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50139443A - Common entrance security service provision system - Google Patents

Common entrance security service provision system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50139443A
KR20250139443A KR1020240036175A KR20240036175A KR20250139443A KR 20250139443 A KR20250139443 A KR 20250139443A KR 1020240036175 A KR1020240036175 A KR 1020240036175A KR 20240036175 A KR20240036175 A KR 20240036175A KR 20250139443 A KR20250139443 A KR 20250139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ime entry
terminal
common entrance
service ser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361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지환
김재건
신유진
이진미
전다은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40036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50139443A/en
Publication of KR20250139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50139443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41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the transmitted data signal being encrypt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4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the transmitted data signal containing a code which is chang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 현관 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공동 주택의 출입을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공동 보안 장치; 임의의 제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정보이면서, 상기 제품을 제공받고자 하는 주소지를 포함하는 정보인 구매 정보를 입력받도록 마련되는 구매자 단말기; 상기 구매자 단말기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구매 정보를 제공받은 이후, 상기 구매 정보에 포함된 주소지에 대한 출입 권한을 일시적으로 부여하는 정보인 일회성 출입 정보를 생성하는 서비스 서버; 상기 구매자 단말기를 통해 구매되는 제품을 판매하도록 마련되면서, 상기 서비스 서버와 통신 연결되며,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일회성 출입 정보를 획득하는 제품 판매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현관 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oint entrance security service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joint security device configured to restrict entry into an joint residence; a purchaser terminal configured to receive purchase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for purchasing a certain product and includes an address for receiving the product; a service server configured to be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purchaser terminal and, after receiving the purchase information, generate one-time entry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for temporarily granting entry authority to an address included in the purchase information; and a product seller terminal configured to sell a product purchased through the purchaser terminal, which is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service server, and obtains one-time entry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server.

Description

공동 현관 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mmon entrance security service provision system}Common entrance security service provision system

본 발명은 공동 현관 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현관문이 구비된 거주지에 거주하는 사용자가 택배 또는 배달을 주문 시, 택배기사 또는 배달기사에게 생성될 때마다 새롭게 변경되는 일회용 출입 정보가 전달되며, 택배기사 또는 배달기사가 전달받은 일회용 출입 정보를 공동현관의 보안장치에 인식시키면 현관을 출입할 수 있는 공동 현관 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a common entrance security ser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system for providing a common entrance security service in which, when a user residing in a residence equipped with a common entrance door orders a parcel delivery or delivery, disposable entry information that is newly changed each time it is generated is transmitted to the parcel delivery person or delivery person, and when the parcel delivery person or delivery person recognizes the received disposable entry information in the security device of the common entrance, the user can enter and exit the entrance.

일반적으로 공동현관에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아파트 또는 다가구 주택은 비밀번호가 모든 입주민에게 공유되는데, 비밀번호가 입주민 뿐만 아니라 택배기사, 방문자 등의 타인에게 쉽게 노출되는 문제로 인해 무단침입, 절도 등의 범죄의 위험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In apartments or multi-family homes where passwords are usually entered in the common entrance, the passwords are shared among all residents. However, the passwords are easily exposed not only to residents but also to others such as delivery workers and visitors, making the residents vulnerable to crimes such as unauthorized entry and theft.

비밀번호는 공용현관에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동안에 육안으로 노출되기 쉽고, 공동현관의 비밀번호를 주기적으로 변경하더라도 모든 입주민이 새로운 비밀번호를 다시 공유하기 때문에 언젠가는 다시 타인에게 노출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Passwords are easily exposed to the naked eye when entering them in the common entrance, and even if the password for the common entrance is changed periodically, it is inevitable that it will eventually be exposed to others because all residents will have to share the new password again.

예컨대, 기존 입주민이 퇴거할 때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경우, 새로운 비밀번호를 다시 공유해야 하기 때문에 실제로 비밀번호 관리가 어려우며, 입주 가구의 수가 많아 퇴거가 빈번한 경우에는 현실적으로 비밀번호 관리가 불가능하다.For example, if existing residents change their passwords every time they move out, password management becomes difficult because the new passwords must be shared again. In addition, if there are many households moving in and evictions occur frequently, password management becomes practically impossible.

