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50135788A - 세포독성 화합물 - Google Patents
세포독성 화합물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50135788A KR20250135788A KR1020257023279A KR20257023279A KR20250135788A KR 20250135788 A KR20250135788 A KR 20250135788A KR 1020257023279 A KR1020257023279 A KR 1020257023279A KR 20257023279 A KR20257023279 A KR 20257023279A KR 20250135788 A KR20250135788 A KR 2025013578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ound
- formula
- cancer
- group
- anti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7/00—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7/02—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nitrogen as ring hetero atom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61K31/705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61K31/70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 A61K47/6801—Drug-antibody or immunoglobulin conjugates defined by the pharmacologically or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 A61K47/6803—Drugs conjugated to an antibody or immunoglobulin, e.g. cisplatin-antibody conjugat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 A61K47/6889—Conjugates wherein the antibody being the modifying agent and wherein the linker, binder or spacer confers particular properties to the conjugates, e.g. peptidic enzyme-labile linkers or acid-labile linkers, providing for an acid-labile immuno conjugate wherein the drug may be released from its antibody conjugated part in an acidic, e.g. tumoural or environ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5/00—Compounds containing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5/26—Acyclic or carbocyclic radicals, substituted by hetero ring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9/00—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 C07H19/02—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sharing nitrogen
- C07H19/04—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nitrogen atoms as ring hetero atom
- C07H19/044—Pyrrole radic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특히, 암 치료에 유용한 글리코실화 화합물 및 이의 접합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2년 12월 14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가출원 제63/387,426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동 문헌은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서 통합된다.
기술 분야
본 개시는 알킬화 결합 유닛을 포함하는 DNA-알킬화 유닛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개시는, 의약으로서, 특히 항증식제로서 유용한, G-알킬화 유닛(예를 들어, PBD, PDD,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유닛) 또는 A-알킬화 유닛(예를 들어, CXI 유닛)을 포함하는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에 관한 것이다.
피롤로벤조디아제핀(PBD)은 화합물의 군이며, 이들 중 일부는 서열-선택적 DNA 마이너-홈 결합제인 것으로 밝혀졌다. PBD는 원래 스트렙토미세스(Streptomyces) 종에서 발견되었다 [1]. 이들은 본질적으로 삼환계이고, 융합된 6-7-5-원 고리로 구성되며, 안트라닐레이트(A 고리), 디아제핀(B 고리) 및 피롤리딘(C 고리)으로서 식별될 수 있다[1c]. 이들은 DNA 중 구아닌의 C2-아미노기에 대해 공유 결합을 형성하여 DNA 부가물을 형성할 수 있는, 전기친매성 N10=C11 이민기(아래에 도시됨) 또는 수화된 등가물, 카르비놀아민[NH-CH(OH)], 또는 카르비놀아민 알킬 에테르([NH-CH(OR, 여기에서 R = 알킬임)]를 특징으로 한다[2]. 천연 생성물은 (S)-구성을 갖는 입체형성 C11a-위치에 의해 유도된 우측 길이방향 비틀림으로 인해 DNA 나선의 마이너 홈에서 탁월한 피팅(즉, 양호한 "등나선성")으로 상호작용한다[3].
반응식 1
: PBD의 상호변환 가능 형태
DNA 부가물은 전사 인자의 결합[4][5] 및 엔도뉴클레아제[6] 및 RNA 중합효소[7]와 같은 효소의 기능을 포함하는 다수의 생물학적 과정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PBD 단량체(예를 들어, 안트라마이신)는 풋프린팅[3], NMR[8], 분자 모델링[9], 및 X-선 결정학[10]에 의해, 3개의 염기쌍에 걸쳐 있고 서열 5'-Pu-G-Pu-3'(여기에서, Pu=푸린이고, G는 반응 구아닌임)에 대한 열역학적 선호도[11] 및 서열 5'-Py-G-Py-3'(여기에서, Py는 피리딘임)에 대한 동역학적 선호도를 갖는다는 것이 밝혀진 바 있다.
PBD는 우선적으로 반 데르 발스(Van der Waals), 수소 결합 및 정전기 상호작용을 통해 저에너지 결합 서열(즉, 5'-Pu-G-Pu-3' 삼중체)에서 위치됨으로써 DNA와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여겨진다[4]. 이어서, 일단 제자리에 위치되면, 중심 구아닌의 외부 고리인 C2-아미노기에 의한 친핵성 공격이 발생하여 공유 부가물이 형성된다[4](도 2). 일단 결합되면, PBD는 DNA의 마이너 홈에 앵커링되어 유지되고, DNA 나선의 미미한 만한 왜곡을 야기함으로써 DNA 복구를 회피한다[10]. PBD가 마이너 홈에 부가물을 형성하고 PBD 이량체가 DNA를 가교 결합시키는 능력을 통해 이들은 DNA 처리를 방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항증식제로서 활용될 잠재력을 갖는다.
WO-A-2017/032983, WO-A-2013/164592, WO-A-2017/223275, WO-A-2021/137646, WO-A-2019/126691, WO-A-2019/104289, 미국 특허 제10 526 294호, 및 미국 특허 제10 143 695호는 A-고리를 통해 헤테로환 사슬에 연결된 PBD(6-7-5) 및 피리디노벤조디아제핀(PDD; 6-7-6) 단량체를 개시하며, 이들 모두는 시험관 내에서 세포독성제로서 작용하고 생체 내 동물 종양 모델에서 항-종양제로서 작용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또한, C8'-연결 PBD 이량체 SJG-136[12]은 백혈병 및 난소암에 대한 1상 임상시험을 완료하였고[13], 다수의 PBD 이량체 기반 항체 약물 접합체(ADC)가 고안되었으며, 이 중 일부는 다양한 단계의 임상시험 단계에 있다.
반응식 2:
SJG-136의 화학적 구조
이에 더하여, 인돌리노벤조디아제핀 기반 ADC인 IMGN779 및 IMGN632[14]는 각각 2상 및 3상 임상시험으로 진행되었다.
반응식 3:
IMGN-779의 화학적 구조
US-A-2019/151465(LegoChem)는 복수의 활성제가 적어도 하나의 분지형 링커를 통해 항체에 접합된 항체 약물 접합체(ADC)를 개시한다. WO-A-2020/222573(LegoChem)은 트리스 구조화 링커를 개시한다. WO-A-2018/234636(Glykos)은 친수성 링커 및 접합체를 개시한다.
천연 PBD 단량체 시비로마이신[15]은 보고된 가장 강력한 자연 발생 PBD 중 하나이며(마이크로몰 이하의 세포독성), 해당 분자의 C7 위치 상에 시비로스아민 당을 갖는다. 강력한 세포독성은 DNA 결합 프로파일 및 전사 인자 결합을 억제하는 잠재적 능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16].
탄수화물 모이어티는 이전에 Lown 및 연구진에 의해 개발된 PBD 기반 단량체 내에 혼입되었다[17]. 폴리아미드 사슬 상의 특정 위치에 당 모이어티를 첨가하면 일부 세포주에서 세포독성이 강화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글루쿠로니드 및 포도당은 생체 내에서 글리코시다아제에 의해 절단되고, 이들은 링커 작제물의 일부로서 다양한 계열의 아민 함유 및 페놀 함유 링커-페이로드 둘 모두에 혼입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8]. 이러한 맥락에서의 포도당의 혼입은 생성된 ADC의 PK 특성을 향상시키고, 페이로드는 글루쿠로니드 모이어티의 절단을 통해 링커 페이로드 작제물로부터 유리된다. 포도당 모이어티는 또한 아우리스타틴(예를 들어, 모노메틸 아우리스타틴 E, "MMAE")계 전구약물 내에 혼입되어[19], 부모인 치환되지 않은 MMAE 분자와 비교 시 효능, 내약성, 및 용해도를 향상시켰다.
듀오카마이신 또는 CXI(예를 들어, 시클로프로파피롤로인돌(CPI), 시클로프로파벤즈인돌(CBI), 또는 시클로프로파티에노인돌(CTI)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다른 서열-선택성 DNA 소형-홈 결합제가 공지되어 있다.1
이후, 비젤레신과 같은 2개의 CXI 유닛으로 이루어진 이중알킬화 이량체(A-A 가닥간 가교제)를 포함하는 다수의 CXI 유사체가 개발되었다.
반응식 4:
CPI의 이량체인 비젤레신의 화학적 구조
비젤레신은 CC-1065에서 발견되는 스피로(폐쇄형, 시클로프로필) 형태가 아닌 세코(seco)-CPI(개방형, 클로로메틸 작용기를 가짐)의 일례이다.5
이러한 세코 변형체는 CPI의 전구약물인 것으로 밝혀졌고, 보다 안정적이었지만, 이는 CPI 이량체 U-77809(상응하는 모약물 형태)와 동등한 활성을 나타냈다. 전구약물(세코) CXI 형태는 윈스타인-베어드(Winstein-Baird) 메커니즘(반응식 5)을 통해 시클로프로판 활성인 스피로 형태로 스피로고리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응식 5: CXI의 상호변환 가능 형태
WO-A-2015/104373 및 WO-A-2015/104386(Synthon), WO-A-2017/012924(Nerviano) 및 WO-A-2003/0022806(Boger) 또한 CXI 모이어티를 개시한다.
PBD(6-7-5) 및 PDD(6-7-6) 화합물, 그리고 CXI 화합물의 탁월한 효능은 항체 약물 접합체(ADC)를 통한 표적화된 전달에 대해 주목받는 후보이다.
본 개시는 이러한 요구를 해결하고 종래 기술에 연관된 문제(들)를 극복하고자 한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진은 탄수화물(예를 들어, 당) 모이어티가, 연장된 G-알킬화기 또는 A-알킬화기 페이로드 구조의 특정 위치에 성공적으로 혼입될 수 있음으로써, 페이로드 자체의 친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놀라운 사실을 발견하였다. 선택된 특정 위치는 방출된 제제가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해당 분자에 당류 기를 추가할 수 있게 한다. 이는 페이로드 상의 헤테로환 사슬의 특정 위치 상에서의 치환이 DNA 결합 및 세포독성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이점을 갖는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도 21은 G-알킬화 화합물의 특정 위치에 당 모이어티를 갖는 2세대 링커 페이로드의 비제한적인 예를 도시한다. 대상 물질의 경우, 유리된 부모는 DNA에 효과적으로 결합하여 강력한 세포독성을 생성할 수 있다. 당질화된 치환기는 종양 부위에서 선택적으로 절단되는 전구약물 모이어티로서 작용할 수 있으므로, 당질화된 페이로드를 함유하는 ADC는 (치환되지 않은 부모 분자와 유사한) 강력한 생체 내 효능을 생성하지만, 실질적으로 증가된 내약성 프로파일을 가김으로써, 치료 윈도우를 실질적으로 확장시킨다. 일부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당질화된 치환기를 포함하는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 및/또는 이의 접합체는 적어도 하나의 당질화된 치환기를 포함하지 않는 상기 화합물과 비교 시 향상 또는 증가된 친수성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당질화된 치환기를 포함하는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 및/또는 이의 접합체는 적어도 하나의 당질화된 치환기를 포함하지 않는 상기 화합물과 비교 시 향상 또는 증가된 내약성을 갖는다. 이러한 특성이 조합될 경우, 고도로 효과적인 화합물을 생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진은 당 모이어티의 G-단일알킬화제 또는 A-단일알킬화제의 구조 내로의 혼입이 효율적인 접합, 효능, 및 내약성에 유리한 특성을 제공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히 ADC에 유용할 수 있는, 개선된 세포독성 페이로드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다중 항체 DAR 4에 접합될 경우 링커-페이로드 N-(4-((S)-2-((S)-2-(6-(2,5-디옥소-2,5-디하이드로-1H-피롤-1-일)헥산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프로판아미도)페닐)-4-(4-(((S)-2-메톡시-12-옥소-6a,7,8,9,10,12-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아미도)-1-메틸-1H-피롤-2-카르복사미드(즉, 대조군 3)의 단일 투여 '플랫폼' MTD는 50 mg/kg이고, 유효량은 10 mg/kg이며, 5 mg/kg에서는 퇴행이 관찰된다. 해당 작제물의 소수성으로 인해, 대조군 3으로는 (DAR 4보다 더 양호한 방관자 효과를 가질 것으로 여겨지는) 보다 높은 DAR의 ADC를 생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개시는 제1 양태로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 용매화물, 또는 호변이성질체를 제공하며:
식 중:
D는 알킬화 DNA 마이너 홈 결합 유닛의 공급원이고;
Q는 링커이고;
B는 DNA 결합 아미드 함유 사슬이고;
T는 말단기이고,
여기에서 D, B, Q, 및/또는 T는 적어도 하나의 탄수화물 치환기를 포함한다.
적절하게는, 탄수화물 치환기는 RS, 1가 당류 치환기, 바람직하게는 글리코실 또는 O-글리코실일 수 있다.
적절하게는, D는 화학식 (II)의 기를 포함하는 G-알킬화기 유닛 G일 수 있으며:
식 중:
점선은 C1과 C2, C2와 C3, 및 C3와 C4 사이 중 하나 이상의 이중 결합의 임의의 존재를 나타내고;
물결선은 Q에 대한 부착 지점을 나타내고;
m은 0 또는 1이고;
R1,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H 및 R29로부터 선택되거나; R2는 H, L2-R28, R29, 및 -LS-RS로부터 선택되거나; R1 및 R2, R2 및 R3, 또는 R3 및 R4 중 하나는 이들이 부착되는 탄소 원자와 함께 1, 2 또는 3개의 독립적으로 선택된 임의의 R20 기로 임의로 치환된 6-원 아릴, 또는 5- 또는 6-원 고리, 헤테로고리, 또는 헤테로아릴 고리를 형성하고;
R5 및 R6은, (i) R5가 H, OH 및 OC1-6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6은 H, SO3H, -LS-RS, 질소 보호기, -L2-R28, 및 RA로부터 선택되거나; (ii) R5가 옥소 또는 H이고, R6은 H 또는 C1-6 알킬이거나; (iii) R5 및 R6은 함께 이중 결합을 형성하도록, 선택되고;
R7 및 R9는 독립적으로 H 및 R20으로부터 선택되고;
R8은 H, SR24, SCH2Ph, R20, L2-R28, 및 -LS-RS로부터 선택되고;
RA는 (CH2)j-OH, (CH2)j-CO2R26, C(=O)-O-(CH2)k-NR26R27, (CH2)jNR26R27, C(=O)-NH-(CH2)j-NR26R27, 및 C(=O)-NH-(CH2)k-C(=NH)NR26R27로부터 선택되고;
링커 L2는 결합이거나, C, N, P, O, S, 또는 할로겐으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200개의 비수소 원자를 갖는 링커 모이어티이며, 선택적으로, 에테르, 옥소, 카르복사미딜, 우레아닐, 분지형, 환형, 불포화, 헤테로시클릴,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모이어티를 포함하고;
R28은 아지드, 알킨, 바이설폰, 카르보하이드라지드, 하이드라진, 하이드록실아민, 요오드아세트아미드,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말레이미드, 포스핀, 피리도피리다진, 세미하이드라지드, 숙신이미딜 에스테르, 설포디클로로페놀 에스테르, 설포닐 할라이드, 설포숙신이미딜 에스테르, 4-설포테트라플루오로페닐 에스테르, 테트라플루오로페닐 에스테르, 티아졸, RA, O-(CH2)k-NR26R26, NHNH2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표적화제이되, 표적화제는 단백질, 단백질의 일 부분, 펩티드, 핵산, 또는 항체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29는 독립적으로, R20, R21, =CH2, =CH-(CH2)s-CH3, =CH-(CH2)s-R21, =O, (CH2)s-OR21, (CH2)s-CO2R21, (CH2)s-NR21R24, O-(CH2)t-NR21R24, NH-C(O)-R21, O-(CH2)t-NH-C(O)-R21, O-(CH2)t-C(O)-NH-R21, (CH2)s-SO2R21, O-SO2R21, (CH2)s-C(O)R21, 및 (CH2)s-C(O)NR21R24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20은 독립적으로, F, Cl, Br, (CH2)j-OH, C1-6 알킬, OC1-6 알킬, OCH2Ph, (CH2)j-CO2R26, O-(CH2)k-NR26R27, C(=O)-O-(CH2)k-NR26R27, C(=O)-NR26R27, (CH2)j-NR26R27, NR26NH2, C(=O)-NH-(CH2)j-NR26R27, C(=O)-NH-C6H4-(CH2)j-R26, C(=O)-NH-(CH2)k-C(=NH)NR26R27, -L2-R28, S(O)2-(C1-6 알킬), O-(CH2)k-O-(C1-6 알킬), (CH2)j-S(O)2-NR26R27, C(=NH)-O-(C1-6 알킬), (CH2)k-O-(C1-6 알킬), CN, NCO, Cy, C(O)-NH-(CH2)j-Cy, C(O)-Cy, NH-C(O)-NR26R27 및
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j 및 s는 0, 1, 2, 3, 4, 5, 또는 6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각각의 k 및 t는 1, 2, 3, 4, 5, 또는 6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각각의 R21은 독립적으로, H, C1-12 알킬, C5-6 헤테로시클릴, C5-9 헤테로아릴, C6-15 헤테로아릴알킬, 페닐, 및 C7-12 아랄킬기로부터 선택되되;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알킬, 페닐, 및 아랄킬기는 1, 2 또는 3개의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임의의 R20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각각의 R24, R26, 및 R27은 독립적으로 H 및 C1-12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Cy는 독립적으로 C5-6 헤테로시클릴 또는 C5-6 헤테로아릴기로부터 선택되되, 헤테로시클릴 또는 헤테로아릴기는 1개 또는 2개의 R20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LS는 결합, 아미노산, 2 내지 6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티드 사슬, 하나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또는 삼중 결합을 함유할 수 있는 1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렌 사슬, 파라포름알데히드 사슬 -(OCH2)1-12-, 폴리에틸렌 글리콜 사슬 -(OCH2CH2)1-6-이며, 이들 사슬은 P, O, S, NH, C5-9 헤테로아릴렌, 페닐렌, 헤테로시클릴, 시클로알킬, 에테르, 옥소, 카복사미딜, 및/또는 우레타닐 모이어티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중단되거나 이를 임의로 혼입하되, C5-9 헤테로아릴렌, 페닐렌, 헤테로시클릴, 및/또는 시클로알킬 모이어티는 임의로 치환되고, 임의로, LS는 다음과 같고:
;
RS는 1가 당류 치환기, 바람직하게는 글리코실 또는 O-글리코실이다.
적절하게는, D는 화학식 (II)의 기를 포함하는 G-알킬화기 유닛 G일 수 있으며:
식 중:
점선은 C1과 C2, C2와 C3, 및 C3와 C4 사이 중 하나 이상의 이중 결합의 임의의 존재를 나타내고;
물결선은 Q에 대한 부착 지점을 나타내고;
m은 0 또는 1이고;
R1,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H 및 R29로부터 선택되거나; R2는 H, L2-R28, R29, 및 -LS-RS로부터 선택되거나; R1 및 R2, R2 및 R3, 또는 R3 및 R4 중 하나는 이들이 부착되는 탄소 원자와 함께 1, 2 또는 3개의 독립적으로 선택된 임의의 R20 기로 임의로 치환된 6-원 아릴, 또는 5- 또는 6-원 고리, 헤테로고리, 또는 헤테로아릴 고리를 형성하고;
R5 및 R6은, (i) R5가 H, OH 및 OC1-6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6은 H, SO3H, -LS-RS, 질소 보호기, -L2-R28, 및 RA로부터 선택되거나; (ii) R5가 옥소 또는 H이고, R6은 H 또는 C1-6 알킬이거나; (iii) R5 및 R6은 함께 이중 결합을 형성하도록, 선택되고;
R7 및 R9는 독립적으로 H 및 R20으로부터 선택되고;
R8은 H, SR24, SCH2Ph, R20, L2-R28, 및 -LS-RS로부터 선택되고;
RA는 (CH2)j-OH, (CH2)j-CO2R26, C(=O)-O-(CH2)k-NR26R27, (CH2)jNR26R27, C(=O)-NH-(CH2)j-NR26R27, 및 C(=O)-NH-(CH2)k-C(=NH)NR26R27로부터 선택되고;
링커 L2는 결합이거나, C, N, P, O, S, 또는 할로겐으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200개의 비수소 원자를 갖는 링커 모이어티이며, 선택적으로, 에테르, 옥소, 카르복사미딜, 우레아닐, 분지형, 환형, 불포화, 헤테로시클릴,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모이어티를 포함하고;
R28은 아지드, 알킨, 바이설폰, 카르보하이드라지드, 하이드라진, 하이드록실아민, 요오드아세트아미드,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말레이미드, 포스핀, 피리도피리다진, 세미하이드라지드, 숙신이미딜 에스테르, 설포디클로로페놀 에스테르, 설포닐 할라이드, 설포숙신이미딜 에스테르, 4-설포테트라플루오로페닐 에스테르, 테트라플루오로페닐 에스테르, 티아졸, RA, O-(CH2)k-NR26R26, NHNH2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표적화제이되, 표적화제는 단백질, 단백질의 일 부분, 펩티드, 핵산, 또는 항체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29는 독립적으로, R20, R21, =CH2, =CH-(CH2)s-CH3, =CH-(CH2)s-R21, =O, (CH2)s-OR21, (CH2)s-CO2R21, (CH2)s-NR21R24, O-(CH2)t-NR21R24, NH-C(O)-R21, O-(CH2)t-NH-C(O)-R21, O-(CH2)t-C(O)-NH-R21, (CH2)s-SO2R21, O-SO2R21, (CH2)s-C(O)R21, 및 (CH2)s-C(O)NR21R24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20은 독립적으로, F, Cl, Br, (CH2)j-OH, C1-6 알킬, OC1-6 알킬, OCH2Ph, (CH2)j-CO2R26, O-(CH2)k-NR26R27, C(=O)-O-(CH2)k-NR26R27, C(=O)-NR26R27, (CH2)j-NR26R27, NR26NH2, C(=O)-NH-(CH2)j-NR26R27, C(=O)-NH-C6H4-(CH2)j-R26, C(=O)-NH-(CH2)k-C(=NH)NR26R27, -L2-R28, S(O)2-(C1-6 알킬), O-(CH2)k-O-(C1-6 알킬), (CH2)j-S(O)2-NR26R27, C(=NH)-O-(C1-6 알킬), (CH2)k-O-(C1-6 알킬), CN, NCO, Cy, C(O)-NH-(CH2)j-Cy, C(O)-Cy, NH-C(O)-NR26R27 및
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j 및 s는 0, 1, 2, 3, 4, 5, 또는 6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각각의 k 및 t는 1, 2, 3, 4, 5, 또는 6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각각의 R21은 독립적으로, H, C1-12 알킬, C5-6 헤테로시클릴, C5-9 헤테로아릴, C6-15 헤테로아릴알킬, 페닐, 및 C7-12 아랄킬기로부터 선택되되;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알킬, 페닐, 및 아랄킬기는 1, 2 또는 3개의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임의의 R20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각각의 R24, R26, 및 R27은 독립적으로 H 및 C1-12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Cy는 독립적으로 C5-6 헤테로시클릴 또는 C5-6 헤테로아릴기로부터 선택되되, 헤테로시클릴 또는 헤테로아릴기는 1개 또는 2개의 R20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LS는 결합, 아미노산, 2 내지 6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티드 사슬, 하나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또는 삼중 결합을 함유할 수 있는 1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렌 사슬, 파라포름알데히드 사슬 -(OCH2)1-12-, 폴리에틸렌 글리콜 사슬 -(OCH2CH2)1-6-이며, 이들 사슬은 P, O, S, NH, C5-9 헤테로아릴렌, 페닐렌, 헤테로시클릴, 시클로알킬, 에테르, 옥소, 카복사미딜, 및/또는 우레타닐 모이어티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중단되거나 이를 임의로 혼입하되, C5-9 헤테로아릴렌, 페닐렌, 헤테로시클릴, 및/또는 시클로알킬 모이어티는 임의로 치환되고, 임의로, LS는 다음과 같고:
;
LC는 아미노산, 아미노산 유도체, 2 내지 6개의 아미노산 또는 아미노산 유도체를 갖는 펩티드 사슬, 하나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또는 삼중 결합을 함유할 수 있는 1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렌 사슬, 파라포름알데히드 사슬 -(OCH2)1-12-, 폴리에틸렌 글리콜 사슬 -(OCH2CH2)1-8-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를 포함하며, 이러한 사슬은 P, O, S, 및/또는 NH기, 및/또는 C5-9 헤테로아릴렌, 및/또는 페닐렌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중단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각각의 C5-9 헤테로아릴렌기 및/또는 각각의 페닐렌기는 임의로 치환되고;
RS는 1가 당류 치환기, 바람직하게는 글리코실 또는 O-글리코실이다.
적절하게는, G는 화학식 G1 내지 G8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G1);
(G2);
(G3);
(G4);
(G5);
(G6);
(G7); 및
(G8).
일부 구현예에서, D는 화학식 (IIIa) 또는 (IIIb)의 A-알킬화 DNA 기인 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식 중:
Z1은 이탈기, 선택적으로 할라이드, 트리플레이트, 또는 토실레이트이고;
X는 C-R17, N, N-R17, S 또는 O이고; X에 대한 점선은 X의 성질에 따른 이중 결합의 임의의 존재를 나타내고;
R17은 H, -LS-RS, 또는 R20이고;
R20은 독립적으로, F, Cl, Br, (CH2)j-OH, C1-6 알킬, OC1-6 알킬, OCH2Ph, (CH2)j-CO2R26, O-(CH2)k-NR26R27, C(=O)-O-(CH2)k-NR26R27, C(=O)-NR26R27, (CH2)j-NR26R27, NR26NH2, C(=O)-NH-(CH2)j-NR26R27, C(=O)-NH-C6H4-(CH2)j-R26, C(=O)-NH-(CH2)k-C(=NH)NR26R27, -L2-R28, S(O)2-(C1-6 알킬), O-(CH2)k-O-(C1-6 알킬), (CH2)j-S(O)2-NR26R27, C(=NH)-O-(C1-6 알킬), (CH2)k-O-(C1-6 알킬), CN, NCO, Cy, C(O)-NH-(CH2)j-Cy, C(O)-Cy, NH-C(O)-NR26R27, 및
로부터 선택되고;
링커 L2는 결합이거나, C, N, P, O, S, 또는 할로겐으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200개의 비수소 원자를 갖는 링커 모이어티이며, 선택적으로, 에테르, 옥소, 카르복사미딜, 우레아닐, 분지형, 환형, 불포화, 헤테로시클릴,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모이어티를 포함하고;
R28은 아지드, 알킨, 바이설폰, 카르보하이드라지드, 하이드라진, 하이드록실아민, 요오드아세트아미드,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말레이미드, 포스핀, 피리도피리다진, 세미하이드라지드, 숙신이미딜 에스테르, 설포디클로로페놀 에스테르, 설포닐 할라이드, 설포숙신이미딜 에스테르, 4-설포테트라플루오로페닐 에스테르, 테트라플루오로페닐 에스테르, 티아졸, RA, O-(CH2)k-NR26R26, NHNH2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표적화제이되, 표적화제는 단백질, 단백질의 일 부분, 펩티드, 핵산, 또는 항체로부터 선택되고;
RA는 (CH2)j-OH, (CH2)j-CO2R26, C(=O)-O-(CH2)k-NR26R27, (CH2)jNR26R27, C(=O)-NH-(CH2)j-NR26R27, 및 C(=O)-NH-(CH2)k-C(=NH)NR26R27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26 및 R27은 독립적으로 H 및 C1-12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Cy는 독립적으로 C5-6 헤테로시클릴 또는 C5-6 헤테로아릴기로부터 선택되되, 헤테로시클릴 또는 헤테로아릴기는 1개 또는 2개의 R20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각각의 j는 0, 1, 2, 3, 4, 5, 또는 6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각각의 k는 1, 2, 3, 4, 5, 또는 6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z는 0 또는 1이고;
R'''은 OH 또는 -LS-RS이고;
LS는 결합, 아미노산, 2 내지 6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티드 사슬, 하나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또는 삼중 결합을 함유할 수 있는 1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렌 사슬, 파라포름알데히드 사슬 -(OCH2)1-12-, 폴리에틸렌 글리콜 사슬 -(OCH2CH2)1-6-이며, 이들 사슬은 P, O, S, NH, C5-9 헤테로아릴렌, 페닐렌, 헤테로시클릴, 시클로알킬, 에테르, 옥소, 카복사미딜, 및/또는 우레타닐 모이어티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중단되거나 이를 임의로 혼입하되, C5-9 헤테로아릴렌, 페닐렌, 헤테로시클릴, 및/또는 시클로알킬 모이어티는 임의로 치환되고, 임의로, LS는 다음과 같고:
;
RS는 1가 당류 치환기, 바람직하게는 글리코실 또는 O-글리코실이다.
적절하게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화학식 IV의 화합물일 수 있으며:
여기에서 치환기는 위에 나타낸 정의를 갖는다.
적절하게는, 링커기 Q는 X1-L-X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식 중:
X1은 O, S, NR13, CR13R14, CR13R14O, C(=O), C(=O)NR13, NR13C(=O), O-C(O), 및 C(O)-O로부터 선택되거나, 부재하고;
L은 아미노산, 2 내지 6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티드 사슬, 하나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또는 삼중 결합을 함유할 수 있는 1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렌 사슬, 파라포름알데히드 사슬 -(OCH2)1-12-, 폴리에틸렌 글리콜 사슬 -(OCH2CH2)1-6-로부터 선택되며, 이러한 사슬은 P, O, S, 및/또는 NH기, 및/또는 C5-9 헤테로아릴렌, 및/또는 페닐렌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중단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각각의 C5-9 헤테로아릴렌기 및/또는 각각의 페닐렌기는 임의로 치환되고;
X2는 O, S, NR15, CR15R16, CR15R16O, C(=O), C(=O)NR15, NR15C, (=O), O-C(O), 및 C(O)-O로부터 선택되거나, 부재하고;
R13, R14, R15, 및 R16은 독립적으로 H 및 C1-6 알킬로부터 선택된다.
적절하게는, DNA 결합 아미드 함유 사슬 B는 (A)q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식 중:
q는 0, 1, 2, 3, 4, 5, 및 6으로부터 선택되고;
A는 다음으로부터 선택되고:
;
각각의 A1기에 대해, Y3 및 Y4 중 하나는 독립적으로 N-R30, S, 및 O로부터 선택되고; Y3 및 Y4 중 다른 하나는 CH이고; Y5는 독립적으로 CR30, N, S, 및 COH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A2 기에 대해, Y6 및 Y7 중 하나는 독립적으로 N 및 CH로부터 선택되고; Y6 및 Y7 중 다른 하나는 CR30이고;
각각의 R30은 독립적으로 H, C1-6 알킬, L2-R28, 및 RS로부터 선택된다.
적절하게는, 말단기 T는 다음의 화학식의 기를 포함하며:
식 중:
p는 0 또는 1이고;
RT는 -L2-R28, 페닐, 및 C5-9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되, 페닐 및 C5-9 헤테로아릴기는 OH, C1-6 알킬, OC1-6 알킬, -L2-R28, (CH2)j-CO2R11, O-(CH2)k-NR11R12, (CH2)j-NR11R12, C(=O)-NH-(CH2)k-NR11R12, C(=O)-NH-R24, 및 C(=O)-NH-(CH2)k-C(=NH)NR11R12로부터 선택되는 최대 3개의 임의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되, 단, 임의로, 임의로 치환된 C5-9 헤테로아릴은 인돌릴이 아니고;
R19는 H, C1-6 알킬, L2-R28, RS, 및 (CH2)t-NR20R21로부터 선택되고;
Y1 및 Y2는 독립적으로 N 또는 CR31이되, Y1 및 Y2 중 적어도 하나는 CR31이고;
각각의 R31은 독립적으로 H, C1-6 알킬, L2-R28, 및 RS로부터 선택되고;
R11, R12, 및 R24는 독립적으로 H, -L2-R28, 및 C1-6 알킬로부터 선택된다.
본 개시의 화합물의 비제한적인 예는 다음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RS는 1가 당류 치환기, 바람직하게는 글리코실 또는 O-글리코실이다.
적절하게는,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의 L2-R28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적절하게는, D, T, Q 및/또는 B는 L2-R28 기로 치환될 수 있다.
L2는 다음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
식 중, XAA는 아미노산 서열이고; K2는 -[CH2CH2O]0-50- 또는 -[CH2]0-12-이다.
구현예에서, XAA는 L-발릴-L-알라닌일 수 있다.
적절하게는, R28은 말레이미드일 수 있으며:
;
이는 임의로 표적화제에 연결된다.
적절하게는, L2-R28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임의로 표적화제에 연결된다.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의 L2-R28기를 포함할 수 있고, 표적화제는 L2-R28기를 통해 화합물에 연결된다.
추가의 양태에서, 의약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이 제공된다.
추가의 양태에서, 증식성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이 제공된다.
추가의 양태에서, 치료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이 제공된다.
추가의 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염 및 용매화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이 제공된다.
추가의 양태에서, 증식성 질환의 치료를 위한 의약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이 제공된다.
ADC(항체 약물 접합체)는 항체, 링커, 및 페이로드로 구성될 수 있다. 링커 페이로드 복합체는 일반적으로 소수성을 감소시키고 항체에 대한 구조의 효율적인 접합을 촉진하기 위해 친수성 기(연장된 PEG의 형태)를 함유한다. DNA-상호작용제는 통상적으로 성질에 있어서 특히 소수성이며, PK에 유의한 문제를 야기하고 접합 프로세스 동안 유의한 문제를 야기한다. 페이로드 구조 자체에서 당류 기를 마스킹제로서 사용하면, 놀랍게도 소수성을 감소시키고, PK 특성을 향상시키고, ADC의 내약성을 증가시킨다. 이는, (a) 다른 부류의 페이로드에 비해 보다 효율적인 접합, (b) 종래 기술의 분자에 비해 유의하게 개선된 내약성 및 접합 특성을 갖는 페이로드의 치환되지 않은 형태와 유사한 세포독성, 및 (c) 치환되지 않은 제제에 비해 향상된 PK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따라서, 추가의 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은 표적화제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표적화 접합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양태에서,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의 L2-R28기를 포함할 수 있고, 표적화제는 L2-R28기를 통해 화합물에 연결된다.
표적화제는 항체, 항체 단편, 호르몬, 또는 호르몬 단편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추가의 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은 표적화제(예를 들어, 항체, 항체 단편, 호르몬 등)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표적화 접합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표적 접합체는 화학식 (I)의 하나 또는 다수의 화합물(또는 이의 염 및 용매화물)을 함유할 수 있다. 다양한 표적 접합체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이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양태에서, 표적 접합체는 항체 약물 접합체이며, 여기에서 화학식 (I)의 하나 이상의 화합물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항체에 연결된다. 따라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은 표적화된 접합체 상의 페이로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탄수화물 치환기를 포함하는 화학식 (I), 화학식 (IV)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접합체는, 적어도 하나의 탄수화물 치환기를 포함하지 않는 화학식 (I), 화학식 (IV)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접합체 대비 향상 또는 증가된 친수성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RS를 포함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접합체는 적어도 하나의 RS를 포함하지 않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접합체 대비 향상 또는 증가된 친수성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RS를 포함하는 화학식 (I), 화학식 (IV)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접합체는 적어도 하나의 RS를 포함하지 않는 화학식 (I), 화학식 (IV)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접합체 대비 향상 또는 증가된 친수성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RS를 포함하는, 화학식 (I), 화학식 (IV)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접합체는 적어도 하나의 RS를 포함하지 않는 화학식 (I), 화학식 (IV)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접합체 대비 약 1배, 약 2배, 약 5배, 약 10배, 약 20배, 약 50배, 또는 약 100배 향상 또는 증가된 친수성을 갖는다. 비제한적인 일례로서, 증가 또는 향상된 친수성은 화학식 (I) 및/또는 화학식 (IV)의 화합물을 표적화제에 대해, 및/또는 보다 높은 DAR(예를 들어, DAR 8)로 효율적으로 접합시킬 수 있게 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탄수화물 치환기를 포함하는, 화학식 (II)의 G-알킬화 DNA 기 또는 D 모이어티로서 G1~G8 중 하나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 화학식 (IV)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접합체는, 적어도 하나의 탄수화물 치환기를 포함하지 않는, 화학식 (II)의 G-알킬화 DNA 기 또는 D 모이어티로서 G1~G8 중 하나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 화학식 (IV)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접합체와 비교 시, 향상 또는 증가된 친수성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RS를 포함하는, 화학식 (II)의 G-알킬화 DNA 기 또는 D 모이어티로서 G1~G8 중 하나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 화학식 (IV)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접합체는, 적어도 하나의 RS를 포함하지 않는, 화학식 (II)의 G-알킬화 DNA 기 또는 D 모이어티로서 G1~G8 중 하나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 화학식 (IV)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접합체와 비교 시, 향상 또는 증가된 친수성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RS를 포함하는, 화학식 (II)의 G-알킬화 DNA 기 또는 D 모이어티로서 G1~G8 중 하나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 화학식 (IV)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접합체는, 적어도 하나의 RS를 포함하지 않는, 화학식 (II)의 G-알킬화 DNA 기 또는 D 모이어티로서 G1~G8 중 하나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 화학식 (IV)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접합체와 비교 시, 약 1배, 약 2배, 약 5배, 약 10배, 약 20배, 약 50배, 또는 약 100배 향상 또는 증가된 친수성을 갖는다. 비제한적인 일례로서, 증가 또는 향상된 친수성은 화학식 (II)의 G-알킬화 DNA 기 또는 D 모이어티로서 G1~G8 중 하나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및/또는 화학식 (IV)의 화합물을 표적화제에 대해, 및/또는 보다 높은 DAR(예를 들어, DAR 8)로 효율적으로 접합시킬 수 있게 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탄수화물 치환기를 포함하는, D 모이어티로서 화학식 (IIIa) 또는 (IIIb)의 A-알킬화 DNA 기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접합체는, 적어도 하나의 탄수화물 치환기를 포함하지 않는, D 모이어티로서 화학식 (IIIa) 또는 (IIIb)의 A-알킬화 DNA 기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접합체와 비교 시, 향상 또는 증가된 친수성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RS를 포함하는, D 모이어티로서 화학식 (IIIa) 또는 (IIIb)의 A-알킬화 DNA 기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접합체는, 적어도 하나의 RS를 포함하지 않는, D 모이어티로서 화학식 (IIIa) 또는 (IIIb)의 A-알킬화 DNA 기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접합체와 비교 시, 향상 또는 증가된 친수성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RS를 포함하는, D 모이어티로서 화학식 (IIIa) 또는 (IIIb)의 A-알킬화 DNA 기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접합체는, 적어도 하나의 RS를 포함하지 않는, D 모이어티로서 화학식 (IIIa) 또는 (IIIb)의 A-알킬화 DNA 기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접합체와 비교 시, 약 1배, 약 2배, 약 5배, 약 10배, 약 20배, 약 50배, 또는 약 100배 향상 또는 증가된 친수성을 갖는다. 비제한적인 일례로서, 증가 또는 향상된 친수성은 D 모이어티로서 화학식 (IIIa) 또는 (IIIb)의 A-알킬화 DNA 기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표적화제에 대해, 및/또는 보다 높은 DAR(예를 들어, DAR 8)로 효율적으로 접합시킬 수 있게 한다.
일 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탄수화물 치환기를 포함하는 화학식 (I), 화학식 (IV)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접합체는, 적어도 하나의 탄수화물 치환기를 포함하지 않는 화학식 (I), 화학식 (IV)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접합체 대비 향상 또는 증가된 내약성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RS를 포함하는 화학식 (I), 화학식 (IV)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접합체는 적어도 하나의 RS를 포함하지 않는 화학식 (I), 화학식 (IV)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접합체 대비 향상 또는 증가된 내약성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RS를 포함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접합체는 적어도 하나의 RS를 포함하지 않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접합체 대비 향상 또는 증가된 내약성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RS를 포함하는 화학식 (I), 화학식 (IV)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접합체는 적어도 하나의 RS를 포함하지 않는 화학식 (I), 화학식 (IV)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접합체 대비 2배 내지 10배, 또는 그 이상으로 증가된 내약성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탄수화물 치환기를 포함하는, 화학식 (II)의 G-알킬화 DNA 기 또는 D 모이어티로서 G1~G8 중 하나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 화학식 (IV)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접합체는, 적어도 하나의 탄수화물 치환기를 포함하지 않는, 화학식 (II)의 G-알킬화 DNA 기 또는 D 모이어티로서 G1~G8 중 하나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 화학식 (IV)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접합체와 비교 시, 향상 또는 증가된 내약성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RS를 포함하는, 화학식 (II)의 G-알킬화 DNA 기 또는 D 모이어티로서 G1~G8 중 하나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 화학식 (IV)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접합체는, 적어도 하나의 RS를 포함하지 않는, 화학식 (II)의 G-알킬화 DNA 기 또는 D 모이어티로서 G1~G8 중 하나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 화학식 (IV)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접합체와 비교 시, 향상 또는 증가된 내약성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RS를 포함하는, 화학식 (II)의 G-알킬화 DNA 기 또는 D 모이어티로서 G1~G8 중 하나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 화학식 (IV)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접합체는, 적어도 하나의 RS를 포함하지 않는, 화학식 (II)의 G-알킬화 DNA 기 또는 D 모이어티로서 G1~G8 중 하나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 화학식 (IV)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접합체와 비교 시, 2배 내지 10배, 또는 그 이상으로 증가된 내약성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탄수화물 치환기를 포함하는, D 모이어티로서 화학식 (IIIa) 또는 (IIIb)의 A-알킬화 DNA 기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접합체는, 적어도 하나의 탄수화물 치환기를 포함하지 않는, D 모이어티로서 화학식 (IIIa) 또는 (IIIb)의 A-알킬화 DNA 기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접합체와 비교 시, 향상 또는 증가된 내약성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RS를 포함하는, D 모이어티로서 화학식 (IIIa) 또는 (IIIb)의 A-알킬화 DNA 기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접합체는, 적어도 하나의 RS를 포함하지 않는, D 모이어티로서 화학식 (IIIa) 또는 (IIIb)의 A-알킬화 DNA 기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접합체와 비교 시, 향상 또는 증가된 내약성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RS를 포함하는, D 모이어티로서 화학식 (IIIa) 또는 (IIIb)의 A-알킬화 DNA 기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접합체는, 적어도 하나의 RS를 포함하지 않는, D 모이어티로서 화학식 (IIIa) 또는 (IIIb)의 A-알킬화 DNA 기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접합체와 비교 시, 2배 내지 10배, 또는 그 이상으로 증가된 내약성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R6 위치 및/또는 R8 위치에서 RS를 포함하는, 화학식 (II)의 G-알킬화 DNA 기 또는 D 모이어티로서 G1~G8 중 하나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 화학식 (IV)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접합체는, R6 위치 및/또는 R8 위치에서 RS를 포함하지 않는, 화학식 (II)의 G-알킬화 DNA 기 또는 D 모이어티로서 G1~G8 중 하나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 화학식 (IV)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접합체와 비교 시, 향상 또는 증가된 친수성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R8 위치에서 RS를 포함하는, 화학식 (II)의 G-알킬화 DNA 기 또는 D 모이어티로서 G1~G8 중 하나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 화학식 (IV)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접합체는, R8 위치에서 RS를 포함하지 않는, 화학식 (II)의 G-알킬화 DNA 기 또는 D 모이어티로서 G1~G8 중 하나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 화학식 (IV)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접합체와 비교 시, 2배 내지 10배, 또는 그 이상으로 증가된 내약성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R6 위치에서 RS를 포함하는, 화학식 (II)의 G-알킬화 DNA 기 또는 D 모이어티로서 G1~G8 중 하나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 화학식 (IV)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접합체는, R6 위치에서 RS를 포함하지 않는, 화학식 (II)의 G-알킬화 DNA 기 또는 D 모이어티로서 G1~G8 중 하나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 화학식 (IV)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접합체와 비교 시,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내약성을 갖는다.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구현예가 추가로 기술된다.
도 1은 5분차에서의 β-글루코시다아제 검정의 결과를 도시한다. 100 μL의 분취물을 취하고 이를 LC-MS로 5분, 30분, 1시간, 2시간, 18시간, 36시간, 60시간, 84시간 및 132시간차에 분석하였다.
도 2는 30분차에서의 β-글루코시다아제 검정의 결과를 도시한다. 100 μL의 분취물을 취하고 이를 LC-MS로 5분, 30분, 1시간, 2시간, 18시간, 36시간, 60시간, 84시간 및 132시간차에 분석하였다.
도 3은 1시간차에서의 β-글루코시다아제 검정의 결과를 도시한다. 100 μL의 분취물을 취하고 이를 LC-MS로 5분, 30분, 1시간, 2시간, 18시간, 36시간, 60시간, 84시간 및 132시간차에 분석하였다.
도 4는 2시간차에서의 β-글루코시다아제 검정의 결과를 도시한다. 100 μL의 분취물을 취하고 이를 LC-MS로 5분, 30분, 1시간, 2시간, 18시간, 36시간, 60시간, 84시간, 및 132시간차에 분석하였다.
도 5는 18시간차에서의 β-글루코시다아제 검정의 결과를 도시한다. 100 μL의 분취물을 취하고 이를 LC-MS로 5분, 30분, 1시간, 2시간, 18시간, 36시간, 60시간, 84시간, 및 132시간차에 분석하였다.
도 6은 36시간차에서의 β-글루코시다아제 검정의 결과를 도시한다. 100 μL의 분취물을 취하고 이를 LC-MS로 5분, 30분, 1시간, 2시간, 18시간, 36시간, 60시간, 84시간, 및 132시간차에 분석하였다.
도 7은 60시간차에서의 β-글루코시다아제 검정의 결과를 도시한다. 100 μL의 분취물을 취하고 이를 LC-MS로 5분, 30분, 1시간, 2시간, 18시간, 36시간, 60시간, 84시간, 및 132시간차에 분석하였다.
도 8은 84시간차에서의 β-글루코시다아제 검정의 결과를 도시한다. 100 μL의 분취물을 취하고 이를 LC-MS로 5분, 30분, 1시간, 2시간, 18시간, 36시간, 60시간, 84시간, 및 132시간차에 분석하였다.
도 9는 132시간차에서의 β-글루코시다아제 검정의 결과를 도시한다. 100 μL의 분취물을 취하고 이를 LC-MS로 5분, 30분, 1시간, 2시간, 18시간, 36시간, 60시간, 84시간, 및 132시간차에 분석하였다.
도 10a~10f는 β-갈락토시다아제 검정의 결과를 도시한다. 100 μL의 분취물을 취하고 이를 LC-MS로 0분, 5분, 30분, 90분, 4.5시간, 7.5시간, 및 20시간차에 분석하였다.
도 11a~11d는 (2S,3S,4S,5R,6S)-6-(((S)-3-(4-((5-((4-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12-옥소-6a,7,8,9,10,12-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2-일)옥시)-3,4,5-트리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카르복시산(88)을 사용한 β-글루쿠로니다아제 검정의 결과를 도시한다. 100 μL의 분취물을 취하고 이를 LC-MS로 0분, 5분, 30분, 및 90분차에 분석하였다.
도 12a~12e는 (2S,3S,4S,5R,6S)-6-(4-((((6aS)-3-(4-((5-((4-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5-카르보닐)옥시)메틸)-2-니트로페녹시)-3,4,5-트리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카르복시산(138)을 사용한 β-글루쿠로니다아제 검정의 결과를 도시한다. 100 μL의 분취물을 취하고 이를 LC-MS로 0분, 5분, 30분, 90분, 및 150분차에 분석하였다.
도 13a~13e는 (2S,3S,4S,5R,6S)-6-(4-((((6aS)-3-(4-((5-((4-(5-((4-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5-카르보닐)옥시)메틸)-2-니트로페녹시)-3,4,5-트리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카르복시산(146)을 사용한 β-글루쿠로니다아제 검정의 결과를 도시한다. 100 μL의 분취물을 취하고 이를 LC-MS로 0분, 5분, 30분, 90분, 및 150분차에 분석하였다.
도 14a~14e는 (2S,3S,4S,5R,6S)-6-(4-((((5-(3-카르복시프로폭시)-4-메톡시-2-((S)-2-((메톡시이미노)메틸)피페리딘-1-카보닐)페닐)카르바모일)옥시)메틸)-2-니트로페녹시)-3,4,5-트리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카르복시산(150)을 사용한 β-글루쿠로니다아제 검정의 결과를 도시한다. 100 μL의 분취물을 취하고 이를 LC-MS로 0분, 5분, 30분, 90분, 및 150분차에 분석하였다.
도 15는 트라스투주맙의 HIC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도 16은 트라스투주맙의 PLRP 트레이스를 도시한다. 중쇄 피크(좌측 피크) 및 경쇄 피크(우측 피크)를 나타냄.
도 17은 트라스투주맙-91의 HIC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평균 DAR은 8로 산출되었다. 해당 접합 프로세스는 출발 항체와 비교하여 유의한 응집을 야기하지 않았으며, 여기에서 형성된 단량체는 93.1%였다,
도 18은 트라스투주맙-91의 SEC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93.1% 단량체. ADC 샘플에서는 유리 독소 링커가 검출되지 않았다.
도 19는 비종양 보유 CD1 마우스에서의 트라스투주맙-91(DAR 8)의 투여량 내약성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20은 5 mg/kg의 단일 투여량에서의 트라스투주맙-91(DAR 8)의 생체 내 효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1은 당류 기반 모이어티와 함께 사용하는, N11-C12-알킬화 이민 위치의 보호, 또는 G-알킬화 PDD-작제물 상의 C8-위치의 마스킹을 도시한다.
도 22는 당류 기의 절단 전후의 PDD-전구약물 화합물을 예시하는 반응식이다.
도 23은 5 mg/kg의 단일 투여량에서 화합물 180의 생체 내 효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은 5분차에서의 β-글루코시다아제 검정의 결과를 도시한다. 100 μL의 분취물을 취하고 이를 LC-MS로 5분, 30분, 1시간, 2시간, 18시간, 36시간, 60시간, 84시간 및 132시간차에 분석하였다.
도 2는 30분차에서의 β-글루코시다아제 검정의 결과를 도시한다. 100 μL의 분취물을 취하고 이를 LC-MS로 5분, 30분, 1시간, 2시간, 18시간, 36시간, 60시간, 84시간 및 132시간차에 분석하였다.
도 3은 1시간차에서의 β-글루코시다아제 검정의 결과를 도시한다. 100 μL의 분취물을 취하고 이를 LC-MS로 5분, 30분, 1시간, 2시간, 18시간, 36시간, 60시간, 84시간 및 132시간차에 분석하였다.
도 4는 2시간차에서의 β-글루코시다아제 검정의 결과를 도시한다. 100 μL의 분취물을 취하고 이를 LC-MS로 5분, 30분, 1시간, 2시간, 18시간, 36시간, 60시간, 84시간, 및 132시간차에 분석하였다.
도 5는 18시간차에서의 β-글루코시다아제 검정의 결과를 도시한다. 100 μL의 분취물을 취하고 이를 LC-MS로 5분, 30분, 1시간, 2시간, 18시간, 36시간, 60시간, 84시간, 및 132시간차에 분석하였다.
도 6은 36시간차에서의 β-글루코시다아제 검정의 결과를 도시한다. 100 μL의 분취물을 취하고 이를 LC-MS로 5분, 30분, 1시간, 2시간, 18시간, 36시간, 60시간, 84시간, 및 132시간차에 분석하였다.
도 7은 60시간차에서의 β-글루코시다아제 검정의 결과를 도시한다. 100 μL의 분취물을 취하고 이를 LC-MS로 5분, 30분, 1시간, 2시간, 18시간, 36시간, 60시간, 84시간, 및 132시간차에 분석하였다.
도 8은 84시간차에서의 β-글루코시다아제 검정의 결과를 도시한다. 100 μL의 분취물을 취하고 이를 LC-MS로 5분, 30분, 1시간, 2시간, 18시간, 36시간, 60시간, 84시간, 및 132시간차에 분석하였다.
도 9는 132시간차에서의 β-글루코시다아제 검정의 결과를 도시한다. 100 μL의 분취물을 취하고 이를 LC-MS로 5분, 30분, 1시간, 2시간, 18시간, 36시간, 60시간, 84시간, 및 132시간차에 분석하였다.
도 10a~10f는 β-갈락토시다아제 검정의 결과를 도시한다. 100 μL의 분취물을 취하고 이를 LC-MS로 0분, 5분, 30분, 90분, 4.5시간, 7.5시간, 및 20시간차에 분석하였다.
도 11a~11d는 (2S,3S,4S,5R,6S)-6-(((S)-3-(4-((5-((4-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12-옥소-6a,7,8,9,10,12-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2-일)옥시)-3,4,5-트리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카르복시산(88)을 사용한 β-글루쿠로니다아제 검정의 결과를 도시한다. 100 μL의 분취물을 취하고 이를 LC-MS로 0분, 5분, 30분, 및 90분차에 분석하였다.
도 12a~12e는 (2S,3S,4S,5R,6S)-6-(4-((((6aS)-3-(4-((5-((4-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5-카르보닐)옥시)메틸)-2-니트로페녹시)-3,4,5-트리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카르복시산(138)을 사용한 β-글루쿠로니다아제 검정의 결과를 도시한다. 100 μL의 분취물을 취하고 이를 LC-MS로 0분, 5분, 30분, 90분, 및 150분차에 분석하였다.
도 13a~13e는 (2S,3S,4S,5R,6S)-6-(4-((((6aS)-3-(4-((5-((4-(5-((4-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5-카르보닐)옥시)메틸)-2-니트로페녹시)-3,4,5-트리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카르복시산(146)을 사용한 β-글루쿠로니다아제 검정의 결과를 도시한다. 100 μL의 분취물을 취하고 이를 LC-MS로 0분, 5분, 30분, 90분, 및 150분차에 분석하였다.
도 14a~14e는 (2S,3S,4S,5R,6S)-6-(4-((((5-(3-카르복시프로폭시)-4-메톡시-2-((S)-2-((메톡시이미노)메틸)피페리딘-1-카보닐)페닐)카르바모일)옥시)메틸)-2-니트로페녹시)-3,4,5-트리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카르복시산(150)을 사용한 β-글루쿠로니다아제 검정의 결과를 도시한다. 100 μL의 분취물을 취하고 이를 LC-MS로 0분, 5분, 30분, 90분, 및 150분차에 분석하였다.
도 15는 트라스투주맙의 HIC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도 16은 트라스투주맙의 PLRP 트레이스를 도시한다. 중쇄 피크(좌측 피크) 및 경쇄 피크(우측 피크)를 나타냄.
도 17은 트라스투주맙-91의 HIC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평균 DAR은 8로 산출되었다. 해당 접합 프로세스는 출발 항체와 비교하여 유의한 응집을 야기하지 않았으며, 여기에서 형성된 단량체는 93.1%였다,
도 18은 트라스투주맙-91의 SEC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93.1% 단량체. ADC 샘플에서는 유리 독소 링커가 검출되지 않았다.
도 19는 비종양 보유 CD1 마우스에서의 트라스투주맙-91(DAR 8)의 투여량 내약성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20은 5 mg/kg의 단일 투여량에서의 트라스투주맙-91(DAR 8)의 생체 내 효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1은 당류 기반 모이어티와 함께 사용하는, N11-C12-알킬화 이민 위치의 보호, 또는 G-알킬화 PDD-작제물 상의 C8-위치의 마스킹을 도시한다.
도 22는 당류 기의 절단 전후의 PDD-전구약물 화합물을 예시하는 반응식이다.
도 23은 5 mg/kg의 단일 투여량에서 화합물 180의 생체 내 효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개시가 속하는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원에 언급된 모든 특허 및 간행물은 그 전체가 참조로서 통합된다.
정의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다음의 약어가 사용된다: Ac 아세틸; Alloc 알릴옥시카르보닐; Boc 삼차-부틸옥시카르보닐; DHP 디하이드로피란; DMAP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DMF 디메틸포름아미드; EDCI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Et 에틸; Me 메틸; Ph 페닐; Tf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TFA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HF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및 THP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화학적 치환기 또는 모이어티(예를 들어, 알킬기)와 관련하여 사용될 경우, "치환된"은 원자가 요건이 충족되고 화학적으로 안정한 화합물이 치환으로부터 생성되는 경우, 치환기 또는 모이어티의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가 하나 이상의 비-수소 원자 또는 기로 치환되었음을 의미한다.
"임의로 치환된"은 치환되지 않을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는 부모기를 지칭한다. 적절하게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임의의 치환기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임의의 치환된 부모기는 1개 내지 3개의 임의의 치환기를 포함한다. 임의의 기가 "1, 2 또는 3개의 기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경우, 이는 해당 기가 임의 치환기의 0, 1, 2 또는 3개로 치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적절하게는, 이러한 기는 1, 2, 또는 3개의 임의의 치환기로 치환된다. 임의의 기가 "1 또는 2개의 임의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는" 경우, 이는 해당 기가 임의의 치환기의 0, 1 또는 2개로 치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적절하게는, 이러한 기는 0 또는 1개의 임의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적절하게는, 이러한 기는 임의로 치환되지 않는다. 다른 양태에서, 적절하게는, 이러한 기는 1개의 임의의 치환기로 치환된다.
임의의 치환기는 C1-8 알킬, C2-7 알케닐, C2-7 알키닐, C1-12 알콕시, C5-20 아릴, C3-10 시클로알킬, C3-10 시클로알케닐, C3-10 시클로알키닐, C3-20 헤테로시클릴, C3-20 헤테로아릴, 아세탈, 아실, 아실아미도, 아실옥시, 아미디노, 아미도, 아미노, 아미노카르보닐옥시, 아지도, 카르복시, 시아노, 에테르, 포르밀, 구아니디노, 할로, 헤미아세탈, 헤미케탈, 하이드록삼산, 하이드록실, 이미드산, 이미노, 케탈, 니트로, 니트로소, 옥소, 옥시카르보닐, 옥시카르보일옥시, 설파미노, 설파밀, 설페이트, 설프하이드릴, 설핀아미노, 설피네이트, 설피노, 설피닐, 설피닐옥시, 설포, 설폰아미도, 설폰아미노, 설포네이트, 설포닐, 설포닐옥시, 우레디오기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임의의 치환기는 OH, C1-8 알킬, OC1-12 알킬, 및 할로겐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임의의 치환기이다. 보다 적절하게는, 임의의 치환기는 OH, C1-8 알킬, 및 OC1-12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보다 적절하게는, 임의의 치환기는 C1-8 알킬 및 OC1-12 알킬로부터 선택된다.
"독립적으로" 또는 "독립적으로 선택되는"은, 예를 들어, "각각의 R', R''는 독립적으로 H, C1-8 알킬이다?J"라는 진술의 맥락에서 사용되며, 이는 작용기의 각각의 경우, 예를 들어, R'이, 화합물 중 R' 또는 R''의 임의의 다른 경우와 독립적으로, 열거된 해당 옵션으로부터 선택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H가 화합물 중 R'의 제1 경우에 대해 선택될 수 있고; 메틸이 화합물 중 R'의 그 다음 경우에 대해 선택될 수 있으며; 에틸이 화합물 중 R''의 제1 경우에 대해 선택될 수 있다.
"C1-8 알킬"은 일반적으로 1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및 분지형 포화 탄화수소기; 적절하게는 C1-7 알킬; 적절하게는 C1-6 알킬; 적절하게는 C1-5 알킬; 보다 적절하게는 C1-4 알킬; 보다 적절하게는 C1-3 알킬을 지칭한다. 알킬기의 예는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s-부틸, i-부틸, t-부틸, 펜트-1-일, 펜트-2-일, 펜트-3-일, 3-메틸부트-1-일, 3-메틸부트-2-일, 2-메틸부트-2-일, 2,2,2-트리메틸에트-1-일, n-헥실, n-헵틸, n-옥틸 등을 포함한다.
"알킬렌"은 -CH2CH2CH2CH2-로 의해 예시되는 바와 같은, 직쇄 또는 분지형일 수 있는 알칸으로부터 유래된 2가 라디칼을 지칭한다. 알킬렌은 알킬기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은 탄소수를 가질 수 있다.
용어 "아미노산"은 자연 발생(또는 "정규") α-아미노산 및 이의 입체이성질체, 비천연(또는 "비정규") 아미노산 및 이의 입체이성질체, 및 변형 또는 합성 아미노산뿐만 아니라 자연 발생 아미노산과 유사한 방식으로 기능하는 아미노산 유사체 및 아미노산 모방체를 지칭한다. 아미노산의 "입체이성질체"는 L-아미노산 또는 D-아미노산과 같은 아미노산의 거울상 이성질체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자연 발생 아미노산의 입체이성질체는 자연 발생 아미노산, 즉 D-아미노산의 거울상 이성질체를 지칭한다.
자연 발생 아미노산은 유전자 코드에 의해 암호화된 것들뿐만 아니라, 추후 변형되는 아미노산,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프롤린, γ-카르복시글루타메이트, 및 O-포스포세린이다. 자연 발생 α-아미노산은 비제한적으로, 알라닌(Ala), 아르기닌(Arg), 아스파라긴(Asn), 아스파르트산(Asp), 시스테인(Cys), 글루타민(Gln), 글루탐산(Glu), 글리신(Gly), 히스티딘(His), 이소류신(Ile), 류신(Leu), 리신(Lys), 메티오닌(Met), 페닐알라닌(Phe), 프롤린(Pro), 세린(Ser), 트레오닌(Thr), 트립토판(Trp), 티로신(Tyr), 및 발린(Val)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을 포함한다. 자연 발생 α-아미노산의 입체이성질체는 비제한적으로, D-알라닌(D-Ala), D-아르기닌(D-Arg), D-아스파라긴(D-Asn), D-아스파르트산(D-Asp), D-시스테인(D-Cys), D-글루타민(D-Gln), D-글루탐산(D-Glu), D-글리신(D-Gly), D-히스티딘(D-His), D-이소류신(D-Ile), D-류신(D-Leu), D-리신(D-Lys), D-메티오닌(D-Met), D-페닐알라닌(D-Phe), D-프롤린(D-Pro), D-s세린(D-Ser), D-트레오닌(Thr), D-트립토판(D-Trp), D-티로신(D-Tyr), 및 D-발린(D-Val)을 포함한다.
비천연 아미노산은, 비제한적으로, 자연 발생 아미노산과 유사한 방식으로 기능하는 L- 또는 D-구성의 아미노산 유사체, 아미노산 모방체, 및 합성 아미노산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아미노산 유사체"는 자연 발생 아미노산과 동일한 염기 화학 구조를 갖는 비천연 아미노산, 즉 수소, 카르복시기, 아미노기, 및 R기에 결합된 α-탄소, 예를 들어 호모세린, 노르류신, 메티오닌 설폭시드, 메티오닌 메틸 설포늄이다. 이러한 유사체는 변형된 R기(예를 들어, 노르류신) 또는 변형된 펩티드 골격을 가질 수 있으나, 자연 발생 아미노산과 동일한 염기 화학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비천연 아미노산의 비제한적인 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1-아미노시클로펜탄-1-카르복시산(Acp), 1-아미노시클로부탄-1-카르복시산(Acb), 1-아미노시클로프로판-1-카르복시산(Acpc), 시트룰린(Cit), 호모시트룰린(HoCit), α-아미노헥산디오익산(Aad), 3-(4-피리딜)알라닌(4-Pal), 3-(3-피리딜)알라닌(3-Pal), 프로파르길글리신(Pra), α-아미노이소부티르산(Aib), α-아미노부티르산(Abu), 노르발린(Nva), α,β-디아미노프로피온산(Dpr), α,γ-디아미노부티르산(Dbu), α-삼차-부틸글리신(Bug), 3,5-디니트로티로신(Tyr(3,5-디 NO2)), 노르류신(Nle), 3-(2-나프틸)알라닌(Nal-2), 3-(1-나프틸)알라닌(Nal-1), 시클로헥실알라닌(Cha), 디-n-프로필글리신(Dpg), 시클로프로필알라닌(Cpa), 호모류신(Hle), 호모세린(HoSer), 호모아르기닌(Har), 호모시스테인(Hcy), 메티오닌 설폭시드(Met(O)), 메티오닌 메틸설포늄(Met (S-Me)), α-시클로헥실글리신(Chg), 3-벤조-티에닐알라닌(Bta), 타우린(Tau), 하이드록시프롤린(Hyp), O-벤질-하이드록시프롤린(Hyp(Bzl)), 호모프롤린(HoPro), β-호모프롤린(βHoPro), 티아졸리딘-4-카르복시산(Thz), 니페코산(Nip), 이소니페코산(IsoNip), 3-카르복시메틸-1-페닐-1,3,8-트리아자스피로[4,5]데칸-4-온(Cptd), 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3-카르복시산(3-Tic), 5H-티아졸로[3,2-a]피리딘-3-카르복시산(Btd), 3-아미노벤조산(3-Abz), 3-(2-티에닐)알라닌 (2-Thi), 3-(3-티에닐)알라닌(3-Thi), α-아미노옥탄디옥산(Asu), 디에틸글리신(Deg), 4-아미노-4-카르복시-1,1-디옥소-테트라하이드로티오피란(Acdt), 1-아미노-1-(4-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카르복시산(Ahch), 1-아미노-1-(4-케토시클로헥실)카르복시산(Akch), 4-아미노-4-카르복시테트라하이드로피란(Actp), 3-니트로티로신(Tyr(3-NO2)), 1-아미노-1-시클로헥산 카르복시산(Ach), 1-아미노-1-(3-피페리디닐)카르복시산(3-Apc), 1-아미노-1-(4-피페리디닐)카르복시산(4-Apc), 2-아미노-3-(4-피페리디닐) 프로피온산(4-App), 2-아미노인단-2-카르복시산(Aic), 2-아미노-2-나프틸아세트산(Ana), (2S, 5R)-5-페닐피롤리딘-2-카르복시산(Ppca), 4-티아조일알라닌(Tha), 2-아미노옥탄산(Aoa), 2-아미노헵탄산(Aha), 오르니틴(Orn), 아제티딘-2-카르복시산(Aca), α-아미노-3-클로로-4,5-디하이드로-5-이소아졸아세트산(Acdi), 티아졸리딘-2-카르복시산(Thz(2-COOH)), 알릴글리신(Agl), 4-시아노-2-아미노부티르산(Cab), 2-피리딜알라닌(2-Pal), 2-퀴노일알라닌(2-Qal), 시클로부틸알라닌(Cba), 페닐알라닌 유사체, 리신의 유도체, 오르니틴(Orn) 및 α,γ-디아미노부티르산(Dbu), 이들의 입체이성질체, 및 이들의 조합(예를 들어, Liu 등의 문헌[Anal. Biochem., 295:9-16 (2001)] 참조). 이와 같이, 비천연 α-아미노산은 비천연 L-α-아미노산, 비천연 D-α-아미노산,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존재한다.
"아미노산 모방체"는 아미노산의 일반적인 화학 구조와 상이하지만 자연 발생 아미노산과 유사한 방식으로 기능하는 구조를 갖는 화학 화합물이다. 적절한 아미노산 모방체는 비제한적으로, β-아미노산 및 γ-아미노산을 포함한다. β-아미노산에서, 아미노기는 아미노기와 카르복시기 사이에 2개의 탄소 원자가 있도록 카르복시기의 β-탄소 원자에 결합된다. γ-아미노산에서, 아미노기는 아미노기와 카르복시기 사이에 3개의 탄소 원자가 있도록 카르복시기의 γ-탄소 원자에 결합된다. β- 또는 γ-아미노산에 적합한 R기는 자연 발생 아미노산 및 비천연 아미노산에 존재하는 측쇄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C6-26 아랄킬"은 6 내지 2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며 아릴기로 치환된 알킬기를 포함하는 아릴알킬기를 지칭한다. 적절하게는, 알킬기는 C1-6 알킬기이고 아릴기는 페닐이다. C6-26 아랄킬의 예는 벤질 및 펜에틸을 포함한다. 일부 경우, C6-26 아랄킬기는 임의로 치환될 수 있으며, 임의로 치환된 C6-26 아랄킬기의 예는 4-메톡시벤질이다.
"C5-20 아릴"은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고리를 갖고 이들의 고리 구성원을 포함하는 특정 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완전 불포화 단환, 이환, 및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를 지칭한다(예를 들어, C5-20 아릴은 고리 구성원으로서 5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기를 지칭한다). 아릴기는 임의의 고리 원자에서 부모기 또는 기질에 부착될 수 있으며, 해당 부착 또는 치환이 원자가 요건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한 하나 이상의 비수소 치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하게는, C6-14 아릴은 C6-12 아릴, 보다 적절하게는 C6-10 아릴로부터 선택된다. 아릴기의 예는 페닐을 포함한다.
"아릴렌"은 아릴기, 예를 들어 페닐로부터 유래된 아릴렌인 -C6H4-로부터 유래된 2가 라디칼을 지칭한다.
"C3-8 시클로알킬" 또는 "3- 내지 8-원 시클로알킬"은 3 내지 8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개의 탄소 원자,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탄소 원자의 폐쇄 고리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및 시클로옥틸을 포함한다.
"C3-8 시클로알킬렌" 또는 "3- 내지 8-원 시클로알킬렌"은 시클로알킬기, 예를 들어 -C6H10-로부터 유래된 2가 라디칼을 지칭한다.
"C3-8 시클로알케닐렌"은 시클로알케닐기, 즉 하나 이상의 C=C를 갖는 카르보시클릭기, 예를 들어 -C6H8-로부터 유래된 2가 라디칼을 지칭한다.
할로겐 또는 할로는 F, Cl, Br, 및 I로부터 선택되는 기를 지칭한다. 적절하게는, 할로겐 또는 할로는 F 또는 Cl이다. 일부 양태에서, 적절하게는, 할로겐은 F이다. 다른 양태에서, 적절하게는, 할로겐은 Cl이다.
"C5-10 헤테로아릴" 또는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은 탄소 또는 헤테로원자이든, 5 내지 10개의 고리 원자(이들 중 1 내지 5개는 고리 헤테로원자임)를 포함하는 불포화 단환 또는 이환 방향족 기를 지칭한다. 적절하게는, 임의의 단환 헤테로아릴 고리는 5 내지 6개의 고리 원자 및 1 내지 3개의 고리 헤테로원자를 갖는다. 적절하게는, 각각의 고리 헤테로원자는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이환 고리는 융합 고리 시스템을 포함하며, 특히 5개의 고리 원자를 포함하는 단환 헤테로고리가 벤젠 고리에 융합되는 이환 기를 포함한다. 헤테로아릴기는 임의의 고리 원자에서 부모기 또는 기질에 부착될 수 있으며, 해당 부착 또는 치환이 원자가 요건에서 벗어나지 않고 화학적으로 불안정한 화합물을 생성하지 않는 한, 한 하나 이상의 비수소 치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단환 헤테로아릴기의 예는 다음으로부터 유도된 것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N1: 피롤, 피리딘;
O1: 푸란;
S1: 티오펜;
N1O1: 옥사졸, 이속사졸, 이속사진;
N2O1: 옥사디아졸(예를 들어, 1-옥사-2,3-디아졸릴, 1-옥사-2,4-디아졸릴, 1-옥사-2,5-디아졸릴, 1-옥사-3,4-디아졸릴);
N3O1: 옥사트리아졸;
N1S1: 티아졸, 이소티아졸;
N2: 이미다졸, 피라졸, 피리다진, 피리미딘, 피라진;
N3: 트리아졸, 트리아진; 및
N4: 테트라졸.
