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02272B1 - 원격제어용 엔코우더 - Google Patents

원격제어용 엔코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272B1
KR950002272B1 KR1019890016115A KR890016115A KR950002272B1 KR 950002272 B1 KR950002272 B1 KR 950002272B1 KR 1019890016115 A KR1019890016115 A KR 1019890016115A KR 890016115 A KR890016115 A KR 890016115A KR 950002272 B1 KR950002272 B1 KR 950002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oder
signal
carrier
remote control
dat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6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8891A (ko
Inventor
하기모리 하루오
Original Assignee
롬 가부시끼가이샤
사또 켄 이찌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롬 가부시끼가이샤, 사또 켄 이찌로 filed Critical 롬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8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27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원격제어용 엔코우더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용 엔코우더의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
제 2 도는 및 제 3 도는 제 1 도에 나타낸 원격제어용 엔코우더의 동작파형을 묘사한 다이어그램.
제 4 도는 종래의 원격제어용 엔코우더를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
제 5 도는 제 4 도에서 나타낸 원격제어용 엔코우더로 얻어지는 엔코우드 신호를 나타낸 다이어그램.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10 : 마이크로프로세서 4 : 키보드
6 : 드라이버 8 : 발광다이오드
11, 20 :중앙처리장치 12 : 데이타버스
13 : 반송파발생기 14 : 클록발생기
15 : 변조기 16, 24 : 출력단자
22, 26 : 입출력부 110 : 제어레지스터
본 발명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텔레비젼 수상기 등과 같은 각종의 전자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원격제어용 엔코우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마이크로컴퓨터를 사용하여 된 원격제어용 엔코우더에는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 칩 반도체기판에 마이크로프로세서(2)가 설치되고 이 마이크로프로세서(2)에 중앙처리장치(CPU : 20)와 함께 입출력부(I/O : 2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입출력부(26)에는 키보드(4)의 키(Key) 조작에 상응하는 채널선택 입력(channel selection input) 데이타가 입력된다.
이와같이 배열된 원격제어용 엔코우더는 키보드(4)로부터의 입력에 의하거나 또는 중앙처리장치(20)에서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의해 제 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엔코우드 신호(Ei)가 원격제어신호로 출력된다. 엔코우드 신호(Ei)는 입출력부(22)를 통과하여 신호 Eo로 바뀌고, 신호 Eo는 마이크로프로세서(2)의 출력단자(24)에서 인출된 후 드라이버 (6)에 가해진다. 드라이버(6)는 엔코우드 신호(Eo)에 해당되는 전류를 발생하며 이 전류는 출력에 연결되어 적외선을 방출하는 발광다이오드(8)로 흐른다.
그 결과, 엔코우드 신호(Eo)에 해당되는 적외선(Lo)이 발광다이오드(8)로 부터 발생하고 그 적외선(Lo)이 작동시킬 텔레비젼 수상기 등과 같은 조작대상기기(operation object appliance)의 광수신부에 조사(照射)됨으로써 필요한 조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원격제어용 엔코우더에는 엔코우드 신호(Eo)를 얻기에 충분한 주파수를 갖는 반송파(Cr)를 발생시키고 변조처리와 같은 신호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수행하기 위해서는 소프트웨어가 복잡하게 됨과 동시에 그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기억장치에 기억시켜야 할 데이타의 양이 증대되고, 기억장치의 기억용량이 증가되어야만 하는 등의 불합리한 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 (2)에서 데이타(Di) 및 반송파(Cr)를 출력시킨 후에 마이크로프로세서(2)의 외부에 부가된 변조회로를 이용하여 반송파(Cr)와 함께 데이타(Di)를 변조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방법과는 달리 외부회로가 필요하게 되므로 그 시스템이 복잡하게 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타 양을 줄이고 소프트웨어에 대한 부하를 경감시켜서 훨씬 용이하게 엔코우드 신호를 실현할 수 있는 원격제어용 엔코우더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반송파를 발생시키는 반송파 발생장치 : 입출력부에서 제공된 데이터 신호를 제어레지스터에 공급하고, 처리하도록 제어하며 출력시키는 중앙처리장치제어부 : 상기 제어레지스터의 데이타 신호 및 반송파발생장치의 반송파를 변조시켜 엔코우드 신호를 발생시키는 변조장치 ; 를 내장한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되어 있는 원격제어용 엔코우더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내부에 반송파 발생장치를 내장해서 필요한 엔코우드 신호를 얻음과 동시에 임의의 주파수 및 듀티(duty)를 갖는 반송파 신호를 얻을 수 있고, 조작대상기기에 해당하는 엔코우드 신호는 보다 적은 양의 소프트웨어를 실행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용 엔코우드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원격제어용 엔코우더에는 1-칩 반도체기판으로 구성된 마이크로프로세서(10)가 내장되어 있고 마이크로프로세서(10)의 내부에는 제어부 역할을 하는 중앙처리장치(11)가 설치되어 있으며 외부에는 전송하여야 될 원격제어데이타를 입력하여 주는 키보드(4)가 설치되어 있다. 