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9235B1 - Push button switch - Google Patents
Push button switch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30009235B1 KR930009235B1 KR1019900020387A KR900020387A KR930009235B1 KR 930009235 B1 KR930009235 B1 KR 930009235B1 KR 1019900020387 A KR1019900020387 A KR 1019900020387A KR 900020387 A KR900020387 A KR 900020387A KR 930009235 B1 KR930009235 B1 KR 9300092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ding member
- housing
- stem
- guide cylinder
- slid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24—Transmission element
- H01H2221/026—Guiding or lubricating nylon
- H01H2221/028—Telescopic guiding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제 1 도 및 제 2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푸시 버튼 스위치를 각각 다른 방향에서 본 단면도.1 and 2 are cross-sectional views of push button switches respectively viewed in different direction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3 도는 이 푸시 버튼 스위치에 구비된 하우징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using provided in this push button switch.
제 4 도는 이 푸시 버튼 스위치에 구비되는 미끄럼이동부재의 평면도.4 is a plan view of a sliding member provided in the push button switch.
제 5 도는 이 푸시 버튼 스위치의 분해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is push button switch.
제 6 도는 이 푸시 버튼 스위치의 압압조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essing operation state of this push button switch.
제 7 도는 종래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push button switch.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7 : 하우징 8 : 가동접점(제 1 복귀스프링)7: housing 8: movable contact (first return spring)
9 : 미끄럼이동부재 10 : 코일스프링(제 2 복귀스프링)9: sliding member 10: coil spring (second return spring)
11 : 스템 12 : 키톱11: stem 12: key top
13, 29, 39 : 측벽 14 : 제 1 가이드통13, 29, 39: side wall 14: 1st guide cylinder
15, 27 : 슬롯 16 : 제 1 고정접점15, 27: slot 16: the first fixed contact
17 : 제 2 고정접점 18, 19 : 단자17: 2nd fixed contact 18, 19: terminal
20 : 홈 21 : 제 1 걸어맞춤포올20: home 21: the first fastener
22 : 괘지부 23 : 원한부22: hanging part 23: grudge
24 : 환상벽 25 : 리브24: annular wall 25: rib
26 : 제 2 가이드통 28 : 스프링 받침 오목부26: second guide cylinder 28: spring bearing recess
30 : 턱부 31 : 걸어맞춤구멍30: jaw 31: engaging hole
32 : 수직벽 33 : 제 1 걸어맞춤단부32: vertical wall 33: first engagement end
34 : 제 2 걸어맞춤단부 35 : 절결부34: second engagement end 35: cutout
36 : 절결 37 : 연결편36: Notch 37: Connection
38 : 미끄럼이동돌기 40 : 각편38: sliding projection 40: each piece
41 : 제 2 걸어맞춤포올 42 : 끼워맞춤구멍41: second engagement pool 42: fitting hole
45 : 관통구멍45: through hole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나 워드프로세서등의 입력장치의 키스위치로써 사용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형 박형화에 적합한 푸시 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sh button switch used as a key switch of an input device such as a personal computer or a word proces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ush button switch suitable for miniaturization.
제 7 도는 이 종류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종래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이 도면에 있어서 1은 금속등의 경질재료로 이루어진 보강판을 나타내고, 이 보강판(1) 위에는 멤브레인 스위치(2)가 얹어 놓여져 있다. 이 멤브레인 스위치(2)는 가동접점(2a)를 가지는 상부 시트(2b)와, 고정 접점(2c)을 가지는 하부 시트(2d)와, 이들 상,하 시트(2b, 2d) 사이에 적층된 스페이서(2e)로 구성되어 있다. 그 멤브레인 스위치(2) 위체는 합성수지제의 하우징(3)이 올려 놓여져 있고, 이 하우징(3)에는 환상의 가이드통(3a)가 그 바깥쪽에 위치하는 돌출부(3b)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통(3a)의 내벽(3c)에는 합성수지제의 키톱(4)의 천정면에 늘어뜨려 설치된 스텝(4a)이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삽입되어 있고, 이 스템(4a)내에는 코일스프링(5)이 강력한 끼워맞춤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하우징(3)의 가이드통(3a)과 돌출부(3b)와의 사이에는 평탄면(3d)이 형성되어 있고, 이 평탄면(3d)과 상기 키톱(4)의 천정면과의 사이에는 복귀스프링(6)이 개재 설치되어 있다. 