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50086377A - Cooking appliance - Google Patents
Cooking applian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50086377A KR20250086377A KR1020230175967A KR20230175967A KR20250086377A KR 20250086377 A KR20250086377 A KR 20250086377A KR 1020230175967 A KR1020230175967 A KR 1020230175967A KR 20230175967 A KR20230175967 A KR 20230175967A KR 20250086377 A KR20250086377 A KR 202500863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ace
- cooking appliance
- cavity
- duct
- exhaus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 H05B6/6423—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wherein the microwave oven air circulation system is also used as air extracting hood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7—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 H05B6/6458—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using humidity or vapor sens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조리기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조리기기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한 후 조리기기 외부로 배출하는 팬 어셈블리가 내부에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invention for a cooking appliance is disclosed. The disclosed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fan assembly for drawing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cooking appliance and then exhausting it to the exterior of the cooking appliance is disposed at the rear side of a cavity forming a cooking chamber therein.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 기능과 후드 기능을 함께 제공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lia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oking appliance providing both a cooking function and a hood function.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A cooking appliance is a type of home appliance for cooking food, installed in a kitchen space, and cooking food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These cooking appliances can be classifi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heat source or form used, or the type of fuel used.
조리기기를 음식물을 조리하는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 조리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으며,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쿡탑, 홉 등이 있다.If we classify cooking appliances by the way they cook food, they can be classified into open and closed cooking appliances based on the shape of the space where the food is placed. Closed cooking appliances include ovens and microwave ovens, while open cooking appliances include cooktops and hobs.
밀폐형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공간을 차폐하고, 차폐된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놓이면서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차폐되는 공간인 챔버, 즉 조리실이 본체의 내부에 제공된다. 이러한 조리실은,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된다. 조리실의 내부 또는 외부 공간에는 열원이 제공되어 조리실을 가열한다.A closed cooking appliance is a cooking appliance that seals the space where food is placed and heats the sealed space to cook the food. In a closed cooking appliance, a chamber, that is, a cooking chamber, which is a sealed space when food is placed and the food is to be cooked,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This cooking chamber actually becomes the space where the food is cooked. A heat source is provided in the interior or exterio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to heat the cooking chamber.
밀폐형 조리기기 중 전자레인지는, 전기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시켜서 조리실 내부에 수용된 조리 대상물에 침투시켜, 내부에서 분자운동을 일으키는 것에 의하여 조리 대상물을 가열하는 조리장치이다.Among closed cooking appliances, a microwave oven is a cooking device that uses electricity to generate microwaves, which penetrate the food to be cooked inside the cooking chamber, causing molecular movement inside the food to heat the food.
전자레인지는, 마그네트론의 고주파를 조리물에 조사시켜 그 내부 및 외부를 동시에 가열하는 주방용 기구로서, 열효율이 높아 조리물의 조리시간을 대폭 단축하고, 조리물의 조리나 해동 및 데우기 과정에서 영양가의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조리물을 용기에 저장한 채로 직접 조리할 수 있는 등의 장점으로 인해 널리 사용된다.Microwave ovens are kitchen appliances that heat the inside and outside of food simultaneously by irradiating it with high-frequency waves from a magnetron. They are widely used due to their advantages, such as high thermal efficiency, which greatly reduces the cooking time of food, reducing the loss of nutrients during the cooking, defrosting, and reheating processes of food, and allowing food to be cooked directly while stored in a container.
근래에는, 후드 기능을 구비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일명 OTR(Over the range) 타입 전자레인지가 출시되고 있다.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는, 그 하방에 설치되는 조리기기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이하, '조리 가스'라 한다)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여과 후 실내로 배출하는 후드 기능을 갖는다.Recently, microwave ovens with hood functions, also known as OTR (Over the range) type microwave ovens, have been released. A microwave oven with hood functions to discharge ai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oking gas”) generated during the cooking process in a cooking device installed below it to the outside or to discharge it indoors after filtering it.
이러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는, 공기를 흡입 및 토출하기 위한 팬이 구비된다. 이러한 팬은, 통상적으로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의 상부측에 배치된다. 즉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서, 팬은 캐비티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These hood-type microwave ovens are equipped with a fan for sucking in and exhausting air. These fans are usually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vity forming the cooking chamber. That is, in hood-type microwave ovens, the fan is usually plac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cavity.
그러나 상기와 같은 위치에 팬이 배치되면,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하단에 배치된 흡입구와 팬 간의 거리가 캐비티의 상하방향 길이 이상의 거리만큼 멀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흡입구와 팬 간의 거리가 멀어지면,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조리 가스 포집 성능은 낮아질 수밖에 없게 된다. 팬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 기류의 유속은, 팬으로부터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형태로 감소될 수 있기 때문이다.However, if the fan is placed in the above pos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suction port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hood-cum-microwave oven and the fan becomes long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cavity. If the distance between the suction port and the fan becomes longer, the cooking gas collection performance of the hood-cum-microwave oven is bound to decrease. This is because the flow rate of the suction airflow generated by the fan can decreas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square of the distance from the fan.
또한 상기와 같은 위치에 팬이 배치되면,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전체의 상하방향 길이가 증가될 수밖에 없게 된다. 이와 같이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상하방향 길이가 증가되면,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가 상부 수납장에 설치되었을 때,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가 상부 수납장보다 하측으로 더 돌출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In addition, if the fan is placed in the above location, the overall vertical length of the hood-cum-microwave oven will inevitably increase. If the vertical length of the hood-cum-microwave oven increases in this way, when the hood-cum-microwave oven is installed in the upper cabine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hood-cum-microwave oven will protrude further downward than the upper cabinet.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가 상부 수납장보다 하측으로 더 돌출되면, 마관상 좋지 않을 뿐 아니라, 상부 수납장 하부에 설치된 쿡탑과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If the hood-compatible microwave oven protrudes further down than the upper cabinet, it not only looks bad, but the gap between the cooktop installed under the upper cabinet and the hood-compatible microwave oven may become narrower.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가 상부 수납장의 하측으로 돌출되면서 쿡탑과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간의 간격이 좁아지면, 쿡탑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시야를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가 가리는 문제, 쿡탑의 조리 영역이 좁아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As the hood-type microwave oven protrudes below the upper cabinet, the gap between the cooktop and the hood-type microwave oven narrows, which may cause the hood-type microwave oven to block the view of the user using the cooktop and narrow the cooking area of the cooktop.
본 발명은 조리기기 전체의 상하방향 길이 증가를 억제하면서 후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oking applianc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that can provide a hood function while suppressing an increase in the vertical length of the entire cooking applian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기기의 상하방향 길이를 감소시키면서도 조리기기의 측방향 및 전후방향 길이 증가를 억제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that can reduce the vertical length of the cooking appliance while suppressing an increase in the lateral and front-back length of the cooking applian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실에서 배출되는 증기, 가스를 조리기기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하면서도 배기공간에서의 유동 저항의 증가가 억제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steam and gas discharged from a cooking chamber can be smooth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while suppressing an increase in flow resistance in the exhaust spa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쉽고 빠르게 분해 조립될 수 있으면서 캐비티의 손상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배기덕트를 갖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having an exhaust duct that can be easily and quickly disassembled and assembled while preventing damage to a cavity.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조리기기는, 조리기기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한 후 조리기기 외부로 배출하는 팬 어셈블리가 내부에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oking ap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a fan assembly that draws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cooking appliance and then discharges it to the exterior of the cooking appliance is disposed at the rear side of a cavity forming a cooking chamber therei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조리기기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한 후 조리기기 외부로 배출하는 팬 어셈블리가 조리기기 내부에 배치되되, 캐비티의 후방측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fan assembly for sucking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cooking appliance and then exhausting it to the exterior of the cooking appliance is disposed inside the cooking appliance, but is disposed in a space formed at the rear side of the cavit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조리기기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한 후 조리기기 외부로 배출하는 팬 어셈블리가 조리기기 내부에 배치되되, 내부에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의 배면과 조리기기의 배면 외관을 형성하는 리어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fan assembly for sucking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cooking appliance and then exhausting it to the exterior of the cooking appliance is disposed inside the cooking appliance, and is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rear surface of a cavity forming a cooking chamber inside and a rear plate forming the rear exterior of the cooking applian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내부에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의 배면과 조리기기의 배면 외관을 형성하는 리어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인 배후공간부에 적어도 하나의 팬 어셈블리가 배치되고, 이 배후공간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유로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유로부가 팬 어셈블리와 배기구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며 배기 흐름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fan assembly is arranged in a rear space, which is a space between the rear surface of a cavity forming a cooking chamber inside and a rear plate forming a rear outer surface of a cooking appliance, and at least one flow path formed by a plurality of flow path plates arranged in the rear space forms a passage connecting the fan assembly and an exhaust port and induces an exhaust flow.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내부에 조리실을 형성하며, 흡기구 및 배기구가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흡기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한 공기를 배기구 측으로 토출하는 송풍부; 및 상기 송풍부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유로형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nother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in body having a cooking chamber formed therein and an intake port and an exhaust port; a blower for sucking air through the intake port and discharging the sucked air toward the exhaust port; and a flow path forming member for guiding the flow of air discharged from the blower port.
또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조리실보다 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흡기구 및 상기 배기구와 연통되는 배후공간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rear space portion b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formed at a position shifted rearward from the cooking chamber and communicating with the intake port and the exhaust port.
또한 상기 유로형성부재는, 상기 송풍부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상기 배기구 측으로 유도하는 배기유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bove-mentioned euro-forming member form an exhaust path that guides the flow of air discharged from the blower toward the exhaust por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캐비티의 내부에 형성되는 조리실과, 상기 캐비티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배후공간부와, 상기 캐비티의 측방측에 배치되는 측부공간부, 및 상기 배후공간부와 상기 측부공간부가 중첩된 영역인 코너공간부가 내부에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코너공간부에 배치되어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한 공기를 토출구를 통해 측방으로 토출하는 코너팬 어셈블리; 및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이 상기 배후공간부 측으로 유도될 수 있게 상기 코너팬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nother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in body having a cooking chamber formed inside a cavity, a rear space portion arranged on the rear side of the cavity, a side space portion arranged on the side side of the cavity, and a corner space portion which is an area where the rear space portion and the side space portion overlap each other; a corner fan assembly arranged in the corner space portion to suck in air through an intake port and to suck in the air laterally through an exhaust port; and a support member that supports the corner fan assembly so that the flow of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port can be guided toward the rear space portion.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측부공간부와 상기 배후공간부 사이를 가로막는 벽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bove-mentioned support member form a wall that blocks the space between the side space and the rear spa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캐비티의 내부에 형성되는 조리실, 및 상기 캐비티의 측방측에 배치되는 측부공간부가 내부에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측부공간부를 상하로 구획하되, 하부전장실과 상부전장실로 구획하는 구획플레이트와; 상기 하부전장실에 배치되는 쿨링팬과; 상기 쿨링팬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송풍부; 및 상기 쿨링팬과 상기 송풍부 사이를 가로막는 벽을 형성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nother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in body having a cooking chamber formed inside a cavity and a side space portion arranged on a side of the cavity; a partition plate dividing the side space portion vertically into a lower electrical compartment and an upper electrical compartment; a cooling fan arranged in the lower electrical compartment; a blower arranged on a rear side of the cooling fan; and a support member forming a wall between the cooling fan and the blower portion.
또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쿨링팬에 의해 상기 하부전장실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송풍부 측으로 유입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연결유로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connecting passage b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to form a passage for air introduced into the lower electrical room by the cooling fan to be introduced toward the blow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캐비티의 내부에 형성되는 조리실과 상기 캐비티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배후공간부 및 상기 캐비티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공간부가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상부공간부를 외부로 개방하는 배기구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한 공기를 상기 배후공간부를 통해 상기 상부공간부로 토출하는 송풍부;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확장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nother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in body having a cooking chamber formed inside a cavity, a rear space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cavity, and an upper spac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vity, and an exhaust port opening the upper space to the outside; a blower for sucking air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discharging the sucked air into the upper space through the rear space; and an expansion plate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내부에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와; 상기 캐비티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프런트 플레이트; 및 상기 캐비티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후방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nother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vity forming a cooking room therein; a front plate arranged on a front side of the cavity; and a rear support member arranged on a rear side of the cavit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내부에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와; 캐비티의 배후측에 배치되는 리어 플레이트; 및 상기 캐비티의 배면과 상기 리어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인 배후공간부에 배치되는 후방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nother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vity forming a cooking room therein; a rear plate arranged on the rear side of the cavity; and a rear support member arranged in a rear space portion, which is a space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cavity and the rear plate.
또한 상기 프런트 플레이트의 하단이 상기 캐비티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후방지지부재는 상기 캐비티보다 낮은 위치에서 바닥면과 접촉하며 상기 캐비티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plate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cavity, and that the rear support member contacts the floor surface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cavity and supports the cavit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캐비티의 내부에 형성되는 조리실, 및 상기 캐비티의 측방측에 배치되는 측부공간부가 내부에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측부공간부를 상하로 구획하되, 하부전장실과 상부전장실로 구획하는 구획플레이트와; 상기 하부전장실과 상기 상부전장실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상기 구획플레이트에 형성하는 통과홀; 및 상기 통과홀과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통과홀을 상측 또는 하측에서 가릴 수 있게 마련되는 가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nother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in body having a cooking chamber formed inside a cavity and a side space portion arranged on a side of the cavity; a partition plate that partitions the side space portion vertically into a lower electrical compartment and an upper electrical compartment; a passage hole that forms a passage connecting the lower electrical compartment and the upper electrical compartment in the partition plate; and a covering member that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assage hol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s provided to cover the passage hole from above or below.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캐비티의 내부에 형성되는 조리실, 및 상기 캐비티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공간부가 내부에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캐비티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조리실에 빛을 비추며,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캐비티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램프; 및 상기 램프를 둘러싼 공간이 상기 상부공간부와 분리되게 상기 램프를 덮는 램프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nother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in body having a cooking chamber formed inside a cavity and an upper space portion disposed above the cavity; a lamp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avity to shine light into the cooking chamber and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cavity; and a lamp cover covering the lamp such that a space surrounding the lamp is separated from the upper space por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캐비티의 내부에 형성되는 조리실 및 상기 캐비티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공간부가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상부공간부를 외부로 개방하는 배기구 및 상기 조리실과 상기 상부공간부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순환공기배출구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한 공기를 상기 상부공간부로 토출하는 송풍부; 및 상기 순환공기배출구와 연결되는 유로를 내부에 형성하는 배기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oking appliance may include: a main body having a cooking chamber formed inside a cavity and an upper space provided inside the cavity and arranged above the cavity, an exhaust port opening the upper space to the outside, and a circulation air outlet forming a passage connecting the cooking chamber and the upper space; a blower for sucking air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discharging the sucked air into the upper space; and an exhaust duct forming a passage inside the body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air outlet.
또한 상기 배기덕트에는, 상기 유로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상기 유로를 상기 순환공기배출구를 향해 개방하는 덕트유입구, 및 상기 유로의 길이방향 타측에서 상기 유로를 상기 배기구를 향해 개방하는 덕트배출구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xhaust duct be provided with a duct inlet opening the duct toward the circulating air outlet at one longitudinal side of the duct, and a duct outlet opening the duct toward the exhaust port at the other longitudinal side of the duct.
또한 상기 배기덕트는, 상기 유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높이가 변화되는 높이변화구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xhaust duct includes a height change section in which the height chang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th.
또한 상기 순환공기배출구는, 상기 배기구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ddition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above-mentioned circulation air outlet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above-mentioned exhaust port.
또한 상기 높이변화구간에서, 상기 유로의 길이방향 일측을 향한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배기덕트의 높이가 낮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above height change s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the exhaust duct decreases in the direction toward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uro.
또한 상기 배기구는, 상기 순환공기배출구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ddition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exhaust port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circulating air outlet.
또한 상기 높이변화구간에서, 상기 유로의 길이방향 타측을 향한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배기덕트의 높이가 높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above height change s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the exhaust duct increases in the direction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uro.
또한 상기 높이변화구간에서, 상기 배기덕트의 상면은 상기 유로의 길이방향 일측을 향한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above height change s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exhaust duct form a slope whose height decreases as it goes toward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w path.
또한 상기 본체는, 상면이 상기 캐비티의 상측에 배치되는 캐비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cabinet having an upper surfac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vity.
또한 상하방향에 대해서, 상기 배기덕트는 상기 캐비티의 상면과 상기 캐비닛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dditionally,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xhaust duct be plac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또한 상기 높이변화구간에서, 상기 배기덕트의 상면과 상기 캐비닛의 상면 사이에는 통로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dditionally, in the above height change sec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assage space be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exhaust duc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또한 상기 통로공간은, 상기 상부공간부 중 상기 배기덕트의 측방향 일측의 공간과 상기 상부공간부 중 상기 배기덕트의 측방향 타측의 공간을 측방향으로 연결하는 통로를 상기 배기덕트의 상측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assage space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exhaust duct as a passage that laterally connects a space on one side of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exhaust duct among the upper space portion and a space on the other side of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exhaust duct among the upper space por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확장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xpansion plate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또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캐비티의 측방측에 배치되는 측부공간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side space portion b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which is arranged on the side of the cavity.
또한 상기 확장플레이트는, 상기 측부공간부의 일부 영역이 확장상부공간부로 분리되게 상기 측부공간부를 구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xpansion plate divides the side space so that a part of the side space is separated into an expanded upper space.
또한 상기 확장플레이트는, 상기 캐비티의 측방 외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ddition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expansion plate be placed on the lateral outer side of the cavity.
또한 상기 배기덕트는, 상기 캐비티의 측방 내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ddition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exhaust duct be placed on the inner side of the cavity.
또한 상기 높이변화구간에서, 상기 배기덕트의 상면과 상기 캐비닛의 상면 사이에는 통로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dditionally, in the above height change sec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assage space be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exhaust duc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또한 상기 통로공간은, 상기 상부공간부 중 상기 배기덕트의 측방향 일측의 공간과 확장상부공간부를 측방향으로 연결하는 통로를 상기 배기덕트의 상측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assage space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exhaust duct as a passage connecting the space on one side of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exhaust duct and the expanded upper space among the upper space sections in the later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기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유로에서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umidity sensor installed in the exhaust duct to measure humidity in the path.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캐비티의 상면에 결합되는 덕트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uct bracket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또한 상기 배기덕트는, 상기 덕트브라켓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xhaust duct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duct bracket.
또한 상기 덕트브라켓은, 상기 캐비티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배기덕트와 결합되는 브라켓본체부; 및 상기 캐비티의 상면에 접합되어 상기 브라켓본체부를 상기 캐비티의 상면에 결합시키는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uct bracket may include a bracket body part that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and coupled to the exhaust duct; and a flange part that is joi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and couples the bracket body par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또한 상기 배기덕트의 하단에는, 상기 브라켓본체부의 상면과 상하방향으로 맞닿는 면을 형성하는 결합면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joining surface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exhaust duct to form a surface that is in vertical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body.
또한 상기 덕트브라켓은, 상기 결합면이 상기 브라켓본체부와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결합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덕트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uct bracke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duct joint that is detachably joined to the joint surface while the joint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bracket main body.
또한 상기 제1덕트결합부는, 상기 결합면에 형성된 슬릿을 통해 상기 결합면을 세로방향으로 관통하는 세로돌기, 및 상기 세로돌기에서 가로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면의 상측에서 상기 덕트브라켓의 상방 움직임을 구속하는 가로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duct joint may include a vertical protrusion that vertically penetrates the joint surface through a slit formed in the joint surface, and a horizontal protrusion that protrudes horizontally from the vertical protrusion to restrict upward movement of the duct bracket above the joint surface.
또한 상기 덕트브라켓은, 상기 결합면 및 상기 브라켓본체부를 관통하며 상기 덕트브라켓과 상기 배기덕트를 결합시키는 체결부재와 체결되는 제2덕트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uct bracke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duct joint that penetrates the joint surface and the bracket body and is joined to a joint member that joins the duct bracket and the exhaust duct.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후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송풍부가 캐비티의 상측 대신에 캐비티의 후방측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의 상하방향 길이 증가를 억제하며 후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hood function while suppressing an increase in the vertical length of the cooking appliance by arranging a blower for providing a hood function at the rear side of the cavity instead of the upper side of the cavity.
또한 본 발명은, 본체 내부의 상부공간부 및 측부공간부 대신에 컨벡션 모듈 등의 설치를 위해 확보된 공간인 배후공간부에 송풍부가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의 상하방향 길이가 감소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조리기기의 상하방향 및 측방향 길이 증가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며 더 향상된 성능의 후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blower to be placed in the rear space, which is a space secured for installing a convection module or the like, instead of the upper space and side space inside the main body, thereby reducing the vertical length of the cooking appliance while effectively suppressing an increase in the vertical and lateral length of the cooking appliance, thereby providing a hood function with improved performance.
또한 본 발명은, 배기구와 일직선 상으로 연결된 배후공간부에 송풍부가 배치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조리기기 내부에서의 유동 손실이 최소화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더욱 향상된 조리 가스 제거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structure in which a blower is arranged in a rear space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with an exhaust port, thereby minimizing flow loss within the cooking appliance, thereby providing further improved cooking gas removal performance.
또한 본 발명은, 유로형성부재에 의해 형성된 배기유로를 통해 배기구 주변의 유로 저항을 낮추면서 배기 흐름이 원활하게 유도되도록 함으로써, 조리 가스 배출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improve cooking gas discharge performance by smoothly guiding exhaust flow while lowering the flow resistance around the exhaust port through the exhaust flow path formed by the euro-forming member.
또한 본 발명은, 팬 어셈블리의 흡입력에 의해 제공되는 힘이 연결유로부를 통해 전장실에 작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장실 내부에서의 공기 유동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전장실에 배치된 전장부품들에 대한 냉각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effect of enabling the force provided by the suction force of the fan assembly to be applied to the electrical compartment through the connecting passage, thereby enabling the air to flow more smoothly inside the electrical compartment and enabling the cooling of electrical components placed in the electrical compartment to be performed more effectively.
또한 본 발명은, 전장실로 유입된 공기가 전장실에서 연결유로부를 통해 팬 어셈블리에 유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팬 어셈블리의 흡입 유량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키고, 이를 통해 더욱 향상된 조리 가스 제거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ffectively increases the intake flow rate of the fan assembly by allowing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chamber to be introduced into the fan assembly through a connecting passage from the main chamber, thereby providing further improved cooking gas removal performance.
또한 본 발명은, 측부공간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확장플레이트에 의해 배기공간 전체의 크기가 확장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기공간을 통해 배기구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에 필요한 유로의 크기를 효과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expand the size of the flow path required for air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through the exhaust space by allowing the size of the entire exhaust space to be expanded by an expansion plate that divides the side space portion vertically.
또한 본 발명은, 측부공간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확장플레이트에 의해 배기와 연관된 공간 및 흡기와 연관된 공간이 각각 흡기 또는 배기를 위해 필요한 충분한 크기로 확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 가능 용량이 유사한 종래 조리기기 대비 전체 크기는 작으면서도 동등하거나 더 우수한 조리 가스 제거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 space associated with exhaust and a space associated with intake to be secured to a sufficient size necessary for intake or exhaust, respectively, by an expansion plate that divides the side space portion vertically, thereby providing cooking gas removal performance equivalent to or superior to that of conventional cooking appliances with similar cooking capacity while being smaller in overall size.
또한 본 발명은, 조리실에서 배출된 증기, 가스와 송풍부를 통해 흡입된 조리 가스가 공동배기구를 통해 함께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기에 이용되는 배기구의 면적이 효과적으로 확장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배기구를 통한 조리 가스 등의 배출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steam and gas discharged from a cooking chamber and cooking gas sucked in through a blower to be discharged together through a common exhaust port, thereby effectively expanding the area of the exhaust port used for exhaust, and thereby enabling cooking gas, etc. to be discharged more smoothly through the exhaust port.
또한 본 발명은,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배기덕트를 구비함으로써, 조리실에서 배출되는 증기, 가스를 조리기기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하면서도 배기덕트로 인해 발생되는 유동 저항의 증가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haust duct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height decreases toward the rear, thereby enabling steam and gas discharged from the cooking chamber to be smooth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while effectively suppressing an increase in flow resistance caused by the exhaust duct.
또한 본 발명은, 캐비티에 접합된 덕트브라켓에 배기덕트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배기덕트가 필요에 따라 캐비티로부터 쉽고 빠르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고, 배기덕트의 분해, 재조립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캐비티의 손상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exhaust duct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a duct bracket joined to a cavity, thereby enabling the exhaust duct to be easily and quickly separated from the cavity as needed, and suppressing damage to the cavity that may occur during the disassembly and reassembly process of the exhaust duct.
또한 본 발명은, 조리기기의 조립 과정에서 캐비티가 후방측으로 넘어지지 않게 캐비티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후방지지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조리기기의 조립이 더욱 안정적인 환경에서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조리기기의 조립 과정에서 캐비티의 넘어짐으로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안전 사고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ar support member that plays a role in stably maintaining the posture of the cavity so that the cavity does not fall backward during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cooking appliance, thereby enabling the assembly of the cooking appliance to be conveniently performed in a more stable environment, and preventing various safety accidents that may occur due to the cavity falling over during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cooking appliance.
또한 본 발명은, 캐비티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후방지지부재를 이용하여 리어 플레이트 및 베이스 플레이트를 캐비티에 안정적으로 지지시킴으로써, 조리기기의 구조적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improv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a cooking appliance by stably supporting the rear plate and the base plate in the cavity using a rear support member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cavity.
또한 본 발명은, 배후공간부에서의 공기 유동에 필요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게 캐비티와 리어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을 후방지지부재를 이용하여 유지시킴으로써, 흡입 유량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increase the suction flow rate by maintaining the gap between the cavity and the rear plate using a rear support member so that sufficient space necessary for air flow in the rear space can be secured.
또한 본 발명은, 하부전장실을 상측에서 가리는 가림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하부전장실로의 공기 유입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조리기기 내부에서 발생된 불꽃으로 인해 화재가 번질 위험성을 현저히 낮추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the effect of significantly reducing the risk of fire spreading due to flames generated inside the cooking appliance while allowing air to smoothly flow into the lower electrical compartment by providing a covering member that covers the lower electrical compartment from the upper side.
또한 본 발명은, 램프를 상측에서 덮는 램프커버를 구비함으로써, 조리기기의 상하방향 길이를 단축시키고자 하는 목표, 및 램프를 유증기 및 열기로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목표를 함께 만족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atisfy the goal of shortening the vertical length of the cooking appliance and the goal of protecting the lamp from vapor and heat by providing a lamp cover that covers the lamp from the upper side.
또한 본 발명은,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램프커버를 구비함으로써, 램프를 유증기 및 열기로부터 보호하면서도 램프커버로 인해 발생되는 유동 저항의 증가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suppress an increase in flow resistance caused by the lamp cover while protecting the lamp from vapor and heat by having a lamp cover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height decreases toward the rear.
또한 본 발명은, 벤트그릴 및 개폐커버를 분리하는 단순한 작업만으로 램프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램프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effect that allows maintenance work on the lamp to be performed easily and quickly by enabling access to the lamp through a simple operation of separating the vent grill and the opening/closing cov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조리실 개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에서 캐비닛이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조리기기에서 리어 플레이트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배후팬 어셈블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코너팬 어셈블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유로형성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유로형성부재의 다른 예가 적용된 조리기기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유로형성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서의 공기 유동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1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조리기기에서의 공기 유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2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조리기기에서의 공기 유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3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조리기기에서의 공기 유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은 코너팬 어셈블리 및 그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지지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22는 지지부재의 다른 예가 적용된 조리기기의 일부분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지지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24는 외부 공기가 냉기유입구를 통해 전장실로 유입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5 내지 도 27은 전장실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8은 상측코너공간부에서 연결유로부를 통해 하측코너공간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9는 가림부재의 다른 예가 적용된 조리기기의 일부분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흡기 및 배기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30에 도시된 조리기기 내부의 공기 유동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30에 도시된 공동배기구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3은 배기덕트 및 그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4는 배기덕트의 측면 형상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35는 캐비티의 상면에 덕트브라켓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6은 덕트브라켓에 배기덕트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7은 램프커버 및 그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8은 도 37에 도시된 램프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39는 램프커버의 다른 예가 적용된 조리기기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40은 도 39에 도시된 램프커버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1은 도 40에 도시된 램프커버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2는 벤트그릴 및 램프커버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배후팬 어셈블리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44는 도 43에 도시된 후방지지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45는 캐비티와 후방지지부재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6은 도 45에 도시된 캐비티와 후방지지부재의 결합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47은 도 45에 도시된 후방지지부재에 리어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8은 캐비티와 후방지지부재 및 리어 플레이트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4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캐비닛이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5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캐비닛이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5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캐비닛이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rawing showing the open state of the cooking chamber of the cooking appliance illustrated in Figure 1.
Figure 3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cooking appliance illustrated in Figure 1.
FIG.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oking appliance illustrated in FIG. 1 with the cabinet removed.
FIGS. 5 and 6 are rear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cooking appliance illustrated in FIG. 4 with the rear plate removed.
Figure 7 is a rear view of the cooking appliance illustrated in Figure 6.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fan assembly illustrated in Figure 6 in an separated state.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rner fan assembly illustrated in Figure 6 in an separated state.
Figure 10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uro-forming member illustrated in Figure 6 in isolation.
Figure 11 is a rea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oking appliance to which another example of a euro-forming member is applied.
Figure 1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uro-forming member illustrated in Figure 11 in isolation.
Fig. 13 is a rear view showing the air flow state in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state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drawing showing the air flow state in the cooking appliance illustrated in Figure 14.
FIG. 16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state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drawing showing the air flow state in the cooking appliance illustrated in Figure 16.
Fig. 18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state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9 is a drawing showing the air flow state in the cooking appliance illustrated in Fig. 18.
Figure 20 is an enlarged view of the corner fan assembly and its surroundings.
Fig. 21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pport member illustrated in Fig. 20 in isolation.
FIG. 22 is a rea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ion of a cooking appliance to which another example of a support member is applied.
Figure 23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pport member illustrated in Figure 22 in isolation.
Figure 24 is a drawing showing the state in which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battle room through the cold air inlet.
Figures 25 to 27 are drawings showing the flow state of air flowing into the battle room.
Figure 28 is a drawing showing the flow state of air flowing into the lower corner space through the connecting passage from the upper corner space.
FIG. 29 is a rea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ion of a cooking appliance to which another example of a covering member is applied.
FIG. 30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ake and exhaust states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1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ir flow state inside the cooking appliance illustrated in Fig. 30.
Figure 32 is a plan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the area around the common exhaust port shown in Figure 30.
Figure 33 is an enlarged view of the exhaust duct and its surroundings.
Figure 34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showing the side shape of the exhaust duct.
Figure 35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uct bracket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Figure 36 is a drawing showing an exhaust duct installed in a duct bracket.
Figure 37 is an enlarged view of the lamp cover and its surroundings.
Fig. 38 is a plan view of the lamp cover illustrated in Fig. 37.
Figure 39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appliance with another example of a lamp cover applied.
Figure 4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amp cover illustrated in Figure 39 in a separated state.
Figure 4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ploded state of the lamp cover illustrated in Figure 40.
Figure 4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vent grill and lamp cover in an exploded state.
FIG. 43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ar fan assembly is removed from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4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support member illustrated in Figure 43 in isolation.
Figure 45 is a side view showing the joint state of the cavity and the rear support member.
Figure 4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enlarged to illustrate the joint portion of the cavity and the rear support member illustrated in Figure 45.
Figure 47 is a side view showing the rear plate coupled to the rear support member illustrated in Figure 45.
Figure 48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showing the joint structure between the cavity, the rear support member, and the rear plate.
FIG. 49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binet is removed from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0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binet is removed from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1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binet is removed from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mention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so that those with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practic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judg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a first component may also be a second component.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with various modifications. The embodiments are provided only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substituting or adding the configuration of one embodiment with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intended to facilitate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not limited by the attached drawing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the components may be expressed exaggeratedly large or small in size or thickness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but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due to this.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implementations or example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consists of", etc.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That i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rms such as "comprises", "consists of", etc.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at there may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above" or "below"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s not only positioned directly above that other component, but that there may also be other components intervening ther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they have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wi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조리기기가 바닥(floor)에 놓인 상태에서, 조리기기의 중심을 기준으로 도어가 설치된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도어를 열고 조리기기 내부로 진입하는 방향은 후방이 된다. 편의상 이렇게 전방과 후방을 향하는 방향을 제1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전방은 제1방향의 일방, 후방은 제1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When the cooking appliance is placed on the floor,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is installed based on the center of the cooking appliance is defined as the front. Therefore,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is opened and the in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is the rear. For convenience, the direction facing forward and backward can be called the first direction. Then, the front can be called one side of the first direction, and the rear can be calle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direction.
또한 중력 방향을 하방, 중력 방향의 반대 방향을 상방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Additionally, we could define the direction of gravity as downward, and the opposite direction of gravity as upward.
그리고, 조리기기의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 즉 조리기기의 도어 앞에서 조리기기를 바라볼 때 조리기기의 폭방향을 좌우방향이라 할 수 있다. 편의상 좌우방향을 제2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우측은 제2방향의 일방, 좌측은 제2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And, the horizont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that is,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when looking at the cooking appliance from the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door, can be called the left-right direction. For convenience, the left-right direction can be called the second direction. Then, the right side can be called one side of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left side can be calle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direction.
또한 상기 조리기기의 폭방향을 측방향이라 할 수도 있다. 그러면 우측은 측방향의 일측, 좌측은 측방향의 타측이라 할 수 있다.Also, the width direction of the above cooking appliance can be called the lateral direction. Then, the right side can be called one side of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left side can be called the other side of the lateral direction.
그리고, 상술한 상하방향을 제3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상방은 제3방향의 일방, 하방은 제3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And, the above-mentioned up-down direction can be called the third direction. Then, the up direction can be called one side of the third direction, and the down direction can be called the other side of the third direction.
또한 상술한 상하방향을 세로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전후방향과 좌우방향, 즉 제1방향과 제2방향을 포함하여 가로방향이라 할 수 있다.Also, the above-mentioned up-down direction can be called the vertical direction. The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that is,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can be included as the horizontal direction.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it says "A and/or B", it means A, B, or A and B, unless otherwise stated, and when it says "C to D", it means C or more and D or less, unless otherwise stated.
[조리기기의 전반적인 구조][Overall structure of the cooking applianc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조리실 개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에서 캐비닛이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oking chamber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1 is open. In addition, FIG. 3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1, and FIG.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binet is removed from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1.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본체(1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는, 캐비티(11)과 캐비닛(13) 및 베이스 플레이트(1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4,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terior formed by a main body (10). The main body (10) may be provided in a shape that includes an approximate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strength in order to protect a plurality of components installed in its internal space. The main body (10) may include a cavity (11), a cabinet (13), and a base plate (14).
캐비티(11)는, 본체(10)의 내부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캐비티(11)는,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캐비티(11)의 내부에는, 조리실(10a)이 형성될 수 있다. 조리실(10a)은, 캐비티(11)의 내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 즉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cavity (11) can form the internal skeleton of the main body (10). This cavity (11) can be formed in the shape of a hexahedron with an open front. A cooking chamber (10a) can be formed inside the cavity (11). The cooking chamber (10a) can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shape of the cavity (11), that is, in the shape of a hexahedron with an open front.
조리실(10a)은,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조리실(10a)이 차폐된 상태에서, 조리실(10a)의 내부공간이 가열되면서 요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조리기기에서는, 조리실(10a)의 내부공간이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다.The cooking chamber (10a) can be formed in the form of a hexahedron with an open front. With the cooking chamber (10a) shielded, cooking can be done while the interio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10a) is heated. That is, in the cooking appliance, the interio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10a) is the space where food is actually cooked.
캐비티(11)의 전방에는, 프런트 플레이트(12)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프런트 플레이트(12)는, 캐비티(11)의 전방에서 본체(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서, 프런트 플레이트(12)는 중공이 형성된 금속판 형태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A front plate (12) may be placed in front of the cavity (11). This front plate (12) may form the front appearance of the main body (10) in front of the cavity (11). As an example, the front plate (12)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metal plate with a hollow portion formed therein.
캐비닛(13)은, 캐비티(11)의 외측에서 본체(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캐비닛(13)은, 캐비티(11)를 상부 및 측부에서 덮으며 본체(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The cabinet (13) can form the exterior of the main body (10) from the outside of the cavity (11). This cabinet (13) can cover the cavity (11) from the top and sides and form the exterior of the main body (10).
베이스 플레이트(14)는, 캐비티(11)의 하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14)는, 조리기기의 저면을 형성하며, 캐비티(11)의 하부측에서 캐비티(11)를 커버할 수 있다.The base plate (14) can be placed on the lower side of the cavity (11). This base plate (14) forms the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appliance and can cover the cavity (11) on the lower side of the cavity (11).
아울러 본체(10)는, 리어 플레이트(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어 플레이트(15)는, 캐비티(11)의 배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리어 플레이트(15)는, 조리기의 배면을 형성하며, 캐비티(11)의 후방측에서 캐비티(11)를 커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0) may further include a rear plate (15). The rear plate (15) may be placed on the rear side of the cavity (11). This rear plate (15) forms the rear surface of the cooker and may cover the cavity (11) on the rear side of the cavity (11).
