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7921B1 - Electric Motor Actuator with Speed Sensor - Google Patents
Electric Motor Actuator with Speed Sens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40007921B1 KR940007921B1 KR1019890016709A KR890016709A KR940007921B1 KR 940007921 B1 KR940007921 B1 KR 940007921B1 KR 1019890016709 A KR1019890016709 A KR 1019890016709A KR 890016709 A KR890016709 A KR 890016709A KR 940007921 B1 KR940007921 B1 KR 9400079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ic motor
- circumferential surface
- outer circumferential
- magnet
- p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4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P3/44—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 G01P3/48—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 G01P3/481—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of pulse sign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5/00—Nanotechnology for interacting, sensing or actuating, e.g. quantum dots as markers in protein assays or molecular moto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3/00—Indicating or record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3/02—Indicating direction only, e.g. by weather vane
- G01P13/04—Indicating positive or negative direction of a linear movement or clockwise or anti-clockwise direction of a rotational movemen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4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P3/44—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 G01P3/48—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 G01P3/481—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of pulse signals
- G01P3/487—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of pulse signals delivered by rotating magne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0971—Speed responsive valve contro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제 1 도는~제 6 도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제 1 도는 제 4 도중 Ⅰ-Ⅰ선을 따른 단면도.1 to 6 are views for explaining a schematic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iagram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I-I during the fourth.
제 2 도는 자동차에 있어서의 공회전속도제어밸브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an idle speed control valve in an automobile.
제 3 도는 전동모터형 작동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motor actuator.
제 4 도는 제 3 도에 도시한 작동기에 있어서의 회전수센서의 배치를 도시한 작동기의 부분확대도.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actuator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speed sensor in the actuator shown in FIG.
제 5 도는 홀 IC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all IC.
제 6 도는 홀 IC에 있어서의 홀소자의 출력 및 홀 IC 자체의 출력을 도시한 도면.Fig. 6 is a diagram showing the output of the Hall element and the output of the Hall IC itself in the Hall IC.
제 7 도 내지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제 7 도는 회전수센서의 수성을 도시한 도면.7 to 12 show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shows the aqueous phase of the speed sensor.
제 8 도는 제 7 도중의 Ⅷ-Ⅷ선을 따른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during middle 7.
제 9 도는 제 7 도중의 Ⅸ-Ⅸ선을 따른 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during middle 7.
제10도는 제 7 도의 회전수센서에 있어서의 각 홀 IC로부터의 출력을 도시한 도면.FIG. 10 is a diagram showing an output from each hall IC in the rotational speed sensor of FIG.
제11도 및 제12도는 제10도의 각 홀 IC로부터의 출력을 각각 맞포개서 도시한 도면.11 and 12 show the outputs from the respective Hall ICs of FIG. 10, respectively.
제13도는 종래의 회전수센서를 도시한 도면.13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peed sensor.
제14도는 제13도의 회전수센서에 있어서, 홀 IC의 홀소자 및 홀 IC 자체의 출력을 도시한 도면.FIG. 14 is a diagram showing outputs of the Hall element of the Hall IC and the Hall IC itself in the speed sensor of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26 : 공회전속도제어밸브 28 : 밸브체26: idle speed control valve 28: valve body
42 : 출구포트 44 : 밸브시트42: outlet port 44: valve seat
45 : 밸브축 50 : 넥부45: valve shaft 50: neck
52 : 이송나사 54 : 윔휠52: feed screw 54: wheel
72 : 윔기어 74 : 전동모터72: shock gear 74: electric motor
80 : 회전축부(회전체) 82a,82b : 제1, 제 2 링자석80: rotating shaft portion (rotating body) 82a, 82b: first, second ring magnet
84a,84b : 제1, 제 2 홀 IC(자기프로브)84a, 84b: First and second Hall ICs (magnetic probes)
본 발명은, 회전체의 회전수를 검출하기 위한 회전수센서를 구비한 전동모터형 작동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motor-type actuator having a rotation speed sensor for detecting the rotation speed of a rotating body.
이런 종류의 회전수센서는, 예를들면 연속해서 구동되는 전동모터의 회전수를 계수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회전수센서는 제1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A) 의 외주면에 고정된 1개의 자석(B)과, 회전축(A)의 외주면 근처에 배치된 자기프로브(magnetic probe)(C)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자기프로브(C)는, 예를들면 홀소자(Hall element)를 포함한 홀 IC로서, 회전축(A)의 회전에 따라, 그 바로 아래를 자석(B)이 통과하도록 위치지워져 있다.This type of rotation speed sensor is used for counting the rotation speed of an electric motor which is continuously driven, for exampl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3, the rotational speed sensor is disposed near one outer side of the rotational axis A and one magnet B fix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tional axis A rotated by the electric motor. It consists of a magnetic probe (C). The magnetic probe C is, for example, a Hall IC including a Hall element, and is positioned so that the magnet B passes directly under the rotation axis A as the rotation axis A rotates.
자기프로브(C)의 홀소자로부터는, 자석(B)의 통과시마다. 이 자석(B)의 자기를 검출해서,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널로그의 전압신호(D)가 출력되고, 이 전압신호(D)는, 자기프로브(C)내에 있어서, 디지틀의 펄스신호로 변환된다. 그 때문에, 자기프로브(C)로부터는, 자석(B)의 통과횟수에 대응한 펄스신호 (E)가 출력되게 된다. 제14도중, 횡축과 평행한 2개의 라인은, 펄스신호(E)의 상승점 및 하강점을 각각 규정하는 H 슬라이스레벨 및 L 슬라이스레벨을 표시하고 있다.From the Hall element of the magnetic probe C, every time the magnet B passes. The magnetism of this magnet B is detected, and as shown in FIG. 14, an analog voltage signal D is outputted, and this voltage signal D is a digital probe within the magnetic probe C. It is converted into a pulse signal. Therefore, from the magnetic probe C, the pulse signal 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passes of the magnet B is output. In Fig. 14, two lines parallel to the horizontal axis indicate the H slice level and the L slice level, which respectively define the rising and falling points of the pulse signal E. Figs.
