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492B1 - Writting appliance - Google Patents
Writting applian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00000492B1 KR900000492B1 KR1019870001196A KR870001196A KR900000492B1 KR 900000492 B1 KR900000492 B1 KR 900000492B1 KR 1019870001196 A KR1019870001196 A KR 1019870001196A KR 870001196 A KR870001196 A KR 870001196A KR 900000492 B1 KR900000492 B1 KR 9000004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k
- writing
- pen tip
- storage chamber
- guide groo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02—Ink reservoirs
- B43K5/06—Ink reservoirs with movable pistons for withdrawing ink from an ink-recepta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10—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the ball poi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18—Arrangements for feeding the ink to the ni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중앙종단면도.1 is a central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중앙심체와 중앙종단면도.Figure 2 is a central core and a longitudinal longitudinal s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 및 제4도는 중앙심체의 양끝을 앞 뒤 양쪽에서 바라본 정면도.3 and 4 are front views of both ends of the central body viewed from both front and rear.
제5도는 중앙심체의 변형예에 대한 중앙종단면도.5 is a longitudinal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modification of the central core.
제6도 및 제7도는 제5도 변형예 중앙심체의 양끝을 앞뒤쪽에서 바라본 정면도.6 and 7 are front views of front and rear views of both ends of the central core of the fifth modification.
제8도는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중앙종단면도.8 is a central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9도는 본 발명 제3실시예의 중앙종단면도.9 is a central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0도는 본 발명 제4실시예의 중앙종단면도.10 is a longitudinal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1도는 본 발명 제4실시예에서의 중앙심체의 중앙종단면도.Figure 11 is a longitudinal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entral core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2도 및 제13도는 제11도 중앙심체의 양끝을 앞뒤쪽에서 바라본 정면도.12 and 13 are front views of both ends of the central core from the front and rear.
제14도는 제11도 중앙심체의 변형예에 대한 중앙종단면도.14 is a longitudinal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variant of the central core of FIG.
제15도 및 제16도는 제14도에 도시된 중앙심체의 양끝을 앞뒤쪽에서 바라본 정면도.15 and 16 are front views of front and rear views of both ends of the central core shown in FIG.
제17도는 본 발명 제5실시예의 중앙종단면도.17 is a central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8도는 제5실시예에서의 중앙심체의 중앙종단면도.18 is a longitudinal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entral core in the fifth embodiment.
제19도는 제18도에 도시된 중앙심체의 뒷끝을 뒤쪽에서 바라본 정면도.19 is a front view of the rear end of the central body shown in FIG.
제20도는 본 발명 제6실시예의 중앙종단면도이다.20 is a central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필기구 2 : 펜선단부1: writing instrument 2: pen tip
3 : 내통 4 : 중앙심체3: inner tube 4: central core
5 : 중간심체 6 : 외통5: intermediate core 6: outer cylinder
7a : 펜촉 7b : 잉크유도심체7a: nib 7b: ink guide core
8 : 필기부 10 : 잉크저장실8: writing unit 10: ink storage room
11 : 나선홈 12 : 잉크계류부11: spiral groove 12: ink mooring part
13 : 잉크유도홈 14 : 공기유도홈13: ink guide groove 14: air guide groove
16 : 연통부 17, 21 : 환상홈16:
18 : 공기공급로 24 : 스톱퍼18: air supply passage 24: stopper
본 발명은 잉크를 잉크저장실내에 넣어놓고 사용하는 필기구에 있어서, 필기할 때 소비되는 잉크량과 같은 량의 공기가 잉크저장실내로 공급되도록 된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종래 점성이 낮은 잉크를 사용하는 필기구에서는 잉크저장실과 펜촉으로 이어지는 잉크유도심체 사이를 잉크유도홈으롤 접속시켜주는 한편, 잉크저장실과 외부로부터 공기를 공급해주는 공기공급로의 사이에다 주름관체와 같은 잉크계류부를 설치하여 공기공급로-잉크계류부-잉크저장실-잉크유도홈-잉크유도심체를 직렬형상으로 접속시켜주고 있었다.In the case of a writing instrument using low viscosity ink, a corrugated body ink is connected between the ink reservoir and the ink guide core leading to the nib through the ink guide groove, and between the ink reservoir and the air supply path for supplying air from the outside. A mooring section was provided to connect the air supply path, the ink mooring section, the ink reservoir, the ink guide groove, and the ink guide core in series.