키보드(4), 중앙처리장치(11) 및 제어레지스터(110)는 데이타버스(12)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키보드(4)를 통해 비디오 테이프 레코드에서와 같이 채널선택을 위한 입력을 시켰을 때, 이 입력에 해당하는 데이타(Di)가 중앙처리장치(1)에 의해 생성되고 이후 데이타버스(12) 및 제어리지스터(110)를 통해 출력된다.
제 2도의 a는 데이타(Di)를 표시한 펄스신호를 나타내며 펄스신호의 고(高, "H") 레벨구간의 에지(edge) 및 간격(interval)은 키보드(4)로부터 주어진 명령신호 a1,a2,a3,a4...등에 의해 설정된다.
제어레지스터(110)에서 키보드(4)로부터의 입력에 해당하는 제어신호(Ko)가 얻어지며 이 제어신호(Ko)는 반송파(Cr)의 발생장치로 설치되어 있는 반송파 발생기(13)에 인가된다. 제어신호(Ko)는 반송파발생기(13)의 동작지령신호(operation command signal)로 사용되고 동시에 반송파(Cr)의 주파수(fr) 및 듀티(dr)를 설정하는데도 이용된다.
반송파발생기(13)는 제어레지스터(110)로부터의 설정입력에 의해 반송파(Cr )의 주파수(fr) 및 듀티(dr)가 설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반송파발생기(13)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에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클록발생기(clock generator:14)에서 공급된 클록신호 Fosc를 기초로 하여 제 2 도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한 듀티를 갖는 펄스신호에의 스프링(spring)으로 이루어진 반송파(Cr)가 형성된다. 반송파(Cr)는 제어레지스터(110)로부터 보내지는 제어신호(Ko)를 사용함으로써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특정의 듀티 dr(=TH/T) 및 주파수 fr(=1/T)에 설정된다.
반송파(Cr)는 제어레지스터(110)의 제어신호(Ko)에 따라 마이크로프로세서(10)의 출력장치에 해당되는 변조기(15)에 인가된다. 변조기(15)는 제 2도 a에 도시된 데이타신호(Di)와 b에 도시된 반송파(Cr)를 변조시킴으로써 제 2도 c에 도시된 바와같은 변조파인 엔코우드 신호(Eo)가 얻어진다.
엔코우드 신호(Eo)는 데이타신호(Di)의 H레벨 구간에서만 반송파(Cr)를 단속적으로 갖는 펄스신호로서 정의된다.
엔코우드 신호(Eo)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의 출력단자(16)로부터 인출되어 엔코우드 신호(Eo)에 상응하는 전류를 발생하기 위해 드라이버(6)에 인가된다. 이 전류는 출력측에 접속된 적외선(Lo)을 방출하는 발광다이오드(8)에 흐르게 된다. 따라서, 엔코우드 신호(Eo)에 해당하는 적외선(Lo)이 발광다이오드(8)로부터 발생하고, 그 적외선(Lo)이 작동해야 되는 텔레비젼 수상기와 같은 작동대상기기의 광수신부에 조사되고 적외선(Lo)을 매개로 하여 필요한 작동이 원격적으로 행하여질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마이크로프로세서(10)에 설치되어 있는 반송파 발생기(13)는 키보드(4)로부터 주어진 데이타 입력에 상응하는 데이타(Di)를 변조시키기 위해 필요한 반송파(Cr)를 발생시킨다. 필요한 엔코우드 신호(Eo)는 이와같은 방법으로 얻을 수 있으며 이상과 같은 배열은 소프트웨어의 개발을 용이하게 하여주고 동시에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데이타의 용량을 감소시키며 따라서 기억장치의 용량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반송파(Cr)는 키보드(4)의 입력데이타신호에 따라 중앙처리장치(11)의 제어하에 작동대상기기를 구동시키는 임의의 주파수(Fr) 및 듀티(Dr)를 갖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표 1에 그의 예를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kpo00001
본 예에서, 0번 내지 4번의 5가지 채널을 설정하였다. 작동대상기기에 상응하는 반송파(Cr)는 키보드(4)로부터 주어진 입력데이타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5번은 반송파(Cr)를 발생시키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다. 표 1에 있어서, Fosc는 클록발생기 (14)의 클록신호를 표시한 것이다.
실시예는 원격조작을 위한 엔코우드 신호(E0)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원격조작과는 별개로 엔코우드 신호(E0)를 경보기 출력등의 음향신호에 사용하는 경우라도 동일한 상태이다.
본 발명의 원격제어용 엔코우더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내부에 반송파 발생장치를 내장해서 필요한 엔코우드 신호를 얻으며, 조작대상기기에 해당하는 엔코우드 신호는 보다 적은 양의 소프트웨어를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에 의한 여러가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할 수 있다.

