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50123429A -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50123429A
KR20250123429A KR1020240019590A KR20240019590A KR20250123429A KR 20250123429 A KR20250123429 A KR 20250123429A KR 1020240019590 A KR1020240019590 A KR 1020240019590A KR 20240019590 A KR20240019590 A KR 20240019590A KR 20250123429 A KR20250123429 A KR 20250123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plate
polarizer
phase difference
layer
thermal sho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195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성만
신광호
김도원
김란
박봉수
박양철
김규식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40019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50123429A/en
Priority to PCT/KR2025/001694 priority patent/WO2025170312A1/en
Publication of KR20250123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50123429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위상차층을 구비하는 편광판으로서, 상기 편광자는 두께가 10㎛ 이하이고, 상기 편광판은 열 충격 조건 후 상기 편광자의 기계적 방향으로 측정된 열팽창계수(CTE)가 100㎛/(m·℃) 이하인,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가 제공된다.A polarizing plate having a polarizer and a phase difference layer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wherein the polarizer has a thickness of 10 μm or less, and the polarizing plate has a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CTE) measured in the mechanical direction of the polarizer after a thermal shock condition of 100 μm/(m·℃) or less, and an optic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polarizer is provided.

Description

편광판 및 광학표시장치{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It relates to a polarizing plate and an optic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유기발광소자 표시장치는 외부광의 반사로 인하여 시인성과 콘트라스트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편광자와 위상차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이 사용될 수 있다. 편광판은 반사된 외부광이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게 함으로써 반사 방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편광판은 편광자 및 위상차층을 포함한다.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s suffer from reduced visibility and contrast due to reflection of external light. To address this issue, a polarizing plate containing a polarizer and a phase-difference film can be used. A polarizing plate can provide anti-reflection functionality by preventing reflected external light from leaking out. A polarizing plate includes a polarizer and a phase-difference layer.

편광자는 고배율로 기계적 방향(MD)로 1축 연신하여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렇게 고연신되어 제조된 편광자는 열 충격 하에서 수축됨으로써 편광자의 광 흡수축 방향이 변경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열 충격 조건 하에서도 반사 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나아가, 정면과 측면 각각에서 반사 방지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정면과 측면 간의 반사 색상 산포가 낮은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Polarizers are typically manufactured by uniaxial stretching in the mechanical direction (MD) at high magnification. Such highly stretched polarizers typically shrink under thermal shock, altering the direction of their optical absorption axes. It may be desirable to provide antireflection even under thermal shock conditions. Furthermore, by implementing antireflection on both the front and side surfaces, it may be desirable to achieve low reflection color dispersion between the front and side surfaces.

본 발명의 배경 기술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78606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78606, etc.

열 충격 후에도 반사 색상 산포가 낮고 반사율이 낮아서 신뢰성이 우수한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urpose is to provide a polarizing plate with excellent reliability due to low reflection color dispersion and low reflectivity even after thermal shock.

일 구현예에 따르면, 편광판은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위상차층을 구비하고, 상기 편광자는 두께가 10㎛ 이하이고, 상기 편광판은 하기의 열 충격(thermal shock) 조건 후 상기 편광자의 기계적 방향(machine direction)으로 측정된 열팽창계수(CTE)가 100㎛/(m·℃) 이하이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polarizing plate has a polarizer and a phase difference layer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the polarizer has a thickness of 10 μm or less, and the polarizing plate has a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CTE) of 100 μm/(m·℃) or less measured in the machine direction of the polarizer after the following thermal shock conditions:

[열 충격 조건][Thermal shock conditions]

상기 편광판 샘플을 승온 속도 5℃/분으로 25℃부터 80℃까지 승온 → The above polarizing plate sample was heated from 25℃ to 80℃ at a heating rate of 5℃/min →

감온 속도 5℃/분으로 80℃부터 -40℃까지 감온 →Cooling from 80℃ to -40℃ at a cooling rate of 5℃/min →

승온 속도 5℃/분으로 -40℃부터 80℃까지 승온 →Temperature increase from -40℃ to 80℃ at a heating rate of 5℃/min →

감온 속도 5℃/분으로 80℃부터 -40℃까지 감온 →Cooling from 80℃ to -40℃ at a cooling rate of 5℃/min →

승온 속도 5℃/분으로 -40℃부터 80℃까지 승온 →Temperature increase from -40℃ to 80℃ at a heating rate of 5℃/min →

감온 속도 5℃/분으로 80℃부터 -40℃까지 감온.Temperature reduction from 80℃ to -40℃ at a temperature reduction rate of 5℃/min.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광학표시장치는 상기 편광판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optical display device includes the polarizing plate.

열 충격 후에도 반사 색상 산포가 낮고 반사율이 낮아서 신뢰성이 우수한 편광판을 제공하였다.A polarizing plate with excellent reliability was provided, with low reflection color dispersion and low reflectivity even after thermal shock.

도 1은 일 구현예의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편광판에 대해 열 충격 조건에서 측정된 TMA 측정 결과이다.
도 3은 비교예 1의 편광판에 대해 열 충격 조건에서 측정된 TMA 측정 결과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편광판 적용시 반사 색상 산포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4에서 X축은 반사 색상값 a*값, Y축은 반사 색상값 b* 값을 나타내고, ■은 방위각 8°, □은 방위각 30°, ○은 방위각 45°, ●은 방위각 60°에서의 색상 산포를 나타낸다.
Figure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larizing plate of one embodiment.
Figure 2 shows the TMA measurement results measured under thermal shock conditions for the polarizing plate of Example 1.
Figure 3 shows the TMA measurement results measured under thermal shock conditions for the polarizing plate of Comparative Example 1.
Figure 4 shows the results of the reflection color distribution when the polarizing plate of Example 1 is applied.
In Figure 4, the X-axis represents the reflection color value a* value, the Y-axis represents the reflection color value b* value, ■ represents the color dispersion at an azimuth of 8°, □ represents the azimuth of 30°, ○ represents the azimuth of 45°, and ● represents the color dispersion at an azimuth of 60°.

도면 및 첨부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attached example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i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예시적인 구현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xemplary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편광판, 편광자 및 위상차층의 "열팽창계수"는 측정 대상에 대해 열기계적 분석(TMA(thermomechanical analyzer), Q400, TA Instrument)을 통해 얻은 선형 열팽창계수를 의미한다. 열팽창계수는 측정 대상에 열 충격 조건을 가하기 전 및 열 충격 조건을 가한 후 둘다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polarizing plate, polarizer, and phase difference layer refers to the linear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btained through thermomechanical analysis (TMA (thermomechanical analyzer), Q400, TA Instrument) for the measurement target.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can be measured by the same method both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rmal shock conditions to the measurement target.

열팽창계수 측정 대상이 편광자 및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위상차층을 포함하는 편광판인 경우에는, 8mm x 5mm(편광자의 MD(machine direction) x 편광자의 TD(transverse direction))의 편광판 샘플을 준비하고, 편광자의 연신 방향(편광자의 MD)으로 0.02N 내지 0.05N의 하중, 질소 분위기 하에서 상기 편광판 샘플을 5℃/분의 승온 조건으로 25℃부터 80℃까지 승온 후 열팽창계수가 수득될 수 있다. When the target of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measurement is a polarizing plate including a polarizer and a phase difference layer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a polarizing plate sample of 8 mm x 5 mm (MD (machine direction) of the polarizer x TD (transverse direction) of the polarizer) is prepared, and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can be obtained after the polarizing plate sample is heated from 25°C to 80°C at a temperature increase rate of 5°C/min under a nitrogen atmosphere with a load of 0.02 N to 0.05 N in the stretching direction of the polarizer (MD of the polarizer).

본 명세서에서 "열 충격 조건"은 다음과 같다: As used herein, “thermal shock conditions” are as follows:

상기 편광판 샘플을 승온 속도 5℃/분으로 25℃부터 80℃까지 승온 → The above polarizing plate sample was heated from 25℃ to 80℃ at a heating rate of 5℃/min →

감온 속도 5℃/분으로 80℃부터 -40℃까지 감온 →Cooling from 80℃ to -40℃ at a cooling rate of 5℃/min →

승온 속도 5℃/분으로 -40℃부터 80℃까지 승온 →Temperature increase from -40℃ to 80℃ at a heating rate of 5℃/min →

감온 속도 5℃/분으로 80℃부터 -40℃까지 감온 →Cooling from 80℃ to -40℃ at a cooling rate of 5℃/min →

승온 속도 5℃/분으로 -40℃부터 80℃까지 승온 →Temperature increase from -40℃ to 80℃ at a heating rate of 5℃/min →

감온 속도 5℃/분으로 80℃부터 -40℃까지 감온.Temperature reduction from 80℃ to -40℃ at a temperature reduction rate of 5℃/min.

열팽창계수 측정 대상은 편광판 또는 위상차층이 될 수 있다. 측정 대상이 위상차층인 경우에도, 상기 편광판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될 수 있다.The subject of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measurement may be a polarizing plate or a phase difference layer. Even if the subject of measurement is a phase difference layer, the measurement can be performed using substantially the same method as for the polarizing plate.

