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429B1 - Capstan control process for v.t.r. - Google Patents
Capstan control process for v.t.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20000429B1 KR920000429B1 KR1019880011213A KR880011213A KR920000429B1 KR 920000429 B1 KR920000429 B1 KR 920000429B1 KR 1019880011213 A KR1019880011213 A KR 1019880011213A KR 880011213 A KR880011213 A KR 880011213A KR 920000429 B1 KR920000429 B1 KR 9200004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put
- capstan
- key data
- checking
- microcompu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Landscapes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도.1 is a system diagram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흐름도.2 is a flow diagram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흐름도.3 is a flow chart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마이콤 11 : 키보드10: Micom 11: Keyboard
12 : 기구부 13 : 로직제어부12: mechanical part 13: logic control unit
14 : 서보회로부 15 : 회로제어부14: servo circuit unit 15: circuit control unit
16 : 센서부16: sensor
본 발명은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 (Video Tape Recorder : 이하 VTR이라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테이프를 일정속도로 주행시키는 캡스턴(Capston)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VTR은 테이프에 영상 정보 및 음성정보를 기록하거나 기록되어진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재생하는 장치로서 상기 VTR에 있어서 음성정보 및 영상정보를 기록하거나 저장하기 위해서 테이프를 일정속도로 주행시켜야 정확하게 정보를 기록 재생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테이프를 주행시키는 것은 캡스턴의 회전에 의해 실시하며 상기 캡스턴 구동방식에는 벨트드라이브(Belt Driver) 방식과 다이렉트 드라이브(Direct Drive) 방식이 있다. 상기 벨트 드라이브 방식은 캡스턴모터와 캡스턴에 벨트를 걸어서 캡스턴을 회전시키는 방식이고, 상기 다이렉트 드라이브 방식은 캡스턴을 캡스턴모터에 접속시켜 캡스턴모터의 회전함에 따라 캡스턴을 회전시키는 방법이다. 상기 캡스턴 구동방식간에서는 캡스턴을 회전시키는 캡스턴모터의 제어 타이밍의 변화가 서로 달라 제작시 캡스턴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Processor)를 상기 벨트드라이버 방식이나 다이렉트 드라이버 방식에 따라 다시 개발하여야 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tape record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VT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pston control method for driving a tape at a constant speed. In general, a VTR is a device for recording video information and audio information on a tape or reproducing recorded video information and audio information. In order to record or store audio information and video information in the VTR,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drive a tape at a constant speed. In general, the tape is driven by the rotation of the capstan, and the capstan driving method includes a belt drive method and a direct drive method. The belt drive method is a method of rotating the capstan by hanging the belt to the capstan motor and the capstan, the direct drive method is a method of rotating the capstan by rotating the capstan motor by connecting the capstan to the capstan motor. In the capstan driving method, the control timing of the capstan motor that rotates the capstan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capstan during manufacture has to be re-developed according to the belt driver method or the direct driver metho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VTR에 있어서 테이프를 주행시키는 캡스턴을 다이렉트 드라이버 방식과 벨트 드라이버 방식변화에 무관하게 제어할 수 있는 VTR의 캡스턴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pstan control method of a VTR that can control a capstan driving a tape in a VTR regardless of a direct driver method and a belt driver method change.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도로서, 시스템을 제어 처리하기 위한 마이콤(10)과, 시청자가 선택 입력하는 기능키 데이타를 발생하여 상기 마이콤(10)으로 출력하는 키보드(11)와, 테이프에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기록 또는 저장하기 위해 테이프를 로딩(Loading)하는 기구부(12)와, 상기 마이콤(10)의 제어하에 상기 기구부(12)의 모터들의 회전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로직제어부(13)와, 상기 마이콤(10)의 제어하에 상기 기구부(12) 내의 드럼 및 릴(Reel) 및 모터들의 속도를 제어하는 서보회로부(14)와, 테이프에 기록 또는 저장할 영상 및 음성정보를 처리하는 회로제어부(15)와, 상기 기구부(12)의 작동상태 및 모드스위치들의 스위칭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마이콤(10)으로 출력하는 센서부(16)와, 상기 각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7)로 구성되며, 제2도는 마이콤(10)에 의해 수행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흐름도로서, 전원공급시 시스템과 저장된 데이타를 초기화한 다음 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상태를 체크함으로서 캡스턴 구동방식을 판단하여 캡스턴 구동방식에 대한 플래그를 세트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제 1과정 수행후 주변회로에 전원공급을 제어한 다음 키 데이타가 입력되었는가 검사하는 제 2과정과, 상기 제 2과정에서 키데이타가 입력되었을시 입력된 키데이타에 대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 3과정과, 상기 제 3과정에서 키데이타가 입력되지 않았을시나 상기 제 3과정 수행후 현재 작동모드와 다음 작동모드를 체크하여 세트되어져 있는 캡스턴 구동방식에 따라 캡스턴을 제어한 다음 작동상태를 현재 모드와 관련시켜 검사한후 시스템의 작동상태를 현재 모드에 비교함으로 이상 작동상태가 발생하는가 체크하여 이상 작동상태를 정상 작동상태가 되도록 시스템을 제어한 다음 상기 제 2과정으로 되돌아가는 제 4과정으로 이루어진다.1 is a system diagram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a microcomputer 10 for controlling a system, a keyboard 11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function key data selected by a viewer to the microcomputer 10;
상술한 제1,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described above.
