 흡입구(11)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레이더 모듈(40)은 흡입구(11)로부터 일정 간격 이상으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더 모듈(40)은 케이스(10)의 상면에 형성된 흡입구(11)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흡입구(11)를 통해 레이더 센서(44)에 접근하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다.The radar module (4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take port (11). The radar module (4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take port (1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For example, the radar module (40) may be spaced downward from the intake port (1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0). This may make it difficult for a user to approach the radar sensor (44) through the intake port (11).
전장부(50)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컨트롤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장부(50)는 케이스(10)의 내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컨트롤 박스(51)와, 제1 컨트롤 박스(51)에 결합되는 제2 컨트롤 박스(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컨트롤 박스(51)에는 제어부가 수용될 수 있다. 제2 컨트롤 박스(52)에는 공기조화기(1)의 운전을 제어하는 강제 운전 스위치가 수용될 수 있다.The front part (50) may include a control box in which an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The front part (50) may include a first control box (51) arranged adjacen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10) and a second control box (52) coupled to the first control box (51). A control unit may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control box (51). A forced operation switch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1) may be accommodated in the second control box (52).
제2 컨트롤 박스(52)는 제1 컨트롤 박스(51)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컨트롤 박스(52)는 제1 컨트롤 박스(51)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컨트롤 박스(52)는 제1 컨트롤 박스(51)와 전방벽(10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컨트롤 박스(52)는 디스플레이(14)와 제1 컨트롤 박스(5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컨트롤 박스(52)는 디스플레이(14)를 전방벽(102)의 후면에 배치되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컨트롤 박스(52)는 디스플레이(14)를 전방벽(102)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box (52) can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control box (51). For example, the second control box (52) can be placed in front of the first control box (51). The second control box (52) can be placed between the first control box (51) and the front wall (102). The second control box (52) can be placed between the display (14) and the first control box (51). The second control box (52) can fix the display (14) to be placed on the rear side of the front wall (102). For example, the second control box (52) can press the display (14) against the front wall (102).
레이더 모듈은 제2 컨트롤 박스(52)와 디스플레이(14) 사이에 배치되는 서포트 패널(46)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컨트롤 박스(52)는 서포트 패널(46)을 디스플레이(14)에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컨트롤 박스(52)는 서포트 패널(46)을 디스플레이(14)에 밀착시킬 수 있다.The radar module may include a support panel (46)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control box (52) and the display (14). The second control box (52) may secure the support panel (46) to the display (14). For example, the second control box (52) may press the support panel (46) against the display (14).
센서 하우징(42)은 서포트 패널(46)에 연결될 수 있다. 센서 하우징(42)은 서포트 패널(46)의 엣지에 결합될 수 있다. 센서 하우징(42)은 서포트 패널(46)과 실내열교환기(16)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서포트 패널(46)과 전방벽(102) 사이에 디스플레이(14)가 위치하여, 센서 하우징(42)은 전방벽(102)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The sensor housing (42) can be connected to the support panel (46). The sensor housing (42) can be coupled to an edge of the support panel (46). The sensor housing (42)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support panel (46)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16). The display (14) is positioned between the support panel (46) and the front wall (102), so that the sensor housing (42) can be spaced from the front wall (102).
도 5를 참조하여, 레이더 센서(44)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5, the structure of the radar sensor (44) is described.
레이더 센서(44)는 전파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감지부(442)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442)는 레이더 센서에 실장될 수 있다. 감지부(442)는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감지부(442)는 전방벽(102)을 마주할 수 있다.The radar sensor (44) may include a sensing unit (442) that transmits and/or receives radio waves. The sensing unit (442) may be mounted on the radar sensor. The sensing unit (442) may be positioned to face forward. The sensing unit (442) may face the front wall (102).
레이더 센서(44)는 센서 하우징(42)의 내측에 장착될 수 있다. 레이더 센서(44)는 센서 하우징(42)에 고정될 수 있다. 센서 하우징(42)은 레이더 센서(44)를 고정시키는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하우징(42)은 레이더 센서(44)의 상단에 결합되는 어퍼 리브(425)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리브(425)는 센서 하우징(42)의 내측면으로부터 레이더 센서(44)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센서 하우징(42)은 레이더 센서(44)의 하단에 결합되는 로어 리브(427)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리브(427)는 센서 하우징(42)의 내측면으로부터 레이더 센서(44)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The radar sensor (44) may be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sensor housing (42). The radar sensor (44) may be fixed to the sensor housing (42). The sensor housing (42) may include a rib that fixes the radar sensor (44). The sensor housing (42) may include an upper rib (425)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radar sensor (44). The upper rib (425) may protrude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sensor housing (42) toward the radar sensor (44). The sensor housing (42) may include a lower rib (427)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radar sensor (44). The lower rib (427) may protrude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sensor housing (42) toward the radar sensor (44).
도 6은 도 4의 94-95선의 절개 단면도이다.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94-95 of Figure 4.
도 6을 참조하여, 레이더 센서(44)의 배치 및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6, the arrangement and structure of the radar sensor (44) are described.