본 명세서에서 보호층의 "열팽창계수"는 8mm x 5mm(MD(machine direction) x TD(transverse direction))의 샘플을 준비하고, MD로 0.02N 내지 0.05N의 하중, 질소 분위기 하에서 상기 샘플을 5℃/분의 승온 조건으로 20℃부터 100℃까지 승온 후 수득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protective layer can be obtained by preparing a sample of 8 mm x 5 mm (MD (machine direction) x TD (transverse direction)), and heating the sample from 20°C to 100°C under a temperature increasing condition of 5°C/min under a load of 0.02 N to 0.05 N in MD under a nitrogen atmosphere.

본 명세서에서 수치 범위 기재 시 "X 내지 Y"는 X 이상 Y 이하(X≤ 그리고 ≤Y)를 의미한다.When describing a numerical range in this specification, “X to Y” means X or more and Y or less (X≤ and ≤Y).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은 아크릴 및/또는 메타아크릴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meth)acrylic” means acrylic and/or methacrylic.

일 구현예에 따른 편광판은 발광표시장치의 반사 방지용 편광판이 될 수 있다. 상기 편광판은 열 충격 조건 이후에도 반사 방지 효과를 제공하고, 정면 및 측면 양자에서 반사 방지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낮은 반사 색상 산포를 제공할 수 있다.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be an anti-reflection polarizing plate for a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The polarizing plate can provide an anti-reflection effect even after thermal shock conditions, and can provide an anti-reflection effect on both the front and side surfaces, thereby providing low reflection color dispersion.

일 구현예에 따른 편광판은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위상차층을 구비하고, 상기 편광자는 두께가 10㎛ 이하이고, 상기 편광판은 하기의 열 충격 조건 후 상기 편광자의 기계적 방향으로 측정된 열팽창계수(CTE)가 100㎛/(m·℃) 이하이다.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omprises a polarizer and a phase difference layer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wherein the polarizer has a thickness of 10 μm or less, and the polarizing plate has a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CTE) measured in the mechanical direction of the polarizer after the following thermal shock conditions of 100 μm/(m·℃) or less.

상기 열팽창계수는 상기 편광판이 열 충격 조건 이후에도 편광판이 낮은 반사 색상 산포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해서 설정되었다. The abov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is set to ensure that the polarizing plate provides low reflection color dispersion even after thermal shock conditions.

상기 열팽창계수는 하기에서 설명되는 제1 위상차층 및 제2 위상차층을 구비하는 상기 편광판이 열 충격 조건 이후에도 편광자의 광 흡수축과 위상차층의 면내 방향에서의 지상축 간의 각도 변화량을 낮추어 낮은 반사 색상 산포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정되었다. The abov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is set so that the polarizing plate having the first phase difference layer and the second phase difference layer described below can provide low reflection color dispersion by reducing the angular change between the light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 ground axis in the in-plane direction of the phase difference layer even after thermal shock conditions.

상기 열팽창계수 범위에서, 상기 편광판은 열 충격 조건 이후에도 낮은 반사 색상 산포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편광판은 열 충격 조건 후 열팽창계수가 10㎛/(m·℃) 내지 100㎛/(m·℃), 90㎛/(m·℃) 내지 100㎛/(m·℃), 95㎛/(m·℃) 내지 100㎛/(m·℃)가 될 수 있다.Within the abov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range, the polarizing plate can provide low reflection color dispersion even after thermal shock conditions. For example, the polarizing plate can have a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10 μm/(m·℃) to 100 μm/(m·℃), 90 μm/(m·℃) to 100 μm/(m·℃), or 95 μm/(m·℃) to 100 μm/(m·℃) after thermal shock conditions.

상기 낮은 반사 색상 산포를 제공하기 위하여, 아래 식 1로 정의되는 각도 변화량 △θr-p은 2.5° 이하, 예를 들면 0 내지 2.5°가 될 수 있다:To provide the above low reflection color dispersion, the angular variation △θr-p defined by Equation 1 below can be 2.5° or less, for example, 0 to 2.5°:

[식 1][Formula 1]

△θr-p△θr-p

(상기 식 1에서, △θr-p는 편광판에 열 충격을 가하기 전 편광자의 광 흡수축과 위상차층의 지상축 간의 각도와, 편광판에 열 충격을 가한 후 편광자의 광 흡수축과 위상차층의 지상축 간의 각도의 차이의 절대값).(In the above equation 1, △θr-p is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angle between the light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 slow axis of the phase difference layer before applying a thermal shock to the polarizer, and the angle between the light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 slow axis of the phase difference layer after applying a thermal shock to the polarizer).

일 구체예에서, 상기 위상차층은 하기에서 설명되는 제1 위상차층일 수 있다.In one specific example, the phase difference layer may be a first phase difference layer described below.

일 구체예에서, 상기 편광판은 상기 열 충격 조건 처리 전의 열팽창계수가 20㎛/(m·℃) 이하일 수 있다.In one specific example, the polarizing plate may have a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20 μm/(m·℃) or less before the thermal shock condition treatment.

상기 열팽창계수는 하기에서 설명되는 편광자를 포함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The abov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can be implemented by including a polarizer as described below.

편광자polarizer

편광자는 두께가 10㎛ 이하이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판은 박형의 두께를 제공할 수 있고, 완제품(예: Mobile Phone)의 박형화가 가능하고, Bending 특성이 우수하여 Foldable Device에 적용이 가능하며, 신뢰성 조건에서 수축과 팽창을 최소화하여 고신뢰성 달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편광자는 두께가 바람직하게는 0㎛ 초과 9㎛ 이하, .5㎛ 내지 8㎛, 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7㎛일 수 있다.The polarizer has a thickness of 10㎛ or less. In the above range, the polarizer can provide a thin thickness, and the finished product (e.g., mobile phone) can be made thin. It has excellent bending characteristics, so it can be applied to foldable devices. It also minimizes shrinkage and expansion under reliability conditions, thereby achieving high reliability. It can provide an effe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olarizer may have a thickness of preferably more than 0 ㎛ and less than or equal to 9 ㎛, 0.5 ㎛ to 8 ㎛, and more preferably 0.5 ㎛ to 7 ㎛.

상기 편광자는 하기 상술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및 제조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편광자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편광판은 열 충격 조건 후 측정된 열팽창계수 100㎛/(m·℃) 이하를 확보하는데 용이할 수 있다.The above polarizer comprises a polarizer manufactured us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and manufacturing process described below. Through this, the polarizing plate can easily secure a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100 ㎛/(m·℃) or less measured after thermal shock conditions.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은 친수성 작용기 및 소수성 작용기를 함유한다. 소수성 작용기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 존재하는 친수성 작용기인 수산기(OH기) 이외에 추가로 존재한다. 상기 친수성 작용기 및 소수성 작용기를 모두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하기 상술되는 공정에 의해 제조함으로써 상기 편광판이 열팽창계수 100㎛/(m·℃) 이하에 도달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A polyvinyl alcohol film contains hydrophilic functional groups and hydrophobic functional groups. The hydrophobic functional group exists in addition to the hydroxyl group (OH group), which is a hydrophilic functional group present in the polyvinyl alcohol film. By manufacturing a polyvinyl alcohol film containing both the hydrophilic functional group and the hydrophobic functional group by the process described below, it is easy for the polarizing plate to reach a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100 ㎛/(m·℃) or less.

소수성 작용기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주쇄, 측쇄 중 1종 이상에 존재한다. 상기 "주쇄"는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주 골격을 형성하는 부분을 의미하고, 상기 "측쇄"는 상기 주쇄에 연결된 골격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소수성 작용기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주쇄에 존재할 수 있다.The hydrophobic functional group is present in at least one of the main chain and side chai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constitut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The "main chain" refers to a portion forming the main skelet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nd the "side chain" refers to a skeleton connected to the main chain. Preferably, the hydrophobic functional group may be present in the main chai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친수성 작용기 및 소수성 작용기가 도입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아세트산 비닐, 포름산 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부티르산 비닐, 피발산 비닐, 아세트산 이소프로페닐 등의 비닐 에스테르 1종 또는 2종 이상의 단량체와 소수성 작용기를 제공하는 단량체를 중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닐 에스테르 단량체는 아세트산 비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수성 작용기를 제공하는 단량체는 에틸렌, 프로필렌 등을 포함하는 탄화수소 반복 단위를 제공하는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Polyvinyl alcohol-based resins having hydrophilic and hydrophobic functional groups introduced therein can be produced by polymerizing one or more vinyl ester monomers such as vinyl acetate, vinyl formate, vinyl propionate, vinyl butyrate, vinyl pivalate, and isopropenyl acetate, and a monomer providing a hydrophobic functional group. Preferably, the vinyl ester monomer may include vinyl acetate. The monomer providing the hydrophobic functional group may include a monomer providing a hydrocarbon repeating unit including ethylene, propylene, or the like.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은 연화점이 66℃ 내지 70℃, 예를 들면 67℃ 내지 69℃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연신 공정에서 용융 및 파단이 없으며 본 발명의 편광자에 용이하게 도달하게 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연화점'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연화점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may have a softening point of 66°C to 70°C, for example, 67°C to 69°C. Within this range, the film may be free from melting and breakage during the stretching process, and may have the effect of easily reaching the polar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ftening point' may be measured using a conventional softening point measuring method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은 필름의 길이 방향(machine direction)으로 측정된 인장 강도가 95MPa 내지 105MPa, 바람직하게는 97MPa 내지 99MPa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연신 공정에서 용융 및 파단이 없고 폴리비닐알코올 분자 사슬이 효과적으로 배향하여 편광도가 높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편광자에 용이하게 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인장강도는 25℃에서 UTM(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이용하여 ASTM D882 규격으로 측정될 수 있다.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may have a tensile strength of 95 MPa to 105 MPa, preferably 97 MPa to 99 MPa, measured in the machine direction of the film. Within this range, there is no melting or breakage during the stretching process, the polyvinyl alcohol molecular chains are effectively oriented, and the polarization degree can be high, and the polar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reached. The tensile strength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can be measured at 25°C using a Universal Testing Machine (UTM) according to ASTM D882 standards.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은 두께가 50㎛ 이하, 예를 들면 10㎛ 내지 5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필름 연신 시 필름의 용융 및 파단이 없을 수 있다.The polyvinyl alcohol film may have a thickness of 50 μm or less, for example, 10 μm to 50 μm. Within this range, the film may not melt or break during stretching.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은 TS-#2000(이상, 일본 쿠라레이社) PVA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Polyvinyl alcohol-based films can use TS-#2000 (Kuraray, Japan) PVA film.