전술한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접촉식 RFID 형태의 출입 카드를 비밀번호 입력기능과 함께 공동현관에 도입하는 기술이 존재한다.To address the aforementioned security issues, there is a technology that introduces contactless RFID access cards with password entry functions into common entrances.

하지만, RFID, NFC 형태의 출입 카드 역시 도청이나 복제의 위험성이 있고, 입주민이 자택에 부재중일 경우, 택배 수령이나 부동산 중개업자 등의 방문을 위해 불가피하게 비밀번호를 공유해야 하는 상황에서 비밀번호가 노출될 수 밖에 없으며, RFID, NFC 형태의 출입 카드의 신규 발급, 회수, 분실된 카드 비활성화 등의 관리에 따른 비용, 운영 노력이 필요하다.However, RFID and NFC access cards also carry the risk of being tapped or copied, and when residents are away from home, passwords are inevitably exposed in situations where they must share them to receive packages or visit real estate agents. In addition, costs and operational efforts are required for managing new issuances, retrievals, and deactivation of lost RFID and NFC access cards.

최근, 온라인 쇼핑이 일반화되면서 택배로 구매한 물품을 수령하는 양이 증가하고 있으며, 스마트폰과 인터넷 기술의 발전으로 소비자들이 언제 어디서나 쉽게 음식이나 상품을 주문할 수 있음에 따라 배달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어 많은 택배기사 및 배달기사가 공동 현관을 드나들고 있다.Recently, with the widespread adoption of online shopping, the number of items purchased through home delivery has increased. Furthermore, with the advancement of smartphones and internet technology, consumers can easily order food and products anytime, anywhere, leading to a rise in delivery services, with many delivery drivers and delivery people now visiting shared entrances.

이에 따라, 비밀번호의 노출에 따른 무단침입, 절도 등의 범죄의 위험과 같은 문제점이 심각해지고 있다. Accordingly, problems such as the risk of crimes such as unauthorized entry and theft due to password exposure are becoming more seriou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08347호 (2020.04.29.)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108347 (April 29, 2020)

본 발명은 매번 생성될때마다 새롭게 변경되는 일회용 출입 정보를 사용자가 주문한 물품을 배송하러온 택배기사 및 배달기사에게 전달하고, 택배기사 및 배달기사는 전달받은 일회용 출입 정보를 공동현관의 보안장치에 인식시켜 현관을 출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인이나 불법 침입자의 접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공동 현관 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ared entrance security service system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access by outsiders or illegal intruders by transmitting disposable entry information that is newly changed each time it is generated to a courier or delivery person who comes to deliver an item ordered by a user, and by allowing the courier or delivery person to enter the entrance by recognizing the transmitted disposable entry information in a security device of the shared entra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현관 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공동 주택의 출입을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공동 보안 장치; 임의의 제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정보이면서, 상기 제품을 제공받고자 하는 주소지를 포함하는 정보인 구매 정보를 입력받도록 마련되는 구매자 단말기; 상기 구매자 단말기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구매 정보를 제공받은 이후, 상기 구매 정보에 포함된 주소지에 대한 출입 권한을 일시적으로 부여하는 정보인 일회성 출입 정보를 생성하는 서비스 서버; 상기 구매자 단말기를 통해 구매되는 제품을 판매하도록 마련되면서, 상기 서비스 서버와 통신 연결되며,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일회성 출입 정보를 획득하는 제품 판매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ystem for providing a common entrance security ser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common security device configured to restrict entry into a common house; a purchaser terminal configured to receive purchase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for purchasing a certain product and includes an address at which the product is to be provided; a service server configured to be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purchaser terminal and, after receiving the purchase information, generate one-time entry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for temporarily granting entry authority to an address included in the purchase information; and a product seller terminal configured to sell a product purchased through the purchaser terminal, which is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service server, and obtains one-time entry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server.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일회성 출입 정보는, QR 코드 및 비밀 번호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출력되고, 상기 공동 보안 장치는, 상기 공동 주택에 구축되는 공동 현관에 설치되며, 상기 일회성 출입 정보를 수신하도록 마련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one-time entry information is output as at least one selected from among a QR code and a password, and the common security device is installed in a common entrance built in the common housing and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one-time entry information.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일회성 출입 정보를 신규 생성 시, 기존에 생성되었던 일회성 출입 정보와 중복되지 않는 일회성 출입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일회성 출입 정보를 생성한 후, 일회성 출입 정보를 상기 제품 판매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service server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newly generating the one-time entry information, it generates one-time entry information that does not overlap with previously generated one-time entry information, and after generating the one-time entry information, it provides the one-time entry information to the product seller terminal.