따라서, 자기프로스(C)로부터의 펄스신호(E)를 계수함으로써, 회전축(A) 즉 전동모터의 회전수를 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refore, by counting the pulse signal E from the magnetic process C,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rotational axis A, that is, the rotation speed of the electric motor.
그런데, 전술한 회전수센서는, 회전축(A)이 소정의 속도로 회전하고 있을 때에는, 이 회전축(A)의 회전수에 대응한 펄스신호(E)를 출력하나, 전동모터에의 전력 공급이 정지되고, 그후, 전동모터가 관성으로 회전한 후, 회전축(A)이 실제로 정지한 상태에서의 자기프로브(C)와 자석(B)이 제13도에 도시한 위치관계로 되어버린 때에, 회전축(A)에 진동이 가해지거나, 혹은 회전축(A)의 장착에 헐거움 등이 있으면, 자기프로브(C)의 홀소자로부터는, 제14도중, (Dc)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전압신호가 연속해서 출력되어 버리고, 따라서, 자기프로브(C)로부터의 펄스신호도 또, (Ec)로 표시한 바와 같이 연속해서 출력되어 버리게 된다. 이 결과, 회전수센서의 출력신호에, 소위 채터링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회전축(A)의 회전수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By the way, the rotation speed sensor described above outputs a pulse signal E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on shaft A when the rotation shaft A is rotating at a predetermined speed. When the magnetic probe C and the magnet B are i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shown in Fig. 13 after the motor is rotated inertia, and then the rotating shaft A is actually stopped, the rotating shaft is rotated. If vibration is applied to (A) or if there is looseness in the mounting of the rotating shaft A, the voltage signal is continuously displayed from the Hall element of the magnetic probe C as indicated by (Dc) in FIG. As a result, the pulse signal from the magnetic probe C is also continuously output as indicated by (Ec). As a result, a so-called chattering phenomenon occurs in the output signal of the rotation speed sensor, and it becomes impossible to accurately detect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on shaft A. FIG.
상술한 불편은, 회전축(A)에 고정된 자석(B)이 1개이기 때문에, 제14도에 도시한 전압신호(D)의 파형에 있어서, 회전축(A)의 회전각에서 봤을 경우, H 슬라이스레벨과 L 슬라이스레벨과의 사이에서 규정되는 히스테리시스각(θ1) (약 5˚)이 작으며, 그 때문에, 이 히스테리시스각(θ1)을 초과해서 회전축(A), 즉, 자석(B)이 진동함으로써, 발생하는 것이다.The inconvenience described above is that since there is only one magnet B fixed to the rotation axis A, when viewed from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on axis A in the waveform of the voltage signal D shown in FIG. The hysteresis angle θ1 (about 5 °) defined between the slice level and the L slice level is small, and therefore, the rotation axis A, that is, the magnet B, exceeds the hysteresis angle θ1. It is generated by vibration.
상술한 바와 같은 채터링현상에 기인하는 회전수의 착오카운트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펄스간격(t1)이 있을 수 없을 정도로 짧은 펄스신호(Ec)를 무시하면 된다. 즉, 회전축(A)의 회전각에서 봤을 경우, 예를들면, 자석(B)의 영역을 20˚, 자석(B)이외의 영역을 340˚로 하고, 그리고, 전동모터의 회전수로부터 자기프로브(C)가 자석(B)의 자기를 검출하는 주기, 즉, H(또는 L)가 레밸의 주기가 가장 짧아도 7ms라고 하면, H(또는 L) 레벨의 주기(t1)가 7ms 이하인 펄스신호(Ec)를 무시하도록, 펄스신호(Ec)에 필터를 걸면된다. 여기서, 주기(t1)를 계속하려면, H 레벨의 기간(t2)을 실제로 검출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축(A)의 회전각에서 본 자석(B)의 영역은, 20˚밖에 안되기 때문에, H(또는 L) 레벨의 기간(t2)은 매우 짧다. 그 때문에, H(또는 L) 레벨의 기간(t2)을 검출하는 것은 어렵고, 상술한 필터를 펄스신호(Ec)에 거는 것은 곤란하다.In order to prevent the error count of the rotational speed resulting from the above-mentioned chattering phenomenon, as shown in FIG. 14, the pulse signal Ec which is so short that there cannot be a pulse interval t1 can be ignored. That is, when viewed from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on shaft A, for example, the area of the magnet B is set to 20 °, the area other than the magnet B is set to 340 °, and the magnetic probe is rotated from the rotational speed of the electric motor. When the period (C) detects the magnetism of the magnet B, i.e., H (or L) is 7 ms even if the period of the level is the shortest, the pulse signal (the period t1 of the H (or L) level is 7 ms or less) The filter is applied to the pulse signal Ec so as to ignore Ec). Here, in order to continue the period t1, the period t2 of the H level must be actually detected. However, as mentioned above, since the area of the magnet B seen from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on axis A is only 20 degrees, the period t2 of the H (or L) level is very short.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detect the period t2 of the H (or L) level, and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above-described filter to the pulse signal Ec.
또, 펄스신호(Ec)에 상기한 바와 같은 필터를 걸었다고 해도, 회전축(A)의 정지상태에서, 자석(B)과 자기프로브(C)와의 위치관계가 제13도에 도시한 상태에 있고, 이때, 회전축(A)이 느릿하게 진동하거나 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필터가 유효하게 기능하지 않아, 결국, 펄스신호의 채터링현상을 방지할 수 없어, 회전축(A)의 회전수를 정확하게 카운트할 수 없게 된다.Also, even when the filter as described above is applied to the pulse signal Ec,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magnet B and the magnetic probe C is in the state shown in FIG. At this time, when the rotating shaft A vibrates slowly, the filter does not function effectively, and eventually, the chattering of the pulse signal cannot be prevented,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ng shaft A is accurately counted. You will not be able to.