그리고 필기를 할 때 잉크저장실내에 넣어져 있는 점성이 낮은 잉크가 소비되어 버리게 되면 잉크저장실의 내부압력이 내려가 그 잉크소비량과 같은 양의 공기가 잉크저장실내로 공급되게 되는 한편, 온도상승으로 인해 공기가 팽창하는 등으로 잉크저장실의 내부압력이 올라가게 되면 잉크가 잉크저장실로부터 밀려나가 잉크계류부에 머물게 되고, 이 잉크계류부에 머물고 있던 잉크가 그 후 상기 잉크저장실의 내부압력이 내려가게 되면 잉크저장실로 되돌려지도록 구성되어져 있다.When the low-viscosity ink contained in the ink storage chamber is consumed during writ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ink storage chamber decreases, and the same amount of air is supplied into the ink storage chamber as the temperature rises.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ink reservoir increases due to the expansion of air, the ink is pushed out of the ink reservoir and stays in the ink mooring portion, and when the ink remaining in the ink mooring portion decrease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ink reservoir decreases. It is configured to return to the ink storage chamber.
그러나 이와 같이 공기공급로-잉크계류부-잉크저장실-잉크유도홈-잉크유도심체가 직렬형상으로 접속되어져 있는 종래의 구성에서는 잉크계류부에 머물고 있던 잉크가 잉크저장실의 내압이 낮아져도 잉크저장실로 충분히 되돌려지지 못하는 일이 많고, 그 때문에 잉크저장실 내부 압력이 올라갈 때마다 잉크저장실로부터 잉크계류부로 밀려나간 잉크가 소비되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는 다던지 또는 잉크계류부에 머물고 있던 잉크가 결국 공기공급로를 따라 외부로 흘러넘쳐 나가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in which the air supply path, the ink mooring portion, the ink storage chamber, the ink guide groove, and the ink guide core are connected in series, the ink remaining in the ink mooring portion is transferred to the ink storage chamber even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ink storage chamber is low. In many cases,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ink reservoir increases, the ink pushed out of the ink reservoir into the ink mooring portion is not consumed. Therefore, there was a problem that overflowed to the outside.
또 종래에는 펜촉 및 잉크유도심체가 설치된 펜선단부를 잉크계류부와 잉크유도홈등이 설치된 내통의 선단부내에다 눌러끼워 놓고 있었기 때문에 모세관 작용에 의해 잉크가 압입으로부터 외부로 스며나오게 되는 일도 있었다.In addition, in the past, the tip of the pen where the pen tip and the ink guide core are installed is pressed into the tip of the inner cylinder provided with the ink mooring section, the ink guide groove, etc., so that ink may leak out from the indentation by capillary action.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양으로, 잉크저장실의 내부압력이 올라가 잉크저장실로부터 잉크계류부로 밀려나간 잉크가 상기 내부압력이 내려가게 되면 잉크저장실로 신속히 되돌려 줄 수가 있고, 또 잉크가 잉크계류부에 남아있게 되는 경우에도 필기할 때 반드시 소비되어지도록 된 잉크를 쓰는 필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mount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ink storage chamber is increased and the ink pushed out from the ink storage chamber to the ink mooring portion is lowered, the internal pressure can be quickly returned to the ink storage chamber.