본 발명에 따르면, 구매 정보에 포함된 주소지에 대한 출입 권한을 일시적으로 부여하는 정보인 일회성 출입 정보가 생성됨으로써, 외부인의 무단 출입을 방지하고, 공동 주택에 접근할 수 있는 사람을 엄격하게 통제할 수 있어 비밀번호 공유에 따른 보안 위험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time access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that temporarily grants access to an address included in purchase information, is generated, thereby preventing unauthorized entry by outsiders and strictly controlling who can access an apartment complex,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security risks associated with password sharing.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현관 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일회성 출입 정보가 QR코드 또는 비밀번호의 형태로 만들어짐으로써, 스마트폰이나 기타 디지털 기기를 통해 쉽게 생성, 전송 및 스캔할 수 있으며, 이는 별한 기술 지식 없이도 빠르게 접근 권한을 획득하고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가시켜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on entrance security service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generate, transmit, and scan one-time entry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QR code or password through a smartphone or other digital device, which can increase user convenience by allowing access rights to be quickly obtained and used without special technical knowledge.

또한, QR코드와 비밀번호는 현재 다양한 디바이스와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디지털 기기에서 기본적으로 지원하고 있어 공동주택, 사무실 건물 및 물류 센터 등 다양한 환경에서 쉽게 도입하고 적용할 수 있기에 활용범위가 매우 넓다.Additionally, since QR codes and passwords are widely used in various devices and systems today, they are natively supported by most digital devices and can be easily introduced and applied in various environments such as apartment complexes, office buildings, and logistics centers, so their scope of application is very wide.

덧붙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현관 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각 배송건마다 중복되지 않은 고유한 일회성 출입 정보가 생성되기 때문에, 누가 언제 공동 현관을 통해 출입했는지 명확하게 추적할 수 있어, 문제 발생 시 신속한 대응과 정확한 책임 소재 파악이 가능하며, 보안 감사 및 모니터링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mmon entrance security service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unique, non-duplicated, one-time entry/exit information for each delivery, it is possible to clearly track who entered/exited through the common entrance and when, enabling a quick response and accurate identification of responsibility in the event of a problem, and enabling effective performance of security audits and monitoring task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현관 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동 현관 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택배기사에게 전달된 일회성 출입 정보가 출력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동 현관 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배달기사에게 전달된 일회성 출입 정보가 출력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현관 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공동 보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현관 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매자 단말기 및 제품 판매자 단말기를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현관 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비스 서버를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common entrance security service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usage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one-time entry/exit information transmitted to a delivery person through a common entrance security service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utput.
FIG. 3 is a usage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one-time entry/exit information transmitted to a delivery person through a common entrance security service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utput.
FIG. 4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common security device constituting a common entrance security service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urchaser terminal and a product seller terminal that constitute a common entrance security service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ervice server constituting a common entrance security service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attached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파악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는 공지기술의 설명은 생략한다.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hrough the description of the patent claims. Furthermore, descriptions of known technologies that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only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Additionally,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As used herein, the terms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ther components other than the mentioned component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meaning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본 발명은 공동 현관 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현관문이 구비된 거주지에 거주하는 사용자가 택배 또는 배달을 주문 시, 택배기사 또는 배달기사에게 생성될 때마다 새롭게 변경되는 일회용 출입 정보가 전달되며, 택배기사 또는 배달기사가 전달받은 일회용 출입 정보를 공동현관의 보안장치에 인식시키면 현관을 출입할 수 있는 공동 현관 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a common entrance security ser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system for providing a common entrance security service in which, when a user residing in a residence equipped with a common entrance door orders a parcel delivery or delivery, disposable entry information that is newly changed each time it is generated is transmitted to the parcel delivery person or delivery person, and when the parcel delivery person or delivery person recognizes the received disposable entry information in the security device of the common entrance, the user can enter and exit the entrance.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공동 현관 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First, the configuration of the common entrance security service provis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현관 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common entrance security service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동 현관 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공동 보안 장치(100), 구매자 단말기(200), 서비스 서버(300), 제품 판매자 단말기(400)가 포함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 the common entrance security service provis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mmon security device (100), a purchaser terminal (200), a service server (300), and a product seller terminal (400).