상기 리어 플레이트(15)는, 캐비닛(13)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캐비닛(13)과 별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above rear plate (15)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cabinet (13) or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cabinet (13).
본체(10)의 전방에는, 조리실(10a)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20)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어(20)는, 그 측방향 일측을 중심으로 측방향 타측이 좌우로 회동하는 사이드 스윙(Side-swing) 방식으로 조리실(10a)을 개폐할 수 있다.At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a door (20) that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cooking chamber (10a) can be provided in a rotatably manner. The door (20) can open and close the cooking chamber (10a) in a side-swing manner in which the other side of the door (20) rotates left and right around one side of the door.
이러한 도어(20)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와 도어(20) 사이에는, 힌지가 설치될 수 있다. 힌지는, 본체(10)의 측방향 일측에 배치되어 도어(20)의 측방향 일측을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도어(20)는, 본체(10)의 전면에서 힌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조리실(10a)을 개폐할 수 있다.The door (20) may be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s a whole. A hinge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main body (10) and the door (20). The hinge may be arranged on one lateral side of the main body (10) to rotatably connect one lateral side of the door (20) to the main body (10). The door (20)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hinge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may open and close the cooking chamber (10a) by rotating around the hinge.
또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조리실(10a) 내 가열을 위한 조리실 열원이 구비된다. 상기 조리실 열원은 한 가지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고, 두 가지 이상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a cooking chamber heat source for heating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The cooking chamber heat source may be implemented as one type, or may be implemented as two or more types.
본 실시예에서, 조리실 열원은 조리실(10a) 내부에 고주파 열원을 공급할 수 있는 마그네트론(Magnetron)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때 마그네트론은,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되, 조리실(10a)의 상부 또는 측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oking chamber heat source is exemplified as including a magnetron capable of supplying a high-frequency heat source inside the cooking chamber (10a). At this time, the magnetron may b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 but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located at the top or side of the cooking chamber (10a).
또한 본체(10)의 내부에는, 본체(10) 내 조리실(10a)의 상부 또는 측부에 위치되는 전장실(10b,10c,10d)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그네트론 및 전장실(10b,10c,10d)이 조리실(10a)의 측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전장실(10b,10c,10d)의 내부에는, 마그네트론, 고압트랜스 등의 전장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inside the main body (10), a power chamber (10b, 10c, 10d) positioned at the upper or side of the cooking chamber (10a) within the main body (10) may be formed. In this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that the magnetron and the power chamber (10b, 10c, 10d) are positioned at the side of the cooking chamber (10a). Power components such as a magnetron and a high-voltage transformer may be installed inside the power chamber (10b, 10c, 10d).
아울러 본체(10)의 전방측에는, 컨트롤패널(25)이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서, 컨트롤패널(25)은 도어(20)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ntrol panel (25)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 As an example, the control panel (25) may be placed on the door (20).
컨트롤패널(25)은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컨트롤패널(25)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조리기기를 동작시키는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가 제공될 수 있다. 입력부에는 다수의 조작스위치가 마련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The control panel (25)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hexahedron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and an input section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control panel (25) for the user to input an operation signal to operate the cooking appliance. A number of operation switches are provided in the input section, through which the user can directly input an operation signal.
다른 예로서, 컨트롤패널(25)은 캐비티(11)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컨트롤패널(25)은 조리실(10a)과 전후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조리실(10a)의 측부에는 전장실(10b,10c,10d)이 배치될 수 있으며, 컨트롤패널(25)은 전장실(10b,10c,10d)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panel (25) may be placed on the front side of the cavity (11). This control panel (25) may be placed in an area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cooking chamber (10a) in the front-back direction. For example, the power chambers (10b, 10c, 10d) may be placed on the side of the cooking chamber (10a), and the control panel (25) may be placed on the front side of the power chambers (10b, 10c, 10d).
아울러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송풍부(100,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에는, 흡기구(1) 및 배기구(2,3,4)가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blower (100, 200). In addition, the main body (10) may be provided with an intake port (1) and an exhaust port (2, 3, 4).
송풍부(100,200)는, 조리기기의 내부에 수용되며, 흡기구(1)를 통해 조리 가스를 흡입하고, 흡입한 조리 가스를 배기구(2,3,4)를 통해 조리기기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The blower (100, 200) is accommodated inside the cooking appliance, and can suck in cooking gas through the intake port (1) and discharge the sucked cooking gas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through the exhaust port (2, 3, 4).
[흡기구, 배기구, 공간부][Intake, exhaust, space]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조리기기에서 리어 플레이트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배면도이다.FIGS. 5 and 6 are rear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cooking appliance illustrated in FIG. 4 with the rear plate removed, and FIG. 7 is a rear view of the cooking appliance illustrated in FIG. 6.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흡기구(1)는 조리기기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흡기구(1)는 베이스 플레이트(14)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흡기구(1)는, 조리 가스가 조리기기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통로를 조리기기의 하단에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흡기구(1)가 송풍부(100,200)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Referring to FIGS. 3 to 7, the intake port (1) may be arrang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appliance. As an example, the intake port (1) may be provided on the base plate (14). The intake port (1) may form a passage for the cooking gas to flow into the in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at the bottom of the cooking appliance. In this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that a pair of intake ports (1) are arranged on the lower side of the blower (100, 200).
베이스 플레이트(14)는, 캐비티(11)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캐비티(11)의 저면과 베이스 플레이트(14) 사이에는, 하부공간부(부호생략)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하부공간부에 의해, 외부 공기가 흡기구(1)를 통해 조리기기 내부로 유입되는데 필요한 공간이 흡기구(1)의 상측에 제공될 수 있다.The base plate (14) may b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avity (11). Accordingly, a lower space (symbol omitted) may be form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vity (11) and the base plate (14). By the lower space formed in this manner, a space necessary for external air to be introduced into the cooking appliance through the intake port (1) may be provided above the intake port (1).
배기구(2,3,4)는, 조리기기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기구(2,3,4)는, 조리기기 내부로 흡입된 조리 가스를 조리기기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를 조리기기의 상부에 형성할 수 있다.The exhaust ports (2, 3, 4) can be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These exhaust ports (2, 3, 4) can form a passage on the upper 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for discharging cooking gas sucked into the in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본 실시예에서는, 조리기기에 제1배기구(2)와 제2배기구(3) 및 제3배기구(4)가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In this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that the cooking appliance is provided with a first exhaust port (2), a second exhaust port (3), and a third exhaust port (4).
제1배기구(2) 및 제2배기구(3)는, 본체(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배기구(2) 및 제2배기구(3)는, 조리기기 내부로 흡입된 조리 가스를 조리기기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를 조리기기의 상단에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exhaust port (2) and the second exhaust port (3) can be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he first exhaust port (2) and the second exhaust port (3) can form a passage at the top of the cooking appliance for discharging cooking gas sucked into the in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일례로서, 제1배기구(2) 및 제2배기구(3)는 캐비닛(13)의 상면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배기구(2) 및 제2배기구(3)는, 캐비닛(13)의 상면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first exhaust port (2) and the second exhaust port (3)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3). The first exhaust port (2) and the second exhaust port (3)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3)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 중 제1배기구(2)는, 본체(10)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배기구(3)는, 본체(10)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배기구(3)는, 도어(20)에 인접한 측에 배치되며, 제1배기구(2)에 비해 전방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될 수 있다.Among these, the first exhaust port (2) can be arrang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second exhaust port (3) can be arrang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 That is, the second exhaust port (3) is arranged on the side adjacent to the door (20) and can be arranged to be biased toward the front side compared to the first exhaust port (2).
제1배기구(2)는, 조리기기 내부로 흡입된 조리 가스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배기구(3)는, 조리기기 내부로 흡입된 조리 가스를 실내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exhaust port (2) can form a passage for discharging cooking gas sucked into the cooking appliance to the outdoors. And the second exhaust port (3) can form a passage for discharging cooking gas sucked into the cooking appliance to the indoors.
일례로서, 제1배기구(2)는 조리기기의 상측에 설치된 상부 수납장과 상하방향으로 중첩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배기구(3)는, 상기 상부 수납장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first exhaust port (2) may be placed in an area that overlaps vertically with the upper storage cabinet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And the second exhaust port (3) may be placed in a position that protrudes forward from the upper storage cabinet.
또한 제1배기구(2)는, 본체(10)의 측방향 대략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의 전방측에는, 복수개의 제2배기구(3)가 측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exhaust port (2) can be arranged approximately in the center of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An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 a plurality of second exhaust ports (3) can be arranged along the lateral direction.
상기와 같이 본체(10)의 측방향 대략 중앙에 배치된 제1배기구(2)는, 실외와 연결된 배기관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측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제2배기구(3)는, 상부 수납장의 전방측에서 조리기기의 상측을 향해 조리 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이때 조리 가스는, 조리기기의 내부에서 여과된 상태로 제2배기구(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exhaust port (2) arranged approximately in the center of the side of the main body (10) can be connected to an exhaust pipe connect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a plurality of second exhaust ports (3) arranged laterally can discharge cooking gas from the front side of the upper storage cabinet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At this time, the cooking gas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exhaust port (3) in a filtered state inside the cooking appliance.
제3배기구(4)는, 제1배기구(2)와 마찬가지로, 조리기기 내부로 흡입된 조리 가스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제3배기구(4)는, 조리기기가 설치되는 벽면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3배기구(4)는, 벽면에 설치되어 실외와 연결된 배기관과 연결될 수 있다.The third exhaust port (4), like the first exhaust port (2), can form a passage for discharging cooking gas sucked into the cooking appliance to the outdoors. The third exhaust port (4) can be positioned so as to face the wall on which the cooking appliance is installed. This third exhaust port (4) can be connected to an exhaust pipe installed on the wall and connected to the outdoors.
상기 제3배기구(4)는, 조리기기의 배면에 배치되며, 송풍부(100,2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3배기구(4)는 리어 플레이트(15)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3배기구(4)는, 리어 플레이트(15)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exhaust port (4) is arranged on the back of the cooking appliance and may be arranged above the blower (100, 200). As an example, the third exhaust port (4) may be provided in the rear plate (15). The third exhaust port (4)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rear plate (15) in the front-back direction.
본체(10)의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부는, 캐비티(11)와 캐비닛(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A space may be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0). This space may be placed between the cavity (11) and the cabinet (13).
상기 공간부는, 측부공간부(10e)와 배후공간부(10f)로 구분될 수 있다. 측부공간부(10e)는, 캐비티(11)의 측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배후공간부(10f)는, 캐비티(11)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above space portion can be divided into a side space portion (10e) and a rear space portion (10f). The side space portion (10e) can be arranged on each of the lateral sides of the cavity (11). And the rear space portion (10f) can be arranged on the rear side of the cavity (11).
예컨대, 측부공간부(10e)는 캐비티(11)의 측면과 캐비닛(13)의 측면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공간일 수 있다. 그리고 배후공간부(10f)는, 캐비티(11)의 배면과 리어 플레이트(15)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side space (10e) may be a space formed between the side of the cavity (11) and the side of the cabinet (13). And the rear space (10f) may be a space formed between the back surface of the cavity (11) and the rear plate (15).
측부공간부(10e) 및 배후공간부(10f)는, 하부공간부와 연통될 수 있다. 측부공간부(10e) 및 배후공간부(10f)는, 하부공간부와 상하방향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측방향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흡기구(1)는 하부공간부와 연통되며, 측부공간부(10e) 및 배후공간부(10f) 하부공간부를 통해 흡기구(1)와 연통될 수 있다.The side space (10e) and the rear space (10f) can be connected to the lower space. The side space (10e) and the rear space (10f) can be connected to the lower space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intake port (1) is connected to the lower space, and can be connected to the intake port (1) through the lower space of the side space (10e) and the rear space (10f).
측부공간부(10e) 중 어느 하나에는, 전장실(10b,10c,10d)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컨트롤패널(25)의 후방측에 배치된 측부공간부에 전장실(10b,10c,10d)이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In one of the side spaces (10e), a power unit (10b, 10c, 10d) may be arrang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that a power unit (10b, 10c, 10d) is arranged in a side space arranged on the rear side of the control panel (25).
또한 본체(10)의 내부에는, 캐비티(11)의 후방측이면서도 캐비티(11)의 측방측에 배치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은, 배후공간부(10f)가 될 수도 있고, 측부공간부(10e) 또는 전장실(10b,10c,10d)이 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space may be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0) that is located at the rear side of the cavity (11) and at the side side of the cavity (11). This space may be a rear space (10f), a side space (10e), or a main chamber (10b, 10c, 10d).
예를 들어, 상기 공간은 본체(10) 내부에서 후방 모서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전장실(10b,10c,10d)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상기 공간을 코너공간부(10e)라 칭하기로 한다. 배후공간부(10f)와 측부공간부(10e), 좀 더 구체적으로는 배후공간부(10f)와 전장실(10b,10c,10d)은, 코너공간부(10e)를 통해 연통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pace may be arranged at a rear corner portion inside the main body (10). Hereinafter, the space arranged at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b, 10c, 10d) will be referred to as a corner space (10e). The rear space (10f) and the side space (10e), more specifically, the rear space (10f) and the main body (10b, 10c, 10d), may be communicated through the corner space (10e).
송풍부(100,200)는,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송풍부(100,200)는 공간부, 즉 캐비티(11)와 캐비닛(13)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부(100,200)는, 적어도 하나의 팬 어셈블리(100,2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blower (100, 200) may be placed inside the main body (10). More specifically, the blower (100, 200) may be placed in a space, that is, a space between the cavity (11) and the cabinet (13). The blower (100, 200) may include at least one fan assembly (100, 200).
팬 어셈블리(100,200)는, 조리기기 외부의 조리 가스를 흡입한 후 조리기기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기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팬 어셈블리(100,200)는, 흡기구(1)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유입시키기고 유입된 조리 가스를 배기구(2,3,4)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The fan assembly (100, 200) can generate an airflow to draw in cooking gas from outside the cooking appliance and then discharge it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This fan assembly (100, 200) can draw in cooking gas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intake port (1) and discharge the drawn-in cooking gas through the exhaust port (2, 3, 4).
송풍부(100,200)에 마련되는 팬 어셈블리들(100,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배후공간부(10f)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기구(1)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조리 가스는 배후공간부(10f)를 통과한 후 제1배기구(2) 또는 제2배기구(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팬 어셈블리(100,200)의 구체적인 배치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At least one of the fan assemblies (100, 200) provided in the blower (100, 200) may be placed in the rear space (10f). Accordingly, the cooking gas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intake port (1) may pass through the rear space (10f) and then be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exhaust port (2) or the second exhaust port (3). The specific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fan assemblies (100, 200) will be described later.
아울러 본체(10)의 내부에는, 상부공간부(10i)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부공간부(10i)는, 캐비티(1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n upper space (10i) may be further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The upper space (10i) may be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vity (11).
예컨대, 상부공간부(10i)는, 캐비티(11)의 상면과 캐비닛(13)의 상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공간부(10i)는, 배후공간부(10f)와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upper space (10i) can be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3). This upper space (10i) can be connected to the rear space (10f).
즉 배후공간부(10f)로 유입된 공기는, 상부공간부(10i)를 통과하여 배기구(2,3,4)를 통해 조리기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측부공간부(10e)로 유입된 공기도, 배후공간부(10f) 및 상부공간부(10i)를 통과하여 배기구(2,3,4)를 통해 조리기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at is, air drawn into the rear space (10f) can pass through the upper space (10i) and be discharged outside the cooking appliance through the exhaust ports (2, 3, 4). In addition, air drawn into the side space (10e) can also pass through the rear space (10f) and the upper space (10i) and be discharged outside the cooking appliance through the exhaust ports (2, 3, 4).
[팬 어셈블리][Fan Assembly]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배후팬 어셈블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코너팬 어셈블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rear fan assembly illustrated in FIG. 6 in an exploded manner, and 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rner fan assembly illustrated in FIG. 6 in an exploded manner.
도 1과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송풍부(100,200)는 적어도 하나의 팬 어셈블리(100,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송풍부(100,200)는 배후팬 어셈블리(1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d FIG. 7 to FIG. 8, the blower (100, 200) may include at least one fan assembly (100, 200). As an example, the blower (100, 200) may include a rear fan assembly (100).
배후팬 어셈블리(100)는, 팬하우징(110)과 임펠러(120) 및 팬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ar fan assembly (100) may include a fan housing (110), an impeller (120), and a fan motor.
팬하우징(110)은, 배후팬 어셈블리(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임펠러(12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팬하우징(110)의 측부에는, 제1흡입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흡입구(112)는, 배후팬 어셈블리(100) 외부의 공기가 임펠러(120)의 내부로 흡입되는데 필요한 통로를 팬하우징(110)에 형성할 수 있다.The fan housing (110) forms the exterior of the rear fan assembly (100) and can accommodate an impeller (120) inside. A first intake port (112) can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fan housing (110). The first intake port (112) can form a passage in the fan housing (110) necessary for air outside the rear fan assembly (100) to be sucked into the interior of the impeller (120).
본 실시예에서, 팬하우징(110)은 양측부가 개방된 누운 원통 형상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며, 팬하우징(110)의 개방된 양측부가 제1흡입구(112)로 제공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an housing (110) is exemplified as being formed in a shape including a lying cylindrical shape with both sides open, and the open sides of the fan housing (110) can be provided as a first suction port (112).
팬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임펠러(12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A space for accommodating an impeller (120) can be formed inside the fan housing (110).
팬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임펠러(12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수용공간과 마주보는 팬하우징(110)의 내주면은 임펠러(120)의 외주면을 감싸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A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an impeller (120) may be formed inside the fan housing (110). 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fan housing (110) facing this receiving space may be formed as a curved surface that surrounds the outer surface of the impeller (120).
제1토출구(114)는, 팬하우징(110)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1토출구(114)는, 임펠러(120)가 수용된 수용공간으로 흡입된 공기가 송풍부(100,200) 외부로 토출되는 통로를 형성한다.The first discharge port (114)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an housing (110). The first discharge port (114) form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suck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where the impeller (120) is accommodate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lower (100, 200).
상기 제1토출구(114)는 팬하우징(110)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흡입구(112)를 통해 측방향으로 팬하우징(11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제1토출구(114)를 통해 팬하우징(110)의 상측으로 토출될 수 있다.The above first discharge port (114) may be formed in a form that penetrates the fan housing (110)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ly, air sucked laterally into the fan housing (110) through the first suction port (112) may be discharged to the upper side of the fan housing (110)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114).
임펠러(120)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임펠러(120)의 내부에는 임펠러(120)의 측부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된다.The impeller (120)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around an axis extending laterally. A space is formed inside the impeller (120) into which air is sucked in through the side of the impeller (120).
상기 임펠러(120)는, 팬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될 수 있다. 팬모터의 회전축은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이러한 팬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임펠러(120)는, 팬모터의 회전축과 함께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above impeller (120) can be connect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fan motor. The rotation axis of the fan motor rotates around an axis that extends laterally, and the impeller (120) connect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fan motor can rotate around an axis that extends laterally together with the rotation axis of the fan motor.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배후팬 어셈블리(100)는, 본체(10) 내부에 배치되되, 배후공간부(10f)와 코너공간부(10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후팬 어셈블리(100)가 배후공간부(10f)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The rear fan assembly (100) provided as described above is arranged inside the main body (10), and may be arranged in at least one of the rear space (10f) and the corner space (10e). In this embodiment, the rear fan assembly (100) is exemplified as being arranged in the rear space (10f).
일례로서, 배후팬 어셈블리(100)는 한 쌍의 임펠러(120)를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배후팬 어셈블리(100)는, 측방향으로 배열된 한 쌍의 임펠러(120) 사이에 팬모터가 배치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rear fan assembly (100) may be provided in a form including a pair of impellers (120). This rear fan assembly (100)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a fan motor is arranged between a pair of impellers (120) arranged laterally.
배후팬 어셈블리(100)에서, 팬모터는 그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임펠러(120)를 함께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임펠러(120)는, 팬모터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팬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In the rear fan assembly (100), the fan motor can rotate a pair of impellers (120) arranged on both sides thereof together. And each impeller (120) can be accommodated inside a pair of fan housings (110)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fan motor.
상기와 같이 하나의 팬모터와 한 쌍의 임펠러(120) 및 팬하우징(110)을 포함하는 배후팬 어셈블리(100)는, 배후팬 어셈블리(100)의 측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제1흡입구(112)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배후팬 어셈블리(100)의 상측에 배치된 한 쌍의 제1토출구(114)를 통해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ear fan assembly (100) including one fan motor, a pair of impellers (120) and a fan housing (110) can suck in air through a pair of first intake ports (112) arranged on each of the lateral sides of the rear fan assembly (100) and discharge air through a pair of first discharge ports (114)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ar fan assembly (100).
상기 배후팬 어셈블리(100)는, 한 쌍의 임펠러(120) 및 팬하우징(110)이 팬모터의 양측에 배치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 임펠러(120)와 팬하우징(110)의 조립체를 "팬모듈"이라 칭하기로 한다. 이에 따르면, 각각의 배후팬 어셈블리(100)는 팬모터의 양측에 한 쌍의 팬모듈이 연결된 형태로 마련된다고 할 수 있다.The above rear fan assembly (100)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a pair of impellers (120) and a fan housing (110) are arranged on both sides of a fan motor. Hereinafter, the assembly of the impeller (120) and the fan housing (110) will be referred to as a "fan module." Accordingly, it can be said that each rear fan assembly (100) is provided in a form in which a pair of fan modules are connected on both sides of a fan motor.
상기 배후팬 어셈블리(100)는, 배후공간부(10f), 즉 캐비티(11)의 배면과 리어 플레이트(15)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후팬 어셈블리(100)는, 흡기구(110) 및 배기구(2,3,4)와 연통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으며, 흡기구(110)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배기구(2,3,4) 측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The rear fan assembly (100) above can be placed in the rear space (10f), that is,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cavity (11) and the rear plate (15). This rear fan assembly (100) can be placed in a space that is connected to the intake port (110) and the exhaust port (2, 3, 4), and can suck in air through the intake port (110) and discharge air toward the exhaust port (2, 3, 4).
또한 배후팬 어셈블리(100)는, 배후공간부(10f)의 측방향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배후팬 어셈블리(100)는, 조리기기의 내부에서 대략 후방 중앙측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ar fan assembly (100) can be placed at the lateral center of the rear space (10f). That is, the rear fan assembly (100) can be placed approximately at the rear center inside the cooking applianc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배기구(2)는 본체(10)의 측방향 대략 중앙에 배치되되, 캐비닛(13)의 상면 상에서 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배기구(2)는, 팬 어셈블리(100,200)와 상하방향으로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배기구(2)는, 배후공간부(10f) 및 배후팬 어셈블리(100)와 상하방향으로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exhaust port (2) may be arranged at approximately the center of the side of the main body (10), but may be arranged at a position tilted rearwar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3). In addition, the first exhaust port (2) may be arranged in an area that overlaps vertically with the fan assembly (100, 200). That is, the first exhaust port (2) may be arranged in an area that overlaps vertically with the rear space (10f) and the rear fan assembly (100).
또한 제3배기구(4)는, 본체(10)의 측방향 대략 중앙에 배치되되, 리어 플레이트(15)에서 상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3배기구(4)는, 본체(10)의 배면에 배치되되, 제1배기구(2)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exhaust port (4) may be positioned approximately in the lateral center of the main body (10), but may be positioned upwardly from the rear plate (15). That is, the third exhaust port (4) may be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but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first exhaust port (2).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는, 제1배기구(2)와 제3배기구(4) 및 배후팬 어셈블리(100)가 모두 배후공간부(10f)에 배치되고, 배후공간부(10f) 상에서 제1배기구(2) 및 제3배기구(4), 특히 제1배기구(2)가 배후팬 어셈블리(100)와 상하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In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exhaust port (2), the third exhaust port (4) and the rear fan assembly (100) are all arranged in the rear space (10f), and the first exhaust port (2) and the third exhaust port (4), particularly the first exhaust port (2), can b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rear fan assembly (100) on the rear space (10f).
즉 배후팬 어셈블리(100)와 배후공간부(10f)와 제1배기구(2) 및 제3배기구(4)는, 상하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배후팬 어셈블리(100)와 배후공간부(10f)와 제1배기구(2) 및 제3배기구(4)가 상하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That is, the rear fan assembly (100), the rear space (10f), the first exhaust port (2), and the third exhaust port (4) can be arranged in positions that overlap in the vertical direction. Preferably, the rear fan assembly (100), the rear space (10f), the first exhaust port (2), and the third exhaust port (4) can be arranged in a row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에 따라, 배후팬 어셈블리(100)의 동작에 의해 이루어지는 공기의 유동은, 배후팬 어셈블리(100)와 배후공간부(10f)와 제1배기구(2) 및 제3배기구(4)의 배치 방향과 동일한 직선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air flow caused by the operation of the rear fan assembly (100) can be made in the same straight direction as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rear fan assembly (100), the rear space (10f), the first exhaust port (2), and the third exhaust port (4).
이와 같이 직선 방향으로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지면, 그만큼 공기 유동에 대한 저항이 낮아져 공기의 유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배후팬 어셈블리(100)에 의한 공기 흡입 및 배출 성능이 향상될 수 있게 되므로, 조리기기의 조리 가스 제거 성능이 그만큼 향상될 수 있게 된다.As air flows in a straight direction like this, the resistance to air flow is lowered, allowing air to flow more smoothly. Accordingly, the air intake and exhaust performance by the rear fan assembly (100) can be improved, and thus the cooking gas removal performance of the cooking appliance can be improved accordingly.
본 실시예의 송풍부(100,200)는, 측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팬 어셈블리(100,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송풍부(100,200)는,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팬 어셈블리(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후팬 어셈블리(100)와 코너팬 어셈블리(200)는, 배후공간부(10f)에서 측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The blower (100,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fan assemblies (100, 200) arranged laterally. As an example, the blower (100, 200) may further include a corner fan assembly (200), as shown in FIGS. 7 and 9. The rear fan assembly (100) and the corner fan assembly (200) may be arranged laterally in the rear space (10f).
코너팬 어셈블리(200)는 팬모터에 하나의 팬모듈이 연결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서, 코너팬 어셈블리(200)는, 팬모터의 하측에 하나의 팬모듈이 연결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The corner fan assembly (200)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one fan module is connected to a fan motor. As an example, the corner fan assembly (200)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one fan module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an motor.
이러한 코너팬 어셈블리(200)에서, 임펠러(220)는 상하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흡입구(212)는 팬하우징(210)의 하측에 배치되며, 제2토출구(224)는 팬하우징(210)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orner fan assembly (200), the impeller (220) can be rotated around an up-down axis. The second suction port (212) can be arranged on the lower side of the fan housing (210),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224) can be arranged on the side of the fan housing (210).
즉 코너팬 어셈블리(200)는, 대략 배후팬 어셈블리(100)의 절반이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형태와 유사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That is, the corner fan assembly (200) can be provided in a shape similar to a shape in which roughly half of the rear fan assembly (100) is erected vertically.
배후공간부(10f)에는, 배후팬 어셈블리(100)와 코너팬 어셈블리(200)가 함께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배후팬 어셈블리(100)와 코너팬 어셈블리(200)는, 배후공간부(10f)에 측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In the rear space (10f), a rear fan assembly (100) and a corner fan assembly (200) may be arranged together. As an example, the rear fan assembly (100) and the corner fan assembly (200) may be arranged laterally in the rear space (10f).
예를 들어, 코너팬 어셈블리(200)는 전장실(10b,10c,10d)에 인접한 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배후팬 어셈블리(100)는 그 반대편의 측부공간부(10e)에 인접한 측에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rner fan assembly (200) may be placed on the side adjacent to the main chamber (10b, 10c, 10d), and the rear fan assembly (100) may be placed on the side adjacent to the side space (10e) on the opposite side.
코너팬 어셈블리(200)의 적어도 일부분은, 코너공간부(10e)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코너팬 어셈블리(200)의 대부분의 영역이 코너공간부(10e)에 배치될 수 있으며, 코너팬 어셈블리(200)의 제2흡입구(212)도 코너공간부(10e)에 배치될 수 있다. 코너팬 어셈블리(200)는, 배후팬 어셈블리(100)와 측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corner fan assembly (200) may be placed in the corner space portion (10e). As an example, most of the area of the corner fan assembly (200) may be placed in the corner space portion (10e), and the second intake port (212) of the corner fan assembly (200) may also be placed in the corner space portion (10e). The corner fan assembly (200) may be placed laterally spaced apart from the rear fan assembly (1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송풍부(100,200)는 배후팬 어셈블리(100)만을 복수개 포함하는 대신, 배후팬 어셈블리(100)와 코너팬 어셈블리(200)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stead of including only a plurality of rear fan assemblies (100), the blower (100, 200) may include both a rear fan assembly (100) and a corner fan assembly (200).
이와 같이 송풍부(100,200)에 배후팬 어셈블리(100)와 코너팬 어셈블리(200)가 함께 적용됨에 따라, 송풍부(100,200)가 배후팬 어셈블리(100)만을 복수개 포함하는 경우에 비해 송풍부(100,200) 전체의 측방향 길이가 감소될 수 있다.As the rear fan assembly (100) and the corner fan assembly (200) are applied together to the blower (100, 200) in this way, the lateral length of the entire blower (100, 200) can be reduced compared to a case where the blower (100, 200) includes only a plurality of rear fan assemblies (100).
예컨대, 측방향으로 배열되는 한 쌍의 배후팬 어셈블리(100)를 포함하는 송풍부(200)에 비해, 하나의 배후팬 어셈블리(100)와 하나의 코너팬 어셈블리(200)를 포함하는 송풍부(100,200)의 측방향 길이가 더 짧게 측정될 수 있다.For example, compared to a blower (200) including a pair of rear fan assemblies (100) arranged laterally, the lateral length of a blower (100, 200) including one rear fan assembly (100) and one corner fan assembly (200) can be measured shorter.
코너팬 어셈블리(200)는, 배후팬 어셈블리(100)가 포함하는 팬모듈 중 일부만을 포함할 뿐 아니라,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형태의 팬모듈을 포함한 형태로 제공된다. 따라서 코너팬 어셈블리(200)의 측방향 길이는, 배후팬 어셈블리(100) 및 배후팬 어셈블리(100)에 비해 매우 짧을 수밖에 없다.The corner fan assembly (200) includes only a portion of the fan modules included in the rear fan assembly (100), and is provided in a form that includes fan modules that are vertically erected. Therefore, the lateral length of the corner fan assembly (200) cannot but be much shorter than that of the rear fan assembly (100) and the rear fan assembly (100).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이러한 코너팬 어셈블리(200)를 포함하는 본 실시예의 송풍부(100,200)는 배후팬 어셈블리(100)나 배후팬 어셈블리(100)만을 포함하는 송풍부에 비해 상당히 작은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고 할 것이다.Considering these points, it can be said that the blower (100,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ing the corner fan assembly (200) can be provided in a significantly smaller size compared to the blower including only the rear fan assembly (100) or the rear fan assembly (100).
이와 같은 형태의 송풍부(100,200)가 조리기기에 적용되면, 송풍부(100,200)가 차지하는 공간이 작아지는 만큼 조리기기의 크기, 특히 조리기기의 측방향 길이가 감소될 수 있게 된다.When a blower (100, 200) of this type is applied to a cooking appliance, the size of the cooking appliance, especially the lateral length of the cooking appliance, can be reduced as the space occupied by the blower (100, 200) becomes smaller.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조리기기의 내부에 배후팬 어셈블리(100)가 복수개 배치되기에는 조리기기의 크기가 약간 작을 때, 본 실시예의 송풍부(100,200)가 이 조리기기에 적용되기에 매우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Considering these points, when the size of the cooking appliance is slightly small for arranging multiple rear fan assemblies (100) inside the cooking appliance, the blower (100,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very suitable for application to the cooking appliance.
또한 상기 코너팬 어셈블리(200)에서는, 제2흡입구(212)가 팬하우징(2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흡입구(212)는, 코너팬 어셈블리(200)의 최하단에 배치될 수 있으며, 조리기기의 하단에 마련된 흡기구(1)에 매우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rner fan assembly (200), the second suction port (212) may be positioned at the lower side of the fan housing (210). Accordingly, the second suction port (212) may be positioned at the lowest end of the corner fan assembly (200) and may be positioned very close to the suction port (1)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cooking appliance.
제2흡입구(212)와 흡기구(1)간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팬모터의 출력 대비 팬 어셈블리의 흡입 성능이 큰 폭으로 향상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와 같이 코너팬 어셈블리(200)의 제2흡입구(212)가 흡기구(1)와 가까워짐에 따라 코너팬 어셈블리(200)의 흡입 성능이 상당 수준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Considering that the suction performance of the fan assembl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output of the fan motor as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suction port (212) and the suction port (1) becomes closer, it can be seen that the suction performance of the corner fan assembly (200)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as the second suction port (212) of the corner fan assembly (200) becomes closer to the suction port (1).
즉 코너팬 어셈블리(200)의 성능이 배후팬 어셈블리(100)에 비해 낮을 수도 있지만, 이러한 성능 차이는 제2흡입구(212)와 흡기구(1) 간의 거리 단축으로 인해 얻어지는 성능 향상치에 의해 대부분 상쇄될 수 있다.That is, although the performance of the corner fan assembly (200) may be lower than that of the rear fan assembly (100), this performance difference can be largely offset by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btained by shorten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intake port (212) and the intake port (1).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본 실시예의 송풍부(100,200)는 다른 형태의 송풍부 대비 동등 수준 이상의 조리 가스 제거 성능을 제공하면서도 조리기기의 소형화에 기여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고 평가될 수 있다.Considering these points, it can be evaluated that the blower (100,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provide a cooking gas removal performance that is at least as good as that of other types of blowers while contributing to the miniaturiz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상기와 같은 송풍부(100,200)를 포함하는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컴팩트한 사이즈를 유지하며 향상된 조리 가스 제거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ing the blower (100, 200) as described above can provide improved cooking gas removal performance while maintaining a compact size.
한편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배후팬 어셈블리(100) 및 코너팬 어셈블리(200)는 캐비티(11)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배후팬 어셈블리(100) 및 코너팬 어셈블리(200)는, 상하방향에 대해서, 캐비티(11)의 상면과 저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5 to 7, the rear fan assembly (100) and the corner fan assembly (200) can be positioned to overlap the cavity (11)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at is, the rear fan assembly (100) and the corner fan assembly (200)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avity (11) in the up-down direction.
흡기구(1)를 통해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배후팬 어셈블리(100) 또는 코너팬 어셈블리(200) 측으로 원활하게 이동하기 위해서는, 배후팬 어셈블리(100) 및 코너팬 어셈블리(200)와 흡기구(1) 사이에 어느 정도 거리가 확보되어야 한다.In order for the air that has entered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intake port (1) to smoothly move toward the rear fan assembly (100) or the corner fan assembly (200), a certain distance must be secured between the rear fan assembly (100) and the corner fan assembly (200) and the intake port (1).
또한 배후팬 어셈블리(100) 및 코너팬 어셈블리(200)에서 토출된 공기가 상부공간부(10i) 측으로 원활하게 이동하기 위해서는, 배후팬 어셈블리(100) 및 코너팬 어셈블리(200)가 상부공간부(10i)보다는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order for the air discharged from the rear fan assembly (100) and the corner fan assembly (200) to move smoothly toward the upper space (10i), it is preferable that the rear fan assembly (100) and the corner fan assembly (200)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upper space (10i).
배후팬 어셈블리(100) 및 코너팬 어셈블리(200)가 상부공간부(10i)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경우, 배후팬 어셈블리(100) 또는 코너팬 어셈블리(200)의 제1토출구(114)와 상부공간부(10i) 사이의 통로가 너무 좁아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When the rear fan assembly (100) and the corner fan assembly (200) are positioned higher than the upper space (10i), a problem may occur in which the passage between the first discharge port (114) of the rear fan assembly (100) or the corner fan assembly (200) and the upper space (10i) becomes too narrow.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배후팬 어셈블리(100) 및 코너팬 어셈블리(200)와 흡기구(1) 사이, 배후팬 어셈블리(100) 및 코너팬 어셈블리(200)와 상부공간부(10i) 사이가 적절히 이격될 수 있는 위치에 배후팬 어셈블리(100) 및 코너팬 어셈블리(200)가 배치된다.Considering these points, in this embodiment, the rear fan assembly (100) and the corner fan assembly (200) are arranged at positions where the rear fan assembly (100) and the corner fan assembly (200) and the intake port (1) and the rear fan assembly (100) and the corner fan assembly (200) and the upper space (10i) can be appropriately spaced apart.
이에 따라, 흡기구(1)에서 배후팬 어셈블리(100) 및 코너팬 어셈블리(200)로의 공기의 유동과 배후팬 어셈블리(100) 및 코너팬 어셈블리(200)에서 상부공간부(10i)로의 공기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air flow from the intake port (1) to the rear fan assembly (100) and the corner fan assembly (200) and the air flow from the rear fan assembly (100) and the corner fan assembly (200) to the upper space (10i) can be smoothly achieved.