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 7 도의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돌출부(3b)에는 절결홈이 형성되고, 한편 상기 키톱(4)에는 이들 절결홈내를 상,하 이동하는 걸어맞춤포올이 설치되고, 이들 걸어맞춤포올이 절결홈의 상단과 접촉하므로서 키톱(4)이 하우징(3)으로 부터 탈락되지 않도록 방지되고 있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example of this kind of push button switch, in which 1 represents a reinforcement plate made of a hard material such as metal, and a membrane switch 2 is placed on the reinforcement plate 1. have. The membrane switch 2 includes a top sheet 2b having a movable contact 2a, a bottom sheet 2d having a fixed contact 2c, and a spacer stacked between these upper and lower sheets 2b and 2d. It consists of (2e). The housing 3 made of synthetic resin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membrane switch 2, and the projection 3b in which the annular guide cylinder 3a is located outside thereof is integrally molded. Step 4a installed on the ceiling surface of the key top 4 made of synthetic resin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inner wall 3c of the guide cylinder 3a, and the coil spring 5 is inserted into the stem 4a. It is installed with this powerful fitting. Further, a flat surface 3d is formed between the guide cylinder 3a of the housing 3 and the protrusion 3b, and between the flat surface 3d and the ceiling surface of the key top 4. The return spring 6 is interposed. Although not shown, cutout grooves are formed in the protruding portion 3b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ground of FIG. 7, while the key top 4 has a fastening port for moving up and down inside these cutout grooves. It is provided, and these fastening cloths are prevented from falling out of the housing 3 by contacting the upper end of the notch groove.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푸시 버튼 스위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switch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제 7 도에 나타낸 비조작 상태에서 키톱(4)은 복귀스프링(6)의 탄성력에 의하여 도시하지 않은 걸어맞춤포올이 절결홈의 상단에 접촉하는 스트로크 최상점에 위치하여 있고, 이때 코일스프링(5)의 하단은 상부시트(2b)로 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에 멤브레인 스위치(2)는 가동접점(2a)과 고정접점(2c)이 비접촉의 오프상태에 있다.In the non-operational state shown in FIG. 7, the key top 4 is located at the highest point of the stroke where the engagement pawl (not shown) contacts the top of the cutout groov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spring 6, wherein the coil spring 5 Since the lower end of the top face 2 is separated from the top sheet 2b, the movable switch 2a and the fixed contact 2c are in the non-contact off state because the membrane switch 2 is in the off state.
이 상태로 부터 조작자가 키톱(4)을 복귀스프링(6)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눌러 넣으면 스템(4a)의 외벽이 가이드통(3a)의 내벽(3c)을 따라 하강하고, 키톱(4)은 스트로크 최하점까지 이동된다.From this state, when the operator presses the key top 4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spring 6, the outer wall of the stem 4a is lowered along the inner wall 3c of the guide cylinder 3a, and the key top 4 is The stroke is moved to the lowest point.
이 경우, 스템(4a)에 유지된 코일스프링(5)은 상부시트(2b)에 접촉하여 점차 압축되기 때문에, 이 코일스프링(5)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부시트(2b)가 휘어져 가동접점(2a)이 고정접점(2c)에 접촉하여 멤브레인스위치(2)는 오프에서 온상태로 전환된다.In this case, since the coil spring 5 held on the stem 4a is gradually compress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heet 2b, the upper sheet 2b is bent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5, so that the movable contact 2a ) Contacts the fixed contact 2c so that the membrane switch 2 is switched from off to on.
그리고, 이 온상태에서 키톱(4)에 대한 상기 압압조작력을 제거하면, 복귀스프링(6)의 탄성력에 의하여 키톱(4)은 제 7 도에 나타낸 스트로크 최상점까지 상승하기 때문에, 휘어져 있던 상부시트(2b)가 복원하고, 이에 따라 가동접점(2a)이 고정접점(2c)으로 부터 떨어져 멤브레인 스위치(2)는 온에서 오프상태로 전환된다.When the pressing operation force with respect to the key top 4 is removed in this on state, the key top 4 rises to the highest point of the stroke shown in FIG. 7 by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spring 6, so that the curved top sheet (2b) is restored, whereby the movable contact 2a is separated from the stationary contact 2c and the membrane switch 2 is switched from on to off.
