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1594B1 - 플로피디스크장치의 독출회로 - Google Patents

플로피디스크장치의 독출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594B1
KR900001594B1 KR1019860003174A KR860003174A KR900001594B1 KR 900001594 B1 KR900001594 B1 KR 900001594B1 KR 1019860003174 A KR1019860003174 A KR 1019860003174A KR 860003174 A KR860003174 A KR 860003174A KR 900001594 B1 KR900001594 B1 KR 900001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erential
signal
circuit
read
disk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3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8495A (ko
Inventor
히로시 스즈끼
쇼지 나까지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오시바
사바 쇼오이찌
도오시바 컴퓨터 엔지니어링 코포레이숀
이와세 마사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093246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42305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142154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3411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오시바, 사바 쇼오이찌, 도오시바 컴퓨터 엔지니어링 코포레이숀, 이와세 마사히로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오시바
Publication of KR860008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8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594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12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disks
    • G11B5/016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disks using magnetic f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igital Magnetic Recor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플로피디스크장치의 독출회로
제1도는 통상적인 플로피디스크장치 독출회로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제2도는 종래 플로피디스크장치의 독출회로에서의 미분회로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제3a 내지 c도는 각각 다른 소자를 가지고 구성시켜 놓은 미분필터의 주파수특성을 나타낸 파형도.
제4a와 b도는 디스크의 내주측 및 외주측 독출신호파형을 나타낸 파형도.
제5도는 내주측 및 외주측 독출신호파형이 종래의 미분회로를 통과한 후의 파형도.
제6도는 디스크의 기록밀도와 헤드의 독출출력과의 관계에 따라 플로피디스크장치 독출회로의 분해능력을 설명하는 파형도.
제7도는 플로피디스크장치 독출회로의 독출여부를 설명하는 파형도.
제8도는 본 발명인 플로피디스크장치의 독출회로에서 미분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제9도는 본 발명인 플로피디스크장치의 독출회로에서 미분회로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제10도는 제9도에 도시된 미분회로의 주파수특성을 나타낸 파형도.
제11도는 제9도에 도시된 미분회로의 진폭특성을 나타낸 파형도.
제12도는 본 발명인 플로피디스크장치의 독출회로에 있어서 미분회로의 또다른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리앰프 3 : 저역통과필터
5 : 미분회로 7 : 제로크로스비교기
9 : 타임도메인필터 19, 21 : 정전류회로
31 : 아날로그 스위치 35 : 트랙 카운터
39, 41 : 스위치회로
본 발명은 플로피디스크장치(이하 FDD라 칭함)의 독출회로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나 워드프로세서등과 같은 정보처리장치에 부가되는 외부기억장치로는 FDD가 널리 쓰여지고 있는데, 이러한 FDD는 자기헤드를 이용하여 디스크상에 기록된 자화반전(磁化反轉) 패턴을 데이터로서 독출해서 독출된 데이터를 소정의 신호처리 회로로 2개의 값으로 수치화한 다음 후속처리를 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제1도는 디스크에서 독출된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된 일반적인 신호처리회로를 나타내는 것으로, 자기헤드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프리앰프(1)에서 증폭되어 저역통과필터(3 ; LPF)에 인가되므로서 고주파 잡음이 제거된 다음 미분회로(5)에서 출력파형이 미분되어진다.
이렇게 미분된 미분회로(5)로부터의 출력신호는 제로크로스 비교기(7 ; Zero-cross Comparator)에 의해 미분파형의 제로크로스점이 검출되어 2개값 수치화처리가 이루어지게 됨과 더불어 제로크로스 비교기(7)의 출력신호는 타임도메인 필터(Time-domain Filter ; 9)에 의해 상기 2개값 수치화된 데이터의 잡음제거가 차례로 이루어지게 된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되어져 있는 신호처리회로에서의 미분회로(5)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있는 회로도인바, 이 미분회로(5)는 차동접속된 2개의 트랜지스터(Q1)(Q2)의 각 베이스에 자기헤드로부터의 독출신호가 인가되어 각 콜렉터로부터 미분파형이 나오도록 구성되어져 있고, 상기 각 트랜지스터(Q1)(Q2)에 에미터 사이에는 미분특성을 결정하도록 된 필터(Z ; 이하 미분필터라 칭함)가 끼워져 있다.