융합 고리를 포함하는 헤테로아릴의 예는 다음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O1: 벤조푸란, 이소벤조푸란;
N1: 인돌, 이소인돌, 인돌리진, 이소인돌린;
S1: 벤조티오푸란;
N1O1: 벤조옥사졸, 벤즈이속사졸;
N1S1: 벤조티아졸;
N2: 벤즈이미다졸, 인다졸;
O2: 벤조디옥솔;
N2O1: 벤조푸라잔;
N2S1: 벤조티아디아졸;
N3: 벤조트리아졸; 및
N4: 퓨린(예를 들어, 아데닌, 구아닌), 프테리딘;
"헤테로아릴렌"은 피리디닐 -[C5H3N]-로 예시되는 바와 같은, 헤테로아릴기(예컨대 전술한 것들)로부터 유래된 2가 라디칼을 지칭한다. 헤테로아릴렌은 단환, 이환, 또는 삼환 고리 시스템일 수 있다. 대표적인 헤테로아릴렌은 비제한적으로, 트리아졸릴렌, 테트라졸릴렌, 옥사디아졸릴렌, 피리딜렌, 푸릴렌, 벤조푸라닐렌, 티오페닐렌, 벤조티오페닐렌, 퀴놀리닐렌, 피롤릴렌, 인돌릴렌, 옥사졸릴렌, 벤조옥사졸릴렌, 이미다졸릴렌, 벤즈이미다졸릴렌, 티아졸릴렌, 벤조티아졸릴렌, 이속사졸릴렌, 피라졸릴렌, 이소티아졸릴렌, 피리다지닐렌, 피리미디닐렌, 피라지닐렌, 트리아지닐렌, 신놀리닐렌, 프탈라지닐렌, 퀴나졸리닐렌, 피리미딜렌, 아제피닐렌, 옥세피닐렌, 및 퀴녹살리닐렌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헤테로아릴렌은 임의로 치환된다.
"C6-16 헤테로아릴알킬"은 헤테로아릴기로 치환된 알킬기를 지칭한다. 적절하게는, 알킬은 C1-6 알킬기이고 헤테로아릴기는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C5-10 헤테로아릴이다. C6-16 헤테로아릴알킬기의 예는 피롤-2-일메틸, 피롤-3-일메틸, 피롤-4-일메틸, 피롤-3-일에틸, 피롤-4-일에틸, 이미다졸-2-일메틸, 이미다졸-4-일메틸, 이미다졸-4-일에틸, 티오펜-3-일메틸, 푸란-3-일메틸, 피리딘-2-일메틸, 피리딘-2-일에틸, 티아졸-2-일메틸, 티아졸-4-일메틸, 티아졸-2-일에틸, 피리미딘-2-일프로필 등을 포함한다.
"C3-20 헤테로시클릴"은 탄소 원자 또는 헤테로원자이든, 3 내지 20개의 고리 원자(이들 중 1 내지 10개는 고리 헤테로원자임)로 구성된 고리 원자를 갖는 포화 또는 부분 불포화 단환, 이환, 또는 다환기를 지칭한다. 적절하게는, 각각의 고리는 3 내지 8개의 고리 원자 및 1 내지 4개의 고리 헤테로원자를 갖는다(예를 들어, 적절하게는 C3-5 헤테로시클릴은 고리 구성원으로서 3 내지 5개의 고리 원자 및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헤테로시클릴기를 지칭한다). 고리 헤테로원자는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이환 시클로알킬기와 마찬가지로, 이환 헤테로시클릴기는 단리된 고리, 스피로 고리, 융합된 고리, 및 가교된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헤테로시클릴기는 임의의 고리 원자에서 부모기 또는 기질에 부착될 수 있으며, 해당 부착 또는 치환이 원자가 요건에서 벗어나지 않고 화학적으로 불안정한 화합물을 생성하지 않는 한, 한 하나 이상의 비수소 치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단환 헤테로시클릴기의 예는 다음으로부터 유도된 것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N1: 아지리딘, 아제티딘, 피롤리딘, 피롤린, 2H-피롤 또는 3H-피롤, 피페리딘, 디하이드로피리딘, 테트라하이드로피리딘, 아제핀;
O1: 옥시란, 옥세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하이드로푸란, 테트라하이드로피란, 디하이드로피란, 피란, 옥세핀;
S1: 티란, 티에탄, 테트라하이드로티오펜, 테트라하이드로티오피란, 티에판;
O2: 디옥소이안, 디옥산, 및 디옥세판;
O3: 트리옥산;
N2: 이미다조이딘, 피라졸리딘, 이미다졸린, 피라졸린, 피페라진:
N1O1: 테트라하이드로옥사졸, 디하이드로옥사졸, 테트라하이드로이속사졸, 디하이드로이속사졸, 모르폴린, 테트라하이드로옥사진, 디하이드로옥사진, 옥사진;
N1S1: 티아졸린, 티아졸리딘, 티오모르폴린;
N2O1: 옥사디아진;
O1S1: 옥사티올 및 옥사티안(티옥산); 및
N1O1S1: 옥사티아진.
치환된 단환 헤테로시클릴기의 예는 환형 형태의 당류, 예를 들어 아라비노푸라노오스, 릭소푸라노오스, 리보푸라노오스, 및 자일로푸란스와 같은 푸라노오스, 그리고 알리오피라노오스, 알트로피라노오스, 글루코피라노오스, 만노피라노오스, 구로피라노오스, 이도피라노오스, 갈락토피라노오스, 및 탈로피라노오스와 같은 피라노오스로부터 유래된 것들을 포함한다.
"핵산"은 뉴클레오시드간 결합에 의해 결합된 뉴클레오시드(데옥시리보-뉴클레오시드, 리보뉴클레오시드, 또는 이의 유사체를 포함함)의 선형 중합체를 지칭한다. 핵산은 용어 "폴리뉴클레오티드"뿐만 아니라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형 중합체는 "ATGCCTG"와 같은 문자의 서열로 표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뉴클레오티드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5'로부터 3'로의 순서로 이해되어야 하고, "A"는 데옥시아데노신을 나타내고, "C"는 데옥시시티딘을 나타내고, "G"는 데옥시구아노신을 나타내고, "T"는 데옥시티미딘을 나타낸다. 또 다른 천연 뉴클레오티드는 "U"이며, 이는 우리딘을 나타낸다. 문자 A, C, G, T, 및 U는 당업계에서 표준으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염기 자체, 뉴클레오시드, 또는 염기를 포함하는 뉴클레오티드를 지칭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자연 발생 핵산에서, 뉴클레오시드간 결합은 일반적으로 포스포디에스테르 결합이며, 해당 서브유닛은 "뉴클레오티드"로서 지칭된다. 핵산은 또한 포스포로-티오에이트 결합 등과 같은 다른 뉴클레오시드간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포스페이트기를 포함하지 않는 이러한 뉴클레오티드의 유사체는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뉴클레오티드"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고, 포스포디에스테르 결합이 아닌 하나 이상의 뉴클레오시드간 결합을 포함하는 핵산 또한 여전히 "폴리뉴클레오티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등으로 지칭된다.
질소 보호기
질소 보호기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이는 질소기를 차단하거나 추가의 반응으로부터 이를 보호하는 기이다. 질소 보호기는 카르바메이트, 예컨대 메틸 또는 에틸 카르바메이트, 9-플루오레닐메틸옥시-카르보닐(Fmoc), 치환된 에틸 카르바메이트, 1,6-베타-제거에 의해 절단된 카르바메이트, 우레아, 아미드, 펩티드, 알킬, 및 아릴 유도체로 예시된다. 카르바메이트 보호기는 다음의 일반식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지그재그 선(또는 물결선 )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제시된 기(예를 들어, 전술한 보호기)가 부착되는 지점을 나타낸다. 적절한 질소 보호기는 아세틸, 트리플루오로아세틸, t-부틸옥시-카르보닐(BOC), 벤질옥시카르보닐(Cbz), 및 9-플루오레닐메틸옥시-카르보닐(Fmoc)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다수의 가능한 카르바메이트 질소 보호기는, 본원에 참조로서 통합되는 Wuts, P.G.M. 및 Greene, T.W.의 문헌[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제4판, Wiley-lnterscience, 2007]의 페이지 706~771, 및 P. Kocienski의 문헌[Protective Groups, 제3판 (2005)]에 나열되어 있다.
특히 바람직한 보호기는 Alloc(알릴옥시카르보닐), Troc(2,2,2-트리클로로에틸 카르보네이트), Teoc[2-(트리메틸실릴)에톡시카르보닐], BOC(삼차-부틸옥시카르보닐), Doc(2,4-디메틸펜트-3-일옥시카르보닐), Hoc(시클로헥실옥시-카르보닐), TcBOC(2,2,2-트리클로로-삼차-부틸옥시카르보닐), Fmoc(9-플루오레닐메틸옥시카르보닐), 1-Adoc(1-아다만틸옥시카르보닐), 및 2-Adoc(2-아다만틸옥시카르보닐)를 포함한다.
하이드록실 보호기
하이드록실 보호기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다수의 적절한 기는, 본원에 참조로서 통합되는 Wuts, P.G.M. 및 Greene, T.W.의 문헌[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제4판, Wiley-lnterscience, 2007]의 페이지 16~366, 및 P. Kocienski의 문헌[Protective Groups, 제3판 (2005)]에 나열되어 있다.
특정 관심 부류는 실릴 에테르, 메틸 에테르, 알킬 에테르, 벤질 에테르, 에스테르, 벤조에이트, 카르보네이트, 및 설포네이트를 포함한다.
적절한 보호기는 THP(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에테르)를 포함한다. 하이드록실은 또한 N 메틸 피페라진 카르바메이트, 특히 페놀의 하이드록실기로서 보호될 수 있다.
L
S
구현예에서, LS는 RS에 부착되거나 이에 연결된 결합 또는 링커 모이어티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LS는 결합, 아미노산, 2 내지 6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티드 사슬, 하나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또는 삼중 결합을 함유할 수 있는 1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렌 사슬, 파라포름알데히드 사슬 -(OCH2)1-12-, 폴리에틸렌 글리콜 사슬 -(OCH2CH2)1-6-이며, 이들 사슬은 P, O, S, NH, C5-9 헤테로아릴렌, 페닐렌, 헤테로시클릴, 시클로알킬, 에테르, 옥소, 카복사미딜, 및/또는 우레타닐 모이어티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중단되거나 이를 임의로 혼입하되, C5-9 헤테로아릴렌, 페닐렌, 헤테로시클릴, 및/또는 시클로알킬 모이어티는 임의로 치환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C5-9 헤테로아릴렌, 페닐렌, 헤테로시클릴, 및/또는 시클로알킬 모이어티는 1, 2, 또는 3개의 독립적으로 선택된 임의의 R20 기로 임의로 치환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LS는 L2, R28, 또는 L2-R28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링커 LS는, 설파미노, 설파밀, 설페이트, 설프하이드릴, 설핀아미노, 설피네이트, 설피노, 설피닐, 설피닐옥시, 설포, 설폰아미도, 설폰아미노, 설포네이트, 설포닐, 설포닐옥시,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포스포라미데이트, 티오포스페이트 에스테르, 포스포네이트, 및 티오포스포네이트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LS는 벤질 카르복실레이트기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LS는 다음을 포함하며:
식 중, v는 0, 1, 2, 또는 3이고; 각각의 R40은 독립적으로 -NO2, -SO3R26, -C(=O)-R26, -C(=O)-Cl, -C1-6 플루오로알킬, -C1-6 플루오로알콕시, R20, R28, -[CH2CH2O]1-50-R28, 및 -NH-XAA-R28로부터 선택되되, XAA는 1 내지 20개의 아미노산 모이어티를 갖는 아미노산 서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v는 1, 2, 또는 3이고; 각각의 R40은 독립적으로 -NO2, -SO3R26, -C(=O)-R26, -C(=O)-Cl, -C1-6 플루오로알킬, -C1-6 플루오로알콕시, -F, -OH, -NH2, -CN, -NCO, -(CH2)j-CO2R26, -C(=O)-NR26R27, L2-R28, 말레이미드, , 및 로부터 선택되되, XAA는 1 내지 10개의 아미노산 모이어티를 갖는 아미노산 서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LS는 다음과 같다:
.
R
S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탄수화물 치환기는 RS로 표시되는 1가 당류 치환기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RS는 글리코실 또는 O-글리코실이다.
"당류"는 단당류 또는 이당류일 수 있는 당을 지칭하고, "RS"는 단당류 및/또는 이당류로부터 유래된 단당류 및/또는 이당류 1가 치환기를 지칭한다. 당류는 오탄당 또는 육탄당, 또는 오탄당 및/또는 육탄당을 함유하는 이당류일 수 있다. 단당류의 예는 포도당, 프룩토오스, 갈락토오스, 리보오스, 리불로오스, 및 이들 당의 입체이성질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당류는 푸라노오스, 비환형, 및/또는 피라노오스 형태의 당을 지칭하며, 하나의 형태의 당을 나타내는 조성식은 문맥상 달리 요구되지 않는 한, 다른 형태의 당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1가 치환기인 당류는 단당류 또는 이당류로부터 하이드록실기를 제거하거나 단당류 또는 이당류의 하이드록실기로부터 수소를 제거함으로써 수득 가능한 상응하는 단당류(또는 이당류)의 글리코실기를 포함할 수 있다. 푸라노오스의 비제한적인 예는 아라비노푸라노오스, 릭소푸라노오스, 리보푸라노오스, 자일로푸란스 등을 포함한다. 피라노오스의 비제한적인 예는 알리오피라노오스, 알트로피라노오스, 글루코피라노오스, 만노피라노오스, 구로피라노오스, 이도피라노오스, 갈락토피라노오스, 탈로피라노오스 등을 포함한다.
R
T
구현예에서, RT는 L2-R28, 페닐, 및 C5-9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되, 페닐 및 C5-9 헤테로아릴기는 최대 3개의 임의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다. 따라서, RT에 대해 선택된 페닐기 또는 C5-9 헤테로아릴기 중 어느 하나는 최대 3개의 임의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적절하게는, RT는 L2-R28, 페닐, 피롤릴, N-메틸피롤릴, 푸라닐, 티오페닐, 이미다졸릴, N-메틸이미다졸릴, 옥사졸릴, 티아졸릴, 피리딜, 벤조푸라닐, 벤조티오페닐, 벤즈이미다졸릴, N-메틸벤조이미다졸릴, 벤조옥사졸릴, 및 벤조티아졸릴로부터 선택되되, 페닐, 피롤릴, N-메틸피롤릴, 푸라닐, 티오페닐, 이미다졸릴, N-메틸이미다졸릴, 옥사졸릴, 티아졸릴, 피리딜, 벤조푸라닐, 벤조티오페닐, 벤즈이미다졸릴, N-메틸벤조이미다졸릴, 벤조옥사졸릴, 및 벤조티아졸릴기는 OH, C1-6 알킬, OC1-6 알킬, L2-R28, (CH2)j-CO2R11, O-(CH2)k-NR11R12, (CH2)j-NR11R12, C(=O)-NH-(CH2)k-NR11R12; C(=O)-NH-R24, 및 C(=O)-NH-(CH2)k-C(=NH)NR11R12로부터 선택되는 최대 3개의 임의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다.
적절하게는, RT는 L2-R28, 페닐, 피롤릴, N-메틸피롤릴, 푸라닐, 티오페닐, 이미다졸릴, N-메틸이미다졸릴, 옥사졸릴, 티아졸릴, 벤조푸라닐, 벤조티오페닐, 벤즈이미다졸릴, N-메틸벤조이미다졸릴, 벤조옥사졸릴, 및 벤조티아졸릴로부터 선택되되, 페닐, 피롤릴, N-메틸피롤릴, 푸라닐, 티오페닐, 이미다졸릴, N-메틸이미다졸릴, 옥사졸릴, 티아졸릴, 벤조푸라닐, 벤조티오페닐, 벤즈이미다졸릴, N-메틸벤조이미다졸릴, 벤조옥사졸릴, 및 벤조티아졸릴기는 OH, C1-6 알킬, OC1-6 알킬, L2-R28, (CH2)j-CO2R11, O-(CH2)k-NR11R12, (CH2)j-NR11R12, C(=O)-NH-(CH2)k-NR11R12; C(=O)-NH-R24, 및 C(=O)-NH-(CH2)k-C(=NH)NR11R12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임의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다.
적절하게는, RT는 L2-R28, 페닐, N-메틸피롤릴, 티오페닐, N-메틸이미다졸릴, 옥사졸릴, 티아졸릴, 벤조티오페닐, N-메틸벤조이미다졸릴, 및 벤조티아졸릴로부터 선택되되, 페닐, N-메틸피롤릴, 티오페닐, N-메틸이미다졸릴, 옥사졸릴, 티아졸릴, 벤조티오페닐, N-메틸벤조이미다졸릴, 및 벤조티아졸릴기는 OH, C1-6 알킬, OC1-6 알킬, L2-R28, (CH2)j-CO2R11, O-(CH2)k-NR11R12, (CH2)j-NR11R12, C(=O)-NH-(CH2)k-NR11R12; C(=O)-NH-R24, 및 C(=O)-NH-(CH2)k-C(=NH)NR11R12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임의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다.
적절하게는, RT는 OH, C1-6 알킬, OC1-6 알킬, L2-R28, (CH2)j-CO2R11, O-(CH2)k-NH2, (CH2)j-NH2, C(=O)-NH-(CH2)k-NH2; C(=O)-NH-R24, 및 C(=O)-NH-(CH2)k-C(=NH)NH2로부터 선택되는 최대 3개의 임의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다.
적절하게는, RT는 임의로 치환된 C(=O)-NH-R24이되, R24는 -C6H4-(CH2)j-R18이고, 페닐렌기 -C6H4-는 파라 치환된다.
적절하게는, RT는 OH, 메틸, 에틸, OCH3, OCH2CH3, L2-R28, CO2H, CO2CH3, CO2CH2CH3, O-(CH2)k-NH2, 및 (CH2)j-NH2로부터 선택되는 최대 3개의 임의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다.
적절하게는, RT는 1 또는 2개의 임의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다.
보다 적절하게는, RT는 하나의 임의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다.
보다 적절하게는 RT는 다음으로부터 선택되며:
;
식 중 Z1은 NH, N-CH3, N-RS, S, 및 O로부터 선택되고;
Z2는 CH 및 N으로부터 선택되고;
Z3은 S 및 O로부터 선택되고;
Z4는 CH, CRS, 및 N으로부터 선택되고;
R22는 -L2-R28, (CH2)jCO2R11, (CH2)jNR11R12, 및 C(=O)-NH-C6H4-(CH2)j-R18로부터 선택되고;
R18은 -L2-R28, CO2R11, 및 NR11R12로부터 선택되고;
j는 0 내지 6의 정수로부터 선택되고;
R11 및 R12는 독립적으로 H, -L2-R28, 및 C1-6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23은 H, RS, -L2-R28, 및 C1-6 알킬로부터 선택된다.
파형 선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나머지에 대한 전술한 RT 기의 부착 지점을 나타낸다.
보다 적절하게는 RT는 다음으로부터 선택되며:
;
식 중 Z1은 NH, N-CH3, N-RS, S, 및 O로부터 선택되고;
Z2는 CH 및 N으로부터 선택되고;
Z3은 S 및 O로부터 선택되고;
Z4는 CH, RS, 및 N으로부터 선택되고;
R11은 H, L2-R28, 및 C1-6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23은 H, RS, L2-R28, 및 C1-6 알킬로부터 선택된다.
L
2
구현예에서, 링커 L2는 결합이거나, C, N, P, O, S, 또는 할로겐으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200개의 비수소 원자를 갖는 모이어티이며, 선택적으로, 에테르, 옥소, 카르복실, 카르복사미드, 카르복사미딜, 우레아닐, 분지형, 환형, 불포화, 아미노산, 헤테로시클릴,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모이어티를 포함한다. 구현예에서, L2는 결합이거나, 아미노산, 2 내지 10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티드 사슬, 하나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또는 삼중 결합을 함유할 수 있는 1 내지 5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렌 사슬, 파라포름알데히드 사슬 -(OCH2)1-50-,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사슬 -(OCH2CH2)1-50-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를 포함하며, 이들 사슬은 P, O, S, NH, C5-9 헤테로아릴렌, 페닐렌, 헤테로시클릴, 시클로알킬, 에테르, 옥소, 카복사미딜, 및/또는 우레타닐 모이어티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중단되거나 이를 임의로 혼입하되, C5-9 헤테로아릴렌, 페닐렌, 헤테로시클릴, 및/또는 시클로알킬 모이어티는 임의로 치환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펩티드, 알킬렌, 파라포름알데히드,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사슬 및/또는 C5-9 헤테로아릴렌, 페닐렌, 헤테로시클릴, 및 시클로알킬 모이어티는 1, 2, 또는 3개의 독립적으로 선택된 임의의 R20 기 및/또는 Ls-Rs 기로 임의로 치환된다.
링커 L2는 비분지형 또는 분지형, 가요성 또는 강성, 짧거나 길고, 유용한 것으로 여겨지는 모이어티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링커 L2의 적어도 일부는 폴리알킬렌 산화물 중합체 영역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화학식 (I) 또는 (II)의 화합물의 용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링커 L2는 에틸렌 글리콜의 반목 유닛을 가질 수 있으며, 약 1 내지 약 25개, 또는 이들 사이의 임의의 수의 다수의 반복 에틸렌 글리콜 유닛을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L2는 약 3 내지 약 20개, 약 4 내지 약 15개, 약 5 내지 약 12개, 또는 약 6 내지 약 10개의 에틸렌 글리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링커 L2의 적어도 일부는 화학식 (I) 또는 (II)의 화합물에 대해 향상된 용해도를 제공할 수 있거나, 표적 결합을 향상시키거나, 표적화제와의 호환성을 향상시키거나, 표적 결합 인식을 향상시키도록 아미노산 서열을 제공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모이어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링커 L2는 프로테아제에 적합한 기질 모티프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모이어티를 포함할 수 있다. 아미노산 모이어티 세트가 선택된 프로테아제에 특이적인 기질 모티프를 제공하는 링커 L2 내에 혼입될 경우, 화학식 (I) 또는 (II)의 세포독성 약물 화합물은 표적 결합 접합체로부터 방출되어 국소 세포독성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질 모티프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이들은 표적 결합 접합체로부터의 선택적 방출을 제공하도록, 원하는 바와 같이 링커, 즉 L2에 통합될 수 있다. 이러한 선택도는 접합체 약물의 국소화된 전달 영역 내에서의 목적하는 프로테아제의 알려진 존재에 기초할 수 있다. 다른 중합체 유형의 모이어티, 예컨대 폴리산, 다당류, 또는 폴리아민이 링커 L2에 통합될 수 있다. 치환된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모이어티와 같은 다른 모이어티가 반응성 모이어티 또는 화학식 (I)의 화합물, 즉 G, Q, 또는 T기에 대한 연결을 위해 강성을 향상시키거나 그 안에 있는 치환기 상에 합성적으로 접근 가능한 부위를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링커 L2는, 설파미노, 설파밀, 설페이트, 설프하이드릴, 설핀아미노, 설피네이트, 설피노, 설피닐, 설피닐옥시, 설포, 설폰아미도, 설폰아미노, 설포네이트, 설포닐, 설포닐옥시,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포스포라미데이트, 티오포스페이트 에스테르, 포스포네이트, 및 티오포스포네이트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커 L2는 에틸렌 글리콜 반복 유닛, 및/또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링커 L2는 다음의 화학식을 포함하며:
-[CH2CH2O]0-50-XAA-
식 중 XAA는 아미노산 서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링커 L2는 다음의 화학식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지며:
;
식 중 RS는 1가 당류 치환기, 바람직하게는 글리코실 또는 O-글리코실이고;
LC는 아미노산, 아미노산 유도체, 2 내지 6개의 아미노산 또는 아미노산 유도체를 갖는 펩티드 사슬, 하나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또는 삼중 결합을 함유할 수 있는 1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렌 사슬, 파라포름알데히드 사슬 -(OCH2)1-12-, 폴리에틸렌 글리콜 사슬 -(OCH2CH2)1-8-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를 포함하며, 이러한 사슬은 P, O, S, 및/또는 NH기, 및/또는 C5-9 헤테로아릴렌, 및/또는 페닐렌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중단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각각의 C5-9 헤테로아릴렌기 및/또는 각각의 페닐렌기는 임의로 치환된다. 구현예에서, LC는 R28에 추가로 접합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링커 L2는 다음의 화학식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다:
.
일부 구현예에서, LC는 화학식 , 임의로 또는 를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R28-LC는 말레이미드를 포함하되, 선택적으로 말레이미드는 화학식 , 임의로 또는 를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LC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사슬 -(OCH2CH2)1-10-, 임의로 -(OCH2CH2)8-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Lc는 다음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R28-LC는 다음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R28-L2는 다음의 화학식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지며:
, 식 중
R28은 아지드, 알킨, 바이설폰, 카르보하이드라지드, 하이드라진, 하이드록실아민, 요오드아세트아미드,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말레이미드, 포스핀, 피리도피리다진, 세미하이드라지드, 숙신이미딜 에스테르, 설포디클로로페놀 에스테르, 설포닐 할라이드, 설포숙신이미딜 에스테르, 4-설포테트라플루오로페닐 에스테르, 테트라플루오로페닐 에스테르, 티아졸, RA, O-(CH2)k-NR26R26, NHNH2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표적화제이되, 표적화제는 단백질, 단백질의 일 부분, 펩티드, 핵산, 또는 항체로부터 선택되고;
LC는 화학식 을 가지며, 식 중
X10은 단일 결합, -HN-[CH2-CH2-O]p-(CH2)1-5-C(O)-, -HN-[CH2-CH2-O]p-(CH2)1-5-C(O)-NH-, 또는 이되, 여기에서 p는 각각의 경우 독립적으로 1 내지 50의 정수이고, Alk는 C1-C5알킬이고;
X20은 단일 결합, 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Lc는 화학식 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Lc는 화학식 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p는 5 내지 10의 정수, 예를 들어 5, 6, 7, 8, 9, 또는 10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p는 8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X10는 -HN-[CH2-CH2-O]p-(CH2)2-C(O)-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X10은 단일 결합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X10는 -HN-[CH2-CH2-O]p-(CH2)2-C(O)-N-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X10은 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Alk는 -CH3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X20은 단일 결합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X20은 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X20은 이다.
임의의 적절한 수의 에틸렌 글리콜 유닛이 본 개시의 링커 L2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커 L2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5, 16, 19, 20, 23, 24, 35, 36, 37, 48, 49개, 또는 그 이상의 에틸렌 글리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링커 L2는 8개의 에틸렌 글리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에틸렌 글리콜기(폴리에틸렌 글리콜, PEG), 예컨대 8개의 에틸렌 글리콜 반복 유닛을 갖는 이산("d")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갖는 H2N-PEG8-C(O)OH가 링커 L2에 적합하다. 다른 이산 PEG 유닛이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하며, Advanced ChemTech와 같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링커 L2는 다음의 화학식을 포함하며:
-HN-PEG-C(O)-XAA-
식 중 PEG는 1 내지 50개의 에틸렌 글리콜 유닛을 갖고, XAA는 아미노산 서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링커 L2는 다음의 화학식을 포함하며:
-HN-[CH2-CH2-O]p-(CH2)1-5-C(O)-XAA-
식 중 p는 1 내지 50의 정수이고, XAA는 아미노산 서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p는 5 내지 10의 정수, 예를 들어 5, 6, 7, 8, 9, 또는 10이다.
링커 L2의 아미노산 부분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임의의 적절한 개수의 아미노산 모이어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미노산 서열 XAA는 1 내지 100개의 아미노산 모이어티, 또는 1 내지 10개의 아미노산 모이어티, 또는 1 내지 5개의 아미노산 모이어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XAA는 1 내지 30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아미노산 서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XAA는 1 내지 25개의 아미노산, 1 내지 20개의 아미노산, 1 내지 15개의 아미노산, 2 내지 15개의 아미노산, 1 내지 10개의 아미노산, 2 내지 10개의 아미노산, 1 내지 9개의 아미노산, 2 내지 9개의 아미노산, 1 내지 8개의 아미노산, 2 내지 8개의 아미노산, 1 내지 7개의 아미노산, 2 내지 7개의 아미노산, 1 내지 6개의 아미노산, 2 내지 6개의 아미노산, 1 내지 5개의 아미노산, 2 내지 5개의 아미노산, 1 내지 4개의 아미노산, 2 내지 4개의 아미노산, 1 내지 3개의 아미노산, 또는 2 내지 3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아미노산 서열이다. 예를 들어, XAA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개,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아미노산 서열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XAA는 1, 2, 3, 4, 5, 6, 7, 8, 9, 10개,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모이어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XAA는 1 내지 10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아미노산 서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XAA는 2 내지 8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아미노산 서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XAA는 2 내지 6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아미노산 서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XAA는 2 내지 4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아미노산 서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XAA는 4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아미노산 서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XAA는 3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아미노산 서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XAA는 2개의 아미노산 모이어티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XAA는 Gly-Gly-Phe-Gly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XAA는 Val-Cit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XAA는 Ala-Ala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XAA는 Val-Ala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XAA는 Ala-Ala-Ala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XAA는 Val-Ala-Ala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링커 L2는 다음의 화학식을 포함하며:
-HN-PEG8-C(O)-Val-Ala-
식 중 PEG8은 8개의 에틸렌 글리콜 유닛을 갖는다.
링커 L2는 또한 에틸렌 글리콜 부분을 아미노산 서열에 연결하거나, 에틸렌 글리콜 또는 아미노산 서열을 R28, 또는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에 연결하는 다양한 다른 연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미노산 서열은 4-아미노 벤질 카르복실레이트기를 통해 화학식 (I) 또는 (II)의 화합물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에틸렌 글리콜 부분은 R28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링커 L2는 다음의 화학식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L2는 다음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
식 중, XAA는 아미노산 서열이고; K2는 -[CH2CH2O]0-50- 또는 -[CH2]0-12-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XAA는 L-발릴-L-알라닌일 수 있다.
R
28
R28은 아지드, 알킨, 바이설폰, 카르보하이드라지드, 하이드라진, 하이드록실아민, 요오드아세트아미드,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말레이미드, 포스핀, 피리도피리다진, 세미하이드라지드, 숙신이미딜 에스테르, 설포디클로로페놀 에스테르, 설포닐 할라이드, 설포숙신이미딜 에스테르, 4-설포테트라플루오로페닐 에스테르, 테트라플루오로페닐 에스테르, 티아졸, RA, O-(CH2)k-NR26R26, NHNH2이거나, 또는 표적화제이되, 표적화제는 단백질, 단백질의 일 부분, 펩티드, 핵산, 또는 항체로부터 선택된다.
따라서, R28은 표적화제와 반응할 수 있는 반응성 모이어티이거나, 표적화제이다. R28이 반응성 모이어티인 경우, 이는 표적화제 내의 알데히드, 아민, 이황화물, 케톤, 티올과 같은 작용기와 반응할 수 있거나, 스타우딩거(Staudinger) 반응, 픽텟-스펜글러(Pictet-Spengler) 반응 및/또는 클릭형(Click-type) 화학에서 표적화제와 반응할 수 있다. 일부 반응성 모이어티의 경우, 적절한 커플링 시약이 반응성 모이어티를 표적화제와 반응시키는 데 사용되며, 예를 들어, R28이 카르복시산인 경우[RA가 (CH2)j-CO2R26인 경우], 카르보디이미드 커플링 시약이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하게는, R28은 아지드, 알킨, 바이설폰, 카르보하이드라지드, 하이드록실아민, 요오드아세트아미드,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말레이미드, 포스핀, 세미하이드라지드, 숙신이미딜 에스테르, 및 설포닐 할라이드, RA이거나, 또는 표적화제이되, 표적화제는 단백질, 단백질의 일부, 펩티드, 핵산, 또는 항체로부터 선택된다.
일 양태에서, 적절하게는, R28은 아지드, 알킨, 바이설폰, 카르보하이드라지드, 하이드록실아민, 요오드아세트아미드,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말레이미드, 포스핀, 세미하이드라지드, 숙신이미딜 에스테르, 및 설포닐 할라이드이거나, RA이다.
다수의 다른 화학물질이 항체에 대한 화합물의 부착과 관련하여 공지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7,595,292호(Brocchini 등)는 항체의 이황화 결합에서 황과 함께 티오에스테르를 형성하는 링커를 개시한다. 미국 특허 제7,985,783호(Carico 등)는 화합물을 항체에 커플링시키는 데 사용되는, 알데히드 잔기의 항체 내로의 도입을 개시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R28은 표적화제이되, 표적화제는 단백질, 단백질의 일부, 펩티드, 핵산, 또는 항체로부터 선택된다. 표적화제는 종양 연관 항원, 암-줄기 세포 연관 항원 또는 바이러스 항원에 결합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표적화제는 다음으로부터 선택되는 표적에 결합할 수 있다: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M4) 세포, 급성 전골수성 백혈병 세포,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 세포,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세포,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세포, 만성 골수성 백혈병 세포, 만성 T-세포 림프구성 백혈병, 골수이형성 증후군 세포, 다발성 골수종 세포, 전립선 암종 세포, 신세포 선암종 세포, 췌장 선암종 세포, 폐 암종 세포 또는 위 선암종 세포, 위 선암종 세포, 유방암 세포, 대장암 세포, 흑색종 세포, 갑상선암 세포, 난소암 세포, 방광암 세포, 간암 세포, 두경부암 세포, 식도암 세포, 호지킨 림프종 세포, 비-호지킨 림프종 세포, 중피종 세포, 신경아세포종 세포, 신경내분비 종양 세포, 신경섬유종증 1형(NF1) 세포, 신경섬유종증 2형(NF2), 또는 골육종 세포.
구현예에서, R28은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는 말레이미드일 수 있으며:
;
이는 임의로 표적화제에 연결된다.
L
2
-R
28
구현예에서, L2-R28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표적화제에 연결하기 위한 링커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일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L2-R28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임의로 표적화제에 연결된다.
일부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L2-R28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임의로 표적화제에 연결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L2-R28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X
1
적절하게는, X1은 O, S, NH, CH2, CH2O, C(=O), C(=O)NR13, NR13C(=O), O-C(O), 및 C(O)-O.
적절하게는, X1은 O, C(=O), C(=O)NR13, 및 NR13C(=O)로부터 선택된다.
보다 적절하게는, X1은 O, C(=O)NH, 및 NHC(=O)로부터 선택된다.
보다 적절하게는 X1은 O이다.
X
2
적절하게는, X2는 O, S, NH, CH2, CH2O, C(=O), C(=O)NR15, NR15C(=O), O-C(O), 및 C(O)O로부터 선택되거나, 부재한다.
적절하게는, X2는 O, C(=O), C(=O)NR15, 및 NR16C(=O)로부터 선택되거나, 부재한다.
보다 적절하게는, X2는 O, C(=O)NH, 및 NHC(=O)로부터 선택된다.
적절하게는, X2는 X1과 동일하다.
보다 적절하게는 X2는 O이다.
L
구현예에서, L은 링커기이다. 적절하게는, 펩티드 사슬, 알킬렌 사슬, 파라포름알데히드 사슬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사슬 중 어느 하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예를 들어, P, N 또는 NH, O, 및 S) 및/또는 하나 이상의 C5-9 헤테로아릴렌기(예를 들어, 피롤릴렌, 피라졸릴렌, 피라졸릴렌, 1,2,3-트리아졸릴렌, 피리디닐렌) 및/또는 하나 이상의 페닐렌기에 의해 중단되거나, 치환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각각의 C5-9 헤테로아릴렌기(예를 들어, 피롤릴렌, 피라졸릴렌, 피라졸릴렌, 1,2,3-트리아졸릴렌, 피리디닐렌) 및/또는 각각의 페닐렌기는 선택적으로 치환된다. 보다 적절하게는, 사슬은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예를 들어, P, O, S, NH) 및/또는 1 내지 3개의 C5-9 헤테로아릴렌기 및/또는 1 내지 3개의 페닐렌기에 의해 중단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L은 아미노산, 2 내지 6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티드 사슬, 하나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또는 삼중 결합을 함유할 수 있는 1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렌 사슬, 파라포름알데히드 사슬 -(OCH2)1-12-, 폴리에틸렌 글리콜 사슬 -(OCH2CH2)1-6-이며, 이들 사슬은 O, S, NH, C5-9 헤테로아릴렌, 페닐렌, 헤테로시클릴, 시클로알킬, 에테르, 옥소, 카복사미딜, 및/또는 우레타닐 모이어티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중단되거나 이를 임의로 혼입하되, C5-9 헤테로아릴렌, 페닐렌, 헤테로시클릴, 및/또는 시클로알킬 모이어티는 임의로 치환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펩티드, 알킬렌, 파라포름알데히드,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사슬 및/또는 C5-9 헤테로아릴렌, 페닐렌, 헤테로시클릴, 및 시클로알킬 모이어티는 1, 2, 또는 3개의 독립적으로 선택된 임의의 R20 기 및/또는 Ls-Rs 기로 임의로 치환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L은 L2-R28 및/또는 Ls-Rs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L은 L2-R28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L은 Ls-Rs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링커 L은, 설파미노, 설파밀, 설페이트, 설프하이드릴, 설핀아미노, 설피네이트, 설피노, 설피닐, 설피닐옥시, 설포, 설폰아미도, 설폰아미노, 설포네이트, 설포닐, 설포닐옥시,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포스포라미데이트, 티오포스페이트 에스테르, 포스포네이트, 및 티오포스포네이트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링커 L 및/또는 L2는 분지화를 허용하는 모이어티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링커 L 및/또는 L2는 다음의 화학식을 포함하며:
식 중 RS는 1가 당류 치환기, 바람직하게는 글리코실 또는 O-글리코실이고; LC는 아미노산, 아미노산 유도체, 2 내지 6개의 아미노산 또는 아미노산 유도체를 갖는 펩티드 사슬, 하나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또는 삼중 결합을 함유할 수 있는 1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렌 사슬, 파라포름알데히드 사슬 -(OCH2)1-12-, 폴리에틸렌 글리콜 사슬 -(OCH2CH2)1-8-로부터 선택되며, 이러한 사슬은 P, O, S, 및/또는 NH기, 및/또는 C5-9 헤테로아릴렌, 및/또는 페닐렌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중단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각각의 C5-9 헤테로아릴렌기 및/또는 각각의 페닐렌기는 임의로 치환된다.
적절하게는, L은, 2 내지 5개의 아미노산, 2 내지 4개의 아미노산, 2 내지 3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티드 사슬; 1 내지 11개의 탄소 원자,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 1 내지 9개의 탄소 원자, 1 내지 8개의 탄소 원자, 1 내지 7개의 탄소 원자,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 1 내지 5개의 탄소 원자,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 1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또는 삼중 결합을 함유할 수 있는 알킬렌 사슬; 파라포름알데히드 사슬 -(OCH2)1-12-, -(OCH2)1-11-, -(OCH2)1-10-, -(OCH2)1-9-, -(OCH2)1-8-, -(OCH2)1-7-, -(OCH2)1-6-, -(OCH2)1-5-, -(OCH2)1-4-, -(OCH2)1-3- 폴리에틸렌글리콜 사슬 -(OCH2CH2)1-5-, 사슬 -(OCH2CH2)1-4-, 사슬 -(OCH2CH2)1-3-로부터 선택되며; 이러한 사슬은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에 의해, 및/또는 1 내지 3개의 C5-9 헤테로아릴렌기, 및/또는 1 내지 3개의 페닐렌기로부터 중단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C5-9 헤테로아릴렌 및/또는 페닐렌기는 1, 2, 또는 3개의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선택적인 R20 기 및/또는 Ls-Rs 기로 임의로 치환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L은 L2-R28 및/또는 Ls-Rs로 임의로 치환된 하나 이상의 C5-9 헤테로아릴렌 및/또는 페닐렌기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L은 L2-R28로 임의로 치환된 하나 이상의 C5-9 헤테로아릴렌 및/또는 페닐렌기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L은 Ls-Rs로 임의로 치환된 하나 이상의 C5-9 헤테로아릴렌 및/또는 페닐렌기를 포함한다.
보다 적절하게는, L은 하나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또는 삼중 결합을 함유할 수 있는 1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렌 사슬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보다 적절하게는, L은 CH=CH, CH2, CH2CH2, CH2CH2CH2, CH2CH2CH2CH2, 및 CH2CH2CH2CH2CH2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G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의 D 모이어티는 화학식 (II)의 G-알킬화 DNA기인 G를 포함하며:
식 중:
점선은 C1과 C2, C2와 C3, 및 C3와 C4 사이 중 하나 이상의 이중 결합의 임의의 존재를 나타내고;
물결선은 Q에 대한 부착 지점을 나타내고;
m은 0 또는 1이고;
R1, R3, 및 R4는 H, -LS-RS, 및 R29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2는 H, L2-R28, R29, 및 -LS-RS로부터 선택되거나, R1 및 R2, R2 및 R3, 또는 R3 및 R4 중 하나는 이들이 부착되는 탄소 원자와 함께 1, 2 또는 3개의 독립적으로 선택된 임의의 -LS-RS 및 R20 기로 임의로 치환된 6-원 아릴, 또는 5- 또는 6-원 고리, 헤테로고리, 또는 헤테로아릴 고리를 형성하고;
R5 및 R6은, (i) R5가 H, OH, -LS-RS, 및 OC1-6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6은 H, SO3H, -LS-RS, 질소 보호기, -L2-R28, 및 RA로부터 선택되거나; (ii) R5가 옥소 또는 H이고, R6은 H 또는 C1-6 알킬이거나; (iii) R5 및 R6은 함께 이중 결합을 형성하도록, 선택되고;
R7 및 R9는 독립적으로 H, -LS-RS, 및 R20으로부터 선택되고;
R8은 H, SR24, SCH2Ph, R20, L2-R28, 및 -LS-RS로부터 선택되고;
RA는 (CH2)j-OH, (CH2)j-CO2R26, C(=O)-O-(CH2)k-NR26R27, (CH2)jNR26R27, C(=O)-NH-(CH2)j-NR26R27, 및 C(=O)-NH-(CH2)k-C(=NH)NR26R27로부터 선택되고;
링커 L2는 결합이거나, C, N, O, S, 또는 할로겐으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200개의 비수소 원자를 갖는 링커 모이어티이며, 선택적으로, 에테르, 옥소, 카르복사미딜, 우레아닐, 분지형, 환형, 불포화, 헤테로시클릴,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모이어티를 포함하고;
R28은 아지드, 알킨, 바이설폰, 카르보하이드라지드, 하이드라진, 하이드록실아민, 요오드아세트아미드,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말레이미드, 포스핀, 피리도피리다진, 세미하이드라지드, 숙신이미딜 에스테르, 설포디클로로페놀 에스테르, 설포닐 할라이드, 설포숙신이미딜 에스테르, 4-설포테트라플루오로페닐 에스테르, 테트라플루오로페닐 에스테르, 티아졸, RA, O-(CH2)k-NR26R26, NHNH2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표적화제이되, 표적화제는 단백질, 단백질의 일 부분, 펩티드, 핵산, 또는 항체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29는 독립적으로, R20, R21, =CH2, =CH-(CH2)s-CH3, =CH-(CH2)s-R21, =O, (CH2)s-OR21, (CH2)s-CO2R21, (CH2)s-NR21R24, O-(CH2)t-NR21R24, NH-C(O)-R21, O-(CH2)t-NH-C(O)-R21, O-(CH2)t-C(O)-NH-R21, (CH2)s-SO2R21, O-SO2R21, (CH2)s-C(O)R21, 및 (CH2)s-C(O)NR21R24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20은 독립적으로, F, Cl, Br, (CH2)j-OH, C1-6 알킬, OC1-6 알킬, OCH2Ph, (CH2)j-CO2R26, O-(CH2)k-NR26R27, C(=O)-O-(CH2)k-NR26R27, C(=O)-NR26R27, (CH2)j-NR26R27, NR26NH2, C(=O)-NH-(CH2)j-NR26R27, C(=O)-NH-C6H4-(CH2)j-R26, C(=O)-NH-(CH2)k-C(=NH)NR26R27, -L2-R28, S(O)2-(C1-6 알킬), O-(CH2)k-O-(C1-6 알킬), (CH2)j-S(O)2-NR26R27, C(=NH)-O-(C1-6 알킬), (CH2)k-O-(C1-6 알킬), CN, NCO, Cy, C(O)-NH-(CH2)j-Cy, C(O)-Cy, NH-C(O)-NR26R27, 및
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j 및 s는 0, 1, 2, 3, 4, 5, 또는 6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각각의 k 및 t는 1, 2, 3, 4, 5, 또는 6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각각의 R21은 독립적으로, H, C1-12 알킬, C5-6 헤테로시클릴, C5-9 헤테로아릴, C6-15 헤테로아릴알킬, 페닐, 및 C7-12 아랄킬기로부터 선택되되;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알킬, 페닐, 및 아랄킬기는 1, 2 또는 3개의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임의의 R20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각각의 R24, R26, 및 R27은 독립적으로 H 및 C1-12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Cy는 독립적으로 C5-6 헤테로시클릴 또는 C5-6 헤테로아릴기로부터 선택되되, 헤테로시클릴 또는 헤테로아릴기는 1개 또는 2개의 R20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LS는 결합, 아미노산, 2 내지 6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티드 사슬, 하나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또는 삼중 결합을 함유할 수 있는 1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렌 사슬, 파라포름알데히드 사슬 -(OCH2)1-12-, 폴리에틸렌 글리콜 사슬 -(OCH2CH2)1-6-이며, 이들 사슬은 O, S, NH, C5-9 헤테로아릴렌, 페닐렌, 헤테로시클릴, 시클로알킬, 에테르, 옥소, 카복사미딜, 및/또는 우레타닐 모이어티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중단되거나 이를 임의로 혼입하되, C5-9 헤테로아릴렌, 페닐렌, 헤테로시클릴, 및/또는 시클로알킬 모이어티는 임의로 치환되고, 임의로, LS는 다음과 같고:
;
RS는 1가 당류 치환기, 바람직하게는 글리코실 또는 O-글리코실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LS는 또는 이고; 식 중
LC는 아미노산, 아미노산 유도체, 2 내지 6개의 아미노산 또는 아미노산 유도체를 갖는 펩티드 사슬, 하나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또는 삼중 결합을 함유할 수 있는 1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렌 사슬, 파라포름알데히드 사슬 -(OCH2)1-12-, 폴리에틸렌 글리콜 사슬 -(OCH2CH2)1-8-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를 포함하며, 이러한 사슬은 P, O, S, 및/또는 NH기, 및/또는 C5-9 헤테로아릴렌, 및/또는 페닐렌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중단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각각의 C5-9 헤테로아릴렌기 및/또는 각각의 페닐렌기는 임의로 치환되고;
RS는 1가 당류 치환기, 바람직하게는 글리코실 또는 O-글리코실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I)의 G 모이어티에서, R1, R2, R3, R4, R5, R6, R7, R8, 및 R9 중 적어도 하나는 -LS-RS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I)의 G 모이어티에서, R1은 -LS-RS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I)의 G 모이어티에서, R2는 RS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I)의 G 모이어티에서, R1은 -LS-RS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I)의 G 모이어티에서, R2는 RS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I)의 G 모이어티에서, R3은 -LS-RS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I)의 G 모이어티에서, R3은 RS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I)의 G 모이어티에서, R4는 -LS-RS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I)의 G 모이어티에서, R4는 RS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I)의 G 모이어티에서, R5는 -LS-RS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I)의 G 모이어티에서, R5는 RS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I)의 G 모이어티에서, R6은 -LS-RS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I)의 G 모이어티에서, R6은 RS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I)의 G 모이어티에서, R7은 -LS-RS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I)의 G 모이어티에서, R7은 RS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I)의 G 모이어티에서, R8은 -LS-RS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I)의 G 모이어티에서, R8은 RS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I)의 G 모이어티에서, R9는 -LS-RS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I)의 G 모이어티에서, R9는 RS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G-알킬화제 유닛 G는 화학식 (II)의 기를 포함하며:
식 중:
점선은 C1과 C2, C2와 C3, 및 C3와 C4 사이 중 하나 이상의 이중 결합의 임의의 존재를 나타내고;
물결선은 Q에 대한 부착 지점을 나타내고;
m은 0 또는 1이고;
R1,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H 및 R29로부터 선택되거나; R2는 H, L2-R28, R29, 및 -RS로부터 선택되거나, R1 및 R2, R2 및 R3, 또는 R3 및 R4 중 하나는 이들이 부착되는 탄소 원자와 함께 1, 2 또는 3개의 독립적으로 선택된 임의의 R20 기로 임의로 치환된 6-원 아릴, 또는 5- 또는 6-원 고리, 헤테로고리, 또는 헤테로아릴 고리를 형성하고;
R5 및 R6은, (i) R5가 H, OH 및 OC1-6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6은 H, SO3H, -LS-RS, 질소 보호기, -L2-R28, 및 RA로부터 선택되거나; (ii) R5가 옥소 또는 H이고, R6은 H 또는 C1-6 알킬이거나; (iii) R5 및 R6은 함께 이중 결합을 형성하도록, 선택되고;
R7 및 R9는 독립적으로 H 및 R20으로부터 선택되고;
R8은 H, SR24, SCH2Ph, R20, L2-R28, 및 RS로부터 선택되고;
RA는 (CH2)j-OH, (CH2)j-CO2R26, C(=O)-O-(CH2)k-NR26R27, (CH2)jNR26R27, C(=O)-NH-(CH2)j-NR26R27, 및 C(=O)-NH-(CH2)k-C(=NH)NR26R27로부터 선택되고;
링커 L2는 결합이거나, C, N, O, S, 또는 할로겐으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200개의 비수소 원자를 갖는 링커 모이어티이며, 선택적으로, 에테르, 옥소, 카르복사미딜, 우레아닐, 분지형, 환형, 불포화, 헤테로시클릴,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모이어티를 포함하고;
R28은 아지드, 알킨, 바이설폰, 카르보하이드라지드, 하이드라진, 하이드록실아민, 요오드아세트아미드,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말레이미드, 포스핀, 피리도피리다진, 세미하이드라지드, 숙신이미딜 에스테르, 설포디클로로페놀 에스테르, 설포닐 할라이드, 설포숙신이미딜 에스테르, 4-설포테트라플루오로페닐 에스테르, 테트라플루오로페닐 에스테르, 티아졸, RA, O-(CH2)k-NR26R26, NHNH2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표적화제이되, 표적화제는 단백질, 단백질의 일 부분, 펩티드, 핵산, 또는 항체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29는 독립적으로, R20, R21, =CH2, =CH-(CH2)s-CH3, =CH-(CH2)s-R21, =O, (CH2)s-OR21, (CH2)s-CO2R21, (CH2)s-NR21R24, O-(CH2)t-NR21R24, NH-C(O)-R21, O-(CH2)t-NH-C(O)-R21, O-(CH2)t-C(O)-NH-R21, (CH2)s-SO2R21, O-SO2R21, (CH2)s-C(O)R21, 및 (CH2)s-C(O)NR21R24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20은 독립적으로, F, Cl, Br, (CH2)j-OH, C1-6 알킬, OC1-6 알킬, OCH2Ph, (CH2)j-CO2R26, O-(CH2)k-NR26R27, C(=O)-O-(CH2)k-NR26R27, C(=O)-NR26R27, (CH2)j-NR26R27, NR26NH2, C(=O)-NH-(CH2)j-NR26R27, C(=O)-NH-C6H4-(CH2)j-R26, C(=O)-NH-(CH2)k-C(=NH)NR26R27, -L2-R28, S(O)2-(C1-6 알킬), O-(CH2)k-O-(C1-6 알킬), (CH2)j-S(O)2-NR26R27, C(=NH)-O-(C1-6 알킬), (CH2)k-O-(C1-6 알킬), CN, NCO, Cy, C(O)-NH-(CH2)j-Cy, C(O)-Cy, NH-C(O)-NR26R27, 및
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j 및 s는 0, 1, 2, 3, 4, 5, 또는 6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각각의 k 및 t는 1, 2, 3, 4, 5, 또는 6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각각의 R21은 독립적으로, H, C1-12 알킬, C5-6 헤테로시클릴, C5-9 헤테로아릴, C6-15 헤테로아릴알킬, 페닐, 및 C7-12 아랄킬기로부터 선택되되;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알킬, 페닐, 및 아랄킬기는 1, 2 또는 3개의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임의의 R20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각각의 R24, R26, 및 R27은 독립적으로 H 및 C1-12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Cy는 독립적으로 C5-6 헤테로시클릴 또는 C5-6 헤테로아릴기로부터 선택되되, 헤테로시클릴 또는 헤테로아릴기는 1개 또는 2개의 R20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LS는 결합, 아미노산, 2 내지 6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티드 사슬, 하나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또는 삼중 결합을 함유할 수 있는 1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렌 사슬, 파라포름알데히드 사슬 -(OCH2)1-12-, 폴리에틸렌 글리콜 사슬 -(OCH2CH2)1-6-이며, 이들 사슬은 O, S, NH, C5-9 헤테로아릴렌, 페닐렌, 헤테로시클릴, 시클로알킬, 에테르, 옥소, 카복사미딜, 및/또는 우레타닐 모이어티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중단되거나 이를 임의로 혼입하되, C5-9 헤테로아릴렌, 페닐렌, 헤테로시클릴, 및/또는 시클로알킬 모이어티는 임의로 치환되고, 임의로, LS는 다음과 같고:
;
RS는 1가 당류 치환기, 바람직하게는 글리코실 또는 O-글리코실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I)의 G 모이어티에서, R2, R6, 및 R8 중 적어도 하나는 -LS-RS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I)의 G 모이어티에서, R2는 -LS-RS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I)의 G 모이어티에서, R2는 RS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I)의 G 모이어티에서, R6은 -LS-RS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I)의 G 모이어티에서, R6은 RS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I)의 G 모이어티에서, R8은 -LS-RS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I)의 G 모이어티에서, R8은 RS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G-알킬화제 유닛 G는 화학식 (II-A)의 기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치환기는 위에 나타낸 정의를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G는 G1 내지 G8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G1);
(G2);
(G3);
(G4);
(G5);
(G6);
(G7); 및
(G8).
일부 구현예에서, G는 G1-A 내지 G8-A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G1-A);
(G2-A);
(G3-A);
(G4-A);
(G5-A);
(G6-A);
(G7-A); 및
(G8-A).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은 화학식 (IV)에 따른 화합물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V)에서, R2, R5, R6, 및 R8 중 적어도 하나는 -LS-RS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V)에서, R2는 -LS-RS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V)에서, R2는 RS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V)에서, R5는 -LS-RS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V)에서, R5는 RS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V)에서, R6은 -LS-RS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V)에서, R6은 RS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V)에서, R8은 -LS-RS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V)에서, R8은 RS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은 화학식 (IV-A)에 따른 화합물일 수 있으며:
여기에서 치환기는 위에 나타낸 정의를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은 다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일 수 있으며:
,
,
,
,
,
,
여기에서, RS는 1가 당류 치환기, 바람직하게는 글리코실 또는 O-글리코실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은 다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일 수 있으며:
여기에서, RS는 1가 당류 치환기, 바람직하게는 글리코실 또는 O-글리코실이다.
A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의 D 모이어티는 A-알킬화 DNA기인 A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문맥이 달리 요구하지 않는 한, A기의 세코 형태 및 스피로 형태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A의 세코 형태의 A기는 A기의 스피로 형태를 포함하고, A기의 스피로 형태는 A기의 세코 형태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A는 화학식 (IIIa) 또는 (IIIb)의 A-알킬화 DNA기이며:
식 중:
Z1은 이탈기, 선택적으로 할라이드, 트리플레이트, 또는 토실레이트이고;
X는 C-R17, N, N-R17, S 또는 O이고; X에 대한 점선은 X의 성질에 따른 이중 결합의 임의의 존재를 나타내고;
R17은 H, -LS-RS, 또는 R20이고;
z는 0 또는 1이고;
''''는 OH 또는 -LS-RS이고;
LS는 결합, 아미노산, 2 내지 6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티드 사슬, 하나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또는 삼중 결합을 함유할 수 있는 1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렌 사슬, 파라포름알데히드 사슬 -(OCH2)1-12-, 폴리에틸렌 글리콜 사슬 -(OCH2CH2)1-6-이며, 이들 사슬은 O, S, NH, C5-9 헤테로아릴렌, 페닐렌, 헤테로시클릴, 시클로알킬, 에테르, 옥소, 카복사미딜, 및/또는 우레타닐 모이어티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중단되거나 이를 임의로 혼입하되, C5-9 헤테로아릴렌, 페닐렌, 헤테로시클릴, 및/또는 시클로알킬 모이어티는 임의로 치환되고, 임의로, LS는 다음과 같고:
;
RS는 1가 당류 치환기, 바람직하게는 글리코실 또는 O-글리코실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IIa) 또는 (IIIb)의 A-알킬화 DNA기는 적어도 하나의 -LS-RS기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IIa)의 A 모이어티에서, X는 C-R17이고 R17은 -LS-RS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IIa)의 A 모이어티에서, X는 C-R17이고 R17은 RS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IIa)의 A 모이어티에서, X는 N-R17이고 R17은 -LS-RS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IIa)의 A 모이어티에서, X는 N-R17이고 R17은 RS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IIa)의 A 모이어티에서, ''''는 -LS-RS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IIa)의 A 모이어티에서, ''''는 RS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IIb)의 A 모이어티에서, X는 C-R17이고 R17은 -LS-RS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IIb)의 A 모이어티에서, X는 C-R17이고 R17은 RS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IIb)의 A 모이어티에서, X는 N-R17이고 R17은 -LS-RS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IIb)의 A 모이어티에서, X는 N-R17이고 R17은 RS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은 다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일 수 있으며:
여기에서, RS는 1가 당류 치환기, 바람직하게는 글리코실 또는 O-글리코실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은 다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일 수 있으며:
여기에서, RS는 1가 당류 치환기, 바람직하게는 글리코실 또는 O-글리코실이다.
본원의 목적을 위한 "수용체 인간 프레임워크"는 아래에 정의된 바와 같은, 인간 면역글로불린 프레임워크 또는 인간 컨센서스 프레임워크로부터 유래된 경쇄 가변 도메인(VL) 프레임워크 또는 중쇄 가변 도메인(VH) 프레임워크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프레임워크이다. 인간 면역글로불린 프레임워크 또는 인간 컨센서스 프레임워크로부터 "유래된" 수용체 인간 프레임워크는 이의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거나, 아미노산 서열 변경을 함유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아미노산 변경의 수는 10개 이하, 9개 이하, 8개 이하, 7개 이하, 6개 이하, 5개 이하, 4개 이하, 3개 이하, 또는 2개 이하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VL 수용체 인간 프레임워크는 VL 인간 면역글로불린 프레임워크 서열 또는 인간 컨센서스 프레임워크 서열과 동일한 서열을 갖는다.
"친화도"는 분자(예를 들어, 항체)의 단일 결합 부위와 이의 결합 파트너(예를 들어, 항원) 사이의 비공유 상호작용의 총 합의 강도를 지칭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결합 친화도"는 결합 쌍(예를 들어, 항체와 항원)의 구성원 사이의 1:1 상호작용을 반영하는 고유 결합 친화도를 지칭한다. 파트너 Y에 대한 분자 X의 친화도는 일반적으로 해리 상수(Kd)로 제시될 수 있다. 친화도는 본원에 기술된 방법을 포함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결합 친화도의 측정을 위한 특정 예로서의 예시적인 구현예가 다음에 기술된다.
"친화도 성숙" 항체는 하나 이상의 초가변 영역(HVR)에서 하나 이상의 변경을 갖는 항체를 지칭하며, 해당 변경을 보유하지 않는 부모 항체와 비교 시, 해당 변경은 항원에 대한 항체의 친화도를 개선시킨다.
본원에서의 용어 "항체"는 가장 넓은 의미로 사용되며, 단클론 항체, 다클론 항체, 다중특이적 항체(예를 들어, 이중특이적 항체), 및 원하는 항체 결합 활성을 나타내는 한 항체 단편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항체 구조를 포함한다.
"항체 단편"은 온전한 항체가 결합하는 항원에 결합하며, 온전한 항체의 일부를 포함하는, 온전한 항체 이외의 분자를 지칭한다. 항체 단편의 예는 다음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Fv, Fab, Fa'', Fa''-SH, F(a'')2; 디아바디; 선형 항체; 단쇄 항체 분자(예를 들어, scFv); 및 항체 단편으로부터 형성된 다중특이적 항체.
용어 "키메라" 항체는 중쇄 및/또는 경쇄의 일 부분이 특정 공급원 또는 종으로부터 유래되는 한편, 해당 중쇄 및/또는 경쇄의 나머지는 상이한 공급원 또는 종으로부터 유래되는 항체를 지칭한다.
항체의 "부류"는 이의 중쇄가 보유한 불변 도메인 또는 불변 영역의 유형을 지칭한다. 항체에는 다음의 5가지 주요 부류가 있다: IgA, IgD, IgE, IgG, 및 IgM, 그리고 이들 중 일부는 하위부류(이소형), 즉 예를 들어 IgGi, IgG2, IgG3, IgG4, IgAi, 및 IgA2로 추가로 분할될 수 있다. 면역글로불린의 상이한 부류에 상응하는 중쇄 불변 도메인은 각각 α, δ, ε, γ, 및 μ로 지칭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세포독성제"는 세포 기능을 억제 또는 방지하고/하거나 세포 사멸 또는 파괴를 유발하는 물질을 지칭한다. 세포독성제는 다음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방사성 동위원소(예를 들어, At211, I131, I125, Y90, Re186, Re188, Sm153, Bi212, P32, Pb212, 및 Lu의 방사성 동위원소); 화학요법제 또는 약물(예를 들어, 메토트렉세이트, 아드리아마이신, 빈카 알칼로이드(빈크리스틴, 빈블라스틴, 에토포시드), 독소루비신, 멜팔란, 미토마이신 C, 클로람부실, 다우노루비신, 또는 다른 삽입제(intercalating agent)); 성장 억제제; 핵용해 효소와 같은 효소 및 이의 단편; 항생제; 독소, 예컨대 소분자 독소 또는 박테리아, 진균, 식물 또는 동물 유래 효소적으로 활성인 독소(이의 단편 및/또는 변이체를 포함함); 및 아래에 개시된 다양한 항종양제 또는 항암제.
"병용 투여"란 2개 이상의 약물의 순차적 주입이 아닌, 동일한 투여 동안 2개(또는 그 이상)의 약물을 정맥내 투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이는 2개(또는 그 이상)의 약물을 병동 투여 전에 동일한 IV 백에 조합하는 단계를 수반하게 된다.
하나 이상의 다른 약물과 "동시" 투여되는 약물은 동일한 치료 주기 동안, 하나 이상의 다른 약물과 동일한 치료일에, 그리고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다른 약물과 동시에 투여된다. 예를 들어, 3주마다 투여되는 암 요법의 경우, 동시에 투여되는 약물은 각각 3주 주기의 -1일차에 투여된다.
"화학치료제"는 암의 치료에 유용한 화학적 화합물을 지칭한다. 화학요법제의 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알킬화제, 예컨대 티오테파 및 시클로스포스파미드(CYTOXAN®); 알킬 설포네이트, 예컨대 부설판, 임프로설판, 및 피포설판; 아지리딘, 예컨대 벤조도파, 카르보쿠온, 메트레도파, 및 엔도파; 알트레타민, 트리에틸렌멜라민, 트리에틸렌포스포라미드, 트리에틸렌티오포스포라미드, 및 트리메틸오멜아민을 포함하는 에틸렌이민 및 메틸아멜아민; 아세토게닌(특히 불라타신 및 불라타시논); 델타-9-테트라하이드로카나비놀(드로나비놀, MARINOL®); 베타-라파콘; 라파콜; 콜히친; 베툴린산; 캄프토테신(합성 유사체 토포테칸(HYCAMTIN®), CPT-11(이리노테칸, CAMPTOSAR®), 아세틸캄프토테신, 스코폴렉틴, 및 9-아미노캄프토테신 포함); 브리오스타틴; 칼리스타틴; CC-1065(아도젤레신, 카르젤레신, 및 비젤레신 합성 유사체 포함); 포도필로톡신; 포도필린산; 테니포시드; 크립토피신(특히 크립토피신 1 및 크립토피신 8); 돌라스타틴; 듀오카마이신(합성 유사체, KW-2189 및 CB1-TM1 포함); 엘루테로빈; 판크레티스타틴; 사르코딕티인; 스폰지스타틴; 질소 머스타드, 예컨대 클로람부실, 클로르나파진, 클로로포스파미드, 에스트라무스틴, 이포스파미드, 메클로레타민, 메클로레타민 산화물 염산염, 멜팔란, 노벰비친, 페네스테린, 프레드니무스틴, 트로포스파미드, 우라실 머스타드; 니트로소우레아, 예컨대 카르무스틴, 클로로조토신, 포테무스틴, 로무스틴, 니무스틴, 및 라니무스틴; 항생제, 예컨대 에네디엔 항생제(예를 들어, 칼리키아미신, 특히 칼리키아미신 감마1l 및 칼리키아미신 오메갈1(예를 들어, Nicolaou 등의 문헌[Angew. Chem Intl. Ed. Engl., 33 : 183-186 (1994)] 참조); CDP323, 경구 알파-4 인테그린 억제제; 다이니미신 A를 포함하는 다이니미신; 에스페라마이신; 그리고 네오카르지노스타틴 발색단 및 관련 발색단백질 에네디엔 항생제 발색단 포함), 아클라시노마이신, 액티노마이신, 오트라마이신, 아자세린, 블레오마이신, 탁티노마이신, 카라비신, 카르미노마이신, 카르지노필린, 크로모마이신, 닥티노마이신, 다우노루비신, 데토루비신, 6-디아자-5-옥소-L-노르류신, 독소루비신(ADRIAMYCIN®, 모르폴리노-독소라이신, 시아노모르폴리노- 독소루비신, 2-피롤리노-독소라이신, 독소루비신 HCl 리포좀 주사(DOXIL®), 리포솜 독소루비신 TLC D-99(MYOCET®), 페길화 리포솜 독소루비신(CAELYX®), 및 데옥시독소루비신 포함), 에피루비신, 에소루비신, 이다루비신, 마르셀로마이신, 미토마이신, 예컨대 미토마이신 C, 미코페놀산, 노갈라마이신, 올리보마이신, 페플로마이신, 포르피로마이신, 푸로마이신, 켈라마이신, 로도루비신, 스트렙토니그린, 스트렙토조신, 투베르시딘, 유베니멕스, 지노스타틴, 조루비신; 항-대사물, 예컨대 메토트렉세이트, 젬시타빈(GEMZAR®), 테가푸드(UFTORAL®), 카페시타빈(XELODA®), 에포틸론, 및 5-플루오로우라실(5-FU); 엽산 유사체, 예컨대 데노프테린, 메토트렉세이트, 프테로프테린, 트리메트렉세이트; 푸린 유사체, 예컨대 플루다라빈, 6-메르캅토푸린, 티아미프린, 티오구아닌; 피리미딘 유사체, 예컨대 안시타빈, 아자시티딘, 6-아자우리딘, 카르모푸르, 시타라빈, 디데옥시우리딘, 도시플루리딘, 에노시타빈, 플록수리딘; 안드로겐, 예컨대 칼루스테론, 드로모스타놀론 프로피오네이트, 에피토스타놀, 메피토스테인, 테스토락톤; 항-부신제, 예컨대 아미노글루테티미드, 미토탄, 트릴로스탄; 엽산 보충제, 예컨대 프롤린산; 아세글라톤; 알도포스파미드 글리코시드; 아미노레불린산; 에닐우라실; 암사크린; 베스트라부실; 비산트렌; 에다트렉세이트; 디포파민; 데메콜신; 디아지쿠온; 엘포니틴; 엘립티늄 아세테이트; 에포틸론; 에토글루시드; 질산갈륨; 하이드록시우레아; 렌티난; 로니다이닌; 메이탄시노이드, 예컨대 메이탄신 및 안사미토신; 미토구아존; 미톡산트론; 모피단몰; 니트라에린; 펜토스타틴; 페나메트; 피라루비신; 로속산트론; 2- 에틸하이드라지드; 프로카르바진; PSK® 다당류 복합체(JHS Natural Products, 유진, OR); 라족산; 리곡신; 시조피란; 스피로게르마늄; 테누아존산; 트리아지쿠온; 2,2',2'-트리클로로트리에틸아민; 트리코테센(특히 T-2 독소, 베라쿠린 A, 로리딘 A, 및 안기딘); 우레탄; 빈데신(ELDISINE®, FILDESIN®); 다카르바진; 만노무스틴; 미토브로니톨; 미톨락톨; 피포브로만; 가시토신; 아라비노시드("Ara-""); 티오테파; 탁소이드, 예를 들어, 파클리탁셀(TAXOL®), 파클리탁셀의 알부민-조작 나노입자 제형(ABRAXANETM), 및 도세탁셀(TAXOTERE®); 클로란부실; 6-티오구아닌; 메르캅토푸린; 메토트렉세이트; 백금 제제, 예컨대 시스플라틴, 옥살리플라틴(예를 들어, ELOXATIN®), 및 카보플라틴; 빈블라스틴(VELBAN®), 빈크리스틴(ONCOVIN®), 빈데신 (ELDISINE®, FILDESIN®), 및 비노렐빈(NAVELBINE®)을 포함하는 빈카스(투불린 중합이 미세소관을 형성하는 것을 방지함; 에토포시드(VP-16); 이포스파마이드; 미톡산트론; 류코보린; 노반트론; 에다트렉세이트; 다우노마이신; 아미노프테린; 이반드로네이트; 국소이성화효소 억제제 RFS 2000; 디플루오로메틸 오르니틴(DMFO); 벡사로텐(TARGRETIN®)을 포함하는 레티노이드, 예컨대 레티노산; 비스포스포네이트, 예컨대 클로드로네이트(예를 들어, BONEFOS® 또는 OSTAC®), 에티드로네이트(DIDROCAL®), NE-58095, 졸레드론산/졸레드로네이트(ZOMETA®), 알렌드로네이트(FOSAMAX®), 파미드로네이트(AREDIA®), 티루드로네이트(SKELID®), 또는 리제드로네이트(ACTONEL®); 트록사시타빈(1,3-디옥솔란 뉴클레오시드 시토신 유사체);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특히 비정상적인 세포 증식에 관여하는 신호 전달 경로에서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들, 예컨대, 예를 들어, PKC-알파, Raf, H-Ras, 및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EGF-R); 백신, 예컨대 THERATOPE® 백신 및 유전자 요법 백신, 예를 들어, ALLOVECTIN® 백신, LEUVECTIN® 백신, 및 VAXID® 백신; 국소이성화효소 1 억제제(예를 들어, LURTOTECAN®); rmRH(예를 들어, ABARELIX®); BAY439006(소라페닙; Bayer); SU-11248(수니티닙, SUTENT®, Pfizer); 페리포신, COX-2 억제제(예를 들어, 셀레콕시브 또는 에토리콕시브), 프로테오좀 억제제(예를 들어, PS341); 보르테조밉(VELCADE®); CCI-779; 티피파르닙(R11577); 오라페닙, ABT510; Bcl-2 억제제, 예컨대 오블리메르센 나트륨(GENASENSE®); 픽산트론; EGFR 억제제;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 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 억제제, 예컨대 라파마이신(시롤리무스, RAPAMUNE®); 파네실전이효소 억제제, 예컨대 로나파닙(SCH 6636, SARASARTM); 및 전술한 것들 중 어느 하나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산, 또는 유도체; 전술한 것들 중 2개 이상의 조합, 예컨대 CHOP(시클로포스파마이드, 독소루비신, 빈크리스틴, 및 프레드니솔론의 병용 요법의 약어); 및 FOLFOX(옥살리플라틴(ELOXATINTM)과 5-FU 및 류코보린을 조합한 치료 요법의 약어).
