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50123598A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50123598A
KR20250123598A KR1020240019980A KR20240019980A KR20250123598A KR 20250123598 A KR20250123598 A KR 20250123598A KR 1020240019980 A KR1020240019980 A KR 1020240019980A KR 20240019980 A KR20240019980 A KR 20240019980A KR 20250123598 A KR20250123598 A KR 20250123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mage data
display device
buffers
stor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199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용수
김중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40019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50123598A/en
Priority to PCT/KR2024/020086 priority patent/WO2025170169A1/en
Publication of KR20250123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50123598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2Improving the response spe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35Change or adaptation of the frame rate of the video strea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8Use of a frame buffer in a display terminal, inclusive of the display pan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2Use of DVI or HDMI protocol in interfaces along the display data pipe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스 장치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복수의 버퍼;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및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복수의 버퍼 중 상기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버퍼를 인식하고, VRR(Variable Refresh Rate) 모드 실행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버퍼의 개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레이턴시를 인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레이턴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A display device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image data from a source device; a plurality of buffers that store the image data; a display o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and a processor that recognizes a buffer among the plurality of buffers in which the image data is stored at preset intervals, recognizes display latency based on the number of buffers in which the image data is stored when a VRR (Variable Refresh Rate) mode execution command is received, and displays an image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display latency through the display.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개시된 발명은 디스플레이 레이턴시(Latency)를 인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disclosed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that recognizes display latency.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획득 또는 저장된 전기적 정보를 시각적 정보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출력 장치의 일종으로, 가정이나 사업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In general, a display device is a type of output device that converts acquired or stored electrical information into visual information and displays it to the user, and is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homes and businesses.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장치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 영상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한 출력 영상 신호에 따른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싱크(sink) 장치로서 소스 장치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 영상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한 출력 영상 신호에 따른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A display device can receive image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convert it into an output image signal, and output an image based on the converted output image signal. For example, a display device can function as a sink device, receiving image data from a source device, converting it into an output image signal, and outputting an image based on the converted output image signal.

외부 장치가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 때부터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영상을 출력할 때까지의 시간을 시스템 레이턴시(System Latency)라고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외부 장치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 때부터 디스플레이를 통해 영상을 출력할 때까지의 시간을 디스플레이 레이턴시(Display Latency)라고 한다.The time it takes for an external device to generate image data and for the display device to output the image is called system latency. Furthermore, the time it takes for a display device to receive image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and output the image is called display latency.

디스플레이 레이턴시(Display Latency)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고사양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경우 원활한 사용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Display latency is an important factor for smooth use when users use high-spec programs through their display devices.

최근에는 시스템 레이턴시(Sytem Latency)에 관한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디스플레이 레이턴시(Sytem Latency)를 측정하는 기능은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Recently, research on technology related to system latency has been conducted, but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it does not provide a function to measure display latency.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한 디스플레이 레이턴시(Display Latency)를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에서 측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disclosed invention, display latency by a display device can be measured by the display device itself.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 내 버퍼의 사용량을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레이턴시(Display Latency)를 측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disclosed invention, display latency can be measured by taking into account the usage of a buffer within a display device.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레이턴시(Display Latency)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레이턴시(Display Latency)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disclosed invention, display latency is displayed through a display so that a user can visually perceive the display latency.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스 장치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복수의 버퍼;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및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복수의 버퍼 중 상기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버퍼를 인식하고, VRR(Variable Refresh Rate) 모드 실행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버퍼의 개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레이턴시를 인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레이턴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image data from a source device; a plurality of buffers that store the image data; a display o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and a processor that recognizes a buffer in which the image data is stored among the plurality of buffers at preset intervals, recognizes display latency based on the number of buffers in which the image data is stored when a VRR (Variable Refresh Rate) mode execution command is received, and displays an image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display latency through the display.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은 소스 장치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복수의 버퍼 및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복수의 버퍼 중 상기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버퍼를 인식하는 단계; VRR(Variable Refresh Rate) 모드 실행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버퍼의 개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레이턴시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레이턴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image data from a source device, a plurality of buffers for storing the image data, and a display for displaying the image, the method comprising: a step of recognizing a buffer in which the image data is stored among the plurality of buffers at preset intervals; a step of recognizing a display latency based on the number of buffers in which the image data is stored when a VRR (Variable Refresh Rate) mode execution command is received; and a step of displaying an image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display latency through the display.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정보, 응답 속도 정보 및 출력 영상 신호의 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일예를 도시한다.
도 4은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레이턴시를 인식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레이턴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일예를 도시한다.
도 6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레이턴시를 인식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장치,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 간 데이터 및 정보 교환의 일 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Figure 1 illustrates a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2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3 illustrates an example of information regarding resolution information, response speed information, and frequency of an output image signal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recognizing display latenc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5 illustrates an example of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display latenc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recognizing display latenc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data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 source device, a control unit, and a displa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and terms used in this document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features described in this document to specific embodiments, but rather to include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of the embodiments.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similar or related components.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ingular form of a noun corresponding to an item may include one or more of said items, unless the relevant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document, each of the phrases "A or B", "at least one of A and B", "at least one of A or B", "A, B, or C", "at least one of A, B, and C", and "at least one of A, B, or C" may include any one of the items listed together in that phrase, or all possible combinations thereof.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구성요소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구성요소들 중의 어느 구성요소를 포함한다.The term “and/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elements or any one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elements.