그런데, 이같은 푸시 버튼 스위치에 있어서는, 스템(4a)을 가이드통(3a)의 내벽(3c)에 삽입하여 미끄럽 접촉시킴으로서, 키톱(4)이 하우징(3)에 승강자유롭게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소망의 작동 스트로크를 확보하면서 푸시 버튼 스위치를 박형화하기 위하여 가이드통(3d)이 높이 치수를 작게 한다는 시도가 행해지고 있으나, 이 경우 가이드통(3a)에 대한 스템(4a)의 삽입량이 필연적으로 적어져 미끄럼접촉시에 필요하게 되는 양자간의 미소 간극에 기인하여 키톱(4)이 하우징(3)에 대하여 기울어지기 쉽게 된다. 특히, 조작자가 키톱(4)의 연부(緣部)를 밀어 넣는 소위 단부압입이 행해졌을 경우, 스템(4a)이 가이드통(3a)에 걸려 조작감촉이 극히 나빠진다는 불편이 있었다.By the way, in such a push-button switch, the stem 4a is inserted into the inner wall 3c of the guide cylinder 3a and brought into sliding contact, so that the key top 4 is held freely in the housing 3, so that it is desired. Attempts have been made to reduce the height dimension of the guide cylinder 3d in order to reduce the push button switch while securing the operating stroke of the push button switch. In this case, however, the amount of insertion of the stem 4a into the guide cylinder 3a is inevitably reduced. The key top 4 tends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using 3 due to the microgap between the two required at the time of contact. In particular, when so-called end pressing is performed in which the operator pushes the edge of the key top 4, the stem 4a is caught by the guide cylinder 3a, which causes inconvenience in that the operation feeling is extremely bad.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행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조작감촉을 열화시키는 일이 없이 소형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푸시 버튼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view of such a situation, and the objective is to provide the push button switch which can aim at small thickness, without degrading an operation feeli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위치 소자를 내장하고 중앙에 제 1 가이드통을 가지는 유저상자형의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대하여 승강 자유롭고 중앙에 제 2 가이드통을 가지는 미끄럼이동부재와, 이 미끄럼이동부재에 대하여 승강 자유롭고 하면 중앙에 미끄럼이동돌기를 내려뜨려 설치한 스템과, 상기 하우징과 상기 미끄럼이동부재와의 사이에 개재 설치된 제 1 복귀스프링과, 상기 미끄럼이동부재와 상기 스템과의 사이에 개재 설치된 제 2 복귀스프링을 구비하고, 상히 하우징과 상기 미끄럼이동부재는 각각의 외주벽과 제 1 및 제 2 가이드통 사이가 미끄럼이동면으로 되고, 상기 미끄럼이동부재와 상기 스템은 각각 외주벽 및 제 2 가이드통과 미끄럼이동돌기 사이가 미끄럼이동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r box-shaped housing having a switch element and having a first guide cylinder at the center thereof, a sliding member having a second guide cylinder at a center freely lifting and lowering the housing, A stem provided with the sliding projection lowered in the center when the sliding member is free to move up and down, a first return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sliding member, and between the sliding member and the stem. And a second return spring interposed therebetween, wherein the housing and the sliding member each have a sliding surface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and the first and second guide cylinders, and the sliding member and the stem are respectively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and the stem. The second guide cylinder and the sliding proje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surface is a sliding surface.
스템을 압압조작하면, 미끄럼이동부재는 하우징과 스템에 각각 상대이동하기 때문에, 미끄럼이동거리를 줄이는 일없이 높이치수를 짧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템과 미끄럼이동부재는 중앙의 미끄럼이동돌기와 제 2 가이드통 사이 및 바깥쪽의 양주벽 사이가 미끄럼이동면으로 되고, 또 하우징과 미끄럼이동부재는 중앙의 제 1 및 제 2 가이드통 사이와 바깥쪽의 양주벽 사이가 미끄럼이동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들면, 스템의 외연부가 압압조작(소위 단부압입)되었다 하여도 각 부재는 덜컹대는 일없이 원활하게 미끄럼이동하여 양호한 조작감촉을 얻을 수 있다.When the stem is pressed, the sliding member moves relative to the housing and the stem, respectively, so that the height dimension can be shortened without reducing the sliding distance. In this case, the stem and the sliding member are the sliding surface between the central sliding projection and the second guide cylinder an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s, and the housing and the sliding member are between the central first and second guide cylinders. Since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is a sliding surface, for example, even if the outer edge of the stem is press-operated (so-called end press-in), each member can slide smoothly without any rattling to obtain a good feeling of operation. hav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based on drawing.
제 1 도 및 제 2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푸시 버튼 스위치를 각각 다른 방향에서 본 단면도, 제 3 도는 이 푸시 버튼 스위치에서 구비되는 하우징의 평면도, 제 4 도는 이 푸시 버튼 스위치에 구비되는 미끄럼이동부재의 평면도, 제 5 도는 이 푸시 버튼 스위치의 분해사시도, 제 6 도는 이 푸시 버튼 스위치의 압압조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and 2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push button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in a different direction, and FIG. 3 is a plan view of a housing provided in the push button switch, and FIG. 4 is provided in the push button switch. The top view of a sliding member,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is push button switch, and FIG. 6 is a figure which showed the press operation state of this push button switch.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에에 관한 푸시 버튼 스위치는 하우징(7), 가동접점(8), 미끄럼이동부재(9), 코일스프링(10), 스템(11) 및 기톱(12)으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push button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7, a movable contact 8, a sliding member 9, a coil spring 10, a stem 11, and a saw 12. Consists of.