레이더 센서(44)는 전방벽(102)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더 센서(44)는 전방벽(102)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레이더 센서(44)는 전방벽(102)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상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 때, 레이더 센서(44)와 전방벽(102) 사이의 거리는 레이더 센서에 수직하는 직선 거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더 센서(44)와 전방벽(102) 사이의 이격된 거리는, 레이더 센서(44)의 감지부(442)를 관통하는 가상의 직선이 감지부(442) 및 전방벽(102)과 교차하는 지점 사이의 거리(d)일 수 있다. 즉, 감지부(442)로부터 감지부(442)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측정한 전방벽(102) 사이의 거리(d)일 수 있다.The radar sensor (44)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wall (102). For example, the radar sensor (44) may be positioned spaced rearwardly from the front wall (102). The radar sensor (44)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wall (10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radar sensor (44) and the front wall (102) may be a straight line distance perpendicular to the radar sensor. For example, the spaced distance between the radar sensor (44) and the front wall (102) may be a distance (d) between a point where an imaginary straight line passing through the detection unit (442) of the radar sensor (44) intersects the detection unit (442) and the front wall (102). That is, it may be a distance (d) between the detection unit (442) and the front wall (102) measur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etection unit (442).
레이더 센서(44)와 전방벽(102) 사이의 이격 거리(d)는 전방벽(102)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레이더 센서(44)와 전방벽(102) 사이의 이격 거리(d)는 전방벽(102)의 두께의 2.0배수 이상일 수 있다.The distance (d) between the radar sensor (44) and the front wall (102)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ront wall (102). The distance (d) between the radar sensor (44) and the front wall (102) may be 2.0 times or more the thickness of the front wall (102).
레이더 센서(44)는 전방벽(102)에 대해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질 수 있다. 레이더 센서(44)는 전방벽(102)을 마주하되, 하방을 향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더 센서(44)는 전방벽(102)과 나란한 수직선(VL)에 대해 제1 각도(theta 1)만큼 기울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레이더 센서(44)와 전방벽(102) 사이의 전후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는 하측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The radar sensor (44) can be til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ront wall (102). The radar sensor (44) can be tilted so as to face the front wall (102) but face downward. For example, the radar sensor (44) can be tilted at a first angle (theta 1) with respect to a vertical line (VL) parallel to the front wall (102). Accordingly, a distance in the forward-backward direction between the radar sensor (44) and the front wall (102) can increase as it goes downward.
레이더 센서(44)는 지면에 대해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질 수 있다. 레이더 센서(44)는 전방벽(102)을 마주하되, 지면을 향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더 센서(44)는 지면과 나란한 수평선(HL)에 대해 제2 각도(theta 2)만큼 기울어질 수 있다. 제2 각도(theta 2)는 90도에서 제1 각도(theta 1)를 뺀 값에 대응될 수 있다.The radar sensor (44) can be til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The radar sensor (44) can be tilted so as to face the front wall (102) but toward the ground. For example, the radar sensor (44) can be tilted at a second angle (theta 2)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line (HL) parallel to the ground. The second angle (theta 2) can correspond to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first angle (theta 1) from 90 degrees.
센서 하우징(42)은 레이더 센서(44)를 감쌀 수 있다. 센서 하우징(42)은 레이더 센서(44)를 커버할 수 있다. The sensor housing (42) can surround the radar sensor (44). The sensor housing (42) can cover the radar sensor (44).
센서 하우징(42)은 레이더 센서(44)의 상측을 커버하는 어퍼 패널(424)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 패널(424)은 전방벽(102)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어퍼 리브(425)는 어퍼 패널(424)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어퍼 리브(425)는 어퍼 패널(424)로부터 레이더 센서(44)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레이더 센서(44)는 어퍼 리브(425)를 통해 어퍼 패널(424)에 결합될 수 있다.The sensor housing (42) may include an upper panel (424) covering an upper side of the radar sensor (44). The upper panel (424) may be spaced from the front wall (102). An upper rib (425) may extend from the upper panel (424). The upper rib (425) may protrude from the upper panel (424) toward the radar sensor (44). The radar sensor (44)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anel (424) via the upper rib (425).
센서 하우징(42)은 레이더 센서(44)의 후측을 커버하는 리어 패널(422)을 포함할 수 있다. 리어 패널(422)은 레이더 센서(44)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리어 패널(422)은 어퍼 패널(424)로부터 절곡될 수 있다. 리어 패널(422)은 어퍼 패널(424)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리어 패널(422)은 레이더 센서(44)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sensor housing (42) may include a rear panel (422) covering the rear side of the radar sensor (44). The rear panel (422) may be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radar sensor (44). The rear panel (422) may be folded from the upper panel (424). The rear panel (422) may extend downwardly toward the rear from the upper panel (424). The rear panel (422) may be arranged parallel to the radar sensor (44).
로어 패널(426)은 레이더 센서(44)의 하측을 커버할 수 있다. 로어 패널(426)은 리어 패널(422)로부터 절곡될 수 있다. 로어 패널(426)은 리어 패널(422)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로어 패널(426)은 리어 패널(422)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레이더 센서(44)는 로어 패널(426)에 결합될 수 있다. 로어 리브(427)는 로어 패널(426)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로어 리브(427)는 로어 패널(426)로부터 레이더 센서(44)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레이더 센서(44)는 로어 리브(427)를 통해 로어 패널(426)에 결합될 수 있다.The lower panel (426) can cover the lower side of the radar sensor (44). The lower panel (426) can be folded from the rear panel (422). The lower panel (426) can extend from the rear panel (422). The lower panel (426) can extend downwardly toward the front from the rear panel (422). The radar sensor (44) can be coupled to the lower panel (426). The lower rib (427) can extend from the lower panel (426). The lower rib (427) can protrude from the lower panel (426) toward the radar sensor (44). The radar sensor (44) can be coupled to the lower panel (426) via the lower rib (427).
