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50106044A - Ice storage assembly comprising drainage path for residual water - Google Patents

Ice storage assembly comprising drainage path for residual w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50106044A
KR20250106044A KR1020240000344A KR20240000344A KR20250106044A KR 20250106044 A KR20250106044 A KR 20250106044A KR 1020240000344 A KR1020240000344 A KR 1020240000344A KR 20240000344 A KR20240000344 A KR 20240000344A KR 20250106044 A KR20250106044 A KR 20250106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tray
storage assembly
ice storage
evapora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003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진선
권정민
김진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40000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50106044A/en
Publication of KR20250106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50106044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25C5/185Ice bins therefor with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8Producing ice by immersing freezing chambers, cylindrical bodies or plates into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2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 F25C2305/0221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rotating ice mou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얼음 정수기에 내장되어, 얼음을 제조, 보관, 및 토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에 있어서,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 증발기 및 상기 제빙 증발기의 하방에 배치되는 트레이를 포함하는 제빙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트레이가 상기 이빙 위치에 놓인 때를 기준으로, 상기 트레이 내의 잔수가 바스켓 내로 떨어지지 않고 후방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드레인부를 구비하는,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의 구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of an ice storage assembly, which is built into an ice purifier and configured to manufacture, store, and discharge ice, including an ice-making module including an ice-making evaporator for manufacturing ice and a tray disposed below the ice-making evaporator, wherein the tray has a drain portion that induces residual water in the tray to be discharged rearward without falling into a basket when the tray is placed in the ice-breaking position.

Description

잔수 배출 유로를 구비하는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ICE STORAGE ASSEMBLY COMPRISING DRAINAGE PATH FOR RESIDUAL WATER} ICE STORAGE ASSEMBLY COMPRISING DRAINAGE PATH FOR RESIDUAL WATER

본 발명은 얼음을 제조하고 냉동 보관하는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에 있어서, 얼음을 제조하고 남은 잔수가 배출되는 유로를 구비하는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n ice storage assembly for manufacturing and freezing ice, the ice storage assembly having a passage for discharging remaining water after manufacturing ice.

정수기란 물을 정화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 일반적으로 정수를 제공하며, 부가적으로 냉수 및/또는 온수를 제공한다. 정수기의 종류에는 역삼투압(RO) 정수기, 나노 필터(NF) 정수기, 중공사막 필터(UF) 정수기, 살균 정수기 등이 있다. 이 중에서도 얼음 정수기란 정수기의 일종으로, 냉수와 함께 얼음을 만들어 제공하는 장치이다. 얼음 정수기는 얼음을 만들기 위하여 물을 냉각하는 제빙 증발기를 구비한다.A water purifier is a device that purifies water so that it can be consumed. It generally provides purified water and additionally provides cold water and/or hot water. Types of water purifiers include reverse osmosis (RO) water purifiers, nano filter (NF) water purifiers,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UF) water purifiers, and sterilizing water purifiers. Among these, an ice water purifier is a type of water purifier that provides ice along with cold water. An ice water purifier is equipped with an ice-making evaporator that cools water to make ice.

한편, 기존의 얼음 정수기는 얼음을 보관하기 위하여 단열된 얼음 저장실을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얼음 정수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얼음이 상온에서 보관되므로 시간이 지나면 얼음이 녹아 크기 및 모양이 일정하지 않게 되어 사용자의 만족도가 떨어진다. 둘째, 외부 환경에 따라 얼음의 품질이 제각각이 되어 위생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가령,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얼음은 더욱 쉽게 녹고 더욱 쉽게 오염될 수 있다. 셋째, 얼음이 녹은 만큼 다시 만들어야 하므로 에너지 소모가 크고 비효율적이다.Meanwhile, existing ice purifiers are usually equipped with an insulated ice storage room to store ice. However, this type of ice purifier has the following problems. First, since ice is stored at room temperature, it melts over time and its size and shape become uneven, which reduces user satisfaction. Second, the quality of ice varies depending on the external environment, which can cause sanitary problems. For example, in a high temperature and humid environment, ice melts more easily and can become contaminated more easily. Third, since ice must be remade as much as it melts, it consumes a lot of energy and is inefficient.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빙실과 얼음 저장실을 분리하고, 얼음 저장실 내에는 얼음을 냉동 보관할 수 있도록 냉동 증발기를 구비하는 얼음 정수기가 제안된 바 있다(등록특허 10-1275188). 이러한 얼음 정수기는 얼음 저장실에 냉동 증발기를 설치하여 얼음을 항상 냉동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할 때 얼음을 꺼내서 사용할 수 있다.To solve these problems, an ice purifier has been proposed that separates the ice making room and the ice storage room and has a freezing evaporator in the ice storage room to keep the ice frozen (registered patent no. 10-1275188). This ice purifier can always keep the ice frozen by installing a freezing evaporator in the ice storage room, and the user can take out the ice and use it whenever he wants.

그러나, 얼음이 냉동 보관되는 얼음 정수기의 경우, 얼음이 영하의 온도로 보관되기 때문에, 잔수를 얼음 위에 바로 쏟아버릴 경우, 잔수가 얼음 사이에서 얼어 얼음이 엉기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얼음의 품질에 영향을 주고, 얼음의 정상적인 토출을 어렵게 한다.However, in the case of ice water purifiers where ice is stored frozen, since the ice is stored at a sub-zero temperature, if you pour the remaining water directly onto the ice, the remaining water may freeze between the ice and cause the ice to clump. This affects the quality of the ice and makes it difficult to dispense the ice normally.

또한, 얼음 저장실은 잔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로 및 배수구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얼음 저장실이 영하의 온도로 유지되는 경우, 이러한 배수로나 배수구에서 잔수가 얼어 배수 경로가 막힐 수 있다는 문제도 있다.Additionally, ice storage rooms are usually equipped with drains and drains to drain residual water, but if the ice storage room is maintained at a temperature below zero, there is also the problem that residual water may freeze in these drains or drains, blocking the drainage path.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배경하에서 창안된 것으로서, 얼음이 냉동 보관되는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빙 과정에서 트레이에 남는 잔수의 효과적인 처리가 가능한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얼음 위에 놓이는 트레이로부터 잔수를 배수하되, 잔수로 인한 얼음의 엉김이 방지되는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의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under the background of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structure of an ice storage assembly capable of effectively processing residual water remaining in a tray during an ice-making process in an ice storage assembly in which ice is frozen and stored.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of an ice storage assembly capable of draining residual water from a tray placed on ice while preventing ice from clumping due to residual water.

본 발명의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얼음이 영하의 온도에서 보관되면서도, 잔수의 빙결로 인한 폐색이 방지되는 잔수 배출 유료를 구비하는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의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Another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 of an ice storage assembly having a residual water discharge valve that prevents blockage due to freezing of residual water while storing ice at a sub-zero temperature.

본 발명은 상기의 기술적 과제들을 달성함에 있어서, 제빙 증발기로부터의 이빙에 방해되지 않는 트레이를 구비하는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의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structure of an ice storage assembly having a tray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ice removal from an ice evaporator.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urposes, and other purpos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will be easily understood that the purpos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얼음 정수기에 내장되어, 얼음을 제조, 보관, 및 토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에 있어서, 얼음이 냉동 보관되는 바스켓을 수용하는 얼음 저장실을 규정하는 이너 케이스; 및 상기 얼음 저장실 내에서 상기 바스켓의 상방에 배치되고,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 증발기 및 상기 제빙 증발기의 하방에 배치되는 트레이를 포함하는 제빙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제빙 증발기의 폭방향 일측에서 상기 제빙 증발기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빙 위치와 이빙 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회전축과 나란한 일단부에 연결되는 드레인부를 구비하는,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의 구조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ce storage assembly built into an ice purifier and configured to manufacture, store, and discharge ice, the ice storage assembly including: an inner case defining an ice storage room accommodating a basket in which ice is frozen and stored; and an ice-making module disposed above the basket in the ice storage room and including an ice-making evaporator for manufacturing ice and a tray disposed below the ice-making evaporator; wherein the tray is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e between an ice-making position and an ice-separating position about a rotational axis extending parallel to the ice-making evaporator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ice-making evaporator, and the tray has a drain portion connected to one end parallel to the rotational axis.

상기 제빙 모듈의 구조는 잔수를 수집하는 트레이를 구비하는 것이기만 하면 별도로 제한되지 않는다. 가령, 상기 제빙 모듈은, 트레이에 공급되는 물에 입수되어 얼음을 생성하는 핑거 증발기를 포함하는 핑거식 제빙 모듈, 증발기에 물을 분사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분사식 제빙 모듈, 또는 얼음 틀에 담긴 물을 얼려 얼음을 생성하는 얼음 틀 제빙 모듈일 수 있다.The structure of the above ice-making module is not specifically limited as long as it has a tray for collecting residual water. For example, the ice-making module may be a finger-type ice-making module including a finger evaporator that creates ice by entering water supplied to the tray, a spray-type ice-making module that creates ice by spraying water onto the evaporator, or an ice-tray ice-making module that creates ice by freezing water contained in an ice tray.

이때, 상기 드레인부는, 상기 트레이가 상기 이빙 위치에 놓인 때를 기준으로, 상기 트레이 내의 잔수가 상기 바스켓 내로 떨어지지 못하도록 하는 격벽부, 및 상기 트레이 내의 잔수가 후방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유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rain portion may include a baffle portion that prevents residual water in the tray from falling into the basket when the tray is placed in the ice position, and a flow path portion that guides residual water in the tray to be discharged rearward.

상기 드레인부가 마련됨에 따라, 상기 트레이에 남은 잔수는 상기 바스켓에 보관되는 얼음에 떨어지지 않고, 얼음이 없는 후방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As the above drain portion is provided, the remaining water in the tray can be discharged to the rear space where there is no ice without falling on the ice stored in the basket.

상기 트레이가 상기 제빙 위치에서 상기 이빙 위치로 회동할 때, 상기 드레인부가 상기 제빙 증발기에 형성되는 얼음과 간섭하는 경우, 상기 드레인부 및/또는 얼음이 파손 내지 변형되거나, 상기 트레이의 회동이 제한될 수 있다.When the tray rotates from the ice-making position to the ice-removing position, if the drain portion interferes with ice formed in the ice-making evaporator, the drain portion and/or the ice may be damaged or deformed, or the rotation of the tray may be restricted.

이에, 상기 드레인부는, 상기 제빙 증발기에 형성되는 얼음과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제빙 증발기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반경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drain portion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ce evaporato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so as not to interfere with ice formed in the ice evaporator.

