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50141548A - Entry method and departure method of ship - Google Patents

Entry method and departure method of ship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50141548A
KR20250141548A KR1020240038730A KR20240038730A KR20250141548A KR 20250141548 A KR20250141548 A KR 20250141548A KR 1020240038730 A KR1020240038730 A KR 1020240038730A KR 20240038730 A KR20240038730 A KR 20240038730A KR 20250141548 A KR20250141548 A KR 20250141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ssel
tugboat
dock
ship
paragrap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387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동국
Original Assignee
에이치디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디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디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40038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50141548A/en
Publication of KR20250141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50141548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66Tugs
    • B63B35/68Tugs for to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선박의 입항 방법은, 도크의 입구로부터 60m 이하의 거리에서 선박이 상기 선박과 연결된 터그보트에 의해 상기 도크의 좌우 안벽 중 적어도 하나의 연장선 상으로 이동하는 제1 단계; 상기 도크의 입구로부터 40m 이하의 거리에서 상기 선박이 상기 터그보트에 의해 선회하여, 상기 도크의 수용공간의 중앙선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는 제2 단계; 상기 선박이 상기 안벽에 배치된 견인장비와 연결되며, 상기 선박과 상기 터그보트의 연결이 해제되는 제3 단계; 상기 도크의 입구로부터 20m 이하의 거리에서 상기 선박이 상기 안벽에 배치된 당김장비와 연결되는 제4 단계; 상기 선박이 상기 견인장비 및 상기 당김장비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진입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for entering a port of a vessel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step in which a vessel moves along an extension of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quay walls of the dock by a tugboat connected to the vessel at a distance of 60 m or less from the entrance of the dock; a second step in which the vessel is turned by the tugboat at a distance of 40 m or less from the entrance of the dock and is positioned along an extension of a center line of a receiving space of the dock; a third step in which the vessel is connected to a towing device arranged on the quay wall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vessel and the tugboat is released; a fourth step in which the vessel is connected to a pulling device arranged on the quay wall at a distance of 20 m or less from the entrance of the dock; and a fifth step in which the vessel enters the receiving space by the towing device and the pulling device.

Description

선박의 입항 방법 및 출항 방법{Entry method and departure method of ship}Entry method and departure method of ship

본 발명은 선박의 입항 방법 및 출항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entering and departing a port for a ship.

선박은 건조, 진수, 수리, 개조 및 도장 등을 위해 드라이 도크, 플로팅 도크, 슬립웨이, 쉽리프트에 의해 물 위로 떠오를 수 있다. 드라이 도크 (Dry dock)는 육지를 깊이 파서 만든 장방형의 물웅덩이로서 전방의 수문으로 해수를 차단할 수 있다. 드라이 도크는 수문을 닫고, 도크 내의 해수를 배수펌프를 사용하여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도크 내에 반목을 배치하고, 상기 도크 내의 해수를 배수펌프를 사용하여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반목에 선박을 거치시킬 수 있다. Ships can be raised above water for construction, launching, repair, remodeling, and painting using dry docks, floating docks, slipways, and shiplifts. A dry dock is a rectangular pool of water dug deep into the land, with a lock at the front to block seawater. A dry dock closes the lock, drains the seawater inside the dock using a drainage pump, and places a stern within the dock, draining the seawater outside using a drainage pump, allowing the ship to be moored on the stern.

플로팅 도크(Floating dock)는 해수면에 떠 있으며, 바닥벽과 측벽으로 이루어진 구조물이다. 상기 플로팅 도크가 수중으로 내려간 후 선박이 상기 플로팅 도크 상부에 안착된다. 상기 플로팅 도크는 상기 선박과 함께 물 위로 부상할 수 있다. 상기 플로팅 도크는 물이 유입되고 유출될 수 있는 탱크를 포함하여, 물의 유입량과 출입량을 조절하여 플로팅 도크의 잠수 깊이를 조정할 수 있다.A floating dock is a structure that floats on the sea surface and consists of a bottom wall and side walls. After the dock is lowered into the water, a vessel is anchored on top of the dock. The dock can float together with the vessel. The floating dock includes a tank that can inflow and outflow water, allowing the inflow and outflow of water to be controlled, thereby adjusting the submersion depth of the dock.

슬립웨이(Slipway)는 윈치 등의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선박을 경사면 위로 끌어 올리는 방식을 의미한다. Slipway refers to a method of pulling a ship up an inclined plane using a hoist such as a winch.

쉽리프트(shiplift)는, 기계적으로 수중에서 수상으로 선박을 들어올리는 장비로서, 선박의 무게를 지탱하고 상하운동하는 구조물인 플랫폼을 포함한다. 플랫폼은 수중으로 하강하며, 선박이 플랫폼 위로 진입한 후에 윈치 등의 호이스트(hoist)에 의해 플랫폼이 수면 위로 들어 올려진다. A shiplift is a device that mechanically lifts a vessel from underwater to the surface. It includes a platform, a structure that supports the vessel's weight and moves up and down. The platform is lowered into the water, and after the vessel enters the platform, it is raised to the surface by a hoist, such as a winch.

선박은 그 용도에 따라 크기가 커질 수 있으므로, 선박이 진입하는 드라이 도크, 플로팅 도크, 쉽리프트의 플랫폼의 확장이 필요하다. 그러나, 드라이 도크 등은 그 크기를 확장하기 어렵다.As ships can grow in size depending on their intended use, expansion of the platforms used for dry docks, floating docks, and shiplifts is necessary. However, dry docks and other facilities are difficult to expand in siz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크 사이즈의 확장 없이 대형 선박을 상기 도크에 입항하거나, 상기 도크로부터 출항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allowing a large vessel to enter or depart from a dock without expanding the dock siz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선박의 입항 방법은, 도크의 입구로부터 60m 이하의 거리에서 선박이 상기 선박과 연결된 터그보트에 의해 상기 도크의 좌우 안벽 중 적어도 하나의 연장선 상으로 이동하는 제1 단계; 상기 도크의 입구로부터 40m 이하의 거리에서 상기 선박이 상기 터그보트에 의해 선회하여, 상기 도크의 수용공간의 중앙선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는 제2 단계; 상기 선박이 상기 안벽에 배치된 견인장비와 연결되며, 상기 선박과 상기 터그보트의 연결이 해제되는 제3 단계; 상기 도크의 입구로부터 20m 이하의 거리에서 상기 선박이 상기 안벽에 배치된 당김장비와 연결되는 제4 단계; 및 상기 선박이 상기 견인장비 및 상기 당김장비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진입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entering a port of a vessel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step in which a vessel moves along an extension of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quay walls of the dock by a tugboat connected to the vessel at a distance of 60 m or less from the entrance of the dock; a second step in which the vessel is turned by the tugboat at a distance of 40 m or less from the entrance of the dock and is positioned along an extension of a center line of a receiving space of the dock; a third step in which the vessel is connected to a towing device arranged on the quay wall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vessel and the tugboat is released; a fourth step in which the vessel is connected to a pulling device arranged on the quay wall at a distance of 20 m or less from the entrance of the dock; and a fifth step in which the vessel enters the receiving space by the towing device and the pulling device.

구체적으로, 상기 터그보트는, 상기 선박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하나가 연결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ugboats may be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vessel, respectively.

구체적으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선박의 전방에 연결된 터그보트의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third step, the tugboat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vessel can be disconnected.

구체적으로, 상기 견인장비는 상기 선박의 선수 방향에 형성된 전방 고정부와 연결되고, 상기 당김장비는 상기 선박의 선미 방향에 형성된 후방 고정부와 연결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owing equipment may be connected to a forward fixing part formed in the bow direction of the vessel, and the pulling equipment may be connected to a rear fixing part formed in the stern direction of the vessel.

구체적으로, 상기 선박의 후방에 연결된 터그보트는, 상기 선박이 상기 수용공간에 진입한 후에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ugboat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vessel can be disconnected after the vessel enters the receiving space.

구체적으로, 상기 선박이 상기 수용공간에 진입한 후에 상기 도크는 입구가 폐쇄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entrance to the dock may be closed after the vessel enters the receiving space.

구체적으로, 상기 선박은, 3,000톤 급 이상의 수중함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vessel may be an underwater vessel of 3,000 tons or more.

구체적으로, 상기 터그보트는, 제1 터그보트; 및 상기 제1 터그보트보다 예향력이 작은 제2 터그보트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ugboat may include a first tugboat; and a second tugboat having a lower directional force than the first tugboat.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터그보트와 상기 선박을 연결하는 연결수단은 샤클을 통과하여 상기 선박에 연결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necting means connecting the first tugboat and the vessel can be connected to the vessel through a shackl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선박의 출항 방법은, 선박이 도크의 안벽에 배치된 견인장비 및 상기 안벽에 배치된 당김장비와 연결되는 제1 단계; 상기 선박이 상기 견인장비 및 상기 당김장비에 의해 상기 도크의 입구에 배치되는 제2 단계; 상기 선박이 상기 도크의 수용공간의 중앙선 상에 배치되는 제3 단계; 상기 선박과 상기 도크의 입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터그보트가 연결되며, 상기 선박과 상기 당김장비의 연결이 해제되는 제4 단계; 및 상기 선박과 상기 견인장비의 연결이 해제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launching a vessel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step in which a vessel is connected to a towing device arranged on a quay wall of a dock and a pulling device arranged on the quay wall; a second step in which the vessel is positioned at the entrance of the dock by the towing device and the pulling device; a third step in which the vessel is positioned on a centerline of a receiving space of the dock; a fourth step in which the vessel and a tugboat arrang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entrance of the dock are connected and the vessel and the pulling device are disconnected; and a fifth step in which the vessel and the towing device are disconnected.

