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80000748B1 - 액체 시료 채취장치 - Google Patents

액체 시료 채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748B1
KR880000748B1 KR8201544A KR820001544A KR880000748B1 KR 880000748 B1 KR880000748 B1 KR 880000748B1 KR 8201544 A KR8201544 A KR 8201544A KR 820001544 A KR820001544 A KR 820001544A KR 880000748 B1 KR880000748 B1 KR 880000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sample
liquid
tank
pupi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8201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10378A (ko
Inventor
레보스 크리스티양
뻬리 다니엘
젝스 장-프랑스와
Original Assignee
피.쇼무죠
코미싸리아트 아 르 에너지에 아토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쇼무죠, 코미싸리아트 아 르 에너지에 아토미크 filed Critical 피.쇼무죠
Publication of KR830010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10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748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2Dippers; Dredg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93Radioactive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31Sampling from special places
    • G01N2001/1037Sampling from special places from an enclosure (hazardous waste, radioactiv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4Suction devices, e.g. pumps; Ejector devices
    • G01N2001/1418Depression, aspiration
    • G01N2001/1436Ejec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2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for flowing or falling materials
    • G01N1/2035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for flowing or falling materials by deviating part of a fluid stream, e.g. by drawing-off or tapping
    • G01N2001/2071Removable sample bott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액체 시료 채취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도식 단면도이다.
제2도는 시료 채취병과 세척병을 더욱 상세히 나타낸 확대도식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체 7 : 세척병
2 : 시료 채취병 7b : 봉입장치
3,6 : 공동침 9 : 밀폐계(밸브)
3a,6a : 동공침 단부 10 : 흡입계(펌프)
4 : 탱크 11a : 원통부
5 : 시료액체 12 : 격막
본 발명은 액체 시료 채취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 특별하게는 분석용 방사성 액체에 관한 것이다.
현존하는 대부분의 방법은 유연성 격막으로 봉입된 진공이 이미 되어있는 시료 채취병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 병의 상단부를 동공의 침으로 째른후 이 병의 저단부를 샘플하고저 하는 액체함유 탱크속에 담그어 액체가 흡입에 의해 병속에 스며들게 한다. 저단부의 동공의 침은 임의로는 진공계에 의해 충전되며 비울수있는 중간 탱크에 침지시킬 수 있다. 이런 장치는 일반적으로 유압 제어 부재의 제어하에 있는 환상 방식으로 배열된 수많은 시료 채취점(19점까지)을 가지고 있다.
이런 장치는 많은 단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써, 무엇보다도 제한된 수의 시료 채취 조작에 대한 개량된 기계화 때문에 가격이 비싸다. 더우기 각 시료 채취 조작후, 분석 액체의 흔적물이 동공의 침속에 남게되어 이 흔적 액체는 탱크내의 액체와 똑같이 분석되지 않는다. 공지의 장치에서는, 다음의 분석동안 침을 세척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앞의 분석동안 남겨진 동공침 내의 흔적에 의해 오염된 탱크에 액체가 혼입될 위험이 있다. 이로 인해 병속에 수집된 시료는 대표 시료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의 단점을 해결하며 시료 채취 조작에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시료 채취 장치를 개발하는 것으로써, 이 장치는 시료 채취병내의 진공 형성의 필요성을 제거하며 동공침을 세척하겠금 한다.
본 발명 장치의 주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마개(stopper) 또는 유연성 격막으로 기밀하게 봉입된 시료 채취병을 지지하기 위해, 한편으로는 시료 채취병을 샘플하고저 하는 액체 함유 탱크에 연결시키고, 또 한편으로는 세척병으로 불리우는 두번째 병에 연결시키는데, 이 연결 수단은 한 관을 통해 시료 채취병을 채취하고저 하는 액체에 연결시키는 첫번째 동공침과 다른 한 관을 통해 시료 체취병을 세척병에 연결시키는 두번째 동공침을 포함하고 있는데 첫번째 동공침은 두번재 동공침이 발하는 수준보다 낮게 시료 채취병속에 발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한 본 장치는 탱크와 세척병 사이에 차압을 유발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장치의 두번재 특징에 따르면, 탱크와 세척병 사이에 차압을 유발시키는 수단은 세척병을 흡입계에 연결시키는 봉입 또는 밀폐 장치가 있는 관을 포함한다. 본 장치의 세번째 특징에 따르면, 세척병의 저부는 채취하고저하는 액체를 함유하는 탱크의 상부보다 더 높은 수준이다.