또는, 상기 드레인부는 연질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소재는 실리콘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drain portion may include a soft material. The soft material may include a silicone resin or the like.

상기 드레인부는 상기 트레이와 연결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부와 상기 트레이가 연결된 일체로 형성된다 함은, 상기 드레인부와 상기 트레이가 파손되지 않고는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부가 상기 트레이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상기 드레인부와 상기 트레이는 서로 연질과 경질 등 다른 재질을 가질 수 있다.The above drain portion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tray. The fact that the drain portion and the tray are formed integrally may mean that the drain portion and the tray are connected so that they cannot be separated without being damaged. Even when the drain portion and the tray are formed integrally, the drain portion and the tray may have different materials, such as soft and hard.

상기 드레인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트레이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별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드레인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트레이로부터 탈부착 가능할 수 있다. 가령, 상기 트레이는 경질의 합성수지 사출물로 형성되고, 상기 드레인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트레이의 일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질의 실리콘 수지나 고무 소재의 별도의 부재일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drain portion may be formed as a separate membe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ray. At this time, at least a portion of the drain portion may be detachable from the tray. For example, the tray may be formed of a hard synthetic resin injection molding,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drain portion may be a separate member made of a soft silicone resin or rubber material that is detach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ray.

상기 트레이의 측판은, 상기 트레이가 상기 이빙 위치에 놓인 때를 기준으로, 상기 드레인부를 향하는 제1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빙 시, 상기 트레이에 남은 잔수가 중력에 의하여 상기 드레인부로 유입될 수 있다.The side plate of the above tray can form a first inclined surface facing the drain portion when the tray is placed in the ice-free position. Accordingly, when ice-freezing occurs, residual water remaining in the tray can flow into the drain portion by gravity.

상기 드레인부는, 상기 트레이의 폭방향 타측에 마련될 수 있다. 환언하면, 상기 드레인부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트레이가 상기 제빙 증발기로부터 멀어진 상기 이빙 위치에 놓였을 때, 상기 드레인부는 상기 트레이의 폭방향 일측에 비하여 낮은 위치에 놓이게 되고, 상기 트레이에 남은 잔수는 상기 드레인부로 유입될 수 있다.The above drain portion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ay. In other words, the drain portion may be positioned radially apart from the rotation axis. Accordingly, when the tray is placed in the ice-making position away from the ice-making evaporator, the drain portion is positioned at a lower position tha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ay, and the remaining water in the tray may flow into the drain portion.

이때, 상기 드레인부는 상기 트레이의 폭방향 타측에서 돌출됨으로써, 상기 드레인부로 유입된 잔수가 다시 폭방향 타측으로 흘러 얼음 위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rain portion protrudes from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ay, thereby preventing the remaining water flowing into the drain portion from flowing back to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falling onto the ice.

상기 격벽부는, 상기 트레이가 상기 이빙 위치에 놓인 때를 기준으로, 상기 트레이 내의 잔수가 전방 및 폭방향 타측으로 흐르지 못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격벽부는, 상기 드레인부의 전단부 및 폭방향 타측 단부로부터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baffle portion can restrict residual water within the tray from flowing forward and in the widthwise direction when the tray is placed in the ice position. Specifically, the baffle portion can have a shape extending from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widthwise other end portion of the drain portion.

상기 드레인부는 후방이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때, 상기 유로부는, 상기 트레이가 상기 이빙 위치에 놓인 때를 기준으로, 후방을 향하는 제2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드레인부로 유입된 잔수는 상기 드레인부의 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The above drain portion may have a shape with an open rear end. Preferably, at this time, the flow path portion may form a second inclined surface facing rearward based on the time when the tray is placed in the separation position. Accordingly, the residual water flowing into the drain portion may be discharged to the rear of the drain portion.

상기 드레인부의 후단부는, 잔수를 상기 바스켓을 회피하여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바스켓의 후단부에 비하여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The rear end of the above drain portion may be positioned rearward compared to the rear end of the basket in order to discharge residual water while avoiding the basket.

상기 바스켓에 후방에는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수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로를 따라, 상기 트레이로부터 상기 바스켓의 후방으로 배출된 잔수가 상기 이너 케이스의 저부로 흐를 수 있다.A drainage channel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may be formed at the rear of the basket. Along the drainage channel, residual water discharged from the tray to the rear of the basket may flow to the bottom of the inner case.

이때, 상기 이너 케이스의 저부에는 하방을 향하는 배수구가 마련되어 잔수를 상기 이너 케이스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a downward-facing drain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inner case so that residual water can be discharged outside the inner case.

상기 배수로 및/또는 상기 배수구에는 히터가 마련되어, 상기 배수로 및/또는 상기 배수구가 잔수의 빙결로 인하여 폐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A heater may be provided in the drain and/or the drain outlet, so that the drain and/or the drain outle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locked due to freezing of residual water.

본 발명은, 제빙 과정에서 트레이에 남는 잔수를 얼음이 없는 후방 공간으로 흘려보냄으로써, 잔수로 인한 얼음의 엉김이 방지되는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tructure of an ice storage assembly that prevents ice from clumping due to residual water by allowing residual water remaining in a tray during an ice-making process to flow into a rear space where there is no ice.

본 발명은, 경사가 형성된 트레이를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동작 없이, 이빙을 위한 트레이의 회전 동작만으로 트레이에 남은 잔수를 최대한 배출할 수 있는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of an ice storage assembly that can discharge the remaining water in a tray to the maximum extent possible by simply rotating the tray for ice removal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by having a tray formed with an incline.

본 발명의 또다른 이점은, 히터가 마련됨으로써, 잔수의 빙결로 인한 폐색이 방지되는 잔수 배출 유료를 구비하는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는 데에 있다.Another advant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ructure of an ice storage assembly having a residual water discharge valve that prevents blockage due to freezing of residual water by providing a heat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는, 연질로 형성된 드레인부를 구비함으로써, 이빙 시 얼음에 영향을 받거나 얼음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잔수를 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a tra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rain portion formed softly, thereby enabling discharge of residual water without being affected by or affecting ice during freezing.

이 밖에도 본 발명은 여러 다른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각 실시예에서 설명하거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효과 등에 대해서는 해당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other effects, which will be described in each embodiment, or an explanation of effects that can be easily inferr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be omitted.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1 내지 3의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의 일 단면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 케이스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 케이스의 일 단면을 나타낸다.
도 7은 도 6에서의 냉기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 모듈의 배치 및 구조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 증발기의 고정 구조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에서 드레인부가 제거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11 및 1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가 제빙 위치와 이빙 위치에 놓인 모습을 나타낸다.
도 153는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빙 위치에 놓인 트레이의 일 단면을 나타낸다.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 따른 트레이의 구조를 나타낸다.도 16 및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의 배수 경로를 나타낸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를 내장하는 얼음 정수기를 나타낸다.
배수 경로를 나타낸다.
Figures 1 to 3 illustrate the structure of an ice storage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hows a cross-section of the ice storage assembly of FIGS. 1 to 3.
Figure 5 shows the structure of an inner cas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shows a cross-section of an inner cas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shows the flow of cold air in Figure 6.
Figure 8 shows the arrangement and structure of an ice making modu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shows a fixing structure of an ice evapor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shows a tray with the drain portion remov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1 and 12 respectively illustrate a tra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laced in an ice-making position and an ice-removing position.
FIG. 153 shows a cross-section of a tray placed in a moving 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shows the structure of a tra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shows the structure of a tray according to one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6 and 17 show a drainage path of an ice storage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llustrates an ice purifier having an ice storage assembly built i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dicates the drainage path.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mention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so that those with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practic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judg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비록 제1, 제2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a first component may also be a second component.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each element may be singular or plural.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Hereinafter, the phrase “any configuration is disposed on (or below)” a component or “on (or below)” a component may mean not only that any configuration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r lower surface) of said component, but also that another configuration may be interposed between said component and any configuration disposed on (or below) said component.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dditionally,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one another,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also be "interposed" between the components, or that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hrough other components.

특히, 본 명세서의 냉매 유로에 관한 설명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지난 냉매가 다른 하나의 구성요소에 이어서 흐르도록, 두 구성요소가 이어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도, 직렬 연결된 두 구성요소 사이에는 냉매관, 팽창밸브 등 냉매가 유동하는 통로가 형성된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particular, in the description of the refrigerant path in this specification, 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n “series,” it means that the two components are connected in series so that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one component flows to the other component. Even in this cas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 component that form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such as a refrigerant pipe or expansion valve, may exist between the two components connected in series.

또한,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하나의 구성요소에 연결된 유로와 다른 하나의 구성요소에 연결된 유로가, 냉매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두 구성요소의 상류에서 분지되어, 두 구성요소의 하류에서 합류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냉매 유로는 냉매가 유동하는 배관 하나를 지칭하는 것일 수 있으며, 증발기, 모세관 등 다른 장치와 연결되기 위해 다수 개로 분리된 배관을 하나로 통칭하는 것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냉매 유로는 냉매관, 팽창밸브 등 냉매가 유동하는 통로가 형성된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 있으며, 유로가 분지되는 지점과 합류하는 지점에는 밸브, 연결관 등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and another component are connected in “parallel,” it means that the path connected to one component and the path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ranch off from the upstream of the two components based on the direction of flow of the refrigerant, and join at the downstream of the two components. Meanwhi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refrigerant path may refer to a single pip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and may also collectively refer to a plurality of pipes separated in order to be connected to other devices such as an evaporator and a capillary tube. Specifically, the refrigerant path may be implemented with components in which a passag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is formed, such as a refrigerant pipe and an expansion valve, and components such as valves and connecting pipes may be arranged at the points where the paths branch and joi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various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should be construed as not including some of the components or some of the steps, or may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reference is made to "A and/or B", this means A, B, or A and B, unless otherwise stated, and when reference is made to "C through D", this means C or more and D or les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발명은 얼음을 냉동 보관 및 토출하도록 구성되는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하, 편의상 상기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가 얼음 정수기에 내장되는 경우를 예시하나, 본 발명에 따른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의 구조는, 그 내장되는 기기의 종류를 막론하고, 냉장고나 제빙기 등, 얼음을 제조, 냉동 보관, 및/또는 토출하도록 구성되는 그 어떤 어셈블리에도 적용될 수 있음이 이하의 설명을 통하여 명확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structure of an ice storage assembly configured to freeze and store and discharge ic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the case where the ice storage assembly is built into an ice water purifier is exemplified, but it will be clear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at the structure of the ice storag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y assembly configured to manufacture, freeze and store ice, and/or discharge ice, regardless of the type of device into which it is built, such as a refrigerator or ice mak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모듈 배치 구조][Module layout structure]

이하,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의 대략적인 구조 및 각 모듈의 배치 구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the general structure of an ice storage assembly and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each modu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내고, 도 4는 그 일 단면을 나타낸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IS)는, 제빙 모듈(3)이 배치되고, 얼음이 냉동 보관되는 얼음 저장실(제1격실), 냉기 보급 모듈(4)이 배치되는 냉기 보급실(제2격실), 및 냉수 모듈(5)이 배치되는 냉수 탱크(제3격실)을 규정하는 이너 케이스(1)를 포함할 수 있다.FIGS. 1 to 3 illustrate the structure of an ice storage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llustrates a cross-section thereof. Referring to these drawings, an ice storage assembly (I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ner case (1) defining an ice storage room (first compartment) in which an ice-making module (3) is arranged and ice is frozen and stored, a cold air supply room (second compartment) in which a cold air supply module (4) is arranged, and a cold water tank (third compartment) in which a cold water module (5) is arranged.