여기서, 상기 공동 보안 장치(100)는 공동 주택의 출입을 제한하도록 마련되도록 상기 공동 주택에 구축되는 공동 현관에 설치될 수 있으며, 후술할 일회성 출입 정보를 수신하도록 마련되는 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common security device (100) may be installed in a common entrance built in the common house to restrict entry into the common house, an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input unit provided to receive one-time entry information to be described later.

그리고, 상기 구매자 단말기(200)는 임의의 제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정보이면서 상기 제품을 제공받고자 하는 주소지를 포함하는 정보인 구매 정보를 입력받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urchaser terminal (20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purchase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n purchasing a certain product and includes an address at which the product is to be provided.

그리고, 상기 서비스 서버(300)는 상기 구매자 단말기(200)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구매 정보를 제공받은 이후 상기 구매 정보에 포함된 주소지에 대한 출입 권한을 일시적으로 부여하는 정보인 일회성 출입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품 판매자 단말기(400)는 상기 구매자 단말기(200)를 통해 구매되는 제품을 판매하도록 마련되면서 상기 서비스 서버(300)와 통신 연결되며 상시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일회성 출입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nd, the service server (300) is connected to the purchaser terminal (200) in communication with the purchaser terminal and, after receiving the purchase information, generates one-time access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that temporarily grants access rights to the address included in the purchase information, and the product seller terminal (400) is connected to the service server (300) in communication with the product to sell the product purchased through the purchaser terminal (200) and can obtain one-time access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server (300) at all times.

여기서, 상기 서비스 서버(300)는 일회성 출입 정보를 신규 생성 시, 기존에 생성되었던 일회성 출입 정보와 중복되지 않는 일회성 출입 정보를 생성하며, 일회성 출업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일회성 출입 정보를 제품 판매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service server (300)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newly generating one-time entry/exit information, it generates one-time entry/exit information that does not overlap with previously generated one-time entry/exit information, generates one-time exit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generated one-time entry/exit information to the product seller terminal.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동 현관 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생성되는 일회성 출입 정보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Next, one-time entry/exit information generated by a common entrance security service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동 현관 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택배기사에게 전달된 일회성 출입 정보가 출력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FIG. 2 is a usage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one-time entry/exit information transmitted to a delivery person through a common entrance security service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utput.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동 현관 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배달기사에게 전달된 일회성 출입 정보가 출력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FIG. 3 is a usage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one-time entry/exit information transmitted to a delivery person through a common entrance security service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utput.

도 2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회성 출입 정보는 QR 코드 및 비밀 번호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출력될 수 있으며, 구매 정보에 포함된 주소지에 대한 출입 권한을 일시적으로 부여하는 정보인 일회성 출입 정보가 생성됨으로써, 외부인의 무단 출입을 방지하고, 공동 주택에 접근할 수 있는 사람을 엄격하게 통제할 수 있어 비밀번호 공유에 따른 보안 위험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S. 2 and 3, the one-time access information can be output as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QR code and a password, and by generating one-time access information that is information that temporarily grants access rights to an address included in the purchase information, unauthorized access by outsiders can be prevented, and people who can access the apartment complex can be strictly controlled,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security risks due to password sharing.

그리고, 각 배송건마다 중복되지 않는 고유한 일회성 출입 정보가 생성되기 때문에, 누가 언제 공동 현관을 통해 출입했는지 명확하게 추적할 수 있어, 문제 발생 시 신속한 대응과 정확한 책임 소재 파악이 가능하며, 보안 감사 및 모니터링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Additionally, since unique, one-time entry/exit information is generated for each delivery, it is possible to clearly track who entered and exited the shared entrance and when, enabling a quick response and accurate identification of responsibility in the event of a problem, and enabling effective security audits and monitoring.