상기 하우징(7)은 주위에 측벽(13)을 가지는 유저 상자형을 이루고, 그 바닥면 중앙에는 유저 형상의 제 1 가이드통(14)이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이 제 1 가이드통(14)은 바닥면으로 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또 가이드통(14)의 상단에는 한쌍의 슬롯(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7)의 바닥면에는 제 1 및 제 2 고정접점(16,17)이 각각 삽입되어 있고, 이들 접점(16,17)은 단자(18,19)로써 외부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 1 고정접점(16)은 상기 측벽(13)의 내측에 위치하고, 그 근방에는 홈(20)이 형성되어 있고, 제 2 고정접점(17)은 상기 제 1 가이드통(14)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다. 또 상기 측벽(13)의 서로 대향하는 두구석에는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제 1 걸어맞춤포올(2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The housing 7 forms a user box shape having sidewalls 13 around it, and a first guide cylinder 14 having a user shape is mounted on the bottom center of the housing 7. The first guide cylinder 14 protrudes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and a pair of slots 15 ar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guide cylinder 14. First and second fixed contacts 16 and 17 are insert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7, respectively, and these contacts 16 and 17 protrude outwardly as terminals 18 and 19. The first fixed contact 16 is located inside the sidewall 13, and a groove 20 is formed in the vicinity thereof, and the second fixed contact 17 is located outside the first guide cylinder 14. have. In addition, the two first corners 21 protruding outward are formed in two opposite corners of the side wall 13.
상기 가동접점(8)은 인청동등의 탄성판을 대략 S자 형상으로 프레스 타발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양단에 괘지부(22)를 가짐과 동시에 중앙에 원환부(23)를 가진다. 이 가동접점(8)은 양단의 괘지부(22)를 상기 홈(20)에 괘지함으로서 중앙이 팽출한 돔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접점(16)과 가동접점(8)의 괘지부(22)는 도통되고, 상기 원환부(23)는 상기 제 1 가이드홈(14)의 외주면에 끼워져 제 2 고정접점(17)으로 부터 떨어져 있다.The movable contact 8 is formed by press-punching an elastic plate such as phosphor bronze in an approximately S-shape, and has a ring portion 22 at both ends and a torus 23 at the center. The movable contact 8 is formed in a dome shape in which the center portion is swollen by locking the end portions 22 at both ends in the groove 20. In this state, the first fixed contact 16 and the movable contact 8 are formed. The hanging portion 22 of the () is turned on, and the annular portion 23 is 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guide groove 14 and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fixed contact 17.
상기 미끄럼이동부재(9)는 바닥면 중앙에 환상벽(24)을 가지고, 상기 환상벽(24)의 내부에는 리브(25)를 거쳐 제 2 가이드통(26)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가이드통(26)이 외경치수는 상기 제 1 가이드통(14)의 내경치수와 대략 같게 설정되어 있고, 또 제 2 가이드통(26)의 상단에도 한쌍의 슬롯(27)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환상벽(24)의 내경치수는 제 1 가이드통(14)의 외경치수에 비하여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고, 이 환상벽(24)의 바깥쪽에는 스프링 받침 오목부(28)가 형성되어 있다.The sliding member 9 has an annular wall 24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and a second guide cylinder 26 is integrally formed through the rib 25 in the annular wall 24.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guide cylinder 26 is set to be approximately equal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guide cylinder 14, and a pair of slots 27 ar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guide cylinder 26. have. On the other h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annular wall 24 is set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guide cylinder 14, and the spring bearing recess 28 is formed outside the annular wall 24. have.
또, 상기 미끄럼이동부재(9)의 바닥면의 외주면에는 측벽(29)이 설치되어 있고, 이 측벽(29)의 상단 전주위에는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턱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이 턱부(30)의 서로 대향하는 두 구석에는 걸어맞춤구멍(31)이 각각 뚫어 설치되고 있고, 이들 걸어맞춤구멍(31)을 포위하도록 턱부(30)에 늘어뜨려 설치된 수직벽(32)의 바닥부, 즉 걸어맞춤구멍(31)이 외측 내저면에는 제 1 걸어맞춤단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턱부(30)의 나머지 두 구석에는 제 2 걸어맞춤단부(34)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제 2 걸어맞춤단부(34)의 근방에는 절결부(35)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side wall 29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liding member 9, and a jaw portion 30 protruding outward is formed on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29. Engaging holes 31 are drilled and installed in two opposite corners of the jaw portion 30, respectively, and the bottom of the vertical wall 32, which is provided on the jaw portion 30 so as to surround these engaging holes 31, is provided. The first engagement end 33 is formed in the portion, that is, the engagement hole 31 on the outer inner bottom surface. A second engagement end 34 is formed in the remaining two corners of the jaw portion 30, and a cutout 35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second engagement end 34.