또, 제3a도 내지 제3c도는 모두 상기한 미분회로(5)의 미분필터(Z)가 (i) 콘덴서로만 구성된것, (ii) 콘덴서와 저항이 직렬로 접속되어 구성된 것, (iii) 콘덴서와 저항과 코일이 직렬로 접속되어 구성되어져 있는 경우에서의 주파수특성을 나타내고 있는 파형도이다.
여기에서 (i)과 같이 콘덴서로만 구성된 미분필터에서는 미분특성은 양호하게 되나 고역 잡음이 증폭되어져 있음을 알수 있고, (ii)와 같이 구성된 미분필터에서는 고역 잡음의 증가가 억제되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iii)과 같이 구성된 미분필터에서는 고역 잡음이 적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iii)과 같이 구성된 미분필터에서의 공진주파수(fo) 및 댐핑값(Damping Value ; n)은 각각 다음식으로 구할 수 있게된다.
fo=1/IC (1)
n=R/2ㆍC/L (2)
그리고, 종래의 FDD에서는 (iii)의 특성을 얻기위한 미분필터를 구성하는 코일(L)과 콘덴서(C) 및 저항(R) 각각의 값은 일정하고, 그에따라 디스크의 내주측 및 외주측 어느쪽에 있어서도 미분회로의 공진주파수(fo) 및 댐핑값(n)은 일정하게 해놓고 있었다. 그러나 실제로 디스크가 독출되는 신호의 파형은 내주측과 외주측에서 크게 다르다.
제4a도와 제4b도는 각각 디스크의 내주측 및 외주측에서 독출되는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제4a도와 제4b도에서 알 수 있듯이, 디스크 외주측에서 독출되는 파형이 내주측에서 독출되는 파형에 비해 고조파성분(특히 제3차 고주파 성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제5도는 내주측 독출신호 및 외주측 독출신호가 코일(L)과 콘덴서(C) 및 저항(R) 각각의 값이 고정된 종래의 미분회로를 통과한 후의 파형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서, 여기서 실선은 내주측 독출신호를 나타내는 것이고, 점선은 외주측 독출신호를 나타내는 것인데, 이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외주측 독출신호(A)는 내주측 독출신호(B)에 비하여 0전위와 미분파형의 간격(g)이 좁아져서 미분파형의 간격(g)이 좁아지게 되면 잡음이 중첩된과 더불어 의사(疑似)제로크로스점이 발생되어 제로크로스 비교기(7)에 에러데이터 펄스를 출력하게 되므로 독출에러가 발생하게 된다. 그 때문에 종래의 FDD에서는 외주측에서 돌출되는 신호에 대한 미분파형의 간격(g)이 좁혀지지 않도록 하기위해 외주측에서 돌출되는 신호에 대한 저역통과필터(LPF)의 차단주파수(fc ; cut-off frequency)를 낮게하든가(스위치필터로 불리우고 있는 방법), 또는 외주측으로 기입되는 전류를 증가시키고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은 그 어느것도 모두 외주측이 내주측에 비하여 그 출력 및 분해능력이 낮아지게 될 뿐만 아니라 독출여유(read margin) 또한 저하된다고 하는 결과를 가져오고 있다. 즉, 상기 방법은 외주측에서 독출되는 신호의 파형에 포함되고 3차고조파 성분을 감소시켜 주게 되는것과 같이 의도적으로 분해능력을 저하시켜 주게되는 방법인 것이다.
상기한 방법에 의해 외주측에 독출여유가 다소 떨어지게 되더라도 장치의 성능에는 큰 영향이 없게 된다.