마이콤(10)은 공급전원이 인가되면 시스템 전체를 초기화하고 자체내의 버퍼에 저장되어진 데이타를 “0” 상태로 클리어한 다음 초기상태의 센서부(16)의 출력을 입력하여 체크하고 일정주기로 인터럽트(Interrupt)가 발생하도록 조치한다.(제201단계) 상기 제201단계 수행후 마이콤(10)은 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센서부 (16)출력을 입력하여 초기 상태의 센서부(16)의 출력과 비교함으로서 캡스턴 구동방식이 벨트드라이버 방식인가 다이렉트 구동방식인가를 판단한 다음 판단된 캡스턴 구동방식에 해당하는 플래그를 세트한다.(제202단계) 상기 제202단계 수행후 마이콤(10)은 주변회로들에 전원공급 여부를 결정하여 각 주변회로들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한다(제203단계) 상기 제203단계 수행후 마이콤(10)은 키보드(11)로부터 키데이타가 입력되었는가 자체내의 버퍼를 검사한다. 상기 제204단계에서 키데이터가 입력되었을 경우 마이콤(10)은 서보회로 (14) 및 로직제어부(13)와 회로제어부(15)를 제어하여 입력된 키데이터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제205단계) 상기 제205단계 수행후나 또는 상기 제204단계에서 키 데이타가 입력되지 않았을 경우 마이콤(10)은 센서부(16)로부터 모드스위칭상태 즉 플레이(Play), 패스트포워드(Fast foword), 레코드(REC), 패스트리버스(Fast revise) 신호를 입력하여 현재 모드를 체크하고 다음 모드를 체크한다(제206단계) 상기 제206단계 수행후 마이콤(10)은 캡스턴 구동방식을 판단하기 위해 벨트드라이버 방식에 대한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가 다이렉트 드라이버 방식에 대한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가 검사한다(제207단계) 상기 제207단계에서 벨트드라이브 방식에 대한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을 경우 마이콤(10)은 벨트드라이브 방식의 캡스턴 제어신호들을 발생하여 서보회로부(14) 및 로직제어부(13)로 출력한다.When the power supply is applied, the microcomputer 10 initializes the entire system, clears the data stored in the buffer in its own state to “0” state, checks by inputting the output of the
상기 마이콤(10)으로부터 벨트드라이버 방식의 캡스턴 제어신호들을 입력하는 로직회로부(13) 및 서보회로부(14)는 상기 입력신호에 의해 기구부(12)를 구동한다(제208단계) 그리고 상기 제207단계에서 다이렉트 드라이브 방식에 해당하는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을 경우 마이콤(10)은 다이렉트 드라이브 방식의 캡스턴 제어신호들을 발생하여 로직제어부(13) 및 서보회로부(14)로 출력한다. 이때 로직제어부(13) 및 서보회로부 (14)는 상기 마이콤(10)으로부터 입력되는 다이렉트 드라이버 방식의 캡스턴 제어신호들에 의해 기구부(12)를 구동한다.(제209단계) 상기 제208단계나 제207단계 수행후 마이콤(10)은 센서부(16)로부터 기구부(12)의 작동상태에 대한 즉 스타트(start) 및 앤드(END), 엑스트라등에 대한 감지신호들을 입력하여 체크함으로서 현재 모드와 연관하여 작동상태를 체크한다(제210단계) 그리고 상기 제210단계 수행후 마이콤(10)은 회로제어부(15)의 제어상태와 상기 센서부(16)의 출력인 기구부(16)의 작동상태를 현재 모드와 비교하여 시스템의 이상 작동상태에 있는가를 체크하고 시스템이 이상 작동상태에 있다면 시스템을 정상상태로 복구하기 위해 로직제어부(13) 및 서보회로부(14), 회로제어부(15)를 제어하여 시스템을 정상 작동상태로 작동하게 한 다음 상기 제203단계로 된다(제214단계) 그리고 마이콤(10)은 일정주기로 인터럽트가 발생하는 인터럽트가 발생할때 제212단계에서부터 제214단계를 수행하는데 제212단계에서 마이콤(10)은 자체내의 타이머의 기구부(13) 작동시간을 가산 카운팅한다. 상기 제212단계 수행후 키보드(11)를 스캔닝하여 선택되어진 키데이터를 입력하여 램 (RAM)에 저장한다(제213단계) 상기 제213단계 수행후 마이콤(10)은 센서부(16)으로부터 각 센서에 의해 검출된 감지 데이타를 입력하여 램에 저장한 다음 인터럽트 발생정에 수행하던 루틴으로 되돌아간다(제214단계)The
