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40002386B1 - Power source device - Google Patents

Power sourc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386B1
KR840002386B1 KR1019810001071A KR810001071A KR840002386B1 KR 840002386 B1 KR840002386 B1 KR 840002386B1 KR 1019810001071 A KR1019810001071 A KR 1019810001071A KR 810001071 A KR810001071 A KR 810001071A KR 840002386 B1 KR840002386 B1 KR 840002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coil
circuit
voltage
output volt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10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30005746A (en
Inventor
마사유끼 야스무라
히로시 사까모도
다다시 오오무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이와마 가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이와마 가즈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to KR1019810001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2386B1/en
Publication of KR830005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57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386B1/en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전원장치Power supply

제1도는 종래예의 회로도.1 is a circuit diagram of a conventional example.

제2도와 제3a 및 제3b도는 제1도에서 트랜스(10)의 구체적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2 and 3a and 3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transformer 10 in FIG.

제4도 및 제5도는 제1도 장치에서 히스테리시스 곡선과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4 and 5 are graphs show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hysteresis curve in the device of FIG.

제6도는 제1도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시간도표.6 is a time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FIG.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의 회로도.7 is a circuit diagram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8도 및 제9도는 제7도에서 트랜스(10)의 제각기 다른 구체적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8 and 9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different concrete structures of the transformer 10 in FIG.

제10도 및 제11도는 제7도의 등 가회로도.10 and 11 are equivalent circuit diagrams of FIG.

제12도 및 제13도는 제7도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시간도표.12 and 13 are time chart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FIG.

제14도는 제11도를 더욱 간략화된 등 가회로도.FIG. 14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FIG. 11 further simplified.

제15도는 제14도의 인덕턴스 벡터의 궤적을 도시한 원선도.FIG. 15 is a circular diagram showing the trajectory of the inductance vector of FIG.

제16도는 제14도의 등 가회로에 있어서의 반공진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FIG. 16 is a graph showing the anti-resonance curve in the equivalent circuit of FIG.

제17도는 제14도에 있어서 매개변수들을 변화시킬 때 횡축을 상호 인덕턴스로 할 때의 반공진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FIG. 17 is a graph showing the anti-resonance curve when the horizontal axis is the mutual inductance when changing parameters in FIG.

제18도는 제7도의 회로를 모방한 실험회로도.18 is an experimental circuit diagram imitating the circuit of FIG.

제19도는 제18도의 실험회로에 있어서의 반공진 곡선과 제14도의 등 가회로에 있어서의 반공진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FIG. 19 is a graph showing the anti-resonance curve in the experimental circuit of FIG. 18 and the anti-resonance curve in the equivalent circuit of FIG.

제20도 및 제21도는 제7도의 제어전류 Ic를 선형적으로 변화시킬 때의 반공진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20 and 21 are graphs showing antiresonance curves when the control current Ic in FIG. 7 is changed linearly.

제22도는 제7도에 있어서의 히스테리시스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22 is a graph showing the hysteresis curve in FIG.

제23도는 종래의 부하특성을 도시한 그래프.23 is a graph showing conventional load characteristics.

제24a도 내지 e도는 제7도의 여러 부분에 대한 출력파형을 도시한 시간도표.24a to e are time charts showing the output waveforms for various parts of FIG.

제25도는 본 실시예의 부하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25 is a graph showing the load characteristics of this embodiment.

제2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회로도.26 is a circuit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7도 내지 제29도는 제26도의 회로를 간략화한 등 가회로도.27 to 29 are equivalent circuit diagrams simplifying the circuit of FIG.

본 발명은 자속을 제어하여 정전압 출력을 얻는 트랜스를 사용한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선행기술로서, 본 발명자가 이미 제안한 전원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간단히 설명하겠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apparatus using a transformer for controlling a magnetic flux to obtain a constant voltage output. As the prior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wer supply apparatus already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1도에 있어서, 교류전원(1)으로부터의 교류를 전파정류기(2)로 정류하고 평활콘덴서(3)로 평활하여 직류출력을 발생시킨다. 이 출력단에는 쵸크코일(4)과 트랜스(10)의 1차측(제1코일) 코일 N1및 스위칭용 트랜지스터(5)의 콜렉터 에미터가 직렬로 접속되며, 트랜지스터(5)의 콜렉터와 에미터 사이에 스위칭용 다이오드(6)와 공진용 콘덴서(7)가 병렬 접속된다. 또 트랜지스터(5)의 베이스에는, 예를 들어, 15 내지 20㎑ 정도의 주파수 펄스신호가 공급된다.In FIG. 1, the AC from the AC power supply 1 is rectified by the full-wave rectifier 2 and smoothed by the smoothing capacitor 3 to generate a DC output. At this output end, the choke coil 4 and the primary coil (first coil) coil N 1 of the transformer 10 and the collector emitter of the switching transistor 5 are connected in series, and the collector and emitter of the transistor 5 are connected in series. The switching diode 6 and the resonance capacitor 7 are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m. In addition, a frequency pulse signal of, for example, about 15 to 20 Hz is supplied to the base of the transistor 5.

트랜스(10)의 2차측 코일 N2에는 파라에트릭 발진용 또는 파정형용의 소용량 콘덴서(13)와 2개의 다이오드로 구성된 정류회로(14)가 접속되며, 이 출력단에는 평활콘덴서(15)와 부하(16)가 접속된다. 또 제어회로(17)는 상기 정류회로(14)로부터의 출력전압 E0의 크기를 검출하여, 제어전류 Ic를 트랜스(10)의 제어코일 Nc에 전달한다.The secondary coil N 2 of the transformer 10 is connected with a small capacitance capacitor 13 for para-electric oscillation or wave type and a rectifier circuit 14 composed of two diodes. The output terminal has a smoothing capacitor 15 and a load. 16 is connected. The control circuit 17 also detects the magnitude of the output voltage E 0 from the rectifier circuit 14 and transfers the control current Ic to the control coil Nc of the transformer 10.

여기서 트랜스(10)는, 예를 들어, 제2도에 도시된 구조의 것을 사용하며, 한쌍의 자기코어(11),(12)에는, 예를 들어, 정방형 또는 장방형의 판형코 어기부(10E)와 네 모서리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호 같은 단면적을 갖는 자각(磁脚)(10A) 내지 (10D)이 형성되어 있으며 코어(11),(12)는 자각(10A) 내지 (10D)과 (10A) 내지 (10D)이 단부에서 서로 접하여 대향되므로, 전체적으로 입방체 내지 직방체가 되도록 조합되어 있다. 또, 코어(11),(12)는, 예를 들어, 훼라이트 재질로 형성된다.Here, the transformer 10 uses, for example, the structure shown in FIG. 2, and the pair of magnetic cores 11 and 12 includes, for example, a square or rectangular plate nose fishing unit 10E. ) Are formed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our corners and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10A) to (10D) and the cores (11) and (12) are the (10A) to (10D) And (10A) to (10D)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e end and face each other, and are combined so as to be a cube or a cube as a whole. In addition, the cores 11 and 12 are formed of a ferrite material, for example.

또, 코어(11)의 자각(10B),(10D)에 걸쳐서 1차측 코일 N1이 감겨 있으며, 코어(11)의 자각(10A),(10C)에 걸쳐서 2차측 코일 N2이 감겨져 있고, 코어(12)의 자각(10A),(10B)에 걸쳐서 제어코일 Nc이 감겨져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코일 N1과 N2이 트랜스 결합으로 되어 코일 N1, N2및 Nc이 직교결합되지만 이 때의 코일 N1과 N2의 결합계수는 0.5 내지 0.6 정도로 된다.In addition, the primary coil N 1 is wound over the magnetic cores 10B and 10D of the core 11, and the secondary coil N 2 is wound over the magnetic cores 10A and 10C of the core 11. The control coil Nc is wound around the core 10A, 10B of the core 12. As shown in FIG. Therefore, in this case, the coils N 1 and N 2 are trans-bonded so that the coils N 1 , N 2, and Nc are orthogonally coupled, but the coupling coefficients of the coils N 1 and N 2 at this time are about 0.5 to 0.6.

이러한 트랜스(10)의 자속분포 상태는 제3a 및 3b도 도시되어 있다. 즉 코일 N1의 여자전류를 I1, 코일 N2의 발진전류를 I2, 코일 N2로부터 나오는 부하전류를 IL로 하면, 이 트랜스(10)의 전기자력 NI는 다음과 같이 된다.The magnetic flux distribution state of the transformer 10 is also shown in the 3a and 3b. In other words, if the excitation current of the coil N 1 is I 1 , the oscillation current of the coil N 2 is I 2 , and the load current from the coil N 2 is I L , the electric magnetic force NI of the transformer 10 becomes as follows.