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riting instrument that uses ink, which is necessarily consumed when writing, even when ink remains in the ink mooring sec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는 잉크저장실의 내부압력이 올라갈 때 밀려난 잉크를 잠시 계류시켜 놓았다가 상기 내부압력이 낮아질 때 잉크를 잉크저장실로 되돌려줄 수 있게 되는 한편, 잉크저장실로 되돌려지지 않은 잉크는 그대로 필기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잉크계류부가 갖춰져 있는바, 상기 잉크계류부는 잉크저장실에 이상이 있어 밀려난 잉크를 잠시 계류하고 있다가 정상으로 되돌아간 잉크저장실로 되돌려보내주는 한편, 되돌려 보내지지 않는 잉크는 그대로 필기용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되어 있다.The writing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temporarily hold the ink pushed out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ink storage chamber is raised, and to return the ink to the ink storage chamber when the internal pressure is lowered, the ink Ink that has not been returned to the storage chamber is provided with an ink mooring section that can be used for writing as it is. The ink mooring section has an abnormality in the ink storage chamber for a while and holds the expelled ink back to the ink storage chamber after returning to normal. On the other hand, the ink which is not sent back can be used as it is for writin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의 1실시예를 도면에 의거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writing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제1실시예를 설명하면, 이 필기구(1)는 합성수지등으로 성형된 펜선단부(2)와, 내통(3), 중앙심체(4), 중간심체(5) 및, 외통(6)을 갖고 있으면서, 펜선단부(2)의 중심에는 그 앞쪽에 펜촉(7a)이 설치되고 이 펜촉(7b)과 반대쪽에는 합성섬유다발등으로 이루어져 펜촉(7a)으로 잉크를 유도해 주게되는 잉크유도심체(7b)가 삽입되어져 있다.First,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4 will be described. The
그리고 펜촉(7a)과 잉크유도심체(7b) 및 보호파이프(7c)로 필기부(8)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내통(3)은 펜선단부(2)의 펜촉(7a)과 반대되는 쪽으로 일체성형되어져 있으며, 상기 중앙심체(4)와 중간심체(5)는 내통(3)내에 동심형상으로 내외 이중으로 삽입되어져 있는 외통(6)은 펜선단부(2)와 반대되는 쪽이 밀폐된 밑바닥을 갖는 통형상으로 구성되어져 있다.The
그리고 상기 외통(6)내부 뒤끝쪽, 즉 펜선단부(2)와 반대되는 쪽이 점성이 낮은 잉크가 담겨지는 잉크저장실(10)이 설치되고, 중간심체(5)의 바깥둘레에는 나선홈(11)으로 구성된 잉크계류부(12)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 상기 중앙심체(4)의 바깥둘레에는 잉크유도심체(7b)가 잉크저장실(10)사이를 연통시켜주게 되는 잉크유도홈(13)과 공기유도홈(14)이 설치되어 있는바, 이들 잉크 및 공기유도홈(13,14)은 중앙심체(4)의 바깥둘레에 직경방향을 따라 2개소에 형성된 슬릿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잉크유도홈(13)은 모세관작용에 따라 잉크의 유통이 잘 이루어지도록 예컨대 0.2mm정도의 가는 슬릿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도홈(14)은 공기의 유통이 잘 이루어지도록 예컨대 0.3mm정도의 굵은 슬릿으로 형성되어져 있다.Then, an