결과로써, 본 발명의 장치는 샘플병에 진공을 만들 필요가 없으며, 또한 흡입계는 "연속"조작으로 이루어져, 이 연속 조작으로 관과 침이 세척을 행하여 대표 시료채취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비제한적인 실시예와 부착된 도면의 의해 더 상세히 서술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완전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써, 우선 시료 채취병(2)에 장착된 지지체(1)에 관하여 설명하면, 첫 동공침(3)에 의해 지지체(1)은 통과되며 지지체(1)을 통과한 상기 동공침단은 시료 채취병에 들어가서 관(4a)에 의해 신장되는데, 이 관의 단(3b)은 시료 액체(5)를 포함하는 탱크(4)에 침지된다. 두번째 동공침(6)은 지지체(1)을 통과한 후 병(2) 속에서 단부(6a)를 갖는다. 이 동공침(6)은 관(7a)에 의해 신장되어 세척병(7)로 불리우는 두번째 병의 상부를 기밀하게 봉입하는 장치(7b)를 통과한다. 관(7a)의 단부(6b)은 두번째 병의 바닥 부 속에서 개방된다. 세척병(7)의 용량은 시료 채취병(2)보다 크다. 장치(7b)를 통해 병(7)의 내부는 밸브와 같은 밀봉 또는 밀폐계(9)가 있는 관(8)에 연결되는 데 이는 흡입계(10)을 형성시킨다. 흡입계(10)은 물 분출폄프 또는 공기 이젝터일 수 있으며, 탱크(4)와 세척병(7) 사이에 차압을 형성시킬 수 있다.
제2도는 시료 채취병(2)의 지지체로써 사용되는 장치를 더 상세하게 나타낸도로써, 지지체(1)은 두 동공침(3)과 (6)이 통과하는 고체 또는 파손되지 않은 저부(11)을 갖는다. 동공침(6)은 저부(11)을 신장하는 동공의 원통부(11a)의 내부속에 있게 된다. 마개 또는 유연성격막(12)로 기밀하게 밀봉된 시료채취병은 동공의 원통부(11a) 속에 도입된다. 병(2)는 이런 조작을 위해 격막(12)를 두침(3) 및 (6)으로 꿰뚫는 방법으로 뒤집어져 있다. 동공 원통부(11a)의 벽은 병(2)의 액체 수준을 검토 가능하겠금 어느정도 까지 구멍이 나있다.
장치의 기능은 하기와 같다.
시료 채취병(2)가 지지체(1) 상에 장착되고 세척병(7)이 비게 되면, 밸브(9)를 열고 흡입계(10)을 작동시킨다. 이 방법은, 흡입으로 세척병(7) 내에 감압을 형성시켜 탱크내에 포함된 액채(5)를 관(4a)와 침(3)을 따라 시료 채취병(2)로 이동시키게 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을 실시 가능하게 하기 위해 세척병(7)과 시료채취병(2)의 수준이 탱크(4)의 상부 수준 이상이 되게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서 탱크(4)와 세척병(7) 사이의 액체 높이 차이는 물 분출 펌프에 의해 생긴 진공이하의 압력자를 나타낸다. 병(2)의 내부에서 침(3)의 단부(3a)은 침(6) 단부(6a)수준 이하에 존재한다. 이렇게 배열함으로써 침(3)을 통해 도달되는 분석액체를 침(6)과 관(7a)를 통해 세척병(7) 속에 유출되기 전에 시료 채취병(2)에 충전 시킬 수 있다.
대표 시료를 채취하기 위하겨, 세척병(7)을 병이(2)의 수배의 용량으로 다시 채우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경우에도, 액체 흔적물은 분석후 침(3)과 관(4a)에 남게 되어 다음 분석전까지는 이 액체 흔적물을 세척하여야 한다. 특별한 예로써, 탱크(5)와 세척병(7) 사이의 높이가 6.50m이고 시료 채취병(2)의 용량이 10ml인 경우 최소한 시료 채취의 10배 이상의 용량으로 다시 채워 대표 시료를 수득할 수 있다. 이 세척병(7)은 본 조작에서 유출되는 물질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단 병(2)가 대표 샘플로 충전되면 밸브(9)는 닫히고 물분출폄프(10)은 정지시킨다.
병(2)를 제거시킨후 빈병으로 대치시킨다. 첫번째 병의 제거와 두번째 병의 고착시간 동안 한편으로는 침(3)과 관(4a)내의 액체 및 다른 한편으로는 침(6)과 관(7a)내의 액체가 각 각 탱크(4)와 병(7) 속으로 중력에 의해 다시 떨어지게 된다.