"부", "모듈", "부재"라는 용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terms "part," "module," and "member"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Depending on the embodiments, multiple "parts," "modules," or "members"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omponent, or a single "part," "module," or "member" may include multiple components.

"제1", "제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or "first" or "second" may be used simp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do not qualify the components in any other respect (e.g., importance or order).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When a component (e.g., a first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e.g., a second component), with or without the terms "functionally" or "communicatively," it means that the component can be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directly (e.g., wired), wirelessly, or through a third component.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본 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is docum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지지” 또는 “접촉”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구성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지지 또는 접촉되는 경우뿐 아니라,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 결합, 지지 또는 접촉되는 경우를 포함한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coupled,” “supported,” or “in contact with” another component, this includes not only cases where the components are directly connected, coupled, supported, or in contact, but also cases where the components are indirectly connected, coupled, supported, or in contact through a third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When we say that a component is “on” another component, this includes not only cases where the component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component, but also cases where there is another component between the two components.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 “후”, “좌”, “우”, “상”, “하”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다만, 상기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측을 +X 측으로 정의하고, 후측을 -X 측으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을 기준으로, 우측을 +Y 측으로 정의하고, 좌측을 -Y 측으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을 기준으로, 상측을 +Z 측으로 정의하고, 하측을 -Z 측으로 정의할 수 있다.Meanwhile, the terms “front,” “back,” “left,” “right,” “upper,” and “lower”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defined based on the drawing, but the shape and position of each component are not limited by the above terms. For example, the front side may be defined as the +X side, and the rear side may be defined as the -X side. For example, based on the drawing, the right side may be defined as the +Y side, and the left side may be defined as the -Y side. For example, based on the drawing, the upper side may be defined as the +Z side, and the lower side may be defined as the -Z sid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도시한다.Figure 1 illustrates a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1)은 디스플레이 장치(10) 및 소스 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와 소스 장치(20)는 케이블(C)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system (1) may include a display device (10) and a source device (20). The display device (10) and the source device (20) may be connected via a cable (C).

디스플레이 장치(10)와 소스 장치(20)의 연결에는 다양한 연결 인터페이스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 인터페이스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및/또는 DP 인터페이스(Display Port Interface)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C)은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케이블 및/또는 DP(Display Port)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Various connection interfaces may be used to connect the display device (10) and the source device (20). For example, the connection interface may include an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and/or a DP interface (Display Port Interface). The cable (C) may include an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cable and/or a DP (Display Port) cable.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오디오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장치, 액정 디스플레이(LCD) 장치,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장치, 무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빔 프로젝터에 해당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예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The display device (10) may include various devices capable of displaying images. The display device (10) may also output audio.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10) may correspond to a light-emitting diode (LED) display devic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device,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device, an in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or a beam projector. The display device (10) is not limited to those exemplified.

소스 장치(20)는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스 장치(20)는 셋탑 박스, 케이블 수신 장치, 위성 방송 수신 장치, 퍼스널 컴퓨터, 게임 콘솔, 스마트폰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 플레이어에 해당할 수 있다. 소스 장치(20)는 예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A source device (20) can transmit image data to a display device (10). For example, the source device (20) may be a set-top box, a cable receiver, a satellite broadcast receiver, a personal computer, a game console, a smartphone, or a Blu-ray disc player. The source device (20) is not limited to those exemplified.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소스 장치(2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영상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싱크(sink) 기기에 해당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디스플레이(140)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기 위해 영상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10) can receive image data from the source device (20) and process the image data. In other words, the display device (10) can correspond to a sink device. The display device (10) can process the image data to output the image through the display (140).

디스플레이(12)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는 다양한 패널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2)는 LED 패널, LCD 패널, OLED 패널 또는 무기 LED 패널로 마련될 수 있다.The display (12) can output images. The display (12) can be provided with various panels. For example, the display (12) can be provided with an LED panel, an LCD panel, an OLED panel, or an inorganic LED panel.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정보, 응답 속도 정보 및 출력 영상 신호의 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일예를 도시한다.Fig. 2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3 illustrates an example of information regarding resolution information, response speed information, and frequency of an output image signal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연결 인터페이스(30), 통신부(40), 제어부(70), 사용자 인터페이스(50) 및/또는 메모리(6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display device (10) may include a connection interface (30), a communication unit (40), a control unit (70), a user interface (50), and/or a memory (60).

연결 인터페이스(30)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에 해당할 수 있다. 소스 장치(20)는 연결 인터페이스(3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와 연결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interface (30) may correspond to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The source device (20) may be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10) via the connection interface (30).

연결 인터페이스(30)는 다양한 데이터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he connection interface (30) may include various data channels. For example,

통신부(40)는 연결 인터페이스(30)를 통해 소스 장치(20)로부터 소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40) can receive source data from the source device (20) through the connection interface (30).

통신부(40)는 소스 장치(20)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소스 장치(2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40)는 연결 인터페이스(30)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연결 인터페이스(30)를 통해 소스 장치(20)로 각종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통신부(40)는 연결 인터페이스(30)를 통해 소스 장치(20)의 레이턴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40) can transmit data to the source device (20) or receive data from the source device (20).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40) can receive image data through the connection interface (30) or transmit various data to the source device (20) through the connection interface (30). As anothe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40) can receive information regarding the latency of the source device (20) through the connection interface (30).

