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50084811A -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user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vehicle accidents,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 Google Patents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user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vehicle accidents,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50084811A KR20250084811A KR1020240009437A KR20240009437A KR20250084811A KR 20250084811 A KR20250084811 A KR 20250084811A KR 1020240009437 A KR1020240009437 A KR 1020240009437A KR 20240009437 A KR20240009437 A KR 20240009437A KR 20250084811 A KR20250084811 A KR 2025008481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er
- electronic device
- status information
- vehicle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16—Indicating performance data, e.g. occurrence of a malfun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2—Registering or indicat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only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27—Post collision measures, e.g. notifying emergency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 201)는, 디스플레이(160, 360), 적어도 하나의 센서(176, 310),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0, 320) 및 메모리(130, 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시에,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210)의 주행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동안에 차량 사고 발생이 감지됨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 내의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상기 인디케이터를 이용한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대한 외부 전자 장치의 액세스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도록 설정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1, 201) may include a display (160, 360), at least one sensor (176, 310), at least one processor (120, 320)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display and the at least one sensor, and a memory (130, 3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emory may store instructions that, when executed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cause the electronic device to display an indicator on the display for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of a user within the vehicle based on detection of a vehicle accident occurrence while monitoring a driving status of the vehicle (210) using the at least one sensor, and to provide at least a portion of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in response to access by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to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using the indicator.
Description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는 차량 사고 관련 사용자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One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document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a method of operation thereof, and a storage medium for providing user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a vehicle accident.
스마트 폰과 같은 전자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 및 부가 기능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과 아울러, 주변의 상황을 감지하는 센싱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의 추가 설치를 통해 더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이나 저장된 파일의 실행뿐만 아니라,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서버 또는 다른 전자 장치에 접속하여 다양한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를 통해서 제공되는 다양한 기능들도 점점 고도화 되고 있다. The variety of services and additional functions provided through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is gradually increasing. For example, electronic devices include sensing functions that detect surrounding situations in addition to communication functions, and can provide more diverse functions through additional installation of applications. Electronic devices can not only execute installed applications or stored files, but also receive various information in real time by connecting to servers or other electronic devices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Accordingly, the variety of functions provided through electronic devices are also becoming increasingly sophisticated.
또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경우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단독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스마트 폰과 같은 전자 장치와 연동되어 사용될 수 있다. 휴대와 사용이 편리한 전자 장치 및/또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다양한 작동 환경에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전자 장치 및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모두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보다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지만, 이와 동시에 다양한 프라이버시 및 보안 이슈들이 대두되고 있어, 사용자 정보에 대한 보호도 중요해지고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wearable electronic devices, they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independently, including a communication module, and can be used in conjunction with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Electronic devices and/or wearable electronic devices that are convenient to carry and use can be exposed to various operating environments. In this case, users can use various services more easily by using both electronic devices and wearable electronic devices, but at the same time, various privacy and security issues are emerging, and protection of user information is also becoming important.
상술한 정보는 본 개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목적으로 하는 배경 기술(related art)로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내용 중 어느 것도 본 개시와 관련된 종래 기술(prior art)로서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어떠한 주장이나 결정이 제기되지 않는다.The abov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as related art for the purpose of assisting in understanding the present disclosure. No claim or determination is made as to whether any of the above is applicable as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 201)는, 디스플레이(160, 360), 적어도 하나의 센서(176, 310),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0, 320) 및 메모리(130, 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시에,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210)의 주행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동안에 차량 사고 발생이 감지됨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 내의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1, 201) may include a display (160, 360), at least one sensor (176, 310), at least one processor (120, 320)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display and the at least one sensor, and a memory (130, 3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emory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an indicator on the display for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to a user in the vehicle based on detection of a vehicle accident occurrence while the electronic device monitors a driving status of the vehicle (210) using the at least one sensor, when executed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인디케이터를 이용한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대한 외부 전자 장치의 액세스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nstructions may be configured to cause the electronic device to provide at least a portion of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in response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s access to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using the indicato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 201)에서 차량 사고 관련 사용자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210)의 주행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동안에 차량 사고 발생이 감지됨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 내의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method for providing user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a vehicle accident in an electronic device (101, 201) may include an operation of displaying an indicator for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of a user within the vehicle based on detection of a vehicle accident occurrence while monitoring a driving status of a vehicle (210) using at least one sensor of the electronic devic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인디케이터를 이용한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대한 외부 전자 장치의 액세스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method may include provi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in response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s access to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using the indicato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은 전자 장치(101, 201)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0, 320)에 의하여 실행 시에, 상기 전자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야기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210)의 주행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동안에 차량 사고 발생이 감지됨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 내의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storage medium storing at least one computer-readable instruction, wherein the at least one instruction, when executed by at least one processor (120, 320) of an electronic device (101, 201), causes the electronic device to perform at least one operation, wherein the at least one operation may include an operation of displaying an indicator for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of a user within the vehicle based on detection of a vehicle accident occurrence while monitoring a driving status of the vehicle (210) using at least one sensor of the electronic devic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상기 인디케이터를 이용한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대한 외부 전자 장치의 액세스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operation may include provi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in response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s access to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using the indicator.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사고 알림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의 전자 장치 및 웨어러블 전자 장치와 동승자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사고 관련 사용자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내부 블록 구성도 및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사고 관련 사용자 상태 정보를 공개 수준에 따라 분류한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사고 관련 사용자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사고 관련 사용자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상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사고 발생 시의 제1 화면 예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사고 발생 시의 제2 화면 예시도이다.
도 9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사고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9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사고 시 전자 장치와 페어링 상태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사고 관련된 사용자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나타낸 화면 예시도이다.
도 9d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급 대원 및/또는 의료진의 외부 전자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10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개 수준이 다른 차량 사고 관련된 사용자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나의 인디케이터를 이용하여 인증된 대상별로 다른 공개 수준의 차량 사고 관련된 사용자 상태 정보가 제공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상태 정보 중 건강 정보가 제공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상태 정보 중 전자 의료 기록이 제공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within a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2a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for providing vehicle accident notific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2b is a diagram showing an electronic device and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of a user and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of a passenger riding in a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nd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user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a vehicle accid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showing a table in which user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a vehicle accident is classified by disclosure lev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user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a vehicle accid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6 is a detailed operation flow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user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a vehicle accid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7 is an example of a first screen when a vehicle accident occur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8 is an example of a second screen when a vehicle accident occur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9a is an example screen showing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9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 a pairing state with an electronic device in a vehicle accid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9c is an example screen diagram showing an indicator for providing user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a vehicle accid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9d is an example screen displayed on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of a paramedic and/or medical staff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10A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user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a vehicle accident with different levels of disclos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10b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n authentication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11 is an example screen diagram showing user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vehicle accidents at different levels of disclosure for each authenticated subject using one indic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12 is an example of a screen in which health information is provided among user status inform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13 is an example of a screen in which electronic medical records are provided among user status inform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면 및 관련된 설명에서는, 잘 알려진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이 명확성과 간결성을 위해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disclosure.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In addition, in the drawings and related descriptions,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may be omitted for clarity and concisenes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모듈(150), 음향 출력 모듈(155), 디스플레이 모듈(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연결 단자(178),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연결 단자(178))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예: 센서 모듈(176), 카메라 모듈(180), 또는 안테나 모듈(197))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160))로 통합될 수 있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101) in a network environment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Referring to FIG. 1, in the network environment (100), the electronic device (101) may communicate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2) via a first network (198) (e.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may communicate with at least one of the electronic device (104) or the server (108) via a second network (199) (e.g., a long-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1) may communicate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4) via the server (108).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1) may include a processor (120), a memory (130), an input module (150), an audio output module (155), a display module (160), an audio module (170), a sensor module (176), an interface (177), a connection terminal (178), a haptic module (179), a camera module (180), a power management module (188), a battery (189), a communication module (190),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196), or an antenna module (197). In some embodiments, the electronic device (101) may omit at least one of these components (e.g., the connection terminal (178)), or may have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added. In some embodiments, some of these components (e.g., the sensor module (176), the camera module (180), or the antenna module (197)) may be integrated into one component (e.g., the display module (160)).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신경망 처리 장치(NPU: neural processing unit),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가 메인 프로세서(121) 및 보조 프로세서(123)를 포함하는 경우,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The processor (120) may control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e.g., a hardware or software component) of an electronic device (101) connected to the processor (120) by executing, for example, software (e.g., a program (140)), and may perform various data processing or calculation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s at least a part of the data processing or calculations, the processor (120) may store a command or data received from another component (e.g., a sensor module (176) or a communication module (190)) in a volatile memory (132), process the command or data stored in the volatile memory (132), and store result data in a nonvolatile memory (134).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20) may include a main processor (121) (e.g., a central processing unit or an application processor) or an auxiliary processor (123) (e.g., a graphics processing unit, a neural processing unit (NPU), an image signal processor, a sensor hub processor, or a communication processor) that can operate independently or together with the main processor (121). For example,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1) includes a main processor (121) and an auxiliary processor (123), the auxiliary processor (123) may be configured to use less power than the main processor (121) or to be specialized for a given function. The auxiliary processor (123)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main processor (121) or as a part thereof.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신경망 처리 장치)는 인공지능 모델의 처리에 특화된 하드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인공지능 모델은 기계 학습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학습은, 예를 들어, 인공지능 모델이 수행되는 전자 장치(101) 자체에서 수행될 수 있고, 별도의 서버(예: 서버(108))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학습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지도형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형 학습(unsupervised learning), 준지도형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또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복수의 인공 신경망 레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심층 신경망(DNN: deep neural network),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RBM(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deep belief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심층 Q-네트워크(deep Q-networks) 또는 상기 중 둘 이상의 조합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하드웨어 구조 이외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소프트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xiliary processor (123) may control at least a portion of functions or states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of the components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e.g., the display module (160), the sensor module (176), or the communication module (190)), for example, while the main processor (121) is in an inactive (e.g., sleep) state, or together with the main processor (121) while the main processor (121) is in an active (e.g., application execution) state. In one embodiment, the auxiliary processor (123) (e.g., an image signal processor or a communication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a part of another functionally related component (e.g., a camera module (180) or a communication module (190)). In one embodiment, the auxiliary processor (123) (e.g., a neural network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hardware structure specialized for process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may be generated through machine learning. Such learning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in the electronic device (101) itself on which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s executed, or may be performed through a separate server (e.g., server (108)). The learning algorithm may include, for example, supervised learning, unsupervised learning, semi-supervised learning, or reinforcement learning, but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abov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y include a plurality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layers.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may be one of a deep neural network (DNN),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a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a restricted Boltzmann machine (RBM), a deep belief network (DBN), a 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BRDNN), deep Q-networks,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the above, but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the hardware structur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y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include a software structure.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 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mory (130) can store various data used by at least one component (e.g., processor (120) or sensor module (176))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The data can include, for example, software (e.g., program (140)) and input data or output data for commands related thereto. The memory (130) can include volatile memory (132) or nonvolatile memory (134).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ogram (140) may be stored as software in memory (130)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n operating system (142), middleware (144), or an application (146).
입력 모듈(150)은,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모듈(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키(예: 버튼),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nput module (150) can receive commands or data to be used in a component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e.g., a processor (120)) from an external source (e.g., a user)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The input module (150) can include, for example, a microphone, a mouse, a keyboard, a key (e.g., a button), or a digital pen (e.g., a stylus pen).
음향 출력 모듈(155)은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5)은,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module (155) can output an audio signal to the out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The audio output module (155) can include, for example, a speaker or a receiver. The speaker can be used for general purposes such as multimedia playback or recording playback. The receiver can be used to receive an incoming cal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receiver can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speaker or as a part thereof.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센서,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module (160) can visually provide information to an external party (e.g., a user)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The display module (160) can include, for example, a display, a holographic device, or a projector and a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th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isplay module (160) can include a touch sensor configured to detect a touch, or a pressure sensor configured to measure the intensity of a force generated by the touch.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모듈(150)을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모듈(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The audio module (170) can convert sound into an electrical signal, or vice versa, convert an electrical signal into sou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udio module (170) can obtain sound through an input module (150), or output sound through an audio output module (155), or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an electronic device (102)) (e.g., a speaker or a headphone) directly or wirelessly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1).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or module (176) can detect an operating state (e.g., power or temperature)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or an external environmental state (e.g., user state) and generate an electric signal or data value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st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nsor module (176) can include, for example, a gesture sensor, a gyro sensor, a barometric pressure sensor, a magnetic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grip sensor, a proximity sensor, a color sensor, an IR (infrared) sensor, a biometric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or an illuminance sensor.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face (177) may support one or more designated protocols that may be used to directly or wirelessly connect the electronic device (101) with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102)). In one embodiment, the interface (177) may include, for example, a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a universal serial bus (USB) interface, an SD card interface, or an audio interface.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terminal (178) may include a connector through which the electronic device (101) may be phys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10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nection terminal (178) may include, for example, an HDMI connector, a USB connector, an SD card connector, or an audio connector (e.g., a headphone connector).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haptic module (179) can convert an electrical signal into a mechanical stimulus (e.g., vibration or movement) or an electrical stimulus that a user can perceive through a tactile or kinesthetic sens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haptic module (179) can include, for example, a motor, a piezoelectric element, or an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180) can capture still images and moving imag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amera module (180) can include one or more lenses, image sensors, image signal processors, or flashes.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The power management module (188) can manage power suppli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ower management module (188) can be implemented as, for example, at least a part of a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PMIC).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ttery (189) can power at least one component of the electronic device (101). In one embodiment, the battery (189) can include, for example, a non-rechargeable primary battery,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or a fuel cell.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또는 인증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module (190) may support establishment of a direct (e.g., wired) communication channel or a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1) and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102), the electronic device (104), or the server (108)), and performance of communication through the established communication channel. The communication module (190) may operate independently from the processor (120) (e.g., the application processor) and may include one or more communication processors that support direct (e.g.,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module (19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92) (e.g., a cellular communication modul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r a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communication module) or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194) (e.g., a local area network (LAN) communication module or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Among these communication modules, a corresponding communication module ma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104) via a first network (198) (e.g., a short-rang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Bluetooth, 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or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or a second network (199) (e.g., a long-rang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legacy cellular network, a 5G network, a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network, the Internet, or a computer network (e.g., a LAN or WAN)). These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modules may be integrated into a single component (e.g., a single chip) or implemented as multiple separate components (e.g., multiple chips).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92) may use subscriber information (e.g., an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IMSI)) stored in the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196) to identify or authenticate the electronic device (101) within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first network (198) or the second network (199).