편광자는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하기 상술되는, 염착 공정, 연신 공정, 가교 공정의 순서로 처리함으로써 제조된다. 이를 통해, 편광판은 열 충격 조건 후 측정된 열팽창계수 100㎛/(m·℃) 이하를 확보하는데 용이할 수 있다.The polarizer is manufactured by process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n the following order: dyeing process, stretching process, and crosslinking process. Through this, the polarizing plate can easily secure a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100 ㎛/(m·℃) or less measured after thermal shock conditions.

염착 공정은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이색성 물질 함유 염착조에서 처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염착 공정에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이색성 물질 함유 염착조에서 침지하게 된다. 이색성 물질 함유 염착조는 이색성 물질 및 붕산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포함한다. 염착조는 이색성 물질과 붕소 화합물을 함께 포함함으로써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염착시키고 하기 상술되는 연신 조건에서 연신되더라도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파단이 없을 수 있다.The dyeing process involves treating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n a dyeing bath containing a dichroic substance. In the dyeing process,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s immersed in the dyeing bath containing the dichroic substance. The dyeing bath containing the dichroic substance contains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dichroic substance and boric acid. The dyeing bath contains both the dichroic substance and a boron compound, thereby dye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and allow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to be stretched without breaking under the stretching conditions described below.

이색성 물질은 요오드로서 요오드화칼륨, 요오드화수소, 요오드화리튬, 요오드화나트륨, 요오드화아연, 요오드화리튬, 요오드화알루미늄, 요오드화납, 요오드화구리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색성 물질은 염착조 바람직하게는 염착 용액 중 0.5mol/ml 내지 10mol/ml, 바람직하게는 0.5mol/ml 내지 5mol/ml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균일한 염착이 가능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The dichroic substan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odine, potassium iodide, hydrogen iodide, lithium iodide, sodium iodide, zinc iodide, lithium iodide, aluminum iodide, lead iodide, and copper iodide. The dichroic substance may be included in the dyeing bath, preferably in the dyeing solution, at 0.5 mol/ml to 10 mol/ml, preferably 0.5 mol/ml to 5 mol/ml. Within the above range, uniform dyeing may be achieved.

붕소 화합물은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연신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용융 파단이 없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붕소 화합물은 염착 공정 이후에 실시되는 연신 공정에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고온 및 고 연신비로 연신하더라도 필름의 용융 및 파단이 없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Boron compounds can help prevent melting and fracture of polyvinyl alcohol-based films during stretching. Boron compounds can help prevent melting and fracture of polyvinyl alcohol-based films even when stretched at high temperatures and high stretch ratios during a stretching process performed after a dyeing process.

붕소 화합물은 붕산, 붕사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붕소 화합물은 염착조 바람직하게는 염착 수용액 중 0.1중량% 내지 5중량%, 바람직하게는 0.3중량% 내지 3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연신 공정에서 용융 및 파단이 없으며 고 신뢰성을 달성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The boron compou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boric acid and borax. The boron compound may be included in the dyeing bath, preferably in an amount of 0.1 to 5 wt%, and preferably 0.3 to 3 wt%, of the dyeing aqueous solution. Within this range, there may be an effect of achieving high reliability without melting or fracture during the stretching process.

염착 용액의 온도는 20℃ 내지 50℃, 구체적으로 25℃ 내지 4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염착 공정에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염착조 내에서 30초 내지 120초, 구체적으로 40초 내지 80초로 침지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The temperature of the dyeing solution may preferably be 20°C to 50°C, specifically 25°C to 40°C. The dyeing process may be performed by immers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n a dyeing tank for 30 to 120 seconds, specifically 40 to 80 seconds.

연신 공정은 염착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연신비 5.7배 이상, 예를 들면 5.7배 내지 7배로 연신 온도 57℃ 이상, 예를 들면 57℃ 내지 65℃에서 연신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종래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은 상술한 연신비와 연신 온도에서 연신할 경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용융 및/또는 파단이 있어서 편광자를 제조할 수 없다.The stretching process includes stretching the dyed polyvinyl alcohol-based film at a stretching ratio of 5.7 times or more, for example, 5.7 to 7 times, at a stretching temperature of 57°C or more, for example, 57°C to 65°C. Conventional polyvinyl alcohol-based films cannot be manufactured as polarizers when stretched at the above-described stretching ratio and stretching temperature due to melting and/or fracture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연신 공정은 습식 연신 또는 건식 연신 중 어느 하나에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연신 공정에서 붕소 화합물을 적용하기 위하여 연신 공정은 습식 연신을 포함한다. 습식 연신은 붕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 중에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기계적 방향으로 1축 연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The stretching process is performed by either wet stretching or dry stretching. Preferably, the stretching process includes wet stretching to apply a boron compound in the stretching process. Wet stretching involves uniaxially stretching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n the mechanical direction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 boron compound.

붕소 화합물은 붕산, 붕사 중 1종 이상, 바람직하게는 붕산을 포함할 수 있다. 붕소 화합물은 연신조 바람직하게는 연신 수용액 중 0.5중량% 내지 10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연신 공정에서 용융 및 파단이 없으며 고 신뢰성을 달성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중량% 내지 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상기 효과 및 상기 편광판의 열 팽창 계수에 용이하게 도달될 수 있다.The boron compou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boric acid and borax, preferably boric acid. The boron compound may be present in an amount of 0.5 to 10 wt% in the stretching bath, preferably in the stretching solution. Within this range, the effect of achieving high reliability without melting or fracture during the stretching process may be achieved. Preferably, the boron compound may be present in an amount of 1 to 5 wt%. Within this range, the effect and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polarizing plate may be easily achieved.

가교 공정은 연신 공정 처리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서 이색성 물질의 흡착을 강하게 하기 위하여 처리된다. 가교 공정에서 사용하는 가교 용액은 붕소 화합물을 포함한다. 붕소 화합물은 상술한 이색성 물질의 흡착을 강하게 하면서 편광자를 열 충격 하에 방치하더라도 신뢰성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The crosslinking process is performed to enhance the adsorption of dichroic substances in polyvinyl alcohol-based films that have undergone a stretching process. The crosslinking solution used in the crosslinking process contains a boron compound. The boron compound enhances the adsorption of the aforementioned dichroic substances and can help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polarizer even when exposed to thermal shock.

붕소 화합물은 붕산, 붕사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붕소 화합물은 가교조 바람직하게는 가교 수용액 중 0.5중량%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연신 공정에서 용융 및 파단이 없으며 고 신뢰성을 달성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붕소 화합물은 1중량% 내지 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상기 효과를 얻고 상기 편광판의 열 팽창 계수에 용이하게 도달될 수 있다.The boron compou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boric acid and borax. The boron compound may be included in the crosslinking agent, preferably in an amount of 0.5 to 10 wt%, in the crosslinking aqueous solution. Within this range, the effect of achieving high reliability without melting or fracture during the stretching process may be achieved. Preferably, the boron compound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 to 5 wt%. Within this range, the above effect may be achieved and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polarizing plate may be easily reached.

가교조 용액의 온도는 20℃ 내지 50℃, 구체적으로 25℃ 내지 40℃가 바람직할 수 있다. 가교 공정에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가교조 내에서 30초 내지 120초, 구체적으로 40초 내지 80초로 침지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The temperature of the crosslinking solution may preferably be 20°C to 50°C, specifically 25°C to 40°C. The crosslinking process may be performed by immers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n the crosslinking bath for 30 to 120 seconds, specifically 40 to 80 seconds.

염착 공정 처리 전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수세 공정, 팽윤 공정 중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Before the dyeing process,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may additionally include one or more of a washing process and a swelling process.