상기한 불편은, 연속해서 구동되는 전동모터에 의해서 회전축(A)을 정역회전시키고, 그리고, 이 회전축(A)의 정역회전을, 예를들면, 밸브에 있어서의 밸브체의 왕복운동, 즉, 그 밸브 개방 및 밸브페쇄스트로크 운동으로 변환하도록 한 전동모터형 작동기에 있어서, 상기한 회전수센서를 사용하여, 밸브체의 밸브개방도를 회전축(A)의 회전수로부터 구하는 경우, 특히 문제가 된다. 즉, 이 경우에는, 회전수센서로부터의 펄스신호에 채터링현상이 발생하면, 회전축(A)의 회전수를 정확하게 카운트할 수 없으므로, 밸브체의 밸브개방도를 고정밀도로 제어할 수 없게 된다.The above inconvenience is caused by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A by the continuously driven electric motor, and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A, for example,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valve body in the valve, that is, In the electric motor-type actuator which converts into valve opening and valve closing stroke movement, it becomes a problem especially when the valve opening degree of the valve body is calculated | required from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ng shaft A using said rotation speed sensor. . That is, in this case, when the chattering phenomenon occurs in the pulse signal from the rotation speed sensor,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on shaft A cannot be counted accurately, and the valve opening degree of the valve body cannot be controlled with high accuracy.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에 의거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기본적으로는, 간단한 구조로, 회전체에 회전수를 정확하게 검출하는데 적합한 회전수센서를 제공하는 것에 있으며, 특히, 자동차용 엔진의 흡기공기를 제어하는 흡입공기제어밸브를 구동하는 전동모터형 작동기에 있어서, 연속해서 구동되는 전동모터의 회전격을 흡입공기제어밸브(흡기계)에 전달해서, 해당 흡입공기제어밸브를 개폐시킬 때, 회전수센서를 사용해서, 해당 전동모터형 작동기의 회전방향 및 회전수를 정확하게 검출하고, 또 엔진의 흡기계라고 하는 좁은 스페이스에 부착이 용이한 소형의 회전수센서를 구비한 전동모터형 작동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thereof is basically to provide a rotation speed sensor suitable for accurately detecting the rotation speed on a rotating body with a simple structure. In an electric motor-type actuator that drives an intake air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intake air of an engin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continuously driven electric motor is transmitted to the intake air control valve (intake machine), and the intake air control valve is supplied.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motor is equipped with a small speed sensor that uses a rotation speed sensor to accurately detect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electric motor-type actuator, and is easily attached to a narrow space called an engine intake system. To provide a motorized actuato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내연기관의 흡입공기제어밸브를 구동하기 위한 전동모터형 작동기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정회전방향 및 역회전방향으로 구동되는 전동모터와, 이 전동모터의 회전구동력을 상기 흡입공기제어밸브에 전달해서, 해당 흡입공기제어밸브를 개폐하는 기어열과, 상기 기어열에 포함된 회전축 또는 상기 전동모터의 출력축의 외주면에 고정된 자석어셈블리에 있어서, 축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해서 이 외주면에 부착된 서로 동일한 형상의 제 1 및 제 2 링자석을 포함하고, 이 양 링자석은 상기 회전축 또는 출력축의 축선방향에 관해서 소망의 간격을 갖도록 해서 축의 외주면에서 인접해서 나란히 배치됨과 동시에, 각각의 절반의 외주면에 걸쳐서 형성된 N극과 나머지 절반의 외주면에 걸쳐서 형성된 S극을 지니고, 또 이 양 링자석은 각각의 N극과 S극이 축의 둘레방향에서 90°씩 어긋나도록 해서 상기 외주면에 장착되어 있도록 구성된 자석어셈블리와, 회전체와 함께 양 링자석이 회전되었을 때, 특정의 고정위상에 있어서의 양 링자석의 극성의 변화를 검출해서 출력을 발생하는 자기검출수단에 있어서, 회전체의 외주면 근방에서 제 1 링자석의 외주면에 상기 대향하도록 고정배치되어, 상기 제 1 링자석의 N극과 대향한 때와 S극과 대향한 때에 따라 상이한 2치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자기프로브 및 회전체의 둘레방향에 대해서 상기 제 1 자기프로브와 동일위상이 되도록 해서 동 제 1 자기프로브와 상기 회전축 또는 출력축의 측선방향에 나란히 배치됨과 동시에, 회전체에 외주면 근방에서 제 2 링자석의 외주면에 상시 대향하도록 고정배치되어 상기 제 2 링자석의 N극과 대향한 때와 S극과 대향한 때에 따라 상이한 2치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자기프로브를 포함하는 자기검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모터형 작동기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ic motor-type actuator for driving an intake air control valv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the motor being continuously driven in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and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and A gear train for transmitting rotational driving force to the intake air control valve to open and close the intake air control valve, and a magnet assembly fix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 shaft included in the gear train or the output shaft of the electric motor, so as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And the first and second ring magnets having the same shape as each other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two ring magnets are arranged side by side adjacen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while having a desired interval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or the output shaft. N poles formed over each of the outer circumferences of the half and S poles formed over the other half of the outer circumference Both ring magnets have a magnet assembly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by shifting the N and S poles by 90 °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xis, and when both ring magnets are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or, A magnetic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change in polarity of both ring magnets in a stationary phase of the ring magnet and generating an output, wherein the first ring is fixedly disposed so as to fac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ing magnet nea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The first magnetic probe which outputs a binary signal different from when it faces the N pole of the magnet and when it faces the S pole, and is made in phase with the first magnetic prob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The second side of the probe and the rotary shaft or the output shaft are arranged side by side and fixedly disposed so as to fac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ing magnet in the vicinity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The electric motor type actu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magnetic sensing means including a second magnetic probe which outputs a different binary signal at times when the N pole of the magnet and opposed to the S pole and the counter is provided.