본원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요법제는 암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호르몬의 효과를 조절, 감소, 차단, 또는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항-호르몬제" 또는 "내분비 치료제"를 포함한다. 이들은 다음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호르몬 자체일 수 있다: 타목시펜(NOLVADEX®), 4-하이드록시타목시펜, 토레미펜(FARESTON®), 이독시펜, 드롤록시펜, 랄록시펜(EVISTA®), 트리옥시펜, 케옥시펜, 및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SERM) 예컨대 SERM3을 포함하는 혼합 작용제/길항제 프로파일을 갖는 항-에스트로겐; 작용제 특성이 없는 순수 항-에스트로겐, 예컨대 풀베스트란트(FASLODEX®), 및 EM800(이러한 제제는 에스트로겐 수용체(ER) 이량체화를 차단하고/하거나, DNA 결합을 억제하고/하거나, ER 턴오버를 증가시키고/시키거나, ER 수준을 억제함); 포르메스탄 및 엑세메스탄(AROMASIN®)과 같은 스테로이드 아로마타제 억제제, 및 아나스트라졸(ARFMIDEX®), 레트로졸(FEMARA®), 및 아미노글루테티미드와 같은 비스테로이드성 아로마타제 억제제, 및 다른 아로마타제 억제제(보로졸(RIVISOR®), 메게스트롤 아세테이트(MEGASE®), 파드로졸, 및 4(5)-이미다졸을 포함함)을 포함하는 아로마타제 억제제; 루프롤리드(LUPRON® 및 ELIGARD®), 고세렐린, 부세렐린, 및 트리프테렐린을 포함하는 황체형성 호르몬 방출 호르몬 작용제; 메게스트롤 아세테이트 및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아세테이트와 같은 프로게스틴, 디에틸스틸베스트롤 및 프레마린과 같은 에스트로겐, 및 플루옥시메스테론, 모든 트랜스레티온산 및 펜레티니드와 같은 안드로겐/레티노이드를 포함하는 성 스테로이드; 오나프릴스톤; 항-프로게스테론; 에스트로겐 수용체 하향 조절자(ERD); 항-안드로겐, 예컨대 플루타미드, 닐루타미드 및 비칼루타미드; 및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산 ,또는 유도체; 그리고 전술한 것들 중 2개 이상의 조합.
"약물", "약물 물질", "활성 약학적 성분" 등은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예를 들어, 화학식 (I), 화학식 (IV)의 화합물, 및 본원에 제시된 다른 화학식의 화합물, 및 위에서 구체적으로 명명된 화합물)을 지칭한다.
"접합체"는 다음을 포함하는 화합물 또는 작제물을 지칭한다: (a) 화학식 (I), 화학식 (IV)의 적어도 하나의 약물 화합물, 및 본원에 제시된 다른 화학식의 화합물, 및 위에서 구체적으로 명명된 화합물, 및 (b) 적어도 하나의 표적화제(예를 들어, 단백질, 단백질의 일부, 펩티드, 핵산, 항체, 항체 단편, 호르몬 등).
"효과기 기능"은 항체의 Fc 영역에 기인하는 생물학적 활성을 지칭하며, 이는 항체 이소형에 따라 다양하다. 항체 효과기 기능의 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Clq 결합 및 보체 의존성 세포독성(CDC); Fc 수용체 결합; 항체 의존성 세포 매개 세포독성(ADCC); 식균작용; 세포 표면 수용체(예를 들어, B 세포 수용체)의 하향 조절; 및 B 세포 활성화.
용어 "에피토프"는 항체가 결합하는 항원 분자 상의 특정 부위를 지칭한다.
"에피토프 4D5" 또는 "4D5 에피토프" 또는 "4D5"는 항체 4D5(ATCC CRL 10463) 및 트라스투주맙이 결합하는 HER2의 세포외 도메인의 영역이다. 이러한 에피토프는 HER2의 막관통 도메인에 근접하며, HER2의 도메인 IV 내에 있다. 4D5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항체의 스크리닝을 위해, 문헌[Antibodies,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Ed Harlow 및 David Lane (1988)]에 기술된 것과 같은 통상적인 교차 차단 검정이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항체가 HER2의 4D5 에피토프(예를 들어, HER2(서열번호 39)의 대략적으로 잔기 550 내지 대략적으로 잔기 610의 영역 내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잔기)에 결합하는지의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에피토프 맵핑이 수행될 수 있다.
"에피토프 2C4" 또는 "2C4 에피토프"는 항체 2C4가 결합하는 HER2의 세포외 도메인의 영역이다. 2C4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항체의 스크리닝을 위해, 문헌[Antibodies,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Ed Harlow 및 David Lane (1988)]에 기술된 것과 같은 통상적인 교차 차단 검정이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항체가 HER2의 2C4 에피토프에 결합하는지의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에피토프 맵핑이 수행될 수 있다. 에피토프 2C4는 HER2의 세포외 도메인에 도메인 II로부터의 잔기를 포함한다. 2C4 항체 및 퍼투주맙은 도메인 I, II, 및 III의 접합부에서 HER2의 세포외 도메인에 결합한다(Franklin 등의 문헌[Cancer Cell 5:317-328 (2004)]). 항-HER2 쥣과 항체 7C2는 HER2의 도메인 I의 에피토프에 결합한다. 예를 들어, PCT 공개 번호 WO 98/17797을 참조한다. 이러한 에피토프는 HER2의 도메인 IV에 결합하는 트라스투주맙에 의해 결합된 에피토프, 및 HER2의 도메인 II에 결합하는 퍼투주맙에 의해 결합된 에피토프와 구별된다. 도메인 IV에 결합함으로써, 트라스투주맙은 리간드-독립적 HER2-HER3 복합체를 파괴함으로써, 하류 신호전달(예를 들어, PI3K/AKT)을 억제한다. 대조적으로, 도메인 II에 대한 퍼투주맙 결합은 다른 HER 계열 구성원(예를 들어, HER3, HERl 또는 HER4)과의 리간드 유도 HER2 상호작용을 방지하며, 이에 따라 하류 신호전달을 또한 방지한다. 도메인 I에 대한 mAb 7C2의 결합은 각각 도메인 IV 및 II에 대한 트라스투주맙 또는 퍼투주맙 결합의 간섭을 야기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mAb 7C2 ADC를 트라스투주맙, 트라스투주맙 엠탄신(T-DM-1), 및/또는 퍼투주맙과 조합될 가능성을 제공한다. 쥣과 항체 7C2, 7C2.B9는 PCT 공개 번호 WO 98/17797호에 기술되어 있다. 항-HER2 7C2 인간화 항체는 WO2016/040723 Al에 개시되어 있다.
"부형제"는 약물의 생체이용률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약학적으로 비활성인 임의의 물질을 지칭한다.
본원에서의 용어 "Fc 영역"은 불변 영역의 적어도 일 부분을 함유하는 면역글로불린 중쇄의 C-말단 영역을 정의하는 데 사용된다. 해당 용어는 고유 서열 Fc 영역 및 변이체 Fc 영역을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인간 IgG 중쇄 Fc 영역은 Cys226으로부터, 또는 Pro230으로부터 중쇄의 카르복실 말단까지 연장된다. 그러나, Fc 영역의 C-말단 리신(Lys447)은 존재할 수도 있고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원에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Fc 영역 또는 불변 영역에서의 아미노산 잔기의 넘버링은, Kabat 등의 문헌[Sequences of Proteins of Immunological Interest, 제5판, Public Health Servic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Bethesda, MD, 1991]에 기술된 바와 같은, EU 넘버링 시스템(EU 인덱스로도 지칭됨)에 따른다.
"프레임워크" 또는 "FR"은 초가변 영역(HVR) 잔기 이외의 가변 도메인 잔기를 지칭한다. 가변 도메인의 FR은 일반적으로 4개의 FR 도메인으로 이루어진다: FR1, FR2, FR3, 및 FR4. 따라서, HVR 및 FR 서열은 일반적으로 VH(또는 VL)에서 다음의 서열로 나타난다: FR1-H1(L1)-FR2-H2(L2)-FR3-H3(L3)-FR4.
용어 "전장 항체", "온전한 항체", 및 "전체 항체"는 천연 항체 구조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조를 갖거나 본원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Fc 영역을 함유하는 중쇄를 갖는 항체를 지칭하는 것으로 본원에서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용어 "숙주 세포", "숙주 세포주", 및 "숙주 세포 배양물"은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되며, 이는 이러한 세포의 자손을 포함하여, 외인성 핵산이 도입된 세포를 지칭한다. 숙주 세포는 "형질전환체" 및 "형질전환 세포"를 포함하며, 이는 계대 수와 관계없이 일차 형질전환된 세포 및 이로부터 유래된 자손을 포함한다. 자손은 부모 세포와 핵산 함량이 완전히 동일하지 않을 수 있지만, 돌연변이를 함유할 수 있다. 원래의 형질전환된 세포에서 스크리닝되거나 선택된 것과 동일한 기능 또는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돌연변이 자손이 본원에 포함된다.
"인간 항체"는 인간 또는 인간 세포에 의해 생성되거나 인간 항체 레퍼토리 또는 다른 인간 항체 암호화 서열을 이용하는 비인간 공급원으로부터 유래된 항체의 아미노산 서열에 상응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보유하는 항체이다. 인간 항체의 이러한 정의는 비인간 항원 결합 잔기를 포함하는 인간화 항체를 구체적으로 배제한다.
"인간 컨센서스 프레임워크"는 인간 면역글로불린 VL 또는 VH 프레임워크 서열의 선택에 있어서 가장 통상적으로 발생하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는 프레임워크이다. 일반적으로, 인간 면역글로불린 VL 또는 VH 서열의 선택은 가변 도메인 서열의 하위그룹으로부터 유래한다. 일반적으로, 서열의 하위그룹은 Kabat 등의 문헌[Sequences of Proteins of Immunological Interest, 제5판, NIH Publication 91-3242, Bethesda MD (1991), vols. 1-3]의 하위그룹이다. 일 구현예에서, VL의 경우, 하위그룹은 Kabat 등의 문헌(전술함)에 기술된 바와 같은 하위그룹 카파 I이다. 일 구현예에서, VH의 경우, 하위그룹은 Kabat 등의 문헌(전술함)에 기술된 바와 같은 하위그룹 III이다.
"인간화" 항체는 비인간 HVR로부터의 아미노산 잔기 및 인간 FR로부터의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하는 키메라 항체를 지칭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인간화 항체는 적어도 하나, 및 통상적으로 2개의 가변 도메인의 실질적으로 전부를 포함할 것이며, 여기에서 HVR(예를 들어, "상보성 결정 영역", CDR)의 전부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는 비인간 항체의 것에 상응하고, FR의 전부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는 인간 항체의 것에 상응한다. 인간화 항체는 선택적으로, 인간 항체로부터 유래된 항체 불변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항체, 예를 들어, 비인간 항체의 "인간화 형태"는 인간화를 거친 항체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초가변 영역" 또는 "HVR"은 서열이 초가변이고/이거나 구조적으로 정의된 루프("초가변 루프")를 형성하는 항체 가변 도메인의 각각의 영역을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천연 4쇄 항체는 6개의 HVR, 즉 VH의 3개(H1, H2, H3) 및 VL의 3개(L1, L2, L3)를 포함한다. HVR은 일반적으로 초가변 루프 및/또는 CDR로부터의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하며, 후자는 가장 높은 서열 변동성을 갖고/갖거나 항원 인식에 관여한다. 예시적인 초가변 루프는 아미노산 잔기 26~32(L1), 50~52(L2), 91~96(L3), 26~32(H1), 53~55(H2), 및 96~101(H3)에서 발생한다. (Chothia 및 Lesk의 문헌[J. Mol. Biol. 196:901-917 (1987)]. 예시적인 CDR(CDR-L1, CDR-L2, CDR-L3, CDR-H1, CDR-H2, 및 CDR-H3)은 L1의 아미노산 잔기 24~34, L2의 아미노산 잔기 50~56, L3의 아미노산 잔치 89~97, H1의 아미노산 잔기 31~35B, H2의 아미노산 잔기 50~65, 및 H3의 아미노산 잔기 95~102에서 발생한다. (Kabat 등의 문헌[Sequences of Proteins of Immunological Interest, 제5판. Public Health Servic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Bethesda, MD (1991)]). VH에서의 CDR1을 제외하고, CDR은 일반적으로 초가변 루프를 형성하는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한다. CDR은 또한 항원과 접촉하는 잔기인 "특이성 결정 잔기" 또는 "SDR"을 포함한다. SDR은 약칭-CDR 또는 a-CDR로 지칭되는 CDR의 영역 내에 포함된다. 예시적인 a-CDR(a-CDR-L1, a-CDR-L2, a-CDR-L3, a-CDR-H1, a-CDR-H2, 및 a-CDR-H3)은 LI의 아미노산 잔기 31~34, L2의 아미노산 잔기 50~55, L3의 아미노산 잔기 89~96, HI의 아미노산 잔기 31~35B, H2의 아미노산 잔기 50~58, 및 H3의 아미노산 잔기 95~102에서 발생한다. (Almagro 및 Fransson의 문헌[Front. Biosci. 13 : 1619- 1633 (2008)]).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가변 도메인의 HVR 잔기 및 다른 잔기(예를 들어, FR 잔기)는 전술한 Kabat 등의 문헌의 넘버링 시스템을 따른다.
"면역접합체"는 세포독성제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이종 분자(들)에 접합된 항체이다.
보조 요법에 대해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면역억제제"는 본원에서 치료되는 포유동물의 면역계를 억제 또는 마스킹 작용을 하는 물질을 지칭한다. 이는 사이토카인 생성을 억제하거나, 자가 항원 발현을 하향 조절 또는 억제하거나, MHC 항원을 마스킹하는 물질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제의 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2-아미노-6-아릴-5-치환된 피리미딘(미국 특허 제4,65,077호 참조);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 간시클로비르, 타크롤리무스,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예컨대 코르티솔 또는 알도스테론, 항염증제, 예컨대 시클로옥시게나아제 억제제, 5- 리폭시게나아제 억제제, 또는 류코트리엔 수용체 길항제; 푸린 길항제, 예컨대 아자티오프린 또는 미코페놀레이트 모페틸(MMF); 알킬화제, 예컨대 시클로포스파미드; 브로모크립틴; 다나졸; 답손; 글루타르알데히드(미국 특허 제4,120,649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MHC 항원을 마스킹함); MHC 항원 및 MHC 단편에 대한 항-이디오타입 항체; 시클로스포린 A; 스테로이드, 예컨대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또는 글루코코르티코스테로이드, 또는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유사체, 예를 들어, SOLU-MEDROL® 메틸프레드니솔론 숙신산나트륨, 및 덱사메타손스테로이드를 포함하여, 프레드니손, 메틸프레드니솔론; 디하이드로폴레이트 환원효소 억제제, 예컨대 메토트렉세이트(경구 또는 피하); 항말라리아제, 예컨대 클로로퀸 및 하이드록시클로로퀸; 설파살라진; 레플루노미드; 항-인터페론-알파, -베타, 또는 -감마 항체, 항종양 괴사 인자(TNF)-알파 항체(인플릭시맙(REMICADE®) 또는 아달리무맙), 항-TNF-알파 면역아데신(에타너셉트), 항-TNF-베타 항체, 항-인터류킨-2(IL-2) 항체 및 항-IL-2 수용체 항체, 및 항-인터류킨-6(IL-6) 수용체 항체 및 길항제(예컨대 ACTEMRATM(토실리주맙))을 포함하는 사이토카인 또는 사이토카인 수용체 항체; 항-CD11a 및 항-CD18 항체를 포함하는 항-LFA-1 항체; 항-L3T4 항체; 이종 항림프구 글로불린; pan-T 항체, 바람직하게는 항-CD3 또는 항-CD4/CD4a 항체; LFA-3 결합 도메인을 함유하는 가용성 펩티드(WO 90/08187); 스트렙토키나아제; 형질전환 성장 인자 베타(TGF 베타); 스트렙토도르나아제; 숙주로부터의 RNA 또는 DNA; FK506; RS-61443; 클로람부실; 데옥시스페르구알린; 라파마이신; T 세포 수용체(Cohen 등, 미국 특허 제5,114,721호); T 세포 수용체 단편(Offner 등의 문헌[Science, 251 : 430-432 (1991)]; WO 90/11294; Ianeway의 문헌[Nature, 341 : 482 (1989]); 및 WO 91/01133); BAFF 길항제, 예컨대 BAFF 항체 및 BR3 항체 및 zTNF4 길항제(이에 대한 검토로서, Mackay 및 Mackay의 문헌[Trends Immunol, 23 : 113-5 (2002)] 및 아래의 정의 참조); T 세포 헬퍼 신호를 방해하는 생물학적 제제, 예컨대 CD40-CD40 리간드에 대한 차단 항체(예를 들어, Durie 등의 문헌[Science, 261 : 1328-30 (1993)]; Mohan 등의 문헌[J. Immunol, 154: 1470- 80 (1995)]) 및 CTLA4-Ig에 대한 차단 항체(Finck 등의 문헌[Science, 265: 1225-7 (1994)])를 포함하는 항-CD40 수용체 또는 항-CD40 리간드(CD 154); 및 T-세포 수용체 항체(EP 340,109), 예컨대 T10B9. 본원에서의 일부 바람직한 면역억제제는 시클로포스파미드, 클로람부실, 아자티오프린, 레플루노미드, MMF, 또는 메토트렉세이트를 포함한다.
"단리된 항체"는 자연 환경에서의 성분으로부터 분리된 항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는, 예를 들어 전기영동(예를 들어, SDS-PAGE, 등전점 전기영동(IEF), 모세관 전기영동) 또는 크로마토그래피(예를 들어, 이온 교환 또는 역상 HPLC)로 결정 시, 95% 또는 99%를 초과하는 순도로 정제된다. 항체 순도의 평가를 위한 방법의 검토에 대해, 예를 들어, Flatman 등의 문헌[J. Chromatogr. B 848:79-87 (2007)]을 참조한다.
"단리된 핵산"은 천연 환경의 성분으로부터 분리된 핵산 분자를 지칭한다. 단리된 핵산은 통상적으로 핵산 분자를 함유하는 세포에 함유된 핵산 분자를 포함하지만, 핵산 분자는 염색체외에 존재하거나 이의 천연 염색체 위치와 상이한 염색체 위치에 존재한다.
"항체를 암호화하는 단리된 핵산"은 항체 중쇄 및 경쇄(또는 이의 단편)를 암호화하는 하나 이상의 핵산 분자를 지칭하며, 이는 단일 벡터 또는 별도의 벡터 내의 해당 핵산 분자(들) 및 숙주 세포의 하나 이상의 위치에 존재하는 해당 핵산 분자(들)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인간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 2"(HER2)는 세포에서 HER2 전구체 단백질의 프로세싱으로부터 기인하는 임의의 고유하고 성숙한 HER2를 지칭한다. 해당 용어는 일반적으로 정상 세포 성장에 관여하는 단백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인간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 2는 유방암, 난소암, 방광암, 췌장암, 및 위암을 포함하는 일부 유형의 암세포에 의해 정상보다 더 많은 양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는 암세포를 보다 빠르게 성장시키고 신체의 다른 부위로 확산시킬 수 있다. 해당 용어는 본원에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영장류(예를 들어, 인간 및 시노몰구스 원숭이) 및 설치류(예를 들어, 마우스 및 랫트)와 같은 포유동물을 포함하는 임의의 척추동물 공급원으로부터의 HER2를 포함한다. 해당 용어는 또한 HER2의 자연 발생 변이체, 예를 들어, 스플라이스 변이체 또는 대립유전자 변이체를 포함한다. 신호 서열을 갖는(신호 서열, 아미노산 1~22를 갖는) 예시적인 인간 HER2 전구체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번호 64에 제시되어 있다. 예시적인 성숙 인간 HER2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번호 64의 아미노산 23~1255이다.
용어 "HER2 양성 세포"는 표면 상에서 HER2를 발현하는 세포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단클론 항체"는 실질적으로 균질한 항체의 집단으로부터 수득된 항체를 지칭하며, 즉, 해당 집단을 구성하는 개별 항체는 동일한 에피토프에 대해 동일하고/하거나 이에 결합하지만, 자연 발생 돌연변이를 함유하거나 단클론 항체 제제의 생산 중에 발생하는 가능한 변이체 항체는 예외로 한다(이러한 변이체는 일반적으로 소량의 양으로 존재함). 상이한 결정인자(에피토프)에 대해 유도된 상이한 항체를 일반적으로 포함하는 다클론 항체 제제와 대조적으로, 단클론 항체 제제의 각각의 단클론 항체는 항원 상의 단일 결정인자에 대해 유도된다. 따라서, 조절제 "단클론"은 항체의 특성이 실질적으로 균질한 항체 집단으로부터 수득된다는 것을 나타내며, 임의의 특정 방법에 의한 항체의 생산을 필요로 한다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 따라 사용되는 단클론 항체는 다음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다양한 기술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하이브리도마 방법, 재조합 DNA 방법, 파지-디스플레이 방법, 및 인간 면역글로불린 유전자좌의 전부 또는 일부를 함유하는 유전자이식 동물을 이용하는 방법, 예컨대 이러한 방법 및 본원에 기술된 단클론 항체를 제조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방법.
"네이키드 항체"는 이종 모이어티(예를 들어, 세포독성 모이어티) 또는 방사성표지에 접합되지 않은 항체를 지칭한다. 네이키드 항체는 약학적 제형 중에 존재할 수 있다.
"천연 항체"는 다양한 구조를 갖는 자연 발생 면역글로불린 분자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천연 IgG 항체는 이황화 결합된 2개의 동일한 경쇄 및 2개의 동일한 중쇄로 이루어진 약 150,000 달톤의 이종 사량체 당단백질이다. N-말단으로부터 C-말단까지, 각각의 중쇄는 가변 중쇄 도메인 또는 중쇄 가변 도메인으로도 불리는 가변 영역(VH)을 가지며, 이에 이어서 3개의 불변 도메인(CHI, CH2, 및 CH3)을 갖는다. 유사하게, N-말단으로부터 C-말단까지, 각각의 경쇄는 가변 경쇄 도메인 또는 경쇄 가변 도메인으로도 불리는 가변 영역(VL)을 가지며, 이에 이어서 불변 경쇄(CL) 도메인을 갖는다. 항체의 경쇄는 이의 불변 도메인의 아미노산 서열에 기초하여, 카파(κ) 및 람다(λ)로 지칭되는 2개의 유형 중 하나에 할당될 수 있다.
기준 폴리펩티드 서열에 대한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백분율(%)"은, 서열을 정렬하고, 필요한 경우, 최대 서열 동일성을 달성하기 위해 갭을 도입한 후, 기준 폴리펩티드 서열의 아미노산 잔기와 동일한 후보 서열에서의 아미노산 잔기의 백분율로서 정의되며, 여기에서 임의의 보존적 치환은 서열 동일성의 일부로서 고려되지 않는다.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백분율을 결정하기 위한 정렬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BLAST, BLAST-2, ALIGN, 또는 Megalign(DNASTAR) 소프트웨어와 같은 공개적으로 이용 가능한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당업자는, 비교되는 서열의 전체 길이에 걸쳐 최대 정렬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임의의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서열의 정렬을 위한 적절한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본원의 목적을 위해,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백분율(%) 값은 서열 비교 컴퓨터 프로그램 ALIGN-2를 사용하여 생성된다. ALIGN-2 서열 비교 컴퓨터 프로그램은 Genentech, Inc.에서 개발되었으며, 해당 소스 코드는 미국 저작권청(U.S. Copyright Office), Washington D.C., 20559의 사용자 문서와 함께 출원되었으며, 미국 저작권 등록 번호(U.S. Copyright Registration) TXU510087로 등록되어 있다. ALIGN-2 프로그램은 Genentech, Inc.(South San Francisco, California)로부터 공개적으로 이용 가능하거나, 해당 소스 코드로부터 컴파일링될 수 있다. 디지털 UNIX V4.0D를 포함하는 UNIX 운영 체제에서 사용하기 위해, ALIGN-2 프로그램은 컴파일링되어야 한다. 모든 서열 비교 파라미터는 ALIGN-2 프로그램에 의해 설정되며, 이는 변경되지 않는다. 아미노산 서열 비교를 위해 ALIGN-2가 사용되는 상황 하에서, 주어진 아미노산 서열 B에 대한, 아미노산 서열 B의, 또는 아미노산 서열 B에 대응하는, 주어진 아미노산 서열 A(이는 대안적으로, 주어진 아미노산 서열 B에 대한, 아미노산 서열 B의, 또는 아미노산 서열 B에 대응하는 소정의 아미노산 서열 백분율(%)을 갖거나 포함하는 주어진 아미노산 서열 A라는 문구로 표현될 수 있음)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X/Y 분획의 100배
여기에서, X는 A 및 B의 해당 프로그램의 정렬에서 서열 정렬 프로그램 ALIGN-2에 의해 동일한 일치로 채점된 아미노산 잔기의 수이고, Y는 B에서의 아미노산 잔기의 총 수이다. 아미노산 서열 A의 길이가 아미노산 서열 B의 길이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B에 대한 A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백분율(%)은 A에 대한 B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q백분율(%)과 동일하지 않을 것이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원에 사용된 모든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백분율(%)값은 ALIGN-2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바로 이전 단락에 기술된 바와 같이 수득된다.
용어 "PD-1 축 결합 길항제"는 PD-1 신호전달 축에 대한 신호전달로 인한 T 세포 기능장애를 제거하기 위해 PD-1 축 결합 파트너 중 하나 이상의 이의 결합 파트너와의 상호작용을 억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T 세포 기능(예를 들어, 증식, 사이토카인 생성, 표적 세포 살해)을 회복시키거나 강화시키는 분자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PD-1 축 결합 길항제는 PD-1 결합 길항제, PD-L1 결합 길항제, 및 PD-L2 결합 길항제를 포함한다.
용어 "PD-1 결합 길항제"는 PD-1의 PD-L1, PD-L2와 같은 이의 결합 파트너 중 하나 이상과의 상호작용으로부터 생성된 신호 전달을 감소, 차단, 억제, 제거, 또는 방해하는 분자를 지칭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PD-1 결합 길항제는 PD-1의 이의 결합 파트너 중 하나 이상에 대한 결합을 억제하는 분자이다. 특정 일 양태에서, PD-1 결합 길항제는 PD-1의 PD-L1 및/또는 PD-L2에 대한 결합을 억제한다. 예를 들어, PD-1 결합 길항제는 항-PD-1 항체,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면역아데신, 융합 단백질, 올리고펩티드, 및 PD-1의 PD-L1 및/또는 PD-L2와의 상호작용으로부터 생성되는 신호 전달을 감소, 차단, 억제, 제거, 또는 방해하는 다른 분자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PD-1 결합 길항제는 PD-1을 통한 신호전달에 의해 매개되어 T 림프구 표면 상에 발현된 세포 표면 단백질에 의해, 또는 이를 통해 매개된 음성 공자극 신호를 감소시킴으로써, 기능장애 T 세포의 기능장애 상태를 완화시킨다(예를 들어, 항원 인식에 대한 효과기 반응을 향상시킴). 일부 구현예에서, PD-1 결합 길항제는 항-PD-1 항체이다. 특정 일 양태에서, PD-1 결합 길항제는 본원에 기술된 MDX-1106(니볼루맙)이다. 또 다른 특정 양태에서, PD-1 결합 길항제는 본원에 기술된 MK-3475(람롤리주맙)이다. 또 다른 특정 양태에서, PD-1 결합 길항제는 본원에 기술된 CT-01 1(피딜리주맙)이다. 또 다른 특정 양태에서, PD-1 결합 길항제는 본원에 기술된 AMP-224이다.
용어 "PD-L1 결합 길항제"는 PD-L1의 PD-1, B7-1과 같은 이의 결합 파트너 중 하나 이상과의 상호작용으로부터 생성된 신호 전달을 감소, 차단, 억제, 제거, 또는 방해하는 분자를 지칭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PD-L1 결합 길항제는 PD-L1의 이의 결합 파트너에 대한 결합을 억제하는 분자이다. 특정 일 양태에서, PD-L1 결합 길항제는 PD-L1의 PD-1 및/또는 B7-1에 대한 결합을 억제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PD-L1 결합 길항제는 항-PD-L1 항체,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면역아데신, 융합 단백질, 올리고펩티드, 및 PD-L1의 이의 결합 파트너, 예컨대 PD-1, B7-1 중 하나 이상과의 상호작용으로부터 생성되는 신호 전달을 감소, 차단, 억제, 제거, 또는 방해하는 다른 분자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PD-L1 결합 길항제는 PD-L1을 통한 신호전달에 의해 매개되어 T 림프구 표면 상에 발현된 세포 표면 단백질에 의해, 또는 이를 통해 매개된 음성 공자극 신호를 감소시킴으로써, 기능장애 T 세포의 기능장애 상태를 완화시킨다(예를 들어, 항원 인식에 대한 효과기 반응을 향상시킴). 일부 구현예에서, PD-L1 결합 길항제는 항-PD-L1 항체이다. 특정 일 양태에서, 항-PD-L1 항체는 본원에 기술된 YW243.55. S70이다. 또 다른 특정 양태에서, 항-PD-L1 항체는 본원에 기술된 MDX-1105이다. 또 다른 특정 양태에서, 항-PD-L1 항체는 본원에 기술된 MPDL3280A이다. 또 다른 특정 양태에서, 항-PD-L1 항체는 본원에 기술된 MEDI4736이다.
용어 "PD-L2 결합 길항제"는 PD-L2의 PD-1과 같은 이의 결합 파트너 중 하나 이상과의 상호작용으로부터 생성된 신호 전달을 감소, 차단, 억제, 제거, 또는 방해하는 분자를 지칭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PD-L2 결합 길항제는 PD-L2의 이의 이의 결합 파트너 중 하나 이상과의 결합을 억제하는 분자이다. 특정 일 양태에서, PD-L2 결합 길항제는 PD-L2의 PD-1에 대한 결합을 억제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PD-L2 결합 길항제는 항-PD-L2 항체,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면역아데신, 융합 단백질, 올리고펩티드, 및 PD-L2의 이의 결합 파트너(예컨대 PD-1) 중 하나 이상과의 상호작용으로부터 생성되는 신호 전달을 감소, 차단, 억제, 제거, 또는 방해하는 다른 분자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PD-L2 결합 길항제는 PD-L2을 통한 신호전달에 의해 매개되어 T 림프구 표면 상에 발현된 세포 표면 단백질에 의해, 또는 이를 통해 매개된 음성 공자극 신호를 감소시킴으로써, 기능장애 T 세포의 기능장애 상태를 완화시킨다(예를 들어, 항원 인식에 대한 효과기 반응을 향상시킴). 일부 구현예에서, PD-L2 결합 길항제는 면역아데신이다.
본원의 치료제의 "고정(fixed)" 또는 "고정된(flat)"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WT) 또는 체표면적(BSA)에 관계없이 인간 환자에게 투여되는 투여량을 지칭한다. 따라서, 고정 또는 고정된 투여량은 mg/kg 투여량 또는 mg/m2 투여량으로서 제공되지 않고, 해당 치료제의 절대량으로서 제공된다.
본원에서의 "로딩" 투여량은 일반적으로 환자에게 투여되는 치료제의 초기 투여량을 포함하며, 이에 이어서 이의 1회 이상의 유지 투여량(들)이 따른다. 일반적으로, 단일 로딩 투여량이 투여되지만, 다회 로딩 투여량이 본원에서 고려된다. 일반적으로, 투여되는 로딩 투여량(들)의 양은 투여되는 유지 투여량(들)의 양을 초과하고/하거나, 로딩 투여량(들)은 유지 투여량(들)보다 더 빈번하게 투여되며, 이에 따라 유지 투여량(들)으로 달성될 수 있는 것보다 일찍 치료제의 원하는 정상 상태 농도를 달성한다.
본원의 "유지" 투여량은 치료 기간에 걸쳐 환자에게 투여되는 치료제의 1회 이상의 투여량을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유지 투여량은 이격된 치료 간격으로, 예컨대 대략 매주, 대략 2주마다, 대략 3주마다, 또는 대략 4주마다, 바람직하게는 3주마다 투여된다.
"주입" 또는 "주입 단계"는 치료 목적을 위해 정맥을 통해 신체 내로 약물 함유 용액을 도입하는 것을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이는 정맥내(IV) 백을 통해 달성된다.
"정맥내 백" 또는 "IV 백"은 환자의 정맥을 통해 투여될 수 있는 용액을 보유할 수 있는 백이다. 일 구현예에서, 용액은 식염수 용액(예를 들어, 약 0.9% 또는 약 0.45% NaCl)이다. 선택적으로, IV 백은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로 형성된다.
용어 "가변 영역" 또는 "가변 도메인"은 항원에 대한 항체 결합에 관여하는 항체 중쇄 또는 경쇄의 도메인을 지칭한다. 천연 항체의 중쇄 및 경쇄(각각 VH 및 VL)의 가변 도메인은 일반적으로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각각의 도메인은 4개의 보존된 프레임워크 영역(FR) 및 3개의 초가변 영역(HVR)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Kindt 등의 문헌[Kuby Immunology, 제6판, W.H. Freeman and Co., page 91 (2007)] 참조.) 단일 VH 또는 VL 도메인이 항원 결합 특이성을 부여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항원에 결합하는 항체는, 해당 항원에 결합하는 항체로부터 VH 또는 VL 도메인을 사용하여 단리되어, 상보성 VL 또는 VH 도메인의 라이브러리를 각각 스크리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ortolano 등의 문헌[J. Immunol. 150:880-887 (1993); Clarkson 등의 문헌[Nature 352:624-628 (1991)]을 참조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벡터"는 핵산 분자가 연결되는 다른 핵산으로 전파할 수 있는 핵산 분자를 지칭한다. 해당 용어는 자가 복제 핵산 구조로서의 벡터뿐만 아니라 도입된 숙주 세포의 게놈 내에 혼입된 벡터를 포함한다. 특정 벡터는 이들이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핵산의 발현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벡터는 본원에서 "발현 벡터"로서 지칭된다.
"유리 시스테인 아미노산"은 부모 항체 내로 조작되고, 티올 작용기(-SH)를 가지며, 분자내 또는 분자간 이황화 가교로서 쌍을 이루지 않는 시스테인 아미노산 잔기를 지칭한다.
"~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용매화물, 호변이성질체,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해당 도시된 구조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용매화물, 호변이성질체, 입체이성질체 형태가 또한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들의 혼합물은 이들 형태의 혼합물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본 개시의 화합물은 호변이성질체 형태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물질은 과도한 독성, 자극, 알레르기 반응 등 없이 대상체의 조직과의 접촉에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합리적인 이익 대 위험 비율을 만족시키고, 의도된 용도에 효과적인, 건전한 의학적 판단의 범위 내에 있는 물질을 지칭한다.
"약학적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약물 물질 및 하나 이상의 부형제의 조합물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매화물"은 용질(예를 들어, 화학식 (1)-(1) (A), (B), (C), (D), 또는 본원의 임의의 다른 화합물 또는 이의 염) 및 용매에 의해 형성된 가변 화학량론의 복합체를 지칭한다. 결정질 화합물에 대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용매화물이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결정화 동안 용매 분자가 결정질 격자 내로 혼입된다. 혼입된 용매 분자는 물 분자 또는 비수성 분자, 예컨대 비제한적으로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디메틸 설폭시드, 아세트산, 에탄올아민, 및 에틸 아세테이트 분자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대상체"는 인간 또는 비인간 포유동물을 지칭한다. 비인간 포유동물의 예는 양, 말, 소, 돼지, 염소, 토끼, 및 사슴과 같은 가축 동물; 및 고양이, 개, 설치류, 및 말과 같은 반려동물을 포함한다.
약물의 "치료적 유효량"은 대상체를 치료하여 원하는 치료, 개선, 억제 또는 예방 효과를 생성하는 데 효과적인 약물 또는 조성물의 양을 지칭한다. 치료적 유효량은 무엇보다도 대상체의 체중 및 연령 및 투여 경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내약성"은 독성으로 인한 치료 중단 없이 환자가 합리적으로 견딜 수 있는, 치료 또는 치료 요법과 관련된 독성의 수준을 지칭한다. 내약성의 비제한적인 예는 최대 내약 투여량(MTD)을 포함한다.
"치료"는 해당 용어가 적용되는 장애, 질환, 또는 병태의 역전, 경감, 진행 억제, 또는 예방, 또는 해당 장애, 질환, 또는 병태의 하나 이상의 증상의 역전, 경감, 진행 억제, 또는 예방을 지칭한다.
"치료"는 바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치료하는"의 행위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포함하는"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을 의미하며, 포괄적이거나 개방적인 의미를 갖는다. 용어 "포함하는"을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각각의 진술을 해석할 경우, 해당 용어에 연관된 것(들) 이외의 특징부, 요소, 및/또는 단계가 또한 존재할 수 있다.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과 같은 관련 용어는 동일한 방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용어 "~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은 본 청구범위의 범주를 특정 물질 또는 단계, "및 본 개시의 기본적이고 신규한 특징(들)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들"로 제한한다. "~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이라는 문구가 서문 바로 뒤에 나오지 않고 청구항 본문의 조항에 나타나는 경우, 이는 해당 조항에 명시된 요소만으로 제한한다.
용어 "~로 이루어진"은 해당 청구범위에 명시되지 않은 임의의 원소, 단계, 또는 성분을 배제하며; "~로 이루어진"은 일반적으로 이와 연관된 불순물을 제외하고 인용된 것 이외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에 대해 청구범위를 폐쇄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로 이루어진"이라는 문구가 서문 바로 뒤에 나오지 않고 청구항 본문의 조항에 나타나는 경우, 이는 해당 조항에 명시된 요소만으로 제한하며; 다른 요소들은 청구범위 전체에서 배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구현예는 언어 "포함하는"을 사용하여 제시되지만, 다양한 상황 하에서, 관련 구현예는 또한 언어 "~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 또는 "~로 이루어진"을 사용하여 설명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적용
본 개시는 증식성 질환의 치료에 적용된다.
소정의 양태에서, 증식성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 또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소정의 양태에서, 증식성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표적화된 접합체의 치료적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소정의 양태에서, 증식성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항체-약물 접합체의 치료적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용어 "증식성 질환"은 시험관 내 또는 생체 내에서 신생물 또는 과형성 성장과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과도하거나 비정상적인 세포의 원치 않거나 조절되지 않는 세포 증식을 지칭한다. 증식성 병태의 예는, 비제한적으로 다음을 포함하는 양성, 전암성, 및 악성 세포 증식: 신생물 및 종양(예를 들어, 조직세포종, 신경교종, 성상세포종, 골종), 암(예를 들어, 폐암, 소세포 폐암, 간세포암, 위장관암을 포함하는 위암 또는 위장암, 장암, 결장암, 간종, 유방암, 교모세포종, 자궁경부암, 난소암, 식도[또는 식도성]암, 구강암, 전립선암, 고환암, 간암, 직장암, 대장암, 자궁내막 또는 자궁 암종, 자궁암, 침샘 암종, 신장암 또는 신암, 전립선암, 외음부암, 갑상선암, 간 암종, 항문 암종, 음경 암종, 두경부암, 방광암, 췌장암, 뇌암, 육종, 골육종, 카포시 육종, 흑색종), 백혈병, 건선, 뼈 질환, (예를 들어, 결합 조직의) 섬유증식성 장애, 및 죽상경화증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적절하게는, 증식성 질환은 방광암, 골암, 장암, 뇌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결장암, 두경부암, 백혈병, 간암, 폐암, 림프종, 흑색종, 식도암, 구강암, 난소암, 췌장암, 전립선암, 직장암, 신장암, 망막아종, 육종, 피부암, 위암, 고환암, 갑상선암, 및 자궁암으로부터 선택된다.
뼈, 눈, 두경부, 폐, 위장관(예를 들어, 입, 식도, 장, 결장 포함), 유방(젖샘), 자궁경부, 난소, 자궁, 전립선, 간(간장), 신장(콩팥), 방광, 췌장, 뇌, 및 피부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유형의 세포가 치료될 수 있다.
당업자는 후보물질 화합물이 임의의 특정 세포 유형에 대한 증식성 병태를 치료하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적절하게는, 대상체는 인간, 가축, 및 반려동물이다.
추가의 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은 표적화제(예를 들어, 항체, 항체 단편, 호르몬 등)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표적화 접합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표적 접합체는 화학식 (I)의 하나 또는 다수의 화합물(또는 이의 염 및 용매화물)을 함유할 수 있다. 다양한 표적 접합체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이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양태에서, 표적 접합체는 항체 약물 접합체이며, 여기에서 화학식 (I)의 하나 이상의 화합물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항체에 연결된다. 따라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은 표적화된 접합체 상의 페이로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하게는, 표적화된 접합체에서 약물로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을 표적화제에 직접 또는 선택적인 링커기를 통해 부착함으로써 제조된다. 적절하게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은 링커기를 통해 표적화제에 부착된다. 적절하게는, 표적화된 접합체는 질환, 보다 구체적으로는 증식성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적절하게는, 약물은 표적화제에 대해 직접 또는 링커기를 통해 함유되는 임의의 적절한 작용기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약물은 직접 또는 링커기를 통해 표적화제에 약물을 부착하기 위한, 아민, 하이드록실, 또는 카르복시산기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작용기를 함유하거나 함유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하나 이상의 원자 또는 기는 항체에 대한 약물의 부착 동안 제거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표적화제는 세포 표면 수용체 또는 종양 관련 항원에 결합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표적화제는 항체이다. 일부 양태에서, 표적화제는 호르몬이다. 일부 양태에서, 표적화제는 단백질이다. 일부 양태에서, 표적화제는 폴리펩티드이다. 일부 양태에서, 표적화제는 소분자(예를 들어, 엽산)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항체 또는 항체 단편에 대한 페이로드로서의 적용에 적합하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링커기를 통해 항체 또는 항체 단편 또는 다른 표적화제에 대해 용이하게 접합될 수 있다.
링커기
링커는 약물과 표적화 모이어티(예를 들어, 항체)를 연결하여 표적화 약물 접합체(예를 들어, 항체-약물 접합체) 또는 표적화 접합체를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이작용성 화합물이다. 이러한 접합체는 항원의 인식을 통해 약물(예를 들어, 세포독성제)을 세포에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질환의 치료에 유용하다.
일 양태에서, 항체와 같은 표적화제 상에 존재하는 대향기(예를 들어, 친핵성기)에 반응성인 제2 반응성 부위(예를 들어, 친전자성기)를 갖는 링커기의 제2 섹션이 도입된다. 항체 상의 유용한 친핵성기는 설프하이드릴, 하이드록실, 및 아미노기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항체의 친핵성기의 헤테로원자는 링커기 상의 친전자성기에 반응성이며, 해당 링커기에 대해 공유 결합을 형성한다. 이어서, 친전자성기는 링커-페이로드 또는 링커-약물에 대한 부착 부위를 제공하며, 효율적인 접합(즉, 부위 특이적 접합)을 허용하기 위해 해당 항체에 도입된 항체의 이황화 가교(즉, 확률적 접합) 또는 친전자성기를 함유하는 잔기(합성 또는 자연 발생)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링커기는 항체 상에 존재하는 친전자성기에 반응성인 친핵성기를 갖는 반응성 부위를 갖는다. 항체 상의 친전자성기는 알데히드 및 케톤 카르보닐기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링커기의 친핵성기의 헤테로원자는 항체 상의 친전자성기와 반응하여 항체에 대한 공유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친핵성기는 하이드라지드, 옥심, 아미노, 하이드라진, 티오세미카르바존, 하이드라진 카르복실레이트, 및 아릴하이드라지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항체 상의 친전자성기는 링커기 대한 부착을 위한 편리한 부위를 제공한다. 연결 기술의 보다 포괄적인 목록은 다음의 문헌을 참조한다: Jain, N.; Smith, S. W.; Ghone, S.; Tomczuk, B.의 문헌[Current ADC Linker Chemistry. Pharmaceutical Research 2015, 32 (11), 3526-3540].
링커는 절단성 또는 비절단성일 수 있으며, 절단성 링커는 일반적으로 아미노산의 조합으로 표시된다. 절단성 링커의 목록은 발린-시트룰린, 발린-알라닌, 및 2 내지 8개의 아미노산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깨끗한 절단을 돕기 위해 자기-희생 유닛(예를 들어, PAB 스페이서)가 포함될 수 있으며, 작제물의 친수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선택적으로 친수성 기(예를 들어, PEG)가 첨가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보다 적절하게는, 링커기는 자기-희생 유닛을 포함한다. 다양한 자기-희생 유닛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30],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7,754,681호, 유럽 특허 공개 제0624377호에 기술되어 있다.
다양한 적절한 링커기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말레이미드 방법론은 약물에 부착된 링커를 말단 말레이미드기에 제공함으로써 약물 화합물에 항체를 부착하는 방법으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디알릴시클로옥틴 모이어티(예컨대, 비제한적으로 DBCO, 디벤질시클로옥틴)를 사용하는 방법론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디아릴시클로옥틴은 안정적인 아지드와 반응하여, 안정적인 트리아졸의 형성을 통해 부착을 제공한다. 디알릴시클로옥틴은 아지드에 대해 매우 협소하고 특이적인 반응성과 함께 열안정성을 가지며, 이에 따라 안정적인 트리아졸의 거의 정량적 수율을 생성한다. 또한, 해당 반응은, 다수의 생물학적 시스템에서의 사용이 방지된 세포독성 Cu(I) 촉매(대부분의 유기체에 독성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에 더하여, 알콕시아민 방법론 또한 당업계의 대안이다. 항체에 대한 약물의 부위 특이적 접합을 위해, 항체는 디알릴시클로옥틴(예를 들어, DBCO), 알킬옥시아민, 및/또는 말레이미드기와 반응하여 항체를 약물에 부착하는 "태그"(독점적일 수 있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태그는 돌연변이된 아미노산일 수 있다. 전술한 다양한 기를 포함하는 적절한 링커기는 당업계에서 이용 가능하다.
적절하게는, 링커기는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L2-R28이다.
항체 약물 접합체
항체 요법은 암, 면역학적 및 혈관형성 장애를 가진 환자의 표적 치료를 위해 확립되었다(Carter, P.의 문헌(2006) [Nature Reviews Immunology 6:343-357]). 세포독성제 또는 세포증식억제제, 즉 암의 치료에서 종양 세포를 사멸시키거나 억제하는 약물의 국소 전달을 위한 항체-약물 접합체(ADC), 즉 면역접합제의 사용은, 종양에 대한 약물 모이어티의 전달, 및 종양 내부에서의 세포내 축적을 표적화하며, 이들 미접합 약물 제제의 전신 투여는 정상 세포에 대한 허용할 수 없는 수준의 독성을 야기할 수 있다(Xie 등의 문헌(2006) [Expert. Opin. Biol. Ther. 6(3):281 -291]; Kovtun 등의 문헌(2006) [Cancer Res. 66(6):3214-3121]; Law 등의 문헌(2006) [CancerRes. 66(4):2328-2337]; Wu 등의 문헌(2005) [Nature Biotech. 23(9): 1 137-1 145]; Lambert J.의 문헌(2005) [Current Opin. in Pharmacol. 5:543-549]; Hamann P.의 문헌(2005) [Expert Opin. Ther. Patents 15(9): 1087-1 103]; Payne, G.의 문헌(2003) [Cancer Cell 3:207-212]; Trail 등의 문헌(2003) [Cancer Immunol. Immunother. 52:328-337]; Syrigos 및 Epenetos의 문헌(1999) [Anticancer Research 19:605-614]).
이에 따라, 최소 독성을 갖는 최대 효능이 추구된다. ADC를 설계하고 정제하기 위한 노력은 단클론 항체(mAb)의 선택성뿐만 아니라 약물 작용 메커니즘, 약물 결합, 약물/항체 비율(로딩), 및 약물 방출 특성에 초점을 맞추었다(Junutula 등의 문헌(2008b) [Nature Biotech., 26(8):925-932]; Doman 등의 문헌(2009) [Blood 114(13):2721 -2729]; US 7521541 ; US 7723485; WO2009/052249; McDonagh의 문헌(2006) [Protein Eng. Design & Sel. 19(7): 299-307]; Doronina 등의 문헌(2006) [Bioconj. Chem. 17:114-124]; Erickson 등의 문헌(2006) [CancerRes. 66(8): 1-8]; 문헌(2005) [Clin. CancerRes. 1:843-852]; Jeffrey 등의 문헌(2005) [J. Med. Chem. 48:1344-1358]; Hamblett 등의 문헌(2004) [Clin. Cancer Res. 10:7063-7070]).
일부 양태에서, 본 개시는 항체-약물 접합체 형태의 약물로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에 관한 것이다. 일부 양태에서, 본 개시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항체-약물 접합체에 관한 것이다. 적절하게는, 항체-약물 접합체에서 약물로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을 항체에 직접 또는 선택적인 링커기를 통해 부착함으로써 제조된다. 적절하게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은 링커기를 통해 항체 또는 이의 항체 단편에 부착된다. 적절하게는, 항체-약물 접합체는 질환, 보다 구체적으로는 증식성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적절하게는, 약물은 항체에 대해 직접 또는 링커기를 통해 함유되는 임의의 적절한 작용기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약물은 직접 또는 링커기를 통해 항체에 약물을 부착하기 위한, 아민, 하이드록실, 또는 카르복시산기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작용기를 함유하거나 함유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항체 약물 접합체의 항체는 비제한적으로 단쇄 항체와 같은 항체 단편이다. 일부 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하나 이상의 원자 또는 기는 항체에 대한 약물의 부착 동안 제거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항체는 세포 표면 수용체 또는 종양 관련 항원에 결합한다.
일부 양태에서, 본 개시는 항체-약물 접합체의 약물로서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적절하게는, 항체-약물 접합체의 약물로서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의 용도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을 항체에 직접 또는 선택적인 링커기를 통해 부착함으로써 달성된다. 적절하게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은 링커기를 통해 항체에 부착된다. 적절하게는, 항체-약물 접합체는 질환, 보다 구체적으로는 증식성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적절하게는, 약물은 항체에 대해 직접 또는 링커기를 통해 함유되는 임의의 적절한 작용기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약물은 직접 또는 링커기를 통해 항체에 약물을 부착하기 위한, 아민, 하이드록실, 또는 카르복시산기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작용기를 함유하거나 함유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항체 약물 접합체의 항체는 비제한적으로 단쇄 항체와 같은 항체 단편이다. 일부 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하나 이상의 원자 또는 기는 항체에 대한 약물의 부착 동안 제거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항체는 세포 표면 수용체 또는 종양 관련 항원에 결합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ADC는 (a)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예를 들어,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및 (b)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V)의 화합물(즉, 약물)을 사용하여 생산 또는 생성될 수 있다. 약물-대-항체 비율(DAR) 또는 약물 로딩은 항체 당 접합되는 약물 분자 및/또는 모이어티(예를 들어,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V), 또는 이의 모이어티)의 수를 나타낸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에 부착된 링커-약물 모이어티의 수는 ADC의 개발에 적합한 임의의 수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 당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V)의 화합물, 또는 이의 모이어티의 수는 약 1 내지 약 10개 범위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 당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V)의 화합물, 또는 이의 모이어티의 수는 약 10개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 당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V)의 화합물, 또는 이의 모이어티의 수는 약 9개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 당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V)의 화합물, 또는 이의 모이어티의 수는 약 8개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 당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V)의 화합물, 또는 이의 모이어티의 수는 약 7개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 당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V)의 화합물, 또는 이의 모이어티의 수는 약 6개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 당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V)의 화합물, 또는 이의 모이어티의 수는 약 5개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 당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V)의 화합물, 또는 이의 모이어티의 수는 약 4개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 당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V)의 화합물, 또는 이의 모이어티의 수는 약 3개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 당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V)의 화합물, 또는 이의 모이어티의 수는 약 2개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 당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V)의 화합물, 또는 이의 모이어티의 수는 약 1개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 당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V)의 화합물, 또는 이의 모이어티의 수는 4개 초과, 예컨대 항체 당 5, 6, 7, 8, 9, 10, 11, 12개 또는 12개 초과의 링커-약물 모이어티이다.
항체 및 항체 단편
용어 "항체"는 구체적으로, 원하는 생물학적 활성, 예를 들어 표적 세포 또는 조직 상의 원하는 항원에 결합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한, 단클론 항체, 다클론 항체, 이량체, 다량체, 다중특이적 항체(예를 들어, 이중특이적 항체), 온전한 항체, 및 항체 단편을 포함한다. 항체는 쥣과 동물, 인간, 인간화, 키메라 항체일 수 있거나, 다른 종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항체는 특정 항원을 인식하고 이에 결합할 수 있는 면역계에 의해 생성된 단백질이다. (Janeway, C, Travers, P., Walport, M., Shlomchik의 문헌(2001) [Immuno Biology, 제5판, Garland Publishing, New York]). 표적 항원은 일반적으로 항체 상의 CDR에 의해 인식되는, 에피토프로도 지칭되는 다수의 결합 부위를 갖는다. 상이한 에피토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각각의 항체는 상이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하나의 항원은 둘 이상의 상응하는 항체를 가질 수 있다. 항체는 전장 면역글로불린 분자 또는 전장 면역글로불린 분자의 면역학적 활성 부분, 즉 관심 표적 또는 이의 일부의 항원에 면역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원 결합 부위를 함유하는 분자를 포함하며, 이러한 표적은 자가면역 질환과 연관된 자가면역 항체를 생산하는 암 세포 또는 세포들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면역글로불린은, 면역글로불린 분자의 임의의 유형(예를 들어, IgG, IgE, IgM, IgD, 및 IgA), 클래스(예를 들어, lgG1, lgG2, lgG3, lgG4, lgA1, 및 lgA2) 또는 하위클래스, 또는 동종형(예를 들어, 인간 G1 m1, G1 m2, G1 m3, 비-G1 m1[즉, G1 m1 이외의 임의의 동종형], G1 m17, G2m23, G3m21 , G3m28, G3m1 1, G3m5, G3m13, G3m14, G3m10, G3m15, G3m16, G3m6, G3m24, G3m26, G3m27, A2m1 , A2m2, Km1 , Km2, 및 Km3)일 수 있다. 면역글로불린은 인간, 쥣과 동물, 또는 토끼 기원을 포함하는 임의의 종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에피토프에 결합한다"라는 문구는 항체가 소 혈청 알부민(BSA, Genbank 수탁 번호 CAA76847, 버전 번호 CAA76847.1 Gl:3336842, 기록 업데이트 날짜: 2011년 1월 7일 오후 02:30)과 같은 비-특이적 파트너에 비해 보다 높은 친화도로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항체를 의미하는 데 사용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체는 생리학적 조건에서 측정 시, BSA에 대한 항체의 결합 상수에 비해 적어도 2, 3, 4, 5, 10, 20, 50, 100, 200, 500, 1000, 2000, 5000, 104, 105, 또는 106배 더 높은 결합 상수(Ka)로 에피토프에 결합한다.
용어 "항체 단편"은 전장 항체의 일부, 예를 들어 이의 항원 결합 또는 가변 영역을 지칭한다. 항체 단편의 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Fab, Fa'', F(a'')2, 및 scFv 단편; 디아바디; 선형 항체; Fab 발현 라이브러리, 항-이디오타입(항-Id) 항체, CDR(상보성 결정 영역), 단쇄 항체 분자에 의해 생산된 단편; 및 암 세포 항원, 바이러스 항원, 또는 미생물 항원과 같은 표적 항원에 면역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항체 단편 및 에피토프 결합 단편으로부터 형성된 다중특이적 항체.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단클론 항체"는 실질적으로 균질한 항체의 집단으로부터 수득된 항체를 지칭하며, 즉 집단을 포함하는 개별 항체는, 적은 양으로 존재할 수 있는 가능한 자연 발생 돌연변이를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단클론 항체는 고도로 특이적이며, 단일 항원 부위에 대해 유도된다. 추가적으로, 상이한 결정인자(에피토프)에 대해 유도된 상이한 항체를 포함하는 다클론 항체 제제와 대조적으로, 각각의 단클론 항체는 항원 상의 단일 결정인자 또는 에피토프에 대해 유도된다. 이들의 특이성에 더하여, 단클론 항체는 다른 항체에 의해 오염되지 않고 합성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조절제 "단클론"은 항체의 특성이 실질적으로 균질한 항체 집단으로부터 수득된다는 것을 나타내며, 임의의 특정 방법에 의한 항체의 생산을 필요로 한다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 따라 사용될 단클론 항체는 Kohler 등의 문헌(1975) [Nature 256:495]에 의해 최초로 기술된 하이브리도마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거나, 재조합 DNA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US 4816567 참조). 단클론 항체는 또한, Clackson 등의 문헌(1991) [Nature, 352:624-628] 및 Marks 등의 문헌(1991) [J. Mol. Biol., 222:581-597]에 개시된 기술을 사용하는 파지 항체 라이브러리, 또는 완전한 인간 면역글로불린 시스템을 보유하는 유전자이식 마우스(Lonberg의 문헌(2008) [Curr. Opinion 20(4):450-459])로부터 단리될 수 있다.
단클론 항체를 포함하는 항체는 본원에서 특정적으로, 항체 구조의 일부, 예를 들어 중쇄 및/또는 경쇄가 특정 종으로부터 유래된 항체, 또는 특정 항체 부류 또는 하위 부류에 속하는 항체의 상응하는 서열과 동일하거나 상동성인 한편, 나머지 사슬(들)은 다른 종으로부터 유래한 항체, 또는 다른 항체 부류 또는 하위 부류에 속하는 항체의 상응하는 서열과 동일하거나 상동성인 "키메라 항체"를 포함하며, 원하는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는 한, 이러한 항체의 절편을 또한 포함한다(US 4816567; 및 Morrison 등의 문헌(1984) [Proc. Natl. Acad. Sci. USA, 81 :6851 -6855]). 키메라 항체는 비인간 영장류(예를 들어, 구세계 원숭이(Old World Monkey) 또는 Ape)로부터 유래된 가변 도메인 항원 결합 서열 및 인간 불변 영역 서열을 포함하는 "영장류화" 항체를 포함한다. 본원의 "온전한 항체"는 VL 및 VH 도메인뿐만 아니라 경쇄 불변 도메인(CL) 및 중쇄 불변 도메인, CH1, CH2 및 CH3을 포함하는 항체이다. 불변 도메인은 천연 서열 불변 도메인(예를 들어, 인간 천연 서열 불변 도메인) 또는 이의 아미노산 서열 변이체일 수 있다. 온전한 항체는 항체의 Fc 영역(천연 서열 Fc 영역 또는 아미노산 서열 변이체 Fc 영역)에 기인하는 생물학적 활성을 지칭하는 하나 이상의 "효과기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항체 효과기 기능의 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C1 q 결합; 보체 의존성 세포독성; Fc 수용체 결합; 항체 의존성 세포 매개 세포독성(ADCC); 식균작용; 및 B 세포 수용체 및 BCR과 같은 세포 표면 수용체의 하향 조절.
본원에 개시된 항체는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간 대상에 대한 면역원성을 감소시키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는 당업자에게 익숙한 다수의 기술 중 어느 하나, 예컨대 인간화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적절하게는, 각각의 표적화제는 독립적으로 단백질, 단백질의 일부, 폴리펩티드, 핵산, 항체 또는 항체 단편이다. 보다 적절하게는, 각각의 표적화제는 독립적으로 항체 또는 항체 단편이다. 보다 적절하게는, 각각의 표적화제는 항체이다.
적절하게는, 표적화제는 본원에 개시된 항체 또는 항체 단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적절하게는, 표적화제는 다음과 같은 것일 수 있다 항-CD22 항체, 항-Ly6E 항체, 항-HER2 항체, 항-MUC16 항체, 항-STEAP-1 항체, 항-NaPi2b 항체, 항-CD79b 항체, 항체 단편 , 키메라 및 인간화 항체, 인간 항체, 라이브러리-유래 항체, 다중특이적 항체, 항체 변이체, 치환, 삽입, 및 결실 변이체, 당질화 변이체, Fc 영역 변이체, 시스테인 조작 항체 변이체, 또는 본원에 개시된 것과 항체 유도체.
다양한 구현예에서, 표적화제는 다음으로부터 선택되는 표적에 결합할 수 있다: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M4) 세포, 급성 전골수성 백혈병 세포,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 세포,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세포,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세포, 만성 골수성 백혈병 세포, 만성 T-세포 림프구성 백혈병, 골수이형성 증후군 세포, 다발성 골수종 세포, 전립선 암종 세포, 신세포 선암종 세포, 췌장 선암종 세포, 폐 암종 세포 또는 위 선암종 세포, 위 선암종 세포, 유방암 세포, 대장암 세포, 흑색종 세포, 갑상선암 세포, 난소암 세포, 방광암 세포, 간암 세포, 두경부암 세포, 식도암 세포, 호지킨 림프종 세포, 비-호지킨 림프종 세포, 중피종 세포, 신경아세포종 세포, 신경내분비 종양 세포, 신경섬유종증 1형(NF1) 세포, 신경섬유종증 2형(NF2), 또는 골육종 세포.
일부 구현예에서, 표적화제는 종양-연관 항원에 결합한다. 종양 연관 항원의 예는 다음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5 알파 환원요소, 알파-페토단백질, AM-1, APC, April, BAGE, 베타 카테닌, Bcl12, bcr-abl, CA-125, CASP-8/ FLICE, 카테핀, CD19, CD20, CD21, CD23, CD22, CD33 CD35, CD44, CD45, CD46, CD5, CD52, CD55, CD59, CDC27, CDK4, CEA, c-myc, Cox-2, DCC, DcR3, E6. /E7, CGFR, EMBP, Dna78, 파르네실 전이효소, FGF8b, FGF8a, FLK-1/KDR, 엽산 수용체, G250, GAGE family, 가스트린 17, 가스트린 방출 호르몬, GD2/GD3/GM2, GnRH, GnTV, GP1, gp100/Pmel17, gp-100-in4, gp15, gp75/TRP-1, hCG, 헤파란스, Her2/neu, HMTV, Hsp70, hTERT, IGFR1, IL-13R, iNOS, Ki67, KIAA0205, K-ras. , H-ras, N-ras, KSA, LKLR-FUT, MAGE 계열, 감마글로빈, MAP17, 멜란-A/MART-1, 메소텔린, MIC A/B, MT-MMP, 뮤신, NY-ESO-1, 오스테오넥틴, p15, P170/MDR1, p53, p97/멜라노트랜스페린, PAI-1, PDGF, uPA, PRAME, 프로바신, 프로게니포이에틴, RAG, PSA, PSA. -1, Rb, RCAS1, SART-1, SSX-계열, STAT3, STn, TAG-72, TGF-알파, TGF-베타, 티로신-베타-15, TNF-알파, TYRP-, TYRP-2, 티로시나아제, VEGF, ZAG, p16INK4, 및 글루타티온-S-전이효소.
투여 및 투여량
화학식 (I)의 화합물, 화학식 (IV)의 화합물, 및 본원에 제시된 다른 화학식의 화합물(즉, D 모이어티로서 화학식 (II)의 G-알킬화 DNA기 또는 G1~G8 중 하나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D-모이어티로서 화학식 (IIIa) 또는 (IIIb)의 A-알킬화 DNA기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및/또는 이의 접합체는, 단독으로 투여되거나, 서로 병용 투여되거나, 화학식 (I)의 화합물, 화학식 (IV)의 화합물, 및 본원에 제시된 다른 화학식의 화합물(즉, D 모이어티로서 화학식 (II)의 G-알킬화 DNA기 또는 G1~G8 중 하나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D-모이어티로서 화학식 (IIIa) 또는 (IIIb)의 A-알킬화 DNA기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과 상이한 하나 이상의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함께 병용 투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화합물은 다양한 성분과 적절히 조합되어 본 개시의 조성물을 생성할 수 있다. 적절하게는,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희석제와 조합되어 약학적 조성물(인간 또는 동물에 대한 사용을 위한 것일 수 있음)을 생성한다. 적절한 담체 및 희석제는 등장성 식염수 용액, 예를 들어 인산염 완충 식염수를 포함한다. 이의 제조에 유용한 약학적 조성물 및 방법은 표준 약학적 참고문헌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헌[Handbook for Pharmaceutical Additives, 제3판 (eds. M. Ash and I. Ash), 2007 (Synapse Information Resources, Inc., Endicott, New York, USA), 및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제21판 (ed. D. B. Troy) 2006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Philadelphia, USA)]을 참조하며, 이들 문헌은 본원에 참조로서 통합된다.
본 개시의 화합물은 임의의 적절한 경로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적절하게는, 본 개시의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약학적 제제의 형태로, 선택적으로 비독성 유기 또는 무기, 산, 또는 염기, 부가 염의 형태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투여 형태로 경구 투여되거나 임의의 비경구 경로에 의해 투여된다.
본 개시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이들 중 어느 하나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용매화물은 단독으로 투여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의도된 투여 경로 및 표준 약학적 관행과 관련하여 선택된 적절한 약학적 부형제 희석제 또는 담체와의 혼합물 형태로 투여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 또는 용매화물은 즉시 방출형, 지연 방출형, 변경 방출형, 지속 방출형(서방형), 조절 방출형, 또는 맥동성 방출형 적용을 위해, 향미제 또는 착색제를 함유할 수 있는 정제, 캡슐(연질 캡슐 포함), 좌제, 엘릭서, 용액 또는 현탁액의 형태로 경구, 구강 또는 설하 투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화합물은 또한 고속 분산 또는 고속 용해 투여 형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정제는 미정질 셀룰로오스, 락토오스, 구연산나트륨, 탄산칼슘, 이염기 인산칼슘, 및 글리신과 같은 부형제, 전분(바람직하게는 옥수수, 감자, 또는 타피오카 전분), 전분 글리콜산나트륨, 크로스카멜로오스 나트륨, 및 특정 복합 실리케이트와 같은 붕해제,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HPMC),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 수크로오스, 젤라틴, 및 아카시아와 같은 과립화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 글리세릴 베헤네이트, 및 탈크와 같은 윤활제가 포함될 수 있다.
유사한 유형의 고형 조성물이 젤라틴 캡슐 중 필러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바람직한 부형제는 락토오스, 전분, 셀룰로오스, 유당, 또는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한다. 수성 현탁액 및/또는 엘릭서의 경우, 본 개시의 화합물은 다양한 감미제 또는 향미제, 착색 물질 또는 염료와 조합될 수 있고, 유화제 및/또는 현탁제 및 희석제, 예컨대 물, 에탄올, 프로필렌 글리콜, 및 글리세린, 및 이들의 조합과 조합될 수 있다.
변형 방출형 및 맥동성 방출형 투여 형태는 방출 속도 조절제로서 작용하는 추가 부형제와 함께, 즉시 방출형 투여 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된 것들과 같은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은 약물 전달 장치의 몸체 상에 코팅되고/되거나 이에 포함된다. 방출 속도 조절제는 다음을 포함하나 이에 배타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 산화물, 잔탄 검, 카르보머, 암모니오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수소화 피마자 오일, 카르나우바 왁스, 파라핀 왁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 변형 방출형 및 맥동성 방출형 투여 형태는 방출 속도 변형 부형제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 방출 속도 변형 부형제는 투여 형태 내에, 즉 매트릭스 내에, 및/또는 투여 형태 상에, 즉 표면 또는 코팅 상에 존재할 수 있다.
신속 분산 또는 용해 투여 제형(FDDF)은 다음의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아스파탐, 아세설팜 칼륨, 구연산, 크로스카멜로오스 나트륨, 크로스포비돈, 디아스코르브산, 에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셀룰로오스, 젤라틴,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스테아린산마그네슘, 만니톨,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민트 향료, 폴리에틸렌 글리콜, 흄드 실리카, 이산화규소, 전분 글리콜산나트륨, 스테아릴 푸마르산 나트륨, 소르비톨, 자일리톨.
본 개시의 화합물은 비경구로, 예를 들어 정맥내, 동맥내로 투여될 수도 있거나, 주입 기술에 의해 투여될 수도 있다. 이러한 비경구 투여의 경우, 이들은 다른 물질, 예를 들어, 해당 용액이 혈액과 등장성이 되도록 하기에 충분한 염 또는 포도당을 함유할 수 있는 멸균 수용액의 형태로 가장 널리 사용된다. 수용액은 필요한 경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9의 pH로) 적절하게 완충되어야 한다. 멸균 조건 하에서의 적절한 비경구 제형의 제조는 당업자에게 공지돤 표준 약학적 기술에 의해 용이하게 달성된다.
본 개시의 적절한 제형은 투여 경로, 예를 들어 경구, 정맥내 등에 대해 최적화된다.
투여는 치료 과정 동안 1회 투여량으로,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예를 들어, 적절한 간격으로 분할된 투여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장 효과적인 수단 및 투여량을 결정하는 방법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이는 치료에 사용되는 제형, 요법의 목적, 치료 중인 표적 세포(들), 및 치료 중인 대상체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단일 또는 다회 투여는 투여량 수준 및 치료 의사, 수의사 또는 임상의가 선택하는 투여 요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치료될 장애 및 환자뿐만 아니라 투여 경로에 따라, 조성물은 다양한 투여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인 인간을 위한 통상적인 투여량은 대상체의 체중 kg 당 100 ng 내지 25 mg(적절하게는 약 1 μg 내지 약 10 mg)일 수 있다.
인간 대상체에 대한 초기 투여량을 추정할 경우, 시험 동물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의 적절한 지침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투여량이 마우스에 대해 식별될 경우, 적절하게는 인간에 대한 초기 시험 투여량은 마우스에 주어진 mg/Kg 값의 약 0.5x 내지 2x일 수 있다.
다른 형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전술한 형태는 해당 치환기의 공지된 이온화 형태, 염, 용매화물, 및 보호된 형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카르복시산(-RCOOH)에 대한 언급은 이의 음이온성(카르복실레이트) 형태(-RCOO-), 염, 또는 용매화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보호된 형태를 또한 포함한다. 유사하게, 아미노기에 대한 언급은 아미노기의 양성자화 형태(-RN+HR1R2), 염, 또는 용매화물, 예를 들어 염산염, 뿐만 아니라 아미노기의 통상적인 보호된 형태를 또한 포함한다. 유사하게, 하이드록실기에 대한 언급은 이의 음이온성 형태(-O-), 염, 또는 용매화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보호된 형태를 또한 포함한다.
이성질체, 염, 및 용매화물
특정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특정 기하학적, 광학, 거울상이성질체, 부분 입체이성질체, 에피머, 아트로프, 메조머 입체이성질체, 호변이성질체, 입체형, 또는 아노머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는 시스- 및 트랜스-형태; E- 및 Z-형태; c-, t-, 및 r- 형태; 엔도- 및 엑소-형태; R-, S-, 및 메조-형태; D- 및 L-형태; d- 및 l-형태; (+) 및 (-) 형태; 케토-, 에놀-, 및 에놀레이트-형태; syn- 및 항-형태; 신클리날- 및 안티클리날-형태; 알파- 및 베타-형태; 축방향 및 수평방향 형태; 보트-, 체어-, 트위스트-, 엔벨롭-, 및 하프체어-형태;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이성질체"(또는 "이성질체 형태")로 총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이성질체"에는 아래에서 논의될 호변이성질체를 제외하고는, 구조 이성질체(또는 구성적 이성질체)(즉, 단순히 공간 내 원자의 위치가 아닌 원자 간의 연결 방식이 상이한 이성질체)는 명시적으로 포함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메톡시기 -OCH3에 대한 언급은 이의 구조 이성질체인 하이드록시메틸기, -CH2OH에 대한 언급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구조 부류에 대한 언급은 해당 부류 내에 속하는 구조적 이성질체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C1-7 알킬은 n-프로필 및 이소-프로필을 포함하고; 부틸은 n-, 이소-, 이차-, 및 삼차-부틸을 포함하고; 메톡시페닐은 오르토-, 메타-, 및 파라-메톡시페닐을 포함함).