수세 공정은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물로 세척하는 것으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The washing process is to wash the polyvinyl alcohol film with water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on the polyvinyl alcohol film.

팽윤 공정은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소정 온도 범위의 팽윤조에서 침지시킴으로써 이색성 물질의 염착, 연신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팽윤 공정은 15℃ 내지 35℃,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의 물에서, 30초 내지 50초 동안 처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swelling process can facilitate the dyeing and stretching of a dichroic material by immersing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n a swelling bath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range. The swelling process can include treating the film in water at a temperature of 15°C to 35°C, preferably 20°C to 30°C, for 30 to 50 seconds.

가교 공정 처리 이후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보색 공정으로 추가 처리할 수 있다. 보색 처리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내구성을 좋게 할 수 있다. 보색조는 요오드화칼륨 0중량% 초과 10중량% 이하를 포함할 수 있다. 보색액은 20℃ 내지 50℃, 구체적으로 25℃ 내지 40℃가 바람직할 수 있다. 보색 처리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보색조 내에서 5초 내지 50초, 구체적으로 5초 내지 20초로 침지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After the crosslinking process,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can be further treated with a complementary color process. The complementary color treatment can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The complementary color bath can contain more than 0 wt% and less than 10 wt% of potassium iodide. The complementary color solution can preferably be at a temperature of 20°C to 50°C, specifically 25°C to 40°C. The complementary color treatment can be performed by immers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n the complementary color bath for 5 to 50 seconds, specifically 5 to 20 seconds.

편광자의 열 충격 조건 후 측정된 열팽창계수는 편광판에 대해 열 충격 조건 후 측정된 열팽창계수 대비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measured after the thermal shock condition of the polarizer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measured after the thermal shock condition of the polarizing plate.

일 구체예에서, 편광자의 열 충격 조건 후 측정된 열팽창계수는 편광판의 열 충격 조건 후 측정된 열팽창계수의 50% 내지 250%,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17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본 발명의 효과 구현에 용이할 수 있고, 보호 필름, 접착층 조절이 용이할 수 있다.In one specific example,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measured after the thermal shock condition of the polarizer may be 50% to 250%, preferably 130% to 170%, of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measured after the thermal shock condition of the polarizing plate. Within this rang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realized, and the protective film and adhesive layer can be easily controlled.

편광자 내 붕산 함량은 15중량% 내지 30중량%, 바람직하게는 17중량% 내지 27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20중량% 내지 24중량%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두께 10㎛ 이하의 박형의 편광자를 구비함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열 팽창 계수에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다. 상기 붕산 함량은 상기 편광자의 제조 과정 중 연신 공정 및 가교 공정에서 사용되는 붕산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나올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boric acid content in the polarizer may be 15 wt% to 30 wt%, preferably 17 wt% to 27 wt%, and more preferably 20 wt% to 24 wt%. Within this range,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chieved even when the polarizer has a thickness of 10 μm or less. The boric acid content may be determined by controlling the boric acid content used in the stretching process and crosslinking proces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olariz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편광자 중 붕산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편광자 1g과 탈이온수 50g을 비커에 넣고 가열하여 편광자를 완전히 용해시킨 후 만니톨(mannitol) 용액(만니톨: 증류수 = 1:7 중량비) 용액 10g을 혼합한 용액을 0.1N NaOH 수용액으로 적정하여 붕산 함량을 측정한 다음, 편광자에 대한 중량 비율로 계산했다.The boric acid content of the above polariz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1 g of polarizer and 50 g of deionized water were placed in a beaker and heated to completely dissolve the polarizer, and then 10 g of a mannitol solution (mannitol: distilled water = 1:7 weight ratio) was mixed, and the solution was titrated with a 0.1 N NaOH aqueous solution to measure the boric acid content, which was then calculated as a weight ratio relative to the polarizer.

위상차층phase difference layer

위상차층은 외부로부터 입사되어 편광자를 통과한 선편광을 원편광시키고 원편광된 광이 반사되어 다시 원편광시킴으로써 반사 방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phase difference layer can provide an anti-reflection effect by circularly polarizing linearly polarized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and passing through a polarizer, and then reflecting the circularly polarized light and circularly polarizing it again.

위상차층은 면내 방향에 지상축을 갖는 제1위상차층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hase difference layer may include a first phase difference layer having a ground axis in the in-plane direction.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1위상차층의 지상축은 상기 편광자의 광 흡수축(편광자의 MD)에 대해 4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45°를 이룰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판의 반사 방지 효과를 제공하는데 용이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ground axis of the first phase difference layer may be 40° to 50°, preferably 45°, with respect to the light absorption axis (MD of the polarizer). Within this range, it may be easy to provide an anti-reflection effect of the polarizing plate.

상기 제1위상차층은 역파장 분산성일 수 있다. 역파장 분산성은 편광판이 반사 방지 효과를 제공하는데 용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역파장 분산성은 상기 제1위상차층의 파장 450nm에서 면내 위상차를 Re(450),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를 Re(550), 파장 650nm에서 면내 위상차를 Re(650)이라고 할 때, Re(450)<Re(550)<Re(650)의 관계가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e first phase difference layer may have reverse wavelength dispersion. Reverse wavelength dispersion can facilitate the polarizing plate to provide an anti-reflection effect. Here, reverse wavelength dispersion means that when the in-plane phase difference of the first phase difference layer at a wavelength of 450 nm is Re(450), the in-plane phase difference at a wavelength of 550 nm is Re(550), and the in-plane phase difference at a wavelength of 650 nm is Re(650), the relationship Re(450)<Re(550)<Re(650) exists.

일 구체예에서, 제1위상차층은 Re(450)/Re(550)이 1.0 미만, 예를 들면 0.8 이상 1.0 미만이고, Re(650)/Re(550)이 1.0 초과, 예를 들어 1.0 초과 1.2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우수한 반사 방지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In one specific example, the first phase difference layer may have Re(450)/Re(550) of less than 1.0, for example, 0.8 or more and less than 1.0, and Re(650)/Re(550) of greater than 1.0, for example, greater than 1.0 and less than 1.2. In the above range, excellent anti-reflection performance can be realized.

일 구체예에서, 제1위상차층은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가 100 내지 300nnm, 예를 들어 100 내지 200nm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반사 방지 효과를 내는데 용이할 수 있다. In one specific example, the first phase difference layer may have an in-plane phase difference of 100 to 300 nm, for example, 100 to 200 nm, at a wavelength of 550 nm. In this range, it may be easy to achieve an anti-reflection effect.

제1 위상차층은 액정층 또는 비액정층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위상차층은 액정층일 수 있다. 액정층은 네마틱 액정, 콜레스테릭 액정, 디스코틱 액정 등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액정을 사용해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편광판의 열 충격 후 열팽창계수는 상기 편광판이 위상차층으로서 액정층을 포함하는 경우 편광판이 열 충격 후에도 반사 방지 효과를 제공하면서 반사 색상 산포를 낮추는데 용이할 수 있다.The first phase difference layer may be a liquid crystal layer or a non-liquid crystal layer. Preferably, the first phase difference layer may be a liquid crystal layer. The liquid crystal layer may be manufactured using a common liquid crysta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as a nematic liquid crystal, a cholesteric liquid crystal, or a discotic liquid crystal.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of the polarizing plate after thermal shock can facilitate reducing the dispersion of reflected colors while providing an anti-reflection effect even after thermal shock when the polarizing plate includes a liquid crystal layer as the phase difference layer.

제1위상차층은 두께가 1.0㎛ 내지 5.0㎛, 예를 들어 2.0㎛ 내지 3.0㎛가 될 수 있다.The first phase difference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1.0 μm to 5.0 μm, for example, 2.0 μm to 3.0 μm.

위상차층은 제1위상차층 대비 면내 위상차가 다른 제2 위상차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hase difference layer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hase difference layer having a different in-plane phase difference than the first phase difference layer.

제2위상차층은 제1위상차층에 의한 반사 방지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The second phase difference layer can further enhance the anti-reflection effect of the first phase difference layer.

일 구체예에서, 제2위상차층은 nz > nx ≒ ny 를 만족하는 포지티브 C 층일 수 있다. In one specific example, the second phase difference layer may be a positive C layer satisfying nz > nx ≒ ny.

일 구체예에서, 포지티브 C 층은 파장 550nm에서 두께 방향 위상차가 -150nm 내지 0nm, 구체적으로 -130nm 내지 -10nm, 더 구체적으로 -110nm 내지 -20nm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본 발명의 효과가 더 개선될 수 있다. In one specific example, the positive C layer may have a thickness-wise phase difference of -150 nm to 0 nm, specifically -130 nm to -10 nm, and more specifically -110 nm to -20 nm at a wavelength of 550 nm. Within this rang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urther improved.

일 구체예에서, 포지티브 C 층은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가 0nm 내지 10nm, 구체적으로 0nm 내지 5nm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본 발명의 효과가 더 개선될 수 있다. In one specific example, the positive C layer may have an in-plane phase difference of 0 nm to 10 nm, specifically 0 nm to 5 nm, at a wavelength of 550 nm. Within this rang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urther improved.