다음에는 분해능력 및 독출여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6도는 자기헤드로 디스크상의 데이터를 돌출하는 경우에서의 자기헤드 및 디스크의 주파수특성을 나타낸 파형도인데, 여기서 알 수 있듯이 일반적으로 디스크의 데이터기록 밀도가 커지게 됨에 따라 독출신호의 레벨이 저하되게 된다. 또한 일반적인 FDD에서는 내주측과 외주측에서 디스크의 그 회전속도가 일정하게 데이터의 전송비율도 일정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디스크의 내주측이 외주측보다도 데이터의 기록밀도가 높아지게 됨에따라 자기헤드로부터 독출되는 독출신호의 레벨이 내주측이 외주측보다도 작아져서 재생신호에 대한 분해능력율이 외주측보다도 내주측이 낮아지게 되고, 이렇게 분해능력이 낮아지게 되면 파형의 상호 간섭으로 인한 피이크 시프트(Peak shift)가 증가하게 된다.
한편, 독출여유는 잡음여유도라고도 불리우며, 파형의 상호간섭에 의한 피이크시프트나 잡음, 모터의 회전변동과 같은 현상때문에 발생하게 되는 데이터펄스의 변동에 대한 독출에러의 발생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차례로 데이터펄스의 리이드 게이트펄스(read-gate pulse)의 펄스폭을 좁혀서 독출에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한계점을 생각해 본다면 독출여유(T)가 커지게 됨에 따라 그 한계점이 높아지게 되어 장치의 성능이 좋아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FDD에서의 스위치펄스방식은 저역통과필터(LPF)의 필터정수를 변화시켜 주므로써 실현되기 때문에 저항과 콘덴서등과 같은 많은 부품이 필요하게 되어 그 구성이 복잡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외주측 기입전류를 크게하는 방식은 그 미분파형의 간격(g)을 충분히 넓혀주는 효과를 얻기위해서는 매우 큰 기압전류가 필요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서 미합중국 특허 USP 4,244,008의 소개된 기술이 있는 바, 이와같은 미합중국 특허 USP4,244,008은 자기기록장치에 있어서 독출시보상회로를 사용하게 되어 있으며, 저역통과필터(LPF)의 주파수특성을 절환하도록 되어있고, 또한 미분회로에서는 댐핑정수의 절환이 행해지고 있다.
즉, 이 미국특허에서는 저역통과필터의 주파수특성중 고조파를 증가시켜서 신호부분의 파형을 강조하게 되어있고, 미분회로에 있어서는 코일을 절환하여 코일의 값을 변화시킴에 따라 댐핑정수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에서는 코일을 값을 변화시켜야 하고, 그에따라 피이크 시프트가 변동하게 된다는 문제가 따르게 된다. 또 근래의 플로피디스크장치에서는 고밀도기록의 자기기록매체를 사용하여 기억용량을 증대시킨 장치가 개발되어져 있는바, 이와같은 플로피디스크장치에서는 자기기록매체의 형상이 동일하면 고밀도 뿐만 아니라 종래의 저밀도 자기기록매체에서도 기록데이터를 독출하는 독출회로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 경우 고밀도의 자기기록매체에서 전송되는 재생데이터의 전송속도는 저밀도의 자기기록매체로 부터 전송되는 재생데이터의 전송속도와는 다르게 된다. 이와같이 기록밀도가 다르게되면 자기헤드에 의해 재생되는 재생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 바, 즉 자기기록매체의 회전수를 일정하게 한 경우, 예를들어 자기기록매체의 기록밀도가 2배로 되면 재생데이터의 전송비율이 2배가 되고, 그에따라 재생신호의 주파수대역폭도 동일하게 2배로 된다.
이와같은 플로피디스크장치의 독출회로에서 미분회로(5)는 재생신호의 주파수대역이 커지게 되는 고밀도기록에 대응하여 미분필터의 필터특성이 설정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고밀도의 기록에 대응하여 구성되는 미분필터를 사용한 독출회로에서는 저밀도기록의 자기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재생할 경우 재생신호의 고역잡음이 강조되어져서 잡음대신호비(S/N)가 열화되고 독출여유가 감소하게 된다.