상기 이너 케이스(1)는 하나의 사출물과 같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가령, 상기 이너 케이스(1)는 서로 별물로서 인접하는 복수 개의 케이스 포함하거나,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결합하는 격벽을 구비함으로써 복수 개의 격실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inner case (1) above may be formed integrally as a single injection-molded product, or may include a plurality of parts. For example, the inner case (1) may include a plurality of cases that are adjacent to each other as separate parts, or may be configured to form a plurality of compartments by having a main body and a partition wall connected to the main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너 케이스(1)는, 합성수지 사출물 재질의 본체부에, 상기 제1격실(11)과 상기 제2격실(12)을 구획하는 제1격벽(110)이 결합된 형태로서, 상기 제1격실(11)과 상기 제3격실(13)을 구획하는 제2격벽은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case (1)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a first partition wall (110) that divides the first compartment (11) and the second compartment (12) is combined with a main body made of a synthetic resin injection material,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that divides the first compartment (11) and the third compartment (13)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상기 제1 내지 제3격실 (11, 12, 13)은 서로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가령,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격실(12)은 상기 제1격실(11)의 제1수평방향측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3격실(13)은 상기 제1격실(11)의 제2수평방향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격실(13)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림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격실 (11, 12, 13)은 컴팩트하게 배치된 하나의 어셈블리를 구성할 수 있다.The first to third compartments (11, 12, 13) may be arrang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For examp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mpartment (12) may be arranged o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side of the first compartment (11), and the third compartment (13) may be arranged on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side of the first compartment (11).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rd compartment (13) has a slim shape extending in the front-back direction. Accordingly, the first to third compartments (11, 12, 13) may form a compactly arranged single assemb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수평방향은 후방이고, 상기 제2수평방향은 전후“‡향과 교차하는 폭방향 일방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얼음과 냉수가 제조 및 토출되는 상기 제1격실(11)과 상기 제3격실(13)이 사용자가 접근하기 쉬운 전방에 배치되면서도, 상기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IS) 전체가 컴팩트하게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may be rearward, and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may be a width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front-back direction.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first compartment (11) and the third compartment (13) where ice and cold water are manufactured and discharged may be arranged in a front position where the user can easily access them, while the entire ice storage assembly (IS) may be arranged compactly.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격실(13)은 그 일부는 상기 제1격실(11)의 폭방향 일측에 위치하고, 그 나머지는 상기 제2격실(12)의 폭방향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격실(13)은, 상기 제1격실(11) 및 상기 제2격실(12)에 비하여 더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IS)는 전후로 연장된 슬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part of the third compartment (13) may be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compartment (11), and the remainder may be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cond compartment (12). At this time, the third compartment (13) may have a smaller width than the first compartment (11) and the second compartment (12). Accordingly, the ice storage assembly (IS) may have a slim shape that extends forward and backward.

상기 제1격실(11)에는 얼음이 보관될 수 있다. 상기 제1격실(11)에 보관되는 얼음을 전방으로 토출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제1격실(11)은 상기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IS)의 최전방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ce can be stored in the first compartment (11). In order to facilitate the forward discharge of ice stored in the first compartment (11),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ompartment (11) be provided at the frontmost portion of the ice storage assembly (IS).

상기 제1격실(11)은 상기 얼음이 보관되는 바스켓(10)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바스켓(10)은 상기 이너 케이스(1)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제1격실(11)에 재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스켓(10)은 상방이 개방된 형상으로, 상기 제빙 모듈(3)에서 제조되어 떨어지는 얼음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compartment (11) can accommodate a basket (10) in which ice is stored. The basket (10) can be placed in the first compartment (11) so as to be separable from the inner case (1). Specifically, the basket (10) can be configured to have an upper open shape and to receive ice produced and falling from the ice-making module (3).

상기 제1격실(11)에는 상기 제빙 모듈(3)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빙 모듈(3)은 상기 바스켓(10)의 상방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빙 모듈(3)의 구조는 별도로 제한되지 않는다. 가령, 상기 제빙 모듈(3)은, 트레이에 공급되는 물에 입수되어 얼음을 생성하는 핑거 증발기를 포함하는 핑거식 제빙 모듈, 증발기에 물을 분사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분사식 제빙 모듈, 또는 얼음 틀에 담긴 물을 얼려 얼음을 생성하는 얼음 틀 제빙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빙 모듈(3)은 제빙 증발기(30) 및 상기 제빙 증발기(30)에 물을 공급하는 트레이(31)를 포함하는 핑거식 제빙 모듈일 수 있다.The ice-making module (3) may be arranged in the first compartment (11).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ice-making module (3) be provided above the basket (10). The structure of the ice-making module (3)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the ice-making module (3) may be a finger-type ice-making module including a finger evaporator that receives water supplied to a tray and creates ice, a spray-type ice-making module that sprays water into the evaporator to create ice, or an ice mold ice-making module that freezes water contained in an ice mold to create 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making module (3) may be a finger-type ice-making module including an ice-making evaporator (30) and a tray (31) that supplies water to the ice-making evaporator (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얼음이 저장되는 제1격실(11)에 상기 제빙 모듈(3)이 마련됨으로써, 상기 제1격실(11)은 얼음 저장실과 제빙실의 역할을 겸할 수 있고, 이들이 분리된 경우에 비하여 상기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IS) 전체가 보다 컴팩트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ce-making module (3) is provided in the first compartment (11) where ice is stored, the first compartment (11) can function as both an ice storage compartment and an ice-making compartment, and the entire ice storage assembly (IS) can have a more compact shape compared to when they are separated.

상기 제1격실(11)에는 얼음을 외부로 토출하기 위하여 이송하는 오거(62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오거(620)는 상기 제1격실(11)의 저부로부터 얼음을 상방으로 끌어올려 전방으로 토출하기 위하여 전방으로 갈수록 위로 상승하도록 기울여진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1격실(11) 및/또는 상기 바스켓(10)은 그 저면이 전방으로 갈수록 상승하는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격실(11) 및/또는 상기 바스켓(10)의 저면은, 얼음이 중력에 의하여 상기 오거(62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compartment (11) may be provided with an auger (620) for transporting ice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auger (620) may be provided in a tilted state so as to rise upward as it goes forward in order to pull up ice from the bottom of the first compartment (11) and discharge it forward. Correspondingly, the first compartment (11) and/or the basket (10) may have a bottom surface that is inclined so as to rise upward as it goes forward.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ompartment (11) and/or the basket (10) has a shape that is concave downward so that ice can be supplied to the auger (620) by gravity.

상기 제2격실(12) 상기 냉기 보급 모듈(4)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기 보급 모듈(4)은 상기 제2격실(12) 내의 공기를 냉각시켜 상기 제1격실(11)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제1격실(11)에 보관되는 얼음에 냉기를 보급할 수 있다. 상기 냉기 보급 모듈(4)의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냉동 증발기(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냉기 보급 모듈(4)은 냉매관의 표면에 복수 개의 얇은 핀이 구비되는 핀 튜브형 냉동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ld air supply module (4) may be arranged in the second compartment (12). The cold air supply module (4) cools the air in the second compartment (12) and supplies it to the first compartment (11), thereby supplying cold air to ice stored in the first compartment (11). The structure of the cold air supply module (4)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generally include a refrigeration evaporator (4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d air supply module (4) may include a fin tube-type refrigeration evaporator in which a plurality of thin fins are provided on the surface of a refrigerant pipe.

상기 냉동 증발기로부터는 상기 제2격실(12) 외부까지 냉매관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냉매관은 패킹(400)에 의하여 상기 제2격실(12)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킹(400)은 상기 제2격실(12)과 상기 냉매관 사이의 틈을 밀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킹(400)은 상기 제2격실(12)에 마련되는 패킹 홈부(121)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패킹 홈부(121)는 상기 패킹(400)이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격실(12)의 상단부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된 홈 형상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패킹 홈부(121)는, 그 명칭에 구애되지 않고, 상기 제2격실(12)의 측벽을 관통하는 홀 형상일 수도 있다.A refrigerant pipe may be extended from the above-described refrigerant evaporator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compartment (12). The refrigerant pipe may be fixed to the second compartment (12) by a packing (400). In addition, the packing (400) may seal a gap between the second compartment (12) and the refrigerant pipe. At this time, the packing (400) may be mounted in a packing groove (121) provided in the second compartment (1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cking groove (121) may be a groove shape that is sunken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ompartment (12) so that the packing (400) may be mounted. Alternatively, the packing groove (121), regardless of its name, may be a hole shape that penetrates the side wall of the second compartment (12).

상기 제3격실(13)에는 상기 냉수 모듈(5)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수 모듈(5)의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냉각수를 냉각하는 냉수 증발기 및 냉각수에 의하여 냉각되는 냉수 코일을 구비하는 구조가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3격실(13)에는 냉각수가 채워지고, 상기 제3격실(13)에 수용되는 상기 냉수 모듈(5)은 냉수 증발기(50), 냉수 코일(51), 및 냉각수를 교반하여 열 교환을 촉진하는 교반기(51)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ld water module (5) may be placed in the third compartment (13). The structure of the cold water module (5)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generally configured to include a cold water evaporator that cools cooling water and a cold water coil that is cooled by the cooling wat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compartment (13) is filled with cooling water, and the cold water module (5) accommodated in the third compartment (13) may include a cold water evaporator (50), a cold water coil (51), and a stirrer (51) that stirs the cooling water to promote heat exchange.