상기 미끄럼이동부재(9)의 측벽(29)은 상기 하우징(7)의 측벽(13)의 내측에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삽입되고, 상기 가동접점(8)의 탄발력에 의하여 위쪽으로 가세되어 있으나, 상기 제 1 걸어맞춤포올(21)이 상기 걸어맞춤구멍(31)내의 제 1 걸어맞춤단부(33)와 접촉함으로서 미끄럼이동부재(9)의 하우징(7)으로 부터의 탈락이 방지되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제 2 가이드통(26)은 제 1 가이드통(14)의 내주면과 미끄럼접촉함과 동시에 리브(25)는 슬롯(15)내에 위치하고, 또 하우징(7)과 미끄럼이동부재(9)의 각각의 측벽(13,29)은 일부 오버랩되어 있다(제 1 도 참조).The side wall 29 of the sliding member 9 is freely slidably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side wall 13 of the housing 7 and is upwardly bia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movable contact 8. The first engagement pole 2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engagement end 33 in the engagement hole 31 to prevent the sliding member 9 from falling off from the housing 7. In this state, the second guide cylinder 26 is in sliding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guide cylinder 14, and the rib 25 is located in the slot 15, and the housing 7 and the sliding member ( Each side wall 13, 29 of 9 is partially overlapped (see FIG. 1).
상기 스템(11)은 천정면 중앙에 반달 형상의 한쌍의 절결(36)을 가지고, 상기 절결(36)의 중앙에는 연결편(37)을 거쳐 원주상의 미끄럼이동돌기(38)가 늘어뜨려 설치되어 있다. 이 미끄럼이동돌기(38)의 직경은 상기 제 2 가이드통(26)의 내경치수와 거의 같게 설정되어 있다. 또, 스템(11)의 천정면 주연에는 측벽(39)이 늘어뜨려 설치되어 있고, 그 측벽(39)의 서로 대향하는 두 구석에는 아래쪽으로 뻗는 각편(40)이 설치되고, 이들 각편(40)의 하단에는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제 2 걸어맞춤포올(14)이 형성되어 있다. 또, 스템(11)의 천정면에는 한쌍의 끼워맞춤구멍(42)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 끼워맞춤구멍(42)은 상기 각편(40)의 내벽에 각각 연통하고 있다. 한편, 상기 키톱(12)의 하면에는 평면 현상을 상기 끼워맞춤구멍(42)과 같게 하는 한쌍의 끼워맞춤돌기(43)가 설치되어 있다.The stem 11 has a pair of cutouts 36 having a half moon shape at the center of the ceiling surface, and a circumferential sliding protrusion 38 is installed through the connecting piece 37 at the center of the cutouts 36. have. The diameter of the sliding projection 38 is set to be substantially equal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guide cylinder 26. In addition, side walls 39 are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periphery of the ceiling surface of the stem 11, and two pieces 40 extending downward are provided in two opposite corners of the side walls 39. At the bottom of the second engaging port 14 protruding outward is formed. Moreover, a pair of fitting holes 42 are provided in the ceiling surface of the stem 11, and these fitting holes 42 communicate with the inner wall of each said piece 40,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aid key top 12 is provided with a pair of fitting protrusion 43 which makes planar phenomenon the same as the said fitting hole 42. As shown in FIG.
상기 스템(11)의 측벽(39)은 상기 미끄럼이동부재(9)의 측벽(29)의 내측에 삽입되고, 미끄럼이동부재(9)의 스프링 받침 오목부(28)와 스템(11)의 천정면 사이에 설치된 코일스프링(10)의 탄발력에 의하여 위쪽으로 가세되어 있으나, 상기 제 2 걸어맞춤포올(41)이 제 2 걸어맞춤단부(34)(턱부(30)의 하면)와 접촉함으로서 스템(11)의 미끄럼이동부재(9)로 부터의 탈락이 방지되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미끄럼이동돌기(38)는 제 2 가이드통(26)의 내주면과 미끄럼이동하고, 미끄럼이동부재(9)와 스템(11)의 각각의 측벽(29,30)은 일부가 오버랩되어 있다(제 2 도 참조).The side wall 39 of the stem 11 is inserted into the side wall 29 of the sliding member 9, and the spring support recess 28 of the sliding member 9 and the cloth of the stem 11 are provided. Although it is added up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10 provided between the front surfaces, the stem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engagement end portion 34 (lower surface of the jaw portion 30) by the second engagement port 41. Falling from the sliding member 9 of (11) is prevented. In this state, the sliding projection 38 is slid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guide cylinder 26, and the side walls 29, 30 of the sliding member 9 and the stem 11 are partially overlapped. (See FIG. 2).