NI=N1I1+N2I2-N2IL…(1)NI = N 1 I 1 + N 2 I 2 -N 2 I L ... (One)

그리고, 이 기자력 NI에 의하여 출력전압 Eo의 정의반 사이클 기간에서 발생하는 자속을 +øs(제3a도), 부의 반 사이클 기간에서 발생하는 자속을 -øs라 하고, 제어코일 Nc와 이것을 통하는 제어전류 Ic에 의하여 발생되는 자속을 øc라 하면, 정의 반 사이클 기간에는 자각(10A),(10D)에 있어서 자속 øs와 øc가 서로 빼지며, 자각(10B)(10C)에 있어서는 자속 øs와 øc가 서로 합하여지고, 부의 반 사이클 기간(제3b도)에는 역의 관계가 성립한다.The magnetic force generated in the positive half cycle period of the output voltage Eo is + øs (Fig. 3a) and the magnetic flux generated in the negative half cycle period is -øs by the magnetic force NI, and the control coil Nc and the control current through the magnetic force NI If the magnetic flux generated by Ic is øc, the magnetic flux øs and øc are subtracted from each other in the magnetic fluxes 10A and 10D in the positive half cycle period, and the magnetic flux øs and øc are mutually different in the magnetic flux 10B and 10C. In the negative half cycle period (FIG. 3B), an inverse relationship is established.

따라서, 예를 들어, 제4도의 B-H 특성(자화 특성)의 경우, 정의 반 사이클 기간의 피크시점에 있어서, 자각(10A),(10D)의 동작점은 점 a가 되고, 자각(10B),(10C)의 동작점은 점 b가 되며, 부의 반 사이클 기간의 피크시점에 있어서, 자각(10B),(10C)의 동작점은 점 c가 되고,자각(10A),(10D)의 동작점은 점 d가 된다. 따라서 자각(10A),(10D)의 동작영역은 화살표(1A)의 구간이 되며, 자각(10B),(10C)의 동작영역은 화살표(1B)의 구간이 되고, 정의 반 사이클 기간의 출력전압 Eo는 점 a의 자각(10A),(10D)의 자속밀도 +Bs로 결정되며, 부의 반 사이클 기간의 출력전압은 점 c의 자각(10B),(10C)의 자속밀도 -Bs로 결정된다.Thus,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BH characteristic (magnetization characteristic) in FIG. 4, at the peak time of the positive half cycle period, the operating points of the subjects 10A and 10D become point a, and the subject 10B, The operating point of 10C becomes point b, and at the peak time of the negative half-cycle period, the operating point of awareness 10B, 10C becomes point c, and the operating point of awareness 10A, 10D. Is the point d. Therefore, the operating region of the awareness 10A, 10D becomes the section of arrow 1A, and the operating region of the awareness 10B, 10C becomes the section of arrow 1B, and the output voltage of positive half cycle period. Eo is determined by the magnetic flux density + Bs of the magnetic fluxes 10A and 10D of the point a, and the output voltage of the negative half cycle period is determined by the magnetic flux density -Bs of the magnetic fluxes 10B and 10C of the point c.

그리고 점 a,c은 자속 øc에 의하여 변화하며, 자속 øc은 제어전류 Ic에 의하여 변화하므로, 전류 Ic를 제어하면 출력전압 Eo을 제어하는 것으로 된다. 이 출력전압 Eo(t)는Points a and c change depending on the magnetic flux? C, and the magnetic flux? C changes according to the control current Ic. Therefore, when the current Ic is controlled, the output voltage Eo is controlled. This output voltage Eo (t) is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1

로 되며, 이때 제1항은 트랜스 결합에 의하여 유기되는 전압이고 제2항은 파라메트릭 결합에 의하여 유기되는 전압이다. 즉, 출력전압 Eo(t)에는 트랜스 결합에 의한 전압과 파라메트릭 발진에 의한 전압이 포함되어 있다. 또, 양전압의 비율은 코일 N1과 N2와의 결합계수 즉, 코어의 형태 및 코일의 권선방법에 의하여 달라진다.In this case, the first term is the voltage induced by the trans coupling and the second term is the voltage induced by the parametric coupling. That is, the output voltage Eo (t) includes a voltage due to trans coupling and a voltage due to parametric oscillation. In addition, the ratio of the positive voltage varies depending on the coupling coefficient between the coils N 1 and N 2 , that is, the shape of the core and the winding method of the coil.

따라서,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Ic=O인 때의 자속을 ø1, 상기 합쳐진 상태의 자속을 ø2, 상기 뺀 상태의 자속을 ø3로 하고, 자속 ø1과 ø2및 ø3사이의 변화분을 Δø2, Δø3로 하면 Ic=O인 때의 출력전압은 다음과 같이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5, the magnetic flux when Ic = O is ø 1 , the magnetic flux in the combined state is ø 2 , the magnetic flux in the subtracted state is ø 3 , and the magnetic flux ø 1 , ø 2, and ø 3. If the change between them is Δø 2 and Δø 3 , the output voltage at Ic = O is as follows.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2

또, Ic≠O인 자속 ø가 비선형영역에 있는 경우의 출력전압 eos는 다음과 같이 된다.In addition, the output voltage e os when the magnetic flux? Of Ic ≠ O is in the nonlinear region is as follows.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3

그리고 B-H 특성의 비선형성 때문에And because of the nonlinearity of the B-H properties

Δø3>Δø2가 되므로Δø 3 > Δø 2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4

로 되며, 또 점 e,b가 포화영역에 있으면If point e, b is in saturation region,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5

로 된다. 따라서 이 식에 의하면, 제어전류 Ic에 의하여 자속의 변화분 Δø3을 제어하는 경우는 출력전압 Eo을 제어하는 것으로 된다.It becomes Therefore, according to this equation, the output voltage Eo is controlled when the change Δø 3 of the magnetic flux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current Ic.

이러한 트랜스(10)을 사용한 제1도의 전원장치에 의하면, 트랜지스터(5)의 온, 오프 스위칭 작동에 따라, 텔레비젼 수상기의 수평 편향후로와 같은 동작이 행하여지며, 트랜지스터(5)의 콜랙터전압은 제6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화하고, 트랜스(10)의 1차측 코일 N1에는 제6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여자전류 I1가 흐른다. 여기서 상기 쵸크코일(4)은 트랜지스터(5)의 온 기간의 콜렉터전류를 제한하여, 그의 스위칭 동작을 안정화한다. 트랜스(10)는 전류 I1에 의하여 여자되므로, 2차측 코일 N2과 콘덴서(13)로 이루어진 병렬회로에서는 제6c도 및 제6d도에 도시된 파형의 출력전압 Eo 및 전류 I2가 얻어지며, 이 전압 Eo이 정류회로(14)에 공급되어, 부하(16)에는 일정한 직류전압이 공급된다. 제6e도는 트랜스(10)의 상기 자각(10A),(10D)의 유기전압을, 제6f도는 자각(10B),(10C)의 유기전압을 제각기 나타낸다. 또, 6g도는 트랜스(10)의 2차측 코일 N2의 중점 탭에 흐르는 전류를 도시하며, 전류 I1가 정의 반 사이클 기간과 부의 반 사이클 기간에서 불평형하므로 이 전류도 불평형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device of FIG. 1 using such a transformer 10, according to the on / off switching operation of the transistor 5, the same operation as the horizontal deflection of the television receiver is performed, and the collector voltage of the transistor 5 6a claim 1 primary coil of the transformer 10 is changed, and as shown in Fig N 1 flows in the exciting current I 1, as illustrated in FIG. 6b. The choke coil 4 here limits the collector current of the on-period of the transistor 5 to stabilize its switching operation. Since the transformer 10 is excited by the current I 1 , in the parallel circuit composed of the secondary coil N 2 and the condenser 13, the output voltage Eo and the current I 2 of the waveforms shown in FIGS. 6c and 6d are obtained. This voltage Eo is supplied to the rectifier circuit 14, and the load 16 is supplied with a constant DC voltage. FIG. 6E shows the induced voltages of the perceptions 10A and 10D of the transformer 10, and FIG. 6F shows the induced voltages of the perceptions 10B and 10C, respectively. 6g shows the current flowing in the midpoint tap of the secondary coil N 2 of the transformer 10. Since the current I 1 is unbalanced in the positive half cycle period and the negative half cycle period, this current is also unbalanced.