소스 장치(20)의 레이턴시는 소스 장치(20)가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되는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장치(20)가 키보드인 경우, 사용자가 키보드의 키 패드를 가압하여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영상 데이터로 생성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송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가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atency of the source device (20) may include the time it takes for the source device (20) to generate image data. For example, if the source device (20) is a keyboard, the latency may include the time it takes for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user pressing the keypad of the keyboard to be generated as image data. In addition, the latency may include the time it takes for the generated image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device (10) and for the display device (10) to receive the generated image data.

통신부(40)는 소스 장치(2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제어부(70)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40)는 소스 장치(20)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40) can transmit data received from the source device (20) to the control unit (70).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40) can transmit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source device (20).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통신부(40)가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70)는 소스 장치(20)로부터 연결 인터페이스(30)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직접 수신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0) may not be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unit (40).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70) can directly receive image data from the source device (20) through a connection interface (30).

이외에도, 통신부(40)는 소스 장치(20) 이외의 외부장치(예: 서버, 사용자 기기 등)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40)는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예: 블루투스,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예: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40) may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a direct (e.g., wired) communication channel or a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external devices (e.g., servers, user devices, etc.) other than the source device (20), and the performance of communication through the established communication channe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4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e.g., a cellular communication modul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r a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communication module) or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e.g., a local area network (LAN) communication module, or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Among these communication modules, a corresponding communication module may communicate with the external device through a first network (e.g., a short-rang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Bluetooth, 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or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or a second network (e.g., a long-rang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legacy cellular network, a 5G network, a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network, the Internet, or a computer network (e.g., a LAN or WAN)). These different types of communication modules may be integrated into a single component (e.g., a single chip) or implemented as multiple separate components (e.g., multiple chips).

근거리 통신 모듈(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WLAN(와이파이)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모듈, WFD(Wi-Fi Direct) 통신 모듈, UWB(ultrawideband) 통신 모듈, Ant+ 통신 모듈, 마이크로 웨이브(uWave)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a BLE (Bluetooth Low Energy) communication module, a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a WLAN (Wi-Fi) communication module, a Zigbee communication module, an infrared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communication module, a WFD (Wi-Fi Direct) communication module, an UWB (ultrawideband) communication module, an Ant+ communication module, a microwave (uWave) communication module, etc.

원거리 통신 모듈은, 다양한 종류의 원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부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The long-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that performs various types of long-distance communication and may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unit.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and receives wireless signals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40)는 주변의 접속 중계기(AP: Access point)를 통해 외부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접속 중계기(AP)는 디스플레이 장치(10), 다른 가전 기기, 및/또는 사용자 기기가 연결된 지역 네트워크(LAN)를 서버가 연결된 광역 네트워크(WAN)에 연결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 사용자 기기는 광역 네트워크(WAN)를 통해 서버에 연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40) can communicate with external devices via a surrounding access point (AP). The access point (AP) can connect a local area network (LAN) to which the display device (10), other home appliances, and/or user devices are connected to a wide area network (WAN) to which the server is connected. The display device (10) and the user devices can be connected to the server via the wide area network (WAN).

제어부(70)는 프로세서(71) 및/또는 복수의 버퍼(72)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70) may include a processor (71) and/or a plurality of buffers (72).

프로세서(71)는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출력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이미지 프로세서(71a) 및/또는 복수의 버퍼(72) 중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버퍼를 인식하는 카운터부(71b)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or (71) may include an image processor (71a) capable of generating an output image signal based on image data and/or a counter unit (71b) that recognizes a buffer among a plurality of buffers (72) in which image data is stored.

일 실시예에서, 이미지 프로세서(71a)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12)를 통해 출력될 영상에 관한 출력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프로세서(71a)는 영상 데이터를 신호 처리(Signal Processing)을 하고, 신호 처리(Signal Processing)된 영상 신호를 스케일링(Scaling)한 출력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mage processor (71a) may process image data to generate an output image signal for an image t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12). For example, the image processor (71a) may perform signal processing on image data and generate an output image signal by scaling the signal-processed image signal.

이미지 프로세서(71a)가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소요하는 시간은 영상 처리 시간(Processing Time)을 포함할 수 있다.The time taken by the image processor (71a) to process image data may include image processing time.

카운터부(71b)는 복수의 버퍼(72)에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운터부(71b)는 복수의 버퍼(72) 각각의 특정 위치에 플래그(flag)를 사용하여 마크를 하고, 마크가 된 특정 위치에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인식할 수 있다.The counter unit (71b) can recognize whether image data is stored in a plurality of buffers (72). For example, the counter unit (71b) can mark a specific location in each of the plurality of buffers (72) using a flag, and recognize whether image data is stored in the marked specific location.

복수의 버퍼(72)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버퍼(72)는 소정의 데이터 크기를 가지는 데이터 공간을 포함할 수 있고, 데이터 공간에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공간의 크기는 버퍼(72)가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buffers (72) can store image data.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buffers (72) can include a data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data size and can store image data in the data space. The size of the data space can include the data size that the buffers (72) can store.

복수의 버퍼(72)는 저장한 영상 데이터 크기가 소정의 데이터 크기 이상인 경우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Multiple buffers (72) can output stored data to the outside when the stored image data size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data size.