한편, 고밀도용의 자기헤드는 재생 갭길이(gab length)가 좁기 때문에 저밀도기록의 자기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게되면 재생분해 능력이 상당히 높아지게 되며, 그에 따라 재생신호의 미분파형에는 고조파성분이 증가되고 독출된 데이터펄스에는 에러펄스의 발생이 많아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저역통과필터의 차단 주파수를 절환하는 방식이 있으나, 이러한 방식에서는 필터가 다단접속으로 구성되어야하므로 회로구성이 복잡하게 되며, 그에따라 부품수도 증가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디스크의 내주측과 외주측에서 데이터 독출시에 그 주파수특성을 절환하도록 구성된 플로피디스크장치의 독출회로를 적은 부품으로 간단하게 구성시키고, 자기헤드로부터 공급되는 재생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게 미분필터특성을 가변시킬 수 있게 구성된 미분회로를 사용하여 기록밀도가 다른 자기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되는 데이터를 정확하게 출력할 수 있는 플로피디스크장치의 독출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디스크의 외주트랙에 비교하여 내주트랙측이 기록밀도가 높아지도록 데이터가 기입된 디스크로부터 자기헤드에 의해 독출된 아날로그 신호를 받아들여서 펄스데이터를 출력하게 되어있는 플로피디스크장치의 독출회로에 있어서, 상기 자기헤드가 상기 디스크의 내주트랙측을 억세스하고 있는지 외주트랙측을 억세스하고 있는지를 검출하는 내주/외주트랙 검출수단과, 상기 자기헤드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신호의 고주파성분을 제거하는 저역통과필터, 차동접속된 2개의 전류제어소자와 각 소자사이에 직렬로 삽입된 콘덴서, 인덕터 및 제1, 제2저항으로 구성되어 상기 저역통과필터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신호를 미분하는 미분회로, 상기 내주/외주 트랙검출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신호가 내주트랙을 나타내는 능동적인 신호일 때 상기 미분회로의 댐핑치를 저하시키도록 상기 제1 및 제2의 저항중 어느 하나의 저항양단을 단락시키는 저항단락수단 및, 상기 미분회로로부터 미분된 아날로그신호의 제로크로스시에 동기된 펄스를 출력하는 제로크로스비교기로 구성되어져 있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로서, 이 실시예에 의한 FDD의 독출회로는 그 전체구성이 제1도에 나타낸 종래 FDD의 독출회로와 동일하게 구성되게 되나, 본 발명에 따른 미분회로(5)의 구성이 부분적으로 상이하게 때문에 제8도에서는 제1도와 중복되는 구성부분의 설명을 생략하고 미분회로의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8도의 미분회로는 자기헤드로부터 재생신호를 취출하기 위해 부하저항(11)(13)과 차동접속된 트랜지스터(15)(17) 및 상기 트랜지스터(15)(17)의 콜렉터와 에미터 사이에 일정한 전류가 흐르는 정전류회로(19)(21)를 구비하고 있으면서 콘덴서(23)와 인덕터(25) 및 저항(27)(29)이 직렬접속된 미분필터와, 디스크의 내주 및 외주의 절환신호(스위치필터신호(SFL)와 같은 성질의 신호)의 레벨에 대응하여 온ㆍ오프 동작을 실행하게 됨과 더불어 디스크의 내주측 데이터의 독출시에 저항(29)의 양단을 단락시키게 되는 아날로그스위치(31) 및 자기헤드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공급되는 입력신호원(3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날로그스위치(31)에는 트랙카운터(35)로부터 내주/외주절환신호가 공급되는 바, 상기 트랙카운터(35)는 자기헤드가 외주측의 트랙을 억세스하고 있을때에는 외주측을 나타내는 레벨의 신호를 아날로그스위치(31)에 공급하고, 내주측의 트랙을 억세스하고 있을때는 내주측을 나타내는 레벨의 신호를 아날로그스위치(31)로 공급하도록 되어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미분회로에 있어서, 내주/외주 절환스위치(S)가 내주측을 나타내는 레벨인 경우에는 아날로그스위치(31)가 접속되게 되고, 그에따라 저항(29)의 양단이 단락되는 것과 같이되어 미분필터는 콘덴서(23)와 인덕터(25) 및 저항(27)만으로 구성된다.