또한, 일회성 출입 정보가 QR 코드 또는 비밀번호의 형태로 만들어짐으로써, 스마트폰이나 기타 디지털 기기를 통해 쉽게 생성, 전송 및 스캔할 수 있으며, 이는 별다른 기술 지식 없이도 빠르게 접근 권한을 획득하고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가시켜줄 수 있다.Additionally, since one-time access information is created in the form of a QR code or password, it can be easily generated, transmitted, and scanned via smartphones or other digital devices, which can increase user convenience by allowing quick access and use without any special technical knowledge.

더불어, QR코드와 비밀번호는 현재 다양한 디바이스와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디지털 기기에서 기본적으로 지원하고 있어 공동주택, 사무실 건물 및 물류 센터 등 다양한 환경에서 쉽게 도입하고 적용할 수 있기에 화용범위가 매우 넓다는 장점도 있다.Additionally, since QR codes and passwords are widely used in various devices and systems today, they are natively supported by most digital devices, making them easy to introduce and apply in various environments such as apartment complexes, office buildings, and logistics centers, and thu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very applicable.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동 보안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a common security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현관 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공동 보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4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common security device constituting a common entrance security service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동 보안 장치(100)는 촬영부(110), QR코드인식부(120) 및 암호입력부(130)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4, a common security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hotographing unit (110), a QR code recognition unit (120), and a password input unit (130).

상기 촬영부(110)는 공동 현관을 통해 출입을 시도하는 방문자를 촬영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거나, 보안사고 발생 시 사후 분석을 위해 촬영기록을 저장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The above-mentioned camera unit (110) is equipped to record visitors attempting to enter through the common entrance and monitor them in real time, or to store the recording for post-analysis in the event of a security incident.

이때, 상기 촬영부(110)는 QR코드인식부(120) 및 암호입력부(130)와 함께 동작하여 출입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출입통제를 실행하는데 정보를 제공해줄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above-mentioned photographing unit (110) may operate together with the QR code recognition unit (120) and the password input unit (130) to confirm the identity of the person entering and exiting and provide information for executing access control.

상기 QR코드 인식부(120)는 공동 현관을 통해 출입을 시도하는 배송인이 제시하는 QR코드를 스캔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QR코드 인식을 통해 배송인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으며, 촬영부(110) 및 암호입력부(130)와 함께 동작하여 출입자의 신원을 보다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The above QR code recognition unit (120) is equipped to scan the QR code presented by the delivery person attempting to enter through the common entrance, so that the identity of the delivery person can be confirmed through QR code recognition, and operates together with the photographing unit (110) and the password input unit (130) to more clearly identify the identity of the person entering.

상기 암호입력부(130)는 공동 현관을 통해 출입을 시도하는 배송인이 암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암호입력을 통해 배송인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으며, 촬영부(110) 및 QR코드 인식부(120)와 함께 동작하여 출입자의 신원을 보다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The above password input unit (130) is provided so that a delivery person attempting to enter through the common entrance can enter a password, and the identity of the delivery person can be confirmed through password input. It operates together with the photographing unit (110) and the QR code recognition unit (120) so that the identity of the person entering can be more clearly identified.

다음으로,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매자 단말기(200) 및 제품 판매자 단말기(4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5, a buyer terminal (200) and a product seller terminal (4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현관 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매자 단말기 및 제품 판매자 단말기를 도시한 블록선도이다.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urchaser terminal and a product seller terminal that constitute a common entrance security service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매자 단말기(200) 및 제품 판매자 단말기(400)는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 태블릿 PC, 워치형 단말기,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을 포함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5, the purchaser terminal (200) and product seller terminal (400) may includ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 navigation device, a slate PC, a tablet PC, a watch-type terminal, a smart glass, an HMD (head mounted display), etc.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구매자 단말기(200) 및 제품 판매자 단말기(400)는 입력부와, 센싱부와, 무선통신부와, 출력부와, 메모리부와, 인터페이스부와, 전원공급부와,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urchaser terminal (200) and product seller terminal (400) may include an input unit, a sensing unit,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 output unit, a memory unit, an interface unit, a power supply unit, and a control unit.