상기 냉수 증발기로부터는 상기 제3격실(13) 외부까지 냉매관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냉매관은 패킹(500)에 의하여 상기 제3격실(13)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킹(500)은 상기 제3격실(13)과 상기 냉매관 사이의 틈을 밀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킹(500)은 상기 제3격실(13)에 마련되는 패킹 홈부(131)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패킹 홈부(131)는 상기 패킹(500)이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이너 케이스(1)의 상단부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된 홈 형상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패킹 홈부(131)는, 그 명칭에 구애되지 않고, 상기 제3격실(13)의 측벽을 관통하는 홀 형상일 수도 있다.A refrigerant pipe may be extended from the cold water evaporator to the outside of the third compartment (13). The refrigerant pipe may be fixed to the third compartment (13) by a packing (500). In addition, the packing (500) may seal a gap between the third compartment (13) and the refrigerant pipe. At this time, the packing (500) may be mounted in a packing groove (131) provided in the third compartment (13).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cking groove (131) may be a groove shape that is sunken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inner case (1) so that the packing (500) may be mounted. Alternatively, the packing groove (131), regardless of its name, may be a hole shape that penetrates the side wall of the third compartment (13).

상기 이너 케이스(1)는 상기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IS)의 외관을 구성하는 아우터 케이스(2)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2)는 하나 이상의 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이너 케이스(1)의 외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이너 케이스(1)를 수용할 수 있다.The inner case (1) can be accommodated in an outer case (2) that constitutes the exterior of the ice storage assembly (IS). The outer case (2) is made of one or more members and can accommodate the inner case (1) so that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between it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너 케이스(1)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2)의 상단부에 그 상단부가 걸쳐진 형태로 장착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3 격실(11, 12, 13)은 상기 아우터 케이스(2)의 상단부에 걸쳐진 상기 이너 케이스(1)의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된 리세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격실 및 상기 제2격실(11, 12)는 하나의 리세스가 상기 제1격벽(110)에 의하여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3격실(13)은 상기 제1 및 제2 격실(11, 12)과는 서로 다른 리세스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ner case (1) may be mounted in a form in which its upper end is hung over the upper end of the outer case (2), and at this time, the first to third compartments (11, 12, 13) may be formed in a recess shape that is sunken downward from the upper part of the inner case (1) hung over the upper end of the outer case (2).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compartment and the second compartment (11, 12) may be formed by having one recess partitioned by the first partition (110), and the third compartment (13) may be formed as a recess tha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and second compartments (11, 12).

상기 아우터 케이스(2)와 상기 이너 케이스(1) 사이에는 케이스 단열재(2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단열재(20)는 상기 이너 케이스(1)의 외면 및/또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2)의 내면에 부착되거나, 그 사이에 개재되는 진공 단열재 등을 포함할 수도 있고, 상기 이너 케이스(1)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2) 사이의 공간에 충진되는 발포 단열재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A case insulation material (2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outer case (2) and the inner case (1). The case insulation material (20) may include a vacuum insulation material, etc.,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 and/or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2), or interposed therebetween, or may include a foam insulation material, etc., fi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case (1) and the outer case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모듈이 수용되는 격실이 서로 분리되어 배치되어 독립적으로 단열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 개의 격실(11, 12, 13)로 구획되는 하나의 이너 케이스(1) 전체가 외단열됨으로써, 공간 활용성 및 에너지 효율이 제고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the compartments in which each module is accommodated being arrang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and independently insulated, the entire inner case (1)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ompartments (11, 12, 13) is externally insulated, thereby improving space utilization and energy efficiency.

상기 제1격실(11)의 전방에는 전면부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전방 케이스(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방 케이스(6)는 전후로 연장되는 측벽부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측벽부의 전후로 연결되는 전면 커버 및 후면 커버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방 케이스(6)는 상기 제1격실(11)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별도의 내부 공간을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 front case (6) forming a front assembly may be installed in front of the first compartment (11). The front case (6) may have side walls extending forward and backward, and may have a front cover and a rear cover connected forward and backward to the side walls. Accordingly, the front case (6) may be formed to have a separate internal space protruding forward from the front of the first compartment (11).

상기 전방 케이스(6)는 그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이너 케이스(1) 및/또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2)와 별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가령, 상기 전방 케이스는 상기 이너 케이스(1) 및/또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2)의 전방에 연결되는 별물일 수도 있으며, 상기 이너 케이스(1) 및/또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2)의 전면이 돌출되어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또는 가령, 상기 전방 케이스(6)의 상기 후면 커버가 상기 이너 케이스(1) 및/또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2)의 전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상기 전방 케이스(6)에는 상기 제1격실(11) 내의 얼음이 이송되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는 디스펜서가 구비될 수 있다.The front case (6) may be formed as a separate body, or may be formed as an integral body, in whole or in part from the inner case (1) and/or the outer case (2). For example, the front case may be a separate body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inner case (1) and/or the outer case (2), or may be formed by protruding the front of the inner case (1) and/or the outer case (2). Or, for example, the rear cover of the front case (6) may form part or all of the front of the inner case (1) and/or the outer case (2). The front case (6) may be equipped with a dispenser that can transport ice within the first compartment (11) and discharge it to the outside.

[격벽 및 덕트 구조][Bulkhead and duct structure]

이하, 도 5 내지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의 격실 구획 및 연통 구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the compartment partition and communication structure of the ice storage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 케이스의 구조를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 케이스의 일 단면을 나타낸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너 케이스(1)는, 상기 제1격실(11)과 상기 제2격실(12)을 구획하는 제1격벽(110)을 포함할 수 있다.Fig. 5 shows the structure of an inner cas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shows a cross-section of an inner cas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inner case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partition wall (110) that divides the first compartment (11) and the second compartment (12).

상기 제1격벽(110)은, 상기 이너 케이스(1)의 외관을 구성하는 부재와 서로 별개의 부재로서 상기 이너 케이스(1)에 포함되는 것일 수도 있고, 상기 이너 케이스(1)의 외관을 이루는 부재와 일체를 이루는 어느 한 부분일 수도 있다.The first bulkhead (110) may be included in the inner case (1) as a separate member from the member forming the outer appearance of the inner case (1), or may be a part integral with the member forming the outer appearance of the inner case (1).

상기 제1격벽(110)은 상기 제1격실(11)과 상기 제2격실(12)을 부분적으로 연통시키는 제1덕트(1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격벽(110)에 상기 제1덕트가 마련됨에 따라, 상기 제1격실(11)과 상기 제2격실(12)이 서로 구획되면서도, 상기 제2격실(12)에 배치된 상기 냉기 보급 모듈(4)로부터 상기 제1격실(11)로 냉기가 보급될 수 있다.The first bulkhead (110)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duct (111) that partially connects the first compartment (11) and the second compartment (12). As the first duct is provided in the first bulkhead (110), the first compartment (11) and the second compartment (12) ar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and cold air can be supplied to the first compartment (11) from the cold air supply module (4) arranged in the second compartment (1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IS)는, 사용자가 얼음 저장실을 청소하거나 얼음이 낀 경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격실(11)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냉동 증발기(40)의 표면은 저온으로 유지되고, 날카로운 금속제의 핀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2격실(12)로부터 상기 제1격실(11)로 냉기를 통과시키면서도, 사용자가 상기 제1격실(11)로부터 상기 제2격실(12)로 접근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제1덕트(111)는 메쉬 형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쉬 형상이란,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통과할 수 없을 정도의 작은 망목의 홀들이 다수 배열된 형상을 의미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팬에 의한 안전 사고 역시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 storage assembly (IS) may be configured so that a user can open and close the first compartment (11) to clean the ice storage or to resolve ice formation. However, the surface of the freezer evaporator (40) is maintained at a low temperature and may be provided with sharp metal fins. Accordingly, in order to allow cold air to pass from the second compartment (12) to the first compartment (11) while restricting a user from accessing the first compartment (11) to the second compartment (12),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duct (111) includes a mesh shape. The mesh shape may mean a shape in which a large number of small mesh holes are arranged so that a user's fingers, etc. cannot pass through. This can also prevent a safety accident caused by a fa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1덕트(111)는 상기 제1격벽(110)의 적어도 상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차가운 공기는 아래로 흐르는 성질이 있으므로, 상기 제1덕트(111)를 통하여 상기 제1격실(11)에 공급된 냉기는 아래로 흘러 상기 제1격실(11)에 보관되는 얼음을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덕트(111)는 상기 제1격벽(110)의 상반부에만 마련될 필요는 없으며, 상기 제1격벽(110)의 상반부로부터 하반부까지 연장될 수도 있다.The first duct (111) may be provided at least in the upper half of the first bulkhead (110). Since cold air tends to flow downward, the cold air supplied to the first compartment (11) through the first duct (111) flows downward and can efficiently cool the ice stored in the first compartment (11). At this time, the first duct (111) does not need to be provided only in the upper half of the first bulkhead (110), and may extend from the upper half to the lower half of the first bulkhead (110).

상기 냉기 보급 모듈(4)은, 상기 제1덕트(111)를 통하여 상기 제2격실(12)의 냉기를 상기 제1격실(11)로 송풍하는 팬(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41) 역시, 상기 제1덕트(111)가 상기 제1격벽(110)의 상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냉동 증발기(40)의 상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팬(41)은 상기 제2격실(12)의 하부에 가라앉는 냉기를 끌어올려 상기 제1덕트(111)를 통하여 상기 제1격실(11)로 송풍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팬(41)은, 상기 냉동 증발기(40)의 상하방에 모두 배치되거나, 높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열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cold air supply module (4) may include a fan (41) that blows cold air from the second compartment (12) to the first compartment (11) through the first duct (111). The fan (41) is also preferably positioned above the refrigerated evaporator (40), just as the first duct (111) is preferably positioned at the upper half of the first bulkhead (110). Accordingly, the fan (41) can pull up cold air that settles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ompartment (12) and blow it to the first compartment (11) through the first duct (111). At this time, the fans (41) may be arranged both above and below the refrigerated evaporator (40), or may be arranged in multiple numbers in the height direction.

상기 팬(41)이 상기 냉동 증발기(40)에 접촉하거나 너무 가깝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팬(41)에 성에가 발생 내지 성장하여 상기 팬(41)의 동작에 간섭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팬(41)은 이러한 성에의 생성을 방지하기 위한 히터나 단열재 등을 구비하거나, 상기 냉동 증발기(40)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fan (41) is in contact with or placed too close to the refrigerated evaporator (40), frost may be generated or grown on the fan (41) and may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of the fan (41). To prevent this, it is preferable that the fan (41) be provided with a heater or insulation material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such frost, or be plac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up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refrigerated evaporator (40).