또 한편 상기 중앙심체(4)의 펜선단부(2)쪽 중심에 잉크 및 공기유도홈(13,14)과 연통된 끼움구멍(15)이 형성되어져 있어, 이 끼움구멍(15)에 잉크유도심체(7b)의 잉크저장실(10)쪽 끝부분이 끼워넣어져 있다. 또 상기 잉크계류부(12)의 펜선단부(2)쪽을 잉크 및 공기유도홈(13,14)에 연통시켜주는 연통부(16)가 중간심체(5)의 펜선단부(2)쪽 끝부분에 마련되어 있는데, 이 연통부(16)는 중앙심체(4)의 펜선단부(2)쪽 바깥둘레에 형성된 단면이 거의 V자 형상을 이루는 환상홈(17)에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외통(6)의 내주면(內周面)을 따라 형성된 공기공급로(18)가 내.외통(3,6)사이에 배치되어 이 공기공급로(18)의 한쪽끝이 펜선단부(2)에 형성된 공기공급구멍(19)에 연통되고, 다른 쪽 끝이 잉크계류부(12)의 반대쪽에서 펜선단부(2)와 연통되어져 있다. 한편 이 공기공급로(18)의 양끝은 공기공급구멍(19)과 연통된 상태에서 펜선단부(2)에 형성된 환상홈(20) 및 잉크계류부(12)의 펜선단부(2)와 반대되는 쪽에 형성된 환상홈(21)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공기공급로(18)와 공기공급구멍(19)이 내통(3)의 앞끝쪽에 형성된 환상홈(20)으로 연통되어지기 때문에 내통(3)의 삽입장착위치가 한정되는 일없이 확실하게 연통접속되어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a
또 상기 잉크계류부(12)의 펜선단부(2)와 반대되는 쪽부분에는 나선홈(11)에 연속되어 여러개의 환상홈(22)이 형성되면서 이들 환상홈(22)사이가 여러개의 환상홈(23)으로 연통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중간심체(5)의 펜선단부(2)와 반대쪽에 형성된 계단진 스톱퍼(24)에 의해 중간심체(5)와 중앙심체(4)의 위치가 결정되어지면서 중간심체(5)와 외통(6)이 공기공급로(18)와 환상홈(21)으로 연통상태를 막지 않도록 밀봉되어져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이렇게 중앙심체(4)와 중간심체(5)가 계단진 스톱퍼(24)에 의해 정확히 위치결정되어져 있기 때문에 이들의 접속이 확실하게 이루어져, 필기할 때 이들 중앙심체(4)와 중간심체(5)가 흔들리지 않아 안정되게 필기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또 상기 연통부(16)를 환상홈(17)에다 접속시키고 공기공급로(18)의 양끝을 1쌍의 환상홈(20,21)에 접속시켜놓은 구조는, 필기구(1)를 조립할 때 펜선단부(2)와 내통(3), 중앙심체(4), 중간심체(5) 및 외통(6)의 원주방향으로의 위치결정을 해줄 필요가 없어져 필기구(1)의 조립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tructure in which the communicating
또한 잉크계류부(12)의 펜선단부(2)와 반대되는 쪽에 나선홈(11)에 연속되어 형성된 여러개의 환상홈(22)과 이들 사이를 연통시켜주는 여러개의 슬릿(23)은 공기공급로를 확보해 주면서 상기 잉크계류부(12)의 나선홈(11)내에 계류되어져 있는 잉크에 대해서는 충분한 밀폐작용을 하여 잉크계류부(12)로부터 공기공급로(18)쪽으로 잉크가 넘쳐나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해 주게 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이와 같이 구성되어져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1)는 점성이 낮은 잉크를 잉크저장실(10)내에다 넣어놓고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Since the writing implemen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ink having low viscosity can be placed in the
이어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의 동작을 제1도 내지 제4도에 의거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writing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본 필기구(1)는 점성이 낮은 잉크를 잉크저장실(10)내에 다 넣어놓고서 사용하는 것으로서, 필기할 때에는 잉크저장실(10)내의 잉크가 모세관작용에 따라 모세관작용에 따라 잉크유도홈(13)과 잉크유도심체(7b)를 통해 펜촉(7a)으로 유도되어나가게 되고, 이 잉크가 필기에 의해 소비되게 되면 잉크저장실(10)의 내부압력이 떨어지게 되며 소비된 잉크의 양만큼의 공기가 공기공급로(18)와 잉크계류부(12), 연통부(16) 및 공기유도홈(14)을 거쳐 잉크저장실(10)내로 공급되게 된다.The