하기 방법은 병(7)내의 액체를 회수하여 이 액체를 탱크(4)속에서 재순환시키는 방법이다. 우선, 밸브(9)를 열고 순환기를 재개시 시켜 새로운 시료 채취병에 액체가 충만될 때까지 물분출 펌프(10)을 작동시킨다. 이때 물 분출펌프(10)을 정지시키지만 밸브(9)는 잠그지 않는다. 탱크(4)의 액체(5)와 똑같이 세척병(7) 내의 액체 표면을 대기압에 노출시킨다. 병(7) 내의 액체 표면이 액체(5)의 표면 수준보다 높고 병(2)가 침(3) 및 (6)의 단부(3a)및 단부(6a) 사이에 액체가 충전되므로써 사이펀 현상이 일어나서 병(7) 내의 액채 모두가 자동적으로 탱크(4) 속에 떨어지게 된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관(7a)은 가능한 가장낮은 수준까지 병(7)에 들어 보내어야 한다. 이 장치는 새로운 시료 채취 조작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자동장치 또는 진공 조절계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아주 단순하다. 장치를 구성하는 여러 성분은 비용이 싸며 즉시 상용상 이용할 수 있다. 더우기 세척병과 탱크 사이의 시료 채취 액체 수준의 차이는 물 분출 펌프에 의해 발생되는 진공보다 낮은 압력차를 나타내기 때문에 장치와 탱크 사이의 거리는 별로 중요되지 않는다. 이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수준 차이가 7.50m이며 관의 길이가 80m로 작동된다. 더우기 침(3)의 세척 동안 병(7)내에 수집된 유출액체를 하기와 같은 단순한 사이펀 작용에 의해 탱크(4)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결과 공기 분출기를 사용할때, 물 분출펌프 순환기 또는 대기속의 분열물질을 함유하는 유출물 또는 방사 유출물의 전달 위험이 없어진다. 일정 기간동안 용액 결정화가 일어나지 않는다면 사이펀 작용을 위해 사용되는 두번째 병은 다음의 분석을 위해 남겨놓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된 단일 실시예에 의해 제한받는것이 아니고 모든 다양성을 가지고 있다.

Claims (3)

  1. 한편으로는 시료 채취병을 시료 액체가 함유된 탱크에 연결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 시료 채취병을 세척병이라 불리우는 두번째 병에 연결시켜 마개(stopper) 또는 유연성 결막으로 기밀하게 봉입된 시료 채취병을 지지시키며 탱크와 세척병 사이에 차압을 형성시킴에 있어서, 한 관을 통해 시료 채취병을 시료액체에 연결시킬 수 있는 첫번째 동공침과 다른 한 관을 통해 시료 채취병을 세척병에 연결시킬 수 있는 두번째 동공침을 사용하여 수행하는데 첫번째 동공침의 수준이 두번째 동공침이 발하는 수준보다 낮게 시료 채취병속에 발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시료 및 방사성 시료 채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세척병을 흡입계에 연결시키는 밀폐 장치가 있는 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하여 탱크와 세척병 사이에 차압을 형성시키는 상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세척병의 저부는 시료액체를 함유하는 탱크의 상부보다 더 높은 수준이며 세척병의 용량은 시료 채취병보다 더 큰 상기장치.
KR8201544A 1981-04-08 1982-04-08 액체 시료 채취장치 Expired KR8800007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7064 1981-04-08
FR7064 1981-04-08
FR8107064A FR2503867A1 (fr) 1981-04-08 1981-04-08 Dispositif de prelevement d'echantillons liquid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10378A KR830010378A (ko) 1983-12-30
KR880000748B1 true KR880000748B1 (ko) 1988-05-04

Family

ID=9257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1544A Expired KR880000748B1 (ko) 1981-04-08 1982-04-08 액체 시료 채취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450730A (ko)
EP (1) EP0063971B1 (ko)
JP (1) JPS57179642A (ko)
KR (1) KR880000748B1 (ko)
DE (1) DE3266622D1 (ko)
ES (1) ES8401623A1 (ko)
FR (1) FR25038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8088A (en) * 1983-12-15 1985-10-22 Hood Jr James H Oil sampling system
GB8406209D0 (en) * 1984-03-09 1984-05-10 British Nuclear Fuels Plc Liquid sampling system
GB8512377D0 (en) * 1985-05-16 1985-06-19 British Nuclear Fuels Plc Sampling
FR2637373A1 (fr) * 1988-10-03 1990-04-06 Cogema Tete de prelevement d'un echantillon liquide
FR2708743B1 (fr) * 1993-08-05 1995-09-22 Cogema Dispositif de remplissage d'un récipient clos par une aiguille, muni de moyens de nettoyage.