또한 코너팬 어셈블리(200)는, 배기구(113,115,117)보다 흡기구(1)에 더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너팬 어셈블리(200)의 제2흡입구(212)가 흡기구(1)에 매우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배후팬 어셈블리(100)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고 출력이 낮은 코너팬 어셈블리(200)의 흡입 성능이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corner fan assembly (200) can be positioned closer to the intake port (1) than to the exhaust port (113, 115, 117). Accordingly, the second intake port (212) of the corner fan assembly (200) can be positioned very close to the intake port (1). As a result, the intake performance of the corner fan assembly (200), which is relatively small in size and has low output compared to the rear fan assembly (100), can be effectively improved.
[유로형성부재의 일례][Example of absence of euro formation]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유로형성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11은 유로형성부재의 다른 예가 적용된 조리기기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유로형성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서의 공기 유동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도이다.Fig. 10 is a rea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flow path forming member illustrated in Fig. 6 in isolation, and Fig. 11 is a rea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oking appliance to which another example of the flow path forming member is applied. In addition, Fig. 12 is a rea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flow path forming member illustrated in Fig. 11 in isolation, and Fig. 13 is a rea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air flow state in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면, 조리기기는 유로형성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형성부재(30)는, 송풍부(100,20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게 마련된다.Referring to FIGS. 5 to 7 and 10, the cooking appliance may include a flow forming member (30). The flow forming member (30) is provided to induce the flow of air discharged from the blower (100, 200).
유로형성부재(30)는, 조리기기의 내부에 배기유로(A)를 형성할 수 있다. 배기유로(A)는, 송풍부(100,200)와 상부공간부(10i) 사이를 연결할 수 있으며, 배후팬 어셈블리(100)와 코너팬 어셈블리(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상부공간부(10i)로의 공기 유동을 안내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배기유로(A)는, 송풍부(100,20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배기구(2,3,4) 측으로 유도할 수 있다.The exhaust path (30) can form an exhaust path (A) inside the cooking appliance. The exhaust path (A) can connect between the blower (100, 200) and the upper space (10i), and is provided to guide air flow from at least one of the rear fan assembly (100) and the corner fan assembly (200) to the upper space (10i). This exhaust path (A) can guide the flow of air discharged from the blower (100, 200) toward the exhaust port (2, 3, 4).
일례로서, 배기유로(A)는 배후공간부(10f)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기유로(A)의 입구는 송풍부(100,200)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예컨대, 배기유로(A)의 입구는 배후팬 어셈블리(100)의 제1토출구(114) 및 코너팬 어셈블리(200)의 제2흡입구(214)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배기유로(A)의 출구는, 상부공간부(10i)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exhaust path (A) may be arranged in the rear space (10f). The inlet of the exhaust path (A) may be opened toward the blower (100, 200). For example, the inlet of the exhaust path (A) may be opened toward the first discharge port (114) of the rear fan assembly (100) and the second intake port (214) of the corner fan assembly (200). And the outlet of the exhaust path (A) may be opened toward the upper space (10i).
배기유로(A)는, 배후팬 어셈블리(100)의 제1토출구(114)에서 상부공간부(10i)로의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유로를 조리기기의 내부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배기유로(A)는, 코너팬 어셈블리(200)의 제2흡입구(214)에서 상부공간부(10i)로의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유로를 조리기기의 내부에 형성할 수 있다.The exhaust path (A) can be formed inside the cooking appliance as a path that guides air flow from the first outlet (114) of the rear fan assembly (100) to the upper space (10i). In addition, the exhaust path (A) can be formed inside the cooking appliance as a path that guides air flow from the second intake port (214) of the corner fan assembly (200) to the upper space (10i).
일례로서, 배기유로(A)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1유로플레이트(3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유로플레이트(31)는, 배후팬 어셈블리(100)의 제1흡입구(112)와 제1토출구(114) 사이를 가로막는 벽을 형성할 수 있다.As an example, at least a portion of the exhaust path (A) may be formed by the first path plate (31). The first path plate (31) may form a wall that blocks the first intake port (112) and the first discharge port (114) of the rear fan assembly (100).
이러한 제1유로플레이트(31)는, 배후공간부(10f)에 배치되며, 배후팬 어셈블리(1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유로플레이트(31)는, 제1흡입구(112)와 제1토출구(114) 사이를 가로막는 벽을 배후팬 어셈블리(100)의 상측에서 형성할 수 있다.This first euro plate (31) is arranged in the rear space (10f) and can be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ar fan assembly (100). That is, the first euro plate (31) can form a wall blocking the first intake port (112) and the first discharge port (114) on the upper side of the rear fan assembly (100).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배후공간부(10f)에는 배후팬 어셈블리(100)와 코너공간부(10g,10h)가 측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배후공간부(10f)에서, 제1흡입구(112)는 배후팬 어셈블리(100)의 측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토출구(114)는, 측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제1흡입구(112) 사이에 배치되며, 배후팬 어셈블리(10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ar space (10f) may have a rear fan assembly (100) and corner spaces (10g, 10h) arranged laterally. In the rear space (10f), the first suction ports (112) may be arranged on each of the lateral sides of the rear fan assembly (100). In addition, the first discharge port (114) may be arranged between a pair of first suction ports (112) arranged later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may be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fan assembly (100).
한 쌍의 제1흡입구(112) 중 코너공간부(10g,10h)에 더 인접한 측에 배치되는 어느 하나를 좌측 제1흡입구(112)라 한다면, 제1유로플레이트(31)는 제1토출구(114)와 우측 제1흡입구(112) 사이를 가로막는 벽을 형성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제1유로플레이트(31)는, 배후팬 어셈블리(100)의 측방향 중앙에서 우측 제1흡입구(112) 측으로 치우친 위치, 즉 우측 제1흡입구(112)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If one of the pair of first suction ports (112) positioned closer to the corner space (10g, 10h) is referred to as the left first suction port (112), the first flow plate (31) is arranged to form a wall that blocks the space between the first discharge port (114) and the right first suction port (112). This first flow plate (31) can be positioned at a position that is tilted toward the right first suction port (112) from the lateral center of the rear fan assembly (100), that is,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right first suction port (112).
이하, 조리기기의 측방향 중심에서 측방향을 따라 전장실(10b,10c,10d)을 향한 방향을 좌측, 그 반대편에 위치한 측부공간부(10e)를 향한 방향을 우측이라 칭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direction toward the main chamber (10b, 10c, 10d) along the lateral direction from the lateral center of the cooking appliance is referred to as the left, and the direction toward the side space (10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is referred to as the right.
상기 제1유로플레이트(31)는, 제1토출구(114)가 형성된 배후팬 어셈블리(100)의 상면으로부터 상부공간부(10i)를 향해 상방으로 연장되는 세로방향의 벽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유로플레이트(31)는, 배기유로(A)의 우측 경계면을 규정할 수 있다.The above first flow plate (31) can form a vertical wall exten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fan assembly (100) where the first discharge port (114) is formed toward the upper space (10i). This first flow plate (31) can define the right boundary surface of the exhaust flow path (A).
한편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확장플레이트(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확장플레이트(18)는, 상부공간부(10i)와 배후공간부(10f) 사이를 가로막게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n expansion plate (18). The expansion plate (18) may be arranged to block the space between the upper space (10i) and the rear space (10f).
확장플레이트(18)의 적어도 일부분은, 배후공간부(10f)에 배치될 수 있다. 해당 위치에 배치된 확장플레이트(18)의 적어도 일부분(18a; 이하, "배후구획부"라 한다)은, 상하방향에 대해서는 배후팬 어셈블리(100)와 상부공간부(10i)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확장플레이트(18)의 배후구획부(18b)는, 전후방향에 대해서는 캐비티(11)의 배면과 리어 플레이트(1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expansion plate (18) may be placed in the rear space (10f). At least a portion (18a;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ar compartment”) of the expansion plate (18) plac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may be placed between the rear fan assembly (100) and the upper space (10i)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he rear compartment (18b) of the expansion plate (18) may be place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cavity (11) and the rear plate (15) in the forward-backward direction.
이와 같이 배치되는 확장플레이트(18)의 배후구획부(18b)는, 배후공간부(10f) 중 일부 영역을 배후팬 어셈블리(100)보다 높은 위치에서 덮으며 배후공간부(10f)의 일부 영역과 상부공간부(10i) 사이를 가로막게 된다.The rear compartment (18b) of the expansion plate (18) arranged in this manner covers a portion of the rear space (10f)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rear fan assembly (100) and blocks a portion of the rear space (10f) and the upper space (10i).
본 실시예에서는, 배후공간부(10f) 중 우측 영역과 상부공간부(10i) 사이가 확장플레이트(18)에 의해 가로막히는 것으로 예시된다.In this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that the area between the right side of the rear space (10f) and the upper space (10i) is blocked by an expansion plate (18).
상기 확장플레이트(18)와 배후팬 어셈블리(100)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며, 이에 따라 확장플레이트(18)와 배후팬 어셈블리(100) 사이에는 측방향의 통로가 형성된다. 이때 형성되는 측방향의 통로는, 배후공간부(10f) 중 확장플레이트(18)에 의해 덮인 우측 영역과 배기유로(A)가 형성된 배후팬 어셈블리(100)의 상부 영역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The above expansion plate (18) and the rear fan assembly (100) are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us a lateral passage is formed between the expansion plate (18) and the rear fan assembly (100). The lateral passage formed at this time can connect between the right area covered by the expansion plate (18) among the rear space portion (10f) and the upper area of the rear fan assembly (100) where the exhaust path (A) is formed.
제1유로플레이트(31)는, 배후팬 어셈블리(100)에서 확장플레이트(18)를 향해 상측으로 연장되는 세로방향의 벽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제1유로플레이트(31)는 배후팬 어셈블리(100)의 상면과 확장플레이트(18)의 측단 사이를 연결하는 세로방향의 벽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유로플레이트(31)의 적어도 일부분은, 확장플레이트(18)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first euro plate (31) may form a vertical wall extending upward from the rear fan assembly (100) toward the expansion plate (18). As an example, the first euro plate (31) may form a vertical wall conne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fan assembly (100) and the side edge of the expansion plate (18).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euro plate (31)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expansion plate (18).
상기와 같이 확장플레이트(18)와 연결되는 제1유로플레이트(31)는, 배후팬 어셈블리(100)와 확장플레이트(18) 사이에 형성되는 측방향의 통로를 가로막는 세로방향의 벽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유로플레이트(31)는, 배후공간부(10f) 중 우측 영역과 배기유로(A) 간의 공기 유동을 차단하는 벽을 배후공간부(10f)에 형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flow plate (31) connected to the expansion plate (18) can form a vertical wall that blocks a lateral passage formed between the rear fan assembly (100) and the expansion plate (18). That is, the first flow plate (31) can form a wall in the rear space (10f) that blocks air flow between the right area of the rear space (10f) and the exhaust path (A).
또한 유로형성부재(30)는, 제2유로플레이트(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유로플레이트(32)는, 배후팬 어셈블리(100)의 제1흡입구(112)와 제1토출구(114) 사이를 가로막는 벽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uro forming member (3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euro plate (32). The second euro plate (32) may form a wall that blocks the first intake port (112) and the first discharge port (114) of the rear fan assembly (100).
제2유로플레이트(32)는, 배후팬 어셈블리(100)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측방향에 대해서, 제1유로플레이트(31)와 제2유로플레이트(32) 사이에 배후팬 어셈블리(100)가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euro plate (32) may be placed on the left side of the rear fan assembly (100). Accordingly, the rear fan assembly (100) may be placed between the first euro plate (31) and the second euro plate (32) in the lateral direction.
측방향에 대해서, 제2유로플레이트(32)는 배후팬 어셈블리(100)와 코너팬 어셈블리(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유로플레이트(32)는, 제1흡입구(112)와 제1토출구(114) 사이를 가로막는 벽을 형성하는 동시에, 코너팬 어셈블리(200)의 제2흡입구(214)와 배후팬 어셈블리(100)의 제1흡입구(112) 사이를 가로막는 벽을 형성할 수 있다.In the lateral direction, the second euro plate (32) can be arranged between the rear fan assembly (100) and the corner fan assembly (200). The second euro plate (32) can form a wall that blocks the first intake port (112) and the first discharge port (114), and at the same time, form a wall that blocks the second intake port (214) of the corner fan assembly (200) and the first intake port (112) of the rear fan assembly (100).
코너팬 어셈블리(200)에서, 제2흡입구(212)는 흡기구(1)를 향해, 즉 하방을 향해 배치된다. 그리고 제2흡입구(214)는, 배후팬 어셈블리(100)를 향한 방향을 향해, 즉 측방을 향해, 좀 더 구체적으로는 우측을 향해 배치되어 배기유로(A)와 연결될 수 있다.In the corner fan assembly (200), the second intake port (212) is arranged toward the intake port (1), i.e., downward. And the second intake port (214) is arranged toward the direction toward the rear fan assembly (100), i.e., toward the side, more specifically, toward the right sid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exhaust path (A).
제2유로플레이트(32)는, 제2흡입구(214)의 우측에 배치되어 배기유로(A)의 하측 경계면을 규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유로플레이트(32)는, 배후팬 어셈블리(100)와 코너팬 어셈블리(200) 사이에서 배기유로(A)의 하측 경계면을 규정할 수 있다. 이때 제2유로플레이트(32)에 의해 규정되는 배기유로(A)의 하측 경계면은, 측방향을 따라 높이가 변화되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The second flow plate (32) can be arranged on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intake port (214) to define the lower boundary surface of the exhaust path (A). This second flow plate (32) can define the lower boundary surface of the exhaust path (A) between the rear fan assembly (100) and the corner fan assembly (200). At this time, the lower boundary surface of the exhaust path (A) defined by the second flow plate (32) can form an inclined surface whose height changes along the lateral direction.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흡입구(214)는 코너팬 어셈블리(200)를 향하게 배치된 제1흡입구(112)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토출구(114)는, 제1흡입구(112)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흡입구(214)보다도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suction port (214) may be arranged to face the first suction port (112) which is arranged to face the corner fan assembly (200). In addition, the first discharge port (114) may be arranged above the first suction port (112) and may be arranged above the second suction port (214).
일례로서, 제2유로플레이트(32)는 제2흡입구(214)의 하측에서 제1흡입구(112)의 상측을 향해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2유로플레이트(32)는 코너팬 어셈블리(200)와 인접한 측방향 일단으로부터 배후팬 어셈블리(100)를 향해 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second euro plate (32) may form an inclined surface that extends laterally from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suction port (214)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uction port (112). For example, the second euro plate (32) may extend laterally upwardly from a lateral end adjacent to the corner fan assembly (200) toward the rear fan assembly (100).
이러한 제2유로플레이트(32)의 측방향 일단은, 제2흡입구(214)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유로플레이트(32)의 좌측 단부가 제2흡입구(214)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One lateral end of the second euro plate (32) may be placed below the second suction port (214). For example, the left end of the second euro plate (32) may be plac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second suction port (214).
또한 제2유로플레이트(32)의 측방향 타단은, 제1흡입구(11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유로플레이트(32)의 우측 단부가 제1흡입구(112)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ateral end of the second euro plate (32) may be placed above the first suction port (112). For example, the right end of the second euro plate (32) may be plac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first suction port (112).
상기 제2유로플레이트(32)는, 제1흡입구(112)와 제1토출구(114) 사이, 및 제1흡입구(112)와 제2흡입구(214) 사이를 가로막는 경사진 벽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제2유로플레이트(32)는 배후팬 어셈블리(100)와 코너팬 어셈블리(200) 사이에서 경사진 벽을 형성할 수 있고, 이 벽은 제1흡입구(112)와 제1토출구(114) 사이를 가로막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제1흡입구(112)와 제2흡입구(214) 사이도 가로막을 수 있다.The second flow plate (32) can form an inclined wall that blocks between the first suction port (112) and the first discharge port (114), and between the first suction port (112) and the second suction port (214). That is, the second flow plate (32) can form an inclined wall between the rear fan assembly (100) and the corner fan assembly (200), and this wall can block not only between the first suction port (112) and the first discharge port (114), but also between the first suction port (112) and the second suction port (214).
이에 따라 배후팬 어셈블리(100)와 코너팬 어셈블리(200) 사이에서는, 제1토출구(114)에서 토출된 공기가 제1흡입구(112)로 유입되지 않으며, 제2흡입구(214)를 통해 토출된 공기가 제1흡입구(112)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Accordingly, between the rear fan assembly (100) and the corner fan assembly (200),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discharge port (114) does not flow into the first suction port (112), and ai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suction port (214) does not flow into the first suction port (112).
즉 제2유로플레이트(32)는, 제1토출구(114) 및 제2흡입구(214)에서 제1흡입구(112)로의 공기 유동을 차단하는 벽을 배후팬 어셈블리(100)와 코너팬 어셈블리(200) 사이에 형성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euro plate (32) can form a wall between the rear fan assembly (100) and the corner fan assembly (200) that blocks the air flow from the first discharge port (114) and the second suction port (214) to the first suction port (112).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유로플레이트(31)의 좌측 및 제2유로플레이트(32)의 상측에 배기유로(A)가 형성될 수 있다. 흡기구(1)는 이 배기유로(A)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하방향에 대해서, 제1흡입구(112) 및 제2흡입구(212)는 흡기구(1)와 배기유로(A) 사이에 배치되고, 제1토출구(114) 및 제2흡입구(214)는 배기유로(A)와 상부공간부(10i)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 exhaust path (A) may be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first flow plate (31) and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flow plate (32). The intake port (1) may be arranged on the lower side of the exhaust path (A). 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intake port (112) and the second intake port (212) may be arranged between the intake port (1) and the exhaust path (A), and the first discharge port (114) and the second intake port (214) may be arranged between the exhaust path (A) and the upper space (10i).
제1토출구(114) 및 제2흡입구(214)는, 배기유로(A)와 연결될 수 있다. 제1토출구(114)는, 상방을 향해 배치되어 배기유로(A)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흡입구(214)는, 측방을 향해 배치되어 배기유로(A)와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discharge port (114) and the second suction port (214) can be connected to the exhaust path (A). The first discharge port (114) can be arranged upward and connected to the exhaust path (A). And the second suction port (214) can be arranged sideways and connected to the exhaust path (A).
아울러 제2유로플레이트(32)는, 제1흡입구(112)로의 공기 유입을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euro plate (32) may form a path that guides the air intake into the first intake port (112).
일례로서, 제2유로플레이트(32)는 흡기구(1)의 상측에 배치되며, 제1흡입구(112)의 좌측 및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유로플레이트(32)는 는, 흡기구(1)와 제1흡입구(112) 사이를 연결하는 유로의 좌측 및 상측 경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제2유로플레이트(32)에 의해, 배후팬 어셈블리(100)의 좌측에서의 제1흡입구(112)로의 공기 유입이 효과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second flow plate (32) is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take port (1) and can be arranged on the left side and upper side of the first intake port (112). This second flow plate (32) can form the left side and upper side boundary surface of the flow path connecting the intake port (1) and the first intake port (112). By the second flow plate (32) provided in this way, air can be effectively induced to flow into the first intake port (112) from the left side of the rear fan assembly (100).
한편 유로형성부재(30)는, 체결플레이트(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플레이트(33)는, 배후팬 어셈블리(100)에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euro forming member (30)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plate (33). The fastening plate (33) may be installed in the rear fan assembly (100).
일례로서, 체결플레이트(33)는 제1토출구(114)를 상측으로 개방하며 배후팬 어셈블리(10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플레이트(33)는, 제1흡입구(112)의 상측에 배치되며, 제2흡입구(212) 및 제2흡입구(214)보다도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fastening plate (33)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fan assembly (100) with the first discharge port (114) opening upward. This fastening plate (33) may be arranged above the first suction port (112) and may be arranged above the second suction port (212) and the second suction port (214).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유로플레이트(31)는 체결플레이트(33)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유로플레이트(32)는, 체결플레이트(33)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유로플레이트(32)의 상단은, 체결플레이트(33)와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euro plate (31) may be provided in a form that extends upward from the fastening plate (33). In addition, the second euro plate (32) may be provided in a form that extends downward from the fastening plate (33).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second euro plate (32) may be connected to the fastening plate (33).
이와 같이 체결플레이트(33)와 연결된 제1유로플레이트(31) 및 제2유로플레이트(32)는, 체결플레이트(33)를 매개로 배후팬 어셈블리(100)에 결합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first euro plate (31) and the second euro plate (32) connected to the fastening plate (33) can be connected to the rear fan assembly (100) via the fastening plate (33).
또한 체결플레이트(33)는, 제1유로플레이트(31)와 제2유로플레이트(32) 사이에 배치되어 제1유로플레이트(31)와 제2유로플레이트(32)를 연결할 수 있다. 일례로서, 유로형성부재(30)는 제1유로플레이트(31)와 제2유로플레이트(32) 및 체결플레이트(33)가 일체로 형성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stening plate (33) can be placed between the first euro plate (31) and the second euro plate (32) to connect the first euro plate (31) and the second euro plate (32). As an example, the euro forming member (30) can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first euro plate (31), the second euro plate (32) and the fastening plate (33) are formed integrally.
이러한 형태로 제공되는 유로형성부재(30)에서, 제1유로플레이트(31) 및 제2유로플레이트(32)는 각각 별도로 배후팬 어셈블리(100)와 결합될 필요가 없고, 배후팬 어셈블리(100)와 결합된 체결플레이트(33)에 의해 제1유로플레이트(31) 및 제2유로플레이트(32)의 설치가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euro-forming member (30) provided in this form, the first euro plate (31) and the second euro plate (32) do not need to be separately connected to the rear fan assembly (100), and the installation of the first euro plate (31) and the second euro plate (32) can be easily and quickly accomplished by the fastening plate (33) connected to the rear fan assembly (100).
체결플레이트(33)에는 토출홀(부호생략)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토출구(114)는 이 토출홀을 통해 체결플레이트(33)의 상측, 즉 배기유로(A)의 내부로 노출될 수 있다.A discharge hole (symbol omitted) may be formed in the fastening plate (33). The first discharge port (114) may be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fastening plate (33), i.e., the inside of the exhaust path (A), through this discharge hole.
또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지지부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40)는, 코너팬 어셈블리(200)를 지지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지지부재(40)의 적어도 일부분은, 코너공간부(10g,10h)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member (40). The support member (40) is provided to support the corner pan assembly (200). At least a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40) may be placed in the corner space portion (10g, 10h).
일례로서, 지지부재(40)는 측방지지부(41)를 포함할 수 있다. 측방지지부(41)는, 코너팬 어셈블리(200)의 측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측방지지부(41)는, 지지부재(40)의 측면, 좀 더 구체적으로는 지지부재(40)의 우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support member (40) may include a lateral support member (41). The lateral support member (41) may be arranged on a lateral side of the corner fan assembly (200). The lateral support member (41) may form a side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40), more specifically, a right side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40).
측방지지부(41)는, 코너팬 어셈블리(200)를 측방에서 덮는 세로방향의 벽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측방지지부(41)는 측방향 축과 직교하는 세로방향의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측방지지부(41)는, 배후공간부(10f)에서 코너팬 어셈블리(200)와 배후팬 어셈블리(100) 사이를 가로막는 벽을 형성할 수 있다.The lateral support member (41) can form a vertical wall that covers the corner fan assembly (200) from the side. For example, the lateral support member (41) can form a vertical plane that is perpendicular to the lateral axis. The lateral support member (41) can form a wall that blocks the corner fan assembly (200) and the rear fan assembly (100) in the rear space (10f).
측방지지부(41)는, 코너팬 어셈블리(200)와 제2유로플레이트(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측방지지부(41)는, 배기유로(A)의 좌측 경계면을 규정할 수 있다.The lateral support member (41) can be placed between the corner fan assembly (200) and the second flow plate (32). This lateral support member (41) can define the left boundary surface of the exhaust flow path (A).
측방지지부(41)에는 토출홀(부호생략)이 형성될 수 있다. 제2흡입구(214)는 이 토출홀을 통해 측방지지부(41)의 우측, 즉 배기유로(A)의 내부로 노출될 수 있다.A discharge hole (omitted) may be formed in the lateral support member (41). The second suction port (214) may be exposed to the right side of the lateral support member (41), i.e., the inside of the exhaust path (A), through this discharge hole.
아울러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연결유로형성부재(37,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유로형성부재(37,38)는, 코너팬 어셈블리(2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유로형성부재(37,38)는, 배후공간부(10f) 중 지지부재(40) 주변의 일부 영역이 연결유로부(39)로 분리되게 배후공간부(10f)를 구획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passage forming member (37, 38). The connecting passage forming member (37, 38) may be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rner pan assembly (200). The connecting passage forming member (37, 38) may partition the rear space (10f) such that a portion of the rear space (10f) around the support member (40) is separated into a connecting passage part (39).
일례로서, 연결유로형성부재(37,38)는 제1구획부(37) 및 제2구획부(38)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connecting path forming member (37, 38) may include a first compartment (37) and a second compartment (38).
제1구획부(37)는, 지지부재(40)의 측방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세로방향의 벽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제1구획부(37)는 측방지지부(41)의 측방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세로방향의 벽을 형성할 수 있다. 측방향에 대해서, 제1구획부(37)는 코너팬 어셈블리(200)와 배후팬 어셈블리(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compartment (37) can form a vertical wall that i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side of the support member (40). As an example, the first compartment (37) can form a vertical wall that i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side of the lateral support member (41). With respect to the lateral direction, the first compartment (37) can be arranged between the corner fan assembly (200) and the rear fan assembly (100).
제2구획부(38)는, 측방지지부(41)와 제1구획부(37)를 연결하는 벽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제1구획부(37)는 측방지지부(41)로부터 우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구획부(38)는, 이러한 제1구획부(37)의 하단과 측방지지부(41) 사이를 연결하는 벽을 형성할 수 있다.The second compartment (38) can form a wall connecting the lateral support (41) and the first compartment (37). As an example, the first compartment (37) can b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right from the lateral support (41). The second compartment (38) can form a wall connecting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mpartment (37) and the lateral support (41).
일례로서, 제2구획부(38)는 제2유로플레이트(3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구획부(38)의 좌측 단부는, 측방지지부(41)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구획부(38)의 좌측 단부는, 제2흡입구(214)를 사이에 두고 제2유로플레이트(32)의 좌측 단부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second compartment (38) may be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euro plate (32). The left end of the second compartment (38) may be connected to the lateral support member (41). In addition, the left end of the second compartment (38)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eft end of the second euro plate (32)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second suction port (214) interposed therebetween.
일례로서, 제2구획부(38)는 제2유로플레이트(32)와 나란한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2구획부(38)는, 측방지지부(41)와 함께 배기유로(A)의 좌측 경계면을 규정하되, 제2흡입구(214)에서 배기유로(A)로 토출된 공기의 흐름을 배기유로(A)의 측방향 중앙측으로 유도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second compartment (38) may form an inclined surface parallel to the second flow plate (32). This second compartment (38), together with the lateral support portion (41), defines the left boundary surface of the exhaust passage (A), and may guide the flow of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intake port (214) to the exhaust passage (A) toward the lateral center of the exhaust passage (A).
제1구획부(37)는, 제2구획부(38)에서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측방지지부(41) 및 제2구획부(38)와 함께 배기유로(A)의 좌측 경계면을 규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제1구획부(37)는, 배기유로(A)를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상부공간부(10i) 측으로 유도할 수 있다.The first compartment (37) can extend upward from the second compartment (38) and, together with the lateral support (41) and the second compartment (38), can define the left boundary surface of the exhaust path (A). This first compartment (37) can guide the flow of air flowing in the exhaust path (A) toward the upper space (10i).
송풍부(100,200)의 동작이 시작되면, 도 8 내지 도 10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기 외부의 공기를 조리기기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 기류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흡입 기류는, 조리기기의 하단에 배치된 흡기구(1)를 통해 흡입 대상이 되는 외부 공기에 작용하게 된다. 흡기구(1) 주변의 외부 공기, 즉 조리 가스는, 이와 같이 작용하는 흡입 기류에 의해 흡기구(1)를 통과하여 본체(10)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When the operation of the blower (100, 200) begins, as shown in FIGS. 8 to 10 and 13, an intake airflow can be formed to suck air from outside the cooking appliance into the in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The intake airflow formed in this manner acts on the outside air to be sucked in through the intake port (1) arranged at the bottom of the cooking appliance. The outside air around the intake port (1), i.e., the cooking gas, can be sucked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by passing through the intake port (1) by the intake airflow acting in this manner.
그리고 이와 같이 본체(10) 내부로 흡입된 조리 가스는, 본체(10) 내부의 공간부 중 배후공간부(10f)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후공간부(10f) 내부로 유입된 조리 가스는, 배후팬 어셈블리(10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제1흡입구(112) 및 코너팬 어셈블리(200)의 하측에 배치된 흡입구를 통해 배후팬 어셈블리(100) 및 코너팬 어셈블리(200)의 내부로 각각 흡입될 수 있다.And the cooking gas sucked in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 in this way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rear space (10f) among the spaces inside the main body (10). The cooking gas sucked into the interior of the rear space (10f) in this way can be sucked into the interior of the rear fan assembly (100) and the corner fan assembly (200) through the first suction ports (112)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rear fan assembly (100) and the suction ports arrang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rner fan assembly (200), respectively.
이때 배후팬 어셈블리(100) 내부로의 공기 흡입은, 유로형성부재(30)의 적어도 일부분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후팬 어셈블리(100)의 좌측에 배치된 제1흡입구(112)로의 공기 흡입은, 제2유로플레이트(32)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At this time, air intake into the rear fan assembly (100) can be guided by at least a part of the directional forming member (30). Specifically, air intake into the first intake port (112) arranged on the left side of the rear fan assembly (100) can be guided by the second directional plate (32).
배후팬 어셈블리(100) 및 코너팬 어셈블리(200)로 흡입된 공기는, 제1토출구(114)와 제2흡입구(214)를 통해 각각 토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토출된 공기의 흐름은, 배기유로(A)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The air sucked into the rear fan assembly (100) and the corner fan assembly (200)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114) and the second suction port (214), respectively. The flow of the air discharged in this manner can be guided by the exhaust path (A).
코너팬 어셈블리(200)의 제2토출구(214)에서 토출된 공기는, 배기유로(A)를 통해 배후공간부(10f)를 통과하여 상부공간부(10i)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제2토출구(214) 주변에서, 배기유로(A)는 제2토출구(214)로부터 우상향하는 경사진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discharge port (214) of the corner fan assembly (200) can flow toward the upper space (10i) through the rear space (10f) via the exhaust path (A). Around the second discharge port (214), the exhaust path (A) can form an inclined passage that extends upward from the second discharge port (214).
이와 같이 형성된 유상향 형태의 통로는, 배기유로(A)에서의 공기 유동에 대한 저항을 낮추고, 조리기기 내부에서의 유동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유상향 형태의 통로는, 제2흡입구(214)의 우측에서 배기유로(A)의 하측 경계면을 규정하는 제2유로플레이트(32) 및 유로의 좌측 경계면을 규정하는 연결유로형성부재(37,38)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upwardly oriented passage formed in this manner lowers the resistance to air flow in the exhaust path (A) and minimizes flow loss inside the cooking appliance. This upwardly oriented passage can be formed by a second flow plate (32) defining a lower boundary surface of the exhaust path (A) on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suction port (214) and a connecting flow path forming member (37, 38) defining a left boundary surface of the path.
또한 배후팬 어셈블리(100)의 제1토출구(114)에서 토출된 공기는, 배기유로(A)를 통해 배후공간부(10f)를 통과하여 상부공간부(10i)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때 배기유로(A)는, 제1토출구(114)를 통해 배출된 공기가 주변으로 퍼지지 않고 상부공간부(10i) 측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공기 유동을 안내할 수 있다.In addition,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discharge port (114) of the rear fan assembly (100) can flow toward the upper space (10i) through the exhaust path (A) and through the rear space (10f). At this time, the exhaust path (A) can guide the air flow so that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114) can flow toward the upper space (10i) without spreading to the surroundings.
[유로형성부재의 다른 예][Other examples of euro formation absence]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유로형성부재(35)는, 연장플레이트(34)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연장플레이트(34)는, 제1흡입구(112)와 제1토출구(114) 사이를 가로막는 벽을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1 and 12, the euro-forming member (35) may further include an extension plate (34). The extension plate (34) may form a wall blocking the first suction port (112) and the first discharge port (114).
연장플레이트(34)는, 제2유로플레이트(32a)와 마찬가지로, 배후팬 어셈블리(100)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연장플레이트(34)는 배후팬 어셈블리(1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2유로플레이트(32a)는 연장플레이트(34)에서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서, 연장플레이트(34)는 제2유로플레이트(32a)의 상측에 배치되며, 제2유로플레이트(32a)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The extension plate (34), like the second euro plate (32a), may be arranged on the left side of the rear fan assembly (100). The extension plate (34) may be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ar fan assembly (100), and the second euro plate (32a)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extension plate (34). As an example, the extension plate (34) may be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euro plate (32a), and may be provided in a form that extends upward from the second euro plate (32a).
측방향에 대해서, 연장플레이트(34)와 제1유로플레이트(31) 사이에 배후팬 어셈블리(10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측방향에 대해서, 배후팬 어셈블리(100)와 코너팬 어셈블리(200) 사이에 연장플레이트(34)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측방향에 대해서, 측방지지부(41)와 체결플레이트(33) 사이에, 연결유로형성부재(35)와 체결플레이트(33) 사이에 연장플레이트(34)가 배치될 수 있다.In the lateral direction, the rear fan assembly (100) may be arranged between the extension plate (34) and the first flow path plate (31). In addi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extension plate (34) may be arranged between the rear fan assembly (100) and the corner fan assembly (200). In addi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extension plate (34) may be arranged between the lateral support member (41) and the fastening plate (33), and between the connecting flow path forming member (35) and the fastening plate (33).
이와 같이 배치되는 연장플레이트(34)는, 배기유로(A) 내부에서 측방지지부(41)와 제1유로플레이트(31) 사이, 연결유로형성부재(35)와 제1유로플레이트(3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연장플레이트(34)는, 배기유로(A)의 좌측 경계면과 우측 경계면 사이에서 세로방향의 벽을 형성할 수 있다.The extension plate (34) arranged in this manner can be arranged between the lateral support member (41) and the first flow path plate (31) inside the exhaust flow path (A), and between the connecting flow path forming member (35) and the first flow path plate (31). That is, the extension plate (34) can form a vertical wall between the left boundary surface and the right boundary surface of the exhaust flow path (A).
이러한 연장플레이트(34)는, 배기유로(A)를 우측의 제1배기유로(A1)와 좌측의 제2배기유로(A2)로 구획할 수 있다. 이러한 연장플레이트(34)는, 제1배기유로(A1)의 좌측 경계면을 규정할 수 있으며, 제2배기유로(A2)의 우측 경계면을 규정할 수 있다.This extension plate (34) can divide the exhaust path (A) into a first exhaust path (A1) on the right and a second exhaust path (A2) on the left. This extension plate (34) can define the left boundary surface of the first exhaust path (A1) and can define the right boundary surface of the second exhaust path (A2).
제1배기유로(A1)는, 제1토출구(114)와 상부공간부(10i)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배후공간부(10f)에 형성할 수 있다. 제2배기유로(A2)는, 제2흡입구(214)와 상부공간부(10i)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배후공간부에 형성하되, 제1배기유로(A1)와 분리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exhaust path (A1) can form a passage connecting the first outlet (114) and the upper space (10i) in the rear space (10f). The second exhaust path (A2) can form a passage connecting the second intake (214) and the upper space (10i) in the rear space, but can form a passage separate from the first exhaust path (A1).
또한 유로형성부재(35)는, 제1유로형성부재(35a)와 제2유로형성부재(35b)로 분리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1유로형성부재(35a)는 제1유로플레이트(31)와 체결플레이트(33)가 연결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제2유로형성부재(35b)는 제2유로형성부재(35b)와 연장플레이트(34)가 연결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ow path forming member (35) can be separated into a first flow path forming member (35a) and a second flow path forming member (35b). As an example, the first flow path forming member (35a) can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first flow path plate (31) and the fastening plate (33) are connected, and the second flow path forming member (35b) can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second flow path forming member (35b) and the extension plate (34) are connected.
제1유로형성부재(35a)는, 배후팬 어셈블리(100)의 팬하우징(100)과 체결플레이트(33) 간의 결합을 통해 조리기기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유로형성부재(35b)는, 제2유로플레이트(32a)와 측방지지부(41) 간의 결합을 통해 조리기기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flow path forming member (35a) can be installed inside the cooking appliance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the fan housing (100) of the rear fan assembly (100) and the fastening plate (33). And the second flow path forming member (35b) can be installed inside the cooking appliance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flow plate (32a) and the lateral support member (41).
상술한 바와 같은 유로형성부재(35)에 의해, 배기유로(A)는 제1배기유로(A1)와 제2배기유로(A2)로 구획될 수 있으며, 배후팬 어셈블리(100)에 의해 배후공간부(10f)로 토출된 공기와 코너팬 어셈블리(200)에 의해 배후공간부(10f)로 배출된 공기는 각각 별도의 유로를 통해 상부공간부(10i)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xhaust path (A) can be divided into a first exhaust path (A1) and a second exhaust path (A2) by the euro-forming member (35), and the air discharged to the rear space (10f) by the rear fan assembly (100) and the air discharged to the rear space (10f) by the corner fan assembly (200) can each flow toward the upper space (10i) through separate paths.