또, 스템(11)과 키톱(12)은 끼워맞춤돌기(43)가 끼워맞춤구멍(42)내에 압입됨으로서 일체화되고, 그 끼워맞춤돌기(43)가 각편(40)의 내면에 접촉함으로서, 각편(40)이 변형하여 제 2 걸어맞춤단부(34)와 제 2 걸어맞춤포올(41)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44는 관통구멍(45)을 가지는 프린트기판이고, 푸시 버튼 스위치는 하우징(7)의 하면으로 부터 돌출하는 제 1 가이드통(14)을 관통구멍(45)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프린트기판(44)상에 높여지고, 각 단자(18, 19)가 프린트기판(44)의 도시하지 않은 패턴에 납땜된다.In addition, the stem 11 and the key top 12 are integrated by the fitting projection 43 being pushed into the fitting hole 42, and the fitting projection 43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each piece 40, so that each piece The 40 deforms and prevents the engagement between the second engagement end 34 and the second engagement port 41 from being released. In addition, 44 is a printed board having a through hole 45, and the push button switch is a printed board 44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guide cylinder 14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7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45. ), Each terminal 18, 19 is soldered to a pattern (not shown) of the printed board 44. As shown in FIG.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푸시 버튼 스위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switch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제 1 도 및 제 2 도에 나타낸 비조작상태에서는 키톱(12)에 일체화된 스템(11)은 코일스프링(10)에 의하여 미끄럼이동부재(9)의 바닥면으로 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가세됨과 동시에 미끄럼이동부재(9)는 가동접점(8)에 의하여 하우징(7)의 바닥면으로 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가세되고, 키톱(12)은 스트로크 최상점에 위치하고 있다. 이때, 가동접점(8)은 돔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접점(8)과 제 2 고정접점(17)은 비접촉으로 있고, 스위치는 오프상태에 있다.In the non-operational state shown in FIGS. 1 and 2, the stem 11 integrated in the key top 12 is biased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liding member 9 by the coil spring 10. The sliding member 9 is biased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7 by the movable contact 8, and the key top 12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stroke. At this time, since the movable contact 8 is shaped like a dome, the movable contact 8 and the second fixed contact 17 are in non-contact, and the switch is in an off state.
이 상태에서 조작자가 키톱(12)의 천정면을 밀어 넣으면, 제 6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끄럼이동돌기(38)가 제 2 가이드통(26)내를 하강하여 코일스프링(10)을 압출함과 동시에 압축된 코일스프링(10)의 탄발력에 의하여 제 2 가이드통(26)이 제 1 가이드통(4)내를 하강하고, 그 결과 미끄럼이동부재(9)의 하면에 의하여 가동접점(8)이 압압반전되고, 가동접점(8)이 제 2 고정접점(17)에 접촉하여 스위치가 오프에서 온상태로 전화된다. 이 경우, 미끄럼이동부재(9)와 스템(11) 사이의 미끄럼이동면은 제 2 가이드통(26)과 미끄럼이동돌기(38) 사이 및 양측벽(29,30) 사이의 내,외 양쪽에서 확보되고, 또 하우징(7)과 미끄럼이동부재(9) 사이의 미끄럼이동면은 제 1 가이드통(14)과 제 2 가이드통(26)사이 및 양측벽(13, 29) 사이의 내,외 양쪽에서 확보되어 있다.When the operator pushes the ceiling surface of the key top 12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6, the sliding projection 38 descends the inside of the second guide cylinder 26 to extrude the coil spring 10. At the same time, the second guide cylinder 26 lowers the inside of the first guide cylinder 4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10 compressed, and as a result, the movable contact 8 is move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sliding member 9. The pressure is reversed, and the movable contact 8 contacts the second fixed contact 17 so that the switch is switched from off to on. In this case, the sliding surface between the sliding member 9 and the stem 11 is secured both inside and outside between the second guide cylinder 26 and the sliding projection 38 and between both side walls 29 and 30. In addition, the sliding surface between the housing 7 and the sliding member 9 is at both inside and outside between the first guide cylinder 14 and the second guide cylinder 26 and between the side walls 13 and 29. It is secured.