무선 통신 모듈(192)은 4G 네트워크 이후의 5G 네트워크 및 차세대 통신 기술, 예를 들어, NR 접속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할 수 있다. NR 접속 기술은 고용량 데이터의 고속 전송(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단말 전력 최소화와 다수 단말의 접속(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또는 고신뢰도와 저지연(URLLC(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s))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예를 들어, 높은 데이터 전송률 달성을 위해,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고주파 대역에서의 성능 확보를 위한 다양한 기술들, 예를 들어,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전차원 다중입출력(FD-MIMO: full dimensional 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또는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와 같은 기술들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전자 장치(101),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4)) 또는 네트워크 시스템(예: 제 2 네트워크(199))에 규정되는 다양한 요구사항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92)은 eMBB 실현을 위한 Peak data rate(예: 20Gbps 이상), mMTC 실현을 위한 손실 Coverage(예: 164dB 이하), 또는 URLLC 실현을 위한 U-plane latency(예: 다운링크(DL) 및 업링크(UL) 각각 0.5ms 이하, 또는 라운드 트립 1ms 이하)를 지원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92) can support a 5G network and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after a 4G network, for example, NR access technology (new radio access technology). The NR access technology can support high-speed transmission of high-capacity data (eMBB (enhanced mobile broadband)), terminal power minimization and connection of multiple terminals (m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or high reliability and low latency (URLLC (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s)).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92) can support, for example, a high-frequency band (e.g., mmWave band) to achieve a high data transmission rat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92) may support various technologies for securing performance in a high-frequency band, such as beamforming, massive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MIMO), full dimensional MIMO (FD-MIMO), array antenna, analog beam-forming, or large scale antenna.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92) may support various requirements specified in an electronic device (101),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an electronic device (104)), or a network system (e.g., a second network (199)).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92) can support a peak data rate (e.g., 20 Gbps or more) for eMBB realization, a loss coverage (e.g., 164 dB or less) for mMTC realization, or a U-plane latency (e.g., 0.5 ms or less for downlink (DL) and uplink (UL) each, or 1 ms or less for round trip) for URLLC realization.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의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의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ntenna module (197) can transmit or receive signals or power to or from the outside (e.g.,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ntenna module (197) can include an antenna including a radiator formed of a conductor or a conductive pattern formed on a substrate (e.g., a PCB).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ntenna module (197) can include a plurality of antennas (e.g., an array antenna). In this case, at least one antenna suitable for a communication method used in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first network (198) or the second network (199), can be selected from the plurality of antennas by,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module (190). A signal or power can be transmitted or received between the communication module (190) and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at least one selected antenna.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in addition to the radiator, another component (e.g., a 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RFIC)) can be additionally formed as a part of the antenna module (197).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mmWave 안테나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mmWave 안테나 모듈은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1 면(예: 아래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지정된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는 RFIC,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2 면(예: 윗 면 또는 측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지정된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antenna module (197) may form a mmWave antenna modu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mWave antenna module may include a printed circuit board, an RFIC positioned on or adjacent a first side (e.g., a bottom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capable of supporting a designated high-frequency band (e.g., a mmWave band), and a plurality of antennas (e.g., an array antenna) positioned on or adjacent a second side (e.g., a top side or a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capable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s in the designated high-frequency band.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At least some of the above component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exchange signals (e.g., commands or data) with each other via 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peripheral devices (e.g., a bus, GPIO (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 (serial peripheral interface), or MIPI (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외부의 전자 장치(102, 또는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의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 mobile edge computing),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어, 분산 컴퓨팅 또는 모바일 에지 컴퓨팅을 이용하여 초저지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의 전자 장치(104)는 IoT(internet of things)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8)는 기계 학습 및/또는 신경망을 이용한 지능형 서버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의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는 제 2 네트워크(199)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예: 스마트 홈,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또는 헬스 케어)에 적용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commands or data may be transmitted or received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1) and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104) via a server (108) connected to a second network (199). Each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102, or 104) may be the same or a different type of device as the electronic device (101). In one embodiment, all or part of the operations execut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1) may be executed in one or more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102, 104, or 108). For example,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1) is to perform a certain function or service automatically or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a user or another device, the electronic device (101) may, instead of executing the function or service itself or in addition, request one or mor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to perform at least a part of the function or service. One or mor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that have received the request may execute at least a part of the requested function or service, or an additional function or service related to the request, and transmit the result of the execution to the electronic device (101). The electronic device (101) may process the result as it is or additionally and provide it as at least a part of a response to the request. For this purpose, for example, cloud computing, distributed computing, mobile edge computing (MEC), or client-server computing technology may be used. The electronic device (101) may provide an ultra-low latency service by using, for example, distributed computing or mobile edge computing. In another embodiment,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104) may include an IoT (Internet of Things) device. The server (108) may be an intelligent server using machine learning and/or a neural networ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104) or the server (108) may be included in the second network (199). The electronic device (101) can be applied to intelligent services (e.g., smart home, smart city, smart car, or healthcare) based on 5G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IoT-related technology.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선행 실시예를 통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구성에 관해 도면의 참조번호를 동일하게 부여하거나 생략하고, 그 상세한 설명 또한 생략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서로 다른 실시예의 구성이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한 실시예의 구성이 다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이 특정한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한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may be given the same or omitted for configurations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through the preceding embodiments, and their detailed descriptions may also be omitted.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document may be implemented by selectively combining configurations of different embodiments, and the configuration of one embodiment may be replaced by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For exampl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drawing or embodiment.
도 2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사고 알림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2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의 전자 장치 및 웨어러블 전자 장치와 동승자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2a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for providing a vehicle accident notific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FIG. 2b is a diagram showing an electronic device and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of a user riding in a vehicle and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of a passeng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차량 사고 알림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200a)은, 차량(210)에 탑승한 사용자의 전자 장치(201)(예: 스마트 폰)(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200a)은 전자 장치(201)와 동일한 사용자 계정에 기반하여 연동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202)(예: 스마트 워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200a)은 차량(210)에 탑승한 동승자의 전자 장치(211) 및/또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2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A and 2B , a system (200a) for providing a vehicle accident notification may include an electronic device (201) (e.g., a smart phone) (e.g., the electronic device (101) of FIG. 1 ) of a user riding in a vehicle (210). The system (200a) may further include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2) (e.g., a smart watch) (e.g., the electronic device (102) of FIG. 1 ) that is linked based on the same user account as the electronic device (201). The system (200a) may further include an electronic device (211) and/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212) of a passenger riding in the vehicle (210).
전자 장치(201)는 전자 장치(201)에 포함된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210)의 사고 상황(또는 충돌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차량 사고 발생 시 전자 장치(201)는 긴급 상황임을 알릴 수 있고, 사용자 피드백에 따라 실제 사고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긴급 상황 알림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201)는 구조 센터(또는 응급 출동 기관)(220)로 긴급 구조를 요청하거나, 통신망을 통해 서버(208)와 통신함으로써 긴급 상황을 전달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201) can detect an accident situation (or collision situation) of the vehicle (210) by using various sensors included in the electronic device (201). When a vehicle accident occurs, the electronic device (201) can notify that there is an emergency situation and can determine the actual accident situation based on user feedback. Accordingly, the electronic device (201) supporting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can request emergency rescue to a rescue center (or emergency dispatch agency) (220) or transmit the emergency situation by communicating with a server (208)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이와 같이 차량 사고에 따른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구조 센터(220)에 빠르게 신고하여 신속한 사고 처리 및 수습이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량 사고에 따른 운전자를 비롯한 탑승자와 같은 응급 환자가 의식을 잃거나 하는 응급 상황에서 응급 환자에 대한 병력이나 기저 질환과 같은 정보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응급 처치 시 위험 요소를 고려하지 못한 채 처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응급 상황을 대비하여 전자 장치에 사용자가 미리 자신의 신상 정보를 비롯하여 의료 정보를 미리 등록해 놓은 경우, 전자 장치는 외부 사용자의 외부 전자 장치(204)에 의해 상기 등록된 정보에 대한 열람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In order to minimize casualties due to vehicle accidents, it may be necessary to quickly report to the rescue center (220) and quickly process and recover from the accident. For this purpose, in emergency situations where emergency patients, such as drivers and passengers, lose consciousness due to vehicle accidents, etc., information about the emergency patients, such as medical history or underlying diseases, cannot be known, so treatment may be performed without considering risk factors. In case a user has registered his or her personal information and medical information in advance on an electronic device in preparation for such emergency situations, the electronic device may provide a function that allows an external user to view the registered information through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4).
하지만, 민감한 의료 정보까지 사용자 의도와 상관없이 외부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으므로, 응급 상황에서 응급 환자의 신상 정보, 의료 정보와 같은 민감한 정보에 대한 보안은 매우 중요할 수 있다. However, since sensitive medical information can be exposed to external users regardless of the user's intention, security of sensitive information such as emergency patient personal information and medical information can be very important in emergency situations.
따라서 차량 사고 발생 시 사고 유형, 또는 탑승자 정보와 같은 다양한 사고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에서 신속하게 다양한 대응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차량 사고와 관련된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대한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할 수 있다. Therefore, a method may be needed to minimize exposure to user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vehicle accidents while allowing electronic devices to quickly take various responses based on various accident information, such as accident type or passenger information, when a vehicle accident occurs.
일 실시 예에서는, 차량 사고 발생 시, 전자 장치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인증되지 않은 외부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차량 사고 관련 사용자 상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In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an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a storage medium for effectively providing user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a vehicle accident so as to minimize exposure of information about a user of the electronic device to unauthorized external users when a vehicle accident occurs.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사고 관련 사용자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내부 블록 구성도 및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nd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user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a vehicle accid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2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1) 또는 도 2a 및 도 2b의 전자 장치(201))는 센서 모듈(310)(예: 도 1의 센서 모듈(176)),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20)(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메모리(330)(예: 도 1의 메모리(130) 및 디스플레이(360)(예: 도 1의 디스플레이 모듈(16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310)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311, 312, 31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350)(예: 도 1의 입력 모듈(150)), 또는 통신 회로(communication circuitry)(390)(예: 도 1의 통신 모듈(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 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electronic device (201) (e.g., the electronic device (101) of FIG. 1 or the electronic device (201) of FIGS. 2A and 2B) may include a sensor module (310) (e.g., the sensor module (176) of FIG. 1), at least one processor (320) (e.g., the processor (120) of FIG. 1), a memory (330) (e.g., the memory (130) of FIG. 1), and a display (360) (e.g., the display module (160) of FIG. 1). The sensor module (310) may include at least one sensor (311, 312, 313).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microphone (350) (e.g., the input module (150) of FIG. 1), or communication circuitry (390) (e.g., the communication module (190) of FIG. 1). 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omit at least one of the components or additionally include other components.
일 실시 예에 따라, 센서 모듈(310)은, 차량(예: 도 2a 및 도 2b의 차량(210))의 충돌 및/또는 사고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또는 데이터)를 센싱할 수 있다. 센서 모듈(310)은, 제1 센서(311), 제2 센서(312), 및/또는 제3 센서(313)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센서(311)는, 가속도를 센싱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센서(312)는, 차량 충돌 소리를 센싱하기 위한 소리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센서(313)는, 기압을 센싱하기 위한 기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센서들(311, 312, 313)은 예시적인 것일 뿐, 센서 모듈(310)에 포함된 센서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nsor module (310) may sense information (or data) for detecting a collision and/or an accident of a vehicle (e.g., the vehicle (210) of FIGS. 2A and 2B). The sensor module (310) may include a first sensor (311), a second sensor (312), and/or a third sensor (313). For example, the first sensor (311) may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for sensing acceleration. The second sensor (312) may include a sound sensor for sensing a vehicle collision sound. The third sensor (313) may include a barometric sensor for sensing barometric pressure. Meanwhile, the sensors (311, 312, 313) illustrated in FIG. 3 are merely exemplary, and the sensors included in the sensor module (310) may not be limited thereto.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320)는, 전자 장치(20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320)는, 도 1의 프로세서(120)와 동일하게 내지 유사하게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32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201). For example, the processor (320) may be implemented identically or similarly to the processor (120) of FIG. 1.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320)는, 통신 회로(390)를 통해, 사용자 신체에 착용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202)와 통신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회로(390)는, 근거리 통신 기술(예: 블루투스, BLE(bluetooth low energy), 와이파이(WiFi))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통신 회로(390)는, 초광대역(ultra wide band(UWB)) 통신 기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연결은 상기의 통신 회로(390)가 지원하는 통신 기술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웨어러블 전자 장치(202)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스마트 워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202)는 스마트 워치 이외에도 사용자의 인체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된 기기 예컨대, 스마트링,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또는 안경형의 AR(augmented reality) 글라스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인체에 착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320) may form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2) worn on a user's body through the communication circuit (390).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circuit (390) may support a short-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e.g., Bluetooth, Bluetooth low energy (BLE), WiFi).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circuit (390) may support an ultra wide band (UWB)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may be formed using any one of the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pported by the communication circuit (390). For example,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2) may be implemented as a smart watch that can be worn on a user's wrist. In addition,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2) may include, in addition to a smartwatch, a device configured to be worn on a user's body, such as a smart ring, a head-mounted display, or an AR (augmented reality) glass device in the form of glasses, and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that can be worn on a user's body.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320)는, 센서 모듈(310) 또는 통신 회로(39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가 차량(210)에 탑승한 것을 식별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320) may identify that a user is in the vehicle (210) through at least one of the sensor module (310) or the communication circuit (390).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320)는, 센서 모듈(310)(예: 기압 센서)을 통해 차량(210)의 문열림 또는 문닫힘에 따른 기압 변화 데이터에 기반하여 차량(210)에 사용자가 탑승했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320) can identify whether a user is in the vehicle (210) based on air pressure change data according to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vehicle's (210) door through a sensor module (310) (e.g., air pressure sensor).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320)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정보 또는 셀 스위칭 정보에 기반하여 차량(210) 탑승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320)는 GNSS 모듈(미도시) 또는 GPS 모듈(미도시)을 통해 일정 속도 이상의 이동을 감지하거나 셀 스위칭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GNSS 모듈은, 전자 장치(201)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예컨대, GNSS 모듈은, GPS, GLONASS, Galileo, 또는 Beidou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201)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320) may identify whether the vehicle (210) is boarded based on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information or cell switching information. To this end, the processor (320) may detect movement above a certain speed or may check cell switching information through a GNSS module (not shown) or a GPS module (not shown). Here, the GNSS module may receive a signal capable of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201). For example, the GNSS module may receive a signal capable of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201) using at least one of GPS, GLONASS, Galileo, or Beidou.
일 실시 예에서, 상기한 바 이외에도 프로세서(320)는, 센서 모듈(310)(예: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을 이용하여 차량(210)의 진동 패턴을 감지하거나, 자기 패턴을 감지하거나 소리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210)의 엔진음 및/또는 차량(210)에서 출력되는 저주파 소리의 패턴을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상기 감지된 패턴 및/또는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차량(210)에 탑승한 것인지 여부를 확인 또는 판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n addition to the above, the processor (320) may detect a vibration pattern of the vehicle (210) using a sensor module (310) (e.g., an acceleration sensor or a gyro sensor), detect a magnetic pattern, or detect a pattern of an engine sound of the vehicle (210) and/or a low-frequency sound output from the vehicle (210) using a sound sensor. The processor (320) may confirm or determine whether a user is in the vehicle (210) based on the detected pattern and/or information.