본 발명의 회전수센서에 의하면, 링자석의 외주면의 절반이 N극으로, 그리고, 나머지 절반의 외주면이 S극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체가 반회전될 때마다, 자기프로브에 의해서, 검출되는 자기의 극성이 교호로 변하게 된다. 따라서 자기프로브가 전술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홀 IC로 구성되어 있으면, 이 홀소자로 부터의 전압신호는,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펄스적인 파형과는 달리, 정현파형으로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정현파형의 전압신호라면, H 슬라이스레벨과 L 슬라이스레벨과의 사이에서 규정하는 히스테리시스각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체의 정지상태에 있어서, 링자석의 N극과 S극의 경계선이 가령, 제13도에 도시한 자석(B)과 동일회전각위치에 있고, 이때 회전체에 진동이 가해져도, 이 회전체의 진동을 전술한 히스테리시스각의 범위내에 수용할 수 있다. 이 결과, 자기프로브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신호에 채터링현상이 발생하는 일은 없으며, 그러므로, 본 발명의 회전수센서를 사용하면, 펄스신호에 의거해서 회전체의 회전수를 정확하게 카운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otation speed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half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ng magnet is the N pole and the other half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the S pole, each time the rotating body is rotated half way, it is detected by the magnetic probe. The polarity of one's self is changed alternately. Therefore, as in the case where the magnetic probe is constituted by the Hall IC, the voltage signal from the Hall element becomes a sine wave, unlike the pulsed waveform shown in FIG. Therefore, with this sinusoidal waveform voltage signal, the hysteresis angle defined between the H slice level and the L slice level can be largely secured. Therefore, in the stationary state of the rotating body, the boundary line between the N pole and the S pole of the ring magnet is at the same rotation angle position as that of the magnet B shown in FIG. 13, even if vibration is applied to the rotating body. The vibration of this rotating body can be accommodated in the range of the hysteresis angle mentioned above. As a result, chattering does not occur in the pulse signal output from the magnetic probe. Therefore, by using the rotation speed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ng body can be accurately counted based on the pulse signal.
또, 전동모터형 작동기에 상기한 회전수센서가 조립, 즉 내장되어 있으면, 링자석이 장착되어 있는 축의 회전수를 회전수센서에 의해 정확하게 카운트할 수 있으므로, 전동모터에 의해 기어열을 개재해서 구동되는 피구동부재의 위치결정을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above-mentioned rotation speed sensor is assembled or built into the electric motor-type actuator, the rotation speed of the shaft on which the ring magnet is mounted can be accurately counted by the rotation speed sensor. Positioning of the driven member to be driven can be performed with high accuracy.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본 발명의 개략적인 원리를 제 1 도 내지 제 6 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First, the schematic principle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S.
본 발명에 관한 회전수센서(20)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7 도에 도시되어 있음)는, 제 2 도 및 제 3 도에 도시한 전동모터형 작동기(22)에 내장되어 있으며, 그리고, 전동모터형 작동기(22)는, 본 실시예의 경우, 자동차에서의 엔진(24)의 아이들 회전수 즉 공회전회전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밸브, 소위, 공회전속도제어밸브(Idle Speed Control Valv ; 이하, 단순히 ISCV라 칭함) (26)의 밸브체(28)를 구동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The rotation speed sensor 20 (more specifically, shown in FIG. 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corporated in the electric motor-
먼저, ISCV(26)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면, 엔진(24)의 흡기통로(30)에는 드로틀밸브(32)를 바이패스하도록 해서, 바이패스통로(3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바이패스통로(34)에, 상기한 ISCV(26)가 삽입되어있다. 엔진(24)이 공회전 운전상태에 있을 때, 제 3 도에 도시한 전자제어장치(36)는, 전동모터형 작동기(22)를 개재해서, ISCV(26)의 밸브체(28)를 구동하고, 이에 의해, ISCV(26)는, 바이패스통로(34)의 유로 단면적을 가변할 수 있다. 따라서, ISCV(26)에 있어서의 밸브체(28)의 밸브개방도를 가변함으로써, 바이패스통로(34)를 통해서 엔진(24)에 공급되는 혼합공기의 양이 조정되고, 이 조정에 의거해서, 엔진(24)의 공회전수는, 엔진(24)의 운전상태에 따라서 설정되는 목표공회전수와 일치하도록 제어된다.First, the
또한, 목표공회전수는, 엔진(24)에 있어서의 냉각수의 온도, 또, 자동차에 공기조화기, 자동변속기 및 파워스티어링을 위한 액압펌프등이 장비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공기조화의 온ㆍ오프, 자동변속기에 있어서의 변속영역의 위치, 액압펌프의 온·오프 등에 의해서 가변되는 것이다.The target idling speed is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in the
ISCV(26)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이 ISCV(26)는, 하우징(38)을 구비하고 있으며, 제 2 도에는, 이 하우징(38)의 하부만이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38)의 하부는, 중공의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다. 하우징(38)의 하부에 있어서의 측벽에는, 입구포트(4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입구포트(40)는, 바이패스통로(34)의 상류쪽의 부위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38)의 하부에는, 그 바닥벽에 출구포트(4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출구포트(42)는, 바이패스통로(34)의 하류쪽의 부위에 접속되어 있다.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출구포트(42)에 있어서, 그 안쪽의 둘레가장자리는, 밸브체(28)와 협동하는 밸브시트(44)로서 형성되어 있다. 밸브체(28)로부터는, 밸브축(45)이 위쪽을 향해서 뻗어 있으며, 이 밸브축(45)은, 하우징(38)내에 고정된 베어링(46)에 대하여, 그 축방향으로 이동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베어링(46)과 밸브체(28)와의 사이에는, 밸브축(45)을 둘러싸도록 해서, 압출코일스프링으로 된 밸브스프링(48)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 밸브스프링(48)은, 밸브체(28)를 밸브시트(44)를 향해서 부세하고 있다. 따라서, 밸브체(28)는, 통상, 밸브스프링(48)의 부세력을 받아서, 밸브시트(44)에 척석되어서, 출구포트를 폐쇄하고 있다.In the