유로형성부재(35)는, 이와 같이 구획된 배기유로(A)를 형성함으로써, 코너팬 어셈블리(200)에서 토출된 공기와 배후팬 어셈블리(100)에서 토출된 공기가 배기유로(A) 내부에서 혼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The euro-forming member (35) can preven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orner fan assembly (200)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rear fan assembly (100) from mixing inside the exhaust path (A) by forming the exhaust path (A) partitioned in this way.
[조리기기의 공기 흡입 및 토출 구조][Air intake and exhaust structure of the cooking appliance]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1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조리기기에서의 공기 유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1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2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조리기기에서의 공기 유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1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3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조리기기에서의 공기 유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14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state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is a drawing showing an air flow state in the cooking appliance illustrated in FIG. 14. In addition, FIG. 16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state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7 is a drawing showing an air flow state in the cooking appliance illustrated in FIG. 16. In addition, FIG. 18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state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9 is a drawing showing an air flow state in the cooking appliance illustrated in FIG. 18.
이하, 도 13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서의 공기 흡입 및 토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air intake and discharge structure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to 19.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조리기기의 하단에 흡기구(1)가 마련되고, 조리기기의 상단에 배기구가 마련될 수 있다. 제1배기구(2)는 캐비닛(13)의 상면에 배치되되,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치우치게 배치되며, 제2배기구(3)는 조리기기의 전방측에 치우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3배기구(4)는,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배치되되, 리어 플레이트(15)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3 to 15, an intake port (1)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cooking appliance, and an exhaust port may be provided at the top of the cooking appliance. The first exhaust port (2) may be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3), but may be arranged so as to be biased toward the rear of the cooking appliance, and the second exhaust port (3) may be arranged so as to be biased toward the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In addition, the third exhaust port (4) may be arranged on the rear of the cooking appliance, but may be arranged on the rear plate (15).
송풍부(100,200)는 배후팬 어셈블리(100) 및 코너팬 어셈블리(200)를 포함하며, 배후팬 어셈블리(100)는 배후공간부(10f)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코너팬 어셈블리(200)는, 배후공간부(10f) 또는 코너공간부(10g,10h)에 배치될 수 있다.The blower (100, 200) includes a rear fan assembly (100) and a corner fan assembly (200), and the rear fan assembly (100) can be placed in the rear space (10f). And the corner fan assembly (200) can be placed in the rear space (10f) or the corner space (10g, 10h).
배후팬 어셈블리(100) 및 코너팬 어셈블리(200)의 동작이 시작되면, 조리기기 외부의 공기를 조리기기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 기류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흡입 기류는, 조리기기의 하단에 배치된 흡기구(1)를 통해 외부 공기에 작용하게 된다. 흡기구(1) 주변의 외부 공기, 즉 조리 가스는, 이와 같이 작용하는 흡입 기류에 의해 흡기구(1)를 통과하여 본체(10)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When the operation of the rear fan assembly (100) and the corner fan assembly (200) begins, an intake airflow can be formed to suck air from outside the cooking appliance into the in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The intake airflow formed in this manner acts on the outside air through the intake port (1) arranged at the bottom of the cooking appliance. The outside air around the intake port (1), i.e., the cooking gas, can be sucked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by passing through the intake port (1) by the intake airflow acting in this manner.
그리고 이와 같이 본체(10) 내부로 흡입된 조리 가스는, 하부공간부를 통해 배후공간부(10f)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예컨대, 하부공간부로 유입된 조리 가스는, 배후공간부(10f) 및 코너공간부(10g,10h)로 유입될 수 있다. And the cooking gas sucked into the main body (10) in this way can flow into the rear space (10f) through the lower space. For example, the cooking gas flowing into the lower space can flow into the rear space (10f) and the corner space (10g, 10h).
배후공간부(10f)로 유입된 조리 가스는, 배후팬 어셈블리(10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제1흡입구(112)를 통해 배후팬 어셈블리(100)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후팬 어셈블리(100)에 흡입된 조리 가스는, 배후팬 어셈블리(100)의 상측에 배치된 제1토출구(114)를 통해 상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The cooking gas introduced into the rear space (10f) can be sucked into the interior of the rear fan assembly (100) through the first suction ports (112) arranged on each side of the rear fan assembly (100). In this way, the cooking gas sucked into the rear fan assembly (100) can be discharged upwar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114)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ar fan assembly (100).
코너공간부(10g,10h)로 유입된 조리 가스는, 코너팬 어셈블리(200)의 하측에 배치된 제2흡입구(212)를 통해 코너팬 어셈블리(200)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코너팬 어셈블리(200)에 흡입된 조리 가스는, 코너팬 어셈블리(200)의 측부에 배치된 제2흡입구(214)를 통해 코너팬 어셈블리(200)의 측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The cooking gas introduced into the corner space (10g, 10h) can be sucked into the interior of the corner fan assembly (200) through the second suction port (212) arranged at the lower side of the corner fan assembly (200). In this way, the cooking gas sucked into the corner fan assembly (200) can be discharged to the side of the corner fan assembly (200) through the second suction port (214) arranged at the side of the corner fan assembly (200).
배후공간부(10f)는, 하부공간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흡기구(1)와 상부공간부(10i)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배후공간부(10f)에는, 배기유로(A)가 형성될 수 있다. 배후팬 어셈블리(100) 및 코너팬 어셈블리(200)에서 토출된 조리 가스의 흐름은, 배기유로(A)에 의해 상부공간부(10i) 측으로 유도될 수 있다.The rear space (10f) can connect between the intake port (1) arrang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space and the upper space (10i). In addition, an exhaust path (A) can be formed in this rear space (10f). The flow of cooking gas discharged from the rear fan assembly (100) and the corner fan assembly (200) can be guided toward the upper space (10i) by the exhaust path (A).
배기구(2,3,4) 중 제1배기구(2)만이 개방되고 제2배기구(3) 및 제3배기구(4)가 폐쇄된 상태(이하, "조리기기의 제1상태"라 한다)일 때, 배기유로(A)를 통해 상측으로 유동하는 조리 가스는 제1배기구(2)를 통해 실외로 배출될 수 있다.When only the first exhaust port (2) among the exhaust ports (2, 3, 4) is open and the second exhaust port (3) and the third exhaust port (4) are clos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irst state of the cooking appliance”), the cooking gas flowing upward through the exhaust path (A) can be discharged to the outdoors through the first exhaust port (2).
일례로서, 제1배기구(2)는 실외와 연결된 덕트(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본체(10)의 상면에 덕트가 설치될 수 있고, 이 덕트의 내부공간은 제1배기구(2)와 연결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first exhaust port (2) may be connected to a duct (not shown) connected to the outdoors. For example, a duct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interior space of the duct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exhaust port (2).
이와 같이 덕트와 연결되는 제1배기구(2)는, 상부공간부(10i)를 조리기기의 외부와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1배기구(2)는, 상부공간부(10i)의 상측에 배치되되, 배후공간부(10f)와 상하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exhaust port (2) connected to the duct in this way can form a passage connecting the upper space (10i)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The first exhaust port (2) can be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space (10i), but can be arranged in a position that overlaps the rear space (10f) in the vertical direction.
즉 배후팬 어셈블리(100)와 배후공간부(10f) 및 제1배기구(2)는, 상하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배후팬 어셈블리(100)와 배후공간부(10f) 및 제1배기구(2)가 상하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That is, the rear fan assembly (100), the rear space (10f), and the first exhaust port (2) can be arranged in positions where they overlap in the vertical direction. Preferably, the rear fan assembly (100), the rear space (10f), and the first exhaust port (2) can be arranged in a row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배기유로(A)는, 배후공간부(10f)에서 송풍부(100,200)와 제1배기구(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기유로(A)의 입구는 송풍부(100,200)를 향해 개방되며, 배기유로(A)의 출구는 상부공간부(10i)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배기구(2)는, 배기유로(A)의 출구와 상하방향으로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haust path (A) may be arranged between the blower (100, 200) and the first exhaust port (2) in the rear space (10f). The inlet of the exhaust path (A) may be opened toward the blower (100, 200), and the outlet of the exhaust path (A) may be opened toward the upper space (10i). In addition, the first exhaust port (2) may be arranged in an area that overlaps the outlet of the exhaust path (A)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에 따라, 배후팬 어셈블리(100)의 동작에 의해 이루어지는 공기의 유동은, 배후팬 어셈블리(100)와 배후공간부(10f) 및 제1배기구(2)의 배치 방향과 동일한 직선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air flow caused by the operation of the rear fan assembly (100) can be made in the same straight direction as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rear fan assembly (100), the rear space (10f), and the first exhaust port (2).
이와 같이 직선 방향으로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지면, 그만큼 공기 유동에 대한 저항이 낮아져 공기의 유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배후팬 어셈블리(100)에 의한 공기 흡입 및 배출 성능이 향상될 수 있게 되므로, 조리기기의 조리 가스 제거 성능이 그만큼 향상될 수 있게 된다.As air flows in a straight direction like this, the resistance to air flow is lowered, allowing air to flow more smoothly. Accordingly, the air intake and exhaust performance by the rear fan assembly (100) can be improved, and thus the cooking gas removal performance of the cooking appliance can be improved accordingly.
한편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기 내부로 흡입된 조리 가스를 실내로 배출할 수도 있다. 이때 조리기기는, 배기구(2,3,4) 중 제2배기구(3)만이 개방되고 제1배기구(2) 및 제3배기구(4)가 폐쇄된 상태(이하, "조리기기의 제2상태"라 한다)일 수 있다.Meanwhile,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also discharge cooking gas sucked into the cooking appliance into the room, as shown in FIGS. 16 and 17. At this time, the cooking appliance may be in a state where only the second exhaust port (3) among the exhaust ports (2, 3, and 4) is open and the first exhaust port (2) and the third exhaust port (4) are clos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econd state of the cooking appliance”).
조리기기의 제2상태에서, 조리기기 내부로 흡입된 조리 가스를 실내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는 제2배기구(3)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즉 흡기구(1)를 통해 배후공간부(10f)로 유입된 조리 가스는, 상부공간부(10i)를 통과한 후 제2배기구(3)를 통해 실내로 배출될 수 있다.In the second state of the cooking appliance, a passage for discharging the cooking gas sucked into the in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into the room can be provided by the second exhaust port (3). That is, the cooking gas introduced into the rear space (10f) through the intake port (1) can be discharged into the room through the second exhaust port (3) after passing through the upper space (10i).
일례로서, 조리기기의 저면에는 필터(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는 흡기구(1)에 배치되며, 조리 가스는 흡기구(1)를 통과하며 필터에 의해 여과될 수 있다.As an example, a filter (not shown) may be placed on the bottom of the cooking appliance. The filter is placed in the intake port (1), and cooking gas may pass through the intake port (1) and be filtered by the filter.
다른 예로서, 상부공간부(10i)에 필터가 배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필터는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되되, 제2배기구(3)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배후공간부(10f)에서 상부공간부(10i)로 유동한 조리 가스는, 필터를 통과하며 필터에 의해 여과된 상태로 제2배기구(3)를 통해 실내로 배출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 filter may be placed in the upper space (10i). For example, the filter may be placed inside the main body (10), but may be placed in the second exhaust port (3). In this case, the cooking gas flowing from the rear space (10f) to the upper space (10i) may pass through the filter and be discharged indoors through the second exhaust port (3) in a state of being filtered by the filter.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기 내부로 흡입된 조리 가스를 제3배기구(4)를 통해 실외로 배출할 수 있다.The cooking appliance of this embodiment can discharge cooking gas sucked into the in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ird exhaust port (4), as shown in FIGS. 18 and 19.
이때 조리기기는, 배기구(2,3,4) 중 제3배기구(4)만이 개방되고 제1배기구(2) 및 제2배기구(3가 폐쇄된 상태(이하, "조리기기의 제3상태"라 한다)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oking appliance may be in a state where only the third exhaust port (4) among the exhaust ports (2, 3, 4) is open and the first exhaust port (2) and the second exhaust port (3) are clos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third state of the cooking appliance”).
일례로서, 제3배기구(4)는 조리기기가 설치되는 벽면에 매설된 배관 또는 덕트(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리어 플레이트(15)에 배관 또는 덕트가 결합될 수 있고, 이 배관 또는 덕트의 내부공간은 제3배기구(4)와 연결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third exhaust port (4) may be connected to a pipe or duct (not shown) embedded in a wall surface where the cooking appliance is installed. For example, a pipe or duct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plate (15), and the internal space of the pipe or duct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exhaust port (4).
이와 같이 배관 또는 덕트와 연결되는 제3배기구(4)는, 송풍부(100,200)와 가장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조리기기의 제3상태에서는, 송풍부(100,200)와 배기구(2,3,4) 간의 거리가 가장 짧아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제3배기구(4)는 벽면과 마주보는 조리기기의 배면에 배치되므로, 제3배기구(4), 그리고 배관 또는 덕트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In this way, the third exhaust port (4) connected to the pipe or duct is positioned closest to the blower (100, 200). Accordingly, in the third state of the cooking appliance, the distance between the blower (100, 200) and the exhaust ports (2, 3, 4) can be made as short as possible. In addition, since the third exhaust port (4) is positioned on the back of the cooking appliance facing the wall, the third exhaust port (4) and the pipe or duct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즉 제3상태의 조리기기에서, 조리기기는 조리기기 내부에서의 공기 유동 거리를 줄여 조리기기 내부에서의 유동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조리기기의 외관이 심플하고 깔끔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in the third state of the cooking appliance, the cooking appliance can reduce the air flow distance inside the cooking appliance, thereby reducing the flow resistance inside the cooking appliance, and the appearance of the cooking appliance can be kept simple and neat.
상술한 바와 같이 송풍부(100,200)가 배후공간부(10f)에 배치된 구조를 채용하는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조리 가스를 흡입하여 제1배기구(2)를 통해 배출하는데 관여하는 공기의 유동이 직선 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 내부에서의 유동 손실이 최소화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더욱 향상된 조리 가스 제거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oking appliance of this embodiment, which adopts a structure in which the blower (100, 200) is arranged in the rear space (10f), allows the air involved in sucking in cooking gas and discharging it through the first exhaust port (2) to flow in a straight direction, thereby minimizing flow loss within the cooking appliance, and thereby providing further improved cooking gas removal performance.
또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필터의 설치 공간이 상부공간부(10i)에서 효과적으로 확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컴팩트한 사이즈를 유지하며 조리 가스의 여과 및 실내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provide the effect of maintaining a compact size while ensuring that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filter is effectively secured in the upper space (10i) and that the filtering and indoor discharge of cooking gas are smoothly performed.
한편, 본체(10) 내부의 공간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측부공간부(10e)와 배후공간부(10f) 및 상부공간부(10i)로 구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송풍부(100,200)는 측부공간부(10e)나 상부공간부(10i)가 아닌 배후공간부(10f)에 배치된다.Meanwhile, the space inside the main body (10) can be divided into a side space (10e), a rear space (10f), and an upper space (10i) as described above, and the blower (100,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laced in the rear space (10f), not in the side space (10e) or the upper space (10i).
통상적으로, 전장실이 배치되지 않은 측부공간부(10e)의 측방향 길이는 배후공간부(10f)의 전후방향 길이에 비해 짧게 설정된다. 즉 상기 측부공간부(10e)는 배후공간부(10f)에 비해 좁은 공간만을 제공할 수 있다.Typically, the lateral length of the side space (10e) where the main chamber is not arranged is set shorter than the front-rear length of the rear space (10f). In other words, the side space (10e) can only provide a narrower space than the rear space (10f).
배후공간부(10f)에는, 조리기기의 종류에 따라 각종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컨벡션 기능을 제공하는 조리기기의 경우, 배후공간부(10f)에는 컨벡션 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In the rear space (10f), various devices may be placed depending on the type of cooking applianc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ooking appliance providing a convection function, a convection module may be placed in the rear space (10f).
그에 비해, 전장실(10b,10c,10d)을 형성하지 않는 측부공간부(10e)에는, 별다른 장치가 배치되는 일이 매우 드물다. 따라서 상기 측부공간부(10e)의 측방향 폭은, 불필요하게 증가될 필요가 없다. 측부공간부(10e)의 측방향 길이가 불필요하게 증가되면, 조리기기의 성능 향상 여부와 무관하게 조리기기의 전체 크기만이 커질 뿐이다.In comparison, in the side space (10e) that does not form the main chamber (10b, 10c, 10d), it is very rare for a separate device to be placed. Therefore, the lateral width of the side space (10e) does not need to be increased unnecessarily. If the lateral length of the side space (10e) is increased unnecessarily, only the overall size of the cooking appliance increases regardless of whether the performance of the cooking appliance is improved.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측부공간부(10e)는 배후공간부(10f)에 비해 좁은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Considering these points, it is desirable that the side space (10e) be formed to provide a narrower space compared to the rear space (10f).
비용 절감을 위해, 조리실 용적이 같은 조리기기는 동일 규격의 본체(10)를 공유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컨대, 고주파 기능 및 컨벡션 기능을 함께 제공하는 조리기기가 고주파 기능만을 제공하는 조리기기와 동일한 규격의 본체(10)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To reduce costs, it is common for cooking appliances with the same cooking chamber volume to share a body (10) of the same specifications. For example, a cooking appliance that provides both a high-frequency function and a convection function can be manufactured using a body (10) of the same specifications as a cooking appliance that provides only a high-frequency function.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본체(10)는 컨벡션 모듈이 배치되기에 적합한 공간을 제공하는 배후공간부(10f)를 포함할 수 있고, 측부공간부(10e)는 배후공간부(10f)에 비해 좁은 공간만을 제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main body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rear space (10f) that provides a space suitable for arranging a convection module, and the side space (10e) may be formed in a form that provides only a narrow space compared to the rear space (10f).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의 송풍부(100,200)는 측부공간부(10e)에 비해 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는 배후공간부(10f)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후공간부(10f)에 송풍부(100,200)가 배치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리기기 내부에서의 유동 손실이 감소될 수 있음은 물론, 더 크고 성능이 높은 팬 어셈블리가 송풍부(100,200)에 적용될 수 있게 된다.Considering these points, the blower (100,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laced in the rear space (10f) which provides more sufficient space than the side space (10e). By placing the blower (100, 200) in the rear space (10f) in this way, not only can the flow loss inside the cooking appliance be reduced as described above, but also a larger and higher-performance fan assembly can be applied to the blower (100, 200).
즉 배후공간부(10f)에 배치되는 송풍부(100,200)를 포함하는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규격의 본체(10)를 이용하여 조리기기의 크기 증가를 억제하면서 더욱 향상된 조리 가스 제거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ing the blower (100, 200) arranged in the rear space (10f) can provide further improved cooking gas removal performance while suppressing an increase in the size of the cooking appliance by using a main body (10) of a standard that is commonly used.
[지지부재][Lack of support]
도 20은 코너팬 어셈블리 및 그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지지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22는 지지부재의 다른 예가 적용된 조리기기의 일부분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지지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Fig. 20 is an enlarged view of the corner pan assembly and its surroundings, and Fig. 21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pport member shown in Fig. 20 in isolation. Also, Fig. 2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of a cooking appliance to which another example of the support member is applied, and Fig. 23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pport member shown in Fig. 22 in isolation.
도 6과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지지부재(4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40)는, 제2흡입구(214)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이 배후공간부(10f) 측으로 유도될 수 있게 코너팬 어셈블리(200)를 지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nd FIG. 20 and FIG. 21,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support member (40). The support member (40) may support the corner fan assembly (200) so that the flow of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suction port (214) may be guided toward the rear space (10f).
이러한 지지부재(40)의 적어도 일부분은, 측부공간부(10e)와 배후공간부(10f) 사이를 가로막는 벽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지지부재(40)의 적어도 일부분은, 배후공간부(10f)에서 코너팬 어셈블리(200)와 배후팬 어셈블리(100) 사이를 가로막는 벽을 형성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40) can form a wall that blocks the space between the side space (10e) and the rear space (10f). That is, at least a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40) can form a wall that blocks the space between the corner fan assembly (200) and the rear fan assembly (100) in the rear space (10f).
지지부재(40)는, 배후공간부(10f)를 측방향을 따라 두 영역으로 구획하는 벽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서, 지지부재(40)는 배후공간부(10f) 중 측부공간부(10e)와 인접한 일부분을 코너공간부(10g,10h)로 구획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40)의 적어도 일부분은, 코너팬 어셈블리(200)를 측방에서 덮는 벽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벽은, 측방지지부(4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40) can form a wall that divides the rear space (10f) into two regions along the lateral direction. As an example, the support member (40) can divide a part of the rear space (10f) adjacent to the side space (10e) into a corner space (10g, 10h). In addition, at least a part of the support member (40) can form a wall that covers the corner fan assembly (200) from the side. This wall can be formed by the lateral support member (41).
제2흡입구(214)는, 지지부재(4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측방지지부(41)를 향해 코너팬 어셈블리(200)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측방지지부(41)에는, 토출홀(41a)이 형성될 수 있다. 토출홀(41a)은, 제2흡입구(214)를 측방으로 노출시킬 수 있게 마련되며, 측방지지부(41)에 측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suction port (214) may be arranged on the side of the corner fan assembly (200) toward the support member (40), more specifically, the lateral support member (41). In addition, a discharge hole (41a) may be formed in the lateral support member (41). The discharge hole (41a) may be formed to expose the second suction port (214) laterally, and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lateral support member (41) laterally.
측방지지부(41)는, 코너팬 어셈블리(200)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코너팬 어셈블리(200)는, 측방지지부(41)과 측방향으로 결합되며 지지부재(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The lateral support member (41) can be combined with the corner fan assembly (200). That is, the corner fan assembly (200) can be combined laterally with the lateral support member (41)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40).
지지부재(40)는, 전방지지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지지부(42)는, 지지부재(40)의 전면을 형성하며, 코너팬 어셈블리(200)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40) may include a front support portion (42). The front support portion (42) forms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40) and may be arranged on the front side of the corner fan assembly (200).
전방지지부(42)는, 코너팬 어셈블리(200)를 전방에서 덮는 세로방향의 벽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전방지지부(42)는 전후방향 축과 직교하는 세로방향의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전방지지부(42)는, 후술할 쿨링팬(6; 도 25 참조)과 코너팬 어셈블리(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쿨링팬(6)과 코너팬 어셈블리(200) 사이를 가로막는 벽을 전장실(10b,10c,10d)에 형성할 수 있다.The front support member (42) can form a vertical wall covering the corner fan assembly (200) from the front. For example, the front support member (42) can form a vertical plane perpendicular to the front-back axis. The front support member (42) can be arranged between the cooling fan (6; see FIG. 25)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corner fan assembly (200), and can form a wall blocking the cooling fan (6) and the corner fan assembly (200) in the front chamber (10b, 10c, 10d).
전방지지부(42)는, 측방지지부(41)의 측방측에서 측방지지부(41)와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전방지지부(42)의 우측 단부가 측방지지부(41)의 전단과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전방지지부(42)와 측방지지부(41)가 "L" 형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front support member (42) can be connected to the lateral support member (41) on the lateral side of the lateral support member (41). As an example, the right end of the front support member (42) can be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lateral support member (41). For example, the front support member (42) and the lateral support member (41) can be connected in an “L” shape.
이와 같이 측방지지부(41)와 연결된 전방지지부(42)는, 측방지지부(41)를 전방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전방지지부(42)는, 쿨링팬(6)과 코너팬 어셈블리(200) 사이를 가로막는 가림벽, 및 코너팬 어셈블리(200)를 지지하는 측방지지부(41)를 지지하는 지지벽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The front support member (42) connected to the lateral support member (41) in this way can support the lateral support member (41) from the front side. The front support member (42) can simultaneously serve as a shield wall that blocks the cooling fan (6) and the corner fan assembly (200), and as a support wall that supports the lateral support member (41) that supports the corner fan assembly (200).
또한 전방지지부(42)는, 전장부품과의 결합을 위한 세로방향의 평면을 형성하는 지지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전장실(10b,10c,10d)에는 마그네트론, 고압트랜스, 고압컨덴서, 노이즈 필터 등과 같은 전장부품이 배치될 수 있고, 전방지지부(42)의 지지면에는 상기 전장부품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방지지부(42)의 지지면에 고압컨덴서가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In addition, the front support member (42) may include a support surface that forms a vertical plane for coupling with electrical components. For example, electrical components such as a magnetron, a high-voltage transformer, a high-voltage condenser, a noise filter, etc. may be placed in the electrical compartment (10b, 10c, 10d), and at least one of the electrical components may be installed on the support surface of the front support member (42). In this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that a high-voltage condenser is installed on the support surface of the front support member (42).
아울러 지지부재(40)는, 상방지지부(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방지지부(43)는, 지지부재(40)의 상면을 형성하며, 코너팬 어셈블리(2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방지지부(43)는, 코너공간부(10g,10h)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40)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support member (43). The upper support member (43) forms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40) and may be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rner fan assembly (200). As an example, the upper support member (43) may be arranged in the corner space portion (10g, 10h).
상방지지부(43)는, 측방지지부(41) 및 전방지지부(42)의 상측에 배치되며, 측방지지부(41)와 전방지지부(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하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방지지부(43)가 측방지지부(41) 및 전방지지부(42) 모두와 연결되는 것으로 예시된다.The upper support member (43) is arranged above the lateral support member (41) and the front support member (42), and can be vertical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lateral support member (41) and the front support member (42).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support member (43) is exemplified as being connected to both the lateral support member (41) and the front support member (42).
일례로서, 상방지지부(43)의 전단이 전방지지부(42)의 상단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방지지부(43)의 우측 단부가 측방지지부(41)의 상단과 연결될 수 있다. 상방지지부(43)에 의해, 지지부재(40)의 세 방향 면이 하나로 연결되고, 이에 따라 지지부재(40)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front end of the upper support member (43) can b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front support member (42), and the right end of the upper support member (43) can b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lateral support member (41). By the upper support member (43), the three sides of the support member (40) are connected as one, and thus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support member (40) can be improved.
또한 상방지지부(43)는, 전장부품과의 결합을 위한 가로방향의 평면을 형성할 지지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코너팬 어셈블리와 연결된 노이즈 필터가 상방지지부(43)의 지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Additionally, the upper support member (43) may include a support surface that forms a horizontal plane for joining with the electric component. In this embodiment, a noise filter connected to the corner fan assembly is exemplified as being installed on the support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member (43).
상기한 바와 같은 측방지지부(41)와 전방지지부(42)와 상방지지부(43)를 포함하는 지지부재(40)는, 쿨링팬(6)과 코너팬 어셈블리(200) 사이를 가로막는 가림벽을 제공할 뿐 아니라, 전장부품과 코너팬 어셈블리(200)의 안정적인 설치를 위한 지지벽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40) including the lateral support member (41), the front support member (42) and the upper support member (43) as described above not only provides a shielding wall between the cooling fan (6) and the corner fan assembly (200), but can also provide a support wall for stable installation of the electric component and the corner fan assembly (200).
일례로서, 지지부재(40)는 측방지지부(41)와 전방지지부(42) 및 상방지지부(43)가 일체로 형성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40)는, 지지부재(40)의 조립 및 설치, 부품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우수한 구조적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As an example, the support member (40)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lateral support member (41), the front support member (42), and the upper support member (43) are formed integrally. Such a support member (40) can facilitate the assembly and installation of the support member (40) and the management of parts, and can have excellent structural stability.
다른 예로서,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지지부와 전방지지부 및 상방지지부가 별물로 마련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S. 22 and 23, the lateral support portion, the front support portion, and the upper support portion may be provided separately.
이에 따르면, 지지부재(45)는 제1지지플레이트(45a)와 제2지지플레이트(45b) 및 제3지지플레이트(45c)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지지플레이트(45a)와 제2지지플레이트(45b) 및 제3지지플레이트(45c)는 각각 별물로 마련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the support member (45)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late (45a), a second support plate (45b), and a third support plate (45c), and the first support plate (45a), the second support plate (45b), and the third support plate (45c) may each be provided as separate parts.
예컨대, 제1지지플레이트(45a)는 측방지지부를 형성할 수 있고, 제2지지플레이트(45b)는 전방지지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제3지지플레이트(45c)는 상방지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별물로 마련된 제1지지플레이트(45a)와 제2지지플레이트(45b) 및 제3지지플레이트(45c)가 서로 결합되어 지지부재(40)를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support plate (45a) can form a lateral support portion, the second support plate (45b) can form a front support portion, and the third support plate (45c) can form an upper support portion. In this way, the first support plate (45a), the second support plate (45b), and the third support plate (45c) provided separately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form a support member (40).
일례로서, 제1지지플레이트(45a)는 측방지지부와 연결유로형성부재(37,38)를 모두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제1지지플레이트(45a)에서, 측방지지부와 연결유로형성부재(37,38)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As an example, the first support plate (45a) may be provided in a form that includes both the lateral support portion and the connecting passage forming member (37, 38). That is, in the first support plate (45a), the lateral support portion and the connecting passage forming member (37, 38) may be formed integrally.
또한 관통홀(41b)는, 제1지지플레이트(45a)에 마련될 수도 있고, 제3지지플레이트(45c)에 마련될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 through hole (41b)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support plate (45a) or in the third support plate (45c).
[전장실의 구조][Structure of the battle room]
도 24는 외부 공기가 냉기유입구를 통해 전장실로 유입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5 내지 도 27은 전장실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8은 상측코너공간부에서 연결유로부를 통해 하측코너공간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24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a battle room through a cold air inlet, Figs. 25 to 27 are drawings showing a state of air flow introduced into a battle room, and Fig. 28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of air flow introduced into a lower corner space through a connecting passage from an upper corner space.
도 24및 도 25를 참조하면, 본체(10)에는 냉기유입구(5)가 마련될 수 있다. 냉기유입구(5)는, 제1배기구(2) 및 제2배기구(3)와 함께 본체(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4 and 25, a cold air inlet (5) may be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The cold air inlet (5) may be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ogether with the first exhaust port (2) and the second exhaust port (3).
일례로서, 냉기유입구(5)는 캐비닛(13)의 상면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냉기유입구(5)는, 전장실(10b,10c,10d)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전장실(10b,10c,10d)을 본체(10)의 외부로 개방할 수 있다. 외부 공기는, 냉기유입구(5)를 통해 전장실(10b,10c,10d)로 유입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cold air inlet (5) may be formed to penetrate vertically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3). This cold air inlet (5) may be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electrical compartment (10b, 10c, 10d) and may open the electrical compartment (10b, 10c, 10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Outside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electrical compartment (10b, 10c, 10d) through the cold air inlet (5).
도 25 내지 도 2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구획플레이트(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획플레이트(50)는, 측부공간부(10e),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전장실(10b,10c,10d)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5 and 26,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partition plate (50). The partition plate (50) may be placed in a side space (10e), more specifically, in a main chamber (10b, 10c, 10d).
일례로서, 구획플레이트(50)는 상하방향 축과 직교하는 가로방향의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획플레이트(50)는, 측부공간부(10e)를 상하로 구획하되, 하부전장실(10b)과 상부전장실(10c)로 구획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장실(10b,10c,10d)은 구획플레이트(50) 하측의 하부전장실(10b)과 구획플레이트(50) 상측의 상부전장실(10c)로 구획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partition plate (50) can form a horizontal plane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axis. This partition plate (50) partitions the side space (10e) upward and downward, and can partition it into a lower electrical room (10b) and an upper electrical room (10c). For example, the electrical rooms (10b, 10c, 10d) can be partitioned into a lower electrical room (10b) below the partition plate (50) and an upper electrical room (10c) above the partition plate (50).
일례로서, 전장실(10b,10c,10d) 내에서 하부전장실(10b)이 상부전장실(10c)에 비해 훨씬 넓은 공간을 차지할 수 있다. 예컨대, 하부전장실(10b)의 상하방향 길이가 상부전장실(10c)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훨씬 길게 설정될 수 있다. 마그네트론, 고압트랜스, 고압컨덴서 등을 포함한 대부분의 전장부품은 하부전장실(10b)에 주로 배치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lower electrical room (10b) may occupy a much wider space than the upper electrical room (10c) within the electrical room (10b, 10c, 10d). For example, the vertical length of the lower electrical room (10b) may be set to be much long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upper electrical room (10c). Most electrical components, including a magnetron, a high-voltage transformer, a high-voltage condenser, etc., may be placed primarily in the lower electrical room (10b).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쿨링팬(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쿨링팬(6)은, 외부 공기를 냉기유입구(5)를 통해 전장실(10b,10c,10d)로 유입시킬 수 있게 마련된다. 일례로서, 쿨링팬(6)은 대부분의 전장부품들과 함께 하부전장실(10b)에 배치될 수 있다.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cooling fan (6). The cooling fan (6) is provided to allow external air to be introduced into the electrical compartment (10b, 10c, 10d) through the cold air inlet (5). As an example, the cooling fan (6) may be placed in the lower electrical compartment (10b) together with most of the electrical components.
송풍부(100,200)는 쿨링팬(6)의 후방측에 배치되며, 쿨링팬(6)과 코너팬 어셈블리(200) 사이에는 지지부재(40), 좀 더 구체적으로 전방지지부(42)가 배치될 수 있다.The blower (100, 200) is arranged at the rear side of the cooling fan (6), and a support member (40), more specifically a front support member (42), can be arranged between the cooling fan (6) and the corner fan assembly (200).
쿨링팬(6)은, 외부 공기를 냉기유입구(5)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기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 cooling fan (6) can generate airflow to draw outside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cold air inlet (5).
쿨링팬(6) 작동시, 외부 공기가 냉기유입구(5)를 통해 상부전장실(10c)로 유입될 수 있다. 상부전장실(10c)로 유입된 공기는, 구획플레이트(50)를 통과하여 하부전장실(10b)로 유입될 수 있다.When the cooling fan (6) is in operation, outside air can flow into the upper electrical compartment (10c) through the cold air inlet (5). The air that flows into the upper electrical compartment (10c) can flow into the lower electrical compartment (10b) through the partition plate (50).
이를 위해, 구획플레이트(50)에는 통과홀(52,54)이 마련될 수 있다. 통과홀(52,54)은, 상부전장실(10c)과 하부전장실(10b)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구획플레이트(50)에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서, 통과홀(52,54)은 구획플레이트(50)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a passage hole (52, 54) may be provided in the partition plate (50). The passage hole (52, 54) may form a passage connecting the upper electrical chamber (10c) and the lower electrical chamber (10b) in the partition plate (50). As an example, the passage hole (52, 54)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partition plate (50) in the vertical direction.
냉기유입구(5)를 통해 상부전장실(10c)로 유입된 공기는, 통과홀(52,54)을 통해 하부전장실(10b)로 유입될 수 있다. 이처럼 전장실(10b,10c,10d)로 유입된 공기는, 하부전장실(10b)에 배치된 전장부품들을 냉각시킬 수 있다.Air introduced into the upper electrical compartment (10c) through the cold air inlet (5) can be introduced into the lower electrical compartment (10b) through the passage holes (52, 54). In this way, air introduced into the electrical compartments (10b, 10c, 10d) can cool electrical components placed in the lower electrical compartment (10b).
또한 하부전장실(10b)로 유입된 공기 중 일부는, 조리실(10a; 도 2 참조)로 유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캐비티(11)에는, 측부홀(11a)이 마련될 수 있다. 측부홀(11a)은, 하부전장실(10b)과 상부전장실(10c)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조리실(10a)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some of the air that flows into the lower chamber (10b) may flow into the cooking chamber (10a; see Fig. 2). For this purpose, a side hole (11a) may be provided in the cavity (11). The side hole (11a) may form a passage connecting at least one of the lower chamber (10b) and the upper chamber (10c) and the cooking chamber (10a).
본 실시예에서는, 측부홀(11a)이 하부전장실(10b)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일례로서, 측부홀(11a)은 캐비티(11)에 측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하부전장실(10b)과 조리실(10a)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캐비티(11)에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측부홀(11a)은, 지지부재(40)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that the side hole (11a) is arranged in the lower chamber (10b). As an example, the side hole (11a) is formed to penetrate laterally in the cavity (11), and a passage connecting the lower chamber (10b) and the cooking chamber (10a) can be formed in the cavity (11). This side hole (11a) can be arranged on the front side of the support member (40).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차단플레이트(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단플레이트(55)는, 상부전장실(10c)의 전방 영역이 흡기실(10d)로 분리되게 상부전장실(10c)을 전후로 구획할 수 있다.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blocking plate (55). The blocking plate (55) may partition the upper chamber (10c) front and rear so that the front area of the upper chamber (10c) is separated into an intake chamber (10d).
일례로서, 차단플레이트(55)는 전후방향 축과 직교하는 세로방향의 벽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차단플레이트(55)는, 구획플레이트(50)의 상측에 배치되며, 구획플레이트(5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blocking plate (55) can form a vertical wall surface that is orthogonal to the forward-backward axis. This blocking plate (55) is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partition plate (50) and can be joi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plate (50).