복수의 버퍼(72)는 프로세서(71)와 연결되어 프로세서(71)로 전달될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버퍼(72)는 통신부(40) 및/또는 연결 인터페이스(3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수신한 영상 데이터의 크기가 소정의 데이터 크기 이상인 경우 저장된 데이터를 프로세서(71)로 출력할 수 있다.A plurality of buffers (72) can be connected to the processor (71) and store image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processor (71).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buffers (72) can receive image data from the communication unit (40) and/or the connection interface (30), store the received image data, and output the stored data to the processor (71) when the size of the received image data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data size.

이로 인해, 소스 장치(20)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와 이미지 프로세서(71a)가 생성하는 출력 영상 신호의 타이밍을 동기화할 수 있다. Due to this, the timing of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source device (20) and the output image signal generated by the image processor (71a) can be synchronized.

복수의 버퍼(72)는 라인 버퍼 및/또는 프레임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버퍼는 디스플레이(12)가 출력할 영상의 프레임 단위의 영상 데이터 크기를 저장할 수 있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buffers (72) may include a line buffer and/or a frame buffer. The frame buffer may include a buffer capable of storing the image data size of a frame unit of an image to be output by the display (12).

라인 버퍼는 디스플레이(12)가 출력할 영상의 프레임 단위의 영상 데이터 크기 중 일부를 저장할 수 있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ine buffer may include a buffer capable of storing a portion of the image data size of a frame unit of an image to be output by the display (12).

프레임 버퍼의 데이터 공간의 크기는 라인 버퍼의 데이터 공간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The size of the data space of the frame buffer can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data space of the line buffer.

디스플레이(12)는 제어부(7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2)는 이미지 프로세서(71a)가 생성한 출력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The display (12) can output an image based on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70). For example, the display (12) can output an image based on an output image signal generated by the image processor (71a).

디스플레이(12)는 제어부(70)와 복수의 주사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들어, 복수의 주사선은 디스플레이(12)의 수평한 방향으로 제어부(70)와 연결되는 수평 주사선 및 디스플레이(12)의 수직한 방향으로 제어부(70)와 연결되는 수직 주사선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12)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70) by a plurality of scanning lines.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scanning lines may include a horizontal scanning lin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70) in a horizontal direction of the display (12) and a vertical scanning lin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70)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display (12).

이미지 프로세서(71a)가 생성한 출력 영상 신호는 복수의 주사선을 통해 디스플레이(12)에 전달될 수 있다. 주사선의 개수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해상도에 대응하는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 주사선의 개수가 3840개이고, 수직 주사선의 개수가 2160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해상도는 3840 X 2160일 수 있다. 다만, 본 개시에 따른 해상도에 대응하는 주사선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해상도가 3840 X 2160인 경우, 수직 주사선의 개수는 2250개일 수 있다.The output image signal generated by the image processor (71a) can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12) through a plurality of scan lines. The number of scan lines can include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resolution of the display device (10). 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horizontal scan lines is 3840 and the number of vertical scan lines is 2160, the resolution of the display device (10) can be 3840 X 2160. However, the number of scan lines corresponding to the resolu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when the resolution of the display device (10) is 3840 X 2160, the number of vertical scan lines can be 2250.

사용자 인터페이스(50)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에 마련되는 다양한 물리 버튼 및/또는 터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가 터치 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12)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전원 온, 전원 오프, 볼륨 조정, 채널 조정, 화면 조정, 각종 설정 변경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50) can obtain user input. The user interface (50) can include various physical buttons and/or touch buttons provided on the display device (10). If the display (12) includes a touch screen panel, the display (12) can also function as the user interface. The user interface (50) can obtain user inpu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10), such as powering on or off, adjusting volume, adjusting channels, adjusting screens, and changing various settings of the display device (10).

메모리(60)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60)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데이터, 인스트럭션, 소프트웨어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80)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S-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또는 D-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60)는 데이터를 장기간 저장하기 위한 롬(Read Only Memory),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또는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60) can store various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 The memory (60) can store programs, data, instructions, software, and/or application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 The memory (180) can include volatile memory such as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or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for temporarily storing data. In addition, the memory (60) can include nonvolatile memory such as Read Only Memory (ROM),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or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for long-term storage of data.

도 2에서는 메모리와 제어부가 별개의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일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the memory and control unit are depicted as separate configurations in FIG. 2, they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configuration.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memory.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60)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해상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가 UHD(Ultra High Definition) 디스플레이 장치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해상도는 3840 X 2160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in one embodiment, the memory (60) can store resolution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 For example, if the display device (10) is a UHD (Ultra High Definition) display device, the resolution of the display device (10) can be 3840 X 2160.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60)는 디스플레이(12)의 응답 속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의 응답 속도는 디스플레이(12)가 출력하는 영상의 일부 색상이 전환되기까지 필요한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의 응답 속도는 픽셀 응답 속도로 명칭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의 응답 속도는 디스플레이(12)의 성능에 따라 미리 정해질 수 있다. 메모리(60)는 미리 정해진 응답 속도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memory (60) may store information regarding the response speed of the display (12). The response speed of the display (12) may include the time required for some colors of an image output by the display (12) to change. The response speed of the display (12) may be referred to as a pixel response speed. The response speed of the display (12) may be predetermined based on the performance of the display (12). The memory (60) may store information regarding the predetermined response speed.