전술한 ISCV(26)의 밸브체(28)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전동모터형 작동기(22)에 의해서 구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하에는, 이 전동모터형 작동기(22)에 대해서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the
전동모터형 작동기(22)는, 밸브축(45)의 상단부로부터, 넥부(50)를 개재해서 위쪽으로 뻗은 이송나사(feed screw) (5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이송나사(52)는, 밸브축(45)과 동일축으로 해서 더욱더 위쪽으로 뻗어 있으며, 이송나사(52)에는, 하우징(38)내에 회전자유롭게 배치된 웜휠(worm wheel) 즉 윔기어(54)가 나사맞춤되어 있다. 즉, 웜휠(54)의 중앙부에는, 나사구멍(5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송나사(52)는, 그 나사구멍(56)에 나사맞춤되어서, 웜휠(54)를 관통하고 있다. 또한, 웜휠(54)은, 도시하지 않은 고정수단에 의해, 그 축방향의 이동이 저지되어 있다.The
웜휠(54)에 있어서의 베어링(46)쪽의 끝면, 즉, 웜휠(54)이 하부면으로부터는, 링형상을 한 커버(58)가 거의 베어링(46)에 도달할 때까지 뻗어 있으며, 이 커버(58)는, 이송나사(52)를 바깥쪽으로부터 둘러싸고 있다. 또, 웜휠(54)의 상부면에서도 또, 환형상을 한 링(60)이 일체적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 링(60)은, 웜휠(54)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한 이송나사(52)의 상단부(62)를 둘러싸고 있다. 또, 웜휠(54)의 위쪽에는, 이송나사(52)와 동일축으로 해서, 원통형상을 한 스토퍼(64)가 고정되어 있다. 이 스토퍼(64)의 하부는, 내부에 이송나사(52)의 지름치수보다도 약간 큰 지름치수를 가진 원형의 오목부(66)를 규정하는 환형상부(68)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환형상부(68)이 하단가장자리는, 웜휠(54)의 링(60)과 이송나사(52)의 상단부(62)와의 사이에 침입해서, 이 상단부(62)를 둘러싸고 있다.The end face on the
스토퍼(64)에 있어서의 오목부(66)의 내단면은, 이송나사(52)에 있어서의 축방향 위쪽으로의 이동거리, 즉, 밸브체(28)가 밸브시트(440로부터 이간되는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면(70)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즉, 스토퍼면(70)은, 밸브체(28)의 최대밸브개방도를 결정하는 것이다.The inner end surface of the
그리고, 웜휠(54)에는, 비자성 재료로 이루어진 웜기어(72)가 맞물려 있다. 이 웜기어(72)는, 웜휠(54)의 축선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웜기어(72)의 일단부는,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역 회전가능한 전동모터(74)의 출력축(76)에 연결되어 있다. 전동모터(74)는, 이 실시예의 경우, 통상의 브러시가 부착된 정류자 직류모터이다. 이런 종류의 직류모터는, 염가인 동시에, 주위의 온도상승에 의해 가열되어도, 그 특성의 변화가 작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A
한편, 전동모터(74)는, 구동회로(7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이 구동회로(78)가 전술한 전자제어장치(36)에 접속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도면에는 상세히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전동모터(74) 및 웜기어(72)는, 상기한 하우징(38)내에 수용되어 있다.Although not shown in detail in the drawing, the
따라서, 상술한 전동모터형 작동기(22)에 의하면, 전동모터(74)는, 전자제어장치(36)로부터의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회로(78)를 개재해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고, 그리고, 이 전동모터(74)의 회전력은, 웜기어(72)를 개재해서 웜휠(54)에 전달되어, 이 웜휠(54)을 회전시킨다. 여기서, 웜휠(54)은, 회전은 가능하나 그 축방향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부착되어 있고, 또, 이송나사(52)는 도시하지 않은 스토퍼에 의해 회전이 저지되고 있으므로, 웜휠(54)의회전에 의해 이송나사(52) 자신은 회전하지 않고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이송나사(52)가 축방향으로 이동되면, ISCV(26)의 밸브체(28)는, 넥부(50) 및 밸브축(45)을 개재해서, 밸브시트(44)로부터 떨어지는 방향 또는 밸브시트(44)가 착석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밸브체(28)의 밸브개방도가 가변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electric motor-
따라서, 자동차의 엔진(24)이 공회전운전상태에 있을때, 전동모터형 작동기(22)에 의해, ISCV(26) 에 있어서의 밸브체(28)의 밸브개방도를 가변하여, 상기한 바이패스통로(34)를 통해서 엔진(24)에 공급되는 혼합기의 양을 조정하고, 이에 의해, 공회전운전상태에서의 엔진(24)의 공회전수를 제어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이와 같은 공회전수의 제어는, 실공회전수가 그때의 엔진(24)의 운전상태에 따른 목표공회전수에 일치하도록 이루어지게 하나, 이를 위해서는, 목표공회전수와 실공회전수와의 편차에 따라서, ISCV(26)에 있어서의 밸브체(28)의 밸브개방도를 가변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밸브체(28)의 밸브개방도, 즉, 밸브체(28)의 축선방향의 위치는, 전동모터형 작동기(22)에 있어서의 전동모터(74)의 회전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얻어지므로, 그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본 설명의 서두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동모터형 작동기(22)에, 회전수센서(20)가 조립되어 있다.The control of the idling speed is made such that the actual idling speed matches the target idling spe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회전수센서(20)는, 제 3 도에, 제 1 도 및 제 4 도를 추가해서 참조하면 명백한 바와 같이, 웜기어(72)의 선단부쪽에 배치되어 있다. 즉, 웜기어(72)의 선단부에는, 이 웜기어(72)와 일체적으로 회전하고, 그 회전수를 검출해야 할 회전축부(회전체) (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회전축부(80)에, 링자석(82)이 장착되어 있다. 이 링자석(82)은, 도시하지 않은 몰드재 등에 의해서 회전축부(80)에 고정되어 있으며, 따라서, 링자석(82)은, 회전축부(80)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링자석(82)은,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외주면의 절반이 N 극으로 자화되어 있으며, 이에 대하여, 나머지 절반의 외주면은, S 극으로 자화되어 있다. 또한, 제 1 도에 있어서는, 링자석(82)의 자극의 영역이 보다 명확하게 되도록, 자극의 다른 영역을 파선에 의해 구획하여 표시하고 있다.The
