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50127307A - 화장료 - Google Patents
화장료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50127307A KR20250127307A KR1020257024746A KR20257024746A KR20250127307A KR 20250127307 A KR20250127307 A KR 20250127307A KR 1020257024746 A KR1020257024746 A KR 1020257024746A KR 20257024746 A KR20257024746 A KR 20257024746A KR 20250127307 A KR20250127307 A KR 2025012730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ci
- note
- name
- integer
- oi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8/445—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aromatic, i.e. the carboxylic acid directly linked to the aromatic r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66—Triazin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61K8/893—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modified by an alkoxy or aryloxy group, e.g. behenoxy dimethicone or stearoxy dimethico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61K8/894—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modified by a polyoxyalkylene group, e.g. cetyl dimethicone copolyo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함유하고, 실리콘, 탄화수소유 및 에스테르 등의 각종 유제, 유기 자외선 흡수제, 25℃에서 고체상인 유성 성분을 배합한 경우에 있어서도, 우수한 경시 안정성, 화장 지속성을 갖는 화장료.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배합하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디메틸폴리실록산으로 대표되는 실리콘은, 가볍고 매끄러운 감촉, 퍼짐의 양호, 우수한 발수성 및 높은 안전성 등의 특징을 갖기 때문에, 근년, 화장료에 사용하는 유제로서 다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예를 들어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D4),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D5),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D6) 등의 휘발성의 환상 실록산, 25℃에서의 점도가 0.65 내지 2㎟/초인 휘발성의 직쇄상 실록산, 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메틸실란(M3T)과 같은 실록산쇄가 분지된 휘발성 실록산 등을 포함하는 화장료는, 피부에 도포했을 때, 가볍고 매끄러운 감촉, 퍼짐의 양호, 발수성이 우수하다(특허문헌 1). 특히 자외선 흡수제나 고형 왁스와 같은, 끈적거림이나 무거운 잔여감을 부여하는 성분을 배합하는 화장료에서는, 휘발성 실리콘이 이러한 감촉을 완화하여, 가볍고 매끄러운 감촉을 제공하는 데 유용하다.
그러나, 이러한 휘발성 실리콘은 극성 유제에 비해 상용성이 나쁘고, 투명 혼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어, 화장료의 사용감이나 안정성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다. 특히, 이 경향은, 유기 자외선 흡수제를 사용한 경우에 현저하게 드러난다. 또한, 왁스 등, 화장료를 고화할 목적으로 배합하는 유성 성분과의 친화성이 낮은 경우, 당해 유성 성분의 결정화를 방해하여, 기대하는 제제의 경도가 얻어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개량할 목적, 즉, 극성 유제나 왁스 등에 대하여 상용성을 높일 목적으로, 페닐 변성 실리콘, 에스테르 등을 상용화제로서 사용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상용화제의 영향으로 사용감이 무거워져, 휘발성 실리콘 특유의 가볍고 매끄러운 감촉이 상실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상용화제는 실리콘보다 굴절률이 높기 때문에, 도포 후에 부자연스러운 번질거림을 부여해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동일한 목적으로, 더 감촉이 가벼운 카프릴릴메티콘이 상용화제로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소량으로는 충분한 상용성이 얻어지지 않고, 다량으로 사용하면, 마찬가지로 휘발성 실리콘이 가벼운 감촉을 손상시켜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한편, 특허문헌 2에서는, 휘발성 오일류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처방을 위한 대체물을 제공할 목적으로, 1개 이상의 비환상 휘발성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고, 특정한 증발 특성을 갖는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데카메틸테트라실록산 및 도데카메틸펜타실록산 이외의 배합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아, 극성 유제나 왁스 등에 대하여, 상용성의 향상을 달성하기 위한 비환상 실리콘 오일의 사용의 검토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특허문헌 3에서는, 비환상 디메틸실록산의 메틸기의 일부를 에틸기로 치환한 조성물의, 사용감의 검토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당해 특허문헌에서는, 화장료에 배합했을 때의, 극성 유제나 왁스 등에 대하여 상용성의 향상에 대하여 전혀 검토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예를 들어 실리콘, 탄화수소유 및 에스테르 등의 각종 유제, 유기 자외선 흡수제, 25℃에서 고체상인 유성 성분을 배합한 경우에 있어서도, 우수한 경시 안정성, 화장 지속성을 갖는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하기 특정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화장료에 배합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이루는 데 이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 화장료를 제공한다.
1.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식 중, R1은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6의 알킬기이고, R2는 하기 식 (2)
(식 (2) 중, R4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Q는 하기 식 (3) 내지 (6)
(상기 식 (5) 중, s는 0 내지 3, t는 0 내지 3의 정수이고, 각각의 옥시알킬렌기의 결합은, 블록이어도 되고 랜덤이어도 된다.)
로 표시되는 연결기로부터 선택되는 유기기이고,
Q가 상기 식 (3)의 경우에는, m은 8, n은 1 내지 22의 정수이고,
Q가 상기 식 (4)의 경우에는, m은 1 내지 10의 정수, n은 7 내지 22의 정수이고,
Q가 상기 식 (5)의 경우에는, m은 1 내지 10의 정수, n은 7 내지 22의 정수이고,
Q가 상기 식 (6)의 경우에는, m은 1 내지 10의 정수, n은 7 내지 22의 정수이다.)
로 표시되는 유기기이고,
R3은 R1 또는 R2이고, x는 0 내지 50의 정수이고, y는 0 내지 50의 정수이고, R2 또는 R3 중 하나 이상은 일반식 (2)로 표시되는 유기기이고, y=0의 경우에는, R3의 적어도 하나는 R2이다. 또한, 상기 x 및 y로 묶인 실록산 단위의 결합은, 블록이어도 되고 랜덤이어도 된다.〕
2.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표면 장력이 28mN/m 이하이고, 또한 불휘발성인 1에 기재된 화장료.
3. 추가로, 유기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화장료.
4. 상기 유기 자외선 흡수제가, 메톡시신남산에틸헥실, 디에틸아미노히드록시벤조일벤조산헥실, 살리실산옥틸, 폴리실리콘-15, t-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옥시벤존,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비스에틸헥시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및 옥토크릴렌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3에 기재된 화장료.
5. 추가로, 25℃에서 고체상인 유성 성분을 함유하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장료.
6. 상기 25℃에서 고체상인 유성 성분이, 폴리에틸렌, 세레신, 오조케라이트, 칸데릴라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밀랍,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및 세탄올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5에 기재된 화장료.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어 실리콘, 탄화수소유 및 에스테르 등의 각종 유제, 유기 자외선 흡수제, 25℃에서 고체상인 유성 성분을 배합한 경우에 있어서도, 우수한 경시 안정성, 화장 지속성을 갖는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화장료로서의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성분명을 화장품 표시 명칭 또는 International Nomenclature of Cosmetic Ingredient(INCI)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화장품 표시 명칭과 INCI가 대응하는 경우에는, 영어 기재 또는 화장품 표시 명칭 기재를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본 발명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이다.
〔식 중, R1은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6의 알킬기이고, R2는 하기 식 (2)
(식 (2) 중, R4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Q는 하기 식 (3) 내지 (6)
(상기 식 (5) 중, s는 0 내지 3, t는 0 내지 3의 정수이고, 각각의 옥시알킬렌기의 결합은, 블록이어도 되고 랜덤이어도 된다.)
로 표시되는 연결기로부터 선택되는 유기기이고,
Q가 상기 식 (3)의 경우에는, m은 8, n은 1 내지 22의 정수이고,
Q가 상기 식 (4)의 경우에는, m은 1 내지 10의 정수, n은 7 내지 22의 정수이고,
Q가 상기 식 (5)의 경우에는, m은 1 내지 10의 정수, n은 7 내지 22의 정수이고,
Q가 상기 식 (6)의 경우에는, m은 1 내지 10의 정수, n은 7 내지 22의 정수이다.)
로 표시되는 유기기이고,
R3은 R1 또는 R2이고, x는 0 내지 50의 정수이고, y는 0 내지 50의 정수이고, R2 또는 R3 중 하나 이상은 일반식 (2)로 표시되는 유기기이고, y=0의 경우에는, R3의 적어도 하나는 R2이다. 또한, 상기 x 및 y로 묶인 실록산 단위의 결합은, 블록이어도 되고 랜덤이어도 된다.〕
R1은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6의 알킬기이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2의 알킬기이다. 알킬기의 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노닐기, 데실기, 운데실기, 도데실기 등의 직쇄 알킬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등의 환상 알킬기 등을 들 수 있다. R1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헥실기, 도데실기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메틸기가 바람직하다.
R2는 하기 식 (2)
(식 (2) 중, R4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Q는 하기 식 (3) 내지 (6)
(상기 식 (5) 중, s는 0 내지 3, t는 0 내지 3의 정수이고, 각각의 옥시알킬렌기의 결합은, 블록이어도 되고 랜덤이어도 된다.)
로 표시되는 연결기로부터 선택되는 유기기이다.
R4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수소 원자가 바람직하다.
Q가 상기 식 (3)의 경우에는, m은 8, n은 1 내지 22,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8의 정수이다.
Q가 상기 식 (4)의 경우에는, m은 1 내지 10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의 정수, n은 7 내지 22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8의 정수이다.
Q가 상기 식 (5)의 경우에는, m은 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의 정수, n은 7 내지 22,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8의 정수이다. s는 0 내지 3,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이고, t는 0 내지 3,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의 정수이다. s+t는 1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옥시알킬렌기의 결합은, 블록이어도 되고 랜덤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은 구조의 연결기를 들 수 있다.
Q가 상기 식 (6)의 경우에는, m은 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의 정수, n은 7 내지 22,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8의 정수이다.
Q의 연결기로서 바람직한 것은, 상기 식 (3), (4), (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 (3), (4)이다.
R3은 R1 또는 R2이고, 각각 상기 R1 및 R2로 예시된 것과 동일한 기를 들 수 있다. R3으로서는, 메틸기, 상기 (2)로 나타나는 기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로 나타나는 기이다. y=0의 경우에는, R3의 적어도 하나는 R2이고, R2 및 R3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식 (2)로 표시되는 유기기이고, 상기 식 (2)로 표시되는 유기기가, 1분자 중 1 내지 40개가 바람직하고, 1 내지 30개가 보다 바람직하다.
x는 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0의 정수이고, y는 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0의 정수이다. 또한, 상기 x 및 y로 묶인 실록산 단위의 결합은, 블록이어도 되고 랜덤이어도 되며, 각 실록산 단위의 결합 순서는, 상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x, y는 각각 1 이상이어도 되지만, 상기 x=y=0의 경우라도, 본 발명에 있어서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으로서 취급하는 것으로 한다.
[제조 방법]
상기 식 (1)로 나타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예를 들어 상당하는 오르가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과, 말단에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장쇄 알킬기 함유 화합물과의 히드로실릴화 반응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그때 잔존하는 미반응된 히드로실릴기 수소 원자나 생성되는 수산기를 상기 R1로서 소량 갖고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전 R1의 개수에 대하여 10% 이하여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다.
본 발명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표면 장력은 28mN/m 이하이고, 또한 불휘발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장력은 15 내지 28mN/m가 보다 바람직하다. 표면 장력은, 표면 장력계를 사용하여, Wilhelmy법에 의해 25℃에서 측정한 수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불휘발성」이란, 직경 60mmφ의 알루미늄제 샤알레에 시료 0.5g을 정칭하고, 대기압(1,013hPa) 하에서, 25℃×3시간 방치한 후의 질량 감소가 10질량% 이하인 것을 말한다.
[화장료]
본 발명은 상기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함유하는 것이고,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화장료 중 1 내지 70질량%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화장료라면, 예를 들어 실리콘, 탄화수소유 및 에스테르 등의 각종 유제, 유기 자외선 흡수제, 25℃에서 고체상인 유성 성분을 배합한 경우에 있어서도, 우수한 경시 안정성, 화장 지속성을 갖는 화장료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리콘 특유의 매끄러운 감촉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퍼짐이 양호하고, 까칠함이 없고, 형성된 막이 매끄럽고, 막이 가볍다. 또한, 가볍고 매끄러운 감촉이고, 퍼짐이 양호하고, 발수성이 우수하여, 양호한 사용감을 달성할 수 있다.
[유기 자외선 흡수제]
본 발명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유기 자외선 흡수제와의 상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이러한 유기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화장료는, 사용감이 양호하고, 우수한 경시 안정성, 화장 지속성을 갖는 화장료가 된다.