포지티브 C 층은 액정층 또는 비액정층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포지티브 C 층은 액정층일 수 있다. 액정층은 네마틱 액정, 콜레스테릭 액정, 디스코틱 액정 등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액정을 사용해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편광판의 열 충격 후 열팽창계수는 상기 편광판이 위상차층으로서 액정층의 적층체를 포함하는 경우 편광판이 열 충격 후에도 반사 방지 효과를 제공하면서 반사 색상 산포를 낮추는데 용이할 수 있다.The positive C layer may be a liquid crystal layer or a non-liquid crystal layer. Preferably, the positive C layer may be a liquid crystal layer. The liquid crystal layer may be manufactured using a conventional liquid crysta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as a nematic liquid crystal, a cholesteric liquid crystal, or a discotic liquid crystal.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of the polarizing plate after thermal shock can be easily reduced to provide an anti-reflection effect and reduce the dispersion of reflected colors even after thermal shock when the polarizing plate includes a laminate of liquid crystal layers as a phase difference layer.

포지티브 C 층은 두께가 0.1㎛ 내지 5.0㎛, 예를 들어 0.5㎛ 내지 3.5㎛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판에 사용될 수 있다.The positive C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0.1 μm to 5.0 μm, for example, 0.5 μm to 3.5 μm. In the above range, it can be used in a polarizing plate.

일 구체예에서, 상기 편광자로부터 상기 제1위상차층 및 상기 제2위상차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술 열 충격 조건 후 열팽창계수를 만족할 때, 반사 색상 산포가 낮을 수 있다.In one specific example, the first phase difference layer and the second phase difference layer may be sequentially laminated from the polarizer. In this case, when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is satisfied after the above-described thermal shock conditions, the reflection color dispersion may be low.

편광판은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하기에서 설명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호층은 상기 위상차층과는 다르다. The polarizing plate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ve layer described below on one or both sides of the polarizer. The protective layer is different from the phase difference layer.

보호층protective layer

보호층은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적층되어, 편광자를 보호하고, 편광판의 기계적 강도를 높일 수 있다. A protective layer is laminated on one or both sides of a polarizer to protect the polarizer and increase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polarizing plate.

일 구체예에서, 보호층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보호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tective layer may comprise an optically transparent protective film.

일 구체예에서,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 적층된 보호층을 제1보호층, 상기 편광자의 다른 일면에 적층된 보호층을 제2보호층이라고 할 때, 상기 제1보호층과 상기 제2보호층은 열팽창계수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In one specific example, when the protective layer laminated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is referred to as a first protective layer and the protective layer lamin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larizer is referred to as a second protective layer, the first protective layer and the second protective layer may have the same or different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상기 제1보호층, 상기 제2 보호층인, 상기 보호층, 예를 들면 보호 필름은 열팽창계수가 30㎛/(m·℃) 이상, 예를 들면 30㎛/(m·℃) 내지 140㎛/(m·℃), 40㎛/(m·℃) 내지 140㎛/(m·℃), 30㎛/(m·℃) 내지 100㎛/(m·℃)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본 발명의 편광판의 열 팽창 계수에 영향을 주지 않거나 열 팽창 계수를 높이지 않을 수 있다. The first protective layer, the second protective layer, the protective layer, for example, the protective film, may have a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30 µm/(m·℃) or more, for example, 30 µm/(m·℃) to 140 µm/(m·℃), 40 µm/(m·℃) to 140 µm/(m·℃), 30 µm/(m·℃) to 100 µm/(m·℃). In the above range,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be affected or may not increase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상기 보호층, 예를 들면 보호 필름의 상기 열팽창계수는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 상기 수지를 사용해서 보호 필름을 형성할 때의 용융 및 압출 조건을 변경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of the above protective layer, for example, the protective film, can be implemented by changing the resin forming the protective film and the melting and extrusion conditions when forming the protective film using the resin.

일 구체예에서, 상기 보호 필름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수지를 용융 및 압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필요할 경우에는 연신 공정을 더 추가할 수도 있다. In one specific embodiment, the protective film may be formed by melting and extruding an optically transparent resin. If necessary, a stretching process may be added.

상기 수지는 트리아세틸셀룰로스(TAC)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스 에스테르계 수지, 비정성 환상 폴리올레핀(cyclic olefin polymer, COP) 등을 포함하는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비환형-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등을 포함하는 폴리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resi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ellulose ester resin including triacetyl cellulose (TAC), a cyclic polyolefin resin including amorphous cyclic polyolefin (cyclic olefin polymer, COP), a polycarbonate resin, a polyester resin includin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 polyethersulfone resin, a polysulfone resin, a polyamide resin, a polyimide resin, an acyclic-polyolefin resin, a polyacrylate resin including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a polyvinyl alcohol resin, a polyvinyl chloride resin, and a polyvinylidene chloride resin.

일 구체예에서, 상기 보호층이 트리아세틸셀룰로스계 필름인 경우, 열팽창계수는 30㎛/(m·℃) 내지 100㎛/(m·℃), 예를 들면 45㎛/(m·℃) 내지 55㎛/(m·℃)가 될 수 있다.In one specific example, when the protective layer is a triacetylcellulose film,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may be 30 µm/(m·℃) to 100 µm/(m·℃), for example, 45 µm/(m·℃) to 55 µm/(m·℃).

상기 보호층의 두께는 5㎛ 내지 200㎛, 구체적으로, 15㎛ 내지 4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판에 사용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above protective layer may be 5 µm to 200 µm, specifically, 15 µm to 40 µm. Within the above range, it can be used in a polarizing plate.

상기 보호CMD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기능성 코팅층, 예를 들면 하드코팅층, 내지문성층, 반사방지층 등이 더 형성될 수 있다.A functional coating layer, such as a hard coating layer, an anti-fingerprint layer, an anti-reflection layer, etc., may be further formed on one or both sides of the above protective CMD.

편광판 중 위상차층, 보호층은 각각 접착층 또는 점착층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접착층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편광판용 접착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층은 수계 접착제 또는 광경화성 접착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The phase difference layer and protective layer of the polarizing plate may be bonded by an adhesive layer or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respectively. The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using a conventional adhesive for polarizing plate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the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using a water-based adhesive or a photocurable adhesive.

수계 접착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 수지, 가교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based adhesive may include a polyvinyl alcohol-based adhesive resin, a crosslinking agent, etc.

광경화성 접착제는 에폭시계 화합물, (메트)아크릴계 화합물 중 1종 이상 및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시제는 광 라디칼 개시제, 광 양이온 개시제 중 1종 이상, 바람직하게는 광 라디칼 개시제와 광 양이온 개시제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광경화성 접착제는 산화 방지제, 안료 등의 통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hotocurable adhesiv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epoxy compound and a (meth)acrylic compound, and an initiator. The initiato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hotoradical initiator and a photocationic initiator, preferably a mixture of a photoradical initiator and a photocationic initiator. The photocurable adhesive may further include conventional additives such as an antioxidant and a pigment.

점착층은 감압 점착제(PSA)로 형성된 점착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점착층은 점착 수지로서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may be an adhesive layer formed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PSA). For example, the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of a composition including a (meth)acrylic resin as the adhesive resin.

접착층 또는 점착층은 두께가 0.05㎛ 내지 13㎛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학표시장치에 사용할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or adhesive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0.05 μm to 13 μm. It can be used in an optical display device within the above range.

도 1은 일 구현예의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편광판은 편광자 100, 편광자의 상부면에 적층된 보호층 300, 편광자의 하부면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위상차층 210 및 제2 위상차층 220을 포함할 수 있다.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ferring to Fig. 1, the polarizing plate may include a polarizer 100, a protective layer 300 lamin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olarizer, a first phase difference layer 210, and a second phase difference layer 220 sequentially lamina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polarizer.

이하, 일 구현예에 따른 광학표시장치를 설명한다.Below, an optic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example is described.

상기 광학표시장치는 상기 편광자 또는 상기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 발광표시장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표시장치는 발광소자로서, 유기 또는 유-무기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QLED(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 형광체 등의 발광 물질을 포함하는 소자를 의미할 수 있다. The optical display device may include the polarizer or the polarizing plate. The optical display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The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may refer to a light-emitting element, including an organic or organic-in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and a device including a light-emitting material such as an LED (light emitting diode), an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 QLED (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 or a phospho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se are presented as preferr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way.

실시예 1Example 1

(1)편광자의 제조(1) Manufacturing of polarizers

25℃의 물로 수세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TS-#2000, 일본 Kuraray社, 주쇄에 소수성 작용기를 함유함, 두께: 20㎛, 연화점: 68℃, 인장 강도(@25℃): 98MPa)을 30℃ 물이 함유된 팽윤조에서 팽윤 처리하였다.A polyvinyl alcohol film (TS-#2000, Kuraray, Japan, containing a hydrophobic functional group in the main chain, thickness: 20 μm, softening point: 68 °C, tensile strength (@25 °C): 98 MPa) washed with water at 25 °C was subjected to swelling treatment in a swelling tank containing water at 30 °C.