한편, 내주/외주 절환신호(S)가 외주측을 나타내는 레벨인 경우에는 아날로그스위치(31)는 단락되고, 그에따라 미분필터는 콘덴서(23)와 인덕터(25), 저항(27) 및 저항(29)으로 구성되게 된다.
따라서, 외주측에 대한 미분필터의 저항값(R)이 내주측의 저항값보다도 커지게 되기 때문에 댐핑치도 증가하게 되고 이렇게, 미분회로의 댐핑치(n)가 커지게되면 독출되는 재생신호의 파형에 3차고조파 성분이 감소되며, 제5도에 나타낸 미분파형의 간격(g)이 넓어지게 되어 미분파형에 잡음이 중첩되어도 의사 제로크로스점이 나타나지 않게되므로 제로크로스 비교기(7)에서는 제로크로스점의 오검출이 발생되지 않게되는 것이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외주측에서 미분회로의 댐핑치(n)가 커지게 됨에 따라 외주측에서의 분해능력이 저하되고, 파형의 상호간섭에 의한 피이크시프트도 증가하여 잡음내성이 다소저하되지만, 외주측에서는 원래 분해능력 및 피이크시프트에 대한 내성으로 여유가 있기 때문에 상기한 사항이 특별한 문제로 되지는 않는다.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독출회로의 차동형 미분회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상기 제9도에 나타낸 차동형 미분회로는 증폭출력을 취출하기 위한 부하저항(11)(13)과 증폭용 트랜지스터(15)(17), 일정전류는 항상 흐르게 하기위한 저전류원회로(19)(21), 제1미분필터(35), 제2미분필터(37) 및 MOS트랜지스터로된 스위치회로(39)(41)로 구성되어 있다.
제1미분필터(35)는 자기헤드로부터 출력되는 재생신호의 동기대역이 비교적 넓은 경우에 적정한 미분특성을 선정하기 위한 필터를 인덕터(L1)와 콘덴서(C1) 및 저항(R1)으로 구성하게 된다. 또한, 제2미분필터(37)는 자기헤드로부터 출력되는 재생신호의 동기대역이 비교적 좁은 경우에 적정한 미분특성을 설정하기 위한 필터를 구성하는 인덕터(L2), 콘덴서(C2) 및 저항(R2)으로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스위치회로(39)는 비교적 고밀도의 자기기록매체로부터 독출동작을 실시할때에 기록밀도를 검출하는 회로가 구비되어 있는 플로피디스크콘트롤러(FDC)에서 출력된 제어신호(VH)에 의해 ON된다. 또한, 스위치회로(41)는 비교적 저밀도의 자기기록매체로부터 독출동작을 실시할때에 FDC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VL)에 의해 ON된다.
또한, 입력신호원(43)은 증폭용의 트랜지스터(15)(17)에 인가되는 처리대상신호를 출력하는 회로이다.
여기서 상기한 구조로 되어있는 제9도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동작상태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9도로 도시되어져 있는 제2실시예에서는 고밀도 및 저밀도 2종류의 자기기록매체가 사용되고 있는데, 여기서 우선 고밀도의 자기기록매체가 플로피디스크장치로서 사용되게 되면 독출동작이 실행될때에 FDC로부터 제어신호(VH)가 출력되게되고, 이 제어신호(VH)는 예컨대 도시되지 않은 호스트 컴퓨터에서의 검출모드를 처음에 저밀도로 설정하고(즉, 신호(VL)를 능동으로 하여 FDC를 매체로하여 공급하게 된다.) 디스크상의 데이터를 읽어서 독출에러가 일어나면 다음에는 고밀도로 모드를 설정(즉, 신호(VH)를 능동으로 하여)함에 따라 얻어지게 되거나, 또한 자기기록매체에, 예컨데 구멍을 설치해 놓고 FDD가 이 구멍을 검지함에 따라 고밀도(VH신호를 능동으로 하여)인지 저밀도(VH 신호를 능동으로 하여)인지를 판단하도록 하여도 좋다.