그러나 상술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며, 상술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구매자 단말기 및 제품 판매자 단말기(4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However, not all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are essential components, and the buyer terminal and product seller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with more components than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or may be implemented with fewer components.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Below, we will look at the above components in turn.

상기 입력부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 또는 마이크(microphone)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예를 들어, 터치패드 등)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input unit may include a camera or a video input unit for inputting a video signal, a microphone or a microphone or an audio input unit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and a user input unit (e.g., a touchpad, etc.) for inputting information from a user.

입력부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Voice data or image data collected from the input unit can be analyzed and processed as a user's control command.

센싱부는 이동통신 단말기 내 정보, 이동통신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may include one or more sensors for sen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with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abou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urround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user information.

예를 들어, 센싱부는 근접센서 센싱부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 센서 (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으며,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센서라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For example, 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roximity sensor, an illumination sensor, a touch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magnetic sensor, a G-sensor, a gyroscope sensor, a motion sensor, an RGB sensor, an infrared sensor (IR sensor), a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nd an optical sensor (e.g., a camera),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 user's motion may be applied.

출력부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 음향 출력부, 햅틱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is for generating output related to visual, auditory, or tactile sensations,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isplay unit, an audio output unit, and a haptic module.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은, 구매자 단말기(200) 및 제품 판매자 단말기(400)와 구매자 및 제품 판매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구매자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구매자 단말기(200) 및 제품 판매자 단말기(400)와 구매자 및 제품 판매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can be formed as a touch screen by forming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touch sensor or by forming an integral structure. This touch screen can function as a buyer input unit that provides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buyer terminal (200) and the product seller terminal (400) and the buyer and the product seller, and at the same time, can provide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buyer terminal (200) and the product seller terminal (400) and the buyer and the product seller.

인터페이스부는 상술한 구매자 단말기(200) 및 제품 판매자 단말기(4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The interface section serves as a passageway for various type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above-described purchaser terminal (200) and product seller terminal (400).

이러한 인터페이스부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Such an interface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ired/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 port for connecting a device equipped with an identification module, an audio I/O (Input/Output) port, a video I/O (Input/Output) port, and an earphone port.

또한, 상기 구매자 단말기(200) 및 제품 판매자 단말기(4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urchaser terminal (200) and product seller terminal (400) can perform appropriate control related to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in response to the external device being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또한, 메모리부는 상기 상기 구매자 단말기(200) 및 제품 판매자 단말기(4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부는 상기 상기 구매자 단말기(200) 및 제품 판매자 단말기(4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상기 구매자 단말기(200) 및 제품 판매자 단말기(4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mory unit stores data that supports various functions of the purchaser terminal (200) and the product seller terminal (400). The memory unit can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that run on the purchaser terminal (200) and the product seller terminal (400), data for the operation of the purchaser terminal (200) and the product seller terminal (400), and commands.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상기 구매자 단말기(200) 및 제품 판매자 단말기(400)상에 존재할 수 있다.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s may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er via wireless communication. Furthermore,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s may be present on the purchaser terminal (200) and product seller terminal (400) from the time of shipment for basic functions (e.g., incoming and outgoing calls, message reception and outgoing functions).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부에 저장되고, 구매자 단말기(200) 및 제품 판매자 단말기(4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구매자 단말기(200) 및 제품 판매자 단말기(4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Meanwhile, the application program is stored in the memory unit and installed on the buyer terminal (200) and the product seller terminal (400), and can be driven by the control unit to perform the operations (or functions) of the buyer terminal (200) and the product seller terminal (400).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와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구매자 단말기(200) 및 제품 판매자 단말기(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In addition to the operations related to the above service, the control unit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s of the purchaser terminal (200) and the product seller terminal (400).

제어부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부에 저장된 응용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can process signals, data, information, etc. input or output through the components discussed above, or run application programs stored in the memory unit, thereby providing or processing appropriate information or functions to the user.

또한, 제어부는 메모리부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의 구동을 위하여, 구매자 단말기(200) 및 제품 판매자 단말기(4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at least some of the aforementioned components to drive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unit. Furthermore, the control unit may operate at least two or more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purchaser terminal (200) and the product seller terminal (400) in combination to drive the service.