한편 온도가 올라가 공기가 팽창하여 잉크저장실(10)의 내부압력이 올라가게 되면 잉크가 잉크저장실(10)로부터 밀려나가 잉크 및 공기유도홈(13,14)과 연통부(16)를 통해 잉크계류부(12)의 나선홈(11)내에 펜선단부(2)쪽에서부터 순차적으로 계류되게 된다. 그후 잉크저장실(10)의 내부압력이 내려가게 되면 상기 잉크계류부(12)의 펜선단부(2)와 반대되는 쪽의 공기공급로(18)로부터 공기가 순순히 공급되어지기 때문에, 잉크계류부(12)의 펜선단부(2)쪽에 계류되어져 있는 잉크가 연통부(16)와 잉크 및 공기유도홈(13,14)을 통해 잉크저장실(10)내로 신속히 되돌려지게 된다. 그리고 이때 만일 잉크가 잉크계류부(12)의 펜선단부(2)쪽에 남아 있게 되더라도 공기공급로(18)와 잉크계류부(12), 연통부(16), 공기유도홈(14) 및 잉크저장실(10)로의 공기공급통로가 확보되고, 모세관작용에 의해 잉크계류부(12)내의 펜선단부(2)쪽 잉크가 잉크저장실(10)로 되돌려지지 않고 그대로 직접 연통부(16)와 잉크유도홈(13) 및 잉크유도심제(7b)를 통해 펜촉(7a)으로 유도되어 완전히 소비되어 버리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emperature rises and the air expands and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다음 제5도 내지 제7도는 본 실시예 필기구(1)의 중앙심체(4)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해 놓은 것으로서, 이 경우는 중앙심체(4)의 바깥둘레를 따라 1줄의 공기유도홈(14)외에 2줄의 잉크유도홈(13)을 설치해 놓고 있는 것인바, 이 2줄의 잉크유도홈(13) 때문에 잉크의 유동이 한층 더 잘 이루어지게 된다.5 to 7 show a modification of the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로 변형시켜줄 수 있는바, 그 예로서는 잉크계류부(12)를 나선홈(11)으로 한정시키지 않고 여러개의 슬릿으로 하여도 좋을 뿐만 아니라 스폰지등과 같은 잉크흡수재를 충전시켜 놓은 것이라도 좋다. 또 중앙심체(4)에 형성시켜 놓은 잉크 및 공기유도홈(13,14)은 슬릿형상에 한하지 않고 슬릿과 관통구멍을 병용하여도 좋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이상과 같이 점성이 낮은 잉크를 사용하는 본 발명 필기구에 의하면, 잉크저장실의 내부압력이 올라가게 되면 잉크저장실로부터 밀려난 잉크가 잉크계류부에 펜선단부쪽부터 순차적으로 계류되어지게 되므로, 잉크저장실의 내부압력이 떨어지게 되면, 잉크계류부에 계류되어져 있는 잉크가 펜선단부쪽부터 잉크저장실로 신속히 되돌려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만일 잉크계류부의 펜선단부쪽에 잉크가 남아 있게 된다하더라도 잉크저장실로의 공기공급로가 확보되고 그에 따른 모세관작용에 따라 상기 잉크계류부의 펜선단부쪽에 계류되어져 있는 잉크가 잉크저장실로 되돌려지지 않고 그대로 직접 펜촉으로 유도되어 완전히 소비되어져 버리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writing instru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ink having a low viscosity as described above,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ink storage chamber rises, the ink pushed out of the ink storage chamber is sequentially moored from the pen tip end portion of the ink storage chamber. When the internal pressure drops, the ink moored in the ink mooring portion can be quickly returned to the ink storage chamber from the pen tip side. And even if ink remains on the pen tip side of the ink mooring portion, an air supply path to the ink reservoir is secured, and the ink retained on the pen tip side of the ink mooring portion is not directly returned to the ink storage chamber as a result of capillary action. It is induced by the pen tip and consumed completely.