팽윤조를 통과한 상기 필름을 요오드화칼륨 1mol/ml 및 붕산 1중량%를 포함하는 수용액을 함유하는 30℃의 염착조에서 65초 동안 처리하였다. 염착조를 통과한 상기 필름을 붕산 3중량%를 함유하는 60℃ 수용액인 습식 연신조에서 연신비 5.7배로 연신시켰다. 상기 습식 연신조를 통과한 상기 필름을 붕산 3중량%를 함유하는 25℃ 수용액을 함유하는 가교조에서 65초 동안 처리하였다.The film, which passed through the swelling tank, was treated for 65 seconds in a dyeing tank at 30°C containing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1 mol/ml of potassium iodide and 1 wt% of boric acid. The film, which passed through the dyeing tank, was stretched at a stretch ratio of 5.7 times in a wet stretching tank containing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3 wt% of boric acid at 60°C. The film, which passed through the wet stretching tank, was treated for 65 seconds in a crosslinking tank containing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3 wt% of boric acid at 25°C.

가교조를 통과한 상기 필름을 요오드화칼륨 4.5중량%를 함유하는 30℃ 수용액인 보색액을 포함하는 보색조에서 10초 동안 처리하였다. 보색조를 통과한 상기 필름을 수세하고 건조시켜 편광자(두께: 7㎛, 붕산 함량: 20중량%)를 제조하였다.The film passed through the crosslinking bath was treated for 10 seconds in a complementary bath containing a complementary solution, which is a 30°C aqueous solution containing 4.5 wt% potassium iodide. The film passed through the complementary bath was washed and dried to produce a polarizer (thickness: 7 μm, boric acid content: 20 wt%).

(2)편광판의 제조(2) Manufacturing of polarizing plates

상기 제조한 편광자의 양면에 수계 접착제(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 수지 함유)를 도포하고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 트리아세틸셀룰로스(TAC) 필름(두께:25㎛, KonicaTAC, KM社, 열팽창계수:45㎛/(m·℃) 내지 55㎛/(m·℃))을 합지시키고 상기 편광자의 다른 일면에 트리아세틸셀룰로스(TAC) 필름(두께:20㎛, KonicaTAC, KM社, 열팽창계수: 45㎛/(m·℃) 내지 55㎛/(m·℃))을 합지시켰다. 제1위상차층인 액정층과 제2위상차층인 액정층의 적층체(적층체 두께: 2.5㎛, 제1위상차층: 역파장 분산성, 제2 위상차층: 포지티브 C 층)를 PSA 층에 의해 상기 트리아세틸셀룰로스 필름의 다른 일면에 합지시켜 편광판을 제조했다. 최종 편광판의 구조는 TAC - 편광자 - TAC - PSA - 제1위상차층 - PSA 층 - 제2위상차층이다.A water-based adhesive (containing polyvinyl alcohol-based adhesive resin) was applied to both sides of the polarizer manufactured above, and a triacetyl cellulose (TAC) film (thickness: 25 μm, KonicaTAC, KM,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45 μm/(m·℃) to 55 μm/(m·℃)) was laminated to one side of the polarizer, and a triacetyl cellulose (TAC) film (thickness: 20 μm, KonicaTAC, KM,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45 μm/(m·℃) to 55 μm/(m·℃)) was laminated to the other side of the polarizer. A polarizing plate was manufactured by laminating a first phase difference layer, a liquid crystal layer, and a second phase difference layer, a liquid crystal layer (laminated layer thickness: 2.5 ㎛, first phase difference layer: reverse wavelength dispersion, second phase difference layer: positive C layer) on the other side of the triacetyl cellulose film using a PSA layer. The structure of the final polarizing plate is TAC - polarizer - TAC - PSA - first phase difference layer - PSA layer - second phase difference layer.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3Examples 2 and 3

실시예 1에서 염착조, 연신조, 가교조에서 각 성분의 함량을 변경하고, 연신 온도 및 연신비를 하기 표 1과 같이 변경하여 편광자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자 및 편광판을 제조하였다.A polarizer and a polarizing plate were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ntents of each component in the dyeing tank, stretching tank, and crosslinking tank were changed in Example 1, and the stretching temperature and stretching ratio were changed as shown in Table 1 below.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25℃의 물로 수세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PE-#3000, 일본 Kuraray社, 주쇄에 소수성 작용기를 함유하지 않음, 두께:30㎛)을 30℃ 물의 팽윤조에서 팽윤 처리하였다.A polyvinyl alcohol film (PE-#3000, Kuraray, Japan, containing no hydrophobic functional group in the main chain, thickness: 30 μm) washed with water at 25°C was subjected to swelling treatment in a swelling tank containing water at 30°C.

팽윤조를 통과한 상기 필름을 요오드화칼륨 1mol/ml및 붕산 1중량%를 포함하는 수용액을 함유하는 30℃의 염착조에서 65초 동안 처리하였다. 염착조를 통과한 상기 필름을 붕산 3중량%를 함유하는 53℃ 수용액인 습식 연신조에서 연신비 5.7배로 연신시켰다. 상기 연신조를 통과한 상기 필름을 붕산 3중량%를 함유하는 25℃ 수용액을 함유하는 가교조에서 65초 동안 처리하였다.The film, which had passed through the swelling tank, was treated for 65 seconds in a dyeing tank at 30°C containing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1 mol/ml of potassium iodide and 1 wt% of boric acid. The film, which had passed through the dyeing tank, was stretched at a stretch ratio of 5.7 times in a wet stretching tank containing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3 wt% of boric acid at 53°C. The film, which had passed through the stretching tank, was treated for 65 seconds in a crosslinking tank containing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3 wt% of boric acid at 25°C.

가교조를 통과한 상기 필름을 요오드화칼륨 4.5중량%를 함유하는 30℃ 수용액인 보색액을 포함하는 보색조에서 10초 동안 처리하였다. 보색조를 통과한 상기 필름을 수세하고 건조시켜 편광자(두께:12㎛)를 제조하였다.The film, which had passed through the crosslinking bath, was treated for 10 seconds in a complementary bath containing a complementary solution, which was a 30°C aqueous solution containing 4.5 wt% potassium iodide. The film, which had passed through the complementary bath, was washed and dried to produce a polarizer (thickness: 12 μm).

제조한 편광자를 사용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A polarizing plate was manufactured using the same method as in Example 1 using the manufactured polarizer.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TS-#3000, 일본 Kuraray社, 주쇄에 소수성 작용기를 함유함, 두께:30㎛, 연화점: 66℃, 인장 강도(@25℃): 98MPa)을 사용하고, 실시예 1에서 연신비 및 연신 온도를 변경시켜 두께 12㎛의 편광자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편광자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A polyvinyl alcohol film (TS-#3000, Kuraray, Japan, containing a hydrophobic functional group in the main chain, thickness: 30 μm, softening point: 66°C, tensile strength (@25°C): 98 MPa) was used, and a polarizer having a thickness of 12 μm was manufactured by changing the draw ratio and draw temperature in Example 1. A polarizing plate was manufactured using the manufactured polarizer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폴리비닐알코올 필름(TS-#3000, 일본 Kuraray社, 주쇄에 소수성 작용기를 함유함, 두께:30㎛, 연화점: 66℃, 인장 강도(@25℃): 98MPa)을 사용하였다. 두께 10㎛의 편광자를 제조하기 위해 실시예 1에서의 연신비를 6.0배로 변경하고 연신 온도를 65℃로 변경하였다. 그러나, 연신 공정 중에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파단이 발생하여 두께 10㎛의 편광자를 제조하지 못하였다. A polyvinyl alcohol film (TS-#3000, Kuraray, Japan, containing a hydrophobic functional group in the main chain, thickness: 30 μm, softening point: 66°C, tensile strength (@25°C): 98 MPa) was used. To manufacture a polarizer with a thickness of 10 μm, the stretching ratio in Example 1 was changed to 6.0 times and the stretching temperature was changed to 65°C. However, the polyvinyl alcohol film broke during the stretching process, and a polarizer with a thickness of 10 μm could not be manufactured.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TS-#3000, 일본 Kuraray社, 주쇄에 소수성 작용기를 함유함, 두께:30㎛, 연화점: 66℃, 인장 강도(@25℃): 98MPa)을 사용하였다. 두께 7㎛의 편광자를 제조하기 위해 실시예 1에서의 연신비를 7.0배로 변경하고 연신 온도를 65℃로 변경하였다. 그러나, 연신 공정 중에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파단이 발생하여 두께 7㎛의 편광자를 제조하지 못하였다.A polyvinyl alcohol film (TS-#3000, Kuraray, Japan, containing a hydrophobic functional group in the main chain, thickness: 30 μm, softening point: 66°C, tensile strength (@25°C): 98 MPa) was used. To produce a polarizer with a thickness of 7 μm, the stretching ratio in Example 1 was changed to 7.0 times and the stretching temperature was changed to 65°C. However, the polyvinyl alcohol film broke during the stretching process, and a polarizer with a thickness of 7 μm could not be produced.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25℃의 물로 수세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TS-#2000, 일본 Kuraray社, 주쇄에 소수성 작용기를 함유함, 두께: 20㎛, 연화점: 68℃, 인장 강도(@25℃): 98MPa)을 30℃ 물의 팽윤조에서 팽윤 처리하였다.A polyvinyl alcohol film (TS-#2000, Kuraray, Japan, containing a hydrophobic functional group in the main chain, thickness: 20 μm, softening point: 68 °C, tensile strength (@25 °C): 98 MPa) washed with water at 25 °C was subjected to swelling treatment in a swelling tank with water at 30 °C.