전원공급부는 제어부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구매자 단말기(200) 및 제품 판매자 단말기(4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and supplies power to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purchaser terminal (200) and the product seller terminal (400). The power supply unit includes a battery, which may be a built-in battery or a replaceable battery.

무선통신부는 구매자 단말기(200) 및 제품 판매자 단말기(400)와 무선 통신 제공 플랫폼 간의 무선 통신 또는 구매자 단말기(200) 및 제품 판매자 단말기(400)와 구매자 단말기(200) 및 제품 판매자 단말기(400)가 위치한 네트웍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include one or more component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purchaser terminal (200) and the product seller terminal (4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providing platform or between the purchaser terminal (200) and the product seller terminal (400) and the network in which the purchaser terminal (200) and the product seller terminal (400) are located.

예를 들어, 무선통신부는 이동통신 모듈, 근거리통신 모듈 및 위치 정보 모듈등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상기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신호, 화상 통화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s and receives wireless signals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wireless signals may include various forms of data, such as voice signals, video call signals, or text/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상기 근거리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abov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refers to a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Short-range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at can be used include Bluetooth,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frared communication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 (Ultra Wideband), and ZigBee.

상기 위치정보 모듈은, 구매자 단말기(200) 및 제품 판매자 단말기(40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써,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The abov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is a module for obtaining the location (or current location) of the purchaser terminal (200) and the product seller terminal (400), and representative examples thereof include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module or a WiFi (Wireless Fidelity) module.

GPS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위치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GPS module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from multiple satellites.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coordinate information expressed in latitude and longitude.

예를 들어, GPS 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방법에 따라서 현 위치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3개의 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얻고 1개 위성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GPS 모듈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의 위치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 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까지 얻을 수 있다.For example, a GPS module can accurately calculate your current location by measuring the precise time and distance from three or more satellites and triangulating the three different distances. A method can be used to obtain distance and time information from three satellites and correct any errors using one satellite. Specifically, a GPS module can obtain not only latitude, longitude, and altitude information, but also three-dimensional velocity information and accurate time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atellites.

다른 예로서, 구매자 단말기(200) 및 제품 판매자 단말기(400)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구매자 단말기(200) 및 제품 판매자 단말기(4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if the buyer terminal (200) and the product seller terminal (400) utilize a Wi-Fi module, the location of the buyer terminal (200) and the product seller terminal (400) can be obtained based on information from the Wi-Fi module and a wireless access point (AP) that transmits or receives wireless signals.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구매자 단말기(200) 및 제품 판매자 단말기(400)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s needed,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may perform any function of any other modul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obtain data regarding the location of the purchaser terminal (200) and the product seller terminal (400) as a substitute or additionally.

즉, 위치정보모듈은 구매자 단말기(200) 및 제품 판매자 단말기(40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That is,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is a module used to obtain the location (or current location) of the purchaser terminal (200) and the product seller terminal (400), and is not limited to a module that directly calculates or obtains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3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Next, a service server (3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현관 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비스 서버를 도시한 블록선도이다.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ervice server constituting a common entrance security service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서버(300)는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된 이동 통신 모듈과, 외부로부터 수집하는 정보들을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과, 서비스 서버(300)를 거쳐 정보를 제공하기 위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app)의 구동 및 실행을 담당하는 실행모듈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각종 정보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모듈과, 정보의 누적 및 관리를 진행하는 관리모듈과, 전술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6, the service server (300) may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configur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a database for storing and managing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outside, an execution module for driving and executing an application (app) to provide information via the service server (300), a data analysis module for analyz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a management module for accumulating and managing information, and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aforementioned components.

이상에서 기술한 본 발명에 따른 각 단계는 필요에 따라 서로 순서가 바뀌어 실행될 수 있고, 이렇게 순서가 바뀌어 실행되는 실시예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Each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executed in a reversed order as needed, and it is obvious that even in an embodiment where the steps are executed in a reversed order, they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is is only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invention, and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o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patent claims.