메모리(60)는 출력 영상 신호 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가 고정된 주파수를 가지는 출력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고정된 주파수(60Hz)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출력 영상 신호 주파수는 주사율(Refresh Rate)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mory (60) can store information regarding the output image signal frequency.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device (10) generates an output image signal having a fixed frequency, information regarding the fixed frequency (60 Hz) can be stored. The output image signal frequency can include a refresh rate.

도 4은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레이턴시를 인식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레이턴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일예를 도시한다.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recognizing display latenc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5 illustrates an example of displaying information regarding display latenc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소스 장치(2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200).Referring to FIG. 4, the display device (10) can receive image data from the source device (20) (200).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영상 데이터를 버퍼(72)에 저장할 수 있다(210). The display device (10) can store image data in a buffer (72) (210).

예를 들어, 프로세서(71)는 복수의 버퍼(72) 중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버퍼에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71) can store image data in a buffer required for processing image data among a plurality of buffers (72).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버퍼를 인식할 수 있다(220). The display device (10) can recognize a buffer in which image data is stored (220).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71)는 복수의 버퍼(72) 중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버퍼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운터부(71b)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복수의 버퍼(72) 중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버퍼를 인식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71) can recognize a buffer in which image data is stored among a plurality of buffers (72). For example, the counter unit (71b) can recognize a buffer in which image data is stored among a plurality of buffers (72) at preset intervals.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버퍼의 개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레이턴시(Latency)를 인식할 수 있다(230).The display device (10) can recognize the display latency based on the number of buffers in which image data is stored (230).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71)는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버퍼의 개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레이턴시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71)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인식된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버퍼의 개수에 비례한 디스플레이 레이턴시를 인식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71) may recognize display latency based on the number of buffers in which image data is stored. For example, the processor (71) may recognize display latency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buffers in which recognized image data is stored at preset intervals.

디스플레이 레이턴시는 디스플레이 장치(10)가 소스 장치(2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 후 디스플레이(12)를 통해 영상이 출력되기까지의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는 소스 장치(20)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와 이미지 프로세서(71a)가 생성한 출력 영상 신호의 타이밍을 동기화하기 위해 영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 후 이미지 프로세서(71a)에 전달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레이턴시는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버퍼의 개수에 따라 디스플레이 레이턴시가 결정될 수 있다.Display latency may include the time from when the display device (10) receives image data from the source device (20) until the image is output through the display (12). The buffer may temporarily store the image data and then transmit it to the image processor (71a) to synchronize the timing of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source device (20) and the output image signal generated by the image processor (71a). However, the display latency may increase. Therefore, the display latency may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buffers storing the image data.

디스플레이 레이턴시는 영상 처리 시간(Processing Time)과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응답 속도를 더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Display latency may include the sum of the image processing time and the response speed of the display device (10).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디스플레이 레이턴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240).The display device (10) can display an image including information about display latency (240).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71)는 디스플레이 레이턴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2)를 제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71) may control the display (12) to display an image that includes information regarding display latency.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2)는 디스플레이 레이턴시 값(예: 2ms)에 관한 시각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레이턴시 인터페이스 엘리먼트(U1)를 표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5, the display (12) may display a display latency interface element (U1) that includes visual information regarding a display latency value (e.g., 2 ms).

도 6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레이턴시를 인식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recognizing display latenc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소스 장치(2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300, 도 4의 200).Referring to FIG. 6, the display device (10) can receive image data from the source device (20) (300, 200 of FIG. 4).

디스플레이 장치(10)는 VRR(Variable Refresh Rate) 모드 실행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310). VRR 모드는 소스 장치(20)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따라 출력 영상 신호의 주파수를 변경하는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40)는 소스 장치(20) 및/또는 소스 장치를 제외한 외부 장치(예: 서버, 사용자 기기 등)로부터 VRR 모드 실행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0) can receive a VRR (Variable Refresh Rate) mode execution command (310). The VRR mode can include a mode for changing the frequency of an output image signal according to image data received from a source device (20).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40) can receive a VRR mode execution command from the source device (20) and/or an external device (e.g., a server, a user device, etc.) other than the source device.

디스플레이 장치(10)는 VRR 모드 실행 명령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310의 예) 영상 데이터를 라인 버퍼에 저장할 수 있다(320). The display device (10) can store image data in a line buffer (320) based on receiving a VRR mode execution command (example of 310).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71)는 VRR 모드 실행 명령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영상 데이터를 라인 버퍼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71)는 VRR 모드 실행 명령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프레임 버퍼에도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71) may store image data in a line buffer based on receiving a VRR mode execution command. Additionally, the processor (71) may also store image data in a frame buffer based on receiving a VRR mode execution command.