구체적으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안벽으로부터 5m 이상 이격될 때 상기 선박과 상기 견인장비의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fth step may be such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vessel and the towing equipment is released when the vessel is separated by more than 5 m from the berth.

구체적으로, 상기 견인장비는 상기 선박의 선수 방향에 형성된 전방 고정부와 연결되고, 상기 당김장비는 상기 선박의 선미 방향에 형성된 후방 고정부와 연결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owing equipment may be connected to a forward fixing part formed in the bow direction of the vessel, and the pulling equipment may be connected to a rear fixing part formed in the stern direction of the vessel.

구체적으로, 상기 선박은, 3,000톤 급 이상의 수중함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vessel may be an underwater vessel of 3,000 tons or more.

구체적으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선박이 상기 도크의 수용공간의 중앙선 상에 배치된 후, 상기 선박이 상기 안벽에 설치된 가이드부에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hird step may include a step in which the vessel is connected to a guide unit installed on the quay wall after the vessel is placed on the centerline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dock.

구체적으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선박이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된 후, 상기 당김장비는 상기 선박의 선미 방향에 형성된 후방 고정부와 연결이 해제되고, 상기 선박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 고정부와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hird step may include a step in which, after the vessel is connected to the guide section, the pulling device is disconnected from a rear fixing section formed in the stern direction of the vessel and connected to a central fixing section formed in the center of the vessel.

구체적으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당김장비가 상기 중앙 고정부와 연결된 후, 상기 선박이 상기 견인장비 및 상기 당김장비에 의해 상기 도크의 입구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hird step may include a step in which the vessel moves toward the entrance of the dock by the towing equipment and the pulling equipment after the pulling equipment is connected to the central fixing part.

본 발명의 선박의 입항 방법 및 출항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ship entry and departure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입항 방법 및 출항 방법은, 좁은 도크 내에서 선박의 움직임을 통제하여, 선박의 사고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The method of entering and departing a sh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risk of accidents to the ship by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ship within a narrow dock.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입항 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입항 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것이다.
도 21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출항 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것이다.
도 27 내지 도 3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출항 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것이다.
Figures 1 to 9 sequentially illustrate a method of entering a port of a shi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0 to 20 sequentially illustrate a method of entering a port of a ship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1 to 26 sequentially illustrate a method of departing a shi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7 to 37 sequentially illustrate a method of departing a ship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purpose,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when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where possible, identical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even if they appear in different drawings. Furthermor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is deem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에서 종래라는 표현은,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비교 예시에 해당하는 것일 뿐이며, 반드시 공지되어 있는 내용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expression “prior art” in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 comparative example for explaining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the content is known.

본 명세서에서 선박은 다양한 종류의 화물을 운반하는 상선일 수 있다. 이때 화물은 규격화된 물건 또는 물질일 수 있으며 컨테이너 등일 수 있다. 또는 화물은 가스일 수 있는데, 이때 가스는 비등점이 상온보다 낮아 액상으로 운반하는 물질로서, LNG, LPG, 에탄, 메탄올, 암모니아, 수소, CO2 등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선박의 종류는 한정하지 않는다. In this specification, a vessel may be a merchant vessel carrying various types of cargo. The cargo may be standardized goods or materials, such as containers. Alternatively, the cargo may be gas, which is a substance transported in a liquid state due to its boiling point being lower than room temperature, such as LNG, LPG, ethane, methanol, ammonia, hydrogen, CO2 , etc. In other words, the type of vessel is not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선박은 화물을 운반하는 상선 외에, 사람을 운반하는 유람선, 일정 지역에 계류되어 작업하는 FSRU, FPSO, Bunkering vessel, 해양플랜트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선박은 수상함과 수중함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또한, 선박은 군사, 경비 목적을 가지는 특수선일 수 있으며, 상기 특수선을 일례로 잠수함일 수 있다. Furthermore, the vessel of the present invention encompasses not only merchant ships carrying cargo, but also cruise ships carrying people, FSRUs, FPSOs, bunkering vessels, and offshore plants moored and operating in a specific area. Furthermore, the vessel may encompass both surface and underwater vessels. Furthermore, the vessel may be a specialized vessel for military or security purposes, such as a submarine.

본 명세서에서 도크는 드라이 도크, 플로팅 도크, 쉽리프트의 플랫폼 등 선박이 수용되는 시설을 포괄할 수 있다. 도크는 바다와 육지가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dock" may encompass facilities that accommodate vessels, such as dry docks, floating docks, and shiplift platforms. Docks may be located at locations where the sea and land are adjacent.

본 명세서에서, 선박(1), 터그보트(T), 견인장비(3), 연결장비(4) 및 당김장비(5)는 연결수단(L)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선박(1), 터그보트(T), 견인장비(3), 연결장비(4) 및 당김장비(5)와 연결수단(L)의 양단에는 각각 센서부, 신호부 및 연결부가 마련될 수 있다. 선박(1), 터그보트(T), 견인장비(3), 연결장비(4) 및 당김장비(5)의 센서부는 연결수단(L)의 신호부에서 송신된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연결수단(L)의 센서부는 선박(1), 터그보트(T), 견인장비(3), 연결장비(4) 및 당김장비(5)의 신호부에서 송신된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선박(1), 터그보트(T), 견인장비(3), 연결장비(4) 및 당김장비(5)와 연결수단(L)에서 신호가 감지되면, 연결수단(L)의 말단이 연결부와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선박(1), 터그보트(T), 견인장비(3), 연결장비(4) 및 당김장비(5)는 로프 등의 고정장치(미도시)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장치(미도시)의 타단에는 연결수단(L)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장치(미도시)의 타단에는 신호부 및 연결부가 마련될 수 있다. 연결수단(L)과 연결부의 결합 방식은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a ship (1), a tugboat (T), a towing device (3), a connecting device (4), and a pulling device (5)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means (L). At this time, a sensor unit, a signal unit, and a connecting unit can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hip (1), the tugboat (T), the towing device (3), the connecting device (4), and the pulling device (5) and the connecting means (L), respectively. The sensor units of the ship (1), the tugboat (T), the towing device (3), the connecting device (4), and the pulling device (5) detect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unit of the connecting means (L), and the sensor unit of the connecting means (L) can detect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units of the ship (1), the tugboat (T), the towing device (3), the connecting device (4), and the pulling device (5). When a signal is detected from the vessel (1), the tugboat (T), the towing equipment (3), the connecting equipment (4), the pulling equipment (5), and the connecting means (L), the end of the connecting means (L) can b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For example, the vessel (1), the tugboat (T), the towing equipment (3), the connecting equipment (4), and the pulling equipment (5) are connected to one end of a fixing device (not shown) such as a rope, and the connecting means (L) can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xing device (not shown). A signal portion and a connecting portion can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fixing device (not shown).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connecting means (L) and the connecting portion can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또한, 선박의 입항 방법과 출항 방법은 선박의 입출항 시스템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상기 선박의 입출항 시스템은 제어부 및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박의 입출항 시스템은 통신부를 통해 선박(1), 터그보트(T), 견인장비(3), 연결장비(4) 및 당김장비(5)로부터 위치정보, 연결수단(L)과 결합되었는지 대한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선박의 입출항 시스템은 제어부를 통해, 선박(1), 터그보트(T), 견인장비(3), 연결장비(4) 및 당김장비(5)의 움직임을 통제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선박(1), 터그보트(T), 견인장비(3), 연결장비(4) 및 당김장비(5)가 움직이는 것으로 설명한 것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것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thod of entry and exit of a ship may be controlled by the ship's entry and exit system, and the ship's entry and exit system may include a control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The ship's entry and exit system may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on whether it is connected to a connecting means (L), etc. from the ship (1), the tugboat (T), the towing equipment (3), the connecting equipment (4), and the pulling equipment (5)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he ship's entry and exit system may control the movement of the ship (1), the tugboat (T), the towing equipment (3), the connecting equipment (4), and the pulling equipment (5) through the control unit. Hereinafter, the movement of the ship (1), the tugboat (T), the towing equipment (3), the connecting equipment (4), and the pulling equipment (5)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본 명세서에서 선박(1), 터그보트(T), 견인장비(3), 연결장비(4) 및 당김장비(5)가 서로 연결되는 것은 선박(1), 터그보트(T), 견인장비(3), 연결장비(4) 및 당김장비(5)가 연결수단(L)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fact that the ship (1), tugboat (T), towing equipment (3), connecting equipment (4) and pulling equipment (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may mean that the ship (1), tugboat (T), towing equipment (3), connecting equipment (4) and pulling equipment (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means (L).