이와 같이 마련되는 차단플레이트(55)에 의해, 상부전장실(10c) 중 프런트 플레이트(12)와 차단플레이트(55) 사이의 영역이 흡기실(10d)로 구획될 수 있다.By means of the blocking plate (55) provided in this manner, the area between the front plate (12) and the blocking plate (55) in the upper electrical compartment (10c) can be partitioned into an intake chamber (10d).
구획플레이트(50)에는, 복수개의 통과홀(52,54)이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서, 구획플레이트(50)에는 제1통과홀(52) 및 제2통과홀(54)이 마련될 수 있다. 제1통과홀(52)과 제2통과홀(54)은, 차단플레이트(55)를 사이에 두고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passage holes (52, 54) may be provided in the partition plate (50). As an example, a first passage hole (52) and a second passage hole (54) may be provided in the partition plate (50). The first passage hole (52) and the second passage hole (54)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front-back direction with a blocking plate (55) interposed therebetween.
제1통과홀(52)은, 흡기실(10d)과 하부전장실(10b)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1통과홀(52)은, 차단플레이트(55) 및 쿨링팬(6)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구획플레이트(50)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assage hole (52) can form a passage connecting the intake chamber (10d) and the lower electrical chamber (10b). This first passage hole (52) can be arranged in front of the blocking plate (55) and the cooling fan (6), and can be formed to penetrate the partition plate (50)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2통과홀(54)은, 흡기실(10d)의 후방측에서 상부전장실(10c)과 하부전장실(10b)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1통과홀(52)은, 차단플레이트(55) 및 쿨링팬(6)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구획플레이트(50)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passage hole (54) can form a passage connecting the upper body chamber (10c) and the lower body chamber (10b) at the rear side of the intake chamber (10d). This first passage hole (52) can be arranged at the rear side of the blocking plate (55) and the cooling fan (6), and can be formed to penetrate the partition plate (50)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구획플레이트(50)의 후방측에 상방지지부(43)가 배치될 수 있다. 상방지지부(43)는 코너공간부(10g,10h)에 배치될 수 있으며, 코너공간부(10g,10h)를 상하로 구획할 수 있다. 상방지지부(43)에 의해, 코너공간부(10g,10h)는 상측코너공간부(10g) 및 하측코너공간부(10h)로 구획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 upper support member (43) may be arranged on the rear side of the partition plate (50). The upper support member (43) may be arranged in the corner space portion (10g, 10h) and may partition the corner space portion (10g, 10h) upwardly and downwardly. By the upper support member (43), the corner space portion (10g, 10h) may be partitioned into an upper corner space portion (10g) and a lower corner space portion (10h).
하측코너공간부(10h)는, 상방지지부(43)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측코너공간부(10h)의 상측 경계면은 상방지지부(43)에 의해 규정될 수 있고, 하측코너공간부(10h)의 전방측 경계면은 전방지지부(42)에 의해 규정될 수 있으며, 하측코너공간부(10h)의 우측 경계면은 측방지지부(41)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코너팬 어셈블리(200)는, 하측코너공간부(10h)에 배치될 수 있다.The lower corner space (10h) may be arranged below the upper support portion (43). The upper boundary surface of the lower corner space (10h) may be defined by the upper support portion (43), the front boundary surface of the lower corner space (10h) may be defined by the front support portion (42), and the right boundary surface of the lower corner space (10h) may be defined by the lateral support portion (41). The corner fan assembly (200) may be arranged in the lower corner space (10h).
상측코너공간부(10g)는, 상방지지부(43)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측코너공간부(10g)는, 상부전장실(10c)의 후방측의 후방측에 배치되며, 상부전장실(10c)의 후방측에서 상부전장실(10c)과 연통될 수 있다.The upper corner space (10g) can be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support member (43). The upper corner space (10g) is arranged on the rear side of the rear side of the upper electrical room (10c), and can be connected to the upper electrical room (10c) at the rear side of the upper electrical room (10c).
상기 상방지지부(43)에는, 상부전장실(10c)에 배치되는 전장부품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코너팬 어셈블리(200)와 연결되는 노이즈 필터가 상측코너공간부(10g)에 배치될 수 있고, 이 노이즈 필터는 상방지지부(43)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electrical components arranged in the upper electrical room (10c) may be arranged in the upper support member (43). As an example, a noise filter connected to the corner fan assembly (200) may be arranged in the upper corner space (10g), and this noise filter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member (43).
쿨링팬(6)에 의해 하부전장실(10b)로 유입된 공기는, 제2통과홀(54)을 통해 상부전장실(10c)로 유동할 수 있다. 이처럼 상부전장실(10c)로 유입된 공기는, 상측코너공간부(10g)를 통과하며 상방지지부(43)에 설치된 전장부품을 냉각시킬 수 있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lower electrical compartment (10b) by the cooling fan (6) can flow into the upper electrical compartment (10c) through the second passage hole (54). In this way, the air introduced into the upper electrical compartment (10c) can cool the electrical components installed in the upper support member (43) by passing through the upper corner space (10g).
한편 상부전장실(10c)과 하부전장실(10b)은, 연결유로부(39)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연결유로부(39)는, 쿨링팬(6)에 의해 하부전장실(10b)로 유입된 공기가 상부전장실(10c)을 통해 송풍부(100,200) 측으로 유입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연결유로부(39)는 전장실(10b,10c,10d)로 유입된 공기가 상측코너공간부(10g)를 통해 코너팬 어셈블리(200)로 유입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upper electrical compartment (10c) and the lower electrical compartment (10b) can be connected by a connecting passage (39). The connecting passage (39) can form a passage for air introduced into the lower electrical compartment (10b) by the cooling fan (6) to flow through the upper electrical compartment (10c) to the blower (100, 200). For example, the connecting passage (39) can form a passage for air introduced into the electrical compartments (10b, 10c, 10d) to flow through the upper corner space (10g) to the corner fan assembly (200).
또한 측방지지부(41)에는, 관통홀(41b)이 마련될 수 있다. 관통홀(41b)은, 측방지지부(41)와 전방지지부(42)로 둘러싸인 공간, 즉 하측코너공간부(10h)를 측방으로 개방할 수 있게 마련된다.In addition, a through hole (41b) may be provided in the lateral support member (41). The through hole (41b) is provided so that the space surrounded by the lateral support member (41) and the front support member (42), i.e., the lower corner space (10h), can be opened laterally.
연결유로부(39)는, 이 관통홀(41b)과 상부전장실(10c), 좀 더 구체적으로는 관통홀(41b)과 상측코너공간부(10g)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유로부(39)는, 상측코너공간부(10g,10h)의 측방측에서 상측코너공간부(10g) 및 하측코너공간부(10h)와 각각 연통될 수 있다. 연결유로부(39)와 하측코너공간부(10h)는, 관통홀(41b)을 통해 연통될 수 있다.The connecting passage (39) can form a passage connecting the through hole (41b) and the upper electrical room (10c), more specifically, the through hole (41b) and the upper corner space (10g). The connecting passage (39) can be connected to the upper corner space (10g) and the lower corner space (10h) on the side of the upper corner space (10g, 10h), respectively. The connecting passage (39) and the lower corner space (10h) can be connected through the through hole (41b).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유로부(39)는 연결유로형성부재(37,38)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연결유로형성부재(37,38)에서, 제1구획부(37)는 측방지지부(41)의 측방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세로방향의 벽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구획부(38)는 관통홀(41b)의 하측에서 측방지지부(41)와 연결되며 측방지지부(41)와 제1구획부(37)를 연결하는 벽을 형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ng channel portion (39) can be formed by the connecting channel forming member (37, 38). In the connecting channel forming member (37, 38), the first compartment portion (37) can form a vertical wall that i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side of the lateral support portion (41). In addition, the second compartment portion (38) can form a wall that is connected to the lateral support portion (41) at the lower side of the through hole (41b) and connects the lateral support portion (41) and the first compartment portion (37).
연결유로부(39)의 양측면은, 측방지지부(41)와 제1구획부(37)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유로부(39)의 좌측면은 측방지지부(41)에 의해 규정되고, 연결유로부(39)의 우측면은 제1구획부(37)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연결유로부(39)의 저면은, 제2구획부(38)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The two sides of the connecting channel (39) can be defined by the lateral support (41) and the first partition (37). For example, the left side of the connecting channel (39) can be defined by the lateral support (41), and the right side of the connecting channel (39) can be defined by the first partition (37). The bottom of the connecting channel (39) can be defined by the second partition (38).
상부전장실(10c)로 유입된 공기는, 상측코너공간부(10g)를 통과하여 연결유로부(39)로 유입될 수 있다. 연결유로부(39)로 유입된 공기는, 관통홀(41b)을 통해 하측코너공간부(10h)로 유입된 후, 코너팬 어셈블리(200)에 흡입될 수 있다.Air introduced into the upper chamber (10c) can pass through the upper corner space (10g) and be introduced into the connecting passage (39). Air introduced into the connecting passage (39) can be introduced into the lower corner space (10h) through the through hole (41b) and then be sucked into the corner fan assembly (200).
하측코너공간부(10h)에는, 코너팬 어셈블리(200)의 흡입력이 작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측코너공간부(10h)에서 작용하는 흡입력은, 하측코너공간부(10h)와 연결된 연결유로부(39) 및 상측코너공간부(10g)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즉 코너팬 어셈블리(200)의 흡입력이 상측코너공간부(10g)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상측코너공간부(10g)로 유입되는 공기를 하측코너공간부(10h) 측으로 유동시키는 힘으로 작용할 수 있다.The suction force of the corner fan assembly (200) can be applied to the lower corner space (10h). The suction force applied to the lower corner space (10h) can also affect the connecting passage (39) connected to the lower corner space (10h) and the upper corner space (10g). In other words, the suction force of the corner fan assembly (200) can affect the upper corner space (10g), and this can act as a force that causes the air flowing into the upper corner space (10g) to flow toward the lower corner space (10h).
궁극적으로, 코너팬 어셈블리(200)의 흡입력은 하부전장실(10b)에서 상부전장실(10c)로 유입된 공기의 흐름을 연결유로부(39)를 통해 하측코너공간부(10h)으로 유도하는 힘으로 작용할 수 있다.Ultimately, the suction force of the corner fan assembly (200) can act as a force to guide the air flow from the lower chamber (10b) to the upper chamber (10c) through the connecting passage (39) to the lower corner space (10h).
이하, 전장실(10b,10c,10d)에서의 공기 흐름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Below, we will examine the air flow in the battle rooms (10b, 10c, 10d).
외부 공기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기유입구(5)를 통해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기유입구(5)를 통과한 공기는, 도 25 내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실(10d)로 유입될 수 있다.Outside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cold air inlet (5), as shown in Fig. 24. Air passing through the cold air inlet (5) in this way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take chamber (10d), as shown in Figs. 25 to 27.
흡기실(10d)로 유입된 공기는, 제1통과홀(52)을 통해 구획플레이트(50)를 통과하여 하부전장실(10b)로 유동할 수 있다. 하부전장실(10b)에서, 공기는 쿨링팬(6)에 의해 후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부전장실(10b)에서 후방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하부전장실(10b)에 배치된 전장부품들을 냉각시킬 수 있다.Air introduced into the intake chamber (10d) can flow into the lower electrical compartment (10b) by passing through the first passage hole (52) and the partition plate (50). In the lower electrical compartment (10b), air can flow rearward by the cooling fan (6). In this way, air flowing rearward in the lower electrical compartment (10b) can cool electrical components placed in the lower electrical compartment (10b).
하부전장실(10b)에서 유동하는 공기 중 일부는, 흡기구(1)를 통해 캐비티(11)를 통과하여 전장실로 유입될 수 있다. 하부전장실(10b)에서 유동하는 공기 중 다른 일부는, 제2통과홀(54)을 통해 구획플레이트(50)를 통과하여 상부전장실(10c)로 유동할 수 있다.Some of the air flowing in the lower chamber (10b) can pass through the cavity (11) via the intake port (1) and flow into the chamber. Other some of the air flowing in the lower chamber (10b) can pass through the partition plate (50) via the second passage hole (54) and flow into the upper chamber (10c).
상부전장실(10c)에서, 공기는 코너팬 어셈블리(200)의 흡입력의 영향을 받아 연결유로부(39)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예컨대, 상부전장실(10c)로 유입된 공기는 상측코너공간부(10g)를 통과하며 전장부품을 냉각시킨 후,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유로부(39)에 유입될 수 있다.In the upper electrical compartment (10c), air can flow toward the connecting passage (39) under the influence of the suction force of the corner fan assembly (200). For example, air introduced into the upper electrical compartment (10c) can pass through the upper corner space (10g) and cool the electrical components, and then, as illustrated in Fig. 28, can be introduced into the connecting passage (39).
연결유로부(39)로 유동한 공기는, 관통홀(41b)을 통해 측방지지부(41)를 통과하여 하측코너공간부(10h)로 유입된 후, 코너팬 어셈블리(200)에 흡입될 수 있다. 즉 연결유로부(39)에서 하측코너공간부(10h)로 유입된 공기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구(1)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공기와 합류하여 코너팬 어셈블리(200)에 흡입된 후 배기유로(A)로 토출될 수 있다.The air flowing into the connecting passage (39) can pass through the lateral support portion (41) via the through hole (41b) and then flow into the lower corner space portion (10h) and then be sucked into the corner fan assembly (200). That is, the air flowing into the lower corner space portion (10h) from the connecting passage portion (39) can be combined with the air flowing into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intake port (1), as illustrated in FIG. 13, and then be sucked into the corner fan assembly (200) and then discharged into the exhaust passage (A).
도 24 내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장실(10b,10c,10d)과 코너공간부(10g,10h) 및 연결유로부(39)에 형성된 유로는, 쿨링팬(6)에 의해 제공되는 힘에 코너팬 어셈블리(200)의 흡입력에 의해 제공되는 힘이 전장실(10b,10c,10d)에서 더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장실(10b,10c,10d) 내부에서의 공기 유동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전장실(10b,10c,10d)에 배치된 전장부품들에 대한 냉각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S. 24 to 28, the flow path formed in the electrical compartment (10b, 10c, 10d), the corner space portion (10g, 10h), and the connecting flow path portion (39) allows the force provided by the suction force of the corner fan assembly (200) to be added to the force provided by the cooling fan (6) in the electrical compartment (10b, 10c, 10d), thereby enabling the air to flow more smoothly within the electrical compartment (10b, 10c, 10d) and contributing to enabling the cooling of electrical components placed in the electrical compartment (10b, 10c, 10d) to be more effective.
또한 상기와 같이 전장실(10b,10c,10d)과 코너공간부(10g,10h) 및 연결유로부(39)에 형성된 유로는, 전장실(10b,10c,10d)로 유입된 공기가 코너팬 어셈블리(200) 측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코너팬 어셈블리(200)의 공기 흡입량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하고, 궁극적으로 코너팬 어셈블리(200)의 토출 풍량이 효과적으로 증가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air path formed in the main body room (10b, 10c, 10d), the corner space part (10g, 10h), and the connecting air path part (39) can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air intake of the corner fan assembly (200) by allow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room (10b, 10c, 10d) to flow toward the corner fan assembly (200), and ultimately to effectively increasing the discharge air volume of the corner fan assembly (200).
한편 도 25 내지 도2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유로구획플레이트(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로구획플레이트(16)는, 캐비티(11) 및 구획플레이트(50) 상측의 공간을 구획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유로구획플레이트(16)는, 캐비티(11) 및 구획플레이트(50) 상측의 공간을 상부전장실(10c)과 상부공간부(10i)로 구획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25 to 27,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euro partition plate (16). The euro partition plate (16) is provided so as to partition the space above the cavity (11) and the partition plate (50). This euro partition plate (16) may partition the space above the cavity (11) and the partition plate (50) into an upper electrical chamber (10c) and an upper space portion (10i).
일례로서, 유로구획플레이트(16)는 측방향 축과 직교하는 세로방향의 벽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유로구획플레이트(16)는, 상부전장실(10c)과 상부공간부(10i) 사이를 가로막으며 이 두 공간을 분리시킬 수 있다. 예컨대, 유로구획플레이트(16)는 상부전장실(10c)의 우측 경계면을 규정하며, 상부공간부(10i)의 좌측 경계면을 규정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euro partition plate (16) can form a vertical wall perpendicular to the lateral axis. This euro partition plate (16) can block the upper electrical chamber (10c) and the upper space (10i) and separate these two spaces. For example, the euro partition plate (16) can define the right boundary surface of the upper electrical chamber (10c) and the left boundary surface of the upper space (10i).
아울러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도파관(17)을 포함할 수 있다. 도파관(17)은, 전장실(10b,10c,10d)에 설치된 마그네트론에서 생성된 마이크로파를 조리실(10a)로 전달할 수 있게 마련된다.In addition,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waveguide (17). The waveguide (17) is provided to transmit microwaves generated from a magnetron installed in a power chamber (10b, 10c, 10d) to a cooking chamber (10a).
도파관(17)은, 상부전장실(10c) 및 상부공간부(10i)에 배치되며, 구획플레이트(50) 및 캐비티(11)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도파관(17)의 일부분은 구획플레이트(50)의 상면에 설치되며, 도파관(17)의 나머지 일부분은 유로구획플레이트(16)를 측방향으로 관통하여 캐비티(11)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The waveguide (17) is arranged in the upper electrical room (10c) and the upper space (10i), and can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plate (50) and the cavity (11). That is, a part of the waveguide (17)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plate (50), and the remaining part of the waveguide (17) can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1) by laterally penetrating the passage partition plate (16).
도파관(17)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과 연결된 도파관(17)의 입구는 마그네트론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공간과 연결된 도파관(17)의 출구는 조리실(10a)과 연결될 수 있다. 도파관(17)의 입구를 통해 도파관(17)의 내부로 유입된 마이크로파는, 도파관(17)의 출구를 통해 조리실(10a)로 유입될 수 있다.A space is formed inside the waveguide (17), and the inlet of the waveguide (17) connected to this space can be connected to a magnetron, and the outlet of the waveguide (17) connected to this space can be connected to a cooking chamber (10a). Microwaves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waveguide (17) through the inlet of the waveguide (17) can be introduced into the cooking chamber (10a) through the outlet of the waveguide (17).
도파관(17)의 출구는, 캐비티(11)의 상면에서 조리실(10a)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파관(17)을 통해 마그네트론에서 전달된 마이크로파는, 캐비티(11)의 상면을 통해 조리실(10a)의 상측에서 조리실(10a)로 유입될 수 있다. 일례로서, 도파관(17)의 출구는 캐비티(11)의 상측에 배치되되, 대략 캐비티(11)의 측방향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The exit of the waveguide (17) can be connected to the cooking chamber (10a)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1). Accordingly, microwaves transmitted from the magnetron through the waveguide (17) can be introduced into the cooking chamber (10a) from the upper side of the cooking chamber (10a)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1). As an example, the exit of the waveguide (17) can be arranged at the upper side of the cavity (11), but can be arranged approximately at the lateral center of the cavity (11).
조리기기의 상하방향 길이가 짧아지면, 조리실(10a)의 상하방향 길이도 짧아질 가능성이 높다. 송풍부(100,200)가 상부공간부(10i) 대신 배후공간부(10f)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상부공간부(10i)의 상하방향 길이가 감소될 수 있다고 해도, 상부공간부(10i)의 길이 감소분은 조리기기 전체의 길이 감소분보다 작을 수밖에 없으므로, 조리기기의 길이 감소에 따른 조리실(10a)의 길이 감소는 피하기 어렵다.If the vertical length of the cooking appliance is shortened, the vertical length of the cooking chamber (10a) is also likely to be shortened. Even if the blower (100, 200) is arranged in the rear space (10f) instead of the upper space (10i), and the vertical length of the upper space (10i) may be reduced accordingly, the reduction in the length of the upper space (10i) cannot but be smaller than the reduction in the length of the entire cooking appliance, so it is difficult to avoid a reduction in the length of the cooking chamber (10a) due to the reduction in the length of the cooking appliance.
이 경우, 조리실(10a)의 형상은 통상적인 조리기기의 조리실에 비해 가로방향으로 납작한 형상을 갖게 된다. 이러한 형상의 조리실(10a)을 갖는 조리기기에서, 마이크로파가 캐비티(11)의 측면을 통해 조리실(10a)로 유입될 경우, 마이크로파가 조리실(10a) 전체에 고르게 공급되기 어렵다.In this case, the shape of the cooking chamber (10a) is fla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ompared to the cooking chamber of a conventional cooking appliance. In a cooking appliance having a cooking chamber (10a) of this shape, when microwaves are introduced into the cooking chamber (10a) through the side of the cavity (11), it is difficult for the microwaves to be supplied evenly throughout the cooking chamber (10a).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파관(17)이 캐비티(11)의 상면에 설치되고, 마이크로파가 캐비티(11)의 상면을 통해 조리실(10a)로 유입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는 마이크로파 공급이 조리실(10a)의 상측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마이크로파가 조리실(10a) 전체에 고르게 공급될 수 있게 된다.Considering these points, in the present embodiment, a waveguide (17)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1), and microwaves can be introduced into the cooking chamber (10a)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1). That is, in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microwaves can be supplied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cooking chamber (10a), and thus, microwaves can be evenly supplied to the entire cooking chamber (10a).
[가림부재의 일례][Example of absence of cover]
도 25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가림부재(6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림부재(60)는, 구획플레이트(50)에 형성된 통과홀(52,54),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통과홀(52)을 상측 또는 하측에서 가릴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가림부재(60)는, 구획플레이트(50) 또는 제1통과홀(52)과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5 to 27,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covering member (60). The covering member (60) is provided so as to cover the passage holes (52, 54) formed in the partition plate (50), more specifically, the first passage hole (52), from the upper or lower side. This covering member (60)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artition plate (50) or the first passage hole (52)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본 실시예에서는, 가림부재(60)가 구획플레이트(50) 및 제1통과홀(52)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가림부재(60)는, 캐비닛(13)의 상면과 구획플레이트(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가림부재(60)는 상부전장실(10c), 좀 더 구체적으로는 흡기실(10d)에 배치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that the covering member (60) is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partition plate (50) and the first passage hole (52). This covering member (60) may be arrang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3) and the partition plate (50). As an example, the covering member (60) may be arranged in the upper electrical chamber (10c), more specifically, in the intake chamber (10d).
상하방향에 대해서, 가림부재(60)는 제1통과홀(52)과 냉기유입구(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림부재(60)는, 본체(10)의 상측에서 내려봤을 때 제1통과홀(52)과 냉기유입구(5) 중 어느 하나가 가림부재(60)에 의해 완전히 덮히게 마련될 수 있다.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vering member (60) can be placed between the first passage hole (52) and the cold air inlet (5). This covering member (60) can be arranged so that when view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 either the first passage hole (52) or the cold air inlet (5) is completely covered by the covering member (60).
일례로서, 가림부재(60)는 제1통과홀(52)이 가림부재(60)에 의해 완전히 덮히게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가림부재(60)는 제1통과홀(52)을 상측에서 완전히 가리는 가로방향의 벽을 형성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covering member (6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first passage hole (52) is completely covered by the covering member (60). For example, the covering member (60) may form a horizontal wall that completely covers the first passage hole (52) from the upper side.
상기 가림부재(60)는, 차단플레이트(55)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림부재(60)는, 차단플레이트(55)의 전면에 결합되며, 차단플레이트(55)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차단플레이트(55)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가림부재(60)는, 구획플레이트(50)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차단플레이트(55)에 결합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covering member (60) can be installed on the blocking plate (55). This covering member (60)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blocking plate (55) and can be installed on the blocking plate (55) in a form that protrudes forward from the blocking plate (55). At this time, the covering member (60) can be coupled to the blocking plate (55) at a position spaced up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plate (50).
이러한 가림부재(60)에 의해, 제1통과홀(52)은 상측에서 보이지 않게 완전히 가려지지만, 제1통과홀(52)을 통한 공기 유동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가림부재(60)는 가림부재(60)의 상측에서 제1통과홀(52)이 보이지 않게 제1통과홀(52)을 가리지만, 흡기실(10d)의 공기는 가림부재(60)의 존재 여부와 관계 없이 제1통과홀(52)을 통해 하부전장실(10b)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By means of this covering member (60), the first passage hole (52) is completely covered so that it cannot be seen from above, but air can flow smoothly through the first passage hole (52). That is, the covering member (60) covers the first passage hole (52) so that the first passage hole (52) cannot be seen from above the covering member (60), but air in the intake chamber (10d) can smoothly flow into the lower body chamber (10b) through the first passage hole (52) regardless of the presence of the covering member (60).
상기와 같이 제공되는 가림부재(60)는, 제1통과홀(52)과 냉기유입구(5) 사이를 가로막을 수 있다. 이러한 가림부재(60)는, 하부전장실(10b)에서 발생한 불꽃이 냉기유입구(5)를 통해 조리기기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제1통과홀(52)의 상측으로 올라오는 불꽃을 제1통과홀(52)과 냉기유입구(5) 사이에서 덮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covering member (60) provided as described above can block the space between the first passage hole (52) and the cold air inlet (5). This covering member (60) can serve to cover the flames rising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passage hole (52) between the first passage hole (52) and the cold air inlet (5) so that the flames generated in the lower electrical compartment (10b)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through the cold air inlet (5).
고압트랜스, 고압컨덴서 등과 같은 고압 전장부품들은, 대부분 하부전장실(10b)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하부전장실(10b)에 배치된 고압 전장부품들은, 하부전장실(10b)에서 화재를 발생시킬 위험이 있다.High-voltage electrical components, such as high-voltage transformers and high-voltage condensers, are mostly placed in the lower electrical room (10b). As such, there is a risk that high-voltage electrical components placed in the lower electrical room (10b) may cause a fire in the lower electrical room (10b).
하부전장실(10b)에서 화재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발생되는 불꽃이 조리기기의 외부로 노출될 경우, 조리기기의 외부로 노출된 불꽃이 조리기기 주변에 옮겨 붙으면서 화재가 번질 위험성이 높아지게 된다.If a fire breaks out in the lower chamber (10b) and the resulting flames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there is a high risk that the fire will spread as the flame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spread to the surrounding areas of the cooking appliance.
조리기기에서, 하부전장실(10b)의 상측에는 흡기실(10d)의 공기가 하부전장실(10b)로 유입되는데 필요한 통로를 형성하는 제1통과홀(52)이 배치된다. 그리고 제1통과홀(52)의 상측에는, 외부 공기가 흡기실(10d)로 유입되는데 필요한 통로를 형성하는 냉기유입구(5)가 배치된다.In the cooking appliance, a first passage hole (52) is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chamber (10b) to form a passage necessary for air from the intake chamber (10d) to flow into the lower chamber (10b). In addition, a cold air inlet (5) is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passage hole (52) to form a passage necessary for outside air to flow into the intake chamber (10d).
이에 따라, 하부전장실(10b)에서 발생된 불꽃은, 제1통과홀(52)을 통해 흡기구(1) 내부로 올라올 수 있으며, 흡기실(10d)에서 냉기유입구(5)를 통해 본체(10)의 상측으로 올라와 조리기기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하부전장실(10b)에서 발생된 불꽃이 조리기기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조리기기의 내부에서 불꽃을 막아줄 필요가 있다.Accordingly, the flame generated in the lower chamber (10b) may rise into the intake port (1) through the first passage hole (52) and may rise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cold air inlet (5) in the intake chamber (10d) and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To prevent this, it is necessary to block the flame inside the cooking appliance so that the flame generated in the lower chamber (10b)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흡기실(10d)에 배치되는 가림부재(60)가 제1통과홀(52)과 냉기유입구(5) 사이를 가로막을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가림부재(60)는, 하부전장실(10b)에서 발생된 불꽃을 흡기실(10d)에서 막음으로써, 하부전장실(10b)에서 발생된 불꽃이 조리기기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할 수 있다.Considering these points, in this embodiment, a covering member (60) arranged in the intake chamber (10d) is provided to block the space between the first passage hole (52) and the cold air inlet (5). This covering member (60) can prevent the flame generated in the lower electrical chamber (10b)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by blocking the flame generated in the lower electrical chamber (10b) from being emitted from the intake chamber (10d).
상술한 바와 같은 가림부재(60)를 구비하는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하부전장실(10b)로의 공기 유입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조리기기 내부에서 발생된 불꽃으로 인해 화재가 번질 위험성을 현저히 낮추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cooking appliance of this embodiment, which is equipped with the covering member (60) as described above, can provide the effect of significantly reducing the risk of fire spreading due to flames generated inside the cooking appliance while allowing air to flow smoothly into the lower electrical compartment (10b).
[가림부재의 다른 예][Other examples of absence of cover]
도 29는 가림부재의 다른 예가 적용된 조리기기의 일부분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FIG. 29 is a rea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ion of a cooking appliance to which another example of a covering member is applied.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전장실(10c)에는 차단플레이트(60; 도 27 참조)가 배치되지 않고, 이에 따라 상부전장실(10c)이 전후로 구획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상부전장실(10c)에 배치되는 가림부재(65)는, 구획플레이트(50)에 직접 절치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서, 가림부재(65)는 가로면부(66) 및 세로면부(67)를 포함하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9, a blocking plate (60; see Fig. 27) is not arranged in the upper electrical room (10c), and accordingly, the upper electrical room (10c) may not be partitioned front-back. The covering member (65) arranged in the upper electrical room (10c) may be provided in a form that is directly cut into the partition plate (50). As an example, the covering member (65) may be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including a horizontal surface portion (66) and a vertical surface portion (67).
가로면부(66)는, 가림부재(65)의 상면을 형성하며, 제1통과홀(52)을 상측에서 가릴 수 있게 마련된다. 일례로서, 가로면부(66)는 상하방향 축과 직교하는 가로방향의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The transverse surface (66) forms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ing member (65) and is provided to cover the first passage hole (52) from the upper side. As an example, the transverse surface (66) can form a transverse plane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axis.
가림부재(65)는, 세로면부(6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로면부(67)는, 가림부재(65)의 측면을 형성하며, 가로면부(66)와 구획플레이트(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세로면부(67)는, 가로면부(66)를 구획플레이트(5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시키며 구획플레이트(5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The covering member (65) may further include a vertical surface portion (67). The vertical surface portion (67) forms a side surface of the covering member (65) and may be arranged between the horizontal surface portion (66) and the partition plate (50). The vertical surface portion (67)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plate (50) while spacing the horizontal surface portion (66)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plate (50).
가림부재(65)는, 제1통과홀(52)을 측방에서 에워싸는 복수개의 세로면부(6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세로면부(67)를 포함하는 가림부재(65)의 내부에는, 제1통과홀(52)을 에워싸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The covering member (65) may include a plurality of vertical surfaces (67) that surround the first passage hole (52) from the side. A space surrounding the first passage hole (52) may be formed inside the covering member (65) including the plurality of vertical surfaces (67).
복수개의 세로면부(6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통기홀(67a)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세로면부(67)에 통기홀(67a)이 각각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A ventilation hole (67a) may be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surfaces (67).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that a ventilation hole (67a) is provided in each of the vertical surfaces (67).
통기홀(67a)은, 세로면부(67)에 가로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통기홀(67a)은, 가림부재(65)의 외부와 가림부재(65)의 내부공간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냉기유입구(5; 도 24 참조)를 통해 상부전장실(10c)로 유입된 공기는, 가림부재(65)의 외측에서 통기홀(67a)을 통해 가림부재(65)의 내부로 유입된 후, 제1통과홀(52)을 통해 하부전장실(10b)로 유입될 수 있다.The ventilation hole (67a) may be formed to penetrate horizontally in the vertical surface portion (67). This ventilation hole (67a) may form a passage connecting the outside of the shielding member (65) and the inside of the shielding member (65). Air introduced into the upper electrical compartment (10c) through the cold air inlet (5; see FIG. 24)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shielding member (65)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67a) from the outside of the shielding member (65), and then introduced into the lower electrical compartment (10b) through the first passage hole (52).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가림부재(65)는, 조리기기 내부에서 발생된 불꽃으로 인해 화재가 번질 위험성을 현저히 낮추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차단플레이트(55)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도 상부전장실(10c)에 효과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The covering member (65) provided as described above can provide the effect of significantly reducing the risk of fire spreading due to flames generated inside the cooking appliance, and can be effectively installed in the upper electrical compartment (10c) even when the blocking plate (55) is not installed.
[상부공간부의 구조][Structure of the upper space]
도 3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흡기 및 배기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고, 도 31은 도 30에 도시된 조리기기 내부의 공기 유동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2는 도 30에 도시된 공동배기구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3은 배기덕트 및 그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Fig. 30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ake and exhaust states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1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ir flow state inside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30. In addition, Fig. 32 is a plan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the area around the common exhaust port shown in Fig. 30, and Fig. 3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exhaust duct and its area.
도 14와 도 30 및 도 32를 참조하면, 본체(10)의 내부에는 순환공기배출구(11b: 도 34 참조)가 마련될 수 있다. 순환공기배출구(11b)는, 조리실(10a)과 상부공간부(10i)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캐비티(11)의 상면에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서, 순환공기배출구(11b)는, 캐비티(11)의 상면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FIG. 30, and FIG. 32, a circulation air outlet (11b: see FIG. 34) may b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The circulation air outlet (11b) may form a passage connecting the cooking chamber (10a) and the upper space (10i)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1). As an example, the circulation air outlet (11b) may be formed to penetrate vertical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1).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10)의 상부에는 복수개의 제2배기구(3)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배기구(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공동배기구(3a)로 제공될 수 있다. 공동배기구(3a)는, 송풍부(100,200)에 의해 상부공간부(10i)로 유동한 공기와 순환공기배출구(11b)를 통해 상부공간부(10i)로 유동한 공기를 함께 배출할 수 있게 마련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second exhaust ports (3) may be arrang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exhaust ports (3) may be provided as a common exhaust port (3a). The common exhaust port (3a) is provided so that air flowing into the upper space (10i) by the blower (100, 200) and air flowing into the upper space (10i) through the circulating air discharge port (11b) can be discharged together.
일례로서, 순환공기배출구(11b)는 캐비티(11)의 측방향 중앙에서 우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순환공기배출구(11b)는 공동배기구(3a)의 적어도 일부분과 전후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circulating air outlet (11b) may be arranged at a position shifted to the right from the lateral center of the cavity (11). For example, the circulating air outlet (11b) may be arranged at a position overlap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common exhaust port (3a) in the front-back direction.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제2배기구(3)와 냉기유입구(5)가 측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례로서, 복수개의 제2배기구(3) 중 냉기유입구(5)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어느 하나가 공동배기구(3a)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냉기유입구(5)는 제2배기구(3)의 좌측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제2배기구(3) 중 최우측에 배치된 어느 하나가 공동배기구(3a)로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second exhaust ports (3) and cold air inlets (5) can be arranged laterally. As an exampl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exhaust ports (3) arranged at a position furthest from the cold air inlet (5) can be provided as a common exhaust port (3a). For example, the cold air inlet (5) can be arranged on the left side of the second exhaust port (3), and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exhaust ports (3) arranged at the rightmost side can be provided as a common exhaust port (3a).
다른 예로서, 측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제2배기구(3) 중 전장실(10b,10c,10d)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어느 하나가 공동배기구(3a)로 제공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exhaust ports (3) arranged laterally and located at the furthest position from the main chamber (10b, 10c, 10d) may be provided as a common exhaust port (3a).
또 다른 예로서, 측방향으로 배역된 복수개의 제2배기구(3) 중 확장플레이트(18)에 가장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어느 하나가 공동배기구(3a)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때 공동배기구(3a)의 적어도 일부분은, 확장플레이트(18)와 상하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exhaust ports (3) laterally distributed and arranged at a position closest to the expansion plate (18) may be provided as a common exhaust port (3a). At this time, at least a portion of the common exhaust port (3a) may be arranged to overlap the expansion plate (18)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부공간부(10i)에는, 배기덕트(70)가 배치될 수 있다. 배기덕트(70)는, 조리실(10a)에서 순환공기배출구(11b)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공동배기구(3a) 측으로 유도할 수 있게 마련된다.In addition, an exhaust duct (70) may be arranged in the upper space (10i). The exhaust duct (70) is provided so as to guide the flow of air discharged from the cooking chamber (10a) to the circulating air outlet (11b) toward the common exhaust port (3a).
본 실시예에서, 순환공기배출구(11b)는 캐비티(11)의 전후방향 중앙에서 배후측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순환공기배출구(11b)는 캐비티(11)의 상면에 배치되되, 캐비티(11)의 후방 우측 모서리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irculating air outlet (11b) may be positioned at a position that is offset to the rear from the center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cavity (11). For example, the circulating air outlet (11b) may be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1), but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rear right corner of the cavity (11).