또, 정류회로(14)로부터의 출력전압 Eo은 제어회로(17)에 의하여 검출되며, 그 검출출력에 따라서 트랜스(10)의 제어코일 Nc에 제어전류 Ic가 흐른다. 즉, 예를 들어, 출력전압 Eo이 높아지면 제어전류 Ic가 증가하고 최대 자속밀도 Bs가 감소하기 때문에 출력전압 Eo은 낮아지며, 역으로, 출력전압 Eo이 낮아지면 이 출력전압 Eo을 높게하는 방향으로 제어되어, 출력전압 Eo은 일정하게 안정화된다.The output voltage Eo from the rectifier circuit 14 is detected by the control circuit 17, and the control current Ic flows through the control coil Nc of the transformer 10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output. That is, for example, when the output voltage Eo increases, the control current Ic increases and the maximum magnetic flux density Bs decreases, so that the output voltage Eo decreases. On the contrary, when the output voltage Eo decreases, the output voltage Eo increases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the output voltage Eo. By controlling, the output voltage Eo is constantly stabilized.

그러므로, 이러한 전원장치에는, 트랜스(10)의 동작모드가 포화영역에 있는 경우, 콘덴서(13)는 파라메트릭 발진용 콘덴서이며, 출력전압 Eo은 트랜스 결합과 파라메트릭 결합의 합으로 얻어진다. 이때, 일반적으로 고자속 밀도작동에 의한 철심의 철손 및 코일권선의 등손이 중대하여, 트랜스의 발열이 커지고 소비전력이 증대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 작동모드가 선형영역에 있는 경우에는, 콘덴서(13)은 단지 파형정용 콘덴서이며, 소용량이다. 이 경우, 출력전압은 Eo=(2ø1-Δø3)KN2f이고, 제어감도가 낮아지므로 입력전압 Ei 및 부하(16)의 변화에 대한 제어범위가 좁다. 또, 자속밀도가 낮아짐에 따라, 동일 작동 주파수에서는 2좌 코일의 권수 N2가 증대하여 트랜스가 대형으로 되며, 동일 부하용량에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1차 여자전류가 증가하고, 그 결과 소비전력이 증가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에 의하면, 출력전압이 정과 부의 비대칭으로 되어 불평형하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Therefore, in such a power supply device,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transformer 10 is in the saturation region, the capacitor 13 is a parametric oscillation capacitor, and the output voltage Eo is obtained by the sum of the transformer coupling and the parametric coupling. At this time, iron loss of the core and the coil winding of the coil winding are generally great due to the high magnetic flux density operation, so that the heat generation of the transformer increases and power consumption increases. In the case where the operation mode is in the linear region, the capacitor 13 is merely a waveform capacitor and has a small capacity. In this case, the output voltage is Eo = (2 ° 1 -Δ ° 3 ) KN 2 f and the control sensitivity is lowered, so that the control range for the change of the input voltage Ei and the load 16 is narrow. In addition, as the magnetic flux density decreases, the number of turns N 2 of the left coil increases at the same operating frequency, resulting in a large transformer, and in the case of supplying power to the same load capacity, the primary excitation current increases, resulting in consumption. Power is increas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drawback that the output voltage becomes unbalanced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선행기술을 다시 개선하여 제어감도를 항상 시킴으로써 제어 범위를 확대시킴과 동시에, 트랜스를 소형화 및 경량화시키며, 또는 같은 크기 및 중량을 갖는 트랜스에 대해서는 최대의 부하를 공급하고, 또한 변환효율이 높고 소비전력이 적은 전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such prior art again, thereby increasing the control range by always maintaining the control sensitivity, and at the same time miniaturizing and reducing the transformer, or supplying the maximum load for the transformer having the same size and weigh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wer supply device with high conversion efficiency and low power consump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연관되는 전원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pow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7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로서, 트랜스(10)의 2차 코일 N2과 병렬로 공진콘덴서(20)가 접속되어 있다. 이 제7도에 있어서, 예를 들어, 100V의 상응 교류전원(1)으로부터의 교류출력을 전파정류기(2)로 정류하고, 평활콘덴서(3)로 평활하여 직류출력으로 만든다. 이 직류출력단 사이에는, 쵸크코일(4)과 트랜스(10)의 1차 코일 N1및 스위칭용 트랜지스터(5)의 콜렉터. 에미터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5)의 콜렉터와 에미터 사이에는 다이오드(6)와 콘덴서(7)가 각각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트랜스(10)의 2차 코일 N2에는 본 발명의 주요 부분인 공진용 콘덴서(20)가 접속되어 있으며, 이들 코일 N2과 콘덴서(20)(용량을 Cs로 한다)와의 공진주파수 fo를 트랜스(10)의 동작주파수 f보다 약간 높게 설정한다. 이 2차 코일 N2과 공진 콘덴서(20)로 이루어진 병렬공진 회로로부터의 교류출력은, 예를 들어, 다이오드 브릿지로 구성되는 전파정류기(21)에 의하여 정류되며, 평활콘덴서(22)로 평활되어서 부하(23)에 공급된다. 또한 전파정류기(22)로부터의 출력전압 Eo은 제어회로(24)에 전달되어, 트랜스(10)의 제어코일 N2에 제어전류 Ic로서 공급된다.7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resonant capacitor 20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a secondary coil N 2 of a transformer 10. In FIG. 7, for example, the AC output from the corresponding AC power supply 1 of 100 V is rectified by the full-wave rectifier 2, and smoothed by the smoothing capacitor 3 to produce a DC output. Between the DC output terminals, the choke coil 4 and the collector of the primary coil N 1 of the transformer 10 and the switching transistor 5. The emitters are connected in series. The diode 6 and the capacitor 7 are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collector and the emitter of the transistor 5, respectively. The secondary coil N 2 of the transformer 10 is connected to the resonant capacitor 20, which is a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ransmits the resonant frequency fo between the coil N 2 and the capacitor 20 (capacity Cs). It is set slightly higher than the operating frequency f of (10). The AC output from the parallel resonant circuit composed of the secondary coil N 2 and the resonant capacitor 20 is rectified by a full-wave rectifier 21 composed of a diode bridge, for example, and smoothed by a smoothing capacitor 22. It is supplied to the load 23. The output voltage Eo from the full-wave rectifier 22 is also transmitted to the control circuit 24 and supplied to the control coil N 2 of the transformer 10 as the control current Ic.

여기서 트랜스(10)로서 전술한 제2도의 직교결합 트랜스(10)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도와 동일한 형태인 한쌍의 자기코어(11),(12)를 사용하여 자각(10B),(10D)에 1차축 코일 N1뿐만 아니라 2차 코일 N2을 감은 트랜스(10')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자기코어(11)과 동일한 형태의 자기코어(11')를 사용하여 각각의 자각(10A) 내지 (10D)의 단면을 자기코어(11)의 코어기부(10E)와 대향시켜서 자기코어(11')의 자각(10B),(10D)에 걸쳐 쵸크코일용의 코일 N3을 감아서, 쵸크코일과 직교트랜스를 하나로 합해도 좋다. 또한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EI형(또는 EE형)의 자기코어를 결합하여 구성한 코어(10)에 각각의 코일 N1,N2,Nc을 감은 것을 제7도의 트랜스(10)로 사용해도 좋다. 이때, 중앙의 자각 10M에 감겨진 제어코일 Nc에 의해 발생되는 자속(제9도에서 실선화살표)은, 양단의 자각(10L),(10R)의 어느 한쪽에서는 양단의 자각(10L),(10R)에 감겨진 1차, 2차 코일 N1,N2에 의해 발생되는 자속(점선화살표)이 가산되고, 다른 한쪽에서는 감산되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제어코일 Nc은 상기 1차, 2차 코일 N1,N2에 대하여 교류적으로 결합되지는 않지만, 코어(10)의 자각(10L),(10R)의 자속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제3도 및 제8도와 같은 자속제어가 행하여질 수 있다.Here, as the transformer 10, the orthogonal coupling transformer 10 of FIG. 2 may be used, and as shown in FIG. 8, a pair of magnetic cores 11 and 12 having the same shape as that of FIG.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transformer 10 'wound around the secondary coil N 2 as well as the primary shaft coil N 1 in the perception 10B, 10D. In addition, by using the magnetic core 11 ′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magnetic core 11, the cross sections of each of the magnetic cores 10A to 10D are opposed to the core base 10E of the magnetic core 11 so that the magnetic core ( The choke coil and the orthogonal transformer may be combined together by winding the coil N 3 for the choke coil over the perceptions 10B and 10D of 11 '). In addition, a coil 10 wound around each of the coils N 1 , N 2 , Nc is formed as a transformer 10 of FIG. 7 by combining an EI type (or EE type) magnetic core as shown in FIG. 9. Also good. At this time, the magnetic flux (solid arrow in Fig. 9) generated by the control coil Nc wound around the central magnetic field 10M is the magnetic field 10L at both ends 10L and 10R at either end. The magnetic flux (dashed arrow) generated by the primary and secondary coils N 1 and N 2 wound around) is added, and the other side acts to be subtracted. Accordingly, although the control coil Nc is not alternatingly coupled to the primary and secondary coils N 1 and N 2 , the control coil Nc may change the magnetic fluxes of the magnetic cores 10L and 10R of the core 10. Magnetic flux control as shown in Figs. And 8 may be performed.