본 명세서에서, 후방은 선박(1)에서 프로펠러가 배치된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전방은 선박(1)의 길이 방향으로 후방과 반대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좌우 방향은 선박(1)의 전방과 후방의 수직방향으로, 전방에서 좌측 수직방향이 좌 방향이고, 전방에서 우측 수직방향이 우 방향이다. In this specification, rear may refe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opeller is arranged in the vessel (1). Forward may refer to the direction opposite to rea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ssel (1). Left-right direction refers to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front and rear of the vessel (1), with the left vertical direction from the front being the left direction and the right vertical direction from the front being the right direction.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입항 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것이다.Figures 1 to 9 sequentially illustrate a method of entering a port of a shi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선박(1)은 터그보트(T)에 의해 도크(2)의 입구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선박(1)은 터그보트(예인선, T)와 연결수단(L)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수단(L)은 로프, 와이어, 체인일 수 있으며, 연결수단은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vessel (1) can be moved to the entrance of a dock (2) by a tugboat (T). The vessel (1) can be connected to the tugboat (tugboat, T) by a connecting means (L). The connecting means (L) can be a rope, wire, or chain, and any connecting means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선박(1)은 5,000톤 이하 급의 수중함일 수 있다. 상세하게, 선박(1)은 1,800톤 내지 3,000톤 급의 수중함일 수 있다. 선박(1)은 종방향으로 40 내지 120m의 길이를 가지고, 횡방향으로 5 내지 20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1,800톤 급의 수중함은 종방향으로 40 내지 80m의 길이를 가지고, 횡방향으로 5 내지 20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3,000톤 급의 수중함은 종방향으로 60 내지 120m의 길이를 가지고, 횡방향으로 5 내지 20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1)은 3,000 톤 급 미만의 수중함일 수 있다.The vessel (1) may be an underwater vessel of 5,000 tons or less. Specifically, the vessel (1) may be an underwater vessel of 1,800 tons to 3,000 tons. The vessel (1) may have a longitudinal length of 40 to 120 m and a transverse length of 5 to 20 m. For example, an underwater vessel of 1,800 tons may have a longitudinal length of 40 to 80 m and a transverse length of 5 to 20 m. For example, an underwater vessel of 3,000 tons may have a longitudinal length of 60 to 120 m and a transverse length of 5 to 20 m. The vessel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underwater vessel of less than 3,000 tons.

터그보트(T)는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선박(1)을 원하는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터그보트(T)는 500HP 내지 5,000HP의 예향력을 가질 수 있다.The tugboat (T) can pull the vessel (1) in a desired direction while moving backwards. The tugboat (T) can have a leading force of 500 HP to 5,000 HP.

도크(2)는 종방향으로 30 내지 200m의 길이를 가지고, 횡방향으로 5 내지 40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도크(2)는 해안에 마련될 수 있으며,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측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바닥면과 상기 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공간(22)에 선박(1)이 진입할 수 있다.The dock (2) may have a length of 30 to 200 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length of 5 to 40 m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dock (2) may be provided on the shore and is composed of a bottom surface and a side surface extending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and a vessel (1) may enter a receiving space (22) formed by the bottom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도크(2)는 길이방향의 일단에 게이트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부(21)는 상기 도크(2)의 내부 수용공간(22)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게이트부(21)는 바닥면과 힌지 결합되고, 상기 측면에는 상기 게이트부(21)를 들어올리는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부(21)가 들어올려지면, 상기 게이트부(21)는 도크(2)의 측면과 연결되며, 상기 도크(2)의 내부 수용공간(22)이 폐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게이트부(21)의 개폐 방식은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게이트부(21)는 물 아래 방향을 향하여 접힐 수 있다. The dock (2) may have a gate portion (21) formed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gate portion (21) may open and close the entrance to the internal receiving space (22) of the dock (2). For example, the gate portion (21) may be hinge-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and a device for lifting the gate portion (21) may b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When the gate portion (21) is lifted, the gate portion (21) is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dock (2), and the internal receiving space (22) of the dock (2) may be closed. However, the opening and closing method of the gate portion (21)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The gate portion (21) may be folded toward the water bottom.

수용공간(22)에는 수용공간(22)으로 들어온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펌프 등의 배출장치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수용공간(22)의 바닥면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거나, 상기 수용공간(22)으로 진입한 선박을 직접 인양하는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The receiving space (22) may be provided with a discharge device such as a pump that discharges water that has entered the receiving space (22) to the outside, and a device that raises or lowers the floo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22) or directly lifts a vessel that has entered the receiving space (22) may be provided.

수용공간(22)으로 선박(1)이 진입한 후, 상기 수용공간(22)이 폐쇄되면 상기 수용공간(22)으로 들어온 물은 펌프 등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22)의 바닥면이 승강하거나, 상기 선박(1)을 직접 인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용공간(22)으로 들어온 선박(1)은 공기 중으로 노출될 수 있다. 선박(1)의 수리 등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도크(2)가 개방되거나, 상기 바닥면이 하강할 수 있다.After a vessel (1) enters the receiving space (22), if the receiving space (22) is closed, the water that has entered the receiving space (22)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a pump, etc. In addition, the floo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22) can be raised or the vessel (1) can be directly lifted. Accordingly, the vessel (1) that has entered the receiving space (22) can be exposed to the air. When work such as repair of the vessel (1) is completed, the dock (2) can be opened or the floor surface can be lowered.

도 2를 참조하면, 선박(1)은 터그보트(T)에 의해 도크(2)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세하게, 선박(1)은 수용공간(22)의 입구로부터 100m 이하로 이격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vessel (1) can be moved to a position a certain distance away from the dock (2) by a tugboat (T). Specifically, the vessel (1) can be moved to a position less than 100 m away from the entrance of the receiving space (22).

도 2를 참조하면, 선박(1)은 적어도 2개 이상의 고정부(11, 12, 13)를 가질 수 있다. 고정부(11, 12, 13)는 선박(1)의 선체 외면에 마련되는 샤클, 또는 무어링홀(mooring hole)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부(11, 12, 13)는 선박의 길이방향에서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 고정부(11) 및 선박의 길이방향에서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고정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1, 12, 13)는 선박의 길이방향에서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 고정부(11), 상기 전방 고정부(11)의 후방에 배치되는 중앙 고정부(12) 및 상기 중앙 고정부(12)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고정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1, 12, 13)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수단(L)과 연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 ship (1) may have at least two or more fixed parts (11, 12, 13). The fixed parts (11, 12, 13) may be shackles or mooring hole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ull of the ship (1). For example, the fixed parts (11, 12, 13) may include a front fixed part (11) positioned for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ip and a rear fixed part (13) positioned rear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ip. The fixed parts (11, 12, 13) may include a front fixed part (11) positioned for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ip, a central fixed part (12) positioned rearward of the front fixed part (11), and a rear fixed part (13) positioned rearward of the central fixed part (12). The above fixed part (11, 12, 13) can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connecting means (L).

전방 고정부(11), 중앙 고정부(12) 및 후방 고정부(13) 중 적어도 두 개는 연결수단(L)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수단(L)과 고정부(11, 12, 13)의 연결방법은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At least two of the front fixing member (11), the central fixing member (12), and the rear fixing member (13) can b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ans (L).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connecting means (L) and the fixing members (11, 12, 13) can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도 2를 참조하면, 선박(1)은 길이방향의 수직 방향에 터그보트(T)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그보트(T)는 선박(1)이 향하는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선박(1)이 우측 방향으로 방향을 변경하는 경우, 상기 터그보트(T)는 선박(1)의 우측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그보트(T)는 선박(1)의 전방 고정부(11)에 연결된 연결수단(L)을 당겨서 상기 선박(1)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선박(1)의 후방 고정부(13)에는 다른 터그보트(T)가 연결될 수 있다. 후방 고정부(13)에 연결된 터그보트(T)는 상기 선박(1)을 후방으로 당겨, 선박(1)이 도크(2)와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 vessel (1) may have a tugboat (T)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tugboat (T) may be arrang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vessel (1) is facing. For example, when the vessel (1) changes direction to the right, the tugboat (T) may be arranged in the right direction of the vessel (1). The tugboat (T) may change the direction of the vessel (1) by pulling a connecting means (L) connected to a front fixing part (11) of the vessel (1). At this time, another tugboat (T) may be connected to a rear fixing part (13) of the vessel (1). The tugboat (T) connected to the rear fixing part (13) may pull the vessel (1) backward, thereby preventing the vessel (1) from colliding with the dock (2).

도 3을 참조하면, 선박(1)은 수용공간(22)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상세하게, 선박(1)은 수용공간(22)의 입구로부터 60m 이하로 이격되는 위치에서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선박(1)은 선박(1)의 좌우 안벽(23) 중 적어도 하나의 연장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도 후방 고정부(13)에 연결된 터그보트(T)는 상기 선박(1)을 후방으로 당겨, 선박(1)이 도크(2)와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터그보트(T)는 상기 선박(1)을 후방으로 당겨 선박(1)이 도크(2)와 인접하게 형성되는 저수심영역(A)과 이격되도록 유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vessel (1) can change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space (22). Specifically, the vessel (1) can change direction at a location spaced apart from the entrance of the receiving space (22) by 60 m or less. The vessel (1) can be placed on an extension of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berths (23) of the vessel (1). At this time, the tugboat (T) connected to the rear fixing member (13) can pull the vessel (1) backward to prevent the vessel (1) from colliding with the dock (2). In addition, the tugboat (T) can pull the vessel (1) backward to keep the vessel (1) away from the shallow water area (A) formed adjacent to the dock (2).