또, 상기와 같이 스위치가 온상태로 되는 스트로크의 최하점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가이드통(14,26)의 상단은 모두 스템(11)의 절결(36)내에 위치하고, 한편 스템(11)의 연결편(37)은 제 1 및 제 2 가이드통(14, 26)의 슬롯(15,27)내에 위치하고 있다.In addition, at the lowest point of the stroke in which the switch is turned on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cylinders 14 and 26 are both located in the notch 36 of the stem 11, while the stem 11 The connecting piece 37 is located in the slots 15 and 27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cylinders 14 and 26.
키톱(12)에 대한 상기 압압력을 제거하면, 미끄럼이동부재(9)와 스템(11)은 각각 가동접점(8)과 코일스프링(10)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 2 도에 나타낸 스트로크 최상점까지 상승하기 때문에, 가동접점(8)이 제 2 고정접점(17)으로 부터 떨어져 스위치는 온에서 오프상태로 전환된다.When the pressing force against the key top 12 is removed, the sliding member 9 and the stem 11 are moved to the top of the stroke shown in FIG. 2 by the elastic force of the movable contact 8 and the coil spring 10, respectively. Since it rises, the movable contact 8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fixed contact 17 and the switch is switched from on to off.
이와 같이, 상기 일실시예에 있어서는 하우징(7)과 스템(11) 사이에 하우징(7)의 제 1 가이드통(14)과 스템(11)의 미끄럼이동돌기(38)에 대하여 각각 미끄럼이동 자유로운 제 2 가이드통(26)을 가지는 미끄럼이동부재(9)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스템을 하우징의 가이드통에 직접 미끄럼이동시키고 있던 종래품에 비하면 미끄럼이동거리를 2배로 할 수가 있고, 바꿔 말하면 종래품과 같은 정도의 미끄럼이동감촉을 유지한 상태에서 푸시 버튼 스위치의 높이치수를 대폭으로 짧게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first guide cylinder 14 of the housing 7 and the sliding protrusion 38 of the stem 11 are free to slide between the housing 7 and the stem 11, respectively. Since the sliding member 9 having the second guide cylinder 26 is provided, the sliding distance can be doubl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products in which the stem is directly slid to the guide cylinder of the housing. The height dimension of the push button switch can be significantly shortened while maintaining the sliding feeling of the same degree.
또, 미끄럼이동부재(9)와 스템(11)은 중앙의 제 2 가이드통(26)과 미끄럼이동돌기(38) 사이의 미끄럼이동뿐만 아니라, 바깥쪽의 양측벽(29,39) 사이도 미끄럼이동면으로 되어 있고, 한편 하우징(7)과 미끄럼이동부재(9)는 중앙의 제 1 및 제 2 가이드통(14,26) 사이의 미끄럼이동뿐만 아니라, 바깥쪽의 양측벽(13, 29) 사이도 미끄럼이동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단부압압이 행해졌을 경우에도 스템(11)과 미끄럼이동부재(9) 및 하우징(7)의 3부재는 원활하게 상대 이동하여 조작감촉을 극히 양호한 것으로 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sliding member 9 and the stem 11 slide not only between the second guide cylinder 26 and the sliding projection 38 in the center, but also between the outer side walls 29 and 39. It has a moving surface, while the housing 7 and the sliding member 9 are formed between the outer side walls 13 and 29 as well as the sliding movement between the central first and second guide cylinders 14 and 26. Since it is also a sliding surface, even when the end pressure is applied, the three members of the stem 11, the sliding member 9 and the housing 7 can be relatively moved smoothly to make the operation feeling extremely good. .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접점의 전환을 행하는 스위치 소자로써, 하우징(7)의 저면에 설치한 제 2 고정접점(17)과 미끄럼이동부재(9)를 복귀시키는 가동접점(8)으로 구성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으나, 이들 고정접점과 가동접점 대신에 멤브레인 스위치를 하우징의 내저면에 배치하고, 이 멤브레인 스위치를 미끄럼이동부재, 또는 미끄럼이동부재를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부재에 의하여 작동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switch element for switching the contact is composed of the second fixed contact 17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housing 7 and the movable contact 8 for returning the sliding member 9 to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instead of these fixed and movable contacts, a membrane switch may be arrang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housing, and the membrane switch may be configured to be operated by a sliding member or an elastic member for returning the sliding member. Do.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 2 가이드통(26)의 외주면과 내주면에 제 1 가이드통(14)과 미끄럼이동돌기(38)가 각각 미끄럼접촉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으나, 이들 부재의 위치관계는 상기 실시예와 반대, 즉 제 1 가이드통의 외주면에 제 2 가이드통을 끼워 맞추고 또 제 2 가이드통의 외주면에 원통형상으로 형성한 미끄럼돌기를 끼워 맞추도록 하여도 좋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first guide cylinder 14 and the sliding protrusion 38 are in sliding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guide cylinder 26 has been described. In contrast to the example, that is, the second guide cylinder may be 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guide cylinder, and the sliding protrusion formed in the cylindrical shape may be 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guide cylinder.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미끄럼이동부재(9)의 측벽(29)의 내면에 스템(11)의 측벽(39)을 미끄럼접촉시킴과 동시에 하우징(7)의 측벽(13)의 내면에 미끄럼이동부재(9)의 측벽(29)을 미끄럼이동시키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으나 이들 부재의 위치관계도 상기 실시예와 반대, 즉 하우징(7)의 측벽(13)의 외면에 미끄럼이동부재(9)의 측벽(29)을 미끄럼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미끄럼이동부재(9)의 측벽(29)의 외면에 스템(11)의 측벽(39)을 미끄럼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Further, in the above embodiment, the side wall 39 of the stem 11 is in sliding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29 of the sliding member 9 and at the same time the sliding member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13 of the housing 7. Although the case where the side wall 29 of 9 is slid is explained,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se members is also opposite to the said embodiment, ie, the side wall of the sliding member 9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13 of the housing 7. It is also possible to slide the side wall 39 of the stem 11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29 of the sliding member 9 at the same time as sliding the 29.