어퍼 패널(424)은 전방벽(102)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로어 패널(426)은 전방벽(102)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로어 패널(426)과 전방벽(102) 사이의 이격된 거리는 어퍼 패널(424)과 전방벽(102) 사이의 이격된 거리보다 길 수 있다. 센서 하우징(42)의 하측 개구는 로어 패널(426)과 전방벽(10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panel (424)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wall (102). The lower panel (426)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wall (102).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panel (426) and the front wall (102) can be lon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panel (424) and the front wall (102). The lower opening of the sensor housing (42) can be formed between the lower panel (426) and the front wall (102).
도 7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의 내부에 배치되는 부품들의 배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7,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parts arranged inside the air conditioner (1) is described.
공기조화기(1)는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샤시(60)를 포함할 수 있다. 샤시(60)는 케이스(10)에 결합될 수 있다. 실내열교환기(16)는 샤시(60)에 결합될 수 있다. 송풍팬(17)은 샤시(60)에 결합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chassis (60) arranged inside a case (10). The chassis (60) may be coupled to the case (10). An indoor heat exchanger (16) may be coupled to the chassis (60). A blower fan (17) may be coupled to the chassis (60).
샤시(60)는 송풍팬(17)에 결합되는 팬 홀더(61)를 포함할 수 있다. 팬 홀더(61)는 송풍팬(17)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제1 팬 홀더(61a)와 제2 팬 홀더(61b)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의 제1 내부 공간과 제2 내부 공간을 제2 팬 홀더(61b)를 기준으로 나뉠 수 있다. 즉, 제2 팬 홀더(61b)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송풍팬(17)과 실내열교환기(16)가 배치되는 제1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전장부(50)가 배치되는 제2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The chassis (60) may include a fan holder (61) coupled to a blower fan (17). The fan holder (61) may include a first fan holder (61a) and a second fan holder (61b)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ower fan (17). The first internal space and the second internal space of the case (10) may be divided based on the second fan holder (61b). That is, based on the second fan holder (61b), a first internal space in which a blower fan (17) and an indoor heat exchanger (16) are arranged may be formed on one side, and a second internal space in which an electric part (50) is arranged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리어 가이드(182)는 제1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리어 가이드(182)는 샤시(60)에 결합될 수 있다.The rear guide (182) can be placed in the first internal space. The rear guide (182) can be coupled to the chassis (60).
가이드 모듈(30)은 제1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모듈(30)은 리어 가이드(182)에 결합될 수 있다.The guide module (30) can be placed in the first internal space. The guide module (30) can be coupled to the rear guide (182).
도 8은 도 7의 96 부분의 확대도이다.Figure 8 is an enlarged view of
도 8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의 제2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부품들이 배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8,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components arranged in the second internal space of the air conditioner (1) is described.
전장부(50)는 샤시(60)에 결합될 수 있다. 전장부(50)는 제2 팬 홀더(61b)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1 컨트롤 박스(51)는 샤시(6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컨트롤 박스(51)의 샤시(60)의 길이 방향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컨트롤 박스(52)는 제1 컨트롤 박스(51)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컨트롤 박스(52)는 제1 컨트롤 박스(51)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The front part (50) can be coupled to the chassis (60). The front part (50) can be spaced from the second fan holder (61b). The first control box (51) can be coupled to the chassis (60). For example, it can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hassis (60) of the first control box (51). The second control box (52) can be coupled to the first control box (51). The second control box (52) can be arranged in front of the first control box (51).
레이더 모듈(40)은 전장부(50)에 결합될 수 있다. 레이더 센서(44)는 전장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서포트 패널(46)은 제2 컨트롤 박스(52)에 결합될 수 있다. 서포트 패널(46)은 디스플레이(14)에 결합될 수 있다.The radar module (40) can be coupled to the front part (50). The radar sensor (44)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ront part (50). The support panel (46) can be coupled to the second control box (52). The support panel (46) can be coupled to the display (14).
센서 하우징(42)은 서포트 패널(46)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센서 하우징(42)은 제2 팬 홀더(61b)와 서포트 패널(46)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센서 하우징(42)은 서포트 패널(46)로부터 제2 팬 홀더(61b)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The sensor housing (42) can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panel (46). The sensor housing (42)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fan holder (61b) and the support panel (46). The sensor housing (42) can extend from the support panel (46) toward the second fan holder (61b).
디스플레이(14)는 전장부(5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는 전장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는 제2 컨트롤 박스(52)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는 서포트 패널(46)에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는 전방벽(102)에 결합될 수 있다.The display (14) may be placed in front of the front part (50). The display (14)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ront part (50). The display (14) may be placed in front of the second control box (52). The display (14) may be coupled to the support panel (46). The display (14) may be coupled to the front wall (102).
공기조화기(1)는 송풍팬(17)을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는 샤시(60)에 결합될 수 있다. 모터는 제2 팬 홀더(61b)에 결합될 수 있다. 모터는 제2 팬 홀더(61b)와 전장부(5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모터는 전장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motor (not shown) that rotates a blower fan (17). The motor may be coupled to a chassis (60). The motor may be coupled to a second fan holder (61b). The motor may be located between the second fan holder (61b) and the electrical part (50). The moto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al part (50).
공기조화기(1)는 모터를 커버하는 모터 커버(65)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 커버(65)는 제2 팬 홀더(61b)에 결합될 수 있다. 모터 커버(65)는 전장부(50)와 제2 팬 홀더(61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motor cover (65) covering the motor. The motor cover (65) may be coupled to a second fan holder (61b). The motor cover (65) may be placed between the electric part (50) and the second fan holder (61b).
도 9를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의 흡입구(11)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9, the structure of the intake port (11) of the air conditioner (1) is described.