이러한 배제는, 예를 들어, 다음의 호변이성질체 쌍: 케토/에놀, 이민/엔아민, 아미드/이미노 알코올, 아미딘/아미딘, 니트로소/옥심, 티오케톤/엔티올, N-니트로소/하이록시아조, 및 니트로/아시-니트로에서와 같은 호변이성질체 형태, 예를 들어, 케토-, 에놀-, 및 에놀레이트-형태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용어 "이성질체"에 특정적으로 포함되는 것은 하나 이상의 동위원소 치환을 갖는 화합물임을 유의한다. 예를 들어, H는 1H, 2H(D), 및 3H(T)를 포함하는 임의의 동위원소 형태일 수 있고; C는 12C, 13C, 및 14C를 포함하는 임의의 동위원소 형태일 수 있고; O는 16O 및 18O를 포함하는 임의의 동위원소 형태일 수 있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특정 화합물에 대한 언급은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라세미 및 이들의 다른 혼합물을 포함하는 모든 해당 이성질체 형태를 포함한다.
이러한 이성질체 형태의 제조 방법(예를 들어, 비대칭 합성) 및 분리 방법(예를 들어, 분별 결정화 및 크로마토그래피 수단)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거나, 공지된 방식으로 본원에 교시된 방법 또는 공지된 방법을 적용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수득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특정 화합물에 대한 언급은 또한, 예를 들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온성, 염, 용매화물, 및 이의 보호된 형태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위에 명명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복합체, 염, 용매화물 및 수화물을 형성할 수 있다. 이들 염은 비독성 산 부가염(이산 포함) 및 염기염을 포함한다.
화합물이 양이온성이거나 양이온성일 수 있는 작용기를 갖는 경우(예를 들어, -NH2는 -NH3 +일 수 있음), 산 부가염은 적절한 음이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적합한 무기 음이온의 예는 다음의 무기산으로부터 유래된 것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염산, 질산, 니트로산, 인산, 황산, 아황산, 하이드로브롬산, 하이드로요오드산, 불산, 인산, 및 아인산. 적절한 유기 음이온의 예는 다음의 유기산으로부터 유래된 것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2-아세티옥시벤조산, 아세트산, 아스코르브산, 아스파르트산, 벤조산, 캄포설폰산, 신남산, 구현산, 에디트산, 에탄디설폰산, 에탄설폰산, 푸마르산, 글루헵톤산, 글루콘산, 글루탐산, 글리콜산, 하이드록시말레산, 하이드록시나프탈렌 카르복시산, 이세티온산, 락트산, 락토비온산, 라우르산, 말레산, 말산, 메탄설폰산, 뮤익산, 올레산, 옥살산, 팔미트산, 파모산, 판토텐산, 페닐아세트산, 페닐설폰산, 프로피온산, 피루브산, 살리실산, 스테아르산, 숙신산, 설파닐산, 타르타르산, 톨루엔설폰산, 및 발레산. 적합한 중합체 유기 음이온의 예는 다음의 중합체성 산으로부터 유래된 것들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탄닌산,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이러한 염은 아세테이트, 아디페이트, 아스파르테이트, 벤조에이트, 베실레이트, 중탄산염, 탄산염, 중황산염, 황산염, 붕산염, 캄실레이트, 구연산염, 시클라메이트, 에디실레이트, 에실레이트, 포름산염, 푸마르산염, 글루셉테이트, 글루코네이트, 글루쿠로네이트,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히벤제이트, 염산염/염화물, 브롬화수소화물/브롬화물, 수소화요오드화물/요오드화물, 이세티오네이트, 젖산염, 말레이트, 말레에이트, 말로네이트, 메실레이트, 메틸설포네이트, 나프틸레이트, 2-나프실레이트, 니코티네이트, 질산염, 오로테이트, 옥살레이트, 팔미테이트, 파모에이트, 인산염, 인산수소, 인산이수소, 피로글루타메이트, 당류, 스테아레이트, 숙신산염, 탄네이트, 타르타레이트, 토실레이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및 지노포에이트 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화합물이 음이온성이거나 음이온성일 수 있는 작용기를 갖는 경우(예를 들어, -RCOOH는 -RCOO-일 수 있음), 염기염은 적절한 양이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적합한 무기 양이온의 예는 알칼리 또는 알칼리 토금속 양이온, 암모늄 및 치환된 암모늄 양이온과 같은 금속 양이온뿐만 아니라 아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적합한 금속 양이온의 예는 나트륨(Na+), 칼륨(K+), 마그네슘(Mg2+), 칼슘(Ca2+), 아연(Zn2+), 및 알루미늄(Al3+)을 포함한다. 적절한 유기 양이온의 예는 암모늄 이온(즉, NH4+) 및 치환된 암모늄 이온(예를 들어, NH3R+, NH2R2 +, NHR3 +, NR4 +)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적절한 치환된 암모늄 이온의 예는 에틸아민, 디에틸아민, 디시클로헥실아민, 트리에틸아민, 부틸아민, 에틸렌디아민,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피페라진, 벤질아민, 페닐벤질아민, 콜린, 멜글루민, 및 트로메타민뿐만 아니라 리신 및 아르기닌과 같은 아미노산으로부터 유래된 것이다. 통상적인 4차 암모늄 이온의 예는 N(CH3)4 +이다. 적합한 아민의 예는 아르기닌, N,''-디벤질에틸렌-디아민, 클로로프로카인, 콜린, 디에틸아민, 디에탄올아민, 디시클로헥실아민, 에틸렌디아민, 글리신, 리신, N-메틸글루카민, 올아민, 2-아미노-2-하이드록시메틸-프로판-1,3-디올, 및 프로카인을 포함한다. 유용한 산 첨가 및 염기 염에 대한 논의는 S. M. Berge 등의 문헌[J. Pharm. Sci. (1977) 66:1-19; see also Stahl and Wermuth, Handbook of Pharmaceutical Salts: Properties, Selection, and Use (2011)]을 참조한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적절한 산 또는 염기와 반응시켜 원하는 염을 수득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전구체를 산 또는 염기와 반응시켜 산- 또는 염기-취약성 보호기를 제거하거나 전구체의 락톤 또는 락탐기를 개방할 수도 있다. 또한, 적절한 산 또는 염기를 사용하는 처리 또는 이온 교환 수지와의 접촉을 통해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염을 다른 염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어서,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염이 용액으로부터 침전되는 경우, 여과를 사용하여, 또는 증발을 사용하여 염을 단리하여 회수할 수 있다. 염의 이온화 정도는 완전히 이온화된 정도로부터 거의 이온화되지 않은 정도까지 다양할 수 있다.
활성 화합물의 상응하는 용매화물을 제조, 정제 및/또는 취급하는 것이 편리하거나 바람직할 수 있다. 용어 "용매화물"은 화합물 및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용매 분자(예를 들어, EtOH)를 포함하는 분자 복합체를 기술한다. 용어 "수화물"은 용매가 물인 용매화물이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용매화물은 해당 용매가 동위원소로 치환될 수 있는 용매화물(예를 들어, D2O, 아세톤-d6, DMSO-d6)을 포함한다.
유기 화합물의 용매화물 및 수화물에 대해 현재 수용되는 분류 시스템은 단리된 부위, 채널, 및 금속-이온 조정 용매화물, 및 수화물을 구분하는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K. R. Morris의 문헌(H. G. Brittain 편집) [Polymorphism in Pharmaceutical Solids (1995)]을 참조한다. 단리된 부위 용매화물 및 수화물은 용매(예를 들어, 물) 분자가 유기 화합물의 개재 분자에 의해 서로간의 직접 접촉으로부터 단리된 형태인 것을 지칭한다. 채널 용매화물에서, 용매 분자는 다른 용매 분자 옆에 있는 격자 채널에 놓인다. 금속-이온 조정 용매화물에서, 용매 분자는 금속 이온에 결합된다.
용매 또는 물이 단단히 결합될 경우, 해당 복합체는 습도와 독립적으로 양호하게 정의된 화학량론을 갖게 된다. 그러나, 채널 용매화물 및 흡습성 화합물에서와 같이, 용매 또는 물이 약하게 결합되는 경우, 물 또는 용매 함량은 습도 및 건조 조건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경우, 일반적으로 비화학량론이 관찰될 것이다.
추가의 특정 및 바람직한 양태는 첨부된 독립 청구항 및 종속 청구항에 명시되어 있다. 종속 청구항의 특징은 독립 청구항의 특징과 적절하게 조합될 수 있으며, 해당 청구항에 명시적으로 기재된 것들 이외의 조합으로 조합될 수 있다.
합성 전략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아래에 설명되는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일부 반응식 및 실시예에는 산화, 환원 등을 포함하는, 공통 반응의 세부 사항, 분리 기술(추출, 증발, 침전, 크로마토그래피, 여과, 분쇄, 결정화 등), 및 유기 화학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분석 절차가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반응 및 기술의 세부 사항은 Richard Larock의 문헌[Comprehensive Organic Transformations, A Guide to Functional Group Preparations, 제2판 (2010), 및 Michael B. Smith 등이 편집한 다중-볼륨 시리즈의 문헌[Compendium of Organic Synthetic Methods (1974 et seq.)]을 포함하는 다수의 문헌에서 찾을 수 있다. 출발 물질 및 시약은 상업적 공급원으로부터 수득될 수 있거나 문헌의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중 일부는 화학적 변환(예를 들어, 에스테르의 가수분해로부터의 알코올, 이산의 탈카르복실화로부터의 CO2 등)으로 인한 미량 생성물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일부 경우, 반응 중간체는 단리 또는 정제 없이 (즉, 인 시츄(in situ)로) 후속 단계에서 사용될 수 있다.
아래의 반응식 및 실시예 중 일부에서, 특정 화합물은 보호기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이는 그렇지 않을 경우 반응성 부위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화학 반응을 방지한다. 보호기는 또한 화합물의 용해도를 향상시키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 물리적 특성을 변형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보호기 전략, 보호기의 설치 및 제거를 위한 물질 및 방법에 대한 설명, 및 아민, 카르복시산, 알코올, 케톤, 알데히드 등을 포함하는 공통 작용기에 대한 유용한 보호기의 편집에 대한 논의는, T. W. Greene 및 P. G. Wuts의 문헌[Protecting Groups in Organic Chemistry, 제4판, (2006)] 및 P. Kocienski의 문헌[Protective Groups, 제3판 (2005)]을 참조한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설명된 화학적 변환은 실질적으로 화학량론적 양의 반응물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지만, 특정 반응은 과량의 반응물을 사용하는 것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개시된 다수의 반응은 대략 실온(RT) 및 주변 압력에서 수행될 수 있지만, 반응 동역학, 수율 등에 따라, 일부 반응은 상승된 압력에서 실행되거나 보다 높은 온도(예를 들어, 환류 조건) 또는 보다 낮은 온도(예를 들어, -78℃ 내지 0℃)를 사용할 수 있다. 용어 "범위"를 명시적으로 사용하는지의 여부에 상관 없이, 화학량론적 범위, 온도 범위, pH 범위 등에 대한 본 개시의 임의의 참조는 또한 표시된 종점을 포함한다.
다수의 화학적 변환은 또한 하나 이상의 상용성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반응 속도 및 수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반응물의 성질에 따라, 하나 이상의 용매는 극성 양성자성 용매(물 포함),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 비극성 용매, 또는 몇몇 조합일 수 있다. 대표적인 용매는 다음을 포함한다: 포화 지방족 탄화수소(예를 들어, n-펜탄, n-헥산, n-헵탄, n-옥탄); 방향족 탄화수소(예를 들어, 벤젠, 톨루엔, 크실렌); 할로겐화 탄화수소(예를 들어,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지방족 알코올(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1-올, 프로판-2-올, 부탄-1-올, 2-메틸-프로판-1-올, 부탄-2-올, 2-메틸-프로판-2-올, 펜탄-1-올, 3-메틸-부탄-1-올, 헥산-1-올, 2-메톡시-에탄올, 2-에톡시-에탄올, 2-부톡시-에탄올, 2-(2-메톡시-에톡시)-에탄올, 2-(2-에톡시-에톡시)-에탄올, 2-(2-부톡시-에톡시)-에탄올); 에테르(예를 들어, 디에틸 에테르,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디부틸 에테르, 1,2-디메톡시-에탄, 1,2-디에톡시-에탄, 1-메톡시-2-(2-메톡시-에톡시)-에탄, 1-에톡시-2-(2-에톡시-에톡시)-에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4-디옥산); 케톤(예를 들어,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에스테르(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질소 함유 용매(예를 들어, 포름아미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아세토니트릴, N-메틸-피롤리돈, 피리딘, 퀴놀린, 니트로벤젠); 황 함유 용매(예를 들어, 이황화탄소, 디메틸 설폭시드, 테트라하이드로-티오펜-1,1,-디옥사이드); 및 인 함유 용매(예를 들어, HMPA, 헥사메틸포스포라미드).
화학식 I의 화합물에 단당류 단위를 첨가하기 위한 합성 전략 중 하나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화학량론은 제시되지 않음):
단당류 유닛이 일차 알코올(우측) 또는 이차 알코올(좌측: 4개의 기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됨; 또는
카르바메이트(좌측; 임의의 알코올기) 또는 직접 결합된 아미드(우측).
일부 양태에서, 본 개시는 항체-약물 접합체 형태의 약물 제조의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에 관한 것이다. 적절하게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이 직접 또는 링커기를 통해 약물을 항체에 부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작용기(예컨대, 아민, 하이드록실, 또는 카르복시산기)를 함유하는 경우, 항체-약물 접합체의 제조에 직접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하게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은, 직접 또는 링커기를 통해 항체에 약물을 부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작용기(예컨대 아민, 하이드록실, 또는 카르복시산기)를 함유하도록 변형됨으로써, 항체-약물 접합체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하게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은, 하나 이상의 항체 링커기를 함유하도록 변형됨으로써 항체-약물 접합체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항체는 하나 이상의 항체 링커기를 통해 약물에 부착된다. 따라서, 본 개시는 하나 이상의 항체 링커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적절하게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은 1, 2, 또는 3개의 항체 링커기를 함유할 수 있다. 적절하게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은 1 또는 2개의 항체 링커기를 함유할 수 있다. 적절하게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은 1개의 항체 링커기를 함유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하나 이상의 원자 또는 기는, 항체에 대한 약물의 부착, 또는 약물에 대한 항체 링커의 부착, 또는 약물의 변형 동안, 직접 또는 항체 링커기를 통해 항체에 약물을 부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작용기(예컨대 아민, 하이드록실, 또는 카르복시산 기)를 함유하도록, 제거될 수 있다.
다양한 적절한 항체 링커기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말레이미드 방법론은 약물에 부착된 항체 링커를 말단 숙신이미드기에 제공함으로써 약물 화합물에 항체를 부착하는 방법(숙신이미드-항체 복합체를 형성함)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디알릴시클로옥틴 모이어티(예컨대, 비제한적으로 DBCO, 디벤질시클로옥틴)를 사용하는 방법론도 또한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대안이다. 디아릴시클로옥틴은 아지드와 반응하여, 안정적인 트리아졸의 형성을 통해 부착을 제공한다. 디알릴시클로옥틴은 아지드에 대해 매우 협소하고 특이적인 반응성과 함께 열안정성을 가지며, 이에 따라 안정적인 트리아졸의 거의 정량적 수율을 생성한다. 또한, 해당 반응은, 다수의 생물학적 시스템에서의 사용이 방지된 세포독성 Cu(I) 촉매(대부분의 유기체에 독성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에 더하여, 알콕시아민 방법론 또한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대안이다. 항체에 대한 약물의 부위 특이적 접합을 위해 항체는 디알릴시클로옥틴(예를 들어, DBCO), 알킬옥시아민, 및/또는 말레이미드기와 반응하여 항체를 약물에 부착하는 "태그"(독점적일 수 있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태그는 돌연변이된 아미노산일 수 있다. 전술한 다양한 기를 포함하는 적절한 항체 링커 기는 당업계에서 이용 가능하다.
본 개시는, 본 청구범위에 기술된 본 개시의 범주를 제한하지 않는 다음의 구현예에서 추가로 설명된다.
구현예 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 용매화물, 또는 호변이성질체로서:
식 중:
D는 알킬화 DNA 마이너 홈 결합 유닛의 공급원이고;
Q는 링커이고;
B는 DNA 결합 아미드 함유 사슬이고;
T는 말단기이고,
여기에서 D, B, Q, 및/또는 T는 적어도 하나의 탄수화물 치환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구현예 2. 구현예 1에 있어서, 탄수화물 치환기는 용어 RS로 제시되는 1가 당류 치환기이고, 바람직하게는 RS는 글리코실 또는 O-글리코실인, 화합물.
구현예 3. 구현예 1 또는 2에 있어서, D는 G를 포함하되, G는 하기 화학식 (II)의 G-알킬화 DNA기이며:
식 중:
점선은 C1과 C2, C2와 C3, 및 C3와 C4 사이 중 하나 이상의 이중 결합의 임의의 존재를 나타내고;
물결선은 Q에 대한 부착 지점을 나타내고;
m은 0 또는 1이고;
R1,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H 및 R29로부터 선택되거나; R2는 H, L2-R28, R29, 및 -LS-RS로부터 선택되거나; R1 및 R2, R2 및 R3, 또는 R3 및 R4 중 하나는 이들이 부착되는 탄소 원자와 함께 1, 2 또는 3개의 독립적으로 선택된 임의의 R20 기로 임의로 치환된 6-원 아릴, 또는 5- 또는 6-원 고리, 헤테로고리, 또는 헤테로아릴 고리를 형성하고;
R5 및 R6은, (i) R5가 H, OH 및 OC1-6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6은 H, SO3H, -LS-RS, 질소 보호기, -L2-R28, 및 RA로부터 선택되거나; (ii) R5가 옥소 또는 H이고, R6은 H 또는 C1-6 알킬이거나; (iii) R5 및 R6은 함께 이중 결합을 형성하도록, 선택되고;
R7 및 R9는 독립적으로 H 및 R20으로부터 선택되고;
R8은 H, SR24, SCH2Ph, R20, L2-R28, 및 -LS-RS로부터 선택되고;
RA는 (CH2)j-OH, (CH2)j-CO2R26, C(=O)-O-(CH2)k-NR26R27, (CH2)jNR26R27, C(=O)-NH-(CH2)j-NR26R27, 및 C(=O)-NH-(CH2)k-C(=NH)NR26R27로부터 선택되고;
링커 L2는 결합이거나, C, N, P, O, S, 또는 할로겐으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200개의 비수소 원자를 갖는 링커 모이어티이며, 선택적으로, 에테르, 옥소, 카르복사미딜, 우레아닐, 분지형, 환형, 불포화, 헤테로시클릴,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모이어티를 포함하고;
R28은 아지드, 알킨, 바이설폰, 카르보하이드라지드, 하이드라진, 하이드록실아민, 요오드아세트아미드,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말레이미드, 포스핀, 피리도피리다진, 세미하이드라지드, 숙신이미딜 에스테르, 설포디클로로페놀 에스테르, 설포닐 할라이드, 설포숙신이미딜 에스테르, 4-설포테트라플루오로페닐 에스테르, 테트라플루오로페닐 에스테르, 티아졸, RA, O-(CH2)k-NR26R26, NHNH2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표적화제이되, 표적화제는 단백질, 단백질의 일 부분, 펩티드, 핵산, 또는 항체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29는 독립적으로, R20, R21, =CH2, =CH-(CH2)s-CH3, =CH-(CH2)s-R21, =O, (CH2)s-OR21, (CH2)s-CO2R21, (CH2)s-NR21R24, O-(CH2)t-NR21R24, NH-C(O)-R21, O-(CH2)t-NH-C(O)-R21, O-(CH2)t-C(O)-NH-R21, (CH2)s-SO2R21, O-SO2R21, (CH2)s-C(O)R21, 및 (CH2)s-C(O)NR21R24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20은 독립적으로, F, Cl, Br, (CH2)j-OH, C1-6 알킬, OC1-6 알킬, OCH2Ph, (CH2)j-CO2R26, O-(CH2)k-NR26R27, C(=O)-O-(CH2)k-NR26R27, C(=O)-NR26R27, (CH2)j-NR26R27, NR26NH2, C(=O)-NH-(CH2)j-NR26R27, C(=O)-NH-C6H4-(CH2)j-R26, C(=O)-NH-(CH2)k-C(=NH)NR26R27, -L2-R28, S(O)2-(C1-6 알킬), O-(CH2)k-O-(C1-6 알킬), (CH2)j-S(O)2-NR26R27, C(=NH)-O-(C1-6 알킬), (CH2)k-O-(C1-6 알킬), CN, NCO, Cy, C(O)-NH-(CH2)j-Cy, C(O)-Cy, NH-C(O)-NR26R27, 및
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j 및 s는 0, 1, 2, 3, 4, 5, 또는 6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각각의 k 및 t는 1, 2, 3, 4, 5, 또는 6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각각의 R21은 독립적으로, H, C1-12 알킬, C5-6 헤테로시클릴, C5-9 헤테로아릴, C6-15 헤테로아릴알킬, 페닐, 및 C7-12 아랄킬기로부터 선택되되;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알킬, 페닐, 및 아랄킬기는 1, 2 또는 3개의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임의의 R20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각각의 R24, R26, 및 R27은 독립적으로 H 및 C1-12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Cy는 독립적으로 C5-6 헤테로시클릴 또는 C5-6 헤테로아릴기로부터 선택되되, 헤테로시클릴 또는 헤테로아릴기는 1개 또는 2개의 R20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LS는 결합, 아미노산, 2 내지 6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티드 사슬, 하나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또는 삼중 결합을 함유할 수 있는 1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렌 사슬, 파라포름알데히드 사슬 -(OCH2)1-12-, 폴리에틸렌 글리콜 사슬 -(OCH2CH2)1-6-이며, 이들 사슬은 P, O, S, NH, C5-9 헤테로아릴렌, 페닐렌, 헤테로시클릴, 시클로알킬, 에테르, 옥소, 카복사미딜, 및/또는 우레타닐 모이어티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중단되거나 이를 임의로 혼입하되, C5-9 헤테로아릴렌, 페닐렌, 헤테로시클릴, 및/또는 시클로알킬 모이어티는 임의로 치환되고, 임의로, LS는 다음과 같고:
또는 ;
LC는 아미노산, 아미노산 유도체, 2 내지 6개의 아미노산 또는 아미노산 유도체를 갖는 펩티드 사슬, 하나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또는 삼중 결합을 함유할 수 있는 1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렌 사슬, 파라포름알데히드 사슬 -(OCH2)1-12-, 폴리에틸렌 글리콜 사슬 -(OCH2CH2)1-8-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를 포함하며, 이러한 사슬은 P, O, S, 및/또는 NH기, 및/또는 C5-9 헤테로아릴렌, 및/또는 페닐렌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중단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각각의 C5-9 헤테로아릴렌기 및/또는 각각의 페닐렌기는 임의로 치환되고;
RS는 1가 당류 치환기, 바람직하게는 글리코실 또는 O-글리코실인, 화합물.
구현예 4. 구현예 3에 있어서, G는 식 화학식 G1 내지 G8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구현예 5. 구현예 1 또는 2에 있어서, D는 화학식 (IIIa) 또는 (IIIb)의 A, A-알킬화 DNA 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구현예 6. 구현예 3 또는 4에 있어서, 각각의 R1, R3, R7, 및 R9는 H인, 화합물.
구현예 7. 구현예 3 또는 4에 있어서, 화합물은 화학식 IV의 화합물인, 화합물.
구현예 8. 구현예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Q는 X1-L-X2를 포함하며,
식 중:
X1은 O, S, NR13, CR13R14, CR13R14O, C(=O), C(=O)NR13, NR13C(=O), O-C(O), 및 C(O)-O로부터 선택되거나, 부재하고;
L은 아미노산, 2 내지 6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티드 사슬, 하나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또는 삼중 결합을 함유할 수 있는 1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렌 사슬, 파라포름알데히드 사슬 -(OCH2)1-12-, 폴리에틸렌 글리콜 사슬 -(OCH2CH2)1-6-로부터 선택되며, 이러한 사슬은 P, O, S, 및/또는 NH기, 및/또는 C5-9 헤테로아릴렌, 및/또는 페닐렌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중단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각각의 C5-9 헤테로아릴렌기 및/또는 각각의 페닐렌기는 임의로 치환되고;
X2는 O, S, NR15, CR15R16, CR15R16O, C(=O), C(=O)NR15, NR15C, (=O), O-C(O), 및 C(O)-O로부터 선택되거나, 부재하고;
R13, R14, R15, 및 R16은 독립적으로 H 및 C1-6 알킬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구현예 9. 구현예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B는 (A)q를 포함하며,
식 중:
q는 0, 1, 2, 3, 4, 5, 및 6으로부터 선택되고;
A는 다음으로부터 선택되고:
;
각각의 A1기에 대해, Y3 및 Y4 중 하나는 독립적으로 N-R30, S, 및 O로부터 선택되고; Y3 및 Y4 중 다른 하나는 CH이고; Y5는 독립적으로 CR30, N, S, 및 COH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A2 기에 대해, Y6 및 Y7 중 하나는 독립적으로 N 및 CH로부터 선택되고; Y6 및 Y7 중 다른 하나는 CR30이고;
각각의 R30은 독립적으로 H, C1-6 알킬, L2-R28, 및 RS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구현예 10. 구현예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T는 하기 화학식의 기를 포함하며:
식 중:
p는 0 또는 1이고,
RT는 -L2-R28, 페닐, 및 C5-9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되, 페닐 및 C5-9 헤테로아릴기는 OH, C1-6 알킬, OC1-6 알킬, -L2-R28, (CH2)j-CO2R11, O-(CH2)k-NR11R12, (CH2)j-NR11R12, C(=O)-NH-(CH2)k-NR11R12, C(=O)-NH-R24, 및 C(=O)-NH-(CH2)k-C(=NH)NR11R12로부터 선택되는 최대 3개의 임의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되, 단, 임의로, 임의로 치환된 C5-9 헤테로아릴은 인돌릴이 아니고;
R19는 H, C1-6 알킬, L2-R28, RS, 및 (CH2)t-NR20R21로부터 선택되고;
Y1 및 Y2는 독립적으로 N 또는 CR31이되, Y1 및 Y2 중 적어도 하나는 CR31이고;
각각의 R31은 독립적으로 H, C1-6 알킬, L2-R28, 및 RS로부터 선택되고;
R11, R12, 및 R24는 독립적으로 H, -L2-R28, 및 C1-6 알킬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구현예 11. 선행 구현예 어느 한 항에 청구된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또는 용매화물에 있어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에서, RS는 1가 당류 치환기, 바람직하게는 글리코실 또는 O-글리코실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또는 용매화물.
구현예 12. 구현예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의 L2-R28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구현예 13. 구현예 12에 있어서, D, T, Q, 및/또는 B는 L2-R28기로 치환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구현예 14. 구현예 12 또는 13에 있어서, L2는 다음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
식 중 XAA는 아미노산 서열이고; - K2는 -[CH2CH2O-0-50- 또는 -[CH2]0-12-임.
구현예 15. 구현예 3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LS는 다음과 같고:
,
식 중 LC는 아미노산, 아미노산 유도체, 2 내지 6개의 아미노산 또는 아미노산 유도체를 갖는 펩티드 사슬, 하나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또는 삼중 결합을 함유할 수 있는 1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렌 사슬, 파라포름알데히드 사슬 -(OCH2)1-12-, 폴리에틸렌 글리콜 사슬 -(OCH2CH2)1-8-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를 포함하며, 이러한 사슬은 P, O, S, 및/또는 NH기, 및/또는 C5-9 헤테로아릴렌, 및/또는 페닐렌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중단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각각의 C5-9 헤테로아릴렌기 및/또는 각각의 페닐렌기는 임의로 치환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구현예 16. 구현예 15에 있어서, LC는 , 임의로 또는 를 포함하는, 화합물.
구현예 17. 구현예 15 또는 16에 있어서, LC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사슬 -(OCH2CH2)1-8-, 임의로 -(OCH2CH2)8-을 포함하는, 화합물.
구현예 18. 구현예 15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R28-LC는 다음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구현예 19. 구현예 12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XAA는 L-발릴-L-알라닌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구현예 20. 구현예 12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R28은 말레이미드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
(이는 임의로 표적화제에 연결됨).
구현예 21. 구현예 12 내지 2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L2-R28은 다음을 포함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
;
;
;
;
;
;
;
;
(이들은 임의로 표적화제에 연결됨.)
구현예 22. 표적화제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표적화 접합체를 제공하는, 구현예 21 내지 17 중 어느 하나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
구현예 23. 구현예 22에 있어서,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의 L2-R28기를 포함하고, 표적화제는 상기 L2-R28기를 통해 화합물에 연결되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
구현예 24. 구현예 20 내지 2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표적화제는 항체, 항체 단편, 호르몬, 또는 호르몬 단편을 포함하는, 화합물.
구현예 25. 의약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구현예 1 내지 2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
구현예 26. 증식성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구현예 1 내지 2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
구현예 27. 구현예 26에 있어서, 증식성 질환은 방광암, 골암, 장암, 뇌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결장암, 두경부암, 백혈병, 간암, 폐암, 림프종, 흑색종, 식도암, 구강암, 난소암, 췌장암, 전립선암, 직장암, 신장암, 망막아종, 육종, 피부암, 위암, 고환암, 갑상선암, 및 자궁암으로부터 선택되는, 증식성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
구현예 28. 구현예 1 내지 24 중 어느 하나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 그리고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구현예 29. 증식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의, 구현예 1 내지 2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의 용도.
구현예 30. 증식성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의 치료 방법으로서, 구현예 1 내지 24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구현예 28의 약학적 조성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상기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구현예 31. 구현예 30에 있어서, 증식성 질환은 방광암, 골암, 장암, 뇌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결장암, 두경부암, 백혈병, 간암, 폐암, 림프종, 흑색종, 식도암, 구강암, 난소암, 췌장암, 전립선암, 직장암, 신장암, 망막아종, 육종, 피부암, 위암, 고환암, 갑상선암, 및 자궁암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구현예 32. 구현예 1 내지 2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항체 약물 접합체.
추가의 특정 및 바람직한 양태는 첨부된 독립 청구항 및 종속 청구항에 명시되어 있다. 종속 청구항의 특징은 독립 청구항의 특징과 적절하게 조합될 수 있으며, 해당 청구항에 명시적으로 기재된 것들 이외의 조합으로 조합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A-알킬화제 화합물, PDD-C8 치환 화합물, PDD-N11 치환 화합물, 및 대조군 화합물의 합성
일반 합성 방법. 모든 시약 및 용매는 표준 상업적 공급업체로부터 구매하였으며, 구매된 바와 같이 사용하였다. 구매시 사용된 무수 용매를 추가 건조 없이 사용하여, 아르곤의 불활성 분위기 하에서 무수 반응을 수행하였다. 실리카 겔 알루미늄 플레이트(Merck 60, F254) 상에서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를 수행하고, TLC(UV, 254 nm)로 모니터링하면서 Biotage Isolera One(자동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을 사용하여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모든 핵자기 공명(NMR) 스펙트럼을 실온에서 Cryoprobe이 구비된 Bruker 600 MHz Ultrashield(Cryoplatform이 구비된 Bruker Avance NEO 콘솔), 또는 Varian Mercury Vx Agilent 400 MHz 분광계를 사용하여 수득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적 시프트는 용매에 대해 ppm으로 표현되고 결합 상수는 Hz로 표현된다. Biotage Initiator+ 마이크로파 합성기를 이용하여 마이크로파 반응을 수행하였다. Thermo Scientific-Exactive HCD Orbitrap 질량 분광계를 이용하여 고해상도 질량 분광분석(HRMS)을 수행하였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수율은 단리된 물질(TLC 및 NMR에 의해 균질함이 확임됨)에 대한 것이며, IUPAC 명명법에 따라 명칭이 할당된다.
이동상을 포함하는 물(A) 및 아세토니트릴(B)을 사용하는 Waters Alliance 2695 상에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질량 분광분석(LCMS) 분석 방법 A~C를 수행하였다. 분석 전반에 걸쳐 산성 조건을 보장하기 위해, 아세토니트릴 및 물 둘 모두에 포름산(0.1%)을 첨가하였다. 기능 유형: 다이오드 어레이(535회 스캔). 컬럼 유형: 모놀리식 C18 50 X 4.60 mm. Waters 2996 PDA가 구비된 HPLC에 커플링된 Waters Micromass ZQ 기기를 사용하여 질량 분광분석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사용된 Waters Micromass ZQ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았다: 모세관(kV), 3.38; 원뿔체(V), 35; 추출기(V), 3.0; 소스 온도(℃), 100; 탈용매화 온도(℃), 200; 원뿔체 유량(L/시간), 50; 탈용매화 유량(L/시간), 250. 구배 조건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방법 A (10분): 3분에 걸쳐 95% A/5% B에서 50% B. 이어서, 2분에 걸쳐 50% B에서 80% B. 이어서, 1.5분에 걸쳐 80% B에서 95% B, 그리고 1.5분 동안 일정하게 유지함. 이어서, 0.2분에 걸쳐 5% B로 감소시키고, 1.8분 동안 5% B로 유지함. 유량은 0.5 mL/분이었으며, 질량 분광계로 통과하는 제로 데드 볼륨 T 부품을 통해 200 μL를 분리함. UV 검출기의 파장 범위는 220~400 nm였음.
방법 B (5분): 3분에 걸쳐 95% A/5% B에서 90% B. 이어서, 0.5분에 걸쳐 90%에서 95% B, 그리고 1분 동안 일정하게 유지함. 이어서, 0.5분에 걸쳐 5% B로 감소시킴. 유량은 1.0 mL/분이었으며, 질량 분광계로 통과하는 제로 데드 볼륨 T 부품을 통해 100 μL를 분리함. UV 검출기의 파장 범위는 220~500 nm였음.
방법 C (5분): 95% A/5% B로부터, 3분에 걸쳐 90% B로, 그리고 추가 0.5분에 걸쳐 95% B로 증가시킴. 이어서 구배를 1분 동안 95% B로 유지한 다음, 0.5분에 걸쳐 5% B로 복귀시킴. 해당 실행의 총 지속시간은 5분이었고, 용매 유량은 1 mL/분이었으며, 질량 분광계로 통과하는 제로 데드 볼륨 T 부품을 통해 100 μL를 분리함. UV 검출기의 파장 범위는 220~500 nm였음.
Shimadzu LC-20AD 시리즈, 바이너리 펌프, 다이오드 어레이 검출기 상에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질량 분광분석(LCMS) 분석 방법 D~G를 수행하였다. 컬럼 유형: Agilent Poroshell 120 EC-C18, 2.7 μm, 4.6Х50 mm. 이동상: A: 물 중 0.05% 포름산(v/v); B: 아세토니트릴 중 0.05% 포름산(v/v). 유량: 25℃에서 1 mL/분. 검출기: 214 nm, 254 nm. 구배 정지 시간: 5분. MS: 2020, Quadrupole LC/MS, 이온 소스: API-ESI, TIC: 100~1300 m/z, 건조 가스 유량: 15 L/분, 분무기 압력: 1.5 L/분, 건조 가스 온도: 250℃, Vcap: 4500V. 샘플 제조: 샘플을 1~10 μg/mL의 메탄올 중에 용해시킨 다음, 0.22 μm 필터 멤브레인을 통해 여과함. 주입량: 1~10 μ L. 구배 조건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방법 D (5분): 0.5분 동안 20% A/80% B, 이를 3.5분에 걸쳐 100% B로 증가시킨 다음, 0.5분 동안 100% B로 유지함. 이어서, 0.5분 동안 20% A/80% B로 복귀시킴.
방법 E (5분): 0.5분 동안 50% A/50% B, 이를 3.5분에 걸쳐 100% B로 증가시킨 다음, 0.5분 동안 100% B로 유지함. 이어서, 0.5분 동안 50% A/50% B로 복귀시킴.
방법 F (5분): 0.5분 동안 85% A/15% B, 이를 3.5분에 걸쳐 100% B로 증가시킨 다음, 0.5분 동안 100% B로 유지함. 이어서, 0.5분 동안 85% A/15% B로 복귀시킴.
방법 G (5분): 0.5분 동안 97% A/3% B, 이를 3.5분에 걸쳐 30% A/70% B로 증가시킨 다음, 0.5분 동안 100% B로 유지함. 이어서, 0.5분 동안 97% A/3% B로 복귀시킴.
SGWzz-1 자동 Polarimeter(Shanghai Shen Guang Instrument Co., Ltd.) 또는 Bellingham-Stanley ADP 440+ Polarimeter 상에서 광 회전을 측정하였다.
다음의 이동상으로 용리하는 Phenomenex Gemini NX 5m, C18, 110 Å, 150 x 50 mm 컬럼을 사용하는 CTC IFC이 구비된 Shimadzu LC 상에서 역상 분취 HPLC를 수행하였다: A) 물(0.1% TFA), B) 아세토니트릴, 유속 50 mL/분.
실시예 1A: 화합물(10)의 합성.
3-(메톡시카르보닐)-4-페닐부트-3-엔산 (1)
삼차-부탄올(500 mL) 중 벤즈알데히드(100 g, 942 mmol) 및 디메틸 숙신산염(206 g, 1.41 mol)의 용액을 삼차-부탄올(1.5 L) 중 칼륨 삼차-부톡시드(158 g, 1.41 mol)의 환류 용액에 1시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그런 다음, 혼합물을 추가로 30분 동안 교반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진공에서 농축시킨 후, 생성된 잔류물을 물(50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500 mL)로 추출하였다. 그런 다음, 염산 수용액(6 M)으로 수성상을 pH = 4~5로 산성화시킨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1 L)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추출물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300 g, 비순수)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MS (ES+): m/z = 221 (M+H)+; LCMS (방법 F): t R = 3.23분.
메틸 4-하이드록시-2-나프토에이트 (2)
테트라하이드로푸란(1.5 L) 중 3-(메톡시카르보닐)-4-페닐부트-3-엔산(1)(300 g)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99.3 mL, 714 mmol)의 용액을 7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TLC로 출발 물질의 소모를 확인하였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수산화나트륨 수용액(1 M)으로 pH = 8~9로 조정하고, 에틸 아세테이트(1 L)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스피릿, 40~60℃(10%)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100 g, 53%)을 황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MS (ES+): m/z = 202 (M+H)+; LCMS (방법 F): t R = 3.55분.
메틸 4-(벤질옥시)-2-나프토에이트 (3)
N,N-디메틸포름아미드(800 mL) 중 메틸 4-하이드록시-2-나프토에이트(2)(200 g, 990 mmol), 벤질 브롬화물(203 g, 1.19 mol), 및 탄산 세슘(386 g, 1.19 mol)의 용액을 9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 TLC로 출발 물질의 소모를 확인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5 L)로 희석하고, 물(1 L x 2), 이어서 염수(500 mL)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250 g, 86%)을 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4-(벤질옥시)-2-나프토산 (4)
톨루엔(500 mL) 중 메틸 4-(벤질옥시)-2-나프토에이트(3)(250 g, 856 mmol)의 용액에 수산화나트륨 수용액(12 M, 300 mL)을 채우고 100℃로 16시간 동안 가열한 후, TLC로 출발 물질의 소모를 확인하였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그런 다음,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5 L)에 용해시키고 염산 수용액(6 M)으로 pH = 2로 산성화시켰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스피릿, 40~60℃(10%)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90 g, 32%)을 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MS (ES+): m/z = 279 (M+H)+; LCMS (방법 F): t R = 4.09분.
삼차
-부틸 (4-(벤질옥시)나프탈렌-2-일)카르바메이트 (5)
톨루엔(300 mL) 중 4-(벤질옥시)-2-나프토산(4)(50.0 g, 180 mmol), 디페닐 포스포릴 아지드(41.5 mL, 234 mmol), 및 트리에틸아민(28.9 mL, 270 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TLC로 출발 물질의 소모를 확인하였다. 삼차-부탄올(200 m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90℃에서 1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1.5 L) 및 물(500 mL)로 희석하였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스피릿, 40~60℃(10%)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35 g, 56%을 핑크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MS (ES+): m/z = 350 (M+H)+; LCMS (방법 F): t R = 4.67분.
삼차
-부틸 (4-(벤질옥시)-1-요오드나프탈렌-2-일)카르바메이트 (6)
메탄올(400 mL) 및 물(100 mL) 중 삼차-부틸 (4-(벤질옥시)나프탈렌-2-일)카르바메이트(5)(55.0 g, 157 mmol), 요오드산(5.50 g, 31.5 mmol), 및 요오드(16.0 g, 63 mmol)의 혼합물을 8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후, TLC로 출발 물질의 소모를 확인하였다. 혼합물을 물(1.0 L)로 희석하고 여과하였다. 생성된 케이크를 메탄올(200 mL)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72 g, 96%)을 갈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MS (ES+): m/z = 476 (M+H)+; LCMS (방법 E): t R = 4.91분.
삼차
-부틸)-(4-(벤질옥시)-1-요오드나프탈렌-2-일)(옥시란-2-일메틸)카르바메이트 (7)
N,N-디메틸포름아미드(500 mL) 중 삼차-부틸 (4-(벤질옥시)-1-요오드나프탈렌-2-일)카르바메이트(6)(52 g, 109 mmol)의 용액에 수소화 나트륨(광유 중 60% 분산액, 17 g, 425 mmol)을 채우고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S)-옥시란-2-일메틸 3-니트로벤젠설포네이트(51 g, 197 mmol)를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3시간 동안 추가로 교반하였다. TLC로 출발 물질의 소모를 확인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얼음물(500 mL)에 조심스럽게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1.0 L)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물(500 mL) 및 염수(300 mL)로 세척한 다음,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55 g, 95%)을 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8.33-8.32 (m, 1H), 8.41-8.20 (m, 1H), 7.59-7.48 (m, 4H), 7.45-7.33 (m, 3H), 6.94-6.83 (m, 1H), 5.28 (s, 2H), 4.15-4.09 (m, 1H), 3.50-3.42 (m, 1H), 3.14-3.13 (m, 1H), 2.82-2.60 (m, 1H), 2.41 (ddd, J=12.4, 4.8, 2.8 Hz, 1H), 1.33-1.31 (m, 9H).
삼차
-부틸(
S
)-5-(벤질옥시)-1-(하이드록시메틸)-1,2-디하이드로-3
H
-벤조[
e
]인돌-3-카르복실레이트 (8)
염화아연(테트라하이드로푸란 중 1 M, 28 mL)을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40 mL)에서 희석하고, 아르곤의 불활성 분위기 하에서 0℃로 냉각시켰다. 그런 다음, 메틸 리튬의 용액(디에틸 에테르 중 1.6 M, 70.6 mL)을 냉각된 혼합물에 첨가하고, 적가하고, 30분 동안 교반한 후, -78℃까지 추가로 냉각시켰다. (트리메틸실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4 mL, 28.2 mmol)를 -78℃에서 반응 혼합물에 적가한 후, 30분 동안 0℃로 가온한 다음, -78℃로 다시 냉각시켰다. 테트라하이드로푸란(20 mL) 중 삼차-buI (R)-(4-(벤질옥시)-1-요오드나프탈렌-2-일)(옥시란-2-일메틸)카르바메이트(7)(10 g, 18.8 mmol)의 용액을 -78℃에서 30분 동안 반응 혼합물에 적가한 다음, 1시간 동안 0℃로 가온하고, 이어서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염화암모늄의 포화 수용액으로 퀀칭시킨 후,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500 mL x 3)으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물을 염수(100 mL)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10 g, 비순수)을 수득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8.29 (d, J=8.4 Hz, 1H), 7.90 (s, 1H), 7.71 (d, J=8.2 Hz, 1H), 7.55 (d, J=6.8 Hz, 2H), 7.51-7.40 (m, 3H), 7.36-7.32 (m, 2H), 5.27 (s, 2H), 4.22 (d, J=11.4 Hz, 1H), 4.13 (t, J=10.0 Hz, 1H), 4.01-3.95 (m, 1H), 3.85 (bs, 1H), 3.81-3.73 (m, 1H), 1.60 (s, 9H); MS (ES+): m/z = 406 (M+H)+; LCMS (방법 F): t R = 4.69분.
삼차
-부틸(
S
)-5-(벤질옥시)-1-(클로로메틸)-1,2-디하이드로-3
H
-벤조[
e
]인돌-3-카르복실레이트 (9)
디클로로메탄(50 mL) 중 삼차-부틸 (S)-5-(벤질옥시)-1-(하이드록시메틸)-1,2-디하이드로-3H-벤조[e]인돌-3-카르복실레이트(8)(10.0 g, 12.4 mmol), 사염화탄소(30 mL), 및 트리페닐포스핀(3.90 g, 14.8 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TLC로 출발 물질의 소모를 확인하였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스피릿, 40~60℃(10%)로 용리하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에 의한 정제에 이어서 디클로로메탄/석유 스피릿, 40-60℃(90%)로부터 재결정하여 표제 화합물(1.47 g, 28%)을 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α]D 23 = -14.5o (c 0.470, CH2Cl2); 1H NMR (400 MHz, CDCl3) δ 8.29 (d, J=8.4 Hz, 1H), 7.86 (s, 1H), 7.65 (d, J=8.4 Hz, 1H), 7.58-7.30 (m, 7H), 5.27 (s, 2H), 4.27-4.24 (m, 1H), 4.13 (t, J=10.6 Hz, 1H), 4.01-3.87 (m, 2H), 3.44 (t, J=10.4 Hz, 1H), 1.61 (s, 9H); MS (ES+): m/z = 424 (M+H)+; LCMS (방법 D): t R = 4.27분.
(
S
)-1-(클로로메틸)-2,3-디하이드로-1
H
-벤조[
e
]인돌-5-올 염산염 (10)
무수 디클로로메탄(3 mL) 중 삼차-부틸 (S)-5-(벤질옥시)-1-(클로로메틸)-1,2-디히드로-3H-벤조[e]인돌-3-카르복실레이트(9)(100 mg, 0.236 mmol)의 용액에 주사기를 통해 적가하는 방식으로 실온에서 붕소 삼염화물(디클로로메탄 중 1 M 용액, 708 μL, 0.708 mmol)을 채우고, 아르곤 불활성 분위기 하에서 교반하였다. 생성된 주황색 용액을 5분 동안 교반한 다음, 메탄올(5 mL)을 조심스럽게 첨가하여 퀀칭시키고, 이어서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에 메탄올(5 mL)을 다시 채우고 진공 하에서 재농축시켰다. 그런 다음, 디에틸 에테르(5 mL)를 채우고, 잔류물을 진공 하에서 다시 농축시켰다. 그런 다음, 잔류물을 30분 동안 고진공에 노출시켜 표제 화합물(55 mg, 비순수)을 담녹색 결정질 고형분(불안정)으로서 수득하였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후속 단계(아미드 커플링)에서 즉시 사용하였다. MS (ES+): m/z = 234 (M+H)+; LCMS (방법 C): t R = 2.62분.
실시예 1B: 화합물 (16)의 합성.
메틸 4-브로모-1-메틸-1
H
-피롤-2-카르복실레이트 (12)
수소화 나트륨(광유 중 60% 분산액, 300 mg, 613 m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10 mL)에 희석하고 0℃에서 교반하였다. 메틸 4-브로모-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11)(1.00 g, 4.90 mmol)의 용액을 0℃에서 10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요오드화메틸(1.04 g, 7.40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한 후, 혼합물을 물에 붓고, 이어서 에틸 아세테이트(20 mL x 2)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추출물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스피릿, 40~60℃(20%)로 용리하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0.96 g, 90%)을 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6.90 (s, 1H), 6.77 (s, 1H), 3.90 (s, 3H), 3.81 (s, 3H).
메틸4-(4-((
삼차
-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1-메틸-1
H
-피롤-2-카르복실레이트 (13)
톨루엔, 물 및 프로판-2-올(10 mL) 중 메틸 4-브로모-1-메틸-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12)(1.12 g, 5.14 mmol) 및 삼차-부틸(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카르바메이트(1.97 g, 6.16 mmol)의 용액에 탄산칼륨(2.14 g, 15.5 mmol)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0.36 g, 0.31 mmol)을 채웠다. 그런 다음, 생성된 혼합물을 110℃로 16시간 동안 가열하고, 후속하여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물(20 mL)로 희석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과 염수 사이에서 분리한 다음, 유기층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스피릿, 40~60℃(33%)로 용리하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0.87 g, 51%)을 옅은 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42-7.37 (m, 2H), 7.36-7.32 (m, 2H), 7.16 (d, J=2.0 Hz, 1H), 7.02 (d, J=2.0 Hz, 1H), 6.56 (s, 1H), 3.94 (s, 3H), 3.83 (s, 3H), 1.45 (s, 9H); 13C NMR (100 MHz, CDCl3) δ 161.7, 136.5, 129.4, 127.1, 125.9, 125.5, 123.6, 119.0, 115.6, 114.6, 60.4, 51.1, 36.9, 28.3; MS (ES+): m/z = 331 (M+H)+; LCMS (방법 B): t R = 4.22분.
메틸 4-(4-아미노페닐)-1-메틸-1
H
-피롤-2-카르복실레이트 (14)
1,4-디옥산(20 mL) 중 메틸 4-(4-((삼차-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1-메틸-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13)(4.8 g, 14.5 mmol)의 용액에 HCl(1,4-디옥산 중 4 M, 20 mL)을 실온에서 채웠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TLC로 반응 완료를 확인하였다. 반응물을 탄산수소나트륨 포화 수용액으로 퀀칭하고 에틸 아세테이트(20 mL x 2)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추출물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스피릿, 40~60℃(25%)로 용리하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1 g, 92%)을 연황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7.36 (s, 1H), 7.21 (d, J=8.0 Hz, 2H), 7.03 (s, 1H), 6.54 (d, J=8.0 Hz, 2H), 5.00 (s, 2H), 3.85 (s, 3H), 3.74 (s, 3H); MS (ES+): m/z = 231 (M+H)+; LCMS (방법 F): t R = 2.14분.
메틸 4-(4-(4-((
삼차-
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메틸-1
H
-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1-메틸-1
H
-피롤-2-카르복실레이트 (15)
N,N-디메틸포름아미드(20 mL) 중 메틸 4-(4-아미노페닐)-1-메틸-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14)(2.18 g, 9.47 mmol) 및 4-((삼차-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메틸-1H-피롤-2-카르복시산(2.73 g, 11.4 mmol)의 용액에 4-디메틸아미노피리딘(2.89 g, 23.7 mmol) 및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3.63 g, 18.9 mmol)을 채웠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탄산수소나트륨 포화 수용액으로 퀀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20 mL x 2)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추출물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메탄올/디클로로메탄(2%)으로 용리하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61 g, 84%)을 연황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8.01 (s, 1H), 7.71 (s, 1H), 7.54-7.49 (m, 2H), 7.44-7.40 (m, 2H), 7.17 (d, J=2.0 Hz, 1H), 7.03 (d, J=2.0 Hz, 1H), 6.85 (s, 1H), 6.63 (s, 1H), 3.94 (s, 3H), 3.88 (s, 3H), 3.83 (s, 3H), 1.50 (s, 9H); 13C NMR (100 MHz, CDCl3) δ 161.7, 159.5, 136.0, 130.4, 126.0, 125.5, 123.5, 123.4, 121.8, 120.3, 118.6, 114.6, 110.0, 103.7, 51.1, 36.9, 36.7, 28.4; MS (ES+): m/z = 453 (M+H)+; LCMS (방법 F): t R = 3.85분.
메틸 4-(4-(4-아미노-1-메틸-1
H
-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1-메틸-1
H
-피롤-2-카르복실레이트 (16)
1,4-디옥산(20 mL) 중 메틸 4-(4-(4-((삼차-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메틸-1H-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1-메틸-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15)(2.42 g, 5.35 mmol)의 용액에 실온에서 HCl(1,4-디옥산 중 4 M, 20 mL)을 채웠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TLC는 출발 물질의 소모를 나타냈다. 반응물을 탄산수소나트륨 포화 수용액으로 퀀칭하고 에틸 아세테이트(20 mL x 2)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추출물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디에틸 에테르(1:8)(30 mL)로 분쇄하여 표제 화합물(1.71 g, 90%)을 연황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9.52 (s, 1H), 7.67 (d, J=8.0 Hz, 2H), 7.55 (s, 1H), 7.49 (d, J=8.0 Hz, 2H), 7.19 (s, 1H), 6.46 (s, 1H), 6.32 (s, 1H), 3.88 (br, 5H), 3.76 (s, 3H), 3.73 (s, 3H); MS (ES+): m/z = 353 (M+H)+; LCMS (방법 F): t R = 2.41분.
실시예 1C: 화합물 (18)의 합성.
6-((5-((4-(5-(메톡시카르보닐)-1-메틸-1
H
-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아미노)-6-옥소헥산산 (17)
디클로로메탄(0.5 mL) 중 아디프산(38 mg, 0.26 mmol)의 용액에 트리에틸아민(151 μL, 1.08 mmol) 및 HATU(103 mg, 0.27 mmol)을 채우고, 5분 동안 교반한 다음, 메틸 4-(4-(4-아미노-1-메틸-1H-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1-메틸-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16)(100 mg, 0.26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물(10 mL)을 채우고, 에틸 아세테이트(20 mL x 2)로 추출하였다. 그런 다음, 염산(1 M, 수성)을 조심스럽게 첨가하여 수성층을 pH = 6으로 산성화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20 mL x 2)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추출물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추가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MS (ES+): m/z = 480 (M+H)+; LCMS (방법 A): t R = 6.33분.
메틸 (
S
)-4-(4-(4-(6-(1-(클로로메틸)-5-하이드록시-1,2-디하이드로-3
H
-벤조[
e
]인돌-3-일)-6-옥소헥산아미도)-1-메틸-1
H
-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1-메틸-1
H
-피롤-2-카르복실레이트 (18)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1 mL) 중 6-((5-((4-(5-(메톡시카르보닐)-1-메틸-1H-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6-옥소헥산산(17)(34 mg, 0.071 mmol)의 용액에 (S)-1-(클로로메틸)-2,3-디하이드로-1H-벤조[e]인돌-5-올 염산염(10)(32 mg, 0.12 mmol)에 이어서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68 mg, 0.36 mmol)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추가의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68 mg, 0.36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35℃로 가열하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0 mL)로 희석하고, 차가운 염수(20 mL x 2)로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스피릿, 40~60℃(0%~100%)로 용리하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4.1 mg, 8%)을 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10.32 (s, 1H), 9.82 (s, 1H), 9.77 (s, 1H), 8.06 (d, J=8.5 Hz, 1H), 7.96 (s, 1H), 7.76 (d, J=8.3 Hz, 1H), 7.66 (d, J=8.5 Hz, 2H), 7.54 (s, 1H), 7.49 (d, J=8.3 Hz, 2H), 7.46 (d, J=8.2 Hz, 1H), 7.32-7.25 (m, 1H), 7.20 (s, 1H), 7.18 (s, 1H), 6.94 (s, 1H), 4.31 (t, J=10.2 Hz, 1H), 4.14 (m, 2H), 3.96 (m, 1H), 3.87 (s, 3H), 3.81 (s, 3H), 3.79-3.76 (m, 1H), 3.75 (s, 3H), 2.60-2.51 (m, 2H), 2.28 (m, 2H), 1.71-1.58 (m, 4H); MS (ES+): m/z = 697 (M+H)+; LCMS (방법 A): t R = 7.80분.
실시예 1D: 화합물 (22)의 합성.
메틸 4-(4-(4-아미노-1-메틸-1
H
-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1-메틸-1
H
-피롤-2-카르복실레이트 염산염 (19)
1,4-디옥산(15 mL) 중 메틸 4-(4-(4-((삼차-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메틸-1H-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1-메틸-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15)(1.0 g, 2.2 mmol)의 용액에 HCl(1,4-디옥산 중 4 M, 15 mL)을 채우고, 실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완료 시, 반응 혼합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이어서 디에틸 에테르(15 mL)를 첨가하고, 잔류물을 진공 하에서 재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베이지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10.11 (br, 2H), 9.98 (s, 1H), 7.69 (d, J=8.0 Hz, 2H), 7.58 (s, 1H), 7.53 (d, J=8.0 Hz, 2H), 7.21 (s, 1H), 7.20 (s, 1H), 7.11 (s, 1H), 3.89 (br, 6H), 3.76 (s, 3H); MS (ES+): m/z = 353 (M+H)+; LCMS (방법 A): t R = 5.38분.
메틸 4-(4-(4-(5-(
삼차
-부톡시)-5-옥소펜탄아미도)-1-메틸-1
H
-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1-메틸-1
H
-피롤-2-카르복실레이트 (20)
디클로로메탄(1 mL) 중 펜탄디오익산 모노-삼차-부틸 에스테르(125 mg, 0.67 mmol)의 용액에 트리에틸아민(378 μL, 2.56 mmol) 및 HATU(258 mg, 0.67 mmol)를 채우고,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메틸 4-(4-(4-아미노-1-메틸-1H-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1-메틸-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 염산염(19)(250 mg, 0.64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완료 시, 혼합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30%~80%)로 용리하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87 mg, 56%)을 회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MS (ES+): m/z = 523 (M+H)+; LCMS (방법 A): t R = 7.62분.
5-((5-((4-(5-(메톡시카르보닐)-1-메틸-1H-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5-옥소펜탄산 (21)
메틸 4-(4-(4-(5-(삼차-부톡시)-5-옥소펜탄아미도)-1-메틸-1H-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1-메틸-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20)(170 mg, 0.33 mmol)를 HCl(1,4-디옥산 중 1 M, 4 mL)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완료 후, 반응 혼합물에 탄산수소나트륨 포화 수용액(10 mL)을 채우고 에틸 아세테이트(15 mL x 2)로 추출하였다. 그런 다음, 합쳐진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MS (ES+): m/z = 467 (M+H)+; LCMS (방법 A): t R = 6.47분.
메틸 (
S
)-4-(4-(4-(5-(1-(클로로메틸)-5-하이드록시-1,2-디하이드로-3
H
-벤조[
e
]인돌-3-일)-5-옥소펜탄아미도)-1-메틸-1
H
-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1-메틸-1
H
-피롤-2-카르복실레이트 (22)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1 mL) 중 5-((5-((4-(5-(메톡시카르보닐)-1-메틸-1H-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5-옥소펜탄산(21)(94 mg, 0.20 mmol)의 용액을 (S)-1-(클로로메틸)-2,3-디하이드로-1H-벤조[e]인돌-5-올 염산염(10)(54 mg, 0.20 mmol) 및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153 mg, 0.80 mmol)에 첨가하였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완료 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차가운 염수(20 mL x 2)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60%~100%)로 용리하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4 mg, 18%)을 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10.34 (br, 1H), 9.85 (br, 1H), 9.78 (br, 1H), 8.06 (d, J=8.2 Hz, 1H), 7.99 (s, 1H), 7.76 (d, J=8.6 Hz, 1H), 7.67 (d, J=8.2 Hz, 2H), 7.49 (m, 4H), 7.30 (t, J=8.0 Hz, 1H), 7.21 (s, 1H), 7.18 (s, 1H), 6.95 (s, 1H), 4.33-4.28 (m, 1H), 4.14-4.12 (m, 1H), 3.98-3.96 (m, 1H), 3.87 (s, 3H), 3.81 (s, 3H), 3.80-3.78 (m, 1H), 3.75 (s, 3H), 2.61-2.51 (m, 2H), 2.36 (t, J=7.4 Hz, 2H), 1.19 (t, J=7.4 Hz, 2H); MS (ES+): m/z = 682 (M+H)+; LCMS (방법 A): t R = 7.67분.
실시예 1E: 화합물 (24)의 합성.
4-((5-((4-(5-(메톡시카르보닐)-1-메틸-1
H
-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탄산 (23)
디클로로메탄(1 mL) 중 숙신산(42 mg, 0.38 mmol)의 용액에 트리에틸아민(225 μL, 1.56 mmol) 및 HATU(148 mg, 0.67 mmol)를 채우고,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메틸 4-(4-(4-아미노-1-메틸-1H-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1-메틸-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16)(150 mg, 0.38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완료 시, 혼합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MS (ES+): m/z = 453 (M+H)+; LCMS (방법 A): t R = 6.45분.
메틸 (
S
)-4-(4-(4-(4-(1-(클로로메틸)-5-하이드록시-1,2-디하이드로-3
H
-벤조[
e
]인돌-3-일)-4-옥소부탄아미도)-1-메틸-1
H
-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1-메틸-1
H
-피롤-2-카르복실레이트 (24)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1 mL) 중 4-((5-((4-(5-(메톡시카르보닐)-1-메틸-1H-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탄산(23)(170 mg, 0.38 mmol)의 용액을 (S)-1-(클로로메틸)-2,3-디하이드로-1H-벤조[e]인돌-5-올 염산염(10)(101 mg, 0.38 mmol) 및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288 mg, 1.50 mmol)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후속하여,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차가운 염수(20 mL x 2)로 세척한 다음,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70%~100%)로 용리하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3 mg, 5%)을 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10.31 (br, 1H), 9.93 (br, 1H), 9.77 (br, 1H), 8.06 (d, J=8.2 Hz, 1H), 7.94 (s, 1H), 7.77 (d, J=8.6 Hz, 1H), 7.67 (d, J=8.6 Hz, 2H), 7.53 (s, 1H), 7.50-7.46 (m, 3H), 7.30 (t, J=7.6 Hz, 1H), 7.19-7.18 (m, 2H), 6.97 (s, 1H), 4.36 (t, J=10.0 Hz, 1H), 4.21-4.16 (m, 2H), 4.01-3.98 (m, 1H), 3.87 (s, 3H), 3.81 (s, 3H), 3,79 (s, 1H), 3.75 (s, 3H), 2.84-2.77 (m, 2H), 2.63-2.60 (m, 2H); MS (ES+): m/z = 669 (M+H)+; LCMS (방법 A): t R = 7.75분.
실시예 1F: 화합물 (29)의 합성.
에틸 6-아미노이미다조[1,2-
a
]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25)
메탄올(10 mL) 중 에틸 6-니트로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1.00 g, 4.25 mmol)의 슬러리를 0℃로 냉각시키고, 염산(12 M, 3.5 mL)을 조심스럽게 채웠다. 그런 다음, 아연 분말(1.11 g, 17.0 mmol)을 동일한 온도에서 나누어 첨가하여 투명한 용액을 수득하고, 이를 5℃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후, 실온으로 가온시키고, 이어서 이를 30분 동안 추가로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암모니아(메탄올 중 7 N, 10 mL)를 서서히 첨가하여 녹색 슬러리를 퀀칭시켜 베이지색 고형분을 수득하였다(pH = 10). 고형분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생성된 케이크를 메탄올(20 mL x 2)로 세척하였다. 그런 다음, 여액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차가운 클로로포름(35 mL)에 현탁시켰다. 그런 다음, 물(15 mL)에 이어서 암모니아(35%, 수성, 15 mL)를 채워 갈색 슬러리를 수득하고, 투명해질 때까지 이를 교반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클로로포름(20 mL)으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추출물을 염수(10 mL)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367 mg, 42%)을 녹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8.30 (s, 1H), 7.65 (d, J=1.3 Hz, 1H), 7.35 (d, J=9.6 Hz, 1H), 6.93 (dd, J=9.6, 2.1 Hz, 1H), 5.08 (s, 2H), 4.24 (q, J=7.1 Hz, 2H), 1.27 (t, J=7.1 Hz, 3H); MS (ES+): m/z = 206 (M+H)+; LCMS (방법 A): t R = 3.83분.
에틸6-(4-(메톡시메톡시)벤즈아미도)이미다조[1,2-
a
]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26)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1 mL) 중 4-(메톡시메톡시)벤조산(216 mg, 1.18 mmol)의 용액에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272 mg, 1.42 mmol)을 채우고 실온에서 2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1.5 mL) 중 에틸 6-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25)(243 mg, 1.18 mmol)의 사전 초음파처리된 용액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후속하여, 에틸 아세테이트(10 mL)로 희석한 후, 혼합물을 차가운 염수(10 mL x 2)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284 mg, 65%)을 녹색 오일로서 수득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MS (ES+): m/z = 370 (M+H)+; LCMS (방법 A): t R = 5.83 min.
6-(4-(메톡시메톡시)벤즈아미도)이미다조[1,2-
a
]피리딘-2-카르복시산 (27)
테트라하이드로푸란(2 mL) 중 에틸 6-(4-(메톡시메톡시)벤즈아미도)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26)(284 mg, 0.77 mmol)의 용액에 수산화칼륨(1 M, 수성, 2.3 mL)을 실온에서 채우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pH = 6이 될 때까지, 구연산의 포화 수용액을 조심스럽게 첨가하여 적색/갈색 용액을 퀀칭시켰다. 생성된 황색 침전물을 감압 하에 여과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및 물로 세척하였다. 그런 다음, 여과된 고형분에 고진공을 30분 동안 인가하여, 표제 화합물(235 mg, 90%)을 크림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MS (ES+): m/z = 342 (M+H)+; LCMS (방법 A): t R = 4.88분.
(
S
)-
N
-(2-(1-(클로로메틸)-5-하이드록시-2,3-디하이드로-1
H
-벤조[
e
]인돌-3-카르보닐)이미다조[1,2-
α
]피리딘-6-일)-4-(메톡시메톡시)벤즈아미드 (28)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1 mL) 중 6-(4-(메톡시메톡시)벤즈아미도)이미다조[1,2-a]피리딘-2-카르복시산(27)(80 mg, 0.23 mmol)의 슬러리에 (S)-1-(클로로메틸)-2,3-디하이드로-1H-벤조[e]인돌-5-올 염산염(10)(66 mg, 0.24 mmol)에 이어서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137 mg, 0.71 mmol)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후속하여,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0 mL)로 희석하고, 차가운 염수(10 mL x 2)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0%~100%)로 용리하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50 mg, 38%)을 크림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10.40 (s, 1H), 10.29 (s, 1H), 9.44-9.40 (m, 1H), 8.63 (s, 1H), 8.10 (d, J=8.2 Hz, 1H), 8.03 (br, 1H), 7.98 (d, J=9.3 Hz, 2H), 7.81 (d, J=8.4 Hz, 1H), 7.70 (d, J=9.7 Hz, 1H), 7.56 (dd, J=9.8, 2.0 Hz, 1H), 7.53-7.47 (m, 1H), 7.37-7.31 (m, 1H), 7.16 (d, J=9.3 Hz, 2H), 5.29 (s, 2H), 4.95 (d, J=11.4 Hz, 1H), 4.75 (dd, J=13.5, 6.9 Hz, 1H), 4.20-4.14 (m, 1H), 3.98 (dd, J=11.1, 3.0 Hz, 1H), 3.78 (dd, J=11.0, 7.8 Hz, 1H), 3.39 (s, 3H); MS (ES+): m/z = 557 (M+H)+; LCMS (방법 A): t R = 6.70분.
(
S
)-
N
-(2-(1-(클로로메틸)-5-하이드록시-2,3-디하이드로-1
H
-벤조[
e
]인돌-3-카르보닐)이미다조[1,2-
α
]피리딘-6-일)-4-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 (29)
(S)-N-(2-(1-(클로로메틸)-5-하이드록시-2,3-디하이드로-1H-벤조[e]인돌-3-카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6-일)-4-(메톡시메톡시)벤즈아미드(28)(45 mg, 0.081 mmol)에 HCl(1,4-디옥산 중 4 M, 2 mL)을 채우고, 생성된 녹색 슬러리를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다음, 과량의 차가운 디에틸 에테르로 채웠다. 진공 하에서 농축시킨 다음, 머스타드 잔류물을 메탄올/에틸 아세테이트(0%~55%)로 용리하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5.47 mg, 13%)을 크림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10.20 (s, 1H), 9.42 (s, 1H), 8.63 (s, 1H), 8.10 (d, J=8.4 Hz, 1H), 8.03 (br, 1H), 7.89 (d, J=8.2 Hz, 2H), 7.81 (d, J=8.1 Hz, 1H), 7.69 (d, J=9.7 Hz, 1H), 7.57 (dd, J=9.8, 1.2 Hz, 1H), 7.53-7.47 (m, 1H), 7.37-7.31 (m, 1H), 6.89 (d, J=8.1 Hz, 2H), 4.94 (d, J=11.3 Hz, 1H), 4.74 (t, J=10.5 Hz, 1H), 4.20-4.14 (m, 1H), 4.01-3.94 (m, 1H), 3.78 (dd, J=11.2, 7.9 Hz, 1H); MS (ES+): m/z = 513 (M+H)+; LCMS (방법 A): t R = 6.17분.
실시예 1G: 화합물 (37)의 합성.
4-(4-(4-((
삼차-
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메틸-1
H
-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1-메틸-1
H
-피롤-2-카르복시산 (30)
테트라하이드로푸란(15 mL), 메탄올(5 mL) 및 물(5 mL) 중 메틸 4-(4-(4-((삼차-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메틸-1H-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1-메틸-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15)(5.00 g, 11.0 mmol)의 용액에 수산화리튬(1.30 g, 54.2 mmol)을 채우고 3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생성된 혼합물을 진공 하에서 부분적으로 농축시키고(메탄올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제거함), 점성 유화액을 수득하고,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250 mL) 및 아세톤(10 mL)으로 희석하였다. 구연산 수용액(1 M)으로 pH 5로 산성화시킨 후, 수성층을 분리하고, 이어서 에틸 아세테이트(250 mL)로 추출한 다음, 합쳐진 유기 추출물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그런 다음, 생성된 베이지색 고형 잔류물을 디에틸 에테르/헥산(1:1) 중에서 빠르게 교반하면서 분쇄한 다음, 감압 하에 여과하고, 이어서 고진공 하에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3.3 g, 69%)을 크림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12.23 (s, 1H), 9.75 (s, 1H), 9.11 (s, 1H), 7.70 (d, J=8.7 Hz, 2H), 7.53-7.44 (m, 3H), 7.13 (d, J=2.2 Hz, 1H), 6.99-6.90 (m, 2H), 3.87 (s, 3H), 3.81 (s, 3H), 1.46 (s, 9H); MS (ES+): m/z = 439 (M+H)+; LCMS (방법 A): t R = 7.02분.
삼차-부틸
(5-((4-(5-((4-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카르바메이트 (31)
N,N-디메틸포름아미드(15 mL) 중 4-(4-(4-((삼차-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메틸-1H-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1-메틸-1H-피롤-2-카르복시산(30)(3.30 g, 7.53 mmol)의 용액에 트리에틸아민(4.40 mL, 31.6 mmol) 및 HATU(3.00 g, 7.90 mmol)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후, 1,4-디아미노벤젠(814 mg, 7.53 mmol)을 첨가하고,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50 mL)로 희석하고, 차가운 염수(100 mL) 및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100 mL)으로 세척하였다. 그런 다음, 유기상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급속 교반 하에서 디에틸 에테르/헥산(1:1)으로부터 분쇄한 다음 감압 하에 여과하고, 이어서 고진공 하에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4 g, 정량)을 머스타드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DMSO-d 6 ) δ 9.75 (s, 1H), 9.47 (s, 1H), 9.11 (s, 1H), 7.70 (d, J=8.6 Hz, 2H), 7.47 (d, J=8.6 Hz, 2H), 7.38 (d, J=1.8 Hz, 1H), 7.33 (d, J=9.0 Hz, 2H), 7.29 (d, J=1.8 Hz, 1H), 6.93 (br, 2H), 6.53 (d, J=9.0 Hz, 2H), 4.86 (br, 2H), 3.89 (s, 3H), 3.81 (s, 3H), 1.46 (s, 9H); MS (ES+): m/z = 529 (M+H)+; LCMS (방법 A): t R = 6.25분.