이하, 상기 팬(41)에 관하여, 공기가 상기 팬(41)을 통과하는 방향을 송풍 방향으로, 상기 송풍 방향에 교차하는 상기 팬(410)의 일면을 송풍면으로 정의한다.Hereinafter, with respect to the fan (41), the direction in which air passes through the fan (41) is defined as the blowing direction, and one surface of the fan (410) intersecting the blowing direction is defined as the blowing surf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환언하면, 상기 팬(41)은 상기 냉동 증발기(40)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팬(41)은, 그 송풍면이 상기 냉동 증발기(40)과 마주보지 않으면서도 상기 냉동 증발기(40)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기로 인하여 상기 팬(41)의 표면에 성에가 생성 내지 성장함에 따른 구동부의 구속이나 고장이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words, the fan (41) may be placed in an erected state with respect to the refrigerated evaporator (40). At this time, the fan (41) may be placed so that its airflow surface does not face the refrigerated evaporator (40) but is adjacent to the refrigerated evaporator (40). Accordingly, the restraint or failure of the driving unit due to the formation or growth of frost on the surface of the fan (41) due to cold air may be prevent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팬(41)은 그 송풍 방향이 상기 제1격벽(110)의 법선방향과 실질적으로 나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때, 상기 팬(41)의 송풍면은 상기 제1격벽(110)과 대면 내지 대향할 수 있으며, 그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덕트(111)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팬(41)에 의하여 상기 제1덕트(111)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이 증대되므로, 상기 제2격실(12)로부터 상기 제1격실(11)로 냉기가 유입되는 속도도 빨라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an (41) may be arranged so that its blowing direction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normal direction of the first partition wall (110). In addition, at this time, the blowing surface of the fan (41) may face or be opposite to the first partition wall (110), and may be arranged so that at least a portion thereof overlaps the first duct (111)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this case, since the flow rate of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duct (111) is increased by the fan (41), the speed at which cold air is introduced from the second compartment (12) to the first compartment (11) may also be increased.

일 변형예에서, 상기 팬(41)은 그 송풍 방향이 높이방향과 실질적으로 나란할 수 있다. 즉, 이때, 상기 팬(41)은 그 송풍면이 상기 냉동 증발기(40)의 상면과 대면 내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냉동 증발기(40)의 냉기로 인한 성에의 생성 및 성장에 의하여 상기 팬(41)이 구속되거나 고장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팬(41)은 상기 냉동 증발기(40)와 충분한 이격 거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variation, the fan (41) may have its airflow direction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height direction. That is, at this time, the fan (41) may be arranged so that its airflow surface faces or faces the upper surface of the refrigerated evaporator (40). In this case, in order to prevent the fan (41) from being restrained or broken due to the generation and growth of frost caused by the cold air of the refrigerated evaporator (40),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fan (41) have a sufficient distance from the refrigerated evaporator (40).

상기 제1격벽(110)의 적어도 하반부에는, 상기 제1격실(11) 하부의 공기를 상기 제2격실(12)로 돌려보내는 제2덕트(112)가 마련될 수 있다.A second duct (112) may be provided in at least the lower half of the first bulkhead (110) to return air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compartment (11) to the second compartment (12).

도 7은 도 6에서의 냉기의 흐름을 나타낸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제1덕트(111) 및 상기 제2덕트(112)가 상기 제1격실(11)과 상기 제2격실(12)을 서로 다른 위치에서 연통시킴으로써, 상기 제1덕트(111)를 통하여 상기 제1격실(11)로 유입되어 얼음에 냉기를 보급한 후의 공기가 상기 제2덕트(112)를 통하여 상기 제2격실(12)로 재유입 및 재냉각되어 재차 상기 제1덕트(111)를 통하여 상기 제1격실(11)로 공급되는, 냉기의 순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덕트(112)는 상기 제1격벽(110)의 하반부에만 마련될 필요는 없으며, 상기 제1격벽(110)의 하반부로부터 상반부까지 연장될 수도 있다. 가령, 상기 제1덕트(111)와 상기 제2덕트(112)는 연결되어, 상기 제1격벽(110)의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연장되는 하나의 덕트를 구성할 수도 있다.Fig. 7 shows the flow of cold air in Fig. 6. Referring to this, the first duct (111) and the second duct (112) connect the first compartment (11) and the second compartment (12) at different locations, so that air that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compartment (11) through the first duct (111) and supplies cold air to ice, and then is re-introduced and re-cooled into the second compartment (12) through the second duct (112) and then supplied to the first compartment (11) again through the first duct (111), thereby forming a cold air circulation path. At this time, the second duct (112) does not have to be provided only in the lower half of the first bulkhead (110), and may extend from the lower half to the upper half of the first bulkhead (110). For example, the first duct (111) and the second duct (112) may be connected to form a single duct extend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first bulkhead (110).

이때, 상기 바스켓(10)의 저면 및 상기 제1수평방향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상기 바스켓(10)을 내외로 관통하는 바스켓 홀(101)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 홀(101)은 메쉬 형상으로 복수 개가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111)를 통하여 상기 제1격실(11)로 공급되어 얼음에 냉기를 보급하며 얼음 사이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바스켓 홀(101)을 통과하여 재차 상기 제2격실(12)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얼음을 기준으로 상기 바스켓(10)의 상하 양방이 연통됨으로써 냉기가 얼음을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basket hole (101) penetrating the basket (10) inside and outside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first horizontal side surface of the basket (10). The basket holes (101) may be arranged in a plurality of mesh shapes. Cold air is supplied to the first compartment (11) through the first duct (111) to supply cold air to the ice, and air passing through the ice may pass through the basket hole (101) and then flow into the second compartment (12) again. That is, a path for cold air to pass through the ice may be formed by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asket (10) based on the ice.

상기 냉기 보급 모듈(4)은 상기 냉동 증발기(40)의 표면을 가열하는 제상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동 증발기(40)의 표면에는 습기로 인한 성에가 발생 내지 성장할 수 있고, 이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얼음의 성장에 의한 구동부의 구속 내지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냉동 증발기(40)는 팽창밸브를 통하지 않고 공급되는 냉매인 핫 가스를 공급받음으로써 그 표면의 성에를 제거할 수도 있다.The above-mentioned cold air supply module (4) may include a defrosting heater that heats the surface of the above-mentioned refrigerating evaporator (40). Frost may occur or grow on the surface of the above-mentioned refrigerating evaporator (40) due to moisture, and if defrosting is not performed to remove the frost, the growth of the ice may cause the driving unit to become restricted or malfunction. Alternatively, the above-mentioned refrigerating evaporator (40) may remove the frost on its surface by receiving hot gas, which is a refrigerant supplied without passing through an expansion valve.

특히 이와 같이 상기 냉기 보급 모듈(4)이 상기 제상 히터와 같은 제상 수단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제1격벽(110)은 상기 제1격실(11)과 상기 제2격실(12) 간을 단열하는 단열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단열재로는 진공 단열재나 폴리우레탄 폼 등을 포함하는 알려진 단열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냉동 증발기(40)의 표면을 가열하는 열이 상기 제1격실(11)로 전도됨으로써 상기 제1격실(11)의 온도가 높아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냉동 증발기(40)가 제상을 위하여 가열될 때는, 상기 제1격실(11)로 열이 대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팬(41)은 작동하지 않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when the cold air supply module (4) is provided with a defrosting means such as the defrosting heater, the first partition wall (110) may be provid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that insulates between the first compartment (11) and the second compartment (12). As the insulating material, a known insulating material including a vacuum insulating material or polyurethane foam may be used. Accordingly, the heat that heats the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evaporator (40) is conducted to the first compartment (11), thereby preventing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compartment (11) from increasing. When the refrigerating evaporator (40) is heated for defrost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fan (41) is controlled not to operate in order to prevent heat from convecting to the first compartment (11).

한편, 상기 이너 케이스(1)의 저부에는 배수구(14)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수구(14)는 상기 이너 케이스(1)의 외부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배수구(14)를 통하여, 상기 냉동 증발기(40) 및/또는 상기 제빙 증발기(30)의 표면에 형성된 성에가 녹아 생성되는 제상수가 상기 이너 케이스(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배수구(14)는 드레인 탱크나 드레인 유로에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a drain (14)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inner case (1). The drain (14) may b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inner case (1). Through the drain (14), the defrost water generated by melting the frost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evaporator (40) and/or the ice-making evaporator (3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inner case (1). The drain (14) may be connected to a drain tank or a drain path.

상기 이너 케이스(1)는 상기 제1격실 및 과 상기 제3격실을 구획하는 제2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격벽(120)은, 상기 이너 케이스(1)의 외관을 구성하는 부재와 서로 별개의 부재로서 상기 이너 케이스(1)에 포함되는 것일 수도 있고, 상기 이너 케이스(1)의 외관을 이루는 부재와 일체를 이루는 어느 한 부분일 수도 있다.The inner case (1) may include a second partition wall that divides the first compartment and the third compartment. The second partition wall (120) may be included in the inner case (1) as a separate member from the member forming the outer appearance of the inner case (1), or may be a part that is integral with the member forming the outer appearance of the inner case (1).

상기 제3격실(13)에 채워지는 냉각수는 액상으로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제3격실(13)의 온도는 상기 제1격실(11)의 온도보다는 높게 유지될 필요가 있으므로, 상기 제2격벽(120)은 상기 제1격실(11)과 상기 제3격실(13) 간을 단열하는 단열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cooling water filled in the third compartment (13) must be maintained in a liquid state, the temperature of the third compartment (13) needs to be maintained high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compartment (11), so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bulkhead (120) be provid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that insulates between the first compartment (11) and the third compartment (1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얼음 저장실, 냉기 보급 모듈, 및 냉수 모듈이 서로 수평방향으로 컴팩트하게 배치됨으로써 공간 활용성이 제고된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 및 이를 내장하는 얼음 정수기의 구조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3격실 (11, 12, 13)은 상기와 같이 서로 연통되거나 단열됨으로써, 하나의 어셈블리로서 상기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IS)의 열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ce storage assembly and an ice water purifier including the same are provided, in which an ice storage room, a cold air supply module, and a cold water module are compactly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enhance space utilization. At this time, the first to third compartments (11, 12, 1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or insulated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thermal efficiency of the ice storage assembly (IS) as a single assembly can be increased.