한편, 제어신호(VH)가 능동으로 되면 제9도에 도시된 스위치회로(39)가 ON상태로 되고 독출회로의 미분회로에서 미분특성은 제1미분필터(35)의 필터특성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때 미분회로는 제10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주파수특성(45)을 갖게 된다.
여기에서 인덕터(L)와 콘덴서(C) 및 저항(R)의 직렬회로로 구성된 미분필터는 일반적으로 제11도에 도시되어져 있는 바와같이, 산형태의 진폭특성을 갖게 되면서 상기 식(2)에 나타낸 댐핑치(n)에 의해 그 특성이 변환된다. 고밀도의 자기기록 매체가 플로피디스크장치로 사용되면 자기헤드에 의해 독출되는 재생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커지게 되고, 이때 상기와 같이 미분회로의 필터는 제1미분필터(35)에 의해 구성됨에 따라 큰 주파수 대역의 재생신호에 대응하는 적정한 미분신호가 미분회로로부터 출력되게 된다. 이 미분신호에 의거하여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제로크로스비교기(7) 및 타임 도메인 필터(9)에 의해 자기기록매체가 기록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독출데이터펄스가 출력된다.
이어 저밀도의 자기기록매체가 플로피디스크장치로 사용되어 독출동작이 실행되면 FDC로부터는 능동제어신호(VL)가 출력되고, 그에따라 제9도에 나타낸 스위치회로(41)가 온상태로 되며, 독출회로에 있는 미분회로의 미분특성은 제2의 미분필터(37)의 필터특성에 의해 선정된다. 이때 미분회로는 제10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주파수특성(47)을 갖는다. 이렇게 저밀도의 자기기록매체가 세팅되면 자기헤드에 의해 독출되는 재생신호의 주파수대역은 넓게되고, 그에따라 상기와 같이 미분회로의 필터는 제2미분필터(37)에 의해 구성되어져 좁은 주파수대역의 재생신호에 대응하여 미분회로에서는 적정한 미분신호가 출력된다.
자기헤드로부터의 좁은 주파수대역의 재생신호가 고밀도용의 제1미분필터(35)로 구성된 미분회로에 의해 미분되면 고역 잡음이 강조되어서 S/N비가 열화되며 독출여유가 축소된다.
이와같이 좁은 주파수대역의 재생신호는 저밀도용의 제2미분필터(37)로 구성된 미분회로에 의해 미분됨에 따라 독출여유를 높게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고밀도 기록용의 자기헤드는 재생갭길이가 좁게되어 있음에 따라 저밀도의 자기기록 매체의 데이터를 독출하게 되면 재생분해능력이 높아지게 되고, 그에따라 고조파설성분이 증가하여 제4b도에 나타낸 재생신호파형에 대하여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미분파형의 간격(g)이 좁아지게 되므로 잡음의 중첩에 의한 에러펄스의 발생이 많아지게 된다. 여기서 재생분해능력은 최대기입주파수에 대한 독출출력 및 최저기입주파수에 대한 독출출력의 비율로 결정되게 된다.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저밀도용의 제2미분필터(37)에 의해 미분회로가 구성됨에 따라 적정한 미분신호를 얻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와 같이 에러펄스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가 있다.