그리고, 회전축부(80)의 외주면 근처에는, 자기프로브로서의 홀 IC(84)가 하우징(38)에 고정되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홀 IC(84)는, 링자석(82)의 외주면에 상시 대향하고 있다.In the vicinity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회전축부(80)와 함께 링자석(82)이 회전할때, 이 링자석(82)에 있어서의 외주면의 자극, 예를들면 N 극이 홀 IC(84)의 바로 아래를 통과하면, 홀 IC(84)는, 고 (H)레벨의 전압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대하여, 링자석(82)의 S 극이 홀 IC(84)의 바로 아래를 통과할때, 홀 IC(84)는, 저(L)레벨의 전압신호를 출력한다.When the
상술한 홀 IC(84)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이 홀 IC(84)는, 제 5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링자석(82)의 자기를 검출하여, 이 자기에 따른 애널로그신호를 출력하는 홀소자(86)를 구비하고 있다. 이 홀소자(86)로부터의 애널로그신호는, 비교기(88)에 입력되며, 이 비교기(88)는, 수취한 애널로그신호의 레벨이 H 슬라이스레벨 이상에 있을때 H 레벨의 전압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대하여, 수취한 애널로그신호의 레벨이 L 슬라이스레벨 이하에 있을때 L 레벨의 전압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비교기(88)로부터의 출력신호는, 펄스신호(P)가 되며, 이 펄스신호(P)는, 또, 파형정형출력변환기(90)를 개재해서, 그 파형이 정형된후, 홀 IC(84)의 출력단자(92)로부터 출력되게 된다. 여기서, 펄스신호(P)는, H 레벨의 성분(PH)과 L 레벨의 성분(PL)을 가지고 있다. 출력단자(92)는, 제 3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자제어장치(36)에 접속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홀 IC(84)로부터의 펄스신호는, 전자제어장치(36)에 공급된다. 또한, 제 5 도 중에는, 홀소자(86), 비교기(88) 및 파형정형출력변환기(90)로부터의 출력의 파형이 각각 기호화 되어서 표시되어 있으며, 또 참조부호 (Vcc), (GND)는, 전원단자, 접지단자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The
상기한 회전수센서(20)에 의하면, 전동모터(74)에 의해, 링자석(82)이 회전축부(80)와 함께 회전하면, 홀 IC(84)의 홀소자(86)는, 링자석(82)이 반회전될 때마다, 교호로 다른 자극의 자기를 검출하게 되며, 따라서, 홀소자(86)로부터의 출력은,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정현파형의 애널로그신호(S)가 된다. 여기서, 홀소자(86)로부터 출력된 애널로그신호(S)는, 상기한 바와 같이 비교기(88) 및 파형정형출력변환기(90)에 의해, 마찬가지로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펄스신호(P)로 변환되어서, 홀 IC(84)로부터 전자제어장치(36)에 공급된다. 전자제어장치(36)에 공급된 펄스신호(P)의 H 레벨의 성분(PH), L 레벨의 성분(PL)이 전자제어장치(36)내의 카운터에 의해 카운트되나, 이때, 이들은, 전동모터(74)가 정회전되고 있는지, 또는 역회전되고 있는지에 따라, 그 카운터내에서 가산 또는 감산되고, 따라서, 이 계산치, 즉, 전동모터(74)의 회전수로부터, ISCV(26)에 있어서의 밸브체(28)의 밸브개방도가 구해진다.According to the
여기서, 본 발명의 회전수센서(20)에 의하면, 링자석(82)의 외주면중, 그 외주면의 절반이 N 극으로 자화되고, 한편, 나머지 절반의 외주면이 S 극으로 자화되어 있으므로, 회전축부(80)가 회전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홀 IC(84)의 홀소자(86)는,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현파형의 애널로그신호(S)를 출력하므로, 제1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경우의 히스테리시스각(θ1)에 비해서, 그 히스테리시스각(θ2) (약 30°)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전동모터(74)의 회전이 정지되었을때, 홀 IC (84)에 대하여, 링자석(82)이 제 1 도에 도시되어 있는 회전각위치, 즉, 링자석(82)에 있어서의 자극의 경계선(X)이 홀 IC(84)와 대향하게 되는 회전각위치에서 정지되었을때, 홀 IC(84)에 있어서의 홀소자(86)로부터의 전압신호(S)의 레벨은, 제 6 도중 Y점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H 슬라이스레벨과 L 슬라이스레벨과의 대략 중간치를 취하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 있을 때에, 회전축부(80)에 진동등이 가해져서, 이 회전축부(80), 즉, 링자석(82)의 회전각이 진동적으로 변위하였다고 해도, 이 변위가 (1/2)θ2 이상으로 되는 일은 거의 없으며, 상기 변위에 기인되는, 홀소자(86)로부터의 전압신호(S)의 레벨변화를, H 슬라이스레벨과 L 슬라이스레벨과의 사이의 범위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제어장치내의 카운터가 착오카운트하게 되는 펄스신호(P), 즉, 채터링현상을 포함한 펄스신호(P)가 홀 IC(84)로부터 출력되는 일은 없다.Here, according to the
또, 회전축부(80)의 정지상태에 있어서, 링자석(82)의 경계선(X)이 제 1 도에 도시한 회전각위치에서부터 더욱 변위한 회전각위치에 있어서, 홀 IC(84)로부터의 전압신호(S)의 출력레벨이 H 슬라이스레벨 또는 L 슬라이스레벨중 한쪽에 접근한 상태인 경우에, 회전축부(80)에 진동등이 가해져도, 홀 IC(84)로부터의 펄스신호(P)에 채터링현상이 발생하는 일은 없다. 즉, 이 경우에는, 펄스신호(P)에 있어서, 그 H 레벨의 성분(PH) 또는 L 레벨의 성분(PL)의 기간(t3)이 길어질뿐이므로, 이 경우에 있어서도, 전자제어장치내의 카운트가 착오카운트하게 되는 펄스신호(P), 즉 채터링현상을 포함한 펄스신호(P)가 홀 IC(84)로부터 출력되는 일은 없다.Moreover, in the stationary state of the
또, 본 발명의 회전수센서(20)에 의하면, 회전축부(80)가 일정한 회전속도로 회전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을때, 펄스신호(P)에 있어서의 H 레벨의 성분(PH)과 L레벨의 성분(PL)의 기간은, 제 6 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동일한 기간(t3)으로 되며, 또한, 이 기간(t3)은, 제14도에 표시한 종래의 기간(t2)에 비해서 충분히 긴 것으로 된다. 따라서, (t2)기간의 검출이 충분히 가능해지므로, 회전축부(80)에 있어서의 회전각의 진동적인 변위가 가령, 홀 IC(84)로부터의 펄스신호(P)에 채터링현상을 발생시킬 정도로 큰 경우라해도, 전동모터(74)의 회전수를 고려해서, 홀 IC(84)로부터의 펄스신호(P)의 펄스간격(t1)이 있을 수 없을 정도로 짧은 것이거나, 반대로 있을 수 없을 정도로 긴 것을 그 카운트의 대상으로부터 무시하게 되도록 필터를 펄스신호(P)에 거는 것도 가능해지고, 상기한 채터링현상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또한, 상기한 필터는, 방송국이나 통신장치 등의 외부로부터의 전자노이즈에 의해, 홀소자(86)로부터의 전압신호(S)가 악영향을 받게 되는 경우에도, 유효하게 기능하는 것은 명백하다.In addition, it is apparent that the above-described filter functions effectively even when the voltage signal S from th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회전수센서(20)에 의하면, 회전축부(80)의 회전수를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정확하게 카운트할 수 있고, 그리고, 본 발명의 회전수센서(20)를, 상기한 ISCV(26)의 전동모터형 작동기(22)에 내장하면, ISCV(26)에 있어서의 밸브체(28)의 밸브개방도를 고정밀도로 검출하고 또한 제어하는 일이 가능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또한, 밸브체(28)의 밸브개방도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하려면, 필요에 따라서, ISCV(26)에 있어서의 이송나사(52)의 상단부(62)를 스토퍼(64)에 당접시켜서 전자제어장치내의 카운터를 리세트하고, 이 당접상태로부터, 회전축부(80)의 회전수를 카운트하도록 하면 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detect the valve opening degree of the