팽윤조를 통과한 상기 필름을 요오드화칼륨 1mol/ml 및 붕산 2.5중량%를 포함하는 수용액을 함유하는 30℃의 염착조에서 65초 동안 처리하였다. 염착조를 통과한 상기 필름을 붕산 6중량%를 함유하는 60℃ 수용액인 습식 연신조에서 연신비 5.7배로 연신시켰다. 상기 습식 연신조를 통과한 상기 필름을 붕산 6중량%를 함유하는 25℃ 수용액을 함유하는 가교조에서 65초 동안 처리하였다.The film, which had passed through the swelling tank, was treated for 65 seconds in a dyeing tank at 30°C containing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1 mol/ml of potassium iodide and 2.5 wt% of boric acid. The film, which had passed through the dyeing tank, was stretched at a stretch ratio of 5.7 times in a wet stretching tank containing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6 wt% of boric acid at 60°C. The film, which had passed through the wet stretching tank, was treated for 65 seconds in a crosslinking tank containing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6 wt% of boric acid at 25°C.

가교조를 통과한 상기 필름을 요오드화칼륨 4.5중량%를 함유하는 30℃ 수용액인 보색액을 포함하는 보색조에서 10초 동안 처리하였다. 보색조를 통과한 상기 필름을 수세하고 건조시켜 편광자(두께: 7㎛, 붕산 함량: 35중량%)를 제조하였다.The film passed through the crosslinking bath was treated for 10 seconds in a complementary bath containing a complementary solution, which is a 30°C aqueous solution containing 4.5 wt% potassium iodide. The film passed through the complementary bath was washed and dried to manufacture a polarizer (thickness: 7 μm, boric acid content: 35 wt%).

제조한 편광자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A polarizing plate was manufactured using the same method as in Example 1.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편광판에 대하여 하기 표 1의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었다.The properties of the polarizing plates manufactured in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evaluated in Table 1 below,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and Figures 2 to 4 below.

(1)열팽창계수(단위: ㎛/(m·℃)): 열팽창계수는 열기계적 분석(TMA)을 통해 수득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편광판을 8mm x 5mm(편광자의 MD x 편광자의 TD)으로 절단하여 편광판 샘플을 준비하고, 하기의 열충격 조건을 가하였다. 그런 다음, 편광자의 연신 방향(편광자의 MD)으로 0.02N 내지 0.05N의 하중, 질소 분위기 하에서 상기 편광판 샘플을 5℃/분의 승온 조건으로 25℃부터 80℃까지 승온 후 상기 편광자의 기계적 방향(machine direction)으로 측정된 열팽창계수를 수득하였다.(1)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unit: ㎛/(m·℃)):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was obtained through thermomechanical analysis (TMA). The polarizing plates manufactured in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cut into 8 mm x 5 mm (MD of polarizer x TD of polarizer) to prepare polarizing plate samples, and the following thermal shock conditions were applied. Then, the polarizing plate sample was heated from 25°C to 80°C at a temperature increase condition of 5°C/min under a nitrogen atmosphere with a load of 0.02 N to 0.05 N in the stretching direction of the polarizer (MD of the polarizer), and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measured in the machine direction of the polarizer was obtained.

[열 충격 조건][Thermal shock conditions]

상기 편광판 샘플을 승온 속도 5℃/분으로 25℃부터 80℃까지 승온 → The above polarizing plate sample was heated from 25℃ to 80℃ at a heating rate of 5℃/min →

감온 속도 5℃/분으로 80℃부터 -40℃까지 감온 →Cooling from 80℃ to -40℃ at a cooling rate of 5℃/min →

승온 속도 5℃/분으로 -40℃부터 80℃까지 승온 →Temperature increase from -40℃ to 80℃ at a heating rate of 5℃/min →

감온 속도 5℃/분으로 80℃부터 -40℃까지 감온 →Cooling from 80℃ to -40℃ at a cooling rate of 5℃/min →

승온 속도 5℃/분으로 -40℃부터 80℃까지 승온 →Temperature increase from -40℃ to 80℃ at a heating rate of 5℃/min →

감온 속도 5℃/분으로 80℃부터 -40℃까지 감온.Temperature reduction from 80℃ to -40℃ at a temperature reduction rate of 5℃/min.

(2)열 충격 전과 열 충격 후 편광자의 광 흡수축과 제1위상차층의 지상축 간의 각도 차이의 변화량(△θr-p, 단위: °): 실시예 및 비교예의 편광판에서 편광자의 광 흡수축과 제1위상차층의 지상축 간의 각도를 측정했다. (1)에서의 열 충격을 편광판에 가한 후 편광자의 광 흡수축과 제1위상차층의 지상축 간의 각도를 측정했다. 이로부터 각도의 변화량을 계산했다. 편광자의 광 흡수축과 제1위상차층의 지상축 간의 각도는 AXO Scan을 사용해서 측정되었다.(2) Change in the angle difference between the light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 slow axis of the first phase difference layer before and after thermal shock (△θr-p, unit: °): The angle between the light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 slow axis of the first phase difference layer was measured in the polarizing plates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fter applying the thermal shock in (1) to the polarizing plates, the angle between the light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 slow axis of the first phase difference layer was measured. The change in angle was calculated from this. The angle between the light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 slow axis of the first phase difference layer was measured using AXO Scan.

(3)정면에서의 반사율(단위: %): 실시예 및 비교예의 편광판에 대하여 (1)에서의 열 충격 조건을 가하였다. 그런 다음, Galaxy S7 패널에 부착하고, DMS803(Instrument Systems, Germany) 장비로 SCE(specular component excluded) 반사율을 측정하였다.(3) Reflectance at the front (unit: %): The thermal shock conditions in (1) were applied to the polarizing plates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n, they were attached to the Galaxy S7 panel, and the SCE (specular component excluded) reflectance was measured using DMS803 (Instrument Systems, Germany) equipment.

(4)반사 색상 산포: 실시예 및 비교예의 편광판에 대해 (1)에서의 열 충격 조건을 가하였다. 그런 다음, (3)에 따라 SCE반사 측정 방법으로 방위각에 따른 색상 산포를 평가했다. 상기 색상 산포는 CIE a*, b* 값에 기초하여 측정한 것으로, Galaxy S7 패널에 실시예 및 비교예의 편광판을 부착하고 SCE반사 측정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그로부터 얻은 결과를 방위각별로 반사 색상 이동 거리를 계산하여, 색상 산포를 평가할 수 있는 수치를 얻었다. 색상 산포는 0°에서부터 180°까지 방위각을 변화시킬때의 극각 60°에서의 색상값의 차이를 나타낸다. 수치가 낮을수록 반사 색상 산포가 낮아 화면 품질이 우수함을 의미한다.(4) Reflection color dispersion: The thermal shock conditions in (1) were applied to the polarizing plates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n, the color dispersion according to the azimuth was evaluated by the SCE reflection measurement method according to (3). The color dispersion was measured based on the CIE a*, b* values, and the polarizing plates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attached to the Galaxy S7 panel and evaluated by the SCE reflection measurement method. From the results obtained, the reflection color shift distance was calculated by azimuth, and a numerical value for evaluating the color dispersion was obtained. The color dispersion represents the difference in the color value at a polar angle of 60° when the azimuth changes from 0° to 180°. A lower numerical value means a lower reflection color dispersion and better screen quality.

실시예Example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1 22 33 11 22 55 PVA 필름 종류PVA film types TS-
#2000
TS-
#2000
TS-
#2000
TS-
#2000
TS-
#2000
TS-
#2000
PE-
#3000
PE-
#3000
TS-
#3000
TS-
#3000
TS-
#2000
TS-
#2000
연신 온도Extension temperature 6060 5757 6060 5353 6060 6060 연신비Yeonshinbi 5.75.7 5.75.7 5.95.9 5.75.7 5.95.9 5.75.7 편광자 두께Polarizer thickness 77 7.87.8 77 1212 1212 77 열팽창계수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97.397.3 98.598.5 100.0100.0 130.2130.2 108.4108.4 125.6125.6 △θr-p△θr-p 0.90.9 1.21.2 1.31.3 3.13.1 2.92.9 3.83.8 반사율reflectivity 0.190.19 0.210.21 0.180.18 0.380.38 0.350.35 0.460.46 반사 색상 산포Reflected color scatter 2.82.8 3.23.2 2.62.6 6.76.7 6.26.2 7.17.1

상기 표 1 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편광판은 열 충격 후에도 식 1의 △θr-p, 반사율 및 반사 색상 산포가 낮았다. 따라서, 상기 표 1에서 보여지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편광판은 열 충격 조건 후에도 반사율 및 반사 색상 산포에서 신뢰성이 우수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에, 비교예의 편광판은 식 1의 △θr-p, 반사율 및 반사 색상 산포가 실시예 대비 전체적으로 높아서 신뢰성이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As shown in Table 1 above,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had low △θr-p, reflectance, and reflection color dispersion of Equation 1 even after thermal shock. Therefore, although not shown in Table 1 above,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ected to have excellent reliability in reflectance and reflection color dispersion even after thermal shock conditions. On the other hand, the polarizing plate of the comparative example is expected to have low reliability because the △θr-p, reflectance, and reflection color dispersion of Equation 1 are overall higher than those of the example.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편광판은 열충격 조건에서의(승온과 감온의 4회 반복) 열기계적 분석 결과로 열팽창계수(CTE)가 97.3㎛/(m·℃)임을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polarizing plate of Example 1 can be confirmed to have a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CTE) of 97.3 ㎛/(m·℃) as a result of thermomechanical analysis under thermal shock conditions (4 repetitions of heating and cooling).