필터(20)는 흡입구(11)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20)는 흡입구(11)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20)는 케이스(10)의 상측벽(105)에 형성된 흡입구(11)에 배치될 수 있다.A filter (20) may be placed in the intake port (11). The filter (20) may purify air flowing into the intake port (11). For example, the filter (20) may be placed in the intake port (11) formed in the upper wall (105) of the case (10).
필터(20)는 코너부에 형성된 버튼부(218)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버튼부(218)를 눌러 공기조화기(1)의 전원을 온-오프(On-Off)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부(218)를 누르면, 송풍팬(17)의 회전이 정지될 수 있다.The filter (20) may include a button portion (218) formed at a corner portion. A user may turn the air conditioner (1) on and off by pressing the button portion (218).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portion (218), the rotation of the blower fan (17) may be stopped.
도 10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의 흡입구(11)에 배치되는 필터(20)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0, the structure of a filter (20) placed in the intake port (11) of an air conditioner (1) is described.
케이스(10)는 흡입구(11)에 배치되는 서포터(112)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터(112)는 필터(20)를 지지할 수 있다. 서포터(112)는 흡입구(11)를 가로지를 수 있다. 서포터(112)는 흡입구(11)에 배치되는 복수의 서포터(112)일 수 있다. 복수의 서포터(112)는 서로 이격되어 흡입구(11)에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서포터(112)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The case (10) may include a supporter (112) arranged in the suction port (11). The supporter (112) may support the filter (20). The supporter (112) may cross the suction port (11). The supporter (112) may be a plurality of supporters (112) arranged in the suction port (11). The plurality of supporters (112) may be arranged in the suction port (11)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supporters (112) may be arranged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back direction.
필터(20)는 서포터(112)에 안착될 수 있다. 필터(20)의 형상은 흡입구(11)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필터(20)의 면적은 흡입구(11)의 면적에 대응될 수 있다. 필터(20)는 케이스(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filter (20) can be mounted on the supporter (112). The shape of the filter (20) can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suction port (11). The area of the filter (20) can correspond to the area of the suction port (11). The filter (20)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ase (10).
필터(20)는 흡입구(1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엣지 프레임(212)을 포함할 수 있다. 엣지 프레임(212)은 필터(20)의 외둘레를 형성할 수 있다. 엣지 프레임(212)은 필터(20)의 테두리를 형성할 수 있다. 엣지 프레임(212)은 흡입구(11)에 삽입될 수 있다. 엣지 프레임(212)은 한 쌍의 장변과 한 쌍의 단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엣지 프레임(212)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장변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한 쌍의 장변에 연결되는 한 쌍의 단변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20) may include an edge frame (212) extending along the perimeter of the suction port (11). The edge frame (212) may form an outer perimeter of the filter (20). The edge frame (212) may form a border of the filter (20). The edge frame (212) may be inserted into the suction port (11). The edge frame (212) may include a pair of long sides and a pair of short sides. For example, the edge frame (212) may include a pair of long sides extend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a pair of short sides extending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pair of long sides.
필터(20)는 엣지 프레임(212)의 내측에 배치되는 이너 프레임(2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 프레임(213)은 격자 형식으로 서로 교차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서로 교차하여 배열된 이너 프레임(213) 사이에는 연통구(200)가 형성될 수 있다. 연통구(200)는 흡입구(11)와 연통될 수 있다. 공기는 연통구(200)를 통과하여 흡입구(11)로 유입될 수 있다. 연통구(200)에는 공기를 정화하는 스크린(screen) 혹은 메쉬(mesh)가 배치될 수 있다.The filter (20) may include an inner frame (213) arranged inside the edge frame (212). The inner frames (213) may be arranged to intersect each other in a grid format. A communication hole (200)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frames (213) arranged to intersect each other. The communication hole (200) may be communicated with the intake port (11). Air may pass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200) and be introduced into the intake port (11). A screen or mesh for purifying air may be arranged in the communication hole (200).
이너 프레임(213)은 필터(20)의 장변과 나란한 로우 프레임(214)을 포함할 수 있다. 로우 프레임(214)은 필터(20)의 장변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로우 프레임(214)은 한 쌍의 단변과 나란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의 로우 프레임(214)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복수의 로우 프레임(214)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The inner frame (213) may include a low frame (214) that is parallel to the long side of the filter (20). The low frame (214) may be elongat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 side of the filter (20). The low frame (214) may be a plurality of low frames (214)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pair of short sides. For example, a plurality of low frames (214) that are elongat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back direction.
이너 프레임(213)은 필터(20)의 단변과 나란한 컬럼 프레임(216)을 포함할 수 있다. 컬럼 프레임(216)은 필터(20)의 단변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컬럼 프레임(216)의 길이는 로우 프레임(214)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컬럼 프레임(216)은 한 쌍의 장변과 나란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의 컬럼 프레임(216)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복수의 컬럼 프레임(216)은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The inner frame (213) may include a column frame (216) that is parallel to the short side of the filter (20). The column frame (216) may be elongat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hort side of the filter (20). The length of the column frame (216)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low frame (214). The column frame (216) may be a plurality of column frames (216)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pair of long sides. For example, a plurality of column frames (216) that are elongat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right direction.