다음에 트랜스(10)의 1차 코일 N1에 인가되는 입력에 대한 2차 코일 N2로부터의 출력의 관계를 상기 병렬공진 조건하에서 설명한다.Nex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utput from the secondary coil N 2 and the input applied to the primary coil N 1 of the transformer 10 will be described under the above parallel resonance conditions.

우선, 제7도의 트랜스(10) 부근의 회로를 등가적으로 표시하면 제10도와 같이 된다. 이러한 제10도에 있어서, 제7도의 전파정류기(20)나 평활콘덴서(3)로 구성되는 전원부를 직류전원 Eo로 표시하고, 스위칭용 트랜지스터(5)를 스위치 SW로, 콘덴서(7)를 콘덴서 Cr로, 공진용 콘덴서(20)를 콘덴서 Cs로, 또 이 콘덴서(20)보다 후단의 부하측을 AC로 보아 부하저항 RL로 제각기 표시한다. 또한 트랜스(10)는 T형 등가회로로 변환하여, 쵸크코일(4)의 인덕턴스 LS, 1차 코일 N1의 자기인덕턴스 L1, 2차 코일 N2의 자기인덕턴스 L2및 이들 코일 N1,N2의 상호 인덕턴스 M로 표시한다.First, if the circuit in the vicinity of the transformer 10 of FIG. 7 is displayed equivalently, it becomes like FIG. In FIG. 10, the power supply section composed of the full-wave rectifier 20 and the smoothing capacitor 3 of FIG. 7 is indicated by a DC power supply Eo, the switching transistor 5 is a switch SW, and the capacitor 7 is a capacitor. In Cr, the resonance capacitor 20 is represented by the capacitor Cs, and the load side of the rear end of the capacitor 20 is AC, and the load resistance R L is respectively indicated. In addition, transformer 10 is converted to a T-type equivalent circuit, the choke coil 4 of the inductance LS, 1 primary coil self-inductance L 1, 2 primary coil self-inductance L 2 and these coil N 2 of N 1 N 1, This is represented by the mutual inductance M of N 2 .

이러한 제10도의 등가회로의 트랜스로서, 1차, 2차 인덕턴스 L1,L2가 같고, 밀접한 결합에서 유출되는 인덕턴스가 없는 이상적인 변성기를 사용하는 경우, M=L1=L2로 되어, 등가회로는 제11도와 같이 간단하게 된다. 이러한 제11도의 단자 a-b 사이의 양단전압 eab는 제12a도와 같이되며, 스위치 SW의 온기간 TON에서 축적된 에너지는 오프기간 TOFF에서 소비된다. 따라서 시스템의 손실을 무시할 수 있다고 하면, 제12a도에서 사선으로 도시한 TON기간의 eab의 시간적(時間積) SON과 TOFF기간의 eab의 시간적 SOFF사이에는As the transformer of the equivalent circuit of FIG. 10, when an ideal transformer is used in which primary and secondary inductances L 1 and L 2 are the same and there is no inductance flowing out of a close coupling, M = L 1 = L 2 The circuit is simplified as shown in FIG. The voltage across e ab between this first terminal ab 11 degrees is as help the 12a, the energy stored in the on-period of the switch SW T ON is consumed in the OFF period T OFF. Therefore, we can ignore the loss of the system, the time-12a (時間積) in view of a T ON period shown by oblique lines in e ab S ON and T OFF period of time between ab e S is the OFF

SON=SOFF=S …(6)S ON = S OFF = S... (6)

의 관계식이 성립한다. 또 단자 a를 흐르는 전류(상기 트랜스의 1차 전류) i는 제12b도와 같이 된다. 이것은 텔레비젼 수상기의 수평편향회로의 작동과 같은 모양이다. 더우기, 제12도의 온기간 TON은 상기 트랜지스터(5)의 동작기간과 일치하지 않아도 되며, 제동기간 및 트랜지스터의 온작동 기간을 합한 것이다.The relation of is established.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terminal a (primary current of the transformer) i is as shown in Fig. 12b. This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of the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of the television receiver. Moreover, the on-period T ON in FIG. 12 does not have to coincide with the operating period of the transistor 5, but is the sum of the braking period and the on-operating period of the transistor.

여기서, 회로를 해석하는데 있어서, 상기 전압 eab의 중요한 성분인 1차 고조파 성분은 전압 eab와 같은 주기에서 전류 i1에 대해

Figure kpo00006
라디안만큼 위상이 진행된 정현파 전압이며, 또한 반주기의 시간적이 상기(6)식의 시간적 S와 같아지는 정현파 전압 e'ab을 기준벡터
Figure kpo00007
로 하여Here,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circuit, the voltage important component of the primary harmonic component of the current i e ab is about 1 in the cycle, such as the voltage e ab
Figure kpo00006
The reference vector is a sinusoidal voltage whose phase has been advanced in radians, and the sinusoidal voltage e ' ab whose half-period temporal is equal to the temporal S of Equation (6).
Figure kpo00007
By

e'ab=Emsin wt …(7)e ' ab = E m sin wt... (7)

로 놓는다. 여기에서, 예를 들어, TON=TOFF인 경우에는, 제13a도 보다 SON(사선부분)이 거의

Figure kpo00008
Ei이며 또한 (7)식의 반주기의 시간적 S(제13b)도의 사선부)은
Figure kpo00009
이므로 EmSON=S로 될 때의 (7)식의 정현파 전압 e'ab는Place it. Here, for example, when T ON = T OFF , S ON (diagonal portion) is substantially smaller than that in FIG. 13a.
Figure kpo00008
Ei and the semi-period temporal S (the oblique line in Fig. 13b) of (7) is
Figure kpo00009
Since the sinusoidal voltage e ' ab in the equation (7) when E m S ON = S is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0

로 된다.It becomes

이러한 정현파 전압 e'ab을 출력하는 정전압원이 제11도의 단자 a-b 사이에 접속될 때, 이 정전압원을 호아시-밀만의 정리에 따라 정전류원으로 변환시켜 간단하게 하면, 제14도의 등가회로를 얻을 수 있다. 이 제14도의 인덕턴스 L는 상기 LS, M을 사용하여When a constant voltage source that outputs such a sinusoidal voltage e ' ab is connected between the terminals ab in FIG. 11, the constant voltage source is converted into a constant current source according to the Hosea-Milman's theorem, and simplified. You can get it. The inductance L of FIG. 14 is obtained by using L S and M.

Figure kpo00011
Figure kpo00011

로 표시된다. 또, 정전류원의 전류 벡터

Figure kpo00012
는, 상기 정현파 전압의 벡터표시
Figure kpo00013
를 사용하면Is displayed. In addition, the current vector of the constant current source
Figure kpo00012
Is a vector display of the sinusoidal voltage
Figure kpo00013
Using

Figure kpo00014
Figure kpo00014

로 나타낼 수 있다.It can be represented as.

이러한 제14도는, L, Cs, RL의 병렬공진 회로이므로, 전 임피던스

Figure kpo00015
는Since this Fig. 14 is a parallel resonance circuit of L, Cs, and R L , all impedances
Figure kpo00015
Is

Figure kpo00016
Figure kpo00016

로 된다. 이 복소 임피던스

Figure kpo00017
의 실수부인 저항성분을 R(W), 허수부인 리액턴스 성분을 X(W)로 놓으면It becomes This complex impedance
Figure kpo00017
If you set the real component of R (W) and the imaginary component of reactance to X (W)

Figure kpo00018
Figure kpo00018

로 되므로, 각 주파수 W의 변화에 따라서 제15도와 같은 원선도(circle diagram)를 묘사할 수 있다. 이 원선도에서도 밝혀진 바와 같이, W가 공진 각 주파수 Wo로 될 때, 유도성 리액턴스와 용량성 리액턴스가 서로 상쇄되고,

Figure kpo00019
는 부하저항 RL성분만으로 된다. 이 공진 각 주파수 Wo는Since a circle diagram as shown in FIG. 15 can be depict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each frequency W. As also shown in this circle diagram, when W becomes the resonant angular frequency Wo, the inductive reactance and the capacitive reactance cancel each other out,
Figure kpo00019
Becomes only the load resistance R L component. This resonant angular frequency Wo is

Figure kpo00020
Figure kpo00020

이며, 공진주파수 fo는 Wo=2πfo이므로Since the resonant frequency fo is Wo = 2πfo

Figure kpo00021
Figure kpo00021

로 된다.It becomes

따라서, 시스템의 공진주파수 fo는 상기 쵸크코일(4)의 인덕턴스 Ls, 트랜스(10)의 1차, 2차 코일 사이의 상호 인덕턴스 M 및 2차 코일 N2에 병렬접속된 콘덴서(20)의 용량 Cs으로 결정되며, 1차축 코일 N1에 직렬접속된 공진콘덴서(7)는 콘버터 펄스폭, 즉, 상기 오프기간 TOFF의 결정에만 기여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Therefore, the resonant frequency fo of the system is the capacitance of the condenser 20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inductance Ls of the choke coil 4, the mutual inductance M between the primary and secondary coils of the transformer 10 and the secondary coil N 2 . The resonance capacitor 7 determined in Cs and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primary shaft coil N 1 may be considered to contribute only to the determination of the converter pulse width, that is, the off period T OFF .