또한, 프로세서(320)는, 차량(210)에 탑재된 셋톱 장치(미도시)(예: 셋톱 장치에 설치된 차량 어플리케이션)에 연결되거나,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셋톱 장치에 연결될 경우, 사용자가 차량(210)에 탑승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20)는, 차량(210)과 일정 거리(예: 통신 가능 범위)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다양한 통신 방식(예: 블루투스, 저전력 블루투스, 또는 UWB)으로 차량(210)과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차량(210)에 전원이 들어오거나 시동이 걸리면 차량(210)과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스캐닝 프로세스(예: BLE advertising 동작)를 통해 차량(210)과 연결을 시도하거나, 설정된 통신 방식(예: 블루투스 또는 UWB)으로 차량(210)과 연결되는 경우, 사용자가 차량(210)에 탑승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차량(210) 하차 시 차량(210)의 위치 정보를 메모리(330)에 저장하고, 프로세서(320)는 GNSS 모듈로부터 획득되는 전자 장치(201)의 위치 정보가 차량(210)의 위치 정보와 일정 거리 이내(예: 약 1m, 약 30㎝)인 경우, 사용자가 차량(210)에 근접 또는 탑승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320) may determine that a user has boarded the vehicle (210) when connected to a set-top device (not shown) (e.g., a vehicle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set-top device) mounted on the vehicle (210) or connected to the set-top device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For example, the processor (320) may be connected to the vehicle (210) using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e.g., Bluetooth, low-power Bluetooth, or UWB) when it approaches within a certain distance (e.g., a communication range) from the vehicle (210). The processor (320) may be connected to the vehicle (210)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when the vehicle (210) is powered on or the engine is started. The processor (320) may determine that a user has boarded the vehicle (210) when it attempts to connect to the vehicle (210) through a scanning process (e.g., a BLE advertising operation) or is connected to the vehicle (210) using a set communication method (e.g., Bluetooth or UWB). Alternatively, when getting off the vehicle (210),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210) is stored in the memory (330), and i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201) obtained from the GNSS module is within a certain distance (e.g., about 1 m, about 30 cm)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210), the processor (320) can determine that the user is approaching or riding in the vehicle (210).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210)에 사용자가 탑승했는지를 식별하는 방법은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차량(210)에 사용자가 탑승했는지를 식별하는 동작은 전자 장치(201)뿐만 아니라 웨어러블 전자 장치(202)에서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전자 장치(202)의 경우 통신 회로를 포함하여 단독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경우, 웨어러블 전자 장치(202)는 차량(210)에 탑재된 셋톱 장치(미도시)(예: 셋톱 장치에 설치된 차량 어플리케이션)에 연결되거나,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셋톱 장치에 연결될 경우, 웨어러블 전자 장치(202)를 착용한 사용자가 차량(210)에 탑승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201)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202)와 통신 연결된 상태인 경우, 웨어러블 전자 장치(202)에 의해 센싱된 정보를 웨어러블 전자 장치(202)로부터 수신하여,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차량(210)에 사용자가 탑승한 것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210) 탑승 여부에 대한 식별 동작은 전자 장치(201) 및/또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20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for identifying whether a user has boarded the vehicle (210) may not be limited to 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n addi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operation for identifying whether a user has boarded the vehicle (210) may be substantially equally performed not only in the electronic device (201) but also in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2).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2), if it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independently by including a communication circuit,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2) is connected to a set-top device (not shown) mounted on the vehicle (210) (e.g., a vehicle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set-top device) or connected to the set-top device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it may be determined that a user wearing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2) has boarded the vehicle (210). In addition, when the electronic device (201) is in a state of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2), the electronic device (201) can receive information sensed by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2) from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2) and identify whether a user is in the vehicle (210)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the identification operation for whether a user is in the vehicle (210) can be performed by the electronic device (201) and/or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2).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320)는, 차량(210)에 사용자가 탑승했음을 식별한 상태에서, 탑승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차량(210) 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뿐만 아니라 동승자에 대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면, 긴급 구조 요청 시에 보다 효율적인 대처가 가능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320) may identify information about a user who has boarded the vehicle (210) when it has identified that a user has boarded the vehicle. Since at least one user may be in the vehicle (210), if information about not only the user but also the passenger can be identified, more efficient response may be possible when an emergency rescue request is made.
일 실시 예에서, 차량(210) 내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가 탑승했음을 감지한 상태에서, 프로세서(320)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350)를 통해 소리의 방향을 감지하거나 외부 음향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320)는 사용자 발화 시 상기 마이크(350)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 신호에 기반하여, 차량(210)에 탑승한 인원수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320)는 음성 신호를 이용하는 방법 이외에 다양한 방법으로 차량(210)에 탑승한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it is detected that a user of an electronic device (101) in a vehicle (210) is on board, the processor (320) can detect the direction of sound or detect external sound through at least one microphone (350). Accordingly, the processor (320) can identify the number of people on board the vehicle (210) based on a voic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microphone (350) when the user speaks. Meanwhile, the processor (320) can identify a user on board the vehicle (210) in various ways other than a method of using a voice signal.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320)는, 사용자가 차량(210) 내에 있는지를 식별한 상태에서 차량(210)의 주행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20)는, 차량(210)과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됨에 따라 차량 탑승을 확인하고, 차량(210) 이동 시 GPS를 이용한 속도를 이용하여 주행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320) can monitor the driving status of the vehicle (210) while identifying whether a user is inside the vehicle (210). For example, the processor (320) can confirm the presence of a user in the vehicle by connecting to the vehicle (210) via Bluetooth communication, and can monitor the driving status by using the speed using GPS when the vehicle (210) is moving.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320)는, 차량(210) 탑승 여부와 차량(210)의 주행 상태를 동시에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20)는, 센서 모듈(310)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또는 GPS를 이용하여 차량(210) 탑승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GPS를 이용한 속도를 이용하여 주행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 탑승 여부와 주행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동작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되거나 하나의 동작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320) may simultaneously monitor whether the vehicle (210) is boarded and the driving status of the vehicle (210). For example, the processor (320) may not only confirm whether the vehicle (210) is boarded using at least one sensor of the sensor module (310) and/or GPS, but may also monitor the driving status using the speed using GPS. In this way, the operations of monitoring whether the vehicle is boarded and the driving status may be performed independently or as one operation.
상기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320)는, 다양한 방식(예: 통신 연결, 움직임 패턴 또는 GPS를 이용한 속도)을 이용하여 차량(210) 탑승 여부와 차량(210)의 주행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차량(210)의 주행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동안에 차량 사고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320)는 센서 모듈(310)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또는 GPS를 이용하여 차량(210)의 주행 상태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210)의 주행 상태는, 상기 차량(210)의 진행 방향, 상기 차량(210)의 속력, 상기 차량(210)의 방향 변화, 상기 차량(210)의 가속도 방향 또는 상기 차량(210)의 회전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or (320) can recognize whether a person is on board the vehicle (210) and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210) using various methods (e.g., communication connection, movement pattern, or speed using GPS). The processor (320) can detect the occurrence of a vehicle accident while monitoring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210).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320) can periodically or irregularly monitor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210) using at least one sensor of the sensor module (310) and/or GPS. Here,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210) can include at least one of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210), the speed of the vehicle (210), the change in direction of the vehicle (210), the acceleration direction of the vehicle (210), or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vehicle (210).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320)는 차량(210)의 주행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동안에 센서 모듈(310)(예: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을 통해 센싱된 가속도 값이 일정 임계치 이상이고, GNSS 이동 속도가 급격하게 감소되고, 차량(210)의 충돌로 의심되는 소리가 감지되면, 차량(210)이 충돌된 것 또는 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센서 모듈(310)(예: 기압 센서)를 통해, 기압 변화량이 일정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210)의 충돌로 인해 유리창이 깨지거나 에어백이 전개되면 차량(210)의 기압이 급격하게 변화될 수 있기 때문에, 프로세서(320)는, 기압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상술한 센싱 값들에 기반하여 차량(210)의 충돌 여부(또는 사고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processor (320) monitors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210), if an acceleration value sensed through the sensor module (310) (e.g.,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a GNSS moving speed is drastically reduced, and a sound suspected of a collision of the vehicle (210) is detected, the processor (320) may determine that the vehicle (210) has been collided or an accident has occurred. The processor (320) may determine whether an amount of change in air pressur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through the sensor module (310) (e.g., an air pressure sensor). For example, since the air pressure of the vehicle (210) may rapidly change when a window is broken or an airbag is deployed due to a collision of the vehicle (210), the processor (320) may detect a change in air pressure. The processor (320) may detect whether the vehicle (210) has been collided (or has been in an accident) based on the above-described sensing values.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320)는, 상기와 같은 모니터링을 통해 차량(210)의 충돌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 모듈(310)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또는 GPS 각각에서 차량(210)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센싱(또는 획득)하지만, 차량(210) 상태를 획득하는 구성 요소(또는 모듈)와 차량 충돌을 감지하는 구성 요소(또는 모듈)는 병렬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센싱 정보(예: 센서 모듈(310)에 의한 센싱 정보, GPS 정보)일지라도, 차량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목적과 차량 충돌을 감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르게 분석 및 처리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320) may detect whether the vehicle (210) has collided through the monitoring as described above. In this way, information related to the vehicle (210) state is sensed (or acquired) from at least one sensor and/or GPS of the sensor module (310), but the component (or module) acquiring the vehicle (210) state and the component (or module) detecting the vehicle collision may be driven in parallel. For example, even if it is the same sensing information (e.g., sensing information by the sensor module (310), GPS information), it may be analyzed and processed differently for the purpose of determining the vehicle state and for the purpose of detecting the vehicle collisio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330)는 차량 사고 발생 시,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으며,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메모리(130)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320)는, 사용자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메모리(33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20)는 차량 사고 시 사용자의 신상 정보를 비롯하여 사용자 응급 처치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에 대한 다양한 정보는, 사용자의 상태 정보 또는 사용자에 대한 구급 정보라고 칭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emory (330) can store instructions for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in the event of a vehicle accident, and can be the memory (13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320) can store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user in the memory (330). For example, the processor (320) can store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emergency treatment of the user,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in advance in the event of a vehicle accident. The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user can be referred to as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or emergency information about the user.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해 도 4를 참조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사고 관련 사용자 상태 정보를 공개 수준에 따라 분류한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To explain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above user, reference may be made to FIG. 4. FIG. 4 is a diagram showing a table in which user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a vehicle accid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lassified according to a level of disclosure.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상태 정보는, 인증되지 않은 외부 사용자에 의해 악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프라이버시 침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공개 수준에 따라 크게 3단계로 분류할 수 있다. 도 4에서의 3단계의 공개 수준은 예시적인 것일 뿐, 공개 수준은 2단계 또는 4단계로 구분될 수도 있으므로, 공개 수준을 분류하는 단계는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three levels according to the level of disclosure in order to prevent privacy invasion and to prevent abuse by unauthenticated external users. The three levels of disclosure in Fig. 4 are merely exemplary, and the level of disclosure can be divided into two or four levels, so the steps for classifying the level of disclosure may not be limited thereto.
도 4에서는 사용자의 상태 정보가 공개 수준에 따라 3단계로 분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며,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신상 정보, 응급 상황을 대비하여 응급 처치 시 필요한 사용자에 대한 건강 정보 및 사용자에 대한 의료 정보를 나타내는 전자 의료 기록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4 illustrates an example where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is classified into three levels according to the level of disclosure, and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may include personal information directly entered by the user, health information about the user required for emergency treatment in case of an emergency, and electronic medical records indicating medical information about the user.
예를 들면, 제1 공개 수준에 대응하는 신상 정보는, 사용자의 신원 파악에 필요한 정보로, 사용자의 이름, 성별, 키와 같은 개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공개 수준에 대응하는 건강 정보는 사용자에 대한 기저 질환, 복용 중인 약물, 알레르기와 같은 응급 처치에 필요한 구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공개 수준에 대응하는 전자 의료 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은, 의료 검사 결과, 수술 정보, 치료 이력 정보, 가족력과 같은 모든 의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의료 기록은, 접근 권한이 있는 특정 조직이나 의료진이 사용하도록 설계된 것일 수 있다. 제3 공개 수준에 대응하는 의료 정보는, 전자 의료 기록뿐만 아니라 전자 건강 기록(electronic health record, EHR)이거나 전자 의료 기록과 전자 건강 기록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biograph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closure level may include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the user's name, gender, and height, which is information necessary to identify the user. Healt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closure level may include emergency information necessary for emergency treatment, such as the user's underlying conditions, medications being taken, and allergies. Electronic medical records (EMRs) corresponding to the third disclosure level may include all medical information, such as medical test results, surgical information, treatment history information, and family history. Electronic medical records may be designed to be used by specific organizations or medical professionals who have access. Medic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disclosure level may include not only electronic medical records but also electronic health records (EHRs), or may include a combination of electronic medical records and electronic health records.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의 상태 정보 중 제1 공개 수준의 사용자의 신상 정보와, 제2 공개 수준의 사용자의 건강 정보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201)에서 제공하는 입력 항목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기록한 정보일 수 있다. 반면, 사용자의 상태 정보 중 제3 공개 수준의 전자 의료 기록은, 의료 정보를 관리하는 별도의 서버(예: 의료 기관)로부터 제공된 정보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at the first public level and the user's health information at the second public level among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directly recorded by the user according to input items provided by the user on the electronic device (201). On the other hand,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at the third public level among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provided from a separate server (e.g., a medical institution) that manages medical information.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는, 상기 메모리(330) 및/또는 인증된 외부 전자 장치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서버(208)에 저장될 수 있다. 전자 장치(201) 내의 메모리(330)에 사용자의 상태 정보가 저장되는 경우에는 보안성이 높으며, 네트워크 연결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반면, 서버(208)에 사용자의 상태 정보가 저장되는 경우에는, 구급 대원과 의료진 간에 응급 환자인 사용자에 대한 응급 처치에 필요한 정보를 손쉽게 공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와 서버(208) 각각에 저장하는 방식을 통해 의료 정보의 보안성과 신속한 응급 처치를 위한 효율성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The above user status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memory (330) and/or the server (208) accessible by the authenticated external electronic device. If the user status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memory (330) in the electronic device (201), the security is high, and the user status information can be provided even in a situation where a network connection is not possible. 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status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erver (208), information necessary for emergency treatment of the user as an emergency patient can be easily shared between paramedics and medical staff. According to one embodiment, by storing the information in each of the electronic device (201) and the server (208), the security of medical information and the efficiency for rapid emergency treatment can be provided at the same tim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는, 공개 수준에 따라 신상 정보, 건강 정보, 전자 의료 기록으로 분류된 후 암호화되어 저장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may be classified into personal information, health information, and electronic medical records according to the level of disclosure, and then encrypted and store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는, 암호화된 형태로 저장된 후, 향후 차량 사고 발생 시 외부 전자 장치에 의한 액세스 시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접근 권한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학습 모델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포함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어떻게 분류할지에 관한 판단 기준을 가지도록 학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모델은, 차량 사고 정보와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응급 상황이 구급 대원에 의한 응급 처치가 필요한 상황인지 병원 의료진의 진단 및 치료가 필요한 상황인지를 추론할 수 있다. 따라서, 학습 모델은, 사용자의 상태 정보 중에서 추론된 상황에서 필요한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정보들을 공개 수준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an encrypted form, and the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access authority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when accessed by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in the event of a future vehicle accident. In one embodiment, when a learning model is used, it is possible to learn to have a judgment criterion on how to classify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For example, the learning model may infer, based on the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and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whether the user's emergency situation requires emergency treatment by a paramedic or a diagnosis and treatment by a hospital medical staff. Accordingly, the learning model may identify necessary information in the inferred situation among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and classify the identifi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disclosure.
프로세서(320)는, 메모리(330)에 저장된 기 정의된 동작 규칙 또는 학습 모델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기 정의된 동작 규칙 또는 학습 모델은 학습을 통해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학습을 통해 만들어진다는 것은, 기본 인공지능 모델이 학습 알고리즘에 의하여 다수의 학습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학습됨으로써, 원하는 특성(또는, 목적)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기 정의된 동작 규칙 또는 인공지능 모델이 만들어짐을 의미한다. 이러한 학습은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201) 자체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별도의 서버 예컨대, 인증된 외부 전자 장치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서버(208) 및/또는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학습 알고리즘의 예로는, 지도형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형 학습(unsupervised learning), 준지도형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 또는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이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processor (320) can be controlled to process input data according to a predefined operation rule or learning model stored in the memory (330). The predefined operation rule or learning model is characterized by being created through learning. Here, being created through learning means that a predefined operation rule or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et to perform a desired characteristic (or purpose) is created by learning a basic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using a plurality of learning data by a learning algorithm. Such learning may be performed in the electronic device (201)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tself, or may be performed through a separate server, for example, a server (208) accessible by an authenticated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or a system. Examples of the learning algorithm include supervised learning, unsupervised learning, semi-supervised learning, reinforcement learning, or machine learning, but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상술한 방법을 통해, 프로세서(320)는, 공개 수준에 따라 분류된 정보들을 디스플레이(360) 상에 바로 출력되는 것이 아니라, 차량 사고 발생 후 외부 전자 장치에 의한 액세스 시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접근 권한에 따라 인증 후 디스플레이(36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Through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processor (320) can output informatio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level of disclosure through the display (360) not directly on the display (360), but after authentication according to the access authority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when accessed by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fter a vehicle accident.