100 : 공동 보안 장치
200 : 구매자 단말기
300 : 서비스 서버
400 : 제품 판매자 단말기
100: Joint Security Device
200: Buyer terminal
300: Service Server
400: Product Seller Terminal

Claims (3)

공동 주택의 출입을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공동 보안 장치(100);
임의의 제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정보이면서, 상기 제품을 제공받고자 하는 주소지를 포함하는 정보인 구매 정보를 입력받도록 마련되는 구매자 단말기(200);
상기 구매자 단말기(200)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구매 정보를 제공받은 이후, 상기 구매 정보에 포함된 주소지에 대한 출입 권한을 일시적으로 부여하는 정보인 일회성 출입 정보를 생성하는 서비스 서버(300); 및
상기 구매자 단말기(200)를 통해 구매되는 제품을 판매하도록 마련되면서, 상기 서비스 서버(300)와 통신 연결되며, 상기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일회성 출입 정보를 획득하는 제품 판매자 단말기(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현관 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
A common security device (100) provided to restrict entry into a common house;
A purchaser terminal (200) configured to receive purchase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for purchasing a product and includes an address at which the product is to be provided;
A service server (300) that creates one-time access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that temporarily grants access rights to the address included in the purchase information, after receiving the purchase information by communicating with the purchaser terminal (200); and
A common entrance security service provision system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roduct seller terminal (400) that is arranged to sell a product purchased through the purchaser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the service server (300) in communication with the service server (300), and obtains one-time entry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server (30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회성 출입 정보는,
QR 코드 및 비밀 번호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출력되고,
상기 공동 보안 장치(100)는,
상기 공동 주택에 구축되는 공동 현관에 설치되며, 상기 일회성 출입 정보를 수신하도록 마련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현관 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one-time entry information is,
At least one of the QR code and password is output,
The above joint security device (100) is
A common entrance security service provis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in a common entrance built in the above-mentioned apartment complex and includes a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one-time entry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300)는,
상기 일회성 출입 정보를 신규 생성 시, 기존에 생성되었던 일회성 출입 정보와 중복되지 않는 일회성 출입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일회성 출입 정보를 생성한 후, 일회성 출입 정보를 상기 제품 판매자 단말기(400)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현관 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service server (300)
A common entrance security service provis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when newly generating the above one-time entry information, one-time entry information that does not overlap with previously generated one-time entry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after generating the one-time entry information, the one-time entry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product seller terminal (400).
KR1020240036175A 2024-03-15 2024-03-15 Common entrance security service provision system Pending KR2025013944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36175A KR20250139443A (en) 2024-03-15 2024-03-15 Common entrance security service provis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36175A KR20250139443A (en) 2024-03-15 2024-03-15 Common entrance security service provis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139443A true KR20250139443A (en) 2025-09-23

Family

ID=97173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6175A Pending KR20250139443A (en) 2024-03-15 2024-03-15 Common entrance security service provis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5013944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568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delivery of commercial products to customers
JP634475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on information using image on screen
CN104509137B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at a predetermined location
US9763037B2 (en) Network architecture for synchronized display
USRE49713E1 (e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close proximity identification of unmanned aerial systems
KR101253337B1 (en) System for prrotection missing using location-aware
KR100754548B1 (en) Electronic tag position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service method
US20140266590A1 (en) Reconfigurable Smart Identification Badges
US20190205847A1 (en) Parking prevention apparatus, mobile terminal, and parking prevention system having same
US10740995B2 (en) Access control and location tracking system
KR101305371B1 (en) Real time loca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of image data
US20210266737A1 (en) Multi-usage configuration table for performing biometric validation of a user to activate an integrated proximity-based module
JP2019079153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program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article providing system
KR101994841B1 (en) Providing information about welfare point store based on location and welfare point pay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Sahba Museum automation with RFID
KR20200043160A (en) Manless notebook computer rental method
KR101554867B1 (en) System for managing visitor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KR20150081612A (en) Simple payment service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imple payment service thereof
KR20170039463A (en) User equipment, beacon, service providing device, payme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KR102145160B1 (en) System for providing target service using beacon apparatus,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arget service in the system and storage medium recording program thereof
KR101464137B1 (en) Commute management server and Commut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KR20250139443A (en) Common entrance security service provision system
KR20170029856A (en) User equipment, service providing device, payme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KR20170039464A (en) User equipment, service providing device, lighting apparatus, payme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KR101624289B1 (en) Method for providing payment history list and payment ser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