[제빙 모듈 및 제빙 증발기의 구조][Structure of ice making module and ice making evaporator]

이하, 도 8 및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 모듈 및 제빙 증발기의 고정 구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the fixing structure of the ice making module and the ice making evapor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 모듈의 배치 및 구조를 나타낸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제1격실(11)의 상부에는 상기 제빙 모듈(3)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빙 모듈(3)은, 물을 냉각하여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 증발기(30), 및 상기 제빙 증발기(30)에 물을 공급하며, 잔수를 처리하는 트레이(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31)의 상방에는, 상기 트레이(31)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 배관(32)의 일단부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급수 배관(32)은 상기 이너 케이스(1)로부터 상기 트레이(31) 측으로 돌출 연장될 수 있다.FIG. 8 shows the arrangement and structure of an ice-making modu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is, the ice-making module (3) may be arrang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mpartment (11). The ice-making module (3)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ce-making evaporator (30) that cools water to make ice, and a tray (31) that supplies water to the ice-making evaporator (30) and processes residual water. One end of a water supply pipe (32) that supplies water to the tray (31) may be positioned above the tray (31). The water supply pipe (32) may protrude and extend from the inner case (1) toward the tray (31).

상기 제빙 증발기(3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분지되어 연장되는 복수 개의 핑거부를 구비하는 핑거식 증발기일 수 있다. 상기 연장부의 일단에는 냉매의 유입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관이 각각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빙 증발기(30)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핑거부에서 열을 흡수한 뒤 배출됨으로써 상기 핑거부를 냉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빙 증발기(30)는 상기 핑거부가 상기 트레이(31)에 공급되는 물에 침지되어 그 주변의 물을 냉각하는 방식으로 얼음을 제조할 수 있다.The ice evaporator (30) may be a finger-type evaporator having an extens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finger portions extend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extension portion. A pipe for introducing and discharging refrigerant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and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ice evaporator (30) may absorb heat from the finger portion and then be discharged, thereby cooling the finger portion. Accordingly, the ice evaporator (30) may produce ice by immersing the finger portion in water supplied to the tray (31) to cool the water around it.

상기 제빙 증발기(30)는 얼음을 살짝 녹여 떨어뜨리는 이빙 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그 표면이 가열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령, 상기 제빙 모듈(3)은 상기 제빙 증발기(30)의 표면을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빙 증발기(30)는 차가운 냉매뿐 아니라 비교적 고온의 핫 가스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above ice evaporator (30) may be configured so that its surface can be heated in order to perform a process of slightly melting and dropping ice. For example, the ice module (3) may include a heater that heats the surface of the ice evaporator (30). Alternatively, the ice evaporator (30) may be configured so that it can selectively receive not only cold refrigerant but also relatively high-temperature hot gas.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 증발기의 고정 구조를 나타낸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제빙 증발기(30)는 그 길이방향 양단부가 상기 제1격실(11)에 마련되는 한 쌍의 안착부(113)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빙 증발기(30)가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짐에 따라, 상기 제빙 증발기(30)는 그 양단부에서 지지되는 것이 구조적 안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안착부(113)는 그 상면이 상기 제빙 증발기(30)의 저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져 상기 제빙 증발기(30)의 조립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제빙 증발기(30)의 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Fig. 9 shows a fixing structure of an ice evapor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is, the ice evaporator (30) can be fixed to a pair of fixing members (113) provided at both ends in the first compartment (11) at its longitudinal ends. Since the ice evaporator (30) has an elongated shape, it is preferable for the ice evaporator (30) to be supported at both ends in terms of structural stability. The fixing members (113) have a shape in which the upper surface thereof corresponds to the lower surface of the ice evaporator (30), and can guide the assembly position of the ice evaporator (30) while stably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ice evaporator (30).

상기 제빙 증발기(30)은 그 상방에 장착되는 브라켓(300)과 상기 안착부(113)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300)은, 상기 안착부(113)의 폭방향 양측에서 고정될 수 있고, 상기 브라켓(300)의 상면과 대응하는 형상의 저면을 구비하여 상기 제빙 증발기(30)의 상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above ice evaporator (30) can be fixed by being interposed between the bracket (300) mounted on its upper side and the mounting portion (113). The bracket (300) can be fixed on both sides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mounting portion (113), and has a bottom surfac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300) to stably support the upper portion of the ice evaporator (30).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브라켓(300)은, 상기 안착부(113)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돌출된 본체부(300a) 및 상기 본체부의 상단부로부터 폭방향 양측으로 연장된 날개부(30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300a)는 상기 안착부(113)에 삽입되어 그 저면이 상기 제빙 증발기(30)의 상부를 하방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날개부(300b)는 상기 이너 케이스(1)의 상단부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본체부(300a)를 하방으로 고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racket (3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in body (300a) that protrudes downwar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portion (113) and wing portions (300b) that extend in both width directions from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The main body (300a) may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portion (113) so that its lower surface may support the upper portion of the ice evaporator (30) downward, and the wing portions (300b) may be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inner case (1) to fix the main body (300a) downward.

이때, 상기 안착부(113)는, 상기 본체부(300a)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상기 이너 케이스(1)의 상단부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된 제1안착부(113a) 및 상기 날개부(300b)에 대응하는 제2안착부(11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안착부(113b)는 상기 날개부(300b)의 두께에 대응하는 깊이로 상기 이너 케이스(1)의 상단부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됨으로써, 상기 이너 케이스(1)의 상단부를 평탄하게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날개부(300b) 및 상기 제2안착부(113b)의 테두리 형상은 서로 대응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xing portion (113) may include a first fixing portion (113a) that is sunken down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case (1)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main body portion (300a) and a second fixing portion (113b) that corresponds to the wing portion (300b). The second fixing portion (113b) may be sunken down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case (1) to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wing portion (300b), thereby allowing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case (1) to be flatly connected. The edge shapes of the wing portion (300b)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113b) may correspond to each other.

상기 날개부(300b) 및 상기 제2안착부(113b)는 각각 소정의 체결 홀을 구비할 수 있고, 볼트 등 소정의 체결 부재가 이들을 관통하며 체결됨으로써 서로 결합될 수 있다.The above wing portion (300b)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113b) may each b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fastening hole, and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 passing through them and fastening them.

[트레이 및 드레인부의 구조][Structure of tray and drain section]

이하, 도 10 내지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부를 구비하는 잔수 트레이의 구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5, the structure of a residual water tray having a drain por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에서 드레인부가 제거된 모습을 나타낸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트레이(31)는 상기 제빙 증발기(30)에 얼음의 원료가 되는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용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31)는 전체적으로, 상기 제빙 증발기(30)와 마찬가지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Fig. 10 shows a tra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drain portion removed. Referring to this, the tray (31) may be formed as a container capable of supplying water, which is a raw material for ice, to the ice evaporator (30). The tray (31) may have a shape that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a whole, similar to the ice evaporator (30).

상기 트레이(31)는 그 폭방향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회전축(31A)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트레이(31)는, 상기 제빙 증발기(30)의 하방의 제빙 위치와 상기 제빙 증발기(30)의 하방을 회피하는 이빙 위치 사이에서 회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above tray (31) may be configured to rotate around a rotation axis (31A)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width direction. Specifically, the tray (31) may be configured to rotate between an ice-making position below the ice-making evaporator (30) and an ice-moving position that avoids the lower side of the ice-making evaporator (30).

상기 제빙 증발기(30)에 얼음이 형성된 후, 상기 트레이(31)가 상기 제빙 위치로부터 상기 이빙 위치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트레이(31)는 상기 제빙 증발기(30)의 하방을 회피할 수 있고, 이후 상기 제빙 증발기(30)가 가열됨으로써, 생성된 얼음이 일부 녹아 상기 바스켓(10) 내부로 떨어질 수 있다.After ice is formed in the ice evaporator (30), as the tray (31) rotates from the ice-making position to the ice-removing position, the tray (31) can avoid the lower part of the ice evaporator (30), and then as the ice evaporator (30) is heated, some of the formed ice can melt and fall into the inside of the basket (10).

도 11 및 1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가 제빙 위치와 이빙 위치에 놓인 모습을 나타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빙 위치에 놓인 트레이의 일 단면을 나타낸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트레이(31)는, 상기 회전축(31A)과 나란한 일단부에 연결되는 드레인부(31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드레인부(310)는 상기 트레이(31)의 폭방향 타측 상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Figures 11 and 12 respectively illustrate a tra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laced in an ice-making position and an ice-separating position, and Figure 13 illustrates a cross-section of a tray placed in an ice-separating 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tray (31) may be provided with a drain portion (310) connected to one end parallel to the rotation shaft (31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in portion (310) may b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ay (31).

상기 드레인부(310)는 얼음을 제조한 후 상기 트레이(31)에 남는 잔수를 상기 바스켓(10)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드레인부(310)는 잔수가 상기 바스켓(10) 내로 떨어지지 못하게 막는 격벽부(311) 및 잔수를 후방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유로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트레이(31)에 남는 잔수가 얼음이 없는 상기 바스켓(10)의 후방으로 배출될 수 있고, 잔수의 빙결로 인한 얼음의 엉김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The above drain portion (310) may be formed so that the remaining water in the tray (31) after making ic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asket (10). Specifically, the drain portion (310) may include a baffle portion (311) that prevents the remaining water from falling into the basket (10) and a flow path portion (312) that guides the remaining water to flow to the rear. Accordingly, the remaining water in the tray (31) can be discharged to the rear of the basket (10) where there is no ice, and the phenomenon of ice clumping due to freezing of the remaining water can be prevented.

상기 트레이(31)가 상기 제빙 위치에서 상기 이빙 위치로 회동할 때, 상기 드레인부(310)가 상기 제빙 증발기(30)에 형성되는 얼음과 간섭하는 경우, 상기 드레인부(310) 및/또는 얼음이 파손 내지 변형되거나, 상기 트레이(31)의 회동이 제한될 수 있다.When the tray (31) rotates from the ice-making position to the ice-removing position, if the drain part (310) interferes with ice formed in the ice-making evaporator (30), the drain part (310) and/or the ice may be damaged or deformed, or the rotation of the tray (31) may be restricted.