배기덕트(70)는, 이러한 위치에 배치된 순환공기배출구(11b)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본체(10)의 전면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공동배기구(3a) 측으로 유도할 수 있게 마련된다.The exhaust duct (70) is provided so as to guide the air flow discharged through the circulating air outlet (11b) located at this location toward the common exhaust port (3a) located at a location adjacent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또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확장플레이트(18)를 포함할 수 있다. 확장플레이트(18)는, 측부공간부(10e)의 일부 영역이 확장상부공간부(10j)로 분리되게 측부공간부(10e)를 구획할 수 있다. 확장플레이트(18)에 의해, 측부공간부(10e) 중 확장플레이트(18)의 상측 영역이 확장상부공간부(10j)로 구획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n expansion plate (18). The expansion plate (18) may partition the side space (10e) such that a portion of the side space (10e) is separated into an expansion upper space (10j). By the expansion plate (18), an upper portion of the expansion plate (18) among the side space (10e) may be partitioned into an expansion upper space (10j).
[확장플레이트][Expansion Plate]
도 14와 도 30 및 도 33을 참조하면, 확장플레이트(18)의 적어도 일부분은 측부공간부(10e)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리기기 내부에 배치된 한 쌍의 측부공간부(10e) 중 전장실(10b,10c,10d)이 아닌 측부공간부(10e)에 확장플레이트(18)가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Referring to FIG. 14, FIG. 30, and FIG. 33, at least a portion of the expansion plate (18) may be placed in the side space (10e).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that the expansion plate (18) is placed in the side space (10e) rather than in the main chamber (10b, 10c, 10d) among a pair of side spaces (10e) placed inside the cooking appliance.
일례로서, 확장플레이트(18)는 상하방향 축과 직교하는 가로방향의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확장플레이트(18)는 캐비티(11)의 상면과 나란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expansion plate (18) can form a horizontal plane orthogonal to the vertical axis. For example, the expansion plate (18) can form a plane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1).
바람직하게는, 확장플레이트(18)의 상면과 캐비티(11)의 상면이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캐비티(11)의 상면은 상부공간부(10i)의 저면을 규정할 수 있으며, 확장플레이트(18)의 상면은 확장상부공간부(10j)의 저면을 규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공간부(10i)의 저면과 확장상부공간부(10j)의 저면이 동일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Preferably, the upper surface of the expansion plate (18)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1) can form the same plane.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1) can define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space (10i),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expansion plate (18) can define the bottom surface of the expanded upper space (10j). Accordingly,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space (10i)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expanded upper space (10j) can be arranged on the same plane.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확장상부공간부(10j)는, 측부공간부(10e)의 상측에서 상부공간부(10i)와 연통될 수 있다. 즉 확장상부공간부(10j)는, 측부공간부(10e)의 상측 및 상부공간부(10i)의 측방측에 배치되며, 상부공간부(10i)와 측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expanded upper space (10j) provided as described above can be connected to the upper space (10i) from the upper side of the side space (10e). That is, the expanded upper space (10j) is arranged above the side space (10e) and on the lateral side of the upper space (10i), and can be connected laterally to the upper space (10i).
본 실시예에 따르면, 캐비티(11)의 상측에서 상부공간부(10i)와 확장상부공간부(10j)가 하나로 연결되고, 이에 따라 캐비티(11) 및 측부공간부(10e)의 상측에 배기공간(10i,10j)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기공간(10i,10j)은 하나로 연결된 캐비티(11)와 확장플레이트(18)의 상측에서 상부공간부(10i)와 확장상부공간부(10j)가 하나로 연결된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space (10i) and the expanded upper space (10j) are connected as one on the upper side of the cavity (11), and accordingly, an exhaust space (10i, 10j) can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vity (11) and the side space (10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xhaust space (10i, 10j) can be defined as a space in which the upper space (10i) and the expanded upper space (10j) are connected as one on the upper side of the cavity (11) and the expanded plate (18).
이와 같이 캐비티(11) 및 확장플레이트(18)의 상측에 형성되는 배기공간(10i,10j)은, 본체(10)의 상면에 배치된 배기구(2,3,4)와 연통될 수 있다. 배기구(2,3,4)는, 상부공간부(10i)와 확장상부공간부(10j)가 연결된 공간, 즉 배기공간(10i,10j)을 본체(10)의 외부로 개방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exhaust space (10i, 10j)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vity (11) and the expansion plate (18) can be communicated with the exhaust ports (2, 3, 4)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he exhaust ports (2, 3, 4) can open the space where the upper space (10i) and the expanded upper space (10j) are connected, i.e., the exhaust space (10i, 10j),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측부공간부(10e) 및 배후공간부(10f)는, 하부공간부와 연통될 수 있다. 측부공간부(10e) 및 배후공간부(10f)는, 하부공간부와 상하방향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측방향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흡기구(1)는 하부공간부와 연통되며, 측부공간부(10e) 및 배후공간부(10f) 하부공간부를 통해 흡기구(1)와 연통될 수 있다.The side space (10e) and the rear space (10f) can be connected to the lower space. The side space (10e) and the rear space (10f) can be connected to the lower space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intake port (1) is connected to the lower space, and can be connected to the intake port (1) through the lower space of the side space (10e) and the rear space (10f).
확장플레이트(18)의 일부분은, 배후공간부(10f)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확장플레이트(18)의 어느 일부분(18a; 이하, "확장플레이트의 측부구획부"라 한다)은 측부공간부(10e)에 배치되며, 확장플레이트(18)의 다른 일부분(18b; 이하, "확장플레이트의 배후구획부"라 한다)은 배후공간부(10f)에 배치될 수 있다.A part of the expansion plate (18) may be placed in the rear space (10f). Accordingly, a part (18a; hereinafter referred to as “side compartment of the expansion plate”) of the expansion plate (18) may be placed in the side space (10e), and another part (18b;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ar compartment of the expansion plate”) of the expansion plate (18) may be placed in the rear space (10f).
확장플레이트(18)의 측부구획부(18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측부공간부(10e)의 일부 영역이 확장상부공간부(10j)로 분리되게 측부공간부(10e)를 구획할 수 있다. 그리고 확장플레이트(18)의 배후구획부(18b)는, 배후공간부(10f)의 일부 영역이 확장상부공간부(10j)로 분리되게 배후공간부(10f)의 일부 영역을 구획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ide partition (18a) of the expansion plate (18) can partition the side space (10e) so that a part of the side space (10e) is separated into an expanded upper space (10j). And, the rear partition (18b) of the expansion plate (18) can partition a part of the rear space (10f) so that a part of the rear space (10f) is separated into an expanded upper space (10j).
즉 확장플레이트(18)는, 측부공간부(10e) 및 배후공간부(10f)의 일부 영역이 확장상부공간부(10j)로 분리되게 배후공간부(10f)의 일부 영역 및 측부공간부(10e)를 구획할 수 있다.That is, the expansion plate (18) can partition a portion of the rear space (10f) and the side space (10e) so that a portion of the side space (10e) and the rear space (10f) are separated into an expanded upper space (10j).
확장플레이트(18)에는, 제1결합부(18c)가 마련될 수 있다. 제1결합부(18c)는, 확장플레이트(18)와 캐비티(11) 간의 결합을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1결합부(18c)는 측부구획부(18a)와 배후구획부(18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가로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결합부(18c)는, 캐비티(11)의 상면과 상하방향으로 맞대어지며 캐비티(11)와 결합될 수 있다.The expansion plate (18)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coupling portion (18c). The first coupling portion (18c) may be provided for coupling between the expansion plate (18) and the cavity (11). As an example, the first coupling portion (18c) may be formed to protrude horizontally from at least one of the side compartment portion (18a) and the rear compartment portion (18b). This first coupling portion (18c) may face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1)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be coupled with the cavity (11).
제1결합부(18c)와 캐비티(11) 간의 결합은, 용접 등에 의한 접합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스크류 등에 의한 체결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joint (18c) and the cavity (11) may be made by a joining method such as welding, or by a fastening method such as a screw.
본 실시예에서는, 제1결합부(18c)가 측부구획부(18a)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다른 예로서, 제1결합부(18c)는 배후구획부(18b)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1결합부(18c)는 측부구획부(18a)와 배후구획부(18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세로방향으로 돌출되어 캐비티(11)의 측면과 결합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oupling portion (18c) is exemplified as being formed to protrude laterally from the side compartment portion (18a).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coupling portion (18c) may be formed to protrude forwardly from the rear compartment portion (18b).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coupling portion (18c) may protrude vertically from at least one of the side compartment portion (18a) and the rear compartment portion (18b) and be coupled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cavity (11).
또한 확장플레이트(18)는, 제2결합부(18d)와 제3결합부(18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결합부(18d) 및 제3결합부(18e)는, 확장플레이트(18)와 캐비닛(13) 간의 결합을 위해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pansion plate (18)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econd coupling portion (18d) and a third coupling portion (18e).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8d) and the third coupling portion (18e) may be provided for coupling between the expansion plate (18) and the cabinet (13).
제2결합부(18d)는, 측부구획부(18a) 또는 제1결합부(18c)에서 돌출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결합부(18c)가 측부구획부(18a)에서 가로방향으로 돌출되고, 제2결합부(18d)는 제1결합부(18c)에서 세로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예시된다.The second coupling portion (18d) may be provided in a form that protrudes from the side partition portion (18a) or the first coupling portion (18c).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oupling portion (18c) is exemplified as protruding horizontally from the side partition portion (18a),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8d) is exemplified as protruding vertically from the first coupling portion (18c).
일례로서, 제2결합부(18d)는 측방향 축과 직교하는 세로방향의 벽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2결합부(18d)의 상단에는, 캐비닛(13)의 상면과 나란한 평면이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second joint (18d) may form a vertical wall orthogonal to the lateral axis. A plane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3)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joint (18d).
제3결합부(18e)는, 배후구획부(18b)에서 돌출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3결합부(18e)는 전후방향 축과 직교하는 세로방향의 벽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3결합부(18e)의 상단에는, 캐비닛(13)의 상면과 나란한 평면이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connecting portion (18e) may be provided in a protruding form from the rear compartment (18b). As an example,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18e) may form a vertical wall perpendicular to the front-back axis. A plane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3)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18e).
상기 제2결합부(18d) 및 제3결합부의 상하방향 길이는, 확장플레이트(18)와 캐비닛(13) 간의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로 각각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제2결합부(18d)와 제3결합부(18e)는, 캐비닛(13)의 하측에서 캐비닛(13)과 결합될 수 있다.The vertical lengths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8d) and the third coupling portion can be set to lengths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expansion plate (18) and the cabinet (13), respectively.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8d) and the third coupling portion (18e) formed in this manner can be coupled to the cabinet (13) at the lower side of the cabinet (13).
제2결합부(18d)와 캐비닛(13) 간의 결합, 제3결합부(18e)와 캐비닛(13) 간의 결합에 의해, 확장플레이트(18)는 캐비닛(13)의 상면이 하측으로 처지지 않게 캐비닛(13)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확장플레이트(18)는, 제1결합부(18c)와 제2결합부(18d) 및 제3결합부(18e)를 이용하여 여러 위치에서 여러 구조물과 결합됨으로써, 조리기기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By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8d) and the cabinet (13)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third coupling portion (18e) and the cabinet (13), the expansion plate (18) can support the cabinet (13)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3) does not sag downward. In addition, the expansion plate (18) can be stably fixed inside the cooking appliance by being connected to various structures at various locations using the first coupling portion (18c),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8d), and the third coupling portion (18e).
일례로서, 제2결합부(18d)는 상부공간부(10i)와 확장상부공간부(10j)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결합부(18d)는, 상부공간부(10i)와 확장상부공간부(10j) 사이의 일부분을 측방향으로 가로막는 세로방향의 벽 형태로 배기공간(10i,10j)에 배치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8d) may be arranged between the upper space portion (10i) and the expanded upper space portion (10j). That is,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8d) may be arranged in the exhaust space (10i, 10j) in the form of a vertical wall that laterally blocks a portion between the upper space portion (10i) and the expanded upper space portion (10j).
이러한 제2결합부(18d)에는, 복수개의 통기홀이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통기홀은 제2결합부(18d)에 측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2결합부(18d)의 대부분의 영역에 통기홀이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may be provided in this second joint portion (18d). Each ventilation hole may be formed to penetrate laterally through the second joint portion (18d), and the ventilation holes may be arranged in most areas of the second joint portion (18d).
이와 같이 복수개의 통기홀을 갖는 제2결합부(18d)는, 확장플레이트(18)와 캐비닛(13) 간의 결합을 위한 구조물을 제공하면서도, 배기공간(10i,10j) 내에서의 공기의 유동이 제2결합부(18d)로 인해 방해받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second joint (18d) having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in this way can provide a structure for joining the expansion plate (18) and the cabinet (13), while minimizing interference with the flow of air within the exhaust space (10i, 10j) due to the second joint (18d).
본 실시예에서, 제3결합부(18e)는 배후공간부(10f)와 상부공간부(10i)가 중첩된 영역 또는 이와 매우 근접한 영역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3결합부(18e)는, 배후공간부(10f)에 배치된 배후팬 어셈블리(100)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third coupling part (18e) is exemplified as being positioned in an area where the rear space part (10f) and the upper space part (10i) overlap or in an area very close thereto. This third coupling part (18e)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rear fan assembly (100) positioned in the rear space part (10f).
이와 같이 배치된 제3결합부(18e)에는, 배후팬 어셈블리(100)와 관련된 전장부품, 예컨대 배후팬 어셈블리(100)와 연결된 캐패시터 등과 같은 전장부품이 결합될 수 있다. 즉 제3결합부(18e)는, 확장플레이트(18)와 캐비닛(13) 간의 결합을 위한 구조물을 제공하는 역할 및 배후팬 어셈블리(100)와 관련된 전장부품의 설치를 위한 구조물을 제공하는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In this manner, an electrical component related to the rear fan assembly (100), such as a capacitor connected to the rear fan assembly (100), can be connected to the third coupling portion (18e). That is, the third coupling portion (18e) can simultaneously perform the role of providing a structure for connection between the expansion plate (18) and the cabinet (13) and the role of providing a structure for installation of an electrical component related to the rear fan assembly (100).
[배기덕트][Exhaust duct]
도 34는 배기덕트의 측면 형상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고, 도 35는 캐비티의 상면에 덕트브라켓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6은 덕트브라켓에 배기덕트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34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showing the side shape of an exhaust duct, Fig. 35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uct bracket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a cavity, and Fig. 36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xhaust duct is installed on a duct bracket.
도 33 내지 도 35를 참조하면, 배기덕트(70)는 순환공기배출구(11b)와 연결되는 유로를 내부에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서, 배기덕트(70)는 측방향 길이 및 상하방향 길이에 비해 전후방향 길이가 훨씬 긴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3 to 35, the exhaust duct (70) can form a path inside that is connected to the circulating air outlet (11b). As an example, the exhaust duct (70) can be formed in a polyhedral shape in which the front-back length is much longer than the lateral length and the vertical length.
이러한 배기덕트(70)의 후단은, 캐비티(11)의 배면과 순환공기배출구(11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배기덕트(70)의 전단은, 캐비티(11)의 전후방향 중앙과 캐비티(11)의 전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rear end of the exhaust duct (70) can be place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cavity (11) and the circulating air outlet (11b). And the front end of the exhaust duct (70) can be placed between the center of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cavity (11)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cavity (11).
예컨대 배기덕트(70)의 후단은 캐비티(11)의 배면에 매우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며, 배기덕트(70)의 전단은 캐비티(11)의 전면에 매우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ar end of the exhaust duct (70) may be positioned very close to the rear surface of the cavity (11), and the front end of the exhaust duct (70) may be positioned very close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avity (11).
배기덕트(7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은 배기덕트(70)의 내부에서 순환공기배출구(11b)와 연결되는 유로(70a)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배기덕트(70)에는, 덕트유입구(70b)와 덕트배출구(70c)가 마련될 수 있다.A space is formed inside the exhaust duct (70), and this space can form a flow path (70a) that is connected to the circulating air outlet (11b) inside the exhaust duct (70). A duct inlet (70b) and a duct outlet (70c) can be provided in this exhaust duct (70).
덕트유입구(70b)는, 유로(70a)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유로(70a)를 순환공기배출구(11b)를 향해 개방할 수 있게 마련된다. 그리고 덕트배출구(70c)는, 배기덕트(70) 내부의 유로를 공동배기구(3a) 측으로 개방할 수 있게 마련된다.The duct inlet (70b) is provided so that the duct (70a) can be opened toward the circulating air outlet (11b) on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uct (70a). In addition, the duct outlet (70c) is provided so that the duct inside the exhaust duct (70) can be opened toward the common exhaust port (3a).
일례로서, 덕트유입구(70b)는 배기덕트(70)의 저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덕트유입구(70b)의 적어도 일부분은, 순환공기배출구(11b)와 상하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duct inlet (70b)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bottom surface of the exhaust duct (70) is open. At least a portion of the duct inlet (70b) may overlap the circulating air outlet (11b) in the vertical direction.
그리고 덕트배출구(70c)는, 배기덕트(70)의 상면 중 일부분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덕트배출구(70c)는, 배기덕트(70)의 전후방향 중앙에서 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덕트배출구(70c)는, 공동배기구(3a)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And the duct outlet (70c)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xhaust duct (70) is open. The duct outlet (70c) may be positioned at a position that is tilted forward from the center of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exhaust duct (70). This duct outlet (70c)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common exhaust port (3a).
측방향에 대해서, 덕트배출구(70c)는 측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배기구(2,3,4) 중 공동배기구(3a)와 가장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덕트배출구(70c)는, 공동배기구(3a)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하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In the lateral direction, the duct outlet (70c) may be arranged at a position closest to the common exhaust outlet (3a) among the multiple exhaust outlets (2, 3, 4) arranged laterally. This duct outlet (70c) may be arranged to overlap at least a portion of the common exhaust outlet (3a)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습도센서(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습도센서(7)는, 배기덕트(70)에 설치되며, 유로(70a)에서 습도를 측정할 수 있게 마련된다.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humidity sensor (7). The humidity sensor (7) is installed in the exhaust duct (70) and is provided to measure humidity in the exhaust path (70a).
상기 습도센서(7)는, 조리실에서 순환공기배출구(11b)를 통해 유로(70a)로 유입된 공기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게 마련된다. 유로(70a)로 유입된 공기의 습도가 습도센서(7)에 의해 효과적으로 측정되기 위해서는, 충분한 길이의 유로(70a)가 필요하다.The above humidity sensor (7) is provided to measure the humidity of air flowing into the duct (70a) through the circulating air outlet (11b) in the cooking room. In order for the humidity of air flowing into the duct (70a) to be effectively measured by the humidity sensor (7), a duct (70a) of sufficient length is required.
이를 위해, 순환공기배출구(11b)는 상부공간부(10i) 중 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고, 덕트배출구(70c)는 상부공간부(10i) 중 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며, 배기덕트(70)는 이들을 덮을만큼 충분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circulating air outlet (11b) is positioned at a rearwardly tilted position in the upper space (10i), the duct outlet (70c) is positioned at a forwardly tilted position in the upper space (10i), and the exhaust duct (70) can be formed to a length sufficient to cover them.
본 실시예의 배기덕트(70)는, 상하방향에 대해서, 캐비티(11)의 상면과 캐비닛(13)의 상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기덕트(70)는, 높이변화구간(71)을 포함할 수 있다.The exhaust duct (7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rrang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3) in the vertical direction. This exhaust duct (70) may include a height change section (71).
높이변화구간(71)은, 배기덕트(70) 중 유로(70a)의 길이방향을 따라 높이가 변화되는 구간이다. 예컨대, 높이변화구간(71)은 배기덕트(70) 중 전후방향을 따라 높이가 변화되는 구간일 수 있다.The height change section (71) is a section in which the height chang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w path (70a) of the exhaust duct (70). For example, the height change section (71) may be a section in which the height changes along the forward-backward direction of the exhaust duct (70).
본 실시예에 따르면, 캐비티(11)에 마련되는 순환공기배출구(11b)는 캐비닛(13)의 상면에 마련되는 제2배기구(3)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높이변화구간(71)에서, 유로(70a)의 길이방향 일측을 향한 방향, 예컨대 후방으로 갈수록 배기덕트(70)의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irculating air outlet (11b) provided in the cavity (11)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second exhaust port (3)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3). In the height change section (71), the height of the exhaust duct (70) may decrease in the direction toward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w path (70a), for example, toward the rear.
즉 높이변화구간(71)에서, 배기덕트(70)의 상면은 유로(70a)의 길이방향 일측을 향한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That is, in the height change section (71), the upper surface of the exhaust duct (70) can form a slope whose height decreases as it goes toward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w path (70a).
다르게 표현하면, 높이변화구간(71)에서, 유로(70a)의 길이방향 타측을 향한 방향, 예컨대 전방으로 갈수록 배기덕트(70)의 높이가 높아질 수 있다.In other words, in the height change section (71), the height of the exhaust duct (70) may increase in the direction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uct (70a), for example, toward the front.
높이변화구간(71)에서, 배기덕트(70)의 상면과 캐비닛(13)의 상면 사이에는 통로공간(10k)이 형성될 수 있다. 통로공간(10k)은, 상부공간부(10i) 중 배기덕트(70) 측방향 일측의 공간과 상부공간부(10i) 중 배기덕트(70)의 측방향 타측의 공간을 측방향으로 연결하는 통로를 배기덕트(70)의 상측에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통로공간(10k)은 후방으로 갈수록 통로공간(10k)의 상하폭이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height change section (71), a passage space (10k) may be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exhaust duct (7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3). The passage space (10k)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exhaust duct (70) as a passage that laterally connects a space on one side of the upper space (10i) of the exhaust duct (70) and a space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pace (10i) of the exhaust duct (7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ssage space (10k)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passage space (10k) expand as it goes toward the rear.
한편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덕트브라켓(7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덕트브라켓(75)은, 배기덕트(70)와 캐비티(11) 간의 결합을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덕트브라켓(75)은, 캐비티(11)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배기덕트(70)는, 덕트브라켓(75)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duct bracket (75). The duct bracket (75) may be provided for coupling between the exhaust duct (70) and the cavity (11). This duct bracket (75)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1). And the exhaust duct (7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duct bracket (75).
일례로서, 덕트브라켓(75)은 브라켓본체부(76) 및 플랜지부(77)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a duct bracket (75) may include a bracket body part (76) and a flange part (77).
브라켓본체부(76)는, 덕트브라켓(75) 중 덕트브라켓(75)과 배기덕트(70) 간의 결합을 위해 마련되는 부분이다. 브라켓본체부(76)는, 캐비티(11)의 상면에 결합되어 배기덕트(70)와 결합될 수 있다.The bracket body part (76) is a part provided for joining the duct bracket (75) and the exhaust duct (70) among the duct brackets (75). The bracket body part (76) can be joi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1) and joined to the exhaust duct (70).
플랜지부(77)는, 덕트브라켓(75) 중 덕트브라켓(75)과 캐비티(11) 간의 결합을 위해 마련되는 부분이다. 플랜지부(77)는, 캐비티(11)의 상면에 접합되어 브라켓본체부(76)를 캐비티(11)의 상면에 결합시킬 수 있다.The flange portion (77) is a portion provided for joining the duct bracket (75) and the cavity (11) among the duct brackets (75). The flange portion (77) can be joi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1) to join the bracket body portion (76)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1).
플랜지부(77)는, 캐비티(11)의 상면과 나란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캐비티(11)의 상면과 상하방향으로 맞닿게 마련될 수 있다. 플랜지부(77)와 캐비티(11) 간의 결합은, 용접 등에 의한 접합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lange portion (77) can form a plane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1) and can be arranged to be in vertical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1). The connection between the flange portion (77) and the cavity (11) can be made by a joining method such as welding.
도 35 및 도 36을 참조하면, 배기덕트(70)에는 결합면(72)이 마련될 수 있다. 결합면(72)은, 배기덕트(70)의 하단에 마련되며, 브라켓본체부(76)의 상면과 상하방향으로 맞닿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서, 브라켓본체부(76)의 상면은 상하방향 축과 직교하는 가로방향의 평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결합면(72)은 이와 나란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5 and 36, a joining surface (72) may be provided in the exhaust duct (70). The joining surface (72)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exhaust duct (70) and may form a surface that is in vertical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body (76). As an example,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body (76) may form a horizontal plane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axis, and the joining surface (72) may form a plane parallel thereto.
그리고 덕트브라켓(75)은, 결합면(72)과 결합되는 제1덕트결합부(7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덕트결합부(78)는, 결합면(72)이 브라켓본체부(76)와 상하방향으로 맞닿은 상태에서 결합면(7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nd the duct bracket (75) may further include a first duct joint (78) that is joined to the joining surface (72). The first duct joint (78) may be detachably joined to the joining surface (72) while the joining surface (72) is in vertical contact with the bracket body (76).
일례로서, 제1덕트결합부(78)는 세로돌기(78a) 및 가로돌기(78b)를 포함할 수 있다. 세로돌기(78a)는, 브라켓본체부(76)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로돌기(78b)는, 세로돌기(78a)에서 가로방향,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전후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first duct joint (78) may include a vertical projection (78a) and a horizontal projection (78b). The vertical projection (78a)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protrudes upward from the bracket body (76). And the horizontal projection (78b)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protrudes horizontally from the vertical projection (78a), more specifically, in the front-back direction.
일례로서, 가로돌기(78b)는 세로돌기(78a)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덕트결합부(78)가 브라켓본체부(76)에서 "Γ" 형상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As an example, the transverse projection (78b) may protrude rearwardly from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rojection (78a).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duct joint portion (78) is exemplified as being formed in a “Γ” shape protruding from the bracket body portion (76).
세로돌기(78a)는, 결합면(72)에 형성된 슬릿(73)을 통해 결합면(72)을 세로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이러한 세로돌기(78a)의 상단에서 돌출되는 가로돌기(78b)는, 결합면(72)의 상측에서 덕트브라켓(75)의 상방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다.The vertical protrusion (78a) can penetrate the joint surface (72) vertically through a slit (73) formed in the joint surface (72). The horizontal protrusion (78b)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rotrusion (78a) can restrict the upward movement of the duct bracket (75) on the upper side of the joint surface (72).
슬릿(73)은, 제1덕트결합부(78) 전체가 슬릿(73)을 통과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가로돌기(78b)가 슬릿(73)을 통과하여 결합면(72)의 상측에 배치되고 결합면(72)이 브라켓본체부(76)의 상면과 맞닿은 상태에서, 가로돌기(78b)가 슬릿(73)의 후방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배기덕트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가로돌기(78b)가 결합면(72)의 상측에서 덕트브라켓(75)의 상방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다.The slit (73) may be provided so that the entire first duct joint (78) can pass through the slit (73). When the horizontal projection (78b) passes through the slit (73) and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joint surface (72) and the joint surface (72)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body (76), and the exhaust duct moves rearward so that the horizontal projection (78b) can move to the rear side of the slit (73), the horizontal projection (78b) can restrain the upward movement of the duct bracket (75) on the upper side of the joint surface (72).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제1덕트결합부(78)와 결합면(72) 간의 끼움 결합에 의해, 배기덕트(70)가 덕트브라켓(75)에 임시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즉 제1덕트결합부(78)와 결합면(72) 간의 끼움 결합에 의해, 덕트브라켓(75)을 상대로 한 배기덕트(70)의 위치가 임시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By fitting the first duct joint (78) and the joining surface (72) formed in this manner, the exhaust duct (70) can be temporarily fixed to the duct bracket (75). That is, by fitting the first duct joint (78) and the joining surface (72), the position of the exhaust duct (70) relative to the duct bracket (75) can be temporarily fixed.
일례로서, 덕트브라켓(75)에는 복수개의 제1덕트결합부(78)가 측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측방향에 따른 복수의 지점에서 제1덕트결합부(78)에 의한 배기덕트(70)의 임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As an example, a plurality of first duct joints (78) can be arranged laterally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duct bracket (75). Accordingly, the exhaust duct (70) can be temporarily fixed by the first duct joints (78) at a plurality of points along the lateral direction.
덕트브라켓(75)은, 제2덕트결합부(7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덕트결합부(79)는, 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부재(s)를 이용한 배기덕트(70)와 덕트브라켓(75) 간의 결합을 위해 마련될 수 있다.The duct bracket (75)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duct joint (79). The second duct joint (79) may be provided for jointing between the exhaust duct (70) and the duct bracket (75) using a fastening member (s) such as a screw.
일례로서, 체결부재(s)는 브라켓본체부(76)의 상면과 결합면(72)을 관통하며 덕트브라켓(75)과 배기덕트(7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제2덕트결합부(79)는, 이러한 체결부재(s)와의 체결을 위해 마련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fastening member (s) can penetrate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body (76) and the joining surface (72) to join the duct bracket (75) and the exhaust duct (70). A second duct joining member (79) can be provided for joining with this fastening member (s).
일례로서, 제2덕트결합부(79)는 브라켓본체부(76)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볼록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2덕트결합부(79)에는 체결부재(s)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이 마련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second duct joint (79) may form a plane that is convex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body (76), and a fastening hole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duct joint (79) for fastening with a fastening member (s).
상술한 바와 같이, 배기덕트(70)는 덕트브라켓(75)을 매개로 캐비티(11)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xhaust duct (70) can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1) via a duct bracket (75).
필요에 따라 배기덕트(70)를 캐비티(11)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배기덕트(70)를 캐비티(11)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배기덕트(70)를 캐비티(11)에 결합시키는 것이 필요하다.In order to install the exhaust duct (70) in the cavity (11) so that the exhaust duct (70) can be separated from the cavity (11) as needed, it is necessary to attach the exhaust duct (70) to the cavity (11) using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그러나 이 경우에는 스크류 체결을 위한 체결홀이 캐비티(11)에 형성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체결홀들로 인해 캐비티(11)에 불필요한 손상이 가해지는 것은 그리 바람직하지 않다.However, in this case, fastening holes for screw fastening must be formed in the cavity (11), and it is not desirable for unnecessary damage to be inflicted on the cavity (11) due to these fastening holes.
또한 캐비티(11)에 스크류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캐비티(11)의 손상이 더 커질 수 있고, 배기덕트(70)의 분해, 재조립을 위해 캐비티(11)에서 스크류를 제거하거나 캐비티(11)에 스크류를 재체결하는 과정에서 캐비티(11)에 심한 손상이 가해질 수도 있다.In addition, during the process of fastening the screw to the cavity (11), the damage to the cavity (11) may become greater, and during the process of removing the screw from the cavity (11) or refastening the screw to the cavity (11) for disassembling and reassembling the exhaust duct (70), the cavity (11) may be severely damaged.
캐비티(11)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배기덕트(70)가 캐비티(11)에 용접 또는 접착 방식으로 접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배기덕트(70)가 캐비티(11)로부터 분리되기가 매우 어려워지고, 배기덕트(70)가 캐비티(11)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캐비티(11)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cavity (11), the exhaust duct (70) may be welded or bonded to the cavity (11). However, in this case, it becomes very difficult to separate the exhaust duct (70) from the cavity (11), and the cavity (11) may be damaged during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exhaust duct (70) from the cavity (11).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덕트브라켓(75)이 캐비티(11)에 용접 또는 접착 방식으로 접합되고, 이 덕트브라켓(75)에 배기덕트(7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Considering these points, in this embodiment, a duct bracket (75) is welded or bonded to a cavity (11), and an exhaust duct (70) can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duct bracket (75).
이에 따르면, 캐비티(11)와 덕트브라켓(75)의 결합이 용접 또는 접착 방식의 접합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타공 등으로 인한 캐비티(11)의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connection between the cavity (11) and the duct bracket (75) is made by welding or adhesive bonding, damage to the cavity (11) due to perforation, etc. can be minimized.
또한 이와 같이 캐비티(11)에 접합된 덕트브라켓(75)에 배기덕트(7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배기덕트(70)가 필요에 따라 캐비티(11)로부터 쉽고 빠르게 분리될 수 있고, 배기덕트(70)의 분해, 재조립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캐비티(11)의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xhaust duct (70)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duct bracket (75) attached to the cavity (11) in this way, the exhaust duct (70) can be easily and quickly separated from the cavity (11) as needed, and damage to the cavity (11) that may occur during the disassembly and reassembly process of the exhaust duct (70) can be minimized.
또한 제1덕트결합부(78)와 결합면(72) 간의 끼움 결합에 의해, 덕트브라켓(75)을 상대로 한 배기덕트(70)의 결합 위치 안내 및 임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배기덕트(70) 설치 작업이 더욱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exhaust duct (70) can be temporarily fixed and guided to a joining position relative to the duct bracket (75) by the fitting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duct joint (78) and the joining surface (72),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exhaust duct (70)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and quickly.
[램프커버의 일례][Example of lamp cover]
도 37은 램프커버 및 그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38은 도 37에 도시된 램프커버의 평면도이다.Figure 37 is an enlarged view of the lamp cover and its surroundings, and Figure 38 is a plan view of the lamp cover illustrated in Figure 37.
도 31과 도 37 및 도 38을 참조하면, 본체(10)의 내부에는 램프(8)가 마련될 수 있다. 램프(8)는, 조리실(10a)에 빛을 비출 수 있게 마련된다.Referring to FIG. 31, FIG. 37 and FIG. 38, a lamp (8) may b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The lamp (8) is provided so as to shine light into the cooking chamber (10a).
일례로서, 램프(8)는 캐비티(11)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램프(8)의 적어도 일부분은, 캐비티(11)의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예컨대, 캐비티(11)의 상면에 설치되는 램프(8)의 일부분은 상부공간부(10i)로 노출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lamp (8)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1). At least a part of the lamp (8) may be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cavity (11). For example, a part of the lamp (8)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1) may be exposed to the upper space (10i).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램프커버(80)를 포함할 수 있다. 램프커버(80)는, 램프(8)를 덮을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램프커버(80)는, 램프(8)를 둘러싼 공간이 상부공간부(10i)와 분리되게 램프(8)를 캐비티(11)의 상측에서 덮을 수 있다.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lamp cover (80). The lamp cover (80)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cover the lamp (8). The lamp cover (80) may cover the lamp (8) from the upper side of the cavity (11) so that the space surrounding the lamp (8) is separated from the upper space (10i).
일례로서, 램프커버(80)는 커버상면부(81) 및 커버측면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상면부(81)는 상측에서 램프(8)를 덮으며, 커버측면부(82)는 가로방향 외측에서 상기 램프를 둘러쌀 수 있게 마련된다.As an example, the lamp cover (80) may include a cover upper surface portion (81) and a cover side portion (82). The cover upper surface portion (81) covers the lamp (8) from the upper side, and the cover side portion (82) is provided to surround the lamp from the horizontal outer side.
일례로서, 커버상면부(81)는 캐비티(11)의 상면과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가로방향의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측면부(82)는, 캐비티(11)의 상면과 커버상면부(81) 사이를 연결하는 세로방향의 벽면을 형성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cover upper surface (81) can form a horizontal plane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1)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ddition, the cover side surface (82) can form a vertical wall surface that connects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1) and the cover upper surface (81).
일례로서, 램프커버(80)는 하측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램프(8)는, 커버상면부(81)와 커버측면부(82)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lamp cover (80) may be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with an open lower side. The lamp (8) may be arranged in a form surrounded by the cover upper surface portion (81) and the cover side portion (82).
램프커버(80)는, 밀착부(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밀착부(83)는, 캐비티(11)의 상면과 면접촉하게 마련되어 커버측면부(82)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서, 밀착부(83)는 커버측면부(82)의 하단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캐비티(11)의 상면과 나란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The lamp cover (80)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portion (83). The sealing portion (83) may be provided so as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1) and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over side portion (82). As an example, the sealing portion (83) may extend horizontally from the lower end of the cover side portion (82) and form a plane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1).
밀착부(83)는, 캐비티(11)의 상면과 면접촉하며 램프커버(80)가 캐비티(11)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램프(8)를 둘러싸는 램프커버(80)의 내부의 공간이 상부공간부(10i)와 확실하게 분리될 수 있게 되고, 상부공간부(10i)에서 램프커버(80)의 내부로의 공기 유입이 유입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게 된다.The sealing portion (83) can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1) and can serve to ensure that the lamp cover (8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1). Accordingly, the space inside the lamp cover (80) surrounding the lamp (8) can be reliably separated from the upper space (10i), and the inflow of air from the upper space (10i) into the interior of the lamp cover (80) can be effectively blocked.
본 실시예의 램프커버(80)는, 상하방향에 대해서, 캐비티(11)의 상면과 캐비닛(13)의 상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램프커버(80)는, 본체(10)의 전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lamp cover (8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plac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3)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he lamp cover (80) can be placed adjacent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프런트 플레이트(12)는 프런트 플레이트(12)의 상단이 캐비티(11)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런트 플레이트(12)의 상단에는 상단면부(12a)가 마련될 수 있다. 상단면부(12a)는, 캐비티(11)보다 높은 위치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가로방향의 면을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ront plate (12) may be formed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front plate (12)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1). An upper surface portion (12a)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front plate (12). The upper surface portion (12a) may form a horizontal surface that protrudes rearwardly from a position higher than the cavity (11).
램프커버(80)는 프런트 플레이트(1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램프커버(80)는 램프커버(80)의 전단이 프런트 플레이트(12)의 배면에 밀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lamp cover (80) may be placed adjacent to the front plate (12). As an example, the lamp cover (80) may be placed at a position where the front end of the lamp cover (8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front plate (12).