VRR 모드의 경우 소스 장치(20)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따라 출력 영상 신호의 주파수를 변경하기 때문에 영상의 프레임 단위의 영상 데이터를 일부 저장하는 라인 버퍼에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필요가 있다. In the case of VRR mode, since the frequency of the output video signal is changed according to the video data received from the source device (20), it is necessary to store the video data in a line buffer that stores some of the video data in frame units.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71)는 라인 버퍼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출력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프로세서(71a)는 라인 버퍼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출력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71) may generate an output image signal based on image data stored in a line buffer. For example, the image processor (71a) may generate an output image signal based on image data stored in a line buffer.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라인 버퍼를 인식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0) can recognize a line buffer in which image data is stored.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71)는 VRR 모드 실행 명령을 수신한 경우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라인 버퍼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운터부(71b)는 VRR 모드 실행 명령을 수신한 경우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라인 버퍼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71)는 VRR 모드 실행 명령을 수신한 경우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프레임 버퍼를 인식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71) can recognize a line buffer in which image data is stored when a VRR mode execution command is received. For example, the counter unit (71b) can recognize a line buffer in which image data is stored at preset intervals when a VRR mode execution command is received. In addition, the processor (71) can recognize a frame buffer in which image data is stored at preset intervals when a VRR mode execution command is received.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71)는 VRR 모드 실행 명령을 수신한 경우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라인 버퍼의 개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레이턴시를 인식할 수 있다. 프레임 버퍼에도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경우 프로세서(71)는 VRR 모드 실행 명령을 수신한 경우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라인 버퍼 및 프레임 버퍼의 개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레이턴시를 인식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71) may recognize the display latency based on the number of line buffers in which image data is stored when a VRR mode execution command is received. If image data is also stored in a frame buffer, the processor (71) may recognize the display latency based on the number of line buffers and frame buffers in which image data is stored when a VRR mode execution command is received.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라인 버퍼의 개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레이턴시를 인식할 수 있다(340). The display device (10) can recognize display latency based on the number of line buffers in which image data is stored (340).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71)는 출력 영상 신호의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71)는 메모리(60)에 저장된 미리 설정된 출력 영상 신호의 주파수로 출력 영상 신호의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71)는 이미지 프로세서(71a)가 생성한 출력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출력 영상 신호의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71) can determine the frequency of the output image signal. For example, the processor (71) can determine the frequency of the output image signal based on the frequency of a preset output image signal stored in the memory (60). In another example, the processor (71) can determine the frequency of the output image signal based on the output image signal generated by the image processor (71a).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71)는 출력 영상 신호의 주파수 및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라인 버퍼의 개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레이턴시를 인식할 수 있다. 출력 영상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단위 시간당 디스플레이(12)가 출력하는 영상의 프레임 개수가 결정될 수 있고, 영상 처리 시간(Processing Time)이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레이턴시가 결정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71) can recognize the display latency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 output image signal and the number of line buffers in which the image data is stored. Depending on the frequency of the output image signal, the number of frames of the image output by the display (12) per unit time can be determined, and the image processing time can be determined. Accordingly, the display latency can be determined.

예를 들어, 프로세서(71)는 출력 영상 신호의 주파수와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라인 버퍼의 개수를 곱한 값에 비례하여 디스플레이 레이턴시를 결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cessor (71) can determine the display latency in proportion to the product of the frequency of the output image signal and the number of line buffers in which the image data is stored.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71)는 출력 영상의 주파수,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라인 버퍼의 개수 및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해상도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레이턴시를 인식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71) can recognize the display latency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 output image, the number of line buffers in which image data is stored, and the resolution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해상도는 제어부(70)와 디스플레이(12)가 연결된 주사선의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주사선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제어부(70)로부터 디스플레이(12)로 출력 영상 신호를 전달하는 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해상도에 따라 디스플레이 레이턴시가 결정될 수 있다. The resolution of the display device (10) may vary depending on the number of scan lines connected between the control unit (70) and the display (12). As the number of scan lines increases, the time required to transmit an output image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70) to the display (12) may increase. Accordingly, the display latency may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resolution of the display device (10).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디스플레이 레이턴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350).The display device (10) can display an image including information about display latency (350).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71)는 디스플레이 레이턴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2)를 제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71) can control the display (12) to display an image including information regarding display latency.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2)는 디스플레이 레이턴시 값(예: 2ms)에 관한 시각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레이턴시 인터페이스 엘리먼트(U1)를 표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5, the display (12) may display a display latency interface element (U1) that includes visual information regarding a display latency value (e.g., 2 ms).

또 다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2)는 응답 속도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속도 인터페이스 엘리먼트(U2)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레이턴시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10)의 응답 속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display (12) may display a response speed interface element (U2) that includes response speed information. Information regarding display latency may include response speed information of the display (10).

디스플레이(12)는 VRR 모드 실행 여부에 대한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VRR 모드 인터페이스 엘리먼트(U3)를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12) can display a VRR mode interface element (U3) that provides visual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 VRR mode is running.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장치,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 간 데이터 및 정보 교환의 일 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data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 source device, a control unit, and a displa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소스 장치(20)는 제어부(70)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1). 예를 들어, 소스 장치(20)는 통신부(40)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제어부(70)로 전송할 수 있다.The source device (20) can transmit image data to the control unit (70) (S1). For example, the source device (20) can transmit image data to the control unit (70) via the communication unit (40).

제어부(70)는 영상 데이터를 버퍼에 저장할 수 있다(S2). 예를 들어, 제어부(70)는 영상 데이터를 프레임 버퍼 및/또는 라인 버퍼에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70)는 VRR 모드 실행 명령에 기초하여 영상 데이터를 라인 버퍼에 저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70) can store image data in a buffer (S2).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70) can store image data in a frame buffer and/or a line buffer.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70) can store image data in a line buffer based on a VRR mode execution command.

제어부(70)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복수의 버퍼 중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버퍼를 인식할 수 있다(S3). 예를 들어, 제어부(70)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프레임 버퍼 및 라인 버퍼 중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버퍼를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70)는 VRR 모드 실행 명령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라인 버퍼 중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버퍼를 인식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70) can recognize a buffer in which image data is stored among a plurality of buffers at preset intervals (S3).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70) can recognize a buffer in which image data is stored among a frame buffer and a line buffer at preset intervals.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70) can recognize a buffer in which image data is stored among a line buffer at preset intervals based on a VRR mode execution command.