또, 웜휠(54)의 치차수를 가능한 한 많게 하는 한편, 이송나사(52)의 피치를 잘게하면, 밸브체(28)의 밸브개방도를 보다 고정밀도로 검출하고 또한 제어할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In addition, if the number of dimensions of the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는 회전수센서(20)가 1개의 링자석(82)과 1개의 홀소자로 구성된 경우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대해 제 7 도 내지 제12도를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ase in which the
제 7 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회전수센서(20)는, 회전축부(80)의 축선방향에 관해서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해서 해당 축의 외주면에 인접해서 나란히 배치된 1쌍의 제1 및 제 2 링자석(82a), (82b)과, 이들 제1 및 제 2 링자석(82a), (82b)과 각각 짝을 이루는 제1 및 제 2 홀 IC(84a), (84b)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제1 및 제 2 링자석(82a), (82b), 그리고 제1 및 제 2 홀 IC(84a), (84b)는 전술한 일반작인 실시예의 대응하는 것과 마찬가지의 것이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반복하지는 않으나, 이 제 1 실시예의 경우, 제 8 도 및 제 9 도를 비교참조하면 명백한 바와 같이, 제 1 링자석(82a)과 제 2 링자석(82b)은, 회전축부(80)에의 장착에 대한 회전각 위상이 90˚만큼 어긋나 있다. 또, 제 2 홀 IC(84b)는 회전축부의 둘레방향에 대해서 상기 제 1 홀 IC(84a)와 동일위상이 되도록 해서 동 제 1홀 IC와 상기 회전축의 축선방향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As is apparent from FIG. 7, the
이 제 1 실시예의 회전수센서(20)에 의하면, 회전축부(80)의 회전에 따라, 제1 및 제 2 홀 IC(84a), (84b)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제1 및 제 2 펄스신호(P1), (P2) 는, 상기한 회전각 위상이 90°다르므로,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된다.According to the
여기서, 제10도에 도시한 제1 및 제 2 펄스신호(P1), (P2)를 맞포개어 생각하면, 이들 제1 및 제 2 펄스신호(P1), (P2)로부터, 회전축부(80)가 정회전상태에 있는지 또는 역회전상태에 있는지를 알수 있다. 즉, 제1 및 제 2 펄스신호(P1), (P2)를 맞포개어,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펄스신호의 맞포갬 패턴을 얻게 되었을때, 회전축부(80)가 정회전하고 있다고 하면, 이 경우에는, 제 1 홀 IC(84a)로부터 제 1 펄스신호(P1)의 H 레벨성분이 출력되고 있을때, 제 2 홀 IC(84b)로부터의 제 2 펄스신호(P2)는, H 레벨의 성분에서부터 L 레벨성분으로 변하게 된다.Here, when the first and second pulse signals P1 and P2 shown in FIG. 10 are superimposed, from the first and second pulse signals P1 and P2, the
이에 대하여, 회전축부(80)가 역회전하고 있으면, 제1 및 제 2 홀 IC(84a), (84b)로부터의 펄스신호의 맞포갬 패턴은, 제12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된다. 이 경우, 제12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제 1 홀 IC(84a)로부터 제 1 펄스신호(P1)의 H 레벨의 성분이 출력되고 있을때, 제 2 홀 IC(84b)로부터의 제 2 펄스신호(P2)는, L 레벨의 성분에서부터 H 레벨의 성분으로 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이와 같이 본 제 1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1 및 제 2 홀 IC(84a), (84b)로부터의 펄스신호의 맞포갬 패턴이 제11도의 패턴인지 또는 제12도의 패턴인지를 전자제어장치(36)에서 식별함으로써, 회전축(80), 즉 전동모터(74)가 정회전하고 있는지, 혹은 역회전하고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자기프로브로서 홀 IC를 사용하도록 하였으나, 이 홀 IC 대신에, 전자(電磁) 유도형의 자기프로브를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Hall IC is used as the magnetic probe, but instead of the Hall IC,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magnetic probe may be used.
또, 본 발명의 회전수센서는, 전술한 ISCV에 한하지 않고, 여러가지의 기기에 포함되는 회전체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Moreover, of course, the rotation speed sensor of this invention is not only limited to the ISCV mentioned above but can also be used for detect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ng body contained in various apparatu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회전수센서에 의하면, 회전수를 검출해야 할 회전체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자석을 링자석으로 하고, 그리고, 이 링자석의 외주면의 절반부를 N 극으로 하는 한편, 나머지 절반의 외주면을 S 극으로 하고 있으므로, 회전체가 반회전될 때마다, 자기프로브에 의해서 검출되는 자기의 극성이 교호로 변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링자석의 자기를 검출함으로써, 자기프로브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신호는, 회전체가 정지상태에 있어서도, 회전체의 진동등에 기인한 채터링에 의한 악영향을 받기 어렵게 되고, 회전체의 회전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rotation speed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gnet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to detect the rotational speed is made into a ring magnet, and half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ng magnet is made an N pole. Sinc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half is set to the S pole, each time the rotating body is rotated halfway, the polarity of the magnet detected by the magnetic probe changes alternately. Therefore, by detecting the magnetism of such a ring magnet, the pulse signal output from the magnetic probe is less likely to be adversely affected by chattering caused by vibration of the rotor even when the rotor is stationary, and the rotation of the rotor The number can be detected accurately.