유기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통상 화장료에 배합할 수 있는 원료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옥시벤존-1(표시 명칭(INCI: Benzophenone-1)), 옥시벤존-2(표시 명칭(INCI: Benzophenone-2)), 옥시벤존-3(표시 명칭(INCI: Benzophenone-3)), 옥시벤존-4(표시 명칭(INCI: Benzophenone-4)), 옥시벤존-5(표시 명칭(INCI: Benzophenone-5)), 옥시벤존-6(표시 명칭(INCI: Benzophenone-6)), 옥시벤존-9(표시 명칭(INCI: Benzophenone-9)), 호모살레이트(INCI), 옥토크릴렌, t-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살리실산에틸헥실, 디에틸아미노히드록시벤조일벤조산헥실, 폴리실리콘-15, 디메톡시벤질리덴디옥소이미다졸리딘프로피온산옥틸(표시 명칭(INCI: Ethylhexyl Dimethoxybenzylidene Dioxoimidazolidine Propionate)), 테레프탈릴리덴디캄포설폰산(표시 명칭(INCI: Terephthalylidene Dicamphor Sulfonic Acid)), 에틸헥실트리아존(INCI), 트리메톡시신남산메틸비스(트리메틸실록시)실릴이소펜틸(표시 명칭(INCI: Isopentyl Trimethoxycinnamate Trisiloxane)),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INCI), 디메틸PABA에틸헥실(표시 명칭(INCI: Ethylhexyl Dimethyl PABA)), 파라메톡시신남산이소프로필(표시 명칭(INCI: Isopropyl Methoxycinnamate)), 메톡시신남산에틸헥실, 비스에틸헥시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페닐벤즈이미다졸술폰산(표시 명칭(INCI: Phenylbenzimidazole Sulfonic Acid)),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디메톡시신남산에틸헥산산글리세릴(표시 명칭(INCI: Glyceryl Ethylhexanoate Dimethoxycinnamate)), 글리세릴PABA(INCI), 디이소프로필신남산메틸(표시 명칭(INCI: Diisopropyl Methyl Cinnamate)), 시노키세이트(INCI), 디메톡시벤질리덴디옥소이미다졸리딘프로피온산에틸헥실(표시 명칭(INCI: Ethylhexyl Dimethoxybenzylidene Dioxoimidazolidine Propionate))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UVA 흡수제(예를 들어, 디에틸아미노히드록시벤조일벤조산헥실 등)와, UVB 흡수제(예를 들어, 메톡시신남산에틸헥실 등)를 병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각각을 임의로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중에서도, 자외선 흡수 효과가 높음과 함께 본 발명에 있어서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의 상용성이 우수한 점에서, 메톡시신남산에틸헥실(표시 명칭(INCI: Ethylhexyl Methoxycinnamate)), 디에틸아미노히드록시벤조일벤조산헥실(표시 명칭(INCI: Diethylamino Hydroxybenzoyl Hexyl Benzoate)), 살리실산에틸헥실(표시 명칭(INCI: Ethylhexyl Salicylate)), 폴리실리콘-15(INCI), t-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표시 명칭(INCI: 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옥시벤존(표시 명칭(INCI: Benzophenone)),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INCI), 비스에틸헥시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INCI) 및 옥토크릴렌(INCI)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화장료 중 1 내지 40질량%가 바람직하고, 2 내지 1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휘발성 실리콘]
휘발성 실리콘이란, 25℃에서, 적어도 그 일부가 휘발성을 갖는 실리콘 오일을 말한다. 휘발성 실리콘은, 통상 화장료에 배합할 수 있는 원료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데카메틸테트라실록산, 운데카메틸헵타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디에틸옥타메틸테트라실록산, 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메틸실란 등을 들 수 있다.
[25℃에서 고체상인 유성 성분]
본 발명에 있어서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25℃에서 고체인 유성 성분을 병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유성 성분과의 친화성이 높기 때문에, 이 유성 성분의 고화를 방해하는 일 없이 스틱상의 화장료를 고화시킨 제제 등을 용이하게 조제할 수 있다.
25℃에서 고체인 유성 성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25℃에서 고체상인 왁스, 탄화수소, 에스테르, 고급 알코올, 고급 지방산 등을 들 수 있다.
25℃에서 고체상인 유성 성분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10℃의 융점을 갖는 것으로, 왁스, 탄화수소, 에스테르, 고급 알코올, 고급 지방산을 들 수 있고, 통상 화장료에 배합할 수 있는 원료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카르나우바 왁스, 사탕수수 왁스, 칸데릴라 왁스, 정제 칸데릴라 왁스, 라이스 왁스, 목랍, 호호바 왁스, 카폭 왁스, 쌀겨 왁스, 베이베리 왁스, 시어 버터, 카카오 버터, 목랍(INCI: Rhus Succedanea Fruit Wax), 몬탄 왁스(INCI: Montan Wax), 이소스테아르산수소 첨가 피마자유 등의 식물성 왁스, 밀랍, 우지, 우골지, 돈지(INCI: Lard), 마지(INCI: Horse Fat), 양지, 라놀린(INCI: Lanolin), 충백랍, 셸락 왁스, 경랍 등의 동물성 왁스, 라놀린에스테르, 라놀린 지방산 에스테르, 밀랍산에스테르 등의 반합성 왁스, 경화 피마자유, 경화 야자유 등의 경화유, 고체 파라핀, 폴리에틸렌, 세레신, 오조케라이트,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등의 탄화수소계 왁스,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세탄올 등의 고급 알코올, 합성 밀랍 등의 왁스 에스테르, 라우로일글루탐산디옥틸도데실, 라우로일글루탐산디옥틸도데실, 라우로일글루탐산디옥틸도데실 등의 아미노산스테아릴알코올, 스테아르산, 베헨산 등의 지방산 및 아크릴-실리콘그래프트 또는 블록 공중합체의 아크릴실리콘 수지 등의 실리콘 왁스(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아크릴-실리콘그래프트 공중합체: KP-561P, 562P 등), 혹은 이것들의 유도체를 들 수 있고, 이것들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INCI), 세레신(INCI), 오조케라이트(INCI), 칸데릴라 왁스(표시 명칭(INCI: Euphorbia Cerifera(Candelilla) Wax)), 카르나우바 왁스(표시 명칭(INCI: Copernicia Cerifera(Carnauba) Wax)), 밀랍(표시 명칭(INCI: Beeswax)),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INCI), 스테아릴알코올(INCI), 베헤닐알코올(INCI) 및 세탄올(표시 명칭(INCI: Cetyl Alcohol)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25℃에서 고체상인 유성 성분을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화장료 중 0.5 내지 35질량%가 바람직하고, 5 내지 15 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통상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다양한 임의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기타의 임의 성분>
기타의 임의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1) 유제, (2) 수성 성분, (3) 계면 활성제, (4) 분체, (5)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실온에서 액상인 유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6) 피막 형성제, (7) 땀 억제제, (8) 항균제, (9) 기타의 첨가제를 포함해도 된다. 이것들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임의 성분으로서, 상기 성분이 중복되어 기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성분인 것을 우선한다.
(1) 유제
유제는, 상기 25℃에서 고체상인 유성 성분을 제외하고, 반고체, 액상, 어느 것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천연 동식물 유지류 및 반합성 유지, 탄화수소유, 고급 지방산, 고급 알코올, 에스테르 등, 본 발명의 효과 발현을 위해 필수 성분이 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이외의 실리콘 오일 및 불소계 유제를 사용할 수 있다.
· 천연 동식물 유지류 및 반합성 유지
천연 동식물 유제 및 반합성 유제로서는, 아보카도유(표시 명칭(INCI: Persea Gratissima(Avocado) Oil)), 아마인유(표시 명칭(INCI: Linum Usitatissimum(Linseed) Seed Oil)), 아몬드유(표시 명칭(INCI: Prunus Amygdalus Dulcis(Sweet Almond) Oil)), 들깨유(표시 명칭), 올리브유(표시 명칭(INCI: Olea Europaea(Olive) Fruit Oil)), 캘리포니아 비자나무유(표시 명칭(INCI: Torreya Californica(California Nutmeg) Oil)), 시트로넬라유(표시 명칭(INCI: Cymbopogon Nardus(Citronella) Oil)), 비자나무 종자유(표시 명칭(INCI: Torreya Nucifera Seed Oil)), 살구씨유(표시 명칭(INCI: Kyounin Yu)), 소맥 배아유(표시 명칭(INCI: Triticum Vulgare(Wheat) Germ Oil)), 참깨유(표시 명칭(INCI: Sesamum Indicum(Sesame) Seed Oil)), 쌀 배아유(표시 명칭(INCI: Oryza Sativa(Rice) Germ Oil)), 미강유(표시 명칭(INCI: Oryza Sativa(Rice) Bran Oil)), 산다화유(표시 명칭(INCI: Camellia Kissi Seed Oil)), 홍화유(표시 명칭(INCI: Carthamus Tinctorius(Safflower) Seed Oil)), 대두유(표시 명칭(INCI: Glycine Soja(Soybean) Oil)), 차씨유(표시 명칭(INCI: Camellia Sinensis Seed Oil)), 동백유(표시 명칭(INCI: Camellia Japonica Seed Oil)), 달맞이꽃유(표시 명칭(INCI: Oenothera Biennis(Evening Primrose) Oil)), 채종유(표시 명칭(INCI: RAPE SHUSHI YU)), 옥수수 배아유(표시 명칭(INCI: Zea Mays(Corn) Germ Oil)) 등의 배아유, 행도유(표시 명칭), 팜유(표시 명칭(INCI: Elaeis Guineensis(Palm) Oil)), 팜핵유(표시 명칭(INCI: Elaeis Guineensis(Palm) Kernel Oil)), 피마자유(표시 명칭(INCI: Ricinus Communis(Castor) Seed Oil)), 해바라기유(표시 명칭(INCI: Helianthus Annuus(Sunflower) Seed Oil)), 포도 종자유(표시 명칭(INCI: Vitis Vinifera(Grape) Seed Oil)), 호호바 종자유(표시 명칭(INCI: Simmondsia Chinensis(Jojoba) Seed Oil)), 마카다미아 종자유(표시 명칭(INCI: Macadamia Ternifolia Seed Oil)), 메도우폼유(표시 명칭(INCI: Limnanthes Alba(Meadowfoam) Seed Oil)), 면실유(표시 명칭(INCI: Gossypium Herbaceum(Cotton) Seed Oil)), 야자유(표시 명칭(INCI: Cocos Nucifera(Coconut) Oil)), 피넛유(표시 명칭(INCI: Arachis Hypogaea(Peanut) Oil)) 등의 천연 식물유, 상어 간유(표시 명칭(INCI: Shark Liver Oil)), 대구 간유(표시 명칭(INCI: Cod Liver Oil)), 물고기 간유(표시 명칭(INCI: Fish Liver Oil)), 거북이유(표시 명칭(INCI: Turtle Oil)), 밍크유(표시 명칭(INCI: Mink Oil)), 난황유(표시 명칭(INCI: Egg Oil)) 등의 천연 동물유, 수소 첨가 야자유(표시 명칭(INCI: Hydrogenated Coconut Oil)), 액상 라놀린(표시 명칭(INCI: Lanolin Oil)) 등의 반합성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 탄화수소유
탄화수소유로서는,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탄화수소유를 들 수 있고, 휘발성의 탄화수소유여도 되고 불휘발성의 탄화수소유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올레핀올리고머(INCI), (C13, 14)이소파라핀(INCI) 등의 이소파라핀, 이소도데칸(INCI), 운데칸(INCI), 도데칸(INCI), 이소헥사데칸(INCI),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표시 명칭(INCI: Hydrogenated Polyisobutene)), 스쿠알란(INCI), 미네랄 오일(INCI), 야자 알칸(INCI), (C13-15)알칸(INCI), 바셀린(표시 명칭(INCI: Petrolatum) 등의 알칸 등을 들 수 있다.
· 고급 지방산
고급 지방산으로서는, 올레산(표시 명칭(INCI: Oleic Acid)), 리놀레산(표시 명칭(INCI: Linoleic Acid)), 리놀렌산(표시 명칭(INCI: Linolenic Acid)), 아라키돈산(표시 명칭(INCI: Arachidonic Acid)), 에이코사펜타엔산(표시 명칭(INCI: Eicosapentaenoic Acid)), 도코사헥사엔산(표시 명칭(INCI: Docosahexaenoic Acid)), 이소스테아르산(표시 명칭(INCI: Isostearic Acid)), 히드록시스테아르산(표시 명칭(INCI: Hydroxystearic Acid)) 등을 들 수 있다.
· 고급 알코올류
고급 알코올류로서는, 예를 들어 탄소 원자수가 바람직하게는 6 이상인 알코올류를 들 수 있다. 고급 알코올류의 구체예로서는, 라우릴알코올(INCI), 미리스틸알코올(INCI), 팔미틸알코올(INCI), 스테아릴알코올(INCI), 베헤닐알코올(INCI), 올레일알코올(INCI), 이소스테아릴알코올(INCI), 옥틸도데칸올(INCI), 콜레스테롤(INCI), 피토스테롤즈(INCI), 바틸알코올(INCI) 등을 들 수 있다.