US6883535B1 (en) 2000-05-19 2005-04-26 Unified Solutions Inc. Liquid handling apparatus
SE0402983L (sv) * 2004-12-09 2006-06-10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Aseptisk provtagning
FR2950694B1 (fr) * 2009-09-25 2012-08-17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de prelevement d'echantillons liquides hors d'une cuve
KR101267987B1 (ko) * 2012-08-01 2013-05-2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수질 시료 무인 채취 장치 및 채취 방법
CN111175087B (zh) * 2020-03-20 2023-02-28 安徽省农业科学院水产研究所 一种高精度水样抽滤检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584241A (ko) * 1958-11-04
GB876975A (en) * 1959-02-16 1961-09-06 Atomic Energy Authority Uk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ampling devices
US3492946A (en) * 1968-05-23 1970-02-03 Union Carbide Corp Dual volume fluid sample pump
FR2187115A5 (ko) * 1972-05-29 1974-01-11 Aquitaine Petrole
DE2614787C3 (de) * 1976-04-06 1978-11-02 Gesellschaft Zur Wiederaufarbeitung Von Kernbrennstoffen Mbh, 7514 Eggenstein- Leopoldshafen Vorrichtung zum Entnehmen von Fliissigkeitsproben
DE2642065C3 (de) * 1976-09-18 1981-06-19 Gesellschaft zur Wiederaufbereitung von Kernbrennstoffen mbH, 7514 Eggenstein-Leopoldshafen Probenahme-Einrichtung für toxische und/oder radioaktive Stoffe
DE2824153C2 (de) * 1978-06-02 1986-06-19 Fa. Edmund Bühler, 7400 Tübingen Vorrichtung zur selbsttätigen Entnahme von Flüssigkeitsproben in explosionsgefährdeten Betriebsstätten
US4213342A (en) * 1978-12-11 1980-07-22 Gates Wendall C Liquid sampler device
JPS5749852A (en) * 1980-09-11 1982-03-24 Kayagaki Irika Kogyo Kk Cooling of supporting body by ceramic plate as cooling system in cataphoresis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10378A (ko) 1983-12-30
US4450730A (en) 1984-05-29
JPS57179642A (en) 1982-11-05
DE3266622D1 (en) 1985-11-07
EP0063971B1 (fr) 1985-10-02
ES511256A0 (es) 1983-12-16
FR2503867A1 (fr) 1982-10-15
ES8401623A1 (es) 1983-12-16
EP0063971A1 (fr) 1982-11-03
JPH0210894B2 (ko) 1990-03-12
FR2503867B1 (ko) 1984-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76027B2 (ja) 液体サンプル取出し用ニードルの洗浄装置
KR880000748B1 (ko) 액체 시료 채취장치
US350865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uid handling and separation
RU2095024C1 (ru) Устройство отбора пробы крови для исследования при центрифугировании этой пробы
US20100093551A1 (en) Liquid Transfer and Filter System
ES2285749T3 (es) Dispositivo para acceder a un recipiente sellado.
US4729876A (en) Blood analysis system
US381424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uid collection and/or partitioning
US3607098A (en) Containers for laboratory use
WO1999033501A1 (en) Suction-based tissue collecting device
JPS63120258A (ja) 液体取出し装置
CN109110856A (zh) 一种水中油类自动萃取系统和分析系统
GB1066164A (en) Serum separation apparatus and method
US4318803A (en) Fecal flotation apparatus
US411912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liquid samples
US363019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lling capillary tubing with fluids
JPS6113175B2 (ko)
CN209098240U (zh) 一种水中油类自动萃取系统和分析系统
CN109696346B (zh) 同位素前处理器
CN209327370U (zh) 微型离心管适配器及样本架
JP2640123B2 (ja) 液体連続循環方式およびこの方式を使用する液体サンプル採取装置
EP10921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liquid samples from a closed container
JP2663661B2 (ja) 液体の減圧吸引装置
US4196743A (en) Fluid transfer system
RU2194970C2 (ru) Пикнометр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плотности жидкостей с повышенной упругостью собственных насыщенных пар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2050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2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