제3도는 마이콤(10)가 수행하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흐름도로서, 전원공급시 시스템과 저장된 데이터들을 초기화하고 일정주기로 인터럽트를 발생시키도록 조치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제 1과정 수행후 주변의 각 회로에 전원공급 여부를 판단하여 전원공급을 제어한 다음 키 데이타가 입력되었는가를 검사하는 제 2과정과, 상기 제 2과정에서 키데이타가 입력되었을시 입력된 키데이터에 대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 3과정과, 상기 제 2과정에서 키 데이타가 입력되어 있지 않았을시나 상기 제 3과정 수행후 현재 작동모드와 다음 작동모드를 검사하여 캡스턴을 제어한 다음 캡스턴의 작동을 현재 작동모드와 관련하여 체크한 후 시스템의 작동상태를 현재 작동모드와 현재 작동모드와 비교함으로 이상 작동상태가 발생하였으나 체크하여 이상 작동상태발생하였다면 시스템의 이상 작동상태를 정상 작동상태로 복구한 다음 상기 제 2과정으로 되돌아가는 제 4과정과, 일정주기로 발생되는 인터럽트가 발생될때마다 타이머의 시간을 가산카운팅하고 선택되어진 키데이터를 입력하여 저장하여 센서들에 의해 검출된 감지신호들을 입력하여 저장한 다음 인터럽트 발생전의 루틴으로 되돌아가는 제 5과정으로 이루어진다.FIG. 3 is a flow chart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ed by the microcomputer 10. The first process of initializing the system and stored data and generating an interrupt at a predetermined period upon powering up, and after performing the first process A second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power is supplied to each of the surrounding circuits,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and then checking whether key data is input, and performing a function on key data input when key data is input in the second process. In the third process and the second process, if no key data is input, after performing the third process, the current operation mode and the next operation mode are inspected to control the capstan, and then the operation of the capstan is related to the current operation mode. After check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system is compared with the current operation mode and the current operation mode. If it occurs, recover the abnormal operation state of the system to the normal operation state, and then return to the second process and count up the time of the timer every time an interrupt occurs at a certain period, and input the selected key data. The fifth step is to store and store the detected signals detected by the sensors, and then return to the routine before generating the interrupt.