제어부(70)는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버퍼의 개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레이턴시를 인식할 수 있다(S4). 예를 들어, 제어부(70)는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프레임 버퍼 및/또는 라인 버퍼의 개수에 비례하도록 디스플레이 레이턴시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70)는 VRR 모드 실행 명령을 수신한 경우 복수의 라인 버퍼 중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라인 버퍼의 개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레이턴시를 결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70) can recognize the display latency based on the number of buffers in which image data is stored (S4).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70) can determine the display latency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frame buffers and/or line buffers in which image data is stored. As another example, when a VRR mode execution command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70) can determine the display latency based on the number of line buffers in which image data is stored among a plurality of line buffers.

제어부(70)는 버퍼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출력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5). 예를 들어, 이미지 프로세서(71a)는 버퍼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출력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70) can generate an output image signal based on image data stored in the buffer (S5). For example, the image processor (71a) can generate an output image signal based on image data stored in the buffer.

디스플레이 레이턴시를 인식하는 단계(S4) 및 버퍼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출력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5)는 서로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The step of recognizing display latency (S4) and the step of generating an output image signal based on image data stored in a buffer (S5) may be performed in different orders.

제어부(70)는 출력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12)에 전송할 수 있다(S6).The control unit (70) can transmit the output image signal to the display (12) (S6).

디스플레이(12)는 제어부(70)로부터 수신한 출력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S7).The display (12) can display an image based on an output image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70) (S7).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스 장치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복수의 버퍼;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및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복수의 버퍼 중 상기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버퍼를 인식하고, VRR(Variable Refresh Rate) 모드 실행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버퍼의 개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레이턴시를 인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레이턴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image data from a source device; a plurality of buffers that store the image data; a display o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and a processor that recognizes a buffer in which the image data is stored among the plurality of buffers at preset intervals, recognizes display latency based on the number of buffers in which the image data is stored when a VRR (Variable Refresh Rate) mode execution command is received, and displays an image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display latency through the display.

상기 복수의 버퍼는, 라인 버퍼 및 프레임 버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buffer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line buffer and a frame buffer.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라인 버퍼에 저장된 상기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출력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processor can generate an output image signal based on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line buffer.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출력 영상 신호의 주파수 및 상기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라인 버퍼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레이턴시를 인식할 수 있다.The processor can recognize the display latency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 output image signal and the number of line buffers in which the image data is stored.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a memory for storing resolution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출력 영상 신호의 주파수, 상기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라인 버퍼의 개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레이턴시를 인식할 수 있다.The processor can recognize the display latency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 output image signal, the number of line buffers in which the image data is stored, and the resolution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출력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The above processor can display an image based on the output image signal through the display.

상기 디스플레이의 응답 속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레이턴시에 관한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응답 속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further includes a memory for storing response speed information of the display, and the information regarding the display latency may include response speed information of the display.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은 소스 장치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복수의 버퍼 및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복수의 버퍼 중 상기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버퍼를 인식하는 단계; VRR(Variable Refresh Rate) 모드 실행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버퍼의 개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레이턴시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레이턴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image data from a source device, a plurality of buffers for storing the image data, and a display for displaying the image, the method comprising: a step of recognizing a buffer in which the image data is stored among the plurality of buffers at preset intervals; a step of recognizing a display latency based on the number of buffers in which the image data is stored when a VRR (Variable Refresh Rate) mode execution command is received; and a step of displaying an image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display latency through the display.

상기 복수의 버퍼는, 라인 버퍼 및 프레임 버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buffer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line buffer and a frame buffer.

상기 라인 버퍼에 저장된 상기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출력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generating an output image signal based on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line buffer.

상기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버퍼의 개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레이턴시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 영상 신호의 주파수 및 상기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라인 버퍼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레이턴시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recognizing display latency based on the number of buffers in which the image data is stored may include the step of recognizing the display latency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 output image signal and the number of line buffers in which the image data is stored.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버퍼의 개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레이턴시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 영상 신호의 주파수, 상기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라인 버퍼의 개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레이턴시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further includes a step of storing resolution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step of recognizing display latency based on the number of buffers in which the image data is stored may include a step of recognizing display latency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 output image signal, the number of line buffers in which the image data is stored, and resolution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출력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displaying an image based on the output image signal through the display.

상기 디스플레이의 응답 속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레이턴시에 관한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응답 속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further includes a step of storing information on the response speed of the display, wherein the information on the display latency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response speed of the display.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sclosed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storing 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 The instructions may be stored in the form of program code, and when executed by a processor, may generate program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The recording medium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include all types of storage media that store instructions that can be deciphered by a computer. Examples include read-only memory (ROM), random access memory (RAM), magnetic tape, magnetic disks, flash memory,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Here, the term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simply means a tangible device that does not contain signals (e.g., electromagnetic waves). This term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cases where data is permanently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and cases where data is temporarily stored. For example, a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may include a buffer in which data is temporarily stor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etho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document may be provided as included in a computer program product.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may be traded as a product between a seller and a buyer.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may be distributed in the form of a machine-readable recording medium (e.g.,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 or may be distributed online (e.g., downloaded or uploaded) via an application store (e.g., Play Store™) or directly between two user devices (e.g., smartphones). In the case of online distribu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e.g., a downloadable app) may be temporarily stored or temporarily generated on a machine-readable recording medium, such as the memory of a manufacturer's server, an application store's server, or an intermediary server.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The disclose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forms other than the disclosed embodiments without alter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Claims (14)