· 에스테르유
에스테르유로서는, 아디프산디이소부틸(표시 명칭(INCI: Diisobutyl Adipate)), 아디프산디헥실데실(표시 명칭), 아디프산디헵틸운데실(표시 명칭(INCI: Diheptylundecyl Adipate)),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표시 명칭(INCI: Isostearyl Isostearate)) 등의 모노이소스테아르산n-알킬글리콜,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표시 명칭(INCI: Isocetyl Isostearate)),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올프로판(표시 명칭(INCI: Trimethylolpropane Triisostearate)), 디에틸헥산산글리콜(표시 명칭(INCI: Glycol Diethylhexanoate)), 에틸헥산산세틸(표시 명칭(INCI: Cetyl Ethylhexanoate)), 트리에틸헥산산트리메틸올프로판(표시 명칭(INCI: Trimethylolpropane Triethylhexanoate)), 테트라에틸헥산산펜타에리트리틸(표시 명칭(INCI: Pentaerythrityl Tetraethylhexanoate)), 옥탄산세틸(표시 명칭(INCI: Cetyl Ethylhexanoate)), 스테아로일옥시스테아르산옥틸도데실(표시 명칭(INCI: Octyldodecyl Stearoyl Stearate)) 등의 옥틸도데실에스테르, 올레산올레일(표시 명칭(INCI: Oleyl Oleate)), 올레산옥틸도데실(표시 명칭(INCI: Octyldodecyl Oleate)), 올레산데실(표시 명칭(INCI: Decyl Oleate)),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표시 명칭(INCI: Neopentyl Glycol Diethylhexanoate)),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표시 명칭(INCI: Neopentyl Glycol Dicaprate)), 말산디이소스테아릴(표시 명칭(INCI: Diisostearyl Malate)), 시트르산트리에틸(표시 명칭(INCI: Triethyl Citrate)), 숙신산디에틸헥실(표시 명칭(INCI: Diethylh exyl Succinate)), 아세트산아밀(표시 명칭(INCI: Amyl Acetate)), 아세트산에틸(표시 명칭(INCI: Etyl Acetate)), 아세트산부틸(표시 명칭(INCI: Butyl Aceetate)), 스테아르산이소세틸(표시 명칭(INCI: Isocetyl Stearate)), 스테아르산부틸(표시 명칭(INCI: Butyl Stearate)), 세바스산디이소프로필(표시 명칭(INCI: Diisopropyl Sebacate)), 세바스산디에틸헥실(표시 명칭(INCI: Diethylhexyl Sebacate)), 락트산세틸(표시 명칭(INCI: Cetyl Lactate)), 락트산미리스틸(표시 명칭(INCI: Myristyl Lactate)), 이소노난산이소노닐(표시 명칭(INCI: Isononyl Isononanoate)), 이소노난산이소트리데실(표시 명칭(INCI: Isotridecyl Isononanoate)), 팔미트산이소프로필(표시 명칭(INCI: Isopropyl Palmitate)), 팔미트산에틸헥실(표시 명칭(INCI: Ethylhexyl Isopalmitate)), 팔미트산헥실데실(표시 명칭(INCI: Isocetyl Palmitate, Hexyldecyl Palmitate)) 등의 팔미트산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표시 명칭(INCI: Cholesteryl Hydroxystearate)),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표시 명칭(INCI: Isopropyl Myristate)),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표시 명칭(INCI: Octyldodecyl Myristate)), 미리스트산미리스틸(표시 명칭(INCI: Myristyl Myristate)) 등의 미리스트산에스테르, 라우르산에틸헥실(표시 명칭(INCI: Ethylhexyl Laurate)), 라우르산헥실(표시 명칭(INCI: Hexyl Laurate)), 라우로일글루탐산디옥틸도데실(표시 명칭(INCI: Dioctyldodecyl Lauroyl Glutamate)), 라우로일사르코신이소프로필에스테르(표시 명칭(INCI: Isopropyl Lauro yl Sarcosinate))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에스테르유 중에서, 글리세라이드유로서는, 트리에틸헥사노인(INCI), 트리(카프릴산/카프르산)글리세릴(표시 명칭(INCI: Caprylic/Capric Triglyceride)), 코코글리세릴(INCI), (카프릴산/카프르산/숙신산)트리글리세릴(표시 명칭(INCI: Caprylic/Capric/Succinic Triglyceride)), (카프릴산/카프르산)글리세릴(표시 명칭(INCI: Caprylic/Capric Glycerides)) 등을 들 수 있다.
· 실리콘 오일
실리콘 오일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 발현을 위해 필수 성분이 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이외의 실리콘 오일을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메티콘(INCI), 트리실록산(INCI), 메틸트리메티콘(INCI), 에틸트리실록산(INCI), 에틸메티콘(INCI), 헥실디메티콘(INCI) 등의 알킬 변성 실리콘, 카프릴릴메티콘(INCI) 등의 장쇄 알킬 변성 실리콘, 페닐트리메티콘(INCI), 디페닐디메티콘(INCI),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티콘(INCI), 테트라페닐디메틸디실록산(INCI), 메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등의 저점도로부터 고점도의 직쇄 혹은 분지상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시클로테트라실록산(INCI), 시클로펜타실록산(INCI), 시클로헥사실록산(INCI) 등의 환상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아모디메티콘(INCI), 아미노프로필디메티콘(INCI) 등의 아미노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PCA디메티콘(INCI) 등의 피롤리돈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피롤리돈카르복실산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고중합도의 검상 디메틸폴리실록산, 검상 아미노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검상의 디메틸실록산·메틸페닐실록산 공중합체 등의 실리콘 고무 및 실리콘 검이나 고무의 저점도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용액, 아미노산 변성 실리콘, 불소 변성 실리콘, 실리콘 수지 및 실리콘 레진의 용해물 등을 들 수 있다.
시판되고 있는 실리콘 오일의 예로서는,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KF-96L-1cs, KF-96L-1.5cs, KF-96L-2cs, KF-96A-6cs, KF-4422, KF-4418, KF-54, KF-54HV, KF-56A, KF-995 등을 들 수 있다.
· 불소계 유제
불소계 유제로서는, 퍼플루오로데칼린(INCI), 퍼플루오로노닐디메티콘(INCI), 퍼플루오로메틸시클로펜탄(INCI) 등을 들 수 있다.
(2) 수성 성분
수성 성분으로서는, 통상 화장료에 배합할 수 있는 수성 성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물,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물로서는, 화장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정제수나 과실이나 식물의 증류수 외에, 표시 명칭으로 정의되는 해수, 온천수, 토탄수 등을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에탄올(표시 명칭(INCI: Alcohol)), 이소프로판올(표시 명칭(INCI: Isopropyl Alcohol)) 등, 탄소 원자수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인 저급 알코올, 소르비톨(INCI), 말토오스(INCI), 크실리톨(INCI) 등의 당알코올, BG(표시 명칭(INCI: Butylene Glycol)), PG(표시 명칭(INCI: Propylene Glycol)), DPG(표시 명칭(INCI: Dipropylene Glycol)), 펜틸렌글리콜(INCI), 1,10-데칸디올(INCI), 옥탄디올(INCI), 1,2-헥산디올(INCI), 에리트리톨(INCI), 글리세린(INCI), 디글리세린(INCI),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글루코오스(INCI), 글리세릴글루코시드(INCI), 베타인(INCI), 콘드로이틴황산Na(표시 명칭(INCI: Sodium Chondroitin Sulfate)), PCA-Na(표시 명칭(INCI: Sodium PCA)), 메틸글루세스-10(INCI), 메틸글루세스-20(INCI)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콜레스테롤(INCI), 시토스테롤(표시 명칭(INCI: Beta-Sitosterol)), 피토스테롤즈(INCI), 라노스테롤(INCI) 등의 스테롤 등을 들 수 있다. 기타의 보습제로서는, 히알루론산, 난황 레시틴, 대두 레시틴,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글리세롤, 포스파티딜이노시톨, 스핑고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보습제의 배합량은, 화장료 전체의 1 내지 9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3 내지 5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내지 20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로서는,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로서는 카라기난, 히알루론산염, 크산탄검 등의 천연의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의 반합성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등의 합성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 벤토나이트, 라포나이트 등의 무기의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의 배합량은, 화장료 전체의 0.01 내지 1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3) 계면 활성제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음이온성, 양이온성 및 양성의 활성제가 있지만,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이면, 어떤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계면 활성제 중에서도, 부분 가교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부분 가교형 폴리글리세린 변성 실리콘, 직쇄 또는 분지상 폴리옥시에틸렌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직쇄 또는 분지상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직쇄 또는 분지상 폴리옥시에틸렌·알킬 공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직쇄 또는 분지상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 공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직쇄 또는 분지상 폴리글리세린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직쇄 또는 분지상 폴리글리세린·알킬 공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계면 활성제에 있어서, 친수성의 폴리옥시에틸렌기,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기 또는 폴리글리세린 잔기의 함유량이, 분자 중의 10 내지 70질량%를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분 가교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부분 가교형 폴리글리세린 변성 실리콘으로서는, 예를 들어 (디메티콘/(PEG-10/15))크로스폴리머(INCI), (PEG-15/라우릴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INCI), (PEG-10/라우릴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INCI), (PEG-15/라우릴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INCI), (디메티콘/폴리글리세린-3)크로스폴리머(INCI), (라우릴디메티콘/폴리글리세린-3)크로스폴리머(INCI), (폴리글리세린-3/라우릴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INCI)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부분 가교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부분 가교형 폴리글리세린 변성 실리콘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당해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이 실온에서 액상인 유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액상유에 대하여 자중 이상의 액상 유제를 포함하여 팽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상 유제로서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이어도 되고, 혹은 임의 성분의 (1) 유제 중의 액상의 실리콘유, 탄화수소유, 에스테르유, 천연 동식물유, 반합성유 등, 불소계유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시클로펜타실록산(INCI), 디메티콘(INCI), 미네랄 오일(INCI), 이소도데칸(INCI), 이소헥사데칸(INCI), 트리에틸헥사노인(INCI), 이소노난산이소트리데실(표시 명칭(INCI: Isotridecyl Isononanoate)), 스쿠알란(INCI) 등을 들 수 있다.
시판되고 있는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이 액상 유제를 포함하여 팽윤되는 것의 예로서는,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KSG-210, KSG-240, KSG-270, KSG-310, KSG-320, KSG-330, KSG-340, KSG-320Z, KSG-350Z, KSG-710, KSG-810, KSG-820, KSG-830, KSG-840, KSG-820Z, KSG-850Z 등을 들 수 있다.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이 아닌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PEG-11메틸에테르디메티콘(INCI), PEG/PPG-20/22부틸에테르디메티콘(INCI), PEG-3디메티콘(INCI), PEG-10디메티콘(INCI), PEG-9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디메티콘(INCI), 라우릴 PEG-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디메티콘(INCI), 세틸 PEG/PPG-10/1디메티콘(INCI), 폴리글리세릴-3디실록산디메티콘(INCI), 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디메티콘(INCI),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디메티콘(INCI) 등을 들 수 있다.
시판되고 있는 것의 예로서는,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KF-6011, KF-6011P, KF-6012, KF-6015, KF-6017, KF-6043, KF-6028, KF-6038, KF-6048, KF-6100, KF-6104, KF-6106, KF-6105, KF-6115 등을 들 수 있다.
어떤 경우에 있어서도 계면 활성제의 배합량으로서는, 화장료 전체의 0.1 내지 20질량%가 바람직하다. 0.1질량% 이상이면, 분산이나 유화의 기능을 충분히 행할 수 있고, 20질량% 이하이면 화장료가 끈적거리는 사용감이 될 우려가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계면 활성제의 HLB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화장료의 내수성을 유지한다는 목적에서 2 내지 14.5가 바람직하다.
(4) 분체
분체로서는, 착색 안료, 무기 분체, 금속 분말체, 유기 분체, 무기·유기 복합 분체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 착색 안료
착색 안료로서는, 통상적으로, 화장료의 착색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안료이면 특별히 한정은 없고, 적색의 산화철(표시 명칭(INCI: Iron Oxides)), 황색의 산화철(표시 명칭(INCI: Iron Oxides)), 백색의 산화티타늄(표시 명칭(INCI: Titanium Dioxide)), 흑색의 산화철(표시 명칭(INCI: Iron Oxides)), 군청(표시 명칭(INCI: Ultramarines)), 감청(표시 명칭(INCI: Ferric Ferrocyanide, Ferric Ammonium Ferrocyanide)), 망간 바이올렛(표시 명칭(INCI: Manganese Violet)), 티타늄산코발트(표시 명칭(INCI: Cobalt Titanium Oxide)), 수산화크롬(표시 명칭(INCI: Chromium Hydroxide Green)), 산화크롬(표시 명칭(INCI: Chromium Oxide Greens)), 산화(Al/코발트)(표시 명칭(INCI: Cobalt Aluminum Oxide)), (티타늄/산화티타늄)소성물(표시 명칭(INCI: Titanium/Titanium Dioxide)), 티타늄산(Li/코발트)(표시 명칭(INCI: Lithium Cobalt Titanate)), (산화철/산화티타늄)소결물(표시 명칭), 산화철 도프 산화티타늄(표시 명칭(INCI: Iron Oxides, Titanium Dioxide)) 등의 이종 금속이 도핑된 복합물, 질화티타늄(표시 명칭(INCI: Titanium Nitride)), 수산화제일철(표시 명칭(INCI: Iron Hydroxide)), γ-산화철 등의 무기 갈색계 안료, 황토 등의 무기 황색계 안료, 타르계 색소를 레이크화한 것, 천연 색소를 레이크화한 것 등의 유색 안료 등,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안료의 형상으로서는, 구상, 대략 구상, 막대상, 방추상, 꽃잎상, 직사각형, 부정 형상 등, 어떤 형상이어도 되고, 화장료에 색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그 기하학적 양태에는 특별히 한정은 없다.