상술한 제3도를 제1도와 결부시켜 상세히 설명한다.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제3도중 제306단계를 제외한 제301단계-제305단계들과 제307단계, 제308단계들은 제2도중 제201단계, 제203단계-제205단계, 제210단계, 제211단계들과 동일한 동작 및 기능을 수행하므로 설명을 약한다. 그리고 제306단계에서 마이콤(10)은 벨트드라이브 방식과 다이렉트 드라이브 방식에 따른 캡스턴 제어신호들을 함께 발생하여 각각 다른 출력포트를 통해 로직제어부(13)과 서보회로부(14)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마이콤(10)으로부터 다이렉트 드라이브 방식의 캡스턴 제어신호와 벨트드라이브 방식의 캡스턴 제어신호를 함께 입력하는 로직제어부(13)와 서보회로부(14)는 다이렉트 드라이브 방식에 의해 캡스턴을 구동하는 기구부(12)가 설치되어 있든지 또는 벨트드라이브 방식에 의해 캡스턴을 구동하는 기구부(12)가 설치되어 있든지에 무관하게 캡스턴을 상기 입력신호에 의해 구동한다.Steps 301 to 305, 307, and 308 except fo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마이콤(10)으로 하여금 설치된 기구부의 캡스턴 구동방식을 인식하여 인식된 캡스턴 구동방식에 따라 캡스턴을 능동적으로 제어하게 하거나 양 캡스턴 구동방식에 따르는 캡스턴 제어신호들을 여분의 출력포트를 사용하여 무조건적으로 발생시킴으로 캡스턴 구동방식에 관계없이 캡스턴을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microcomputer 10 to recognize the capstan driving method of the installed mechanism and actively control the capstan according to the recognized capstan driving method or to output capstan control signals according to both capstan driving methods. By using the unconditionally generated using the advantage that can control the capstan irrespective of the capstan driving method.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19880011213A KR920000429B1 (en) | 1988-08-31 | 1988-08-31 | Capstan control process for v.t.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19880011213A KR920000429B1 (en) | 1988-08-31 | 1988-08-31 | Capstan control process for v.t.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900003849A KR900003849A (en) | 1990-03-27 |
| KR920000429B1 true KR920000429B1 (en) | 1992-01-13 |
Family
ID=1927736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19880011213A Expired KR920000429B1 (en) | 1988-08-31 | 1988-08-31 | Capstan control process for v.t.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920000429B1 (en) |
-
1988
- 1988-08-31 KR KR1019880011213A patent/KR920000429B1/en not_active Expired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900003849A (en) | 1990-03-2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920000429B1 (en) | Capstan control process for v.t.r. | |
| JP2869363B2 (en) | Tape running control method | |
| EP0285029B1 (en) | Recording speed determination device | |
| JPH07210936A (en) | Video tape recorder end-of-tape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adapted therefor | |
| US5638229A (en) | Method for detecting an information recorded position in an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 |
| US5210661A (en) | Method of skipping unrecorded areas while playing back a record medium on a drive | |
| JP3746850B2 (en) | Magnetic tape position sensing method during discontinuous running | |
| JP2681984B2 (en) | Servo control data recorder | |
| KR900007020B1 (en) | Recording signal checking method for vtr | |
| KR0132974B1 (en) | Tape control apparatus for video cassette tape recorder | |
| KR0157535B1 (en) | Forward/reverse rotation error checking method for capstan motor of video tape recorder | |
| JP2846101B2 (en) | Microprocessor controller for recording / reproducing device | |
| KR100202496B1 (en) | Servo failure display method for vcr | |
| KR100226961B1 (en) | How to determine the tape speed playback mode of a video cassette recorder | |
| JP3320170B2 (en) | Magnetic tape playback device | |
| JP3332608B2 (en) | Tape travel detector | |
| KR930007934B1 (en) | Mode-specific Head Position Detection in Logic Cassette Players | |
| KR100218915B1 (en) | How to detect start and end of videotape | |
| KR100195614B1 (en) | How to determine the hub size of a cassette | |
| KR950012190B1 (en) | Servo contral method for double deck | |
| JP3054396U (en) | Cassette type determination device, cassette tape remaining amount detection device, and magnetic recording / reproducing device | |
| KR0129207B1 (en) | Vehicle speed control system | |
| KR980011187A (en) | How to detect start and end of video tape | |
| KR0162609B1 (en) | Tape running control method | |
| JP3175332B2 (en) | Timing signal generation circuit for video signal processing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21230 Year of fee payment: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4011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40114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