삼차-부틸
(5-((4-(5-((4-(((알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카르바메이트 (32)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15 mL) 중 삼차-부틸 (5-((4-(5-((4-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카르바메이트(31)(4.00 g, 7.57 mmol)의 용액을 0℃로 냉각시키고, 피리딘(1.40 mL, 17.4 mmol)을 채운 다음, 알릴 클로로포르메이트(885 μL, 8.32 mmol)를 적가하였다.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디에틸 에테르로부터 침전시키고, 이어서 감압 하에 여과하였다. 생성된 고형분을 뜨거운 메탄올에 용해시킨 다음, 감압 하에 다시 여과하여 표제 화합물(3.46 g, 75%)을 미세한 황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9.78 (s, 2H), 9.66 (s, 1H), 9.14 (s, 1H), 7.73 (d, J=8.6 Hz, 2H), 7.65 (d, J=8.9 Hz, 2H), 7.50 (d, J=8.6 Hz, 2H), 7.46-7.39 (m, 4H), 6.96 (s, 2H), 6.01 (ddd, J=22.5, 10.6, 5.4 Hz, 1H), 5.38 (dd, J=17.2, 1.6 Hz, 1H), 5.26 (d, J=10.5 Hz, 1H), 4.63 (d, J=5.4 Hz, 2H), 3.92 (s, 3H), 3.84 (s, 3H), 1.49 (s, 9H); MS (ES+): m/z = 613 (M+H)+; LCMS (방법 A): t R = 7.75분.
5-((4-(5-((4-(((알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아미늄 2,2,2-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33)
디클로로메탄(10 mL)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9 mL, 24.5 mmol) 중 삼차-부틸 (5-((4-(5-((4-(((알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카르바메이트(32)(3.00 g, 4.90 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디에틸 에테르로부터 침전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그런 다음, 디에틸 에테르(200 m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진공 하에서 다시 농축시켰다. 그런 다음, 잔류물에 고진공을 1시간 동안 인가하여 표제 화합물(3.07 g, 정량)을 베이지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10.04 (s, 2H), 9.98 (s, 1H), 9.81 (s, 1H), 9.66 (s, 1H), 7.73 (d, J=8.6 Hz, 2H), 7.66 (d, J=8.9 Hz, 2H), 7.53 (d, J=8.9 Hz, 2H), 7.47 (s, 1H), 7.43 (d, J=7.3 Hz, 3H), 7.18 (s, 1H), 7.12 (s, 1H), 6.01 (ddd, J=22.4, 10.6, 5.4 Hz, 1H), 5.38 (d, J=17.3 Hz, 1H), 5.26 (d, J=10.5 Hz, 1H), 4.63 (d, J=5.3 Hz, 2H), 3.92 (s, 6H); MS (ES+): m/z = 513 (M+H)+; LCMS (방법 A): t R = 5.62분.
삼차-부틸
5-((5-((4-(5-((4-(((알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아미노)-5-옥소펜타노에이트 (34)
N,N-디메틸포름아미드(5 mL) 중 5-(삼차-부톡시)-5-옥소펜탄산(922 mg, 4.90 mmol)의 용액에 트리에틸아민(2.9 mL, 20.6 mmol) 및 HATU(1.95 g, 5.14 mmol)를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여기에, N,N-디메틸포름아미드(5 mL) 중 5-((4-(5-((4-(((알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아미늄 2,2,2-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33)(3.07 g, 4.90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탄산수소나트륨의 포화 수용액을 첨가하여 침전을 개시하였다. 감압 하에서의 여과 후, 생성된 고형분을 뜨거운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감압 하에 다시 여과하여 표제 화합물(2.26 g, 67%)을 크림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DMSO-d 6 ) δ 9.81 (s, 1H), 9.79 (s, 1H), 9.76 (s, 1H), 9.63 (br, 1H), 7.71 (d, J=8.6 Hz, 2H), 7.63 (d, J=8.9 Hz, 2H), 7.49 (d, J=8.6 Hz, 2H), 7.45-7.35 (m, 4H), 7.20 (d, J=1.7 Hz, 1H), 6.96 (d, J=1.8 Hz, 1H), 5.99 (ddd, J=22.6, 10.7, 5.4 Hz, 1H), 5.36 (dd, J=17.2, 1.6 Hz, 1H), 5.24 (dd, J=10.5, 1.4 Hz, 1H), 4.60 (d, J=5.4 Hz, 2H), 3.90 (s, 3H), 3.83 (s, 3H), 2.27 (t, J=7.4 Hz, 2H), 2.24 (t, J=7.4 Hz, 2H), 1.78 (p, J=7.5 Hz, 2H), 1.41 (s, 9H); 13C NMR (150 MHz, DMSO-d 6 ) δ 172.4, 169.4, 160.1, 160.0, 153.7, 137.6, 134.9, 134.6, 133.9, 130.0, 126.7, 125.7, 124.9, 123.2, 122.5, 122.4, 121.0, 120.9, 119.3, 118.0, 110.7, 105.3, 80.0, 65.0, 36.9, 36.6, 35.0, 34.6, 28.3, 21.3; MS (ES+): m/z = 683 (M+H)+; LCMS (방법 A): t R = 7.70분.
5-((5-((4-(5-((4-(((알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아미노)-5-옥소펜탄산 (35)
디클로로메탄(7 mL) 중 삼차-부틸 5-((5-((4-(5-((4-(((알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5-옥소펜타노에이트(34)(2.26 g, 3.31 mmol)의 슬러리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3 mL)을 채워 호박색/갈색 용액을 생성하고, 이를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추가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3 mL)을 채우고, 혼합물을 2시간 동안 추가로 교반하였다. TLC 및 LCMS에 의해 반응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디에틸 에테르(과량)를 첨가하고, 생성된 침전물을 감압 하에 여과하였다. 침전물을 고진공 하에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1.68 g, 81%)을 베이지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MS (ES+): m/z = 627 (M+H)+; LCMS (방법 A): t R = 6.75분.
알릴 (
S
)-(4-(4-(4-(4-(5-(1-(클로로메틸)-5-하이드록시-1,2-디하이드로-3
H
-벤조[
e
]인돌-3-일)-5-옥소펜탄아미도)-1-메틸-1
H
-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1-메틸-1
H
-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카르바메이트 (36)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5 mL) 중 5-((5-((4-(5-((4-(((알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5-옥소펜탄산(35)(1.68 g, 2.68 mmol) 및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2.05 g, 10.7 mmol)을 10분 동안 초음파 처리한 다음, (S)-1-(클로로메틸)-2,3-디하이드로-1H-벤조[e]인돌-5-올 염산염(10)(765 mg, 2.83 mmol)에 첨가한 다음,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의 (S)-1-(클로로메틸)-2,3-디하이드로-1H-벤조[e]인돌-5-올 염산염(10)(765 mg, 2.83 mmol) 및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2.05 g, 10.7 mmol)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한 다음, 이를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추가로 교반하였다. 냉수(과량)를 첨가하여 침전을 수행하였다. 감압 하에 여과한 후, 고형 잔류물을 물로 세척한 다음, 고진공 하에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불순물, 3.0 g)을 회색/녹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고, 이를 추가의 중간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1H NMR (600 MHz, DMSO-d 6 ) δ 10.40 (s, 1H), 9.98 (s, 1H), 9.84 (s, 2H), 9.65 (s, 1H), 8.08 (d, J=8.4 Hz, 1H), 8.01 (s, 1H), 7.77 (d, J=8.3 Hz, 1H), 7.72 (d, J=8.5 Hz, 2H), 7.65 (d, J=8.5 Hz, 2H), 7.49 (d, J=8.6 Hz, 3H), 7.44 (s, 2H), 7.40 (d, J=8.5 Hz, 2H), 7.33-7.29 (m, 1H), 7.23 (s, 1H), 7.00 (s, 1H), 5.98 (ddd, J=22.6, 10.7, 5.4 Hz, 1H), 5.36 (dd, J=17.2, 1.5 Hz, 1H), 5.24 (d, J=10.4 Hz, 1H), 4.60 (d, J=5.4 Hz, 2H), 4.32 (t, J=10.4 Hz, 1H), 4.14 (d, J=8.8 Hz, 2H), 3.98 (d, J=8.5 Hz, 1H), 3.90 (s, 3H), 3.83 (s, 3H), 3.81-3.77 (m, 1H), 2.39 (dd, J=8.9, 4.7 Hz, 3H), 1.94 (dt, J=13.4, 12.1 Hz, 3H); MS (ES+): m/z = 842 (M+H)+; LCMS (방법 A): t R = 7.82분.
(
S
)-
N
-(4-아미노페닐)-4-(4-(4-(5-(1-(클로로메틸)-5-하이드록시-1,2-디하이드로-3
H
-벤조[
e
]인돌-3-일)-5-옥소펜탄아미도)-1-메틸-1
H
-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1-메틸-1
H
-피롤-2-카르복사미드 (37)
디클로로메탄(1 mL) 중 알릴 (S)-(4-(4-(4-(4-(5-(1-(클로로메틸)-5-하이드록시-1,2-디하이드로-3H-벤조[e]인돌-3-일)-5-옥소펜탄아미도)-1-메틸-1H-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1-메틸-1H-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카르바메이트(36)(30 mg, 0.036 mmol)의 용액에 붕소 삼염화물(디클로로메탄 중 1 M 용액, 400 μL)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아르곤 하에 4일 동안 교반하였다. 메탄올(10 mL)을 첨가하여 반응물을 퀀칭시킨 다음,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메탄올/디클로로메탄(12%)으로 용리하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6 mg, 22%)을 회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DMSO-d 6 ) δ 10.35 (s, 1H), 9.88-9.81 (m, 1H), 9.77 (s, 1H), 9.48 (s, 1H), 8.08 (d, J=8.2 Hz, 1H), 8.00 (s, 1H), 7.78 (d, J=8.4 Hz, 1H), 7.70 (d, J=8.7 Hz, 2H), 7.48 (dd, J=11.4, 4.4 Hz, 2H), 7.39 (d, J=1.8 Hz, 1H), 7.35-7.31 (m, 2H), 7.29 (t, J=5.3 Hz, 1H), 7.24-7.19 (m, 2H), 6.99-6.93 (m, 2H), 6.55-6.50 (m, 2H), 4.87 (br, 2H), 4.32 (t, J=10.4 Hz, 1H), 4.15 (d, J=11.3 Hz, 2H), 4.02-3.95 (m, 1H), 3.89 (s, 3H), 3.83 (s, 3H), 3.79 (dd, J=11.0, 7.9 Hz, 1H), 2.42-2.25 (m, 6H); 13C NMR (150 MHz, DMSO-d 6 ) δ 179.2, 173.5, 169.8, 169.4, 160.0, 145.3, 137.5, 130.1, 128.7, 127.7, 127.2, 126.7, 126.0, 125.1, 124.8, 123.6, 123.2, 123.1, 123.0, 122.6, 122.4, 122.3, 121.0, 119.3, 114.2, 110.1, 105.3, 53.1, 52.5, 51.7, 36.8, 36.6, 35.0, 33.1, 21.1; MS (ES+): m/z = 758 (M+H)+; LCMS (방법 A): t R = 6.93분.
실시예 1H: 화합물 (39)의 합성.
2-(3-(2-((5-((4-(5-(메톡시카르보닐)-1-메틸-1H-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아세트산 (38)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1 mL) 중 2-2-(1,3-페닐렌)디아세트산(171 mg, 0.88 mmol)의 용액에 메틸 4-(4-(4-아미노-1-메틸-1H-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1-메틸-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16)(150 mg, 0.43 mmol) 및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186 mg, 0.97 mmol)을 채우고,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00 mL)로 희석하고 차가운 염수(2 x 50 mL)로 세척하였다.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킨 후, 잔류물을 메탄올/에틸 아세테이트(10%)로 용리하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86 mg, 38%)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MS (ES+): m/z = 529 (M+H)+; LCMS (방법 A): t R = 6.88분.
메틸 (
S
)-4-(4-(4-(2-(3-(2-(1-(클로로메틸)-5-하이드록시-1,2-디하이드로-3
H
-벤조[
e
]인돌-3-일)-2-옥소에틸)페닐)아세트아미도)-1-메틸-1
H
-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1-메틸-1
H
-피롤-2-카르복실레이트 (39)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1 mL) 중 2-(3-(2-((5-((4-(5-(메톡시카르보닐)-1-메틸-1H-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2-옥세에틸)페닐)아세트산(38)(86 mg, 0.16 mmol)의 용액에 (S)-1-(클로로메틸)-2,3-디하이드로-1H-벤조[e]인돌-5-올 염산염(10)(43 mg, 0.16 mmol) 및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보디이미드 염산염(123 mg, 0.64 mmol)을 채우고,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00 mL)로 희석하고 차가운 염수(2 x 50 mL)로 세척하였다.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킨 후,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스피릿, 40~60℃(50%~100%)로 용리하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2 mg, 10%)을 회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DMSO-d 6 ) δ 10.36 (s, 1H), 10.09 (s, 1H), 9.78 (s, 1H), 8.08 (d, J=8.3 Hz, 1H), 7.96 (s, 1H), 7.77 (d, J=8.4 Hz, 1H), 7.68 (d, J=8.7 Hz, 2H), 7.55 (d, J=1.8 Hz, 1H), 7.50 (d, J=8.7 Hz, 2H), 7.48 (d, J=7.5 Hz, 1H), 7.34-7.29 (m, 2H), 7.28 (d, J=1.8 Hz, 1H), 7.25-7.21 (m, 1H), 7.21-7.17 (m, 3H), 6.97 (d, J=1.8 Hz, 1H), 4.35 (t, J=9.9 Hz, 1H), 4.28 (dd, J=10.7, 1.8 Hz, 1H), 4.13 (t, J=8.3 Hz, 1H), 3.98-3.92 (m, 1H), 3.91-3.87 (m, 4H), 3.81 (s, 3H), 3.77 (s, 3H), 3.73 (dd, J=11.0, 8.1 Hz, 1H), 3.59 (s, 2H); 13C NMR (150 MHz, DMSO-d 6 ) δ 169.5, 167.9, 162.8, 161.3, 160.0, 154.8, 142.4, 137.8, 136.8, 135.5, 130.4, 129.4, 128.7, 128.1, 127.7, 127.5, 125.1, 123.6, 123.3, 123.2, 123.1, 122.7, 122.5, 122.2, 120.8, 119.3, 114.5, 114.3, 105.4, 100.3, 53.4, 51.5, 48.1, 43.1, 42.8, 41.3, 38.7, 37.0, 36.6; MS (ES+): m/z = 744 (M+H)+; LCMS (방법 A): t R = 8.02분.
실시예 1I: 화합물 (42)의 합성.
(
S
)-7-(1-(클로로메틸)-5-하이드록시-1,2-디하이드로-3
H
-벤조[
e
]인돌-3-일)-7-옥소헵탄산 (41)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1 mL) 중 피멜산(135 mg, 0.50 mmol)의 용액에 (S)-1-(클로로메틸)-2,3-디하이드로-1H-벤조[e]인돌-5-올 염산염(10)(160 mg, 1.00 mmol) 및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211 mg, 1.10 mmol)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100 mL)로 희석하고, 차가운 염수(2 x 50 mL)로 세척하고, 유기상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스피릿, 40-60 ℃(50%~100%)로 용리하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38 mg, 59%)을 회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MS (ES+): m/z = 376 (M+H)+; LCMS (방법 A): t R = 6.98분.
메틸 (
S
)-4-(4-(4-(7-(1-(클로로메틸)-5-하이드록시-1,2-디하이드로-3
H
-벤조[
e
]인돌-3-일)-7-옥소헵탄아미도)-1-메틸-1
H
-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1-메틸-1
H
-피롤-2-카르복실레이트 (42)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1 mL) 중 (S)-7-(1-(클로로메틸)-5-하이드록시-1,2-디하이드로-3H-벤조[e]인돌-3-일)-7-옥소헵탄산(41)(133 mg, 0.29 mmol)의 용액에 메틸 4-(4-(4-아미노-1-메틸-1H-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1-메틸-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 염산염(19)(113 mg, 0.29 mmol) 및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222 mg, 1.16 mmol)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100 mL)로 희석하고, 차가운 염수(2 x 50 mL)로 세척하고, 유기상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스피릿, 40-60 ℃(75%~100%)로 용리하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3 mg, 6%)을 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DMSO-d 6 ) δ 10.32 (s, 1H), 9.79 (d, J=8.9 Hz, 2H), 8.07 (d, J=8.3 Hz, 1H), 7.99 (s, 1H), 7.77 (d, J=8.4 Hz, 1H), 7.68 (d, J=8.7 Hz, 2H), 7.55 (d, J=1.9 Hz, 1H), 7.51 (d, J=8.6 Hz, 2H), 7.49-7.46 (m, 1H), 7.31 (t, J=7.7 Hz, 1H), 7.20 (dd, J=7.5, 1.9 Hz, 2H), 6.95 (d, J=1.8 Hz, 1H), 4.33 (t, J=10.0 Hz, 1H), 4.15 (d, J=10.5 Hz, 2H), 3.98 (dd, J=10.4, 2.2 Hz, 1H), 3.89 (s, 3H), 3.82 (s, 3H), 3.81-3.77 (m, 1H), 3.77 (s, 3H), 2.59-2.52 (m, 1H), 2.46 (dd, J=16.1, 7.8 Hz, 1H), 2.27 (t, J=7.4 Hz, 2H), 1.63 (dd, J=13.3, 5.9 Hz, 4H), 1.44-1.35 (m, 2H); MS (ES+): m/z = 710 (M+H)+; LCMS (방법 A): t R = 7.88분.
실시예 1J: 화합물 (43)의 합성.
메틸(
S
)-4-(4-(4-(5-(5-하이드록시-1-메틸-1,2-디하이드로-3
H
-벤조[
e
]인돌-3-일)-5-옥소펜탄아미도)-1-메틸-1
H
-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1-메틸-1
H
-피롤-2-카르복실레이트 (43)
테트라하이드로푸란(1 mL) 중 메틸 (S)-4-(4-(4-(5-(1-(클로로메틸)-5-하이드록시-1,2-디하이드로-3H-벤조[e]인돌-3-일)-5-옥소펜탄아미도)-1-메틸-1H-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1-메틸-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22)(10 mg, 0.015 mmol)의 용액에 포름산암모늄(7.4 mg, 0.117 mmol) 및 숯 상의 팔라듐(10 wt.%)(10 mg)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아르곤 하 65℃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혼합물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생성된 케이크를 에틸 아세테이트 및 물로 세척하였다. 상을 분리하고,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7.7 mg, 81%)을 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DMSO-d 6 ) δ 10.16 (s, 1H), 9.85 (s, 1H), 9.79 (s, 1H), 8.07 (d, J=8.3 Hz, 1H), 7.99 (s, 1H), 7.72 (dd, J=8.6, 4.9 Hz, 1H), 7.70-7.66 (m, 2H), 7.56 (t, J=6.0 Hz, 1H), 7.51 (d, J=8.7 Hz, 2H), 7.45 (dd, J=11.2, 4.0 Hz, 1H), 7.29 (t, J=7.5 Hz, 1H), 7.22 (d, J=1.7 Hz, 1H), 7.19 (t, J=3.6 Hz, 1H), 6.96 (d, J=1.8 Hz, 1H), 4.32-4.25 (m, 1H), 3.89 (s, 3H), 3.83 (s, 3H), 3.77 (br, 4H), 2.37 (t, J=7.5 Hz, 2H), 1.92 (dt, J=14.6, 7.3 Hz, 2H), 1.29 (t, J=6.9 Hz, 3H), 1.24 (br, 3H); 13C NMR (150 MHz, DMSO-d 6 ) δ 171.1, 169.8, 161.3, 160.1, 153.7, 140.7, 137.8, 130.2, 129.4, 127.5, 127.2, 125.1, 123.5, 123.3, 123.2, 122.9, 122.7, 122.6, 122.2, 120.9, 120.3, 119.3, 114.3, 105.3, 100.4, 56.9, 51.5, 37.0, 36.6, 35.3, 34.9, 33.3, 30.9, 21.9, 21.0; MS (ES+): m/z = 648 (M+H)+; LCMS (방법 A): t R = 7.60분.
실시예 1K: 화합물 (51)의 합성.
메틸4-(((알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1-메틸-1
H
-피롤-2-카르복실레이트 (45)
디클로로메탄(30 mL) 중 메틸 4-아미노-1-메틸-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 염산염(44)(2.9 g, 15.2 mmol)의 용액을 0℃로 냉각시키고 피리딘(2.8 mL, 35.0 mmol)에 이어서 알릴 클로로포르메이트(1.8 mL, 16.7 mmol)를 채웠다. 생성된 혼합물을 35분 동안 교반한 다음, 디클로로메탄(30 mL)으로 희석하고, 이어서 황산구리 포화 수용액(2 x 50 mL), 염수(2 x 50 mL), 및 탄산수소나트륨 포화 수용액(50 mL)으로 세척하였다. 그런 다음, 유기상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3.4 g, 94%)을 황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DMSO-d 6 ) δ 9.45 (s, 1H), 7.09 (s, 1H), 6.66 (s, 1H), 6.08-5.85 (m, 1H), 5.35-5.29 (m, 1H), 5.21 (ddd, J=10.5, 2.9, 1.4 Hz, 1H), 4.57 (dd, J=16.7, 3.4 Hz, 2H), 3.80 (s, 3H), 3.71 (s, 3H); 13C NMR (150 MHz, DMSO-d 6 ) δ 161.2, 153.6, 133.9, 123.2, 119.8, 119.4, 117.8, 108.0, 65.0, 51.4, 36.6; MS (ES+): m/z = 239 (M+H)+; LCMS (방법 A): t R = 6.32분.
4-(((알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1-메틸-1
H
-피롤-2-카르복시산 (46)
테트라하이드로푸란(30 mL) 중 메틸 4-(((알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1-메틸-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45)(3.4 g, 14.3 mmol)의 용액에 수산화나트륨 수용액(1 M)(140 mL)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48시간 동안 신속하게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LCMS로 모니터링하고, 반응 완료 시, pH가 3~4로 조정될 때까지 구연산 수용액(1 M)을 첨가하여 퀀칭시켰다. 그런 다음,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2 x 100 mL)로 추출하였다. 이어서, 합쳐진 유기 추출물을 염수(2 x 100 mL) 및 물(100 mL)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헹구고 여과하여 표제 화합물(1.97 g. 62%)을 황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DMSO-d 6 ) δ 12.29 (br, 1H), 9.40 (s, 1H), 7.03 (s, 1H), 6.61 (s, 1H), 5.95 (ddd, J=22.5, 10.6, 5.4 Hz, 1H), 5.32 (dd, J=17.2, 1.1 Hz, 1H), 5.21 (dt, J=11.8, 1.3 Hz, 1H), 4.55 (d, J=5.1 Hz, 2H), 3.78 (s, 3H); 13C NMR (150 MHz, DMSO-d 6 ) δ 162.3, 153.6, 134.0, 122.9, 120.4, 119.3, 117.8, 108.1, 65.0, 36.6; MS (ES+): m/z = 225 (M+H)+; LCMS (방법 A): t R = 5.33분.
알릴 (5-((4-((
삼차
-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카르바메이트 (47)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18 mL) 중 4-(((알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1-메틸-1H-피롤-2-카르복시산(46)(1.97 g, 8.79 mmol)의 용액에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5.05 g, 26.4 mmol) 및 삼차-부틸 (4-아미노페닐)카르바메이트(2.20 g, 10.6 mmol)를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100 mL)로 희석하고 염수(3 x 50 mL)로 세척하였다. 그런 다음, 유기상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 및 디에틸 에테르로부터 침전시켜 표제 화합물(3.26 g, 90%)을 크림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DMSO-d 6 ) δ 9.68 (s, 1H), 9.44 (s, 1H), 9.22 (s, 1H), 7.56 (d, J=9.0 Hz, 2H), 7.36 (d, J=8.5 Hz, 2H), 6.96 (s, 1H), 6.88 (s, 1H), 6.01-5.92 (m, 1H), 5.33 (d, J=17.2 Hz, 1H), 5.22 (dd, J=10.5, 1.4 Hz, 1H), 4.57 (d, J=5.2 Hz, 2H), 3.81 (s, 3H), 1.47 (s, 9H); 13C NMR (150 MHz, DMSO-d 6 ) δ 160.0, 153.8, 153.3, 135.3, 134.2, 134.1, 123.5, 122.4, 121.1, 118.7, 118.1, 117.8, 105.0, 79.3, 65.0, 36.6, 28.6; MS (ES+): m/z = 415 (M+H)+; LCMS (방법 A): t R = 7.17분.
삼차
-부틸 (4-(4-아미노-1-메틸-1
H
-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카르바메이트 (48)
디클로로메탄(5 mL) 중 알릴 (5-((4-((삼차-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카르바메이트(47)(500 mg, 1.21 mmol)의 슬러리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14 mg, 0.012 mmol) 및 피롤리딘(121 μL, 1.45 mmol)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호박색 용액이 형성될 때까지 초음파 처리하고, 이를 실온에서 45분 동안 교반하였다.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세척한 후, 혼합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킨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스피릿, 40~60℃(0%~100%)로 용리하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61 mg, 65%)을 베이지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DMSO-d 6 ) δ 9.41 (s, 1H), 9.20 (s, 1H), 7.56-7.53 (m, 2H), 7.34 (d, J=8.5 Hz, 2H), 6.43 (d, J=2.1 Hz, 1H), 6.30 (d, J=2.1 Hz, 1H), 3.72 (s, 3H), 2.74 (s, 2H), 1.47 (s, 9H); 13C NMR (150 MHz, DMSO-d 6 ) δ 160.1, 153.3, 135.0, 134.5, 132.2, 123.1, 120.9, 118.7, 116.6, 115.3, 79.2, 36.2, 28.6; MS (ES+): m/z = 331 (M+H)+; LCMS (방법 A): t R = 5.32분.
5-((5-((4-(( 삼차 -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아미노)-5-옥소펜탄산 (49) - 방법 1
삼차-부틸 (4-(4-아미노-1-메틸-1H-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카르바메이트(48)(244 mg, 0.74 mmol)를 글루타르산 무수물(93 mg, 0.81 mmol), 4-디메틸아미노피리딘(9 mg, 0.074 mmol), 및 피리딘(2.5 mL)으로 처리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한 다음,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그런 다음,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0 mL)로 희석하고, 염화암모늄(5 x 20 mL)의 포화 수용액 및 염수(2 x 20 mL)로 순차적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180 mg, 55%)을 회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DMSO-d 6 ) δ 12.04 (s, 1H), 9.81 (s, 1H), 9.70 (s, 1H), 9.23 (s, 1H), 7.57-7.55 (m, 2H), 7.37 (d, J=8.7 Hz, 2H), 7.19 (d, J=1.8 Hz, 1H), 6.92 (d, J=1.9 Hz, 1H), 3.82 (s, 3H), 2.30-2.23 (m, 4H), 1.80 (p, J=7.4 Hz, 2H), 1.47 (s, 9H); 13C NMR (150 MHz, DMSO-d 6 ) δ 174.6, 169.5, 160.0, 153.3, 135.3, 134.2, 124.4, 123.2, 122.5, 121.1, 119.1, 105.1, 79.3, 36.6, 35.1, 33.5, 28.6, 21.2; MS (ES+): m/z = 445 (M+H)+; LCMS (방법 A): t R = 6.28분.
5-((5-((4-(( 삼차 -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아미노)-5-옥소펜탄산 (49) - 방법 2
디클로로메탄(4 mL) 중 글루타르산(1.07 g, 8.11 mmol)의 용액에 트리에틸아민(2.3 mL, 16.2 mmol) 및 HATU(1.54 g, 4.06 mmol)를 채우고, 5분 동안 교반한 다음, 삼차-부틸 (4-(4-아미노-1-메틸-1H-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카르바메이트(48)(1.34 g, 4.06 mmol)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방치한 다음,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스피릿, 40~60℃(0%~100%)에 이어서 메탄올/에틸 아세테이트(0% 내지 100%)로 용리하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MS (ES+): m/z = 445 (M+H)+; LCMS (방법 A): t R= 6.38분.
삼차-부틸
(
S
)-(4-(4-(5-(1-(클로로메틸)-5-하이드록시-1,2-디하이드로-3
H
-벤조[
e
]인돌-3-일)-5-옥소펜탄아미도)-1-메틸-1
H
-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카르바메이트 (50)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8 mL) 중 5-((5-((4-((삼차-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5-옥소펜탄산(49)(1.8 g, 4.05 mmol)의 용액에 (S)-1-(클로로메틸)-2,3-디하이드로-1H-벤조[e]인돌-5-올 염산염(10)(1.4 g, 5.19 mmol)에 이어서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3.96 g, 20.7 mmol)을 채우고, 생성된 녹색 슬러리를 초음파처리한 다음, 실온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00 mL) 및 메탄올(10 mL)로 희석하고, 염수(50 mL x 3)로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스피릿, 40~60℃(0%~100%)로 용리하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792 mg, 2-단계에 걸쳐 30%)을 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CDCl3) δ 9.85 (s, 1H), 8.47 (s, 1H), 8.24 (d, J=8.3 Hz, 1H), 8.17-8.09 (m, 2H), 7.84 (s, 1H), 7.57 (d, J=8.2 Hz, 1H), 7.44 (d, J=8.2 Hz, 2H), 7.30 (d, J=8.1 Hz, 2H), 7.09 (s, 1H), 6.63 (br, 1H), 4.23-4.11 (m, 2H), 3.97-3.82 (m, 2H), 3.81 (s, 3H), 3.45-3.33 (m, 1H), 2.70-2.54 (m, 4H), 2.51-2.44 (m, 2H), 1.50 (s, 9H); MS (ES+): m/z = 660 (M+H)+; LCMS (방법 A): t R = 7.55분.
(
S
)-
N
-(4-아미노페닐)-4-(5-(1-(클로로메틸)-5-하이드록시-1,2-디하이드로-3
H
-벤조[
e
]인돌-3-일)-5-옥소펜탄아미도)-1-메틸-1
H
-피롤-2-카르복사미드 (51)
디클로로메탄(1 mL) 중 삼차-부틸 (S)-(4-(4-(5-(1-(클로로메틸)-5-하이드록시-1,2-디하이드로-3H-벤조[e]인돌-3-일)-5-옥소펜탄아미도)-1-메틸-1H-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카르바메이트(50)(10 mg, 0.015 mmol)의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 mL)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분 동안 교반하였다. 디에틸 에테르를 첨가하여 침전시킨 후, 혼합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킨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스피릿, 40~60℃(0%~100%)에 이어서 메탄올/에틸 아세테이트(0%~100%)로 용리하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2 mg, 14%)을 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MeOD) δ 8.55 (s, 1H), 8.17 (d, J=8.3 Hz, 1H), 7.93 (s, 1H), 7.73 (d, J=8.4 Hz, 1H), 7.49 (t, J=7.6 Hz, 1H), 7.34-7.31 (m, 1H), 7.28-7.26 (m, 2H), 7.16 (s, 1H), 6.82 (s, 1H), 6.73-6.71 (m, 2H), 4.56 (br, 2H), 4.33-4.30 (m, 2H), 4.14-4.09 (m, 1H), 4.12 (dd, J=18.8, 8.5 Hz, 1H), 3.84 (s, 3H), 3.64 (dd, J=11.2, 8.7 Hz, 1H), 2.75-2.68 (m, 1H), 2.65-2.58 (m, 1H), 2.48 (dd, J=9.4, 5.1 Hz, 2H), 2.12 (t, J=7.0 Hz, 2H); MS (ES+): m/z = 560 (M+H)+; LCMS (방법 A): t R = 5.98분.
실시예 1L: 화합물 (56)의 합성.
삼차
-부틸 (
S
)-1-(클로로메틸)-5-하이드록시-1,2-디하이드로-3
H
-벤조[
e
]인돌-3-카르복실레이트 (52)
디클로로메탄(15 mL) 및 메탄올(15 mL) 중 삼차-부틸 (S)-5-(벤질옥시)-1-(클로로메틸)-1,2-디히드로-3H-벤조[e]인돌-3-카르복실레이트(9)(1.6 g, 3.78 mmol)의 용액에 숯 상의 팔라듐(10 wt.%)(160 mg) 및 펄만(Pearlman) 촉매(160 mg)를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수소 분위기(1 atm) 하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혼합물을 여과하고 진공 히에서 농축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스피릿, 40~60℃(3%)로 용리하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3 g, 96%)을 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10.34 (s, 1H), 8.07 (d, J=8.4 Hz, 1H), 7.74 (d, J=8.4 Hz, 1H), 7.47 (ddd, J=8.4, 6.8, 1.4 Hz, 1H), 7.31-7.24 (m, 1H), 4.14-3.93 (m, 4H), 3.76 (d, J=9.2 Hz, 1H), 1.54 (s, 9H); MS (ES+): m/z = 334 (M+H)+; LCMS (방법 F): t R = 4.37분.
(2
R
,3
S
,4
S
,5
R
,6
S
)-2-(아세트옥시메틸)-6-(((
S
)-1-(클로로메틸)-2,3-디하이드로-1
H
-벤조[
e
]인돌-5-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3,4,5-트리일 트리아세테이트 (53)
디클로로메탄(5 mL) 중 삼차-부틸 (S)-1-(클로로메틸)-5-하이드록시-1,2-디하이드로-3H-벤조[e]인돌-3-카르복실레이트(52)(100 mg, 0.300 mmol)의 용액에 2,3,4,6-테트라-O-아세틸-α-D-갈락토피라노실 트리클로로아세미데이트(184 mg, 0.375 mmol) 및 4 Å 분자체(700 mg)를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20℃로 냉각시킨 후, 삼불화붕소 디에틸 에테레이트(170 mg, 1.20 mmol)를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50 mL)을 첨가하여 퀀칭시킨 다음,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00 mL x 2)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스피릿, 40~60℃(50%)로 용리하는 분취 박층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80 mg, 85%)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98 (d, J=8.4 Hz, 1H), 7.58 (d, J=8.4 Hz, 1H), 7.45 (s, 1H), 7.23 (s, 1H), 6.65 (s, 1H), 5.68 (dd, J=10.6, 8.0 Hz, 1H), 5.49 (d, J=3.6 Hz, 1H), 5.12 (d, J=8.2 Hz, 2H), 4.33-4.24 (m, 1H), 4.16-4.09 (m, 3H), 3.96 (t, J=9.4 Hz, 1H), 3.90-3.77 (m, 3H), 3.51 (s, 1H), 2.08-2.00 (m, 12H); MS (ES+): m/z = 564 (M+H)+; LCMS (방법 F): t R = 1.92분.
(2
R
,3
S
,4
S
,5
R
,6
S
)-2-(아세트옥시메틸)-6-(((
S
)-3-(5-((5-((4-((
삼차-
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피롤-
3-일)아미노)-5-옥소펜타노일)-1-(클로로메틸)-2,3-디하이드로-1
H
-벤조[
e
]인돌-5-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3,4,5-트리일 트리아세테이트 (54)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3 mL) 중 (2R,3S,4S,5R,6S)-2-(아세트옥시메틸)-6-(((S)-1-(클로로메틸)-2,3-디하이드로-1H-벤조[e]인돌-5-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3,4,5-트리일 트리아세테이트(53)(50 mg, 0.089 mmol)의 용액에 5-((5-((4-((삼차-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5-옥소펜탄산(49)(26 mg, 0.059 mmol) 및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34 mg, 0.178 mmol)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50 mL)로 희석한 다음,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50 mL x 2)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 추출물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메탄올/디클로로메탄(5%)으로 용리하는 분취 박층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5 mg, 17%)을 갈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84 (s, 1H), 9.70 (s, 1H), 9.23 (s, 1H), 8.32 (s, 1H), 7.97-7.82 (m, 2H), 7.69-7.51 (m, 3H), 7.46-7.32 (m, 3H), 7.23-7.18 (m, 1H), 6.96-6.91 (m, 1H), 5.62-5.51 (m, 1H), 5.48-5.37 (m, 3H), 4.60-4.48 (m, 1H), 4.46-4.29 (m, 1H), 4.28-3.97 (m, 5H), 3.93-3.86 (m, 1H), 3.82 (s, 4H), 2.69-2.57 (m, 2H), 2.42-2.32 (m, 2H), 2.18 (s, 3H), 2.08 (s, 3H), 2.04-2.00 (m, 3H), 1.99-1.89 (m, 5H), 1.47 (s, 9H); MS (ES+): m/z = 990 (M+H)+; LCMS (방법 F): t R = 2.03분.
(2
R
,3
S
,4
S
,5
R
,6
S
)-2-(아세트옥시메틸)-6-(((
S
)-3-(5-((5-((4-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아미노)-5-옥소펜타노일)-1-(클로로메틸)-2,3-디하이드로-1
H
-벤조[
e
]인돌-5-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3,4,5-트리일 트리아세테이트 (55)
디클로로메탄(2 mL) 중 (2R,3S,4S,5R,6S)-2-(아세트옥시메틸)-6-(((S)-3-(5-((5-((4-((삼차-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5-옥소펜타노일)-1-(클로로메틸)-2,3-디하이드로-1H-벤조[e]인돌-5-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3,4,5-트리일 트리아세테이트(54)(15 mg, 0.015 mmol)의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5 mL)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표제 화합물을 추가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MS (ES+): m/z = 890 (M+H)+; LCMS (방법 F): t R = 3.34분.
N
-(4-아미노페닐)-4-(5-((
S
)-1-(클로로메틸)-5-(((2
S
,3
R
,4
S
,5
R
,6
R
)-3,4,5-트리하이드록시-6-(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1,2-디하이드로-3
H
-벤조[
e
]인돌-3-일)-5-옥소펜탄아미도)-1-메틸-1
H
-피롤-2-카르복사미드 (56)
아세토니트릴(0.5 mL) 중 (2R,3S,4S,5R,6S)-2-(아세트옥시메틸)-6-(((S)-3-(5-((5-((4-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5-옥소펜타노일)-1-(클로로메틸)-2,3-디하이드로-1H-벤조[e]인돌-5-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3,4,5-트리일 트리아세테이트(55)(15 mg, 0.017 mmol)의 용액을 0℃로 냉각시키고 수산화리튬(2 mg, 0.083 mmol) 및 물(0.1 mL)을 채웠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역상 크로마토그래피(물 중 55% 아세토니트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 mg, 8%)을 갈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8.29 (d, J=8.2 Hz, 3H), 7.85 (d, J=8.4 Hz, 1H), 7.53 (d, J=7.8 Hz, 1H), 7.38 (t, J=7.8 Hz, 1H), 7.28 (d, J=8.6 Hz, 1H), 7.18 (s, 1H), 5.74 (s, 4H), 4.92 (d, J=8.8 Hz, 1H), 4.37 (s, 8H), 3.81 (d, J=14.8 Hz, 14H), 2.33 (s, 6H); MS (ES+): m/z = 722 (M+H)+; LCMS (방법 F): t R = 0.64분.
실시예 1M: 화합물 (60)의 합성.
(2
R
,3
S
,4
S
,5
R
,6
S
)-2-(아세트옥시메틸)-6-(((
S
)-3-(5-((5-((4-((
S
)-2-((
S
)-2-((
삼차-
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프로판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아미노)-5-옥소펜타노일)-1-(클로로메틸)-2,3-디하이드로-1
H
-벤조[
e
]인돌-5-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3,4,5-트리일 트리아세테이트 (57)
N,N-디메틸포름아미드(10 mL) 중 (2R,3S,4S,5R,6S)-2-(아세트옥시메틸)-6-(((S)-3-(5-((5-((4-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5-옥소펜타노일)-1-(클로로메틸)-2,3-디하이드로-1H-벤조[e]인돌-5-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3,4,5-트리일 트리아세테이트(55)(386 mg, 0.433 mmol), (삼차-부톡시카르보닐)-L-발릴-L-알라닌(137 mg, 0.476 mmol), 및 HATU(247 mg, 0.650 mmol)의 용액에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280 mg, 2.17 mmol)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혼합물을 물(10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50 mL x 3)로 추출하였다. 이어서, 합쳐진 유기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디클로로메탄/메탄올(1:0~30:1)로 용리하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00 mg, 40%)을 황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92-9.67 (m, 2H), 8.32 (s, 1H), 8.28-8.00 (m, 1H), 7.96-7.86 (m, 2H), 7.68-7.39 (m, 6H), 7.26-7.19 (m, 1H), 7.00-6.93 (m, 1H), 6.88-6.70 (m, 1H), 5.59-5.54 (m, 1H), 5.46-5.38 (m, 3H), 4.60-4.52 (m, 1H), 4.48-4.31 (m, 2H), 4.28-4.15 (m, 3H), 4.13-3.97 (m, 2H), 3.93-3.74 (m, 5H), 2.70-2.57 (m, 1H), 2.42-2.32 (m, 2H), 2.26-1.86 (m, 17H), 1.43-1.33 (m, 9H), 1.33-1.27 (m, 3H), 0.89-0.81 (m, 6H); MS (ES+): m/z = 1160 (M+H)+; LCMS (방법 F): t R = 4.17분.
(2
R
,3
S
,4
S
,5
R
,6
S
)-2-(아세트옥시메틸)-6-(((
S
)-3-(5-((5-((4-((
S
)-2-((
S
)-2-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프로판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아미노)-5-옥소펜타노일)-1-(클로로메틸)-2,3-디하이드로-1
H
-벤조[
e
]인돌-5-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3,4,5-트리일 트리아세테이트 (58)
디클로로메탄(4 mL) 중 (2R,3S,4S,5R,6S)-2-(아세트옥시메틸)-6-(((S)-3-(5-((5-((4-((S)-2-((S)-2-((삼차-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프로판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5-옥소펜타노일)-1-(클로로메틸)-2,3-디하이드로-1H-벤조[e]인돌-5-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3,4,5-트리일 트리아세테이트(57)(200 mg, 0.172 mmol)의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 mL)을 채우고,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생성된 혼합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추가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서 즉시 사용하였다. MS (ES+): m/z = 1060 (M+H)+; LCMS (방법 F): t R = 1.77분.
N
-(4-((
S
)-2-((
S
)-2-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프로판아미도)페닐)-4-(5-((
S
)-1-(클로로메틸)-5-(((2
S
,3
R
,4
S
,5
R
,6
R
)-3,4,5-트리하이드록시-6-(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1,2-디하이드로-3
H
-벤조[
e
]인돌-3-일)-5-옥소펜탄아미도)-1-메틸-1
H
-피롤-2-카르복사미드 (59)
아세토니트릴(2 mL) 및 물(2 mL) 중 (2R,3S,4S,5R,6S)-2-(아세트옥시메틸)-6-(((S)-3-(5-((5-((4-((S)-2-((S)-2-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프로판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5-옥소펜타노일)-1-(클로로메틸)-2,3-디하이드로-1H-벤조[e]인돌-5-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3,4,5-트리일 트리아세테이트(58)(183 mg, 0.172 mmol)의 용액을 0℃로 냉각시키고, 수산화리튬(41 mg, 1.73 mmol)을 채웠다. 생성된 혼합물을 이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동결 건조시켜 미정제 표제 화합물(230 mg, 미정제)을 수득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MS (ES+): m/z = 892 (M+H)+; LCMS (방법 F): t R = 0.88분.
4-(5-((
S
)-1-(클로로메틸)-5-(((2
S
,3
R
,4
S
,5
R
,6
R
)-3,4,5-트리하이드록시-6-(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1,2-디하이드로-3
H
-벤조[
e
]인돌-3-일)-5-옥소펜탄아미도)-
N
-(4-((
S
)-2-((
S
)-2-(6-(2,5-디옥소-2,5-디하이드로-1
H
-피롤-1-일)헥산아미도)-3-메틸부탄아미도)프로판아미도)페닐)-1-메틸-1
H
-피롤-2-카르복사미드 (60)
테트라하이드로푸란(2 mL) 및 물(2 mL) 중 N-(4-((S)-2-((S)-2-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프로판아미도)페닐)-4-(5-((S)-1-(클로로메틸)-5-(((2S,3R,4S,5R,6R)-3,4,5-트리하이드록시-6-(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1,2-디하이드로-3H-벤조[e]인돌-3-일)-5-옥소펜탄아미도)-1-메틸-1H-피롤-2-카르복사미드(59)(70 mg, 0.078 mmol) 및 탄산수소나트륨(13 mg, 0.156 mmol)의 용액에 6-말레이미도헥산산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 에스테르(121 mg, 0.392 mmol)를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분취 H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2.5 mg, 15%)을 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88-9.80 (m, 1H), 9.77-9.66 (m, 1H), 8.46-8.07 (m, 3H), 7.99-7.78 (m, 2H), 7.66-7.48 (m, 5H), 7.42-7.35 (m, 1H), 7.25-7.19 (m, 1H), 7.04-6.89 (m, 3H), 4.97-4.85 (m, 1H), 4.72-4.52 (m, 1H), 4.44-4.31 (m, 2H), 4.29-3.95 (m, 4H), 3.91-3.72 (m, 6H), 3.67-3.43 (m, 4H), 3.41-3.32 (m, 6H), 2.65-2.54 (m, 2H), 2.42-2.35 (m, 2H), 2.24-2.07 (m, 2H), 2.01-1.86 (m, 3H), 1.54-1.41 (m, 4H), 1.30 (d, J=7.4 Hz, 3H), 1.23-1.13 (m, 2H), 0.93-0.79 (m, 6H); MS (ES+): m/z = 1085 (M+H)+; LCMS (방법 F): t R = 3.06분.
실시예 1N: 화합물 (72)의 합성.
메틸 4-(2-(벤질옥시)-4-포르밀페녹시)부타노에이트 (62)
아세톤(100 mL) 중 3-(벤질옥시)-4-하이드록시벤즈알데히드(61)(10.0 g, 44.0 mmol), 메틸 4-브로모부타노에이트(8.3 mL, 65.0 mmol), 및 탄산칼륨(12.6 g, 88.0 mmol)의 혼합물을 40 ℃로 18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50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2 x 30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아세톤/디클로로메탄(0%~30%)으로 용리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3.8 g, 96%)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9.82 (s, 1H), 7.49 - 7.42 (m, 4H), 7.38 (t, J = 7.3 Hz, 2H), 7.35 - 7.29 (m, 1H), 7.00 (d, J = 8.0 Hz, 1H), 5.17 (s, 2H), 4.16 (t, J = 6.2 Hz, 2H), 3.68 (s, 3H), 2.57 (t, J = 7.2 Hz, 2H), 2.24 - 2.15 (m, 2H); 13C NMR (100 MHz, CDCl3) δ 190.9, 173.5, 154.6, 149.0, 136.7, 130.2, 128.7, 128.1, 127.3, 126.9, 112.2, 71.0, 67.9, 51.8, 30.3, 24.5; MS (ES+): m/z = 329 (M+H)+; LCMS (방법 B): t R = 4.00분.
메틸 4-(2-(벤질옥시)-4-포르밀-5-니트로페녹시)부타노에이트 (63)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30 mL) 중 메틸 4-(2-(벤질옥시)-4-포르밀페녹시)부타노에이트(62)(7.20 g, 21.9 mmol)의 용액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30 mL) 중 질산칼륨(2.7 g, 26.3 mmol)의 교반 용액에 0℃에서 적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탄산수소나트륨 포화 수용액(100 mL)으로 퀀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2 x 8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스피릿, 40~60℃(0%~50%)로 용리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5.60 g, 68%)을 황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10.41 (s, 1H), 7.62 (s, 1H), 7.48 (s, 1H), 7.44 - 7.35 (m, 5H), 5.26 (s, 2H), 4.22 (t, J = 6.2 Hz, 2H), 3.69 (s, 3H), 2.57 (t, J = 7.1 Hz, 2H), 2.26 - 2.19 (m, 2H);13C NMR (100 MHz, CDCl3) δ 187.6, 173.2, 152.5, 152.1, 143.9, 135.3, 128.7, 128.4, 127.3, 125.3, 111.6, 108.5, 71.1, 68.6, 51.7, 30.1, 24.1; MS (ES+): m/z = 374 (M+H)+; LCMS (방법 B): t R = 4.15분.
메틸 4-(4-포르밀-2-하이드록시-5-니트로페녹시)부타노에이트 (64)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30 mL) 중 메틸 4-(2-(벤질옥시)-4-포르밀-5-니트로페녹시)부타노에이트(63)(5.50 g, 14.7 mmol)의 용액을 80℃로 30분 동안 가열하였다. 그런 다음, 이를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탄산수소나트륨 포화 수용액(30 mL)으로 퀀칭시켰다. 수성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경유, 40~60℃(0% 내지 50%)로 용리하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10 g, 50%)을 갈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10.41 (s, 1H), 7.62 (s, 1H), 7.45 (s, 1H), 6.75 (br. s, 1H), 4.27 (t, J = 6.0 Hz, 2H), 3.73 (s, 3H), 2.60 - 2.55 (m, 2H), 2.29 - 2.22 (m, 2H); 13C NMR (100 MHz, CD3OD) δ 189.5, 175.4, 152.5, 115.1, 112.3, 110.9, 109.9, 101.4, 69.5, 52.1, 31.2, 25.4; MS (ES-): m/z = 282 (M-H)-; LCMS (방법 B): t R = 3.47분.
메틸 4-(4-포르밀-5-니트로-2-((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톡시)페녹시)부타노에이트 (65)
아세톤 (30 mL) 중 메틸 4-(4-포르밀-2-하이드록시-5-니트로페녹시)부타노에이트(64)(2.10 g, 7.40 mmol), 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 염화물(1.50 g, 8.90 mmol), 및 탄산칼륨(2.60 g, 18.5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15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2 x 6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스피릿, 40~60℃(0%~50%)로 용리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50 g, 82%)을 갈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10.36 (s, 1H), 7.65 (s, 1H), 7.64 (s, 1H), 5.41 (s, 2H), 4.26 (t, J = 6.2 Hz, 2H), 3.85 - 3.80 (m, 2H), 3.71 (s, 3H), 2.60 (t, J = 7.1 Hz, 2H), 2.24 (p, J = 6.6 Hz, 2H), 1.00 - 0.96 (m, 2H), 0.02 (s, 9H) ; 13C NMR (100 MHz, CDCl3) δ 187.2, 172.9, 152.1, 150.9, 144.2, 125.1, 114.0, 108.4, 93.4, 68.4, 67.1, 51.5, 30.0, 24.0, 17.8, -1.6; MS (ES-): m/z = 412 (M-H)-; LCMS (방법 B): t R = 4.50분.
4-(4-메톡시-4-옥소부톡시)-2-니트로-5-((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톡시)벤조산 (66)
물(30 mL) 중 아염소산나트륨(1.30 g, 14.9 mmol) 및 일인산나트륨(1.00 g, 8.40 mmol)의 용액을 메틸 4-(4-포르밀-5-니트로-2-((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톡시)페녹시)부타노에이트(65)(2.50 g, 6.00 mmol)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그런 다음, 과산화수소(물 중 50%, 2.8 mL)를 적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4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메타중아황산나트륨 포화 수용액(60 mL)으로 퀀칭시키고, 아세트산(1.5 mL)으로 산성화시켰다. 수성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 x 60 mL)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스피릿, 40~60℃(0%~50%)로 용리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40 g, 93%)을 갈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7.42 (s, 1H), 7.41 (s, 1H), 5.30 (s, 2H), 4.08 (t, J = 6.6 Hz, 2H), 3.78 - 3.74 (m, 2H), 3.61 (s, 3H), 2.49 (t, J = 8.1 Hz, 2H), 2.09 - 2.03 (m, 2H), 0.91 - 0.86 (m, 2H), -0.07 (s, 9H); 13C NMR (100 MHz, CD3OD) δ 175.0, 167.8, 151.9, 150.7, 144.2, 121.8, 117.0, 109.6, 94.8, 69.6, 67.9, 52.2, 31.1, 25.3, 18.7, -1.3; MS (ES-): m/z = 428 (M-H)-; LCMS (방법 B): t R = 4.08분.
메틸 (
S
)-4-(4-(2-(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카르보닐)-5-니트로-2-((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톡시)페녹시)부타노에이트 (67)
무수 디클로로메탄(30 mL) 중 4-(4-메톡시-4-옥소부톡시)-2-니트로-5-((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톡시)벤조산(66)(2.40 g, 5.60 mmol)의 용액에 HATU(2.60 g, 6.70 mmol) 및 무수 트리에틸아민(1.5 mL, 11.2 mmol)을 채웠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5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S)-피페리딘-2-일메탄올(711 mg, 6.20 mmo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90 mL)로 희석하고 염수(9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스피릿, 40~60℃(0%~100%)로 용리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60 g, 88%)을 갈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7.71 (s, 1H), 7.15 (s, 1H), 5.40 (s, 2H), 4.80 (t, J = 5.6 Hz, 1H), 4.18 - 4.09 (m, 2H), 3.76 - 3.70 (m, 2H), 3.60 (s, 3H), 3.57 - 3.39 (m, 2H), 3.34 - 2.70 (m, 3H), 2.50 - 2.46 (m, 2H), 2.07 - 1.97 (m, 2H), 1.85 - 1.28 (m, 6H), 0.92 - 0.84 (m, 2H), -0.04 (d, J = 3.6 Hz, 9H); 13C NMR (100 MHz, CDCl3) δ 173.2, 168.0, 152.3, 148.6, 138.2, 127.2, 112.6, 108.7, 93.5, 68.2, 67.1, 60.3, 53.5, 51.6, 51.1, 43.4, 37.3, 30.1, 24.1, 18.0, -1.5; MS (ES-): m/z = 527 (M+H)+; LCMS (방법 B): t R = 4.10분.
메틸 (
S
)-4-(5-아미노-4-(2-(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카르보닐)-2-((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톡시)페녹시)부타노에이트 (68)
물(25 mL) 중 염화암모늄(15.8 g, 297 mmol)의 용액을 아세톤(30 mL)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30 mL) 중 메틸 (S)-4-(4-(2-(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카르보닐)-5-니트로-2-((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톡시)페녹시)부타노에이트(67)(2.60 g, 4.90 mmol)의 혼합물에 첨가하고, 아연 분말(65.4 g, 148 mmol)을 채웠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케이크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생성된 잔류물을 메탄올/디클로로메탄(0%~10%)으로 용리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40 g, 98%)을 주황색 점성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6.99 - 6.68 (m, 2 H), 5.20 (s, 2 H), 5.05 (br. s., 1 H), 3.97 (br. s., 3 H), 3.63 (dd, J = 5.9, 7.8 Hz, 3 H), 3.57 (br. s., 3 H)- 3.52 - 3.15 (m, 3 H), 2.42 (br. s., 2 H), 2.03 (br. s., 2 H)- 1.82 - 1.33 (m, 6 H)- 0.89 - 0.76 (m, 2 H), -0.09 (br. s., 9 H); 13C NMR (100 MHz, CDCl3) δ 173.8, 173.6, 171.8, 152.9, 141.1, 125.5, 112.1, 108.2, 94.2, 77.2, 68.0, 66.5, 57.8, 53.6, 51.8, 51.3, 30.6, 30.3, 29.2, 25.6, 24.3, 18.1, -1.4; MS (ES-): m/z = 497 (M+H)+; LCMS (방법 B): t R = 3.85분.
메틸 (
S
)-4-(5-(((알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4-(2-(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카르보닐)-2-((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톡시)페녹시)부타노에이트 (69)
무수 디클로로메탄(20 mL) 중 메틸 (S)-4-(5-아미노-4-(2-(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카르보닐)-2-((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톡시)페녹시)부타노에이트(68)(2.40 g, 4.80 mmol) 및 피리딘(973 μL, 12.1 mmol)의 용액을 -10℃로 냉각시키고, 무수 디클로로메탄(10 mL) 중 알릴클로로포르메이트(468 μL, 4.30 mmol)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황산구리(II) 포화 수용액(20 mL), 물(20 mL), 및 탄산수소나트륨 포화 수용액(20 mL)으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스피릿, 40~60℃(0%~100%)로 용리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10 g, 75%)을 갈색 점성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8.44 (s, 1H), 7.70 (s, 1H), 7.03 (s, 1H), 5.90 (ddt, J = 15.9, 10.7, 5.5 Hz, 1H), 5.31 (d, J = 17.2 Hz, 1H), 5.21 - 5.11 (m, 3H), 4.58 (d, J = 5.5 Hz, 2H), 4.05 (t, J = 6.8 Hz, 3H), 3.86 (s, 1H), 3.74 (t, J = 8.5 Hz, 2H), 3.66 - 3.51 (m, 5H), 3.40 - 3.21 (m, 1H), 3.11 - 2.82 (m, 1H), 2.49 (t, J = 7.4 Hz, 2H), 2.15 - 2.08 (m, 2H), 1.66 - 1.44 (m, 6H), 0.93 - 0.86 (m, 2H), -0.03 (s, 9H); 13C NMR (100 MHz, CDCl3) δ 173.5, 171.2, 170.7, 153.8, 150.7, 132.6, 117.8, 116.3, 106.0, 94.1, 67.7, 66.4, 65.7, 60.4, 57.8, 51.7, 30.6, 25.6, 24.4, 21.1, 19.8, 18.1, 14.2, -1.4; MS (ES-): m/z = 581 (M+H)+; LCMS (방법 B): t R = 4.27분.
알릴 6-하이드록시-3-(4-메톡시-4-옥소부톡시)-12-옥소-2-((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톡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
a
][1,4]디아제핀-5(12
H
)-카르복실레이트 (70)
디클로로메탄(30 mL) 중 메틸 (S)-4-(5-(((알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4-(2-(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카르보닐)-2-((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톡시)페녹시)부타노에이트(69)(2.10 g, 3.60 mmol)의 용액에 TEMPO(226 mg, 1.40 mmol) 및 (디아세트옥시요오드)벤젠(2.90 mg, 9.00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0℃로 6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메타중아황산나트륨 포화 수용액(15 mL), 및 탄산수소나트륨 포화 수용액(15 mL), 및 염수(15 mL)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스피릿, 40~60℃(0%~100%)로 용리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900 mg, 43%)을 갈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40 (s, 1H), 6.66 (s, 1H), 5.95 - 5.73 (m, 2H), 5.34 - 5.11 (m, 5H), 4.74 - 4.61 (m, 1H), 4.55 - 4.30 (m, 2H), 4.08 - 3.98 (m, 2H), 3.84 - 3.75 (m, 2H), 3.68 (s, 3H), 3.53 - 3.45 (m, 1H), 3.08 - 2.99 (m, 1H), 2.52 (t, J = 7.2 Hz, 2H), 2.17 - 2.09 (m, 2H), 1.93 - 1.64 (m, 6H), 1.01 - 0.91 (m, 2H), 0.00 (s, 9H); 13C NMR (100 MHz, CDCl3) δ 173.4, 168.7, 156.1, 150.8, 146.4, 131.9, 128.4, 125.4, 118.0, 115.9, 113.8, 93.8, 82.2, 77.2, 67.8, 66.7, 66.6, 55.2, 51.7, 38.6, 30.3, 24.2, 23.2, 23.0, 18.3, 17.9, -1.4; MS (ES-): m/z = 579 (M+H)+; LCMS (방법 A): t R = 8.00분.
알릴 3-(4-메톡시-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2-((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톡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
a
][1,4]디아제핀-5(12
H
)-카르복실레이트 (71)
디클로로메탄(15 mL) 중 알릴 6-하이드록시-3-(4-메톡시-4-옥소부톡시)-12-옥소-2-((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톡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5(12H)-카르복실레이트(70)(900 mg, 1.90 mmol), 3,4-디하이드로-2H-피란(1.71 mL, 18.8 mmol), 및 p-톨루엔설폰산 일수화물(47.0 mg, 0.180 mmol)을 4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50 mL)로 희석하고, 탄산수소나트륨 포화 수용액(20 mL) 및 염수(3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메탄올/디클로로메탄(0%~5%)으로 용리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770 mg, 61%)을 크림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41 (s, 1H), 6.57 (s, 1H), 6.23 - 5.97 (m, 1H), 5.91 - 5.65 (m, 1H), 5.34 - 5.00 (m, 5H), 4.71 - 4.55 (m, 1H), 4.48 - 4.20 (m, 2H), 4.08 - 3.98 (m, 2H), 3.91 - 3.75 (m, 2H), 3.73 - 3.52 (m, 5H), 3.52 - 3.40 (m, 1H), 3.11 - 2.96 (m, 1H), 2.53 (t, J = 7.1 Hz, 2H), 2.17 - 2.09 (m, 2H), 1.83 - 1.66 (m, 6H), 1.64 - 1.41 (m, 6H), 1.03 - 0.89 (m, 2H), 0.00 (s, 9H); 13C NMR (100 MHz, CDCl3) δ 173.5, 169.2, 168.9, 150.7, 147.0, 132.3, 132.1, 128.9, 126.2, 117.1, 116.1, 115.7, 114.9, 114.4, 112.1, 100.3, 98.8, 93.9, 87.9, 83.9, 67.7, 66.7, 57.8, 55.1, 53.5, 51.7, 38.9, 30.7, 30.3, 25.3, 24.2, 23.1, 20.1, 19.7, 18.3, 18.0, -1.3; MS (ES-): m/z = 663 (M+H)+; LCMS (방법 B): t R = 4.83분.
4-((5-((알릴옥시)카르보닐)-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2-((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톡시)-5,6,6
a
,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산 (72)
수산화나트륨 수용액(1 M, 5 mL, 5 mmol)을 1,4-디옥산(5 mL) 중 알릴 3-(4-메톡시-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2-((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톡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5(12H)-카르복실레이트(71)(300 mg, 0.450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혼합물을 염수(30 mL)로 희석하고, 아세트산 수용액(1 M, 15 mL)으로 pH = 3으로 산성화시켰다. 수성층을 에틸 아세테이트(2 x 50 mL)로 추출한 다음, 합쳐진 유기 추출물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200 mg, 69%)을 갈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로 진행시켰다. 1H NMR (400 MHz, CDCl3) δ 7.39 (d, J = 11.8 Hz, 1H), 6.84-6.53 (m, 1H), 6.20-5.95 (m, 1H), 5.87 - 5.64 (m, 1H), 5.31 (d, J = 6.9 Hz, 1H), 5.28 (s, 2H), 5.20 (d, J = 6.6 Hz, 1H), 5.11 - 5.02 (m, 2H), 4.63 - 4.25 (m, 3H), 4.05 (t, J = 7.2 Hz, 2H), 3.86 (dd, J = 16.1, 8.3 Hz, 1H), 3.77 (t, J = 8.4 Hz, 2H), 3.56 (dd, J = 25.6, 14.5 Hz, 1H), 3.08 - 2.98 (m, 1H), 2.54 (q, J = 6.9 Hz, 2H), 2.15 - 2.08 (m, 2H), 1.76 - 1.50 (m, 12H), 0.99 - 0.92 (m, 2H), -0.02 (s, 9H); 13C NMR (100 MHz, CDCl3) δ 176.5, 169.3, 169.1, 150.7, 147.0, 132.1, 126.6, 126.1, 117.2, 115.7, 114.9, 114.5, 100.4, 99.3, 93.9, 88.0, 84.0, 67.1, 66.7, 63.3, 55.2, 53.5, 38.9, 31.1, 30.7, 25.3, 24.1, 23.3, 23.1, 20.9, 20.2, 18.2, 18.0, -1.3; MS (ES+/-): m/z = 649 (M+H)+, 648 (M-H)-; LCMS (방법 B): t R = 4.42분.
실시예 1O: 화합물 (79)의 합성.
삼차-부틸
(1-메틸-5-((4-(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
H
-피롤-3-일)카르바메이트 (75)
N-(4-아미노페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73)(500 mg, 2.45 mmol)를, 이전에 30분 동안 교반된, N,N-디메틸포름아미드(8 mL) 중 4-((삼차-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메틸-1H-피롤-2-카르복시산(74)(647 mg, 2.69 mmol), N,N-디메틸피리딘-4-아민(898 mg, 7.35 mmol), 및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르보딜이미드 염산염(1.2 g, 6.25 mmol)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탄산수소나트륨 포화 수용액(15 mL) 및 염수(80 mL)로 퀀칭시켰다. 수성상을 에틸 아세테이트(2 x 50 mL)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추출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경유, 40~60℃(0% 내지 100%)로 용리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839 mg, 80%)을 크림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DMSO-d 6 ) δ 11.17 (s, 1H), 9.85 (s, 1H), 9.11 (s, 1H), 7.74 (d, J = 9.0 Hz, 2H), 7.58 (d, J = 9.0 Hz, 2H), 6.94 (s, 1H), 3.81 (s, 3H), 1.46 (s, 9H); 13C NMR (150 MHz, DMSO-d 6 ) δ 160.2, 153.3, 1375, 131.6, 123.1, 122.9, 121.8, 120.8, 118.4, 117.3, 115.4, 105.2, 78.8, 36.6, 28.7; MS (ES+): m/z = 427 (M+H)+; LCMS (방법 B): t R = 3.83분.
알릴 (6a
S
)-3-(4-((1-메틸-5-((4-(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
H
-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2-((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톡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5(12
H
)-카르복실레이트 (76)
1,4-디옥산(2 mL) 및 메탄올(2 mL) 중 삼차-부틸 (1-메틸-5-((4-(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도)페닐)카르보닐)-1H-피롤-3-일)카르바메이트(75)(100 mg, 0.23 mmol)의 용액에 염산(1,4-디옥산 중 4 M)(4 m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이전에 30분 동안 교반된, N,N-디메틸포름아미드(5 mL) 중 4-((5-((알릴옥시)카르보닐)-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2-((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톡시)-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산(72)(150 g, 0.23 mmol), N,N-디메틸피리딘-4-아민(85 mg, 0.70 mmol), 및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111 mg, 0.58 mmo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60 mL)로 희석하고, 염수(2 x 4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메탄올/디클로로메탄(0%~10%)으로 용리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60 g, 72%)을 크림색 점성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MS (ES+): m/z = 957.5 (M+H)+, (ES-): m/z = 955.6 (M+H)-; LCMS (방법 B): t R = 4.42분.
알릴(6a
S
)-2-하이드록시-3-(4-((1-메틸-5-((4-(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
H
-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5(12
H
)-카르복실레이트 (77)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테트라하이드로푸란 중 1 M, 4 mL, 4.00 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2 mL) 중 알릴 (6aS)-3-(4-((1-메틸-5-((4-(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2-((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톡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5(12H)-카르복실레이트(76)(192 mg, 0.201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0℃로 8.5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추가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염수(30 mL)로 희석한 다음, 아세트산(0.2 mL)으로 산성화시킨 후, 에틸 아세테이트(2 x 20 mL)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추출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메탄올/디클로로메탄(0%~8%)으로 용리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였다. 그런 다음, 이를 디클로로메탄(2 mL) 중에 용해시키고, 삼차-부틸(메톡시)디페닐실란(270 mg, 0.998 mmol)과 함께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혼합물을 재농축시키고 메탄올/디클로로메탄(0%~8%)으로 용리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추가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46 mg, 88%)을 갈색 점성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MS (ES+): m/z = 827.3 (M+H)+, (ES-): m/z = 825.5 (M+H)-; LCMS (방법 B): t R = 3.70분.
알릴(6a
S
)-3-(4-((5-((4-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2-하이드록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5(12
H
)-카르복실레이트 (78)
수산화나트륨 수용액(1 M, 4 mL, 4 mmol)을 1,4-디옥산(2 mL) 및 메탄올(2 mL) 중 알릴 (6aS)-2-하이드록시-3-(4-((1-메틸-5-((4-(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5(12H)-카르복실레이트(77)(63 mg, 0.076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이를 염수(6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2 x 50 mL)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추출물을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52 mg, 93%)을 황색 점성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MS (ES+): m/z = 731.4 (M+H)+, (ES-): m/z = 729.4 (M+H)-; LCMS (방법 B): t R = 3.08분.
(
S
)-
N
-(4-아미노페닐)-4-(4-((2-하이드록시-12-옥소-6a,7,8,9,10,12-헥사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아미도)-1-메틸-1
H
-피롤-2-카르복사미드 (79)
디클로로메탄(4 mL) 중 알릴 (6aS)-3-(4-((5-((4-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2-하이드록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5(12H)-카르복실레이트(78)(52 mg, 0.071 mmol)의 용액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4 mg, 5 mol%), 및 피롤리딘(8 μL, 0.106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1시간 동안 고진공을 인가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메탄올/디클로로메탄(0%~20%)으로 용리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4 mg, 62%)을 황갈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DMSO) δ 9.77 (s, 1H), 9.44 - 9.35 (m, 2H), 7.88 (d, J = 5.7 Hz, 1H), 7.32 - 7.28 (m, 3H), 7.11 - 7.09 (m, 1H), 6.78 (d, J = 1.8 Hz, 1H), 6.68 (s, 1H), 6.55 (d, J = 8.9 Hz, 2H), 3.99 - 3.85 (m, 3H), 3.73 (s, 3H), 3.65 - 3.57 (m, 1H), 3.02 (ddd, J = 15.2, 9.4, 4.0 Hz, 1H), 2.39 (t, J = 7.4 Hz, 2H), 2.00 - 1.93 (m, 3H), 1.80 - 1.73 (m, 2H)- 1.51 - 144 (m, 3H); MS (ES+): m/z = 545.2(M+H)+, (ES-): m/z = 543.2 (M+H)-; LCMS (방법 B): t R = 2.58분.
실시예 1P: 화합물 (82)의 합성.
(2
R
,3
R
,4
S
,5
R
,6
S
)-2-(아세트옥시메틸)-6-(((6a
S
)-5-((알릴옥시)카르보닐)-3-(4-((1-메틸-5-((4-(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
H
-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2-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3,4,5-트리일 트리아세테이트 (80)
아세톤(6 mL) 중 알릴 (6aS)-2-하이드록시-3-(4-((1-메틸-5-((4-(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5(12H)-카르복실레이트(77)(102 mg, 0.145 mmol)의 용액에 탄산칼륨(50 mg, 0.363mmol) 및 (2R,3R,4S,5R,6R)-2-(아세트옥시메틸)-6-브로모테트라하이드로-2H-피란-3,4,5-트리일 트리아세테이트(72 mg, 0.174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환류 하에 4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염수(5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2 x 30mL)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분획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메탄올/디클로로메탄(0%~10%)으로 용리하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98 mg, 58%)을 크림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MS (ES+): m/z = 1157.7 (M+H)+, (ES-): m/z = 1155.7 (M+H)-; LCMS (방법 B): t R = 4.08분.
알릴 (6a
S
)-3-(4-((5-((4-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2-(((2
S
,3
R
,4
S
,5
S
,6
R
)-3,4,5-트리하이드록시-6-(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5(12
H
)-카르복실레이트 (81)
1,4-디옥산(3 mL) 및 메탄올(0.5 mL) 중 (2R,3R,4S,5R,6S)-2-(아세트옥시메틸)-6-(((6aS)-5-((알릴옥시)카르보닐)-3-(4-((1-메틸-5-((4-(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2-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3,4,5-트리일 트리아세테이트(80)(98 mg, 0.085 mmol)의 용액에 수산화나트륨 수용액(1 M, 3 mL, 3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40℃에서 2시간 동안 추가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실리카 패드를 통해 여과한 다음, 디클로로메탄 및 메탄올로 세척하였다. 그런 다음, 용리물을 농축시키고, 메탄올/디클로로메탄(0%~30%)으로 용리하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50 mg, 66%)을 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MS (ES+): m/z = 893.5 (M+H)+, (ES-): m/z = 891.4 (M+H)-; LCMS (방법 B): t R = 2.95분.