도 3을 참조하면, 견인장비(3)는 도크(2)의 안벽(23)의 바닥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상세하게, 견인장비(3)는 안벽(23)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이동할 수 있다. 견인장비(3)는 육상에서 주행가능한 장비일 수 있다. 일례로, 견인장비(3)는 굴삭기 등의 중장비일 수 있다. 일례로, 견인장비(3)는 안벽(23)에 형성되는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한 크레인일 수 있다. 상기 레일은 도크(2)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견인장비(3)는 좌우 안벽(23)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 견인장비(3)는 도크(2)의 말단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towing device (3) can mov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quay wall (23) of the dock (2). Specifically, the towing device (3) can mov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quay wall (23). The towing device (3) may be equipment that can travel on land. For example, the towing device (3) may be heavy equipment such as an excavator. For example, the towing device (3) may be a crane that can move along a rail formed on the quay wall (23). The rail may be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ock (2). The towing device (3) may be arranged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quay walls (23). Specifically, the towing device (3) may be arranged adjacent to the end of the dock (2).

연결장비(4)는 수상에서 이동가능한 장비일 수 있다. 일례로, 연결장비(4)는 보트일 수 있다. 연결장비(4)는 수용공간(22)의 입구로부터 40m 이하로 이격되는 위치에 있는 선박(1)으로 연결수단(L)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연결수단(L)은 일단이 견인장비(3)와 연결되어 있다. 연결장비(4)에 의해 견인장비(3)와 선박(1)이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 연결장비(4)는 선박(1)의 선수 방향에 형성되는 전방 고정부(11)와 연결될 수 있다. The connecting device (4) may be a device that can move on water. For example, the connecting device (4) may be a boat. The connecting device (4) may transmit a connecting means (L) to a vessel (1) located at a distance of 40 m or less from the entrance of the receiving space (22). One end of the connecting device (L) is connected to a towing device (3). The towing device (3) and the vessel (1) may be connected by the connecting device (4). Specifically, the connecting device (4) may be connected to a forward fixed part (11) formed in the bow direction of the vessel (1).

도 4를 참조하면, 견인장비(3)는 선박(1)에서 도크(2) 방향으로 이동하고, 견인장비(3)와 선박(1)을 연결하는 연결수단(L)은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때 터그보트(T)는 상기 선박(1)을 후방으로 당기고 있다. 전방 고정부(11)에 연결된 연결수단(L)은 터그보트(T)와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towing device (3) moves from the vessel (1) toward the dock (2), and the connecting means (L) connecting the towing device (3) and the vessel (1) can be kept taut. At this time, the tugboat (T) is pulling the vessel (1) backward. The connecting means (L) connected to the front fixing part (11) can be disconnected from the tugboat (T).

도 5를 참조하면, 견인장비(3)는 선박(1)을 수용공간(22)의 입구로부터 20m 이하로 이격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견인장비(3)는 선박(1)에서 도크(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연결장비(4)는 선박(1)의 후방 고정부(13)로 연결수단(L)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연결수단(L)은 당김장비(5)와 연결되어 있다. 상세하게, 연결장비(4)는 선박(1)의 선미 방향에 형성되는 후방 고정부(13)와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towing device (3) can move the vessel (1) to a position less than 20 m away from the entrance of the receiving space (22). The towing device (3) can move from the vessel (1) toward the dock (2). The connecting device (4) can transmit the connecting means (L) to the rear fixing part (13) of the vessel (1). The connecting means (L) is connected to the pulling device (5). Specifically, the connecting device (4) can be connected to the rear fixing part (13) formed in the stern direction of the vessel (1).

당김장비(5)는 안벽(23)에 설치되는 윈치, 크레인 등의 호이스트 장비일 수 있다. 당김장비(5)는 좌우 안벽(23)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 당김장비(5)는 도크(2)의 말단과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The pulling equipment (5) may be a hoisting equipment such as a winch or crane installed on the quay wall (23). The pulling equipment (5) may be installed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quay walls (23). Specifically, the pulling equipment (5) may be installed adjacent to the end of the dock (2).

연결장비(4)는 좌우 안벽(23)에 각각 배치되는 견인장비(3)와 당김장비(5)에 연결수단(L)을 순차적으로 전달하거나, 연결장비(4)가 복수 개 마련되어, 연결장비(4)는 좌우 안벽(23)에 각각 배치되는 견인장비(3)와 당김장비(5)에 연결수단(L)을 동시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연결수단(L)은 견인장비(3)와 연결된 후 연결장비(4)와 연결될 수 있으며, 반대로 연결수단(L)은 연결장비(4)와 연결된 후 견인장비(3)와 연결될 수 있다. The connecting device (4) sequentially transmits the connecting means (L) to the towing device (3) and the pulling device (5) respectively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23), or, if a plurality of connecting devices (4) are provided, the connecting devices (4) can simultaneously transmit the connecting means (L) to the towing device (3) and the pulling device (5) respectively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23).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connecting means (L) can be connected to the towing device (3) and then to the connecting device (4), or conversely, the connecting means (L) can be connected to the towing device (3) and then to the connecting device (4).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당김장비(5)는 연결수단(L)을 당길 수 있다. 이때 당김장비(5)와 연결된 연결수단(L)이 팽행해지면, 견인장비(3)는 도크(2)의 길이방향을 따라 도크(2)의 안쪽으로 이동하면서 선박(1)을 견인할 수 있다. 이때 터그보트(T)는 선박(1)을 후방으로 당겨 상기 선박(1)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6 and 7, the pulling device (5) can pull the connecting means (L). At this time, when the connecting means (L) connected to the pulling device (5) is extended, the towing device (3) can tow the vessel (1) while moving inward of the dock (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ock (2). At this time, the tugboat (T) can pull the vessel (1) backward to control the speed of the vessel (1).

당김장비(5)와 선박(1) 사이에는 가이드부(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6)는 안벽(23)과 바다의 경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6)는 안벽(23)의 상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볼라드(bollard)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6)의 측면으로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미도시)는 연결수단(L)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당김장비(5)는 한 방향으로만 연결수단(L)을 당길 수 있고, 상기 가이드부(6)는 연결수단(L)이 당겨질 때 연결수단(L)의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연결수단(L)은 상기 가이드부(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6)는 상기 선박(1)이 진입하는 위치에 따라 배치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6)의 배치에 따라 연결수단(L)의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A guide member (6)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pulling device (5) and the vessel (1). The guide member (6) may be arrang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quay wall (23) and the sea. The guide member (6) may be a bollard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quay wall (23). A protrusion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guide member (6). The protrusion (not shown) may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means (L). The pulling device (5) may pull the connecting means (L) in only one direction, and the guide member (6) may guide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ng means (L) when the connecting means (L) is pulled. The connecting means (L) may be supported by the guide member (6). The arrangement of the guide member (6) may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position at which the vessel (1) enters.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ng means (L) may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of the guide member (6).

도 8을 참조하면, 터그보트(T)는 수용공간(22)의 입구로부터 20m 이격되는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다. 연결수단(L)은 상기 위치에서 터그보트(T)와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이때 당김장비(5)는 선박(1)을 선박(1)의 전방으로 당길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tugboat (T) can be moved to a position 20 m away from the entrance of the receiving space (22). The connecting means (L) can be disconnected from the tugboat (T) at this position. At this time, the pulling device (5) can pull the vessel (1) toward the front of the vessel (1).

선박(1)과 견인장비(3) 사이의 연결수단(L)은 걸이부(7)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걸이부(7)는 연결수단(L)의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견인장비(3)는 도크(2)의 길이방향을 따라 도크(2)의 바깥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연결수단(L)은 상기 선박(1)을 선박(1)의 전방으로 당길 수 있다. 상기 걸이부(7)는 볼라드일 수 있다. The connecting means (L) between the vessel (1) and the towing device (3) can be supported by a hook (7). The hook (7) can guide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ng means (L). The towing device (3) can move outward from the dock (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ock (2). The connecting means (L) can pull the vessel (1) toward the front of the vessel (1). The hook (7) can be a bollard.

도 9를 참조하면, 선박(1)은 걸이부(7)와 연결된 상태로 수용공간(22)에 계류할 수 있다. 선박(1)은 게이트부(21)와 적어도 10m 이상 이격될 수 있다. 이때 도크(2)의 입구는 게이트부(21)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a vessel (1) can be moored in a receiving space (22) while connected to a hook (7). The vessel (1) can be spaced at least 10 m from a gate (21). At this time, the entrance to the dock (2) can be closed by the gate (21).

전방 고정부(11)는 좌우 안벽(23)의 걸이부(7)와 연결될 수 있다. 전방 고정부(11)는 걸이부(7)에 연결수단(L)이 이중으로 연결될 수 있다. 후방 고정부(13)는 좌우 안벽(23)의 걸이부(7)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후방 고정부(13)는 당김장비(5)와 연결될 수 있다. 중앙 고정부(12)는 적어도 하나의 안벽(23)의 걸이부(7)와 연결될 수 있다.The front fixing part (11) can be connected to the hooks (7) of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23). The front fixing part (11) can have a double connection means (L) to the hooks (7). The rear fixing part (13) can be connected to the hooks (7) of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23). In addition, the rear fixing part (13) can be connected to the pulling device (5). The central fixing part (12) can be connected to the hooks (7) of at least one side wall (23).