이에, 상기 드레인부(310)는, 상기 제빙 증발기(30)에 형성되는 얼음과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제빙 증발기(30)로부터 상기 회전축(31A)의 반경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환언하면, 상기 드레인부(310)에서 상기 회전축(31A)에 가장 가까운 부위는, 상기 제빙 증발기(30)에서 상기 회전축(31A)에서 가장 먼 부위에 비하여, 상기 회전축(31A)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더 멀리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rain portion (31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ce evaporator (3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31A) so as not to interfere with ice formed in the ice evaporator (30). In other words, the portion of the drain portion (310) closest to the rotation axis (31A) may be located radially farther from the rotation axis (31A) than the portion of the ice evaporator (30) that is farthest from the rotation axis (31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드레인부(310)는, 얼음의 파손 내지 변형을 방지하고, 상기 트레이(31)의 회동에 간섭되지 않기 위하여, 연질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소재는 실리콘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in part (310) may include a soft material to prevent ice from being broken or deformed and to not interfere with the rotation of the tray (31). The soft material may include silicone resin, etc.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구조를 나타낸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드레인부(31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트레이(31)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별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드레인부(31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트레이(31)로부터 탈부착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레이(31)는 경질의 합성수지 사출물로 형성되고, 상기 드레인부(310)는 상기 트레이(31)의 일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질의 실리콘 수지나 고무 소재의 별도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FIG. 14 shows the structure of a tra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is, at least a part of the drain portion (3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as a separate membe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ray (31). At this time, at least a part of the drain portion (310) may be detachable from the tray (3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y (31) is formed as a hard synthetic resin injection-molded product, and the drain portion (310) may include a separate member made of a soft silicone resin or rubber material that is detach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ray (31).

도 15는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 따른 트레이의 구조를 나타낸다. 이를 참조하면, 일 변형예에 따른 상기 드레인부(310)는 상기 트레이(31)와 연결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부(310)와 상기 트레이(31)가 연결된 일체로 형성된다 함은, 상기 드레인부(310)와 상기 트레이(31)의 나머지 부위가 파손되지 않고는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부(310)가 상기 트레이(31)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상기 드레인부(310)와 상기 트레이(31)는 서로 연질과 경질 등 다른 재질을 가질 수 있다.도 13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트레이(31)의 측판은, 상기 트레이(31)가 상기 이빙 위치에 놓인 때를 기준으로, 상기 드레인부(310)를 향하는 제1경사면(31S)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빙 시, 상기 트레이(31)에 남은 잔수가 중력에 의하여 상기 드레인부(31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레인부(310)는 이빙 시 하강하는 상기 트레이(31)의 폭방향 일단부의 상단부에서 돌출됨으로써, 상기 드레인부(310)로 유입된 잔수가 상기 바스켓(10) 측으로흘러 얼음 위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IG. 15 shows the structure of a tray according to one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is, the drain part (310) according to one modified example may be formed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tray (31). The fact that the drain part (310) and the tray (31) are formed integrally may mean that the drain part (310) and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tray (31) are connected so that they cannot be separated without being damaged. Even when the drain part (31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tray (31), the drain part (310) and the tray (31) may have different materials, such as soft and hard. Referring again to FIG. 13, the side plate of the tray (31) may form a first inclined surface (31S) facing the drain part (310) based on the time when the tray (31) is placed in the separation position. Accordingly, when ice is being moved, the remaining water in the tray (31) can flow into the drain part (310) by gravity. At this time, the drain part (310) protrudes from the upper end of one end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ay (31) that descends when ice is being moved, thereby preventing the remaining water that flows into the drain part (310) from flowing toward the basket (10) and falling onto the ice.

상기 격벽부(311)는, 상기 트레이(31)가 상기 이빙 위치에 놓인 때를 기준으로, 상기 트레이(31) 내의 잔수가 전방 및 상기 바스켓(10) 측으로 흐르지 못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격벽부(311)는, 상기 드레인부(310)의 전단부 및 상기 바스켓(10) 측 폭방향 일단부로부터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partition wall (311) can restrict the residual water in the tray (31) from flowing forward and toward the basket (10) when the tray (31) is placed at the ice position. Specifically, the above-mentioned partition wall (311) can have a shape that extends from the front end of the drain portion (310) and one 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ket (10).

도 10, 11, 및 14를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유로부(312)는 상기 트레이(31)와 일체로 형성된 제1유로부(312a) 및 상기 제1유로부(312a)에 연결되는 별물의 제2유로부(31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유로부(312a)에는 상기 트레이(31)의 폭방향 일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제2유로부(312b)는 상기 제1유로부(312a)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별물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격벽부(311)는 상기 제2유로부(312a)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부(312a)와 상기 제2유로부(312b)는 상기 제1유로부(312a)에 마련되는 결합 홀(3120a)에 상기 제2유로부(312b)에 마련되는 결합 돌기(3120b)가 삽입됨으로써 결합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S. 10, 11, and 14, the flow path (31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flow path (312a) formed integrally with the tray (31) and a second flow path (312b) that is a separate body connected to the first flow path (312a). At this time, the first flow path (312a) may extend upward from one end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ay (31), and the second flow path (312b) may be a separate body that extend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flow path (312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rtition wall (311) may extend from the second flow path (312a). The first flow portion (312a) and the second flow portion (312b) can be joined by inserting a joining projection (3120b) provided in the second flow portion (312b) into a joining hole (3120a) provided in the first flow portion (312a).

이때, 상기 드레인부(310)는 후방이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때, 상기 유로부(312)는, 상기 트레이(31)가 상기 이빙 위치에 놓인 때를 기준으로, 후방을 향하는 제2경사면(312S)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드레인부(310)로 유입된 잔수는 상기 드레인부(310)의 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rain part (310) may have a shape with an open rear. Preferably, at this time, the flow path part (312) may form a second inclined surface (312S) facing rearward based on the time when the tray (31) is placed in the separation position. Accordingly, the residual water flowing into the drain part (310) may be discharged to the rear of the drain part (310).

상기 드레인부(310)의 후단부는, 잔수를 상기 바스켓(10)을 회피하여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바스켓(10)의 후단부에 비하여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The rear end of the above drain portion (310) may be positioned rearward compared to the rear end of the basket (10) in order to discharge residual water while avoiding the basket (10).

도 15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일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제빙 위치에 놓인 때를 기준으로, 상기 유로부(312)는 상기 트레이(31)의 측판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격벽부(311)는 상기 유로부(312)에서 상기 제빙 증발기(30)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15,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odified example, when placed in the ice-making position, the flow path (312) may extend upward from the side plate of the tray (31), and the baffle portion (311) may protrude from the flow path (312) in a direction facing the ice-making evaporator (30).

[배수 경로][Drainage path]

이하, 도 16 및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의 잔수 배수 경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6 and 17,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residual water drainage path of an ice storage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 및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의 배수 경로를 나타낸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바스켓(10)에 후방에는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수로(1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로(114)를 따라, 상기 트레이(31)로부터 상기 바스켓(10)의 후방으로 배출된 잔수가 상기 이너 케이스(1)의 저부로 흐를 수 있다.Figures 16 and 17 illustrate a drainage path of an ice storage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is, a drainage channel (114)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may be formed at the rear of the basket (10). Along the drainage channel (114), residual water discharged from the tray (31) to the rear of the basket (10) may flow to the bottom of the inner case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수로(114)는 상기 제1격벽(110)과 상기 바스켓(10)의 사이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부(310)의 후단부는, 상기 배수로(114)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드레인부(310)의 후단부로부터 떨어진 잔수는 상기 배수로(114)에 유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수로(114)가 상기 바스켓(10)에 비하여 후방에 마련되고, 잔수는 상기 바스켓(10)의 후방에서 상기 배수로(114)에 유입되므로 상기 바스켓(10)에 떨어지거나 튈 염려가 없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in (114) may be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partition (110) and the basket (10). The rear end of the drain part (310) may be located above the drain (114). Accordingly, the remaining water that has fallen from the rear end of the drain part (310) may flow into the drain (114).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drain (114) is provided at the rear compared to the basket (10), and the remaining water flows into the drain (114) from the rear of the basket (10), so there is no concern that it will fall or splash onto the basket (10).

이때, 상기 이너 케이스(1)의 저부에는 하방을 향하는 배수구(14)가 마련되어 잔수를 상기 이너 케이스(1)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a downward-facing drain (14)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inner case (1) so that residual water can be discharged outside the inner case (1).

상기 배수로(114) 및/또는 상기 배수구(14)에는 히터가 마련되어, 상기 배수로(114) 및/또는 상기 배수구(14)가 잔수의 빙결로 인하여 폐색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heater be provided in the drain (114) and/or the drain port (14) to prevent the drain (114) and/or the drain port (14) from being blocked due to freezing of residual water.

[얼음 정수기의 구조][Ice water purifier structure]

이하,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를 내장하는 얼음 정수기의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의 구조는 비단 하기와 같은 얼음 정수기뿐 아니라 얼음을 보관 내지 토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어떠한 기기에 있어서도 적용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18, the structure of an ice purifier having an ice storage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of the ice storag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an ice purifier as described below, but also to any device configured to store or discharge ice.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를 내장하는 얼음 정수기를 나타낸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얼음 정수기(WP)는 그 상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출수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출수부의 하방으로는 하나 이상의 토출구(540, 640)가 설치될 수 있다.Fig. 18 shows an ice purifier having an ice storage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is, the ice purifier (WP) may have a water outlet protruding forward from its upper portion. One or more discharge ports (540, 640) may be installed below the water outlet.

상기 토출구(540, 640)은 정수가 토출되는 정수 토출구(540), 얼음이 토출되는 얼음 토출구(6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discharge ports (540, 640) may include a purified water discharge port (540)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and an ice discharge port (640) through which ice is discharged.