N
-(4-아미노페닐)-1-메틸-4-(4-(((
S
)-12-옥소-2-(((2
S
,3
R
,4
S
,5
S
,6
R
)-3,4,5-트리하이드록시-6-(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6a,7,8,9,10,12-헥사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아미도)-1
H
-피롤-2-카르복사미드 (82)
1,4-디옥산(3 mL) 및 메탄올(0.5 mL) 중 (2R,3R,4S,5R,6S)-2-(아세트옥시메틸)-6-(((6aS)-5-((알릴옥시)카르보닐)-3-(4-((1-메틸-5-((4-(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2-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3,4,5-트리일 트리아세테이트(80)(86 mg, 0.074 mmol)의 용액에 수산화나트륨 수용액(1 M, 3 mL, 3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혼합물을 메탄올(30 mL)로 희석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3 mL) 및 메탄올(1 mL) 중에 재현탁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8.6 mg, 10 mol%), 및 피롤리딘(7 μL, 0.089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1시간 동안 고진공을 인가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메탄올/디클로로메탄(0%~35%)으로 용리하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3 mg, 25%)을 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DMSO-d 6 ) δ 9.84 (s, 1H), 9.42 (s, 1H), 8.02 (d, J = 5.7 Hz, 1H), 7.45 (s, 1H), 7.28 (d, J = 8.7 Hz, 2H), 7.16 (dd, J = 4.0, 1.8 Hz, 1H), 6.85 - 6.80 (m, 2H), 6.50 (d, J = 8.7 Hz, 2H), 5.04 - 4.83 (m, 6H)- 4.02 - 3.95 (m, 3H), 3.79 (s, 3H), 3.71 - 3.62 (m, 5H), 3.60 - 3.54 (m, 3H), 3.13 - 3.10 (m, 1H), 2.47 - 2.44 (m, 2H), 2.04 - 2.01 (m, 3H), 1.68 - 1.64 (m, 2H), 1.52 - 1.48 (m, 3H); MS (ES+): m/z = 707.5 (M+H)+; LCMS (방법 A): t R = 4.50분.
실시예 1Q: 화합물 (85)의 합성.
(2
R
,3
S
,4
S
,5
R
,6
S
)-2-(아세트옥시메틸)-6-(((6a
S
)-5-((알릴옥시)카르보닐)-3-(4-((1-메틸-5-((4-(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
H
-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2-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3,4,5-트리일 트리아세테이트 (83)
디클로로메탄(3 mL) 중 알릴 (6aS)-2-하이드록시-3-(4-((1-메틸-5-((4-(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5(12H)-카르복실레이트(77)(198 mg, 0.24 mmol)의 용액에 탄산칼륨(116 mg, 0.84 mmol), 테트라부틸암모늄 브롬화물(155 mg, 0.48 mmol) 및 (2R,3S,4S,5R,6R)-2-(아세트옥시메틸)-6-브로모테트라하이드로-2H-피란-3,4,5-트리일 트리아세테이트(296 mg, 0.72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50 mL)로 희석하고 염수(4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메탄올/디클로로메탄(0%~10%)으로 용리하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41 mg, 51%)을 크림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MS (ES+): m/z = 1157.7 (M+H)+, (ES-): m/z = 1155.9 (M+H)-; LCMS (방법 B): t R = 3.97분.
알릴 (6a
S
)-3-(4-((5-((4-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2-(((2
S
,3
R
,4
S
,5
R
,6
R
)-3,4,5-트리하이드록시-6-(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5(12
H
)-카르복실레이트 (84)
1,4-디옥산(3 mL) 및 메탄올(0.5 mL) 중 (2R,3S,4S,5R,6S)-2-(아세트옥시메틸)-6-(((6aS)-5-((알릴옥시)카르보닐)-3-(4-((1-메틸-5-((4-(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2-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3,4,5-트리일 트리아세테이트(83)(141 mg, 0.122 mmol)의 용액에 수산화나트륨 수용액(1 M, 3 mL, 3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혼합물을 아세트산 수용액(1 M, 2 mL, 2 mmol)으로 퀀칭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아세토니트릴-물(5%~100%)로 용리하는 역상 크로마토그래피(C18)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76 mg, 70%)을 크림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MS (ES+): m/z = 893.6 (M+H)+; LCMS (방법 B): t R = 2.93분.
N
-(4-아미노페닐)-1-메틸-4-(4-(((
S
)-12-옥소-2-(((2
S
,3
R
,4
S
,5
R
,6
R
)-3,4,5-트리하이드록시-6-(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6a,7,8,9,10,12-헥사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아미도)-1
H
-피롤-2-카르복사미드 (85)
디클로로메탄(3 mL) 및 메탄올(1.5 mL) 중 알릴 (6aS)-3-(4-((5-((4-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2-(((2S,3R,4S,5R,6R)-3,4,5-트리하이드록시-6-(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5(12H)-카르복실레이트(84)(19 mg, 0.021 mmol)의 용액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12 mg, 50 mol%), 및 피롤리딘(4 μL, 0.053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아세토니트릴-물(5%~100%)로 용리하는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0 mg, 66%)을 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DMSO-d 6 ) δ 9.82 -9.77 (m, 1H), 9.43 - 9.40 (m, 1H), 8.02 (d, J = 5.7 Hz, 1H), 7.35 - 7.24 (m, 3H), 7.17 (dd, J = 3.8, 1.8 Hz, 1H), 6.90 - 6.79 (m, 2H), 6.52 - 6.49 (m, 2H), 4.88 - 4.81 (m, 3H), 4.68 - 4.52 (m, 3H), 4.08 - 3.91 (m, 3H), 3.79 (s, 3H), 3.76 - 3.65 (m, 2H), 3.63 - 3.53 (m, 3H), 3.50 - 3.52 (m, 3H), 3.10 (ddd, J = 18.0, 11.1, 5.3 Hz, 1H), 2.47 - 2.43 (m, 2H), 2.04 (dd, J = 23.8, 17.1 Hz, 3H), 1.87 - 1.75 (m, 2H), 1.61 - 1.48 (m, 3H); MS (ES+): m/z = 707.3 (M+H)+, (ES-): m/z = 706.4 (M+H)- ; LCMS (방법 B): t R = 2.38분.
실시예 1R: 화합물 (88)의 합성.
(2
S
,3
R
,4
S
,5
S
,6
S
)-2-(((6a
S
)-5-((알릴옥시)카르보닐)-3-(4-((1-메틸-5-((4-(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
H
-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2-일)옥시)-6-(메톡시카르보닐)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3,4,5-트리일 트리아세테이트 (86)
디클로로메탄(3 mL) 중 알릴 (6aS)-2-하이드록시-3-(4-((1-메틸-5-((4-(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5(12H)-카르복실레이트(77)(200 mg, 0.242 mmol)의 용액에 탄산칼륨(117 mg, 0.847 mmol), 테트라부틸암모늄 브롬화물(156 mg, 0.484 mmol) 및 (2R,3R,4S,5S,6S)-2-브로모-6-(메톡시카르보닐)테트라하이드로-2H-피란-3,4,5-트리일 트리아세테이트(289 mg, 0.726 mmol)의 수용액(1 m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50 mL)로 희석하고 염수(4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메탄올/디클로로메탄(0%~10%)으로 용리하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04 mg, 38%)을 크림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MS (ES+): m/z = 1143.8 (M+H)+, (ES-): m/z = 1141.6 (M+H)-; LCMS (방법 A): t R = 7.58분.
(2
S
,3
S
,4
S
,5
R
,6
S
)-6-(((6a
S
)-5-((알릴옥시)카르보닐)-3-(4-((5-((4-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2-일)옥시)-3,4,5-트리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카르복시산 (87)
1,4-디옥산(3 mL) 및 메탄올(0.5 mL) 중 (2S,3R,4S,5S,6S)-2-(((6aS)-5-((알릴옥시)카르보닐)-3-(4-((1-메틸-5-((4-(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2-일)옥시)-6-(메톡시카르보닐)테트라하이드로-2H-피란-3,4,5-트리일 트리아세테이트(86)(104 mg, 0.091 mmol)의 용액에 수산화나트륨 수용액(1 M, 3 mL, 3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혼합물을 아세트산 수용액(1 M, 2 mL, 2 mmol)으로 퀀칭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아세토니트릴-물(5%~100%)로 용리하는 역상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57 mg, 69%)을 크림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MS (ES+): m/z = 907.0 (M+H)+, (ES-): m/z = 905.0 (M+H)- ; LCMS (방법 B): t R = 2.98분.
(2
S
,3
S
,4
S
,5
R
,6
S
)-6-(((
S
)-3-(4-((5-((4-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12-옥소-6a,7,8,9,10,12-헥사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2-일)옥시)-3,4,5-트리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카르복시산 (88)
디클로로메탄(3 mL) 및 메탄올(1.5 mL) 중 (2S,3S,4S,5R,6S)-6-(((6aS)-5-((알릴옥시)카르보닐)-3-(4-((5-((4-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2-일)옥시)-3,4,5-트리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카르복시산(87)(27 mg, 0.03 mmol)의 용액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17 mg, 50 mol%), 및 피롤리딘(6 μL, 0.07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아세토니트릴-물(5%~100%)로 용리하는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1 mg, 51%)을 크림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DMSO-d 6 ) δ 10.17 - 10.07 (m, 1H), 9.43 (t, J = 8.0 Hz, 1H), 8.02 (d, J = 5.7 Hz, 1H), 7.46 (s, 1H), 7.29 (d, J = 8.8 Hz, 2H), 7.17 - 7.14 (m, 1H), 6.85 (d, J = 1.8 Hz, 1H), 6.81 (s, 1H), 6.52 - 6.48 (m, 2H), 4.87 (d, J = 7.4 Hz, 1H), 4.69 - 4.55 (m, 1H), 4.15 - 3.86 (m, 4H), 3.78 (s, 3H), 3.76 - 3.63 (m, 2H), 3.19 - 3.08 (m, 5H), 2.55 - 2.51 (m, 2H), 2.08 - 1.99 (m, 3H), 1.74 - 1.68 (m, 2H), 1.58 - 1.51 (m, 3H); MS (ES+): m/z = 721.4 (M+H)+, (ES-): m/z = 719.3 (M+H)- ; LCMS (방법 B): t R = 2.38분.
실시예 1S: 화합물 (91)의 합성.
알릴 (6a
S
)-3-(4-((5-((4-((
S
)-2-((
S
)-2-(((알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프로판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2-(((2
S
,3
R
,4
S
,5
S
,6
R
)-3,4,5-트리하이드록시-6-(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5(12
H
)-카르복실레이트 (89)
알릴 (6aS)-3-(4-((5-((4-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2-(((2S,3R,4S,5S,6R)-3,4,5-트리하이드록시-6-(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5(12H)-카르복실레이트(81)(50 mg, 0.056 mmol)를, 30분 동안 사전 교반된, N,N-디메틸포름아미드(2 mL) 중 ((알릴옥시)카르보닐)-L-발릴-L-알라닌(17 mg, 0.062 mmol), N,N-디메틸피리딘-4-아민(21 mg, 0.168 mmol), 및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28 mg, 0.14 mmo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톨루엔(30 mL)으로 희석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메탄올/디클로로메탄(0%~30%)으로 용리하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5 mg, 54%)을 크림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MS (ES+): m/z = 1147.8 (M+H)+, (ES-): m/z = 1146.6 (M+H)-; LCMS (방법 B): t R = 3.37분.
N
-(4-((
S
)-2-((
S
)-2-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프로판아미도)페닐)-1-메틸-4-(4-(((
S
)-12-옥소-2-(((2
S
,3
R
,4
S
,5
S
,6
R
)-3,4,5-트리하이드록시-6-(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6a,7,8,9,10,12-헥사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아미도)-1
H
-피롤-2-카르복사미드 (90)
디클로로메탄(2 mL) 및 메탄올(0.5 mL) 중 알릴 (6aS)-3-(4-((5-((4-((S)-2-((S)-2-(((알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프로판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2-(((2S,3R,4S,5S,6R)-3,4,5-트리하이드록시-6-(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5(12H)-카르복실레이트(89)(35 mg, 0.03 mmol)의 용액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3.5 mg, 10 mol%), 및 피롤리딘(3 μL, 0.04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아세토니트릴-물(5%~100%)로 용리하는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1 mg, 79%)을 크림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MS (ES+): m/z = 877.5 (M+H)+, (ES-): m/z = 875.4 (M+H)-; LCMS (방법 A): t R = 4.75분.
N
-(4-((
S
)-2-((
S
)-2-(6-(2,5-디옥소-2,5-디하이드로-1
H
-피롤-1-일)헥산아미도)-3-메틸부탄아미도)프로판아미도)페닐)-1-메틸-4-(4-(((6a
S
)-12-옥소-2-(((3
R
,4
S
,5
S
,6
R
)-3,4,5-트리하이드록시-6-(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6a,7,8,9,10,12-헥사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아미도)-1
H
-피롤-2-카르복사미드 (91)
N-(4-((S)-2-((S)-2-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프로판아미도)페닐)-1-메틸-4-(4-(((S)-12-옥소-2-(((2S,3R,4S,5S,6R)-3,4,5-트리하이드록시-6-(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6a,7,8,9,10,12-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아미도)-1H-피롤-2-카르복사미드(21 mg, 0.024 mmol)를, 실온에서 30분 동안 사전 교반된, 디클로로메탄 (2 mL) 및 메탄올(0.2 mL) 중 6-(2,5-디옥소-2,5-디하이드로-1H-피롤-1-일)헥산산(90)(5.6 mg, 0.026 mmol) 및 2-에톡시-1-에톡시카르보닐-1,2-디하이드로퀴놀린(7.1 mg, 0.029 mmol)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생성된 잔류물을 메탄올/디클로로메탄(0%~25%)으로 용리하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1 mg, 43%)을 크림색 고형분 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DMSO-d 6 ) δ 9.82 (s, 2H), 9.74 (s, 1H), 8.39 (d, J = 7.5 Hz, 1H), 8.11 (d, J = 7.0 Hz, 1H), 7.95 (d, J = 7.7 Hz, 1H), 7.80 (d, J = 8.6 Hz, 1H), 7.61 (d, J = 6.9 Hz, 2H), 7.51 (d, J = 9.0 Hz, 2H), 7.23 - 7.18 (m, 2H), 7.00 - 6.98 (m, 2H), 6.94 (s, 1H), 4.73 - 4.62 (m, 2H), 4.59 - 4.49 (m, 2H), 4.06 - 3.96 (m, 5H), 3.81 (s, 3H), 3.70 - 3.54 (m, 6H), 3.50 - 3.43 (m, 4H), 3.13 - 3.08 (m, 1H), 2.48 - 2.45 (m, 2H), 2.26 (dd, J = 15.2, 7.6 Hz, 1H), 2.18 - 2.12 (m, 2H), 2.04 (dd, J = 13.5, 7.1 Hz, 3H), 1.98 - 1.89 (m, 2H), 1.68 - 1.58 (m, 5H), 1.30 (dd, J = 7.1, 2.1 Hz, 3H), 1.22 - 1.14 (m, 4H), 0.86 - 0.82 (m, 6H); MS (ES+): m/z = 1070.8 (M+H)+, (ES-): m/z = 1068.7 (M+H)-; LCMS (방법 A): t R = 5.70분.
실시예 1T: 화합물(96)의 합성.
알릴 (6a
S
)-3-(4-((5-((4-(5-(메톡시카르보닐)-1-메틸-1
H
-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2-((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톡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5(12
H
)-카르복실레이트 (92)
1,4-디옥산(3 mL) 및 메탄올(3 mL) 중 메틸 4-(4-(4-((삼차-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메틸-1H-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1-메틸-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15)(700 mg, 1.55 mmol)의 용액에 염산(1,4-디옥산 중 4 M)(6 m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사전 교반된, N,N-디메틸포름아미드(8 mL) 중 4-((5-((알릴옥시)카르보닐)-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2-((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톡시)-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산(72)(1.10 g, 1.70 mmol), N,N-디메틸피리딘-4-아민(622 mg, 5.10 mmol), 및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813 mg, 4.24 mmol)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9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탄산수소나트륨 포화 수용액(20 mL) 및 염수(100 mL)로 퀀칭시켰다. 수성상을 에틸 아세테이트(2 x 70 mL)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추출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메탄올/디클로로메탄(0%~10%)으로 용리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20 g, 72%)을 갈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DMSO-d 6 ) δ 9.88 (s, 1H), 9.77 (s, 1H), 7.68 (d, J = 8.7 Hz, 2H), 7.55 (d, J = 1.9 Hz, 1H), 7.51 (d, J = 8.4 Hz, 2H)- 7.24 - 717 (m, 3H), 6.97 - 6.82 (m, 2H), 6.05 - 5.91 (m, 1H), 5.87 - 5.75 (m, 1H), 5.29 - 5.23 (m, 2H), 5.11 - 5.01 (m, 3H), 4.63 - 4.39 (m, 2H), 4.11 - 3.97 (m, 4H), 3.89 (s, 3H), 3.86 - 3.79 (m, 4H), 3.77 (s, 3H), 3.75 - 3.71 (m, 2H), 3.49 - 3.44 (m, 1H), 2.88 (dd, J = 15.9, 8.3 Hz, 1H), 2.43 (t, J = 6.7 Hz, 2H), 2.09 - 1.99 (m, 2H), 1.74 - 1.40 (m, 12H), 0.90 (ddd, J = 8.6, 7.1, 3.1 Hz, 2H), -0.03 (s, 9H); 13C NMR (150 MHz, DMSO-d 6 ) δ 168.8, 167.9, 167.8, 160.8, 159.6, 146.1, 137.3, 132.7, 128.9, 127.0, 124.6, 122.8, 122.7, 122.2, 122.1, 120.4, 118.7, 113.8, 104.7, 99.2, 93.4, 87.5, 83.4, 68.2, 65.8, 59.7, 56.0, 54.9, 51.0, 38.1, 36.5, 36.4, 31.7, 30.5, 30.1, 24.8, 22.6, 20.7, 18.5, 17.8, 17.5, 14.1, -1.4; MS (ES+/-): m/z = 984 (M+H)+, 982 (M-H)-; LCMS (방법 A): t R = 9.35분.
4-(4-(4-(4-(((6a
S
)-5-((알릴옥시)카르보닐)-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2-((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톡시)-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아미도)-1-메틸-1
H
-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1-메틸-1
H
-피롤-2-카르복시산 (93)
1,4-디옥산(20 mL) 중 알릴 (6aS)-3-(4-((5-((4-(5-(메톡시카르보닐)-1-메틸-1H-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2-((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톡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5(12H)-카르복실레이트(92)(1.10 g, 1.12 mmol)의 용액에 수산화나트륨 수용액(1 M, 20 mL, 20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물(200 mL)을 첨가하고, 아세트산 수용액(5 M, 20 mL)으로 수용액을 pH = 4로 산성화시켰다. 그런 다음,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2 x 120 mL)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추출물을 농축시키고, 생성된 잔류물을 메탄올/디클로로메탄(0%~10%)으로 용리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92 mg, 27%)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DMSO-d 6 ) δ 12.16 (s, 1H), 9.88 (s, 1H), 9.77 (s, 1H), 7.67 (d, J = 7.9 Hz, 2H), 7.52 - 7.45 (m, 3H), 7.26 - 7.18 (m, 3H), 7.12 (d, J = 1.9 Hz, 1H), 6.95 - 6.83 (m, 2H), 6.02 (d, J = 9.9 Hz, 1H), 5.83 - 5.71 (m, 1H), 5.27 - 5.24 (m, 2H), 5.10 - 5.00 (m, 3H), 4.60 - 4.41 (m, 2H), 4.07 - 3.98 (m, 4H), 3.87 (s, 3H), 3.83 (s, 3H), 3.78 - 3.74 (m, 3H), 3.52 (dd, J = 10.9, 5.3 Hz, 1H), 2.88 (dd, J = 15.0, 8.6 Hz, 1H), 2.43 (t, J = 6.8 Hz, 2H), 2.08 - 2.01 (m, 2H), 1.64 - 1.43 (m, 12H), 0.91 - 0.88 (m, 2H), -0.03 (s, 9H); 13C NMR (150 MHz, DMSO-d 6 ) δ 172.0, 170.3, 168.8, 167.8, 162.0, 159.6, 146.1, 137.2, 132.7, 129.2, 126.3, 124.5, 122.7, 122.4, 122.0, 120.4, 118.7, 116.5, 114.7, 113.6, 104.7, 99.2, 94.2, 93.4, 87.5, 83.4, 68.2, 68.0, 65.8, 62.8, 62.0, 59.7, 54.8, 38.1, 36.5, 36.1, 31.8, 30.5, 30.1, 24.9, 22.6, 21.1, 20.7, 18.9, 17.8, 17.5, 14.1, -1.4; δ; MS (ES+/-): m/z = 970 (M+H)+, 968 (M-H)-; LCMS (방법 B): t R = 4.43분.
알릴 (6a
S
)-3-(4-((1-메틸-5-((4-(1-메틸-5-(페닐카르바모일)-1
H
-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
H
-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2-((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톡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5(12
H
)-카르복실레이트 (94)
N,N-디메틸포름아미드(3 mL) 중 4-(4-(4-(4-(((6aS)-5-((알릴옥시)카르보닐)-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2-((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톡시)-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아미도)-1-메틸-1H-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1-메틸-1H-피롤-2-카르복시산(93)(200 mg, 0.210 mmol)의 용액에 N,N-디메틸피리딘-4-아민(76 mg, 0.62 mmol) 및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100 mg, 0.520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아닐린(29 μL, 0.31 mmol)을 첨가하고, 용액을 16시간 동안 추가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탄산수소나트륨 포화 수용액(8 mL)으로 퀀칭시키고 염수(70 mL)로 희석하였다. 수성상을 에틸 아세테이트(2 x 50 mL)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추출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디클로로메탄(0%~100%)으로 용리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00 mg, 46%)을 황색오일 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 8.56 - 8.41 (m, 2 H)- 8.26 - 8.11 (m, 1 H)- 7.72 - 7.62 (m, 4 H)- 7.44 - 7.31 (m, 6 H)- 7.22 - 7.01 (m, 5 H)- 6.51 - 6.23 (m, 1 H)- 6.04 - 5.72 (m, 1 H)- 5.26 - 5.07 (m, 4 H), 4.69 (br. s., 1 H)- 4.45 - 4.34 (m, 1 H), 4.12 (br. s., 2 H), 3.99 (br. s., 4 H), 3.88 (br. s., 4 H), 3.75 (br. s., 2 H), 3.63 (br. s., 3 H)- 3.10 - 3.04 (m, 1 H), 2.51 (br. s., 2 H), 2.20 (br. s., 2 H)- 1.80 - 1.50 (m, 12 H)- 1.30 - 0.82 (m, 2 H), -0.02 (br. s., 9 H); 13C NMR (100 MHz, CDCl3) δ 173.8, 169.7, 169.0, 160.1, 155.9, 155.7, 138.4, 132.1, 131.9, 130.1, 129.9, 128.9, 126.6, 125.2, 125.1, 123.9, 123.3, 122.9, 121.6, 120.8, 120.2, 119.8, 116.1, 109.8, 106.4, 104.5, 104.0, 100.4, 93.9, 88.0, 81.6, 68.8, 66.7, 66.6, 64.1, 55.2, 39.0, 37.0, 36.8, 33.0, 31.0, 30.6, 25.2, 23.1, 20.9, 19.5, 18.4, 18.2, 17.9, -1.4; MS (ES+/-): m/z = 1045 (M+H)+, 1043 (M-H)- LCMS (방법 B): t R = 4.82분.
알릴 (6a
S
)-2-하이드록시-3-(4-((1-메틸-5-((4-(1-메틸-5-(페닐카르바모일)-1
H
-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
H
-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5(12
H
)-카르복실레이트 (95)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테트라하이드로푸란 중 1 M, 1 mL, 1.00 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1 mL) 중 알릴(6aS)-3-(4-((1-메틸-5-((4-(1-메틸-5-(페닐카르바모일)-1H-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2-((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톡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5(12H)-카르복실레이트(94)(100 mg, 0.100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0℃로 9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30 mL) 중 0.1 M 아세트산 용액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2 x 20 mL)로 세척하였다. 합쳐진 유기 추출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메탄올/디클로로메탄(0%~10%)으로 용리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66.0 mg, 75%)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8.92 - 8.42 (m, 3H), 7.63 (d, J = 7.9 Hz, 2H), 7.44 (d, J = 6.6 Hz, 3H), 7.31 - 7.20 (m, 5H), 7.17 - 6.97 (m, 4H), 6.91 (s, 1H), 6.35 - 6.14 (m, 1H-,6.02 - 5.85 (m, 1H), 5.77 - 5.61 (m, 1H), 5.38 - 4.93 (m, 3H), 4.69 - 4.16 (m, 2H), 4.06 - 3.95 (m, 1H), 3.90 (s, 3H), 3.86 - 3.77 (m, 1H), 3.74 (s, 3H), 3.68 - 3.42 (m, 4H), 3.07 - 2.94 (m, 1H), 2.53 - 2.30 (m, 2H), 2.16 - 2.03 (m, 2H), 1.74 - 1.44 (m, 12H); 13C NMR (100 MHz, CDCl3) δ 175.3, 171.1, 171.0, 169.6, 163.0, 160.3, 155.9, 155.5, 138.4, 136.3, 132.2, 130.3, 128.9, 126.8, 126.6, 125.2, 123.9, 123.2, 123.0, 121.5, 121.0, 120.5, 120.0, 118.8, 117.3, 114.3, 113.8, 110.0, 104.6, 100.9, 100.4, 98.4, 88.1, 73.7, 70.2, 66.5, 63.2, 39.1, 37.0, 36.7, 33.0, 32.0, 31.0, 30.7, 29.7, 25.3, 23.0, 20.9, 18.3, 18.2; MS (ES+/-): m/z = 915 (M+H)+, 913 (M-H)-; LCMS (방법 A): t R = 7.98분.
(
S
)-4-(4-((2-하이드록시-12-옥소-6a,7,8,9,10,12-헥사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아미도)-1-메틸-
N
-(4-(1-메틸-5-(페닐카르바모일)-1
H
-피롤-3-일)페닐)-1
H
-피롤-2-카르복사미드 (96)
디클로로메탄(6 mL) 중 알릴 (6aS)-2-하이드록시-3-(4-((1-메틸-5-((4-(1-메틸-5-(페닐카르바모일)-1H-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5(12H)-카르복실레이트(95)(110 mg, 0.120 mmol)의 용액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14 mg, 10 mol%), 및 피롤리딘(20 μL, 0.240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1시간 동안 고진공을 인가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메탄올/디클로로메탄(0%~10%)으로 용리하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4 mg, 16%)을 크림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α]D 20 = 33° (c 0.071, (CH3)2SO); 1H NMR (600 MHz, DMSO-d 6 ) δ 9.89 (s, 1H), 9.83 (s, 1H), 9.80 (s, 1H), 9.47 (s, 1H), 7.96 (d, J = 5.7 Hz, 1H), 7.74 (d, J = 7.6 Hz, 2H), 7.72 (d, J = 8.7 Hz, 2H), 7.51 (d, J = 8.7 Hz, 2H), 7.47 (d, J = 1.8 Hz, 1H), 7.41 (d, J = 1.9 Hz, 1H), 7.36 - 7.31 (m, 2H), 7.22 (d, J = 1.7 Hz, 1H), 7.20 (s, 1H), 7.06 (dd, J = 11.6, 4.2 Hz, 1H), 6.97 (d, J = 1.8 Hz, 1H), 6.76 (s, 1H), 4.15-4.12 (m, 1H), 4.07 - 3.96 (m, 2H), 3.91 (d, J = 14.5 Hz, 3H), 3.84 (s, 3H), 3.69 (dd, J = 9.8, 5.7 Hz, 1H), 3.09 (ddd, J = 13.8, 11.3, 4.1 Hz, 1H), 2.48 (t, J = 7.4 Hz, 2H), 2.09 - 2.00 (m, 3H), 1.89 - 1.82 (m, 1H), 1.79 - 1.68 (m, 3H), 1.61 - 1.54 (m, 1H); 13C NMR (150 MHz, DMSO-d 6 ) δ 169.1, 166.4, 164.0, 159.7, 159.6, 149.3, 145.2, 139.3, 138.7, 137.1, 129.5, 128.5, 125.4, 124.4, 123.0, 122.7, 122.1, 122.0, 121.2, 120.5, 119.9, 118.8, 115.2, 110.5, 110.0, 104.8, 67.7, 49.2, 36.5, 36.2, 31.9, 29.0, 24.8, 23.8, 22.6, 17.8; MS (ES+): m/z = 728 (M+H)+; LCMS (방법 A): t R = 7.02분; MS (ES+): m/z = 855 (M+H)+; LCMS (방법 A): t R = 6.07분; HRMS (ESI, m/z): C41H42N7O6 + ([M]+H)+에 대한 계산치 728.3191, 측정치 728.3175.
실시예 1U: 화합물 (98)의 합성.
(2
R
,3
R
,4
S
,5
R
)-2-(아세트옥시메틸)-6-(((6a
S
)-5-((알릴옥시)카르보닐)-3-(4-((1-메틸-5-((4-(1-메틸-5-(페닐카르바모일)-1
H
-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
H
-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2-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3,4,5-트리일 트리아세테이트 (97)
아세톤(3 mL) 중 알릴 (6aS)-2-하이드록시-3-(4-((1-메틸-5-((4-(1-메틸-5-(페닐카르바모일)-1H-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5(12H)-카르복실레이트(95)(66 mg, 0.072 mmol), 아세토브로모-α-D-포도당(60 mg, 0.144 mmol), 및 탄산칼륨(22.0 mg, 0.180 mmol)의 혼합물을 60℃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염수(3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2 x 2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아세톤/디클로로메탄(0%~40%)으로 용리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53.0 mg, 61%)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8.34 (s, 1H), 8.19 - 8.02 (m, 2H), 7.62 (d, J = 7.8 Hz, 3H), 7.55 (d, J = 7.4 Hz, 2H), 7.39 (d, J = 8.4 Hz, 2H), 7.36 - 7.28 (m, 3H), 7.22 (s, 1H), 7.09 (t, J = 7.4 Hz, 1H), 7.02 (s, 2H), 6.61 (s, 1H), 6.27-5.95 (m, 1H), 5.91 - 5.65 (m, 1H), 5.49 - 5.19 (m, 3H), 5.16 - 4.91 (m, 4H), 4.71 - 4.14 (m, 5H), 4.08 - 3.97 (m, 6H), 3.89 (s, 3H), 3.85 - 3.75 (m, 1H), 3.65 - 3.42 (m, 2H), 3.12 - 2.96 (m, 1H), 2.53 - 2.43 (m, 2H), 2.26 - 2.16 (m, 2H), 2.05 (d, J = 10.0 Hz, 12H), 1.81 - 1.43 (m, 12H); 13C NMR (100 MHz, CDCl3) δ 171.0, 170.3, 169.6, 168.8,168.5, 160.0, 155.6, 139.3, 138.3, 136.4, 132.1, 131.9, 131.6, 130.5, 130.4, 129.0, 126.6, 125.5, 125.3, 124.0, 123.3, 120.8, 120.7, 120.2, 120.0, 117.5, 115.4, 114.8, 114.3, 109.6, 103.9, 100.9, 98.8, 83.9, 73.8, 72.5, 72.2, 71.3, 68.2, 67.8, 66.5, 64.7, 63.6, 61.8, 39.1, 37.1, 36.8, 31.2, 31.0, 30.8, 29.4, 25.3, 25.2, 23.4, 23.1, 21.0, 20.8, 20.7, 18.2; MS (ES+): m/z = 1245 (M+H)+; LCMS (방법 A): t R = 8.52분.
1-메틸-4-(4-(1-메틸-4-(4-(((
S
)-12-옥소-2-(((2
S
,3
R
,4
S
,5
S
,6
R
)-3,4,5-트리하이드록시-6-(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6a,7,8,9,10,12-헥사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아미도)-1
H
-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
N
-페닐-1
H
-피롤-2-카르복사미드 (98)
1,4-디옥산(3 mL) 중 (2R,3R,4S,5R)-2-(아세트옥시메틸)-6-(((6aS)-5-((알릴옥시)카르보닐)-3-(4-((1-메틸-5-((4-(1-메틸-5-(페닐카르바모일)-1H-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2-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2H-3,4,5-트리일 트리아세테이트(97)(53 g, 0.043 mmol)의 용액에 수산화나트륨 수용액(1 M, 3 mL, 3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아세트산 수용액(1 M, 3 mL, 3 mmol)으로 퀀칭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그런 다음, 생성된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4 mL) 중에 현탁시키고,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5 mg, 10 mol%), 및 피롤리딘(8 μL, 0.08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1시간 동안 고진공을 인가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아세토니트릴/0.1% 포름산을 함유하는 물(5% 내지 95%)로 용리하는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C18)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2 mg, 57%)을 크림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α]D 24 = 93° (c 0.074, (CH3)2CO); 1H NMR (400 MHz, DMSO-d 6 ) δ 9.86 - 9.77 (m, 3H), 8.01 (d, J = 5.7 Hz, 1H), 7.71 (t, J = 8.7 Hz, 4H), 7.52 - 7.42 (m, 4H), 7.39 (s, 1H), 7.31 (t, J = 7.4 Hz, 2H), 7.20 (s, 1H), 7.04 (t, J = 7.6 Hz, 1H), 6.95 (s, 1H), 6.82 (s, 1H), 4.89 (d, J = 6.2 Hz, 1H), 4.70 - 4.40 (m, 1H), 4.22 - 3.92 (m, 3H), 3.89 (s, 3H), 3.82 (s, 3H), 3.70 - 3.48 (m, 4H), 3.40 - 3.25 (m, 8H), 2.44 (dd, J = 11.6, 4.0 Hz, 2H), 2.07 - 1.97 (m, 3H), 1.84 - 1.54 (m, 5H); 13C NMR (100 MHz, DMSO-d 6 ) δ 169.1, 166.2, 165.3, 159.7, 159.6, 150.7, 145.1, 140.9, 139.3, 137.1, 131.5, 131.4, 129.4, 128.7, 128.5, 126.1, 125.4, 124.4, 123.0, 122.7, 122.0, 121.9, 120.4, 119.9, 118.8, 110.4, 104.8, 76.9, 76.6, 73.3, 69.2, 64.9, 54.9, 49.2, 48.6, 36.5, 36.2, 31.8, 24.7, 23.7, 22.6, 17.7, 15.2; MS (ES+): m/z = 891 (M+H)+; LCMS (방법 B): t R = 3.32분; HRMS (ESI, m/z): C47H52N7O11 + ([M]+H)+에 대한 계산치 890.3719, 측정치 890.3753.
실시예 1V: 화합물(102)의 합성.
알릴 (6a
S
)-3-(4-((1-메틸-5-((4-(1-메틸-5-((4-(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
H
-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
H
-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2-((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톡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5(12
H
)-카르복실레이트 (99)
N,N-디메틸포름아미드(6 mL) 중 4-(4-(4-(4-(((6aS)-5-((알릴옥시)카르보닐)-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2-((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톡시)-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아미도)-1-메틸-1H-피롤-2-카복사미도)페닐)-1-메틸-1H-피롤-2-카르복시산(93)(144 mg, 0.15 mmol)의 용액에 N,N-디메틸피리딘-4-아민(54 mg, 0.45 mmol) 및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74 mg, 0.37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N-(4-아미노페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73)(33 mg, 0.16 mmol)를 첨가하고, 용액을 16시간 동안 추가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염수(60 mL)로 희석하였다. 수성상을 에틸 아세테이트(2 x 20 mL)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추출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메탄올/디클로로메탄(0%~10%)으로 용리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41 mg, 82%)을 갈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MS (ES+/-): m/z = 1156.0 (M+H)+, 1153.5 (M-H)-; LCMS (방법 B): t R = 4.53분.
알릴 (6a
S
)-2-하이드록시-3-(4-((1-메틸-5-((4-(1-메틸-5-((4-(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
H
-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
H
-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5(12
H
)-카르복실레이트 (100)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테트라하이드로푸란 중 1 M, 3 mL, 3.00 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1 mL) 중 알릴(6aS)-3-(4-((1-메틸-5-((4-(1-메틸-5-((4-(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H-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2-((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톡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5(12H)-카르복실레이트(99)(141 mg, 0.12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0℃로 7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염수(60 mL)로 희석하고, 아세트산(0.2 mL)으로 산성화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2 x 40 mL)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추출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메탄올/디클로로메탄(0%~10%)으로 용리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72 mg, 58%)을 갈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MS (ES+/-): m/z = 1025.7 (M+H)+, 1023.8 (M-H)-, LCMS (방법 B): t R = 4.00분.
(2
S
,3
R
,4
S
,5
S
,6
S
)-2-(((6a
S
)-5-((알릴옥시)카르보닐)-3-(4-((1-메틸-5-((4-(1-메틸-5-((4-(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
H
-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
H
-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2-일)옥시)-6-(메톡시카르보닐)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3,4,5-트리일 트리아세테이트 (101)
아세톤(6 mL) 중 알릴 (6aS)-2-하이드록시-3-(4-((1-메틸-5-((4-(1-메틸-5-((4-(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H-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5(12H)-카르복실레이트(100)(72 mg, 0.07 mmol), (2R,3R,4S,5S,6S)-2-브로모-6-(메톡시카르보닐)테트라하이드로-2H-피란-3,4,5-트리일 트리아세테이트(42 mg, 0.105 mmol), 및 탄산칼륨(29 mg, 0.21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염화나트륨 포화 수용액(50 mL)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2 x 3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메탄올-디클로로메탄(0%~10%)으로 용리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40 mg, 43%)을 크림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MS (ES+): m/z = 1341.9 (M+H)+, LCMS (방법 B): t R = 4.15분.
(2
S
,3
S
,4
S
,5
R
,6
S
)-6-(((
S
)-3-(4-((5-((4-(5-((4-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12-옥소-6a,7,8,9,10,12-헥사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2-일)옥시)-3,4,5-트리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카르복시산 (102)
1,4-디옥산(3 mL) 중 (2S,3R,4S,5S,6S)-2-(((6aS)-5-((알릴옥시)카르보닐)-3-(4-((1-메틸-5-((4-(1-메틸-5-((4-(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H-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2-일)옥시)-6-(메톡시카르보닐)테트라하이드로-2H-피란-3,4,5-트리일 트리아세테이트(101)(40 g, 0.03 mmol)의 용액에 수산화나트륨 수용액(1 M, 3 mL, 3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아세트산 수용액(2 M, 1.5 mL, 3 mmol)으로 퀀칭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킨 다음, 디클로로메탄(3 mL) 중에 현탁시키고, 여기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3.5 mg, 10 mol%) 및 피롤리딘(4 μL, 0.04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아세토니트릴-0.1% 포름산을 함유하는 물(5%~95%)로 용리하는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C18)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5 mg, 55%)을 크림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MS (ES+/-): m/z = 919.6 (M+H)+, 917.5 (M-H)-, LCMS (방법 A): t R = 5.47분.
실시예 1W: 화합물 (112)의 합성.
(2
S
,3
R
,4
S
,5
S
,6
S
)-2-(4-포르밀-2-니트로페녹시)-6-(메톡시카르보닐)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3,4,5-트리일 트리아세테이트 (105)
무수 아세토니트릴(200 mL) 중 (2R,3R,4S,5S,6S)-2-브로모-6-(메톡시카르보닐)테트라하이드로-2H-피란-3,4,5-트리일 트리아세테이트(103)(12.0 g, 30.2 mmol) 및 4-하이드록시-3-니트로벤즈알데히드(104)(5.0 g, 30.0 mmol)의 용액에 은(I) 옥사이드(13.9 g, 60 mmol)을 채우고, 생성된 현탁액을 아르곤 하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고형분을 여과하고, 50 mL의 아세토니트릴로 세척하였다. 생성된 합쳐진 아세토니트릴 용액을 추가의 중간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2
S
,3
R
,4
S
,5
S
,6
S
)-2-(4-(하이드록시메틸)-2-니트로페녹시)-6-(메톡시카르보닐)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3,4,5-트리일 트리아세테이트 (106)
(2S,3R,4S,5S,6S)-2-(4-포르밀-2-니트로페녹시)-6-(메톡시카르보닐)테트라하이드로-2H-피란-3,4,5-트리일 트리아세테이트(105)를 함유하는 이전 단계의 아세토니트릴 용액에 이소프로필 알코올(20 mL) 및 보로하이드라이드 나트륨(1.14 g, 30 mmol)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이에 물(200 mL)을 조심스럽게 첨가하여 퀀칭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2 x 200 mL)로 추출한 후, 합쳐진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킨 다음,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황갈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고, 이를 추가의 중간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2
S
,3
R
,4
S
,5
S
,6S)-2-(4-(((
삼차-
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2-니트로페녹시)-6-(메톡시카르보닐)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3,4,5-트리일 트리아세테이트 (107)
무수 디클로로메탄(200 mL) 중 미정제 (2S,3R,4S,5S,6S)-2-(4-(하이드록시메틸)-2-니트로페녹시)-6-(메톡시카르보닐)테트라하이드로-2H-피란-3,4,5-트리일 트리아세테이트(106)의 용액에 이미다졸(5.1 g, 75 mmol) 및 삼차-부틸디메틸실릴 염화물(6.8 g, 45 mmol)을 채웠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물(200 mL)로 퀀칭시켰다. 이어서, 이를 디클로로메탄(2 x 200 mL)으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 추출물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헥산(10%~30%)으로 용리하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3.7 g, 3-단계에 걸쳐 76%)을 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2
S
,3
S
,4
S
,5
R
,6
S
)-6-(4-(((
삼차-
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2-니트로페녹시)-3,4,5-트리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카르복시산 (108)
아세토니트릴(200 mL) 중 (2S,3R,4S,5S,6S)-2-(4-(((삼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2-니트로페녹시)-6-(메톡시카르보닐)테트라하이드로-2H-피란-3,4,5-트리일 트리아세테이트(107)(12.0 g, 20 mmol)의 용액에 수산화나트륨 수용액(1 N, 120 mL)을 채우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염산(1 N, 120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미정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알릴 (2
S
,3
S
,4
S
,5
R
,6
S
)-6-(4-(((
삼차-
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2-니트로페녹시)-3,4,5-트리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카르복실레이트 (109)
N,N-디메틸포름아미드(150 mL) 중 미정제 (2S,3S,4S,5R,6S)-6-(4-(((삼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2-니트로페녹시)-3,4,5-트리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카르복시산(108)의 용액에 탄산세슘(6.5 g, 20 mmol) 및 알릴 브롬화물(3.5 mL, 40 mmol)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물(300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 x 200 mL)로 추출하였다. 이어서, 합쳐진 유기 추출물을 염수(200 mL)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미정제 표제 화합물을 황갈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알릴 (2
S
,3
S
,4
S
,5
R
,6
S
)-3,4,5-트리스(((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6-(4-(((
삼차-
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2-니트로페녹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카르복실레이트 (110)
무수 피리딘(150 mL) 중 미정제 알릴(2S,3S,4S,5R,6S)-6-(4-(((삼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2-니트로페녹시)-3,4,5-트리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카르복실레이트(109)의 용액을 0℃로 냉각시키고, 여기에 알릴 클로로포르메이트(45 mL)를 적가하였다. 이어서,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그런 다음,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500 mL) 중에 재용해시키고 염산(1 N, 200 mL), 및 물(200 mL)로 세척하였다. 그런 다음,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헥산(0%~20%)으로 용리하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8.9 g, 3-단계에 걸쳐 59%)을 무색 시럽으로서 수득하였다.
알릴 (2
S
,3
S
,4
S
,5
R
,6
S
)-3,4,5-트리스(((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6-(4-(하이드록시메틸)-2-니트로페녹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카르복실레이트 (111)
테트라하이드로푸란(100 mL) 중 알릴(2S,3S,4S,5R,6S)-3,4,5-트리스((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6-(4-(((삼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2-니트로페녹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카르복실레이트(110)(8.0 g, 10.6 mmol)의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트리하이드로플루오라이드(4.8 mL, 30 mmol)를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디클로로메탄(300 mL)으로 희석한 후, 혼합물을 탄산수소나트륨 포화 수용액(150 mL) 및 물(200 mL)로 세척하였다. 그런 다음,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미정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알릴 (2
S
,3
S
,4
S
,5
R
,6
S
)-3,4,5-트리스(((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6-(2-니트로-4-((((퍼플루오로페녹시)카르보닐)옥시)메틸)페녹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카르복실레이트 (112)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50 mL) 중 미정제 알릴 (2S,3S,4S,5R,6S)-3,4,5-트리스(((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6-(4-(하이드록시메틸)-2-니트로페녹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카르복실레이트(111)의 용액에 비스(펜타플루오로페닐) 카르보네이트(8.4 g, 21.1 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35 mL, 2.0 mmol)을 채웠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300 mL)로 희석하였다. 그런 다음, 이를 염산(0.5 N, 200 mL) 및 물(200 mL)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헥산(10%~30%)으로 용리하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7.7 g, 2-단계에 걸쳐 86%)을 무색 시럽으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1X: 화합물 (127)의 합성.
4-(벤질옥시)-3-메톡시벤즈알데히드 (114)
메탄올(1.20 L) 중 화합물 바닐린(113)(200 g, 1.31 mol), 벤질 브롬화물(236 g, 1.38 mol), 및 탄산칼륨(545 g, 3.94 mol)의 혼합물을 5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271 g, 85%)을 담황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9.83 (s, 1H), 7.47-7.35 (m, 6H), 7.33 (d, J=7.2 Hz, 1H), 6.98 (d, J=8.2 Hz, 1H), 5.24 (s, 2H), 3.94 (s, 3H); 13C NMR (100 MHz, CDCl3) δ 191.0, 153.6, 150.1, 136.0, 130.3, 128.7, 128.2, 127.2, 126.6, 112.3, 109.3, 70.9, 56.1; MS (ES+): m/z = 243 (M+H)+; LCMS (방법 A): t R = 7.53분.
4-(벤질옥시)-5-메톡시-2-니트로벤즈알데히드 (115)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600 mL) 중 4-(벤질옥시)-3-메톡시벤즈알데히드(114)(130 g, 537 mmol)의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600 mL) 중 질산칼륨(65 g, 644 mmol)의 용액을 0℃에서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물(2.40 L)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냉수(500 mL Х 2)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125 g, 81%)을 황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10.43 (s, 1H), 7.67 (s, 1H), 7.46-7.30 (m, 6H), 5.27 (s, 2H), 4.02 (s, 3H); 13C NMR (100 MHz, CDCl3) δ 187.8, 153.7, 151.4, 134.85, 129.0, 128.9, 128.7, 127.6, 125.7, 110.0, 108.9, 71.6, 56.7; MS (ES-): m/z = 286 (M-H) -; LCMS (방법 A): t R = 7.87분.
4-하이드록시-5-메톡시-2-니트로벤즈알데히드 (116)
빙초산(800 mL) 중 4-(벤질옥시)-5-메톡시-2-니트로벤즈알데히드(115)(100 g, 348 mmol)의 용액에 브롬화수소산 수용액(48% v/v, 88.0 mL, 522 mmol)을 첨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85℃로 가열한 다음, TLC로 반응 완료를 판단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이를 물(1.6 L)로 희석하고,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냉수(100 mL x 3)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50.0 g, 73%)을 황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서 즉시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1.11 (br s, 1 H), 10.15 (br s, 1 H), 7.50 (s, 1 H), 7.35 (s, 1 H), 3.94 (s, 3 H); MS (ES-): m/z = 196 (M-H)-; LCMS (방법 B): t R = 2.55분.
5-메톡시-2-니트로-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벤즈알데히드 (117)
4-하이드록시-5-메톡시-2-니트로벤즈알데히드(116)(50.0 g, 254 mmol), 트리이소프로필실릴 염화물(59.7 mL, 279 mmol) 및 이미다졸(51.8 g, 761 mmol)의 혼합물을 가열하고 10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얼음물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500 mL Х 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추출물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경유, 40~60℃(5%)로 용리하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57.5 g, 64%)을 황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10.42 (s, 1 H), 7.59 (s, 1 H), 7.40 (s, 1 H), 3.95 (s, 3 H), 1.33-1.24 (m, 3 H), 1.07 (s, 18 H).
5-메톡시-2-니트로-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벤조산 (118)
물(200 mL) 중 아염소산나트륨(80%, 46.0 g, 407 mmol) 및 제1인산나트륨 이수화물(35.5 g, 228 mmol)의 용액에 테트라하이드로푸란(800 mL) 중 5-메톡시-2-니트로-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벤즈알데히드(117)(57.5 g, 163 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과산화수소(30% w/w, 235 mL, 2.28 mol)를 격렬하게 교반된 이상성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출발 물질이 용해되었고, 반응 혼합물의 온도는 45℃로 상승하였다. 30분 후, TLC로 반응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하였다. 후속하여, 혼합물을 구연산으로 pH = 3~4까지 산성화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500 mL Х 3)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추출물을 물(150 mL) 및 염수(15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이어서,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스피릿, 40~60℃(10%)에 이어서 메탄올/디클로로메탄(10%)으로 용리하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8.0 g, 63%)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9.81 (s, 1H), 7.35 (s, 1H), 7.25 (s, 1H), 3.91 (s, 3H), 1.26 (q, J=7.4 Hz, 3H), 1.09 (d, J=7.4 Hz, 18H); MS (ES-): m/z = 368 (M-H)-; LCMS (방법 D): t R = 4.75분.
(
S
)-(2-(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일)(5-메톡시-2-니트로-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페닐)메탄온 (119)
건식 디클로로메탄(300 mL) 중 5-메톡시-2-니트로-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벤조산(118)(28.0 g, 75.8 mmol), HATU(31.7 g, 83.4 mmol), 및 건식 트리에틸아민(44 mL)의 용액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S)-피페리딘-2-일메탄올(11.4 g, 98.5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500 mL Х 2)과 물(100 mL) 사이에서 분리시켰다. 이어서, 합쳐진 유기 추출물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스피릿, 40~60℃(50%~75%)로 용리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0.0 g, 57%)을 황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로타머의 혼합물, δ 7.68-7.65 (m, 1H), 7.03-6.65 (m, 1H), 5.04-4.69 (m, 1H), 4.12-4.05 (m, 0.4H), 4.01-3.95 (m, 0.5H), 3.92-3.89 (m, 2.6H), 3.83-3.74 (m, 1.5H), 3.64-3.59 (m, 0.4H), 3.45-3.40 (m, 0.3H), 3.21-3.01 (m, 1.4H), 2.87-2.79 (m, 0.4H), 1.97-1.94 (m, 0.6H), 1.88-1.77 (m, 0.6H), 1.73-1.62 (m, 3H), 1.56-1.44 (m, 2H), 1.29-1.24 (m, 3H), 1.09 (d, J=7.3 Hz, 18H); MS (ES+): m/z = 467 (M+H)+; LCMS (방법 B): t R = 4.75분.
(
S
)-(2-아미노-5-메톡시-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페닐)(2-(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일)메탄온 (120)
테트라하이드로푸란(5 mL) 중 (S)-(2-(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일)(5-메톡시-2-니트로-4 ((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페닐)메탄온(119)(1.00 g, 2.14 mmol)의 용액에 활성탄 상의 팔라듐(10 wt% 기준, 100 mg), 암모늄 포르메이트(1.10 g, 17.1 mmol) 및 물(1 mL)을 첨가하고, 아르곤 하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필터 케이크를 에틸 아세테이트(50 mL) 및 물(50 mL)로 세척하고, 여액을 분리하였다. 이어서, 유기상을 염수(50 mL x 2)로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스피릿, 40~60℃(50%~67%)로 용리하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892 mg, 95%)을 황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6.67 (s, 1H), 6.30 (s, 1H), 4.00-3.81 (m, 4H), 3.72 (s, 3H), 3.57 (s, 1H), 3.08 (s, 1H), 1.68-1.64 (m, 4H), 1.57-1.43 (m, 2H), 1.28-1.17 (m, 3H), 1.08 (d, J=7.4 Hz, 18H); 13C NMR (100 MHz, CDCl3) δ 171.8, 147.9, 143.7, 133.2, 112.5, 110.0, 109.5, 68.7, 61.0, 56.4, 30.9, 25.8, 19.9, 17.9, 12.9; MS (ES+): m/z = 437 (M+H)+; LCMS (방법 C): t R = 4.07분.
삼차
-부틸 (
S
)-(2-(2-(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카르보닐)-4-메톡시-5-((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페닐)카르바메이트 (121)
무수 디클로로메탄(100 mL) 중 (S)-(2-아미노-5-메톡시-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페닐)(2-(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일)메탄온(120)(5.0 g, 11.5 mmol)의 용액에 디-삼차-부틸 디카르보네이트(3.7 g, 17.0 mmol) 및 트리에틸아민(0.5 mL, 3.56 mmol)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3일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임의 중간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삼차
-부틸 (
S
)-(5-하이드록시-2-(2-(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카르보닐)-4-메톡시페닐)카르바메이트 (122)
삼차-부틸 (S)-(2-(2-(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카르보닐)-4-메톡시-5-((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페닐)카르바메이트(121)를 함유하는 이전 단계의 디클로로메탄 용액에 디클로로메탄(20 mL) 중 트리에틸아민 트리하이드로플루오라이드(1.85 g, 11.5 mmol)의 용액을 채우고 7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생성된 혼합물을 염산(0.5 M, 40 mL)으로 세척하고, 이어서 물(40 mL) 및 염수(40 mL)로 세척하였다. 그런 다음, 유기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그런 다음, 생성된 오일을 디에틸 에테르(30 mL) 중에 재용해시키고 헥산(120 mL)에 첨가하여 침전시켰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고진공 하에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4.4 g)을 황갈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2-(트리메틸실릴)에틸 (
S
)-4-(5-((
삼차-
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4-(2-(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카르보닐)-2-메톡시페녹시)부타노에이트 (123)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20 mL) 중 삼차-부틸 (S)-(5-하이드록시-2-(2-(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카르보닐)-4-메톡시페닐)카르바메이트(122)(2.3 g, 6.1 mmol)의 용액에 2-(트리메틸실릴)에틸 4-브로모부타노에이트(2.3 g, 8.5 mmol) 및 탄산세슘(5.9 g, 18.2 mmol)를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5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역상 분취 HPLC(구배: 20분에 걸쳐 25~95% 아세토니트릴; 20분에 용리됨)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0 g, 58%)을 황갈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2-(트리메틸실릴)에틸 (
S
)-4-(5-아미노-4-(2-(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카르보닐)-2-메톡시페녹시)부타노에이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124)
아세토니트릴(6 mL)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6 mL) 중 2-(트리메틸실릴)에틸 (S)-4-(5-((삼차-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4-(2-(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카르보닐)-2-메톡시페녹시)부타노에이트(123)(2.0 g, 3.5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역상 분취 HPLC(구배: 20분에 걸쳐 10~75% 아세토니트릴; 18분에 용리됨)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0.97 g, 47%)을 TFA 염으로서 수득하였다.
알릴 (2
S
,3
S
,4
S
,5
R
,6
S
)-3,4,5-트리스(((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6-(4-((((2-((
S
)-2-(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카르보닐)-4-메톡시-5-(4-옥소-4-(2-(트리메틸실릴)에톡시)부톡시)페닐)카르바모일)옥시)메틸)-2-니트로페녹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카르복실레이트 (125)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10 mL) 중 2-(트리메틸실릴)에틸 (S)-4-(5-아미노-4-(2-(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카르보닐)-2-메톡시페녹시)부타노에이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124)(0.97 g, 1.7 mmol)의 용액에 알릴(2S,3S,4S,5R,6S)-3,4,5-트리스(((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6-(2-니트로-4-(((((퍼플루오로페녹시)카르보닐)옥시)메틸)페녹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카르복실레이트(112)(1.63 g, 1.9 mmol), 1-하이드록시-7-아자벤조트리아졸(46 mg, 0.34 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67 mL, 3.8 mmol)을 채웠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역상 분취 HPLC(구배: 20분에 걸쳐 35~95% 아세토니트릴; 21분에 용리됨)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44 g, 61%)을 황갈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4-(((2
S
,3
R
,4
S
,5
S
,6
S
)-6-((알릴옥시)카르보닐)-3,4,5-트리스(((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3-니트로벤질 (6a
S
)-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3-(4-옥소-4-(2-(트리메틸실릴)에톡시)부톡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5(12
H
)-카르복실레이트 (126)
디클로로메탄(22 mL) 중 알릴 (2S,3S,4S,5R,6S)-3,4,5-트리스(((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6-(4-((((2-((S)-2-(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카르보닐)-4-메톡시-5-(4-옥소-4-(2-(트리메틸실릴)에톡시)부톡시)페닐)카르바모일)옥시)메틸)-2-니트로페녹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카르복실레이트(125)(386 mg, 0.34 mmol)의 용액에 (디아세트옥시요오드)벤젠(275 mg, 0.85 mmol) 및 TEMPO(5.3 mg, 34 μmol)를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6일 동안 교반하였다. 진공 하에서 농축시킨 후, 생성된 잔류물을 아세토니트릴(4 mL) 및 물(0.5 mL)에 재용해시킨 다음, 역상 분취 HPLC(구배: 20분에 걸쳐 25~95% 아세토니트릴; 22분에 용리됨)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39 mg, 62%)을 황갈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4-(((6a
S
)-5-(((4-(((2
S
,3
R
,4
S
,5
S
,6
S
)-6-((알릴옥시)카르보닐)-3,4,5-트리스(((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3-니트로벤질)옥시)카르보닐)-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산 (127)
디클로로메탄(3 mL) 중 4-(((2S,3R,4S,5S,6S)-6-((알릴옥시)카르보닐)-3,4,5-트리스(((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3-니트로벤질 (6aS)-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3-(4-옥소-4-(2-(트리메틸실릴)에톡시)부톡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5(12H)-카르복실레이트(126)(239 mg, 0.21 mmol)의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산(2 mL)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4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아세토니트릴(2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약 3 mL의 부피로 농축시킨 다음, 역상 분취 HPLC(구배: 20분에 걸쳐 20~80% 아세토니트릴; 21분에 용리됨)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32 mg, 61%)을 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1Y: 화합물 (131)의 합성.
삼차-부틸
(5-((4-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카르바메이트 (128)
디클로로메탄(8 mL) 중 4-((삼차-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메틸-1H-피롤-2-카르복시산(74)(1.00 g, 4.16 mmol)의 용액에 트리에틸아민(2.4 mL, 17.5 mmol) 및 HATU(1.66 g, 4.37 mmol)를 채운 다음, 실온에서 5분 동안 교반한 후, 1,4-디아미노벤젠(450 mg, 4.16 mmol)을 첨가하고, 이어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100 mL)으로 희석한 다음, 탄산수소나트륨 포화 수용액(50 mL) 및 염수(50 mL)로 세척한 다음,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1.38 g, 미정제)을 베이지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MS (ES+): m/z = 331 (M+H)+; LCMS (방법 A): t R = 5.28분.
삼차
-부틸 (
S
)-(5-((4-(2-아미노프로판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카르바메이트 (129)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2 mL) 중 삼차-부틸 (5-((4-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카르바메이트(128)(31 mg, 0.093 mmol)의 용액에 (((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르보닐)-L-알라닌(29 mg, 0.093 mmol),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16 μL, 93 mmol), 및 PyAOP(49 mg, 0.093 mmol)를 채웠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여기에 DBU(70 mg, 0.46 mmol)를 첨가하고 10분 동안 추가로 교반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알릴 ((
S
)-1-(((
S
)-1-((4-(4-((
삼차-
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메틸-1
H
-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아미노)-1-옥소프로판-2-일)아미노)-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130)
삼차-부틸 (S)-(5-((4-(2-아미노프로판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카르바메이트(129)를 함유하는 이전 단계의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43 μL), ((알릴옥시)카르보닐)-L-발린(19 mg, 0.093 mmol),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16 μL, 0.093 mmol), 및 PyAOP(49 mg, 0.093 mmol)를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60 mL)을 이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물(40 mL)로 세척한 다음, 염산(1 N, 40 mL)으로 세척하고, 마지막으로 염수(4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미정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알릴 ((
S
)-1-(((
S
)-1-((4-(4-아미노-1-메틸-1
H
-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아미노)-1-옥소프로판-2-일)아미노)-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131)
디클로로메탄(3 mL)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2 mL) 중 알릴 ((S)-1-(((S)-1-((4-(4-((삼차-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메틸-1H-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아미노)-1-옥소프로판-2-일)아미노)-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130, 이전 단계의 잔류물)의 용액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혼합물을 2 mL로 농축시키고 감압시킨 다음, 역상 분취 HPLC(구배: 20분에 걸쳐 5~60% 아세토니트릴; 17분에 용리됨)로 직접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1 mg, 3-단계에 걸쳐 55%)을 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1Z: 화합물 (134)의 합성.
4-(((2
S
,3
R
,4
S
,5
S
,6
S
)-6-((알릴옥시)카르보닐)-3,4,5-트리스(((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3-니트로벤질 (6a
S
)-3-(4-((5-((4-((
S
)-2-((
S
)-2-(((알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프로판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5(12
H
)-카르복실레이트 (132)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1 mL) 중 4-(((6aS)-5-(((4-(((2S,3R,4S,5S,6S)-6-((알릴옥시)카르보닐)-3,4,5-트리스(((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3-니트로벤질)옥시)카르보닐)-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산(127)(23 mg, 22.4 μmol)의 용액에 알릴 ((S)-1-(((S)-1-((4-(4-아미노-1-메틸-1H-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아미노)-1-옥소프로판-2-일)아미노)-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131)(13.4 mg, 22.4 μmol),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15.6 μL, 90 μmol), 및 PyAOP(11.7 mg, 22.4 μmol)를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이를 역상 분취 HPLC(구배: 20분에 걸쳐 20~80% 아세토니트릴; 22분에 용리됨)로 직접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0 mg, 91%)을 황갈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2
S
,3
S
,4
S
,5
R
,6
S
)-6-(4-((((6a
S
)-3-(4-((5-((4-((
S
)-2-((
S
)-2-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프로판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5-카르보닐)옥시)메틸)-2-니트로페녹시)-3,4,5-트리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카르복시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133)
디클로로메탄(1 mL) 및 N,N-디메틸포름아미드(1 mL) 중 4-(((2S,3R,4S,5S,6S)-6-((알릴옥시)카르보닐)-3,4,5-트리스(((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3-니트로벤질 (6aS)-3-(4-((5-((4-((S)-2-((S)-2-(((알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프로판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5(12H)-카르복실레이트(132)(23 mg, 16 μmol)의 용액에 포름산(9 μL, 239 μmol), 피롤리딘(19 μL, 239 μmol),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3.6 mg, 3.1 μmol)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다음, 감압 하에 디클로로메탄을 제거하였다. 아세토니트릴(1 mL) 및 물(0.5 mL)에 재용해시킨 후, 잔류물을 역상 분취 HPLC(구배: 20분에 걸쳐 5~45% 아세토니트릴; 18분에 용리됨)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8 mg, 90%)을 TFA 염으로서 수득하였다.
(2S,3S,4S,5R,6S)-6-(4-((((6aS)-3-(4-((5-((4-((S)-2-((S)-2-(6-(2,5-디옥소-2,5-디하이드로-1H-피롤-1-일)헥산아미도)-3-메틸부탄아미도)프로판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5-카르보닐)옥시)메틸)-2-니트로페녹시)-3,4,5-트리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카르복시산 (134)
N,N-디메틸포름아미드(2 mL) 중 (2S,3S,4S,5R,6S)-6-(4-((((6aS)-3-(4-((5-((4-((S)-2-((S)-2-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프로판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5-카르보닐)옥시)메틸)-2-니트로페녹시)-3,4,5-트리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카르복시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133)(17.6 mg, 14.3 μmol)의 용액에 퍼플루오로페닐 6-(2,5-디옥소-2,5-디하이드로-1H-피롤-1-일)헥사노에이트(6.5 mg, 17.2 μ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12 μL, 69 μmol)를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역상 분취 HPLC(구배: 20분에 걸쳐 10~70% 아세토니트릴; 17분에 용리됨)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7.6 mg, 94%)을 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2.84 (s, 1H), 9.89 (s, 1H), 9.83 (s, 1H), 9.75 (s, 1H), 8.12 (d, J=8.0 Hz, 1H), 7.81 (d, J=8.0 Hz, 1H), 7.74 (s, 1H), 7.61 (d, J=8.0 Hz, 2H), 7.51 (d, J=8.0 Hz, 3H), 7.40 (d, J=8.0 Hz, 1H), 7.22 (s, 1H), 7.03 (s, 1H), 7.00 (s, 2H), 6.93 (s, 1H), 6.78 (s, 1H), 6.52 (br s, 1H), 5.78 (d, J=8.0 Hz, 1H), 5.29 (d, J=4.0 Hz, 2H), 5.15 (d, J=8.0 Hz, 1H), 4.94 (d, J=8.0 Hz, 1H), 4.38 (t, J=6.0 Hz, 1H), 4.18-4.10 (m, 2H), 3.98 (d, J=8.0 Hz, 4H), 3.81 (d, J=4.0 Hz, 7H), 3.38-3.25 (m, 5H), 2.88 (br, 1H), 2.45 (br, 2H), 2.20-2.13 (m, 2H), 2.04-2.03 (m, 2H), 1.96 (q, J=4.0 Hz, 1H), 1.86 (br, 1H), 1.67-1.63 (m, 2H), 1.55-1.45 (m, 8H), 1.30 (d, J=8 Hz, 3H), 1.20 (t, J=6.0 Hz, 2H), 0.87 (d, J=4.0 Hz, 3H), 0.83 (d, J=4.0 Hz, 3H); MS (ES+): m/z = 1312.8 (M+H)+; LCMS (5 분): t R = 2.13 분; HPLC (15 분): 6.05 분 (100% 순도, 220 nm).
실시예 1AA: 화합물(138)의 합성.
알릴 (4-(4-((
삼차-
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메틸-1
H
-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카르바메이트 (135)
디클로로메탄(8 mL) 중 삼차-부틸 (5-((4-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카르바메이트(128)(1.38 g, 4.16 mmol)의 용액을 0℃로 냉각시키고 피리딘(777 μ L, 9.60 mmol) 및 알릴 클로로포르메이트(488 μ L, 4.59 mmol)를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디클로로메탄(100 mL)으로 희석한 후, 반응 혼합물을 황산구리 포화 수용액(2 x 50 mL), 탄산수소나트륨 포화 수용액(2 x 50 mL), 및 염수(50 mL)로 세척한 다음,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스피릿, 40~60℃(50%)로 용리하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469 mg, 2-단계에 걸쳐 27%)을 황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MS (ES+): m/z = 415 (M+H)+; LCMS (방법 A): t R = 7.07분.
알릴 (4-(4-아미노-1-메틸-1
H
-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카르바메이트 염산염 (136)
HCl(1,4-디옥산 중 4 M)(5 mL) 중 삼차-부틸 (5-((4-(((알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카르바메이트(135)(469 mg, 1.13 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디에틸 에테르 중에 침전시켰다. 생성된 고형분을 감압 하에 여과하고 디에틸 에테르로 세척하였다. 1시간 동안 고진공을 인가하여 표제 화합물(250 mg, 63%)을 녹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MS (ES+): m/z = 315 (M+H)+; LCMS (방법 A): t R = 5.05분.
4-(((2
S
,3
R
,4
S
,5
S
,6
S
)-6-((알릴옥시)카르보닐)-3,4,5-트리스(((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3-니트로벤질 (6a
S
)-3-(4-((5-((4-(((알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5(12
H
)-카르복실레이트 (137)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1 mL) 중 4-(((6aS)-5-(((4-(((2S,3R,4S,5S,6S)-6-((알릴옥시)카르보닐)-3,4,5-트리스(((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3-니트로벤질)옥시)카르보닐)-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산(127)(10 mg, 9.7 μmol)의 용액에 알릴 (4-(4-아미노-1-메틸-1H-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카르바메이트 염산염(136)(3.4 mg, 9.7 μmol),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6.8 μL, 39 μmol), 및 PyAOP(5.1 mg, 9.7 μmol)를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역상 분취 HPLC(구배: 20분에 걸쳐 30~90% 아세토니트릴; 19.5분에 용리됨)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1 mg, 86%)을 황갈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2
S
,3
S
,4
S
,5
R
,6
S
)-6-(4-((((6a
S
)-3-(4-((5-((4-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5-카르보닐)옥시)메틸)-2-니트로페녹시)-3,4,5-트리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카르복시산 (138)
디클로로메탄(1 mL) 및 N,N-디메틸포름아미드(1 mL) 중 4-(((2S,3R,4S,5S,6S)-6-((알릴옥시)카르보닐)-3,4,5-트리스(((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3-니트로벤질 (6aS)-3-(4-((5-((4-(((알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5(12H)-카르복실레이트(137)(11 mg, 8.2 μmol)의 용액에 포름산(4.3 μL, 114 μmol), 피롤리딘(10.2 μL, 123 μmol),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3.6 mg, 3.1 μmol)을 채웠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후, 진공 하에서 디클로로메탄을 제거하였다. 그런 다음, 아세토니트릴(1 mL) 및 물(0.5 mL)을 첨가하고, 역상 분취 H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6.1 mg, 70%)을 TFA 염으로서 수득하였다. MS (ES+): m/z = 948.5 (M+H)+; LCMS (5분): t R = 1.45분; HPLC (15분): 7.54분 (100% 순도, 220 nm).
실시예 1BB: 화합물 (141)의 합성.
삼차-부틸
(
S
)-(5-((4-(5-((4-(2-아미노프로판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카르바메이트 (139)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2 mL) 중 삼차-부틸 (5-((4-(5-((4-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카르바메이트(31)(49.2 mg, 93 μmol)의 용액에 (((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르보닐)-L-알라닌(29 mg, 93 μmol),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65 μL, 370 μmol), 및 HATU(35 mg, 93 μmol)를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DBU(70 mg, 460 μmol)를 이 용액에 첨가하고, 이어서 10분 동안 교반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로 진행시켰다.
삼차-부틸
(5-((4-(5-((4-((
S
)-2-((
S
)-2-(((알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프로판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카르바메이트 (140)
삼차-부틸 (S)-(5-((4-(5-((4-(2-아미노프로판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카르바메이트(139)를 함유하는 이전 단계의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43 μL), ((알릴옥시)카르보닐)-L-발린(19 mg, 93 μmol),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16 μL, 93 μmol), 및 PyAOP(49 mg, 93 μmol)를 첨가하였다. 그런 다음,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60 mL)을 첨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물(40 mL)로 세척한 다음, 염산(1 M, 40 mL), 이에 이어서 염수(4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미정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로 진행시켰다.
알릴 ((
S
)-1-(((
S
)-1-((4-(4-(4-(4-아미노-1-메틸-1
H
-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1-메틸-1
H
-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아미노)-1-옥소프로판-2-일)아미노)-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141)
디클로로메탄(3 mL) 중 삼차-부틸 (5-((4-(5-((4-((S)-2-((S)-2-(((알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프로판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카르바메이트(140, 이전 단계의 잔류물)의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2 mL)을 채우고,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하에 2 mL의 부피로 농축시킨 후, 혼합물을 역상 분취 HPLC(구배: 20분에 걸쳐 5~60% 아세토니트릴; 17.5분에 용리됨)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0 mg, 3-단계에 걸쳐 41%)을 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1CC: 화합물 (144)의 합성.