· 무기 분체
무기 분체로서는, 산화지르코늄(표시 명칭(INCI: Zirconium Dioxide)), 산화아연(표시 명칭(INCI: Zinc Oxide)), 산화세륨(표시 명칭(INCI: Cerium Oxide)), 산화Mg(표시 명칭(INCI: Magnesium Oxide)), 황산Ba(표시 명칭(INCI: Barium Sulfate)), 황산칼슘(표시 명칭(INCI: Calcium Sulfate)), 황산Mg(표시 명칭(INCI: Magnesium Sulfate)), 탄산Ca(표시 명칭(INCI: Calcium Carbonate)), 탄산Mg(표시 명칭(INCI: Magnesium Carbonate)), 탈크(INCI), 마이카(INCI), 카올린(INCI), 합성 플루오로플로고파이트(표시 명칭(INCI: Synthetic Fluorphlogopite), 합성 금운모철(표시 명칭), 흑운모(표시 명칭(INCI: Biotite), 규산K(표시 명칭(INCI: Potassium Silicate)), 실리카(INCI), 규산Al(표시 명칭(INCI: Aluminum Silicate)), 규산Mg(표시 명칭(INCI: Magnesium Silicate)), 규산(Al/Mg)(표시 명칭(INCI: Magnesium Aluminum Silicate)), 규산Ca(표시 명칭(INCI: Calcium Silicate)), 규산(Al/Ca/Na)(표시 명칭(INCI: Aluminum Calcium Sodium Silicate)), 규산(Li/Mg/Na)(표시 명칭(INCI: Lithium Magnesium Sodium Silicate))규산(Na/Mg)(표시 명칭(INCI: Sodium Magnesium Silicate)), 붕규산(Ca/Al)(표시 명칭(INCI: Calcium Aluminum Borosilicate)), 붕규산(Ca/Na)(표시 명칭(INCI: Calcium Sodium Borosilicate)), 히드록시아파타이트(INCI), 벤토나이트(INCI), 몬모릴로나이트(INCI), 헥토라이트(INCI), 제올라이트(INCI), 알루미나(INCI), 수산화Al(표시 명칭(INCI: Aluminum Hydro xide)), 질화붕소(표시 명칭(INCI: Boron Nitride)), 유리(표시 명칭(INCI: Glass)) 등을 포함하는 미립자를 들 수 있다.
또한, 무기 착색 펄 안료로서는, 산화티타늄(표시 명칭(INCI: Titanium Dioxide))으로 피복한 마이카(INCI), 산화티타늄(표시 명칭(INCI: Titanium Dioxide))으로 피복한 합성 플루오로플로고파이트(표시 명칭(INCI: Synthetic Fluorphlogopite) 등의 펄제나, 옥시염화비스무트(표시 명칭(INCI: Bismuth Oxychloride)), 산화티타늄(표시 명칭(INCI: Titanium Dioxide))으로 피복한 옥시염화비스무트(표시 명칭(INCI: Bismuth Oxychloride)), 산화티타늄(표시 명칭(INCI: Titanium Dioxide))으로 피복한 탈크(INCI), 어린박(표시 명칭), 산화티타늄(표시 명칭(INCI: Titanium Dioxide)) 피복한 착색 운모 등의 펄 안료를 들 수 있고, 미처리에서도 일반적으로 화장품에 사용되는 공지된 표면 처리에서도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 금속 분말체
금속 분말체로서는, Al(표시 명칭(INCI: Aluminum, Aluminum Powder)), 구리(표시 명칭(INCI: Copper Powder)), 은(표시 명칭(INCI: Silver Powder)), 금(표시 명칭(INCI: Gold)) 등을 포함하는 금속 미립자를 들 수 있다.
· 유기 분체
유기 분체로서는, 실리콘,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산·아크릴산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INCI), 폴리프로필렌(INCI), 폴리스티렌(INCI), 스티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디비닐벤젠·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비닐 수지, 요소 수지, 멜라민 수지, 벤조구아나민, 폴리메틸벤조구아나민,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셀룰로오스(INCI), 실크(INCI), 나일론(표시 명칭),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등을 포함하는 분체를 들 수 있다.
특히, 실리콘으로서는, 실리콘 수지 입자;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INCI), 실리콘 고무 분말, 실리콘 수지 피복 실리콘 고무 분말; (비닐디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폴리머(표시 명칭(INCI: vinyl dimethicone/methicone silsesquioxane crosspolymer)), (디페닐디메티콘/비닐디페닐디메티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폴리머(표시 명칭(INCI: diphenyl dimethicone/vinyl diphenyl dimethicone/silsesquioxane crosspolymer)), 폴리실리콘-1크로스폴리머(INCI), 폴리실리콘-22(INCI) 등을 들 수 있다.
시판되고 있는 실리콘을 포함하는 분체의 예로서는,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KMP-590, KMP-591, KMP-592, KMP-597, KMP-598, KSP-100, KSP-101, KSP-102, KSP-105, KSP-300, KSP-411, KSP-441, KM-9729, KM-440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금속 비누 등도 들 수 있고, 구체예로서는, 스테아르산아연(표시 명칭(INCI: Zinc Stearate)), 스테아르산Al(표시 명칭(INCI: Aluminum Stearate)), 스테아르산Ca(표시 명칭(INCI: Calcium Stearate)), 스테아르산Mg(표시 명칭(INCI: Magnesium Stearate)), 미리스트산아연(표시 명칭(INCI: Zinc Myristate)), 미리스트산Mg(표시 명칭(INCI: Magnesium Myristate)), 세틸인산(아연/Na)(표시 명칭(INCI: Sodium Zinc Cetyl Phosphate)), 세틸인산K(표시 명칭(INCI: Potassium Cetyl Phosphate)) 등을 포함하는 분체도 들 수 있다.
또한, 유기계 색소 등도 들 수 있고, 구체예로서는, 적 3, 적 104(1)(표시 명칭(INCI: Red 28, Red 28 Lake)), 적 106, 적 201(표시 명칭(INCI: Red 6)), 적 202(표시 명칭(INCI: Red 7)), 적 204, 적 205, 적 220(표시 명칭(INCI: Red 34)), 적 226(표시 명칭(INCI: Red 30)), 적 227(표시 명칭(INCI: Red 33, RED 33 Lake)), 적 228(표시 명칭(INCI: Red 36)), 적 230(1)(표시 명칭(INCI: Red 22, Red 22 Lake)), 적 230(2)(표시 명칭), 적 401(표시 명칭), 적 505(표시 명칭), 황 4(표시 명칭(INCI: Yellow 5)), 황 5(표시 명칭(INCI: Yellow 6, Yellow 6 Lake)), 황 202(1)(표시 명칭(INCI: Yellow 8)), 황 203(표시 명칭(INCI: Yellow 10, Yellow 10 Lake)), 황 204(표시 명칭(INCI: Yellow 11)), 황 401, 청 1(표시 명칭(INCI: Blue 1, Blue 1 Lake)), 청 2, 청 201, 청 205(표시 명칭(INCI: Blue 4)) 청 404(표시 명칭), 녹 3(표시 명칭(INCI: Green 3, Green 3 Lake)), 녹 201(표시 명칭(INCI: Green 5)), 녹 202(표시 명칭(INCI: Green 6)), 녹 204(표시 명칭(INCI: Green 8)), 녹 205(표시 명칭), 등색 201(표시 명칭(INCI: Orange 5)), 등색 203(표시 명칭(INCI: Pigment Orange 5)), 등색 204(표시 명칭), 등색 205(표시 명칭(INCI: Orange 4, Orange 4 Lake)), 등색 206(표시 명칭(INCI: Orange 10)), 등색 207(표시 명칭(INCI: Orange 11)) 등의 타르 색소, 코치닐(INCI), 락카인산(표시 명칭(INCI: Laccaic Acid)), 홍화적(표시 명칭(INCI: Carthamus Tinctorius(Safflower) Flower Extract)), 보라색 뿌리 추출물(표시 명칭(INCI: Lithospermum Officinale Root Extract)), 치자황(표시 명칭), 치자청(표시 명칭(INCI: Hydrolyzed Gardenia Florida Extract)) 등의 천연 색소를 들 수 있다.
· 무기·유기 복합 분체
무기·유기 복합 분체로서는, 예를 들어 무기 분체 표면이, 공지 공용의 방법에 의해 유기 분체로 피복된 복합 분체를 들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분체는, 입자 표면을 처리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그 표면 처리제는, 화장료의 내수성의 관점에서 소수성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소수성을 부여하는 처리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실리콘 처리제, 왁스류, 파라핀류, 퍼플루오로알킬과 인산염 등의 유기 불소 화합물, 계면 활성제, N-아실글루탐산 등의 아미노산, 스테아르산알루미늄, 미리스트산마그네슘 등의 금속 비누 등의 처리제를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처리제로, 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INCI) 등의 실란류 또는 실릴화제, 디메티콘(INCI), 메티콘(INCI), 히드로겐디메티콘(INCI), 트리에톡시실릴에틸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디메티콘(INCI)트리에톡시실릴에틸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헥실디메티콘(INCI),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트리데실/메타크릴산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메타크릴산디메티콘)코폴리머(표시 명칭(INCI: Acrylates/Tridecyl Acrylate/Triethoxysilylpropyl Methacrylate/Dimethicone Methacrylate Copolymer)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실리콘 처리제의 구체예로서는,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AES-3083, KF-99P, KF-9901, KF-9908, KF-9909, KP-574, KP-541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표면 소수화 처리제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표면 처리를 실시한 착색 안료의 구체예로서는,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KTP-09 시리즈, 특히, KTP-09W, 09R, 09Y, 09B 등을 들 수 있다.
(5)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실온에서 액상인 유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실온에서 액상인 유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액상유에 대하여, 자중 이상의 해당 액상 유제를 포함하여 팽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액상 유제로서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이어도 되고, 임의 성분의 (1) 유제 중의 액상의 실리콘유, 탄화수소유, 에스테르유, 천연 동식물유, 반합성유 등, 불소계유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시클로펜타실록산(INCI), 디메티콘(INCI), 미네랄 오일(INCI), 이소도데칸(INCI), 이소헥사데칸(INCI), 트리에틸헥사노인(INCI), 이소노난산이소트리데실(표시 명칭(INCI: Isotridecyl Isononanoate)), 스쿠알란(INCI) 등을 들 수 있다.
(5) 성분은, 전술한 (3) 성분과는 달리, 분자 구조 중, 폴리에테르 또는 폴리글리세린 구조를 갖지 않는 화합물이고, 구체예로서는,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INCI), (디메티콘/페닐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표시 명칭(INCI: Dimethicone/Phenyl 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비닐디메티콘/라우릴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INCI), (라우릴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디메티콘/비스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INCI) 등을 들 수 있다.
시판되고 있는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실온에서 액상인 유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예로서는,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KSG-15, KSG-1510, KSG-16, KSG-1610, KSG-19, KSG-016F, KSG-18A, KSG-41A, KSG-42A, KSG-43, KSG-44, KSG-042Z, KSG-045Z, KSG-048Z 등을 들 수 있다.
(6) 피막 형성제
피막 형성제는, 주로 화장료의 효과 지속성을 더 유지시킬 목적으로 배합된다.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발수성 부여의 관점에서 실리콘계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트리메틸실록시규산, 아크릴-실리콘 피막제, 실리콘 변성 노르보르넨, 실리콘 변성 풀루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실리콘계 조성물의 피막 형성제의 예로서는, 트리메틸실록시규산(표시 명칭(INCI: Trimethylsiloxysilicate), (아크릴레이트/디메티콘)코폴리머(INCI), (노르보르넨/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실릴노르보르넨)코폴리머(INCI), 트리(트리메틸실록시)실릴프로필카르밤산풀루란(표시 명칭(INCI: Trimethylsiloxysilyl carbamoyl Pullulan)) 등을 들 수 있다.
피막 형성제는, 사전에 실온에서 액상인 유제로 용해시키고 나서 화장료에 배합되어도 된다. 당해 액상 유제로서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이어도 되고, 혹은, 임의 성분의 (1) 유제 중의 액상의 실리콘유, 탄화수소유, 에스테르유, 천연 동식물유, 반합성유 등, 불소계유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시클로펜타실록산(INCI), 디메티콘(INCI), 미네랄 오일(INCI), 이소도데칸(INCI), 이소헥사데칸(INCI), 트리에틸헥사노인(INCI), 이소노난산이소트리데실(표시 명칭(INCI: Isotridecyl Isononanoate)), 스쿠알란(INCI), 아세트산부틸(표시 명칭(INCI: Butyl Acetate)) 등을 들 수 있다.
시판되고 있는 실리콘 피막 형성제의 구체예로서는,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KF-7312J, KP-545, KP-549, KP-543, NBN-30-ID, TSPL-30-ID, TSPL-30-D5 등을 들 수 있다.
(7) 땀 억제제
본 발명에 관한 화장료가 데오도란트제인 경우에는, 땀 억제제를 임의로 배합할 수 있다. 땀 억제제는 피부를 수렴시키는 것에 따라, 땀의 발생을 억제하는 성분이라면, 특별히 한정은 없고, 범용의 성분을 널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로로히드록시알루미늄, 알란토인클로로히드록시알루미늄 등의 히드록시할로겐화알루미늄, 염화알루미늄 등의 할로겐화알루미늄, 알란토인알루미늄염, 탄닌산, 감 탄닌, 황산알루미늄칼륨, 산화아연, 파라페놀술폰산아연, 소명반, 테트라클로로(Al/지르코늄)수화물, 트리클로로하이드렉스글리신(Al/지르코늄)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높은 효과를 발현하는 성분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할로겐화알루미늄, 히드록시할로겐화알루미늄, 그리고 그것들과 옥시할로겐화지르코닐 및 히드록시할로겐화지르코닐의 착체 또는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땀 억제 활성분이다.