따라서 상기 잉크저장실내에 넘어져 있는 잉크를 마지막까지 소비시켜줄 수 있게될 뿐만아니라 공기공급로로부터 잉크가 넘쳐 흘러나오게 되는 일도 없어지게 된다.Therefore, not only the ink that has fallen in the ink storage chamber can be consumed to the end, but also the ink does not overflow from the air supply path.
더구나, 본 발명의 점성이 낮은 잉크를 사용하는 필기구에 의하면, 펜선단부와 내통이 일체로 구성되여져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이들의 상호끼움부로부터 잉크가 스며나오는 일이 전혀 없다.Moreover, according to the writing instrument using the ink of low viscosity of this invention, since the pen tip part and the inner cylinder are comprised integrally, ink does not seep out from these mutual insertion parts like the conventional thing at all.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앞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는 공기공급로(18)의 형성위치만 달리하고 있는 것인바, 즉, 제1실시예에서는 공기공급로(18)를 외통(6)의 안쪽둘레면에다 형성시켜 놓았으나, 본 제2실시예에서는 공기공급로(18)를 내통(3)의 바깥둘레에 형성시켜 놓은 것으로서, 그 기능은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여서 제1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8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only in the position where the
제9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해 놓은 것인바, 본 실시예가 상술한 제1실시예와는 공기공급로(18)를 외통(6)의 벽면을 관통시켜 환상홈(21)에다 연통시켜 놓고 있는 점이 다른 것으로서, 이 제3실시예도 상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효과가 얻어지게 된다.FIG. 9 show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embodiment, the
제10도는 필기부(8)로서 절삭팁을 사용하게 되는 제4실시예를 도시해 놓은 것으로, 제1도 내지 제4도와 동일하거나 그에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놓았다.FIG. 10 shows a fourth embodiment in which the cutting tip is used as the
이 제4실시예에서는 잉크를 펜촉(7a)으로 유도시켜주는 잉크유도심체(7b)가 예컨대 폴리에스텔섬유와 같은 화학섬유로 형성되어져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중앙심체(4)의 앞끝이 잉크유도심체(7b)의 뒷 끝에 맞닿아져 있다.In this fourth embodiment, the
그리고 제11도 내지 제16도는 본 제4실시예의 중앙심체(4)의 구조를 도시해 놓은 것으로, 중앙심체(4)의 바깥둘레에는 마찬가지로 필기부(8)와 잉크저장실(10)사이가 연통된 잉크유도홈(13)과 공기유도홈(14)이 형성되어져 있고, 기타의 구조는 앞에서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되어 같은 효과가 얻어지게 된다.11 to 16 show the structure of the
제17도는 본 발명을 만년필에다 적용시킨 제5실시예를 도시해 놓은 것으로, 이를 도면에 제1도 내지 제4도와 같거나 그와 상당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놓았다.FIG. 17 shows a fifth embodiment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fountain pe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the same parts as those in FIGS. 1 to 4.
이 제5실시예에서는 중앙심체(4)가 펜촉(7a)을 갖는 필기부(8)에 일체로 형성되고, 이 중심심체(4)의 바깥둘레에는 필기부(8)와 잉크저장실(10)사이가 연통된 잉크유도홈(13)과 공기유도홈(14)이 형성되어져 있다. 여기서 이 제5실시예에서는 제17도 및 제1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잉크유도홈(13)이 펜촉(7a)아랫면에까지 연장되어져 있고, 기타의 구조는 앞에서의 실시예와 마찬가지여서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게 된다.In this fifth embodiment, the
제20도는 본 발명을 싸인펜에다 적용시킨 제6실시예를 도시해 놓은 것으로, 여기서도 제1도 내지 제4도와 같거나 그에 상당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했다.FIG. 20 shows a sixth embodiment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signature pe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parts as those in FIGS. 1 to 4.