이러한 램프커버(80)의 커버상면부(81)는, 전후방향을 따라 높이가 변화되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서, 커버상면부(81)는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The cover upper surface (81) of the lamp cover (80) can form an inclined surface whose height changes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s an example, the cover upper surface (81) can form an inclined surface whose height decreases as it goes toward the rear.
상기 램프커버(80)는, 프런트 플레이트(1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램프커버(80)에는, 커버결합부(84)가 마련될 수 있다. 커버결합부(84)는, 프런트 플레이트(12)의 상단면부(12a)와 상하방향으로 맞닿게 램프커버(80)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above lamp cover (80) can be coupled to the front plate (12). A cover coupling portion (84) can be provided on the lamp cover (80). The cover coupling portion (84) can protrude rearward from the lamp cover (80) so as to come into vertical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12a) of the front plate (12).
이러한 커버결합부(84)는 커버상면부(81)의 전단에서 상방 및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커버결합부(84)는 커버상면부(81)의 전단에서 "Γ" 형상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커버결합부(84)와 상단면부(12a) 간의 결합은 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부재(s)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This cover joint (84) can be formed in a shape that protrudes upward and rear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cover upper surface (81). As an example, the cover joint (84) can be formed in a shape that protrudes in a “Γ” shape from the front end of the cover upper surface (81). As an example,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ver joint (84) and the upper surface (12a) can be made by a fastening member (s) such as a screw.
본 실시예에 따르면, 램프커버(80)는 프런트 플레이트(12)에만 결합되고 캐비티(11)에는 결합되지 않는다. 예컨대, 램프커버(80)는 밀착부(83)를 통해 캐비티(11)의 상면에 밀착될 뿐, 캐비티(11)에는 결합되지 않는다. 이는, 램프커버(80)가 캐비티(11)에 불필요한 손상을 가해지는 것을 피하면서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함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lamp cover (80) is only coupled to the front plate (12) and not coupled to the cavity (11). For example, the lamp cover (80) is on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1) through the sealing portion (83) and is not coupled to the cavity (11). This is to enable the lamp cover (80)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0) while avoiding unnecessary damage to the cavity (11).
이를 위해, 램프커버(80)는 커버결합부(84)와 상단면부(12a)를 통해 프런트 플레이트(12)에 결합됨으로써,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커버결합부(84)는, 램프커버(80)가 캐비티(11) 대신 프런트 플레이트(12)에 결합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lamp cover (80)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0) by being coupled to the front plate (12) through the cover coupling portion (84) and the upper surface portion (12a). That is, the cover coupling portion (84) can be provided so that the lamp cover (80) can be coupled to the front plate (12) instead of the cavity (11).
본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실(10a)에 빛을 비추기 위해, 램프(8)의 적어도 일부분은 조리실(10a)의 내부로 노출된다. 또한 램프(8)가 다른 전장부품과 연결되기 위해, 램프(8)의 일부분은 조리실(10a)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예컨대, 램프(8) 중 조리실(10a)의 외측으로 노출된 부분을 통해, 전원 공급을 위한 전선과 램프(8) 간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order to illuminate the cooking chamber (10a), at least a portion of the lamp (8) is exposed to the interior of the cooking chamber (10a). In addition, in order for the lamp (8) to be connected to other electrical components, a portion of the lamp (8)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chamber (10a). For example, a connection between a wire for power supply and the lamp (8) can be made through a portion of the lamp (8)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chamber (10a).
본 실시예에 따르면, 램프(8)는 캐비티(11)의 상면에 설치되고, 이에 따라 램프(8)의 일부분은 캐비티(11)의 상측 공간, 즉 상부공간부(10i)로 노출된다. 램프(8)의 일부분이 상부공간부(10i)로 노출됨에 따라, 램프(8)는 유증기 및 열기에 노출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lamp (8)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1), and thus a part of the lamp (8) is exposed to the upper space of the cavity (11), i.e., the upper space portion (10i). As a part of the lamp (8) is exposed to the upper space portion (10i), the lamp (8) may be exposed to vapor and heat.
송풍부(100,200)에 의해 흡입된 후 상부공간부(10i)를 통과하는 조리 가스 중에는, 유증기, 뜨거운 증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유증기, 뜨거운 증기를 포함하는 조리 가스는 상부공간부(10i)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램프(8)와 접촉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램프(8)의 오염, 고장 등이 발생될 수 있다.Among the cooking gas that passes through the upper space (10i) after being sucked in by the blower (100, 200), oil vapor, hot vapor, etc. may be included. The cooking gas containing such oil vapor and hot vapor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lamp (8) during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upper space (10i), which may cause contamination or malfunction of the lamp (8).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공간부(10i)에 램프커버(80)가 설치된다. 램프커버(80)는, 램프(8)를 둘러싼 공간이 상부공간부(10i)와 분리되게 램프(8)를 캐비티(11)의 상측에서 덮음으로써, 램프(8)를 유증기 및 열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Considering these points, in this embodiment, a lamp cover (80) is installed in the upper space (10i). The lamp cover (80) covers the lamp (8) from the upper side of the cavity (11) so that the space surrounding the lamp (8) is separated from the upper space (10i), thereby protecting the lamp (8) from vapor and heat.
종래의 조리기기에서, 송풍부는 배후공간부가 아닌 상부공간부에 배치된다. 이 경우, 상부공간부에는 송풍부가 설치되는데 필요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러한 종래 조리기기에서, 상부공간부의 높이는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의 상부공간부(10i)에 비해 상당히 높아져야 한다.In conventional cooking appliances, the blower is placed in the upper space, not the rear space. In this case, sufficient space must be secured in the upper space for installing the blower. In such conventional cooking appliances, the height of the upper space must be considerably higher than that of the upper space (10i) of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또한 송풍부가 상부공간부에 배치됨에 따라, 종래 조리기기에서는 상부공간 내에 배기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유로형성부재가 상부공간에 설치된다. 이 유로형성부재는, 종래 조리기기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배기구와 송풍부 사이를 연결하는 배기유로를 상부공간 내에 형성한다.In addition, as the blower is arranged in the upper space, a flow path forming member for forming an exhaust path within the upper space is installed in the upper space in the conventional cooking appliance. This flow path forming member forms an exhaust path within the upper space that connects the exhaust port arranged on the front side of the conventional cooking appliance and the blower.
종래 조리기기에서, 유로형성부재는 측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벽과 이 측벽들을 하측에서 연결하는 저면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유로형성부재는 "U"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conventional cooking appliances, the guiding member may be formed in a shape including a pair of side walls spaced apart laterally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bottom surface connecting the side walls from the bottom. For example, the guiding member may be formed in a "U" shape.
상기 유로형성부재는, 캐비티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유로형성부재는 캐비티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유로형성부재의 저면은 캐비티의 상면에 안착된다.The above-mentioned flow-forming member can b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vity. The flow-forming member can be detachab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vity,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low-forming member is secu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캐비티의 상면에 설치되는 램프는, 유로형성부재의 하측에 배치된다. 즉 종래 조리기기에서, 램프는 유로형성부재의 저면에 덮여 배기유로로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 조리기기에는, 유로형성부재 외에, 램프를 덮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이 필요하지 않다.The lamp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is placed on the lower side of the flow path forming member. That is, in conventional cooking appliances, the lamp is covere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flow path forming member and is not exposed to the exhaust path. Therefore, in conventional cooking appliances, in addition to the flow path forming member, a separate structure for covering the lamp is not required.
이에 비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는 송풍부(100,200)가 배후공간부(10f)에 배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는 송풍부(100,200)가 설치되는데 필요한 공간이 상부공간부(10i)에 확보될 필요가 없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 상부공간부(10i)의 높이는 종래 조리기기의 상부공간부의 높이에 비해 현저히 낮아질 수 있다.In contrast, in the cooking appliance of this embodiment, the blower (100, 200) is arranged in the rear space (10f). Therefore, in the cooking appliance of this embodiment, the space required for installing the blower (100, 200) does not need to be secured in the upper space (10i). In the cooking appliance of this embodiment, the height of the upper space (10i) can be significantly lowered compared to the height of the upper space of a conventional cooking appliance.
상부공간부(10i)의 높이가 낮아짐에 따라, 종래 조리기기의 유로형성부재와 같은 구조물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이 상부공간부(10i)에서 확보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는 송풍부(100,200) 및 유로형성부재(30)가 배후공간부(10f)에 배치되므로, 배기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구조물이 상부공간부(10i)에 설치될 필요가 없다.As the height of the upper space (10i) decreases, it becomes difficult to secure the space required for installing a structure such as a flow path forming member of a conventional cooking appliance in the upper space (10i). In addition, in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blower (100, 200) and the flow path forming member (30) are arranged in the rear space (10f),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structure for forming an exhaust path in the upper space (10i).
상부공간부(10i)의 높이가 낮아짐에 따라, 조리기기의 상하방향 길이가 짧아지는 효과, 조리실(10a)의 용적 대비 조리실 전체의 크기가 감소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조리기기의 유로형성부재와 같은 구조물이 상부공간부(10i)에 설치되지 않게 됨에 따라, 램프(8)가 상부공간부(10i)에 노출되는 문제가 발생된다.As the height of the upper space (10i) is lowered, the effect of shortening the vertical length of the cooking appliance and reducing the size of the entire cooking chamber compared to the volume of the cooking chamber (10a) can be provided. However, since a structure such as a conventional cooking appliance's guiding member is not installed in the upper space (10i), a problem occurs in which the lamp (8) is exposed to the upper space (10i).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공간부(10i)에 램프커버(80)가 설치되고, 이 램프커버(80)는 램프(8)를 둘러싼 공간이 상부공간부(10i)와 분리되게 램프(8)를 캐비티(11)의 상측에서 덮을 수 있다. 이로써 상부공간부(10i)의 상하방향 길이를 단축시키고자 하는 목표, 및 램프(8)를 유증기 및 열기로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목표가 함께 만족될 수 있게 된다.Considering these points, in this embodiment, a lamp cover (80) is installed in the upper space (10i), and the lamp cover (80) can cover the lamp (8) from the upper side of the cavity (11) so that the space surrounding the lamp (8) is separated from the upper space (10i). As a result, the goal of shortening the vertical length of the upper space (10i) and the goal of protecting the lamp (8) from vapor and heat can be satisfied at the same time.
[램프커버의 다른 예][Other examples of lamp covers]
도 39는 램프커버의 다른 예가 적용된 조리기기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40은 도 39에 도시된 램프커버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41은 도 40에 도시된 램프커버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2는 벤트그릴 및 램프커버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Fig. 39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oking appliance to which another example of a lamp cover is applied, and Fig. 4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amp cover shown in Fig. 39 in an exploded state. In addition, Fig. 4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amp cover shown in Fig. 40 in an exploded state, and Fig. 4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vent grill and lamp cover in an exploded state.
도 39 내지 도 41을 참조하면, 램프커버(85)는 개폐커버(86b)를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램프커버(85)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예시된 램프커버와 유사하게 커버상면부(86)와 커버측면부(87)와 밀착부(88) 및 커버결합부(89)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개폐커버(86b)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9 to 41, the lamp cover (85) may be provided in a form including an opening/closing cover (86b). This lamp cover (85) may include a cover upper surface portion (86), a cover side portion (87), a sealing portion (88), and a cover joining portion (89), similar to the lamp cover exemplifi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closing cover (86b).
본 실시예의 램프커버(85)의 상면에는, 관통홀(86a)이 마련될 수 있다. 관통홀(86a)은, 램프커버(85)의 내부 공간을 상측을 개방하며, 커버상면부(86)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홀(86a)에 의해, 램프(8)가 램프커버(85)의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A through hole (86a)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amp cover (85)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rough hole (86a) may be formed to open the upper side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lamp cover (85) and penetrate vertically through the upper surface portion (86) of the cover. By means of this through hole (86a), the lamp (8) may be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lamp cover (85).
개폐커버(86b)는, 램프커버(85), 좀 더 구체적으로는 커버상면부(86)에 설치되어 관통홀(86a)을 개폐할 수 있다. 일례로서, 개폐커버(86b)는 커버상면부(86)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개폐커버(86b)는 관통홀(86a)을 상측에서 덮으며, 커버상면부(86)에서 상측으로 분리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cover (86b) is installed on the lamp cover (85), more specifically, on the cover upper surface (86), and can open/close the through hole (86a). As an example, the opening/closing cover (86b) can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over upper surface (86). For example, the opening/closing cover (86b) covers the through hole (86a) from the upper side, and can be detached from the cover upper surface (86) upward.
도 39 내지 도 42를 참조하면, 램프커버(85)는 복수개의 제2배기구(2) 중 어느 하나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램프커버(85)의 적어도 일부분이 복수개의 제2배기구(2) 중 어느 하나의 수직방향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9 to 42, the lamp cover (85) may be placed on the lower side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exhaust ports (2). For example, at least a portion of the lamp cover (85) may be placed on the vertical lower side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exhaust ports (2).
한편 조리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벤트그릴(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벤트그릴(9)은, 제2배기구(3) 또는 냉기유입구(5)를 각각 덮으며 캐비닛(13)에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벤트그릴(9)은, 캐비닛(1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oking appliance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vent grill (9). Each vent grill (9) may cover the second exhaust port (3) or the cold air inlet port (5), respectively, and may be coupled to the cabinet (13). Each vent grill (9)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abinet (13).
예컨대, 각각의 벤트그릴(9)은 캐비닛(13)의 상면에 안착되며 제2배기구(3) 또는 냉기유입구(5)를 덮을 수 있으며, 캐비닛(13)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들어올려지며 캐비닛(13)에서 분리될 수 있다.For example, each vent grill (9) can b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3) and cover the second exhaust port (3) or the cold air inlet port (5), and can be lifted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3) and separated from the cabinet (13).
일례로서, 개폐커버(86b)는 복수개의 제2배기구(2) 중 어느 하나의 수직방향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하방향에 대해서, 관통홀(86a)은 제2배기구(3)와 램프(8) 사이에 배치되고, 개폐커버(86b)는 제2배기구(3)에 설치된 벤트그릴(9)과 램프(8)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측에서 봤을 때, 제2배기구(3)에서 벤트그릴(9)이 제거되면 개폐커버(86b)가 보이고, 이 상태에서 개폐커버(86b)가 제거되면 램프(8)가 보이게 된다.As an example, the cover (86b) may be arranged on the vertical lower side of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exhaust ports (2).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the through hole (86a) may be arranged between the second exhaust port (3) and the lamp (8), and the cover (86b) may be arranged between the vent grille (9) installed in the second exhaust port (3) and the lamp (8). When viewed from above, when the vent grille (9) is removed from the second exhaust port (3), the cover (86b) becomes visible, and when the cover (86b) is removed in this state, the lamp (8) becomes visible.
상기와 같은 형태로 램프커버(85) 및 개폐커버(86b)가 본체(10) 내부에 설치됨에 따라, 벤트그릴(9) 및 개폐커버(86b)가 캐비닛(13) 및 커버상면부(86)로부터 순차적으로 제거된 상태에서 램프(8)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As the lamp cover (85) and the opening/closing cover (86b) ar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 in the above-mentioned form, maintenance work on the lamp (8) can be performed while the vent grill (9) and the opening/closing cover (86b) are sequentially removed from the cabinet (13) and the cover upper surface (86).
즉 본 실시예의 램프커버(85)는, 단지 벤트그릴(9) 및 개폐커버(86b)를 분리하는 단순한 작업만으로 램프(8)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램프(8)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lamp cover (85)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provide the effect of enabling maintenance work on the lamp (8) to be performed easily and quickly by enabling access to the lamp (8) simply by separating the vent grill (9) and the opening/closing cover (86b).
[배기공간을 통한 배기의 형태][Type of exhaust through exhaust space]
도 16과 도 31 내지 도 33을 참조하면, 캐비티(11)의 상측에는 상부공간부(10i)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장실(10b,10c,10d)이 아닌 측부공간부(10e)의 상측에는, 확장상부공간부(10j)가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and FIGS. 31 to 33, an upper space (10i)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vity (11). In addition, an extended upper space (10j)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ide space (10e) other than the main chamber (10b, 10c, 10d).
상술한 바와 같이, 캐비티(11)의 상측에서 상부공간부(10i)와 확장상부공간부(10j)가 하나로 연결되고, 이에 따라 캐비티(11) 및 측부공간부(10e)의 상측에 배기공간(10i,10j)이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pper space (10i) and the extended upper space (10j) are connected as one on the upper side of the cavity (11), and accordingly, an exhaust space (10i, 10j) can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vity (11) and the side space (10e).
확장상부공간부(10j)는, 측부공간부(10e)를 상하로 구획하는 확장플레이트(18)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확장플레이트(18)는 배기공간(10i,10j)이 상부공간부(10i)뿐 아니라 확장상부공간부(10j)까지 포함하는 공간이 되도록 함으로써 배기공간(10i,10j)을 측방향으로 확장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뿐 아니라, 확장플레이트(18)는 측부공간부(10e)를 배기공간(10i,10j)과 분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expanded upper space (10j) can be formed by an expansion plate (18) that divides the side space (10e) into upper and lower section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xpansion plate (18) can serve to expand the exhaust space (10i, 10j) laterally by making the exhaust space (10i, 10j) a space that includes not only the upper space (10i) but also the expanded upper space (10j). In addition, the expansion plate (18) can serve to separate the side space (10e) from the exhaust space (10i, 10j).
배기공간(10i,10j)이 상부공간부(10i)와 확장상부공간부(10j)를 함께 포함하는 공간으로 확장됨에 따라, 배기공간(10i,10j)을 통해 제2배기구(3)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에 필요한 유로의 크기가 확장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배기공간(10i,10j)의 크기는 확장상부공간부(10j)의 크기만큼 측방향으로 더 확장될 수 있게 된다.As the exhaust space (10i, 10j) is expanded into a space that includes both the upper space (10i) and the expanded upper space (10j), the size of the flow path required for the air to be discharged to the second exhaust port (3) through the exhaust space (10i, 10j) can be expanded. In particular, the size of the exhaust space (10i, 10j) can be expanded laterally by the size of the expanded upper space (10j).
즉 본 실시예의 확장플레이트(18)는, 상부공간부(10i)와 연결될 수 있는 확장상부공간부(10j)가 형성될 수 있게 측부공간부(10e)를 구획함으로써, 배기공간(10i,10j)의 크기가 확장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expansion plate (18)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provide an effect of allowing the size of the exhaust space (10i, 10j) to be expanded by dividing the side space (10e) so that an expanded upper space (10j)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upper space (10i) can be form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는 송풍부(100,200)가 상부공간부(10i)가 아닌 배후공간부(10f)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송풍부(100,200)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을 상부공간부(10i)에 확보가 필요가 없게 되므로, 송풍부가 상부공간부에 설치된 경우에 비해 상부공간부(10i)의 높이가 낮아질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blower (100, 200) is placed in the rear space (10f) rather than the upper space (10i). Accordingly, there is no need to secure the space required for installing the blower (100, 200) in the upper space (10i), so the height of the upper space (10i) can be lowered compared to when the blower is installed in the upper space.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 조리실의 용적 감소를 최소화하면서 조리기기 전체의 크기를 줄이기 위한 방법, 즉 조리실의 높이 감소를 최소화하면서 조리기기 전체의 높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중 하나는, 상부공간부(10i)의 높이를 감소시키는 것이다.In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one of the methods for reducing the size of the entire cooking appliance while minimizing the reduction in the volume of the cooking chamber, that is, reducing the height of the entire cooking appliance while minimizing the reduction in the height of the cooking chamber, is to reduce the height of the upper space (10i).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는 상부공간부(10i)의 높이가 종래 조리기기의 상부공간부의 높이에 비해 낮게 설정된다. 즉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 상부공간부(10i)의 높이는 배후팬 어셈블리(100) 또는 코너팬 어셈블리(200)의 설치가 가능한 높이보다 상당히 낮은 높이로 설정된다.Considering these points, in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ight of the upper space (10i) is set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upper space of a conventional cooking appliance. That is, in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ight of the upper space (10i) is set to a height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height at which the rear fan assembly (100) or the corner fan assembly (200) can be installed.
이와 같이 상부공간부(10i)의 높이가 낮아지면, 상부공간부(10i)의 용적도 함께 감소할 수밖에 없게 된다. 상부공간부(10i)는 배기와 연관된 공간이므로, 상부공간부(10i)의 용적이 감소되면 제2배기구(3)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에 필요한 유로의 크기가 그만큼 감소될 수밖에 없게 된다.As the height of the upper space (10i) is lowered in this way, the volume of the upper space (10i) is also inevitably reduced. Since the upper space (10i) is a space related to exhaust, if the volume of the upper space (10i) is reduced, the size of the flow path required for the air discharged to the second exhaust port (3) is inevitably reduced accordingly.
제2배기구(3)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에 필요한 유로의 크기가 감소되면, 조리기기의 배기 성능이 저하될 수밖에 없게 된다. 또한 조리기기의 배기 성능이 저하되면, 조리기기의 흡기 성능도 함께 저하될 수밖에 없고, 결국 조리기기의 조리 가스 제거 성능이 저하되는 결과가 발생하게 된다.If the size of the path required for the flow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exhaust port (3) is reduced, the exhaust performance of the cooking appliance inevitably deteriorates. In addition, if the exhaust performance of the cooking appliance deteriorates, the intake performance of the cooking appliance also deteriorates, which ultimately results in the cooking gas removal performance of the cooking appliance deteriorating.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측부공간부(10e)를 상하로 구획하는 확장플레이트(18)에 의해 확장상부공간부(10j)가 측부공간부(10e)로부터 분리되도록 하고, 이 확장상부공간부(10j)가 상부공간부(10i)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상부공간부(10i)를 포함하는 배기공간(10i,10j) 전체의 크기가 확장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배기공간(10i,10j)을 통해 제2배기구(3)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에 필요한 유로의 크기가 효과적으로 확장될 수 있게 된다.Considering these point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xpanded upper space (10j) is separated from the side space (10e) by an expansion plate (18) that divides the side space (10e) into upper and lower parts, and this expanded upper space (10j) is connected to the upper space (10i), thereby allowing the size of the entire exhaust space (10i, 10j) including the upper space (10i) to be expanded. Accordingly, the size of the flow path required for the air discharged to the second exhaust port (3) through the exhaust space (10i, 10j) can be effectively expanded.
이와 같이 배기공간(10i,10j)을 통해 제2배기구(3)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에 필요한 유로의 크기가 확장되면, 그만큼 조리기기의 배기 성능이 향상될 수 있게 되고, 결국 조리기기의 조리 가스 제거 성능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if the size of the path required for the flow of air discharged to the second exhaust port (3) through the exhaust space (10i, 10j) is expanded, the exhaust performance of the cooking appliance can be improved accordingly, and ultimately the cooking gas removal performance of the cooking appliance can be improved.
한편 상기 배기공간(10i,10j)에는 배기덕트(70) 및 램프커버(80)와 같은 구조물들이 배치된다. 이들은,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캐비티(11)의 상면에서 배기공간(10i,10j) 내부로 돌출되는 형상을 갖는다.Meanwhile, structures such as an exhaust duct (70) and a lamp cover (80) are arranged in the exhaust space (10i, 10j). These have a shape that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1) into the exhaust space (10i, 10j) to perform their respective functions.
예컨대, 배기덕트(70)는 조리실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위한 유로를 내부에 형성하기 위해 캐비티(11)의 상면에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램프커버(80)는, 램프를 상측에서 덮기 위해, 그리고 프런트 플레이트(12)에 결합되기 위해 캐비티(11)의 상면에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다.For example, the exhaust duct (70) is formed in a shape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1) to form a path for the flow of air discharged from the cooking room. And the lamp cover (80) is formed in a shape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1) to cover the lamp from the upper side and to be coupled to the front plate (12).
배기덕트(70) 및 램프커버(80)는, 각각 경사면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배기덕트(70) 및 램프커버(80)는,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캐비티(11)의 상면에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배기공간(10i,10j)에서 배기덕트(70) 및 램프커버(80)로 인해 발생되는 유동 저항이 감소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exhaust duct (70) and the lamp cover (80) may each be formed in a shape including an inclined surface. That is, the exhaust duct (70) and the lamp cover (80) are inevitably formed in a shape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1) in order to perform their respective functions, but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allows the flow resistance generated by the exhaust duct (70) and the lamp cover (80) in the exhaust space (10i, 10j) to be reduced.
즉 본 실시예에서는, 배기공간(10i,10j)의 크기가 확장상부공간부(10j)에 의해 확장되고, 이에 따라 배기공간(10i,10j)을 통해 제2배기구(3)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에 필요한 유로의 크기가 확장되며, 배기공간(10i,10j)에 배치되는 배기덕트(70) 및 램프커버(80)가 그들로 인한 유동 저항이 감소될 수 있는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배기공간(10i,10j)을 통해 제2배기구(3)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ize of the exhaust space (10i, 10j) is expanded by the expanded upper space portion (10j), and accordingly, the size of the flow path required for the air to be discharged to the second exhaust port (3) through the exhaust space (10i, 10j) is expanded, and the exhaust duct (70) and the lamp cover (80) arranged in the exhaust space (10i, 10j) are provided in a shape that can reduce the flow resistance caused by them, so that the air to be discharged to the second exhaust port (3) through the exhaust space (10i, 10j) can flow smoothly.
이로써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조리 가능 용량이 유사한 종래 조리기기 대비 전체 크기는 작으면서도 동등하거나 더 우수한 조리 가스 제거 성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provide cooking gas removal performance equivalent to or superior to that of conventional cooking appliances with similar cooking capacity while being smaller in overall size.
아울러 상기 확장플레이트(18)는, 측부공간부(10e)와 배기공간(10i,10j)을 가로막는 차단벽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측부공간부(10e)는, 확장플레이트(18)에 의해 배기공간(10i,10j)과 분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expansion plate (18) can act as a barrier blocking the side space (10e) and the exhaust space (10i, 10j). Accordingly, the side space (10e) can be separated from the exhaust space (10i, 10j) by the expansion plate (18).
즉 확장플레이트(18)에 의해 확장플레이트(18)의 상측에는 상부공간부(10i)와 확장상부공간부(10j)가 연결된 공간이 형성되지만, 측부공간부(10e)와 배기공간(10i,10j) 사이의 통로는 확장플레이트(18)로 인해 막히게 된다.That is, a space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expansion plate (18) by the expansion plate (18) in which the upper space (10i) and the expanded upper space (10j) are connected, but the passage between the side space (10e) and the exhaust space (10i, 10j) is blocked by the expansion plate (18).
본 실시예에 따르면, 측부공간부(10e)는 흡기구(1)와 캐비티(11) 사이에 형성된 하부공간부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측부공간부(10e)는 흡기구(1)와 연결된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배기공간(10i,10j)은 제2배기구(3)와 연결된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측부공간부(10e)는 흡기와 연관된 공간이라고 할 수 있고, 배기공간(10i,10j)은 배기와 연관된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ide space (10e) is connected to the lower space formed between the intake port (1) and the cavity (11). Accordingly, the side space (10e) can be said to be a space connected to the intake port (1). And the exhaust space (10i, 10j) can be said to be a space connected to the second exhaust port (3). In other words, the side space (10e) can be said to be a space related to intake, and the exhaust space (10i, 10j) can be said to be a space related to exhaust.
확장플레이트(18)는, 배기공간(10i,10j)을 측부공간부(10e)로부터 분리함으로써, 배기와 연관된 공간을 흡기와 관련된 공간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기와 연관된 공간이 확장상부공간부(10j)에 의해 확장됨과 더불어, 흡기와 연관된 공간이 측부공간부(10e)가 차지하는 공간만큼 확장될 수 있게 된다.The expansion plate (18) can separate the space related to exhaust from the space related to intake by separating the exhaust space (10i, 10j) from the side space (10e). Accordingly, the space related to exhaust is expanded by the expansion upper space (10j), and the space related to intake can be expanded by the amount of space occupied by the side space (10e).
즉 배기공간(10i,10j)과 측부공간부(10e)가 확장플레이트(18)에 의해 분리됨에 따라, 배기와 연관된 공간 및 흡기와 연관된 공간이 각각 흡기 또는 배기를 위해 필요한 충분한 크기로 확보될 수 있게 된다.That is, since the exhaust space (10i, 10j) and the side space (10e) are separated by the expansion plate (18), the space associated with exhaust and the space associated with intake can be secured to a sufficient size required for intake or exhaust, respectively.
또한 배기공간(10i,10j)과 측부공간부(10e)가 확장플레이트(18)에 의해 분리됨에 따라, 배기공간(10i,10j)의 공기가 송풍부(100,200)로 재흡입되는 현상, 즉 역류 현상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게 되므로, 조리기기의 배기 성능이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exhaust space (10i, 10j) and the side space (10e) are separated by the expansion plate (18), the phenomenon in which air in the exhaust space (10i, 10j) is re-absorbed into the blower (100, 200), i.e. the occurrence of a backflow phenomenon,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so that the exhaust performance of the cooking appliance can be effectively improved.
한편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는, 복수개의 제2배기구(3)가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제2배기구(3)는, 본체(10)의 상면에 배치되되, 본체(10)의 전면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며, 배기공간(10i,10j)과 연통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second exhaust ports (3) may be arranged. Each second exhaust port (3) is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but is arrang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exhaust space (10i, 10j).
본체(10)에는, 냉기유입구(5) 및 복수개의 제2배기구(3)가 측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제2배기구(3) 중 어느 하나가 공동배기구(3a)로 제공될 수 있다.In the main body (10), a cold air inlet (5) and a plurality of second exhaust ports (3) can be arranged laterally. Additionally,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exhaust ports (3) can be provided as a common exhaust port (3a).
본 실시예에서는, 냉기유입구(5)는 제2배기구(3)들의 좌측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제2배기구(3) 중 최우측에 배치된 어느 하나가 공동배기구(3a)로 제공되는 것으로 예시된다.In this embodiment, the cold air inlet (5) is arranged on the left side of the second exhaust ports (3), and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exhaust ports (3) arranged on the far right is provided as a common exhaust port (3a).
공동배기구(3a)의 적어도 일부분은, 배기덕트(70)에 마련된 덕트배출구(70c)의 적어도 일부분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측에서 봤을 때, 덕트배출구(70c)의 적어도 일부분이 공동배기구(3a)를 통해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덕트배출구(70c)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공동배기구(3a)를 통해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At least a part of the common exhaust port (3a) can be arranged to overlap with at least a part of the duct outlet (70c) provided in the exhaust duct (70). That is, when viewed from above, at least a part of the duct outlet (70c) can be exposed upward through the common exhaust port (3a). Accordingly, air discharged through the duct outlet (70c) can be effectively discharged through the common exhaust port (3a).
냉기유입구(5)를 통해 전장실(10b,10c,10d)로 유입된 공기 중 일부는, 조리실(10a)로 유입될 수 있다. 조리실(10a)로 유입된 공기는, 조리기기의 조리 과정에서 조리실(10a)에서 생성된 증기, 가스 등과 함께 배기덕트(70)로 배출될 수 있다.Some of the air that has entered the cooking chamber (10b, 10c, 10d) through the cold air inlet (5) may be introduced into the cooking chamber (10a). The air that has entered the cooking chamber (10a)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duct (70) together with steam, gas, etc. generated in the cooking chamber (10a) during the cooking process of the cooking appliance.
배기덕트(70)로 유입된 공기는 덕트배출구(70c)를 통해 배출될 수 있으며, 배기덕트(70)에서 배출된 공기는 공동배기구(3a)를 통해 조리기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공동배기구(3a)는, 조리실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조리기기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용되는 출구가 될 수 있다.Air drawn into the exhaust duct (70)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duct outlet (70c), and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duct (7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through the common exhaust port (3a). In other words, the common exhaust port (3a) can be an outlet used to discharge air discharged from the cooking chamber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본 실시예에서, 공동배기구(3a)의 적어도 일부분은 확장상부공간부(10j)의 좌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공동배기구(3a)는, 상부공간부(10i)와 확장상부공간부(10j)의 경계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측에서 봤을 때, 상부공간부(10i)와 확장상부공간부(10j)의 경계가 공동배기구(3a)를 통해 조리기기의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t least a portion of the common exhaust port (3a) is exemplified as being arranged on the left side of the expanded upper space portion (10j). This common exhaust port (3a) can be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undary between the upper space portion (10i) and the expanded upper space portion (10j). That is, when viewed from above, the boundary between the upper space portion (10i) and the expanded upper space portion (10j) can be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through the common exhaust port (3a).
일례로서, 공동배기구(3a)의 대략 좌측 절반이 상부공간부(10i)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공동배기구(3a)의 나머지 절반이 확장상부공간부(10j)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As an example, approximately the left half of the common exhaust port (3a) may be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space portion (10i), and the remaining half of the common exhaust port (3a) may be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extended upper space portion (10j).
이러한 공동배기구(3a)는, 배기덕트(70)에서 배출된 공기와 송풍부(100,200)에서 배기공간(10i,10j)으로 유입된 공기를 함께 배출시킬 수 있다. 즉 조리실에서 배출된 증기, 가스와 송풍부(100,200)를 통해 흡입된 조리 가스가 공동배기구(3a)를 통해 함께 배출될 수 있다.This common exhaust port (3a) can discharge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duct (70) and air drawn into the exhaust space (10i, 10j) from the blower (100, 200) together. In other words, steam and gas discharged from the cooking chamber and cooking gas sucked in through the blower (100, 200) can be discharged together through the common exhaust port (3a).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배기공간(10i,10j)은 상부공간부(10i)와 확장상부공간부(10j)를 포함하며, 송풍부(100,200)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부공간부(10i)뿐 아니라 확장상부공간부(10j)로도 유동할 수 있다. 특히 송풍부(100,200)에서 확장상부공간부(10j)로 유동한 공기는, 공동배기구(3a)를 통해 조리기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exhaust space (10i, 10j) includes an upper space (10i) and an expanded upper space (10j), and air sucked through the blower (100, 200) can flow not only to the upper space (10i) but also to the expanded upper space (10j). In particular, air flowing from the blower (100, 200) to the expanded upper space (10j)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through the common exhaust port (3a).
물론, 송풍부(100,200)에서 확장상부공간부(10j)로 유동한 공기가 반드시 공동배기구(3a)를 통해서만 조리기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공동배기구(3a)가 아닌 다른 제2배기구(3)를 통해서도 조리기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Of course, the air flowing from the blower (100, 200) to the expanded upper space (10j) is not necessar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only through the common exhaust port (3a), and may als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through a second exhaust port (3) other than the common exhaust port (3a).
만약 본체(10) 내부에 확장플레이트(18)가 구비되지 않고, 이에 따라 본체(10) 내부에 확장상부공간부(10j)가 형성되지 않는다면, 배기공간(10i,10j)이 차지하는 영역은 상부공간부(10i)만으로 축소될 수밖에 없게 된다.If the expansion plate (18) is not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and, accordingly, the expansion upper space (10j) is not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0), the area occupied by the exhaust space (10i, 10j) is inevitably reduced to only the upper space (10i).
이 경우, 공동배기구(3a)의 하측 영역 대부분이 배기덕트(70)에 의해 점유되고, 공동배기구(3a)와 배기공간(10i,10j)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되기 어렵게 된다.In this case, most of the lower area of the common exhaust port (3a) is occupied by the exhaust duct (70), and it becomes difficult to form a passage connecting the common exhaust port (3a) and the exhaust space (10i, 10j).
또한 본체(10) 내부에 확장플레이트(18)가 구비되지 않는다면, 공동배기구(3a)는 측부공간부(10e)와 직접 연결된다. 이 경우, 측부공간부(10e)에 작용하는 배후팬 어셈블리(100)의 흡입력이 공동배기구(3a)의 주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expansion plate (18) is not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the common exhaust port (3a)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ide space (10e). In this case, the suction force of the rear fan assembly (100) acting on the side space (10e) may affect the periphery of the common exhaust port (3a).
이렇게 되면, 송풍부(100,200)에서 배기공간(10i,10j)으로 유동한 공기가 공동배기구(3a)를 통해 조리기기의 외부로 배출되기는 상당히 어려워지게 된다. 그 결과, 공동배기구(3a)를 통해서는 조리실에서 배출된 증기, 가스만이 주로 배출될 뿐, 송풍부(100,200)에 의해 흡입된 조리 가스는 거의 배출될 수 없게 된다.In this case, it becomes considerably difficult for the air flowing from the blower (100, 200) to the exhaust space (10i, 10j)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through the common exhaust port (3a). As a result, only the steam and gas discharged from the cooking chamber are mainly discharged through the common exhaust port (3a), and the cooking gas sucked in by the blower (100, 200) can hardly be discharged.
이에 비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는 측부공간부(10e)와 상부확장상부공간부(10j)가 확장플레이트(18)에 의해 분리되고, 배기공간(10i,10j)이 차지하는 영역이 상부공간부(10i)뿐 아니라 공동배기구(3a)의 하측에 배치된 영역인 상부확장상부공간부(10j)까지 확장될 수 있다.In contrast, in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ide space (10e) and the upper extended upper space (10j) are separated by the expansion plate (18), and the area occupied by the exhaust space (10i, 10j) can be expanded not only to the upper space (10i) but also to the upper extended upper space (10j), which is an area arranged below the common exhaust port (3a).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조리실에서 배출된 증기, 가스와 송풍부(100,200)를 통해 흡입된 조리 가스를 공동배기구(3a)를 통해 함께 배출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discharge steam and gas discharged from the cooking chamber and cooking gas sucked in through the blower (100, 200) together through the common exhaust port (3a).