다음에 이와 같은 공진모드에 있어서, 출력전압의 자승평균치의 평방근(실효값, rms)을 Eos로 하면Next, in such a resonance mode, when the square root (effective value, rms) of the squared mean value of the output voltage is Eos,

Figure kpo00022
Figure kpo00022

이며, 예를 들어 상기(7)식의 정현파 전압을 기준 벡터

Figure kpo00023
로 할 때에는
Figure kpo00024
=
Figure kpo00025
/jWLs이므로For example, the sinusoidal voltage of the equation (7) is a reference vector.
Figure kpo00023
When we do
Figure kpo00024
=
Figure kpo00025
/ jWLs

Figure kpo00026
Figure kpo00026

로 된다. 이 (13)식을 상호 인덕턴스 M의 계수로 표시하면It becomes If we express this expression (13) as the coefficient of mutual inductance M,

Figure kpo00027
Figure kpo00027

로 된다. 또, (9)식에 의하여 임피던스의 절대값 |

Figure kpo00028
|는It becomes In addition, the absolute value of the impedance |
Figure kpo00028

Figure kpo00029
Figure kpo00029

로 된다.It becomes

이 (15)식으로부터 얻은 임피던스의 절대값 |

Figure kpo00030
|의 주파수 특성을 제16도에 도시하였다. 이 주파수 특성 그래프는 상기 Ls,M을 매개변수로 할 때의 반공진 곡선을 나타내며, 상기 Cs=0.1㎌로 하고 R=200Ω로한 때를 실선으로, R=375Ω로 할때를 점전으로 각기 도시하고 있다. 또 각각 3개씩의 곡선은 상기 매개변수 Ls,M이Absolute value of impedance obtained from this equation (15) |
Figure kpo00030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 is shown in FIG. This frequency characteristic graph shows the anti-resonance curve when Ls and M are used as parameters, and when Cs = 0.1 Hz and R = 200 Hz, the solid lines are shown as solid lines, respectively. have. Each of the three curves has the parameters Ls and M

I : Ls=0.94mH, M=1mHI: Ls = 0.94mH, M = 1mH

Ⅱ: Ls=2.5mH, M=1mHII: Ls = 2.5mH, M = 1mH

Ⅲ: Ls=2.5mH, M=5mHIII: Ls = 2.5mH, M = 5mH

의 값을 가질 때를 도시한 것이다.It shows when it has the value of.

다음에, 스위칭 주파수 fH=15.75㎑로 고정시키고 Cs=0.1㎌, Ls=2.5mH로 하여, 상기 상호 인덕턴스 M를 변화시킬 때의 임피던스 변화를 제17도에 도시한다. 제17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M=2mH인 때의 |

Figure kpo00031
|의 변화율이 M<2mH인 경우에 비해 크다. 이와 같이 상호 인덕턴스 M를 변화시킬 때, 시스템의 임피던스의 절대값 |
Figure kpo00032
|은 공진곡선을 따라 변화하며, 한편 공진곡선의 좌우에서 변화율이 다르다.Next, Fig. 17 shows the impedance change when the mutual inductance M is changed with the switching frequency fH = 15.75 kHz fixed and Cs = 0.1 kHz and Ls = 2.5 mH. As can be seen from FIG. 17, when M = 2mH |
Figure kpo00031
It is larger than the case where the change rate of | is M <2mH. Thus, when the mutual inductance M is changed, the absolute value of the impedance of the system |
Figure kpo00032
Is changed along the resonance curve, while the rate of change is different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resonance curve.

다음에, 이와 같은 회로 해석을 기초로 하여 계산된 이론값과 실제의 전원회로를 모방한 실험회로(제8도)를 사용하며 얻어진 측정값을 비교한다. 제18도는 제11도와 같은 모양이며, 제7도의 제파정류기(21) 이하를 AC 부하저항 RL으로 하고, 트랜스(10)는 L1=L2로서 결합계수 K=1인 이상 변성기로 하며, 또한 상호 인덕턴스 M를 변화시키도록 탭을 절환시킴으로써, 전술한 제어전류 Ic의 변화에 따른 자속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Next, the theoretical values calculated based on the circuit analysis are compared with the measured values obtained by using an experimental circuit (Fig. 8) that simulates the actual power supply circuit. FIG. 18 is the same as that of FIG. 11, wherein the wave rectifier 21 of FIG. 7 is the AC load resistance R L , and the transformer 10 is a transformer as long as L 1 = L 2 and the coupling coefficient K = 1. In addition, by changing the tap to change the mutual inductance M, the change in the magnetic flux caused by the change of the control current Ic described above is shown.

이와 같은 실험회로에 있어서, 트랜지스터 Q의 스위칭 주파수 fs=15.75㎑로 고정하고, 쵸크코일 Ls=2.5mH, 공진용량 Cs=0.1㎌, 입력직류전압 Ei=120V으로 한 때의 상호 인덕턴스 M와 출력전압 Eo(rms)과의 관계를 제19도에 도시한다. 제19도에 있어서, 실선은 R=200Ω일 때, 점선은 R=375Ω일 때를 각각 나타내며, 곡선 A,B은 상기 제18도의 실험회로에 따른 측정값을 나타내고, 곡선 C,D은 상술한 회로 해석을 기초로 한 이론값을 나타내고 있다.In such an experimental circuit, the mutual inductance M and the output voltage when the switching frequency fs = 15.75 Hz of the transistor Q are fixed and the choke coil Ls = 2.5 mH, the resonance capacitance Cs = 0.1 Hz, and the input DC voltage Ei = 120V. The relationship with Eo (rms) is shown in FIG. In FIG. 19, the solid line indicates when R = 200 Hz, the dotted line indicates when R = 375 Hz, and curves A and B represent measured values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circuit of FIG. 18, and curves C and D are described above. The theoretical value based on circuit analysis is shown.

여기서 이론값과 측정값과의 차이는 트랜스 결합에 따른 출력전압분 EOT이 존재하기 때문이며, 상기 M을 흐르는 전류를 iM(t)로 하면He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eoretical value and the measured value is because the output voltage E OT due to the transformer coupling exists, and i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M is iM (t)

Figure kpo00033
Figure kpo00033

로 표시된다. 따라서 실험에 의해 얻어진 전출력전압의 측정값 E은 상기 회로분석을 기초로 한 이론값의 출력전압 Eos와 상기 (16)식의 트랜스 결합에 의한 전압성분과 합으로서Is displayed. Therefore, the measured value E of the total output voltage obtained by the experiment is the sum of the output voltage Eos of the theoretical value based on the circuit analysis and the voltage component by the transformer coupling of the formula (16).

Figure kpo00034
Figure kpo00034

로 표시되며, 제19도에서는 이러한 트랜스 결합에 의한 출력전압분

Figure kpo00035
이 대략 전출력전압 Eo의 10% 정도인 것으로 나타나 있다. 또한 제19도로부터, 상호 인덕턴스 M의 값이 작아짐에 따라, 상기 트랜스 결합분이 작아지고 이론값은 측정값에 접근하지만, 이것은 상기 (17)식으로부터 알 수 있다.In FIG. 19, the output voltage by the transformer coupling is shown in FIG.
Figure kpo00035
This is approximately 10% of the total output voltage Eo. Also from Fig. 19, as the value of the mutual inductance M decreases, the trans coupling fraction decreases and the theoretical value approaches the measured value, but this can be seen from the above equation (17).

이상은 상호 인덕턴스 M를 선형적으로 변화시킨 경우에 대하여 고찰했지만, 실제의 제7와 같은 전원장치에서는 제어전류 Ic가 변화할 때 상호 인덕턴스 M의 변화는 비선형적이다.Although the above has considered the case where the mutual inductance M is changed linearly, the change in the mutual inductance M is nonlinear when the control current Ic changes in the actual power supply device like the seventh.