이 제5실시예에서는 잉크유도심체(7b)가 예컨대 섬유를 수지가공한 섬유필심펜이라던가 펜의 중심에 방사상으로 구멍을 형성시키거나 바깥둘레에 길이방향을 따라 홈을 형성시키든지, 또는 이들 양자 혼성된 플라스틱제로 된 필기구로 형성되어져 있는 것인바, 이 실시예의 중앙심체(4)에도 앞에서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임의로 줄로 형성된 슬릿으로 이루어진 잉크유도홈(13)과 공기유도홈(14)이 형성되어져 있고, 기타의 구성은 앞에서의 실시예와 마찬가지여서 똑같은 효과가 얻어지게 되다.In this fifth embodiment,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잉크저장실의 내부압력이 올라가게 될 때 잉크저장실로부터 밀려난 잉크가 잉크계류부에 일시 계류되어 있다가 내부압력이 내려가 평상압력이 되면 잉크가 잉크저장실로 되돌려질 수가 있게됨과 더불어 상기 잉크저장실로 되돌려지지 않은 잉크는 그대로 필기용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ink storage chamber is increased, the ink pushed out of the ink storage chamber is temporarily held in the ink mooring section, and when the internal pressure decreases to normal pressure, the ink can be returned to the ink storage chamber. In addition, the ink that is not returned to the ink storage chamber can be used as it is for writing.
Claims (7)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JP61-188618 | 1986-08-13 | ||
| JP61188618A JPS6345095A (en) | 1986-08-13 | 1986-08-13 | Writing utensil |
| JP188618 | 1986-08-13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880002676A KR880002676A (en) | 1988-05-10 |
| KR900000492B1 true KR900000492B1 (en) | 1990-01-31 |
Family
ID=1622683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19870001196A Expired KR900000492B1 (en) | 1986-08-13 | 1987-02-13 | Writting appliance |
Country Status (5)
| Country | Link |
|---|---|
| EP (1) | EP0256615A1 (en) |
| JP (1) | JPS6345095A (en) |
| KR (1) | KR900000492B1 (en) |
| BR (1) | BR8701506A (en) |
| HU (1) | HUT57652A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736797Y2 (en) * | 1988-08-25 | 1995-08-23 | パイロットインキ株式会社 | Water-based ballpoint pen for high-speed writing |
| DE4100644A1 (en) * | 1990-01-20 | 1991-08-29 | Schmidt Feinmech | WRITING OR DOSING DEVICE |
| US5030026A (en) * | 1990-02-07 | 1991-07-09 | Chen Ching Fei | Leakproof fountain pen with ballbearing tip |
| US5336009A (en) * | 1993-05-10 | 1994-08-09 | Jean Young | Ink guide for a ballpoint pen |
| US5551789A (en) * | 1993-10-13 | 1996-09-03 | Kawakami Giken Co Ltd | Cosmetic material container |
| CA2143518C (en) * | 1994-03-16 | 1999-03-09 | Kazuaki Matsumoto | Writing implement |
| DE4434164A1 (en) * | 1994-09-24 | 1996-03-28 | Staedtler Fa J S | Pen for ink and ink pens |
| US5906446A (en) * | 1996-10-22 | 1999-05-25 | Bic Corporation | Fillerless writing instrument |
| AU748530B2 (en) * | 1996-10-22 | 2002-06-06 | Bic Corporation | Fillerless writing instrument |
| US6340262B1 (en) * | 1998-03-26 | 2002-01-22 | Mitsubishi Pencil Kabushiki Kaisha | Writing implement with an ink collector |
| JP3536673B2 (en) * | 1998-07-28 | 2004-06-14 | 昌旦 深見 | Pen |
| GB9908099D0 (en) * | 1999-04-12 | 1999-06-02 | Gay Geoffrey N W | Air cleaning collection device |
| TWI239903B (en) * | 2002-11-21 | 2005-09-21 | Kotobuki & Co Ltd | Liquid container |
| DE102005031432B4 (en) * | 2005-07-04 | 2015-11-05 | Semsotec Gmbh | Fluidic pen for recording neuromotor data |
| CN107772753B (en) * | 2016-08-25 | 2023-12-15 | 洽兴包装工业(中国)有限公司 | Liquid eyeliner with liquid storage function |