제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와 관련된 미분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인데, 이 미분회로에서는 제1미분필터(35)와 제2미분필터(37)에 콘덴서(C1)가 공동으로 접속되어 있고, 이렇게 구성된 경우에는 필터의 특성을 결정하는 공진점과 댐핑 및 이득에서 이득이 고정되게 되지만, 공진점과 댐핑을 변화시킴에 따라 재생신호의 주파수영역에 대응하여 미분필터의 특성을 변화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경우에서도 제9도에 나타낸 제2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Claims (4)

  1. 디스크의 외주트랙측에 비해 내주트랙측 기록밀도가 높아지도록 데이터를 기입해 놓은 디스크로부터 자기헤드를 통하여 독출된 아날로그신호를 받아들여 아날로그신호의 고주파성분을 제거하도록 된 저역통과필터(3)와, 상기 저역통과필터(3)로부터의 아날로그신호를 미분하는 미분회로(5) 및 상기 미분회로(5)에서 미분된 아날로그신호의 제로크로스시에 동기된 펄스를 출력하는 제로크로스비교기(7)를 구비하고 있는 플로피디스크장치의 독출회로에 있어서, 차동접속된 2개의 전류제어소자(15)(17)와 각 소자간에 직렬로 삽입된 콘덴서(23), 인덕터(25) 및 제1, 제2저항(27)(29)으로 상기 미분화로(5)를 구성하고, 상기 자기헤드가 상기 디스크의 내주트랙측을 억세스하고 있는지 외주트랙측을 억세스하고 있는지를 검출하게 되는 내주/외주트랙 검출수단(35)과, 상기 내주/외주트랙 검출수단(35)에서 공급된 신호가 내주를 나타낸 능동신호일때 상기 미분회로의 댐핑치가 저하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저항(27)(29)중에 어느 저항의 양단을 단락시키는 저항단락수단(31)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피디스크장치의 독출회로.
  2. 다른 기록밀도를 갖는 자기기록매체의 데이터를 자기헤드로 독취하고, 이 자기헤드로부터 출력된 재생신호를 미분하고, 이 미분된 미분신호에 따라 독출데이터 펄스를 출력하는 플로피디스크장치의 독출회로에 있어서, 자기기록매체의 기록밀도에 의해 미리 설정된 상기 재생신호의 주파수대역에 대응되는 필터특성을 갖는 복수의 미분필터수단(35)(37)과, 상기 자기기록매체의 기록밀도에 대응하여 상기 독출회로의 외부로부터 공급된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미분필터수단(35)(37)으로부터 상기 재생신호의 주파수대역에 대응되는 미분필터수단을 선택하게 되는 선택수단(39)(41) 및,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되는 상기 미분필터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상기 미분신호로서 출력하는 출력수단(13, 17, 21)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피디스크장치의 독출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미분필터수단(35)(37)은 각각 직렬로 접속된 콘덴서(C1)(C2)와 인덕터(L1)(L2) 및 저항(R1)(R|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피디스크장치의 독출회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미분필터수단(35)(37)은 공통으로 접속된 콘덴서(C1)와, 각각 직렬로 접속된 인덕터(L1)(L2) 및 저항(R1)(R|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피디스크장치의 독출회로.
KR1019860003174A 1985-04-30 1986-04-24 플로피디스크장치의 독출회로 Expired KR9000015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93246 1985-04-30
JP93246 1985-04-30
JP60093246A JPS6242305A (ja) 1985-04-30 1985-04-30 フロツピ−デイスク装置
JP142154 1985-06-28
JP60-142154 1985-06-28
JP60142154A JPS623411A (ja) 1985-06-28 1985-06-28 フロツピ−デイスク装置の読出し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8495A KR860008495A (ko) 1986-11-15
KR900001594B1 true KR900001594B1 (ko) 1990-03-15

Family

ID=26434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3174A Expired KR900001594B1 (ko) 1985-04-30 1986-04-24 플로피디스크장치의 독출회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722010A (ko)
EP (1) EP0200191A3 (ko)
KR (1) KR9000015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00827C2 (de) * 1988-01-14 1993-11-18 Broadcast Television Syst Vorrichtung zur Übertragung von Signalen für ein magnetisches Aufzeichnungs/Wiedergabe-Gerät
US5315450A (en) * 1988-08-02 1994-05-24 Teac Corporation Dual head type magnetic disk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H075524Y2 (ja) * 1988-11-14 1995-02-08 ローム株式会社 磁気記録回路
US5157559A (en) * 1989-04-26 1992-10-20 Vtc Inc. Adjustable bandwidth differentiating amplifier for a magnetic disk drive