상기 정수 토출구(540)로는 필터를 통과한 정수가 그대로 또는 가열 내지 냉각되어 정수, 온수, 또는 냉수의 형태로 토출될 수 있고, 상기 얼음 토출구(640)로는 상기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IS)에 저장된 얼음이 전방으로 이송되어 토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출수부의 하방에 용기를 위치한 후 상기 토출구(540, 640)의 개폐를 조작하여 물이나 얼음을 제공받을 수 있다.Through the above-mentioned water discharge port (540), purified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can be discharged as is or after being heated or cooled in the form of purified water, hot water, or cold water, and through the above-mentioned ice discharge port (640), ice stored in the above-mentioned ice storage assembly (IS) can be transported forward and discharged. A user can receive water or ice by placing a container below the above-mentioned water outlet and manipul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above-mentioned discharge ports (540, 640).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ndicated by the claims that follow rather than by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above.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that follow, as well as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thereof,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examples, it is obvious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even if the effect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not explicitly described while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the effects that can be predicted by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1: 이너 케이스
10: 바스켓
101: 바스켓 홀
11: 제1격실(얼음 저장실)
110: 제1격벽
111: 제1덕트
112: 제2덕트
113: 안착부
113a: 제1안착부
113b: 제2안착부부
114: 배수로
12: 제2격실(냉기 보급실)
120: 제2격벽
121: 패킹 홈부
13: 제3격실(냉수 탱크)
131: 패킹 홈부
14: 배수구
2: 아우터 케이스
20: 케이스 단열재
21: 제1커버
210: 가스켓
211: 제1고정수단
22: 제2커버
220: 테두리부
23: 제3커버
230: 간섭부
231: 온도 센서
232: 브라켓
3: 제빙 모듈
30: 제빙 증발기
300: 브라켓
300a: 본체부
300b: 날개부
31: 트레이
31A: 회전축
31S: 제1경사면 310: 드레인부
311: 격벽부
312: 유로부
312a: 제1유로부
3120a: 결합 홀
312b: 제2유로부
3120b: 결합 돌기
312S: 제2경사면
32: 급수 배관
4: 냉기 보급 모듈
40: 냉동 증발기
400: 패킹
41: 팬
5: 냉수 모듈
500: 냉각수
50: 냉수 증발기
500: 패킹
51: 냉수 코일
52: 교반기
520: 중심축
521: 임펠러
522: 블레이트
523: 교반 모터
53: 구획부재
531: 저판
532: 측판
533: 안착부
534: 스페이서
540: 토출구
6: 전방 케이스
60: 측벽부
61: 전면 커버
610: 제1단열부재
611: 제1 트레이 모터 수용부
612: 오거 모터 수용부
62: 후면 커버
620: 제2단열부재
621: 제2 트레이 모터 수용부
620: 오거
621: 오거 모터
631: 트레이 모터
64: 디스펜서
640: 토출구
641: 도어
641a: 제1도어
641b: 제2도어
641I: 도어 단열재
WP: (얼음) 정수기
IS: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
CW: 냉수 모듈 어셈블리
CP: 냉매관(냉매 유로)
WP: 냉수관
A1: 제1축
A2: 제2축
D1: 임펠러의 외경
D2: 냉수 코일의 내측 폭
Cmp: 압축기
Cnd: 응축기
V0: 멀티밸브
V1: 제1팽창밸브
V2: 제2팽창밸브
V3: 제3팽창밸브
HG: 핫 가스 유로
1: Inner case
10: Basket
101: Basket Hole
11: Compartment 1 (Ice Storage Room)
110: First bulkhead
111: Duct 1
112: Duct 2
113: Settlement
113a: First Settlement
113b: Second Settlement Couple
114: Drain
12: Second compartment (cold supply room)
120: Second bulkhead
121: Packing Home
13: Third compartment (cold water tank)
131: Packing Home
14: Drain
2: Outer Case
20: Case insulation
21: 1st cover
210: Gasket
211: First fixing means
22: 2nd cover
220: Border
23: Third Cover
230: Interference Section
231: Temperature sensor
232: Bracket
3: Ice making module
30: Ice evaporator
300: Bracket
300a: Main body
300b: Wings
31: Tray
31A: Rotation axis
31S: 1st slope 310: Drain section
311: Bulkhead
312: Europart
312a: First Euro Division
3120a: Combination hole
312b: 2nd Euro
3120b: Combination projection
312S: 2nd slope
32: Water supply pipe
4: Cold supply module
40: Refrigerated Evaporator
400: Packing
41: Fan
5: Cold water module
500: Coolant
50: Cold water evaporator
500: Packing
51: Cold water coil
52: Stirrer
520: Central axis
521: Impeller
522: Blade
523: Stirring motor
53: Absence of compartment
531: The plate
532: Side plate
533: Settlement
534: Spacer
540: outlet
6: Front case
60: Side wall
61: Front cover
610: First insulation member
611: 1st tray motor receiving section
612: Auger motor housing
62: Back cover
620: Second insulation member
621: Second tray motor housing
620: Ogre
621: Auger Motor
631: Tray Motor
64: Dispenser
640: outlet
641: Door
641a: Door 1
641b: 2nd door
641I: Door Insulation
WP: (Ice) Water Purifier
IS: Ice storage assembly
CW: Cold Water Module Assembly
CP: Refrigerant pipe (refrigerant path)
WP: Cold water pipe
A1: Axis 1
A2: Second axis
D1: Outer diameter of impeller
D2: Inner width of the cold water coil
Cmp: Compressor
Cnd: Condenser
V0: Multi-valve
V1: First expansion valve
V2: Second expansion valve
V3: Third expansion valve
HG: Hot Gas Euro

Claims (17)

얼음이 냉동 보관되는 바스켓을 수용하는 얼음 저장실을 규정하는 이너 케이스; 및
상기 얼음 저장실 내에서 상기 바스켓의 상방에 배치되고,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 증발기 및 상기 제빙 증발기의 하방에 배치되는 트레이를 포함하는 제빙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제빙 증발기의 폭방향 일측에서 상기 제빙 증발기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빙 위치와 이빙 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회전축과 나란한 일단부에 연결되는 드레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부는, 상기 트레이가 상기 이빙 위치에 놓인 때를 기준으로, 상기 트레이 내의 잔수가 상기 바스켓 내로 떨어지지 못하도록 하는 격벽부, 및 상기 트레이 내의 잔수가 후방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유로부를 포함하는,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
An inner case defining an ice storage compartment for accommodating a basket in which ice is frozen; and
An ice-making module is provided, which is disposed above the basket in the ice storage room and includes an ice-making evaporator for making ice and a tray disposed below the ice-making evaporator;
The above tray is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e between an ice-making position and an ice-removing position about a rotational axis extending parallel to the ice-making evaporator on one side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ice-making evaporator,
The above tray includes a drain portion connected to one end parallel to the above rotation axis,
An ice storage assembly, wherein the drain portion includes a baffle portion that prevents residual water in the tray from falling into the basket when the tray is placed in the ice-making position, and a flow path portion that guides residual water in the tray to be discharged rearwar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부는, 상기 제빙 증발기에 형성되는 얼음과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제빙 증발기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반경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
In claim 1,
An ice storage assembly, wherein the drain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ice evaporator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ice formed in the ice evaporat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부는 상기 트레이와 연결된 일체로 형성되는,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
In claim 1,
An ice storage assembly in which the above drain portion is formed as an integral part connected to the tra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트레이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별물로 형성되는,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
In claim 1,
An ice storage assembly,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drain portion is formed as a separate bod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ray.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트레이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
In claim 4,
An ice storage assembly,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drain portion is detachable from the tray.
청구항 3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부는 연질 소재를 포함하는,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
In claim 3 or 4,
An ice storage assembly, wherein the above drain portion comprises a soft materi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측판은, 상기 트레이가 상기 이빙 위치에 놓인 때를 기준으로, 상기 드레인부를 향하는 제1경사면을 형성하는,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
In claim 1,
An ice storage assembly, wherein the side plate of the tray forms a first inclined surface facing the drain portion when the tray is placed in the ice-making posi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부는, 상기 트레이의 폭방향 타측에서 돌출된,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
In claim 1,
The above drain portion is an ice storage assembly that protrudes from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a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는, 상기 트레이가 상기 이빙 위치에 놓인 때를 기준으로, 상기 트레이 내의 잔수가 전방 및 폭방향 타측으로 흐르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
In claim 1,
An ice storage assembly, wherein the above-mentioned bulkhead restricts residual water within the tray from flowing forward and in the width direction when the tray is placed in the ice-making position.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부는 후방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는,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
In claim 9,
An ice storage assembly, wherein the drain portion has an open rear shap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는, 상기 트레이가 상기 이빙 위치에 놓인 때를 기준으로, 후방을 향하는 제2경사면을 형성하는,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
In claim 10,
An ice storage assembly, wherein the above-mentioned euro portion forms a second inclined surface facing rearward based on the time when the tray is placed in the ice-making position.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부의 후단부는 상기 바스켓의 후단부에 비하여 후방에 위치하는,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
In claim 10,
An ice storage assembly, wherein the rear end of the above drain portion is located rearward compared to the rear end of the above baske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에 후방에는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수로가 형성되는,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
In claim 1,
An ice storage assembly, wherein a drainage channel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above basket.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에는 히터가 마련되는,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
In claim 13,
An ice storage assembly, wherein a heater is provided in the above drain.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이너 케이스의 저부에는 하방을 향하는 배수구가 마련되는,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
In claim 13,
An ice storage assembly having a downward-facing drain hol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inner case.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에는 히터가 마련되는,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
In claim 15,
An ice storage assembly, wherein a heater is provided in the above drain.
청구항 1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얼음 정수기에 내장되어, 얼음을 제조, 보관, 및 토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저장고 어셈블리.
In any one of claims 1 to 16,
An ice storage assembly characterized by being built into an ice purifier and configured to manufacture, store, and dispense ice.
KR1020240000344A 2024-01-02 2024-01-02 Ice storage assembly comprising drainage path for residual water Pending KR2025010604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00344A KR20250106044A (en) 2024-01-02 2024-01-02 Ice storage assembly comprising drainage path for residual w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00344A KR20250106044A (en) 2024-01-02 2024-01-02 Ice storage assembly comprising drainage path for residual wa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106044A true KR20250106044A (en) 2025-07-09

Family

ID=96389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00344A Pending KR20250106044A (en) 2024-01-02 2024-01-02 Ice storage assembly comprising drainage path for residual w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5010604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6379B2 (en) Refrigerator
CN101405551B (en) Ice making system for refrigeration equipment
US8534089B2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20160252286A1 (en) Refrigerator
KR101519134B1 (en) Refrigerator
KR101092176B1 (en) Refrigerator
JP2009222257A (en) Refrigerator with ice maker
JP2018048798A (en) refrigerator
KR101455864B1 (en) Refrigerated ducts and refrigerators
WO2022267952A1 (en) Ice making appliance having replaceable filter
KR101215098B1 (en) Refrigerator
KR20250106044A (en) Ice storage assembly comprising drainage path for residual water
KR20070076993A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with same
KR20250094150A (en) Thermal insulation structure of ice storage assembly
EP4134605B1 (en) Refrigeration appliance having ice making and distribution system
KR20250091597A (en) Compartment structure of ice storage assembly
KR20250099962A (en) Slim type cold water module
KR20250104934A (en) Ice making water purifier wherein ice is stored frozen
KR200217545Y1 (en) Refrigerator
KR20250114744A (en) water supply device
JPH038925Y2 (en)
WO2023274018A1 (en) Drain pipe-free clear ice making machine for recycling water for use in making clear ice
KR20250104901A (en) water supply device
KR20250105876A (en) water supply device
WO2023083219A1 (en) Automatic ice maker comprising secondary water supply system for exterior of ice mo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