| CN111055610B (en) * | 2019-12-30 | 2021-09-24 | 上海思勤文具制造有限公司 | Water pen |
Family Cites Families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S453694Y1 (en) * | 1965-06-28 | 1970-02-20 | ||
| AT285375B (en) * | 1965-08-12 | 1970-10-27 | Hebborn & Co H | Cartridge fountain pen |
| DE2808910A1 (en) * | 1978-03-02 | 1979-09-06 | Mutschler Fa Philipp | INK REGULATOR FOR WRITING DEVICES |
| DE3010944C2 (en) * | 1980-03-21 | 1985-08-08 | Rotring-Werke Riepe Kg, 2000 Hamburg | Writing implement |
| DE3037257C2 (en) * | 1980-10-02 | 1984-02-09 | Otto 6900 Heidelberg Mutschler | Tubular pen tip for ink pens |
| DE3420287C2 (en) * | 1983-06-03 | 1985-11-14 | Pilot Man-Nen Hitsu K.K., Tokio/Tokyo | Insert for a writing implement |
| DE3442331A1 (en) * | 1984-11-20 | 1986-05-22 | Hans Joachim Ing.(grad.) 3000 Hannover Witte | Ink conductor, having a compensating body enclosing it, for writing appliances with ink in a free form and a large ink-storage space |
-
1986
- 1986-08-13 JP JP61188618A patent/JPS6345095A/en active Pending
-
1987
- 1987-01-09 HU HU8780A patent/HUT57652A/en unknown
- 1987-02-13 KR KR1019870001196A patent/KR900000492B1/en not_active Expired
- 1987-04-02 BR BR8701506A patent/BR8701506A/en unknown
- 1987-04-15 EP EP87303328A patent/EP0256615A1/en not_active Withdrawn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JPS6345095A (en) | 1988-02-26 |
| HUT57652A (en) | 1991-12-30 |
| BR8701506A (en) | 1988-03-22 |
| KR880002676A (en) | 1988-05-10 |
| EP0256615A1 (en) | 1988-02-24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900000492B1 (en) | Writting appliance | |
| US5895160A (en) | Universal marking instrument apparatus | |
| US3463597A (en) | Ink writing implement | |
| JPS60239299A (en) | Pen for drawing | |
| US3533708A (en) | Ball point pen for water soluble ink | |
| US6659671B1 (en) | Ink introducing tube and writing instrument incorporated with the same | |
| EP1744907B1 (en) | Colouring apparatus | |
| KR900000493B1 (en) | Writing utensils | |
| WO2001015912A1 (en) | Multi-color marker | |
| US4986684A (en) | Multiangular pen | |
| KR200178144Y1 (en) | Direct writing instruments | |
| US4986686A (en) | Multiangular pen | |
| KR950004081Y1 (en) | Pen with ink reservior | |
| GB2067475A (en) | Ball point pen tip | |
| EP1992498B1 (en) | Colouring apparatus | |
| JPS6310312Y2 (en) | ||
| KR870000469B1 (en) | Combinations of writing appliances | |
| GB1089665A (en)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writing instruments | |
| KR100241649B1 (en) | Writing instrument having feeds | |
| JPH053342Y2 (en) | ||
| KR940007204Y1 (en) | pen | |
| JPH0452066Y2 (en) | ||
| KR940007201Y1 (en) | pen | |
| JP3101723B2 (en) | Direct liquid writing implement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 |
| JP2509396Y2 (en) | Writing instrumen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30331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5020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502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