또, 제1 및 제 2 링자석이 모터의 회전축 또는 출력축의 축선방향에 나란히 배치되면서 외주면에 부착되고, 또한 제1 및 제 2 홀 IC, 즉 자기프로브가 상기 축선방향에 제1 및 제 2 링자석과 각각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 자기프로브로부터의 센서출력이 상기 축선방향이라고 하는 동일 방향으로부터 검출되므로 엔진실이라고 하는 좁은 장소에서도 센서출력의 인출을 동일방향의 배선으로 행할 수 있어, 회전수센서 전체의 구성을 소형화할 수 있다.Further, the first and second ring magnets are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hile being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or the output shaft of the motor, and the first and second hole ICs, that is, the magnetic probes, are arranged in the axial direction. Since the sensor output from the magnetic probe is detected from the same direction referred to as the axial direction, the sensor output can be drawn out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engine compartment by wiring in the same direction, so that the sensor output from the magnetic probe is detected from the same direction. The structure of the whole hand sensor can be miniaturized.
또, 내연기관의 흡입공기제어밸브를 구동하기 위한 전동모터형 작동기에 상술한 회전수센서를 조립하면, 전동모터의 회전수로부터 흡입공기제어밸브의 위치를 간단하고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으므로, 흡입공기제어밸브의 위치결정제어를 고정밀도로 실시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above-mentioned rotation speed sensor is incorporated into an electric motor-type actuator for driving an intake air control valv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the position of the intake air control valve can be detected simply and accurately from the rotation speed of the electric motor. Positioning control of the air control valve can be performed with high accuracy.
또, 본 발명의 회전수센서는, 간단한 구조이므로, 각종 기기에 포함되는 회전체, 즉, 회전축의 회전수를 검출할 수 있어, 그 적용분야가 광범위하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otation speed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rotation speed included in various devices, that is,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on shaft, and thus the application field becomes wider.
Claims (1)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JP29024388 | 1988-11-18 | ||
| JP29024288 | 1988-11-18 | ||
| JP88-290242 | 1988-11-18 | ||
| JP63-290243 | 1988-11-18 | ||
| JP63-290242 | 1988-11-18 | ||
| JP88-290243 | 1988-11-18 | ||
| JP1278348A JP2792152B2 (en) | 1988-11-18 | 1989-10-27 | Rotation speed sensor and electric motor type actuator equipped with rotation speed sensor |
| JP1-278348 | 1989-10-27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900008281A KR900008281A (en) | 1990-06-04 |
| KR940007921B1 true KR940007921B1 (en) | 1994-08-29 |
Family
ID=2655796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19890016709A Expired - Fee Related KR940007921B1 (en) | 1988-11-18 | 1989-11-17 | Electric Motor Actuator with Speed Sensor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JP (1) | JP2792152B2 (en) |
| KR (1) | KR94000792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9959393B (en) * | 2019-04-10 | 2024-09-27 |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北京航空精密机械研究所 | Device and method for judging galloping state of electric inertial navigation turntable |
| CN113238070B (en) * | 2021-05-19 | 2024-01-30 | 南京高华科技股份有限公司 | Sensor for measuring reciprocating rotation speed of hydraulic motor |
| US12216138B2 (en) | 2022-05-16 | 2025-02-04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Rotation speed detector |
| CN219893134U (en) * | 2023-04-28 | 2023-10-24 | 三一重型装备有限公司 | Integrated intelligent motors and construction machinery |
Family Cites Familie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S5189093A (en) * | 1975-01-31 | 1976-08-04 | Jidokino ichikenshutsusochi | |
| JPS564056A (en) * | 1979-06-25 | 1981-01-16 | Stanley Electric Co Ltd | Speed sensor for automobile |
| JPS5967963U (en) * | 1982-10-27 | 1984-05-08 | 株式会社ボッシュオートモーティブ システム | Printed board |
| JPS61185259U (en) * | 1985-05-09 | 1986-11-19 |
-
1989
- 1989-10-27 JP JP1278348A patent/JP2792152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9-11-17 KR KR1019890016709A patent/KR94000792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JP2792152B2 (en) | 1998-08-27 |
| KR900008281A (en) | 1990-06-04 |
| JPH02243964A (en) | 1990-09-2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5004981A (en) | Detector device for simultaneously detecting both the direction and number of rotations of rotating member | |
| JP3983722B2 (en) | Engine intake control device | |
| US7808196B2 (en) | Electromotive auxiliary drive for vehicles | |
| US6701892B2 (en) | Throttle valve control apparatu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automobile using the same | |
| KR100975799B1 (en) | Gear drive unit with speed detector | |
| EP3604877B1 (en) | Electrically operated valve | |
| JP4927112B2 (en) | Drive device | |
| US6469499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low power position sensing systems | |
| US7671584B2 (en) | Rotation angle detection device | |
| JP4494368B2 (en) | Electronically controlled throttle device | |
| KR101252218B1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actuator for openning and shutting air intake valve | |
| JP2005048671A (en) | Engine intake control system | |
| US6396260B1 (en) | Measuring device for contactless detection of a rotational angle | |
| KR940007921B1 (en) | Electric Motor Actuator with Speed Sensor | |
| AU1261300A (en) | Measuring device for the contactless measurement of an angle of rotation | |
| JP4690710B2 (en) | Electric motor with reduction mechanism | |
| KR0181794B1 (en) | Crank Angle Sensor Assembly with Hall Element | |
| JP2727659B2 (en) | Operating amount information output device | |
| KR100384441B1 (en) | Apparatus for detecting the differential range in an accelerator and clutch pedal for use in a car | |
| JPS61276654A (en) | Air conditioning unit | |
| JP2004360592A (en) | Throttle control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80827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9083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9083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