다음에, 실제의 제어감도로서, 상기 제어전류 Ic에 대한 출력전압 Eo, Eos의 변화를 보면 제20도 및 제21도와 같이 된다. 여기에서, 제20도는 상호 인덕턴스 M에 공급되는 전류의 직류분 I=OA인 때를 나타내며, 제21도는 I=0.25A인 때를 나타내고, 이러한 상호 인덕턴스 M를 얻기 위한 코일에 대하여 전술한 것과 같은 자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코일 Nc을 배치하고, 이 제어코일 Nc에 Ic를 인가한다. 이들 제20도, 제21도의 실선은 상기 RL=200Ω과 대융하며, 점선은 RL=375Ω과 대융하고, 더우기 곡선 A,B은 측정값 Eo을, 또 곡선 C,D은 이론값 Eos을 제각기 구성한 것이다.Next, as the actual control sensitivity, the changes in the output voltages Eo and Eos with respect to the control current Ic are shown in FIGS. 20 and 21. FIG. Here, FIG. 20 shows the time when the direct current component I = OA of the current supplied to the mutual inductance M, and FIG. 21 shows the time when I = 0.25A, as described above for the coil for obtaining such mutual inductance M. The control coil Nc for controlling magnetic flux is arrange | positioned, and Ic is applied to this control coil Nc. The solid lines of Figs. 20 and 21 are fused with R L = 200 Hz, the dashed lines are fused with R L = 375 Hz, and curves A and B are measured values Eo, and curves C and D are theoretical values Eos. Each one is composed.

이들 그래프로부터, 반공진 곡선의 피크점의 좌측 L, 즉 제20도에서는 제어전류 Ic가 대략 9.4mA 이상, 제21도에서는 Ic가 대략 4.2mA 이상의 영역에 있어서 제어전류 Ic의 변화에 대한 출력전압의 변화가 크며 제어감도가 좋다. 이들 그래프의 피크점의 좌측 L 및 우측 R의 제어감도

Figure kpo00036
를 각각 SL,SR로 하면 평균 경사로부터 구한 값은From these graphs, the output voltage for the change of the control current Ic in the region of the left L of the peak point of the anti-resonance curve, that is, the control current Ic is approximately 9.4 mA or more in FIG. 20 and Ic is approximately 4.2 mA or more in FIG. Is large and control sensitivity is good. Control sensitivity of left L and right R of the peak points of these graphs
Figure kpo00036
Let S L and S R be the values of the average slope

SL≒33V/mAS L ≒ 33V / mA

SR≒22V/mAS R ≒ 22V / mA

로 된다. 따라서 반공진 곡선의 좌측 L을 사용하는 편이 바람직하며, 임의의 M값에서의 공진 주파수를 fo(M)로 하면 스위칭 주파수 fsw를It becomes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use the left L of the anti-resonance curve. If the resonance frequency at any M value is fo (M), the switching frequency fsw is

fsw

Figure kpo00037
fo(M) …(18)fsw
Figure kpo00037
fo (M)... (18)

와 같이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set as follows.

또한, 전술한 제10도 이하의 회로해석에 있어서, N1=N2로 하고 L1=L2=M로 하여 해석을 하였으나, 일반적으로 N2=nN1의 경우에도 거의 같은 형태의 결과가 얻어지며, 이 때의 공전에 의한 출력전압 Eos는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circuit analysis of FIG. 10 and below, N 1 = N 2 and L 1 = L 2 = M, but in general, N 2 = nN 1 , the results are almost the same. The output voltage Eos at this time

Figure kpo00038
Figure kpo00038

로 된다. 이 (19)식에서의 상호 인덕턴스 M은It becomes The mutual inductance M in this equation (19) is

Figure kpo00039
Figure kpo00039

이며, L1,L2는 제각기의 코일 N1,N2의 인덕턴스, k는 트랜스(10)의 결합계수, μo는 진공의 투자율 μe는 비투자율, A는 코어의 단면적, ι은 자속로의 길이이다. 또한 트랜스 결합에 따른 출력전압 EoTWhere L 1 and L 2 are the inductances of the coils N 1 and N 2 respectively, k is the coupling coefficient of the transformer 10, μo is the permeability of the vacuum μe is the specific permeability, A i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re, Length. Also, the output voltage Eo T due to the transformer coupling

Figure kpo00040
Figure kpo00040

이며 이것은 전술한 (4)식의 트랜스 결합분에 해당한다.This corresponds to the trans bond of formula (4) described abov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트랜스(10)의 2차축 코일 N2에 공진 콘덴서(20)를 접속한 경우의 출력전압 Eo은 트랜스 결합에 의한 유기전압 EoT와 병렬공진에 의한 공진전압 Eos과의 합으로 취해지며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sonant capacitor 20 is connected to the secondary shaft coil N 2 of the transformer 10, the output voltage Eo is determined by the induced voltage Eo T by the transformer coupling and the parallel resonance. Is taken as the sum of the resonance voltage Eos,

Eo=EoT+Eos …(21)Eo = Eo T + Eos... (21)

이다. 또한 공진전압 Eos은 전출력전압 Eo의 거의 90% 정도이며, 남은 10% 정도가 트랜스 결합에 의한 출력전압이다. 다음 에제어전류 Ic를 변화시킴으로써 트랜스(10)의 자기코어의 자속을 제어할 수 있고, 이 때의 상호 인덕턴스 M도 동시에 제어된다. 단, 제어전류 Ic와 상호 인덕턴스 M와의 관계는 비선형이며, 또한 제어전류 Ic가 증가하면 상호 인덕턴스 M는 감소하고, 이 때에 전술한 반공진 곡선의 좌측을 이용하면 출력전압도 감소한다. 다음에, 주파수를 고정시킨 경우에, 제어전류 Ic를 변화시키면 공진전압 Eos은 반공진 곡선을 따라서 변화하며, 이와 함께 트랜스 결합에 의한 출력전압 EoT이 히스테리시스 곡선의 위부분을 따라서 변화하기 때문에, 2차에 공진콘덴서(20)를 삽입함으로써 단순한 트랜스 결합보다도 감도가 높아진다.to be. In addition, the resonance voltage Eos is about 90% of the total output voltage Eo, and the remaining 10% is the output voltage by the transformer coupling. Next, the magnetic flux of the magnetic core of the transformer 10 can be controlled by changing the control current Ic, and the mutual inductance M at this time is also controlled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rol current Ic and the mutual inductance M is nonlinear, and when the control current Ic increases, the mutual inductance M decreases, and when the left side of the anti-resonance curve described above is used, the output voltage also decreases. Next, in the case where the frequency is fixed, when the control current Ic is changed, the resonance voltage Eos changes along the anti-resonance curve, and together with this, the output voltage Eo T by the transformer coupling changes along the upper part of the hysteresis curve. By inserting the resonant capacitor 20 in the secondary, the sensitivity is higher than that of simple transformer coupling.

즉, 트랜 스결합에 의한 유기전압 EoT은 (21)식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속 ø의 변화에 따라서 제어되며, 예를 들어 제22도에 도시된 히스테리시스 곡선에 있어서 Δø3≫Δø2이므로, 자속이 감소되는 자각의 자속변화에 의하여 거의 직선적으로 도시된다. 따라서 공진전압 Eos은, 제22도에 있어서, 히스테리시스 곡선의 접선경사의 변화에 의하여 제어되지만, Δμe3≫Δμe2이므로 더해지는 자각의 투자윤 변화에 의하여, 즉, 제22도의 비선형 히스테리시스상의 경사에 의하여 제어된다.That is, the induced voltage Eo T by transfection's coupling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magnetic flux ø, as shown in equation (21), for example because it is Δø 3 »Δø 2 according to the hysteresis curve illustrated in Figure 22, It is shown almost linearly by the magnetic flux change of the magnetic flux in which the magnetic flux is reduced. Therefore, although the resonance voltage Eos is controlled by the change in the tangential slope of the hysteresis curve in FIG. 22, it is Δμe 3 »Δμe 2, so that the change in permeability of the subjective magnetic force is added, that is, the slope of the nonlinear hysteresis phase of FIG. Controlled.

여기에서, 예를 들어 자심이 웨타이트인 경우에는 Δμe=2500∼200의 범위에서 비선형적으로 변화하며, 또 이 변화의 비윤은 자속 ø이 직선적으로 변화하는 비윤보다 크기 때문에, 트랜스 결합에 의한 출력전압 EoT보다 공진에 의한 출력전압 Eos 쪽이, 같은 제어전류에 대하여 제어감도가 높은 것을 나타낸다.Here, for example, when the magnetic core is wettite, it is nonlinearly changed in the range of Δμe = 2500 to 200, and the non-rotation of the change is larger than that of the linearly varying flux, so that the output by trans coupling The output voltage Eos by resonance rather than the voltage Eo T indicates that the control sensitivity is higher for the same control current.