이들 땀 억제제는, 물에 용해하여 배합하거나, 또한 분말을 그대로 제제에 배합하거나 하여 사용할 수 있다. 땀 억제제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사용하는 시판품은, 다른 성분과의 혼합 원료의 형태여도 된다. 땀 억제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다른 성분의 성분 배합량에 따라 적의 변경할 수 있다. 땀 억제 효과가 우수한 데오도란트제를 얻을 목적, 그리고 피부에 대한 자극이 저감된 데오도란트제를 얻을 목적으로부터, 그 함유량은, 데오도란트제 전체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30질량%의 범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질량%의 범위이다.
(8) 항균제
항균제는 체취의 원인 물질을 만들어내는 피부의 상재균의 증식을 억제시키는 것에 따라, 방취 효과가 얻어지는 성분이면, 특별히 한정은 없다. 예를 들어, 트리클로산,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조토늄, 염산클로르헥시딘, 글루콘산클로르헥시딘, 할로카르반, 이소메틸페놀 등의 항균 약제가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또한, 녹차건류 추출물 등, 생약 유래의 정유나 추출물 등에서 항균성을 갖는 것을 배합해도 된다. 생약 유래의 정유나 추출물 등의 방취 효과를 갖는 항균제로서는, 예를 들어 녹차 추출물, 라벤더 추출물, 황금 추출물, 황련 추출물, 황벽나무 껍질 추출물, 인진쑥 추출물, 알로에 아보레센스 추출물, 고삼 뿌리 추출물, 얼룩조릿대 잎 추출물, 마늘 추출물, 하마멜리스 추출물, 홍차 추출물, 세이지 잎 추출물, 산초나무 추출물, 생강 뿌리 추출물, 창포 뿌리 추출물, 서양담쟁이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복숭아 과실 추출물, 복숭아 잎 추출물, 서양박하 잎 추출물, 천궁 추출물, 유칼립투스 잎 추출물, 땅콩 종피 추출물, 영지 추출물, 오이풀 추출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식물 추출물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해도 된다.
(9) 기타의 첨가제
기타의 첨가제로서는, 유용성 겔화제, 자외선 흡수 산란제, 방부제, 향료, 염류,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킬레이트제, 청량제, 항염증제, 피부 미용용 성분(미백제, 세포 부활제, 피부 거칠기 개선제, 혈행 촉진제, 피부 수렴제, 항질제 등), 비타민류, 아미노산류, 핵산, 호르몬, 포접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 유용성 겔화제
유용성 겔화제로서는, 알루미늄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아연미리스테이트 등의 금속 비누; 라우로일글루탐산(표시 명칭(INCI: Lauroyl Glutamic Acid)), α,γ-디-n-부틸아민 등의 아미노산 유도체; 팔미트산덱스트린(표시 명칭(INCI: Dextrin Palmitate)), 이소스테아르산덱스트린(표시 명칭(INCI: Dextrin Isostearate)), 미리스트산덱스트린(표시 명칭(INCI: Dextrin Myristate)), 스테아르산이눌린(표시 명칭(INCI: Stearoyl Inulin)), (팔미트산/에틸헥산산)덱스트린(표시 명칭(INCI: Dextrin Palmitate/Ethylhexanoate)) 등의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팔미트산에스테르, 자당 스테아르산에스테르 등의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프룩토올리고당 스테아르산에스테르, 프룩토올리고당2-에틸헥산산에스테르 등의 프룩토올리고당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벤질리덴소르비톨, 디벤질리덴소르비톨 등의 소르비톨의 벤질리덴 유도체; 디스테아르디모늄헥토라이트(INCI), 스테아르알코늄헥토라이트(INCI), 헥토라이트의 유기 변성 점토 광물; 스테아르알코늄벤토나이트(INCI) 등을 들 수 있다.
· 자외선 흡수 산란제
자외선 흡수 산란제로서는 미립자 산화티타늄, 미립자 철 함유 산화티타늄, 미립자 산화아연, 미립자 산화세륨 및 그것들의 복합체 등, 자외선을 흡수 산란하는 입자를 들 수 있고, 이들 자외선을 흡수 산란하는 입자를 미리 유제에 분산시킨 분산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유제로서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이어도 되고, 혹은, 임의 성분의 (1) 유제 중의 액상의 실리콘유, 탄화수소유, 에스테르유, 천연 동식물유, 반합성유 등, 불소계유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시클로펜타실록산(INCI), 디메티콘(INCI), 미네랄 오일(INCI), 이소도데칸(INCI), 이소헥사데칸(INCI), 트리에틸헥사노인(INCI), 이소노난산이소트리데실(표시 명칭(INCI: Isotridecyl Isononanoate)), 스쿠알란(INCI)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을 흡수 산란하는 입자를 미리 유제에 분산시킨 분산물의 구체예로서는,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SPD 시리즈(상품명), 특히, SPD-T5, T5L, Z5, Z5L, T6, Z6, T7, Z7L 등을 들 수 있다.
· 방부제
방부제로서는, 파라옥시벤조산알킬에스테르, 벤조산, 벤조산나트륨, 소르브산, 소르브산칼륨, 페녹시에탄올 등, 항균제로서는, 벤조산, 살리실산, 석탄산, 소르브산, 파라옥시벤조산알킬에스테르, 파라클로로메타크레졸, 헥사클로로펜, 트리클로로카르바닐리드, 감광소, 페녹시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 향료
향료로서는, 천연 향료 및 합성 향료가 있다. 천연 향료로서는 꽃, 잎, 나무, 과피 등으로부터 분리한 식물성 향료; 머스크, 시벳 등의 동물성 향료가 있다. 합성 향료로서는 모노테르펜 등의 탄화수소류, 지방족 알코올, 방향족 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테르펜알데히드, 방향족 알데히드 등의 알데히드류; 지환식 케톤 등의 케톤류; 테르펜계 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류; 락톤류; 페놀류; 옥사이드류; 질소 함유 화합물류; 아세탈류 등을 들 수 있다.
· 염류
염류로서는 무기염, 유기산염, 아민염 및 아미노산염을 들 수 있다. 무기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염산, 황산, 탄산, 질산 등의 무기산의 나트륨염, 칼륨염, 마그네슘염, 칼슘염, 알루미늄염, 지르코늄염, 아연염 등; 유기산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 데히드로아세트산, 시트르산, 말산, 숙신산, 아스코르브산, 스테아르산 등의 유기산류의 염; 아민염 및 아미노산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아민류의 염, 글루탐산 등의 아미노산류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기타, 히알루론산, 콘드로이틴황산 등의 염, 알루미늄지르코늄글리신 착체 등이나, 나아가, 화장료 처방 중에서 사용되는 산-알칼리의 중화염 등도 사용할 수 있다.
· 산화 방지제
산화 방지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카로티노이드, 아스코르브산 및 그의 염,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빌, 토코페놀, 아세트산토코페놀, 토코페롤, p-t-부틸페놀,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피트산, 페룰산, 티오타우린, 히포타우린, 아황산염, 에리토르브산 및 그의 염, 클로로겐산, 에피카테킨, 에피갈로카테킨,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 아피게닌, 캠페롤, 미리세틴, 퀘르세틴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는 1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 pH 조정제
pH 조정제로서는, 락트산, 시트르산, 글리콜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dl-말산, 탄산칼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 킬레이트제
킬레이트제로서는, 알라닌, 에데트산나트륨염,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인산 등을 들 수 있다.
· 청량제
청량제로서는, L-멘톨, 캄포 등을 들 수 있다.
· 항염증제
항염증제로서는, 알란토인, 글리시리진산 및 그의 염, 글리시레틴산 및 글리시레틴산스테아릴, 트라넥삼산, 아줄렌 등을 들 수 있다.
· 피부 미용용 성분
피부 미용용 성분으로서는, 태반 추출물, 알부틴, 글루타티온, 범의귀 추출물 등의 미백제, 로얄제리, 감광소, 콜레스테롤 유도체, 송아지 혈액 추출액 등의 세포 부활제; 피부 거칠기 개선제, 노닐산바닐릴아미드, 니코틴산벤질에스테르, 니코틴산β-부톡시에틸에스테르, 캡사이신, 진저론, 칸타리스팅크, 이크타몰, 카페인, 탄닌산, α-보르네올, 니코틴산토코페롤, 이노시톨헥사니코티네이트, 시클란델레이트, 신나리진, 톨라졸린, 아세틸콜린, 베라파밀, 세파란틴, γ-오리자놀 등의 혈행 촉진제, 산화아연, 탄닌산 등의 피부 수렴제, 황, 티안톨 등의 항질제 등을 들 수 있다.
· 비타민류
비타민류로서는, 비타민A유, 레티놀, 아세트산레티놀, 팔미트산레티놀 등의 비타민A류, 리보플라빈, 부티르산리보플라빈, 플라빈아데닌뉴클레오티드 등의 비타민B2류, 피리독신 염산염, 피리독신디옥타노에이트, 피리독신트리팔미테이트 등의 비타민B6류, 비타민B12 및 그의 유도체, 비타민B15 및 그의 유도체 등의 비타민B류, L-아스코르브산, L-아스코르브산디팔미트산에스테르, L-아스코르브산-2-황산나트륨, L-아스코르브산인산디에스테르디칼륨 등의 비타민C류, 에르고칼시페롤, 콜레칼시페롤 등의 비타민D류, 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아세트산dl-α-토코페롤, 니코틴산dl-α-토코페롤, 숙신산dl-α-토코페롤 등의 비타민E류; 니코틴산, 니코틴산벤질, 니코틴산아미드 등의 니코틴산류, 비타민H, 비타민P, 판토텐산칼슘,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아세틸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의 판토텐산류, 비오틴 등을 들 수 있다.
· 아미노산류
아미노산류로서는, 글리신, 발린, 류신, 이소류신, 세린, 트레오닌, 페닐알라닌, 아르기닌, 리신,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시스틴, 시스테인, 메티오닌, 트립토판 등을 들 수 있다.
· 핵산
핵산으로서는, 데옥시리보핵산 등을 들 수 있다.
· 호르몬
호르몬으로서는, 에스트라디올, 에테닐에스트라디올 등을 들 수 있다.
· 포접 화합물
포접 화합물로서는, 시클로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화장료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화장수, 미용액, 유액, 크림, 헤어 케어, 파운데이션, 화장 기초, 자외선 차단제, 컨실러, 치크 컬러, 립스틱, 글로스, 밤, 마스카라, 아이섀도, 아이라이너, 보디 메이크업, 데오도란트제, 네일용 화장료 등, 다양한 제품에 응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들 중에서도 특히, 파운데이션, 화장 기초, 자외선 차단제, 컨실러, 치크 컬러, 립스틱, 글로스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나 자외선 차단제 효과를 부여한 제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의 성상으로서는, 액상, 크림상, 고형상, 페이스트상, 겔상, 무스상, 수플레상, 점토상, 파우더상, 스틱상 등의 다양한 성상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한 화장료의 형태는 유화계, 유계, 수계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유성감을 부여하고 싶을 때는 유계 조성물이나 유화 형태를 선택하고, 유화 형태로서는, O/W형 에멀션, W/O형 에멀션, O/W/O형 에멀션, W/O/W형 에멀션의 어떤 형태여도 되고, 상쾌한 사용감을 얻고 싶을 때는 수계 조성물, 또는 분체 조성물을 선택할 수 있고, 어떤 경우라도 양호한 화장료가 얻어진다.
실시예
이하, 제조예 및 본 발명의 화장료의 실시예, 비교예를 나타내고,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이하에 기재하는 조성의 「%」는 「질량%」를 의미하고, 각 예의 전체의 질량을 100질량%라고 하여 각 성분의 질량%를 나타내고, 배합량은 기재된 배합 제품의 배합량이다. 실록산의 결합 순서는 하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표면 장력은 표면 장력계(교와 가이멘 가가쿠사제, 장치명: DY-700)를 사용하여, Wilhelmy법에 의해 25℃에서 측정한 수치이다. 식 중, n-Bu는 n-부틸기를 나타낸다. 식 중의 결합되어 있지 않고, 특별히 기재되어 있지 않은 말단은, 「-CH3」이고, 이중 결합의 말단은 「CH2=CH2-」이다.
[제조예 1]
반응기에 하기 식,
로 표시되는 화합물 144g, 염화백금산디비닐디실록산 착체의 에탄올 용액(0.5%) 0.05g을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80℃로 했다. 거기에 1,1,1,3,5,5,5-헵타메틸트리실록산 100g을, 100℃ 이하를 유지하도록 적하하여 100℃에서 5시간 숙성했다. 1H-NMR에 의해 히드로실릴기의 소실을 확인했다. 반응액을 140℃에서 감압 스트립하여 미반응물 등을 제거하여, 담황색 투명의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얻었다. 얻어진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표면 장력은 25.6mN/m였다. 또한, 공기 중 25℃에서의 중량 변화는 없고 불휘발성이었다.
[제조예 2]
반응기에 하기 식
로 표시되는 화합물 431g, 염화백금산디비닐디실록산 착체의 에탄올 용액(0.5%) 0.08g을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80℃로 했다. 거기에 1,1,1,3,5,5,5-헵타메틸트리실록산 350g을, 100℃ 이하를 유지하도록 적하하여 100℃에서 5시간 숙성했다. 1H-NMR에 의해 히드로실릴기의 소실을 확인했다. 반응액을 140℃에서 감압 스트립하여 미반응물 등을 제거하여, 담황색 투명의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얻었다. 얻어진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표면 장력은 24.2mN/m였다. 또한, 공기 중 25℃에서의 중량 변화는 없고 불휘발성이었다.