한편, 프로세서(320)는, 차량 사고 발생 여부를 식별하기 위해 차량(210)의 주행 상태를 센서 모듈(310)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20)는 차량(210)의 진행 방향과 속력을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210)의 주행 상태는, 상기 차량(210)의 진행 방향, 상기 차량(210)의 속력, 상기 차량(210)의 방향 변화, 상기 차량(210)의 가속도 방향 또는 상기 차량(210)의 회전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rocessor (320) may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monitor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210) using at least one sensor of the sensor module (310) to identify whether a vehicle accident has occurred. For example, the processor (320) may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monitor the direction and speed of the vehicle (210). Here,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2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vehicle (210), the speed of the vehicle (210), the change in direction of the vehicle (210), the direction of acceleration of the vehicle (210), or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vehicle (210).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320)는 사용자가 차량(210)에 탑승한 상태(예: 차량(210)이 주행 중인 상태)에서, 센서 모듈(310)(예: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을 통해 센싱된 가속도 값이 일정 임계치 이상이고, GNSS 이동 속도가 급격하게 감소되고, 차량(210)의 충돌로 의심되는 소리가 감지되면, 차량(210)이 충돌된 것 또는 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20)는 사고 상황 전후 지정된 시간(예: 약 7초) 동안의 오디오 데이터를 캡처하여 주파수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저전력 프로세스(ADSP: audio digital signal processor)를 활용하여 저전력 프로세스에서, 마이크(350)를 통해 항시적으로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만일 임계치 이상의 큰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 뉴럴 네트워크 기반의 기계 학습으로 사고 발생 시 발생하는 특징적인 소음(예: 사람 비명소리, 창문이 깨지는 소리)을 탐색함으로써 차량(210)이 충돌된 것 또는 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차량 사고 상황과 유사한 상황에서의 오인식을 방지하기 위해 GNSS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GNSS 이동 속도가 급격하게 감소되었다가 다시 증가하는 경우에는 사고 상황이 아니라고 분류할 수 있으며, GNSS 정보가 차량 운행이 불가능한 장소(예: 주차장이 아닌 놀이공원 내부, 스키장 내부)를 나타내는 경우에도 사고 상황이 아니라고 분류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an acceleration value sensed by a sensor module (310) (e.g.,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while a user is riding in a vehicle (210) (e.g., while the vehicle (210) is driving), a GNSS movement speed is drastically reduced, and a sound suspected of a collision of the vehicle (210) is detected, the processor (320) may determine that the vehicle (210) has been involved in a collision or an accident. For example, the processor (320) may capture audio data for a specified time (e.g., about 7 seconds) before and after an accident situation and perform frequency analysis. For example, an audio digital signal processor (ADSP) may be utilized to continuously receive a user's voice signal through a microphone (350) in a low-power process. If a loud noise exceeding a threshold occur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vehicle (210) has collided or an accident has occurred by searching for characteristic noises (e.g., a person screaming, a window breaking) that occur when an accident occurs using machine learning based on a neural network. However, GNSS information can be used to prevent misrecognition in situations similar to a vehicle accident. For example, if the GNSS movement speed decreases rapidly and then increases again, it can be classified as not an accident situation, and if the GNSS information indicates a place where vehicle operation is impossible (e.g., inside an amusement park or a ski resort, not a parking lot), it can also be classified as not an accident situation.
또한, 프로세서(320)는, 센서 모듈(310)을 통해 각속도 변화량이 일정 임계치 이상 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320)는, 차량(210)의 진행 방향이 충돌의 의해 급격하게 다른 방향으로 틀어지면, 센서 모듈(310)을 통해 급격한 각속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20)는, 차량(210)의 충돌로 인해 수평 방향의 움직임에서 주요한 의미를 가지는 패턴이 발생되기 때문에 센서 모듈(310)에 의해 센싱되는 네비게이션 프레임(navigation frame)의 지면 수평 방향의 움직임(또는 충력량)에 가중치를 조정 또는 증가시켜 각속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320) can check whether the amount of change in angular velocity is greater than a certain threshold value through the sensor module (310). For example, if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vehicle (210) is suddenly changed to a different direction due to a collision, the processor (320) can detect a sudden change in angular velocity through the sensor module (310). In addition, since a pattern having a major meaning in the horizontal movement is generated due to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210), the processor (320) can detect a change in angular velocity by adjusting or increasing the weight of the horizontal movement (or the amount of impact) of the navigation frame sensed by the sensor module (310).
프로세서(320)는, 상술한 센싱 값들에 기반하여 차량(210)의 사고 여부(또는 충돌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20)는, 상술한 센싱 값들 및 GPS 정보에 기반하여 사고 추정 시간, 발생 위치, 차량(210) 전면 충돌, 후면 충돌, 측면 충돌, 전복으로 분류되는 사고 종류, 차량(210) 내 탑승 인원, 운전자 및/또는 동승자 정보, 또는 사고 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 The processor (320) can detect whether the vehicle (210) has an accident (or collides) based on the sensing value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processor (320) can identify at least one of an estimated time of the accident, an occurrence location, a type of accident classified as a frontal collision, a rear collision, a side collision, or a rollover of the vehicle (210), the number of passengers in the vehicle (210), information about the driver and/or passengers, or the severity of the accident based on the sensing values described above and GPS information.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320)는, AI 확률 모델(또는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센서 모듈(310)에 의해 센싱되는 센싱 값들(또는 센싱 데이터)에 기반하여 사고 강도를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돌 시의 관성 센서 충격량, 동승자 수,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의 크기와 같은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써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사고 유형별 부상 위험도와 기압 센서 변화량도 학습 데이터로써 활용될 수 있다. 사고 유형별로 부상 확률이 다르기에, 부상 확률이 높은 유형의 사고는 사고 강도가 높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압 센서의 큰 변화는 유리 파손과 관련이 있어, 교통 사고의 심각성을 나타낼 수 있는 지표이기에 해당 데이터 역시 학습 데이터로써 활용될 수 있다. AI 확률 모델은 회귀 분석을 통해 각 특성의 가중치를 계산하고 결과 점수를 기반으로, 사고 강도를 상, 중, 하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 강도의 사고는 중상 이상의 부상 확률이 높음을 나타낼 수 있으며, 중 강도 사고는 경상부터 중상까지 다양한 부상이 발생할 수 있음을 나타낼 수 있으며, 하 강도 사고는 사고로 인한 부상 가능성이 낮음을 의미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320) may estimate the severity of an accident based on the sensing values (or sensing data) sensed by the sensor module (310) using an AI probability model (or learning model). For example, data such as the amount of inertial sensor impact at the time of a collision, the number of passengers, and/or the size of audio data may be acquired as learning data. In addition, the risk of injury by accident type and the amount of change in the air pressure sensor may also be utilized as learning data. Since the probability of injury varies by accident type, an accident type with a high probability of injury may have a high accident severity. For example, a large change in the air pressure sensor is related to glass breakage, which is an indicator that can indicate the severity of a traffic accident, and thus, the corresponding data may also be utilized as learning data. The AI probability model may calculate the weight of each feature through regression analysis and, based on the resulting score, may classify the severity of the accident into high, medium, and low. For example, a high-intensity accident could indicate a high probability of moderate to severe injury, a medium-intensity accident could indicate a range of injuries from minor to moderate, and a low-intensity accident could indicate a low probability of injury due to the accident.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320)는, 상기 차량(210) 사고 발생이 감지됨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360)를 통해, 차량 사고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320)는, 진동 소자를 통해 사용자에게 사고를 나타내는 알림을 제공할 수도 있으며, 알림을 출력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20)는 경고음 또는 사고 내용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알림과 같이 오디오 알림을 통해 사고를 나타내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320) may display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360) based on the detection of an accident of the vehicle (210). Alternatively, the processor (320) may provide a notification indicating an accident to the user through a vibration element, and the method of outputting the notifica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processor (320) may provide a notification indicating an accident through an audio notification, such as a warning sound or a notification that outputs the accident content in voice.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320)는 차량 사고 정보와 차량(210) 내의 식별된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202)와 연결된 상태에서는, 프로세서(320)는 상기 알림이 웨어러블 전자 장치(202)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도록 웨어러블 전자 장치(202)로 상기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320) may provide a notification based on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of an identified user within the vehicle (210). When connected to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2), the processor (320) may provide the notification to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2) so that the notification is displayed through a display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2).
예를 들어, 상기 알림은, 사고 추정 시간, 발생 위치, 차량(210) 전면 충돌, 후면 충돌, 측면 충돌, 전복으로 분류되는 사고 종류, 차량(210) 내 탑승 인원, 운전자 및/또는 동승자 정보, 사고 강도, 사용자의 생체 신호 정보, 또는 사용자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은, 긴급 구조 여부를 선택하는 항목, 지정된 기관이나 지정된 연락처(예: 가족, 119)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notific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estimated time of the accident, an occurrence location, a type of accident classified as a frontal collision, a rear collision, a side collision, or a rollover of the vehicle (210), the number of passengers in the vehicle (210), information about the driver and/or passengers, the severity of the accident, information about the user's vital signs, or information about the user's status. In addition, the notification may include an item for selecting whether to call for emergency rescue, a designated agency, or a designated contact (e.g., family, 119).
프로세서(320)는 상기 알림에 대한 사용자 피드백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조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미한 사고의 경우 사용자는 상기 알림에 대해 긴급 연락의 해제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가 긴급 구조를 요청할 수 없는 고위험 상태라고 식별되면, 지정된 기관이나 지정된 연락처(예: 가족, 119)로 긴급 호출이 수행될 수 있다. The processor (320) may optionally provide a rescue notification based on user feedback on the above notifica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minor accident, the user may choose to disable emergency contact for the above notification. Alternatively, if the user is identified as being in a high-risk state where he or she cannot call for emergency rescue, an emergency call may be made to a designated agency or designated contact (e.g., family, 119).
일 실시 예에서, 차량(210) 충돌로 인해 사용자가 의식을 잃은 상황의 경우를 고려하여 프로세서(320)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 정보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긴급 구조가 이루어지도록 동작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in a case where a user loses consciousness due to a vehicle (210) collision, the processor (320) may operate to automatically perform emergency rescue based on the user's bio-signal information.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320)는 차량(210) 충돌이 감지되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202)로 충돌이 발생된 시점에 대응하는 정보(예: 센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202)로부터 사용자에 대해 센싱된 정보 예컨대, 혈압, 혈중 산소 포화도(SpO2), 심박수와 같은 생체 신호 정보를 획득 또는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320)는 상기 생체 신호 정보에 기반하여, 웨어러블 전자 장치(202)를 착용한 사용자의 이상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a collision of the vehicle (210) is detected, the processor (320) may transmit a signal to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2) to obtain information (e.g., sens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ime at which the collision occurred. The processor (320) may obtain or confirm information sensed about the user from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2), such as bio-signal information, such as blood pressure, blood oxygen saturation (SpO2), and heart rate. Accordingly, the processor (320) may identify an abnormal state of the user wearing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2) based on the bio-signal information.
만일 사용자의 이상 상태가 응급 상태일 경우, 프로세서(320)는 긴급 호출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미리 지정된 기관이나 지정된 연락처(예: 가족, 119)로 긴급 연락 및/또는 구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20)는, 차량(210)의 충돌에 의한 사고 상황을 나타내는 사고 정보를 서버(208)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208)는, 지정된 서비스 프로바이더(service provider)에서 관리하는 서버, 보험사에서 관리하는 서버, 또는 자동차 제조사에서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If the user's abnormal condition is an emergency condition, the processor (320) can perform an emergency call. The processor (320) can transmit an emergency contact and/or a rescue signal to a pre-designated agency or a designated contact (e.g., family, 119). In addition, the processor (320) can transmit accident information indicating an accident situation due to a collision of the vehicle (210) to the server (208). For example, the server (208) can be a server managed by a designated service provider, a server managed by an insurance company, or a server managed by an automobile manufacturer.
이에 따라 일 실시 예에서는, 차량(210) 사고 발생 지점, 차량(210)에 대한 충돌 위치, 차량(210) 내 탑승 인원, 운전자 및/또는 동승자 정보, 또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 정보와 같은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충돌 및/또는 사고 상황에 대해 보다 정확한 안내가 가능할 수 있다. Accordingly, in one embodiment, more accurate guidance regarding vehicle collision and/or accident situations may be provided by using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he location of a vehicle (210) accident, the location of a collision with respect to the vehicle (210), the number of passengers in the vehicle (210), driver and/or passenger information, or the user's bio-signal information.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320)는, 상기 알림 제공 시,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의 적어도 일부만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구급대원 또는 의료진과 같은 인증된 외부 사용자의 전자 장치 즉, 외부 전자 장치(예: 도 2a의 외부 전자 장치(204))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대한 액세스(또는 공개 요청)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상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36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대한 외부 전자 장치의 액세스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인증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320)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인증된 대상의 기기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상기 액세스에 대응하여, 인증된 대상과 관련하여 사용자의 상태 정보의 공개 수준을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외부 전자 장치의 접근 권한을 식별하여, 식별된 접근 권한에 대응하는 공개 수준을 확인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320) may provide only at least a part of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in order to protect privacy when providing the notification. The processor (320) may display at least a part of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on the display (360) in response to an access (or disclosure request) to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from an electronic device of an authenticated external user, such as a paramedic or a medical professional, i.e.,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4) of FIG. 2A). The processor (320) may authenticate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in response to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access to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That is, the processor (320) may verify whether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is a device of an authenticated target that can view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The processor (320) may identify a disclosure level of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authenticated target in response to the access. The processor (320) may identify an access right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verify a disclosure level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access right.
이와 같이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대한 액세스에 대응하여 외부 전자 장치를 인증하는 것은, 민감한 정보의 노출을 방지하고 접근 권한을 가지는 대상에 대해 허용된 공개 수준으로 사용자의 상태 정보의 일부 또는 전체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안과 프라이버시 보호를 강화하기 위함이다.Authenticating external electronic devices in response to access to a user's status information in this way is intended to enhance security and privacy by preventing exposure of sensitive information and allowing access to part or all of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at an acceptable level of disclosure to those with access rights.