Claims (4)

  1. 전송시킬 데이타에 상응하는 입력을 키보드(4)로부터 마이크로프로세서(10)에 입력하고 이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상기의 키보드(4) 입력에 따른 출력을 구하여 구동장치(6)에 가하고, 그 구동장치(6)가 발생하는 출력으로서 발광소자(8)를 동작시키는 원격제어용 엔코우더에 있어서,
    Figure kpo00002
    상기의 키보드(4)에 가해진 입력을 데이타 신호로 변환처리하는 제어부인 중앙처리장치와,
    Figure kpo00003
    클럭신호를 발생시키는 클럭발생기(4)와
    Figure kpo00004
    상기의 클럭발생기가 출력한 상기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반송파를 발생시키는 반송파 발생장치(13)와,
    Figure kpo00005
    상기의 중앙처리장치로 부터의 상기 데이타 신호와 함께 상기의 반송파 발생장치(13)로부터의 반송파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의 데이타 신호에 따라 상기의 반송파를 변조하여 엔코우드 신호를 발생시키는 변조장치(15)를, 내장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용 엔코우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 발생장치(13), 상기 제어부 및 변조장치(15)가 단일반도체기판상의 반도체 집적회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용 엔코우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엔코우더에 데이타 입력장치로 키보드(4)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용 엔코우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코우더에 상기 변조장치(15)에서 출력된 상기 엔코우드 신호를 받는 드라이버(6)와 이 드라이버(6)의 출력과 일치하여 구동되고 상기 엔코우드 신호를 나타내는 적외선광을 방출하는 발광소자(8)(light emitting device)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용 엔코우더.
KR1019890016115A 1988-11-08 1989-11-07 원격제어용 엔코우더 Expired - Fee Related KR9500022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1825/1988 1988-11-08
JP63281825A JPH02127842A (ja) 1988-11-08 1988-11-08 リモコン用エンコー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891A KR900008891A (ko) 1990-06-03
KR950002272B1 true KR950002272B1 (ko) 1995-03-15

Family

ID=17644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6115A Expired - Fee Related KR950002272B1 (ko) 1988-11-08 1989-11-07 원격제어용 엔코우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2127842A (ko)
KR (1) KR95000227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891A (ko) 1990-06-03
JPH02127842A (ja) 1990-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2813B1 (ko) 원격 제어 송신기용 발신기 드라이버
DE69026928D1 (de) Schaltungsprüfsystem mit einer Schnittstelle von N-bit pro Stift
US5448755A (en) Oscillation scheme for a selective calling reception apparatus
JPS6347038B2 (ko)
MY100986A (en) Frequency feedback on a current loop of a current -to-pressure converter
WO1990000840A1 (en) System for protecting digital equipment against remote access
JPS60121834A (ja) 電気回路
JPS57211679A (en) Ticket for passage
KR950002272B1 (ko) 원격제어용 엔코우더
GB2101452A (en) Buzzer
KR970028938A (ko) 외부 리셋 회로를 구비한 모뎀 장치
KR19990002384A (ko) 범용 리모트 컨트롤러의 출력 제어방법.
TW268114B (en) Data transmitting device
US4799107A (en) Auxiliary gain control apparatus for a television receiver
JPS6238032A (ja) リモ−トコントロ−ル送信回路
JPS5844887A (ja) 遠隔操作装置
KR940001509B1 (ko) 키메트릭스 제어회로
JPH0723471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KR910006963A (ko) 로딩, 언로딩시 화면의 전원노이즈 방지 방법 및 장치
KR20020076786A (ko) 원격 제어기의 신호 전송장치
TW277105B (en) An intellectual human body sensor
EP0417807A2 (en) Remote control unit
JPS61145998A (ja) リモコン送信装置
KR960003994Y1 (ko) 휴대용 통신기기의 데이타 세팅장치
JPS57210797A (en) Remote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0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3031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30316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