버튼부(218)는 엣지 프레임(212)의 코너부에 형성될 수 있다. 코너부는 장변과 단변이 연결되는 지점일 수 있다. 버튼부(218)는 전방에 위치하는 필터(20)의 코너부에 위치할 수 있다. 버튼부(218)는 전장부(50)가 배치된 케이스(10)의 제2 내부 공간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버튼부(218)는 전장부(50)에 인접하고, 전방에 위치하는 필터(20)의 코너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button portion (218) may be formed at a corner portion of the edge frame (212). The corner portion may be a point where the long side and the short side are connected. The button portion (218) may be positioned at a corner portion of the filter (20) located in the front. The button portion (218) may be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internal space of the case (10) where the front portion (50) is arranged. That is, the button portion (218) may be formed at a corner portion of the filter (20) located in the front and adjacent to the front portion (50).
도 11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액츄에이터(522)에 대해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1, an actuator (522) that turns the power of the air conditioner (1) on and off will be described.
공기조화기(1)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액츄에이터(522)를 포함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522)는 송풍팬(17)의 전원을 온-오프시킬 수 있다. 액츄에이터(522)는 전장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n actuator (522) that turns power on and off. The actuator (522) may turn power of the blower fan (17) on and off. The actuator (52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part (50).
액츄에이터(522)는 흡입구(11)에 인접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522)는 흡입구(11)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522)의 위치는 버튼부(218)의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522)는 케이스(10)의 전방에 위치하는 코너부에 위치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522)는 제2 컨트롤 박스(52)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츄에이터(522)는 케이스(10)의 제2 내부 공간의 전방에 위치하는 코너부에 배치되어, 상측을 향하여 제2 컨트롤 박스(52)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The actuator (522) may be adjacent to the suction port (11). The actuator (522) may be positioned so as to face the suction port (11). The position of the actuator (522) may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button portion (218). The actuator (522) may be positioned at a corner portion located at the front of the case (10). The actuator (522) may be positioned in the second control box (52). For example, the actuator (522) may be positioned at a corner portion located at the front of the second internal space of the case (10) and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second control box (52).
액츄에이터(522)는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액츄에이터(522)가 눌러지면, 신호가 전장부(50)로 전달될 수 있다.The actuator (522) can move up and down. When the actuator (522) is pressed, a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electric part (50).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액츄에이터(522)를 푸쉬하는 버튼부(218)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Referring to FIGS. 12 and 13, the structure of the button portion (218) that pushes the actuator (522) will be described.
버튼부(218)는 필터(20)에 결합되는 버튼 패널(2181)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 패널(2181)을 통해 버튼부(218)는 필터(20)에 고정될 수 있다. The button portion (218) may include a button panel (2181) coupled to the filter (20). The button portion (218) may be fixed to the filter (20) via the button panel (2181).
버튼 패널(2181)은 엣지 프레임(212)의 코너부에 연결될 수 있다. 버튼 패널(2181)은 엣지 프레임(212)과 로우 프레임(21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 패널(2181)은 엣지 프레임(212)의 장변과 로우 프레임(214)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버튼 패널(2181)은 엣지 프레임(212)의 코너부에 위치하여, 엣지 프레임(212)의 장변과 단변에 각각 연결되고, 로우 프레임(214)에 연결되어 세 지점에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버튼부(218)의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The button panel (2181) may be connected to a corner portion of the edge frame (212). The button panel (2181) may be located between the edge frame (212) and the low frame (214). For example, the button panel (2181) may be connected to the long side of the edge frame (212) and the low frame (214),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button panel (2181) may be located at the corner portion of the edge frame (212), connected to the long side and the short side of the edge frame (212), respectively, and connected to the low frame (214), thereby being connected at three points. Through this, the fixing force of the button portion (218) may be improved.
버튼 패널(2181)은 연통구(200)에 위치할 수 있다. 버튼 패널(2181)은 필터(20)의 엣지 프레임(212)으로부터 리세스될 수 있다. 버튼 패널(2181)은 이너 프레임(213)으로부터 리세스될 수 있다. 버튼 패널(2181)은 엣지 프레임(212)의 내측단과 이너 프레임(213)의 내측단에 연결될 수 있다. 내측단은 케이스(10)의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엣지일 수 있다. 즉, 버튼 패널(2181)은 엣지 프레임(212) 또는/및 이너 프레임(213)의 높이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 패널(2181)은 엣지 프레임(212)과 로우 프레임(214)의 최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The button panel (2181) may be positioned in the opening (200). The button panel (2181) may be recessed from the edge frame (212) of the filter (20). The button panel (2181) may be recessed from the inner frame (213). The button panel (2181) may be connected to an inner end of the edge frame (212) and an inner end of the inner frame (213). The inner end may be an edge located at the innermost side of the case (10). That is, the button panel (2181) may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edge frame (212) or/and the inner frame (213). For example, the button panel (2181)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most end of the edge frame (212) and the low frame (214).
버튼 패널(2181)에는 푸쉬 버튼(2183)이 배치되는 버튼홀이 형성될 수 있다. 푸쉬 버튼(2183)은 버튼홀에서 움직일 수 있다.A button hole in which a push button (2183) is placed can be formed in the button panel (2181). The push button (2183) can move in the button hole.
필터(20)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필터(20)는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질 수 있다. 복수의 로우 프레임(214)은 전방으로 갈수록 낮아질 수 있다. 엣지 프레임(212)의 한 쌍의 장변 중 전방에 위치하는 장변은, 로우 프레임(214)보다 높이가 낮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버튼부(218)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다.The filter (2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he filter (20) may be inclined so that its height decreases as it goes forward. The plurality of low frames (214) may become lower as it goes forward. Among the pair of long sides of the edge frame (212), the long side located at the front may have a lower height than the low frame (214). Through this, the user can more easily access the button portion (218).