따라서, 트랜스 결합에 의한 유기전압만으로 출력전압이 인출되는 경우에 대하여 본 발명과 같은 공진콘덴서를 트랜스의 2차축 코일에 접속에 경우에는, 입력전압 및 부하의 변화에 대한 제어범위가 확대되며, 더우기 전원 리플억제 및 직류출력저항이 개선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공진전압이 트랜스결 합전압에 중첩된 출력전압으로 되기 때문에, 2차축 코일의 권수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고, 동일자속 밀도로 출력전압이 증가하므로 트랜스의 소형경량화가 도모된다. 또한, 같은 방법으로, 무거운 트랜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병렬공진에 의한 콘덴서(10)의 방전에너지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며, 최대 공급전력이 큰 폭으로 증대한다. 이것은 여자전류의 증가나 자속밀도를 높이지 않고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윤이 높아지고 소비전력이 저하될 수 있다. 더우기 2차축 코일의 출력전압 파형은 공진콘덴서와의 공진에 의하여 거의 정현파로 되기 때문에, 1차 코일의 여자전류가 거치상파 전류등의 정부 비대칭인 교류전원 파형일지라도, 2차 정류회로의 부하전류가 정부 대칭인 정류파형으로 되며, 직류전류 회로의 평형이 유지된다.Therefore, in the case where the output voltage is drawn out only by the induced voltage by the transformer coupling, when the resonant capacitor lik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secondary shaft coil of the transformer, the control range for the change of the input voltage and the load is expanded. The effect that the power supply ripple suppression and the DC output resistance are improved is obtained. In addition, since the resonance voltage becomes an output voltage superimposed on the transformer coupling voltage, it is not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turns of the secondary shaft coil, and the output voltage increases with the same magnetic flux density, thereby miniaturizing the transformer. In the same manner, when a heavy transformer is used, electric power is supplied from the discharge energy of the capacitor 10 by parallel resonance, and the maximum supply power greatly increases. Since this can be done without increasing the excitation current or increasing the magnetic flux density, the efficiency can be increased and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output voltage waveform of the secondary shaft coil is substantially sinusoidal by resonance with the resonance capacitor, even if the excitation current of the primary coil is an asymmetrical AC power waveform such as a stationary wave current, the load current of the secondary rectifier circuit It is a rectified symmetrical waveform of positive symmetry, and the balance of the DC current circuit is maintained.

다음에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과 종래예를 비교하기 위하여, 제7도의 구성이 있어서 공진용의 콘덴서(20)의 유무에 따라 출력 특성이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실험결과와 함께 설명한다. 더우기 제1도의 종래예의 경우에, 2차 코일 N2에 접속된 콘덴서(13)는 소용량이며, 본 발명과는 목적이 다르고, 제1도 회로의 동작모드는 거의 제7도에서 콘덴서(20)가 없는 경우에 해당한다.Next, in order to compare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feature with the conventional example, how the output characteristic varies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apacitor 20 for resonance in the configuration of FIG. Furthermore,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example of FIG. 1, the capacitor 13 connected to the secondary coil N 2 has a small capacity and has a different purpose from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peration mode of the circuit of FIG. 1 is almost similar to that of the capacitor 20 in FIG. If there is no.

우선 종래의 예로서, 제7도의 콘덴서(20)가 없는 경우에는 전술한 제6도와 같은 각 부분의 출력파형이 얻어지며, 제6도의 출력전압 Eo을 115V로 얻는 경우에는, 단면적이 64㎟의 훼라이트 자심을 트랜스(10)의 자각으로 사용하고, 입력전압을 100V로 할 때에는, 제6b도의 1차 전류를 ±2.5A(5AP-P)로 한다. 이 때의 최대자속 밀도는 1680가우스이며, 부하 특성은 제23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된다. 이러한 제23도에 있어서, 실선은 출력전압을, 점선은 리플전압을 제각기 도시한다. 제23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출력전류 IL가 약 0.16A 내지 0.4A의 범위에 있을 때 115V의 정전압 출력이 얻어지며, 따라서 최소 부하가 약 18.5W, 최대 부하가 46W로 된다. 또, 제어전류의 변화범위는 44.2mA 내지 25mA 사이의 19.2mA의 범위이며, ΔIc=19.2mA/46W 내지 18.5W로 된다. 이때, 1차측의 AC로부터 2차측의 DC로의 변환효율은 46W/60.5W=76.1%로 된다.First, as a conventional example, in the absence of the capacitor 20 of FIG. 7, the output waveforms of the respective parts as shown in FIG. 6 are obtained. In the case of obtaining the output voltage Eo of FIG. When the ferrite magnetic core is used as the perception of the transformer 10 and the input voltage is 100 V, the primary current in Fig. 6b is ± 2.5 A (5 A PP ). The maximum magnetic flux density at this time is 1680 gauss, and the load characteristics are as shown in FIG. In FIG. 23, the solid line shows the output voltage, and the dotted line shows the ripple voltage, respectively. As can be seen from FIG. 23, when the output current I L is in the range of about 0.16A to 0.4A, a constant voltage output of 115V is obtained, thus the minimum load is about 18.5W and the maximum load is 46W. The change range of the control current is in the range of 19.2 mA between 44.2 mA and 25 mA, and DELTA Ic = 19.2 mA / 46 W to 18.5 W. At this time, the conversion efficiency from AC on the primary side to DC on the secondary side is 46W / 60.5W = 76.1%.

다음에, 본 발명의 공진용 콘덴서(20)를 접속시킨 경우에는, 제24a도 내지 24e도에 도시된 각 부분의 출력파형이 얻어진다. 즉 제24a도는 1차측의 전류파형을, 24b도는 트랜지스터(5)의 콜렉터. 에미터 사이의 전압 VCE을, 제24c도는 트랜스(10)의 2차축 코일 N2의 단자전압을, 제24d도는 공진용 콘덴서(20)의 전류파형을, 그리고, 제24e도는 정류기(21)의 부하전류파형을 제각기 도시하고 있다. 또한, 제25도는 부하특성을 나타내며, 실선은 출력전압을, 또 점선은 전압리플분을 제각기 나타낸다. 이와 같이, 공진전압을 제어하는 경우에, 교류입력전압이 100V, 직류출력전압을 115V로 할 때, 제24a도의 1차측 전류는 상하가 대략 1.5A로서 2.5 내지 3.0AP-P가 흐른다. 정전압 115V이 얻어지는 출력전류 IL는 OA∼1.7A이므로, 최소부하는 무부하시의 OW, 최대부하는 약 80.5W로 된다. 이 때의 제어전류의 변화범위는 36mA∼25mA이며 ΔIc=11mA/80.5W 내지 OW로 된다. 또한 AC→DC 변환효율은 80.5W/97W=83%로 된다.Next, when the resonant capacito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he output waveforms of the respective parts shown in Figs. 24A to 24E are obtained. 24a shows the current waveform on the primary side and 24b shows the collector of the transistor (5). Rectifier a voltage V CE between the emitter and the 24c to turn the current waveform of the transformer 2, the axle coil N 2 of the terminal voltage, the 24d resonant capacitor 20 for the turning of the 10, and, the 24e turns 21 Each of the load current waveforms is shown. 25 shows load characteristics, the solid line shows the output voltage and the dotted line shows the voltage ripple, respectively.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controlling the resonance voltage, when the AC input voltage is 100 V and the DC output voltage is 115 V, the primary side current in FIG. 24A is approximately 1.5 A, and 2.5 to 3.0 A PP flows up and down. Since the output current I L from which the constant voltage 115 V is obtained is OA to 1.7 A, the minimum load is OW at no load and the maximum load is about 80.5 W. The change range of the control current at this time is 36 mA to 25 mA, and ΔIc = 11 mA / 80.5 W to OW. AC to DC conversion efficiency is 80.5W / 97W = 83%.