도 10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입항 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것이다.Figures 10 to 20 sequentially illustrate a method of entering a port of a ship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1)은 3,000 톤 급 이상의 수중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1)은 도크(2)의 진입 전에 제1 터그보트(T1) 및 제2 터그보트(T2)와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1 터그보트(T1) 및 제2 터그보트(T2)는 선박(1)의 전방 고정부(11)와 후방 고정부(13)에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1 터그보트(T1)는 선박(1)의 길이방향으로 전방과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터그보트(T1)는 선박(1)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터그보트(T1)는 선박(1)을 선박(1)의 길이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제1 터그보트(T1)는 둘 이상이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 전방 고정부(11)와 후방 고정부(13)에 연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a vessel (1)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underwater vessel of 3,000 tons or more. The vessel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a first tugboat (T1) and a second tugboat (T2) before entering a dock (2). Specifically, the first tugboat (T1) and the second tugboat (T2) may be connected to a front fixing part (11) and a rear fixing part (13) of the vessel (1). Specifically, the first tugboat (T1) may be arranged forward and rear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ssel (1). The first tugboat (T1) may be arrang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ssel (1). The first tugboat (T1) may pull the vessel (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ssel (1). Two or more first tugboats (T1) can be arranged, and each can be connected to the front fixing part (11) and the rear fixing part (13).

제2 터그보트(T2)는 선박(1)의 측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터그보트(T2)는 선박(1)의 측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터그보트(T2)는 선박(1)을 선박(1)의 측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제1 터그보트(T1)는 둘 이상이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 전방 고정부(11)와 후방 고정부(13)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터그보트(T2)는 선박(1)의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터그보트(T2)는 선박(1)의 일 방향에 둘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tugboat (T2) may be arrang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vessel (1). The second tugboat (T2) may be arrang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vessel (1). The second tugboat (T2) may pull the vessel (1)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vessel (1). Two or more first tugboats (T1) may be arranged, and each may be connected to the front fixing part (11) and the rear fixing part (13). The second tugboat (T2) may be arranged in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vessel (1). For example, two or more second tugboats (T2) may be arranged in one direction of the vessel (1).

제2 터그보트(T2)는 제1 터그보트(T1) 대비 예향력이 작을 수 있다. 일례로, 제1 터그보트(T1)는 3,000HP 이상의 예향력을 가질 수 있으며, 제2 터그보트(T2)는 500HP 내지 2000HP 이상의 예향력을 가질 수 있다. The second tugboat (T2) may have a lower cruising power than the first tugboat (T1). For example, the first tugboat (T1) may have a cruising power of 3,000 HP or more, and the second tugboat (T2) may have a cruising power of 500 HP to 2,000 HP or more.

제2 터그보트(T2)와 선박(1)을 연결하는 연결수단(L)은 제1 터그보트(T1)와 선박(1)을 연결하는 연결수단(L) 대비 길이가 짧을 수 있다. 제2 터그보트(T2)는 제1 터그보트(T1) 대비 선박(1)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터그보트(T2)는 제1 터그보트(T1) 대비 선박(1)에 힘을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힘의 크기 조절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onnecting means (L) connecting the second tugboat (T2) and the vessel (1) may be shorter in length than the connecting means (L) connecting the first tugboat (T1) and the vessel (1). The second tugboat (T2)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vessel (1) compared to the first tugboat (T1). Accordingly, the second tugboat (T2) can quickly transmit force to the vessel (1) compared to the first tugboat (T1), and the magnitude of the force can be quickly adjusted.

전방 고정부(11)와 후방 고정부(13)는 무어링홀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전방 고정부(11)와 후방 고정부(13)와 인접한 위치에 샤클(14)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터그보트(T1)와 선박(1)을 연결하는 연결수단(L)은 상기 샤클(14)을 통과하여 전방 고정부(11) 및 후방 고정부(13)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터그보트(T1)와 선박(1)을 연결하는 연결수단(L)은 상기 샤클(14)을 통과하여 전방 고정부(11) 및 후방 고정부(13)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샤클(14)은 선박(1)의 폭 방향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샤클(14)은 선박(1)의 전방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반대로 후방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샤클(14)은 선박(1)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연결수단(L)은 상기 샤클(14)을 통과하면서 선박(1)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선박(1)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선박(1)이 선박(1)의 폭 방향으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front fixing part (11) and the rear fixing part (13) may be formed by mooring holes, and a shackle (14)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front fixing part (11) and the rear fixing part (13). A connecting means (L) connecting the first tugboat (T1) and the ship (1) may pass through the shackle (14) and be connected to the front fixing part (11) and the rear fixing part (13). A connecting means (L) connecting the first tugboat (T1) and the ship (1) may pass through the shackle (14) and be connected to the front fixing part (11) and the rear fixing part (13). The shackle (14) may be arranged at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ship (1). The shackle (14) may be arranged to face the front of the ship (1), or conversely, may be arranged to face the rear. The shackle (14) may be hinge-coupled to the ship (1). The connecting means (L) can be connected to the vessel (1)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ssel (1) by passing through the shackle (14). Therefore, the vessel (1)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ull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ssel (1).

도 11을 참조하면, 선박(1)은 제1 터그보트(T1)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당겨지고 제2 터그보트(T2)에 의해 우측 방향으로 당겨지며, 이동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전방 고정부(11)와 연결된 제1 터그보트(T1)는 선박(1)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후방 고정부(13)와 연결된 제1 터그보트(T1)는 선박(1)의 이동을 제한하여,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a vessel (1) is pulled forward and backward by a first tugboat (T1) and pulled to the right by a second tugboat (T2), and can move. Specifically, the first tugboat (T1) connected to the front fixing member (11) moves the vessel (1) forward, and the first tugboat (T1) connected to the rear fixing member (13)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vessel (1), thereby preventing safety accidents.

도 12를 참조하면, 선박(1)은 도크(2)의 입구까지 이동할 수 있다. 선박(1)은 도크(2)의 입구로부터 거리가 60m 이하가 되는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전방 고정부(11)와 연결된 제1 터그보트(T1)는 선박(1)과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the vessel (1) can move to the entrance of the dock (2). The vessel (1) can move to a position where the distance from the entrance of the dock (2) is less than 60 m. At this time, the first tugboat (T1) connected to the front fixed part (11) can be disconnected from the vessel (1).

도 13을 참조하면, 선박(1)은 도크(2)의 입구로부터 거리가 40m 이하가 되는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다. 연결장비(4)는 견인장비(3)와 연결된 연결수단(L)을 선박(1)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일례로, 견인장비(3)와 선박(1)을 연결하는 연결수단(L)은 샤클(14)을 통과하여 전방 고정부(11)와 연결될 수 있다. 좌우 안벽(23) 각각에 배치된 견인장비(3)와 선박(1)이 연결될 수 있다. 후방 고정부(13)와 연결된 제1 터그보트(T1)는 선박(1)을 당겨, 선박(1)이 도크(2)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터그보트(T2)는 선박(1)을 좌우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상기 제2 터그보트(T2)는 선박(1)이 수용공간(22)의 폭방향의 중앙선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도록 힘을 유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the vessel (1) can move to a position where the distance is less than 40 m from the entrance of the dock (2). The connecting device (4) can transmit a connecting means (L) connected to the towing device (3) to the vessel (1). For example, the connecting means (L) connecting the towing device (3) and the vessel (1) can pass through a shackle (14) and be connected to the front fixing part (11). The vessel (1) can be connected to the towing devices (3) arranged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quay walls (23). The first tugboat (T1) connected to the rear fixing part (13) can pull the vessel (1) to prevent the vessel (1) from approaching the dock (2). In addition, the second tugboat (T2) can pull the vessel (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above second tugboat (T2) can maintain force so that the ship (1) is positioned on an extension of the center lin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22).

도 14를 참조하면, 선박(1)은 도크(2)의 입구로부터 40m 이하의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연결장비(4)는 당김장비(5)와 연결된 연결수단(L)을 선박(1)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일례로, 당김장비(5)와 선박(1)을 연결하는 연결수단(L)은 샤클(14)을 통과하여 후방 고정부(13)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샤클(14)은 선박(1)의 전방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좌우 안벽(23)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당김장비(5)와 선박(1)이 연결될 수 있다. 당김장비(5)는 제2 터그보트(T2)와 반대 방향에서 선박(1)을 당길 수 있다. 일례로, 제2 터그보트(T2)가 선박(1)을 우측에서 당기며, 좌측당김장비(52)는 선박(1)을 선박(1)의 좌측에서 당길 수 있다. 후방 고정부(13)와 연결된 제1 터그보트(T1)는 선박(1)을 당겨, 선박(1)이 도크(2)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터그보트(T2)는 선박(1)을 좌우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상기 제2 터그보트(T2)는 선박(1)이 수용공간(22)의 폭방향의 중앙선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도록 힘을 유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the vessel (1) can maintain a distance of 40 m or less from the entrance of the dock (2). The connecting device (4) can transmit a connecting means (L) connected to the pulling device (5) to the vessel (1). For example, the connecting means (L) connecting the pulling device (5) and the vessel (1) can pass through a shackle (14) and be connected to the rear fixing part (13). At this time, the shackle (14) can be arranged to face the front of the vessel (1). The vessel (1) can be connected to the pulling device (5) arranged on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quay walls (23). The pulling device (5) can pull the vessel (1)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econd tugboat (T2). For example, the second tugboat (T2) can pull the vessel (1) from the right side, and the left pulling device (52) can pull the vessel (1) from the left side of the vessel (1). The first tugboat (T1) connected to the rear fixing member (13) can pull the vessel (1) to prevent the vessel (1) from approaching the dock (2). In addition, the second tugboat (T2) can pull the vessel (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second tugboat (T2) can maintain force so that the vessel (1) is positioned on an extension of the center lin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22).

본 명세서에서 선박(1)의 이동과 견인장비(3)의 연결 또는 당김장비(5)의 연결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순서대로 일어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그 순서에 제한되지 않는다.In this specification, the movement of the ship (1) and the connection of the towing equipment (3) or the connection of the pulling equipment (5)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equence.