버튼 패널(2181)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버튼 패널(2181)은 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질 수 있다. 버튼 패널(2181)이 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진 각도는, 필터(20)가 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진 각도보다 클 수 있다. 이를 통해, 푸쉬 버튼(2183)은 버튼 패널(2181)과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The button panel (2181)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he button panel (2181) may be inclined downward as it goes forward. The angle at which the button panel (2181) is inclined downward as it goes forward may be greater than the angle at which the filter (20) is inclined downward as it goes forward. Through this, the push button (2183) may be formed with a step from the button panel (2181).
버튼부(218)는 액츄에이터(522)를 커버할 수 있다. 버튼부(218)는 액츄에이터(522)로부터 이격된 푸쉬 버튼(2183)을 포함할 수 있다. 푸쉬 버튼(2183)은 액츄에이터(522)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푸쉬 버튼(2183)은 액츄에이터(522)에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푸쉬 버튼(2183)을 누르면, 푸쉬 버튼(2183)은 액츄에이터(522)에 접촉할 수 있다.The button portion (218) may cover the actuator (522). The button portion (218) may include a push button (2183) spaced from the actuator (522). The push button (2183) may b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actuator (522). The push button (2183) may contact the actuator (522). For example, when a user presses the push button (2183), the push button (2183) may contact the actuator (522).
푸쉬 버튼(2183)은 흡입구(11)가 개구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푸쉬 버튼(2183)은 상측을 마주하는 일면을 포함할 수 있다. 푸쉬 버튼(2183)의 일면은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푸쉬 버튼(2183)의 일면을 눌러, 액츄에이터(522)를 누를 수 있다.The push button (2183) may be position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ction port (11) is opened. The push button (2183) may include a surface facing upward. One surface of the push button (2183) may be formed flat. A user may press one surface of the push button (2183) to press the actuator (522).
푸쉬 버튼(2183)은 버튼홀에 배치될 수 있다. 푸쉬 버튼(2183)은 버튼 패널(2181)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푸쉬 버튼(2183)과 버튼 패널(2181)은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푸쉬 버튼(2183)과 버튼 패널(2181) 사이에 형성된 단차는, 푸쉬 패널(2182)과 엣지 프레임(212) 사이에 형성된 단차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에 위치하는 엣지 프레임(212)의 장변과 푸쉬 패널(2182) 사이에 형성된 단차(h1)는, 푸쉬 버튼(2183)이 버튼 패널(2181)로부터 돌출된 높이(h2)보다 클 수 있다. The push button (2183) may be placed in a button hole. The push button (2183) may protrude from the button panel (2181). A step may be formed between the push button (2183) and the button panel (2181). The step formed between the push button (2183) and the button panel (2181) may be smaller than the step formed between the push panel (2182) and the edge frame (212). For example, the step (h1) formed between the long side of the edge frame (212) located at the front and the push panel (2182) may be larger than the height (h2) at which the push button (2183) protrudes from the button panel (2181).
푸쉬 버튼(2183)은 로우 프레임(214)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 낮게 위치한다고 함은, 케이스(10)의 내측 방향으로 보다 이격되어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푸쉬 버튼(2183)은 엣지 프레임(212)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 푸쉬 버튼(2183)이 필터(20)의 프레임보다 낮게 위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도치 않게 푸쉬 버튼(2183)을 누르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push button (2183) may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low frame (214). Positioned lower may mean spaced further inwardly of the case (10). The push button (2183) may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edge frame (212). By positioning the push button (2183) lower than the frame of the filter (20), the user's unintentional pressing of the push button (2183) may be minimized.
버튼부(218)는 푸쉬 버튼(2183)으로부터 연장된 프레서(218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서(2184)는 푸쉬 버튼(2183)으로부터 액츄에이터(522)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프레서(2184)는 액츄에이터(522)에 접촉할 수 있다. 프레서(2184)는 액츄에이터(522)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서(2184)는 푸쉬 버튼(2183)으로부터 액츄에이터(522)를 향해 하측으로 연장되고, 액츄에이터(522)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푸쉬 버튼(2183)을 누르면, 프레서(2184)는 액츄에이터(522)를 누를 수 있다.The button portion (218) may include a presser (2184) extending from the push button (2183). The presser (2184) may extend from the push button (2183) toward the actuator (522). The presser (2184) may contact the actuator (522). The presser (2184)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actuator (522). For example, the presser (2184) may extend downwardly from the push button (2183) toward the actuator (522) and be positioned so as to be contactable with the actuator (522). For example, when a user presses the push button (2183), the presser (2184) may depress the actuator (522).