US5032934A (en) * 1989-08-18 1991-07-16 Teac Corporation Magnetic disc apparatus with a cosine equalizer and specific gap length head
JPH0439863U (ko) * 1990-07-25 1992-04-03
JPH05120616A (ja) * 1991-10-25 1993-05-18 Teac Corp デイスク装置
TW222029B (ko) * 1991-12-18 1994-04-01 Philips Nv
US5327302A (en) * 1992-09-16 1994-07-05 At&T Bell Laboratories Data filter tuning for constant density recording applications
US5671098A (en) * 1995-06-01 1997-09-23 Maxtor Corporation Adaptive preamplifier for resonance tuning useful in a disk drive
US6307693B1 (en) * 1995-10-13 2001-10-23 Sony Corporation Integration of filter into read/write preamplifier integrated circuit
US5808435A (en) * 1996-05-28 1998-09-15 Kmy Instruments Micropositioning device for disk head testing system
US6680809B1 (en) 2000-10-12 2004-01-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Write head current damping with dynamic coupling
US6697204B2 (en) * 2001-05-25 2004-02-24 Infineon Technologies Ag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continuous time filter of a read/write channel for a hard disk drive
US6747837B1 (en) * 2001-08-31 2004-06-08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Disk drive comprising an integrator for controlling a VCM actuator and transformer for controlling a piezoelectric actuator
US6952322B1 (en) 2002-11-27 2005-10-04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Disk drive reading servo sectors recorded at a relative offset on multiple disk surfaces to increase the servo sample rat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33004C2 (de) * 1978-08-16 1984-03-15 Hitachi, Ltd., Tokyo Tonbandgerät mit verbesserter Frequenzgangentzerrung
US4244008A (en) * 1979-07-30 1981-01-06 Siemens Corporation Read back compensation circuit for a magnetic recording device
US4564869A (en) * 1983-11-21 1986-01-14 Eastman Kodak Company Zoned equalization for a magnetic dis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00191A2 (en) 1986-11-05
EP0200191A3 (en) 1988-09-21
KR860008495A (ko) 1986-11-15
US4722010A (en) 1988-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1594B1 (ko) 플로피디스크장치의 독출회로
JPH0734294B2 (ja) 記録媒体の欠陥検出方法及び欠陥検出装置
KR100472523B1 (ko) 디지털 비대칭 판독 신호를 정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5057946A (en) Magnetic disk drive apparatus
US4805047A (en) Read/write magnetic disk apparatus operable in plural density modes
JPH02302905A (ja) フロッピーディスク装置のデータ再生装置
JPS623411A (ja) フロツピ−デイスク装置の読出し回路
JP2687542B2 (ja) 情報再生方式
JPS6251006A (ja) デイスク記憶装置
JP2845878B2 (ja) デジタル同期信号の記録再生方法
JPS6242305A (ja) フロツピ−デイスク装置
KR100532379B1 (ko) Mr 헤드의 베이스라인 원더링 보상회로 및 베이스라인 원더링 보상방법
JPH0376058A (ja) 磁気データ再生回路
JP3202088B2 (ja) 磁気ディスク装置の復調回路
JP3064549B2 (ja) 磁気記録装置
JPS6076007A (ja) 磁気デイスク装置の読出し回路
KR900008448B1 (ko) 자기디스크 장치의 재생회로
JP2615539B2 (ja) データ整形回路
JPH03108105A (ja) 磁気記録再生回路
JPS618774A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読取り回路
JPH067403B2 (ja) デイジタル磁気再生回路
JPH0991875A (ja) 磁気ディスク装置の信号読み出し回路
JPH04159608A (ja) 磁気記録装置
JPH02310802A (ja) デジタル信号記録再生装置
JPS58194119A (ja) デイジタル磁気記録信号再生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31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7031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70316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