프로세서(320)는 공개 수준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상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기 위해 인디케이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36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디케이터는,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액세스 가능한 경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디케이터는, 사용자의 상태 정보 액세스에 이용될 고유의 암호화된 QR 코드, 주소 코드, URL, 바코드, 또는 비밀 문자열(secret string)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or (320) may display on the display (360) an indicator to provide at least a portion of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based on the level of disclosure. For example, the indicator may be a path that is accessible to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Additionally, the indicator may include a unique encrypted QR code, address code, URL, barcode, or secret string that is to be used to access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프로세서(320)는 외부 전자 장치의 접근 권한에 따라 사용자의 상태 정보의 공개 수준을 결정할 수 있지만, 다양한 상황에 따라서도 상기 공개 수준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급 이송이 시작된 이후 의료 기관(예: 병원)에 도착하기 전까지는 구급 대원이 사용자의 상태 정보 중 응급 처치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며, 의료 기관 도착 시점 이후로는 의료진이 사용자의 상태 정보 중 진단 및 치료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320)는 센서 모듈(310)에 의한 센싱 정보 및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예: GPS 정보)를 이용하여 응급 이송 시점 또는 의료 기관 도착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The processor (320) can determine the level of disclosure of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based on the access authority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but can also determine the level of disclosure based on various situations. For example, after the start of emergency transport and before arriving at a medical institution (e.g., a hospital), the paramedics can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necessary for emergency treatment among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and after arriving at the medical institution, the medical staff needs to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necessary for diagnosis and treatment among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Accordingly, the processor (320) can determine the time of emergency transport or arrival at the medical institution by using the sensing information by the sensor module (31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e.g., GPS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프로세서(320)는 응급 이송 시점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구급 대원의 외부 전자 장치에 의한 액세스에 대응하여 응급 처치에 필요한 사용자의 건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20)는 의료 기관 도착 시점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의료진의 외부 전자 장치에 의한 액세스에 대응하여 진단 및 치료에 필요한 사용자의 전자 의료 기록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rocessor (320) can provide the user's health information necessary for emergency treatment in response to access by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of a paramedic based on the confirmation of the time of emergency transport. In addition, the processor (320) can provide the user's electronic medical record necessary for diagnosis and treatment in response to access by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of a medical professional based on the confirmation of the time of arrival at a medical institution.
한편, 전자 장치(201)는 차량 사고 발생 시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사용자와 떨어진 위치에 놓여지는 상황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구급 대원이 사용자의 상태를 살펴볼 때 상기 전자 장치(201)가 사용자의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전자 장치(201)와 웨어러블 전자 장치(202) 각각에 서로 페어링된 상태임을 나타내기 위해 공통되는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와 웨어러블 전자 장치(202) 각각에 공통적으로 표시되는 정보는, 특정 코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동일 사용자의 기기임을 나타낼 수 있는 정보이면 모두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와 웨어러블 전자 장치(202) 각각에 사용자의 이름이 동시에 표시된다면 외부 사용자는 동일 사용자의 기기임을 인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공통적으로 표시 가능한 정보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Meanwhile,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be placed in a location away from the user due to various factors in the event of a car accident. In such a case, when an emergency worker examines the user's condition, common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each of the electronic device (201) and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2) to indicate that they are pair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emergency worker can confirm that the electronic device (201) belongs to the user. For example, the information commonly displayed on each of the electronic device (201) and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2) may include a specific code, and any information that can indicate that they are devices of the same user may be possible. For example, if the user's name is displayed on each of the electronic device (201) and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2) at the same time, an external user may recognize that they are devices of the same user, and therefore, the form of the commonly displayable information may not be limited thereto.
일 실시 예에서는, 응급 처치에 필요한 정보와 정밀 진단 및 치료에 필요한 정보를 구분하여 제공함으로써 구급 대원이 사고 경위 및 환자 상태 파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병원 이송 후에도 환자 의료 정보 누락을 최소화할 수 있어, 차량 사고 현장에서 효율적인 대응이 가능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by provid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emergency treatment and information necessary for precise diagnosis and treatment separately, the time required for paramedics to determine the circumstances of an accident and the patient's condition can be reduced, and the omission of patient medical information after transport to a hospital can be minimized, thereby enabling an efficient response at the scene of a vehicle accident.
일 실시 예에서는, 차량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만 사고 정보 및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출력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구급 대원 또는 의료진과 같은 권한이 있는 외부 사용자만이 암호화된 QR 코드를 통해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액세스할 수 있어, 인증되지 않은 외부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프라이버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 display output function may be activated to output accident information and user status information only when a vehicle accident occurs. In addition, only authorized external users, such as paramedics or medical personnel, may access the user status information via an encrypted QR code, thereby minimizing exposure to unauthorized external users, thereby resolving privacy issue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 201)는, 디스플레이(160, 360), 적어도 하나의 센서(176, 310),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0, 320) 및 메모리(130, 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시에,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210)의 주행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동안에 차량 사고 발생이 감지됨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 내의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1, 201) may include a display (160, 360), at least one sensor (176, 310), at least one processor (120, 320)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display and the at least one sensor, and a memory (130, 3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emory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an indicator on the display for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to a user in the vehicle based on detection of a vehicle accident occurrence while the electronic device monitors a driving status of the vehicle (210) using the at least one sensor, when executed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인디케이터를 이용한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대한 외부 전자 장치의 액세스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structions may be configured to cause the electronic device to provide at least a portion of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in response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s access to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using the indicato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인디케이터를 이용한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대한 외부 전자 장치의 액세스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의 공개 수준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공개 수준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structions may be configured to cause the electronic device to identify a level of disclosure of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in response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s access to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using the indicator, and to display at least a portion of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on the display based on the identified level of disclosur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신상 정보, 상기 사용자에 의해 기록된 건강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전자 의료 기록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may includ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health information recorded by the user, or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the use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는, 상기 메모리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memory or in a server accessible by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접근 권한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의 공개 수준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공개 수준이 제1 공개 수준임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 중 상기 사용자의 신상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상기 식별된 공개 수준이 제2 공개 수준임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기록된 건강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상기 식별된 공개 수준이 제3 공개 수준임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 중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전자 의료 기록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nstructions may be configured to cause the electronic device to identify a disclosure level of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according to an access right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based on the identified disclosure level being a first disclosure level, display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among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on the display, based on the identified disclosure level being a second disclosure level, display health information recorded by the user among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on the display, and based on the identified disclosure level being a third disclosure level, display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of the user among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on the display.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인디케이터를 이용한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대한 외부 전자 장치의 액세스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한 센싱 정보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응급 이송 시점 또는 의료 기관 도착 시점을 확인하고, 상기 응급 이송 시점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기록된 건강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상기 의료 기관 도착 시점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 중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전자 의료 기록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nstructions may be configured to cause the electronic device to, in response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s access to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using the indicator, determine a time of emergency transport or arrival at a medical institution based on sensing information by the at least one sensor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the time of emergency transport, display health information recorded by the user among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on the display, and,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the time of arrival at the medical institution, display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for the user among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on the display.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 액세스에 이용될 고유의 암호화된 QR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ndicator for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may include a unique encrypted QR code to be used for accessing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통신 회로(190, 3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201)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202)와 연결된 상태인 경우, 상기 차량 사고 발생이 감지됨에 기반하여,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기반한 상기 사용자의 이상 상태를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의 이상 상태에 기반하여, 긴급 호출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circuit (190, 390), and the instructions may be set such that, when the electronic device (201) is connected to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2) worn by the user through the communication circuit, the electronic device identifies an abnormal state of the user based on a bio-signal of the user provided from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based on detection of the occurrence of the vehicle accident, and performs an emergency call based on the abnormal state of the use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201)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202)와 연결된 상태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 간의 페어링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202)와 공통되는 특정 코드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nstructions may be configured to cause the electronic device (201) to display, on the display, a specific code common to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2) to indicate a pairing stat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when the electronic device (201) is connected to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2) worn by the user through the communication circui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또는 상기 통신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차량(210) 내에 있는지를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가 차량 내에 있음을 식별함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nstructions may be configured to cause the electronic device to identify whether the user is within the vehicle (210) using at least one sensor or at least one of the communication circuits, and to monitor a driving condition of the vehicle based on identifying that the user is within the vehicle.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사고 관련 사용자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동작 방법은 505 동작 내지 515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동작 방법의 각 동작은, 전자 장치(예: 도 1 전자 장치(101), 도 2a 내지 도 3의 전자 장치(201)),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3의 프로세서(32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505 동작 내지 515 동작 중 적어도 하나가 생략되거나, 일부 동작들의 순서가 바뀌거나, 다른 동작이 추가되거나,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FIG. 5 is a flowchart of operations of a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user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a vehicle accid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ferring to FIG. 5, the operation method may include operations 505 to 515. Each operation of the operation method of FIG. 5 may be performed by at least one of an electronic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101) of FIG. 1, the electronic device (201) of FIGS. 2A to 3), and at least one processor of the electronic device (e.g., the processor (120) of FIG. 1 or the processor (320) of FIG. 3). In an embodiment, at least one of operations 505 to 515 may be omitted, the order of some operations may be changed, another operation may be added, or at least two operations may be performed in parallel.
도 5를 참조하면, 510 동작에서, 전자 장치(201)는, 상기 전자 장치(201)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210)의 주행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동안에, 차량 사고 발생이 감지됨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 내의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i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 액세스에 이용될 고유의 암호화된 QR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ndicator for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may include a unique encrypted QR code to be used for accessing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신상 정보, 상기 사용자에 의해 기록된 건강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전자 의료 기록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may includ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health information recorded by the user, or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the use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는, 상기 메모리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memory or in a server accessible by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상기 전자 장치(201)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202)와 연결된 상태인 경우, 상기 차량 사고 발생이 감지됨에 기반하여,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생체 신호에 기반한 상기 사용자의 이상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상기 사용자의 이상 상태에 기반하여, 긴급 호출을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identify an abnormal state of the user based on a bio-signal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when the electronic device (201) is connected to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2) worn by the user, based on detection of the occurrence of the vehicle accident.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perform an emergency call based on the abnormal state of the use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상기 전자 장치(201)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202)와 연결된 상태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 간의 페어링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202)와 공통되는 특정 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display a specific code common to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2) to indicate a pairing status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when the electronic device (201) is connected to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2) worn by the user.
515 동작에서, 전자 장치(201)는, 상기 인디케이터를 이용한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대한 외부 전자 장치(예: 도 2a의 외부 전자 장치(204))의 액세스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할 수 있다. I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상기 인디케이터를 이용한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대한 외부 전자 장치의 액세스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의 공개 수준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상기 식별된 공개 수준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201) can identify a level of disclosure of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in response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s access to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using the indic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201) can display at least a portion of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based on the identified level of disclosur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접근 권한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의 공개 수준을 식별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201) can identify the level of disclosure of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based on the access authority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상기 식별된 공개 수준이 제1 공개 수준임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 중 상기 사용자의 신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display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among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based on the identified public level being the first public level.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상기 식별된 공개 수준이 제2 공개 수준임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기록된 건강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display health information recorded by the user among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based on the identified public level being the second public level.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상기 식별된 공개 수준이 제3 공개 수준임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 중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전자 의료 기록을 표시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display electronic medical records for the user among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based on the identified public level being the third public level.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상기 인디케이터를 이용한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대한 외부 전자 장치의 액세스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한 센싱 정보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응급 이송 시점 또는 의료 기관 도착 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상기 응급 이송 시점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기록된 건강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상기 의료 기관 도착 시점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 중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전자 의료 기록을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in response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s access to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using the indicator, identify the time of emergency transport or the time of arrival at a medical institution based on sensing information by the at least one sensor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based on identifying the time of emergency transport, display health information recorded by the user among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based on identifying the time of arrival at the medical institution, display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for the user among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사고 관련 사용자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상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동작 방법은 605 동작 내지 630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동작 방법의 각 동작은, 전자 장치(예: 도 1 전자 장치(101), 도 2a 내지 도 3의 전자 장치(201)),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3의 프로세서(32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605 동작 내지 630 동작 중 적어도 하나가 생략되거나, 일부 동작들의 순서가 바뀌거나, 다른 동작이 추가되거나,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6의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7 내지 도 9c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FIG. 6 is a detailed operation flowchart of a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user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a vehicle accid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ferring to FIG. 6, the operation method may include
도 6을 참조하면, 605 동작에서, 전자 장치(201)는, 사용자 관련 신상 정보, 건강 정보 및 전자 의료 기록을 포함하는 사용자 상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in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01)는, 도 4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포함된 정보들을 제1 공개 수준 내지 제3 공개 수준 각각에 대응하도록(또는 연관시켜) 신상 정보, 건강 정보, 전자 의료 기록으로 분류한 후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는, 전자 장치(201)의 메모리(예: 도 3의 메모리(330))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서버(예: 도 2a의 서버(208))에 저장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classify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into personal information, health information, and electronic medical records, and encrypt and store the information so as to correspond to (or associate with) each of the first to third disclosure levels, as in FIG. 4.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a memory of the electronic device (201) (e.g., memory (330) of FIG. 3) or a server accessible by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server (208) of FIG. 2A).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01)는, 사용자 관련 신상 정보, 건강 정보 및 전자 의료 기록을 각각 구분하여 메모리(예: 도 3의 메모리(330)) 및/또는 외부 전자 장치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서버(예: 도 2a의 서버(208))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201)는,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포함된 정보들을 공개 수준과 연관시키지 않고 저장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store user-related personal information, health information, and electronic medical records separately in a memory (e.g., memory (330) of FIG. 3) and/or a server (e.g., server (208) of FIG. 2A) accessible by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at is,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stor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without associating it with a level of disclosure.
610 동작에서, 전자 장치(201)는,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주행 상태를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주행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동작은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행동 인식(activity recognition) 기능을 제공하는데, 예를 들어, 가만히 있는 상태(예: sedentary/stationary 상태), 자전거를 타는 상태(예: cycling 상태), 또는 자동차와 같은 차량에 탑승한 상태(예: in vehicle 상태)를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차량 탑승 상태(예: in vehicle 상태)는 전자 장치(201)가 차량(210)과 블루투스 연결될 때 활성화(또는 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 상태에 대응하는 차량 기능(예: 운전 중 스피커 통화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I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 탑승 상태(예: in vehicle 상태)에서 주행 상태는 다양한 정보(예: 가속도, Bluetooth, GPS, 또는 WiFi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모니터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210)과 블루투스 연결된 경우, GPS 속도 정보가 지정된 속도(예: 약 10m/s)이고, WiFi 스캐닝 리스트(또는 WiFi AP)의 변화가 큰 경우, 또는 가속도의 패턴 분석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201)는, 차량 탑승 상태(예: in vehicle 상태)에 해당함을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riving state in a vehicle boarding state (e.g., in vehicle state) can be monitored by collecting various information (e.g., acceleration, Bluetooth, GPS, or WiFi information). For example, in case of Bluetooth connection with the vehicle (210), if the GPS speed information is a specified speed (e.g., about 10 m/s), if the change in the WiFi scanning list (or WiFi AP) is large, or if based on at least one of acceleration pattern analysis, the electronic device (201) can determine that the vehicle boarding state (e.g., in vehicle state) corresponds to.
따라서 차량 탑승 상태에서는 센서 모듈(310)(예: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을 통해 센싱된 값이 임계치 이상일 경우 단순한 낙상 사고가 아닌 차량 사고 발생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사고 발생 상황을 인식하는데 있어, 센서 모듈(310) 이외에 전술한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value sensed through the sensor module (310) (e.g., acceleration sensor, gyro sensor) while riding in a vehicle is above a threshold value, it can be confirmed that a vehicle accident has occurred, not a simple fall accident. At this time, in order to recognize the vehicle accident occurrence situation, various methods other than the sensor module (310) described above can be used.
이와 같이 백그라운드로 동작하는 차량에 탑승하는 상태(예: in vehicle 상태)에서 주행 상태가 모니터링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 사고 발생도 감지될 수 있다. 차량 주행 상태를 모니터링하면서 차량 사고 발생을 감지하는 동작은 전자 장치(201)뿐만 아니라 웨어러블 전자 장치(202)에서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way, the driving state can be monitored while riding in a vehicle operating in the background (e.g., in vehicle state), and thus, the occurrence of a vehicle accident can also be detecte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operation of detecting the occurrence of a vehicle accident while monitoring the vehicle driving state can be performed substantially identically not only in the electronic device (201) but also in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2).