상기 실시예에서는 미끄럼이동거리를 감소시키지 않고 높이치수를 현저히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소형박형화에 적당한 푸시 버튼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since the height dimension can be significantly shortened without reducing the sliding distan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ush button switch suitable for miniaturiza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미끄럼이동거리를 줄이는 일없이 높이치수를 짧게할 수 있음과 동시에 단부압압이 행해졌을 경우에도 각 부재를 원활하게 미끄럼이동시킬 수가 있어 소형 박형화에 적합하고 조작감촉이 양호한 푸시 버튼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height dimension without reducing the sliding distance, and to smoothly move each member even when end pressure is applied. This good push button switch can be provided.
Claims (6)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JP205176 | 1990-08-03 | ||
| JP2205176A JPH0495319A (en) | 1990-08-03 | 1990-08-03 | Push button switch |
| JP90-205176 | 1990-08-03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920005194A KR920005194A (en) | 1992-03-28 |
| KR930009235B1 true KR930009235B1 (en) | 1993-09-24 |
Family
ID=1650268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19900020387A Expired - Fee Related KR930009235B1 (en) | 1990-08-03 | 1990-12-12 | Push button switch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JP (1) | JPH0495319A (en) |
| KR (1) | KR930009235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085902B1 (en) * | 2019-10-17 | 2020-03-06 | 윤태준 | gravity direction variable means of sliding doors which a screen door system is provided with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DE20001024U1 (en) * | 2000-01-21 | 2000-06-08 |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 Co. KG, 78315 Radolfzell | Membrane switch |
| JP4929509B2 (en) * | 2007-05-16 | 2012-05-09 | Idec株式会社 | Push button switch device |
-
1990
- 1990-08-03 JP JP2205176A patent/JPH0495319A/en active Pending
- 1990-12-12 KR KR1019900020387A patent/KR93000923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085902B1 (en) * | 2019-10-17 | 2020-03-06 | 윤태준 | gravity direction variable means of sliding doors which a screen door system is provided with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920005194A (en) | 1992-03-28 |
| JPH0495319A (en) | 1992-03-2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2009021155A (en) | Push-button switch | |
| JP4280761B2 (en) | Side push type push switch | |
| US20080099321A1 (en) | Switch | |
| US20070246343A1 (en) | Multidirectional switch | |
| US4129763A (en) | Push button switch assembly | |
| KR930009235B1 (en) | Push button switch | |
| KR101685188B1 (en) | Push button switch | |
| US7812270B2 (en) | Multi-directional detect switch | |
| EP1037226B1 (en) | Push switch | |
| EP1014405B1 (en) | Push switch | |
| KR930009234B1 (en) | Push button switch | |
| JP2000260257A (en) | Push switch | |
| JP2572590Y2 (en) | Push button switch | |
| US20080099320A1 (en) | Switch | |
| JPS6230254Y2 (en) | ||
| JP2823379B2 (en) | Push button switch | |
| JPH0492322A (en) | Push button switch | |
| JPH0492321A (en) | Push button | |
| JP4407441B2 (en) | Push-on switch | |
| US20010052452A1 (en) | Low-profile flip-over contact piece for tactile switch | |
| JP2005122989A (en) | Push-button switch | |
| US20040008473A1 (en) | Keyswitch for keyboard of notebook computer | |
| JPH0492320A (en) | Push button switch | |
| JP2518255Y2 (en) | Push button switch | |
| JP2007200737A (en) | Push-button switch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6092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60925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