도 15를 참조하면, 선박(1)은 도크(2)의 입구로부터 거리가 20m 이하가 되는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다. 전방 고정부(11)에 연결된 제2 터그보트(T2)는 선박(1)과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후방 고정부(13)에 연결된 제2 터그보트(T2), 견인장비(3) 및 좌측당김장비(52)는 선박(1)이 수용공간(22)의 폭방향의 중앙선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도록 힘을 유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the vessel (1) can move to a position where the distance is less than 20 m from the entrance of the dock (2). The second tugboat (T2) connected to the front fixed part (11) can be disconnected from the vessel (1). The second tugboat (T2), the towing device (3), and the left pulling device (52) connected to the rear fixed part (13) can maintain force so that the vessel (1) is positioned on an extension of the center lin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22).

도 16을 참조하면, 선박(1)은 도크(2)의 입구로부터 20m 이하의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후방 고정부(13)에 연결된 제2 터그보트(T2)는 선박(1)과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이때 연결장비(4)는 당김장비(5)와 연결된 연결수단(L)을 선박(1)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당김장비(5)는 제2 터그보트(T2)가 배치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일례로, 제2 터그보트(T2)가 선박(1)의 우측에 배치되며, 상기 당김장비(5)는 선박(1)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6, the vessel (1) can maintain a distance of 20 m or less from the entrance of the dock (2). The second tugboat (T2) connected to the rear fixing member (13) can be disconnected from the vessel (1). At this time, the connecting device (4) can transmit the connecting means (L) connected to the pulling device (5) to the vessel (1). The pulling device (5) may be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tugboat (T2) is arranged. For example, the second tugboat (T2) may be arranged on the right side of the vessel (1), and the pulling device (5) may be arranged on the right side of the vessel (1).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견인장비(3) 및 당김장비(5)는 선박(1)을 수용공간(22) 내부로 당길 수 있다. 당김장비(5)의 연결수단(L)은 가이드부(6)의 측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7 and 18, the towing device (3) and the pulling device (5) can pull the vessel (1) into the receiving space (22). The connecting means (L) of the pulling device (5) can be supported by the side of the guide part (6).

도 19를 참조하면, 선박(1)은 수용공간(22)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이때 제1 터그보트(T1)는 선박(1)과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9, the vessel (1) can enter the receiving space (22). At this time, the first tugboat (T1) can be disconnected from the vessel (1).

도 20을 참조하면, 선박(1)은 게이트부(21)와 적어도 10m 이상 이격될 수 있다. 이때 도크(2)의 입구는 게이트부(21)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0, the ship (1) can be spaced at least 10 m from the gate portion (21). At this time, the entrance to the dock (2) can be closed by the gate portion (21).

전방 고정부(11)는 좌우 안벽(23)의 걸이부(7)와 연결될 수 있다. 후방 고정부(13)는 좌우 안벽(23)의 걸이부(7)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후방 고정부(13)는 당김장비(5)와 연결될 수 있다. 중앙 고정부(12)는 적어도 하나의 안벽(23)의 걸이부(7)와 연결될 수 있다.The front fixing member (11) can be connected to the hooks (7) of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23). The rear fixing member (13) can be connected to the hooks (7) of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23). In addition, the rear fixing member (13) can be connected to the pulling device (5). The central fixing member (12) can be connected to the hooks (7) of at least one side wall (23).

도 21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출항 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것이다.Figures 21 to 26 sequentially illustrate a method of departing a shi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1)은 수용공간(22)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전방 고정부(11)는 견인장비(3)와 연결되고, 후방 고정부(13)는 당김장비(5)와 연결될 수 있다. 게이트부(21)는 개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1, a vessel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laced inside a receiving space (22). At this time, the front fixing part (11) can be connected to a towing device (3), and the rear fixing part (13) can be connected to a pulling device (5). The gate part (21) can be opened.

도 22를 참조하면, 견인장비(3) 및 당김장비(5)는 상기 선박(1)의 후단이 도크(2)의 입구와 인접하도록 선박(1)을 이동시킬 수 있다. 견인장비(3) 및 당김장비(5)는 상기 선박(1)을 당기거나, 밀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Referring to Fig. 22, the towing device (3) and the pulling device (5) can move the vessel (1) so that the rear end of the vessel (1) is adjacent to the entrance of the dock (2). The towing device (3) and the pulling device (5) can pull or push the vessel (1),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23을 참조하면, 선박(1)과 터그보트(T)가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 터그보트(T)는 후방 고정부(13)에 연결될 수 있다. 선박(1)의 이동 속도보다 당김장비(5)가 연결수단(L)을 당기는 속도가 느릴 수 있다. 따라서 선박(1)이 이동하기 전 견인장비(3) 및 당김장비(5)는 상기 선박(1)이 수용공간(22)의 폭방향의 중앙선 상에 배치되도록 선박(1)을 이동시키고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3, a vessel (1) and a tugboat (T) can be connected. Specifically, the tugboat (T) can be connected to a rear fixing member (13). The speed at which the pulling device (5) pulls the connecting means (L) may be slower than the moving speed of the vessel (1). Therefore, before the vessel (1) moves, the towing device (3) and the pulling device (5) can move the vessel (1) and adjust its direction so that the vessel (1) is positioned on the centerlin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22).

도 24를 참조하면, 선박(1)과 당김장비(5)의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상세하게, 선박(1)이 수용공간(22)의 폭방향의 중앙선 상에 배치될 때 선박(1)과 당김장비(5)의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견인장비(3) 및 터그보트(T)는 상기 선박(1)을 선박(1)의 전후 방향으로 각각 당길 수 있다. 또한, 선박(1)은 러더(Rudder)를 이용하여 수용공간(22)의 폭방향의 중앙선 상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4, the connection between the vessel (1) and the pulling device (5) can be released. Specifically, the connection between the vessel (1) and the pulling device (5) can be released when the vessel (1) is positioned on the centerlin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ceiving space (22). The towing device (3) and the tugboat (T) can pull the vessel (1)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vessel (1),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vessel (1) can maintain its position on the centerlin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ceiving space (22) by using a rudder.

도 25를 참조하면, 선박(1)은 견인장비(3)와 도크(2)의 입구 사이의 거리가 40m 이하가 되는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다. 선박(1)이 수용공간(22)의 폭방향의 중앙선 상에 배치될 때, 선박(1)과 견인장비(3)의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선박(1)과 안벽(23) 사이의 거리가 기설정된 값 이상일 때 상기 선박(1)과 상기 견인장비(3)의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선박(1)과 안벽(23) 사이의 거리가 5m 이상일 때 상기 선박(1)과 상기 견인장비(3)의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견인장비(3)의 연결 해제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5, the vessel (1) can move to a position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towing device (3) and the entrance of the dock (2) becomes 40 m or less. When the vessel (1) is placed on the centerlin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ceiving space (22), the connection between the vessel (1) and the towing device (3) can be disconnecte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vessel (1) and the quay (23) is greater than a preset value, the connection between the vessel (1) and the towing device (3) can be disconnecte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vessel (1) and the quay (23) is 5 m or more, the connection between the vessel (1) and the towing device (3) can be disconnected. Therefore, a safety accident can be prevented when the towing device (3) is disconnected.

도 26을 참조하면, 선박(1)은 전방 고정부(11)에 터그보트(T)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후방 고정부(11)에 연결된 터그보트(T)는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6, a tugboat (T) can be connected to a front fixed part (11) of a vessel (1). At this time, the tugboat (T) connected to the rear fixed part (11) can maintain the connection.

도 27 내지 도 3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출항 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것이다.Figures 27 to 37 sequentially illustrate a method of departing a ship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1)은 수용공간(22)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전방 고정부(11)는 견인장비(3)와 연결되고, 후방 고정부(13)는 당김장비(5)와 연결될 수 있다. 게이트부(21)는 개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7, a vessel (1)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laced inside a receiving space (22). At this time, the front fixing part (11) can be connected to a towing device (3), and the rear fixing part (13) can be connected to a pulling device (5). The gate part (21) can be opened.

당김장비(5)와 선박(1)을 연결하는 연결수단(L)은 가이드부(6)에 의해 벤딩될 수 있다. 가이드부(6)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가이드부(6)는 도크(2)의 입구로부터 선박(1)의 길이방향으로 순서대로 배치되는 제1 가이드부(61), 제2 가이드부(62) 및 제3 가이드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제1 가이드부(61), 제2 가이드부(62) 및 제3 가이드부(63)는 당김장비(5)로부터 선박(1)의 폭방향으로 순서대로 배치될 수 있다. The connecting means (L) connecting the pulling device (5) and the vessel (1) can be bent by the guide portion (6). The guide portion (6) can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guide portions. For example, the guide portion (6) can include a first guide portion (61), a second guide portion (62), and a third guide portion (63) that are arranged in seque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ssel (1) from the entrance of the dock (2). Specifically, the first guide portion (61), the second guide portion (62), and the third guide portion (63) can be arranged in sequenc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ssel (1) from the pulling device (5).

도 28을 참조하면, 견인장비(3) 및 당김장비(5)는 상기 선박(1)의 후단이 도크(2)의 입구와 인접하도록 선박(1)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선박(1)은 후방 고정부(13)가 제3 가이드부(63)와 일직선을 이루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8, the towing equipment (3) and the pulling equipment (5) can move the vessel (1) so that the rear end of the vessel (1) is adjacent to the entrance of the dock (2). Specifically, the vessel (1) can be moved to a position where the rear fixing member (13) is in a straight line with the third guide member (63).