한편, 전술한 바에서는 백그라운드로 동작 중인 차량에 탑승하는 상태(예: in vehicle 상태)에서 차량 주행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상태에서도 차량 주행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도 있음을 물론이다. Meanwhile, in the above, the case of monitoring the vehicle driving status while riding in a vehicle running in the background (e.g., in vehicle status) was explained as an example, but it is of course possible to monitor the vehicle driving status even while the navigation application is running.
615 동작에서, 주행 상태를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중에 전자 장치(201)는, 차량 사고가 발생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In
620 동작에서, 전자 장치(201)는, 차량 사고의 발생을 식별함에 대응하여, 사고 발생을 알릴 수 있다. 반면, 차량 사고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에는 차량 운행이 종료되지 않는 한, 610 동작에서 주행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동작을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In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01)는, 도 7 또는 도 8에서와 같이 사고 발생을 알리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사고 발생 시의 제2 화면 예시도이고,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사고 발생 시의 화면 예시도이다. In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display a screen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as in FIG. 7 or FIG. 8. FIG. 7 is an example of a second screen when a vehicle accident occur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FIG. 8 is an example of a screen when a vehicle accident occur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차량 사고의 발생이 감지되면, 전자 장치(201)는, 700a에서와 같이 사고 발생을 알리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알림에 대한 사용자 피드백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조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미한 사고의 경우 사용자는 상기 알림에 대해 긴급 연락의 해제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예컨대, 지정된 시간(예: 10초) 동안 사용자가 '취소' 버튼을 선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긴급 구조를 요청할 수 없는 고위험 상태라고 판단하여, 700b 및 700c에서와 같이 지정된 기관이나 지정된 연락처(예: 가족, 119)로 긴급 호출이 수행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when the occurrence of a vehicle accident is detected,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output a notification notifying the occurrence of the accident, as in 700a. A rescue notification may be selectively provided according to user feedback on the notifica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minor accident, the user may select to release the emergency contact for the notification. In contrast, if the user does not select the 'cancel' button for a specified time (e.g., 10 seconds),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is in a high-risk state where he or she cannot request emergency rescue, and an emergency call may be made to a specified agency or a specified contact (e.g., family, 119) as in 700b and 700c.
한편, 긴급 구조를 직접 요청할 수 없을 때, 긴급 호출이 수행되더라도 사용자가 의식을 잃어 사용자와 구조를 위한 대화를 할 수 없는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긴급 호출 시 구조 센터에 사고 내용을 전달하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로 텍스트로 전화받기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에서 차량 사고 발생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구조 센터(예: 119)에 통화를 위해 연결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의식이 없기 때문에 학습 모델 AI에 기반하여 긴급 상황임을 안내하고 긴급 구조를 요청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통화 설정에서 텍스트로 전화받기를 설정(또는 활성화)해놓은 경우, 학습 모델 AI가 사용자를 대신하여 대화하는 것임을 안내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전자 장치(201)와 구조 센터가 연결됨에 따라 안내되는 화면(800)을 예시하고 있다. Meanwhile, when it is impossible to directly request emergency rescue, even if an emergency call is made, the user may be unconscious and unable to have a conversation with the user for rescue. Therefore, a text-based call reception function can be used as one of the methods for transmitting the details of the accident to the rescue center when making an emergency call. For example, when an electronic device (201) detects a car accident, it can automatically connect to a rescue center (e.g., 119) for a call, and since the user is unconscious, it can guide the user that it is an emergency situation based on the learning model AI and perform an action to request emergency rescue. For example, if the user has set (or activated) the text-based call reception in the call settings, it can guide the user that the learning model AI is talking on behalf of the user. FIG. 8 illustrates an example screen (800) that is guided when the electronic device (201) and the rescue center are connected.
도 8에서와 같이, 구조 센터(예: 119)와 통화 연결되면(810), 학습 모델 AI는 차량 사고가 발생하여 구조를 요청한다는 내용을 음성으로 구조 센터(예: 119)측으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구조 요청 내용은 전자 장치(201) 상에 텍스트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학습 모델 AI는 사고 발생과 관련된 내용을 음성으로 구조 센터(예: 119)측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사고 발생이라는 것을 알리는 내용(820)과, 사고 발생 장소, 또는 사고자의 상태와 관련된 내용(830)을 음성으로 구조 센터(예: 119)측으로 출력할 수 있다. As in Fig. 8, when a call is connected to a rescue center (e.g., 119) (810), the learning model AI can output to the rescue center (e.g., 119) in voice that a vehicle accident has occurred and a rescue is requested. Here, the rescue request content can be displayed as text on the electronic device (201). In addition, the learning model AI can output to the rescue center (e.g., 119) in voice the content related to the accident. For example, the content (820) notifying that a vehicle accident has occurred and the content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accident or the condition of the accident victim (830) can be output to the rescue center (e.g., 119) in voice.
일 실시 예에서, 사고 관련 내용을 요약한 텍스트를 STT(speech-to-text) 기술을 이용하여 지정된 보이스 또는 사용자의 음성으로 학습된 보이스로 변환하고, 이를 음성 형태로 출력하는 동작은 학습 모델 AI에 수행될 수 있으나, LLM(large language model)과 같은 생성형 AI 모델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8에서는 사고 발생 장소, 사고자의 상태를 알리는 사고 내용을 예시하고 있으나, 전자 장치(201) 및/또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202)에서의 센싱된 정보에 기반하여 사고 종류, 사고 강도, 또는 동승자 수와 같이 다양한 정보를 음성 또는 텍스트 형태로 제공 가능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operation of converting text summarizing accident-related content into a voice learned as a designated voice or the user's voice using STT (speech-to-text) technology and outputting it in voice form may be performed by a learning model AI, but may also be performed by a generative AI model such as an LLM (large language model). In Fig. 8, accident content notifying the location of the accident and the condition of the accident victim is exemplified, but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he type of accident, the severity of the accident, or the number of passengers may be provided in voice or text form based on sensed information from an electronic device (201) and/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2).
625 동작에서, 전자 장치(201)는, 차량 사고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In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01)는, 도 9a에서와 같이 차량 사고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9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사고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 예시도이다. In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display a screen showing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as in FIG. 9a. FIG. 9a is an example diagram of a screen showing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9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1)는 90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사고 정보를 나타내는 알림은, 사고 발생 일시(905)(또는 사고 추정 시간), 사고 발생 위치(910)(또는 사고 발생 장소), 사고 종류(예: 차량 전면 충돌, 후면 충돌, 측면 충돌, 또는 전복) 및 사고 강도 추정(915)(예: 상, 중, 하), 동승자 수 및 사고 상황(920)을 나타내는 항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차량 사고 정보는, 긴급 호출 후 구급 대원이 사고 상황을 파악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a,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include items indicating the time and date of accident occurrence (905) (or estimated time of accident), location of accident occurrence (910) (or place of accident occurrence), type of accident (e.g., frontal collision, rear collision, side collision, or rollover of vehicle), estimated severity of accident (915) (e.g., high, medium, low), number of passengers, and accident situation (920) as shown in 900a. The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used by paramedics to identify the accident situation after an emergency call.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01)는, 차량 사고 정보를 표시하면서, 구급 대원이 사용자 신원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의 기본적인 신상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항목(930)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급 대원이 상기 항목(930)을 선택할 경우, 전자 장치(201)는 도 9b에서와 같은 사용자의 신상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900b)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는, 차량 사고 발생의 감지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상태 정보 중 제1 공개 수준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신상 정보를 식별하고, 식별된 신상 정보를 차량 사고 정보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provide an item (930) for displaying basic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that allows paramedics to identify the user while displaying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the paramedics select the item (930),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output a screen (900b) showing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as in FIG. 9b.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identify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closure level of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in response to detection of a vehicle accident occurrence, and provide the identified personal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만일 차량에 사용자 이외에 동승자가 있는 경우, 전자 장치(201)가 누구의 기기인지를 매칭하는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201)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1)와 웨어러블 전자 장치(202) 각각에 공통되는 정보(950, 95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9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사고 시 전자 장치와 페어링 상태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If there is a passenger other than the user in the vehicle, a process of matching whose device the electronic device (201) belongs to may be required. Accordingly,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display information (950, 955) common to each of the electronic device (201) and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2), as illustrated in FIG. 9b. FIG. 9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ic device and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 a pairing state in the event of a vehicle accid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한편, 전술한 바에서는 도 9a에서의 구급 정보를 나타내는 항목(930)을 선택한 경우에 사용자의 신상 정보가 도 9b에서와 같이 표시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사용자의 신상 정보를 표시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는 사용자의 신상 정보도 노출되지 않도록 차량 사고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900a)을 표시하고, 구급 정보를 나타내는 항목(930)에 대한 선택 시 도 9c에서와 같이 인증된 대상에 의한 사용자 상태 정보에 대한 액세스만 가능하도록 하는 화면(900c)을 표시할 수 있다. 도 9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사고 관련된 사용자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나타낸 화면 예시도이다. Meanwhile, in the above, when the item (930) indicating emergency information in FIG. 9a is selected,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is displayed as in FIG. 9b, but the method of displaying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may not be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display a screen (900a) indicating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so that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is not exposed, and when the item (930) indicating emergency information is selected, a screen (900c) may be displayed that allows only access to user status information by an authenticated subject, as in FIG. 9c. FIG. 9c is an example screen diagram showing an indicator for providing user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a vehicle accid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일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201)는 사용자의 신상 정보가 제공되는 화면(900b)에서 의료 정보를 나타내는 항목(945)과 구급 정보를 나타내는 항목(940)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 정보를 나타내는 항목(945) 또는 구급 정보를 나타내는 항목(940)에 대한 선택 시, 전자 장치(201)는 도 9c에서와 같이 인증된 대상에 의한 사용자 상태 정보에 대한 액세스만 가능하도록 하는 화면(900c)을 표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provide an item (945) representing medical information and an item (940) representing emergency information on a screen (900b) where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is provided. Accordingly, when selecting an item (945) representing medical information or an item (940) representing emergency information,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display a screen (900c) that allows only authenticated subjects to access user status information, as in FIG. 9c.
630 동작에서, 전자 장치(201)는, 인증된 외부 사용자에 의해 액세스 가능하도록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In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01)는, 도 9c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인디케이터(960) 및 구급 대원 또는 의료진에 의한 열람이 가능함을 안내하는 메시지(965)를 포함하는 화면(900c)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구급 대원 또는 의료진이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열람하기 위한 열람용 키 입력창(970)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열람용 키는 구급 대원 또는 의료진에 대해 발급되는 인증키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접근하기 위한 접근자 키라고 칭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열람용 키는 구급 대원 또는 의료진에 대해 사고 발생 시에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예: 도 2a의 서버(208))와의 인증을 통해 발급될 수 있으며, 별도의 인증을 통해 사전에 공유된 정보(또는 키)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전에 공유된 인증 정보(예: 의료진 번호, 구급차 운용 통보(신고) 번호)를 열람용 키 입력창(970)에 입력할 수도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display a screen (900c) including an indicator (960) for providing user status information, as in FIG. 9c, and a message (965) guiding that viewing by paramedics or medical staff is possible. In addition, a viewing key input window (970) for viewing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for the paramedics or medical staff. Here, the viewing key may be an authentication key issued to the paramedics or medical staff, and may also be referred to as an access key for accessing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This viewing key may be issued to the paramedics or medical staff through authentication with a server (e.g., server (208) of FIG. 2a) that manages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in the event of an accident, and may also be information (or key) shared in advance through separate authentication. For example, previously sha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e.g., medical staff number, ambulance operation notification (report) number) may be entered into the viewing key input window (970).
열람용 키는 외부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암호화 처리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960)를 이용한 열람 요청 시 열람용 키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급 대원 또는 의료진에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구급 대원 또는 의료진이 인증을 통해 열람용 키를 발급받을 상태인 경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열람하기 위해 전자 장치(201)의 창(920)을 통해 직접 열람용 키(또는 인증키)를 입력할 수 있다. The key for viewing can be displayed in an encrypted form so as not to be exposed to external users. When a request for viewing is made using an indicator (960), the key for viewing can be transmitted to paramedics or medical staff through a specific application. In addition, when the paramedics or medical staff are in a state where they are issued a key for viewing through authentication, they can directly input the key for viewing (or authentication key) through the window (920) of the electronic device (201) to view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01)에서 입력된 열람용 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공개할 대상 즉, 구급 대원 또는 의료진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201)를 통해 입력된 열람용 키는 서버(208)로 전달되어 서버(208)에서 상기 입력된 열람용 키를 인증하여 그 인증 결과를 전자 장치(201)에 제공할 수도 있다. In one embodiment, authentication can be performed on a target to whom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is to be disclosed, i.e., a paramedic or medical staff, using the viewing key inputted in the electronic device (201). In addition, the viewing key inputted through the electronic device (201) can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208), and the server (208) can authenticate the input viewing key and provide the authentication result to the electronic device (201).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열람하는데 필요한 열람용 키는 구급 대원 또는 의료진이 서버(208)와의 인증을 통해 사전에 미리 발급받을 수 있으며, 열람용 키(또는 인증키)를 발급받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viewing key required to view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may be issued in advance to a paramedic or medical staff through authentication with the server (208), and the method of issuing the viewing key (or authentication key) may not be limited thereto.
구급 대원 또는 의료진이 인증을 통해 열람용 키를 발급받기 위한 방법 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 9d를 참조하기로 한다. Refer to FIG. 9d to illustrate one example of a method for a paramedic or medical staff to obtain a viewing key through authentication.
도 9d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급 대원 및/또는 의료진의 외부 전자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 예시도이다.FIG. 9d is an example screen displayed on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of a paramedic and/or medical staff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9d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사고 현장에 도착한 구급 대원은 외부 전자 장치(204) 즉, 자신의 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인디케이터(예: 도 9c의 인디케이터(960))를 촬영(또는 스캔)할 경우, 90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고자의 기기 정보 즉, 전자 장치(201)의 정보 입력창(980)에는 자동으로 특정 키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인증 방식 선택창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가 구급대원 또는 의료진임을 인증할 수 있는 방식을 선택하는 창으로, 구급대원 또는 의료진이 본인 인증을 완료할 수 있다. 이후 '입력' 버튼을 선택하면, 서버(208)에서 구급대원 또는 의료진에 대한 인증키를 생성하고, 외부 전자 장치(204)는 생성된 인증키를 서버(208)로부터 획득하여, 어플리케이션 화면 상에 인증키(990)를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d, for example, when a paramedic who has arrived at the scene of an accident takes a picture (or scans) of an indicator (e.g., indicator (960) of FIG. 9c) for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of a user using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4), i.e., his/her own device, a specific key may be automatically input into the information input window (980) of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accident victim, i.e., the electronic device (201), as illustrated in 900d. In addition, the authentication method selection window is a window for selecting a method by which a user of a specific application can authenticate himself/herself as a paramedic or medical staff, and the paramedic or medical staff can complete his/her identity authentication. Thereafter, when the 'input' button is selected, the server (208) generates an authentication key for the paramedic or medical staff, and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4) obtains the generated authentication key from the server (208) and displays the authentication key (990) on the application screen.