[제조예 3]
반응기에 하기 식
로 표시되는 화합물 520g, 염화백금산디비닐디실록산 착체의 에탄올 용액(0.5%) 0.1g을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80℃로 했다. 거기에 테트라메틸디실록산 160g을, 100℃ 이하를 유지하도록 적하하여 100℃에서 5시간 숙성했다. 1H-NMR에 의해 히드로실릴기의 소실을 확인했다. 반응액을 140℃에서 감압 스트립하여 미반응물 등을 제거하여, 담황색 투명의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얻었다. 얻어진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표면 장력은 25.5mN/m였다. 또한, 공기 중 25℃에서의 중량 변화는 없고 불휘발성이었다.
[제조예 4]
반응기에 하기 식
로 표시되는 화합물 1200g, 염화백금산디비닐디실록산 착체의 에탄올 용액(0.5%) 0.1g을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80℃로 했다. 거기에 하기 식
로 표시되는 메틸하이드로겐실록산 550g을, 100℃ 이하를 유지하도록 적하하여 100℃에서 5시간 숙성했다. 1H-NMR에 의해 히드로실릴기의 소실을 확인했다. 반응액을 140℃에서 감압 스트립하여 미반응물 등을 제거하여, 담황색 투명의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얻었다. 얻어진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표면 장력은 27.0mN/m였다. 또한, 공기 중 25℃에서의 중량 변화는 없고 불휘발성이었다.
[제조예 5]
반응기에 하기 식
로 표시되는 화합물 690g, 염화백금산디비닐디실록산 착체의 에탄올 용액(0.5%) 0.2g을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80℃로 했다. 거기에 하기
로 표시되는 메틸하이드로겐실록산 280g을, 100℃ 이하를 유지하도록 적하하여 100℃에서 5시간 숙성했다. 1H-NMR에 의해 히드로실릴기의 소실을 확인했다. 반응액을 140℃에서 감압 스트립하여 미반응물 등을 제거하여, 담황색 투명의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얻었다. 얻어진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표면 장력은 27.9mN/m였다. 또한, 공기 중 25℃에서의 중량 변화는 없고 불휘발성이었다.
[제조예 6]
반응기에 하기 식
로 표시되는 화합물 220g, 염화백금산디비닐디실록산 착체의 에탄올 용액(0.5%) 0.08g을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80℃로 했다. 거기에 1,1,1,3,5,5,5-헵타메틸트리실록산 220g을, 100℃ 이하를 유지하도록 적하하여 100℃에서 5시간 숙성했다. 1H-NMR에 의해 히드로실릴기의 소실을 확인했다. 반응액을 140℃에서 감압 스트립하여 미반응물 등을 제거하여, 담황색 투명의 하기 구조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얻었다. 얻어진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표면 장력은 24.3mN/m였다. 또한, 공기 중 25℃에서의 중량 변화는 없고 불휘발성이었다.
[제조예 7]
반응기에 하기 식
로 표시되는 화합물 440g, 염화백금산디비닐디실록산 착체의 에탄올 용액(0.5%) 0.1g을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80℃로 했다. 거기에 하기
로 표시되는 메틸하이드로겐실록산 410g을, 100℃ 이하를 유지하도록 적하하여 100℃에서 5시간 숙성했다. 1H-NMR에 의해 히드로실릴기의 소실을 확인했다. 반응액을 140℃에서 감압 스트립하여 미반응물 등을 제거하여, 담황색 투명의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얻었다. 얻어진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표면 장력은 26.5mN/m였다. 또한, 공기 중 25℃에서의 중량 변화는 없고 불휘발성이었다.
n-Bu는 n-부틸기이다.
이하, 제조예 1, 2에서 얻어진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평가를 행하였다.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휘발성 실리콘 및 메톡시신남산에틸헥실(유기 자외선 흡수제)의 용해성 시험]
제조예 1, 2에서 얻어진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휘발성 실리콘 및 메톡시신남산에틸헥실(유기 자외선 흡수제)의 용해성 시험과의 용해성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평가 방법)
제조예 1, 2에서 얻어진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휘발성 실리콘인 운데카메틸헵타실록산(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KF-96L-2cs), 메톡시신남산에틸헥실(OMC라고 나타내는 경우가 있음)을 표 1에 나타내는 질량비로 채취하고, 실온에서 진탕 혼합하고, 익일의 용해 상태를 관찰했다. 용해 상태를 하기에 나타낸다.
○: 용해·균일 분산
×: 분리
(주1)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KF-96L-2cs
(주2)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KF-56A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조예 1, 2에서 얻어진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휘발성 실리콘과 메톡시신남산에틸헥실을 균일 혼합하는 경우에 있어서, 종래 사용되고 있는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티콘(상용화제)과 동등 이상, 카프릴릴메티콘보다도 높은 상용성을 갖는 것이 명확해졌다.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25℃에서 고체인 유성 성분의 용해성 시험과의 용해성 시험]
제조예 1, 2에서 얻어진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25℃에서 고체인 유성 성분의 용해성을 하기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평가 방법)
25℃에서 고체인 유성 성분과, 제조예 1, 2에서 얻어진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또는 다른 실리콘을 1:9의 질량비로 채취하고, 90℃/20분간 가열하여 그 용해 상태를 목시 관찰했다.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여, 결과를 표 2에 기재했다.
◎: 균일 용해
△: 균일 분산(탁도 있음)
×: 분리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조예 1, 2에서 얻어진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25℃에서 고체인 유성 성분과 균일 혼합하는 경우에 있어서, 종래 사용되고 있는 상용화제와 동등 이상, 그것을 초과하는 높은 용해성을 갖는 것이 명확해졌다.
이하, 화장료에 관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1, 2, 비교예 1 내지 3] W/O형 선스크린
실시예 1, 2에 대해서는, 제조예 1, 2에서 얻어진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사용하여, 비교예 1 내지 3에 대해서는, 이것을 사용하지 않고, 하기의 제조 방법에 따라 W/O형 선스크린을 제작했다.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조성을 표 3에 나타낸다.
(주1)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티콘
(주2)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디메티콘 70 내지 80%+(디메티콘/(PEG-10/15))크로스폴리머 20 내지 30%의 혼합물
(주3)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티콘 80 내지 85%+가교형 페닐 변성 디메틸폴리실록산 15-20%의 혼합물
(주4)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세틸 PEG/PPG-10/1디메티콘
[제조 방법]
성분 1 내지 12를 교반하여, 균일해지도록 혼합했다. 별도 성분 17에 성분 13 내지 16을 균일 용해시켜, 전술한 성분 1 내지 12의 혼합물에 천천히 첨가하고, 교반하여 유화물로 했다. 이것을 소정의 용기에 충전하여, W/O형 선스크린을 얻었다.
얻어진 W/O형 선스크린에 대하여, (1) 감촉의 가벼움, (2) 퍼짐의 양호, (3) 막의 매끄러움, (4) 번질거림의 없음에 대하여 10명의 전문 패널에 의해 사용 테스트를 행하고, 하기의 평점으로 평가했다. 평가 평균점을 산출하고, 하기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또한, (5) 화장료를 40℃에서 1개월간 정치한 화장료의 상태, (6) 화장료를 5℃에서 1개월간 정치한 화장료의 상태에 대해서도 관찰했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평점)
5점: 매우 양호
4점: 양호
3점: 보통
2점: 약간 불량
1점: 불량
이라고 하고, 얻어진 평균점에 대하여, 하기의 기준에 따라 ○×로 판정했다.
(평가 기준)
◎: 평균점이 4.5점 이상
○: 평균점이 3.5점 이상 4.5점 미만
△: 평균점이 2.5점 이상 3.5점 미만
×: 평균점이 1.5점 이상 2.5점 미만
××: 평균점이 1.5점 미만
표 4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2의 선스크린은 비교예 1, 3에 비해, 가벼운 감촉이고, 퍼짐이 양호하고, 화장막이 매끄럽고, 번질거림이 없는 선스크린인 것이 실증되었다. 또한, 보존 안정성이 우수한 선스크린인 것도 명확해졌다. 비교예 2의 선스크린은 감촉은 양호한 결과였지만, 보존 안정성이 양호하지 않은 결과가 되었다.
[실시예 3, 4, 비교예 4, 5] 스틱상 W/O형 파운데이션
실시예 3, 4에 대해서는, 제조예 1, 2에서 얻어진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사용하고, 비교예 4, 5에 대해서는, 이것을 사용하지 않고, 하기의 제조 방법에 따라 스틱상 W/O형 파운데이션을 제작했다. 실시예 3, 4 및 비교예 4, 5의 조성을 표 5에 나타낸다.
(주1)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티콘
(주2)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디메티콘 70 내지 80%+(디메티콘/폴리글리세린-3)크로스폴리머 20-30%의 혼합물
(주3)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라우릴 PEG-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디메티콘
(주4)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KF-9909 처리 착색 무기 안료, W: 백·R: 적·Y: 황·B: 흑
(주5)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비닐디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폴리머
[제조 방법]
A: 성분 5의 일부에 성분 11 내지 14를 혼합하고, 롤밀에 의해 분산했다.
B: 성분 1 내지 4, 성분 5의 잔부, 성분 6 내지 10, 15를 가열 용해하고, 혼합했다.
C: 성분 16, 17을 혼합하여, 가열했다.
D: B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C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천천히 첨가하고, 교반하여 유화물로 했다.
E: D에서 얻어진 유화물에, A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첨가하여 교반하고, 형에 유입하고 냉각 고화시켜, 스틱상 W/O형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얻어진 스틱상 W/O형 파운데이션에 대하여, (1) 퍼짐의 양호, (2) 막의 매끄러움, (3) 번질거림의 없음, (4) 화장막의 가벼움에 대하여 여성 10명의 전문 패널에 의해 사용 테스트를 행하고, 하기의 평점으로 평가했다. 평가 평균점을 산출하고, 하기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또한, (5) 화장료를 40℃에서 1개월간 정치한 화장료의 상태, (6) 화장료를 5℃에서 1개월간 정치한 화장료의 상태에 대해서도 관찰했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평점)
5점: 매우 양호
4점: 양호
3점: 보통
2점: 약간 불량
1점: 불량
이라고 하고, 얻어진 평균점에 대하여, 하기의 기준에 따라 ○×로 판정했다.
(평가 기준)
◎: 평균점이 4.5점 이상
○: 평균점이 3.5점 이상 4.5점 미만
△: 평균점이 2.5점 이상 3.5점 미만
×: 평균점이 1.5점 이상 2.5점 미만
××: 평균점이 1.5점 미만
표 6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실시예 3, 4의 파운데이션은 비교예 4에 비해, 퍼짐이 양호하고, 매끄럽고, 번질거림이 없고, 도포 후의 막의 느낌이 가벼운 파운데이션인 것이 실증되었다. 또한, 보존 안정성이 우수한 파운데이션인 것도 명확해졌다. 비교예 5의 파운데이션은 감촉은 양호한 결과였지만, 보존 안정성이 양호하지 않은 결과가 되었다.
[실시예 5] 자외선 차단제 유액(셰이킹)
조성 %
1. 디메틸폴리실록산(1.5cs) 22.5
2. 디메틸폴리실록산(6cs) 2
3. 제조예 1의 실록산 7
4. KSG-18A(주1) 3
5. KF-6038(주2) 2
6. 메톡시신남산에틸헥실 7.5
7. 디에틸아미노히드록시벤조일벤조산헥실 1
8. 옥토크릴렌 2.5
9. 디스테아르디모늄헥토라이트 1
10. KP-545(주3) 2
11. KSP-105(주4) 0.5
12. SPD-T5(주5) 5
13. SPD-Z5(주6) 10
14. BG 3
15. 시트르산나트륨 0.2
16. 염화나트륨 0.5
17. 에탄올 5
18. 물 25.3
합계 100.0
(주1)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티콘 80 내지 90%+(디메티콘/페닐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10 내지 20%의 혼합물
(주2)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라우릴 PEG-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디메티콘
(주3)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시클로펜타실록산 70%+(아크릴레이트/디메티콘)코폴리머 30%의 용해품
(주4)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비닐디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폴리머
(주5)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미립자 산화티타늄 40%의 시클로펜타실록산 분산물
(주6)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미립자 산화아연 60%의 시클로펜타실록산 분산물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10을 균일하게 혼합했다.
B: A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성분 11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분산했다.
C: 성분 18에 성분 14 내지 17을 첨가하여 용해했다.
D: C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B에 천천히 첨가하여 유화한 후, 성분 12, 13을 첨가하여 자외선 차단제 유액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자외선 차단제 유액은 발림도 가볍고, 산뜻하고 끈적거림이 없고, 온도나 경시에 의한 변화도 없고, 사용성도 안정성도 매우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6] 자외선 차단제 크림
조성 %
1. 디메틸폴리실록산(2cs) 22
2. 제조예 2의 실록산 8
3. 스쿠알란 3
4. KF-6105(주1) 4
5. 메톡시신남산에틸헥실 7.5
6. t-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3
7. 폴리실리콘-15 1
8. 디스테아릴디모늄클로라이드 1
9. 아세트산토코페놀 0.1
10. 에탄올 1
11. 시트르산나트륨 0.5
12. 황산마그네슘 0.5
13. 방부제 0.3
14. 물 48.1
합계 100.0
(주1)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디메티콘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9를 균일 혼합했다.