도 29를 참조하면, 제2 가이드부(62)와 제3 가이드부(63) 사이에 제4 가이드부(64)가 설치될 수 있다. 선박(1)과 제4 가이드부(64)가 연결될 수 있다. 제4 가이드부(64)에 연결수단(L)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수단(L)은 60 ø 이하의 굵기를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9, a fourth guide portion (64)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guide portion (62) and the third guide portion (63). The ship (1) and the fourth guide portion (64) may be connected. A connecting means (L) may be fixed to the fourth guide portion (64). Here, the connecting means (L) may have a thickness of 60 ø or less.

도 30(a)를 참조하면, 후방 고정부(13)와 제4 가이드부(64)가 연결된 연결수단(L)은 제3 가이드부(63) 및 제4 가이드부(6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연결수단(L)은 제3 가이드부(63)에서 벤딩되고, 제4 가이드부(64)에 고정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0(a), the connecting means (L) connecting the rear fixing part (13) and the fourth guide part (64) can be supported by the third guide part (63) and the fourth guide part (64). The connecting means (L) can be bent at the third guide part (63) and fixed to the fourth guide part (64).

도 30(b)를 참조하면, 제4 가이드부(64)는 기둥본체(641)로부터 돌출되는 상날개(642) 및 하날개(643)를 포함한다. 제4 가이드부(64)에서 고정되는 연결수단(L)은 상기 하날개(64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0(b), the fourth guide portion (64) includes an upper wing (642) and a lower wing (643) protruding from the column body (641). The connecting means (L) fixed to the fourth guide portion (64) can be supported by the lower wing (643).

도 31(a)를 참조하면, 당김장비(5)와 후방 고정부(13)를 연결하는 연결수단(L)은 연결이 해제되고, 상기 연결수단(L)은 중앙 고정부(12)와 연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1(a), the connecting means (L) connecting the pulling device (5) and the rear fixing part (13) is disconnected, and the connecting means (L) can be connected to the central fixing part (12).

도 31(b)를 참조하면, 제3 가이드부(63)는 기둥본체(631)로부터 돌출되는 상날개(632) 및 하날개(633)를 포함한다. 제4 가이드부(64)에 고정되는 제1 연결수단(L1)은 제3 가이드부(63)의 하날개(63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당김장비(5)와 연결된 제2 연결수단(L2)은 제3 가이드부(63)의 상날개(63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1(b), the third guide portion (63) includes an upper wing (632) and a lower wing (633) protruding from the column body (631). The first connecting means (L1) fixed to the fourth guide portion (64) can be supported by the lower wing (633) of the third guide portion (63). The second connecting means (L2) connected to the pulling device (5) can be supported by the upper wing (632) of the third guide portion (63).

도 30(b) 및 도 31(b)를 참조하면, 제1 연결수단(L1)은 제3 가이드부(63)에 의해 선박(1)의 후방 방향에서 지지될 수 있고, 제2 연결수단(L)은 선박(1)의 전방 방향에서 제4 가이드부(64)에 고정되며, 제3 가이드부(63)에 의해 선박(1)의 후방 방향에서 지지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0(b) and FIG. 31(b), the first connecting means (L1) can be supported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ship (1) by the third guide part (63), and the second connecting means (L) is fixed to the fourth guide part (64)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ship (1) and can be supported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ship (1) by the third guide part (63).

도 32를 참조하면, 견인장비(3) 및 당김장비(5)는 선박(1)을 선박(1)의 후방으로 당길 수 있다. 이때 제4 가이드부(64)에 고정된 연결수단(L)은 상기 제4 가이드부(64)로부터 고정이 해제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수단(L)은 일정한 장력이 걸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연결수단(L)은 견인장비(3) 및 당김장비(5)에 의해 선박(1)이 이동한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상기 제4 가이드부(64)에서 풀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수단(L)에 기설정된 값 이상의 장력이 걸리면 상기 연결수단(L)은 상기 제4 가이드부(64)에 고정될 수 있다. 연결수단(L)은 선박(1)이 비정상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수단(L)은 상기 제4 가이드부(64)의 기둥본체(641)의 둘레를 감싸고 있고, 그 말단이 상기 연결수단(L)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어장치(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2, the towing device (3) and the pulling device (5) can pull the vessel (1) toward the rear of the vessel (1). At this time, the connecting means (L) fixed to the fourth guide part (64) can be released from the fourth guide part (64), and the connecting means (L) can be maintained under a certain tension. Specifically, the connecting means (L) can be released from the fourth guide part (64) by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the vessel (1) has moved by the towing device (3) and the pulling device (5). When a tension greater than a preset value is applied to the connecting means (L), the connecting means (L) can be fixed to the fourth guide part (64). The connecting means (L) can control the vessel (1) from moving abnormally. For example, the connecting means (L) wraps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column body (641) of the fourth guide part (64), and its end can be connected to a control device (not shown) that adjusts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means (L).

도 33을 참조하면, 제4 가이드부(64)가 중앙 고정부(12) 및 후방 고정부(13)의 사이에 배치되는 위치로 선박(1)이 이동할 수 있다. 일례로, 중앙 고정부(12)와 제3 가이드부(63) 사이에서 연결수단(L)의 길이와 후방 고정부(13)와 제4 가이드부(64) 사이에서 연결수단(L)의 길이가 같아지는 지점으로 선박(1)이 이동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3, the ship (1) can move to a position where the fourth guide part (64) is positioned between the central fixing part (12) and the rear fixing part (13). For example, the ship (1) can move to a point where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means (L) between the central fixing part (12) and the third guide part (63) and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means (L) between the rear fixing part (13) and the fourth guide part (64) are equal.

도 34를 참조하면, 제4 가이드부(64)에 고정된 연결수단(L)의 고정이 해제되고, 터그보트(T)가 후방 고정부(13)에 연결될 수 있다. 견인장비(3), 당김장비(5) 및 터그보트(T)는 선박(1)을 선박(1)의 후방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34, the fixing of the connecting means (L) fixed to the fourth guide part (64) is released, and the tugboat (T) can be connected to the rear fixing part (13). The towing equipment (3), the pulling equipment (5), and the tugboat (T) can move the vessel (1) in the rearward direction of the vessel (1).

도 35를 참조하면, 중앙 고정부(12)가 제4 가이드부(64)와 도크(2)의 입구 사이에 위치할 때 당김장비(5)와 선박(1)의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일례로 선박(1)의 전방 말단으로부터 도크(2)의 입구 사이의 거리가 60m 이하인 위치에서, 당김장비(5)와 선박(1)의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5, the connection between the pulling device (5) and the ship (1) can be disconnected when the central fixing member (12) is located between the fourth guide member (64) and the entrance of the dock (2). For example, the connection between the pulling device (5) and the ship (1) can be disconnected at a position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ship (1) and the entrance of the dock (2) is 60 m or less.

도 36을 참조하면, 선박(1)은 견인장비(3)와 도크(2)의 입구 사이의 거리가 40m 이하가 되는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다. 선박(1)이 수용공간(22)의 폭방향의 중앙선 상에 배치될 때, 선박(1)과 견인장비(3)의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6, the vessel (1) can be moved to a position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towing device (3) and the entrance of the dock (2) becomes 40 m or less. When the vessel (1) is placed on the centerlin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ceiving space (22), the connection between the vessel (1) and the towing device (3) can be released.

도 37을 참조하면, 선박(1)은 전방 고정부(11)에 터그보트(T)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후방 고정부(11)에 연결된 터그보트(T)는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7, a vessel (1) can have a tugboat (T) connected to a front fixed part (11). At this time, the tugboat (T) connected to the rear fixed part (11) can maintain the connection.

상기와 같이 선박(1)의 입항 및 출항 방법에 따라, 선박(1)이 도크(2)에 입항하거나, 도크(2)로부터 외부로 출항할 수 있으며, 선박의 사고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depending on the method of entry and exit of the vessel (1), the vessel (1) can enter the dock (2) or depart from the dock (2),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an accident to the vessel.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의 조합 또는 상기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지 기술의 조합을 또 다른 실시예로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may include a combination of the above embodiments or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the above embodiments and a known technology as another embodiment.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기술내용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예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조합 또는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용이하게 도출가능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기술내용들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thereof, these are merely example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ombination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not illustrated in the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technical contents of the embodiments. Accordingly, technical contents related to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that can be easily derived from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 선박 11: 전방 고정부
12: 중앙 고정부 13: 후방 고정부
14: 샤클
2: 도크 21: 게이트부
22: 수용공간 23: 안벽
3: 견인장비 31: 우측견인장비
32: 좌측견인장비
4: 연결장비
5: 당김장비 51: 우측당김장비
52: 좌측당김장비
6: 가이드부 61: 제1 가이드부
62: 제2 가이드부 63: 제3 가이드부
64: 제4 가이드부 631, 641: 기둥본체
632, 642: 상날개 633, 643: 하날개
7: 걸이부 T; 터그보트
T1: 제1 터그보트 T2: 제2 터그보트
L: 연결수단 L1: 제1 연결수단
L2: 제2 연결수단
1: Ship 11: Forward fixing
12: Central fixing part 13: Rear fixing part
14: Shackle
2: Dock 21: Gate area
22: Reception space 23: Quay wall
3: Towing equipment 31: Right towing equipment
32: Left towing equipment
4: Connecting equipment
5: Pulling device 51: Right pulling device
52: Left pull device
6: Guide Section 61: 1st Guide Section
62: 2nd Guide Section 63: 3rd Guide Section
64: 4th guide section 631, 641: Column body
632, 642: Upper wings 633, 643: Lower wings
7: Hook T; Tugboat
T1: First tugboat T2: Second tugboat
L: connecting means L1: first connecting means
L2: Second connecting means