반면에,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편광판은 열충격 조건에서의(승온과 감온의 4회 반복) 열기계적 분석 결과로 열팽창계수(CTE)가 130.2㎛/(m·℃)임을 확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3, the polarizing plate of Comparative Example 1 can be confirmed to have a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CTE) of 130.2 ㎛/(m·℃) as a result of thermomechanical analysis under thermal shock conditions (4 repetitions of heating and cooling).

또한,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편광판은 열 충격 조건 이후에도 반사 색상 산포가 현저하게 낮음을 확인할 수 있다.Additionally, as shown in Fig. 4,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olarizing plate of the embodiment has remarkably low reflection color dispersion even after thermal shock conditions.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all such modifications or changes can be considered t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4)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위상차층을 구비하는 편광판으로서,
상기 편광자는 두께가 10㎛ 이하이고,
상기 편광판은 하기의 열 충격(Thermal shock) 조건 후 상기 편광자의 기계적 방향(machine direction)으로 측정된 열팽창계수(CTE)가 100㎛/(m·℃) 이하인, 편광판:
[열 충격 조건]
상기 편광판 샘플을 승온 속도 5℃/분으로 25℃부터 80℃까지 승온 →
감온 속도 5℃/분으로 80℃부터 -40℃까지 감온 →
승온 속도 5℃/분으로 -40℃부터 80℃까지 승온 →
감온 속도 5℃/분으로 80℃부터 -40℃까지 감온 →
승온 속도 5℃/분으로 -40℃부터 80℃까지 승온 →
감온 속도 5℃/분으로 80℃부터 -40℃까지 감온.
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a polarizer and a phase difference layer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The above polarizer has a thickness of 10㎛ or less,
The above polarizing plate is subject to the following thermal shock A polarizing plate having a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CTE) of 100㎛/(m·℃) or less measured in the machine direction of the polarizer after conditioning:
[Thermal shock conditions]
The above polarizing plate sample was heated from 25℃ to 80℃ at a heating rate of 5℃/min →
Cooling from 80℃ to -40℃ at a cooling rate of 5℃/min →
Temperature increase from -40℃ to 80℃ at a heating rate of 5℃/min →
Cooling from 80℃ to -40℃ at a cooling rate of 5℃/min →
Temperature increase from -40℃ to 80℃ at a heating rate of 5℃/min →
Temperature reduction from 80℃ to -40℃ at a temperature reduction rate of 5℃/m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은 친수성 작용기 및 소수성 작용기를 모두 갖는 것인, 편광판.
A polarizing plate in claim 1, wherein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has both a hydrophilic functional group and a hydrophobic functional grou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은 연화점이 66℃ 내지 70℃인 것인, 편광판.
A polarizing plate in claim 1, wherein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has a softening point of 66°C to 70°C.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상기 열 충격 조건에서 측정된 열팽창계수는 상기 편광판의 상기 열 충격 조건에서 측정된 열팽창계수의 50% 내지 250%인 것인, 편광판.
A polarizing plate, wherein, in the first paragraph,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polarizer measured under the thermal shock conditions is 50% to 250% of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polarizing plate measured under the thermal shock condi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는 붕산 함량이 15중량% 내지 30중량%인 것인, 편광판.
A polarizing plate in claim 1, wherein the polarizer has a boric acid content of 15% to 30% by we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상기 열 충격 조건 처리 전의 열팽창계수가 20㎛/(m·℃) 이하인 것인 편광판.
In the first paragraph, the polarizing plate is a polarizing plate having a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20 ㎛/(m·℃) or less before the thermal shock condition treat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층은 상기 편광자로부터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위상차층 및 제2위상차층을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
A polarizing plate in claim 1, wherein the phase difference layer includes a first phase difference layer and a second phase difference layer sequentially laminated from the polariz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상차층 및 상기 제2위상차층은 각각 액정층인 것인, 편광판.
A polarizing plate in claim 7, wherein the first phase difference layer and the second phase difference layer are each liquid crystal lay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상차층의 지상축은 상기 편광자의 광 흡수축에 대해 40° 내지 50°를 이루는 것인, 편광판.
A polarizing plate in claim 1, wherein the ground axis of the first phase difference layer is 40° to 50° with respect to the light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보호층이 더 적층된 것인, 편광판.
A polarizing plate in accordance with claim 1, wherein a protective layer is further laminated on one or both sides of the polariz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 적층된 제1보호층, 상기 편광자의 다른 일면에 적층된 제2보호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보호층과 상기 제2보호층은 열팽창계수가 동일하거나 다른 것인, 편광판.
In the first paragraph, the polarizing plate further includes a first protective layer laminated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and a second protective layer lamin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larizer, and the first protective layer and the second protective layer have the same or different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호층, 상기 제2보호층은 각각 열팽창계수가 30㎛/(m·℃) 이상인 것인, 편광판.
A polarizing plate in claim 11, wherein the first protective layer and the second protective layer each have a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30 ㎛/(m·℃) or mo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아래 식 1로 정의되는 각도 변화량 △θr-p이 2.5° 이하인 것인, 편광판:
[식 1]
△θr-p
(상기 식 1에서, △θr-p는 편광판에 열 충격을 가하기 전 편광자의 광 흡수축과 위상차층의 지상축 간의 각도와, 편광판에 열 충격을 가한 후 편광자의 광 흡수축과 위상차층의 지상축 간의 각도의 차이의 절대값).
In the first paragraph, the polarizing plate is a polarizing plate in which the angle change amount △θr-p defined by Equation 1 below is 2.5° or less:
[Formula 1]
△θr-p
(In the above equation 1, △θr-p is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angle between the light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 slow axis of the phase difference layer before applying a thermal shock to the polarizer, and the angle between the light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 slow axis of the phase difference layer after applying a thermal shock to the polarizer).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것인, 광학표시장치.An optical display device comprising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3.
KR1020240019590A 2024-02-08 2024-02-08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Pending KR20250123429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19590A KR20250123429A (en) 2024-02-08 2024-02-08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PCT/KR2025/001694 WO2025170312A1 (en) 2024-02-08 2025-02-05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19590A KR20250123429A (en) 2024-02-08 2024-02-08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123429A true KR20250123429A (en) 2025-08-18

Family

ID=96700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9590A Pending KR20250123429A (en) 2024-02-08 2024-02-08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50123429A (en)
WO (1) WO2025170312A1 (e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022B1 (en) * 2011-12-30 2014-06-24 제일모직주식회사 Polarizer plate and optic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1628428B1 (en) * 2012-12-17 2016-06-08 제일모직주식회사 Polarizing plate,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1518503B1 (en) * 2012-12-28 2015-05-11 제일모직주식회사 Method for preparing polarizing plate, polarizing plate prepared from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KR20180086451A (en) * 2015-11-23 2018-07-31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Wire grid polariz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230818B1 (en) * 2017-11-03 2021-03-22 주식회사 엘지화학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device
KR102097815B1 (en) * 2019-08-07 2020-04-07 주식회사 엘지화학 Optica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5170312A1 (en) 2025-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5143B1 (en) Polarizer, polarizing film, multilayer polarizing film, image display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TWI417580B (en) Retardation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optical functional film, polarizing film, and display device
KR102225890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JP7439238B2 (en) Polarizer
KR102068399B1 (en) Polarizing plate, display devic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KR20150001276A (en) Method for preparing polarizer and polarizer
KR20100102292A (en) Preparing method for polarizer, polarizer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KR101626194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polarizing film
WO2005096040A1 (en) Process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polarizing film obtained thereby and image display appratus utilizing the same
KR20100102291A (en) Preparing method for thin polarizer, thin polarizer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KR101718937B1 (en) Method of preparing polarizer for led
KR101613596B1 (en) Polarizer, preparing method thereof,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2740835B1 (en)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2063205B1 (en) Polarizing plate and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comprising the same
KR20220022410A (en) Polarizing Plate for Antireflection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250123429A (en)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JP6324947B2 (en) Image display device
KR20240033057A (en) optical laminate
KR102593637B1 (en) Polarizer,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20100129509A (en) How to improve optical durability of polarizer
KR102745113B1 (en) Optical laminat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2705598B1 (en) Optical laminat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20120015753A (en) A polarizer, a polarizer using a polarizer, a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a polarizer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larizer
KR20250033739A (en)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KR20230110196A (en) Polariz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