B: 성분 10 내지 13을 성분 14에 균일 용해했다.
C: 교반 하, A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B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천천히 첨가하고 유화하여, 자외선 차단제 크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자외선 차단제 크림은 결이 곱고, 발림도 가볍고, 촉촉하고 생기가 있고, 또한 끈적거림이 없기 때문에, 모래가 전혀 붙지 않아, 사용성이 매우 양호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온도나 경시에 의한 변화도 없고 안정성도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7] 자외선 차단제 크림
조성 %
1.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8
2. 제조예 1의 실록산 8
3. KSG-310(주1) 3.5
4. KSG-18A(주2) 3
5. KF-6048(주3) 1.5
6. KF-7312J(주4) 3
7. 메톡시신남산에틸헥실 7.5
8. t-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3
9. 살리실산에틸헥실 3
10. BG 5
11. 시트르산나트륨 0.5
12. 염화나트륨 1
13. 방부제 0.3
14. 물 52.7
합계 100.0
(주1)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미네랄 오일 65 내지 75%+(PEG-15/라우릴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25 내지 35%의 혼합물
(주2)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티콘 80-90%+(디메티콘/페닐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10-20%의 혼합물
(주3)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세틸 PEG/PPG-10/1디메티콘
(주4)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트리메틸실록시규산 50%의 시클로펜타실록산 용해품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9를 균일 혼합했다.
B: 성분 10 내지 13을 성분 14에 균일 용해했다.
C: 교반 하, A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B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천천히 첨가하고 유화하여, 자외선 차단제 크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자외선 차단제 크림은 발림도 가볍고, 생기가 있고 끈적거림이 없고, 또한 막이 균일하고 발수성이 높기 때문에 화장 지속력도 양호하고, 그 때문에 자외선 방어 효과도 지속되는 것이었다. 또한, 온도나 경시에 의한 변화가 없고, 사용성도 안정성도 매우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8] 비수계 무스상 파운데이션
조성 %
1. KSG-240(주1) 18
2. 디메틸폴리실록산(6CS) 7
3. 제조예 2의 실록산 5
4. 메톡시신남산에틸헥실 5
5. 호호바유 1
6. 실릴화 처리 무수 규산(주2) 0.75
7. KTP-09R(주3) 0.2
8. KTP-09Y(주3) 1
9. KTP-09B(주3) 0.02
10. KTP-09W(주3) 5
11. KF-9909(주4) 처리 탈크 11.55
12. KF-7312J(주5) 4
13.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25.28
14. KSP-411(주6) 6
15. KMP-590(주7) 3
16. 구상 폴리메타크릴산알킬 7
17. 산화 방지제 0.2
합계 100.0
(주1)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시클로펜타실록산 75 내지 85%+(디메티콘/(PEG-10/15))크로스폴리머 15 내지 25%의 혼합물
(주2) 닛본 에어로실(주)제 표면 소수화 처리 퓸드 실리카: 에어로실 R-972
(주3)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KF-9909 처리 착색 무기 안료, W: 백·R: 적·Y: 황·B: 흑
(주4)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트리에톡시실릴에틸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헥실디메티콘
(주5)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트리메틸실록시규산 50%의 시클로펜타실록산 용해품
(주6)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폴리실리콘-1크로스폴리머
(주7)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제조 방법)
성분 1 내지 10을 롤러 처리에 의해 균일하게 혼합했다. 이 혼합물에, 성분 11 내지 17을 첨가하고 균일해지도록 혼합하여, 비수계 무스상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비수계 무스상 파운데이션은, 외관이 무스상으로 단단하게 굳어지고, 발림도 가볍고, 끈적거림이나 유분감이 없는 우수한 사용감이고, 화장 지속력도 매우 양호한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온도나 경시에 의한 오일의 스며나옴 등도 없고, 안정성도 우수했다.
[실시예 9]
비수계 아이 링클 크림
조성 %
1. KSG-210(주1) 5
2. KSG-41A(주2) 7
3. KSG-15(주3) 55
4. KF-4422(주4) 8
5. 제조예 2의 실록산 6
6. 호호바유 2
7. KSP-101(주5) 12
8. KF-9028(주6) 5
합계 100
(주1)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디메티콘 70 내지 80%+(디메티콘/(PEG-10/15))크로스폴리머 20 내지 30%의 혼합물
(주2)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미네랄 오일 70 내지 80%+(비닐디메티콘/라우릴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20 내지 30%의 혼합물)
(주3)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시클로펜타실록산 90 내지 96%+(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4 내지 10%의 혼합물
(주4)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에틸메티콘
(주5)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비닐디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폴리머
(주6)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디메티콘(고중합) 20%의 시클로펜타실록산 용해품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8을 균일 혼합하여, 비수계 아이 링클 크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비수계 아이 링클 크림은 발림도 가볍고, 끈적거림이나 유분감이 없고, 촉촉하고 피부 밀착감이 양호한 사용감을 부여함과 함께, 온도나 경시에 의한 변화가 없고 안정성도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0] 워시오프 타입 팩 화장료
조성 %
1. 디메틸폴리실록산(6CS) 3
2. 제조예 2의 실록산 3
3. KF-6100(주1) 2
4. 카올린 30
5. 카보머 0.4
6. BG 10
7. 글리세린 20
8. 방부제 0.1
9. 향료 0.1
10. 물 31.4
합계 100.0
(주1)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폴리글리세릴-3디실록산디메티콘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3 및 8을 혼합했다.
B: 성분 5 내지 7 및 10을 균일 혼합한 후, 성분 4, 9를 혼합 교반했다.
C: B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A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첨가하고 유화시켜, 페이스트상의 워시오프 타입 팩 화장료를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워시오프 타입 팩 화장료는, 도포 중에는 발림도 가볍고, 세정 효과가 우수하고, 워시오프한 후에는 촉촉하고 끈적거림이 없고 피부가 반들반들한 감촉이고, 매우 우수한 사용감을 갖고, 또한 안정성도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1] 아이 컬러
조성 %
1. TMF-1.5(주1) 25.5
2. KP-550(주2) 20
3. KP-561P(주3) 2
4. KSP-441(주4) 6
5. 이소도데칸 3
6. 제조예 1의 실록산 5
7. 바셀린 5
8. KSG-320(주5) 5
9. 부정형 무수 규산(주6) 1
10. 황산바륨 5
11. 유기 안료 0.2
12. KTP-09Y(주7) 1
13. KTP-09W(주7) 1
14. KF-9909(주8) 처리 운모티타늄 20
15. 토코페롤 0.2
16. 향료 0.1
합계 100.0
(주1)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메틸트리메티콘
(주2)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이소도데칸 60%+(아크릴레이트/디메티콘)코폴리머 40%의 용해품
(주3)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스테아릴/메타크릴산디메티콘)코폴리머
(주4)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폴리실리콘-22
(주5)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이소도데칸 70 내지 80%+(PEG-15/라우릴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20 내지 30%의 혼합물
(주6) 닛본 에어로실(주)제 표면 소수화 처리 퓸드 실리카: 에어로실 R-972
(주7)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KF-9909 처리 착색 무기 안료, W: 백·Y: 황
(주8)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트리에톡시실릴에틸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헥실디메티콘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9를 혼합하고,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B: A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성분 10 내지 16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분산시켜, 아이 컬러를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아이 컬러는 제거도 양호하고, 발림이 가벼운 데다가, 유분감 및 가루날림이 없는 사용감의 것이었다. 또한, 내수성, 발수성, 내한성이 양호하여 소지도 양호하고, 화장이 뭉개지기 어려운 데다가, 온도 변화 및 경시에 의한 변화가 없어 안정성도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2] 아이라이너
조성 %
1. 제조예 2의 실록산 10
2.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12
3. KF-96A-6CS(주1) 5
4. KSG-42A(주2) 5
5. 호호바유 2
6. KF-6038(주3) 3
7. KF-9901(주4) 처리 흑산화철 20
8. 에탄올 5
9. 방부제 0.1
10. 물 37.9
합계 100.0
(주1)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디메티콘(6cs)
(주2)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이소도데칸 75 내지 85%+(비닐디메티콘/라우릴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15 내지 25%의 혼합물
(주3)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라우릴 PEG-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디메티콘
(주4)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히드로겐디메티콘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6을 가온 혼합하고, 성분 7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분산했다.
B: 성분 8 내지 10을 가온 용해했다.
C: 교반 하, A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B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천천히 첨가하고 유화하여, 아이라이너를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아이라이너는 퍼짐이 가볍고 유분감이나 가루날림이 없고, 생기가 있고, 깔끔한 사용감을 부여함과 함께, 내수성이나 발수성, 내한성이 양호하여 소지가 양호하고, 화장이 뭉개지기 어렵고, 온도나 경시적으로 변화가 없고 안정성도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3] W/O 클렌징 크림
조성 %
1. 디메틸폴리실록산(6CS) 10
2. KF-54(주1) 15
3. 미네랄 오일 8
4. 이소스테아르산 1
5. 제조예 1의 실록산 10
6. 제조예 2의 실록산 1
7.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0.8
8. KF-6017(주2) 4
9. 글리세린 10
10. 시트르산나트륨 0.2
11. 염화나트륨 1
12. 방부제 0.1
13. 향료 0.1
14. 정제수 38.8
합계 100.0
(주1)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디페닐디메티콘
(주2)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PEG-10디메티콘
A: 성분 1 내지 8을 가열 혼합했다.
B: 성분 9 내지 12 및 14를 가열 용해했다.
C: 교반 하, A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B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천천히 첨가하고 유화하고, 냉각하고 성분 13을 첨가하여, W/O 클렌징 크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W/O 클렌징 크림은 결이 곱고, 발림이 가볍고 끈적거림이나 유분감이 없고, 촉촉하고 생기가 있고, 깔끔한 사용감을 부여함과 함께, 클렌징 효과도 높고, 온도나 경시에 의한 변화가 없고 안정성도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4] 크림상 립스틱
조성 %
1. (팔미트산/에틸헥산산)덱스트린(주1) 9
2. 제조예 2의 실록산 7
3. KP-545(주2) 5
4. KSG-43(주3) 8
5. KF-6105(주4) 2
6.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46
7. 1,3-부틸렌글리콜 5
8. 정제수 10.8
9. 착색제 1.2
10. 산화티타늄 피복 마이카 6
합계 100.0
(주1) 치바 세훈(주)제: 레오펄TT
(주2)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시클로펜타실록산 70%+(아크릴레이트/디메티콘)코폴리머 30%의 용해품
(주3)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트리에틸헥사노인 65 내지 75%+(비닐디메티콘/라우릴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25 내지 35%의 혼합물
(주4)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디메티콘
(제조 방법)
A: 성분 2의 일부에, 성분 9를 혼합하여 롤러 밀에 의해 분산 후, 얻어진 분산물을 성분 1, 성분 2의 잔부 및 성분 3 내지 6과 함께 가열 혼합했다.
B: 성분 7, 8을 가열하고, A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첨가하고 유화 후 냉각했다.
C: 성분 10을 B에서 얻어진 유화물에 첨가하여, 크림상 립스틱을 얻었다.
얻어진 크림상 립스틱은 퍼짐이 가볍고, 끈적거림이나 유분감이 없고, 소지가 양호한 막을 입술 상에 형성했다.
[실시예 15] 마스카라
조성 %
1. KF-6028(주1) 1
2. 디스테아르디모늄헥토라이트 4
3. 이소도데칸 39.5
4. KP-550(주2) 20
5. 팔미트산/에틸헥산산덱스트린(주3) 3
6. 세레신 2.5
7. KP-562P(주4) 2
8. 밀랍 2.5
9. 제조예 1의 실록산 5
10. 물 첨가 레시틴 0.5
11. 실리카 3
12. 탈크 12
13. KTP-09B(주5) 5
합계 100.0
(주1)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라우릴 PEG-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디메티콘
(주2)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이소도데칸 60%+(아크릴레이트/디메티콘)코폴리머 40%의 용해품
(주3) 치바 세훈(주)제: 레오펄TT
(주4)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베헤닐/메타크릴산디메티콘)코폴리머
(주5)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KF-9909 처리 착색 무기 안료, B: 흑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3을 균일하게 혼합했다.
B: 성분 4 내지 10을, 가열 및 교반하여 용해하고, A에서 얻어진 혼합물 및 분쇄한 성분 11, 12, 13을 첨가하여 균일해지도록 혼합한 후 냉각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마스카라는 끈적거림이 없고, 퍼짐이 가벼워 속눈썹에 바르기 쉽고, 화장 지속력도 매우 양호했다.
[실시예 16] 오일 클렌징
조성 %
1. 미네랄 오일 30
2.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2
3. 제조예 1의 실록산 54.9
4. 디이소스테아르산 PEG-6 1
5. 아세트산토코페롤 0.1
6. 트리이소스테아르산 PEG-20글리세릴 10
7. 글리세린 1
8. 물 1
합계 100.0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6을 균일하게 혼합했다.
B: 성분 7, 8을 교반하여 용해하고, A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첨가하고, 균일해지도록 혼합하여, 오일 클렌징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오일 클렌징은 끈적거림이 없고, 균일한 유막을 만들어 퍼지기 쉽고, 세정 효과도 매우 높았다.