일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생성된 인증키(990)를 도 9c의 입력창(970)에 입력함으로써 구급 대원임을 인증한 후에 구급 대원의 접근 권한에 대응하는 공개 수준으로 사용자 상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열람할 수 있다. 의료진의 경우에는 실제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열람하기 위해서는 상기 인디케이터를 통해 의료진임을 인증한 후에 의료진의 접근 권한에 대응하는 공개 수준으로 사용자 상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열람할 수 있다. 구급 대원 또는 의료진과 같은 외부 사용자의 외부 전자 장치를 인증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by inputting the authentication key (990) generated in the above manner into the input window (970) of FIG. 9c, after authenticating that you are a paramedic, you can view at least a portion of the user status information at a public level corresponding to the paramedic's access rights. In the case of medical staff, in order to view the status information of an actual user, you can authenticate that you are a medical staff through the indicator, and then view at least a portion of the user status information at a public level corresponding to the medical staff's access rights. In order to specifically examine a method for authenticating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of an external user such as a paramedic or medical staff, reference may be made to FIGS. 10a and 10b.
도 10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개 수준이 다른 차량 사고 관련된 사용자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고, 도 10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동작 방법은 1005 동작 내지 1025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ㅁ의 동작 방법의 각 동작은, 전자 장치(예: 도 1 전자 장치(101), 도 2a 내지 도 3의 전자 장치(201)),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3의 프로세서(32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1005 동작 내지 1025 동작 중 적어도 하나가 생략되거나, 일부 동작들의 순서가 바뀌거나, 다른 동작이 추가되거나,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0a의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0b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FIG. 10A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user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a vehicle accident with different levels of disclo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10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uthent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ferring to FIG. 10A, the operation method may include
도 10a를 참조하면, 1005 동작에서, 전자 장치(201)는, 인증된 외부 사용자에 의해 액세스 가능하도록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인디케이터(예: 도 9c의 인디케이터(960))를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a, in
1010 동작에서, 전자 장치(201)는,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대한 액세스가 있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액세스는 구급 대원 또는 의료진이 가지고 있는 외부 전자 장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In
1015 동작에서,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대한 액세스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201)는,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공개할 대상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In
도 10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1)는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208a)(예: 도 2a의 서버(208))와 사전에 인증 정보를 동기화하는 동작을 주기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201)와 서버(208a) 각각은 암호화 및 복호화를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인증 정보를 암호화 또는 복화할 수 있어 인증 정보에 대한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201)는 QR 코드와 같은 인증 정보를 서버(208)에 전송하여 동기화(1050)할 수 있다. 여기서, QR 코드와 같은 인증 정보는 전자 장치(201)에서 주기적으로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 만일 전자 장치(201)와 서버(208a) 간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거나, 차량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전자 장치(201)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생성한 인증 정보가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공개할 대상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가장 마지막으로 생성한 전자 장치(201)에서의 인증 정보를 장치 키라고 명명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 키는 서버(208a)에서도 동기화를 통해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실제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만 구급대원 또는 의료진이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열람을 제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b,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periodically perform an operation of synchroniz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 advance with a server (208a) that manages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e.g., the server (208) of FIG. 2a). Here, the electronic device (201) and the server (208a) may each encrypt or decrypt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using an encryption and decryption algorithm, thereby enhancing the security of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transmit authentication information such as a QR code to the server (208) to synchronize (1050). Here,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uch as a QR code may be periodically generated in the electronic device (201). If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201) and the server (208a) is disconnected or a vehicle accident occur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ost recently generated in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be used to perform authentication on a target to which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is to be disclosed.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ost recently generated in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be named a device key. These device keys can also be synchronized with the server (208a) and used to limit access to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so that paramedics or medical personnel can only view it in the event of an actual accident.
만일 차량 사고 발생이 감지되면, 전자 장치(201)는 도 9c의 90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급대원 또는 의료진에 의한 접근만 가능하도록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인디케이터(960) 및 열람용 키를 입력하기 위한 창(970)을 표시할 수 있다. 구급대원 또는 의료진은 열람용 키(또는 접근자 키)(예: 아이디 및 패스워드, 인증 키)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열람용 키는 사전에 공유된 인증 정보(예: 의료진 번호, 구급차 운용 통보(신고)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 키(또는 QR 코드)와 열람용 키는 서버(208a)로 전송(1060)될 수 있으며, 서버(208a)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받은 장치 키(또는 QR 코드)와 열람용 키를 암호화하여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열람하는 데 필요한 인증키(또는 사고 키)를 생성하여 구급대원 또는 의료진의 외부 전자 장치(204)로 전송할 수 있다. If a vehicle accident is detected,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display an indicator (960) for providing user status information and a window (970) for entering a viewing key so that only paramedics or medical staff can access it, as shown in 900c of FIG. 9c. The paramedics or medical staff may enter a viewing key (or access key) (e.g., ID and password, authentication key). In addition, the viewing key may include previously sha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e.g., medical staff number, ambulance operation notification (report) number). The device key (or QR code) and the viewing key can be transmitted (1060) to the server (208a), and the server (208a) can encrypt the device key (or QR code) and the viewing key provided through a specific application to generate an authentication key (or accident key) required to view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and transmit it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4) of a paramedic or medical staff.
구급대원 또는 의료진이 제공받은 인증키(또는 사고 키)를 전자 장치(201)에 입력할 경우, 전자 장치(201)에서는 복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인증키(또는 사고 키)로부터 복호화한 정보가 전자 장치(201)가 가지고 있는 인증 정보(또는 장치 키)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일 복호화한 정보가 전자 장치(201)가 가지고 있는 인증 정보(또는 장치 키)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열람하고자 하는 대상이 구급대원인지 또는 의료진인지를 확인하여 해당 대상에 대응하는 인증 키를 제공함으로써, 구급대원 또는 의료진은 사용자 상태에 대한 단계별 정보 열람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공개할 대상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동작은 서버(208a)에 의해 생성되는 키를 이용할 수 있으나, 그 인증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When a paramedic or medical staff inputs the authentication key (or accident key) provided to the electronic device (201), the electronic device (201) can check whether the information decrypted from the authentication key (or accident key) through a decryption algorithm match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r device key) held by the electronic device (201). If the decrypted information match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r device key) held by the electronic device (201), the paramedic or medical staff can check whether the subject who wants to view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is a paramedic or a medical staff and provide the authentication key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thereby enabling the paramedic or medical staff to view step-by-step information on the user's status. In this way, the operation of performing authentication on the subject to whom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is to be disclosed can use a key generated by the server (208a), but the authentication method may not be limited thereto.
반면,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대한 액세스가 없는 경우에는 1005 동작에서, 전자 장치(201)는 상기 인디케이터의 표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일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대한 액세스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no access to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in
일 실시 예에서, 외부 전자 장치에 의한 액세스는, 전자 장치(201)에 표시되고 있는 인디케이터를 외부 전자 장치가 스캔(또는 촬영)하는 동작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는, 도 11의 1100a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나의 인디케이터를 이용하여 인증된 대상별로 다른 공개 수준의 차량 사고 관련된 사용자 상태 정보가 제공되는 화면 예시도이다. In one embodiment, access by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may indicate an action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scanning (or photographing) an indicator displayed on the electronic device (201).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display an indicator for providing user status information, as in 1100a of FIG. 11. FIG. 11 is an example screen diagram showing user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a vehicle accident at different levels of disclosure is provided for each authenticated subject using one indic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상기 스캔 동작에 의해 외부 전자 장치에는 열람이 가능한 대상인지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급 대원 또는 의료진은 사전에 공유된 인증 정보(예: 의료진 번호, 구급차 운용 통보(신고) 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The above scan operation may cause a screen to be displayed on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for enter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verify whether the object is viewable. Accordingly, the paramedic or medical staff may enter previously sha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e.g., medical staff number, ambulance operation notification (report) number).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된 인증 정보는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예: 도 2a의 서버(208))에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서버를 통해 전자 장치(201)에 인증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는 상기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인증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공개할 대상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Authentica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may be transmitted to a server (e.g., server (208) of FIG. 2A) that manages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electronic device (201) through the server.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perform authentication on a target to which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is to be disclosed based o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server.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01)를 대신하여, 상기 서버에서 상기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인증 완료 후 인증 완료에 따른 알림을 전자 장치(201)에 전송함으로써, 전자 장치(201)에서도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공개할 대상에 대한 인증 완료를 인지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instead of the electronic device (201), the server can perform authentication for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us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fter the authentication is completed, the server transmits a notification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authentication to the electronic device (201), so that the electronic device (201) can also recognize the completion of authentication for a target to which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is to be disclosed.
한편, 전술한 바에서는 1100a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인디케이터의 일 예로, QR 코드를 예시하고 있으나, 민감한 정보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보안 처리 예컨대, ‘*'로 블라인드 처리한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구급 대원 또는 의료진은 보안 처리된 사용자의 상태 정보가 표시되는 화면을 통해 사용자의 상태 정보의 제공이 가능한 상태임을 알 수 있지만, 실제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없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구급 대원 또는 의료진은 상기 전자 장치(201)의 화면(예: 도 9c에서와 같이 열람용 키 입력창(970)) 상에 인증 정보(예: 인증키)를 입력함으로써, 전자 장치(201)는 입력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공개할 대상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급 대원과 의료진 각각은 서로 다른 인증 정보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case, as an example of an indicator for providing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such as 1100a, a QR code is exemplified, but an indicator in which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is processed for security purposes, for example, blinded with '*', may be displayed to prevent exposure of sensitive information. Accordingly, paramedics or medical staff may know that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hrough a screen in which the secured user's status information is displayed, but may not be able to confirm the actual user's status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paramedics or medical staff may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e.g., an authentication key) on the screen of the electronic device (201) (e.g., a viewing key input window (970) as in FIG. 9c), so that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perform authentication on the target to which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is to be disclosed using the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the paramedics and the medical staff may each have different authentication information.
1020 동작에서, 전자 장치(201)는, 인증된 대상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상태 정보의 공개 수준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는, 입력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구급 대원의 외부 전자 장치인지 의료진의 외부 전자 장치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201)는, 식별된 외부 전자 장치에 대응하는 공개 수준을 결정할 수 있다. In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포함된 정보들을 공개 수준과 연관시키지 않고 저장한 경우에는, 전자 장치(201)는 차량 사고 발생 시 외부 전자 장치에 의한 액세스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접근 권한을 식별하여 접근 권한에 대응하는 공개 수준을 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상태 정보 중 공개 수준에 대응하는 정보를 식별(또는 추출, 생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is stored without being associated with a public level, the electronic device (201) can identify the access authority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in response to access by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in the event of a vehicle accident and determine the public level corresponding to the access authority, thereby identifying (or extracting, genera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ublic level among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예를 들어, 학습 모델 AI는, 차량 사고 정보와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응급 상황이 구급 대원에 의한 응급 처치가 필요한 상황인지 병원 의료진의 진단 및 치료가 필요한 상황인지를 추론할 수 있다. 학습 모델 AI는, 사용자의 상태 정보 중에서 추론된 상황에서 필요한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정보들을 공개 수준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learning model AI can infer whether the user's emergency situation requires emergency treatment by paramedics or diagnosis and treatment by hospital medical staff based on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and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The learning model AI can identify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inferred situation among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and classify the identifi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disclosure.
1025 동작에서, 전자 장치(201)는, 공개 수준에 따라 사용자의 상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는 구급 대원의 외부 전자 장치의 접근 권한에 따라 제2 공개 수준임을 식별함에 대응하여, 1100b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상태 정보 중 응급 처치에 필요한 사용자에 의해 기록된 건강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의료진의 외부 전자 장치의 접근 권한에 따라 제3 공개 수준임을 식별함에 대응하여, 1100c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상태 정보 중 진단 및 치료에 필요한 전자 의료 기록을 표시할 수 있다. In
한편, 도 11의 1100a에서는 하나의 인디케이터를 이용하여 인증이 완료된 경우, 1100b 및 1100c에서와 같이 인증된 대상별로 다른 공개 수준으로 사용자 상태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다르게 제공되는 화면이 다르게 표시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도 12 및 도 13에서와 같이 공개 수준별로 사용자 상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진입하는 화면이 다르게 표시될 수도 있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상태 정보 중 건강 정보가 제공되는 화면 예시도이고,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상태 정보 중 전자 의료 기록이 제공되는 화면 예시도이다. Meanwhile, in 1100a of FIG. 11, when authentication is completed using a single indicator, a screen is displayed differently for providing at least a part of the user status information at different disclosure levels for each authenticated target, as in 1100b and 1100c, but an entry screen for displaying the user status information at different disclosure levels may be displayed differently, as in FIGS. 12 and 13. FIG. 12 is an example diagram of a screen in which health information is provided among user status inform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FIG. 13 is an example diagram of a screen in which electronic medical records are provided among user status inform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1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1)는, 차량 사고 시 사용자의 신상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1200a)에서 구급 정보를 나타내는 항목(1210)을 제공할 수 있다. 만일 외부 사용자에 의해 상기 항목(1210)이 선택되는 경우, 전자 장치(201)는, 구급 정보(예: 사용자에 의해 기록된 건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화면(1200b)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구급 정보를 나타내는 항목(1210)이 선택되었더라도, 구급 정보를 요청하는 대상이 인증된 대상인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전자 장치(201)에서는 보안 처리된 사용자의 상태임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상기 인디케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구급 정보에 액세스한 대상을 인증할 수 있다. 만일 상기 구급 정보에 액세스한 대상이 구급 대원의 외부 전자 장치임을 식별한 경우, 전자 장치(201)는, 사용자에 대한 구급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1200c)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구급 정보는 구급 대원이 응급 처치에 필요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료진의 경우 보다 높은 공개 수준의 정보가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의료 정보를 나타내는 항목(1200)을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provide an item (1210) indicating emergency information on a screen (1200a) that displays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in the event of a vehicle accident. If the item (1210) is selected by an external user,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display a screen (1200b) for providing emergency information (e.g., health information recorded by the user). Here, even if the item (1210) indicating emergency information is selected, since it is not known whether the subject requesting the emergency information is an authenticated subject,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display an indicator indicating the status of a secured user.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authenticate the subject accessing the emergency information using the indicator. If it is identified that the subject accessing the emergency information is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of a paramedic,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display a screen (1200c) including emergency information about the user. Here, emergency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that paramedics need to provide emergency treatment, and medical staff may need information at a higher level of disclosure. For this purpose, an item (1200) indicating medical information may be provided.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는 도 13의 1300a에서와 같이 의료 정보를 나타내는 항목(1310)에 대한 선택에 대응하여, 의료 정보(예: 전자 의료 기록)를 제공하기 위한 화면(1300b)을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상기 인디케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의료 정보에 액세스한 대상을 인증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의료 정보에 액세스한 대상이 의료진의 외부 전자 장치임을 식별한 경우, 전자 장치(201)는, 사용자에 대한 의료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1300c)을 표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display a screen (1300b) for providing medical information (e.g., electronic medical record) in response to a selection of an item (1310) representing medical information, as in 1300a of FIG. 13.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authenticate a subject accessing the medical information using the indicator. If it is identified that the subject accessing the medical information is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of a medical professional, the electronic device (201) may display a screen (1300c) including medical information about the user.