버튼부(218)는 푸쉬 버튼(2183)과 버튼 패널(2181)을 연결하는 푸쉬 패널(2182)을 포함할 수 있다. 푸쉬 패널(2182)은 푸쉬 버튼(2183)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푸쉬 패널(2182)은 버튼 패널(218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푸쉬 패널(2182)은 푸쉬 버튼(2183)과 일체로 거동할 수 있다. 사용자가 푸쉬 버튼(2183)을 누르면, 푸쉬 패널(2182)은 푸쉬 버튼(2183)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푸쉬 버튼(2183)을 하측으로 누르면, 푸쉬 패널(2182)은 푸쉬 버튼(2183)과 함께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푸쉬 패널(2182)의 일단에는 푸쉬 버튼(2183)이 연결되고, 푸쉬 패널(2182)의 타단은 버튼 패널(2181)이 연결될 수 있다. 푸쉬 패널(2182)의 일단은 자유단이고, 푸쉬 패널(2182)의 타단은 고정단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푸쉬 패널(2182)은 지렛대 거동을 할 수 있다.The button portion (218) may include a push panel (2182) connecting the push button (2183) and the button panel (2181). The push panel (2182)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push button (2183). The push panel (2182)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utton panel (2181). The push panel (2182) may operate integrally with the push button (2183). When a user presses the push button (2183), the push panel (2182) may move togethe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ush button (2183) moves. For example, when a user presses the push button (2183) downward, the push panel (2182) may move downward together with the push button (2183). A push button (2183)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ush panel (2182), and a button panel (2181)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ush panel (2182). One end of the push panel (2182) may be a fre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push panel (2182) may be a fixed end. Accordingly, the push panel (2182) may perform a lever action.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기류를 형성하는 송풍팬;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 상기 송풍팬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흡입구에 배치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액츄에이터에 접촉 가능한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13,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case having an intake port and an exhaust port formed therein; a blower fan disposed inside the case to form an airflow; an indoor heat exchanger for heat-exchanging air inside the case and a refrigerant; an actuator for turning the blower fan on and off; and a filter disposed at the intake port, wherein the filter may include: a button portion that can be contacted by the actuator.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흡입구는, 상기 케이스에 상측으로 개구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버튼부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uction port may be opened upwardly in the case, and the actuator may be disposed below the button portion.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버튼부는: 푸쉬 버튼; 및 상기 푸쉬 버튼으로부터 상기 액츄에이터를 향해 연장된 프레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button portion may include: a push button; and a presser extending from the push button toward the actuator.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필터는: 상기 흡입구에 결합되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lter may include: a frame coupled to the suction port.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버튼부는: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버튼이 배치되는 버튼홀이 형성된 버튼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푸쉬 버튼은, 상기 버튼 패널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button portion includes: a button panel connected to the frame and having a button hole formed in which the button is arranged, and the push button can protrude from the button panel.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버튼부는: 상기 버튼 패널과 상기 푸쉬 버튼을 연결하는 푸쉬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button portion may include: a push panel connecting the button panel and the push button.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상기 흡입구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엣지 프레임; 및 상기 엣지 프레임의 내측에 격자 형식으로 배열되어 연통구를 형성하는 이너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rame may include: an edge frame extending along a periphery of the suction port; and an inner frame arranged in a grid pattern on the inside of the edge frame to form a communication port.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푸쉬 버튼은, 상기 엣지 프레임과 상기 이너 프레임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ush button may be located between the edge frame and the inner frame.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버튼 패널은, 상기 엣지 프레임과 상기 이너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button panel can be connected to the edge frame and the inner frame.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버튼 패널은, 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button panel may be inclined downward as it goes forward.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푸쉬 버튼은, 상기 버튼 패널로부터 돌출되고, 평탄한 일면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ush button may protrude from the button panel and have a flat surface formed thereon.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버튼부는, 상기 필터의 전방 코너부에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button portion may be located at a front corner of the filter.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필터는,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lter may have a height that decreases toward the front.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필터는: 상기 흡입구에 결합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는: 푸쉬 버튼; 및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푸쉬 버튼이 배치되는 버튼홀이 형성된 버튼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 패널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리세스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lter comprises: a frame coupled to the suction port, the button portion comprises: a push button; and a button panel coupled to the frame and having a button hole formed in which the push button is disposed, the button panel being recessed from the frame.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푸쉬 버튼은, 상기 프레임과 상기 버튼 패널의 단차보다 낮게 상기 버튼 패널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ush button may protrude from the button panel lower than the step between the frame and the button panel.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액츄에이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otor for rotating the blower fan; and an electric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ctuator.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는: 상기 송풍팬과 상기 실내열교환기가 배치되는 제1 내부 공간; 및 상기 액츄에이터와 상기 전장부가 배치되는 제2 내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ase may include: a first internal space in which the blower fan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are arranged; and a second internal space in which the actuator and the electric part are arranged.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버튼부는, 상기 제2 내부 공간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button portion can b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a position of the second internal space.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Any of the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Any of the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have their respective components or functions combined or used together.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it means that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a particular embodiment and/or drawing can be combined with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and/or drawing. That is, even if a combination between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it means that a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cases where a combination is described a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respects but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a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coming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invention are intended to be embraced therein.
1: 공기조화기
10: 케이스
11: 흡입구
12: 제1 토출구
13: 제1 토출 베인
14: 디스플레이
15: 제2 토출 베인
16: 실내열교환기
17: 송풍팬
20: 필터
200: 연통구
212: 엣지 프레임
213: 이너 프레임
218: 버튼부
522: 액츄에이터
2182: 푸쉬 패널
2183: 푸쉬 버튼
2184: 프레서1: Air conditioner
10: Case
11: Intake
12: 1st outlet
13: 1st discharge vane
14: Display
15: 2nd discharge vane
16: Indoor heat exchanger
17: Blower fan
20: Filter
200: Yeontong-gu
212: Edge Frame
213: Inner Frame
218: Button section
522: Actuator
2182: Push Panel
2183: Push Button
2184: Presser
Claims (13)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기류를 형성하는 송풍팬;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
상기 송풍팬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흡입구에 배치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액츄에이터에 접촉 가능한 버튼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A case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formed;
A blower fan positioned inside the case to form an airflow;
An indoor heat exchanger that exchanges heat between the air and refrigerant inside the case;
An actuator that turns the power of the above blower fan on and off; and
Including a filter placed in the above suction port,
The above filters are: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button portion capable of contacting the above actuator.