4-(((2
S
,3
R
,4
S
,5
S
,6
S
)-6-((알릴옥시)카르보닐)-3,4,5-트리스(((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3-니트로벤질 (6a
S
)-3-(4-((5-((4-(5-((4-((
S
)-2-((
S
)-2-(((알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프로판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5(12
H
)-카르복실레이트 (142)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1 mL) 중4-(((6aS)-5-(((4-(((2S,3R,4S,5S,6S)-6-((알릴옥시)카르보닐)-3,4,5-트리스(((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3-니트로벤질)옥시)카르보닐)-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산(127)(30 mg, 29.2 μmol)의 용액에 알릴 ((S)-1-(((S)-1-((4-(4-(4-(4-아미노-1-메틸-1H-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1-메틸-1H-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아미노)-1-옥소프로판-2-일)아미노)-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141)(23.3 mg, 29.2 μmol),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20.4 μL, 117 μmol), 및 PyAOP(15.2 mg, 29.2 μmol)를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역상 분취 HPLC(구배: 20분에 걸쳐 30~90% 아세토니트릴; 20분에 용리됨)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7 mg, 76%)를 황갈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2
S
,3
S
,4
S
,5
R
,6
S
)-6-(4-((((6a
S
)-3-(4-((5-((4-(5-((4-((
S
)-2-((
S
)-2-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프로판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5-카르보닐)옥시)메틸)-2-니트로페녹시)-3,4,5-트리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카르복시산 (143)
디클로로메탄(1 mL) 및 N,N-디메틸포름아미드(1 mL) 중 4-(((2S,3R,4S,5S,6S)-6-((알릴옥시)카르보닐)-3,4,5-트리스(((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3-니트로벤질 (6aS)-3-(4-((5-((4-(5-((4-((S)-2-((S)-2-(((알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프로판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5(12H)-카르복실레이트(142)(37.2 mg, 22 μmol)의 용액에 포름산(9 μL, 239 μmol), 피롤리딘(19 μL, 239 μmol),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3.6 mg, 3.1 μmol)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하에 디클로로메탄을 제거하고, 역상 분취 HPLC(구배: 20분에 걸쳐 5~55% 아세토니트릴; 18.5분에 용리됨)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8 mg, 58%)을 TFA 염으로서 수득하였다.
(2
S
,3
S
,4
S
,5
R
,6
S
)-6-(4-((((6a
S
)-3-(4-((5-((4-(5-((4-((
S
)-2-((
S
)-2-(6-(2,5-디옥소-2,5-디하이드로-1
H
-피롤-1-일)헥산아미도)-3-메틸부탄아미도)프로판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5-카르보닐)옥시)메틸)-2-니트로페녹시)-3,4,5-트리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카르복시산 (144)
N,N-디메틸포름아미드(2 mL) 중 (2S,3S,4S,5R,6S)-6-(4-((((6aS)-3-(4-((5-((4-(5-((4-((S)-2-((S)-2-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프로판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5-카르보닐)옥시)메틸)-2-니트로페녹시)-3,4,5-트리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카르복시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143)(21.4 mg, 15 μmol)의 용액에 퍼플루오로페닐 6-(2,5-디옥소-2,5-디하이드로-1H-피롤-1-일)헥사노에이트(6.5 mg, 17.2 μ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12 μL, 69 μmol)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역상 분취 HPLC(구배: 20분에 걸쳐 10~70% 아세토니트릴; 16분에 용리됨)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8.6 mg, 82%)을 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2.84 (br s, 1H), 9.91 (s, 1H), 9.85 (s, 1H), 9.80 (s, 2H), 8.13 (d, J=8.0 Hz, 1H), 7.82 (d, J=4.0 Hz, 1H), 7.74-7.70 (m, 3H), 7.65 (d, J=8.0 Hz, 2H), 7.54 (d, J=8.0 Hz, 2H), 7.50 (d, J=4.0 Hz, 3H), 7.45 (s, 1H), 7.41-7.38 (m, 2H), 7.23 (s, 1H), 7.03 (s, 1H), 7.00 (s, 2H), 6.97 (s, 1H), 6.79 (s, 1H), 6.53 (s, 1H), 5.78-5.76 (m, 1H), 5.29 (d, J=4.0 Hz, 1H), 5.16 (d, J=12.0 Hz, 2H), 4.95 (d, J=9.0 Hz, 1H), 4.40-4.37 (m, 1H), 4.19-4.16 (m, 1H), 4.13-4.10 (m, 1H), 3.98 (d, J=8.0 Hz, 3H), 3.91 (s, 3H), 3.83-3.81 (m, 6H), 3.27-3.25 (m, 6H), 2.88 (br s, 1H), 2.48-2.44 (m, 4H), 2.20-2.15 (m, 2H), 2.10-2.07 (m, 2H), 1.99-1.96 (m, 1H), 1.88-1.86 (m, 1H), 1.67-1.54 (m, 2H), 1.54-1.47 (m, 7H), 1.31 (d, J=8.0 Hz, 3H), 1.23-1.17 (m, 2H), 0.88 (d, J=4.0 Hz, 3H), 0.84 (d, J=4.0 Hz, 3H); MS (ES+): m/z = 1510.6 (M+H)+; LCMS (5분): t R = 2.42분; HPLC (15분): 8.12분 (100% 순도, 220 nm).
실시예 1DD: 화합물 (146)의 합성.
4-(((2
S
,3
R
,4
S
,5
S
,6
S
)-6-((알릴옥시)카르보닐)-3,4,5-트리스(((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3-니트로벤질 (6a
S
)-3-(4-((5-((4-(5-((4-(((알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5(12
H
)-카르복실레이트 (145)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1 mL) 중 4-(((6aS)-5-(((4-(((2S,3R,4S,5S,6S)-6-((알릴옥시)카르보닐)-3,4,5-트리스(((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3-니트로벤질)옥시)카르보닐)-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산(127)(10 mg, 9.7 μmol)의 용액에 5-((4-(5-((4-(((알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아미늄 2,2,2-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33)(6.1 mg, 9.7 μmol),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6.8 μL, 39 μmol). 및 PyAOP(5.1 mg, 9.7 μmol)를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역상 분취 HPLC(구배: 20분에 걸쳐 30~95% 아세토니트릴; 19.5분에 용리됨)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0.6 mg, 72%)을 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2
S
,3
S
,4
S
,5
R
,6
S
)-6-(4-((((6a
S
)-3-(4-((5-((4-(5-((4-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5-카르보닐)옥시)메틸)-2-니트로페녹시)-3,4,5-트리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카르복시산 (146)
디클로로메탄(1 mL) 및 N,N-디메틸포름아미드(1 mL) 중 4-(((2S,3R,4S,5S,6S)-6-((알릴옥시)카르보닐)-3,4,5-트리스(((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3-니트로벤질 (6aS)-3-(4-((5-((4-(5-((4-(((알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5(12H)-카르복실레이트(145)(10.6 mg, 7.0 μmol)의 용액에 포름산(4.3 μL, 114 μmol), 피롤리딘(10.2 μL, 123 μmol),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3.6 mg, 3.1 μmol)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감압 하에 디클로로메탄을 제거하고, 남은 용액에 아세토니트릴(1 mL) 및 물(0.5 mL)을 첨가하였다. 역상 분취 H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7.4 mg, 84%)을 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MS (ES+): m/z = 1146.7 (M+H)+; LCMS (5분): t R = 1.68분; HPLC (15분): 9.90분 (99.8% 순도, 220 nm).
실시예 1EE: 화합물 (150)의 합성.
알릴 (2
S
,3
S
,4
S
,5
R
,6
S
)-3,4,5-트리스(((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6-(4-((((2-((S)-2-포르밀피페리딘-1-카르보닐)-4-메톡시-5-(4-옥소-4-(2-(트리메틸실릴)에톡시)부톡시)페닐)카르바모일)옥시)메틸)-2-니트로페녹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카르복실레이트 (147)
디클로로메탄(2 mL) 중 알릴 (2S,3S,4S,5R,6S)-3,4,5-트리스(((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6-(4-((((2-((S)-2-(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카르보닐)-4-메톡시-5-(4-옥소-4-(2-(트리메틸실릴)에톡시)부톡시)페닐)카르바모일)옥시)메틸)-2-니트로페녹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카르복실레이트(125)(38 mg, 34 μmol)의 용액에 (디아세트옥시요오드)벤젠(27 mg, 85 μmol) 및 TEMPO(0.5 mg, 3.4 μmol)를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추가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4-(5-((((4-(((2
S
,3
R
,4
S
,5
S
,6
S
)-6-((알릴옥시)카르보닐)-3,4,5-트리스(((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3-니트로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4-((
S
)-2-포르밀피페리딘-1-카르보닐)-2-메톡시페녹시)부탄산 (148)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5 mL)을, 알릴(2S,3S,4S,5R,6S)-3,4,5-트리스(((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6-(4-((((2-((S)-2-포르밀피페리딘-1-카르보닐)-4-메톡시-5-(4-옥소-4-(2-(트리메틸실릴)에톡시)부톡시)페닐)카르바모일)옥시)메틸)-2-니트로페녹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카르복실레이트(147)를 함유하는 이전 단계의 디클로로메탄 용액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4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아세토니트릴(2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3 mL의 부피로 농축시켰다. 역상 분취 HPLC(구배: 20분에 걸쳐 20~80% 아세토니트릴; 22분에 용리됨)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1 mg, 2-단계에 걸쳐 60%)을 황갈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4-(5-((((4-(((2
S
,3
R
,4
S
,5
S
,6
S
)-6-((알릴옥시)카르보닐)-3,4,5-트리스(((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3-니트로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2-메톡시-4-((
S
)-2-((메톡시이미노)메틸)피페리딘-1-카르보닐)페녹시)부탄산 (149)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1 mL) 중 4-(5-((((4-(((2S,3R,4S,5S,6S)-6-((알릴옥시)카르보닐)-3,4,5-트리스(((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3-니트로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4-((S)-2-포르밀피페리딘-1-카르보닐)-2-메톡시페녹시)부탄산(148)(21 mg, 20 μmol)의 용액에 O-메틸하이드록실아민 염산염(1.7 mg, 20 μmol)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추가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2
S
,3
S
,4
S
,5
R
,6
S
)-6-(4-((((5-(3-카르복시프로폭시)-4-메톡시-2-((
S
)-2-((메톡시이미노)메틸)피페리딘-1-카르보닐)페닐)카르바모일)옥시)메틸)-2-니트로페녹시)-3,4,5-트리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카르복시산 (150)
포름산(9 μL, 239 μmol)을, 4-(5-((((4-(((2S,3R,4S,5S,6S)-6-((알릴옥시)카르보닐)-3,4,5-트리스(((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3-니트로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2-메톡시-4-((S)-2-((메톡시이미노)메틸)피페리딘-1-카르보닐)페녹시)부탄산(149)을 함유하는 이전 단계의 미정제 DMF 용액에 첨가한 다음, 피롤리딘(19 μL, 239 μmol),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3.6 mg, 3.1 μ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아세토니트릴(1 mL) 및 물(0.5 mL)을 첨가하였다. 역상 분취 HPLC(구배: 20분에 걸쳐 10~70% 아세토니트릴; 16분에 용리됨)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4.1 mg, 2-단계에 걸쳐 27%)을 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MS (ES+): m/z = 765.3 (M+H)+; LCMS (5분): t R = 2.08분; HPLC (15분): 7.69분 (99.4% 순도, 220 nm).
실시예 1FF: 화합물 (163)의 합성.
메틸 4-(4-포르밀-2-메톡시페녹시)부타노에이트 (151)
N,N-디메틸포름아미드(100 mL) 중 바닐린(113)(20.0 g, 131 mmol), 메틸 4-브로모부타노에이트(17.5 mL, 139 mmol), 및 탄산칼륨(27.2 g, 197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500 mL)로 희석하고, 여과하여 표제 화합물(30.2 g, 91%)을 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9.84 (s, 1H), 7.46-7.37 (m, 2H), 6.98 (d, J=8.2 Hz, 1H), 4.16 (t, J=6.3 Hz, 2H), 3.91 (s, 3H), 3.69 (s, 3H), 2.56 (t, J=7.2 Hz, 2H), 2.20 (quin, J=6.7 Hz, 2H); 13C NMR (100 MHz, CDCl3) δ 190.9, 173.4, 153.8, 149.9, 130.1, 126.8, 111.6, 109.2, 67.8, 56.0, 51.7, 30.3, 24.2; MS (ES+): m/z = 253 (M+H)+; LCMS (방법 A): t R = 6.48분.
메틸 4-(4-포르밀-2-메톡시-5-니트로페녹시)부타노에이트 (152)
TFA(50 mL) 중 질산칼륨(10.0 g, 98.9 mmol)의 용액에 TFA (50 mL) 중 메틸 4-(4-포르밀-2-메톡시페녹시)부타노에이트(151)(20.0 g, 79.2 mmol)의 용액을 0℃에서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이를 진공 하에서 농축시킨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400 mL)에서 재용해시켰다. 유기층을 염수(3 x 100 mL) 및 탄산수소나트륨 포화 수용액(2 x 80 mL)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23.5 g, 100%)을 황색 고형분 으로서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10.42 (s, 1H), 7.60 (s, 1H), 7.39 (s, 1H), 4.21 (t, J=6.3 Hz, 2H), 3.98 (s, 3H), 3.70 (s, 3H), 2.61-2.53 (m, 2H), 2.22 (quin, J=6.6 Hz, 2H); 13C NMR (100 MHz, CDCl3) δ 187.8, 173.2, 153.5, 151.7, 143.8, 125.5, 109.9, 108.1, 68.6, 56.6, 51.8, 30.2, 24.1; MS (ES+): m/z = 298 (M+H)+; LCMS (방법 A): t R = 6.97분.
5-메톡시-4-(4-메톡시-4-옥소부톡시)-2-니트로벤조산 (153)
아세톤(600 mL) 중 메틸 4-(4-포르밀-2-메톡시-5-니트로페녹시)부타노에이트(152)(23.0 g, 77.4 mmol)의 용액에 물(400 mL) 중 과망간산칼륨(46.0 g, 291 mmol)의 뜨거운 용액(70℃)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셀라이트를 통과시켰다. 셀라이트 케이크를 뜨거운 물(200 mL)로 세척하였다. 중아황산나트륨 포화 수용액(100 mL) 및 염산(1 M, 200 mL)을 여액에 첨가하고, 이를 디클로로메탄(2 x 400 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메탄올/디클로로메탄(0%~50%)으로 용리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7.0 g, 70%)을 담황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OD) δ 7.47 (s, 1H), 7.25 (s, 1H), 4.13 (t, J=6.2 Hz, 2H), 3.94 (s, 3H), 3.68 (s, 3H), 2.54 (t, J=7.2 Hz, 2H), 2.17-2.06 (m, 2H); 13C NMR (100 MHz, MeOD) 175.3, 168.6, 153.8, 151.3, 143.1, 122.8, 112.4, 109.2, 69.6, 57.0, 52.2, 31.2, 25.5; MS (ES+): m/z = 314 (M+H)+; LCMS (방법 A): t R = 6.22분.
메틸 (
S
)-4-(4-(2-(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카르보닐)-2-메톡시-5-니트로페녹시)부타노에이트 (154)
무수 디클로로메탄(100 mL) 중 5-메톡시-4-(4-메톡시-4-옥소부톡시)-2-니트로벤조산(153)(8.00 g, 25.5 mmol), 염화옥살릴(6.60 mL, 77.0 mmol), 및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2 방울)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무수 톨루엔(2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한 다음,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무수 디클로로메탄(10 mL) 중 생성된 잔류물의 용액을 무수 디클로로메탄(90 mL) 중 (S)-피페리딘-2-일메탄올(3.80 g, 33.4 mmol) 및 트리에틸아민(10.7 mL, 77.0 mmol)의 용액에 -10℃에서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염산(1 M, 50 mL) 및 염수(50 mL)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메탄올/디클로로메탄(0%~5%)으로 용리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9.20 g, 73%)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7.68-7.64 (m, 1H), 6.77-6.70 (m, 1H), 4.16-4.07 (m, 3H), 3.93-3.89 (m, 3H), 3.83 (s, 1H), 3.67 (s, 3H), 3.15 (d, J=1.4 Hz, 1H), 3.11 (s, 1H), 2.78 (s, 1H), 2.56-2.50 (m, 3H), 2.21-2.12 (m, 4H), 1.74-1.55 (m, 4H); 13C NMR (100 MHz, CDCl3) δ 173.3, 168.1, 154.6, 148.2, 137.4, 127.6, 111.4, 108.3, 68.3, 60.6, 56.7, 53.5, 51.7, 43.3, 38.0, 34.9, 30.3, 24.1, 19.7; MS (ES+): m/z = 411 (M+H)+; LCMS (방법 A): t R = 6.28분.
메틸 (
S
)-4-(5-아미노-4-(2-(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카르보닐)-2-메톡시페녹시)부타노에이트 (155)
에탄올(40 mL) 및 에틸 아세테이트(10 mL) 중 메틸 (S)-4-(4-(2-(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카르보닐)-2-메톡시-5-니트로페녹시)부타노에이트(9.20 g, 22.4 mmol)의 용액에 활성탄(10 중량%)(920 mg) 상의 팔라듐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Parr 장치 내 35 psi에서 3시간 동안 수소화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생성된 케이크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9.00 g, 90%)을 핑크색 고형분 으로서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로 진행시켰다. 1H NMR (400 MHz, CDCl3) δ 6.69 (s, 1H), 6.27-6.18 (m, 1H), 4.03-3.94 (m, 3H), 3.94-3.82 (m, 3H), 3.81-3.76 (m, 1H), 3.74 (s, 3H), 3.73-3.68 (m, 1H), 3.67-3.65 (m, 3H), 3.56 (d, J=4.8 Hz, 1H), 3.03 (s, 1H), 2.51 (t, J=7.2 Hz, 2H), 2.11 (quin, J=6.7 Hz, 2H), 1.68-1.59 (m, 4H), 1.55-1.40 (m, 2H); 13C NMR (100 MHz, CDCl3) 173.6, 171.2, 150.3, 141.8, 141.1, 113.2, 112.3, 102.4, 67.5, 60.8, 60.4, 56.8, 51.6, 30.4, 25.8, 24.3, 21.0, 19.9, 14.2; MS (ES+): m/z = 381 (M+H)+; LCMS (방법 A): t R = 5.52분.
메틸 (
S
)-4-(5-(((알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4-(2-(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카르보닐)-2-메톡시페녹시)부타노에이트 (156)
무수 디클로로메탄(100 mL) 중 메틸 (S)-4-(5-아미노-4-(2-(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카르보닐)-2-메톡시페녹시)부타노에이트(155)(9.00 g, 23.7 mmol) 및 피리딘(4.40 mL, 54.4 mmol)의 용액에 무수 디클로로메탄(20 mL) 중 알릴클로로포르메이트(2.60 mL, 24.8 mmol)의 용액을 -10℃에서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황산구리(II) 포화 수용액(80 mL), 물(80 mL), 및 탄산수소나트륨 포화 수용액(80 mL)으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11.0 g의 미정제 반응 생성물의 2.00 g)을 메탄올/디클로로메탄(0%~1%)으로 용리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930 mg, 정제량 기준 47%)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8.30 (br s, 1H), 7.63 (br s, 1H), 6.76 (br s, 1H), 5.92 (ddt, J=17.2, 10.6, 5.4, 5.4 Hz, 1H), 5.37-5.28 (m, 1H), 5.20 (dq, J=10.4, 1.3 Hz, 1H), 4.65-4.56 (m, 2H), 4.06 (t, J=6.2 Hz, 2H), 3.94-3.82 (m, 1H), 3.79 (s, 3H), 3.66 (s, 3H), 3.62-3.54 (m, 1H), 3.40 (br s, 1H), 3.10-2.88 (m, 1H), 2.52 (t, J=7.4 Hz, 2H), 2.22-2.04 (m, 3H), 1.64 (br s, 4H), 1.56-1.31 (m, 2H); 13C NMR (100 MHz, CDCl3) δ 173.5, 170.6, 153.9, 149.7, 144.8, 132.6, 130.1, 117.6, 116.9, 110.8, 107.1, 106.0, 67.7, 65.6, 60.7, 56.3, 53.5, 51.6, 43.1, 30.5, 25.7, 24.4, 19.7; MS (ES+): m/z = 465 (M+H)+; LCMS (방법 A): t R = 6.47분.
알릴 (6a
S
)-6-하이드록시-2-메톡시-3-(4-메톡시-4-옥소부톡시)-12-옥소-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a][1,4]디아제핀-5(12
H
)-카르복실레이트 (157)
디클로로메탄(45 mL) 중 메틸 (S)-4-(5-(((알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4-(2-(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카르보닐)-2-메톡시페녹시)부타노에이트(156)(930 mg, 2.00 mmol)의 용액에 TEMPO(32.0 mg, 0.200 mmol) 및 PIDA(773 mg, 2.40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메타중아황산나트륨 포화 수용액(20 mL), 탄산수소나트륨 포화 수용액(20 mL), 물(20 mL), 및 염수(20 mL)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유기층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메탄올/디클로로메탄(0%~5%)으로 용리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825 mg, 89%)을 크림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MS (ES+): m/z = 463 (M+H)+; LCMS (방법 A): t R = 6.30분.
알릴 (6a
S
)-2-메톡시-3-(4-메톡시-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a][1,4]디아제핀-5(12
H
)-카르복실레이트 (158)
에틸 아세테이트(12 mL) 중 알릴 (6aS)-6-하이드록시-2-메톡시-3-(4-메톡시-4-옥소부톡시)-12-옥소-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5(12H)-카르복실레이트(157)(825 mg, 1.80 mmol), 3,4-디하이드로-2H-피란(1.70 mL, 18.2 mmol), 및 p-톨루엔설폰산 일수화물(8.50 mg, 1% w/w)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50 mL)로 희석하고, 탄산수소나트륨 포화 수용액(20 mL) 및 염수(3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메탄올/디클로로메탄(0%~2%)으로 용리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820 mg, 84%)을 크림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MS (ES+): m/z = 547 (M+H)+; LCMS (방법 A): t R = 7.70분.
4-(((6a
S
)-5-((알릴옥시)카르보닐)-2-메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a][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산 (159)
1,4-디옥산(10 mL) 중 알릴 (6aS)-2-메톡시-3-(4-메톡시-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5(12H)-카르복실레이트(158)(770 mg, 1.40 mmol)의 용액에 수산화나트륨 수용액(0.5 M, 10.0 mL, 5.00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물(20 mL)을 첨가하고, 수성층을 아세트산 수용액(1 M, 5 mL)으로 처리하였다. 그런 다음, 수성층을 에틸 아세테이트(2 x 50 mL)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추출물을 염수(50 mL)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700 mg, 93%)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로 진행시켰다. MS (ES+): m/z = 533 (M+H)+; LCMS (방법 A): t R = 6.98분.
알릴 (6a
S
)-2-메톡시-3-(4-((5-(메톡시카르보닐)-1-메틸-1
H
-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5(12
H
)-카르복실레이트 (160)
N,N-디메틸포름아미드(300 mL) 중 4-(((6aS)-5-((알릴옥시)카르보닐)-2-메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산(159)(17.0 g, 31.9 mmol)의 용액에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12.2 g, 63.8 mmol), 4-(디메틸아미노)피리딘(1.17 g, 9.58 mmol),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8.25 g, 63.8 mmol), 및 메틸 4-아미노-1-메틸-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 염산염(44)(6.08 g, 31.9 mmol)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이를 물(1 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2 L)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염수(1 L)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스피릿, 40~60℃(50%)로 용리하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9.1 g, 90%)을 회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92 (s, 1H), 7.34 (d, J=1.9 Hz, 1H), 7.05 (d, J=2.2 Hz, 1H), 6.92 (s, 1H), 6.72 (d, J=1.9 Hz, 1H), 6.04 (6.04 (d, J=10.0 Hz, 1H), 5.77-5.76 (m, 1H), 5.40-4.92 (m, 2H), 4.70-4.35 (m, 1H), 4.12-3.90 (m, 5H), 3.82-3.81 (m, 6H), 3.75-3.71 (m, 3H), 3.57-3.43 (m, 1H), 3.37-3.29 (m, 4H), 2.45-2.37 (m, 2H), 2.08-1.86 (m, 3H), 1.77-1.39 (m, 10H); MS (ES-): m/z = 667 (M-H)-; LCMS (방법 F): t R = 2.25분.
4-(4-(((6a
S
)-5-((알릴옥시)카르보닐)-2-메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아미도)-1-메틸-1
H
-피롤-2-카르복시산 (161)
테트라하이드로푸란(250 mL) 중 알릴 (6aS)-2-메톡시-3-(4-((5-(메톡시카르보닐)-1-메틸-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5(12H)-카르복실레이트(160)(19.1 g, 28.6 mmol)의 용액에 수산화나트륨 수용액(0.5 M, 230 mL, 114.2 mmol)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1 L)로 희석한 후, 혼합물을 구연산 포화 수용액(500 mL)으로 pH 6~7로 중화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1 L)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염수(1 L)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18.2 g, 97%)을 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2.08 (s, 1H), 9.83 (s, 1H), 7.27 (d, J=2.0 Hz, 1H), 7.04 (d, J=2.4 Hz, 1H), 6.83 (br, 1H), 6.64 (d, J=2.0 Hz, 1H), 6.03-5.89 (m, 1H), 5.40-4.95 (m, 3H), 4.65-4.35 (m, 2H), 4.15-3.90 (m, 3H), 3.81-3.74 (m, 7H), 3.55-3.42 (m, 1H), 2.89 (s, 1H), 2.40-2.37 (m, 2H) , 1.90 (s, 2H), 1.85-1.40 (m, 12H); MS (ES-): m/z = 653 (M-H)-; LCMS (방법 F): t R = 1.95분.
알릴 (6
aS
)-3-(4-((5-((4-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2-메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5(12
H
)-카르복실레이트 (162)
이전에 30분 동안 교반된, N,N-디메틸포름아미드(300 mL) 중 4-(4-(((6aS)-5-((알릴옥시)카르보닐)-2-메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아미도)-1-메틸-1H-피롤-2-카르복시산(161)(13.0 g, 19.9 mmol), N,N-디메틸피리딘-4-아민(728 mg, 5.96 mmol),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7.61 g, 39.7 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5.13 g, 39.7 mmol)의 용액에 벤젠-1,4-디아민(2.25 g, 20.8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1 L)과 에틸 아세테이트(2 x 1 L) 사이에서 분리하였다. 이어서, 유기층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메탄올/디클로로메탄(2.5%~5%)으로 용리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9.2 g, 62%)을 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MS (ES+): m/z = 745 (M+H)+; LCMS (방법 B): t R = 2.83분.
( S )- N -(4-아미노페닐)-4-(4-((2-메톡시-12-옥소-6a,7,8,9,10,12-헥사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아미도)-1-메틸-1 H -피롤-2-카르복사미드 (163) (대조군 1)
디클로로메탄(65 mL) 중 알릴 (6aS)-3-(4-((5-((4-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2-메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5(12H)-카르복실레이트(6.50 g, 8.73 mmol)의 용액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504 mg, 5 mol%) 및 피롤리딘(860 μL, 10.5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과량의 피롤리딘이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 반응 혼합물을 고진공 하에 노출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메탄올/디클로로메탄(0%~10%)으로 용리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4.80 g, 98%)을 크림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α]D 20 = 93.0° (c 1.36, DMSO); 1H NMR (600 MHz, DMSO-d 6) δ 9.85 (s, 1H), 9.43 (s, 1H), 8.00 (d, J = 5.7 Hz, 1H), 7.31-7.26 (m, 3H), 7.17 (d, J = 1.8 Hz, 1H), 6.83 (d, J = 1.8 Hz, 1H), 6.80 (s, 1H), 6.51 (d, J = 8.8 Hz, 2H), 4.84 (s, 2H), 4.14-4.05 (m, 2H), 3.82 (s, 3H), 3.79 (s, 3H), 3.74-3.64 (m, 3H), 2.43 (t, J = 7.4 Hz, 2H), 2.04 (dt, J = 13.9, 6.8 Hz, 2H), 1.90-1.83 (m, 1H), 1.76-1.55 (m, 5H); 13C NMR (150 MHz, DMSO-d 6) δ 168.8, 166.3, 164.7, 159.3, 150.2, 147.1, 144.7, 139.9, 128.2, 123.2, 122.1, 121.9, 120.7, 118.1, 113.7, 111.4, 109.5, 104.0, 67.8, 55.6, 54.9, 48.6, 39.5, 36.01, 31.9, 24.7, 23.7, 22.6, 17.7; MS (ES+): m/z = 559 (M+H)+; LCMS (방법 B): t R = 2.53분; HRMS (ESI, m/z): C30H35N6O5 + ([M]+H)+에 대한 계산치 559.2663, 측정치 559.2651.
실시예 1GG: 화합물 (167)의 합성.
알릴 (6
aS
)-2-메톡시-3-(4-((5-((4-(5-(메톡시카르보닐)-1-메틸-1
H
-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5(12
H
)-카르복실레이트 (164)
1,4-디옥산(2 mL) 및 메탄올(2 mL) 중 메틸 4-(4-(4-((삼차-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메틸-1H-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1-메틸-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15)(440 mg, 0.970 mmol)의 용액에 염산(1,4-디옥산 중 4 M)(4 m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이전에 30분 동안 교반된, N,N-디메틸포름아미드(7 mL) 중 4-(((6aS)-5-((알릴옥시)카르보닐)-2-메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산(159)(470 mg, 0.880 mmol), N,N-디메틸피리딘-4-아민(322 mg, 2.64 mmol), 및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422 mg, 2.20 mmol)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탄산수소나트륨 포화 수용액(10 mL)으로 퀀칭시키고 염화나트륨 포화 수용액(90 mL)으로 세척하였다. 수성상을 에틸 아세테이트(2 x 50 mL)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추출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아세톤/디클로로메탄(0%~30%)로 용리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600 mg, 78%)을 주황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42 (d, J=8.3 Hz, 2H), 7.22-7.10 (m, 4H), 7.04 (s, 2H), 6.76 (br s, 1H), 6.02-5.87 (m, 1H), 5.74-5.68 (m, 1H), 5.38-5.25 (m, 1H), 5.11-5.05 (m, 1H), 4.38-4.26 (m, 1H), 4.11 (br s, 2H), 3.93 (s, 3H), 3.88 (br s, 5H), 3.82 (s, 6H), 3.78 (br s, 2H), 3.62 (br s,3H), 2.48-2.39 (m, 2H), 2.12-2.03 (m, 2H), 1.75-1.50 (m, 12H); MS (ES+): m/z = 867 (M+H)+; LCMS (방법 B): t R = 4.17분.
4-(4-(4-(4-(((6
aS
)-5-((알릴옥시)카르보닐)-2-메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아미도)-1-메틸-1
H
-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1-메틸-1
H
-피롤-2-카르복시산 (165)
1,4-디옥산(10 mL) 중 알릴 (6aS)-2-메톡시-3-(4-((5-((4-(5-(메톡시카르보닐)-1-메틸-1H-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5(12H)-카르복실레이트(164)(600 mg, 0.690 mmol)의 용액에 수산화나트륨 수용액(1 M, 10 mL, 10.0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물(100 mL)을 첨가하고, 아세트산 수용액(5 M, 20 mL)으로 수성층을 pH = 4로 산성화시켰다. 그런 다음, 수성층을 에틸 아세테이트(2 x 100 mL)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추출물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558 mg, 97%)을 크림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로 진행시켰다. 1H NMR (400 MHz, CD3OD) δ 7.58-7.54 (m, 2H), 7.46 (d, J=8.3 Hz, 2H), 7.24 (s, 1H), 7.18 (s, 2H), 7.13 (s, 1H), 6.88 (br s, 2H), 6.17 (d, J=9.8 Hz, 1H), 5.78-5.74 (m, 1H), 4.66-4.38 (m, 3H), 4.26-4.12 (m, 1H), 4.06 (m, 3H), 3.91 (s, 3H), 3.87 (s, 3H), 3.84 (br s, 4H), 3.67-3.49 (m, 2H), 3.44 (br s, 1H), 3.11-2.96 (m, 1H), 2.51 (t, J=7.3 Hz, 2H), 2.15-2.12 (m, 2H), 1.72-1.48 (m, 12H); 13C NMR (100 MHz, CD3OD) δ 175.6, 172.2, 171.4, 164.6, 162.2, 152.1, 150.9, 137.8, 133.5, 132.1, 129.2, 127.6, 126.1, 125.0, 124.7, 124.6, 123.4, 122.4, 117.6, 115.8, 115.6, 106.4, 85.5, 69.5, 67.7, 56.6, 40.2, 37.3, 37.0, 31.8, 26.5, 26.4, 24.0, 21.0, 20.6, 19.1; MS (ES+): m/z = 853 (M+H)+; LCMS (방법 B): t R = 3.83 분.
알릴 (6
aS
)-3-(4-((5-((4-(5-((4-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2-메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5(12
H
)-카르복실레이트 (166)
N,N-디메틸포름아미드(8 mL) 중 4-(4-(4-(4-(((6aS)-5-((알릴옥시)카르보닐)-2-메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아미도)-1-메틸-1H-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1-메틸-1H-피롤-2-카르복시산(165)(210 mg, 0.246 mmol)의 용액에 4-(디메틸아미노)피리딘(90 mg, 0.74 mmol) 및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118 mg, 0.615 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에 1,4-벤젠디아민(40 mg, 0.370 mmol)을 첨가하고, 18시간 동안 추가로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탄산수소나트륨 포화 수용액(100 mL)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2 x 40 mL)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추출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메탄올/디클로로메탄(0% 내지 20%)으로 용리하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10 mg, 47%)을 크림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DMSO-d 6) δ 9.89 (s, 1H), 9.78 (s, 1H), 9.48 (s, 1H), 7.70 (d, J=8.6 Hz, 2H), 7.48 (d, J=8.5 Hz, 2H), 7.39 (d, J=1.7 Hz, 1H), 7.36-7.32 (m, 2H), 7.30 (d, J=1.8 Hz, 1H), 7.23-7.20 (m, 1H), 7.06 (d, J=4.1 Hz, 1H), 6.97-6.94 (m, 1H), 6.80 (s, 1H), 6.57-6.52 (m, 2H), 6.03 (d, J=10.0 Hz, 1H), 5.81-5.72 (m, 1H), 5.26-4.95 (m, 3H), 4.92 (s, 2H), 4.64-4.36 (m, 2H), 4.14-3.95 (m, 3H), 3.89 (s, 3H), 3.83 (dd, J=6.0, 2.4 Hz, 6H), 3.81-3.70 (m, 1H), 3.55-3.34 (m, 2H), 3.00-2.82 (m, 1H), 2.44 (t, J=7.0 Hz, 2H), 2.09-1.99 (m, 2H), 1.94-1.35 (m, 12H); 13C NMR (150 MHz, DMSO-d 6) δ 169.4, 168.6, 160.1, 159.7, 149.2, 145.1, 137.5, 133.2, 128.8, 127.1, 125.1, 124.8, 123.2, 122.6, 122.4, 122.3, 121.0, 119.2, 117.0, 114.3, 110.9, 110.8, 110.1, 105.2, 99.7, 94.7, 88.0, 83.9, 68.5, 68.3, 66.0, 63.2, 56.2, 55.4, 38.7, 38.6, 36.8, 36.6, 32.2, 32.1, 30.9, 30.6, 25.4, 25.2, 24.9, 23.1, 23.0, 19.6, 19.4, 18.3; MS (ES+): m/z = 943 (M+H)+; LCMS (방법 B): t R = 3.45분.
( S )- N -(4-아미노페닐)-4-(4-(4-(4-((2-메톡시-12-옥소-6a,7,8,9,10,12-헥사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아미도)-1-메틸-1 H -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1-메틸-1 H -피롤-2-카르복사미드 (167) (대조군 2)
디클로로메탄(3 mL) 중 알릴 (6aS)-3-(4-((5-((4-(5-((4-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2-메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5(12H)-카르복실레이트(166)(250 mg, 0.265 mmol)의 용액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15 mg, 5 mol%), 및 피롤리딘(26 μL, 0.32 mmo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한 다음, 30분 동안 고진공을 인가하였다. 이어서, 생성된 잔류물을 메탄올/디클로로메탄(0% 내지 10%)으로 용리하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18 mg, 59%)을 크림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α]D 23 = 85° (c 0.143, DMSO); 1H NMR (600 MHz, DMSO-d 6) δ 9.90 (s, 1H), 9.78 (s, 1H), 9.48 (s, 1H), 8.00 (d, J=5.6 Hz, 1H), 7.70 (d, J=8.6 Hz, 2H), 7.48 (d, J=8.6 Hz, 2H), 7.39 (d, J=1.5 Hz, 1H), 7.33 (d, J=8.7 Hz, 2H), 7.30 (d, J=1.5 Hz, 1H), 7.27 (s, 1H), 7.21 (d, J=1.4 Hz, 1H), 6.96 (d, J=1.5 Hz, 1H), 6.80 (s, 1H), 6.53 (d, J=8.7 Hz, 2H), 4.86 (s, 2H), 4.13 (dt, J=9.6, 6.3 Hz, 1H), 4.07- 3.97 (m, 2H), 3.88 (s, 3H), 3.83 (d, J=5.1 Hz, 6H), 3.72 (dt, J=8.4, 4.1 Hz, 1H), 3.16-3.08 (m, 1H), 2.44 (t, J=7.4 Hz, 2H), 2.07- 2.02 (m, 3H), 1.89-1.59 (m, 5H); 13C NMR (150 MHz, DMSO-d 6) δ 168.9, 166.3, 164.7, 159.6, 159.2, 150.2, 147.2, 144.8, 139.9, 137.0, 129.7, 128.2, 126.7, 124.7, 124.4, 122.7, 122.1, 121.9, 121.8, 120.7, 120.5, 118.8, 113.7, 111.4, 109.6, 109.5, 104.8, 67.8, 55.6, 49.3, 36.3, 36.2, 31.9, 24.7, 23.7, 22.6, 17.7; MS (ES+): m/z = 757 (M+H)+; LCMS (방법 A): t R = 5.80 분; HRMS (EI, m/z): C42H45N8O6 + (M+H)+에 대한 계산치 757.3457, 측정치 757.3457.
실시예 1HH: 화합물 (180)의 합성.
알릴 (2
S
,3
S
,4
S
,5
R
,6
S
)-3,4,5-트리스(((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6-(2-아미노-4-(((
삼차-
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페녹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카르복실레이트 (169)
메탄올(10 mL) 중 알릴(2S,3S,4S,5R,6S)-3,4,5-트리스(((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6-(4-(((삼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2-니트로페녹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카르복실레이트(168, 780 mg, 1.04 mmol)의 용액에 포름산(0.6 mL) 및 아연 분말(1.0 g)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00 mL)로 희석하고, 여과하고, 물(100 mL)로 세척한 다음, 염수(10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755 mg)을 황갈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알릴 (2
S
,3
S
,4
S
,5
R
,6
S
)-6-(2-(1-(9
H
-플루오렌-9-일)-3-옥소-2,7,10,13,16,19,22,25,28-노나옥사-4-아자헨트리아콘탄-31-아미도)-4-(하이드록시메틸)페녹시)-3,4,5-트리스(((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카르복실레이트 (170)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2 mL) 중 알릴(2S,3S,4S,5R,6S)-3,4,5-트리스(((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6-(2-아미노-4-(((삼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페녹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카르복실레이트(169, 200 mg, 0.277 mmol)의 용액에 1-(9H-플루오렌-9-일)-3-옥소-2,7,10,13,16,19,22,25,28-노나옥사-4-아자헨트리아콘탄-31-오익산(184 mg, 0.277 mmol),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144 mL, 0.831 mmol), 및 PyAOP(145 mg, 0.277 mmol)를 채웠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트리에틸아민 트리하이드로플루오라이드(135 mg, 0.831 mmol)를 이 혼합물에 첨가하고, 추가로 3시간 동안 계속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역상 분취 HPLC(구배: 20분에 걸쳐 20~90% 아세토니트릴; 20분에 용리됨)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47 mg, 71%)을 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알릴 (2
S
,3
S
,4
S
,5
R
,6
S
)-6-(2-(1-(9
H
-플루오렌-9-일)-3-옥소-2,7,10,13,16,19,22,25,28-노나옥사-4-아자헨트리아콘탄-31-아미도)-4-((((퍼플루오로페녹시)카르보닐)옥시)메틸)페녹시)-3,4,5-트리스(((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카르복실레이트 (171)
N,N-디메틸포름아미드(3 mL) 중 알릴 (2S,3S,4S,5R,6S)-6-(2-(1-(9H-플루오렌-9-일)-3-옥소-2,7,10,13,16,19,22,25,28-노나옥사-4-아자헨트리아콘탄-31-아미도)-4-(하이드록시메틸)페녹시)-3,4,5-트리스(((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카르복실레이트(170, 247 mg, 0.197 mmol)의 용액에 비스(펜타플루오로페닐) 카르보네이트(156 mg, 0.394 mmol)를 채우고,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역상 분취 HPLC(구배: 20분에 걸쳐 30~95% 아세토니트릴; 20분에 용리됨)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52 mg, 88%)을 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알릴 (2
S
,3
S
,4
S
,5
R
,6
S
)-6-(2-(1-(9
H
-플루오렌-9-일)-3-옥소-2,7,10,13,16,19,22,25,28-노나옥사-4-아자헨트리아콘탄-31-아미도)-4-((((2-((
S
)-2-(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카르보닐)-4-메톡시-5-(4-옥소-4-(2-(트리메틸실릴)에톡시)부톡시)페닐)카르바모일)옥시)메틸)페녹시)-3,4,5-트리스(((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카르복실레이트 (173)
N,N-디메틸포름아미드(3 mL) 중 알릴(2S,3S,4S,5R,6S)-6-(2-(1-(9H-플루오렌-9-일)-3-옥소-2,7,10,13,16,19,22,25,28-노나옥사-4-아자헨트리아콘탄-31-아미도)-4-((((퍼플루오로페녹시)카르보닐)옥시)메틸)페녹시)-3,4,5-트리스(((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카르복실레이트(171, 218 mg, 0.149 mmol)의 용액에 2-(트리메틸실릴)에틸 (S)-4-(5-아미노-4-(2-(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카르보닐)-2-메톡시페녹시)부타노에이트(172, 86 mg, 0.149 mmol), HOAt(13.7 mg, 0.10 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78 mL, 0.44 mmol)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역상 분취 HPLC(구배: 20분에 걸쳐 30~95% 아세토니트릴; 20분에 용리됨)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52 mg, 88%)을 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3-(1-(9
H
-플루오렌-9-일)-3-옥소-2,7,10,13,16,19,22,25,28-노나옥사-4-아자헨트리아콘탄-31-아미도)-4-(((2
S
,3
R
,4
S
,5
S
,6
S
)-6-((알릴옥시)카르보닐)-3,4,5-트리스(((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벤질 (6a
S
)-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3-(4-옥소-4-(2-(트리메틸실릴)에톡시)부톡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5(12
H
)-카르복실레이트 (174)
디클로로메탄(10 mL) 중 알릴 (2S,3S,4S,5R,6S)-6-(2-(1-(9H-플루오렌-9-일)-3-옥소-2,7,10,13,16,19,22,25,28-노나옥사-4-아자헨트리아콘탄-31-아미도)-4-((((2-((S)-2-(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카르보닐)-4-메톡시-5-(4-옥소-4-(2-(트리메틸실릴)에톡시)부톡시)페닐)카르바모일)옥시)메틸)페녹시)-3,4,5-트리스(((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카르복실레이트(173, 228 mg, 0.13 mmol)의 용액에 (디아세트옥시요오드)벤젠(85 mg, 0.26 mmol) 및 TEMPO(2 mg, 13 mmol)를 채웠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5일 동안 교반한 후, 진공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였다. 역상 분취 HPLC(구배: 20분에 걸쳐 30~95% 아세토니트릴; 22분에 용리됨)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46 mg, 64%)을 황갈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4-(((6a
S
)-5-(((3-(1-(9
H
-플루오렌-9-일)-3-옥소-2,7,10,13,16,19,22,25,28-노나옥사-4-아자헨트리아콘탄-31-아미도)-4-(((2
S
,3
R
,4
S
,5
S
,6
S
)-6-((알릴옥시)카르보닐)-3,4,5-트리스(((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벤질)옥시)카르보닐)-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산 (175)
디클로로메탄(3 mL) 중 3-(1-(9H-플루오렌-9-일)-3-옥소-2,7,10,13,16,19,22,25,28-노나옥사-4-아자헨트리아콘탄-31-아미도)-4-(((2S,3R,4S,5S,6S)-6-((알릴옥시)카르보닐)-3,4,5-트리스(((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벤질 (6aS)-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3-(4-옥소-4-(2-(트리메틸실릴)에톡시)부톡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5(12H)-카르복실레이트(174, 146 mg, 84 mmol)의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 mL)을 채우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였다. 역상 분취 HPLC(구배: 20분에 걸쳐 20~85% 아세토니트릴; 22분에 용리됨)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69 mg, 50%)을 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3-(1-(9
H
-플루오렌-9-일)-3-옥소-2,7,10,13,16,19,22,25,28-노나옥사-4-아자헨트리아콘탄-31-아미도)-4-(((2
S
,3
R
,4
S
,5
S
,6
S
)-6-((알릴옥시)카르보닐)-3,4,5-트리스(((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벤질 (6a
S
)-3-(4-((5-((4-((삼차-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5(12
H
)-카르복실레이트 (177)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2 mL) 중 삼차-부틸 (4-(4-아미노-1-메틸-1H-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카르바메이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염(176, 19 mg, 42 mmol)의 용액에 4-(((6aS)-5-(((3-(1-(9H-플루오렌-9-일)-3-옥소-2,7,10,13,16,19,22,25,28-노나옥사-4-아자헨트리아콘탄-31-아미도)-4-(((2S,3R,4S,5S,6S)-6-((알릴옥시)카르보닐)-3,4,5-트리스(((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벤질)옥시)카르보닐)-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산(175, 69 mg, 42 mmol), PyAOP(22 mg, 42 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30 mL, 168 mmol)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직접 정제하였다. 역상 분취 HPLC(구배: 20분에 걸쳐 35~95% 아세토니트릴; 21분에 용리됨)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6 mg, 30%)을 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2
S
,3
S
,4
S
,5
R
,6
S
)-6-(2-(1-(9
H
-플루오렌-9-일)-3-옥소-2,7,10,13,16,19,22,25,28-노나옥사-4-아자헨트리아콘탄-31-아미도)-4-((((6a
S
)-3-(4-((5-((4-((
삼차-
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5-카르보닐)옥시)메틸)페녹시)-3,4,5-트리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카르복시산 (178)
디클로로메탄(2 mL) 및 N,N-디메틸포름아미드(2 mL) 중 3-(1-(9H-플루오렌-9-일)-3-옥소-2,7,10,13,16,19,22,25,28-노나옥사-4-아자헨트리아콘탄-31-아미도)-4-(((2S,3R,4S,5S,6S)-6-((알릴옥시)카르보닐)-3,4,5-트리스(((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벤질 (6aS)-3-(4-((5-((4-((삼차-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5(12H)-카르복실레이트(177, 26 mg, 12.6 mmol)의 용액에 포름산(7 mL), 피롤리딘(16 mL),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3.6 mg, 3.1 mmol)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진공 하에 디클로로메탄을 증발시켰다. 남은 DMF 용액을 직접 정제하였다. 역상 분취 HPLC(구배: 20분에 걸쳐 35~95% 아세토니트릴; 15분에 용리됨)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8 mg, 86%)을 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2
S
,3
S
,4
S
,5
R
,6
S
)-6-(2-(1-아미노-3,6,9,12,15,18,21,24-옥타옥사헵타코산-27-아미도)-4-((((6a
S
)-3-(4-((5-((4-((
삼차-
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5-카르보닐)옥시)메틸)페녹시)-3,4,5-트리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카르복시산 (179)
N,N-디메틸포름아미드(1 mL) 중 (2S,3S,4S,5R,6S)-6-(2-(1-(9H-플루오렌-9-일)-3-옥소-2,7,10,13,16,19,22,25,28-노나옥사-4-아자헨트리아콘탄-31-아미도)-4-((((6aS)-3-(4-((5-((4-((삼차-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5-카르보닐)옥시)메틸)페녹시)-3,4,5-트리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카르복시산(178, 18 mg, 10.8 mmol)의 용액에 피페리딘(0.1 mL)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직접 정제하였다. 역상 분취 HPLC(구배: 20분에 걸쳐 5~60% 아세토니트릴; 18분에 용리됨)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9 mg, 54%)을 TFA-염으로서 수득하였다.
(2
S
,3
S
,4
S
,5
R
,6
S
)-6-(4-((((6a
S
)-3-(4-((5-((4-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5-카르보닐)옥시)메틸)-2-(1-(2,5-디옥소-2,5-디하이드로-1
H
-피롤-1-일)-3-옥소-7,10,13,16,19,22,25,28-옥타옥사-4-아자헨트리아콘탄-31-아미도)페녹시)-3,4,5-트리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카르복시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염 (181)
N,N-디메틸포름아미드(1 mL) 중 (2S,3S,4S,5R,6S)-6-(2-(1-아미노-3,6,9,12,15,18,21,24-옥타옥사헵타코산-27-아미도)-4-((((6aS)-3-(4-((5-((4-((삼차-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5-카르보닐)옥시)메틸)페녹시)-3,4,5-트리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카르복시산(179, 9 mg, 5.8 mmol)의 용액에 3-말레이미도프로피온산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 에스테르(1.7 mg, 6.4 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6 mL, 34 mmol)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진공 하에서 농축시킨 다음,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1.5 mL)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5 mL) 중에 재용해시키고 10분 동안 교반한 후, 용매를 진공 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역상 분취 HPLC(구배: 20분에 걸쳐 2~45% 아세토니트릴; 18분에 용리됨)로 정제하여 화합물 180(화합물 181)의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염(7.7 mg, 83%)를 무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88 (s, 1H), 9.78 (s, 1H), 9.10 (s, 1H), 8.40-8.13 (m, 1H), 8.00 (t, J=8 Hz, 1H), 7.63 (br, 2H), 7.22 (s, 1H), 7.02-6.91 (m, 8H), 6.70-6.53 (m, 1H), 5.86-5.76 (m, 2H), 5.12-4.83 (m, 2H), 4.13-4.10 (m, 1H), 3.93-3.89 (m, 2H), 3.81-3.74 (m, 6H), 3.70 (t, J=6 Hz, 2H), 3.59 (t, J=6 Hz, 2H), 3.52 (br, 32H), 3.20 (s, 2H), 3.14 (q, J=6 Hz, 3H), 2.90-2.85 (m, 1H), 2.68-2.64 (m, 2H), 2.44 (br, 2H), 2.36-2.31 (m, 3H), 2.08 (br, 2H), 1.86 (br, 1H), 1.69-1.55 (m, 4H); MS (ES+): m/z = 1492.9 (M+H)+; LCMS (5분): t R = 1.55분; HPLC (15분): 8.31분 (96.6% 순도, 220 nm).
실시예 1II: 화합물 (186)의 합성
(
S
)-32-(((알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26-옥소-2,5,8,11,14,17,20,23-옥타옥사-27-아자트리트리아콘탄-33-오익산 (184)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2 mL) 중 N 6-(((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르보닐)-N 2-((알릴옥시)카르보닐)-L-리신(182, 179 mg, 0.396 mmol)의 용액에 1,8-디아자바이시클로[5.4.0]운덱-7-엔(0.12 mL)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퍼플루오로페닐 2,5,8,11,14,17,20,23-옥타옥사헥사코산-26-오에이트(183, 229 mg, 0.396 mmol)를 혼합물에 첨가하고, 추가로 10분 동안 계속 교반한 후, 직접 정제하였다. 역상 분취 HPLC(구배: 20분에 걸쳐 10~65% 아세토니트릴; 15분에 용리됨)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06 mg, 83%)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퍼플루오로페닐 (
S
)-32-(((알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26-옥소-2,5,8,11,14,17,20,23-옥타옥사-27-아자트리트리아콘탄-33-오에이트 (185)
무수 디클로로메탄(2 mL) 중 (S)-32-(((알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26-옥소-2,5,8,11,14,17,20,23-옥타옥사-27-아자트리아콘탄-33-오익산(184, 91 mg, 0.145 mmol)의 용액에 펜타플루오로페놀(54 mg, 0.290 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23 μL, 0.145 mmol)를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40분 동안 교반한 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역상 분취 HPLC(구배: 20분에 걸쳐 15~75% 아세토니트릴; 19분에 용리됨)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67 mg, 58%)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2
S
,3
R
,4
S
,5
S
,6
S
)-2-(2-(3-((((9
H
-플루오렌-9-일)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프로판아미도)-4-((((퍼플루오로페녹시)카르보닐)옥시)메틸)페녹시)-6-(메톡시카르보닐)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3,4,5-트리일 트리아세테이트 (189)
N,N-디메틸포름아미드(3 mL) 중 (2S,3R,4S,5S,6S)-2-(2-(3-((((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프로판아미도)-4-(하이드록시메틸)페녹시)-6-(메톡시카르보닐)테트라하이드로-2H-피란-3,4,5-트리일 트리아세테이트(188, 300 mg, 0.400 mmol)의 용액에 비스(펜타플루오로페닐) 카르보네이트(240 mg, 0.600 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18 μL, 0.100 mmol)을 채웠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60 mL)로 희석하고 물(60 mL) 및 염수(50 mL)로 연속적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 건조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헥산(17%)으로 용리하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80 mg, 73%)을 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1JJ: 화합물 (196)의 합성
(2
S
,3
R
,4
S
,5
S
,6
S
)-2-(2-(3-((((9
H
-플루오렌-9-일)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프로판아미도)-4-((((4-(4-(4-(((6a
S
)-5-((알릴옥시)카르보닐)-2-메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아미도)-1-메틸-1
H
-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카르바모일)옥시)메틸)페녹시)-6-(메톡시카르보닐)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3,4,5-트리일 트리아세테이트 (191)
N,N-디메틸포름아미드(2 mL) 중 알릴 (6aS)-3-(4-((5-((4-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2-메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5(12H)-카르복실레이트(190, 117 mg, 0.156 mmol) 및 (2S,3R,4S,5S,6S)-2-(2-(3-((((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프로판아미도)-4-((((퍼플루오로페녹시)카르보닐)옥시)메틸)페녹시)-6-(메톡시카르보닐)테트라하이드로-2H-피란-3,4,5-트리일 트리아세테이트(189, 150 mg, 0.156 mmol)의 용액에 1-하이드록시-7-아자벤조트리아졸(14 mg, 0.10 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54 μL, 0.31 mmol)을 채웠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100 mL)을 첨가하고, 용액을 물(100 mL)로 세척한 후, 염수(50 mL)로 세척한 다음,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240 mg)을 검으로서 수득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2
S
,3
S
,4
S
,5
R
,6
S
)-6-(4-((((4-(4-(4-(((6a
S
)-5-((알릴옥시)카르보닐)-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아미도)-1-메틸-1
H
-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카르바모일)옥시)메틸)-2-(3-아미노프로판아미도)페녹시)-3,4,5-트리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카르복시산 (192)
아세토니트릴(2 mL) 및 물(2 mL) 중 (2S,3R,4S,5S,6S)-2-(2-(3-((((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프로판아미도)-4-((((4-(4-(4-(((6aS)-5-((알릴옥시)카르보닐)-2-메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아미도)-1-메틸-1H-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카르바모일)옥시)메틸)페녹시)-6-(메톡시카르보닐)테트라하이드로-2H-피란-3,4,5-트리일 트리아세테이트(191, 240 mg, 0.156 mmol)의 용액에 수산화나트륨(물 중 1 N, 1 mL)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염산(물 중 37%, 0.5 mL)을 첨가하고, 추가로 30분 동안 계속 교반하였다. 역상 분취 HPLC(구배: 20분에 걸쳐 2~50% 아세토니트릴; 19분에 용리됨)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40 mg, 24%)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2
S
,3
S
,4
S
,5
R
,6
S
)-6-(4-((((4-(4-(4-(((6a
S
)-5-((알릴옥시)카르보닐)-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아미도)-1-메틸-1
H
-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카르바모일)옥시)메틸)-2-((
S
)-32-(((알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26,33-디옥소-2,5,8,11,14,17,20,23-옥타옥사-27,34-디아자헵탄트리아콘탄-37-아미도)페녹시)-3,4,5-트리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카르복시산 (193)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2 mL) 중 (2S,3S,4S,5R,6S)-6-(4-((((4-(4-(4-(((6aS)-5-((알릴옥시)카르보닐)-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아미도)-1-메틸-1H-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카르바모일)옥시)메틸)-2-(3-아미노프로판아미도)페녹시)-3,4,5-트리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카르복시산(192, 36 mg, 30 μmol)의 용액에 퍼플루오로페닐(S)-32-(((알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26-옥소-2,5,8,11,14,17,20,23-옥타옥사-27-아자트리아콘탄-33-오에이트(185, 26 mg, 33 μ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31 μL, 0.18 mmol)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역상 분취 HPLC(구배: 20분에 걸쳐 2~65% 아세토니트릴; 18분에 용리됨)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48 mg, 76%)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2
S
,3
S
,4
S
,5
R
,6
S
)-6-(2-((
S
)-32-아미노-26,33-디옥소-2,5,8,11,14,17,20,23-옥타옥사-27,34-디아자헵탄트리아콘탄-37-아미도)-4-((((4-(4-(4-(((
S
)-2-메톡시-12-옥소-6a,7,8,9,10,12-헥사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아미도)-1-메틸-1
H
-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카르바모일)옥시)메틸)페녹시)-3,4,5-트리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카르복시산 (194)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2 mL) 중 (2S,3S,4S,5R,6S)-6-(4-((((4-(4-(4-(((6aS)-5-((알릴옥시)카르보닐)-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아미도)-1-메틸-1H-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카르바모일)옥시)메틸)-2-((S)-32-(((알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26,33-디옥소-2,5,8,11,14,17,20,23-옥타옥사-27,34-디아자헵타트리아콘탄-37-아미도)페녹시)-3,4,5-트리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카르복시산(193, 48 mg, 28 μmol)의 용액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6.6 mg, 5.7 μmol) 및 피롤리딘(5 μL, 60 μmol)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아르곤으로 퍼징한 다음,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50 mL)을 첨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물(50 mL) 및 염수(20 mL)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45 mg)을 검으로서 수득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즉시 사용하였다.
(2
S
,3
S
,4
S
,5
R
,6
S
)-6-(2-((
S
)-32-(6-(2,5-디옥소-2,5-디하이드로-1
H
-피롤-1-일)헥산아미도)-26,33-디옥소-2,5,8,11,14,17,20,23-옥타옥사-27,34-디아자헵탄트리아콘탄-37-아미도)-4-((((4-(4-(4-(((
S
)-2-메톡시-12-옥소-6a,7,8,9,10,12-헥사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아미도)-1-메틸-1
H
-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카르바모일)옥시)메틸)페녹시)-3,4,5-트리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카르복시산 트리에틸암모늄 염 (196)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2 mL) 중 (2S,3S,4S,5R,6S)-6-(2-((S)-32-아미노-26,33-디옥소-2,5,8,11,14,17,20,23-옥타옥사-27,34-디아자헵타트리아콘탄-37-아미도)-4-((((4-(4-(4-(((S)-2-메톡시-12-옥소-6a,7,8,9,10,12-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아미도)-1-메틸-1H-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카르바모일)옥시)메틸)페녹시)-3,4,5-트리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카르복시산(194, 45 mg, 28 μmol)의 용액에 퍼플루오로페닐 6-(2,5-디옥소-2,5-디하이드로-1H-피롤-1-일)헥사노에이트(195, 11 mg, 28 μ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10 μL, 60 μmol)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역상 분취 HPLC(구배: 20분에 걸쳐 5~50% 아세토니트릴; 20분에 용리됨)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0 mg, 37%)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89 (s, 1H), 9.72 (s, 1H), 9.66 (s, 1H), 9.27 (s, 1H), 8.19 (s, 1H), 8.06 (s, 1H), 8.00 (d, J=8 Hz, 1H), 7.91 (d, J=8 Hz, 1H), 7.83 (br, 1H), 7.58 (d, J=8 Hz, 2H), 7.38 (d, J=8 Hz, 2H), 7.27 (s, 1H), 7.20 (s, 1H), 7.12 (dd, J=16, 4 Hz, 2H), 7.01 (s, 2H), 6.91 (s, 1H), 6.80 (s, 1H), 5.76-5.66 (m, 1H), 5.12-5.02 (m, 3H), 4.69 (br, 1H), 4.13-4.11 (m, 2H), 4.04-4.02 (m, 2H), 3.82 (s, 3H), 3.81 (s, 3H), 3.71-3.67 (m, 2H), 3.58-3.55 (m, 3H), 3.51-3.48 (m, 28H), 3.46-3.44 (m, 4H), 3.23 (s, 4H), 3.15-3.10 (m, 1H), 2.95-2.92 (m, 4H), 2.59-2.55 (m, 2H), 2.45-2.42 (m, 2H), 2.28 (t, J=4 Hz, 2H), 2.07-2.02 (m, 5H), 1.90-1.80 (m, 1H), 1.79-1.65 (m, 3H), 1.64-1.50 (m, 2H), 1.49-1.35 (m, 5H), 1.34-1.20 (m, 4H), 1.15-1.00 (m, 10H); MS (ES+): m/z = 1688.2 (M+H)+; LCMS (5분): t R = 2.06분; HPLC (15분): 10.19분 (96.5% 순도, 220 nm).
실시예 1KK: 화합물 (207)의 합성
4-(((6
aS
)-5-((알릴옥시)카르보닐)-2-하이드록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산 (198)
알릴 (6aS)-3-(4-메톡시-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2-((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톡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5(12H)-카르복실레이트(197, 2.50 g, 3.80 mmol)를 테트라-n-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THF 중 1 M, 30 mL)의 용액에 용해시킨 다음, 새롭게 활성화된 분자체(4 Å, 2.0 g)를 채우고, 생성된 현탁액을 4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200 mL)을 첨가하고, 여과하여 분자체를 제거하였다. 여액을 물(100 mL) 및 염수(100 mL)로 세척하고,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킨 다음,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메탄올(40 mL) 중에 재용해시키고, 여기에 수산화나트륨(물 중 1 M, 8 mL)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염산(1 M, 4 mL)을 적가하고, 혼합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알릴 (6a
S
)-2-하이드록시-3-(4-((4-메톡시벤질)옥시)-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5(12
H
)-카르복실레이트 (199)
이전 단계에서의 잔기인 4-(((6aS)-5-((알릴옥시)카르보닐)-2-하이드록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산(198)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20 mL) 중에 넣고, 여기에 탄산수소나트륨(1.68 g)에 이어서 4-메톡시벤질 염화물(1.1 mL)을 채웠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200 mL)과 물(200 mL) 사이에서 분리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킨 다음,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헥산(30~60%)으로 용리하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2 g, 2-단계에 걸쳐 50% 수율)을 회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2
S
,3
R
,4
S
,5
S
,6
S
)-2-(((6a
S
)-5-((알릴옥시)카르보닐)-3-(4-((4-메톡시벤질)옥시)-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2-일)옥시)-6-(메톡시카르보닐)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3,4,5-트리일 트리아세테이트 (201)
디클로로메탄(15 mL) 중 알릴 (6aS)-2-하이드록시-3-(4-((4-메톡시벤질)옥시)-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5(12H)-카르복실레이트(189, 640 mg, 1.00 mmol)의 용액에 물(15 mL) 중 탄산칼륨(0.69 g, 5.00 mmol), 테트라부틸암모늄 브롬화물(966 mg, 3.00 mmol), 및 아세토브로모-α-D-글루콘산 메틸 에테르(200, 2.00 g, 5.00 mmol)의 용액을 채웠다. 생성된 혼합물을 4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한 후, 디클로로메탄(150 mL)으로 희석하고 물(50 mL x 2)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헥산(30%~60%)으로 용리하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430 mg, 45%)을 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4-(((6a
S
)-5-((알릴옥시)카르보닐)-6-하이드록시-12-옥소-2-(((2
S
,3
R
,4
S
,5
S
,6
S
)-3,4,5-트리아세트옥시-6-(메톡시카르보닐)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산 (202)
(2S,3R,4S,5S,6S)-2-(((6aS)-5-((알릴옥시)카르보닐)-3-(4-((4-메톡시벤질)옥시)-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2-일)옥시)-6-(메톡시카르보닐)테트라하이드로-2H-피란-3,4,5-트리일 트리아세테이트(201, 240 mg, 0.251 mmol)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디클로로메탄(1:9, 3 mL)의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아세토니트릴/물(1:1, 4 mL)을 첨가하고,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디클로로메탄을 제거하였다. 역상 분취 HPLC(구배: 20분에 걸쳐 20~70% 아세토니트릴; 19분에 용리됨)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25 mg, 66%)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2
S
,3
R
,4
S
,5
S
,6
S
)-2-(((6a
S
)-5-((알릴옥시)카르보닐)-3-(4-((5-((4-((
S
)-2-((
S
)-2-(((알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프로판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6-하이드록시-12-옥소-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2-일)옥시)-6-(메톡시카르보닐)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3,4,5-트리일 트리아세테이트 (204)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2 mL) 중 4-(((6aS)-5-((알릴옥시)카르보닐)-6-하이드록시-12-옥소-2-(((2S,3R,4S,5S,6S)-3,4,5-트리아세트옥시-6-(메톡시카르보닐)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산(202, 108 mg, 0.144 mmol) 및 알릴 ((S)-1-(((S)-1-((4-(4-아미노-1-메틸-1H-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아미노)-1-옥소프로판-2-일)아미노)-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염(203, 85 mg, 0.142 mmol)의 용액에 (7-아자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80 mg, 0.153 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11 mL)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역상 분취 HPLC(구배: 20분에 걸쳐 20~85% 아세토니트릴; 20분에 용리됨)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28 mg, 73%)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2
S
,3
S
,4
S
,5
R
,6
S
)-6-(((6a
S
)-5-((알릴옥시)카르보닐)-3-(4-((5-((4-((
S
)-2-((
S
)-2-(((알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프로판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6-하이드록시-12-옥소-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
a
][1,4]디아제핀-2-일)옥시)-3,4,5-트리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카르복시산 (205)
아세토니트릴/물(4:1, 5 mL) 중 (2S,3R,4S,5S,6S)-2-(((6aS)-5-((알릴옥시)카르보닐)-3-(4-((5-((4-((S)-2-((S)-2-(((알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프로판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6-하이드록시-12-옥소-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2-일)옥시)-6-(메톡시카르보닐)테트라하이드로-2H-피란-3,4,5-트리일 트리아세테이트(204, 128 mg, 0.105 mmol)의 현탄액에 수산화나트륨 수용액(1 N, 0.7 mL)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염산(1 N, 0.4 m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직접 정제하였다. 역상 분취 HPLC(구배: 20분에 걸쳐 10~70% 아세토니트릴; 18분에 용리됨)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08 mg, 96%)을 백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2
S
,3
S
,4
S
,5
R
,6
S
)-6-(((
S
)-3-(4-((5-((4-((
S
)-2-((
S
)-2-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프로판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12-옥소-6a,7,8,9,10,12-헥사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2-일)옥시)-3,4,5-트리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카르복시산 (206)
N,N-디메틸포름아미드(1.5 mL) 중 (2S,3S,4S,5R,6S)-6-(((6aS)-5-((알릴옥시)카르보닐)-3-(4-((5-((4-((S)-2-((S)-2-(((알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프로판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6-하이드록시-12-옥소-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2-일)옥시)-3,4,5-트리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카르복시산(205, 30 mg, 0.025 mmol)의 용액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7 mg) 및 피롤리딘(14 μL)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아르곤 하에 20분 동안 교반한 다음, N,N-디메틸포름아미드(2 m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14 μL)으로 희석하고, 감압 하에 약 2 mL로 농축시킨 후, 이를 추가의 중간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2
S
,3
S
,4
S
,5
R
,6
S
)-6-(((
S
)-3-(4-((5-((4-((
S
)-2-((
S
)-2-(6-(2,5-디옥소-2,5-디하이드로-1
H
-피롤-1-일)헥산아미도)-3-메틸부탄아미도)프로판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12-옥소-6a,7,8,9,10,12-헥사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2-일)옥시)-3,4,5-트리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카르복시산 (207)
(2S,3S,4S,5R,6S)-6-(((S)-3-(4-((5-((4-((S)-2-((S)-2-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프로판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12-옥소-6a,7,8,9,10,12-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2-일)옥시)-3,4,5-트리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카르복시산(206)을 함유하는 이전 단계의 미정제 반응 혼합물에 퍼플루오로페닐 6-(2,5-디옥소-2,5-디하이드로-1H-피롤-1-일)헥사노에이트(195, 44 mg, 0.117 mmol)에 이어서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12 μL)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직접 정제하였다. 역상 분취 HPLC(구배: 20분에 걸쳐 5~60% 아세토니트릴; 19분에 용리됨)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6 mg, 53%)을 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0.40-10.08 (m, 1H), 9.82 (s, 1H), 9.77 (s, 1H), 8.12 (d, J=8 Hz, 1H), 8.03-8.01 (m, 1H), 7.81 (d, J=8 Hz, 1H), 7.62 (d, J=8 Hz, 2H), 7.50 (d, J=8 Hz, 2H), 7.45 (s, 1H), 7.21-7.19 (m, 1H), 7.01-6.81 (m, 3H), 5.80-5.71 (m, 5H), 5.50-5.15 (m, 1H), 5.03-4.85 (m, 1H), 4.39-4.36 (m, 1H), 4.19-4.16 (m, 1H), 4.08-3.99 (m, 2H), 3.81-3.80 (m, 3H), 3.79-3.65 (m, 1H), 2.74 (br, 7H), 2.16-2.13 (m, 2H), 2.10-1.97 (m, 4H), 1.91 (s, 2H), 1.80-1.60 (m, 3H), 1.51-1.46 (m, 6H), 1.30 (d, J=8 Hz, 3H), 1.20-1.17 (m, 2H), 0.87 (d, J=4 Hz, 3H), 0.83 (d, J=4 Hz, 3H); MS (ES+): m/z = 1084.4 (M+H)+; LCMS (5분): t R = 2.00분; HPLC (15분): 9.35분 (99.5% 순도, 220 nm).