한편, 전술한 바에서는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액세스한 대상에 따라 공개 수준이 다른 화면이 표시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센서 모듈(310)에 의한 센싱 정보 및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예: GPS 정보)를 이용하여 응급 이송 시점 또는 의료 기관 도착 시점에 따라서도 공개 수준이 다른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above, a case where a screen with a different level of disclosure is displayed depending on the target accessing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was explained as an example, but a screen with a different level of disclosure may also be displayed depending on the time of emergency transport or arrival at a medical institution by using sensing information by the sensor module (310) and location information (e.g., GPS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는, 구급 정보에 액세스한 대상이 구급 대원의 외부 전자 장치 또는 응급 이송 시점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조합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응급 이송 시점임을 확인한 경우 구급 대원의 외부 전자 장치에 의한 액세스에 대응하여 응급 처치에 필요한 사용자의 건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201)는 구급 대원의 외부 전자 장치에 의한 액세스임을 확인하고 응급 이송 시점임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응급 처치에 필요한 사용자의 건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201)는, 의료 정보에 액세스한 대상이 의료진의 외부 전자 장치임을 식별하거나 의료 기관 도착 시점을 확인하거나 또는 그 조합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의료진의 외부 전자 장치에 의한 액세스에 대응하여 진단 및 치료에 필요한 사용자의 전자 의료 기록을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201) can identify at least one or a combination of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of a paramedic or an emergency transport point that has accessed the emergency information. If the electronic device (201) identifies the time of emergency transport, it can provide the user's health information necessary for emergency treatment in response to the access by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of the paramedic. In addition, the electronic device (201) can identify the access by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of a paramedic and provide the user's health information necessary for emergency treatment in response to the confirmation that the access is by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of the paramedic and the confirmation that the time of emergency transport is. In addition, the electronic device (201) can provide the user's electronic medical record necessary for diagnosis and treatment in response to the access by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of the medical staff based on identifying the object that has accessed the medical information as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of the medical staff, confirming the time of arrival at the medical institution, or confirming a combination thereof.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 사고 발생 시, 전자 장치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인증되지 않은 외부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프라이버시 침해를 방지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in the event of a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about a user of an electronic device can be minimized from being exposed to unauthorized external users, thereby preventing privacy invasion.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may be devices of various forms. The electronic devices may include, for exampl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e.g., smartphones), computer devices, portable multimedia devices, portable medical devices, cameras, wearable devices, or home appliance devices. The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devices.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and the terminology used herei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features described in this document to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of the embodiments.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similar or related components. The singular form of a noun corresponding to an item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ite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document, each of the phrases "A or B", "at least one of A and B", "at least one of A or B", "A, B, or C", "at least one of A, B, and C", and "at least one of A, B, or C" can include any one of the items listed together in the corresponding phrase, or all possible combinations thereof. Terms such as "first", "second", or "first" or "second" may be used mere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do not limit the components in any other respect (e.g., importance or order). When a component (e.g., a first) is referred to as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e.g., a second) component, with or without the terms "functionally" or "communicatively," it means that the component can be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directly (e.g., wired), wirelessly, or through a third component.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term "module" us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may include a unit implemented in hardware, software or firmware, and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terms such as logic, logic block, component, or circuit, for example. A module may be an integrally configured component or a minimum unit of the component or a part thereof that performs one or more functions. For examp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modul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에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ocument may be implemented as software (e.g., a program (140)) including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in a storage medium (e.g., an internal memory (136) or an external memory (138)) readable by a machine (e.g., an electronic device (101)). For example, a processor (e.g., a processor (120)) of the machine (e.g., an electronic device (101)) may call at least one instruction among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from the storage medium and execute it. This enables the machine to operate to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according to the at least one called instruction.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may includ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or code executable by an interpreter. The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Here, 'non-transitory' simply means that the storage medium is a tangible device and does not contain signals (e.g. electromagnetic waves), and the term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cases where data is stored semi-permanently or temporarily on the storage medium.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 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etho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document may be provided as included in a computer program product.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may be traded between a seller and a buyer as a commodity.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may be distributed in the form of a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e.g., a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 or may be distributed online (e.g., downloaded or uploaded) via an application store (e.g., Play Store TM ) or directly between two user devices (e.g., smart phones). In the case of online distribution, at least a part of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may be at least temporarily stored or temporarily generated in a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such as a memory of a manufacturer's server, a server of an application store, or an intermediary server.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들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each component (e.g., a module or a program)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may include a single or multiple entities, and some of the multiple entities may be separately arranged in other component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or operations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may be omitted, or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or operations may be added. 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the multiple components (e.g., a module or a program) may be integrated into one component. In such a case, the integrated component may perform one or more functions of each of the multiple components identically or similarly to those performed by the corresponding component of the multiple components before the integra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operations performed by the module, program, or other component may be executed sequentially, in parallel, repeatedly, or heuristically, or one or more of the operations may be executed in a different order, omitted, or one or more other operations may be add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은 전자 장치(101, 201)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0, 320)에 의하여 실행 시에, 상기 전자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야기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사용자가 차량(210) 내에 있는 것을 식별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storage medium storing at least one computer-readable instruction, wherein the at least one instruction, when executed by at least one processor (120, 320) of an electronic device (101, 201), causes the electronic device to perform at least one operation, wherein the at least one operation may include an operation of identifying that a user is within a vehicle (21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동안에 차량 사고 발생이 감지됨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operation may include an operation of displaying an indicator for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to a user based on detection of a vehicle accident occurrence while monitoring a driving status of the vehicle using at least one sensor of the electronic devic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상기 인디케이터를 이용한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대한 외부 전자 장치의 액세스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operation may include provi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in response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s access to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using the indicato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인디케이터를 이용한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대한 외부 전자 장치의 액세스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의 공개 수준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결정된 공개 수준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operation of provi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may include an operation of determining a level of disclosure of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in response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accessing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using the indicator, and an operation of displa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determined level of disclosure.
Claims (20)
디스플레이(160, 360);
적어도 하나의 센서(176, 310);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0, 320); 및
메모리(130, 330)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시에,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210)의 주행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동안에 차량 사고 발생이 감지됨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상기 인디케이터를 이용한 상기 차량 내의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대한 외부 전자 장치의 액세스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도록 설정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In an electronic device (101, 201),
display(160, 360);
At least one sensor (176, 310);
At least one processor (120, 320)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display and the at least one sensor; and
Contains memory (130, 330),
The above memory, when executed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causes the electronic device to:
Using at least one sensor, while monitoring the driving status of the vehicle (210), based on the detection of a vehicle accident occurrence, an indicator for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to the use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n electronic device storing instructions configured to provide at least a portion of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in response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accessing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within the vehicle using the indicator.
상기 인디케이터를 이용한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대한 외부 전자 장치의 액세스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의 공개 수준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공개 수준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instructions cause the electronic device to:
In response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accessing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using the above indicator, the disclosure level of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is identified,
An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to display at least a portion of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on the display based on the identified level of disclosure.
상기 사용자의 신상 정보, 상기 사용자에 의해 기록된 건강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전자 의료 기록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In the first or second paragraph,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is: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personal information of said user, health information recorded by said user, or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said user.
상기 메모리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서버에 저장되는, 전자 장치.
In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is:
An electronic device, stored in said memory or on a server accessible by said external electronic device.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접근 권한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의 공개 수준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공개 수준이 제1 공개 수준임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 중 상기 사용자의 신상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상기 식별된 공개 수준이 제2 공개 수준임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기록된 건강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상기 식별된 공개 수준이 제3 공개 수준임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 중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전자 의료 기록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In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instructions cause the electronic device to:
Identify the level of disclosure of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based on the access rights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Based on the above-mentioned identified public level being the first public level,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among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Based on the above-mentioned identified public level being the second public level, health information recorded by the user among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n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to display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the user among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on the display, based on the identified disclosure level being a third disclosure level.
상기 인디케이터를 이용한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대한 외부 전자 장치의 액세스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한 센싱 정보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응급 이송 시점 또는 의료 기관 도착 시점을 확인하고,
상기 응급 이송 시점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기록된 건강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상기 의료 기관 도착 시점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 중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전자 의료 기록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In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instructions cause the electronic device to:
In response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s access to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using the indicator, the time of emergency transport or arrival at a medical institution is confirmed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by the at least one sensor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Based on the confirmation of the above emergency transport time, health information recorded by the user among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n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to display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the user on the display based on the time of arrival at the medical institution.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 액세스에 이용될 고유의 암호화된 QR 코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In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indicator for providing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is: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unique encrypted QR code that is used to access status information of said user.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201)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202)와 연결된 상태인 경우, 상기 차량 사고 발생이 감지됨에 기반하여,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기반한 상기 사용자의 이상 상태를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의 이상 상태에 기반하여, 긴급 호출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In any one of claims 1 to 7,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circuit (190, 390),
The above instructions cause the electronic device to:
When the electronic device (201) is connected to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2) worn by the user through the communication circuit, based on the detection of the occurrence of the vehicle accident, an abnormal state of the user is identified based on the user's bio-signal provided from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 electronic device set to perform an emergency call based on the abnormal state of the user.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201)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202)와 연결된 상태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 간의 페어링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202)와 공통되는 특정 코드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In any one of claims 1 to 8, the instructions cause the electronic device to:
An electronic device, wherein when the electronic device (201) is connected to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2) worn by the user through the communication circuit, the electronic device is set to display a specific code common to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2) on the display to indicate a pairing status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또는 상기 통신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차량(210) 내에 있는지를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가 차량 내에 있음을 식별함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In any one of claims 1 to 9, the instructions cause the electronic device to:
Using at least one of the above sensors or at least one of the above communication circuits, identifying whether the user is in the vehicle (210),
An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to monitor the driving condition of a vehicle based on identifying that the user is present in the vehicle.
상기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210)의 주행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동안에 차량 사고 발생이 감지됨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 내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인디케이터를 이용한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대한 외부 전자 장치의 액세스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차량 사고 관련 사용자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A method for providing user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a vehicle accident in an electronic device (101, 201),
An operation of displaying an indicator for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to a user in the vehicle based on detection of a vehicle accident occurrence while monitoring the driving status of the vehicle (210) using at least one sensor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A method for providing user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a vehicle accident, comprising an action of provi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in response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s access to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using the indicator.
상기 인디케이터를 이용한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대한 외부 전자 장치의 액세스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의 공개 수준을 식별하는 동작; 및
상기 식별된 공개 수준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차량 사고 관련 사용자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In the 11th paragraph, the operation of providing at least a part of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is:
An operation for identifying the level of disclosure of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in response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s access to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using the indicator; and
A method for providing user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a vehicle accident, comprising an action of displa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based on the identified level of disclosure.
상기 사용자의 신상 정보, 상기 사용자에 의해 기록된 건강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전자 의료 기록을 포함하는, 차량 사고 관련 사용자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In clause 11 or 12,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is:
A method for providing user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a vehicle accident,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health information recorded by the user, or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the user.
상기 메모리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서버에 저장되는, 차량 사고 관련 사용자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In any one of the 11th to 13th clauses,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is:
A method for providing user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a vehicle accident, wherein the user status information is stored in a server accessible by the memory or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접근 권한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의 공개 수준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식별된 공개 수준이 제1 공개 수준임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 중 상기 사용자의 신상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식별된 공개 수준이 제2 공개 수준임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기록된 건강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식별된 공개 수준이 제3 공개 수준임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 중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전자 의료 기록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차량 사고 관련 사용자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In any one of claims 11 to 14, the operation of provi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is:
An action for identifying the level of disclosure of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access rights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 action of displaying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among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based on the identified public level being the first public level;
An operation of displaying health information recorded by the user among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identified public level being the second public level; and
A method for providing user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a vehicle accident, comprising an action of displaying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for the user among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based on the identified disclosure level being a third disclosure level.
상기 인디케이터를 이용한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대한 외부 전자 장치의 액세스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한 센싱 정보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응급 이송 시점 또는 의료 기관 도착 시점을 확인하는 동작;
상기 응급 이송 시점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기록된 건강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의료 기관 도착 시점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 중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전자 의료 기록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차량 사고 관련 사용자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In any one of Articles 11 to 15,
In response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accessing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using the indicator, an operation of confirming the time of emergency transport or arrival at a medical institution based on sensing information by the at least one sensor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An action of displaying health information recorded by the user among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based on the confirmation of the above emergency transport time; and
A method for providing user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a vehicle accident, comprising the action of displaying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for the user among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based on the time of arrival at the medical institution.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 액세스에 이용될 고유의 암호화된 QR 코드를 포함하는, 차량 사고 관련 사용자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In any one of claims 11 to 16, the indicator for providing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is:
A method for providing user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a vehicle accident, comprising a unique encrypted QR code to be used to access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상기 전자 장치(201)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202)와 연결된 상태인 경우, 상기 차량 사고 발생이 감지됨에 기반하여,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생체 신호에 기반한 상기 사용자의 이상 상태를 식별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의 이상 상태에 기반하여, 긴급 호출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차량 사고 관련 사용자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In any one of Articles 11 to 17,
When the electronic device (201) is connected to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2) worn by the user, an operation of identifying an abnormal state of the user based on a bio-signal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based on detection of the occurrence of the vehicle accident; and
A method for providing user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a vehicle accident, including an action of performing an emergency call based on the abnormal status of the user.
상기 전자 장치(201)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202)와 연결된 상태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 간의 페어링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202)와 공통되는 특정 코드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차량 사고 관련 사용자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In any one of Articles 11 to 18,
A method for providing user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a vehicle accident, comprising an action of displaying a specific code common to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2) to indicate a pairing status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201) and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2) when the electronic device (201) is connected to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2) worn by the user.
상기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210)의 주행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동안에 차량 사고 발생이 감지됨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 내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인디케이터를 이용한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대한 외부 전자 장치의 액세스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
A storage medium storing at least one computer-readable instruction, wherein the at least one instruction, when executed by at least one processor (120, 320) of an electronic device (101, 201), causes the electronic device to perform at least one operation, the at least one operation be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an indicator for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to a user in the vehicle based on detection of a vehicle accident occurrence while monitoring the driving status of the vehicle (210) using at least one sensor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A storage medium comprising an operation for provi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in response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s access to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using the indicator.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PCT/KR2024/016875 WO2025121672A1 (en) | 2023-12-04 | 2024-10-31 |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user condition information related to vehicle accident,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30173104 | 2023-12-04 | ||
| KR1020230173104 | 2023-12-04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50084811A true KR20250084811A (en) | 2025-06-11 |
Family
ID=9601863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40009437A Pending KR20250084811A (en) | 2023-12-04 | 2024-01-22 |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user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vehicle accidents,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250084811A (en) |
-
2024
- 2024-01-22 KR KR1020240009437A patent/KR20250084811A/en active Pending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223278B1 (en) | Glass typ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US9351141B2 (en) | Headset computer with handsfree emergency response | |
| US11908553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emergency response data acquisition and retrieval | |
| US6952164B2 (en) | Distributed apparatus to improve safety and communication for law enforcement applications | |
| US11049385B2 (en) | Alert communication network, associated program product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 |
| JP2022526932A (en) | Vehicle user safety | |
| CN108464020B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 |
| EP3503514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
| US20100308999A1 (en) | Security and monitoring apparatus | |
| US20140126782A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
| CN107209819A (en) | Pass through the assets accessibility of the continuous identification to mobile device | |
| CN107005845A (en) | The mobile device of continuous and discrete user authentication is provided | |
| AU2017258710B2 (en) |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a session on a communication device | |
| US20190312965A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
| US20220217308A1 (en) | Camera Glasses for Law Enforcement Accountability | |
| WO2015178070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storage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 |
| US20250074358A1 (en) | Mobile terminal apparatus, method of operating autonomous vehicle, method of identifying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of transmitting information | |
| KR20250084811A (en) |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user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vehicle accidents,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 |
| CN117657189A (en) | Collision detection on mobile device | |
| US20230148327A1 (en) | Computer-implemented continuous control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 |
| KR101539743B1 (en) | System for verifying person identifiaction and securing safety using mouse retainer | |
| KR20190012504A (en) | Terminal | |
| WO2025121672A1 (en) |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user condition information related to vehicle accident,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 |
| KR101678902B1 (en) | System for verifying person identifiaction and securing safety | |
| CN116225235B (en) | Data process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mediu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22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