상기 흡입구는,
상기 케이스에 상측으로 개구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버튼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suction port is,
The case is opened upward,
The above actuator,
An air conditioner placed below the above button section.
상기 버튼부는:
푸쉬 버튼; 및
상기 푸쉬 버튼으로부터 상기 액츄에이터를 향해 연장된 프레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button section:
push button; an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presser extending from said push button toward said actuator.
상기 필터는:
상기 흡입구에 결합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는: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버튼이 배치되는 버튼홀이 형성된 버튼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푸쉬 버튼은,
상기 버튼 패널로부터 돌출된 공기조화기.In the third paragraph,
The above filters are:
comprising a frame coupled to the above suction port,
The above button section:
A button panel is formed, which is connected to the above frame and has a button hole in which the button is placed.
The above push button,
Air conditioner protruding from the above button panel.
상기 버튼부는:
상기 버튼 패널과 상기 푸쉬 버튼을 연결하는 푸쉬 패널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In the fourth paragraph,
The above button section: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push panel connecting the button panel and the push button.
상기 프레임은:
상기 흡입구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엣지 프레임; 및
상기 엣지 프레임의 내측에 격자 형식으로 배열되어 연통구를 형성하는 이너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푸쉬 버튼은,
상기 엣지 프레임과 상기 이너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공기조화기.In the fourth paragraph,
The above frame:
an edge frame extending along the perimeter of the above suction port; and
It includes an inner frame arranged in a grid pattern on the inside of the edge frame to form a communication hole,
The above push button,
An air conditioner located between the edge frame and the inner frame.
상기 버튼 패널은,
상기 엣지 프레임과 상기 이너 프레임에 연결되는 공기조화기.In Article 6,
The above button panel,
An air conditioner connected to the above edge frame and the above inner frame.
상기 버튼 패널은,
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고,
상기 푸쉬 버튼은,
상기 버튼 패널로부터 돌출되고, 평탄한 일면이 형성된 공기조화기.In Article 7,
The above button panel,
As you go forward, it slopes downwards,
The above push button,
An air conditioner having a flat surface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above button panel.
상기 버튼부는,
상기 필터의 전방 코너부에 위치하는 공기조화기.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button part,
An air conditioner located at the front corner of the above filter.
상기 필터는,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공기조화기.In Article 8,
The above filter is,
An air conditioner whose height decreases as it moves forward.
상기 필터는:
상기 흡입구에 결합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는:
푸쉬 버튼; 및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푸쉬 버튼이 배치되는 버튼홀이 형성된 버튼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 패널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리세스된 공기조화기.In Article 10,
The above filters are:
comprising a frame coupled to the above suction port,
The above button section:
push button; and
A button panel is formed, which is connected to the above frame and has a button hole in which the push button is placed,
The above button panel,
An air conditioner recessed from the above frame.
상기 푸쉬 버튼은,
상기 프레임과 상기 버튼 패널의 단차보다 낮게 상기 버튼 패널로부터 돌출되는 공기조화기.In Article 11,
The above push button,
An air conditioner protruding from the button panel lower than the step between the frame and the button panel.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액츄에이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송풍팬과 상기 실내열교환기가 배치되는 제1 내부 공간; 및
상기 액츄에이터와 상기 전장부가 배치되는 제2 내부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는,
상기 제2 내부 공간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위치하는 공기조화기.In Article 9,
a motor for rotating the above blower fan; and
Further comprising an electric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bove actuator,
The above case is:
A first internal space in which the blower fan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are arranged; and
Including a second internal space in which the actuator and the electric part are arranged,
The above button part,
An air conditioner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internal spac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170000A KR20250081549A (en) | 2023-11-29 | 2023-11-29 | Air conditio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170000A KR20250081549A (en) | 2023-11-29 | 2023-11-29 | Air conditione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50081549A true KR20250081549A (en) | 2025-06-05 |
Family
ID=9601564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30170000A Pending KR20250081549A (en) | 2023-11-29 | 2023-11-29 | Air condition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250081549A (en)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146112Y1 (en) | 1996-10-19 | 1999-06-15 | 윤종용 | Operation device of indoor unit for wall-mounted air conditioner |
-
2023
- 2023-11-29 KR KR1020230170000A patent/KR20250081549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146112Y1 (en) | 1996-10-19 | 1999-06-15 | 윤종용 | Operation device of indoor unit for wall-mounted air conditioner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7810739B2 (en) | Air conditioner | |
| CN101910739B (en) | Air conditioner | |
| KR101563484B1 (en) | Switch assembly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 |
| JP3806881B2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 CN101910740B (en) | Air conditioner | |
| CN211177080U (en) |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 |
| KR20250081549A (en) | Air conditioner | |
| KR20250081551A (en) | Air conditioner | |
| KR101708680B1 (en) | Air conditioner | |
| KR100759138B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 CN213019921U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 KR101315630B1 (en) | Indoor unit for air-conditioner | |
| KR20080055464A (en) | Air conditioner | |
| JP3229820B2 (en) | Air conditioner indoor unit | |
| JP2024095046A (en) | Air conditioners | |
| CN112880016A (en) |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 |
| CN212618698U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 KR102843568B1 (en) | Air conditioner | |
| KR102835240B1 (en) | Air conditioner | |
| JP2024095025A (en) | Air conditioners | |
| JP7231395B2 (en) | Sensor holder and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the same | |
| CN211601055U (en) | Ceiling air conditioner panel and ceiling air conditioner | |
| CN222504060U (en) |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 |
| JP2024093382A (en) | Air conditioners | |
| KR100747807B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2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