[실시예 17] 데오도란트 스틱
조성 %
1. 클로르히드록시Al 23
2. 디메틸폴리실록산(2cs) 33.5
3. 제조예 2의 실록산 3
4. 스테아릴알코올 8
5. 탈크 14.88
6. 향료 0.1
7. BHT 0.02
8. 파라핀(고형) 2
9. 미네랄 오일 14.5
10. KF-6048(주1) 1
합계 100.0
(주1)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세틸 PEG/PPG-10/1디메티콘
(제조 방법)
A: 성분 2 내지 4, 7 내지 10을 가열 용해하고, 혼합했다.
B: 성분 1, 5를 A에 균일하게 혼합하고, 믹서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분산 혼합했다.
C: 성분 6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했다.
D: 형에 유입하여 냉각 고화시켰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데오도란트 스틱은 과도한 건조감이나 끈적거리는 느낌이 없고, 방취 효과의 지속성이 우수한 것이고, 안정성도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18] 비수계 데오도란트 크림
조성 %
1.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25
2. 제조예 1의 실록산 5
3. KSG-15(주1) 21.5
4.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9.68
5. BHT 0.02
6. 벤질알코올 0.1
7. 폴리에틸렌 3
8. 세레신 6
9. 디메틸실릴화실리카 0.5
10. 트리클로로하이드렉스글리신(Al/지르코늄) 19
11. KSP-100(주2) 10
12. 시트르산 0.1
13. 향료 0.1
합계 100.0
(주1)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시클로펜타실록산 90 내지 96%+(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4 내지 10%의 혼합물
(주2)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비닐디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폴리머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8을 가열하여, 균일 혼합했다.
B: 성분 9를 A에 균일하게 혼합하고, 믹서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분산 혼합했다.
C: 성분 10 내지 12를 B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했다.
D: 성분 13을 C에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한 후, 용기에 충전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비수계 데오도란트 크림은 도포가 매우 매끄러워 퍼짐이 양호하고, 과도한 건조감이나 끈적거리는 느낌이 없고, 방취 효과의 지속성이 우수한 비수계 데오도란트 크림이었다.
[실시예 19] 헤어 오일
조성 %
1. 제조예 2의 실록산 68
2.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 10.3
3. KF-7312J(주1) 3
4. 디메티코놀 7
5. 숙신산디에틸헥실 10
6. KF-9030(주2) 1.5
7. 토코페롤 0.1
8. 향료 0.1
합계 100.0
(주1)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트리메틸실록시규산 50%의 시클로펜타실록산 용해품
(주2)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디메티콘(검 용해품)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8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헤어 오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헤어 오일은 발림도 가볍고, 모발에 광택과 매끄러움을 부여하는 헤어 오일이었다.
[실시예 20] 스틱상 립스틱
조성 %
1. 디메틸폴리실록산(2cs) 28.8
2. 제조예 2의 실록산 10
3. 말산디이소스테아릴 5
4.칸데릴라 왁스 10
5. 폴리에틸렌 7
6.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2
7. KF-7312J(주1) 20
8. KSG-43(주2) 5
9. KF-6105(주3) 3
10. 마이카 8
11. 착색제 1.2
합계 100.0
(주1)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트리메틸실록시규산 50%의 시클로펜타실록산 용해품
(주2)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트리에틸헥사노인 65 내지 75%+알킬 분지·가교형 디메틸폴리실록산 25 내지 35%의 혼합물
(주3)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디메티콘
(제조 방법)
A: 성분 2의 일부에 성분 11을 혼합하고, 롤밀에 의해 분산 후, 얻어진 분산물을 성분 1, 성분 2의 잔부, 성분 3 내지 10과 함께 가열 혼합했다.
B: 형에 유입하고 냉각 고화시켜, 스틱상 립스틱을 얻었다.
얻어진 스틱상 립스틱은 발림이 양호하고, 균일한 막이 얻어지고, 또한 발수성도 높기 때문에, 화장 지속력도 양호한 립스틱이었다. 또한, 보존 안정성이 우수한 립스틱인 것도 명확해졌다.
[실시예 21] 워터 브레이크형 W/O 파운데이션
조성 %
1. KSG-270(주1) 4
2. KSG-18A(주2) 1
3. KF-6038(주3) 0.1
4. 메톡시신남산에틸헥실 7.5
5. 디메틸폴리실록산(2cs) 5.6
6. 제조예 1의 실록산 4.8
7. KF-6115(주4) 0.3
8. KTP-09W(주5) 5.1
9. KTP-09Y(주5) 0.58
10. KTP-09R(주5) 0.25
11. KTP-09B(주5) 0.07
12. 소수화 처리 미립자 산화아연(주6) 6
13. BG 8
14. 시트르산나트륨 0.2
15. 황산Mg 0.5
16. 물 56
합계 100.0
(주1)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티콘 80%+디메티콘/(PEG-10/15))크로스폴리머 20%의 혼합물
(주2)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티콘 85%+(디메티콘/페닐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15%의 혼합물
(주3)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라우릴 PEG-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디메티콘
(주4)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디메티콘
(주5)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KF-9909 처리 착색 무기 안료, W: 백·R: 적·Y: 황·B: 흑
(주6)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AES-3083 처리
(제조 방법)
유상의 조제: 성분 1 내지 6을 균일 혼합했다.
수상의 조제: 성분 13 내지 16을 균일 혼합했다.
페이스트상의 조제: 성분 6 내지 7 중에서 성분 8 내지 12를 혼합하고, 3개 롤에 의해 분산했다.
유상에 수상을 천천히 첨가하여 이상하고, 유화 후 페이스트를 혼합하여, 워터 브레이크형 W/O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얻어진 워터 브레이크형 W/O 파운데이션은 사용감, 워터 브레이크감, 도포성이 양호한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2]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 %
1. KSG-18A(주1) 1
2. 세탄올 2
3. 옥탄산세틸 3
4. 파라옥시벤조산부틸 0.1
5. 제조예 2의 실록산 1
6. 베헨트리모늄클로라이드 1
7. 프로필렌글리콜 5
8.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1
9. 물 잔량
10. X-52-2328(주2) 4
11. 향료 적량
합계 100.0
(주1)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티콘 80-90%+(디메티콘/페닐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10-20%의 혼합물
(주2) 신에쯔 가가쿠 고교(주)제: 아미노프로필디메티콘
(제조 방법)
A: 성분 6 내지 9를 70℃까지 가열하고, 균일하게 혼합했다.
B: 성분 1 내지 5를 70℃까지 가열하고, 균일하게 혼합했다.
C: B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A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첨가하여 유화하고, 서랭 후, 성분 10, 11을 첨가하여 헤어 트리트먼트를 얻었다.
얻어진 헤어 트리트먼트는 사용감, 도포성이 양호하고, 보존 안정성이 우수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 형태는 예시이고, 본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어떤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6)
-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식 중, R1은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6의 알킬기이고, R2는 하기 식 (2)
(식 (2) 중, R4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Q는 하기 식 (3) 내지 (6)
(상기 식 (5) 중, s는 0 내지 3, t는 0 내지 3의 정수이고, 각각의 옥시알킬렌기의 결합은 블록이어도 되고 랜덤이어도 된다.)
로 표시되는 연결기로부터 선택되는 유기기이고,
Q가 상기 식 (3)의 경우에는, m은 8, n은 1 내지 22의 정수이고,
Q가 상기 식 (4)의 경우에는, m은 1 내지 10의 정수, n은 7 내지 22의 정수이고,
Q가 상기 식 (5)의 경우에는, m은 1 내지 10의 정수, n은 7 내지 22의 정수이고,
Q가 상기 식 (6)의 경우에는, m은 1 내지 10의 정수, n은 7 내지 22의 정수이다.)
로 표시되는 유기기이고,
R3은 R1 또는 R2이고, x는 0 내지 50의 정수이고, y는 0 내지 50의 정수이고, R2 또는 R3 중 하나 이상은 일반식 (2)로 표시되는 유기기이고, y=0의 경우에는, R3의 적어도 하나는 R2이다. 또한, 상기 x 및 y로 묶인 실록산 단위의 결합은, 블록이어도 되고 랜덤이어도 된다.〕 - 제1항에 있어서,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표면 장력이 28mN/m 이하이고, 또한 불휘발성인, 화장료.
- 제1항에 있어서, 추가로, 유기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화장료.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자외선 흡수제가, 메톡시신남산에틸헥실, 디에틸아미노히드록시벤조일벤조산헥실, 살리실산옥틸, 폴리실리콘-15, t-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옥시벤존,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비스에틸헥시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및 옥토크릴렌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화장료.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25℃에서 고체상인 유성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25℃에서 고체상인 유성 성분이, 폴리에틸렌, 세레신, 오조케라이트, 칸데릴라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밀랍,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및 세탄올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화장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JPJP-P-2022-208172 | 2022-12-26 | ||
| JP2022208172 | 2022-12-26 | ||
| PCT/JP2023/045004 WO2024142993A1 (ja) | 2022-12-26 | 2023-12-15 | 化粧料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50127307A true KR20250127307A (ko) | 2025-08-26 |
Family
ID=9171774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57024746A Pending KR20250127307A (ko) | 2022-12-26 | 2023-12-15 | 화장료 |
Country Status (4)
| Country | Link |
|---|---|
| JP (1) | JPWO2024142993A1 (ko) |
| KR (1) | KR20250127307A (ko) |
| CN (1) | CN120379641A (ko) |
| WO (1) | WO2024142993A1 (ko)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01015658A1 (fr) | 1999-08-30 | 2001-03-08 | Kanebo, Ltd. | Produits cosmetiques |
| WO2004087077A1 (en) | 2003-04-04 | 2004-10-14 | L'oreal |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volatile fatty phase |
| US20100144897A1 (en) | 2008-12-08 | 2010-06-10 | O'lenick Jr Anthony J | Methicone replacements for cyclomethicone |
Family Cites Familie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7106968B2 (ja) * | 1986-12-15 | 1995-11-15 | 日清製油株式会社 | エステル化生成物を配合してなる化粧料 |
| JPH03227992A (ja) * | 1990-02-02 | 1991-10-08 | Nisshin Oil Mills Ltd:The | エステル化生成物およびこれらを配合してなる化粧料 |
| JP2883700B2 (ja) * | 1990-08-24 | 1999-04-19 | 花王株式会社 | 毛髪化粧料 |
| FR2733245B1 (fr) * | 1995-04-18 | 1997-05-23 | Rhone Poulenc Chimie | Utilisation de cires silicones a fonctions esters pour epaissir des milieux huileux |
| DE102006005100A1 (de) * | 2006-02-04 | 2007-08-09 | Goldschmidt Gmbh | Verfahren zur Herstellung organomodifizierter Siloxane |
-
2023
- 2023-12-15 KR KR1020257024746A patent/KR20250127307A/ko active Pending
- 2023-12-15 CN CN202380087339.7A patent/CN120379641A/zh active Pending
- 2023-12-15 JP JP2024567489A patent/JPWO2024142993A1/ja active Pending
- 2023-12-15 WO PCT/JP2023/045004 patent/WO2024142993A1/ja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01015658A1 (fr) | 1999-08-30 | 2001-03-08 | Kanebo, Ltd. | Produits cosmetiques |
| WO2004087077A1 (en) | 2003-04-04 | 2004-10-14 | L'oreal |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volatile fatty phase |
| US20100144897A1 (en) | 2008-12-08 | 2010-06-10 | O'lenick Jr Anthony J | Methicone replacements for cyclomethicon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CN120379641A (zh) | 2025-07-25 |
| WO2024142993A1 (ja) | 2024-07-04 |
| JPWO2024142993A1 (ko) | 2024-07-04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2019034889A (ja) | 化粧料 | |
| KR20250031196A (ko) | 분산체 및 이것을 함유하는 화장료 | |
| WO2025070465A1 (ja) | 水性分散体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 |
| WO2024038717A1 (ja) | 架橋型有機ケイ素樹脂を含有する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 |
| KR20250060205A (ko) | 유중수형 화장료 | |
| CN118660925A (zh) | 具有(聚)甘油基和聚氧化烯基的有机聚硅氧烷和处理的疏水性粉体、以及分散体和化妆料 | |
| US20240173245A1 (en) | Cosmetic | |
| JP7753956B2 (ja) | 化粧料 | |
| US20250186331A1 (en) | Cosmetic | |
| KR20250127307A (ko) | 화장료 | |
| KR20250127308A (ko) |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및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 |
| JP2024128582A (ja) | 化粧料 | |
| WO2024228380A1 (ja) | 化粧料 | |
| WO2024241845A1 (ja) | 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及び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を含有する化粧料 | |
| WO2025023121A1 (ja) | 分散体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化粧料 | |
| WO2024225178A1 (ja) | アミノアルコール変性シリコーンを含有する化粧料 | |
| KR20250006962A (ko) | 활성제 조성물 및 화장료 | |
| WO2024209924A1 (ja) | 化粧料 | |
| JP2024164873A (ja) | 化粧料 | |
| WO2025134905A1 (ja) | 水性分散体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 |
| WO2025089201A1 (ja) | 分散体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 |
| WO2024228379A1 (ja) | 化粧料 | |
| CN116917380A (zh) | 有机聚硅氧烷和含有其的化妆料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