실시예 1LL: 화합물 (213)의 합성
(2
R
,3
R
,4
S
,5
R
,6
S
)-2-(아세트옥시메틸)-6-(4-(((
삼차-
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2-니트로페녹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3,4,5-트리일 트리아세테이트 (209)
무수 디클로로메탄(25 mL) 중 (2R,3R,4S,5R,6S)-2-(아세트옥시메틸)-6-(4-(하이드록시메틸)-2-니트로페녹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3,4,5-트리일 트리아세테이트(208, 2.00 g, 4.10 mmol)의 용액에 삼차-부틸디메틸실릴 염화물(0.93 g, 6.20 mmol) 및 이미다졸(0.70 g, 10.3 mmol)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디클로로메탄(60 mL)으로 희석한 후, 혼합물을 물(50 mL), 이어서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2.5 g, 정량)을 황갈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2
S
,3
R
,4
S
,5
S
,6
R
)-2-(4-(((
삼차-
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2-니트로페녹시)-6-(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3,4,5-트리올 (210)
메탄올(50 mL) 중 (2R,3R,4S,5R,6S)-2-(아세트옥시메틸)-6-(4-(((삼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2-니트로페녹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3,4,5-트리일 트리아세테이트(209, 2.5 g, 4.10 mmol)의 현탁액에 메톡시드 나트륨(메탄올 중 25% 용액, 0.2 mL)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감압 하에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황갈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트리알릴 ((2
R
,3
R
,4
S
,5
R
,6
S
)-2-((((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메틸)-6-(4-(((
삼차-
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2-니트로페녹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3,4,5-트리일) 트리카르보네이트 (211)
피리딘(30 mL) 중 (2S,3R,4S,5S,6R)-2-(4-(((삼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2-니트로페녹시)-6-(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2H-피란-3,4,5-트리올(210, 4.10 mmol, 이전 단계의 잔류물)의 용액을 0℃로 냉각시키고, 이를 교반하면서, 알릴 클로로포르메이트(10 mL, 94 mmol)를 16시간 동안 적가하였다. 그런 다음, 감압 하에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200 mL) 중에 재용해시킨 다음, 물(200 mL x 2), 염수(20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3.2 g)을 황갈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트리알릴 ((2
R
,3
R
,4
S
,5
R
,6
S
)-2-((((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메틸)-6-(4-(하이드록시메틸)-2-니트로페녹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3,4,5-트리일) 트리카르보네이트 (212)
아세토니트릴(10 mL) 중 트리알릴((2R,3R,4S,5R,6S)-2-((((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메틸)-6-(4-(((삼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2-니트로페녹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3,4,5-트리일) 트리카르보네이트(211, 3.2 g, 4.10 mmol)의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트리하이드로플루오라이드(2.0 g, 12.3 mmol)를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감압 하에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200 mL) 중에 재용해시킨 다음, 물(200 mL x 2), 염수(20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헥산(40%)으로 용리하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1 g, 4-단계에 걸쳐 79%)을 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트리알릴 ((2
R
,3
R
,4
S
,5
R
,6
S
)-2-((((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메틸)-6-(2-니트로-4-((((퍼플루오로페녹시)카르보닐)옥시)메틸)페녹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3,4,5-트리일) 트리카르보네이트 (213)
N,N-디메틸포름아미드(10 mL) 중 트리알릴((2R,3R,4S,5R,6S)-2-((((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메틸)-6-(4-(하이드록시메틸)-2-니트로페녹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3,4,5-트리일) 트리카르보네이트(212, 1.50 g, 2.20 mmol)의 용액에 비스(펜타플루오로페닐) 카르보네이트(0.86 g, 2.3 mmol)를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킨 다음, 아세토니트릴과 함께 공동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2.5 g)을 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1MM: 화합물 (220)의 합성
메틸 4-(4-((
S
)-2-(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카르보닐)-2-메톡시-5-((((3-니트로-4-(((2
S
,3
R
,4
S
,5
R
,6
R
)-3,4,5-트리스(((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6-((((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페녹시)부타노에이트 (215)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2 mL) 중 메틸 (S)-4-(5-아미노-4-(2-(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카르보닐)-2-메톡시페녹시)부타노에이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염(214, 377 mg, 0.76 mmol)의 용액에 트리알릴((2R,3R,4S,5R,6S)-2-((((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메틸)-6-(2-니트로-4-((((퍼플루오로페녹시)카르보닐)옥시)메틸)페녹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3,4,5-트리일) 트리카르보네이트(213, 836 mg, 0.95 mmol), 1-하이드록시-7-아자벤조트리아졸(46 mg, 0.34 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27 mL, 1.5 mmol)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역상 분취 HPLC(구배: 20분에 걸쳐 35~95% 아세토니트릴; 18분에 용리됨)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600 mg, 73%)을 황갈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3-니트로-4-(((2
S
,3
R
,4
S
,5
R
,6
R
)-3,4,5-트리스(((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6-((((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벤질 6-하이드록시-2-메톡시-3-(4-메톡시-4-옥소부톡시)-12-옥소-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5(12
H
)-카르복실레이트 (216)
디클로로메탄(10 mL) 중 메틸 4-(4-((S)-2-(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카르보닐)-2-메톡시-5-((((3-니트로-4-(((2S,3R,4S,5R,6R)-3,4,5-트리스(((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6-((((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페녹시)부타노에이트(215, 550 mg, 0.51 mmol)의 용액에 (디아세트옥시요오드)벤젠(412 mg, 1.28 mmol) 및 TEMPO(8 mg, 51 μmol)를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5일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생성된 잔류물을 아세토니트릴(7 mL) 및 물(1 mL) 중에 재용해시켰다. 역상 분취 HPLC(구배: 20분에 걸쳐 25~95% 아세토니트릴; 19분에 용리됨)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68 mg, 49%)을 황갈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4-((6-하이드록시-2-메톡시-5-(((3-니트로-4-(((2
S
,3
R
,4
S
,5
S
,6
R
)-3,4,5-트리하이드록시-6-(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벤질)옥시)카르보닐)-12-옥소-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산 (217)
아세토니트릴(5 mL) 중 3-니트로-4-(((2S,3R,4S,5R,6R)-3,4,5-트리스(((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6-((((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벤질 6-하이드록시-2-메톡시-3-(4-메톡시-4-옥소부톡시)-12-옥소-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5(12H)-카르복실레이트(216, 348 mg, 0.33 mmol)의 용액에 수산화나트륨 수용액(1 N, 3 mL)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서 5 mL의 부피로 농축시키고, 이를 직접 정제하였다. 역상 분취 HPLC(구배: 20분에 걸쳐 5~50% 아세토니트릴; 17분에 용리됨)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27 mg, 54%)을 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3-니트로-4-(((2
S
,3
R
,4
S
,5
S
,6
R
)-3,4,5-트리하이드록시-6-(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벤질 (6a
S
)-3-(4-((5-((4-((
S
)-2-((
S
)-2-(((알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프로판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5(12
H
)-카르복실레이트 (218)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1 mL) 중 4-((6-하이드록시-2-메톡시-5-(((3-니트로-4-(((2S,3R,4S,5S,6R)-3,4,5-트리하이드록시-6-(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벤질)옥시)카르보닐)-12-옥소-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산(217, 50 mg, 69.3 μmol)의 용액에 알릴 ((S)-1-(((S)-1-((4-(4-아미노-1-메틸-1H-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아미노)-1-옥소프로판-2-일)아미노)-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염(193, 42 mg, 70.2 μmol),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60 μL, 345 μmol), 및 (7-아자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피롤리딘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36.2 mg, 69.3 μmol)를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후, 이를 직접 정제하였다. 역상 분취 HPLC(구배: 20분에 걸쳐 10~60% 아세토니트릴; 19분에 용리됨)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80 mg, 98%)을 황갈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3-니트로-4-(((2
S
,3
R
,4
S
,5
S
,6
R
)-3,4,5-트리하이드록시-6-(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벤질 (6a
S
)-3-(4-((5-((4-((
S
)-2-((
S
)-2-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프로판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5(12
H
)-카르복실레이트 (219)
디클로로메탄(2 mL) 및 N,N-디메틸포름아미드(2 mL) 중 3-니트로-4-(((2S,3R,4S,5S,6R)-3,4,5-트리하이드록시-6-(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벤질 (6aS)-3-(4-((5-((4-((S)-2-((S)-2-(((알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프로판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5(12H)-카르복실레이트(218, 80 mg, 67 μmol)의 용액에 포름산(38 μL) 및 피롤리딘(83 μL)에 이어서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3.6 mg, 3.1 μmol)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감압 하에 디클로로메탄을 증발시키고, 남은 용액을 직접 정제하였다. 역상 분취 HPLC(구배: 20분에 걸쳐 5~45% 아세토니트릴; 18분에 용리됨)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63 mg, 77%)을 TFA 염으로서 수득하였다.
3-니트로-4-(((2
S
,3
R
,4
S
,5
S
,6
R
)-3,4,5-트리하이드록시-6-(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벤질 (6a
S
)-3-(4-((5-((4-((
S
)-2-((
S
)-2-(6-(2,5-디옥소-2,5-디하이드로-1
H
-피롤-1-일)헥산아미도)-3-메틸부탄아미도)프로판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5(12
H
)-카르복실레이트 (220)
N,N-디메틸포름아미드(2 mL) 중 3-니트로-4-(((2S,3R,4S,5S,6R)-3,4,5-트리하이드록시-6-(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벤질 (6aS)-3-(4-((5-((4-((S)-2-((S)-2-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프로판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5(12H)-카르복실레이트(219, 63 mg, 52 μmol)의 용액에 퍼플루오로페닐 6-(2,5-디옥소-2,5-디하이드로-1H-피롤-1-일)헥사노에이트(195, 24 mg, 63 μ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27 μL, 190 μmol)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직접 정제하였다. 역상 분취 HPLC(구배: 20분에 걸쳐 10~65% 아세토니트릴; 18분에 용리됨)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51.6 mg, 77%)을 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89 (s, 1H), 9.83 (s, 1H), 9.75 (s, 1H), 8.12 (d, J=8 Hz, 1H), 7.81 (d, J=8 Hz, 1H), 7.73 (s, 1H), 7.61 (d, J=8 Hz, 2H), 7.51 (d, J=8 Hz, 2H), 7.37 (d, J=8 Hz, 1H), 7.21 (s, 1H), 7.02 (s, 1H), 7.00 (s, 2H), 6.93 (s, 1H), 6.79 (d, J=8 Hz, 1H), 6.53 (br, 1H), 5.78 (d, J=8 Hz, 1H), 5.16-5.12 (m, 3H), 4.97-4.91 (m, 1H), 4.39-4.36 (m, 1H), 4.18-4.15 (m, 1H), 4.12-4.10 (m, 1H), 3.97 (br, 2H), 3.81 (s, 3H), 3.80 (s, 3H), 3.66 (br, 3H), 3.19-3.16 (m, 5H), 2.89-2.87 (m, 1H), 2.45-2.43 (m, 2H), 2.20-2.15 (m, 2H), 2.03-1.87 (m, 4H), 1.70-1.61 (m, 2H), 1.52-1.45 (m, 7H), 1.29 (d, J=8 Hz, 3H), 1.21-1.17 (m, 2H), 0.87 (d, J=4 Hz, 3H), 0.83 (d, J=4 Hz, 3H); MS (ES+): m/z = 1298.5 (M+H)+; LCMS (5분): t R = 1.89분; HPLC (15분): 5.93분 (99.8% 순도, 220 nm).
실시예 1NN: 화합물 (222)의 합성
3-니트로-4-(((2
S
,3
R
,4
S
,5
S
,6
R
)-3,4,5-트리하이드록시-6-(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벤질 (6a
S
)-3-(4-((5-((4-((
삼차-
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5(12
H
)-카르복실레이트 (221)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1 mL) 중 4-((6-하이드록시-2-메톡시-5-(((3-니트로-4-(((2S,3R,4S,5S,6R)-3,4,5-트리하이드록시-6-(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벤질)옥시)카르보닐)-12-옥소-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산(217, 6.8 mg, 9.4 μmol)의 용액에 삼차-부틸 (4-(4-아미노-1-메틸-1H-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카르바메이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염(176, 4.2 mg, 9.4 μmol),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6.8 μL, 39 μmol), 및 (7-아자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피롤리딘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5.1 mg, 9.7 μmol)를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직접 정제하였다. 역상 분취 HPLC(구배: 20분에 걸쳐 10~65% 아세토니트릴; 19.5분에 용리됨)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8 mg, 82%)을 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3-니트로-4-(((2
S
,3
R
,4
S
,5
S
,6
R
)-3,4,5-트리하이드록시-6-(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벤질 (6a
S
)-3-(4-((5-((4-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5(12
H
)-카르복실레이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염 (222)
디클로로메탄(2 mL) 중 3-니트로-4-(((2S,3R,4S,5S,6R)-3,4,5-트리하이드록시-6-(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벤질 (6aS)-3-(4-((5-((4-((삼차-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5(12H)-카르복실레이트(221, 8 mg, 7.7 μmol)의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 mL)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그런 다음, 잔류물을 아세토니트릴(1 mL) 및 물(0.5 mL) 중에 재용해시키고 직접 정제하였다. 역상 분취 HPLC(구배: 20분에 걸쳐 2~40% 아세토니트릴; 19분에 용리됨)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6.5 mg, 80%)을 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89 (s, 1H), 9.71 (s, 1H), 7.85 (s, 1H), 7.73 (s, 1H), 7.56 (d, J=8 Hz, 2H), 7.49 (br, 1H), 7.37 (d, J=8 Hz, 1H), 7.20 (s, 1H), 7.02 (s, 1H), 6.92-6.91 (m, 3H), 6.79-6.78 (m, 1H), 6.53 (br, 1H), 5.77 (br, 1H), 5.40-5.25 (m, 1H), 5.15-5.12 (m, 4H), 5.30-4.95 (m, 1H), 4.11 (d, J=8 Hz, 1H), 4.30-3.91 (m, 2H), 3.81 (s, 3H), 3.80 (s, 3H), 3.67 (d, J=8 Hz, 1H), 3.23-3.16 (m, 6H), 2.89 (br, 1H), 2.44-2.36 (m, 2H), 2.07-2.02 (m, 2H), 1.87 (br, 1H), 1.68-1.63 (m, 2H), 1.61-1.41 (m, 3H); MS (ES+): m/z = 934.2 (M+H)+; LCMS (5분): t R = 1.43분; HPLC (15분): 7.40분 (99.5% 순도, 220 nm).
실시예 1OO: 화합물 (91)의 합성
(2
R
,3
S
,4
S
,5
R
,6
S
)-2-(아세트옥시메틸)-6-(((6a
S
)-5-((알릴옥시)카르보닐)-3-(4-메톡시-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2-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3,4,5-트리일 트리아세테이트 (224)
디클로로메탄(6 mL) 중 4-(((6aS)-5-((알릴옥시)카르보닐)-2-하이드록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산(198, 200 mg, 0.37 mmol)의 용액에 물(3 mL) 중 탄산칼륨(0.25 g, 1.9 mmol), 테트라부틸암모늄 브롬화물(362 mg, 1.10 mmol), 및 아세토브로모-α-D-갈락토오스(223, 0.83 g, 1.90 mmol)의 용액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60 mL)로 희석하고 물(40 mL x 2)로 세척하였다. 그런 다음, 유기층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4-(((6a
S
)-5-((알릴옥시)카르보닐)-6-하이드록시-12-옥소-2-(((2
S
,3
R
,4
S
,5
R
,6
R
)-3,4,5-트리하이드록시-6-(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산 (225)
(2R,3S,4S,5R,6S)-2-(아세트옥시메틸)-6-(((6aS)-5-((알릴옥시)카르보닐)-3-(4-메톡시-4-옥소부톡시)-12-옥소-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2-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3,4,5-트리일 트리아세테이트(224)를 함유하는 이전 단계의 잔류물을 아세토니트릴/물(4:1, 8 mL) 중에 현탁시키고, 여기에 수산화나트륨 수용액(1 N, 3 mL)을 채운 다음,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염산(11 M, 0.6 m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추가로 30분 동안 교반한 후, 직접 정제하였다. 역상 분취 HPLC(구배: 20분에 걸쳐 5~45% 아세토니트릴; 19분에 용리됨)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40 mg, 2-단계에 걸쳐 63%)을 백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알릴 (6a
S
)-3-(4-((5-((4-((
S
)-2-((
S
)-2-(((알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프로판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메틸-1
H
-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6-하이드록시-12-옥소-2-(((2
S
,3
R
,4
S
,5
R
,6
R
)-3,4,5-트리하이드록시-6-(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5(12
H
)-카르복실레이트 (226)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3 mL) 중 4-(((6aS)-5-((알릴옥시)카르보닐)-6-하이드록시-12-옥소-2-(((2S,3R,4S,5R,6R)-3,4,5-트리하이드록시-6-(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산(225, 75 mg, 0.126 mmol) 및 알릴 ((S)-1-(((S)-1-((4-(4-아미노-1-메틸-1H-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아미노)-1-옥소프로판-2-일)아미노)-3-메틸-1-옥소부탄-2-일)카르바메이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염(203, 75 mg, 0.125 mmol)의 용액에 (7-아자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72 mg, 0.138 mmol)에 이어서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10 mL)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한 다음, 이를 직접 정제하였다. 역상 분취 HPLC(구배: 15분에 걸쳐 10~60% 아세토니트릴; 13분에 용리됨)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10 mg, 82%)을 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N
-(4-((
S
)-2-((
S
)-2-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프로판아미도)페닐)-1-메틸-4-(4-(((
S
)-12-옥소-2-(((2
S
,3
R
,4
S
,5
R
,6
R
)-3,4,5-트리하이드록시-6-(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6a,7,8,9,10,12-헥사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아미도)-1
H
-피롤-2-카르복사미드 (90)
N,N-디메틸포름아미드(1.5 mL) 중 알릴 (6aS)-3-(4-((5-((4-((S)-2-((S)-2-(((알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프로판아미도)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6-하이드록시-12-옥소-2-(((2S,3R,4S,5R,6R)-3,4,5-트리하이드록시-6-(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6,6a,7,8,9,10-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5(12H)-카르복실레이트(89, 30 mg, 0.028 mmol)의 용액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7 mg) 및 피롤리딘(14 μL)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아르곤 하 실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미정제 반응 혼합물을 추가의 중간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N
-(4-((
S
)-2-((
S
)-2-(6-(2,5-디옥소-2,5-디하이드로-1
H
-피롤-1-일)헥산아미도)-3-메틸부탄아미도)프로판아미도)페닐)-1-메틸-4-(4-(((
S
)-12-옥소-2-(((2
S
,3
R
,4
S
,5
R
,6
R
)-3,4,5-트리하이드록시-6-(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2
H
-피란-2-일)옥시)-6a,7,8,9,10,12-헥사하이드로벤조[
e
]피리도[1,2-
a
][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아미도)-1
H
-피롤-2-카르복사미드 (91)
N-(4-((S)-2-((S)-2-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프로판아미도)페닐)-1-메틸-4-(4-(((S)-12-옥소-2-(((2S,3R,4S,5R,6R)-3,4,5-트리하이드록시-6-(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6a,7,8,9,10,12-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아미도)-1H-피롤-2-카르복사미드(90)를 함유하는 이전 단계의 반응 혼합물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2 mL)로 희석한 후, 여기에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14 μL)을 채운 다음, 총 2 mL의 부피로 농축시켰다. 퍼플루오로페닐 6-(2,5-디옥소-2,5-디하이드로-1H-피롤-1-일)헥사노에이트(195, 24 mg, 0.064 mmol)를 첨가한 다음,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12 μ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직접 정제하였다. 역상 분취 HPLC(구배: 30분에 걸쳐 5~50% 아세토니트릴; 26분에 걸쳐 용리됨)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6 mg, 87%)을 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9.85-9.83 (m, 2H), 9.75 (s, 1H), 8.13-8.01 (m, 2H), 7.82 (d, J=4 Hz, 1H), 7.61 (d, J=8 Hz, 2H), 7.51 (d, J=8 Hz, 2H), 7.21 (s, 1H), 7.00 (s, 2H), 6.94 (s, 1H), 6.83 (s, 1H), 5.76-5.40 (m, 1H), 5.09-4.96 (m, 1H), 4.87 (d, J=8 Hz, 2H), 4.71-4.50 (m, 2H), 4.39-4.36 (m, 1H), 4.18-4.15 (m, 2H), 4.10-3.90 (m, 3H), 3.81 (s, 3H), 3.71-3.70 (m, 2H), 3.65-3.55 (m, 3H), 3.15-3.00 (m, 1H), 2.47-2.46 (m, 6H), 2.20-2.11 (m, 2H), 2.05-2.02 (m, 2H), 1.97-1.96 (m, 1H), 1.90-1.60 (m, 3H), 1.52-1.45 (m, 6H), 1.30 (d, J=8 Hz, 3H), 1.20-1.17 (m, 2H), 0.87 (d, J=4 Hz, 3H), 0.83 (d, J=4 Hz, 3H); MS (ES+): m/z = 1070.5 (M+H)+; LCMS (5분): t R = 1.78분; HPLC (15분): 8.85분 (100% 순도, 220 nm).
실시예 2. 생물학적 특성 분석
시험관 내 세포독성. 72시간의 인큐베이션 기간 동안 MTT 검정을 사용하여 세포주 패널에서 선택된 화합물의 시험관 내 세포독성을 결정하였다(표 1 및 표 2).
PDD의 전-약물화/'마스킹'은 당기가 절단되지 않는 한(예를 들어, 페이로드가 리소좀에 도달하지 않는 한), 알킬화 DNA에 대한 페이로드의 능력을 감소시켰다. 도 22 및 아래의 표 3을 참조한다.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민-보호 페이로드의 효능은 전구약물이 없는 페이로드와 비교 시(즉, 화합물 138 대 화합물 163) 감소하였으며, 이는 이민 상의 전구약물 당이 페이로드가 DNA를 알킬화하는 것을 방지하였음을 나타낸다. 놀랍게도, 그간의 시비로마이신(Sibiromycin) 데이터[21]에도 불구하고, 표 3의 화합물 88에 대해 제시된 데이터는 PDD의 C8 위치(PBD 상의 시비로마이신에 대한 유사 위치)에 당을 포함시키는 것이 1세대 PDD의 효능을 감소시킴으로써 IC50 > 5 μM을 야기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유리 페이로드(화합물 163 및 화합물 79) 또한, 단지 메틸기만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으로 상이한 세포독성 프로파일을 나타냈다. 생체 내에서, 모든 당이 종양 부위에서 효소에 의해 절단될 것이라고(화합물 163 및 화합물 79를 형성함) 가정하였다.
실시예 3: 효소 절단
당 모이어티(즉, 글루쿠로니드, 포도당, 갈락토시드) 모두가 관련 효소의 첨가를 통해 절단되었음을 입증하기 위해 다수의 LC-MS 기반 연구를 수행하였다. 모든 경우, 당 모이어티는 페이로드 구조로부터 절단되어 활성 페이로드를 방출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각각의 당 모이어티의 절단률은 해당 절단된 모이어티의 구조적 위치 및 유형에 따라 다양하였다.
β-글루코시다아제 검정
1-메틸-4-(4-(1-메틸-4-(4-(((S)-12-옥소-2-(((2S,3R,4S,5S,6R)-3,4,5-트리하이드록시-6-(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6a,7,8,9,10,12-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아미도)-1H-피롤-2-카르복사미도)페닐)-N-페닐-1H-피롤-2-카르복사미드(98)(0.89 mg, 0.001 mmol)를 디메틸 설폭시드(100 μL) 중에 용해시켰다. 그런 다음, 아몬드 유래 β-글루코시다아제(Sigma-Aldrich, 100 U/mL)의 0.1 M 구연산 완충액(pH 5, 30% PEG 600)을 첨가하고, 생성된 수용액을 37℃에서 180시간 동안 진탕시켰다. 100 μL의 분취물을 취하고 이를 LC-MS로 5분, 30분, 1시간, 2시간, 18시간, 36시간, 60시간, 84시간, 및 132시간차에 분석하였다.
β-갈락토시다아제 검정
N-(4-아미노페닐)-1-메틸-4-(4-(((S)-12-옥소-2-(((2S,3R,4S,5R,6R)-3,4,5-트리하이드록시-6-(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6a,7,8,9,10,12-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3-일)옥시)부탄아미도)-1H-피롤-2-카르복사미드(85)(0.71 mg, 0.001 mmol)를 디메틸 설폭시드(100 μL) 중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1X PBS 완충액(pH 7, 834 μL)으로 희석하고, β-갈락토시다아제 현탁액(Sigma-Aldrich, 100 U, 66 μ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수용액을 37℃에서 20시간 동안 진탕하고, 100 μL의 분취액을 취해 LC-MS로 5분, 30분, 90분, 4.5시간, 7.5시간, 및 20시간차에 분석하였다.
β-글루쿠로니다아제 검정
(2S,3S,4S,5R,6S)-6-(((S)-3-(4-((5-((4-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12-옥소-6a,7,8,9,10,12-헥사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2-일)옥시)-3,4,5-트리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카르복시산(88)(0.72 mg, 0.001 mmol)을 디메틸 설폭시드(100 μL) 중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1X PBS 완충액(pH 6.8, 900 μL) 중 대장균 유래 β-글루쿠로니다아제(Sigma-Aldrich, 100~500 U)의 용액으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수성 혼합물을 37℃에서 4.5시간 동안 진탕하고, 100 μL의 분취액을 취하고 LC-MS로 5분, 30분, 및 90분차에 분석하였다. 도 11a~11d에서의 LC-MS 기반 분석은 당-마스킹 페이로드 피크(화합물 88)가 90분 후에 유리 페이로드(화합물 79)로 완전히 변환되었음을 입증한다.
(2S,3S,4S,5R,6S)-6-(4-((((6aS)-3-(4-((5-((4-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5-카르보닐)옥시)메틸)-2-니트로페녹시)-3,4,5-트리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카르복시산(138)(0.95 mg, 0.001 mmol)을 디메틸 설폭시드(100 μL) 중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1X PBS 완충액(pH 6.8, 900 μL) 중 대장균 유래 β-글루쿠로니다아제(Sigma-Aldrich, 100~500 U)의 용액으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수성 혼합물을 37℃에서 4.5시간 동안 진탕하고, 100 μL의 분취액을 취하고 LC-MS로 5분, 30분, 90분, 및 150분차에 분석하였다. 도 12a~12e에 도시된 LC-MS 기반 분석은 글루쿠로니드 함유 페이로드(화합물 138)로부터 글루쿠로니드 무함유 페이로드(화합물 163)로의 전환이 매우 빠르다는 것을 입증한다. 도 12b는 소량의 β-글루쿠로니다아제 효소의 존재 하에서 5분 후에 이미닌-보호 작제물(화합물 138)의 글루쿠로니드 피크(2.03, 947.9)가 완전히 사라졌고 활성 형태(화합물 163)으로 완전히 전환되었음을 나타낸다.
화합물 138의 화합물 163으로의 전환은 화합물 88의 화합물 79로의 전환보다 훨씬 빠르게 이루어지며, 이는 (화합물 88에서와 같은) C8 위치에서의 당류 기가 (화합물 138에서와 같은) N11 위치에서의 당류 기만큼 효소에 접근할 수 없음을 시사한다. C8-당 치환 페이로드의 유리 페이로드로의 느린 전환은, (일반적으로 종양에 존재 시) 전구약물의 절단을 위해 보다 높은 효소 농도 및 보다 긴 노출 시간이 필요할 것이기 때문에, TI(치료 지수)와 관련된 잠재적 이점을 갖는다.
(2S,3S,4S,5R,6S)-6-(4-((((6aS)-3-(4-((5-((4-(5-((4-아미노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페닐)카르바모일)-1-메틸-1H-피롤-3-일)아미노)-4-옥소부톡시)-6-하이드록시-2-메톡시-12-옥소-5,6,6a,7,8,9,10,12-옥타하이드로벤조[e]피리도[1,2-a][1,4]디아제핀-5-카르보닐)옥시)메틸)-2-니트로페녹시)-3,4,5-트리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카르복시산(146)(1.15 mg, 0.001 mmol)을 디메틸 설폭시드(100 μL) 중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1X PBS 완충액(pH 6.8, 900 μL) 중 대장균 유래 β-글루쿠로니다아제(Sigma-Aldrich, 100~500 U)의 용액으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수성 혼합물을 37℃에서 4.5시간 동안 진탕하고, 100 μL의 분취액을 취해 LC-MS로 5분, 30분, 90분, 및 150분차에 분석하였다.
(2S,3S,4S,5R,6S)-6-(4-((((5-(3-카르복시프로폭시)-4-메톡시-2-((S)-2-((메톡시이미노)메틸)피페리딘-1-카르보닐)페닐)카르바모일)옥시)메틸)-2-니트로페녹시)-3,4,5-트리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카르복시산(150)(0.77 mg, 0.001 mmol)을 디메틸 설폭시드(100 μL) 중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1X PBS 완충액(pH 6.8, 900 μL) 중 대장균 유래 β-글루쿠로니다아제(Sigma-Aldrich, 100~500 U)의 용액으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수성 혼합물을 37℃에서 4.5시간 동안 진탕하고, 100 μL의 분취액을 취해 LC-MS로 5분, 30분, 90분, 및 150분차에 분석하였다.
실시예 4. 방법
MTT 세포독성
1. 방법
10% 열-불활성화 소 태아 혈청, 2 mM L-글루타민 및 1 mM 피루브산나트륨이 보충된 RPMI1640 배지에서 종양 세포주를 유지하였다. 96-웰 평평한 바닥 폴리스티렌 플레이트에 웰 당 1800개의 세포를 180 μl의 부피로 시딩하였다. 세포를 37℃의 CO2 인큐베이터에서 밤새 접착시켰다. 리간드를 초기에 DMSO 중에서 제형화하고, 스톡을 -80℃에서 보관하였다. 그런 다음, RPMI1640 배지에서 10x 농도로 이들을 추가로 제형화하였다. 20 ul의 희석된 샘플을 각 치료 웰에 첨가하였다. 각 플레이트 상에, 세포가 없는 블랭크 웰, 및 세포를 함유하는 미치료 웰을 포함시켰다. 이어서, 플레이트를 37℃의 CO2 인큐베이터에서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테트라졸륨 염 기반 분석인 MTT 분석을 사용하여 세포독성을 평가하였다. 72시간 후, 각 웰로부터 상청액을 제거하고, 물 중 멸균 여과된 500 μg/ml MTT 용액 200 μl를 각 웰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플레이트를 37℃의 CO2 인큐베이터에서 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이어서, 상청액을 제거하고, 150 μl의 DMSO를 각 웰에 첨가하여 포르마잔 결정을 용해시켰다. 그런 다음, 플레이트를 플레이트 판독기 상에서 540 nm에서 판독하고, 세포 생존 백분율을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농도(x)에서의 치료 웰의 평균 흡광도 - 블랭크 웰의 평균 흡광도) χ (농도(x)에서의 미치료 웰의 평균 흡광도 - 블랭크 웰의 평균 흡광도)) x 100. Microsoft Excel에서 해당 데이터를 농도(nM 단위) 대 세포 생존률(%)로 도표화하고, 해당 도표로부터 IC50 값(세포 생존율이 절반만큼 감소되는 농도)을 결정하였다.
실시예 5. ADC 접합
항체에 대한 페이로드의 접합 ADC 접합 방법론의 일례는 아래에 제공된다. 21.5 mg IgG1 항체(PBS 중 8.0 mg/ml)를 EDTA에 2 mM의 최종 농도로 첨가하였다. 1.27 몰 당량의 TCEP(물 중 10 mM)를 첨가하고 20℃에서 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여 이를 환원시켰다. 1.5시간 후, Mal-vcMMAE로 인-프로세스 시험 접합체의 환원을 수행하고, HIC로 분석하여 환원 수준을 시험하였다. 목표 환원 수준에 도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추가의 0.1 몰 당량의 TCEP를 첨가하고 환원 시간을 1시간 연장하였다. 0.5시간 후, 제2 인-프로세스 시험을 수행하였다. 원하는 환원 수준을 확인한 후, 20%(v/v) 프로필렌 글리콜을 환원된 항체에 첨가하고, 이어서 6.4 몰 당량의 31(DMSO 중 10 mM 스톡)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6.4 몰 당량의 N-아세틸시스테인(물 중 10 mM)을 첨가하여 반응물을 퀀칭시켰다. G25를 통해 ADC에 대한 완충액을 PBS로 교환하고, 10 DV 동안 사말 여과(Vivaspin-20, 30 kDa MWCO, 0.0006 m2)로 세척하였다. HIC, SEC, PLRP, 유리 독소 링커, Endosafe를 사용하는 분석을 위해 샘플을 취하고, SEC 검량 곡선을 사용하여 농도를 결정하였다. 층류 하에서 분취를 수행하고, 생성물을 -80℃에서 보관하였다. 일회용, 멸균 및 발열원/DNA/RNA가 없는 플라스틱 용기만을 사용하였다.
확률적(Stochastic) 접합
1.1 IgG1 항체에 대한 91의 접합(ADC1 형성). 91을 HER2에 표적화된 IgG1 항체(트라스투주맙)에 확률적 방식으로 접합시켰다.
1.2 항체 QC. 해당 항체는 높은 단량체 함량으로 양호한 품질을 가졌으며, HIC 연구에서 감소된 프로파일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었다(도 15). PLRP는 감소된 경쇄 및 중쇄에 대해 예상되는 패턴을 나타냈다(도 16).
1.3 트라스투주맙에 대한 91의 접합. DAR 4 ADC, 및 SEC 분석(도 18)과 함께, HIC 분석(도 17)을 통해 DAR(약물-항체 비율) 할당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생체 내 연구
동일한 기본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생체 내 효능 및 내약성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에 대한 예시가 아래에 제공된다:
누드 마우스(CD-1 또는 적절한 종)에서 관련 세포주(즉, SK-BR-3)의 접종에 의해 수득된 종양 이종이식 모델에서 ADC의 항종양 활성을 평가하였다.
6마리의 CD1 마우스(또는 동등한 품종)를 대상으로 1일차에 IV 투여를 통한 다양한 농도에서 관련 ADC의 최대 내약 투여량(MTD)을 확립하였다.
효율적인 연구를 위해, 23-게이지 바늘을 사용하여 마우스의 옆구리에 종양을 이식하고, 군(예를 들어, 대조군 또는 ADC)에 무작위로 배정하였다. 이식 후, 디지털 캘리퍼를 사용하여 종양을 주 3회 측정하였다. 종양의 길이 및 폭을 측정하고 부피 = (길이 x 폭2)/2의 식을 사용하여 부피를 계산하였다. 연구에 참여하는 모든 마우스의 체중을 주당 3회 측정하고 기록하였다. 마우스를 매일 관찰하고, 고통의 징후 또는 일반적인 병태에 대한 변화(예를 들어, 별모피, 움직임 부족, 호흡 곤란)를 관찰하였다. 조기 종료에 대한 특정 기준을 설정하였으며, 이러한 종료는 종양 부피가 1500 mm3을 초과하거나, ≥ 15%의 체중 감소가 발생하거나, 동물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할 경우(예를 들어, 먹거나 마실 수 없음)에만 발생하였다.
마우스를 IVC 케이지(케이지 당 5마리 마우스)에 수용하였으며, 여기에서 개별 마우스는 귀 펀치로 식별되었다. 사용 전에 케이지, 침구, 및 물을 소독하였다. 동물에게 Corn-o-cobs 농축 침구를 제공하여 환경 농축 및 내포 물질을 제공하였다. 모든 동물은 표준 인증된 상용 식단 및 물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었다. 동물 유지실을 다음과 같이 유지하였다 - 20~24℃ 실온, 30~70% 습도, 및 12시간 명/암 사이클이 사용됨. 케이지를 주 1회 교체하고, 필요한 경우 음식과 물을 교체하였다. 모든 절차는 동물법(과학적 절차) 1986(the Animal (Scientific Procedures) Act 1986)의 지침에 따라 수행되었다.
ADC1의 생체 내 내약성 아래 표 4에 제시된 비교 데이터는 화합물 134의 글루쿠로니드-PABC 유닛으로 이민을 보호하는 것이, 대조군 3-ADC와 비교 시, 화합물 134-ADC의 MTD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을 입증한다.
Tmab-91(DAR 8)(즉, 트라스투주맙-91(DAR 8))에 대한 최대 내약 투여량은 100 mg/kg만큼 높은 투여량에서도 확인되지 않았다(도 19). 이러한 경우, 15%의 체중 감소가 독성 투여량으로 간주되었다. 임의의 특정 이론에 구속되지 않고, 이러한 트라스투주맙 기반 연구는 C8 위치에 당을 갖는 화합물 91이 100 mg/kg을 초과하는 내약성을 가지면서 DAR 8로 효율적으로 접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상응하는 대조군 3-DAR 8 작제물(C8 위치에서 당류 기를 함유하지 않음)의 MTD는 10 mg/kg이다. 임의의 특정 이론에 구속되지 않고, 이러한 결과는 당류 기로 C8 위치를 "마스킹"하는 것이 이에 상응하는 마스킹되지 않은 종에 비해 10배 초과만큼 내약성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ADC1의 생체 내 효능 도 20 및 아래 표 5에 제시된 Tmab-91(DAR 8)(즉, 트라스투주맙-91(DAR 8))의 5 mg/kg 단일 투여량에 대한 효능 데이터는 화합물 91이 DAR 4에서 대조군 3과 동등한 효과를 나타냄을 시사한다.
화합물 180을 포함하는 HER2 ADC 및 대조군 3을 제조하였다(DAR 8). 마우스에게 비히클, HER2 ADC, 또는 엔헤르투(Enhertu)를 투여하였다. 화합물 180을 포함하는 HER2 ADC는 HER2-저 이종이식 모델에서 엔헤르투에 비해 양호한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도 23). 화합물 180을 포함하는 HER2 ADC의 최대 내약 투여량은 마우스에서 ≥ 50 mg/kg인 것으로 밝혀졌다(단일 투여량).
화합물 E의 구조:
종양 환경(시험관 내)에서 당 모이어티의 절단 후, 생성물 E'은 다음과 같다:
이전에는, 당 모이어티를 함유하는 PBD 화합물이 치환되지 않은 부모에 비해 증가된 효능을 갖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놀랍게도, 본 발명진은 본 개시에 따른 당 함유 분자가 시험관 내에서 부모 분자보다 약 50~100배 덜 강력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당류 기는 종양의 미세환경에서 절단 가능하며, 이를 통해 부모 분자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본 개시에 따른 화합물은 페이로드로서 부모 화합물에 비해 실질적으로 증가된 내약성 프로파일, 및 증가된 용해도를 갖는다.
본 개시에 따른 화합물의 예는 다음의 표에 제시된 바와 같다:
여기에서, RS는 1가 당류 치환기, 바람직하게는 글리코실 또는 O-글리코실이다.
요약
당-치환 A- 및 G-알킬화 작제물은 초기에는 친수성을 증가시키고 보다 효율적인 접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시도로서 제조되었다. 내약성 프로파일의 차이는 예상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당류 기의 첨가가 친수성을 향상시켰고, 이는 보다 높은 DAR의 효율적인 항체 접합(즉, DAR 8이 용이하게 달성됨)을 가능하게 함을 입증하였다. 본 결과는 또한 화합물 134에서와 같이, 알킬화 이민 PDD N11 위치의 전통적인 전구약물화가 내약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본원 및 종래 기술에 제시된 네이키드 페이로드의 세포독성 데이터를 감안 시 놀라운 결과이다. 당이 PDD C8 위치에서 치환되는 '마스킹' 접근법(예를 들어, 화합물 91)은 ADC 형태의 10배를 초과하는 내약성 향상을 야기하였다(즉, 대조군 3-DAR8에 대한 10 mg/kg의 MTD와 비교 시, 화합물 91-DAR8에 대해 >100 mg/kg의 MTD). 이는 완전히 예상치 못한 결과였다.
화합물 91-DAR8 작제물은 대조군 3-DAR4 작제물과 유사한 효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화합물 91-DAR8의 내약성은 대조군 3-DAR4의 내약성보다 2배 더 컸으며, 이를 통해 치료 윈도우를 실질적으로 확장시켰다. C8기에 대한 메톡시(화합물 163의 C8-OMe)로부터 하이드록시(화합물 79의 C8-OH)로의 변경은 페이로드 세포독성에 극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C8-OMe 화합물(화합물 163)에 비해 감소된 효능을 나타냈다. 임의의 특정 이론에 구속되지 않고, 이러한 결과는 C8-OH 화합물의 막 침투 문제(예를 들어, 화합물이 세포막을 가로지르지 못함)로 인한 것으로 예상된다. 구현예에서, 임의의 특정 이론에 구속되지 않고, C8-OH 화합물은 C8-OMe(또는 다른 C8-O알킬 화합물)에 비해 감소된 독성(예를 들어, 표적 외 독성)을 나타내며, 이는 일단 페이로드가 ADC에 의해 세포 내로 내재화되면, 해당 C8-OH 화합물은 세포 내에 남아 있기 때문이다(예를 들어, 이들은 세포막을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세포를 빠져나갈 수 없음). 당류 기의 유형 및 페이로드 이의 스캐폴드 상의 치환 위치는 내약성 프로파일에 중요성을 갖는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예를 들어, N11-당(화합물 134)은 치환되지 않은 제제와 비교하여 내약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C8-당(화합물 91)은 치환되지 않은 제제와 비교하여 내약성의 극적인 증가를 나타냈다.
참고문헌
[1]
aD. Antonow, D. E. Thurston, Chem Rev 2011, 111, 2815-2864; bL. Cipolla, A. C. Araujo, C. Airoldi, D. Bini, Anticancer Agents Med Chem 2009, 9, 1-31; cB. Gerratana, Med Res Rev 2012, 32, 254-293; dJ. A. Hartley, Expert Opin Investig Drugs 2011, 20, 733-744; eA. Kamal, K. L. Reddy, V. Devaiah, N. Shankaraiah, D. R. Reddy, Mini Rev Med Chem 2006, 6, 53-69.
[2]
D. S. Bose, G. B. Jones, D. E. Thurston, Tetrahedron 1992, 48, 751-758.
[3]
L. H. Hurley, T. Reck, D. E. Thurston, D. R. Langley, K. G. Holden, R. P. Hertzberg, J. R. Hoover, G. Gallagher, Jr., L. F. Faucette, S. M. Mong, et al., Chem Res Toxicol 1988, 1, 258-268.
[4]
G. Wells, C. R. Martin, P. W. Howard, Z. A. Sands, C. A. Laughton, A. Tiberghien, C. K. Woo, L. A. Masterson, M. J. Stephenson, J. A. Hartley, T. C. Jenkins, S. D. Shnyder, P. M. Loadman, M. J. Waring, D. E. Thurston,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2006, 49, 5442-5461.
[5]
aF. Brucoli, R. M. Hawkins, C. H. James, P. J. Jackson, G. Wells, T. C. Jenkins, T. Ellis, M. Kotecha, D. Hochhauser, J. A. Hartley, P. W. Howard, D. E. Thurston,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2013, 56, 6339-6351; bM. Kotecha, J. Kluza, G. Well', C. C. O'Hare, C. Forni, R. Mantovani, P. W. Howard, P. Morris, D. E. Thurston, J. A. Hartley, D. Hochhauser, Mol Cancer Ther 2008, 7, 1319-1328.
[6]
aM. S. Puvvada, J. A. Hartley, T. C. Jenkins, D. E. Thurston, Nucleic Acids Res 1993, 21, 3671-3675; bP. H. Clingen, I. U. De Silva, P. J. McHugh, F. J. Ghadessy, M. J. Tilby, D. E. Thurston, J. A. Hartley, Nucleic Acids Res 2005, 33, 3283-3291.
[7]
M. S. Puvvada, S. A. Forrow, J. A. Hartley, P. Stephenson, I. Gibson, T. C. Jenkins, D. E. Thurston, Biochemistry 1997, 36, 2478-2484.
[8]
aM. D. Barkley, S. Cheatham, D. E. Thurston, L. H. Hurley, Biochemistry 1986, 25, 3021-3031; bJ. Seifert, S. Pezeshki, A. Kamal, K. Weisz, Organic & Biomolecular Chemistry 2012, 10, 6850-6860.
[9]
M. Smellie, D. S. Bose, A. S. Thompson, T. C. Jenkins, J. A. Hartley, D. E. Thurston, Biochemistry 2003, 42, 8232-8239.
[10]
M. L. Kopka, D. S. Goodsell, I. Baikalov, K. Grzeskowiak, D. Cascio, R. E. Dickerson, Biochemistry 1994, 33, 13593-13610.
[11]
R. Kizu, P. H. Draves, L. H. Hurley, Biochemistry 1993, 32, 8712-8722.
[12]
S. J. Gregson, P. W. Howard, J. A. Hartley, N. A. Brooks, L. J. Adams, T. C. Jenkins, L. R. Kelland, D. E. Thurston,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2001, 44, 737-748.
[13]
I. Puzanov, W. Lee, A. P. Chen, M. W. Calcutt, D. L. Hachey, W. L. Vermeulen, V. J. Spanswick, C. Y. Liao, J. A. Hartley, J. D. Berlin, M. L. Rothenberg, Clinical Cancer Research 2011, 17, 3794-3802.
[14]
M. L. Miller, N. E. Fishkin, W. Li, K. R. Whiteman, Y. Kovtun, E. E. Reid, K. E. Archer, E. K. Maloney, C. A. Audette, M. F. Mayo, A. Wilhelm, H. A. Modafferi, R. Singh, J. Pinkas, V. Goldmacher, J. M. Lambert, R. V. Chari, Mol Cancer Ther 2016, 15, 1870-1878.
[15]
aM. G. Brazhnikova, N. V. Konstantinova, A. S. Mesentsev, J Antibiot (Tokyo) 1972, 25, 668-673; bL. H. Hurley, C. Gairola, M. Zmijewski, Biochim Biophys Acta 1977, 475, 521-535.
[16]
P. J. Jackson, C. H. James, T. C. Jenkins, K. M. Rahman, D. E. Thurston, ACS Chem Biol 2014, 9, 2432-2440.
[17]
B. S. Reddy, Y. Damayanthi, J. W. Lown, Anticancer Drug Des 2000, 15, 225-238.
[18]
aS. C. Jeffrey, J. De Brabander, J. Miyamoto, P. D. Senter, ACS medicinal chemistry letters 2010, 1, 277-280; bS. J. Gregson, A. M. Barrett, N. V. Patel, G. D. Kang, D. Schiavone, E. Sult, C. S. Barry, B. Vijayakrishnan, L. R. Adams, L. A. Maste'son, F. D'Hooge, M. Snaith, J. Harper, J. A. Hartley, P. W. Howard, Eur J Med Chem 2019, 179, 591-607.
[19]
aT. Satomaa, H. Pynnonen, A. Vilkman, T. Kotiranta, V. Pitkanen, A. Heiskanen, B. Herpers, L. S. Price, J. Helin, J. Saarinen, Antibodies (Basel) 2018, 7; bT. Legigan, J. Clarhaut, B. Renoux, I. Tranoy-Opalinski, A. Monvoisin, C. Jayle, J. Alsarraf, M. Thomas, S. Papot, Eur J Med Chem 2013, 67, 75-80.
[20]
J. Mantaj, P. J. Jackson, K. M. Rahman, D. E. Thurston, Angew Chem Int Ed Engl 2017, 56, 462-488.
[21]
Hurley L, Thurston D. Pyrrolo(l,4)benzodiazepine antitumor antibiotics: chemistry, interaction with DNA, and biological implications. Pharm. Res. 1984, 1, 52-59.
본 명세서에 언급된 전술한 모든 간행물은 본원에 참조로서 통합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구현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에서 상세히 개시되었지만, 본 개시는 해당 정확한 구현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첨부된 청구범위 및 이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해당 범주 안에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32)
-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 용매화물, 또는 호변이성질체로서:
식 중:
D는 알킬화 DNA 마이너 홈 결합 유닛의 공급원이고;
Q는 링커이고;
B는 DNA 결합 아미드 함유 사슬이고;
T는 말단기이되,
D, B, Q, 및/또는 T는 적어도 하나의 탄수화물 치환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 용매화물, 또는 호변이성질체. - 제1항에 있어서, 탄수화물 치환기는 용어 RS로 제시되는 1가 당류 치환기이고, 바람직하게는 RS는 글리코실 또는 O-글리코실인, 화합물.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D는 G를 포함하되, G는 하기 화학식 (II)의 G-알킬화 DNA기이며:
식 중:
점선은 C1과 C2, C2와 C3, 및 C3와 C4 사이 중 하나 이상의 이중 결합의 임의의 존재를 나타내고;
물결선은 Q에 대한 부착 지점을 나타내고;
m은 0 또는 1이고;
R1,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H 및 R29로부터 선택되거나; R2는 H, L2-R28, R29, 및 -LS-RS로부터 선택되거나; R1 및 R2, R2 및 R3, 또는 R3 및 R4 중 하나는 이들이 부착되는 탄소 원자와 함께 1, 2 또는 3개의 독립적으로 선택된 임의의 R20 기로 임의로 치환된 6-원 아릴, 또는 5- 또는 6-원 고리, 헤테로고리, 또는 헤테로아릴 고리를 형성하고;
R5 및 R6은, (i) R5가 H, OH 및 OC1-6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6은 H, SO3H, -LS-RS, 질소 보호기, -L2-R28, 및 RA로부터 선택되거나; (ii) R5가 옥소 또는 H이고, R6은 H 또는 C1-6 알킬이거나; (iii) R5 및 R6은 함께 이중 결합을 형성하도록, 선택되고;
R7 및 R9는 독립적으로 H 및 R20으로부터 선택되고;
R8은 H, SR24, SCH2Ph, R20, L2-R28, 및 -LS-RS로부터 선택되고;
RA는 (CH2)j-OH, (CH2)j-CO2R26, C(=O)-O-(CH2)k-NR26R27, (CH2)jNR26R27, C(=O)-NH-(CH2)j-NR26R27, 및 C(=O)-NH-(CH2)k-C(=NH)NR26R27로부터 선택되고;
링커 L2는 결합이거나, C, N, P, O, S, 또는 할로겐으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200개의 비수소 원자를 갖는 링커 모이어티이며, 선택적으로, 에테르, 옥소, 카르복사미딜, 우레아닐, 분지형, 환형, 불포화, 헤테로시클릴,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모이어티를 포함하고;
R28은 아지드, 알킨, 바이설폰, 카르보하이드라지드, 하이드라진, 하이드록실아민, 요오드아세트아미드,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말레이미드, 포스핀, 피리도피리다진, 세미하이드라지드, 숙신이미딜 에스테르, 설포디클로로페놀 에스테르, 설포닐 할라이드, 설포숙신이미딜 에스테르, 4-설포테트라플루오로페닐 에스테르, 테트라플루오로페닐 에스테르, 티아졸, RA, O-(CH2)k-NR26R26, NHNH2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표적화제이되, 표적화제는 단백질, 단백질의 일 부분, 펩티드, 핵산, 또는 항체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29는 독립적으로, R20, R21, =CH2, =CH-(CH2)s-CH3, =CH-(CH2)s-R21, =O, (CH2)s-OR21, (CH2)s-CO2R21, (CH2)s-NR21R24, O-(CH2)t-NR21R24, NH-C(O)-R21, O-(CH2)t-NH-C(O)-R21, O-(CH2)t-C(O)-NH-R21, (CH2)s-SO2R21, O-SO2R21, (CH2)s-C(O)R21, 및 (CH2)s-C(O)NR21R24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20은 독립적으로, F, Cl, Br, (CH2)j-OH, C1-6 알킬, OC1-6 알킬, OCH2Ph, (CH2)j-CO2R26, O-(CH2)k-NR26R27, C(=O)-O-(CH2)k-NR26R27, C(=O)-NR26R27, (CH2)j-NR26R27, NR26NH2, C(=O)-NH-(CH2)j-NR26R27, C(=O)-NH-C6H4-(CH2)j-R26, C(=O)-NH-(CH2)k-C(=NH)NR26R27, -L2-R28, S(O)2-(C1-6 알킬), O-(CH2)k-O-(C1-6 알킬), (CH2)j-S(O)2-NR26R27, C(=NH)-O-(C1-6 알킬), (CH2)k-O-(C1-6 알킬), CN, NCO, Cy, C(O)-NH-(CH2)j-Cy, C(O)-Cy, NH-C(O)-NR26R27, 및
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j 및 s는 0, 1, 2, 3, 4, 5, 또는 6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각각의 k 및 t는 1, 2, 3, 4, 5, 또는 6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각각의 R21은 독립적으로, H, C1-12 알킬, C5-6 헤테로시클릴, C5-9 헤테로아릴, C6-15 헤테로아릴알킬, 페닐, 및 C7-12 아랄킬기로부터 선택되되;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알킬, 페닐, 및 아랄킬기는 1, 2 또는 3개의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임의의 R20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각각의 R24, R26, 및 R27은 독립적으로 H 및 C1-12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Cy는 독립적으로 C5-6 헤테로시클릴 또는 C5-6 헤테로아릴기로부터 선택되되, 헤테로시클릴 또는 헤테로아릴기는 1개 또는 2개의 R20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LS는 결합, 아미노산, 2 내지 6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티드 사슬, 하나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또는 삼중 결합을 함유할 수 있는 1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렌 사슬, 파라포름알데히드 사슬 -(OCH2)1-12-, 폴리에틸렌 글리콜 사슬 -(OCH2CH2)1-6-이며, 이들 사슬은 P, O, S, NH, C5-9 헤테로아릴렌, 페닐렌, 헤테로시클릴, 시클로알킬, 에테르, 옥소, 카복사미딜, 및/또는 우레타닐 모이어티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중단되거나 이를 임의로 혼입하되, C5-9 헤테로아릴렌, 페닐렌, 헤테로시클릴, 및/또는 시클로알킬 모이어티는 임의로 치환되고, 임의로, LS는 다음과 같고:
또는 ;
LC는 아미노산, 아미노산 유도체, 2 내지 6개의 아미노산 또는 아미노산 유도체를 갖는 펩티드 사슬, 하나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또는 삼중 결합을 함유할 수 있는 1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렌 사슬, 파라포름알데히드 사슬 -(OCH2)1-12-, 폴리에틸렌 글리콜 사슬 -(OCH2CH2)1-8-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를 포함하며, 이러한 사슬은 P, O, S, 및/또는 NH기, 및/또는 C5-9 헤테로아릴렌, 및/또는 페닐렌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중단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각각의 C5-9 헤테로아릴렌기 및/또는 각각의 페닐렌기는 임의로 치환되고;
RS는 1가 당류 치환기, 바람직하게는 글리코실 또는 O-글리코실인, 화합물. - 제3항에 있어서, G는 하기 화학식 G1 내지 G8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G1);
(G2);
(G3);
(G4);
(G5);
(G6);
(G7); 및
(G8).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D는 화학식 (IIIa) 또는 (IIIb)의 A, A-알킬화 DNA 기를 포함하며:
식 중:
Z1은 이탈기, 선택적으로 할라이드, 트리플레이트, 또는 토실레이트이고;
X는 C-R17, N, N-R17, S 또는 O이고; X에 대한 점선은 X의 성질에 따른 이중 결합의 임의의 존재를 나타내고;
R17은 H, -LS-RS, 또는 R20이고;
R20은 독립적으로, F, Cl, Br, (CH2)j-OH, C1-6 알킬, OC1-6 알킬, OCH2Ph, (CH2)j-CO2R26, O-(CH2)k-NR26R27, C(=O)-O-(CH2)k-NR26R27, C(=O)-NR26R27, (CH2)j-NR26R27, NR26NH2, C(=O)-NH-(CH2)j-NR26R27, C(=O)-NH-C6H4-(CH2)j-R26, C(=O)-NH-(CH2)k-C(=NH)NR26R27, -L2-R28, S(O)2-(C1-6 알킬), O-(CH2)k-O-(C1-6 알킬), (CH2)j-S(O)2-NR26R27, C(=NH)-O-(C1-6 알킬), (CH2)k-O-(C1-6 알킬), CN, NCO, Cy, C(O)-NH-(CH2)j-Cy, C(O)-Cy, NH-C(O)-NR26R27, 및
로부터 선택되고;
링커 L2는 결합이거나, C, N, P, O, S, 또는 할로겐으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200개의 비수소 원자를 갖는 링커 모이어티이며, 선택적으로, 에테르, 옥소, 카르복사미딜, 우레아닐, 분지형, 환형, 불포화, 헤테로시클릴,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모이어티를 포함하고;
R28은 아지드, 알킨, 바이설폰, 카르보하이드라지드, 하이드라진, 하이드록실아민, 요오드아세트아미드,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말레이미드, 포스핀, 피리도피리다진, 세미하이드라지드, 숙신이미딜 에스테르, 설포디클로로페놀 에스테르, 설포닐 할라이드, 설포숙신이미딜 에스테르, 4-설포테트라플루오로페닐 에스테르, 테트라플루오로페닐 에스테르, 티아졸, RA, O-(CH2)k-NR26R26, NHNH2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표적화제이되, 표적화제는 단백질, 단백질의 일 부분, 펩티드, 핵산, 또는 항체로부터 선택되고;
RA는 (CH2)j-OH, (CH2)j-CO2R26, C(=O)-O-(CH2)k-NR26R27, (CH2)jNR26R27, C(=O)-NH-(CH2)j-NR26R27, 및 C(=O)-NH-(CH2)k-C(=NH)NR26R27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26 및 R27은 독립적으로 H 및 C1-12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Cy는 독립적으로 C5-6 헤테로시클릴 또는 C5-6 헤테로아릴기로부터 선택되되, 헤테로시클릴 또는 헤테로아릴기는 1개 또는 2개의 R20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각각의 j는 0, 1, 2, 3, 4, 5, 또는 6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각각의 k는 1, 2, 3, 4, 5, 또는 6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z는 '''r 1이고;
R'''은 OH 또는 -LS-RS이고;
LS는 결합, 아미노산, 2 내지 6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티드 사슬, 하나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또는 삼중 결합을 함유할 수 있는 1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렌 사슬, 파라포름알데히드 사슬 -(OCH2)1-12-, 폴리에틸렌 글리콜 사슬 -(OCH2CH2)1-6-이며, 이들 사슬은 P, O, S, NH, C5-9 헤테로아릴렌, 페닐렌, 헤테로시클릴, 시클로알킬, 에테르, 옥소, 카복사미딜, 및/또는 우레타닐 모이어티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중단되거나 이를 임의로 혼입하되, C5-9 헤테로아릴렌, 페닐렌, 헤테로시클릴, 및/또는 시클로알킬 모이어티는 임의로 치환되고, 임의로, LS는 다음과 같고:
;
RS는 1가 당류 치환기, 바람직하게는 글리코실 또는 O-글리코실인, 화합물.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R1, R3, R7, 및 R9는 H인, 화합물.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V의 화합물인, 화합물: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Q는 X1-L-X2를 포함하며,
식 중:
X1은 O, S, NR13, CR13R14, CR13R14O, C(=O), C(=O)NR13, NR13C(=O), O-C(O), 및 C(O)-O로부터 선택되거나, 부재하고;
L은 아미노산, 2 내지 6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티드 사슬, 하나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또는 삼중 결합을 함유할 수 있는 1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렌 사슬, 파라포름알데히드 사슬 -(OCH2)1-12-, 폴리에틸렌 글리콜 사슬 -(OCH2CH2)1-6-로부터 선택되며, 이러한 사슬은 P, O, S, 및/또는 NH기, 및/또는 C5-9 헤테로아릴렌, 및/또는 페닐렌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중단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각각의 C5-9 헤테로아릴렌기 및/또는 각각의 페닐렌기는 임의로 치환되고;
X2는 O, S, NR15, CR15R16, CR15R16O, C(=O), C(=O)NR15, NR15C, (=O), O-C(O), 및 C(O)-O로부터 선택되거나, 부재하고;
R13, R14, R15, 및 R16은 독립적으로 H 및 C1-6 알킬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B는 (A)q를 포함하며,
식 중:
q는 0, 1, 2, 3, 4, 5, 및 6으로부터 선택되고;
A는 다음으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A1기에 대해, Y3 및 Y4 중 하나는 독립적으로 N-R30, S, 및 O로부터 선택되고; Y3 및 Y4 중 다른 하나는 CH이고; Y5는 독립적으로 CR30, N, S, 및 COH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A2 기에 대해, Y6 및 Y7 중 하나는 독립적으로 N 및 CH로부터 선택되고; Y6 및 Y7 중 다른 하나는 CR30이고;
각각의 R30은 독립적으로 H, C1-6 알킬, L2-R28, 및 RS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는 하기 화학식의 기를 포함하며:
식 중:
p는 0 또는 1이고;
RT는 -L2-R28, 페닐, 및 C5-9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되, 페닐 및 C5-9 헤테로아릴기는 OH, C1-6 알킬, OC1-6 알킬, -L2-R28, (CH2)j-CO2R11, O-(CH2)k-NR11R12, (CH2)j-NR11R12, C(=O)-NH-(CH2)k-NR11R12, C(=O)-NH-R24, 및 C(=O)-NH-(CH2)k-C(=NH)NR11R12로부터 선택되는 최대 3개의 임의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되, 단, 임의로, 임의로 치환된 C5-9 헤테로아릴은 인돌릴이 아니고;
R19는 H, C1-6 알킬, L2-R28, RS, 및 (CH2)t-NR20R21로부터 선택되고;
Y1 및 Y2는 독립적으로 N 또는 CR31이되, Y1 및 Y2 중 적어도 하나는 CR31이고;
각각의 R31은 독립적으로 H, C1-6 알킬, L2-R28, 및 RS로부터 선택되고;
R11, R12, 및 R24는 독립적으로 H, -L2-R28, 및 C1-6 알킬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또는 용매화물:
식 중, RS는 1가 당류 치환기, 바람직하게는 글리코실 또는 O-글리코실임.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의 L2-R28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 제12항에 있어서, D, T, Q, 및/또는 B는 L2-R28기로 치환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L2는 다음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
(식 중 XAA는 아미노산 서열이고; K2는 -[CH2CH2O-0-50- 또는 -[CH2]0-12-임.) - 제3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LS는 다음과 같고:
,
식 중 LC는 아미노산, 아미노산 유도체, 2 내지 6개의 아미노산 또는 아미노산 유도체를 갖는 펩티드 사슬, 하나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또는 삼중 결합을 함유할 수 있는 1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렌 사슬, 파라포름알데히드 사슬 -(OCH2)1-12-, 폴리에틸렌 글리콜 사슬 -(OCH2CH2)1-8-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를 포함하며, 이러한 사슬은 P, O, S, 및/또는 NH기, 및/또는 C5-9 헤테로아릴렌, 및/또는 페닐렌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중단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각각의 C5-9 헤테로아릴렌기 및/또는 각각의 페닐렌기는 임의로 치환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 제15항에 있어서, LC는 , 임의로 또는 를 포함하는, 화합물.
-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LC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사슬 -(OCH2CH2)1-8-, 임의로 -(OCH2CH2)8-을 포함하는, 화합물.
-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8-LC는 다음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 제12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AA는 L-발릴-L-알라닌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 제12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8은 말레이미드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
이는 임의로 표적화제에 연결됨. - 제12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L2-R28은 다음을 포함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
;
;
;
;
;
;
;
;
이들은 임의로 표적화제에 연결됨. - 표적화제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표적화 접합체를 제공하는, 제2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
- 제22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의 L2-R28기를 포함하고, 표적화제는 상기 L2-R28기를 통해 화합물에 연결되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
- 제2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적화제는 항체, 항체 단편, 호르몬, 또는 호르몬 단편을 포함하는, 화합물.
- 의약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
- 증식성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
- 제26에 있어서, 증식성 질환은 방광암, 골암, 장암, 뇌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결장암, 두경부암, 백혈병, 간암, 폐암, 림프종, 흑색종, 식도암, 구강암, 난소암, 췌장암, 전립선암, 직장암, 신장암, 망막아종, 육종, 피부암, 위암, 고환암, 갑상선암, 및 자궁암으로부터 선택되는, 증식성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
-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 그리고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 증식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의,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의 용도.
- 증식성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의 치료 방법으로서,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제28항의 약학적 조성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상기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30항에 있어서, 증식성 질환은 방광암, 골암, 장암, 뇌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결장암, 두경부암, 백혈병, 간암, 폐암, 림프종, 흑색종, 식도암, 구강암, 난소암, 췌장암, 전립선암, 직장암, 신장암, 망막아종, 육종, 피부암, 위암, 고환암, 갑상선암, 및 자궁암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 및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항체 약물 접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US202263387426P | 2022-12-14 | 2022-12-14 | |
| US63/387,426 | 2022-12-14 | ||
| PCT/IB2023/062733 WO2024127332A1 (en) | 2022-12-14 | 2023-12-14 | Cytotoxic compounds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50135788A true KR20250135788A (ko) | 2025-09-15 |
Family
ID=8961950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57023279A Pending KR20250135788A (ko) | 2022-12-14 | 2023-12-14 | 세포독성 화합물 |
Country Status (5)
| Country | Link |
|---|---|
| KR (1) | KR20250135788A (ko) |
| AU (1) | AU2023393382A1 (ko) |
| IL (1) | IL321251A (ko) |
| MX (1) | MX2025006930A (ko) |
| WO (1) | WO2024127332A1 (ko) |
Family Cites Families (3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IL47062A (en) | 1975-04-10 | 1979-07-25 | Yeda Res & Dev | Process for diminishing antigenicity of tissues to be usedas transplants by treatment with glutaraldehyde |
| US4650770A (en) | 1981-04-27 | 1987-03-17 | Syntex (U.S.A.) Inc. | Energy absorbing particle quenching in light emitting competitive protein binding assays |
| US4816567A (en) | 1983-04-08 | 1989-03-28 | Genentech, Inc. | Recombinant immunoglobin preparations |
| IL85746A (en) | 1988-03-15 | 1994-05-30 | Yeda Res & Dev | Preparations comprising t-lymphocyte cells treated with 8-methoxypsoralen or cell membranes separated therefrom for preventing or treating autoimmune diseases |
| FI891226A7 (fi) | 1988-04-28 | 1989-10-29 |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 Anti-T-solun reseptorideterminantit autoimmuunisairauden hoitoon |
| WO1990008187A1 (en) | 1989-01-19 | 1990-07-26 | Dana Farber Cancer Institute | Soluble two domain cd2 protein |
| CA2046909A1 (en) | 1989-03-21 | 1990-09-22 | Mark D. Howell | Vaccination and methods against diseases resulting from pathogenic responses by specific t cell populations |
| EP0552142B2 (en) | 1989-07-19 | 2003-12-17 | Corporation Connetics | T cell receptor peptides as therapeutics for autoimmune and malignant disease |
| US6214345B1 (en) | 1993-05-14 | 2001-04-10 | Bristol-Myers Squibb Co. | Lysosomal enzyme-cleavable antitumor drug conjugates |
| EP0931147A1 (en) | 1996-10-18 | 1999-07-28 | Genentech, Inc. | ANTI-ErbB2 ANTIBODIES |
| US20050014700A1 (en) | 2001-09-07 | 2005-01-20 | Boger Dale L. | Cbi analogues of cc-1065 and the duocarmycins |
| GB0316294D0 (en) | 2003-07-11 | 2003-08-13 | Polytherics Ltd | Conjugated biological molecules and their preparation |
| CA2556752C (en) | 2004-02-23 | 2016-02-02 | Genentech, Inc. | Heterocyclic self-immolative linkers and conjugates |
| EP1791565B1 (en) | 2004-09-23 | 2016-04-20 | Genentech, Inc. | Cysteine engineered antibodies and conjugates |
| US7985783B2 (en) | 2006-09-21 | 2011-07-26 |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 Aldehyde tags, uses thereof in site-specific protein modification |
| US7723485B2 (en) | 2007-05-08 | 2010-05-25 | Genentech, Inc. | Cysteine engineered anti-MUC16 antibodies and antibody drug conjugates |
| MX2010003718A (es) | 2007-10-19 | 2010-04-21 | Genentech Inc | Anticuerpos anti-tenb2 producidos por ingenieria de cisteina y conjugados de farmaco y anticuerpo. |
| JP6125614B2 (ja) | 2012-04-30 | 2017-05-10 | ユーシーエル ビジネス ピーエルシー | ピロロベンゾジアゼピン |
| MX368234B (es) | 2014-01-10 | 2019-09-25 | Synthon Biopharmaceuticals Bv | Conjugados de anticuerpo-fármaco (adcs) que contienen duocarmicina para usarse en el tratamiento de cáncer endometrial. |
| WO2015104059A1 (en) | 2014-01-10 | 2015-07-16 | Statoil Petroleum As | Determining a component of a wave field |
| SG10201809668TA (en) | 2014-09-12 | 2018-11-29 | Genentech Inc | Anti-her2 antibodies and immunoconjugates |
| US10174048B2 (en) | 2015-07-21 | 2019-01-08 | Nerviano Medical Sciences S.R.L. | Asymmetric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thieno-indoles derivatives |
| GB201514928D0 (en) | 2015-08-21 | 2015-10-07 | King S College London | PDD compounds |
| JP7327899B2 (ja) | 2015-11-25 | 2023-08-16 | レゴケム バイオサイエンシズ, インク. | 分岐リンカーを含む抗体-薬物複合体及びそれらに関連する方法 |
| EP3458069B1 (en) | 2016-05-18 | 2023-07-05 | Mersana Therapeutics, Inc. | Pyrrolobenzodiazepines and conjugates thereof |
| CN109641910A (zh) | 2016-06-24 | 2019-04-16 | 梅尔莎纳医疗公司 | 吡咯并苯二氮*及其缀合物 |
| CN110430901B (zh) * | 2017-03-24 | 2024-08-16 | 西雅图基因公司 | 制备葡糖苷酸药物-接头及其中间体的方法 |
| KR20200017391A (ko) | 2017-06-21 | 2020-02-18 | 글리코스 핀란드 오이 | 친수성 링커 및 이의 접합체 |
| WO2019104289A1 (en) | 2017-11-27 | 2019-05-31 | Mersana Therapeutics, Inc. | Pyrrolobenzodiazepine antibody conjugates |
| JP2021506883A (ja) | 2017-12-21 | 2021-02-22 | メルサナ セラピューティ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ピロロベンゾジアゼピン抗体結合体 |
| WO2020222573A1 (ko) | 2019-05-02 | 2020-11-05 | 주식회사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 | 트리스 구조를 가지는 링커를 포함하는 리간드-약물 접합체 |
| US20230310640A1 (en) | 2019-12-31 | 2023-10-05 | Legochem Biosciences, Inc. | Pyrrolobenzodiazepine derivative and ligand-linker conjugate thereof |
| GB2597532A (en) * | 2020-07-28 | 2022-02-02 | Femtogenix Ltd | Cytotoxic compounds |
-
2023
- 2023-12-14 WO PCT/IB2023/062733 patent/WO2024127332A1/en not_active Ceased
- 2023-12-14 KR KR1020257023279A patent/KR20250135788A/ko active Pending
- 2023-12-14 AU AU2023393382A patent/AU2023393382A1/en active Pending
-
2025
- 2025-06-03 IL IL321251A patent/IL321251A/en unknown
- 2025-06-13 MX MX2025006930A patent/MX2025006930A/es unknown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AU2023393382A1 (en) | 2025-06-19 |
| IL321251A (en) | 2025-08-01 |
| WO2024127332A1 (en) | 2024-06-20 |
| MX2025006930A (es) | 2025-09-02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20240002379A1 (en) | Asymmetric conjugate compounds | |
| CN109963870B (zh) | 抗b7-h3抗体和抗体药物偶联物 | |
| EP4406608A2 (en) | Protein-drug conjugates comprising camptothecin analogs and methods of use thereof | |
| JP2024541059A (ja) | Bcmaモノクローナル抗体及び抗体薬物複合体 | |
| JP7429987B2 (ja) | 架橋ピロロベンゾジアゼピン二量体(pbd)誘導体及びその共役体 | |
| JP2024038168A (ja) | 生物活性分子コンジュゲート、その調製法及び使用 | |
| CA2852860C (en) | Cytotoxic peptides and antibody drug conjugates thereof | |
| AU2015308179B2 (en) | Stability-modulating linkers for use with antibody drug conjugates | |
| US20210371413A1 (en) | Polycyclic amides as cytotoxic agents | |
| CN109562170B (zh) | 抗cd98抗体及抗体药物偶联物 | |
| KR20230034957A (ko) | 캄프토테신 유사체를 갖는 세포-결합 분자의 접합체 | |
| KR20240043823A (ko) | 링커, 약물 링커 및 그의 접합체, 및 그의 사용 방법 | |
| CA3168882A1 (en) | Camptothecin derivatives and conjugates thereof | |
| JP7576779B2 (ja) | 抗体-stingアゴニスト複合体および免疫療法におけるそれらの使用 | |
| CA2934617A1 (en) | Antibody drug conjugates (adcs) with kinesin spindle protein (ksp) | |
| TW201420117A (zh) | 抗體-藥物複合體 | |
| CA2990076A1 (en) | Antibody drug conjugates (adcs) and antibody prodrug conjugates (apdcs) with enzymatically cleavable groups | |
| CA3016172A1 (en) | Derivatives of amanita toxins and their conjugation to a cell binding molecule | |
| TW201420118A (zh) | 以含親水性構造的連結物鍵結之抗體-藥物複合體 | |
| CN108026123A (zh) | 用于偶联的亲水链接体 | |
| JP2018524313A (ja) | キネシンスピンドルタンパク質(ksp)阻害剤の抗b7h3抗体との抗体薬物複合体 | |
| JP2018528161A (ja) | Ksp阻害剤との部位特異的均一複合体 | |
| TWI712605B (zh) | 含有cti藥效基團之雙功能性細胞毒性劑 | |
| CA3241734A1 (en) | Camptothecin analogs conjugated to a glutamine residue in a protein, and their use | |
| JP2019537622A (ja) | 非線状自壊性リンカーおよびそのコンジュゲート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