Claims (16)

도크의 입구로부터 60m 이하의 거리에서 선박이 상기 선박과 연결된 터그보트에 의해 상기 도크의 좌우 안벽 중 적어도 하나의 연장선 상으로 이동하는 제1 단계;
상기 도크의 입구로부터 40m 이하의 거리에서 상기 선박이 상기 터그보트에 의해 선회하여, 상기 도크의 수용공간의 중앙선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는 제2 단계;
상기 선박이 상기 안벽에 배치된 견인장비와 연결되며, 상기 선박과 상기 터그보트의 연결이 해제되는 제3 단계;
상기 도크의 입구로부터 20m 이하의 거리에서 상기 선박이 상기 안벽에 배치된 당김장비와 연결되는 제4 단계; 및
상기 선박이 상기 견인장비 및 상기 당김장비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진입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의 입항 방법.
A first step in which a vessel moves along an extension of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quay walls of the dock by a tugboat connected to the vessel at a distance of 60 m or less from the entrance of the dock;
A second step in which the vessel is turned by the tugboat at a distance of 40 m or less from the entrance of the dock and placed on an extension of the center line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dock;
A third step in which the vessel is connected to the towing equipment placed on the quay wall, and the vessel and the tugboat are disconnected;
A fourth step in which the vessel is connected to the pulling equipment placed on the quay wall at a distance of 20 m or less from the entrance of the dock; and
A method for entering a port for a vessel, comprising a fifth step of the vessel entering the receiving space by the towing equipment and the pulling equipm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그보트는,
상기 선박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하나가 연결되는 선박의 입항 방법.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tugboat,
A method of entering a port for a vessel, wherein one is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vessel respectivel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선박의 전방에 연결된 터그보트의 연결이 해제되는 선박의 입항 방법.
In the second paragraph,
In the third step above,
A method of entering a port for a vessel in which the connection of a tugboat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vessel is disconnec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장비는 상기 선박의 선수 방향에 형성된 전방 고정부와 연결되고,
상기 당김장비는 상기 선박의 선미 방향에 형성된 후방 고정부와 연결되는 선박의 입항 방법.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towing equipment is connected to the forward fixed part formed in the bow direction of the vessel,
A method of entering a port for a ship in which the above pulling equipment is connected to a rear fixed part formed in the stern direction of the ship.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후방에 연결된 터그보트는,
상기 선박이 상기 수용공간에 진입한 후에 연결이 해제되는 선박의 입항 방법.
In the second paragraph,
The tugboat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above vessel is,
A method of entry of a vessel in which the connection is released after the vessel enters the reception sp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이 상기 수용공간에 진입한 후에 상기 도크는 입구가 폐쇄되는 선박의 입항 방법.
In the first paragraph,
A method for entering a port by a ship, wherein the entrance to the dock is closed after the ship enters the receiving spa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은,
3,000톤 급 이상의 수중함인 선박의 입항 방법.
In paragraph 6,
The above vessel,
Method of entry into port for ships that are submarines of 3,000 tons or mor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터그보트는,
제1 터그보트; 및
상기 제1 터그보트보다 예향력이 작은 제2 터그보트를 포함하는 선박의 입항 방법.
In paragraph 7,
The above tugboat,
1st tugboat; and
A method for entering a port of a vessel including a second tugboat having a lower directional force than the first tugboa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그보트와 상기 선박을 연결하는 연결수단은 샤클을 통과하여 상기 선박에 연결되는 선박의 입항 방법.
In paragraph 8,
A method for entering a port of a vessel by connecting the first tugboat and the vessel through a shackle.
선박이 도크의 안벽에 배치된 견인장비 및 상기 안벽에 배치된 당김장비와 연결되는 제1 단계;
상기 선박이 상기 견인장비 및 상기 당김장비에 의해 상기 도크의 입구에 배치되는 제2 단계;
상기 선박이 상기 도크의 수용공간의 중앙선 상에 배치되는 제3 단계;
상기 선박과 상기 도크의 입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터그보트가 연결되며, 상기 선박과 상기 당김장비의 연결이 해제되는 제4 단계; 및
상기 선박과 상기 견인장비의 연결이 해제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의 출항 방법.
A first step in which a vessel is connected to a towing device placed on the quay wall of a dock and a pulling device placed on the quay wall;
A second step in which the vessel is placed at the entrance of the dock by the towing equipment and the pulling equipment;
A third step in which the vessel is placed on the centerline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dock;
A fourth step in which a tugboat positioned at a location away from the entrance of the vessel and the dock is connected, and the vessel and the pulling equipment are disconnected; and
A method for departing a vessel, comprising a fifth step of disconnecting the vessel and the towing equipmen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안벽으로부터 5m 이상 이격될 때 상기 선박과 상기 견인장비의 연결이 해제되는 선박의 출항 방법.
In paragraph 10,
The fifth step above is,
A method of departing a vessel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the vessel and the towing equipment is disconnected when the vessel is separated by more than 5 m from the quay wall.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장비는 상기 선박의 선수 방향에 형성된 전방 고정부와 연결되고,
상기 당김장비는 상기 선박의 선미 방향에 형성된 후방 고정부와 연결되는 선박의 출항 방법.
In paragraph 10,
The above towing equipment is connected to the forward fixed part formed in the bow direction of the vessel,
A method for departing a ship in which the above pulling equipment is connected to a rear fixed part formed in the stern direction of the ship.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은,
3,000톤 급 이상의 수중함인 선박의 출항 방법.
In paragraph 11,
The above vessel,
Method of departure for a ship that is an underwater vessel of 3,000 tons or mor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선박이 상기 도크의 수용공간의 중앙선 상에 배치된 후,
상기 선박이 상기 안벽에 설치된 가이드부에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의 출항 방법.
In paragraph 13,
The third step above is,
After the above vessel is placed on the center line of the dock's receiving space,
A method for departing a vessel, comprising a step of connecting the vessel to a guide unit installed on the quay wall.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선박이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된 후,
상기 당김장비는 상기 선박의 선미 방향에 형성된 후방 고정부와 연결이 해제되고, 상기 선박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 고정부와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의 출항 방법.
In paragraph 14,
The third step above is,
After the above vessel is connected to the above guide section,
A method for departing a ship, comprising the step of disconnecting the above-mentioned pulling device from a rear fixing part formed in the stern direction of the ship and connecting it to a central fixing part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hip.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당김장비가 상기 중앙 고정부와 연결된 후,
상기 선박이 상기 견인장비 및 상기 당김장비에 의해 상기 도크의 입구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의 출항 방법.
In paragraph 15,
The third step above is,
After the above pull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above central fixing part,
A method of departing a vessel, comprising the step of moving the vessel toward the entrance of the dock by the towing equipment and the pulling equipment.
KR1020240038730A 2024-03-20 2024-03-20 Entry method and departure method of ship Pending KR2025014154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38730A KR20250141548A (en) 2024-03-20 2024-03-20 Entry method and departure method of shi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38730A KR20250141548A (en) 2024-03-20 2024-03-20 Entry method and departure method of shi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141548A true KR20250141548A (en) 2025-09-29

Family

ID=97222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8730A Pending KR20250141548A (en) 2024-03-20 2024-03-20 Entry method and departure method of shi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5014154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23681A (en) Barge carrying transport vessel
EP1984237B1 (en) Deep water installation vessel
US4135468A (en) Barge-carrying waterborne vessel and transportation method
US3939790A (en) Transport ship construction and method of loading floating cargo into a floatable cargo space of a ship
WO2016116771A1 (en) Multifunctional aft door
KR20100136766A (en) Mobile / Governmental Offshore Floating Structures
EP4103464B1 (en) Spread moored vessel comprising a riser moonpool
US8381669B2 (en) System for loading of hydrocarbons from a floating vessel
IE43971B1 (en) A floating vessel with improved seakeeping characteristics
US20060096513A1 (en) Ice breaker (variants), method and system for single-support mooring and servicing ships
KR20250141548A (en) Entry method and departure method of ship
KR101938918B1 (en) Hull Structure for Side-by-side Mooring System of Floating Offshore Structure
KR101444146B1 (en) A vessel with retractable thruster
CA21637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fluid transport between ships
NL2016759B1 (en) Assembly of a Vessel and a Floating Module
USRE30040E (en) Vessel for flotation loading and unloading and partial buoyancy support of barges and other floating cargoes
US3865062A (en) Marine geophysical exploration system
KR101444150B1 (en) A vessel with retractable thruster
KR20120132131A (en) Emergency towing system and ahip having the same
WO2022019801A1 (en) Method for transporting a large iceberg
KR810001447B1 (en) Barge-carrying waterborne vessel
KR810001448B1 (en) Barge-carrying waterborne vessel transportation method
RU2827914C1 (en) Autonomous unmanned underwater vehicle lowering and lifting device
US6334401B1 (en) Floating structure for the transfer of cargo
KR810001873B1 (en) Vessel for flotatation loading and unloading and partial buoyancy suppot of barges and the flating cargo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