소스 장치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복수의 버퍼;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및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복수의 버퍼 중 상기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버퍼를 인식하고, VRR(Variable Refresh Rate) 모드 실행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버퍼의 개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레이턴시를 인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레이턴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image data from a source device;
A plurality of buffers for storing the above image data;
a display on which images are displayed; and
Recognize a buffer among the plurality of buffers in which the image data is stored at a preset cycle, and, when a VRR (Variable Refresh Rate) mode execution command is received, recognize the display latency based on the number of buffers in which the image data is store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processor for displaying an image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display latency through the displ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퍼는,
라인 버퍼 및 프레임 버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multiple buffers are,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line buffer and a frame buff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라인 버퍼에 저장된 상기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출력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processor,
A display device that generates an output image signal based on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line buff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출력 영상 신호의 주파수 및 상기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라인 버퍼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레이턴시를 인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In the third paragraph,
The above processor,
A display device that recognizes the display latency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 output image signal and the number of line buffers in which the image data is stor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출력 영상 신호의 주파수, 상기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라인 버퍼의 개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레이턴시를 인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In paragraph 4,
Further comprising a memory for storing resolution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The above processor,
A display device that recognizes the display latency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 output image signal, the number of line buffers in which the image data is stored, and the resolution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출력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In the third paragraph,
The above processor,
A display device that displays an image based on the output image signal through the displ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응답 속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레이턴시에 관한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응답 속도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Further comprising a memory for storing response speed information of the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above display latency is:
A display device including response speed information of the above display.
소스 장치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복수의 버퍼 및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복수의 버퍼 중 상기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버퍼를 인식하는 단계;
VRR(Variable Refresh Rate) 모드 실행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버퍼의 개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레이턴시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레이턴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A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image data from a source device, a plurality of buffers for storing the image data, and a display for displaying the image,
A step of recognizing a buffer among the plurality of buffers in which the image data is stored at preset intervals;
A step of recognizing display latency based on the number of buffers in which the image data is stored when a VRR (Variable Refresh Rate) mode execution command is received;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tep of displaying an image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display latency through the displa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퍼는,
라인 버퍼 및 프레임 버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In paragraph 8,
The above multiple buffers are,
A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line buffer and a frame buff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버퍼에 저장된 상기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출력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In paragraph 9,
A control method of a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tep of generating an output image signal based on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line buff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버퍼의 개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레이턴시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 영상 신호의 주파수 및 상기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라인 버퍼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레이턴시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In Article 10,
A step of recognizing display latency based on the number of buffers in which the above image data is stored;
A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tep of recognizing the display latency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 output image signal and the number of line buffers in which the image data is store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버퍼의 개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레이턴시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 영상 신호의 주파수, 상기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라인 버퍼의 개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레이턴시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In Article 11,
further comprising a step of storing resolution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A step of recognizing display latency based on the number of buffers in which the above image data is stored;
A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tep of recognizing display latency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 output image signal, the number of line buffers in which the image data is stored, and resolution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출력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In Article 10,
A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tep of displaying an image based on the output image signal through the displa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응답 속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레이턴시에 관한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응답 속도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In paragraph 8,
Further comprising a step of storing response speed information of the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above display latency is:
A control method for a display device including response speed information of the above display.
KR1020240019980A 2024-02-08 2024-02-08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ending KR20250123598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19980A KR20250123598A (en) 2024-02-08 2024-02-08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24/020086 WO2025170169A1 (en) 2024-02-08 2024-12-09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19980A KR20250123598A (en) 2024-02-08 2024-02-08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123598A true KR20250123598A (en) 2025-08-18

Family

ID=96700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9980A Pending KR20250123598A (en) 2024-02-08 2024-02-08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50123598A (en)
WO (1) WO2025170169A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3758A (en) * 1996-11-22 1998-06-09 Sony Corp Method for measuring driving pulse delay quantity of image display device
JP4182124B2 (en) * 2006-06-30 2008-11-19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Image display device, dot clock phase adjustment circuit, and clock phase adjustment method
WO2014110553A1 (en) * 2013-01-14 2014-07-17 Apple Inc. Low power display device with variable refresh rate
US9837030B2 (en) * 2014-05-22 2017-12-05 Nvidia Corporation Refresh rate dependent adaptive dithering for a variable refresh rate display
US11206393B2 (en) * 2017-09-22 2021-12-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play latency measurement system using available hardwa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5170169A1 (en) 2025-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8508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20200294185A1 (en) Display driving circuit and method of partial image data
KR20170067674A (en) Liquid crystal display method and device
KR102308192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10072380A1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apparatus system and resolu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102408001B1 (en) Orgar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50089146A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ID
KR102304860B1 (en) A display device
KR20210086368A (en) Display app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50123598A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50078734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2125440B2 (en) Display device
US11467798B2 (en) Display apparatus for changing an advertisement area, server,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s thereof
US20240036802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20056696A (en) Electronic apparatus,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2120433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250203375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4293651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833619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782009B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50123599A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20392392A1 (en) Display device
KR20240069220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250008408A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20060390A (en)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