이상의 실험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제어감도의 향상, 최대 공급부하의 증대 및 변환효율의 향상이 도모된다.As confirmed in the above experiments, the control sensitivity is improved, the maximum supply load is increased, and the conversion efficiency is improved.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2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10)의 2차 코일에 N2에 공진용콘덴서(30)를 직렬로 접속한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제26도의 다른 구성은 제7도와 같은 형태이므로, 동일 부분에 동일 지시부호를 붙였고 설명은 생략한다.Next,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6, the same effect as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resonant capacitor 30 is connected in series with N 2 to the secondary coil of the transformer 10. Can be obtained. Since the other configuration of FIG. 26 is the same as that of FIG. 7,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the same parts, an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이러한 제26도를 전술한 제10도의 등가회로와 같은 등가변환을 행하여 제27도와 같은 등가회로를 얻는다. 이러한 제27도의 등가회로에 대한 각 회로소자의 기호는 제10도와 같으며, 입력측 a-b 단자사이를, 정현파교류 Emsinwt를 발생하는 전압원 Ei로 치환하여, 제28도의 등가회로를 얻을 수 있고, 다시 제28도의 단자 c-d에서 전원측을 보아 전원측에 호-페브난의 정리를 적용하여 제29도의 등가회로를 얻는다. 이러한 제29도의 전압은 Ei'는The equivalent circuit of FIG. 26 is subjected to the equivalent conversion of the equivalent circuit of FIG. 10 described above to obtain an equivalent circuit of FIG. The symbol of each circuit element for the equivalent circuit of FIG. 27 is the same as that of FIG. 10, and the equivalent circuit of FIG. 28 can be obtained by substituting the input source ab terminal with the voltage source Ei for generating a sinusoidal wave emsinwt. The equivalent circuit of FIG. 29 is obtained by applying Ho-Febnan's theorem to the power supply side by looking at the power supply side at the terminal cd of 28 degrees. The voltage in FIG. 29 is Ei '

Figure kpo00041
Figure kpo00041

로 되며, 제29도 점선으로 정리한 인덕턴스 L는The inductance L summarized by the dashed line in FIG. 29 is

Figure kpo00042
Figure kpo00042

이다. 이 인덕턴스 L와 제29도의 인덕턴스 L2-K를 합하여 Lo로 놓으면to be. If we add this inductance L and the inductance L 2 -K of the 29th degree and set it to Lo

Figure kpo00043
Figure kpo00043

로 표시된다. 제29도는 이러한 인덕턴스 Lo와 저항 RL, 공진용 콘덴서 Cs와의 직렬공진 회로이며, 전임피던스

Figure kpo00044
는Is displayed. FIG. 29 is a series resonance circuit of such an inductance Lo, a resistor R L , and a resonance capacitor Cs.
Figure kpo00044
Is

Figure kpo00045
Figure kpo00045

로 되고, 어드미턴스

Figure kpo00046
(=l/Z)는Become admittance
Figure kpo00046
(= l / Z) is

Figure kpo00047
Figure kpo00047

로 된다. 공진 각 주파수 Wo 및 공진주파수 fo는It becomes Resonance angle frequency Wo and resonance frequency fo

Figure kpo00048
Figure kpo00048

이다. 이 경우, I=Ei

Figure kpo00049
이므로, 상기 (23)식에 의하여 입력의 실효값 전압 Ei'(rms)는to be. In this case, I = Ei
Figure kpo00049
Since the effective value voltage Ei '(rms) of the input is

Figure kpo00050
Figure kpo00050

로 되고, 전류의 실효값

Figure kpo00051
는The effective value of the current
Figure kpo00051
Is

Figure kpo00052
Figure kpo00052

로 된다. 따라서 출력전압 Eo는 RL

Figure kpo00053
이며,It becomes Therefore, output voltage Eo is R L
Figure kpo00053
Is,

Figure kpo00054
Figure kpo00054

로 표시된다.Is displayed.

따라서, 병렬공진의 경우와 같이 직렬공진 주파수 fo를 동작주파수의 부근에 선정하여 제어코일 N2로 상기 M,L1,L2를 변화시키면, 출력전압의 제어가 행하여진다. 또한, 상기 병렬공진의 경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refore, as in the case of parallel resonance, when the series resonance frequency fo is selected near the operating frequency and the M, L 1 , L 2 is changed with the control coil N 2 , the output voltage is controlled. In addition, the same effects as in the case of the parallel resonance can be obtained, of course.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에 의하면, 트랜스의 출력축인 2차축 코일에 대하여 병렬 또는 직렬로 공진용 콘덴서를 접속하고, 상기 트랜스의 동작주파수보다 약간 높은 주파수로 공진주파수를 설정함과 동시에, 출력전압의 공진곡선의 주파수 감도가 높은 좌하(左下)의 곡선을 따라 상호 인덕턴스의 값을 제어하므로써, 제어감도가 향상되고, 정전압영역의 확대가 도모되며, 동시에 전원리플이 억제되어 직류출력 저항의 저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트랜스(10)의 최대부하공급 능력이 향상되고, 트랜스(10)의 권수를 증가시키지 않으므로 트랜스의 소형 경량화가 도모된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description,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sonant capacitor is connected in parallel or in series with a secondary shaft coil, which is an output shaft of a transformer, and the resonance frequency is slightly higher than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transformer. By controlling the mutual inductance value along the lower left curve with high frequency sensitivity of the resonance curve of the output voltage, the control sensitivity is improved, the constant voltage area is enlarged, and the power supply ripple is at the same time. This can suppress the reduction of the DC output resistance. In addition, since the maximum load supply capability of the transformer 10 is improved and the number of turns of the transformer 10 is not increased, the size and weight of the transformer can be reduced.

Claims (1)

비선형 영역을 갖는 자기코어에 대하여 1차 코일 N1및 2차 코일 N2이 감겨져 있으며, 동시에 상기 1차 코일 N1및 2차 코일 N2과는 교류적인 결합을 행하지 않고 상기 자기코어 내의 자속을 제어하는 제어코일 N2이 감겨져 있는 트랜스(10)와,The primary coil N 1 and the secondary coil N 2 are wound around a magnetic core having a nonlinear region, and at the same time, the magnetic flux in the magnetic core is not alternating with the primary coil N 1 and the secondary coil N 2 . A transformer 10 in which a control coil N 2 to be controlled is wound; 상기 트랜스(10)의 1차 코일 N1의 한 단부와 직렬로 접속된 스위칭 회로와,A switching circuit connected in series with one end of the primary coil N 1 of the transformer 10, 상기 트랜스(10)의 1차 코일 N1의 다른 단부에 접속된 직류전원과,A direct current power sourc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rimary coil N 1 of the transformer 10, 상기 스위칭회로를 제어하는 발진회로와,An oscillation circuit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circuit; 상기 2차 코일 N2과 출력단자 사이에 접속된 정류회로와,A rectifier circuit connected between the secondary coil N 2 and an output terminal; 상기 출력단자의 전압에 따라 상기 제어코일 N2을 가변하여 출력단자의 전압을 대략 일정하게 유지하는 제어회로를 구비하고 있는 전원회로에 있어서,In the power supply circuit having a control circuit for varying the control coil N 2 in accordance with the voltage of the output terminal to maintain a substantially constant voltage of the output terminal, 상기 2차 코일 N2과 병렬로 콘덴서(20)를 접속하고, 그 콘덴서(20)와 상기 2차 코일 N2의 인덕턴스로서 공진회로를 구성하며, 이 공진회로의 공진주파수를 상기 발진회로의 발진주파수보다 약간 높은 값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The secondary winding N 2, and connecting the capacitor 20 in parallel, and constitutes a resonant circuit as an inductance of the capacitor 20 and the secondary winding N 2, and the oscillation of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is resonant circuit, the oscillator circuit Power supply, characterized in that set to a value slightly higher than the frequency.
KR1019810001071A 1981-03-31 1981-03-31 Power source device Expired KR8400023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1071A KR840002386B1 (en) 1981-03-31 1981-03-31 Power sourc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1071A KR840002386B1 (en) 1981-03-31 1981-03-31 Power sourc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5746A KR830005746A (en) 1983-09-09
KR840002386B1 true KR840002386B1 (en) 1984-12-24

Family

ID=19220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1071A Expired KR840002386B1 (en) 1981-03-31 1981-03-31 Power sourc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238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2069B1 (en) * 1999-09-14 2001-09-18 Eaton Corporation Loosely coupled rotary transformer having resonant circuit
KR100395627B1 (en) * 2000-12-21 2003-08-25 주식회사 두노시스템 Transformer for smoothing volt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5746A (en) 1983-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30450B (en) Switching power supply having an improved power factor by voltage feedback
US4339792A (en) Voltage regulator using saturable transformer
US7889477B2 (en) High voltage power supply for static neutralizers
EP0923182A2 (en) Non-contact power transmitting device
JPS6040171B2 (en) variable inductor
US6747883B2 (e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JPH07337035A (en) Noncontact high frequency power supply
JPH0680598B2 (en) Frequency stabilization Automatic gain control Ballast system
JP2001095252A (en) Switching power circuit
US20060239039A1 (e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KR840002386B1 (en) Power source device
KR20010050584A (e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JPH0427797B2 (en)
US4644459A (en) Electronic inverter having magnitude-controllable output
KR0160773B1 (en) Oscillation circuit
Ichinokura et al. Graphical circuit analysis of two C-core type parametric power converter
JPS6115572B2 (en)
JP3090766B2 (en) AC / DC converter
JPS63228967A (en) Resonance type switching power source
JPH034492A (en) Stabilizing circuit for discharge lamp
JP3238266B2 (en) Switching power supply
JPH0678537A (en) Switching power supply
JP3082873B2 (en) AC / DC converter
JP2001136745A (e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JPS6124913B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5122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51225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