[후방지지부재][Absence of rear support]
도 4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배후팬 어셈블리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고, 도 44는 도 43에 도시된 후방지지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며, 도 45는 캐비티와 후방지지부재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46은 도 45에 도시된 캐비티와 후방지지부재의 결합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47은 도 45에 도시된 후방지지부재에 리어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며, 도 48은 캐비티와 후방지지부재 및 리어 플레이트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FIG. 43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ar fan assembly is removed from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4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support member shown in FIG. 43 separated, and FIG. 45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vity and a rear support member are joined. In addition, FIG. 4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a joining portion between the cavity and the rear support member shown in FIG. 45, FIG. 47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ar plate is joined to the rear support member shown in FIG. 45, and FIG. 48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joining structure between a cavity, a rear support member, and a rear plate.
도 43 내지 도 4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후방지지부재(90)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지지부재(90)는, 캐비티(11)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3 to 45,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rear support member (90). The rear support member (90) may be arranged on the rear side of the cavity (11).
상술한 바와 같이, 캐비티(11)의 전방측에는 프런트 플레이트(가 배치될 수 있다. 프런트 플레이트(12)와 후방지지부재(90)는, 캐비티(11)를 사이에 두고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캐비티(11)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 front plate may be placed on the front side of the cavity (11). The front plate (12) and the rear support member (90) may be placed spaced apart in the front-back direction with the cavity (11) interposed therebetween and may b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cavity (11).
일례로서, 프런트 플레이트(12)는 캐비티(11)의 전면에 결합되고, 후방지지부재(90)는 캐비티(11)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프런트 플레이트(12)가 캐비티(11)와 일체로 형성되어 캐비티(11)의 전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As an example, the front plate (12) may be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avity (11), and the rear support member (90) may be coupl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cavity (11). As another example, the front plate (12)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cavity (11) to form the front surface of the cavity (11).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프런트 플레이트(12)는 프런트 플레이트(12)의 하단(12b)이 캐비티(11)의 저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프런트 플레이트(12)의 적어도 일부분은 캐비티(11)와 베이스 플레이트(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ront plate (12) may be formed so that the lower end (12b) of the front plate (12)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vity (11). For example, at least a portion of the front plate (12)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cavity (11) and the base plate (14).
후방지지부재(90)는, 프런트 플레이트(12)와 마찬가지로, 후방지지부재(90)의 하단이 캐비티(11)의 저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후방지지부재(90)의 적어도 일부분은 캐비티(11)와 베이스 플레이트(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rear support member (90), like the front plate (12), may be formed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rear support member (90)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vity (11). For example,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support member (9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cavity (11) and the base plate (14).
이를 위해, 후방지지부재(90)의 적어도 일부분이 캐비티(11)의 저면보다 낮은 위치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후방지지부재(90)는, 캐비티(11)보다 낮은 위치에서 바닥면과 접촉하며 캐비티(11)를 지지할 수 있다.To this end,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support member (90) may protrude to a position low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vity (11). This rear support member (90) may contact the bottom surface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cavity (11) and support the cavity (11).
후방지지부재(90)는, 전방결합부(91) 및 하측지지부(9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결합부(91)는, 캐비티(11)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게 마련된다. 그리고 하측지지부(92)는, 전방결합부(91)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rear support member (90) may include a front coupling portion (91) and a lower support portion (92). The front coupling portion (91) is provided so that it can be coupl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cavity (11). And the lower support portion (92)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front coupling portion (91).
하측지지부(92)의 하단은, 캐비티(11)의 저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하측지지부(92)는, 캐비티(11)보다 낮은 위치에서 바닥면과 접촉하며 전방결합부(91) 및 이와 결합된 캐비티(11)를 지지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lower support member (92) can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vity (11). This lower support member (92) can contact the bottom surface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cavity (11) and support the front joint member (91) and the cavity (11) coupled thereto.
바람직하게는, 하측지지부(92)의 하단은 프런트 플레이트(12)의 하단(12b)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캐비티(11)의 저면을 상대로 한 하측지지부(92)의 돌출 길이와 프런트 플레이트(12)의 돌출 길이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방지지부재(90)는, 캐비티(11)가 대략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캐비티(11)를 지지할 수 있다.Preferably, the lower end of the lower support member (92) may be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lower end (12b) of the front plate (12). For example, the protrusion length of the lower support member (92)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vity (11) and the protrusion length of the front plate (12) may be set to be the same. Accordingly, the rear support member (90) may support the cavity (11) so that the cavity (11) can be maintained approximately horizontally.
전후방향에 대해서, 후방지지부재(90)는 캐비티(11)와 리어 플레이트(1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후방지지부재(90)는, 캐비티(11) 및 리어 플레이트(15)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 rear support member (90) can be placed between the cavity (11) and the rear plate (15). This rear support member (90) can be combined with the cavity (11) and the rear plate (15), respectively.
이를 위해, 후방지지부재(90)는 후방결합부(93) 및 연결부(9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방결합부(93)는, 리어 플레이트(15)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게 마련된다. 그리고 연결부(94)는, 전방결합부(91)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며, 전방결합부(91)와 후방결합부(93)를 연결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rear support member (90) may further include a rear coupling portion (93) and a connecting portion (94). The rear coupling portion (93) is provided so as to be coupled to the front of the rear plate (15). In addition, the connecting portion (94) protrudes rearward from the front coupling portion (91) and may connect the front coupling portion (91) and the rear coupling portion (93).
연결부(94)는, 배후공간부(10f)에 배치되며, 배후팬 어셈블리(1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하방향에 대해서, 연결부(94)는 배후팬 어셈블리(100)와 베이스 플레이트(14) 사이에 배치될 수 잇다. 이러한 연결부(94)는, 배후공간부(10f)의 공기가 연결부(94)를 통과하며 상하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게 마련된다.The connecting portion (94) is arranged in the rear space (10f) and can be arrang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ar fan assembly (100).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nnecting portion (94) can be arranged between the rear fan assembly (100) and the base plate (14). This connecting portion (94) is provided so that air in the rear space (10f) can flow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passing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94).
이를 위해, 후방지지부재(90)에는 상하관통홀(94a)이 마련될 수 있다. 상하관통홀(94a)은, 캐비티(11)와 베이스 플레이트(14) 사이의 공간, 즉 하부공간부와 배후팬 어셈블리(100) 사이를 개방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게 마련된다.For this purpose, upper and lower penetration holes (94a) may be provided in the rear support member (90). The upper and lower penetration holes (94a) are provided so as to form a passage that opens the space between the cavity (11) and the base plate (14), i.e., the lower space portion, and the rear fan assembly (100).
일례로서, 연결부(94)는 하부공간부와 배후팬 어셈블리(100) 사이를 가로막는 가로방향의 평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하관통홀(94a)은 연결부(94)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하관통홀(94a)은, 흡기구(1)를 통해 하부공간부로 유입된 공기가 후방지지부재(90)를 통과하여 배후팬 어셈블리(100) 측으로 유동하는데 필요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connecting portion (94) may form a horizontal plane that blocks the lower space portion and the rear fan assembly (100), and the upper and lower penetration holes (94a)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connecting portion (94)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The upper and lower penetration holes (94a) may form a passage necessary for air introduced into the lower space portion through the intake port (1) to pass through the rear support member (90) and flow toward the rear fan assembly (100).
즉 연결부(94)는, 배후공간부(10f)에서의 공기 유동에 필요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게 캐비티(11)와 리어 플레이트(15)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at is, the connecting portion (94) can serve to maintain the gap between the cavity (11) and the rear plate (15) so that sufficient space required for air flow in the rear space (10f) can be secured.
도 44 내지 도 47을 참조하면, 이러한 전방결합부(91)는 캐비티(11)의 배면과 전후방향으로 맞닿으며 캐비티(11)의 배면과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4 to 47, this front coupling portion (91) is in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cavity (11)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can be coupled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cavity (11).
캐비티(11)와 전방결합부(91) 간의 결합은, 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부재(s)를 이용한 체결, 끼움 결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서, 전방결합부(91)에는 끼움결합부(91a)와 체결홀(91b)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방결합부(91)에 끼움결합부(91a)와 체결홀(91b)이 모두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The connection between the cavity (11) and the front coupling portion (91) can be achieved by at least one of a connection using a fastening member (s) such as a screw, and a fitting connection. As an example, at least one of a fitting connection portion (91a) and a fastening hole (91b) can be provided in the front coupling portion (91).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that both a fitting connection portion (91a) and a fastening hole (91b) are provided in the front coupling portion (91).
끼움결합부(91a)는, 캐비티(11)의 배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서, 캐비티(11)의 배면의 하단(11c)은, 캐비티(11)의 저면보다 하측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끼움결합부(91a)는, 이러한 캐비티(11)의 배면의 하단(11c)이 끼움 결합될 수 있게 마련된다.The fitting portion (91a) can be detachably join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cavity (11). As an example, the lower end (11c) of the back surface of the cavity (11) can be formed to protrude further downward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vity (11). The fitting portion (91a) is provided so that the lower end (11c) of the back surface of the cavity (11) can be fitted.
일례로서, 끼움결합부(91a)는 전방결합부(91)에서 후방으로 "L"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캐비티(11)의 배면의 하단(11c)은 전방결합부(91)의 전면과 끼움결합부(91a)의 배면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As an example, the fitting portion (91a) may be formed to protrude rearwardly in an “L” shape from the front fitting portion (91), and the lower end (11c) of the rear surface of the cavity (11) may be fitted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fitting portion (91)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itting portion (91a).
조리기기의 조립시, 캐비티(11)의 저면이 상측을 향하게 캐비티(11)가 뒤집혀진 상태, 그리고 하측지지부(92)가 상측을 향하게 후방지지부재(90)가 뒤집어진 상태에서, 캐비티(11)의 배면의 하단(11c)이 끼움결합부(91a)에 끼워지게 후방지지부재(90)가 캐비티(11)의 배면에 걸쳐지면, 캐비티(11)와 후방지지부재(90)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When assembling the cooking appliance, when the cavity (11) is turned over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cavity (11) faces upward, and the rear support member (90) is turned over so that the lower support member (92) faces upward, and the lower end (11c) of the rear surface of the cavity (11) is fitted into the fitting portion (91a) so that the rear support member (90) hangs over the rear surface of the cavity (11), a fitting connection between the cavity (11) and the rear support member (90) can be made.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캐비티(11)와 후방지지부재(90) 간의 끼움 결합에 의해, 후방지지부재(90)가 캐비티(11)에 임시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후방지지부재(90)가 캐비티(11)에 임시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는, 전방결합부(91)는 캐비티(11)의 배면과 전후방향으로 맞닿는 상태가 될 수 있다.By fitting the cavity (11) and the rear support member (90) in this manner, the rear support member (90) can be temporarily fixed to the cavity (11). In this state where the rear support member (90) is temporarily fixed to the cavity (11), the front coupling portion (91) can be in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cavity (11) in the front-back direction.
이러한 상태에서, 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부재(s)에 의한 체결이 이루어지면, 후방지지부재(90)가 캐비티(11)에 굳건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In this state, when fastening is performed by a fastening member (s) such as a screw, the rear support member (90) can be firmly connected to the cavity (11).
즉 캐비티(11)와 끼움결합부(91a) 간의 끼움 결합에 의해, 캐비티(11)를 상대로 한 후방지지부재(90)의 결합 위치 안내 및 임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후방지지부재(90) 설치 작업이 더욱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That is, since the position of the rear support member (90) relative to the cavity (11) can be guided and temporarily fixed by the fitting connection between the cavity (11) and the fitting portion (91a),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rear support member (90)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and quickly.
상기와 같이 캐비티(11)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후방지지부재(90)는, 조리기기의 조립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에 캐비티(11)가 후방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캐비티(11)를 지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ear support member (90)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cavity (11) can support the cavity (11) so that the cavity (11) does not fall backwards during the assembly process of the cooking appliance.
상술한 바와 같이, 캐비티(11)의 전방측에는 프런트 플레이트(12)가 설치되며, 이 프런트 플레이트(12)의 하단(12b)은 캐비티(11)의 저면보다 낮은 위치로 돌출된다. 따라서 캐비티(11)를 상대로 프런트 플레이트(12)의 설치가 먼저 이루어지고 베이스 플레이트(14)나 리어 플레이트(15)의 설치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캐비티(11)의 전방측과 후방측 간의 높이 차이로 인해 캐비티(11)가 후방측으로 넘어질 가능성이 높다.As described above, a front plate (12)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cavity (11), and the lower end (12b) of the front plate (12) protrudes to a position low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vity (11). Therefore, if the front plate (12) is installed first with respect to the cavity (11) and the base plate (14) or the rear plate (15) is not installed ye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cavity (11) will fall over to the rear side due to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cavity (11).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후방지지부재(90)가 캐비티(11)의 후방측에 설치되며, 캐비티(11)의 후방측이 후방지지부재(9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캐비티(11)를 사이에 두고 전후방향으로 배치된 프런트 플레이트(12)와 후방지지부재(90)가 캐비티(11)의 전후방향 양측에서 캐비티(11)를 지지할 수 있다.Considering these points, in this embodiment, the rear support member (90) is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cavity (11), and the rear side of the cavity (11) can be supported by the rear support member (90).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front plate (12) and the rear support member (90) arrang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with the cavity (11) interposed between them can support the cavity (11) on both sides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cavity (11).
이에 따라, 캐비티(11)를 상대로 프런트 플레이트(12)의 설치가 먼저 이루어지고 베이스 플레이트(14)나 리어 플레이트(15)의 설치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캐비티(11)가 후방측으로 넘어지지 않음은 물론, 전방측이나 후방측으로 치우치지 않게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even if the front plate (12) is installed first against the cavity (11) and the base plate (14) or the rear plate (15) is not installed yet, the cavity (11) can maintain a stable posture without falling over to the rear side and without being tilted to the front or rear side.
즉 본 실시예의 후방지지부재(90)는, 조리기기의 조립 과정에서 캐비티(11)가 후방측으로 넘어지지 않게 캐비티(11)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조리기기의 조립이 더욱 안정적인 환경에서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고, 조리기기의 조립 과정에서 캐비티(11)의 넘어짐으로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안전 사고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rear support member (9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play a role in stably maintaining the posture of the cavity (11) so that the cavity (11) does not fall to the rear during the assembly process of the cooking appliance, thereby contributing to enabling the assembly of the cooking appliance to be conveniently performed in a more stable environment, and can provide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various safety accidents that may occur due to the cavity (11) falling over during the assembly process of the cooking appliance.
아울러 상기 후방지지부재(90)는, 도 47 및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플레이트(15)와 베이스 플레이트(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방지지부재(90)가 리어 플레이트(15) 및 베이스 플레이트(14)와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된다.In addition, the rear support member (90) may be combined with at least one of the rear plate (15) and the base plate (14), as shown in FIGS. 47 and 48. In this embodiment, the rear support member (90) is exemplified as being combined with the rear plate (15) and the base plate (14), respectively.
상술한 바와 같이, 후방결합부(93)는 리어 플레이트(15)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하측지지부(92)의 하단은, 베이스 플레이트(14)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어 플레이트(15) 및 베이스 플레이트(14)와 각각 결합되는 후방지지부재(90)는, 리어 플레이트(15) 및 베이스 플레이트(14)를 캐비티(11)에 안정적으로 지지시킴으로써, 조리기기의 구조적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ear coupling member (93) can be coupled with the rear plate (15). And the lower end of the lower support member (92) can be coupled with the base plate (14). In this way, the rear support member (90) coupled with the rear plate (15) and the base plate (14), respectively, can effectively improv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cooking appliance by stably supporting the rear plate (15) and the base plate (14) to the cavity (11).
또한 후방지지부재(90)는, 배후공간부(10f)에서의 공기 유동에 필요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게 캐비티(11)와 리어 플레이트(15)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킴으로써, 흡입 유량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ar support member (90) can provide an effect of increasing the suction flow rate by maintaining the gap between the cavity (11) and the rear plate (15) so that sufficient space required for air flow in the rear space (10f) can be secured.
[조리기기의 다른 예][Other examples of cooking appliances]
도 4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캐비닛이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고, 도 5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캐비닛이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며, 도 5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캐비닛이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FIG. 49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binet is removed from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0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binet is removed from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1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binet is removed from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9 내지 도 51에 도시된 조리기기와 전술한 실시예에서 예시된 조리기기 간의 주요 차이점은, 코너팬 어셈블리(200; 도 5 참조)의 유무에 있다. 도 49 내지 도 51에 도시된 조리기기에는, 배후팬 어셈블리(100)만이 구비되고, 코너팬 어셈블리(200)는 구비되지 않는다.The main difference between the cooking appliances illustrated in FIGS. 49 to 51 and the cooking appliances exemplifi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orner pan assembly (200; see FIG. 5). The cooking appliances illustrated in FIGS. 49 to 51 are equipped with only the rear pan assembly (100) and are not equipped with the corner pan assembly (200).
이에 따라 도 49 내지 도 51에 도시된 조리기기와 전술한 실시예에서 예시된 조리기기 간에는, 송풍부의 출력 차이가 발생된다. 즉 코너팬 어셈블리(200)와 배후팬 어셈블리(100)를 모두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비해, 도 49 내지 도 51에 도시된 조리기기에서의 송풍부의 출력이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된다.Accordingly, a difference in the output of the blower occurs between the cooking appliances illustrated in FIGS. 49 to 51 and the cooking appliances exemplifi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at is, compared to the cooking appliance including both the corner fan assembly (200) and the rear fan assembly (100), the output of the blower in the cooking appliances illustrated in FIGS. 49 to 51 becomes relatively lower.
도 49 내지 도 51에 도시된 조리기기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예시된 조리기기의 본체와 거의 동일한 형태의 본체(10)를 공유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공용화된 한 가지 형태의 본체를 이용하여 송풍부의 출력만을 달리하는 여러 종류의 조리기기로 제공될 수 있다.The cooking appliances illustrated in FIGS. 49 to 51 can share a main body (10) of almost the same shape as the main body of the cooking appliance exemplifi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at is,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provided as various types of cooking appliances that only have different outputs of blower units by using a single common body shape.
이러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다양한 형태의 조리기기를 쉽고 빠르게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조리기기의 다양한 실시예가 예시된다.The cooking appliance of this embodiment can provide the effect of enabling various types of cooking appliances to be manufactured easily, quickly, and at low cost.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cooking appliance for achieving the above-mentioned purpose are exemplified.
도 4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구조는 송풍부와 유로형성부재(300)를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예시된 조리기기와 거의 동일하다.Referring to FIG. 49, the structure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most the same as the cooking appliance exemplifi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except for the blower and the flow path forming member (300).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와 전술한 실시예에서 예시된 조리기기의 주요 차이점은, 송풍부 및 유로형성부재(300)에 있다.That is, the main difference between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oking appliance exemplifi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lies in the blower and the flow path forming member (300).
본 실시예의 유로형성부재(300)는, 제1유로플레이트(31) 및 체결플레이트(33)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의 유로형성부재(30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예시된 유로형성부재(30; 도 6 참조)에서 제2유로플레이트(32)가 제거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The euro-forming member (3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euro plate (31) and a fastening plate (33). For example, the euro-forming member (3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second euro plate (32) is removed from the euro-forming member (30; see FIG. 6) exemplifi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일례로서, 본 실시예의 유로형성부재(300)는 제1유로플레이트(31) 및 체결플레이트(33)가 일체로 형성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유로형성부재(300)는 제1유로플레이트(31) 및 체결플레이트(33)가 각각 형성되어 조립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As an example, the euro-forming member (3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first euro plate (31) and the fastening plate (33) are formed integrally. As another example, the euro-forming member (300)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first euro plate (31) and the fastening plate (33) are formed separately and assembled.
이에 따르면, 배후팬 어셈블리(100)의 좌측에는 제1흡입구(112)와 제1토출구(114)를 가로막을만한 구조물이 배치되지 않는다. 그리고 코너공간부(10g,10h), 좀 더 구체적으로 하측코너공간부(10h)는, 빈 상태로 유지된다.Accordingly, no structure that could block the first intake port (112) and the first discharge port (114) is placed on the left side of the rear fan assembly (100). And the corner space (10g, 10h), more specifically, the lower corner space (10h), is maintained in an empty state.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덮개(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덮개(36)는, 측방지지부(41)에 형성된 관통홀(41b; 도 21 참조)을 덮을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덮개(36)는, 측방지지부(41)에 결합되어 토출홀(41a)을 폐쇄할 수 있다. 이러한 덮개(36)에 의해, 코너공간부(10g,10h)와 배기유로(A) 사이의 불필요한 통로가 폐쇄될 수 있게 된다.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cover (36). The cover (36) is provided to cover a through hole (41b; see FIG. 21) formed in a lateral support member (41). This cover (36) can be coupled to the lateral support member (41) to close the discharge hole (41a). By this cover (36), an unnecessary passage between the corner space member (10g, 10h) and the exhaust path (A) can be closed.
도 5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마련되는 유로형성부재(400)는, 제1유로플레이트(31)와 연장플레이트(34) 및 체결플레이트(33)를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0, a flow forming member (400) provided in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a form including a first flow plate (31), an extension plate (34), and a fastening plate (33).
일례로서, 본 실시예의 유로형성부재(400)는, 제1유로플레이트(31)와 연장플레이트(34) 및 체결플레이트(33)가 일체로 형성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유로형성부재(300)는 제1유로플레이트(31)와 연장플레이트(34) 및 체결플레이트(33)가 각각 형성되어 조립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As an example, the euro-forming member (4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first euro plate (31), the extension plate (34), and the fastening plate (33) are formed integrally. As another example, the euro-forming member (300)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first euro plate (31), the extension plate (34), and the fastening plate (33) are formed separately and assembled.
유로형성부재(400)에서, 제1유로플레이트(31)는 배기유로(A)의 우측 경계면을 규정할 수 있다. 그리고 연장플레이트(34)는, 배기유로(A)의 좌측 경계면을 규정할 수 있으며, 배후팬 어셈블리(100)의 좌측에서 제1흡입구(112)와 제1토출구(114) 사이를 가로막는 벽을 형성할 수 있다.In the euro-forming member (400), the first euro plate (31) can define the right boundary surface of the exhaust path (A). And the extension plate (34) can define the left boundary surface of the exhaust path (A) and form a wall that blocks the first intake port (112) and the first discharge port (114) on the left side of the rear fan assembly (100).
한편 도 5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예시된 것과 동일한 형태의 유로형성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예시된 것과 동일한 형태의 덮개(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51,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guiding member (30) of the same shape as that exemplifi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ver (36) of the same shape as that exemplified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따르면, 배기유로(A)의 우측 경계면은 제1유로플레이트(31)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또한 배후팬 어셈블리(100)의 좌측에서, 배기유로(A)의 하측 경계면은 제2유로플레이트(32)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그리고 배기유로(A)의 좌측 경계면은 측방지지부(41) 및 덮개(36)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right boundary surface of the exhaust path (A) can be defined by the first flow plate (31). Also, on the left side of the rear fan assembly (100), the lower boundary surface of the exhaust path (A) can be defined by the second flow plate (32). And the left boundary surface of the exhaust path (A) can be defined by the lateral support member (41) and the cover (36).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is.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patent claims.
1 : 흡기구
2 : 제1배기구
3 : 제2배기구
3a : 공동배기구
4 : 제3배기구
5 : 냉기유입구
6 : 쿨링팬
7 : 습도센서
8 : 램프
9 : 벤트그릴
10 : 본체
10a : 조리실
10b,10c,10d : 전장실
10b : 하부전장실
10c : 상부전장실
10d : 흡기실
10e : 측부공간부
10f : 배후공간부
10g,10h : 코너공간부
10g : 상측코너공간부
10h : 하측코너공간부
10i,10j : 배기공간
10i : 상부공간부
10j : 확장상부공간부
10k : 통로공간
11 : 캐비티
11a : 측부홀
11b : 순환공기배출구
12 : 프런트 플레이트
12a : 상단면부
13 : 캐비닛
14 : 베이스 플레이트
15 : 리어 플레이트
16 : 유로구획플레이트
17 : 도파관
18 : 확장플레이트
18a : 측부구획부
18b : 배후구획부
18c : 제1결합부
18d : 제2결합부
18e : 제3결합부
20 : 도어
25 : 컨트롤패널
30,35,300,400 : 유로형성부재
31 : 제1유로플레이트
32,32a : 제2유로플레이트
33 : 체결플레이트
34 : 연장플레이트
35a : 제1유로형성부재
35b : 제2유로형성부재
36 : 덮개
37,38 : 연결유로형성부재
37 : 제1구획부
38 : 제2구획부
39 : 연결유로부
40,45 : 지지부재
41 : 측방지지부
41a : 토출홀
41b : 관통홀
42 : 전방지지부
43 : 상방지지부
45a : 제1지지플레이트
45b : 제2지지플레이트
45c : 제3지지플레이트
50 : 구획플레이트
52,54 : 통과홀
52 : 제1통과홀
54 : 제2통과홀
55 : 차단플레이트
60,65 : 가림부재
66 : 가로면부
67 : 세로면부
67a : 통기홀
70 : 배기덕트
70a : 유로
70b : 덕트유입구
70c : 덕트배출구
71 : 높이변화구간
72 : 결합면
73 : 슬릿
75 : 덕트브라켓
76 : 브라켓본체부
77 : 플랜지부
78 : 제1덕트결합부
78a : 세로돌기
78b : 가로돌기
79 : 제2덕트결합부
80, 85 : 램프커버
81,86 : 커버상면부
82,87 : 커버측면부
83,88 : 밀착부
84,89 : 커버결합부
86a : 관통홀
86b : 개폐커버
90: 후방지지부재
91 : 전방결합부
91a : 끼움결합부
91b : 체결홀
92 : 하측지지부
93 : 후방결합부
94 : 연결부
94a : 상하관통홀
100,200 : 송풍부
100 : 배후팬 어셈블리
110 : 팬하우징
112 : 제1흡입구
114 : 제1토출구
120 : 임펠러
200 : 코너팬 어셈블리
210 : 팬하우징
212 : 제2흡입구
214 : 제2토출구
220 : 임펠러
s : 체결부재1 : Intake
2: 1st exhaust port
3: Second exhaust port
3a: Common exhaust
4: 3rd exhaust port
5: Cold air inlet
6: Cooling fan
7: Humidity sensor
8 : Lamp
9: Vent Grill
10 : Body
10a : Kitchen
10b,10c,10d: Battle room
10b: Lower battle room
10c: Upper battle room
10d : Intake chamber
10e: Lateral space
10f: Back space
10g,10h: Corner space
10g: Top corner space
10h: Lower corner space
10i,10j: Exhaust space
10i: Upper space
10j: Extended upper space
10k : passage space
11 : Cavity
11a : Side hole
11b: Circulation air exhaust port
12 : Front plate
12a: Top surface
13 : Cabinet
14 : Base Plate
15: Rear plate
16: Euro compartment plate
17 : Waveguide
18 : Expansion plate
18a: Side compartment
18b: Rear compartment
18c: First joint
18d: Second joint
18e: Third joint
20 : Door
25 : Control Panel
30,35,300,400: Euro formation absence
31: 1st Europlate
32,32a: 2nd Europlate
33 : Fastening plate
34 : Extension plate
35a: 1st Euro formation member
35b: Second Euro Formation Member
36 : Cover
37,38: No connecting path forming member
37: Section 1
38: Second compartment
39: Connecting Euro
40,45 : Absence of support
41: Lateral support unit
41a : Discharge hole
41b : Through hole
42: Forward support
43: Upward branch
45a: 1st support plate
45b: Second support plate
45c: 3rd support plate
50 : Compartment plate
52,54 : Passage hole
52: 1st passage hole
54: 2nd passage hole
55 : Blocking plate
60,65 : Absence of cover
66: Cross section
67: Vertical section
67a : Ventilation hole
70 : Exhaust duct
70a : Euro
70b: Duct inlet
70c : Duct outlet
71: Height change section
72 : Mating surface
73 : Slit
75 : Duct bracket
76: Bracket body
77 : Flange part
78: First duct joint
78a : Vertical projection
78b : Crosscut
79: Second duct joint
80, 85 : Lamp cover
81,86: Top surface of cover
82,87: Cover side
83,88 : Adhesive
84,89 : Cover joint
86a : Through hole
86b: Opening cover
90: Rear support member
91: Forward joint
91a : Fitting joint
91b : Fastening hole
92: Lower support part
93 : Rear joint
94 : Connection
94a: Upper and lower penetration holes
100,200 : Blower
100 : Rear fan assembly
110 : Fan Housing
112 : First intake
114: First outlet
120 : Impeller
200 : Corner Fan Assembly
210 : Fan Housing
212 : Second intake
214: Second outlet
220 : Impeller
s : fastening member
Claims (14)
상기 본체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한 공기를 상기 상부공간부로 토출하는 송풍부; 및
상기 순환공기배출구와 연결되는 유로를 내부에 형성하는 배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덕트에는, 상기 유로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상기 유로를 상기 순환공기배출구를 향해 개방하는 덕트유입구, 및 상기 유로의 길이방향 타측에서 상기 유로를 상기 배기구를 향해 개방하는 덕트배출구가 마련되고,
상기 배기덕트는, 상기 유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높이가 변화되는 높이변화구간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A main body including a cooking chamber formed inside a cavity and an upper space portion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vity, an exhaust port opening the upper space portion to the outside, and a circulation air outlet forming a passage connecting the cooking chamber and the upper space portion;
A blower for sucking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and discharging the sucked air into the upper space; and
An exhaust duct forming a path inside the duct that is connected to the above-mentioned circulating air outlet;
The exhaust duct is provided with a duct inlet opening the duct toward the circulating air outlet on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uct, and a duct outlet opening the duct toward the exhaust port on the other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uct.
A cooking appliance in which the exhaust duct includes a height changing section in which the height chang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ssage.
상기 순환공기배출구는, 상기 배기구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높이변화구간에서, 상기 유로의 길이방향 일측을 향한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배기덕트의 높이가 낮아지는 조리기기.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circulating air outlet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exhaust port,
A cooking appliance in which, in the above height change section, the height of the exhaust duct decreases as it goes in the direction toward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uro.
상기 배기구는, 상기 순환공기배출구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높이변화구간에서, 상기 유로의 길이방향 타측을 향한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배기덕트의 높이가 높아지는 조리기기.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exhaust port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above circulating air outlet,
A cooking appliance in which, in the above height change section, the height of the exhaust duct increases as it goes in the direction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uro.
상기 높이변화구간에서, 상기 배기덕트의 상면은 상기 유로의 길이방향 일측을 향한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조리기기.
In the first paragraph,
A cooking appliance in which, in the above height change sec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exhaust duct forms a slope whose height decreases as it goes toward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w path.
상기 본체는, 상면이 상기 캐비티의 상측에 배치되는 캐비닛을 더 포함하고,
상하방향에 대해서, 상기 배기덕트는 상기 캐비티의 상면과 상기 캐비닛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body further includes a cabinet whose upper surface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vity,
A cooking appliance in which,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the exhaust duct is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상기 높이변화구간에서, 상기 배기덕트의 상면과 상기 캐비닛의 상면 사이에는 통로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통로공간은, 상기 상부공간부 중 상기 배기덕트의 측방향 일측의 공간과 상기 상부공간부 중 상기 배기덕트의 측방향 타측의 공간을 측방향으로 연결하는 통로를 상기 배기덕트의 상측에 형성하는 조리기기.
In paragraph 5,
In the above height change section, a passage space is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exhaust duc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The above passage space is a cooking appliance that forms a passage on the upper side of the exhaust duct that laterally connects a space on one side of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exhaust duct among the upper space portion and a space on the other side of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exhaust duct among the upper space portion.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확장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캐비티의 측방측에 배치되는 측부공간부가 마련되고,
상기 확장플레이트는, 상기 측부공간부의 일부 영역이 확장상부공간부로 분리되게 상기 측부공간부를 구획하는 조리기기.
In the first paragraph,
It further includes an expansion plate arranged inside the above main body,
Inside the above main body, a side space portion is provided that is arranged on the side of the cavity,
The above expansion plate is a cooking appliance that divides the side space so that a part of the side space is separated into an expanded upper space.
상기 확장플레이트는, 상기 캐비티의 측방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배기덕트는, 상기 캐비티의 측방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높이변화구간에서, 상기 배기덕트의 상면과 상기 캐비닛의 상면 사이에는 통로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통로공간은, 상기 상부공간부 중 상기 배기덕트의 측방향 일측의 공간과 확장상부공간부를 측방향으로 연결하는 통로를 상기 배기덕트의 상측에 형성하는 조리기기.
In Article 7,
The above expansion plate is placed on the lateral outer side of the cavity,
The above exhaust duct is arranged on the inner side of the cavity,
In the above height change section, a passage space is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exhaust duc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The above passage space is a cooking appliance that forms a passage on the upper side of the exhaust duct that laterally connects a space on one side of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exhaust duct and an expanded upper space among the upper space sections.
상기 배기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유로에서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In the first paragraph,
A cooking appliance further comprising a humidity sensor installed in the exhaust duct to measure humidity in the duct.
상기 캐비티의 상면에 결합되는 덕트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기덕트는, 상기 덕트브라켓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리기기.
In the first paragraph,
Further comprising a duct bracket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A cooking appliance in which the above exhaust duct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duct bracket.
상기 캐비티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배기덕트와 결합되는 브라켓본체부; 및
상기 캐비티의 상면에 접합되어 상기 브라켓본체부를 상기 캐비티의 상면에 결합시키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In the 10th paragraph, the duct bracket,
A bracket body part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and coupled to the exhaust duct; and
A cooking appliance including a flange portion that is joi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and connects the bracket body portion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상기 배기덕트의 하단에는, 상기 브라켓본체부의 상면과 상하방향으로 맞닿는 면을 형성하는 결합면이 마련되고,
상기 덕트브라켓은, 상기 결합면이 상기 브라켓본체부와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결합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덕트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In Article 11,
At the bottom of the above exhaust duct, a joining surface is provided that forms a surface that is in vertical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above bracket body.
A cooking appliance in which the above duct bracket further includes a first duct joint that is detachably joined to the joint surface while the joint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bracket main body.
상기 제1덕트결합부는, 상기 결합면에 형성된 슬릿을 통해 상기 결합면을 세로방향으로 관통하는 세로돌기, 및 상기 세로돌기에서 가로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면의 상측에서 상기 덕트브라켓의 상방 움직임을 구속하는 가로돌기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In Article 12,
A cooking appliance in which the first duct joint portion includes a vertical protrusion that vertically penetrates the joint surface through a slit formed on the joint surface, and a horizontal protrusion that protrudes horizontally from the vertical protrusion and restricts upward movement of the duct bracket above the joint surface.
상기 덕트브라켓은, 상기 결합면 및 상기 브라켓본체부를 관통하며 상기 덕트브라켓과 상기 배기덕트를 결합시키는 체결부재와 체결되는 제2덕트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In Article 12,
A cooking appliance in which the above duct bracket further includes a second duct joint that penetrates the joint surface and the bracket body and is joined to a joint member that joins the duct bracket and the exhaust duct.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175967A KR20250086377A (en) | 2023-12-06 | 2023-12-06 | Cooking applian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175967A KR20250086377A (en) | 2023-12-06 | 2023-12-06 | Cooking applianc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50086377A true KR20250086377A (en) | 2025-06-13 |
Family
ID=9601293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30175967A Pending KR20250086377A (en) | 2023-12-06 | 2023-12-06 | Cooking applianc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250086377A (en) |
-
2023
- 2023-12-06 KR KR1020230175967A patent/KR20250086377A/en active Pending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5242911B2 (en) | Cooking equipment | |
| KR102656201B1 (en) | Cooking Appliance | |
| CA2883496A1 (en) | Home cooking appliance having a fan channel | |
| KR101904660B1 (en) | Cooking appliance | |
| US12339010B2 (en) | Cooking apparatus | |
| US7671310B2 (en) | Microwave range having hood | |
| KR102809921B1 (en) | Cooking apparatus | |
| JP2002228156A (en) | Electrical component chamber structure of microwave oven | |
| KR20250086377A (en) | Cooking appliance | |
| KR20250086376A (en) | Cooking appliance | |
| KR20250121328A (en) | Cooking appliances | |
| KR20250138380A (en) | Cooking appliance | |
| KR102850857B1 (en) | Microwave oven having hood | |
| KR20250121331A (en) | Cooking appliances | |
| CN120513692A (en) | Cooking utensil | |
| CN120500908A (en) | cooking utensils | |
| KR102848838B1 (en) | Cooking apparatus | |
| CN120476669A (en) | Cooking utensil | |
| CN120570064A (en) | Cooking utensil | |
| KR20230006358A (en) | Cooking apparatus | |
| KR20250121332A (en) | Cooking appliances | |
| KR20250121333A (en) | Cooking appliances | |
| KR20240084501A (en) | Cooking appliance | |
| KR20240084498A (en) | Cooking appliance | |
| KR20240084499A (en) | Cooking applian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06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